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8

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1 2022-11-09 오후 1:26:27


정답과 풀이

05 (xÛ`+xy+yÛ`)+3(xy+yÛ`)
I. 다항식 =(xÛ`+xy+yÛ`)+(3xy+3yÛ`)
=xÛ`+(1+3)xy+(1+3)yÛ`

01 다항식의 연산 =xÛ`+4xy+4yÛ`
 xÛ`+4xy+4yÛ`


본문 7~9쪽
개념 확인하기
06 (2xÛ`+3x+1)-(xÛ`+2x)
01 3xÛ`+3x+5 02 2x+6 03 2xÛ`+2x+7 =(2-1)xÛ`+(3-2)x+1
04 3xÛ`+xy+4yÛ` 05 xÛ`+4xy+4yÛ` =xÛ`+x+1
 xÛ`+x+1
06 xÛ`+x+1 07 -xÛ`-2x+2


08 -3x-6 09 -2xy+2yÛ` 10 xÛ`-2
11 3xÛ`+2x+5 12 xÛ`-4x-3 07 (xÛ`+2)-2(xÛ`+x)
=(1-2)xÛ`-2x+2
13 -2x-2 14 3xÛ`+6x+9 15 xÜ`+3xÛ`+2x
=-xÛ`-2x+2
16 xÜ`+3xÛ`+5x+3 17 xÝ`+xÜ`+3xÛ`+x+2
 -xÛ`-2x+2
18 xÝ`+xÜ`+2xÛ`+5x+3 19 xÜ`+3xÛ`y+3xyÛ`+2yÜ`


20 xÜ`-x 21 xÜ`+4xÛ`+5x+2 22 xÛ`+3x+2
23 xÜ`+xÛ`+3x+3 24 xÜ`+xÛ`+4 08 3(xÛ`+x+1)-3(xÛ`+2x+3)
=(3xÛ`+3x+3)-(3xÛ`+6x+9)
25 xÛ`+yÛ`+2xy+2x+2y+1 =(3-3)xÛ`+(3-6)x+(3-9)
26 xÝ`+2xÜ`+3xÛ`+2x+1 =-3x-6
27 xÜ`+3xÛ`+3x+1 28 xÜ`-3xÛ`+3x-1  -3x-6

29 8xÜ`+12xÛ`+6x+1 30 xÜ`-6xÛ`y+12xyÛ`-8yÜ`
31 xÜ`+1 32 8xÜ`+1 33 xÜ`-1 34 xÜ`-8yÜ` 09 (2xÛ`+3yÛ`)-(2xÛ`+2xy+yÛ`)
35 18 36 7 37 몫: x-1, 나머지: 3 =(2-2)xÛ`-2xy+(3-1)yÛ`
38 몫: xÛ`-x+3, 나머지: 0 =-2xy+2yÛ`
39 몫: 3xÛ`+6x+13, 나머지: 26 40 몫: 4x-3, 나머지: 3  -2xy+2yÛ`

41 xÛ` 42 2xÜ`+3x+3
10 (3xÛ`+2y)-2(xÛ`+y+1)
01 (xÛ`+1)+(2xÛ`+3x+4) =(3-2)xÛ`+(2-2)y-2
=(1+2)xÛ`+3x+(1+4) =xÛ`-2
=3xÛ`+3x+5  xÛ`-2

 3xÛ`+3x+5

11 (A+B)+A
02 (xÛ`+3)+(-xÛ`+2x+3) =A+(B+A)
={1+(-1)}xÛ`+2x+(3+3) =A+(A+B)
=2x+6 =(A+A)+B
 2x+6 =2A+B

=2(xÛ`+1)+(xÛ`+2x+3)

03 (2x+3)+2(xÛ`+2) =3xÛ`+2x+5
=(2x+3)+(2xÛ`+4)  3xÛ`+2x+5

=2xÛ`+2x+(3+4)
=2xÛ`+2x+7
12 A+2(A-B)
 2xÛ`+2x+7 =A+(2A-2B)

=(A+2A)-2B
04 (xÛ`+yÛ`)+(2xÛ`+xy+3yÛ`) =3A-2B
=(1+2)xÛ`+xy+(1+3)yÛ` =3(xÛ`+1)-2(xÛ`+2x+3)
=3xÛ`+xy+4yÛ` =xÛ`-4x-3
 3xÛ`+xy+4yÛ`  xÛ`-4x-3


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2 2022-11-09 오후 1:26:27


13 2A-(A+B) 21 (x+1)(x+2)(x+1)
=2A+(-A-B) =(x+1)Û`(x+2)
=(2A-A)-B =(xÛ`+2x+1)(x+2)
=A-B =xÛ`(x+2)+2x(x+2)+(x+2)
=(xÛ`+1)-(xÛ`+2x+3) =xÜ`+4xÛ`+5x+2
=-2x-2  xÜ`+4xÛ`+5x+2


 -2x-2

22 A(B+C)-AC
14 A+2B-(A-B) =(AB+AC)-AC
=A+2B+(-A+B) =AB
=(A-A)+(2B+B) =(x+1)(x+2)
=3B =xÛ`+3x+2
=3(xÛ`+2x+3)  xÛ`+3x+2


=3xÛ`+6x+9
 3xÛ`+6x+9
23 A(B+C)-BA

=(AB+AC)-AB

15 (x+1)(xÛ`+2x) =AC
=x(xÛ`+2x)+(xÛ`+2x) =(x+1)(xÛ`+3)
=xÜ`+3xÛ`+2x =x(xÛ`+3)+(xÛ`+3)
 xÜ`+3xÛ`+2x =xÜ`+xÛ`+3x+3

 xÜ`+xÛ`+3x+3

16 (x+1)(xÛ`+2x+3)
=x(xÛ`+2x+3)+(xÛ`+2x+3) 24 (A+B)C-A(B+C)
=xÜ`+3xÛ`+5x+3 =(AC+BC)-(AB+AC)

 xÜ`+3xÛ`+5x+3 =BC-AB=BC-BA

=B(C-A)
=(x+2){(xÛ`+3)-(x+1)}
17 (xÛ`+1)(xÛ`+x+2) =(x+2)(xÛ`-x+2)
=xÛ`(xÛ`+x+2)+(xÛ`+x+2) =x(xÛ`-x+2)+2(xÛ`-x+2)
=xÝ`+xÜ`+3xÛ`+x+2 =xÜ`+xÛ`+4
 xÝ`+xÜ`+3xÛ`+x+2  xÜ`+xÛ`+4


18 (x+1)(xÜ`+2x+3) 25 (x+y+1)Û`
=x(xÜ`+2x+3)+(xÜ`+2x+3) =xÛ`+yÛ`+1Û`+2_x_y+2_y_1+2_1_x
=xÝ`+xÜ`+2xÛ`+5x+3 =xÛ`+yÛ`+1+2xy+2y+2x
 xÝ`+xÜ`+2xÛ`+5x+3 =xÛ`+yÛ`+2xy+2x+2y+1

 xÛ`+yÛ`+2xy+2x+2y+1

19 (x+2y)(xÛ`+xy+yÛ`)
=x(xÛ`+xy+yÛ`)+2y(xÛ`+xy+yÛ`) 26 (xÛ`+x+1)Û`
=(xÜ`+xÛ`y+xyÛ`)+(2xÛ`y+2xyÛ`+2yÜ`) =(xÛ`)Û`+xÛ`+1Û`+2_xÛ`_x+2_x_1+2_1_xÛ`
=xÜ`+3xÛ`y+3xyÛ`+2yÜ` =xÝ`+xÛ`+1+2xÜ`+2x+2xÛ`
 xÜ`+3xÛ`y+3xyÛ`+2yÜ` =xÝ`+2xÜ`+3xÛ`+2x+1

 xÝ`+2xÜ`+3xÛ`+2x+1

20 (x+1)x(x-1)
=x(x+1)(x-1) 27 (x+1)Ü`
=x(xÛ`-1) =xÜ`+3_xÛ`_1+3_x_1Û`+1Ü`
=xÜ`-x =xÜ`+3xÛ`+3x+1
 xÜ`-x  xÜ`+3xÛ`+3x+1


정답과 풀이 3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3 2022-11-09 오후 1:26:27


28 (x-1)Ü` 37 x+2 x-1
=xÜ`-3_xÛ`_1+3_x_1Û`-1Ü` <Ô xÛ`2+x+1
=xÜ`-3xÛ`+3x-1 ³ xÛ`+2x
 xÜ`-3xÛ`+3x-1 xÛ`2-x+1
³ xÛ`2-x-2

xÛ`2-x-3
29 (2x+1)Ü` 따라서 몫은 x-1, 나머지는 3이다.
=(2x)Ü`+3_(2x)Û`_1+3_(2x)_1Û`+1Ü`  몫: x-1, 나머지: 3


=8xÜ`+12xÛ`+6x+1
 8xÜ`+12xÛ`+6x+1
38 x+1 xÛ`-x+3

<Ô xÜ`-xÛ`+2x+3
30 (x-2y)Ü` ³ xÜ`+xÛ`
=xÜ`-3_xÛ`_(2y)+3_x_(2y)Û`-(2y)Ü` xÛ`-xÛ`+2x+3
=xÜ`-6xÛ`y+12xyÛ`-8yÜ` ³ xÛ`-xÛ`2-x
 xÜ`-6xÛ`y+12xyÛ`-8yÜ` xÛ`-xÛ`+3x+3

³ xÛ`-xÛ`+3x+3

31 (x+1)(xÛ`-x+1) 0
따라서 몫은 xÛ`-x+3, 나머지는 0이다.
=xÜ`+1Ü`
 몫: xÛ`-x+3, 나머지: 0
=xÜ`+1

 xÜ`+1

39 x-2 3xÛ`+6x+13
<Ô 3xÜ`+6xÛ`-+x
32 (2x+1)(4xÛ`-2x+1) ³ 3xÜ`-6xÛ`
=(2x+1){(2x)Û`-2x+1}
3xÜ`+6xÛ`-+x
=(2x)Ü`+1Ü`
³ 3xÜ`+6xÛ`-12x
=8xÜ`+1
3xÜ`+bxÛ`+13x
 8xÜ`+1
³ 3xÜ`+bxÛ`+13x-26

26
33 (x-1)(xÛ`+x+1) 따라서 몫은 3xÛ`+6x+13, 나머지는 26이다.
=xÜ`-1Ü`  몫: 3xÛ`+6x+13, 나머지: 26

=xÜ`-1
 xÜ`-1
40 xÛ`+x+1 4x-3

<Ô 4xÜ`4+xÛ`4+x
34 (x-2y)(xÛ`+2xy+4yÛ`) ³ 4xÜ`+4xÛ`+4x
=(x-2y){xÛ`+x_(2y)+(2y)Û`} 4xÜ`-3xÛ`-3x
=xÜ`-(2y)Ü` ³ 4xÜ`-3xÛ`-3x-3
=xÜ`-8yÜ` 3
 xÜ`-8yÜ` 따라서 몫은 4x-3, 나머지는 3이다.

 몫: 4x-3, 나머지: 3

35 xÜ`+yÜ`
=(x+y)Ü`-3xy(x+y) 41 A=(x+1)(x-1)+1
‌
=3Ü`-3_1_3 =(xÛ`-1)+1
=27-9=18 =xÛ`
 18  xÛ`


36 xÛ`+yÛ`+zÛ` 42 A=(xÛ`+1)(2x)+(x+3)
‌
=(x+y+z)Û`-2(xy+yz+zx) =(2xÜ`+2x)+(x+3)
=3Û`-2_1=7 =2xÜ`+3x+3
7  2xÜ`+3x+3


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4 2022-11-09 오후 1:26:28


유형 완성하기
본문 10~23쪽
04 A=xÛ`+ax+b, B=axÛ`+bx+a에서
A+B=(a+1)xÛ`+(a+b)x+(a+b)
01 ① 02 ④ 03 ④ 04 ③ 05 ⑤ A-B=(1-a)xÛ`+(a-b)x+(b-a)
06 ⑤ 07 ② 08 ② 09 ④ 10 ② 이때 A+B, A-B의 일차항의 계수가 각각 1, 3이므로
11 ④ 12 ① 13 ② 14 ⑤ 15 ④ a+b=1, a-b=3
16 ⑤ 17 ② 18 ④ 19 ① 20 ②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21 ③ 22 ③ 23 ① 24 ① 25 ④ a=2, b=-1
26 ② 27 ① 28 ① 29 ③ 30 ③ 그러므로

31 ④ 32 ① 33 ② 34 ④ 35 ⑤ A=xÛ`+2x-1, B=2xÛ`-x+2
따라서
36 ③ 37 ④ 38 ④ 39 ② 40 9
A+(2a+3b)B=A+B
41 ③ 42 ④ 43 ④ 44 ③ 45 10

‌
=(xÛ`+2x-1)+(2xÛ`-x+2)
46 ③ 47 ② 48 ③ 49 ① 50 ②
=3xÛ`+x+1
51 ③ 52 ① 53 ① 54 ② 55 8 이므로 각 항의 계수와 상수항 중 가장 큰 값은 3이다.
56 ① 57 ⑤ 58 ② 59 ④ 60 43 ③


61 ④ 62 12 63 5 64 ② 65 ①
66 ① 67 ⑤ 68 ⑤ 69 ③ 70 ③
71 ②
05 두 다항식 A, B는 각각 x 2n
, xn+2을 포함하므로 다음 각 경우로
나눌 수 있다.
01 A=xÛ`+2x+a, B=axÛ`+ax+2에서 Ú 2n>n+2일 때,
A+B=(xÛ`+2x+a)+(axÛ`+ax+2) Ú n>2
‌
=(a+1)xÛ`+(a+2)x+a+2 Ú 이때 x2n은 6차 이상이고 xn+2은 5차 이상이며 차수가 다르므로 다
‌
x의 계수가 3이므로 항식 A-B의 차수는 6 이상이다.
a+2=3, a=1 Û 2n=n+2일 때,
따라서 A=xÛ`+2x+1, B=xÛ`+x+2이므로 Ú n=2
A-B=(xÛ`+2x+1)-(xÛ`+x+2) Ú 이때 A=xÝ`+2xÛ`+1, B=xÝ`+2x+2이므로
‌
=x-1 Ú A-B=2xÛ`-2x-1
① Ú 그러므로 조건을 만족시킨다.

Ü 2n<n+2일 때,
Ú n=1
Ú 이때 A=xÛ`+xÛ`+1, B=xÜ`+2x+1
Ú 이므로 A-B의 차수는 3이다.
02 다항식 A의 x의 계수가 -2, 다항식 B의 x의 계수가 3이므로 Ú, Û, Ü에서 A=xÝ`+2xÛ`+1, B=xÝ`+2x+2이므로
A+2B의 x의 계수는
A+B=2xÝ`+2xÛ`+2x+3
(-2)+2_3=4
따라서 최고차항의 계수와 상수항의 합은
④
2+3=5

⑤

03 A+kB의 일차항의 계수가 -3이고 A, kB의 일차항의 계수가 06 A-(2 100
-1)(A+B)+(2100+1)(B+A)
각각 3, -3k이므로 =A-(2100-1)(A+B)+(2100+1)(A+B)
3+(-3k)=-3 =A+{-(2100-1)+(2100+1)}(A+B)
3k=6, k=2 =A+2(A+B)
따라서 =3A+2B
2A+B=2(2xÛ`+3x)+(xÜ`+2xÛ`-3x+4) =3(2xÛ`+x+1)+2(-xÛ`+2x+3)
‌
=(4xÛ`+6x)+(xÜ`+2xÛ`-3x+4) =(6xÛ`+3x+3)+(-2xÛ`+4x+6)
=xÜ`+(4+2)xÛ`+{6+(-3)}x+4 ={6+(-2)}xÛ`+(3+4)x+(3+6)
=xÜ`+6xÛ`+3x+4 =4xÛ`+7x+9
④ ⑤


정답과 풀이 5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5 2022-11-09 오후 1:26:28


07 2(A+B)-(A-B) 12 X+A=2(X+B)에서
=(2A+2B)+(-A+B) X+A=2X+2B
=A+3B 따라서
=(3xÛ`+2x+1)+3(-xÛ`+2x+3) X=A-2B
=(3xÛ`+2x+1)+(-3xÛ`+6x+9) X=(xÛ`+x+1)-2(3xÛ`-2)
={3+(-3)}xÛ`+(2+6)x+(1+9) X=(xÛ`+x+1)+(-6xÛ`+4)
=8x+10 X={1+(-6)}xÛ`+x+(1+4)
② X=-5xÛ`+x+5

①
08 A+B+A-2B+A+3B


=(1+1+1)A+{1+(-2)+3}B
=3A+2B
=3(xÛ`+2)+2(2x+3) 13 X+Y=xÛ`+2x+3
=(3xÛ`+6)+(4x+6) X-Y=3xÛ`+4x+1
=3xÛ`+4x+12 두 식을 변끼리 더하면
② 2X=4xÛ`+6x+4

X=2xÛ`+3x+2
09 2(A+B)-(B-2C) 이때
=(2A+2B)+(-B+2C) Y=(xÛ`+2x+3)-X
=2A+(2B-B)+2C Y=(xÛ`+2x+3)-(2xÛ`+3x+2)
=2A+B+2C Y=(1-2)xÛ`+(2-3)x+(3-2)
=2A+(B+2C) Y=-xÛ`-x+1
=2(xÛ`+1)+(2xÛ`+x+3) 따라서
=(2xÛ`+2)+(2xÛ`+x+3) X+2Y=(2xÛ`+3x+2)+2(-xÛ`-x+1)
=(2+2)xÛ`+x+(2+3) X+2Y=(2xÛ`+3x+2)+(-2xÛ`-2x+2)
=4xÛ`+x+5 X+2Y={2+(-2)}xÛ`+{3+(-2)}x+(2+2)
④ X+2Y=x+4

그러므로 최고차항은 x이다.
10 '2(A+'2B)-{ '2-1 A+B}
1
②

'2+1
=('2A+2B)-[ A+B]
('2-1)('2+1)
=('2A+2B)-{('2+1)A+B}
=-A+B 14 X+2Y=xÛ`+3 yy ㉠
=-(xÛ`+2x+1)+(2xÛ`-x+3) 3X-4Y=13xÛ`+10x-1 yy ㉡
=(-xÛ`-2x-1)+(2xÛ`-x+3) ㉠의 양변에 2를 곱하면
={(-1)+2}xÛ`+{(-2)+(-1)}x+{(-1)+3} 2X+4Y=2xÛ`+6 yy ㉢
=xÛ`-3x+2 ㉡과 ㉢을 변끼리 더하면
따라서 각 항의 계수와 상수항은 각각 1, -3, 2이므로 가장 큰 값은 2 5X=15xÛ`+10x+5
이다. X=3xÛ`+2x+1
  
② 이때 ㉠에서

2Y=(xÛ`+3)-X
11 A+X=2A+B에서 2Y=(xÛ`+3)-(3xÛ`+2x+1)
X=(2A+B)-A 2Y=-2xÛ`-2x+2
‌
=(B+2A)-A 즉, Y=-xÛ`-x+1 이므로
=B+(2A-A) X+Y=(3xÛ`+2x+1)+(-xÛ`-x+1)
‌
=B+A ={3+(-1)}xÛ`+{2+(-1)}x+(1+1)
=(2xÛ`+3)+(xÛ`+2x+3) =2xÛ`+x+2
=(2+1)xÛ`+2x+(3+3) 따라서 모든 항의 계수와 상수항의 합은
=3xÛ`+2x+6 2+1+2=5
④ ⑤


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6 2022-11-09 오후 1:26:28


15 X+Y=xÛ`+x+3 yy ㉠ 19 (x+1)(xÛ`+2x+3)

  
X-kY=-xÛ`-x+1 =x(xÛ`+2x+3)+(xÛ`+2x+3)
위의 두 식을 변끼리 빼면 이때 x(xÛ`+2x+3), xÛ`+2x+3에서 xÛ`항은 차례로 2xÛ`, xÛ`이므로
(k+1)Y=2xÛ`+2x+2 yy ㉡ (x+1)(xÛ`+2x+3)에서 xÛ`항은 3xÛ`이다.

  
다항식 Y의 일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또, 2(xÜ`+xÛ`+x+1)에서 xÛ`항은 2xÛ`이다.
(k+1)_(-1)=2, k=-3 따라서 xÛ`의 계수는
k=-3을 ㉡에 대입하면 3+2=5
-2Y=2xÛ`+2x+2 ①


Y=-xÛ`-x-1
이때 ㉠에서 20 모든 항의 계수와 상수항의 합은 다항식에 x=1을 대입한 것과
X=(xÛ`+x+3)-Y 같으므로
X=(xÛ`+x+3)-(-xÛ`-x-1) (1-2+a)(1+3-1)=6
X=(xÛ`+x+3)+(xÛ`+x+1) (a-1)_3=6
X=(1+1)xÛ`+(1+1)x+(3+1) a-1=2, a=3
X=2xÛ`+2x+4 그러므로 주어진 다항식은
따라서 X의 최고차항의 계수와 Y의 최고차항의 계수의 곱은 (xÛ`-2x+3)(xÛ`+3x-1)
2_(-1)=-2 =xÛ`(xÛ`+3x-1)+(-2x)(xÛ`+3x-1)+3(xÛ`+3x-1)
④ 이때 xÛ`항은 차례로 -xÛ`, -6xÛ`, 3xÛ`이므로 xÛ`의 계수는

(-1)+(-6)+3=-4
②

16 (xÛ`+2x+3)(xÛ`+x+4) 21 ;3!;AB+;3@;BA
=xÛ`(xÛ`+x+4)+2x(xÛ`+x+4)+3(xÛ`+x+4) =;3!;AB+;3@;AB
이때 xÛ`(xÛ`+x+4), 2x(xÛ`+x+4), 3(xÛ`+x+4)에서 xÛ`항은 차례
=AB
로 4xÛ`, 2xÛ`, 3xÛ`이므로 xÛ`의 계수는
=(x+1)(xÛ`+2x-1)
4+2+3=9
=x(xÛ`+2x-1)+(xÛ`+2x-1)
⑤
=xÜ`+3xÛ`+x-1

③

22 A+AB+2BA
17 (x+1)(x-1)(xÛ`+2x+3) =A+AB+2AB
=(xÛ`-1)(xÛ`+2x+3) =A+3AB
=xÛ`(xÛ`+2x+3)+(-1)(xÛ`+2x+3) =A(1+3B)
이때 xÛ`(xÛ`+2x+3), (-1)(xÛ`+2x+3)에서 xÛ`항은 차례로 3xÛ`, =(x+1)_[1+3{x-;3!;}]
-xÛ`이므로 xÛ`의 계수는
=(x+1)(3x)
3+(-1)=2
=3xÛ`+3x
②
따라서 일차항의 계수는 3이다.

③

23 AB+CA=AB+AC
‌
18 (x+1)(xÛ`+2x+3)(xÜ`+2xÛ`+3x+4) =A(B+C)
={x(xÛ`+2x+3)+(xÛ`+2x+3)}(xÜ`+2xÛ`+3x+4) =(xÛ`+x)(x+1)
=(xÜ`+3xÛ`+5x+3)(xÜ`+2xÛ`+3x+4) =x(x+1)(x+1)
=xÜ`(xÜ`+2xÛ`+3x+4)+3xÛ`(xÜ`+2xÛ`+3x+4) =x(x+1)Û`
‌
+5x(xÜ`+2xÛ`+3x+4)+3(xÜ`+2xÛ`+3x+4) =x(xÛ`+2x+1)
이때 위의 식에서 xÜ`항은 차례로 4xÜ`, 9xÜ`, 10xÜ`, 3xÜ`이므로 xÜ`의 계수 =xÜ`+2xÛ`+x
는 4+9+10+3=26 따라서 x의 계수는 1이다.
④ ①


정답과 풀이 7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7 2022-11-09 오후 1:26:29


24 A(A+B)-(A-B)A 이 다항식의 차수는 3, 일차항의 계수는 2이므로
=(AÛ`+AB)-(AÛ`-BA) n=3, a=2
=AB+BA 따라서 n+a=3+2=5
=AB+AB ①


=2AB
=2(xÛ`+xy+yÛ`)(xÛ`-xy-2yÛ`)
=2xÛ`(xÛ`-xy-2yÛ`)+2xy(xÛ`-xy-2yÛ`)
29 AB+3BA=AB+3AB=4AB이고
(A+B)Û`-(A-B)Û`=4AB이므로
‌
+2yÛ`(xÛ`-xy-2yÛ`)
4AB=(xÝ`+4xÜ`+10xÛ`+12x+9)-(x+1)Û`
이때 위의 식에서 xÛ`yÛ` 항은 차례로 -4xÛ`yÛ`, -2xÛ`yÛ`, 2xÛ`yÛ`이므로
4AB=(xÝ`+4xÜ`+10xÛ`+12x+9)-(xÛ`+2x+1)
xÛ`yÛ`의 계수는
4AB=xÝ`+4xÜ`+9xÛ`+10x+8
(-4)+(-2)+2=-4
따라서
①
AB+3BA=4AB

AB+3BA=xÝ`+4xÜ`+9xÛ`+10x+8

25 A(B+3C)+(B-C)A 그러므로 일차항의 계수는 10이다.


=A(B+3C)+A(B-C) ③


=A{(B+3C)+(B-C)}
=2A(B+C)
=2(x+1){(xÛ`+x+1)+(xÛ`-x+1)}
30 X+4BÛ`=(A+B)(A-2B)에서
X+4BÛ`=AÛ`-AB-2BÛ`
=4(x+1)(xÛ`+1)
X=AÛ`-AB-6BÛ`
=4{x(xÛ`+1)+(xÛ`+1)}
이때 다항식은 곱셈에 대한 교환법칙이 성립하므로
=4xÜ`+4xÛ`+4x+4
X=(A+2B)(A-3B) yy ㉠
따라서 xÛ`의 계수와 x의 계수의 합은
이때
4+4=8
A+2B=xÛ`+2 yy ㉡
④
2A-B=x-1 yy ㉢

이므로 ㉢에서 ㉡을 빼면

26 AÛ`+AB+BA+BÛ` A-3B=-xÛ`+x-3 yy ㉣
=AÛ`+AB+AB+BÛ` ㉠에 ㉡과 ㉣을 대입하면
=AÛ`+2AB+BÛ` X=(xÛ`+2)(-xÛ`+x-3)
=(A+B)Û` X=-xÝ`+xÜ`-5xÛ`+2x-6
=(xÛ`+3x)Û` 따라서 X의 삼차항의 계수와 일차항의 계수의 합은
=(xÛ`)Û`+2_xÛ`_3x+(3x)Û` 1+2=3
=xÝ`+6xÜ`+9xÛ` ③

따라서 삼차항의 계수는 6이다.
②
31 AÛ`BÛ`=AABB

‌
=ABAB
27 AÛ`-BÛ` =(AB)Û`
=(A+B)(A-B) =(xÛ`-1)Û`
=(xÛ`+1)(x+2) =(xÛ`)Û`-2_xÛ`_1+1Û`
=xÛ`(x+2)+(x+2) =xÝ`-2xÛ`+1
=xÜ`+2xÛ`+x+2 따라서 이차항의 계수는 -2이다.
따라서 일차항의 계수는 1이다. ④

①

32 AÛ`BC=AABC
‌
28 AÛ`+3AB+2BÛ` =ABAC
=(A+B)(A+2B) =(xÛ`+3x+2)(xÛ`-x-2)
=(x+3)(xÛ`+2) =xÛ`(xÛ`-x-2)+3x(xÛ`-x-2)+2(xÛ`-x-2)
=x(xÛ`+2)+3(xÛ`+2) 위에서 xÛ`항은 차례로
=xÜ`+3xÛ`+2x+6 -2xÛ`, -3xÛ`, 2xÛ`

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8 2022-11-09 오후 1:26:29


따라서 xÛ`의 계수는
39 (xÛ`+x+2)(xÛ`+x+1)-(xÛ`+x+1)
(-2)+(-3)+2=-3 ={(xÛ`+x+1)+1}(xÛ`+x+1)-(xÛ`+x+1)
① ={(xÛ`+x+1)Û`+(xÛ`+x+1)}-(xÛ`+x+1)

=(xÛ`+x+1)Û`
33 A(B+2)Û`A=AÛ`(B+2)Û` =xÝ`+xÛ`+1Û`+2xÛ`_x+2x_1+2_1_xÛ`
‌
={A(B+2)}Û` =xÝ`+2xÜ`+3xÛ`+2x+1
=(AB+2A)Û` 따라서 차수가 2 이상인 항은 xÝ`, 2xÜ`, 3xÛ`이므로 계수의 합은
=(xÛ`+x)Û` 1+2+3=6
=xÝ`+2xÜ`+xÛ` ②


따라서 xÜ`의 계수는 2이다.
② 40 (x m
+xn+2)Û`

=x +x2n+4+2xm+n+4xn+4xm
2m

34 (AB)Û`+(AC)Û` 이때 m>n이므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AÛ`BÛ`+AÛ`CÛ` (xm+xn+2)Û`
=AÛ`(BÛ`+CÛ`) =x2m+2xm+n+x2n+4xm+4xn+4 yy ㉠

  
=(x+1)Û`(2xÛ`+2) 조건 (가)에서 P(x)의 서로 다른 항의 개수는 5이고 m>n이므로
=(xÛ`+2x+1)(2xÛ`+2) m=2n
=xÛ`(2xÛ`+2)+2x(2xÛ`+2)+(2xÛ`+2) 이때 ㉠은
=2xÝ`+4xÜ`+4xÛ`+4x+2 (xm+xn+2)Û`
따라서 xÜ`의 계수는 4이다. =x4n+2x3n+x2n+4x2n+4xn+4
④ =x4n+2x3n+5x2n+4xn+4

이때 조건 (나)에서 x6의 계수가 5이므로
2n=6, n=3
35 (AB+1)Û`-AÛ`BÛ` m=2n=6이므로
={(AB)Û`+2AB+1}-AÛ`BÛ`
m+n=6+3=9
=(AÛ`BÛ`+2AB+1)-AÛ`BÛ`
9
=2AB+1

=2(x+2)(xÛ`+x+1)+1
따라서 상수항은 41 (x+y)Ü`+(x-2y)Ü`
=(xÜ`+3xÛ`y+3xyÛ`+yÜ`)+(xÜ`-6xÛ`y+12xyÛ`-8yÜ`)
2_2_1+1=5
=2xÜ`-3xÛ`y+15xyÛ`-7yÜ`
⑤

따라서 계수가 양수인 항은 2xÜ`, 15xyÛ`이므로 계수의 합은
2+15=17
36 (x+2y+3z)Û` ③

=xÛ`+(2y)Û`+(3z)Û`+2_x_2y+2_2y_3z+2_3z_x
=xÛ`+4yÛ`+9zÛ`+4xy+12yz+6zx
따라서 계수가 5 이상인 항은 9zÛ`, 12yz, 6zx로 3개이다.
42 (x+'2)Ü`(x-'2)Ü`
=(xÛ`-2)Ü`
③
=(xÛ`)Ü`-3_(xÛ`)Û`_2+3_xÛ`_2Û`-2Ü`

=x6-6xÝ`+12xÛ`-8
37 (x+y+z)Û`+(x+y)Û` 따라서 x6, xÛ`의 계수가 각각 1, 12로 양수이므로 계수가 양수인 항의
=(xÛ`+yÛ`+zÛ`+2xy+2yz+2zx)+(xÛ`+yÛ`+2xy) 모든 차수의 합은
=2xÛ`+2yÛ`+zÛ`+4xy+2yz+2zx 6+2=8
따라서 계수가 2인 서로 다른 항의 개수는 4이다. ④

④

43 (2-'3)Ü`
38 (x+y+z)Û`-(xy+z+1)Û` =2Ü`-3_2Û`_'3+3_2_('3)Û`-('3)Ü`
=xÛ`+yÛ`+zÛ`+2xy+2yz+2zx =8-12'3+18-3'3
=-(xÛ`yÛ`+zÛ`+1+2xyz+2z+2xy) =26-15'3
=-xÛ`yÛ`+xÛ`+yÛ`-2xyz+2yz+2zx-2z-1 따라서 p=26, q=-15이므로
따라서 서로 다른 항의 개수는 8이다. p+q=26+(-15)=11
④ ④


정답과 풀이 9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9 2022-11-09 오후 1:26:29


44 (x+2)Ý`-x(x+2)Ü` 따라서 차수가 5 이상인 모든 항의 계수의 합은
=(x+2)Ü`{(x+2)-x} 1+(-3)=-2
=2(x+2)Ü` ①


=2(xÜ`+3_xÛ`_2+3_x_2Û`+2Ü`)
=2(xÜ`+6xÛ`+12x+8) (2n+1)(4nÛ`-2n+1)-1
=2xÜ`+12xÛ`+24x+16 50 8
따라서 각 항의 계수와 상수항 중 가장 큰 값은 24이다. {(2n)Ü`+1}-1
=
③ 8

=nÜ`
이때 (10Û`)Ü`=10ß`이므로 이 값이 10ß` 이하가 되기 위한 n의 값은 1, 2,
45 (xÛ`+x+1)Ü`-(xÛ`-x-1)Ü` 3, y, 10Û`이다.
={xÛ`+(x+1)}Ü`-{xÛ`-(x+1)}Ü`
따라서 자연수 n의 개수는 10Û`이다.
이때 xÛ`=X, x+1=Y라 하면
②
(X+Y)Ü`-(X-Y)Ü`


=(XÜ`+3XÛ`Y+3XYÛ`+YÜ`)-(XÜ`-3XÛ`Y+3XYÛ`-YÜ`)
= 6 X 2 Y+2YÜ`
=6(xÛ`)Û`(x+1)+2(x+1)Ü`
51 (a+b)Û`+(b+c)Û`+(c+a)Û`
=2(aÛ`+bÛ`+cÛ`)+2(ab+bc+ca)
=(6x5+6xÝ`)+2(xÜ`+3xÛ`+3x+1)
=2{(a+b+c)Û`-2(ab+bc+ca)}+2(ab+bc+ca)
= 6 x5+ 6 xÝ`+ 2 xÜ`+6xÛ`+6x+2
=2(a+b+c)Û`-2(ab+bc+ca)
따라서 (가), (나), (다)에 알맞은 수는 각각 6, 2, 2이므로
=2_2Û`-2_1
a+b+c=6+2+2=10
=6
 10
③


46 (2x-4){(x+2)Û`-2x}
=2(x-2){(xÛ`+4x+4)-2x} 52 a+b+c='5, ab+bc+ca=-2이므로
=2(x-2)(xÛ`+2x+2Û`) (a+2b)Û`+(b+2c)Û`+(c+2a)Û`
=2(xÜ`-2Ü`) =5(aÛ`+bÛ`+cÛ`)+4(ab+bc+ca)
=2xÜ`-16 =5{(a+b+c)Û`-2(ab+bc+ca)}+4(ab+bc+ca)
③ =5(a+b+c)Û`-6(ab+bc+ca)

=5_('5)Û`-6_(-2)

47 (xÛ`-1)(xÛ`+x+1)(xÛ`-x+1) =25+12
=(x+1)(x-1)(xÛ`+x+1)(xÛ`-x+1) =37
={(x+1)(xÛ`-x+1)}{(x-1)(xÛ`+x+1)} ①

=(xÜ`+1)(xÜ`-1)
=x6-1
② 53 2b=b', 2c=c'이라 하면

a+2b+2c=5에서 a+b'+c'=5
ab'+b'c'+c'a=2ab+4bc+2ca
48 101_(10Ý`-10Û`+1)
‌
=2(ab+2bc+ca)
=(10Û`+1){(10Û`)Û`-10Û`+1Û`}
=2_1=2
=(10Û`)Ü`+1
따라서
=106+1
aÛ`+4bÛ`+4cÛ`
따라서 n=6, k=1이므로
=aÛ`+(b')Û`+(c')Û`
n+k=7
=(a+b'+c')Û`-2(ab'+b'c'+c'a)
③
=5Û`-2_2=25-4=21

①
49

(x-1)Ü`(xÛ`+x+1)Ü`
={(x-1)(xÛ`+x+1)}Ü`
=(xÜ`-1)Ü` 54 2(ab+bc+ca)=(a+b+c)Û`-(aÛ`+bÛ`+cÛ`)에서
=(xÜ`)Ü`-3_(xÜ`)Û`_1+3_xÜ`_1Û`-1Ü` 2(ab+bc+ca)=0Û`-24
=x9-3x6+3xÜ`-1 ab+bc+ca=-12

1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10 2022-11-09 오후 1:26:29


따라서
59 (x+y)Û`=xÛ`+yÛ`+2xy이고 x+y='7, xÛ`+yÛ`=5이므로
aÛ`bÛ`+bÛ`cÛ`+cÛ`aÛ` 7=5+2xy, xy=1
=(ab)Û`+(bc)Û`+(ca)Û` 따라서
=(ab+bc+ca)Û`-2(ab_bc+bc_ca+ca_ab) xÜ`+yÜ`=(x+y)Ü`-3xy(x+y)

‌
=(ab+bc+ca)Û`-2abc(a+b+c) =('7)Ü`-3_1_'7
=(-12)Û`-0 =4'7
=144 ④


②

55 세 모서리의 길이를 각각 a, b, c라 하면 겉넓이가 36이므로 60 -2y=z라 하면 x-2y=3, xy=1에서
2(ab+bc+ca)=36 yy ㉠
x+z=3, xz=-2xy= -2
또,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이 40이므로
따라서
4(a+b+c)=40
xÜ`-(2y)Ü`=xÜ`+zÜ`
a+b+c=10 yy ㉡

‌
=(x+z)Ü`-3xz(x+z)
㉠과 ㉡에서
=3Ü`-3_(-2)_3
aÛ`+bÛ`+cÛ`=(a+b+c)Û`-2(ab+bc+ca)
= 45
‌
=10Û`-36
따라서 a=-2, b=45이므로
=64
a+b=(-2)+45=43
따라서 AGÓ="ÃaÛ`+bÛ`+cÛ`='¶64=8
 43
8


56 xÝ`y+xyÝ`
=xy(xÜ`+yÜ`) 61 xÜ`+yÜ`=(x+y)Ü`-3xy(x+y)
=xy{(x+y)Ü`-3xy(x+y)} 이때 xÜ`+yÜ`=32이고 (x+y)Û`=-xy이므로

=(-1){2Ü`-3_(-1)_2} 32=(x+y)Ü`+3(x+y)Û`(x+y)

=(-1)_14 32=4(x+y)Ü`

=-14 (x+y)Ü`=8

① 따라서 (x+y)ß`=64

④

57 x=3+'3, y=3-'3이므로
x+y=(3+'3)+(3-'3)=6
xy=(3+'3)(3-'3)=3Û`-('3)Û`=6 62 ax+1과 xÛ`을 곱하면 2xÛ`+c
ax+1 <Ô 2xÜ`+xÛ`+4x+4

따라서 axÜ`+xÛ`
xÜ`+yÜ`=(x+y)Ü`-3xy(x+y) 이 식이 bxÜ`+xÛ`이므로 ³ bxÜ`+xÛ`
‌
=6Ü`-3_6_6 axÜ`+xÛ`=bxÜ`+xÛ`에서 2 4x+4
=6Û`(6-3) a=b
=108 이때 (2xÜ`+xÛ`)-(bxÜ`+xÛ`)=0이어야 하므로
⑤ b=2

즉, a=b=2
또, ac=4이어야 하고 a=2이므로 2xÛ`+2
2x+1 <Ô 2xÜ`+xÛ`+4x+4

xÛ` yÛ` xÜ`+yÜ`
58 y
+ =
x xy
c=2

(x+y)Ü`-3xy(x+y)
이때 ³ 2xÜ`+xÛ`
= dx+e=(2x+1)_2=4x+2 2 4x+4
xy
4Ü`-3_1_4 이므로 d=4, e=2 ³ 4x+2
=
1 따라서 4x+2
=52 a+b+c+d+e=2+2+2+4+2=12
②  12


정답과 풀이 11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11 2022-11-09 오후 1:26:30


63 다항식 3xÜ`-2xÛ`+3x+5를 다항식 xÛ`-x+2로 나누면 다음과 이때 Q(x)=xÛ`+4x+3, R(x)=-2x-3이므로
같다. Q(1)+R(2)=8+(-7)=1
3x+1 ①


xÛ`-x+2 <Ô 3xÜ`-2xÛ`+3x+5
³ 3xÜ`-3xÛ`+6x
2 2xÛ`-3x+5
67 다항식 P(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xÛ`-x+1, 나머지
가 3이므로
³ 2xÛ`2-x+2
P(x)=(x+1)(xÛ`-x+1)+3

‌
2 -2x+3
=(xÜ`+1)+3
따라서 a=3, b=1, c=-2, d=3이므로 =xÜ`+4
a+b+c+d=3+1+(-2)+3=5 따라서 P(1)=5
5 ⑤


64 다항식 xÜ`+3xÛ`+2x+1을 다항식 xÛ`+a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x+3
68 다항식 xà`+2x+3을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R(x)이
xÛ`+a <Ô xÜ`+3xÛ` (2-+2x+1
므로 몫을 Q(x)라 하면
xà`+2x+3=(xÛ`-1)Q(x)+R(x)
³ xÜ` (2-+ax
이때 R(x)=ax+b (a, b는 상수)로 놓을 수 있으므로

xÛ`+3xÛ`+(2-a)x+1
xà`+2x+3=(xÛ`-1)Q(x)+ax+b
³ xÛ`+3xÛ`+(2-a)x+3a
xà`+2x+3=(x+1)(x-1)Q(x)+ax+b yy ㉠
xÛ`+3xÛ`+(2-a)x+1-3a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이때 위에서 구한 나머지와 x+b가 같아야 하므로
6=a+b yy ㉡
(2-a)x+1-3a=x+b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a=1, 1-3a=b
0=-a+b yy ㉢
a=1, b=-2
㉡, ㉢을 연립하여 풀면
따라서 a+b=1+(-2)=-1
a=3, b=3
②
따라서 R(x)=3x+3이므로

R(2)=6+3=9
65 다항식 2xÜ`-3xÛ`+ax+1을 xÛ`-x+b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⑤

2x-1
xÛ`-x+b <Ô 2xÜ`-3xÛ` 2+ax+1
³ 2xÜ`-2xÛ` +2bx 69 다항식 x 10
+ax+b를 xÛ`-x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2x+3
이므로 몫을 Q(x)라 하면
2xÛ`2-xÛ`+(a-2b)x+1
x10+ax+b=(xÛ`-x)Q(x)+2x+3 yy ㉠
³ 2xÛ`2-xÛ`+(a-2+x-b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a-2b-1)x+b+1
b=3 yy ㉡
이때 나머지가 0이어야 하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2b-1=0, b+1=0
1+a+b=5, a+b=4 yy ㉢
a=-1, b=-1
㉡을 ㉢에 대입하면 a=1
따라서 a+b=(-1)+(-1)=-2
따라서 ab=1_3=3
①

③

66 x(x+2)Ü`=xÝ`+6xÜ`+12xÛ`+8x, (x+1)Û`=xÛ`+2x+1
이므로 다항식 x(x+2)Ü`을 (x+1)Û`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70 다항식 P(x)를 xÛ`+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x+2, 나머지가
xÛ`+4x+3 x+3이므로
xÛ`+2x+1 <Ô xÝ`+6xÜ`+12xÛ`+8x P(x)=(xÛ`+x)(x+2)+x+3
³ xÝ`+2xÜ`12+xÛ` P(x)=x(x+1)(x+2)+x+3
xÝ`+4xÜ`+11xÛ`+8x P(x)=(x+1)(xÛ`+2x)+(x+1)+2
³ xÝ`+4xÜ`1+8xÛ`+4x P(x)=(x+1)(xÛ`+2x+1)+2
xÝ`+4xÜ`+13xÛ`+4x 따라서 Q(x)=xÛ`+2x+1, R=2이므로
³ xÝ`+4xÜ`+13xÛ`+6x+3 Q(2)+R=9+2=11
xÝ`+4xÜ`+13xÛ`-2x-3 ③

1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12 2022-11-09 오후 1:26:30


71 P(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xÛ`+2x+1, 나머지가 2이 02 xÛ`+x=X라 하면 주어진 식은
므로 (X-1)(XÛ`+X+1)=XÜ`-1 yy ➊


P(x)=(x+1)(xÛ`+2x+1)+2 이때 X=xÛ`+x이므로
P(x)=(x+1)(x+1)Û`+2 XÜ`-1=(xÛ`+x)Ü`-1

‌
P(x)=(x+1)Ü`+2 =xß`+3xÞ`+3xÝ`+xÜ`-1 yy ➋


P(x)=xÜ`+3xÛ`+3x+3  xß`+3xÞ`+3xÝ`+xÜ`-1


이때 다항식 P(x)를 xÛ`+1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단계 채점 기준 비율
x+3
공통부분을 X로 놓고 식을 간단히 한 경우 50`%
xÛ`+1 <Ô

xÜ`+3xÛ`+3x+3
➋ (a+b)Ü`=aÜ`+3aÛ`b+3abÛ`+bÜ`을 이용한 경우 50`%
³ xÜ`-2xÛ`3+x
xÜ`+3xÛ`+2x+3
³ xÜ`+3xÛ`+2x+3 03 (x+2y)(xÛ`-2xy+4yÛ`)-7yÜ`
2 2x ={xÜ`+(2y)Ü`}-7yÜ`
=xÜ`+yÜ` yy ➊
따라서 Q(x)=x+3, R(x)=2x이므로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하면
Q(1)+R(1)=4+2=6
xÜ`+yÜ`=(x+y)Ü`-3xy(x+y)
②

xÜ`+yÜ`=3Ü`-3_(-1)_3
xÜ`+yÜ`=27+9
xÜ`+yÜ`=36 yy ➋


 36

단계 채점 기준 비율
(a+b)(aÛ`-ab+bÛ`)=aÜ`+bÜ`을 이용하여 식을 정
➊ 50`%
서술형 완성하기
본문 24쪽 리한 경우
➋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하여 식의 값을 구한 경우 50`%
01 3xÛ`-5xy+7yÛ` 02 xß`+3xÞ`+3xÝ`+xÜ`-1
03 36 04 ⑴ P+Q=12, PQ=31 ⑵ 612
04 ⑴ P+Q=xÛ`+yÛ`+x+y+2


05 xÝ`-3xÜ`+5xÛ`-4x+7 ⑴ P+Q=(x+y)Û`-2xy+(x+y)+2
⑴ P+Q=3Û`-2_1+3+2
01 A+B=2xÛ`-3xy+4yÛ` yy ㉠ ⑴ P+Q=12 yy ➊
  

2A-3B=-xÛ`-xy+3yÛ` yy ㉡ ⑴ PQ=(xÛ`+y+1)(yÛ`+x+1)
㉠의 양변에 3을 곱하면 ⑴ PQ=xÛ`yÛ`+xÜ`+xÛ`+yÜ`+xy+y+yÛ`+x+1
3A+3B=6xÛ`-9xy+12yÛ` yy ㉢ ⑴ PQ=xÛ`yÛ`+(xÜ`+yÜ`)+(xÛ`+yÛ`)+(x+y)+xy+1
㉡과 ㉢을 변끼리 더하면 ⑴ PQ=(xy)Û`+{(x+y)Ü`-3xy(x+y)}
‌
5A=5xÛ`-10xy+15yÛ` +{(x+y)Û`-2xy}+(x+y)+xy+1
A=xÛ`-2xy+3yÛ` ⑴ PQ=1Û`+(3Ü`-3_1_3)+(3Û`-2_1)+3+1+1
㉠에서 ⑴ PQ=1+18+7+5
B=(2xÛ`-3xy+4yÛ`)-A ⑴ PQ=31 yy ➋

B=(2xÛ`-3xy+4yÛ`)-(xÛ`-2xy+3yÛ`) ⑵ (xÛ`+y+1)Ü`+(yÛ`+x+1)Ü`
B=xÛ`-xy+yÛ` yy ➊ ⑴ =PÜ`+QÜ`

한편, X+B=2(A+B)에서 ⑴ =(P+Q)Ü`-3PQ(P+Q)
X=2A+B yy ➋ ⑴ =12Ü`-3_31_12

따라서 ⑴ =12(144-93)
X=2(xÛ`-2xy+3yÛ`)+(xÛ`-xy+yÛ`) ⑴ =12_51
X=3xÛ`-5xy+7yÛ` yy ➌ ⑴ =612 yy ➌


 3xÛ`-5xy+7yÛ`  ⑴ P+Q=12, PQ=31 ⑵ 61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A, B를 구한 경우 50`% ➊ P+Q의 값을 구한 경우 30`%
➋ X를 A와 B로 나타낸 경우 20`% ➋ PQ의 값을 구한 경우 40`%
➌ X를 구한 경우 30`% ➌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한 경우 30`%

정답과 풀이 13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13 2022-11-09 오후 1:26:30


05 다항식 P(x)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 03 조건 (가)에서 다항식 3P (x)-P (x)를 xÛ`+1로 나누었을 때
1 2

가 x+5이므로 의 나머지는 R(x)이므로 몫을 Q1(x)라 하면


P(x)=(x-1)Û`Q(x)+x+5 yy ㉠ yy ➊ 3P1(x)-P2(x)=(xÛ`+1)Q1(x)+R(x) yy ㉠


또, 다항식 Q(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x, 나머지가 2이므로 또, 조건 (나)에서 다항식 P2(x)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Q(x)=(x-1)x+2 yy ㉡ yy ➋ R(x)이므로 몫을 Q2(x)라 하면


㉡을 ㉠에 대입하면 P2(x)=(xÛ`+1)Q2(x)+R(x) yy ㉡
P(x)=(x-1)Û`{x(x-1)+2}+x+5 또, 조건 (다)에서 다항식 P1(x)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P(x)=x(x-1)Ü`+2(x-1)Û`+x+5 2x+4이므로 몫을 Q3(x)라 하면
P(x)=(xÝ`-3xÜ`+3xÛ`-x)+(2xÛ`-4x+2)+x+5 P1(x)=(xÛ`+1)Q3(x)+2x+4 yy ㉢
P(x)=xÝ`-3xÜ`+5xÛ`-4x+7 yy ➌ ㉠+㉡을 하면

 xÝ`-3xÜ`+5xÛ`-4x+7 3P1(x)=(xÛ`+1){Q1(x)+Q2(x)}+2R(x)

Q1(x)+Q2(x) 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P1(x)=(xÛ`+1)_ + R(x) yy ㉣
3 3
➊ P(x)를 나타낸 경우 30`%
㉢과 ㉣이 같아야 하므로
➋ Q(x)를 나타낸 경우 30`%
2
(a-b)Ü`=aÜ`-3aÛ`b+3abÛ`-bÜ`을 이용하여 정리한 R(x)=2x+4
3
➌ 40`%
경우 따라서 R(x)=3x+6이므로
R(10)=36
 36

본문 25쪽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01 ④ 02 ① 03 36

01 (1+ax)(1+bx)(1+cx)의 전개식에서 xÛ`항은


abxÛ`+bcxÛ`+caxÛ`=(ab+bc+ca)xÛ`
이때 (a+b+c)Û`=aÛ`+bÛ`+cÛ`+2(ab+bc+ca)에서
5Û`=9+2(ab+bc+ca)
따라서 ab+bc+ca=8
④

02 p+q=(ax+by)+(bx+ay)
p+q=(a+b)x+(a+b)y
p+q=(a+b)(x+y)
p+q=1_3=3
또,
pq=(ax+by)(bx+ay)
pq=abxÛ`+aÛ`xy+bÛ`xy+abyÛ`
pq=ab(xÛ`+yÛ`)+xy(aÛ`+bÛ`)
pq=ab{(x+y)Û`-2xy}+xy{(a+b)Û`-2ab}
pq=(-1)_(3Û`-2_1)+1_{1Û`-2_(-1)}
pq=(-7)+3=-4 수학의 왕도
이므로
pÜ`+qÜ`=(p+q)Ü`-3pq(p+q) 공부에는 왕도가 없지만, 수학에는 있다!
pÜ`+qÜ`=3Ü`-3_(-4)_3=63 신개념 수학 특화 기본서
pÜ`+qÜ` 63 21
따라서 = =-
pq(p+q) (-4)_3 4
①

1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14 2022-11-09 오후 1:26:31


07 f(-2)=(-2)Ü`+2_(-2)Û`+3_(-2)+1=-5
02 나머지정리  -5


08 f {;2!;}=8_{;2!;}3`+4_{;2!;}2`+4_{;2!;}+1=5
본문 27쪽
개념 확인하기

01 a=2, b=1, c=-1 02 a=0, b=1, c=1 5


03 a=2, b=1, c=1 04 a=0, b=0, c=0
05 a=2, b=-2, c=3 06 -1 07 -5 08 5 09 f {-;2!;}=8_{-;2!;}3`+4_{-;2!;}2`+4_{-;2!;}+1=-1
09 -1 10 -2 11 1 12 5 13 14  -1


14 a=-11, b=12 15 몫: xÛ`+x, 나머지: 1
16 몫: xÛ`+3x+4, 나머지: 5 10 f(3)=27+9k-9-1=-1이므로
k=-2
01 주어진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 -2


a=2, b=1, c=-1
 a=2, b=1, c=-1
11 f(1)=-3-2+k+4=0이므로

k=1
1
02 주어진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0, b=1, c=1
 a=0, b=1, c=1
12 f(-1)=3-2-k+4=0이므로
k=5

5

03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xÛ`+(2-a)x+1=bxÛ`+c 13 f(2)=-24-8+2k+4=0이므로
k=14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 14
1=b, 2-a=0, 1=c

따라서 a=2, b=1, c=1
 a=2, b=1, c=1 14 다항식 f(x)=3xÜ`+axÛ`+bx-4가 이차식 (x-1)(x-2)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f(1)=0, f(2)=0
f(1)=3+a+b-4=0에서
yy ㉠
04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a+b=1
  
a(xÛ`-1)+bx+b+c=0 f(2)=24+4a+2b-4=0에서

axÛ`+bx+(-a+b+c)=0 2a+b=-10 yy ㉡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a=0, b=0, -a+b+c=0 a=-11, b=12

따라서 a=0, b=0, c=0  a=-11, b=12



 a=0, b=0, c=0

15 -1 1 2 1 1
-1 -1 0

05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1 1 0 1


axÛ`+(a+b)x+b+c=2xÛ`+1 따라서 몫은 xÛ`+x, 나머지는 1이다.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 몫: xÛ`+x, 나머지: 1

a=2, a+b=0, b+c=1
따라서 a=2, b=-2, c=3
 a=2, b=-2, c=3 16 1 1 2 1 1
1 3 4

1 3 4 5

06 f(-1)=(-1)Ü`+2_(-1)Û`+3_(-1)+1=-1 따라서 몫은 xÛ`+3x+4, 나머지는 5이다.


