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한 전 표 준 규 격

ES (Technical Standards of KEPCO)


ES-5950-0012 아몰퍼스 주상변압기 2007. 10. 1. 제정
2023. 1. 4. 개정
(Amorphous Core Type Pole Transformers)

1. 적용범위
이 규격은 22.9kV-y 3상 4선식 다중접지 배전계통에 사용하는 단상의 아몰퍼스 주상변압기(이하
변압기라 한다)에 대하여 적용한다.

인용표준 : KS B 2805 (2002) O-링


KS C 2301 (2015) 전기절연유
KS C 2620 (2011) 동선용 압착 단자
KS C 4306 (2011) 일단 접지 주상변압기
KS C 4307 (2013) 주상변압기 부싱
KS C IEC 60076-3 (2002) 전력용변압기 - 제3부 절연등급, 절연시험 및 이격
KS D 3501 (2008) 열간 압연 연강판 및 강대
KS D 3512 (2007)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3706 (2008) 스테인리스 강봉
KS D 5101 (2009) 구리 및 구리합금 봉
KS D 6024 (2009) 구리 및 구리합금 주물
KS M ISO 2409 (2013) 도료와 바니시-도료의 밀착성 시험방법
KS M 0602 (2010) 고체 비중 측정 방법
KS M 6518 (2006) 가황고무 물리시험 방법
ES-5950-0009 변압기의 소음레벨 기준치
ES-5950-0010 변압기 단락강도 시험규격
ES-5970-0009 내염형 주상변압기 부싱(22.9kV용)
ES-5970-0010 애자시험방법
ES-5970-0025 주상변압기용 폴리머 부싱(22.9kV용)
ES-5970-0026 주상변압기용 폴리머 저압부싱
ES-9160-0001 절연유 시험방법
IEEE C 57.12.00 (2010) IEEE Standard for General Requirements for
Liquid-Immersed Distribution, Power, and Regulating
Transformers
IEEE C 57.12.20 (2011) IEEE Standard for Overhead Type Distribution Transformers
500kVA and Smaller : High Voltage, 34500 V and Below ;

― 1 ―
ES-5950-0012 (아몰퍼스 주상변압기)

Low Voltage, 7970/13800Y V and Below


2. 사용상태
2.1 표고 1000 m 이하
2.2 주위온도 최고 40 ℃ 최저 -25 ℃ 이내
3. 종류 및 정격
변압기의 종류와 정격은 표 1과 같다.
표 1 변압기의 종류와 정격

용량 1차전압 2차전압 1차Tap전압


품목번호
(kVA) (V) (V) (V)
107052 10
107053 20
107048 30 13,800

107049 50
13,200 230 유탭 [ 12,600
107050 75
107051 100

4. 구 조
다음사항 이외에 대하여는 KS C 4306의 6항(구조)에 의하며, 방압장치는 IEEE C 57.12.20의 7항
(Construction)에 따른다.
4.1 부싱
4.1.1 특고압 부싱은 ES-5970-0009 또는 ES-5970-0025, 저압부싱은 KS C 4307 또는
ES-5970-0026에 따른다.
4.1.2 특고압 부싱 클램프단자와 애자의 접합면에는 납품 시 취급 부주의를 식별할 수 있도록
봉인지를 부착하여야 한다.
4.1.3 모든 부싱의 클램프 단자는 KS D 6024의 청동주물 2종(CAC 402), 또는 KS D 5101의 C
3771(단조용 황동)인 재질을 사용하여야 하며, 클램프 볼트, 너트 및 스프링 와샤는 KS D
6024의 실리콘 청동주물 2종(CAC 802), 3종(CAC 803) 또는 KS D 3706의 STS 304인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4.1.4 모든 부싱의 부착개소는 NBR 또는 동등 이상 재질의 개스킷에 의하여 완전하게 밀봉되
어 기밀이 유지되며, 운반 및 운전시 헐거워지지 않아야한다. 단, 저압부싱에는

― 2 ―
ES-5950-0012 (아몰퍼스 주상변압기)

HNBR(Hydrogenated NBR) 재질의 개스킷을 사용하여야 한다.


