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7

Problem Based Learning

PBL로 수업하기
장경원(경기대학교)
kyungwon@kgu.ac.kr
Contents

• 왜 PBL인가?

• PBL vs. PBL

• PBL의 정의, 절차, 주요 특성

• PBL 문제설계

• PBL을 위한 교수자(튜터)의 역할

• PBL에서의 평가 전략

• 온라인PBL 수업 사례
1. PBL의 주요 특성
PBL

PBL? Real World!


어떻게 하면 교실 안의 학생들이
Real World를 경험할 수 있을까?
PBL
문제중심학습 프로젝트학습
(Problem Based Learning) (Project Based Learning)

학습자들에게 실제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학생


문제를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천을 통하여
함께 문제를 분석하여 결과(물)을 구체적으로
자료수집 계획을 수립하고, 표현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개별학습과 협동학습을 통해
문제의 해결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교수학습방법이다(Barrows,
1985).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Case Method Case Study Problem Based Learning

• Harvard Law • Harvard Business • McMaster Medical


School에서 시작 School에서 School에서
(1870)
Case Method를 Case Study를
• 원자료인 법정 Case Study로 Problem Based Learning
사례를 직접 변형(1919) 로 변형(1965)
검토하고, • Real-life business • Real-life problems와
스스로 질문하고 situations을 담은 group discussions을
토의/토론을 case를 통해서 강조
통해 결론 토의와 • 강의(지식제공) 전에
내리는 Socratic 문제해결활동을 문제를 먼저 제시
inquiry를 적용 유도하는데 초점 • Clinical Reasoning
Process에 초점
프로젝트학습의 역사
1870
Case
1916년 1879년 Method 1864년 1829년 1596년

<미국> <미국>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프로젝트가 수업의 세인트루이스에서 보스턴 MIT에서 파리 ‘에콜 상트랄 로마 산루카
표준 방식에 포함: 기술공예와 관련된 프로젝트 용어를 데자르 ‘에 아카데미에서 처음
기술수업 80%, 프로젝트를 실질적으로 사용 마뉘팍튀르(중앙공과학 ‘건축가 대회'가
농업수업 60% 중고등학교에 교), 공학교육에 열림
적용하는 것에 대한 프로젝트가 적용됨
고민 시작
1919
CaseStudy
1918년 1925년 1926년 1989년

<미국> <미국> <미국> <미국> 킬패트릭의 프로젝트 개념이 새로운


킬패트릭이 프로젝트 킬패트릭이 ‘방법의 킬패트릭의 르네상스를 맞이함
홍보 클럽을 만들어 기초(Foundations of 프로젝트학습에 대한 Maxine Greene: “프로젝트는 실질적인, 구성적인
<교육대학 보고서>에 Methd)’를 발표함 비판이 커짐 행동의 의미로서 자연과학, 농업, 기술공예에서
‘프로젝트 방식(The 중요한 실습방법이다“
Project Method)’을 Howard Gardner: “학생, 교사, 부모들을 통해
발표함 프로젝트가 이성적이고 쉬운 방법으로
평가된다면 그 때 프로젝트는 수업방식으로
인정된 것“

1965 Problem Based Learning

1970년대 Team Based Learning

-(윤미원 역, 프로젝트수업을 말하다)


PBL

PBL
Kilpatrick의
Project Based Learning Problem Based Learning

아동교육 고등교육

• 최근에는 Project Based Learning의 시작을 이탈리아 ‘산 루카 아카데미’라는


예술학교로 보는 경우도 있음
• 이 학교에서 교수들이 학생들에게 성당, 기념비적 건출물, 궁전과 같은 건축물에 대한
설계도 제작을 과제로 제시함
• 이러한 주장에 근거하면 Project Based Learning 역시 고등교육 기관에서 ‘실제적인
기술'을 가르치기 위해 시작된 것임
X-Based Learning
Project

Case Based Learning Place Based Learning


Challenge Based Learning Phenomenon Based Learning
Community Based Learning Problem Based Learning
Design Based Learning Project Based Learning
Game Based Learning Service Based Learning
Inquiry Based Learning Team Based Learning
Land Based Learning Work Based Learning
Design Thinking Action Learning
문제해결프로세스와 문제유형

문제(과제) 문제(과제)
해결안모색 및 실행 및 평가
명확화 해결을 위한
타당성 검증
연구

잘 구조화된 문제 구조화되지 않은 문제

논리적 연산 이야기 규칙 의사 장애 진단 전술/ 사례/ 설계 딜레마


문제 문제 문제 적용 결정 해결 해결 전략 체제 문제 문제
문제 문제 문제 문제 수행 분석
문제 문제
문제해결프로세스
문제해결 Project based Problem Based Action Design
프로세스 Learning Learning Learning Thinking

1. 1. 1. 문제제시 1. 과제명확화 1. 공감
과제명확화 프로젝트
(문제정의) 계획수립
2. 문제분석 및
2. 문제정의
학습과제 도출
2. 2.
과제해결을 2. 과제해결을
위한 자료수집 관련자원 탐색 3. 자료수집 위한 자료수집
및 분석 3. 아이디어
및 분석 (자기주도학습) 및 분석
생성
3. 4. 문제 재확인 및
해결안 모색 해결안 도출 3.
및 타당성 3. 해결안 모색 및 4. 프로토타입
검증 과제해결 타당성 검증
5. 문제의 제작

4. 해결안 작성
실행 및 5. 테스트
4.
평가 6. 문제의
실행 및
해결안 발표 평가
Problem Based Learning

•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은


학습자들이 실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과 결과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교수학습방법임(Barrows, 1988)

• 교수자가 학습자들에게 아직 학습하지 않은 부분을


알아야 해결할 수 있는 학습과제를 포함한 실제적
상황을 담고 있는 문제를 제시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함

• 교수자가 문제를 제시하면, 학습자는 문제분석 및


학습과제 도출, 문제해결을 위한 자료수집, 문제 재확인
및 해결안 도출, 문제해결안 발표의 순서로 문제를
해결하고 해결안을 제시함
PBL 문제 예시

출처: 여상희. (2019).


의과대학의
문제중심학습
수업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9, 601-624.
PBL 문제 예시
일층 테라스나 루프탑으로 불리는 옥상 영업은 한때 '옥외 영업'이라 금지됐지만 법이 개정되면서 합법화
의 길이 열렸다. 그런데 지자체마다 허용 기준도 제각각이고 상인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서울 을지로
의 노가리 골목은 가게 안뿐만 아니라 밖에도 테이블을 펼쳐두고 술과 안주를 서빙한다. 이런 건물 밖 영업
은 오랫동안 불법이었지만 서울 중구가 지난 5월 이곳에 옥외영업을 허용하면서 합법이 되었다. 낡은 골목
의 야외테이블에서 술을 마시는 독특한 분위기가 낙후된 지역을 되살린다는 평가가 나왔고 서울 중구가
이 골목을 관광 자원화하겠다며 이 일대 500여m 17개 업소의 옥외영업을 허용하였다.
그러나 밤이 되면서 자신의 가게 앞이 아닌 곳에도 테이블을 펴고, 금지된 쓰레기통 설치로 인해 바닥도 더
러워지고 엉망이 되었다. 야외 테이블에서 담배를 피우는 손님들이 많지만 종업원들은 제지하지 않고 취
객 간의 시비로 경찰이 출동하기도 한다.
상인들 간에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2층에서 영업을 할 경우 실내 공간이 넓어도 손님이 채워지지 않는
다. 주변 다른 특화 거리의 상인들도 불만을 갖고 있다. 노가리 골목 길 건너편에 있는 골뱅이 거리는 같은
서울 중구이지만 이곳의 옥외영업은 불법이다. 노가리 골목과 달리 통행량이 많은 차도와 좁은 인도 때문
에 합법화가 어렵다는 것이다.
옥상인 루프 탑이나 테라스에서 식음료를 파는 옥외영업은 2012년 식품위생법이 개정되면서 합법화되었
다. 또한 식약처가 지자체의 결정에 따라 탄력적으로 옥외영업을 허용할 수 있다는 유권해석을 내놓으며
합법화 지역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정해진 기준에 따라 일괄적으로 옥외영업을 허용한 것이 아
니라 지자체에 구역 지정을 위임하면서 곳곳에 갈등이 생기고 있다.
또한 인접한 주택가의 주민들은 소음과 불빛으로 인해 숙면하지 못하는 등 불편을 호소하고 상인들과 갈
등을 겪고 있다.

