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4

1.

함수의 극한

차례 취약문항번호를 적어주세요 확인

□□유형1
[대표유형1] 함수의 극한 3. 함수 의 그래프기 그림과 같이 주어졌을 때,

   의 값은? 1.


1. lim
1. →
lim  lim 의
→ →
값은? 3.

①  ②  ③
V 

④  ⑤ 

아기' 탑지 + 5
-
2

=
1+5 -

g =
4

4
, ①  ②  ③ 
V
④  ⑤ 

2.
2. 다음 <보기>중에서 극한값이 존재하는 것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
4. 함수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4.


< 보 기 >
 
ㄱ. lim  ㄴ. lim 
→  →   
  
ㄷ. lim 
→  

① ㄱ ② ㄴ ③ ㄱ, ㄴ
V
④ ㄴ, ㄷ ⑤ ㄱ, ㄴ, ㄷ

I
웨어이= o ∞
밝아 - 이
= - ⑧ ←) lim  lim 의
→    → 
값은?

1 -K 0 이면 탑이올 더 (k) ①  ②  ③ 

V
 ⑤ 
[ A [9HD( 01-13
-
= 2 COK )
기기 1

함수의 극한 1
[대표유형2] 극한의 존재 조건 [대표유형3] 극한의 성질

5.
5. 함수 
 
  ≤ 
일 때, lim 가 존재하게 하는 7. 두 함수 , 가
   
fcn)
→
lim  ∞, lim    -
3
gcol]
= hcog
상수 의 값은? 5.
→∞ →∞

 fcol) =
3
gcop thcay
을 만족시킬 때, lim  의 값은? 7.
①  ②  ③      
   
④  ⑤
으 
→∞
삶기이며
V 
①  ②  ③ 

HK = 튀 (30ltz) . K =
8

013g+ JI→g -

④  ⑤ 

fcoy + gou)
L 9gcou ) fshcnytgnl
)
t
3

*
=

12 ⑤ - fcob + 2 291)
0
+ hc) + gu)
-

6911 2 2

lo 9 cnl + sh)
=

않아 .

4gcn 1 t 2hn

3 hm
= t l0 +
gzl) …
25 ,
P1→ O 2h에
-

4+
gn)

 ≥ 
6.
6. 함수      
   
에 대하여 lim 의 값이
→
8. 두 함수  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 8.

존재하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은? 6.
(가) lim  ∞
→∞
V 
① ②  ③  (나) lim    hcoD = 2 fcoly )
-
39)
→∞
④  ⑤  gcoy
Q
=
fex) -

3 hm)
 
t (3oltk)
01S 1 +
=

남아 ( 31 -
=
40t2) lim  의
→∞  
값은?

①  ②  ③
V

> + Kk 측
3
∴ K = -

2
,
④  ⑤ 

L fcan )
+ gcl) fn )+ 6 fen) zhcn)
9
-

=
L

1o 3
fcn - ) 8

cn)1 →∞3
1 fcop+ slhu)
f )-2

nf에 h에
않아
-
9
=
3

nfcu) + Mcu)
,

; 3

2 함수의 극한
9.
9. 함수 , 에 대한 다음 <보기>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대표유형4] 부정형 극한의 계산
것은?9.    
(단, 는 실수)
11. lim 

의 값은:? 11.
→

< 보 기 >
V
 ①  ②  ③ 
ㄱ. lim  와 lim 의 값이 존재하면 lim 의 값도
→  →  → ④  ⑤ 
존재한다.
t
[oH] l -

)
s

ㄴ. lim 와 lim  의 값이 존재하면 lim 의 = -


θ
,
→ →  →  마이 [H)

값도 존재한다.

ㄷ. lim 와 lim 의 값이 존재하면 lim 의 값도


→ →  → 

존재한다.





*

① ㄱ ② ㄴ ③ ㄷ
V ㄱ, ㄴ
④ ⑤ ㄴ, ㄷ

tafcngcn ÷
Ʃ

) 염
.fcu )
=
답아8
,

'
Hafcn ) # 아인 조건 ,

반례 :
fionl =ol :9
=


   
10.
10.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두 함수 , 에 대하여 12. lim 
의 값은? 12.
→ 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는 상수) 10.

< 보 기 >  
①  ②  ③
V

  
ㄱ. lim, lim  이 극한값이 존재하면 lim의
→ → 
 →
 
④  ⑤ 
극한값이 존재한다.  
ㄴ. lim와 lim의 값이 각각 존재하면 lim의 9H6 + 3

0↑ D -
3
→ → → X

값도 존재한다. 91 3
-

X3
l+ 6

ㄷ. lim  이고 lim 의 극한값이 각각 존재하면

,
91 1


→ →
-
3
= =

lim의 값도 존재한다.
,
(ol s) ( 기t 6 +s)
-
6
→





*

V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다 y goxy
=

떠청빠 랬
"

함수의 극한 3
13. lim 
  
의 값은? 13. lim 
15. →∞     의 값은? 15.
13. →∞    

V  
①  ②  ③  ①  ②  ③ 
 
④  ⑤ 
5 
tni ④  ⑤
V

2
tf 
f
HoFitop
=
2"
텍 이
- =
* "

01 -
3g 2
l fol
p -

      


14.  lim
14.  의 값을 구하면? 14. 16. lim 
  
의 값은? 16.
→  ∞ 
     →∞

V
①  ②  ③  ①  ②  ③ 

④  ⑤  ④
V
 ⑤ 
z
[ 901 + 61 + 1)- 9012601+↑)
사 닮어 51201 4
(

F - t :
13 - t → o⑧ = =

301-
0
,
011 ⑧ 301 -

st -y
t 3
-

= =

AS ⑧
fz acttat
-
1+ 고

4 함수의 극한
17.
17.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17. [대표유형5] 극한의 계산 미정계수
   1   
(1) lim 
→∞

  ,
19. lim  
 를 만족하는 상수  에 대하여  의
→ 

값은? 19.

①  ②  ③ 
(2) lim 
    
-
2
④  ⑤
v 

→∞

기비 분문 →② 분과→①
ata+ b =
o - b = vavQ


(3)
→∞

lim    

  
  8
1
f

2ptal-


a
- ②
=
A
,( olt2ta) =
at4 =②

오 2o1 801- 1 az g b o
드라ol
-
=
-

801 + 80원 .

× X
기 →
201 81 + 8011
… a- b = -

80l C801 1)
"

밟밟이
-
-

= ×
1 X ( 801 + 8n개 )

= f 이
=
1
=
8 "

0이3⑧ 2 ( 801 + 80H ) 2 (2vk+2z)


   
 
20. 두 실수  가 lim   일 때, 의 값은?
18.
18.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8.
→

 
20.
1 a 2

  

=

(1) lim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    6

LI 자C+) A X
s

:
1
=
,
"
① 


② 


③ 
133 1 34 (0×1 )
-
0 아SB XEOH) 6
 
④  ⑤
V

  
  
(2) lim  의 값을 구하시오. 3Q

→   
fzolta 01+3 aoHa + O1pB
-

X
기- K
91t사 c) C 기
)
값 π= 1
21+
2
=
기 t 이> (기OHD [기H) gol+a + P1X3

,
미 4
시 1t 암 8씨 L 대 1 81
-

=
= =
1
=
 
(3)  ′  일 때, lim 
 의 값을 구하시오. O 1> I
(제] (oH) ( 20 H2+ 01+3 ) 2x ( 저)
→   4

af -f미
* * t fi) ab
41

*
× =
* : =
"
아가 ,

함수의 극한 5

    23. 다항함수 가23.
21.
21. lim  
 를 만족시키는 두 실수 ,  에 대하여
→ ∞    
  
21.
lim    lim   
 의 값을 구하면? →∞  → 
을 만족시킬 때, 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서술하시오. 3
①  ②  ③ 
④  ⑤ 
v fcop 3 -13 =a 02 tapltb

p
an1 +4p1-
1
al441 +201 (o =
f

. fico)= - ②

f 21 +2에 + 이
o
]

X X
0I-so⑨1p+z) -
O) Pβ+201 + 0이 에1K91 t2이

fcpy= 013
3 +
2 g12 fa @ ltb
an+401- 4012
L 9P+201 + 1

=
2= 의
fco] b
X =
x

01>⑧ 912 +201 -


P2 an14$01 +20)
= = o

f oy
'
=
9 012+401 + a
- a d =
bt
fcog=
,

a = - 2

atb 5
fo)
=
+ -
',
= 213
03 2012

: fa] = 3"

   
 24. 다항함수 가 lim    , lim    을
22.
22.  에 관한 다항식 에 대하여 lim 

 ,
→∞   
→∞    → 

만족시킬 때, 의 값은? 24.



lim 

 일 때, 의 값은? 22.
→   V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v  ③ 
④  ⑤ 
fcop = -
olpt apltb
fco) =
2013tnitb fen = o
=
더 fcD = - 1

fcn
'

AE ) =②
2 FCgD =② Co1 2
-
] [01 -
m)

L 2(01 2) (1-m ) (
× 2m ) fc )= ftatb atb= ,
32 란 o
-

- =
= 수 '
m =

1>= (
ol+1 ) ( o1-2)
f ci3=
'
- 201 ta

fcpl = ] 2 ( oI1 2] (ol


- -

오) f ci]'
=- ata = tat b = o

fal) = 2 xc 13 × *터
fcoD
- *

1
= -β t 이

-
1 " ∴
fc) = -
②,

6 함수의 극한
[대표유형6] 여러 가지 함수의 극한 27. 닫힌구간 [  ]에서 정의된 함수   의 그래프가 다음과

 같다27.
25. lim 
25. →  
의 값은? 25.

①  V 
② ③ 
④  ⑤ 존재하지 않는다.

K 이면11 F -이

ti이더
7130
-
- 1 ,

   lim  lim 의 값은?


→ →

①  ②  ③
V 
④  ⑤ 

fc z ) - 수
,어 ☆
fc이 )
= 3않 .
.f(Hz) =
3

:+3+3 7 =

26.
26. 함수          에 대하여 lim 의 값이 존재할 28.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 
같다. 28.
때, lim 의 값은?26.
 → 

(단, 는 상수이고,    는 보다 크지 않은 최대 정수이다.)


lim  
→∞
  
 lim 
   → ∞ 
 lim 
 → ∞    
   
의 값은?
①  V
②  ③ 
④  ⑤ 

기+ 이면 이- [OJ= 0
미> 에 이면 미
+
I 0 이며

ffcol] = o -
a
91 3 1 +
- -
-
a= t
-2 a :디
,
①  ②  ③ 
밟-fcn = 1 ) -
2a

④ 
V
⑤ 

* ([ 3
+
np ta[o] ) 그네 = 2
남 f ( = . fco
-∞
1
-p
)

) = 2

탑 ( H t i ) * fc 며
.f -
=

+
0

탑값 ∞ f( -
4 14 )
+ -
A

=
탑니 fc - )
=
5
8
,

함수의 극한 7
[대표유형7] 극한의 대소관계 31. 모든 양의 실수 에 대하여 함수 가

29.
29. 함수  가 모든 양의 실수  에 대하여
  ≤ ≤  을 만족시킬 때,

의 값은?
lim 

→∞   
  lim  의 29.
         를 만족 시킬 때, 값은? 31.
  → ∞

①  ②  ③    
①  ②  ③ 
  

V  ⑤ 

④  ⑤
V


다아 ( 3 -
1
x ) =
않아 ( 3+
p)
0
=
3,
2

3 faox 국
그 3

다 C301H ] 나 …

될 … [301+]
수 스
91→0 401421+ 시91 p∞40142만1 →040142기시

탐ofcoD =
3
"

3 fcn) ]
'


않아 4시+1+ i
=
49 ,

30.
30. 함수 가   에서    ≤  ≤     을 32. 함수 가   인 모든 실수 에 대하여 32.

만족할 때, lim 의 값은? 30.       


→∞  ≤  ≤ 
    
를 만족시킬 때, lim 의 값은?
①  ②  ③   → 

④  ⑤
V 
①  ②  ③ 
④  V
⑤ 
2013- ≤2013 +214
1 ≤fcol )
2f(
P1 B 913 미+ 2 on

≤H

Ai i
2기거 2013 201 1
+
+

fco
= ②, ② 2
[Hz]
=


913 D1→⑧ D13
≤ ) ≤COH2)

tI f 습 (oltz A R(
)

(n) = 2,
+
=
0×2 ] 16
∞ +


tf( o1) = 16 ,

8 함수의 극한
35. 다항함수 가35.
실전유형    
lim 
  
  lim   
 →   
33.
33. 이하의 음이 아닌 정수   에 대하여 →∞

을 만족시킬 때,  의 값은? (단,  는 상수이다.)


    33.
lim   일 때,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 →      V
①   ②  ③ 
④  ⑤ 

V
① ②  ③  fcol) -

2012 =
③ kolta fc =) o , fED= 10
④  ⑤ 
fcp] =
21 pf 3 kgl + a
-
기위 3012 10ta = a -1 =
001 면 a
수,

t (0H) (30) b fcy =


α+ 3kta = o .
f (ny
'
= 401+ 3K
= = 0
1→위 (olH3 (o1 b) 1-
A EI) 4+ 3 K 10
-
'
=

g =
cxcl b) 8
K a
-

= Q ,
=-

c= Q b = o ok
fcoy
.

20p + 601 8
-

b tX
=
=
E
며 = -

f-1] = 2 -
6 8=
-
12 ,
-

Fa
#이며
1 botto bize
=
C
( )

: =
CxEb-)
abfe =
sar 1o
C= 며 b
=
s aT

:3 ,

     
   36. lim   일 때, lim 
→   
 의 값은? 36.
34.
34.   일 때, lim  의 값은?
→     
34. →    

 
①  ②  ③  ①  ②  ③ 
 
④  ⑤ 
V
 
④  ⑤
V

 
asolzo 133 : o
all
아 - -
olfa"
.f( )
삶 fcoH = ) 에

다 .

나 201-G
= t Qcgl -

)
3
= -
Q
g바 로 않기
l→3 g( fa a+3 o33 CoI 3)
( 가2) 와 fcol- )
- - - -

,
*
i z
×
(
H-2) (Hs )f >2 1 -2 Jl+B
- Q"
×
=니 상돌 ,


"

함수의 극한 9
37. 삼차다항식 가 lim 
  
 
를 만족시킨다. 39.  이상의 자연수 에 대하여
37. →     

        
를  으로 나눈 나머지를 라 할 때, 의 값은? 37. lim   일 때, 의 값은?
 
→ 
(단,  는 상수이다.) 39.
①  V
②  ③ 
④  ⑤  ~
①  ②  ③ 

다 f(pl
④  ⑤ 
z ) 기 + 2
나 f(가)
-

)
X
사에
=

1>2미 + 2
O32
- 모 이 + g 1 2
-

분보
- →③ ,분자
→ 1- :
b ∞ 며
l fcol -
g )
314+11+ caolz+ b]
가고 X2 = 6 Lanl주 b)
=

14+01
- 위
JS2
L X
fcora) fco] 91YO gIK 014+9141 +Capz+ b]
다 1 -2
= 3

fco)
= o

= 3
= 화 14+ 11 -

Casol시t 2ablptbz)
9i-so
oIK × C914+014 +cal4b])
fcgD = a3+ bglz+30이
[f +
az) 14 [ 1-ga ) 이고

-

ag/
3
+ bolp+ 301 =
9p (atb) + 30률
.
IKk [14+1 위+ nl )

RCo) =
301 KE 3 이므로I -ga = K =와
R[33 9
abk H ×KF②
: =
,
=
-
,

38.
38. 다항함수 에 대하여
lim  
     
  일 때, 40. 최고차항의 계수가 아닌 다항함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 40.
때, 의 값은?
→    
fcop aolnt CaFI]

(

=

  38.
lim  
 이다. 상수 의 값은?    3 fnn3 β= azolzn+ …

→ (가) lim  


fco=s →∞

  fcop) = ap/znt …

  
①  ②  V
③  (나) lim   
 →  


④  ⑤ 

①  ②  ③ 
> 위역 , 1 →0 +이면h -→ 0 "

V ⑤ 
1
캡 Chs np ] fch) -

-
2
b3 [a
s
a) 1n +
hs C마) t
- …

*
3
nsn
=

M 3
-
OI So ⑧
-

aolntzt … …

az a
( ahy) fchl shs
-

4 ,am =mg n =θ"


t s a
-
-
= - =

a
=
7
hyer Mβ+ 3h
fcop
-

= 4012+ mo이 +n
c -
2 h+y) fch) -
2 hs = -
mhatahtb ,

남나 fcn )에
fc4) = . 'c] 디 2
f

c ah+ 1] × fch]
-
= ah3 -
7hztahtb 12 1

1 -4=

fch] = -
hsxmhtn
f(oD =
4olz + moltn f co)'
= 801 tm
shf ( -hz +mh+m h3 )h+ n
,

13
- c ) =
- -
[ lHam) hz + cm am
-

m-z . n= s
fc 4] = G4 + 9m+n =
t . f c4)
'
=
32+m = 2

m= 2o n=흥
fco)
-

=
01
- + 301 + 3

t
-
9p
+
301 fco) =
4012 -

2001 + m : fc) 며
=
3 :
α= 3, ,
OIY⑧ $

10 함수의 극한
41.
41. 다항함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41. 43. 다항함수 와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이차함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43.

 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lim 

의 값이 존재한다.
(가) 모든 양수  에 대하여
→  
lim 
   의   ≤  ≤   
(나) 값이 존재한다.
→∞
이다.
foD= 41+401 -
36
(나) lim 

  lim   

gc]
= o ,
9
'
c7] =
a
이때 함수 를 구하는 풀이과정과 답을 논술하시오. →∞

 →  

[마] Q = 3 a = -
3 에서 수렴 : f(s] -

12 = 0 . f-3) +I 2 = 0,
>
faol =G01+ 7 …

 
.

lim   일 때, 상수 의 값의 범위는  ≤  ≤ 이다.


x(p1) + 2n1+ 1 
→∞   
1
다아fen
나 )
.
C2o) P 시

f(o①) + 20+1 의 값은? (단, 는 실수)

t f( 7o -
4012 4011
.

=
수렴
=
V
①  ②  ③ 
0- >
0f(op +2n+1
,

④  ⑤ 
gcpl)=( ol-1][ o1- b)
fcn) 4pp+ anltb 61+ ≤ alz+41
anpt 31 ≤

C마]
=

'
아기 + ol b 201-b이
9 coD
= - =

a=층
fes] =
36 + za+b =2 3a+b = -2 ,
b
9ic)
=
t- b = o a = -

fa s]
- = zG -

sa + b = -

l 2 -
3a+b = -

488
a 4 b=
.
=
-⑧ fcg) =
+
GI2 PoI+ ., gco)= 1
+401-5 3 스P 드 4

fc7- M' =
않아 401t
P1
∴ fcoD =
41 41-3④,
+


6

1
=
P
5
=
K

gcn
)
- +5

: B
스 KI 20-
15,

42. 두 함수  가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44. 세 함수   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42.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4.
  
lim 
 의 값은? (단, ≠ ) 42.