4.2 저압 부싱단자
4.2.1 저압부싱의 수는 2개로하고, 저압 -(또는 v) 부싱단자와 접지단자를 외부에서 쉽게 접속
시킬 수 있는 동(Copper) 재질의 연결장치가 부착되어야 하며, 부싱단자의 도체부간 최
소거리는 76 mm 이상이어야 한다.
4.2.2 저압부싱의 전선 접속단자는 변압기 용량에 따라 표 2의 해당전선이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어야 한다.
표 2 변압기 용량별 2차 인상선의 굵기 및 접속방식

용량 2차 인상선의 굵기 접속방식

30 kVA 이하 100 mm2 × 1조

50 kVA 150 mm2 × 1조 클램프형


75 100 kVA 250 mm2 × 1조

4.3 접지단자
4.3.1 접지단자는 P.G 클램프(Clamp)형 혹은 아이볼트형으로서 KS D 6024의 청동주물 2종
(CAC 402), KS D 5101의 C 3771(단조용 황동)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이어야 하며, 볼트, 너
트 및 스프링 와셔는 KS D 6024의 실리콘 청동주물 2종(CAC 802), 3종(CAC 803) 또는
KS D 3706의 STS 304(주석도금 제외)를 각각 사용하고 주석도금하여야 한다.
4.3.2 접지단자는 3.2 mm에서 38 mm2 까지의 전선 또는 등가의 연결장치를, 용이하고 완전하게
접속할 수 있어야 한다.
4.3.3 저압 접지단자의 부착위치는 저압부싱간의 중심점으로부터 127 mm(허용오차 +25.4 mm,
-3.2 mm) 아래에 있어야 한다.
4.4 방압장치
변압기에는 내부압력 상승시 자동으로 압력을 저감시키고 일정압력 이하로 저감되면 자동
으로 복귀되어 유밀이 유지되는 방압장치가 있어야 한다.
4.4.1 방압장치의 동작특성
(1) 동작압력 : 6.86 ± 1.38 N/cm2 (0.7 ± 0.14 kgf/cm2)
(2) 복귀압력 : 4.12 N/cm2 (0.42 kgf/cm2) (최소치)
(3) 방 출 량 : 1.4 m3/min 이상 (9.8 N/cm2 (1 kgf/cm2)의 압력일 때)

― 3 ―
ES-5950-0012 (아몰퍼스 주상변압기)

4.4.2 방압장치의 구조
(1) 방압장치로서 방압밸브를 사용할 경우에는 방압밸브가 동작하였을 때 지상에서 용이하게

확인이 가 한 구조로서 쉽게 구별할 수 있는 표식이 있어야 하며, COS 조작봉 등으로
복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타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IEEE C 57.12.20에
(2) 방압장치의 구조, 재질, 기계적 강도 등, 기
의하며, 방압밸브를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는 물론 동작할 때, 가급적 기름이 분출되지
않도록 변압기에 부착되어야 하고, 돌출부위가 외물접촉 등에 의해 손상 받지 않도록
적당한 크기의 보호 기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4.5 도 장
함 름
4.5.1 외 은 표면에 기 기 등이 없는 상태에서 녹, 이물질 등을 완전히 제거 및 세정한 후,
외장용 분체도료로 전체 면이 60 ㎛ 이상의 도막이 형성되도록 도장하여야 하며, 모서리나
구석진 부위 등에 비도장된 부분이 없어야 한다.
4.5.2 도장의 색상은 Munsell No. 5Y 7/1(밝은 노랑 띤 회색)로 한다.
4.6 변압기의 외함
외함에 사용하는 강판은 방열기를 제외한 부분은 KS D 3501의 SPHC(두께 2.3 mm 이상),
방열기는 KS D 3512의 SPCC(두께 1.2 mm 이상) 또는 이와 기계적 성질 및 화학성분이 동
등 이상이어야 한다.
4.6.1 기계적 강도 및 용적
내부압력 상승에 의한 외 의 함 파열, 이탈, 유분출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래의 내압력을

