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지구과학Ⅰ 5.

상대 연령과 절대 연령 정답 ②
ㄱ. (가)의 기저 역암은 화성암 Ⅰ과 암석 사이의
1. 음향 측심법 정답 ②
부정합면 위에 나타나므로 이는 화성암 Ⅰ의 조각
ㄱ.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서는 해령, 하강부에서는 해
들이다.
구가 만들어진다. , 해역 중 해구는 수심이 가장
ㄴ. 방사성 동위 원소 가 암석 생성 당시 양의
깊은 지점이 포함되어 있는 해역에 존재한다. 따
가 남아 있는 화성암 Ⅰ은 약 억 년 전에 형성되
라서 맨틀 대류의 하강부에 위치한 해역은 이다.
었고, 가 남아 있는 화성암 Ⅱ는 약 억년
ㄴ. , 해역의 탐사 지점 중 수심이 가장 깊은 곳은
전에 형성되었다.

로 수심은  × × ㄷ. 화성암 Ⅰ 형성 이후에 퇴적된 퇴적암 는 신생대

에 형성된 것이므로 고생대 표준 화석인 방추충 화석

이고, 가장 얕은 곳은 로 수심은  × 이 산출될 수 없다.

× 이다. 따라서 그 차이는
이다.
ㄷ. 판의 경계에서 해양 지각의 평균 연령은 해령 부근
인 해역이 해구 부근인 해역보다 적다.

6. 고지자기 연구 정답 ④ 10. 엘니뇨와 라니냐 정답 ③


ㄱ. (가)는 현재 지구 자기장의 방향인 정자극기의 모 ㄱ. 남방 진동 지수가 큰 음( )의 값일 때는 엘니뇨,
습이다. 큰 양( )의 값일 때는 라니냐 시기이다. 년
ㄴ. 복각의 크기는 자기 적도에서 이고 자북극에서 월은 남방 진동 지수가 양( )의 값으로 클 때이므
로, 적도에서 자북극으로 갈수록 복각이 증가한 로 라니냐 시기에 해당한다. 라니냐 시기에는 무역
다. 따라서 (가)에서 복각의 크기는 지점이 지 풍이 강해 동태평양 적도 부근 해역의 연안 용승이
2. 지질 구조 정답 ③
점보다 크다. 활발하다.
ㄱ. (가)는 지하 깊은 곳에 있던 암석이 융기할 때 압력 ㄷ. (나)에서 현재를 포함한 기간의 자극기인 ㉠이 정 ㄴ. (나)에서 동태평양 적도 부근 해역의 표층 수온이
이 감소하면서 부피가 팽창하여 판 모양으로 갈라진 자극기, ㉡은 역자극기이므로 (가)는 ㉠ 시기의 지 평상시보다 높을 때는 엘니뇨, 낮을 때는 라니냐 시
판상 절리이다. 따라서 판상 절리는 화산암보다 심 구 자기장 모습이다. 백만 년 전은 ㉠ 시기에 해 기이다. 따라서 ㉠은 엘니뇨, ㉡은 라니냐 시기의
성암에서 잘 나타난다. 당하므로 지구 자기장의 방향이 (가)와 같았다. 평균 표층 수온 편차이다.
ㄴ. (나)는 횡압력을 받아 상반이 하반에 대해 위로
ㄷ. 동태평양 적도 부근 해역에서 수온 약층이 나타나
이동하여 형성된 역단층이다.
기 시작하는 깊이는 용승이 강한 라니냐 시기에는
ㄷ. 마그마가 관입할 때 주변 암석의 일부가 떨어져
얕고, 용승이 약한 엘니뇨 시기에는 깊다. 따라서
나와 마그마 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포획이라고 하
수온 약층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깊이는 ㉠보다 ㉡이
고, 포획된 암석을 포획암이라고 한다. (다)에서
얕다.
는 포획암으로 보다 먼저 생성되었다.
7.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 정답 ①
ㄱ. 전선 부근의 전선면 기울기는 한랭 전선면이 온난
전선면보다 급하다. 따라서 (가)는 한랭 전선이다.
ㄴ. 전선의 이동 속도는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보다
빠르다.
ㄷ. 한랭 전선이 통과하면서 풍향은 남서풍에서 북서
풍으로, 온난 전선이 통과하면서 풍향은 남동풍에서
3.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 정답 ① 11. 기상 위성 영상 정답 ⑤
남서풍으로 변한다. 따라서 와 는 모두 남서풍
ㄱ. 발원지의 위도가 낮고 다습한 성질의 기단인 는 ㄱ. 가시 영상에서 밝게 나타날수록 구름의 두께가 두
이다.
북태평양 기단이다. 껍다. 따라서 지역이 지역보다 구름의 두께가
ㄴ. 우리나라 겨울철 서해안 폭설과 관련 있는 기단은 두껍다.
시베리아 기단인 이다. 는 우리나라 초여름에 주 ㄴ. 구름 최정상부의 높이는 적외 영상에서 밝게 나타
로 영향을 미치는 오호츠크해 기단이다. 날수록 높다. 따라서 지역이 지역보다 구름
ㄷ. 우리나라의 장마 전선은 주로 북태평양 기단( ) 최정상부의 높이가 높다.
과 오호츠크해 기단( )의 경계에서 발달한다. 는 ㄷ. 적외 영상은 촬영 시각에 영향을 받지 않지만, 태
양쯔강 기단이다. 8. 별의 물리량 정답 ②
양 빛이 구름과 지표면에 반사되어 나오는 것을 촬영
ㄱ. 별의 표면 온도가 낮을수록 색지수는 크다. 태양은 하는 가시 영상은 낮에만 관측이 가능하다. 따라서
표면 온도가 약 이므로 색지수가 보다 크다. 이날 두 위성 영상의 촬영 시각은 밤보다는 낮이다.
ㄴ. 주계열성은 질량이 작을수록 표면 온도가 낮다.
따라서 별의 질량은 (다)가 (가)보다 작다.
ㄷ. (나)는 색지수가 이므로 등급과 등급이 같다.

