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6

인간의 탄생과 사회 속 성장, 삶의 주기

(성장, 성숙, 발달의 이해, 인간 발달의 특성 이해)


1교시 14:00 ~ 15:15 / 2교시 15:30 ~ 16:45

고대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소아청소년 분과
이 문수

1
저작권 보호 경고

본 자료에서 이용되는 저작물은 저작권법 제25조 수업목적저작물 이용보상금제

도에 의거, 한국복제전송저작권협회와 약정을 체결하고 적법하게 이용하고 있습

니다. 약정범위를 초과하는 사용은 저작권법에 저촉될 수 있으므로 수업자료의

대중 공개, 공유 및 수업 목적 이외 사용을 금지합니다.

2022. . .

고려대학교-한국복제전송저작권협회
Chapter별 구성
❖ 용어 정리

❖ 여러 발달의 이론들 – 정신성적 발달 및 정신사회적 발달

❖ 여러 발달의 이론들 – 기질 temperament

❖ 여러 발달의 이론들 – 애착 attachment

----------------------------------------------------------------------

❖ 아동청소년에서의 감정의 발달 – 불안

❖ 사회성 – mindreading

❖ 인지기능

❖ 도덕성의 발달 3
5교시 14:00-15:15

4
Age 어린이집 유치원
spectrum (보육시설 - (교육기관 –
보복부 관할) 교과부 관할)

Infant The first 2


(영아, 젖먹이): years
sensorimotor
Toddler
(유아, 걸음마를 배우
는 아이):
sensorimotor
Preschooler 3-6 years
(취학 전 아동):
preoperative
Child (초1-초3):
concrete operation
Child (초4-초6):
concrete operation
Adolescents (중고생):
formal operation

5
6
뇌의 발달 특성
❖ 뇌간 brain stem
❖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반사작용을 가능하게 함

❖ 중뇌 midbrain
❖ 경험에 바탕을 둔 학습을 가능하게 함

❖ 변연계 limbic system


❖ 행동을 조절하는 감정반응 연관

❖ 대뇌 피질 cerebral cortex
❖ 정보 통합, 고도의 지식을 만듦

❖ 위의 세 부위와 달리 출산 후에 발달하기 시작
7
8
발달은? 다차원적이다.
❖운동
❖언어
❖사회성
❖인지
❖정서

9
운동 언어 인지 사회성 정서
피아제의
8-10개월: 앉기 6개월 단음절 옹알이 각 발 달 4주: 선택적으로 출생 시에 존재하는
10-12개월:서기 9개월 joint attention 단계 어머니를 보고 웃 감정들: pleasure, su
12개월-: 걷기 돌 전후 첫 단어 ('엄마', ' 기면 웃는 social s rprise, disgust, distr
아빠', '맘마' 등 첫 낱말이 mile ess
2살 때 원을 그린 나오기 시작)
다. 18개월: 두 낱말 조합이 4개월: spontaneo 생후2개월 joy
시작됨, 30단어 us social smile
3살 때 세발자전거 24개월: 두 낱말 조합이 생후4개월 anger
를 탄다. 십자가를 일반적, 200여 단어 정도 6개월:
그린다. 를 사용, 한 단어의 말도 어머니에 대한 변 생후8개월 sadness
하지 못하면 명백한 지연 별화
4살: 한발로 선다. 36 개 월 : 1000 개 이 상 의 생후 18개월 shame
사각형을 그리고, 낱말 사용. 3-4개의 단어 6-8개월: 분리불안
4까지 센다. 연결, 두 단어 어구를 사 , 외인불안 생후 24개월 pride
용하지 못하면 명백한 지
5살 때는 10까지 연 12개월: social ref 4세 guilt
센다. 48개월: “왜, 어떻게”를 erencing (→ 만 4
사용하여 질문함 세 이후에 획득되 6세 insecurity, hum
6세 때는 두발자전 60개월: 대부분의 문법 는 theory of mind ility, confidence
거를 탄다. 삼각형 구조 거의 완성 )
을 그린다.

10
여러 발달의 이론들 – 정신성적 발
달 및 정신사회적 발달

11
정신성적 발달 – Sigmund Freud, 1856~1939
❖ 제1기: 1856년 출생 – 1897년. Affect trauma frame of reference (external world)
❖ 1856년 - 5월 6일, 체코슬로바키아(당시 오스트리아 영토)의 프라이베르크에서 태어남.

❖ 1866년 - 오스트리아 빈의 김나지움에 입학.

❖ 1873년 - 빈 대학의 과학부에 들어갔으나, 곧 의학부로 옮김.

❖ 1877년 - 가재의 신경 세포에 관하여 오늘날의 세포설에 가까운 이론을 발표함.

❖ 1882년 - 7월, 경제적인 이유로 연구 생활을 그만두고, 빈 대학 부속 병원 수련의가 됨.

❖ 1885년 - 가을, 파리에 유학. 최면술로 히스테리 환자를 치료하는 Chartcot에서 깊은 인상. 본격적으로 신경증을 연구하
게 됨.

❖ 1886년 - 4월, 빈에서 병원을 열고, 신경증 환자 치료를 시작. 9월, 유대인 마르타 베르나이스와 결혼

❖ 1891년 - 최초의 저서인 <실어증의 이해를 위하여>가 나왔으나, 혹평을 받음.

❖ 1895년 - 브로이어와 같이 <히스테리 연구>를 펴냄. 처음에는 Joseph Breuer (l841~1925)와 함께 최면술을 이용해서 미
음의 상처를 치료하는 카타르시스(catharsis) 치료법을 개발 → 최면술 대신 자유연상기법 (free association)을 통해 무의
식 의 세계에 접근하는 방법과 함께 꿈의 해석을 치료에 도입하였다. → 정신분석 (psychoanalysis)

❖ 1896년 - '정신분석'이란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함. 가을,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해 자신의 정신분석 시작

❖ 의식과 비의식을 구별

12
정신성적 발달 – Sigmund Freud, 1856~1939
❖ 제2기: 1897-1923년. Topographical frame of reference - Id psychology의 시기 (internal world)
❖ 최고의 전성기, 23권의 프로이트 전집 중 15권이 쓰여진 시기, 1897년은 정신분석의 진정한 시작

❖ 비의식을 무의식과 전의식으로 구분

❖ 1900년 - 자신의 정신분석과 꿈의 분석을 담은 <꿈의 해석>을 출간함.