확 하여야 하며, 세부적 시험방법의 적용은 IEEE C57.12.20의 7항(Construction) 및 9항
(Design Test for Fault Current Capability of Overhead Distribution Transformer
enclosures)에 의한다. 단, 순간압력저감장치 부착면에 견고한 판을 설치하여 시험한다.
(1) 정압력 내력
내부압력이 4.9 N/cm2 (0.5 kgf/cm2)에서 변압기 뚜껑을 포함한 외함의 어느 부분도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13.72 N/cm2 (1.4 kgf/cm )에서 본체, 부품의 파열 이탈 등이
2

없어야 한다.
(2) 동압력 내력
외함 내부에 25.4 mm의 아크 갭을 두고 갭 사이에 7.2 kV, 8 kA(rms, sym)로 2회 아크를
발생시켜 이상이 없어야 한다.
4.6.2 유면 표시
절연유 온도 25 ℃에서 적정한 유면 위치를 나타낼 수 있도록 외함 내부에 유면(Oil
― 4 ―
ES-5950-0012 (아몰퍼스 주상변압기)

Level)을 표시하여야 한다.


4.6.3 인상 고리의 구조
인상 고리는 변압기 무게중심선 양측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로프 등이 충분히 걸릴 수 있는
턱을 두어야 하며, 개체별 인장강도는 변압기 총중량의 5배 이상으로 한다.
4.6.4 고정 장치
변압기에는 상하부 2개의 고정 장치를 가지며, 각각의 고정 장치 인장강도는 변압기 총
중량의 5배 이상이어야 한다.
4.6.5 밑면
밑면은 변압기 굴림방지 및 부식예방을 위하여 분할형 밑면구조로 하며, 분할방식이 적용
된 받침의 재질은 스테인레스이어야 한다.
4.7 절연유
전기절연유는 폴리 염 화 바이페닐(Poly Chlorinated Biphenyl : PCBs)이 함유되지 않은 것으
로 KS C 2301의 1종(광유) 2호 및 ES-9160-0001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4.8 변압기 뚜껑
변압기 뚜껑은 클램프 조임방식이어야 하며, 이에 부속되는 개스킷은 NBR 또는 동등 이상의
재질을 사용하고 이음매가 없어야 하며, 절연유에 의한 변형 및 저온 또는 고온의 온도변화에
대한 특성의 변화가 없어야 한다. 또한, 사용되는 볼트는 인상고리 용도로 사용되지 않도록
고리가 없는 형태로 제작되어야 하고, 용량, 종류, 제조사 및 제조년월을 쉽게 지워지지
않도록 표시하여야 하며, 수분침투 방지를 위하여 뚜껑 내면에는 볼트구멍이나 용접개소가
없어야 한다.
4.9 압착단자

변압기 저압 선과 부싱 등의 접속을 위하여 사용하는 압착단자의 구조와 성 은 KS C 2620에 능

적합하여야 한다. 단 저압 선과 저압부싱의 접속은 직접 연결 또는 부스형 접속단자로 할 수
있으며, 압착단자와 직접 연결 또는 부스형 접속단자의 허용 전류밀도는 변압기 용량에 따라
3.0 A/mm2 이하이어야 한다.
4.10 변압기간 이격 거리
행거밴드를 이용하여 변압기 3대를 주상에 설치할 경우 변압기의 외함 또는 방열기는 최소
50 mm 이상 이격되어 변압기간 상호 간섭이 없어야 한다.
4.11 권선
변압기 권선은 바니쉬 함침을 하지 않아야 하며, 변압기에 사용되는 절연전선은 A종 또는
동등 이상이어야 하고, 절연지는 내열성능이 우수한 내열지(Thermal upgrade kraft paper)