4. 판의 이동 정답 ①
ㄱ. 는 년부터 년까지 북쪽으로 약 ,
동쪽으로 약 이동하였고, 는 같은 기간 동
안 북쪽으로 약 , 동쪽으로 약 이동하 9. 지질 시대의 환경과 생물 정답 ①
12. 태풍의 이동과 영향 정답 ②
였다. 따라서 판의 이동 속력은 가 속한 판보다 ㄱ. 지구의 역사에서 선캄브리아 시대가 차지하는 비
가 속한 판이 빠르다. 율이 이므로, 지구 역사 억 년을 시간의
ㄴ. , 가 속한 두 판의 이동 방향이 북동쪽으로 지질 시계에 대비하면 고생대의 시작 시각은 약 태풍 주변에서는 공기가 저기압성 회전을 하면서 바
같고, 가 속한 판의 이동 속력이 가 속한 판의  람이 불게 되므로, 북반구에서는 기압이 낮은 중심부
시( 시×  )이다.
이동 속력보다 빠르므로 판의 경계 ㉠은 발산형 경  를 향해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바람이 불어 들어간다.
계에 해당한다. 따라서 수렴형 경계에서 나타나는 ㄴ. 시는 약 억 년 전으로 중생대에 해당한다. 따라서 태풍 진행 경로의 오른쪽에 위치하면 태풍 통과
해구는 판의 경계 ㉠을 따라 발달할 수 없다. 따라서 육지에는 겉씨식물이 번성하였다. 시 풍향이 시계 방향으로 변하고, 태풍 진행 경로의
ㄷ. 와 는 점점 멀어지므로 , 두 지점 사이의 ㄷ. 가장 큰 규모의 대멸종이 있었던 시기는 고생대 왼쪽에 위치하면 태풍 통과 시 풍향이 시계 반대 방향
거리는 년보다 년이 더 멀다. 말이므로 시 이전이다. 으로 변한다.