→   < 보 기 >
ㄱ. 두 함수  가 수렴하고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f(n)
fcopp
+
(가)      gn) =
  이면 lim  lim 이다.
7 -
→∞ →∞
(나) lim  ㄴ.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이고
→

lim  이면 lim  이다.


→∞ →∞

ㄷ.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이고


①  ②  ③ 
lim   이면 lim 의 값이 존재한다.
④ 
V
⑤  →∞ →∞
fcon)
)
사 다 90) .
= d
. 기
-fonlt
① ㄴ
V
② ㄷ ③ ㄱ, ㄴ
fco) Fo 이면 .901 ]=- 1 X
④ ㄱ, ㄷ ⑤ ㄴ, ㄷ

fco) = o 이브릎 . faD< gcol) .fcn )= 않


.gcl) No
1fei) 다 ,

fcon 1 +

. ②
기+ n
fon
아이스 다 fcn ≤☆∞gG ) fcn
=

ok

기 - fcou) 이이 -
고 )
* ∞
) = o
,
0이 ,

다 fon . "
= k -
k+
「-
K = 또 k
= " 다 - fcoiy =
pl -

off gcop
,
=
oltott
-fn 다아고 fcny gob)
= t 2
= 0

1 31
-

가 -fan)g 1 이
.
× 9[OD ×2 9170 x


=
-

A
=

☆ogc
삶 데 )

f(ol)
β+ fcn7p 1 밟f 칩 hop
기 .
o+ ()= @ . 에 = No
자이 @
)
@ =
d
,
× ,

: 히 ,

함수의 극한 11
45.
45. 그림과 같이 직선      위에 두 점 A  , 47.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곡선    위의 원점이 아닌 점

P    이 있다. 점 P 를 지나고 직선     에 수직인 직선이 P 에서의 접선 이 있다. 점 P 를 지나고 직선 에 수직인 직선이  축과

AP 만나는 점을 Q , 접선 이  축과 만나는 점을 R , 점 P 의 좌표를  라
축과 만나는 점을 Q 라 할 때, lim  의 값은?45.

 →∞ AQ 
QR
하자. 점 P 가 곡선   을 따라 움직일 때, lim  의 값은?47.
(단, O 는 원점이다.)  →∞
 PR
at-1+ 1
AP 의 기울기 =

A -
0
2
=⑤ Y =
ol
'

이울지 = 9 21=

PQ 외 ,

cut tz)
,

크 Col t] +2A-1
PQ 9
-
: = -

o= -
sfoltatt- 1 po :

=
-
st ( or-t) + t
2

y utcol t) + t
aatiplt
-
=

  이 bt= -

 yF t주로
V 
-
.
  2
①  ②  ③  Y =
Qtol-A
  
QCo sttz) R( o tz)

-


,

④  ⑤ 
 ①
W
 ②  ③ 

Aco - 1) Pct t 1) ,
2. -
, QC 5A 2 0)
-
, ④  ⑤ 

+4t QR =Qtt 1
a
AP =
와 +4나
2
,
Q= 25t-20t +4+1 PR =
A
3
4
,

Qtzts 1
*다아AaAp = L 5t ~
2

의 :
5
"
* PRQp
t

×∞
= ②
ct-
미 "
t- →⑧25t20t+5 o4t 4tt
2
5 5

46. 아래 그림과 같이 곡선   
 위의 점 P  
 를 지나고 48. 그림과 같이 곡선    위의 점 P      에 대하여
46.
 
OP OQ   를 만족시키는 축 위의 점을 Q 라 하고, 두 점
선분 OP 에 수직인 직선 의 절편과  절편을 각각  라고 할
 P Q 를 지나는 직선이  축과 만나는 점을 R 이라 하자. 삼각형 ORQ 의
때, lim  의 값은? (단, O 는 원점,  ≠이다.) 46.
  
 →∞    
넓이를 라 할 때, lim   의 값은? 48.

P 의 이울기
0 =
tt =


21 ,

→   

(단, O 는 원점이고, 점 Q 의 좌표는 음수이다.)


l at
:
y =
colrt] + 2 t
-

ca aay

2t op aataz
atolt
=

Y =- t+ rxvt
Q
OQ =

3 DP =
52 4ta고
a

,
trtrftsrjt
f -
atl +

H
atrtvztroit
Ntpl

=

g QO :RO =Q 시
PH 0R =
o@ ×
PH :
aza 32 a4tar
9 Fnt+ fat] = t+2
왜 a+ 32 94taz
fet)   
* gct ①  ②  ③
V
tt 
gat] =
~

2
x 2 t
값o )
= 0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fcay = 52 크 a4 taz xoR
  

④  ⑤ 
v

3 fc) 닮어 (a)=
- sa t@ 4 '
x
)
zbpm
4
a ta
'

f 3 fedy
t
+2 a 4tasf
29파)
t

+
gct) asog
axtas sra tan
:

at
1

4
= = ②
tso fet)fgat] f(t)
9
←oo =
R
cadt@ )
> qazx
< z
+1
g
get)
=

aso
(a taz) (at 32
4
×
a4tp
)
32
÷
12
"
함수의 극한
50.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두 삼차함수  가 다음 조건을
고난도유형 만족시킨다.50.

 
49.
49. 다항함수 에 대하여 극한값 lim  가
→  
존재한다.
(가)   

다항함수 가       를 만족시킬 때,



(나) lim 

         
→

lim 
 의 값은? 49. fEoD= [ o-1338 에7- 13
→   gab
= g

의 값을 구하시오. 35
① 
V
②  ③ 
④ 

( or-) 1 go
)-→ ×1 9
⑤ 
)= g( )- ×
1

xga )=
(
-1)x2
i) 며 : 탑

gouyfan )
= D fcr) = o

A 의,
(개][ O-H) 23 22 (or 미 ([ )
이기
f
이> )
[l- Dcl -
a] co1-
b]

) C) =
=

남a (
ol c파 )( -b )
0 : fco = ) ( ol-1 (아 m)
)

i) n=② :

다 gofa
=
)
7
= 0 fca] = o ,
gcz)
Fo

fcoy = CoI 1 (o 1
-
]
-
2 )

② (H-) Col 2)
2
ill) n 3= :
-

= Q
3 (l -3Cpl-aycol- b)

(l → (1 )
염니
-
2
-

=4 : =
G
(H) (l axcol b) - -

(3 a](3 b) 의
-
-

, [4 -
a] c4 b) 며 -

colb
(
기- )a
)- 1 = 0
외 두근 3. <

[ol a) (ol b) -
- - 1
=( ol-) C01 *) -

:
gco) = (OI D -

3 (01 s ) 1 - ( -
4)+ 13
gco) 5 × n = = 3 통

:
35

함수의 극한 13
51.
51.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이차함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52.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다항함수 에 대하여 이 될

수 있는 모든 값의 합은? 52.

   
lim  
→    
   
lim 

 , lim 
 인 자연수 이
 →∞    → 
이차함수  의 두 근을  라 할 때,   의 값은?51.
존재한다.

①  ②  ③
V

V
①  ②  ③ 
④  ⑤ 
④  ⑤ 

Isty fca) Fo 이면
② fco)
앓 fcn
o013 +51
T] )
-


faz)
-

f(에) (가-) 8 6
* fcont
= =
'
01- →∞ 712 -
-

. 이
=
ㅕ NO

fez]
.
(l ( -
2
fcp1) -

6013+ 5013 8012+ nltb


= fEo] = O . fEo) =
61
,

fcoy Go3 3012+ @ltb


+

fe)
=

and > = o 이다 ~

fh )
:
fCsD =G013+301 +6 기
feD =1
fo (- =
F
-
탑 -2
-

1
)

t fan onptty
1

fnt () 에
pfn
. '
마1 =
: i )n=
+ 1
다 "
-

c
1 기 = 8 .
= 0
-2 미>o∞ .
913 -
3

fcn) fcoy GoB+5012 =8013 tap


2

닮 = 0아 2
-
k 이며 -

fn
C
) + a- ]
=4ol3 5 1
:)

세서 =
모 = :
fco) = 14013 + 001
p
-
fcD = 20

fan- 613 . fcn


+
fcny 네n ≥ 3 :
)

5 M= 응 )
=
Col -
2] Co1 -
5] e
1

, 않
= 6
1 ->00 714 3 ,
.

-
I

∴ -①
-
B
=
3 fco] ) - GO 13 + 501 =
8014+ n3+bo2
fco] = 8014 + (at6] OBt ( b -b)012

: a = ob =
:
fCoD 8014+ G013 :fe4 =

:
I5 + 2o + 14 =
49 ,

14 함수의 극한
53.
53. 다항함수 가53. 54.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이차함수 가54.

lim 
 

   

  lim 
 

lim 

    

  이다.

 →      

방정식   의 두 근을

→    
→     
 라 할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는 상수이다.) 35
을 만족시킬 때, 의 값은?

lst > fcato 이면


①  ②  ③ 
fay) 드 ( l -aj
*
V
④  ⑤ 
= 의No
fan3zt ( 가ap)
"
7

기대 91- → o +
b→⑧
Qmd > fca) = o 이다 v

×
fch)- 1 fch) h 3

bjl 줬
-

f
:

=
:

= 5 fcsD =
Cora] col -
b)
hso h o bz+의
bjl hl

(ora] (oxbp
p

=
( -
Cab'
fcho -
hs = 5hstahtb 모 ola =
+
1

n
[a bz )
=
p→ a ' 18
[ol-a z(l b)
]
Cora]
-

+
fco ,
-

) =
o /3 +5ptapltb
(a b)=세 - n
(
a b
2
35
fcony )
- K

Co-H ]COlFGoltb)
= : - =

=
서 18

fcn) a와 b 는 이화방정적 f(73 두로이다종이



삶(
=0

1
tz)( M1 )
=

a b
-
- =
35

enptoltb =
b+*
=⑤ b =-
6 fcolta] =
기 ( lta b) -
= 0
의 두글
O미 HQ 3
p = o - atb

fEo) =
[Or-] (1 ① 01-6)
F
Ia 1 + l β l =
1 ol + f atbl-

:fs] 42 35,
-
=
= 2 X1 =
,

함수의 극한 15
55.
55. 아래 그림과 같이 점 O 를 중심으로 하고 길이가 인 선분 AB 를

지름으로 하는 원이 점 A 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과


56.

그림과 같이 곡선     위의 점 P      에
   

대하여 축 위의 점 Q ,  축 위의 점 R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56.
만나는 두 점을 Q R 라 하자. 사각형 AQPR 의 넓이를 , 선분
 
PQ 의 길이를 라 할 때, lim  의 값은? 55. (가) 삼각형 POQ 는 
PO 
PQ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
 →
(나) 삼각형 ROP 는 
RO 
RP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삼각형 POQ 와 삼각형 PRO 의 넓이를 각각  라 할 때,


r   1
lim  의 값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서술하시오. 크
→  
H (단, O 는 원점이다.)

∞ (o a)
①  ②  ③ 

V
 ⑤ 
"

42
l
cat ts]
ABQ :
AQ티캐 시키B :
매 =
@
' g
.

=
AQ2 - 1캐 =
'
1604

r=

(at ),
o


scry = rx r=
10
-
,

PO③ :
이동변 QCt. o)
2 2
Qpr) PQ H + P매
-

RoP
=
-
OR =
PR
×
n=
r
( =2r
) r
=
- '
r r =
Az+ (a-sA]
t
1.
K =
> a =

lcr ) =ar -
'

ar az = tz + az -ant+ 41t4
at Aa 4 it4 lt
, = + '
: a =+ *

m4

밝lcrysan ) ) rX r크
96

모 t =2 A
=
3
서 3 PoQ : × at × =
Sct)
Qr크 r
g

= 나 … ram
*
4
α 16
n
-
RoP :
* 1 +4lt) xt
(
=
Tct)
r34 ~
sx 4 -
r

L Jct) -scA ztt(시


ytt) & ft

=
3

.
= 오 4 )

ns 4 T
× r× 4tn A>O t ←30
- 와

= .H *lt
g

2
4× = 대 ')
21
?t 3
84
= ×
(

4
, *

16 함수의 극한
57.
57. 곡선    에 대하여 점 A  을 지나고 축에 평행한 


 
  
58. 함수  

 의 그래프가 직선   와
직선이 곡선과 만나는 점을 P  , 점 P 에서의 접선이 축과 만나는 점을      ≤ 
A 라 하자. 점 A 를 지나고  축에 평행한 직선이 곡선과 만나는 점을
만나는 점의 개수를 라 할 때, lim  lim 
P  , 점 P  에서의 접선이 축과 만나는 점을 A이라 하자. 이와 같은 →    → 

방법으로 점 A P  (     ⋯)을 한없이 만들어나갈 때,


의 값을 구하여라. (단, 는 실수이다.) 4


삼각형 AP A   의 넓이를  이라 하자.   
일 때, 두 자연수
 3
lst + 시 [oB)
 에 대하여 의 값은? 57. > fcon
=3 HD3 [ 시스)

①  ②  ③ 
V

1
④  ⑤ 


3

10
P ,( 2 . 6
)
Y '=

2] + 16
y =
24 c1 -

= 23
Y Q
401 3② 이
= -

AaC -
3
2
.
)
0

] 2
□ A 키( ,02

gmd ) gck) 의 Graph v


.

Bn ( am Qamz]
gck)
Y 2713
.
, =

6012
'
,
U
=

y =
6 anz [ ol an) + 2ams
-

j
y =
6amsol -
4 ams
K
1 3

Y = o 이면
Ans an. o
(
)
이 f
am
Anti (an1 0) 2

밝gck ) =②
.

에 -
Cm =② XC 3 )

am+ i 32am
= ,

밝gcgck D ) k 3-
gck) β

X
-
So = ( an- ami)x 2 - amz =
5m 4

:
봤청 gcgck
-
)D =

9
cs) =②

Sp =
③ I )×as
(
4
= 3
× 12 (×)
"
74
d
344248 345248

,
=× =

48+45 93
=
:
,

함수의 극한 17
18 함수의 극한
2. 함수의 연속

차례 취약문항번호를 적어주세요 확인

□□유형1
[대표유형1]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 
3. 함수   가
   
1.
1.   에서 불연속인 함수는?1.
세 구간  ∞     ∞ 에서 연속일 때,  의 값은?
(단, 와 는 상수이다.) 3.

①   
 
①  ②  ③ 

②  
 
   ≥ 
  

V  ⑤ 

    @l)
  ≠
③   

 * y =

fn g
,
가 연속불
    
    foy = 0 인 이에서 불연속
 ≠
t 에

V
④     
 며
     0이l+ D아니 a t =
,
b 통
=

     e

⑤    


 ≠ 바 애개 더 ,
불연속
∴ atb
& =
3,
    

2.
2. 다음 중   에서 연속인 함수인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4. 이차함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의 값은? 4.

고른 것은?2.
 
<보 기>
 (가) 함수  는      에서 불연속이다.

ㄱ.   
  

(나) lim 


→
ㄴ.   


ㄷ.   
 ①  V
②  ③ 
④  ⑤ 

V
① ㄱ ② ㄴ ③ ㄱ, ㄴ [가] fco) fc] = = o fcoD = aol[ D-H)
④ ㄱ, ㄷ ⑤ ㄱ, ㄴ, ㄷ
al(
(-o 짜저
)
사 )
= a
=
L . fco) x

: fcoD =
Ql( nl-y)
[ fc)
. X


fE3) =
G ×Q =
1 Q,

함수의 연속 19
[대표유형2] 함수의 그래프와 연속 7.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두 함수   와   의

5.
5. 함수   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다.      에서 그래프가 그림과 같을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대로 고른 것은?
7.
의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의 값의 개수를 , 가 불연속인
의 값의 개수를 라 할 때,  의 값은? 5.

①  ②  ③
V

④  ⑤  < 보 기 >

ㄱ. lim  
a = a ,
b 서 = - a+b = G' →

ㄴ. 함수 는   에서 연속이다.


ㄷ. 함수 는   에서 연속이다.





*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V ㄱ, ㄴ, ㄷ

7 11- 90 gc)> - 1
+
:
3 gn) 32 기
po ~

gcnDs 1
3 gcu) 32 31 0 K "

6.
6. 두 함수   와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을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6. fen) genn


=f- ng)
A fcongcon
"
)

1>- 1가 상 O +

이- 10 ,
f@) 9
.
아에
이1 -
품의 삶)fep ,
+
gonl faptgun k
=

.
,

8.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의 그래프가 아래 그림과


< 보 기 >
같다. 함수      에 대하여 합성함수 가
ㄱ. lim   모든 실수  에서 연속일 때, 상수 , 의 값의 곱은? 8.
→  

ㄴ. lim 
→

ㄷ. 함수 는   에서 연속이다.







*

① ㄱ V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efcon = I +- )
7 1

* fc No"
3 1
O- +

①   ②
V 
 ③ 
"
f( )o gcol) ④  ⑤ 

*+
j+
,-
불 1

" 이
⇒ 않fcongcoD
,
=
- 1"

fc0 D
= 2

fc 에 ) =
,
0f며

gcz) 9 Eo) gC디) K


= = =

닮 feoptgco = / 1 fcant 9 )

+?
)) *
cop No
① 미Col- DCoI-) + K
. 7 "

gco) =

= 913 - 3012+201 +K
gcol ] K

az -

3 z
. b =② - ab =
-
6
,

20 함수의 연속
[대표유형3] 연속의 조건 11. 함수             가 모든 실수 에서 연속이

되기 위한 상수 , 의 값의 합은?

9.
9. 함수       ≥ 
      
이 모든 실수 에서 연속이 (단,    는 보다 크지 않은 최대 정수) 11.

되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은?9. V 
①  ②  ③ 
④  ⑤ 
V
①  ②  ③ 
④  ⑤ 
이디

기이며ta - b) -bt
at2 =
za며 a = o

이미 :
IoIJ = D - ⑦

OIFQ
Ol> 2+ [IJ =② 4+ 2 (2a b) 4a bt 서
2

)
: : - -

1g - :[이며 : + gab= ga- b


+l
2a -
b+ 3 = 0

a= .
g ,
b =- 1

atb= -
3,

   
  ≠
12.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인 함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10.
10. 함수   
  가   에서 연속일 때,
   때, 의 값을 구하면?12.
    
상수   에 대하여   의 값은? 10.

  



 ≤  ≤ 
(가)   (단, ,  는 상수)
 ≤  ≤ 
①  ②  ③ 
(나)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이다. 주위자
V
④  ⑤  ,

U ol3fanltb
= C ①  ②

 ③ 
1-→2 [ol-p ④  ⑤ 
fcz] :
4+ga = -
4+ b
z
기 fasltb =
CPI-22 CI+K] fco) fc4]
= . = b8

(012 401+4) Col+k] b 8 @ o


=
= .
=
.

13 + )k-4( + 4 4k) P+4K


C
p
=
☆( 0
f(o =3 드에스이스)
4
-
]
)

에t
K 소 b lG 4
=
' a = -
1g .
=

p
od-2) (ol+*) fclby fc =fn) fcs]
*
) =
=

(
=
6 -
C -
6
=( I- ) p
fas]
2

. = - 2x3 + 8 = Q

오"
- atb+ c = ID, …

함수의 연속 21
[대표유형4]    꼴의 연속 15.   인 모든 실수 에 대하여 연속인 함수 가

13.
13. 모든 실수 에서 연속인 함수 가   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의 값은? 15.

