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1.

개요 3) 누설자장과 자분의 집적
① 누설자장 : 표면에서의 터짐 혹은 불연속에
1) 자분지시모양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의해 형성된 자장
① 자장의 모양과 강도 ② 자장의 밀도 : 자장의 강도, 검사할 부분의
② 자화방법 모양, 크기, 재질에 의해 결정
③ 불연속의 크기, 형태 및 방향 ③ 자석과 자성체 사이의 양끝단부에 자극이 생겨
④ 자분의 특성 및 적용방법 자극을 끌어당기는데 이 자분이 자극에 집적되
⑤ 시험편의 자화특성 어 불연속지시 나타낸다.
⑥ 부품의 형태 자분의 집적
⑦ 부품 표면의 특성
S극 N극 S극 N극 S극 N극
2) 자성체의 분류
① 강자성체 : 철, 니켈, 코발트등 자장에 강하게 (누설 자장의 형성 예)
적용하여 자분탐상 검사에 적합한 재료
② 상자성체 :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타늄 합금등 4) 자기이력곡선 : B-H곡선
자장에 약간 영향을 받으나 자분탐상검사에 부 자력의 힘(H)과 자속밀도(B)와 관계곡선
적합 포화점
③ 반자성체 : 비금속재료, 금, 구리, 비스무스, B 자기적포화상태
아연 등 자장에 전혀 영향받지않음. 진공보다
잔류
투자율 낮음
자장

3) 자분탐상의 장.단점
① 장 점 : 표면균열검사적합, 작업의 신속간단, -H H
항자력 0
결함의 육안관찰, 검사방법용이, 시험품의 크기, 보자력
형상에 그다지 구애받지 않음, 정말한 전처리가
요구되지 않음, 얇은 도장, 도금 및 비자성물질
의 도포등에도 작업가능, 자동화가능, 작업비
저렴 -B
② 단 점 : 강자성체 재료에 한함, 내부검사 불가 음의 포화점
능, 불연속부의 위치가 자속방향에 수직이어야
함, 탈자요구되는 경우있음, 후처리 종종필요, 5) 투자성
특히 형상의 시험방법 까다로움, 대형의 주조 B=μH B=자속밀도, H=자장의세기, μ=투자율
물, 단조물 시험시 높은 전류 요구, 전기접점에 μ클수록 자속통과용이하여 자속에 대한 저항이
서 가공면에 손상 가져올수 있음, 적은양에 많 적다
은 검사인원 필요, 지시모양의 판독에 경험과
숙련필요 6) 보자성
강자성체가 자력을 제거한 후에도 재료내에 잔류자
2. 자기학 기를 존재하도록 하는 재료의 특성

1) 자 극
① 자화 : 어떠한 분자의 일부분 또는 전체가 N과 3. 자장의 발생
S극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② 자석 : 자화된 물질 1) 원형자장의 발생
③ 자력 : 금속을 잡아당기는 힘
④ 자극 : 철을 잡아당기거나 반발하는 능력이 한 ① 오른손 법칙을 따름
부위에 집중하는데 이 부분을 자극이라
함.
전류 전류
2) 자력선과 자장 원 형 자 장
② 불연속부 검출 : 축방향~45°경사의 결함검출
용이하나 횡방향결함은 잘 나타나지 않음
N극 S극 ③ 장점 : 극이 불필요, 강한 자장가능, 조작이
일반적으로 간단
① 자력선 : 자석의 내부 : 남에서 북으로 이동
자석의 외부 : 북에서 남으로 이동
② 자장 : 자력선으로 둘러싸인 자석의 주위
2) 선형자장의 발생
코일 선형자장
전자석또는 영구자석
시험체

흠 자속선


용접부

철심

자속선 교류전류
시험체
교류전류

극간법 자속관통법
① 코일 또는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통과시키면 그
주위에 자장이 발생, 이때 자장의 종방향이며
강도는 코일의 횟수, 직경, 전류의 강도에 의해 4. 자화전류
좌우
② 불연속부 검출 : 횡방향~45°경사 결함검출용이 1) 자화전류의 종류와 선정
축방향결함 잘나타나지 않음 ① 교류 : 침투력 약하다, 입자의 이동성 좋다
③ 장점 : 시험편을 접촉시키지 않아도 된다 표면결함 검출, 연속법 원칙
코일의 권수로 강도를 증가시킬수 있다, ② 직류 : 침투력 매우 좋다, 입자이동성 부족
사용이 간단, 시험편을 코일속으로 통과시켜 표면 및 표면하 내부 결함 검출,
운반할수 있다. 연속법 및 잔류법
③ 반파정류 A.C
3) 자화방법과 자장의 종류 침투력 이동성 매우 좋다, 표면 부근의 ¼“~⅛”
까지의 내부결함 검출
④ 전파정류 A.C
침투력 매우좋고 입자 이동성 좋은편, 습식법
전극
⑤ 맥류 : 직류+교류성분
시험체 흠
전극

