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2

유형별워크북 08 이차함수

성 명

학 교

수강반

수험번호
2.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근을  라 할 때,
1. 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   이고 이차항의 계수가 인 이차식 
가 서로 다른 두 점 P Q 에서 만나고, 두 점 P Q 의
는?
 좌표가 모두  보다 작을 때, 정수  의 최댓값은? [4
①      ②     
점]
③      ④     
①  ②  ③ 
⑤     
④  ⑤  
2.

1.

1
12
2 수학 영역

3. 방정식 4. 실수 에 대하여  ≤  ≤  에서 이차함수


                       의 최솟값을    라 하자. 예를 들어
의 근의 개수를 구하시오. (단,    는  보다 크지 않은
   일 때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최대의 정수이다.)

              일 때, 서로소인 두 자연수
3.

  의 합    의 값을 구하시오.
4.

2
12
수학 영역 3
5.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근을  라 할 때, 6. 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이차함수       가     와
 

의 값을 구하시오.   를 만족시킬 때, 두 상수   에 대하여


5.
   의 값을 구하시오.
6.

3
12
4 수학 영역

7. 이차방정식   
     의 두 근  에 대하여 8. 이차함수        가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를 만족시킬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7.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  는 실수이고  은 양수이
다.)
[보 기 ]
ㄱ.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의 축은 직선

   이다.


ㄴ.  ≤  이면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가  축과

만난다.
ㄷ.   ≤  ≤  에서 함수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
차는  이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8.

4
12
수학 영역 5
9.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      의 그래프 위를 움직이
10. 함수  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함수

는 점 P 가 있다.  ≤  ≤ 일  를      라 하자.   ≤  ≤  에서


때,  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함수  가    일 때 최댓값  를 가질 때,
합은?    의 값을 구하시오.
①  ②  ③  10.

④  ⑤ 
9.

5
12
6 수학 영역

11.   에 대한 이차식            가 12. 이차방정식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 되도록 하는 양수  의             
값은? 의 두 근 중 적어도 하나가 정수가 되도록 하는 모든
   자연수  의 값의 곱을 구하시오.
①  ②  ③ 
   12.

 
④  ⑤ 
 
11.

6
12
수학 영역 7

13. 이차함수          의 그래프가 축 14. 이차함수   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

과 만날 때, 다음에 답하여라.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이다.
(1) 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나)   의 그래프는 두 점   ,  을
지난다.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   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보 기 ]
ㄱ.   의 그래프는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다.
ㄴ.  ≤  ≤ 에섯 이차함수 의 최솟값은  이다.
(3)   ≤  ≤ 에서 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여라.
ㄷ.     일 때, 모든 실수 에 대하여
13.

   이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4.

7
12
8 수학 영역

15. 오른쪽 그림과 같이 16. 두 양의 실수   가      을 만족시킬 때,


∠A  ° 이고 
AB  인 
    
 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직각이등변삼각형 ABC 가 16.

있다. 변 AB 위의 한 점
P 에서 변 BC 에 내린 수
선의 발을 Q 라 하고, 점 P 를 지나고 변 BC 에 평행한
직선이 변 AC 와 만나는 점을 R 이라 하자. 사각형
PQCR 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단, 점 P 는 꼭짓점 A 와 꼭짓점 B 가 아니다.)
15.

8
12
수학 영역 9
17.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의 두 18.  축 위의 점 A , 이차함수      의 그래프 위의

실근을  라 할 때,   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점 B 에 대하여 두 점 A B 의  좌표는 각각   이상


차를 구하여라. (단,   ≤  ≤ )  이하이다.

17.
 축 또는  축과 평행한 선분들을 이용하여 두 점 A B 를
가장 짧은 경로로 연결하였을 때, 이 경로의 길이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18.

9
12
10 수학 영역

19.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근을  라 할 때, 20.  