서울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별로 옥외영업의 허용여부를 판단하는데


활용할 평가준거를 마련하기로 하였다. 당신이 이 업무를 담당하는 담당자이다. 지자체의
상황을 고려하여 활용할 수 있는 평가준거와 사용매뉴얼을 개발해주세요. (장경원, 2019)

상황출처: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513931
Problem Based Learning의 주요 특성

1. 문제로부터 학습 시작

2. 학습자 중심의 학습환경

3. 소그룹활동

4. 자기주도적학습

5. 교수자의 역할 변화(지식전달자→ 촉진자)


PBL : 학습이 이루어지는 매커니즘

과학적 추론, 협력
지식기반구축

복잡하고 실제적인 그룹 역동성


맥락/상황 학습 공감, 경청
평생학습 협력학습
기술, 태도 자기주도학습

의사소통
Presentation
메타인지
Problem Based Learning 절차(1)
초기활동(자기소개, 팀빌딩 등)
Ideas Facts Learning Issues Action plans

문제 제시

문제 확인

문제해결을 위한 자료수집

문제 재확인 및 해결안 도출 No

문제 해결?

Yes
문제해결안 발표

학습결과 정리 및 평가
최정임, 장경원(2015)

성찰
Problem Based Learning 절차(2)
• 초기활동
• 문제제시
• 문제분석 및 학습과제 도출
• 자료수집(자기주도학습)
• 문제 재확인 및 해결안 도출
• 문제의 해결안 작성
• 문제의 해결안 발표
• 종합정리 및 평가
• 성찰
Problem Based Learning 과정

(1) 초기활동

- 소개하기
(예, 네임텐트만들기:
이름, 꿈, 특기, 강점, 좋아하는 과목 등)
- 그룹규칙 정하기

친근하고 허용적인 분위기 형성을 위해 매우 중요

(2) 문제제시
- 문제의 제시로부터 학습이 시작
Problem Based Learning 과정

(3) 문제분석 및 학습과제 도출


생각(IDEAS) (이미 알고있는) 사실(FACTS) 학습과제(LEARNING ISSUES) 학습계획(ACTION PLANS)

주어진 문제에 대한 문제에 제시되어 있 문제해결을 위해 도출된 학습과제들


이해내용(중요하게 는 내용 중 문제해 학습해야 할 내용들 에 대한 자료수집
고려해야 하는 것, 결을 위해 중요하게 및 학습계획
요구사항, 결과물 고려해야 할 사실들
(역할분담, 정보 및
등)
문제해결안을 도출 자료검색 방법, 시
해결안 도출과 관련 하는데 도움이 되는 간 계획 등)
된 가설, 추측들 학습자들이 이미 알
고 있는 사실들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모든 생각들
(아이디어들)

(4) 자료수집(자기주도학습)
Problem Based Learning 과정
(5) 문제재확인 및 해결안 도출
- 자기주도학습 내용 공유
- 추가로 필요한 학습과제 도출 및 역할분담

생각(IDEAS) (이미 알고있는) 사실(FACTS) 학습과제(LEARNING ISSUES) 학습계획(ACTION PLANS)

추가로
주어진 문제에 대한 문제에 제시되어 있 문제해결을 위해 도출된 학습과제들
이해내용(중요하게 는 내용 중 문제해 학습해야 할 내용들 에 대한 자료수집
고려해야 하는 것, 결을 위해 중요하게 및 학습계획
요구사항, 결과물 고려해야 할 사실들 추가로 (역할분담, 정보 및
등)
문제해결안을 도출 자료검색 방법, 시
해결안 도출과 관련 하는데 도움이 되는 간 계획 등)
된 가설, 추측들 학습자들이 이미 알
고 있는 사실들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모든 생각들
(아이디어들)
Problem Based Learning 과정
(6) 문제의 해결안 작성
- 문제에 대한 전문가의 입장이 되어 문제의 해결안을 구안-
- 문제의 해결안은 문제에서 요구하는 형태로 작성
: 프리젠테이션 자료, 환자에 대한 처방전, 설계제안서 등

(7) 문제의 해결안 발표


-가능한 문제상황을 재현하면서 흥미롭게
-팀별 발표 시 다른 팀 발표에 대한 동료평가활동
Problem Based Learning 과정
(8) 종합정리 및 평가
- PBL에서의 강의 : 강의식 수업에서의 강의와 다른 성격
- 강의를 통해 문제해결과정에서 습득한 많은 지식과 경험 정리

PBL 과정 경험
structured unstructured
contents “Problem”
교수자의 Debriefing

(9) 성찰저널 작성
• 무엇을 배웠는가?

• 배운 것을 어떻게 실천 또는 적용할 것인가?


Problem Based Learning cycle

Reflection Orientation

Mini-lecture Problem, Project, or


(Debriefing) Assignment

Whole Class Discussion PBL


Group Discussion

Preparation of Group
“Product”

Group Discussion Investigation


PBL 연습문제

OO광역시 혁신도시에 새로운 초등학교가 설립될 것입니다. 이


학교는 유치원을 포함하여 600명 정도의 아이들을 수용할 것이며,
학교 건립에 필요한 돈은 약 1000억 정도가 예상되며, 이 중에서
0.15%는 아이들 놀이터를 건축하는 데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학교공간디자이너인 당신은 일주일 후에 담당 건축설계사에게


주어진 예산안에서, 어떤 놀이기구가 들어가면 좋을지 알려주어야
합니다. 물론 그 놀이터는 유치원에서부터 시작하여 6학년 아이들까지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놀이기구가 있어야 합니다.

* 학생들에게 PBL에 대해 안내하실 때 연습문제로 활용하세요.


PBL 연습문제 과제수행계획서

생각 (이미 알고있는) 사실들 학습과제 연구 및 조사계획


(Ideas) (Facts) (Learning Issues) (Action Plans)
학습과제 도출 : 사회자의 질문
생각 (이미 알고있는)사실들 학습과제 연구 및 조사계획
(Ideas) (Facts) (Learning Issues) (Action Plans)

‘~을 알면 이 문제에 제시된 앞의 두 과정을 각각의


문제를 해결할 내용 중 기억해야 거치면서 논의한 학습과제는 어떤
수 있을까요? 할 중요한 것은 결과, 우리가 꼭 방식으로 수행할
무엇인가요? 학습하고 수 있을까요?
이 문제를 조사해야 할 것은 자료수집방법은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경험, 무엇일까요? 무엇일까요?
알아야 하는 선행지식 중
것은 문제해결에
무엇일까요? 도움이 되는 것이
있다면
어떤 가설을 이야기해주세요.
세울 수
있을까요?
이 문제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 학생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사회자의 질문이 필요함. 학생들이 질문하는 것을 어려워 할 수 있으므로 예시
질문을 제시하여 도움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
PBL 연습문제 과제수행계획서 sample

생각 (이미 알고있는) 사실 학습 과제 연구 및 조사 계획
(Ideas) (Facts) (Learning Issues) (Action Plans)

•학교놀이터 면적 조사 •학생수용력이 600명 •학교 놀이터 모양 및 면 •해당 교육지원청 및 구청


적 조사 담당자 (전지원)
•아이들이 즐겨 노는 게 •유치원생부터 6학년 학
임종류 및 인기 있는 놀 생까지 사용할 것임 •아이들이 즐겨하는 게 •인근학교재학생 대상 설
이기구 종류 임종류 및 인기있는 놀 문조사 및 놀이기구 업체
•1000억의
•사용가능예산:0.15%사용
1억5천만원
이기구 종류, 가격, 재질 에 문의 (김철수, 박영수)
•다른 학교의 경우 소요
된 비용 내력 •옆 학교와 YMCA 놀이 •연령대별 발달상황 •청소년 관련 전문서적
터가 매우 모범적 경우임 (김현숙, 장경원)
•가격조율 •학년별인원수 •해당 교육지원청
•이대부속초등학교-저학
•제안서 형식 꾸미기 년, 고학년 놀이터 구분 •제안서 형식 꾸미기 • 인터넷 검색 (장경원)

•누구에게 제안서를 제출 •Good case 특성 •인터넷검색 및 교육지원


할 것인가? 청 문의 (김성우)
•청소년 관련 전문서적
•필요한 놀이 및 활동
(김현숙, 장경원)
PBL 수업설계

장경원(2015; 2016)
2. PBL을 위한 문제 설계
PBL 에서 교수자의 역할(1): 문제개발

문제개발 학습자원준비 튜터활동계획 학습공간마련

[ 내용 ] [ 운영 ]
Organized curriculum Unstructured curricular time

PBL을 위한
교수자의 준비
문제의 종류 (Jonassen, 2000)

잘 구조화된 문제 구조화되지 않은 문제

논리적 연산 이야기 규칙 의사 장애 진단 전술/ 사례/ 설계 딜레마


문제 문제 문제 적용 결정 해결 해결 전략 체제 문제 문제
문제 문제 문제 문제 수행 분석
문제 문제
PBL에서 Problem의 특성
• 교육목표와 부합 • 문제의 역할
: 과목에서 다루는 새로운 개념과 사 : 학습자들의 활동과 참여를 자극
전지식이 연계될 수 있도록
: 학습자의 현재의 내용지식수준에
적합한 것

• 비구조화된 문제
: 쉽게 해결할 수 없도록 비구조적
• 실제적인 문제
: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 : 친근한 맥락, 이해당사자의 역할
• 관련성이 있는 문제
: 학생들의 현재 경험 또는 장래에 경험할 수 있는 실제적인 것
• 복잡한 문제
: 협동학습이 요구되는 것 : 충분히 복잡해야 함
PBL
문제개발
학습목표 & 내용 -----→ PBL 문제
문제 2 (3주)
Concept1 문제 1 (4주)
Principle1

Process1
Concept2

Principle2
Concept3

Process2
Concept4
Principle3

Concept5
Process3
Principle4
Concept6
문제 3
(2주)
PBL 문제 검토 1. 의학

출처: 여상희. (2019).


