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2019_수능특강

2 점 수 능 테스트 정답과 해설 20쪽

[9022-0081] [9022-0083]

01 그림은 주기율표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03 표는 원자 A~D의 원자가 전자 수와 전기 음성도를 나


타낸 것이다. A~D의 원자 번호는 14 이하이다.

1 2 13 14 15 16 17 18
주기
원자 A B C D
1
원자가 전자 수 1 2 2 5
2 A B 전기 음성도(상댓값) 7a 4a 5a 10a
3 C D
A~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A~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른 것은? (단, A~D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른 것은? (단, A~D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ㄱ. 2주기 원소는 3가지이다.
ㄱ. 원자 반지름은 D가 B보다 크다. ㄴ. 원자 반지름은 B가 C보다 크다.
ㄴ.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는 B가 A보다 크 ㄷ. D와
‌ C의 양성자 수 차이는 B와 A의 양성자 수 차이
다. 보다 크다.
ㄷ. Ne의
‌ 전자 배치를 갖는 이온의 반지름은 B 이온이 C
이온보다 크다. ①ㄴ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9022-0084]

04 다음은 2주기 원자 A~D에 대한 자료이다. A~D는 각


[9022-0082] 각 Be, N, O, F 중 하나이다.
02 다음은 3가지 이온의 전자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 원자 반지름은 B가 D보다 크다.
○ AÛ`± : 1sÛ` ○ 전기 음성도는 C가 D보다 크다.
○ BÛ`Ñ : 1sÛ`2sÛ`2pß` ○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는 A가 C보다 크다.
○ C± : 1sÛ`2sÛ`2pß`
A~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 른 것은?
은? (단, A~C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ㄱ. 제1 이온화 에너지는 D가 A보다 크다.
ㄱ. 전기 음성도는 B가 C보다 크다. ㄴ. 바닥상태 원자의 홀전자 수는 C가 B보다 크다.
ㄴ. 제1 이온화 에너지는 A가 C보다 크다. ㄷ. A와
‌ B의 원자 반지름 차이는 C와 D의 원자 반지름
ㄷ. 이온 반지름은 BÛ`Ñ이 AÛ`±보다 크다. 차이보다 크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3강 주기율과 주기적 성질 79


2019_수능특강

2 점 수 능 테스트

[9022-0085] [9022-0087]

05 표는 원소 a~e에 대한 자료이다. 전기 음성도는 07 그림은 2, 3주기 원자 X~Z의 전기 음성도와 원자 반지


e>d>c>b>a이다. 름을 나타낸 것이다. Y와 Z는 같은 족 원소이고, 바닥상태 원
자의 홀전자 수는 X~Z가 모두 2로 같다.
원소 주기 바닥상태 원자의 홀전자 수
a 2 2 120
Y
b 3 2
c ㉠ 3
원자 반지름
X
d 2 2 (pm) Z
e 2 1
60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 0


2 3 4
은? (단, a~e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전기 음성도

X~Z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ㄱ. ㉠은 3이다.
른 것은? (단, X~Z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ㄴ. a와 b는 같은 족 원소이다.
ㄷ. ‌18족 원소의 전자 배치를 갖는 안정한 이온의 반지름
ㄱ. X는 16족 원소이다.
은 d 이온이 e 이온보다 크다.
ㄴ. X와 Z는 같은 주기 원소이다.
ㄷ. ‌바닥상태 원자에서 p 오비탈의 전자 수는 Y가 X의 5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배이다.
[9022-0086]

06 그림은 원소 A~D의 이온 반지름


(상댓값)
①ㄱ ②ㄷ ③ ㄱ, ㄴ
이온 반지름을 나타낸 것이다.
A~D의 이온은 모두 Ne의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
전자 배치를 가지며, 원자 번 A B C D

호는 각각 8, 9, 12, 13 중 하나이다. [9022-0088]


A~D의 제2 이온화 에너지(Eª)를 나타낸 것으로 가장 적절 08 표는 원자 Ne, Al, Si에 대한 자료이다.
한 것은? (단, A~D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원자 Ne Al Si
① ② 제1 이온화 에너지
Eª Eª 1 x 0.38
Eª Eª Eª Eª (상댓값)
(상댓값)

(상댓값)Eª
(상댓값) (상댓값)

(상댓값)Eª
(상댓값)
(상댓값)
(상댓값) (상댓값)
(상댓값) 제2 이온화 에너지
y 3.1 z
제1 이온화 에너지
A
A AB
B BC
C CD
D D A
A AB
B BC
C CD
D D
A AB BC CD D A AB BC CD D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
③ ④
Eª Eª
은?
Eª Eª Eª Eª
(상댓값)

(상댓값)Eª
(상댓값) (상댓값)

(상댓값)Eª
(상댓값)
(상댓값)
(상댓값) (상댓값)
(상댓값)

A
ㄱ. 0.38<x<1이다.
A AB
B BC
C CD
D D A
A AB
B BC
C CD
D D
A AB BC CD D A AB BC CD D ㄴ. y<1이다.
⑤ ㄷ. z<3.1이다.