❖ 1901년 - '일상 생활의 정신병리 The psychopathology of Everyday life'를 발표하여, 우발적 행위도 비의식적 충동에 의해 나타난다.

❖ 1905년 - '성 이론에 관한 세 가지 에세이 Three Essays on the theory of sexuality' 발표 - 유아성욕론, 즉 리비도(libido) 이론을 주

❖ 1906년 - 정신분석학의 지지자인 카를 융과 만남.

❖ 1908년 - 4월, 잘츠부르크에서 제1회 국제 정신분석학 대회를 개최

❖ 1910년 - 국제 정신분석 학회가 정식으로 발족됨.

❖ 1912년 - <이마고 (Imago)>를 창간하여 '토템과 터부'를 연재함.

❖ 1914년 - <정신분석 운동사>, <미켈란젤로의 모세>를 출간함. 리비도가 자신에게로 흘러갈 때 narcissism의 개념 소개

❖ 1915년 - 빈 대학에서 정신분석학 입문 강의를 시작함.

❖ 1917년 - <정신분석학 입문>을 출간함.

❖ 1920년 –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에서 death instinct (죽어서 본래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본능)를 소개

❖ 1922년 - 4월, 구개암 수술을 받음. 이후 죽을 때까지 32차례의 수술을 받으면서도 연구와 치료에 힘씀

13
정신성적 발달 – Sigmund Freud, 1856~1939

❖ 제3기: 1923-1939년. Structural theory of reference


❖ 1923년 - 4월, <자아와 이드>를 저술하여, 자아를 의식 부분과 비의식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 인간의 정신현상을 자아, 이드, 초자아로 나누어
설명

❖ 1930년 - 괴테 문학상을 받음.

❖ 1938년 - 6월, 나치스의 유대인 학살을 피해 런던으로 망명함.

❖ 1939년 - 9월 23일, <정신분석학 개론>을 집필하던 중 완성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남.

14
인간의 마음은 삼층의
구조
❖ Secondary process, 논리적인 연결을 가
지며 합리적이고 외부 현실을 고려 –
reality principle (현실원칙). 이상과 행동
규범을 따름
❖ 의식 (conscious) – 어떤 특정 순간
에 개인에 의해 지각되는 모든 감
각과 경험

❖ 전의식 (preconscious) – 지식이나


생각 등 여러가지 형태의 기억이
있음. 쉽게 의식화가 가능

❖ Primary process, 논리적인 연결이나 형


식이 없음. - pleasure principle (쾌락원
칙). 욕구의 만족과 발산만을 추구하고
고통스런 긴장은 피하는 것을 원칙으로

❖ 무의식 (unconscious) – 의식의 범
위 밖에 있는 본능적 욕구와 소망
을 담고 있는 곳, 자아는 이런 욕구
들이 의식으로 올라오는 것을 위험
으로 느껴서 위협이나 불안 같은
15
불쾌감을 일으킴
아동의 발달과 정신병리를 이해하는 이론적 관점

❖ 정신성적 발달 (1/2)
❖ 구강기: 유아는 생존을 전적으로 의존. 구강은 생물학적인 충동과 동시에 유쾌한 감각을 해
소시키는 신체의 일부분. 사회적 환경과 접촉하는 일차적인 수단이 되며 대부분의 성적 에
너지를 포함. 이 시기에 다른 사람에 관련하여 의존, 신뢰, 신용, 독립심 등의 일반적인 태
도를 확립. → 잘 형성된 성격은 남에게 의존하지 않는 성격이 되고 잘못 발달된 성격은 주
는 것보다 받는 것을 좋아한다.

❖ 항문기: 리비도의 에너지 초점이 구강에서 항문으로 옮겨간다. 유아는 대변의 보유와 배출
에서 상당한 만족을 얻으며 점차 대장운동을 지연시켜서 상당한 만족을 얻으며 점차 대장
운동을 지연시켜서 이러한 만족을 증대시키는 방법을 배움. 유아는 즉각적인 배출에 대한
이드의 요구와 배출욕구에 대한 자기 조절의 사회적 제지를 분간하는 것을 배움. 부모의 거
칠거나 강압적인 대소변 가리기 훈련에 의해서 항문적 성격이 될 수도 있음. → 잘 발달한
성격은 자주적이고 협조심이 많고 판단이 명확하고 긍지와 자존심이 높은 반면, 잘못 발달
된 성격은 강박성, 완벽주의, 죄책감, 완고함, 인색함을 가질 수 있음

16
아동의 발달과 정신병리를 이해하는 이론적 관점

❖ 정신성적 발달 (2/2)
❖ 남근기: 아직 성호르몬과는 상관 없음. 리비도적 관심이 생식기로 옮겨 가고, 자위행위. 각 이성의 부모
에 대한 성적 욕망에 의한 결과로, 남아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경우에 이러한 감정이 아버지에게 발
각되어서 생길지 모르는 거세불안을 갖게 되며 나중에 아버지에 대한 동일시를 통해서 해소. 여아의 경
우 엘렉트라 콤플렉스에서는 자기에게 없는 남근에 대한 선망이 일어나며 자신의 남근이 없는 것을 어
머니가 빼앗아 간 것으로 여기게 됨. → 잘 발달된 성격은 성별 주체성을 확실히 할 수 있으나, 잘 못 발
달된 성격은 남아의 경우 거세불안이 생기고, 여아는 연극적, 표현적, 과장적, 유혹적이고 정서가 불안정
한 히스테리 성격

❖ 잠복기: 리비도가 승화되어 무성적 활동인 지적인 관심, 운동, 그리고 친구간의 우정으로 전환 → 잘 발
달된 성격은 적응 능력이 높아지고, 학업,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자신감이 있으며 자아를 발전시킨다. 잘
못 발달한 성격은 열등감과 성적 발달의 정체감