의과대학의
문제중심학습
수업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
육연구, 19, 601-
624.
PBL 문제 검토 2. 의학+한의학

출처: 임선주, 이상엽, 윤영주, 홍진우, & 신상우. (2016). 의전원생ㆍ한의전원생을 위한 협진 PBL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30(3), 137-141.
PBL 문제 검토 3. 인터넷과 의료정보 B

출처: 주현재, & 박주희. (2010). 의료정보 교육을 위한 웹기반 PBL 교수· 학습 콘텐츠 개발 모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10), 246-254.
PBL 문제 검토 4. 창업교육 B

출처: 김영천(2017). 경영시뮬레이션게임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PBL) 기반의 창업교육 사례 연구.


한국창업학회지, 12(2), 358-381.
PBL 문제 검토 5. 프로그래밍 B

출처: 고광일(2019). 비SW전공자 대상


문제중심학습 기반의 EPL 활용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성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19(2), 105-111.
PBL 문제 검토 6. 사회복지학

원주시 OO구 복지관 실버케어사로 근무하는 당신(35세,여)은 반곡동에 혼자


사시는 할머니 댁을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79세 김씨 할머니는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3년째 지하 주차장에 딸린 작은 방에서 혼자 살고 있습니다. 할머니의
방은 천정 가까이 사방 30cm 정도의 조그만 창이 하나 있고, 천정의 형광등은
깜박거렸으며, 매우 어두침침합니다. 당신이 할머니를 방문했을 때 할머니는
무릎이 퉁퉁 붓고 통증이 심해 부엌과 턱이 높은 방을 기어서 다니고 있었습니다.
할머니는 당신과 이야기도중 서랍에서 여러 약을 꺼내 보여주면서 아플 때 마다
이것저것 마구 먹고 계신다고 했습니다. 할머니는 말씀을 횡설수설하게
늘어놓으셔서 전혀 이해하기 어려웠는데, 대강 죽은 남편의 바람기와 폭행,
자식이 없는 것, 혼자 사는 것에 대한 하소연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당신은
할머니의 손을 잡고 이야기를 들어주었습니다. 현재 할머니는 이웃 교회와
동사무소로부터 각각 월1회 10kg의 쌀과 월 20만원의 보조를 받고 있으며
이웃이나 친척은 없습니다. 할머니에게 어떠한 도움을 어떻게 드려야 할 지
구체적 내용을 담은 방문보고서를 작성한 후 OO구 복지관 실버케어 담당 책임
간사에게 10분 분량으로 브리핑 하십시오. (장경원, 2019)
PBL 문제 검토 7. 행정학
일층 테라스나 루프탑으로 불리는 옥상 영업은 한때 '옥외 영업'이라 금지됐지만 법이 개정되면서 합법화
의 길이 열렸다. 그런데 지자체마다 허용 기준도 제각각이고 상인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서울 을지로
의 노가리 골목은 가게 안뿐만 아니라 밖에도 테이블을 펼쳐두고 술과 안주를 서빙한다. 이런 건물 밖 영업
은 오랫동안 불법이었지만 서울 중구가 지난 5월 이곳에 옥외영업을 허용하면서 합법이 되었다. 낡은 골목
의 야외테이블에서 술을 마시는 독특한 분위기가 낙후된 지역을 되살린다는 평가가 나왔고 서울 중구가
이 골목을 관광 자원화하겠다며 이 일대 500여m 17개 업소의 옥외영업을 허용하였다.
그러나 밤이 되면서 자신의 가게 앞이 아닌 곳에도 테이블을 펴고, 금지된 쓰레기통 설치로 인해 바닥도 더
러워지고 엉망이 되었다. 야외 테이블에서 담배를 피우는 손님들이 많지만 종업원들은 제지하지 않고 취
객 간의 시비로 경찰이 출동하기도 한다.
상인들 간에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2층에서 영업을 할 경우 실내 공간이 넓어도 손님이 채워지지 않는
다. 주변 다른 특화 거리의 상인들도 불만을 갖고 있다. 노가리 골목 길 건너편에 있는 골뱅이 거리는 같은
서울 중구이지만 이곳의 옥외영업은 불법이다. 노가리 골목과 달리 통행량이 많은 차도와 좁은 인도 때문
에 합법화가 어렵다는 것이다.
옥상인 루프 탑이나 테라스에서 식음료를 파는 옥외영업은 2012년 식품위생법이 개정되면서 합법화되었
다. 또한 식약처가 지자체의 결정에 따라 탄력적으로 옥외영업을 허용할 수 있다는 유권해석을 내놓으며
합법화 지역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정해진 기준에 따라 일괄적으로 옥외영업을 허용한 것이 아
니라 지자체에 구역 지정을 위임하면서 곳곳에 갈등이 생기고 있다.
또한 인접한 주택가의 주민들은 소음과 불빛으로 인해 숙면하지 못하는 등 불편을 호소하고 상인들과 갈
등을 겪고 있다.

서울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별로 옥외영업의 허용여부를 판단하는데


활용할 평가준거를 마련하기로 하였다. 당신이 이 업무를 담당하는 담당자이다. 지자체의
상황을 고려하여 활용할 수 있는 평가준거와 사용매뉴얼을 개발해주세요. (장경원, 2019)

상황출처: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513931
PBL 문제 검토 8. 교육평가
당신은 'T.C. 윌리암스 고등학교'의 체육 교사 마이클입니다. 흑인과 백인간의 갈등이 최고조되어 있는
현재, 지역 교육청의 요구에 따라 흑인 고등학교와 백인 고등학교를 통합하였고, 당연히 두 학교의 풋볼
팀도 하나의 팀으로 통합되었습니다. 통합된 팀을 운영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허만 분 감독은
강력한 통솔력과 카리스마를 가지고 선수들을 서서히 뭉치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두 학교의 선수가 합쳐졌기 때문에 경기에 출전하기 위해서는 선수선발을 해야 합니다. 팀의
특성상 풋볼 기술도 중요하지만 태도측면에 대한 평가도 중요합니다. 허만 분 코치는 당신에게 자신의
가치관을 설명하였고(영화에 소개된 내용) 이러한 가치관을 반영하여 선수들의 태도 측면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개발을 부탁하였습니다.
마이클 선생님! 분 코치의 가치관, 현재 팀에서 중요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분 코치를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해주세요.

리멤버 타이탄
1971년 미국 버지니아 주의 알렉산드리아에서 백인이 흑인 청소년에게 총격을 가하는 바람에 흑백 폭동
이 발생한다. 이를 무마하기 위해 백인 고등학교와 흑인 원래 흑인 고등학교의 감독으로 부임할 예정이었
던 허만 분(덴젤 워싱턴)이 통합 미식축구팀의 감독으로 임명된다. 분은 전 백인 팀 감독 요스트를 설득하
여 수비 당담 코치로 임명한다. 그들은 게티스버그에서 미식축구 트레이닝을 갖게 된다. 백인 선수와 흑
인 선수 사이에 많은 충돌이 있었지만 훈련을 통해 갈등이 잦아들게 된다.....

주요 등장인물
허먼 분 코치(덴절 워싱턴) : 통합 미식축구팀 감독
윌 패튼 - 빌 요스트 코치(월 패튼) : 수비담당 코치
줄리어스 캠벨(우드 해리스) : 원래 흑인팀 주장
게리 베티어(라이언 허스트): 원래 백인팀 주장
루이 래스틱(이선 서플리) : 뚱뚱한 친구
로니 선샤인 베스(킵 파튜) : 새로 전학온 선수
장경원(2008)
PBL 문제 검토 9. 뷰티디자인 B

출처: 김진희, 김혜균(2018).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뷰티디자인 수업 사례 연구.
16(4), 207-216.
PBL 문제 검토 10. 고등학교 문제? 초등학교 문제?