 -1  몫: xÛ`+3x+4, 나머지: 5


정답과 풀이 15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15 2022-11-09 오후 1:26:31


유형 완성하기
본문 28~39쪽
04 xÜ`+axÛ`+bx+2=(xÛ`+1)(x+c)에서
xÜ`+axÛ`+bx+2=xÜ`+cxÛ`+x+c
01 ③ 02 ⑤ 03 -12 04 5 05 7 위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06 ④ 07 10 08 14 09 ⑤ 10 ③ a=c, b=1, c=2
11 2 12 4 13 9 14 -4 15 ③ 따라서 a=2, b=1, c=2이므로
16 26 17 -63 18 ② 19 ① 20 3 a+b+c=5


21 23 22 12 23 ④ 24 ③ 25 ② 5


26 -3 27 7 28 ⑤ 29 ④ 30 18
31 5x-3 32 19 33 ④ 34 15 35 ⑤
05 a(x+2y)+b(x-y)+1=6x+3y+c에서
(a+b)x+(2a-b)y+1=6x+3y+c
36 8 37 42 38 ③ 39 ① 40 ② 위 등식이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41 -3 42 -1 43 ④ 44 ② 45 -14 a+b=6, 2a-b=3, 1=c
46 3 47 9 48 ① 49 ① 50 3 따라서 a=3, b=3, c=1이므로
51 -4 52 ④ 53 1 54 -6 55 3 a+b+c=7
56 60 57 ② 58 ① 59 ④ 60 2 7


61 11 62 ⑤ 63 2x+1 64 ⑤
06 f(x)=xÛ`-x+1에서
f(x-a)=(x-a)Û`-(x-a)+1
01 3xÛ`-4x+2=ax(x+1)+bx(x-2)+c(x+1)(x-2)가 f(x-a)=xÛ`-2ax+aÛ`-x+a+1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f(x-a)=xÛ`-(2a+1)x+aÛ`+a+1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이므로
2=-2c, c=-1 xÛ`-(2a+1)x+aÛ`+a+1=xÛ`-5x+b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위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9=3b, b=3 2a+1=5, aÛ`+a+1=b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따라서 a=2, b=7이므로
6=6a, a=1 a+b=9
따라서 a+b-c=1+3-(-1)=5 ④

③
07 (k+y)x+ky-2k+3=0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x+y-2)k+(xy+3)=0
02 a(x-1)Û`+b(x+1)=3xÛ`-4x+5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이 등식은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x+y=2, xy=-3
4a=12, a=3
따라서 xÛ`+yÛ`=(x+y)Û`-2xy=2Û`-2_(-3)=10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 10
2b=4, b=2

따라서 a+b=3+2=5 08 xÛ`+kyÛ`-2k-12=0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⑤ (yÛ`-2)k+(xÛ`-12)=0

다른 풀이 이 등식은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x-1)Û`+b(x+1)=3xÛ`-4x+5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Û`=12, yÛ`=2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따라서 xÛ`+yÛ`=12+2=14
a+b=5  14

ax+by+2
09 =k (k는 상수)라 하면
03 a(x+1)(x+2)+b(x+1)+c=2xÛ`-1이 x에 대한 항등식이 2x+3y+4
므로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x+by+2=k(2x+3y+4)
c=1 ax+by+2=2kx+3ky+4k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이 등식이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b+c=7, 즉 -b+1=7이므로 b=-6 a=2k, b=3k, 2=4k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따라서 k=;2!;, a=1, b=;2#;이므로
2a+b+c=-1, 즉 2a-6+1=-1이므로 a=2
따라서 abc=2_(-6)_1=-12 a+b=;2%;

 -12 ⑤


1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16 2022-11-09 오후 1:26:31


10 xÛ`+(k+1)x+(k+2)m+n=0이 x=-1을 근으로 가지므로 15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k+1)+(k+2)m+n=0 0=a8+a7+y+a2+a1+a0 yy ㉠
이 식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m-1)k+(2m+n)=0 2¡`=a8-a7+y+a2-a1+a0 yy ㉡
이 등식은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을 하면
m-1=0, 2m+n=0 -2¡`=2(a1+a3+a5+a7)
따라서 m=1, n=-2이므로 m-n=3 따라서 a1+a3+a5+a7=-2à`
③ ③


11 (x-1)Ü`+kx+(y+1)Ü`+ky-3(k+3)=0을 k에 대하여 정 16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리하면
3Ü`=a0+a1+a2+y+a6
(x+y-3)k+(x-1)Ü`+(y+1)Ü`-9=0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이 등식은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1=a0
x+y-3=0, (x-1)Ü`+(y+1)Ü`-9=0
따라서 a1+a2+a3+a4+a5+a6=3Ü`-1=26
이때 x-1=X, y+1=Y라 하면
 26
X+Y=3, XÜ`+YÜ`=9


(X+Y)Ü`=XÜ`+YÜ`+3XY(X+Y)에서
3Ü`=9+3XY_3, 즉 XY=2 17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따라서 (x-1)(y+1)=2 -1=a7+a6+a5+y+a1+a0 yy ㉠

2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2)à`-1=-a7+a6-a5+y-a1+a0 yy ㉡
12 x+y=2에서 y=2-x이므로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xÛ`-x+by+c=0에 대입하면 -2=a0
axÛ`-x+b(2-x)+c=0 ㉠+㉡을 하면
x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2)à`-2=2(a0+a2+a4+a6)
axÛ`+(-1-b)x+2b+c=0 a0+a2+a4+a6=-65이고 a0=-2이므로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2+a4+a6=-63
a=0, -1-b=0, 2b+c=0  -63

따라서 a=0, b=-1, c=2이므로
a+2b+3c=4
18 다항식 xÝ`+axÛ`+b를 xÛ`+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4 하면 나머지가 2x-1이므로

xÝ`+axÛ`+b=(xÛ`+x-2)Q(x)+2x-1
13 2x-y=-1에서 y=2x+1이므로 xÝ`+axÛ`+b=(x-1)(x+2)Q(x)+2x-1 yy ㉠
a(x-1)+b(y+1)+12=0에 대입하면
㉠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x-1)+b(2x+2)+12=0
1+a+b=1, 즉 a+b=0 yy ㉡
(a+2b)x+(-a+2b+12)=0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16+4a+b=-5, 즉 4a+b=-21 yy ㉢
a+2b=0, -a+2b+12=0
㉡, ㉢을 연립하여 풀면
따라서 a=6, b=-3이므로
a=-7, b=7
a-b=9
따라서 b-a=14
9

②

14 x+y=1에서 x=1-y이므로
xÛ`+px+qyÛ`-xy-ry=0에 대입하면 19 다항식 xÞ`+axÜ`-2x+b를 xÛ`-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1-y)Û`+p(1-y)+qyÛ`-(1-y)y-ry=0 라 하면 나머지가 3x+2이므로
(2+q)yÛ`-(3+p+r)y+(p+1)=0 xÞ`+axÜ`-2x+b=(xÛ`-x)Q(x)+3x+2
이 등식은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Þ`+axÜ`-2x+b=x(x-1)Q(x)+3x+2 yy ㉠
2+q=0, 3+p+r=0, p+1=0 ㉠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따라서 p=-1, q=-2, r=-2이므로 b=2 yy ㉡
pqr=-4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 -4 1+a-2+b=5, 즉 a+b=6 yy ㉢

정답과 풀이 17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17 2022-11-09 오후 1:26:31


㉡을 ㉢에 대입하면
22 다항식 xÞ`+axÛ`+bx-5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
a+2=6, a=4 가 각각 Q(x), 2x-3이므로
따라서 ab=4_2=8 xÞ`+axÛ`+bx-5=(xÛ`-1)Q(x)+2x-3 yy ㉠
①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a+b-5=2-3, a+b=3 yy ㉡
20 xÜ`+axÛ`+bx=(xÛ`+1)Q(x)+x+1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Q(x)는 x에 대한 일차식이어야 한다. -1+a-b-5=-2-3, a-b=1 yy ㉢
좌변이 xÜ`의 계수가 1인 삼차식이므로 Q(x)=x+c (c는 상수)로 놓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1이므로
으면 xÞ`+2xÛ`+x-5=(xÛ`-1)Q(x)+2x-3 yy ㉣
xÜ`+axÛ`+bx=(xÛ`+1)(x+c)+x+1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xÜ`+axÛ`+bx=xÜ`+cxÛ`+2x+c+1 32+8+2-5=3Q(2)+4-3
위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따라서 Q(2)=12
a=c, b=2, 0=c+1  12


따라서 a=-1, b=2, c=-1이므로
b-a=3
23 다항식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3이므로 나머지
3 정리에 의하여 f(2)=3

따라서 다항식 xf(x)+1을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
21 다항식 f(x)=xÜ`+ax+b를 xÛ`+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리에 의하여
Q(x)라 하면 나머지가 -x이므로 2f(2)+1=2_3+1=7
xÜ`+ax+b=(xÛ`+x+1)Q(x)-x ④

좌변이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식이므로 Q(x)는 일차항의 계수가
1인 일차식이다.
24 다항식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4이므로 나머지
Q(x)=x+c (c는 상수)로 놓으면 정리에 의하여
xÜ`+ax+b=(xÛ`+x+1)(x+c)-x yy ㉠ f(1)=1+a+2=4, a=1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따라서 다항식 f(xÛ`)+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
b=c 리에 의하여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1=4-1=3
-1-a+b=-1+c+1 ③

b=c이므로 a=-1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5 다항식 xÜ`+axÛ`+bx-1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2이
1+a+b=3(1+c)-1 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a=-1, b=c이므로 1+a+b-1=2, 즉 a+b=2 yy ㉠
b=3+3b-1, b=-1 다항식 xÜ`+axÛ`+bx-1을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1이므로
따라서 f(x)=xÜ`-x-1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3)=27-3-1=23 8+4a+2b-1=1, 즉 2a+b=-3 yy ㉡
 23 ㉠, ㉡을 연립하여 풀면

다른 풀이 a=-5, b=7
다항식 f(x)를 xÛ`+x+1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b-a=12
x-1 ②
xÛ`+x+1 <Ô xÜ`

+ax+b
³ xÜ`+xÛ` a+x
26 다항식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2이므로 나머
xÜ`-xÛ`+(a-1)x+b 지정리에 의하여 f(-1)=-2
³ xÜ`-xÛ`+(a--x-1 따라서 다항식 xÛ` f(x+1)+5를 2x+4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
xÜ`-xÛ`+(a ax+b+1 머지정리에 의하여
이때 위에서 구한 나머지와 -x가 같아야 하므로 (-2)Û` f(-1)+5=4_(-2)+5=-3
ax+b+1=-x  -3

즉, a=-1, b+1=0이므로
a=-1, b=-1 27 다항식 f(x)+2g(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11이
따라서 f(x)=xÜ`-x-1이므로 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3)=27-3-1=23 f(2)+2g(2)=11 yy ㉠
  
1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18 2022-11-09 오후 1:26:32


다항식 f(x)-g(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1이므로 즉, a=1이므로 ㉠에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xÞ`+xÜ`+x-2=x(x-1)Q(x)+3x-2 yy ㉡
f(2)-g(2)=-1 yy ㉡ Q(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Q(2)

  
㉠, ㉡을 연립하여 풀면 이므로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f(2)=3, g(2)=4 32+8+2-2=2_1_Q(2)+3_2-2
이때 다항식 f(x-1)+g(x-1)을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따라서 Q(2)=18
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 18


f(2)+g(2)=3+4=7
7
31 다항식 f(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12이므로
28 다항식 x 10
-xÞ`+1을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 f(x)=(x-3)Q(x)+12 yy ㉠
고, 나머지를 R(x)=ax+b (a, b는 상수)라 하면 Q(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1(x)라 하면 나머지가 5이므로
x10-xÞ`+1=(xÛ`-1)Q(x)+R(x) Q(x)=(x+2)Q1(x)+5 yy ㉡
x10-xÞ`+1=(x-1)(x+1)Q(x)+ax+b yy ㉠ ㉡을 ㉠에 대입하면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x)=(x-3){(x+2)Q1(x)+5}+12
1-1+1=a+b, 즉 a+b=1 yy ㉡ f(x)=(x-3)(x+2)Q1(x)+5(x-3)+12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x)=(xÛ`-x-6)Q1(x)+5x-3
1+1+1=-a+b, 즉 -a+b=3 yy ㉢ 따라서 다항식 f(x)를 xÛ`-x-6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5x-3
㉡, ㉢을 연립하여 풀면 이다.
a=-1, b=2  5x-3

따라서 R(x)=-x+2이므로
R(-3)=5
⑤
32 다항식 (x+1) 10
(xÛ`+ax+b)를 (x+3)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
을 Q(x)라 하면 나머지가 210(x+3)이므로

(x+1)10(xÛ`+ax+b)=(x+3)Û`Q(x)+210(x+3) yy ㉠
29 다항식 f(x)를 x+1,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각각 ㉠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8, 1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210(9-3a+b)=0이므로
f(-1)=-8, f(2)=1 b=3a-9 yy ㉡
f(x)를 xÛ`-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고, 나머지를 ㉡을 ㉠에 대입하면
R(x)=ax+b (a, b는 상수)라 하면 (x+1)10(xÛ`+ax+3a-9)=(x+3)Û`Q(x)+210(x+3)
f(x)=(xÛ`-x-2)Q(x)+R(x) (x+1)10(x+3)(x-3+a)=(x+3)Û`Q(x)+210(x+3)
f(x)=(x+1)(x-2)Q(x)+ax+b yy ㉠ 위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x+1)10(x-3+a)=(x+3)Q(x)+210 yy ㉢
f(-1)=-a+b, 즉 -a+b=-8 yy ㉡ ㉢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210(-6+a)=210, a=7
f(2)=2a+b, 즉 2a+b=1 yy ㉢ 이것을 ㉡에 대입하면 b=12
㉡, ㉢을 연립하여 풀면 따라서 a+b=7+12=19
a=3, b=-5  19

따라서 R(x)=3x-5이므로
R(3)=4
④
33 다항식 f(x)=2xÜ`+axÛ`+3x+b는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
머지가 6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16+4a+6+b=6
30 다항식 xÞ`+axÜ`+x+b를 xÛ`-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4a+b=-16 yy ㉠
나머지가 3x-2이므로 f(x)가 x+1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xÞ`+axÜ`+x+b=(xÛ`-x)Q(x)+3x-2 f(-1)=-2+a-3+b=0
xÞ`+axÜ`+x+b=x(x-1)Q(x)+3x-2 yy ㉠ a+b=5 yy ㉡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 ㉡을 연립하여 풀면
b=-2 a=-7, b=12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따라서 b-a=19
1+a+1+b=1 ④

정답과 풀이 19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19 2022-11-09 오후 1:26:32


34 x+3이 다항식 f(x)=xÜ`+kxÛ`-2x+3의 인수이므로 f(x)는 ㉠, ㉡을 연립하여 풀면
x+3으로 나누어떨어진다. a=-3, b=-1
인수정리에 의하여 따라서 ab=3
f(-3)=-27+9k+6+3=0 ③


즉, k=2이므로
f(x)=xÜ`+2xÛ`-2x+3 39 f(x)=(x-1)Ü`+ax+b라 하자.
따라서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x)가 xÛ`-1로 나누어떨어지고 xÛ`-1=(x-1)(x+1)이므로 인수
f(2)=8+8-4+3=15 정리에 의하여 f(1)=f(-1)=0이다.
 15 f(1)=0+a+b=0, a+b=0 yy ㉠

f(-1)=(-2)Ü`-a+b=0, a-b=-8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35 다항식 f(x)=xÞ`-axÜ`+3x+b는 x-1로 나누어떨어지므로
a=-4, b=4
인수정리에 의하여
따라서 a+2b=4
f(1)=1-a+3+b=0
①
a-b=4 yy ㉠


f(x-1)을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1이므로 나머지정리
에 의하여 40 다항식 f(x)=xÜ`-3xÛ`+ax+b가 (x+2)(x-1)로 나누어떨
어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f(-2)=f(1)=0이다.
f(2)=32-8a+6+b=-1
f(-2)=-8-12-2a+b=0, 2a-b=-20 yy ㉠
8a-b=39 yy ㉡

   
f(1)=1-3+a+b=0, a+b=2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 ㉡을 연립하여 풀면 a=-6, b=8이므로
a=5, b=1
f(x)=xÜ`-3xÛ`-6x+8
따라서 ab=5
따라서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⑤

f(2)=8-12-12+8=-8
②
36 다항식

f(x)=xÜ`+axÛ`+bx+8에 대하여 f(2x-1)은 2x+1
다른 풀이
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다항식 f(x)=xÜ`-3xÛ`+ax+b가 (x+2)(x-1)로 나누어떨어지므
f(-2)=-8+4a-2b+8=0, 2a-b=0 yy ㉠

f(2x+1)은 2x-1로 나누어떨어지므로
f(x)=(x+2)(x-1)(x+k) (k는 상수)
yy ㉡
‌
f(2)=8+4a+2b+8=0, 2a+b=-8
=xÜ`+(k+1)xÛ`+(k-2)x-2k
㉠, ㉡을 연립하여 풀면
xÜ`-3xÛ`+ax+b=xÜ`+(k+1)xÛ`+(k-2)x-2k
a=-2, b=-4
위 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따라서 ab=8
k+1=-3, k=-4
8
즉, f(x)=(x+2)(x-1)(x-4)

따라서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37 f(x)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식이므로 f(x)-12도 최고 f(2)=4_1_(-2)=-8
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식이고, 조건 (나), (다)에 의하여
f(x)-12=(x+2)(x-2)(x+a) (a는 상수) yy ㉠
41 다항식 f(x+3)이 xÛ`+5x+6으로 나누어떨어지고,
  
조건 (가)에서 f(0)=0이므로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xÛ`+5x+6=(x+2)(x+3)이므로
f(0)-12=2_(-2)_a, 4a=12 f(1)=f(0)=0 yy ㉠
a=3이므로 f(x)-3을 xÛ`-x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를 각각 Q(x), R(x)
f(x)=(x+2)(x-2)(x+3)+12 라 하면 R(x)는 일차 이하의 다항식이므로
따라서 f(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R(x)=ax+b (a, b는 상수)로 놓을 수 있다.
f(3)=5_1_6+12=42 f(x)-3=x(x-1)Q(x)+ax+b yy ㉡
   
 42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f(0)-3=b, b=-3
38 다항식 f(x)=xÜ`+axÛ`+bx+3이 xÛ`-2x-3으로 나누어떨어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지고, xÛ`-2x-3=(x+1)(x-3)이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f(1)-3=a+b, a+b=-3
f(-1)=f(3)=0이다. b=-3이므로 a=0
f(-1)=-1+a-b+3=0, a-b=-2 yy ㉠ 따라서 R(x)=0_x+(-3)=-3
f(3)=27+9a+3b+3=0, 3a+b=-10 yy ㉡  -3

2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20 2022-11-09 오후 1:26:32


42 다항식 f(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이고 나머지 45 다항식 xÝ`+axÛ`-4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 Q(x)를 조립제
는 0이므로 법을 이용하여 구하면
f(x)=(x+3)Q(x) 2 1 -0 a 0 -4
이때 Q(x)가 x-3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Q(x)를 x-3으로 나누었 -2 4 2a+8 4a+16
을 때의 몫을 QÁ(x)라 하면
1 -2 a+4 2a+8 4a+12
Q(x)=(x-3)QÁ(x)
따라서 f(x)=(x+3)(x-3)QÁ(x) Q(x)=xÜ`+2xÛ`+(a+4)x+2a+8
즉, f(x)가 x+3, x-3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이때 Q(x+1)을 x+4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1이므로 나머지정
f(-3)=f(3)=0 리에 의하여
다항식 f(x+1)-1을 xÛ`+2x-8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를 각 Q(-3)=-27+18-3a-12+2a+8=1
각 Q2(x), R(x)라 하면 즉, -a-13=1이므로
f(x+1)-1=(xÛ`+2x-8)Q2(x)+R(x) a=-14
이때 xÛ`+2x-8=(x+4)(x-2)이고 R(x)는 일차 이하의 다항식  -14


이므로 R(x)=ax+b (a, b는 상수)라 하면
f(x+1)-1=(x+4)(x-2)Q2(x)+ax+b yy ㉠
㉠의 양변에 x=-4를 대입하면
46 다항식 f(x)=2xÜ`+axÛ`+x-6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f(-3)-1=-4a+b, -4a+b=-1 yy ㉡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구하면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1 2 -a 1 -6
f(3)-1=2a+b, 2a+b=-1 yy ㉢ -2 -a+2 a-3
㉡, ㉢을 연립하여 풀면 a=0, b=-1 2 a-2 -a+3 a-9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1이다.
 -1 2xÛ`+(a-2)x+(-a+3)=2xÛ`+bx+b-1이므로

a-2=b, -a+3=b-1에서
a-b=2, a+b=4
43 b 1 2 a 11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p q r a=3, b=1
1 -1 5 c 따라서 ab=3
3

위의 조립제법에서 2+p=-1이므로
p=-3
이때 b=p이므로 b=-3
q=b_(-1)=-b=3이고, a+q=a+3=5이므로 47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빈칸에 알맞은 식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a=2 -2 1 a 3 b
또, r=b_5=(-3)_5=-15이고, 2 2a+4 4a+14
11+r=11+(-15)=c이므로 c=-4 -1 1 a+2 2a+7 4a+b+14
따라서 abc=2_(-3)_(-4)=24
-1 -a-1
④

1 a+1 a+6

이때 4a+b+14=7, -a-1=4이므로
44 다항식 xÜ`+axÛ`+1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 Q(x)를 조립제 a=-5, b=13
법을 이용하여 구하면
즉, xÜ`-5xÛ`+3x+13을 (x-2)(x+1)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
1 1 a 0 1
지를 위의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구하면
1 a+1 a+1
xÜ`-5xÛ`+3x+13
1 a+1 a+1 a+2
=(x-2)(xÛ`-3x-3)+7
Q(x)=xÛ`+(a+1)x+(a+1) =(x-2){(x+1)(x-4)+1}+7
이때 Q(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1이므로 나머지정리 =(x-2)(x+1)(x-4)+(x-2)+7
에 의하여 =(x-2)(x+1)(x-4)+x+5
Q(1)=1+(a+1)+(a+1)=-1 이므로 Q(x)=x-4, R(x)=x+5
즉, 2a+3=-1이므로 a=-2 따라서 Q(a)+R(b)=Q(-5)+R(13)=-9+18=9
② 9


정답과 풀이 21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21 2022-11-09 오후 1:26:33


48 다항식 2xÜ`+axÛ`-3x+b가 (x-1)Û`을 인수로 가지므로 조립제 8xÜ`+2ax+1={x-;2!;}(8xÛ`+4x+2a+2)+a+2
법을 이용하면
8xÜ`+2ax+1=(2x-1)(4xÛ`+2x+a+1)+a+2
1 2 a -3 b
따라서 Q(x)=4xÛ`+2x+a+1
2 a+2 a-1
이때 Q(x)를 2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1이므로 나머지정
1 2 a+2 a-1 a+b-1 리에 의하여
2 a+4 Q{;2!;}=4_{;2!;}2`+2_;2!;+a+1=-1
2 a+4 2a+3 즉, a+3=-1이므로 a=-4
2xÜ`+axÛ`-3x+b  -4


=(x-1){2xÛ`+(a+2)x+(a-1)}+a+b-1
=(x-1){(x-1)(2x+a+4)+2a+3}+a+b-1
=(x-1)Û`(2x+a+4)+(x-1)(2a+3)+a+b-1
52 2xÜ`+xÛ`-x+2=a(x-1)Ü`+b(x-1)Û`+c(x-1)+d를 조립
a+b-1=0이고 2a+3=0 제법을 이용하여 구하면
따라서 a=-;2#;, b=;2%;이므로 1 2 1 -1 2
2 -3 2
4ab=4_{-;2#;}_;2%;=-15
1 2 3 -2 4
①

2 -5
49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1 2 5 -7
-;2!; 2 -3 4 -2
2
-1 2 -3
2 7
2 -4 6 -1
2xÜ`+xÛ`-x+2
이므로 =(x-1)(2xÛ`+3x+2)+4
2xÜ`-3xÛ`+4x+2={x+;2!;}( 2xÛ`-4x+6 )-1 =(x-1){(x-1)(2x+5)+7}+4
=(x-1)Û`(2x+5)+7(x-1)+4
2xÜ`-3xÛ`+4x+2=(2x+1)( xÛ`-2x+3 )-1
=(x-1)Û`{(x-1)_2+7}+7(x-1)+4
따라서 f(x)=2xÛ`-4x+6, g(x)=xÛ`-2x+3이므로
=2(x-1)Ü`+7(x-1)Û`+7(x-1)+4
f(1)+g(1)=4+2=6
따라서 a=2, b=7, c=7, d=4이므로
①
cd-ab=7_4-2_7=14

50 f(x), p를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구하면 ④

;3!; 3 -7 -1 -2

-1 -2 -1
53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g(x), g(x)를 x+1로 나누
3 -6 -3 -1 었을 때의 몫을 h(x)라 하면
f(x)=(x+1)g(x)+1
3xÜ`-7xÛ`-x+2={x-;3!;}(3xÛ`-6x-3)+1 yy ㉠
g(x)=(x+1)h(x)+2
  
f(x)=3xÛ`-6x-3, p=1이고 이때 h(x)=(x+1)+3이므로
㉠에서 3xÜ`-7xÛ`-x+2=(3x-1)(xÛ`-2x-1)+1 g(x)=(x+1){(x+1)+3}+2
‌
이므로 g(x)=xÛ`-2x-1, q=1 =(x+1)Û`+3(x+1)+2
f(p) f(1) -6 f(x)=(x+1){(x+1)Û`+3(x+1)+2}+1
= = =3
g(q) g(1) -2 =(x+1)Ü`+3(x+1)Û`+2(x+1)+1
3
따라서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51 다항식 8xÜ`+2ax+1을 2x-1로 나누었을 때의 몫 Q(x)를 조 f(-2)=-1+3-2+1=1
립제법을 이용하여 구하면 1

;2!; 8 0 2a 1
4 2 a+1
54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등식
8 4 2a+2 a+2 xÜ`+xÛ`+2x+3=a(x+1)Ü`+b(x+1)Û`+c(x+1)+d

2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22 2022-11-09 오후 1:26:33


가 성립하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구하면 8xÜ`+4x+1={x-;2!;}(8xÛ`+4x+6)+4
-1 1 -1 2 -3
-1 0 -2 8xÜ`+4x+1={x-;2!;}[{x-;2!;}(8x+8)+10]+4

-1 1 -0 2 -1 8xÜ`+4x+1={x-;2!;}2`(8x+8)+10{x-;2!;}+4

8xÜ`+4x+1={x-;2!;}2`[{x-;2!;}_8+12]+10{x-;2!;}+4
-1 1

8xÜ`+4x+1=8{x-;2!;}3`+12{x-;2!;}2`+10{x-;2!;}+4
-1 1 -1 3
-1
8xÜ`+4x+1=(2x-1)Ü`+3(2x-1)Û`+5(2x-1)+4
1 -2
따라서 a=1, b=3, c=5, d=4이므로
xÜ`+xÛ`+2x+3 abcd=1_3_5_4=60
=(x+1)(xÛ`+2)+1  60


=(x+1){(x+1)(x-1)+3}+1
=(x+1)Û`(x-1)+3(x+1)+1
=(x+1)Û`{(x+1)-2}+3(x+1)+1 57 다항식 (4x-2) 10
을 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10
R라 하면 (4x-2) =xQ(x)+R이고,
=(x+1)Ü`-2(x+1)Û`+3(x+1)+1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R= 1024 이다.
따라서 a=1, b=-2, c=3, d=1이므로
(4x-2)10=xQ(x)+ 1024 에 x=507을 대입하면
abcd=-6
202610=507_Q(507)+ 1024
 -6

202610=507_Q(507)+507_2+10
202610=507_{Q(507)+ 2 }+ 10
55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구하면 202610을 507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0 이다.
2 1 -2 -3 -4 따라서 a=1024, b=2, c=10이므로
-2 -0 -6 a+b+c=1024+2+10=1036
2 1 -0 -3 -2 ②

-2 -4

2 1 -2 -1 58 다항식 (x+1) 11
을 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R
11
라 하면 (x+1) =xQ(x)+R이고 x=0을 대입하면
-2
R=1
1 -4 (x+1)11=xQ(x)+1에 x=99를 대입하면
xÜ`-2xÛ`-3x+4=(x-2)(xÛ`-3)-2이므로 10011=99_Q(99)+1
Q1(x)=xÛ`-3, R1=-2 따라서 10011을 99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이다.
xÛ`-3=(x-2)(x+2)+1이므로 ①

Q2(x)=x+2, R2=1
x+2=(x-2)_1+4이므로
R3=4
59 다항식 x 10
-10을 2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R라 하면
따라서 R1+R2+R3=(-2)+1+4=3
x10-10=(2x+2)Q(x)+R
3
양변에 x= -1 을 대입하면 R= -9 이다.

등식 x10-10=(2x+2)Q(x)+( -9 )에 x=9를 대입하면
56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구하면 910-10=20_Q(9)+( -9 )
910-10=20_{Q(9)-1}+ 11
;2!; 8 0 4 1
따라서 910-10을 20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1 이다.
4 2 3 따라서 a=-1, b=-9, c=11이므로
;2!; 8 4 6 4 abc=(-1)_(-9)_11=99
④
4 4

;2!; 8 8 10
4 60 다항식 1+x+xÛ`+y+x 201
을 2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R라 하면
8 12
1+x+xÛ`+y+x201=(2x-2)Q(x)+R

정답과 풀이 23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23 2022-11-09 오후 1:26:33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64 조건 (가)의 g(x)를 조건 (나)에 대입하면
R=202 x(x-1)f(x)-(2xÛ`+x)f(x)=xÜ`+axÛ`+2x+b
등식 1+x+xÛ`+y+x201=(2x-2)Q(x)+202에 -x(x+2)f(x)=xÜ`+axÛ`+2x+b yy ㉠

  
x=11을 대입하면 ㉠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b=0
201
1+11+11Û`+y+11 =20_Q(11)+202
‌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20_{Q(11)+10}+2 0=-8+4a-4+b에서 a=3
201
따라서 1+11+11Û`+y+11 을 20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 즉, -x(x+2)f(x)=xÜ`+3xÛ`+2x이므로
이다.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2 -8f(2)=8+12+4, f(2)=-3

따라서 g(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g(2)=2f(2)=2_(-3)=-6
61 다항식 x 99
+x100+x101을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⑤


나머지를 R(x)라 하면 R(x)는 일차 이하의 다항식이므로
ax+b (a, b는 상수)로 놓을 수 있다.
x99+x100+x101=(xÛ`-1)Q(x)+ax+b
본문 40쪽
위 식에 x=1, x=-1을 각각 대입하면 서술형 완성하기
a+b=3, -a+b=-1이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01 xÜ`+2xÛ`-4x-10 02 19 03 1 04 13
a=2, b=1
05 3x+1 06 xÛ`+2x+3
x99+x100+x101=(xÛ`-1)Q(x)+2x+1에 x=5를 대입하면


599+5100+5101=24_Q(5)+11
따라서 599+5100+5101을 24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1이다. 01 조건 (가)에서 f(x)+2는 (x+2)Û`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f(x)+2=(x+2)Û`(ax+b) (a, b는 상수, a+0) yy ㉠
 11

  

로 놓을 수 있다. yy ➊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62 f(x)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다항식이므로 조건 (나)에 의 f(0)+2=4b
하여 조건 (나)에서 f(0)=-10이므로
f(x)=(x-2)Û`(x+a)+x+a (a는 상수) -10+2=4b, b=-2
조건 (가)에 의하여 f(2)=3이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a=3, a=1 f(1)+2=9(a+b)
f(x)=(x-2)Û`(x+1)+x+1 조건 (나)에서 f(1)=-11이고 b=-2이므로
f(x)=(x-2)Û`(x+1)+{(x-2)+3} -11+2=9(a-2), a=1 yy ➋

f(x)=(x-2){(x-2)(x+1)+1}+3 따라서 f(x)=(x+2)Û`(x-2)-2=xÜ`+2xÛ`-4x-10 yy ➌

f(x)=(x-2)(xÛ`-x-1)+3  xÜ`+2xÛ`-4x-10

따라서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Q(x)=xÛ`-x-1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Q(3)=9-3-1=5
➊ f(x)+2=(x+2)Û`(ax+b)로 나타낸 경우 40`%
⑤
➋ a, b의 값을 구한 경우 40`%

➌ f(x)를 내림차순으로 나타낸 경우 20`%

63 주어진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 f(0)}Û`=1 02 다항식 f(x)+g(x)를 2x-6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5이
f(x)의 상수항을 포함한 모든 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0)=1 yy ㉠ f(3)+g(3)=5
f(x)를 n차식이라 하면 다항식 f(x)g(x)를 2x-6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3이므로 나
{ f(x)}Û`은 2n차식, 2xf(x)+2x+1은 (n+1)차식이다. 머지정리에 의하여
2n=n+1이므로 n=1 f(3)g(3)=3 yy ➊

f(x)=ax+b (a, b는 상수이고, a>0)라 하면 { f(x)}Û`의 최고차항 따라서 다항식 { f(x)}Û`+{ g(x)}Û`을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의 계수는 aÛ`, 2xf(x)+2x+1의 최고차항의 계수는 2a이므로 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aÛ`=2a { f(3)}Û`+{ g(3)}Û`
a>0이므로 a=2 yy ㉡ ={ f(3)+g(3)}Û`-2f(3)g(3) yy ➋

㉠, ㉡에 의하여 f(x)=2x+1 =5Û`-2_3=19 yy ➌

 2x+1  19


2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24 2022-11-09 오후 1:26:34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다항식 f(x)를 xÛ`-2x-8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2(x)라 하면 나머
➊ f(3), g(3)에 대한 합과 곱을 구한 경우 40`% 지는 x+9이므로
{ f(3)}Û`+{ g(3)}Û`을 f(3), g(3)에 대한 합과 곱 f(x)=(xÛ`-2x-8)Q2(x)+x+9
➋ 40`% f(x)=(x+2)(x-4)Q2(x)+x+9 yy ㉡
으로 표현한 경우
➌ { f(3)}Û`+{ g(3)}Û`의 값을 구한 경우 20`% ㉡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의 양변에 x=4를 대입하면
f(4)=13 yy ➊


이때 f(x)를 xÛ`-x-12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를 각각
03 등식 (x-1)(xÛ`+1)P(x)=xÝ`+axÛ`+b는 x에 대한 항등식이 Q3(x), R(x)=ax+b (a, b는 상수)라 하면
고, 우변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f(x)=(xÛ`-x-12)Q3(x)+R(x)
P(x)=x+c (c는 상수)
f(x)=(x+3)(x-4)Q3(x)+ax+b yy ㉢ yy ➋
yy ➊


로 놓을 수 있다.
㉢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x-1)(xÛ`+1)(x+c)=xÝ`+axÛ`+b에서
f(-3)=-3a+b
(xÜ`-xÛ`+x-1)(x+c)=xÝ`+axÛ`+b
㉢의 양변에 x=4를 대입하면
xÝ`+(c-1)xÜ`+(1-c)xÛ`+(c-1)x-c=xÝ`+axÛ`+b
f(4)=4a+b
이 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f(-3)=-8, f(4)=13이므로
c-1=0, 1-c=a, -c=b
-3a+b=-8, 4a+b=13이고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즉, a=0, b=-1, c=1이므로 yy ➋
a=3, b=1

a-b=1 yy ➌
따라서 R(x)=3x+1 yy ➌

1


 3x+1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P(x)=x+c로 나타낸 경우 40`%
➊ f(-3), f(4)의 값을 구한 경우 40`%
주어진 등식이 항등식임을 이용하여 a, b의 값을 구
➋ 40`% f(x)=(x+3)(x-4)Q3(x)+a x+b로 나타낸
한 경우 ➋ 30`%
경우
➌ a-b의 값을 구한 경우 20`%
f(x)를 xÛ`-x-1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한
➌ 30`%
경우
04 f(x)=xÞ`-xÜ`+x-1이라 하고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R라 하면
f(x)=(x-2)Q(x)+R yy ➊
06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6이므로

f(2)=R이고 f(2)=2Þ`-2Ü`+2-1=25이므로 f(1)=6 yy ➊

R=25 yy ➋ f(x)를 xÛ`+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나머지는 x+2

즉, xÞ`-xÜ`+x-1=(x-2)Q(x)+25이므로 이므로
이 항등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f(x)=(xÛ`+x+1)Q(x)+x+2
(-2)Þ`-(-2)Ü`+(-2)-1=(-4)Q(-2)+25 이때 Q(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Á(x)라 하고 나머지를 R'
Q(-2)=13 이라 하면
따라서 Q(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x)=(xÛ`+x+1){(x-1)QÁ(x)+R'}+x+2
Q(-2)=13이다. yy ➌ f(x)=(xÜ`-1)QÁ(x)+R'(xÛ`+x+1)+x+2 yy ➋


 13 위 항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단계 채점 기준 비율 f(1)=3R'+3=6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로 나타 R'=1이므로


➊ 40`% f(x)=(xÜ`-1)QÁ(x)+(xÛ`+x+1)+x+2
낸 경우
➋ R의 값을 구한 경우 20`% f(x)=(xÜ`-1)QÁ(x)+xÛ`+2x+3

➌ Q(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한 경우 40`% 따라서 f(x)를 xÜ`-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R(x)는
R(x)=xÛ`+2x+3이다. yy ➌

 xÛ`+2x+3
05 다항식 f(x)를 xÛ`+2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 (x)라 하

1

면 나머지는 2x-2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f(x)=(xÛ`+2x-3)Q1(x)+2x-2 ➊ f(1)의 값을 구한 경우 20`%


f(x)=(x+3)(x-1)Q1(x)+2x-2 yy ㉠ f(x)=(xÜ`-1)QÁ(x)+R'(xÛ`+x+1)+x+2로
➋ 40`%
㉠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나타낸 경우
f(-3)=-8 ➌ R(x)를 구한 경우 40`%

정답과 풀이 25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25 2022-11-09 오후 1:26:34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본문 41쪽
04 {Q(x)}Û`+{Q(x-1)}Û`=xP(x) yy ㉠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01 15 02 20 03 -x+3 04 12 {Q(0)}Û`+{Q(-1)}Û`=0
Q(x)의 상수항을 포함한 모든 항의 계수가 실수이므로 Q(0), Q(-1)
01 다항식 f(x)를 xÜ`-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나머 의 값도 모두 실수이다.
지가 xÛ`+2x이므로 따라서 Q(0)=0, Q(-1)=0
f(x)=(xÜ`-1)Q(x)+xÛ`+2x 다항식 Q(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다항식이므로
위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 대신 xÛ`을 대입하면 Q(x)=x(x+1) yy ㉡
f(xÛ`)=(xß`-1)Q(xÛ`)+xÝ`+2xÛ` ㉠, ㉡에서
‌
xÝ`+2xÛ`=(xÜ`+1)x+2xÛ`-x이므로 {x(x+1)}Û`+{(x-1)x}Û`=xP(x)
f(xÛ`)=(xÜ`+1)(xÜ`-1)Q(xÛ`)+x(xÜ`+1)+2xÛ`-x P(x)=x{(x+1)Û`+(x-1)Û`}
‌
=(xÜ`+1){(xÜ`-1)Q(xÛ`)+x}+2xÛ`-x P(x)=x(2xÛ`+2)
따라서 R(x)=2xÛ`-x이므로 2x-2
R(3)=2_3Û`-3=15 x+1 <Ô 2xÛ`+2x+2
 15 ³ 2xÛ`+2x

2xÛ`-2x+2
02 xÛ`+x-2=(x-1)(x+2), xÛ`+2x-3=(x-1)(x+3)이 ³ 2xÛ`-2x-2
므로 조건 (가)에서 f(x)는 x-1, x+2, x+3을 모두 인수로 가져야 2xÛ`-2x+4
한다. 위의 나눗셈에서 2xÛ`+2=(x+1)(2x-2)+4이므로
즉, f(x) 중에서 차수가 가장 낮은 것은 삼차다항식이므로 P(x)=x{(x+1)(2x-2)+4}
g(x)=k(x-1)(x+2)(x+3) (k는 0이 아닌 상수) P(x)=x(x+1)(2x-2)+4x
로 놓을 수 있다. P(x)=Q(x)(2x-2)+4x
이때 조건 (나)에서 f(0)=12, 즉 g(0)=12이므로 따라서 R(x)=4x이므로
g(0)=k(0-1)(0+2)(0+3)=-6k=12 R(3)=4_3=12
k=-2  12

따라서 g(x)=-2(x-1)(x+2)(x+3)이므로
g(-4)=-2_(-5)_(-2)_(-1)=20
 20

03 x에 대한 항등식 f(-x)=(xÛ`-x)g(x)+x+1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f(0)=1
x=1을 대입하면 f(-1)=2
g(x)+x를 xÛ`+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나머지는
2x+3이므로
g(x)+x=(xÛ`+x)Q(x)+2x+3
g(x)+x=x(x+1)Q(x)+2x+3 yy ㉠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g(0)=3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g(-1)-1=1, 즉 g(-1)=2
f(x)g(x)를 xÛ`+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Á(x), 나머지를
R(x)=ax+b (a, b는 상수)라 하면
f(x)g(x)=(xÛ`+x)QÁ(x)+R(x)
‌
f(x)g(x)=x(x+1)QÁ(x)+ax+b yy ㉡
㉡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f(0)g(0)=b에서 b=3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g(-1)=-a+b에서 -a+b=4
b=3이므로 a=-1
따라서 R(x)=-x+3
 -x+3

2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26 2022-11-09 오후 1:26:34


10 xÜ`-64=xÜ`-4Ü`
03 인수분해

‌
=(x-4)(xÛ`+4x+16)
 (x-4)(xÛ`+4x+16)


본문 43쪽
개념 확인하기
11 xÜ`-8yÜ`=xÜ`-(2y)Ü`

‌
01 (x+y+z)Û` 02 (x-y-z)Û` =(x-2y)(xÛ`+2xy+4yÛ`)
03 (x+y+2z)Û` 04 (x+1)Ü` 05 (x-1)Ü`  (x-2y)(xÛ`+2xy+4yÛ`)


06 (2x+1)Ü` 07 (x-2y)Ü`
08 (2x+1)(4xÛ`-2x+1)
12 x+1=X로 놓으면
(x+1)Ü`+1=XÜ`+1
09 (x+3y)(xÛ`-3xy+9yÛ`) (x+1)Ü`+1=(X+1)(XÛ`-X+1)
10 (x-4)(xÛ`+4x+16) 11 (x-2y)(xÛ`+2xy+4yÛ`) (x+1)Ü`+1=(x+2){(x+1)Û`-(x+1)+1}
12 (x+2)(xÛ`+x+1) 13 (x-3)(xÛ`+3) (x+1)Ü`+1=(x+2)(xÛ`+x+1)
14 (x+2)Ü` 15 (x-y-1)Ü` 16 (xÛ`+x-1)Û`  (x+2)(xÛ`+x+1)


17 (xÛ`-2)(xÛ`+5) 18 (xÛ`+x+3)(xÛ`-x+3)
19 (x+y+1)Û` 20 (a+b)(a-b)(a+c)
13 x-1=X로 놓으면
(x-1)Ü`-8=XÜ`-8
21 (a+b)(b-c)(c+a) 22 (x-1)Û`(x+2) (x-1)Ü`-8=(X-2)(XÛ`+2X+4)
23 (x-1)(xÛ`+2x-1) 24 (x+1)(xÛ`+x+1) (x-1)Ü`-8=(x-3){(x-1)Û`+2(x-1)+4}
25 (x+1)(x-1)(x+2)Û` (x-1)Ü`-8=(x-3)(xÛ`+3)
 (x-3)(xÛ`+3)

01 xÛ`+yÛ`+zÛ`+2xy+2yz+2zx=(x+y+z)Û`
 (x+y+z)Û 14 x+1=X로 놓으면

(x+1)Ü`+3(x+1)Û`+3(x+1)+1

02 xÛ`+yÛ`+zÛ`-2xy+2yz-2zx=(x-y-z)Û` =XÜ`+3XÛ`+3X+1
 (x-y-z)Û` =(X+1)Ü`

=(x+2)Ü`
03 xÛ`+yÛ`+4zÛ`+2xy+4yz+4zx=(x+y+2z)Û`  (x+2)Ü`

 (x+y+2z)Û`

15 x-1=X로 놓으면
04 xÜ`+3xÛ`+3x+1=(x+1)Ü` (x-1)Ü`-3(x-1)Û`y+3(x-1)yÛ`-yÜ`
 (x+1)Ü` =XÜ`-3XÛ`y+3XyÛ`-yÜ`

=(X-y)Ü`
05 xÜ`-3xÛ`+3x-1=(x-1)Ü` =(x-y-1)Ü`
 (x-1)Ü`
 (x-y-1)Ü`


06 8xÜ`+12xÛ`+6x+1 16 (x-1)x(x+1)(x+2)+1
=(2x)Ü`+3_(2x)Û`_1+3_(2x)_1Û`+1Ü`
=x(x+1)(x-1)(x+2)+1
=(2x+1)Ü`
=(xÛ`+x)(xÛ`+x-2)+1
 (2x+1)Ü`
xÛ`+x=X로 놓으면

07 xÜ`-6xÛ`y+12xyÛ`-8yÜ` (xÛ`+x)(xÛ`+x-2)+1

=xÜ`-3_xÛ`_(2y)+3_x_(2y)Û`-(2y)Ü` =X(X-2)+1

=(x-2y)Ü` =XÛ`-2X+1

 (x-2y)Ü` =(X-1)Û`

=(xÛ`+x-1)Û`
08 8xÜ`+1=(2x)Ü`+1Ü`  (xÛ`+x-1)Û`
‌

=(2x+1)(4xÛ`-2x+1)
 (2x+1)(4xÛ`-2x+1) 17 xÛ`=X로 놓으면

xÝ`+3xÛ`-10=XÛ`+3X-10
09 xÜ`+27yÜ`=xÜ`+(3y)Ü` xÝ`+3xÛ`-10=(X-2)(X+5)
‌
=(x+3y)(xÛ`-3xy+9yÛ`) xÝ`+3xÛ`-10=(xÛ`-2)(xÛ`+5)
 (x+3y)(xÛ`-3xy+9yÛ`)  (xÛ`-2)(xÛ`+5)


정답과 풀이 27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27 2022-11-09 오후 1:26:35


18 xÝ`+5xÛ`+9=xÝ`+6xÛ`+9-xÛ`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
=(xÛ`+3)Û`-xÛ` -1 1 -2 -2 -1
=(xÛ`+x+3)(xÛ`-x+3) -1 -1 -1
 (xÛ`+x+3)(xÛ`-x+3) 1 -1 -1 -0

f(x)=(x+1)(xÛ`+x+1)
19 주어진 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 (x+1)(xÛ`+x+1)


xÛ`+2x+2xy+yÛ`+2y+1
=xÛ`+2(y+1)x+(y+1)Û`
25 f(x)=xÝ`+4xÜ`+3xÛ`-4x-4라 하면 f(-1)=0이므로 f(x)
=(x+y+1)Û` 는 x+1을 인수로 갖는다.
 (x+y+1)Û`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1 1 -4 -3 -4 -4

20 aÜ`+aÛ`c-abÛ`-bÛ`c -1 -3 -0 -4
=aÛ`(a+c)-bÛ`(a+c) 1 -3 -0 -4 -0
=(aÛ`-bÛ`)(a+c)
f(x)=(x+1)(xÜ`+3xÛ`-4)
=(a+b)(a-b)(a+c)
이때 g(x)=xÜ`+3xÛ`-4라 하면 g(1)=0이므로 g(x)는 x-1을 인
 (a+b)(a-b)(a+c)
수로 갖는다. 다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1 1 3 0 -4
21 주어진 식을 a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1 4 -4
aÛ`(b-c)+bÛ`(c+a)-cÛ`(a+b) 1 4 4 -0
=(b-c)aÛ`+(bÛ`-cÛ`)a+bÛ`c-bcÛ`
f(x)=(x+1)(xÜ`+3xÛ`-4)=(x+1)(x-1)(xÛ`+4x+4)
=(b-c)aÛ`+(b+c)(b-c)a+bc(b-c)
‌
=(x+1)(x-1)(x+2)Û`
=(b-c){aÛ`+(b+c)a+bc}
 (x+1)(x-1)(x+2)Û`
=(b-c)(a+b)(a+c)

=(a+b)(b-c)(c+a)
 (a+b)(b-c)(c+a)

본문 44~58쪽
유형 완성하기

22 f(x)=xÜ`-3x+2라 하면 f(1)=0이므로 f(x)는 x-1을 인 01 ① 02 ③ 03 (x+y+3z)Û` 04 ④



수로 갖는다. 05 48 06 ① 07 ③ 08 (2x-3y)Ü`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09 ③ 10 40 11 ⑤ 12 ⑤
1 1 0 -3 -2
13 (2x-3y)(4xÛ`+6xy+9yÛ`) 14 ② 15 9
1 -1 -2
16 ② 17 7 18 (x-3)(x-1)(xÛ`+x+1)
1 1 -2 -0
19 (x+y+z+1)Û` 20 ⑤ 21 ④
f(x)=(x-1)(xÛ`+x-2) 22 (xÛ`+x-3)(xÛ`+x+1) 23 -8 24 ①
‌
=(x-1)Û`(x+2) 25 16 26 ③ 27 ③ 28 (x-2y)Û`(x+2y)Û`
 (x-1)Û`(x+2)
29 ② 30 (xÛ`+2x+5)(2xÛ`+4x-1) 31 ⑤

32 (xÛ`+2x+2)(xÛ`-2x+2) 33 ② 34 4
23 f(x)=xÜ`+xÛ`-3x+1이라 하면 f(1)=0이므로 f(x)는 x-1 35 (xÛ`+3x+5)(xÛ`+x+3) 36 ③ 37 -2
을 인수로 갖는다.
38 -1 39 ① 40 (a+b)(a+b+c) 41 ⑤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42 (x-1)(x-4)(x+2) 43 -6 44 ④
1 1 1 -3 -1
1 -2 -1
45 12 46 ② 47 (x+1)(x+2)(xÛ`+x+1)
48 ③ 49 51 50 7 51 ③ 52 ⑤
1 2 -1 -0
53 ⑤ 54 ① 55 ③ 56 ③ 57 ③
f(x)=(x-1)(xÛ`+2x-1)
58 ⑤ 59 482 60 ③ 61 ② 62 131
 (x-1)(xÛ`+2x-1)
63 15 64 ② 65 ③ 66 정삼각형 67 4

68 12 69 2 70 ④ 71 36 72 5
24 f(x)=xÜ`+2xÛ`+2x+1이라 하면 f(-1)=0이므로 f(x)는 73 9
x+1을 인수로 갖는다.

