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Leaders | The Middle East

An energy crisis and geopolitics are


creating a new-look Gulf
It will be richer, more powerful—and more volatile

Sep 22nd 2022


Share

In eight weeks roughly 1m football fans will descend on Qatar for the World Cup, many of
them travelling via neighbouring cities such as Dubai and Abu Dhabi. They will find a
Gulf in the midst of a $3.5trn energy bonanza, courtesy of Vladimir Putin’s war in
Ukraine. Western politicians facing a cost-of-living crisis are once again paying homage
to the royalty of the fossil-fuel economy. Olaf Scholz, Germany’s chancellor, is due to
visit this week; in July President Joe Biden fist-bumped Muhammad bin Salman (mbs),
the de facto ruler of Saudi Arabia, a country he had branded a pariah for its human-
rights abuses.

Listen to this story. Enjoy more audio and podcasts on iOS or Android.

As we explain this week, the latest oil and gas boom is taking place alongside deeper
trends: a re-engineering of global energy flows in response to Western sanctions and
climate change, and the remaking of geopolitical alliances in the Middle East as it adapts
to a multipolar world in which America is no longer a reliable guarantor of security. The
result is a new-look Gulf that is destined to remain pivotal for decades to come. Whether
it will be a source of stability, though, is far from clear.

The Gulf states belong to a region that has had a dreadful two decades. Amid wars and
uprisings, a million people have died violently in the Middle East and its share of
world gdp has dropped from 4% in 2012 to 3%. America has cut its military presence
following the debacles in Iraq and Afghanistan, leaving old allies, including the Gulf
states, fearful of a security vacuum filled by Iran and its proxies. The three Gulf energy
powerhouses of Qatar, Saudi Arabia and the United Arab Emirates (uae) are autocracies
facing a long-run decline in world demand for fossil fuels, even as they suffer from
lower rainfall and higher temperatures because of climate change.

It is a daunting starting-point, but two new forces are in play. One is changes in energy
markets. At current prices, the six Gulf states—the others are Bahrain, Kuwait and
Oman—could earn $3.5trn over the next five years. Western sanctions on Russia are
redirecting how energy is traded around the world. As Russian output flows to the east,
the Gulf stands to become a bigger supplier to the West.

In response to tight energy markets, Saudi Arabia and the uae are ramping up capital
investment in oil with the long-run goal of being the last men standing in the industry,
enjoying the lowest costs and least-dirty extraction. Together, they aim to raise output
from 13m barrels per day last year to 16m in the medium term. Their market share will
rise as governments worldwide clamp down on emissions and global demand for oil
falls. As Qatar expands its North Field project in the next few years, it will become to
liquefied natural gas (lng) what Taiwan is to advanced semiconductors: its annual target
output is equivalent to 33% of all lng traded worldwide in 2021. From its point of view,
the timing, amid a global gas squeeze, could not be better.

Even as energy enriches the Gulf—and adds to the heavy burden of stabilising the
world’s climate—the second force at work is a new alignment of power in the Middle
East. Over the past decade Iran has established a sphere of influence across a northern
belt including Iraq, Lebanon and Syria. A reaction is in full swing as most Gulf states,
Egypt, Israel and others grow closer. This is reflected in the Abraham accords, signed by
Israel and two Arab states in 2020, which are helping normalise relations in the region.

This nascent bloc is partly about developing common defences against Iranian drones
and missiles, probably using Israeli technology. But it is also a bet that trade can make
these countries richer in a region with puny cross-border links. Already, Israelis have
made over half a million trips to the uae, while the Gulf states have invested $22bn in
Egypt this year. Saudi Arabia and Jordan may one day join the Abraham accords,
especially if Israel includes the Palestinians, creating a contiguous trading zone. This
bloc will also hope to increase its links with the rest of the world. In February
the uae signed a trade deal with India. As London and Hong Kong stall as financial
centres, Dubai is seeking to become the world’s last entrepot, where you can do
business with anyone.

An obvious implication is that the Gulf is likely to remain as important in world affairs
in the coming decades as it was in the 20th century, despite the hopes of some American
strategists that its significance would fade. In oil and gas its share of Europe’s imports
could rise from under 10% today to over 20%. The Gulf states’ economic heft within the
Middle East is at its highest since 1981, at 60% of regional gdp, and will rise more. In
finance the Gulf’s $3trn of reserve and sovereign assets will grow, leading to more
investments abroad, such as Qatar’s stake in Porsche’s offering next week. In diplomacy
expect it to flex its muscles more beyond its immediate region: the uae is already a force
in the Horn of Africa.