산 페드로 강은 멕시코에서부터 북부 애리조나까지 140마일만큼 뻗어있고, 남동부 애리조나의


사막에 녹색의 리본을 형성한다. 산 페드로 강의 분수령은 유역을 통해 이주하거나 서식하고
있는 400여 종 이상의 새들(종의 수가 모든 미국 새의 반 수에 이름)과 180종의 나비, 87종의
포유동물, 68종의 양서류, 그리고 파충류의 서식지이다. 생물지리학, 지형학, 초목식물 그리고
기후의 상호작용 덕분에 산 페드로 강 분수령은 세계에서 생물학적으로 가장 다양한 생태계를
이룰 수 있게 되었다. 산 페드로 강은 미국 내륙에서 가장 다양한 척추동물의 종을 가지고 있고
, 세계에서 두 번째로 다양한 포유류를 가지고 있다. 1988년에 개최된 의회에서는 생태계 건강
보호를 위한 생물 다양성의 가치를 인정하여 45마일만큼 뻗어진 강 상류를 국가의 첫 번째 ‘국
립하천보존지구’로 지정하였다.
그러나 환경협력위원회는 강의 유량이 1935년 이래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수문
학자들은 기저유량이 지난 50년간 75% 감소했다고 추정했다. 조류연구가는 건기 동안 강유역
의 건조한 부분이 더욱 더 확장된다고 보고했다. 산 페드로 강의 유량은 이 지역 야생동물들의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지역생태계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당신은 산 페드로 강의 유량이 감소하는 이유를 연구하는 조사팀의 일원으로서, 유량 감소의
원인이 무엇일지, 유량 감소가 이 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가져올지, 강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어
떠한 행동이 필요할지 구성원들과 함께 면밀히 조사해야 할 것이다.
PBL 문제 검토 10. 고등학교 문제? 초등학교 문제?
산 페드로 강은 멕시코에서부터 북부 애리조나까지 140마일만큼 뻗어있고, 남동부 애리조나의
사막에 녹색의 리본을 형성한다. 산 페드로 강의 분수령은 유역을 통해 이주하거나 서식하고
있는 400여 종 이상의 새들(종의 수가 모든 미국 새의 반 수에 이름)과 180종의 나비, 87종의
포유동물, 68종의 양서류, 그리고 파충류의 서식지이다. 생물지리학, 지형학, 초목식물 그리고
기후의 상호작용 덕분에 산 페드로 강 분수령은 세계에서 생물학적으로 가장 다양한 생태계를
이룰 수 있게 되었다. 산 페드로 강은 미국 내륙에서 가장 다양한 척추동물의 종을 가지고 있고
, 세계에서 두 번째로 다양한 포유류를 가지고 있다. 1988년에 개최된 의회에서는 생태계 건강
보호를 위한 생물 다양성의 가치를 인정하여 45마일만큼 뻗어진 강 상류를 국가의 첫 번째 ‘국
립하천보존지구’로 지정하였다.
그러나 환경협력위원회는 강의 유량이 1935년 이래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수문
학자들은 기저유량이 지난 50년간 75% 감소했다고 추정했다. 조류연구가는 건기 동안 강유역
의 건조한 부분이 더욱 더 확장된다고 보고했다. 또한 수문학자는 포트 후아추카와 시에라비스
타 지역을 제외한 유역에서의 수위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것을 발견했다. 지난 10년간 시에라
비스타 지역의 인구는 14.5% 증가했다. 1990년대 시베리아비스타는 애리조나의 87개 도시 가
운데 57 번째로 급속 성장하는 도시였다. 1973년에 포트 후아추카와 시베리아비스트 지역의
지하수면에서 큰 원뿔형 수위강화가 최초로 발견되었다. 연구자들은 1968년부터 1986년까지
매년 평균 1.4%씩 원뿔내의 수위가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산 페드로 강의 유량은 이 지역 야생
동물들의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지역생태계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당신은 산 페드로 강의 치마름 이유를 연구하는 조사팀의 일원으로, 산 페드로 강의 치마름 원
인이 무엇일지, 강의 마름현상은 이 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가져올지, 포트 후아추카와 시베리
아비스트 지역의 지하수면에서 원뿔형 수위강화는 어떻게, 왜 형성되었는지, 강을 보존하기 위
해서는 어떠한 행동이 필요할지 구성원들과 함께 면밀히 조사해야 할 것이다.
PBL 문제 검토 11. 창업+빅데이터+사회복지

2월 1일-7일 2월 9일-14일 2월 15일-18일


1월 31일 2월말 예정

여기 참여해보자!
PBL 문제 개발 절차

1. 핵심적인 학습 목표 및 내용 선택
2. 학습 내용과 관련된 실제적 맥락 설계
3. 문제 초안 작성
4. 학습 자원 확인
5. 문제 진술
6. 문제의 타당성 검사
문제개발
문제명 :
학습목표 : ①


학습목표는 문제개발을 위한
기준이 되기 때문에 개발단계에서
작성하지만,
학생들에게 제공하지는 않는다
문제개발
문제명 :

생각(IDEAS) 사실(FACTS) 학습과제(LEARNING ISSUES)

문제의 적절성 판단을 위해


교수자가 문제개발 시 ideas, facts,
learning issues를 작성해본다.
PBL 문제개발하기
전공 교과목
대상학년 과목속성 전공( ) 교양( )

문제에서 다룰 주요
내용
(개념, 원리, 절차 등)

학습목표

문제명

문제 * 문제해결의 주체, 맥락, 문제해결안의 구체적인 형태가 제시되었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해주세요.


* 굻은 선 안에 있는 내용만 학생들에게 주는 것입니다.~

Ideas Facts Learning Issues Action Plans

Tutor Information
Sheet
PBL 문제개발하기
① 전공
② 교과목: PBL로 운영할 교과목명
③ 대상학년: 교과목을 주로 수강하는 학년
④ 과목속성: 전공 교과목인 경우 해당 분야의 직업인이 경험할 수 있는 문제 상황을 개발하는 것이 적
절하고, 교양 교과목인 경우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는 현재 상황이나 대학 졸업 후 성인으로
서 경험할 수 있는 상황을 문제로 제시하는 것이 적합하므로, 속성을 먼저 고려함
⑤ 문제에서 다룰 주요 내용: 교과목에서 다룰 주요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 중 본 문제에서 학생들이 학
습하기 원하는 개념, 원리, 절차 등
⑥ 학습목표: 학생들이 문제해결을 통해 도달해야 하는 구체적인 목표로, 지식, 기술, 태도 영역의 학습
목표를 모두 구체적으로 진술
⑦ 문제명: 문제명은 필수 사항은 아니므로 문제1, 문제2, 문제3 등으로 표기하거나 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재미있고 창의적인 제목으로 작성. 이 때 문제에서 주로 다룰 내용이 드러나는
제목은 적절하지 않음
⑧ 문제: 학생들에게 제공할 문제 시나리오로 구체적인 상황(맥락), 문제해결의 주체, 학생들이 제출해
야 할 최종 결과물의 형태, 분량 등이 포함되어야 함
⑨ Tutor Information Sheet: 학생들이 작성할 ‘과제수행계획서’인 생각, 사실, 학습과제, 학습계획으로
문제 개발 시 함께 작성. 문제 개발자가 ‘과제수행계획서’를 작성해봄으로써 문제의 타당성
검토가 가능하고,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조력 시 참고자료가 되고, 다른 교수자와
문제를 공유할 경우 문제개발 의도를 명확하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Tutor Information
Sheet라고 함

문제개발양식에 따라 문제개발이 종료되면 ‘문제분석검사지’를 이용하여 문제의 적절성을 검토


PBL 수업 운영 시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은 ‘문제명과 문제’임. 그 외의 내용은 학생들이 문제분석 과
정에서 스스로 도출하는 것임
전공 교육학 교과목 교육과정및평가
대상학년 3학년 과목속성 전공(O) 교양( )

문제에서 다룰 주요 내용
(개념, 원리, 절차 등)
정의적 영역의 평가, 평가도구개발, 평가준거표

정의적 영역의 교육목표를 설명할 수 있다.