2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28 2022-11-09 오후 1:26:35


01 4xÛ`+yÛ`+zÛ`-4xy-2yz+4zx 08 8xÜ`+18xy(3y-2x)-27yÜ`
=(2x)Û`+(-y)Û`+zÛ` =8xÜ`-36xÛ`y+54xyÛ`-27yÜ`
‌
+2_(2x)_(-y)+2_(-y)_z+2_z_(2x) =(2x)Ü`+3_(2x)Û`_(-3y)+3_(2x)_(-3y)Û`+(-3y)Ü`
=(2x-y+z)Û` =(2x-3y)Ü`
따라서 a=2, b=-1, c=1 또는 a=-2, b=1, c=-1이므로  (2x-3y)Ü`


aÛ`+bÛ`+cÛ`=4+1+1=6
①
09 8xÜ`-12xÛ`y+6xyÛ`-yÜ`

=(2x)Ü`-3_(2x)Û`_y+3_(2x)_yÛ`-yÜ`
02 xÛ`+4yÛ`+4zÛ`-4(xy+2yz-zx) =(2x-y)Ü`
=xÛ`+(-2y)Û`+(2z)Û`
‌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인 것은 4xÛ`-4xy+yÛ`이다.
+2_x_(-2y)+2_(-2y)_(2z)+2_(2z)_x
③
=(x-2y+2z)Û`


③

10 xÜ`+pxÛ`y+27xyÛ`+qyÜ`을 인수분해하면 (ax+by)Ü`이므로
03 x(x+2y)+y(y+6z)+3z(3z+2x) xÜ`+pxÛ`y+27xyÛ`+qyÜ`=(ax+by)Ü`
=xÛ`+2xy+yÛ`+6yz+9zÛ`+6zx xÜ`=(ax)Ü`에서 aÜ`=1, a=1
=xÛ`+yÛ`+(3z)Û`+2_x_y+2_y_(3z)+2_(3z)_x 27xyÛ`=3_(ax)_(by)Û`에서 3abÛ`=27
=(x+y+3z)Û` a=1을 대입하면 bÛ`=9
 (x+y+3z)Û` b는 자연수이므로 b=3

따라서 p=3_aÛ`_b=9, q=bÜ`=27이므로
04 x(x+6y-6z)+9(y-z)Û` a+b+p+q=1+3+9+27=40
=xÛ`+6xy-6zx+9yÛ`-18yz+9zÛ`
 40

=xÛ`+(3y)Û`+(-3z)Û`
‌
+2_x_(3y)+2_(3y)_(-3z)+2_(-3z)_x
=(x+3y-3z)Û` 11 (a+1)Ü`-27=(a+1)Ü`-3Ü`
‌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인 것은 x+3y-3z이다. ={(a+1)-3}{(a+1)Û`+3(a+1)+9}
④ =(a-2)(aÛ`+5a+13)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인 것은 aÛ`+5a+13이다.
05 모든 실수 x, y, z에 대하여 등식 ⑤

(x+ay+bz)Û`=xÛ`+9yÛ`+4zÛ`+6xy+pyz+qzx
가 성립하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12 xÜ`+64yÜ`=xÜ`+(4y)Ü`
‌
(ay)Û`=9yÛ`, (bz)Û`=4zÛ`에서
=(x+4y)(xÛ`-4xy+16yÛ`)
a=Ñ3, b=Ñ2이고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인 것은 xÛ`-4xy+16yÛ`이다.
2axy=6xy이므로 a=3
⑤

a, b가 모두 정수이고 ab<0이므로
b=-2
(x+3y-2z)Û`=xÛ`+9yÛ`+4zÛ`+6xy-12yz-4zx 13 8xÜ`-27yÜ`=(2x)Ü`-(3y)Ü`
‌
따라서 p=-12, q=-4이므로 pq=48 =(2x-3y)(4xÛ`+6xy+9yÛ`)
 48  (2x-3y)(4xÛ`+6xy+9yÛ`)


06 xÛ`(x+3y)+yÛ`(y+3x) 14 (x-3)Ü`+1
=xÜ`+3xÛ`y+3xyÛ`+yÜ`
={(x-3)+1}{(x-3)Û`-(x-3)+1}
=(x+y)Ü`
=(x-2)(xÛ`-7x+13)`
따라서 (ax+by)Ü`=(x+y)Ü`에서
②

a=1, b=1이므로 ab=1
①
15 (xÛ`+1)Ü`-8xÜ`

07 xÜ`+6xÛ`y+12xyÛ`+8yÜ` =(xÛ`+1)Ü`-(2x)Ü`
=xÜ`+3_xÛ`_(2y)+3_x_(2y)Û`+(2y)Ü` ={(xÛ`+1)-2x}{(xÛ`+1)Û`+(xÛ`+1)_2x+(2x)Û`}
=(x+2y)Ü` =(x-1)Û`(xÝ`+2xÜ`+6xÛ`+2x+1)
③ =(x-a)Û`(xÝ`+bxÜ`+cxÛ`+bx+1)

정답과 풀이 29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29 2022-11-09 오후 1:26:36


a, b, c는 자연수이므로
21 (x-2)(x-3)(x+3)(x+4)-16
a=1, b=2, c=6 =(x-2)(x+3)(x-3)(x+4)-16
따라서 a+b+c=1+2+6=9 =(xÛ`+x-6)(xÛ`+x-12)-16
9 xÛ`+x=X로 놓으면

(xÛ`+x-6)(xÛ`+x-12)-16
=(X-6)(X-12)-16
16 2x-1=X, x+2y=Y로 놓으면 =XÛ`-18X+56
(2x-1)Ü`-3(2x-1)Û`(x+2y)+3(2x-1)(x+2y)Û`-(x+2y)Ü` =(X-4)(X-14)
=XÜ`-3XÛ`Y+3XYÛ`-YÜ` =(xÛ`+x-4)(xÛ`+x-14)
=(X-Y)Ü` =(xÛ`+ax+b)(xÛ`+ax+c)
={(2x-1)-(x+2y)}Ü` 이때 b<c이므로
=(x-2y-1)Ü` a=1, b=-14, c=-4
② 따라서 a-b-c=1-(-14)-(-4)=19

④


17 xÛ`+1=X로 놓으면 22 (x-1)x(x+1)(x+2)-3
(xÛ`+1)(xÛ`+2)-12=X(X+1)-12 =(x-1)(x+2)x(x+1)-3
‌
=XÛ`+X-12 =(xÛ`+x-2)(xÛ`+x)-3
=(X+4)(X-3) xÛ`+x=X로 놓으면
=(xÛ`+5)(xÛ`-2) (xÛ`+x-2)(xÛ`+x)-3
a<b이므로 a=-2, b=5 =(X-2)X-3
따라서 b-a=5-(-2)=7 =XÛ`-2X-3
7 =(X-3)(X+1)

=(xÛ`+x-3)(xÛ`+x+1)
 (xÛ`+x-3)(xÛ`+x+1)

18 xÝ`-3xÜ`-x+3
=xÜ`(x-3)-(x-3) 23 (x-3)(x-2)x(x+1)-4
=(x-3)(xÜ`-1) =(x-3)(x+1)(x-2)x-4
=(x-3)(x-1)(xÛ`+x+1) =(xÛ`-2x-3)(xÛ`-2x)-4
 (x-3)(x-1)(xÛ`+x+1) xÛ`-2x=X로 놓으면

(xÛ`-2x-3)(xÛ`-2x)-4
=(X-3)X-4
19 x+1=X, y-1=Y, z+1=Z로 놓으면 =XÛ`-3X-4
(x+1)Û`+(y-1)Û`+(z+1)Û` =(X+1)(X-4)
+2{(x+1)(y-1)+(y-1)(z+1)+(z+1)(x+1)} =(xÛ`-2x+1)(xÛ`-2x-4)
=XÛ`+YÛ`+ZÛ`+2XY+2YZ+2ZX =(x-1)Û`(xÛ`-2x-4)
=(X+Y+Z)Û` =(x+a)Û`(xÛ`+bx+c)
={(x+1)+(y-1)+(z+1)}Û` 따라서 a=-1, b=-2, c=-4이므로
=(x+y+z+1)Û` abc=(-1)_(-2)_(-4)=-8
 (x+y+z+1)Û`  -8


24 (x+1)Û`(x+2)(x+3)(x+4)+x+1
20 xÛ`-x=X로 놓으면 =( x+1 ){(x+1)(x+2)(x+3)(x+4)+1}
(xÛ`-x)Û`+2xÛ`-2x-15 =(x+1){(x+1)(x+4)(x+2)(x+3)+1}
=(xÛ`-x)Û`+2(xÛ`-x)-15 =( x+1 ){( xÛ`+5x +4)( xÛ`+5x +6)+1}
=XÛ`+2X-15 X= xÛ`+5x 로 놓으면
=(X+5)(X-3) ( x+1 ){( xÛ`+5x +4)( xÛ`+5x +6)+1}
=(xÛ`-x+5)(xÛ`-x-3) =( x+1 )(XÛ`+10X+25)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인 것은 xÛ`-x+5이다. =( x+1 )(X+ 5 )Û`
⑤ =( x+1 )( xÛ`+5x + 5 )Û`

3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30 2022-11-09 오후 1:26:36


따라서 f(x)=x+1, g(x)=xÛ`+5x, k=5이므로
29 X= xÛ`+1 로 놓으면
f(k)+g(k)=f(5)+g(5)=6+52+5_5=56 (xÛ`+1)Û`+xÛ`-5
① =( xÛ`+1 )Û`+( xÛ`+1 )-6

=XÛ`+X-6
=(X+3)(X-2)

25 x(x+2)(x-2)(x-4)+k =( xÛ`+1 +3)( xÛ`+1 -2)


=x(x-2)(x+2)(x-4)+k =(xÛ`+ 4 )(x-1)(x+1)
=(xÛ`-2x)(xÛ`-2x-8)+k 따라서 f(x)=xÛ`+1, k=4이므로
xÛ`-2x=X로 놓으면 f(k)=f(4)=4Û`+1=17
(xÛ`-2x)(xÛ`-2x-8)+k ②


=X(X-8)+k
=XÛ`-8X+k
=(X-4)Û`+k-16 30 (x+1)Û`=X로 놓으면
=(xÛ`-2x-4)Û`+k-16 2(x+1)Ý`+5(x+1)Û`-12

이때 주어진 식이 x에 대한 이차식의 완전제곱식으로 인수분해되려면 =2XÛ`+5X-12

k-16=0이어야 하므로 =(X+4)(2X-3)

k=16 ={(x+1)Û`+4}{2(x+1)Û`-3}

 16 =(xÛ`+2x+5)(2xÛ`+4x-1)


 (xÛ`+2x+5)(2xÛ`+4x-1)

26 xÛ`=X로 놓으면 31 xÝ`+4xÛ`+16


xÝ`+2xÛ`-24=XÛ`+2X-24 =xÝ`+8xÛ`+16-4xÛ`
xÝ`+2xÛ`-24=(X-4)(X+6) =(xÛ`+4)Û`-(2x)Û`
xÝ`+2xÛ`-24=(xÛ`-4)(xÛ`+6) =(xÛ`+2x+4)(xÛ`-2x+4)
xÝ`+2xÛ`-24=(x+2)(x-2)(xÛ`+6) =(xÛ`+ax+b)(xÛ`-ax+b)
xÝ`+2xÛ`-24=(x+a)(x-a)(xÛ`+b) 따라서 a=2, b=4이므로
따라서 a=2, b=6이므로 a+b=6
a+b=8 ⑤

③

32 xÝ`+4=xÝ`+4xÛ`+4-4xÛ`
‌
27 xÛ`=X로 놓으면 =(xÛ`+2)Û`-(2x)Û`

xÝ`-13xÛ`+36=XÛ`-13X+36 =(xÛ`+2x+2)(xÛ`-2x+2)

xÝ`-13xÛ`+36=(X-9)(X-4)  (xÛ`+2x+2)(xÛ`-2x+2)

xÝ`-13xÛ`+36=(xÛ`-9)(xÛ`-4)
xÝ`-13xÛ`+36=(x+3)(x-3)(x+2)(x-2)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가 아닌 것은 xÛ`+4이다.
33 xÝ`+64=xÝ`+16xÛ`+64-16xÛ`
‌
=(xÛ`+8)Û`-(4x)Û`
③
=(xÛ`+4x+8)(xÛ`-4x+8)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인 것은 xÛ`-4x+8이다.
②
28 xÛ`=X, yÛ`=Y로 놓으면

xÝ`-8xÛ`yÛ`+16yÝ`
=(xÛ`)Û`-8(xÛ`)(yÛ`)+16(yÛ`)Û` 34 xÝ`+3xÛ`+4=xÝ`+4xÛ`+4-xÛ`
‌
=XÛ`-8XY+16YÛ` =(xÛ`+2)Û`-xÛ`
=(X-4Y)Û` =(xÛ`+x+2)(xÛ`-x+2)
=(xÛ`-4yÛ`)Û` 따라서 a=1, b=2, c=-1, d=2 또는 a=-1, b=2, c=1, d=2
={(x-2y)(x+2y)}Û` 이므로
=(x-2y)Û`(x+2y)Û` a+b+c+d=4
 (x-2y)Û`(x+2y)Û` 4


정답과 풀이 31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31 2022-11-09 오후 1:26:36


35 (x+1)Ý`+5(x+1)Û`+9 41 f(x)=3xÜ`+2xÛ`-7x+2라 하면 f(1)=0이므로 f(x)는 x-1
=(x+1)Ý`+6(x+1)Û`+9-(x+1)Û` 을 인수로 갖는다.
={(x+1)Û`+3}Û`-(x+1)Û`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x+1)Û`+3+(x+1)}{(x+1)Û`+3-(x+1)} 1 3 2 -7 -2
=(xÛ`+3x+5)(xÛ`+x+3) 3 -5 -2
 (xÛ`+3x+5)(xÛ`+x+3) 3 5 -2 -0

f(x)=(x-1)(3xÛ`+5x-2)=(x-1)(x+2)(3x-1)
따라서 a=2, P(x)=3x-1이므로
36 주어진 다항식을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P(a)=P(2)=5
xÜ`+(1-2y)xÛ`+(yÛ`-2y)x+yÛ`
⑤


=xÜ`+xÛ`-2xÛ`y+xyÛ`-2xy+yÛ`
=(x+1)yÛ`-2x(x+1)y+xÛ`(x+1)
=(x+1)(yÛ`-2xy+xÛ`)
=(x+1)(x-y)Û`
42 f(x)=xÜ`-3xÛ`-6x+8이라 하면 f(1)=0이므로 f(x)는 x-1
을 인수로 갖는다.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가 아닌 것은 (x+1)Û`이다.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③
1 1 -3 -6 -8

-1 -2 -8
1 -2 -8 -0
37 2xÛ`-xy-yÛ`+5x+y+2
=2xÛ`+(5-y)x-yÛ`+y+2 f(x)=(x-1)(xÛ`-2x-8)=(x-1)(x-4)(x+2)

=2xÛ`+(5-y)x-(y-2)(y+1)  (x-1)(x-4)(x+2)

=(2x+y+1)(x-y+2)
따라서 a=2, b=1, c=1, d=-1이므로
abcd=-2 43 f(x)=2xÜ`-11xÛ`+12x+9라 하면 f(3)=0이므로 f(x)는
 -2 x-3을 인수로 갖는다.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3 2 -11 -12 -9
-61 -15 -9
38 xÛ`+xy-6yÛ`+ax-13y-6
=xÛ`+(y+a)x-6yÛ`-13y-6 2 -51 -31 -0
=xÛ`+(y+a)x-(2y+3)(3y+2) f(x)=(x-3)(2xÛ`-5x-3)=(x-3)Û`(2x+1)
주어진 식이 x, y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려면 즉, (x+a)Û`(bx+c)=(x-3)Û`(2x+1)이므로
y+a=(3y+2)-(2y+3) a=-3, b=2, c=1
따라서 a=-1 따라서 abc=(-3)_2_1=-6
 -1  -6


39 aÛ`b+caÛ`-bÜ`-bÛ`c 44 h(x)=xÝ`+2xÜ`-8xÛ`-18x-9라 하면
=c(aÛ`-bÛ`)+aÛ`b-bÜ` h(-1)=0, h(3)=0이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h(x)는 x+1과
=c(a+b)(a-b)+b(a+b)(a-b) x-3을 인수로 갖는다.
=(a+b)(a-b)(b+c)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h(x)를 인수분해하면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인 것은 a-b이다. -1 1 -2 -8 -18 -9
① -1 -1 9 -9


-3 1 -1 -9 -9 -0
-3 12 -9
40 aÛ`+bÛ`+2ab+ac+bc 1 -4 3 -0
=c(a+b)+aÛ`+2ab+bÛ`
=c(a+b)+(a+b)Û` h(x)=(x+1)(x-3)(xÛ`+4x+3)
=(a+b)(a+b+c) h(x)=(x+1)(x-3)(x+3)(x+1)
 (a+b)(a+b+c) h(x)=(x+1)Û`(x-3)(x+3)

3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32 2022-11-09 오후 1:26:36


이때 f(x), g(x)가 모두 x-a를 인수로 가져야 하므로
48 f(x)=xÝ`+axÜ`-x+b라 하면 f(x)가 x-1과 x-2를 인수로

[ 또는 [
f(x)=(x+1)(x-3) f(x)=(x+1)(x+3) 가지므로
g(x)=(x+1)(x+3) g(x)=(x+1)(x-3) f(1)=1+a-1+b=0에서
즉, a=-1 a+b=0 yy ㉠
Ú f(x)=(x+1)(x-3), g(x)=(x+1)(x+3)인 경우 f(2)=16+8a-2+b=0에서
Ú f(-2)+g(1)=(-1)_(-5)+2_4=13 8a+b=-14 yy ㉡
Û f(x)=(x+1)(x+3), g(x)=(x+1)(x-3)인 경우 ㉠, ㉡을 연립하여 풀면
Ú f(-2)+g(1)=(-1)_1+2_(-2)=-5 a=-2, b=2
따라서 f(2a)+g(-a)의 최댓값은 13이다. f(x)=xÝ`-2xÜ`-x+2
④ f(x)=xÜ`(x-2)-(x-2)

f(x)=(x-2)(xÜ`-1)
45 h(x)=xÝ`+3xÜ`+xÛ`-3x-2라 하면 f(x)=(x-1)(x-2)(xÛ`+x+1)
h(1)=0, h(-1)=0이므로 h(x)는 x-1과 x+1을 인수로 갖는다. 따라서 Q(x)=xÛ`+x+1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h(x)를 인수분해하면 Q(ab)=Q(-4)=16-4+1=13
-1 1 -3 -1 -3 -2 ③


-1 -4 -5 -2

-1 1 -4 -5 -2 -0
-1 -3 -2 49 f(x)=3xÜ`+ax+b라 하면 f(x)가 (x-1)Û`을 인수로 가지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1 -3 -2 -0
1 3 0 a b
h(x)=(x-1)(x+1)(xÛ`+3x+2) 3 3 a+3
h(x)=(x-1)(x+1)(x+1)(x+2)
1 3 3 a+3 a+b+3
h(x)=(x+1)Û`(x-1)(x+2)
즉, f(x)g(x)=(x+1)Û`(x-1)(x+2)이고 3 6
조건 (가)에서 f(a)=g(a)=0이므로 a=-1 3 6 a+9
조건 (나)에서 f(-2)g(1)+0이므로
f(x)=(x-1)Û`(3x+6)
f(x)=(x+1)(x-1), g(x)=(x+1)(x+2)
따라서 Q(x)=3x+6
따라서 g(3)-f(3)=4_5-4_2=12
이때 a+b+3=0, a+9=0이므로
 12
a=-9, b=6

따라서 Q(b-a)=Q(15)=51
46 f(x)=xÜ`-4xÛ`+3x+a가 x-1로 나누어떨어지므로  51
f(1)=1-4+3+a=0, a=0

f(x)=xÜ`-4xÛ`+3x
f(x)=x(xÛ`-4x+3)
f(x)=x(x-3)(x-1) 50 f(x)=xÜ`+kxÛ`+(k-3)x-2라 하면 f(x)가 x+1을 인수로
따라서 f(x)의 인수인 것은 x-1이다. 가지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② -1 1 k k-3 -2

-1 -k+1 -2
47 f(x)=xÝ`+4xÜ`+6xÛ`+5x+a가 x+1로 나누어떨어지므로 1 k-1 -2 -0
f(-1)=1-4+6-5+a=0, a=2
따라서 f(x)=xÝ`+4xÜ`+6xÛ`+5x+2이고, 이때 f(-2)=0이므로 f(x)=(x+1){xÛ`+(k-1)x-2}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따라서 Q(x)=xÛ`+(k-1)x-2이고, Q(1)=5이므로
-1 1 -4 -6 -5 -2 Q(1)=1+k-1-2=5
-1 -3 -3 -2 k=7
7
-2 1 -3 -3 -2 -0

-2 -2 -2
1 -1 -1 -0
51 4xÛ`-4xy+yÛ`-1
f(x)=(x+1)(x+2)(xÛ`+x+1) =(2x-y)Û`-1Û`
 (x+1)(x+2)(xÛ`+x+1) =(2x-y-1)(2x-y+1)

정답과 풀이 33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33 2022-11-09 오후 1:26:37


이므로
55 주어진 식의 좌변을 z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
|A-B|=|(2x-y-1)-(2x-y+1)|=2 해하면
③ xÛ`y+xyÛ`+xyz+x+y+z

=z(xy+1)+xy(x+y)+(x+y)
=z(xy+1)+(x+y)(xy+1)
52 주어진 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인수분해하면 =(x+y+z)(xy+1)
xyÛ`+xzÛ`+yzÛ`+xÛ`y+zxÛ`+yÛ`z+2xyz
즉, (x+y+z)(xy+1)=12
=(y+z)xÛ`+(yÛ`+2yz+zÛ`)x+yz(y+z)
x, y, z는 자연수이므로 x+y+z¾3이고 xy+1¾2
=(y+z)xÛ`+(y+z)Û`x+yz(y+z)
Ú x+y+z=4, xy+1=3인 경우
=(y+z){xÛ`+(y+z)x+yz}
Ú x=1, y=2, z=1 또는 x=2, y=1, z=1이므로
=(y+z)(x+y)(x+z) yy ㉠
Ú x+y=3
이때 x+y+z=1이므로
Û x+y+z=6, xy+1=2인 경우
y+z= 1-x , x+y=1-z, x+z=1-y yy ㉡
Ú x=1, y=1, z=4이므로 x+y=2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그 이외의 경우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세 자연수 x, y, z가 존재하지 않
xyÛ`+xzÛ`+yzÛ`+xÛ`y+zxÛ`+yÛ`z+2xyz
는다.
=( 1-x )(1-y)(1-z)
따라서 x+y의 최댓값은 3이다.
=-(x- 1 )(y-1)(z-1)
③
따라서 a=-1, b=-1, c=-1이므로 
a+b+c= -3
따라서 f(x)=1-x이고 p=1, q=-3이므로
p+f(q)=1+f(-3)=1+4=5
56 xÛ`-6yÛ`+2x-xy-y+1
⑤ =xÛ`+(2-y)x-6yÛ`-y+1

=xÛ`+(2-y)x-(2y+1)(3y-1)
=(x+2y+1)(x-3y+1)
53 -xÛ`+yÛ`+zÛ`+2yz A=x+2y+1, B=x-3y+1
=yÛ`+2yz+zÛ`-xÛ`
또는 A=x-3y+1, B=x+2y+1이다.
=(y+z)Û`-xÛ`
ㄱ. A, B의 y항의 계수의 합은 -3+2=-1이다. (참)
=(y+z+x)(y+z-x) yy ㉠
ㄴ. Ú A=x+2y+1, B=x-3y+1인 경우
  
y+z= 2x+1 이므로 이를 ㉠에 대입하면
ㄴ. Ú A-B=5y이다.
-xÛ`+yÛ`+zÛ`+2yz
ㄴ. Û A=x-3y+1, B=x+2y+1인 경우
=( 2x+1 +x)( 2x+1 -x)
ㄴ. Ú A-B=-5y이다.
= (3x+1)(x+1)
ㄴ. Ú, Û에 의하여 A-B는 5y 또는 -5y이다. (거짓)
따라서 f(x)=2x+1, g(x)=(3x+1)(x+1)이므로
ㄷ. x, y가 모두 자연수이면 x+2y+1¾4이고,
f(1)+g(1)=3+8=11
ㄷ. x+2y+1, x-3y+1은 모두 정수이다.
⑤
ㄷ. A_B=(x+2y+1)(x-3y+1)=-16이므로

ㄷ. x+2y+1의 값으로 가능한 것은 4, 8, 16이다.

54 x+1=X로 놓으면 ㄷ. Ú x+2y+1=4, x-3y+1=-4인 경우


(x+1)Û`-y(x+1)-2yÛ` ㄷ. Ú 위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5!;, y=;5*;이므로
=XÛ`-yX-2yÛ`
ㄷ. Ú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x, y는 존재하지 않는다.
=(X-2y)(X+y)
ㄷ. Û x+2y+1=8, x-3y+1=-2인 경우
=(x+1-2y)(x+1+y)
ㄷ. Ú 위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3, y=2이므로 두 자연수 x, y가
‌
=(x-2y+1)(x+y+1)
존재한다.
이므로 두 다항식 A, B는
ㄷ. Ü x+2y+1=16, x-3y+1=-1인 경우
A=x-2y+1, B=x+y+1 또는 A=x+y+1, B=x-2y+1
A=0, B=0에서 ㄷ. Ú 위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5Á;;, y=;;Á5¦;;이므로

x+y+1=0, x-2y+1=0 ㄷ. Ú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x, y는 존재하지 않는다.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ㄷ. Ú, Û, Ü에 의하여 A_B=-16을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x, y
‌
x=-1, y=0 가 존재한다. (참)
따라서 a=-1, b=0이므로 b-a=1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① ③


3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34 2022-11-09 오후 1:26:37


57 P=xÛ`+4yÛ`+9zÛ`+4xy+12yz+6zx ㄱ. Û P=p, Q=-1인 경우
P=xÛ`+(2y)Û`+(3z)Û`+2{x_(2y)+(2y)_(3z)+(3z)_x} ㄱ. Û 2x+y=p, 2x-y=-1을 연립하여 풀면
p-1 p+1
P=(x+2y+3z)Û` ㄱ. Û x= , y=
4 2
ㄱ. x, y, z가 모두 정수이면 x+2y+3z도 정수이므로
ㄱ. Û p=3이면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x, y는 존재하지 않는
ㄱ. P=(x+2y+3z)Û`¾0이다. (참)

‌
다.
ㄴ. x, y, z가 모두 자연수이면 x+2y+3z¾6이므로
ㄱ. Û p=5이면 x=1, y=3
ㄱ. P=(x+2y+3z)Û`¾36이다. (참)
ㄱ. Û p=7이면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x, y는 존재하지 않는

‌
ㄷ. x, y, z가 모두 자연수이면 x+2y+3z¾6이므로
다.
ㄱ. P=64이면 x+2y+3z=8 yy ㉠
ㄱ. Ú, Û에 의하여 가능한 x+y의 값은 2, 4, 5이므로 주어진 조건
  
‌
ㄱ.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 y, z는
을 만족시키는 x+y의 최댓값은 5이다. (참)
ㄱ. x=1, y=2, z=1 또는 x=3, y=1, z=1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ㄱ. 즉, xyz의 값은 2 또는 3이므로 xyz의 최솟값은 2이다. (거짓)
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59 20=x로 놓으면
"Ã20_22Û`_24+4
58 8xÜ`-4xÛ`y-2xyÛ`+yÜ` ="Ãx(x+2)Û`(x+4)+4
=(8xÜ`+yÜ`)-2xy(2x+y) ="Ã{x(x+4)}(x+2)Û`+4
=(2x+y)(4xÛ`-2xy+yÛ`)-2xy(2x+y) ="Ã(xÛ`+4x)(xÛ`+4x+4)+4
=(2x+y)(4xÛ`-4xy+yÛ`) 이때 xÛ`+4x=X라 하면
=(2x+y)(2x-y)Û` "Ã(xÛ`+4x)(xÛ`+4x+4)+4
두 다항식 P, Q의 x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ÃX(X+4)+4
P=2x+y, Q=2x-y ="Ã(X+2)Û`
ㄱ. P+2Q=(2x+y)+2_(2x-y) =|X+2|=xÛ`+4x+2
‌
=6x-y =20Û`+4_20+2=482
ㄱ. 이므로 P+2Q의 y항의 계수는 -1이다. (참)  482

ㄴ. x, y가 모두 정수이면 P, Q도 모두 정수이다.
ㄱ. P_QÛ`=-1일 때 가능한 P, Q의 값은
ㄱ. P=-1, Q=1 또는 P=-1, Q=-1
60 17=x, 13=y로 놓으면
ㄱ. Ú P=-1, Q=1인 경우
17Ü`+13Ü`
ㄱ. Ú 2x+y=-1, 2x-y=1을 연립하여 풀면 17Û`-17_13+13Û`
ㄱ. Ú x=0, y=-1이므로 정수 x, y가 존재한다. xÜ`+yÜ`
=
ㄱ. Û P=-1, Q=-1인 경우 xÛ`-xy+yÛ`
ㄱ. Û 2x+y=-1, 2x-y=-1을 연립하여 풀면 (x+y)(xÛ`-xy+yÛ`)
=
xÛ`-xy+yÛ`
ㄱ. Û x=-;2!;, y=0이므로 정수 x, y는 존재하지 않는다.
=x+y=17+13=30
ㄱ. Ú, Û에 의하여 P_QÛ`=-1을 만족시키는 두 정수 x, y가 존재 ③
‌

한다. (참)
ㄷ. x, y가 모두 자연수이면 P는 3 이상의 자연수이고 Q는 정수이다.
ㄱ. P_QÛ`=p ( p는 10 이하의 소수)라 하면
ㄱ. p는 3 이상 10 이하의 소수이고
61 19=a로 놓으면
19Ü`+19Û`-20
ㄱ. P=p, Q=1 또는 P=p, Q=-1
=aÜ`+aÛ`-a-1
ㄱ. Ú P=p, Q=1인 경우
=aÛ`( a+1 )-( a+1 )
ㄱ. Û 2x+y=p, 2x-y=1을 연립하여 풀면
=(aÛ`-1)( a+1 )
p+1 p-1
ㄱ. Û x= , y= =(a-1)( a+1 )Û`
4 2
ㄱ. Û p=3이면 x=1, y=1 =18_400= 7200
ㄱ. Û p=5이면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x, y는 존재하지 않는 따라서 f(a)=a+1, k=7200이므로
‌
다. f(k)=f(7200)=7201
ㄱ. Û p=7이면 x=2, y=3 ②

정답과 풀이 35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35 2022-11-09 오후 1:26:38


62 10=x로 놓으면 66 조건 (가)에서
10_11_12_13+1 (c-a)bÛ`+(cÛ`-aÛ`)b+acÛ`-aÛ`c
=x(x+1)(x+2)(x+3)+1 =(c-a)bÛ`+(c+a)(c-a)b+ac(c-a)
={x(x+3)}{(x+1)(x+2)}+1 =(c-a){bÛ`+(c+a)b+ac}
=(xÛ`+3x)(xÛ`+3x+2)+1 =(c-a)(b+c)(b+a)=0
xÛ`+3x=X라 하면 b+c>0, b+a>0이므로
(xÛ`+3x)(xÛ`+3x+2)+1 c-a=0 yy ㉠

   
=X(X+2)+1 조건 (나)에서
=XÛ`+2X+1 (a-b)Û`-ca+bc
=(X+1)Û` =(a-b)Û`-c(a-b)
=(xÛ`+3x+1)Û` =(a-b)(a-b-c)=0
=nÛ` 삼각형의 성립 조건에 의하여 a-b-c<0이므로
따라서 n=xÛ`+3x+1=10Û`+3_10+1=131 a-b=0 yy ㉡

   
 131 ㉠, ㉡에서 a=b=c이므로 삼각형 ABC는 정삼각형이다.

 정삼각형


63 f(a)=aÜ`-4aÛ`-3a+18이라 하면
f(3)=27-36-9+18=0 67 조건 (가)에서
이므로 f(a)는 a-3을 인수로 갖는다. aÛ`-bÛ`+bc-ca

-3 1 -4 -3 -18 =c(b-a)-(b+a)(b-a)
-3 -3 -18 =(b-a)(c-b-a)=0
이때 a, b, c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므로
1 -1 -6 -10
c-b-a<0
위의 조립제법에 의하여 따라서 b-a=0, b=a yy ㉠
   
f(a)=(a-3)(aÛ`-a-6)=(a-3)Û`(a+2) ㉠을 조건 (나)의 aÛ`+ab+bÛ`=12에 대입하면
따라서 N=f(13)=10Û`_15=1500이므로 aÛ`+aÛ`+aÛ`=12, aÛ`=4
N a>0이므로 a=2이고 ㉠에서 b=2
=15
100 따라서 a+b=4
 15
4


64 주어진 식을 a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인수분해하면 68 조건 (가)에서
bÛ`+ab-ac-cÛ` aÛ`-bÛ`+ac-bc=(a-b)(a+b)+c(a-b)
‌
=a(b-c)+bÛ`-cÛ` =(a-b)(a+b+c)=0
=a(b-c)+(b+c)(b-c) 이때 a, b, c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므로
=(a+b+c)(b-c)=0 a+b+c>0
a+b+c>0이므로 b-c=0 따라서 a=b
따라서 주어진 삼각형은 b=c인 이등변삼각형이다. 조건 (나)에서 abÛ`-bcÛ`=0이므로 a=b를 대입하면
‌
② abÛ`-bcÛ`=aÜ`-acÛ`

‌
=a(a+c)(a-c)
=0
a>0, a+c>0이므로 a=c
65 주어진 식을 a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인수분해하면 즉, 삼각형 ABC는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삼각형이다.
aÛ`b+aÛ`c-bÜ`-bÛ`c-bcÛ`-cÜ` 이때 조건 (다)에서 삼각형 ABC의 넓이가 4'3이므로
=(b+c)aÛ`-bÛ`(b+c)-cÛ`(b+c) '3
aÛ`=4'3에서 aÛ`=16, a=4
=(b+c)(aÛ`-bÛ`-cÛ`)=0 4
b+c>0이므로 aÛ`-bÛ`-cÛ`=0, 즉 aÛ`=bÛ`+cÛ` 따라서 삼각형 ABC의 둘레의 길이는
따라서 주어진 삼각형은 빗변의 길이가 a인 직각삼각형이다. 4_3=12
③  12


3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36 2022-11-09 오후 1:26:38


69 f(x)=xÜ`+9xÛ`+23x+15라 하면 72 '3=x, '2=y로 놓으면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 A, B, C, D의
f(-1)=-1+9-23+15=0 부피가 각각 xÜ`, xÛ`y, xyÛ`, yÜ`이다.
이므로 f(x)는 x+1을 인수로 갖는다. 이때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 A, B, C, D가 각각 8개, 36개, 54개, 27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개 있으므로 모두 사용하여 빈틈없이 쌓아 하나의 정육면체를 만들면
-1 1 -9 23 -15 이 정육면체의 부피는 8xÜ`+36xÛ`y+54xyÛ`+27yÜ`이다.
-1 -8 -15 8xÜ`+36xÛ`y+54xyÛ`+27yÜ`
=(2x)Ü`+3_(2x)Û`_(3y)+3_(2x)_(3y)Û`+(3y)Ü`
1 -8 15 -10
=(2x+3y)Ü`
f(x)=(x+1)(xÛ`+8x+15)
즉, 한 모서리의 길이가 2x+3y인 정육면체이므로
f(x)=(x+1)(x+3)(x+5)
2'3+3'2=a'3+b'2에서 a=2, b=3
각 모서리의 길이가 x+1, x+3, x+5이므로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따라서 a+b=2+3=5
합은
5
4{(x+1)+(x+3)+(x+5)}=60


12x+36=60, 12x=24
따라서 x=2 73 f(n)=nÜ`+7nÛ`+16n+12라 하면
f(-2)=0이므로 f(n)은 n+2를 인수로 갖는다.
2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n)을 인수분해하면
-2 1 -7 -16 -12
-2 -10 -12
70 f(x)=2xÜ`+7xÛ`+7x+2라 하면 1 -5 -16 -10
f(-1)=-2+7-7+2=0
이므로 f(x)는 x+1을 인수로 갖는다. f(n)=(n+2)(nÛ`+5n+6)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f(n)=(n+2)Û`(n+3)

-1 2 -7 -7 -2 즉,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n+2, 원기둥의 높이는 n+3이므로


-2 -5 -2 a=2, b=3
이때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와 높이의 합은 11이므로
2 -5 -2 -0
n+2+n+3=11에서
f(x)=(x+1)(2xÛ`+5x+2)
2n=6, n=3
f(x)=(x+1)(x+2)(2x+1)
따라서 an+b=2_3+3=9
이때 x>1이므로
9
x+1<x+2<2x+1

즉, 세 모서리의 길이 중 가장 작은 것은 x+1이다.
이 직육면체의 면 중에서 넓이가 가장 큰 면의 넓이는
(2x+1)(x+2)이므로 구하는 두 면의 넓이의 합은
2(2x+1)(x+2)=4xÛ`+10x+4
따라서 구하는 모든 항의 계수의 합은 본문 59쪽
서술형 완성하기
4+10+4=18
④
01 -2 02 (x+1)(x+2) 03 2499
04 a=3, b=-3 05 (a+b)Û`(a+b-c) 06 81

01 xÛ`-xy-2yÛ`+ax-5y-3
71 2xÜ`+(2y+7)xÛ`+(7y+3)x+3y =xÛ`+(a-y)x-2yÛ`-5y-3
=2xÜ`+2xÛ`y+7xÛ`+7xy+3x+3y
=xÛ`+(-y+a)x-(y+1)(2y+3) yy ➊

=y(2xÛ`+7x+3)+2xÜ`+7xÛ`+3x
주어진 식이 x, y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려면
=y(x+3)(2x+1)+x(x+3)(2x+1)
-y+a=(y+1)-(2y+3)
=(x+3)(2x+1)(y+x)
a=-2 yy ➋

즉, 이 직육면체의 세 모서리의 길이는 x+3, 2x+1, x+y이므로 모
 -2

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4{(x+3)+(2x+1)+(x+y)}=16x+4y+16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따라서 a=16, b=4, c=16이므로 주어진 식을 x 또는 y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➊ 50`%
a+b+c=16+4+16=36 경우
 36 ➋ a의 값을 구한 경우 50`%

정답과 풀이 37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37 2022-11-09 오후 1:26:38


02 f(x)가 x-1, x+1을 인수로 가지므로 조립제법에서 04 xÜ`-3xÛ`+2x-6을 인수분해하면
-1 1 -k 1 k -2 xÜ`-3xÛ`+2x-6
1 -k+1 -k+2 -2 =xÜ`+2x-3(xÛ`+2)
=x(xÛ`+2)-3(xÛ`+2)
-1 1 -k+1 -k+2 -2 -0
=(x-3)(xÛ`+2)
-1 k -2 xÜ`-3xÛ`+2x-6이 일차식 x+b(b는 정수)를 인수로 가지므로
1 -k 2 -0 b=-3 yy ➊


f(x)=xÛ`-4x+a라 하면 f(x)가 일차식 x-3을 인수로 가지므로
g(x)는 f(x)를 (x-1)(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g(x)=xÛ`-kx+2 yy ➊
yy ➋

f(3)=3Û`-4_3+a=0, a=3
g(1)=6이므로


 a=3, b=-3
g(1)=1-k+2=6에서


k=-3 yy ➋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따라서 g(x)=xÛ`+3x+2=(x+1)(x+2) yy ➌ ➊ b의 값을 구한 경우 50`%

 (x+1)(x+2) ➋ a의 값을 구한 경우 5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g(x)=xÛ`-kx+2를 구한 경우 40`%
➋ k의 값을 구한 경우 40`%
➌ g(x)를 인수분해한 경우 20`%
05 aÜ`+(3b-c)aÛ`+(3bÛ`-2bc)a+bÜ`-bÛ`c
=aÜ`+3aÛ`b-aÛ`c+3abÛ`-2abc+bÜ`-bÛ`c
=c(-aÛ`-2ab-bÛ`)+aÜ`+3aÛ`b+3abÛ`+bÜ` yy ➊


=-c(a+b)Û`+(a+b)Ü`
03 50=x로 놓으면 =(a+b)Û`(a+b-c) yy ➋
50ß`-1

50Ý`+50Û`+1  (a+b)Û`(a+b-c)

xß`-1 단계 채점 기준 비율
=
xÝ`+xÛ`+1
➊ 주어진 식을 c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경우 50`%
(xÜ`)Û`-1
= ➋ 다항식을 인수분해한 경우 50`%
(xÛ`+1)Û`-xÛ`
(xÜ`-1)(xÜ`+1)
=
(xÛ`+x+1)(xÛ`-x+1)
(x-1)(xÛ`+x+1)(x+1)(xÛ`-x+1)
= yy ➊
(xÛ`+x+1)(xÛ`-x+1)

=(x-1)(x+1) 06 (xÛ`+7x+10)(xÛ`-5x+4)+k
=xÛ`-1 =(x+2)(x+5)(x-4)(x-1)+k

=50Û`-1 ={(x+5)(x-4)}{(x+2)(x-1)}+k

=2500-1=2499 yy ➋ =(xÛ`+x-20)(xÛ`+x-2)+k yy ➊


 2499 이때 xÛ`+x=X로 놓으면

(xÛ`+x-20)(xÛ`+x-2)+k
단계 채점 기준 비율
=(X-20)(X-2)+k
➊ 분자, 분모의 식을 인수분해한 경우 50`%
=XÛ`-22X+40+k
➋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한 경우 50`%
=(X-11)Û`+k-81
다른 풀이 =(xÛ`+x-11)Û`+k-81 yy ➋

50Û`=x로 놓으면 이때 주어진 식이 x에 대한 이차식의 완전제곱식으로 인수분해되려면

50ß`-1 k-81=0이어야 하므로


50Ý`+50Û`+1 k=81 yy ➌

xÜ`-1  81
=

xÛ`+x+1
단계 채점 기준 비율
(x-1)(xÛ`+x+1)
= yy ➊ ➊ 주어진 식을 xÛ`+x로 표현한 경우 40`%
xÛ`+x+1

=x-1 ➋ x에 대한 이차식의 완전제곱식으로 표현한 경우 40`%
=50Û`-1=2499 yy ➋ ➌ k의 값을 구한 경우 20`%

3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38 2022-11-09 오후 1:26:39


본문 60쪽 조건 (나)에서 f(x)는 (x+c)Û`, 즉 (x-2)Û`을 인수로 가지므로 위의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조립제법에서
01 5000 02 44 03 39 04 8'3 4a+b+10=0, 4a+13=0

a=-;;Á4£;;, b=3
01 f(x)=xÝ`+3xÜ`-6xÛ`-28x-24에 대하여
f(-2)=0, f(3)=0이므로 f(x)는 x+2, x-3을 인수로 갖는다. 따라서 2abc=2_{-;;Á4£;;}_3_(-2)=39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 39


-2 1 -3 -6 -28 -24
-2 -2 -16 -24
04 조건 (가)에서
-3 1 -1 -8 -12 -10 aÛ`(a+b)+a(bÛ`-cÛ`)+bÜ`-bcÛ`
-3 12 -12 =aÜ`+aÛ`b+abÛ`-acÛ`+bÜ`-bcÛ`
=(-a-b)cÛ`+aÜ`+aÛ`b+abÛ`+bÜ`
1 -4 -4 -10
=-(a+b)cÛ`+aÛ`(a+b)+bÛ`(a+b)
f(x)=(x+2)(x-3)(xÛ`+4x+4) =(a+b)(aÛ`+bÛ`-cÛ`)
f(x)=(x+2)Ü`(x-3) =0
따라서 f(x)를 x-8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a, b, c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므로 a+b>0
f(8)=(8+2)Ü`(8-3)=5000 따라서 aÛ`+bÛ`-cÛ`=0
 5000 즉, 삼각형 ABC는 빗변의 길이가 c인 직각삼각형이다.

다른 풀이 조건 (나)에서 (c-a)(c-2b)(c-b)=0이고,
f(x)를 x-8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c+a이고 c+b이므로 c=2b yy ㉠
f(8)=8Ý`+3_8Ü`-6_8Û`-28_8-24=5000 조건 (다)에서 3b+c=20이므로 ㉠을 대입하면
3b+2b=20, b=4
02 xÝ`+xÛ`+nÛ` 따라서 a=4'3, b=4, c=8이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는
=(xÛ`)Û`+2nxÛ`+nÛ`-(2n-1)xÛ`
;2!;_4'3_4=8'3
=(xÛ`+n)Û`-(2n-1)xÛ`
이때 주어진 식이 x에 대한 두 이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려면  8'3

2n-1이 어떤 자연수의 제곱이어야 한다.
25 이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2n-1이 홀수이므로 2n-1의 값은 홀
수의 제곱이어야 한다.
즉, 가능한 2n-1의 값은 1, 9, 25, 49이므로 n의 값은 1, 5, 13, 25
이다.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의 값의 합은
1+5+13+25=44
 44

03 g(2)=0이므로 g(x)는 x-2를 인수로 갖는다.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x)를 인수분해하면
2 1 -2 2 -4
-2 0 -4
1 -0 2 -0

g(x)=(x-2)(xÛ`+2)
조건 (가), (다)에서 정수 c에 대하여 f(x), g(x)가 모두 일차식 x+c
를 인수로 가지므로 c=-2
2 1 a 1 b
2 2a+4 4a+10

2 1 a+2 2a+5 4a+b+10


2 2a+8
1 a+4 4a+13

정답과 풀이 39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01~039)_칠.indd 39 2022-11-09 오후 1:26:39


05 2+;2!;i의 실수부분이 2이고 허수부분이 ;2!;이므로
II. 방정식과 부등식 a=2, b=;2!;

따라서 a+4b=2+4_;2!;=4
04 복소수와 이차방정식
4


본문 63~65쪽
개념 확인하기
06 i Û`=-1이므로
01 실수부분: 3, 허수부분: 4 02 실수부분: 1, 허수부분: -2 실수: 0, -'5, i Û`, 1-'3
03 실수부분: 3, 허수부분: 0 04 실수부분: 0, 허수부분: -4 허수: '2i, 1+i
05 4 06 실수: 0, -'5, i Û`, 1-'3, 허수: '2i, 1+i  실수: 0, -'5, i Û`, 1-'3, 허수: '2i, 1+i


07 a=3, b=2 08 a=4, b=-2
09 a=3, b=-4 10 a=0, b=3 11 3+i 07  a=3, b=2
12 ;2!;+'2i 13 4 14 2i+3 15 2 16 '2, -3
08 a-1=3, 2b=-4이므로
17 4+i 18 5-5i 19 10 20 ;2!;+;2!; i 21 2i a=4, b=-2
'2 '2  a=4, b=-2
22 -1-4i 23 2i 또는 -2i 24 2
i 또는 -
2
i

25 -9 26 4i 27 3 28 -'6i 09 a+b=-1, a=3이므로 b=-4
29 x=2i 또는 x=-2i, 허근 30 x=1 또는 x=2, 실근 따라서 a=3, b=-4
-1+'3i -1-'3i  a=3, b=-4
31 x= 2 또는 x= , 허근

2
32 x=2(중근), 실근 33 -16 34 1 35 -3
10 a=0, a-2b=-6이므로 b=3
36 0 37 서로 다른 두 허근 38 서로 다른 두 실근 따라서 a=0, b=3

39 서로 다른 두 허근 40 서로 같은 두 실근(중근)  a=0, b=3

41 a<4 42 a=-2'3 또는 a=2'3 43 aÉ;2!;
44 a>9 45 -12 또는 12 46 16 11  3+i
47 (두 근의 합)=4, (두 근의 곱)=8
48 (두 근의 합)=-2, (두 근의 곱)=;2%;
12  ;2!;+'2i

49 (두 근의 합)=-;2#;, (두 근의 곱)=-3 13  4
'2
50 (두 근의 합)= , (두 근의 곱)=;3!;
2
14  2i+3
51 xÛ`-4x+6=0 52 xÛ`+2x+5=0

53 xÛ`-3x+2=0 54 xÛ`+4x+3=0
55 xÛ`-1=0 56 xÛ`-4x+5=0
15 3-2iÓ=3+2i 2

57 xÛ`-8x+15=0 58 xÛ`-2x-1=0
59 13 60 1 61 -3 62 3 16 '2+3i=
Õ '2-3i  '2, -3

01  실수부분: 3, 허수부분: 4 17 3i+(4-2i)=4+(3-2)i=4+i  4+i

18 (4-3i)-(-1+2i)={4-(-1)}+(-3-2)i
02  실수부분: 1, 허수부분: -2
‌
=5-5i
 5-5i

03  실수부분: 3, 허수부분: 0
19 (2+i)(4-2i)=8-2i Û`-4i+4i
‌
=8+2=10
04  실수부분: 0, 허수부분: -4  10

4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40 2022-11-09 오후 1:27:06


1 1+i 1+i 1+i
20 = =
1-i (1-i)(1+i) 1-i Û`
=
2
=;2!;+;2!; i 32 xÛ`-4x+4=0에서 (x-2)Û`=0이므로 x=2
즉, 서로 같은 두 실근 (중근)을 갖는다.
 ;2!;+;2!; i
 x=2(중근), 실근


21 (1+i)Û`=1+2i+i Û`=2i 33 D=0Û`-4_1_4=-16
 2i
 -16


4-i (4-i)i 4i-i Û`
22 i
= =
-1
=-4i-1=-1-4i
i Û`
 -1-4i
34 D=(-3)Û`-4_1_2=1
1


23 '¶-4=2i, -'¶-4=-2i이므로 2i 또는 -2i
 2i 또는 -2i 35 D=1Û`-4_1_1=-3

 -3


'2 '2
24 ¾Ð-;2!;=¾;2!; i= i, -¾Ð-;2!;=-¾;2!; i=- i이므로
2 2
  
  
'2
i 또는 -
'2
i
36 D=(-4)Û`-4_1_4=0
2 2 0


'2 '2
 i 또는 - i
2 2

37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25 '¶-3'¶-27=-'¶81=-9 D=(-1)Û`-4_1_1=-3<0
 -9 이므로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 서로 다른 두 허근

26 '2'¶-8='¶-16='¶16i=4i
 4i 38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5Û`-4_1_3=13>0
'¶-27 -27
27 '¶- 3
=¾Ð
-3
='9=3 이므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3  서로 다른 두 실근


'¶12 12
28 '¶- 2
=-¾Ð
-2
=-'¶-6=-'6i 39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 -'6i D
=1Û`-3_1=-2<0
4

이므로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29 xÛ`+4=0에서 xÛ`=-4이므로  서로 다른 두 허근

x='¶-4=2i 또는 x=-'¶-4=-2i
즉,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 x=2i 또는 x=-2i, 허근 4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
=(-2)Û`-4_1=0
4
30 xÛ`-3x+2=0에서 (x-1)(x-2)=0이므로 이므로 서로 같은 두 실근(중근)을 갖는다.
x=1 또는 x=2  서로 같은 두 실근(중근)

즉,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 x=1 또는 x=2, 실근
41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
31 xÛ`+x+1=0에서 근의 공식을 이용하면 4
=(-2)Û`-1_a>0이어야 하므로
-1Ñ"Ã1Û`-4_1_1 -1Ñ'¶-3 4-a>0에서 a<4
x= =
2 2
 a<4
-1Ñ'3i

x=
2

따라서 x=
-1+'3i
2
또는 x=
-1-'3i
2
42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aÛ`-4_1_3=0이어야 하므로 aÛ`=12에서
즉,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a=-2'3 또는 a=2'3
-1+'3i -1-'3i
 x= 또는 x= , 허근  a=-2'3 또는 a=2'3
2 2


정답과 풀이 41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41 2022-11-09 오후 1:27:07


43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51  xÛ`-4x+6=0
D
=1Û`-2_a¾0이어야 하므로
4
1-2a¾0에서 aÉ;2!;
52 xÛ`-(-2)x+5=0, 즉 xÛ`+2x+5=0
 aÉ;2!;  xÛ`+2x+5=0




44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53  xÛ`-3x+2=0
D
=3Û`-1_a<0이어야 하므로
4
9-a<0에서 a>9
 a>9 54 xÛ`-(-4)x+3=0, 즉 xÛ`+4x+3=0

 xÛ`+4x+3=0


45 4xÛ`+ax+9가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이차방정식 4xÛ`+ax+9=0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55 (두 근의 합)=-1+1=0, (두 근의 곱)=-1_1=-1
따라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xÛ`-1=0
D=aÛ`-4_4_9=0이어야 한다.
 xÛ`-1=0

즉, aÛ`=144이므로
a=-12 또는 a=12
 -12 또는 12
56 (두 근의 합)=(2+i)+(2-i)=4,

(두 근의 곱)=(2+i)(2-i)=4-iÛ`=5

46 axÛ`-8x+1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따라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xÛ`-4x+5=0


이차방정식 axÛ`-8x+1=0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 xÛ`-4x+5=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
=(-4)Û`-a_1=0이어야 한다.
4
57 (두 근의 합)=3+5=8, (두 근의 곱)=3_5=15
즉, 16-a=0이므로 a=16 따라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xÛ`-8x+15=0
 16  xÛ`-8x+15=0


47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4)=4, (두 근의 곱)=8 58 (두 근의 합)=(1-'2)+(1+'2)=2,
 (두 근의 합)=4, (두 근의 곱)=8 (두 근의 곱)=(1-'2)(1+'2)=1-2=-1

따라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xÛ`-2x-1=0
 xÛ`-2x-1=0
48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2$;=-2, (두 근의 곱)=;2%;

 (두 근의 합)=-2, (두 근의 곱)=;2%;
59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6, ab=6이므로
(a+1)(b+1)=ab+a+b+1=6+6+1=13

 13

49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 (두 근의 곱)=
-3 6
(두 근의 합)=- =-3
-2 -2 60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6, ab=6이므로
 (두 근의 합)=-;2#;, (두 근의 곱)=-3 1 1
+ =
a+b
=;6^;=1
a b ab

1

50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3@;
'2
(두 근의 합)=-
-'2
2
=
2
, (두 근의 곱)= =;3!;
2
61 계수가 모두 유리수이므로 다른 한 근은 1+'2
(두 근의 합)=(1-'2)+(1+'2)=2,
'2
 (두 근의 합)= , (두 근의 곱)=;3!; (두 근의 곱)=(1-'2)(1+'2)=1-2=-1
2

4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42 2022-11-09 오후 1:27:07


따라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xÛ`-2x-1=0
03 ㄱ. '3='3+0i이므로 허수부분은 0이다. (참)
즉, a=-2, b=-1이므로 a+b=-3 ㄴ. 실수부분이 0이고 허수부분이 0인 복소수 0은 실수이다. (거짓)

‌
 -3 ㄷ. a+bi (a, b는 실수)에서 b+0이면 이 복소수는 허수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62 계수가 모두 실수이므로 다른 한 근은 1-2i ④


(두 근의 합)=(1+2i)+(1-2i)=2,
(두 근의 곱)=(1+2i)(1-2i)=1-4iÛ`=5
따라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xÛ`-2x+5=0 04 2(1+i)-(2+i)Û`=2+2i-(2Û`+4i+iÛ`)

‌
=2+2i-(3+4i)
즉, a=-2, b=5이므로 a+b=3
=(2-3)+(2-4)i
3
=-1-2i

따라서 a=-1, b=-2이므로
a+b=-3
②


1+i (1+i)Û` 1+2i+i 2 ` 2i
05 =
1-i (1-i)(1+i)
=
1-i Û`
= =i이고
2
1-i (1-i)Û` 1-2i+i 2 ` -2i
= = = =-i이므로
본문 66~79쪽 1+i (1+i)(1-i) 1-i Û` 2
유형 완성하기
1+i 1-i
+ =i+(-i)=0
01 ② 02 3 03 ④ 04 ② 05 ③ 1-i 1+i
③
06 ③ 07 ① 08 ④ 09 ④ 10 ③

11 36 12 ③ 13 ⑤ 14 50 15 ②
16 ④ 17 ⑤ 18 ⑤ 19 ⑤ 20 ③ 06 aÛ`+bÛ`+cÛ`+2ab-2bc-2ca=(a+b-c)Û`
21 ④ 22 ③ 23 10 24 ④ 25 105 a+b-c=(3+i)+(2-2i)-(-1+3i)
‌

={3+2-(-1)}+(1-2-3)i
26 ② 27 ④ 28 ① 29 ④ 30 ②
=6-4i
31 ⑤ 32 ⑤ 33 ④ 34 7 35 ②
이므로
36 ② 37 9 38 ④ 39 ④ 40 ⑤ aÛ`+bÛ`+cÛ`+2ab-2bc-2ca=(6-4i)Û`
41 ④ 42 ④ 43 ② 44 ① 45 24
‌
=36-48i+16i Û`
46 ③ 47 ③ 48 ④ 49 32 50 11 =20-48i
51 ⑤ 52 72 53 ② 54 58 55 ② ③

56 15 57 ③ 58 ② 59 ⑤ 60 ②
61 ② 62 14 63 ① 64 ③ 65 ①
07 (x+i)(x+2i)+(x-3i)=xÛ`+3xi+2iÛ`+x-3i
66 11 67 ② 68 31 69 ④ 70 17
‌
=(xÛ`+x-2)+(3x-3)i
71 ① 72 ② 73 ③ 74 ② 75 ③ 이 복소수가 순허수가 되려면
76 ④ 77 ③ 78 ③ 79 ③ 80 ④ xÛ`+x-2=0, 3x-3+0이어야 한다.
81 ① 82 ④ 83 ① 84 ⑤ 85 ⑤ xÛ`+x-2=0에서 (x+2)(x-1)=0이므로
86 60 x=-2 또는 x=1 yy ㉠
3x-3+0에서 x+1 yy ㉡
㉠, ㉡에서 x=-2
01 ㄱ. a+bi의 허수부분은 b이다. (거짓) ①
ㄴ. b=0이면 a+bi=a이므로 실수이다. (참)

ㄷ. ab+0이면 a+0이므로 a+bi는 순허수가 아니다.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08 z=a+bi (a, b는 실수)로 놓으면 zÛ`=aÛ`-bÛ`+2abi이므로
② zÛ`이 실수이려면 ab=0이어야 한다.

