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3

Ⅰ.

지권의 변동

01 판 구조론의 정립 과정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1 01. 대륙 이동설 3 03. 대륙 이동설

다음은 베게너가 주장한 대륙 이동설의 여러 증거에 대해 학생 다음은 베게너가 주장한 학설이 등장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A, B, C가 대화하는 모습이다. 것이다.

제시한 내용이 옳은 학생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 학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① A ② B ③ A, C
고른 것은?
④ B, C ⑤ A, B, C
ㄱ. 대륙 이동설에 대한 내용이다.

기 ㄴ. 베게너는 대륙이 이동하는 원동력을 맨틀 대류로 설명하
였다.
ㄷ. ‘여러 대륙에 남아 있는 고생대 말 빙하 흔적의 연속성’
은 ㉠에 해당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 02. 대륙 이동설
4 04. 대륙 이동설

그림은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을 근거로 재구성한 판게아의 모 그림 (가)는 고생대 말의 빙하 흔적을 현재의 수륙 분포에 나
습을 나타낸 것이다. 타낸 것이고, (나)는 고생대 말의 수륙 분포이다.

베게너가 대륙 이동설을 주장할 당시에 제시한 증거로 옳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A 대륙 동부와 B 대륙 서부의 신생대 퇴적층이 유사하다. ㄱ. 고생대 말에 빙하가 적도까지 분포하였다.


보 보
기 ㄴ. A 대륙과 B 대륙에서 같은 종의 고생대 말 육상 파충류 기 ㄴ.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에서 같은 종류의 화석이 발견될
화석이 산출된다. 수 있다.
ㄷ. A 대륙의 동부 해안선과 B 대륙의 서부 해안선의 형태 ㄷ. 대서양 심해저에서 선캄브리아 시대의 퇴적층이 발견되지
가 유사하다. 않는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5 05. 대륙 이동설 7 07. 해저 지형 탐사

그림은 과거에 한 덩어리를 이루었던 남아메리카 대륙과 아프 그림은 어느 해양의 해저 지형을 나타낸 것이다.
리카 대륙이 분리되어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A~C의 특징을 <보기>에서 골라 옳게 짝지은 것은?

두 대륙이 이동하였음을 추정하는 근거로 타당한 것만을 <보기> ㄱ. 열곡이 발달되어 있는 해저 산맥이다.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기 ㄴ. 경사가 완만하고 평균 수심이 200m 미만이다.
ㄷ. 해산과 평정 해산이 분포하는 평탄한 지형이다.
ㄱ. 아프리카 대륙의 동부 지역에 발산형 경계가 나타난다.

기 ㄴ.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해안선의 모양이 유사하다. A B C A B C
ㄷ. 두 대륙에서 발견된 고생대 말기의 식물 화석 분포가 연
속성을 보인다. ① ㄱ ㄴ ㄷ ② ㄱ ㄷ ㄴ

③ ㄴ ㄱ ㄷ ④ ㄴ ㄷ ㄱ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⑤ ㄷ ㄴ ㄱ
④ ㄴ, ㄷ ⑤ ㄱ, ㄴ, ㄷ

6 06. 맨틀 대류설

그림은 판 구조론이 정립되는 과정에서 제시되었던 맨틀 대류


설을 나타낸 것이다.

8 08. 해저 지형 탐사

그림은 해저 지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것은?
고른 것은?
ㄱ. A는 해저 지형 중 수심이 가장 깊은 곳이다.


ㄱ. 베게너가 주장하였다. 기 ㄴ. B는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는 곳이다.
기 ㄴ. 맨틀 내 온도 차이로 대류가 발생한다는 이론이다. ㄷ. C는 비교적 평탄한 지형으로, 해저 면적의 대부분을 차
ㄷ. A는 맨틀 대류의 하강부이다. 지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9 09. 해저 지형 탐사 11 011. 해양저 확장

표는 어느 해역의 기준점을 출발한 해양 탐사선에서 해저를 그림은 대륙 이동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자료를 지도에 나타낸
향해 발사한 초음파가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 것이다.
자료이다.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km) 초음파의 왕복 시간(초)
5 6.6
10 6.7
15 6.5
20 2.4
25 2.5
30 2.4
35 6.4
40 6.6
45 6.6
50 6.8

이 자료에서 알 수 있는 조사 해역의 해저 지형에 대한 설명 이 자료와 관련하여 베게너가 대륙 이동의 증거로 제시하지


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해 않은 것은?
수 속에서 초음파의 전파 속도는 1500m/s이다.)
① 멀리 떨어져 있는 양쪽 대륙에서 발견된 고생대 말 습곡 산맥의
ㄱ. 가장 깊은 곳의 수심은 약 5100m이다. 분포에 연속성이 있다.

기 ㄴ. 기준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수심은 계속 깊어진다. ② 여러 대륙에 나타나는 빙하 퇴적층의 분포에 연속성이 있다.
ㄷ. 기준점으로부터 20~30km 사이에는 대륙붕이 발달해 있다. ③ 멀리 떨어져 있는 양쪽 대륙에서 메소사우루스의 화석이 발견 된다.
④ 대서양 중앙 해령을 중심으로 고지자기 줄무늬가 대칭적으로 나
① ㄱ ② ㄴ ③ ㄷ
타난다.
④ ㄱ, ㄴ ⑤ ㄴ, ㄷ
⑤ 남아메리카 대륙의 동부 해안선과 아프리카 대륙의 서부 해안선의
형태가 유사하다.

10 010. 해저 지형 탐사

그림 (가)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해저의 수심을 측정하는 모식


도이고, (나)는 어느 해역에서 측정한 초음파의 왕복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12 012. 해양저 확장

표는 해양저의 탐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분지형 구조는 주위는 산지로 둘러싸여 있고 그 안
은 평평한 지역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에서 해저의 수심이 깊을수록 초음파의 왕복 시간은

기 길어진다. ㄱ. (가)에서 정자극기와 역자극기가 교대로 나타난다.

ㄴ. (나)에 나타난 조사 지역은 분지형 구조이다. 기 ㄴ. (나)에서 수심은 음향 측심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ㄷ. (나)에서 A 지역의 경사가 B 지역의 경사보다 완만하다. ㄷ. (가)와 (나)를 이용하여 해양저 확장설을 설명할 수 있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3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13 013. 해양저 확장 15 015. 해양저 확장

표는 판 구조론이 정립되는 과정에서 제시된 이론과 대표적인 그림은 어느 해령 부근에서 고지자기 줄무늬가 형성되는 과정
증거를 나타낸 것이다. 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해령을 중심으로 고지자기 줄무늬가 대칭적으로 나타난다.

기 ㄴ. 해령의 중심부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된다.
ㄱ. 고지자기 줄무늬는 해령 축에 대해 대체로 대칭적으로 ㄷ. 해양 지각의 연령은 B가 A보다 많다.

기 분포한다.
ㄴ. 메소사우루스는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대륙이 분리된 후 ① ㄱ ② ㄷ ③ ㄱ, ㄴ
최초로 출현하였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ㄷ. (가)는 (나)보다 먼저 제시된 이론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4 014. 해양저 확장 16 016. 해양저 확장

그림은 해령 부근의 여러 지역에서 조사한 고지자기 줄무늬를 그림은 어느 해령 주변에서 측정한 고지자기 줄무늬와 지점 A,
나타낸 것이다. B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A의 암석이 생성될 당시 지구 자기는 정자극기였다. ㄱ. A는 B보다 먼저 생성된 것이다.


보 보
기 ㄴ. 고지자기 줄무늬의 분포는 해저 확장의 증거가 된다. 기 ㄴ. A와 B가 생성될 당시 지구 자기장 방향은 서로 같다.
ㄷ. A에서 B로 갈수록 해양 지각의 연령이 감소할 것이다. ㄷ. 고지자기 줄무늬는 해령을 축으로 대칭적으로 분포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17 017. 해양저 확장 19 019. 판 구조론

그림 (가)와 (나)는 동일한 해령 부근에서 열곡을 중심으로 고 다음은 판 구조론이 정립되는 과정에서 등장한 이론을 시간
지자기 줄무늬와 해저 퇴적물 두께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순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해저 확장설은 A에 해당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기 ㄴ. 판 구조론의 이론에 의하면 지구의 부피는 계속 커진다.
것은? ㄷ. 대륙 이동설로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대륙의 마주보는
해안선의 유사성을 설명할 수 있다.
ㄱ. A 지점의 해양 지각이 생성될 당시 지구 자기장의 방향은
보 ① ㄱ ② ㄴ ③ ㄱ, ㄷ
기 현재와 같았다.
ㄴ. 해양 지각의 나이는 B 지점보다 C 지점이 많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ㄷ. (가)와 (나)를 이용하여 해양저 확장설을 설명할 수 있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8 018. 판 구조론

그림 (가)는 판 구조론의 정립 과정을, (나)는 (가)의 어느 학


설에서 제시된 증거를 나타낸 것이다. A와 B는 각각 대륙 이
동설과 해저 확장설 중 하나이다.

20 020. 판 구조론

다음은 판 구조론이 정립되는 과정을 정리한 것이다.


A B
대륙 맨틀 해저

이동설 → 대류설 → 확장설 →
구조론
(베게너) (홈스) (헤스)

A와 B 이론에 관련된 주장이나 증거를 <보기>에서 옳게 짝지은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ㄱ. 지구 내부 맨틀의 열대류에 의해 대륙이 이동한다.



것은? 기 ㄴ. 해령을 중심으로 고지자기의 줄무늬가 대칭적으로 나타난다.
ㄷ. 멀리 떨어진 대륙에서 같은 종류의 화석이 발견된다.
ㄱ. A는 대륙 이동설이다.

기 ㄴ. (나)는 B의 결정적 증거로 제시되었다. A B A B
ㄷ. 남극 대륙에서 글로소프테리스 화석이 발견된다.
① ㄱ ㄴ ② ㄴ ㄱ
③ ㄴ ㄷ ④ ㄷ ㄱ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⑤ ㄷ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5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21 021. 판 구조론 23 023. 판 구조론

다음은 판 구조론이 정립되기까지 제시되었던 이론을 ㉠, ㉡, 표는 판구조론이 정립되기까지 제시되었던 이론을 순서 없이


㉢으로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나타낸 것이다. ㉠, ㉡, ㉢은 각각 대륙 이동설, 맨틀 대류설,
해양저 확장설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이론이 제시된 순서는 ㉠ → ㉢ → ㉡이다.



기 ㄴ. ㉠에서는 여러 대륙에 남아 있는 과거의 빙하 흔적들이
증거로 제시되었다.
ㄷ. 해령 양쪽의 고지자기 분포가 대칭을 이루는 것은 ㉡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증거이다. 것은?

① ㄱ ② ㄴ ③ ㄱ, ㄷ ㄱ. 해령을 중심으로 해저 고지자기 줄무늬가 대칭을 이루는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기 것은 ㉠의 증거가 된다.
ㄴ. 음향 측심법을 이용한 해저 지형 탐사는 ㉡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ㄷ. ㉡ → ㉠ → ㉢ 순으로 제시되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4 024. 판 구조론

표는 판 구조론이 정립되는 과정에서 제시된 두 학설의 내용


을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는 각각 대륙 이동설과 해양저

22 022. 판 구조론
확장설 중 하나이다.

표는 대륙 이동설, 맨틀 대류설, 해양저 확장설을 내용의 일부와


함께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ㄱ. (가)는 대륙 이동의 원동력을 맨틀의 대류로 설명하였다.



① (가)는 맨틀 대류설이다. 기 ㄴ. 해령을 축으로 나타나는 고지자기 줄무늬의 대칭적 분포는
(나)의 증거에 해당한다.
② (가)는 해저 탐사 기술의 발전으로 더욱 지지되었다.
ㄷ. (가)는 (나)보다 먼저 제시되었다.
③ (나)에서 제시한 증거로는 고지자기 연구가 있다.
④ (다)는 지구 겉 부분이 여러 판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⑤ (가) → (나) → (다)의 시간순으로 주장되었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6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25 025. 판 구조론 27 027. 판 구조론

그림은 어느 학생이 생성형 인공 지능 서비스를 이용해 대륙 다음은 판 구조론이 정립되는 과정에서 등장한 이론과 증거에
이동설과 해양저 확장설에 대해 검색한 결과의 일부이다. 대하여 학생 A, B, C가 나눈 대화이다. (가)와 (나)는 각각 대륙
이동설과 해양저 확장설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제시한 내용이 옳은 학생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① A ② C ③ A, B
④ B, C ⑤ A, B, C
ㄱ. ㉠은 판게아이다.

기 ㄴ. ‘같은 종류의 화석이 멀리 떨어진 여러 대륙에서 발견된
다’는 ㉡에 해당한다.
ㄷ. ‘해령’은 ㉢에 해당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8 028. 판 구조론

그림은 물리적 성질에 따른 지구 내부의 층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26 026. 판 구조론

그림은 대륙 이동설과 해양저 확장설에 대한 학생들의 대화


장면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연약권은 유동성이 있다.



기 ㄴ. 암석권은 지각을 포함한다.
ㄷ. 지각의 평균 두께는 대륙 지각이 해양 지각보다 두껍다.
제시한 내용이 옳은 학생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① A ② C ③ A, B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B, C ⑤ A, B, C ④ ㄴ, ㄷ ⑤ ㄱ, ㄴ, ㄷ

7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29 029. 판 구조론 31 031. 판 구조론

그림 (가)~(다)는 판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판의 상대적인 이동 그림은 판의 경계와 이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가)~(다)에서 판의 경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 (나), (다) 모두 수렴 경계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② (가)에서 두 해양 지각의 밀도는 다르다. 것은?
③ 해구가 생성되는 곳은 (가)와 (나)이다.
④ 화산 활동이 활발한 곳은 (가)와 (다)이다. ㄱ. 해양 지각의 나이는 B보다 A에서 적다.

⑤ 판의 경계에서 소멸되는 지각은 해양 지각이다. 기 ㄴ. C에서는 화산 활동이 활발하다.
ㄷ. 지진은 B보다 D에서 자주 발생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30 030. 판 구조론

그림은 해령 부근의 판 경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32 032. 판 구조론

그림은 해령 부근의 해저 지형을 나타낸 것이다.

A~D 지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고른 것은? 것은?

ㄱ. A와 B의 지각은 같은 시기에 생성되었다. ㄱ. ㉠에서는 지진이 활발하게 발생한다.


보 보
기 ㄴ. 퇴적물의 두께는 B가 D보다 두껍다. 기 ㄴ. 해저 퇴적물의 두께는 A보다 B에서 두껍다.
ㄷ. C와 D의 이동 방향은 같다. ㄷ. 해령에서는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ㄱ, ㄴ ⑤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8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33 033. 판 구조론 34 034. 판 구조론

그림은 질문 카드를 사용하여 판의 경계에서 나타나는 지형을 그림 (가)는 대서양의 탐사 지점을, (나)는 (가)의 탐사 지점에
분류하는 과정이다. 질문 카드는 (가), (나), (다) 중 두 개만 서 음향 측심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수심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하며 A, B, C는 각각 제시된 세 지형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초음파의 왕복 시간은 B 지점이 C 지점보다 길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보
기 ㄴ. 대서양 중앙 해령은 A 지점 부근에 있다.
것은?
ㄷ. 음향 측심법을 이용한 해저 지형의 탐사 결과는 해양저
확장설의 등장에 도움을 주었다.
ㄱ. B는 산안드레아스 단층이다.

기 ㄴ. C는 대륙판과 해양판의 경계이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ㄷ. 위에서 사용하지 않은 질문 카드는 (나)이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9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35 035. 판 구조론 36 036. 판 구조론

다음은 음향 측심법을 이용하여 해저 지형을 추정하는 탐구 그림 (가)는 탐사 해역 A와 B의 위치를, (나)는 A, B 중 한


활동이다. 해역의 음향 측심 자료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해역 A와
B에는 각각 해령과 해구 중 하나가 존재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해수에서 초음파의 속력은 1500m/s이다.)

ㄱ. (나)는 B에서 측정한 자료이다.



기 ㄴ. (나)의 탐사 지점 6에서 초음파의 왕복 시간은 10초이다.
ㄷ. A에서 해양 지각의 연령은 판의 경계를 기준으로 대칭
적이다.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물속에서 음파의 속도는 1500m/s이다.)
37 037. 판 구조론

ㄱ. 음파의 왕복 시간이 길수록 수심이 깊다. 그림은 어느 판의 해저면에 시추 지점 P1 ~ P5의 위치를, 표는



기 ㄴ. A의 수심은 3km보다 얕다. 각 지점에서의 퇴적물 두께와 가장 오래된 퇴적물의 나이를
ㄷ. B 부근에 해구가 존재한다. 나타낸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퇴적물 두께는 P2보다 P4에서 두껍다.



기 ㄴ. P5 지점의 가장 오래된 퇴적물은 중생대에 퇴적되었다.
ㄷ. P1 ~ P5가 속한 판은 해령을 기준으로 동쪽으로 이동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0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38 038. 판 구조론 40 040. 판 구조론

그림은 태평양에 위치한 탐사 해역을, 표는 해저면의 지점 a ~ 그림은 동태평양 어느 지역의 판의 분포와 상대적인 이동 방
f의 수심을 알아내기 위해 음향 측심법으로 측정한 음파의 왕 향을 나타낸 것이다.
복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탐사 해역에는 해령 또는 해구가 존
재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해수에서 음파의 속도는 1500m/s이다.) ㄱ. A 지점에는 열곡이 존재한다.

기 ㄴ. 해양 지각의 나이는 A 지점이 B 지점보다 많다.
ㄱ. a의 수심은 9000m보다 깊다.
보 ㄷ. 이 지역에는 수렴형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기 ㄴ. 탐사 해역에는 해구가 존재한다.
ㄷ. a와 f는 멀어지고 있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39 039. 판 구조론
41 041. 판 구조론

그림은 북아메리카 서해안 지역에서 해령, 해구, 변환 단층의


그림은 북아메리카 부근의 판 A, B, C와 판 경계를 나타낸 것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다. 이 지역에는 세 종류의 판 경계가 모두 존재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지역 A~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것은? 대로 고른 것은?

ㄱ. 판의 밀도는 A가 B보다 크다. ㄱ. 지각의 두께가 가장 얇은 곳은 A이다.


보 보
기 ㄴ. B는 C에 대해 남동쪽으로 이동한다. 기 ㄴ. 천발 지진은 B와 C에서 모두 발생한다.
ㄷ. ㉠의 발견은 맨틀 대류설이 등장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ㄷ. D는 북아메리카판에 위치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1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42 042. 판 구조론 43 043. 판 구조론

그림은 어느 지역의 판 경계와 판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중앙 아메리카 어느 지역의 판 경계와 진앙 분포를 나
타낸 것이다.

A~D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화산 활동은 A보다 B에서 활발하다.



기 ㄴ. 지각의 나이는 B보다 C가 적다.
ㄷ. D에는 변환 단층이 발달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지역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대로 고른 것은?

ㄱ. C에서 인접한 두 판의 이동 방향은 대체로 동서 방향이다.



기 ㄴ. 인접한 두 판의 밀도 차는 A가 C보다 크다.
ㄷ. 인접한 두 판의 나이 차는 B가 C보다 크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44 044. 판 구조론

그림은 지진과 화산 활동이 빈번한 주요 변동대와 판의 경계


를 나타낸 것이다.

A~E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A 지역에서는 습곡 산맥이 형성되고 있다.


② B 지역은 해양판과 해양판이 수렴하는 곳이다.
③ C 지역에는 변환 단층이 존재한다.
④ D 지역에는 해구와 습곡 산맥이 분포한다.
⑤ E 지역은 판과 판이 멀어지는 발산형 경계이다.

12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45 045. 판 구조론 47 047. 판 구조론

그림은 세계 주요 판의 경계와 이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지난 10년 동안 한반도 주변에서 일어난 규모 5.0 이
상인 지진의 진앙과 규모, 진원 깊이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 자료의 A-A′와 B-B′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 B, D는 수렴형 경계이다.

기 ㄴ. C에서는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된다. 보
ㄱ. 판의 경계는 진원의 깊이가 얕은 쪽에 가깝다.
ㄷ. 태평양판과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의 경계에는 해구가 기 ㄴ. A-A′의 진원 깊이를 보면 필리핀판의 밀도가 유라시아판
존재한다. 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ㄷ. B-B′ 구간에서 섭입하는 판의 경사는 30° 미만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46 046. 판 구조론
48 048. 판 구조론
그림은 세계 주요 판의 경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인도네시아 부근의 판 경계와 화산 분포를 나타낸 것
이다.

세 지역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이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고른 것은?

