You are on page 1of 31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http://dx.doi.org/10.15670/HACE.2015.36.1.

47
Han-Character and Classical written language Education
2015, 第三十六輯, pp. 47-77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1) 김왕규**

目 次

Ⅰ. 序論
Ⅱ. 韓國에서 漢字 敎育의 位相과 性格
Ⅲ. 韓國의 漢字 敎育 硏究의 動向
Ⅳ. 餘言

▮ 국문초록

이 글은 제5회 漢字・漢字 敎育 國際 學術 大會(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n Characters Education and Research)의 주제 발표의 하나로, 韓國의
한자 교육 연구의 動向을 紹介하는 연구 과제로 企劃되었다. 한자 교육 연구의
동향과 성과는 範疇에 따르는데, 한자 교육 연구의 범주와 구분에 앞서 한국에서
한자 교육의 位相과 性格을 座標로 提示한다.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몇 가지 次元에서 논의될 수 있는데, 한문(과) 교육, 국어
(과) 교육, 그리고 중국어, 일본어 교육을 포함한 漢字文化圈 次元으로 收斂된다.

* 이 논문은 한국교원대학교 2014학년도 KNUE 학술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음


** 韓國敎員大學校 敎授 / E-mail : wind63@knue.ac.kr
48 漢字漢文敎育 第三十六輯

國語
敎育

(나) (가)

漢文
敎育

(라) (다)

<그림 1> 韓國 漢字 敎育의 位相과 性格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학교 교과교육의 하나인 한문과 교육의 핵심 내용 가운


데 한 분야이다. 그리고, 한국의 지리적・언어적・문화적 조건에 의해, 한국에서 한
자 교육은 국어교육 혹은 한국어 교육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한편,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 대만, 홍콩 등은 역사적으로, 또한 동시대적으로 ‘한자’를 自國
文字로, 혹은 表記의 수단으로 활용했다. 이른바, ‘漢字文化圈’을 말하는데, 비록
<그림 1>에서 표시하지 않았지만, 외곽 點線으로 作用한다. <그림 1>에서 세로
축을 기준으로 보면, (가), (나) 영역에 속하는 한자는 일상 언어 생활이나 국어사
전 登載 어휘 가운데 ‘高頻度’ 군에 속하는 한자다. 造語力과 常用度 혹은 活用度
가 높다. 한문 교육 차원, 곧 가로축을 기준으로 생각해 보면, (가), (다) 영역에
속하는 한자가 漢文 典籍에서 높은 빈도를 갖는다. 座標가 스스로 밝히듯이, (가)
군에 속하는 한자들이 국어 교육과 한문 교육에서 모두 학습의 轉移 및 相互 作
用 效果가 높다. (가), (다)에 속하는 한자군이 바로 현행 ‘漢文敎育用 基礎 漢字
1,800자’의 字種이다. 한편, 한자 교육의 위상과 성격에 대한 연구 문제는, 1972년
이래 국어교과의 附庸으로부터 독립한 한문과의 위상이 외형적으로 좋아진 듯하
지만 其實은 孤立無援으로 불안정하게 된 현실을 따져보면서, 한문과 국어의 連
繫 내지 統合과 관련지어 조심스럽게 논의되어야 할 과제로 판단된다.
한국의 한자 교육에 대한 연구 현황과 성과를 범주별로 구분하여 정리하면 다
음과 같다.
• 漢文科 敎育課程 : 현재,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일차적으로 국가 수준 교육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49

과정 가운데, 교과의 하나인 한문과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으로 機能한다.


2009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가운데, 한자 교육 관련 영역에 대한 검토가
집중적으로 遂行되었다. 교육과정에 기술된 학습 내용과 관련하여 한자 읽
기 교육, 한자 筆順과 관련된 성과가 提出되었고, 특히 韓國漢文敎育學會
는 2013년 ‘초・중・고 한문 학습 字典의 현황과 編纂 방안’을 주제로, 한문
학습 자전에 대한 종합적 연구 결과를 報告하였고, 2013년 ‘한문 교육과 創
意・人性 敎育’을 주제로, 한문과에서 遂行 可能한 창의・인성 교육을 提案
하였다.
• 漢文敎育用 基礎 漢字 1,800자 : 2000년에 새롭게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가 調整된 이후,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史的 考察, 字義
선정, 字形 고찰, 교과서 활용 방안, 형성자의 音價 변화, 의미 통일화 방안
등 제반 분야에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를 포함한 교육
용 한자의 字量, 字種, 水準,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 방법 측면에서 최근 컴
퓨터와 코퍼스언어학의 발달에 힘입어 본격적으로 이 분야를 개척한 연구
결과가 注目되는데, 한문교육용 基礎 漢字 선정, 한자 造語 능력, 한자 活用
度, 그리고 초등학교 한자 교육용 基本 語彙․基礎 漢字 선정을 주요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 漢字文化圈의 漢字 敎育 : 한자문화권의 한자 교육에 관한 談論은 한자문
화권의 再形成, 현대 한자문화권의 문자 사용과 범주, 한자문화권의 변화 등
한자문화권의 地形圖를 새롭게 照明하였다. 특히, 최근 연구 가운데 韓國,
中國, 臺灣, 日本의 한자 字典의 字形 비교 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한자 자
전에서 標題字 자형 선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다방면으로 한자 字形 標準化 방안에 대한 논의를 深化, 擴張
시킨 보고가 주목된다.
• 國語 敎育 혹 韓國語 敎育과 漢字 敎育 : 국어 교육과 한자 교육(혹은 한문
교육)의 관계 양상에 대해 이전의 연구 성과로 連繫 내지 統合, 二元化, 그
리고 一元化 방안 등이 제시되었다. 최근의 논의 가운데, 국어 교육에서 말
하는 어휘 교육은 하나의 덩어리로 굳어져 일상적으로 부려쓰는 어휘의 의
미 파악이 목표라고 말하여, 기호론적 입장에서 어휘 학습의 본질적인 목표
인 의사소통에 한자 교육이 왜 효과적인지 타당한 근거를 세워야 한다는 주
장이 주목된다. 한편,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는 2013년 춘계 학술 대회에서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의 위상 정립과 방안 연구의 필요성’을
50 漢字漢文敎育 第三十六輯

기획 주제로 설정하고, 다방면에서 한국어 교육과 한자 교육의 연관성을 강


조하였다.
• 初等學校 漢字 敎育 : 초등학교 한자 교육은 어문 정책, 국어 교육, 그리고
한문 교육 등 이해당사자 사이의 爭點이 되어 왔다. 한문 교육의 경우, 초등
학교 한자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 현황과 실태, 교육과정, 성격과 목표 등이
핵심 주제였다.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대해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는 ‘초등
학교 한자(한문) 교육의 방안 모색’,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필요성’, 그리고
‘초등학교 한자 교육 방향 정립과 실행 방안’을 기획하고, 초등학교 한자 교
육 전 분야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전개했다.
• 漢字 敎授・學習 方法 및 評價 : 한자 교육 연구에서 가장 實際的 연구 분
야가 바로 한자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영역이다.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는
‘字源 硏究와 한자 교육’,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방법의 효율적 방안’을 기
획 주제로 설정하여, 한자 교수・학습 방법 분야의 연구를 확대, 발전시켰다.
한편, 한자 교육 평가 분야에서 韓國漢文敎育學會는 ‘동아시아 삼국(韓・
中・日)의 한자 능력 평가 및 한문 교재의 현황과 전망’을 기획하고, 한자능
력검정시험을 다방면에서 照明하였다.