Yet the one thing the new era may not bring is stability, because the very forces behind
these opportunities also create volatility. The quest for a security arrangement that
relies less on America could backfire. Iran’s aggression could lead to a regional arms
race fuelled by energy rents, just as the oil booms of the 1970s saw military spending
explode. If Iran gains a nuclear weapon, countries such as Saudi Arabia and Turkey may
want a bomb of their own. The last chapter of the fossil-fuel age could yet draw China
and India deeper into the region.

However, the greatest potential source of instability lies at home. The Gulf states are
now trying to follow a mind-bending economic trajectory. They plan to expand fossil-
fuel production for 20 or so years and then slash it after 2045. It is possible to see how
this would work in theory: the huge rents would need to be quickly reinvested in a high-
tech economy based on renewable power, hydrogen and desalination systems, which
has enough dynamism to create millions of jobs for a bulge of young people. In practice
the task is monumental. Even if it worked, it would put the Paris-agreement climate
targets far beyond reach.

The Gulf’s autocrats believe they have the long-term perspective to manage this shift.
But they are prone to oppression, cronyism and vanity projects. A new Gulf is emerging,
but some things remain the same. It is still going to be volatile—and impossible for the
world to ignore.■

For subscribers only: to see how we design each week’s cover, sign up to our weekly Cover
Story newsletter.

This article appeared in the Leaders section of the print edition under the headline
"Boom time in the Gulf"

에너지 위기와 지정학 속에서 중동이 새롭게 변신 중이다! with


The Economist
<영국 주간지 스터디> 제 2 탄의 세 번째 구독 서비스 기사는 “중동의 새로운
지정학”입니다. 기사 건별로 5 천 원에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구독 신청 및 문의:
sumbolon@gmail.com

The Economist / Leaders / The Middle East

에너지 위기와 지정학 속에서 페르시아 만 국가들이 새로워지고 있다!

걸프 만 연안이 더 부유해지고, 더 강력해질 것이다 – 그만큼 더 불안정해지기도 하겠고


Sep 22nd 2022 original text

1) 한 8 주 후면 축구 팬 100 만 명이 월드컵을 친견하겠다고 카타르를 찾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 중 상당수가 이웃 도시들, 가령 두바이와 아부다비도 여행하겠고. 그들의
눈에 비치는 페르시아 만은 3 조 5 천억 달러 상당의 노다지판일 것이다. 블라디미르
푸틴이 우크라이나에서 벌이는 전쟁 덕분에 걸프 만 국가들은 정말이지 아주 신이 났다.
생활비 위기를 맞닥뜨린 서방 정치인들이 이 화석 연료 경제를 주무르는 왕족들에게
다시금 찬사를 바치고 있다. 독일 총리 올라프 숄츠(Olaf Scholz)가 이번 주에 중동을
찾는다. 7 월에는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이 무함마드 빈 살만(Muhammad bin Salman)과
주먹 인사를 하기도 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실질적 지배자로, 흔히 '엠비에스'라고 한다.)
바이든이 인권 탄압을 들어, 개 같은 나라라고 낙인을 찍었었으니, 참말이지 얄궂은
상황이었다.

glossary)

deep dive)

2) 이번 호 기사에서 우리가 자세히 설명했듯, 최근의 석유 및 천연가스 호경기는 더


폭넓은 추세 속에서 일어나고 있다. 전 세계의 에너지 흐름이, 서방의 [러시아] 제재 및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 속에서 재편되고 있는 것이다. 또 있다. 중동의 지정학적 동맹이
재편되고 있는데, 이는 미국이 더 이상은 믿을 만한 안보 제공자가 아니게 된 다극적
세계에 중동이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그 결과가 새로운 모습의 걸프
만이다. 그런데, 이 페르시아 만을 포괄하는 중동이 향후 수십 년에 걸쳐 여전히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리라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이 지역에 안정이 담보될 것인지의
여부는 안갯속이라고 해야겠다.

glossary)

deep dive)

3) 페르시아만 국가들이 속한 지역은 지난 20 년 동안 상황이 끔찍했다. 전쟁과 봉기가


일어났고, 중동에서만 폭력 사태로 100 만 명이 사망했다. 이 지역이 전 세계
지디피(GDP)에서 차지하는 몫이 2012 년 4 퍼센트에서 현재 3 퍼센트로 하락했다.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 연이어 낭패를 겪자, 미국이 주둔 군대를 줄였다. 페르시아
만 연안 국가들을 위시해, 옛 동맹국들은 이란과 그 대리 세력이 메우는 안보 공백이
두려울 수밖에 없다. 걸프 만의 에너지 '3 대장'인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츠연합(UAE)은 죄다 정치 형태가 전제주의이다. 화석 연료에 대한 전 세계의
수요가 장기적으로 감소하는 사태에도 직면하고 있다. 여기에 덧붙여, 기후 변화로 인해
강우는 줄고, 기온은 상승하는 어려움까지.

