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25

2023학년도 수리논술 대비

기출문제집 I
(2023~2018)

수학연구소
(배기은 ․ 송명관 ․ 유홍조 ․ 나동혁)
[2023학년도 광운대 논술전형]

1. 전형요소 및 반영비율

광운대 [논술우수자전형]

◦논술70% + 교과30%
시 험 일 자 11/26(토) 전 형 방 법
◦수리논술 2문항(문제당 소문항 있음) (120분)

모집인원(명)
자연계 120 ◦최저 미적용
수능최저조건

2. 시험유의사항
■ 시험시간은 2시간(120분)입니다.
■ 답안지에 모집단위, 성명, 수험번호, 주민등록번호 앞자리를 “검정색볼펜”으로 정확히 기재하고 진하게 마킹하기 바랍니다.
■ 답안 작성란은 “검정색볼펜” 또는 “검정색 연필(샤프)“로 작성하십시오.
※ 검정색 이외(빨간색, 파란색 등) 사용 금지
※ 지우개, 수정액, 수정테이프 사용 가능
■ 답안지에는 제목을 쓰지 마십시오.
■ 답안과 관련 없는 표현이나 표시를 하지 마십시오.
■ 답안지 1장 이내에 답안을 작성해야 합니다.
■ 현 수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다룬 내용과 방법을 이용한 풀이를 정당한 풀이로 인정합니다.

3. 교과등급 반영점수

◦2020년 2월 포함 이전 졸업자부터 비교내신


광운대 [논술우수자전형] ◦논술70% + 교과30%
적용

◦논술700점 + 교과300점 = 총1,000점


교과등급 석차등급 1 2 3 4 5 6 7 8 9
반영점수
기준점수 100 98 96 94 92 88 80 70 0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


2023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등차수열
첫째항부터 차례로 일정한 수를 더하여 얻은 수열을 등차수열이라고 하며, 그 일정한 수를 공차라고 한다.

2. 등비수열
첫째항부터 차례로 일정한 수를 곱하여 얻은 수열을 등비수열이라고 하며, 그 일정한 수를 공비라고 한다.

3. 켤레복소수
복소수    (, 는 실수)에 대하여 허소부분의 부호를 바꾼 복소수   를   의 켤레복소수라고 한다.

4. 함수의 연속
함수 가 실수 에 대하여
(ⅰ) 함수 가   에서 정의되고
(ⅱ) 극한값 lim가 존재하며
→

(ⅲ) lim  


→

일 때, 함수 는   에서 연속이라고 한다. 한편 함수 가   에서 연속이 아닐 때, 함수 는   에서 불연


속이라고 한다. 즉, 함수 가 위의 세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시키지 않으면 함수 는   에서 불연속이다.
[1] 실수 에 대하여 세 수가 아래와 같이 주어졌을 때, 다음을 구하시오. (단,  ≤   )

cos cos   , sin  cos ,  cos cos 

(1) 세 수가 순서대로 등차수열이 되게 하는 실수 의 개수와 공차  [4점]

(2) 세 수가 순서대로 등비수열이 되게 하는 실수 의 개수와 공비  [6점]

[2]   인 실수 와 실수 에 대하여 복소수    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킬 때, 점 P 가 좌표평면에 나타내는
곡선을 그리시오. [7점]

 
(가)       (단, 복소수  는  의 켤레복소수)
 

(나)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



[3] 함수      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시오.


(1)   
 일 때,    의 값 [5점]



(2)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이차함수  [5점]

[4] 다음 두 곡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고 할 때, 실수 의 범위를 구하시오. [8점]

  
  ,      

[5] 다음 두 함수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
  lim  ,   
→∞ sin     
 

(1) 함수 의 연속성을 조사하시오. [9점]

(2) 곡선   를 축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곡선과 곡선   가 서로 다른 네 점에서 만날 때, 실수 의 범위를 구


하시오. [6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극대와 극소의 판정
미분가능한 함수 에 대하여 ′   일 때,   의 좌우에서
(ⅰ) ′ 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는   에서 극대이고, 극댓값 를 갖는다.
(ⅱ) ′  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는   에서 극소이고, 극솟값 를 갖는다.

2. 미분과 적분의 관계
함수 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일 때,
 

   

(단,     )

3. 치환적분법을 이용한 정적분


미분가능한 함수 의 도함수  ′  가 닫힌구간  를 포함하는 열린구간에서 연속이고,   와   에 대하여
함수 가 와 를 포함한 구간에서 연속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4. 수학적 확률
표본공간  에서 각각의 근원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이 모두 같은 정도로 기대될 때, 사건  가 일어날 확률은 다음과 같다.
  
P    
 

[1] 등식     을 만족시키는 실수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 ≥ ,  ≥ 일 때, 실수 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5점]

(2) 다음 식을 만족시키는 와 를 구하시오. (단,  ≠ ) [5점]

[2]  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가 다음 등식을 만족시킬 때, 의 값을 구하시오. [8점]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


[3] 함수      sin   cos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1)   에서 함수 의 극댓값을 큰 것부터 차례로    ⋯  ⋯이라고 할 때, 자연수 에 대하여 ln  의 값
 
을 구하시오. [6점]

 


 
(2) lim    의 값을 구하시오. [6점]
→    

[4] 열린구간  에서 정의된 함수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킬 때, 물음에 답하시오.

(가)     cosln 


(나)      

(1) 함수 를 구하시오. [4점]


(2) 방정식   의 실근을 큰 수부터 차례로    ⋯  ⋯이라 할 때,   의 합을 구하시오. [6점]


[5] 아래 글을 읽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같은 수준의 두 바둑 기사 A와 B가 우승 상금 8백만 원을 놓고 여러 차례 바둑 경기를 치


뤘고 4번의 경기가 남아 있다. 현재 A가 상금을 타기 위해서는 앞으로 2승이 더 필요하고
B는 3승이 더 필요하다. (단, 비기는 경기는 없다.)

(1) 현재 상황에서 A와 B가 우승할 확률을 각각 구하시오. [6점]

(2) 더 이상 바둑 경기를 진행할 수 없게 돼서 현재 상황에서 우승 상금을 A와 B가 나누어야 한다. (1)의 결과를 이용하여 각
각 나누어야 할 금액을 구하시오. [4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


2022학년도 수시기출 자연1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함수의 증가와 감소
함수 가 어떤 열린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그 구간에 속하는 모든 에서
′   이면 는 그 구간에서 증가한다.
′   이면 는 그 구간에서 감소한다.

2. 타원
평면의 두 점 F 와 F′ 로부터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을 타원이라고 한다. 이때 두 점 F 와 F′ 을 타원의 초점이라고 한
다.

3. 치환적분법을 이용한 정적분


미분가능한 함수 의 도함수 ′  가 닫힌구간     를 포함하는 열린구간에서 연속이고,   와   에 대하여
함수 가 와 를 포함한 구간에서 연속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1] 다항식의 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자연수    ×  ×  ×        ×    ×   를 소인수분해하시오. [7
점]

[2] 좌표평면에서 점 A  과 원점 O  및 포물선       의 점 B 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AOB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점 B 와 직선 AO 사이의 거리를 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시오. [4점]

(2) 삼각형 AOB 의 넓이를 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고, 삼각형 AOB 의 넓이의 최솟값을 찾으시오. [4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7▹


[3] 두 함수     와     에 대하여 다음을 찾으시오.

(1) 함수  가 모든 실수 에서 정의되기 위한 상수 의 값의 범위 [4점]
  

(2) 함수   가 구간  ∞에서 증가하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의 범위 [6점]

[4] 태양 S를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 궤도를 따라 행성 E가 공전하고 있다고 하자. 다음 그림과 같이 이 타원을 좌표평면에


나타내어 타원의 중심은 원점 O 에 장축 AB 는 축에 놓인다고 하자. 태양 S는 원점 O 와 꼭짓점 A 사이에 있다. 선분 AS의
길이가 , 선분 SB 의 길이가 이라고 할 때, 다음을 찾으시오.

(1) 좌표평면에서 행성 E의 궤도를 나타내는 타원의 방정식 [5점]

(2) 선분 OE와 축의 양의 방향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라고 할 때, 매개변수 로 (1)의 타원의 방정식을   cos,

   sin ( ≤   )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두 양수 와 의 값과    에 대응하는 점에서의 타원의 접선의 방정식

[7점]

(3) 선분 SE의 길이를    라고 할 때,    의 최솟값과 그 때의 의 값 [6점]


(4) 가 에서  까지 증가하는 동안 선분 OE가 지나가는 영역의 넓이 [7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8▹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함수 극한의 대소 관계
두 함수 와 에 대하여 lim   이고 lim   (  ,  은 실수)일 때, 에 가까운 의 모든 값과 함수
 →  →

에 대하여  ≤  ≤ 이고    이면 lim   이다.


 →

2. 확률밀도함수의 성질
연속확률변수  의 확률밀도함수   ≤  ≤ 에 대하여
①  ≥ 
② 의 그래프와 축 및 두 직선   와  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이다.
③ 두 상수 와   ≤  ≤  ≤ 에 대하여 P  ≤  ≤ 는 의 그래프와 축 및 두 직선   와   로 둘러싸
인 부분의 넓이와 같다.

3. 부분적분법을 이용한 정적분


미분가능한 두 함수 와 에 대하여 ′  와 ′ 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1] 삼차방정식         의 세 실근은 등차수열을 이룬다. 이때 다음을 찾으시오.


(1) 등차수열을 이루는 세 실근의 등차중항 [4점]

(2) 상수 의 값 [3점]

(3) 주어진 방정식의 세 실근 [4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9▹


[2] 이 자연수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
(1)    임을 증명하시오. [6점]
           



(2) 
        
 
의 값을 찾으시오. [7점]

[3] 양수 에 대하여 함수    ln 라 하자. 곡선   와 실수 에 대하여 축에 평행한 직선   가 만나는 점의
개수를 라 하자.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구간     에서 두 함수 ln  와   의 대소 관계를 판정하시오. [7점]


(2) (1)을 이용하여 두 극한값 lim 와 lim 를 찾으시오. [6점]
 →  → 

(3)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나타내는 표를 만들고, 함수 가 불연속인 의 값과 그 함숫값 의 순서쌍  를
찾으시오. [7점]


(4) 연속확률변수  의 확률밀도함수가    ln     ≤  ≤ 

 
일 때, 양수 의 값을 찾으시오. [6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0 ▹


2022학년도 수시기출 자연2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이차방정식의 근의 판별
계수가 실수인 이차방정식         ≠ 에서     라고 할 때,
  이면 서로 다른 두 실근이 있다.
  이면 중근이 있다.
  이면 서로 다른 두 허근이 있다.

2. 치환적분법을 이용한 정적분


미분가능한 함수 의 도함수 ′  가 닫힌구간     를 포함하는 열린구간에서 연속이고,   와   에 대하여
함수 가 와 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연속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1]
(1) 다음 조건 (ⅰ)과 (ⅱ)를 만족시키는 두 실수 와 에 대해  를 좌표로 하는 점 전체로 이루어진 영역을 그림 또는 식
으로 나타내시오. [3점]

(ⅰ)  ≤  ≤ ,  ≤  ≤ 
(ⅱ) 이차방정식       의 실근이 있다.

(2) 점 A 을 지나는 직선이 (1)의 영역을 왼쪽과 오른쪽으로 넓이의 비가   이 되도록 나눌 때, 그 직선의 방정식을
찾으시오. [6점]

[2] 함수 가  ≤  ≤ 에서 정의된 연속함수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함수   의 그래프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뒤에,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 그래프인 함수를 
 
라고 할 때,     임을 증명하시오. [6점]
 

sin
(2) 정적분 
  cos 

의 값을 찾으시오. [6점]

 sin
(3) 위의 결과를 이용하여 정적분  
  cos 

의 값을 찾으시오. [7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1 ▹


[3] 다음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의 두 변이 두 좌표축에 놓여 있다. 이 정사각형의 오른쪽으로 축에 놓이
면서 한 변의 길이가 절반인 정사각형들을 계속해서 추가한다. 번째 정사각형의 오른쪽 위 꼭짓점을 P an  bn  이라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1) 점 P  의 좌표    을 찾고,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이 홀수임을 증명하시오. [6점]



   

(2) 번째 정사각형의 넓이를   이라고 할 때,  의 값을 찾으시오. [4점]
 

(3)  ≥ 일 때, 다음을 만족시키는 양수  을 찾으시오. [6점]

원점 O와 점 P  을 지나는 직선과 직선    사이의 각의 크기는 이다.

[4] 다음 식의 값을 찾으시오. [6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2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타원의 접선의 방정식


 
타원     에 있는 점 P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2. 합의 법칙
두 사건  와  가 동시에 일어나지 않을 때, 사건  와 사건  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가 각각  과 이면, 사건  또는 사건
 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는   이다.

3. 수학적 확률
표본공간  에서 각각의 근원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이 모두 같은 정도로 기대될 때, 사건  가 일어날 확률은 다음과 같다.
 
P    
 

4. 수학적 귀납법
자연수 에 관한 명제 이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성립함을 증명하려면 다음 두 가지를 보이면 된다.
(ⅰ)   일 때, 명제 이 성립한다.
(ⅱ)   일 때, 명제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일 때에도 명제 이 성립한다.


[1] 타원        의 제사분면에 있는 점 P    에 대하여, 점 P 에서의 접선이 축과 점 A에서 만나고 축

과 점 B 에서 만난다고 하자. 원점 O 와 두 점 A와 B 가 꼭짓점인 삼각형 OAB 가 직각이등변삼각형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
오.
(1) 점 P 의 좌표를 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시오. [6점]

(2) 삼각형 OAP 의 넓이가 삼각형 OBP 의 넓이의 배가 되는 타원의 방정식을 찾으시오. [4점]

(3) (2)의 타원의 두 초점 F 와 F′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타원에 있는 점 Q 의 좌표를 모두 찾으시오. [6점]
  
FQ⋅  
F′Q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3 ▹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합동인 정사각형들을 변끼리 이어붙인 모양의 도로망이 있다. 이 도로
를 따라 이동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 지점에서  지점까지 최단거리로 가는 경우의 수를 찾으시오. [5점]

(2) 수철이는  지점에서  지점까지 최단거리로, 연수는  지점에서  지점까지 최단거리로 이동한다. 수철이와 연수가  지점
에서 만나고 목적지까지 가는 확률과  지점에서 만나고 목적지까지 가는 확률을 각각 찾으시오. (단, 두 사람은 동시에 출발하
여 같은 속력으로 이동한다.) [7점]

[3] 다음과 같이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 을 생각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       ×⋯×  ×  × 이다.)


(1) 와 는 실수이고 에 관한 이차식     이 있어서 모든 자연수 에서    × 이 성립한다고 할 때, 이
차식 을 찾으시오. [4점]

(2) (1)에서 얻은 에 대하여 모든 자연수 에서    × 임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시오. [7점]

[4] 오른쪽 그림의 사각형 ABCD 에서 


AB  
BC  
CD 이고 ∠CDA  이며
∠DAB  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귀류법을 이용하여  AC  임을 증명하시오. [6점]

(2) 
AD 의 길이를 찾으시오. [5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4 ▹


2022학년도 수시기출 자연3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수열
첫째항부터 차례로 일정한 수를 더해 만들어지는 수열을 등차수열이라 하고, 그 일정한 수를 공차라고 한다.
첫째항부터 차례로 일정한 수를 곱해 만들어지는 수열을 등비수열이라 하고, 그 일정한 수를 공비라고 한다.

2. 이차함수
이차함수         ≠ 의 그래프와 축의 교점의 좌표는 이차방정식       의 실근과 같다. 이차함수
      의 그래프는   이면 감소하다가 증가하고   이면 증가하다가 감소한다. 이에 따라 이 이차함수의 최솟값
은   일 때 나타나고 최댓값은   일 때 나타난다.

[1] 개의 항으로 이루어진 등차수열  ,  ,  , ⋯,    ,  의 합은 이고   이며     라고 하자. 다음 값


을 찾으시오.
(1) 항의 개수  [4점]

(2) 공차  [4점]

[2] 이차함수          에 대해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 , 는 상수)
(1)             일 때, 세 상수 , , 의 값을 각각 찾으시오. [7점]

(2) (1)에서 찾은 에 대해 함수    의 그래프를 그리고, 방정식    의 근의 개수가 다음과 같을 때 실수 
의 값 또는 그 범위를 각각 찾으시오. [7점]
① 근이 없음 ② 근이 개 ③ 근이 개 ④ 근이 개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5 ▹


[3] 그림과 같이 두 점 A와 C 는 곡선     에 있고 도형 ABCD는 선분 AB 가 축과 평행한 직사각형이다. 다음 물
음에 답하시오.

(1) 점 A의 좌표는      이고 점 C 의 좌표는  라 할 때, 직사각형 ABCD 의 둘레의 길이를 에 관한 함수로
나타내시오. [4점]

(2) (1)에서 얻은 함수의 최댓값을 찾고, 이때의 의 값을 찾으시오. [6점]





[4] 구간     에서 정의된 함수   sin  sec에 대해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
(1)       일 때, sin의 값의 범위를 찾으시오. [4점]
 

 
(2)       일 때, 방정식   의 근의 개수를 찾으시오. [7점]
 


(3) (2)에서 찾은 근 중에서 가장 작은 값과 가장 큰 값을 각각 와 라고 하자. 삼각형 ABC 에서 ∠A     이고

  
∠B    이며 AB  이라고 하자. 이때, 삼각형 ABC 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  을 찾으시오. [7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6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정적분과 급수의 합
도형의 넓이를 구할 때, 주어진 도형을 잘게 나누어 간단한 도형의 넓이의 합으로 어림값을 구하고, 이 어림값의 극한값으로 도
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2. 중복조합
서로 다른 개에서 중복을 허용하여 개를 택하는 조합을 서로 다른 개에서 개를 택하는 중복조합이라고 한다. 이 중복조합
의 수를 기호로 H 와 같이 나타낸다.

3. 위치벡터
평면에서 정해진 점 O 를 시점으로 하는 벡터 
OP를 점 O 에 대한 점 P 의 위치벡터라고 한다.

[1] 포물선    과 축 및 직선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라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 를 정적분으로 나타내고, 그 값을 찾으시오. [2점]

(2) (1)의 정적분을 급수의 합으로 나타내고, 극한을 이용하여 그 급수의 합을 찾으시오. [4점]

[2] ‘데시벨(dB )’은 소리의 세기를 표준음의 세기와 비교해서 나타내는데, 표준음은 정상적인 청각을 지닌 사람이 겨우 들을 수
있는 소리로 그 세기는 제곱미터에   와트이다. 곧  Wm  이다. 표준음의 세기가  Wm  이라 하고 어떤 소리의 세
기를  Wm  이라고 할 때, 이 소리의 세기  Wm  을 단위로 바꾸어  데시벨(dB )이라고 하면 이 값  은 상용로그를 이용
해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  log 

 을 변수  의 함수    라고 할 때, 다음 값을 찾으시오. [6점]
        
lim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7 ▹


[3] 방정식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 , , 의 순서쌍    에 대하여 다음 값을 찾으시
오. (단, 은 모든 수의 배수이다. 이를테면 은 의 배수이므로 짝수이고, 은 의 배수이기도 하다.)
(1) 주어진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 , , 의 순서쌍의 개수 [4점]

(2) 주어진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 ,  , 의 순서쌍 중에서 하나를 임의로 택할 때, , , 가 모두 짝수일


확률 [5점]

(3) 주어진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 , , 의 순서쌍 중에서 하나를 임의로 택할 때, 가 의 배수이고 와


 가 짝수일 확률 [5점]

(4) 주어진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 ,  , 의 순서쌍 중에서 하나를 임의로 택하는데 , , 가 모두 짝수


일 때, 가 의 배수일 확률 [5점]

     과        을 이용하


  
[4] 이 자연수일 때, 좌표평면에서 원점 O 를 시점으로 하는 두 점의 위치벡터 
 

여 벡터 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   

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원점 O 를 시점으로 하는 위치벡터 
의 종점을 점 P  이라고 할 때, 의 값이 커짐에 따라 점 P  이 한없이 가까워지는
점 P 의 좌표를 찾으시오. [3점]


(2)  ≥ 일 때, 점 P  이 선분 P   P   을         로 내분한다고 할 때,  의 값을 찾으시오. [5점]

(3) 점 A 과 (1)에서 찾은 점 P 에 대해 다음을 만족시키는 좌표평면의 점 Q 가 나타내는 도형의 방정식을 찾으시오. [5
점]
  
QA QP  

(4) 점 P  을 축에 관해 대칭이동하고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점을 R  이라 하고 원점 O 를 시점으로 하는 두 위치


벡터 
OR 과 
OR  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  이라 할 때, cos  의 최솟값을 찾으시오. [6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8 ▹


2022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50점)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1. (사잇값의 정리) 함수 가 닫힌구간    에서 연속이고  ≠ 일 때, 와  사이의 임의의 값 에 대하
여   인 가 열린구간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2. (평균값 정리) 함수 가 닫힌구간 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면
  
  ′ 

인 가 열린구간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3. 함수 가 어떤 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이 구간의 모든 에 대하여


(ⅰ) ′   이면 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
(ⅱ) ′   이면 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

4. 연속인 이계도함수를 갖는 함수 에 대하여 어떤 구간에서


(ⅰ) ″   이면 곡선   는 이 구간에서 아래로 볼록하다.
(ⅱ) ″   이면 곡선   는 이 구간에서 위로 볼록하다.

 가
5. 두 평면벡터 , 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  ≤ 라고 할 때,
 
∙
 

     cos  ≤  ≤ 
   cos      ≤ 

6. (사인법칙) 삼각형 ABC 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라고 하면


  
    
sin  sin  sin 

[1] 함수 는 닫힌구간    에서 연속이고  ≤  ≤ 일 때  ≤  ≤ 가 성립한다. 함수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방정식   는 닫힌구간 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짐을 보이시오. [8점]

(2) 함수 가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며 이 구간의 모든 에서  ′    이 성립할 때, 열린구간  에서 방
정식   의 실근이 존재하면 오직 하나임을 보이시오. [5점]

[2]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게 하는 실수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10점]

(a) 모든 실수 에 대하여 cos    sin      이 성립한다.


(b) 방정식 
       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진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9 ▹


[3] (선택기하)
좌표평면 위의 두 점 A 
  , B    
 과 원점 O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내적을 이용하여 두 벡터  OA와  OB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구하고, 삼각형 OAB 의 넓이를 구하시오. [6점]

(2) 삼각형 OAB 의 외접원 위의 한 점을 P 라고 할 때, 사각형 OAPB 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9점]

[4] 함수    ln  에 대하여 다음을 모두 만족시키는 양수 와 를 구하고, 닫힌구간    에서 부등식
   ≤  ≤   가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의 최댓값과 실수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12점]

(a) 함수 는   에서 극소이다.


(b) 곡선    위의 점  에서 접선의 기울기가 이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0 ▹


[문제 2] (50점)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1. 무리수 


  lim      ⋯
 →

2. 두 함수   ,   가 미분가능할 때, 합성함수   의 도함수는


  
  × 또는 ′  ′ ′ 
    

3. 함수 가 어떤 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이 구간의 모든 에 대하여


(ⅰ) ′   이면 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
(ⅱ) ′   이면 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

4. 미분가능한 함수 에 대하여 ′   이고   의 좌우에서


(ⅰ) ′ 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는   에서 극대이다.
(ⅱ) ′  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며 는   에서 극소이다.

5. 고정된 실수 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연속인 함수 가 있을 때, 그 구간에 속하는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 

    

6. 미분가능한 두 함수 , 에 대하여 ′  , ′ 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일 때,


  
 ′        ′ 
  

[1] 모든 실수 에서 정의된 함수  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1) 정적분 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

(2) 함수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8점]

(3) 함수  ∘ 가 극값을 갖도록 하는 좌표를 구하시오. [12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1 ▹


[2]   ≤  ≤ 일 때, 방정식 sin     
 cos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방정식의 모든 실근의 합 와 곱 를 구하시오. [8점]


(2) 수열 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 이라고 하자. (1)에서 구한 , 에 대하여     

일 때, 수열의 일

반항  을 구하시오. [4점]


[3] 모든 실수 에서 연속인 함수 에 대하여 함수     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물음에 답하시오.

(a)         


(b)    


(1) 정적분  의 값을 구하시오. [6점]


(2) 부등식   


    이 성립하게 하는 정수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8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2 ▹


2021학년도 수시기출 자연1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좌표평면 위에서 속도와 속도의 크기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 의 시각 에서의 좌표  가   ,   로 나타내어질 때, 점 P 의 속도와 속도의 크
기는 다음과 같다.
속도 :  ′   ′  , 속도의 크기 : 
 ′    ′ 

2. 사잇값의 정리
함수 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고  ≠ 이면, 와  사이에 있는 임의의 실수 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
하는 가 열린구간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 

[1] 직선        이 직선        과 수직이고 직선          과 평행일 때, 물음에 답하시오.


(단, , 는 실수)
(1)    의 값을 구하시오. [6점]

(2) 두 직선       ,        과 축으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7점]

cos sin
[2]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 의 시각 에서의 위치  가    ,     ≥  이다. 시각 에서의 점 P 의
 
속도를      , 속도의 크기를   라 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1) 와   를 구하시오. [6점]

(2) lim  가 수렴하도록 하는 자연수 의 값을 구하시오. [5점]


→∞

(3) 점 P 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라 하면, 점 Q 는 축 위를 움직이는 직선 운동을 한다.


이때 시각   에서   까지 점 Q 가 움직이는 방향을 최소한 2번 바꿈을 보이시오. [9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3 ▹


[3] 삼차방정식   의 한 허근 가 다음 식을 만족시킬 때, 물음에 답하시오. (단, , 는 실수)

    

(1) 주어진 식을 만족하는 , 의 값을 구하시오. [7점]

(2) (선택확통)
집합       에서 두 원소를 선택하여 그 합을 확률변수  라 할 때  의 확률분포를 표로 나타내고,
기댓값 E  를 구하시오. (단, 선택은 중복을 허용한다.) [10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4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함수의 극대와 극소의 판정


함수 가 미분가능하고  ′   일 때,   의 좌우에서  ′ 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는   에서 극대이고 극댓값 를 갖는다.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는   에서 극소이고 극솟값 를 갖는다.

2. 로그의 밑의 변환
  ,  ≠ ,   ,   ,  ≠ 일 때
log 
log   
log 

3. 변곡점의 판정
연속인 이계도함수를 갖는 함수 에서  ″   이고,   의 좌우에서  ″  의 부호가 바뀌면
점  는 곡선   의 변곡점이다.

4. 치환적분법을 이용한 정적분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인 함수 에 대하여 미분가능한 함수   의 도함수  ′  가     ,   일 때
, 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연속이면
 
     ′ 
 

5. 부분적분법을 이용한 정적분


미분가능한 두 함수 , 에 대하여  ′  ,  ′  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일 때,
  
  ′         ′ 
  


[1] 는 실수이고  ≤  ≤ 에서 함수        의 최댓값을 라 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1) 함수 를 구하시오. [10점]

(2) 함수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8점]

ln
[2] 함수    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1) 함수 는   에서 극대이고, 곡선   의 변곡점이 점  일 때, 상수 , 를 구하시오. [6점]

(2) 다음 이차방정식의 근을 구하시오. (단, , 는 (1)에서 구한 상수) [6점]

 
    


      
  
ln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5 ▹


(3) 함수 를 이용하여 log  과 
 의 대소를 비교하시오. [11점]

 
(4)  ≥ 인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ln일 때,  

 
   을 구하시오. [9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6 ▹


2021학년도 수시기출 자연2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사인법칙
삼각형  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라고 하면
  
    
sin  sin  sin 

2. 코사인법칙
삼각형  에서
       cos
      cos
       cos

3. 곡선과 축 사이의 넓이
함수 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일 때, 곡선   와 축 및 두 직선 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 는 다음과 같다.

  

4. 이차방정식의 근의 판별
계수가 실수인 이차방정식         ≠ 에서      라고 할 때,
   이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고,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면    이다.
   이면 중근을 갖고, 중근을 가지면    이다.
   이면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고,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지면    이다.

[1] 함수   sin와   cos에 대하여 전체집합  의 두 부분집합  ,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 
        ≤  ≤  인 정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과 ∩ 을 각각 구하시오. [5점]

(2)  ∩  의 원소의 개수를 구하시오. (단,   ,   는 각각  에 대한 집합  ,  의 여집합) [5점]

[2] 삼각형  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1)  가 직각일 때, sin   sin   sin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9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7 ▹


(2) 다음 식의 값을 구하시오. [9점]
sin   sin   sin   sin  sin  cos  sin  sin  cos  sin  sin  cos

[3] 무리함수   


      과 함수    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단, 는 상수)
(1) 곡선    위의 두 점   ,   를 지나는 직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를 구하시오. [5점]
(단,     ,    ≤ )

(2) 곡선   와 직선   가 만나도록 하는 의 범위를 구하시오. [8점]

(3) 곡선   와 직선   가 접할 때, 곡선   와 두 직선   ,   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구하시오. [9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8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이항정리
이 자연수일 때
    C    C      ⋯  C      ⋯  C  

2. 두 곡선 사이의 넓이
두 함수  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일 때, 두 곡선   ,   와 두 직선 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 는 다음과 같다.

    

[1] (선택확통)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 C 
 
 

 C  일 때, 와 의 합을 구하시오. (단,  ≥  ≥ ) [6점]

(2)  을 으로 나눈 나머지와 로 나눈 나머지를 각각 구하시오. [7점]

(3) (2)의 결과를 이용하여  을 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시오. [9점]

[2] 모든 실수 에 대하여 함수 의 함숫값은 다음과 같은 함수 의 값과 함수 의 값 중 크지 않은 값으로 정의한다.

 
  ≥ 
  ,      (는 상수)
  

예를 들어   일 때   ,   이고   이므로   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1)   일 때, 두 함수   와    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구하시오. [9점]

(2) 직선   가 함수   의 그래프와 접할 때, 직선   의 기울기를 구하시오. [7점]

(3) 함수 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이 3개가 되도록 하는 의 범위를 구하시오. [12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9 ▹


2021학년도 수시기출 자연3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코사인법칙
삼각형  에서
       cos
      cos
       cos

2. 확률변수
어떤 시행에서 표본공간  의 각 원소에 단 하나의 실수가 대응되는 함수를 확률변수라 하고, 확률변수  가 어떤 값 를
가질 확률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P   

3.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


함수 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 
lim     
→∞ 
 


 

  
     

[1] 이차방정식            의 한 허근을 라고 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단, 는 실수)


(1) 두 복소수 , 의 켤레복소수 
, 
 에 대하여 
 
 가 성립함을 보이시오. [6점]

(2)    
    을 만족하는 실수 의 값을 구하시오. [7점]

(3)    
    
    을 만족하는 실수 의 범위를 구하시오. [6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0 ▹


[2] (선택확통)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에 내접하는 정각형  ⋯ 
에서 임의의 두 꼭지점을 택하여 두 꼭지점 사이의 거리의 제곱을 확률변수  이
라 하자. 물음에 답하시오. (단,  ≥ 인 자연수)

(1) 확률변수  의 확률분포를 표로 나타내고,


확률변수  의 기댓값 E 을 구하시오. [7점]

(2) 확률변수  의 기댓값 E  를 구하시오. [7점]

(3) 확률변수  의 기댓값 E 을 구하시오. [9점]

(4) limE 을 구하시오. [8점]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1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이차방정식의 근의 판별
계수가 실수인 이차방정식        ( ≠ )에서     라고 할 때,
   이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고,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면    이다.
   이면 중근을 갖고, 중근을 가지면    이다.
   이면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고,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지면    이다.

2.   ,  ≠ ,   ,    이고
   일 때, log  log ⇔   
      일 때, log  log ⇔   

3.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
lim   , lim   (, 는 실수)일 때, 가 아니면서 에 가까운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이면  ≤  이다.


 ≤  ≤  이고    이면 lim    이다.
→

4. 함수의 극대와 극소의 판정


함수 가 미분가능하고  ′   일 때,   의 좌우에서  ′ 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는   에서 극대이고 극댓값 를 갖는다.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는   에서 극소이고 극솟값 를 갖는다.

[1] 실수 , 와 0이 아닌 실수 에 대하여 에 대한 두 방정식이 다음과 같이 주어질 때, 물음에 답하시오.

         - - - - ①

         - - - - ②

(1) 방정식 ①이 1개의 실근을 가지도록 하는 의 조건과 실수 의 합을 구하시오. [7점]

(2) 두 방정식 ①과 ②의 해집합이 같을 조건을 구하시오. [8점]

[2] 다음 부등식을 만족하는 두 자연수 , 의 순서쌍  의 개수를 구하시오. [10점]
log  log log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2 ▹


[3] 실수 전체의 집합을 정의역으로 하는 미분가능한 함수 가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물음에 답
하시오.

   ≥        ,  ≥ ,  ′   

(1) 을 구하시오. [3점]

(2) 함수 와 도함수  ′  를 구하시오. [12점]

(3) 함수      이   에서 극댓값을 가질 때, 두 곡선   ,   와 두 직선   ,   로 둘러싸인 부


분의 넓이를 구하시오. [10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3 ▹


2021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두 점    ,    를 이은 선분  를         으로 내분하는 점  의 좌표는

      


 

  
2. 명제  →  에 대하여 ∼  → ∼ 를 대우라고 한다.

3. 함수   → 에서 정의역  의 임의의 두 원소   에 대하여  ≠  이면   ≠  일 때, 함수 를 일대일함수라


고 한다.

4. 두 사건  ,  가 동시에 일어나지 않을 때, 사건  와 사건  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가 각각  , 이면


사건  또는 사건  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는   

5. 사건  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가  이고, 그 각각에 대하여 사건  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가 일 때,


두 사건  ,  가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의 수는  × 

[1] 두 점    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3점]


(1) 선분  를       으로 내분하는 점이 제1사분면 위에 존재할 때, 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5점]

 
(2) 원        위의 점  에 대하여 
  
 의 값의 범위를 구하고,
  
  
 의 값이 최소가 되는 점  의 좌표를 구하시오. [8점]

[2] 다음 등식이 에 대한 항등식일 때 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8점]


        



(단,   ≤  ≤ 는 상수)

[3] 자연수 에 대하여 집합  이     ≤  ≤  는 자연수이다. 다음 조건 를 만족시키는 함수의 개수를 


이라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29점]

 :  에서  으로의 함수 에 대하여 합성함수 ∘ 가 집합  에서의 항등함수이다.

(1)     각각에 대하여 조건 를 만족시키는 함수를 모두 찾고   를 구하시오. [5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4 ▹


(2) 조건 를 만족시키는 함수 는 일대일함수임을 증명하시오. [10점]

(3) (2)을 이용하여   를 구하시오. [6점]

(4) (3)을 이용하여        사이의 관계식을 구하시오. (단,  ≥ ) [8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5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두 함수   ,    가 미분가능할 때, 합성함수   의 도함수는


  
  × 또는  ′  ′  ′ 
    

2. 함수 가 어떤 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이 구간의 모든 에 대하여


(i) ′    이면 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
(ii) ′    이면 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

3. 미분가능한 함수 에 대하여 ′    이고    의 좌우에서


(i) ′ 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는    에서 극대이다.
(ii) ′  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는    에서 극소이다.

    
4. lim  가 존재하면 함수 는    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

[1] 모든 실수 에 정의된 함수   cossin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22점]


(1)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를 만족하는 보다 작은 양수 를 구하시오. [6점]

(2) 함수 가   에서 극값을 갖도록 하는 가장 작은 양수 를 구하시오. [8점]



(3)   에서 함수 가 극솟값이 되는 를 작은 값부터 차례로    ⋯라 할 때, lim  

의 값을 구하시오. [8
→∞     

점]

[2] 모든 실수 에 대하여 함수 를 아래와 같이 정의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28점]

    


   (단,   )
     ≤ 

(1) 함수 가  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을 때, 의 값을 구하고 그 이유를 밝히시오. [10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6 ▹


(2) 함수     과 함수   의 교점이 개수가 4개가 되도록 의 범위를 구하시오. [8점]

  

(3) 실수  가  이고  ≤  ≤ 를 만족할 때, 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10점]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7 ▹


2020학년도 수시기출 오전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삼각형 ABC 에서 두 변의 길이 , 와 그 끼인각인 ∠A의 크기를 알 때, 삼각형 ABC 의 넓이  는     sinA 이다.


2.   ,   일 때,  ≥ 
 이다. (단, 등호는   일 때 성립한다.)

3. 좌표평면 위의 두 점 P   , Q    사이의 거리 
   PQ  
          
   

4. 좌표평면 위의 두 직선     ,   ′  ′ 이 서로 수직이면 ′  이다.

[1] 삼각형 ABC 가 다음을 만족한다. (단,   )


  
∠ABC , AB    , BC   

삼각형 ABC 의 넓이의 최솟값을 구하고, 그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10점]

[2]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을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의 순서쌍  의 개수를  이라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22
점]
(1)  ,  ,  를 구하시오. [6점]

(2)  을 구하시오. [8점]


(3)  log 
 
    을 구하시오. [8점]

[3] 함수       의 그래프 위의 두 점 A, B 와 함수    의 그래프 위의 두 점 C , D 를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


ABCD 는 정사각형이다. 점 A B C D 의 좌표를 각각 , , , 라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  이고   이
다.) [18점]
(1) 를 로 나타내고, 이를 이용하여 정사각형 ABCD 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하시오. [8점]

(2) 를 로 나타내고, 이를 이용하여 를 구하시오. [10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8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함수 가 어떤 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이 구간의 모든 에 대하여


㉠  ′   이면 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
㉡  ′   이면 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

 
2. 함수 가 구간  에서 연속일 때, 
     (단,     )

 
3. 두 함수 , 가 미분가능하고  ′  ,  ′  가 연속일 때,   ′        ′ 



4. 구간  에서 연속인 함수 에 대하여 미분가능한 함수   의 도함수  ′  가 구간  에서 연속이고,
 
  ,   이면      ′ 
 


[1] 다항식     log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 는 를 넘지 않는 최대 정수이다.) [20점]


(1) 

log 를 구하시오. [6점]

(2) 다항식   의 모든 항의 계수의 합을 구하시오. [6점]


(3)   에서 두 곡선     와    의 교점의 개수를 구하시오. [8점]


[2] 이차곡선   에 대하여 함수 가 다음 식을 만족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12점]


 

  
 


  

(1) 이차곡선 위의 점 

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4점]

(2) 이차곡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8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9 ▹


[3]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는 미분가능한 함수 와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  ) [18점]

(가)     (나)  ′    ′  ,   

 
(1) 

    임을 증명하시오. [10점]


 sin
(2) 


  
를 구하시오. [8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0 ▹


2020학년도 수시기출 오후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모든 정수들의 집합을 ℤ, 모든 실수들의 집합을 ℝ로 나타낸다.

2. 다항식  를 다항식  (  ≠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 , 나머지를  라고 하면      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 의 차수는  의 차수보다 낮다. 특히,   일 때,  는  로 나누어떨어진다고 한다.

3. 원소가 유한개인 집합을 유한집합이라 하고, 원소가 무한히 많은 집합을 무한집합이라고 한다.
자연수의 집합 ℕ    ⋯  은 무한집합이다.

4. 두 집합  ,  에 대하여  에 속하지만  에는 속하지 않는 모든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을  에 대한  의 차집합이라 하


고,
기호    로 나타낸다.

5. 함수    →  가 일대일함수이고 치역과 공역이 같으면 함수 를 일대일대응이라고 한다.

6. 두 함수    →  ,    →  의 합성함수  ∘  는  ∘    →  ,  ∘   이다.

7. 어떤 명제가 참임을 증명할 때, 결론을 부정하면 가정에 모순되거나 이미 참이라고 알려진 사실에 모순됨을 유도하여
주어진 명제가 참임을 증명하는 증명방법을 귀류법이라고 한다.


[1] 다항식  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 은 실수) [18점]

 
(1) 다항식   


에 대하여    일 때, 
 
 을 구하시오. [8점]

(2) 다항식 가     로 나누어떨어지고, 다음을 만족할 때,  을 구하시오. [10점]


  


 
  
 
    
 
  

[2] 두 집합  ,  에 대하여
 ⊂ ℝ,        ≤  ≤  는 실수 ∩       ≤  는 실수
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4점]
(1) 집합  가 유한집합이면 집합 ℝ   는 무한집합임을 증명하시오. [6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1 ▹


(2) (1)을 이용하여 집합 ℝ   ∪ℝ  ℤ 가 유한집합 또는 무한집합인지 판정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8점]

[문제 3] 집합        ≤     는 정수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8점]


(1) 함수    →  와    →  는 일대일함수이고,  ∘    ∘ ∘  를 만족한다.
이때 함수  의 역함수   가 존재함을 증명하고,    을 구하시오. [10점]

(2) 집합  에서 ℤ로의 일대일대응인 함수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8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2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함수 가 어떤 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이 구간의 모든 에 대하여


㉠  ′   이면 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
㉡  ′   이면 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

2. 함수 가 어떤 구간에서
㉠  ″   이면 곡선 는 이 구간에서 아래로 볼록하다.
㉡  ″   이면 곡선 는 이 구간에서 위로 볼록하다.
곡선    위의 점  에 대하여   의 좌우에서 곡선의 볼록 상태가 바뀔 때, 이 점을 곡선   의 변곡점이
라고 한다.

3. 두 함수   ,   가 미분가능할 때, 합성함수   는 미분가능하며, 그 도함수는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4. (평균값 정리) 함수 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할 때,    ′ 

(    )
인 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
5. 두 함수 , 가 미분가능하고  ′  ,  ′  가 연속일 때,   ′        ′ 



6. 구간  에서 임의의 점 에서  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단면의 넓이가   인 입체도형의 부피  는

   

(단,   는 구간  에서 연속)

[1] 함수   sin   cos (  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21점]


(1) 함수 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8점]

 

(2) 구간    에서 곡선   의 변곡점이 존재하는지를 판정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6점]

(3) 함수   ∘ 에 대하여  ′   을 만족하는 가 구간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함을 보이시오. [7
점]

[2] 자연수  에 대하여 곡선   ln 과 축 및 직선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이라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20점]
(1)   을 구하시오. [5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3 ▹


(2)         을 구하시오. [7점]

(3) 곡선   ln 와 축 및 직선   로 둘러싸인 도형을 밑면으로 하는 입체도형을 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반원일 때, 이 입체의 부피  를 구하시오. [8점]

[3] 다음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미분가능한 함수 와 를 구하시오.



   

(가)      ′    (나)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4 ▹


2020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원소가 유한개인 집합을 유한집합이라 하고 원소가 무수히 많은 집합을 무한집합이라고 한다.

2. 명제  → 에 대하여 ∼  → ∼ 를 대우라고 한다.

3. 함수   → 가 일대일함수이고 치역과 공역이 같을 때 이 함수 를 일대일 대응이라고 한다.

4. 함수   → 가 일대일 대응일 때     → 는 의 역함수이다.

5. 두 함수   →   → 의 합성함수는  ∘   →  ∘   이다.

[1] 부등식          ≥ 이 모든 실수 에 대하여 성립할 때 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하시오. [13점]

[2] 실수 전체의 집합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 와 집합           단, 는 실수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


오.
(1)  가 조건 “∈ 이면   ∈ 이다”를 만족시킬 때  는 무한집합임을 증명하시오. [6점]

(2) (1)을 이용하여  가 유한집합인지 무한집합인지 판정하고 이유를 설명하시오. [9점]

[3] 실수 전체의 집합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 를 정의역으로 하는 함수   → 가 일대일 대응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
시오.
(1) 함수 의 역함수     → 는 일대일함수임을 증명하시오. [7점]

(2) 함수   → ,    과 함수   → 에 대하여 ∘   ∘ 일 때 를 구하시오. [5점]

(3) 함수 에 대한 다음 명제의 참 또는 거짓을 판정하고 대우를 이용하여 증명하시오. [10점]


∘  ≠ 인 ∈ 가 존재하면   ∘    ≠ 인 ∈ 가 존재한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5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 
1. 함수 가 구간  에서 연속일 때, 
      (단,     )

2. 함수 가 구간  에서 연속이고 의 한 부정적분을   라고 하면



        

3. 함수 가 세 실수   를 포함하는 닫힌 구간에서 연속일 때,


  
           
  

4. 점   과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 는
    
 
   


[1] 모든 실수 에서 정의된 함수     
 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 sin
(1)  ≤  일 때, lim  를 구하시오. [6점]
→ 


(2) 도함수  를 구하시오. [9점]


(3)  ≤  ≤ 일 때, 곡선    위의 점을  라고 하자. 두 정점   ,   와 점  가 이루는 삼각형  의


넓이의 최솟값과 그때 점  의 좌표를 구하시오. [12점]


(4)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임을 보이시오. [10점]

[2] 계수가 실수인 삼차함수 는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킨다.

(ⅰ) 의 최고차항의 계수는 1이다.


(ⅱ) 는 도함수  ′  로 나누어 떨어진다.
(ⅲ)   

(1) 함수 를 구하시오. [8점]

(2) 두 곡선   와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5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6 ▹


2019학년도 수시기출 오전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근과 계수와의 관계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근을 , 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2. 이차함수의 적분
      에 대하여 다음을 얻는다. (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벡터
(1) 영벡터 는 크기가 이고 그 방향은 생각하지 않는다.
(2) 양의 실수 와 벡터 에 대하여 
는 
와 방향이 같고, 그 크기가  
 인 벡터이다.
(3) 세 점  ,  ,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4) 선분  를    (   ,   )으로 내분하는 점을  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단,  는 원점)
   

[1] 좌표평면에서 포물선     와 기울기가 인 직선 이 두 점     ,     에서 만난다. 포물선과 직선 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가  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직선 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9점]

(2) 두 점  ,  의 중점을     이라고 할 때,  이 그리는 도형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6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7 ▹


(선택기하)

[2] 좌표평면 위의 두 점   ,   와 원점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선분  의 길이를 구하시오. [3점]

(2)     
    ( ≤  ≤ )을 만족하고∆ 의 경계 및 내부에서 움직이는 점  가 그리는 선분의

길이를 구하시오. [9점]

[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사면체  의 각 변의 길이가 다음과 같을 때,물음에 답하시오.


  , 
  
  
, 
  
  
, 
  

(1) 사면체  의 부피  를 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시오. [15점]

(2)  의 범위를 구하고, 부피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8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8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함수의 증가와 감소
함수  가 어떤 열린 구간에서 미분가능할 때, 그 구간의 모든  에 대하여
(1)  ′    이면  는 그 구간에서 증가한다.
(2)  ′    이면  는 그 구간에서 감소한다.

2. 극대 극소의 판정
미분가능한 함수   에서  ′   이고,   의 좌우에서
(1)  ′ 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는   에서 극대이고, 극댓값 를 가진다.
(2)  ′  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는   에서 극소이고, 극솟값 를 가진다.

3. 미적분의 기본 정리
함수 가 구간  에서 연속이고,  의 한 부정적분을   라고 하면

       

4. 정적분의 부분적분법
두 함수 ,  가 미분가능하고, ′  ,  ′  가 연속일 때,
 
  ′       ′ 



5. 치환적분법을 이용한 정적분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인 함수 에 대하여 미분가능한 함수   의 도함수  ′  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고,     ,   이면
 
     ′ 
 

6. 합성함수
두 함수    →  ,    →  의 합성함수는  ∘    →  ,  ∘   이다.


[1] 함수         ln  는   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를 구하시오. [12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9 ▹


[2]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이차함수        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ⅰ) 임의의 일차함수  에 대하여 
  


(ⅱ)        

(1) 함수 를 구하시오. [9점]

    
(2) 극한값 lim  를 구하시오. [4점]
→ 

   
[3] 미분가능한 함수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 
(1)  ∘    을 만족하는 를 구하시오. [5점]

(2) 함수 가   에서 극값을 가질 때, 극대와 극소를 판정하시오. [7점]

(3) 모든 실수 에 대하여 부등식   ≤   이 성립하기 위한 상수 를 구하고,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13
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0 ▹


2019학년도 수시기출 오후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두 함수    →  ,    →  의 합성함수는  ∘    →  ,  ∘   이다.

2. 다항식   를  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  , 나머지를  라고 하면           가 성립한다.

3. 다항식   에 대하여    이면,   는 일차식   로 나누어떨어진다.

4. , 가 문장이나 식일 때, ‘이면 이다.’ 꼴의 명제에서 를 가정, 를 결론이라 하고, 명제 ‘이면 이다.’ 를 기호  → 로


나타낸다.

[1] 함수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  ≥ 
  
     
(1)  ∘ 를 구하시오. [7점]

(2) 곡선   ∘ 와 세 직선   ,   ,   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구하시오. [4점]

[2] 함수        과    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 는 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
다.)
(1) 부등식    ≤    의 해를 구하시오. [10점]

  
(2)     
 일 때, 극한값 lim  가 존재하는 의 범위를 모두 구하시오. [15점]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1 ▹


[3] 다항식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다항식   를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 라고 하자.      를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하시오. [4
점]

(2) 명제 “다항식   가 삼차식이면    ≠ 인 가 구간  에 존재한다.” 의 참 또는 거짓을 판정하고, 이를 증명하시오.
[10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2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도형의 대칭이동
방정식 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   

2. 입체도형의 부피
닫힌구간  의 임의의 점 에서 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단면의 넓이가   인 입체도형의 부피  는

   

(단,   는 닫힌구간  에서 연속)

3. 함수의 극대와 극소의 판정


를 포함하는 어떤 열린구간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에 대하여  ′   이고,
의 값이 보다 작은 값에서 보다 큰 값으로 바뀔 때,  ′  의 부호가
(1)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함수 는   에서 극댓값을 가진다.
(2)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함수 는   에서 극솟값을 가진다.

4. 함수의 증가와 감소
함수 가 구간  에서 연속이고 구간  에서 미분가능할 때
(1) 구간  에서  ′   이면 함수 는 구간  에서 증가한다.
(2) 구간  에서  ′   이면 함수 는 구간  에서 감소한다.

5. 사이값 정리
함수 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고  ≠ 일 때, 와 사이의 임의의 에 대하여
   (    )
인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1] 자연수 에 대하여 좌표평면 위의 곡선   log  위를 움직이는 점    log  이 있다. 점  을 지나고 기울기가  
인 직선이 곡선    과 만나는 점을  이라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점  의 좌표를 구하시오. [2점]

(2) 삼각형  의 넓이를  이라고 할 때,  을 구하시오. (단,  는 원점이다.) [8점]


(3)    log  을 구하시오. [2점]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3 ▹


[2] 좌표평면에서       이 나타내는 도형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도형  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을  라고 할 때,  와  가 한 점에서 만남을 보이시오. [2점]

(2) 도형  와 세 직선   ,   ,   로 둘러싸인 영역을 밑면으로 하는 입체도형이 있다. 닫힌구간  의 임의


의 점  에서 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이 입체도형을 자른 단면의 모양이 정삼각형이다. 이 정삼각형들이 이루는 입체도형의 부
피를 구하시오. [8점]

[3] 삼차함수         이   cos와   sec에서 극값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의 범위를 구하고, 극대와 극소
 
를 판정하시오. (단,       ) [14점]
 


[4]      에 대하여 부등식 tan  를 만족하는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14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4 ▹


2019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실수 에 대하여  는 를 넘지 않는 최대의 정수이다.