복소수 z=(x-3)+(x+2)i에 대하여 zÛ`이 실수이려면
02 조건 (가)에 의하여 허수부분이 3이므로 b=3 (x-3)(x+2)=0이어야 하므로
조건 (나)에 의하여 순허수이므로 실수부분 a=0 x=-2 또는 x=3
따라서 a+b=3 따라서 모든 실수 x의 값의 합은 -2+3=1
3 ④


정답과 풀이 43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43 2022-11-09 오후 1:27:07


09 z=a+bi (a, b는 실수)로 놓으면 zÛ`=aÛ`-bÛ`+2abi이므로 14 z=2+i에서 z-2=i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zÛ`이 음의 실수이려면 aÛ`-bÛ`<0이고 ab=0 zÛ`-4z+4=-1
ab=0에서 a=0인 경우 -bÛ`<0이어야 하므로 b+0 즉, zÛ`-4z=-5이므로
b=0인 경우 aÛ`<0인 실수 a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zÛ`-4z)Û`-5(zÛ`-4z)=(-5)Û`-5_(-5)

‌
a=0이고 b+0이다. =50
복소수 z=(xÛ`+2i)+(-1+2xi)=(xÛ`-1)+(2x+2)i에 대하여  50


zÛ`이 음의 실수이려면
xÛ`-1=0이고 2x+2+0
xÛ`-1=0에서 (x+1)(x-1)=0이므로 15 z=1+'3i에서 z-1='3i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zÛ`-2z+1=-3
x=-1 또는 x=1 yy ㉠
즉, zÛ`-2z+4=0이므로
2x+2+0에서 x+-1 yy ㉡
zÜ`+zÛ`-2z=z(zÛ`-2z+4)+3(zÛ`-2z)
㉠, ㉡에서 x=1

‌
=z_0+3_(-4)
④

=-12
②
10 (1+i)x+(4y-3i)=6-i에서


(x+4y)+(x-3)i=6-i
두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16 z=zÕ가 성립하려면 z는 실수이어야 하므로
x+4y=6, x-3=-1 xÛ`-4x+3=0
x-3=-1에서 x=2이므로 (x-1)(x-3)=0
x+4y=6에 대입하면 y=1 x=1 또는 x=3
따라서 x+y=2+1=3 따라서 모든 실수 x의 값의 합은
③ 1+3=4

④

11 (3+ai)(a+2i)=3a+aÛ`i+6i+2ai Û`
‌
=a+(aÛ`+6)i
a+(aÛ`+6)i=5+bi이므로 두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17 ㄱ. (z+i)(zÕ-i)=(a+bi+i)(a-bi-i)
‌
={a+(b+1)i}{a-(b+1)i}
a=5, aÛ`+6=b
=aÛ`-(b+1)Û`i Û `
즉, b=5Û`+6=31
=aÛ`+(b+1)Û`
따라서 a+b=5+31=36
ㄱ. 이므로 실수이다. (참)
 36

ㄴ. zÛ`=(a+bi)Û`=aÛ`+2abi+bÛ`iÛ`=(aÛ`-bÛ`)+2abi에서

x ㄱ. zÛ`Ó=(aÛ`-bÛ`)+2abiÓ=(aÛ`-bÛ`)-2abi이고
12 xÛ`i-3xyi-4yÛ`i+ y =a에서 ㄱ. (zÕ)Û`=(a-bi)Û`=aÛ`-2abi+bÛ`iÛ`=(aÛ`-bÛ`)-2abi이므로
x ㄱ. zÛ`Ó=(zÕ)Û` (참)
+(xÛ`-3xy-4yÛ`)i=a
y
ㄷ. z+zÕ=a+bi+a+biÕ=a+bi+a-bi=2a=0에서
두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ㄷ. a=0이므로 z=bi
x
=a, xÛ`-3xy-4yÛ`=0 ㄷ. 즉, b+0이므로 z는 순허수이다. (참)
y
xÛ`-3xy-4yÛ`=0에서 (x-4y)(x+y)=0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x=4y 또는 x=-y ⑤

x 4y x -y 다른 풀이
따라서 = =4 또는 = =-1이므로
y y y y ㄱ. (z+i)(zÕ-i)=(z+i)(z+iÓ)이므로 실수이다. (참)
a=4 또는 a=-1 ㄴ. zÛ`Ó=z_zÕ=zÕ_z=
Õ (z)Õ Û` (참)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4+(-1)=3
③
1 1

18 + =0의 양변에 zzÕ를 곱하면
z zÓ
13 z=3-4i에서 z-3=-4i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z+
Õ z=0이므로 z=-zÕ
zÛ`-6z+9=-16 즉, z=a+bi (a, b는 실수)로 놓으면
즉, zÛ`-6z=-25 a+bi=-(a-bi)이므로 a=0
따라서 zÛ`-6z+30=-25+30=5 복소수 z+0이므로 b+0
⑤ 따라서 xÛ`-4=0이고 xÛ`-2x-8+0

4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44 2022-11-09 오후 1:27:08


xÛ`-4=0에서 (x+2)(x-2)=0이므로 9+bÛ`=13에서 bÛ`=4이므로 b=Ñ2
x=-2 또는 x=2 yy ㉠ 따라서 z1=3+2i, z2=3-2i 또는 z1=3-2i, z2=3+2i이므로
xÛ`-2x-8+0에서 z1Û`+z2Û`=(z1+z2)Û`-2z1z2

‌
(x-4)(x+2)+0이므로 ={(3+2i)+(3-2i)}Û`-2(3+2i)(3-2i)
x+4이고 x+-2 yy ㉡ =6Û`-2(9-4i Û`)
㉠, ㉡에서 x=2 =36-2_13=10
⑤  10


19 aaÓ+abÓ+aÓb+bbÓ=a(aÓ+bÓ)+b(aÓ+bÓ) 24 z=a+bi (a, b는 실수)로 놓으면 z=
Õ a-bi이므로
‌
=(a+b)(aÓ+bÓ) (3+4i)z+3z=(3+4i)(a+bi)+3(a-bi)
Õ

‌
a+b=(2+i)+(1+2i)=3+3i이고 =3a+4ai+3bi+4bi Û`+3a-3bi

aÓ+bÓ=a+bÓ=3-3i이므로 =(3a-4b+3a)+(4a+3b-3b)i

aaÓ+abÓ+aÓb+bbÓ=(3+3i)(3-3i) =(6a-4b)+4ai
‌
=9-9i Û`=18 (6a-4b)+4ai=4+2i이므로

⑤ 두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6a-4b=4, 4a=2

4a=2에서 a=;2!;이고

20 zÜ` zÓ+zzÜ`=
Ó zz(Ó zÛ`+zÓ Û`)=zzÓ{(z+zÓ)Û`-2zzÓ} 6a-4b=4에서 3-4b=4이므로
zÓ=1-i이므로
b=-;4!;
z+zÓ=(1+i)+(1-i)=2,
zzÓ=(1+i)(1-i)=1-iÛ`=2 따라서 z=;2!;-;4!;i
따라서 zÜ` zÓ+zzÜ`Ó=2(2Û`-2_2)=0
④

③

wÓ+1 (1+i)+1 2+i (2+i)i
25 i+iÛ`+iÜ`+y+i =-iÝ`에서
n

21 z= =
w-1 (1-i)-1
=
-i
=
-i 2
=-1+2i i+iÛ`+iÜ`+y+i =-1 n

이므로 z= i+iÛ`=-1+i, i+iÛ`+iÜ`=-1, i+iÛ`+iÜ`+iÝ`=0이므로


Õ -1-2i
z Ó z n=4k+1 (k는 자연수)일 때
{ }= Õ
zÕ z (i+iÛ`+iÜ`+iÝ`)+iÝ`(i+iÛ`+iÜ`+iÝ`)+y+i4k_i

{ }=
-1-2i =i
-1+2i
n=4k+2 (k는 자연수)일 때
{ }=
(-1-2i)Û`
(-1+2i)(-1-2i) (i+iÛ`+iÜ`+iÝ`)+iÝ`(i+iÛ`+iÜ`+iÝ`)+y+i4k(i+iÛ`)
=-1+i
{ }=
1+4i+4i Û` -3+4i
=
1-4i 2 5 n=4k+3 (k는 자연수)일 때
④ (i+iÛ`+iÜ`+iÝ`)+iÝ`(i+iÛ`+iÜ`+iÝ`)+y+i4k(i+iÛ`+iÜ`)

=-1
n=4k+4 (k는 자연수)일 때
22 z+zi=z(1+i)이므로 (i+iÛ`+iÜ`+iÝ`)+iÝ`(i+iÛ`+iÜ`+iÝ`)+y+i4k(i+iÛ`+iÜ`+iÝ`)
3+4i (3+4i)(1-i) =0
z= =
1+i (1+i)(1-i)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은 n=4k+3 (k는 음이 아닌 정
3+4i-3i-4i Û`
z= 수)이므로 30 이하의 자연수 n은
1-i 2
7+i 3, 7, 11, 15, 19, 23, 27
z=
2 즉, 모든 자연수 n의 값의 합은 105이다.
③
 105


23 z=a+bi (a, b는 실수)로 놓으면 zÕ=a-bi이므로 26
1-i
=
(1-i)Û`
1+i (1+i)(1-i)
=
1-2i+iÛ` -2i
1-i Û`
=
2
=-i이고
z+zÕ=(a+bi)+(a-bi)=2a=6에서 a=3
1+i (1+i)Û` 1+2i+iÛ` 2i
= = = =i이므로
zzÕ=(a+bi)(a-bi)=aÛ`-bÛ`i Û`=aÛ`+bÛ`=13 1-i (1-i)(1+i) 1-i Û` 2

정답과 풀이 45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45 2022-11-09 오후 1:27:08


{ } +{ } =(-i)99+i 102
1-i 99 1+i 102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1+i 1-i
②
=-i 99+i 102


=-iÜ`_(iÝ`)24+iÛ`_(iÝ`)25 '¶32 '¶27 '¶-32 '¶-27
=-(-i)+(-1) 31 '¶-2
+
'3
+
'2
+
'¶-3
=-1+i 32 27 -32 -27
=-¾Ð +¾Ð +¾Ð +¾Ð
② -2 3 2 -3

=-'¶-16+'9+'¶-16+'9

}2`=
1+i 1+2i+iÛ` 2i
27 zÛ`={ '2 2
= =i
2
=-4i+3+4i+3
=6
zÝ`=(zÛ`)Û`=i Û`=-1
따라서 a=6, b=0이므로 a+b=6
zÞ`=z_zÝ`=-z
 ⑤



zà`=zÜ`_zÝ`=-zÜ`
'a a
이므로
1+z+zÛ`+y+z16
32 'b
=-¾ 이므로 a¾0, b<0
b
즉, a-b>0
=(1+zÛ`+zÝ`+y+z16)+(z+zÜ`+z5+y+z15)
따라서
=(1+i+iÛ`+y+i¡`)+(z+zÜ`+z5+y+z15)
"Ã(a-b)Û`+|2a|-|b|=|a-b|+|2a|-|b|
={(1+i+iÛ`+iÜ`)+(1+i+iÛ`+iÜ`)_iÝ`+i¡`}

‌
=(a-b)+2a+b
=+{(z+zÜ`+zÞ`+zà`)+(z+zÜ`+zÞ`+zà`)_z¡`}
=3a
=1+{(z+zÜ`-z-zÜ`)+(z+zÜ`-z-zÜ`)_iÝ`}
⑤
=1

④
33 '¶x-4'¶x+3=-"ÃxÛ`-x-12이므로

x-4É0, x+3É0
28 zÛ`=(1+i)Û`=1+2i+iÛ`=2i 즉, xÉ4이고 xÉ-3이므로 xÉ-3
z13=(zÛ`)ß`_z=(2i)ß`_z=2ß`_iß`_(1+i)=-2ß`(1+i) 이때 x-6<0, x+3É0이므로
z14=(zÛ`)à`=(2i)à`=2à`_ià`=2à`_iÝ`_iÜ`=-2à`i |x-6|+|x+3|=-(x-6)-(x+3)
‌
z15=z14_z=-2à`i_(1+i)=2à`(1-i)이므로 =-x+6-x-3=-2x+3
z 15Ó=2à`(1+i) 따라서 a=-2, b=3이므로 a+b=1
z16=(zÛ`)¡`=(2i)¡`=2¡`_i¡`=2¡`_(iÝ`)Û`=2¡`이므로 ④

z16Ó=2¡`
따라서
'¶1-x x-1 1-x
z13+z14+z 15+
Ó z16Ó 34 '¶-x-6
=-¾Ð
x+6
=-¾Ð
-x-6
이므로
=-2ß`(1+i)-2à`i+2à`(1+i)+2¡`
1-x¾0, -x-6<0에서 -6<xÉ1
=(-2ß`+2à`+2¡`)+(-2ß`-2à`+2à`)i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개수는 -5, -4, -3, -2, -1,
=320-64i
0, 1의 7이다.
따라서 a=320, b=-64이므로 a+b=256
7

①

'¶-18 35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2kx+kÛ`-3k-9=0이 서로 다른 두
29 ('3+'¶-3)_('2-'¶-2)- '¶-3 실근을 가지려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18 D
='3'2-'3'¶-2+'¶-3'2-'¶-3'¶-2-¾Ð =(-k)Û`-(kÛ`-3k-9)>0
-3 4
='6-'¶-6+'¶-6-(-'6)-'6 즉, 3k+9>0이므로 k>-3
='6+'6-'6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k의 최솟값은 -2이다.
='6 ②

④

30 ㄱ. '¶-2'8='¶(-2)_8='¶-16=4i 36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2(1-k)x+kÛ`+4=0이 실근을 가지
ㄴ. '¶-3'¶-27=-"Ã(-3)_(-27)=-'¶81=-9 려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4 -4 D
ㄷ. =¾Ð ='¶-2='2i
'2 2 4
=(1-k)Û`-(kÛ`+4)¾0

4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46 2022-11-09 오후 1:27:08


kÛ`-2k+1-kÛ`-4¾0, -2k-3¾0이므로 즉, 4a-3=0, 9-4b=0이므로

kÉ-;2#; a=;4#;, b=;4(;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최댓값은 -;2#;이다. 따라서 a+b=;4#;+;4(;=3

② ⑤


37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2kx+2a-7=0이 실수 k의 값에 관
계없이 항상 실근을 가지려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41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kx+;4!;kÛ`-k+;4%;=0이 서로 다른 두
D 허근을 가지려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kÛ`-(2a-7)¾0
4
D=(-k)Û`-4{;4!;kÛ`-k+;4%;}<0
이 성립해야 한다.

kÛ`¾0이므로 -2a+7¾0, 즉 aÉ;2&; 4k-5<0이므로 k<;4%;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2&;이므로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k의 최댓값은 1이다.

p+q=2+7=9 ④


9

42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2ax+bÛ`-cÛ`=0이 허근을 가지려면
38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4ax+3aÛ`+4=0이 중근을 가지려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
=aÛ`-(bÛ`-cÛ`)<0
D 4
=(-2a)Û`-(3aÛ`+4)=0
4 aÛ`-bÛ`+cÛ`<0, 즉 aÛ`+cÛ`<bÛ`
4aÛ`-3aÛ`-4=0, aÛ`=4 따라서 삼각형 ABC는 ∠B가 둔각인 삼각형이다.
a=2 또는 a=-2 ④

a=2일 때, xÛ`-8x+16=0에서 (x-4)Û`=0이므로 a=4
즉, a+a=2+4=6
a=-2일 때, xÛ`+8x+16=0에서 (x+4)Û`=0이므로 a=-4
즉, a+a=-2+(-4)=-6 43 이차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 m, n이
따라서 a+a의 최댓값은 6이다. m+n=1을 만족시키려면

④ m=1, n=0 또는 m=0, n=1



이차방정식 xÛ`+2x-a=0의 판별식을 DÁ, 이차방정식
xÛ`-2(a+1)x+5+aÛ`=0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39 이차방정식이어야 하므로 k+-2 Ú m=1, n=0일 때


x에 대한 이차방정식 (k+2)xÛ`-2'6x+k-3=0이 중근을 가지려 DÁ Dª
Ú =1+a=0, =(a+1)Û`-(5+aÛ`)<0
4 4
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Ú 1+a=0에서 a=-1이고
D
=(-'6)Û`-(k+2)(k-3)=0 Ú (a+1)Û`-(5+aÛ`)<0에서 2a-4<0이므로 a<2
4
kÛ`-k-12=0, (k+3)(k-4)=0이므로 Ú 따라서 a=-1
k=-3 또는 k=4 Û m=0, n=1일 때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DÁ Dª
Ú =1+a<0, =(a+1)Û`-(5+aÛ`)=0
4 4
-3+4=1
Ú 1+a<0에서 a<-1이고
④
Ú (a+1)Û`-(5+aÛ`)=0에서 2a-4=0이므로 a=2

Ú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은 없다.
Ú, Û에서 a=-1
40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2k-3)x+kÛ`-4ak+b=0이 실수 ②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중근을 가지려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D=(2k-3)Û`-4(kÛ`-4ak+b)=0
이 성립해야 한다. 44 x에 대한 이차식 xÛ`-(k+3)x+4가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4kÛ`-12k+9-4kÛ`+16ak-4b=0 이차방정식 xÛ`-(k+3)x+4=0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4(4a-3)k+9-4b=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정답과 풀이 47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47 2022-11-09 오후 1:27:09


D=(k+3)Û`-4_4=0
48 이차식 xÛ`+2xy+kyÛ`+2'2y+k를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kÛ`+6k-7=0, (k+7)(k-1)=0에서 정리하면
k=-7 또는 k=1 xÛ`+2yx+kyÛ`+2'2y+k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값은 1이다. 이 식이 x, y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려면 x에 대한 이
① 차방정식 xÛ`+2yx+kyÛ`+2'2y+k=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
=yÛ`-(kyÛ`+2'2y+k)
4
=(1-k)yÛ`-2'2y-k
45 우변이 (x-a)Û`인 완전제곱식이므로 x에 대한 이차식 가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한다.
xÛ`-2(k+4)x-2kÛ`+2k+16이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한다.
즉, k+1이고 y에 대한 이차방정식 (1-k)yÛ`-2'2y-k=0의 판별
즉, 이차방정식 xÛ`-2(k+4)x-2kÛ`+2k+16=0이 중근을 가져야
식을 DÁ이라 할 때,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2)Û`-(1-k)(-k)=0
=(k+4)Û`-(-2kÛ`+2k+16)=0 4
4
kÛ`-k-2=0, (k+1)(k-2)=0
3kÛ`+6k=0, 3k(k+2)=0


k=-1 또는 k=2
k=-2 또는 k=0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1+2=1
Ú k=-2일 때
④
Ú xÛ`-4x+4=(x-2)Û`이므로 a=2

Ú 즉, aÛ`+kÛ`=2Û`+(-2)Û`=8
Û k=0일 때
Ú xÛ`-8x+16=(x-4)Û`이므로 a=4
49 이차식 xÛ`-yÛ`+4x+ky를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Û`+4x-yÛ`+ky
Ú 즉, aÛ`+kÛ`=4Û`+0Û`=16
이 식이 x, y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려면 x에 대한 이
Ú, Û에서 aÛ`+kÛ`의 값은 8 또는 16이므로 그 합은 24이다.
차방정식 xÛ`+4x-yÛ`+ky=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 24
D

=2Û`-(-yÛ`+ky)=yÛ`-ky+4
4
가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한다.

46 x에 대한 이차식 xÛ`-4ax+ka-k+b가 실수 k의 값에 관계없 즉, y에 대한 이차방정식 yÛ`-ky+4=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할 때,


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이차방정식 xÛ`-4ax+ka-k+b=0이 중근 DÁ=(-k)Û`-4_4=0, kÛ`=16
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실수 k의 값에 따라서 k=-4 또는 k=4이므로
D aÛ`+bÛ`=(-4)Û`+4Û`=32
관계없이 =(-2a)Û`-(ka-k+b)=0이 성립해야 한다.
4  32

(1-a)k+4aÛ`-b=0
위 식이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1-a=0, 4aÛ`-b=0 50 이차방정식 2xÛ`-7x+4=0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2&;, ab=;2$;=2
따라서 a=1, b=4이므로
a+b=5
③ ;2&;
b+a
= =;4&;
1 1
+ =

a b ab 2
따라서 p=4, q=7이므로 p+q=4+7=11
 11
47 이차식 xÛ`+4xy+3yÛ`+4x+4y+k를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Û`+4(y+1)x+3yÛ`+4y+k
이 식이 x, y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려면 x에 대한 이
51 이차방정식 xÛ`-8x+9=0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8, ab=9이므로 a>0, b>0이고
차방정식 xÛ`+4(y+1)x+3yÛ`+4y+k=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a+'¶b )Û`=a+b+2'¶ab=8+2'9=8+6=14
D
4
={2(y+1)}Û`-(3yÛ`+4y+k) 따라서 'a+'¶b>0이므로 'a+'¶b='¶14
=yÛ`+4y+4-k ⑤

가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y에 대한 이차방정식 yÛ`+4y+4-k=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DÁ 52 |xÛ`-6x|=3에서 xÛ`-6x=3 또는 xÛ`-6x=-3
=2Û`-(4-k)=0, k=0 Ú xÛ`-6x=3일 때, xÛ`-6x-3=0
4
③ Ú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 b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4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48 2022-11-09 오후 1:27:09


Ú a+b=6, ab=-3이므로 a+b=-c yy ㉢, ab=2d yy ㉣


Ú aÛ`+bÛ`=(a+b)Û`-2ab=6Û`-2_(-3)=42 ㉠, ㉢에서
Û xÛ`-6x=-3일 때, xÛ`-6x+3=0 a+c=-d=-b, 즉 b=d yy ㉤
Ú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c, d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을 ㉡에 대입하면 cd=cb=3b이고 b+0이므로 c=3


Ú c+d=6, cd=3이므로 ㉤을 ㉣에 대입하면 ab=ad=2d이고 d+0이므로 a=2


Ú cÛ`+dÛ`=(c+d)Û`-2cd=6Û`-2_3=30 a+c=5이므로 b=d=-(a+c)=-5
Ú, Û에서 따라서 a-b+c-d=2-(-5)+3-(-5)=15
aÛ`+bÛ`+cÛ`+dÛ`=42+30=72  15


 72

57 이차방정식 xÛ`-kx+2k-4=0의 한 근이 다른 한 근의 2배이
53 a가 이차방정식 xÛ`-3x+1=0의 근이므로 aÛ`-3a+1=0에서 므로 두 근을 a, 2a(a+0)으로 놓으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Û`-2a=a-1 a+2a=k, a_2a=2k-4
b도 이차방정식 xÛ`-3x+1=0의 근이므로 bÛ`-3b+1=0에서 즉, 3a=k이고 aÛ`=k-2
bÛ`-2b=b-1 k
3a=k에서 a= 이므로 aÛ`=k-2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3
즉, (aÛ`-2a)(bÛ`-2b)=(a-1)(b-1)=ab-(a+b)+1
kÛ`-9k+18=0, (k-3)(k-6)=0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k=3 또는 k=6
a+b=3, ab=1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3+6=9
따라서 (aÛ`-2a)(bÛ`-2b)=ab-(a+b)+1=1-3+1=-1
③
②


58 이차방정식 xÛ`-9x+kÛ`+k=0의 두 근의 차가 5이므로 두 근을
54 a가 이차방정식 xÛ`-8x+6=0의 근이므로 aÛ`-8a+6=0에서 a, a+5로 놓으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Û`=8a-6
a+(a+5)=9, a_(a+5)=kÛ`+k
즉, aÛ`+8b=8a-6+8b=8(a+b)-6
즉, 2a+5=9, a(a+5)=kÛ`+k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a+5=9에서 a=2이므로
a+b=8
a(a+5)=kÛ`+k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따라서 aÛ`+8b=8(a+b)-6=8_8-6=58
kÛ`+k-14=0
 58
이차방정식 kÛ`+k-14=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1Û`-4_1_(-14)=57>0이므로 두 실근을 갖는다.

55 이차방정식 xÛ`-(a+1)x+2-a=0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k의 값의 곱은 근과 계수의 관계


의하여 에 의하여 -14이다.
a+b=a+1, ab=2-a이고 ②

aÛ`+bÛ`=(a+b)Û`-2ab=(a+1)Û`-2(2-a)
aÛ`+bÛ`=aÛ`+2a+1-4+2a
59 이차방정식 xÛ`-2kx+2kÛ`-;;Á2£;;=0의 두 근이 연속된 정수이므
aÛ`+bÛ`=aÛ`+4a-3
로 두 근을 a, a+1로 놓으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Û`+bÛ`=1이므로 aÛ`+4a-3=1에서
aÛ`+4a-4=0 a+(a+1)=2k, a_(a+1)=2kÛ`-;;Á2£;;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즉, 2a+1=2k, a(a+1)=2kÛ`-;;Á2£;;
D
=2Û`-1_(-4)=8>0이므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2a+1=2k에서 a=k-;2!;이므로
4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근과 계수의 관계
에 의하여 -4이다. a(a+1)=2kÛ`-;;Á2£;;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②
{k-;2!;}{k+;2!;}=2kÛ`-;;Á2£;;

kÛ`-;4!;=2kÛ`-;;Á2£;;
56 이차방정식 xÛ`+ax+3b=0의 두 근이 c, d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즉, kÛ`=;;ª4°;;이므로 k=;2%; 또는 k=-;2%;
c+d=-a yy ㉠, cd=3b yy ㉡
이차방정식 xÛ`+cx+2d=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양수 k의 값은 ;2%;이다.

의하여 ⑤

정답과 풀이 49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49 2022-11-09 오후 1:27:09


60 이차방정식 xÛ`-kx+k=0의 두 근의 비가 2 : 3이므로 두 근을 64 두 수 -1과 1을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2a, 3a(a+0)으로 놓으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Û`-(-1+1)x+(-1)_1=0
2a+3a=k, 2a_3a=k 즉, xÛ`-1=0
즉, 5a=k이고 6aÛ`=k 따라서 f(x)=xÛ`-1이므로 f(2)=2Û`-1=3

5a=k에서 a=;5!;k이므로 6aÛ`=k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③


6kÛ`-25k=0, k(6k-25)=0

k=0 또는 k=;;ª6°;; 65 이차방정식 xÛ`-3x+4=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k는 양수이므로 k=;;ª6°;; a+b=3, ab=4
②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근이 a+1, b+1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1)+(b+1)=-a, (a+1)(b+1)=b yy ㉠
이때
61 이차방정식 xÛ`-2kx+k+1=0의 두 근이 연속된 홀수이므로 (a+1)+(b+1)=a+b+2=3+2=5
두 근을 2a-1, 2a+1이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1)(b+1)=ab+a+b+1=4+3+1=8
(2a-1)+(2a+1)=2k, (2a-1)(2a+1)=k+1
이므로 ㉠에서 a=-5, b=8
(2a-1)+(2a+1)=2k에서 2a=k이므로
두 수 -5와 8을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2a-1)(2a+1)=k+1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xÛ`-(-5+8)x+(-5)_8=0, 즉 xÛ`-3x-40=0
kÛ`-k-2=0, (k+1)(k-2)=0
따라서 f(x)=xÛ`-3x-40이므로 f(0)=-40
k=-1 또는 k=2
①

따라서 k는 양수이므로 k=2
②

참고 66 이차방정식 3xÛ`+5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수의
k=-1인 경우 두 실근은 -2, 0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관계에 의하여 a+b=-;3%;, ab=-;3!;이므로

-;3%;
1 1 a+b
+ = = =5
a b ab -;3!;
62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aÛ`+a-12)x+5-b=0의 두 실근
의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다르므로 두 근을 a, -a (a+0)으로 놓으면 1 1 1 1
_ = = =-3
a b ab -;3!;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a)=-(aÛ`+a-12), a_(-a)=5-b 1 1
따라서 , 을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aÛ`+a-12=0에서 (a+4)(a-3)=0이므로 a b
a=-4 또는 a=3 xÛ`-5x-3=0
a_(-a)=5-b에서 -aÛ`<0이므로 5-b<0에서 b>5 따라서 f(x)=xÛ`-5x-3이므로
이때 b는 한 자리 자연수이므로 b=6, 7, 8, 9 f(-2)=(-2)Û`-5_(-2)-3=11
따라서 a+b의 최댓값은 a=3, b=9일 때 12이고, 최솟값은 a=-4,  11

b=6일 때 2이므로 그 합은 14이다.
 14
67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a, ab=b
63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근이 -2, 3이므로 근과 계수의 이차방정식 xÛ`-(3a+6)x+4=0의 두 근이 a-1, b-1이므로 근과
관계에 의하여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3=-a, -2_3=b (a-1)+(b-1)=3a+6 yy ㉠
a=-1, b=-6 (a-1)(b-1)=4 yy ㉡
  
a, b를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이때
xÛ`-{-1+(-6)}x+(-1)_(-6)=0 (a-1)+(b-1)=a+b-2=-a-2이므로 ㉠에서
즉, xÛ`+7x+6=0 -a-2=3a+6, a=-2
따라서 f(x)=xÛ`+7x+6이므로 (a-1)(b-1)=ab-(a+b)+1=b-2+1=b-1
f(-2)=(-2)Û`+7_(-2)+6=-4 이므로 ㉡에서
① b-1=4, b=5

5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50 2022-11-09 오후 1:27:10


두 수 -2와 5를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c=-60a yy ㉡
xÛ`-(-2+5)x+(-2)_5=0, 즉 xÛ`-3x-10=0 ㉠, ㉡을 axÛ`+bx+c=0에 대입하면
따라서 f(x)=xÛ`-3x-10이므로 f(0)=-10` axÛ`-2ax-60a=0
② a+0이므로 xÛ`-2x-60=0

따라서 두 근의 곱은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60이다.

68 1이 이차방정식 xÛ`-ax+3=0의 근이므로 ①


1-a+3=0에서 a=4
즉, xÛ`-4x+3=0에서 (x-1)(x-3)=0
72 이차방정식 xÛ`-4x+5=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두 근은
x=1 또는 x=3이므로 a=3 x=-(-2)Ñ"Ã(-2)Û`-1_5=2Ñi이므로
3과 6을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xÛ`-4x+5=(x-2-i)(x-2+i)
xÛ`-(3+6)x+3_6=0 따라서 보기 중 주어진 이차식의 인수인 것은 ②이다.
즉, xÛ`-9x+18=0이므로 ②


b=9, c=18
따라서 a+b+c=4+9+18=31
 31 73 이차방정식 xÛ`-2x+2=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두 근은

x=-(-1)Ñ"Ã(-1)Û`-1_2=1Ñi
따라서
69 b만 잘못 보고 풀었으므로 두 근의 곱은 xÛ`-2x+2={x-(1+i)}{x-(1-i)}
c

‌
=-1_2=-2에서 c=-2a yy ㉠ =(x-1-i)(x-1+i)
a
c만 잘못 보고 풀었으므로 두 근의 합은 ③

b
- =2+(-2)=0에서 b=0 yy ㉡
a
㉠, ㉡을 axÛ`+bx+c=0에 대입하면 74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근이 a, b이므로
axÛ`-2a=0 xÛ`+ax+b=(x-a)(x-b)

a+0이므로 위의 식의 양변을 a로 나누면 (3-a)(3-b)=0, (2-a)(2-b)=0이므로 xÛ`+ax+b=0의 근은

xÛ`-2=0, (x+'2)(x-'2)=0 x=2 또는 x=3

x=-'2 또는 x='2 따라서 xÛ`+ax+b=(x-2)(x-3)이므로

따라서 |b-a|=2'2 x=4를 대입하면 16+4a+b=2에서

④ 4a+b=-14

②

70 갑은 x의 계수 b만 잘못 보고 풀었으므로 두 근의 곱은
c
a
=-1_4=-4에서 c=-4a yy ㉠ 75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근이 a, b이므로
xÛ`+ax+b=(x-a)(x-b)
을은 상수항 c만 잘못 보고 풀었으므로 두 근의 합은
(a-1)(b-1)=0에서 (1-a)(1-b)=0이고
- ={-;2#;+'2}+{-;2#;-'2}=-3에서
b
a (2a-1)(2b-1)=0에서 {;2!;-a}{;2!;-b}=0
b=3a yy ㉡
이므로 xÛ`+ax+b=0의 근은
㉠, ㉡을 axÛ`+bx+c=0에 대입하면
x=1 또는 x=;2!;
axÛ`+3ax-4a=0
a+0이므로 위의 식의 양변을 a로 나누면 따라서 a+b=1+;2!;=;2#;
xÛ`+3x-4=0, (x+4)(x-1)=0
③
x=-4 또는 x=1

따라서 aÛ`+bÛ`=16+1=17
 17 76 이차방정식 3xÛ`-6x+4=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ÃbÛ`-ac -b+"ÃbÛ`-ac
71 2a
=-3,
2a
=5이므로 a+b=2, ab=;3$;
-b-"ÃbÛ`-ac -b+"ÃbÛ`-ac b
+ =- =2에서 f(a)=a, f(b)=b에서
2a 2a a
f(a)-a=f(b)-b=0
b=-2a yy ㉠
따라서 a, b는 이차방정식 f(x)-x=0의 두 근이고, f(x)의 xÛ`의
-b-"ÃbÛ`-ac -b+"ÃbÛ`-ac ac c
_ = 2= =-15에서
2a 2a 4a 4a 계수가 1이므로

정답과 풀이 51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51 2022-11-09 오후 1:27:10


f(x)-x=(x-a)(x-b)
‌
따라서 a+b=12이므로 방정식 f(4x-2)=0의 두 근의 합은
=xÛ`-(a+b)x+ab a+2 b+2 a+b+4 16
+ = = =4
4 4 4 4
f(x)-x=xÛ`-2x+;3$;
④
‌

따라서 f(x)=xÛ`-x+;3$;이므로 f(1)=;3$; 다른 풀이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이 a, b이고 a+b=12이므로 이차항의


④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 f(x)=0은

f(x)=xÛ`-12x+k=0 (k는 상수)
따라서
77 이차방정식 xÛ`-2x-3=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수의 f(4x-2)=(4x-2)Û`-12(4x-2)+k
관계에 의하여

‌
=16xÛ`-64x+28+k=0
a+b=2, ab=-3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차방정식 f(4x-2)=0의 두 근
a=2-b, b=2-a
64
f(a)=b, f(b)=a에서 의 합은 =4이다.
16
f(a)+a-2=0, f(b)+b-2=0
따라서 a, b는 이차방정식 f(x)+x-2=0의 두 근이고, f(x)의 xÛ`
의 계수가 1이므로 81 a, b가 실수이므로 이차방정식 xÛ`+ax+b=0의 한 근이 3+i이
f(x)+x-2 =(x-a)(x-b) 면 다른 한 근은 3-i이다.
 ‌
=xÛ`-(a+b)x+ab 따라서 xÛ`+ax+b=(x-3-i)(x-3+i)
=xÛ`-2x-3 x=2를 대입하면 4+2a+b=(-1-i)(-1+i)=2
따라서 f(x)=xÛ`-3x-1이므로 이므로 2a+b=-2
f(4)=4Û`-3_4-1=3 ①

③

82 a, b가 실수이므로 이차방정식 xÛ`+ax+b=0의 한 근이 1+i이
78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면 다른 한 근은 1-i이다.

a+b=4, ab=-2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t+1 (1+i)+(1-i)=-a, (1+i)(1-i)=b


f(2x-1)=0에서 2x-1=t라 하면 x= 이므로
2 이므로 a=-2, b=2
a+1 b+1 따라서 b-a=2-(-2)=4
f(2x-1)=0의 근은 x= 또는 x=
2 2
④
따라서 방정식 f(2x-1)=0의 두 근의 곱은

a+1 b+1 ab+a+b+1
_ =
2 2 4
83 a, b가 유리수이므로 이차방정식 xÛ`+ax+b=0의 한 근이
=;4#;
-2+4+1
_ = 2-'3이면 다른 한 근은 2+'3이다.
4
③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3)+(2+'3)=-a, (2-'3)(2+'3)=b
이므로 a=-4, b=1
79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이 a, b이므로 따라서 ab=-4
t ①
방정식 f(2x)=0에서 2x=t라 하면 x=
2

a b
f(2x)=0의 근은 x= 또는 x=
2 2
따라서 ab=12이므로 방정식 f(2x)=0의 두 근의 곱은 84 a, b가 실수이므로 이차방정식 xÛ`+2x+a=0의 한 근이
b-3i이면 다른 한 근은 b+3i이다.
a b ab
_ = =;;Á4ª;;=3
2 2 4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③ (b-3i)+(b+3i)=-2, (b-3i)(b+3i)=a

(b-3i)+(b+3i)=-2에서
2b=-2이므로 b=-1
80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이 a, b이므로 (b-3i)(b+3i)=(-1-3i)(-1+3i)=1-9iÛ`=1+9=10
t+2 이므로 a=10
방정식 f(4x-2)=0에서 4x-2=t라 하면 x=
4
따라서 a+b=10+(-1)=9
a+2 b+2
f(4x-2)=0의 근은 x= 또는 x= ⑤
4 4

5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52 2022-11-09 오후 1:27:10


85 m, n이 실수이므로 이차방정식 xÛ`+2mx+n=0의 한 근이 단계 채점 기준 비율
-1+i이면 다른 한 근은 -1-i이다. ➊ 복소수의 나눗셈을 한 경우 20`%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주어진 복소수를 근으로 가지는 이차방정식을 구한
➋ 40`%
(-1+i)+(-1-i)=-2m, (-1+i)(-1-i)=n 경우
이므로 m=1, n=2 ➌ 다항식의 연산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한 경우 40`%

_ =;2!;이므로
1 1 m+n 3 1 1
이때 + = = ,
m n mn 2 m n
1 1
, 을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m n
02 z=a+bi (a, b는 실수)로 놓으면 z=
Õ a-bi이고
xÛ`-;2#;x+;2!;=0 (1+2i)Û`=1+4i+4iÛ`=-3+4i이므로
(1+2i)Û`z+4=(z+
Õ 2)i에서
따라서 a=-;2#;, b=;2!;이므로
(-3+4i)(a+bi)+4=(a-bi+2)i
b-a=;2!;-{-;2#;}=2 -3a+4ai-3bi+4biÛ`+4=(a+2)i-biÛ`
-3a+4ai-3bi-4b+4=(a+2)i+b
⑤
yy ➊

(-3a-4b+4)+(4a-3b)i=b+(a+2)i


두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86 f(2-'2)=2a-b이므로 2-'2는 방정식 -3a-4b+4=b, 4a-3b=a+2
f(x)-2a+b=0, 즉 xÛ`+ax-2a+b=0의 근이다.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이때 a, b가 유리수이므로 2+'2도 이차방정식 xÛ`+ax-2a+b=0
11 1
의 근이다. a= , b= yy ➋
12 4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1 1
따라서 z= + i이므로
(2-'2)+(2+'2)=-a에서 a=-4 12 4
(2-'2)(2+'2)=-2a+b에서 z+z+
Õ (z-z)Õ i
2=8+b이므로 b=-6 11 1 11 1 11 1 11 1
={ + i}+{ - i}+[{ + i}-{ - i}]i
12 4 12 4 12 4 12 4
따라서 f(x)=xÛ`+ax=xÛ`-4x이므로
11 1 11 1 4
= + i Û`= - = yy ➌
f(b)=f(-6)=(-6)Û`-4_(-6)=60 6 2 6 2 3

 60 4


3

단계 채점 기준 비율
z=a+bi로 놓고 p+qi 꼴로 좌변과 우변을 정리한
➊ 30`%
경우
두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을 이용하여 a, b의 값을
➋ 40`%
구한 경우
본문 80쪽
서술형 완성하기 ➌ z+zÕ+(z-zÕ)i의 값을 구한 경우 30`%

01 17 02 ;3$; 03 -20 04 16
1+a 1+b
05 x= 또는 x= 06 8
2a 2b 03 이차방정식 xÛ`-x+k=0의 두 실근을 a, b(aÉb)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5 5(1+2i) 5(1+2i)
01 z= 1-2i = (1-2i)(1+2i) = 1-4iÛ `
a+b=1, ab=k yy ➊

Ú a¾0, b¾0 또는 aÉ0, bÉ0일 때
5(1+2i)
z= =1+2i yy ➊ Ú a+b=1이므로 a¾0, b¾0
5

z=1+2i에서 z-1=2i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Ú 즉, |a|+|b|=a+b=9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zÛ`-2z+1=-4 yy ➋

zÛ`-2z+5=0에서 zÛ`-2z=-5 yy ➋ Û aÉ0Éb일 때

(zÛ`-2z)Û`+(z-3)(z+1) Ú |a|+|b|=9에서 -a+b=9
=(zÛ`-2z)Û`+(zÛ`-2z)-3 Ú a+b=1, -a+b=9를 연립하여 풀면
=(-5)Û`+(-5)-3 Ú a=-4, b=5 yy ➌

=25-8 Ú, Û에서 a=-4, b=5
=17 yy ➌ 따라서 k=ab=(-4)_5=-20 yy ➍


 17  -20


정답과 풀이 53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53 2022-11-09 오후 1:27:11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두 근의 1
20`% ➊ x 대신 을 대입한 이차방정식의 해를 구한 경우 40`%
➊ t
합과 두 근의 곱에 대한 관계식을 구한 경우
이차방정식 c(2x-1)Û`+b(2x-1)+a=0의 해를
두 근의 부호가 같은 경우가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음 ➋ 60`%
➋ 30`% a, b로 나타낸 경우
을 파악한 경우
➌ 두 근의 부호가 다른 경우에 대하여 두 근을 구한 경우 30`%
➍ k의 값을 구한 경우 20`% 06 두 이차방정식 xÛ`+6x+n=0, xÛ`-4x+10-n=0의 판별식을
각각 DÁ, Dª라 하면
DÁ Dª
=3Û`-n=9-n이고 =(-2)Û`-(10-n)=n-6
4 4

04 이차방정식 xÛ`+ax-4=0의 두 근이 a, b(a+b)이므로 근과 4
=9-n<0, 즉 n>9이면 f(n)=0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DÁ
=9-n=0, 즉 n=9이면 f(n)=1
a+b=-a, ab=-4 4
aÛ`, bÛ`이 이차방정식 xÛ`-8x+b=0의 두 근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 DÁ
=9-n>0, 즉 n<9이면 f(n)=2
4
에 의하여
이고
aÛ`+bÛ`=8, aÛ`bÛ`=b yy ➊


ab=-4이므로 =n-6<0, 즉 n<6이면 g(n)=0
4
aÛ`bÛ`=(ab)Û`=(-4)Û`=16에서 b=16 Dª
=n-6=0, 즉 n=6이면 g(n)=1
xÛ`-8x+16=(x-4)Û`이므로 4

aÛ`=bÛ`=4 =n-6>0, 즉 n>6이면 g(n)=2 yy ➊
4


따라서 a=2, b=-2 또는 a=-2, b=2이므로
따라서
a+b=0
1ÉnÉ5이면 f(n)+g(n)=2+0=2
즉, a=0이므로 a+b=0+16=16 yy ➋
n=6이면 f(n)+g(n)=2+1=3

 16
7ÉnÉ8이면 f(n)+g(n)=2+2=4

단계 채점 기준 비율 n=9이면 f(n)+g(n)=1+2=3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a, b에 n¾10이면 f(n)+g(n)=0+2=2
➊ 50`%
대한 식을 구한 경우 이므로 f(n)+g(n)=2를 만족시키는 12 이하의 자연수 n의 개수는
➋ a, b의 값을 구하여 그 합을 구한 경우 50`% 1, 2, 3, 4, 5, 10, 11, 12의 8이다. yy ➋

8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n에 값에 따라 f(n), g(n)의 값을 구한 경우 50`%
05 c+0이므로 0은 이차방정식 axÛ`+bx+c=0의 근이 아니다. f(n)+g(n)=2인 12 이하의 자연수 n의 개수를
즉, ab+0 ➋ 50`%
구한 경우
1
axÛ`+bx+c=0에 x 대신 을 대입하면
t
a b 1
+ +c=0, (ctÛ`+bt+a)=0
tÛ` t tÛ`
ctÛ`+bt+a=0 yy ㉠
  
1 1
이 방정식의 해는 t= 또는 t= yy ➊
a b

㉠에 t 대신 2k-1을 대입하면 본문 81쪽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c(2k-1)Û`+b(2k-1)+a=0

즉,
1 1
=2k-1 또는 =2k-1이므로
01 ③ 02 ⑤ 03 ② 04 ②
a b
1 1+a
a
=2k-1에서 k=
2a 01 z=p+qi (p, q는 실수, pq+0)로 놓으면 조건 (가)에서
1 1+b z+izÓ=p+qi+i(p-qi)=p+qi+pi-qiÛ`
=2k-1에서 k=
‌
b 2b =(p+q)+(p+q)i=0
따라서 이차방정식 c(2x-1)Û`+b(2x-1)+a=0의 해는 즉, p+q=0에서 q=-p이므로 z=p(1-i)이고
1+a 1+b
x= 또는 x= yy ➋ zÛ`=pÛ`(1-i)Û`=-2pÛ`i, zÝ`=(-2pÛ`i)Û`=-4pÝ`, zÞ`=-4pÞ`(1-i)
2a 2b

zÞ`=-4z이므로
1+a 1+b
 x= 또는 x= -4pÞ`(1-i)=-4p(1-i)에서 pÝ`=1이므로
2a 2b

5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54 2022-11-09 오후 1:27:11


p=1 또는 p=-1 Û b=-1일 때
z+zÓ=2p>0이므로 p=1 Ú -4<aÛ`É6이므로 a=0 또는 a=Ñ1 또는 a=Ñ2
따라서 z=1-i Ú a+bÛ`=a+1의 값은 -1, 0, 1, 2, 3
w=r+si (r, s는 실수, rs+0)로 놓으면 Ü b=-2일 때
w+wÓ=(r+si)+(r-si)=2r이므로 조건 (나)에서 Ú -8<aÛ`É2이므로 a=0 또는 a=Ñ1
2r=4, 즉 r=2 Ú a+bÛ`=a+4의 값은 3, 4, 5
w=2+si에서 wÛ`=(2+si)Û`=4-sÛ`+4si이므로 Ú, Û, Ü에서 a+bÛ`의 최댓값은 5, 최솟값은 -3이므로 그 합은 2이
wÛ`-z=4-sÛ`+4si-(1-i) 다.
‌
=3-sÛ`+(4s+1)i ②


(wÛ`-z)Û`의 값이 음의 실수이려면 wÛ`-z는 순허수이어야 하므로
3-sÛ`=0이고 4s+1+0 04 xÛ`-5=2k|x|에서 xÛ`-2k|x|-5=0
sÛ`=3에서 s='3 또는 s=-'3 x¾0일 때, xÛ`-2kx-5=0이고 이 이차방정식의 근은
즉, w=2+'3i 또는 w=2-'3i x=kÑ"ÃkÛ`+5
따라서 z=1-i에서 zÛ`=-2i이고 w=2+'3i 또는 w=2-'3i이므로 x<0일 때, xÛ`+2kx-5=0이고 이 이차방정식의 근은
(zÛ`i-w)Û`={-2i_i-(2Ñ'3i)}Û` x=-kÑ"ÃkÛ`+5
‌
=(Ð'3i)Û`=-3 주어진 방정식이 정수인 두 근을 가지려면 "Ãk`Û +5가 자연수이어야 한다.
③ 즉, kÛ`+5가 완전제곱식이어야 하므로

kÛ`+5=nÛ` (n은 자연수)
kÛ`-nÛ`=-5에서 (k-n)(k+n)=-5

02 이차방정식 xÛ`-6x+4=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수의 k-n=-1, k+n=5


관계에 의하여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k=2, n=3
a+b=6, ab=4 …… ㉠ x¾0일 때, x=-1 또는 x=5이므로 x=5
  
㉠에서 b=6-a, a=6-b이므로 x<0일 때, x=-5 또는 x=1이므로 x=-5
f(a)=-3a(6-b), f(b)=-3b(6-a)에 대입하면 따라서 a=-5, b=5 또는 a=5, b=-5
f(a)=-3aÛ`, f(b)=-3bÛ` f(-5), f(5)를 근으로 갖는 이차방정식이 xÛ`-42x+200=0이므로
즉, a, b는 이차방정식 f(x)+3xÛ`=0의 두 근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f(x)+3xÛ`=a(x-a)(x-b)=a(xÛ`-6x+4)(a+0) f(-5)+f(5)=42
f(1)=2이므로 f(x)=xÛ`+ax+b (a, b는 상수)로 놓으면
f(1)+3=a(1-6+4)=-a에서 a=-5 f(-5)+f(5)=(25-5a+b)+(25+5a+b)=50+2b=42에서
따라서 f(x)+3xÛ`=-5(xÛ`-6x+4)=-5xÛ`+30x-20이므로 b=-4
f(x)=-8xÛ`+30x-20 따라서 kf(0)=2b=2_(-4)=-8
따라서 이차방정식 -8xÛ`+30x-20=0의 두 근의 곱은 근과 계수의 ②

-20
관계에 의하여 =;2%;이다.
-8
⑤

03 조건 (나)에서 이차방정식 xÛ`+ax+b=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aÛ`-4b>0, 즉 aÛ`>4b …… ㉠
두 근이 a, b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a, ab=b
(a-b)Û`=(a+b)Û`-4ab=(-a)Û`-4bÉ10에서
aÛ`-4bÉ10 …… ㉡
㉠, ㉡에서 0<aÛ`-4bÉ10
조건 (가)에 의하여 -4b¾0이므로 0É-4bÉ10에서
b=0, -1, -2
Ú b=0일 때
Ú 0<aÛ`É10이므로 a=Ñ1 또는 a=Ñ2 또는 a=Ñ3
Ú a+bÛ`=a의 값은 -3, -2, -1, 1, 2, 3

정답과 풀이 55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55 2022-11-09 오후 1:27:11


06 이차방정식 3xÛ`-6x+3=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와 같으므
05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
=(-3)Û`-9=0이므로
4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1이다.
본문 83쪽
개념 확인하기 따라서 교점의 개수는 1이다.

01 -5 02 -3 03 0, 4 04 1, 4 05 0 1




06 1 07 2 08 ⑴ k<9 ⑵ k=9 ⑶ k>9



09 -2, 1 10 -6, 1 11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07 이차방정식 xÛ`+4x+2=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와 같으므로
D
12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13 만나지 않는다.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4
=2Û`-2=2>0이므로 서로
14 ⑴ k<5 ⑵ k=5 ⑶ k>5 다른 실근의 개수는 2이다.


15 최댓값: 없다., 최솟값: -3 따라서 교점의 개수는 2이다.
16 최댓값: 8, 최솟값: 없다. 17 최댓값: 0, 최솟값: -4 2


18 최댓값: 3, 최솟값: 0 19 최댓값: 6, 최솟값: 3
08 이차방정식 xÛ`-6x+k=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01 -1, 3이 이차방정식 xÛ`+ax+b=0의 실근과 같으므로 D
=(-3)Û`-k=9-k이므로

xÛ`+ax+b=(x+1)(x-3)=xÛ`-2x-3 4
⑴ 9-k>0에서 k<9
즉, a=-2, b=-3이므로 a+b=-5
⑵ 9-k=0에서 k=9
 -5

다른 풀이
⑶ 9-k<0에서 k>9
 ⑴ k<9 ⑵ k=9 ⑶ k>9
xÛ`+ax+b=(x+1)(x-3)이므로



x=1을 대입하면
1+a+b=-4에서 a+b=-5 09 이차방정식 xÛ`-2=-x, 즉 xÛ`+x-2=0의 실근과 같으므로
(x+2)(x-1)=0에서 x=-2 또는 x=1
02 -'3, '3이 이차방정식 xÛ`+ax+b=0의 실근과 같으므로  -2, 1


xÛ`+ax+b=(x+'3)(x-'3)=xÛ`-3
즉, a=0, b=-3이므로 a+b=-3
 -3 10 이차방정식 -xÛ`-3x+5=2x-1, 즉 xÛ`+5x-6=0의 실근과

다른 풀이 같으므로
xÛ`+ax+b=(x+'3)(x-'3)이므로 (x+6)(x-1)=0에서 x=-6 또는 x=1
x=1을 대입하면  -6, 1

1+a+b=-2에서 a+b=-3

03 이차방정식 xÛ`-4x=0의 실근과 같으므로 11 이차방정식 xÛ`+x=2x+1, 즉 xÛ`-x-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x-4)=0에서 x=0 또는 x=4
D=(-1)Û`-(-4)=5>0
따라서 이차함수 y=xÛ`-4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0, 4
이므로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이다.
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 0, 4


04 이차방정식 xÛ`-5x+4=0의 실근과 같으므로 12 이차방정식 xÛ`-3x+2=-x+1, 즉 xÛ`-2x+1=0의 판별식
(x-1)(x-4)=0에서 을 D라 하면
x=1 또는 x=4 D
=(-1)Û`-1=0
따라서 이차함수 y=xÛ`-5x+4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1, 4
4이다. 이므로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 1, 4  한 점에서 만난다. (접한다.)


05 이차방정식 xÛ`-4x+5=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와 같으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
=(-2)Û`-5=-1<0이므
13 이차방정식 -xÛ`-4x+3=x+13, 즉 xÛ`+5x+10=0의 판별
4 식을 D라 하면
로 실근의 개수는 0이다. D=5Û`-40=-15<0
따라서 교점의 개수는 0이다. 이므로 만나지 않는다.
0  만나지 않는다.


5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56 2022-11-09 오후 1:27:12


14 이차방정식 xÛ`-3x+k=x+1, 즉 xÛ`-4x+k-1=0의 판별식 01 이차함수 y=xÛ`+ax+b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두 점의 x좌표
가 -1, 2이므로 -1, 2는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실근이다.
을 D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D
=(-2)Û`-(k-1)=5-k이므로 -1+2=-a, -1_2=b
4
⑴ 5-k>0에서 k<5 a=-1, b=-2
⑵ 5-k=0에서 k=5 따라서 a+b=(-1)+(-2)=-3
⑶ 5-k<0에서 k>5 ①


 ⑴ k<5 ⑵ k=5 ⑶ k>5



02 이차방정식 axÛ`+bx+c=0의 두 실근이 1, 3이므로
15 y=xÛ`-4x+1=(x-2)Û`-3이므로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두 점의 x좌표는
최댓값은 없고 최솟값은 -3이다. 1, 3이다.
 최댓값: 없다., 최솟값: -3 따라서 x축과 만나는 두 점 사이의 거리는 3-1=2

2


16 y=-2xÛ`-8x=-2(x+2)Û`+8이므로
최댓값은 8이고 최솟값은 없다.
 최댓값: 8, 최솟값: 없다.
03 이차함수 y=2xÛ`+ax+b의 그래프와 x축이 점 A(2, 0)에서만
만나므로 2는 이차방정식 2xÛ`+ax+b=0의 중근이다.

즉, 2xÛ`+ax+b=2(x-2)Û`=2xÛ`-8x+8이므로
17 f(x)=xÛ`-4x=(x-2)Û`-4에서 꼭짓점의 x좌표는 2이고, a=-8, b=8
1É2É4
따라서 ab=-8_8=-64
즉, f(1)=-3, f(2)=-4, f(4)=0이므로 최댓값은 0, 최솟값은
①

-4이다.
 최댓값: 0, 최솟값: -4
04 이차함수 y=x Û`+a x+b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가

-3, -1이므로 -3, -1은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실근이다.
18 f(x)=-xÛ`-2x+3=-(x+1)Û`+4에서 꼭짓점의 x좌표는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이고, -2<-1
-3+(-1)=-a, -3_(-1)=b
즉, f(-3)=0, f(-2)=3이므로 최댓값은 3, 최솟값은 0이다.
a=4, b=3
 최댓값: 3, 최솟값: 0

xÛ`+bx-a=0에서 xÛ`+3x-4=0이므로
(x+4)(x-1)=0, x=-4 또는 x=1
19 f(x)=xÛ`+2x+3=(x+1)Û`+2에서 꼭짓점의 x좌표는 -1이 따라서 두 실근의 차는 1-(-4)=5
고, -1<0
5
즉, f(0)=3, f(1)=6이므로 최댓값은 6, 최솟값은 3이다.

