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전기전자 부품 및 소자활용

회로 조립을 위한
솔더링(Soldering)
학습내용

➢ 회로 조립을 위한 솔더링 특징 및 순서
➢ 회로 조립을 위한 솔더링 실습

학습목표

➢ 전자회로 조립을 위한 솔더링의 특징과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 전기 인두와 납을 사용하여 솔더링 실습을 할 수 있다.

2
▣ 회로 조립을 위한 솔더링 특징 및 순서

1. 납땜(Soldering)
1) 납땜(Soldering) 개요
• 금속 모재(피 접합재) 사이에 용융된 납(Solder)이 들어가 모재 사이에 합금 층을
만들어 용접하는 것
• 납의 재료 : 주석(Sn)과 납(Pb)의 합금 사용
• 경납 재료 : 은(Ag), 구리(Cu), 아연(Zn)의 합금
• 납땜의 종류 : 융착(welding), 압접(Pressure Welding) 및 납땜(Soldering, brazing)
2) 납땜(Soldering)의 구성 요소
• 솔더(Solder)
• 플럭스(Flux)
• 모재(Base Metal)
• 널리 사용되는 솔더링 재료

솔더(Solder) Sn 63%

플럭스(Flux) 송진계열

모재(Base Metal) 구리(Cu), 구리(Cu)합금, 철(Fe)-니켈(Ni) 계열

3) 납땜(Soldering)의 필요성
• 전기적 접속 : 두 개의 금속끼리 접합하여 전기적으로 회로를 구성시키는 것
• 기계적 접속 : 두 개의 금속을 접합하여 기계적으로 접합시키는 것
• 밀폐 효과 : 접합부의 불필요한 화학 반응을 방지하는 것
• 방청 효과 : 표면의 솔더 도금 또는 솔더 코팅으로 금속표면에 녹을 방지하는 것
• 웰딩 효과 : 도금 또는 솔더 코팅에 의해 웰딩(welding)을 향상시키는 것

3
▣ 회로 조립을 위한 솔더링 특징 및 순서

1. 납땜(Soldering)
4) 납땜(Soldering)의 장점
• 작업성 : 저가의 공정(Process) 비용, 간단한 접합법
• 부품 교체의 용이성 : 고장 부품들을 간단하게 교체(제거 및 재설치) 가능
• 공정의 안정성 : 저온의 단시간 작업으로 손상 없는 회로 연결 가능
• 대량 생산의 용이성 : 인쇄회로기판(PCB)상의 많은 접합부를 동시 접속 가능
5) 솔더(Solder)의 성분에 의한 분류

• 주석과 납을 합금한 땜납
– 융점을 낮춤(주석의 융점 : 232℃, 납의 융점 : 327℃)
– 기계적 강도 개선
– 비용(Cost) 절감
• 은(Ag)이 함유된 땜납 : 높은 품질의 납땜을 요구할 때 사용

4
▣ 회로 조립을 위한 솔더링 특징 및 순서

2. 플럭스
1) 플럭스의 중요성
• 산화막의 신속한 제거 및 최적의 납땜성과 웰딩(welding) 목적
• 노출된 표면을 깨끗하게 하는 것
• 납땜이 잘되도록 도와주는 촉매제와 같은 역할
• 산화되기 쉬운 주석(Sn)-아연(Zn)계 솔더에서는 플럭스의 역할이 특히 중요
2) 플럭스의 효과
• 모재와 Solder 표면의 산화 막 제거
• 용착 시 재 산화 방지, 피막 형성
• 퍼짐성(Wettability) 효과 : 납땜 시 납이 끌려오는 현상 방지
• 표면장력 약화, 납땜하는 부위의 원활하고 고른 융착 도움

3. 전기 인두의 종류와 선택
1) 전기 인두의 종류
• 순간 가열 납땜 : 변압기식 권총 인두 사용
• 연속 가열 납땜 : 니크롬식 막대 인두 또는 세라믹 히터식 전기 인두 사용
• 평면 납땜 : 막대형 인두 사용
• 곡면 납땜 : 곡선형 인두 사용
• 새시 등 큰 부품 납땜 : 대용량(100W 이상) 인두 사용
• TR, IC, 기판 등 작은 부품 납땜
– 소용량(100W 이하) 인두 사용
– 일반 전자부품 : 30W 정도
– IC 회로 조립 : 15∼30W 정도