          를 만족시킬 때, 의 값은?


13.  ~  
①  ②  ③ 
V
  
①  ②  ③ 
 
④  ⑤  ④  ⑤ 
 
oltb .
-
p2
fcoy fa fe )=- t
@

ratb 1 ta 1- 3 +l+3
f( 7
= = ) : -

l-g ol =

a bzg
-

b = a
-
g (D+ s] [O-H)

Co1-3
fcay k fenz A P1 3 + 91+ 3
-
pβ anl + a- -
)
-0×3
= ② -1 = 2 이면 4 -
2ata g =o -
=

기기
X
O13Q DV -
모 CJl+z] Eo-H) 마끼더

패리에휘까
a= 2

개미리에나
- 아 -s
미 (1 다
fcz] 화 ) =
2
-

= = ② )
OI Jg
-
I -

Q
9

= A 1
[H] 01 6) -

이비 ,
(ol+3] (1H) (o아-)
3 -J× 33
:
1G 5
=
"

4× 3 -
2 -

23 1.

5
,
".

16. 모든 실수 에서 연속인 함수 가


14.
14.  ≥ 인 모든 실수  에서 연속인 함수 가

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의 값은?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상수 의 값과 의 값의 16.
합,   값은?14. V
①  ②  ③ 
④  ⑤ 
 
①  ②  ③ 
  기 F -
z - fc 2]
- = -
8atb 8a -
b =
18
,

V

④  ⑤ 
)=anβ+
3
=an + 8a 18
 foon
-

Jl+ 3 ⑧ gI+ 3 Q
기 ca a- t a
-
.
o
: f = : = 2

anβ+ 8a-1
(J-23x fco)= 이니 - 작 자 fn) 염 ,
=

1 기t 3 .
2
- a = 2

에 1 개고
⇒ fcop = *
# 2913
θ
2
2013

A 2 ×3 + 2


-
-

=
X
1 이미 OH 3 Q pz
) J1+3 XQ
기므 OH 3 ②
-
-

[ol z
-

)C 1기 + H 에어 시
= 오 2(oH] (1FOH1] ( × 3 +z)
시 시 이미 11
fez) =
다 . 아의
=

=
Qx 3 × 시 = 2와

- a+ fca) = 2+ fcz) =
25 ,


fa) 24
=
,

22 함수의 연속
[대표유형5] 연속함수의 성질 19. 두 함수    ,    에 대하여 다음 <보기>
19.
17.
17. 두 함수  가 가각   에서 연속일 때,   에서 중 모든 실수 에서 연속인 함수를 모두 고른 것은?

반드시 연속인 함수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17. < 보 기 >




(단, 는 실수)  


ㄱ.  ㄴ.  ㄷ. 
   
< 보 기 >

ㄱ.   ㄴ.  


① ㄱ ② ㄴ ③
V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
ㄷ. 
 ㄹ. 
 f( 와 gu)모두연속이므로fcn
7 연속 야
gcn)
. ) ) 도 ,

.g ) o이므로연속야,
2
V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ㄷ, ㄹ ⑤ ㄱ, ㄴ, ㄹ
±
-fc) 9 n - ) =- 개
> K CKFo ]o
9lsa :fcon =
gn )
[ -
K
. "

) -
) 은 이야 그어에서불연속 No
feoy -go ,

김 . dsa : fcm) K , gcop


o CKFo] NO ,

18.
18. 실수 전체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 에 대하여 옳은 것을 20. 두 함수  에 대하여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18. 고른 것은? 20.


모두 고른 것은?

< 보 기 >

< 보 기 >

lim     이면 는   에서 ㄱ.  가   에서 연속이면 도   에서
ㄱ.
→
연속이다.
연속이다.
ㄴ. 가   에서 연속이면  도
ㄴ. 와  가 모두   에서 연속이면 도
  에서 연속이다.
  에서 연속이다. ㄷ. 가   에서 연속이면   는   에서
ㄷ.  이   에서 연속이면 도 연속이다. 연속이다.

① ㄱ V
② ㄴ ③ ㄱ, ㄴ ① ㄱ ② ㄴ ③
V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ㄱ, ㄴ ⑤ ㄴ, ㄷ

" . ) fou genb) fap 9


- +
- =

C기 )
.fen = 후 (.)
7
= o이gn No "
음속
)

K …
연속 이야 ,

p …

꽃 NO"
fan V
=3
마' af =!, 역
,.fo
에 기 기고이는

No k)ga

R
.179.fnn 7p IND,
)(
,
)
.


다fay
.
= fco) ' Afenx -) = f( ) k
o
"

함수의 연속 23
[대표유형6] 최대최소 정리 / 사잇값 정리 23. 연속함수 에 대하여

21.
21. 닫힌구간     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모두 갖는 함수만을     ,     ,   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1. 이 성립할 때, 방정식   은 적어도 개의 실근을 갖는다. 자연수


의 값은? 23.

< 보 기 >
ㄱ.       ①  ②  ③ 
     ④  V

  ≠
ㄴ.     
fco) fE foD는 C

     ~

= ⑤ 0o -
)에
0 대칭 ,


ㄷ.   
 
 
  
 ≤ 
f-y fe ) < -
z O fep fez) < o

fcz) fcs) Lo fe- s)faKo


① ㄱ V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fc t ]
- < O
,fe- 2 )> 0,fe- sKD .fcz ] >0 ,fez ) < o
,fe) ) o

7 fez) = 2 ,
fe) = 6 f∞) l 연송 K
,

y fcox)
=

h
A 애기 C+4)애)= 5
gcm ) 연속 이야"

좋매
,

행출총
3

. 함


올이
fcz)
fcz)
=

=
6

X
최대

최소 Wos,
24.       일 때, 삼차방정식

             의 실근이


"

존재하는 구간인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4.


< 보 기 >
ㄱ.  ∞  ㄴ.   ㄷ.  
22.
22. 닫힌구간에서 연속인 함수 에 대하여

 최대최소 정리를 서술하시오. ㄹ.   ㅁ.  ∞

① ㄱ, ㄴ ② ㄷ, ㄹ ③ ㄱ, ㄴ, ㅁ

~ ㄱ, ㄷ, ㄹ ⑤ ㄴ, ㄷ, ㅁ

fco) =
olcol a)col b) + Cpl b) (l x + Icol CJ col
-
- ~ - -
-
a )

fca) = (a b)ca-x > 0


-

fan) 삼과합수
fcb) =
bcb e) cb a) > o
- -


 함수     의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구하시오.22.
 
feog = -
bxc-a ) o

개* fcJ = CEc a )(c b) ' 0
fcn)
- -


=
외며

: : :

졸혹
최대 fcz) : = Q
a
b C

을치 ∴
- oa) , ( b )
,
o
,
Co .
e )
>
1 g

24 함수의 연속
27. 실수 에 대하여 직선    가 함수
실전유형
  
  ≥ 

  
25.
25. 함수 가
의 그래프와 만나는 점의 개수를 이라 하자.
      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차함수 에 대하여 함수 가 실수
  
   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일 때, 의 값은? 27.


  
     
 ≥ 
이고, 함수   가   에서 불연속일 때, 실수 의 ①  ②  ③ 
개수는?25. ④  ⑤
로 

1 0 - .6 ) 이면 m = 6
V
① 개 ② 개 ③ 개
2

④ 개 ⑤ 개 …

G m>6 :니


m= 6 : 2 재
Y fcon
=

YFO + Hb 에 정할때 m= 은
:
6
엇 2

> 3 대

물촘힘
m' 2 :

3
m g = :
1개

-

3 ~


3 .
C
-2 -

)
4 m= .


[JI+4301 63 마2)
qc)
-
- 0 =

Lfn) z) 5 55
gco)
3 은fco gcn) =계시
=
= × ,
=⇒
, ( fcn7 )
-
a

불연속1 "
.

26.
26. 실수 에 대하여 28. 실수  에 대하여 두 함수

집합         는실수의


라고 할 때, 함수 가 불연속인 모든 의 값의 합은?
원소의 개수를
26.
          
  ≤ 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를 라 한다.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8.
①  ②  ③ 


V  ⑤  < 보 기 >

2 ㄱ. lim  
외 Dx
β
D1 t 2(a 2] olf
-
3a 8 = 0
- =
Ca ②)
- -
3a+8 →   

2 =o
ㄴ. 함수 는   에서 불연속이다.
=
a 7a+/2
-

ㄷ. 함수 가 불연속이 되는 의 값의 개수는 개다.


=azor a =$ ',

faay ① ㄱ ② ㄱ, ㄴ ③ ㄱ,
V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Cort]의
J
' A = -

☆ 2
- 0 이 =

기z [2A+] oIt 화|
"

3
3

4t 4A+1 - t 로와= 0
=
… …

a 7
4


… =

a 5
ㅇ 3 * ≈4 - ,

3 A =
3

1




=에

함수의 연속 25
29.
29. 함수      
에 대하여 직선 31. 두 함수   ,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을 때,
 ≥ 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1.
    이    의 그래프와 만나는 점의 개수를 이라

할 때, lim  lim  을 만족시키는 실수 값의 합은


→  → 


 
 이다.    의 값은? (단,  는 유리수) 29.

①  V
②  ③ 
④  ⑤  i m ,3 m ② 
< 보 기 >
.
m

= m,
m . km '
4
ㄱ. 함수   는   에서 불연속이다.
y ㄴ. 함수     은   에서 연속이다.
2
= -
gn) + 2401 -
G시

와 이에 접한다. 
비 m

ㄷ. 함수    은   에서 연속이다.
2914 cm g]
.

gI +G3 =⑧    


2

2 Cy-g] -
8xG3 = 0

-2
l=± x 63m
8


V ㄱ ② ㄷ ③ ㄱ, ㄴ
m =a 시 - 6서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치 8
이 서 .

* fco179 ) 는
,
cn 없다 . 야
2 . mm .
ma > m : 씨 …
21 -
6 14 + 1 2
+ f 9col (0p - ) =
②- 9이며 fen No"
mas Q
.

m :

=
Q4 t * 6 14
gu
Fmoly [[ log 엠 gerox )
-

,
= α No,
1
)
-

4P + 업
m=
: -

2
=
97 3
- =
94' 
    ∣∣  
32. 함수   
 에 대하여 함수
30.
30. 두 함수   ,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
    ∣∣ ≤ 
가   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모든 실수 의 값의 곱은?
32.

 
①  ②  ③ 
 
 
④  ⑤
V

 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0.


다fcop
+
=- 9

, 삶
.fcoD-
= -
6

y fco7 xfEko ) 아

< 보 기 > =
I
3 에서 연속이려면
ㄱ. lim   
→ 
다f .
( kol )
=
0,

→∞

  
→∞

ㄴ. lim    lim  
   ×
5 3 k)β
c -
12 =0 -
9K
2
=
3G :
K =±②
ㄷ. 함수 는   에서 연속이다.
-
[ 3 k]β+ 3 = 0
:
K =± 1
① ㄱ ② ㄷ V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 x( )× ; - ;) 34
* feny9o)
: 2 × =
-
,

7 .
01 > 2 - fcn) - →fcz )
, 9o) → 0 :

=
-
=o ok,

. tr @ ,
A > ot
밟fcnxx +
[
있9 ) +
@ k ,


f 9

엄 ~ 다 . gcfca ) + No"

26 함수의 연속
33.
33. 함수        또는  ≥ 
 ≤   
에 대하여 함수 35. 두 함수      

 ≤ 
  
,     에

 이   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은?33. 대하여 함수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모든 실수 의 값의 합을 구하는 풀이 과정을 논술하고 답을
구하시오.35. 3 -

  ~
①  ②  ③ 
  ;] fco) 가 JFa에서 연속인 경우

④  ⑤ 
Afen lopa
2

음 fco)fafc-133 fcol )= a+ 4 = a 2a
-

= 1 + 3an )
+ -
+]
a 4 =
r

y fcxy
* 3 fcogtafcorpp
=
"
3 =
3 ta"
-

1 fBaz 3 ta
ii) feo) 가 ↑ aa 서
-
불연송의 경우
1

a 디 gca) = O a za G
-
- = O
,

ㅇ s a= -
b
"

- G+4 -
1 = -
3,

     
  ≥  
34.
34.

함수     가 모든 실수 에서 36. 함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댕

연속일 때, 상수   의 값은? 34. 에 대하여 함수  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서로 다른 실수 의 개수는? 36.
.
3 B

  
①  ②  ③
V

   ①  ②
V
 ③ 
  ④  ⑤ 
④  ⑤ 
  8 i) y fcoD가
=
1 - ⑦ 에서 불연속이다

탑 fcop Afcn = 밝ㅋ 1 1 )i y
3
3atb = fcn3xfcol-a) 가 실수전체에서 연속
-

3 =
, ) 스,

s+ - …
(- H3)( 1-3) ㅇ

fcolra ) 가Fa에서 불연속이면


fea)
>
탑 fcon atb , tfcn = 01 - = 1 a= d - 2 1, 2 3
3
-
=o :
-3
-
.
) =
) ,
-
3 -

-3 6
-3 colts]C1 - -
-

A

)
fn)가 IFo 에서 불연속이면
t 3

Batb 프 = fca] o a 4 2 - 2
= : =
, , 1
-
, 3
-

6
' 구 3
satbz
1
외 억
-

61
-

i
a = o, b = -

- a =
±g

) 오개
- a -
b =
, 1,

-
6

함수의 연속 27
37.
37. 두 함수 39. 두 함수  에 대하여 다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   대로 고른 것은? 39.


  ≠ 
     ,   
 
 

    < 보 기 >
ㄱ.   와   가 모두   에서 연속이면 합성함수
에 대하여 함수 가 모든 실수 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정수 의
37.
최댓값을 구하는 풀이과정과 답을 쓰시오. 4   는   에서 연속이다.

* 어기다 ㄴ.    가   에서 연속이고,   가   에서
)
의 fG) = o

fc에
fcol ) =[ol+1 ][I
3
+ poITE] 연속이면   가   에서 연속이다.
ㄷ.   가   에서 연속이고   가   에서

e

나 =
l P = 의 +- 불연속이면   는   에서 불연속이다.
마지 (이드) (기계potc) Tp+
C=
P
fco) = [ol+1 ) [oJ + P1 + P] ① ㄴ ②
V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O13+ BoI + P
z
=
CP +D 0) + 2
g fcn) 다g fcu) 염agco
,
: =
y g에
=
( ) = ) =

+
a p+ 1이크1 PoI +P > 0
.


=
a
2
NO"
P 4PKO
-

PKHKO
⇒ Kax 5
K
yFfcp) *

탑 fcnygco
a = p+ 1 ㅅ 9 9a)
=
)
1 o = 0 이지만
.
: sl
fo) 는 물연속 No

OFO 에서
"

,

Ʃ
g)
= o 이다 . ,

 ≥ 
38.
38. 함수    
  ≥ 
  
에 대하여    가 40. 함수    
    
에 대하여

함수     가   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상수 의


  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값을 구하면?
2
40.

논하시오. 38.
az
①  ②
~  ③ 
3 … …
④  ⑤ 


1o + 이면 2 : -01→ 2 -
,오t1> 2t

1- 0 - 이면 :
>
2
- 0132 t, Q
+ol- → 2 -

y = a 삶3f .+
(2 01 - )
-f ( ) -o
2

3 =
4 -
c 6 ta)

1 tI 3 fc
00 -
2 -
s() -
f(2+ol) 3 =
(G +a) 4 -

22
+3
a= =
과 4 -
6 a = ota
-
-


또 :
a- =- ②, ,

YJJJM
y =
fnn . 의

시비 ㆍ기연 아래
문징어올리기
=

,
,

28 함수의 연속
41.
41. 두 함수         에 대하여 함수 43. 연속함수 가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를

 만족시키고  ,   일 때, 방정식  은


   가 모든 실수 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순서쌍  의
 적어도 몇 개의 실근을 갖는가?43. Co .
] 대칭 ,
0

개수를 구하려고 한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41.

(단,  는 이하의 자연수) ①  ②  ③ 


 ④  ⑤ 
W
(1) 함수    가 모든 실수 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 사이의

관계식을 구하시오. PSq fcho fcz370 fcb]Ko
, ,

gcoDx : P
2
-
언0 fc- > D fE s]KO fc
,
-

,
-
5330

2
:
P K 8

:
:
. 혹회홍 함
일 5
5


(2) 함수    가 모든 실수  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순서쌍 : 5개
 ,

 의 개수를 구하시오. (단,  는 이하의 자연수) 16

P의 :
8 =② vl 0 :
9래

P = 2 :
q =
5 ~ 10
:
6 개
P = 3 :
언= 0 이개

- 160니
,

42.
42. 두 함수    ,     에 대하여 구간 44.       인 모든 와 에 대하여 ≠인 다항함수

 에서 방정식  가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도록 하는 가        을 만족시킬 때,
서로 다른 모든 정수 의 합은? 42. 방정식   이 열린구간  에서 실근을 갖도록 하는 정수 의
개수는? 44.


V   ②   ③  
①  ② 
V
③ 
④   ⑤  
④  ⑤ 
fco) -

gco)
= o hcop = fco) gcx) .

(K+3] X ( k 4] KO
hcol
-

) = 03+ 0 l + K -
B,

2 3 Kk < 사
hapxhcz = L-서) XCK+H) < O 6개
-
-
) K
,

7 - KKK

-
6 5- -
- 4 3
- 2

-1 t = -
g1

Ql '
,

함수의 연속 29
46. 실수  에 대하여 두 함수
고난도유형
     ≥,     

45.
45. 실수  에 대하여 직선    가 곡선      와 만나는 점의 
의 그래프가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를 라 할 때, <보기>에서
개수를 라 하자.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이차함수 에 대하여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6.

함수 가 모든 실수 에서 연속일 때, 의 값은? 45.


< 보 기 >
ㄱ.  
①  ②  ③
V
ㄴ. lim  lim  
④  ⑤  →  → 
y
ㄷ. 함수 가   에서 불연속이 되는 모든 의 값의 합은
y foy
=

 이다.






*

ct 4 =

① ㄱ ② ㄱ, ㄴ v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 t
=0 9

1
1

F aol y =
ol
-

y faat]
=
~> =fat) Act y =
-
4]

( 미
A
ㅇ 4

fca
] = 4, 9
cz = 의
) 1
-
OIR+ A = -21 1
z
+ 201 tt =
o D .
4 4t- =
o

:
A = t
∴ :
o2- . 1tt →⑤ kt
s
2 -
01 + t =
l Di l - = 0

: A =
$
이희 t 가 ) A 0
3
geo)] C0 : =
= -
o

1
ㅇ ( ty 1 ) . hEo] = 3 ok "

' catiy

y hct]
= = 모
(tnt시]

남hct - 탑없heat)
→+
)
.
= -
2

4 No "
3
[ t *) =

l
F a = o , 1
*
- ,

4 ( o< ㆍ*
+) t

야,

3 cat
1
=o
)
Q catEo ]

30 함수의 연속
47.
47. 실수  에 대하여 원    과 48. 실수  에 대하여  에 대한 삼차방정식

    


함수      ≤ 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를 라 하자.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개수를 라 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47. 이차함수 에 대하여 함수 가 모든 실수  에서 연속일 때,
 의 값은? 48.