두 이차함수        과         가
에 대한 이차식 가 다음 세 조건을 모두 만족한 있다. 그림과 같이 네 점
다. A     , B     , C       ,
D       를 꼭짓점으로 하는 직사각형 ABCD 의
(가)    (나)    (다)    둘레의 길이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 의 값은? (단,
     이다.) [4점]

이때,   의 두 근의 합을 구하시오.
19.

     

C B

O 

D A
g     

 
①  ②  ③ 
 
 
④  ⑤ 
 
20.

10
12
수학 영역 11
21.   ≤  ≤  에서 이차함수            2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의 최댓값이  일 때, 상수  의 값을 구하여라.          의 그래프 위의
21. 점 P  가 두 점 A  
B    사이를 움직이고 있다.
점 P 를 지나고  축과 평행한 직
선이 이차함수      의 그래프
와 만나는 점 중 P 가 아닌 점을 Q 라 하고, 점 Q 에서
직선      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R 라 하자. 선분
PQ 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을   선분 QR 를 대각
선으로 하는 정사각형을  라 하고, 두 정사각형
   의 둘레의 길이를 각각    라 할 때,  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22.

11
12
12 수학 영역

23.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 축이 만나는 24. 


이차방정식        의 한 근을 라 할 때,
두 점의  좌표가     이고, 이차함수      
       의 그래프와  축이 만나는 두 점의  좌 의 값이 양의 실수가 되도록 하는  이하의 자연수  의
표가       일 때, 세 상수    에 대하여 개수를 구하시오.
 ×× 의 값은? 24.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23.

12
12
수학 영역 13
25. 이차식          와 두 정수   에 대하여 26. 이차방정식        이 중근을 갖도록
          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킬 때, 하는 자연수  에 대하여  의 가장 큰 값을 구하
 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 
여라.
26.

(가)     
(나) 방정식      이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25.

13
12
14 수학 영역

27. 
그림과 같이 곡선         과 직선 28. 함수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 는 두 점
  가 서로 다른 두 점 A B 에서 만난다. 점 A 에 A B에서 만나고, 
AB 
 이다. 점 A 에서 점 B까지
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A, 점 B 에서  축에 내린 함수      의 그래프 위를 움직이는 점 P에 대하여
수선의 발을 B이라 하자. 삼각형 AOA과 삼각형 삼각형 PAB가  PA 
PB 인 이등변삼각형일 때, 점 P 의
BOB의 넓이의 합이  일 대, 상수  의 값은? (단,  좌표는  
 이다. 유리수   에 대하여   의
O는 원점이다.) [ 점] 값은? (단,  는 상수이다.)
 
①  ②  ③ 
 

④  ⑤ 

28.

①  ②  ③ 
④  ⑤ 
27.

14
12
수학 영역 15
29.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의 서로 다른 두 30.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근이 , 이고, 이
근   와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의 서로 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이 , 이다.
다른 두 근   에 대하여        일 때,    의     가 성립할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  이고,   는 실수이다.) 값을 구하시오.
29. 30.

15
12
16 수학 영역

31.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이 ,  일 때, 자 3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 m 높이에


      위치한 발사대에서 비스듬히 물 로켓을 쏘아 오
연수  에 대하여  ,  을 두 근으로 하고
      렸더니 물 로켓이 이차함수의 그래프 모양을 그
이차항의 계수가  인 이차방정식을 구하시오. 리면서 날아가다가 지면에 떨어졌다. 물 로켓은
31.
발사대로부터  m 떨어진 지점에서 최고 높이에
도달하였고,  m 떨어진 지점에서 지면에 떨어졌다.
이때 물 로켓의 지면으로부터의 최고 높이는 몇 m인
지 구하여라.
32.

16
12
수학 영역 17
33. 이차함수       와 서로 다른 두 실수  
34.   ≤    ≤  에서 이차함수        의 최
 
    가   ,   를 만족시킬 때, 함수
      의 최솟값은? 댓값과 최솟값의 차가  가 되도록 모든 실수  의 값

①  ②  ③  의 합은?