 최댓값: 6, 최솟값: 3

05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가 x축 위의 두 점
A(-3, 0), B(3, 0)을 지나므로
axÛ`+bx+c=a(x+3)(x-3)
또한 점 C(0, -9)를 지나므로
-9=a_(0+3)(0-3)에서 a=1
본문 84~91쪽
유형 완성하기 따라서 axÛ`+bx+c=(x+3)(x-3)이므로 x=2를 대입하면
4a+2b+c=5_(-1)=-5
01 ① 02 2 03 ① 04 5 05 ①
①
06 ② 07 ② 08 ⑤ 09 ④ 10 ②


11 ③ 12 44 13 ② 14 ⑤ 15 ⑤
16 ⑤ 17 ③ 18 ② 19 ② 20 ④ 06 이차함수 y=xÛ`+2x+a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두 점의 x좌표
가 b, b+4이므로 b, b+4는 이차방정식 xÛ`+2x+a=0의 두 실근이다.
21 ① 22 ⑤ 23 ③ 24 ⑤ 25 ④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6 ④ 27 ③ 28 ③ 29 ④ 30 ④
b+(b+4)=-2, b(b+4)=a
31 ③ 32 ⑤ 33 ① 34 7 35 ②
2b+4=-2에서 b=-3이므로
36 ① 37 ③ 38 ⑤ 39 18 40 ⑤ a=-3_1=-3
41 ④ 42 ⑤ 43 ① 44 ④ 45 ⑤ 따라서 a+b=-3+(-3)=-6
46 ⑤ 47 ④ 48 16 mÛ` 49 ④ ②

정답과 풀이 57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57 2022-11-09 오후 1:27:12


07 이차함수 y=xÛ`-4kx+4kÛ`+2k+4의 그래프가 x축과 서로 다 11 이차함수 y=xÛ`+ax+2b의 그래프와 직선 y=x+b가 만나는 두
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이차방정식 xÛ`-4kx+4kÛ`+2k+4=0이 서로 점의 x좌표가 -3, 2이므로 -3, 2는 이차방정식 xÛ`+ax+2b=x+b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의 두 실근이다.
D xÛ`+ax+2b=x+b에서 xÛ`+(a-1)x+b=0
=(-2k)Û`-(4kÛ`+2k+4)>0
4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k-4>0에서 k<-2
-3+2=-a+1, -3_2=b
따라서 정수 k의 최댓값은 -3이다.
a=2, b=-6
②
따라서 a+b=2+(-6)=-4

08 이차함수 y=xÛ`-4ax-4bÛ`+100의 그래프가 x축과 접하려면 ③


이차방정식 xÛ`-4ax-4bÛ`+100=0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12 이차함수 y=-3xÛ`+x-4의 그래프와 직선 y=mx+n의 두
D 교점의 x좌표가 0, 4이므로 0, 4는 이차방정식
=(-2a)Û`-(-4bÛ`+100)=0
4 -3xÛ`+x-4=mx+n의 두 실근이다.
4aÛ`+4bÛ`-100=0 -3xÛ`+x-4=mx+n에서 3xÛ`+(m-1)x+n+4=0
즉, aÛ`+bÛ`=25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는 자연수이므로 -m+1 n+4
0+4= , 0_4= 이므로
a=1일 때, bÛ`=24이므로 자연수 b는 존재하지 않는다. 3 3
a=2일 때, bÛ`=21이므로 자연수 b는 존재하지 않는다. m=-11, n=-4
a=3일 때, bÛ`=16에서 b=4 따라서 mn=-11_(-4)=44
a=4일 때, bÛ`=9에서 b=3  44

a¾5일 때, bÛ`É0이므로 자연수 b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a=3, b=4 또는 a=4, b=3이므로 13 이차함수 y=xÛ`+x의 그래프와 직선 y=mx가 만나는 서로 다
a+b=7 른 두 점의 x좌표의 차가 4이므로 이차방정식 xÛ`+x=mx, 즉
⑤ xÛ`+(1-m)x=0의 두 근의 차가 4이다.

xÛ`+(1-m)x=0에서 x(x-m+1)=0
09 이차함수 y=xÛ`+2kx+4k+5의 그래프가 x축과 접하려면 이 즉, 이 방정식의 근이 x=0 또는 x=m-1이므로
차방정식 xÛ`+2kx+4k+5=0이 중근을 가져야 한다.
m-1=4 또는 m-1=-4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m=5 또는 m=-3

=kÛ`-(4k+5)=0 따라서 모든 실수 m의 값의 합은 5+(-3)=2
4
kÛ`-4k-5=0, (k+1)(k-5)=0 ②

k=-1 또는 k=5 …… ㉠
이차함수 y=xÛ`-4x+k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지 않으려면 이차방정 14 이차함수 y=xÛ`+ax+b의 그래프와 직선 y=x가 점 (1, 1)에
식 xÛ`-4x+k=0이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져야 한다. 서만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xÛ`+ax+b=x, 즉 xÛ`+(a-1)x+b=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은 중근 x=1을 갖는다.
Dª 즉, xÛ`+(a-1)x+b=(x-1)Û`이므로 x=3을 대입하면
=(-2)Û`-k<0
4 9+3(a-1)+b=4
k>4 …… ㉡ 따라서 3a+b=-2
㉠, ㉡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하므로 k=5 ⑤

④

10 이차함수 y=xÛ`-2ax+(a-1)k+b의 그래프가 실수 k의 값에 15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와 직선 y=mx-4의 두 교점의 x좌표
가 a, b(a<b)이므로 이차방정식 xÛ`=mx-4, 즉 xÛ`-mx+4=0의
관계없이 x축과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xÛ`-2ax+(a-1)k+b=0이
두 근이 a, b이다.
중근을 가져야 한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a+b=m, ab=4
D
=(-a)Û`-{(a-1)k+b}=0 a+b=6이므로 m=6
4
이어야 하므로 -(a-1)k+aÛ`-b=0에서 한편, (b-a)Û`=(a+b)Û`-4ab=6Û`-4_4=20이고
a-1=0, aÛ`-b=0 b-a>0이므로
a=1이고 b=aÛ`=1 b-a='¶20=2'5
따라서 a+b=1+1=2 따라서 m(b-a)=6_2'5=12'5
② ⑤


5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58 2022-11-09 오후 1:27:12


16 이차함수 y=xÛ`+4x의 그래프와 직선 y=x+k가 서로 다른 두 21 실수 a의 값에 관계없이 이차함수 y=xÛ`-2ax+aÛ`+4a의 그래
점에서 만나려면 이차방정식 xÛ`+4x=x+k, 즉 xÛ`+3x-k=0이 서 프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이 y=mx+n이므로 이차방정식
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xÛ`-2ax+aÛ`+4a=mx+n, 즉 xÛ`-(2a+m)x+aÛ`+4a-n=0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실수 a의 값에 관계없이 중근을 가져야 한다.
D=3Û`-4_1_(-k)>0, 9+4k>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실수 a의 값에 관계없이

k>-;4(; D=(-2a-m)Û`-4_1_(aÛ`+4a-n)=0
이어야 한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k의 최솟값은 -2이다.
즉, 4aÛ`+4ma+mÛ`-4aÛ`-16a+4n=0에서
⑤
4(m-4)a+mÛ`+4n=0

위 식이 a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17 이차함수 y=-2xÛ`+x의 그래프가 직선 y=-3x+n과 만나지 m-4=0, mÛ`+4n=0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2xÛ`+x=-3x+n, 즉 2xÛ`-4x+n=0이 서
m=4이고 16+4n=0에서 n=-4
로 다른 두 허근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mn=4_(-4)=-16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①


D
=(-2)Û`-2_n<0, 2n>4
4
n>2 22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이 만나는 점의 x좌표가 -3,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n의 최솟값은 3이다. 1이므로 이차방정식 f(x)=0의 근은
③ x=-3 또는 x=1

f {;2!;x-2}=0에서 ;2!;x-2=t라 하면 x=2(t+2)이므로
18 이차함수 y=xÛ`+x+a의 그래프와 직선 y=-3x가 적어도 한
점에서 만나려면 이차방정식 xÛ`+x+a=-3x, 즉 xÛ`+4x+a=0이 f {;2!;x-2}=0의 근은
실근을 가져야 한다. x=2(-3+2)=-2 또는 x=2(1+2)=6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f {;2!;x-2}=0의 두 근의 합은
D
=2Û`-a¾0
4 -2+6=4
aÉ4 ⑤

따라서 자연수 a는 1, 2, 3, 4이므로 그 합은 10이다.
②
23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이 만나는 점의 x좌표가 -1,

2이므로 이차방정식 f(x)=0의 근은
19 기울기가 2인 직선의 방정식을 y=2x+k (k는 실수)라 하면 이 x=-1 또는 x=2
직선이 이차함수 y=xÛ`+3의 그래프와 접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f(2x+a)=0에서 2x+a=t라 하면 x=;2!;(t-a)이므로
xÛ`+3=2x+k, 즉 xÛ`-2x+3-k=0이 중근을 가져야 한다.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2x+a)=0의 근은
D
=(-1)Û`-1_(3-k)=0 x=;2!;(-1-a) 또는 x=;2!;(2-a)
4
1-(3-k)=0에서 k=2 따라서 f(2x+a)=0의 두 근의 합은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2x+2이므로 이 접선의 y절편은 2 ;2!;(-1-a)+;2!;(2-a)=;2!;(1-2a)
이다.
② 즉, ;2!;(1-2a)=2이므로 1-2a=4에서

a=-;2#;
20 점 (1, -1)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을
③
y=m(x-1)-1=mx-m-1 (m은 실수)

로 놓으면 이 직선이 이차함수 y=-2xÛ`+x의 그래프와 점 (1, -1)
에서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2xÛ`+x=mx-m-1, 즉 24 두 이차함수 y=f(x), y=g(x)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x좌표
2xÛ`+(m-1)x-m-1=0이 중근 x=1을 갖는다. 가 -2, 4이므로 이차방정식 f(x)=g(x)의 근은
즉, 2xÛ`+(m-1)x-m-1=2(x-1)Û`이므로 x=-2 또는 x=4
2xÛ`+(m-1)x-m-1=2xÛ`-4x+2 f(2x)=g(2x)에서 2x=t라 하면 x=;2!;t이므로
m-1=-4, -m-1=2에서 m=-3
f(2x)=g(2x)의 근은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3이다.
④ x=;2!;_(-2)=-1 또는 x=;2!;_4=2

정답과 풀이 59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59 2022-11-09 오후 1:27:13


따라서 f(2x)=g(2x)의 두 근의 곱은
30 f(x)=xÛ`-2x+3=(x-1)Û`+2
-1_2=-2 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는 1이다.
⑤ 0<1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는 주어진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f(-1)=6, f(0)=3이므로
-1ÉxÉ0에서 이차함수 f(x)의 최댓값은 6, 최솟값은 3이고 그 합
25 이차함수 y=xÛ`+2ax+b가 x=3에서 최솟값 -2를 가지므로 은 9이다.
xÛ`+2ax+b=(x-3)Û`-2=xÛ`-6x+7
④
즉, 2a=-6, b=7이므로 a=-3, b=7


따라서 a+b=-3+7=4
④
31 f(x)=xÛ`-2x+aÛ`+a=(x-1)Û`+aÛ`+a-1

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는 1이다.
26 f(x)=xÛ`-6x+6=(x-3)Û`-3이므로 1<2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가 주어진 범위에 포함되지 않고
함수 f(x)는 x=3에서 최솟값 -3을 갖는다. f(2)<f(4)이다.
g(x)=-xÛ`-2x+1=-(x+1)Û`+2이므로 함수 f(x)는 x=2에서 최솟값 f(2)=aÛ`+a, x=4에서 최댓값
함수 g(x)는 x=-1에서 최댓값 2를 갖는다. f(4)=aÛ`+a+8을 가지므로 그 합은
따라서 a=3, b=-1, m=-3, M=2이므로 2aÛ`+2a+8=12
a+b+m+M=3+(-1)+(-3)+2=1 즉, aÛ`+a-2=0에서 (a+2)(a-1)=0이므로
④ a=-2 또는 a=1

따라서 a=-2, b=1이므로
b-a=1-(-2)=3
27 함수 f(x)는 x=k에서 최솟값 4를 가지므로 ③
xÛ`+ax+b=(x-k)Û`+4이고

-2+6
f(-2)=f(6)이므로 k= =2이다.
2
즉, xÛ`+ax+b=(x-2)Û`+4이므로 x=1을 대입하면
32 f(x)=2xÛ`-2x+k=2{x-;2!;}2`+k-;2!;
1+a+b=5, a+b=4
따라서 a+b+k=4+2=6 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는 ;2!;이다.

-1É;2!;É1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가 주어진 범위에 포함된다.


③

이때 f(-1)=k+4, f {;2!;}=k-;2!;, f(1)=k이고
28 이차함수 y=xÛ`+ax+b의 그래프가 x축과 두 점 (-4, 0),
(2, 0)에서 만나므로 k-;2!;<k<k+4이므로 -1ÉxÉ1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은
xÛ`+ax+b=(x+4)(x-2)=xÛ`+2x-8에서
k-;2!;, 최댓값은 k+4이다.
a=2, b=-8
즉, 주어진 이차함수는 즉, k+4=4이므로 k=0

y=xÛ`+2x-8=(x+1)Û`-9 따라서 함수 f(x)의 최솟값은 k-;2!;=-;2!;


이므로 x=-1에서 최솟값 -9를 갖는다.
⑤

따라서 m=-9이므로
a+b-m=2+(-8)-(-9)=3
③
33 f(x)=axÛ`-2ax+b=a(x-1)Û`+b-a (a<0)

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는 1이다.
29 f(x)=xÛ`-2x+a=(x-1)Û`+a-1 -1É1É2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가 주어진 범위에 포함된다.
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는 1이다. 이때 f(-1)=3a+b, f(1)=-a+b, f(2)=b이고
0É1É3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가 주어진 범위에 포함된다. a<0이므로 3a+b<b<-a+b
이때 f(0)=a, f(1)=a-1, f(3)=a+3이고 즉, -1ÉxÉ2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은 3a+b, 최댓값은 -a+b
a-1<a<a+3이므로 0ÉxÉ3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a+3, 이므로
최솟값은 a-1이다. 3a+b=-2, -a+b=6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2a+2이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4
2a+2=10에서 a=4 따라서 ab=-2_4=-8
④ ①


6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60 2022-11-09 오후 1:27:13


34 Ú 0ÉxÉ3일 때 37 f(x)=xÛ`-2ax로 놓으면
Ú f(x)=xÛ`-3|x|+x-1=xÛ`-2x-1=(x-1)Û`-2 -2ÉxÉ6에서 이차함수 y=f(x)의 최댓값은 f(-2)와 f(6)의 값
Ú 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는 1이다. 중 큰 값이다.
Ú 0É1É3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는 주어진 범위에 포함된다. 주어진 조건에서 f(6)이 최댓값이 되어야 하므로 f(-2)Éf(6)을 만
Ú 이때 f(0)=-1, f(1)=-2, f(3)=2이므로 족시켜야 한다.
Ú 0ÉxÉ3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2, 최솟값은 -2이다. 즉, 4+4aÉ36-12a에서
Û -3ÉxÉ0일 때 16aÉ32, aÉ2
Ú f(x)=xÛ`-3|x|+x-1=xÛ`+4x-1=(x+2)Û`-5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2이다.
Ú 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는 -2이다. ③


Ú -3É-2É0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는 주어진 범위에 포함된다.
Ú 이때 f(-3)=-4, f(-2)=-5, f(0)=-1이므로
38 xÛ`+2x=t로 놓으면
Ú -3ÉxÉ0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1, 최솟값은 -5이다. t=(x+1)Û`-1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가 -1이고
Ú, Û에 의하여 -3ÉxÉ3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2É-1É1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가 주어진 범위에 포함된다.
f(3)=2, 최솟값은 f(-2)=-5이다. x=-2일 때, t=0
따라서 M=2, m=-5이므로 x=-1일 때, t=-1
M-m=2-(-5)=7 x=1일 때, t=3
7 이므로 -1ÉtÉ3

이때 주어진 함수는
y=tÛ`-4t+3=(t-2)Û`-1

35 f(x)=xÛ`-4x=(x-2)Û`-4 이므로 꼭짓점의 t좌표는 2이고 -1ÉtÉ3에 포함된다.


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는 2이다. t=-1일 때, y=8
Ú 2<a<4일 때, t=2일 때, y=-1
Ú 꼭짓점의 x좌표는 주어진 범위에 포함되지 않고 f(a)<f(4) t=3일 때, y=0
Ú 즉, 함수 f(x)는 x=4에서 최댓값 f(4)=0을 가지므로 조건을 만 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최댓값은 8이고 최솟값은 -1이다.
‌
족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M=8, m=-1이므로
Û aÉ2일 때, M-m=8-(-1)=9
Ú 꼭짓점의 x좌표는 주어진 범위에 포함되고 ⑤

Ú f(a)=aÛ`-4a, f(2)=-4, f(4)=0이므로
Ú 최댓값이 5이려면 aÛ`-4a=5이어야 한다.
39 xÛ`-4x+1=t로 놓으면
Ú aÛ`-4a-5=0에서 (a+1)(a-5)=0 t=(x-2)Û`-3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가 2이고
Ú a=-1 또는 a=5 0É2É3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가 주어진 범위에 포함된다.
Ú 그런데 aÉ2이므로 a=-1 x=0일 때, t=1
Ú, Û에서 a=-1 x=2일 때, t=-3
② x=3일 때, t=-2

이므로 -3ÉtÉ1
이때 주어진 함수는

36 y=xÛ`+2kx=(x+k)Û`-kÛ` y=tÛ`-2(t-1)=tÛ`-2t+2=(t-1)Û`+1

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는 -k이다. 이므로 꼭짓점의 t좌표는 1이고 -3ÉtÉ1에 포함된다.

Ú -k¾0, 즉 kÉ0일 때 t=-3일 때, y=17

Ú 꼭짓점의 x좌표가 주어진 범위에 포함되므로 이차함수는 x=-k t=1일 때, y=1


‌
에서 최솟값 -kÛ`을 갖는다. 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최댓값은 17이고 최솟값은 1이다.

Ú 즉, -kÛ`=-9이므로 k=-3 또는 k=3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18이다.

Ú 그런데 kÉ0이므로 k=-3  18



Û -k<0, 즉 k>0일 때
Ú 꼭짓점의 x좌표가 주어진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이차함수는 40 xÛ`-2x=t로 놓으면
‌
x=0에서 최솟값 0을 갖는다. t=(x-1)Û`-1이므로 t¾-1
Ú 즉,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이때 주어진 함수는
Ú, Û에서 k=-3 y=tÛ`-2t+k=(t-1)Û`+k-1
① 이므로 꼭짓점의 t좌표가 1이고 t¾-1에 포함된다.

정답과 풀이 61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61 2022-11-09 오후 1:27:14


따라서 t=1일 때, 최솟값 k-1을 가지므로 x+y=4에서 y=4-x이고 4-x¾0이므로 xÉ4
k-1=4, k=5 즉, 0ÉxÉ4
⑤ 이때

xÛ`+yÛ`=xÛ`+(4-x)Û`

‌
41 xÛ`-4x+yÛ`+2y+6=(x-2)Û`+(y+1)Û`+1 =2xÛ`-8x+16

이때 (x-2)Û`¾0, (y+1)Û`¾0이므로 =2(x-2)Û`+8

x=2, y=-1일 때, 최솟값 1을 갖는다. 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가 2이고 0ÉxÉ4에 포함된다.

④ x=0 또는 x=4일 때, xÛ`+yÛ`=16



x=2일 때, xÛ`+yÛ`=8
따라서 xÛ`+yÛ`의 최댓값은 16, 최솟값은 8이므로 그 합은 24이다.
42 -2xÛ`+4xy-4yÛ`+2x+k ⑤
=-xÛ`+4xy-4yÛ`-xÛ`+2x+k


=-(x-2y)Û`-(x-1)Û`+k+1
이때 -(x-2y)Û`É0, -(x-1)Û`É0이므로 47 -xÛ`+16=0에서
(x+4)(x-4)=0이므로
x=1이고 x=2y, 즉 y=;2!;일 때, 최댓값 k+1을 갖는다. x=-4 또는 x=4
k+1=10이므로 k=9 즉, 이차함수 y=-xÛ`+16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4, 4이므로 점 A의 좌표를 (a, 0)이라 하면 점 B의 좌표는
따라서 abk=1_;2!;_9=;2(;
(a, -aÛ`+16)이고 점 B가 제1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⑤
0<a<4를 만족시켜야 한다.

ADÓ=2a, ABÓ=-aÛ`+16이므로
43 xÛ`+2ax+yÛ`+4by+aÛ`+4bÛ`+c 직사각형 ABCD의 둘레의 길이는
=(x+a)Û`+(y+2b)Û`+c 4a+2(-aÛ`+16)=-2aÛ`+4a+32
‌
‌
이때 (x+a)Û`¾0, (y+2b)Û`¾0이므로 =-2(a-1)Û`+34
x=-a, y=-2b일 때 최솟값 c를 갖는다. 꼭짓점의 a좌표는 1이고 0<a<4에 포함된다.
즉, -a=2, -2b=3, c=4이므로 따라서 a=1일 때 둘레의 길이의 최댓값은 34이다.
a=-2, b=-;2#;, c=4 ④

따라서 a+b+c=-2+{-;2#;}+4=;2!;
48 창고의 세로의 길이를 x m라 하면 가로의 길이는 (16-4x)m이
① 고 x>0, 16-4x>0에서 0<x<4

전체 창고의 넓이는
x(16-4x)=-4xÛ`+16x
44 x+y=4에서 y=4-x이므로
‌
xÛ`+2y=xÛ`+2(4-x)=xÛ`-2x+8 =-4(x-2)Û`+16
‌
=(x-1)Û`+7 이때 꼭짓점의 x좌표는 2이고 0<x<4에 포함되므로 x=2일 때 최댓

따라서 x=1일 때 최솟값 7을 갖는다. 값 16을 갖는다.

④ 따라서 전체 창고의 넓이의 최댓값은 16 mÛ`이다.



 16 mÛ`

45 2x-y=4에서 y=2x-4이므로 49 y=-4xÛ`+160x=-4(x-20)Û`+1600
xy=x(2x-4)=2xÛ`-4x
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가 20이고 15ÉxÉ30에 포함된다.
‌
=2(x-1)Û`-2
x=15일 때, y=1500
꼭짓점의 x좌표가 1이므로 -1ÉxÉ4에 포함되고
x=20일 때, y=1600
x=-1일 때, xy=6
x=30일 때, y=1200
x=1일 때, xy=-2
따라서 x=20일 때 최댓값 1600, x=30일 때 최솟값 1200을 가지므
x=4일 때, xy=16
로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는 400(천 원)이다.
따라서 xy의 최댓값은 16, 최솟값은 -2이므로 그 합은 14이다.
④

⑤

46 xy¾0이므로 x¾0, y¾0 또는 xÉ0, yÉ0
xÉ0, yÉ0이면 x+yÉ0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즉, x¾0, y¾0

6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62 2022-11-09 오후 1:27:14


서술형 완성하기
본문 92쪽 Ú kÛ`+3k+1=1에서 kÛ`+3k=0이므로
Ú k(k+3)=0
01 5 02 2Ék<6 03 -2 04 27 Ú k=-3 또는 k=0
05 12 06 5 Ú k<-1이므로 k=-3 yy ➊


Û -1ÉkÉ1일 때

01 실수 k에 대하여 직선 y=x+k와 이차함수 y=xÛ`-3x+10의 Ú 꼭짓점의 x좌표가 주어진 범위에 포함되므로 x=k에서 최솟값 k를

‌
그래프가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는 x에 대한 이차방정식 갖는다.
xÛ`-3x+10=x+k, 즉 xÛ`-4x+10-k=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 Ú 즉, k=1 yy ➋


수와 같다. yy ➊ Ü k>1일 때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Ú 꼭짓점의 x좌표가 주어진 범위에 포함되지 않고
D Ú f(1)<f(-1)이므로 x=1에서
=(-2)Û`-(10-k)=k-6에 대하여

‌
4 Ú 최솟값 (1-k)Û`+k=kÛ`-k+1을 갖는다.

‌
k-6>0, 즉 k>6이면 f(k)=2 Ú kÛ`-k+1=1에서 kÛ`-k=0이므로
k-6=0, 즉 k=6이면 f(k)=1 Ú k(k-1)=0
k-6<0, 즉 k<6이면 f(k)=0 yy ➋ Ú k=0 또는 k=1

을 만족시킨다. Ú k>1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은 없다. yy ➌


따라서 Ú, Û, 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는 -3, 1이므로 그 합은
f(2)+f(4)+f(6)+f(8)+f(10)=0+0+1+2+2=5 yy ➌ -2이다. yy ➍


5  -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f(k)를 이차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로 이해한 경우 30`% k<-1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을 구한
➋ 판별식을 이용하여 f(k)를 구한 경우 50`%
➊ 30`%
경우
➌ f(2)+f(4)+f(6)+f(8)+f(10)의 값을 구한 경우 20`% -1ÉkÉ1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을
➋ 30`%
구한 경우
k>1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이 없음을
➌ 30`%
02 이차방정식 xÛ`-4x+6-k=0이 두 실근을 가지므로 구한 경우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➍ 실수 k의 값의 합을 구한 경우 10`%
D
=(-2)Û`-(6-k)¾0
4
-2+k¾0에서 k¾2 yy ➊

두 실근이 모두 0보다 크므로 두 근의 합과 곱이 모두 양수이어야 한다. 04 삼각형 ABC와 삼각형 ARQ는 서로 닮음이므로 점 A에서 두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선분 BC, RQ 위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Á, Hª라 하면
(두 근의 합)=4>0, (두 근의 곱)=6-k>0이므로 BCÓ : AHÁÓ=RQÓ : AHªÓ
k<6 yy ➋ 삼각형 ABC의 넓이가 54이므로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2!;_12_AHÁÓ=54
2Ék<6 yy ➌
AHÁÓ=9

 2Ék<6
RQÓ=x (x>0)이라 하면

단계 채점 기준 비율 12 : 9=x : AHªÓ에서
판별식을 이용하여 k의 값의 범위를 구한 경우 40`%
AHªÓ=;4#;x이므로 PQÓ=9-;4#;x

yy ➊

두 근이 모두 양수일 조건을 이용하여 k의 값의 범위를
➋ 40`%
구한 경우 9-;4#;x>0이므로 x<12, 즉 0<x<12이고
➌ ➊, ➋의 공통 범위를 구한 경우 20`% 직사각형 PQRS의 넓이는

x{9-;4#;x}=-;4#;xÛ`+9x

x{9-;4#;x}=-;4#;(x-6)Û`+27 yy ➋
03 f(x)=(x-k)Û`+k로 놓으면

Ú k<-1일 때 꼭짓점의 x좌표가 6이므로 0<x<12에 포함된다.
Ú 꼭짓점의 x좌표가 주어진 범위에 포함되지 않고 따라서 x=6일 때, 최댓값 27을 가지므로 직사각형 PQRS의 넓이의
Ú f(-1)<f(1)이므로 x=-1에서 최댓값은 27이다. yy ➌

Ú 최솟값 (-1-k)Û`+k=kÛ`+3k+1을 갖는다.  27

정답과 풀이 63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63 2022-11-09 오후 1:27:15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본문 93쪽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➊ RQÓ=x로 놓고 PQÓ를 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경우 30`%
직사각형 PQRS의 넓이를 x에 대한 완전제곱꼴로
01 -5ÉtÉ1 02 ④ 03 4 04 -5
➋ 40`%
나타낸 경우
➌ 직사각형 PQRS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한 경우 30`% 01 직선 y=m(x-t)+4t는 실수 m의 값에 관계없이 점 (t, 4t)를
지나고 점 (t, 4t)는 직선 y=4x 위의 점이다.
직선 y=m(x-t)+4t가 실수 m의 값에 관계없이 이차함수
y=xÛ`+8x-5=(x+4)Û`-21의 그래프와 만나려면
05 점 P(a, bÛ`)이 직선 2x+y-6=0 위의 점이므로 직선 y=4x와 이차함수 y=xÛ`+8x-5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이
2a+bÛ`-6=0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고 그 점을 각각 P, Q라 하면 조건을 만족시
즉, bÛ`=6-2a yy ➊

키는 점 (t, 4t)는 선분 PQ 위의 점이면 된다.
bÛ`¾0이므로 6-2a¾0에서 aÉ3
aÛ`+abÛ`+bÝ`=aÛ`+a(6-2a)+(6-2a)Û` y=4x
y
aÛ`+abÛ`+bÝ`=aÛ`+6a-2aÛ`+36-24a+4aÛ` y=xÛ`+8x-5
aÛ`+abÛ`+bÝ`=3aÛ`-18a+36 4 P
t O
aÛ`+abÛ`+bÝ`=3(a-3)Û`+9 yy ➋ -5 1 x

꼭짓점의 a좌표가 3이므로 aÉ3에 포함된다.
따라서 aÛ`+abÛ`+bÝ`의 최솟값은 a=3일 때 9이므로 y=m(x-t)+4t

t=3, m=9
4t
즉, t+m=3+9=12 yy ➌

 12 Q -2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xÛ`+8x-5=4x에서 xÛ`+4x-5=0
점 P가 직선 2x+y-6=0 위의 점임을 이용하여
➊ 30`% (x+5)(x-1)=0이므로
bÛ`을 a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경우
x=-5 또는 x=1
➋ aÛ`+abÛ`+bÝ`을 a에 대한 완전제곱꼴로 나타낸 경우 40`%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t의 값의 범위는
➌ t+m의 값을 구한 경우 30`%
-5ÉtÉ1
 -5ÉtÉ1

06 조건 (가)에 의하여 함수 f(x)는 x=0에서 최솟값을 가지므로
a>0이고 axÛ`+bx+4=axÛ`+k (k는 실수) 꼴로 놓을 수 있다. 02 4x+3¾0, 2y¾0이므로 '¶4x+3¾0, '¶2y¾0
즉, b=0이고 k=4 yy ➊ 2x+y=6에서 y=6-2x이므로 6-2x¾0에서 xÉ3

조건 (나)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가 직선 y=2x와 접하거나 이 즉, 0ÉxÉ3
직선보다 항상 위쪽에 있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axÛ`+4=2x, 즉 '¶4x+3+'¶2y=t (t>0)으로 놓고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axÛ`-2x+4=0이 중근을 갖거나 실근을 갖지 않아야 한다. tÛ`=4x+2y+3+2"Ã2(4x+3)y
‌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y=6-2x이므로
D tÛ`=15+2"Ã2(4x+3)(6-2x)
=(-1)Û`-4aÉ0이어야 하므로
4
f(x)=(4x+3)(6-2x)라 하면

f(x)=-8xÛ`+18x+18=-8{x- }2`+
1-4aÉ0에서 a¾;4!; yy ➋ 9 225

8 8
따라서 f(2)=4a+4 {a¾;4!;}이므로 f(2)의 최솟값은 a=;4!;일 때 9
이때 함수 f(x)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x좌표가 이므로 0ÉxÉ3에
8
5이다. yy ➌
포함된다.

5
x=0일 때, f(0)=18

x= 일 때, f{ }=
단계 채점 기준 비율 9 9 225
➊ b의 값을 구한 경우 30`% 8 8 8
x=3일 때, f(3)=0
➋ a의 값의 범위를 구한 경우 40`%
225
➌ f(2)의 최솟값을 구한 경우 30`% 즉, 0ÉxÉ3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 최솟값은 0이다.
8

따라서 tÛ`의 최댓값은 x= 일 때 tÛ`=15+2¾Ð2_


9 225
=30이고,
8 8
최솟값은 x=3일 때 tÛ`=15이다.
t>0이므로 t의 최댓값은 '¶30이고 최솟값은 '¶15

6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64 2022-11-09 오후 1:27:15


즉, 최댓값과 최솟값의 곱은
04 x의 값의 범위가 kÉxÉk+4이므로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30_'¶15=15'2 k+4-k=4로 구간의 길이가 4로 일정하다.
④ f(k)=f(k+4)를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을 kÁ이라 하면

kÉkÁ일 때 M(k)=f(k)이고, k>kÁ일 때 M(k)=f(k+4)
f(k) (kÉ0)
03 xÛ`+4x+k=t로 놓으면 M(k)=à
f(k+4) (k>0)
이므로 kÁ=0

t=(x+2)Û`+k-4
즉, f(0)=f(4)이고 M(k)의 최솟값은 4를 만족시키므로
꼭짓점의 x좌표는 -2이므로 -4ÉxÉ0에 포함된다.
f(x)=xÛ`+ax+b=x(x-4)+4


x=-4 또는 x=0일 때, t=k
f(x)=xÛ`-4x+4=(x-2)Û`

이때 m(k)=à
x=-2일 때, t=k-4
(k+2)Û` (kÉ-2)
이므로 t의 값의 범위는 k-4ÉtÉk이고
0 (-2<k<2)
y=-(xÛ`+4x+k)Û`+4(xÛ`+4x+k)
(k-2)Û` (k¾2)
y=-tÛ`+4t=-(t-2)Û`+4
이므로 곡선 y=m(k)와 직선 y=2k+t가 다음 그림과 같다.
꼭짓점의 t좌표가 2이므로
Ú k<2일 때 y y=m(k) y=2k+t

Ú 꼭짓점의 t좌표가 k-4ÉtÉk에 포함되지 않는다.


Ú t=k-4일 때, y=-(k-6)Û`+4=-kÛ`+12k-32
Ú t=k일 때, y=-(k-2)Û`+4=-kÛ`+4k
Ú 이므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2 O 2 k

Ú -2kÛ`+16k-32=4
곡선 y=m(k)와 직선 y=2k+t가 한 점에서만 만나는 경우는 곡선
Ú kÛ`-8k+18=0
y=(k-2)Û`과 직선 y=2k+t가 접할 때이므로 이차방정식
Ú 이를 만족시키는 실수 k는 존재하지 않는다.
kÛ`-4k+4=2k+t, 즉 kÛ`-6k+4-t=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Û 2ÉkÉ4일 때
D
Ú 꼭짓점의 t좌표가 k-4ÉtÉk에 포함된다. 4
=(-3)Û`-(4-t)=0이어야 한다.
Ú t=k-4일 때, y=-(k-6)Û`+4=-kÛ`+12k-32 즉, 9-4+t=0에서 t=-5
Ú t=2일 때, y=4  -5

Ú t=k일 때, y=-(k-2)Û`+4=-kÛ`+4k
Ú 이고 -kÛ`+12k-32É-kÛ`+4k이므로
Ú 최댓값은 4이고 최솟값은 -kÛ`+12k-32이다.
Ú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이 4이므로
Ú 4+(-kÛ`+12k-32)=4
Ú kÛ`-12k+32=0, (k-4)(k-8)=0이므로
Ú k=4 또는 k=8
Ú 2ÉkÉ4이므로 k=4
Ü 4<kÉ6일 때
Ú 꼭짓점의 t좌표가 k-4ÉtÉk에 포함된다.
Ú Û의 결과를 이용하면
Ú -kÛ`+12k-32¾-kÛ`+4k이므로
Ú 최댓값은 4이고 최솟값은 -kÛ`+4k이다.
Ú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이 4이므로
Ú 4+(-kÛ`+4k)=4
Ú kÛ`-4k=0, k(k-4)=0이므로
Ú k=0 또는 k=4
Ú 4<kÉ6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는 존재하지 않는다.
Ý k>6일 때
Ú 꼭짓점의 t좌표가 k-4ÉtÉk에 포함되지 않는다.
Ú 즉,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Ú과 같으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실수
‌
k는 존재하지 않는다.
Ú~Ý에서 k=4

4

정답과 풀이 65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65 2022-11-09 오후 1:27:16


03 xÝ`-27x=0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06 여러 가지 방정식과 부등식 x(xÜ`-27)=0, x(x-3)(xÛ`+3x+9)=0


-3Ñ3'3i
따라서 x=0 또는 x=3 또는 x=
본문 95~97쪽 2
개념 확인하기
-3Ñ3'3i
 x=0 또는 x=3 또는 x=
2
01 x=2 또는 x=-1Ñ'3i


02 x=-2 또는 x=-1 또는 x=1
03 x=0 또는 x=3 또는 x=
-3Ñ3'3i
2
04 xÝ`-4xÜ`=0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xÜ`(x-4)=0
1Ñ'5
04 x=0 또는 x=4 05 x=1 또는 x= 2 따라서 x=0 또는 x=4
-1Ñ'3i
06 x=2 또는 x= 2  x=0 또는 x=4


07 x=4 또는 x=-2 또는 x=1Ñi
08 x=Ñi 또는 x=Ñ2 09 xÜ`-x=0 05 f(x)=xÜ`-2xÛ`+1이라 하면 1 1 -2 0 1


x=4 x=-2 f(1)=1-2+1=0 1 -1 -1
10 ⑴ 2 ⑵ 0 ⑶ -1 ⑷ 0 11 [ y=2 또는 [ y=-4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 1 -1 -1 0



x=2 x=0 x=-1 x=5 분해하면
12 [ y=0 또는 [ y=-1 13 [ y=5 또는 [
y=-1 f(x)=(x-1)(xÛ`-x-1)
x=-2 x=3 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x-1)(xÛ`-x-1)=0
14 [ y=3 또는 [
y=-2 1Ñ'5
따라서 x=1 또는 x=
2
x=-'3 x='3 x=2 x=-2 1Ñ'5
15 [ y='3 또는 [
y=-'3
또는 [
y=1
또는 [
y=-1
 x=1 또는 x=
2

x=2 x=-2 x=-2i x=2i
16 [ y=2 또는 [ 또는 [ 또는 [
y=-2 y=2i y=-2i
06 f(x)=xÝ`-3xÜ`+xÛ`+4라 하면
17 1<x<4 18 해가 없다. f(2)=16-24+4+4=0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19 2ÉxÉ8 20 xÉ;2#; 또는 x¾;2&;
2 1 -3 1 0 4
21 -;3$;<x<2 22 x<-1 또는 x>3 2 -2 -2 -4
2 1 -1 -1 -2 0
23 ;3@;ÉxÉ2 24 x<;2#; 또는 x>3 2 2 2
25 풀이 참조 26 1<x<2 1 1 1 0
27 x<1 또는 x>2 28 -2ÉxÉ3 f(x)=(x-2)Û`(xÛ`+x+1)
29 xÉ-2 또는 x¾3 30 모든 실수 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31 x+-2인 모든 실수 32 (x-4)(x-6)¾0 (x-2)Û`(xÛ`+x+1)=0
33 (x+1)(x-2)<0 34 x(x-2)>0 따라서 x=2 또는 x=
-1Ñ'3i
2
35 (x-4)Û`>0 36 -2<x<-1
-1Ñ'3i
 x=2 또는 x=
37 -2<x<0 38 해가 없다. 2

01 xÜ`-8=0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07 xÛ`-2x=t라 하면 주어진 방정식은
(x-2)(xÛ`+2x+4)=0 tÛ`-6t-16=0, (t-8)(t+2)=0
따라서 x=2 또는 x=-1Ñ'3i t=8 또는 t=-2
 x=2 또는 x=-1Ñ'3i Ú t=8, 즉 xÛ`-2x-8=0에서

Ú (x-4)(x+2)=0이므로
02 xÜ`+2xÛ`-x-2=0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Ú x=4 또는 x=-2
xÛ`(x+2)-(x+2)=0, (x+2)(xÛ`-1)=0 Û t=-2, 즉 xÛ`-2x+2=0에서
(x+2)(x+1)(x-1)=0 Ú x=1Ñi
따라서 x=-2 또는 x=-1 또는 x=1 Ú, Û에서 x=4 또는 x=-2 또는 x=1Ñi
 x=-2 또는 x=-1 또는 x=1  x=4 또는 x=-2 또는 x=1Ñi


6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66 2022-11-09 오후 1:27:16


08 xÛ`=t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13 x+y=4에서 y=-x+4 yy ㉠

   
tÛ`-3t-4=0, (t+1)(t-4)=0 ㉠을 xÛ`+xy+yÛ`=21에 대입하면
t=-1 또는 t=4 xÛ`+x(-x+4)+(-x+4)Û`=21
즉, xÛ`=-1 또는 xÛ`=4이므로 xÛ`-4x-5=0, (x+1)(x-5)=0이므로
x=Ñi 또는 x=Ñ2 x=-1 또는 x=5
 x=Ñi 또는 x=Ñ2 ㉠에서 x=-1이면 y=5, x=5이면 y=-1

따라서 구하는 해는
x=-1 x=5
09 xÜ`의 계수가 1이고 세 근이 -1, 0, 1인 삼차방정식은 [
y=5
또는 [
y=-1
(x+1)x(x-1)=0에서 xÜ`-x=0
x=-1 x=5
 xÜ`-x=0 [ 또는 [

y=5 y=-1


10 xÜ`=1에서 xÜ`-1=0
(x-1)(xÛ`+x+1)=0
⑴ xÜ`=1이므로 14 x+y=1에서 y=-x+1 yy ㉠

   
⑴ xÜ`+xß`=xÜ`+(xÜ`)Û`=1+1=2 ㉠을 xy=-6에 대입하면
⑵ x는 xÛ`+x+1=0의 근이므로 x(-x+1)=-6, xÛ`-x-6=0
⑴ xÛ`+x+1=0 (x+2)(x-3)=0이므로
⑶ xÛ`+x+1=0이므로 x=-2 또는 x=3
1 xÛ`+1 -x ㉠에서 x=-2이면 y=3, x=3이면 y=-2
⑴ x+ = = =-1
x x x 따라서 구하는 해는
⑷ x가 xÛ`+x+1=0의 한 허근이므로 xÕ도 다른 한 근이다. x=-2 x=3
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xÕ=-1, xxÕ=1이므로 [ 또는 [
y=3   
y=-2
⑴ xxÕ+x+xÕ=1+(-1)=0 x=-2 x=3
 ⑴ 2 ⑵ 0 ⑶ -1 ⑷ 0 [ 또는 [
y=3 y=-2





다른 풀이

11 x-y=2에서 y=x-2 yy ㉠ x+y=1, xy=-6이므로 x, y는 이차방정식 tÛ`-t-6=0의 두 근이


   
㉠을 xÛ`+yÛ`=20에 대입하면 다.
xÛ`+(x-2)Û`=20, 2xÛ`-4x-16=0 (t+2)(t-3)=0이므로 t=-2 또는 t=3

xÛ`-2x-8=0, (x-4)(x+2)=0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해는
x=4 또는 x=-2 x=-2 x=3
[ 또는 [
㉠에서 x=4이면 y=2, x=-2이면 y=-4 y=3 y=-2
따라서 구하는 해는
x=4 x=-2
[ 또는 [
y=2 y=-4
x=4 x=-2 15 xÛ`-xy-2yÛ`=0에서 (x+y)(x-2y)=0이므로
[ 또는 [ x=-y 또는 x=2y
y=2 y=-4

Ú x=-y를 2xÛ`+yÛ`=9에 대입하면
Ú 2_(-y)Û`+yÛ`=9, 3yÛ`=9
12 x-2y=2에서 x=2y+2 yy ㉠ Ú yÛ`=3에서 y=Ñ'3이므로
   
㉠을 xÛ`-4y=4에 대입하면 Ú x=Ð'3, y=Ñ'3 (복부호 동순)
(2y+2)Û`-4y=4, 4yÛ`+4y=0 Û x=2y를 2xÛ`+yÛ`=9에 대입하면
4y(y+1)=0이므로 Ú 2_(2y)Û`+yÛ`=9, 9yÛ`=9
y=0 또는 y=-1 Ú yÛ`=1에서 y=Ñ1이므로
㉠에서 y=0이면 x=2, y=-1이면 x=0 Ú x=Ñ2, y=Ñ1 (복부호 동순)
따라서 구하는 해는 Ú, Û에서 구하는 해는
x=2 x=0 x=-'3 x='3 x=2 x=-2
[ 또는 [ [ 또는 [ 또는 [ 또는 [
y=0 y=-1 y='3 y=-'3 y=1 y=-1
x=2 x=0 x=-'3 x='3 x=2 x=-2
[ 또는 [ [ 또는 [ 또는 [ 또는 [
y=0 y=-1 y='3 y=-'3 y=1 y=-1


정답과 풀이 67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67 2022-11-09 오후 1:27:17


16 xÛ`-yÛ`=0에서 (x-y)(x+y)=0이므로 23 2x-2=0에서 x=1이므로
x=y 또는 x=-y Ú x¾1일 때
Ú x=y를 xÛ`+2xy-yÛ`=8에 대입하면 Ú 2x-2Éx에서 xÉ2이므로
Ú yÛ`+2yÛ`-yÛ`=8, 2yÛ`=8 Ú 1ÉxÉ2
Ú yÛ`=4에서 y=Ñ2이므로 Û x<1일 때
Ú x=Ñ2, y=Ñ2 (복부호 동순) Ú -2x+2Éx, 3x¾2에서 x¾;3@;이므로
Û x=-y를 xÛ`+2xy-yÛ`=8에 대입하면
Û (-y)Û`+2(-y)y-yÛ`=8, -2yÛ`=8 Ú ;3@;Éx<1
Û yÛ`=-4에서 y=Ñ2i이므로 Ú, Û에서 부등식의 해는
Û x=Ð2i, y=Ñ2i (복부호 동순)
;3@;ÉxÉ2
Ú, Û에서 구하는 해는

x=2 x=-2 x=-2i x=2i  ;3@;ÉxÉ2


[ 또는 [ 또는 [ 또는 [


y=2 y=-2 y=2i y=-2i
24 3x-6=0에서 x=2이므로
x=2 x=-2 x=-2i x=2i Ú x¾2일 때
[ 또는 [ 또는 [ 또는 [
y=2 y=-2 y=2i y=-2i

Ú 3x-6>x, 2x>6에서 x>3이므로
Ú x>3
Û x<2일 때
17 x-3>-2에서 x>1 yy ㉠
2x-6<x-2에서 x<4 yy ㉡ Ú -3x+6>x, 4x<6에서 x<;2#;이므로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Ú x<;2#;
1<x<4
 1<x<4 Ú, Û에서 부등식의 해는

x<;2#; 또는 x>3

18 2x-4¾-2에서 x¾1 yy ㉠  x<;2#; 또는 x>3



x<-x+2에서 x<1 yy ㉡
㉠, ㉡의 공통부분이 없으므로 해가 없다. 25 ⑴ x<-1일 때, x-1<0이고 x+1<0이므로
 해가 없다. ⑵ -(x-1)-(x+1)É4, -2xÉ4, x¾-2

⑵ 즉, -2Éx<-1
⑵ -1Éx<1일 때, x-1<0이고 x+1¾0이므로
19 |x-5|É3에서 -3Éx-5É3 ⑵ -(x-1)+(x+1)É4, 2É4
따라서 2ÉxÉ8
⑵ 항상 성립하므로 -1Éx<1
 2ÉxÉ8
⑶ x¾1일 때, x-1¾0이고 x+1>0이므로

⑵ (x-1)+(x+1)É4, 2xÉ4, xÉ2

20 |2x-5|¾2에서 ⑵ 즉, 1ÉxÉ2

2x-5É-2 또는 2x-5¾2 ⑷
-2 -1 1 2 x
따라서 xÉ;2#; 또는 x¾;2&; ⑸ -2ÉxÉ2

 xÉ;2#; 또는 x¾;2&;
 풀이 참조


26 xÛ`-3x+2<0에서 (x-1)(x-2)<0이므로
21 |3x-1|<5에서 -5<3x-1<5 1<x<2
 1<x<2
즉, -4<3x<6이므로 -;3$;<x<2

 -;3$;<x<2 27 xÛ`-3x+2>0에서 (x-1)(x-2)>0이므로

x<1 또는 x>2
 x<1 또는 x>2
22

|1-x|>2에서 |x-1|>2이므로
x-1<-2 또는 x-1>2 28 xÛ`-x-6É0에서 (x+2)(x-3)É0이므로
따라서 x<-1 또는 x>3 -2ÉxÉ3
 x<-1 또는 x>3  -2ÉxÉ3


6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68 2022-11-09 오후 1:27:17


29 xÛ`-x-6¾0에서 (x+2)(x-3)¾0이므로 유형 완성하기
본문 98~116쪽

xÉ-2 또는 x¾3
 xÉ-2 또는 x¾3
01 ② 02 ③ 03 ④ 04 ② 05 ①
06 ④ 07 ③ 08 ③ 09 4+2'5 10 ④


11 ① 12 ② 13 -110 14 ③ 15 ⑤
30 xÛ`-2x+1¾0에서 (x-1)Û`¾0이므로 16 ⑤ 17 ② 18 ④ 19 ① 20 ⑤
부등식의 해는 모든 실수이다.
 모든 실수
21 32 22 ① 23 ④ 24 ⑤ 25 ①
26 ② 27 ⑤ 28 ② 29 ⑤ 30 ③


31 ④ 32 ③ 33 ② 34 ③ 35 ①
31 양변에 -1을 곱하면 36 12 37 ③ 38 ③ 39 15 40 ①
xÛ`+4x+4>0에서 (x+2)Û`>0이므로
41 64 42 ③ 43 72 44 ② 45 737
부등식의 해는 x+-2인 모든 실수이다.
 x+-2인 모든 실수
46 ③ 47 ③ 48 ③ 49 ④ 50 ①
51 ② 52 ③ 53 ④ 54 ④ 55 ②

56 ④ 57 ③ 58 ③ 59 ④ 60 13
32  (x-4)(x-6)¾0 61 58 62 ④ 63 ⑤ 64 ④ 65 38
66 ② 67 ⑤ 68 ④ 69 ③ 70 ③
33  (x+1)(x-2)<0 71 ④ 72 ④ 73 ⑤ 74 ③ 75 ③
76 ④ 77 ③ 78 ⑤ 79 ④ 80 ③
81 ① 82 54 83 ③ 84 20 85 21
34  x(x-2)>0 86 ⑤ 87 ④ 88 ④ 89 ④ 90 ④


91 15 92 4 93 ④ 94 ④ 95 ①
35  (x-4)Û`>0 96 ② 97 ② 98 ④ 99 14 100 ③
101 ④ 102 ① 103 ③ 104 -16 105 ②

106 ③ 107 ② 108 ⑤ 109 ⑤ 110 ③
36 x+3<2에서 x<-1 yy ㉠
xÛ`-2x-8<0에서 (x+2)(x-4)<0이므로 111 ③ 112 20 113 ②
-2<x<4 yy ㉡
따라서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01 xÜ`-4xÛ`-x+4=0에서
-2<x<-1 xÛ`(x-4)-(x-4)=0
 -2<x<-1 (x-4)(xÛ`-1)=0, (x-4)(x-1)(x+1)=0이므로

x=4 또는 x=1 또는 x=-1
따라서 가장 큰 근은 x=4, 가장 작은 근은 x=-1이므로
37 xÛ`-4x>0에서 x(x-4)>0이므로 ab=4_(-1)=-4
x<0 또는 x>4 yy ㉠
②
xÛ`-4<0에서 (x+2)(x-2)<0이므로

-2<x<2 yy ㉡
따라서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02 f(x)=xÜ`-xÛ`+2라 하면
-2<x<0 f(-1)=-1-1+2=0
 -2<x<0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1 1 -1 0 2
-1 2 -2
-x+2<xÛ`
38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연립부등식 [ xÛ`<-3x-2의 해와 같 1 -2 2 0

다. f(x)=(x+1)(xÛ`-2x+2)
-x+2<xÛ`에서 xÛ`+x-2>0, (x+2)(x-1)>0이므로 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x<-2 또는 x>1 yy ㉠ (x+1)(xÛ`-2x+2)=0
xÛ`<-3x-2에서 xÛ`+3x+2<0, (x+2)(x+1)<0이므로 x=-1 또는 xÛ`-2x+2=0
-2<x<-1 yy ㉡ 방정식 xÜ`-xÛ`+2=0의 두 허근 a, b는 방정식 xÛ`-2x+2=0의 근
따라서 ㉠, ㉡의 공통부분이 없으므로 해가 없다.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해가 없다. a+b=2, ab=2

정답과 풀이 69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69 2022-11-09 오후 1:27:17


따라서 aÛ`+bÛ`=(a+b)Û`-2ab=2Û`-2_2=0 Ú t=-3일 때, xÛ`+4x=-3에서
③ Ú xÛ`+4x+3=0, (x+3)(x+1)=0

Ú x=-3 또는 x=-1
03 f(x)=2xÝ`-xÜ`-6xÛ`+x+4라 하면 Û t=5일 때, xÛ`+4x=5에서
f(1)=2-1-6+1+4=0 Ú xÛ`+4x-5=0, (x+5)(x-1)=0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Ú x=-5 또는 x=1
1 2 -1 -6 1 4 Ú, Û에서 음수인 실근은
2 1 -5 -4 x=-1 또는 x=-3 또는 x=-5
2 1 -5 -4 0 이므로 그 곱은 -15이다.

f(x)=(x-1)(2xÜ`+xÛ`-5x-4) ①


이때 g(x)=2xÜ`+xÛ`-5x-4라 하면
g(-1)=-2+1+5-4=0 06 xÛ`+2x=t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t-1)(t-2)-6=0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g(x)를 인수분해하면
tÛ`-3t-4=0, (t+1)(t-4)=0이므로
-1 2 1 -5 -4
t=-1 또는 t=4
-2 1 4
Ú t=-1일 때, xÛ`+2x=-1에서
2 -1 -4 0
Ú xÛ`+2x+1=0, (x+1)Û`=0이므로
g(x)=(x+1)(2xÛ`-x-4)이므로 Ú x=-1
f(x)=(x-1)(x+1)(2xÛ`-x-4) Û t=4일 때, xÛ`+2x=4에서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은 Ú xÛ`+2x-4=0
(x-1)(x+1)(2xÛ`-x-4)=0 Ú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이차방정식 2xÛ`-x-4=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Ú =1Û`-1_(-4)=5>0
D=(-1)Û`-4_2_(-4)=33>0 4
Ú 이므로 -1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즉,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두 실근을 a, b로 놓으면
Ú, Û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이다.
a+b=;2!;
④

따라서 주어진 사차방정식의 서로 다른 모든 실근의 합은

1+(-1)+;2!;=;2!; 07 (x-1)(x-2)(x-3)(x-4)-24=0에서
{(x-1)(x-4)}{(x-2)(x-3)}-24=0
④ (xÛ`-5x+4)(xÛ`-5x+6)-24=0

이때 xÛ`-5x=t로 놓으면
04 f(x)=xÜ`+2xÛ`+2x-5라 하면 (t+4)(t+6)-24=0, tÛ`+10t=0
f(1)=1+2+2-5=0
t(t+10)=0이므로 t=0 또는 t=-10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Ú t=0일 때, xÛ`-5x=0이므로
1 1 2 2 -5
Ú x(x-5)=0
1 3 5
Ú x=0 또는 x=5
1 3 5 0
Û t=-10일 때, xÛ`-5x=-10이므로
f(x)=(x-1)(xÛ`+3x+5) Ú xÛ`-5x+10=0
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Ú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x-1)(xÛ`+3x+5)=0 Ú D=(-5)Û`-4_1_10=-15<0
x=1 또는 xÛ`+3x+5=0 Ú 이므로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고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모든
‌
이때 방정식 xÜ`+2xÛ`+2x-5=0의 두 허근 a, b는 방정식 허근의 곱은 10이다.
xÛ`+3x+5=0의 근이므로 Ú, Û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모든 실근의 합은 5, 모든 허근의 곱은 10
xÛ`+3x+5=(x-a)(x-b) 이므로
x=3을 대입하면 9+9+5=(3-a)(3-b) a=5, b=10
따라서 (a-3)(b-3)=23 따라서 a+b=15
② ③


05 xÛ`+4x=t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08 xÝ`-5xÛ`+4=0에서 xÛ`=X로 놓으면
tÛ`-2t-15=0, (t+3)(t-5)=0이므로 XÛ`-5X+4=0, (X-1)(X-4)=0이므로
t=-3 또는 t=5 X=1 또는 X=4

7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70 2022-11-09 오후 1:27:18


즉, xÛ`=1 또는 xÛ`=4이므로 Ú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2 또는 x=-1 또는 x=1 또는 x=2 D
Ú =3Û`-1_1=8>0
4
따라서 양수인 실근은 x=1 또는 x=2이므로 그 합은 3이다.
Ú 이므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③
Ú 이때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은 -6이다.

Ú, Û에서 서로 다른 모든 실근의 합은

09 xÝ`-18xÛ`+1=0에서 xÝ`-2xÛ`+1-16xÛ`=0 1+(-6)=-5


(xÛ`-1)Û`-(4x)Û`=0, (xÛ`-4x-1)(xÛ`+4x-1)=0 ①


xÛ`-4x-1=0에서 x=2Ñ'5
xÛ`+4x-1=0에서 x=-2Ñ'5 12 사차방정식 xÝ`+3xÜ`-2xÛ`+3x+1=0의 양변을 xÛ`으로 나누면
따라서 실근 중 가장 큰 근은 2+'5이고 가장 작은 근은 -2-'5이 3 1
xÛ`+3x-2+ + =0
므로 x xÛ`

+3{x+ }-2=0
a-b=2+'5-(-2-'5)=4+2'5 1 1
xÛ`+
xÛ` x

{x+ }2`+3{x+ }-4=0


 4+2'5
1 1

x x
1
이때 x+ =X라 하면
10 xÝ`-(kÛ`-4)xÛ`+4=0에서 x
xÝ`+4xÛ`+4-kÛ`xÛ`=0 XÛ`+3X-4=0, (X-1)(X+4)=0
(xÛ`+2)Û`-(kx)Û`=0 X=1 또는 X=-4
(xÛ`-kx+2)(xÛ`+kx+2)=0 1
Ú X=1일 때, x+ =1에서
x
사차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2가 되려면 두 이차방정식
Ú xÛ`-x+1=0
xÛ`-kx+2=0, xÛ`+kx+2=0이 각각
Ú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서로 다른 두 실근, 서로 다른 두 허근
Ú DÁ=(-1)Û`-4_1_1=-3<0
또는 중근, 중근
Ú 이므로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또는 서로 다른 두 허근,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1
두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각각 DÁ, Dª라 하면 Û X=-4일 때, x+ =-4에서
x


DÁ=kÛ`-8이고 Dª=kÛ`-8 Ú xÛ`+4x+1=0
이므로 kÛ`-8>0이고 kÛ`-8<0을 만족시키는 양수 k의 값은 존재하 Ú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지 않는다. Dª
Ú =2Û`-1_1=3>0
따라서 두 이차방정식이 모두 중근을 갖는 경우뿐이므로 4
Ú 이므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kÛ`-8=0, k=Ñ2'2
Ú 이때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은 -4이다.
k는 양수이므로 k=2'2
Ú, Û에서 서로 다른 모든 실근의 합은 -4이다.
④

②

11 사차방정식 xÝ`+4xÜ`-10xÛ`+4x+1=0의 양변을 xÛ`으로 나누면
4 1 13 사차방정식 xÝ`+4xÜ`-3xÛ`+4x+1=0의 양변을 xÛ`으로 나누면
xÛ`+4x-10+ + =0 4 1
x xÛ` xÛ`+4x-3+ + =0
x xÛ`
+4{x+ }-10=0
1 1
xÛ`+
+4{x+ }-3=0
xÛ` x 1 1

{x+ }2`+4{x+ }-12=0


xÛ`+
xÛ` x

{x+ }2`+4{x+ }-5=0


1 1
x x 1 1
x x
1
이때 x+ =X로 놓으면 1
x 이때 x+ =X라 하면
x
XÛ`+4X-12=0, (X-2)(X+6)=0
XÛ`+4X-5=0, (X-1)(X+5)=0이므로
X=2 또는 X=-6
X=1 또는 X=-5
1
Ú X=2일 때, x+ =2에서 1
x Ú X=1일 때, x+ =1에서
x
Ú xÛ`-2x+1=0
Ú xÛ`-x+1=0
Ú 즉, (x-1)Û`=0이므로 중근 x=1을 갖는다.
Ú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1
Û X=-6일 때, x+ =-6에서 Ú DÁ=(-1)Û`-4_1_1=-3<0
x
Ú xÛ`+6x+1=0 Ú 이므로 두 허근을 갖는다.