< 보 기 >
V
①  ②  ③ 
ㄱ. 
  ④  ⑤ 
ㄴ. lim    
→   
미디 이희21t ~
= optz이와 U t

ㄷ. 함수 는   에서 연속이다.


=
y

! 홀여
Y = 3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의홀

A - 1 이면 faat) 의
=- 1 이면
t
*cA] =⑧
1- < K 3 이면
A fet] = 3

A 23
이면 fat]
=
=

A 3 > 이면 fet] = 3

fct]는 A = 1 A
-
, ~
=
3 불연속 ,

1 . A
=∞ .t 며
s t =
5
y fcut) gat) 아 실수 전체에서 연속
=

gct) gcat] CattDct ③)


= -

3
fa y -
+
qc)
=
2 -

4 = -
2

g - ②,

A
'
(
-

5 " -
1 5
V모

1 .

Ac 5] =
3 0 k,

*
*c -9
-A) =
3 k ,


잡 gct+
)
x ?fct +4 ) ]
= 3 X( 0+4 ) 2

* gct) 3 fct)
아 -
×
+ 43 =
(
2 × 2+4 ) 수2

gc3 ) fcD +43


x
1오 ,
함수의 연속 31


      50.     에서 정의된 함수   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49.
49. 함수       ≤    , 두 양수   에 대하여
같을 때, 다음 두 물음에 답하시오.50.

     ≤ 
두 집합  를     .           라 하자.
에 대하여  ⊂  를 만족시키는 의 최댓값을 라 하자.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9.

< 보 기 >
ㄱ.   일 때, 집합  의 원소 중 자연수의 개수는 이다.

ㄴ.  
 (1) 상수 에 대하여 함수   가   에서 불연속이 되도록
3
ㄷ,   에서 함수 가 불연속인 점의 개수는 이다. 하는 실수     의 개수가 일 때, 의 값을 구하시오. a=
-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 "

" 더출

,
$

(2) (1)에서 구한 의 값에 대하여 실수  에 관한 방정식

.
첼 -
0
* … 화
다행행 3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를 라 할 때, 를
구하시오.

*
쵤 합 …


a= 4 며 31 0 K 63 NO b의 최대 =
이면 az 3 gcz]
=
,
2

gc) 6
=
oK ,

at 8 a+8 a= 이면녀 . - 3 a여 이면 K = 2 ③
b=
2

-a로시이면2b - 8
[
gc )
a @ = ',

2 2

aKKO 이면

" … … . . .


a= -
이면 K 1 ←

yza z


5
르b
-

a= -②l JF - -
a
,
K
s

b
*
-
zaz - b gcay
= -

z
,

23
oK

> a 4 에서
=
불연속 ,

물다법에
DPDO
⑧0

*4
a
2 3
=

A> -
3
2
. 0 개 A = s … 고 4 A =
o : 3 개
AA
)
을 0
. 2@
의개 3
-
: Dacth1
*
6래 .
to : 0 개
,

32 함수의 연속
51.
51. 좌표평면 위에 두 원 52. 모든 실수에서 정의된 함수 가


       ,          이 있다. 실수 

    
 
에 대하여 직선    가 원  과 만나는 점의 개수를  , 원 와 


      
만나는 점의 개수를 라 할 때,    라 하자. 함수 이 
불연속인 점의 개수가 가 되도록 하는 모든 상수 의 값의 곱을

   
51.
.   
구하고, 그 풀이과정을 서술하시오.
" 일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52.

(단,  는 실수이다.)

< 보 기 >


ㄱ. 함수 는    에서 연속이다.
. l , ㄴ. 함수 가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 의 값이
존재한다.
ㄷ. 방정식    는 두 개의 실근을 갖는다. (단, ≠)

① ㄱ ② ㄷ ③ ㄱ,
v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50020

l.

Y =
Y

이와 (
=
m이 와 (2 ) 의

5 . a) 의
. 0

거리며
거리며 : m = ±
1
3
"


닮밟 +fcoD
: a
2

= fco) =
a
2
ok ,

+
밟 -

과 C5 ]
기 3
y = o @
-
.

asl
5 v a= o 이면 foD= o oK ,
미 5 93
- : 2
g

5 a 3
fao)
- = Q ar
-

다 . = a 인 이 =
o 개
1 No
"

3 = aw☆ca IT =
avs

m
a = ',
3


n 7 49 .
X = - ,

3 3 3

함수의 연속 33
  

   54. 양수 와 다항함수 에 대하여 함수 를
53.
53. 함수    
  

  ≥ 
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 
  

연속이고 역함수를 갖는다. 함수   의 그래프와 역함수


 

     

≠

    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가 이고, 그 교점의 좌표가 각각 


 

  
   
53.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귀 
라 하자. 함수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고 lim 

 일
(단,    는 상수이다.) →∞

때, 의 값을 구하고 그 풀이과정을 서술하시오. 54.


3Q


f gox) L fcsD +이
fox=
i

1-→∞ o이
=
= : 2
13t
p …

7∞ 기 (ol크az]

ei a 9cD = 6 L faptl fca)ta


0 olta 6 :
= =
o

( ) (ora)
다 fcpx)
밤ago) =
2
o아 y
- . a Colta] (olva)
=② :
fc -
a) -
a= o

fcoy+ l =
gEolta) cora] coltb] ,

불 f zcnta )(oracoltb) 2 catb ] G


YF
=
0 l+1
=

Eolta] (ol a)
-

, 91pa -

ai b = 2

t 2colta] [ofa]Ko]+b] = 2c -
a+b] = 은

t 25 기에리
0이 기( 'a a
[ olta]( ol-
fco)
=⇒ 에t )
fEoD +이 =
오 Lo +D (l -

][O+2)

fcn - atb 2 fao =a


=
) = , + =1,
b
fcz) =4 c +5=- 1 fczJ +2 = 2× 31 × 4

a = -

ab = 23 c =- 23 :
fcz) = Q
21 ,

4a+ lob -
1 Je

= -
Q+ i5 + 18 =
31

∴ BI ,

34 함수의 연속
3. 미분계수와 도함수

차례 취약문항번호를 적어주세요 확인

□□유형1
[대표유형1] 평균변화율과 순간변화율    
3. 함수       에서 lim 
→ 
의 값은?
1.
1. 함수     에서  의 값이  에서 까지 변할 때의

3.
평균변화율은? 1.
V
①  ②  ③ 
④  ⑤ 
V  
①  ②  ③ 
 
f coD
'
+
=
302 G 1- 3
 
④  ⑤ 
  ×

fc = 21 xG
> =
3

fcz) fc - -
]
2 (18 3)
- -
Lq -

)
3 10
∴ 3,
= = 2 2
"

Q] 5 5
3 -
C
.

      
2.
2. 함수     에서  의 값이 에서 까지 변할 때 4. 함수        이 lim 
→ 
 를

 만족시킬 때, 상수 의 값은?4.
평균변화율이   에서 순간변화율의  배일 때, 상수 의 값은?2.

 

V  ②  ③  ①  ②  ③
V

 
④  ⑤  
④  ⑤ 

fc47 -f)
f ca) 31
'

ffclh) fetzb)
= 가

$ 2
fC) '
. -

= -
3 × 1
n> o n
'

fc - fc ]
) 2 =
2
xf ca) "
3
f con
'

f cy
+ '

Q
)
= 30 Gpl- @ =
a -
a
2 = X ( 2a 5) -

3
-
a =
4
, 5 = -
3X ca -
a ]

32 =
3Q ③2
- a = ,
3

Formulas
t fcatph) fca qh) -
-

h →o
-
h
=
( P+q) Xf ca) '

미분계수와 도함수 35
     
5.
5. 다항함수 에 대하여 lim  과
 
값이 같은 것은? 5.
7. 다항함수 가 lim 
→ 
 , lim   을
 →
만족시킬
→

  
때, lim  의 값은?7.
① ′ ② ′ ③ ′ →

V
′ ⑤ ′
①  ②  ③ 
v
④  ⑤ 
L f(np) fca끄 α (olta) f caz)
- '

2ax
~

=
β 2 ,
olxan a
fc]
-

= o ,
f c며
'

fezy = 3 fc23 =
9
3

-2fc
않아 아
× fEon)

= 나 feni) x
☆= fcn )
0PgJ 1-g

합저 fn fcz

= )= 1 x
9
=
9 ,

q
' ,

     


6.
6. 다항함수 에 대하여 lim 

 일 때, 8. 다항함수 에 대하여 lim 

 일
  
때,
→   →

  ′의 값은? 6.      8.


lim 

의 값은?
→

①  ②
V
 ③ 
V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fcs] 9
=

t fun -f )
,

tj 1 f ca) =②
'
=

f(l+) f(s) /sg 1-2 x

*
-

지(0Hz )(1- fcah)


Af( a+ sh) -

=
4 × f cz)
'
= 2

+= t l -> 2 이면 A →③ n >0
-
h

-
)fct -fes
∴ Q,

않 =
×fc)
)

4 = 6
>
n,A + (cA-3 )

f cz)
'
= 2의

∴ fcJ+ fc) =
33%

36 미분계수와 도함수
9.
9. 미분가능한 함수  에 대하여 곡선     위의 점 11. 다항함수 에 대하여  ′ 일 때,

→
   
  에서 접선의 기울기가 일 때, lim 
  
의 값은? 9.
→∞

lim     


  
   
 의 값은? 11.


fcD = 오

①  V
② ③ 
  
①  ②  ③ 
  ④  ⑤ 

④ 
V
⑤ 

기 h -
odx ∞ .
h→ ot

f fop fc) * 1
③× f c) '

f (Hzh)- ( 1 -5h)
-

fau
며 f

= n×
pl1 기+이+ )
t
이미 =

h30t h

1
: , - Ta ,

  


12. 다항함수 에 대하여 lim   일 때,
10.
10. 두 다항함수  10. → 

→

lim 

 , lim   
→  
 
 
lim   
→∞


 
 의 값은? [ 점]12.

을 만족시킨다. 함수   에 대하여 ′의 값은?


 
①  ②  ③ 
① 
V
②  ③   
④  ⑤   

V
 ⑤ 
 

fcDtgC] =② , 'ED
f
) =②
'

텍 fch)
E④
+
q f-sh]
n→oh
+
다 . n
×3 =
4 xf '
co) =
3 :
fic) =
43
닭 fcog Q
>fc×
-

=

1 =
gc4)
,
]
Q
=- 오
1243 ( 01-4] gC9I)
않 (
'

f feoD fc ) -
④ 1
' 4)×
c '
×
] f
.) fo ,
p
*4 이4

39 )=
f

394%

÷
O
pP B - →∞이면 P
f c4)
'

6
,
= -
2
'

9 cED 8
=

4 '

h'c④ ] = 'E43gCD +fc) 9'c)


f
남 .
pr
×
3 fcp) -
fco,p

pfcp lp fo' '

남 ]
)
4 × 3 fi ,p
-

= -

GxGa3 + Qx8 =
28
=
4× =
0

∴ 081 , =
49 "

*
49 ,

미분계수와 도함수 37
[대표유형2] 미분계수 : 접선의 기울기 15. 다음 그림과 같은 다항함수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에서
15.
13.
13. 곡선       이 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      일 때, <보기> 중 옳은 것은?

일 때,  의 값은? (단, 는 실수다.)13.

①  ② 
r
③ 
④  ⑤ 

f()
'

o =
301+ 오ag) - 1 fciy = 2a+2 = 4

fco] =
13
+
01β 91+ 만
-

< 보 기 >
fa-3= - 1
++ 1 + 시 = 2" ㄱ.     
ㄴ.  ′ 
 
ㄷ.   
 





*

① ㄱ ② ㄴ ③
V

④ ㄱ, ㄷ ⑤ ㄴ, ㄷ

-
ofcbfla
b
)
-
-

)
시 No ,

14.
14. 삼차함수      와 두 실수 ,  (  )에 2 f ' cb ]> 위 No,
대하여

fcay
 

 
  
′ ′
   ,   ′  ,     도
a obro
-
-
o
<
fc) -
0
K,
라 할 때,  ,  , 의 대소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14.

(단, , 는 상수이다.)

①  ② 
③  ④
V
 
⑤ 

□> B
@

q
CJA
P+ 8
Q

=
3 7B
- C□

38 미분계수와 도함수
[대표유형3] 연속과 미분가능성 18. 그림은      에서 정의된 함수   의 그래프이다.

16.
16. 함수    

   
   ≥ 
가   에서 미분가능할 때,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점의 개수를 , 연속이 아닌 점의 개수를 ,
미분가능하지 않는 점의 개수를 이라 할 때,   의 값은? 18.

상수  에 대하여 의 값은? 16.

V
④  ②  ③ 
④  ⑤ 

) 이수에세 연속

- 1
= ltatb

1)
) 이수 에서 미분과능
①  ②  ③
으

= 3ta이미리)
[
f' )
n -
atg - Q
④  ⑤ 
-
az -
d b 은
=

4
,
며 r=
8
= 3
,

- ab = -

8,

17.
17. 함수     ≥ 
     
가   에서 미분가능할 때, 두
19. 함수 가   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을 때,
fion 33
= 이염이
상수  의 곱은? 17. )

 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9.

①  ②  ③  < 보 기 >
L fhol] fco)
-

ㄱ.    

V
④  ⑤ 
0dYot 71
ㄴ.    
fan fo)
8+ga 4b+g 여쁨아
-

=

구 ㄷ.    1
-

 
1gta =
4b 자




*

q
8+ ga = atatg -
a = 6 - b =
2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ㄴ,
V ㄷ ⑤ ㄱ, ㄴ, ㄷ

= 'Eop + 1
4 f

. No "
ab 7 '
- = & 7
,

'
fcop + f에
'

. 9 =
01 "

=
3f미체기

쁨 .


적 입03 fc = 380 ,7 체
이 ,

미분계수와 도함수 39
[대표유형4] 미분계수와 도함수를 이용한 항등식 22. 미분가능한 두 함수 , 가 모든 실수 ,  에 대하여

20.
20. 다항함수 는 모든 실수   에 대하여     를 만족시키고, ′  일 때, ′의 값을
Fo .
9
= o 구하면?22.

      3
 fco) fco] + fEo) +
= -

①  ②  ③ 
 
를 만족시킨다. lim 
 
 일 때, ′의 값은?20. :
fco=
-
23 ④ 
~
⑤ 
→

기 = o
U = o :
f( ) o
= fcox + 9co) :
9 c0)
= o
,
①  ②  ③ 

hfnth
V
④  ⑤ 
t fn)= )=
f cn) )
.ngph
' -

39 c0)
'
= 다

h→ 0
아ffay-fa ) =fc)
A 해
,
> f EoD
'
= G

fcolth) fcoy fch)


=
+
-
301 h + 23 -
fE)= G
"

f fcony
f ( ) A (lth)-
'
=

hsob

=
Afcb) -
301 bt 23
hoo h
(b)- fcw)
다f ? h
-

3013 = -
301 tfc ) .

f (op fc)
' '
= -

301 + 0

이수 : fcD = - 3 + fio ) : f미 3 ,

21. 미분가능한 함수 가 임의의 두 실수 ,  에 대하여 23. 미분가능한 함수 가 임의의 실수   에 대하여
21.
    을 만족시키고  ′  일 때,
   를 만족시키고  ′ 일 때,
 ′의 값은? 23.
 ′의 값은? 21.

V
① ②  ③ 
V
① ②  ③ 
④  ⑤ 
④  ⑤ 
pFo lFw fco]
fco)
= 업
PFo f
=
o : = 0

f coltu] f cu) + 2ol


' '

탑 nf
(nth) fcon) =

fioD
-

'in1) f co)
'
.
YFo : f =
201 t

= ← fcolk)+ fah) +2p축 fE-) = -Q + fi. ]


: fic) 더
nsoh

fen ) + 에 .
201
+
b
Lf
1

=
× 이
남 h>o olb 1"

f co) + f co) 이
'
'
= 2olt

' . 301 + f co)


'

f( 32
' c
+f
=
o) ,

fcy 4 '며
f

= 2+ 2 fc )' . = c

이 "

40 미분계수와 도함수
[대표유형5] 미분법 26. 함수      에 대하여 ′의 값은? 26.

24.
24. 함수     에 대하여  ′의 값은? 24.

①  ②  ③ 
④  V

①  ②  ③ 
V
④  ⑤ 
f 'iog 23
=201t [[PJ -3 + 3
C1(2m) x 3012

f coD 6015+ 4
'

fic 는
=

☆ -23 3 3 x + x

f c 면이
'

: ,

니 "

25.
25. 함수      에 대하여  ′의 값은? 25. 27. 다항함수  가       ′을 만족시킬 때,

 ′의 값은? 27.

V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 ②  ③ 
④  ⑤
V 
fio3 = 2 CI-30D + [ 2ol+3)[ 2 DI- 3)
f co)
'

f c③]
'
=
3012t 201 -
2

-
fcb = -

a "
=3 : 3 f 'c3] = 2M×6 = 33

fc② 매
'

',

f co)
'
p
=
301 + 201 -
2②

f ca)
'
∴ ← -
G1 ,

미분계수와 도함수 41
28.
28. 다항함수  가      ′  을 만족시킬 때, [대표유형6] 미분계수를 이용한 극한의 계산
 ′의 값을 구하시오. 28.
8     ⋯  
30. lim   
의 값은? 30.
→  

fcx
'

@ ) =301 p + 23 fcD 2301


-

①  ②  ③ 

fiD = 3+ 2 fE) 4 - : fc며 ④  ⑤ 


V

fcoD 11우 019+ 018+


= …
+
+ 7p 0 L- fe-] =o

f coD
'
=
3013 201-

← fa) f)= -

f )

J 1 -1 이에
f cz)
>
'
: =
8'
+ 201+ 1
fcn = 0019+ 9018×89 nt

)

…며
-8 +
f -7
7

∴ = -10 + 9

- 5,

fcoy
 
   
29.
29. 상수함수가 아닌 다항함수 가   ′을 만족할 때, 31. 자연수 에 대하여   lim  라 할 때,
→   의


의 최고차항의 차수와 계수의 합은? 29.


값을 구하면? 31.