❖ 생식기: 사춘기의 발달과 함께 이성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증가하며 성적, 그리고 공격적 충동이 다시
나타남. → 잘 발달된 성격은 성숙한 이성 관계를 수립하게 되고 주체성 수립, 성숙과 주체성을 가짐. 잘
못 발달된 성격은 과거 잘못된 발달단계에 사로잡혀 그 영향을 받은 성격이 되며 주체성의 혼동이 옴

17
정신사회적 발달 – 에릭슨의 이론 (1963)
단계 심리사회적 위기 덕목 주된 관계 심리성적
대상의 의 발달단계
발달 과업 성공 결과 발달 과업 실패 결과

1. 0-1세 Basic trust: 애정욕구 충족으로 형성 Mistrust: 방임, 애정의 박탈로 형 희망 어머니 구강기

2. 1-3세 Autonomy: 부모로부터 독립한 자신, Shame & doubt: 실패 경험이나 의지 어머니, 항문기
자율적 개체로서의 인식에서 형성 제지되는 상태에서 형성 아버지

3. 3-6세 Initiative: 현실도전의 경험, 상상, 양친 Guilt: 너무 엄격한 훈육, 윤리적 목적 가족 남근기
행동의 모방을 통하여 형성 태도의 강요에서 형성

4. 6-12 Industry: 공상과 놀이에서 벗어나 현 Inferiority: 지나친 경쟁, 개인적 능력 이웃, 학 잠복기
세 실적 과업을 수행하고 무엇이든 해보 결함, 실패의 경험에서 형성 교
려함
5. 12-20 Ego identity: 어른과의 동일시감, 자기 Identity confusion: 자신의 역할, 충성 교우집단, 생식기
세 가치감, 자기 역할의 인식에서 형성 사회적 규준제시의 불분명에서 지도자의
형성 모범
6. 20-30 Intimacy: 동성, 이성 간에 인간관계의 Isolation: 과도한 또는 형식적인 사랑 우정적 동 생식기
세 친밀감, 연대의식, 공동의식 등의 따뜻 인간관계에서 형성 료
한 인간관계에서 형성

7. 30-65 Generativity: 부모의 성역할 인식에서 Stagnation: 생산성을 제대로 발 배려 직장, 가 생식기
세 자기나 자신을 위한 창조성, 생산성 형 휘하지 못하면 자기중심적인 성 정
성 격이 형성
8. 65세 Integration: 사회문화의 지배적 이상 Despair: 지난 생애에 대해 무의 지혜 인류, 동 생식기
- 을 받아들이고 생의 의미에 대한 긍정 미함을 느끼면 절망하게 됨 포
감을 형성 18
여러 발달의 이론들 – 기질
TEMPERAMENT

19
기질과 인격의 차이
❖인격은 기질과 같은 것이 아니다.

❖어릴 때는 기질이 전 인격인 것처럼 보이지만,


나이가 들어가면서 많은 요인이 개입되고, 인격
을 형성하는 수많은 원인 중의 하나로 기질이
포함된다.

20
기질의 쟁점
❖선천성

❖안정성
❖기질은 변하는 것인가?

21
기질에 관한 이론가들
❖Thomas & (Stella) Chess
❖1956 – 1986 30년간의 New York Longitudinal
Study (NYLS)

❖138 children/87 families

❖Homogeneous socio-cultural background → 백인


중산층 가정

❖아동의 기질을 특정 유형으로 분류


22
NYLS에서 나온 Thomas & Chess 기질 이론
❖ 아동의 기질을 특정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 Easy child 40% (순한기질)

❖ Difficult child 10% (까다로운 기질)

❖ Slow to warm up child 15% (느린 기질)

❖ 1/3에 해당하는 아이들은 어느 한 유형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이러한 서구의 유형이 우리 아동들에게도 적응
될 것인가 의문

❖ Goodness of fit (조화의 적합성) from NYLS children → Poorness of fit (조화의 부적합성) from PRWC
(Puerto Rican working-class) children
❖ 순한 기질: 부모로서는 가장 키우기 쉬운 유형이다. 그러나 순한 기질의 아이들은 적응능력이 뛰어나고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을 잘 맞추기 때문에 부모들은 ‘착하다’는 말을 남발함으로써 이들을 부모 말을 잘 듣는, 나아가 부모의 지시대로 움
직이는 로봇 같은 아이로 키우는 ‘우(愚)’를 범하게 된다.

❖ 느린 기질: 느긋하게 이들의 속도에 맞추어 기다려줄 수 있는 부모 밑에서는 안정적으로 성장해 나가지만, 부모가 끊임없
이 다른 아이와 비교하고 재촉하게 되면 자신의 타고난 잠재력조차도 제대로 발휘할 수 없을 것이다.

❖ 까다로운 기질: 부모를 쉽게 좌절하게 만들고 화를 내거나 처벌적 훈육을 하게 만든다. 까다로운 기질의 아이들을 방치하
거나 벌로 다스리는 것은 우선은 수월하지만, 그 결과는 이들을 통제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까다로운 기질의
아이일지라도 부모가 인내심을 가지고 이들의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한 경우에는 이후 점차 까다로운 기질을 보이지 않
게 된다.
23
기질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영아기의 까다로운 기질, 억압적 기질은 아동기
에 문제행동을 많이 보인다.

❖속단은 금물, 예를 들어 영아기의 까다로운 기


질이 성인기 초의 문제행동과는 상관이 없다는
보고들도 있다.

24
여러 발달의 이론들 – 애착
ATTACHMENT

25
애착에 관련된 사전 비디오
❖https://www.youtube.com/watch?v=8zB7kUqF
Khk&t=7s

26
아동의 발달과 정신병리를 이해하는 이론적 관점
❖ 동물행태학 – 애착 (attachment) 이론
❖ Bowlby

❖ 인간은 생존과 안전을 위하여 본능적으로 자신보다 강하고 현명하다고 판단되는 특정


한 사람과의 물리적인 거리를 좁히거나 밀접한 상태를 유지하려 한다.