ㄱ. A는 두 대륙이 충돌한 지역이다. ㄱ. 수렴형 경계가 발달해 있다.


보 보
기 ㄴ. B에서는 새로운 지각이 생성된다. 기 ㄴ. 진앙은 주로 A 판에 분포한다.
ㄷ. 세 지역 중 지각의 나이는 C가 가장 많다. ㄷ. 판의 밀도는 A 판이 B 판보다 작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3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49 049. 판 구조론 51 051. 판 구조론

그림은 알래스카 부근에 있는 판의 경계와 화산 분포를 나타낸 그림 (가)와 (나)는 태평양과 대서양 해저 지형의 동서 단면을
것이다.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 지역에 나타난 판의 운동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① 화산들의 일부는 호상 열도를 이룬다. 것은?
② 화산들은 북아메리카판에 위치하고 있다.
ㄱ. (가)는 대서양의 해저 단면이다.
③ 북아메리카판이 태평양판보다 밀도가 작다. 보
기 ㄴ. (나)의 해저는 넓어지고 있다.
④ 진앙은 북아메리카판보다 태평양판에 더 많다.
ㄷ. 심발 지진은 (나)보다 (가)에서 자주 발생한다.
⑤ 판의 섭입에 의해 생성된 마그마가 화산을 형성하였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50 050. 판 구조론

그림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두 판의 경계 부근에서 발생


한 지진의 진앙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A와 B 지역은 서로 다
른 판에 위치한다. 52 052. 판 구조론

그림은 동태평양의 어느 해저에서 측정한 해양 지각의 연령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A 지역이 B 지역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만을 <보기>에서 있


A, B, C 지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두 판의 이동 방향은 남서쪽이다.)
대로 고른 것은?

ㄱ. 해구로부터의 거리 ㄱ. A의 해양 지각은 B 방향으로 이동한다.


보 보
기 ㄴ. 판의 밀도 기 ㄴ. B와 C에서는 천발 지진이 발생한다.
ㄷ. 판의 이동 속력 ㄷ. C는 판이 생성되는 경계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ㄱ, ㄴ ⑤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4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53 053. 판 구조론

그림은 나스카판과 남아메리카판의 해양 지각의 연령 분포와


남아메리카 대륙 주변의 판 경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판의 이동 속도는 나스카판이 남아메리카판보다 빨랐다.



기 ㄴ. A와 C 지역에서는 주로 심발 지진이 발생한다.
ㄷ. B 지역에는 해구가 발달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54 054. 판 구조론

그림은 남극 대륙 주변에서 발생한 지진의 진앙 분포를 나타


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에는 변환 단층이 분포한다.



기 ㄴ. B에는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된다.
ㄷ. ㉠-㉡에서 판의 경계는 진원의 깊이가 깊은 쪽에 가깝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15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08. ⑤
ㄱ. A는 해구로, 수심 약 6km 이상의 깊은 골짜기이다. 해구는
해저 지형 중 수심이 가장 깊다.
ㄴ. B는 해령으로, 해령에서는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된다.
정답 및 해설 ㄷ. C는 심해저 평원으로, 평균 수심이 약 4km인 평탄한 지형
이다. 심해저 평원은 해저 지형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01. ⑤
베게너가 주장한 대륙 이동설의 증거에는 빙하 흔적의 연속성, 09. ①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해안선의 유사성, 바다를 사이에 두고 ㄱ. 초음파의 왕복 시간을 , 초음파의 전파 속도를 라고 할 때
멀리 떨어져 있는 양쪽 대륙에서 발견되는 메소사우루스의 화 
수심은  로 구할 수 있다. 초음파의 왕복 시간이 길수록
석, 지질 구조의 연속성 등이 있다. 
수심이 깊으며, 수심이 가장 깊은 곳의 초음파 왕복 시간은
02. ⑤ 6.8초이다. 따라서 가장 깊은 곳의 수심은 약 5100m이다.
고생대 말에 서로 연결되어 있던 A, B 대륙이 중생대 초에 분 ㄷ. 기준점으로부터 20~30km 지점은 수심이 약 1800m 정
리되어 현재의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가 되었다. 따라서 판게아 도이므로 대륙붕에 해당하지 않는다. 대륙붕은 수심이 약
가 분리되기 이전의 고생물 화석과 지층이 유사해야 대륙 이동 200m 이내인 경사가 완만한 지형이다.
의 증거가 될 수 있으며, 신생대 지층과 화석의 유사성은 증거
가 되지 않는다. 해안선의 형태가 유사한 것도 간접적인 증거 010. ①
가 될 수 있다. ㄱ. 탐사선에서 발사한 초음파가 해저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통해 수심을 측정한다. 수심이 깊을수록
03. ③ 초음파의 왕복 시간이 길다.
ㄱ. 베게너가 주장한 학설은 대륙 이동설이다. ㄴ. (나)에 나타난 조사 지역은 안쪽으로 갈수록 초음파의 왕복
ㄴ. 베게너는 대륙이 이동하는 원동력을 설명하지 못했으며, 대 시간이 짧아진다. 즉, 안쪽으로 갈수록 수심이 얕아지는 지
륙이 이동하는 원동력을 맨틀 대류로 주장한 것은 홈스이다. 형이므로 분지형 구조가 아니다. 분지형 구조는 안쪽으로 갈
ㄷ. 베게너가 주장한 대륙 이동의 여러 증거로는 여러 대륙에 수록 수심이 깊어진다.
남아 있는 고생대 말 빙하 흔적의 연속성, 지질 구조의 연 ㄷ. 등치선의 간격이 좁을수록 값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므로 초음
속성, 화석 분포의 연속성, 해안선 모양의 일치 등이 있다. 파의 왕복 시간은 A 지역이 B 지역보다 크게 변한다. 따라서
수심이 크게 변하는 A 지역이 B 지역보다 경사가 급하다.
04. ④
ㄱ. 고생대 말에 빙하는 주로 극지방에 분포해 있었다.
011. ④
ㄴ. 고생대 말에 두 대륙은 붙어 있었으므로 같은 종류의 화석이 ④ 고지자기 줄무늬가 해령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나타나는
발견될 수 있다. 것은 해양저 확장의 증거로, 베게너 이후에 밝혀진 대륙 이
ㄷ. 대서양은 판게아가 분리되면서 중생대에 형성되었으므로 선 동의 증거이다.
캄브리아 시대의 지층은 발견되지 않는다.
012. ⑤
05. ④ ㄱ. 지질 시대 동안 지구 자기장의 방향은 현재와 같은 정자극
ㄱ. 아프리카 대륙의 동부 지역에 발산형 경계가 분포하지만 이는 기와 반대인 역자극기가 반복되었다. 해령에서 생성된 해양
아프리카 대륙이 분리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두 대륙이 이동한 지각이 해령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해령을
증거가 되지 못한다. 축으로 고지자기 줄무늬가 대칭적으로 나타난다.
ㄴ. 남아메리카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은 과거에 한 덩어리였으 
며, 분리되어 현재의 위치로 이동하였으므로 대서양을 사이 ㄴ. 수심은 음향 측심법을 통해 (  ×음파의 속도×음파의 왕

에 두고 마주보는 해안선의 모양이 유사하다. 복 시간)으로 구할 수 있다.
ㄷ. 고생대 말에 두 대륙은 한 덩어리였으므로 고생대 말기의 ㄷ. 고지자기 줄무늬는 해양저 확장설의 증거이고, 해저 지형
식물 화석 분포가 연속성을 보인다. 탐사 자료는 해양저 확장설의 기초가 되었다.

06. ② 013. ①
ㄱ. 맨틀 대류설은 홈스가 주장하였다. ㄱ. 해령에서 생성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양쪽으로 확장되는
ㄴ. 맨틀 대류설은 방사성 원소가 붕괴하여 생성된 열과 고온 과정에서 정자극기에 생성된 암석과 역자극기에 생성된 암
의 지구 중심부에서 맨틀로 공급되는 열에 의해 맨틀 내 석이 반복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고지자기 줄무늬는 해령
온도 차이가 생겨 맨틀이 대류한다고 설명하는 이론이다. 축에 대해 대체로 대칭적으로 분포한다.
ㄷ. A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이다. ㄴ. 메소사우루스는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대륙이 분리되기 전
에 최초로 출현하였다.
07. ④ ㄷ. 판 구조론의 정립 과정에서 대륙 이동설은 해양저 확장설
A는 대륙붕, B는 심해저 평원, C는 해령이다. 보다 먼저 제시되었다.

16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있다가 대륙의 이동에 의해 분리된 것으로 두 대륙의 마주


014. ⑤ 보는 해안선의 유사성을 설명하고 있다.
ㄱ. 고지자기 줄무늬를 보면 지자기의 방향이 현재와 같은 시
기와 현재와 반대인 시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지자기 020. ⑤
의 방향이 현재와 같은 시기를 정자극기, 현재와 반대인 시 ㄱ은 맨틀 대류설, ㄴ은 해저 확장설, ㄷ은 대륙 이동설과 관련
기를 역자극기라고 한다. A의 암석이 생성될 당시에는 지 된 주장이나 증거이다.
자기의 방향이 현재와 같은 정자극기였다.
ㄴ. 고지자기 줄무늬는 해령에 대해 대칭성을 보인다. 이는 해 021. ⑤
령에서 생성된 해양 지각이 해저가 확장되면서 해령을 중 ㄱ. 판 구조론이 정립되기까지 대륙 이동설 → 맨틀 대류설 →
심으로 양쪽으로 멀어지기 때문이다. 해양저 확장설 순으로 제시되었다.
ㄷ. 해양 지각은 해령에서 생성되어 해구 쪽으로 이동한다. 따 ㄴ. 베게너는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남
라서 A에서 B로 갈수록 해양 지각의 연령이 감소한다. 극 대륙에서 발견되는 고생대 말 빙하 퇴적층과 빙하 이동
흔적을 대륙 이동의 증거로 제시하였다.
015. ③ ㄷ. 해령 양쪽의 고지자기 분포가 대칭을 이루는 것은 해양저
고지자기 분석과 해저 지형의 연령 측정을 통해 해양저가 확장 확장설의 증거이다.
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ㄱ. 고지자기 줄무늬는 해령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분포한다. 022. ②
ㄴ. 해령의 중심부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된다. ① (가)는 해양저 확장설, (나)는 맨틀 대류설, (다)는 대륙 이
ㄷ. 해령의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해양 지각의 연령이 많아지 동설이다.
므로, 해양 지각의 연령은 A가 B보다 많다. ② 해저 탐사 기술의 발전으로 해양저 확장설은 더욱 지지되었다.
③ 고지자기 연구는 해양저 확장설의 증거이다.
016. ② ④ 판 구조론에 대한 설명이다.
ㄱ. 해령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해양 지각의 연령이 많 ⑤ 대륙 이동설 → 맨틀 대류설 → 해양저 확장설 → 판 구조론
아지며, 연령이 많을수록 먼저 생성된 해양 지각이다. 따라 순으로 주장되었으므로 (다) → (나) → (가) 순이다.
서 B가 A보다 먼저 생성된 것이다.
ㄴ. A는 정자극기, B는 역자극기에 생성되었으므로 A와 B가 023. ①
생성될 당시 지구 자기장 방향은 서로 다르다. ㉠은 해양저 확장설, ㉡은 대륙 이동설, ㉢은 맨틀 대류설이다.
ㄷ. 해령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어 양쪽으로 확장되는 ㄱ. 지자기 역전에 의한 고지자기 줄무늬가 해령을 중심으로
과정에서 정자극기에 생성된 해양 지각과 역자극기에 생성 대칭을 이루는 것은 해령에서 생성된 새로운 해양 지각이
된 해양 지각이 반복되어 나타나 고지자기 줄무늬가 해령 양쪽으로 확장되는 해양저 확장설로 설명할 수 있으므로
을 축으로 대칭적으로 분포한다. 해양저 확장설의 증거가 된다.
ㄴ. 음향 측심법을 이용한 해저 지형 탐사를 통해 해저 지형의
017. ④ 높낮이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고 해저 지형의 특
ㄱ. 고지자기 줄무늬 분포로 보아 A 지점의 해양 지각이 생성 징을 설명하기 위해 해양저 확장설이 등장하게 되었다.
될 당시는 역자극기에 해당한다. ㄷ. 판구조론이 정립되기까지 제시되었던 이론의 등장 순서는
ㄴ. 해령에서는 해양 지각이 생성되어 확장되므로 열곡에서 멀 대륙 이동설 → 맨틀 대류설 → 해양저 확장설이다.
어질수록 해양 지각의 나이가 많다. 따라서 해양 지각의 나
이는 B 지점보다 C 지점이 많다. 024. ④
ㄷ. 해령 부근에서 열곡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고지자기 줄무늬 (가)는 대륙 이동설, (나)는 해양저 확장설이다.
와 해저 퇴적물 두께의 대칭적 분포는 해양저 확장설의 증 ㄱ. 대륙 이동설에서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던 대륙 이동의 원
거이다. 동력을 맨틀의 대류로 설명한 학설은 맨틀 대류설이다.
ㄴ. 해령을 축으로 나타나는 고지자기 줄무늬의 대칭적 분포는
018. ④ 해양저 확장설의 증거에 해당한다.
ㄱ. 대륙 이동설이 해저 확장설보다 먼저 나온 이론이므로 A는 ㄷ. 판 구조론이 정립되는 과정에서 대륙 이동설은 해양저 확
대륙 이동설, B는 해저 확장설이다. 장설보다 먼저 제시되었다.
ㄴ. (나)는 대륙 이동설인 A의 결정적 증거로 제시되었다.
ㄷ. (나)를 통해 남극 대륙에서 글로소프테리스 화석이 발견되 025. ⑤
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ㄱ. 베게너가 제시한 초대륙의 이름은 판게아이므로 ㉠은 판게
아이다.
019. ③ ㄴ. 여러 대륙에서 동일한 종류의 고생물 화석이 발견되는 화
ㄱ. 1960년대 초 헤스와 디츠는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과 홈스 석 분포의 연속성은 베게너가 제시한 대륙 이동의 증거 중
의 맨틀 대류설을 발전시켜 해양저 확장설을 주장하였다. 하나이다. 따라서 ‘같은 종류의 화석이 멀리 떨어진 여러
ㄴ. 판 구조론에 의하면 맨틀 대류의 상승과 하강에 의해 판이 대륙에서 발견된다’는 ㉡에 해당한다.
생성되고 소멸되므로 지구 전체의 부피는 변하지 않는다. ㄷ. 해양저 확장설에서는 해령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형성된
ㄷ. 대륙 이동설에서는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대륙이 서로 붙어 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해령’은 ㉢에 해당한다.

17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026. ② 033. ④
A. 베게너는 대륙 이동의 원동력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였기 ㄱ, ㄴ. 산안드레아스 단층은 판과 판이 어긋나는 보존 경계,
때문에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은 당시 과학자들로부터 인정 히말라야산맥은 대륙판과 대륙판이 충돌하는 수렴 경계, 일
받지 못하였다. 본 해구는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섭입하는 수렴 경계이
B.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해저 퇴적물의 두께는 두꺼워진다. 다. A, B, C가 세 지형 중 하나가 되기 위해서는 질문 카
C. 고지자기 줄무늬가 해령을 축으로 대칭적으로 분포하는 것 드 1에 (다), 질문 카드 2에 (가)를 배치해야 하며, 이를
은 해령에서 생성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양쪽으로 확장되기 통해 A는 산안드레아스 단층, B는 히말라야산맥, C는 일본
때문이다. 해구임을 알 수 있다.
ㄷ. 질문 카드 (나)는 세 지형의 공통된 특징이므로 분류 기준
027. ⑤ 으로 적합하지 않다.
A. (가)는 해양저 확장설, (나)는 대륙 이동설이다.
B. 베게너는 남아메리카 대륙 동부 해안선과 아프리카 대륙 서 034. ②
부 해안선이 비슷한 것을 대륙 이동의 증거로 제시하였다. ㄱ. 수심이 깊을수록 초음파의 왕복 시간이 길기 때문에 초음
C. 1912년 베게너는 대륙 이동설을 주장하였고, 1962년 헤스 파의 왕복 시간은 C 지점이 B 지점보다 길다.
와 디츠는 해양저 확장설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나)는 (가) ㄴ. 해령은 심해저에서 높게 솟아오른 지형이다. 각 탐사 지점의
보다 먼저 등장한 이론이다. 수심을 고려했을 때 대서양 중앙 해령은 B 지점 부근에 있다.
ㄷ. 음향 측심법을 통해 해령, 해구 등의 해저 지형을 발견하였
028. ⑤ 으며 이는 해양저 확장설이 등장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ㄱ, ㄴ. 암석권(판)은 지각과 상부 맨틀 일부를 포함하며, 연약권
은 부분 용융 상태이므로 유동성이 있어 판을 움직이게 한다. 035. ①
ㄷ. 대륙 지각의 평균 두께는 약 35km, 해양 지각의 평균 두 음파를 이용하여 수심을 측정하는 방법을 음향 측심법이라고
께는 약 5km이다. 하며, 이를 이용하여 해저 지형을 추정할 수 있다.

ㄱ. 수심은 (  ×음파의 속도×음파의 왕복 시간)으로 구할 수
029. ④ 
① (가)는 해양판과 해양판, (나)는 해양판과 대륙판, (다)는 있으며, 음파의 왕복 시간이 길수록 수심이 깊다.
대륙판과 대륙판의 수렴 경계이다. ㄴ. A에서 음파의 왕복 시간은 약 6초이므로 A의 수심은 약
② (가)에서 두 해양판의 밀도는 다르며, 밀도가 큰 해양판이 4500m로 3km보다 깊다.
밀도가 작은 해양판 아래로 섭입한다. ㄷ. B에서 음파의 왕복 시간은 약 3초이므로 B의 수심은 약
③ (가)와 (나)에서 해구가 생성되며, (다)에서 습곡 산맥이 생 2250m이다. 해구는 수심 6000m 이상의 좁고 긴 골짜기
성된다. 를 의미하므로 B 부근에 해구가 존재하지 않는다. X-Y
④ (가)와 (나)에서 화산 활동이 일어나며, (다)에서는 화산 활 구간에는 대서양 중앙 해령이 있으며, B는 주변보다 수심
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이 얕으므로 B 부근에 해령이 존재할 것이다.
⑤ 해양판이 밀도가 작은 해양판 또는 대륙판 아래로 섭입하므
로 판의 경계에서 소멸되는 지각은 해양 지각이다. 036. ①
ㄱ. A는 태평양판과 필리핀판이 수렴하는 곳으로 해구가, B는
030. ② 동태평양 해령이 존재하는 해역이다. 해구는 수심 약
ㄱ. B가 A보다 해령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B의 지각이 6000m 이상인 해저 지형이며 (나)의 음향 측심 자료에서
A의 지각보다 더 먼저 생성되었다. 수심이 가장 깊은 곳이 7500m이므로 (나)는 A에서 측정
ㄴ. 해령에서 멀수록 해양 지각의 연령이 많고, 퇴적물의 두께 한 자료이다.
가 두꺼우므로 B가 D보다 퇴적물의 두께가 두껍다. 
ㄴ. 수심은 (  ×초음파의 속력×왕복 시간)으로 구할 수 있으
ㄷ. C는 해령의 오른쪽에 위치한 판이고, D는 해령의 왼쪽에 
위치한 판이므로 C와 D의 이동 방향은 같지 않다. 며 (나)의 탐사 지점 6에서 수심이 7500m이므로 초음파
의 왕복 시간은 10초이다.
031. ④ ㄷ. 해양 지각의 연령이 판의 경계를 기준으로 대칭적인 곳은
ㄱ. 해양 지각은 해령에서 생성되어 해구 쪽으로 이동하므로 해령이 있는 B이다.
지각의 나이는 A가 B보다 적다.
ㄷ. D에서는 섭입대에서 발생하는 지진이 매우 활발하다. 037. ①
ㄱ. 퇴적물 두께는 P2에서 94m, P4에서 203m로, P2보다 P4
032. ③ 에서 두껍다.
ㄱ. ㉠은 보존형 경계에서 나타나는 변환 단층으로 변환 단층 ㄴ. P5 지점의 가장 오래된 퇴적물의 나이는 6120만 년이다.
에서는 천발 지진이 활발하게 발생한다. 중생대는 약 2.52억 년 전~약 0.66억 년 전까지에 해당하
ㄴ.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해저 퇴적물의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므로 P5 지점의 가장 오래된 퇴적물은 신생대에 퇴적되었다.
해저 퇴적물의 두께는 B보다 A에서 두껍다. ㄷ. P1에서 P5로 갈수록 퇴적물의 나이가 증가하므로 P1~P5가
ㄷ. 해령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어 양쪽으로 발산한다. 속한 판은 해령을 기준으로 대체로 서쪽으로 이동한다.