V   ①  ②  ③ 


①  ②  ③ 
 

V
 ⑤ 

④  ⑤ 
 fcop =
m

01 +491 : fap 5 =

fcay anint
Hfen fa

=

an * ) )
fiy
-

= =

f cop
'
=
amoln
-
if …
,

fioy noin =
1
t 4 am = nt 의
fcop ap
3 f'
30 30
an01p- Z 1 +30
hk (K+4)
사에 304
=
=
- x30 +
K의 k=i
n
n= z 4a
=
o a =
*
) =
( 231 +×
] × 30

f(oD =41 + …

390+ 195 585


39 x 15
= = =

4
+ 2=
49 , : 585

42 미분계수와 도함수
[대표유형7] 미분법의 활용 : 나머지정리 34. 다항식     를   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34.
32.
32. 다항식 을  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하는  라 할 때,  의 값은?
풀이과정과 답을 쓰시오.32.1000l -

9a
①  ②  ③
V

④  ⑤ 
110
+ a+bt
= 3
ol-+ sQCp + an
[
법 기

9110 2014+ 01 +2 = [ol 1]sQcoB f apltb


pzQop+
-
-
looxg799
.
,
= Q (PI~)QPD +(or a이 F 며 :aoo

b 99 arb
=-

이디 : g=

Q
J
-
RCoB = 1oool -
99 ,
10019 8073+
.
) = 2 Col- BQCoD f[oI- 2 'Eo3+ a

이희 :
3 = a

a
= s, b = -

RCB = 3g)이

∴ BC]= 5

33.
33. 다항식     가   으로 나누어 떨어질 때, 상수 , 35. 다항함수 에 대하여 를   으로 나눈 나머지가
5
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논하시오. 33. a
4
b= = , -

1 일 때, 곡선    위의   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35.
①  ②  ③ 
V

④  ⑤ 
p
5
t an14 + b = CoHp& CMD: 9
F- 1 -
1 ta+b = o

5914 f 4ap)B = QEOIXD QCI) + [oXDPQ )


Eo
'
fEo3 = [PI- =QCO] + 3③1+②
D

야 1 -
: 5 4a-
=o
fc) 5 =
,
fiD = 3

45 b 4 f c)
'

21 xfcop
' 2
- a = ,
= -

,
Y = + OI x

며= afap+ fEDF B

-3 ,

미분계수와 도함수 43
38. 다항함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실전유형     
lim  의 값은? 38.
 4xf ca)
'

36.
36. 자연수 에 대하여 구간     에서 함수   의
→

평균변화율은 이다. 이 때, 함수   의 구간     에서의


 
평균변화율을 구하면? 36. (가) lim 

 
→∞     

 ′ 
①  V
②  ③  (나) lim 

 
→
④  ⑤ 

fcn+y -fcn
fcm+)] fcny
3

) n+의
= - = n+ 1
nftf -
n ①  ②  ③ 
V
④  ⑤ 
fca] fa] - = ②

fcs] -
f(z] = 3
[가] fcop -
13
o = -
olffaoltb ,

fcoD ol
3
o2t apl+ b
fC4)
= -

-
fc 33 = 4
f (ox]
'
- 201
=
312 ta
f( 5] -fc) = ⑤
기 ' 이 +자
(

7
라 g') =
f
a저

1
= -
: O1 O f
c

t f( 2oo] - fc199) = 200 201 × 19


> 저
f cn = 3012
'

]
-
201 - 1

199
f( 2 oo ) fcp =
Cn + D =
1 + 199
× 199 +
αf ' a)=
(
28.
199 ×7=
-

. 4

⇒ Z .

f(zoo) fea
199201 99
-

2oo 1
) =
201 201 ,
=

39. 두 다항함수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37.
37. 서로 다른 두 정수 ,  에 대하여 함수

     에서 의 값이 에서 까지 변할 때의


(가)    
평균변화율을 P  라 하자. P   을 만족시키는 모든 순서쌍

 의 개수를 구하면? 37. (나) lim 


→

   
①  ②  V
③  (다) lim 


→
④  ⑤ 

 
fcb) fcay 3 이때, lim  의 값은?39. hcoy fcpDg) 이면
BEa b) ,
=
-

=
-
bcbozayc b] -
- -
ac-
a] ca sb)
-

] → 
=

bra bro @
h cs)
'

a + 2a광
2 2 3
b (b -
2a ) -
a ca 2b)
-

b
3
-
2abz -

 
=
=
①  ②  ③ 
b -
a bra  
[b a) [ bztabtaz ] -
2 abcb a)
-

V 
④ ⑤ 
-

= = az ab+ bz
-

b -
@ " 

[] fc]+ 9 c3 )=② fcs] =


3
9 E3]
=
3
az -abtb
-

< 3 ,

f cs] + g 5
'
cs) =
'

i3 b = o : ap < 3 시미

lij b =
-
t : ast a .
2 ko 310 [다] Af ( z+2h ) -
fc)+ g ( 3-h) 9E3) -

ljb = l . az -
a -
z ho O . 1 h -
so h
t fc3tzh) fcs) + L 9(3 b) 9c)=
- -

' 3)- ' (z)


-
(
= 2 f 9 =
4
hyo 서 h 30 어
)Eo -1 ] Co 1 )
-

: (- 1 . 0 )C 1 . .
f '
cz) = 3
'

9c
2
) =②
4개
,

h ( 3) f (39 3)+ fcz)9'c3) 9


' '

G
c =
3"
= - =

44 미분계수와 도함수
40. 최고차항의 계수가 이고  인 삼차함수 가 42. 실수 전체에서 정의된 함수 가

40. 훈 1



   ≤ 
 
lim   

을 만족시킬 때, 의 값은? 40.   일 때, 다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  ′      
42. 320
대로 고른 것은? f 'cn
①  ②  ③ 
)

=에 
< 보 기 >
V
④  ⑤ 
 
ㄱ. lim  가 존재하지 않는 실수 의 개수는
fcz> = o) ,fa] = o -
fCo] =
[ ol-1 ](1 -
2 ] [oOI
-P → 
a= o 치
T 에서
개이다. ,

f (oD'
=
312- Qc 3+pyo이 + Q+ 3 P ,
  
ㄴ. lim 
 인 실수 의 개수는 개이다.
1-1) (01-2 )( -P → 
않데 - P -
I
2 -
22 %
) = p

   
= 1f ,p 저
(
1 fin p
(
)
2

)3 )(
=
- ㄷ. lim   이 실수 의 개수는 개이다.
→ 
2
P fc)
다fcatt
: = -

)-
h 이면* )
=
2 a= 1
t

. 자
더민 -
.
0
,

fcox) =
(ol-1KoI zyCol+2]
-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 fcb] =
4× 3x 7 =
84 I -
oFa 에서 미마이면 f ' ca) =
o a = t ② ,

Ica 에서 미분 불가음이면 a = o
에서
A hz- - chh
- h

0
h yot n
205 3
-

" a = -

개 IW .
f nz+ h Ch = o
)
-
- h

nyor 3

43. 두 함수    ,    에 대하여


41.
41. 함수   의 그래프는  축에 대하여 대칭이고,  ′ ,
43.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 41.
fEo)= fE-ox]
 ′ 일 때, lim  의 값은? < 보 기 >

→      f co) -'
' f
= c
)
.g
ㄱ. 와 는 모두   에서 연속이다.
V
①   ②  ③  ㄴ. 는   에서 미분가능하다.

④  ⑤  ㄷ. 는   에서 미분가능하다.


fc
'
-
zJ = 3 ,
fc '
-

=-9
)

- 기 01
-
) (0p) f( ) -
4 ① ㄱ ② ㄴ ③
V
ㄱ, ㄷ
← X 시까 ) -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3- fcog- fG- )
-
2

2 p 4
f

fc며 이고시 *gc에


극 xf ' 4)Xc - c
)=
4

③× xt - 4 =
)
9
이그

., *
fn= 며

) = 0
9 cD = o ok
"

fcj)
'

[
.fen
3익 이에시

=
No"
∴ ②
1 - , += )

c
01)= QEol-1D fCo) + CDr-
]
Rf'cn)
고 9

'
'
9 cD = o oK,

미분계수와 도함수 45
44.
44. 함수 가 닫힌구간   에서 46. 삼차함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의 값을 구하는

과정을 서술하시오. 46.


     
        
 ≤   
 ≤  ≤ 
192

로 정의되고,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44.


(가)   ′ 
(나) 다항식 는 다항식 ′로 나누어떨어진다.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이다. fc ] ② = o -
f cz]
'
=⑤

(나) 함수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다.


연송 fco) fez) f1Eo] fcz)
fan= ) (
ol-2p Enltb)
미디 =
, 기수마가 =

f co =
' 는

3 2 coI-2] Cnyb) taco-g]


 의 값은? (단, , 는 상수)
아)Ccatb)= oI 2) p QcanHb) +3 (or-2 aQI)
2 [ -

)

①  ②  ③  ( 3anl Qat2b] QCoI)


=
CoI -
2] -


2a 2b -

 이 =

④ 
V ⑤  3a

3012 ltb COE1 시)
tb 2axb
+ 2a0

1
a-2
f (1)
'

=
32 b = 0 b = -
sa
- -
z
3(ol 2) + 2acol-2
)
- b ( ≤ I 스2) =

이수 연송 :ta+b = Haxb fel) =


afb =- s a= z .
b =- 6

3 +2aab arb :gatb3 O


+
이디 미마 : =
- 3
-2
=

f co) fcz]
'
= : b = -
b : b =o :
a = - -
3
2
fcn =
> (
l- ] 301-6]

(

f 1 ) fco)
( z =
, fea] fel) = fco) fl)- fc) =
16 x (2 =

192 ,

= o -
cltatb) =
)
2 " 
X
     
45.
45.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  의 그래프가 다음과 47. 함수    에 대하여 lim 
  


→
같다. 45.
47.
값은? xf E1]
'
3

①  ②  ③ 


④  ⑤ 
W

D
f col3
'

= K2 에서

ki k
      0

f
'
38 %
 2
c=
=
함수       ≤   에 대하여 함수 가
 
    ≥ 
실수 전체에서 미분가능하도록 상수    의 값을 정할 때, : 3× 385 =
11551 ,

 의 값은?

①  ②  ③ 

V  ⑤ 
1z catDol+ b +1
+
CoKo)

1
fco)+ 9 con) =

-
01+1 ( o스 OK1 )
+
P c 떼)미 + d -1 LO11 )

연속 b+1

터제놓넓데내엠,
F. /
f')+
=

9 (o≤ I시 ) 수 연속 0 = G에

야o 미가 : +f =
a - >

기대 미가 : - = C+ 3

a= -
a .
b =
o, C= -

4 .
d =
3

46 미분계수와 도함수 : ab -
ad =12
48.
48. 다항함수 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48. 50. 미분가능한 함수  가 모든 실수   에 대하여
JF2에 대칭        을 만족시키고
fco)
,
=

(가)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이다.  ′   ,

  1
lim 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50.5
-

(나) lim   × f co) 4


'
=
f co)
'
=
12 →    
→  3

f cn) ② fcotb) fcny


-

'
=

nsoh
이 때, lim   
→∞    
 

 
 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을 논술하고
= ← fch)
-
207 h -
fco) = -Q 0 t fEo )
답을 구하시오. 48 n→ oh

1
h h >o
:
f [o )
'

1 = -
201 t f co)
'

= n ∞ ,
n
fnu)
삶째 Df
'
co)
f c] fel] f co)
-

'

4)=fco)
'
= 3 = = -
Q+

삼익 ×yf ( 3 h)-fc 4 +h)] fc ficotfi ] =o


아)(이주이 (

f co) fEoI)
'
+

20 l + fcp+a fcx)
t 2o1+
t
- - -
-

② f(sh) f( ) 3 fc4+h) fcD)


=

o
- .
이익 [o1 -KIz+ o1 + 1 ] 기[ l- ] Ko1 zfol+ ' )
=

n so
-

n
A
- 2 col- )
- 3fog-fep3 X 1
= - -

에 912+01+ )
남 f(sh) fc) f(4+h) fc4) 이미


-
-

=
×3
j ×=
-

.
학 . n =
국 -
② fci3
- 3
: fcD= f ' co네 9
=
3× f '
co) -
fic4) =
4× Xf'co )
=48
f co]
'
= -
201 -

9
:
-48 ,

∴ f< '
s) = -
15,

49.
49. 곡선       위의 서로 다른 두 점 A B 에서의 51. 다항함수 는 모든 실수  , 에 대하여
fco) = , f
'oD =21t fo)
      을 만족시킨다.
l

접선이 서로 평행하다. 두 점 A B 의 좌표의 합과 곱은 각각


 이고, 점 A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이다.  의 값은? 49.  ′
lim 

 일 때, ′의 값을 구하면?51.
(단,  은 상수이다.) →  


N
  ②  ③  ①  ②
V
 ③ 

④  ⑤  ④  ⑤ 

'
k 나 feny fnn -

U
=
30st 2 aol-2 =
체 이1
=
13 fcs) f =
'
c) = 2+ f Eo]
'

Bolp+ gaol K Q =⑧
(a)
-

= L 3fen .fa )
-

201 -fiy+ - 21 ) 1
않삶
7
(

k
-

-
2 2 ×

αβ= 3
29 =② (+>( o1 -Df 이미 기 서
서 β= - = 3 .

a= 29 , K = -
8
= fiy -2 = 2: fip= 2
,
@* 'co) =26
-

- - 2D
302 91 t6 = 0 이다 . : 2 ,

' =3 2
9 p .

91-2

이지 이면 : m= -
88

4am= 18+8= - -
10 ,

미분계수와 도함수 47
52.
52. 함수    에 대하여 54. 미분가능한 함수 가 모든 실수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킨다. 함수
lim 

× lim  ≤ 을

만족시키는 모든
→  →    

 ≠
실수 의 값의 합은?52.  


   
이   에서 연속일 때, 상수 의 값은? 54.
①  ②  ③ 
④  ⑤
V

1
  
①  ②  ③ 
  
V  
④  ⑤ 
 
1 st > . 이면 gco] O
=
1 = o = o

.ngcoltb θ gch) tao축


'
) -

9 c0)
g o)= 다 =

H> 0 n
' ' ' '
Qol + g
g coD 9 co)
'
co) G+ -2
9 cz] 9 co)
= = : =

,


B 6
'
201~2
:
g oD= "

fct) xt fctth) fct)


있어 nfctth)
-
-
and > fcnp 마 이수에서 연속,
≤0

hjor h
K이
f gcoD
-
&
= 5K+ 3 gc)
=
gK "
) 이야 t에서좌미분계주 X우미분계수 O 이] gl - 1

t 2kCl-)
2 . lt에서 미분계수 = o = 0 3,
9 xgco)
-

g() -
'
K K
9 cD
2 2 5K+ 3
,
= -
= -
=

1미 이어
K =

③ "

53. 연속인 함수 가 모든 실수 ,  에 대하여 55.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차함수 에 대하여
53.
f( ) .
uFofc2021 
미 o =
 ≤   
 ≤   일 때,   라 하자.
0 =

 53.
.
2

   ) f. p f() 20(
   ≤   
 0 =
)
. =

함수 가 주기가 인 주기함수이고, 실수 전체에서 미분가능할 때,


를 만족시키고 함수   가  에서 미분가능하면, 모든 실수 에
  
 의 값은? 55.
대하여   에서 미분가능함을 미분계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논술하시오.

y3 fco) =o 이면 fCoD 는 상수합수 ① 


V
②  ③ 
④  ⑤ 
2]
fcoy = 2o2 ) 이면
fenyfeh)
fcolth) fcoD fcn) 국
f coy A ② - ) CD
.

= fcn 스이)
-
'
2021
n
=

n
=
gcn )

3o
h 3o-

h "fc4 ( 스에씨

f fcoy 3 fcb) 20213 fc


'

feh) fco) )[O


L feo) 3) 스기찍)
× -
'

g con
-
=

.
= =
x
.
f

h>0 2021 x 서 . 20의 h '(1-o ( 스에씨

f(n) f'cz] - 'ca


f
:' ]
f
O
f(
)

f co)
' = c =
'

n) = *
2021
f co] -fEo] fcoy = fC]
'
= : fio) 0
=

f co)의 감존째 f(7) 도 존재 하므로


'

f coy
'

=
301 coI z] -
=
30160l
실수전체에서 fi) 도 존재 " foD= 913 - 301 주 K
fco) fca)
gcg] gco]
=
=
,

g( 8) gc )
6 - =
fco) fc )-
2

= K -
Lo -
12+ k) =
4
4
,

48 미분계수와 도함수

 
 58. 다음 그림은 미분가능한 함수   의 그래프이다.
56.
56. 함수 

    
 
 

 에 대하여 

  56.
lim 

      일

때,   의 값은?
→

(단, 와 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①  ②  ③ 
④  ⑤
V 

fclh)
* fcltsh) -

t = 2 fc)
h >0
-

h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     ) 58.
이 k
cn셔의
k세
f' × Ik + 세
시에서
K

< 보 기 >

kK
+
fKD
셔의 k
+
1 세세)
=

→ ㄱ.   
세 )
+
( ( ㄴ.     ′ 

셔의 ( 2
Tk 세 )    
ㄷ.    
 



=
9 ×2 +
t
9 [k 1세 ) ① ㄴ ② ㄷ ③
V
ㄱ, ㄴ

=
18 + 1
-1
. =
189
1 .
- 2 fc) =
5189 "
④ ㄱ, ㄷ ⑤ ㄱ, ㄴ, ㄷ

: OSa< b 이므로

57.
57. 다항함수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fca)
a
>
fcb)
b
aofa ofcb(
7- o
>
b
-
)- f

0)
야,

  ′  이고,   일 때, 함수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7.

①  의 값이 에서 까지 변할 때, 함수 의 평균변화율은 이다.


② 함수 의   에서의 함수 의 순간변화율은 이다.
  

~
    일 때,   이다.
  

④    일 때, ′  이다.


fab3 fcay
f cb)
-

'
> o 국 s

⑤ ′  인  값은 개다. b -
a

fcoy =
apint … f co) amolny 래
'
= …

외agin =
anolnt … = B= Q

Qcaplztboltc) = 이 [gapltb) -

01 +2

ab]s 2 bol+ 2c= Qaplz+< b - 1) ol + 2


2
+

fcoy fcD =②
-
= ao 1 p
1 +1 : a= ②

:
fEOD= 2012 -
01T 다 ,

f ( zatb ) fca)+ fcb)
< No
3
.
fezx
-fo = 7
)
1 = 3 사,
2
"

θ 0 -
g

. f ca= 40-1
'
: f cD '
=
3 0 치,
시 -
' [ aatb ff gaxby]
.

0

fon fe)
0
>

3 fap =②
-

> 3 No "
s
zatb, 2
flagtfo) )


.

)

913 와이면

과 증가 1 2

atb

- '()
,
oK,
f

5 = o

미분계수와 도함수 49
  
고난도유형 60. 함수 는  
   ≥ 
이고, 좌표평면 위에 두

점 A   , B 가 있다. 실수 에 대하여 점  에서


59.
59. 함수     와 좌표평면 위의 두 점 A , B 이 점 A 까지의 거리의 제곱과 점 B 까지의 거리의 제곱 중 크지 않은 값을
있다. 실수 에 대하여 점  에서 점 A 까지의 거리의 제곱과 라 하자. 함수 가  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는 모든 의 값의
점 B 까지의 거리의 제곱 중에서 크지 않은 값을 라 하자. 함수 합이 일 때, 의 값은? (단, 는 상수) 60.

가  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은 모든 실수 의 값의 합은? 59.

l

①  ②  ③
V 

①  ②

 ③  ④  ⑤ 

④  ⑤ 
AB :
9 23
= 0+ 2 , AB 중점 (o 2 )
Isut > t >o
2

AP A주 ct 6=QA 2- 12t+ 3 언 b zalt 일


g
-
= =
= .