❖ 유아가 양육자(엄마)와 애착을 형성하는 것

❖ 생존을 위한 본능

❖ 애착행동

❖ 유아가 엄마의 돌봄을 유도하기 위해 울거나, 가까이 가거나, 눈을 맞추거나, 웃는


등의 다양한 신호를 보내는 것

❖ 안정된 애착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 부모가 평소에 일관되고(consistent), 민감하게 (sensitive: 애착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반응해야 (responsive) 한다.

27
애착의 이론가들
❖ Bowlby

❖ 첫 주창자

❖ Mary Ainsworth

❖ 유아에서의 애착에 실험적 평가방법을 도입→ strange situation


procedure (SSP)

❖ Secure (B), avoidant (A), ambivalent/resistant (C), other로 구분

❖ Mary Main

❖ 위의 other로 구분되는 아이들의 90%가 disorganized/disoriented (D)에


해당한다고 하여서 새로운 D category를 만듦

❖ 성인에서의 애착평가를 위한 면담 도구를 개발 → Adult attachment


interview (AAI) 28
The Strange Situation Procedure (SSP)
❖Mary Ainsworth에 의해 고안된 1-2살의 영아
의 애착을 측정하는 절차로, 양육자와의
separation과 특히 reunion시의 행동에 의해서
4가지 범주로 분류한다.

29
아기에서 애착의 유형들
❖ 안정적 애착 (secure: type B)
❖ 아기는 엄마가 있으면 엄마를 안정된 기반으로 삼고 마음껏 논다

❖ 회피적 애착 (avoidant: type A)


❖ 엄마가 없어도 불안해하지 않고 별 반응이 없다. 엄마가 어디에 있는지
관심이 없이 논다.

❖ 양가적 혹은 저항적 애착 (ambivalent or resistant: type C)


❖ 아기는 방에 들어오자 마자 불안해하고, 엄마가 나가면 극단적으로 불안
해하며, 돌아오면 저항하면서 금방 화가 풀어지지 않고 잘 놀지 않는다.

30
어떻게 이런 애착 행동이 나타나나
❖ B형
❖ 아이가 애착 행동을 했을 때 부모가 즉시 (sensitive하게) 제대로 반응을 보임
→ 안정적 애착
❖ 감정적 정보와 인지적 정보를 균형 있게 사용할 줄 알게 됨
❖ A형
❖ 아기의 행동에 엄마가 거부(rejection)를 하고 거부는 벌로 작용해서 아이는 그
런 행동을 억제한다. 거부에 맞서면 엄마가 화를 내니 감정을 억제한다. → 회피
적 애착
❖ 엄마가 지나치게 많이 과자극을 할 때 엄마의 행동에 압도당할까 방어적으로 변
함 → 회피적 애착
❖ 감정 표현을 억제하거나 숨기고 타인의 감정과 생각을 면밀히 관찰한다. 인지적
정보를 주로 사용
❖ C형
❖ 엄마가 민감하지 않고 기분 내킬 때만 민감하게 반응, 반응에 일관성이 없음. 따
라서 아이가 애착 행동을 과장해야 엄마가 반응하는 경우 → 양가적 혹은 저항적
애착
❖ 감정표현이 학습적으로 강화되고 감정적 정보를 주로 사용
31
혼란된 애착 (disorganized/disoriented: type D)

❖ 위의 어느 쪽에도 해당되지 않음, 아기가 불안해도 엄마에게 바


로 접근하지 못하거나 고개를 돌리고 접근하거나 얼어붙은 듯
꼼짝 못하는 등의 이상한 행동. 조직화된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 SSP에서 나중에 Mary Main에 의해 기술된 애착 유형

❖ Pathology를 다루는 임상의사의 유형에서는 더 많은 관심을 갖


게 되는 애착 유형임

❖ B, A, C 유형은 나중의 maladaptation과 연관성이 크지 않은 반


면 D type은 향후의 정신장애와 연관성이 크다.

32
애착에 대한 이해
❖애착은 병적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용어가 아니다

❖불안정 애착이 반드시 비정상이나 정신 병리를 의미하


는 것은 아니고 불안정 애착은 정신병리에 취약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SSP에 대한 stability(retest를 해도 동일한 category로


분류되는가?)는 초기 연구와는 달리 많이 떨어진다. 하
지만 D type에 대한 stability는 높은 편이다.

33
1~3세

부모 또래 다양한 사회 구성원

애착 사회화

34
아동기초기 발달 과제

애착형성

자율-독립/자기통제-한계설정

사회성 SAD/ODD 분리-개별화

35
2교시 15:30-16:45

37
아동청소년에서의 감정의 발달 -
불안

38
불안의 발달학적 관점
❖ 생존 관련 외적 상황에 대한 불안에서 내적인 개념적-인지적 불안으로 이동
❖ 초기 6개월간 - 생존관련 불안

❖ 초기 8개월 부터 시작 – 자신을 돌보아 주는 일차 양육자의 사랑을 잃어버릴까 두려워함,


분리 불안, 10-18개월에 가장 극심하다가, 대상영속성(object permanence)이 생기면서 대
상이 눈 앞에 보이지 않거나 들리지 않아도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2세 경에 사라짐

❖ 초기 8개월부터 시작 – 낯가림, stranger anxiety, 2세 경에 사라짐

❖ 만 3세 이후 – 동성의 부모와 경쟁하고 경쟁관계에서 불안을 느낌 – 거세 불안 → 신체손


상에 대한 불안

❖ 학령 전기 (5-7세) – 자신의 양심에 비추어 잘못된 것이 없었나 하는 초자아 불안

❖ 만 7세 이후 학교 생활 – 자신이 제대로 기능할 수 있는가, 또래와의 경쟁에 대한 수행불안

39
Normal development of fears (I)
❖ 공포발달은 초기 회로 속에서 발생; 공포반응은 매우 초기에 관

❖ 영유아기: 즉각적이고, 구체적인 자극에 반응

→ 청소년기: 예측가능/추상적/포괄적 자극에 반응

❖ Infancy: loud noises, being startled, strangers

❖ Toddlerhood: imaginary creatures, darkness, separation

40
Normal development of fears (II)
❖ Early childhood: normative fears (meteors, clouds, blood,
being kidnapped, darkness, animals 등)

❖ School age: wind, darkness, water, animals, 죽음/질병/신체적


안전, 학교/사회생활 관련 요인 등

❖ Adolescenc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rejection

❖ 보통 정상적인 공포는 나이가 들면서 감소하고 일시적

❖ 청소년기: 불안장애가 증가하고 정상공포는 감소

❖ 공존 질환율 ∝ 내재화증상의 중증도

41
사회성 - MINDREADING

42
마음 읽기란 무엇인가?
❖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는 능력 (마음의 이론, “theory of mind”)

❖ 사람의 마음 상태에 따라서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능력(예:


원한다, 믿는다, 가장한다.)