  ±   
2. 이차방정식       의 근은    이다.


3. 다항식  를 다항식 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 , 나머지를  라고 하면      (단,  의 차수는  의 차수보다 낮


다.) 특히,   , 즉,    일 때,  는  로 나누어떨어진다고 한다.

4. 세 집합    에 대하여 두 함수   →   → 의 합성함수  ∘ 는  ∘   →  ∘   이다.

5. 집합  와 함수   → 에 대하여  ∘ 는 를 두 번 합성한 함수, ∘ ∘ 는 를 세 번 합성한 함수를 나타낸다.

[1] 모든 자연수에서 정의된 함수   


    
   의 그래프를 축의 방향으로 음의 정수 만큼 평행이동 시켰을


때 얻는 함수를 이라 하자. 이때 


를 구하시오. [10점]


[2] 함수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
(1) 가 자연수일 때 를 번 합성한 함수를 라고 하자. 이때 lim  를 구하시오. [9점]
→ 


(2) 이 자연수일 때 를 번 합성한 함수를 라고 할 때      이면     인 정수 가 존재함을 설명하시

오. [7점]

[3] 다항식       에 대하여   의 하나의 허근을 라고 하자. 다항식       가 로 나누
어떨어진다고 가정할 때, 즉,   인 다항식 가 존재할 때, 실수 와 를 구하시오. [10점]

[4] 두 다항식              에 대하여 방정식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정수 를 모두 구하시오. [14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5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도형의 평행이동
방정식   이 나타내는 도형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      

2. 이계도함수를 이용한 극대와 극소의 판정


연속인 이계도함수를 갖는 함수 에 대하여 ′   일 때
㉠ ″   이면 는   에서 극대이고, 극댓값 를 가진다.
㉡ ″   이면 는   에서 극소이고, 극솟값 를 가진다.

3. 함수의 곱의 미분법
미분 가능한 두 함수  에 대하여
′  ′    ′ 

4. 곡선과 축 사이의 넓이
함수 가 구간  에서 연속일 때, 곡선   와 축 및 두 직선 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 는

    

5. 합성함수의 미분법
미분가능한 두 함수   ,   에 대하여 합성함수   를 미분하면
  
  ⋅ 또는 ′  ′  ′ 
    

[1]   log를 축의 방향으로 평행이동 시켜 점   (는 자연수)를 지나도록 하는 곡선의 절편을  라 하자. 이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5점]


cos 
[2] 열린구간  에서 정의된 함수    가   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이때 tan 와 cos 의 값을 구하시오. [10
 
점]

   tan  와

 
  
  
[3] 자연수 에 대하여 구간          에서 곡선  
     

축, 그리고 직선      와

 

     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  이라하자.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부정적분  tan  를 구하시오. [6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6 ▹


(2)   을 구하시오. [7점]

[4] 양의 실수 에 대하여 좌표평면에서  에 대한 연립부등식


 
≥ 
     ≤ 
가 나타내는 영역의 넓이를 라 하자.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원            의 중심을  , 원  와 직선       가 만나는 두 점을 각각   라 하자. 직선 



 
이 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    라 할 때 ∠ 의 크기와 부채꼴  와 삼각형  의 넓이를

구하시오. [6점]

(2) 주어진 연립 부등식이 나타내는 영역의 넓이를   라 할 때   를 구하시오. [6점]

(3) 와 의 관계 및   를 이용하여 ′  의 값을 구하시오. [10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7 ▹


2018학년도 수시기출 오전
[문제 1] (교과과정 제외)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공간 벡터의 내적과 성분
       , 
두 공간벡터   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2. 일차방정식과 평면
좌표공간에서 , , 에 대한 일차방정식         은 벡터    에 수직인 평면을 나타낸다.


3.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
두 평면 , 의 법선벡터를 각각 
, 
라 하고,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과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이라고

⋅ 
하면 는  ′ 과    ′ 중 크지 않는 쪽이다. 이때 
⋅
  
 
cos  ′ 이므로 cos   cos  ′    이다.
   
 

4. 구의 방정식
중심이 C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구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5. 두 점 사이의 거리
PQ 
두 점 P    , Q    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      


[1] 좌표공간에서 원점 O 와 직선          , 평면     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원점 O 에서 직선  까지의 거리를 구하시오. [8점]

(2) 직선 과 평면 가 만나는 교점 A를 지나고 


OA에 수직인 평면을 라고 하자. 이때 평면 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9
점]

(3) 평면과 평면 가 이루는 각을 라고 할 때, cos 의 값을 구하시오. [7점]

[2] 좌표공간에서 원점 O 와 두 점 B  


 , C 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  
BP⋅  을 만족시키는 점 P 가 나타내는 도형이 구임을 보이고, 이 구의 중심 D 의 좌표와 반지름의 길이 를 구하시
CP
오. [9점]


(2) 두 삼각형 OBD 와 ODC 의 넓이를 각각   과   라고 할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7점]
 

(3) 점 Q 가 (1)에서 구한 구와 평면이 만나는 도형 위를 움직일 때, 점 Q 와 점 E  


  사이 거리의 최솟값을 구하
시오. [10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8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함수의 증가와 감소
함수 가 어떤 열린 구간에서 미분가능할 때, 그 구간의 모든 에 대하여
㉠ ′   이면 는 그 구간에서 증가한다.
㉡ ′   이면 는 그 구간에서 감소한다.

2. 미적분의 기본 정리

함수 가 구간    에서 연속이고 의 한 부정적분을   라고 하면        

3. 적분과 미분의 관계
 
함수 가 구간     에서 연속일 때, 
     (단,     )

4. 사이값 정리
함수 가 닫힌 구간    에서 연속이고  ≠ 이면, 와  사이의 임의의 값 에 대하여   
    인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5. 곡선의 오목과 볼록
함수 가 어떤 구간에서
㉠ ″   이면 곡선   는 이 구간에서 아래로 볼록(또는 위로 오목)하다.
㉡ ″   이면 곡선   는 이 구간에서 위로 볼록(또는 아래로 오목)하다.

6. 정적분의 부분적분법
두 함수 , 가 닫힌 구간    에서 미분가능하고, ′  , ′  가 연속일 때,
 
 ′      ′ 



7. 치환적분법을 이용한 정적분


구간     에서 연속인 함수 에 대하여 미분가능한 함수   의 도함수 ′  가
구간     에서 연속이고,   ,   이면
 
    ′ 
 

[1] 구간  ∞ ∞에서 정의된 함수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cos   sin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9 ▹


 
(2)      를 이용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10점]
 
  
    

(3) 문항 (1)과 (2)의 결과를 이용하여 방정식   을 만족시키는 근이 과 사이에 있음을 보이시오. [5점]


 
(4) 는 구간   에서 증가함을 보이시오. [6점]


 
(5) 곡선   는 구간   에서 아래로 볼록함을 보이시오. [6점]





  
[2] 수열 의 일반항이   
   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

(1)  의 값을 구하시오. [6점]


(2)   의 값을 구하시오. [14점]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0 ▹


2018학년도 수시기출 오후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모든 정수의 집합을  , 모든 유리수의 집합을  , 모든 실수의 집합을  로 나타낸다.

2. 원소가 유한개인 집합을 유한집합이라고 한다.

3. 내용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분명히 판별할 수 있는 문장이나 식을 명제라고 한다.

4. , 가 문장이나 식일 때, ‘이면 이다.’꼴의 명제에서 를 가정, 를 결론이라 하고, 명제 ‘이면 이다.’를 기호  → 


로 나타낸다.

5. 변수를 포함하는 문장이나 식이 변수의 값에 따라 참, 거짓이 정해질 때, 그 문장이나 식을 조건이라고 한다.

6. 함수    →  에서 정의역  의 원소  ,  에 대하여  ≠  이면   ≠  가 성립할 때, 이 함수 를 일대일함


수라고 한다.

[1] 두 집합    ,          에 대하여    를 만족시키는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8점]

[2]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한집합  를 모두 구하시오. [16점]


(ⅰ)  ⊂  이고  ≠ ∅ (ⅱ) ∈ → ∈

[3] 집합 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집합  에서  로의 일대일함수의 개수를 구하시오. [7점]

(2) 함수    →  가 일대일함수이고 조건   과   을 만족시킬 때,     ∘     를 구하시오. [6점]

(3) 함수    →  는 일대일함수이고   ,   ,   이다. 함수   R → R ,       의 그래프가 


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날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13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1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100점) (60분/120분)

1. 속도
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 의 시각 에서의 좌표가   일 때, 점 P 의 시각 에서의 속도 는     ′  이다.


2. 좌극한과 우극한
의 값이 보다 작으면서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의 값이 일정한 값 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를   에서 함수
의 좌극한이라 하고, 기호로 lim   와 같이 나타낸다. 또 의 값이 보다 큰 값을 가지면서 에 한없이 가까워
 → 

질 때, 의 값이 일정한 값 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를   에서 함수 의 우극한이라 하고, 기호로 lim   
 → 

와 같이 나타낸다.

3. 함수의 연속
함수 가 실수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함수 는   에서 연속이라고 한다.

(1) 함숫값 가 정의되어 있다.


(2) 극한값 lim가 존재한다.
 →

(3) lim  이다.


 →

4.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
lim  , lim   (, 는 실수)일 때, 에 가까운 모든 의 값에 대하여
 →  →

 ≤  ≤ 이고   이면 lim  이다.


 →

5. 미분 가능의 정의
함수   에서 의 값이 에서   까지 변할 때, 의 증분은 ∆        이다. 이때 의 증분은
∆      이므로 이 함수의 평균변화율은
∆     
 
∆  
이다. 여기서 ∆ → 일 때, 평균변화율의 극한값
∆     
lim   lim 
∆ →  ∆  → 
가 존재하면 함수   는   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6. 함수 가 구간  에서 연속이고 구간   에서 미분가능하며, 구간  의 모든 에 대하여 ′   이면
는 구간  에서 상수함수이다.

[1] 좌표가 인 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 의 시각 에서의 좌표가      이다. 점 P 의 운동 방향이
처음으로 바뀌는 시각을 구하여라.    [6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2 ▹


[2] 구간  ∞에서 정의된 다음 함수 는   에서 연속이다. 이때 와 의 값을 구하시오. (, 는 상수이고  ≠ )
[10점]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3] 함수      의 그래프와 축, 축 및 직선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 라고 하자.   의 값과

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 ≤  ≤  [14점]

[4] 함수 에 대한 다음 두 조건 , 에 대하여 는 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가 이기 위한 충분조건임을 다음 순


서에 따라 증명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 :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이고   ≤  이다.


 :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이다.

(1)   임을 보이시오. [3점]

(2) 는   에서 미분 가능함을 보이시오. [8점]

(3) 는 모든 실수 에서 미분 가능함을 보이시오. [6점]

(4)   임을 보이시오. [3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3 ▹


2018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1. 모든 자연수들의 집합을 ℕ, 모든 정수들의 집합을 ℤ, 모든 유리수들의 집합을 ℚ, 모든 실수들의 집합을 ℝ로 나타낸다.

2. 내용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분명히 판별할 수 있는 문장이나 식을 명제라고 한다.

3.  가 문장이나 식일 때, ‘이면 이다.’꼴의 명제에서 를 가정, 를 결론이라 하고, 명제‘이면 이다.’를 기호  → 로


나타낸다.

4. 변수를 포함하는 문장이나 식이 변수의 값에 따라 참, 거짓이 정해질 때, 그 문장이나 식을 조건이라고 한다.

5. 전체집합의 원소 중에서 조건을 참이 되게 하는 모든 원소의 집합을 그 조건의 진리집합이라고 한다.

6.  ∈ℚ이고 
 ∈ℝ  ℚ일 때   
  이면   이고   이다.

7. ∈ℕ을 ∈ℕ으로 나누었을 때 몫을 , 나머지를 이라고 하면      이다.

8.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    이다.

[1] 함수   ℕ → ℤ는 ∈ℕ을 로 나눈 나머지를 에 대응시키는 함수이다. 함수 가  ∈ℕ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    의 값을 구하시오.[10점]

  이고       .

[2] 집합     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 ∈ 에 대하여      
  일 때     의 값을 구하시오. [10점]

(2)  는 집합  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이고 명제 ‘∈ →   ∈ .’를 만족시킨다. 이때 집합  를 구하시오. [12


점]

[3] 와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      ,           ≤   

(1)   의 그래프와   의 그래프는 모두 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남을 보이시오. [6점]

(2) 조건 ‘   ≤ ’의 진리집합에 속하는 모든 구간의 길이의 합을  이라 할 때  을 구하시오. [12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4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1. 함수의 증가와 감소
함수 가 어떤 열린구간에서 미분 가능할 때, 그 구간의 모든 에 대하여
㉠ ′   이면 는 그 구간에서 증가한다.
㉡ ′   이면 는 그 구간에서 감소한다.

2. 미적분의 기본 정리
함수 가 구간  에서 연속이고 의 한 부정적분을   라고 하면

        

3. 적분과 미분의 관계
함수 가 구간  에서 연속일 때,
 

     

(단,     )

4. 사이값 정리
함수 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고  ≠ 이면, 와  사이의 임의의 값 에 대하여
       
인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5. 합성함수의 미분법
미분 가능한 두 함수      에 대하여 합성합수   의 도함수는
  
  ⋅ 또는  ′  ′  ′ 
    

6. 곡선의 오목과 볼록
함수 가 어떤 구간에서
㉠ ′′   이면 곡선   는 이 구간에서 아래로 볼록(또는 위로 오목)하다.
㉡ ′′   이면 곡선   는 이 구간에서 위로 볼록(또는 아래로 오목)하다.

7. 모든 실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sin ≤ 

8. 함수 와 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서  ≤ 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5 ▹


구간  ∞∞에서 정의된 두 함수   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sin   

 
       

이 두 함수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1)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10점]

(2) 제시문 7을 이용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10점]


 ≤   ≤ 

(3) [1]-(2)의 결과를 이용하여 방정식    를 만족시키는 근이 과 사이에 있음을 보이시오. [10점]

[2]
(1) 함수   는 구간 ∞ 에서 증가함을 보이시오. [8점]

(2) 함수   의 극값을 구하시오. [4점]

(3) 곡선     의 오목과 볼록을 조사하시오. [8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6 ▹


2023학년도 수리논술 대비

기출문제집 II
(2017~2010)

수학연구소
(배기은 ․ 송명관 ․ 유홍조 ․ 나동혁)
2017학년도 수시기출 오전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가)   ,   가 에 대하여 미분가능하고 ′  ≠ 일 때,



 
  ′ 
  
   ′ 


(나) 사건  에 대한 여사건  의 확률은
        

(다) 평면  위의 도형  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을  ′ 이라 하고,   ′ 의 넓이를 각각    ′ 이라 할 때, 두 평면  가

 
이루는 각의 크기가   ≤  ≤  이면
 
 ′   cos

❄ [1-4]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  의 좌표가 매개변수 의 함수


         sin  (단,  ≤   )
로 나타내어진다고 할 때, 점  가 만드는 도형에 대하여 다음 물을에 답하시오.

[1] 도형을 방정식   으로 나타내고, 축과 만나는 두 점  와  의 좌표를 구하시오. [8점]

[2] 도형의 접선 중 원점을 지나는 접선은 두 개다. 이때, 두 접점  와  의 좌표를 구하고, 두 접선이 이루는 예각을 라고
할 때, cos의 값을 구하시오. [10점]

[3] 문제[1], [2]에서 구한 네 점       를 서로 이은 선분들로 도형 내부를 8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서로 다른 두


영역을 선택할 때, 선택된 두 영역이 축에 대하여 대칭이 아닐 확률을 구하시오. (단, 각 영역을 선택할 확률은 동일하
다.) [8점]

[4] 도형에 내접하는 직사각형의 넓이를   라 하자. 이때   를 구하고, 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12점]

[5] (교과과정 제외)


 
좌표공간의 위치벡터 

 
 
은 두 점         에 대한 위치벡터 
  
 
 와 모두 수직이고 크기가 
 이

다. 이때, 세 점    을 지나는 평면의 방정식을 구하고, 이 평면이 평면과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구하시오. (단,  는 원
점이고 점  의 좌표는 양수이다.) [12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가) 함수 가 구간  에서 연속이고, 구간  에서 미분가능할 때, 구간  에서 ′   이면 함수 는 구간
 에서 증가한다.

(나) 함수 가 구간  에서 연속일 때,


 

    

(단,     )


(다) 함수 가 구간  에서 연속이고 구간  에서   이면, (나)에 의해 구간  에서 함수     


의 도함수는       이다. 따라서 (가)에 의해 함수   는 구간  에서 증가한다. 이때    이므로

   ≤ 이면,    이다.

[1] 함수  은 구간  에서   ,   이고 연속이면, 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고 등식
′   ′ 
   를 만족시킨다. 이때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10점]
 
   (단,  ≤  ≤ 이고 는 양수)

❄ [2-4] 구간  에서 연속이고   ,   인 두 함수  에 대하여 함수     를
 
 

  
        
 
(단,     )
 

  

라 정의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2] (1) 함수   에 대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10점]


      (단,     )

(2) (1)의 부등식을 이용하여 lim  를 구하시오. [5점]


→ 

 
[3] (1)     

   임을 보이시오. [8점]

 

(2)      이면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5점]


 



(단,     )



 

[4] 구간  에서 함수  가 미분가능할 때,      는    (단, 는 양수) 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임
을 증명하시오. [12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


2017학년도 수시기출 오후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가) 함수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조사하여 그릴 수 있다.


(1) 함수의 정의역과 치역
(2) 좌표축과의 교점
(3) 곡선의 대칭성과 주기
(4) 함수의 증가과 감소, 극대와 극소
(5) 곡선의 오목과 볼록, 변곡점
(6) lim lim , 점근선
→∞ →  ∞

(나) 두 함수   와   가 구간  에서 연속일 때, 두 곡선   와    및 두 직선      로 둘


러싸인 도형의 넓이  는

    

(다) 좌표공간에서 점      을 지나고 벡터  에 평행인 직선  위의 점    의 좌표는



         이다. (단, 는 실수)

(라) 함수 가 닫힌 구간  에서 연속이고  ≠ 이면, 와  사이의 임의의 값 에 대하여
       
인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마) 미분가능한 두 함수  에 대하여 ′   ′  가 구간  에서 연속이면


 
  ′      ′ 



[1] 제시문 (가)를 이용하여 실수 에 대한 부등식 


  


≤ 를 만족하는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10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


[2] (선택기하)
두 초점   ,  ′  
 으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4인 타원과 두 직선   
    
 으로 둘러싸여 있는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제시문 (나)를 이용하여 하시오. [10점]

[3] 좌표공간의 세 점   ,   ,   에 대하여 점  에서 직선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라고 할 때,



 의 길이를 제시문 (다)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10점]

[4] 닫힌구간  에서 정의된 연속함수 가    이고   이다.

 

제시문 (라)를 이용하여     cos   가 되는  (단,      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함을 보이시오. [10점]

[5]  이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제시문 (마)를 이용하여    의 값을 구하시오. [10점]



 
   sin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가) 두 집합   에 대하여  에 속하지만  에는 속하지 않는 모든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을  에 대한  의 차집합이라 하고,


   로 나타낸다.

(나) 집합  는                는 정수이다.

(다) 다항식  를 다항식    ≠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 , 나머지를  라고 하면,      이다.


이때,  의 차수는  의 차수보다 낮다.

(라) 지수함수        ≠ 의 도함수는  ′   ln이다.

(마) (수학적 귀납법) 자연수 에 대한 명제   이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성립함을 증명하려면,


다음 두 가지를 보이면 된다.
(1)   일 때, 명제   이 성립한다.
(2)   일 때, 명제 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일 때에도 명제   이 성립한다.

[1] 집합   ∈       는 이 아닌 정수에 대하여 차집합    를 구하시오. [10점]

[2] 다항식   을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  이고 나머지는 12일 때, 다항식 를 구하시오. [12점]

[3] 다항식  를 다항식    ≠ 로 나누었을 때 몫   와 나머지   가 존재하여


         라고 가정하자. 이때    이고    임을 증명하시오. [10점]

[4]       과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 ∉  임을 증명하시오. [10점]

(2)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임을 이용하여  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시오. [8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


2017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1) 자연수 와 자연수 에 대하여 자연수 가 존재하여   이면 를 의 배수, 를 의 약수라 한다.

(2) 자연수 와 자연수 의 공약수 중에서 가장 큰 수를 자연수 와 자연수 의 최대공약수라 한다.

(3) 자연수 와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  를 만족시키는 와 이 존재한다. 이때 를 를 로 나누었을 때의


몫, 를 나머지라고 한다.

(4) 다항식  를 다항식   ≠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 , 나머지를  라 하면


     가 성립한다. 이때  의 차수는  의 차수보다 낮다.

(5) (수학적 귀납법) 자연수 에 대한 명제 이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성립함을 증명하려면 다음 두 가지를 보이면 된
다.
(1)   일 때 명제 이 성립한다.
(2)   일 때 명제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일 때에도 명제 이 성립한다.

[1]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이 의 배수임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증명하시오.(10점)

[2] 자연수 를 자연수 로 나누었을 때 몫   와 나머지   가 존재하여          가 성립한다고 한다. 그러면
   이고    임을 증명하시오.(10점)

[3] 함수   ℕ →ℕ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ℕ은 모든 자연수의 집합이다.)


∈ℕ에 대하여    (는 와 의 최대공약수)
(1) 함수 가 다음 성질을 만족하는지 판정하고 이유를 설명하시오.(3점)
모든   ∈ℕ에 대하여   이다.

(2)   이고   인 와 에 대하여   가 성립함을 증명하시오.(6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7▹


[4] 실수  에 대하여 두 다항식을              라 놓으면 제시문(4)에 의하여
    를 만족하는 다항식 와 가 존재한다.   일 때 를 구하시오.(9점)

[5] 다항식                   ∈ℕ에 대하여 집합  와 집합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 ∈ℝ      ,   ∈ℝ     
        일 때 를 구하시오. (ℝ는 모든 실수의 집합이고 ℕ은 모든 자연수의 집합이다) (12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8▹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가) 어떤 구간  에서 연속인 함수 에 대하여  ′′   을 만족시키는 이계도함수를 갖는 함수     는 부정적분

을 반복적으로 구하여 찾을 수 있다. 먼저, 이계도함수  ′′  는 함수  ′  의 도함수, 즉   ′    ′′  이므로 부정적

분의 정의에 의해  ′  는 함수  ′′   의 부정적분이다. 그리고 또한 함수     ′′  의 부정적분   는 다음
과 같다.
        ,  은 적분상수
 

여기서  ′  와   의 도함수가 모두     ′′  로 같으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은 상수
이로부터 함수     는 다음 식으로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는 적분상수
  

(나) 함수     가 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하자. 곡선    위의 점     ∈  에서의 접선  이  축과


만나는 경우, 두 직선의 이루는 각의 크기를 양의  축으로부터 시곗바늘이 도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재고  (라디안)라
하자. 또 같은 점   를 지나고 직선  에 수직인 직선  ′ 이  축과 이루는 각의 크기도 같은 방법으로 재고 그 크기
를   (라디안)로 나타내기로 하자. 점   에서의 접선  이  축과 만나지 않는, 즉 평행한 경우에는    ,
  
    로 정한다. 그러면  ≤      ≠  이고, 각 가 예각일 경우는      이고, 각 가
  

둔각이라면       의 관계가 성립한다. <그림 1>은 가 예각인 경우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 함수     가 이계도함수를 가지면 함수 는 미분가능하다고 가정한다.)

<그림 1>

[1] 제시문 (나)의 점   에서의 접선  에 대하여


(1) 와 함수   의 도함수  ′  와의 관계식을 구하시오.(5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9▹



(2)   ≠  인 이유를 설명하시오.(2점)

[2] 함수   가 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고  ′  ≠ 을 만족시킨다고 할 때, tan        와 도함수  ′  의 관
계식을 구하시오.(8점)

[3]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구간  에서 이계도함수를 갖는 함수   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6점)
  ′′ 
    ∈
    ′ 

 
 
 

(2) 함수   ln sec        에 대하여  를 구하시오.(5점)


[4] 구간    ∞∞에서 이계도함수를 갖는 함수   에 대한 다음 명제를 증명하시오.(12점)



함수   가 상수함수 또는 일차함수이면     ∈ 이고, 그 역도 성립한다.



[5] 함수   sin     에 대해     라고 할 때,   의 값이 최대가 되는 점 ∈ 와 최소가 되는 점


∈ 를 찾고, 과  에서의   와  의 값을 구하시오.(12점)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0 ▹


2016학년도 수시기출 오전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1. 모든 자연수의 집합을  , 모든 정수의 집합을  , 모든 실수의 집합을  로 나타낸다. 또한 집합  와  는  의 부분


집합이다.

2. 집합  에 대하여 집합         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단,  는 이차 단위행렬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역행렬이 존재한다

3. 함수    → 에 대하여 (성질 1)과 (성질 2)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성질 1) 모든    ∈ 에 대하여          이다.
(성질 2) 모든    ∈ 에 대하여      이다.

[1] (교과과정제외)

    을 만족시키는 행렬    ∈  를 모두 구하시오. [11점]

[2] 제시문 3에서 주어진 (성질 1)을 만족시키는 함수    → 가 다음 성질을 만족한다.


   ⇔  
이때 집합   ∈        에 속하는 원소의 개수를 구하시오. [7점]

[3] 함수    → 가 제시문 3에서 주어진 (성질 1)과 (성질 2)를 모두 만족시키는 일대일 함수일 때 
 의 값을 구하
시오.
[10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1 ▹


[4] (교과과정제외)
함수    → 는 제시문 3에서 주어진 (성질 1)을 만족시키고 어떤 ∈ 에 대하여  ≠ 이다.
또한 함수      →  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 ∈  에 대하여     




(1) 모든 ∈ 에 대하여    이 성립함을 증명하시오. [9점]

(2) 모든 ∈ 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증명하시오. (단,   이고     ∘  이
다.)
[7점]

  


     

(3) ∈ 일 때    ∈    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    임을 증명하시오. [6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2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매개변수로 나타내어진 함수] 두 변수   사이의 함수 관계가 변수 를 매개로 하여


     
의 꼴로 나타내어 질 때 변수 를  의 매개변수라 하고, 이 관계를 매개변수로 나타내어진 함수라고 한다.

[매개변수로 나타내어진 함수의 도함수] 매개변수 로 나타내어진 두 함수      가 에 대하여 미분가능하고
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매개변수로 나타내어진 곡선의 길이] 두 함수  의 도함수 ′   ′  가 모두 구간  에 서 연속일 때, 매개변수

로 나타내어진 곡선        ≤  ≤ 의 길이 은   

 
′    ′  

 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일 때,


[벡터의 내적] 두 벡터 
 
ㆍ    cos   ≤  ≤ 

[합성함수의 미분법] 두 함수      가 미분가능할 때, 합성함수   의 도함수는


  
   ′  ′ 
   



[음함수의 미분법] 음함수    의 각 항을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에 관하여 미분한 후,  를 구한다.


※ ([1]~[5]) 평면 위에서 움직이는 점   의 좌표가


매개변수 의 함수로 다음과 같이 주어졌다.


  cos   cos   sin   sin   ≤  ≤ 

이때 점  가 만드는 곡선을 그리면 <그림 1>과 같다.
또한 같은 평면 위에서 움직이는 다른 점   는
매개변수 의 함수로 다음과 같이 주어졌다.
   cos   sincos  ≤  ≤ 
점  와  가 만드는 평면 위의 두 곡선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점  를 나타내는    cos   sincos에서 변수 를 소거하여 점  가 그리는 곡선을 두 변수 와 만의 관계식으


로 나타내고, 그 관계식이 어떤 도형을 나타내는지 서술하시오. [6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3 ▹


[2] (선택기하)

    이고  ≠  인 에 대응하는 점  와  에 대하여 두 벡터 
와 
가 이루는 각 의 크기를 구하시오.

(단, 점  는 평면의 원점이다.) [12점]

[3] 두 곡선이    일 때 점  에서 만난다고 하자.


(1) 점  의 좌표를 구하시오. [6점]


(2) 원점과 점  를 지나는 직선이 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 를 구하시오.(단,  ≤  ≤  ) [4점]

[4] 문항 [3]의    과 점  에 관련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1)    에서 점  가 만드는 곡선에 대하여  를 구하시오. [4점]


(2) 점  가 만드는 곡선에 대하여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7점]

[5]  ≤  ≤ 의 구간에서 점  가 만드는 곡선의 길이를   , 점  가 만드는 곡선의 길이를   라고 할 때, 다음 극한값
을 구하시오. (단,  ≤ ) [11점]
  
lim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4 ▹


2016학년도 수시기출 오후
[문제 1] (교과과정제외)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 sin
[회전변환] 원점을 중심으로 각 만큼 회전하는 회전변환의 행렬은 cos
sin cos이다.

[닮음변환] 원점을 닮음의 중심으로 하고 닮음비가 인 닮음변환의 행렬은   이다.
(단,  ≠ )

[합성변환] 두 일차변환 와 의 행렬을 각각   라 하면 합성변환  ∘ 는 행렬  로 나타내어지는 일차변환이 된다.

[역변환] 일차변환 의 행렬  의 역행렬    가 존재하면 의 역변환   가 존재하고,   는 행


렬    로 나타내어지는 일차변환이 된다.

    
[점과 직선과의 거리] 평면 위의 점   과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는  이다.
   

 
※ ([1]~[5]) 평면 위에서 원점을 중심으로 각  만큼 회전하는 회전변환 와 닮음의 중심이 원점이고 닮음비가  인
 
번

닮음변환 의 합성변환을    ∘ 라 하고,    ∘  ∘⋯∘  라 하자.

[1] 변환 와  을 나타내는 행렬을 각각 구하시오. [9점]

[2] 평면 위의 점   이 변환 와 역변환   에 의하여 옮겨진 점을 각각   라 하자. 이때 두 벡터 


  
의 내적

 ㆍ
  
을 만족하는 점   가 만드는 곡선의 길이를 구하시오. [11점]

[3] 변환  에 의하여 평면 위의 점   이 옮겨진 점을    이라고 하자. 원점   과 두 점



             이 이루는 삼각형    의 넓이를  이라고 할 때, 무한급수 
 
 의 합을 구하시오. [11

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5 ▹


   
 
[4] 변환 에 의하여 평면 위의 점    이    로 옮겨질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8점]
 

[5] 변환  에 의하여 평면 위의 직선        이 옮겨진 직선을   이라고 하자.   과   이 평행한 위치 관계가 되는


가장 작은 자연수  에 대하여   과  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11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6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1. [정적분] 함수 가 닫힌 구간  에서 연속일 때,


 

  lim   ∆ (단, ∆  
 →∞  


     ∆)

2. [정적분의 기본 정리] 함수 가 닫힌 구간  에서 연속이고, 의 한 부정적분을   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3. [평균값의 정리] 함수   가 닫힌 구간  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면


  
   ′      

인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4. [함수의 증가] 함수 가 어떤 구간의 임의의 두 수   에 대하여 다음 성질을 만족하면 는 그 구간에서
증가한다고 말한다.
   일 때,     

5. [부분적분법] 두 함수  가 각각 연속인 도함수를 가질 때

  ′     ′ 


[1] 제시문 1의 정적분을 이용하여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9점]



lim  
→∞    

[2] 양의 실수 에 대하여 함수 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 
   
   

이때 도함수  ′  에 대한 다음 합을 구하시오. [9점]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7 ▹


[3] 함수   가 닫힌 구간    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    에서 미분가능하면
  

 

  ′ 

인 가 구간 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함을 제시문 2, 3을 이용하여 증명하시오. (단,   ) [11점]

[4]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함수     는 구간  ∞ ∞에서 증가함을 증명하시오. [3점]

(2) 제시문 4와 <그림 1>을 이용하여 다음 부등식을 증명하시오. [7점]


 
 
      
     

[5] 두 함수  가 각각 미분가능하고 ′   이고  ′   라고 하자. 제시문 5의 부분적분법을 이용
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증명하시오. [11점]


cos        

 cos     
(단,  는 적분상수)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8 ▹


2016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교과과정제외)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1. 모든 정수들의 집합과 모든 실수들의 집합을 각각 Z 와 R 로 나타낸다. 또한 집합 X 와 Y 는 R 의 부분집합이다.

2. 집합  X  는 크기가  ×  이고 모든 성분이 집합 X 의 원소인 행렬 전체의 집합이다. 또한 자연수  에 대하여 집합


 X  와  X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X    ∈  X        (단,  는 크기가  ×  인 영행렬이다.)
 X    ∈  X    는 역행렬을 갖는다 

3. 행렬    
 
 
∈  R  에 대하여 det       이다.

4. 두 행렬   ∈  R  에 대하여 det    det  det   이다.

5. 함수   → 와 자연수 에 대하여  은 를 번 합성한 함수이다. 즉, 원소 ∈ 에 대하여



    ∘  ∘⋯∘  이다.

6. 함수    →  에 대하여 (성질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모든   ∈  에 대하여         이다.

[1] 교집합  R  ∩ T R  를 구하고 이를 설명하시오. (5점)

[2]     


 ∈  R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12점)

[3] [2]를 이용하여 집합    ∈   R              를 구하고 이를 설명하시오.

(단,  는 크기가  ×  인 단위행렬이다.) (8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9 ▹


[4] 임의의 실수  에 대하여   ∈   R  인 실수    가 존재한다. 함수   R → R 를    로 정의할 때 극한값


lim  
을 구하고 이를 설명하시오. (9점)
→∞    

[5]  ≠     인 함수   Z→ R 가 (성질  )를 만족시킬 때 다음 명제를 증명하시오.


(1)   ∈ Z 에 대하여    이면     이다. (11점)

(2) 함수    Z →  R  를    
 
 

   
  로 정의하면 T Z ⊂ T R  이다. (5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0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정적분의 정의] 함수  가 닫힌 구간   에서 연속일 때,


 

   lim   ∆
 →∞  
 (단, ∆        ∆ )

[정적분의 성질1] 두 함수   가 닫힌 구간   에서 연속일 때
 
    
 
(단,  는 상수)

  
  ±      ±    (복부호 동순)
  

[정적분의 성질2] 임의의 실수    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함수  가 연속일 때


  
       
  

또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임의의 실수   ⋯ 을 포함하는 구간에서 연속인 함수 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적분과 부등식] 두 함수   가 닫힌 구간   에서 연속이고  ≤  일 때


 
   ≤   
 

[실수의 삼각부등식] 임의의 실수   에 대하여


   ≤    (단, 등호는  ≥  일 때 성립)
또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임의의 실수   ⋯ 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최대·최소의 정리] 함수  가 닫힌 구간   에서 연속이면  는 이 구간에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평균값의 정리] 함수    가 닫힌 구간   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   에서 미분가능하면
  
′   

인 점  가  와 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1] 정적분의 정의에 의하여        임을 보이시오. (9점)


[2] 다음 극한값을 정적분    를 이용하여 구한다고 할 때, 함수  와 극한값을 구하시오. (8점)

lim 
→∞

   

  
⋯ 
  
 

[3] 함수  가 실수      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연속이면 다음이 성립함을 증명하시오. (6점)

 ≤  
 
⋯⋯ ①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1 ▹


[4] 함수  가 실수      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 ≥  이며, 그의 도함수 ′  가 연속이다. 이때
구간   에서 ′  의 최댓값을  라 하자.
(1)  ∈ 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4점)
   ≤    


(2) 정적분   를 높이가 , 밑변의 길이가    인 직사각형의 넓


이       로 택하는 경우에 생기는 오차

 

     에 대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그림1>
(<그림1> 참조) (6점)

      ≤    




⋯⋯ ②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2 ▹


[5] 함수  는 실수      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미분가능하며, 그의 도함수 ′  가 연속이다. 이때 구간   를

 등분하고    ,     ⋅ ,      ⋯   이라 하고, 또한  을 구간   에서 ′  의 최댓값이라 하

자.
이제 각 소구간        ⋯  에 대해 [문항4]에서와 같이 높이가 함숫값    , 밑변의 길이가
        인 직사각형의 넓이 ⋅    을 생각하고 그들을 모두 합하면 다음 식 ③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③

  
한편 제시문의 [정적분의 성질2]에 의하면     
    
 가 성립한다. 따라서, 식 ③의 값을 정적분


  의 근삿값으로 택할 수 있다.

      
 
(1) 이 경우에 발생하는 오차  의 한계에 대해 다음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12점)
 

 
 


    

 ≤      ⋯⋯ ④



(2) [문항2]에서 찾은 함수  의 정적분   의 근삿값을 구간   을  등분한 후에 식 ③을 함수  에 적용


하여 얻는 값으로 택하려고 한다. 이때 오차의 한계가  이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 의 최솟값을 부등식 ④를 이용하여

구하시오. (5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3 ▹


2015학년도 수시기출 오전
[문제 1] (선택기하)
다음 제시문을 이용하여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타원의 정의와 방정식] 평면 위의 서로 다른 두 초점  ,  ′ 으로부터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을 타원이라 한다. 두 초
점이   ,  ′   이고, 거리의 합이 인 타원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단,     ,      ) (1)
 

이때 식 (1)의 타원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내부 넓이  는 다음과 같다.

    (2)

[제이코사인법칙]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  
cos   (3)


[산술평균, 기하평균] 양의 실수 , 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식이 항상 성립한다.


 ≥ 
 (4)

[평면벡터의 내적] 두 벡터 


     , 
 
     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일 때,
 

∙
 
         cos  (5)
  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tan  ± tan 
tan  ±    (복부호동순) (6)
 ∓ tan  tan 

※ ([1]~[5]) 점  을 지나고 두 초점이  ′   과   인 타원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타원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5점]

[2] 타원의 두 초점에서 타원 위의 임의의 점  를 이을 대, 각 ∠ ′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10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4 ▹


[3] 타원의 두 초점에서 타원 위의 임의의 점  까지 이르는 두 벡터 
와 
 ′ 의 합으로 주어지는 벡터를 시점으로 그릴 때,
얻어지는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10점]

(교과과정 제외)

[4] 주어진 타원을 일차변환  ′′   를 통해 얻은 도형과 주어진 타원의 공통되지 않는 부분을 축 둘레로 회전시켰을
때 생기는 회전체의 부피를 구하시오. [15점]

[5] 주어진 타원과 [4]번에서 변환을 통해 얻은 도형과의 교점 중 제1사분면의 점을  , 제2사분면의 점을  라 하자. 초점


 ′   에서 두 점  ,  를 잇는 두 벡터 
 ′ 과 
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라고 할 때, tan 를 구하시오. [10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5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이용하여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우극한과 좌극한]

lim  lim  ⇔ lim 


→ →  →

[삼각함수의 극한]

sin 
limsin  , limcos   , lim 


→ → →

[함수의 극한에 관한 성질] lim , lim   (, 는 실수) 일 때,


→ →

 
lim ±   ±  (복부호동순), lim  , lim    (단,  ≠ ,  ≠ )
→ → →  

[미분계수와 미분가능] 함수 에서 →일 때의 극한값

  
lim 

→

가 존재하면, 함수 는   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하고, 이 극한값을   의   에서의 미분계수라 한다. 이것을 기
호로  ′  와 같이 나타낸다.

[접선의 방정식] 함수   가   에서 미분가능할 때, 곡선   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롤의 정리] 함수   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할 때,   이면

 ′   ,     

인 점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삼각함수의 항등식]

  cos    cos 
sin    , cos   , cos  sin    
 

[1]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인 두 함수 , 가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며  ′  ≠ 이다. 여기서
 ≠ 일 때, 구간  에서 함수 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  

구간  에서   에에 롤의 정리를 사용하여

    ′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6 ▹


인 점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함을 증명하시오. [10점]

[2] 점   를 포함하는 열린구간  에서 두 함수 , 가 미분가능하고  ′  ≠ 이라 하자. 이때    ,
   이면 다음이 성립함을 증명하시오. [10점]

  ′  
lim  
  ′  
→

※ ([3]~[5]) 다음의 물음에 대하여 제시문과 앞의 문항의 결과를 이용하여 답하시오.

<그림 1>과 같이 중심이 원점  이고 반지름이   인 원을 생각하


자. 이때 제1사분면에 놓인 원 위의 한 점을  라 하고 직선  가 양
의 축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 그리고 점  에서 양의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점  라 하자. 또, 점  에서의 원의 접선이 양의 축과
만나는 점을  라 하자. 한편 점  는 반원이 양의 축과 만나는 점이
다.

<그림 1>
[3] <그림 1>에서 점  ,  ,  의 좌표를 과 로 나타내시오. 또, 점
 에서의 주어진 원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점  의 좌표도 과 로 나타내시오. [10점]

[4] <그림 1>에서 도형  의 면적  와 도형  의 면적  을 과 로 나타내시오. [9점]

[5]  를 ∆ 의 면적이라고 할 때,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11점]

 ′
lim  , lim
 →  
→  ′

 
여기서  ′   ,  ′   이다.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7 ▹


2015학년도 수시기출 오후
[문제 1] (교과과정 제외)
다음 제시문을 이용하여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1.  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2.   은 모든 성분이 실수인  × 행렬 전체의 집합이다.

3.          ∈


4.           ∈
5.   는 의 모든 양의 약수

6.   는 의 모든 양의 약수

[1]    ≠ ,  ≠ 인 행렬    ∈   에 대하여 함수 


        →   을      로 정의하자. 행렬

   이 집합    의 원소가 된다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밑줄 친 조건을 만족시키는 행렬  과 그 역행렬    을 구하시오. [8점]

(2) 자연수 에 대하여 행렬  의 거듭제곱   의   성분을  이라고 할 때,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10점]

→∞
 
lim 

 

(3)     이고,         이다. 조건   ∈  을 만족시키는 행렬  을 구하고, 곡선
 

′
  가 일차변환        에 의해 옮겨진 곡선의 축과의 교점을 모두 구하시오. [13점]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8 ▹


 
 
[2]     ∈ 인 행렬     중에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으며, 
 
 를 만족하는 것을 모두 구하시오. [12점]

[3] 집합  에서  로의 함수  중 역함수   가 존재하고,      인 것의 개수를 구하시오. [7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9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이용하여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함수의 극한에 관한 성질] lim  , lim   (, 는 실수) 일 때,


→ →

 
lim ±     (복부호동순), lim  , lim    (단,  ≠ ,  ≠ )
→ → →  


[함수의 극한] lim    (는 실수) 이고 lim  이면 lim 이다.
→ → →

[미분계수와 미분가능] 함수 에서 →일 때의 극한값

  
lim 

→

가 존재하면, 함수 는   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하고, 이 극한값을   의   에서의 미분계수라 한다. 이것을 기
호로  ′  와 같이 나타낸다.

[미분계수에 관한 성질] 함수 가   에서 미분가능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lim 
→

 


  ′    
[접선의 방정식] 함수   가   에서 미분가능할 때, 곡선   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이때 우변의 일차함수를   와 같이 나타내자. 즉 다음과 같다.

       ′   

[롤의 정리] 함수   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할 때,   이면

 ′   ,     

인 점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1] 점   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정의된 함수   가 점   에서 미분가능하면 다음이 성립함을 증명하시오. [10점]

lim     
→

 
[2]   에서 함수       의    을 구하시오. [5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0 ▹


※ ([3]~[5]) 점 를 포함하는 구간  에서 두 번 미분가능한 함수
에 대하여 점 ∈ 에서의 와   의 차이

    는    과 적당한 실수  의 곱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1> 참조)

          ․ ․ ․ ․ ․ ․ ․ ․ ․ ․ ․ ․ ①

이때 실수  와 주어진 함수 를 이용하여 구간  에서 함수


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그림 1>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3]   인  ∈  에 대하여  를 식 ①을 만족시키는 실수라 하자. 그러면 식 ②로 주어진 함수  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
시키는 점 가 구간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함을 보이시오. [9점]

 ′    ․ ․ ․ ․ ․ ․ ․ ․ ․ ․ ․ ․ ③

[4] 문항 [3]의 함수   의 도함수  ′  를 구하고, 구간  에서 함수  ′  에 롤의 정리를 사용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점 가 구간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함을 증명하시오. [12점]


    ″  ․ ․ ․ ․ ․ ․ ․ ․ ․ ․ ․ ․ ④

[5] 함수   
   와 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문항 [4]의 결과를 이용하여 보이시오. [14점]

 
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1 ▹


2015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교과과정 제외)
실수의 부분집합  ,  ,  ,  에 대하여 성분이  에 속하고 크기가  × 인 행렬들로 이루어진 집합을   라 하자.
또한 행렬들의 집합  , 함수들의 집합  와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50점]

    는 실수
    는 무리수
    는     인 자연수이고 양수인 약수가 과 뿐이다
    는 자연수를 로나누었을 때 나머지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  는 임의의 집합이다.)


    →  는 일대일 함수 (단,  ,  는 임의의 집합이다.)

[1] 집합  를 구하고 이유를 설명하시오. [10점]

[2] 집합  를 구하고 이유를 설명하시오. [5점]

[3] 교집합 ∩ 을 구하고 이유를 설명하시오. [5점]

[4] 집합  가 함수의 합성연산 ∘과 덧셈연산  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하는지 판단하고 이유를 설명하시오. [15점]
 ∘    ∘   ∘  (∈ )

[5] 집합  에 속하는 원소의 개수를 이라 하고 집합   ∈      에 속하는 원소의 개수를  이라 할 때
   을 구하시오. [15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2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이용하여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매개 변수로 나타내어진 함수] 두 변수 , 사이의 관계가 변수 를 매개로 하여


  ,    (1)
의 꼴로 표현될 때 변수 를 매개변수, 식 (1)을 매개변수로 나타내어진 함수라고 한다.

[매개변수로 나타내어진 함수의 도함수] 매개 변수 로 나타내어진   ,   가 에 대하여 미분가능하고



  ′  ≠ 이면

 
 
 
 ′ 
     (2)
    ′ 

 

[곡선의 길이] 평면에서 곡선 위의 점  가 매개 변수 의 함수   ,   로 나타내어질 때   에서   까
지 점  가 그리는 곡선의 길이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3)


[합성함수의 미분법] 두 함수   ,   가 미분 가능할 때, 합성함수   의 변수 에 관한 도함수  는

다음과 같다.
  
   ′′  (4)
   

[음함수의 미분법] 변수 의 함수 가  의 꼴로 주어졌을 때, 를 의 함수로 보고 각 항을 에 대하여 미분하여

 를 구한다.


평면 위의 주어진 곡선에 놓인 점이 곡선 위를 움직임에 따라 그 점에서의 접선이 축과 이루는 각(角)도 변화할 것이다. 여
기서는 곡선 위의 한 점이 곡선 위를 따라 이동함에 따른 각의 변화율을 구하는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본다.

※ ([1]~[3]) 평면에서 주어진 곡선 위의 점  의 좌표 


가 매개 변수 의 함수   ,   로 나타내어진다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와 는 모두 두 번
미분가능하고 ′  ≠ 이다.

[1] 곡선 위의 점  에서의 접선이 축과 이루는 각 를 양


의 축으로부터 잰다고 할 때 는 매개 변수 의 함수가 된
다. <그림 1>에서 삼각형 ∆ 를 참조하여 ′  , ′  와
각 가 만족시키는 방정식 (관계식)을 구하시오. [10점]


[2] 문항 [1]에서 구한 방정식으로부터 각 의 도함수  를 ′  , ′  , ′′  , ′′  를 사용하여 나타내시오. [12점]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3 ▹


[3] 제시문의 식 (3)에 의하면   에서    ≥ 까지 점  가 그리는 곡선의 길이 는 변수 의 함수이다. 그리고 문항 [1]
의 점  에서의 접선이 축과 이루는 각 도 변수 로 나타내어지는 함수이므로 두 변수 , 는 모두 매개 변수 로 나타내

어지는 함수이다. 이때 도함수  를 ′  , ′  , ′′  , ′′  를 사용하여 나타내시오. [10점]


※ ([4]~[5]) 평면에 놓인 직선과 원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4] 직선     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a) 직선     의 두 변수 , 를 매개 변수 의 함수로 나타내시오. [4점]

 

(b) 직선      위의 점  에서    를 구하시오. [4점]


[5] 중심  의 좌표가  이고 반지름이   인 원           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a) 원의 방정식의 두 변수 , 를 매개 변수 의 함수로 나타내시오. (단,  ≤   ) [5점]

 

(b) 원 위의 점  에서    를 구하시오. (단, ′  ≠ 인 에 해당하는 점만 고려한다.) [5점]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4 ▹


2014학년도 수시기출1
[문제 1] (교과과정 제외)
다음 제시문을 이용하여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1. ℕ는 자연수 전체의 집합이고 ℝ는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2. ℝ는 모든 성분이 실수인  ×  행렬 전체의 집합이다.

3. 행렬   ∈ ℝ 에


 대하여 det   로 정의하면, 두 행렬   ∈ℝ에 대하여

det  detdet   이다.

4. 미지수 , 에 대한 연립방정식

    (단, , , , , , 는 실수이다.)


은 다음과 같이 행렬의 곱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   ,    ,    에 대하여   


또한 연립방정식    의 해가 존재하면 해는 단 한 쌍 존재하거나 무한히 많이 존재한다.

 lim lim 
5. 수열 , , , 의 극한값이 모두 존재할 때 행렬   


 



의 극한을 lim
→∞
→∞
lim
 →∞ 
→∞
lim
→∞ 
으로

정의한다.

[1]   ℕ → ℕ와   ℕ → ℕ는 임의의 ∈ ℕ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 함수이다.

  의 모든 양의 약수의 개수,   의 모든 양의 양수의 합

  
함수   ℕ → ℝ 를 임의의 ∈ ℕ 에 대하여    

      
으로 정의하고    라 하자. 이

때 행렬     에 대하여 연립방정식     의 해를 구하시오.


2] 양수 에 대하여 점   를 원점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각   만큼 회전하여 얻는 점을 각각   와

  라 하자. 행렬      와 함수   ℝ → ℝ ,    ∈ℝ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행렬  를    를 이용하여 나타내시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5 ▹


(2) 행렬     에 대하여 연립방정식    가 단 한 쌍의 해를 갖게 하는 각   의 관계를 구하시오.

(3) 행렬     에 대하여 연립방정식    가 단 한 쌍의 해를 가질 때 연립방정식    의 해의 존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평면 위의 점   ,   를 원점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각  만큼 회전하여 얻는 점을 각각    ,

  라 하자. 두 행렬   ∈ ℝ 를 각각   


 
     
     로 정의할 때 다음 명제의 참 또는 거짓을 판
 
정하고, 참이면 증명하고 거짓이면 반례를 제시하여 설명하시오.
“연립방정식    가 단 한 쌍의 해를 가지면, 임의의 각  에 대하여 연립방정식    가 단 한 쌍의 해를 갖는다.”
(단,  는 모든 성분이 0인  ×  행렬이다.)

[4] 극한값을 갖는 수열  


 

    로 이루어진 행렬     에 대해   lim 이라 하자. 이때 다음 명
 →∞

제의 참 또는 거짓을 판정하고, 참이면 증명하고 거짓이면 반례를 제시하여 설명하시오.