자속선
교류성분이 클수록 표피효과 두드러져 표면 근
전극
전극
방 결함 검출능력 증가
자속선

시험체
전류
⑥ 충격전류
통전시간 짧고 통전시간내의 자분의 적용을
전류
끝마치기 어려워 연속법 사용못함. 습식법
전류
전류

축통전법 직각통전법
2) 원형자화시 자화 전류치의 결정
① 축통전법 또는 전류관통법의 자화전류치 산출
전류 시험품두께 또는 직경의 인치당 600~800A
사용
H=0.5I/R (H:자장의 세기, I : 전류, R : 거리)
자화전류
전극 자화전류


3) 선형 자화시 자화 전류치의 결정
45,000
시험체 자화전류(A)=
L/D* 코일권수
전류

자속선

시험체
5. 자분탐상 시험방법
자장

프로드법 프로드를 분리하지 않은 경우 1) MT시 고려사항


① 전류종류 ② 자분종류 및 적용법
③ 시험품재질 및 형상 ④ 자장의 방향
⑤ 자화의 방법 ⑥ 암페어 선정 ⑦ 시험기기 종류

시험체

2) 검사방법의 분류

전류

① 자화시기 : 연속법, 잔류법

시험체
자속선
② 자분종류 : 형광, 비형광
자속선
③ 분산매 : 건식, 습식
코일
전류 ④ 자화전류 : 직류, 맥류, 충격류, 교류
전류

전류관통법 코일법 ⑤ 자화방법 : 축통전법, 직각 통전법, 전류관통법,


코일법, 프로드법, 극간법, 자속관통법
3) 기본절차 ② 형광자분의 관찰 : 자외선등의 파장 3650A을
전처리-자화조작-자분적용-모양관찰 및 기록- 갖고 시험면에서 적합여부 조사 800~
탈자-후처리 1000㎼/㎠의 자외선 강도를 갖는 것
③ 무관련지시모양
① 전처리 : 모재측에서 약 20MM넓게한다 - 자기펜흔적 : 시험편이 서로 접촉한 경우나
- 표면에 그리스나 오물 제거 다른 철강재료로서 시험면을
- 검사액 오일사용시 탐상면 물기 건조 문질러 나타나는 모양
- 건식법 : 표면을 특히 잘 건조 - 강전류에 의해 응집된 자분모양으로 프로드법
- 자화시 직접전류 통전하는 경우 접촉부분에 의 경우 전극부근의 전류밀도가 높기 때문에
스파크예방용으로 전극에 도체패드 부착한다 형성되는 자분모양과 자분이 요부에 고여
② 자화조작 생기는 모양
- 축통전법 : 축방향결함검출, 축방향직접통전, - 각부와 큰 단명의 급볍부에 생기는 자분모양
원형자장이용 - 거친 시험면
- 직각통전법 : 축에대해 직각방향결함검출, - 투자율이 다른 재질 또는 금속조직 경계에
축에 직각방향 직접 통전 생기는 모양
- 전류관통법 : 중앙전도체 사용, 시험품에 - 냉간가공에 의한 자분모양
원형자장 만들어 전류의 방향 결함 검출이용 - 단류선에 의한 자분모양
- 코일법 : 시험품에 코일을 넣거나 감아 - 납땜연결부에 의한 자분모양
선형자장 만듬 축방향의 직각인 결함 검출
- 프로드법 : 2개의 프로드사용, 원형자장형성, 6) 탈자
프로드간격 8인치 초과하면 안됨 ① 탈자가 필요한 경우
- 요크법 : 요크사용 선형자장만들어 두 극사이 - 잔류자장이 나침반이나 측정계기에 영향을
의 시험부위 자화시키는 방법, 표면결함에 미치는 경우
한함 - 회전제품에 잔류자장이 쇳가루를 끌어당김
- 통전시간 설정 으로 과도한 마모나 회전을 방해하는 경우
0. 연속법 : 전류와 자분동시에 적용 , - 표면처리시 칩이 표면에 붙어 페인팅이나
자화전류적용될때 시험편 도금등을 방해할 우려 있을 경우
표면에 자분모양 만드는 방법 - 전기아크 용접중 강한 잔류자장이 적용부위
통전시간 3초이상 로부터 아크를 이탈시킬 우려 있을때
0. 잔류법 : 전류를 통전한 후 자분을 적용 - 자장에 의해 부품이 사용중 영향을 받는 경우
잔류자장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② 탈자 불필요한 경우
시험편상에 자분모양을 만드는 - 부품이 퀴리점 이상 열처리하여 자성상실시킬
방법 통전시간 1/4~1초씩 3회 경우
- 제품이 연철이거나 낮은 보자성 갖는 경우
4) 자분의 적용 - 용접물, 대형주강품, 보일러 등의 구조물의
① 자분의 종류 부품시
- 형광자분 : 자외선등에 의해 형광을 발생시켜 - 공정중 재자탐필요시
관찰하는 자분 - 더 높은 자력으로 탐상시
- 비형광자분 : 가시광아래 육안으로 - 외부 누설자장 없는 경우
직접관찰하는 자분
② 자분의 적용
- 건식법 : 건조상태 자분을 살포기로 공기중에 6. 표준시험편
분산시켜 표면에 뿌리는 방법
- 습식법 : 물 또는 기름등의 현탁액 사용, 1) A형 표준시험편 : 장치, 자분, 검사액의 성능과
자분을 분산시켜 표면에 적용 도포, 연속법에서의 시험체 표면의 유효자계강도 및
침적, 분무등에 의해 적용 탐상유효범위, 시험조작으 적합여부조사
③ 자분의 점검 : 습식법의 검사액중 자분의 함량
매 8시간마다 측정, 침전시험에 의해 점검 원형 직선형
인공흠의 깊이 공차
7㎛±2㎛
6mm
10mm 20mm
5) 자분모양의 관찰 20mm 15㎛±4㎛
30㎛±8㎛
① 비형광자분 관찰
60㎛±15㎛
비형광자분을 사용하여 자분모양을 관찰시 20mm 20mm
조명은 백색광 또는 가시광 아래에서 행하며
조도는 1100LUX(ASME), 500LUX(KS)이상 ① A1형 : 1종을 어닐링(불활성가스 600℃ 1시간
유지, 100℃이하까지 서냉)
② A2형 : 냉간압연
2) B형 : 장치, 자분, 검사액 성능 검사시 (KS D 0213 요약 정리)