학습목표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 방법, 목적을 설명할 수 있다.
정의적 영역 평가를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할 수 있다.
문제명 분코치의 고민

당신은 'T.C. 윌리암스 고등학교'의 체육 교사 마이클입니다. 흑인과 백인간의 갈등이 최고조되어 있는 현재, 지역 교육청의 요구에 따
라 흑인 고등학교와 백인 고등학교를 통합하였고, 당연히 두 학교의 풋볼 팀도 하나의 팀으로 통합되었습니다. 통합된 팀을 운영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허만 분 감독은 강력한 통솔력과 카리스마를 가지고 선수들을 서서히 뭉치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두 학교의 선수가 합쳐졌기 때문에 경기에 출전하기 위해서는 선수선발을 해야 합니다. 팀의 특성상 풋볼 기술도 중요하지만 태
도측면에 대한 평가도 중요합니다. 허만 분 코치는 당신에게 자신의 가치관을 설명하였고(영화에 소개된 내용) 이러한 가치관을 반영하
여 선수들의 태도 측면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개발을 부탁하였습니다.
마이클 선생님! 분 코치의 가치관, 현재 팀에서 중요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분 코치를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해주세요.
리멤버 타이탄
1971년 미국 버지니아 주의 알렉산드리아에서 백인이 흑인 청소년에게 총격을 가하는 바람에 흑백 폭동이 발생한다. 이를 무마하기 위
문제 해 백인 고등학교와 흑인 원래 흑인 고등학교의 감독으로 부임할 예정이었던 허만 분(덴젤 워싱턴)이 통합 미식축구팀의 감독으로 임명
된다. 분은 전 백인 팀 감독 요스트를 설득하여 수비 당담 코치로 임명한다. 그들은 게티스버그에서 미식축구 트레이닝을 갖게 된다. 백
인 선수와 흑인 선수 사이에 많은 충돌이 있었지만 훈련을 통해 갈등이 잦아들게 된다.....
주요 등장인물
허먼 분 코치(덴절 워싱턴) : 통합 미식축구팀 감독
윌 패튼 - 빌 요스트 코치(월 패튼) : 수비담당 코치
줄리어스 캠벨(우드 해리스) : 원래 흑인팀 주장
게리 베티어(라이언 허스트): 원래 백인팀 주장
루이 래스틱(이선 서플리) : 뚱뚱한 친구
로니 선샤인 베스(킵 파튜) : 새로 전학온 선수

Ideas Facts Learning Issues Action Plans

-분코치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태도 영역에 포함되는 평


것 -분코치는 인종간의 화합을 중요하 가요소
Tutor Information -교과서
-태도 영역에 포함되는 평가 요 게 생각함 -평가도구 샘플(특히 정의
Sheet -인터넷, 논문
소 -분코치의 과제: 피부색이 다른 선 적 영역)
-교과서, 교사에게 문의
-분코치의 전지훈련 전략 수 조사하기 -평가도구 개발 방법
-교과서, 교사에게 문의
-평가도구 샘플 -평가도구의 객관성, 타당성 중요 -평가도구 타당성 확보 방
-평가도구 개발 방법 법
PBL 문제의 타당성 검사
기 준 응답
ㆍ문제로부터 학습이 시작되는가? 예 아니오
ㆍ문제는 학습 목표와 관련된 개념과 원리를 다루고 있는가? 예 아니오
ㆍ학습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충분히 포함할 정도로 포괄적인가? 예 아니오
ㆍ문제해결을 위해 문제를 분석하고, 정보를 찾고, 계획하는 과정이 필요한가? 예 아니오
ㆍ여러 가지 해결책이 존재하는가? 예 아니오
ㆍ문제 해결을 위한 탐색 방법이 다양한가? 예 아니오
ㆍ논쟁이나 토론의 여지가 있는가? 예 아니오
ㆍ실제로 가능한 사례인가? 예 아니오
ㆍ문제 해결에 활용되는 자료가 현실적인가? 예 아니오
ㆍ그 분야의 전문가나 실천가의 사고과정을 반영하는가? 예 아니오
ㆍ학습자의 수준에 적절한가? 예 아니오
ㆍ학습자가 경험했거나 경험할만한 사례인가? 예 아니오
ㆍ현실과 같이 복잡한 문제인가? 예 아니오
ㆍ협동이 필요한 문제인가? 예 아니오
3. PBL에서 튜터 역할하기
PBL 에서 교수자의 역할(2): 튜터

문제개발 학습자원준비 튜터활동계획 학습공간마련

[ 내용 ] [ 운영 ]
Organized curriculum Unstructured curricular time

PBL을 위한
교수자의 준비
PBL에서 튜터의 역할

PBL 과정 튜터의 역할

•초기활동 •생소한 수업내용 및 방법에 대한 소개


•허용적인 분위기 형성
•학습자와 튜터의 역할 안내
•문제제시 및 문제에 대한 접근 •학습자들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질문
•문제에서 요구하는 학습내용추론 •학습자들의 교육적 난점을 진단 및 중재
•자기주도학습의 수행 •학습자들의 고른 참여를 유도
•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지식 적용 •학습자들의 학습속도와 수준을 조절
및 문제해결계획에 대한 반추
•그룹 내 대인관계 조정을 유도
•문제의 해결안 작성
•문제의 해결안에 대한 요약 및 종
•학습내용에 대한 정리
합정리
튜터의 역할수행을 위한 원칙들(1)
1. 튜터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은 항상 상위인지 수준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단, PBL 과정이 유지되기 위해 필요한 활동과 관련된 시간 안내, 모임 장소,
오리엔테이션 활동, 안내 등은 보다 적극적이고 상세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2. 튜터는 학습자들이 문제해결의 모든 과정을 충분히 그리고 반드시 거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BL은 문제에 대한 협동적 추론과정과 자기주도학습(개별학습)과정 등을
번갈아 거치게 되는데 이때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학습자가 그 단계에서 거쳐야
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튜터는 학습자들이 깊이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추진해야 한다. 이러한 행동은


상위인지 수준의 질문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 때 학습자들의 의견과 진술 등이
정확한 것인지를 검증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4. 튜터는 학습자들의 의견이나 그룹에서의 어떠한 역할에 대해서도 자신의


의견을 표현해서는 안 된다.

5. 튜터는 학습자들에게 정보제공을 하지 않는다. 학습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정보원은 문헌, 전문가 조언, 인터넷 자료, 모델, 견본, 현장경험 등이다.
튜터의 역할수행을 위한 원칙들(2)
6. 학습자들이 그들의 논의과정에서 서로의 아이디어나 지식에 대해 서로 비판하고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7. 모든 논의는 그룹 과정이며 그룹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


이 때 튜터는 모든 학생들이 그룹의 활동에 공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에 대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고 그렇게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8. 튜터와 학생 간의 논의가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 튜터는 학생들이 이야기하고,


논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9. 학습자들에게 도전감을 갖게 해야 한다. 학습자의 생각이나 의견의 정오와 상관없이


‘당신이 맞다고 확신합니까?’, ‘이 결정에 만족합니까?’ 등의 질문을 던져 코우치해야 한다.

10. 학습자들이 불필요한 학습과제에 지나치게 열중하는 것을 조절해야 한다.

11. 튜터는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의 진척 정도의 질과 상위인지 전략의 사용을


모니터해야 한다.

12. 튜터는 그룹과정에서 나타나는 잠재적 대인 문제들을 인식해야 한다.


상황에 맞는 좋은 질문하기

단계 질문

·어려움에 부딪혀도 우리에게 에너지와 용기를 주는 것은 무엇


일까요?
팀 구성 후 팀빌딩이
·우리의 강점은 무엇인가요?
이루어져야 할 때
·우리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팀을 하나로 만들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요?

·지금 문제에서 문제해결 주인공이 해결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


가요?
문제에 대한 이해를
·문제에서 현재 상황이 가지고 있는 중요한 특성은 무엇인가요?
촉진시키고자 할 때
·문제해결의 주인공은 어떤 역할을 해야하죠?
·우리가 다루어야 할 또 다른 측면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상황에 맞는 좋은 질문하기

단계 질문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알아야 할까요?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자료를 찾아보면 좋을까요?
· 지금까지 이야기한 것 이외에 무엇을 더 알아보면 좋을까요?
· 문제 시나리오에 제시된 내용 중 문제해결을 위해 꼭 기억해야
과제해결수행계획을 하는 내용은 무엇일까요?
수립할 때 · Ideas 에 정리된 내용 중 여러분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은 무엇
인가요? 그것을 설명해주세요.
(Ideas, Facts, · 또 무엇을 알고 있나요?
·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지식이나 경험이 있다면 이야기해주
learning Issues,
세요.
Action Plans · 왜 이것(이 과정)이 중요한가요?
· 우리가 정말 공부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도출할 때) · 왜 그렇게 생각하세요?
· 이러한 내용(자료)를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요?
· 그 자료를 얻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까요?
· 그 내용을 학습하는 게 문제해결을 위해 어떤 도움이 되나요?
상황에 맞는 좋은 질문하기

단계 질문
·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이 무엇일까요?
·~라고 말했는데, 그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나요?
·이것은 결국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그렇게 한다면 어떤 결과가 발생할까요?
·그들이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을 위해 우리가 살펴보아야 할 사항들은 무엇이죠?
탐색이나 분석을
·그 대안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촉진할 때
·그것을 실행한다면 어떤 장애요인(어려움)을 예상할 수 있을까요?
·그 장애요인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
·그러한 결론이 기초로 하는 가정은 무엇이죠?
·그 가정이 옳다는 것을 어떻게 알죠(검증하죠)?
·어떤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을까요?
·그 사실은 무엇을 시사(의미)하나요?
상황에 맞는 좋은 질문하기

단계 질문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이 무엇인가요?