정답과 풀이 71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71 2022-11-09 오후 1:27:18


1 이때 이차방정식 xÛ`-2x-7=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근과 계수의
Û X=-5일 때, x+ =-5에서
x
관계에 의하여
Ú xÛ`+5x+1=0
a+b=2, ab=-7이므로
Ú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aÛ`+bÛ`=(a+b)Û`-2ab=2Û`-2_(-7)=18
Ú Dª=5Û`-4_1_1=21>0
또, c=0이므로
Ú 이므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aÛ`+bÛ`+cÛ`=18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한 실근을 a라 하면 Û에서
⑤
1


a+ =-5이므로
a

={a+ }3`-3{a+ } 17 f(x)=xÜ`+2xÛ`+(k-3)x-k라 하면


1 1 1
aÜ`+
aÜ` a a

f(1)=1+2+(k-3)-k=0
=(-5)Ü`-3_(-5)=-110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 -110 1 1 2 k-3 k-k

1 3 k-k

14 f(x)=xÜ`-3xÛ`+ax+3이라 하면 f(1)=0이므로 1 3 kk -0
f(1)=1-3+a+3=0에서 a=-1 f(x)=(x-1)(xÛ`+3x+k)
즉, f(x)=xÜ`-3xÛ`-x+3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xÜ`-3xÛ`-x+3=0 (x-1)(xÛ`+3x+k)=0
xÛ`(x-3)-(x-3)=0, (x-3)(xÛ`-1)=0 이때 이차방정식 xÛ`+3x+k=0도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
(x-3)(x-1)(x+1)=0 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나머지 두 근은 x=3 또는 x=-1이므로 두 근의 차는
D=3Û`-4_1_k=9-4k¾0, kÉ;4(;
3-(-1)=4
따라서 상수 a의 값과 나머지 두 근의 차의 합은 따라서 정수 k의 최댓값은 2이다.
-1+4=3 ②

③

18 f(x)=xÜ`+kxÛ`+2kx+8이라 하면
15 f(x)=xÜ`+ax+4라 하면 f(-2)=0이므로 f(-2)=-8+4k-4k+8=0
f(-2)=-8-2a+4=0에서 a=-2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즉, f(x)=xÜ`-2x+4이고 f(-2)=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2 1 k-k 2k 8
f(x)를 인수분해하면 k-2 -2k+4 -8
-2 1 0 -2 4 1 k-2 4 0
-2 4 -4
f(x)=(x+2){xÛ`+(k-2)x+4}
1 -2 2 0
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f(x)=(x+2)(xÛ`-2x+2) (x+2){xÛ`+(k-2)x+4}=0
이때 다른 두 근 a, b는 이차방정식 xÛ`-2x+2=0의 근이므로 근과 이때 이차방정식 xÛ`+(k-2)x+4=0이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b=2 D=(k-2)Û`-16<0
⑤ 즉, kÛ`-4k-12<0에서 (k+2)(k-6)<0

-2<k<6

16 f(x)=xÝ`-3xÜ`-5xÛ`+ax라 하면 f(1)=0이므로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k의 개수는 -1, 0, 1, 2, 3, 4, 5의 7


f(1)=1-3-5+a=0에서 a=7 이다.
즉, f(x)=xÝ`-3xÜ`-5xÛ`+7x이고 f(1)=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 ④

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1 1 -3 -5 7 0 19 f(x)=xÜ`+(k-4)x-2k라 하면
1 -2 -7 0 f(2)=8+2k-8-2k=0
1 -2 -7 0 0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f(x)=(x-1)(xÜ`-2xÛ`-7x)=x(x-1)(xÛ`-2x-7) 2 1 0 k-4 -2k


2 4 -2k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은
x(x-1)(xÛ`-2x-7)=0 1 2 k -20

7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72 2022-11-09 오후 1:27:18


f(x)=(x-2)(xÛ`+2x+k) x=0을 대입하면 4=a
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x=1을 대입하면 1+a+b+4=-'2_'2_(-3)=6
(x-2)(xÛ`+2x+k)=0 yy ㉠ 따라서 a+b=1

   
이 방정식이 중근을 가지려면 x=2가 이차방정식 xÛ`+2x+k=0의 근 ④


이거나 이차방정식 xÛ`+2x+k=0이 중근을 가져야 한다.
Ú x=2가 이차방정식 xÛ`+2x+k=0의 근일 때
Ú 4+4+k=0에서 k=-8 24 계수가 모두 실수이고 삼차방정식 xÜ`+axÛ`+bx+c=0의 한 근
이 3+4i이므로 3-4i도 근이다.
Ú k=-8을 ㉠에 대입하면
나머지 한 근이 1이므로
Ú (x-2)(xÛ`+2x-8)=0에서 (x-2)Û`(x+4)=0이므로
xÜ`+axÛ`+bx+c=(x-1)(x-3-4i)(x-3+4i)
Ú 중근 2를 갖는다.
x=2를 대입하면
Û 이차방정식 xÛ`+2x+k=0이 중근을 가질 때
8+4a+2b+c=1_(-1-4i)(-1+4i)=17
Ú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4a+2b+c=9
D
Ú =1-k=0에서 k=1 ⑤
4


Ú k=1을 ㉠에 대입하면
Ú (x-2)(xÛ`+2x+1)=0에서 (x-2)(x+1)Û`=0이므로
Ú 중근 -1을 갖는다. 25 계수가 모두 실수이고 삼차방정식 f(x)=0의 한 근이 i이므로
-i도 근이다.
Ú, Û에서 k=-8 또는 k=1
나머지 한 근이 3이므로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7이다.
f(x)=(x-3)(x-i)(x+i)
①

x=2를 대입하면
f(2)=-1_(2-i)(2+i)=-5
20 삼차방정식 xÜ`-3x+4=0의 세 근이 a, b, c이므로 ①

xÜ`-3x+4=(x-a)(x-b)(x-c)
x=1을 대입하면
1-3+4=(1-a)(1-b)(1-c) 26 xÜ`=-1에서 xÜ`+1=0, (x+1)(xÛ`-x+1)=0이므로
x는 이차방정식 xÛ`-x+1=0의 근이다.
따라서 (1-a)(1-b)(1-c)=2
즉, xÛ`-x+1=0, xÜ`=-1이므로
⑤
1+x+xÛ`+xÜ`+y+x10

=1+x+xÛ`+xÜ`+xÜ`_x+xÜ`_xÛ`+(xÜ`)Û`
21 삼차방정식 xÜ`-4xÛ`+6x+4=0의 세 근이 a, b, c이므로 =+(xÜ`)Û`_x+(xÜ`)Û`_xÛ`+(xÜ`)Ü`+(xÜ`)Ü`_x
xÜ`-4xÛ`+6x+4=(x-a)(x-b)(x-c) yy ㉠ =1+x+xÛ`-1-x-xÛ`+1+x+xÛ`-1-x
   
한편, (a+2)(b+2)(c+2)=-(-2-a)(-2-b)(-2-c)이므 =xÛ`=-1+x
로 ㉠에 x=-2를 대입하면 따라서 a=-1, b=1이므로 a+b=-1+1=0
-8-16-12+4=(-2-a)(-2-b)(-2-c)에서 ②

(-2-a)(-2-b)(-2-c)=-32
따라서 (a+2)(b+2)(c+2)=32
 32 27 xÜ`=1에서 xÜ`-1=0, (x-1)(xÛ`+x+1)=0이므로
x는 이차방정식 xÛ`+x+1=0의 근이다.

즉, xÛ`+x+1=0, xÜ`=1이므로
22 삼차방정식 f(x)-4=0의 세 근이 -1, 1, 4이므로 1+x+xÛ`+y+x99+x100
f(x)-4=(x+1)(x-1)(x-4) =(1+x+xÛ`)+(1+x+xÛ`)_xÜ`+y
‌
x=2를 대입하면 +(1+x+xÛ`)_x96+(xÜ`)33+(xÜ`)33_x
f(2)-4=3_1_(-2)=-6 =1+x
따라서 f(2)=-2 따라서 a=1, b=1이므로 a+b=2
① ⑤


23 계수가 모두 유리수이고 삼차방정식 xÜ`+axÛ`+bx+4=0의 한 28 x가 이차방정식 xÛ`-x+1=0의 한 허근이므로
근이 1+'2이므로 1-'2도 근이다. xÛ`-x+1=0
나머지 한 근을 a라 하면 양변에 x+1을 곱하면
xÜ`+axÛ`+bx+4=(x-1-'2)(x-1+'2)(x-a) (x+1)(xÛ`-x+1)=0

정답과 풀이 73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73 2022-11-09 오후 1:27:19


1
즉, xÜ`+1=0에서 xÜ`=-1이고
xÛ`
=-x이므로 32 -x+y=1에서 y=x+1 yy ㉠

  
1 1 ㉠을 xÛ`-3xy+yÛ`=-1에 대입하면
x10- =(xÜ`)Ü`_x-
xÛ`â` (xÜ`)ß`_xÛ` xÛ`-3x(x+1)+(x+1)Û`=-1
1 xÛ`+x-2=0, (x+2)(x-1)=0
=-x-
xÛ` x=-2 또는 x=1
=-x-(-x)
㉠에서 x=-2이면 y=-1, x=1이면 y=2이므로
=0
구하는 해는
②
x=-2 x=1

[ 또는 [
y=-1 y=2
따라서 x+y의 값은 -3 또는 3이므로 모든 a+b의 값의 합은 0이다.
29 xÜ`=-1에서 xÜ`+1=0, (x+1)(xÛ`-x+1)=0이므로 ③


x는 이차방정식 xÛ`-x+1=0의 근이고 x도
Õ 이 이차방정식의 근이다.
즉, xÛ`-x+1=0이고 xÕ Û`-x+
Õ 1=0이므로 x-ay=5
x-1=xÛ`, xÕ-1=xÕ Û` 33 x=2, y=1이 연립방정식 [ bxÛ`-5y=3의 한 해이므로
x-1 x Û` xÛ` x Û`
따라서 + Õ = + Õ =2 x=2, y=1을 x-ay=5에 대입하면
xÛ` x-
Õ 1 xÛ` xÕ Û`
⑤ 2-a=5에서 a=-3

마찬가지로 x=2, y=1을 bxÛ`-5y=3에 대입하면
4b-5=3에서 b=2
x+3y=5에서 x=-3y+5 yy ㉠
30

  
xÜ`=1 yy ㉠ ㉠을 2xÛ`-5y=3에 대입하면
xÜ`=1에서 xÜ`-1=0, (x-1)(xÛ`+x+1)=0이므로 2(-3y+5)Û`-5y=3, 18yÛ`-65y+47=0
x와 x는
Õ 이차방정식 xÛ`+x+1=0의 근이다. (y-1)(18y-47)=0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47
y=1 또는 y=
x+x= Õ -1, xx=
Õ 1 yy ㉡ 18
xÛ`+x+1=0 yy ㉢ 47
y= 을 ㉠에 대입하면
18
ㄱ. ㉠, ㉢에 의하여
47 47 30 17
ㄱ. x10+x20+x30=(xÜ`)Ü`_x+(xÜ`)6_xÛ`+(xÜ`)10 x=-3_ +5=- + =-
18 6 6 6
‌
=x+xÛ`+1=0 (참) 17 47
이므로 나머지 해는 x=- , y=

1 1 1 6 18
ㄴ. x10+ =(xÜ`)Ü`_x+ 3 3 =x+
x10 (x ) _x x 17 47
따라서 a=- , b= 이므로
ㄱ. ㉢의 양변을 x로 나누면 6 18
17 47 2
ㄱ. x+1+
1 1
=0이므로 x+ =-1 (참) a+b=- + =-
x x 6 18 9
ㄷ. ㉡에 의하여 ②

ㄱ. (2+3x)(2+3xÕ)=4+6x+6xÕ+9xxÕ
‌
=4+6_(-1)+9_1 34 xÛ`-yÛ`=0에서 (x-y)(x+y)=0이므로
=7 (거짓) x=y 또는 x=-y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Ú x=y를 xÛ`+2xy=12에 대입하면
③ Ú yÛ`+2yÛ`=12, 3yÛ`=12

Ú yÛ`=4에서 y=Ñ2이므로
Ú x=Ñ2, y=Ñ2 (복부호 동순)
Ú 즉, x+y=4 또는 x+y=-4
31 2x-y=3에서 y=2x-3 yy ㉠
Û x=-y를 xÛ`+2xy=12에 대입하면
  
㉠을 xÛ`+xy=6에 대입하면
Ú (-y)Û`+2_(-y)_y=12, -yÛ`=12
xÛ`+x(2x-3)=6
Ú yÛ`=-12이므로 실수인 해를 갖지 않는다.
xÛ`-x-2=0, (x+1)(x-2)=0
Ú, Û에서 x+y의 값은 -4 또는 4이므로 그 합은 0이다.
x=-1 또는 x=2
③
a>0이므로 a=2

㉠에서 x=2이면 y=1
따라서 b=1이므로 a+b=2+1=3 35 xÛ`-xy-2yÛ`=0에서 (x-2y)(x+y)=0이므로
④ x=2y 또는 x=-y

7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74 2022-11-09 오후 1:27:19


Ú x=2y를 2xÛ`-yÛ`=7에 대입하면 Ú tÛ`-4t+3=0일 때
Ú 2_(2y)Û`-yÛ`=7, 7yÛ`=7 Ú (t-1)(t-3)=0이므로 t=1 또는 t=3
Ú yÛ`=1에서 y=Ñ1이므로 x=1 x=3
Ú 즉, [ 또는 [
Ú x=Ñ2, y=Ñ1 (복부호 동순) y=3 y=1
Ú 즉, xy=2 Û tÛ`+4t+3=0일 때
Û x=-y를 2xÛ`-yÛ`=7에 대입하면 Ú (t+1)(t+3)=0이므로 t=-1 또는 t=-3
Ú 2_(-y)Û`-yÛ`=7, yÛ`=7에서 y=Ñ'7이므로 x=-1 x=-3
Ú x=Ð'7, y=Ñ'7 (복부호 동순) Ú 즉, [ 또는 [
y=-3 y=-1
Ú 즉, xy=-7
따라서 a+2b의 값은 7, 5, -7, -5이므로 그 합은 0이다.
Ú, Û에서 xy의 최솟값은 -7이다.
③


①

xÛ`-ayÛ`=0 x-by=4
36 두 연립방정식 [ xÛ`+3xy-yÛ`=-1과 [ xÛ`+2xy-3yÛ`=0을 동 39 x+y=u, xy=v라 하면
(x+1)(y+1)=xy+x+y+1=u+v+1=10에서
xÛ`+2xy-3yÛ`=0 u+v=9
시에 만족시키는 x, y는 연립방정식 [ 의 해이다.
xÛ`+3xy-yÛ`=-1 xy(x+y)=uv=20
xÛ`+2xy-3yÛ`=0에서 (x+3y)(x-y)=0이므로 따라서 u, v는 이차방정식 tÛ`-9t+20=0의 두 근이다.
x=-3y 또는 x=y (t-4)(t-5)=0에서 t=4 또는 t=5이므로
Ú x=-3y를 xÛ`+3xy-yÛ`=-1에 대입하면 u=4, v=5 또는 u=5, v=4
Ú (-3y)Û`+3_(-3y)_y-yÛ`=-1 Ú u=4, v=5일 때
Ú yÛ`=1에서 y=Ñ1이므로 Ú x, y는 이차방정식 tÛ`-4t+5=0의 두 근이고
Ú x=Ð3, y=Ñ1 (복부호 동순) Ú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Û x=y를 xÛ`+3xy-yÛ`=-1에 대입하면 D
Ú =(-2)Û`-1_5=-1<0이므로 실근을 갖지 않는다.
4
Ú yÛ`+3yÛ`-yÛ`=-1에서 yÛ`=-;3!; Û u=5, v=4일 때
Ú y는 정수가 아니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Ú x, y는 이차방정식 tÛ`-5t+4=0, 즉 (t-4)(t-1)=0의 두 근이
‌
Ú, Û에서 x=-3, y=1 또는 x=3, y=-1 므로
x=-3, y=1인 경우 Ú x=4, y=1 또는 x=1, y=4
x=-3, y=1이 xÛ`-ayÛ`=0과 x-by=4의 해이므로 따라서 a+2b의 값은 6, 9이므로 그 합은 15이다.
9-a=0에서 a=9, -3-b=4에서 b=-7  15

즉, a+b=9+(-7)=2
x=3, y=-1인 경우
x=3, y=-1이 xÛ`-ayÛ`=0과 x-by=4의 해이므로
40 2x+y=a에서 y=-2x+a yy ㉠
  
㉠을 xÛ`+yÛ`=4에 대입하면
9-a=0에서 a=9, 3+b=4에서 b=1
xÛ`+(-2x+a)Û`=4, 5xÛ`-4ax+aÛ`-4=0
즉, a+b=9+1=10
이 이차방정식의 실근이 한 개만 존재해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
따라서 모든 a+b의 값의 합은 2+10=12
별식을 D라 할 때,
 12
D

=(-2a)Û`-5(aÛ`-4)=0
4
37 x+y=4, xy=-5이므로 x, y는 이차방정식 tÛ`-4t-5=0의 두 4aÛ`-5aÛ`+20=0, aÛ`=20

근이다. a=2'5 또는 a=-2'5
즉, (t+1)(t-5)=0이므로 t=-1 또는 t=5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곱은 -20이다.
x=-1 x=5 ①
따라서 [ 또는 [

이므로
y=5 y=-1
|a|+|b|=6
③
41 x+y=16, xy=k이므로 두 실수 x, y는 이차방정식
tÛ`-16t+k=0의 두 실근이다.

실수인 해가 존재하려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38 (x+y)Û`=xÛ`+yÛ`+2xy=10+2_3=16이므로 D
x+y=4 또는 x+y=-4 =(-8)Û`-1_k¾0, kÉ64
4
x+y=4, xy=3 또는 x+y=-4, xy=3이므로 x, y는 이차방정식 따라서 자연수 k의 개수는 64이다.
tÛ`-4t+3=0 또는 tÛ`+4t+3=0의 두 근이다.  64

정답과 풀이 75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75 2022-11-09 오후 1:27:19


42 x+y=a에서 y=-x+a이므로 xÛ`-x+y=3에 대입하면 45 조건 (가)에 의하여 백의 자리의 숫자를 x라 하면 일의 자리의 숫
xÛ`-x-x+a=3 자는 x이다.
xÛ`-2x+a-3=0 십의 자리의 숫자를 y라 하면 조건 (나), (다)에 의하여
이 이차방정식의 실근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 2x+y=17, xÛ`+yÛ`+xÛ`=2xÛ`+yÛ`=107
식을 D라 하면 2x+y=17
[
D
=(-1)Û`-(a-3)<0 2xÛ`+yÛ`=107 yy ㉠

  
4
2x+y=17에서 y=17-2x이므로 ㉠에 대입하면
-a+4<0에서 a>4
2xÛ`+(17-2x)Û`=107
따라서 정수 a의 최솟값은 5이다.
3xÛ`-34x+91=0에서 (3x-13)(x-7)=0
③
x=;;Á3£;; 또는 x=7

x는 한 자리 자연수이므로 x=7이고
y=17-2x=17-14=3
43 두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각각 x, y라 하자.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세 자리 자연수는 737이다.
두 정사각형 ABCD, EFGH의 둘레의 길이의 합이 48이고 넓이의 합  737


이 90이므로

[
4x+4y=48 46 3x+2>2x-6에서 x>-8 yy ㉠
xÛ`+yÛ`=90 x+7¾3x-1에서 2xÉ8, xÉ4 yy ㉡
4x+4y=48, x+y=12에서 y=12-x yy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을 xÛ`+yÛ`=90에 대입하면 -8<xÉ4
xÛ`+(12-x)Û`=90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개수는 -7, -6, y, 3, 4의 12
xÛ`-12x+27=0 이다.
(x-3)(x-9)=0 ③

x=3 또는 x=9
㉠에서 x=3이면 y=9, x=9이면 y=3이므로 47 -2(x-2)¾x-8에서 -2x+4¾x-8
3xÉ12, xÉ4 yy ㉠
두 정사각형 ABCD, EFGH의 넓이의 차는
9Û`-3Û`=72 ;2!;xÉx+4에서 ;2!;x¾-4, x¾-8 yy ㉡
 72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8ÉxÉ4
따라서 a=-8, b=4이므로
b-a=4-(-8)=12
44 직사각형 ABCD의 세로의 길이와 가로의 길이를 각각 x, y라 ③

하면 둘레의 길이가 6이므로 2x+2y=6에서 x+y=3이고
한 대각선의 길이는 "ÃxÛ`+yÛ`이다. 48 4x-2>x-10에서 3x>-8, x>-;3*; yy ㉠
직사각형 ABCD의 세로의 길이를 2배로 하고 가로의 길이를 2만큼 늘
-2x+13>3x+4에서 5x<9, x<;5(; yy ㉡
린 직사각형의 세로의 길이는 2x, 가로의 길이는 y+2이므로 이 직사
각형의 한 대각선의 길이는 "Ã4xÛ`+(y+2)Û`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즉, "Ã4xÛ`+(y+2)Û`='5"ÃxÛ`+yÛ` -;3*;<x<;5(;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2, -1, 0, 1이므로
4xÛ`+(y+2)Û`=5xÛ`+5yÛ`
M=1, m=-2이고 M-m=1-(-2)=3
xÛ`+4yÛ`-4y-4=0
③
x+y=3

[
xÛ`+4yÛ`-4y-4=0 yy ㉠ -x-4<x
49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연립부등식 [ x<10-x 의 해와 같다.
  
x+y=3에서 x=3-y이므로 ㉠에 대입하면
(3-y)Û`+4yÛ`-4y-4=0 -x-4<x에서 2x>-4, x>-2 yy ㉠
5yÛ`-10y+5=0, 5(y-1)Û`=0 x<10-x에서 2x<10, x<5 yy ㉡
즉, y=1이므로 x=3-1=2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따라서 직사각형 ABCD의 한 대각선의 길이는 -2<x<5
"Ã2Û`+1Û`='5 따라서 정수 해는 -1, 0, 1, 2, 3, 4이므로 그 합은 9이다.
② ④


7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76 2022-11-09 오후 1:27:20


;2!;x-3<x+2
50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연립부등식 [
a
의 해와 55 -x>x+a에서 x<- 2 yy ㉠
x+2<3-;3!;x 6-2xÉx에서 x¾2 yy ㉡
같다. a
㉠, ㉡의 공통부분이 없으려면 - É2이어야 하므로
2
;2!;x-3<x+2에서 ;2!;x>-5, x>-10 yy ㉠
a¾-4
x+2<3-;3!;x에서 ;3$;x<1, x<;4#; yy ㉡ 따라서 정수 a의 최솟값은 -4이다.
②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10<x<;4#; 56 2(x+1)É6에서 xÉ2 yy ㉠


x-2¾a에서 x¾a+2 yy ㉡
따라서 a=-10, b=;4#;이므로
㉠, ㉡의 공통부분이 없으려면 a+2>2이어야 하므로
ab=-10_;4#;=-;;Á2°;; a>0
따라서 정수 a의 최솟값은 1이다.
①

④


2(x-1)<x+2
51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연립부등식 [ x+2<3(x+2)의 해와 57 3x+6>0에서 x>-2 yy ㉠

같다. 2x-6a+7<0에서 x<3a-;2&; yy ㉡

yy ㉠
㉠, ㉡의 공통부분이 없으려면 3a-;2&;É-2이어야 하므로
2(x-1)<x+2에서 2x-2<x+2, x<4
x+2<3(x+2)에서 x+2<3x+6, x>-2 yy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3aÉ;2#;, aÉ;2!;
-2<x<4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0이다.
따라서 정수인 해의 개수는 -1, 0, 1, 2, 3의 5이다. ③

②

58 -3x-6<2에서 3x>-8, x>-;3*; yy ㉠
a
52 3x<x+a에서 x<
2
yy ㉠ 4xÉx+a에서 xÉ
a
3
yy ㉡
b
b-x<4x에서 x> yy ㉡ ㉠, ㉡의 공통부분에서 정수 x가 3개 존재하려면
5
-;3*;<xÉ
a
㉠, ㉡의 공통부분이 -1<x<4이려면 이어야 하고
3
a b -2, -1, 0을 포함하고 1 이상의 정수는 포함하지 않아야 하므로
=4, =-1이어야 하므로
2 5
a
a=8, b=-5 0É <1, 즉 0Éa<3
3
따라서 a+b=8+(-5)=3 따라서 정수 a는 0, 1, 2이므로 그 합은 3이다.
③ ③


53 x+3Éa에서 xÉa-3 59 -x+;2!;aÉxÉ-x+ 3 a-8에서
yy ㉠ 10

3x-4>x에서 x>2 yy ㉡
;2!;aÉ2xÉ
10
a-8이므로
㉠, ㉡의 공통부분이 b<xÉ4이려면 3
a-3=4, b=2이어야 하므로 ;4!;aÉxÉ;3%;a-4
a=7, b=2
이를 만족시키는 정수 x가 2와 3뿐이려면
따라서 a+b=7+2=9
④ 1<;4!;aÉ2이고 3É;3%;a-4<4이어야 한다.

1<;4!;aÉ2에서 4<aÉ8
54 5Éx-2a에서 x¾5+2a
2x+aÉx+aÛ`-a에서 xÉaÛ`-2a 3É;3%;a-4<4에서 7É;3%;a<8, ;;ª5Á;;Éa<;;ª5¢;;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하나뿐이려면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ª5Á;;Éa<;;ª5¢;;이므로
5+2a=aÛ`-2a
aÛ`-4a-5=0, (a+1)(a-5)=0 p=;;ª5Á;;, q=;;ª5¢;;
a=-1 또는 a=5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1+5=4 따라서 p+q=;;ª5Á;;+;;ª5¢;;=9

④ ④


정답과 풀이 77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77 2022-11-09 오후 1:27:20


60 x+3>0에서 x>-3 yy ㉠ 63 방의 개수를 x라 하면 학생 수는 3x+5이다.
2a-5 4명씩 배정하면 방이 3개가 남으므로 3개의 방에는 학생이 한 명도 배
3x-2a+5<0에서 x< yy ㉡
3
정되지 않았고, 1개의 방에는 1명 이상 4명 이하가 배정되어야 하므로
㉠, ㉡의 공통부분에서 정수 x가 5개 존재하려면
학생 수에 대한 부등식은 다음과 같다.
2a-5
-3<x< 이어야 하고 4(x-4)+1É3x+5É4(x-4)+4
3
4x-15É3x+5É4x-12
-2, -1, 0, 1, 2를 포함하고 3 이상의 정수는 포함하지 않아야 하므로
4x-15É3x+5
2a-5 즉, 연립부등식 [ 의 해와 같다.
2< É3, 6<2a-5É9 3x+5É4x-12
3
4x-15É3x+5에서 xÉ20 yy ㉠
즉, 11<2aÉ14이므로 ;;Á2Á;;<aÉ7
3x+5É4x-12에서 x¾17 yy ㉡
따라서 정수 a는 6, 7이므로 그 합은 13이다.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13 17ÉxÉ20

x는 자연수이므로 x의 최댓값은 20, 최솟값은 17이다.
따라서 M=20, m=17이므로
61 학생 수를 x라 하면 공의 개수는 3x+18이다. M+m=20+17=37
5개씩 나누어 주면 제외된 학생은 1개 이상 4개 이하를 받으므로 공의 ⑤


개수에 대한 부등식은 다음과 같다.
5(x-1)+1É3x+18É5(x-1)+4 64 처음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x, 세로의 길이를 y라 하면
5x-4É3x+18É5x-1 둘레의 길이가 20이므로

5x-4É3x+18 2x+2y=20, 즉 y=10-x


즉, 연립부등식 [ 의 해와 같다. 이때 x>0, 10-x>0에서
3x+18É5x-1
0<x<10
5x-4É3x+18에서 2xÉ22, xÉ11 yy ㉠
이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2배로 늘리고 세로의 길이를 3배로 늘렸
3x+18É5x-1에서 2x¾19, x¾;;Á2»;; yy ㉡
을 때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는 각각 2x, 3(10-x)이므로 새로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운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는
;;Á2»;;ÉxÉ11 4x+6(10-x)=60-2x
이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가 48 이상 56 이하가 되어야 하므로
x는 자연수이므로 x=10 또는 x=11
48É60-2xÉ56에서 -12É-2xÉ-4
x=10일 때 공의 개수는 48이고, x=11일 때 공의 개수는 51이다.
2ÉxÉ6
따라서 공의 개수와 학생의 수의 합은 58 또는 62이므로 공의 개수와
따라서 a=2, b=6이므로
학생의 수의 합의 최솟값은 58이다.
a+b=2+6=8
 58
④


65 조건 (가)에서 b=a+4, c=b+4이므로 c=a+8
62 학생 수를 x라 하면 마스크의 개수는 5x+12이다. a는 4로 나누면 1이 남는 자연수이므로
6개씩 나누어 주면 제외된 세 학생 중 2명은 1개도 받지 못하고 한 학 a=4k-3 (k는 자연수)라 하면
생은 6개 미만으로 받으므로 마스크의 개수에 대한 부등식은 다음과 b=4k+1, c=4k+5
같다. 조건 (나)에 대입하면
6(x-3)+1É5x+12É6(x-3)+5 57É(4k-3)+(4k+1)+(4k+5)É81
6x-17É5x+12É6x-13 57É12k+3É81, 54É12kÉ78
6x-17É5x+12
즉, 연립부등식 [ 의 해와 같다. ;2(;ÉkÉ;;Á2£;;
5x+12É6x-13
k는 자연수이므로 k=5, 6
6x-17É5x+12에서 xÉ29 yy ㉠
따라서 a의 값은 4_5-3=17, 4_6-3=21이므로
  
5x+12É6x-13에서 x¾25 yy ㉡
그 합은 38이다.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38
25ÉxÉ29

x는 자연수이므로 학생 수의 최댓값은 29, 최솟값은 25이다.
따라서 M=29, m=25이므로
66 이차방정식 xÛ`-4x+k-5=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M+m=29+25=54 =(-2)Û`-(k-5)>0에서
4
④ 9-k>0, k<9 yy ㉠

7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78 2022-11-09 오후 1:27:21


두 실근이 모두 양수이어야 하므로 두 실근의 합과 곱이 모두 양수이어 Û x<1일 때
야 한다. Ú -3x+3¾2x-1에서 5xÉ4, xÉ;5$;이므로
즉,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4>0 Ú xÉ;5$;
(두 근의 곱)=k-5>0에서 k>5 yy ㉡ Ú, Û에서 부등식의 해는
㉠, ㉡의 공통부분은 5<k<9
xÉ;5$; 또는 x¾2
따라서 정수 k의 개수는 6, 7, 8의 3이다.
② 따라서 10 이하의 자연수 x의 개수는 2, 3, y, 10의 9이다.

④


67 |3x-8|<4에서
-4<3x-8<4, 4<3x<12
72 x-3=0에서 x=3이므로
;3$;<x<4 Ú x¾3일 때
Ú x-3É2x+a에서 x¾-a-3
따라서 a=;3$;, b=4이므로 Ú -a-3¾3, 즉 aÉ-6이면 x¾-a-3

a+b=;3$;+4=;;Á3¤;; Ú -a-3<3, 즉 a>-6이면 x¾3


Û x<3일 때
⑤
a

Ú -x+3É2x+a에서 3x¾-a+3, x¾- +1
3
68 |2x-9|>3에서 Ú-
a
+1¾3, 즉 aÉ-6이면 해가 없다.
2x-9<-3 또는 2x-9>3 3
a a
x<3 또는 x>6 Ú- +1<3, 즉 a>-6이면 - +1Éx<3
3 3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10 이하의 자연수 x의 개수는 1, 2, 7, 8,
Ú, Û에서 부등식의 해는
9, 10의 6이다.
aÉ-6이면 x¾-a-3¾3
④
a

a>-6이면 x¾- +1
3
69 3<|x-4|에서 x-4<-3 또는 x-4>3 이때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x¾-1에 포함되려면 -
a
+1¾-1이어
x<1 또는 x>7 yy ㉠ 3
a
|x-4|É5에서 -5Éx-4É5 야 하므로 - ¾-2에서
3
-1ÉxÉ9 yy ㉡
aÉ6
㉠, ㉡의 공통부분은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최댓값은 6이다.
-1Éx<1 또는 7<xÉ9
④

따라서 정수 x는 -1, 0, 8, 9이므로 그 합은 16이다.
③
73 x+1=0에서 x=-1, x-2=0에서 x=2이므로

70 x-4=0에서 x=4이므로 다음과 같이 구간을 나누어 부등식의 해를 구한다.

Ú x¾4일 때 Ú x<-1일 때

Ú x-4<2x-3에서 x>-1이므로 Ú -(x+1)-2(x-2)É8에서 -3x+3É8, x¾-;3%;이므로


Ú x¾4
Ú -;3%;Éx<-1
Û x<4일 때
Û -1Éx<2일 때
Ú -x+4<2x-3에서 3x>7, x>;3&;이므로
Ú (x+1)-2(x-2)É8에서 -x+5É8, x¾-3이므로
Ú ;3&;<x<4 Ú -1Éx<2
Ü x¾2일 때
Ú, Û에서 부등식의 해는 x>;3&;
Ú (x+1)+2(x-2)É8에서 3x-3É8, xÉ;;Á3Á;;이므로
따라서 정수 x의 최솟값은 3이다.
③ Ú 2ÉxÉ;;Á3Á;;

Ú, Û, Ü에서 부등식의 해는
71 3x-3=0에서 x=1이므로
Ú x¾1일 때 -;3%;ÉxÉ;;Á3Á;;

Ú 3x-3¾2x-1에서 x¾2이므로 따라서 정수 x의 개수는 -1, 0, 1, 2, 3의 5이다.


Ú x¾2 ⑤

정답과 풀이 79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79 2022-11-09 오후 1:27:21


74 x+2=0에서 x=-2, x-2=0에서 x=2이므로 다음과 같이 78 xÛ`+x-12<0에서 (x+4)(x-3)<0이므로
구간을 나누어 부등식의 해를 구한다. -4<x<3
Ú x<-2일 때 따라서 a=-4, b=3이므로
Ú -(x+2)-3(x-2)É16에서 -4x+4É16, x¾-3이므로 b-a=3-(-4)=7
Ú -3Éx<-2 ⑤


Û -2Éx<2일 때
Ú (x+2)-3(x-2)É16에서 -2x+8É16, x¾-4이므로
Ú -2Éx<2
79 -xÛ`+5x+4¾xÛ`+1에서
2xÛ`-5x-3É0, (2x+1)(x-3)É0이므로
Ü x¾2일 때
Ú (x+2)+3(x-2)É16에서 4x-4É16, xÉ5이므로 -;2!;ÉxÉ3

Ú 2ÉxÉ5 따라서 정수 x의 개수는 0, 1, 2, 3의 4이다.


Ú, Û, Ü에서 부등식의 해는 -3ÉxÉ5 ④


따라서 a=-3, b=5이므로
b-a=5-(-3)=8
③
80 Ú x¾0일 때
Ú xÛ`+3x-4É0에서 (x+4)(x-1)É0

Ú -4ÉxÉ1이므로 0ÉxÉ1
Û x<0일 때
75 x=0이고 x-3=0에서 x=3이므로 다음과 같이 구간을 나누어 Ú xÛ`-3x-4É0에서 (x+1)(x-4)É0
부등식의 해를 구한다.
Ú -1ÉxÉ4이므로 -1Éx<0
Ú x<0일 때
Ú, Û에서 부등식의 해는 -1ÉxÉ1
Ú -3x+2(x-3)>1에서 -x-6>1, x<-7이므로
따라서 정수 x의 개수는 -1, 0, 1의 3이다.
Ú x<-7
③
Û 0Éx<3일 때

Ú 3x+2(x-3)>1에서 5x-6>1, x>;5&;이므로
81 이차부등식 xÛ`+ax+b<0의 해가 -1<x<3이므로
Ú ;5&;<x<3 xÛ`+ax+b=(x+1)(x-3)
Ü x¾3일 때 x=1을 대입하면
Ú 3x-2(x-3)>1에서 x+6>1, x>-5이므로 1+a+b=2_(-2)=-4이므로
Ú x¾3 a+b=-5
Ú, Û, Ü에서 부등식의 해는 ①

x<-7 또는 x>;5&;

따라서 M=-8, m=2이므로 82 이차부등식 xÛ`+ax+bÉ0의 해가 x=-3이므로


M+m=-8+2=-6 xÛ`+ax+b=(x+3)Û`=xÛ`+6x+9

③ 위의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6, b=9



따라서 ab=6_9=54
 54

76 이차방정식 f(x)=0의 해가 x=-5 또는 x=2이므로
이차부등식 f(x)<0의 해는 -5<x<2
따라서 정수 x의 개수는 -4, -3, -2, -1, 0, 1의 6이다.
83 이차부등식 axÛ`+bx+c>0의 해가 ;3!;<x<4이므로
④ a<0이고

axÛ`+bx+c=a{x-;3!;}(x-4)=axÛ`-;;Á3£;;ax+;3$;a

위의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77 두 이차함수 y=f(x), y=g(x)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x좌표
가 -2, 2이므로 b=-;;Á3£;;a, c=;3$;a
방정식 f(x)=g(x)의 해는 x=-2 또는 x=2이다.
cxÛ`+bx+a<0에서 ;3$;axÛ`-;;Á3£;;ax+a<0
-2<x<2에서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이차함수 y=g(x)의
그래프보다 아래에 있으므로 이차부등식 f(x)Ég(x)의 해는 a a
양변을 로 나누면 <0이므로
3 3
-2ÉxÉ2
4xÛ`-13x+3>0, (4x-1)(x-3)>0
따라서 정수 x의 개수는 -2, -1, 0, 1, 2의 5이다.
③ x<;4!; 또는 x>3

8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80 2022-11-09 오후 1:27:21


따라서 음의 정수 x의 최댓값은 -1, 자연수 x의 최솟값은 4이므로 그
88 x에 대한 이차부등식 -xÛ`+4x-aÛ`+3a>0이 해를 가지려면
합은 3이다. 이차방정식 -xÛ`+4x-aÛ`+3a=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③ D
=2Û`-(-1)_(-aÛ`+3a)>0이어야 하므로

4
aÛ`-3a-4<0, (a+1)(a-4)<0
84 이차부등식 f(x)>0의 해가 2<x<4이므로 -1<a<4
f(x)=p(x-2)(x-4)(p<0)이라 하면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는 0, 1, 2, 3이므로 그 합은 6이다.
f {;2!;x}=p{;2!;x-2}{;2!;x-4} ④


p
f {;2!;x}= (x-4)(x-8)
4 89 Ú a=4일 때,
부등식 f {;2!;x}<0의 해는 x<4 또는 x>8이므로 Ú -2'3x-4¾0에서 xÉ-;3@;'3이므로 해를 갖는다.
a=4, b=8 Û a>4일 때,
따라서 a+2b=4+2_8=20 Ú 주어진 부등식은 항상 해를 갖는다.
 20 Ü a<4일 때,

Ú 이차부등식 (a-4)xÛ`-2'3x-a¾0이 해를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Ú (a-4)xÛ`-2'3x-a=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85 이차부등식 axÛ`+bx+cÉ0의 해가 -1ÉxÉ5이므로 D
axÛ`+bx+c=a(x+1)(x-5)(a>0) Ú =(-'3)Û`-(a-4)_(-a)¾0이어야 하므로
4
f(x)=axÛ`+bx+c라 하면 Ú aÛ`-4a+3¾0, (a-1)(a-3)¾0
a(x-4)Û`+bx-4b+c=a(x-4)Û`+b(x-4)+c=f(x-4) Ú aÉ1 또는 a¾3이므로 aÉ1 또는 3Éa<4
‌
이때 Ú, Û, Ü에서 aÉ1 또는 a¾3
f(x-4)=a(x-4+1)(x-4-5) 따라서 10 이하의 자연수 a의 개수는 2를 제외한 9이다.
‌
=a(x-3)(x-9) ④

이므로 부등식 a(x-4)Û`+bx-4b+c>0, 즉 a(x-3)(x-9)>0
의 해는
90 x에 대한 이차부등식 xÛ`+2ax+aÛ`-a+5>0이 모든 실수 x에
x<3 또는 x>9 대하여 성립하려면 이차방정식 xÛ`+2ax+aÛ`-a+5=0의 판별식을
따라서 a=3, b=9이므로 a+2b=3+2_9=21 D라 할 때,
 21 D

=aÛ`-(aÛ`-a+5)<0이어야 하므로
4
a-5<0, a<5
86 이차방정식 f(x)=0의 해가 x=-6 또는 x=k (k>0)이므로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의 최댓값은 4이다.
f(x)=p(x+6)(x-k) (p>0)이라 하면
④

f(2x-3)=p(2x-3+6)(2x-3-k)
‌
=p(2x+3)(2x-3-k)
91 x에 대한 이차부등식 axÛ`+4x+a-3¾0이 모든 실수 x에 대하
-;2#;<
3+k
이므로 부등식 f(2x-3)>0의 해는 여 성립하려면 a>0이고
2
이차방정식 axÛ`+4x+a-3=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x<-;2#; 또는 x>
3+k
2 D
=2Û`-a(a-3)É0이어야 하므로
4
따라서 a=-;2#;이고,
3+k
=2에서 k=1이므로
2 aÛ`-3a-4¾0, (a+1)(a-4)¾0
a+k=-;2#;+1=-;2!; aÉ-1 또는 a¾4
그런데 a>0이므로 a¾4
⑤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6 이상 6 이하의 정수 a는 4, 5, 6이므로
그 합은 15이다.
87 이차부등식 xÛ`-2ax+4aÉ0의 해가 한 개이려면  15

이차방정식 xÛ`-2ax+4a=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
4
=(-a)Û`-4a=0 92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x에 대한 부등식 |x-3|<akÛ`+8k+a
의 해가 존재하려면 모든 실수 k에 대하여 akÛ`+8k+a>0이 성립해
aÛ`-4a=0, a(a-4)=0
야 한다.
a=0 또는 a=4
즉, a>0이고 k에 대한 이차방정식 akÛ`+8k+a=0의 판별식을 D라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4이다.
D
④ 할 때, =4Û`-aÛ`<0이어야 하므로
4

정답과 풀이 81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81 2022-11-09 오후 1:27:22


aÛ`-16>0, (a+4)(a-4)>0
97 2xÛ`-x-4a<xÛ`+3x-aÛ`+24에서
a<-4 또는 a>4 xÛ`-4x+aÛ`-4a-24<0
그런데 a>0이므로 a>4 -2ÉxÉ3에서 x에 대한 이차부등식 xÛ`-4x+aÛ`-4a-24<0이 항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8 이상 8 이하의 정수 a의 개수는 5, 6, 상 성립하려면 -2ÉxÉ3에서 함수 f(x)=xÛ`-4x+aÛ`-4a-24의
7, 8의 4이다. 최댓값이 0보다 작아야 한다.
4 f(x)=(x-2)Û`+aÛ`-4a-28이고

f(-2)=aÛ`-4a-12, f(3)=aÛ`-4a-27에서
93 이차부등식 xÛ`-2ax+a+6É0이 해를 갖지 않으려면 이차방정 f(-2)>f(3)이므로 함수 f(x)의 최댓값은


식 xÛ`-2ax+a+6=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f(-2)=aÛ`-4a-12
D 따라서 aÛ`-4a-12<0에서
=(-a)Û`-(a+6)<0이어야 하므로
4
(a+2)(a-6)<0이므로
aÛ`-a-6<0, (a+2)(a-3)<0
-2<a<6
-2<a<3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의 개수는 -1, 0, y, 5의 7이다.
따라서 a=-2, b=3이므로
②
a+2b=-2+2_3=4


④

98 -1ÉxÉ1에서 x에 대한 이차부등식
94 Ú a=1일 때, xÛ`+(aÛ`-4a-5)x-1É0이 항상 성립하려면
Ú 주어진 부등식은 -1¾0이므로 해를 갖지 않는다.
-1ÉxÉ1에서 함수 f(x)=xÛ`+(aÛ`-4a-5)x-1의 최댓값이 0
Û a+1일 때,
이하이어야 한다.
Ú x에 대한 이차부등식 (a-1)xÛ`-(a-1)x-1¾0이 해를 갖지 않
함수 f(x)의 최댓값은
‌
으려면 a-1<0, 즉 a<1이고
f(1)=aÛ`-4a-5 또는 f(-1)=-aÛ`+4a+5
Ú 이차방정식 (a-1)xÛ`-(a-1)x-1=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Ú f(1)¾f(-1)일 때
Ú D={-(a-1)}Û`-4_(a-1)_(-1)<0이어야 하므로
Ú aÛ`-4a-5¾-aÛ`+4a+5이므로
Ú aÛ`+2a-3<0, (a+3)(a-1)<0
Ú 2(aÛ`-4a-5)¾0, 2(a+1)(a-5)¾0
Ú -3<a<1
Ú aÉ-1 또는 a¾5
Ú, Û에서 -3<aÉ1
Ú 이때 최댓값이 f(1)이므로 aÛ`-4a-5É0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수 a의 개수는 -2, -1, 0, 1의 4이다.
Ú (a+1)(a-5)É0에서 -1ÉaÉ5이므로
④
Ú a=-1 또는 a=5

Û f(1)<f(-1)일 때
95 ㄱ. xÛ`-6x+10=(x-3)Û`+1>0이므로 Ú aÛ`-4a-5<-aÛ`+4a+5이므로
ㄱ. xÛ`-6x+10É0을 만족시키는 실수 x는 존재하지 않는다.
Ú 2(aÛ`-4a-5)<0, 2(a+1)(a-5)<0
ㄴ. xÛ`-4x+4=(x-2)Û`¾0이므로
Ú -1<a<5
ㄱ. xÛ`-4x+4É0의 해는 x=2
Ú 이때 최댓값이 f(-1)이므로 -aÛ`+4a+5É0이어야 한다.
ㄷ. -xÛ`-2x-1<0에서 xÛ`+2x+1>0
Ú aÛ`-4a-5¾0, (a+1)(a-5)¾0에서
ㄱ. xÛ`+2x+1=(x+1)Û`¾0이므로
Ú aÉ-1 또는 a¾5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은 존재
‌
ㄱ. -xÛ`-2x-1<0의 해는 x+-1인 모든 실수이다. 하지 않는다.
따라서 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ㄱ이다.
Ú, Û에서 a=-1 또는 a=5
①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는 -1, 5이므로 그 합은 4이다.


④
96 -1ÉxÉ2에서 x에 대한 이차부등식 xÛ`-2x+4a¾0이 항상

성립하려면 -1ÉxÉ2에서 이차함수
f(x)=xÛ`-2x+4a=(x-1)Û`+4a-1
99 xÛ`-2x-2É2x+3에서 xÛ`-4x-5É0
의 최솟값이 0 이상이어야 한다. (x+1)(x-5)É0, -1ÉxÉ5 yy ㉠
-1É1É2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최솟값 f(1)=4a-1을 가 xÛ`+3x+5>3(x+2)에서 xÛ`-1>0
지므로 (x+1)(x-1)>0, x<-1 또는 x>1 yy ㉡
4a-1¾0, 즉 a¾;4!;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1<xÉ5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4!;이다. 따라서 정수 x는 2, 3, 4, 5이므로 그 합은 14이다.
②  14


8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82 2022-11-09 오후 1:27:22


100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연립부등식 4-2+a=0에서 a=-2
-3x+6ÉxÛ`+x+1 25-20+b=0에서 b=-5
[ 의 해와 같다. 따라서 ab=-2_(-5)=10
xÛ`+x+1É3x+9
③
-3x+6ÉxÛ`+x+1에서 xÛ`+4x-5¾0


(x+5)(x-1)¾0, xÉ-5 또는 x¾1 yy ㉠
xÛ`+x+1É3x+9에서 xÛ`-2x-8É0
xÛ`+ax+bÉ0
(x+2)(x-4)É0, -2ÉxÉ4 yy ㉡ 104 연립부등식 [ 의 해가 -2Éx<0 또는
  
xÛ`+cx+d>0
㉠, ㉡의 공통부분은 1ÉxÉ4
3<xÉ5가 되려면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정수 x는 1, 2, 3, 4이므로 그 합은 10이다.
③

-2 0 3 5 x

101 xÛ`-4|x|-12É0에서 두 이차방정식 xÛ`+ax+b=0, xÛ`+cx+d=0이 모두 서로 다른 두

Ú x¾0일 때 실근을 가져야 하고

Ú xÛ`-4x-12É0이므로 이차방정식 xÛ`+ax+b=0의 해를 a, b(a<b),

Ú (x+2)(x-6)É0 이차방정식 xÛ`+cx+d=0의 해를 c, d(c<d)라 하면

Ú -2ÉxÉ6 a<c<d<b이어야 한다.

Ú 그런데 x¾0이므로 0ÉxÉ6


Û x<0일 때 a c d b x

Ú xÛ`+4x-12É0이므로 즉, a=-2, b=5, c=0, d=3이므로


Ú (x+6)(x-2)É0 xÛ`+ax+b=(x+2)(x-5)
Ú -6ÉxÉ2 xÛ`+cx+d=x(x-3)
Ú 그런데 x<0이므로 -6Éx<0 위의 두 식에 x=1을 대입하면
Ú, Û에서 -6ÉxÉ6 yy ㉠ 1+a+b=-12, 1+c+d=-2이므로
xÛ`+x>-3x+5에서 xÛ`+4x-5>0 a+b=-13, c+d=-3
(x+5)(x-1)>0, x<-5 또는 x>1 yy ㉡ 따라서 a+b+c+d=-16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16

-6Éx<-5 또는 1<xÉ6
따라서 정수 x의 개수는 -6, 2, 3, 4, 5, 6의 6이다.
④
105 xÛ`-4x-12É0에서 (x+2)(x-6)É0이므로

-2ÉxÉ6 yy ㉠
102 xÛ`-3x-10É0에서 (x+2)(x-5)É0이므로 xÛ`+2(a+1)x+aÛ`+2aÉ0에서 (x+a+2)(x+a)É0이므로
-2ÉxÉ5 -a-2ÉxÉ-a yy ㉡
xÛ`+(k-1)x-k<0에서 (x+k)(x-1)<0이므로 이 연립부등식의 정수인 해가 2개이려면 ㉠, ㉡의 공통부분이 다음 그
-k<1일 때, -k<x<1 림과 같아야 한다.
-k=1일 때, 해가 없다.
-k>1일 때, 1<x<-k -a-2 -2 -a 6 x -2 -a-2 6 -a x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1<xÉ5가 되려면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하
즉, -1É-a<0 또는 4<-a-2É5이어야 하므로
므로 -k>1, 즉 k<-1이고 -k>5이어야 한다.
0<aÉ1 또는 -7Éa<-6
따라서 p=-7, q=-6, r=0, s=1이므로
-2 1 5 -k x p+2q+3r+4s=-7+2_(-6)+3_0+4_1=-15
따라서 k<-5이므로 정수 k의 최댓값은 -6이다. ②

①

103 연립부등식 [
xÛ`-x+a¾0
의 해가 2Éx<5가 되려면 106 xÛ`-6x¾0에서 x(x-6)¾0이므로
xÛ`-4x+b<0 xÉ0 또는 x¾6 yy ㉠
두 이차방정식 xÛ`-x+a=0, xÛ`-4x+b=0이 모두 서로 다른 두 실 xÛ`-ax+2a-4É0에서 (x-a+2)(x-2)É0이므로
근을 가져야 한다. 이때 a-2<2, 즉 a<4일 때, a-2ÉxÉ2
x=2는 이차방정식 xÛ`-x+a=0의 해이고 a-2=2, 즉 a=4일 때, x=2 ] yy ㉡
x=5는 이차방정식 xÛ`-4x+b=0의 해이어야 한다. a-2>2, 즉 a>4일 때, 2ÉxÉa-2

정답과 풀이 83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83 2022-11-09 오후 1:27:23


Ú a<4일 때 DÁ
=(-a)Û`-(-8a+9)<0이어야 하므로
4
Ú ㉡에서 a-2ÉxÉ2
aÛ`+8a-9<0, (a+9)(a-1)<0
Ú 이 연립부등식의 정수인 해가 오직 하나가 되려면 ㉠, ㉡의 공통부
-9<a<1 yy ㉠
‌
  
분은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3x+a+4=0이 실근을 가지려면 이 이차방
정식의 판별식을 Dª라 할 때,
-1 0 2 6 x
Dª=(-3)Û`-4(a+4)¾0이어야 하므로
a-2
-4a-7¾0, aÉ-;4&; yy ㉡
Ú -1<a-2É0, 즉 1<aÉ2


Û a=4일 때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9<aÉ-;4&;
Ú ㉡에서 x=2이고 이때 ㉠, ㉡의 공통부분이 없으므로 조건을 만족
따라서 정수 a의 개수는 -8, -7, y, -2의 7이다.
‌
시키지 않는다.
⑤
Ü a>4일 때


Ú ㉡에서 2ÉxÉa-2
Ú 이 연립부등식의 정수인 해가 오직 하나가 되려면 ㉠, ㉡의 공통부
110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2(k+1)x+2ak-8=0이 k의 값
‌
분은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에 관계없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모든 실수 k에 대하여
0 2 6 7 x
D
a-2 =(k+1)Û`-(2ak-8)>0이어야 한다.
4
Ú 6Éa-2<7, 즉 8Éa<9 즉, 모든 실수 k에 대하여 kÛ`-2(a-1)k+9>0이어야 하므로 k에 대
Ú, Û, 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한 이차방정식 kÛ`-2(a-1)k+9=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할 때,
1<aÉ2 또는 8Éa<9 DÁ
=(a-1)Û`-9<0
따라서 정수 a는 2, 8이므로 그 합은 10이다. 4
aÛ`-2a-8<0, (a+2)(a-4)<0
③

-2<a<4
따라서 정수 a는 -1, 0, 1, 2, 3이므로 그 합은 5이다.
107 |x-3|<k에서 -k<x-3<k이므로
③
3-k<x<3+k yy ㉠

xÛ`+4xÉ2x+8에서 xÛ`+2x-8É0
(x+4)(x-2)É0, -4ÉxÉ2 yy ㉡
이 연립부등식의 정수인 해의 개수가 3 또는 4가 되려면 ㉠, ㉡의 공통 111 가장 긴 변의 길이가 a+8이므로 삼각형의 결정 조건에 의하여
a+8<a+(a+4)에서 a>4 yy ㉠
부분은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이 삼각형이 둔각삼각형이려면
(a+8)Û`>aÛ`+(a+4)Û`이어야 하므로
-4 -2 0 2 3+k x
3-k
aÛ`-8a-48<0, (a+4)(a-12)<0
-4<a<12 yy ㉡
즉, 3-k<xÉ2이어야 하므로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4<a<12
-2É3-k<0
따라서 자연수 a의 개수는 5, 6, y, 11의 7이다.
3<kÉ5

③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는 4, 5이므로 그 합은 9이다.