4mm
1. 자분 : 시험에 사용되는 강자성체 미분말
H
3mm
2. 분산매 : 자분을 잘 분산시킨 상태로 시험품
표면에 적용하기위한 매체로 기체 또는
1/D 액체
D
3. 자화전류 : 시험품에 자속을 발생시키는데
1mm 사용하는 전류
2mm 4. 택류 : 주기적으로 크기가 변화하는 자화전류
H : 10이상, D: 50, 100, 200 5. 충격전류 : 사이클로트론, 사일리스터 등 사용하여
피복한 도체를 관통구멍의 중심에 통과시켜 얻는 1펄스의 자화전류
연속법으로 원통면에 자분적용 6. 정류식 장치 : 교류를 직류 또는 맥류로 바꾸어
자화전류를 공급하게 하는 자화장치
3) C형 : 용접부의 개선면등 좁은 부분, A형 대용으로 7. 도체패드 : 시험품의 국부적 소손 방지 목적,
사용 시험품과 전극 사이에 끼워서 사용
① C1형 : 불 600℃ 1시간, 100℃이하까지 서냉 8. 연속법 : 자화전류 통하거나 영구자석을 접촉시켜
② C2형 : 냉간 압연 주면서 자분의 적용을 완료하는 방법
9. 전류법 : 자화전류 단절시킨후 자분을 적용
4) 기타시험편 10. 반자장 : 시험품을 자화했을때 시험품에 생긴
① KETOS TESTRING : 표면하 불연속측정 자극에 의해 발생, 가한 자장을
감소시키는 자장
11. 유효자장 : 시험하는 부분에 실제로 움직이고
있는 자장
예) 코일법 : 가한자장-반자장=유효자장
인공결함
12. 탐상유효범위 : 1회의 자분조작에 의해 자분모양
이 확실히 식별되는 범위
구멍
13. 표피효과 : 시험품에 가한 교류전류나 교류자속이
인치
+0.005
표면의 가까운 부분에 모이는 현상
링 시험편 14. 시험장치 : 시험체에 대하여 자화, 자분의 적용,
관찰 및 탈자의 4조작을 할수 있는것, 단 불필요시
② 자장지시계 (FIELD INDICATOR)
탈자는 안해도 된다
자장의 발생유무 및 자장방향 측정
① 시험장치 : 시험체의 모양, 치수, 재질, 표면
압전된 8개의 저탄소강
상황 및 흠의 성질(종류, 크기, 위치, 방향)에