glossary)

deep dive)

4) 벅차고, 주눅이 들 만한 상황이다. 그런데, 두 개의 새로운 동력이 가세했다. 에너지


시장의 변화가 그 첫 번째이다. 현행 가격이 그대로 유지될 경우, 바레인, 쿠웨이트,
오만을 집어넣은, 페르시아 만 6 개 국가는 향후 5 년에 걸쳐 3 조 5 천억 달러를
벌어들이게 된다. 서방이 러시아를 제재하면서, 전 세계의 에너지 거래 양상이 바뀌는
중이다. 러시아 생산분이 동방으로 유입되면서, 페르시아 만 지역이 서방의 최대
공급국으로 우뚝 서게 됐다.

glossary)

deep dive)

5) 에너지 시장이 빠듯하니 여유가 없자,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츠연합이 석유


부문에 대한 자본 투자를 증대하고 있다. 이들의 장기적 목표는 업계 최후의 승자가
되겠다는 거다. 그도 그럴 것이, 중동의 석유는 생산 비용이 가장 낮고, 채굴에 따르는
환경 피해도 최소 수준이다. 도합해서 이들 국가는 작년에 하루 당 1300 만 배럴이던
것을 중기적으로 1600 만 배럴까지 생산량을 늘리겠다는 복안이다. 전 세계의 정부들이
탄소 배출을 엄중 단속하고, 지구 차원에서도 기름 수요가 하락하는 중이기 때문에,
이들 국가의 시장 점유율은 오를 것이다. 카타르가 향후 몇 년에 걸쳐 북부 유전 사업을
확대할 테고, 타이완이 첨단 반도체에서 맡고 있는 역할 지분을, 카타르도 액화 천연
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분야에서 맡게 될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이 나라의
연간 목표 생산량이 2021 년 전 세계 엘엔지 전체 거래량의 33 퍼센트였기 때문이다.
카타르의 처지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천연가스 공급이 달리는 상황이기 때문에, 시기가
이보다 더 좋을 수가 없다.

glossary)

deep dive)

6) 이렇듯 에너지로 인해 걸프 국가들이 돈을 쓸어담는 와중에, 지구 기후를 안정화해야


한다는 막중한 부담도 외면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리고 바로 이 대목에서 두 번째 힘이
가동 중인데, 중동의 세력 균형이 새롭게 재편되고 있다는 사실이 그거다. 이란이 지난
10 년 동안 이라크, 레바논, 시리아의 북부 벨트 전역에서 영향권을 구축했다. 그러자
이에 대한 대응으로, 걸프 국가 대다수, 이집트, 이스라엘, 그 외 국가들의 유착이 한창
진행 중이다. 이스라엘과 두 아랍 국가가 2020 년 조인한 아브라함 협정에서 이 사실이
잘 드러난다. (아브라함 협정으로 이 지역의 관계가 어느 정도 정상화되고 있다.)

glossary)

deep dive)

7) 이 초보적인 동맹은 이란의 드론과 미사일에 맞서 공동 방어 수단을 개발할 테고,


아마도 이스라엘의 기술이 동원될 것이다. 보잘것 없기는 해도 국경을 가로지를 수 있기
때문에 무역 거래를 통해 역내 국가들이 더 부유해질 수도 있다. 아랍에미리츠연합을
찾은 이스라엘인이 이미 50 만 명이 넘는다. 페르시아만 국가들이 올해 현재까지
이집트에 투자한 금액이 무려 220 억 달러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요르단도 미래의 언젠가
아브라함 협약에 가입할 수 있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일원으로
받아들인다면 말이다. 접속 무역 지대가 창설되는 것이다. 이 진영은 나머지 세계와의
결연도 증대하고자 할 것이다. 2 월에 아랍에미리츠연합이 인도와의 무역 협정에
서명했다. 런던과 홍콩이 금융 중심지로서의 역할이 지지부진한 상황이고, 두바이가
최후의 중계 금융 중심지를 노리고 있다. 여기서라면 누구하고도 사업을 할 수 있다는
식이다.