한국에서 한자 교육을 포함한 한문 교육의 形勢가 점차 衰落하는 것은 국가 수


준의 교육과정 總論 編制에서의 수업 시수 감소와 ‘한글 전용’에 기반한 국가의
語文 政策과 깊은 관련이 있다. 또 다른 배경으로 정치・경제・사회・교육 등 제반
분야에서 이른바 동양 문화 혹 한자 문화의 영향력이 사라지고,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 문화의 도도한 浸潤과 의식의 感染을 들 수 있다. 향후, 우리가 할 수 있
는 일 가운데 하나는, 국어(과)와 한문(과)의 連帶 속에서 두 학문[교과]의 지속적
발전을 도모하는 것인데, ‘한자 교육’은 연대의 핵심에 놓여 있다. 連帶와 調和 위
에서 국어 교육 및 한국어 교육에서 한자 교육, 한자문화권, 초등학교 한자 교육,
방법과 평가, 교육용 한자 등에 대한 연구 수행 및 결과가 실제적 結實을 맺을
것이다.

주제어 漢字 敎育, 漢文科 敎育課程, 漢文敎育用 基礎 漢字 1,800자, 漢字


文化圈, 初等學校 漢字 敎育, 韓國語 敎育과 漢字 敎育, 漢字 敎授・
學習 方法과 評價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51

Ⅰ. 序論

이 글은 제5회 漢字・漢字 敎育 國際 學術 大會(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n Characters Education and Research)의 주제
발표 곧, 각국의 한자 교육 연구의 現況과 課題를 紹介하는 연구 과제
의 하나로 企劃되었다. 즉, 이 연구는 한국의 한자 교육 연구의 動向과
成果를 점검하고, 향후 한자 교육 연구의 방향을 제기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동향과 성과는 範疇에 따르는데, 한자 교육 연구의 범주와 구
분에 앞서 한국에서 한자 교육의 위상과 성격을 座標로 提示한다.
이 글은 필자의 「漢字 敎育 硏究의 動向과 課題」1)의 후속 연구이다.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의
󰡔漢字漢文敎育󰡕, 韓國漢文敎育學會의 󰡔漢文敎育硏究󰡕에 게재된 論文
을 주요 검토 대상2)으로 한다. 단, 필요한 경우 두 학회지 이외의 글3)
도 인용하기로 한다.

Ⅱ. 韓國에서 漢字 敎育의 位相과 性格

한국에서 한자 교육의 位置와 狀態, 그리고 그 特性은 무엇일까, 라


는 質問에서 논의를 시작한다. 바로 한자 교육의 位相과 性格을 말한

1) 김왕규(2006). 참조.
2) 이 글의 검토 대상은 󰡔漢字漢文敎育󰡕16~34輯(2006~2014), 󰡔漢文敎育硏究󰡕 26~
41號(2006~2013)에 게재된 논문 가운데, ‘한자 교육’ 관련 연구물이다. 두 학회지
의 이전 연구 논문 가운데 한자 교육 관련 개별 연구 논문의 성과와 과제는 김왕규
(2006)에 자세하다.
3) 허철(2011a). 참조. 특히, 한자 교육 관련 연구물 가운데, 현장 교사들이 학교 교실
에서 수행한 수업 자료와 연구 자료들을 소개한 전국한문교사모임의󰡔한문교육󰡕이
주목된다. 이에 대한 검토는 백광호(2006b; 2014); 김경익(2010). 참조.
52 漢字漢文敎育 第三十六輯

다. 학계의 보고에 따르면,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몇 가지 차원에서 논


의될 수 있는데, 한문(과) 교육, 국어(과) 교육, 그리고 漢字文化圈 次
元으로 收斂된다.4) 다음 그림을 보면서, 질문에 답해 보자.

<그림 1> 韓國 漢字 敎育의 位相과 性格5)

國語
敎育

(나) (가)

漢文
敎育

(라) (다)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학교 교과교육의 하나인 한문과 교육의 핵심


내용 가운데 한 분야이다. 讀解, 文化, 그리고 漢文 知識 영역으로 구분
된 국가 수준의 2009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학습 내용 전 분야에 道
具로써 혹은 특정 영역의 知識으로써 機能한다. 그리고, 한국의 地理
的・言語的・文化的 조건에 의해,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국어교육 혹은
한국어 교육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국어 어휘 가운데, 한자어의
크기와 한자 어휘의 의미 파악을 생각해 보면 理致가 있다. 한편, 한국

4) 김왕규(2006; 2013b); 허철(2011a). 참조.


5) <그림 1>에서 가로축과 세로축의 선을 點線으로 그린 것은 (가), (나), (다), (라)
영역 구분이 논의의 편의상 圖式化 한 것이고, 각 영역과 영역, 영역 속에 속하는
한자 群은 상호 連繫되며 넘나들 수 있음을 의도했다.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53

과 일본, 그리고 중국, 대만, 홍콩 등은 역사적으로, 또한 동시대적으로


‘한자’를 自國 文字로, 혹은 表記의 수단으로 활용했다. 이른바, ‘漢字文
化圈’을 말하는데, 비록 <그림 1>에서 표시하지 않았지만, 외곽 點線
으로 作用한다.

<그림 1>에서 세로축을 기준으로 보면, (가), (나) 영역에 속하는 한


자는 일상 언어 생활이나 국어사전 登載 어휘 가운데 ‘高頻度’ 군에 속
하는 한자다. 常用度[活用度]와 造語力이 높다.6) 한문 교육 차원, 곧
가로축을 기준으로 생각해 보면, (가), (다) 영역에 속하는 한자가 漢文
典籍에서 높은 빈도를 갖는다.7) 座標가 스스로 밝히듯이, (가) 군에 속
하는 한자들이 국어 교육과 한문 교육에서 모두 학습의 轉移 및 相互
作用 效果가 높다. 반면, (라)의 경우, 빈도를 기준으로 단순하게 말하
면, 국어 교육과 한문 교육 두 차원에서 그 활용의 정도가 낮다.

교육의 차원에서 생각해 보자. 국어 교육의 경우, (가), (나)에 속하는


한자를 우선적으로 교수・학습할 수 있다. 한문 교육의 경우, (가), (다),
(나), (라)를 모두 교육의 대상으로 포함할 수 있지만, 제한된 한자의
字量과 字種을 고려한다면, (가), (다)를 우선적으로 선정, 지도할 수
있다. (가), (다)에 속하는 한자군이 바로 현행 ‘漢文敎育用 基礎 漢字
1,800자’의 字種이다. ‘한문교육용’이라고 標榜하였지만, 실상은 국어
교육용과 한문 교육용을 混合했다.
1972년 이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총론 편제 상, 국어과 교육에서
한자 교육을 放棄・排除하고, 한문과 교육에서 ‘한자어’를 학습 내용으

6) 허철(2008b; 2010a). 참조.


7) 허철(2008a). 참조.
54 漢字漢文敎育 第三十六輯

로 수용한 결과이다.8) 한자문화권 차원의 경우, (가)~(라)에 속하는 한


자가 모두 대상이 되지만, 각국의 상용 한자와의 비교를 통해 字量, 字
種, 字形, 字義 등과 관련된 논의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 한자 교육 연구의 범주, 범주에 따른 성과, 그리고 과제는


<그림 1>의 한국 한자 교육의 위상과 성격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한문
과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으로서의 한자 교육, 한자문화권의 한자 교육,
그리고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등의 문제는 가로축에, 국어 교
육 혹은 한국어 교육에서 한자 교육은 세로축에, 그리고 초등학교 한자
교육과 한자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는 가로축과 세로축 모두에 관련된
다. 한편, 한자 교육의 위상과 성격에 대한 연구 문제는, 1972년 이래
국어교과의 附庸으로부터 독립한 한문과의 위상이 외형적으로 좋아진
듯하지만 기실은 孤立無援으로 불안정하게 된 현실9)을 따져보면서, 한
문과 국어의 連繫 내지 統合10)과 관련지어 조심스럽게 논의되어야 할
과제로 판단된다.11)

Ⅲ. 韓國의 漢字 敎育 硏究의 動向

한국의 한자 교육 연구 성과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시기, 유형, 연구


자료, 연구 방법, 주제나 내용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연구 방법에 주목한
비평과 시기에 따른 검토는 이전의 報告12)에 기대고, 여기서는 연구 주

8) 김왕규(2005). 참조.
9) 임형택(2004), 234면. 참조.
10) 황위주(2004); 진재교(2006); 김왕규(2013b). 참조.
11) 김왕규(2006), 20면. 참조.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55

제와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의 한자 교육 연구의 범주를 구분하여 개괄


적으로 살펴보되, 새로운 연구 과제에 注目하도록 한다. 범주별 성과
검토에 앞서, 학계에 보고된 한자・한문 교육 관련 연구 성과에 대한 개
괄적 검토 논문들을 소개하기로 한다.