18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아래로 섭입하므로 C에서 인접한 두 판의 이동 방향은 대


038. ① 체로 남북 방향이다.
 ㄴ. A는 해양판과 대륙판의 수렴 경계, C는 해양판과 해양판의
ㄱ. a에서 음파의 왕복 시간이 6.6초이므로 a의 수심은  ×

발산 경계에 위치하므로 인접한 두 판의 밀도 차는 A가 C
ms ×s=4950m로, 9000m보다 얕다.
보다 크다.
ㄴ. 탐사 해역에 해령이 존재한다면 판의 경계에 가까워질수록
ㄷ. 해양판과 해양판의 발산 경계에서는 새로운 해양 지각이
대체로 수심이 얕아져 음파의 왕복 시간이 짧아질 것이다.
생성되어 발산하므로 인접한 두 판의 나이는 거의 비슷하
하지만 탐사 해역에서 판의 경계에 가까워질수록 음파의
다. 반면에 B가 위치한 보존 경계는 변환 단층이 있기 때
왕복 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이므로 탐사 해역에는 해
문에 단층을 경계로 지각의 나이가 불연속적으로 변한다.
구가 존재한다.
따라서 인접한 두 판의 나이 차는 B가 C보다 크다.
ㄷ. 해구는 판의 수렴형 경계에 발달한 해저 지형이다. 따라서
a가 위치한 판과 f가 위치한 판이 수렴하여 a와 f 사이의 044. ①
거리는 가까워진다. ① 습곡 산맥은 대륙판과 대륙판의 수렴 경계나 해양판과 대륙판
의 수렴 경계에서 형성될 수 있다. A 지역은 동아프리카 열
039. ① 곡대에 위치하며, 동아프리카 열곡대는 판의 수렴 경계에 해
ㄱ. A와 B의 경계는 수렴형 경계이며, 수렴형 경계인 해구에서
당하지 않으므로 A 지역에서 습곡 산맥이 형성되지 않는다.
A가 B 아래로 섭입한다. 해구에서 상대적으로 밀도가 큰
② B 지역은 해양판인 필리핀판과 해양판인 태평양판이 수렴하
판이 밀도가 작은 판 아래로 섭입하므로 판의 밀도는 A가
여 태평양판이 필리핀판 아래로 섭입하는 마리아나 해구 부
B보다 크다.
근이다.
ㄴ. 판 경계는 수렴형 경계, 발산형 경계, 보존형 경계가 존재
③ C 지역은 변환 단층으로 화산 활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하므로 ㉠은 보존형 경계이다. B와 C 사이에 북서-남동 방
④ D 지역에는 해구와 습곡 산맥인 안데스산맥이 분포한다.
향으로 보존형 경계가 나타나고,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산
⑤ E 지역은 대서양 중앙 해령으로 발산형 경계이다.
형 경계가 나타나므로 B는 C에 대해 북서쪽으로 이동한다.
ㄷ. 맨틀 대류설은 보존형 경계가 발견되기 이전에 등장하였으 045. ⑤
며 보존형 경계에서 나타나는 변환 단층의 발견은 해양저 ㄱ. A는 대륙판과 대륙판이 수렴하는 곳에 형성된 히말라야산
확장설이 판 구조론으로 발전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맥, B는 태평양판이 북아메리카판 아래로 섭입하면서 형성
된 알류샨 해구, D는 나스카판이 남아메리카판 아래로 섭
040. ① 입하면서 형성된 페루·칠레 해구이다.
ㄱ. A 지점은 발산형 경계에 위치하므로 해령 정상부에 열곡이
ㄴ. C는 동태평양 해령이므로 C에서는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
존재한다.
성된다.
ㄴ. 발산형 경계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어 발산하므로,
ㄷ. 해양판과 해양판의 수렴 경계에서는 밀도가 상대적으로 큰
해양 지각의 나이는 B 지점이 A 지점보다 많다.
해양판이 섭입하면서 해구가 나타난다. 태평양판과 인도-
ㄷ. B 지점의 오른쪽에 수렴형 경계가 존재한다.
오스트레일리아판의 경계에는 통가 해구가 존재한다.

041. ③ 046. ①
ㄱ. 해양 지각은 대륙 지각보다 지각의 두께가 얇다. A는 해양
ㄱ. A는 두 대륙이 충돌하여 형성된 히말라야산맥에 위치한다.
지각, B, C, D는 대륙 지각에 위치하므로 지각의 두께가
ㄴ. B는 해양판인 태평양판이 해양판인 필리핀판 아래로 섭입
가장 얇은 곳은 A이다.
하는 마리아나 해구 부근에 위치한다. 마리아나 해구에서는
ㄴ. 해령, 해구 부근, 변환 단층에서 모두 천발 지진이 발생한
해양 지각이 소멸된다.
다. B는 해구 부근, C는 변환 단층에 위치하므로 B와 C에
ㄷ. C는 대서양 중앙 해령에 위치하며, 해령에서는 새로운 해
서 천발 지진이 발생한다.
양 지각이 생성된다. 따라서 세 지역 중 지각의 나이는 C
ㄷ. D는 북아메리카판과 태평양판의 경계를 기준으로 태평양
가 가장 적다.
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D는 태평양판에 위치한다.

047. ①
042. ④ ㄱ. 섭입형 수렴 경계에서는 밀도가 큰 판이 밀도가 작은 판
ㄱ. B가 위치한 판이 A가 위치한 판 아래로 섭입하면서 마그
아래로 섭입하며, 판의 섭입에 의해 판의 경계에서 멀어질
마가 생성되고, 이 마그마는 A가 위치한 판에서 분출하므
수록 진원의 깊이가 대체로 깊어진다. 따라서 판의 경계는
로 화산 활동은 B보다 A에서 활발하다.
진원의 깊이가 얕은 쪽에 가깝다.
ㄴ. 해령에서 새로운 지각이 생성되어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해
ㄴ. A-A′ 구간에서 진앙은 주로 유라시아판 쪽에 분포하며, 판
양 지각의 나이가 많아지므로 B보다 C의 나이가 적다.
의 경계를 기준으로 유라시아판 쪽으로 갈수록 진원 깊이
ㄷ. D는 두 판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하는 보존
가 깊어진다. 따라서 필리핀판이 유라시아판 아래로 섭입하
경계에 위치하므로 변환 단층이 발달한다.
며, 필리핀판의 밀도가 유라시아판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043. ⑤
ㄷ. B-B′ 구간의 수평 거리는 약 500km이며, 진원 깊이가
ㄱ. C의 북쪽에 위치한 해양판이 A의 북쪽에 위치한 대륙판

19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500km 이상으로 나타나므로 이 구간에서 최대 깊이는 는 나스카판이 남아메리카판보다 빨랐다.


500km 이상이다. 섭입하는 판의 경사를 θ라고 할 때, ㄴ. A와 C 지역은 발산형 경계로, 주로 천발 지진이 발생한다.
최대 깊이 ㄷ. B 지역은 나스카판이 남아메리카판 아래로 섭입되는 수렴
tan=  이며, 이 값이 1보다 크므로 섭입하는
수평 거리 형 경계로, 해구가 발달한다.
판의 경사는 45°보다 크다.
054. ②
048. ① ㄱ. A는 진원 깊이 300km 이내의 지진이 발생하고, 대륙 쪽
ㄱ. 화산대가 판의 경계와 나란히 B 판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 으로는 진원 깊이 300km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는 것으로
아 섭입형 수렴형 경계인 것을 알 수 있다. 보아 수렴형 경계 중 섭입대임을 알 수 있다. 나스카판이
ㄴ, ㄷ. 판의 경계를 중심으로 화산이 B 판에 분포하므로 A 판이 남아메리카판 아래로 섭입하는 이 지역에서는 해구와 습곡
B 판 아래로 섭입한다. 따라서 판의 밀도는 A 판이 B 판보 산맥(안데스산맥)이 발달한다.
다 크고 판의 운동에 따른 지진의 진앙은 B 판에 분포한다. ㄴ. B에서는 진원 깊이가 300km 이상인 심발 지진이 발생하
지 않는 것을 통해 수렴형 경계 중 섭입대는 아님을 알 수
049. ④ 있다. 또한 대양에서 천발 지진이 길게 띠 모양으로 나타나
태평양판이 북아메리카판 아래로 섭입하여 나타난 화산 활동의
는 지진대는 대체로 판의 발산형 경계이므로 B에는 새로운
결과로 북아메리카판에 호상 열도가 생성되었다. 따라서 판의
해양 지각이 생성된다.
밀도는 태평양판이 북아메리카판보다 크며, 진앙은 태평양판보
ㄷ. ㉠-㉡ 구간은 진원 깊이가 300km 이상인 지진이 발생하
다 북아메리카판에 더 많이 분포한다.
는 것을 통해 수렴형 경계 중 섭입대임을 알 수 있다. 섭
입대에서 판의 경계는 진원의 깊이가 얕은 쪽에 가깝다.
050. ①
그림은 천발 지진, 중발 지진, 심발 지진이 나타나는 수렴형 경
계(섭입대)에서의 진앙 분포이다.
ㄱ. 해구는 천발 지진의 진앙 부근에 위치하므로 해구로부터의
거리는 A 지역이 B 지역보다 멀다.
ㄴ. B 지역이 속한 판이 A 지역이 속한 판 아래로 섭입하므로
판의 밀도는 A 지역이 B 지역보다 작다.
ㄷ. 두 판이 모두 남서쪽으로 이동할 때 B 지역이 속한 판이
A 지역이 속한 판 아래로 섭입하기 위해서는 B 지역이 속
한 판의 이동 속력이 더 빨라야 한다.

051. ⑤
대서양 연안에는 판의 경계가 거의 없으며, 태평양 연안에는
주로 수렴형 경계가 발달해 있다.
ㄱ. (가)는 태평양, (나)는 대서양의 해저 단면이다.
ㄴ. (나)에는 해구가 없고, 해령만 나타나므로 (나)의 해저는
넓어지고 있다.
ㄷ. 섭입형 수렴 경계에서 심발 지진이 주로 발생한다. 따라서
심발 지진은 (나)보다 (가)에서 자주 발생한다.

052. ②
ㄱ. 해양 지각은 해령에서 새롭게 생성되어 양쪽으로 이동하므
로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연령이 증가한다. 해양 지각의 연
령 분포로 보아 해양 지각은 B에서 A 방향으로 이동한 것
임을 알 수 있다.
ㄴ. 발산형 경계에 위치한 지점(B)과 보존형 경계에 위치한 지
점(C)에서는 공통적으로 천발 지진이 발생한다.
ㄷ. 해령과 수직한 방향으로 해령과 해령 사이에 위치한 C는
보존형 경계에 위치한 지점이다. 보존형 경계에서는 판이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는다.

053. ⑤
ㄱ. A와 C는 해양 지각이 생성되어 양쪽으로 확장되는 발산형
경계이다. 나스카판과 남아메리카판에서 해양 지각의 연령
이 같은 지점이 각각 A와 C가 위치한 판의 경계로부터 떨
어진 거리는 나스카판에서 더 멀기 때문에 판의 이동 속도

20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Ⅰ. 지권의 변동

02 대륙 분포의 변화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1 01. 복각 3 03. 과거의 대륙 분포

그림은 지구 자기장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지질 시대 동안 대륙 분포의 변화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가) 곤드와나 대륙과 로라시아 대륙이 분리되면서 대서양이


확장되었다.
(나) 인도 대륙이 유라시아 대륙과 충돌하여 히말라야산맥이
형성되었다.
(다) 판게아를 이루면서 애팔래치아산맥이 형성되었다.
(라) 로디니아라는 초대륙이 형성되었다.

대륙 분포의 변화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① (가) → (나) → (라) → (다)

것은? ② (가) → (다) → (나) → (라)


③ (다) → (나) → (가) → (라)
ㄱ. A 지점에서 나침반의 N극은 지표 쪽을 향하면서 기울어 ④ (라) → (가) → (다) → (나)

기 진다.
⑤ (라) → (다) → (가) → (나)
ㄴ. 복각의 크기는 A 지점이 B 지점보다 크다.
ㄷ. 암석에 기록되어 있는 고지자기 복각을 측정하면 암석이
생성될 당시의 위도를 알 수 있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 02. 복각

그림 (가)는 지구 자기장을, (나)와 (다)는 A, B 지역에서의


자기력선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4 04. 과거의 대륙 분포

(나) 그림은 고생대 후기부터 현재까지의 수륙 분포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가) (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나)는 B 지역의 자기력선을 나타낸 것이다. ㄱ. 해안선의 전체 길이가 점차 감소하였다.


보 보
기 ㄴ. A 지역의 복각은 +40°이다. 기 ㄴ. 인도 대륙에 고생대 후기의 빙하 퇴적층이 있다.
ㄷ. 복각의 크기는 A 지역이 B 지역보다 크다. ㄷ. 판게아가 분리되면서 대서양이 형성되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1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5 05. 과거의 대륙 분포 7 07. 고지자기와 대륙 이동

그림 (가)와 (나)는 서로 다른 지질 시대의 수륙 분포이다. 그림은 지구 자기장이 정자극기일 때 복각과 위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표는 어느 대륙의 한 지역 A에서 채취한 서로
다른 암석 시료의 연령과 복각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의 판게아가 형성될 때 습곡 산맥이 형성되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모든 암석 시료는 정자극기에 생성되었고, 지리상
기 ㄴ. 북반구의 대륙 면적은 (가) 시기보다 (나) 시기가 좁다.
ㄷ. 해안선의 길이는 (가) 시기보다 (나) 시기가 짧다. 북극의 위치는 변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ㄱ. 나침반의 자침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의 크기는 저위도보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기 고위도에서 크다.
ㄴ. 최근 7100만 년 동안 A는 남쪽으로 이동하였다.
ㄷ. 현재 A는 30°N보다 북쪽에 위치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6 06. 고지자기와 대륙 이동

그림은 인도 대륙이 아시아 대륙 쪽으로 이동하여 히말라야


산맥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8 08. 고지자기와 대륙 이동

그림은 인도 대륙에서 측정한 고지자기 복각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현재 인도 대륙에서 나침반 자침의 N극은 수평면보다

기 위쪽을 향한다.
ㄱ. 인도 대륙은 일정한 속도로 이동했다. ㄴ. 7000만 년 전에 인도 대륙은 남반구에 위치하였다.

기 ㄴ. 히말라야산맥은 7100만 년 전에 형성되었다. ㄷ. 7000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 인도 대륙은 남쪽으로 이동
ㄷ. 고지자기 기록을 이용하여 인도 대륙의 이동 경로를 알아냈다. 하였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ㄱ, ㄷ ⑤ ㄱ, ㄴ, ㄷ

22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07. ①
정답 및 해설 ㄱ. 나침반의 자침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은 복각이며, 복각의
크기는 저위도보다 고위도에서 크다.
01. ⑤ ㄴ. A는 7100만 년 전에 남반구에 위치하였고, 현재는 북반구
ㄱ. A 지점은 자북극과 자기 적도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에 위치한다. 또한 시기별 복각을 고려하였을 때 최근
나침반의 N극이 지표 쪽을 향하면서 기울어진다. 자남극과 7100만 년 동안 A는 대체로 북쪽으로 이동하였다.
자기 적도 사이에 위치한 지점에서는 나침반의 S극이 지표 ㄷ. 현재 A의 복각은 36°이므로 현재 A는 20°N 부근에 위치
쪽을 향한다. 한다.
ㄴ. A 지점은 자북극과 자기 적도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복각은 0° ~ +90° 사이이고, B 지점은 자기 적도에 위치 08. ①
하고 있으므로 복각이 0°이다. 따라서 복각의 크기는 A 지 ㄱ. 현재 인도 대륙에서 측정한 복각은 양(+)의 값이므로 나
점이 B 지점보다 크다. 침반 자침의 N극은 수평면보다 아래쪽을 향한다.
ㄷ. 복각은 위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고지자기 복각을 측정하면 ㄴ. 7000만 년 전에 인도 대륙의 고지자기 복각은 음(-)의
암석이 생성될 당시의 위도를 알 수 있다. 값이므로 인도 대륙은 남반구에 위치하였다.
ㄷ. 7000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 복각이 증가하였으므로 인도
02. ③ 대륙은 북쪽으로 이동하였다.
ㄱ. B 지역은 자기 적도에 위치하므로 자기력선이 지표면과 나란
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나)는 B 지역의 자기력선을 나타낸
것이다.
ㄴ. (다)는 A 지역의 자기력선을 나타낸 것이고, 자기력선과 수평
면이 이루는 각도가 50°이므로, A 지역의 복각은 +50°이다.
ㄷ. 자기 적도에서는 복각이 0°이므로 복각의 크기는 A 지역이
B 지역보다 크다.

03. ⑤
(가) 곤드와나 대륙과 로라시아 대륙이 분리되면서 대서양이
확장된 것은 중생대 초이다.
(나) 인도 대륙이 유라시아 대륙과 충돌하여 히말라야산맥이
형성된 것은 신생대이다.
(다) 판게아를 이루면서 애팔래치아산맥이 형성된 것은 고생대
말이다.
(라) 로디니아라는 초대륙이 형성된 것은 약 11억 년 전이다.

04. ④
ㄱ, ㄷ. 판게아가 분리되면서 해안선의 길이는 길어지고, 대서
양이 형성되었다.
ㄴ. 인도 대륙은 고생대 후기에 남극 부근에 있었으므로 인도
대륙에서 고생대 후기에 생성된 빙하 퇴적층이 발견된다.

05. ①
ㄱ. (가)의 판게아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대륙이 충돌하면서 많은
습곡 산맥이 형성되었다.
ㄴ. 그림에서 북반구의 대륙 면적은 (가) 시기보다 (나) 시기가
넓은 것을 알 수 있다.
ㄷ. 해안선의 길이는 (가) 시기보다 (나) 시기가 더 길다.

06. ②
ㄱ, ㄷ. 고지자기 기록을 통해 과거 인도 대륙의 위치와 이동
경로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도 대륙의 이동 속도는
일정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ㄴ. 인도 대륙과 유라시아 대륙이 충돌하여 히말라야산맥이 형
성되었다. 7100만 년 전에는 인도 대륙이 남반구에 위치
하였으며, 유라시아 대륙과 충돌하기 전이기 때문에 히말라
야 산맥이 형성되지 않았다.

23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Ⅰ. 지권의 변동

03 맨틀 대류와 플룸 구조론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1 01.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 3 03.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

그림은 판의 경계 부근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림 (가)는 히말라야산맥, (나)는 안데스산맥의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두 산맥의 특징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만을 표에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구분 히말라야산맥 안데스산맥
ㄱ. A에서는 맨틀 대류가 상승한다. ㄱ 형성 과정 판의 충돌대에서 형성 판의 섭입대에서 형성

기 ㄴ. A에서 침강하는 판의 무게는 판 전체를 끌어당기는 힘 ㄴ 산맥 위치 대륙의 내부 대륙의 가장자리
으로 작용한다.
ㄷ 맨틀 대류 상승부에 위치 하강부에 위치
ㄷ. B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된다.
ㄹ 지각 변동 화산 활동이 활발함 지진 활동이 활발함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2 02.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

그림은 판의 경계와 이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4 04.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

그림 (가)와 (나)는 판의 경계 부근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A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 위치한다. ㄱ. (가)에는 해구가 발달한다.


보 보
기 ㄴ. B에서는 화산 활동이 활발하다. 기 ㄴ. (나)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이다.
ㄷ. 해양 지각의 나이는 B보다 A가 많다. ㄷ. 화산 활동은 (가)보다 (나)에서 활발하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4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5 05.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 7 07.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

그림은 세계 주요 판의 경계와 이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북아메리카 대륙 주변 판의 경계와 이동 방향을 나타낸 것
이다.

A~C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로 고른 것은?
A~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른 것은? ㄱ. A에는 해구가 발달한다.

기 ㄴ. B에서는 심발 지진이 활발하게 발생한다.
ㄱ. A에서는 습곡 산맥이 발달한다. ㄷ. C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 위치한다.

기 ㄴ. B에서 C로 갈수록 해양 지각의 나이가 적어진다.
ㄷ. C에서는 맨틀 대류의 상승이 일어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6 06.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 8 08.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

그림은 진원의 깊이에 따른 지진의 진앙 분포와 주요 변동대 그림 (가)는 판의 경계에 위치한 지점 A, B, C를, (나)는 A,
A~D를 나타낸 것이다. B, C 중 한 지점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A~D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A에는 해구가 발달한다. ① (나)는 A의 모습에 해당한다.
② C에는 베니오프대가 발달한다. ② B에서는 새로운 지각이 생성된다.
③ D에는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된다. ③ C의 하부에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가 위치한다.
④ 인접한 두 판의 밀도 차는 C가 D보다 작다. ④ 화산 활동은 B 부근보다 C 부근에서 활발하다.
⑤ B와 D는 맨틀 대류의 상승류가 있는 지역이다. ⑤ (나)에서 판의 평균 밀도는 ㉠보다 ㉡이 작다.