취급에 편리한 길이의


따라 적당한 감도로 능률적, 안전하게 시험
비철손잡이
② 자화장치

인공결함
- 전류이용장치 : 직류식, 교류식, 정류식,
충격전류시
최대1/32in
압전 또는 기계적으로
부착한 비철 trunnion - 영구자석이용장치
구리도금
두께0.010+0.001 in
③ 전류이용자화장치
- 자계강도를 시험체에 가할수 있어야 한다
자장지시계
- 전류계필요, 자화전류 파고치로 표시
④ 자석형장치 - 최대자속명기
7. 불연속의 종류 ⑤ 전자석형장치 : 전류의 종류, 주파수를 병기
⑥ 습식법 : 교반장치 갖출 것
1) 고유불연속 : 주물, 주조품의 제조과정시 파이프, ⑦ 건식법 : 잘건조
기공, 게재물, 편석, 탕계 , 고온균열 ⑧ 형광자분 : 자외선조사장치이용 : 320-400nm
2) 가공중 불연속 : 일차가공(단조, 압연), 의 근자외선을 통과시키는 필터를 가지고 38cm
최종가공(연마, 열처리, 용접, 기계가공)시 겹침, 거리에서 800㎼/㎠이상 강도를 가져야한다
단조터짐, 심, 라미네이션, 연마 및 열처리균열 ⑨ 탈자장치 : 잔류자기를 필요한 한도까지 감소
3) 사용중 불연속 : 피로균열 시킬수 있는 것
4) 주조품의 결함 : 탕계, 기공, 수축공, 게재물 15. 자분 및 검사액
5) 단조품 결함 : 단조겹침, 터짐, 퀜칭 균열, 백점 ① 자분
6) 압연강판 결함 : 라미네이션, 압연겹침, 게재물, - 분산매차이 : 건식용, 습식용
콜드셧 - 관찰방법차이 : 형광자분, 비형광자분
7) 용접부 결함 : 슬래그, 기포, 용입부족, 용융부족, - 시험체재질, 표면상황, 흠의 성질에 따라
언더컷, 용접균열 자성, 입도, 분산성, 현탁성, 색조가질것
② 입도 ② 잔류법
- 현미경측정방법 : 입자의 정방향 지름측정하고 일반퀜칭한 부품 6400~8000A/m
누적체 20% 및 80%를 표시하는 입자지름의 공구강, 특수재부품 12000 이상
범위로 나타냄
③ 습식법 : 등유, 물 등을 분산매로 하여 적당한 5) 통전시간
방청제 및 계면활성제 넣은 검사액 사용 ① 연속법 : 통전중 자분의 적용완료할수 있는
④ 검사액속 자분분산농도 통전시간설정
검사액의 단위용적(1ℓ)중에 포함되는 자분의 ② 잔류법 : 원칙은 1/4초~1초, 단충격전류시
무게(g)또는 단위용적(100mℓ)중에 포함되는 1/120초이상 3회이상 통전반복,
자분의 침적용적(mℓ), 자분의 종류, 입도 고려 충분한 기자력 가질 경우 제외
하여 설정
16. 시험장치등의 보수점검 18. 자분의 적용
① 전류계, 타이머, 자외선 조사장치 : 년 1회점검
1년이상 미사용시 사용시에 점검 1) 자분농도 : 비형광습식 2~10g/ℓ
형광습식 0.2~2g/ℓ
17. 시험조작 2) 연속법 : 자화중 자분적용 완료, 완료후 형성된
자분모양 사라지지 않게 유의
전처리-자화-자분적용- 관찰-기록-후처리 3) 잔류법 : 자화조작후 자분적용, 자분이 적용전 다른
강자성체를 시험면에 접촉해서는 안됨
1) 전처리 : 시험범위에 모재측으로 20mm넓게 4) 건식법 : 자분, 시험면이 충분히 건조확인후 적당량

① 시험체 : 단일부품을 원칙적, 자화시 탈자, 시험 자분 뿌리거나 살포, 자분형성 쉽게하기


체를 청정하게 한다 위해 진동을 가하거나 충분항 양 자분적
② 건식자분사용시 표면을 잘건조시킨다 용후 조용한 공기흐름으로 잉여자분 제거
5) 습식법 : 시험면 전면이 검사액과 잘 접촉할 수 있
2) 자화 는 상태가 되어 있는 것 확인후 검사액
① 자화시 장치의 특성, 시험체의 자기특성, 모양, 뿌리거나 검사액 속에 시험체 담근후 조