④  ⑤ 
33.

 
①  ②  ③ 
 
④ 
 ⑤ 
34.

17
12
18 수학 영역

35. 36.  에 대한 방정식


그림과 같이 두 함수           
      ,    의 그래프
  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을 ,  라 할 때,
위에 각각 점 A 와 점 C를, 직선       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는
   위에 서로 다른 두 점 B와      인 실수,    는  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D를 자방 사각형 ABCD가 정수이다.)
정사각형이 되도록 하였다. 이때, 36.

정사각형 ABCD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하시오.


(단, 점 A , B, C, D의 좌표는 양수이다.)
35.

18
12
수학 영역 19
37.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이 허근  38. 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   이 서
를 가질 때, 를 가질 때,  이 실수가 되도록 하는 모 로 다른 두 양의 실근   를 갖고        일 때,
든 실수  의 값의 곱은? 의 값을 구하시오.(단, 는 상수이다.) [4점]
①  ②  ③  38.

④  ⑤ 
37.

19
12
20 수학 영역

39.  ≤  ≤    일 때,  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 40. 이차방정식         의 두 근은 모두


가  이다. 상수  의 값을 구하여라. 양수이고, 한 근은 다른 근의 배보다 만큼 작다고
39. 한다. 두 근중 작은 근을  라 할 때,  의 값을 구하
시오. (단,  은 상수이다.)
40.이

20
12
수학 영역
         ⋯⋯ ㉡
정답 및 해설 ㉠  ㉡에서         
         
1. ②
        
☞ ➊ 에 대한 이차방정식       가 서로
 ≠이므로       
다른 두 근을 갖는다 . 즉 , 판별식이 양수이어야 한다 .
∴          
➋       의 두 근이 모두 보다 작다.

  을 ㉠에 대입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가
서로       이므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의 판별식을  라 하면 이차방정식    의 두 근은  이다.

          의 이차항의 계수는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3. 정답 

이때 곡선        와 직선 방정식               에서        가 정수이므로
   의 접점의  좌표가  이므       도 정수이다. 즉,     도 정수이다.
로 두 점 P Q 의  좌표가 모두      (  은 자연수,  ≤    )라 하면
 보다 작으려면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때,  도 정수이므로  는 분모가  인 유리수로 나타낼 수
이어야 한다. 있다.
따라서 구하는 정수  의 최댓값은   이다. 
즉,    를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 (  ≤    )가

이 문제에서 배운 것 
존재하므로      (  ≤    )라 하면 방정식

ⅰ 일반적으로 방정식   g 의 서로 다른 실근의               에서
개수는 두 함수    ,   g 의 그래프의 교점의        
개수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ⅱ  보다 큰  에 대하여        와    의           


교점의  좌표는 항상 두 개이고, 하나는  보다 작으며 다른           


하나는  보다 크다. 따라서    이면 두 교점의  좌표가 ∴      ⋯⋯ ㉠
모두  보다 작다는 조건에 맞지 않는다. 그런데  ≤    이므로  ≤     
즉,  ≤    에서

   ≤  ⋯⋯ ㉡

㉡에서  은 자연수이므로  의 값은   ⋯   의
 개이고, ㉠에서 각각의  에 대하여  의 값이 하나씩
존재하므로 가능한 순서쌍   의 개수는  이다.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의 개수는  이다.

4. 답 

● 이차함수          를 완전제곱꼴로 변형하여
2. 정답 ①
  
      의 두 근이  이므로  ≤        ≥  인 경우로 나누어서 알아본다.
  
             기본풀이
      라 하면
         ⋯⋯ ㉠

1
12
수학 영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i  ≤  일 때, 즉  ≤  일 때     

   
     …………………………>[1점] 
마찬가지로 이차방정식        의 한 근이  이므로
          
이때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i      일 때

6. ③
즉,      일 때 문항주제 – 근과 계수의 관계

 [기본풀이]
        ………………>[1점]
       의 두 근이   이고        
이므로       이라 할 수 있다.