25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9 09.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 11 011.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

그림 (가)와 (나)는 각각 동아프리카 지역과 남아메리카 지역 그림은 판의 경계 부근에서 발생한 지진의 진앙 위치와 진원
에 위치한 판의 경계 부근에서의 진원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깊이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C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로 고른 것은?
ㄱ. A 지역은 맨틀 대류의 하강부에 위치한다.

기 ㄴ. B 지역은 화산 활동이 나타날 수 있다.
ㄱ. A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이다.

ㄷ. A, B 지역 모두 습곡 산맥이 발달한다. 기 ㄴ. 해저 퇴적물의 두께는 A가 B보다 얇다.
ㄷ. B보다 C가 속한 판의 밀도가 크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0 010.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

그림 (가)와 (나)는 북대서양과 남아메리카 지역에 위치한 판의 경 12 012.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

계 부근에서의 진원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가)와 (나)는 판의 경계 부근에서 발생한 지진의 진앙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것은?
고른 것은?

ㄱ. (가)의 A 지역에는 해령이 발달한다.


보 ㄱ. (가)와 (나)에는 모두 해구가 발달한다.

기 ㄴ. (나)에서 화산 활동은 주로 남아메리카판에서 일어난다.
기 ㄴ. 인접한 두 판의 밀도 차는 (나)가 (가)보다 크다.
ㄷ. A와 B 지역은 모두 맨틀 대류의 하강부에 위치한다.
ㄷ. (가)에서 진앙의 수는 태평양판이 필리핀판보다 많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6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13 013.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 15 015.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

그림은 남아메리카 주변 판의 경계와 지진의 평균 진원 깊이를 그림은 아라비아반도 주변 지역 판의 경계와 이동 속도를 화


나타낸 것이다. A와 B는 지표면에 위치한 지점이다. 살표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ㄱ. A의 하부에는 맨틀 대류의 상승류가 있다. 것은?

기 ㄴ. 지진의 평균 진원 깊이는 A보다 B에서 깊다.
ㄷ. B의 하부에서 침강하는 판에는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ㄱ. A에는 발산형 경계가 나타난다.

기 ㄴ. B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이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ㄷ. 화산 활동은 A보다 B에서 활발하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6 016.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

14 014. 맨틀 대류와 판의 운동
그림은 판 경계를 포함한 어느 지역의 깊이에 따른 S파 속도
( S )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북아메리카 대륙 주변의 판 경계와 섭입하는 판의 깊
이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ㄱ. ㉠ 지점과 ㉡ 지점 사이의 거리는 점점 가까워진다.
① 화산 활동은 A보다 B에서 활발하다. 보
기 ㄴ. A 지점은 맨틀 대류 상승부에 위치한다.
② B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 위치한다.
ㄷ. 해양판에서 S와 온도는 비례 경향을 보인다.
③ 섭입하는 판의 평균 기울기는 45°보다 크다.
④ A에서 B로 갈수록 해양 지각의 연령은 감소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⑤ B에서 C로 갈수록 진원의 깊이는 대체로 깊어진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7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17 017. 플룸 구조론 18 018. 플룸 구조론

다음은 플룸 상승류를 관찰하기 위한 모형 실험이다. 다음은 어느 플룸의 생성 원리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비커 바닥은 맨틀과 지각의 경계에 해당한다.



기 ㄴ. ㉠은 가열되기 전보다 밀도가 작다.
ㄷ. ‘상승한다’는 A에 해당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이 실험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대로 고른 것은?

ㄱ. ㉠은 플룸 상승류에 해당한다.

기 ㄴ. ㉠은 주변의 찬물보다 밀도가 크다.
ㄷ. 잉크가 상승하기 시작하는 지점은 지구 내부에서 내핵과
외핵의 경계부에 해당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19 019. 플룸 구조론

그림은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판은 서쪽으로 이동하였다.

기 ㄴ. 밀도는 ㉠ 지점이 ㉡ 지점보다 작다.
ㄷ. 뜨거운 플룸은 내핵과 외핵의 경계에서부터 상승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8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20 020. 플룸 구조론 22 022. 플룸 구조론

그림은 플룸 구조론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그림은 플룸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A와 B는 각각 뜨거운


플룸과 차가운 플룸 중 하나이다.

플룸 구조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ㄱ. 뜨거운 플룸은 주위보다 밀도가 낮다. 것은?

기 ㄴ. 차가운 플룸은 주로 판의 섭입으로 형성된다.
ㄷ. 맨틀과 외핵의 경계에서 지각으로 상승하는 물질의 이동 ㄱ. A는 뜨거운 플룸이다.

을 설명할 수 있다.
기 ㄴ. 열점은 B에 의해 만들어진다.
ㄷ. X-X′는 외핵과 내핵의 경계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21 021. 플룸 구조론 23 023. 플룸 구조론

그림은 지구 내부의 상승하는 플룸과 하강하는 플룸을 나타낸 그림은 플룸 구조론 모형을 나타낸 것이다.
모식도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ㄱ. 온도는 A 지점이 C 지점보다 낮다. ① 아시아 대륙 밑에서 차가운 플룸이 형성된다.

기 ㄴ. 밀도는 B 지점이 C 지점보다 크다. ② 판 내부에서 일어나는 화산 활동을 설명할 수 있다.
ㄷ. ㉠은 외핵과 내핵의 경계이다.
③ 열점은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면서 형성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플룸 상승류를 통과할 때 지진파의 속도는 느려진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⑤ 주로 상부 맨틀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설명한다.

29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24 024. 플룸 구조론 26 026. 플룸 구조론

그림은 플룸 구조론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림 (가)는 상부 맨틀의 운동을, (나)는 지구 내부의 플룸 운
동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가)를 통해 판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지각 변동을 설명

ㄱ. A는 B보다 온도가 낮다. 기 할 수 있다.

기 ㄴ. A는 섭입한 판의 물질이 가라앉아 생성된다. ㄴ. (나)를 통해 판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화산 활동을 설명
ㄷ. 태평양과 아프리카 대륙에 플룸 상승류가 나타난다. 할 수 있다.
ㄷ. A는 B보다 온도가 높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7 027. 플룸 구조론

그림 (가)와 (나)는 섭입대가 나타나는 서로 다른 두 지역의


지진파 단층 촬영 영상을 진원 분포와 함께 나타낸 것이다.

25 025. 플룸 구조론

그림은 플룸 구조론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는 수렴형 경계에서 섭입된 판이 가라앉아 생성된다.

기 ㄴ. A가 맨틀과 외핵의 경계에 도달하면 일부 맨틀 물질이 ㄱ. (가)에서 화산섬 A의 동쪽에 판의 경계가 위치한다.

상승하여 B가 생성된다. 기 ㄴ. 온도는 ㉡ 지점이 ㉠ 지점보다 높다.
ㄷ. B가 나타나는 영역은 주변보다 지진파 속도가 빠르다. ㄷ. 진원의 최대 깊이는 (가)가 (나)보다 깊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30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28 028. 플룸 구조론 30 030. 열점

그림은 X-Y 구간의 지진파 단층 촬영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가), (나), (다)는 어느 지역에서 플룸에 의해 화산섬이
화산섬은 상승하는 플룸에 의해 생성되었다. 형성되는 과정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가)의 플룸은 뜨거운 플룸이다.
ㄱ. 지진파 속도는 ㉠ 지점보다 ㉡지점이 느리다. 보
보 기 ㄴ. 화산섬 A가 속한 판의 이동 방향은 ㉡이다.
기 ㄴ. ㉡ 지점에는 차가운 플룸이 존재한다. ㄷ. 화산섬의 형성 과정은 (가) → (나) → (다) 순이다.
ㄷ. 화산섬을 생성시킨 플룸은 내핵과 외핵의 경계부에서 생성
되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31 031. 열점

그림 (가)는 태평양판 중앙부에 있는 하와이 열도의 위치를 나


타낸 것이고, (나)는 하와이 섬의 화성 활동을 나타낸 모식도
29 029. 플룸 구조론 이다.

그림 (가)는 판 경계와 열점의 분포를, (나)는 A 또는 B 구간의


깊이에 따른 지진파 속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하와이 열도의 화산섬 분포를 이용하여 판의 이동 방향과

기 속도를 알 수 있다.
ㄱ. A 구간에는 판의 수렴형 경계가 있다. ㄴ. 하와이 섬의 하부에 열점이 존재한다.

기 ㄴ. 온도는 ㉠보다 ㉡ 지점이 높다. ㄷ. 하와이 섬에서는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여 생성된 마그마가
ㄷ. (나)는 B 구간의 지진파 속도 분포이다. 분출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31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32 032. 열점 34 034. 열점

그림은 하와이 열도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지구에서 관측한 지진파 단층 촬영 영상의 일부를 나
타낸 것이다. A와 B는 각각 상승하는 플룸과 하강하는 플룸
중 하나이며, ㉠은 용암이 분출되는 지역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화산섬은 A → B → C 순으로 생성되었다. ㄱ. A는 상승하는 플룸이다.


보 보
기 ㄴ. 태평양 판은 A → C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기 ㄴ. B는 A보다 밀도가 작다.
ㄷ. 열점은 맨틀 내부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ㄷ. ㉠에서 분출하는 용암은 열점에서 생성된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35 035. 열점

33 033. 열점
그림은 태평양판에 위치한 하와이 열도의 각 섬들을 화산의
연령과 함께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플룸 구조론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A와 B는 각각 뜨거
운 플룸과 차가운 플룸 중 하나이며, a, b, c는 동일한 열점에
서 생성된 화산섬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A는 뜨거운 플룸이다. ㄱ. 태평양판은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였다.


보 보
기 ㄴ. 밀도는 ㉠ 지점이 ㉡ 지점보다 작다. 기 ㄴ. 하와이섬은 뜨거운 플룸의 상승에 의해 생성된 지역이다.
ㄷ. 화산섬의 나이는 a > b > c이다. ㄷ. 새로 생성되는 섬은 하와이섬의 북서쪽에 위치할 것이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ㄱ, ㄴ ⑤ ㄴ, ㄷ

32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36 036. 열점 38 038. 열점

그림은 태평양에 위치한 하와이 열도 지역을 나타낸 모식도이 그림은 태평양에서 열점의 활동으로 형성된 하와이 섬과 줄
다. ㉠ ~ ㉢은 서로 다른 시기에 생성된 화산섬이며, 판의 이동 지어서 나타나는 화산섬 및 해산들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방향은 A와 B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러한 자료를 근거로 하와이 섬과 알류샨 해구 사이의 구간
ㄱ. ㉠은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는 지역이다. 에서 열점 위를 움직인 태평양판의 이동 방향의 변화를 바르

기 ㄴ. 화산섬의 생성 순서는 ㉠ → ㉡ → ㉢이다.
게 나타낸 것은? (단, 그림 속의 숫자는 이들을 구성하고 있는
ㄷ. 하와이 열도가 속한 판의 이동 방향은 B이다. 암석의 절대 연령을 나타낸 것이며, 위쪽이 북쪽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37 037. 열점

다음은 하와이 열도와 엠퍼러 해산군의 분포 및 이와 관련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열점은 하와이 섬의 하부에 존재한다.



기 ㄴ. 미드웨이 섬이 형성된 이후 태평양판의 평균 이동 속도는
약 10cm/년이다.
ㄷ. 엠퍼러 해산군이 형성되는 동안 태평양판의 이동 방향은
현재와 같았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33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39 039. 열점

다음은 열점에 의해 하와이 열도와 그 주변 해산이 생성되는


정답 및 해설
과정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01. ④
ㄱ. A는 해양판과 대륙판의 수렴형 경계로, 맨틀 대류가 하강하
는 곳이다.
ㄴ. 해구에서는 무거워진 해양판이 중력을 받아 침강하면서 기존
의 판을 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ㄷ. B는 해양판과 해양판의 발산형 경계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된다.

02. ①
ㄱ. A는 해령으로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 위치한다.
ㄴ. B는 변환 단층으로 화산 활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ㄷ. 해양 지각의 나이는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므로 A보
다 B의 나이가 많다.

03. ①
(가)의 히말라야산맥은 대륙판과 대륙판이 충돌하는 과정에서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형성되어 대륙의 내부에 위치하고, 지진 활동은 활발하지만 화산
것은? 활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나)의 안데스산맥은 해양판이 대
륙판 아래로 섭입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어 대륙의 가장자리에 위
ㄱ. 유리판은 해양판에 해당한다. 치하고, 지진과 화산 활동 모두 활발하다.

기 ㄴ. 유리판을 이동시킨 방향은 점 C에서 남동쪽으로 바뀌었다.
ㄷ. 이 실험을 통해 하와이 열도는 판이 섭입하는 경계에서 04. ①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ㄴ. 습곡 산맥이 형성되는 곳은 맨틀 대류의 하강부이다.
ㄷ. 화산 활동은 충돌형 경계인 습곡 산맥보다 섭입형 경계인
① ㄱ ② ㄷ ③ ㄱ, ㄴ 해구 부근에서 활발하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5. ①
ㄱ. A에서는 두 대륙판의 수렴 경계로 습곡 산맥이 발달한다.
ㄴ. B는 해령이 발달한 발산 경계로 해양 지각이 생성되어 양쪽

40 040. 열점
으로 확장되므로 C로 갈수록 해양 지각의 나이가 많아진다.
ㄷ. C는 해구가 발달한 수렴 경계로 맨틀 대류의 하강이 일어난다.
그림은 판의 경계와 주변 지형을 나타낸 것이다.
06. ④
① A는 대륙판과 대륙판이 충돌하는 지역으로 습곡 산맥(히말라
야산맥)이 분포한다.
② C는 발산형 경계인 동태평양 해령이다.
③ D는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섭입되면서 소멸되는 곳이다.
④ C는 해양판과 해양판의 발산형 경계, D는 해양판과 대륙판의
수렴형 경계이므로 인접한 두 판의 밀도 차는 C가 D보다 작다.
⑤ B와 D는 수렴형 경계로 맨틀 대류의 하강류가 있는 지역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07. ③


것은? ㄱ. A는 판과 판이 만나는 섭입형 수렴 경계로 해구가 발달한다.
ㄴ. B는 판과 판이 어긋나는 보존 경계로 천발 지진이 활발하게 발
ㄱ. A에서는 새로운 해양판이 생성된다. 생한다.

ㄷ. C는 판과 판이 서로 멀어지는 발산 경계로 맨틀 대류의 상승
기 ㄴ. B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이다.
ㄷ. B에서 C로 갈수록 해양 지각의 나이는 증가한다. 부에 위치한다.

08. ④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① A는 발산형 경계, B는 수렴형 경계(충돌형), C는 수렴형
④ ㄱ, ㄷ ⑤ ㄴ, ㄷ

34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경계(섭입형)에 위치한다. (나)는 수렴형 경계(섭입형)의 모 ㄴ. 그림에서 지진의 평균 진원 깊이는 A에서 약 100km, B에
습이므로 C의 모습에 해당한다. 서 약 400km이므로 지진의 평균 진원 깊이는 A보다 B에
② 새로운 지각이 생성되는 곳은 발산형 경계이므로 B에서는 서 깊다.
새로운 지각이 생성되지 않는다. ㄷ. 나스카판과 남아메리카판의 경계에서 나스카판이 남아메리
③ C는 수렴형 경계(섭입형)에 위치하므로 C의 하부에는 맨틀 카판 아래로 섭입한다. 따라서 B의 하부에는 침강하는 나
대류의 하강부가 위치한다. 스카판이 존재하며, 침강하는 판에는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
④ 수렴형 경계(충돌형)에서는 화산 활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 한다.
고, 수렴형 경계(섭입형)에서는 화산 활동이 활발하다. 따라
서 화산 활동은 B 부근보다 C 부근에서 활발하다. 014. ⑤
⑤ 수렴형 경계(섭입형)에서 밀도가 큰 판이 밀도가 작은 판 ① A는 해령으로 화산 활동이 활발하다. B는 판의 수렴형 경
아래로 섭입한다. 따라서 (나)에서 판의 평균 밀도는 ㉠보 계인 해구이므로 화산 활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다 ㉡이 크다. ③ B에서 C까지 수평 거리는 약 350km이고, 판이 섭입한 깊
이는 약 100km이다. 따라서 섭입하는 판의 평균 기울기는
09. ② 45°보다 작다.
ㄱ. 천발 지진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A 지역은 수렴형 경계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므로 맨틀 대류의 하강부가 아니다. 015. ①
ㄴ. B 지역은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들어가는 섭입형 경계의 ㄱ, ㄴ. A 지역은 판이 발산하는 경계, B 지역은 수렴하는 경계이
대륙판에 위치하므로 화산 활동이 나타날 수 있다. 다. 따라서 A 지역에서 맨틀 대류가 상승하고 B 지역에서 맨
ㄷ. 습곡 산맥은 횡압력이 작용하는 B 지역에서 주로 발달한다. 틀 대류가 하강한다.
ㄷ. 화산 활동은 발산 경계가 있는 A 지역이 대륙판-대륙판 수
010. ③ 렴 경계인 B 지역보다 활발하다.
ㄱ, ㄷ. A 지역은 맨틀 대류의 상승부인 발산형 경계에 위치하
므로 해령이 발달한다. B 지역은 맨틀 대류의 하강부인 섭 016. ②
입형 수렴 경계에 위치하므로 해구가 발달한다. ㄱ, ㄴ. 부분 용융 상태인 상부 맨틀 물질이 상승하는 곳에서는
ㄴ. 나스카판이 남아메리카판 아래로 섭입하면서 마그마가 생성 주변보다 S파 속도가 느리다. 따라서 이 지역의 판 경계는
되므로 화산 활동은 주로 남아메리카판에서 일어난다. 맨틀 대류 상승부에 위치하는 발산형 경계이고 A 지점은
맨틀 대류 상승부에 위치한다. 발산형 경계를 기준으로 양
011. ③ 쪽의 두 지점 사이 거리는 점차 멀어지므로 ㉠ 지점과 ㉡
ㄱ. A는 동태평양 해령으로 맨틀 대류의 상승부이다. 지점 사이의 거리는 점점 멀어진다.
ㄴ. 해저 퇴적물의 두께는 해양 지각이 생성되는 해령으로부터 멀어 ㄷ. 맨틀 대류가 상승하여 주변보다 온도가 높게 나타나는 곳
질수록 증가하므로 해령에서 더 멀리 있는 B가 A보다 두껍다. 은 S파 속도가 느리게 나타난다. 따라서 해양판에서 S와
ㄷ. B에서 C로 갈수록 진원의 깊이가 깊어지므로 B가 속한 밀도 온도는 반비례 경향을 보인다.
가 큰 판이 C가 속한 밀도가 작은 판 아래로 파고든다. B-C
사이는 섭입형 수렴 경계이며 맨틀 대류의 하강부에 해당된다. 017. ①
ㄱ, ㄴ. ㉠은 가열된 잉크가 주변의 찬물보다 밀도가 작아 상승
012. ③ 하는 것이므로 플룸 상승류에 해당한다.
ㄱ. (가)와 (나)는 모두 진원 깊이가 300km 이상인 지진도 ㄷ. 뜨거운 플룸은 외핵과 맨틀의 경계부에서 뜨거운 맨틀 물질
발생하는 섭입대로, 판의 경계를 따라 해구가 발달한다. 이 상승하면서 생성된다. 따라서 잉크가 상승하기 시작하는
ㄴ. 해양판이 대륙판보다 밀도가 크다. (가)는 해양판과 해양 지점은 지구 내부에서 외핵과 맨틀의 경계부에 해당한다.
판, (나)는 대륙판과 해양판이 접해 있으므로 인접한 두 판
의 밀도 차는 판의 종류가 다른 (나)가 (가)보다 크다. 018. ④
ㄷ. 밀도가 큰 판이 밀도가 작은 판 아래로 섭입하면서 베니오 비커 밑면을 가열하여 주변보다 뜨거워진 물엿이 이동하는 것
프대를 따라 지진이 발생하므로 밀도가 작은 판 쪽으로 갈 이므로 이 실험은 뜨거운 플룸의 생성 원리를 알아보기 위한
수록 진원 깊이가 깊어진다. 따라서 (가)에서는 필리핀판이 실험이다.
태평양판보다 밀도가 작고, (나)에서는 남아메리카판이 나 ㄱ. 뜨거운 플룸은 맨틀과 외핵의 경계에서 생성되므로 비커
스카판보다 밀도가 작다. 섭입대에서는 판의 경계를 기준으 바닥은 맨틀과 외핵의 경계에 해당한다.
로 밀도가 작은 판 쪽에 진앙이 주로 분포하므로 (가)에서 ㄴ, ㄷ. 비커 바닥 쪽에서 가열된 물엿은 가열되기 전보다 밀도
진앙은 주로 필리핀판에 분포한다. 가 작아지며, 주변보다 밀도가 작아져 상승하므로 ‘상승한
다’는 A에 해당한다.
013. ④
ㄱ. 발산형 경계 부근의 하부에는 맨틀 대류의 상승류가, 수렴 019. ①
형 경계 부근의 하부에는 맨틀 대류의 하강류가 있다. A ㄱ. 열점에서는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여 생성된 마그마가 지각
부근에는 나스카판과 남아메리카판의 수렴형 경계가 있으므 을 뚫고 분출하여 화산 활동이 일어난다. 열점의 위치는 고
로 A의 하부에는 맨틀 대류의 하강류가 있다. 정되어 있지만 열점에서의 화산 활동으로 생성된 화산섬은