학습을 유도할 때 ·그것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는 무엇이지요?
·그것을 확인하기 위해 무엇을 학습해야 할까요?

·왜 그렇게 생각하나요?
·그 문제를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나요?
새로운 시각을
·만일 ...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촉진할 때
·그것을 다른 방식으로도 할 수 있을까요?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은 무엇일까요?
상황에 맞는 좋은 질문하기
단계 질문
·과제를 수행하면서 무엇을 배웠나요?
·(그러한 경험을 통해)우리가 배울 점은 무엇인가요?
·어떤 성과를 얻었다고 생각하나요?
·그 대안이 어떤 점에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이 과제에 당신은 어떻게 기여했나요?
·이 과제를 다시 시작한다면 바꾸고 싶은 점은 없나요?
·과제 목표를 충분히 달성했다고 생각하나요? (예/아니오) 어떤 점에서 그렇죠?
과제 마무리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결과물을 얻기 위해) 살펴본 본 점은 무엇이죠?
이후의 성찰
·과제 수행과정이나 결과물에서 잘 했던 것이 무엇인가요?
·문제해결안이 질적으로 어떻다고 생각합니까?
·과제가 우리의 학습에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까?(가장 가치 있는 학습은 무엇
이었나요?)
·팀에 대해 무엇을 배웠나요?
·과제를 통해 배운 학습을 어디에 적용할 수 있을까요?
·내가 질문해야 하는데 하지 않은 질문이 있나요?
팀 구성원의 역할 (Belbin, 2010)

1. 아폴로 신드롬
2. 팀 역할의 균형
역할 특성
전문가 한 가지 일에 전념하고 솔선하며 헌신적임, 전문분야의 지식과 기능을 잘 제공함.
(Specialist)
완결자 근면 성실하고 매우 열심이어서, 실수나 빠진 것을 찾아내고 제시간에 일을 이룩해
(Completer) 냄
실행자 엄격하고 신뢰성이 있으며 보수적이고 능률적임. 아이디어를 실행에 잘 옮김
(Implementer)
창조자 창조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하며 전통이나 인습에 얽매이지 않아 어려운 문제를 잘
(Plant) 해결함.
분위기 조성자 협력적이고 온화하며 남을 잘 이해하는 등 외교적임. 경청하고 마찰을 하며 조직을
(Team worker) 평온하게 함
자원 탐색가
(Resource 외향적이고 열정적이며 말하기를 좋아하며 기회를 발굴/탐색하고 친교를 잘함
investigator)
지휘/조절자 성숙하고 자신감에 넘치는 훌륭한 지도자로서, 목표를 명확히 하고 의사결정을 증
(Coordinator) 진하며 위임을 잘 함
추천자 도전적이고 활기에 넘치며 곤경 속에서 번성함. 장애를 극복하는 추진력과 용기를
(Shaper) 지님
냉철판단자
(Monitor 냉정하고 전략적이며 총명하며, 모든 안을 살피고 정확히 판단함
evaluator)
성공적인 집단 구성 요인(학생들의 인식)

장경원, 성지훈(2012)
팀편성조사표

이름 : 연락처 :

학과 : 학년 : 나이 : 성별 :

지난학기 성적(평점) : 자료검색능력*: 하( ) 중( ) 상( )


전혀
그렇지 보통 매우
질문** 그렇지 그렇다
않다 이다 그렇다
않다

① 나는 주어진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다.

② 나는 과제를 위한 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③ 나는 다른 사람을 잘 배려해준다.

④ 나는 내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⑤ 나는 소집단의 분위기를 즐겁게 할 수 있다.

⑥ 나는 소집단 활동 시, 회의를 잘 진행할 수 있다.


장경원, 성지훈(2012)
4. PBL에서의 평가
PBL 평가의 특성

• 수행평가
- 실제적 현실상황 속에서 지식과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평가
• 과정평가
- 학습의 결과뿐만 아니라 학습의 과정 중시
- 학습의 시작부터 끝까지 지속적 평가
• 다면평가
- 교수의 평가만이 아니라 학생 자신, 동료간, 집단 간 평가 포함
• 종합평가
- 학습자 스스로 학습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도록 한 성찰일지 등
다양한 방식의 주관적, 객관적 자료 종합적 활용
PBL 교수자별 평가 전략 비교
구분 Beginning PBL 교수자 Developing PBL 교수자 Gold Standard PBL 교수자
학습자들의 학습목표 도달 여부를 프로젝트 산출물 및 다른 산출 자료들을 이용 프로젝트 산출물과 다른 산출 자료들을
평가 프로젝트 산출물보다는 주로 시험을 하여 학습자들의 학습목표 도달 여부 평가 및 이용하여 학습자들의 학습목표 도달 여
대상 통해 평가하며, 기술의 향상정도에 기술의 향성 정도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평가 부를 평가하며, 기술의 향상 정도에 대
대해서는 평가하지 않음 함 해서도 평가함
팀별 산출물 이외의 자료들을 토대로 학습자
팀별 산출물을 평가하지만 학습자 팀별 산출물 이외의 자료를 활용하여 학
개인 개개인의 학습도 어느 정도 평가하지만, 교수
개개인의 학습목표 달성 여부에 습자 개개인의 학습목표 달성 여부를 평
평가 자가 학습자의 학습 성과에 대해 적절한 증거
대해서는 평가하는 것이 어려움 가함
자료를 확보하지는 못함
형성평가가 종종 이루어지지만 다양한 프로젝트학습의 과정에서 다양한 도구
형성 형성평가가 몇 개의 다른 도구와 과정을 이용
도구와 과정을 활용하거나 정기적으로 와 절차를 이용하여 형성평가가 정기적
평가 하여 여러 번 이루어짐
이루어지지는 않음 으로 자주 이루어짐

비평/개선 비평과 개선을 위한 계획안(Protocol)이 비평과 개선을 위한 구조화된 프로토콜과 다 비평과 개선을 위한 구조화된 프로토콜
프로토콜 없으며 비공식적임 른 형성평가기법이 종종 사용됨. 이 체크포인트에서 정기적으로 사용됨.

학습자들은 학습에 도움이 되는 의사결


. 피드백은 피상적이어서 학생들의 학습자들은 피드백을 어떻게 제공하고 이를
피드백 정 및 행동에 도움을 제공하는 효과적인
작업 향상에 도움을 주지 못함 어떻게 활용하는지 학습함
피드백을 주고 받음
학습자들은 자신의 결과물에 대해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 진전에 대해 자
학습자들에게 자신의 학습 진전에 대해 구조
평가 비공식으로 평가하며, 교수자가 기평가할 수 있도록 정기적, 구조화된
화되지 않거나 빈번하지 않게 자기평가할 수
주체 학생들에게 공식적, 구조화된 자기평가 기회가 제공되며, 자신들의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됨
평가기회를 제공하지 않음 행에 대한 동료평가도 이루어짐
최종 산출물에 대한 평가 루브릭은 학습자와 교수자가 학습목표 기반의 루
평가 교수자가 학습목표 기반의 루브릭을 이용하
있지만, 형성평가용은 없음. 루브릭이 브릭을 이용하여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루브릭 여 형성평가와 총괄평가를 수행함
학습목표를 기초로 하지 않음 를 수행함
출처: Boss, S., & Larmer, J. (2018). Project based teaching: How to create rigorous and engaging learning experiences. ASCD.
PBL 평가 설계 및 실행 전략
구분 내용
- 프로젝트 산출물
-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도출된 다양한 자료들(학습계획서, 수집문헌, 문헌분석자료, 인터뷰
평가대상
결과 정리, 팀별 회의록 등등)
- 기술향상정도(회의진행, 상호작용, 발표, 배려, 자료탐색, 질문 등)

개인평가 - 팀평가 & 개인평가

- 형성평가는 학습자들에 대한 진단과 교수자가 수업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
형성평가
- 사전지식평가, (이해에 도움이 되는) 과제제공, 관찰과 질문
- 형성평가가 필요한 시점, 평가방법, 평가도구 등에 대해 사전에 계획하여 실시

- 과제명확화, 과제해결을 위한 자료수집 및 분석, 해결안모색 및 타당성 검증, 최종결과물


비평/개선 프로토콜 개발과 발표의 과정에서 비평과 개선을 위해 활용할 공식적인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계획된
시점에 활용