― 5 ―
ES-5950-0012 (아몰퍼스 주상변압기)

또는 동등 이상이어야 한다.
4.12 변압기 중량
변압기의 총중량은 530kg 이하이어야 한다.
4.13 순간압력저감장치
(1) 변압기 내부고장시 발생한 순간압력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되었을 때 동작하여 외함이 손상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어야 한다.
되는
(2) 외부충격으로부터 손상받지 않고, 수분이 고이지 않는 구조로 설치하여야 한다.
(3) 완전 밀폐형 구조로 사용환경에서 손상되지 않아야 하며, 동작에 따라 절연유가 유출될
경우를 고려하여 변압기 측면 행거에 인접하거나, 상부 뚜껑 핸드홀 또는 동일위치에 설치
하여야 한다.
(4) 상부 뚜껑 핸드홀은 수분침투 방지턱이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4.14 탭전환장치
변압기 1차 권선측에 무부하 탭전환장치를 구비하여야 하고, 탭전환장치 핸들은 핸드홀
아래 조작이 용이하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납품시 13200 V 탭이어야 한다.
4.15 철심 재질
변압기에 사용되는 철심의 재질은 무부하 손실이 적은 아몰퍼스 메탈(Amorphous Metal)을
사용하여야 한다.
5. 특 성
능 만
변압기의 일반적인 특성은 KS C 4306의 5항(성 )에 의한다. 다 , 정격출력에 있어서의 특성
(효율, 전압변동률, 무부하전류, 무부하손의 값)과 퍼센트 임피던스 및 온도상승은 아래와 같아야
한다. 또한, 각각의 변압기에 대하여 정격출력에 있어서의 특성을 측정하여 보관하여야 하며,
검수시험시 제시하여야 한다.
표3 특성
용량 효율(%) 효율(%) 전압변동 률 무부하전류 무부하 손 손W
부하 ( )
(kVA) % 부하) (100 % 부하)
(50 %
( ) %
( ) W
( ) %
(100 부하)
10 98.76 이상 97.90 이상 2.0 이하 1.2 이하 12 이하 202 이하

20 98.95 이상 98.20 이상 1.7 이하 1.2 이하 19 이하 347 이하

30 99.07 이상 98.40 이상 1.5 이하 1.0 이하 25 이하 462 이하

50 99.19 이상 98.60 이상 1.4 이하 0.8 이하 35 이하 674 이하

75 99.20 이상 98.60 이상 1.4 이하 0.8 이하 48 이하 1,016 이하

100 99.26 이상 98.70 이상 1.3 이하 0.7 이하 58 이하 1,259 이하

― 6 ―
ES-5950-0012 (아몰퍼스 주상변압기)

비고 손
1. 상기의 특성 중 무부하 의 허용치는 2대 이상 시험시 1대당 5 % 이내로 하고 평균값은
%
0 로 한다.

2. 부하 은 규격제정근거를 위한 참고값으로 한다.
3. 기준특성치 환산온도는 75 ℃로 한다.
표 4 퍼센트 임피던스

용량 센 임피던스
퍼 트 비고
2.8 %
30 kVA 이하
50 ~ 100 kVA 3.2 %
허용기준치는 ± 10 %
표 5 온도상승

용량 권선 절연유
10 ~ 100 kVA 55 ℃ 50 ℃
6. 시험 및 검사
시험의 항목과 방법은 KS C 4306의 7항(시험) 및 8항(시험의 종류)에 의하며, 아래의 시험 항목을
추가하여야 한다. 시험은 인정시험과 검수시험으로 구분하여 시행하며, 인정시험에 대한 판정은
당사 또는 국제시험소 인정기구협의체(ILAC)의 상호인정협정에 서명한 인정기구로부터 인정
받은 공인시험기관에서 시행한 시험성적서에 의한다.
6.1 절연유 특성시험
함유여부는 분기 1회 공인시험
KS C 2301 및 ES-9160-0001에 의한다. 단, 절연유의 PCBs
기관의 PCBs 함유량분석 시험성적서로 확인하며, 필요시 납품대기 변압기의 절연유를 임의
발취하여 시험할 수 있다.
6.2 단락강도시험