35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판이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달라진다. 오른쪽 그림에서 화 질을 밀어 올리는 작용이 일어나 뜨거운 플룸이 생성된다.
산섬이 배열된 모습으로 보아 판은 서쪽으로 이동하였다. ㄷ. 뜨거운 플룸은 주변의 맨틀보다 온도가 높아 지진파의 속
ㄴ. ㉡ 지점은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는 곳에 위치하므로 주변보 도가 느리고, 차가운 플룸은 주변의 맨틀보다 온도가 낮아
다 온도가 높다. 따라서 밀도는 ㉡ 지점이 ㉠ 지점보다 작다. 지진파의 속도가 빠르다.
ㄷ. 뜨거운 플룸은 맨틀과 외핵의 경계에서 뜨거운 맨틀 물질
이 상승하면서 생성된다. 026. ③
ㄱ, ㄴ. (가)는 판 구조론, (나)는 플룸 구조론이다. (가)를 통
020. ⑤ 해 판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지각 변동을, (나)를 통해 판의
ㄱ. 뜨거운 플룸은 주위보다 밀도가 낮아 상승한다. 내부에서 일어나는 화산 활동을 설명할 수 있다.
ㄴ. 차가운 플룸은 주로 판의 섭입으로 형성되며, 주위보다 밀 ㄷ. A는 차가운 플룸, B는 뜨거운 플룸으로, A는 B보다 온도
도가 높아 하강한다. 가 낮다.
ㄷ. 플룸 구조론은 맨틀과 외핵의 경계에서 가열된 암석이 주
변의 맨틀 물질보다 가벼워져 지각으로 상승하는 뜨거운 027. ①
플룸으로 물질의 이동을 설명할 수 있다. ㄱ. 수렴형 경계(섭입형)에서 밀도가 큰 판이 밀도가 작은 판
아래로 섭입하며, 섭입대를 따라 진원이 분포한다. 이를 고
021. ③ 려했을 때 (가)에서 화산섬 A의 동쪽에 판의 경계가 위치
ㄱ. 하강하는 플룸은 같은 깊이의 주변보다 온도가 낮고, 상승 하고, 판의 경계를 기준으로 동쪽에 위치한 판이 서쪽에 위
하는 플룸은 같은 깊이의 주변보다 온도가 높다. 따라서 온 치한 판 아래로 섭입한다.
도는 A 지점이 C 지점보다 낮다. ㄴ. 맨틀에서 같은 깊이의 주변보다 온도가 높은 곳은 P파의
ㄴ. 상승하는 플룸의 중심부는 같은 깊이의 주변에 비해 밀도가 속도 편차가 작고, 주변보다 온도가 낮은 곳은 P파의 속도
작아 상승한다. 따라서 밀도는 B 지점이 C 지점보다 크다. 편차가 크다. P파의 속도 편차는 ㉡ 지점이 ㉠ 지점보다
ㄷ. 하강하는 플룸은 맨틀과 외핵의 경계면까지 도달하며, 맨틀 크므로 온도는 ㉡ 지점이 ㉠ 지점보다 낮다.
과 외핵의 경계부에서 가열된 암석이 상승하여 상승하는 ㄷ. 진원의 최대 깊이는 (가)에서 약 450km, (나)에서 약
플룸을 형성한다. 따라서 ㉠은 맨틀과 외핵의 경계이다. 500km이므로 (가)가 (나)보다 얕다.

022. ① 028. ①
ㄱ. A는 차가운 플룸, B는 뜨거운 플룸이다. ㄱ. 그림에서 지진파 속도는 ㉠ 지점보다 ㉡ 지점이 느린 것을
ㄴ. 열점은 뜨거운 플룸에 의해 만들어진다. 확인할 수 있다.
ㄷ. 뜨거운 플룸은 맨틀과 외핵의 경계에서 맨틀 물질이 상승 ㄴ. 뜨거운 플룸은 주변보다 밀도가 작아 상승하며, 차가운 플
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X-X′는 맨틀과 외핵의 경계이다. 룸은 주변보다 밀도가 커서 하강한다. 화산섬은 상승하는
플룸인 뜨거운 플룸에 의해 생성되었으므로 ㉡ 지점에는
023. ⑤ 뜨거운 플룸이 존재한다.
① 아시아 대륙 밑에서 판이 섭입되어 차가운 플룸이 형성된다. ㄷ. 화산섬을 생성시킨 플룸인 뜨거운 플룸은 맨틀과 외핵의
② 플룸 구조론에서는 판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화산 활동을 열 경계부에서 생성되었다.
점으로 설명할 수 있다.
③ 열점은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면서 마그마가 생성되는 곳이다. 029. ⑤
④ 지진파의 속도는 온도가 높은 곳에서 느려지므로 뜨거운 플 ㄱ. A 구간에는 해구가 존재하므로 판의 수렴형 경계가 있다.
룸이 상승하는 지역을 통과할 때 지진파의 속도는 느려진다. ㄴ. 지진파의 속도는 ㉠보다 ㉡ 지점에서 느리게 나타나므로
⑤ 판 구조론은 주로 상부 맨틀에서 일어나는 대류와 관련이 온도는 ㉠보다 ㉡ 지점이 높다.
있지만 플룸 구조론은 맨틀 전체에서 일어나는 지구 내부의 ㄷ.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는 곳은 주변보다 온도가 높으며, 열
변화를 설명한다. 점에서는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여 생성된 마그마가 지각을
뚫고 분출하여 화산 활동이 일어난다. B 구간에 열점이 나
024. ⑤ 타나므로 (나)는 B 구간의 지진파 속도 분포이다.
ㄱ. A에서는 차가운 플룸이 하강하고, B에서는 뜨거운 플룸이
상승한다. 따라서 온도는 A가 B보다 낮다. 030. ①
ㄴ. 차가운 플룸은 수렴형 경계에서 섭입된 물질이 상부 맨틀과 ㄱ. 플룸은 뜨거운 플룸과 차가운 플룸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하부 맨틀의 경계 부근에 쌓여 있다가 가라앉아 생성된다. 맨틀과 외핵 경계의 고온인 부분에서 형성되어 상승하는 것
ㄷ. 현재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는 곳은 태평양과 아프리카 대 은 뜨거운 플룸이다. 따라서 (가)의 플룸은 뜨거운 플룸이다.
륙이다. ㄴ, ㄷ. 열점에서의 화산 활동에 의해 화산섬이 형성되며, 생성
된 화산섬은 판과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화산섬의 형성 과
025. ③ 정은 (가) → (다) → (나) 순이며, (다)에서 (나)로 진행되
A는 차가운 플룸, B는 뜨거운 플룸이다. 는 동안 화산섬 A가 속한 판의 이동 방향은 ㉠이다.
ㄱ. 차가운 플룸은 판이 섭입하는 지역에서 섭입되는 판이 가
라앉아 생성된다. 031. ⑤
ㄴ. 차가운 플룸이 맨틀 최하부에 도달하면서 온도 교란과 물 ㄱ. 하와이 열도는 열점에서의 화산 활동에 의해 생성된 화산섬

36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이다. 열점에서 생성된 화산섬은 판과 함께 이동하므로 열점 성된 후 태평양판의 이동을 따라 약 2700만 년 동안 이동


으로부터 화산섬이 떨어진 거리와 화산섬의 나이를 알면 판 하여 하와이 섬으로 부터 약 2700km 떨어진 현재의 위치
의 이동 방향과 속도를 구할 수 있다. 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미드웨이 섬이 형성된 이후 태평양
ㄴ. 현재 하와이 섬에서 화산 활동이 일어나고 있으므로 하와이 cm
판의 평균 이동 속도는  =10cm/년이다.
섬의 하부에 열점이 존재한다. 
ㄷ.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는 곳에 열점이 형성되므로 하와이 섬 ㄷ. 하와이 열도는 북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하와이 섬
에서는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여 생성된 마그마가 분출한다. 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나이가 많아지므로 현재 태평양판은
북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그러나 엠퍼러 해산군은 하
032. ③ 와이 열도와는 다르게 북북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ㄱ. 열점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화산섬이 가장 최근에 생 엠퍼러 해산군이 형성될 당시에 태평양 판의 이동 방향은
성된 것이다. 따라서 화산섬은 A → B → C 순으로 생성되었다. 현재와 다른 북북서 방향이었다.
ㄴ. 태평양판은 C → A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ㄷ. 열점은 맨틀 내부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열점에서 생 038. ③
성된 화산섬은 판이 이동할 때 판과 함께 이동한다. 나이가 적은 화산섬에서 나이가 많은 화산섬 방향이 판의 이동
방향에 해당한다. 따라서 하와이 섬이 위치한 판은 초기에는
033. ③ 북북서 방향으로 이동했다가 약 4천3백만 년 전에 판의 이동
ㄱ. A는 뜨거운 플룸, B는 차가운 플룸이다. 방향이 바뀌어 서북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ㄴ. 섭입하는 판은 같은 깊이의 주변보다 밀도가 크다. 따라서
밀도는 ㉠ 지점이 ㉡ 지점보다 작다. 039. ①
ㄷ. 열점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고, 열점에서 생성된 화산섬은 ㄱ. 열점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고, 열점에서 생성된 화산섬은
판과 함께 이동하므로 화산섬의 나이가 많을수록 열점으로 판과 함께 이동한다. 이 실험에서 유리판만 이동시켰으므로
부터의 거리가 멀다. 따라서 화산섬의 나이는 a < b < c이다. 유리판은 해양판에 해당한다.
ㄴ. 이 실험에서 점 A~E 순서대로 생성되었으며, A~C가 생성
034. ② 되는 동안 유리판을 이동시킨 방향은 북북서쪽, C~E가 생
ㄱ. 맨틀에서 같은 깊이의 주변보다 온도가 낮은 곳은 S파의 성되는 동안 유리판을 이동시킨 방향은 북서쪽이다. 따라서
속도 편차가 크고, 같은 깊이의 주변보다 온도가 높은 곳은 유리판을 이동시킨 방향이 점 C에서 북서쪽으로 바뀌었다.
S파의 속도 편차가 작다. 따라서 A는 하강하는 플룸, B는 ㄷ. 하와이 열도와 그 주변 해산은 열점에서의 화산 활동으로
상승하는 플룸이다. 생성되었으며, 열점에서는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여 생성된
ㄴ. 같은 깊이에서 뜨거운 플룸은 차가운 플룸보다 온도가 높 마그마가 분출한다. 또한 이 실험에서 유리판 내에 점
고, 밀도가 작다. 따라서 B는 A보다 밀도가 작다. A~E가 위치하므로 하와이 열도와 그 주변 해산은 판 내부
ㄷ. 열점의 하부에서는 뜨거운 플룸이 상승한다. ㉠의 하부에는 에 위치한다. 즉, 하와이 열도는 판의 경계가 아닌 판의 내
차가운 플룸이 있으므로 ㉠에서 분출하는 용암이 열점에서 부에서 생성되었다.
생성된 것은 아니다. 차가운 플룸은 섭입한 해양판에 의해
형성되므로 ㉠ 부근에는 판의 수렴형 경계가 위치하며, ㉠ 040. ⑤
에서 분출하는 용암은 섭입대에서 생성된 것이다. ㄱ. A는 열점에서 생성된 마그마가 분출하는 곳으로 새로운 판
이 생성되는 곳이 아니다.
035. ② ㄴ. B는 해령으로서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 해당한다.
ㄱ. 화산의 연령과 거리로 보아 태평양판의 이동 속도는 일정 ㄷ. 해령에서는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므로 해령에서 멀어
하지 않았다. 질수록 해양 지각의 나이는 증가한다.
ㄴ. 하와이섬은 지구 내부의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여 생성된
지역이다.
ㄷ. 태평양판이 북서쪽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새로 생성되는
섬은 하와이섬의 남동쪽에 위치할 것이다.

036. ①
ㄱ. ㉠의 아래에 열점이 있으며 ㉠은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는
지역이다.
ㄴ. 판이 이동하더라도 열점의 위치는 변하지 않으며, 화산섬의
생성 순서는 ㉢ → ㉡ → ㉠이다.
ㄷ. 하와이 열도가 속한 판의 이동 방향은 A이다.

037. ③
ㄱ. 열점은 현재 화산 활동이 일어나고 있는 섬의 하부에 존재
하므로 하와이 섬의 하부에 존재한다.
ㄴ. 미드웨이 섬은 열점 위에 위치한 하와이 섬의 위치에서 생

37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Ⅰ. 지권의 변동

04 마그마의 생성과 화성암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1 01. 마그마의 생성 3 03. 마그마의 생성

그림은 깊이에 따른 지하의 온도 분포와 암석의 용융 곡선을 그림은 지하의 온도 곡선과 두 암석의 용융 곡선을 나타낸 것
나타낸 것이다. 이다. 용융 곡선 ㉠과 ㉡ 중 하나는 물이 포함되지 않은 맨틀,
다른 하나는 물이 포함된 화강암에 해당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ㄱ. 깊이가 깊어질수록 지하의 온도는 증가한다.
보 것은?
기 ㄴ. 물이 포함된 화강암은 A 과정을 통해 용융될 수 있다.
ㄷ. B 과정의 예로는 해령 아래에서 만들어지는 마그마가 있다.
ㄱ. 물이 포함된 화강암의 용융 곡선은 ㉠에 해당한다.

기 ㄴ. 마그마는 지하 100km보다 깊은 곳에서만 생성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ㄷ. 해령 아래에서 만들어지는 마그마는 b와 같은 과정으로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생성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 04. 마그마의 생성

2 02. 마그마의 생성
그림 (가)는 어느 판의 경계를 나타낸 것이고, (나)는 깊이에
따른 지하의 온도 분포와 암석의 용융 곡선을 마그마 생성 과
그림은 깊이에 따른 지하의 온도 분포와 맨틀의 용융 곡선 X, 정 A, B와 함께 나타낸 것이다.
Y를 나타낸 것이다. X, Y는 각각 물이 포함된 맨틀의 용융 곡
선과 물이 포함되지 않은 맨틀의 용융 곡선 중 하나이고, ㉠,
㉡은 마그마의 생성 과정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가)는 맨틀 대류의 하강부이다.

ㄱ. X는 물이 포함된 맨틀의 용융 곡선이다. 기 ㄴ. (가)의 마그마는 (나)의 B 과정으로 생성될 수 있다.

기 ㄴ. 해령 하부에서는 마그마가 ㉠으로 생성된다. ㄷ. 동일한 깊이에서 물이 포함된 맨틀의 용융점은 물이 포함
ㄷ. ㉡으로 생성된 마그마는 SiO2 함량이 63% 이상이다. 되지 않았을 때보다 높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ㄱ, ㄴ ⑤ ㄴ, ㄷ

38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5 05. 마그마의 생성 7 07. 마그마의 생성

그림 (가)는 지하의 온도 분포와 암석의 용융 곡선을, (나)는 그림 (가)는 어느 섭입대 부근의 지진파 단층 촬영 영상을,
어느 판 경계 주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나)는 지하 온도 분포와 암석의 용융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와 ⓑ는 각각 물이 포함된 암석과 물이 포함되지 않은 암석
의 용융 곡선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ㄱ. 대륙 지각은 맨틀보다 용융 온도가 대체로 낮다. 것은?

기 ㄴ. ㉠의 마그마는 (가)의 A와 같은 과정으로 생성된다.
ㄷ. ㉠의 마그마는 주로 해양 지각이 용융된 것이다. ㄱ. A는 섭입하는 판에 속하는 영역이다.

기 ㄴ. ⓐ는 물이 포함된 암석의 용융 곡선이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ㄷ. B 영역의 마그마는 주로 ㉠ 과정에 의해 생성된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6 06. 마그마의 생성

그림 (가)는 섭입대 부근에서 생성된 마그마 A와 B의 위치를,


(나)는 마그마 X와 Y의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A와 B는 각각
8 08. 마그마의 생성

X와 Y 중 하나이다. 그림은 해양판이 섭입하면서 마그마가 생성되는 어느 해구 지


역의 지진파 단층 촬영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은 열점이다.

ㄱ. A는 X이다. 기 ㄴ. A 지점에서는 주로 SiO2의 함량이 52%보다 낮은 마그마가

기 ㄴ. B가 생성될 때, 물은 암석의 용융점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생성된다.
ㄷ. 온도는 ㉠에 해당하는 물리량이다. ㄷ. B 지점은 맨틀 대류의 하강부이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39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9 09. 마그마의 생성 11 011. 마그마의 생성

그림은 판의 운동에 따른 화성 활동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그림은 서로 다른 장소에서 생성된 마그마 A, B, C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A, B, C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A에서는 압력 증가로 인해 마그마가 생성된다.
보 ㄱ. A는 주로 유문암질이다.
기 ㄴ. B에서는 유문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보
ㄷ. C에서는 주로 안산암질 마그마가 분출된다. 기 ㄴ. 마그마의 생성 온도는 A가 B보다 높다.
ㄷ. C는 물에 의한 암석의 용융점 하강으로 생성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2 012. 마그마의 생성

그림 (가)는 지하의 온도 분포와 암석의 용융 곡선을, (나)는


마그마가 생성되는 장소 A, B, C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0 010. 마그마의 생성 (가)에서 a와 b는 물이 포함되지 않은 맨틀의 용융 곡선과 물
을 포함한 화강암의 용융 곡선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서로 다른 장소에서 생성된 마그마 A, B, C를 나타낸
것이다. C는 대륙 지각이 녹아 만들어진 마그마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ㄱ. A는 주로 압력 감소에 의해 생성된다. ① a는 물을 포함한 화강암의 용융 곡선이다.

기 ㄴ. B는 C보다 SiO2 함량이 높다. ② 압력이 증가하면 맨틀의 용융 온도는 증가한다.
ㄷ. B와 C가 혼합되면 안산암질 마그마가 만들어질 수 있다.
③ A에서는 (가)의 ㉠ 과정에 의하여 마그마가 생성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B에서는 (가)의 ㉡ 과정에 의하여 마그마가 생성된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⑤ C에서는 유문암질 마그마가 생성될 수 있다.

40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13 013. 마그마의 생성 15 015. 마그마의 생성

그림 (가)는 서로 다른 지역에서 생성된 마그마 A, B, C를, 그림은 지하 온도 분포와 암석의 용융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나)는 지하의 온도 분포와 맨틀의 용융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물이 포함된 화강암은 압력이 커질수록 용융점이 높아진다.



기 ㄴ. 50km 깊이에서 물이 포함되지 않은 맨틀의 용융점은 물
이 포함된 맨틀의 용융점보다 높다.
ㄷ. 열점에서 분출되는 마그마는 주로 a → a′ 과정에 의해
생성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① ㄱ ② ㄴ ③ ㄱ, ㄷ

ㄱ. A는 현무암질 마그마이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기 ㄴ. SiO2 함량은 B가 C보다 낮다.
ㄷ. ㉠과 같은 과정으로 생성되는 마그마는 C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4 014. 마그마의 생성
16 016. 마그마의 생성

그림 (가)는 지하의 온도 분포와 암석의 용융 곡선을, (나)는


그림 (가)는 어느 판 경계부에서 지하 온도 분포와 암석 용융 마그마의 생성 장소 X와 Y를 나타낸 것이다.
곡선을, (나)는 이 경계부에서 마그마가 생성될 때 (가)의 암
석 용융 곡선이 변화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암석에 물이 포함되는 경우, (가)의 암석 용융 곡선은 ㄱ. 깊이가 깊어질수록 물이 포함되지 않은 맨틀의 용융점이
보 보
기 (나)의 암석 용융 곡선으로 변한다. 기 높아진다.
ㄴ. (나)에서는 유문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ㄴ. X에서는 A → B와 같은 과정으로 마그마가 생성된다.
ㄷ. 열점에서는 (나)와 같은 조건에서 마그마가 생성된다. ㄷ. Y에서는 유문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1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17 017. 마그마의 생성 19 019. 마그마의 생성

그림 (가)는 마그마가 분출되는 지역 A, B, C를, (나)는 깊이 그림은 어느 지역 해양 지각의 나이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에 따른 지하의 온도 분포와 암석의 용융 곡선을 마그마 생성
과정과 함께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에서는 ㉠ 과정으로 형성된 마그마가 분출된다.