검토 대상의 크기 면에서 허철의 成果13)가, 현장 한문 교실 수업에


초점을 둔 연구 성과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안동규, 백광호의 報
告14)가, 한문 교사들의 실제 수업 자료를 분석했다는 측면에서 김경익,
백광호의 硏究15)가 주목된다. 연구 성과에 대한 검토는 아니지만, 대학
한자 교육과 유아 한자 교육의 현황이 紹介16)되었다.

▲ 漢文科 敎育課程 : 현재,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일차적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가운데, 교과의 하나인 한문과 교육과정의 학습 내
용으로 機能한다. 2009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가운데, 한자 교
육 관련 영역에 대한 검토가 집중적으로 遂行되었다. 대영역 ‘한
문 지식’가운데 ‘한자’ 영역에 대한 내용 분석과 성취기준 및 성취
수준 분석17)이, 대영역 ‘문화’의 ‘한자 문화’, ‘언어 생활과 한자
문화’와 관련하여 내용 분석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분석18)이,

12) 김왕규(2006)에서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을 기준으로 한자 교육 연구 성과를 범주


화했다. 허철(2011a)에서 연구 내용과 연구 내용의 대상을 기준으로 학술 논문 486
종, 석박사 학위 논문 214종을 일차적으로 분류하였으나, 구체적 서술 방식은 시대
의 변화와 한자 교육 연구 소재를 따랐다.
13) 허철(2011a). 참조.
14) 안동규(2014); 백광호(2014). 참조.
15) 김경익(2010); 백광호(2006b). 참조.
16) 김우정(2008); 오예승(2007). 참조.
17) 김경익(2012a; 2012b). 참조
18) 김왕규(2012a; 2012b). 참조.
56 漢字漢文敎育 第三十六輯

그리고 한자 문화, 한자문화학, 한자 생활과 한자 문화에 대한 확


장된 논의19)가 生産되었다. 교육과정에 기술된 학습 내용과 관련
하여 한자 읽기 교육20), 한자 筆順과 관련된 성과21)가 提出되었
고, 특히 韓國漢文敎育學會는 2013년 ‘초・중・고 한문 학습 字典
의 현황과 편찬 방안’을 주제로, 한문 학습 자전에 대한 종합적 연
구 결과22)를 報告하였다. 한편, 국가의 교육과정 정책에 부응하
여, 韓國漢文敎育學會는 2013년 ‘한문 교육과 創意・人性 敎育’을
기획 주제로 設定하였는데, 한문과에서 遂行 可能한 창의・인성
교육을 提案23)하였다. 강민구, 오예승, 백광호의 報告24)도 따랐는
데, 人性 교육을 활용한, 한문과의 교과 정체성 確立과 위상 提高
에 글의 意圖가 있다. 특히, 2007년, 2009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
정 내용 체계의 변화에 따라, 언어 처리 이해 모형에 근거하여 漢
字 解讀과 독자의 背景 知識의 상호 작용을 통한 독해 교육 논의
가 試圖25)되었다.

▲ 漢文敎育用 基礎 漢字 1,800자 : 주지하듯이 1972년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가 제정되고, 2000년에 새롭게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19) 윤채근(2012); 송혁기(2012); 양원석(2011). 참조.


20) 김창진(2008); 한은수(2008b); 김경수(2007); 김창호(2007). 참조.
21) 한연석(2013); 김영호(2013); 고은선・김성훈(2013). 참조. 고은선・김성훈(2013)의
경우, 연구 방법 면에서 새롭다.
22) 정재철(2013b); 이군선(2013); 조영호(2013); 강민구(2013b); 김영옥(2013b); 이
동재(2013); 김왕규・송병렬(2013); 허철(2013b). 참조.
23) 정재철(2013a); 한은수(2013); 강민구(2013a); 김왕규(2013a); 김병철(2013). 참조.
24) 강민구(2014); 백광호(2013); 오예승(2013). 참조.
25) 이른바 상향식, 하향식, 상호작용식 언어 처리 이해 모형을 말하는데, 윤재민(2007)
에서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특징의 하나로 언급했고, 김왕규(2014)에서
언어 처리 이해 모형에 근거하여 한자 해독을 활용한 독해 교육 과정을 시론했다.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57

1,800자가 調整된 이후,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에 대한


연구는 한문과의 교과적 정체성 문제와 긴밀히 연계되어26), 학계
의 지속적 탐구 과제로 주목을 받아 왔다.27) 사적 고찰, 字義 선
정 및 近義字 문제, 字形 고찰, 교과서 활용 방안, 형성자의 音價
변화, 의미 통일화 방안 등 제반 분야에서 후속 연구28)가 수행되
었다.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를 포함한 교육용 한자의 字量, 字種,
水準,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 방법 측면에서 최근 컴퓨터와 코퍼
스언어학의 발달에 힘입어 본격적으로 이 분야를 개척한 연구 결
과29)가 注目을 끈다. 이들 연구는 한문교육용 基礎 漢字 선정, 한
자 造語 능력, 한자 活用度, 그리고 초등학교 한자 교육용 基本
語彙․基礎 漢字 선정을 주요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과
제를 수행하기 위해 計量 硏究 혹은 計量 言語學을 운용했는데,
코퍼스 자료로 ‘563종의 史書類와 文集類’, ‘ 󰡔표준국어대사전󰡕
표제어’, 그리고 ‘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1․2」’를 활용30)한
점이 特記할 만하다.

▲ 漢字文化圈의 漢字 敎育 : 한자문화권의 한자 교육에 관한 談論


은 한자문화권 소속 국가의 한자 교육을 소개, 분석한 이전의 연
구 성과를 계승하면서31), 한자문화권의 再形成, 현대 한자문화권
의 문자 사용과 범주, 한자문화권의 변화 등 한자문화권의 地形圖

26) 송병렬(2000). 참조.


27) 김왕규(2006), 25~26면. 참조.
28) 김영옥(2013a); 허철(2011b); 김영옥(2011); 진재교(2008); 이병찬(2006); 이동재
(2004). 참조.
29) 허철(2008a; 2008b; 2010a; 2010b). 참조.
30) 김왕규(2011), 41~42면. 참조.
31) 허철(2006); 한연석(2011); 박세진(2011; 2010); 송호빈(2011). 참조.
58 漢字漢文敎育 第三十六輯

를 새롭게 照明32)하였다. 김영옥은 韓國, 中國, 臺灣, 日本의 한


자 자전의 字形 비교 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한자 자전에서 標題
字 자형 선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는데, 다방면으로 한자 字形 標準化 방안에 대한 논의를
深化, 擴張시키고 있다.33)한편, 異體 형태의 한자 곧 ‘異體字’에
주목하여, 이체자 정리의 현황과 전망을 기획한 연구가 시도34)되
었는데, 향후 이 방면의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國語 敎育 혹 韓國語 敎育과 漢字 敎育 : 국어 교육과 한자 교육


(혹은 한문 교육)의 관계 양상에 대해 이전의 연구 성과로 連繫
내지 統合35), 二元化36), 그리고 一元化 방안37) 등이 제시되었는
데, 최근의 연구 성과로 김대희의 논의가 주목된다. 흔히, 한자 교
육의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국어 어휘 교육과 한자 교육과의 관련
을 강조38)하는데, “(국어 어휘 가운데 漢字語의 경우 : 필자 주)
한자를 사용하게 될 경우, 하나의 의미에 대한 다른 철자 체계(곧,
漢字를 말함 : 필자 주)의 설정으로 기호 표현을 2개로 만드는 결
과”이며, “한글화된 한자어 교육은 어휘 교육의 내용일 수 있지만,
한자의 音과 訓에 대한 교육은 어휘 교육이라고 보기 어려우며,
국어 교육에서 말하는 어휘 교육은 하나의 덩어리로 굳어져 일상
적으로 부려쓰는 어휘의 의미 파악이 목표”라고 말하여, 기호론적

32) 송병렬(2013; 2011); 허철(2011c). 참조.


