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전기전자 부품 및 소자 활용

콘덴서의 종류, 규격 판독과


소자활용
학습내용

 콘덴서(커패시터)의 종류와 규격
 콘덴서(커패시터) 규격 판독 실습

학습목표

 콘덴서(커패시터)의 종류와 규격을 설명할 수 있다.


 실습을 통해 콘덴서(커패시터)의 용량과 규격을 판독할 수 있다.

2
▣ 콘덴서(커패시터)의 종류와 규격

1. 콘덴서(커패시터)의 개요
1) 콘덴서(커패시터)의 개요
• 두 전극판 사이에 유전체(절연체)를 사이에 두어 각각 전극 판에 +전기와 - 전기가
충전되며, 충전된 전기가 저항 R을 통하여 방전할 수 있는 회로
• 전하를 정해진 용량만큼 저장하고 다시 이 전하를 방전
• 직류 차단과 교류 통과, 축전지, 필터 회로 등에 활용

2. 콘덴서(커패시터)의 종류와 기호(symbol)


1) 콘덴서(커패시터)의 종류와 기호
• 세라믹 콘덴서[Ceramic Condenser]
– 유전율이 높은 산화티탄이나 티탄산바륨 등의 자기를 유전체로 하는 소자
– 극성이 없음
• 마일러 콘덴서[Mylar Condenser]
– 전하를 저장하는 기능
– 교류 회로에서 공진 소자로 사용되고 교류 신호만 통과 시킴
– 저주파 및 고주파 특성 우수
• 전해 콘덴서[Electrolytic Condenser] : 전하를 일정한 방향으로 저장, +, - 극성 존재
• 탄탈 콘덴서(TC)[Tantalum Electrolytic Condenser]
– 전해 콘덴서에 비해 충·방전이 빠르며, 온도 범위가 넓고 안정성과 수명이
뛰어남
– 누설 전류가 적음
– 전해 콘덴서에 비해 내압이 낮고 용량이 작음
• 반고정 콘덴서[Trimmer] : 고주파 회로나 발진 회로의 미세 조정에 사용
• 가변 콘덴서[Varicon]
– 연속적으로 용량 변화 가능
– 송수진기나 발진기의 동조회로에 사용
– 라디오 방송 주파수를 선택할 때 사용

3
▣ 콘덴서(커패시터)의 종류와 규격

3. 콘덴서(커패시터)의 종류와 규격
1) 콘덴서(커패시터)의 종류와 규격
• 가변 콘덴서(Varicon)
• 고정 콘덴서
– 종이 콘덴서
– 전해 콘덴서
– 세라믹 콘덴서
– 마일러 콘덴서
– 탄탈 콘덴서
– 폴리에스테르 콘덴서
• 반고정 콘덴서(Trimmer)
2) 전해 콘덴서
• 극성(+/-)이 있음
• 소형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에는 (-)극성을 표시하는 띠가 있는 것이 일반적임
• (-)극 리드선의 길이를 짧게 하여 잘못 삽입되는 것을 방지
3) 탄탈 콘덴서
• 전극에 ‘탄탈륨’ 사용
• 비교적 큰 용량을 얻을 수 있음
• 온도 특성(온도의 변화에 따라 용량이 변화는 특성) 주파수 특성 우수
• 정밀 특성 및 온도 특성회로에 많이 사용
• (+),(-)극성 구분 : 보통 부품 평면에 (-)극 쪽 표기, 리드선의 길이가 긴 쪽이 (+),
짧은 쪽이 (-)극

4
▣ 콘덴서(커패시터)의 종류와 규격

3. 콘덴서(커패시터)의 종류와 규격
4) 고정 콘덴서
• 세라믹 콘덴서
– 극성이 없고 온도에 대한 안정성이 좋음 : 온도 보상 회로 사용
– 인덕턴스가 적어 고주파 특성 양호 : 고주파의 바이패스 회로 사용
• 마일러 콘덴서
– 얇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필름을 양측에서 금속으로 삽입하여, 원통형으로
감은 것
– +,- 극성이 없음
– 고주파 신호 전달용으로 사용
• 마이카 콘덴서
– 전기적 특성이 좋으며 내압이 높음
– 특히 온도 계수가 좋아서 고주파 정밀 회로에 사용
• 칩 콘덴서
– 첨단 정밀 회로용
– 소형으로 만들어져 리드 없이 회로와 접속

5
▣ 콘덴서(커패시터)의 종류와 규격

4. 적층형 콘덴서 판독하기


1) 적층형 콘덴서 판독하기

6
▣ 콘덴서(커패시터)의 종류와 규격

5. 원통형 콘덴서 판독하기


1) 원통형 콘덴서 판독하기

7
▣ 콘덴서(커패시터) 규격 판독 실습

1. 실습준비
1) 실습준비물
• 공구 및 장비
– 테스터(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멀티테스터)
• 실습사용재료
– 전해 콘덴서 1개
– 마일러 콘덴서 1개
– 세라미 콘덴서 1개
2) 안전 유의사항
• 멀티테스터를 사용할 때 과전류에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기
• 측정하기 전, 셀렉터 위치를 확인하기
• 측정단자에 피 측정 단자를 접속한 상태에서 전환손잡이를 변환시키지 않기

8
▣ 콘덴서(커패시터) 규격 판독 실습

2. 콘덴서(커패시터) 규격 판독하기
1) 전해 콘덴서 규격 읽기
• 표면에 그려진 극성 표시방법이나 리드 선의 길이를 관찰하여 극성 구분

2) 세라믹 콘덴서 규격 읽기
• 표면에 기록된 숫자와 문자를 보고 콘덴서의 용량과 내압, 허용 오차 판독

3) 마일러 콘덴서 규격 읽기
• 표면의 숫자와 문자를 보고 용량과 내압, 허용 오차 판독

9
▣ 콘덴서(커패시터) 규격 판독 실습

3. 콘덴서(커패시터) 시험 방법
1) 콘덴서(커패시터) 시험 방법
• 멀티테스터를 이용하여 콘덴서의 양부 판정
• 저항계(R)에 위치하고 테스터의 리드를 접촉시키는 순간에 계측기 바늘이
올라갔다가 ∞(무한대)의 위치로 되돌아오면 정상으로 판별
2) 콘덴서의 특성 곡선

10
핵심정리
 콘덴서(커패시터)의 종류와 규격
• 콘덴서
– 전하를 축적하는 기능을 하는 수동소자
• 콘덴서의 종류
– 재질에 따라 종이, 전해, 세라믹, 마일러, 탄탈, 폴리에스테르로 분류
– 기능에 따라 고정콘덴서, 가변 콘덴서로 분류
• 콘덴서의 특징
– 전하의 충전, 방전이 반복 가능
• 적층형 콘덴서 값 읽기
– 색대를 보고 1, 2, 3색대는 숫자, 4색대는 제곱수를 곱하여 용량값 판독

 콘덴서(커패시터) 규격 판독 실습
• 준비 및 유의사항
– 아날로그형과 디지털 테스터 중 택일하여 저항값 계산
• 콘덴서 규격 판독
– 전해 콘덴서 : 부품 겉면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
– 세라믹 콘덴서 용량값 : 1, 2번째 숫자와 3번째 자리를 곱하여 계산
– 마일러 콘덴서 용량값 : 1, 2번째 숫자와 3번째 자리를 곱하여 계산

1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