기 ㄴ. B의 하부에서는 플룸이 상승하고 있다. ㄱ. 지점 A에서 현무암질 마그마가 분출된다.
ㄷ. C에서는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가 분출된다. 보
기 ㄴ. 지점 B와 지점 C를 잇는 직선 구간에는 변환 단층이 있다.
ㄷ. 지각의 나이는 지점 B가 지점 C보다 많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0
18
020. 마그마의 생성

018. 마그마의 생성
그림 (가)는 아메리카 대륙 주변의 열점 분포와 판의 경계를,
그림은 판의 경계와 화성 활동으로 생성된 지형을 모식적으로 (나)는 지하의 온도 분포와 암석의 용융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는 호상 열도이다.

기 ㄴ. B에서는 유문암질 마그마가 분출한다. ㄱ. 열점은 판의 내부에만 존재한다.

ㄷ. C에서는 화산 활동이 빈번하다.
기 ㄴ. 열점에서는 (나)의 B 과정에 의해 마그마가 생성된다.
ㄹ. D를 활용하여 판의 이동 방향과 속도를 알 수 있다. ㄷ. 열점에서는 안산암질 마그마가 우세하게 나타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ㄷ, ㄹ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2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21 021. 마그마의 생성 23 023. 마그마의 생성

그림 (가)는 하와이 열도를 구성하는 섬들의 나이를, (나)는 지 그림은 차가운 플룸과 뜨거운 플룸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하의 온도 분포와 맨틀의 용융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ㄱ. 화산섬 ㉠은 주로 유문암질 마그마의 분출로 형성된다.



것은? 기 ㄴ. A는 뜨거운 플룸이다.
ㄷ. 플룸의 상승과 하강 운동은 맨틀 전체 규모로 일어난다.
ㄱ. (가)에서 판은 남동쪽으로 이동하였다.

기 ㄴ. 맨틀에 물이 포함되면 용융점이 낮아진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ㄷ. 하와이 열도를 형성한 마그마는 C 과정으로 생성되었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4 024. 마그마의 생성

그림은 지구에서 X-Y 단면을 따라 관측한 지진파 단층 촬영

22 022. 마그마의 생성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A는 용암이 분출되는 지역이다.

그림은 태평양판에 위치한 열점들에 의해 형성된 섬과 해산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A는 B보다 먼저 형성되었다. ㄱ. 평균 온도는 ㉠ 지점이 ㉡ 지점보다 낮다.


보 보
기 ㄴ. C에는 현무암이 분포한다. 기 ㄴ. ㉢ 지점에서는 플룸이 상승하고 있다.
ㄷ. 태평양판의 이동 방향은 남동쪽이다. ㄷ. A의 하부에서는 압력 감소로 인해 마그마가 생성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3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25 025. 마그마의 생성 27 027. 마그마의 생성

그림 (가)는 어느 지역의 판 경계와 마그마가 분출되는 영역 그림은 태평양 주변에서 현무암이 분포하는 지역과 안산암이
A와 B의 위치를, (나)는 A와 B 중 한 영역의 하부에서 마그 분포하는 지역의 경계선 및 화산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마가 생성되는 과정 ㉠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에서 분출되는 마그마는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이다.



기 ㄴ. (나)에서 맨틀의 용융점은 물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물이 포함된 경우가 높다. 것은?
ㄷ. ㉠은 B의 하부에서 마그마가 생성되는 과정이다.
ㄱ. 이 경계선은 대체로 해구의 위치와 일치한다.

① ㄱ ② ㄴ ③ ㄷ 기 ㄴ. 이 경계선은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 위치한다.
④ ㄱ, ㄷ ⑤ ㄴ, ㄷ ㄷ. 태평양 주변의 화산은 주로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6 026. 마그마의 생성
28 028. 마그마의 생성
그림 (가)는 우리나라 주변 판의 경계와 이동 속도를, (나)는
(가)에서 판의 이동에 따른 지진의 진원 분포를 A-B 단면상에 그림은 판의 경계와 대륙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A, B, C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것은? 대로 고른 것은?

ㄱ. 태평양판과 필리핀판 사이에 해령이 발달한다. ㄱ. A 하부에는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보 보
기 ㄴ. 태평양판은 유라시아판 밑으로 섭입하고 있다. 기 ㄴ. B 하부에서 마그마가 생성될 때 물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ㄷ. 일본 열도는 주로 안산암질 마그마에 의해 형성되었다. ㄷ. C 하부의 마그마는 압력의 감소에 의해 생성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4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29 029. 마그마의 생성 31 031. 마그마의 생성

그림은 판의 경계와 대륙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태평양에 위치한 쿠릴 열도와 하와이 열도 지역의 단
면을 나타낸 것이다.

지역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의 하부에는 마그마가 생성된다.



기 ㄴ. B의 하부에는 화강암 관입이 있다.
ㄷ. C의 하부에는 베니오프대가 발달한다. A, B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ㄱ. A에서는 해구에서 쿠릴 열도 쪽으로 갈수록 진원의 깊

기 이가 깊어진다.
ㄴ. B의 열도는 주로 안산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ㄷ. A, B 모두 판의 경계에 해당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32
30
032. 마그마의 생성

030. 마그마의 생성 그림은 쿠릴 열도 주변의 판 경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우리나라 주변의 주요 판 경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A, B, C 지역의 공통점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것은?
고른 것은?
ㄱ. 쿠릴 열도는 북아메리카판이 태평양판 아래로 섭입하여

ㄱ. 안산암질 마그마가 분출한다. 기 형성되었다.

기 ㄴ. 천발 지진이 발생한다. ㄴ. 쿠릴 열도에는 해령 지역에 비해 안산암이 많이 분포한다.
ㄷ. 수렴형 경계이다. ㄷ. 쿠릴 열도는 호상 열도이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ㄱ, ㄴ ⑤ ㄴ, ㄷ

45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33 033. 마그마의 생성 35 035. 마그마의 생성

그림은 태평양 어느 지역의 판 경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두 해양판 A, B의 경계와 화산 분포를 최근 20년간
발생한 규모 5.0 이상인 지진의 진앙 분포와 함께 나타낸 것
이다.

지역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ㄱ. 판의 두께가 가장 얇은 곳은 B이다. 것은?

기 ㄴ. 분출된 마그마의 SiO2 평균 함량은 B가 A보다 낮다.
ㄷ. 인접한 두 판의 밀도 차는 C가 B보다 작다. ㄱ. 판의 경계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 위치한다.

기 ㄴ. A의 화산 하부에서는 물에 의해 암석의 용융점이 하강
① ㄱ ② ㄷ ③ ㄱ, ㄴ 하여 마그마가 생성될 수 있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ㄷ. 판의 밀도는 B보다 A가 크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34 034. 마그마의 생성

그림은 어느 지역에서 지난 40년 동안 발생한 규모 5.0 이상인 36 036. 화성암

지진의 진앙 위치와 진원 깊이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마그마의 냉각 속도와 SiO2 함량에 따라 화성암을 분
류한 것이다.

A~D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고른 것은? 것은?

ㄱ. 지각의 나이는 A보다 B가 많다. ㄱ. (Fe+Mg)의 함량은 A가 B보다 많다.


보 보
기 ㄴ. C에는 판의 발산형 경계가 있다. 기 ㄴ. 생성 깊이는 A가 C보다 깊다.
ㄷ. D에서는 주로 안산암질 마그마가 분출한다. ㄷ. B는 조립질 조직, D는 세립질 조직이 나타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6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37 037. 화성암 39 039. 화성암

그림은 서로 다른 화성암 A, B의 특성을 비교한 것이며, A와 그림 (가)는 깊이에 따른 지하의 온도 분포와 암석의 용융 곡
B는 각각 현무암과 화강암 중 하나이다. 선을, (나)는 화성암 A와 B의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A와 B는
각각 (가)의 ㉠ 과정과 ㉡ 과정으로 생성된 마그마가 굳어진
암석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ㄱ. A는 화강암이다. 고른 것은?

기 ㄴ. 암석의 생성 깊이는 B가 A보다 깊다.
ㄷ. Y에는 ‘마그마의 냉각 속도’가 들어갈 수 있다. ㄱ. 압력 감소에 의한 마그마 생성 과정은 ㉡이다.

기 ㄴ. A는 B보다 마그마가 천천히 냉각되어 생성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ㄷ. A는 ㉠ 과정으로 생성된 마그마가 굳어진 것이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38 038. 화성암
40 040. 화성암
그림은 화강암과 유문암의 특성에 따른 물리량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두 화성암 (가)와 (나)의 화학 조성(질량비)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유문암은 세립질 조직, 화강암은 조립질 조직이 나타난다. ㄱ. (가)는 산성암, (나)는 염기성암이다.
보 보
기 ㄴ. 암석의 생성 깊이는 유문암이 화강암보다 깊다. 기 ㄴ. 밀도는 (가)가 (나)보다 크다.
ㄷ. Y에는 SiO2 함량이 들어갈 수 있다. ㄷ. 색은 (가)가 (나)보다 어둡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7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41 041. 화성암 43 043. 화성암

그림 A와 B는 각각 현무암질 마그마와 유문암질 마그마의 화 그림은 화성암 A와 B의 화학 조성을 질량비(%)로 나타낸 것


학 조성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다. A와 B는 각각 반려암과 유문암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A는 현무암질 마그마이다. ㄱ. A는 염기성 심성암이다.


보 보
기 ㄴ. 철과 마그네슘의 함량비가 B가 A보다 크다. 기 ㄴ. 암석의 밀도는 A가 B보다 크다.
ㄷ. A보다 B에서 생성된 암석의 색이 밝다. ㄷ. 구성 광물의 입자 크기는 A가 B보다 크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2 042. 화성암

그림은 마그마 A, B, C를 이루고 있는 성분들의 질량비(%)를


나타낸 것이다. A, B, C는 각각 안산암질, 유문암질, 현무암질
마그마 중 하나이다. 44 044. 화성암

그림은 화성암의 분류 기준에 암석 A와 B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은 SiO2이다.

기 ㄴ. B는 현무암질 마그마이다. ㄱ. A는 유문암이다.

ㄷ. 마그마에서 (FeO+MgO)이 차지하는 질량비는 A가 C보다 기 ㄴ. 암석의 생성 깊이는 A가 B보다 깊다.
크다. ㄷ. 암석의 색은 A가 B보다 어둡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8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45 045. 화성암 47 047. 화성암

그림은 화성암 A, B, C를 세 가지 기준으로 분류하여 상대적인 그림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화성암을, 그래프는 이 암석들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A, B, C는 각각 화강암, 현무암, 유문암 구성 성분비를 나타낸 것이다.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와 B를 비교한 내용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ㄱ. A는 유문암이다. 고른 것은?

기 ㄴ. B는 C보다 지하 깊은 곳에서 형성된다.
ㄷ. 어두운색 광물 함량은 X에 적합한 물리량이다. ㄱ. 유색 광물의 함량은 A가 많다.

기 ㄴ. 생성 장소는 B가 깊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ㄷ. 밀도는 B가 크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46 046. 화성암

48
그림은 화성암 A와 B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A와 B는 각각
반려암과 유문암 중 하나이다. 048. 우리나라의 화성암 지형

그림 (가)와 (나)는 각각 우리나라의 지질 명소인 설악산 울산


바위와 제주도 서귀포 해안의 암석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가) (나)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는 유문암이다.

기 ㄴ. 암석의 생성 깊이는 A보다 B가 깊다. 보
ㄱ. (가)는 중생대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ㄷ. 암석을 구성하는 철과 마그네슘의 함량비는 B보다 A가 기 ㄴ. (가)의 주요 구성 암석은 화강암이다.
크다. ㄷ. 암석의 생성 깊이는 (가)가 (나)보다 깊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9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49 049. 우리나라의 화성암 지형

그림 (가), (나), (다)는 우리나라의 지질 명소를 나타낸 것이다.

(가)~(다)의 주요 구성 암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는 중생대에 생성되었다.



기 ㄴ. 색은 (가)가 (다)보다 밝다.
ㄷ. (나)는 (다)보다 지하 깊은 곳에서 생성되었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50 050. 우리나라의 화성암 지형

그림 (가)는 울릉군 독도, (나)는 북한산, (다)는 한탄강 일대


의 암석을 나타낸 것이다.

(가)~(다)의 주요 구성 암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가)는 (나)보다 구성 광물의 입자 크기가 크다.



기 ㄴ. (나)가 생성된 후 융기하여 지표에 노출되었다.
ㄷ. (나)는 (다)보다 SiO2 함량이 많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50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되어 안산암질 마그마가 생성될 수 있다. 마그마의 SiO2 함량


정답 및 해설 은 현무암질 마그마 < 안산암질 마그마 < 유문암질 마그마이므
로 A는 B보다 SiO2 함량이 높다. 따라서 A는 Y, B는 X이다.
01. ⑤ ㄷ. A는 B보다 온도가 낮은 마그마이므로 온도는 ㉠에 해당하
용융점에 도달하면 암석이 용융되어 마그마가 된다.
는 물리량이다.
ㄱ. 지하의 온도 분포를 보면 깊이가 깊어질수록 지하의 온도
는 증가한다. 07. ⑤
ㄴ. A는 온도 상승에 의해 물이 포함된 화강암이 용융되는 과 ㄱ. 주변보다 온도가 높은 곳에서는 P파의 속도 편차가 작고,
정을 나타낸 것이다. 주변보다 온도가 낮은 곳에서는 P파의 속도 편차가 크다.
ㄷ. 해령 아래에서는 맨틀 물질이 상승하여 B와 같은 과정으로 주변보다 온도가 낮아 P파의 속도 편차가 양(+)의 값으로
마그마가 생성된다. 크게 나타나는 A는 섭입하는 판에 속하는 영역이다.
ㄴ. ⓐ는 물이 포함된 암석의 용융 곡선, ⓑ는 물이 포함되지
02. ③ 않은 암석의 용융 곡선이다.
ㄱ. X는 물이 포함된 맨틀의 용융 곡선, Y는 물이 포함되지 않
ㄷ. B 영역의 마그마는 해양판이 섭입하는 과정에서 해양 지각
은 맨틀의 용융 곡선이다.
에 포함된 함수 광물로부터 빠져나온 물이 암석의 용융점
ㄴ. 해령 하부에서는 맨틀 물질의 상승에 의한 압력 감소로 마
을 낮추는 ㉠ 과정에 의해 주로 생성된다.
그마가 생성된다. 따라서 해령 하부에서는 마그마가 ㉠으로
생성된다. 08. ④
ㄷ. ㉡으로 생성되는 마그마는 현무암질 마그마이며 현무암질 맨틀에서 같은 깊이의 주변보다 온도가 높은 곳은 P파의 속도
마그마는 SiO2 함량이 52% 이하이다. 편차가 작게 나타나고, 주변보다 온도가 낮은 곳은 P파의 속도
편차가 크게 나타난다.
03. ① ㄱ. 맨틀과 외핵의 경계에서 뜨거운 맨틀 물질이 상승하면서 뜨
ㄱ. 전체적인 용융점이 낮으며, 깊이가 깊어질수록 용융점이 낮
거운 플룸이 생성되며, 열점에서는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여
아지는 ㉠이 물이 포함된 화강암의 용융 곡선이고, ㉡은 물
마그마가 생성된다.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는 곳은 같은 깊이
이 포함되지 않은 맨틀의 용융 곡선이다.
의 주변보다 온도가 높아 P파의 속도 편차가 작게 나타난다.
ㄴ. 지하 50km보다 얕은 깊이에서도 지하의 온도가 물이 포함된
하지만 그림에서 P파의 속도 편차를 고려했을 때 ㉠ 아래에
화강암의 용융점에 도달하기 때문에 마그마가 생성될 수 있다.
맨틀과 외핵의 경계(깊이 약 2900km)에서 상승하는 뜨거운
ㄷ. 해령 아래에서는 압력 감소로 인해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
플룸이 존재한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은 열점이 아니다.
가 생성되므로 a와 같은 과정으로 생성된다.
ㄴ. A 지점에서는 섭입한 해양 지각과 퇴적물의 함수 광물에
포함된 물이 빠져 나오고, 이 물의 영향으로 연약권을 구성
04. ②
하는 광물의 용융 온도가 낮아져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가
ㄱ. (가)는 해령으로 맨틀 대류의 상승부이다.
생성된다. 현무암질 마그마는 SiO2 함량이 52%보다 낮은
ㄴ. 해령에서는 B 과정으로 마그마가 생성된다. A 과정은 지구
고철질 마그마이다.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대륙 지각(화강암)의 용융이 일어나
ㄷ. B 지점 부근에 P파의 속도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부분은
마그마가 생성되는 경우이다.
해양판이 섭입하는 부분이다. 섭입하는 해양판 부근에서 맨
ㄷ. 동일한 깊이에서 맨틀에 물이 포함되면 용융점이 낮아진다.
틀 대류의 하강이 나타나므로 B 지점은 맨틀 대류의 하강
부이다.
05. ③
ㄱ. 대륙 지각은 화강암질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에서
물이 포함된 화강암은 물이 포함된 맨틀이나 물이 포함되
09. ②
ㄱ. A는 발산 경계인 해령의 하부로 압력 감소에 의해 현무암질
지 않은 맨틀보다 용융 온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그마가 생성된다.
따라서 대륙 지각은 맨틀보다 용융 온도가 대체로 낮다.
ㄴ. B에서는 해양판이 섭입하는 과정에서 해양 지각에 포함된
ㄴ, ㄷ. ㉠의 마그마는 해양판이 섭입하는 과정에서 해양 지각
함수 광물로부터 물이 빠져나와 맨틀 물질의 용융점을 낮춰
과 퇴적물의 함수 광물에 포함된 물이 빠져나와 맨틀 물질
맨틀 물질이 부분 용융되면서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의 용융점을 낮춰 맨틀 물질이 부분 용융되어 생성된 마그
ㄷ. C에서는 B에서 생성된 현무암질 마그마가 상승하면서 대륙
마이다. 따라서 ㉠의 마그마는 (가)의 A와 같은 과정으로
지각 하부의 화강암질 마그마와 혼합되어 생성된 안산암질
생성된다.
마그마가 주로 분출된다.

06. ④
ㄱ, ㄴ. 해양판이 대륙판 밑으로 섭입하는 과정에서 해양 지각과
010. ③
A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에서 만들어진 현무암질 마그마, B는
퇴적물에 포함된 함수 광물에서 물이 빠져나와 맨틀 물질의 용
섭입대에서 물의 공급에 의해 맨틀 물질이 용융되어 만들어진
융점을 낮춰 맨틀 물질이 부분 용융되어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
현무암질 마그마, C는 뜨거운 마그마에 의해 대륙 지각이 녹아
성된다. 이 현무암질 마그마가 상승하여 대륙 지각 하부에 도
만들어진 유문암질 마그마이다.
달하면 대륙 지각을 이루고 있는 암석이 가열되어 유문암질 마
ㄱ. A는 맨틀 대류의 상승으로 압력이 감소하여 만들어진 마그
그마가 생성되고, 현무암질 마그마와 유문암질 마그마가 혼합

51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마이다.
ㄴ. SiO2 함량은 현무암질 마그마가 52% 이하이고, 유문암질 마 015. ②
그마가 63% 이상이다. 따라서 B는 C보다 SiO2 함량이 낮다. ㄱ. 지하 깊이가 깊어질수록 압력이 커지며 그림에서 물이 포

ㄷ. 현무암질 마그마와 유문암질 마그마가 혼합되면 안산암질 함된 화강암의 용융 곡선은 깊이가 깊어질수록 용융점이
마그마가 만들어질 수 있다.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ㄴ. 맨틀 물질에 물이 공급되면 용융점이 낮아진다. 따라서
011. ④ 50km 깊이에서 물이 포함되지 않은 맨틀의 용융점은 물
ㄱ. A는 발산 경계에서 생성된 마그마로 맨틀 물질이 용융된 이 포함된 맨틀의 용융점보다 높다.
현무암질 마그마이다. ㄷ. a-a′ 과정은 물이 공급되어 용융점이 낮아지는 과정이다.
ㄴ. B는 수렴 경계에서 형성된 마그마로 유문암질 또는 안산암 열점에서 분출되는 마그마는 주로 압력 감소에 의해 생성
질 마그마이다. 마그마의 생성 온도는 유문암질 → 안산암질 된다.
→ 현무암질 순으로 높아지므로 마그마의 생성 온도는 A가
B보다 높다.
ㄷ. 섭입대에서는 해양 지각이 섭입함에 따라 그 속에 포함된 016. ①
함수 광물에서 물이 빠져나온다. 이 물이 연약권에 침투하 ㄱ. (가)에서 깊이가 깊어질수록 물이 포함되지 않은 맨틀의
고 연약권을 구성하는 암석의 용융점을 낮추어 현무암질 용융점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그마(C)가 생성된다. ㄴ. X는 해령 하부이며, 해령 하부에서는 압력 감소에 의해 현


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012. ④ ㄷ. Y는 열점이며, 열점에서는 압력 감소에 의해 현무암질 마
① 물을 포함한 화강암은 압력이 증가할수록 용융 온도가 낮아 그마가 생성된다.
진다. 따라서 a는 물을 포함한 화강암의 용융 곡선, b는 물
이 포함되지 않은 맨틀의 용융 곡선이다. 017. ②
② (가)에서 물이 포함되지 않은 맨틀의 용융 곡선(b)을 보면 ㄱ. A는 해령에 위치하며, 해령에서는 맨틀 물질 상승에 의한

압력이 증가할수록 맨틀의 용융 온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 압력 감소로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가 형성되어 분출된다.

