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117 P-1-⑤ 119 P-1-⑤

Stable Transformation of Lettuce Cultivar with Jasmonic 고구마 품종 ‘White Star’의 기내 종묘생산에 미치는 NAA와 BA의
Acid Carboxyl Methyltransferase (JMT) Encoding Genes 효과
Bong Kyu Kim, So Young Park, Do Yeob Hwang 1, Yang Do Choi2, and 은종선1* ․박종숙1․임환수1․김영선2(1전북대학교 농과대학 생물산업연구소, 2남
Byung Whan Min* 도대학 원예산업과)
Biotechnology Center, 1Cabbage Team, Breeding Rearch Institute, Nong
Woo Bio Co., Ltd. Yeoju-kun Kyonggi-do, Korea, 2School of Agricultural
Effects of NAA and BA on Production of In Vitro Seedlings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Sweet Potato cv. White Star
1 1 1 2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한 JMT 유전자의 상추형질전환 Jong-Seon Eun *, Jong-Suk Park , Hwan-Su Lim , and Young-Seon Kim
1
1 2
Dept. of Horticulture, Chonbuk National Univ., Jeonju 561-756, Korea,
김봉규․박소영․황도엽 ․최양도 ․민병환*(경기도 여주군 가남면 정단리 ㈜농 2
Dept. of Horticultural Industry, Namdo Provincial College of Jeonnam,
1 2
우바이오 생명공학센터, ㈜농우바이오 육종연구소 양채류팀, 서울대학교 농업생 Changheung 529-850, Korea
명과학대학)
영양번식성 식물의 대부분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으며, 그 증상으로는
Methyl jasmonate is a plant volatile that acts as an important cellular 생장둔화, 권엽증, 잎이나 꽃에 줄무늬, 생산량의 감소, 심한 경우 고사 현상을
regulator mediating diverse developmental processes and defense 보인다. 고구마의 번식은 식물체의 줄기를 삽식하는 영양번식에 의해 이루어
responses. Transgenic lettuce (Lactuce sativa) plants were successfully 지고 있는데, 삽목묘의 모주가 virus에 감염되어 있는 종묘는 결국 수량감소뿐
obtained from cotyledonary explants inoculated with Agrobacterium
만 아니라 품질저하를 초래하게된다. 또한 유전자원으로서 종묘를 포장에서
tumefaciens, which harbored a binary vector plasmid with JMT gene,
catalized the formation of methyl jasmonate from jasmonic acid. Through 유지, 보존할 경우 병해감염의 요인이 되며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기도 하는데
inicial selection of regenerated explants by culturing on a kanamycin and 유전자원의 기내보존과 무병묘의 획득을 위하여 고구마의 정단분열조직배양
carbenicillin containing MS medium, multiple shoots were obtained after 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져 왔다. 고구마 품종 ‘White Star’의 정단분열조직
2 months of culture. For a complementary step of selection, putative 배양을 생장조절제 NAA(0.05, 0.1 mg/L) 와 BA(1, 2 mg/L)의 농도를 달리
transgenic shoots were transferred to 1/2 MS medium supplemented with 하여 배양한 후 생장반응을 조사하였다. MS(1962)배지를 기본배지로 sucrose
100mg/L kanamycin and 500 mg/L carbenicillin. After culture and selec-
3%, gelrite 0.35%, pH 5.8 로 조정한 후 1 매의 엽원기를 부착한 경정조직을
tion on MS medium a number of kanamycin-resistant plantlets were
regenera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Southern and Northern blotting 배양하였다. 모든 배지에서 개체간에 shoot의 발육상태는 차이가 많았으며, 뿌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the transgenic plants with 리발생도 같은 배지 내에 개체간의 차이를 보였다. 모든 절편체의 기부에서
the integrated JMT gene. Over 100 transgenic plants have been esta- callus 가 발생한 후 shoot가 생장하였는데 callus 의 크기는 약 1cm 정도로 연
blished in soil and flowered in the greenhouse. 녹색을 띠며 단단하였다. NAA 0.05mg/L 와 BA 2mg/L 의 혼용구를 제외하고