②

108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4ax+3aÛ`-6a=0이 허근을 가지
112 직사각형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각각 x, y라 하면 이 직사각
형의 둘레의 길이가 28이므로
려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2x+2y=28에서 x+y=14, 즉 y=14-x
D
=(-2a)Û`-(3aÛ`-6a)<0이어야 하므로 긴 변의 길이를 가로의 길이 x라 하면
4
aÛ`+6a<0, a(a+6)<0 x¾14-x에서 x¾7 yy ㉠
-6<a<0 이 직사각형의 넓이가 x(14-x)이므로
따라서 a=-6, b=0이므로 b-a=0-(-6)=6 24Éx(14-x)É48 yy ㉡
⑤ 24Éx(14-x)
이때 ㉡의 해는 연립부등식 [ 의 해와 같다.

x(14-x)É48

109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2ax-8a+9=0이 허근을 가지려 24Éx(14-x)에서 xÛ`-14x+24É0


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Á이라 할 때, (x-2)(x-12)É0, 2ÉxÉ12 yy ㉢

8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84 2022-11-09 오후 1:27:23


x(14-x)É48에서 xÛ`-14x+48¾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x-6)(x-8)¾0, xÉ6 또는 x¾8 yy ㉣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➊ 40`%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범위를 구한 경우
2ÉxÉ6 또는 8ÉxÉ12 ➋ 만나지 않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한 경우 40`%
㉠에서 x¾7이므로 8ÉxÉ12 ➊, ➋에서 구한 실수 a의 값의 범위의 공통부분을
따라서 a=8, b=12이므로 ➌ 20`%
구한 경우
a+b=8+12=20
 20

02 f(x)=xÜ`-(aÛ`+a+4)xÛ`+a(a+2)Û`x-4aÜ`이라 하자.
113 가로의 길이가 a이고 세로의 길이가 a+2인 직사각형의 넓이 x=a를 대입하면
는 a(a+2)이다. f(a)=aÜ`-(aÛ`+a+4)aÛ`+aÛ`(a+2)Û`-4aÜ`
이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6만큼 늘리고 세로의 길이를 4만큼 줄여 f(a)=aÜ`-aÝ`-aÜ`-4aÛ`+aÛ`(aÛ`+4a+4)-4aÜ`
서 만든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는 각각 a+6, a-2이 f(a)=aÜ`-aÝ`-aÜ`-4aÛ`+aÝ`+4aÜ`+4aÛ`-4aÜ`
므로 그 넓이는 (a+6)(a-2)이다. f(a)=0

이 직사각형의 넓이가 원래의 직사각형의 넓이의 ;6%;배 이하이므로


인수정리와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a 1 -aÛ`-a-4 aÜ`+4aÛ`+4a -4aÜ`
(a+6)(a-2)É;6%;a(a+2) a -aÜ`-4a -4aÜ`

6aÛ`+24a-72É5aÛ`+10a 1 -aÛ`-4 4aÛ` 0


aÛ`+14a-72É0, (a+18)(a-4)É0 f(x)=(x-a){xÛ`-(aÛ`+4)x+4aÛ`}
-18ÉaÉ4 f(x)=(x-a)(x-aÛ`)(x-4) yy ➊


a>2이므로 2<aÉ4 즉, 방정식 f(x)=0의 실근은
따라서 자연수 a는 3, 4이므로 그 합은 7이다. x=a 또는 x=aÛ` 또는 x=4
② 이때 세 실근 중 두 실근만이 서로 같아야 하므로

a=aÛ` 또는 a=4 또는 aÛ`=4인 경우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Ú a=aÛ`일 때
Ú aÛ`-a=0에서 a(a-1)=0
Ú a=0 또는 a=1이므로
Ú a=0일 때, 세 실근은 0, 0, 4
본문 117쪽 Ú a=1일 때, 세 실근은 1, 1, 4
서술형 완성하기
Ú 이므로 모두 조건을 만족시킨다.
01 2<a<16 02 5 03 ;2!;Éa<3 Û a=4일 때
Ú 세 실근은 4, 16, 4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킨다.
04 3ÉxÉ5 05 128 06 x<-3 또는 x¾5
Ü aÛ`=4일 때
Ú a=-2 또는 a=2이므로
01 이차함수 y=xÛ`-2x+2의 그래프와 직선 y=ax-a가 서로 다 Ú a=-2일 때, 세 실근은 -2, 4, 4
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이차방정식 xÛ`-2x+2=ax-a,
Ú a=2일 때, 세 실근은 2, 4, 4
즉 xÛ`-(a+2)x+a+2=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Ú 이므로 모두 조건을 만족시킨다. yy ➋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Ú, Û, 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는 -2, 0, 1, 2, 4이므로 그
DÁ={-(a+2)}Û`-4(a+2)>0
합은 5이다. yy ➌
(a+2)(a-2)>0

5
a<-2 또는 a>2 yy ㉠ yy ➊



이차함수 y=xÛ`-2x+2의 그래프와 직선 y=(a-2)x-4a+2가 만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나지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xÛ`-2x+2=(a-2)x-4a+2, 즉 ➊ f(x)를 인수분해한 경우 30`%
xÛ`-ax+4a=0이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져야 한다. a=aÛ` 또는 a=4 또는 aÛ`=4인 경우로 나누어 조건
➋ 6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을 만족시키는 a의 값을 구한 경우
Dª=(-a)Û`-16a<0 ➌ 실수 a의 값의 합을 구한 경우 10`%
a(a-16)<0, 0<a<16 yy ㉡ yy ➋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4-2a
2<a<16 yy ➌ 03 3x+2a¾4에서 x¾ 3

 2<a<16 x-a+4>-x+a에서 x>a-2 yy ➊


 
정답과 풀이 85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85 2022-11-09 오후 1:27:23


4-2a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Ú >a-2, 즉 a<2일 때
3
-7ÉxÉ-5 또는 3ÉxÉ5
4-2a
Ú 연립부등식의 해는 x¾ x>0이므로 3ÉxÉ5 yy ➌
3


4-2a  3ÉxÉ5
Ú 정수 x의 최솟값이 1이려면 0< É1이어야 하므로


3
단계 채점 기준 비율
Ú 0<4-2aÉ3, -4<-2aÉ-1, ;2!;Éa<2
➊ 산책로의 넓이를 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경우 30`%
Ú 즉, ;2!;Éa<2 ➋ 각각의 부등식의 해를 구한 경우 60`%
➌ 양수 x의 값의 범위를 구한 경우 10`%
4-2a
Û Éa-2, 즉 a¾2일 때
3
Ú 연립부등식의 해는 x>a-2
Ú 정수 x의 최솟값이 1이려면 0Éa-2<1이어야 하므로 2Éa<3
Ú 즉, 2Éa<3 yy ➋
05 (xÛ`+2x-2)(xÛ`+2x+3)=6에서
xÛ`+2x=t로 놓으면 (t-2)(t+3)=6

Ú, Û에서 ;2!;Éa<3 yy ➌ tÛ`+t-12=0, (t+4)(t-3)=0

t=-4 또는 t=3
 ;2!;Éa<3
즉, xÛ`+2x=-4 또는 xÛ`+2x=3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xÛ`+2x+4=0 또는 xÛ`+2x-3=0
➊ 각각의 부등식의 해를 구한 경우 30`% 주어진 방정식의 한 허근이 w이므로 w는 이차방정식 xÛ`+2x+4=0
a<2 또는 a¾2인 경우로 나누어 실수 a의 값의 범 의 근이다. yy ➊


➋ 60`%
위를 구한 경우 이때 wÓ도 이 이차방정식의 근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➌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한 경우 10`% w+wÓ=-2, wwÓ=4
4
wwÓ=4에서 wÓ=
w
또, xÛ`+2x+4=0의 양변에 x-2를 곱하면
04 (x-2)(xÛ`+2x+4)=0, 즉 xÜ`-8=0이므로
wÜ`=8 yy ➋

x'3`m x'3`m wÓwß`+4wÞ`+2wà`+6wß`

=wß` {wÓ+
4
+2w+6}
6`m w
x'3`m =8Û`(wÓ+wÓ+2w+6)
그림과 같이 정삼각형 모양의 정원의 각 꼭짓점에서 산책로의 두 변에 =128(wÓ+w+3)
수선을 내리면 산책로는 가로의 길이가 6 m이고 세로의 길이가 x'3 m =128(-2+3)
인 직사각형 3개와 빗금 친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128 yy ➌

빗금 친 세 부분의 넓이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내  128

접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산책로의 폭 x'3 m와 단계 채점 기준 비율
x'3`m
같은 정삼각형의 넓이와 같다. ➊ w를 근으로 갖는 이차방정식을 구한 경우 30`%
정삼각형의 내심은 무게중심과 같으므로 정삼각 ➋ w의 성질을 파악한 경우 30`%
형의 높이는 3x'3 m이고, 정삼각형의 한 변의 ➌ wÓwß`+4wÞ`+2wà`+6wß`의 값을 구한 경우 40`%
길이는 6x m이다.
산책로의 넓이는
'3
3_6_x'3+ _(6x)Û`=(9xÛ`+18x)'3 mÛ` yy ➊ xÛ`+x+aÉ0
4
06 연립부등식 [ xÛ`-5x+b<0의 해가 0<xÉ2이므로 두 이차방

산책로의 넓이가 135'3 mÛ` 이상 315'3 mÛ` 이하가 되려면
135'3É(9xÛ`+18x)'3É315'3 정식 xÛ`+x+a=0, xÛ`-5x+b=0은 모두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
15ÉxÛ`+2xÉ35 야 한다. 이때
xÛ`+2x¾15에서 xÛ`+2x-15¾0 x=2가 이차방정식 xÛ`+x+a=0의 근이고
(x+5)(x-3)¾0 x=0이 이차방정식 xÛ`-5x+b=0의 근이어야 한다.
xÉ-5 또는 x¾3 yy ㉠ 즉, x=2를 xÛ`+x+a=0에 대입하면
xÛ`+2xÉ35에서 xÛ`+2x-35É0 4+2+a=0에서 a=-6
(x+7)(x-5)É0 x=0을 xÛ`-5x+b=0에 대입하면
-7ÉxÉ5 yy ㉡ yy ➋ b=0 yy ➊


8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86 2022-11-09 오후 1:27:24


xÛ`+x+a>0 xÛ`+x-6>0 이때 xÛ`-x-4=0의 두 근의 합이 1이므로 두 근은 -a, -b이고
따라서 연립부등식 [ 은[ 이다.
xÛ`-5x+b¾0 xÛ`-5x¾0 xÛ`+x-4=0의 두 근의 합이 -1이므로 두 근은 a, b이다.
xÛ`+x-6>0에서 (x+3)(x-2)>0이므로 xÛ`+x-4=0의 해는
x<-3 또는 x>2 yy ㉠ x=
-1Ñ'¶17
2
xÛ`-5x¾0에서 x(x-5)¾0이므로
-1+'¶17
xÉ0 또는 x¾5 yy ㉡ yy ➋ a>b이므로 a=
2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9+16)=;2&;(-1+'¶17)
-1+'¶17
따라서 a(p+q)=
x<-3 또는 x¾5 yy ➌ 2

 x<-3 또는 x¾5  ;2&;(-1+'¶17)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a, b의 값을 각각 구한 경우 40`%
xÛ`+x+a>0
02 Ú xÉ-3일 때,
연립부등식 [ 에서 각각의 부등식의 Ú -2(x-2)-(x+3)Én에서 -3x+1Én
➋ xÛ`-5x+b¾0 50`% 1-n
Ú x¾
해를 구한 경우 3
1-n 1-n
➌ 연립부등식의 해를 구한 경우 10`% Ú É-3, 즉 n¾10일 때 ÉxÉ-3
3 3
1-n
참고 Ú >-3, 즉 n<10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이 없다.
3
xÛ`+x-6É0에서 (x+3)(x-2)É0이므로
Û -3<xÉ2일 때,
-3ÉxÉ2 yy ㉠
Ú -2(x-2)+(x+3)Én에서 -x+7Én
xÛ`-5x<0에서 x(x-5)<0이므로
Ú x¾7-n
0<x<5 yy ㉡
Ú 7-nÉ-3, 즉 n¾10일 때 -3<xÉ2
㉠, ㉡의 공통부분이 0<xÉ2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킨다.
Ú -3<7-nÉ2, 즉 5Én<10일 때 7-nÉxÉ2
Ú 7-n>2, 즉 n<5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이 없다.
Ü x>2일 때,
Ú 2(x-2)+(x+3)Én에서 3x-1Én
n+1
Ú xÉ
본문 118쪽 3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n+1
Ú É2, 즉 nÉ5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이 없다.
3
01 ;2&;(-1+'¶17) 02 35 03 9 04 ③ n+1 n+1
Ú >2, 즉 n>5일 때 2<xÉ
3 3
Ú, Û, Ü에서 n<5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없다.
01 사차방정식 xÝ`+pxÛ`+q=0에 대하여 a'이 근이면 -a'도 근이 n+1
다. 5Én<10일 때, 7-nÉxÉ
3
조건 (가)에 의하여 a+b=-1이므로 b+-a
n의 값이 클수록 x의 값의 범위가 커지고
c=-a, d=-b라 하면
n=10일 때, -3ÉxÉ;;Á3;Á ;이므로 정수 x의 개수는 -3, -2, -1,
xÝ`+pxÛ`+q=(x-a)(x+a)(x-b)(x+b)

‌
=(xÛ`-aÛ`)(xÛ`-bÛ`) 0, 1, 2, 3의 7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xÝ`-(aÛ`+bÛ`)xÛ`+aÛ`bÛ` 1-n n+1
n¾10일 때, ÉxÉ
3 3
조건 (나)에서
이때 x에 대한 부등식 2|x-2|+|x+3|Én을 만족시키는 서로 다
a(b+c+d)+b(c+d)+cd
른 정수 x의 개수가 12이려면
=a(b-a-b)+b(-a-b)+(-a)(-b)
=;3@;n에서
n+1 1-n
=-aÛ`-ab-bÛ`+ab -
3 3
11É;3@;n<13, ;;£2£;;Én<;;£2»;;
=-aÛ`-bÛ`
-aÛ`-bÛ`=-9에서 aÛ`+bÛ`=9
그러므로 가능한 n의 값은 17, 18, 19이다.
aÛ`+bÛ`=(a+b)Û`-2ab에서
9=(-1)Û`-2ab이므로 ab=-4 n=17일 때, -;;Á3¤;;ÉxÉ6이므로 정수 x의 개수는 -5, y, 5, 6의
즉, p=-(aÛ`+bÛ`)=-9, q=aÛ`bÛ`=(ab)Û`=(-4)Û`=16 12이고 조건을 만족시킨다.
주어진 사차방정식은 xÝ`-9xÛ`+16=0
n=18일 때, -;;Á3¦;;ÉxÉ;;Á3»;;이므로 정수 x의 개수는 -5, y, 5, 6의
‌
(xÝ`-8xÛ`+16)-xÛ`=0, (xÛ`-4)Û`-xÛ`=0
(xÛ`-x-4)(xÛ`+x-4)=0 12이고 조건을 만족시킨다.

정답과 풀이 87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40~087)_칠.indd 87 2022-11-09 오후 1:27:24


n=19일 때, -6ÉxÉ;;ª3¼;;이므로 정수 x의 개수는 -6, -5, y, 5, Ú ① -6<a<-2 또는 2<a<6이면
Ú ①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0
6의 13이고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Ú, Û에서 실근의 개수가 2인 경우이어야 x에 대한 사차방정식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값은 17, 18이므로 그 합은 35 xÝ`-xÜ`-(aÛ`-7|a|+10)xÛ`-x+1=0
이다.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4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a의 값의 범위는
 35 a<-6 또는 -1<a<1 또는 a>6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a|É10인 정수 a의 개수는
-10, -9, -8, -7, 0, 7, 8, 9, 10
03 x에 대한 사차방정식 xÝ`-xÜ`-(aÛ`-7|a|+10)xÛ`-x+1=0의 의 9이다.
양변을 xÛ`으로 나누면
9


1 1
xÛ`-x-(aÛ`-7|a|+10)- + =0
x xÛ`

{xÛ`+
1
}-{x+ }-(aÛ`-7|a|+10)=0
1 04 -1ÉxÉ1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xÛ` x

{x+ }2`-{x+ }-(aÛ`-7|a|+12)=0


(aÛ`-3a-6)x+a+6¾0이 항상 성립하려면
1 1 직선 y=(aÛ`-3a-6)x+a+6이 x축 또는 x축 위쪽에 있어야 하므
x x
로 x=-1, x=1에서 y좌표가 모두 0 이상이어야 한다.
1
x+ =t로 놓으면 즉, (aÛ`-3a-6)+a+6¾0이고 -(aÛ`-3a-6)+a+6¾0이어야
x
tÛ`-t-(aÛ`-7|a|+12)=0 한다.
tÛ`-t-(|a|Û`-7|a|+12)=0 (aÛ`-3a-6)+a+6¾0에서 aÛ`-2a¾0
tÛ`-t-(|a|-3)(|a|-4)=0 a(a-2)¾0이므로
(t-|a|+3)(t+|a|-4)=0 aÉ0 또는 a¾2 yy ㉠
t=|a|-3 또는 t=-|a|+4이므로 -(aÛ`-3a-6)+a+6¾0에서
1 1 aÛ`-4a-12É0
x+ =|a|-3 또는 x+ =-|a|+4
x x (a+2)(a-6)É0이므로
1
Ú x+ =|a|-3일 때 -2ÉaÉ6 yy ㉡
x
Ú xÛ`-(|a|-3)x+1=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Ú DÁ=(-|a|+3)Û`-4 -2ÉaÉ0 또는 2ÉaÉ6


‌
=|a|Û`-6|a|+5 따라서 정수 a의 개수는 -2, -1, 0, 2, 3, 4, 5, 6의 8이다.

=(|a|-1)(|a|-5) ③

Ú ① (|a|-1)(|a|-5)>0, 즉 |a|<1 또는 |a|>5에서
Ú ① -1<a<1 또는 a<-5 또는 a>5이면
Ú ①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2
Ú ② (|a|-1)(|a|-5)=0, 즉 |a|=1 또는 |a|=5에서
Ú ① a=-5 또는 a=-1 또는 a=1 또는 a=5이면
Ú ①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1
Ú ③ (|a|-1)(|a|-5)<0, 즉 1<|a|<5에서
Ú ① -5<a<-1 또는 1<a<5이면
Ú ①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0
1
Û x+ =-|a|+4일 때
x
Ú xÛ`+(|a|-4)x+1=0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Ú Dª=(|a|-4)Û`-4
‌
=|a|Û`-8|a|+12
=(|a|-2)(|a|-6)
Ú ① (|a|-2)(|a|-6)>0, 즉 |a|<2 또는 |a|>6에서
Ú ① -2<a<2 또는 a<-6 또는 a>6이면
Ú ①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2
Ú ② (|a|-2)(|a|-6)=0, 즉 |a|=2 또는 |a|=6에서
Ú ① a=-6 또는 a=-2 또는 a=2 또는 a=6이면
‌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1
Ú ③ (|a|-2)(|a|-6)<0, 즉 2<|a|<6에서

8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88 2022-11-09 오후 1:27:37


2_(-1)+1_5
III. 도형의 방정식 09 2+1
=1

1


07 평면좌표와 직선의 방정식
3_(-1)-2_5
10 3-2
=-13
본문 121~123쪽
개념 확인하기  -13


01 4 02 6 03 3 04 7 05 5
06 '2 07 '¶34 08 2'5 09 1 10 -13 2_(-1)-3_5
14 7
11 2-3
=17
11 17 12 2 13 (0, 0) 14 {- 5 , - 5 }  17


5 7 1
15 {5, 2 } 16 {-7, - 2 } 17 {-1, - 2 }
18 (0, 1) 19 (1, 2) 20 y=x+2 5+(-1)
12 2
=2
21 y=-2x+1 22 y=-x-1
2
24 y=;4!;x 25 y=x+1


23 y=2x+8

26 y=;2!;x+;2%; 27 x=2 28 y=-1


13 { }
1_(-4)+2_2 1_(-2)+2_1
,
1+2 1+2
29 제2사분면 30 제1사분면 즉, (0, 0)
31 제3사분면 32 제4사분면 33 3  (0, 0)

34 ;2!; 35 y=;2!;x+3 36 y=2x-6
2'5
37 6 38 1 39 ;5*; 40
14 { }
5 4_(-4)+1_2 4_(-2)+1_1
,
4+1 4+1

즉, {- ,- }
14 7
5 5
01 |5-1|=4
 {- ,- }
14 7
4 5 5


02 |-5-1|=6
15 { }
1_(-4)-3_2 1_(-2)-3_1
6 ,
1-3 1-3

즉, {5, }
5
03 |-3-0|=3 2

 {5, }
5
3
2


04 |-4-(-11)|=7
16 { }
7 3_(-4)-1_2 3_(-2)-1_1
,
3-1 3-1

즉, {-7, - }
7
05 "Ã(3-0)Û`+(4-0)Û`=5 2

 {-7, - }
5 7
2


06 "Ã(3-2)Û`+(2-1)Û`='2
 '2
17 { }, 즉 {-1, - }
2+(-4) 1+(-2) 1
,
2 2 2

 {-1, - }
1
07 "Ã{3-(-2)}Û`+(-2-1)Û`='¶34 2

 '¶34

18 { }, 즉 (0, 1)
0+(-2)+2 0+1+2
08 "Ã{-3-(-1)}Û`+{1-(-3)}Û`=2'5 3
,
3
 2'5  (0, 1)


정답과 풀이 89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89 2022-11-09 오후 1:27:38


19 { }, 즉 (1, 2)
-4+1+6 5+(-2)+3 a c
3
,
3 32 기울기가 - b >0이고, y절편이 - b >0이므로 제4사분면을

‌
 (1, 2) 지나지 않는다.

 제4사분면


20  y=x+2 33 두 직선이 평행하면 기울기가 같으므로
2=m-1, m=3


3
21  y=-2x+1


34 두 직선이 수직이면 기울기의 곱이 -1이므로
22 y+2=-(x-1), 즉 y=-x-1 2_(m-1)=-1, m=;2!;
 y=-x-1
 ;2!;


23 y-2=2(x+3), 즉 y=2x+8 35 직선 y=;2!;x+1에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2!;이다.
 y=2x+8

따라서 기울기가 ;2!;이고 점 (2, 4)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4=;2!;(x-2), 즉 y=;2!;x+3
24 y-0= 4-0 (x-0), 즉 y=;4!;x
1-0

 y=;4!;x  y=;2!;x+3


36 직선 x+2y-4=0의 기울기가 -;2!;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기울
‌
3-(-1)
25 y+1=
2-(-2)
(x+2), 즉 y=x+1 기는 2이다.
 y=x+1 따라서 기울기가 2이고 점 (1, -4)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4)=2(x-1), 즉 y=2x-6
 y=2x-6
(x-1), 즉 y=;2!;x+;2%;
3-2

26 y-3=
1-(-1)
 y=;2!;x+;2%; 37 |-2-4|=6

6

27  x=2 38 |4-3|=1
1

=;5*;
|4_4-3_3+1|
28  y=-1 39 "Ã4Û`+(-3)Û`
 ;5*;

a c
29 기울기가 - b >0이고, y절편이 - b <0이므로 제2사분면을 지 |2_4-1_3-3| 2 2'5
나지 않는다. 40 "Ã2Û`+(-1)Û`
=
'5
=
5
 제2사분면 2'5


5

a c
30 기울기가 - b <0이고, y절편이 - b <0이므로 제1사분면을
‌
지나지 않는다.
 제1사분면

a c
31 기울기가 - b <0이고, y절편이 - b >0이므로 제3사분면을
‌
지나지 않는다.
 제3사분면

9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90 2022-11-09 오후 1:27:38


유형 완성하기
본문 124~137쪽 (0-1)Û`+{b-(-5)}Û`=(0-2)Û`+(b-1)Û`에서
bÛ`+10b+26=bÛ`-2b+5
01 ④ 02 ⑤ 03 ④ 04 ① 05 ②
12b=-21, b=-;4&;
06 ① 07 ② 08 ⑤ 09 ③ 10 ③
11 ④ 12 ③ 13 ③ 14 ④ 15 15 따라서 a+b=-;4&;
16 ④ 17 5 18 ① 19 ② 20 13'2 ①


21 ④ 22 ④ 23 (0, 2) 24 ② 25 ⑤
26 ② 27 ⑤ 28 ② 29 ⑤ 30 ③ 05 점 P가 직선 y=2x-3 위에 있으므로 점 P의 좌표를
31 y=-2x 32 ① 33 ① 34 ④ (a, 2a-3)이라 하면 APÓ=BPÓ이므로 APÓ Û`=BPÓ Û`이 성립한다.

35 ⑤ 36 ③ 37 4 38 ⑤ 39 ③ (a-2)Û`+(2a-6)Û`=(a-1)Û`+(2a)Û`에서
40 ② 41 ② 42 ④ 43 ③ 44 ⑤ 5aÛ`-28a+40=5aÛ`-2a+1

45 ① 46 ① 47 ④ 48 3 49 ② 26a=39, a=;2#;
50 ⑤ 51 ② 52 ④ 53 ③ 54 ④
이때 b=2a-3이므로 a=;2#; 을 대입하면
55 ① 56 ① 57 ③ 58 ④ 59 ②
b=0
60 ⑤ 61 ② 62 ④ 63 ⑤ 64 ①
65 ③ 66 4 67 ④ 68 ② 69 ③ 따라서 a+b=;2#;

70 ⑤ 71 ① 72 ② 73 ④ 74 ④ ②

75 ③ 76 ⑤ 77 -6 78 ③ 79 ④
80 ① 81 ③ 82 ② 06 외심의 성질에 의하여 APÓ=BPÓ=CPÓ이므로 APÓ Û`=BPÓ Û`=CPÓ Û`
이 성립한다.
APÓ Û`=BPÓ Û`에서 (a-4)Û`+bÛ`=(a+2)Û`+bÛ`
01 |4-a|=5
Ú 4-a>0일 때 aÛ`-8a+bÛ`+16=aÛ`+4a+bÛ`+4
Ú 4-a=5에서 a=-1 12a=12이므로 a=1
Û 4-a<0일 때 BPÓ Û`=CPÓ Û`에서 (a+2)Û`+bÛ`=(a-2)Û`+(b-4)Û`
Ú -4+a=5에서 a=9 aÛ`+4a+bÛ`+4=aÛ`-4a+bÛ`-8b+20
Ú, Û에서 모든 상수 a의 값의 합은 a+b=2이므로 b=1
-1+9=8 따라서 ab=1_1=1
④ ①


02 두 점 A(3, -1), B(a, 2) 사이의 거리가 5이므로 07 "Ã(a+1)Û`+(b-2)Û`은 두 점 (a, b), (-1, 2) 사이의 거리이
고, "Ã(a-3)Û`+(b+4)Û`은 두 점 (a, b), (3, -4) 사이의 거리이므
"Ã(a-3)Û`+(2+1)Û`=5
로 주어진 식은 점 (a, b)가 두 점 (-1, 2)와 (3, -4)를 잇는 선분
"ÃaÛ`-6a+18=5
위에 있을 때 최솟값을 갖는다.
양변을 제곱하면
따라서 최솟값은 두 점 (-1, 2), (3, -4) 사이의 거리이므로
aÛ`-6a+18=25
"Ã{3-(-1)}Û`+(-4-2)Û`=2'¶13
aÛ`-6a-7=0
②
(a-7)(a+1)=0

a<0이므로 a=-1
⑤ 08 Ú a<4일 때

Ú APÓ+BPÓ=4-a+8-aÉ10에서
Ú -2a+12É10, a¾1
03 ABÓ=ACÓ이므로 ABÓ Û`=ACÓ Û`이 성립한다. Ú 그런데 a<4이므로 1Éa<4
(1-0)Û`+(-2-2)Û`=(k-0)Û`+(3-2)Û`에서
Û 4Éa<8일 때
17=kÛ`+1, kÛ`=16
Ú APÓ+BPÓ=4É10
k>0이므로 k=4
Ú 이므로 4Éa<8에서는 항상 조건을 만족한다.
④
Ü a¾8일 때

Ú APÓ+BPÓ=a-4+a-8É10에서
04 점 P가 y축 위에 있으므로 a=0 Ú 2aÉ22, aÉ11
APÓ=BPÓ이므로 APÓ Û`=BPÓ Û`이 성립한다. Ú 그런데 a¾8이므로 8ÉaÉ11

정답과 풀이 91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91 2022-11-09 오후 1:27:38


Ú, Û, Ü에서 1ÉaÉ11
13 선분 AB를 1 : 2로 내분하는 점을 P라 하면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
1_(-1)+2_2 1_4+2_a
P{ ,
11+1=12 1+2 1+2

}
⑤ 4+2a
즉, P{1,
3

점 P가 직선 y=2x+1 위에 있으므로

09 그림과 같이 사각형 ABCD의 내부의 임 y C 4+2a


3
=3, 4+2a=9
의의 점 P에 대하여 점 P와 네 꼭짓점을 잇는
네 선분의 길이의 합 PAÓ+PBÓ+PCÓ+PDÓ의 따라서 a=;2%;
D
값은 점 P가 사각형 ABCD의 두 대각선 AC와 ③


P
BD의 교점일 때 최소이다.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ACÓ+BDÓ="Ã6Û`+8Û`+"Ã(2-5)Û`+(4-0)Û`
O A B x
14 선분 AB를 k : (k+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이므로
-k+a(k+1) 6k+3(k+1)
ACÓ+BDÓ=10+5=15 k+(k+1)
,
k+(k+1)
③ -k+a(k+1) 9k+3

=3, =4
2k+1 2k+1
9k+3
10 y축 위의 점 P의 좌표를 (0, a)라 하면 2k+1
=4에서 k=1

APÓ Û`+BPÓ Û`=(0-3)Û`+(a-6)Û`+(0+1)Û`+(a+4)Û` 2a-1


=3에서 a=5
3
APÓ Û`+BPÓ Û`=2aÛ`-4a+62
따라서 a+k=5+1=6
APÓ Û`+BPÓ Û`=2(a-1)Û`+60
④
따라서 APÓ Û`+BPÓ Û`의 최솟값은 a=1일 때 60이다.

③

15 선분 AB를 t : (1-t)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 }
-3t+7-7t -5t+1-t
11 삼각형 ABC가 ACÓ=BC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t+(1-t)
,
t+(1-t)
ACÓ Û`=BCÓ Û`이 성립한다. 즉, (-10t+7, -6t+1)
(a-2)Û`+bÛ`=aÛ`+(b-4)Û`에서 점 P가 제4사분면에 있기 위해서는
aÛ`-4a+bÛ`+4=aÛ`+bÛ`-8b+16 -10t+7>0, -6t+1<0
따라서 2b-a=3
두 부등식을 풀면 ;6!;<t<;1¦0;이므로
④


5<30t<21
따라서 30t가 될 수 있는 자연수의 값은 6, 7, 8, y, 20으로 그 개수는
12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15이고, 각각에 대하여 t가 존재하므로 30t가 자연수가 되게 하는 실수
PAÓ Û`+PBÓ Û`=2(AMÓ Û`+PMÓ Û`) t의 개수도 15이다.
AMÓ Û`=12이므로 PMÓ Û`이 최소일 때 주어진 식은 최솟값을 갖는다.  15

점 M에서 AC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C

점 P가 점 H일 때, PMÓ Û`은 최솟값을 갖는다. P
H
ABÓ : BCÓ='3 : 1에서 ∠A=30ù이고
A
16 선분 AB를 2 : 1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AMÓ=2'3이므로 HMÓ='3이다. { }
M B 2_3-1_(-1) 2_(-2)-1_1
,
2-1 2-1
PAÓ Û`+PBÓ Û`¾2(AMÓ Û`+HMÓ Û`)
즉, (7, -5)
‌
=2(12+3)=30
이 점이 직선 3x+ky-1=0 위에 있으므로
따라서 PAÓ +PBÓ Û`의 최솟값은 30이다.
Û
`
21-5k-1=0, 5k=20
③
따라서 k=4

다른 풀이
④
주어진 도형을 좌표평면 위에 놓고 세 점의 좌표를 A(0, 0),

B(4'3, 0), P('3a, a)라 하면
PAÓ Û`+PBÓ Û`=('3a)Û`+aÛ`+('3a-4'3)Û`+aÛ` 17 선분 AB를 5 : 1로 외분하는 점 P의 좌표는
PAÓ Û`+PBÓ Û`=8aÛ`-24a+48 P{
5_(-6)-1_2 5_7-1_1
}
PAÓ Û`+PBÓ Û`=8{a-;2#;}2`+30
,
5-1 5-1
즉, P{-8, ;;Á2¦;;}
따라서 a=;2#;일 때, PAÓ Û`+PBÓ Û`의 최솟값은 30이다. 선분 AB를 3 : 1로 내분하는 점 Q의 좌표는

9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92 2022-11-09 오후 1:27:39


}
3_(-6)+1_2 3_7+1_1
Q{
3+1
,
3+1 21 직선 AP가 삼각형 ABC의 넓이를 1 : 3으로 나누므로 점 P는
선분 BC를 1 : 3 또는 3 : 1로 내분한다.
즉, Q{-4, ;;Á2Á;;}
선분 BC를 1 : 3으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따라서 PQÓ=¾Ð(-4+8)Û`+Ð{;;Á2Á;;-;;Á2¦;;}2`='Ä16+9=5 { }
1_5+3_3 1_2+3_(-3)
,
1+3 1+3
5 즉, {;2&;, -;4&;}

다른 풀이
선분 BC를 3 : 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수직선 위에서 임의로 선분 AB를 나타내어 4등분한 후 외분점 P와 내
{ }
3_5+1_3 3_2+1_(-3)
분점 Q의 위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3+1 3+1
A Q B P 즉, {;2(;, ;4#;}

따라서 PQÓ=;2!;ABÓ=5 b>0이므로

a=;2(;, b=;4#;

18 조건 (가)에서 점 B가 선분 DC를 1 : 3으로 외분하므로 따라서


a
=6
점 D는 선분 BC를 1 : 2로 내분한다. b
④
DCÓ=;3@; BCÓ


조건 (나)에서 점 E가 선분 BC를 3 : 1로 외분하므로
22 두 양수 m, n에 대하여 삼각형 ABC의 세 변 AB, BC, CA를
CEÓ=;2!;BCÓ m : n으로 내분하는 세 점 D, E, F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DEF
의 무게중심과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은 같다.
DEÓ=DCÓ+CEÓ=;3@; BCÓ+;2!; BCÓ=;6&; BCÓ
이때 삼각형 DEF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삼각형 ABC의 넓이를 S1, 삼각형 ADE의 넓이를 S2라 하면
{ }, 즉 (1, 3)
1-3+5 4+5+0
,
S1 : S2=BCÓ : DEÓ=6 : 7이므로 3 3
따라서 a=1, b=3이므로 a+b=4
S2=;6&; S1=;6&;_18=21
④

①

19 선분 AB를 내분하는 점 C가 ABÓ=3BCÓ를 만족하므로 점 C는 23 점 C의 좌표를 (a, b)라 하면 변 AC를 3 : 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이므로
3a+1 3b+9

선분 AB를 2 : 1로 내분한다. ,
4 4
선분 AB를 외분하는 점 D는 BCÓ=BDÓ를 만족하므로 점 D는 선분 3a+1 3b+9
=-5, =3
AB를 4 : 1로 외분한다. 4 4
a=-7, b=1
A C B D
따라서 C(-7, 1)
ACÓ=;3@; ABÓ이고, ADÓ=;3$; ABÓ이므로 점 B의 좌표를 (c, d)라 하면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
1+c-7 9+d+1
ADÓ=2ACÓ 3
,
3

따라서 k=2 이때 무게중심의 좌표는 (-2, 4)이므로
② 1+c-7 9+d+1

=-2, =4에서
3 3

20 조건 (다)에 의하여 점 D는 선분 AB를 1 : 3으로 내분하고, c=0, d=2


조건 (나)에 의하여 점 A는 선분 CD의 중점이므로 점 C는 선분 AB 따라서 점 B의 좌표는 (0, 2)이다.
를 1 : 5로 외분한다.  (0, 2)

C A D B

조건 (라)에 의하여 점 E는 선분 AB를 11 : 3으로 외분한다. 24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G에
대하여
C A D B E
AMÓ=;2#; AGÓ=;2#;"Ã(2-4)Û`+(3+1)Û`=3'5
ABÓ="Ã{7-(-1)}Û`+(-5-3)Û`=8'2이므로
삼각형 ABC에서 ABÓ Û`+ACÓ Û`=2(AMÓ Û`+BMÓ Û`)이 성립하므로
CEÓ=CAÓ+ABÓ+BEÓ
26+98=2(45+BMÓ Û`)에서
CEÓ=;4!; ABÓ+ABÓ+;8#; ABÓ=;;Á8£;; ABÓ BMÓ='¶17이고 BCÓ=2BMÓ=2'¶17
CEÓ=13'2 따라서 BCÓ Û`=68
 13'2 ②


정답과 풀이 93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93 2022-11-09 오후 1:27:40


25 사각형 ABCD가 평행사변형이므로 두 대각선 AC와 BD의 중 이 세 점을 각각 A(1, 7), B(1, k), C(1, 0)이라 하자.
점의 좌표가 같다. 원점 O에 대하여 직선 l이 ∠AOC를 이등분하므로
3+2 -3+a OAÓ : OCÓ=ABÓ : BCÓ=5'2 : 1
= 에서 a=8
2 2 즉, 점 B는 선분 AC를 5'2 : 1로 내분하므로
3-4 2+b
=;7!;(5'2-1)
= 에서 b=-3 7
2 2 k=
5'2+1
따라서 a+b=5 따라서 a=5, b=-1이므로
⑤ aÛ`+bÛ`=25+1=26

⑤
26 사각형 ABCD가 마름모이므로 두 대각선 AC와 BD의 중점의


좌표가 같다.
1+b a-1
30 삼각형 ABC의 넓이를 S라 하면
= 에서 b=a-2 yy ㉠ ABÓ : ACÓ=BDÓ : DCÓ=3 : 1이므로
2 2
  
또, ABÓ=ADÓ이므로 ABÓ Û`=ADÓ Û`이 성립한다. (삼각형 ADC의 넓이)=;4!;S=Sª
(a-1)Û`+(-3+1)Û`=(-1-1)Û`+(3+1)Û`에서
ECÓ=;2!; BCÓ에서 EDÓ=;4!; BCÓ이므로
(a-1)Û`=16
a>0이므로 a=5 (삼각형 AED의 넓이)=;4!; S
이것을 ㉠에 대입하면 b=3
점 G는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이므로 AGÓ : GEÓ=2 : 1
따라서 ab=5_3=15
② 삼각형 DGE의 넓이는 삼각형 AED의 넓이의 ;3!;이므로

(삼각형 DGE의 넓이)=;3!;_;4!; S=;1Á2;S=S1
27 마름모 ABCD에서 삼각형 ABD와 삼각형 CBD는 합동이다. Sª
삼각형 BCD의 무게중심을 G라 하면 따라서 =3

ACÓ=;2#; AGÓ ③

즉, 점 G는 선분 AC를 2 : 1로 내분하므로 점 C의 좌표를 (c, d)라 하면
2_c+1_0
=3,
2_d+1_0 '3
= 에서
31 선분 AB를 2 : 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2+1 2+1 3
{ }, 즉 (3, -6)
2_4+1_1 2_(-7)+1_(-4)
,
'3 2+1 2+1
c=;2(;, d=
2 점 (3, -6)을 지나고 기울기가 -2인 직선의 방정식은
'3
그러므로 점 C의 좌표는 {;2(;, }이다. y+6=-2(x-3)에서
2
y=-2x
마름모의 두 대각선의 중점은 일치하므로
 y=-2x
;2%;+a=;2(;에서 a=2이고

-
'3
+b=
'3
에서 b='3 32 점 (-1, 3)을 지나고 기울기가 2인 직선의 방정식은
2 2 y-3=2(x+1)에서 y=2x+5
따라서 a+bÛ`=2+3=5
직선 l의 x절편은 -;2%;이고 y절편은 5이므로 직선 l과 x축, y축으로
⑤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28 ABÓ="Ã2Û`+4Û`=2'5, ACÓ="Ã(8-2)Û`+(1-4)Û`=3'5이므로 ;2!;_;2%;_5=;;ª4°;;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에 의하여
ABÓ : ACÓ=BDÓ : CDÓ=2 : 3 ①

점 D가 선분 BC를 2 : 3으로 내분하므로

D{
2_8+3_0 2_1+3_0
, }, 즉 D{;;Á5¤;;, ;5@;}
33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30ù이므로 직선의 기울기
2+3 2+3 '3
는 이다.
3
따라서 a=;;Á5¤;;, b=;5@; 이므로
'3
기울기가 이고 점 ('3, 4)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a 3
=8
b '3
y-4= (x-'3)
② 3

x-'3y+3'3=0
29 직선 l의 기울기를 k라 할 때, 좌표평면에 점 (1, 0)을 지나고 따라서 a=-'3, b=3'3이므로
y축과 평행한 직선을 그으면 직선 y=7x, 직선 l, x축과 각각 점 ab=-9
(1, 7), (1, k), (1, 0)에서 만난다. ①

9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94 2022-11-09 오후 1:27:40


34 x절편이 3, y절편이 4인 직선의 방정식은 Û 세 점 P, A, B가 한 직선 위에 있을 때
x y Ú |PAÓ-PBÓ|=ABÓ
+ =1
3 4 Ú, Û에서 세 점 P, A, B가 한 직선 위에 있을 때, |PAÓ-PBÓ|의 값
점 (a, -8)이 이 직선 위에 있으므로 은 최대이다.
a 두 점 A(2, 4), B(3, 6)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2=1에서 a=9
3
6-4
④ y-4= (x-2)에서 y=2x
3-2

두 직선 y=2x, y=x-1의 교점의 x좌표는
35 선분 AB를 3 : 2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2x=x-1에서 x=-1이고 y=2_(-1)=-2
이므로 점 P(-1, -2)일 때 세 점이 한 직선 위에 있다.
{ }, 즉 (-3, 5)
3_1-2_3 3_1-2_(-1)
,
3-2 3-2 따라서 a=-1, b=-2이므로 a+b=-3
직선 l이 두 점 (-3, 5), (-2, 0)을 지나므로 직선 l의 방정식은
③


0-5
y= (x+2)에서 y=-5x-10
-2-(-3)
따라서 직선 l의 y절편은 -10이다.
40 직선 y=mx+4가 점 A를 지나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를 이
⑤ 등분하기 위해서는 변 BC의 중점을 지나야 한다.

변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M{3, -;2(;}이므로
36 두 점 A{-5, - 3 }, B{31,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13 167
3
-;2(;=m_3+4, 3m=-;;Á2¦;;
=;3%;(x+5)에서 y=;3%;x+4
13
y+
3
따라서 m=-;;Á6¦;;
선분 AB 위의 점 중에서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은 x좌표가
-3, 0, 3, y, 30일 때이다. ②

따라서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는 12이다.
③
41 두 직사각형의 넓이를 동시에 이등분하는 직선은 두 직사각형의

대각선의 교점 {2, ;2#;}, {4, ;2(;}를 모두 지나야 한다.
37 세 점이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두 점을 잇는 직선의 기울기는 같다.
a-1 10-a 두 점 {2, ;2#;}, {4,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에서 aÛ`-2a-8=0
2-1 a-2
(a-4)(a+2)=0 y-;2#;=;2#;(x-2)에서 y=;2#;x-;2#;
a>0이므로 a=4
따라서 구하는 y절편은 -;2#;이다.
4

②

38 세 점이 삼각형을 이루지 않으려면 세 점이 한 직선 위에 있어야
한다. 42 두 점 B, C의 x좌표가 같으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는
;2!;_16_4=32
8-a -7-8
= 에서 aÛ`-5a+6=0
3-1 -a-3
(a-2)(a-3)=0 두 점 A, C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3x+7이고 두 점 A, B를
a=2 또는 a=3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x-1이다.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5이다. 직선 x=0으로 삼각형 ABC를 나누었을 때, 점 A가 포함된 삼각형
⑤ 조각의 넓이는 ;2!;_8_2=8이므로 a>0이어야 한다.

직선 x=a(0<a<2)와 ACÓ, ABÓ가 만나는 점을 각각 D, E라 하면
39 Ú 세 점 P, A, B가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을 때, D(a, 3a+7), E(a, -a-1)
Ú 삼각형 PAB의 세 변 AB, PA, PB 중
이때 삼각형 ADE의 넓이는 ;2!;(a+2)(4a+8)이고, 삼각형 ADE의
Ú ① PBÓ가 가장 긴 변이면

Ú ① 삼각형 APB에서 ABÓ+PAÓ>PBÓ가 성립하므로 넓이는 삼각형 ABC의 넓이의 ;2!;이어야 하므로
Ú ① |PAÓ-PBÓ|=PBÓ-PAÓ<ABÓ
Ú ② PAÓ가 가장 긴 변이면 ;2!;(a+2)(4a+8)=16

Ú ① 같은 방법으로 aÛ`+4a-4=0
Ú ① |PAÓ-PBÓ|=PAÓ-PBÓ<ABÓ a=-2Ñ2'2
Ú ③ ABÓ가 가장 긴 변이면 0<a<2이므로 a=-2+2'2
Ú ① |PAÓ-PBÓ|<ABÓ는 항상 성립한다. ④

정답과 풀이 95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95 2022-11-09 오후 1:27:41


다른 풀이
46 (2k+1)x+(1-k)y+2-ak=0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선분 BC와 직선 x=a가 서로 평행하므로 직선 x=a가 두 선분 AB, (2x-y-a)k+x+y+2=0
AC와 만나는 점을 각각 D, E라 하면 두 삼각형 ADE와 ABC는 서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등식이 성립하려면
로 닮음이다. 2x-y=a, x+y=-2
이때 점 A에서 두 선분 DE,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F, G라 하 이때 주어진 직선이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점 (1, b)를 지나므로
면 두 삼각형 ADE와 ABC의 닮음비는 1+b=-2에서 b=-3이고,
AFÓ : AGÓ=(a+2) : 4이고 2x-y=a에 x=1, y=-3을 대입하면
두 삼각형의 넓이의 비가 1 : 2이므로 2+3=a, a=5
(a+2)Û` : 4Û`=1 : 2에서 따라서 a-b=5-(-3)=8
2(a+2)Û`=16 ①


aÛ`+4a-4=0
0<a<2이므로 a=-2+2'2
47 점 P(a, b)가 직선 2x+y=3 위에 있으므로 2a+b=3에서
b=3-2a
이것을 ax+3by=1에 대입하면
43 b+0이므로 ax+by+c=0에서 ax+3(3-2a)y=1
a c
y=- x- (x-6y)a+9y-1=0
b b
ab>0이므로 기울기는 음수이고, 위의 식이 실수 a의 값에 관계없이 성립하려면
ab>0, ac<0에서 b와 c의 부호가 다르므로 y절편은 양수이다. x-6y=0, 9y-1=0에서 x=;3@;, y=;9!;
따라서 직선 ax+by+c=0의 개형은 ③과 같다.
③ 즉, 점 P의 위치에 관계없이 점 {;3@;, ;9!;}을 지나므로

c=;3@;, d=;9!;

44 ㄱ. b=0이고 ac>0이면 a+0이므로 ax+by+c=0에서 따라서 c+d=;9&;


c ④
ㄱ. x=-
a

c
ㄱ.이때 - <0이므로 직선은 제2사분면과 제3사분면을 지난다. (참)
a
48 kx-y-2k-1=0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ㄴ. ab<0, bc>0이면 b+0이므로 ax+by+c=0에서 (x-2)k-y-1=0
a c 이므로 직선 kx-y-2k-1=0은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점 (2, -1)
ㄱ.y=- x-
b b
을 지난다.
ㄱ.이때 기울기는 양수이고, y절편은 음수이므로 직선은 제2사분면을
‌
두 직선 y=x+6, kx-y-2k-1=0이 제2사분면에서 만나기 위해
지나지 않는다. (참)
서는 직선 kx-y-2k-1=0이 경계가 되는 두 점인 (-6, 0)과
ㄷ. c=0이고 ab>0이면 b+0이므로 ax+by+c=0에서
(0, 6)을 지날 때의 실수 k의 값을 구하면 된다.
a
ㄱ.y=- x
b Ú 직선 kx-y-2k-1=0이 점 (-6, 0)을 지날 때,

Ú -8k-1=0에서 k=-;8!;
ㄱ.이때 기울기가 음수이고 원점을 지나므로 직선은 제2사분면과 제4
‌
사분면을 지난다. (참)
Û 직선 kx-y-2k-1=0이 점 (0, 6)을 지날 때,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Ú -2k-7=0에서 k=-;2&;

Ú, Û에서 -;2&;<k<-;8!;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k의 값은

45 (2k+1)x-(3k+2)y-3k=0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1, -2, -3으로 그 개수는 3이다.

(2x-3y-3)k+x-2y=0 3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등식이 성립하려면
2x-3y=3, x-2y=0 49 kx+y-3k-4=0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3)k+y-4=0
x=6, y=3 이므로 직선 kx+y-3k-4=0은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점 (3, 4)
즉,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6, 3)을 지나므로 를 지난다.
a=6, b=3 선분 AB를 지나는 범위를 구하려면 두 점 A, B를 지날 때의 실수 k
따라서 ab=18 의 값을 각각 구하면 된다.
① 이때 직선의 기울기가 -k이므로

9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96 2022-11-09 오후 1:27:41


점 A(-3, 1)을 지날 때 k는 최댓값 -;2!; 을 갖고, 6k+3=-12k+4


점 B(1, -4)를 지날 때 k는 최솟값 -4를 갖는다. 따라서 k=;1Á8;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곱은 ③


-;2!;_(-4)=2

② 54 연립방정식 x-y-3=0, 2x+3y+4=0을 풀면


x=1, y=-2이므로 두 직선의 교점의 좌표는 (1, -2)이다.

두 점 (1, -2), (7,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50 (2k+1)x-(3k+1)y+k-1=0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2x-3y+1)k+x-y-1=0 y+2=;3@;(x-1), 즉 y=;3@;x-;3*;

연립방정식 2x-3y+1=0, x-y-1=0의 해를 구하면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x절편은 4이다.


x=4, y=3이므로 주어진 직선은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점 (4, 3) ④


을 지난다.
점 (4, 3)을 지나는 직선의 x절편과 y절편이 같으려면 직선의 기울기
55 직선 (3x-2y+3)k+(x+4y-13)=0은
가 -1이어야 하므로 두 직선 3x-2y+3=0, x+4y-13=0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이다.
=-1에서 k=-;5@;
2k+1 연립방정식 3x-2y+3=0, x+4y-13=0을 풀면
3k+1
x=1, y=3이므로 두 직선의 교점은 (1, 3)이고 점 B와 일치한다.
즉, K=-;5@; 점 B(1, 3)을 지나는 직선이 삼각형 ABC의 넓이를 이등분하므로 선
분 AC의 중점 (-2, -1)을 지나야 한다.
k=-;5@; 를 (2k+1)x-(3k+1)y+k-1=0에 대입하면
따라서 (3x-2y+3)k+(x+4y-13)=0에 x=-2, y=-1을 대
;5!;x+;5!;y-;5&;=0에서 x+y=7 입하면
이 직선의 x절편과 y절편이 7로 같으므로 -k-19=0, k=-19
a=7 ①

따라서 aK=7_{-;5@;}=-;;Á5¢;;

⑤
56 연립방정식 2x+y+a=0, 3x-y+2=0을 풀면
a+2 3a-4

x=- , y=- 이므로 두 직선의 교점의 좌표는
5 5

51 두 직선이 평행할 조건에 의하여 {-


a+2
5
,-
3a-4
5
}이다.
a 5 -2
= + 직선 4x-2y+3=0과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2이므로 구하는 직선
3 -2 5
의 식은
따라서 a=-;;Á2°;;
}
3a-4 a+2
y+ =2{x+
② 5 5

이 직선이 점 (3, b)를 지나므로

52 두 직선 (k+1)x-y+3=0, kx+2y+1=0이 서로 수직이므로 b+


3a-4
5
=2{3+
a+2
5
}
(k+1)_k-2=0
-a+38
kÛ`+k-2=0 b=
5
(k+2)(k-1)=0 따라서 a+5b=38
k<0이므로 k=-2 ①

④

57 세 직선이 삼각형을 이루지 않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53 (2k+1)x+(1-3k)y+k-7=0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Ú 직선 ax+2y+3=0이 직선 x-y=0과 평행할 때
(2x-3y+1)k+x+y-7=0 1 -1
Ú = +0에서 a=-2
연립방정식 2x-3y+1=0, x+y-7=0의 해를 구하면 a 2
Û 직선 ax+2y+3=0이 직선 2x-y-1=0과 평행할 때
x=4, y=3이므로 주어진 직선은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점 (4, 3)
2 -1 -1
을 지난다. Ú = + 에서 a=-4
a 2 3
원점에서 직선 (2k+1)x+(1-3k)y+k-7=0에 내린 수선의 길이 Ü 직선 ax+2y+3=0이 두 직선 x-y=0, 2x-y-1=0의 교점을
‌
가 최대가 되려면 직선 (2k+1)x+(1-3k)y+k-7=0이 원점과 점 지날 때

(4, 3)을 지나는 직선 y=;4#;x에 수직이어야 하므로 Ú 두 직선 x-y=0, 2x-y-1=0의 교점의 좌표는 (1, 1)이므로
Ú ax+2y+3=0에 x=1, y=1을 대입하면
=-;3$;
2k+1
3k-1 Ú a+2+3=0, a=-5

정답과 풀이 97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97 2022-11-09 오후 1:27:41


Ú, Û, Ü에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x절편이 2이고 점 (6, 2)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2!;이므로 직선
-2+(-4)+(-5)=-11
2x+(3k-1)y-4=0의 기울기는 -2이어야 한다.
③
=-2에서 k=;3@;

2
따라서
1-3k

58 세 직선 3x+y=0, -x+y+2=0, x+ay-1=0을 각각 l,


②


m, n이라 하자.
세 직선이 좌표평면을 6개로 나누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62 점 P는 선분 OB를 2 : 3으로 내분하 y

는 점이므로 B
Ú 세 직선 l, m, n이 한 점에서 만날 때 3

P{;5*;, ;5^;}
Ú 두 직선 l, m의 교점의 좌표는 {;2!;, -;2#;}이므로 x=;2!;, y=-;2#; P
‌
을 직선 n의 방정식에 대입하면 직선 OB의 기울기가 ;4#;이므로 직선 OB에 A
O Q 4 x
Ú ;2!;-;2#;a-1=0, a=-;3!;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3$;이고, 점 P를

Û 두 직선 l, n이 평행할 때 지나고 기울기가 -;3$;인 직선의 방정식은


Ú ;1#;= +0에서 a=;3!;
1
a y-;5^;=-;3$;{x-;5*;}
Ü 두 직선 m, n이 평행할 때
-1 1 2 이 직선의 x절편은 ;2%;이므로 점 Q의 좌표는 {;2%;, 0}이다.
Ú = + 에서 a=-1
1 a -1
(사각형 ABPQ의 넓이)=(삼각형 OAB의 넓이)-(삼각형 OQP의 넓이)
Ú, Û, Ü에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곱은
(사각형 ABPQ의 넓이)=;2!;_4_3-;2!;_;2%;_;5^;
{-;3!;}_;3!;_(-1)=;9!;

④ (사각형 ABPQ의 넓이)=;2(;



④

59 Ú a=2일 때
Ú 세 직선을 63 직선 y=;3@;x+2가 x축과 만나는 점은 A(-3, 0)이고,
Ú l : x+3y-2=0, m : 2x+6y-4=0, n : 4x-9y+4=0 y축과 만나는 점은 B(0, 2)이다.
Ú 이라 하면 두 직선 l, m은 일치하고, 직선 n과는 한 점에서 만난다. 선분 AB의 중점은 {-;2#;, 1}이고 직선 y=;3@;x+2와 수직인 직선의
Ú 즉, 좌표평면은 4개로 나누어지므로 p=4
Û a=3일 때 기울기는 -;2#;이므로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Ú 세 직선을
y-1=-;2#;{x+;2#;}, 즉 6x+4y+5=0
Ú l : x+3y-2=0, m : 3x+6y-4=0, n : 4x-9y+6=0
따라서 a=6, b=4이므로 ab=24
Ú 이라 하면 서로 다른 세 직선 l, m, n에 대하여 두 직선 l, m의 교
⑤
Ú 점은 {0, ;3@;}이고, 직선 n도 점 {0, ;3@;}를 지난다.