할 수 있다. 따라서 A에서는 ㉡ 과정으로 형성된 마그마가 분출된다.

③ A는 해령으로, 해령에서는 압력 감소에 의해 현무암질 마그 ㄴ. B의 화산은 열점에서의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것이다. 열

마가 생성된다. 따라서 A에서는 (가)의 ㉠ 과정에 의하여 점에서는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여 생성된 마그마가 지각을
마그마가 생성된다. 뚫고 분출하여 화산 활동이 일어나므로 B의 하부에서는 뜨
④ B에서는 해양판이 섭입하는 과정에서 해양 지각에 포함된 거운 플룸이 상승하고 있다.

함수 광물로부터 물이 빠져나와 맨틀 물질의 용융점을 낮춰 ㄷ. C의 화산은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섭입하는 해구 부근에

맨틀 물질이 부분 용융되어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위치하므로 C에서는 주로 안산암질 마그마가 분출된다. A,

⑤ C에서는 대륙 지각 하부가 용융되어 유문암질 마그마가 생 B, C 중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가 분출되는 곳은 A와 B이다.

성될 수 있다.
018. ③
ㄱ. A는 섭입대에서 형성된 호상 열도이다.
013. ③
ㄱ. A는 해령 하부에서 생성된 마그마이므로 현무암질 마그마 ㄴ. B는 발산형 경계인 해령으로 현무암질 마그마가 분출한다.

이다. ㄷ. C는 보존형 경계로 화산 활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ㄴ. SiO2 함량은 B가 C보다 높다. ㄹ. D는 열점에서의 화산 활동에 의해 생성된 해산으로, 해산이


ㄷ. C는 해양판에서 공급된 물에 의해 맨틀 물질의 용융점이 늘어선 방향을 통해 판의 이동 방향을, 해산의 나이와 열점

하강하여 생성된 마그마이다. 따라서 ㉠과 같은 과정으로 으로부터의 거리를 통해 판의 이동 속도를 알 수 있다.

생성되는 마그마는 C이다.


019. ⑤
ㄱ. 지점 A에서 해양 지각의 나이가 0이므로 지점 A는 해령에
014. ①
ㄱ, ㄷ. 암석에 물이 포함될 때 암석의 용융점은 낮아진다. 따 위치한다. 해령에서는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되어 분

라서 암석에 물이 포함되는 경우, (가)의 암석 용융 곡선은 출된다.


(나)의 암석 용융 곡선으로 변한다. 열점에서는 맨틀 물질 ㄴ. 지점 C의 남동쪽에서 해양 지각의 나이가 0인 곳에 해령이

의 상승에 의한 압력 감소로 마그마가 생성되며, (나)와 같 위치하며, 지점 C의 북서쪽에 위치한 해령과 남동쪽에 위

은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다. 치한 해령 사이에 변환 단층이 발달한다. 따라서 지점 B와

ㄴ. 유문암질 마그마는 물을 포함하는 화강암의 용융 곡선과 지점 C를 잇는 직선 구간에는 변환 단층이 있다.

지하 온도 분포 곡선이 만나는 대륙 지각의 하부, 약 ㄷ. 그림에서 해양 지각의 나이는 지점 B가 지점 C보다 많은

30km~40km 깊이에서 생성된다. (나)에서 암석의 용융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곡선과 지하 온도 분포 곡선이 만나 는 깊이는 약 100km


이므로 (나)에서는 유문암질 마그마가 생성되지 않는다.
020. ②
ㄱ. (가)에서 열점은 판의 내부뿐만 아니라 판의 경계에도 존
(나)에서 생성되는 마그마는 현무암질 마그마이다.
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2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ㄴ, ㄷ. 열점에서는 맨틀 물질 상승에 의한 압력 감소로 맨틀 ㄷ. A의 하부에서는 맨틀 물질이 상승하여 압력이 감소해 마그마


물질이 부분 용융되어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가 생성되고, B의 하부에서는 섭입하는 해양 지각으로부터
따라서 열점에서는 (나)의 B 과정에 의해 마그마가 생성되 빠져나온 물이 맨틀의 용융 온도를 낮춰 마그마가 생성된다.
며, 현무암질 마그마가 우세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은 B의 하부에서 마그마가 생성되는 과정이다.

021. ② 026. ④
ㄱ. 판은 이동하지만 열점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ㄱ.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태평양판이 필리핀판보다 이동 속
(가)에서 판은 북서쪽으로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 도가 빠르므로 두 판 사이는 수렴 경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ㄴ, ㄷ. 마그마가 생성되기 위해서는 특정 압력 조건에서 암석 발산 경계에서 나타나는 해령은 발달할 수 없다.
의 용융점보다 지구 내부의 온도가 높아야 한다. 고체 상태 ㄴ. 밀도가 큰 해양판은 밀도가 작은 대륙판 아래로 섭입을 하
인 맨틀에 물이 포함되면 고체의 결합력을 약화시켜 용융 므로 태평양판이 유라시아판 밑으로 섭입을 하고 있고 그
점이 낮아진다. 맨틀을 이루는 물질이 상승하면서 압력이 로 인해 호상 열도인 일본 열도가 만들어져 있다.
감소하여 부분 용융이 일어나는 A 과정으로 하와이 열도를 ㄷ. 섭입 경계의 일본 열도는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가 대륙 지
형성하는 마그마가 생성되었다. 각과 만나 생성한 안산암질 마그마에 의해 형성되었다.

022. ③ 027. ①
ㄱ, ㄷ. 열점에서의 화산 활동에 의해 화산섬이 형성되며 생성 ㄱ. 해양 지각은 현무암질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태평양
된 화산섬은 판과 함께 이동한다. 하와이 열도를 형성한 열 주변에는 해구를 경계로 해양 쪽에는 현무암이, 대륙 쪽에
점은 B 부근에 위치하므로 A는 B보다 먼저 형성되었으며, 는 안산암이 분포한다. 따라서 현무암과 안산암의 경계선은
태평양판의 이동 방향은 북서쪽이다. 대체로 해구의 위치와 일치한다.
ㄴ. 열점에서는 맨틀 물질 상승에 의한 압력 감소로 맨틀 물질 ㄴ. 이 경계선은 대체로 해구의 위치와 일치하며, 해구는 맨틀
이 부분 용융되어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따라서 열점 대류의 하강부에 위치한다.
에서의 화산 활동에 의해 생성된 C에는 현무암이 분포한다. ㄷ. 태평양 주변의 화산은 주로 경계선을 기준으로 대륙 쪽에
분포한다. 대륙 쪽은 안산암이 분포하므로 태평양 주변의
023. ④ 화산은 주로 안산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ㄱ, ㄴ. 맨틀과 핵의 경계에서 상승하는 A는 뜨거운 플룸이다.
화산섬 ㉠은 뜨거운 플룸에 의해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의 028. ⑤
분출로 형성된다. ㄱ. A는 하와이 섬이 위치한 곳으로, 압력 감소로 인해 맨틀 물
ㄷ. 섭입하는 해양판은 상부 맨틀과 하부 맨틀의 경계부에 지 질이 용융되어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되는 열점이다.
속적으로 쌓이게 되고 결국 하부 맨틀 속으로 침강하여 차 ㄴ. B는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섭입되는 수렴형 경계로, 해양판
가운 플룸을 형성하며 차가운 플룸은 맨틀과 외핵의 경계 이 섭입되는 과정에서 해양 지각에 포함된 함수 광물에서 물이
면까지 도달한다. 또한 뜨거운 플룸은 맨틀과 외핵의 경계 빠져나오면서 맨틀 물질의 용융점이 낮아져 마그마가 생성된다.
부에서 상승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플룸의 상승과 하강 운 ㄷ. C는 대서양 중앙 해령으로, 압력이 감소하여 마그마가 생성
동은 맨틀 전체 규모로 일어난다. 된다.

024. ⑤ 029. ④
ㄱ. 같은 깊이에서 주변보다 온도가 높은 곳은 P파의 속도 편 ㄱ. A의 하부에서는 맨틀 물질 상승에 의한 압력 감소로 주로
차 값이 (-)로, 주변보다 온도가 낮은 곳은 P파의 속도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편차 값이 (+)로 나타난다. P파의 속도 편차 값은 ㉠ 지 ㄴ. B는 대륙판과 대륙판의 수렴 경계인 히말라야산맥에 위치
점이 (+)이고, ㉡ 지점이 (-)이므로 평균 온도는 ㉠ 지점 한다. 대륙판과 대륙판의 수렴 경계에서 화산 활동은 거의
이 ㉡ 지점보다 낮다. 나타나지 않지만, 대륙 지각 하부에서 유문암질 마그마가
ㄴ. ㉢ 지점은 P파의 속도 편차 값이 (-)로 나타나므로 같은 생성되어 관입한다.
깊이의 주변보다 온도가 높다. 맨틀과 외핵의 경계에서 뜨 ㄷ. C는 보존형 경계인 산안드레아스 단층에 위치한다. 하부에
거운 맨틀 물질이 상승하면서 뜨거운 플룸이 생성되므로 베니오프대가 발달하는 것은 대륙판과 해양판 또는 해양판
㉢ 지점에서는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고 있다. 과 해양판의 수렴 경계 부근이다.
ㄷ. A 지점에서는 뜨거운 플룸이 상승하여 생성된 마그마가 분
출하므로 A 지점의 하부에서는 압력 감소로 인해 마그마가 030. ④
생성된다. ㄱ. A는 섭입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내부에서 마그마가 만
들어지는 경우 대륙 지각이 용융되어 유문암질 마그마가
025. ④ 만들어진다. B와 C는 섭입대가 존재하기 때문에 주로 안산
ㄱ. A는 해령에 위치하며, 해령에서 분출되는 마그마는 주로 암질 마그마가 분출한다.
현무암질 마그마이다. ㄴ, ㄷ. A는 대륙판과 대륙판이 충돌하는 수렴형 경계, B는 해
ㄴ. (나)에서 맨틀의 용융점은 물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보다 양판과 해양판의 수렴형 경계, C는 대륙판과 해양판의 수
물이 포함된 경우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렴형 경계이다. 수렴형 경계에서는 공통적으로 천발 지진이

53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발생하며, 섭입대에서는 중발·심발 지진까지, 충돌대에서는 가 A 아래로 섭입하는 수렴형 경계이며, 이 판의 경계는
중발 지진까지 발생한다. 하지만 활발한 화산 활동이 존재 맨틀 대류의 하강부에 위치한다.
하는 B, C와는 달리 A에서는 화산 활동이 거의 없으며, ㄴ. A의 화산 하부에 베니오프대가 위치하며 A의 화산 하부에
판이 소멸되지 않는다. 서는 물에 의해 암석의 용융점이 하강하여 마그마가 생성
될 수 있다.
031. ① ㄷ. 두 해양판이 수렴할 때 밀도가 큰 판이 밀도가 작은 판 아
ㄱ. 태평양판이 쿠릴 열도가 위치한 판 아래로 섭입하므로 해 래로 섭입하므로 판의 밀도는 A보다 B가 크다.
구에서 쿠릴 열도 쪽으로 갈수록 진원의 깊이가 깊어진다.
ㄴ. 하와이 열도는 열점에서 분출된 현무암질 마그마에 의해 036. ①
생성되었으므로 주로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ㄱ. SiO2 함량이 낮을수록 (Fe+Mg)의 함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ㄷ. A는 판의 수렴형 경계에 해당하지만 B는 판의 경계가 아 (Fe+Mg)의 함량은 A가 B보다 많다.
닌 내부에 위치해 있다. ㄴ. 생성 깊이가 깊을수록 마그마의 냉각 속도가 느리다. 따라서
생성 깊이는 A가 C보다 얕다.
032. ⑤ ㄷ. 마그마의 냉각 속도가 느리면 조립질, 빠르면 세립질 조직이
ㄱ. 쿠릴 열도가 북아메리카판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태평양판이 나타난다. 따라서 B는 세립질, D는 조립질 조직이 나타난다.
북아메리카판 아래로 섭입한 것을 알 수 있다.
ㄴ. 해령에서는 압력 감소에 의해 맨틀 물질이 용융되어 주로 037. ②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수렴 경계에서는 함수 광물에 현무암과 화강암은 대표적인 화성암으로, 구성 광물 입자의 크
서 빠져나온 물에 의해 맨틀 물질의 용융점이 낮아져 생성 기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된 현무암질 마그마가 상승하여 화강암질 암석으로 이루어 ㄱ. A는 구성 광물 입자의 크기가 작으므로 현무암이다.
진 대륙 지각에 도달하면 지각의 온도를 높여 유문암질 마 ㄴ. 암석의 생성 깊이가 깊을수록 마그마의 냉각 속도가 느리
그마가 형성되며, 현무암질 마그마와 유문암질 마그마의 혼 고, 구성 광물 입자의 크기는 커진다. 따라서 암석의 생성
합에 의해 안산암질 마그마가 생성된다. 따라서 쿠릴 열도 깊이는 B가 A보다 깊다.
에는 해령 지역에 비해 안산암이 많이 분포한다. ㄷ. 마그마의 냉각 속도가 클수록 화성암의 구성 광물 입자의
ㄷ. 쿠릴 열도는 판의 섭입에 의해 해구 부근에 발달한 화산섬 크기가 작아지므로, Y에는 ‘마그마의 냉각 속도’가 들어갈
인 호상 열도이다. 수 없다.

033. ③ 038. ①
A와 C는 수렴형 경계(해구), B는 발산형 경계(해령)에 위치한다. ㄱ, ㄴ. 화산암인 유문암은 빠르게 냉각되므로 세립질 조직이,
ㄱ. 해령에서 해구 쪽으로 갈수록 판의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심성암인 화강암은 깊은 곳에서 천천히 냉각되므로 조립질
A~C 중 판의 두께가 가장 얇은 곳은 B이다. 조직이 나타난다. 암석의 생성 깊이는 화강암이 유문암보다
ㄴ. 수렴형 경계에서는 주로 안산암질 마그마가, 발산형 경계에 깊다.
서는 주로 현무암질 마그마가 분출한다. SiO2 평균 함량은 ㄷ. 그래프에서 마그마의 냉각 속도가 빠른 암석은 유문암이고,
현무암질 마그마가 안산암질 마그마보다 낮으므로 분출된 냉각 속도가 느린 암석은 화강암이다. 화강암이 큰 값을 갖
마그마의 SiO2 평균 함량은 B가 A보다 낮다. 는 Y에는 광물 결정의 크기, 생성 깊이 등이 들어갈 수 있
ㄷ. B에 인접한 두 판은 모두 해양판이며, C에 인접한 두 판은 다. 유문암과 화강암은 SiO2 함량이 63% 이상인 산성암으로
각각 해양판과 대륙판이다. 따라서 인접한 두 판의 밀도 차 두 암석을 구분하는 기준에 SiO2 함량은 해당되지 않는다.
는 C가 B보다 크다.
039. ①
034. ⑤ ㄱ. 압력 감소에 의한 마그마 생성 과정은 ㉡이다.
A와 C는 천발 지진이 주로 나타나는 발산형 경계로 태평양판 ㄴ. 마그마의 냉각 속도가 빠를수록 화성암의 결정 크기가 작
과 나스카판이 발산되면서 형성된 동태평양 해령이고, D는 대 다. A는 B보다 결정 크기가 작으므로 마그마가 빠르게 냉
륙 쪽으로 가면서 진원 깊이가 깊어지므로 베니오프대가 발달 각되어 생성된다.
하는 수렴형 경계로, 나스카판이 남아메리카판 아래로 섭입하면 ㄷ. A는 SiO2 함량이 52%보다 낮으므로 현무암질 암석이고,
서 페루-칠레 해구와 안데스산맥이 형성된 지역이다. B는 SiO2 함량이 63%보다 높으므로 유문암질 암석이다.
ㄱ. A는 발산형 경계이므로 해양 지각이 생성되어 양쪽으로 이 ㉠ 과정으로 생성된 마그마는 유문암질 마그마, ㉡ 과정으
동한다. 따라서 A에서 멀어질수록 지각의 나이가 많아진다. 로 생성된 마그마는 현무암질 마그마이므로 A는 ㉡ 과정,
ㄴ. C는 해령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C에는 판의 발산형 경계가 B는 ㉠ 과정으로 생성된 마그마가 굳어진 것이다.
있다.
ㄷ. D는 베니오프대가 발달하는 섭입대로, 주로 안산암질 마그 040. ①
마가 분출한다. ㄱ. (가)는 SiO2 함량이 약 70% 이상이므로 산성암이고, (나)
는 SiO2 함량이 50% 이하이므로 염기성암이다.
035. ② ㄴ. (나)는 (가)보다 금속 원소의 함량비가 높으므로 암석의 밀
ㄱ. 판의 경계에서 서쪽으로 갈수록 진원 깊이가 깊어지므로 B 도는 (나)가 (가)보다 크다.

54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ㄷ. 화성암은 Fe와 Mg의 함량비가 높을수록 어두운색을 띠므


로 (나)가 (가)보다 색이 어둡다. 047. ③
ㄱ, ㄷ. Fe, Mg을 많이 포함할수록 유색 광물의 함량이 많고
041. ② 밀도가 크다. 따라서 유색 광물의 함량은 A가 B보다 많고,
ㄱ. 유문암질 마그마가 현무암질 마그마보다 SiO2 함량이 많으 밀도는 A가 B보다 크다.
므로 A는 유문암질 마그마이다. ㄴ. 화성암은 입자 크기가 클수록 생성 깊이가 깊다. A는 세립
ㄴ. 철(Fe)과 마그네슘(Mg)의 함량비는 B가 A보다 크다. 질, B는 조립질 암석이므로 생성 장소는 B가 A보다 깊다.
ㄷ. 현무암질 마그마(B)에서 만들어진 암석은 유문암질 마그마
(A)에서 만들어진 암석보다 상대적으로 어두운색 광물의 048. ⑤
함량이 많아 색이 어둡다. ㄱ, ㄴ. (가)는 중생대 화강암, (나)는 신생대 현무암으로 주로
이루어져 있다.
042. ③ ㄷ. 화강암이 현무암보다 깊은 곳에서 생성되므로, 암석의 생성
ㄱ. 마그마에 가장 많이 포함된 성분은 SiO2이므로 ㉠은 SiO2이다. 깊이는 (가)가 (나)보다 깊다.
ㄴ. 현무암질, 안산암질, 유문암질 마그마의 SiO2 질량비를 비
교하면 현무암질 마그마 < 안산암질 마그마 < 유문암질 마 049. ⑤
그마이다. 따라서 A는 현무암질 마그마, B는 안산암질 마 ㄱ. (가)와 (나)의 주요 구성 암석은 중생대에 생성된 화강암이다.

그마, C는 유문암질 마그마이다. ㄴ. (다)의 주요 구성 암석은 신생대에 생성된 현무암이다. 화

ㄷ. 마그마의 SiO2 질량비가 작을수록 (FeO+MgO) 질량비가 강암이 현무암보다 색이 밝으므로 색은 (가)가 (다)보다

크다. 따라서 마그마에서 (FeO+MgO)이 차지하는 질량비 밝다.