         
⋯⋯ (*)
또한,   이므로 (*)에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iii  ≥  일 때, 즉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1점]      
이다. 따라서   이다.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의 두 근이
  이다.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1점]
⋯⋯ ㉡
5. 답   
 이고,   이므로

[해설] 이차방정식        의 한 근이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을 연립하여 풀면
이때

2
12
수학 영역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
따라서 꼭짓점의
 좌표가  또는 음수이므로 이차함수
따라서   이다.    의 그래프는  축과 만난다.
ㄷ.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의 개형이 그림과 같다.
7. 정답
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근이  이므로
          ⋯㉠
또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한편,           이고 조건 (나)에 의하여
             
즉, 이차방정식      의 두 근이  이므로 그러므로        는
  ≤  ≤  에서 함수
          
   에 서 최댓값   을 갖고    에서 최솟값

     (는 상수) ∵ ㉠)
         ⋯㉡  

  을 갖는다.

이때, 조건 (가)에서  이므로 ㉡의 양변에   을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는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      9. 정답 ③
[다른 풀이 ]
One Point Lesson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근이  이므로
점 P 가 이차함수       의 그래프 위의

           점임을 이용하여    을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조건 (나)에 의하여 점 P 는 이차함수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 의 양변에 를 곱하면          
 의 양변에 를 곱하면     ∴                
조건 (가)에서 이므로  ×       
이때,   이라 하면  ≤  ≤ 에서   일 때 최댓값은 ,   일 때 최솟값은
   이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이다.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    
       

10. 답 
      (는 상수) [해설]
∴        ⋯㉠           
㉠의 양변에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함수 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8. 답 ③
[해설]
ㄱ.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이때   ≤  ≤  에서 함수  는
              
   일 때 최솟값     을 갖고,
이 등식이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성립해야 하므로 양변에 일
   일 때 최댓값    을 갖는다.
차항의 계수가 같아야 한다. 즉,

       함수      에서    라 하면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함수  는  



, 즉    일 때 최댓값    를 갖
 는다.
이므로 함수    의 그래프의 축은 직선    이다.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  
 
ㄴ.  ≤  이면 이차함수  의 최솟값이    이므로
  11. ②
주어진 이차방정식을 에 대하여 정리하면

3
12
수학 영역
           이다. 13. 정답 풀이참조
이 때, 에 대한 이차방정식 
(1)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축과 만나므로

             의 근은

방정식       의 판별식을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 하면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그런데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이 때,  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 되기 이므로 축의 방정식은   

위해선 근호 안의 식  가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한다.  
(3)    ≤ 이므로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따라서   의 그래프가 오른


          
쪽 그림과 같으므로
에서 에 대한 이차방정식

최댓값은     
            의 판별식을 이라 하면 
  을 만족시켜야 한다. 
최솟값은   


             

14. 정답 ③
      ,       
ㄱ.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의 그래프는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다. (참)

∴    (∵   ) ㄴ.       로 놓으면   의 그래프가 두 점

  ,  을 지나므로
12. 정답         ⋯⋯ ㉠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은 근이 아니므로 이 식의 양변을     으로   ,   
나누면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에서 이차함수 는   일 때,
   
최솟값  을 갖는다. (참)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 중 적어도 하나가 정수이므로
어떤 정수  에 대하여 자연수인  의 값을 구하면 된다. ㄷ.         

이때,  가 자연수이면  ≥  이므로 ㉠에서 따라서   의 그래프는 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   ≥     ,      ≤ 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즉  ≠ 

∴      ≤  ≤     
(거짓)

즉,   이 아닌 정수  의 값은      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   ×    
    일 때, ㉠에서    
  이므로 자연수가 15. 
      