2
t +4
2 2
A ②)조 t A "
4~
BP C = 2 -

= -

201 t 과 g
PP
2
> BP
2
2t
2
-

12t+ 36 > 2t
2
.
4 t+4 : t <의 Y =
-
=
ox) 의 교점 ,

350 :
%
BP: t>4 3201 t → -π
< = 야

AP

-
-

amd > tso 교점


1+ *
Q
과 9 201 +4의
Y
-
=

-
=

2 cat+ G]β= 2 t412t+36


+
AP A ~

- 3201
+ 2 =- +
: 41
4
= 야

8
-
4
t2 ct +4
= =

BP [ Aap+ Az 2

3 105 62 93
821
-

P = = =

tzttt t>
2
.tafit+ 36
2
>2 4 2 1. 4④
AP
:
BP 2 D
-

> 2

< :

PP BP2 ~ tk -

∴ 0P = 93, ,

2
2t

1
-

12t + 36
~ CA:4]
gct] =

2t
2
4
-

4t -+ G
tK4
-Q 스 ]
오 utzt 12t+ BG CAK g) -

⇒4

)+ t
'ct
g - * A -
=
2
. 4 미분 X
다2

50 미분계수와 도함수
61.
61. 함수      ≤ 
와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62.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삼차함수 에 대하여 ′의
     
최댓값을 , 최솟값을 이라 할 때,  의 값은? 62.
삼차함수 에 대하여 함수 가 모든 실수에서 미분가능할
61.
때, 의 값을 구하시오. 48
(가) 함수 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이고  이다.
3

(나) ≠ 인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이다.
 

fE -
2] = 0

V
1 ①  ②  ③ 
④  ⑤ 

-
3
ㅇ 6
>
fcl) =
[ol+2] (olztanl+ 1]

9 β+ ap+ 1 그 o
:az - ≤ : - ② 스 a 스2

Y =
fcnxqco) Y
'
=
f'(1)9 co) + foBaEo )

f c)
'

=
Ifanl+f + Colt2] [2olta)
gFof :
fio] 9co] + fco] q Eo] '
= -

9 c0) +
9
'
c0)

fiD
'

9 c0) 9 co) 0
= =

I= o -
:f c .] co ]+fc 0 9 c
' 9
)
' 0
) =9c ) +
39 '0)
=
atgy 3atb =
4at8

MI =G , m =② - M+m =
1G
이디 + : f (n 9a3 + fazq' ( E
)
=9C)
9 cy
= o

이디 fi)acy+ fapq 'cD= -


91)

gcny= 0 lzC1-1]

9 K4) 42 48
; = x3 =

미분계수와 도함수 51
63.
63.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차함수 가 다음 조건을 64. 원      내부의 점 중에서  가 모두 정수인 점

만족시킨다.63. A 에 대하여            이라고 할


때, 함수  ∘가 실수 전체에서 미분가능하도록 하는 점 A의
 64.
개수를 구하시오. 11
(가) lim  
  fCD= OD 1,
p

→∞ 

(나) 어떤 양수 에 대하여 열린구간  에 속하는 모든 실수


는  ≤ ≤  를 만족시킨다.
Y gon
=

 

′  의 값이 자연수일 때,  ×의 값은?
 3

V
①  ②  ③ 
④  ⑤ 
3 3
[가] fcoD = Col- 1 ] CIz+ moltm)
goB ⇒ I = - 3 . 03 미분 X
y
=
4 fco)
gcfEny) 아 실수 전체에서 미분 X
Y =
o ) + 301

U pl fcop 3
=
> ~
3 ⑦.

N
.

ayo GKD
fco] = O
y =
3

fcon ] =[ol-DCol+m)

f EoD YFo
91 ztmol + CoH) ( 201+m)
'
=

f ' )= 49( t mt 23
3
+ 2 m fus
y fa)
=

"
a
임의의 "
= 2m +
415 .
자연수

fcop 23 r fanE -

I app bol+ 423 c


+
alztbolt4 스 -
3
외이 fn )



02 + 43 %
apz+ bol + f Io ∞np+ bol+7 ≤ o

4
3
스 fico) = 크0l+ *



' 23 ' 2-
3
)⇒
( (

f ]
스 23 f

415

2m + 수 : 2m = -

4
l
m=
-

∴ 8xfc]= 8 ×2 × ( 9- 833]
=
144 -
66 =
78

:
178 ,

52 미분계수와 도함수
65. 사차함수       에 대하여 lim  의
 66. 두 다항함수 , 에 대하여 두 함수 A ,
65. →  
B  라 하자. 두 함수 , 와 함수 A는 다음
값이 존재한다. 가 양수일 때 ′의 값을 구하는 풀이과정과 답을 조건을 만족시킨다.66.
서술하시오. (단,  는 상수) 65. 32
-


(가) A  


(단, 은 자연수)

(나) 모든 실수 에 대해   ,   이다.

A′ 일 때, B ′의 값은? 무함수 미함수


a [- 48)
~>
①  ②  ③ 
foyt48
f fca] =~
48
V
④  ⑤ 
JiPa p페 a
-

2n
K2 에서
셔재 K
'

A

c떼) 여
AK1 )
f col)

bol -16
'
=
4013 t2 a fca) = aba lba
3
4a ol - -
= 셔

Qnczm+)] [4n+1)
= = 204
fca) =
adf - az- /6 az
b
= -
48 6

fcay= 4
a3- 2
o ba
.lbal
=
b =
81
Qa
3
. > nCan+D (4m+ ) =20 × 3

4x 9×m =4
a

a + ( zazf8] az - 16
4 -
= -

48 =

4 2
(a2-)Ca+12] 0
=
-
a -
8a =~ 48
ACn] =
fcoD+ 9 cu) BCO]= fcop- (n)
b
g

: a Q
=
.
= o ',

' cn + 9 ' 1), f ( ) 9 c1)


(
A' 01)= '
( ( '
f
) B ' ol) =
o
-

f con
'
=
4013 -
3Q δ

fEb]= f ' co =
)
- 32,
oIKA
(↑ K- )

셔재 =


kIK 818+n017t
= …
2 기주이

Acn) =
fny +gco" foB= 8018
+
6016 4914 2012
+ +

우 이 H77 5015+ 3013 + 이


+
gcoy
=

BCOD =
foy gco) -

f cp
'

f aD- gl]
' '

B Co) B CD
' =
' -

=
coD
9
=
G$+ 36 + 6 t 2
-
(49 x 25 + 9 + 1)

=
120 -81 =3

:
36,

미분계수와 도함수 53
67.
67.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다항함수 에 대하여 의 68. 양수 에 대하여 보다 작은 자연수 중 소수의 개수를 라

최댓값은? 67.
하자. 삼차함수 에 대하여 함수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의 값은? 68.

    


lim   , lim  
 인 자연수 이
→∞    →  
(가) lim 


존재한다. → 

(나) 는   에서 미분가능하다.

①  ②  ③ 
④ 
V
⑤  ①  ②  ③ 

V
 ⑤ 

f fcn - 3013 201= .


= 이면 :cn A
= 3013+2기주
)
+ 4

:
) …

n →⑧ +

-fcn fconqu)
0
-

91 의 .
ㅋ 합
)더: -
:1 -

9c3)
= 0

t fco) f co) 5
"

= 5 fco) = o
,
'
=
아 -3
0이>091
픽+ f) =②

fcnl3 =
3013 + 2012 + 501 :
fu7 디 .

CLL) 91 -→2 +fo) 수 9


= finphcoD + fcoph cn) '

fcn - 313 : fco) 701p 0'0


D
+ c
제4
2 n= g 이면 L

7
=
+
… … 이> 2 -fcn ) =
0이> ∞ ⑨ B+ 의 01x2 t oxhc2) + 1×h
'
(2 )

다 pfnn .

= 5 > fnD =
n013 + 512 : fc터 2 91-→ 2 ~ : oxhcg ) foxh( ) 2

h cz)
'
= 0

ff
,

3013+21중4
. fen = 4014t
(n)
fcnD xhcop
-

3 .
n = 3 이면: 탑
+
) …

gcai)
=

014
h()
이2 저 1
hcz)
않 Isf
1
= o
(nn
5fc) 4014 +5013 fu) 9 hcz)
"

= = : =
)2 - : 0 ×
.
0

: hcop - acol 1
)
.2 (Ol z)
-

다fcopxa
'
(ol -s) (-2)
= xa 시 위 a

. 91 3-


f (l ) 의최대수의, hco) 2)

(1- 3)
= CoI -

gc6)
=
3× h (6) = 3× 1 G ×3 = 44 ,

54 미분계수와 도함수
69.
69. 이차함수     에 대하여 함수 를 70.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가 다음 조건을

    라 할 때, 두 함수 ,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69.     
만족시킬 때,         의 값은?
 
70.

< 조 건 >
g c- - 'c- )=9- )f)
f
'
1 =6
1

   


)

 
- 4 스2'에) 스 8
f

(가) lim   (가)   ≤ lim  ≤  ~>


  
gcp) fcn) Col+zC C )
→   →
② 스 f En) 스사
'
: - =
-

,
(나)  ′ ≠ (나)         
fc-)to
(다) 구간     에서 는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일부이다.
이때 함수      의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의 좌표의 값의 합은?





*

(단,  는 상수)
  
①  ②  ③
V

  
①  ②  ③
~
  
④  ⑤ 
④  ⑤   

gcol) fcol) ( olptolta) x fcoc) fcog


- = -

=
fcn) (olptolta !)
x
-

(oJ taol+ b) (olfol +a


2 +
= - )=(o ( )

gcn)- fcon = (olfanltb ) ( olt olta- 1) 미울기 4 =


,

= CoI+D(ol+1) ( " )C 2
)

G디이면 fcop =
otol+b
(

geo) f(on
- = (olfl+b) (oI + ) 이
)
=이네 C ")
~

L > 이터 이면 b = o
"

+ 고

fco) =
01 주이 fco) ) fcD =②
기울리 =

. =
.

f co] '
= -2 , fED 4 =

y fcp
=
3
fcgD = aols+ bol+ 1
: -

f f ap=
'
& ai + b fcoo= = b - ②

이 ㅇ
fcop = ap$ 2 -2+ 1

fcD = a l- =
a : a =
3

fco] =
3112 -2 +1 ,

시 CIEo]

3
~
20l +
fcn) =

3012201+ 시C 0 ≤ 이)
시이 g -
CIEOI)

fC ) 2

-
= Q ,
f(2) =
43 , fC3) =
4

n
- 0

42

미분계수와 도함수 55
71.
71. 좌표평면 위에 그림과 같이 네 점

        을 꼭짓점으로 하는 사다리꼴이 있다.
이 사다리꼴과 세 점       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이 겹치는 부분의 넓이를 라 하자. 함수 가 열린 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은 의 값을 라 할 때, lim  ′의


 → 

값은? 71.

  

V
 ②  ③ 
  
 
④  ⑤ 
 

ct
,
)
4

=⇒ 남 s
OKt ≤ 의
fct)
tt*
fct) 2 t A
2
= ×2 × = A ← - 2 = k
~
" -
21
0-
+5 23
t
-

A
"

A

t+g
탑fc ←
+
=
)
527

→ uFol +1
2501 =
Qt+ 3
,

ol-A 2)
Py = 4A+6
- Q
( -

이 =
.

A+4 5
= -
201 +2
1 4. - Ats
)
2

)+
4.At
fct) =×
t

P KA ≤2 :
2× ( A +2- … X a
4

(2t
나 A+2 J
5 Q 5 5

2A 2 2t+o
4+
(
A-+ 8
)
-

=
X
5 5 5
+
t8tf1G+4 (A2 8ε-9, +
5t+ 40t -
20
=


25 5

2< A < 3 .
fct) =
.
21A 523 59 , t

-2
β+ -
"
,

A
A+②

56 미분계수와 도함수
4. 도함수의 활용 ( 1 )

차례 취약문항번호를 적어주세요 확인

□□유형1
[대표유형1] 접선의 방정식 3. 곡선     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이 직선
3.
1.
1. 곡선     위의 점  에서 접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1.     과 수직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은?

①  ②
~
 ③ 
①  ②  ③
W

④  ⑤ 
④  ⑤ 
'
3013 + 1201 + 10 1 2
M +f 0
의 더울리
Y
- =

Ui=
=
'
4011
Y =
오 대
uioFa =
Baz f /2atlo 과
"

3ap + 12ato= - Q

=
3 ca+az o . a = - Q

b = -
8 + 24 -
20 = -

: -a - b =② 에

2.
2. 곡선      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4. 곡선      위의 점  에서 그은 접선이 원점을

2. 지날 때, 상수  에 대하여   의 값은?
    라고 할 때, 의 값은? (단, , 는 상수이다.)
4.

①  ②
V  ③ 
①  ②  ③ 
④  ⑤ 

V
 ⑤ 
Ist >21 + p +
: P +⇒
Ist > 4 Y1더
'
=
40에 =
3

'
2nd > 301ptp
2md > Y 3 (1- 13 + 5 φ
=
=

( p +s) (1 ) +
정선 U 2
: = -

φ= 307+ 2
여 -

p
-
3t② :
P = -

1 8 = Q

ab= 6
,


q P
- = 3

도함수의 활용 ( 1 ) 57
[대표유형2] 접선과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 7. 곡선      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에 수직이고

5.
5. 함수      의 그래프 위의 점  에서의 점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이     일 때, 상수   에
대하여  의 값은?7.
접선과 수직이고 점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이

    일 때, 의 값과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①  ②  ③
V


구하고, 그 풀이과정을 서술하시오. (단, 는 상수) 5. ④  ⑤ 
Y = 2o1 3
~

대터 5
'
'

y =
6이의 =

,
(2 ,
fca) C2 = . 13

fcz) 며
:

50작
, ∴

y =

y = -

오 olt ②
5
ycrolt5
01 + 5 u -
5 =
0

atb = o
'
fcz) = -

4 +2a 작수 - : a= 6
,
,

d y 20) 3
9 2 (ol 2)시 : =
:
~
= -

"

6.
6. 곡선      위의 점 에서의 접선과 수직인 8. 곡선    위의 점 P  에서의 접선을 이라 하고, 점 P 를

 지나고 직선 에 수직인 직선을 이라 하자. 직선 의  절편을 ,


기울기가   일 때, 상수   에 대하여    의 값은?6.
 
직선 의 절편을 라 할 때, lim  의 값은? (단,  ≠)8.
① 
r
②  ③  →∞  ×
④  ⑤   
①  ②  ③ 
 
1 = Q+ a+ b 

~
 ⑤ 

'

내이디 Y 2이
'

U GoI+ a y
=
=
=
atb =② a = -

b ③ at C- t) + t
2
Qto 가- t
2

l Y
=

y
= =
.

e 2 2
2 t

25 = ( tt) + t Y t이 t +
=
m M *

: aebr =

,
… -
v

t
fcat ) 2

=
,
gct) : tA
2

*t '
e gct)
탑oZt=
t 2
=
2
-→ o txfat) . :

∴ 2,

58 도함수의 활용 ( 1 )
[대표유형3] 접선이 곡선과 다시 만나는 점 11. 곡선    위의 점 A 에서의 접선이 곡선과 만나는 점

9.
9. 함수     에 대하여 곡선    위의 중 A 가 아닌 점을 B 라고 할 때, 선분 AB 의 길이는?11.

점 A   에서의 접선은 점 A 가 아닌 두 점 B , C 에서 곡선


  와 만난다. 두 점 B , C 의 좌표를 각각 , 라 할 때,
① 
 ② 
 V 
③  

  의 값을 구하는 과정이다.9. ④ 


 ⑤ 

(1)  과 ′ 의 값을 구하는 과정을 서술하시오. fe-D =- 2 f-1)
'
=
6 ' 2

y
.

30)
4 3 c)-며
= =

f -D =- 2' ,
Y =
31 - 2

fco = 4013 -) 5
1

902fc
+ :
)

B
01 = 3 p1 -

(2) 점 A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과정을 서술하시오. Y = 50l+3
[-) Col+2)
2

1β - 301+ 2 =
l

Y 5 coltD ∞
Y 59t3
= :
-
=

AC 1 ] B (- 2
- 8)

AB = 82
92
+ =

10 ' ,

(3)    의 값을 구하는 과정을 서술하시오. 1B


014 3013 + =
501 +3

14+ 3013 501


- C
-
3 = 0 [P] 기+I - 3) = 0

1 1 5- - +이 - 3
12. 곡선      위의 점 P   에서 접하는 접선이  축,
3 0 =0
의 두금 PE
- 3

이 -
g Q 3 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Q R 곡선     와 다시 만나는 점을
[P 8)계시여 3
-

1   
S라고 할 때, PQ QR  
RS     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
1 g "
g3 .

기 1 3 의 값은?12.
=
1 , 3 0 - -
P

8
= I3 ,

l
10.
10. 곡선     위의 점 A  에서의 접선이 점 A 가 아닌

점  에서 곡선과 만난다. 이때, 상수   에 대하여  의


값은?10.

①   ②
V
 ③ 
④  ⑤ 

①  ②
~  ③ 
AC 1 3]
,
' 2

Y =3] ④  ⑤ 
,

Y l y
Y
olxg "
, (l+g+ 1
p

U
=

Y 301
= 30
' =

3 (ol b +3 2
= : = - .
-

- 2g 3
S 1B / =
01+Q 미 -
3o1 -
2= . 이에 2

Q( -
2 o ) PE- .1 ,RCoz) SC2 4) .

13 + 9
1
, )

31
, ,
=

13 -31 + 2 =[ ol+2 ](oID

caby PQ -
QR :
RS =
1 : 2 : g
a = -
a ,
b = -
q

: a+b= d
a+b
,
: -
= -

8,

도함수의 활용 ( 1 ) 59
[대표유형4] 곡선이 직선과 접할 때 [대표유형5] 곡선 위의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13.
13. 직선    가 곡선      에 접할 때, 음수 의  
15. 곡선      의 접선 중에서 기울기가 인 두 접선 사이의

값은? 13. 거리는? 15.

①  ②   ③   
 
 

①  ②  ③
V


V 
 ⑤     

 

'
④  ⑤ 
61-G12-  
9 이점점의
이 좌표 =②
=
,

' β
기대
Y 301 1 =②
= .
-

정점 2. 4
)0 여 [- H
-
5]
(

접점 [ 1 ,
2 ] 정점[ -H , J
2

5
acol-23+ 40 rY
= 12 ( o1+) -
= 2COH) + 2
Y 2 Lol-yy + r
M
= 2

9 디21 20
U 12 n1+ 7
=
-

b .
9

=② ol , la 9 =②t의 :

: . K = 0Q 0 ,

.위의C 0- 0
) 에서 l ∞: 201-
y +4
= 0
의 거리 ,

4
>
5
=
54 5
,

14.
14. 직선      에 평행하고 곡선      에 접하는 16. 곡선    위의 두 점 A  B  에 대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   라고 할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곡선 위의 점 P 에서의 접선이 직선 AB 와 평행하다. 삼각형 PAB 의


값은? 14. 넓이는? 16.