는 A가 C보다 크다. ㄷ. 화강암은 지하 깊은 곳에서 생성된 심성암, 현무암은 지표


부근에서 생성된 화산암이다. 따라서 (나)는 (다)보다 지하
043. ⑤ 깊은 곳에서 생성되었다.
ㄱ. 유문암은 반려암보다 SiO2 함량이 많으므로, A가 반려암,
B가 유문암이다. 반려암은 염기성 심성암이다. 050. ④
ㄴ. 반려암이 유문암보다 Mg, Fe의 함량이 많기 때문에 밀도 ㄱ. (가)는 주로 신생대 화산암, (나)는 주로 중생대 화강암,

가 크다. 따라서 암석의 밀도는 A가 B보다 크다. (다)는 주로 신생대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구

ㄷ. 반려암은 심성암, 유문암은 화산암이므로 구성 광물의 입자 성 광물의 입자 크기는 (가)가 (나)보다 작다.
크기는 A가 B보다 크다. ㄴ. (나)의 화강암은 지하 깊은 곳에서 생성된 후 상부 지층의
침식 등에 의해 지표에 노출되었다.
044. ② ㄷ. 화강암은 현무암보다 SiO2 함량이 많다. 따라서 (나)는
ㄱ. A는 SiO2 함량이 52% 이하인 세립질 화성암이다. 유문암 (다)보다 SiO2 함량이 많다.
은 SiO2 함량이 63% 이상인 세립질 화성암이다.
ㄴ. A는 세립질, B는 조립질 화성암이므로 암석의 생성 깊이는
B가 A보다 깊다.
ㄷ. A는 염기성암, B는 산성암이므로 암석의 색은 A가 B보다
어둡다.

045. ②
ㄱ. 화성암은 SiO2의 함량, 입자의 크기, 마그마의 냉각 속도,
생성 깊이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분류 기준에서 A는
현무암, B는 화강암, C는 유문암이다.
ㄴ. 입자의 크기가 큰 화강암은 입자의 크기가 작은 유문암보
다 더 깊은 곳에서 형성된다.
ㄷ. 어두운색(유색) 광물의 함량은 현무암이 유문암보다 많으므
로 X에 적합하지 않다.

046. ③
ㄱ. 유문암은 반려암보다 SiO2 함량이 높으므로 A는 유문암, B
는 반려암이다.
ㄴ. 반려암은 심성암, 유문암은 화산암이므로 암석의 생성 깊이
는 A보다 B가 깊다.
ㄷ. 반려암은 고철질암, 유문암은 규장질암이므로 암석을 구성
하는 철과 마그네슘의 함량비는 A보다 B가 크다.

55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Ⅰ. 지권의 변동

STEP 2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1 01. 판 구조론 3 03. 해양저 확장

그림은 어느 해양저의 A 지점에서 D 지점까지 해령을 수직으 그림은 태평양과 대서양 해령 부근의 고지자기 분포를 나타낸
로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측정한 해양 지각의 나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그림에서 A와 B 지점의 암석의 연령은 같다.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판의 이동 방향은 해령에 수직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ㄱ. C에서 해양 지각이 생성된다.
보 것은?
기 ㄴ. 해저 퇴적물의 두께는 A보다 B에서 두껍다.
ㄷ. 최근 200만 년 동안 판의 평균 이동 속도는 B가 속한
ㄱ. 고지자기 분포는 해령을 중심으로 대칭적이다.
판이 D가 속한 판보다 빨랐다. 보
기 ㄴ. 해양 지각의 암석 연령은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한다.
ㄷ. 지각의 이동 속도는 태평양 지역이 대서양 지역보다 느리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 02. 해양저 확장 4 04. 해양저 확장

그림 (가)와 (나)는 서로 다른 해령 부근에서 측정된, 각 해령 그림 (가)는 태평양과 대서양에서 해양 지각의 나이와 해령으
으로부터의 거리와 수심에 따른 해양 지각의 연령을 나타낸 로부터의 거리와의 관계를, (나)는 해양 지각의 나이와 해령
것이다. 정상으로부터의 깊이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해령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수심 변화는 (가)보다 (나)에서

기 작다. ㄱ. 해양저의 확장 속도는 태평양이 대서양보다 빠르다.

ㄴ. 해양 지각의 확장 속도는 (가)보다 (나)에서 빠르다. 기 ㄴ. 해양 지각의 나이가 많을수록 해양저의 침강 속도가 빠르다.
ㄷ. 해양 퇴적물의 두께는 A보다 B에서 두껍다. ㄷ. 해양저의 침강 속도는 태평양과 대서양에서 거의 같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ㄱ, ㄷ ⑤ ㄴ, ㄷ

56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5 05. 고지자기와 대륙 이동 7 07. 고지자기와 대륙 이동

그림은 북아메리카 대륙과 유라시아 대륙에서 측정한 고지자 그림 (가)는 북아메리카와 유라시아 대륙에서 측정한 고지자기
기 북극의 위치를 시기별로 나타낸 것이다. 북극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고, (나)는 두 대륙에서 측정한
자극의 이동 경로를 일치시켰을 때 나타나는 대륙 분포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과거에는 지자기 북극이 둘로 분리되어 있었다. (가) (나)



기 ㄴ. 대서양은 점점 확장되어 왔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ㄷ. 고지자기 북극의 이동 경로를 통하여 대륙의 이동을 추 것은?
정할 수 있다.
ㄱ. 과거에 두 개의 자기 북극이 존재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기 ㄴ.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발견되는 습곡 산맥이 유라시아 대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륙에 연속적으로 분포할 수 있다.
ㄷ. (가)와 (나)를 통해 대륙이 이동했음을 알 수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6 06. 고지자기와 대륙 이동

그림은 북아메리카와 유럽 대륙에서 측정한 지자기 북극의 겉


보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지자기 북극은 2개 존재한다.



기 ㄴ. 최근 1억 년 동안 대서양은 넓어졌다.
ㄷ.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를 통해 대륙이 이동하
였음을 알 수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57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8 08. 고지자기와 대륙 이동 9 09. 고지자기와 대륙 이동

그림 (가)는 북아메리카와 유럽 대륙에서 각각 측정한 고지자 그림 (가)는 A와 B 대륙에서 측정한 고지자기 북극의 이동 경
기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와 현재 대륙 분포를 나타낸 것이고, 로를 나타낸 것이고, (나)는 두 대륙에서 측정한 자기 북극의
(나)는 고지자기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를 일치시켰을 때 나타 이동 경로를 일치시켰을 때 나타나는 대륙 분포이다. A와 B는
나는 대륙 분포이다. 고지자기극은 고지자기 방향으로부터 추 각각 북아메리카와 유라시아 대륙 중 하나이다.
정한 지리상 북극이고, 실제 진북은 변하지 않았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과거에는 두 개의 자기 북극이 존재했다.

기 ㄴ. 대서양은 점점 넓어졌다.
ㄱ. 3억 년 전에는 두 개의 지자기 북극이 존재했다. ㄷ. A는 유라시아 대륙이다.

기 ㄴ. A 지점에서 측정한 복각의 크기는 1억 년 전이 2억 년
전보다 크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ㄷ. (가)와 (나)를 통해 대륙이 이동했음을 알 수 있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58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10 010. 고지자기와 대륙 이동 11 011. 고지자기와 대륙 이동

그림 (가)는 잔류 자기를 이용하여 과거의 지자기 북극을 찾는 그림 (가)는 과거 어느 시점에 대륙 A, B의 위치와 대륙 A의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나)는 유럽과 북아메리카 이동 방향을, (나)는 현재 대륙 A, B의 위치와 대륙 A에서 측
대륙에서 측정한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 정한 겉보기 자북극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것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ㄱ. 대륙을 이동시킨 원동력은 맨틀 대류이다.
것은? 보
기 ㄴ. (가) → (나) 기간 동안 대륙의 평균 이동 속도는 A가 B
보다 빠르다.
ㄱ. 같은 시기에 하나의 대륙에서 형성된 잔류 자기의 방향은
보 ㄷ. (가) → (나) 기간 동안 대륙 A와 B에서 측정한 겉보기
기 한 점으로 수렴된다.
자북극의 이동 경로는 같다.
ㄴ. (가)에서 A와 B 대륙 사이에는 습곡 산맥이 형성된다.
ㄷ. (나)에서 3.5억 년 전 지자기 북극은 하나였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59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12 012. 고지자기와 대륙 이동 13 013. 고지자기와 대륙 이동

그림은 가상의 대륙 A의 현재 위치와 시기별 고지자기극의 위 그림은 6000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 인도 대륙의 고지자기 방
치를 나타낸 것이다. 고지자기극은 고지자기 방향으로부터 추 향으로 추정한 지리상 북극의 위치 변화를 현재 인도 대륙의
정한 지리상 북극이고, 지리상 북극은 변하지 않았다. 현재 지 위치를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기간 동안 실제 지리상 북
자기 북극은 지리상 북극과 일치한다. 극의 위치는 변하지 않았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것은?

ㄱ. A의 평균 이동 속도는 2억 년 전 ~ 1억 년 전이 3억 년
보 ㄱ. 이 기간 동안 인도 대륙의 이동 속도는 계속 빨라졌다.
전 ~ 2억 년 전보다 크다. 보
기 ㄴ. 인도 대륙은 6000만 년 전~4000만 년 전에 적도 부근에

ㄴ. 3억 년 전부터 1억 년 전까지 A는 북쪽으로 이동하였다.
위치하였다.
ㄷ. A에서 측정한 복각의 크기는 3억 년 전이 2억 년 전보다
ㄷ. 4000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 인도 대륙에서 고지자기 복
작다.
각의 크기는 계속 작아졌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60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14 014. 고지자기와 대륙 이동 15 015. 고지자기

그림 (가)는 어느 화산암체에 대한 고지자기 및 절대 연령 측 그림은 위도 50°S에 위치한 어느 해령 부근의 고지자기 분포


정 결과이고, (나)는 최근 360만 년 동안의 고지자기 연대표 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다.

지역 A와 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에서 고지자기 방향은 남쪽을 가리킨다.



기 ㄴ. 고지자기 복각은 A가 B보다 크다.
ㄷ. A는 B보다 저위도에 위치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화산암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A가 형성될 당시에 이 화산암체는 남반구에 위치하였다.



기 ㄴ. B가 형성된 이후 이 화산암체는 북반구에서 남반구로 이동
하였다.
ㄷ. C가 형성된 이후 현재까지 역자극기는 3회 있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61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정답 및 해설 06. ④
ㄱ, ㄴ. 어느 시기이든 지자기 북극은 1개이므로 두 대륙의 지
01. ① 자기 북극을 일치시키면 과거의 대륙 분포를 알 수 있다.
ㄱ. 해령에서는 해양 지각이 생성되어 확장되므로 해령에서 해 1억 년 전 두 대륙의 지자기 북극을 일치시키면 유럽 대륙
양 지각의 나이는 0이고, 해령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해양 과 북아메리카 대륙은 현재보다 가까이 위치하며 대서양은
지각의 나이는 증가한다. 따라서 해령은 C에 위치한다. 현재보다 좁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근 1억 년 동안
ㄴ. 해령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해저 퇴적물의 두께는 두꺼워진다. 대서양은 넓어졌다.
해령으로부터의 거리 ㄷ.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 측정한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ㄷ. 판의 평균 이동 속도는  로 구할
해양 지각의 나이 경로를 통해 대륙이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수 있다. B와 D의 해양 지각은 나이가 200만 년으로 같
고 해령으로부터의 거리는 B가 D보다 가까우므로 판의 평 07. ④
균 이동 속도는 B가 속한 판이 D가 속한 판보다 느리다. ㄱ. 현재와 같이 과거에도 자기 북극은 하나였다.
ㄴ. 북아메리카 대륙과 유라시아 대륙은 붙어 있었던 적이 있
02. ② 으므로 두 대륙에서 연속적인 지질 구조가 분포할 수 있다.
ㄱ. 해령으로부터 같은 거리에서 수심은 (가)보다 (나)가 깊다. ㄷ. 암석의 잔류 자기를 이용한 고지자기 자극 이동 경로 연구
따라서 해령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수심 변화도 (가)보다 를 통해 대륙이 이동했음을 알 수 있다.
(나)가 크다.
ㄴ. 같은 시간 동안 해양 지각이 해령으로부터 이동한 거리가 (나) 08. ④
보다 (가)에서 크므로 확장 속도는 (나)보다 (가)가 빠르다. ㄱ. 지자기 북극은 과거에도 현재에도 하나이다.
ㄷ. 해령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해양 퇴적물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ㄴ. 고지자기극과 대륙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고지자기 복
따라서 해양 퇴적물의 두께는 A보다 B에서 두껍다. 각의 크기가 크므로 A 지점에서 측정한 복각의 크기는 1
억 년 전이 2억 년 전보다 크다.
03. ③ ㄷ. 유럽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측정한 겉보기 극 이동
ㄱ. 해령에서 생성된 해양 지각이 양쪽으로 확장되는 과정에서 경로가 현재 일치하지 않는 것은 대륙이 이동하였기 때문
정자극기에 생성된 암석과 역자극기에 생성된 암석이 반복 이다. 따라서 (가)와 (나)를 통해 대륙이 이동했음을 알 수
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고지자기 분포는 해령을 중심으로 있다.
대칭적이다.
ㄴ. 해령에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어 양쪽으로 확장되므로 09. ④
해양 지각의 암석 연령은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한다. ㄱ, ㄴ. 어느 시기든 지자기 북극은 하나이다. 두 대륙에서 측
ㄷ. A 지점의 암석과 B 지점의 암석은 각각 태평양과 대서양 정한 과거의 자기 북극의 이동 경로가 일치하지 않는 것은
의 해령에서 생성되어 이동해 온 것이다. 태평양의 해령에 과거의 수륙 분포가 현재와 같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따라
서 생성된 지각이 A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 암석의 연령 서 현재는 A와 B 대륙이 (가)와 같이 서로 떨어진 상태이
이 같은 대서양의 해령에서 생성된 지각은 B 지점까지 이 지만 자기 북극 이동 경로를 일치시켜보면 과거에는 두 대
동하였으므로 지각의 이동 속도는 태평양 지역이 대서양 륙이 (나)와 같이 붙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대
지역보다 빠르다. 륙 사이에 발산형 경계가 존재하고 있어 두 대륙은 멀어지
게 되면서 대서양이 점점 넓어졌다.
04. ④ ㄷ. (나)에서 자극의 이동 경로가 일치되려면 A는 유라시아 대
ㄱ. (가)에서 해양 지각의 나이에 따른 해령으로부터의 거리 륙, B는 북아메리카 대륙이어야 한다.
변화는 태평양이 대서양보다 크기 때문에 태평양이 대서양
보다 해양저의 확장 속도가 빠르다. 010. ③
ㄴ. (나)에서 해양 지각의 나이가 많아질수록 그래프의 기울기 ㄱ. (가)에서 현재 측정한 잔류 자기를 보면 같은 대륙에서 형
가 점차 완만해지는 것으로 보아 해양저의 침강 속도는 해 성된 잔류 자기의 방향이 한 점으로 수렴되는 것을 알 수
양 지각의 나이가 많을수록 느려진다. 있다. 같은 시기에 형성된 잔류 자기의 방향은 그 당시의
ㄷ. 해양저의 침강 속도는 해양 지각의 나이에 따른 해령 정상 자극을 향한다.
으로부터의 깊이 변화량을 통해 알 수 있다. (나)에서 태평 ㄴ. A와 B 대륙은 현재는 서로 떨어진 상태이고, 과거에는 두
양과 대서양의 분포가 유사하므로 해양저의 침강 속도는 대륙이 붙어 있었다. 두 대륙 사이에 발산형 경계가 있어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다. 두 대륙이 멀어지게 된 것이므로 A와 B 대륙 사이에는 해
령이 형성된다.
05. ④ ㄷ. 어느 시기이든 지자기 북극은 하나이다. (나)의 두 대륙에
ㄱ. 같은 지질 시대 동안에 지자기 북극이 두 곳일 수는 없다. 서 측정한 과거의 지자기 북극의 겉보기 이동 경로가 일치
ㄴ. 대서양은 아프리카 대륙과 아메리카 대륙이 멀어지면서 점 하지 않는 것은 과거의 수륙 분포가 현재와 같지 않았음을
점 확장되어왔다. 의미한다.
ㄷ. 고지자기 북극의 이동 경로를 통하여 대륙의 이동을 추정
할 수 있다.

62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Ⅰ 중단원별 추가 문제

011. ① 015. ①
ㄱ. 대륙은 맨틀 대류에 의해 이동한다. ㄱ. 현재 지자기 북극은 북반구에 위치하므로 50°S에 위치한
ㄴ. 같은 기간 동안 대륙 A보다 B의 변위가 크므로 평균 이동 지점에서 지자기 방향은 북쪽을 가리킨다. 역자극기에는 현
속도는 대륙 B가 더 빠르다. 재와 지자기 방향이 반대가 되므로 역자극기에 해당하는 A
ㄷ. 대륙 A, B의 이동 경로가 다르므로 겉보기 자북극의 이동 에서 고지자기 방향은 남쪽을 가리킨다.
경로도 다르다. ㄴ. 해령으로부터의 거리와 고지자기 분포를 고려했을 때 A와
B는 같은 시기에 생성되었다. 따라서 고지자기 복각은 A와
012. ④ B가 같다.
ㄱ. 시기별 고지자기극의 위치가 다른 것은 지괴의 이동에 의 ㄷ. 정자극기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고지자기의 방향이 그림의
한 것이므로 시간에 따른 고지자기극의 위치 변화가 클수 오른쪽을 가리키고 있으므로 오른쪽이 북쪽이며, A는 B보
록 지괴의 평균 이동 속도가 크다. 따라서 A의 평균 이동 다 남쪽에 위치한다. 남반구에서는 남쪽으로 갈수록 위도가
속도는 3억 년 전~2억 년 전이 2억 년 전~1억 년 전보다 높아지므로 A는 B보다 고위도에 위치한다.
크다.
ㄴ. 3억 년 전부터 1억 년 전까지 A와 고지자기극 사이의 거
리가 가까워진 것으로 보아 A는 북쪽으로 이동하였다.
ㄷ. 3억 년 전 고지자기극과 A 사이의 각거리는 75°이므로 3
억 년 전 A의 위도는 15°N이다. 그리고 2억 년 전 고지
자기극과 A 사이의 각거리는 약 53°이므로 2억 년 전 A
의 위도는 약 37°N이다. 저위도일수록 복각의 크기가 작
으므로 A에서 측정한 복각의 크기는 3억 년 전이 2억 년
전보다 작다.

013. ②
ㄱ. 이 기간 동안 약 2000만 년 간격으로 인도 대륙이 이동한
거리가 짧아졌으므로 인도 대륙의 이동 속도는 느려졌다.
ㄴ. 인도 대륙은 6000만 년 전에는 적도 부근 남반구에,
4000만 년 전에는 적도 부근 북반구에 위치하였다.
ㄷ. 고지자기 복각의 크기는 고지자기 방향으로부터 추정한 지
리상 북극과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4000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 인도 대륙은 고지자기 방향으로부터 추정한 지리
상 북극과의 거리가 가까워졌으므로 고지자기 복각의 크기
는 커졌다.

014. ③
ㄱ. 화산암체에 기록된 고지자기는 암석 생성 당시 지구 자기장
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것이다. 현재는 정자극기로, 자기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에 위치한 지역에서는 나침반의 N극
자침이 수평면보다 아래쪽으로 내려가는데 이때의 복각을
양(+)의 값으로 나타낸다. 역자극기는 자극의 위치가 반대
가 되는 시기로 자북극이 남반구에 위치하고, 자남극이 북
반구에 위치하는 시기이므로 자기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에
위치한 지역에서는 나침반 N극 자침이 수평면보다 위로 올
라가 북반구에서는 복각이 음(-)의 값으로 표시된다. A는
정자극기에 형성되었고, 복각이 음(-)의 값을 가지기 때문
에 A가 형성될 당시에 이 화산암체는 남반구에 위치하였다.
ㄴ. B의 절대 연령은 126만 년이므로 역자극기에 형성된 화산
암이고, B에 기록된 복각이 양(+)의 값이므로 생성 당시
에 남반구에 위치하였다. 이후 A가 형성될 때도 이 지역은
남반구에 위치하였으며, 제시된 자료만으로는 화산암체가
북반구에서 남반구로 이동했다고 볼 수 있는 근거가 없다.
ㄷ. C의 절대 연령은 284만 년이므로 C가 생성될 당시는 정자
극기였고, 이후 현재까지 역자극기는 3회 있었다.

63 http://cafe.naver.com/ozearth OZ 지구과학Ⅰ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