BQ    <  < 
  라 하면 삼각형 PBQ 는 직각이등변삼각형 이므로
아니다. 
BP 

AP  AB BP     이므로
   ×    
    일 때, ㉠에서    
  이므로 자연수가 삼각형 APR 는
     

AP  AR    
아니다. 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   ×    이를 이용하여 사각형 PQCR 의 넓이를 구하면
    일 때, ㉠에서     □ PQCR  ∆ABC ∆PBQ ∆APR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에서    
    라 하면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 의 값은  또는  이므로 그 곱은       

     

 ×   
, 즉 
따라서    BQ 
 일 때,

4
12
수학 영역
사각형 PQCR 의 넓이의 최댓값은  이다.           
(ⅰ)    일 때,
오른쪽 그림에서

BQ    <  < 
  라 하면
삼각형 PBQ 는 직각이등변삼각형 이므로  PQ  ,
 
BP  

∆ APR 는  AP AB 
BP   
  인 직각이
등변삼각형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PR         
    

또, ∆ ABC 는 AB  인 직각이등변삼각형 이   ≤  ≤  에서    일 때,  의 최댓값은    이다.
 
므로


BC   ∴ QC   또한,   ≤  ≤  이므로     일 때,    의 최댓값은

사각형 PQCR 의 넓이는
         
  PR QC ⋅ PQ       
  ·      이다.
   
따라서     일 때, 즉  BQ   일 때, 사각형 PQCR 의 넓이의 최 
댓값은  이다. 즉,  ≥  이면    ,     일 때,  의 최댓값은

16. 정답  
 이다.

(ⅱ)    일 때,
     에서   가 모두 양수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어진 식에     를 대입하면   ≤  ≤  에서     일 때,  의 최댓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또한,   ≤  ≤  이므로    일 때,    의 최댓값은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즉,    이면     ,    일 때,  의 최댓값은

에서       가    일 때, 최댓값 를 가지므로

이다.

        은   일때, 최댓값 을 갖는다. 


(ⅰ), (ⅱ)에서 구하는 길이의 최댓값은  이다.
 
17.  정답

방정식          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 19. 정답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근이   이므로
의하여    ,      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때, 조건 (가), (나)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는 방정식     의 두 근이다.
  

  ≤  ≤ 에서        의
   즉,      의 두 근이  이므로
         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       
       
   일 때 최솟값은  ,   일 때 ∴         
 
그런데    이므로
최댓값은 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의 두 근의 합은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다.

18.  정답
 20. ①
 축 위의 점 A 의 좌표를     ≤  ≤  , 함수 문항주제 – 이차함수의 활용
     의 그래프 위의 점 B 의 좌표를     
 
[기본풀이]
  ≤  ≤  ,  축 또는  축과 평행한 선분들을 이용하여        , g       이므로
두 점 A B 를 연결한 경로의 길이를  라 하면 
AD  BC       

5
12
수학 영역

BA  CD 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한, 점 P 는 이차함수   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이다. 따라서 직사각형 ABCD 의 둘레의 길이를    라 하면      
    
AD  
BC   BA   CD ∴           
 
  AD  B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일 때, 직사각형 ABCD 의 둘레의 길이가 최대가
 
따라서    일 때    의 최솟값은 이다.
된다. 
21. 정답   또는  23. 답 ①
           [해설]
         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 축이 만나는 두 점의  좌표가
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     이다.     이므로 두 수     은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이다.
(ⅰ)    일 때, 그래프는 오른쪽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그림과 같으므로 꼭짓점에서             …… ㉠

최댓값을 가진다. 즉,           …… ㉡

또한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와  축이 만나는 두 점의  좌
           
표가       이므로 두 수       은 이차방정식
         
       의 두 근이다.
∴    또는   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그런데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ⅱ)    일 때, 그래프는 오른쪽
㉡, ㉢에서       
그림과 같으므로    에서
최댓값을 가진다. 즉,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또는    따라서    이고
그런데    이므로           ×    
(ⅰ), (ⅱ)에서    또는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22. 정답

24. 
점 Q 의 좌표를  라 하면 이차함수       
이차방정식       의 판별식을 라 하면
즉       의 그래프는 축   에 대하여
        