- 학습에 도움이 되는 피드백: 내용이해, 적용 등


피드백
- 프로젝트 진행과정에 도움이 되는 피드백: 자료수집 계획, 정리, 해석, 적용 등

- 교수자에 의한 평가
평가주체
- 학습자에 의한 평가: 학습 진전 과정과 결과를 진단할 수 있는 자기평가, 동료평가

- 형성평가용 루브릭, 총괄평가용 루브릭


평가루브릭
- 루브릭은 학습자와 교수자가 모두 사용
PBL을 위한 평가설계

출처: Boss, S., & Larmer, J. (2018). Project based teaching: How to create rigorous and engaging learning experiences. ASCD.
PBL을 위한 평가설계 (sample)
2차 팀별 토의 과정에서 질문
수행평가, 과정중심평가,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의 주요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개념비교표 만들기 과제

성찰저널

팀원들이 협력하여 성취기준에 프로젝트제안서


부합한 학습활동(프로젝트학습)을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설계하고 과정중심평가를 계획할
프로젝트학습 운영계획서 수 있다. 프로젝트 진행 보고서/회의록

성찰저널

3차 팀별 결과물
과정중심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젝트학습 운영계획서를
작성하고 설명할 수 있다. 최종결과물에 대한 팀간 피드백과
개선안에 대한 답변
최종결과물에 대한 교수자의
피드백과 개선안에 대한 답변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 관찰
• 질문
• 평가 항목 및 평가표
• 다양한 결과물과 활동을 보다 쉽게 평가할 수 있음
• 평가표는 평가의 기준을 제공해 준다는 것 외에도 교수자가 아닌
학습자 자신과 동료에 대해서도 평가를 할 수 있다는 이점
• 평가 기준과 평가표는 평가의 목적과 대상, 주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 활용할 수 있음
How? : 다양한 Rubric 활용
Sample 1 : 문제해결안평가 : 보고서에 대한 평가

Criteria

문제에서 요구하는 사항이 무엇인지 분명히 파악하고 접근하였다.

문제에 포함된 주요 개념, 절차, 원리 등을 분명히 이해하고 있다.

문제해결을 위해 자료가 충분히 검토되었다.


신뢰할만한 자료를 인용 또는 참고하였다.
충분한 설명, 세부사항, 적절한 예를 포함하고 있다.
실천 가능한 해결안을 제시하였다.

문제에서 요구하는 최종 해결안의 형식에 맞게 작성되었다.


신뢰할만한 자료를 인용 또는 참고하였다.

누가(자기평가, 동료평가, 교수자평가)평가할 것인지 선택해야 함.


평가주체가 다양할 수 있음
How? : 다양한 Rubric 활용
Sample 2 : 문제해결안평가 : 발표능력에 대한 평가

Criteria

발표에 중요한 내용이 충분히 제시되었다.

발표내용이 논리적으로 잘 조직되었다.

발표자료가 매력있게 구성되었다.

발표내용이 청중이 이해하기 쉽게 제시되었다.

발표내용이 다른 학습자의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

발표자가 내용을 분명하게 전달하였다.

누가(자기평가, 동료평가, 교수자평가)평가할 것인지 선택해야 함.


평가주체가 다양할 수 있음
How? : 다양한 Rubric 활용
Sample 3 : 그룹활동 평가지

Evaluation for : Rate: 1- 5 points

그룹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문제의 해결안을 성공적으로 개발하는데 공헌하였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였다.
질문을 제기하고 다른 사람의 질문에 대답하였다.
과제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였다.
유용한 정보를 찾아 제공하였다.
다른 구성원들과 협력하였다.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다른 구성원을 칭찬하고 격려하였다.
How? : 다양한 Rubric 활용
Sample 4 : 성찰일지 평가지

Evaluation for : Rate: 1- 5 points

문제를 통해 학습해야 할 주요 개념, 원리 및 절차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다.

주요 학습내용과 관련하여 자신의 생각이나 느낀 점을 잘


진술하였다.

학습과정에서의 자신의 경험이 잘 드러나도록 진술하였다.


학습내용에 자신의 현재 및 미래의 일을 잘 연결지어
진술하였다.
그룹 활동의 기여 정도는 학습자들이 서로에게 부여한 점수를
반영하였다.
How? : 다양한 Rubric 활용
Sample 5 : 온라인 토의 평가준거

• 주요 개념들을 충분히 잘 이해하고 있다.


• 시기 적절한 방식으로 그룹에 공헌하였다.
9-10
• 할당된 과제의 최소한 혹은 그 이상을 수행하였다.
• 글을 분명하고 논리적으로 작성하였다.
• 주요 개념들을 대체로 정확히 이해하고 있다.
• 시기 적절한 방식으로 그룹에 공헌하였다.
7-8
• 할당된 과제의 최소한을 수행하였다.
• 글을 대체로 분명하고 논리적으로 작성하였다.
• 주요 개념들에 대해 제한적으로 이해하고 있다.
• 불규칙하게 그룹에 공헌하였다.
5-6
• 할당된 과제를 건성으로 수행하였다.
• 글을 성의없이 산만하게 작성하였다.
•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
1-4
• 성의없이 엉뚱한 글을 작성하였다.
How? : 다양한 Rubric 활용
Sample 6 : Portfolio Rubric

• 포트폴리오 : 학생들의 학습과정과 결과가 드러나는 것.


• 내용의 조직도, 양, 성찰, 깊이 등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평가 준거 필요
가능
내용
점수

∙ 내용 조직이 매우 우수 ∙ 모든 영역을 충분히 포함함


9∼10 ∙ 사려 깊은 성찰 ∙ 매우 많은 노력을 기울임
∙ 학습 결과물의 양 충분, 매력적인 제시

∙ 내용 조직이 우수 ∙ 대체로 모든 영역을 포함


7∼8 ∙ 적정 수준의 성찰 ∙ 대체로 노력함
∙ 학습 결과물의 양 보통, 비교적 매력적인 제시

∙ 내용 조직화 부족 ∙ 모든 영역을 포함하지 않음


5∼6 ∙ 제한된 성찰 ∙ 노력 부족
∙ 학습 결과물의 양 부족, 창의성 결여된 제시
∙ 어떤 최소 요구조건에도 부합하지 않음
1∼4

Anderson & Puckett (2003)


How? : 다양한 Rubric 활용
Sample 7 : 튜터에 의한 관찰 평가 Rubric

항목 내용 우수 보통 부족
토론에의 적극성
토론참여도
진행에 도움이 되는 발언/태도

의사소통기술 공감, 경청, 예의, 발표능력

문제의 다각적 분석
문제에 대한 논리적 접근
가설의 논리적 도출
능력
창의적인 사고

학습 결과 게시물의 충실도, 시간 준수
정보수집/활용 능력
다양한 정보의 수집과 활용

온라인 토의공간 참여도 온라인 상에서의 활발한 상호작용


How? : 다양한 Rubric 활용
Sample 8: concept map 평가지

Evaluation for : Rate: 1- 5 points

개념의 수 (Number of relevant concept)가 적절한가?

유효 연결의 수 (Number of valid proposition)가 적절


한가?
가지치기 (Branching)가 의미있게 이루어졌는가?

교차결합 (Cross-links) 이 의미있게 이루어졌는가?


사례 수 (Number of examples of specific concepts)가
충분히 제시되었는가?
How?
Sample 9: 팀발표에 대한 평가지

과제명:
팀 이름: 번호 : 이름:
점수
팀 이름 칭찬하고 싶은 점 개선 및 추가가 필요한 내용
(1-5)
5. Online PBL
Online PBL
온라인 PBL이란?
❖ 온라인 PBL은 학습자들이 원격교육 상황에서 복잡하고 실제적인 문제에 대한
탐구과정을 통해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는 교수학습방법임
❖ 학습자들은 동시적 또는 비동시적으로 함께 PBL에서 제시한 과제(문제)를 수행함
❖ 성공적인 온라인PBL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채팅, 공유게시판, 화상회의시스템,
그룹 브라우징(group browsing) 등 동시적 협업을 지원하는 도구가 매우 중요함

조사활동 참여
인지적 도구 활용
문제 산출물
온라인 공간에서의 협업

❖ 원격수업 학습자의 내적 동기를 이끌어 내는 주요 요인: 교수자가 학습자들을 이해하는


것, 교육과정, 그리고 커뮤니티를 형성해주는 것 (Middleton, 1995)

❖ 원격수업에서 커뮤니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PBL이 필요함. PBL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


해 학습자들이 협력하고, 상호작용해야 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커뮤니티의 생성과 활
성화가 이루어짐(Hargis, 2005)
Online PBL : 학습이 이루어지는 매커니즘

과학적 추론, Online 협력


지식기반구축

복잡하고 실제적인 그룹 역동성


맥락/상황 학습 공감, 경청
평생학습 온라인
기술, 태도 자기주도학습 협력학습

의사소통
Presentation
메타인지
Problem Based Learning 절차(1)
초기활동(자기소개, 팀빌딩 등)
Ideas Facts Learning Issues Action plans

문제 제시

문제 확인

문제해결을 위한 자료수집

문제 재확인 및 해결안 도출 No

문제 해결?