❖ 자기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는 능력은, 사람마다 각자의 정신적


세계를 갖고 있다는 믿음에 의해 생긴다. (Bosacki, 2000)

❖ 자폐장애에서 잘 발달되지 않음.

43
44
마음 읽기의 예
❖협동 주시(Joint attention)
❖“마음 읽기”의 초기 행동

❖시선이나 가리키기를 통해 자신의 경험이나 관찰을 타인과


나누려고 하는 행동

❖9~15개월 사이에 발달
❖언어적 상호교환이 처음 나타나는 시기와 거의 일치

❖사회성 발달, 언어 습득, 인지 발달에 중요한 지표

❖발달장애 아동에서는 제 때에 나타나지 않음.

45
협동 주시

46
Sally-Anne test

• 실험자는 두 인형 ‘샐리’, ‘앤’을 사용한


다. 샐리에겐 바구니가 있고 앤에겐 상
자가 있다. 실험자는 아이들에게 가벼운
촌극을 보여준다. 샐리는 구슬을 바구니
에 넣고 사라진다.

• 샐리가 없는 동안 앤은 구슬을 샐리의


바구니에서 꺼내어 자신의 상자 안에
넣는다.

• 샐리는 다시 돌아오고 아이들에겐 질문


이 던져진다. ‘ 그녀는 어디서 자신의 구
슬을 찾을까? ‘

47
마음 읽기의 예
❖ 다른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안다.

❖ 다른 사람은 내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안다.

❖ 다른 사람의 믿음과 동기를 안다

❖ 타인들과의 동맹과 갈등을 이해한다.

❖ 대화에서 상대방의 반응을 살피고 의도를 파악한다.

❖ 거짓말하기

❖ 질문의 숨은 뜻을 알기, 말과 문장의 속뜻을 알기

❖ 농담과 역설을 이해하기, 은유, 숙어, 비유, 상징을 이해하기48


일반적으로 사회성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자존감 – 타인과의 관계에서의 심리적인 안정의 기반


❖타인을 존중하기

❖자기 조절 능력
❖분노 다스리기

❖결과 받아들이기

❖의사 소통 능력
❖부정적인 감정을 잘 표현하기

49
인지기능

50
학습이론
❖ 고전적 조건형성 classical conditioning

❖ 파블로프의 실험

❖ Before conditioning

❖ Food (UCS) -------------------------------→ salivation (UCR)

❖ Bell (CS) + food (UCS) -------------------> salivation (UCR)

❖ After conditioning

❖ Bell (CS) ---------------------------------→ salivation (CR)

❖ Animal: passive & restrained

❖ 조작적 조건형성 operant (instrumental) conditioning

❖ 스키너: 유기체가 행동 결과가 자신에 유리하면 그 행동을 더 자주 하게 된다.

❖ Trial and error learning

❖ Animal: active & behaves towards reward 51


인지 발달의 이론적 관점 - 피아제(1963)의 이론
❖ 파리의 Binet 실험실에서 일하면서 아동용 지능검사를 만들다가 틀린 답을 보니, 아동들의 오류
가 일관성 있는 유형을 따름을 발견 어린 아동이 나이든 아동이나 어른에 비해 단순히 더 ‘
우둔한’ 것만은 아니며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사고한다.

❖ 첫째, 각 단계들을 각기 다른 속도로 통과해나가므로 단계와 연관된 나이는 중요하지 않으나


각 단계는 불변적인 동일한 순서를 거친다.

❖ 둘째, 발달적 변화는 단순히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점점 더 포괄적으로 변하는 것


이다.