glossary)

deep dive)
8) 페르시아 만이 세계의 업무가 처리되는 데서 향후 수십 년에 걸쳐 여전히 중요한
지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아주 명백하다. 사실 20 세기에도 그러했다. 미국의
일부 전략가가 중동의 중요성과 지위가 시들해지기를 바랐지만 말이다. 석유와
천연가스의 유럽 수입분에서 걸프 연안 국가가 차지하는 몫이 현재의 10 퍼센트
미만에서 20 퍼센트 이상으로 상승할 듯하다. 중동 지역에서 페르시아 만 국가들의
경제적 영향력이 1981 년 이래 최고조 상태이다. 역내 지디피의 60 퍼센트이니 말 다했다.
게다가 이 중량감이 더 확대될 듯하다. 금융 재정도 보면, 페르시아 만 국가들의 3 조
달러에 이르는 유보금과 국가 자산이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테고, 이는 더 많은 해외
투자로 이어질 것이다. 다음 주에 있을 포르쉐의 공모에서 카타르가 보유한 지분이
대표적이다. 외교 분야라면, 페르시아 만 국가들이 역외로까지 영향력을 행사하는 게
예상된다. 아랍에미리츠연합이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서 이미 주요 세력으로 자리를
잡았다.

glossary)

deep dive)

9) 그러나, 새로운 시대라도 담보할 수 없는 한 가지가 있으니, 그것은 바로 안정성이다.


전술한 기회와 가능성을 추동하는 힘들은 휘발성도 상당하기 때문이다. 페르시아 만
국가들이 미국에 덜 의존하는 안보 체계를 도모 중인데, 이게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
이란의 호전성으로, 이 지역에서 군비 경쟁이 벌어질 수 있고, 에너지 초과 이윤까지
있으니, 이 군비 경쟁이 날개를 달고 가속화될 수 있다. 사실인즉, 석유 호경기가
펼쳐졌던 1970 년대에 실제로 그랬다. 역내에서 군비 지출이 폭증했다. 이란이 핵 무기를
확보하게 되면, 사우디아라비아와 튀르키예 같은 국가들도 자체적으로 핵 폭탄을
보유하고자 할 것이다. 화석 연료 시대가 마지막 장을 향해 가고 있고, 중국과 인도가
이 지역에 더 깊이 뿌리내릴 수도 있다.

glossary)

deep dive)

10) 하지만, 사태 불안정의 가장 커다란 진원은 역내에 도사리고 있다 해야 할 것이다.


걸프 만 국가들은 현재 정신이 어질어질할 정도의 경제 개발 계획을 추진 중이다. 무슨
말인가? 향후 20 년가량 화석 연료 생산을 확대한 다음, 2045 년 이후부터는 이 부문을
쳐내겠다는 복안인 거다. 이 계획이 이론상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살펴보자. 지금
벌어들이는 엄청난 초과 이윤을 신속히 재투자해야만 할 것이다. 재생 가능 에너지,
수소, 담수화 시스템 등에 기초한 첨단 기술 경제가 그들의 구상이다. 인구 통계학적
실상을 보더라도, 청년층 인구가 많고, 그들의 역동성을 바탕으로 수백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터다. 이 과업의 실제 측면은 정말이지 기념비적이다. 허나, 이 계획이
달성되더라도, 파리 협약의 기후 관련 목표치를 한참 벗어나게 된다.

glossary)
deep dive)

11) 걸프 만의 전제 군주들은 자기들이 장기 전망 속에서 이 변화를 어떻게든 성취해낼


수 있다고 믿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특기도 염두해야 한다. 각종 억압, 정실 인사,
거기다가 자만과 허영이 뒤범벅된 과시적 사업들까지. 페르시아 만이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어떤 특성과 일 들은 여전히 그대로이다. 새로운 걸프 만은 계속해서
불안정할 테고, 나머지 세계 역시도 이를 무시 외면할 수는 없다.2022 년 10 월 7 일

This article appeared in the Leaders section of the print edition under the headline “Boom time
in the Gulf”

glossary)

deep dive)

정병선 옮김/sumbolon@gmail.com

🍧 블로그를 후원하세요.
국민은행 365-24-0040-060(정병선, Pyong Son Chong),
SWIFT Code: (KOOK MIN BANK) CZNBKRSEXXX.
카카오뱅크(3333-05-8997468:정병선)로도 후원할 수 있어요.

장건은 언젠가는 탈출해 서역에 가고야 말겠다는 일념으로 무제가 사신의


징표(sumbolon)로 준 야크의 꼬리를 끝까지 몸에 지녔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