“    일 때 모든  에 대하여 연립방정식     의 해가 존재하면, 연립방정식    의 해가 존재한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6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이용하여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50점)

[곡선의 길이] 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  의 위치가 매개변수 함수        로 주어질 때 시각    에서 시각


   까지 점  가 그리는 곡선의 길이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합성함수의 미분법] 두 함수        가 미분가능할 때, 합성함수    의 도함수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음함수의 미분법]  의 함수  가    의 꼴로 주어졌을 때,  를  의 음함수라 한다.  의 함수  가 음함수



   의 꼴로 주어질 때,  를  의 함수로 보고 각 항을  에 대하여 미분하여 도함수  를 구한다.


 
[항등식] 임의의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1] 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  의 위치가 아래와 같이 매개변수  의 함수로 주어질 때, 시각    에서 시각   
( ≥ )까지 점  가 그리는 곡선의 길이  를  의 함수로 나타내시오.
   
,    ( ≥  )


[2]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문항 [1]에서 얻은 함수  의 역함수  의 도함수  를  의 함수로 나타내시오. (단,

함수  의 역함수  가 존재하고 미분가능하다고 가정한다.)

[3] 문항 [1]에서 얻은 함수  의 역함수  를 변수  로 나타내시오.

[4] 문항 [3]에서 얻은 역함수    를 이용하여, 시각    일 때 문항 [1]의 점   의 위치를 변수  의 함수로 나타


내시오.


[5] 문항 [4]에서 얻은   에 대하여    
 


 
  을 구하시오.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7 ▹


2013학년도 수시기출2
[문제 1] (50점)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집합  가 덧셈연산(  )과 곱셈연산(⋅)에 대하여 닫혀있다고 할 때, 집합  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성질 1>과 <성질 2>를


정의하자. (단, 은 덧셈연산에 대한 항등원이고 연산 순서는 곱셈연산을 먼저 시행한 후에 덧셈연산을 시행한다.)

<성질 1>  ∈   ≠  일 때,   ⋅   를 만족하는 원소  ∈ 가 존재한다.


<성질 2>  ∈   ≠  일 때,   ⋅   를 만족하는 원소  ∈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 집합  를 정수 전체의 집합 ℤ라 하고 덧셈연산(  )과 곱셈연산(⋅)을 각각 정수의 덧셈연산과 곱셈연산이라고 하자. 그러


면 임의의 정수  와  ≠ 에 대하여 <성질 1>의 식   ⋅   를 만족하는 정수  와  가 존재한다. 이때 의 조건을
 ≤   로 놓으면    인 경우에 는    중 하나로 결정된다. 각각의 정수  에 대해 집합
  ∈ℤ  ⋅   는 정수     
를 정의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답안을 작성할 때 곱셈연산의 기호 ⋅은 생략하기로 한다.)

[1] 집합 ∪∪ 를 구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2] 서로 다른 두 정수    ≤  ≤    ≤  ≤ 에 대해 교집합 ∩ 를 구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3] 집합    중에서 <성질 1>을 만족하는 집합을 모두 찾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4] 문항 [3]에서 <성질 1>을 만족하는 집합 중 <성질 2>도 만족하는 집합의 존재 여부를 설명하시오.

    
[5] 연립방정식 
    
에서 ∈ ∈ ∈ 일 때 연립방정식이 오직 하나의 해를 갖기 위해서  가 속할

수 있는 집합을    중에서 모두 찾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8 ▹


[6] 집합   ∪ 일 때 함수   ℤ→ℤ와   ℝ→ℝ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 ∈  ∈ℤ


     
  ∉   ∉ℤ

이때 함수 의 극한값이 존재하는 점들 전체의 집합  를 구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단,ℝ는 실수 전체의 집합이
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9 ▹


[문제 2] (50점) 다음에 제시된 정의, 정리, 증명 방법을 참조하여 문항별로 풀이와 함께 답하시오.

[정의] 집합  에서 정의된 함수   →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집합  의 원소  을 함수  의 고정점이라고 한


다.
    
[평균값의 정리] 함수  가 닫힌 구간  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    에서 미분 가능하면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
가 와 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   ′    
[수학적 귀납법] 자연수 에 대한 명제 에 관한 다음 2개의 주장이 참이면 명제  은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성립한
다.
①    일 때, 명제 이 성립한다.
②    일 때, 명제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일 때도 명제  이 성립한다.

※ ([1]~[2]) 구간  에서 연속이고 구간  에서 미분 가능한 함수 의 도함수 ′  가 양의 실수    에 대해 다


음 식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    
함수 가 고정점  을 가진다고 할 때,     인  을 첫째항으로 하여 다음 점화식  에 의해 생성되는 수열을
이라고 하자.
          … 

[1]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일 때,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증명하시오.


              … 

[2] 이계도함수가 연속인 함수  에 대하여 함수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       ′  ≠  
′ 
함수  가 고정점  을 가지면,  은 방정식   의 해임을 보이시오.

※ ([3]~[6]) 문항 [2]의 함수  가 구간  에서 정의된 함수      라고 할 때 식  의 함수  에 대해


첫째항을   로 하는 점화식  가 생성하는 수열을 이라 하자.

[3] 함수  의 고정점  을 찾으시오. 또한 수열 의 제항과 제항을 구하시오.

[4]  ≤  ≤  인 모든  에 대하여     임을 보이시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0 ▹



[5]      인 모든 에 대하여 ′    임을 보이시오.

[6] 수열 이 문항 [3]의 고정점  에 수렴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1 ▹


2012학년도 수시기출1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일 때, 실수 에 대하여 극한값


    
lim 

→

가 존재하면 함수 가   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이때 이 값을 함수 의    에서의 미분계수라고 하며, 이것을 기호


로 ′  와 같이 나타낸다.

[나] 가 변수, 이 음이 아닌 정수이고   …  을   개의 실수라 할 때, 다음과 같이 표현되는 함수 가 다항함수이다.
         ⋯   
이때  ≠  이 되는 최대의  이 이 다항함수 의 차수이며   deg 로 표기한다. 각 상수  를 이 다항함수 의 계수
라고 한다. 특히   deg이면  을 최고차항의 계수라고 한다. deg   ≥  인 다항함수 는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가 존재하며
′              ⋯ 
이다.

[문제 1]
(1) 함수 와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이며    에서 미분가능하다.   이고 모든 실수 와 에 대하여
          
가 성립할 때, ①, ②, ③, ④에 대한 답안을 자세히 작성하시오.
① 의 값을 구하시오.

② [가]의 미분가능성 정의를 사용하여 이 아닌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가 존재함을 보이시오.

③ 함수 는 다항함수임을 보이시오.

④ 함수 는 deg   또는 deg   인 다항함수임을 보이시오.

(2) 함수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차 다항함수이고


   ′ 
lim 
 

→∞   
이 성립할 때, ⑤, ⑥에 대한 답안을 자세히 작성하시오.
⑤   임을 보이고 다항함수 의 최고차항의 계수를 구하시오.

⑥ 

′ sin 의 값을 구하시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2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음성이나 음악과 같은 오디오 신호는 시간의 변화에 따른 매질의 압력 변화를 마이크 등의 센서를 이용해 전기신호로 표현
할 수 있는 차원 신호의 대표적인 예이다. 이를 수학적으로 표시하면 독립변수인 시간 에 대한 함수 로 표시할 수 있다.
(단, 는 실수이다.) 이러한 신호는 시간 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연속시간신호(continuous-time signal)와 시간 가 일정한 시
간 간격의 특정한 시각에서만 신호의 값을 가지는 이산시간신호(discrete-time signal)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속시간
신호를 이산시간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샘플링(sampling)이라고 하며, 연속시간신호와 구분을 위해 로 표시한다. (단, 는
정수이다.) 예를 들면, 악기를 연주하거나 가수가 노래를 부를 때 들리는 자연 상태의 오디오 신호를 카세트테이프에 녹음하면
연속시간신호라 할 수 있고, 이것을 샘플링 과정을 통해 MP3 파일로 변환하면 이산시간신호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산시
간신호는 정보를 표현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컴퓨터와 같은 디지털 장비에서의 다양한 신호처리에 적합하다. 아래의 그림 1과
그림 2는 sine 함수를 연속시간신호와 이산시간신호로 각각 표현한 예이다. 그림 2의 점선은 연속시간신호와의 관계를 보여주
기 위해 표시한 것이다.

  sin   



  sin  

그림 1 그림 2

[나] 상수  가 이 아닐 때,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연속시간신호 가       의 관계를 만족하면 를 주기
신호(periodic signal)라고 하고, 이 조건을 만족하는  의 값 중 최소의 양수가 되는   의 값이 존재할 때   을 의 주기
(period)라고 한다. 이산시간신호 에 대해서도 상수  가 이 아닐 때, 임의의 정수 에 대하여       의 관계를
만족하면 를 주기신호라고 하고, 이 조건을 만족하는  의 값 중 최소의 자연수  의 값을 의 주기라고 한다.

[다] 연속시간신호 가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   의 관계를 만족하면 를 우신호(even signal)라고 하고,
   의 관계를 만족하면 기신호(odd signal)라고 한다. 이산시간신호 도 마찬가지로 임의의 정수 에 대하여
   의 관계를 만족하면 를 우신호라고 하고,    의 관계를 만족하면 기신호라고 한다.

(1) 연속시간신호 가 다음과 같이 주어졌을 때, 가 주기신호임을 보이고 주기를 구하시오.

  sin   cos

(2) 실수  과 에 대하여 이산시간신호 가 다음과 같이 주어졌을 때, 가 주기신호가 될 조건을 구하시오.

  sin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3 ▹


 
(3) 연속시간신호   cos  이고 이산시간신호   cos  일 때,  
와  의 값을 구하시오.
  

(4) 임의의 연속시간신호 가 있다. 이때 우신호  와 기신호  를 아래와 같이 정의하면,       이
다.

 
       ,        
 

아래와 같이 연속시간신호 가 주어졌을 때, 우신호  와 기신호 


 의 그래프를 각각 그리시오. (그림 3 참조)

  ≤

    
  ≥

그림 3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4 ▹


2011학년도 수시기출 1차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40점)

케플러(Johannes Kepler, 1571~1630)는 함수의 증분이 최댓값 또는 최솟값의 근방에서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는
사실을 관찰했다. 페르마(Pierre de Fermat, 1601~1665)는 이 사실을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해석했다. 간
단히 말하면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함수  가  에서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갖고  를 매우 작은 값이라 하면,   의 값
은 의 값과 거의 같을 것이다. 따라서 임시로     라 놓고, 이 방정식을 정리한 다음에 에 을 대입해서 방
정식을 수정한다. 그 결과로 얻은 방정식의 근  는 를 최댓값 또는 최솟값으로 만드는 값이다.
페르마가 이런 과정을 적용한 최초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주어진 양수를 음이 아닌 두 수의 합으로 나타내는데, 그 두 수
의 곱이 최대가 되는 경우를 찾아라.” 페르마는 상수는 대문자 자음으로, 변수는 대문자 모음으로 표현했다. 이에 따라  를 주
어진 양수라 하고, 구하려는 두 수를  와    로 나타낸다. 증분을  라 하여 곱          를 만들고 이를
     와 같다고 놓으면, 다음 방정식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곧        
 로 양변을 나누면,       이다. 이제   으로 놓으면,    를 얻는다. 따라서 찾는 경우는 주어진 양수  를
그것의 반씩으로 나누어 곱하는 것이다.
위의 논리에는 미비한 점이 많다. 그렇지만 이 방법은 함수  의 도함수를 으로 만드는 수를 찾는 것과 본질적으로 같은데,
이 방법을 ‘페르마의 방법’이라 한다. 그렇지만 페르마는 ㉡  의 도함수가 0이 되는 것은 극값이 존재하기 위한 충분조건이 아
니라 필요조건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했다. 또, ㉢ 페르마의 방법은 극댓값과 극솟값을 구별하고 있지도 않다.

(1) 페르마가 고려한 문제 ㉠을 미분을 이용해서 해결하시오. 곧, 주어진 양수를  라 놓고 적절한 변수  와 함수 를 정해
서, 가 최댓값을 취하는  의 값을 미분을 이용해서 구하시오.

(2) ㉡의 사실을 보여주는 함수의 예로 실수 전체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 를 찾고,  에 대해 이 사실을 확인하시오.

(3) ㉢을 밝히기 위해서 도함수가 0일 때 극댓값도 나타날 수 있고 극솟값도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함수의 예로 실수 전
체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 를 찾고,  에 대해 이 사실을 확인하시오.

(4) 삼차함수  의 도함수는 ′      이고 극솟값이 일 때, 구간   에서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5) 구간   에서 함수    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5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제에 답하시오. (60점)

고대 이집트의 수학 문제를 다룬 아메스 파피루스(기원전 1650년경)에는 사각형의 넓 A 


D
이에 관한 문제가 있는데, 오른쪽 그림과 같이 연속한 네 변의 길이가     인 사각
형의 넓이  를 다음과 같이 계산하고 있다. 

 
   ⋅  ……①
  B C

이 공식이 정확하지 않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데, 신기하게도 이 공식이 중국과 우리
나라의 전통 수학에도 나타난다.
이런 사각형의 넓이  를 찾는 정확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cos ……②
(단,          ,  는 두 대각의 크기의 합)

(1) 공식 ①로 넓이의 참값을 구할 수 있는 사각형의 예를 들어보시오. 그리고 공식 ①을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이유를 구


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2) 인도의 수학자 브라마굽타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연속한 네 변의 길이가
    이고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 ABCD의 넓이  를 구하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발견했다. 
  
            ……③
(단,          )
 
이 사각형에서 ∠A의 크기를  라 할 때,
      
[1] 코사인 법칙을 이용해서 cos   을 유도하고, 
  

[2] 삼각형의 넓이 공식을 이용해서      sin  를 유도한 다음에,

[3] 이런 결과를 이용해서 공식 ③을 증명하시오.

(3) 일반적인 공식 ②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A 


오른쪽 그림과 같이 볼록 사각형 ABCD에서 연속한 네 변의 길이를     라 하  D

  
고, 마주보는 ∠A와 ∠C의 크기를 각각  와  라 하면,     sin     sin  
 

이고,          cos   cos 이 성립한다. 그러므로 다음을 얻는다. B C

    sin    sin     cos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cos  sin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cos
위의 증명 과정에서 이용한 다음 등식을 증명하시오.
  cos cos  sin  sin   cos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6 ▹


2010학년도 수시기출 1차
[문제 1] (교과과정 제외)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정보 보안성이 중요시되는 현대 정보화 시대에는 안전하게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 행렬에 관한 성질 또는 함수에 관한 성질들을 이용하여 주어진 문장을 암호화하고 전달된 암호문을 해독하여 원래의 문장으
로 복원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실제로 <표 1>을 이용하여 주어진 문장을 수열화하고 행렬이나 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다
양한 방법으로 암호화하고 해독할 수 있다. (<표 1>에서 space는 한 칸 띄우는 것을 의미한다)
<표 1> 문자와 수와의 대응관계 표

a b c d e f g h i j
1 2 3 4 5 6 7 8 9 10
k l m n o p q r s t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u v w x y z space ♥ ★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만일, 암호문의 송신자가 “I can pass”라는 문장을 암호화하여 송신하려고 한다면 우선 이 문장에 대응하는 수들을 차례로 나

열한 수열 “9,27,3,1,14,27,16,1,19,19” 을 얻고 이들 수들의 배열을 5개씩 끊어서 ×  행렬 A =      로 나타낸다.
그 다음에 행렬 B =    을 곱하여 다음과 같이 암호화하고 암호문 “18,119,14,-14,51,72,21,0,56,43” 을 보낸다고 가정
한다.

BA =         =     


   

[문제 1] (40 점)
(1) 송신자가 위와 같이 행렬을 이용하여 암호문을 만들고 송신할 때 암호문의 수신자가 암호문을 해독하려면 어떤 정보를 갖고
있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또한, 이 정보가 암호문 해독 과정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설명하시오.

(2) 위와 같은 방법으로 암호화하고 해독하는 데 사용했던 행렬 B 대신에 다른 행렬 C =   를 이용하려고 한다. 이 때, 행렬
C는 어떤 성질을 갖고 있어야 하는지 수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3) 주어진 문장을 암호화하고 해독하는 데 제시문처럼  ×  행렬을 이용하는 대신에  ×  행렬을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4) 자연수의 집합 에서 정의된 함수   →,      을 이용하여 주어진 문장 “I can pass”를 암호화하고, 함수
  →,      을 이용하여 해독할 수 있다. 이 때, 함수 의 어떤 성질을 이용한 것인지 설명하시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암호화하고 해독하는 데 함수   →,      을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
시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7 ▹


[문제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엔트로피는 무질서의 정량적인 척도를 나타낸다. 열역학적 과정 중 하나인 이상기체의 등온팽창 과정을 예로 들어 살펴보자.
팽창 후에는 분자들이 이전보다 더 넓은 공간에서 움직이므로 더 제각기 자유롭게 분포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즉 더 무질서
한 상태에 있게 되어 엔트로피는 증가하게 된다. 온도  가 일정한 상태에서 팽창하는 과정 중 증가하는 엔트로피( )는
     로서 공급된 열( )에 비례한다. 이에 관련된 대표적 연구 결과가 ‘열역학적 과정에 참여하는 자연계(시스템)의
엔트로피 총합은 변화가 없거나 증가한다’는 열역학 제 2 법칙이다.

엔트로피는 다른 말로 표현하면 관찰의 대상이 되는 시스템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 알아야 하지만 알려져 있지 않은 정보
의 양이다. 앞의 이상기체의 등온팽창을 예로 살펴보면, 이상기체를 완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이상기체의 모든 분자의 위치와 속
도를 안다는 뜻인데, 팽창 전에도 위치를 알지 못했지만 팽창 후에는 각각의 분자가 존재할 수 있는 범위가 더 커지게 되어 위
치에 대해 더 모르게 된다는 의미이다.

18세기에 제기된 맥스웰의 패러독스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 과정 중에서 관찰의 대상인 시스템과 관찰자를 분리해서는 자연 현
상을 이해할 수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얻거나 얻은 정보를 기록하는 과정, 정보를 지우는 과정
등 관찰자의 관찰 행위 자체가 에너지(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관찰자의 엔트로피가 증가할 수 있고, 따라서 열역학 제 2 법
칙에서 ‘참여하는 자연계(시스템)들’에 관찰자도 포함시켜 자연 현상을 해석해야 한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제 시스템의 정보가 어떻게 정량화되고 그렇게 정량화된 정보량이 엔트로피와 연결될 수 있는지 정보이론의 설명을 살펴 보
기로 하자. 모두  가지의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시스템에서 특정 사건 이 일어날 확률을 이라 하면 (    ), 정

보량  는   
 
 log    로 정의된다. (여기에서  는 시스템이 갖는 최대 정보량의 로그 값이다. 많은 시스템에서 최대

정보량  가 쉽게 다룰 수 없을 정도의 큰 수이기 때문에  대신  의 로그 값을 사용한다.) 동전 던지기를 생각하면, 앞,


뒤 2 가지 경우가 가능하고 두 경우의 확률이 각각 1/2로 주어지므로, 동전 던지기의 결과를 알기 전의 정보량  는,  를 log
   
로 놓았을 때,   log    log    log로 최솟값인 0 이 된다. 반면에 동전을 던진 후에는, 예를 들어 앞면이 나왔음을 확
   
인한 뒤에는,  가  log    log로 최댓값인 log가 된다.

또 다른 예로 트럼프 카드를 생각해 보자. 스페이드, 다이아몬드, 클로버, 하트 무늬의 Ace 카드 각 한 장씩 4 장의 카드를
준비하여 숫자와 무늬가 인쇄된 앞면을 보이지 않게 한 상태에서 카드 한 장을 뽑되 아직 앞면을 펼쳐보지는 않았다고 하자. 뽑
힌 카드의 무늬를 맞추려 한다면, 4 가지 무늬 중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고 어떤 무늬일지 아무것도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 를
log로 놓으면 정보량  는 0 이 된다. 만일 뽑히지 않은 카드 중 한 장을 뒤집어 스페이드 카드임을 확인했다면 시스템에 대

  
하여 아는 것이 늘어나게 되어      log     log  log  이 된다.

엔트로피는 관찰 중인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정보가 얼마나 부족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엔트로피  는 정보량  와

반대 방향의 경향성을 나타내어       
 
 log  로 정의된다. 정보가 전혀 없는 경우, 즉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모

든 사건의 확률이 같은 경우,    가 되어   log 가 된다. 반면에 정보가 완전히 알려져 있다면 (예를 들어   이
라면), 엔트로피는 최솟값 0 이 된다.

어떤 언어권에서 사용되는 단어의 총 개수는 5만 개이고 모두 서로 뜻이 다르다. 또 모든 단어는 3 음절로 이루어져 있고,
각 음절은 자음 10 개 중 하나와 모음 10 개 중 하나가 결합하여 이루어져 있다고 하자.

뜻풀이가 제시되면 이에 해당하는 단어를 맞추는 퀴즈가 진행되고 있다. 3 개의 뜻풀이가 제시되었고, 컴퓨터A, 컴퓨터B, 컴
퓨터C가 각각 한 문제씩 답을 찾고 있는데 각각의 컴퓨터에는 아래와 같은 정보가 입력되어 있다고 하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8 ▹


컴퓨터이름 가지고 있는 정보

자음 10 개, 모음 10 개; 자음 중 하나와 모음 중 하나가 결합하여 하나의 음절이 이루어지고, 음


컴퓨터A
절 3 개의 조합이 하나의 단어가 될 수 있다는 규칙

컴퓨터B 사용되는 5만 개의 단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퀴즈에서 주어진 뜻풀이에 해당하는 단어가 둘 중 하나라는 것을 판단할 수 있는 수준의 단어와 뜻


컴퓨터C
풀이 연결 데이터베이스

(1) 컴퓨터A, 컴퓨터B, 컴퓨터C의 엔트로피 계산과정을 논리적으로 서술하시오.

(2) 컴퓨터A, 컴퓨터B, 컴퓨터C의 엔트로피를 열역학 제 2 법칙과 정보 이론을 고려하여 비교 설명하시오.

(3) 뜻풀이와 함께 4 개의 단어가 그 뜻풀이에 해당하는 단어의 보기로 (객관식으로) 주어졌다고 하자. 이제 또 다른 컴퓨터D
에게는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보기는 답일 수 있지만 세 번째 보기는 모르는 단어이고 네 번째 보기는 주어진 뜻풀이와는 다른
뜻을 가지는 것이 명백하다고 하자. 엔트로피 계산과정을 논리적으로 서술하시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9 ▹


[문제 3]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여러 프로세스(작업)들이 하나의 CPU를 공유하면서 실행되기 때문에 CPU 시간 배분을 수행하는 CPU
스케줄링 방식이 매우 중요하다. 즉,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CPU가 하나 밖에 없기 때문에 CPU가 이미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하
고 있는 상황에서 새롭게 실행 요구된 프로세스는 대기 큐에 줄을 서서 차례를 기다리다가 이후 CPU 스케줄링 방식에 의해 결
정되는 순서에 따라 실행된다.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서 4개의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고자 한다. 4개의 프로세스들은 아래의 <표 2>에 보인 것과 같이 서로 다
른 시점에 실행이 요구되고 (대기 큐 진입 시점), 각 프로세스들은 <표 2>에 주어진 예상 실행 시간만큼 CPU에 의해 실행되어
야 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 A는 0 라는 시점에서 실행이 요구되어 7 단위 시간 동안 CPU에 의해 실행되고 종료된다.
<표 2> CPU 스케줄링 대상 프로세스들의 특성

프로세스 대기 큐 진입 시점 예상 실행 시간
A 0 7
B 2 4
C 4 3
D 6 2

CPU 스케줄링 방식은 FCFS(First Come First Serve)와 SRTF(Shortest Remaining Time First)의 두 가지 방식이 있다. FCFS
는 대기 큐에 진입한 순서대로 한 개씩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방식이다. 이때, 한 프로세스에 대한 실행을 일단 시작하면 예상
실행 시간이 종료되기 전에는 다른 프로세스의 실행을 시작하지 않는다. 한편, SRTF는 잔여 예상 실행 시간이 가장 적은 프로
세스를 우선적으로 실행하는 방식인데, 잔여 예상 실행 시간이란 프로세스가 실행을 시작하기 전 대기 큐에 있을 때는 <표 2>
에 보인 예상 실행 시간과 동일하고, 프로세스가 CPU에 의해 실행되는 동안에는 예상 실행 시간에서 현재까지 실행된 시간을
뺀 값이 된다. SRTF 방식을 사용하면 한 프로세스의 실행이 종료되기 전에 다른 프로세스의 실행을 시작할 수 있다. SRTF는
FCFS와 달리 한 프로세스의 실행이 시작되어 진행 중일지라도 대기 큐에 프로세스의 진입이 일어날 때마다 CPU 스케줄링을
실시하여,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의 잔여 예상 실행 시간보다 적은 값의 잔여 예상 실행 시간을 갖는 다른 프로세스가 대
기 큐에 존재하는 경우에 현재 진행 중인 프로세스의 실행을 중단하고 대기 큐의 맨 앞에서 대기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먼저 실
행시키는 방식이다. 이때 실행 중이던 프로세스는 다시 대기 큐에서 미처 실행되지 못한 만큼의 잔여 예상 실행 시간을 갖고 기
다려야 하며, 대기 큐는 잔여 예상 실행 시간이 적은 순서대로 정렬된다.

[문제 3] (30 점)
(1) CPU 스케줄링이 FCFS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면 <표 2>에 보인 4개의 프로세스들은 대기 큐에서의 대기 시간과 실제 실
행 시간을 포함해 대기 큐에 진입 후 평균적으로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해야 실행을 끝낼 수 있는지 답하시오.

(2) <표 2>에 보인 4 개의 프로세스들이 기존과 같이 0부터 2 단위 시간 간격으로 대기 큐에 진입하더라도 진입 순서가 달라


지는 경우 (예를 들면 A, C, D, B 의 순서로 진입), 프로세스들이 대기 큐 진입 후 실행 종료 때까지 소요되는 평균 시간이 달
라질 수 있다. FCFS를 이용해 얻을 수 있는 이 평균 시간의 최솟값은 얼마이며, 4 개의 프로세스들이 어떤 순서로 대기 큐에
진입하는 경우인지 답하시오. 또 이 최솟값을 얻을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 각 프로세스들의 예상 실행 시간은 <표
2>에 보인 것과 동일하다.

(3) CPU 스케줄링이 FCFS 대신 SRTF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때 <표 2>에 보인 4개의 프로세스들의 대기 큐 진입 후 실행 종
료 때 까지 소요되는 평균 시간을 구하고, 문제 (1)의 경우와 다른 결과를 보이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0 ▹


(4) 만일 프로세스들의 실행이 1 개의 대기 큐와 2 개의 CPU를 통해 이루어진다면 <표 2>에 보인 프로세스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총 시간은 1 개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문제 (1)의 경우에 비해 단축될 수 있다. 어느 정도의 성능 개
선을 이룰 수 있는지 모든 프로세스의 실행이 완료되는 시점을 이용하여 답하고 성능 개선의 이유를 설명하시오. 이때 2 개의
CPU는 각각 FCFS 방식을 이용해 서비스 한다고 가정한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1 ▹


2010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문제에 답하시오. [문제 1~2]

동아시아의 전통 수학인 산학에는 여러 가지 모양의 밭의 넓이를 구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그에 대응하는 평면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문제와 같으며, 그 해법에서 평면도형의 넓이 공식을 확인할 수 있다.

산학에서는 경계의 일부 또는 전부가 곡선인 평면도형의 넓이는 근삿값을


얻을 수 있는 공식을 이용했다. 예를 들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현의 길이
가  이고 현의 중심과 호의 중심을 연결한 선분인 시의 길이가  인 활꼴
모양의 밭의 넓이  를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했다.

  
   …… ①

[문제 1]
공식 ①로 넓이의 참값을 구할 수 있는 다각형의 예를 들어라. 그 다각형을 주어진 활꼴과 겹쳐 그려서, 두 도형의 넓이가 비
슷함을 설명하시오.

[문제 2]
원       와  축으로 둘러싸인 작은 부분의 활꼴의 넓이를 공식 ①과 정적분을 이용해서 구하는 과정을 각각 설
명하시오. (단, sin   , cos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2 ▹


2023학년도 수리논술 대비

기출해설집 I
(2023~2018)

수학연구소
(배기은 ․ 송명관 ․ 유홍조 ․ 나동혁)
2023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출제 의도
[1]
(1) 등차수열의 성질을 이해하고 삼각방정식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2) 등비수열의 성질을 이해하고 삼각방정식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2] 복소수가 실수가 되는 조건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부등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3]
(1) 방정식의 제곱을 이용하여 고차식의 값을 계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2) 합성된 함수식으로부터 이차함수를 찾아내는 수식 활용능력을 평가한다.
[4] 무리함수와 절대값이 있는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성질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5]
(1) 등비수열의 수렴과 발산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함수의 연속성을 조사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2) 한 곡선의 평행이동으로 두 곡선의 위치 관계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기하학적 능력을 평가한다.

▷문항 해설
수열, 복소수, 이차함수, 무리함수, 삼각함수, 함수의 연속성 등의 개념은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 중요한 수학적 개
념이다. 각 문항들은 이러한 개념들을 정확히 이해하고 기본적인 논리력을 바탕으로 정확한 계산력을 갖추고 있다면 다음과 같
은 간단한 과정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다.
[1]
(1) 등차수열 정의와 삼각함수의 성질과 그래프를 활용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등비수열 정의와 삼각함수의 성질과 그래프를 활용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복소수가 실수가 되는 조건을 활용하여 등식으로 나타나는 도형의 방정식과 부등식을 만족하는 범위를 구해내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3]
(1) 방정식의 제곱을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조건식에서 수식을 변형시켜 이차함수를 만들어냄으로서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4] 무리함수와 절대값이 있는 일차함수의 그래프를 활용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5]
(1) 등비수열의 수렴과 발산 조건을 활용하여 극한을 계산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평행이동을 통해 두 곡선간의 위치 관계를 파악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채점 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
cos      을 구했으면 2
 
1-1
의 개수가 개임을 보였으면 1
공차 을 구했으면 1
   
cos           를 구했으면 3
   
1-2 의 개수가 개임을 보였으면 1
 
공비   와  을 구했으면 2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


(가)로부터    또는     을 구했으면 2

  일 때     을 구했으면 2


2

    일 때  ≤  ≤ 을 구했으면 2

점 P 가 나타내는 곡선을 그렸으면 1

  을 구했으면 2
3-1 
    
 를 구했으면 3

 
      라 두고         를 구했으면 2
3-2  

      를 구했으면 3

  
   와      의 그래프를 구했으면 2

 ≥ 일 때  ≤   를 구했으면 2
4

  일 때     ≤ 를 구했으면 4

  일 때 가 존재하지 않음을 언급했으면 2

 ,  ≠ 일 때    을 구했으면 2

5-1
 일 때   을 구했으면 2
 ± 일 때 ±   을 구했으면 2
   ± 에서 불연속임을 언급했으면 1

    를 구했으면 2

 
±        로부터    를 구했으면 2
5-2    

    ≤ 을 구했으면 2


▷예시 답안
[1]
(1) 세 수가 등차수열을 이루면 sin  cos   cos cos     cos cos  즉, sin  cos   
   
cos ≤ 이므로   ≤  cos  ≤ 이고  cos     즉, cos     
   
 ≤   에서   cos 의 그래프를 고려하면 의 개수는 개다.
 
cos      을 세 수에 대입하면     이므로 공차는 
 

(2) 세 수가 등비수열을 이루면 sin   cos   cos cos    cos cos 

정리하면 sin   cos   cos  cos   cos cos  즉, cos cos   

       
cos ≤ 이므로   ≤  cos ≤ 이고  cos           즉, cos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cos 의 그래프를 고려하면 의 개수는 개다.
      
cos      을 세 수에 대입하면        이므로 공비는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


     
cos      를 세 수에 대입하면         이므로 공비는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건 (가)로부터    는 실수이므로    또는     

(ⅰ)   일 때
  
조건 (나)로부터  ≤ 
 
≤ 이다.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①
⋯⋯ ②
①에서 판별식         이므로 모든 실수 가 ①에 만족한다.
②로부터   이므로     

(ⅱ)     일 때

조건 (나)로부터  ≤  ≤ 이다. 따라서  ≤  ≤ 


(ⅰ)과 (ⅱ)로부터 점  가 나타내는 곡선은 그림에서 중심각이  인 호 AB 이다.

[3]

 ⇔     
(1)    


이것을 제곱하면      즉,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다른 풀이)

     ⇔         으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



(2) 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4]
다음 두 곡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게 하는 의 범위는 그림을 참고하여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다.

  

   
⋯⋯ ①
⋯⋯ ②

(ⅰ)  ≥ 일 때,  ≤   
(ⅱ)   라고 하자.

 ≥ 일 때 ②는      이것이 ①과 접하면        


즉,           은 중근을 가지므로

판별식              즉,    ⋯⋯ ③

    가   을 지나면    ⋯⋯ ④

③과 ④로부터     ≤ 


(ⅰ)과 (ⅱ)로부터     ≤ ,  ≤   

[5]
(1)

(ⅰ)   일 때, 은 존재하지 않는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


sin 
(ⅱ)  ,  ≠ 일 때, lim  , lim 

 이므로
→∞ →

 
  lim  

→∞ sin     
 

 

(ⅲ)  일 때, lim  ∞이므로   lim 


→∞ →∞ sin  
 

(ⅳ)  ± 일 때, ±   

(ⅰ)~(ⅳ)로부터 함수 는  ≠ ,  ≠± 인 모든 실수 에서 연속이다.

(2) 곡선   를 축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곡선을   라고 하면     

 
 
곡선   가 점 ±   을 지나면 ±        로부터   
  


곡선   가 점 ±  을 지나면 ±        즉,   


두 곡선이 서로 다른 네 점에서 만날 의 범위는 그림으로부터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


[문제 2]

▷ 출제 의도
[1]
(1) 연속함수의 성질을 이해하고 지수함수의 미분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2)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을 이해하고, 무리함수의 극한값을 계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2] 미분과 적분의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과 로그함수와 관련된 적분을 계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3]
(1) 함수의 곱의 미분을 계산하는 능력과 함수의 극대와 극소를 판정하는 추론 능력을 평가한다.
(2) 도함수와 정적분의 정의를 이해하고, 극한값을 계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4]
(1) 치환적분법을 이용하여 조건식을 만족시키는 함수를 계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2) 삼각방정식의 풀이 능력과 등비급수의 합을 계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5]
(1) 확률의 기본 성질을 이해하는 능력과 여러 가지 경우의 수를 계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2) 확률의 뜻을 이해하는 능력과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문항 해설
함수의 미분과 적분, 함수의 극대와 극소, 적분과 미분과의 관계, 삼각함수, 지수함수, 로그함수, 확률 등의 개념은 다양한 분야
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 중요한 수학적 개념이다. 이러한 개념들을 정확히 이해하고 기본적인 논리력을 갖추고 있다면, 다음과
같은 수학적이고 논리적인 과정을 통해 각 문항들을 해결할 수 있다.
[1]
(1) 지수함수의 미분과 연속함수에 대한 최대·최소 정리를 적용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과 무리식의 유리화를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미분과 적분의 관계를 이해하고 로그함수와 관련된 적분을 이용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3]
(1) 함수의 곱의 미분과 함수의 극대와 극소 판정을 이용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도함수와 정적분의 정의를 써서 극한값을 계산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4]
(1) 조건식과 치환적분법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삼각방정식을 풀어서 무한등비급수의 합을 계산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5]
(1) 조건에 맞는 경우의 수와 확률을 계산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확률을 이용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채점 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  에서 가 극값을 갖는 것을 보였으면 2

1-1
  ,   에서 함숫값을 구했으면 1
최댓값 , 최솟값   를 구했으면 2
  를 구했으면 3
1-2
  ,    또는   ,   를 구했으면 2


2    을 구했으면 2

2023 광운대학교 FINAL ◃ 7▹



   을 구했으면 5



   을 구했으면 1

           ⋯을 구했으면 4
3-1 
ln   를 구했으면 2
 
  
극한값을  lim 
 →       로 나타냈으면

2


3-2 극한값이  임을 보였으면 3


 을 구했으면 1
 

4-1
ln  로 치환하여    cos 로 나타냈으면 2

  sin ln   을 구했으면 2



 
   
      을 구했으면 4

4-2 
∞ 
  2


  
 
을 구했으면


A가 우승할 확률은  을 구했으면 3

5-1

B가 우승할 확률은  를 구했으면 3

A의 상금 원을 구했으면 2
5-2
B의 상금 원을 구했으면 2

▷예시 답안
[1]
(1)     이므로  ≤  ≤ 일 때    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면 된다.

       라 하면, ′        ln   으로부터      이므로    이다.


   의 좌우에서 ′  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므로 는 극소이다.


 ≤  ≤ 에서    또는   일 때 최댓값 ,    일 때 최솟값 

(2)
 

lim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부터   ,    또는   ,   

[2]

2023 광운대학교 FINAL ◃ 8▹



        

…… ①


①의 양변에   을 대입하면      즉,    …… ②

′  
①의 양변을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즉,    …… ③
 
′  


 ln이므로 ③의 양변을 적분하면 ln  ln   

…… ④


양변에   을 대입하면 ln    이고 ②로부터   ln 

  
④로부터 ln     ln   ln 
  
 
②로부터    이고   
 

[3]
(1) ′      sin   cos      cos   sin      sin 
′   에서 sin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의 좌우에서 ′ 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므로 는    에서 극대이다.
(이계도함수를 이용하여    에서 ″      sin   cos   이므로 극대임을 보여도 된다.)
함수의 극댓값은        sin   cos       이고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    
따라서 ln   ln   ln   
    

(2)       ( 는 적분상수)라 하면  ′   


    
    라 하면,    ,    ,   일 때   이고,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따라서 lim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cos   
   

[4]

(1) 조건 (가)에서     cosln 이고 ln   라 하면    이므로


   cos  sin     sin ln    ( 는 적분상수)
조건 (나)에서      이므로 sin ln          
따라서   sin ln   

(2) 방정식   에서 sin ln    …… ①


    이므로 ln   이고, 사인함수는 주기가 인 주기함수이므로 ①로부터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은 자연수)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9▹


[5]
(1) A가 이기는 경우 C   C   C          (가지)
B가 이기는 경우 C   C        (가지)
 
따라서 A가 우승할 확률은  이고 B가 우승할 확률은 
 

(다른 풀이)
A의 승리를 a, B의 승리는 b로 표시하면, 번의 경기가 치러질 때 우승자가 가려지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가지의 경우이다.

A가 이기는 경우 (11가지) B가 이기는 경우 (5가지)


aaaa
bbbb
aaab aaba abaa baaa
bbba bbab babb abbb
aabb abba bbaa abab baba baab

 
(2) A가 우승할 확률은  이므로 A의 상금은  ×    (원)
 
 
B가 우승할 확률은  이므로 B의 상금은  ×    (원)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0 ▹


2022학년도 수시기출 자연1
[문제 1]

▷출제 의도
[1] 다항식의 인수분해 능력을 평가하고, 복잡한 형태의 두 자연수의 곱으로 나타나는 자연수의 소인수분해를 위해 다항식의 인
수분해를 활용하는 능력을 판단한다.
[2] 좌표평면에서 이차곡선의 점과 직선과의 거리를 이해하고 계산할 수 있는 능력과 이를 활용하여 삼각형의 넓이를 찾는 과정
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판단한다.
[3] 이차함수에 있어서 판별식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판단한다. 삼차함수의 증가, 감소와 관련한 문제에 대해 미분
을 활용하여 해결해나가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판단한다.
[4] 타원의 정의와 기본 성질을 이해하는 능력을 판단한다. 이를 행성의 궤도라는 응용문제에 적용하여 해결해나가는 과정과 설
명 능력을 판단한다. 타원 안의 일부 면적을 치환적분을 활용하여 해결하고 설명하는 능력을 판단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 수학 II, 미적분, 기하 : 인수분해, 점과 직선과의 거리, 판별식, 미분, 타원

▷문항 해설
[1] 주어진 자연수에 대해 특정한 수를 기준으로 하여 다항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를 묻고, 그 다항식을 인수분해하여 주어진
자연수의 소인수분해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이다.
[2]
(1) 한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공식을 활용하여 문제에서 요구하는 거리를 어떤 변수에 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이다.
(2) (1)에서 찾은 식을 활용하여 삼각형 넓이의 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를 묻고,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를 찾을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이다.
[3]
(1) 이차함수와 판별식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이다.
(2) 삼차항의 계수가 미지수인 삼차함수의 증가에 대해 경우를 나누고 미분을 활용하여 미지수의 범위를 알아내는 문항이다.
[4]
(1) 타원의 정의에 대한 이해를 묻고, 이를 바탕으로 타원의 방정식을 찾아낼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이다.
(2) 주어진 매개변수식과 타원과의 관계를 유추하고 계산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이다.
(3) 타원의 그래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선분의 길이를 어떤 변수로 표현하고 최솟값을 찾을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이다.
(4) 영역의 넓이를 정적분으로 나타낼 수 있는지를 묻고, 치환적분을 활용하여 정적분의 계산능력을 묻는 문항이다.

▷채점 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  ×  ×   로부터           ×   을 보였으면 3


[1]    ×    ×   로부터         ×   을 보였으면 2
 ×  을 찾았으면 2
   
점 B 와 직선      사이의 거리  를 찾았으면 3
  
[2](1)
    
거리  를 찾았으면 1
 

      
[2](2) ∆AOB   × 
 ×  을 찾았으면 3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1 ▹


삼각형 AOB 의 넓이의 최솟값이 임을 찾았으면 1

      이면 안 된다는 것을 적시하고       을 찾았으면 
2
[3](1)
     
 을 찾았으면 2
  ,   ,   의 경우로 나누어 올바른 풀이를 했으면 4
[3](2)
 ≥ 를 찾았으면 2
장축에 대하여   을 찾았으면 2
단축에 대하여   을 찾았으면 
2
[4](1)
 
 
타원의 방정식     을 찾았으면 1
 
  과   을 찾았으면 2
접점     을 찾았으면 1

[4](2) 
기울기   을 찾았으면 2


접선의 방정식      
 을 찾았으면 2

   cos  을 찾았으면 3
[4](3)   의 최솟값 를 찾았으면 1
  을 찾았으면 2

넓이의 식 




  
     ∆EOH을 찾았으면

3

  ×   
[4](4)   cos로 치환하여  sin  sin   



으로 바꾸었으면 2


넓이  를 찾았으면 2

▷예시 답안
[1]
  라고 하자. 자연수    ×  ×  ×   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라고 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 
자연수      ×    ×   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 
①과 ②로부터 자연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
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제 에 을 대입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자연수  에 관한 다른 풀이)
  라고 하자. 자연수    ×  ×  ×   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1)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2 ▹


직선 AO 의 식은   , 곧     이다.       이므로 점 B 와 직선     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
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런데        이므로, 찾는 거리는  
  이다.
  

[2] (2)
AO 
      
 이므로, (1)에 의해 삼각형 AOB 의 넓이는 다음과 같다.

∆AOB   × 
AO× 점 B  와 직선      사이의 거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삼각형 AOB 의 넓이의 최솟값은 이다.

(최소 넓이에 관한 다른 풀이)


직선 AO를 평행이동시켜 포물선과 접하는 점을 구한다.
직선 AO 의 기울기는  이다. 이에 따라       에서 ′      이어야 하므로   이고 그때 의 값은 이
다. 그러므로 접점은  이다.
× 
점  와 직선 AO , 즉      사이의 거리는  AO 
이고        
 이므로 삼각형 AOB 의 넓이

는 다음과 같다.

∆AOB   × 
AO× 점 B  와 직선      사이의 거리

 
  × 
 ×  
 


[3] (1)
분모         이 이 되면 안 되므로,       이어야 한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의 값의 범위는       
 이다.

[3] (2)
              이므로 구간  ∞에서 ′         이어야 한다.
(ⅰ)   일 때,     이므로 ′   이고 구간  ∞에서 ′  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킨다.

(ⅱ)   일 때,  
′      
     

이다. 이차함수   ′  의 그래프의 축이

    이고

′     이므로 구간  ∞에서 ′   이다. 따라서   은 조건을 만족시킨다.
(ⅲ)   인 경우, lim ′  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다.
 →∞

따라서 (ⅰ), (ⅱ), (ⅲ)에 의해 조건을 만족시키는 의 값의 범위는  ≥ 이다.

[4] (1)
  
타원의 방정식을     이라 하면 장축의 길이 
AB 가   이므로   이다.
 

AO 이고 
AS 이므로  SO 의 길이는 이다. 양수 에 대해 두 초점을  과   이라고 하면 태양이 초점
  에 있으므로   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이다.
 
따라서 타원의 방정식은     이다.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3 ▹


[4] (2)
  cos sin 
행성의 좌표   cos  sin를 타원의 방정식에 대입하면         이다.
   
  일 때,   이고   이므로   이다.

   일 때,   이고   이므로   이다.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면

 
 cos cos
     
   sin sin


 
이다.    일 때, 접점은    
  이고 기울기는   이다.
 
   
따라서    일 때, 타원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이다.
  

(접선의 방정식에 대한 다른 풀이)



   일 때, 접점은    
  이므로 타원에 있는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공식을 사용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이고 이를 정리하면        이다.
   

[4] (3)
   는 다음과 같다.
    
cos    sin    cos  cos  
 cos     cos   
cos  ≤ 이므로    cos  이고 cos  , 즉   일 때   는 최솟값 를 갖는다.

[4] (4)
 


 

 

 
   으로부터  ±     이다.  ≤  ≤  이므로       이다.
  

  cos,   sin로부터   일 때 E 이고,    일 때 E    
  이다.


H    이라 하고 찾는 넓이를  라고 하면  



      ∆EOH이다.
 

 

  cos로 치환하면   sin이고      
 
  cos   sin  sin  ≤  ≤   이므로 다음을 얻는
다.
 
 
 × 

 
 
 


sin  sin     
 

sin     


  cos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4 ▹


[문제 2]

▷ 출제 의도
[1] 세 실근을 등차수열로 표현하고 이를 이용하여 삼차방정식을 완성할 수 있는 능력과 미정계수법을 활용하여 삼차방정식의
계수와 세 실근을 계산하고 찾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판단한다.
[2] 계승으로 주어진 식을 간단한 식으로 변환할 수 있는 능력과 부분분수를 활용하여 급수의 합을 찾는 계산 능력과 그 과정
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판단한다.
[3] 미분을 활용하여 두 함수의 대소 관계를 판정할 수 있는 능력과 그 결과를 바탕으로 원점에서 정의되지 않는 함수에 대해
극한값을 찾는 능력을 판단한다. 함수의 그래프 개형을 미분을 활용하여 해결해 나가는 능력을 판단한다. 확률밀도함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묻고 실제 함수에 활용하는 능력을 판단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 수학 I, 수학 II, 미적분, 확률과 통계 : 등차수열, 부분분수, 미분, 확률밀도함수

▷문항 해설
[1]
(1) 세 실근을 등차수열로 표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삼차방정식을 찾아 계수비교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2) 두 삼차방정식의 계수비교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3) 인수정리를 이용하여 삼차방정식을 인수분해하면 해결할 수 있다.
[2]
(1) 주어진 식을 간단하게 변형할 수 있는 식의 활용능력으로 해결할 수 있다.
(2) 부분분수로 활용하여 급수의 합을 찾을 수 있다.
[3]
(1) 두 함수의 차를 새로운 함수로 두고 미분을 활용한 극대, 극소 판정을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2) (1)에서 찾은 대소 관계식에 함수의 극한과 대소 관계 둥에 의해 극한값을 해결할 수 있다.
(3) 미분을 활용하여 극대, 극소 판정을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찾는다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4) 확률밀도함수의 정의를 이해하고 치환적분을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채점 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세 실근을   , ,   라고 하고 삼차방정식             을 찾았으면 2


[1](1)
계수비교에 의해 등차중항   을 찾았으면 2
[1](2)   을 대입하여   을 찾았으면 3
              을 찾았거나  ± 
 를 찾았으면 2
[1](3)
세 실근    
, ,     을 찾았으면 2
  
   를 찾았으면 3
                        
[2](1)
   
       을 찾았으면 3
             
  
   4
        
[2](2) 
  
    을 찾았으면
         
  
3

    
  ln     라고 하고, ′        을 찾았으면 3
   
[3](1)

 
 
′   의 근이    임을 찾고 함수 의 최솟값이    ln    ln   임을 찾았으
  
3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5 ▹



구간     에서 ln     임을 찾았으면 1

   ln   를 찾고 lim 
    을 찾았으면 2
 →

[3](2) 극한 lim 에서    을 밝혔으면 2


 → 

lim   와 lim   을 찾았으면 2


 →  →

′   ln    을 찾았으면 1


[3](3)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3
 의 순서쌍      ,  ,     을 찾았으면 3


구간   ≤  ≤ 

 
에서  ≥ 임을 언급하면 1

  
    

[3](4) 부분적분법으로  

 ln      ln   


 


 




을 찾았으면 3


   을 찾았으면 2
 

▷예시 답안
[1] (1)
세 실근을   , ,   라고 하자. 그러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세 실근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그러면 계수비교에 의해   이므로,   이다.

[1] (2)
  이 주어진 방정식의 근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다른 풀이)
위의 (1)의 답안에서 두 삼차방정식의 일차항과 상수항의 계수비교에 의해   이므로
         과           을 얻는다.
위 두 번째 식으로부터   를 얻고 위 첫 번째 식으로부터   을 얻는다.

[1] (3)
(2)에 의해   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        이다.
(1)에 의해   은 이 방정식의 근이므로, 인수정리에 의해       는   에 의해 나누어떨어진다.
실제로 나누거나 조립제법에 의해               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        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의 세 근은     , ,   
 이다.

(다른 풀이)
위의 (1)에서 구한 와 위 (2)의 다른 풀이의 방법으로 구한  ± 
 를   , ,   에 대입하여 구할 수도 있다.

[2] (1)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2)
위의 (1)에 의해 각 자연수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
    
  ln  라 하자. 함수 는 구간     에서 미분가능하고 ′        이다.
   

주어진 구간에서 ′   의 근은 ′   의 근은    뿐이다.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ln     ↗



  
함수 의 최솟값은    ln    ln   이므로, 구간     에서 ln 



이다.

[3] (2)
(1)의 결과로부터 구간  에서      ln 이 성립한다.
양변에     ln 이다. lim 
 를 곱하면     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해 lim   이다. …
 →  →


극한 lim 에서   로 치환하고     ln   ln 와 ①을 차례로 이용하면
 →

lim   lim    lim   이다.


 →  → →

[3] (3)
함수 는   을 제외한 모든 실수 에서 미분가능하며, ′   ln 이다.
′   의 근은  ±    이다.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에
 ↗    ↘ ↘     ↗
수렴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7 ▹


오른쪽에 있는 함수   의 그래프 개형과 직선   와의 교점을 헤아려보면 함
수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함수 의 불연속인 의 값과 그 함숫값 의 순서쌍들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3] (4)

양수 에 대하여 확률밀도함수    ln은 위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간   ≤  ≤ 


 
에서  ≥ 이



다. 또한 확률밀도함수 는  

  을 만족시켜야 한다. 부분적분법으로 계산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ln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찾는 값은    이다.