53 64
53
15. 주계열성의 에너지원 정답 ④ ㄷ. 우주가 팽창할수록 보통 물질과 암흑 물질의 밀도는
북반구에서 태풍의 진행 경로에 따른 풍향 변화 ㄱ. 별 의 진화 과정은 질량이 태양 정도인 별의 진화 감소하고, 암흑 에너지의 밀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과정으로 최종 진화 단계 (Ⅰ)은 백색 왜성이고, 질 의 밀도
따라서 우주가 팽창할수록
량이 매우 큰 별 의 최종 진화 단계인 (Ⅱ)는 중성 의 밀도 의 밀도
자별 또는 블랙홀이다. 는 증가한다.
ㄴ. 질량이 태양 정도인 별 가 주계열성일 때 중심부
온도는 순환 반응보다 - 반응이 우세하게
일어나는 ㉠이다.
ㄷ. (나)에서 중심부의 온도가 높을수록 순환
반응이 우세하게 일어난다. 순환 반응이 우세
하게 일어나는 별일수록 밝고 주계열에 머무르는 시 19. 빅뱅 우주론의 증거 정답 ⑤
간이 짧다. 따라서 (나)에서 중심부의 온도가 ㉠인 ㄱ. 헬륨 원자핵이 생성되기 직전의 양성자와 중성자
별이 ㉡인 별보다 주계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다. 의 개수비는 : 이므로 : 이다.
ㄴ. 헬륨 원자핵이 생성된 후 수소 원자핵과 헬륨 원자핵
태풍이 → → 로 이동할 때 태풍 진행 경로의 의 질량비는 : , 즉 : 이다.
왼쪽에 위치한 에서는 풍향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ㄷ. 빅뱅 우주론에 따르면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가 약
변하고, 태풍 진행 경로의 오른쪽에 위치한 에서는 : 이 되어야 하는데, 관측 결과는 이 예측과 잘
풍향이 시계 방향으로 변한다. 들어맞는다. 따라서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는 우주
배경 복사와 함께 빅뱅 우주론의 증거라고 할 수 있다.

ㄱ. 태풍의 세력은 중심 기압이 낮을수록 강하다. 따라


서 중심 기압이 인  일 때가 중심 기압이 16. 기후 변화의 지구 외적 요인 정답 ③

인 ㄱ. (가)에서 시기에는 시기보다 지구 북극의 이


일 때보다 태풍의 세력이 강했다.
ㄴ. 관측소에서 측정한 태풍의 풍향이 북동 → 동 → 동 궤도가 더 크다. 시기의 경사각은 현재와 같으
남동으로, 즉 시계 방향으로 변했으므로 관측소는 므로 시기의 지구 자전축 경사각은 현재 자전축
태풍의 위험 반원(태풍 진행 경로의 오른쪽)에 위치 경사각인 보다 크다. 20. 허블 법칙과 우주 팽창 정답 ③
한다. ㄴ. (나)를 통해 현재는 근일점에서 북반구가 겨울, 원
ㄷ. 태풍의 눈 바깥에서는 태풍 중심부로 갈수록 두꺼 일점에서 북반구가 여름임을 알 수 있다. 현재 근일
운 구름이 형성되므로,  일 때 태풍 중심으로부터 점에서 북극의 방향은 태양 방향의 반대쪽으로 기울 외부 은하의 후퇴 속도( )와 흡수선의 파장 변화량
어져 있으므로 현재 근일점에서 북극의 위치는 ㉡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떨어진 관측소에서 태풍의 중심에 가까워
이다. 
질수록 구름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단, 태풍의 눈에 ×  ( :빛의 속도,  :흡수선의
ㄷ. 북극이 ㉠에 위치할 때보다 ㉡에 위치할 때 지구 
서는 맑아진다.
자전축 경사각이 작으므로 북반구 여름철에는 태양 고유 파장,  :흡수선의 파장 변화량,  :적색
의 남중 고도가 낮아 평균 기온이 낮다. 편이)

발달한 태풍에서 태풍 중심으로부터 약 ~


에 이르는 지역은 날씨가 맑고 바람이 약한 태풍의
은하 , , , 의 위치 관계 및 에서 본 , ,
눈이다. 태풍의 눈 바깥에서는 태풍 중심부로 갈수록
의 후퇴 속도
대체로 두꺼운 적운형 구름이 형성된다.