33) 김영옥(2013b: 2012a; 2012b). 참조.
34) 허철(2008c). 참조.
35) 황위주(2004). 참조.
36) 반성완(1989); 김왕규(2013b). 참조.
37) 진재교(2006). 참조.
38) 이명학(2011). 참조.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59

입장에서 어휘 학습의 본질적인 목표인 의사소통에 한자 교육이


왜 효과적인지 타당한 근거를 세워야 한다고 立論39)하였다. 한편,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는 2013년 춘계 학술 대회에서 ‘한국어 교
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의 위상 정립과 방안 연구의 필요성’을
기획 주제로 설정하였는데, 언어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에
서 한자 교육의 발전 방향, 한국어 교육 제도와 정책, 한국어 교육
에서 한자 어휘 교육을 위한 성취 기준 개발, 그리고 학습자의 특
성에 따른 漢字系 어휘 학습 전략 설계를 위한 통합 어휘 비교 연
구의 필요성 등의 연구 성과물40)을 生産하였다. 해외 한국어 학습
자를 위한 한자 교육 논의41) 또한 이 방면의 연구와 연계된다.

▲ 初等學校 漢字 敎育 : 초등학교 한자 교육은 어문 정책, 국어 교육,


그리고 한문 교육 등 이해당사자 사이의 爭點이 되어 왔다. 한문
교육의 경우,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 현황과 실태,
교육과정42), 성격과 목표 등이 핵심 주제였다.43)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대해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는 지속적인 성과를 생산했다.
먼저, 2009년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춘계 학술발표대회 기획 주
제로, ‘초등학교 한자(한문) 교육의 방안 모색’을 설정하고, 필요성
과 의의, 현황과 전망, 認定 교과서 내용 분석, 고전 자료 활용, 중
등학교 한문 교육과의 연계, 그리고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다방

39) 김대희(2010). 참조.


40) 김대희(2013); 김우정(2013); 김성중(2013b); 허철(2013a). 참조.
41) 김훈태(2012); 윤재민(2012); 김훈태・Andrea De Benedittis(2014). 참조.
42) 이른바 초등학교 한자(한문) 교육과정은 이전에도 보고가 있었지만, 최근의 성과로
한은수(2008a), 윤재민(2009a)를 꼽을 수 있다.
43) 김왕규(2006). 참조.
60 漢字漢文敎育 第三十六輯

면에서 집중 분석44)했다. 이어, 2010년 2월 24일, 국회의원 의원


회관 소회의실에서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심포지
엄을 개최하여,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필요성과 요구 조사를 發
表45)하였다. 특히, 2009년에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요구 및 그 바람직한 해결 방안을 구안하기 위한 정책 과
제를 韓國敎育課程評價院에 위탁, 수행했는데, 그 결과46) 또한 이
자리에서 보고되었다. 그리고 2010년,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는
춘계 학술대회 주제로 ‘초등학교 한자 교육 방향 정립과 실행 방
안’을 기획하였는데, 방향 定立, 성격과 指向, 단원 구성, 교수・학
습 방법, 운영 방안, 기본어휘 및 기초한자 선정, 교원 양성 등의
성과47)가 제출되었다. 초등학교 한자 교재 및 인정 교과서에 대한
내용 분석 분야에서 한은수, 김창호, 진철용이 지속적으로 연구 결
과를 報告48)했으며, 마법 천자문과 유아 한자 교재에 대한 분석49)
도 수행되었다. 초등학교 한자 교육을 위한 한자 및 한자 어휘의
성격, 범위, 선정 방법 등의 문제가 중요한 課題50)인데, 위의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에서 과제 해결의 방안을 소개했다.

44) 안재철(2009); 진철용(2009b); 한은수(2009); 김창호(2009); 송병렬(2009); 윤재


민(2009a). 참조.
45) 이명학(2010); 송병렬(2010a); 김진숙(2010). 참조.
46) 김진숙(2010). 참조. 김진숙의 보고는 표집의 크기와 절차가 주목되기도 하지만,
‘초등학교에서 한자 교육 방안’을 5가지로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주의를 요한다. 한
편,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로 진철용(2009b), 안동규(2010)을 들 수
있다.
47) 송병렬(2010b); 김창호(2010); 김왕규(2010); 진철용(2010); 한은수(2010); 허철
(2010b); 김우정(2010). 참조.
48) 한은수(2009); 김창호(2009); 진철용(2009a). 참조.
49) 남은경(2011); 이정연(2007). 참조.
50) 한은수(2012); 허철(2010b). 참조.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61

▲ 漢字 敎授・學習 方法 및 評價 : 한자 교육 연구 분야에서 가장
實際的 연구 분야가 바로 한자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영역이다.
먼저,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는 2006년 ‘字源 硏究와 한자 교육’
을 주제로, 중국의 字源 학습법, 󰡔說文해자󰡕의 자원 연구, 자원을
활용한 한자 교육 방법을 企劃51)했고, 양원석은 한자 자원 교육
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안52)을 提案했
다.53) 또한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방법의 효율적 방안’을 기획
주제로 설정하여, 蒙學 敎材와 開化期 敎科書까지 연구 대상 자
료54)를 擴大했으며, 현장 적용을 위해 신문・방송과 문화 유산을
활용하는 교육 방안55)도 마련했고, 특히 미개척 분야인 幼兒 한
자 교수・학습 방법이 발표56)되었다. 聲符, 매체, 놀이 등을 통한
한자 교수・학습 방법도 紹介57)되었고, 한연석은 한국과 중국의
한자 교육 방법을 比較, 考察58)하였다. 한편, 한자 교육 평가 분
야에서 韓國漢文敎育學會는 제3회 韓・中・日 국제학술회의의 주
제로 ‘동아시아 삼국(韓・中・日)의 한자 능력 평가 및 한문 교재의
현황과 전망’을 기획하고, 한자능력검정시험을 다방면에서 照
明59)하였다. 그리고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자 영역의 평가, 초등학
교의 한자 평가,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영역에서 ‘한자’ 영역의
출제 경향 및 문항 유형 분석 등의 硏究60)가 遂行되었다.

51) 양원석(2006); 이충구(2006); 한연석(2006); 한은수(2006). 참조.


