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전기전자 부품 및 소자 활용

저항의 종류와 규격 판독하기


학습내용

 저항의 종류와 규격 판독하기


 저항의 종류와 규격 판독 실습

학습목표

 저항의 종류와 규격 판독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실습을 통해 저항의 종류와 규격을 판독할 수 있다.

2
▣ 저항의 종류와 규격 판독하기

1. 저항기의 개요와 종류
1) 저항기의 정의
•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부품
• 저항은 전기회로 안에서 전기의 흐름을 제한하여 회로 안에서의 전류(또는 전압)의
크기를 변화
• 전자회로 내에서 수동 소자로 사용되며 전류의 흐름을 제한

2) 저항기의 종류
• 회로 내의 기능에 따른 종류
– 고정 저항기
– 반고정 저항기
– 어레이(Arrey) 저항기

3
▣ 저항의 종류와 규격 판독하기

1. 저항기의 개요와 종류
3) 저항기의 분류
• 재료, 제조 방법,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
• 전자산업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저항기들이 개발
• 고정 저항기
– 탄소계 : 탄소피막 저항기, 솔리드 저항기
– 금속계 : 금속필름 저항기, 산화금속피막 저항기, 메탈글래즈 저항기, 휴즈형
저항기
– 권선형 : 권선형 저항기, 권선형 무유도저항기, 전략형 시멘트 저항기,
메탈클래드 저항기
– 후막형 : 후막 칩 저항기, 후막 칩 어레이 저항기, 후막 네트웍 저항기, 후막칩
네트웍 저항기
– 박막형 : 박막 칩 저항기
– 기타 특수형 : PTC 서미스터, NTC 서미스터, 배리스터
 서미스터
온도차에 따라 내부 저항값이 변화하는 저항
선형적으로 저항값의 변화를 나타냄
디지털 온도계의 감지회로나 보일러 등의 온도 센서로 활용

• 가변 저항기 : 단자위치의 움직임에 따라 저항값 변화


탄소피막형, 후막형, 코일형, 반고정형, 포텐시오메타형

4
▣ 저항의 종류와 규격 판독하기

1. 저항기의 개요와 종류
4) 저항기의 특징
• 고정 저항기

– 소비전력에 따라 : 0.125W, 0.25W, 0.5W, 1W/2W/5W 등으로 구분


– 재질에 따라 : 탄소피막 저항기, 권선형 저항기, 금속피막 저항기, 법랑형 저항기,
칩 저항기, 어레이 저항기 등으로 구분
– 탄소피막 저항기 : 소형, 수동소자, 색대로 표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수동 소자
– 범랑형 저항기 : 세라막 저항기, 소비전력이 큰 회로에 사용

• 가변 저항기

– 저항기 중간에 이동단자 탭 설치 : 세 점 사이의 저항값이 변화되어 전압의 강하


또는 전류를 분배하는 회로에 이용
– 가변저항기의 이용 : 소리의 크기 조절, 화면의 밝기 조절에 사용,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정하는 가변저항기와 드라이버로 조정하는 반고정저항기

5
▣ 저항의 종류와 규격 판독하기

2. 색 저항 판독법
1) 일반 저항기
• 크기가 너무 작은 고정 저항기는 색상으로 저항 값 표현
• 일반 저항기는 4색대로 저항 값과 오차 표현

• 일반 저항기의 머리와 꼬리 쪽 구분하기


• 색대가 가까이 시작되는 곳이 머리 쪽
2) 정밀 저항기
• 정밀 저항기는 5색대 또는 6색대

6
▣ 저항의 종류와 규격 판독하기

2. 색 저항 판독법
3) 색 저항 판독표

7
▣ 저항의 종류와 규격 판독하기

2. 색 저항 판독법
3) 색 저항 판독표

• 제 1색대, 제 2색대, 제 3색대는 저항기의 색상에 해당하는 숫자를 쓰고 제 4색대는


제곱수로 곱하여 저항값을 구하며, 제 5색대는 허용오차를 나타냄.

8
▣ 저항의 종류와 규격 판독하기

3. 저항 소자의 규격
1) 저항기의 규격

탄소피막저항

금속피막저항

산화금속피막저항

권선저항

정밀권선저항

2) 가변 저항 및 고정 저항 소자 활용법
• 가변저항 : 저항값을 연속 변화시킬 수 있는 소자
• TV 음량 조절회로에 사용
3) 저항의 종류에 따른 허용 온도 범위

9
▣ 저항의 종류와 규격 판독 실습

1. 실습준비
1) 실습준비물
• 공구 및 장비
– 멀티 테스터 : 아날로그형 테스터 또는 디지털형 테스터 중 1가지 준비
• 실습사용재료
– 가변저항기 1개
– 반고정저항기 1개
– 색 저항기 5개
– 정밀 색 저항기 5개
– 어레이 저항기 1개