5
▣ 회로 조립을 위한 솔더링 특징 및 순서

3. 전기 인두의 종류와 선택
2) 주석의 함량과 납

• 전자부품 조립시 : 내부 관로를 만들어 플럭스를 채운 실납 주로 사용(Sn 50∼60%,


∮1.0∼1.6)

편형 납 공업용

단심 플럭스 실납 소형 전자기기용

다심 플럭스 실납 대형 전자기기용

3) 인두 받침대 사용
• 막대 인두로 납땜을 실시할 때는 인두 받침대를 이용하여 안전한 작업을 함
• 인두가 과열되지 않도록 인두 팁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기 이용
• 온도 조절기 사용 방법 : 초기에 최대 온도에서부터 조금씩 줄여가며 적당한 온도
점에 손잡이를 고정시켜 사용

6
▣ 회로 조립을 위한 솔더링 특징 및 순서

3. 전기 인두의 종류와 선택
4) 인두 팁의 종류
• 납땜할 장소의 형태에 따라 인두 팁(tip)을 바꾸어 용도에 맞게 사용

7
▣ 회로 조립을 위한 솔더링 특징 및 순서

4. 납땜 요령과 방법
1) 납땜의 요령과 순서
• 납땜 인두와 납은 납땜하는 개소의 위치 및 부품의 실장 방향 등에 따라 다소 다름
• 어느 경우에나 안정된 상태로 인두 끝이 프린트 기판과 45° 각도로 닿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음
① 접합 부분 기판 예열
② 열이 전달된 모재에 납을 댐
③ 납이 적당량 용해되면 납을 뗌
④ 납이 부품의 리드선과 기판에 잘 녹아 들어갈 때까지 기다림
⑤ 납의 표면이 빛나고 융착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전기인두를 뗌
※ 납이 고형(식을 때)이 될 때까지 모재가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
※ 인두를 계속 장시간 대고 있으면 기판의 동박면이 타서 떨어져 나가므로 주의!
2) 납땜 작업 시 주의사항
• 납땜 인두의 팁은 작업 시간 전 견고하게 조임
• 납땜 인두로 모재를 세게 문지르거나 한곳에 너무 오래 대고 있으면 회로의
들뜸이나, 냉 납의 원인이 됨
• 열에 약한 부품(TR, IC 등)의 납땜은 롱 로즈나 핀셋을 이용하여 열이 부품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
• MOS FET 또는 C-MOS IC 등은 정전기에 약하므로 납땜 시 접지가 있는 납땜 인두
사용
• 프린트 기판의 동박이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

8
▣ 회로 조립을 위한 솔더링 특징 및 순서

4. 납땜 요령과 방법
3) 납의 양과 경사각도

9
▣ 회로 조립을 위한 솔더링 실습

1. 실습준비
1) 실습준비물
• 공구 및 장비
– 납땜 인두
– 롱 노즈 플라이어
– 니퍼
– 온도 조절기
– 인두 받침대
– 일자 드라이버
– 실납
• 실습사용재료
– 납 SN60%, ∮ 1~2m
– 만능기판 20×40 1장
– 러그단자 9핀 1개
– 단선 ∮ 0.5~1M
– 연선 ∮0.18×30 1M
2) 안전 유의사항
• 납땜 작업을 할 때는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하기
• 인두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기
• 인두 팁이 뜨거울 때는 전원 코드 선에 접촉되지 않기
• 납이 녹는 부위(모재)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10
▣ 회로 조립을 위한 솔더링 실습

2. 단선 및 연선 납땜하기
1) 실습순서
① 사포 및 줄로 막대 인두 팁을 깨끗하게 다듬기
② 예열된 인두 팁에 납을 얇게 입히기
③ 단선 및 연선을 6㎝ 길이로 20개씩 자르기
④ 자른 선의 피복을 3㎝씩 벗기기
⑤ 벗겨진 연선을 손가락으로 꼬기
⑥ 단선을 트위스트 접속시키기
⑦ 연선 납땜하기
※ 인두를 연선에 대고 가열한 후 연선에 납을 녹여 연선 속까지 스며들도록 함
※ 플럭스가 다 타기 전 완료
⑧ 트위스트의 접속된 단선 위에 연선 납땜과 같은 요령으로 납땜하기