①   ②   ③  
④ 
V ⑤ 

y 21- 1 m ②"
: = -
= -

y
'
- Q01 +4 = - ② :1 = 3 ,
9디

b 2 (1- 3) 에 U ②01+
7
=- =-

m m
θ
… - =
 
-

"
①  ②  ③ 
 
 

~
 ⑤ 
 
4 5
AB의 키울키= -
-

=-
3
"
AB 의 일이 :
3 10 ,
3 -
0


'
= -
모미 =
- 3
:P 외 기좌표 =
23 , 9
=④ -
p (z
,
1
"
4 )

Y =
3o175 와 PC 3
, "
]의 거리 "
4
19 - - +5

7

=
= 과
3o1 -

y +5 = o =

w D

PAB= 2
× 310 m

4 %
=

8
"

: 7
,
δ

60 도함수의 활용 ( 1 )
17.
17. 함수    의 그래프 위에 두 점 A , [대표유형6] 곡선 밖의 한 점이 주어진 경우
B 에 대하여 두 점 A B 사이를 움직이는  위의 점 P 가 19. 원점에서 곡선    에 그은 접선이 점 
  를 지날
있다. 삼각형 ABP 의 넓이가 최대가 될 때, 삼각형 ABP 의 넓이는? 17.
때, 실수 의 값은? (단, 접점은 제 사분면에 있다.)19.

① 
 ② 
 ③
~
 ① 
 ②  ③ 
④ 
 ⑤  ④  ⑤ 
~

5=
Ist > AB 의 키울지 =



lst > 3
'

9 =
4013 . 접점 GP P4+ 123 , , 겨울기 :
KP
Pca b]
.
gnd > f (aD
'
= -
solt5
4
Y =
Ps
4 (OI P] + P +12
-

ACS 5 ]
,
f ca)=
'
- 2
at5 = - ) : a =
s

fcay fcs]=
n PC 3 7 ] gmd > ) 을 지난다
=
(o
.
. o .

4=
=-
4
P
4
P
+ + 12 P 4 . P I CP30)
=

3 ad > AB = 42
BC 5 13 ,

P5Y = -
01 + 6 외 거리
정선 :
9 =
82 (가 - ∞) + 6
3+ 7 -
G
l+y
-b =
o -

g
Y =
821 , CQ KJ ,

= Q 2

l6
:
PAB =
②×42 × 2 2
,

= 8,
18.
18. 닫힌구간     에서 정의된 함수


 
       에 대하여 곡선   와 직선   의

교점 중 원점 O 가 아닌 점을 A라 하자. 점 P 가 원점으로부터 점 
20. 점  에서 곡선     에 그은 두 접선이 서로

A 까지 곡선    위를 움직일 때, 삼각형 OAP 의 넓이가 최대가
수직으로 만날 때, 상수 의 값은? (단,   ) 20.
 18.
되는 점 P 의  좌표가  이다. 상수 의 값은?

 
①  ②  ③ 
 
 

V
 ⑤ 
 

2P2 +
, 기울기 P
'

y =
미 -
정점 CP ,
)


'

Y PCoJ P] + P +2
= -

Y = PoI - PtQ ,

   Y po) 오 P+2 가
= Coa )지산다.
-

①  ②
V
 ③ 
  

④ 

⑤ 
 a ← P+ 2 2a = -

p+ 4
 
Pz+ 2a -

4 =
o

1 > fcoy =
aol(oI- p
2

와 미의 교점
:
A 2a -

=-
4
t- a =
23
2> f (*) 의
'
f ' cop= acol-2)
z
+ 2a@) (o1 2] -

= 두근의 공 = 기
f (a = a영
'

- 49 at axl- )
,

a
= s
,
4

도함수의 활용 ( 1 ) 61
21.
21. P   에서 곡선   에 그은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일 [대표유형7] 접선의 방정식 활용
21.
때, 양수 의 값을 구하면? 23. 점  에서 곡선      에 그은 두 접선의 접점과 원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23.


  
①  ②  ③ 
   ①  ②
~
 ③ 
  ④  ⑤ 
④  ⑤
~

 

t, 접점 CP. P2 -P] 겨울기 에


'

'

4mB 정점( P. mp ) 4
기울기 4mP
3 y =2
l -
,

Y =
,

=
4 = & [P-DC I-P) + P P
4mp 3 (l p) + mp
정선 Y
: = -

Y =
(2p ) 에 P
-
-

2 β
J =
4P -
2 -

P >
p -
4p + 3 FO
[o - 6) : -
G ← -3 mp 4 : ②=
mp 4
:
β=±
4

m P =
1 ar 3
.,

미울기 =
mp3o )므로
접점 [1 0 ) [ 3, 6)

( m]
,
3

fkmp

4m * x
4 m ×
.
C3 6]
.

4
=
-16mx (ma)여 ∴ 시 × G = 3,

28 × m× m L2]여 m
=②
i
,

6 은1 .
)
.

22.
22. 점   에서 곡선      에 그은 접선의 접점을 P 라
 24. 원점을 지나고 곡선       에 접하는 모든 직선의
 24.
기울기의 곱은?
할 때, 
OP 의 길이는? (단, O 는 원점이다.) 22.

①  ②  ③ 
① 
 ② 
 ③ 
 ④  ⑤
V

④ 
 ⑤
W


P주3P 1]
'

Y =-
201 + ,접점 ( - -

3 P

I PH+ 3] 기울지
3
'

Y = Q 013 정점 CP ,
,
: &
P Y =
( 2 +3
-

p ] [oI P)
- -

P+ 30 이

O
2 2

p- P 비
+ p4+3
1 =
=
B
2 3 P P +3
p ( I-P )
-
-

3 ,

Y = &
( O -21)

P +
3 16= - 며 이면 키울리 디
-

QF -
4 p
4 P
=±Q
3
P =
- 1이면겨울) =

PC 2 1) ∞ PC 2, 1 ]
5
-

,
:
,

-
op
=
125 =
55 ,

62 도함수의 활용 ( 1 )
25.
25. 곡선         위의 점 A 에서의 접선이 27. 그림과 같이 중심이 원점인 원이 곡선     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접할 때, 원의 넓이는? 27.


축,  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B C 라 할 때, 삼각형 OBC 의
넓이는?25.
(단, O 는 원점이다.)

P (a-a+4]

①  ②  ③ 

V 
④  ⑤ 

9

9
'
=
301
p
- 601 + 2며= 더 ①
V

  ②  ③ 
 

CorD+e 0H3 ④  ⑤ 
 
Y
-
: = -

BC 30] CCOo 3) Y
'
= -
2 이 yi) = a
= -
Qa
,
-
a+4
OB =

:
× 3 ×3=
29
,
-
2ax
-
az+4
=
1 : 29
z
-
= 터
8
a=
n
,
a 2

op =+ )
( = 41
4
=Gt(-9+ )


415 ㅠ

28. 곡선    과 점  에서 접하고 중심이  축 위에 있는

26.
26. 곡선     위의 점  에서의 접선과  축 및 축으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8.

 
 
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가  일 때, 상수  의 합  의 값은?26. ①  ②  ③
V

  
(단,   )  
④  ⑤ 
 

①  ②  ③  Y 714
=

④  ⑤
V
 '

4 4013 =

Col-D +K
정선: =
'
K b
a세
U
a
= = 2미 Y
, ,

(oh] l의 기울기 =

Y = &oI + K
-
은 1 [o . @) 와 C
11 의키울리=-
)

44
5
: = - a*

. 1

Is 9
21 Kk-
* r= 12+
[*]= .
-

* Lk 23 x
-
Q =

N
*

-2
∴ K = 3 a=②
,
,

r =4
n
= -atk5,
=

도함수의 활용 ( 1 ) 63
[대표유형8] 롤의 정리 31. 다음 [보기]의 함수 중 닫힌구간      에서 롤의 정리가

29.
29. 함수      에 대하여 닫힌구간   에서 롤의 정리를 성립하는 것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1. f-) fu)
이고미보가응
=

만족시키는 실수 의 값은? 29. [보 기] "

ㄱ.      

 ㄴ.   
①  ②  ③ 
 

     
 ㄷ.       ≤   
④ ⑤ 

V
     ≥ 


V
ㄱ ② ㄴ ③ ㄷ
y fcoc3
=

④ ㄱ, ㄴ ⑤ ㄱ, ㄷ
X Rolle s Theorem
'

물을
'
,

- 이1
"
b 마가
[abJ 연송이고 Ca ]
Y=


.

fcay fcb) 인
= a와b 사이에
:
ac, oEg b f cx '
=o



존괘
미란스
인 C가 ,

No ,

f coy ' cc = QC- z


'

= 21- .3 f
)
= 6
F .

,
= 23

물랬
C

NO ,

30.
30. 함수 가      에 대하여 닫힌구간 32. 함수       에 대하여 닫힌구간     에서

롤의 정리를 만족시키는 상수의 값이  일 때,  의 값은? 32.


    에서 롤의 정리를 만족시키는  의 값은?30.
(단,   )

①  V
②  ③  ①  ②  ③ 

④  ⑤  ④
W
 ⑤ 

fco) fca) Garf ga+ l


3
I = a -

f ca]
' :

= -
2 c+ 6 = 0

O = aca -
sp a 3
"
=

- e =
3,

f cb)
'
= sb
-
y 2b+ g = o : b = lorz .
b여

- a+ bil ,

64 도함수의 활용 ( 1 )
[대표유형9] 평균값 정리 35. 다항함수   의 그래프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35.
33.
33. 함수       에 대하여 닫힌구간   에서 평균값 의 최댓값은?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가 존재할 때, 의 값은? (단, 는 상수) 33.


(가) 점  을 지난다.

①  ② 
W
③  (나) 좌표가 보다 크고 보다 작은 곡선 위의 임의의 점에서의

④  ⑤ 
접선의 기울기가 이하이다. KOK 3 fcon≤ 4,
]
,

fe3] fco)
-
27 9K+ 6
-

스 =
- 3K ①  ②  ③ 
3 -
0 §

~
 ⑤ 

f EoD
'

= 3p12 -
2kol +2
13 13
f E ) 디4 4K
O p
'

2 -

11 -3 K
14 -

4K

:∴ K = 3
',

1 9

O 3 O 3

X 이,

34.
34. 함수     에 대하여 닫힌구간     에서 36. 함수      에 대하여 닫힌구간     에서 평균값

평균값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의 값은? 34. 정리를 만족시키는 상수 의 값이 일 때, 실수 , 에 대하여


 의 값은? 36.

  (단,     
①  ②  ③
V

  ①  ②  ③ 
 ④
V
 ⑤ 
④  ⑤ 

b b- az )- c )b a
+
a= ( )(b-
-

fcg fc) 16 16tg -[ -+z)


4 4
bta a
4
-
=
atb- 4

- 다

b
-

= =
여 a
-
b -
a
X -
1 3

f ca)
' f'coD =&n 14 f cs] =②
'

= 2e -

4수
,
atb ~=②
C =
25 :

… atb =
G
',

도함수의 활용 ( 1 ) 65
37.
37. 함수   는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39. 미분가능한 함수 가 lim  ′  일
→∞
때,
 에서 미분가능하다. 가 에서 까지 변할 때 의
lim     의 값은? 39.
평균변화율과    에서의 미분계수가 같게 되는 실수  의 개수는?37. →∞

(단,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V

f (oHz) fcol 1]
-
-

× 3 LC
1- K ]
.AH
(OH2) -
Col i]
-

⑤ f(H2) f(가)
-

X3
D - o oltg
3
( - ]
(
Ol- D

f ca]
'
=
x 3

P- >∞ C -
→ O
①  ②  ③  ②,
,
-

V
④ ⑤ 

4 개
,

38.
38. 모든 실수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40. 함수    에 대하여

같을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8.  


   ′
(단,        이다.) 
를 만족시키는 상수      의 값은? (단,   )40.
  
①  ②  ③ 
  
 V

④  ⑤ 
 

(atb] az
2

zath
-

f cpy
'
=
gol f '
cat @h) = Qa+ 2 h

< 보 기 > ath


2 = &@ h :
θ= ,
 
ㄱ.      ㄴ.   
 
 
ㄷ.  ′    ′
 





*

V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fcb)
ofca
) o 0
-

No"
-

a
fcan-fe
,
7 k
- b -
6
. ) 이↓ "
c a

anfanfon
-


fin ' -

< f ca)
'

OK ,

66 도함수의 활용 ( 1 )
41.
41. 함수    에 대하여 상수      가

     ′ 

를 만족시킬 때, lim 의 값은? (단,      )41.


→

  
①  ②  ③ 
  
 
④  ⑤
V

 

fcnlth .fco )
=Op+31ph+3 ph+ h
3-
ols lhth
2
)
= sopt 30
h h

fc) =3(oz+2 lh + @zbz]


'

미 =
301

f'(oxah )

3012 +G0 l0 @ h + h
2

zplh + hz
3

3op+ =

30lh+ *hz = G010 h +3Qh


2

B 0l +h = b- 1 + 30h

h
3 @ +
z
GoI θ -
3ol - h =⑫

plbtzh
t 2
-
3plt 902 9
버=
3h

3p1 t 90p+ 91 htshz


:
=-
3h

-30lt9olptalhtzb sl -app주9piht 3br


.

f

.
② 주

h 30- 3h
-
-
3p 1 -apl주ann + zh
2

al9 olh zh
- 2

q app .

ho sh ( 3pl aolz+ aolh + 3hz ]


-
-

= A -
3 hczol +h)
hoo
3h ( 30% -9p12 +90 h + 3ha ]
-

301+h
=

다-
90ptqnht
. 301
=
= 3 m)

+31z

도함수의 활용 ( 1 ) 67
44. 곡선        는 의 값에 관계없이
실전유형 항상 일정한 점 P 를 지난다. 이 점 P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   이라 할 때, 상수  에 대하여 의 값은?44.
42.
42. 함수      의 접선 중에서 기울기가 최소인 접선의
 
V
①  ②  ③ 
방정식을    라 할 때, 의 값은? (단,  는 상수)42.
④  ⑤ 

①  ②  ③  o+ I +)Ca+13 -01 +2 ~ 9
2 = o

④ 
V
⑤ 
[ l+ipa+ 913 OI -
-

Y+2 = 0

f CoD
'
- 크
= ③ D2 GI = 3
COH-D -
3
이야어 ,
UFg
=
PC -1 ,
2 )
,

fey 5
=
.
fc ]
'
, =- ③
'
p

y 3o1 + 2ap) t2a


= - l

y +⑤
:
y = 3 col
- -

U -터 = g
Y ←
301 + 8
-

… a+ b = 5 FQCl+D+②
),

m =② ,
거= #
∴ mtn= G,

43.
43. 그림과 같이 삼차함수     의 그래프 위의 45. 양수 에 대하여 점  에서 곡선    에 그은 접선과 점

점  에서 기울기가 양의 값인 접선을 그어  축과 만나는 점을  에서 곡선    에 그은 접선이 서로 평행할 때, 의 값은?
A , 점 B 에서 접선을 그어 두 접선이 만나는 점을 C , 점 C 에서 45.

축에 수선을 그어 만나는 점을 D 라 하고 AD   DB


    일 때, ①  ②  ③
V

의 값들의 곱은?43. ④  ⑤ 
기울기인
AC의 I BC 의 이울기

Ist > 정점 [P 3Pz)


=
= 국
ap

이월기
:

=
~
,

y apz [oI
= -

P] + 3
P Ca o] ,

Q
O =
9pza -

GpB a =
③ P
,

2
and > 정점 CK ③K )
3
미울리 =
qK
 
①  ②  ③ 
,

 
9K ol K] + 3 K
3
Y
(
= -
[o ,
a)
 
④  ⑤
V

  a = -
GK3
fE33=
, ,

f EoD
'
= -
3DR+ 801 -
3 : - G
K"
2

9P
2
9K P
f ca) =②
= = -

'

"

32 P = -

GK
3

-
3as+ 8a 3 =② -

QK =
3
GK
Ba. 8at5 35
- -
=o :
,

K =
9K
3
K =±⑤ :
K = -

31
1
:
P =
3

2
a l 미)
=

45a =
,

68 도함수의 활용 ( 1 )
46.
46. 점 A 에서 곡선     에 그은 접선의 개수를 의 값의 48. 두 다항함수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함수

범위에 따라 구하는 풀이 과정과 답을 논술하시오46.K 72 0


개 의 그래프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이
   이다.   의 값은? (단,  는 상수) 48.
K= 의해
' KK 2 - 2

정점 ( P P-P)
Y
=
20시 ,
(가)      
미울이 : 2
P1   fcz) 9cz) = 6
lim 
-

(나)  
 
f cay c23
'
→ '

9 -만
- =

Y =
[2P-1]Co p3 + -

PEP
=

Y =
C2P 1) 이- -

P (2 K)
①  ②  ③ 
.

④ 
V
⑤ 
K 22
+4
p
'

P
=

gcpu opfcok)
-

4 fcz]
-

[카) )= -
5pl 5 -

gcz] = - 15
'

g <ol) = ol
2
fcop+ o 12
f
'Eo ) 5 0
-

g cz)
'
=
4 fcz) +4 f2) 5 -

FK , =
-< -
P

2+ Q
fcz) gcz)
=
gcz]
=
4fc2] -
15 : fEz) -
9cz3
= 5
K >2 : 0
래 gca> 4 f c2] fcz) =4 '2) + 1 ⑤
f

g'Ez
'
=
+4 -
6 )

fiz) 4
8)
=

K=② 개
9 cz) fc) +재 fcz] +2n
'
( = '

4 fEz] +15
'
: '

9c ] ③
= )
2 =
KK 2 :
오니
y gcz)( 01
=
'
-
2) +
gcz)
= 31 cM-
Y
)+ 5:
z
9
:3101 -
5m

49. 두 다항함수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b 88


47.
47. 곡선     에 접하고 기울기가 인 접선은 두 개가 있다.
a =
,

이 두 접선 사이의 거리는? 47.

(가)    



 
 
  
①  ②  ③  (나) lim  
    →

 


V
 ⑤ 
  곡선  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이    일
b 때,   의 값을 구하는 과정을 서술하고 답을 구하시오. 49.
a =-
8 b= q
)
'

9
.
=
bop= >
1C
, 3] C -1 - 1
(단,   는 상수이다.) [ 점]

l. 9 6Col-)+ 3 Gor - - 3 = o 과C 13의 키리


… = y - -
1

"
(차] fcp -

gcp
= o
,
f c1) g cy
'
-
'
= 3 "

"
fcoD- 이
해에
8 [마] 1 +)
= g (o)= (

3n

g coD
'
= Q01 fE0D + (1 주Df c) '

gc ) = gfcD -
1 fas = gct ]

8
1 g < y =② f cp +
'

fay + afE필 2"


'
: 3M '
2
3
n
g c 1] =

f K]
'
'
B
g E) = -

fEp= - 5 g )=.
'
- 8

y g ci) (ol-1 )+gc)


'
=

- 81 + 9
Y 8 c%-D + : A =
= -
1

= - a =
- 8
, b 9
=

도함수의 활용 ( 1 ) 69
50.
50. 곡선      위의 두 점 A  B 을 지나는 52. 다음은 평균값 정리를 증명하는 과정이다. 아래 빈칸의 (가) [ 점],

직선을 이라 할 때, 제사분면에 있는 곡선      위의 점과 (나) [점], (다) [ 점]에 알맞게 채우시오.52.
직선 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50.
함수 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다. 두 점 A , B 를 지나는 직선의
  
①  ②  ③  방정식을   라고 하면
   
  fcay

     가 이다. 이때
④  ⑤   

  라고 하면 함수 는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에서 나 하며, 미문가능
  이다. 따라서 다 에 의하여 롤의 정리

1
2)  
y = -

[OHD (oI -

′  ′  ′  ′   인 가 열린구간



☆ED 2]
P  
의 기울리= 이
@
0
AB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즉,    ′인 가
.