❖ 도식(schema): 영아가 세상에 태어나서 경험하는 하나하나로, 세상을 이해하는 틀

❖ Adaptation

❖ 동화 (assimilation): 새로운 사물과 경험을 접하면 이미 습득한 도식에 맞추려고 함

❖ 조절, 조정(accommodation): 도식에 맞지 않으면 자신의 도식을 바꾸어 새로운 자극에 맞


추어 나감

52
1단계 (출생-1개월) 반사사용 단계: 처음에 반사는 수동성이 있어서 자신의 외부에 사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모른다. 보이지
1기. 감각운동기 어떤 자극이 있기 전까지는 활동하지 않으나, 반사가 도식에 포함이 않으면 잊어버린다.
(출생-2세) – se 일단 되면, 능동적으로 사용을 하게 된다. 빨기 반사가 가장 대표적.
nsorimotor stag 첫 도식들은 주로 반사로 구성, 주로 동화를 사용. 이제 반사적인 빨기
e 에서 빠는 행위 자체를 위해서 빨게 된다.
2단계 (1-4개월) 1차 순환반응: 자신(의 몸)에서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고 그것을 반복하려고 한다. 우연히 손이 입에 닿아서 그 손을 빨게
되면, 이후에는 다시 그 손을 자기의 입에 가져오려고 애를 쓴다.
3단계 (4-10개월) 2차 순환반응: 외부에 관심을 갖기 시작. 외부에서 대상영속성object permanence이 발달하기 시작. (obje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고 그것을 반복하려고 한다. 발치의 인형을 차 ct constancy와 혼동 주의→internalized mental repre
고 흔들리는 것을 보고는 이제 계속 인형을 차게 된다. “재미있는 광 sentation이 있어야만 생김)사물의 일부분을 가리거나,
경을 지속시키려는 것” 자신의 행동과 관계가 있는 사물은 잠시 사물을 치워도
다시 찾아낸다. 그러나, 다른 사람이 완전히 감추어 버
린 사물은 찾을 수 없다.
4단계 (10-12개월) 2차 도식의 협응: 결과를 얻기 위해 이전까지는 대상영속성object permanence를 갖게 됨. 이제 완전히
단일행동을 하다가, 이제는 한가지 결과를 얻기 위해 두 가지의 행동을 숨겨진 대상을 찾을 수 있다. (인형을 담요로 완전히 가
사용하게 된다. Laurent이 성냥갑을 얻으려 할 때 Piaget가 손으로 막 린다면 담요를 들추고 인형을 찾아낼 수 있다.) 위치이
으면 이전에는 Piaget의 손을 넘어 잡으려고만 하다가 이제는 손을 치 동을 이해하지 못한다. → A 지점에다가 사물을 숨긴다
워서 잡는다. → 성냥갑을 얻기 위해 치기와 잡기를 협응하게 된다.(공 면 찾아낼 수 있지만, 이후에 아이가 B지점으로 옮겨놓
간상으로 어떤 사물이 다른 것보다 앞에 있고, 시간상으로 한 사건이 는 것을 보아도 아이는 처음에 찾아낸 A지점에서만 사
다른 사건보다 선행한다는 것을 배움) 물을 찾으려고 한다.
5단계 (12-18개월) 3차 순환반응. 다른 결과를 관찰하기 위해 다른 행 옮겨놓는 것을 볼 수만 있다면 위치이동을 이해할 수 있
동들을 시도해 본다. 수도꼭지 아래에 손을 갖다 대고 물이 퍼져나가 다.
는 것을 본다. 손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물이 달리 퍼져나가는 것을 본
다. 여러 가지 다른 행동들을 시도하여 보는 느린 시행착오를 거침.
6단계 (18개월–2세) 사고의 시작. 행동만 다 해보기를 멈추고 사고를 보이지 않는 위치이동을 이해할 수 있다. 소파 밑으로
하여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모델의 내적 표상을 가지고 지연 굴러들어간 공을 공의 궤적을 속으로 그려봄으로써, 소
된 모방deferred imitation - 눈앞에 없는 모델을 모방 – 을 하기 시 파 주위를 돌아가서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작한다. 가상놀이가 시작된다. 아직은 언어적인 상징까지는 아니고 비
언어적인 운동적 상징이 나타나기 시작.

53
상징적 활동의 과학적 추리 사회적 사고
성장
2기. 전조 초반에 언어가 수의 보존개념: 한 줄의 달걀 컵과 한 묶음의 달걀을 각기 1: 자아중심성egocentrism: 모든 것을 자신의 관점에
작 기 (3-6 급속히 발달하 1로 대응하게 늘어놓은 다음, 각 컵에 하나씩 채울 수 있을 서만 생각한다. 아동으로 하여금 세 개의 산으로 만
세) – preo 면서 언어적 상 만큼의 달걀들을 배열해 보라 → 무조건 달걀 컵의 줄의 길 든 모형 주위를 돌아보게 하여 그 모형이 다른 각도
perative s 징을 사용하게 이와 달걀의 개수에는 상관없이 달걀 줄의 길이를 같게만 에서 어떻게 보여지는 지를 알 수 있게 한다음, 아동
tage 됨. 언어를 통 함. 나중에는 1:1로 배열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달걀들을 모 을 모형의 한쪽 편에 앉히고 반대편에는 모형을 보
해 급속히 정신 아 놓으면, 아이들은 어느 한 쪽이 더 많다라고 주장함. 고 있는 인형을 놓아 서로 정면으로 대하게 한다. 그
세계가 확장되 런 후 여러 가지 사진들 중에서 아동이 본 것을 가장
다가 보니 이치 연속적인 양(액체)에 대한 보존개념: 아동에게 똑 같은 높이 잘 나타낸 사진과 인형이 본 것을 나타낸 사진을 고
에 맞는 논리성 로 물을 채운 A1과 A2의 두 컵을 보여준다. 두 개의 컵에 르게 한다. → 아이들은 자신이 본 것을 나타내는 사
이 결여된다→ 같은 양의 물이 들어있느냐고 물으면 대부분 그렇다고 대답 진은 골라내지만, 인형이 본 것을 나타내는 사진을
사고는 기본적 . 다음에 A2의 액체를 높이는 더 낮고 밑면적은 더 넓은 컵 고르는데도 자신이 본 것과 똑 같은 사진을 선택한
으로 비체계적 P로 옮겨 붓는다. 그리고 나서, 액체의 양이 여전히 같은지 다. (이기적이거나 독단적인 것은 아니다, 두 소년이
이고 비논리적. 를 물어본다→ 하위단계에서는 보존개념을 이해하지 못하 엄마의 생일선물을 사기 위해 아줌마와 쇼핑을 한다
므로, A1이 양이 더 높기 때문에 양이 더 많다고 하거나 P . 형인 7세 소년은 보석종류를 고르고, 3세 6개월 된
가 더 넓기 때문에 양이 더 많다라고 한다: 높이나 넓이 중 어린 동생은 모형차를 고른다→ 엄마의 관심이 자신
어느 한가지 차원에만 중점을 둔다. 좀 더 상위단계에서는 의 관심과 다르다는 것을 모른다), 따라서 같이 있어
A1이 양이 더 높기 때문에 양이 더 많다고 했다가, P가 더 도 따로따로 놀게 된다.
넓기 때문에 양이 더 많다라고 말하는 등의 혼란에 빠진다:
높이와 넓이의 두 가지 지각적 차원을 고려하기 시작하지만 도덕적 타율성
아직 두 차원을 동시에 추리하지는 못한다. (유사하게, 여러
가지 단추들 중에서 동그랗게 생긴 것들만은 가려낼 수는 animism물활론: 4-6세, 활동하는 것은 모두 살아있
있지만, 동그랗고 빨간 단추는 가려낼 수 없다) 다. → 태양은 빛을 발하니까 살아있고, 산은 아무
것도 하지 않으니 죽어있다.
유목화classification: 18개가 갈색이고 2개는 흰색인 20개
의 나무구슬들을 아이들에게 보여주고, 다 나무 구슬들임을 꿈: 처음에는 실제라고 믿음 → 꿈이 실제는 아니지
이해시킴. 이후 “갈색 구슬이 더 많이, 나무 구슬이 더 많니 만 자신의 꿈이 다른 이들에게도 보이며, 바깥으로
?”라고 질문→ 아이들은 갈색 구슬이 더 많다고 대답. 부터 들어오는 외적 사건으로 그들이 꾸는 동안 외
부에 그대로 남아있다라고 생각. 아동들이 자아중심
적이기 때문에 타인들이 어느 정도까지 (자신과는
다르게) 개인적인 꿈의 경험을 하는지 알지 못한다.