대칭이므로
  이므로 방정식       의 두 허근은  이다.
  ∴     
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P 를 지나고 축에      ⋯⋯ ㉠
평행한 직선이 직선       과
   ⋯⋯ ㉡
만나는 점을 S 라 하면 선분 QR와 직선
∴        ×   ∵ ㉠ 
      은 수직이고, 직선
      의 기울기가 이므로 선분    ×       ∵ ㉡ 
RS 를 대각선으로 하는 정사각형과 ⋯⋯ ㉢
정사각형  는 합동이다. 이 때,  는 방정식       의 근이므로
점 S 의 좌표를  라 하면 점 S 는 직선        위의        에서              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의 값이 양의 실수이기 위해서는
㉢에서      (는 자연수)

6
12
수학 영역
즉,      꼴이어야 한다.          라 하면 Aa a Bb b 이고   는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 ≤ 이므로  
이차방정식      , 즉        의 근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는    ⋯ 이다. 근과 계수와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의 개수는 이다.        
⋯⋯ ∗
25. 정답 
        이므로 이때 두 삼각형 AOA과 BOB의 넓이의 합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건 (가)에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한,          에서      에서   
        ⋯⋯ ㉠
28. 정답 ②
    ≥  이므로    ≥ 

함수 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 가 만나는 두 점
∴ ≥ ⋯⋯ ㉡ A B의  좌표를 각각     라 하면
한편, 조건 (나)에서 방정식      이 서로 다른 두 허근을 A   , B   이고,
가지므로 판별식을  라 하면
A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는 이차방정식        , 즉         의 두

㉡, ㉢에서  ≤    이고  는 정수이므로 근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또는              ⋯⋯㉡
(ⅰ)    일 때, ㉠에서       따라서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ⅱ)    일 때, ㉠에서           ± 

즉         에서
∴    또는                 
(ⅰ), (ⅱ)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  는 ∴    또는   
        
즉      이므로 A    B 
따라서    의 값은       일 때 최대이고 그
 
 PB인
삼각형 PAB가 PA
최댓값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선분 AB의
    
수직이등분선은 점 P 를 지난다.
26. 정답
 
AB 의 중점을 C라 하면
이차방정식        이의 판별식을  라 하면

      

 
C   ,
  


        


 

즉 C      이고, 직선 AB에
 

∴      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 이므로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의

 방정식은
는 자연수이고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 ,   도 자연수이므로 점 P 의  좌표를 구하기 위해      과     을


연립하면
  일 때,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또는   
 ± 
따라서  의 가장 큰 값은 이다. ∴  

27. ⑤ 그런데 점 P 는 점 A 에서 점 B까지 함수      의 그래프
문항주제 –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 위를 움직이므로 구하는 점 P 의  좌표는      의
[기본풀이] 범위에 있다.
서로 다른 두 점 A B 의  좌표를 각각

7
12
수학 영역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이므로 31.         또는        
정답
 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이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두 식의 양변에 각각   ,    을 곱하면
29. 정답 
이차방정식        의 서로 다른 두 근이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또,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또한, 이차방정식        의 서로 다른 두 근이      ,   
 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이차방정식        의 판별식을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에서 두 근   는 실근이므로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이때, 이차방정식        의 계수는 실수이고,  가        
허근이므로  는  의 켤레복소수이다. 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또한,            이므로    에서     ⋯⋯ ㉠
           이때  은 자연수이므로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30.  정답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근이  이고, 이차방정식    일 때,         
       의 두 근이  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   일 때,          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이 의 배수가 아닐 때
  
⋯⋯㉠
⋯⋯㉡
∴      이 의 배수일 때
⋯⋯ ㉡

      ⋯⋯㉢      
한편,  ×  
   ⋯⋯㉣      
 ⋯⋯ ㉢
이때     이므로      ⋯⋯㉤
 (ⅰ)  이  의 배수가 아닐 때
㉠, ㉡, ㉢에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      