6.2.1 변압기 외부 로 단락고장 시에 발생되는 단락전류가 소정시간 흘러도 열적, 기계적 손상
없이 견딜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어야 한다. 외부회로 단락 고장이란 3상 단락, 단상지락,
선간단락 고장 등을 의미하며 변압기 단락시간은 아래 식에 의하여 결정한다.

t = (초)
1250
2
I

단, I : 기준전류에 대한 대칭 단락전류의 배수 ( = Ir )
Isc

Isc : 변압기의 대칭 단락전류(교류분 실효값), Ir : 변압기 탭전류(교류분 실효값)


6.2.2 재폐로 기능이 있는 선로에 사용되는 변압기는 선로의 단락상태가 연속 발생되어 단락된
선로에 변압기가 연속적으로 연결됨으로 인하여 상승되는 변압기의 온도를 정상온도로
환원시키지 않고도 손상 없이 이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이때의 단락 누적시간은 상기에
명시된 단락시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7 ―
ES-5950-0012 (아몰퍼스 주상변압기)

6.2.3 기계적인 내력시험은 ES-5950-0010에 의하고, 열적내력시험은 IEEE C 57.12.00에 따른다.


6.3 누유시험
온도가 충분히 상승된 상태(포화상태)에서 2분간 압력을 가하여 내부압력 4.90 N/cm 2

(0.5 kgf/cm ) 상태로 누유가 되지 않아야 한다.


2

6.4 충격 내전압시험
KS C 4306의 7.12항(뇌 임펄스 내전압시험)에 의하여, 온도시험 시행 후 변압기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된 상태에서 KS C IEC 60076-3의 13항(뇌 임펄스시험)에 따라 시행한다.
6.5 도장시험

6.5.1 도장 의 밀착성시험
외함에서 3개소를 선정하여 시행하고, 시험방법은 KS M ISO 2409에 의하며 시험결과의
구분은 ‘1’ 이하이어야 한다.
6.5.2 도장막의 두께측정
도장막 측정기를 사용하여 몸체의 서로 다른 부위에서 4개소, 뚜껑 부위에서 2개소를
측정하며, 그 평균값이 규정값 이상이어야 하고, 개별 측정값은 어느 부위에 있어서도
규정값의 80 % 이상이어야 한다.
6.6 부싱시험
부싱을 변압기에 부착하기 전에 아래 시험을 시 하여야 하며,행 필요한 경우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시험을 할 수 있다. 단 모든 부싱의 클램프 단자 및 볼트 조임시험은 표 7에
따라 클램프에 적용전선을 삽입하고 해당 조임력으로 조일 때 클램프의 변형이나 볼트, 너트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1) 자기재 부싱
표 6 부싱시험 항목 및 방법
시험항목 시험방법 비고
구조 사 검
온도상승시험
절연저항시험 저압부싱은

상용주 내전압시험 KS C 4307의 7항
온도상승시험,

충격내전압시험 격내전압시험,
가열시험,
가열시험
과전류강도시험,
과전류강도시험

애 의 냉열시험

내오 시험
제외
애관의 흡습시험 ES-5970-0010의 3항
내오손시험
클램프 단자 및 볼트의 조 시험 임 표7

― 8 ―
ES-5950-0012 (아몰퍼스 주상변압기)

(2) 복합 부싱
ES-5970-0025, ES-5970-0026에 의한다.