2) 안전 유의사항
• 부품의 리드 선을 직각으로 구부리지 않기
• 머리 쪽과 꼬리 쪽을 정확히 구분하기
• 저항 값 측정 시 손이 동시에 닿지 않도록 하기
• 저항 값 측정 시 셀렉터 범위[Range]별로 0Ω 조정하기
• 저항기의 리드선을 손으로 직접 만지지 않기

10
▣ 저항의 종류와 규격 판독 실습

2. 색 띠 저항값 판독하기
1) 일반 저항기 값 읽기
① 머리 쪽과 꼬리 쪽을 구분한다.
② 제1색 대에 해당하는 숫자를 기입한다.
③ 제2색 대에 해당하는 숫자를 기입한다.
④ 제3색 대에 해당하는 제곱수를 곱한다.
⑤ 제4색 대에 해당하는 오차를 기입한다.
⑥ 저항 값을 환산한다.
2) 정밀 저항기 값 읽기
① 머리 쪽과 꼬리 쪽을 구분한다.
② 제1색 대에 해당하는 숫자를 기입한다.
③ 제2색 대에 해당하는 숫자를 기입한다.
④ 제3색 대에 해당하는 숫자를 기입한다.
⑤ 제4색 대에 해당하는 제곱수를 곱한다.
⑥ 제5색 대에 해당하는 허용오차를 기입한다.
⑦ 저항 값을 환산한다.

11
▣ 저항의 종류와 규격 판독 실습

3. 저항값 측정하기
1) 아날로그 테스터
① 측정해야 하는 저항 준비하기
② 멀티테스터의 0점을 조정하기 : 바늘이 눈금의 왼쪽 0을 지시하도록 함
③ 멀티테스터의 Ω에서 0점 조정하기 : 흑색과 적색 리드봉을 연결하고 바늘이
움직여서 오른쪽 0 Ω에 오도록 함
④ 셀렉터를 Ω의 R×1, R×100 R×1,000에 위치하기
⑤ 흑색 리드봉과 적색 리드 봉을 멀티테스터에 연결하고 리드 봉 양끝을 단락시키기
⑥ 멀티테스터의 좌측 중간 지점에 있는 VR(0Ω ADJ 조정단자)을 상하 또는 좌우로
돌려가며, 눈금이 스케일의 오른쪽 끝 지점 0Ω에 고정되도록 조정하기
⑦ 저항값 측정하기 : 0Ω 교정이 끝난 멀티테스터의 리드 양단을 떼고 저항을
연결하기
⑧ 눈금이 정지하면 Ω 측정 눈금의 값 읽기
⑨ 만약 눈금이 중앙 부근에 오지 않고 무한대(∞)에 가까우면 셀렉터 재조정하기
⑩ 셀렉터의 값을 곱하여 읽기
2) 디지털 테스터
① 기능 스위치를 Ω에 맞추기
② 리드 봉을 저항 리드 선에 대고 표시 값을 읽기
③ 리드선 연결하기 : 외부 기기에 접촉이 되면 저항 측정값에 오차가 생김
④ 측정값 읽기

12
핵심정리

 저항의 종류와 규격 판독하기


• 저항기란
– 전기회로 안에서 전기의 흐름을 제한하여 회로 안에서의 전류(또는 전압)의
크기를 바꾸는 것으로, 저항을 통과한 전기의 흐름에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가 바뀐다는 것을 의미
– 저항기의 종류 : 고정 저항기, 어레이 저항기, 반고정 저항기, 가변 저항기
• 색 저항 판독법
– 크기가 작은 소형 저항의 경우 색으로 표시하여 저항값과 오차를 계산
• 저항 소자의 규격
– 탄소피막 저항기, 솔리드 저항기, 금속피막 고정 저항기, 산화금속피막 저항기
권선형 저항기, 후막형 저항기

13
핵심정리

 저항의 종류와 규격 판독 실습
• 준비 및 유의사항
– 아날로그형과 디지털 테스터 중 택일하여 저항값 계산
• 저항값 판독 및 측정
– 색띠 저항기 판독하기 : 색띠 판독표에 의거하여 저항값 계산
• 아날로그형 테스터로 판독하기
– 멀티테스터의 0점을 조정하기
– 멀티테스터의 옴Ω에서 0점 조정하기
– 셀렉터를 Ω의 R×1, R×100 R×1,000에 위치하기
– 흑색 리드봉과 적색 리드 봉을 멀티테스터에 연결하기
– 눈금이 스케일의 0Ω에 고정되도록 VR 조정하기
– 저항값을 측정하기
• 디지털 테스터로 판독하기
– 디지털 멀티테스터로 저항값을 측정할 때 기능 스위치를 Ω에 맞추기
– 리드 봉을 저항 리드 선에 대고 표시 값 읽기
– 리드선이 다른 외부 기기에 접촉이 되면 저항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
– 멀티테스터로 측정한 저항 값과 디지털 멀티테스터로 측정한 값 비교

1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