54
과학적 추리 사회적 사고
3기. 구체적 두 가지 관점을 동시에 통합할 수 있는 능력, 논리가 생긴다.
조작기 (7-1 이제 보존개념conservation을 획득. (수 자아중심성의 극복: 탈중심화decentering하여, 이제
1세) – concr →양→무게→부피 순). 이제 달걀을 통한 협동놀이가 가능해 진다. 아이들은 어른들이 자신의 마
ete operatio 수의 보존개념의 실험에서 아동들은 각 줄 음을 모두 이해해 주는 데 반해 또래들은 그렇지 않다
n 의 길이는 다르지만 각 줄에 있는 개수는 는 것을 알게 되고 따라서 자기 자신을 상대방에게 이
똑같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두 줄에 해시키기 위해 다른 아동들의 관점을 고려하면서, 능동
아무 것도 추가하거나 빼내지 않았으므로 적으로 자아중심성을 극복하게 된다.
개수는 같다 (동일성), 한 줄이 더 길지만
다른 줄은 조밀하게 모아져 있기 때문에 도덕판단: 10세까지는 도덕적 타율성: 성인들에 의해
개수는 같다 (보상성), 이 줄을 다시 더 길 부과된 규칙에 맹목적으로 복종 → 10세가 넘어가면서
게 늘리면 서로 똑같기 때문에 개수는 같 도덕적 자율성이 생김: 규칙은 협동을 위해서 동등한
다 (역조작)] 사람들이 만든 것이다.

유목화 (대상이 여러 방식으로 분류될 수 물활론animism: 감정과 의식을 무생물에 부여


있다) 개념도 숙달 6세-8세: 움직이는 것들은 살아있다.
8세 이상: 스스로 움직이는 것들은 살아있다.
서열화: 존이 마크보다 더 키가 크고 마크 나중에야 식물도 살아있는 것이다라고 생각
가 샘보다 더 크면 존과 샘 중 누가 더 키
가 클까? 전조작기 아동: 나란히 서봐야 꿈의 성질을 이해하게 됨
알지요, 구체적 조작기 아동: 머리로 생각
함.
아직까지는 실제 행위가 가해질 수 있는 구체적인 사물들에 대해서만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사고
할 수 있다.

55
4기. 형식적 조작기 (12세 순전히 추상적이고 가설적인 범위까지 사고가 확장된다.
이후) – formal operation

무색의 액체를 담은 1,2,3,4 표가 붙은 4개의 플라스크와 함께 역시 무색의


액체를 담음 g라는 작은 플라스크를 주고 이 액체들을 섞어 노란색을 만들
라는 지시를 함 → (전조작기: 아무렇게나 섞는다, 구체적 조작기: 보다 조직
적으로 행동한다. 각 1,2,3,4 플라스크에 g를 붓는다. 하지만 이것으로 끝이
다. 제한된 범위의 가능성만을 고려) 형식적 조작기에서는 모든 가능성에 대
해 체계적으로 다룬다. 여러 조합들을 시도하고 중복이나 누락을 막기 위해
지금까지 시도한 조합을 기록하고 다른 조합을 시도해 본다 → 여러가지 가
능성들을 미리 생각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검증한다.

일차적으로 현재의 세계에만 사는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과는 달리, 형식적


조작기의 청년들은 좀 더 원대한 문제들 – 즉 자신들의 미래와 그들이 속하
게 될 사회의 본질에 관하여 사고하기 시작한다.

56
죽음에 대한 발달 단계별 이해
❖ 죽음의 4가지 주요 개념과 아이들의 오해
❖ 되돌이킬 수 없다. (irreversibility)
❖ 어린 아이의 경우 마치 여행에서 돌아오듯 죽은 사람을 다시 만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실 이런 미숙함이 사망한 사람에 대한 원
만한 감정적인 처리에 도움이 되기도 함

❖ 생명의 최종 도착점이다. (finality, non-functionality)


❖ 죽으면 모든 것이 끝나고, 모든 기능이 멎는다. 아이들은 땅에 묻힌 죽은 사람이 춥지 않을까, 아프지 않을까 걱정하고 음식을 같이
묻어주어야 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 죽은 자의 신체적인 고통에 집착하게 되면 아이의 적응에 문제가 초래되기도
한다.

❖ 피할 수 없다 (inevitability, universality)
❖ 모든 생명체는 죽음을 피할 수 없다. 아이들은 자신이나 부모가 결코 죽지 않는 것으로 오해하기도 한다. 그래서 주위 사람의 사망
에 대해 자신이 뭔가 잘못했고, 그 잘못에 대한 벌로 죽음이 일어난다고 생각해서 지나친 죄악감이나 수치심을 가지기도 한다.

❖ 원인이 있다. (causality)


❖ 모든 죽음에는 원인이 있다. 아이들은 자신의 나쁜 생각이나 행동이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의 원인이라는 식의 마술적인 생각을 할
수도 있다. 결국 죄책감에 빠지게 되어 죽은 사람에 대한 감정 처리를 방해하게 된다.

❖ 죽음이 우발적인 것이어서 폭력 등의 사고로 죽게 되는 것이니 사람은 운이 좋거나 주의만 잘 한다면 영원히 살 수도 있다.