표 7 조임 토크

구 분 칭
볼트, 너트 호 (mm) 조 임 토크 적용전선(mm2)

특고압부싱 M12 ․ ․
4.90 kN cm (500 kgf cm) 22

M10 2.94 kN․cm (300 kgf․cm) 100


저압부싱 M12 4.90 kN․cm (500 kgf․cm) 150
M16 7.35 kN․cm (750 kgf․cm) 250

6.7 접지단자시험

접지단자의 재질은 4.3.1항에 적합하여야 하며, 조 시험은 6.6항(부싱시험)의 클램프 단자 및
볼트의 조임시험에 따른다. 단, 조임토크는 2.94 kN․cm (300 kgf․cm), 적용전선은 22 mm 로 2

한다.
6.8 개스킷의 특성 및 시험
개스킷에 대한 특성 및 시험은 KS B 2805의 1종 A(고정용 개스킷) 및 KS M 6518의 16항(오
존 균열시험)에 따른다. 오존균열시험의 폭로시간은 72시간으로 하고, 폭로한 후 육안으로 확
인하였을 때 균열이 없어야 한다. 단, HNBR(Hydrogenated NBR)의 시험온도는 150 ℃로 한다.
6.9 소음레벨 측정

ES-5950-0009의 표 2(배전용 유 변압기 소음레벨 기준치)에 의한다.
6.10 유도내전압시험
KS C 4306의 7.11항(유도내전압시험)에 의하며, 변압기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된 상태 (포화

상 )에서 시 한다.행

6.11 가속열 시험
권선이 알루미늄재질인 경우에 가속열화시험을 시행하여 이상이 없어야 한다.
(1) 시험수량 : 1¢ 100kVA 2대
(2) 시험항목 및 방법 : 가속열화시험 전, 후 확인시험 시행
- 가속열화시험 전 : 특성시험, 온도상승시험
- 가속열화시험 : 2차 단락법에 의해 145 % 부하에서 30일간 열화
- 가속열화시험 후 : 특성시험, 온도상승시험, 절연내력시험, 충격내전압시험, 단락강도시험

― 9 ―
ES-5950-0012 (아몰퍼스 주상변압기)

6.12 순간압력저감장치 동작시험


순간압력저감장치를 부착하기 전에 아래시험을 시행하여야 하며 동작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표 8 시험항목 및 시험방법

시험항목 시험방법


시험용 압력용기 내의 정압력을 기준 (10.3 N/cm2)으로 유지하고 1시간동 안 시험
정압력
하여 이상이 없어야 한다.
동작 시험용 압력용기 내에 순간압력을 가하여 13.7(+0~-35 %) N/cm 이내에서 동작
동 2

확인시험 하여야 하며 이때 걸리는 동작시간은 50 ms 이내 이어야 한다.




험 30 kVA 주상변압기에 실사용 상태와 동일하게 부착하고 주상변압기 동압력 내력
시험방법(7.2 kV, 8 kA, 3 Hz이내)에 따라 시험하여 동작하여야 하며 이때 절연유
유출량

유출량은 최대 200 mℓ 이하 이어야 한다. 단, 외함 각부위는 변형이 없어야 한다.


시험

6.13 시료
시험 항목별 시료의 발취수량은 표 9와 같다.
표 9 시료 발취수량

분 검 수 시 험 (대)
구 시험항목 인정시험

1 50 51~200 201~400 401이상
겉모양 검사 ○ 주(1)
구조검사 ○ 1 2 3 5
절연내력(유도전압)시험 ○ 전량
변 특성시험 ○ 5 12 23 30


충격내전압시험 ○ 3 8 15 20
방압장치 동작시험 ○주(3) 주(2)
기 누유시험 ○ 주(2)
도장막의 두께측정 ○ 1 2 3 5
접지단자 조임시험 ○