T. 031-883-7055 F. 031-884-7065 minbw@nongwooseeds.co.kr 모든 배지에서 정단분열조직으로부터 100% 의 건전한 유식물체로 발달하였으
며, NAA 0.05mg/L +BA 1mg/L 의 배지에서 가장 생육이 왕성하고 안정적
118 P-1-⑤ 이었다.
T. 063-270-2576 F. 063-270-2581 jseun@moak.chonbuk.ac.kr
배추 두 재배종 간의 callus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비교
박태성* ․조동욱․전 식․윤영희․정규환(중앙대학교 원예과학과)
Comparison of Callus Induction and Shoot Regeneration 120 P-1-⑤
Efficiency between Two Chinese Cabbage (Brassica 파 완숙종자로부터 체세포배 발생 및 식물체 재분화
campestris ) Cultivars 김철우․장영석․현동윤․이을태․김학신․최인후(호남농업시험장 목포시험장)
Tae-sung Park*, Dong-wook Cho, Sik Chun, Young-hee Yoon, and Kyu Plant Regeneration and Somatic Embryo from Matured
Hwan Chung
Dept. of Horticultural Science, Chung-Ang University, Ansung 456-756,
Seed of Welsh Onion (Allium fistulosum L.)
Korea Cheol-Woo Kim, Young-Seok Jang, Dong-Yun Hyun, Eul-Tai Lee, Hag-Sin
Kim, and In-Hu Choi
본 연구는 삼진 배추( 흥농종묘㈜) 와 서울 배추( 중앙종묘㈜) 간의 Agrobac- Mokp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terium tumefaciens LBA4404 를 이용한 형질전환 하였을 때 callus 유기 및 RDA, Muan, Chonnam 534-830, Korea
식물체 재분화를 비교하여 효율적인 형질전환을 실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 파(Allium fistulosum L.)의 완숙종자로부터 켈러스 형성은 최초 배양일로
다. FLC(Flowering Locus C) 유전자를 sense 와 antisense 방향으로 Neo- 부터 2 주경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종자로부터 켈러스 형성률은 BDS 기
mycine PhosphoTransferase(NPTII) 유전자를 함유한 binary vector 본배지에 2.0mg/L 2,4-D +0.5mg/L BAP 에서 켈러스 형성률이 61% 로 가
pCAMBIA 1300 에 삽입하여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 에 형 장 높았다.
질전환 하였다. 4일간 생장한 배추의 하배축을 약 1cm 정도로 절단하였다. 하 동일한 배지에 계대 배양한 후 Light yellow 또는 white 켈러스는 0.1mg/L
배축 절편을 A. tumefaciens LBA4404 로 감염하여 28 ℃, 암조건 하에서 3 일 2,4D +0.5mg/L BAP 등 5 조합에서 Friable 켈러스는 1.0mg/L 2,4D +
간 공동배양을 실시하였다. 3 일간 공동배양 후, NAA 1.0 mg/L, BAP 5.0 0.5mg/L, 2.0mg/L 2,4D +0.5mg/L 등 4 조합에서 형성되었고 체세포배는 물
mg/L, AgNO 3 4.0 mg/L, Cefatoxime 200mg/L 및 Hygromycine(10 mg/L) 방울 모양의 둥근형과 길쭉한형의 두 가지 형이 출현하였으며 체세포배 발생
이 첨가된 MS (Murashige and Skoog medium, Duchefa) 배지에 치상하여 은 2.0mg/L 2,4-D 와 0.5mg/L BAP 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callus 및 shoot 발생을 유도하였다. 발생한 callus 를 동일조성의 배지에 2 주 식물체 재분화는 BDS free 배지에서 이루어졌으며 녹색의 체세포배에서
마다 계대배양하여 shoot 발생을 유도하여 callus 유기율 및 식물체 재분화율 정상적인 shoot가 이루어졌다.
을 비교, 분석하였다. T. 061-453-2497 MP. 018-620-4352 F. 061-453-0085 cwkim@rda.go.kr
T. 031-670-3697 jowon007@nownuri.net

78 Kor. J. Hort. Sci. Technol. 20 (SUPPL. ll), October 2002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