(다른 풀이)
   
   
 

  


 ln      ln 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따라서 찾는 값은    이다.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8 ▹


2022학년도 수시기출 자연2
[문제 1]
▷출제 의도
[1] 좌표평면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영역을 이해하고 이를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그리고 직선과 이차곡선
의 위치 관계를 이해하고 정적분의 개념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2] 연속함수의 대칭이동과 평행이동을 이해하고 이를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그리고 치환적분법을 이용한
정적분의 계산 능력과 주어진 조건을 적용하여 새로운 응용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3] 수열의 개념을 이해하고 등비수열의 특징을 이용하여 문제의 조건에 맞는 좌표평면의 점의 좌표를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
는 능력과 등비급수의 합을 계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그리고 좌표평면에서 두 직선 사이의 위치 관계를 이해하고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이를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4] 규칙성이 있는 수열의 합을 일반적인 식으로 표현하고 이를 계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 수학 I, 수학 II, 미적분 : 이차방정식, 정적분, 수열

▷문항 해설
[1]
(1) 주어진 조건을 이해하고 이를 만족시키는 좌표평면의 점의 영역을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2) 조건에 맞는 직선의 방정식을 얻고 이차곡선과 교점을 계산하며 이차곡선의 정적분을 계산할 수 있다.
[2]
(1) 좌표평면에서의 도형의 이동을 이해하고 이를 함수의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2) 치환적분법을 이용한 정적분을 계산할 수 있다.
(3) (1)의 결과에 나타난 정적분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응용하여 정적분을 계산할 수 있다.
[3]
(1) 등비수열의 특징을 이용해 규칙성이 있는 점들을 수식으로 표현하고 이의 성질을 이해할 수 있다.
(2) 등비급수의 합을 계산할 수 있다.
(3) 좌표평면에서 두 직선의 위치 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4] 규칙성이 있는 수열의 합을 일반적인 식으로 표현하고 이를 계산할 수 있다.

▷채점 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두 실수 와  사이의 관계식  ≤  을 얻으면 1

[1](1)

조건의 영역  ≤  ≤ ,  ≤  ≤  을 그림이나 식으로 표현하면 2

    
영역의 넓이를 변수를 이용하여 표현하면 (예)                2
    
[1](2) 넓이의 비를 이용하여 방정식을 얻고 알맞은 를 찾으면 (예)       ,    3
 
직선의 방정식       을 얻으면 1
 
대칭이동후 평행이동된 함수     를 얻으면 3
 
[2](1)
    임을 증명하면
 
3

치환적분법을 이용하여 적분식을 표현하면 (예) cos   또는   tan 2



[2](2) sin 
정적분   
   cos 
   을 얻으면

4

[2](3) 치환적분법으로 문제의 정적분과 (2)의 정적분과의 관계를 얻으면 (예)      4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9 ▹


 
 sin 
정적분 
  cos 

   을 얻으면
 
3

  
점 P  의 좌표     

을 얻으면   2

 
[3](1) 점 P  의 좌표   

을 얻으면   2


    을 얻고 홀수임을 증명하면 2

 

[3](2)

번째 정사각형의 넓이    
   을 얻으면 2


등비급수의 합을 계산하여     을 얻으면
    
2

직선 
OP  와 직선    간의 기울기의 관계를 표현하면 (예)   tan      3
[3](3)    
직선의 기울기      를 얻으면 3
       
  
부분분수      식을 얻으면 4
              
[4]

주어진 식의 값  을 얻으면 2


▷예시 답안
[1] (1)
이차방정식       의 실근이 있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   ≥ 이므로

 ≥  이다.


조건 (ⅰ)에서  ≤  ≤ 이고  ≤  ≤ 이므로  ≤  ≤  이다.

  
따라서 문제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영역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포물선 

과 축 및 직선   로 둘러싸인 영역이다.

  

이를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1] (2)

     
(1)의 영역의 넓이는   



 
   
  이다.
 


점 A 를 지나는 직선이 포물선    과 만나는 점의 좌표를 라 하면

   
    
이 직선이 나눈 (1)의 영역의 왼쪽 부분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 직선이 (1)의 영역의 넓이를   로 나누므로      에서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값이 될 수 있는  또는  중에서, 조건  ≤  ≤ 를 만족시키는 의 값은 뿐이다.


  
 
따라서 직선과 포물선의 교점은   이므로, 찾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이다.

[2] (1)
함수   의 그래프를 축에 대칭이동한 식은    이다. 이것을 다시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식은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0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이다.

여기서     로 치환하면  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2)

sin 
정적분 
  cos 

에서 
cos  로 치환하면   sin이고 적분의 아래끝은 이며 위끝은  로 바뀌므로 다음이

성립한다.
   
sin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이제   tan  ≤  ≤   로 치환하면 




 
 sec 이고 적분의 아래끝은 이며 위끝은  로 바뀌므로

 
  sec  sin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이다.
  sec     cos 


[2] (3)
삼각함수의 성질에서 sin  sin   이고 cos  cos  이므로 (1)의 결과를 이용하면 주어진 식은 다음과 같다.

 sin   sin     sin sin  
 
  cos 

              

  cos       cos  
  cos  


 
 sin   
따라서 (2)의 결과에 의해 찾는 적분값은   
 
  cos 

   ×    이다.
  

[3] (1)

 
점 P  의 좌표는 첫째항이 이고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이므로   
    이고 점 P 의 좌표는 

이므로 점 P 의 좌표는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이고 모든 자연수 에서  은 짝수이므로     은 홀수이다.

 
   

[3] (2)

    


       
 ∞ ∞  
번째 정사각형의 넓이는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따라서   

 
 
  이다.

 
   

  
[3] (3)
 
원점 O 과 점 P   ≥ 을 지나는 직선이 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을   이라고 하면 tan      이다.
   
직선   가 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을  이라고 하면 tan     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1 ▹



 
tan  tan     
  tan  tan           
  tan⋅tan   
 
 
  
  
  
 

(다른 풀이)

  
tan  tan          
tan             tan
  tantan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이다.
     
      

[4]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2 ▹


[문제 2]

▷출제 의도
[1] 좌표평면에서 타원의 접선의 방정식을 이해하고 조건을 활용하여 타원의 방정식을 결정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그리고 벡터
의 내적과 타원의 성질을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들의 집합을 나타낼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2] 조합의 개념을 이해하여 경우의 수를 계산하고 이를 적용해서 응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그리고 확률의
개념을 이해하고 독립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계산하여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계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3]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특성을 이해하여 항들을 계산할 수 있는 능력과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모든 자연수에 대하여
정의된 응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4] 평면도형의 성질을 이해하고 귀류법을 이용하여 명제를 증명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그리고 삼각함수의 여러 가지 성
질을 이용하여 주어진 도형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 수학 I,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 : 이차곡선, 경우의 수, 수학적 귀납법

▷문항 해설
[1]
(1) 타원의 접선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접점의 좌표를 변수로 표현할 수 있다.
(2) 조건을 만족시키는 타원의 방정식을 계산할 수 있다.
(3) 타원의 성질과 벡터의 내적을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들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2]
(1) 조합을 이용한 경우의 수를 계산할 수 있다.
(2) 독립 사건의 경우의 수를 계산하여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3]
(1)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항들을 계산할 수 있다.
(2)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모든 자연수에서 정의된 응용 문제를 증명할 수 있다.
[4]
(1) 귀류법과 도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2) 삼각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주어진 도형의 선분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채점 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접점 P 의 좌표를 로 표현하면 (예) P  
  3
[1](1)
직각이등변삼각형 조건을 이용하여 접점 P 



 



를 얻으면  3

 
두 삼각형의 넓이를 이용하여 방정식을 얻으면 (예) 
 × 
 2
[1](2)      
타원의 방정식     을 얻으면 2


∠FQF′  을 이용하여 원의 방정식      을 얻으면 3

[1](3)
 
점 Q의 좌표 


  과      을 모두 얻으면


3

 에서  까지 가는 경우의 수 를 얻으면


[2](1) 5
(세부기준) 일부 구간의 경우의 수만 계산하는 경우에는 비례하여 부분 점수를 부여

[2](2)  지점에서 만나는 경우의 수 를 얻으면 2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3 ▹


 지점에서 만나는 경우의 수 을 얻으면 2

 
 와  지점에서 만나는 확률  와  을 얻으면 3
 

임의의 두 항을 이용하여 관계식을 얻으면 (예)     ,      2


[3](1)
연립 방정식을 풀어     을 얻으면 2

제시문 (ⅰ)에 따라   일 때 성립함을 보이면 2


[3](2) 제시문 (ⅱ)에 따라     일 때 성립함을 보이면 4
(ⅰ)과 (ⅱ)에 따라 모든 자연수에 대하여 성립한다고 결론 지으면 1

귀류법으로 증명하기 위해 결론을 부정하여 


AC ≠ 라고 가정하면 1

삼각형에서 내각의 크기가 크면(작으면) 대변의 길이가 길다(작다)를 이용하여 증명하면


[4](1) (세부기준) 
AC  와 
AC  로 나누어 각각의 경우를 증명해야 하며 증명의 일부분만 설명하는 경 4
우 비례하여 부분 점수를 부여

결론을 부정한 것이 모순임을 언급하며 


AC  라고 결론 지으면 1

삼각형 ACD가 이등변삼각형임을 언급하면 2


[4](2)
삼각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
AD 
  
    을
   얻으면 3

▷예시 답안
[1] (1)




  


점 P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이므로 A    이고 B   이다.
 

삼각형 OAB 가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
OA 
OB 이고 이에 따라    이다.

  

 
   

접점 P   는 타원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이고

  
제사분면에 있으므로    이고      이다.
      

따라서 접점 P 의 좌표는 



   

  이다.


[1] (2)
   
삼각형 OAP 의 넓이는     × 
OA×  이고 삼각형 OBP 의 넓이는     × 
OB ×  이다.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4 ▹


   
OA 
OB 이고    ×   이므로    ×  이고,    이다.

 
 
따라서 타원의 방정식은     이다.

[1] (3)

 

 

   


타원의 두 초점을 F 와 F′  라고 하면        이므로 F   와 F′    이다.

타원의 점 Q 에 대하여   
FQ⋅  이므로 ∠FQF′  이다.
F′Q

따라서 점 Q 는 타원의 두 초점을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      과 타원의 교점이 된다.

 

  

타원의 식과 원의 식을 연립하여 풀면 찾는 점 Q 의 좌표는    과     이다.   
[2] (1)
 에서  까지 가는 경우의 수는 오른쪽과 같은 개의 지점  ,  ,  ,  ,  을 통과하는 경
우의 수의 합과 같다.
∙  지점 :  ×   ,
 
∙  지점 : C  × C    ×   ,
 ×   × 
 
∙  지점 : C  × C    ×   ,
 ×   × 
 
∙  지점 : C  × C    ×   ,
 ×   × 
∙  지점 :  ×   
따라서  에서  까지 가는 경우의 수는           이다.

(다른 풀이 1)
오른쪽 그림과 같이  를 시작점으로 하여 바로 인접한 지점까지 이동하는 경우의 수를 차례로
더해 나가면서 전체 경로의 수를 찾을 수도 있다.

(다른 풀이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모두 연결된 도로망에서 다음 지점을 지나는 경우의 수를 아래와 같이 나
타내자.
∙    :  에서  까지 가는 경우의 수
∙    :  에서  를 지나  까지 가는 경우의 수
∙    :  에서  를 지나  까지 가는 경우의 수
∙    :  에서  와  를 지나  까지 가는 경우의 수
문제에서 주어진 도로망에서  에서  까지 가는 경우의 수(즉,  에서  와  를 지나지 않고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5 ▹


 까지 가는 경우의 수)를  
 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각 경로의 경우의 수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    C     ,
 × 
 
    C  × C    ×   ,
 ×   × 
 
    C  × C    ×   ,
 ×   × 
 
    C  × C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이다.

[2] (2)
두 사람이 자신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가는 모든 경우의 수는 각 사람이 한 방향으로 가는 경로의 수의 곱과 같으므로
 ×   이다.
또한 두 사람은 서로 반대방향에서 동시에 출발하여 같은 속력으로 이동하므로, 서로 같은 거리에 있는  ,  ,  ,  ,  지점
에서만 만날 수 있다.
두 사람이 어느 한 지점에서 만나는 경우의 수는 수철이가 해당 지점을 지나서 목적지까지 가는 경우의 수에 대하여 연수가 같
은 지점을 지나서 목적지까지 가는 경우의 수를 곱한 것과 같으므로 다음과 같다.
∙  지점에서 만나는 경우의 수 :  C  × C   ×  C  × C     ×   
∙  지점에서 만나는 경우의 수 :  C  × C   × C  × C     ×   
따라서 두 사람이 각 지점에서 만나고 목적지까지 가는 확률은 다음과 같다.
 
∙  지점에서 만나는 확률 :   
 ×  
  
∙  지점에서 만나는 확률 :     
 ×   

[3] (1)
    이라고 하면 다음의 식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 이고, 따라서     이다.

[3] (2)
모든 자연수 에서 다음이 성립함을 밝히자.
     ×  ⋯⋯ ①
  일 때,      ×   이므로 ①이 성립한다.
  일 때, 식 ①이 성립한다고 하자. 곧      × 이라고 하자.
그러면     일 때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식 ①은     일 때 성립한다.
따라서 식 ①은 모든 자연수 에서 성립한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6 ▹


[4] (1)
귀류법으로 증명하기 위하여  AC ≠ 라고 가정한다.

(ⅰ) AC  라고 하자.
그러면 이등변삼각형 ABC 의 세 변 중에서 
AC 의 길이가 가장 길기 때문에 세 내각 중에서
∠ABC 의 크기가 가장 크다. 이에 따라 ∠BAC  이다.
그리고 삼각형 ACD 에서 
AC  
CD 이므로, ∠CAD  이다.
그러면 ∠DAB  ∠BAC  ∠CAD  이므로, 주어진 조건에 모순된다.
(ⅱ) 
AC  라고 하자.
그러면 이등변삼각형 ABC 의 세 변 중에서 
AC 의 길이가 가장 짧기 때문에 세 내각 중에서 ∠ABC 의 크기가 가장 작다. 이
에 따라 ∠BAC  이다.
 
그리고 삼각형 ACD 에서 AC CD 이므로, ∠CAD  이다.
그러면 ∠DAB  ∠BAC  ∠CAD  이므로, 주어진 조건에 모순된다.
따라서 (ⅰ)과 (ⅱ)에 의해 
AC  이다.

[4] (2)
(1)의 결과에 의하여 삼각형 ACD 는 
AC  
CD 인 이등변삼각형이고 ∠CDA  ∠CAD  이다.
따라서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에 따라 다음을 얻는다.

AD  × cos  cos    coscos  sinsin
   
  ×  ×    ×  ×   
  

   

(다른 풀이 1)
(1)의 결과에 의하여 삼각형 ACD 는 
AC  
CD 인 이등변삼각형이고 ∠CDA  ∠CAD  이므로 ∠ACD  이다.
사인법칙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AD 
CD  
     
sin sin sin    sincos  cos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AD 
  
 이다.

(다른 풀이 2)
(1)의 결과에 의하여 삼각형 ACD 는 
AC  
CD 인 이등변삼각형이고 ∠CDA  ∠CAD  이므로 ∠ACD  이다.

코사인법칙에 따라  AD       ×  ×  × cos    
 이다.
따라서  
AD   
  
    이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7 ▹


2022학년도 수시기출 자연3
[문제 1]

▷출제 의도
[1] 등차수열의 뜻을 알고, 일반항,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구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2] 이차함수의 절대값의 그래프와 직선   의 교점이 방정식    의 실근과 같음을 아는지 판단한다.
[3]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를 판정하고 설명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4] 삼각함수를 포함한 방정식을 삼각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풀 수 있는지 판단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 수학 I, 수학 II : 등차수열, 절대값, 이차함수, 삼각함수의 그래프

▷문항 해설
[1]
(1) 등차수열의 합을 첫째항과 마지막 항의 합으로 표현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등차수열의 일반항을 초항과 공차를 이용해 표현하면 해결할 수 있다.
[2]
(1) 이차함수는 축에서 거리가 같으면 함숫값도 같음을 이용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절대값이 있는 이차방정식의 실근은 이차함수와 직선과의 교점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3]
(1) 좌표평면의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도함수를 활용하여 함수의 최댓값을 찾을 수 있다.

▷채점 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항의 개수 을 찾기 위한 관계식을 올바로 세웠으면 2


[1](1)
항의 개수 을 올바로 찾았으면 2
공차 를 찾기 위한 관계식을 올바로 세웠으면 2
[1](2)
공차 를 올바로 찾았으면 2

그래프의 대칭성을 이용해 축    를 찾았으면 3

[2](1)
와 를 찾기 위한 관계식을 올바로 세웠으면 2
와 를 올바로 찾았으면 2
    의 그래프를 올바로 그렸으면 3
[2](2)
①②③④에 대해 올바로 답했으면 각 1점 4
두 변의 길이를 찾았으면 2
[3](1)
둘레의 길이를 의 함수로 올바로 나타냈으면 2
둘레의 길이를 나타내는 함수의 도함수를 올바로 얻었으면 2


[3](2) ′   인    을 올바로 찾았으면 2

최댓값 
 을 찾았으면 2

[4](1) sin는 감소하는 연속함수라는 언급이 있으면 2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8 ▹


 
   sin   을 찾았으면 2
 

sinsin   sin    을 얻었으면 2


[4](2)
근이 될 수 있고 없음을 올바로 판정했으면 3
근의 개수를 올바로 찾았으면 2

  

  , sin   임을 올바로 얻었으면 각 2점 4
[4](3) 

 
  을 올바로 찾았으면 3

▷예시 답안
[1] (1)
주어진 수열은 등차수열이므로               이고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찾는 항의 개수 은 이다.

[1] (2)
  이고      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따라서 찾는 공차 는 이다.

[2] (1)
최고차항의 계수가   이므로  의 값이 서로 다른 네 점에서 같은 값을 가지려면
   의 그래프는 그림 B와 같을 수 없고 그림 A와 같은 경우뿐이다.
         으로부터 축   에서 거리가 같으면 함숫값이 같다. 그러므로
            
 
이기 위해서는      이다.
 

 
곧,      
   이다.
이차방정식   의 근은 최대 개이므로 그림 A에서
    이고     이다.
 
곧          이고          이다.
 

   으로부터   이고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이므로 찾는 값은   ,    ,    이다.
 

[2] (2)
(1)의 결과와 오른쪽 그림에서
① 근이 없음 :   이면 근이 없다.

② 근의 개수가 개 :    또는   이면 근이 개


③ 근의 개수가 개 :    이면 근이 개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9 ▹



④ 근의 개수가 개 :      이면 근이 개

[3] (1)
점 A의 좌표는      , 점 C 의 좌표는       , 점 B 의 좌표는       ,
점 D 의 좌표는       이므로 
AB    이고 
BC   이다. 따라서 직사각형 ABCD
의 둘레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 
AB  
BC           

[3] (2)
직사각형 ABCD의 둘레의 길이를     라 하자.
′         이고 의 범위가      이므로 ′   
 
의 근은    이다. 그러므로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에서 함수 의 최댓값은 
 이고 이때    이다.

[4] (1)
  
 

 
  
  
sin     이고 sin     이며 구간
         에서 sin는 감소하는 연속함수이므로  
 sin  

이다.

[4] (2)
  sin  sec  의 양변에 cos를 곱하면 sin cos    cos이다.
cos    sin 를 대입하면 sin  sin       sin 이다.
정리하면 sinsin   sin    이다.
 ± 

sin  라 하면       이므로,    또는    이다.

   




  







구간     에서 sin는 감소하는 연속함수이고 (1)에서       이므로   인 경우에       이

므로 sin  을 만족시키는 가 구간      에 하나 있다.


  
   
   
   인 경우에   이므로 sin   을 만족시키는 는 없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 경우에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    


  

  
그러므로 sin   을 만족시키는 가 구간     에 하나 있다.
   
따라서 구간      에 있는   의 근의 개수는 개다.
[4] (3)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0 ▹



  
구간      에서 sin는 감소하므로 (2)로부터   이고 sin   
이다.

  
∆ABC 는 ∠A       인 직각삼각형이다. 사인법칙을 사용하면    이고 cos 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cos    sin 
 
 



 
  

 
따라서    이다.

[다른 풀이]

  
구간      에서 sin는 감소하므로 (2)로부터   이고 sin   
이다.

  
∆ABC 는 ∠A       인 직각삼각형이다. 그러므로  은 빗변의 길이가  이고 cos  이므로
  

AB      
(빗변의 길이)  
BC              
 
  
cosB cos   cos      
  sin 

 

 

 
따라서    이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1 ▹


[문제 2]

▷출제 의도
[1] 정적분과 급수의 합의 관계를 알고 계산을 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2] 상용로그함수의 미분을 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3] 조건부 확률을 이해하고 중복조합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4] 선분의 내분을 이해하고 두 평면벡터간의 각의 크기를 구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기하, 미적분, 확률과 통계 : 정적분, 급수의 합, 중복조합, 조건부 확률

▷문항 해설
[1]
(1) 다항함수의 정적분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정적분을 급수의 합으로 나타내고 극한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로그함수의 도함수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3]
(1) 중복조합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중복조합을 연속으로 사용하여 문제에서 제시하는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3) 중복조합을 연속으로 사용하여 문제에서 제시하는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4) 연관된 두 사건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조건부 확률의 공식을 활용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4]
(1) 급수의 합을 찾아 극한을 계산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내분점의 좌표를 주어진 조건을 활용하여 표현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3) 좌표평면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하여 조건을 기술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4) 두 점 사이의 거리가 가장 먼 경우가 두 점의 위치벡터 간 이루는 각의 크기가 가장 크다는 사실을 활용하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채점 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를 정적분으로 올바로 나타냈으면 1


[1](1)
그 값을 올바로 찾았으면 1
정적분을 급수의 합으로 올바로 표현했으면 2
[1](2) 
  →∞  


 
극한  lim       을 이용하여 급수의 합을 올바로 찾았으면

2

주어진 극한값이  ′   임을 보였으면 3

[2]


 ′      을 올바로 찾았으면
ln 
2

 × 

 ′     
 

ln 
 ln
을 올바로 얻었으면 1

순서쌍의 개수가 H  C   C  )임을 기술했으면 2


[3](1)
H  임을 얻었으면 2

순서쌍의 개수가 H  C   C  임을 기술했으면 2


[3](2)
확률값을 올바로 얻었으면 3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2 ▹


찾는 순서쌍의 개수와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순서쌍의 개수가 같음을 기술했으면 2
[3](3)      인 경우를 나누어 순서쌍의 개수를 올바로 얻었으면 2
확률값을 올바로 얻었으면 1
P ∩ 
사건을 명시하고 구하는 확률이 조건부 확률 P   ∣     임을 제시하면 3
[3](4) P  
확률값을 올바로 얻었으면 2

      을 얻었으면
 
   
        2
[4](1)  
P 을 얻었으면 1
     
관계식    (또는 다른 풀이의 대등한 부분)을 올바로 기술했으면 1
 
[4](2)  (또는  ) 값들을 대입하여 식들을 정리하는 과정이 있으면 1


  을 얻었으면 3

  
QA       을 얻었으면
QP 1

[4](3) 
QA QP  
           을 올바로 기술했으면 2


          을 얻었으면 2

      을 올바로 얻었으면
n 
 n 
R          2
 

[4](4) 그림이나 근거를 제시하고 


OR 과 
OR 가 이루는 예각이 가장 크다는 사실을 기술하면 2



cos  의 최솟값 cos    을 얻었으면 2


▷예시 답안
[1] (1)
    
   ,


      

  
  



[1] (2)
 

    lim    (단,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lim     lim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다른 풀이]
 

 
  lim     (단,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lim     lim 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3 ▹



     

 lim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참고]
 

그밖에도    lim    (단, 
  →∞  
     ,    )에서  는 구간     의 다른 점에서의 함

    
숫값, 이를테면  
   따위로 바꿀 수 있다.

[2]
분자에    를 더하고 빼어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og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 ln   ln   
 × 

따라서 찾는 값은  ′     

ln 
이다. (또는 
 
 ′ 
   

ln 

 
 ln
)  
[3] (1)
방정식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 , , 의 순서쌍    의 개수는 개의 문자 , , ,
 중에서 개를 택하는 중복조합의 수와 같으므로 다음과 같다.
 ×  × 
H     C   C   C     C     

이다.

[3] (2)
와 와 가 짝수이면 는 홀수이다.   ,   ,   ,     이라고 하자. 이를 대입해서 얻은 방정식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 , , 의 순서쌍    의 개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H  C   C   
  
이다. 따라서 찾는 확률은      이다.
  

[3] (3)
가 의 배수이고 와  가 짝수이면 는 홀수이다. 이 경우의 수를 찾기 위해   ,   ,   ,     이라고 하
자. 이를 대입해서 얻은 방정식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 , , 의 순서쌍    의 개수를
의 값에 따라 찾으면 다음과 같다.
  인 경우 :       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 , 의 순서쌍   의 개수는 H  C   C   
(개)
  인 경우 :       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 , 의 순서쌍   의 개수는 H  C   C   (개)
  인 경우 :       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 , 의 순서쌍   의 개수는 H  C   C   (개)
  인 경우 :       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 , 의 순서쌍   의 개수는 H  C   (개)
 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해는 모두         (개)이므로 찾는 확률은    이다.
 

[3] (4)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4 ▹


P  ∩ 
, , 가 모두 짝수일 사건을  , 가 의 배수일 사건을  라고 하면 구하는 확률은 P   ∣     이다. 이때
P  
∩ 은 가 의 배수이고 와 가 짝수이며 가 홀수일 사건이다.
 
그러므로 (2)에서 P      이고 (3)에서 P  ∩    이다.
 

P  ∩  
 
따라서 찾는 값은 P  ∣         이다.
P    



[4] (1)

        이므로,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lim        이고 lim        이므로


  
 
→∞  →∞ 
점 P  은 점 P 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4] (2)

      이다.

  
(1)에서 P  xn  yn         
 
점 P  이 선분 P   P   을         로 내분하면 점 P  의 좌표  은 축의 구간      을   로 내분
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이므로 찾는 값은   이다.
  
  

[다른 풀이 1]

      이고 점 P 이 선분 P
 
  
P  xn  yn             P   을         로 내분하면 점 P  의 좌표  은
 
축의 구간      을   로 내분하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른 풀이 2]

      이고 점 P 이 선분 P
 
  
P  xn  yn             P   을         로 내분하면 점 P  의 좌표  은
 
축의 구간       을   로 내분하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5 ▹


  
따라서         
이므로 찾는 값은   이다.

[다른 풀이 3]

      이고 점 P 이 선분 P
 
  
P  xn  yn             P   을         로 내분하면 점 P  의 좌표  은
 
축의 구간       을   로 내분하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3)

OQ  라고 하면   
QA QP                   이다.

이에 따라   QP  
 
QA         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도형은 중심이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이므로, 찾는 방정식은           이다.
 

[4] (4)

      이므로 이 커짐에 따라 두 점 R 과 R
 
  
점 R  의 좌표는            사
 
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위치 벡터 
OR 와 
OR  이 이루는 예각

중에서  OR 가 이루는 예각이 가장 크다. 


OR 과 

OR     이고 

 
OR      이
     
므로 cos  의 최솟값은 다음과 같다.

cos   

OR ⋅ O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R    OR     
  
     
  

[참고]

OR 과 
OR 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가 가장 크다는 사실의 증명 :

OR 과 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 이라 하면 다음을 얻는다.
 
tan  
 
 
   
   

(이 커짐에 따라 tan 도 증가)

     
 
 


그러면 
OR 과 
OR  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   의 탄젠트 값은 다음과 같다.
tan   tan    
tan   tan

  tan ⋅tan
      
 
      
 (  라 하자.)
     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 ≥ 일 때 ′       이므로 는 증가함수이다.
 
따라서 tan  은 감소함수이므로, tan  이 최대이고 이에 따라   이 최대이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7 ▹


2022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 출제 의도
[1] (1) 연속함수의 성질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2) 명제의 증명 방법인 귀류법을 이용하여 명제를 증명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2] 삼각함수와 무리함수의 그래프의 성질을 이해하고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방정식과 부등식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3] (1) 벡터의 내적을 이용하여 두 벡터가 이루는 각과 삼각형의 넓이를 계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2) 사인법칙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사각형의 넓이의 최댓값을 계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4] 극대, 극소를 판정하는 능력과 로그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 문항 해설
명제, 연속함수, 삼각함수, 로그함수, 도함수, 방정식과 부등식, 벡터의 내적 등의 개념은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 중
요한 수학적 개념이다. 각 문항들은 이러한 개념들을 정확히 이해하고 기본적인 논리력을 갖추고 있다면 다음과 같은 간단한 과
정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다.
[1] (1) 연속함수에 대한 사잇값의 정리를 적용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평균값의 정리를 이해하고 귀류법으로 명제를 증명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부등식 문제를 해결하고 무리함수의 그래프를 활용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3] (1) 벡터의 내적을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사인법칙을 활용하여 외접원의 반지름을 구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4] 로그함수의 도함수와 로그함수의 그래프를 활용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 채점 기준

하위 문항 채점 기준 배점

   또는   일 때 실근이 존재함을 보였으면 2

1-1  ≠  또는  ≠ 일 때         임을 보였으면 2

사잇값 정리를 이용하여   인 가  에 존재함을 보였으면 4

귀류법으로 증명했으면 2
1-2
평균값정리를 이용하여 ′   인 ∈ 가 존재함을 보였으면 3

(a)로부터   를 구했으면 3


(b)로부터     ≤ 을 구했으면 5
2 


의 값의 범위      을 구했으면 2

  
OA∙ OB 
 을 구했으면 2

3-1 
OA와 
OB가 이루는 각 를 구했으면 2

삼각형 OAB 의 넓이 을 구했으면 2

3-2 
AB  
  
  을 구했으면 2

2022 광운대학교 FINAL ◃ 38 ▹


외접원의 반지름   
 
  을 구했으면 2


OP가 
AB의 중점을 지나고  
OP   일 때 사각형 OAPB 의 넓이가 최대임을 설
2
명했으면

사각형 OAPB 의 최대 넓이   


 을 구했으면 3

  ,   를 구했으면 4

직선     가 점   을 지날 때   을 구했으면 2


4
직선     가 곡선과 접할 때   ln를 구했으면 2

점  을 지날 때 직선의 기울기 를 구해서  ≤ ln,  ≥ 임을 설명했으면 4

2022 광운대학교 FINAL ◃ 39 ▹


■ 예시 답안

[1]
(1) (ⅰ)   이면 주어진 방정식의 실근   가 존재하고,   이면 실근   가 존재한다.
(ⅱ)  ≠ 이고  ≠ 라고 가정하자.
함수     라고 하면, 연속함수의 차는 연속함수이므로 함수 는 닫힌구간    에서 연속이다.
 ≤  ≤ 일 때 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따라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  인 가 열린구간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즉,   인 가  에 적어
도 하나 존재한다.
(ⅰ), (ⅱ)로부터 방정식   는 닫힌구간 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진다.

(2) 방정식   의 서로 다른 근 와 (  )가  에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   ,   이다. 함수
가 닫힌구가 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정리에 의하여
  
′     

가 성립하는 ∈ 가 존재한다. 조건에서 ′    이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   즉, 방정식   의 근이 존재하면 오직 하나이다.

[2]
(a)에서 cos    sin      은 cos    sin 이므로 sin     sin    
따라서 sin  sin    
sin    이므로 sin    에서   sin
이것이 모든 실수 에 대하여 성립하려면    ⋯⋯①
(b)에서 방정식 
       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곡선   
   과 직선     의 그래프가 두
개의 교점을 가져야 한다.
곡선과 직선이 접할 때, 
      를 제곱하여 정리한 이차방정식           에서 판별식을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직선이 점     을 지날 때     에서   

그러므로 방정식         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는 의 값의 범위는

    ≤  ⋯⋯②


따라서 ①, ②를 동시에 만족하는 의 값의 범위는      

[3]
 
(1) 두 점 A, B 의 위치벡터를    
OA   , 
 OB    
 라고 하면, 두 벡터 와
 의 내적은
∙
 
 

그러므로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을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이고 cos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따라서   
 
sin   이므로 삼각형 OAB 의 넓이는      sin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40 ▹


(2) 삼각형 OAB 에서 ∠AOB  이고, 
AB  
 
  이므로 외접원의 반지름 은 사인법칙에서

AB
       
  이다.
sin
사각형 OAPB 의 넓이는 삼각형 OAB 의 넓이와 삼각형 APB 의 넓이의 합이고, 삼
각형 OAB 의 넓이는 일정하므로 삼각형 APB 의 넓이가 최대일 때 사각형의 넓이가
최대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
OP가 
AB의 중점을 지나고 그 길이가 외접원의 지름일 때, 삼
각형 APB 의 넓이가 최대이다.

OP   이므로 사각형 OAPB 의 최대 넓이는   
 OP  
AB    


[4] 함수    ln  라고 하면 함수 는 미분가능하고 ′   ln이다.


′   에서   이고     일 때 ′   이므로 는 감소하고,   일 때 ′   이므로 는 증가한
다. 그러므로   에서 는 극소이다. 따라서   
점  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   ln  이므로   

   에서 ″     이므로 곡선   는 아래로 볼록하다.

(ⅰ) 직선     가 점   을 지날 때   
(ⅱ) 직선     가 곡선   와 접할 때, 접점의 좌표를 라고 하면 ln   즉,    
곡선과 접선의 좌표는 같으므로 ln       즉,   ln

(ⅲ) 직선     가 점  을 지날 때   

함수 는    에서 증가하고 곡선   는 아래로 볼록하므로 (ⅰ), (ⅱ), (ⅲ)에서 구한 의 값을 비교하면

ln    

그러므로    ≤  ≤   가 성립하려면  ≤ ln,  ≥ 
따라서 의 최댓값은 ln, 의 최솟값은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41 ▹


[문제 2]
■ 출제 의도
[1] (1)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의 성질을 이해하고 정적분의 계산에 활용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2) 함수의 도함수 계산 능력과 극값 결정 능력을 평가한다.
(3) 합성함수의 극대, 극소를 판정하는 추론 능력과 계산 능력을 평가한다.
[2] (1) 삼각함수의 기본 성질을 이용하여 삼각방정식의 풀이 능력을 평가한다.
(2) 수열의 합과 일반항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과 계산 능력을 평가한다.
[3] (1) 적분과 미분의 관계를 이해하고 조건식을 활용하여 정적분의 계산 능력을 평가한다.
(2) 조건식을 활용한 정적분의 계산 능력과 함께 적분식을 다루는 능력을 평가한다.

■ 문항 해설
미분적분학의 기본적인 개념인 합성함수 미분법, 극값 판정법, 적분과 미분과의 관계, 정적분에 대한 부분적분법의 제시문을 이
해하고 활용한다면 각 문항들은 다음과 같은 수학적이고 논리적인 과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1] (1) 정적분 계산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극대, 극소의 판정을 활용하여 함수의 그래프 개형을 이해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3) 합성함수의 미분법과 극값 판정법을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1) 삼각함수의 치역을 활용한 삼각함수 방정식 풀이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수열의 합과 일반항의 관계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3] (1) 조건식과 부분적분법을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조건식과 부분적분법으로 계산한 정적분에 무리수 를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 채점 기준

하위 문항 채점 기준 배점

적분되는 함수가 원점에 대칭인 함수임을 보이면 2


1-1
정적분의 값이 임을 보이면 2

도함수를 구하고 이로부터    을 구했으면 2

1-2    에서 극값 판정을 올바르게 했으면 4

최댓값을 구했으면 2

∘ ′   에서     그리고   인 임을 보이면 3

  에서 ∘ ′  의 극값 판정을 올바르게 했으면 2


1-3
  에서 ∘ ′  의 극값 판정을 올바르게 했으면 3

  인 에서 ∘ ′  의 극값 판정을 올바르게 했으면 4

방정식으로부터 sin  과 cos  을 구했으면 4

 
2-1 는   ,  를 구했으면 2
 

실근의 합 와 실근의 곱 를 올바르게 구했으면 2


2-2      를 구했으면 1

2022 광운대학교 FINAL ◃ 42 ▹


        을 올바르게 구했으면 3


      를 구했으면

3
3-1

     를 구했으면

3

  
               를 구했으면


 

4

3-2  
  


      를 구했으면

2

최대 정수 을 구했으면 2

2022 광운대학교 FINAL ◃ 43 ▹


■ 예시 답안

[1]
(1) 적분되는 함수를 라고 하자.
 
    
   은    이므로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이다.   로 치환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이고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최댓값은   
  
(3)  ∘ ′   ′ ′   에서 ′    또는 ′   
′   인 경우,    
′   인 경우,    이므로    또는       인 
(ⅰ)   의 좌우에서 (2)의 표에서와 같이 ′  의 부호는 바뀌지 않고, ′   ′  이므로 ∘ ′  의 부호는 바
뀌지 않는다.
(ⅱ)   일 때,
  의 좌우에서 (2)의 표에서와 같이 ′ 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고, ′   이므로 ∘ ′  의 부호도 양
에서 음으로 바뀐다. 따라서   에서 극대이다.
(ⅲ)       을 만족하는 일 때,

      일 때, (2)에서 의 최댓값은    ≈ (제시문1 이용)이므로   
따라서       인 는 존재하지 않는다.
(ⅰ), (ⅱ), (ⅲ)으로부터 함수  ∘ 가 극값을 갖도록 하는 좌표는 

[2]
(1) sin     
 cos 에서  
 cos  ≤ 이므로 sin  ≤ 
또한   ≤ sin  ≤ 이므로 sin   이며 따라서 sin  
이것을 방정식에 대입하면 cos  
 
  ≤  ≤ 에서 sin  와 cos  을 만족하는 는   ,  
 

따라서 모든 실근의 합 는 , 모든 실근의 곱 는   

 
(2)            
 

      ⋯⋯①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  

①은 ②에   을 대입한 결과와 같으므로 구하는 일반항은   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44 ▹


[3]
  
(1) 조건 (a)를 이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건 (b)를 이용하면       

⋯⋯③

  
이로부터               
  

(2) 조건 (a)를 이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 식을 정리하여 ③과 조건 (b)를 이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시문1을 이용하면     


따라서   


     인 최대 정수 은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45 ▹


2021학년도 수시기출 자연1
[문제 1]
출제의도
[1] 두 직선의 수직과 평행을 이해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방정식을 구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판단
한다.
[2] 좌표평면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와 속도의 크기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응용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능
력을 판단한다.
[3] 복소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방정식을 해결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판단한다. 그리고, 확률변수와 확률분포를 이
해하고 주어진 문제의 기댓값을 구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판단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 수학 II, 미적분, 확률과 통계 : 수직과 평행, 좌표평면에서의 속도, 허근, 확률변수

문항해설
[1]
(1) 두 직선의 평행 조건과 수직 조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립방정식을 도출하여 해결할 수 있다.
(2) 한 선분을 지름으로 하는 원의 성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는 (1)에서 구한 수직 조건으로부터 얻은
함수의 최댓값을 구함으로서 해결할 수 있다.
[2]
(1) 주어진 함수의 도함수를 차례로 계산하여 속도와, 속도의 크기를 구하는 문항이다.
(2)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을 적용하여 각 자연수에 대한 극한값을 구하여 해결할 수 있다.
(3) 주어진 상황에서 연속함수의 사잇값정리를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문항이다.
[3]
(1) 인수분해를 통해 얻은 방정식과 복소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2) 확률변수와 확률을 구하고 이를 표로 나타낸 다음 기댓값을 계산하는 문항이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수직과 평행의 조건으로부터 , 에 대한 연립방정식을 구하였으면 4
(1)
   를 정확히 구하였으면 2
[1]
두 직선의 교점이 원래 놓여 있음을 잘 기술하였으면 4
(2)
넓이의 최댓값을 정확히 구하였으면 3
를 정확히 구하였으면 3
(1)
  를 정확히 구하였으면 3
각각의 자연수를 대입하면 극한을 구하였으면 3
(2)
[2] 구하는 값을 정확히 도출하였으면 2
사잇값정리를 적용하였으면 3
(3)   에서    사이에서 방향이 바뀌는 것을 보였으면 3
  에서    사이에서 방향이 바뀌는 것을 보였으면 3
, 가 만족하는 연립방정식을 정확히 유도하였으면 5
(1)
, 가 각각 정확히 구하였으면 2
[3] 확률변수를 정확히 구하였으면 3
(2) 확률을 구하여 확률분포를 정확히 표로 나타내었으면 4
기댓값을 정확히 구하였으면 3

2022 광운대학교 FINAL ◃ 46 ▹


예시답안
[1]-(1)
       - - - - ①
       - - - - ②
         - - - - ③
①⊥②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  , 즉   
①③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 , 즉   
  
따라서 구하는 값음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1]-(2)
직선        은 의 값에 관계없이 점    를
지나고, 직선        은 의 값에 관계없이 점
  를 지난다.
그리고 두 직선이 서로 수직으로 만나므로 두 직선의 교점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
 를 지름으로 하는 원 위에 놓인다.
두 직선의 교점을  라 하면 삼각형  는 문제에서 주어진
삼각형이 된다.

 를 밑변으로 하는 삼각형  의 넓이는 교점  로부터

 까지, 즉 축 까지의 거리로 결정된다.
교점  의 좌표가  일 때 
 의 길이가 최대가 되고,
따라서 삼각형  의 넓이의 최댓값은 다음과 같다.

 ××  

[2]-(1)
  sin   cos   cos   sin 
     ,      - - - - ①
   


 sin  cos  cos  sin 
속도는     

  
  
 sin   cos  sin cos   cos  sin   sin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속도의 크기는        

[2]-(2)

   일 때,
→∞ →∞
 

lim  lim     

    ≥ 일 때,
→∞ →∞
 
lim  lim       ∞

그러므로 구하는 자연수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47 ▹


[2]-(3)
 sin  cos 
시각 에서의 점 Q의 속도를 라 하면 [2]-(1)의 식 ①로부터        이고 는  ≥ 에서 연속함
 
수이다.
 
     이고     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로부터 운동 방향이 바뀌는     인 시각  이 와  사
 
이에 존재한다.

또     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로부터 운동 방향이 바뀌는     인 시각  가 와  사이에 존재한다.

그러므로 시각   에서   까지 점 Q 는 움직이는 방향을 최소한 2번 바꾼다.

[3]-(1)
             이므로 는 다음을 만족한다.
       - - - - ①
주어진 식의 양변에   를 곱해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식 ①을 식 ②에 대입하고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가 허근이므로
    ,     
 
위의 연립방정식을 풀면    ,    이다.
 

[3]-(2)
확률변수  가 취하는 값을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선택할 수 있는 경우는 모두 9가지이고, 두 원소가 동일한 경우는 한 번, 서로 다른 두 원소는 두 번씩 선택되므로 확률변수 
의 확률분포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P         
     

이로부터 확률변수  의 기댓값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48 ▹


[문제 2]
출제의도
[1]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를 판정하고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그리고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이용하여
함수의 최솟값을 계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2] 함수의 극값과 변곡점을 구하는 과정의 판단과 이와 연관된 적분과 이차방정식의 계산 능력을 판단한다. 함수를 이용하여
대소를 비교할 수 있는 응용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판단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 I, 수학 II, 미적분 : 극값, 변곡점, 최댓값과 최솟값, 로그, 부분적분법

문항해설
로그함수, 미분, 적분 등의 개념은 넓은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수학적 개념들이다. 이러한 개념들을
이해하고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1]
(1) 주어진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를 판정하여 함수 를 구하는 문항이다.
(2)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이용하여 함수의 최솟값을 구하는 문항이다.
[2]
(1) 주어진 함수의 도함수를 차례로 계산하고 극값, 변곡점의 판정을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2) 치환적분법을 이용하여 이차방정식의 계수를 계산하고 이차방정식의 근을 구할 수 있는 문항이다.
(3) 로그의 성질을 사용하여 대소 비교 가능한 형태로 바꾼 다음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 개형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4) 부분적분법을 이용하여 적분을 계산하고 수열의 유한 합을 구해서 해결할 수 있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 일 때   를 구했으면 3

    일 때     를 구했으면 4
(1) 

 ≥ 일 때     을 구했으면 3

[1]
함수 는  ≤  ≤ 에서 최솟값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했으면 2

함수가 최솟값을 가지는 점    을 구했으면 4
(2) 

최솟값   을 구했으면 2

′   에서   을 구하고 극대임을 설명했으면 3
(1) 
 3
″   에서     을 구하고 변곡점임을 설명했으면


  
     

    
ln  
   



을 구했으면 2
 
  

  

 
(2) 
 




  2

     ln    


 ln    

[2] 이차방정식의 근은      2

ln  

log       을 구했으면 3
ln  
(3) ln    ln  ln 
ln 

       을 구했으면
 ln  
 

 4

      이므로 증감표에 의해     


    을 구했으면 4

 
  

(4) 2
닫힌구간       에서   ln   을 보였으면

2022 광운대학교 FINAL ◃ 49 ▹




  



 
  ln   
을 보였으면
  
4
  
           을 보였으면
   
 

   
    
   
3

예시답안
[1]-(1)
′         
(i)  ≤  이면  ≤  ≤  에서 ′  ≤  이다. 따라서      이다.
(ii)      이면

  ⋯  ⋯ 
′    

  ↗ 극대 ↘  


따라서        이다.


(iii)  ≥  이면  ≤  ≤  에서 ′  ≥  이다. 따라서        이다.

    ≤ 



(i), (ii), (iii)에 의하여 함수    

      
이다.





   ≥ 

[1]-(2)
함수 는 연속함수이고,  ≤  에서 감소하고  ≥  에서 증가하므로  ≤  ≤  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  
    는      에서 미분가능하고  ′         에서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극소 ↗ 

   
     
 
위의 증감표에 의해 함수 의 최솟값은     ⋅  ⋅      이다.
     

[2]-(1)
ln    ln 
   , ′    이므로 ′    에서   
 

     ln    ln  
″      이므로 ″    에서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50 ▹



 ⋯  ⋯  ⋯

′      
″      
 극대 변곡점

   이다.
 
 
증감표에 의해서 함수 는    에서 극대이고, 변곡점은      


따라서   ,     이다.

[2]-(2)

정적분   에서 ln    로 치환하면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ln 
   
    
이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은     

[2]-(3)
ln   ln  ln  
log  
    

ln 
 ln  

 
 
     이다.    이므로 대소의 변화는 없다.
ln  
[2]-(1)로부터 다음 증감표를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증감표에 의해 
    
   이다.
ln  ln  ln
 
  
   
     log  
   이므로, 따라서 log  
 이다.
   

[2]-(4)
 
  

닫힌구간       에서   ln   , 부분적분법을 이용한 정적분의 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ln   


 
  ln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51 ▹


2021학년도 수시기출 자연2
[문제 1]
출제의도
[1] 집합의 개념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과 집합의 연산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2] 삼각함수의 뜻을 알고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을 활용하여 함수의 극대와 극소를 설명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3] 무리함수를 이해하고 식을 변형하여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를 이해하고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 수학I, 수학II, 미적분 : 삼각함수, 이차방정식, 도형의 넓이

문항해설
[1]
(1) 집합의 개념을 이해하고 두 집합의 합집합과 교집합을 구하는 문항이다.
(2) 집합의 연산을 하고 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구하는 문항이다.
[2]
(1)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의 관계를 이용하고 함수의 극대를 구하는 문항이다.
(2)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을 활용하여 식의 값을 구하는 문항이다.
[3]
(1) 무리함수를 이해하고 주어진 직선과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를 구하는 문항이다.
(2) 이차함수의 판별식을 활용하여 이차함수와 직선의 관계를 알아내는 문항이다.
(3) 곡선으로 주어진 영역과 넓이를 계산하는 문항이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와  를 구했으면 2
(1)
∪ 와 ∩ 를 구했으면 3
[1]
 ∩  을 구하거나 ∪  과의 관계를 표현했으면 2
(2)
원소의 개수 을 구했으면 3

     을 이용하여   sin      sin  을 도출하였으면 3

(1) 
sin    에서 최댓값을 가짐을 도출하였으면 3

[2] 최댓값     를 구했으면 3

        cos    cos   cos  을 얻었으면
  
5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얻었으면
           
4

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의 식   을 얻고    ≠  임을 언급하였으면 2

(1)  

        
            을 얻었으면 3
 
주어진 두 식을 연립하여          을 얻었으면 3
[3] (2)    
 ≤  ≤  을 구했으면 5

넓이를 정적분으로 표현하기 위한 위 끝과 아래 끝을 올바로 구했으면 3
넓이를 정적분으로 올바로 표현하였으면 3
(3)
  
   을 구했으면 3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52 ▹


예시답안
[1]-(1)
  
  sin   에서  ≤  ≤  이므로           이고
  
     
  cos   에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와  의 합집합과 교집합은 각각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1]-(2)
드 모르간의 법칙에 의하여  ∩   ∪  이고,  ∪      ∪  이다.
    , ∪    이고,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2]-(1)
 
   이므로,      이다.
 


sin   sin   sin     sin   sin   
 
   sin   cos
   sin     sin  - - - - ① ∵ cos  
sin        라 하면
식 ①의 최댓값은           의 최댓값이다.
 
′        으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극대 ↘




그러므로      에서 의 최댓값은        
 이므로 식 ①의 최댓값은   

[2]-(2)
삼각형  의 외접원의 반지름을  라고 할 때, 사인법칙으로부터
  
sin    , sin    , sin    - - - - ②
  

문제에서 주어진 식에 ②를 대입하면         cos  cos   cos 

코사인법칙으로부터 주어진 식의 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53 ▹


[3]-(1)
 
두 점  , 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 이므로 이 직선과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 
 
(여기서    ≠  인데 왜냐하면, 만약    라면 
       
      이므로    가 되지만 문제의 조건에서
   라고 했기 때문이다.)
점  ,  가 곡선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이고       
두 식의 차는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3]-(2)
직선   가    을 지날 때   
곡선         와 직선    가 접할 때 값을 구하기
위하여 두 식을 연립하면         
양변을 제곱하여 에 대한 이차방정식 꼴로 정리하면
         - - - - ①
판별식          으로부터
 ± 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그래프가 만날 때  ≤  이므로
  

 

  

그러므로 구하는  값의 범위는  ≤  ≤ 

[3]-(3)
   
  와   가 접할 때    이고 [3]-(2)의 식 ①의 판별식이  이므로 접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접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에서 를 에 대해 정리하면         
구하는 영역의 넓이 ([3]-(2) 그림의      )는 곡선   와 축 및 두 직선   ,   
 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 
와 삼각형 영역의 넓이  ([3]-(2) 그림의      )의 차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54 ▹


[문제 2]
출제의도
[1] 이항정리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2]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를 구하고 미분계수의 기하학적 의미를 이해하며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
는지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 수학 II, 미적분, 확률과 통계 : 미분계수, 정적분, 이항정리

문항해설
[1]
(1) 이항정리를 이용하여 이항계수들의 관계를 파악하는 문항이다.
(2) 이항정리를 이용하여 주어진 수의 나머지를 구하는 문항이다.
(3) 주어진 조건을 정리하여 주어진 수의 나머지를 구하는 문항이다.
[2]
(1)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를 찾고 곡선으로 주어진 영역과 넓이를 계산하는 문항이다.
(2) 이차함수의 판별식을 활용하여 이차함수와 직선의 관계를 알아내는 문항이다.
(3) 미분계수의 기하적 의미를 이해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값의 범위를 구하는 문항이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 

(1)
올바른 논리로  C 
 
 

 C  또는  C 
 
 

 C  또는  C 
 
 

 C  을 얻으면 3

     또는      또는      을 얻으면 3


[1] 올바른 논리로  을 으로 나눈 나머지가 임을 보였으면 3
(2)
올바른 논리로  을 으로 나눈 나머지가 임을 보였으면 4
올바른 논리로 (2)의 결과를 이용하고 있으면 4
(3)
올바른 논리로  을 로 나눈 나머지가 임을 보였으면 5
   일 때, 함수 를 얻었으면 4

(1) 


     을 구했으면

5

               을 얻었으면 3
[2] (2)
      을 얻었으면 4
 ≥  일 때,   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이 2개임을 보인 경우 3
(3)      일 때,   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이 1개임을 보인 경우 3
        일 때,   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이 3개임을 보이면 6

예시답안
[1]-(1)
         C   C   ⋯  C C   C   ⋯  C  에서  의 계수는

C ⋅C   C ⋅C   ⋯  C ⋅C  - - - - ①


여기서 C   C    ( ≤  ≤ 인 정수)이므로 식 ①을 다시 쓰면

C ⋅C   C ⋅C   ⋯  C ⋅C    C 
 
 

- - - - ②

한편      C   C   ⋯  C   에서  의 계수는 C  - - - - ③


    과        에서  의 계수는 같다.