㉤을 ㉢에 대입하면        
   (ⅱ)  이  의 배수일 때

∴        ⋯⋯㉥ ㉠, ㉡, ㉢에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      

㉥  ㉠을 하면    
32.  m 정답
 
㉡에서    주어진 그림을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놓고,

이차함수의 식을   라 하면 축의 방정식은   ,
  
㉠에서            
  절편은  , 이므로          
함수   의 그래프가 점   를 지나므로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8
12
수학 영역
    
∴   (ⅱ)     이고   ≥  , 즉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일
  

때, 최댓값은  이다.


따라서 물 로켓의 최고 높이는  m이다.

33. ②
[해설]
      에서   ,   를 만족시키므로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   는    일 때 최솟값  를
갖는다.
      …… ㉠
이때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가  가 되려면 최댓값은  이어야
       …… ㉡ 하므로
㉠-㉡에서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를 만족시키는  의 값이

        존재해야 한다.
       이차방정식    에서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즉,       또는       이어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이고       이므로 실수  의 값
   
㉢, ㉣에서
은 존재하 지 않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ⅲ)   ≥  , 즉  ≥  일 때
 
이므로   일 때, 최솟값  을 갖는다.

34. 답 ⑤
[해설]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이고 이차함수              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
좌표는  이다.
  –   라 하고  의 값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누어 최댓값
과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 
(ⅰ)     즉,    일 때 
 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   는     일 때 최솟값을

갖고

    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이때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가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   는     일 때 최댓값을
 (ⅰ), (ⅱ), (ⅲ)에서 모든 실수  의 값의 합은     
갖고
 35. 정답 

    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점 C의 좌표를 로 놓으면 점 C의 좌표는   이 된다.
이때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가  이려면
이때, 사각형 ABCD가 정사각형이고 두 점 B, D가 직선
 
   
      
     위의 점이므로 A , B  , D 

     

   한편, 점 A 가 함수   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9
12
수학 영역
        

이때, 두 점 B, D는 서로 다른 점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에서    ∵   
 따라서 모든 실수  의 값의 곱은   이다.
따라서 정사각형 ABCD의 한 변의 길이는
38. 10
   

          ⋅     문항주제 – 근과 계수의 관계의 활용

[기본풀이]
36. 정답
   가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이므로
     ,       이라 하면
       ,
주어진 방정식의 서로 다른 두 실근 ,  는 두 함수   ,
   의 그래프의 교점의       
 좌표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           
즉,     , 즉,      의 두 근이   이다.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이므로 이차방정식
       ×  ×   이고 ,
       과 계수를 비교하면           
 는 이 이차방정식의 두 실근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이므로
 
이때      이므로           이고   
각 변을   로 나누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에서            , 즉
㉠+㉡을 하면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을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에서      이다.
37.  정답
 가 실수이므로 복소수  가 이차방정식
         의 한 근이면 다른 한 근은 
 이다. 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을   라 할 때,
이때,     (  는 실수,  ≠ )로 놓으면
  의 값을 구하는 두 가지 방법
  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이므로
 
한편,          

    39. 답.      


   

다음과 같이 나누어 생각한다.
       
        
에서  이 실수이려면 허수부분이  이어야 한다.
          
∴   ∵ ≠
㉠을 ㉡에 대입하면

10
12
수학 영역
㉠에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ⅰ)  ≥  일 때
     일 때 최댓값     ,
   일 때 최솟값 
∴            

∴   (부적합)

(ⅱ)   ≤    일 때
     일 때 최댓값     ,
   일 때 최솟값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ⅲ)   ≤    일 때
   일 때 최댓값  ,
   일 때 최솟값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ⅳ)    일 때
   일 때 최댓값  ,
     일 때 최솟값    
∴       

∴   (부적합)

(ⅰ)~(ⅳ)에서
    
   

40. 정답

이차방정식        의 두 근을   

   이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두 근은  ⋅    이므로


11
1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