1 2 3 5
험 접지단자 재질시험 ○주(3) -
압착단자 시험 ○주(3) -

외 의 재질시험 ○ -
도장막의 밀착성시험 ○ -

― 10 ―
ES-5950-0012 (아몰퍼스 주상변압기)

분 검 수 시 험 (대)
구 시험항목 인정시험

1 50 51~200 201~400 401이상
동압력 내력시험 ○ -
변 정압력 내력시험 ○ 주(2)
고정장치, 인상고리의 강도시험 ○ 주(2)

단락강도시험 ○ 주(2)
기 개스킷시험 ○ 주(4)


소음레벨 측정시험 ○ 주(5)
온도상승시험 ○ 주(6)
험 절연유시험 ○주(7) 주(7)
가속열 시험화 ○주(8) -
외 관 및 구조검사 ○ 전량
절연저항시험 ○ 전량

자 파 건조 ○ 전량

상용주 내전압 시험
주수 ○ -
재 충격 내전압시험 ○ 3 8 15 20
온도상승시험 ○ -


가열시험 ○ -
시 과전류 강도시험 ○ -
험 관
애 의 냉열시험 ○ 1개 또는 생략 1 1 2
애관의 흡습시험 ○ 1개 또는 생략
주(9)
1 1 2
내오손시험 ○ -
클램프단자및볼트의 토크시험 ○ 1 2 3 5

복합부싱 ES-5970-0025, ES-5970-0026에


시험주(9) 의한다.

순간압력 정압력 ○ 주(2)


저감장치
동작시험
동작확인시험 ○ -

주(9) 유출량시험 ○ -

주 (1) 완제품 전량에 대해 육안으로 검사 가능한 부분에 대하여 시행한다.


주 (2) 년 1회 임의로 2개 용량(50 kVA 이하 및 초과분)을 선정하여 시행하되 시험불합격 등 성능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로 1회 이상 시행할 수 있다. 시료선정은 특성시험을 시행한
시료 중 %임피던스가 최소인 것을 대상으로 한다.

― 11 ―
ES-5950-0012 (아몰퍼스 주상변압기)

주 (3) 원 제조업체의 공인기관 시험성적서로 대체할 수 있다.


주 (4) 인정시험 항목 중 압축영구변형시험과 부식 및 점착시험을 제외하며, 년 1회 임의로 1개
용량을 선정하여 시행한다. 단, HNBR은 분기 1회 비중, 노화시험(경도변화), 오존시험을
시행하며, 비중값은 원 제조업체의 공인기관 시험성적서 비중값의 ± 0.02 이내이어야 한다.
주 (5) 특성시험을 한 후 무부하전류가 최대인 것으로 하며, 시료발취기준은 주(2)와 같다.
주 (6) 온도상승시험은 특성 시험 후 전손실이 최대인 1대를 발취하여 시행한다.
주 (7) 인정시험은 원 제조업체의 공인기관 시험성적서로 대체할 수 있으며, 검수시험은 KS 제품
의 경우 년 1회 시험하고, 기타의 경우 분기 1회 동일납기분 중에서 시료를 임의 채취하여
시행하되 납품대수가 50대 이상인 경우는 시료를 2회 채취하여 시험한다.
(8) 알루미늄권선에 한한다.
주 (9) 인정시험은 원 제조업체의 공인기관 시험성적서로 대체할 수 있으며, 저압부싱의 검수시험
은 당사 또는 원 제조업체의 공인시험기관에서 시행한 시험성적서로 대체할 수 있다.
주 (10) 특성시험은 제조자가 제시한 특성치를 참고로 하여 시행하되, 제시한 특성치가 적합하지
않을 경우는 전량 시험한다.

비 고 (1) 인정시험은 100 kVA를 대표규격으로 시 한다. 행
(2) 년 1회 시험에서 불합격 발생시 차기납품건 중 해당시험은 불시에 추가 시행할 수 있다.
(3) 년 1회 시험을 포함한 검수시험 불합격 시험항목에 대한 재시험 발취시료수는 2배로
한다.