그러므로 ②와 ③으로부터  C 
 
 

 C   C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55 ▹



또한  C 
 
 

  에서 C   , C    이므로

     또는      또는     

[1]-(2)
     ⋅   C     C   ⋅⋅  ⋯  C  ⋅  이므로
 을 으로 나눈 나머지는 
     ⋅   C     C   ⋅⋅  ⋯  C  ⋅  이므로
 을 로 나눈 나머지는    를 로 나눈 나머지와 같다.
  ⋅   이므로  을 로 나눈 나머지는 

[1]-(3)
[1]-(2)로부터
     (는 정수)
     (는 정수)
위의 두 식으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④
여기서 를 으로 나눈 나머지는    중 하나이다.
나머지가 인 경우, 식 ④의 좌변과 우변을 으로 나눈 나머지가 일치하지 않는다.
나머지가 인 경우,          (는 정수)이므로 식 ④의 좌변과 우변을 으로 나눈 나머지가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를 으로 나눈 나머지는 이다. 즉,      (는 정수)
식 ④로부터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을 로 나눈 나머지는 

[2]-(1)
   일 때,    이므로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의 교점의 좌표를 구하자.
   에서는      이고,  ≥  에서는      이므로 구하는     이다.
    
함수 의 정의로부터       ≤  ≤ 
    
두 함수    과   의 그래프의 교점을 구하면  ≤  에서    이므로     이다.


구하는 넓이를  라 하면    
     이다.

[2]-(2)
직선      이 곡선   와 접하는 경우는  ≥  에서 곡선      과 접하는 경우이다.
         으로부터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를 얻는다.
    
 일 때는   와 곡선      이    에서 접하는 경우이므로 제외한다.
따라서      이다.

[2]-(3)
함수 를 이루는 두 함수에 대해, 는  을 제외한 모든 실수에서, 는 모든 실수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함수 
의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은 두 함수 와 의 그래프의 교점일 수 있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56 ▹


두 함수   와   가 접하는 범위는  ≥  이다. 그때의 기울기는 [2]-(2)로부터     
 이다.

(i)  ≥  인 경우
   에서 두 함수   와     은 교점이 없다.
 ≥  에서 두 함수   와         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접하지 않으므로 그 두 점에서 기울기는
서로 다르다. 즉, 좌우 미분계수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  는 2개의 교점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ii)    
     인 경우
함수   는    에서 직선     과 한 점에서 만나며,  ≥  에서 함수         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따라서   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은 3개이다.

(iii)     
 인 경우
함수    는    에서 직선     과 한 점에서 만나며,  ≥  에서 함수        과는 만나지 않는
다. 따라서   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은 1개이다.

(i), (ii), (iii)으로부터 함수   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이 3개가 되게 하는 의 범위는    


     이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57 ▹


2021학년도 수시기출 자연3
[문제 1]
출제의도
[1] 복소수의 켤레복소수의 뜻에 대한 이해력과 복소수의 사칙연산의 계산 능력을 평가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방정식과 부
등식을 활용하는 응용문제의 해결능력을 평가한다.
[2] 확률변수와 확률분포를 이해하고 주어진 문제의 기댓값을 구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판단한다. 그리고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 수학 I, 미적분, 확률과 통계 : 허근, 근과 계수의 관계, 코사인법칙, 확률변수,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

문항해설
[1]
(1) 문자를 사용하여 복소수를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켤레복소수에 대한 사칙연산을 수행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2) 인수분해를 수행하고 근과 계수의 관계를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3) 근과 계수의 관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식을 변형하여 해결할 수 있다.
[2]
(1) 문제에 맞는 정육각형을 그려서 확률변수와 각각의 확률을 구하여 확률분포를 표로 나타내고 기댓값을 구하는 문항이다.
(2) 문제에 맞는 정팔각형을 그려서 코사인법칙을 사용하여 확률변수를 구하고, 각각의 확률을 구하여 기댓값을 구하는 문항이
다.
(3) (1),(2)번을 통해 얻은 확률변수와 각각의 확률에 대한 규칙을 확인하고 기댓값을 수열의 합으로 표현하여 해결할 수 있다.
(4) 제시문에 주어진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를 활용할 수 있도록 (3)에서 얻은 수열의 합을 변형하고 적분을 계산하여
해결할 수 있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와 이들의 켤레복소수  , 
 를 문자로 사용하여 표현하였으면 2
(1)
  
    를 정확히 기술하였으면 4
 

    를 인수분해하여 낮은 차원의 방정식을 얻었으면 2
[1] (2) 문제에서 주어진 방정식에 대한 근과 계수의 관계를 활용하였으면 2
의 조건을 확인하여 의 값을 정확히 구하였으면 3
에 관한 부등식을 정확히 유도했으면 3
(3)
의 조건을 적용하여 의 범위를 정확히 구하였으면 3
확률변수를 구하였으면 2
(1) 확률을 구하여 확률분포를 표로 나타내었으면 3
기댓값을 정확히 구하였으면 2
확률변수를 구하였으면 2
(2) 각 확률을 구하였으면 2
[2] 기댓값을 정확히 구하였으면 3
확률변수를 구하였으면 3
(3) 각 확률을 구하였으면 3
기댓값을 수열의 합으로 정확히 표현하였으면 3
정적분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급수를 잘 변형하였으면 4
(4)
적분을 정확히 계산하였으면 4

예시답안
[1]-(1)
와 를           (   는 임의의 실수)라 하면           이므로

2022 광운대학교 FINAL ◃ 58 ▹



         - - - - ①
그리고 
    와 
    의 곱은

              - - - - ②
따라서 ①, ②로부터    
 가 성립한다.

[1]-(2)
주어진 방정식이 허근을 가지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③
한편, 주어진 식은 다음과 같이 인수분해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   
  일 때 는 실수가 되어 모순이다. 따라서   
≠  이다.
(ii)          에서    이다. 그런데      
  일 때     이므로 ③에 어긋난다.
따라서   
≠  이다.
(iii)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로부터    ± 
      이다.
    와     는 둘 다 부등식 ③을 만족한다. 따라서    
   을 만족하는    ± 

 이다.

[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그러므로 ③에 의해 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2]-(1)
두 꼭짓점 사이의 거리가 작은 것부터    로 나타내면 확률변수  의 값은 다음과 같다. (오른쪽 그림 참조)

 
  

      cos   ,        cos   ,       
 
6개의 점으로부터 2개를 선택하는 방법의 가짓수는 C    이다.
그리고   가 나타나는 경우의 수가 각각 6이고,  이 나타나는 경우의 수가 3이므로
 
P       P         
 
 
P         
 
따라서 확률변수  의 확률분포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합계
  
P          
  

이로부터 확률변수  의 기댓값은 다음과 같다.


   
E    ⋅   ⋅   ⋅ 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59 ▹


[2]-(2)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꼭짓점 사이의 거리가 작은 것부터     로 나타내자.

한 변이 이루는 중심각이  이므로 코사인법칙으로부터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8개의 점으로부터 2개를 선택하는 방법의 가짓수는 C    이다. 그리고    은 각각 8번 얻을 수 있고,  는 4번 얻을
수 있으므로 확률변수  의 확률분포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합계
   
P         
   

이로부터 E  은 다음과 같다.


  
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꼭짓점 사이의 거리가 작은 것부터   ⋯  으로 나타내자.

한 변이 이루는 중심각이  이므로 코사인법칙으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cos      cos 
       ⋯ 

개의 점으로부터 2개를 선택하는 가짓수는 C     이다.


그리고,   ⋯    은 각각 번 얻을 수 있고,  은 번 얻을 수 있으므로 다음
이 성립한다.
 
P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E  은 다음과 같다.


 

   cos 
  
   cos  ⋅       cos   
      
E    ⋅
               

[2]-(4)
[2]-(3)에서 구한 E 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  
E       cos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다음을 얻는다.

 

limE   lim 
→∞

   cos 
→∞     
⋅ 
  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60 ▹


   
⋅  lim 

 lim 
→∞

lim    cos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sin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61 ▹


[문제 2]
출제의도
[1]
⑴ 일차 혹은 이차방정식을 구별하는 논리적 능력과 판별식을 이용한 이차방정식의 근의 판별 능력을 평가한다.
⑵ 방정식의 해집합이 같도록 가능한 논리적 상황을 구분하는 분석력과 계산력을 평가한다.
[2] 로그함수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3]
⑴ 부등식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⑵ 미분계수에 대한 이해력과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⑶ 함수의 극대와 극소를 판정하는 능력과 정적분을 이용하여 도형의 넓이를 계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 수학 I, 수학 II, 미적분 : 방정식과 부등식, 로그함수, 미분, 적분

문항해설
방정식과 부등식, 로그함수, 미분, 적분 등의 개념은 자연과학을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수학적 개념이다. 이러한 개념들을 이해하면 다음과 같은 간단한 과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1]
(1) 일차방정식과 이차방정식의 차이를 구별하고 판별식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일차방정식과 이차방정식 혹은 두 이차방정식에 대한 해집합을 같게 하는 논리적 상황을 분석해서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
다.
[2] 로그함수를 활용하여 부등식을 만족하는 자연수들의 순서쌍의 개수를 차례로 문항이다.
[3]
(1) 주어진 부등식과 조건을 이용하여   에서 함숫값을 구하는 문항이다.
(2) 함수의 극한을 이용하여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고 부정적분과 (1)에서 구한 결과를 이용하여 함
수를 구하는 문항이다.
(3) 함수의 극대와 극소를 판정과 부분적분법을 이용한 정적분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i)    인 경우,    와  ≠  로 나누어 설명하면 2

(ii)  ≠  인 경우, 판별식을 사용하여  ≠  임을 보이고 의 합은  임을 보이면 4
(1) 

(i)과 (ii)로부터  ≠  이고, 의 합이    임을 표현하면 1
[1] 
(i)    이고    일 때, 해집합이 같지 않음을 설명하면 1
(ii)    이고  ≠  일 때, 해집합이 같지 않음을 설명하면 1
(2) (iii)  ≠  이고    일 때, 해집합이 같을 조건은    ±  이다. 2
(iv)  ≠  이고  ≠  일 때, 해집합이 같을 조건      이다. 3
해집합이 같을 조건      (단,   ) 또는      을 기술하면 1
   일 때 부등식을 만족하는 순서쌍을 구했으면 3
     일 때 순서쌍을 구했으면 3
[2]
   일 때 순서쌍을 구했으면 3
순서쌍의 개수 17을 구했으면 1
 ≤  임을 보였으면 1
(1)
문제의 조건으로부터    을 구했으면 2
  
lim    을 구했으면 3
[3] → 
(2)
    
lim  ≥    임을 보였으면 2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62 ▹


    
lim  ≤    임을 보였으면 2

→ 
′      을 구했으면 2
       을 구했으면 3
   을 구했으면 4

도형의 넓이를 정적분         로 포현했으면

 
2

(3) 
부분적분법을 이용하여          을 유도했으면
  
 2

 
도형의 넓이    를 구했으면 2
 

예시답안
[1]-(1)
(i)    인 경우, 방정식 ①은      이 돈다.
   이면    이 되므로 근이 존재하지 않는다.
 ≠  이면 하나의 실근을 가진다.

(ii)  ≠  인 경우, 1개의 실근은 중근을 의미하므로          이다.


   이면  ≠  이 되기 때문에  ≠  이다.

 
 는 에 대한 이차식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의 합은  이다.
 

(i), (ii)에 의하여 방정식 ①이 1개의 실근을 가지도록 하는 의 조건은  ≠  이고, 의 합은    이다.

[1]-(2)
(i)    이고    일 때
방정식 ①은    이 되어 근이 존재하지 않고 방정식 ②는 중근    을 가지므로 두 해집합은 같지 않다.
(ii)    이고  ≠  일 때

방정식 ①의 근은    이고 방정식 ②의 근은      이므로 두 해집합은 같지 않다.

(iii)  ≠  이고    일 때
 
방정식 ①로부터    이고 방정식 ②로부터    이다.
 
(iv)  ≠  이고  ≠  일 때
해집합이 같은 이차방정식은         의 형태를 가진다.
방정식 ①과 ②는 일차항이 같으므로 나머지 계수도 같아야 한다.
따라서      이다.
(i), (ii), (iii), (iv)로부터 해집합이 같을 조건은      (단,   ) 또는      이다.

[2]

log  log log ≤  ⇒ log   log  ≤ 


 


(i) log    인 경우 (  인 경우)

  
log   log ≤ log ⇒ log  ≤ log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63 ▹


그러므로  ≤  - - - - ①
, 가 자연수이고    이므로 ① 식을 만족하는 경우는  ,  , ⋯,  ,  로 모두 10가지

(ii) log    인 경우 (    인 경우)

   
 log   log ≤  ⇒ log   log ≤  ⇒ log  ≤ log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②
, 가 자연수이고      이므로 ② 식을 만족하는 경우는  ,  ,  ,  ,  로 5가지

(iii) log    인 경우 (  인 경우)

log ≤  ⇒ log ≤ log
그러므로  ≤  - - - - ③
, 가 자연수이고    이므로 ③ 식을 만족하는 경우는  ,  로 2가지

(i), (ii), (iii)에 의하여 순서쌍  의 개수는 모두 17가지이다.

[3]-(1)
     ≥     
  ,    일 때  ≤ 
문제의 조건에서  ≥  이므로   

[3]-(2)
주어진 부등식으로부터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①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②
 
미분계수의 정의와 문제의 조건으로부터
     
lim 

 lim   ′   

→ →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 (제시문 3)에 의하여


         
①에서 lim  ≥   , ②에서 lim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lim     
→ 
따라서        (  는 상수)이고, 조건에서    이므로        이다.

[3]-(3)
     는 미분가능한 함수이다.
 ′        이므로  ′    에서    이다.
 ′  의 부호를 조사하여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극대 ↘

제시문 4.에 의하여 함수 는    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   이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64 ▹


두 곡선   ,   와 직선   ,  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 라 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부분적분법으로      의 부정적분을 구하면

  
      
        (  는 상수)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65 ▹


2021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출제의도
[1] (1) 내분점을 구하고 미지수가 1개인 연립일차부등식 풀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2) 판별식을 의미를 활용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값의 범위를 찾는 능력을 평가한다.
[2] 항등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미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3] (1) 함수의 합성에 대한 명제를 읽고 진리집합을 찾는 능력을 평가한다.
(2) 대우명제를 활용하여 명제를 증명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3) 함수 합성을 이해하고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의 수를 찾는 능력을 평가한다.
(4)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을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의 수를 찾는 능력을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내분점의 좌표      을 구했으면 3


1-1
의 범위를 올바로 구했으면 2

  
  
      를 올바로 계산했으면 2

이차방정식         을 올바로 유도했으면 2


1-2
판별식을 이용하여  
 ≤  ≤ 
 을 구했으면 2


   을 구했으면 2

 
    

 와       를 구했으면
 

 2


2


    과   을 구했으면 2

  과               을 구했으면 4

  일 때 를 모두 구하고   을 구했으면 2
3-1
  일 때 를 모두 구하고   을 구했으면 3

대우명제를 올바로 기술했으면 3

3-2     라고 가정했으면 2

 ∘ 는 항등함수임을 이용하여    를 보였으면 2

는 일대일대응임을 기술하고     를 보였으면 2

3-3       를 구했으면 2

      을 구했으면 2

  이면 조건 를 만족하는 함수의 개수는    임을 보이면 3

  이면     로부터   이어야 하므로 조건 를 만족하는 함수의 개수는    임을


3-4 3
보이면

           임을 보이면 2

2022 광운대학교 FINAL ◃ 66 ▹


예시답안
[1]

(1) 선분  를       으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점이 제사

분면 위에 존재하므로     ,     
또한 내분하는 점의 정의에 의해      으로부터   ,     

이 부등식들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 의 값의 범위는     

(2) 점  의 좌표를  로 놓으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    ⋯①
점 는 원
        ⋯②
위의 점이므로 ①, ②에서 를 소거하면         
이차방정식
         ⋯③
의 판별식  가  ≥ 이어야 하므로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따라서 
   ≤
  의 범위는     
 ≤ 

  


  의 최솟값은   
 일 때  


 을 ③에 대입하면 
         이므로   

[2]

  를 대입하면     

 ⋯①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②


①, ②를 더하고 로 나누면 

     ⋯③

  을 대입하면    ⋯④
    이라 하면 ″      이므로    ⋯⑤

③, ④, ⑤에 의해               

[3]
(1)   일 때,   이면 ∘ 는   에서의 항등함수이다. 그러므로   
  일 때, 조건 를 만족하는 함수는   ,   인 경우와   ,   인 경우뿐이다. 그러므로   

(2) 일대일함수의 정의에서 조건 를  ≠  , 조건 를   ≠  라고 명제  → 의 대우는     이면   
이제 정의역  의 임의의 두 원소  ,  에 대하여
    라고 하면     이고 항등함수이므로   
따라서 조건 를 만족시키는 함수 는 일대일함수이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67 ▹


(3) 는  에서  으로의 일대일함수이므로 일대일대응이고 역함수가 존재한다.
∘    (  는 항등함수)로부터    

  일 때,   이면서 조건 를 만족하는 함수의 개수는 


  이면     로부터   이어야 하므로 조건 를 만족하는 함수의 개수는 
  이면     로부터   이어야 하므로 조건 를 만족하는 함수의 개수는 
따라서       

  일 때,   이면서 조건 를 만족하는 함수의 개수는 


  이면     로부터   이어야 하므로 조건 를 만족하는 함수의 개수는 
  이면     로부터   이어야 하므로 조건 를 만족하는 함수의 개수는 
  이면     로부터   이어야 하므로 조건 를 만족하는 함수의 개수는 
따라서       

(4)  ≥ 일 때   이면 조건 를 만족하는 함수의 개수는   


  이면     로부터   이어야 하므로 조건 를 만족하는 함수의 개수는   
  이면     로부터   이어야 하므로 조건 를 만족하는 함수의 개수는   

  이면     로부터   이어야 하므로 조건 를 만족하는 함수의 개수는   
따라서     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68 ▹


[문제 2]

출제의도
[1] (1) 삼각함수에 대한 기본적인 성질의 활용 능력을 평가한다.
(2) 합성함수의 도함수 유도능력과 삼각 방정식 풀이 능력을 통해 극값 결정 능력을 평가한다.
(3) 극대 극소를 판정하는 능력과 계산 능력을 평가한다.
[2] (1) 미분가능성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2) 구간에 따라 나누어진 함수의 전체 모습의 이해능력과 계산 능력을 평가한다.
(3) 주어진 조건의 이해 능력과 활용 능력을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삼각함수의 대칭성을 활용하면 2


1-1
    cossin     cos sin  cossin  을 얻으면 4

′   sin sincos  을 얻으면 2


가장 작은 양수가  임을 보이면 4
1-2 


   에서 함수 는 극솟값을 가짐을 보이면 2


     (은 정수)에서 함수 는 모두 극솟값을 가짐을 보이면 3

  
1-3          ⋯임을 보이면 2



lim  

 임을 보이면 3
 →∞     

  의 경우, 우미분계수가 존재하지 않음을 보이면 3

2-1   의 경우,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가 실제 계산으로 일치하지 않음을 보이면 4

  의 경우, 좌미분계수가 존재하지 않음을 보이면 3

직선     가 점   를 지나는 경우,   임을 보이면 3


직선     가   
   와 접하는 경우,    임을 보이면 3
2-2 


    임을 보이면 2

  

  라고 하면        이다.
 3
이것이 기울기 에 관계없이 점     를 지나는 직선임을 얻으면

직선이 점  
  을 지나는 경우,   을 보이면 2
2-3
직선이 점  을 지날 수는 없으므로 그 점에 가까워지는 경우,
3
기울기 가 한없이 커짐을 설명하면

  

 ≤  임을 보이면 2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69 ▹


예시답안
[1]
(1) 함수   sin는 주기가 이며 원점 대칭이므로 sin    sin이다.
함수   cos는 축 대칭이므로 cossin    cossin이다.
이 사실들로부터     cossin     cos sin  cossin  을 얻는다.
따라서   이다.

(2) 삼각함수는 모든 실수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제시문 1의 합성함수 미분법으로부터 함수 는 모든 실수에서 미분가능하다.
′   sin sincos  로부터 sin sin   혹은 cos  이다.
sin sin  로부터 sin   (은 정수)이다. 그런데 sin  ≤ 이므로 sin  이다.
이로부터   을 얻는다. ⋯①

한편, cos  으로부터      (은 정수)을 얻는다. ⋯②


①, ②로부터 가장 작은 양수는  이다.


  
    
또한 ′     이고 ′      (은 작은 양수)이므로 제시문 3에 의해    에서 함수 는 극솟값을 가진다.

(3) ′    이고 ′    (은 작은 양수)이므로 제시문 3에 의해   에서 함수 는 극댓값을 가진다. 또한 (1)
에서     이므로   에서 함수 는 극댓값을 가진다.

  
한편, (2)로부터   는 극솟값이며 함수 의 주기성으로부터      (은 정수)에서 함수 는 모두 극솟값을
 
가진다.
이로부터 가 극솟값이 되는 양수 를 작은 값부터 정리하면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lim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2]
     

(1)    

    ≤   
이다.

   
  
≤≤

함수 는 경계점을 제외한 각 구간 안에서 미분가능하므로 경계점에서 좌우미분계수를 조사한다.
(ⅰ)   의 경우

       
 
우미분계수는 lim   lim   ∞이므로 제시문 4에 의해 미분가능하지 않다.
 →   →  

(ⅱ)   의 경우

    
  
좌미분계수는 lim   lim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우미분계수는 lim   lim    이므로 값이 일치하지 않아 제시문 4에 의해 미분가능하
 →    →   
    
 

지 않다.
(ⅲ)   의 경우

      
 
좌미분계수는 lim   lim   ∞이므로 제시문 4에 의해 미분가능하지 않다.


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70 ▹


따라서 (ⅰ), (ⅱ), (ⅲ)으로부터   , ,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2)     과   의 교점 개수가 개가 되기 위해서는 직선이 다음 두 가지 경우의 사이에 있어야 한다.
(ⅰ) 직선     가   를 지나는 경우
대입하면   이다.
(ⅱ) 직선     가   
   와 접하는 경우

를 소거한 식         이 중근을 가져야하므로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ⅰ), (ⅱ)로부터     이다.

  
(3)   라고 하면         ⋯①이다.

이것은 기울기 에 관계없이 점      를 지나는 직선이다.
점     을 지나면서  가 위치하는 영역과 만날 수 있는 직선은 점  
  을 지나는 경우를 포함하고 점  을
지나는 경우를 제외한 그 사이에 위치한다.
(ⅰ) 직선 ①이 점   
  을 지나는 경우,
①에 대입하면   이다.
(ⅱ) 직선 ①이 점  을 지날 수는 없으므로 그 점에 가까워지는 경우
직선 ①의 절편이 로 가까워질수록 기울기 는 한없이 커진다.
  

따라서 (ⅰ), (ⅱ)로부터  ≤  이다.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71 ▹


2020학년도 수시기출 오전
[문제 1]

출제의도
[1] 삼각함수를 사용한 삼각형의 넓이 공식을 이해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넓이 방정식을 구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판단한다.
[2]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수열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일반항을 구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판단
한다.
[3] 정사각형의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 지수법칙을 이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판단한
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 I, 수학 II : 삼각형의 넓이, 수열, 지수법칙

문항해설
삼각형, 수열, 정사각형, 지수법칙, 로그 등의 개념은 자연과학을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수학적 개념이다. 이러한 개념들을 이해하면 다음과 같은 간단한 과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라고 할 수 있다.
[1] 삼각형의 넓이 공식을 이용하여 넓이를 에 관한 함수로 표현하고 산술평균과 기하평균 사이의 절대부등식을 활용하여 해
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1)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자연수의 순서쌍의 개수를 차례로 구하는 문항이다.
(2) 조건을 만족하는 자연수의 순서쌍들의 규칙을 도출함으로써 개수의 일반항을 구하는 문항이다.
(3) (2)에서 구한 일반항을 일차함수와 로그를 통해 변형하고 변형된 일반항의 합을 구하는 문항이다.
[3] (1) 정사각형의 마주보는 대변이 서로 평행하고 길이가 같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관계식을 도출하고 지수법칙을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정사각형의 이웃하는 두 변이 서로 수직인 것과 서로 수직인 두 직선의 기울기를 곱하면  이 됨을 활용하여 해결
할 수 있는 문항이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 
삼각형의 넓이         를 구했으면
   3

   


  

[1] 부등식  ≥  과 넓이의 최솟값  을 구했으면 4
 

조건    과    를 구했으면 3

첫째항   을 구했으면 2
(1) 둘째항   를 구했으면 2
셋째항   을 구했으면 2
가 홀수임을 유도했으면 2

 
[2] 
 까지의 홀수임을 또는 는  ≤  ≤  인 자연수임을 유도했으면 4
(2) 는 부터  
  
일반항    을 구했으면 2

(2) log       을 구했으면 4

2022 광운대학교 FINAL ◃ 72 ▹




 log 

      4

      와       을 유도했으면 2


(1)     를 구했으면 4
정사각형 ABCD 의 한 변의 길이    를 구했으면 2

직선 CD 의 기울기  를 구했으면 2
[3] 
  
     를 유도했으면 2
(2) 
  를 구했으면
  3

  log     log를 구했으면 3


예시답안
[1]
삼각형의 넓이 공식(제시문 1)으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이때    이므로 제시문 2 로부터    ≥   ⋅   
  
 가 성립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넓이의 최솟값은  이다.


이때  의 값은 제시문 2 로부터    을 만족한다.    이고,    이므로   
 이다.

[2]-(1)
     에서    일 때,    이므로    
     에서       일 때,       이므로    
     에서      ⋯  일 때,     ⋯  이므로    이다.

[2]-(2)
 이 홀수이고  가 짝수이므로      에서  는 홀수이다.
     
그러므로  는  부터    까지의 홀수이다.    이고  ≤  ≤  의 자연수이다.
 
     
따라서 자연수  의 개수는  이므로    이다.
 

[2]-(3)
log      에 일반항  을 대입하면


  

log       log      log       

따라서 구하고자 하는 값은
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A      B      C     D     에 대하여 
BA  
CD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73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
       - - - - - ②
지수법칙을 사용하여 식 ②를 인수분해하면
             
식 ①에서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이다. 즉,      이다.
위 결과를 이용하여 정사각형 ABCD 의 한 변의 길이  BC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제시문 3)
 
B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    
직선 BC 의 기울기는     이다.


그리고 직선 BC 와 직선 CD 는 서로 수직이므로 직선 CD 의 기울기는  이다. (제시문 4를 이용) 따라서


     - - - - ③

한편 
BC  
CD 이므로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이므로      이다. 따라서      이다.
식 ③에     를 대입하면           이다.
 
이 식으로부터    이므로 양변에  를 밑으로 하는 로그를 취하면   log      log   이다.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74 ▹


[문제 2]

출제의도
[1] (1) 함수 log  에 대한 이해와 적분 계산 능력을 평가한다.
(2) 다항함수의 모든 계수를 구하는 계산 능력을 평가한다.
(3) 함수 그래프의 개형에 대한 이해력 및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2] (1) 접선의 방정식에 대한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2) 미분과 적분의 관계식의 활용능력을 평가한다.
[3] (1) 축 대칭인 함수의 성질의 활용능력을 평가한다.
(2) 부분적분법의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 I, 수학 II, 미적분 I, 미적분 II : 다항식, 이차곡선, 함수, 미분, 적분

문항해설
[1] (1) log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적분 구간을 나누어서 함수 log  에 대한 적분을 수행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2) 다항함수의 모든 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1]의 (1)의 결과를 할용하고 미지수 자리에 1을 대입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3) 미분을 활용하여 함수의 증가와 감소를 확인하고, 이로부터 두 그래프의 개형 및 위치 관계를 이해하면 교점의 개수를 확정할 수 있
다.
[2] (1) 미분과 적분과의 관계를 활용하여 기울기에 관한 관계식을 얻어 접선의 방정식을 완성할 수 있다.
(2) 미분과 적분과의 관계를 활용하여 얻은 관계식에 부분적분법을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3] (1) 축 대칭인 함수의 성질과 치환적분을 잘 이해하고 이를 적절하게 수행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2) 제시된 적분 문제에 [2]의 (1)의 결과를 적용하여 얻어지는, 간소화된 적분을 부분적분법을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구간을 나누어 log 의 값을 구했으면 3
(1)
나눈 구간으로 적분을 계산하여 을 구했으면 3
다항함수   을 구했으면 4
(2)
[1]      ⋅  ⋅  을 구했으면 2
  에서 함수   가 감소함을 보였으면 3

(3)  에서 함수 는 증가함을 보였으면


 3

       ,       임을 보였으면 2

 
조건식을 미분하여 ′     을 구했으면 2
 

(1) 접선의 기울기   을 구했으면 1

   
접선의 방정식               을 구했으면 1
  
[2]   


′  
  으로 표현했으면

2
   
  
  ,          을 구했으면
  
(2)     ′     
     
5




    또는  ±  
   을 구했으면

1

2022 광운대학교 FINAL ◃ 7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1)
 
                을 보였으면

3

 ′     ′   로부터          을 얻으면 3
 
[3]  
             을 구했으면

2

     sin    sin       임을 보였으면 3


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보였으면 3
(2)             

  sin     cos    sin  임을 보였으면

2

예시답안
[1]-(1)
   ≤   
 
 log    
 ≤   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1)의 풀이에서  log   에 대한 설명을 이용하면  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모든 항의 계수의 합은       ⋅  ⋅   이다.

[1]-(3)

   는 연속함수이다.    에서     이므로  ′      log    


  이다.

따라서 제시문 1 에 의하여    에서 함수    는 감소한다.



그리고        log      ⋅  ⋅   ,     이다.



     라 하자.    는 연속함수이다.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제시문 1에 의해 함수 는 증가한다.


그리고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오작 하나의 교점을 가지므로 교점의 개수는 한 개다.

(별해)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라 하자.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log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는 감소한다.

그리고             이다.
   의 감소성과 사이값 정리에 의하여      은    에서 유일한 해를 가진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76 ▹


따라서    와    는 오직 하나의 교점을 가지므로 교점의 개수는 한 개다.

[2]-(1)
 
조건식을 미분하면 ′       이다.
   
 


 
 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     이다.

⋅ 
 


  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이다.
  

[2]-(2)

제시문 2에 의해   ′      - - - - - ①

조건식으로부터      이고 ①식의 좌변을 제시문 3에 의해 부분적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이다.

 
한편 ①식의 우변을 적분하면        



이다.

       
따라서 ①식의 양변의 적분 결과가 같으므로       . 그러므로       이다.
     


 
 
따라서 이차곡선의 방정식은      (또는  ±    ) 이다.
 

(별해)
  
조건식을 미분하면 ′     . 즉, ′    이다.
  

이것을    ′  ′    로 고쳐서 양변을 적분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을 조건식과 위 식에 대입하면   이므로    이다.



 
따라서 곡선의 방정식은      (또는  ±    ) 이다.
  

[3]-(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위 식의 우변 중  
       에 대하여 구간     에서의 적분을     로 치환하면     이고,

구간   에서의 적분으로 바뀐다. (제시문 4) 조건 (가)를 이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2022 광운대학교 FINAL ◃ 7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조건 (나)에서  ′     ′   을 부정적분하면            이다. (  는 상수)
또한 조건 (나)의      로부터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 
이것을 적용하면  
             이다.

(별해)

조건 (나)에서   이므로     ′    이다.

위 식의 적분을   로 변수변환하면   이고, 구간   에서의 적분으로 바뀐다.


   
또한  ′  가 우함수임을 이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는 기함수이다.

 

가 우함수이고   ′  는 기함수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3]-(2)
 
  sin 
 
   
   
  sin  


  
 이다. 

위 식의 우변의 적분에서      sin        라 하자.
  
     sin    sin       이므로 함수    는 조건 (가)를 만족시킨다.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이므로 함수    는 조건 (나)를 만족시킨다.

    
     
(1)의 결과와 제시문 4를 적용하면
   
  sin 
 
   
   
  sin  

       sin       cos  


   cos  

  cos    sin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78 ▹


2020학년도 수시기출 오후
[문제 1]

출제의도
[1] (1) 다항식을 구성하는 각 항들의 계수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 및 계산력을 평가한다.
(2) 다항식의 나눗셈정리를 이해하고 다항식간의 계산력을 평가한다.
[2] (1) 유한집합과 무한집합에 대한 명제의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과 이를 증명할 수 있는 논리력을 평가한다.
(2) 주어진 집합의 원소를 구체적으로 구하는 계산력과 이 집합이 무한집합임을 증명하기 위해서 주어진 명제를 활용할
수 있는 응용력 및 논리력을 평가한다.
[3] (1) 합성함수의 이해력 및 계산능력과 역함수의 존재성을 증명할 수 있는 논리력을 평가한다.
(2) 두 집합 사이에 일대일대응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능력과 이를 증명할 수 있는 논리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 I, 수학 II : 다항식, 유한집합, 무한집합, 일대일함수, 일대일대응, 함성함수

문항해설
다항식, 집합, 일대일함수, 일대일대응, 합성함수 등의 개념은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
는 가장 기본적인 수학적 개념이다. 이러한 개념들을 이해하고 기본적인 논리력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과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간단한 문항이라고 할 수 있다.
[1] (1) 다항식을 구성하는 각 항들의 계수간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답을 유도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다항식의 나눗셈정리를 이해함으로써 답을 유도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1) 유한집합과 무한집합의 개념을 이해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주어진 집합의 원소를 구체적으로 구하고 문항 [2]의 (1)을 활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3] (1) 합성함수와 일대일대응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간단한 문항이다.
(2) 귀류법과 일대일대응이기 위한 조건을 이해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 ,    을 구했으면 2
   ,    을 구했으면 2
(1)




     을 구했으면

4

       인 다항식  가 존재함을 언급했으면 2


[1]
   을 구했으면 2
  
(2)    

  
 
    
 
  

 를 구했으면 2

     을 구했으면 2


  을 구했으면 2
ℝ이 무한집합임을 설명했으면 2
ℝ   가 유한집합이라 가정했으면 2
(1)
ℝ  ∪ℝ   이고  가 유한집합이므로 ℝ은 유한집합임을 유도함으로써 모순을 이끌어
[2] 2
냈으면
 ∩ℤ  을 구했으면 2
(2)
(1)의 결과에 의하여 ℝ   ∩ℤ 는 무한집합임을 이끌어 냈으면 2

2022 광운대학교 FINAL ◃ 79 ▹


 ℝ  ∪ ℝ ℤ  ℝ   ∩ℤ임을 설명했으면 2
 ℝ  ∪ ℝ ℤ 가 무한집합임을 언급했으면 2
  을 구했으면 2
  을 구했으면 2
(1) 
     이므로 는 일대일대응이고 의 역함수  가 존재함을 보였으면 3
[3]      를 구했으면 3
 에서 ℤ 로의 일대일 대응    → ℤ 가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    ℤ를 언급했으면 3
(2)     을 구했으면 2
   는 유한집합이고 ℤ 는 무한집합이므로 모순을 유도했으면 3

예시답안
[1]-(1)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 
한편,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이다.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   

그런데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1]-(2)
다항식    가      로 나누어떨어지므로            인 다항식  가 존재한다.
       을 만족하는 한 허근을  라 하면        이고      이다.
한편,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가정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이므로     이고  ≠  이므로    이다.

[2]-(1)
제시문 3 으로부터 ℕ    ⋯  은 무한집합이고 ℕ⊂ℝ 이므로 ℝ은 무한집합이다.
만일 ℝ  가 유한집합이라 가정하면 ℝ  ∪ℝ   이고  가 유한집합이므로 ℝ은 유한집합이다.
그런데 이것은 ℝ이 무한집합이라는 사실에 모순이다. 따라서 ℝ  는 무한집합이다.
[2]-(2)
       ≤  ≤   는 실수∩     ≤  는 실수     ≤  ≤   는 실수  이다.
따라서  ∩ℤ   이다.
그러므로  ∩ℤ 는 유한집합이고 (1)의 결과에 의하여 ℝ   ∩ℤ 는 무한집합이다.
그런데  ℝ  ∪ ℝ ℤ  ℝ   ∩ℤ 이므로  ℝ  ∪ ℝ ℤ 는 무한집합이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80 ▹


[3]-(1)
모든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다.
그런데  가 일대일함수이므로          이다.
또한  가 일대일함수이므로      이고      이므로  는 일대일 대응이고  의 역함수   가 존재한다.
모든 ∈ 에 대하여      이므로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이다.

[3]-(2)
집합  에서 ℤ 로의 일대일 대응    → ℤ 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    ℤ 이다.
그런데      이므로    는 유한집합이고 ℤ 는 무한집합이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   ≠ℤ 이므로  는 일대일 대응이 아니다.
즉,  에서 ℤ로의 일대일 대응인 함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81 ▹


[문제 2]

출제의도
[1] (1) 삼각함수의 합과 몫의 미분에 대한 이해력과 도함수를 활용한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2) 이계도함수의 계산능력과 삼각함수의 부호 및 변곡점에 대한 이해력과 논리력을 평가한다.
(3) 함수에 대한 평균값 정리와 합성함수의 미분가능성에 대한 이해력과 삼각함수의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2] (1) 정적분을 이용한 도형의 넓이의 계산능력과 로그함수의 미분과 정적분에 대한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2) 합성함수의 미분과 부분적분법을 이용한 정적분에 대한 이해력과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3) 정적분을 이용한 입체도형의 부피의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3]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관계 및 함수의 몫의 미분에 대한 이해력과 지수함수의 미분의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미적분 I, 미적분 II : 도함수, 이계도함수, 삼각함수, 로그함수, 지수함수, 합성함수, 부정적분, 정적분, 부분적분

문항해설
함수의 도함수와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삼각함수, 정적분 등은 모든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 수학적 개념이다. 도함수, 함수
의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평균값 정리, 함수의 증가와 감소, 이계도함수, 변곡점, 부정적분과 정적분 등의 개념을 이해하고 함수
의 여러 가지 미분법과 적분법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항들이다.
[1] (1) 삼각함수의 도함수를 활용하여 함수의 증가와 감소를 조사함으로써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계산할 수 있는 문항
이다.
(2) 삼각함수의 이계도함수의 부호로 변곡점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는 문항이다.
(3) 함수에 대한 평균값 정리를 적용하여 삼각함수의 합성함수의 값을 계산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1) 정적분을 이용하여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부분적분법을 이용하여 로그함수와 함수   의 합성함수의 정적분을 계산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3) 정적분을 이용하여 입체도형의 부피를 구할 수 있는 문항이다.
[3]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관계를 이해하고 정적분과 지수함수의 미분을 계산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   sin   의 해   , ± , ± 를 구했으면 2
(1) 함숫값을 비교해서 최대, 최소가 되는 점을 찾았으면 4
최댓값 , 최솟값  를 구했으면 2
″   sin   cos 를 구했으면 1

[1] (2)      에서 ″    임을 보였으면 3

변곡점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했으면 2
  ,   를 구했으면 2
(3) 평균값 정리를 올바르게 적용했으면 3
 ′   을 만족하는 가  에 존재한다는 것을 보였으면 2

(1)
도형의 넓이     ln  임을 설명했으면

2

  을 구했으면 3

[2]  ln  임을 설명했으면
  

 
2

(2)
부분적분법으로  ln  를 구했으면
 
3

       를 구했으면 2

2022 광운대학교 FINAL ◃ 82 ▹


ln 

단면의 넓이       을 구했으면
    2

(3) 정적분  ln  를 구했으면


3


부피      를 구했으면 3

 
  ′  임을 설명했으면



3
[3] 
    
을 구했으면 4

   을 구했으면 2

예시답안
[1]-(1)
함수    는    에서 미분가능하며 ′     sin  이다.
따라서 ′     의 해는    ±   ±  이다.
제시문 1 에 의하여 구간       에서 함수   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의 표로부터    는     일 때 최대이고 최댓값은      일 때 최소이고 최솟값은   이다.

[1]-(2)

   의 이계도함수는 ″    sin    cos  이고,      일 때 sin    cos    이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항상 ″     이므로 제시문 2 에 의하여 변곡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1]-(3)
함수    는 미분가능하므로 제시문 3 에 의하여 함수    는 미분가능하다.
   는 구간     에서 연속이고 구간     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제시문 4)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을 만족하는 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그런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을 만족하는  가 구간   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따라서  ′     을 만족하는  가 구간   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2]-(1)
 
제시문 5의 부분적분법에 의하여     ln      ln             





 

[2]-(2)
제시문 5의 부분적분법으로 적분을 계산하면
 
     ln 

  
    ln            ln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83 ▹




   ln             ln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이다.

[2]-(3)

 ln 
입체도형의 단면의 넓이를    라고 하면 단면은 지름이 ln  인 반원이므로       
    이다.
제시문 6에 의하여 입체도형의 부피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ln 
 
 
    

(1)과 (2)에서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따라서 입체의 부피는        이다.

[3]
조건 (가)에서      ′     이다.
 
이 식의 양변을 적분하면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위 식의 좌변은           이므로 조건 (나)에서                 이다.



이 식을 정리하면       이다.
조건 (가)로부터          ′      ′    이다.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84 ▹


2020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출제의도
[1] 일차부등식을 이해하고 해의 존재성을 판단하는 능력과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하는 계산력을 평가한다.
[2]
(1) 집합의 원소의 개수에 대한 명제의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과 이를 증명할 수 있는 논리력을 평가한다.
(2) 주어진 집합의 원소를 구체적으로 구하는 계산력과 이 집합이 무한집합임을 증명하기 위해서 주어진 명제를 활용할 수 있는
응용력 및 논리력을 평가한다.
[3]
(1) 역함수가 일대일함수가 됨을 증명할 수 있는 논리력을 평가한다.
(2) 합성함수의 이해력 및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3) 주어진 명제의 대우를 구체적으로 구하는 이해력 및 대우명제가 참임으로 증명하는 논리력을 평가한다.

문항해설
일차부등식, 집합, 명제 및 일대일대응, 역합수 및 합성함수 등의 개념은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수학적 개념이다. 이러한 개념들을 이해하고 기본적인 논리력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과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간단한 문항이라고 할 수 있다.

[1] 주어진 부등식의 해를 구하는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답을 유도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1) 주어진 명제의 가정과 결론을 이해하면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집합에 속하는 원소를 구체적으로 구하고 주어진 명제에 응용함로써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문항이다.
[3]
(1) 역함수의 개념과 일대일 함수를 이해함으로써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합성함수의 개념과 일대일대응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3) 주어진 명제의 대우를 구할 수 있으면 함수와 역함수의 이해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 임을 구했으면 4
    을 구했으면 2
[1]
  ≤  ≤ 를 구했으면 3
의 최솟값 , 의 최댓값 을 구했으면(각각 2점씩) 4
 를 유한집합이라 가정하고  에 속하는 원소 중에 가장 큰 원소가 존재함을 설명하였으면 2
[2] (1)  에 속하는 원소 중에 가장 큰 원소를 라 놓고   ∈ 을 설명하였으면 2
    이므로 가  에 속하는 원소 중에 가장 큰 원소라는 것에 모순임을 보였으면 2
 가 무한집합임을 언급하였으면 3
[2] (2) ∈ 이면   임을 보였으면 (또는,         단, 는 실수 임을 보였으면) 3
  이면     이므로   ∈ 임을 설명하였으면 3
         라고 가정하였으면 3
 
[3] (1)      를 구했으면 2
 ∘    는 항등함수이므로   임을 설명하였으면 2

[3] (2)   를 구했으면 3

2022 광운대학교 FINAL ◃ 85 ▹


  를 구했으면 2
주어진 명제가 참임을 언급하였으면 2
모든 ∈ 에 대하여   ∘     가 성립한다고 가정하였으면 3
[3] (3) 
   임을 보였으면 2
모든 ∈ 에 대하여 ∘   임을 보이고 대우가 참임을 설명하였으면 3

예시답안
[1]
부등식을 정리하면    ≥     이다. 그런데   이면       이고
    
 ≤  이므로 부등식은 모든 실수 에 대해서 성립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 ≥ 이고     이다.
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 이다. 즉,  ≥ 이고   ≤  ≤ 이므로  ≤  ≤ 이다.
그러므로 의 최솟값은 이고 의 최댓값은 이다.

보충 supplement)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연립하여 풀면  ≤  ≤ 이다. 따라서 의 최솟값은 0, 최댓값은 7이다.

[2] (1)
 가 유한집합이라 가정하면  에 속하는 원소 중에 가장 큰 원소가 존재한다. 이를 라 놓으면 주어진 조건에 따라서
  ∈ 이다.
그런데     이므로 가  에 속하는 원소 중에 가장 큰 원소라는 것에 모순이 된다. 따라서  는 무한집합이다.

보충 supplement)
∈ 이면   ,   ,   , ⋯ 는 모두 서로 다른  의 원소이므로 집합  는 무한집합이다.

[2] (2)
∈ 이면     이고   이다. 따라서 ∈ 이면   이므로         단, 는 실수 이다.
그런데   이면     이므로 조건 “∈ 이면   ∈ 이다”를 만족시킨다. 그러므로 (1)에 의해서  는 무한집합이다.

보충 supplement)
∈ 이면      이다. 또한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이다. 즉   ∈ 이다.
(1)에 의하여 집합  는 무한집합이다.

[3] (1)
         라고 가정하면          이고 ∘    는 항등함수이므로   이다. 따라서    는 일대일함수
이다.

보충 supplement)
는  에서 일대일 대응이므로, 역함수   가 존재하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집합  의 서로 다른  ,  에 대하여     ,     를 만족시키는
집합  의 서로 다른  ,  가 존재한다. 따라서 함수   도 일대일함수이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86 ▹


[3] (2)
∘    ∘ 이므로   이다. 그런데 는 일대일함수이므로   이다.
그런데    이므로    이고   이다.

보충 supplement)
와 는 모두 일대일함수이므로     에서   이다.

[3] (3)
모든 ∈ 에 대하여   ∘     가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  ∘     이다.
그런데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이다.
따라서       이므로 모든 ∈ 에 대하여 ∘   이다.
즉, 주어진 명제의 대우는 참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보충 supplement)
참이다. 대우는 모든 ∈ 에 대하여   ∘     이면, 모든 ∈ 에 대하여 ∘   이다.
증명하면 ; 임의의 ∈ 에 대하여    를 만족하는 가  에 존재한다.
여기서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가정       에서      이다. 즉,   이다. 그러므로     이다.
따라서 대우가 성립한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87 ▹


[문제 2]

출제의도
[1]
(1)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의 구성 능력 및 함수의 극한값의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2) 적분과 미분의 관계에 대한 이해력 및 도함수 유도능력을 평가한다.
(3) 기하학적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는 수식의 도출 능력 및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4) 구간에 따라 나누어진 함수의 전체 모습의 이해능력과 최솟값의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2]
(1) 주어진 조건의 이해 능력 및 활용 능력을 평가한다.
(2)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에 대한 정적분의 구성 능력과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문항해설
미적분학은 모든 공학과 자연과학의 기초를 이루는 이론으로서 그 뛰어난 유용성으로 많은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가장 기본적
인 수학적 개념 체계들 중 하나이다. 다항식은 가장 기본적인 함수의 형태이며 많은 응용성으로 인해 반드시 이해되어야할 수학
적 대상이다. 문항들은 이러한 개념들을 이해하고 제시문을 활용한다면 다음과 같은 간단한 과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1]
(1) 정적분으로 나타낸 함수를 구간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극한을 계산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적분과 미분과의 관계를 활용하여 함수의 도함수 결정을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3) 구간을 이용하여 함수를 구성하고 기하학적 요구를 수식으로 표현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4) 구간에 의해 나누어진 함수의 전체 모습을 구성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1) 삼차함수에 조건들을 적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삼차함수와 이차함수의 그래프 위치 관계와 정적분를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 일 때,     을 구했으면 4
[1] (1)
극한값  를 구했으면 2
 
                를 표현했으면
  
2
  
                를 표현했으면 2
[1]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표현했으면 2
    

        를 구했으면 3



 ≤  ≤ 일 때,       을 구했으면 4
곡선 위의 점 중에서 직선  와 최단거리에 있는 점  을 구했으면 4
[1] (3)
 과 직선  사이의 거리를 구했으면 2
삼각형  의 넓이의 최솟값을 구했으면 2
 ≤ 일 때,     를 구했으면 4

[1] (4) 가  ≤  ≤ 에서 최솟값을 가지는 이유를 설명했으면 3


 
는    에서 최솟값이  임을 보이면 3
 

 
조건 (ⅰ)과 (ⅱ)를 이용하여           를 구했으면

2
[2] (1) 계수를 비교하여   ,   ,   를 구했으면 2

     을 구했으면 2

2022 광운대학교 FINAL ◃ 88 ▹


조건 (ⅲ)을 이용하여      을 구했으면 2
[2] (2)   ≤  ≤ 에서  ′  ≥ 를 설명했으면 2

 
       를 표현했으면 1


 을 구했으면 2

예시답안
[1] (1)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sin      sin  


따라서 lim 
→ 
 lim   lim       이다.
  → →
 sin

보충 supplement)
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sin


lim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sin

[1] (2)
제시문 1과 3을 이용하면 임의의 실수 에 대해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보충 supplemen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3)
 ≤  ≤ 이면    ≤  ≤ 가 성립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삼각형  에서 선분  를 밑변으로 정하자. 그리고 곡선    위의 점  중에서   의 접선의 기울기가 직선
 의 기울기인 와 같게 되는 점을  라고 하자. ′       이므로 점  의 좌표는  이다.점  는 곡선 위의
점  중에서 직선  와 최단거리에 있는 점이므로 삼각형  는 삼각형  의 넓이를 최소로 하는 삼각형이다.제시문 4
 ×      
를 이용하여 점  와 직선  사이의 거리 를 구하면, 직선  의 방정식은     이므로     이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89 ▹


다.
 
그리고 선분  의 길이는 
 이다. 따라서 삼각형  의 넓이의 최솟값인 삼각형  의 넓이는  × 
×   이
 
다.