52) 양원석(2013). 참조.
53) 자원을 활용한 한자 교육 연구로 송영일(2006), 승현(2009)을 들 수 있다.
54) 박광민(2007); 남궁원(2007). 참조.
55) 김재영(2007); 김은경(2007). 참조.
56) 이정연(2007). 참조.
57) 한연석(2009); 남수극(2008); 김연옥(2006). 참조.
58) 한연석(2012). 참조.
59) 이명학(2006); 김경천(2006); 백광호(2006a); 장호성(2006); 이동재(2006). 참조.
62 漢字漢文敎育 第三十六輯

Ⅳ. 餘言

한글, 한자의 標記 및 使用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집요한 論爭 사이


에서, 한자・한문 교육은 어문 정책, 교육과정, 국어교육 그리고 정치・경
제・사회 분야에서 철저히 他者化되어 이제 공교육에서 枯死 직전에 처
해 있다. 한편으로, 최근 동아시아 국가 교류 확대, 근대에 대한 文明史
的 反省, 그리고 자본주의의 부정적 현상을 극복하는 방안의 하나로 동
양 한문 고전 문화에 대한 관심 등의 측면61)에서 한자문화에 대한 인식
이 한층 提高되고 있다.62)

한자 교육의 위상과 성격, 교육과정, 방법 및 평가, 한자문화권, 국어


교육 및 한국어 교육, 초등학교 한자 교육, 그리고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분야에 이르기까지 그 동안 학계는 주목할 만한 보고를 생산했다. 한국에
서 한자 교육을 포함한 한문 교육의 形勢가 점차 衰落하는 것은 국가 수
준의 교육과정 總論 編制와 국가의 語文 政策과 깊은 관련이 있다. 또
다른 배경으로 정치・경제・사회・교육 등 제반 분야에서 이른바 동양 문화
혹 한자 문화의 영향력이 사라지고,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 문화의 도
도한 浸潤과 의식의 感染을 들 수 있다. 자연의 이법도 그러하지만, 문화
와 문명의 도도한 興亡盛衰는 감당키 어렵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국어(과)와 한문(과)의 連帶 속에서 두 학문[교과]의 지속적 발전을 도모
하는 것인데, ‘한자 교육’은 연대의 핵심에 놓여 있다. 連帶와 調和 위에
서 한국어 교육, 한자문화권, 초등학교 한자 교육, 방법과 평가, 교육용
한자 등의 연구 수행 및 결과가 실제적 結實을 맺을 것이다.

60) 김동규(2011); 진철용(2011); 장호성(2008). 참조.


61) 임형택(2004), 240~241면. 참조.
62) 김왕규(2013b), 44~45면. 참조.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63

▮ 參考文獻

강민구(2013a), 「중등교육에서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한문교육」, 󰡔漢文敎育硏


究󰡕 40,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강민구(2013b), 「학습자전의 향방과 개발에 대한 제언」, 󰡔漢文敎育硏究󰡕 41, 서
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강민구(2014), 「공익광고를 활용한 한자・한문 교수, 평가에 대한 연구」, 󰡔漢字漢
文敎育󰡕 33,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고은선・김성훈(2013), 「평가방법에 따른 한자 필순 점수의 차이 분석」, 󰡔漢文敎
育硏究󰡕 40,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김경수(2007), 「한자의 읽기 교육에 대하여」, 󰡔漢字漢文敎育󰡕 19,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경익(2010), 「한문과 수업 사례 및 교수・학습 과정안의 탐색-󰡔한문교육의 실
제󰡕와 󰡔한문교육󰡕을 중심으로-」, 󰡔漢文敎育󰡕 81, 서울(한국), 전국한문교
사모임.
김경익(2012a), 「‘한자’영역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내용 분석」, 󰡔漢字漢文敎育󰡕
29,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경익(2012b), 「2009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한자’ 영역의 내용 분석과 향후 과
제」, 󰡔漢文敎育硏究󰡕 39,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김경천(2006), 「국가 공인 한자능력검정시험의 현황과 문제」, 󰡔漢文敎育硏究󰡕
26,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김대희(2010), 「한자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 재고」, 󰡔漢字漢文敎育󰡕 24, 서
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대희(2013),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의 발전 방향-언어 이론을
중심으로」, 󰡔漢字漢文敎育󰡕32,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동규(2011),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자 영역의 평가 방향과 실제」, 󰡔漢字漢文
敎育󰡕,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병철(2013), 「한문과 창의・인성 교수・학습 방법」, 󰡔漢文敎育硏究󰡕 40, 서울
(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김성중(2013a), 「학습 요소로서의 多義語 한자 선정 및 그 의미 항목과 한문 용
례-2007 개정 교육과정 한문Ⅰ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漢字漢文敎育󰡕
31,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64 漢字漢文敎育 第三十六輯

김성중(2013b),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 어휘 교육을 위한 성취 기준 개발」, 󰡔漢


字漢文敎育󰡕 32,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연옥(2006), 「놀이 학습 자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다양한 방법」, 󰡔漢
字漢文敎育󰡕 17,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영옥(2011),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의 字形 연구-󰡔康熙字典󰡕자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漢文敎育硏究󰡕 37,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김영옥(2012a),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字形 표준화 연구」, 서울(한국), 고려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김영옥(2012b),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字形 확정 기준 및 자형 수정 양상」, 󰡔한
문고전연구󰡕 24, 서울(한국), 한국한문고전학회.
김영옥(2013a),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제정 과정에 대한 사적 고찰」, 󰡔漢文敎育
硏究󰡕 40,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김영옥(2013b), 「한・중・일 한자 자전의 字形 제시 기준 비교」, 󰡔漢文敎育硏究󰡕
41,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김영호(2013), 「교육용 한자의 필순과 획수의 제 문제 검토」, 󰡔漢文敎育硏究󰡕
41,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김왕규(2005), 「국어 교과 지도와 한자어 교육」, 󰡔어문연구󰡕 128, 서울(한국), 한
국어문교육연구회.
김왕규(2006), 「한자 교육 연구의 動向과 課題」, 󰡔漢字漢文敎育󰡕 17, 서울(한
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왕규(2010), 「초등학교 한문 단원 구성의 원리와 방안」, 󰡔漢字漢文敎育󰡕 25,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왕규(2011), 「한문교육학 연구방법론」, 󰡔漢文敎育硏究󰡕 37, 서울(한국), 韓國
漢文敎育學會.
김왕규(2012a), 「‘문화’ 영역 성취기준 및 성쉬수준 내용 분석」, 󰡔漢字漢文敎育󰡕
29,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왕규(2012b), 「2009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문화’ 영역의 내용 분석과 향후 과
제」, 󰡔漢文敎育硏究󰡕 39,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김왕규(2013a), 「한문과 창의・인성 학습 내용 선정 및 조직」, 󰡔漢文敎育硏究󰡕
40,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김왕규(2013b), 「한문, 국가 어문정책에 길을 묻다」, 󰡔東洋漢文學硏究󰡕 37, 부
산(한국), 東洋漢文學會.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65

김왕규(2014), 「‘한자 解讀’과 ‘독자의 배경 지식’의 상호 작용을 통한 한문 독해


교육 시론」, 󰡔漢字漢文敎育󰡕33,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왕규・송병렬(2013), 「한문 학습 자전 수록 ‘한문’ 용례 선정 및 조직」, 󰡔漢文敎
育硏究󰡕 41,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김우정(2008), 「대학 교양 한자 교육의 현황과 과제」, 󰡔漢字漢文敎育󰡕 20, 서울
(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우정(2010), 「초등학교 한자교육을 위한 교원 양성 방안」, 󰡔漢字漢文敎育󰡕25,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우정(2013), 「한국어교육 제도와 정책에 관한 비판적 검토-한자・한자어 교육
과 관련하여」, 󰡔漢字漢文敎育󰡕32,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은경(2007), 「문화유산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방법」, 󰡔漢字漢文敎
育󰡕 18,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재영(2007), 「신문・방송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방법」, 󰡔漢字漢文敎
育󰡕 18,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진숙(2010),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 󰡔漢字漢文敎育󰡕24, 서울
(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창진(2008), 「‘한자 읽기’에서 長短音 발음 교육의 필요성과 그 방법」, 󰡔漢字漢
文敎育󰡕 21,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창호(2007), 「한자교육 환경의 변화와 ‘읽기 위주’의 한자 교육」, 󰡔漢字漢文敎
育󰡕 18,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창호(2009), 「초등학교 한자교과서에 있어서의 고전자료 활용에 관하여」, 󰡔漢
字漢文敎育󰡕 23,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창호(2010),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성격과 지향」, 󰡔漢字漢文敎育󰡕25, 서울
(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훈태(2012), 「해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자 및 한자어 교육 방안-베네치아 대
학을 중심으로」, 󰡔漢字漢文敎育󰡕 28,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김훈태・Andrea De Benedittis(2014), 「해외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자
교재의 내용과 구성-이탈리아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漢字
漢文敎育󰡕 34,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남궁원(2007), 「개화기 교과서의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방법」, 󰡔漢字漢文敎育󰡕
18,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남수극(2008), 「현행 초등학교 한자교육에서 매체 활용 교육 실태」, 󰡔漢字漢文
66 漢字漢文敎育 第三十六輯