7. 표 시
변압기의 표시는 아래에 따른다.
7.1 한전 문자마크, 용량, 전압 및 제조년월의 표시
변압기가 주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지상으로부터 식별이 용이한 크기로 변압기 정면에 표시하며,
한전 문자마크, 용량 및 전압의 경우에는 압출 등의 방법으로 선명하게 돌출되도록 표시하고,
제조년월은 돌출 없이 표시하되, 도장색은 청색으로 쉽게 지워지지 않도록 도장하여야 하며,
그 표시 예는 아래와 같다.

― 12 ―
ES-5950-0012 (아몰퍼스 주상변압기)

˝ 예˝ 한전
50
22900 - 230
16. 1

7.2 명판
변압기 본체에는 KS C 4306의 10항(표시) 및 아래사항을 기입한 명판을 부착하여야 한다.
명판은 스테인리스 스틸 혹은 동등 이상의 내부식성 재질로 각인 또는 스탬핑(불멸잉크) 후
내후성 투명코팅 처리 등 장기간 사용하여도 지워지지 않는 방법으로 기재하여 견고하게 부
착하여야 한다. 단, 각인시에는 각인부위에 불멸잉크 등을 주입하여 표시가 잘 보이도록 하여야
한다.
(1) 계 약효율(소수점 둘째자리)
(2) 무부하손, 부하손
(3) 구매오더번호(15자리) 및 품목번호 (6자리)
(4) 제조로트 및 일련번호(5자리 -△○○○○)
- 로트번호(△) : 1자리, 월별 납품차수
- 일련번호(○) : 4자리, 동일 로트번호별 일련번호(0001∼9999)
(5) 호칭 : 22.9kV 아몰퍼스 주상변압기
(6) 권선 재질(알루미늄인 경우에 한함)
7.3 에너지소비효율 라벨
에너지소비효율 라벨을 명판 좌측(고정장치측) 외함 본체에 부착하여야 한다.
7.4 절연유 유해문구 라벨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 따라 유해문구 라벨을 에너지소비효율 라벨 아래 외함 본체에
부착하여야 한다.

8. 포 장
변압기 외함 제작 후 및 변압기 완제품 포장은 운반, 보관, 취급시 손상이 없도록 에어캡 또는
발포지로 저압부싱에서 한전 문자마크까지 외함(방열기 포함)을 2회 이상 감고 풀림이 발생하
지 않도록 개별 포장하여야 한다.

― 13 ―
ES-5950-0012 (아몰퍼스 주상변압기)

9. 도면승인

제작자 및 계 상대자는 아래사항을 제작 전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하며, 도면승인으로 본
규격에 규정된 품질보장에 대한 의무가 면제되지 않는다.
(1) 변압기의 각 치수 및 무게
(2) 변압기의 각종 특성 값
(3) 1차 및 2차 부싱의 상세도 (2차 부싱은 접속단자 상세도 포함)
(4) 주상설치 평면도 (100 kVA 3대)
(5) 탭전환장치의 구조 및 성능
(6) 순간압력저감장치 구조 및 설치도(수분침투 방지턱 포함)
(7) 핵심부품 등록서
(8) 특고압 부싱 클램프 단자와 애자 접합면 취급 부주의 식별 봉인지
(9) 고정장치의 부착치수, 형상 및 구조

10. 품질보증

제조 체는 자주적인 품질보증 활동으로 기자재에 대한 품질을 보증하여야 하며, 당사가 요구할
경우에는 관련 품질보증 구매시방서에 따라야 한다.

[붙 임]
핵심부품 등록대상 명세서

번호 부품 명 비고
1 1차 부싱
2 2차 부싱
3 방압장치
4 순간압력저감장치
5 접지단자
6 압착단자
7 외함

― 1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