17. 별의 진화 정답 ⑤
ㄱ. ㉠ 시기에 중심핵에서는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 ㄱ. 에서 관측할 때 와 , 는 동일한 시선 방향
나므로 수소의 질량비는 감소하고 헬륨의 질량비는 에 위치하며 에서 관측한 의 후퇴 속도는 에서
헬륨의 질량비( ) 관측한 의 후퇴 속도보다 빠르므로, 를 기준으로
13. 대기 대순환 정답 ③ 증가한다. 따라서
수소의 질량비( )
는 계속 증가
할 때 는 보다 먼 곳에 위치해야 한다. 마찬가지
ㄱ. 위도 부근은 아열대 고압대로 하강 기류가 나
한다. 로 에서 관측한 의 후퇴 속도는 에서 관측한
타난다.
ㄴ. ㉡ 시기는 주계열 단계가 끝난 후로, 중심핵은 헬 의 후퇴 속도보다 빠르므로, 를 기준으로 할 때
ㄴ. 위도 ~ 사이의 대기 순환은 페렐 순환으로,
륨 핵융합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에 도달할 때 는 보다 먼 곳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로부
해들리 순환과 극순환 사이에 형성된 간접 순환이다.
까지 수축하고, 핵 외곽은 수소 껍질 연소로 발생한 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은하는 이다.
ㄷ. 적도~위도 사이의 지표 부근에서 부는 바람은
열에 의해 가열되어 팽창한다. 따라서 별의 반지름 ㄴ. 에서 관측한 의 후퇴 속도는 이다.
무역풍, 위도 ~ 사이의 지표 부근에서 부는
은 증가한다.   kms
바람은 편서풍이다. 은하의 거리( )  
ㄷ. ㉢ 시기에 헬륨의 질량비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  kmsMpc
별의 중심부에서 헬륨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 :은하의 후퇴 속도, :허블 상수)이므로,
알 수 있다. 와 사이의 거리는 이다.
ㄷ. 외부 은하의 후퇴 속도( )와 적색 편이( ) 사이에
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 ( :빛의 속도)
14. 외계 행성계 탐사 정답 ② 따라서, 에서 를 관측할 때 나타나는 흡수선의
ㄱ. 중심별과 행성은 공통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같은  kms 
적색 편이는   이다.
방향으로 공전하므로, 행성의 공전 방향은 중심별의  kms 
공전 방향과 같은 ㉡이다.
ㄴ. (가)의 중심별은 지구에서 멀어지고 있으므로 시선 18. 우주의 구성 요소 정답 ④
속도가 ( )이며, 시선 속도가 최대가 되는 시점을 ㄱ. 현재 우주를 구성하는 요소의 상대적 비율은 보통
, , 는 동일한 시선 방향에 위치하고 를
지난 시기이다. 따라서 (가)는 (나)의  ~  사이 물질이 약 , 암흑 물질이 약 , 암흑
기준으로 할 때 는 보다 멀리 위치한다. 이때,
에 나타난다. 에너지가 약 이다. 따라서 는 암흑 물질, 에서 관측한 의 후퇴 속도가 , 에서
ㄷ.  에 중심별의 시선 속도는 이므로 시선 방향(지 는 보통 물질, 는 암흑 에너지이다. 별과 성운을
관측한 의 후퇴 속도가 이므로 에서
구 방향)의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때 행성도 구성하는 물질은 보통 물질이다.
관측한 의 후퇴 속도는 이다.
지구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지 않는다. ㄴ. 전자기파와 상호 작용하는 물질은 보통 물질이다.

54 54 6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