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미적분 공식 정리

◎ 등비수열의 수렴과 발산

○ 등비수열  에서

(1)    일 때, lim   ∞ (발산)


→ ∞

(2)    일 때, lim    (수렴)


→∞

(3)    (       )일 때, lim    (수렴)


→∞

(4)  ≤   일 때, 진동(발산)

★ 등비수열  이 수렴하기 위한 조건은     ≤ 

★ 등비수열    이 수렴하기 위한 조건은    또는     ≤ 

◎ 등비급수의 수렴과 발산

○ 등비급수  


       ⋯     ⋯ (  ≠  )


(1)    (       )일 때, 수렴하고 그 합은  이다.

(2)  ≥  (  ≤    ≥  )일 때 발산한다.

★ 등비수열    이 수렴할 조건은    또는     ≤ 



★ 등비급수  


이 수렴할 조건은    또는      

◎ 급수와 수열의 극한의 관계



(1) 급수   이 수렴하면

 lim    이다.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 ∞


(2) lim  ≠  이면 급수
→ ∞
  은 발산한다. ((1)의 대우)


1
미적분 공식 정리

◎ 무리수  의 정의
 
○   lim      
→


lim   
→∞ 

 (  는 무리수이며 그 값은 2.7182818…임이 알려져 있다.)

◎ 자연로그의 정의
○ log    ln 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
ln    
(1) lim  
→ 

  
(2) lim  
→ 

log      
(3) lim  
→  ln 

  
(4) lim   ln 
→ 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법

(1)     ⇨ ′   

(2)    ⇨ ′   ln  (단,     ≠  )

(3)   ln  ⇨ ′  


(4)   log   ⇨ ′   (단,     ≠  )
 ln 

2
미적분 공식 정리

[참고] 특수각의 삼각비의 값

    
0      
삼각비    
  
sin  0    1 0 0
  

 
 
cos  1    0 -1 1
  

tan  0  1 
 0 0


[참고] 일반각에 대한 삼각함수의 성질

①    (  은 정수) ② 
sin      sin  sin     sin 
cos      cos  cos     cos 
tan      tan  tan     tan 

③  ④ 
sin      sin  sin      sin 
cos      cos  cos      cos 
tan      tan  tan      tan 

 
⑤   ⑥  
 

 

sin     cos 
  

sin     cos 

cos     sin  cos     sin 


 
 

tan      tan     


   
 tan   tan 

[참고] 삼각함수의 최대·최소와 주기

삼각함수 최댓값 최솟값 주기


   sin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tan       없다. 없다. 
 

3
미적분 공식 정리

◎ 코시컨트함수, 시컨트 함수, 코탄젠트 함수

  
(1) csc    (2) sec    (3) cot   
sin  cos  tan 

◎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

sin 
(1) tan    (2) sin   cos   
cos 

(3)   tan   sec   (4)   cot   csc  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 sin     sin  cos   cos  sin
sin     sin  cos   cos  sin

(2) cos     cos  cos   sin  sin


cos     cos  cos   sin  sin

tan   tan 
(3) tan     
  tan  tan
tan   tan 
tan     
  tan  tan

★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
두 직선      ,   ′  ′ 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 라 하면
  ′
tan   tan      
  ′  (단, ′ ≠  )

◎ 삼각함수의 배각의 공식
(1) sin    sin  cos 
(2) cos   cos   sin    cos        sin 
 tan 
(3) tan   
  tan 

◎ 삼각함수의 반각의 공식

   cos     cos     cos 


(1) sin    (2) cos    (3) tan   
       cos 

4
미적분 공식 정리

◎ 삼각함수의 합성
(1) 사인합성
  
 sin    cos    sin     (단,      , sin    , cos    )
 
(2) 코사인 합성
  
 sin    cos    cos     (단,      , sin    , cos    )
 

◎ 삼각함수의 극한

sin 
(1) lim  
→ 

tan 
(2) lim  
→ 

◎ 삼각함수의 도함수

(1)   sin  ⇨ ′  cos  (2)   cos  ⇨ ′  sin 

(3)   tan  ⇨ ′  sec   (4)   csc  ⇨ ′  csc  cot 

(5)   sec  ⇨ ′  sec  tan  (6)   cot  ⇨ ′  csc  

◎ 함수의 몫의 미분법
두 함수    ,    (    ≠  )가 미분가능할 때

   ′        ′  
(1)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는 실수)의 미분법
○     (단,  는 실수) ⇨ ′     


★   
 ⇨ ′  
 
 

5
미적분 공식 정리

◎ 합성함수의 미분법
○ 두 함수      ,      가 미분가능할 때,

합성함수      의 도함수는

  
   ×  또는 ′  ′   ′  
  

★ 합성함수의 미분법에 의하여


①      ⇨ ′        ′  
′  
②   
   ⇨ ′  

  
③      ⇨      ′  

④     ⇨ ′    ′   ln 
′  
⑤   ln    ⇨ ′  
  
′  
⑥   log     ⇨ ′  
   ln 

◎ 매개변수의 미분법
○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      ,      가  에 대하여 미분가능하고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음함수의 미분법

○   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역함수의 미분법

○ 미분가능한 함수    의 역함수      가 존재하고 미분가능할 때,


       의 도함수는
   
  또는    ′     (단,  ≠  , ′   ≠  )
   ′   



6
미적분 공식 정리

◎ 접선의 방정식
○   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     의 그래프 위의 점 P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이계도함수를 이용한 함수의 극대와 극소의 판정


이계도함수를 갖는 함수    에 대하여 ′     일 때

(1) ″     이면    는    에서 극소이다.

(2) ″    이면    는    에서 극대이다.

◎ 곡선의 오목과 볼록
함수   가 어떤 구간에서

(1) ″     이면 곡선      는 이 구간에서 아래로 볼록하다.

(2) ″    이면 곡선      는 이 구간에서 위로 볼록하다.

◎ 직선 운동에서의 속도와 가속도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 에서의 위치  가      일 때,

시각  에서의 점 P의 속도  와 가속도  는 다음과 같다.


 
(1)     ′   (2)     ″  
 

◎ 평면 운동에서의 속도와 가속도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 에서의 위치     가      ,     일 때,
점 P의 시각  에서 속도, 속력, 가속도, 가속도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 

(1) 속도      ′   ′  
 

(2) 속력      
 


 
   ′    ′  


(3) 가속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4) 가속도의 크기  
     ″    ″  
  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