57
죽음에 대한 발달 단계별 이해
❖ 5세 미만의 유아기
❖ 단지 눈앞에서 사라지는 것, 또는 헤어지는 것으로 간주. 죽음은 끝이 아니라, 이별이라서 다시 만날 수
있고 죽은 사람이 다른 곳에 있다고 믿음. 자신이 버림받을 지도 모른다는 잘못된 두려움을 느낌. 때에
따라서는 부모의 죽음을 자기를 괴롭히려는 어떤 계획된 행동으로 오해하고 슬픔과 분노를 보이기도 함

❖ 5세부터 9세까지
❖ 죽음에 대해 보다 실질적인 이해가 가능하나 아직 부분적 오해가 있음

❖ 생명이 있는 모든 것은 죽지만, 이러한 자신에게는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함

❖ “죽음은 실재하지만, 다른 사람들, 즉 어른들에게만 적용될 뿐이다.”

❖ 죽음을 눈에 분명히 보이는 것으로 생각해 죽음의 천사나 해골유령이 밤늦게 잡아가는 것
으로 믿기도 함

❖ 10세 이상
❖ 드디어, 생물학적 관찰에 의거하여 실제 개념을 형성.

❖ 죽음의 4가지 주요 개념을 이해하게 됨


58
도덕성의 발달

59
콜버그의 도덕 발달단계
❖ 제1수준 : 인습 이전 수준 (Pre-conventional level) - 전조작기
❖ 1단계 : 벌과 복종의 단계 (Obedience and punishment orientation)

❖ 2단계 : 도구적 목적과 교환의 단계 (Self-interest orientation) – 자신의 욕구 충족을 위해서

❖ 제2수준 : 인습 수준 (Conventional level) – 구체적 조작기


❖ 3단계 : 개인간의 상응적 기대, 관계, 동조의 단계(Interpersonal accord and conformity ) – 항상 정의는
승리한다

❖ 4단계 : 사회체제와 양심보존의 단계 (Authority and social-order maintaining orientation) – 악법도 법


이다.

❖ 제3수준 : 인습 이후 수준 (Post-conventional level) – 형식적 조작기


❖ 5단계 : 권리 우선과 사회계약, 혹은 유용성의 단계(Social contract orientation)

❖ 6단계 : 보편윤리적 원리의 단계 (Universal ethical principles)

60
하인즈 딜레마(Heinz dilemma)
❖ “한 부인이 어떤 특별한 암에 걸려 죽음을 가까이 두고 있다. 의사들은 그녀를 살릴 수 있는 약
이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 약은 라듐의 종류로 같은 도시에 사는 어떤 약제사가 최근 발견한
것이다. 약제사는 그 약은 제조하는데 많은 비용이 든다며, 약을 만드는데 드는 비용의 10배의
가격을 요구했다. 약제사는 라듐을 사는데 2백 달러를 지불하고 그 약의 1회분에 대해서는 2천
달러나 약값으로 요구했다. 아픈 부인의 남편인 하인즈는 자신이 알고 있는 모든 사람에게 돈
을 빌렸으나 약 1천 달러 밖에 만들지 못했다. 하지만 그 돈 갖고는 기껏해야 약 1회분 사는데
들어갈 비용의 절반에 불과했다. 그는 약제사에게 자신의 아내가 죽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말한
후, 약을 자신에게 보다 싸게 팔고, 나중에 자신이 나머지를 갚으면 안 되겠는가라고 부탁했다.
그러나 약사는 ”안됩니다. 나는 약을 발견했고, 그것을 팔아서 돈을 벌려고 합니다.“라고 말했다.
그래서 하인즈는 마침내 절망 상태에 빠졌고, 자신의 아내를 위해 약을 훔치기 위해 제약사의
상점을 부수고 침입했다.

❖ 하인즈는 아내에게 줄 약을 훔치기 위해 약제실을 부수고 들어가야 합니까? 아니라면 왜 그러


지 말아야 합니까?”

61
하인즈 딜레마(Heinz dilemma)에 대한 단계별 답변

❖전인습적 도덕성
❖ 1단계 (벌과 복종의 단계): 수반되는 결과에만 비추어 반응 “벌받을 것이
기 때문에 나쁘다"도둑질 하는 사람은 감옥에 간다는 것 이외에 더 자
세한 설명은 못함.

❖ 2단계 (상대주의적, 쾌락주의적): 사람에 따라서 다르다. Heinz는 아내를


구하기 위해 훔치는 것이 정당하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약제사는 그르다
고 생각할 수 있다. 더 젊거나 예쁜 다른 여성과 결혼하기를 원한다면 훔
칠 필요가 없다.

62
하인즈 딜레마(Heinz dilemma)에 대한 단계별 답변

❖인습적 도덕성
❖ 3단계 (항상 정의는 승리한다.): “착한"사람에 집중을 함. 하인즈는 생명
을 구하려고 애썼다, 아래를 사랑했다 등에 집중해서, 선하다고 보고, 대
신 약제사는 탐욕스럽다, 나쁘다고 본다.

❖ 4단계 (악법도 법이다.): 사회질서 및 권위의 유지. 하인즈는 아내를 사랑


했으니 약을 훔칠 수 밖에 없었지만, 그 또한 약제사에게 가서 약값을 치
루고 감옥에 가야 한다. 사회를 위한 법의 기능을 개념화하여 파악하게
됨.

63
하인즈 딜레마(Heinz dilemma)에 대한 단계별 답변

❖후인습적 도적성
❖ 5단계 (민주적으로 용인된 법): 개인적인 가치가 법보다 더 상위에 있음.
한편으로는 법에 대해 깊은 합리성을 부여하지만, 보다 상위의 원칙이
포함된다고 느낌. → 내가 보기에는 그가 그렇게 할 이유가 있기는 한데,
법의 입장에서는 그에게 잘못이 있을 것이다. 옳다 그르다고 말할 수 없
다.

❖ 6단계 (보편적인 원리): 하인즈가 아내를 위해 도둑질할 법적 권리는 없


지만, 보다 상위의 도덕적 권리를 갖고 있다. 모든 개인은 절대적 가치를
갖고 있고, 모든 생명은 고유한 가치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 여기까지
도달한 사람은 드물다. (Martin Luter King 정도)

64
참고 서적

65
Thank you for your attention.

For more information, please e-mail to me.

Moon-Soo, Lee M.D., Ph.D.


Professor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npboard@hanmail.net, npboard@gmail.com,
npboard@korea.ac.kr

6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