Eª Eª
(상댓값)

(상댓값)Eª
(상댓값)
(상댓값)
(상댓값) ①ㄱ ②ㄷ ③ ㄱ, ㄴ
A
A AB
B BC
C CD
D D
④ ㄴ, ㄷ ⑤ ㄱ, ㄴ, ㄷ
A AB BC CD D

80 EBS 수능특강 화학 Ⅰ
2019_수능특강

정답과 해설 20쪽

[9022-0089] [9022-0091]

09 11 그림은 원자 X~Z의
제2 이온화 에너지
다음은 학생 A가 이온 반지름에 관해 학습한 후, 스스로 를 나타낸 것
제1 이온화 에너지
만든 문제를 자료 조사를 통해 해결한 탐구 활동지의 일부이다.
이다. X~Z는 각각 B, C, Na 중 하나이다.
10
탐구 활동지
…(생략)…
[문제] 제2 이온화 에너지
5
서로 다른 비활성 기체의 전자 배치를 가지는 두 이온 중 제1 이온화 에너지

전자가 들어 있는 전자껍질 수가 큰 이온이 항상 이온 반


지름이 클까? 0
X Y Z
[자료 조사 및 탐구]
○ 표는 몇 가지 이온의 반지름이다. X~Z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이온 Li± OÛ`Ñ Na± ClÑ CaÛ`±


른 것은?
이온 반지름
60 140 95 181 99
(pm) ㄱ. 전기 음성도는 X가 가장 크다.
○‌이온 반지름이 ㉠>㉡이므로 전자가 들어 있는 전자껍 ㄴ. 원자 반지름은 Z가 가장 크다.
질 수가 큰 이온이 항상 이온 반지름이 큰 것은 아니라 ㄷ. ‌바닥상태 원자에서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수는 Z
는 결론을 얻었다. 가 Y의 2배이다.

다음 중 ㉠, ㉡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ㄴ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 ㉡ ㉠ ㉡
① OÛ`Ñ Li± ② OÛ`Ñ Na± [9022-0092]
③ ClÑ OÛ`Ñ ④ OÛ`Ñ CaÛ`± 12 그림은 2주기 원자 X~Z의 전기 음성도와 제1 이온화
⑤ ClÑ CaÛ`±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X~Z는 원자 번호가 연속이며, 18족
[9022-0090] 원소가 아니다.
10 다음은 원자 A~D에 대한 설명이다. A~D는 각각 O, 제1 이온화 에너지 Z
Mg, S, K 중 하나이다. (상댓값) Y
X
○ 원자가 전자 수는 C가 B보다 크다.
○ ‌바닥상태 원자에서 전자가 들어 있는 전자껍질 수는 B
와 D가 같다. 0 전기 음성도
(상댓값)

A~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X~Z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른 것은? 른 것은? (단, X~Z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ㄱ. 전기 음성도는 A>B이다. ㄱ. 원자 번호는 Y가 가장 크다.


ㄴ. 원자 반지름은 D>C이다. ㄴ. 원자 반지름은 X가 Y보다 크다.
ㄷ. 제1 이온화 에너지는 D>B이다. ㄷ. 바닥상태 원자에서 Z의 홀전자 수는 2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3강 주기율과 주기적 성질 81


2019_수능특강

2 점 수 능 테스트 정답과 해설 20쪽

[9022-0093] [9022-0095]

13 표는 2, 3주기 원자 A~C의 순차적 이온화 에너지 15 표는 2원자 분자 (가)~(라)의 구성 원소를 나타낸 것이


(EÇ)를 나타낸 것이다. 고, 그림은 (가)~(라)에서 구성 원소의 전기 음성도 차이를 나
타낸 것이다. X~Z는 각각 F, Cl, Br 중 하나이다.
EÇ(kJ/몰)
원자
EÁ Eª E£ E¢ E° E¤ E¦ 분자 (가) (나) (다) (라)
A 1314 3388 5301 7469 10990 13327 71330 구성 원소 H, X X, Y X, Z Y, Z
B 1012 1907 2914 4964 6274 21267 25431
전기 음성도 차이
C 738 1451 7733 10540 13630 18020 21711 (상댓값)

A~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A~C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① 금속 원소는 1가지이다.
(가) (나) (다) (라)
② 전기 음성도가 가장 큰 것은 A이다.
③ B와 C는 같은 주기 원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
④ ‌C가 18족 원소의 전자 배치를 가지는 이온이 될 때 은? (단, H, F, Cl, Br 중 전기 음성도가 가장 작은 것은 H이다.)
필요한 최소 에너지는 1451 kJ/몰이다.
⑤ ‌바닥상태에서 전자가 들어 있는 p 오비탈의 수는 B가 ㄱ. 원자 번호는 Z가 Y보다 크다.
A의 2배이다. ㄴ. XÑ의 전자 배치는 Ar과 같다.
ㄷ. ‌Cl와 Br의 전기 음성도 차이는 Br과 H의 전기 음성
도 차이보다 크다.

[9022-0094]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4 표는 2, 3주기 원소 A~D에 대한 자료이다. A~D의 [9022-0096]

이온은 모두 Ne의 전자 배치를 갖는다. 16 그림은 2주기 원소 A~C의 제1 이온화 에너지와 원자


가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를 나타낸 것이다. 바닥상태 원자
바닥상태 원자의 전자 배치 이온 반지름
원소 의 전자 배치에서 A, B, C의 홀전자 수는 각각 1, 2, 3이다.
s 오비탈의 전자 수 p 오비탈의 전자 수 (pm)
3000 6
A 4 x 136
B 4 4 140
제1 이온화 에너지 2000 유효 핵전하
C 7 y (가) 4
(kJ/몰)
D 5 95 (나)
1000 2
A B C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
은? (단, A~D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
은? (단, A~C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ㄱ. x=3이다.
ㄴ. 95<y<136이다. ㄱ. (가)는 제1 이온화 에너지이다.
ㄷ. 바닥상태 원자의 홀전자 수는 A와 D가 같다. ㄴ. 원자 번호는 B가 C보다 크다.
ㄷ. 제2 이온화 에너지는 B가 A보다 크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82 EBS 수능특강 화학 Ⅰ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