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두 번째 요인으로는 정보격차입니다.

과거 정보격차의 원인은 일반적으로 계층, 성별, 세대, 지역


차이 그리고 정보기기의 접근성에서 발생했습니다 . 하지만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보급률이 거의
100% 에 육박하면서 기기 접근성의 문제에서 정보 활용 관련 부분의 긍정적 태도나 의지 혹은
활용성의 문제로 확장되었습니다 . 따라서 디지털리터러시 , 즉 디지털 기술과 데이터 , 정보,
콘텐츠, 미디어 등 디지털 관련 모든 사항을 분석라고 , 목적에 맞게 쓸 줄 아는 능력과 소양이
중요해졌습니다 .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세계경제포럼에서 4 차 산업혁명 시대 인재의
핵심역량으로 언급된 바가 있습니다.
일례로, 해당 자료에서 제시된 것처럼 신한은행은 2021 년 하반기부터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새로운 평가를 도입한다고 합니다 . 이러한 점들을 미루어 알 수 있듯이 정보를 수용하고 ,
활용하는 능력은 취업에 있어 필수적인 역량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수도권에 거주하는 청년에
비해 지방에 거주하는 청년은 정보 활용도 교육의 저조와 관련된 인프라 부족의 이유 등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개발에 어려움이 존재합니다. 때문에 이들을 위한 트렌드를 읽는 교육,
다양한 정보 탐색의 방법과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입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