敎育󰡕 20,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남은경(2011), 「마법천자문과 어린이 한자교육」, 󰡔漢文敎育硏究󰡕 36, 서울(한
국), 韓國漢文敎育學會.
박광민(2007), 「전통 몽학교재를 활용한 효율적인 한자학습 방법 고찰」, 󰡔漢字漢
文敎育󰡕 18,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박세진(2010), 「한・일 초등학교 한자교육 비교연구(2)-한국 초등학교 한자 교과
서와 일본 소학교 국어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漢文敎育硏究󰡕 35, 서
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박세진(2011), 「일본 한자교육의 위상과 한자교육연구의 동향」, 󰡔漢文敎育硏究󰡕
37,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반성완(1989), 「독일에서의 라틴어 교육과 한국에서의 한문 교육」, 󰡔漢文敎育硏
究󰡕 3,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백광호(2006a), 「한자능력 급수시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관련 제도와 초등학
생 응시 현황을 중심으로」, 󰡔漢文敎育硏究󰡕 26, 서울(한국), 韓國漢文敎
育學會.
백광호(2006b), 「실행 연구 활성화를 위한 ‘한문교육’ 내용 분석-교수・학습 분야
를 중심으로」, 󰡔漢文敎育硏究󰡕 27,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백광호(2013), 「한문 교육을 통한 인성 교육의 가능성과 방향-2009개정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47, 청주(한국), 청람어문교
육학회.
백광호(2014), 「한자한문교육 현장연구의 현황과 과제」, 󰡔漢字漢文敎育󰡕 34, 서
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송병렬(2000), 「한문과 교과교육에 있어서 교과서 문제」, 󰡔漢字漢文敎育󰡕 14,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송병렬(2009), 「초등학교 한자 교육과 중등학교 한문 교육의 접목」, 󰡔漢字漢文
敎育󰡕 23,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송병렬(2010a), 「한자 어휘 학습의 유용성」, 󰡔漢字漢文敎育󰡕24, 서울(한국), 韓
國漢字漢文敎育學會.
송병렬(2010b), 「초등학교 한자 교육 방향 정립과 실행 방안」, 󰡔漢字漢文敎育󰡕
25,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송병렬(2011), 「한자문화권의 재형성과 한국의 한자・한문교육의 現況」, 󰡔漢字漢
文敎育󰡕 26,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67

송병렬(2013), 「현대 한자문화권의 문자 사용과 한자의 범주에 관한 일고」, 󰡔漢


字漢文敎育󰡕 30,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송영일(2006), 「자원 한자 교수・학습 연구-‘손’ 관련 한자를 중심으로」, 󰡔漢字漢
文敎育󰡕 16,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송혁기(2012),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중 ‘언어 생활과 한자 문화’에 대하여」,
󰡔漢文敎育硏究󰡕 38,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송호빈(2011), 「일본 한문교육연구의 현황과 시사점」, 󰡔漢文敎育硏究󰡕 37, 서울
(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안동규(2010),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방향에 대한 요구 분석」, 󰡔漢字漢文敎育󰡕
24,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안동규(2014), 「한자・한문교육 현장 실천 지향적 교수・학습 방법 연구의 현황과
성과」, 󰡔漢字漢文敎育󰡕 34,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안재철(2009), 「초등학교에서 한자교육의 필요성과 의의」, 󰡔漢字漢文敎育󰡕 23,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양원석(2006), 「중국에서의 자원을 활용한 한자 교육 방법」, 󰡔漢字漢文敎育󰡕17,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양원석(2011), 「한자문화학 연구 성과를 활용한 경서 해석 및 한자 교육」, 󰡔漢文
敎育硏究󰡕 36,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양원석(2013), 「한자 자원 교육의 문제점과 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안」, 󰡔漢
字漢文敎育󰡕 31,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오예승(2007), 「유아 한자 교육의 현황」, 󰡔漢字漢文敎育󰡕 18, 서울(한국), 韓國
漢字漢文敎育學會.
오예승(2013), 「집중이수제 기반의 창의・인성 수업 사례」, 󰡔漢字漢文敎育󰡕 32,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윤재민(2007),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구체적 내용 분석」, 󰡔漢文敎育
硏究󰡕 29,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윤재민(2009a),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체계와 내용」, 󰡔漢字漢文敎育󰡕 23, 서울
(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윤재민(2009b), 「한국 초・중・고등학교의 한자・한문 교육 현황」, 󰡔漢文敎育硏究󰡕
33,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윤재민(2012),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에 있어서의 한자 교육」, 󰡔漢文敎育硏
究󰡕 38,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68 漢字漢文敎育 第三十六輯

윤채근(2012), 「한국의 중등교육 환경과 한자문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 󰡔漢文敎


育硏究󰡕 39,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이군선(2013), 「국내 한문 학습 자전의 현황과 특징-학습용 사전 편찬의 필요성
과 관련하여」, 󰡔漢文敎育硏究󰡕 41,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이동재(2004),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 교과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의미’
통일화 방안」, 󰡔漢字漢文敎育󰡕 13,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이동재(2006), 「국가공인 민간자격 한자급수의 문항 유형 분석과 바람직한 평가
문항 모색」, 󰡔漢文敎育硏究󰡕 26,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이동재(2013), 「한문 학습자전 수록 한자의 대표 字義 및 의미항 선정과 조직」,
󰡔漢文敎育硏究󰡕 41,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이명학(2006), 「현행 우리나라 ‘한자능력검정시험’에 대한 재검토」, 󰡔漢文敎育硏
究󰡕 26,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이명학(2010),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필요성」, 󰡔漢字漢文敎育󰡕24,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이명학(2011), 「국어능력 신장과 한자 학습과의 상관 관계-<국어기본법> 제3조
5항과 관련하여」, 󰡔漢文敎育硏究󰡕 37,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이병찬(2006), 「교육용 기초 한자 중 형성자의 음가 변화 연구」, 󰡔漢文敎育硏究󰡕
27,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이승현(2009), 「한문 교사의 한자 자원 활용 수업」, 󰡔漢字漢文敎育󰡕 22, 서울(한
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이정연(2007), 「유아 한자 교수 학습 방법」, 󰡔漢字漢文敎育󰡕 18, 서울(한국), 韓
國漢字漢文敎育學會.
이충구(2006), 「설문해자에 나타난 한자 자원 연구」, 󰡔漢字漢文敎育󰡕17, 서울
(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임형택(2004), 「한국 20세기의 한문 교육과 당면 과제-표기법 문제와 관련하여」,
󰡔漢文敎育硏究󰡕 23,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장호성(2006), 「한국 한자능력 검정시험의 등급별 배정한자 문제」, 󰡔漢文敎育硏
究󰡕 26,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장호성(2008),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과목 ‘한자 영역’의 출제 경향 및 문항 유
형 분석」, 󰡔漢字漢文敎育󰡕 21,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전일주(2006), 「강희자전과 한국 초기 자전 비교 연구-󰡔자전석요󰡕와 󰡔신자전󰡕을
중심으로」, 󰡔漢文敎育硏究󰡕 26,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69