보충 supplement)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직선  의 기울기는 2이므로  ′   인 점  일 때


삼각형의 넓이는 최솟값을 갖는다. 따라서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이고 최소 넓이는 3이다.

[1] (4)
(a)  ≤ 일 때, (1)에서와 같이     이다.
  
(b)  ≤    즉,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c)    ≤  ≤  즉,  ≤  ≤ 일 때, (3)에서와 같이            
   


이다.


실수 전체에서 연속인 함수 는  ≤ 에서 감소이고,  ≤  ≤ 에서  ≥  이며,  ≤ 에서는 증가이다. 따라서 모


든 실수 에 대하여  ≥  이다.

보충 supplement)

 
         
    이므로 는    일 때 최솟값  을 갖는다.

따라서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이다.

[2] (1)
조건 (ⅰ)을 이용하여         라 하자.

 
′       와 조건 (ⅱ)를 이용하면           를 얻는다.

를 전개하여 계수를 비교하면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이다.
조건 (ⅲ)을 이용하면   이므로       이다.

보충 supplemen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90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

[2] (2)
두 곡선         과    ′      의 교점의 좌표는  과 이다.
  ≤  ≤ 에서  ′  ≥ 이므로 두 곡선   와 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보충 supplemen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91 ▹


2019학년도 수시기출 오전
[문제 1]

출제의도
[1] 좌표평면에서 이차함수의 적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넓이와 중점 등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능력을 판단한다.
[2] 좌표평면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고, 벡터의 정의와 기본적인 연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벡터 방정식으로 주어진
움직이는 점이 그리는 선분의 길이를 구하는 능력을 판단한다.
[3] 공간에서 두 면이 이등변삼각형으로 주어지고 나머지 변의 길이를 변수로 갖는 사면체의 부피를 구하고 사면체를 이룰 수
있는 변수의 범위와 부피의 최댓값을 구하는 능력을 판단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I, 미적분I, 기하와 벡터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   을 구했으면 3
      ,   를 구했으면 2
(1)
      을 구했으면 2
[1]         을 구했으면 2
  
      ,         을 구했으면 3
(2) 
      을 구했으면 3
(1) (선분  의 길이)   를 구했으면 3

선분  를       로 내분하는 점을  라 할 때 
  
가 성립함을 보였으면 3

[2]
(2) 선분  를   로 내분하는 점을  ′ , 선분  를   로 내분하는 점을  ′ 일 때, 점  가 3
그리는 선분은 선분  ′  ′ 임을 설명했으면
(점  가 그리는 선분의 길이)   를 구했으면 3

 의 중점을  이라 할 때    , 
  를 구했으면 3

사면체  의 부피가  ×  × ∆의 넓이임을 설명하였으면 4

(1) 
     

∆ 의 넓이  를 구했으면 4

[3]
  
     
4
   를 구했으면

    를 구했으면 4
(2) 
 의 최댓값  를 구했으면 4

예시답안
[1]-(1)
직선 의 방정식을     라 하고 포물선의 방정식과 연립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92 ▹


두 점  ,  의 좌표가  ,     라 하면 제시문 2. 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근의 계수의 관계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위에서 얻은 식들을 연립하여 계산하면  ,  와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따라서 직선 의 방정식은          이다.

보충 supplement)
직선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1)에서 얻은 식들로부터 중점  의 좌표  과  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를 위의 두 번째 식에 대입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도형의 방정식은        이다.

보충 supplemen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선분  의 길이는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선분  의 길이)  
         
  

보충 supplement)
  
       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93 ▹


[2]-(2)
선분  를     로 내분하는 점을  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이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따라서, 세 점  ,  ,  는 동일 직선 위에 있다. 또한 점  는 선분  를   로 내분하는 점임을 알 수 있다. 가
 ≤  ≤  이므로  는 선분  에서 움직이는 점이다. 그러므로 선분  를   로 내분하는 점을  ′ , 선분  를   로
내분하는 점을  ′ 라 하면 점  가 그리는 선분은 선분  ′  ′ 이다. 한편 ∆ ′  ′ 과 ∆ 의 닯음비로부터 다음을 얻는
다.

 ′ ′ 
 

 
따라서 선분  ′  ′ 의 길이, 즉 점  가 그리는 선분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점  가 그리는 선분의 길이)  
 ×   

보충 supplement)
선분  를       로 내분하는 점을 Q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는 선분  이므로,  는       ,      
    
을 양 끝으로 하는 선분 위의 점이다.

따라서 구하는 선분의 길이는  
  
 이다.

[3]-(1)
∆ 와 ∆ 는 이등변 삼각형이다. 그러므로  의 중점을  이라 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이로부터 ∆ 을 포함하는 평면은 변  에 수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사면체  의 부피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사면체  의 부피)   ×  ×(∆ 의 넓이) - - - - - ①

∆ 에서 꼭지점  에서 변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라 하자. 는 선분  의 길이, 
  라 하면 
     (또는
  )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연립 방정식을 풀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의 넓이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이제 식 ①을 이용하면 부피  는 다음과 같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94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충 supplement)
삼각형  ,  는 각각 이등변삼각형이다.
 의 중점을 그림과 같이  이라고 하면, 
  , 
  이고

 는 삼각형  에 수직이고, 삼각형  은 사면체  를 이등분한다.
 
따라서 부피는    ∆  인데,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 가 값을 가지려면 근호 안의 값이 양수이어야 하므로 다음 부등식을 얻는다.
            
이로부터  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    
한편 근호 안의 식은        이므로  의 최댓값은 다음과 같다.
 
 
 

보충 supplement)
삼각형  에서     이므로,     이다.

           에서   일 때, 부피  는 최댓값  이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95 ▹


[문제 2]

출제의도
[1] 치환적분법과 부분적분법을 활용한 정적분의 계산 능력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차함수가 최솟값을 가지는 조건을 이해
하는지를 평가한다.
[2]
(1) 조건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정적분의 계산을 통해 함수를 결정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2) 지수함수와 다항함수에 대한 합성함수의 표현 능력과 유도한 함수의 극한값 계산 능력을 평가한다.
[3]
(1) 합성함수의 값이 주어졌을 때, 함수를 활용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를 구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2) 미분을 이용한 함수의 증가, 감소 관계를 이해하고, 극대극소를 판정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3) 주어진 함수와 부등식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과 이를 통해 최솟값을 구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미적분I, 미적분II, 수학II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를 에 대한 이차함수로 표현 가능 여부 3
1차항의 계수에 나타난 정적분을 치환적분법으로 계산 가능 여부 3
[1]
2차항의 계수에 나타난 정적분을 치환적분법으로 계산 가능 여부 4
이차함수가 최솟값을 가지는 의 도출 가능 여부 2
조건 ( i )에 따라 다하함수의 정적분 계산 가능 여부 4
(1) 항등식 성질을 사용하여 미지수들의 조건 도출 가능 여부 2
앞 단계와 조건 ( ii )을 이용하여 이차함수 결정 가능 여부 3
[2]
합성함수의 극한값 계산 가능 여부 4
(2) 
 
로피탈 정리를 사용하거나 lim   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2
→ 
  라 두고 값의 계산 가능 여부 3
(1)
  로부터 값의 도출 가능 여부 2
 ′  의 도출 가능 여부 3
(2)
  의 좌우에서  ′  의 부호 확인하여 극소라는 결론 도출 가능 여부 4
  을 대입하여    를 보일 수 있는지 여부 3
[3]   
  이면 의 임의의 실수이고,  ≠ 이면  ≤ 을 보일 수 있는지 여부 4
  
 
(3)                  
 
라고 하여  ′     
  으로
          3
가 증가함을 보일 수 있는지 여부
lim   을 보임으로서  ≥  로 결론 도출 가능 여부 3
→∞

예시답안
[1]

      ln          ln     이다.     ln 


 ln   
 
 
    

ln   
2차항의 계수를 미분하면 

     
 
이다 .(ln   로 치환)

2022 광운대학교 FINAL ◃ 96 ▹


1차항의 계수를 계산하면
 
   ln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가 최솟값을 가지는 는  이다.

보충 supplement)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ln     ln   ln       
   

 
   ln    ln 




 

  >0 이므로    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   
    ln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조건 ( i )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  ,      이다.


이로부터      이다. 이것을 조건 ( ii )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고,      이다.
 

보충 supplement)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  ,   , 즉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9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           
lim   lim      lim   ⋅lim    이다.
→  →  → →

보충 supplement)
              
lim 

 lim   lim    ×   
 
→ → →

[3]-(1)
   라고 하자.
 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따라서    이다.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따라서    이다.
  

보충 supplement)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따라서    이므로   이다.

[3]-(2)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 ′    이다. 이로부터       이다.
   이면       이므로  ′    이다.
   이면       이므로  ′    이다.
따라서    에서 극소이다.

보충 supplemen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면    이다.
  이면    , 즉  ′   이고
  이면    , 즉  ′   이므로,   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3]-(3)

2022 광운대학교 FINAL ◃ 98 ▹


  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     ≤  이므로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면 는 임의의 실수이고, - - - - - ㉠
 

 ≠  이면  ≤  이다.
  
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는 증가한다.
      
lim   이므로  ≥  이다. - - - - - ㉡
→∞

㉠과 ㉡로부터 모든 실수 에 대해 주어진 식을 만족하는 의 최솟값은  이다.

보충 supplement)
부등식에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일 때 부등식은 
  
  
≤ 이다.

     
  
이라 하면  ′     이므로 는 증가함수이다.
      
그리고 lim  이므로    이다. 따라서 부등식을 모든 실수 에 대하여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의 최솟값은 이다.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99 ▹


2019학년도 수시기출 오후
[문제 1]

출제의도
[1]
(1) 구간별로 정의되는 함수의 합성함수에 대한 이해력을 평가한다.
(2) 구간별로 정의되는 함수의 합성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이해력과 제한된 영역의 면적을 구하는 계산력을
평가한다.
[2]
(1) 이차부등식의 해를 구하는 계산력을 평가한다.
(2) 함수의 극한값을 구하는 이해력 및 계산력을 평가한다.
[3]
(1) 나머지 정리와 인수정리에 대한 이해력을 평가한다.
(2) 명제의 이해력과 명제의 참, 거짓을 판정하는 논리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I, 수학II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  일 때 ∘         를 구했으면 2

  ≤    일 때  ∘          를 구했으면 3
(1) 
[1] 
    일 때 ∘         를 구했으면 2

  

(2) 영역의 넓이    ×  ×    를 구했으면
 
 
 
4

부등식         ≤         ≤       를 구했으면

2
       
 ≤  또는  ≥  를 구했으면 3
 
(1)
     를 구했으면 3
       
    ≤  또는  ≤   를 구했으면 2
 
          
lim   lim  를 구했으면 2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lim   를 구했으면 2
→     

[2]                  
  일 때 lim   이고, lim    이므로 lim  이
→      →      →     
  
2
존재하지 않음을 보였으면
(2)
     
    
 일 때 lim   를 구했으면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lim   이고, lim    이므로 lim  이
→      →      →     
   
2
존재하지 않음을 보였으면
      

    
 일 때 lim    를 구했으면 2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00 ▹


    ,     
 , 
    
 를 모두 구했으면 (구간 1개에 1점씩) 3

(1)
  

                 를 구했으면
 
2

나머지   를 구했으면 2

“참”이라는 답을 했으면 2
 에 속하는 모든 에 대하여     이라고 가정했으면 2
[3]              임을 구했으면
(  에 속하는 서로 다른 실수 , , , 에 대해서             임을 구했 2
(2) 으면)
  는 ,   ,   ,   으로 나누어떨어진다는 것을 설명했으면
2
(   는   ,   ,   ,   로 나누어떨어진다는 것을 설명했으면)
           인 다항식   가 존재한다는 것을 설명했으면
2
(               인 다항식   가 존재한다는 것을 설명했으면)

예시답안
[1]-(1)

( i )  ≥  이면     이고   ≥  이므로  ∘         이다.

( ii )   ≤    이면      ≥  이므로 ∘          이다.


( iii )     이면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보충 supplement)
 
 ≥  이면  ≥ 이고,    이면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 
주어진 영역은 윗변의 길이가  , 아랫변의 길이가  , 높이가 인 사다리꼴이다.
 

따라서 영역의 넓이는     ×  ×    이다.


보충 supplement)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01 ▹


오른쪽 그림과 같은   ∘ 의 그래프에서 구하는 영역은
 
사다리꼴이다.     에서    이고,     에서    이므로
 
  
   

구하는 넓이는         이다.
 

   ∘ 

[2]-(1)
    ≤     ≤    이다.
       이고,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이다.
  
   

부등식       ≤      로부터    ≥ 이고,    ≥  이므로  ≤  또는  ≥  이
 
다.
부등식      ≤      로부터    ≤  이고,      이므로       이다.
  
   

따라서 부등식의 해는     ≤  또는  ≤    이다.
 

보충 supplemen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2]-(2)
           
lim   lim  이다.
→      →     

     
( i )      이면 lim    이므로 lim    이다.
→     

→

( ii )    이면 lim    이고, lim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lim    이고, lim    이므로 lim  이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ii )     
 이면 lim    이므로 lim    이다.
→     

→

( iv )   
 이면 lim    이고, lim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lim   이고, lim    이므로 lim  이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     →   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02 ▹


      
( v ) 
    
 이면 lim    이므로 lim    이다.
→     
 
→

  
따라서 극한값 lim  가 존재하는 모든 의 범위는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보충 supplement)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이면 lim   이므로   
→

  이면 lim    , lim    이므로  은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 이면 
lim   이므로   
→

  
 이면 lim    , lim    이므로  은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    
 이면 lim   이므로   
→ 
따라서 구하는 의 범위는     ,     
 , 
    
 이다.

[3]-(1)
         인 다항식   가 존재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를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  이다.

보충 supplemen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참이다.
구간  에 속하는 모든 에 대하여    이라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  는 ,   ,   ,   으로 나누어떨어진다.
따라서             인 다항식   가 존재한다.
이는 다항식   가 삼차식이라는 가정에 모순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보충 supplement)
참이다. 귀류법으로 증명하자.
구간  에 속하는 모든 에 대하여    이라고 가정하면
            이므로   는 ,   ,   ,   으로 나누어떨어진다.
이때 몫을 다항식   라 하면,            이므로   는 차수는 사차이상이다.
이는   가 삼차식이라는 조건에 모순이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03 ▹


[문제 2]

출제의도
[1]
(1) 좌표공간에서 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문제이다.
(2) 좌표공간에서 삼각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문제이다.
(3) 간단한 수열의 합을 구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문제이다.
[2]
(1)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문제이다.
(2) 정적분을 활용하여 입체도형의 부피를 구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문제이다.
[3] 다항함수의 극대와 극소를 판정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문제이다.
[4] 도함수를 부등식에 활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I, 수학II, 미적분I, 미적분II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1) 근거를 제시하고  의 좌표 log 을 올바로 구한다. 2
삼각형의 넓이  을 올바로 구한다. 8
[1] (2)  을 올바로 구하지 못한 경우, 풀이 과정 안에서 부분점수를 부여할 수 있지만 최대 4점까지로 제한한
다.
(3) 제시된 수열의 합을 올바로 구한다. 3
(1) 도형  와  가 한 점에서 만남을 올바로 보인다. 2
입체도형의 부피를 올바로 구한다. 8
[2]
(2) 입체도형의 부피를 올바로 구하지 못한 경우, 풀이 과정 안에서 부분점수를 부여할 수 있지만 최대 4점까지로
제한한다.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해 를 구한다. 2
 ′  가 중근을 갖는 경우 는 극값을 갖지 않음을 논증한다. 4
[3]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해 가 양수일 수 없음을 논증한다. 4
의 범위를 올바로 구하고,   cos 에서 극댓값을,   sec에서 극솟값을 갖게 됨을 논리 정연하게
4
보인다.
  일 때 부등식이 성립함을 논리 정연하게 올바로 보인다. 6
  일 때 부등식이 만족하지 않음을 논리 정연하게 올바로 보인다. 8
  일 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는 데에 그림으로 설명하거나 논리가 부족한 경우 최대 2점을 부여한다.
[3]
  일 때 부등식이 만족하지 않음을 보이는 데에 그림으로 설명하거나 논리가 부족한 경우 최대 2점을 부여
한다.
두 경우를 합하여 부분 점수의 합은 최대 4점을 넘지 않는다.

예시답안
[1]-(1)
두 점  ,  은  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 의 좌표는 log 이다.

보충 supplement)
점  과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 log    이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04 ▹


[1]-(2)
세 점   ,    ,    에 대하여 삼각형  의 넓이  은 사각형    의 넓이에서 삼각형  ,
삼각형  , 삼각형   의 넓이를 뺀 것이다.
(사각형   의 넓이)  

(삼각형  의 넓이)  (삼각형  의 넓이)    log


(삼각형   의 넓이)     log 

  
따라서      log     log       log 
  

보충 supplement)
  log
원점  에서 직선       log에 이르는 거리는  ,
 

   
   log  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  

 
     log  log     log 
 

[1]-(3)
 
    
   log    

 





보충 supplement)
 

  log   이므로    log    

 



      

[2]-(1)
도형  의 방정식은       , 도형  의 방정식은       
를 소거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의 판별식        이므로           의 해는    뿐이다.

그러므로 도형  와 도형  는 한 점  에서만 만난다.

보충 supplement)
 :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를 소거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이므로   뿐이다.
따라서  와  는 한 점  에서만 만난다.

[2]-(2)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05 ▹



도형  는 함수      의 그래프이고, 이 함수의   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  이다. 닫힌구간  의 임의의 점 에서 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넓

이   는 한 변의 길이가      인 정삼각형의 넓이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구하는 입체의 부피 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충 supplement)

단면인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  의 두 근은 cos , sec 이다.
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cos  sec     . 따라서    .
 
만약  ′    이 중근을 가지면 (  인 경우로   cos   sec  )  ′       ≥  이다.
이 경우 는 증가하므로 는 극값을 갖지 않는다.
그러므로 방정식  ′   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           이므로    또는     이다. - - - - - ㉠

한편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   cos   sec
 
주어진 범위       에서 cos 와 sec 모두 양수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해
 
   cos   sec ≥ cos  sec  , 즉  ≤   - - - - - ㉡
㉠과 ㉡에 의해    
 
 
이 경우  ′     cos   sec  이고, 구간     에서   cos  ≤  이고  ≤ sec
 
따라서 제시문 3. 에 의해 는   cos 에서 극댓값을   sec에서 극솟값을 갖게 된다.

보충 supplement)
 ′         의 두 근이 cos, sec이다.
 
cos  sec   , cossec    
 

   이다. 그리고  ′   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 
      이므로   cos ≤ 인데, cos  이면 sec  이므로 안된다.
 
따라서 두 근은   cos  , sec  이므로    ′  의 그래프에서
 ′       이다. 그러므로   이다.
 ′   의 두 근 좌우에서  ′  의 부호의 변화를    ′  의 그래프에서 확인하면
  cos에서는 극댓값이고,   sec에서는 극솟값이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06 ▹


[4]
  tan   라 하자.
 ′   sec  
 ″   sectan

 
구간   에서  ″   


 
제시문 4.에 의해 구간   에서  ′  는 증가한다.

- - - - - ㉠

만약  ′  ≥  이면 (즉,  ′      ≥ ) - - - - - ㉡



 
㉠에 의해 구간   에서  ′    이므로 제시문 4. 에 의해 는 증가한다.


 
그런데    이므로 구간   에서    이 되어 조건 tan  를 만족한다.

만약 ′    이면 (즉,  ′       )
어떤 에 대한 구간  에서    즉, tan  이 되어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
왜냐하면 lim  ′   ∞ 인데,  ′  는 연속함수이고  ′    이므로

→  


사이값 정리에 의해  ′    인 ∈   가 존재한다.
  
그러면 구간  에서  ′    이므로 제시문 4. 에 의해 그 구간에서
는 감소한다.
   이므로 구간  에서   .
---------------------------------------------------------------------------
그러므로 ㉡에 의해 의 최댓값은  이다.
(별해)
tan
  
       라 하자.
 sin
 
 sec  tan cos cos
 ′    
 

   sin cos
   sin
 
 cos  cos

 
이때 구간   에서 분모는 양수이고,

- - - - - ㉠

분자도 양수임을 보이기 위해     sin       라 하자.


 ′     cos   이므로 제시문 4. 에 의해 는 증가한다.

lim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과 ㉡에 의해  ′          이므로 제시문 4. 에 의해 는 증가한다. - - - - - ㉢

tan sin 
lim   lim   lim     - - - - - ㉣
→  
→   cos → 

 tan
 
㉢과 ㉣으로부터 구간   에서   인 의 최댓값은  이다.
 

 
즉, (양변에 를 곱하면) 구간   에서 tan  인 의 최댓값은  이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07 ▹


보충 supplement)

  tan          ,

 ′   sec    ′     
   ≥ 이면 는 증가함수이므로     이 성립한다.
따라서  ≤ 이므로 구하는 의 최댓값은 3이다.

(추가 별해)

     에서   tan  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이므로

 ′   sec  ,  ≤  ′    이므로 의 최댓값은 3이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08 ▹


2019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출제의도 및 문항해설
[1] 도형의 평행이동, 무리수를 포함한 분모의 유리화과정에 대한 이해력과 수열의 합에 대한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2] (1) 함수의 합성과 함수의 극한의 이해력 및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2) 함수의 합성에 대한 이해력 및 논리력을 평가한다.
[3] 3차 방정식의 허근에 대한 이해력 및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4] 함수  의 이해와 이차부등식에 대한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도형의 평행이동, 무리수, 수열의 합, 함수의 합성, 이차부등방정식 및 함수의 극한 등의 개념은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수학적 개념이다. 이러한 개념들을 이해하면 다음과 같은 간단한 과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라고 할 수 있다.

1. 도형의 평행이동, 무리수를 포함한 분모의 유리화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1) 함수의 합성과 함수의 극한을 계산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나눗셈 정리를 적용하고 함수의 합성을 구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3. 3차 방정식의 허근에 대한 성질을 적용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는 문항이다.
4. 함수  의 성질을 이해하고 계산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 
      
     을 구했으면 3


  
      
      을 구했으면 3
1 




 
  
    
   를 구했으면 4

  를 구했으면 5
2-1  
lim     을 구했으면 4
→  

   또는      또는     인 정수 가 존재함을 설명했으면 3
2-2 
  이면   이고     이면    임을 설명했으면 4


   을 구했으면 3

3                을 구했으면 3

  ,    을 구했으면 (각각 2점씩) 4

  ≤     을 구했으면 6

  ≤   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성립함을 보였으면 3


4
    로부터     를 구했으면
3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09 ▹


  을 구했으면 2

예시답안
[1]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런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

(1)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이다. 따라서


 
  
lim   lim   lim     이다.
→  →  →    

(2)    또는      또는     인 정수 가 존재한다. 만일   이면   이다. 만일     이면



   이다. 따라서,     인 정수 가 존재한다.


   

[3]        이고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런데    또는

   
   이고 와 는 실수이므로   이고    이다.

[4]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이고
  ≤     이다. 부등식   ≤   로부터      ≥ 이다. 그런데 모든 에 대하여      ≥ 이므
로, 부등식   ≤   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성립한다. 또한     으로부터     이고     이므
로     이다. 그러므로 주어진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는   이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10 ▹


[문제 2]

출제의도 및 문항해설
2-1. 평행이동을 이해하고 로그함수의 성질을 알고 있으며 무한등비급수의 합을 구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문제이다.
2-2. 이계도함수를 이용한 극대와 극소의 판정에 관해 정확히 이해하고 주어진 함수의 극대/극소를 판정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문제이다.
2-3 정적분과 넓이와의 관계를 올바로 이해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절대값이 포함된 함수를 통해 평가하는 문제이다.
2-4 연립부등식으로 주어진 영역의 넓이를 수식으로 표현하고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활용해 넓이의 순간변동을 구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문제이다.
.제시문의 내용은 수학을 활용해 각종 문제를 해결하는데에 가장 기초적인 내용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이를 활용해 평행이
동을 이해하고 로그함수의 성질을 알고 있으며 무한등비급수의 합을 구할 수 있는지, 이계도함수를 이용한 극대와 극소의 판정
에 관해 정확히 이해하고 주어진 함수의 극대/극소를 판정할 수 있는지, 정적분과 넓이와의 관계를 올바로 이해하고 있는지, 연
립부등식으로 주어진 영역의 넓이를 수식으로 표현하고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활용해 넓이의 순간변동을 구할 수 있는지 등을
평가하는 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이 곡선의 절편    을 구한다. 3

[1] 
∞ 



    을 구한다.

2
 

′   이므로  cos   sin    을 구한 후 cos  ≠ 임을 확인하고 양변을 cos  으


5
로 나누어 tan    을 구한다.
[2] ″      cos   sin을 올바로 얻고 ″   을 이용하여 cos   이므로
 5
cos     을 구한다.



치환적분법을 활용하여
sin  6
[3]-(1)  tan    
cos
    ln    을 구한다.

적분 상수를 빠트리면 -2

   tan
       ln를 올바로 계산한다. 5

[3]-(2)


그러므로    
  ln을 얻는다. 2


부채꼴  의 넓이는      을 얻는다 3

[4]-(1)

삼각형  의 넓이는  sin 을 얻는다. 3


[4]-(2)         sin을 올바로 얻는다. 6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11 ▹


  tan을 이용하여  ′    ′ tansec을 올바로 얻는다. 3

 ′       cos      sin    sin 를 얻는다. 3


[4]-(3)

′   sin cos   4

예시답안
[1]

  log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시키면   log  이다. 이 곡선이 점  를 지나기 때문에   log  이다.




∞ 

곡선의 절편    이므로



    

 

[2]
     cos 이므로 ′      cos   sin 
 
′   이므로  cos   sin   . 여기서 cos  ≠  이다. (만약 cos   이라면    또는    이다. 이때
 
 
sin   이고 sin   이므로 두 경우 모두 cos   sin ≠ 이다). 따라서 양변을 cos  으로 나눌 수 있고 그렇게 하면
 
tan    
″      cos   sin이고  cos   sin   으로부터 ″       cos 이며 제시문 2의 ㉡에 의해
″   이므로 cos   이고 tan     sec으로부터

cos    



[3]
sin
(1) tan    cos
에서   cos 로 치환하면

sin 
 tan    
cos
    ln    (단,  는 적분상수)

구하는 식은  lncos   (단,  는 적분상수)

(2)
  tan의 그래프를 통해
   tan        tan      tan    lncos     ln임을 
    


   알 수 있다. 그러므로   
   ln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12 ▹


[4]
(1)

∠  ∠    이므로 삼각형  에서 ∠  

 
그러므로 부채꼴  의 넓이는     , 삼각형  의 넓이는  sin 
 

(2)

위 (1)로부터 연립부등식     ≤ 가 나타내는 영역의


 

 
넓이는    sin. 따라서         sin
 

(3)
  tan이므로     tan  이다. 양변을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tansec
(2)에서  ′      cos      sin   sin 이다.
 
  일 때 tan  이고      이므로 sin  cos   이다. 그러므로
 

′   sin cos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13 ▹


2018학년도 수시기출 오전
[문제 1]

출제의도
[1] 좌표공간에서 점, 직선, 평면의 위치관계를 이해하고, 공간벡터를 이용하여 직선과 평면의 방정식을 구하고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판단한다.
[2] 좌표공간에서 점과 직선, 직선과 평면의 교점을 구하고, 두 점 사이의 거리와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구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판단한다.
[3] 좌표공간에서 공간벡터를 이용하여 구의 방정식을 구하고 평면과 구의 위치관계와 기본 도형의 성질을 이해하여 주어진 문
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판단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직선의 방정식을 이해하고 직선 위의 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 3점
        라 하면 직선 위의 점의 좌표는 P      이다.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원점 O 와 점 P 사이의 거리는
3점

(1)  
OP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이차방정식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원점과 직선까지의 거리는 
OP 의 최솟값이므로,
2점
 

   일 때  이다.
 
⋅직선과 평면의 교점을 구할 수 있다.
직선  위의 점 P      가 평면  위에 있으면
4점
          이므로
[1]
  이고, 직선 과 평면 의 교점은 A  이다.
⋅법선벡터를 이용하여 평면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2)     이 평면 의 법선벡터이므로
OA 3점
평면 의 방정식은         이다.
⋅지나는 점을 이용하여 평면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이 평면이 점 A  을 지나므로   이고 2점
평면 의 방정식은         이다.
⋅평면의 법선벡터를 구할 수 있다.
 3점
   은 평면 의 법선벡터이고, 
   은 평면의 법선벡터이다.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을 구할 수 있다.
(3)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을 라 할 때
4점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14 ▹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공간벡터의 연산을 할 수 있다.


구하는 도형 위의 임의의 점을 P    라고 하면 3점
          
BP  ,           
CP  이다.

⋅공간벡터의 성분을 이용하여 내적을 구할 수 있다.


(1)
조건에서   
BP⋅  이므로
CP 4점
  
BP⋅                이다.
CP

⋅구의 방정식을 이해하고 중심과 반지름을 구할 수 있다.


2점
이 구의 중심은 D  이고 반지름은   이다.

⋅구의 성질을 이해하고 점의 위치관계를 구할 수 있다.


두 점 B , C 는 구 위에 있고, 구의 지름의 양 끝점이 된다. 3점
따라서 세 점 B , C , D는 일직선 위에 있다.

(2)
⋅삼각형의 성질을 이해하고 넓이를 구할 수 있다.

[2] 점 D 는 구의 중심이므로 
BD 
CD 이고,
 4점
선분 BD , CD 를 밑변으로 하는 두 삼각형 OBD , ODC 의 높이는 같다. 따라서     이고 

이다.

⋅좌표공간에서 점과 도형의 위치관계를 이해하고 있다.


구와 평면이 만나는 도형은          인 원이다.
점 E    에서 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E ′ 이라고 할 때, 5점
E′D 
               
  이고,
원의 반지름이 이므로 점 E′ 은 원 외부에 있는 점이 된다.

(3)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선분 E′D 와 원이 만나는 점을 Q′ 이라고 할 때,
 3점
E′Q′ 은 E′Q 중 최소가 되고, 따라서  EQ′ 도 
EQ 중 최소가 된다.
 
E′Q′  E′D       이다.

⋅직각삼각형의 성질을 이해하고 선분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2점
EQ′  
점 E에서 원위의 점까지 거리의 최솟값은  
     
  이다.

예시답안
[1]

(1)         라 하면 직선 위의 점의 좌표는 P      이다. [3점]

원점 O 와 점 P 사이의 거리는

OP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3점]
 
 

원점O 와 직선 까지의 거리는 
OP 의 최솟값이므로,    일 때  이다. [2점]
 

(2) 직선  위의 점 P 가 평면  위에 있으면           이므로


  이고, 따라서 직선 과 평면 의 교점은 A  이다. [4점]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15 ▹


    이 평면 의 법선벡터이므로
OA
평면 의 방정식은         이다. [3점]
이 평면이 점 A  을 지나므로   이고,
따라서 평면 의 방정식은         이다.[2점]

(3) 
   은 평면 의 법선벡터이고 
   은 평면의 법선벡터이다. [3점]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을 라 할 때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이다. [4점]
      
      
    

[2]
(1) 구하는 도형 위의 임의의 점을 P    라고 하면

BP   
OP OB         
 ,   
CP  
OP OC         
 이다. [3점]
  
조건에서 BP⋅ CP 이므로
  
BP⋅          
CP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4점]
따라서 점 P 가 나타내는 도형의 구이고,
이 구의 중심은 D  이고 반지름은   이다. [2점]

(2) 두 점 B , C 는 구의 방정식을 만족하므로 구 위에 있고,



BP⋅   이므로 두 점 B , C 는 구의 지름의 양 끝점이 된다.
CP
따라서 세 점 B , C , D 는 일직선 위에 있다. [3점]
점 D 는 구의 중심이므로  BD 
CD 이다.
선분 BD와 선분 CD를 밑변으로 하는 두 삼각형 OBD , ODC 의 높이는 같다.

따라서     이고   이다. [4점]
 

(3) 구와 평면이 만나는 도형은   에서          인 원이다.


점 Q 를 원 위의 임의의 점이라고 하고
점 E  
 에서 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E ′   이라고 하자.
이때  
E′D               
  이고,
원의 반지름이 이므로 점 E′ 은 원 외부에 있는 점이 된다. [5점]
따라서 선분 E′D 와 원이 만나는 점을 Q′ 이라고 할 때,

E′Q′ 은 E′Q 중 최소가 되고, 따라서  EQ′ 도 
EQ 중 최소가 된다.
 
E′Q′  E′D       이다. [3점]
점 E에서 원위의 점까지 거리의 최솟값은
EQ′  
 
      
  이다. [2점]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16 ▹


[문제 2]

출제의도
[1]
(2) 정적분 계산, 정적분의 성질, 정적분의 부분적분법, 삼각함수의 특수각을 이용하여 함숫값의 크기를 측정하는 문제이다.
(3) 정적분의 성질 및 사이값 정리를 이용하여 방정식의 실근의 존재를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4)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도함수를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도함수의 부호를 이용하여 함수의 증가와 감소를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5) 주어진 함수의 이계도함수를 구하고 이계도함수의 부호와 함수의 그래프의 오목, 볼록 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
하는 문제이다.

[2]
(1) 정적분으로 정의된 수열의 첫째항을 구할 수 있는 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2) 정적분으로 정의된 수열을 정적분의 치환적분법을 이용하여 일반항을 구하고 수열의 합을 계산할 수 있는 지를 평가하는 문
제이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1]-(1)         cos   sin   이다.

3


        cos   sin 

  sin  

      sin   6

[1]-(2)      sin   cos   sin 


   cos 
      
     이므로   cos   cos   cos    이다. 2
     
그러므로   
      cos    2

는     에서 연속이고 1

[1]-(3)         
  이므로 2

사이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  을 만족시키는 근이 과 사이에 있다. 2


 
구간   에서 ′       cos    sin     cos    sin 

4
[1]-(4)

 이다. 따라서 는 구간   에서 증가한다.
   2


 
구간   에서 ″   sin    cos 

4
[1]-(5)

 이다. 따라서 는 구간   에서 아래로 볼록하다.
   2

     
    

 
      
  
5
[2]-(1)
 
   
    1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17 ▹


 
     



        
   
6
  
      

[2]-(2) 
   
  

   2

  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예시답안
[1]

(1)         cos   sin   이다.


(2)         cos   sin 

  sin  

      sin  

  cos

      sin   cos  

     cos
   cos 
이다.
      
     이므로   cos   cos   cos    이다.
     
따라서          cos   이다.
(3) 는    에서 연속이고            이므로 사이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  을 만족시
키는 근이 과 사이에 존재한다.

(4) 구간    에서 ′       cos    sin     cos    sin   이므로 는 구간    에서 증가한
다.

  
(5) 구간   에서 ″   sin    cos   이므로 곡선   는 구간   에서 아래로 볼록하다.
   
[2]
     
(1)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18 ▹


2018학년도 수시기출 오후
[문제 1]

출제의도
[1] 원소의 개수가 인 두 집합의 등식에 대한 이해력과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2] 명제를 이해하는 이해력과 명제의 진리집합을 구체적으로 구하는 논리력을 평가한다.
[3]
(1) 일대일함수에 대한 이해력을 평가한다.
(2) 일대일함수, 역함수, 합성함수에 대한 이해력을 평가한다.
(3) 함수에 대한 이해력 및 이차함수의 그래프 개형에 대한 이해력 및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     인 이유를 설명했으면 4


1-1
  를 구했으면 4

 ⊂    인 이유를 설명했으면 8

1-2   ,   ,    ,     ,      임을 구했으면 (각각의 경우에 
8
점씩 감점)

개수만 (개) 구했으면 3

1-3-1   일 때 가지,   일 때 가지,   일 때 가지임을 설명했으면 (세 경우 모두


4
설명하지 않았으면 한 경우에 점씩 감점)

     이고      을 구했으면 (한 경우만 구했으면 점 감점) 3


1-3-2
   ∘      을 구했으면 3

    인 이유를 설명했으면 4

1-3-3   ,   ,    또는   ,   ,   을 구했으면 (한 경우만 구했으면 점 감점) 6

    을 구했으면 3

예시답안
[1]
 ≠   이므로       이다.    또는   이다.   이면     를 만족하지 않으므로   이다. 또한   는
    를 만족시킨다. 그러므로   이다.

[2]
    
∈ 이라고 하자. 만일  ∉    이면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이고  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따라서  가 유한집합이 아니므로 가정에 모순이다. 그러므로  ⊂    이다. 그런데 집합    
의 부분집합은 모두 개이고 그 중 ∅,  ,    등 가지 경우는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이 경우들을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19 ▹


제외한 다음과 같은 가지의 경우가 주어진 명제를 만족시키는 집합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3]
(1) 함수    →  가 일대일하수이면
(ⅰ)   일 때    또는   이고 각각의 경우에 은 유일하게 결정되므로 가지 존재한다.
(ⅱ)   일 때    또는   이고 각각의 경우에 은 유일하게 결정되므로 가지 존재한다.
(ⅲ)   일 때    또는   이고 각각의 경우에 은 유일하게 결정되므로 가지 존재한다.
그러므로 집합  에서  로의 일대일함수는 모두 개 존재한다.

(2)   이고   이므로   이다. 따라서      이고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이다.

(3) 함수       의 그래프가 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    이다. 그런데 , , 는 각각 
또는  또는 이므로 이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 , 의 값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또는   ,   ,   
두 가지 경우 모두   ,   이므로     이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20 ▹


[문제 2]

출제의도
본 문제는 함수의 연속과 미분에 관한 정의를 엄밀히 이해하고 주어진 문제에 해당 개념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를 평가하고자 한다.
[1] 미분의 개념을 활용하여 속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문제이다.
[2] 좌극한과 우극한을 각각 계산하여 함수의 연속을 판별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문제이다.
[3] 적분 구간에 대한 정적분의 성질을 활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문제이다.
[4] 주어진 조건을 올바르게 활용하여 미분 가능함을 보일 수 있는지 평가하는 문제이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속도     를 올바로 구한다. 4
[1] 
속도를 인수분해하여 정답   을 얻는다. 2

lim   을 얻는다. 3


 →

[2] lim   을 얻는다. 4


 →

연속인 조건을 활용하여   ,   을 얻는다. 3

 
    을 얻는다.
 
5



    을 얻는다.


      

3
 

[3]

정적분의 계산을 통해        을 얻는다. 3


    ≤  ≤ 일 때   의 최솟값  을 얻는다. 3

[4]-(1)      또는   ≤ 을 통해   임을 보인다. 3

제시문 를 활용하여    ≤  ≤  을 얻는다. 3

[4]-(2)
  
′   lim   이므로 는 에서 미분가능하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4
 → 

     


′   lim   lim   ′   임을 얻는다. 4
[4]-(3)  →   → 

′  가 존재하므로 모든 실수 에 대하여 미분가능하다고 결론짓는다. 2


[4]-(4)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이므로 제시문 을 활용하여   임을 도출한다. 3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21 ▹


예시답안
[1]
운동 방향이 바뀌는 시각의 속도는 이다.
          이다.   이므로   이다.

[2]
    일 때, lim   이므로 lim   
→∞  → 

  일 때, lim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따라서 lim   이다. 가   에서 연속이므로   이고     이므로   ,   
 → 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또한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의 최솟값은     ≤  ≤ 일 때  이다.
     

[4]
(1)     이므로   이다.
(또는   ≤ 이므로   이다.)


(2)   ≤  이므로   



 

   즉,    ≤  ≤  

   
따라서 lim    이고 ′   lim   이므로 는 에서 미분가능하다.

 →   →

     


(3) ′   lim   lim   ′   
 →   → 
따라서 는 모든 실수 에서 미분 가능하다.

(4) 모든 실수 에 대해 ′   이므로 는 상수함수이다. 그런데   이므로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이
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22 ▹


2018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출제 의도
[1]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 하는 계산 능력과 함수에 대한 이해력을 평가한다.
[2] (1) 무리수가 포함된 항등식에 대한 이해력과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2) 명제의 진리집합을 구체적으로 구하는 논리력과 응용력을 평가한다.
[3] (1) 이차함수의 판별식에 대한 이해력과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2) 이차함수의 그래프 개형에 대한 이해력과 부등식  ≤ 의 의미에 대한 이해력 및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문항 해설
집합, 명제 및 함수 등의 개념은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수학적
개념이다. 이러한 개념들을 이해하고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라고 할 수 있다.
1. 주어진 간단한 식을 인수분해 해서 답을 유도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1) 무리수가 포한된 항등식에서 실수와 무리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주어진 명제를 이해하고 집합  에 속하는 원소를 구체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문항이다.
3. (1) 이차함수의 판별식을 이해함으로써 간단히 계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 이차함수의 그래프개형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간단한 계산을 통해 답을 구할 수 있는 문항이다.

채점 기준

문항번호 채점 기준 배점

  ,   을 구했으면 5


1
     을 구했으면 5

      ,   을 구했으면 5


2-1
      를 구했으면 5

∈  ≠ 에 대하여  ∈ 임을 보였으면 3

2-2 ∈  ≠ 일 때 ∈ℕ에 대하여 ∈ 임을 보였으면 5

  임을 보였으면 4

의 판별식       을 보였으면 3


3-1
의 판별식       을 보였으면 3

  을 만족시키는 값   을 구했으면 2

  을 만족시키는 값
2
       ,   

     을 구했으면
3-2
진리집합에 속하는 구간
6
     
     ∪   
        을 구했으면

    
     을 구했으면 2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23 ▹


예시 답안
[1]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그런데  ≥ 이고  ≥ 이므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가 성립한다.
(1)   이고   .

(2)   이고   .


조건에서   이므로   이고   이다. 따라서          인  가 존재한다. 그런데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2]
(1)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이므
   
로       이고   이다.   이므로    또는   이다. 만일   이면     이므로   이고
  이다. 만일   이면   
  이므로   이고   이다. 그러므로       이다.

(2) ∈  ≠ 이라면   ∈ 이므로 ∈ 이다. 또한   ∈ 이므로  ∈ 이고    ∈ 이므로 ∈ 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모든 ∈ℕ에 대하여 ∈ 이므로 집합  는 무한집합이다. 그런데  는  의 부분집합이므로 모순이 되어
 ≠ 이면  ∉  이다. 만일   이면 명제 ‘∈ →   ∈ .’가 참이므로   이다.

[3]
(1) 의 판별식은       이다. 또한 의 판별식은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의 그래프와   의 그래프는 모두 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2)   을 만족시키는 값은   이고   을 만족시키는 값은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런데,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또한 와 의 이차항의 계수가 양수이고      이므
로 조건    ≤ 의 진리집합에 속하는 모든 구간은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24 ▹


[문제 2]
출제 의도
[1]
(1) 적분의 여러 가지 성질을 이용하여 함수의 값을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2) 정적분 계산 및 정적분의 성질을 이용하여 함수의 크기를 측정하는 문제이다.
(3) 정적분의 성질 및 사이값정리를 이용하여 방정식의 근의 존재성을 아는 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2]
(1) 적분형태로 표현된 함수의 도함수 및 합성함수의 도함수를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도함수의 부호를 이용하여 함수의 증
가와 감소를 아는 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2) 함수의 미분 및 증감을 사용하여 극값을 구할 수 있는 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3) 주어진 함수의 이계도함수를 구하고 이계도함수의 부호와 함수의 그래프의 오목, 볼록과의 관계를 사용할 수 있는 지를 측
정하는 문제이다.

문항 해설
함수 및 미분 적분학은 자연과학을 포함한 많은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수학적 개념이다. 그 중 연속 함수의 성
질, 함수의 증가와 감소, 사이값 정리, 합성함수의 미분법, 극값, 곡선의 오목과 볼록, 삼각함수의 미분법,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다항함수의 미분 및 적분 등 미적분학에서 기본의 되는 개념들을 잘 이해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들을 다루었다.

채점 기준

문항번호 채점 기준 배점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sin    4
[1]-(1)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6

 ≤  ≤ 이면   ≤ sin ≤ 이므로   ≤ sin   ≤  2


[1]-(2)  
      ≤   ≤         (각 등호 부등호 2점씩)
 

8

    3

[1]-(3) [1]-(2)에 의하여   ≥ 이므로        이다. 4

제시문 4.에 의하여 방정식    의 근이 과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존재한다. 3

 ′         sin   . 2

[2]-(1)  ′    ′          sin  


  ,   sin   ≥ 이므로  ′    6
따라서   는 구간 ∞ 에서 증가한다.

  이면  ′   이고   이면  ′   이므로 2


[2]-(2)
함수   는   에서 극솟값         을 갖는다. 2

 ′′    ′     ′′  


6
[2]-(3)         sin          cos   

곡선     는 구간  ∞∞에서 아래로 볼록(위로 오목)하다. 2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25 ▹


예시 답안

[1]

(1)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sin   

세 함수   sin   의 그래프는 모두 원점에 대칭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2) 제시문 7에 의하여  ≤  ≤ 이면   ≤ sin ≤ 이므로   ≤ sin   ≤  이다.


따라서 제시문 8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3)    이고 [1]-(2)에 의하여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그러므로 사이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   의 근이 과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존재한다.

[2]
(1)  ′         sin   이다.   ,   sin   ≥ 이므로
합성함수의 미분법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sin   
따라서 함수   는 구간 ∞ 에서 증가한다.

(2)   이면  ′   이고   이면  ′   이므로


함수   는   에서 극솟값         을 갖는다.

(3) 구간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cos   이다.
따라서 곡선     은 구간  ∞∞에서 아래로 볼록(위로 오목)이다.

2022 광운대학교 FINAL ◃ 126 ▹


2023학년도 수리논술 대비

기출해설집 II
(2017~2010)

수학연구소
(배기은 ․ 송명관 ․ 유홍조 ․ 나동혁)
2017학년도 수시기출 오전
[문제 1]

출제의도
[1] 매개변수로 나타난 이차도형의 관계식을 구하고 특정한 위치관계의 점의 좌표를 계산한다.
[2] 이차곡선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계산한다.
[3] 같은 것이 포함된 경우의 수를 구하고 이를 통한 여사건의 확률을 계산한다.
[4] 이차도형에 내접하는 도형의 넓이를 함수로 표시하고 이차함수의 최댓값을 구한다.
[5] 좌표공간의 평면의 방정식을 구하고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을 이해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기준 배점

매개변수 를 소거하여 이차도형의 방정식을 표현 5


[1]
함수식을 이용하여 절편 2개를 모두 계산 3
타원의 접선 방정식 구하여 접점의 좌표를 계산 6
[2]
접점을 지나는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을 계산 4
순서와 관계없이 같은 것이 포함된 경우의 수 계산 5
[3]
여사건의 경우의 수를 구하여 확률을 계산 3
매개변수 를 이용하여 내접 도형의 넓이를 표현 6
[4]
이차함수의 증감을 이용하여 함수의 최댓값을 계산 6
세 점을 지나는 평면의 방정식을 표현 6
[5]
정사영의 넓이를 이용하여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을 계산 6

모범답안

[1] cos    sin    이므로 cos  sin   에서


       축과 만나는 점은   에서    

 
[2]   
 sin   cos이므로 매개변수 함수의 미분공식에 의하여
 

 
 cos  cos 
       (단,  ≠   ≠ )
    
 sin  sin 


원점   을 지나는 접선은    꼴이므로 접점에서의 값은
 cos   
  sin        cos 에서    또는 
 sin   
 
 
    
따라서 두 접점의 좌표는      과    
     두 접선이 이루는 각의
코사인값은 위치벡터 내적의 정의에 의해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


[3] 도형은 네 점을 잇는 선분들에 의해 축에 대하여 대칭인 4개의 영역 로 분할된
 ×
다. 순서에 관계없이 2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       
 ×
선택된 두 영역이 축에 대하여 대칭인 경우는 4가지 경우뿐이므로 여사건의 확률에 의하여
 
두 영역이 대칭이 아닐 확률은     
 


[4] 내접 직사각형의 한 꼭짓점의 좌표를   cos   sin 라고 하면 (단,      )


직사각형의 가로 길이는   cos 이고, 세로 길이는  sin 가 된다.
따라서 넓이는      sincos 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기 위해
 ′   
 cos   sin   
 
 cos  sincos  sin이므로  ′   을 만족하

는 는 (단,      )에서 함수의 증감은

  ...  ... 


 ′  
     

  0 ↗ 최대 ↘ 

 

    


   

 sin  cos   
 
 이므로 넓이   의 최댓값은 

 
 

 

[5]         이므로     이고 
 
 이다.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연립하면      이므로 구하는 위치벡터는 
   


평면의 방정식을         이라 하면


 
 

 

점     을 지나므로         

 
점     을 지나므로        이다.
 
 
점    
 을 지나므로 
      이고, 이들 식을 연립하여 로
나타내면
 
         이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이다.
 
  이면,       이므로 이를 만족하는 평면이 존재하지 않는다.
 ≠ 일 때, 세 점    을 지나는 평면의 방정식은   
     이 된다.

세 점을 지나는 평면 위의 ∆ 의 평면 위로의 정사영이 ∆ 이므로 ∆ 의 넓이를  , ∆ 의 넓이를  ′ ,

 


′   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을 라 하면 cos       이므로, 두 평면이 이루는 각   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


[문제 2]

출제의도
학생들이 교육과정에서 배워 잘 알고 있는 부정적분과 도함수와의 관계, 도함수의 부호와 함수의 증가 등에 관한 제시문과 함
께 주어진 몇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수학적인 분석력과 논리력, 계산력, 그리고 교육과정에서 배운 여러 가지 개념과
수학적 원리에 대한 이해와 지식의 활용하고 응용하여 제시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1] 함수의 로그 함수로 주어지는 합성함수의 도함수와 그의 부정적분과의 관계를 알고, 도함수가 인 함수가 상수함수임을 활
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2] (1) 도함수의 부호를 이용하여 함수의 증가와 감소를 알고, 부등식에 활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2) 부등식과 극한의 관계를 이용하여 함수의 극한을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3] (1) 몫의 미분법을 바르게 사용하고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도함수가 제시된 형태임을 보일 수 있는지 평가하는 문제
이다.
(2)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킬 때, 제시된 등식을 유도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문제이다.
[4] 앞에서 해결한 내용을 활용하여 제시된 두 명제가 동치임을 증명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기준 배점
′ 
 

 ln   임을 아는가? 2

′   ′ 
   이면 ln  ln   임을 밝혔는가? 3
  
[1] 
     의 조건에서 ln    을 얻었는가? 2


     와 가 양수임을 보였는가? 2

   (단,  ≤  ≤  이고 는 양수)의 표현을 보였는가? 1
  
          를 얻었는가?
  
3


   임을 보였는가?

2

 
     의 관계를 얻었는가?
 
3
[2-1]

   을 명시하는가?

1


 

    , 즉 부등식      임을 얻었는가?

2
 

lim   을 얻었는가? 1
→ 

lim   을 얻었는가? 1
[2-2] → 

lim  ≤ lim   ≤ lim  임을 명시했는가? 2


→  →  → 

lim     1
→ 
 

 


    
[3-1]      
를 얻었는가? 4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



   
    에서        을 얻어 곱의 미분법을 이용


 
 

  
      
        로 정리했는가? 2
     

  

 

 
    

    을 보였는가?
 2
  

 
  에 대해     

    을 얻었는가?
 1
 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말했는가?
   