Yes
문제해결안 발표

학습결과 정리 및 평가
최정임, 장경원(2015)

성찰
Online PBL

학생들은 공유게시판, 화상회의 시스템, 그룹 검색, 이메일, 포럼룸 등의 협업


도구를 사용하여 동시적・비동시적으로 협업함(Savin-Baden & Wilkie, 2006)

영상

화상회의 시스템
LMS
(Google Meet , Zoom, Whats
(동영상자료 등)
app, Gather Town, 카카오톡
영상통화, BeeCanvas 등
비동시적 동시적

LMS 메신저 프로그램


(게시판, 이메일, 쪽지 등) (문자메시지, 카카오톡, Whats app,
mentimeter.com 등)
공동저작 프로그램
(Google Docs 등)

문자
Online PBL 사례
Online 문제중심학습 운영 사례
단계 학습자들의 주요 활동 면대면미팅 비대면미팅 Only
+LMS +LMS LMS

초기활동 • 인사+자기소개 면대면미팅


& OT • 팀명, 팀규칙 선정 → LMS Zoom→LMS LMS
• PBL에 대한 안내와 연습
문제제시 • 문제제시하기 면대면+LMS LMS LMS
• 문제 이해
문제분석 및 •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학습과제 도출 면대면미팅 Zoom→LMS LMS
학습과제 도출 및 역할분담(Ideas, Facts, Learning ⇄LMS
Issues, Action Plan 도출)

자료수집(자기 •• 자료수집 및 선택 면대면미팅


주도학습) 자료이해 및 분석 ⇄LMS LMS⇄Zoom LMS
• 자료종합 및 활용자료 정리
문재 재확인 • 자료공유&설명 면대면미팅
및 해결안 • 문제 해결안(결과물) 초안 작성 ⇄LMS LMS⇄Zoom LMS
도출 • (필요한 경우) 자료조사계획수립

문제 해결안 • 해결안(결과물) 개발 면대면미팅 LMS⇄Zoom


작성 • 해결안(결과물) 검토 ⇄LMS LMS
• 해결안(결과물) 수정&보완
문제 해결안 • 해결안 발표 면대면 Zoom→LMS LMS
발표 및 평가 • 해결안에 대한 질의응답 →LMS
종합정리 • 주요 내용에 대한 요약 정리 면대면 또는 Zoom LMS
및 평가 LMS
성찰 • 성찰 LMS LMS LMS
Online PBL 운영 전략
온라인 PBL 운영전략 사례

1. 문제해결 위한 학습자들
• 학습관리시스템(LMS)+화상회의프로그램(Zoom 등)
의 상호작용이 온라인
공간에서 이루어짐 • 온라인 프로젝트학습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및 활용

• 실험이 필요한 경우 실험공간 제공+시뮬레이션 프로그램활용(Swart, 2015)


2. 온라인 공간의 특성을 고 •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원격수업을 해야하는 상황으로 전환되면서 본래 계획했
려한 문제 설계 던 생화학 분야의 실험 기반 연구 과제를 핵심연구역량과 지역사회봉사활동에 초
점을 둔 프로젝트로 변경하여 PBL 운영(Zewail-Foote, 2020)
• 온라인 PBL을 위한 6단계(상상, 디자인, 개발, 제시, 개선, 평가)의 시스템 구축 & 각
단계별로 학습자들이 자료 공유, 토의, 의견수렴, 발표할 수 있는 기능 제공
3. 학습자들이 PBL의 주요 (Chatwattana와 Nilsook(2017)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 학습자들의 참여, 협력, 상호작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탐색, 정교화,
운영 & 지원 평가의 단계로 진행. 탐색: 동료학습자의 특성, 협력 및 상호작용 방법 등을 파악,
정교화: 과제수행을 위한 개별학습과 협력학습, 평가: 팀원들의 기여도, 학습경험,
결과물을 평가(Bernard & Lundgren-Cayrol, 2001)

• 개인성찰, 협력적 성찰 활동 함께 활용(Kim & Lee, 2002)


4. 온라인 PBL의 학습효과
• PBL 과제에 대해 함께 논의할 수 있는 라이브세미나 운영(Im, Heo, & Kim, 2019)
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
략 활용 • 온라인 PBL 이외에 개별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온라인 학습과제 제공 및 이에 대한
피드백 제공(Zewail-Foote, 2020)
Online PBL 교수자의 역할
구분 내용

∙학습자들이 활용할 학습 공간, 프로그램 등에 대해 명확하게 안내한다.


∙학습자들이 채팅, 토의, 온라인 자료 활용에 익숙해 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학습자들에게 프로젝트학습 전체 기간, 평가 준거 등을 안내하여 기대하는
바가 무엇인지 알게 한다.
안내제공
∙학습자들에게 교수자에게 어려움이나 관심내용에 대해 언제든지 이메일을
보낼 수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안내한다.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에 선택권을 갖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과의 협력에
대한 책임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학습자들이 활용하는 매체에 친숙해질 수 있도록 팀 토의활동 전에 토의활


동을 운영한다.
연습기회 ∙온라인 PBL에서 협력이 의미하는 것을 알게 한다. 즉 서로서로 질문하고
제공 자료를 공유하고 경쟁하기 보다는 협력하고, 팀워크의 가치를 배우고, 다
양한 관점을 수용하고, 의견불일치의 가능성을 즐기고 팀과 개인 학습의
수단으로서 의견불일치와 갈등을 즐기는 것
Online PBL 교수자의 역할
구분 내용
∙ 개인/팀 수준의 자신감을 형성할 수 있는 활동이나 시나리오를 제공한다.
∙ 학습자들에게 자료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한다.
자료제공
∙ 따돌림, 잠수타기, 침묵과 기분, 과잉참여 등 학습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행동에 대한 토의기회를 제공한다.
∙ 학습자들이 과제에 대해 논의하기 전에 이를 방해하지 않는다.
∙ 학습자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팀 규칙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침묵 존중, 학생들의 자율성 촉진, 갈등상황에 대한 간섭 자제)
∙ 면대면 PBL에서의 퍼실리테이션 경험을 활용한다.
(지시보다는 질문과 성찰의 기회 제공)
팀활동에
∙ 교수자의 의견이 팀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대한
조력활동 ∙ 온라인 공간에 게시된 학습자들의 토의내용과 자료들을 읽는다(경청).
∙ 학습자의 이야기를 듣고(읽고) 바로 의견을 제시하지 않는다. 학습자들이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여유를 준다.
∙ 학습자들 스스로 요약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기회를 준다.
∙ 학습자들이 자료수집에만 집중하지 않도록 내용요약과 비평을 권한다.
∙ 자료, 강의 등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만 제공한다.
Online 학습자의 역할
온라인 PBL에 최적화된 팀 빌딩하기
• 팀원들이 충분히 친해지고 래포를 형성하기
• 팀활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팀규칙 수립하기
• 서로를 배려하고 존중하기
• 책임감을 갖고 자신이 맡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기
• LMS, Zoom, 그리고 다양한 SNS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팀원들이 서로의
의견과 글에 대해 반응하기
• 다른 사람이 제시한 글과 자료를 성의껏 읽기
• 서로서로 질문하기(상대방의 의견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
도록~ )
• 최종 결과물을 도출할 때는 수집한 자료의 나열이 아니라 종합, 분석, 창작의 과
정을 거치기
6. 정리 및 성찰
• Power of PBL : 독특한 진행과정에서 학습자들이 수행해야 하는 토의
• PBL에서 학습자들이 수행해야 하는 활동들 :
- 학습자 중심 학습이 갖는 가치를 드러냄
- 이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PBL의 과정을 준수하고
각 과정에서 수행해야 되는 역할과 활동, 절차를 충실히 따라야 한다.

• PBL에서 교수자의 역할
- PBL의 척추와 같은 역할
- 문제개발과 튜터활동이 중요
• PBL은 의사들의 문제해결과정을 중심으로 개발
: 전공영역에 맞게 PBL 모형의 수정 적용이 요구
• PBL은 교수자의 노력과 관심으로 성공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최정임, 장경원(2015). PBL로 수업하기. 서울: 학지사.


장경원, 고수일(2014). 액션러닝으로 수업하기. 서울: 학지사.
장경원, 이병량(2018). 토의와 토론으로 수업하기. 서울: 학지사.
장경원 외(2019). 알고보면 만만한 PBL수업. 서울: 학지사.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