정재철(2013a), 「한문교육과 창의・인성 교육-이론적 기반의 모색」, 󰡔漢文敎育硏


究󰡕 40,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정재철(2013b), 「자전류 역사와 한문 학습 자전의 필요성」, 󰡔漢文敎育硏究󰡕 41,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조영호(2013), 「고등학교 한문 교과 학습의 자전 활용 방안」, 󰡔漢文敎育硏究󰡕
41,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진재교(2006), 「‘국어기본법’과 한문교육의 방향-언어 내셔널리즘을 넘어-」, 󰡔漢
文敎育硏究󰡕 27,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진재교(2008),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교과서 활용 방안」, 󰡔漢文
敎育硏究󰡕 31,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진철용(2007), 「초등학교 한자 지도 단계와 방법」, 󰡔漢字漢文敎育󰡕 18, 서울(한
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진철용(2009a), 「초등학교 한자 교재의 구성과 활용 현황」, 󰡔漢文敎育硏究󰡕 32,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진철용(2009b),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현황과 전망」, 󰡔漢字漢文敎育󰡕 23, 서울
(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진철용(2010), 「초등학교 한자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탐색과 제안」, 󰡔漢字漢文
敎育󰡕25,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진철용(2011), 「초등학교 한자의 평가 방향과 실제」, 󰡔漢字漢文敎育󰡕27, 서울
(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한연석(2006), 「字源을 활용한 한자 교수 학습 방법 연구-고등학교 한문 교과서
를 중심으로」, 󰡔漢字漢文敎育󰡕17,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한연석(2009), 「성부를 활용한 한자의 교수학습법 연구」, 󰡔漢文敎育硏究󰡕 33,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한연석(2011), 「중국 한자교육 연구의 성과와 전망」, 󰡔漢文敎育硏究󰡕 37, 서울
(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한연석(2012), 「韓・中 漢字敎學 비교 연구」, 󰡔漢字漢文敎育󰡕 28,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한연석(2013),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筆順 고」, 󰡔漢文敎育硏究󰡕 41, 서울(한
국), 韓國漢文敎育學會.
한은수(2006), 「字源을 활용한 한자 교수・학습 방법 연구-초등학교 한자 교재를
중심으로」, 󰡔漢字漢文敎育󰡕17,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70 漢字漢文敎育 第三十六輯

한은수(2007), 「언어 학습 이론을 통한 한자 교육 試考」, 󰡔漢字漢文敎育󰡕 18,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한은수(2008a), 「초등학교 한문 교육과정 제정을 위한 시론(1)-교과의 성격, 목
표,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漢字漢文敎育󰡕 20, 서울(한국), 韓國漢字漢
文敎育學會.
한은수(2008b), 「초등학교 한자 읽기 교육의 문제」, 󰡔漢字漢文敎育󰡕 21, 서울
(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한은수(2009), 「현행 초등학교 한자 인정 교과서 내용 분석」, 󰡔漢字漢文敎育󰡕
23,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한은수(2010), 「창의적 체험 활동과 초등학교 한자 교육 운영 방안」, 󰡔漢字漢文
敎育󰡕25,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한은수(2012),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 어휘 선정 방안과 예」, 󰡔漢字漢文敎育󰡕
29,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한은수(2013), 「초등교육에서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한자・한자어 교육」, 󰡔漢文
敎育硏究󰡕 40,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황위주(2004),「국․한문의 전통과 현실적 교육 상황」,󰡔漢文敎育硏究󰡕22, 서울
(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허철(2006), 「중국의 한자 교육(2)-실천 방법과 학습 교재를 중심으로」, 󰡔漢文敎
育硏究󰡕 26,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허철(2008a), 「한문교과교육에서 한문교육용한자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 󰡔東方
漢文學󰡕 35, 대구(한국), 동방한문학회.
허철(2008b), 「국어사전 등재 어휘를 통해 본 어휘 구성(構成) 분석(分析)과 한
자(漢字)의 조어(造語) 능력 조사」, 󰡔東方漢文學󰡕 37, 대구(한국), 동방한
문학회.
허철(2008c), 「異體字 정리의 현황과 전망(1)-이체자의 기본 개념과 근현대 자
표 정리의 비교를 중심으로」, 󰡔漢字漢文敎育󰡕 20, 서울(한국), 韓國漢字
漢文敎育學會.
허철(2010a), 「󰡔現代 國語 使用 頻度 調査 1․2󰡕를 통해 본 漢字語의 비중 및
한자 활용도 조사」, 󰡔漢文敎育硏究󰡕 34, 서울(한국), 한국한문교육학회.
허철(2010b), 「초등학교 ‘한자’ 교육을 위한 기본어휘・기초한자 선정의 방법 연구」,
󰡔漢字漢文敎育󰡕 25,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허철(2011a), 「韓國 漢字敎育硏究의 動向과 課題」, 󰡔漢文敎育硏究󰡕 37, 서울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71

(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허철(2011b),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기본 字義 선정과 近義字 처리 문제에 대
한 일견」, 󰡔한문학논집󰡕 32, 서울(한국), 근역한문학회.
허철(2011c), 「한자문화권의 변화와 한자・한문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漢字
漢文敎育󰡕26,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허철(2013a),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한자계 어휘 학습 전략 설
계를 위한 통합 어휘 비교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한 일견」, 󰡔漢字漢文
敎育󰡕32, 서울(한국),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허철(2013b), 「한문 학습 디지털 자전의 효용성과 DB 설계에서 고려할 점에 대
한 일견」, 󰡔漢文敎育硏究󰡕 41, 서울(한국), 韓國漢文敎育學會.
72 漢字漢文敎育 第三十六輯

▮ 中文摘要

韓國漢字教育的相位與硏究動向

63) 金王奎*

• 硏究目的 : 本文為第五屆漢字與漢字教育國際研討會(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n Characters Education and Research)的專題演講之一,研究主題
為韓國漢字教育研究動向的介紹。漢字教育研究的動向與成果,與其範疇息息
相關,在漢字教育研究的範疇與區分之前,本文將以座標呈現當前韓國漢字教
育的相位與性格.

• 韓國漢字教育的相位與性格 : 韓國漢字教育可以從幾個層次來談,本文將歸
納為包含漢文(系)教育、國語(系)教育、中文教育、日文教育在內的漢字文化
圈層次.

<圖 1> 韓國漢字教育的相位與性格


國語
教育

(2) (1)

漢文
教育

(4) (3)

韓國的漢字教育,是位於學校科系教育之一的漢文系教育中,其核心內容的其中
一項領域。由於韓國的地理、語言、文化條件,韓國漢字教育與國語教育或韓國語
教育產生了密切的聯繫。另一方面,韓國與日本、中國、台灣、香港等地,在歷史

* 韓國敎員大學校 敎授 / E-mail : wind63@knue.ac.kr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73

上及同一時代上,皆曾以「漢字」做為該國文字或表記方式。提到所謂「漢字文化圈」
時,雖然<圖1>未標示出來,卻已由外圍的點、線形成。以<圖1>縱軸為準來看,
(1)、(2)象限所屬漢字,為日常生活或國語字典登載語彙中,屬於「高頻度」群。造語
力與常用度、活用度較高。站在漢文教育的層次,即以橫軸為準來看,(1)、(3)象限
所屬漢字,為漢文典籍中頻繁出現的漢字。如座標所示,(1)群所屬漢字,在國語教
育與漢文教育中,其學習的移轉與相互作用效果最高。(1)、(3)所屬漢字群,正是「
漢文教育用基礎漢字1800字」的字種。另一方面,在漢字教育的相位與性格的研究問
題上,儘管自1972年以來,已從國語教育的附庸角色,轉變為獨立的漢文系層級,
表面看似情況好轉,其實是進入孤立無援、不安定的情況中。由此看來,漢文與國
語的聯繫,乃至於建立整合,都是必須謹慎討論的課題.