1
[3-2]   
 

    또는     ≠ 을 명시했는가? 2


 




을 얻었는가?
1
 

 

     를 가정했는가? 1


[3]의 (2)에서
 
 




또는       를 이용했는가? 1
 

 
 

 
′      ′   을 얻었는가?
 
3

[4] ′   ′ 


   을 논리적으로 얻었는가? 3
 
따라서 [1]에 의하여    (단, 는 양수)을 얻었는가? 1
   (단, 는 양수)라고 하자. 1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모범답안

[1] 주어진 조건에 의하면 함수 ln  ln는 구간  에서 연속이고 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며
′   ′ 
 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ln  ln   (단,  ≤  ≤  이고  는 적분상수)
 
한편, ln  ln  ln    이므로       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단,  ≤  ≤  이고 는 양수)

[2]
(1) 함수 가 구간  에서 연속이고  에서   이면,     일 때     이다. 따라서 제시문의
(다)에서     로 놓으면 다음이 성립한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


  
               
  

또한     ,     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이므로    
 , 즉 부등식      이 성립한다.

  

(2) lim   , lim    이다.      이므로 lim  ≤ lim   ≤ lim  이다. 따라서 lim     이다.
→  →  →  →  →  → 

[3]
(1) 함수의 몫의 미분법과 제시문 (나)를 이용하여 함수   를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른 방법)     에서        을 얻어 곱의 미분법을 이용해도 됨.


  
 

 
(2) 함수   를 미분하면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    

   이다.

  

 
조건에서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그런데      이고, [2]에서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4]
(i) 먼저      이라 가정하자. 그러면 [3]의 (2)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또는      

   
 

위 식의 양변을 미분하여 정리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위 두 식으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


′   ′ 
  (    
 
따라서 [1]에 의해    (단, 는 양수)

(ii)    (단, 는 양수)라고 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와 (ii)에 의해 증명 끝.

2023 광운대학교 FINAL ◃ 7▹


2017학년도 수시기출 오후
[문제 1]

출제의도
[1] 도함수를 활용해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고 부등식에 활용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2] 타원의 방정식을 구하고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정적분을 활용해 구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3] 좌표공간에서 벡터를 이용하여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직선 위의 점을 구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4] 사이값 정리를 활용하여 주어진 구간에서 방정식이 근을 가짐을 보일 수 있는지 평가한다.
[5] 부분 적분법을 활용해 정적분 계산을 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기준 배점

′  와 ′   을 구하면 5


[1-1]


lim      ≤ 
→∞   

을 구하면 
5


    와 넓이  를 구하면 5

[1-2]
계산 한 적분값을 올바르게 구하면 5

[1-3]
   
 의 좌표       을 구하면
    5

 
 의 길이  을 구하면 5

[1-4]
 

      cos   을 정의하면

5

양끝점에서 부호가 다름을 보이고 결론을 유도하면 5

부분 적분법을 올바르게 한번 적용하면 5


[1-5]
부분 적분법을 올바르게 두 번 적용하고 답이 맞으면 5

모범답안

 
[1]    라고 하면 이 함수는 축 대칭이다. 따라서   에서 함수의 증감표를 그려보자.

   
  이면    이고, ′    이므로 ′    이다.
     

또, lim    이고  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극대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8▹



lim      ≤ 
→∞     
이므로 의 최솟값은  이다.
   



[2] 타원의 방정식은      이다. 따라서 곡선의 식은  ±
  
      ≤  ≤ 이므로 빗금친 부분의 넓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로 치환하면   sin이다.

 
또한 적분구간은 cos   cos  
 로부터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sin      cos  
  





 

[3] 직선  의 방향 벡터 
는  이므로 직선  위의 점  의 좌표를  라 하자. 직선  의 방향 벡터

         와 
는 수직이어야 하므로 
 ∙ 
   
    . 따라서    이고 점  의 좌표는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선분  의 길이  이다.


 
[4]       cos   로 정의하자.         이고       이므로 사이값 정리에 의해

      cos    을 만족하는 가 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따라서     cos   인 가 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5]  에 부분 적분법을 적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cos′       cos   cos     cos 이다. (단, ≥ )
   

위 식에 부분적분법을 적용하면
  

 

  
   
    sin′      sin     sin 이다. (단,  ≥ )
 
  
여기서 

 



 
sin 는    이고    sin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을 얻는다. 여기에   을 대입하면 정답은 100 
   이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9▹


[문제 2]

출제의도
[1] 다항식의 항등식에 대한 이해력을 평가하고 두 집합의 차집합을 구체적으로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2] 나머지 정리를 이해하고 구체적인 함수에 대해 나머지 정리를 적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3] 다항식에 대한 나머지 정리에서 몫과 나머지가 유일하게 존재하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4] (1) 지수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지수함수가 다항함수가 아님을 증명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2) 수학적 귀납법을 이해함으로써 두 함수의 대소 관계를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기준 배점

집합  를 구했으면 5
[2-1]
차집합    를 구했으면 5

등식        를 구했으면 2

[2-2] 가 일차식     이을 보였으면 5

    를 구했으면 5

         임을 보였으면 2

[2-3]    임을 보였으면 6

   임을 보였으면 2

등식  ln       을 구했으면 5

[2-4-1]   ln를 구했으면 3

ln는 정수가 아니므로  ∉  임을 보였으면 2

      임을 보였으면 3


[2-4-2]
      임을 보였으면 5

모범답안

[1]          ∈ 라면 영이 아닌 정수 가 존재하여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각항의 계수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는
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즉,    이므로  는 정수 전체의 집합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는 동시에 은 아니다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0 ▹


[2] 가정에 의하여        이다. 다항식 의 차수를  이라 가정하면   의 차수는  이고,
     차수는    이다. 따라서     이고   이므로 의 차수는 이다.
    라고 놓으면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 이고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이고,      이
다. 즉,     

[3]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이다.  ≠  라고 가정하자.  과  의 차수는  의 차수보다


낮으므로    의 차수는  의 차수보다 낮다.
그런데      의 차수는  의 차수보다 낮지 않으므로      의 차수와    차수는 같지 않다. 이는 모순이다.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 이고,    이다.

[4]
(1) ∈ 라 가정하면 적당한 정수    가 존재하여          이다. 양변을 미분하면
 ln       이다.   을 대입하면   ln이다. 그런데 ln는 정수가 아니므로  ∉  이다.

(2) (i)   일 때,   이고   이므로   이 성립한다.


(ii)   일 때,   가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즉,        이라 가정하자.
그런데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이므로
가정에서 주어진 조건  ≤  을 이용하면       이다.
따라서     일 때도 명제   가 성립하므로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주어진 명제는 성립한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1 ▹


2017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 출제 의도
자연수의 약수와 배수에 대한 이해력을 평가하고 몫과 나머지가 유일하게 존재하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리력을 평
가하고자 하였다. [수학I]의 다항식의 나눗셈에 대한 문제해결 능력의 평가를 통해 논리적이고 수리적인 분석 능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수학II]의 수학적 귀납법을 이해하고 자연수에 대한 간단한 명제를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해서 증명할 수 있는 논
리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문제의 제시문은 문항들을 이해하기 위해 도움이 되는 내용을 담았다.

■ 문항별 해설 / 채점기준 / 예시답안


[1]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이17의 배수임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증명하시오.

<해설>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명제를 증명할 수 있는지 논리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채점기준>

배점 세부 평가 기준 세부 배점

  일 때 증명했으면 3

10   일 때 가정했으면 2

    일때 증명했으면 5

<예시답안>
  일 때    ×     이므로 는 17의 배수이다.
  일 때    ×       이 17의 배수라 가정하자.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런데          모두 17의 배수이므로     ×    은 17의 배수이다.

[2] 자연수 를 자연수 로 나누었을 때 몫   와 나머지   가 존재하여          가 성립한다고 한다. 그러
면    이고    임을 증명하시오.

<해설>
자연수에 대한 나눗셈 정리에서 몫과 나머지가 유일하게 존재하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논리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2 ▹


<채점기준>

배점 세부 평가 기준 세부 배점

        임을 보였으면 2

   일 때 모순임을 보였으면 3
10
   일 때 모순임을 보였으면 3

   임을 보였으면 2

<예시답안>
    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만일    이라면  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만일    이라면  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따라서    이다. 또한      이므로    이다.

[3] 함수  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은 모든 자연수의 집합이다.)


∈ 에 대하여    (는 와 의 최대공약수)
(1) 함수 가 다음 성질을 만족하는지 판정하고 이유를 설명하시오.
모든  ∈ 에 대하여   이다.
(2)   이고   인 와 에 대하여   가 성립함을 증명하시오.

<해설>
최대 공약수에 대한 이해력과 문제풀이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채점기준>

배점 세부 평가 기준 세부 배점

(1)반례를 제시했으면 3

9 (2)와 가 모두 홀수임을 보였으면 3

(2)   임을 보였으면 3

<예시답안>
(1) 함수 는 주어진 성질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반례는 다음과 같다.
  ,   로 놓으면  ×     이고    ×   이므로  ×  ≠ 이다.

(2)      이므로 와 는 모두 홀수이다. 따라서 는 홀수이고   이다.
따라서   이다.

[4] 실수  에 대하여 두 다항식을       ,       라 놓으면 제시문 (4)에 의하여
    를 만족하는 다항식 와 가 존재한다.   일 때 를 구하시오.

<해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3 ▹


이차방정식의 실근과 허근의 뜻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리적 계산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채점기준>

배점 세부 평가 기준 세부 배점

  을 만족시키는 복소수를 라 할 때     임을 보였으면 3

9               임을 보였으면 4

  임을 보였으면 2

<예시답안>
  이므로   이다.
  을 만족시키는 복소수를 라 하면       이므로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이다
그런데   이므로    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이고 와 는 실수이고 는 실수가 아닌 복소수이므로      이다.
따라서   이다.

[5] 다항식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집합  와 집합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를 구하시오. (  는 모든 실수의 집합이고  은 모든 자연수의 집합이다.)

<해설>
나눗셈 정리와 이차방정식의 의미를 이해하고, 수리적인 계산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채점기준>

배점 세부 평가 기준 세부 배점

    임을 보였으면 3

        이고       임을 보였으면 3

12  
   임을 보였으면 3


   임을 보였으면 3

<예시답안>
     이므로     이다. 따라서     이다.
그러므로 적당한 실수  가 존재하여       이고       이다.
    이므로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이다.
 
그런데    이므로    이다.

한편,   이므로            이고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
그러므로    이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4 ▹


[문제 2]
■ 출제 의도
부정적분과 도함수와의 관계, 접선의 기울기와 미분계수에 관한 제시문과 함께 주어진 몇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인 분석력과 논리력, 계산력 그리고 교육과정에서 배운 여러 가지 개념과 수학적 원리 원칙에 대한 이해와 지식의 활용 및 응용
능력, 그리고 문제 해결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 문항별 해설 / 채점기준 / 예시답안

[1] 제시문 (나)의 점   에서의 접선  에 대하여


(1) 와 함수   의 도함수 ′  와의 관계식을 구하시오.(5점)

(2)  ≠  인 이유를 설명하시오.(2점)

<해설>
직선의 기울기와 직선이 축과 이루는 각, 그리고 탄젠트 함수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이해하고 있고, 곡선 위의 한 점에서의
미분계수가 접선의 방정식의 기울기라는 이해하고 그들의 관계에 대해 알고 관계식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한 점에서 미분계수가 존재(미분가능하면)하면 그에 대응하는 곡선 위의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의 기울기가 유한해
야 한다는 것이 접선이 축과 이루는 각이 만족시켜야 하는 조건이 무엇인지 논리적으로 말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주장을 귀류법 등의 논증 방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채점기준>
(1) 접선  의 기울기는 접선의 절편을 원점으로 이동하여 얻은 직선  의 기울기와 같다. 접선이 축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  이므로 탄젠트 함수의 정의에 의해 직선 의 기울기는 tan  이다. 따라서 접선  의 기울기는 tan  이다. [2점]
한편, ′  는 점  에서의 접선  의 기울기이다. [2점]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tan  ′  [1점]
 
(2)    이면 (1)의 식에서 tan  tan   ∞이 되어 ′   ∞이다
 
이는 함수   가 점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음을 의미하여 함수   가 미분가능하다는 데 모순이다. 따라서

 ≠  이다. [2점]

(별해)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  는 실수이다.
 
그런데 tan  ′  이고 tan   ∞이므로    일 수 없다. [2점]
 

배점 세부 평가 기준 세부 배점

접선이 축과 이루는 각의 탄젠트와 접선의 기울기와의 관계를 정확히 아는가? 2점

미분계수와 접선의 기울기와의 관계를 아는가? 2점


7 두 관계를 식으로 정확히 나타내는가? 1점


논리적으로 명확하게   ≠  인 이유를 설명하는가 2점

<예시답안>
(1) 접선의 기울기는 접선의 절편을 원점으로 이동하여 얻은 직선 의 기울기와 같다. 접선이 축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이므로 탄젠트 함수의 정의에 의해 직선 의 기울기는 tan  이다. 따라서 접선 기울기는 tan이다.
한편, ′  는 점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5 ▹


tan  ′ 
 
(2)     이면 (1)의 식에서 tan  tan   ∞이 되어 ′   ∞이다
 
이는 함수   가 점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음을 의미하여 함수   가 미분가능하다는 데 모순이다. 따라서

 ≠  이다.

(별해)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  는 실수이다.
 
그런데 tan  ′  이고     이면 탄젠트 값이 정해지지 않으므로  ≠  이어야 한다.
 

[2] 함수   가 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고 ′  ≠ 을 만족시킨다고 할 때, tan   와 도함수 ′  의 관계
식을 구하시오.(8점)

<해설>
삼각함수에 관한 여러 성질과 덧셈정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그를 이용하여 제시된 문제를 수리논리적으로 정확하게 해결하는 능
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채점기준>
탄젠트의 덧셈정리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tan  tan
tan      [2점]
  tantan
 
제시문의 (나)에 의하면      또는       이다.
 
 
여기서 삼각함수에 관한 성질 sin  ±   ± cos, cos ±   ∓ sin (복부호 동순)를 이용하여 다음을 얻는다.
 

 
sin  ±  
 
  ± cos
tan  tan  ±       cot  (복부호 동순) [2점]

 
cos  ± 
 
∓ sin

따라서, tantan  tan  cot   [2점]


또한 문항 [1]에서 tan  ′  이고 문제의 조건에서 ′  ≠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tan  tan  tan   cot  ′    [1점]
′ 
그러므로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   
tan  tan ′ 
tan       
  tantan    
 ′   
   ′  ≠ 
 ′ 
[1점]

배점 세부 평가 기준 세부 배점

탄젠트의 덧셈정리를 알고 바르게 표현하는가? 2점

tan와 tan  의 관계를 바르게 표현하는가? 2점

8 탄젠트 덧셈정리의 분자를 바르게 표현하는가? 2점

탄젠트 덧셈정리의 분모를 바르게 표현하는가? 1점

tan   를 ′  로 바르게 표현하는가? 1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6 ▹


<예시답안>
탄젠트의 덧셈정리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또한 문항 [1]에서 tan  ′  이고 문제의 조건에서 ′  ≠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tan  tan  tan   cot  ′   
′ 
그러므로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   
tan  tan ′ 
tan       
  tantan    
 ′   
   ′  ≠ 
 ′ 

[3]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구간  에서 이계도함수를 갖는 함수   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6점)
 ″ 
    ∈
   ′ 
 
   

(2) 함수   ln sec       에 대하여  를 구하시오.(5점)


<해설>
이미 얻은 결과로부터 새로운 결과를 얻어내는 과정에서 필요한 여러 가지 미분법을 정확하게 알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과 그
과정에서 삼각함수의 여러 성질, 로그함수의 도함수, 삼각함수의 도함수를 다양한 수학적 상황에서 바르게 적용하여 요구한 문
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채점기준>
(1) 문항 [1]에서 얻은 관계식 tan   ′  의 양변을 변수 에 관해 미분한다.
 
 tan   ′ 
 
좌변을 합성함수의 미분법과 tan ′  sec 을 이용하여 정리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sec    ″  또는     [3점]
  sec
그런데 삼각함수에 관한 성질   tan   sec과 tan  ′  임을 이용하면
sec    tan     ′  이다. [2점]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1점]
   ′ 

 

(2)   ln sec  ln   ln cos   ln cos 이므로
cos

 sin

′     tan, ″   tan′  sec
cos
[3점]

이들을 (1)의 식에 대입하고   tan   sec을 이용하여 정리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sec sec
        [2점]
   ′    tan  sec

배점 세부 평가 기준 세부 배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7 ▹


 ″ 
합성함수의 미분을 정확히 사용하여     관계를 얻는가? 3점
 sec

sec    tan      ′  임을 바르게 얻는가? 2점

11 문제에서 요구하는 식을 얻는가? 1점

주어진 함수의 도함수와 이계도함수를 바르게 얻는가? 3점


최종적으로    을 바르게 얻는가? 2점


<예시답안>
(1) 문항 [1]에서 얻은 관계식 tan   ′  의 양변을 변수 에 관해 미분한다.
 
 tan   ′ 
 
좌변을 합성함수의 미분법과 tan ′  sec 을 이용하여 정리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sec    ″  또는    
  sec
그런데 삼각함수에 관한 성질   tan   sec과 tan  ′  임을 이용하면
sec    tan     ′ 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2)   ln sec  ln   ln cos    ln cos 이므로
cos

′      tan,
 sin
″   tan′  sec
cos
이들을 (1)의 식에 대입하고   tan   sec을 이용하여 정리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sec sec
       
   ′    tan  sec

[4] 구간    ∞ ∞에서 이계도함수를 갖는 함수   에 대한 다음 명제를 증명하시오.(12점)



함수   가 상수함수 또는 일차함수이면     ∈ 이고, 그 역도 성립한다.


<해설>
명제의 증명 방법을 이해하고 제시된 문제에 적용하여 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그 과정에서 미분과 부정적분의 개념
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제시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도 평가한다.

<채점기준>
먼저, 구간    ∞ ∞에서 함수   가 일차함수 또는 상수함수라 하자.
그러면      ( 는 상수)이므로 분명히 ″    ∈ 이다. [3점]
따라서 문항 [3]의 (1)에서 얻은 식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    ∈ [2점]


이제, 역을 증명하기 위해     ∈ 이라고 하자.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8 ▹


 ″ 
그러면 문항 [3]의 (1)의 식        ∈ 에 의하여 ″    ∈ 이다. [2점]
   ′ 
한편, 상수함수의 도함수는 0이므로 제시문의 (가)에 의해    ′     (  은 상수)이다.
또한 제시문의 (가)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는 상수) [4점]

따라서   는 일차함수 또는 상수함수이다. [1점]

배점 세부 평가 기준 세부 배점

일차함수 또는 상수함수의 표현을 정확히 알고 그의 이계도함수가 임을 아는가? 3점


    ∈ 이 성립함을 바르게 밝히는가? 2점

12

    ∈ 에서 ″   임을 얻는가? 2점


″   에서   는 일차함수 또는 상수함수임을 바르게 밝히는가? 5점

<예시답안>
먼저, 구간    ∞ ∞에서 함수   가 일차함수 또는 상수함수라 하자.
그러면      ( 는 상수)이므로 분명히 ″    ∈ 이다.
따라서 문항 [3]의 (1)에서 얻은 식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이제, 역을 증명하기 위해     ∈ 이라고 하자.

 ″ 
그러면 문항 [3]의 (1)의 식        ∈ 에 의하여 ″    ∈ 이다.
   ′ 
한편, 상수함수의 도함수는 0이므로 제시문의 (가)에 의해    ′     (  은 상수)이다.
또한 제시문의 (가)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는 상수)

따라서   는 일차함수 또는 상수함수이다.


[5] 함수   sin,      에 대해      라고 할 때, 의 값이 최대가 되는 점  ∈ 와 최소가 되는


점  ∈ 를 찾고, 과  에서의 와    의 값을 구하시오.(12점)


<해설>
주어진 문제를 교육과정을 통해 배운 수학적 지식을 문제 해결을 위한 맥락과 상황에 맞게 올바르게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구체적으로는 함수의 최대 최소의 문제를 교과과정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정확히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한
다.

<채점기준>
함수   sin,      에 대해 ′   cos, ″   sin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1점]
 ″  sin
             [1점]
   ′    cos
함수  의 극값을 구하기 위해 cos  sin   을 이용하여 의 도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19 ▹


cos  cos  sin cos sin cos  sin 
′    
 
  cos    cos
 
따라서 cos  에서      에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의 증가와 감소,
 
그리고 찾고자 하는 값들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3점]
여기서 의 값을 구하기 위해 tan   ′   cos를 이용한다.

   
그러므로        이고       이며          이다. [3점]
   

배점 세부 평가 기준 세부 배점

주어진 함수의 도함수와 이계도함수를 바르게 얻는가? 1점


     를 바르게 얻는가? 1점

12
방정식  ′   과 그 근을 바르게 찾는가? 4점

요구한 답을 얻기 위한 함수 증감표 또는 그에 상당하는 것을 바르게 얻는가? 3점

문제에서 요구한 것에 바르게 답하는가? 3점

<예시답안>
함수   sin,      에 대해 ′   cos, ″   sin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sin
            
   ′    cos
함수  의 극값을 구하기 위해 cos  sin   을 이용하여 의 도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cos  cos  sin cos sin cos  sin 
′    
 
  cos    cos
 
따라서 cos  에서      에서  ′   이다.
 
이제 구간       에서  ′  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의 증가와 감소, 그리고 찾고자 하는 값들을 표로 나타내면 다
음과 같다. 여기서 의 값을 구하기 위해 tan   ′   cos를 이용한다.

   
그러므로        이고       이며          이다.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0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1 ▹
2016학년도 수시기출 오전
[문제 1]
◈ 출제의도
행렬에 대한 케일리·해밀턴의 공식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 역행렬이 존재하기 위한 조건을 실제 행렬에 적용시킬 수
있는 응용력 및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또한 함수, 합성함수, 일차함수에 대한 이해력과 이차부등식의 해를 구하는 계산력을 평가
하고 수학적 귀납법에 대한 이해력과 논리적인 증명능력을 평가한다.

[1] 행렬에 대한 케일리 정리를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 및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2] 주어진 성질을 만족하는 함수에 대한 이해력과 이차부등식의 해를 구하는 계산력을 평가한다.
[3] 주어진 성질을 만족하는 함수와 일대일 함수에 대한 이해력을 평가하고 거듭제곱근에 대한 이해력 및 계산력을 평가한
다.
[4] (1) 정수의 집합에서 정의되고 주어진 성질을 만족하는 함수를 구체적으로 구하는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2) 주어진 성질을 만족하는 함수와 합성함수에 대한 이해력 및 계산능력을 평가한다. 또한 수학적 귀납법에 대한 이해력과 논
리적인 증명능력을 평가한다.
(3) 역행렬이 존재하기 위한 조건을 실제 행렬에 적용시킬 수 있는 응용력 및 계산력을 평가한다.

◈ 문항별 배점
[1] 11점
[2] 7점
[3] 10점
[4] (1)9점 (2) 7점 (3) 6점

<풀이 예시>
[1]             이다. ∈    이므로     이고     이므로

            이다. 그런데          


   
이고     이므로     이고

    이다.
만일  ≠ 이라면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이는 모순이므로   이다.
만일  ≠ 이라면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이는 모순이므로   이다.

  이고      이므로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이다.



  
따라서   

 
그런데     이므로     또는   
  
 
이다.
 

[2]     이므로   이다.


또한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이므로 원소의 개수는 1이다.

[3]     이므로   이다. 또한   이므로    또는   이다. 그런데 는 일대일
함수이므로   이고         이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2 ▹



또한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그런데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  

[4] (1) (i)   이면     이므로   이다. 따라서     이다.
(ii)   이면       ⋯      ⋯   이다.
(iii)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런데             이므로    이고
 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모든 ∈ 에 대하여    이 성립한다.

(2)   일 때          



  

 이므로 성립한다.
  
 

  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즉,      라 가정하자.

그러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즉     인 경우

에도 성립하므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하여 주어진 식이 증명된다.

(3)   이면 모든 ∈ 에 대하여      이므로 가정에 모순이다. 즉,  ≠ 이다. 따라서
  
   ≠ 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   ≠ 이다. 그런데    의 역행렬이 존재하기 위한 필요충분조
건이    ≠ 이고  의 역행렬이 존재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   ≠ 이므로   ∈   이기 위
한 필요충분조건은 ∈    이다.

<채점기준>
[1] 케일리·해밀턴의 공식을 이용하여     이고     인 관계를 구했으면 [5점]

  ,   를 구하고 행렬     를 구했으면 [2점]


 
 ± ,  ± 를 구하고     를 이용하여     또는   
  
 
를 구했으면 [4점]
 

[2]   와       를 이용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구했으면 [5점]
  와 원소의 개수가 1임을 구했으면 [2점]

[3]   를 구하고 가 일대일 함수임을 이용하여   이고   를 구했으면 [5점]

  ± 
 를 구하고  
  ≥ 임을 이용하여 
   
 을 구했으면 [5점]

[4] (1) (i)   인 경우에   임을 보였으면 [5점]


(ii)   인 경우에   임을 보였으면 [2점]
(iii)   인 경우에    과       를 이용하여    임을 보였으면 [5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3 ▹


 임을 언급하고   인 경우에       
 

(2)   인 경우에       
 
 이 성립한다고 가정했으면 [2

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보였으면 [5점]

(3)  ≠ 임을 보였으면


   ≠ 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   ≠ 임을 언급하고    의 역행렬이 존재하기 위한 필요충분조
건이    ≠ 이고  의 역행렬이 존재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   ≠ 임을 언급했으면 [3
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4 ▹


[문제 2]
◈ 출제의도
교육과정에 중요하게 다루는 여러 가지 개념에 대한 이해와 문제해결 능력을 매개변수로 주어진 함수를 이용 하여 나타내어지
는 평면 곡선에 대한 문제 해결을 통해 확인하고자 함. 매개변수로 주어진 함수들의 관계식을 구하고 그가 나타내는 도형, 곡선
위의 점에 대한 위치벡터와 벡터의 내적, 삼각방정식을 만들고 그의 해 구하기, 곡선 위의 점에서의 도함수와 접선의 방정식,
그리고 곡선의 길이를 구하고 관련된 함수의 극한에 관한 문제들을 통해 관련된 수학 개념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 그리고 문
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수학적 지식을 활용과 수리적인 계산 능력 등을 평가하고자 함.

[1] 점의 좌표가 매개변수로 주어진 곡선에서 매개변수를 소거하는 문제를 통해 삼각함수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과 그의 활용 능
력, 계산능력의 정확성, 나아가 이차곡선에 대한 이해를 평가
[2] 곡선 위의 점을 위치벡터로 생각하게 하여 벡터의 내적에 관한 문제를 통해 내적에 대한 정확한 이해도와 그의 활용 능력,
계산의 정확성 등을 평가
[3]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주어진 두 곡선이 교차하는 점을 삼각방정식을 만들어 그 해를 구하는 문제로 바꾸어 해결하는 능력과
직선의 기울기와 삼각함수의 관계를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
[4]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정의되는 함수의 도함수에 대한 이해, 음함수에 대한 이해와 음함수의 미분법, 음함 수로 주어진 함수
에 대한 접선의 방정식을 정확하게 구할 수 있는 지 등을 평가
[5]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주어진 곡선의 길이를 이해하고 그를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그와 연계하여 정적분으로 정의되는
함수를 이해하고 관련된 함수의 극한에 대한 이해와 극한값을 구하는 능력을 평가

◈ 문항별 배점
[1] 6점
[2] 12점
[3] (a) 6점, (b) 4점
[4] (a) 4점, (b) 7점
[5] 11점

◈ 채점 가이드
[1] 주어진  를 제곱하면 다음을 얻는다.
  cos,   sin cos
(또는   sin cos   sin  cos) [2점]

이때 cos  sin   이고    cos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coscos  sin   
(또는     cos     )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또는      [2점]

따라서 구하는 관계식은 중심이     이고 반지름이  인 원을 나타낸다. [2점]

[2] 먼저 두 벡터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5 ▹



 

  cos  cos sin   sin  cos  cos sin  sincos


   cos cossin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을 라고 하자. 벡터의 내적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ㆍ
   

 cos

그런데 삼각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정리하면



ㆍ
   cos  cos  cossin    cossin  [2점]
 coscos  sin    coscos  sin 
 cos   cos
 cos  cos


 cos  cos  cos  sin   sin cos  sin cos [2점]
   cos   sin cos  cos  sin  cos
   coscos  sin   coscos  sin 
   cos 

 
  cos   cossin  [2점]

  cos cos  sin 
 cos 

이므로 
ㆍ
   
 
 cos에서 다음을 얻는다.
 cos   cos  cos  coscos [2점]
따라서 주어진 에 대해 다음을 얻는다.
cos 
cos   ,     ,  ≠ 
cos 
 
cos     
그런데 cos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cos     

 
     
cos   [2점]
      

이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2점]
     
 

[3] (a) 두 곡선이 일 때 만나면 두 점의 대응하는 성분이 각각 같아야 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cos  cos  cos, sin  cossin  cossin,  ≤  ≤ 
이를 정리하면 다음 연립 방정식을 얻는다.
cos  cos  , sin  cos  ,  ≤  ≤  [2점]
 
따라서 cos       이다. 따라서 점  의 좌표는 다음과 같다. [2점]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6 ▹


 

  
 

 [2점]

(b) 원점과 점  를 잇는 직선의 기울기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2점]




한편, tan  
 이므로    이다. [2점]


[4] (a) 문항 [3]에서    이므로 점   에 대해 다음을 얻는다.

  
  cos  cos      ,
  
   
  sin  sincos    ㆍ  ㆍ   
 [2점]
   
(※ 여기서 분모만 계산한 경우에도 [2점] )
이로부터 점  가 만드는 곡선 위의 점  에 대응하는 에서 다음을 얻는다.

 

   [2점]
  


(b) 문항 [1]에서 점  가 만드는 곡선은 다음과 같은 원임을 보였다.
 

         

또는     

이로부터 음함수 미분법을 사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또는    [2점]
  
 


따라서 점     에서 접선의 방정식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다.
 

  ㆍ 
  
    [2점]
  
ㆍ 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2점]

[※ 별해] 접선의 기울기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총 4점)


점   cos cossin에 대하여  sincos  sin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cos 
   (2점)
     cossin



따라서    이면 다음을 얻는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7 ▹





ㆍ  


 

(2점)

     
 ㆍ  ㆍ 
 

[5] 점  에 대해

 ′′
  sin  cossin  sin  sin
 cos  cos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 ′   sin   sinsin  sin   cos  coscos  cos [2점]
   coscos  sinsin   cos

 cos 

따라서 구간  ≤  ≤ 에 대응하는 구하는 곡선의 길이  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cos    sin  

 
    
 sin 

[2점]

한편, 점  에 대해
  cossin  sin
′′   cos
이므로 구간  ≤  ≤ 에 대응하는 곡선의 길이  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sin   cos   

 
   [3점]

sin
따라서 lim   임을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sin   sin
     
lim   lim   lim    [4점]
→     →   →   


◈ 풀이 예시
[1] 주어진  를 제곱하면 다음을 얻는다.
  cos,   sin cos
(또는   sin cos   sin  cos)

이때 cos  sin   이고    cos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coscos  sin   
(또는     cos     )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또는     

따라서 구하는 관계식은 중심이     이고 반지름이  인 원을 나타낸다.


[2] 먼저 두 벡터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8 ▹



 

  cos  cos sin   sin  cos  cos sin  sincos


   cos cossin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을 라고 하자. 벡터의 내적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ㆍ
   

 cos
그런데 삼각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정리하면

ㆍ
   cos  cos  cossin    cossin 
 coscos  sin    coscos  sin 
 cos   cos
 cos  cos


 cos  cos  cos  sin   sin cos  sin cos
   cos   sin cos  cos  sin  cos
   coscos  sin   coscos  sin 
   cos 

 
  cos   cossin 

  cos cos  sin 
 cos 

이므로 
ㆍ
   
 
 cos에서 다음을 얻는다.
 cos   cos  cos  coscos
따라서 주어진 에 대해 다음을 얻는다.
cos 
cos   ,     ,  ≠ 
cos 
 
cos     
그런데 cos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cos     

 
     
cos  
      

이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3] (a) 두 곡선이 일 때 만나면 두 점의 대응하는 성분이 각각 같아야 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cos  cos  cos, sin  cossin  cossin,  ≤  ≤ 
이를 정리하면 다음 연립 방정식을 얻는다.
cos  cos  , sin  cos  ,  ≤  ≤ 
 
따라서 cos       이다. 따라서 점  의 좌표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29 ▹


(b) 원점과 점  를 잇는 직선의 기울기 는 다음과 같다.


    





한편, tan  
 이므로    이다.


[4] (a) 문항 [3]에서    이므로 점   에 대해 다음을 얻는다.

  
  cos  cos      ,
  
   
  sin  sincos    ㆍ  ㆍ   

   

이로부터 점  가 만드는 곡선 위의 점  에 대응하는 에서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b) 문항 [1]에서 점  가 만드는 곡선은 다음과 같은 원임을 보였다.
 

         

또는     

이로부터 음함수 미분법을 사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또는   
  
 


따라서 점     에서 접선의 방정식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다.
 

  ㆍ 
  
   
  
ㆍ 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별해] 접선의 기울기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점   cos cossin에 대하여  sincos  sin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cos 
  
     cossin



따라서    이면 다음을 얻는다.




ㆍ  
  



  
  
 ㆍ  ㆍ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0 ▹


[5] 점  에 대해

 ′′
  sin  cossin  sin  sin
 cos  cos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 ′   sin   sinsin  sin   cos  coscos  cos
   coscos  sinsin   cos

 cos 

따라서 구간  ≤  ≤ 에 대응하는 구하는 곡선의 길이  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cos    sin  
 
    
 sin 

한편, 점  에 대해
  cossin  sin
′′   cos
이므로 구간  ≤  ≤ 에 대응하는 곡선의 길이  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sin   cos   


  

sin
따라서 lim   임을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sin
   sin
    
lim   lim   lim   
→ 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1 ▹


2016학년도 수시기출 오후
[문제 1]
◈ 출제의도
대학에서 학업을 수학하기에 요구되는 종합적 문제이해 능력 및 해결능력을 일차변환의 특성과 기하 도형의 방정식, 벡터적 표
현 및 연산을 통해 확인한다. 이 문제들을 통해 일차변환, 합성변환의 정의와 특성, 행렬 표현 및 도형의 정의를 이해하고 있는
지, 방정식을 세울 수 있는지, 문제에서 요구하는 기하학적 사고와 수학적 연산 수행 능력을 평가한다.

[1] 일차변환과 합성변환의 정의를 이해하고 이를 행렬식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2] 일차변환의 합성을 통해 평면 위의 점을 이동하고, 이를 벡터를 이용해 표현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3] 두 점의 위치벡터를 이용해 도형의 방정식을 만들고 이의 특성을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4] 반복적인 변환에 의해 만들어지는 점들의 궤적을 수열로 표현하고 이의 극한을 구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5] 일차변환을 통해 옮겨지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위치관계를 기하학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 문항별 배점
[1] 9점
[2] 11점
[3] 11점
[4] 8점
[5] 11점

◈ 채점 가이드
[1] (9점)
회전변환 와 닮음변환 를 나타내는 행렬을 각각   라 하면
합성변환    ∘ 를 나타내는 행렬은    로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sin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3점]

 

한편, 원점을 중심으로 각 만큼 회전하는 회전변환의 행렬을  ,
닮음의 중심이 원점이고 닮음비가 인 닮음변환의 행렬을 라 하면

,  
  

 sin cos  sin  
 cos
sin cos 
,     이므로   



sin cos 

이다. 

(단, 회전행렬   의 일반항를 구하지 않아도 아래의 합성행렬   을 정확히 구하면 정답으로 인정한다.)
따라서 변환 를 번 반복해서 수행한 변환  을 나타내는 행렬은          이므로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2 ▹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cos    sin  

     sin   cos  

 
   
sin  cos 
  
  

 

 
 
   
cos    sin  
 
 
 


 
sin   cos  

   
이 된다. [6점]

[별해1]
회전변환 행렬   을 구할 때, 아래와 같이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해 유도할 수도 있다.
 sin
  일 때,   cos
sin cos 
  이므로 성립한다.

cos  sin
  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sin cos 

cos  sin cos  sin


 
sin cos  sin cos 
  
    일 때 
cos cos  sinsin  cossin  sincos

sincos  cossin  sinsin  coscos 
삼각함수의 변환공식에 의해
 
coscos  sinsin   cos    cos    cos    cos   cos  
 
 
sincos  cossin   sin     sin     sin     sin    sin   따라서
 
   sin   
cos
sin    cos   
    이므로 성립한다.

cos  sin cos  sin


그러므로   
sin cos 
일 때,   
sin cos 

이다.

[별해2]
합성변환 행렬   을 구할 때,  를 8번 곱하여   ~   로   행렬을 표현한 경우에는 일반항을 정확히 구하지 못했으므로 부
분점수만 인정한다. [최대3점] (단, 행렬  의 부분점수는 별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11점)
   
 
역변환   의 행렬은    





 
 
이다.   [2점]

 
 
 
 
점   에 대하여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변환 와 변환   에 의하여 옮겨진 두 점은 각각   ,   이 된다. [3점]
따라서, 평면 위의 점   에 대하여 두 벡터 
 
를 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4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3 ▹



두 벡터의 내적 
ㆍ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 된다.


  
따라서 점  는 중심이    이고 반지름이  인 원으로 그 길이는 
 
 이다. [2점]

[3] (11점)
 
변환 는 원점 중심으로  만큼 회전하면서 원점과의 거리가  의 비율로 줄어드는 합성변환이다. 변환 에 의하여 옮겨진
 

서로 이웃한 두 점    과  의 위치벡터를 각각 
   
이라 하면 위치벡터 
의 크기는 
 


  

이고,

두 위치벡터 
과 
  의 사잇각은  이다. [5점]

 
삼각형    의 넓이     
   
sin  이고
 
 
삼각형   의 넓이      
 
 sin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4점]

   
따라서, 수열 은 초항   


 
sin    이고 공비가
  

인 등비수열이 되므로 무한급수의 합


∞  

 
     이다.
 
[2점]
 

[별해1]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4 ▹


처음 몇 개의 점을 변환 의 행렬을 이용해 직접 구하고, 이 점들의 기하학적인 위치를 통해 삼각형의 넓이의 규칙성을 이용해
답을 구하는 경우에는 삼각형 넓이의 수열  의 일반항을 구하지 못하였으므로 부분점수만을 인정한다. [최대5점]

변환 에 의하여 점   이 옮겨진 점을 차례로 계산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된다.
     

이때 원점을 중심으로 만든 삼각형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이 되므로
   
 
수열  은 초항     이고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이다.
 

∞  
따라서 무한급수의 합
 

     이다.
 
 

[4] (8점)

변환 에 의하여 옮겨진 점    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와 의 관계식을 구하면           가 된다. [4점]
  

이에 양변을 곱하면     이 되고 이를 정리하면       이다.

따라서   이므로     
 이다 [4점]

[5] (11점)
변환 의 정의에 의해 변환 를 번 적용하면(180°씩 회전) 직선  와 옮겨진 직선은 서로 평행한 위치 관계가 된다. 따라서
평행한 위치 관계가 되는 최소의 자연수   이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5 ▹


   

이때 변환  의 행렬  
 

 
cos     




 

sin  


 
    이 된다. [5점]
 
   
sin    
 
   
cos  
    

따라서 변환  에 의하여 직선   위의 점  가 직선  위의 점′ ′  으로 옮겨진다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옮겨진 직선   는 ′  ′  이 된다. [3점]
  
   
원점으로부터 직선   까지의 거리  는   
    이고

  
   

  
직선   까지의 거리  는   
    이다.

  
   

  


따라서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이 된다. [3점]
  

[별해1]
변환  에 의하여 처음으로 평행한 위치 관계가 됨을 설명하고, 옮겨진 직선   를 구하는 대신 직선   상의 한 점만을 변환 
에 의하여 옮기고 옮겨진 점과   간의 거리로 답을 구하는 경우에도 정답으로 인정한다. [최대11점]


변환 는 원점을 중심으로  만큼 회전하는 변환이므로 4번 회전하면 원래 직선과 처음으로 평행이 된다. 변환  에 의하여

  
   
   
 


직선   위의 한 점   이 옮겨진 점  는         이 되므로 점      와 직선        간
   
  

의 거리  
    





 
  이 된다.
 

    

◈ 풀이예시
[1] 회전변환 와 닮음변환 를 나타내는 행렬을 각각   라 하면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6 ▹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sin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합성변환    ∘ 를 나타내는 행렬은    




  
이다.  

 

변환 를 번 반복해서 수행한 변환  을 나타내는 행렬은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cos   sin 
   




 

 
cos    sin  

     sin   cos  

 
   
sin  cos 
  
  

 

 
 
   
cos    sin  
 
 
 





sin   cos  
   
이다.

   
 
[2] 역변환   의 행렬은    





 
   
이다.

 
 
 
 
점   에 대하여   

 
  



이고,            이므로 옮겨진 두 점은 각각

 

     이 된다.
평면 위의 점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내적 
ㆍ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이 된다.


  
따라서 점  는 중심이    이고 반지름이  인 원으로 그 길이는 
 
 이다.

 
[3] 변환 는 원점 중심으로  만큼 회전하면서 원점과의 거리가  의 비율로 줄어드는 합성변환이므로 서로 이웃한 두 점
 

   과  의 위치벡터를 각각 
   
이라 하면 
 


   이고, 두 벡터 
과 
  의 사잇각은


 이다.

   
    
   
sin  이고,      
 
 sin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따라서, 수열  은 초항     이고,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이 되므로
  

     이다.
 
 


[4] 변환 에 의하여 옮겨진 점    은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와 의 관계식을 구하면           가 된다.
  
양변을 곱하여 정리하면       이고   이므로     
 이다

[5] 변환 의 정의에 의해 변환 를 번 적용하면 직선은 직선  과 평행한 위치 관계가 된다. 따라서 평행한 위치 관계가 되
는 최소의 자연수   이다.
   

이때 변환  의 행렬  
 

 

cos     




  
sin  


 
    이 된다.
 
  
  sin    



  
cos  
 

따라서 변환  에 의하여 직선   위의 점  가 직선  위의 점′ ′  으로 옮겨진다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변환된 직선   는 ′  ′  이 된다.
  

원점으로부터 직선   까지의 거리  는    이고


직선   까지의 거리  는    이다.


따라서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     이 된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8 ▹


[문제 2]
◈ 출제의도
[1] 주어진 식을 정적분으로 전환할 수 있는지를 물어 정적분의 정의를 이해하고 있는지 판별하고 부정적분을 이용하여 함수의
정적분 값을 계산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2] 정적분의 기본정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해 간단한 식의 값을 계산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3] 제시문 2에 주어진 미적분학
의 기본 정리와 제시문 3에 주어진 평균값의 정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간단한 등식을 증명할 수 있는지 확인한
다.
[4] 도함수를 이용하여 함수의 증가와 감소를 판정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간단한 함수의 정적분을 계산하고, 함수의 증가에 관
한 주어진 제시문을 적용하여 넓이의 대소 관계를 판별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5] 부분적분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주어진 등식을 증명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한다.

◈ 문항별 배점
[1] 9
[2] 9
[3] 11
[4] 10
[5] 11

◈ 채점 가이드
[1]


     
lim 
→∞    


 lim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5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 


[4점]

[2]

   

     라고 놓으면,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이고,

[5점]

  ′          ⋯     이다.





여기서 상쇄되는 항들을 제거하면 남는 항은     이므로 정답은  
    
  
 이다. [4점]

[3]
 
 ′   라고 하자. 제시문 2에 의해  
         이다. 이 식의 양변을 에 대해 미분하면

  

  
      [5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39 ▹


우변에 평균값의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을 만족하는      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      ′  [6점]

[4]
(1) 실수 전 구간에서  ′      이므로 이 함수는 증가한다. [3점]
 
(2) 밑변의 길이가 1이고 높이가  인 사각형의 넓이  은  이다.
 

곡선    와 축 및      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 는

      
  



 

 ln 
    
 
 ln   ln    이다.

 
한편, 밑변의 길이가 1이고 높이가  인 사각형의 넓이  는  이다.
 
<그림 1>에 의해   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ln        
 
[3점]


이 식들에  를 곱하면 이 값이 양수이므로



 

 ln   
     

이다.     는 실수 전 구간에서 증가하므로 제시문 4에 의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4점]

[5]
※ 부분적분법을 활용하지 않고 단지 우변을 미분하여 등식을 증명한 경우 최대 [3]점 부여.

 cos     sin′    sin    sin′   ′ 


[3점]

이 식에서   sin′   ′    sin     cos′  


 cos    cos′   ′   cos    cos  이다.

[3점]
따라서

  cos   sin  cos   sin sin   cos cos    
 

 
 cos      

[3점]
따라서
  
 cos    
cos      

(여기서  는 적분 상수). [2점]

[별해1]

 cos    cos′   ′  cos    sin   [3점]
이 식에서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0 ▹


 cos    sin′   ′  sin    cos   [3점]
따라서

 cos   sin  cos   sin sin   cos cos    
 


 cos      
 
[3점]
따라서
  
 cos    
cos       이다. (여기서  는 적분 상수). [2점]

[별해2]
첫 번째 풀이와 [별해1]이 뒤섞여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이건 부분적분을 올바로 1번 적용하면 [3점]
그 중 한 항을 선택해 부분적분을 올바로 2번째 적용하여 원래 문제와 같은 항이 나타나면 [3점].
원래 문제와 같은 항이 나타난 식을 정리한 후 삼각함수의 합성을 올바로 수행하면 [3점]
적분상수를 부가해서 올바로 마무리 하면 [2점]을 부여함을 합니다.

◈ 풀이예시
[1]


     
lim 
→∞    


 lim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라고 놓으면,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이다.





여기서 상쇄되는 항들을 제거하면 남는 항은     이므로 정답은  
    
  
 이다.

[3]
 
 ′   라고 하자. 제시문 2에 의해 
         이다. 이 식의 양변을 에 대해 미분하면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1 ▹


우변에 평균값의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을 만족하는      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      ′ 

[4]
(1) 실수 전 구간에서  ′      이므로 이 함수는 증가한다.
 
(2) 밑변의 길이가 1이고 높이가  인 사각형의 넓이  은  이다.
 

곡선    와 축 및      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 는

      
  



 

 ln 
    
 
 ln   ln    이다.

 
한편, 밑변의 길이가 1이고 높이가  인 사각형의 넓이  는  이다.
 
<그림 1>에 의해   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ln        
 

이 식들에  를 곱하면 이 값이 양수이므로



 

 ln   
     

이다.     는 실수 전 구간에서 증가하므로 제시문 4에 의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5]
※ 부분적분법을 활용하지 않고 단지 우변을 미분하여 등식을 증명한 경우 최대 [3]점 부여.

 cos     sin′    sin    sin′   ′ 

이 식에서   sin′   ′    sin     cos′  


 cos    cos′   ′   cos    cos  이다.

따라서

  cos   sin  cos   sin sin   cos cos    
 

 
 cos      

따라서
  
 cos    
cos      

(여기서  는 적분 상수).

[별해 1]

 cos     sin′    sin    sin′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2 ▹


2016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예시답안]
[1]

 ∈  R  이면     이고 det   det  이다.


그런데 det   det   이고 det   이므로 det    이다.
따라서  는 역행렬을 갖지 않으므로  ∉     이다.
그러므로   R  ∩ T R   ∅ 이다.

[2]

              이고


[문항1]에서 det   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이고  ∈   R  이므로 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또는    이다. 그런데    이면      이므로 모든 행렬  ∈  R  에 대하여
     이다.

[3]

 ∈  이면  ∈  R  이므로 [문항2]의 결과를 이용하면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이고  ∈  이면            이므로      이 되어    이다. 그러므로    이다.

[4]

  ∈   R  이면 [문항2]의 결과에 의하여     이므로     이다.

이때  는 임의의 실수이므로 모든  ∈ R 에 대하여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이다.
 
따라서 lim   lim    이다.
→∞   →∞ 

[5]

(1)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그런데  ≠  이므로    이다.
또한 임의의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 
따라서 모든  ∈ Z 에 대해    이다.
그런데    이면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이다. 즉,
    이다.

(2)    
 
 
∈     이라면 det      ≠  이므로

 
det              이다.
그런데    이고  ≠  이므로 det  ≠  이 되어   의 역행렬이 존재한다.
따라서   ∈  R  이다. 그러므로 포함관계 T Z ⊂ T R  가 성립한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3 ▹


[문제 2]
[예시답안]
[1]
 
주어진 구간   을  등분하면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정적분의 정의와 무한등비급수의 부분합을 이용하여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lim 
→∞  
 ∆  lim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한편 lim   lim   ′      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

  
lim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또 lim   이므로 극한의 성질에 의해 lim ⋅  ⋅ × 


→∞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 이다.

[2]
주어진 식을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lim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구간을  ∆        ⋅    ⋯ 이라 하자. 제시문의 [정적분의 정의]에 따르면 구하는 함수는
 

   이다.


따라서 함수  의 정적분   를 이용하면 구하는 극한값은 다음과 같이 ln  이다.


lim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ln  

  
 ln 

[3]
제시문의 [정적분의 정의]와 [실수의 삼각부등식]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4 ▹


   lim  ∆   ∆
  

  lim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이다.

(별해)
구간  에서 명백히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제시문의 [정적분의 성질1]과 [정적분과 부등식]을 이용하여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따라서 다음을 얻는다.

 
 


 ≤  

[4]
(1)    이면 자명하다.
만일  ∈  라면 구간   에 대하여 제시문의 [평균값의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 식을 만족시키는 점  가  와 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   ′    
이때  가 구간   에서 ′  의 최댓값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  
(2)     이제 [문항3]의 부등식 ①,
  

제시문의 [정적분과 부등식]과 (1)의 부등식으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  
(1) 구간     를  등분하면     
    
 이 성립하므로 부등식 ④의

왼쪽 항의 절댓값 기호 안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제  를 소구간       에서 ′ 의 최댓값이라 하고 문항4의 식 ②를


적용하고,  이 구간     에서 ′ 의 최댓값임을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를 제시문의 [실수의 삼각부등식]과 결합하고    임을 이용하여 다음을

얻는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문항2]에서 구한 함수는   이다. 따라서 식 ③을 이용하여 정적분

 
 



 ln  의 근삿값을 구한다면,    ,    이고, 또 ′    에서
    


   이다.


식 ④에 의한 오차한계가  이하가 되게 하는  의 최솟값은 다음 식에서 보인

것과 같이  이다.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6 ▹


2015학년도 수시기출 오전
[문제 1]
▣ 출제의도
대학에서 학업을 수학하기에 요구되는 종합적 문제이해 능력 및 해결능력을 기하 도형의 방정식과 벡터적 표
현을 통해 확인한다. 이 문제들을 통해 도형의 정의를 이해하고 있는지, 방정식을 세울 수 있는지, 문제에서
요구하는 함수를 기하학적 사고와 수학적 연산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 적분 및 각도 계산에 요구되는 복잡한
계산을 수행할 능력이 있는지를 평가한다.