치수, 표면상태, 예측되는 흠의 성질등이 따라 용히 꺼내거나 하여 자분적용, 검사액의


자분적용시기와 필욯나 자계의 방향 및 강도를 유속 너무 빠르지 않게하며 검사액이 흐
결정하고, 자화방법, 자화전류의 종류, 전류치 르지 않는 경우 적당한 흐름이 생기도록

및 탐상유효범위 선정, 자계의 방향 및 강도 확 한다


인 필요시 A형,C형 표준시험편 또는 가우스미
터 같은 자기측정기 사용 19. 관찰
② 자계의 방향
- 흠방향에 대해 직각, 시험면에 가능한한 평행 1) 원칙 : 자분모양이 형성된 직후
- 반자계를 적게한다 2) 비형광자분 사용시 : 일광 또는 조명 500lux이상
- 시험면 태워서는 안될 경우 직접통전해서는 3) 형광자분사용시 : 20lux이하, 800㎼/㎠이상
안된다 4) 의사지시 : 자기펜자국, 단면급변지시, 전류지시,
전극지시, 자극지시, 표면거칠기 지시,

3) 자화전류 종류 재질경계지시
① 교류 및 충격전류 : 표면흠검출, 교류는 연속법 5) 자분모양 : 사진촬영, 스케치, 전사, (점착성테이프,
에 한함 자기테이프)

② 직류 및 맥류 : 표면흠과 표면근접의 내부흠,


연속법, 잔류법 20. 시험시 주의사항
③ 맥류 : 내부 흠 검출능력 낮음, 교류성분크므로
④ 교류 : 표피효과의 영향에 의해 표면아래 자화 1) 1회의 연속시험조작에 따라 시험면 전체 검사 불가
는 직류에 비해 약하다 시 1회조작의 유효 시험범위 설정하고 시험조작 반
⑤ 충격전류 : 잔류법 복 인접 탐상 유효범위는 그 끝부분 반드시 필요량
중복
4) 탐상에 필요한 자계강도 2) 결함예측불가시
① 연속법 2방향이상의 다른 방향의 자계를 가하여 재시험

일반구조물, 용접부 1200~2000A/m 3) 잔류법 사용시


주,단조품 기계부품 2400~3600A/m 검사 끝날때까지 다른 시험체 또는 다른 강자성체
퀜칭한 기계부품 5600A/m이상 와 접촉해서는 안됨
4) 여러개 시험체 동시 시험시
배치, 자화방법, 자화전류 고려
5) 의사지시 여부 확인 6. 원형자화법
① 자기펜자국 : 탈자후 재시험시 사라짐 ① IN당 600~800A
② 전류지시 : 전류작게 또는 잔류법 재시험시 사 ② 자화전류
라짐 외경 5inch이하 700~900A/inch
③ 표면거칠기 지시 : 시험면 매끈하게 재시험시 5~10이하 500~700A/inch
사라짐 10~15이하 300~500A/inch
④ 재질경계지시 : 매크로시험, 현미경 시험등으로 15초과 100~330A/inch
확인, 자분탐상이외의 시험으로
확인 7. 중심도체법
자화전류= 필요A 와 같음
6) 용접부 시험시
① 열처리등의 지정이 있을때 최종열처리후 합부 8. 극간법
판정 1) 리프팅파워 : 1년에 한번
② 열처리, 압력용기 내압시험 종료후 시험의 자화 2) 교류 : 4.5㎏(10파운드)
방법은 극간법으로 한다, 프로드법 안됨 3) 직류 : 18㎏(40파운드)

21. 시험기록
1) 자화전류치 : 파고치기록, 코일법 : 코일치수, 권수
프로드법 : 프로드간격표기

(ASME Sec V Art 7)


1. 전처리 : 25mm

2. 자분적용
① 건식자분 : 표면온도 600°F(315.6℃)이하
② 습식자분 : 135°F(57.2℃)이하
③ 형광자분 : 어두움 적응 5분, 자외선등 5분간
예열,
자외선강도 : 800㎼/㎠이상, 8시간마다 측정

3. 장비교정
전류계부착 자화장치 : 1년에 한번

4. 프로드법
① 자화전류-두께3/4in이상 100~120A/inch
3/4in이하 90-100A/inch
② 프로드간격 : 8인치 초과하면 안됨
3인치 미만은 비실용적
③ 자화전류 개회로전압이 25V이상시
: 시험체등의 침착방지위해 납, 강, 알루미늄을
선단에 부착한 프로드 권고

5. 선형자화법

1) 자장강도
35,000
-L/D 4이상 : AT =
L/D+2

2이상4미만 : AT = 45,000
L/D

치수나 형상적으로 큰 부품 1200~4500AT

2) 자화전류 : A = AT/코일권수(감은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