3. 러그 납땜하기
1) 실습순서
① 러그(9pin)와 단선 준비하기
② 러그의 헤드 부분(단자)을 깨끗이 닦아내기
③ 러그에 단선을 끼워 넣고 같이 감기
④ 납땜 인두와 실납을 러그에 대어 튼튼하고 보기 좋게 납땜하기
※ 단선이 감겨진 러그 속 공간까지 납이 스며들도록 함
※ 단자 부분에 고루 얇게 묻어있도록 해야 함

11
▣ 회로 조립을 위한 솔더링 실습

4. 새시 납땜하기
1) 실습순서
① 새시(함석 0.2mm×210×210)와 단선 준비하기
② 새시에 3㎝ 간격으로(5×5=25 point) 표시, 사포로 표시 점을 깨끗이 닦고, 점은
새시 펀치로 표시
③ 표시 점에 플럭스를 조금씩 묻히기
④ 납땜하기
※ 단선과 인두를 먼저 표시 점에 대어 새시를 충분히 예열 → 실납을 대어 납을
적당량 녹임 → 납을 떼고 인두는 계속하여 누르고 있음 → 납이 물방울처럼 퍼짐
※ 인두를 떼고 단선을 움직이지 않게 하면 원형 그대로 식어 깨끗한 접합이 됨

12
핵심정리
➢ 회로 조립을 위한 솔더링 특징 및 순서
• 납땜(Soldering)
– 납땜 : 전자기기 회로 제작에 이용되는 납땜은 금속 모재 사이에 용융된 납이
들어가 합금 층을 만들어 용접하는 것
– 납땜의 구성 요소 : 납, 플럭스(Flux), 모재 3종
– 납땜의 목적 : 전기적 접속, 기계적 접속, 밀폐 효과, 방청효과
– 납땜의 장점 : 부품교체 용이성, 공정의 안정성, 대량 생산의 용이성
– 솔더 성분에 따른 분류 : 주석과 납의 비율에 따라 분류
• 플럭스
– 표면의 산화막 제거, 퍼짐성 효과, 표면장력 약화를 목적으로 첨가
• 전기 인두의 종류와 선택
– 전기 인두의 종류는 용도에 따라 다르게 선택
– 주석의 함량 정도는 사용온도, 재질에 따라 다름
– 인두받침대를 사용하고, 인두 팁을 선택하여 사용
• 납땜 요령과 방법
– 납땜 요령과 순서에 따라 작업하고, 납땜 작업 시 주의 사항에 유의하여 납의
양과 경사각도를 보고 양질의 납땜 인지를 판단

13
핵심정리
➢ 회로 조립을 위한 솔더링 실습
• 실습 준비물
• 안전 및 유의 사항
• 단선 및 연선 납땜하기
– 사포 및 줄로 막대 인두 팁을 깨끗하게 다듬기
– 예열된 인두 팁에 납을 얇게 입히기
– 단선 및 연선을 각각 6㎝길이로 20개씩 자르기
– 자른 선의 피복을 3㎝씩 벗기기
– 벗겨진 연선을 손가락으로 꼬기
– 단선을 트위스트 접속시키기
– 연선을 납땜 한다. 인두를 연선에 대고 가열한 후 연선에 납을 녹여 연선
속까지 스며들도록 하는데 플럭스가 다 타기 전에 완료하기
– 트위스트의 접속된 단선 위에 연선 납땜과 같은 요령으로 납땜하기
• 러그 납땜하기
– 러그(9pin)와 단선을 준비한다.
– 러그의 헤드 부분(단자)을 깨끗이 닦아낸다.
– 러그에 단선을 끼워 넣고 그림과 같이 감는다.
– 납땜인두와 실 납을 러그에 대어 튼튼하고 보기 좋게 납땜을 한다. 단선이
감겨진 러그 속 공간까지 납이 스며들도록 하며, 단자 부분에 고루 얇게
묻어있도록 한다.
• 새시 납땜하기
– 새시(함석 0.2mm×210×210)와 단선을 준비한다.
– 새시에 3[㎝] 간격으로(5×5=25 point) 표시하고, 사포로 표시 점을 깨끗이
닦아낸다. 그리고 점은 새시 펀치로 표시한다.
– 표시 점에 플럭스를 조금씩 묻힌다.
– 납땜을 한다.

1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