[1] 주어진 조건에 맞는 방정식을 세울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2] 각도를 길이로 표현하고 식을 단순화하여 부등식을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3] 두 점이 이루는 벡터를 식으로 표현하고, 식이 만드는 도형에 대해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4] 대칭변환에 의한 도형의 모양변화와 축의 둘레로 회전시킨 도형의 부피를 구하는 식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정확한 계산을 수행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5] 주어진 식을 이용해 정확한 계산을 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 문항별 배점
[1] 5점
[2] 10점
[3] 10점
[4] 15점
[5] 10점

▣ 예시답안 및 채점가이드
[문제 1]
[1] (5점) 제시문의 식 (1)에서      에서   ,   이므로   
   이고, 만족하는 타원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
다. 타원의 방정식을 완성한 경우 [5점]


    

[2] (10점) ∠ ′   라고 하고, ∆ ′  에 대해 제시문의 식 (3)의 제이코사인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cos    [3점]
 
 ′   
 

이때,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3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시문 식 (4)에 의해,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이다. [2점]


따라서 cos  ≥ 이므로 ∠  ′  ≤  이다.

실제로      ± 일 때  ′   
   
 이므로 cos   이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7 ▹



∠  ′  는   ± 일 때 가장 큰 각인  를 갖는다. [2점]

[별해 1]   ± 일 때 두 초점과  저이 이루는 각은 타원의 내접원에 내접하는 삼각형의 지름에 대한 원주각에 해당한다.
[5점]


이 외의 점들의 경우는 모두 내접원의 바깥쪽에 있기 때문에 ∠  ′  는 지름에 대한 원주각인  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따라서 최대각은  이다. [5점]

[별해 2]  ′   ,   ,    세 점으로 이루어진 삼각형 ∆ ′  에 대해 제시문의 제이코사인법칙을 적용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라고 하면 [2점]

             
cos    [2점]
      
     


점   가 타원위의 점이므로 방정식     를 만족한다. 이를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식은 분모, 분자가 모두 양수이므로 cos 는   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따라서 cos  ≥  이고 ∠   ∠  ′  ≤  이다.

실제로      ± 일 때 
 ′  
  
 이므로 cos    이다.

∠  ′  는   ± 일 때 가장 큰 각인  를 갖는다. [2점]

[별해 3] ∠  ′  은 궤도 위의 임의의 점을  라 할 때,   ′ 와 


벡터의 사잇각에 해당한다.   에 대해 
 ′ 와 

를 좌표로 표시하면,   ′     , 
     이다. [2점]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3점]
  ′    ′             


점   가 타원위의 점이므로 방정식     를 만족한다. 이를 대입하면, [2점]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8 ▹




  [1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식은 분모, 분자가 모두 양수이므로 cos 는   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따라서 cos  ≥  이고 ∠   ∠  ′  ≤  이다.


실제로      ± 일 때    
′     이므로 cos    이다.

  ′  는   ± 일 때 가장 큰 각인  를 갖는다. [2점]

[3] (10점) 궤도 위의 임의의 점     에 대해 두 벡터를 좌표로 표시하면,



 ′       , 
      [3점]

두 벡터의 합벡터를 좌표로 표시하면,



 ′  
    [2점]

따라서 본래 타원보다 두 배 궤도 반경이 큰 타원궤도가 된다. [1점]


면적이 본래 타원궤도의 네 배가 된다. [2점]
제시문의 식 (2)에서 주어진 타원의 넓이식을 이용하면, 본래 타원궤도의 넓이는

     
 [1점]

따라서 벡터가 그리는 도형의 넓이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1점]

[별해 1]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이므로      는    가 만족하는 타원의 방정식을 만족하므로 일차
 
   

변환에 의한  ′  ′  가 만족하는 방정식은 다음 식을 만족한다.

 ′    ′ 
   [5점]
  

  
,   을 제시문의 식 (2)에서 주어진 타원의 넓이식에 적용하면, 벡터가 그리는 도형의 넓이
  
  ×   
 이다. [5점]

[별해 2]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이므로      는    가 만족하는 타원의 방정식을 만족하므로 일차
 
   

변환에 의한  ′  ′  가 만족하는 방정식은 다음 식을 만족한다.


 ′    ′ 
   [5점]
  
 ′
 
정적분을 통해 도형의 면적을 구하면,  ′       이고  ′ ≥ 인 부분의 면적을 구하여 두 배 하면 된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49 ▹





 ×   




   

  
 sin ;      cos;   
 cos    이므로

 

 
 
  ×

 
 
 cos  
 cos     


cos   


  

 

 
cos     sin   


        

 
      [5점]
     
 
 

[4] (15점) 변환  ′′   에 의해  ′  ,  ′  인 관계식이 성립


하여 공간적으로   대칭이 된다. 따라서 옮겨진 도형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주어진 타원        


변환된 타원         [1점]

  


  와 타원식의 교점을 구하면    이므로  이고,
   

    이다. 따라서 두 타원의 교점은
   
      ,        이다. [2점]

회전체의 부피는   을 구하면 되므로 타원식을  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주어진 타원        

변환된 타원         

좌우 대칭이므로   인 영역의 부피를 구해서 두 배 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  영역에서는   회전체에서  회전체의 부
피를 빼주고,  까지는 반대로   회전체에서   회전체의 부피를 빼주고,  
 에서는  회전체만 계산해주면 된다. 따라
서 회전체의 부피는 다음 식으로 구해진다.
(혹은,   영역에서는   회전체에서   회전체의 부피를 빼주고,  
  영역에서   회전체의 부피를 구하고  영역에
서   회전체의 부피를 빼주어도 됨.)

회전체 부피의 식을 세우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점]

※ 혹은, 회전체 부피의 식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점]
 

정적분을 계산해 부피를 계산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점]

   
따라서 구하는 부피는          이다.
 
[2점]
   

[5] (10점) 두 점을 잇는 벡터를 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3점]

이 두 벡터를 내적하면 다음과 같이 두 벡터가 이루는 각에 대한 코사인 값을 구할 수 있다.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점]
 
       


이는 빗변의 길이가 5, 밑변의 길이가 3인 직각삼각형으로부터 얻는 값과 같으므로 tan    이다. [2점]

[별해] ∠ ′   , ∠ ′    이면



 


tan       

  [2점]
 
 
 
   

tan   
 

 
      [2점]
  
  
   

이므로 제시문의 식 (6)을 이용하면 


 ′ 과 
 ′ 의 사잇각을 구할 수 있다.
tan   tan   
tan   tan           [6점]
  tan  tan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1 ▹


[문제 2]
▣ 출제의도
[문제 2] 원점이 중심인 원 위의 점을 각 (라디안)을 써서 나타낼 수 있는지, 원 위의 점에서 접선의 방정식
을 구할 수 있는지, 그리고 간단한 도형의 면적을 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지, 구한 도형의 면
적의 비의 극한값을 바르게 계산하는 몇 개의 문제를 통해 대학에서 수학(修學)하는 데 요구되는 종합적으로
문제를 이해∙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과 적정한 수준의 수리적 지식과 계산 능력, 그리고 논리적 전개능력 등
을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특히, 식의 등식 변형, 함수의 극한에 관한 성질, 미분계수의 정의와 접
선의 방정식의 의미, 롤의 정리의 활용 및 교과서에서 배운 증명 방법을 활용하여 간단한 부정형의 극한을 다
룰 수 있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제시된 문제를 통해 증명하고 그를 활용한 문제를 해결에 관한 수리적인 이해
력과 적용 능력을 평가한다. 각 문항의 출제 의도는 다음과 같다.

[1] 교과서에서 배운 증명 방법을 습득하고 활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


[2] 지시에 따라 주어진 문제를 논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
[3] 중심이 원 둘레의 점을 각 (라디안)의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지를 평가
[4] 여러 가지 도형의 면적을 바르게 구하는 수학적 지식과 계산력을 평가
[5] 문항[2]에서 얻은 결과의 의미를 잘 이해하여 요구되는 문제를 해결에 적절히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

▣ 문항별 배점
[1] 10점
[2] 10점
[3] 10점
[4] 9점
[5] 11점

▣ 예시답안 및 채점 가이드
[문제 2]
[1] (10점) 두 함수 , 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며  ≠ 이므로 식 ①
에서 주어진 함수   는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다. [2점]
또한 분명히          이므로 [2점]
제시문의 [롤의 정리]에 의하면 다음을 만족시키는 실수 가 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    [2점]

  
여기서  ′    ′     ′  이고 위의 식에서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2점]
  

구간  에서  ′  ≠ 이므로 정리하여 다음을 얻는다.


    ′ 
  [2점]
    ′ 

[20] (10점) 점 ∈ 와 주어진 함수 와 에 대하여    ,    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 


  [2점]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2 ▹


여기서  ≠ 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2점]
       
 

조건에서 함수 와 가   에서 미분가능하다. 즉 다음의 극한값이 존재한다.

     


lim    ′   , lim    ′   [2점]
→  → 

또 조건에서 구간  에서  ′  ≠ 이므로  ′  ≠  이다.


이제 제시문의 [함수의 극한에 관한 성질]을 이용하여 다음을 얻는다.

  ′  
lim   [3점]
→  ′  

※ 문항 [1]을 이용하는 경우 :  ′  ,  ′  가 연속이라는 조건이 없으므로 식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일 때 (→ 일 때) 우변의 극한값이  이라고 할 수 없다. (이 경우는 [2점]까지만 부여함.)
 ′ 

[3] (10점) <그림 1>에서 직각삼각형  를 참조하면 점  의 좌표


는  cos  sin   이다. [2점]
따라서 점  의 좌표는  cos   이다. [2점]
점  의 좌표는 분명히   이다. [1점]

한편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주어진 반원을 함수   


  
의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그의 도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
다.
 <그림 1>
 ′   이므로   cos 이면 구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
  

cos 
  이므로 점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sin 

cos 
  sin      cos   [3점]
sin 


점  의 좌표는 위의 접선의 절편 이므로     이다.
cos   
[별해 1 : 접선의 방정식] 점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직선  의 기울기가 tan 이고 접선은 직선  와 수직이므로 접선의
 cos 
기울기는     이다. 점  cos  sin  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tan  sin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3 ▹


cos 
  sin      cos   [3점]
sin 

[별해 2 : 접선의 방정식] 원      위의 점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이고  cos  sin   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cos    sin     [3점]


[별해 :  의 좌표] 점  의 좌표를 라고 하면 직각삼각형 ∆ 에서 cos   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점  의 좌표는     이다.
cos    [2점]

[4] (9점) <그림 1>에서 도형  의 면적  는 (부채꼴  의 면적)  (직각삼각형  의 면적)이다.


(부채골  의 면적)    [1점]


(직각삼각형  의 면적)    cos  sin  [1점]

따라서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sin  cos        sin   [3점]
  

한편 도형  의 면적  는 (직각삼각형  의 면적)  (부채꼴  의 면적) 이다.


  
(직각삼각형  의 면적)은  sin      tan  이므로 [1점]
 cos  


    tan    [3점]

[5] (11점) 문항[4]로부터  ,  ,  는 다음과 같고, 모두   을 포함하는 어떤 구간에서 정의된다.

   
    sin ,        sin   ,     tan   
   

따라서 다음을 얻는다.

 tan    tan   
    [1점]
   sin 
 sin 


여기서  의 분모와 분자의 →일 때의 극한값이 모두 0 이고, 또 sin   ′   cos  이므로   에서 sin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4 ▹


이다. 여기서 문항 [2]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 tan    sec   
lim   lim         [2점]
→  sin 
→  cos  

한편  ′ 과  ′ 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cos ,  ′      sec    [3점]
   

여기서 제시문의 [삼각함수의 항등식]과 삼각함수의 정의를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cos   sin 
lim   lim   lim   lim cos    [3점]
→ ′ 
→

sec    → tan  →

따라서 제시문의 [우극한과 좌극한]에 의하면 구하는 극한값은 다음과 같다.

 ′
lim   , lim    [2점]

→  →   ′

※ 극한을 구할 때 (교육과정에는 없지만) 로피탈의 정리를 (언급이 없이) 사용하여 바르게 구할 경우에도 제시된 점수 부여.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5 ▹


2015학년도 수시기출 오후
[문제 1]
▣ 출제의도
[1] (1) 행렬에 대해 주어진 지시문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고  × 행렬의 역행렬을 계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2) 행렬의 곱에 대해 일반적인 규칙을 추론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며 수열의 극한에 대한 계산 수행 능력을
평가한다.
(3) 일차변환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응용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2]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 행렬의 성질을 잘 이해하고 있는지 평가한다.
[3]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의 수를 셈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 문항별 배점
[1] (1) 8점
(2) 10점
(3) 13점
[2] 12점
[3] 7점

▣ 예시답안 및 채점 가이드
[문제 1]
[1] (31점)

(1) (8점)  이     의 원소이므로     이라고 놓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이  의 원소이므로 행렬의   성분인   값이  이다.


  

  
따라서    이므로, 행렬     이다. [4점]
 
  
 
 의 역행렬은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4점]


 

        

    
(2) (10점)     이므로,       이므로     이다. [5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이므로 lim   lim   [5점]
   →∞  →∞   

(3) (13점)             


  
가   의 원소가 되려면  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6점]

주어진 일차변환은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이 관계를 주어진   에 대입하여 옮겨진 곡선의 방
정식을 얻으면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 곡선의 축과의 교점을 구하기 위하여  ′  을 대입하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6 ▹


면  ′      을 얻는다. [7점]

[별해]

             



 
가   의 원소가 되려면   이어야 하므로,

  
 
 

이고    
 
이다.   [6점]

주어진 일차변환은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옮겨진 곡선의 축과의 교점을 구하기 위하여  ′  을
대입하면  ′  이 된다. 이로부터 옮겨진 곡선의 축과의 교점이 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옮겨진 곡선의 축과의
교점도      이다.

[2] (12점)

행렬     의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다음이 성립한다.


    [2점]

   
이때     ∈ , 즉  ≠ ,  ≠  이므로    이다. 여기서     라 놓으면 는 양수이고 또    ,   이
   
다. 주어진 행렬의 성분에 대한 조건에서  ≠ 이어야 하고, 또한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이고   ,   이다. 그러므로 구하는 행렬은 다음과 같은 형태이다.

   ,  ≠ ,     ∈  [5점]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행렬  는 다음과 같이 12가지이다.


[빠진 것이 있을 경우, 비율에 따라 부분점수 부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점]

[3] (7점)
함수 의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는 일대일대응이다.
     ,      [답안의 완성도에 따라 부분점수 부여. 단, 답만 쓴 경우는 0점 처리]

1)       인 경우,


집한   에서 집합   로의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 ×  ×   

2)       인 경우,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7 ▹


  이고,   이므로 집합  에서 집한  로의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 ×   

3)       인 경우,


  이고,   이므로 집합  에서 집한  로의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 ×   

3)       인 경우,


  이고,   이므로 집합  에서 집합  로의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 ×   

즉, 함수 의 개수는         개

[별해]
      인 경우는   개
     ≠ 인 경우는  ×   개
즉, 함수 의 개수는 개
(답만 쓴 경우는 0점 처리)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8 ▹


[문제 2]
▣ 출제의도
[문제 2] 이 문제는 점   를 포함한 적당한 구간에서 두 번 미분 가능한 함수 의 점    부근에서의
함숫값의 근삿값을 점  에서의 접선을 이용해 구할 경우에 생기는 오차의 한계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과정에서 대학에서 수학(修學)하는 데 요구되는 종합적으로 문제를 이해∙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과 적정한 수
준의 수리적 지식과 계산 능력, 그리고 논리적 전개능력 등을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특히, 식의
등식 변형, 함수의 극한에 관한 성질, 미분계수의 정의와 접선의 방정식의 의미, 롤의 정리의 활용 및 교과서
에서 배운 증명 방법을 활용하여 제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학적인 지식과 능력을 평가한다. 각 문항
의 출제 의도는 다음과 같다.

[1] 함수의 극한에 관한 성질을 이해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평가


[2] 교과서에서 배운 증명 방법을 습득하고 활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
[3] 구체적인 함수에 대해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을 올바르게 계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
[4] 문제에서 지시된 내용을 잘 이해하는지와 교과서에서 배운 평균값의 정리의 증명에서 쓰인 방법을 비슷한
상황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평가
[5] 앞의 문항에서 얻은 결과의 의미를 잘 이해하여 요구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

▣ 문항별 배점
[1] 10점
[2] 5점
[3] 9점
[4] 12점
[5] 14점

▣ 예시답안 및 채점 가이드
[문제 2]
[1] (10점)        ′   이므로 lim     lim     ′   이다. [3점]
→ →

제시문의 [항등식]에 의하면  ≠ 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lim     ′    lim 

  
→ →


  
 lim    ′    
→   [4점]

여기서 제시문의 [미분계수의 관한 성질]에 의하면 


lim 
→ 

 

  ′   이고 분명히 lim    이다. 따라서 [함
→

수의 극한에 관한 성질]을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lim      [3점]


→

[별해 1] 제시문의 [미분계수에 관한 성질]에서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lim 
→
   
 
  ′   lim   
→ 
[3점]


여기서        ′   ,     라 놓으면 lim   , lim   이다. [2점]
→  →

따라서 제시문이 [극한의 성질]을 이용하면 lim 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2점]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59 ▹


lim  lim     ′    lim      [3점]
→ → →

[별해 2] 함수 가   에서 미분 가능하므로   에서 연속이고, 또   도 일차함수이므로   에서 연속이다.
[4점]
따라서 lim , lim    이다. [3점]
→ →

여기서 [함수의 극한에 관한 성질]을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lim     lim lim        [3점]


→ → →


[2] (5점) 주어진 함수       의 도함수는  ′    이다. [1점]
  

이때   ,  ′    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2점]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이다.
    
[2점]

[3] (9점) 주어진 조건에 의하면 함수 와 이차함수    ′         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  에서 연속이다. [2점]
한편
        ′           [2점]

또  는   일 때 식 ①을 만족시키는 실수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2점]

따라서       이므로 제시문의 [롤의 정리]에 의해

 ′    ․ ․ ․ ․ ․ ․ ․ ․ ․ ․ ․ ․ ③

인 점 가 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있다. [3점]

[4] (12점) 함수  ′  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2점]

문제의 조건에서 함수 가   ∈  인 구간에서 두 번 미분 가능하고   이므로  ′  는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다. 이는 일차함수  ′      의 경우에도 성립한다. [2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0 ▹


또한 분명히

 ′    ′    ′         [2점]

이고, 또 식 ③을 참조하면  ′    ′   을 얻는다. 따라서 제시문의 [롤의 정리]를  ′  에 적용하면

 ″    ″      [2점]

인 점 가 와 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여기서 위 식을 정리하고        임을 이용하면 구간  에 다음을


만족시키는 점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함을 알 수 있다.


    ″  [4점]

주어진 함수   
   에 대하여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3점]

   


이때  ≤  ≤  인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3점]
   


따라서   과  ≤  ≤  인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4점]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1 ▹


2015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출제의도
함수의 정의와 일대일함수의 정의에 대한 이해력을 측정하고 구체적으로 주어진 함수가 일대일함수가 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
는 응용력을 평가한다. 또한 실수의 곱에 대하여 성립하는 배분법칙이 함수의 합성에 대해서 성립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논리적
으로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고 간단한 삼차방정식의 풀이에 대한 계산력을 평가한다. 한편  × 행렬의 곱 연산 및 행렬
식의 정의에 대한 이해와 행렬식이 인 경우 성분들 간의 관계로부터 행렬을 구체적으로 구하는 계산력을 평가한다.

예시답안
[1]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이다.

그런데    이므로 ∈  는 다음과 같이 4가지 경우 뿐이다.

①   ,   
②   ,   
③   ,   
④   ,   
따라서 ①, ②, ③, ④와 같이 정의된 함수를 각각  ,  ,  ,  라 놓으면       이다.

[2] 집합  에서 집합  로의 일대일함수가 존재하려면  에 속하는 원소의 개수가  에 속하는 원소의 개수 이상이어야 한


다. 그런데 집합  에 속하는 원소의 개수는 무수히 많고 집합  에 속하는 원소의 개수는 이므로  에서  로의 일대일함
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  ∅ 이다.

[3]
∈  ⇒     ⇒    또는    이다. 그런데 집합  에 속하는 원소의 개수는 이상 이므로 는 일대일

함수가 아니다. 따라서  ∉   이므로 ∩   ∅ 이다.

[4]
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
(반례)    ,   ,       ∈  으로 정의하면   는 모두 일대일 함수이므로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런데  ≠ ,  ≠  ,  ≠ 인 모든 에 대하여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이다.

[5]

 
 
 
∈  이라면    이고     가  에 속하므로    또는    이다. 만일    이라면

   이고, 만일    이라면    이다.따라서  에 속하는 원소는 다음과 같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이다.
한편, ∈  이면     이므로   이다. 그런데 모든 원소 ∈  에 대하여  ≠ 이므로 집합  는 공집합이고  은 
이다. 즉,     이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3 ▹


[문제 2]
출제의도
평면 위의 한 곡선에 놓인 점이 그 곡선 위를 움직인다고 하면 그 움직이는 점에서의 접선이 축과 이루는 각 도 변화할 것
∆
이다. 곡선 위를 따라 ∆ 만큼의 거리를 이동하였을 때 변화된 각 ∆의 평균 변화율  은 ∆만큼 움직일 동안에 곡선
∆

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굽었는지를 (접선이 축과 만드는 각이 얼마나 변했는지를) 나타내게 된다. 이때  ∆ 
lim 
∆→∆
를 (극한

이 존재할 경우에) 주어진 곡선의 곡률이라고 한다. (참고 : 일반적으로 이계도함수의 부호가 곡선의 볼록성의 방향을 알려 주지
만 볼록성의 크기(굽은 정도)를 이계도함수의 값이 정확하게 나타내주지는 않는다.)
여기서는 매개 변수로 주어지는 함수에 대한 도함수, 미분계수와 접선의 기울기와의 관계, 여러 가지 미분법, 삼각함수의 도함
수, 이계도함수, 간단한 곡선의 매개 함수 표현 등과 같은 고등학교 수학 교과과정에서 배운 지식과 교과과정에서 다룬 내용인
제시문을 활용하여 곡선 위의 점의 좌표가 매개 변수로 나타내어진 함수로 주어진 곡선에 대한 곡률의 식을 유도하고 원과 직
선의 곡률을 구하는 문제에 적용하는 문제를 생각한다.
이 문제는 대학에서 수학(修學)하는데 요구되는 문제를 이해 ․ 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 적정한 수준의 수리적 지식과 계산 능
력, 그리고 논리적 전개 능력 등을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특히, 미분계수의 개념과 그의 기하학적 의미, 여러 가지
미분법, 좌표에 대한 이해, 매개 변수로 나타내어진 함수, 원의 방정식, 삼각형에 관련된 기본적인 지식, 조건에 맞는 함수 찾기
등과 같은 이해력, 수학적 지식과 구성력 그리고 절차적 문제 해결 능력과 표현력의 명확성 등에 대한 평가를 포함한다.

예시답안
[1]

주어진 <그림1>의 △ 에서 tan 는 접선의 기울기와 같고 도함수  는 접선의 기울기이다. 그런데 매개 변수 로

  ′ 
나타내어진 두 변수  가 나타내는 곡선 위의 접선의 기울기는 제시문의 식 (2)에 의하면    이므로 다음을 얻
  ′ 
는다.

 ′ 
tan    ,  ′  ≠ 
 ′ 

[2]
문항[1]에서 구한 방정식의 양변을 제시문의 음함수의 미분법과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매개변수 에 관해 미분하면 다
음을 얻는다.
  ′ 

sec      
 
  ′  
이를 정리하면 다음 식으 얻는다.
  ′ 

 
    
 ′  
cos - - - - - ①

 ′ 
한편 문항[1]에서 tan    이므로 우측의 <그림 2>의 삼각형을 참
 ′ 
조하여 다음을 얻는다.
 ′ 
cos   
 - - - - - ②
 ′    ′ 

또한 몫의 미분법으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③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4 ▹


이제 식 ①에 식 ②와 ③을 대입하여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④

[3]

제시문의 식 (3)에서       
 ′    ′  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⑤



이때  ′  ≠ 이므로  ≠ 이며, 제시문의 식 (2)에 의해 매개 변수 로 나타내어진 두 함수 , 에 대하여 다음을 얻는

다.

 

  - - - - - ⑥
  


 
따라서  에 대한 문항 [2]의 결과인 식 ④와  에 과한 식 ⑤를 식 ⑥에 대입하여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⑦

[4]
(a) 자명하게     ,       ,  ∞    ∞는 직선의 매개 변수 함수이다.

(b)  ′    ≠ 이고  ″    ″   이므로 식 ⑦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

(※ 매개 함수를 위의 것과 다르게 표현할 수도 있다. 그러나  는 변하지 않는다.)

[5]
(a) <그림 3>을 참조하면     cos ,     sin 이므로 원은 다음의 매개 변수 로 나타내어진 함수이다.

    cos ,     sin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5 ▹


<그림 3>

(b) 이제   ,   라고 하면  ′   sin ,  ′   cos ,  ″   cos ,  ″   sin 이다.

이들을 문항 [3]에서 얻는  의 식 ⑦에 대입하고 항등식 cos   sin    을 이용하여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sin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cos  

따라서 구하는 답은 다음과 같다.


 , 

(※ 매개 함수를 위의 것과 다르게 표현할 수도 있다. 그러나  는 변하지 않는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6 ▹


2014학년도 수시기출1
[문제 1]

[문제 1]     


      


 
이다.

케일리-헤밀턴 정리에 의하여       이므로     즉,     이다.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므로 연립방정식     의 해  는     이다.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이다.
 

[문제 2] (1)   cos,   sin,   cos,   sin이다. 따라서   cos


sin sin 
cos
이다.

(2) det    cossin  cossin   sin   이다. 연립방정식    가 단 한 쌍의 해를 갖기 위해서는


det  ≠ 이어야 하므로    ≠  (은 정수)이다.

(3) det   det    det det   이다. 그런데 연립방정식    는 단 한 쌍의 해를 가지므로 det   ≠ 이
다. 만일 det  ≠ 이면 det  ≠ 이므로      는 단 한 쌍의 해를 갖는다. 만일 det   이면
det   이므로      의 해는 존재하지 않거나 무한히 많이 존재한다.

[문제 3] “참”이므로 증명을 한다.

sin cos      sin cos    


   sin
cos  sin 
 

, cos  sin 
 
이다.

따라서  cos
sin cos 
로 놓으면    이고,

det   cos  sin   이다. 그런데 연립방정식   가 단 한 쌍의 해를 가지면 det  ≠ 이고,


det   det    det det    det   ≠ 이므로    는 단 한 쌍의 해를 갖는다.

[문제 4] “거짓”이므로 반례를 든다.


  


행렬    에 대하여 det     ≠ 이므로 연립방정식    의 해가 존재한다.
 
 
×  ×   
그런데

  
lim     이므로    로부터  ×    ×    가 되어 해가 존재하지 않는다.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7 ▹


[문제 2]
       
  ,    라고 하면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이다.




 
 
 
[문제 2] 식    에서 를 의 함수로 보고, 음함수의 미분법을 사용하여 양변을 변수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한편, 제시문의 항등식에서 
또한   이므로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문제 3] [문제 1]에서 구한 식     의 양변에   를 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여기서    이므로      
 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역함수는   ln   
   
      

     
 
[문제 4]     ln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에서
  
   

  ln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문제 5]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따라서


   
 


 
   이다.


보충 supplement) 별해
 
    

′   ′  에서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한편, 합성함수의 미분법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8 ▹


2013학년도 수시기출2
[문제 1]
해설(출제의도)
고등학교 수학에서 쉽게 접하고 있는 정수의 약수와 배수의 개념과 정수 전체의 집합 ℤ에서 성립하는 나눗셈 정리를 정확하
게 이해하고 있는지 평가하고 나눗셈 정리가 집합 ℤ의 부분집합에서 성립하는지에 대하여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또한 집합의 상등관계를 일반적으로 증명하는 논리력을 평가한다. 또한 연립방정식의 해의 존재성과 계수들 간의 관계를 행렬식
을 이용하여 풀이할 수 있는 응용력을 평가하고 불연속인 함수의 극한을 구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문제 1] 모범답안
[1]    는 정수,      는 정수,      는 정수이다. 임의의 정수 는 으로 나눌 때 나머지가  또
는  또는 이므로 ∈ 또는 ∈ 또는 ∈ 이다. 따라서 ∪∪  ℤ 이다.

[2] ∈∩ 라고 하면 적당한 정수  에 대하여         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      이다. 따라서


  는 의 배수이고  ≤  ≤    ≤  ≤ 이므로   이다. 그러므로  ≠ 이면, ∩  ∅이다.

[3] 집합  가 <성질 1>을 만족한다면 ∈ ,  ≠ 에 대하여 적당한 원소  ∈ 가 존재하여   ⋅   가 성립한다.
그런데                     인 정수    가 존재하므로
                   인 정수 가 존재한다. 따라서      이고  은 의 배수이므로   
이다. 또한  에 속하는 원소   에 대하여 원소    ∈ 이 존재하여 등식        이 성
립하므로 <성질 1>을 만족하는 집합은  뿐이다.

[4] 원소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이고    ∈ 이므로 집합  는 <성질 2>를 만족하지 않는


다. 따라서 <성질 1>을 만족하는 집합 중에서 <성질 2>를 만족하는 집합은 존재하지 않는다.

[5] 연립방정식의 계수로 이루어진 행렬    


 
 
의 행렬식 det  가 이 아닌 조건을 찾으면 된다. 그런데 적당한 정수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이라고 놓으면


det               인 정수 가 존재하고    ≠ 이므로  는    중 어느 집합에
속해도 된다.

[6] 함수 는  에 속하지 않는 모든 점 에 대하여   이다. 따라서  ∉  일 때 lim  이다. 또한 ∈ 일 때


 →

의 좌극한과 우극한은 각각 lim    이고 lim    이므로 lim   이다. 따라서   ℝ이다.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69 ▹


[문제 2]
해설(출제의도)
함수의 고정점에 대한 정의와 수학적 귀납법 등을 제시하고 그를 이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수리적 분석력과
응용력, 그 과정에서 제시된 평균값의 정리에 대한 이해력과 활용 능력, 고등학교 과정에서 배운 도함수의 개념과 관련 성질을
이용하여 제시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특히, 점화식, 수열, 수열의 극한, 방정식의 해, 부등식, 함수의
극값 등과 관련된 문제를 단계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에서 얻은 결과들을 종합하여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는 종합적 문제 해결 능
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문제 2] 모범답안
[1] ①    이라 하자. 그러면         , 평균값의 정리, 조건식 (1.1)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
을 얻는다. (단,  은  과  사이의 수이다.) 따라서    일 때 주어진 부등식은 성립한다.
②    일 때        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     이면           , 평균값의
정리, 조건식 (1.1), 그리고 가정에 의해 다음을 얻는다. (단, 는  와   사이의 수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일 때도 성립하므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모든 자연수  에 식 (1.3)이 성립한다.
   
[2]  가 함수  의 고정점이면          즉    이다. ′   ≠ 이므로     이다. 즉,
 ′    ′  
 은 방정식    의 해이다.
[3] 문항 [2]에 의하면 함수  의 고정점  은 방정식        의 해이다. 따라서  ± 
 이다. 그런데 이 중
 
에 
 가 구간  에 속하므로 
 가 고정점이다. 한편, 함수       에 대해 점화식 (1.2)가 생성하는 수열은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일 때,   를 구하면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4] 함수  의 도함수는 ′      이므로 다음
  ′  - - 0 + +
표에서  ≤  ≤  이면 분명히     이다.   ↘ 최솟값 ( 
) ↗ 
  
[5] 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에서  ′    이므로   ′  는 증
  
     
가함수이며    이다. 또한   이면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에서       , 즉
     

′    이다.

 
[6] 함수       는 구간  에서 연속이고, 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다.   이면 수열 의 모든 항  과
 
함수  의 고정점     은 문항 [4]에 의하면 구간   에 있다. 또한 문항 [5]에 의하면 구간      에서
  
′    이므로 식 (1.1)을 만족시키는  은  ≥  이다. 이때    로 택하면 부등식 (1.3)이 성립한다. 즉,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lim       이므로
  →∞ 
lim  
    이다. 따라서 lim    
 이다.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70 ▹


2012학년도 수시기출1
[문제 1]
①     일 때,           이고   이므로   이다.

② 가 이 아닌 실수라고 하자. 조건에서 ′  과  ′  이 존재하고     이므로 모든 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lim 

 lim   lim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 그러므로 ′  가 존재한다.

 ′ 
③   이고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따라서 는 다항

함수이다.

 ′ 
④           이고     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함수 는  ′   이면 degg  인 다항함수이고  ′  ≠ 이면 degg  인 다항함수이다.
 ′ 
또한     ′     이고      ′  일 때, 모든 실수 와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⑤ lim 
 
 이므로   이다.          ⋯    라고 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lim 
 
 lim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이고     이다. 따라서   이고 의 최고차항의 계수,      이다.


⑥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그러므로 부분적분법을 사용하여 다음을 얻는다.

    
 
′ sin   

 sin   

sin      sin   cos   cos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71 ▹


[문제 2]
(1) 삼각함수 합성공식에 의하여
 
  sin   cos   sin     (단, cos    sin   )
 
 
sine 함수는 주기가 인 주기함수이므로 도 주기함수이다. 이때 주기는    가 된다.
 

(2) 이산시간신호 의 주기를  라고 가정하면


     sin         sin      
주기신호 정의에 의해      이므로  가 의 정수배이어야 한다. 따라서 가 주기신호가 될 조건은
  이다. (단,  은 정수이다.)

   cos
(3) 삼각함수 반각의 공식에 의해 cos    이므로
   
 
  cos   
 
cos    
 
       sin   
   

이산시간신호의 정의에 따라 모든 정수 에 대하여 cos   이고 정수구간    사이의 항의 개수는 모두 11개이
므로

 cos   
  

(4) 이산시간신호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문제에 제시된 정의에 따라  와  는 각각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를 그래프로 표시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   의 그래프    의 그래프

2023 광운대학교 FINAL ◃ 72 ▹


2011학년도 수시기출 1차
[문제 1]
(1) 주어진 수  를 음이 아닌 두 수의 합으로 나타낼 때, 그 한 수를 변수  로 놓으면 두 수의 곱은 의 함수
    이다. 이때 함수  의 정의역은  이다.  는 다항함수이므로,  의 최댓값은 구간  에서 의 극값

및 과  중에서 최대인 값이다. ′       에서    이므로, 의 증가와 감소를 나타내는 표는 오른쪽

과 같다.
  
따라서 의 최댓값  는    일 때 취한다. 답:   
  

 ⋯ 0 ⋯
(2) 함수    는 ′    이므로   에서 ′   이다. 그러나 증가
′  + 0 +
와 감소를 나타내는 오른쪽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이 함수는 언제나 증가하므로,  ↗ 0 ↗
  에서 극값을 취하지 않는다.

(3)     라 하면,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증가와 감소를 나타내는 오른쪽 표에서 알  ⋯ -1 ⋯ 1 ⋯
′  + 0 - 0 +
수 있듯이, 이 함수의 경우에  은 극댓값이고 은 극솟값이
 ↗ 극댓값 ↘ 극솟값 ↗
다.

(4) 삼차함수  의 도함수가 ′      이므로


  ⋯ 0 ⋯ 2 ⋯ 3
       이다. 극솟값이 0이므로, 증가와 감 ′  + 0 - 0 +
소를 나타내는 오른쪽 표에서 극솟값 0
 ↗ 극댓값 ↘ 극솟값 ↗
        에서   이다. 곧,
 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구간   에서  의 최댓값은
4이다. 답: 4

(5) ′                이므로,   일 때


′   이다. 증가와 감소를 나타내는 오른쪽 표에서 알  -1 ⋯ 1 ⋯ 3
′  + 0 -
수 있듯이, 이 함수의 경우에 은 극댓값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구간 
  극댓값
 
  에서  의 최댓값은  이고 최솟값은  이다. 답: 최댓값  , 최솟값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73 ▹


[문제 2]
출제의도
수학의 역사에서 찾아볼 수 있는 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데 이용했던 공식을 구체적인 예를 통해 그 적절성과 부당성을 분석
하고, 도형과 삼각함수에 대한 지식을 활용해서 주어진 정확한 공식을 유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려는 문제이다.

평가 기준
(1) 수학사에 등장한 주어진 공식이 정확하게 적용되는 구체적인 예를 들 수 있는가?
일반적으로 그 공식을 적용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구체적인 예를 들 수 있는가?
(2) 삼각함수의 코사인 법칙을 이용해서 주어진 공식을 유도할 수 있는가?
사인함수를 이용해서 삼각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고,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의 대각의 성질을 이용해서 사각형의 넓이에 관
한 주어진 공식을 유도할 수 있는가?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와 인수분해 공식을 이용해서 주어진 공식을 유도할 수 있는가?
(3)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와 반각의 공식을 이용해서 주어진 공식을 유도할 수 있는가?

[정답 예시]
(1)
직사각형은 공식 ①로 넓이의 참값을 구할 수 있다.
한편, 마름모를 생각하면, 정사각형의 경우에는 공식 ①로 넓이의 참값을 구할 수 있지만, 변의 길이는 변함이 없지만 이를 ‘눌
러서’ 만들 수 있는 마름모의 넓이는 원하는 만큼 작게 할 수 있다. 공식 ①을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

(2)
[1] ∠A와 ∠C의 크기를 각각  와  라 하면,     °이다. 그러므로 cos cos°     cos 이다.
대각선 BD의 길이를 코사인법칙으로 나타내면 다음을 얻는다.
 
BD       cos       cos       cos ,
  cos         ,
      
cos  
  
[2] 그리고 □ABCD의 넓이  는 다음과 같다.
 
  △ABD  △BCD   sin     sin 
 
   
   sin     sin °       sin     sin 
   

    sin 

[3] 따라서 sin   
  cos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cos


    
  cos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7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먼저 문제의 사각형 ABCD에서 ∠B와 ∠D의 크기를 각각 와  라 하자. 그러면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이고, 이에 cos   cos     cos  이므로 cos  cos   cos  이다.

따라서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와 반각의 공식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  cos cos  sin  sin 
   cos    

 cos 

 cos

2023 광운대학교 FINAL ◃ 75 ▹


2010학년도 수시기출 1차
[문제 1]
(1) 수신자는 문자와 수와의 대응관계 표와 행렬 B의 역행렬을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수신자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암호문을 해독할 수 있다.
(1단계) 수신자는 암호문 “18,119,14,-14,51,72,21,0,56,43”을 숫자 5개씩 끊어서  × 행렬
   
D =  
   
를 만든다.

 
   
(2단계) B가 정칙행렬이므로 역행렬 B  = 

가 존재한다. 역행렬 B 를 행렬 D의 왼쪽에 곱하여 행렬 B 
D =

     를 구하고 행렬 B 


D의 1행, 2행의 성분을 “9,27,3,1,14,27,16,1,19,19”와 같이 순서대로 나열한 후 표를 이

용하여 대응되는 알파벳을 찾아 원하는 문장 “I can pass"을 얻는다.

(2) 행렬 C의 역행렬 C  가 존재하면 주어진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암호화하고 해독할 수 있으므로 행렬 C의 역행렬이 존재하
기위한 필요충분조건인 " ≠ " 가  사이의 관계가 된다.

(3)  ×  행렬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자> 문장 “I can pass"에 대응되는 자연수의 개수는 10개이므로 맨 처음에
의미 없는 28이라는 수를 두 번 삽입하여 수열 “28,28,9,27,3,1,14,27,16,1,19,19”를 만들고 숫자 4개씩 끊어서 행렬
   


E =     를 만든다.
   
(이때, 의미 없는 숫자 28을 이용하는 대신에 29 또는 30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암호화하기 위하여 역행렬이 존재하는  ×  행렬 F를 E의 왼쪽에 곱한 행렬 FE의 1행, 2행, 3행의 성분들을 순서대로
나열한 암호문을 송신한다. (이때, 행렬 F는 역행렬이 존재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F를 선택하는 방법은 무수히 많이 존재한
다)
<수신자> 암호 수신자는 받은 수열을 4개씩 끊어서  ×  행렬 G를 만들고 왼쪽에 F의 역행렬을 곱한 후 얻은  ×  행렬 F  
G의 1행, 2행, 3행의 성분들을 순서대로 나열하고 표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알파벳을 찾아 나열하여 최종적으로 암호문을 해독
할 수 있다.

(4) 주어진 함수 는 일대일 함수이고,  ∘    이므로 이용 가능하다.


우선 송신자는 수열 “9,27,3,1,14,27,16,1,19,19”을 구성하는 수들의 함수 에 대한 함숫값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암호
화하고. 수신자는 수신된 수열을 구성하고 있는 수들의 함수 에 대한 함숫값을 순서대로 나열한 후 <표 1>을 이용하여
대응되는 문자를 나열하여 암호를 해독할 수 있다.

또한, 함수   →,      도 일대일 함수이므로 함수 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함수   



를 이용

하면  ∘    이므로 암호를 해독할 수 있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76 ▹


[문제 2]
(1) 하나의 음절은 자음 10 개 중 하나, 모음 10 개 중 하나로 이루어지므로 100 개의 조합이 가능하다. 이러한 음절 3 개가
하나의 단어를 이룰 수 있는데 3 음절 조합은 100x100x100=1000000 개이다. 따라서 W=1000000 이다. 1000000 개의
가능한 조합 중 어떤 것이 사용되는 단어인지 뜻풀이에 대응하는 단어인지 컴퓨터A는 알 수 없으므로 각각의 조합은 모두 같은

 
확률 P=1/1000000 을 갖는다. 따라서 엔트로피 S는    


   log 으로 계산되어진다.


컴퓨터B는 사용되는 5만 개의 단어를 이미 알고 있다. 하지만 그 이상의 정보를 갖고 있지는 않으므로 W=50000,
 
 
P=1/50000 이다. 따라서 엔트로피 S는    


      log 으로 계산되어진다.
 

컴퓨터C는 두 단어 중 하나임을 알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확률은 1/2이 되어, W=2, P=1/2 이다. 따라서 엔트로피는

 
       log 로 계산되어진다.

(2) 컴퓨터A의 경우 컴퓨터는 단어가 될 수 있는 조합 1000000 개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지만 그 1000000 개 중에 어느 것


이 답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한 정보는 전혀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엔트로피가 가장 크다. 컴퓨터B는 컴퓨터A가 알고 있는
조합 중 950000 개는 답일 수 없다는 정보를 더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 더 알아야 하는 정보가 상대적
으로 적다.) 따라서 그 만큼 엔트로피가 더 적게 계산되어진다. 컴퓨터C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거의 완전히 알고 있다. 둘 중
어느 것이냐에 대한 단 하나의 정보만 더 있다면 시스템을 완전히 이해하게 된다. 따라서 가지고 있는 정보는 가장 많고 엔트로
피는 가장 적다.

이 세 경우를 다시 살펴보면, 컴퓨터C의 경우에는 각 단어의 뜻풀이를 그 단어와 연결할 수 있으려면 이러한 정보를 어디엔가
저장해 두어야 하고 저장할 때 외부로부터의 에너지를 필요로 했을 것이다.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더라도 그 배터리는 외부 시
스템으로 간주한다.) 그 에너지를 사용하여 정보를 증가시킬 때 (즉 자신의 엔트로피를 감소시킬 때), 열역학 제 2 법칙을 적용
하면 에너지를 컴퓨터C에 공급한 외부를 포함하여 계산한 총 엔트로피는 감소되지 않는다. 컴퓨터B의 경우에도 단어 5만 개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때 동일하게 외부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의 총 엔트로피의 감소는 없다. 만약에 컴퓨터A, 컴퓨터B, 컴퓨터C
가 아무런 정보없이 같은 조건에서 시작했다고 했을 때, 외부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의 엔트로피를 감소시킬 수는 없지만 시스템
사이의 에너지 전달을 통하여 특정 컴퓨터 시스템이 정보를 많이 가질 수 있도록 (엔트로피가 상대적으로 적어지도록) 만들 수
있다. 어느 시스템이 공짜로 정보를 더 가질 수는 없지만 외부의 정보를 감소시키면서 자신의 정보를 증가시킬 수는 있다.

(3) 세 번째의 보기도 답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보기 모두 답이 될 수 있고 특별한 다른 정보



 
가 더 주어지지 않는다면 답이 될 확률이 다를 이유가 없다. 따라서 엔트로피 S는        log 으로 계산되어진다.

2023 광운대학교 FINAL ◃ 77 ▹


[문제 3]
(3-1)
고객의 평균 소요 시간 = (7+9+10+10) / 4 = 9

위 답을 얻기 위해 필요한 4개 프로세스의 개별 소요 시간입니다.


A의 대기줄에서의 대기 시간+실제 서비스를 받는 시간 = (0-0) + (7-0) = 0 + 7 = 7
B의 대기줄에서의 대기 시간+실제 서비스를 받는 시간 = (7-2) + (11-7) = 5 + 4 = 9
C의 대기줄에서의 대기 시간+실제 서비스를 받는 시간 = (11-4) + (14-11) = 7+3 = 10
D의 대기줄에서의 대기 시간+실제 서비스를 받는 시간 = (14-6) + (16-14) = 8+2 = 10
혹은
A의 서비스 종료 시간 - 대기줄로의 진입 시간 = 7 - 0 = 7
B의 서비스 종료 시간 - 대기줄로의 진입 시간 = 11 - 2 = 9
C의 서비스 종료 시간 - 대기줄로의 진입 시간 = 14 - 4 = 10
D의 서비스 종료 시간 - 대기줄로의 진입 시간 = 16 - 6 = 10

(3-2)
4 고객의 최소 평균 소요 시간 = (10+5+3+2) / 4 = 5

위 답을 얻기 위해 필요한 4개 프로세스의 개별 소요 시간입니다.


진입 순서는 D, C, B, A 임
A의 대기줄에서의 대기 시간 + 실제 서비스를 받는 시간 = (9-6) + (16-9) = 3 + 7 = 10
B의 대기줄에서의 대기 시간 + 실제 서비스를 받는 시간 = (5-4) + (9- 5) = 1 + 4 = 5
C의 대기줄에서의 대기 시간 + 실제 서비스를 받는 시간 = (2-2) + (5-2) = 0 + 3 = 3
D의 대기줄에서의 대기 시간 + 실제 서비스를 받는 시간 = (0-0) + 2 = 0 + 2 = 2
혹은
A의 서비스 종료 시간 - 대기줄로의 진입 시간 = 16 - 6 = 10
B의 서비스 종료 시간 - 대기줄로의 진입 시간 = 9 - 4 = 5
C의 서비스 종료 시간 - 대기줄로의 진입 시간 = 5 - 2 = 3
D의 서비스 종료 시간 - 대기줄로의 진입 시간 = 2 - 0 = 2

고객의 평균 소요 시간 = (10+5+3+2) / 4 = 5
문제 (1) 경우의 답인 9에서 5로 4 만큼 개선되었다.
그 이유는 서비스 창구가 하나밖에 없으므로 실제 서비스를 받는 시간에서의 수행 시간 단축은 없지만 대기줄에서의 평균 대기
시간이 줄었기 때문이다. 즉, 대기줄에 적은 서비스 시간을 필요로 하는 고객이 앞쪽으로 위치할수록 기다리는 시간이 적어져
평균 처리 시간이 감소한다.

(3-3)
고객의 평균 평균 처리 시간 = (16+4+7+2) / 4 = 7.25

위 답을 얻기 위해 필요한 4개 프로세스의 개별 소요 시간입니다.


A의 서비스 종료 시간 - 대기줄로의 진입 시간 = 16 - 0 = 16
B의 서비스 종료 시간 - 대기줄로의 진입 시간 = 6 - 2 = 4
C의 서비스 종료 시간 - 대기줄로의 진입 시간 = 11 - 4 = 7
D의 서비스 종료 시간 - 대기줄로의 진입 시간 = 8 - 6 = 2

1번 첫 번째 경우 4 고객의 평균 처리 시간 = (7+9+10+10) / 4 = 9 보다 1.75 개선되었으며 이는 역시 짧은 프로세스부터


수행시키고 긴 프로세스의 실행을 최대한 지연시키기 때문임

2023 광운대학교 FINAL ◃ 78 ▹


(3-4)
CPU 1이 처리하는 프로세스: A (0 ~ 7), D (7~ 9)
CPU 2가 처리하는 프로세스: B (2 ~ 6), C (6~ 9)
따라서 모든 프로세스의 수행이 종료되는 시점은 9 임
문제 1의 총 처리시간 = 16에서
문제 3의 총 처리시간 = 9로 개선되었음

개선 이유 -> 창구 서비스가 2 군데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대기줄에서의 대기 시간이 감소하고 실제 서비스를 받는 시간 역시


병행 처리 되기 때문에 감소함.

2023 광운대학교 FINAL ◃ 79 ▹


2010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문제 1]
초ㆍ중등학교에서 배운 도형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동아시아의 전통 수학인 산학에서 활꼴의 넓이를 구하는 데 이용했던 근
사 공식을 분석하고 그와 같은 공식을 이용하게 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려는 문제이다. 도형에 대한 지식의 활용
과 공간 지각력을 평가하려 하였다.
(1) 공식 ①로 넓이의 참값을 구할 수 있는 다각형의 예를 적절히 들 수 있는가?
(2) (1)에서 제시한 다각형과 주어진 활꼴의 넓이가 비슷한 이유를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는가?

[문제 2]
좌표평면에서 방정식으로 주어진 원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활꼴의 넓이를 산학의 근사 공식 및 정적분으로 각각 구할 수 있는지
를 알아보려는 문제이다. 방정식으로 주어진 도형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근사 공식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특히, 활
꼴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정적분을 제대로 적용하고 그 계산 과정에서 필요한 치환적분법 등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려 하였다.

(1) 원       와  축으로 둘러싸인 작은 부분의 활꼴의 현의 길이와 시의 길이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는가? 공식
①을 정확하게 적용할 수 있는가?
(2) 활꼴의 넓이를 정적분으로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가? 정적분의 값을 구하기 위해 치환적분법을 적절히 적용할 수 있는
가?

■ 답 예시

[문제 1] 두 밑변의 길이가  와  이고 높이가  인 사다리꼴의 넓이는


  
   이다.

이런 사다리꼴을 주어진 활꼴과 겹쳐 그린 오른쪽 그림에서 두 도형의 넓이
가 비슷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밑변의 길이가   이고 높이가  인 이등변삼각형의 넓이도

  
   이다.

이런 이등변삼각형과 주어진 활꼴을 겹쳐 그린 오른쪽 그림에서 두 두형
의 넓이가 비슷함을 확인할 수 있다.

[문제 2]
좌표평면에서 원       의 중심은 (0, -3)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5이며,  y
축을 두 점 (-4, 0)과 (4, 0)에서 지난다. 그러므로 구하는 활꼴의 현의 길이는 8이고 2
    -4 4
시의 길이가 2이다. 따라서 공식 ①에 따른 넓이는   이다. O x

또 이 활꼴의 넓이를 정적분으로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3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sin  로 치환하면    cos 이고,   일 때   이며   일 때   이므로, 위의 정적분의 값은 다음과 같

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cos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80 ▹



  
 cos   


   
  cos    

 sin  
      
  
    sin  cos  
  
   ⋅ 
 ⋅        

2023 광운대학교 FINAL ◃ 8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