• 漢文系教育課程 : 目前,韓國漢字教育只在國家水準教育課程中,作為授課內
容之一的漢文系教育課程的學習內容上,發揮一次性的功能。在2009年修訂的
漢文系教育課程中,焦點放在進行漢字教育相關領域的檢討。針對教育課程中
的學習內容,提出與漢字閱讀教育、漢字筆順相關的成果,尤其韓國漢文教育
學會於 2013 年以「小學、國中 、高中漢文學習字典的現況與編纂方案 」為主
題,針對漢文學習字典提出綜合性的研究成果,於2013 年以「漢文教育與創
意、人性教育」為主題,提出漢文系可行的創意、人性教育方案.
• 漢文教育用基礎漢字1,800字 : 在2000年重新調整漢文教育用基礎漢字1800字
後,「漢文教育用基礎漢字1800字」的歷史考察、字義選定、字形考察、教科
書活用方案、形聲字的音值變化、意義統一化方案等,各領域的研究逐漸展
開。包含漢文教育用基礎漢字在內的教育用漢字,其字量、字種、水準及與此
相關的研究方法上,隨著電腦與語言學語料庫的發達,注入新的力量,開拓此
一領域的研究成果開始真正受到關注,其研究目的主要聚焦於漢文教育用基礎
漢字的設定、漢字造語能力、漢字活用度及小學漢字教育用基本語彙、基本漢
字的設定.
• 漢字文化圈的漢字教育 : 關於漢字文化圈內漢字教育的討論,重新照亮了漢字
文化圈的地貌,如漢字文化圈的再形成、現代漢字文化圈的文字使用與範疇、
漢字文化圈的變化等。尤其在近期的研究中,透過韓國、中國、台灣、日本漢
字字典的字形比較研究,強調針對韓國的漢字字典中,標題字字形選定的問題
點,提出有效解決方案的必要性外,從各方面深化與擴張漢字字型標準化方案
的相關討論及報告,也開始受到矚目.
74 漢字漢文敎育 第三十六輯

• 國語教育或韓國語教育與漢字教育 : 關於國語教育與漢字教育(或漢文教育)的
關係,過去研究成果曾提出聯繫,乃至於整合、二元化、一元化等方案。在近
來的論述中,國語教育中所說的語彙教育,已固定為一概念,指的是達到日常
生活使用語彙的意義掌握之目標;站在符號學的立場,語彙學習的本質目標在
於溝通,而對於漢字教育在溝通上如何發揮成效,主張應建立強而有力的根據
之研究,也正受到關注。另一方面,韓國漢字漢文教育學會於2013年的春季
學術會議上,設計了 「韓國語教育中,漢字、漢字語教育的相位確立與方案研
究的必要性」的專題,從多方面強調韓國語教育與漢字教育的相關性.
• 小學學校漢字教育 : 小學漢字教育,一直是語文政策、國語教育及漢文教育等
利害關係人之間的爭論點。就漢文教育而言,小學漢字教育的必要性與意義、
現況與實際情況、教育過程、性格與目標等,為其核心主題。針對小學漢字教
育,韓國漢字漢文教育學會曾策畫「小學漢字(漢文)教育的方案摸索」、「小學
漢字教育的必要性」及「小學漢字教育方向確立與施行方案」,展開對於小學漢
字教育各領域的深層探討.
• 漢字教授、學習方法及評鑑 : 漢字教育研究上,最實際的研究領域,正是漢字
教授、學習方法及評鑑領域. 韓國漢字漢文教育學會曾規劃「字源研究與漢字教
育」、「漢字、漢字語教授、學習方法的有效方案」 等專題,擴大發展漢字教
授、學習方法領域的研究。另一方面,在漢字教育評鑑領域上,韓國漢文教育學
會曾規劃「東亞三國(韓、中、日)的漢字能力評鑑及漢文教材的現況與展望」,從
多方面考察漢字能力檢定考.

在韓國,包含漢字教育在內的漢文教育,其勢力正逐漸衰退,這與國家水準的教育
課程總論、安排與國家的語言政策息息相關。從其他背景來看,在政治、經濟、社
會、教育等各領域中,所謂東洋文化或漢字文化的影響正逐漸消失,以美國為主的西洋
文化正大舉進入與影響。日後,我們所能做的努力之一,便是在國語(系)與漢文(系)的
連帶關係中,試圖持續發展這兩種學問(科系),「漢字教育」正置於這種連帶關係的核
心。在連帶關係與協調之上,關於國語教育及韓國語教育中的漢字教育、漢字文化圈、
小學漢字教育、方法與評鑑、教育用漢字等研究的推動及結果,將可開出真正的果實.

關鍵詞 漢字教育, 漢文科教育課程, 漢文教育用基礎漢字1800字, 漢字


文化圈, 小學漢字 教育, 韓國語教育與漢字教育, 漢字教授、學習方
法與評鑑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75

▮ Abstract

Status and trends of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Korea*

64) Kim Wang-kyu**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and to consider the latest achievement of researches
on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To accomplish the intended goal of
this study, I focused on three main problems. First, I studie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Korea. Second, I considered
the latest achievement of researches on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by category. Third, I left many subjects more to be investigated and
answered.
To summarize, in the present paper, several results were explored as
follows.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Korea can be discussed from three
points of view, education in classical Chines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First of all,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Korea is one of the key parts of education in classical
Chinese. And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Korea is closely
connected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education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by geographical, linguistic and cultural conditions.
Meanwhile, Chinese character was historically and contemporarily used
as their own character in Korea, Japan, China, Taiwan, and Hong Kong.
It is the so-called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It occupies the outline

*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2014 Research Grant funded b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Professor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E-mail : wind63@knue.ac.kr
76 漢字漢文敎育 第三十六輯

shown in dotted line of <FIGURE 1>.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 The current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contains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The key achievement, out of
the curriculum, is the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 reading, stroke of
Chinese character, a dictionary for learners of classical Chinese, and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1,8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 Newly
adjusted 1,8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announced in 2000. By recent advances in computational linguistic,
various achievements, such as selection of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hinese characters’ ability to coin, util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selection of a basal vocabulary and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at elementary
school, were reported.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 Out of recent investigations on Chinese characters, there is much
attention towards a lot of useful discussion about standardization of the
shape of Chinese characters. These investigations has been pursued by
maki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type of four countries, Korea, China,
Taiwan, and Japan.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education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 Out of previous
achievement of researches, connection, dichotomy and unific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were
reported. Meanwhile, study in the academic world has been focusing on
the correlation of education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ith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 It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among stakeholders related to language policy,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it relates to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centural theme of the issue has been abou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the present condition, the curriculum, aim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77

of a lesson and a key characteristic of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 These are surely some of
the most practical fields of studies on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Various subjects of study, such as origin of characters,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retrospect,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 of assessment of the ability to
understand Chinese characters and teaching materials in Korea, China and
Japan, etc., have been addressed.
The reason why the situation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cluding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Korea is in a state of decline has a
close connection with a drop in the number of class hours and language
policy for exclusive use of Korean alphabet. Also, the Eastern culture or
Chinese cultural leverage in the area of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education has decreased slowly. On the contrary to this, the U.
S.-centered culture has wielded strong influence. Our role to turn these
situation i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solidarity with
Korean language, in this case,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s at the
guts of this solidarity.

Key Words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1,8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논문투고일 2014년 12월 03일


논문심사일 2015년 01월 09일
심사완료일 2015년 01월 21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