, 
.

'
y - 20l+ 시
더 '
기디 열린구간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B (2 03 ,
PEI 2] ,

Y = -
DI+2 와 PCI 2)의 거리 ,
.

기+ 9
-
J=o 과 PCl ∞]
42 22
-2
:
실수전체에허 마가
= "

51.
51.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사차함수 가 점  에서 직선 53. 다항함수 가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를

  에 접한다고 할 때, 모든   의 그래프가 항상 지나는 점들의 만족시킨다.  ,  일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 좌표의 합은? (단, ′ ) 51. 고른 것은? 53.
[o )에
.
0
대굉

< 보 기 >
  
①  ②  ③  ㄱ.  
  
ㄴ. 방정식 ′ 은 열린 구간  에서 적어도 하나의
 
④  ⑤
V
 실근을 갖는다.
 
ㄷ. 방정식 ′ 은 서로 다른 실근을 적어도 두 개 갖는다.

y fcox
=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 ㄱ, ㄴ, ㄷ

yfEox)
y의
=

. 1) 3 …

=
"

fcoy

0
CoI 1z olptaol+b]+ 1
, (
= -

"

f (ol)

,
'
B
olpfaoltb]+
3 D 1
= 2 CI-]( ( ]
(
I- 2 2 olta)

fco) = ogbfa = o - a = sb

fco) =
2
sa)
(JI 1] ( ol apl-에
-
+

fcol) =
(
1z l- f p
a
[ l-H(1 -크 ' 1 β fGx fcpx) 서
Co )에 대침
)

+ o
-
. =
.
,

-fo) fco]
i
O =
a (ol- ]() ol - 2-3+이 01- 3
=o fE3) Rolle '
Theonem oks
25
(
=0
41 , s ,


: 1+ : "

이fn ),x - =
f.
c여의
2 1. 1G [
fe- )
1 =-
3 faD = 3 leam Value Theonam oK
1.
.
',

70 도함수의 활용 ( 1 )
54.
54. 닫힌구간     에서 정의된 함수     가 있다. 56. 미분가능한 함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의

닫힌구간     에 속하는 서로 다른 임의의 두 수     에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56.

 
대하여   라 할 때, 실수 의 값의 범위는 (가)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이다.
 
    이다. 이때 의 값은? (단,  은 상수이다.) 54. (나)   

①  ②  ③ 
①  ②
V
 ③ 
④  ⑤
V 
④  ⑤ 

모든 실수 기에 대하여 합수 fcl ) 는분가능 하므로


fco)
'
-
=
30β- 1201 + 1 = 3 ( oI-2
)2 1
함수 fco) 는 고어그 에서 연속되고 [ O 1 ] 미분가능하다 , M UT
-

[o 3I 에서- ' a)스 11


(
.
스 f

fcD(
,

평균값 정리에 외하여1 - o)=


fc )인 아( 0 . 1) 에
f

c
- 0

-
1 K KK 11
존쾌한다 .

이미 ,
fep- fco)
fica] 스g 이므로 스2
1 -
0

faDs 로오

스 FCD 5
55.
55. 모든 실수에서 미분 가능한 함수 가 다음 조건을 모두 -
6,
만족시킨다.

f c1] E 3
'

(가)    3 E
-

(나)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이다.

  라 할 때, 다음 중 의 값이 될 수 없는 것은?55.

V 
①  ②  ③ 
④  ⑤ 

f4]- fCa] B - a

스 스 3 -
3스 EB
4 -
2 2

-
B a스
G ☆≤ -

9≤ a 스 3
-
-

: -

3 = a 스 9

도함수의 활용 ( 1 ) 71
58. 삼차함수    에 대하여 다항함수 가 다음 조건을
고난도유형 만족시킨다. 58.

57.
57. 좌표평면에서 곡선   위의 점  에서의 접선과 축의
(가) 이 아닌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a fca))와 (gca)
.
,
feqcap)
교점을  이라 하고, 점   에서의 접선과 축과의 교점을
f ca)
'
  = :
oza에서
 ′  
 , 점  에서의 접선과 축 과의 교점을  라 하자.  
정선 ,
(나) 방정식  ′× ′   의 실근 중 이 아닌 두
이와 같은 과정을 계속하여 얻어지는 수열을 이라 할 때, 의
57. 
값을 구하면? 실근의 곱은   이다.

  
① 
  

② 
  
③ 
  

이 아닌 실수 에 대하여 ≠일 때, 의 값은?
 
(단, 는 음의 상수)

V
  ⑤
  ①  ②
r  ③ 

Y =121
'
④  ⑤ 
=
4013 Y
b

ㅡ을 1
[a , feag]

~
fcoD =
lKol
+
.
Can 4 ans ]
,
,

gamz ol am) + 4 ms
(

y = -

3
O = l2amzol -
8 em

p= pan
3
[ gca) ,
fcglas)
oJoqam
] an
+t1 , 6 ,
'
an+
Q
(가]
=

3
am ,

fcoy= ol3+-k이 fcoig =302tk


l zas k][ orag + as+ ka
+
Y
= (

I ㆍc 가-머4
=

9 12712
Q P3
+
Ko] =
[Baz+k] 1 -
Qas
Y =a -8 :
oFa =

3 3
913 Bazolt2a
- = o -
pl = @ ar v
2a
"

Ja
gsa]
= -

32 ( 3 ]
② 며
an = ×

f co)× ' 9 cl =f
(

copxf ' c 20D=


' -
(파) '
,
f )) '
k
"
.an = 2
[] ,
2
(303+ K) α C 1201 + k) K
p
=

:
36014 + 15k1 = :

15 5
30012 + 15 K = 0
의 두 근의 곱 , K= =
"
36 4

5
K = 0

4
×
1530 = -
3

-
g -3)
=
②,

72 도함수의 활용 ( 1 )
59.
59. 점  에서 곡선      에 서로 다른 세 개의 접선을
60.

함수        에 대하여 곡선   와

그을 때, 세 접점의 좌표는 등차수열을 이룬다. 이때, 상수 의 값은?
59. 직선    의 교점 중 원점이 아닌 점을 A 라 하자. 원점 O 에서 점

  A 까지 곡선    위를 움직이는 점 P  에 대하여 삼각형


①  ②  ③
V 
 OPA 의 넓이는    일 때 최대이다.  의 값을 구하여라. ,
60.
  오

 
④  ⑤ 
 
Alst
> y feo)와
=
Y 21의 교점 =

접점 ( P P3 ,
- 2
p +1) , 접점에서의 아울키 = ③ .2,
P
이 ( 12 -601+1 z )= ②

0

1 미, 601+ 123= 801


(
이 [ 013 b0p+ 12p1 8]
-
~ =
0
3
y ( oI-P) + P +에
-
( 3P P
미 Col-a
3
-
=
) o AC2 .J
2
= :

-
"

다 . )~
1

K =
CI
3p )( - ]+ P 3
=
P
- 2 P
+1
y fcoy
=

y
2

=Q에

3
K = -

QP +3 Pz - 1 2
3
p 3P + K+ IF0 의
-
2


세로이 등차수열
:
ard ,
a ,
atd


,

)a-d ( + a +catd ]

=
ar
2

(a d) at acaxd) + ca+d]ca d)
- - = o > 3a
2
-
d = o

2
:
d =
B
K세 fco= 41R( 12. 601+ 12)
(a d3aca+d]= l
-ad
41
3 ③
a
-
- z ' -
= -

모 8 =
s '
f (n> pICoβ-
' c
= G
01+12) + 4 1 20r-b]
세 =
2
-

4
: K = =
외 / (4912~181 +24)

f ca]
'
= b
3 -

29 aztoa = 2

Q 2 -

a 1g .

4
gas -
qapt ) 2 a 4 =② , -

g g 솜 일 송 [ga y ca g]
- -
z
=② ,

시 모

P 6z 1, a)
( -
오 이 ㅇ f

a ,
=

도함수의 활용 ( 1 ) 73
61.
61. 함수   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다. 62. 다음 그림과 같이 곡선      위의 한 점

     라 할 때, 함수   의 그래프 위의 A 에서의 접선이  축,  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P Q 라고 한다.
  인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    라 할 때, 상수   에 직선 OA 가 삼각형 POQ 의 넓이를 이등분할 때,   의 값을
61.12 구하여라. 62.2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여라. -
-

FcD= I fiD
,
= o

( α- + 2α+4]
a

gcD fC며 =

'

g
'
(ol) = [2I+2) fcnp + CPIz+ 201- 2fo)
)
Y = -
Q91+2

A 에서의 ( ) (or-α -α+ 2α+ 4,


접선 Y aα+2
:

+ fEo) I
=

4 fca )
- )
'

g c)) = =

Y =
-Qa+2) ol + a44

Y
α
:
4cor-] + =41 3 2 4
)
= 1

PC 2at-
-

QCo , α14) ,
, 0

Q
… ab = -
lz "

"
OA 가POQ 의이 이동분

D ⇒ 테가 PQ 의 중점 ,

"

O P

4 az + 2a+
PQ 의 중점 :
(4 α-
4

, 4 )
=Ca β)

α+4 = α 3a- 4 α -

4 = 0
49 4 -

C3a+2] Ca 2) - = O

a=② ,

4 4
d
β= - + 2×+ =


α β=- -
2
"

74 도함수의 활용 ( 1 )
63.
63.점  에서 곡선      에 두 개의 접선을 그을 수 64.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사차함수 TCo) fGK] =

D
있을 때, 모든 상수  의 값의 합을 구하여라. 63.      (   는 상수) Y축 대링 ,
3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64.

3 2

접점 [B B 23 키울키 (가) 방정식   의 모든 실근이    이다.


2
:
,
-
③P + ,
: 3P -

GP
P
(단,     )
GB] (JI -P ]
2 P
접선의 방정식 :
Y =
[ 3P .

+
3
-
3 +2,

(나)      ′   

vw
n

Ca ,
오) 

[ 3p 6p) Ca
P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 p
2=
-p ) + -
3 +2
- 3

2 [3p= 6p]a 2
3 ' [보 기]
=
B +3
P +2
-
-

ㄱ.   
(3 p
3 2 3
2
P ③
P GP)a = O, ㄴ.  ′  
-
- -

ㄷ. 방정식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이


P ac
2 2 -
B ③ - 3 pa + ) = ②,
P


되도록 하는 양수  의 범위는     이다.
P3 Ga 3
2
2
p 3 ca+) p + =
6

-

L 근이 2개
,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V
ㄱ, ㄴ, ㄷ
2
2p .
3 ca+pp + Ga= ol 001 아닌 중금 ,

fco) f cn= bol


'

bolptc
4 +
z =
anl + ) $
a913 2
D :
9 ca+]
-
48ac 0

zaz4 Ga+ 3 16a - = 6 fes) = atbte =


-B f -3=
'
-
Ka-2bt
zaz loa+ 3 - =
o : a =
⑤ 0r 양,
fcoD = o
의 실근 3개 : d= -
r ,
B = o : e =
O,

10
atb = -

43 4a+4b =-
3
b =④
:

4axsb 1 a
,

a-zb= t
:
3 - 외 = 이 =
.

fcnx 41014 f cu) =β13


'
= -
012 -
201 ,

7 f( ]o = o 이,

L .fcnp 4
=
- 1014- 01 = 0기 4 -412 = 0
: I = o ±2

n ←- Q,
B = o , r= ② ,

fio3 913 fc 4 oK
'
= -
②기 : -
∞ ) =
-


y =
fcoy

.
이이
1

- ip
(p

"
2 ㅇ 2

5
f
'- = c
) -
< -
fc
'
-
a ) = 4
2
41 p 4 2 O]
2

Y =
C P3+ 2P ] (I-p)
- -
+
p C-
,

3
= 2P 4p + P4 2 pz 4 P4+ P
-
-
2
3
= (3B + 8B, 4B -
16]
P 4 - -
= 2
+
2

3
2P
3 p
4
P O= PC 31 p ~
4] CP -
J

4
34
3 2 p
O = 3
p + 8 B
-

KP
.
1 GP
P
=
> 키울위 =
- 3+2P
0H = 8

278
-
+ 2
,
< kL 4 야업
Q
망 8 n
도함수의 활용 ( 1 ) 75
76 도함수의 활용 ( 1 )
45. [정답] ①
1. 함수의 극한
46. [정답] ⑤
1. [정답] ③
47. [정답] ①
2. [정답] ④
48. [정답] ③
3. [정답] ④
49. [정답] ①
4. [정답] ④
50. [정답] 
5. [정답] ⑤
51. [정답] ③
6. [정답] ①
52. [정답] ①
7. [정답] ②
53. [정답] ④
8. [정답] ③
54. [정답] 

9. [정답] ④
55. [정답] ④
10. [정답] ①

11. [정답] ① 56. [정답] 

12. [정답] ③
57. [정답] ③
13. [정답] ②
58. [정답] 
14. [정답] ①
15. [정답] ⑤
16. [정답] ④
 
17. [정답] (1)  (2)   (3) 
 
 
18. [정답] (1)   (2)  (3) 
 
19. [정답] ⑤
20. [정답] ⑤
21. [정답] ⑤
22. [정답] ②
23. [정답] 
24. [정답] ①
25. [정답] ②
26. [정답] ②
27. [정답] ③
28. [정답] ④
29. [정답] ④
30. [정답] ⑤
31. [정답] ⑤
32. [정답] ⑤
33. [정답] ①
34. [정답] ⑤
35. [정답] ①
36. [정답] ⑤
37. [정답] ②
38. [정답] ③
39. [정답] ①
40. [정답] ④
41. [정답]       
42. [정답] ➃
43. [정답] ①
44. [정답] ①

함수의 극한
43. [정답] ⑤
2. 함수의 연속
44. [정답] ②
1. [정답] ④
45. [정답] ③
2. [정답] ①
46. [정답] ③
3. [정답] ④
47. [정답] ⑤
4. [정답] ②
48. [정답] ①
5. [정답] ③
49. [정답] ④
6. [정답] ②

7. [정답] ⑤ 50. [정답] (1)   


8. [정답] ②    
9. [정답] ③    
10. [정답] ④ 
  

 


11. [정답] ①
12. [정답] ②  
(2)     
 
13. [정답] ②
14. [정답] ⑤
  
   ≤ 
  
15. [정답] ②  
  

 
16. [정답] ① 
51. [정답]  
17. [정답] ② 
18. [정답] ② 52. [정답] ③
19. [정답] ③ 53. [정답] 
20. [정답] ➂ 54. [정답] 
21. [정답] ②
22. [정답] (1) 함수 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면
는 그 구간에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2) 최댓값: , 최솟값: 없다
23. [정답] ⑤
24. [정답] ④
25. [정답] ➀
26. [정답] ④
27. [정답] ⑤
28. [정답] ③
29. [정답] ②
30. [정답] ③
31. [정답] ①
32. [정답] ⑤
33. [정답] ③
34. [정답] ③
35. [정답]  
36. [정답] ②
37. [정답] 

38. [정답]   

39. [정답] ②
40. [정답] ②
41. [정답] (1)    (2) 
42. [정답] ①

함수의 연속
46. [정답] 
3. 미분계수와 도함수
47. [정답] ⑤
1. [정답] ①
48. [정답] 
2. [정답] ①
49. [정답] ①
3. [정답] ③
50. [정답]  
4. [정답] ③
51. [정답] ②
5. [정답] ④
52. [정답] ⑤
6. [정답] ②

7. [정답] ⑤ 53. [정답]    에     을 대입하면

8. [정답] ①
  또는  
9. [정답] ④
(ⅰ)  이면   (상수함수)
10. [정답] ①
따라서 모든 실수 에 대하여 미분가능하다.
11. [정답] ②
(ⅱ)  이면,
12. [정답] ④
     
13. [정답] ②  ′ lim   lim   가
→  → 
14. [정답] ④
존재한다.
15. [정답] ③
이때,
16. [정답] ①
17. [정답] ⑤

18. [정답] ③   
   
 ′  lim  lim 
  
19. [정답] ④ →  → 
20. [정답] ④    
  lim   
21. [정답] ①  →  
22. [정답] ④ 따라서 모든 실수 에 대하여 미분가능하다.
23. [정답] ① 54. [정답] ④
24. [정답] ④ 55. [정답] ①
25. [정답] ① 56. [정답] ⑤
26. [정답] ⑤ 57. [정답] ③
27. [정답] ⑤ 58. [정답] ③
28. [정답]  59. [정답] ②
29. [정답] ① 60. [정답] ③
30. [정답] ⑤ 61. [정답] 
31. [정답] ④ 62. [정답] ①
32. [정답]    63. [정답] ⑤
  64. [정답] 개
33. [정답]    ,   
  65. [정답]  
34. [정답] ③ 66. [정답] ④
35. 정답 ③ 67. [정답] ④
36. [정답] ② 68. [정답] ④
37. [정답] ③ 69. [정답] ③
38. [정답] ④ 70. [정답] ③
39. [정답] ④ 71. [정답] ①
40. [정답] ④
41. [정답] ①
42. [정답] ③
43. [정답] ③
44. [정답] ④
45. [정답] ④

미분계수와 도함수
45. [정답] ③
4. 도함수의 활용 ( 1 )
46. [정답]   일 때 개,   일 때 개,   일 때 개
1. [정답] ③
존재
2. [정답] ④
47. [정답] ④
3. [정답] ②
48. [정답] ④
4. [정답] ②
49. [정답]      
5. [정답]    
50. [정답] ④
6. [정답] ①
51. [정답] ⑤
7. [정답] ③
52. [정답] 가  , 나  미분가능,
8. [정답] ④
다  롤의 정리
9. [정답] (1)    , ′  
(2)      53. [정답] ⑤

(3)  54. [정답] ⑤



10. [정답] ② 55. [정답] ①

11. [정답] ③ 56. [정답] ②

12. [정답] ② 57. [정답] ④

13. [정답] ④ 58. [정답] ②

14. [정답] ④ 59. [정답] ③

15. [정답] ③ 
60. [정답] 

16. [정답] ④
61. [정답]  
17. [정답] ③
62. [정답]  
18. [정답] ②

19. [정답] ⑤ 63. [정답] 

20. [정답] ④
64. [정답] ⑤
21. [정답] ⑤
22. [정답] ⑤
23. [정답] ②
24. [정답] ⑤
25. [정답] ④
26. [정답] ⑤
27. [정답] ①
28. [정답] ③
29. [정답] ④
30. [정답] ②
31. [정답] ①
32. [정답] ④
33. [정답] ②
34. [정답] ③
35. [정답] ④
36. [정답] ④
37. [정답] ④
38. [정답] ③
39. [정답] ⑤
40. [정답] ⑤
41. [정답] ⑤
42. [정답] ④
43. [정답] ⑤
44. [정답] ③

도함수의 활용 ( 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