64 선분 AB의 중점 { }가 직선 2x-4y+1=0 위에
a+2 b+4
Ú 즉, 세 직선은 한 점에서 만나고 좌표평면은 6개로 나누어지므로 ,
2 2
Ú q=6 있으므로
Ú, Û에서 p+q=4+6=10 a+2-2b-8+1=0
②
a-2b=5 yy ㉠

직선 AB가 직선 2x-4y+1=0에 수직이므로

60 직선 2x+3y+1=0에 평행하고 점 (-1, 2)를 지나는 직선은 b-4


a-2
=-2에서 2a+b=8 yy ㉡
2x+3y-4=0이다.
㉠, ㉡을 연립하여 풀면 a=;;ª5Á;;, b=-;5@;
이 직선이 점 (k, -2)를 지나므로
2k-10=0에서 k=5 따라서 5(a+b)=19
⑤ ①


65 삼각형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은 한 점에서 만나고 이 점이 외심
61 2x+(3k-1)y-4=0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이다.
3yk+2x-y-4=0
3y=0, 2x-y-4=0에서 x=2, y=0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은 기울기가 -;4!;이고 선분 AB의 중점

즉,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점 (2, 0)을 지나므로 x절편은 2이다. (0, 2)를 지나므로

9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98 2022-11-09 오후 1:27:42


y-2=-;4!;x, 즉 y=-;4!;x+2 yy ㉠ 70 직선 x-2y+1=0에 수직이고, 점 (3, 7)을 지나는 직선을 l이
라 하면 직선 l의 방정식은
선분 BC의 수직이등분선은 기울기가 -;2#;이고 선분 BC의 중점 (2, 0)
y-7=-2(x-3), 즉 y=-2x+13
을 지나므로 y=-2x+13을 x-2y+1=0에 대입하면

y=-;2#;(x-2) yy ㉡ x+4x-26+1=0에서 x=5이고,


x=5를 y=-2x+13에 대입하면 y=3
㉠, ㉡을 연립하면 -;4!;x+2=-;2#;(x-2)에서 즉, 직선 l과 직선 x-2y+1=0의 교점은 (5, 3)이므로
a=5, b=3
-x+8=-6x+12, x=;5$;
따라서 a+b=8
x=;5$; 를 ㉠에 대입하면 y=;5(; ⑤


따라서 a=;5$;, b=;5(;이므로

a+b=;;Á5£;;
71 직선 l: (k+1)x+(k-1)y-2k+6=0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x+y-2)k+x-y+6=0
③ 연립방정식 x+y-2=0, x-y+6=0을 풀면 x=-2, y=4이므로

직선 l은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점 (-2, 4)를 지난다.
원점에서 직선 l까지의 거리가 최대인 경우는 수선의 발 H의 좌표가
66 직선 4x+3y+3=0과 점 (a, -3) 사이의 거리가 2이므로
|4a-9+3| (-2, 4)일 때이므로
=2
"Ã4Û`+3Û` a=-2, b=4
|4a-6|=10
이때 직선 OH의 기울기가 -2이므로 직선 l의 기울기는 ;2!;이다.
a>0이므로 a=4
=;2!;에서
k+1
4 즉,
1-k

2k+2=1-k, k=-;3!;
67 점 (1, 4)에서 두 직선 4x-2y+3=0, 2x+y+a=0에 이르는
따라서 K=-;3!;이므로
ab
거리가 같으므로 =24
K
|4-8+3| |2+4+a| ①
=
"Ã4Û`+(-2)Û` "Ã2Û`+1Û`

1 |a+6|
=
'5
72 연립방정식 y=3x, x+2y-6=0을 풀면 x=;7^;, y=;;Á7¥;;이므로
2'5
a+6=Ñ;2!;에서 a=-
11 13
또는 a=-
2 2
두 직선 y=3x, x+2y-6=0의 교점의 좌표는 {;7^;, ;;Á7¥;;}이다.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또, 직선 x+2y-6=0의 x절편은 6이므로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12
11 13
- +{-
2 2
;2!;_6_;;Á7¥;;=;;°7¢;;
④

②

68 xÛ`=a에서 x=Ñ'a이므로 점 P의 좌표는 (-'a, a)이다.
점 P와 직선 y=-x, 즉 x+y=0 사이의 거리 f(a)는 73 세 점 O(0, 0), A(a, 3), B(1, 4)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a+a| |a-'a| OAB의 넓이를 S라 하면
f(a)= =
"Ã1Û`+1Û` '2
S=;2!;|4a-3|=
21
2 6 2
이므로 f(4)= ='2, f(9)= =3'2
'2 '2 |4a-3|=21, 4a-3=Ñ21
따라서 f(4)+f(9)=4'2
a>0이므로 a=6
②
④


다른 풀이

69 두 점 A, H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2!;이므로 두 점 O(0, 0), B(1, 4)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이 y=4x이고,
OBÓ="Ã1Û`+4Û`='¶17
=;2!;에서 b=3
3-5
b-7
점 A(a, 3)과 직선 y=4x, 즉 4x-y=0 사이의 거리는
점 H(3, 3)이 직선 y=-2x+a 위에 있으므로
|4a-3| |4a-3|
= 이므로 삼각형 OAB의 넓이는
3=-6+a에서 a=9 "Ã4Û`+(-1)Û` '¶17
따라서 a+b=9+3=12
;2!;_'¶17_
|4a-3| 21
=
③ '¶17 2

정답과 풀이 99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99 2022-11-09 오후 1:27:43


|4a-3|=21, 4a-3=Ñ21 즉,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이 y=2x-1이므로
a>0이므로 a=6 평행한 두 직선 y=2x-1, y=2x+k 사이의 거리는 '5이다.
즉, 직선 y=2x-1 위의 한 점 (0, -1)과 직선 y=2x+k 사이의 거
리가 '5이므로
74 삼각형 OAB의 넓이는 |1+k|
='5에서 |1+k|=5
'5
;2!;|4_2-(-1)_5|=;;Á2£;;
k=-6 또는 k=4
삼각형 OAB의 넓이가 삼각형 OAD의 넓이의 2배이므로 이때 k=4이면 직선 y=2x+k가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두 점에서 만
2_;2!;|4_0-5t|=;;Á2£;;에서 |5t|=;;Á2£;; 나므로
k=-6
t<0이므로 t=-;1!0#;  -6


D{-;1!0#;, 0}이므로 두 점 A, D를 지나는 직선 l의 방정식은

y-5=;5%3);(x-4), 즉 y=;5%3);x+;5^3%; 78 점 P(a, b)가 직선 2x+y-1=0 위에 있으므로


2a+b-1=0 yy ㉠
이때 직선 l의 y절편은 ;5^3%;이므로 또, 점 P가 두 점 A(0, 3), B(8, 1)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으므로
"ÃaÛ`+(b-3)Û`="Ã(a-8)Û`+(b-1)Û`
p=53, q=65
양변을 제곱하면
따라서 p+q=118
④ aÛ`+(b-3)Û`=(a-8)Û`+(b-1)Û`

aÛ`+bÛ`-6b+9=aÛ`-16a+64+bÛ`-2b+1
4a-b-14=0 yy ㉡


75 두 직선 l과 m이 평행하고 직선 m의 y절편이 ;4!;이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4
두 직선 l과 m 사이의 거리는 점 {0, ;4!;}과 직선 l 사이의 거리와 같다.
따라서 ab=-10
|1+a|
=1에서 |1+a|=5
"Ã3Û`+4Û` ③

a는 음수이므로 a=-6
③
79 직선 5y=12x와 x축의 양의 방향이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직

선을 l이라 하고, 직선 l 위의 점을 P(x, y)라 하자.
직선 l이 각의 이등분선이므로 점 P와 직선 5y=12x 사이의 거리는
76 직선 CD의 기울기는 두 점 A(1, 0), B(0, 3)을 지나는 직선의 점 P와 x축 사이의 거리와 같다.
기울기와 같으므로 -3이고, 점 A(1, 0)과 직선 CD 사이의 거리는 |12x-5y|
=|y|에서
'¶10이다. "Ã12Û`+(-5)Û`
직선 CD의 방정식을 y=-3x+a, 즉 3x+y-a=0으로 놓으면 |12x-5y|=13|y|
|3-a| 12x-5y=Ñ13y
='¶10에서 |3-a|=10
"Ã3Û`+1Û` 12x=18y 또는 12x=-8y
a=-7 또는 a=13
이때 직선 l의 기울기는 양수이므로 ;3@;이다.
두 점 C, D가 모두 제1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④
a=13

따라서 직선 CD의 y절편은 13이다.
⑤ 80 B(p, q), C(x, y)라 하면 A(-1, 2)이고, 삼각형 ABC의 무

게중심 G의 좌표가 (1, 3)이므로
-1+p+x 2+q+y
=1, =3
77 이차함수 y=xÛ`-2x+3의 그래프 위의 점 중에서 직선 y=2x+k 3 3

에 이르는 거리가 최소가 되는 점은 기울기가 2이고 이 이차함수의 그래 p=4-x, q=7-y yy ㉠



프에 접하는 접선과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접점이다. 점 B가 직선 y=2x-7 위에 있으므로

기울기가 2이고 이차함수 y=xÛ`-2x+3에 접하는 직선을 y=2x+a q=2p-7 yy ㉡

라 하면 xÛ`-2x+3=2x+a에서 ㉠을 ㉡에 대입하면

xÛ`-4x+3-a=0 7-y=2(4-x)-7

이차방정식 xÛ`-4x+3-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y=2x+6

D 따라서 a=2, b=6이므로 a+b=8


=(-2)Û`-(3-a)=0에서 a=-1
4 ①

10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00 2022-11-09 오후 1:27:43


81 출발 후의 시각 t(시간) (t¾0)에 대하여 A지점에서 출발하는 버 따라서 a=3, b=-2일 때 최솟값 -18을 갖는다. yy ➋


스와 B지점에서 출발하는 승용차의 위치는 각각  -18


(-8+2t, 0), (0, -6+4t)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이므로 버스와 승용차의 거리를 d라 하면 ➊ 거리 공식으로 이차식을 세운 경우 60`%
d="Ã(8-2t)Û`+(-6+4t)Û` ➋ 최솟값을 구한 경우 40`%
이때 거리는 양수이므로 dÛ`이 최소일 때 d도 최소이다.
dÛ`=20tÛ`-80t+100
‌
=20(t-2)Û`+20
03 삼각형 OCB와 삼각형 ABC의 넓이의 비는 5 : 3이므로 점 C는
따라서 t=2일 때, d가 최소이므로 버스와 승용차의 거리가 가장 가까 선분 OA를 5 : 3으로 내분한다.
워질 때는 출발 후 2시간이 지났을 때이다. 점 C의 좌표는 (10, 0)이다. yy ➊


③ 삼각형 ODB와 삼각형 OCD의 넓이의 비는 4 : 1이므로 점 D는 선분

BC를 4 : 1로 내분한다. yy ➋
82


출발 후의 시각 t(t¾0)에 대하여 두 점 A, B의 좌표는 각각 따라서 점 D의 좌표는
A(t, 3t), B(-10+2t, 0)
{ }, 즉 (9, 3)
4_10+1_5 4_0+1_15
, yy ➌
이므로 두 점 A, B 사이의 거리를 d라 하면 4+1 4+1


d="Ã(-10+t)Û`+(-3t)Û`  (9, 3)


이때 d>0이므로 dÛ`이 최소이면 d도 최소이다. 단계 채점 기준 비율
dÛ`=10tÛ`-20t+100 ➊ 점 C의 좌표를 구한 경우 40`%
‌
=10(t-1)Û`+90 ➋ 점 D가 선분 BC를 4 : 1로 내분하는 점임을 안 경우 20`%
따라서 t=1일 때 dÛ`의 최솟값은 90이므로 d의 최솟값은 '¶90=3'¶10


➌ 점 D의 좌표를 구한 경우 40`%
이다.
즉, 두 점 A, B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은 3'¶10이다.
②
04 세 직선 x-y+1=0, ax+2y+3=0, 3x+ay+2=0을 차례

대로 l, m, n이라 하자.
Ú 두 직선이 평행할 때,

+;3!;에서 a=-2
1 -1
Ú l, m이 평행: =
a 2
Ú 두 직선 l, m의 기울기는 1이고, 직선 n의 기울기는 ;2#;이므로 조건

Ú 을 만족시킨다.
본문 138쪽
서술형 완성하기
Ú l, n이 평행: ;3!;= +;2!;에서 a=-3
-1
a
01 ACÓ=BCÓ인 이등변삼각형 02 -18 03 (9, 3)
Ú 두 직선 l, n의 기울기는 1이고, 직선 m의 기울기는 ;2#;이므로 조건
04 -4 05 (4, 7) 06 60
Ú 을 만족시킨다.

= +;2#;에서 a=Ñ'6
a 2
01 A(1, 2), B(7, -2), C(8, 6)이므로 Ú m, n이 평행:
3 a
ABÓ="Ã(7-1)Û`+(-2-2)Û`=2'¶13 '6
Ú 두 직선 m, n의 기울기는 Ñ 이고, 직선 l의 기울기는 1이므로
BCÓ="Ã(8-7)Û`+(6+2)Û`='¶65 2
ACÓ="Ã(8-1)Û`+(6-2)Û`='¶65 yy ➊ Ú 조건을 만족시킨다. yy ➊


따라서 삼각형 ABC는 ACÓ=BCÓ인 이등변삼각형이다. yy ➋ Û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Ú 두 직선 l, m의 교점의 좌표는 { }이므로
 ACÓ=BCÓ인 이등변삼각형 -5 a-3
,
a+2 a+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5 a-3
Ú x= , y= 을 직선 n의 방정식에 대입하면
➊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구한 경우 60`% a+2 a+2
-15 aÛ`-3a
➋ 삼각형의 모양을 판정한 경우 40`% Ú + +2=0
a+2 a+2
Ú aÛ`-a-11=0
02 P(a, b)라 하면 Ú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0이므로 서로 다른 두 실근
‌
PAÓ -PBÓ Û`+PCÓ Û`
Û
` 을 갖고,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은 1이다. yy ➋

=aÛ`+(b-1)Û`-(a-3)Û`-(b-7)Û`+(a-6)Û`+(b-4)Û`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aÛ`-6a+bÛ`+4b-5 -2-3+'6-'6+1=-4 yy ➌

=(a-3)Û`+(b+2)Û`-18 yy ➊  -4


정답과 풀이 101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01 2022-11-09 오후 1:27:43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본문 139쪽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➊ 두 직선이 평행할 때의 실수 a의 값을 구한 경우 40`%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의 실수 a의 값의 합을 01 14 02 13 03 a=5, b=2 04 '¶10
➋ 40`%
구한 경우
➌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을 구한 경우 20`% 01 A(0, 4), B(-2, 6), C(1, a)이므로
ABÓ Û`=(-2-0)Û`+(6-4)Û`=8
ACÓ Û`=(1-0)Û`+(a-4)Û`=aÛ`-8a+17
BCÓÓ Û`=(1+2)Û`+(a-6)Û`=aÛ`-12a+45
05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에 의하여 선분 PQ는 변 CA에 평행하고
Ú ABÓ가 빗변일 때
선분 QR는 변 AB에 평행하다.
Ú ABÓ Û`=BCÓÓ Û`+ACÓ Û`이므로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은 기울기가 3이고, 점 P(3, 4)를 지나므로
Ú 8=aÛ`-12a+45+aÛ`-8a+17
y-4=3(x-3)
Ú aÛ`-10a+27=0
즉, y=3x-5 yy ➊
Ú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0이므로 해가 없다.

두 점 A, C를 지나는 직선은 기울기가 -2이고, 점 R(5, 5)를 지나므
Û ACÓ가 빗변일 때
로 y-5=-2(x-5)
Ú ACÓ Û`=ABÓÓ Û`+BCÓ Û`이므로
즉, y=-2x+15 yy ➋
Ú aÛ`-8a+17=8+aÛ`-12a+45

두 직선의 방정식 y=3x-5, y=-2x+15를 연립하여 풀면
Ú 4a=36에서 a=9
x=4, y=7
Ü BCÓ가 빗변일 때
따라서 점 A의 좌표는 (4, 7)이다. yy ➌
Ú BCÓ Û`=ACÓÓ Û`+ABÓ Û`이므로

 (4, 7)
Ú aÛ`-12a+45=aÛ`-8a+17+8

단계 채점 기준 비율 Ú 4a=20에서 a=5
➊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한 경우 40`% Ú, Û, Ü에서 모든 a의 값의 합은
➋ 두 점 A, C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한 경우 40`% 9+5=14
➌ 점 A의 좌표를 구한 경우 20`%  14

02 삼각형 PBC에서 ADÓ PCÓ이므로 △BAD»△BPC
BCÓ : DCÓ=BPÓ : APÓ이고
06 BCÓ의 중점을 M이라 하면 무게중심의 A
BCÓ="Ã(4+8)Û`+5Û`=13
성질에 의하여 DCÓ=ACÓ="Ã4Û`+(-3)Û`=5
GMÓ=;2!; AGÓ 이므로 BPÓ : APÓ=13 : 5
G
즉, 점 P는 선분 BA를 13 : 5로 외분하므로
GMÓ=;2!;_10=5 yy ➊
}
B 13_0-5_(-8) 13_3-5_(-5)

M C P{ ,
삼각형 BCG에서 BMÓ=x라 하면 13-5 13-5
BGÓ Û`+CGÓ Û`=2(BMÓ Û`+GMÓ Û`) 즉, P(5, 8)

(4'5)Û`+(2'5)Û`=2(xÛ`+5Û`) 따라서 a=5, b=8이므로

100=2(xÛ`+25) a+b=13

x=5  13

즉, BMÓ=5이므로
BCÓ=2BMÓ=10 yy ➋ 03 점 G(2, b)가 삼각형 OAB의 무게중심이므로

Û
` Û
` Û
` 1+a
BCÓ =BGÓ +CGÓ 이 성립하므로 삼각형 BCG는 ∠BGC=90ù인 직 =b에서 a=3b-1 yy ㉠
3
각삼각형이고 삼각형 BCG의 넓이는 직선 OA의 방정식은 x-7y=0이므로 점 G와 직선 OA 사이의 거리는
;2!;_4'5_2'5=20 |2-7b|
=
6'2
"Ã1Û`+(-7)Û` 5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2-7b|=12
3_20=60 yy ➌
2-7b=Ñ12

 60
b=2 또는 b=-;;Á7¼;;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선분 GM의 길이를 구한 경우 20`% ㉠에서 b=2일 때 a=5, b=-;;Á7¼;;일 때 a=-;;£7¦;;
➋ 선분 BC의 길이를 구한 경우 40`% a>0이므로 a=5, b=2
➌ 삼각형 ABC의 넓이를 구한 경우 40`%  a=5, b=2

10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02 2022-11-09 오후 1:27:44


04 세 점 A{;5!;, ;;Á5ª;;}, B(-3, 0), C(2, 0)에 대하여 직선 AB, BC,
CA의 방정식은 각각
08 원의 방정식
3x-4y+9=0, y=0, 4x+3y-8=0
본문 141쪽
개념 확인하기
I(a, b)라 하면 -3<a<2, 0<b<;;Á5ª;;이고

점 I에서 삼각형 ABC의 세 변에 이르는 거리가 모두 같으므로 01 xÛ`+yÛ`=4 02 (x-1)Û`+(y-3)Û`=16


b=
|3a-4b+9| |4a+3b-8|
=
03 (x+3)Û`+(y-2)Û`=4 04 (x-5)Û`+(y+2)Û`=25
5 5
05 (x-4)Û`+(y+4)Û`=16
|3a-4b+9|
Ú b= 일때 06 중심의 좌표: (3, 0), 반지름의 길이: 2
5
Ú |3a-4b+9|=5b 07 중심의 좌표: (2, -4), 반지름의 길이: 3
Ú 3a-4b+9=5b 또는 3a-4b+9=-5b 08 k<25 09 k<-1 또는 k>1
Ú 3a+9=9b 또는 3a+9=-b 10 한 점에서 만난다.(접한다.) 11 만나지 않는다.
Ú a>-3이므로 3a+9>0이고 b>0이므로
12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13 -4<k<4
Ú 3a+9+-b
14 k=Ñ4 15 k<-4 또는 k>4
Ú 따라서 3a+9=9b, 즉 a+3=3b
16 y=2xÑ2'5
|4a+3b-8| '3 4'3
Û b=
5
일때 17 x+'3y=4 {또는 y=- 3 x+ 3 }
Ú |4a+3b-8|=5b 18 x=-2
Ú 4a+3b-8=5b 또는 4a+3b-8=-5b
Ú 4a-8=2b 또는 4a-8=-8b
01  xÛ`+yÛ`=4
Ú a<2이므로 4a-8<0이고 b>0이므로
Ú 4a-8+2b
02  (x-1)Û`+(y-3)Û`=16
Ú 따라서 4a-8=-8b, 즉 a-2=-2b
Ú, Û에서 a+3=3b, a-2=-2b이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0, b=1
03 중심이 점 (-3, 2)이고 x축에 접하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중심의 y좌표의 절댓값과 같다.
즉, I(0, 1)이므로

AIÓ=¾Ð{-;5!;}2`+{1-;;Á5ª;;}2`='2
 (x+3)Û`+(y-2)Û`=4

BIÓ="Ã3Û`+1Û`='¶10 04 중심이 점 (5, -2)이고 y축에 접하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중심의 x좌표의 절댓값과 같다.
CIÓ="Ã(-2)Û`+1Û`='5
 (x-5)Û`+(y+2)Û`=25
따라서 점 I에서 세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 중 가장 큰 값은 '¶10이다.

 '¶10
05 중심이 점 (4, -4)이고 x축과 y축에 동시에 접하므로 원의 반지

름의 길이는 4이다.
 (x-4)Û`+(y+4)Û`=16

06 xÛ`+yÛ`-6x+5=0에서
(x-3)Û`+yÛ`=4
이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3, 0)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2이다.
 중심의 좌표: (3, 0), 반지름의 길이: 2

07 xÛ`+yÛ`-4x+8y+11=0에서
(x-2)Û`+(y+4)Û`=9
이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2, -4)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3이다.
 중심의 좌표: (2, -4), 반지름의 길이: 3

08 xÛ`+yÛ`-8x+6y+k=0에서
(x-4)Û`+(y+3)Û`=25-k
이 방정식이 원을 나타내므로
25-k>0, k<25

 k<25

정답과 풀이 103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03 2022-11-09 오후 1:27:44


09 xÛ`+yÛ`-4kx+8y+20=0에서 16 원 xÛ`+yÛ`=4에 접하고 기울기가 2인 직선의 방정식은
(x-2k)Û`+(y+4)Û`=4(kÛ`-1) y=2xÑ2"Ã2Û`+1, 즉 y=2xÑ2'5
이 방정식이 원을 나타내므로  y=2xÑ2'5


4(kÛ`-1)>0, (k+1)(k-1)>0


k<-1 또는 k>1 17 원 xÛ`+yÛ`=4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k<-1 또는 k>1 1_x+'3_y=4, 즉 x+'3y=4

'3
 x+'3y=4 {또는 y=- }
4'3
x+
3 3


10 원 xÛ`+yÛ`=8의 중심 (0, 0)과 직선 x-y+4=0 사이의 거리는

|4|
=2'2 18 원 xÛ`+yÛ`=4 위의 점 (-2, 0)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Ã1Û`+(-1)Û` -2_x+0_y=4, 즉 x=-2
이고, 이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2'2와 같으므로 원과 직선은 한 점에서  x=-2


만난다.(접한다.)
 한 점에서 만난다.(접한다.)

11 원 (x-1)Û`+(y+2)Û`=4의 중심 (1, -2)와 직선 2x+y+5=0
사이의 거리는
|2-2+5| 본문 142~153쪽
='5 유형 완성하기
"Ã2Û`+1Û`
이고, 이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2보다 크므로 원과 직선은 만나지 않는 01 ④ 02 ⑤ 03 ② 04 ② 05 ④
다. 06 ② 07 ① 08 ③ 09 ③ 10 ②
 만나지 않는다. 11 ③ 12 ① 13 ⑤ 14 ④ 15 ⑤

16 ② 17 ④ 18 ④ 19 ① 20 ⑤
21 ③ 22 ② 23 ③ 24 ④ 25 ②
12 xÛ`+yÛ`+4x+4y+4=0에서 26 ④ 27 ② 28 ① 29 ⑤ 30 ⑤
(x+2)Û`+(y+2)Û`=4
원의 중심 (-2, -2)와 직선 x-3y+1=0 사이의 거리는
31 ⑤ 32 ③ 33 ③ 34 ② 35 ①
|-2+6+1| '§10 36 ③ 37 ② 38 ⑤ 39 ④ 40 ③
=
"Ã1Û`+(-3)Û` 2 41 ② 42 ③ 43 ④ 44 ① 45 ⑤
이고, 이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2보다 작으므로 원과 직선은 서로 다른 46 ④ 47 ② 48 ① 49 ⑤ 50 ③
두 점에서 만난다. 51 ④ 52 ② 53 ① 54 ⑤ 55 ②
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56 ③ 57 ④ 58 ② 59 ② 60 ⑤

61 ② 62 ③ 63 ⑤ 64 ① 65 ④
13 원 xÛ`+yÛ`-8=0의 중심 (0, 0)과 직선 x+y+k=0 사이의 거 66 ① 67 ② 68 ② 69 ⑤ 70 ③
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2'2보다 작아야 하므로
|k|
<2'2에서 |k|<4 01 주어진 방정식을 변형하면
"Ã1Û`+1Û` (x+5)Û`+(y+2)Û`=4Û`
따라서 -4<k<4 ①, ② 중심의 좌표가 (-5, -2)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4인 원이다.
 -4<k<4 ③, ④, ⑤ 원의 중심과 x축 사이의 거리는 2, y축 사이의 거리는 5이

다.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4이므로 x축과 두 점에서 만나고 y
축과는 만나지 않으며, 제2사분면과 제3사분면을 지난다.
|k|
14 '2
=2'2에서 |k|=4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따라서 k=Ñ4 ④

 k=Ñ4

02 주어진 방정식을 변형하면
(x-2)Û`+(y+1)Û`=4Û`
|k|
15 '2
>2'2에서 |k|>4 이므로 중심의 좌표가 (2,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4인 원이다.
따라서 k<-4 또는 k>4 따라서 도형의 넓이는 p_4Û`=16p
 k<-4 또는 k>4 ⑤


10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04 2022-11-09 오후 1:27:44


03 중심의 좌표가 (2, -3)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의 07 xÛ`+yÛ`-4x+10y+13=0에서
방정식은 (x-2)Û`+(y+5)Û`=16
(x-2)Û`+(y+3)Û`=rÛ` 이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2, -5)이다.
이 원이 원점을 지나므로 두 점 (2, -5), (-2,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0-2)Û`+(0+3)Û`=rÛ`, rÛ`=13 y-2=-;4&;(x+2), 즉 7x+4y+6=0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따라서 a=7, b=4이므로
(x-2)Û`+(y+3)Û`=13
ab=28
즉, xÛ`+yÛ`-4x+6y=0이므로
①
A=-4, B=6, C=0


따라서 A+B+C=2
② 08 원의 중심의 좌표는 (1, -2)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의 방

정식은
04 주어진 방정식을 변형하면 (x-1)Û`+(y+2)Û`=rÛ`
(x-4)Û`+(y+3)Û`=-3k+25 xÛ`+yÛ`-2x+4y+5-rÛ`=0
반지름의 길이가 2 이상인 원이 되려면 이 식이 xÛ`+yÛ`+ax-2ay+10a=0과 같으므로
-3k+25¾4, kÉ7 a=-2이고 5-rÛ`=10a에서 r=5
따라서 자연수 k의 값은 1, 2, 3, y, 7로 그 개수는 7이다.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x-1)Û`+(y+2)Û`=25이고 이 원 위의 점이
② 아닌 것은 ③ (2, 3)이다.

③

05 주어진 방정식을 변형하면
(x+4)Û`+(y-k)Û`=30-6k
이므로 원이 되려면
09 원 (x-a)Û`+(y-b)Û`=rÛ`이 x축과 두 점 (1, 0), (-3, 0)에서
만나므로 중심의 x좌표는 -1이고, y축과 두 점 (0, 2-'7),
30-6k>0, k<5
(0, 2+'7)에서 만나므로 중심의 y좌표는 2이다.
자연수 k의 값은 1, 2, 3, 4이다.
즉, 원의 중심의 좌표는 (-1, 2)이므로
이때 원의 중심의 좌표가 (-4, k)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Ä30-6k이
a=-1, b=2
므로
또,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원의 중심 (-1, 2)와 원 위의 한 점 (1, 0)
Ú 1ÉkÉ3일 때,
까지의 거리와 같으므로
Ú '¶Ä30-6k>k이므로 원이 제2사분면만 지나는 것은 아니다.
"Ã2Û`+(-2)Û`=2'2에서 rÛ`=8
Û k=4일 때,
따라서 a+b+rÛ`=-1+2+8=9
Ú 'Ķ30-6k<k이므로 원은 제2사분면만 지난다.
③
Ú, Û에서 구하는 자연수 k의 값은 4이다.

④

10 xÛ`+yÛ`-2x+4y-11=0에서
{1+ }kÛ`+{7- }k+xÛ`+10=0에서
yÛ` yÛ`
06 20 20
(x-1)Û`+(y+2)Û`=16
이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1, -2)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4이다.
xÛ`+;2Á0;(kÛ`-k)yÛ`=-kÛ`-7k-10 직선 y=ax-4가 원의 둘레의 길이를 이등분하려면 원의 중심 (1, -2)
이고, 원의 방정식의 표준형은 xÛ`의 계수와 yÛ`의 계수가 모두 1이므로 를 지나야 하므로
-2=a-4에서 a=2
;2Á0;(kÛ`-k)=1에서
②

kÛ`-k-20=0, (k+4)(k-5)=0
k=-4 또는 k=5 yy ㉠
또, -kÛ`-7k-10>0이어야 하므로 11 주어진 두 원의 방정식을 변형하면
kÛ`+7k+10<0에서 (k+5)(k+2)<0 (x+5)Û`+(y+2)Û`=4, (x-7)Û`+(y-3)Û`=9
-5<k<-2 yy ㉡ 이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각각 (-5, -2), (7, 3)이다.
㉠, ㉡에서 k=-4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두 원의 넓이를 동시에 이등분하는 직선은 두 원의 중심을 모두 지나므로
xÛ`+yÛ`=2 y-3=;1°2;(x-7)
따라서 중심의 좌표가 (0,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므로 원
이 직선이 점 (a, 8)을 지나므로
의 넓이는
p_('2)Û`=2p 5=;1°2;(a-7)에서 a=19

② ③


정답과 풀이 105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05 2022-11-09 오후 1:27:45


12 xÛ`+yÛ`-4x-12y+15=0에서 16 두 점 A(3, 2), B(-1, 6)을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의 중
(x-2)Û`+(y-6)Û`=25 심을 C라 하면 점 C는 선분 AB의 중점이므로 C(1, 4)이고, 원의 반
이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2, 6)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5이다. 지름의 길이는
직선 y=ax가 원점을 지나므로 원의 중심을 지나게 하여 원을 먼저 이 ACÓ="Ã(1-3)Û`+(4-2)Û`=2'2
등분하고, 직선 y=bx+c가 원의 중심을 지나면서 직선 y=ax와 수 따라서 a=1, b=4, rÛ`=8이므로
직이 되도록 하면 두 직선에 의하여 원의 넓이가 사등분된다. a+b+rÛ`=1+4+8=13
직선 y=ax가 원의 중심 (2, 6)을 지나므로 ②


6=2a, a=3

이때 직선 y=bx+c의 기울기는 -;3!;이고 원의 중심 (2, 6)을 지나므로


17 두 점 (1, -1), (7, 3)을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의 중심은
두 점 (1, -1), (7, 3)을 이은 선분의 중점이므로 점 (4, 1)이고, 원
y-6=-;3!;(x-2)에서
의 반지름의 길이는 원의 중심과 원 위의 한 점 (1, -1) 사이의 거리
y=-;3!;x+;;ª3¼;; 와 같으므로
"Ã(4-1)Û`+(1+1)Û`='¶13
즉, b=-;3!;, c=;;ª3¼;;
원의 중심 (4, 1)을 C라 하고, 점 C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따라서 a+b+c=3-;3!;+;;ª3¼;;=;;ª3¥;; 원과 x축의 교점 중 하나를 A라 하면 삼각형 CHA는 직각삼각형이
다.
①
CHÓ=1, CAÓ='¶13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AHÓ="Ã('¶13)Û`-1Û`=2'3

13 원의 중심의 좌표를 (0, a)라 하면 원의 중심에서 두 점 따라서 원이 x축과 만나는 두 점 사이의 거리는
(2, -3), (-1, 0)까지의 거리가 같으므로 2AHÓ=4'3
4+(a+3)Û`=1+aÛ`에서 aÛ`+6a+13=aÛ`+1 ④

6a=-12, a=-2
따라서 중심의 좌표가 (0, -2)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두 점
18 3x+y-7=0에서 y=7-3x이므로 원의 방정식에 대입하면
(0, -2), (-1, 0) 사이의 거리인 '5이다. xÛ`+(7-3x)Û`+4x-6(7-3x)-7=0
⑤ xÛ`-2x=0, x(x-2)=0

x=0 또는 x=2
원과 직선의 두 교점은 (0, 7), (2, 1)이므로 두 교점을 지름의 양 끝
14 원의 중심이 직선 y=3x-4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를 점으로 하는 원의 중심의 좌표는 (1, 4)이고,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a, 3a-4)라 하자.
"Ã(1-0)Û`+(4-7)Û`='¶10
원의 중심에서 원이 지나는 두 점 A(-2, 2), B(2, 6)까지의 거리가
따라서 a=1, b=4, r='¶10이므로
같으므로
abrÛ`=1_4_10=40
(a+2)Û`+(3a-6)Û`=(a-2)Û`+(3a-10)Û`에서
④
10aÛ`-32a+40=10aÛ`-64a+104

32a=64, a=2
따라서 원의 중심의 좌표는 (2, 2)이므로 19 xÛ`+yÛ`+4x-2y-a+10=0에서
a+b=2+2=4 (x+2)Û`+(y-1)Û`=a-5
④ 이 원의 중심의 좌표는 (-2, 1)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Äa-5이다.

이 원이 y축에 접하려면 반지름의 길이가 2이어야 하므로
'Äa-5=2에서 a=9
15 두 직선 2x+y-1=0, 2x+y+9=0이 평행하므로 두 직선에 ①

동시에 접하는 원의 중심은 두 직선과 평행하고 거리가 같은 직선
2x+y+4=0 위에 있어야 한다.
즉, 원의 중심 (1, k)가 직선 2x+y+4=0 위에 있으므로 20 점 (4, 0)에서 x축에 접하는 원의 중심의 좌표를 (4, k)라 하면
2+k+4=0, k=-6 원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원의 중심 (1, -6)과 직선 2x+y-1=0 사이 (x-4)Û`+(y-k)Û`=kÛ`
의 거리와 같으므로 이 원이 점 (8, 8)을 지나므로
|2-6-1| 16+(8-k)Û`=kÛ`
r= ='5
"Ã2Û`+1Û` -16k+80=0, k=5
따라서 k+rÛ`=-6+('5)Û`=-1 따라서 원의 넓이는 p_5Û`=25p
⑤ ⑤


10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06 2022-11-09 오후 1:27:45


Û 중심이 원 (x-3)Û`+(y+4)Û`=49와 직선 y=-x의 교점일 때,
21 중심이 직선 4x+y+2=0 위에 있고 x축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
의 좌표를 (a, -4a-2)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y=-x를 (x-3)Û`+(y+4)Û`=49에 대입하면

(x-a)Û`+(y+4a+2)Û`=(4a+2)Û` Ú (x-3)Û`+(-x+4)Û`=49에서
7Ñ'¶97
이 원이 점 (10, -4)를 지나므로 Ú xÛ`-7x-12=0, x=
2
7+'¶97 '¶97-7
(10-a)Û`+(4a-2)Û`=(4a+2)Û`
Ú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 이다.
aÛ`-52a+100=0, (a-2)(a-50)=0 2 2
a=2 또는 a=50 Ú, Û에서 구하는 모든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은
따라서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10, 202이므로 큰 원의 반지름의 길이 7+'¶97 '¶97-7
4+3+ + =7+'¶97
2 2
는 202이다.
따라서 a=7, b=97이므로 a+b=104
③

④


22 x축과 y축에 동시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은 x좌표의 절댓값과 y 25 xÛ`+yÛ`=4는 중심이 원점 O(0,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
이다.
좌표의 절댓값이 같다.
따라서 선분 AP의 길이의 최댓값은
따라서 원의 중심은 직선 y=x 또는 y=-x 위에 있다.
OAÓ+(반지름의 길이)="Ã6Û`+(-8)Û`+2=12
직선 y=2x+4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②
2x+4=x에서 x=-4


즉, 중심의 좌표가 (-4, -4)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4인 원이 조건을
만족시킨다. 26 xÛ`+yÛ`-24x-10y+144=0에서
(x-12)Û`+(y-5)Û`=25
직선 y=2x+4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이므로 중심의 좌표가 (12, 5)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5인 원이다.
2x+4=-x에서 x=-;3$; 원의 중심을 C라 하면 OCÓ="Ã12Û`+5Û`=13이므로 선분 OP의 길이의

즉, 중심의 좌표가 {-;3$;, ;3$;}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이 조건을


최댓값은 M=OCÓ+(반지름의 길이)=13+5=18
최솟값은 m=OCÓ-(반지름의 길이)=13-5=8
만족시킨다.
=;1¥8;=
m 4
따라서
따라서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은 M 9

4+;3$;=;;Á3¤;; ④

②
27 원 (x-1)Û`+(y+6)Û`=16은 중심이 점 (1, -6)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4인 원이다.
xÛ`+yÛ`+8x-12y+43=0에서
23 점 (6, -2)를 지나고 x축과 y축에 동시에 접하므로 원이 제4사 (x+4)Û`+(y-6)Û`=9
분면에 위치한다.
이므로 중심이 점 (-4, 6)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이다.
양수 a에 대하여 원의 방정식을
선분 PQ의 길이의 최댓값은 두 점 (1, -6), (-4, 6) 사이의 거리에
(x-a)Û`+(y+a)Û`=aÛ`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더한 값과 같으므로
으로 놓으면 점 (6, -2)를 지나므로
"Ã(-4-1)Û`+(6+6)Û`+4+3=20
(6-a)Û`+(-2+a)Û`=aÛ`
②

aÛ`-16a+40=0
a=8Ñ2'6
따라서 두 원의 중심의 좌표는 (8-2'6, -8+2'6),
28 두 점 P, M의 좌표를 각각 (a, b), (x, y)라 하자.
점 M은 선분 PA의 중점이므로
(8+2'6, -8-2'6)이므로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a+8 b-4
"Ã(4'6)Û`+(-4'6)Û`=8'3 x=
2
, y=
2
③ a=2x-8, b=2y+4 yy ㉠
  

점 P가 원 xÛ`+yÛ`=4 위의 점이므로
aÛ`+bÛ`=4
24 Ú 중심이 원 (x-3)Û`+(y+4)Û`=49와 직선 y=x의 교점일 때, 위의 식에 ㉠을 대입하면
y=x를 (x-3)Û`+(y+4)Û`=49에 대입하면 (2x-8)Û`+(2y+4)Û`=4에서
Ú (x-3)Û`+(x+4)Û`=49에서 (x-4)Û`+(y+2)Û`=1
Ú xÛ`+x-12=0, (x+4)(x-3)=0 따라서 점 M이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4, -2)이고 반지름
Ú x=-4 또는 x=3 의 길이가 1인 원이므로 넓이는 p이다.
Ú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4, 3이다. ①

정답과 풀이 107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07 2022-11-09 오후 1:27:45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원의 중심에서 원 위의 한 점 A까지의 거리
29 PAÓ : PBÓ=1 : 3이므로 3PAÓ=PBÓ
P(x, y)라 하면 9PAÓ Û`=PBÓ Û`에서 와 같으므로

¾Ð{-2+;2!;}2`+{1-;2!;}2`=
'¶10
9(x+2)Û`+9yÛ`=(x-6)Û`+yÛ`
2
xÛ`+6x+yÛ`=0
따라서 외접원의 방정식은
(x+3)Û`+yÛ`=9
(x+2)Û`+(y-1)Û`=;2%;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3,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이므로 둘레의 길이는 6p이다. 즉, xÛ`+yÛ`+4x-2y+;2%;=0이므로
⑤
A=4, B=-2, C=;2%;

따라서 A+B+C=;2(;
30 PAÓ Û`+PBÓ Û`=34에서
(a-1)Û`+(b+2)Û`+(a+3)Û`+(b-4)Û`=34 ③


2aÛ`+4a+2bÛ`-4b+30=34, aÛ`+2a+bÛ`-2b-2=0
(a+1)Û`+(b-1)Û`=4
이므로 점 P(a, b)가 그리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1, 1)이고 반
33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1이고, 두 점 A, C를 지
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1이므로 삼각형 ABC는 ∠CAB=90ù인 직
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다.
각삼각형이다.
이때 (a-3)Û`+(b+2)Û`은 점 (a, b)와 점 (3, -2) 사이의 거리의 제
이때 삼각형 ABC의 외심은 빗변 BC의 중점 (-2, 1)이고, 외접원의
곱이므로 (a-3)Û`+(b+2)Û`의 최댓값은
반지름의 길이는 외심으로부터 원 위의 한 점 A까지의 거리와 같으
점 (3, -2)와 원 (a+1)Û`+(b-1)Û`=4 위의 점과의 거리의 최댓값
므로
의 제곱과 같다.
""Ã(1+2)Û`+(-3-1)Û`=5
점 (3, -2)와 원의 중심 (-1, 1) 사이의 거리는
따라서 외접원의 방정식은
"Ã(-1-3)Û`+(1+2)Û`=5이므로 원 위의 점과의 거리의 최댓값은
(x+2)Û`+(y-1)Û`=25
5+2=7
외접원이 직선 y=2x와 만나는 점의 x좌표는
따라서 (a-3)Û`+(b+2)Û`의 최댓값은 7Û`=49
(x+2)Û`+(2x-1)Û`=25에서
⑤
5xÛ`=20, x=Ñ2

제3사분면에서 만나는 점 D의 좌표는 D(-2, -4)
따라서 선분 BD의 길이는
31 변 AB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Ã -2-2)Û`+(-4+2)Û`=2'5
y-;2&;=-3{x+;2!;} yy ㉠ ③

변 BC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y-;2%;=7{x-;2#;} yy ㉡
34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을 연립하면 풀면 xÛ`+yÛ`+2x+ay-11-(xÛ`+yÛ`+ax-2y+1)=0
x=1, y=-1 (2-a)x+(a+2)y-12=0
이므로 외접원의 중심의 좌표는 (1, -1)이고,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 이 직선이 점 (4, 6)을 지나므로
이는 원의 중심과 점 A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4(2-a)+6(a+2)-12=0
"Ã(1-1)Û`+(4+1)Û`=5 8-4a+6a+12-12=0
따라서 a=1, b=-1, r=5에서 a+b+r=5 따라서 a=-4
⑤ ②


32 세 직선 x+y=0, x-y+1=0, 3x+y+5=0을 각각 l, m, n 35 (x-4)Û`+(y+1)Û`=a에서
이라 하자. xÛ`+yÛ`-8x+2y+17-a=0 yy ㉠
(x-5)Û`+(y-1)Û`=9에서
두 직선 l, m의 교점을 A{-;2!;, ;2!;},
xÛ`+yÛ`-10x-2y+17=0 yy ㉡
두 직선 l, n의 교점을 B{-;2%;, ;2%;}, ㉠-㉡을 하면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2x+4y-a=0
두 직선 n, m의 교점을 C{-;2#;, -;2!;}이라 하면 이 직선이 원 (x-5)Û`+(y-1)Û`=9의 중심 (5, 1)을 지나야 하므로
이때 두 직선 l, m이 수직이므로 선분 BC의 중점 (-2, 1)이 직각삼 10+4-a=0, a=14
각형 ABC의 외접원의 중심이다. ①

10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08 2022-11-09 오후 1:27:46


36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의 방정식은 중심 C에서 AB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삼각형 CAH는 직각삼
xÛ`+yÛ`=9 yy ㉠ 각형이고
두 점 P, Q를 지나고 점 (-1, 0)에서 x축에 접하는 원은 반지름의 길 |-1-2+8|
CHÓ= ='5, CAÓ=5
"Ã1Û`+2Û`
이가 3인 원의 일부이므로 원의 중심은 점 (-1, 3)임을 알 수 있다.
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즉, 원의 방정식은
AHÓ="Ã5Û`-('5)Û`=2'5
(x+1)Û`+(y-3)Û`=9 yy ㉡
따라서 ABÓ=2AHÓ=4'5
㉡-㉠을 하면 두 원의 교점 P, Q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⑤


2x-6y+10=0에서 x-3y+5=0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y절편은 ;3%;이다.


39 주어진 두 원이 두 점 P, Q에서 만나므로 두 교점을 지나는 직선
③ 의 방정식은

(xÛ`+yÛ`-6x-2y-1)-(xÛ`+yÛ`-8x-2ay+aÛ`+15)=0
37 두 원의 공통인 현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2x+(2a-2)y-aÛ`-16=0 yy ㉠
xÛ`+yÛ`-20-(xÛ`+yÛ`-16x+12y)=0에서
원의 방정식 xÛ`+yÛ`-8x-2ay+aÛ`+15=0을 변형하면
4x-3y-5=0
(x-4)Û`+(y-a)Û`=1 yy ㉡
y
A 두 점 P, Q는 원 ㉡ 위의 점이므로 직선 ㉠이 원 ㉡의 중심 (4, a)를
O 지날 때, 선분 PQ의 길이가 최대가 된다.


H x
㉠에 x=4, y=a를 대입하면
B 8+2aÛ`-2a-aÛ`-16=0
aÛ`-2a-8=0
(a-4)(a+2)=0
a>0이므로 a=4

두 원의 교점을 A, B라 하고, 원점 O에서 공통인 현에 내린 수선의 발 ④



을 H라 하면 삼각형 OHA는 직각삼각형이다.

OHÓ=
|-5|
=1, OAÓ='¶20 40 원 xÛ`+yÛ`-4x-6=0은
"Ã4Û`+(-3)Û` (x-2)Û`+yÛ`=10
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에서 중심의 좌표가 (2,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0이다.
AHÓ="Ã('¶20)Û`-1Û`='¶19 이 원과 직선 y=3x+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원의 중심과
따라서 공통인 현의 길이는 ABÓ=2AHÓ=2'¶19이므로 직선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보다 작아야 한다.
d=2'¶19에서 dÛ`=76 |6+k|
즉, <'¶10에서
② "Ã3Û`+(-1)Û`

|6+k|<10
38 주어진 원 C의 방정식을 변형하면 -10<6+k<10
(x+1)Û`+(y+1)Û`=25 yy ㉠
-16<k<4
㉠은 중심이 C(-1,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5인 원이다.
따라서 정수 k의 값은 -15, -14, -13, y, 3으로 그 개수는 19이다.
두 점 A, B를 지나고 점 (-3, 0)에서 x축에 접하는 원은 반지름의 길
③

이가 5인 원의 일부이므로 원의 중심은 점 (-3, -5)임을 알 수 있다.
즉, 원의 방정식은
(x+3)Û`+(y+5)Û`=25 yy ㉡ 41 원의 중심 (0, -6)과 직선 12x+5y-60=0 사이의 거리가 원
의 반지름의 길이보다 작아야 하므로
㉡-㉠을 하면 두 원의 교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30-60| 90
4x+8y+32=0에서 x+2y+8=0 <r에서 r> =6.___
"Ã12Û`+5Û` 13
y
따라서 자연수 r의 최솟값은 7이다.
②

-3
A O x
C
42 원의 중심 (-4, -a)와 직선 4x-3y+a=0 사이의 거리가 원
H 의 반지름의 길이보다 작아야 하므로
B |-16+3a+a|
<4
"Ã4Û`+(-3)Û`
|4a-16|<20, -20<4a-16<20
-1<a<9

정답과 풀이 109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09 2022-11-09 오후 1:27:46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8, 최솟값은 0이므로 그 합은
47 원의 넓이가 9p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3이다.
8+0=8 원과 직선이 접하므로 원의 중심 (2, -1)과 직선 4x+3y+k=0 사
③ 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8-3+k|
즉, =3에서
"Ã4Û`+3Û`
43 원의 중심 C(1, 1)에서 직선 2x-y+4=0에 내린 수선의 발을 |k+5|=15
H라 하면
k는 음수이므로 k=-20
|2-1+4|
CHÓ= ='5 ②
"Ã2Û`+(-1)Û`


CAÓ=3이므로 직각삼각형 CHA에서
3Û`=('5)Û`+AHÓ Û` 48 원의 중심 (a, b)와 두 직선 3x-4y=0, 3x+4y-10=0 사이
의 거리가 같으므로
AHÓ Û`=4, AHÓ=2
|3a-4b| |3a+4b-10|
따라서 ABÓ=2AHÓ=4 = 에서
5 5
④ |3a-4b|=|3a+4b-10|

3a-4b=Ñ(3a+4b-10)

b=;4%; 또는 a=;3%;
44 원의 중심 O(0, 0)과 직선 3x-y+10=0 사이의 거리는
10 그런데 a<0이므로
='¶10
"Ã3Û`+(-1)Û`
b=;4%;
원의 중심에서 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원의 중심이 직선 x+4y=0 위에 있으므로
AHÓ=;2!; ABÓ=3
a+4b=0에 b=;4%;를 대입하면
직각삼각형 OHA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rÛ`=('¶10)Û`+3Û`, rÛ`=19 a+5=0, a=-5

r>0이므로 r='¶19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원의 중심 {-5, ;4%;}와 직선 3x-4y=0


①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15-5|
r= =4
"Ã3Û`+(-4)Û`
45 xÛ`+yÛ`-4x-2y-3=0에서 따라서 a+b+r=-5+;4%;+4=;4!;
(x-2)Û`+(y-1)Û`=8
이고, 직선 y=mx는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다. ①

원의 중심을 C라 할 때, 점 C에서 직선 y=mx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면 현 AB의 길이는 CHÓ의 길이가 길수록 짧아지고, CHÓ는 원점 49 점 P에서 원에 그은 접선의 접점 y
3
P
O에 대하여 직선 OC와 직선 y=mx가 수직일 때 가장 길다. 을 H라 하면 원의 할선과 접선의 관계
A
즉, 직선 OC의 기울기가 ;2!;이므로 m=-2일 때, 현 AB의 길이가 가
에 의하여
PAÓ_PBÓ=PHÓ Û` O 5 x
장 짧다. B
삼각형 OHP는 직각삼각형이므로 피 H
|4+1|
이때 CHÓ= ='5이고 직각삼각형 CHA에서
"Ã2Û`+1Û`
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PHÓ Û`=OPÓ Û`-OHÓ Û`
‌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5Û`+3Û`)-2Û`=30
8=AHÓ Û`+('5)Û`
따라서 PAÓ_PBÓ=30
AHÓ Û`=3, AHÓ='3
⑤
따라서 현 AB의 길이의 최솟값은 2'3이다.

⑤
50 원의 중심 O(0, 0)에서 점 P를 지

y

나는 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46 원과 직선이 접하므로 원의 중심 (2, 3)과 OPÓ=t이고 ∠OPH=45ù이므로
A
직선 2x-y+k=0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5와 같다. t
OHÓ=HPÓ= O P x
|4-3+k| '2
즉, ='5에서 H
"Ã2Û`+(-1)Û` 또, 직각삼각형 OHA에서 피타고라스 정
|k+1|=5 리에 의하여 B

}2`=¾Ð4-
k는 양수이므로 k=4
AHÓ=¾Ð2Û`-{
t tÛ`
④ '2 2

11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10 2022-11-09 오후 1:27:47


APÓ=AHÓ-HPÓ=¾Ð4-
tÛ`
2
-
t
'2
55 원의 중심 (5, 2)와 직선 3x+4y+27=0 사이의 거리는
|15+8+27|
=10
BPÓ=BHÓ+HPÓ=AHÓ+HPÓ=¾Ð4- +
tÛ` t "Ã3Û`+4Û`
2 '2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3이므로 원 위의 점 P와 직선 사이의 거리
따라서 APÓ Û`+BPÓ Û`=2{4- }+tÛ`=8
tÛ` 의 최댓값은 10+3=13이고, 최솟값은 10-3=7이다.
2
거리 d가 정수인 점은 d=13일 때와 d=7일 때 각각 1개이고,
③

8ÉdÉ12일 때 각각 2개이다.
따라서 점 P의 개수는 1+2_5+1=12
51 원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려면 원의 중심 (-3, 0)과 직선
y=2x+k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5보다 커야 하므로
②


|-6+k|
>'5에서 |k-6|>5
"Ã2Û`+(-1)Û`
k-6<-5 또는 k-6>5 56 선분 AH의 길이는 점 A(7, -1)과 직선 y=-2x+3 사이의

거리이므로
k<1 또는 k>11

|14-1-3|
따라서 자연수 k의 최솟값은 12이다. =2'5
"Ã2Û`+1Û`
④
두 점 A, H를 지나는 직선은 기울기가 ;2!;이고 점 A(7, -1)을 지나

52 원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려면 원의 중심 (2k, k)와 직선
므로

3x+y-6=0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2'¶10보다 커야 하 y+1=;2!;(x-7)에서 x-2y-9=0


므로 원의 중심 (-4, 6)과 직선 x-2y-9=0 사이의 거리는
|6k+k-6| |-4-12-9|
>2'¶10에서 |7k-6|>20
"Ã3Û`+1Û` "Ã1Û`+(-2)Û`
=5'5

7k-6<-20 또는 7k-6>20 이때 삼각형 AHP에서 밑변을 AHÓ라 하면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5


k<-2 또는 k>;;ª7¤;; 이므로 높이의 최댓값은 5'5+2'5=7'5이고, 최솟값은
5'5-2'5=3'5이다.
따라서 a=-2, b=;;ª7¤;;이므로 a+7b=24
따라서 삼각형 AHP의 넓이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각각

M=;2!;_2'5_7'5=35
②

53 두 점 (0, -4), (2k+4, 2k)를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의 m=;2!;_2'5_3'5=15
중심은 (k+2, k-2)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이므로 M+m=50
"Ã(k+2)Û`+(k-2+4)Û`="Ã2(k+2)Û`='2|k+2| ③

원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려면 원의 중심과 직선 y=x+7 사이의 거리
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보다 커야 하므로
|k+2-k+2+7|
>'2|k+2| 57 직선 x+3y+2=0의 기울기가 -;3!;이므로 수직인 직선의 기울
"Ã1Û`+(-1)Û`
기는 3이다.
|k+2|<;;Á2Á;;, -;;Á2Á;;<k+2<;;Á2Á;;
기울기가 3이고 원 xÛ`+yÛ`=4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Á2°;;<k<;2&; y=3xÑ2"Ã3Û`+1, 즉 y=3xÑ2'¶10


따라서 a=3, b=2'¶10이므로
따라서 정수 k의 값은 -7, -6, -5, y, 3이고, 조건에서 k+-2이
a+bÛ`=3+40=43
므로 그 개수는 10이다.
④

①

54 원 (x-2)Û`+(y+'3)Û`=4의 중심 (2, -'3)과 직선 58 원 xÛ`+yÛ`=(2'2)Û`에 접하고 기울기가 '2인 직선의 방정식은
x-'3y+5=0 사이의 거리는 y='2xÑ2'2 ¿¹('2)Û`+1에서 y='2xÑ2'6
|2+3+5| 이때 두 직선의 x절편은 각각 -2'3, 2'3이므로
=5
"Ã1Û`+(-'3)Û`
a=2'3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이므로 원 위의 점 P와 직선 사이의 거리
두 직선의 y절편은 각각 2'6, -2'6이므로
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각각
b=2'6
M=5+2=7, m=5-2=3
따라서 Mm=21 따라서 ;aB;='2

⑤ ②


정답과 풀이 111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11 2022-11-09 오후 1:27:47


59 원 xÛ`+yÛ`=4에 접하고 기울기가 ;2!;인 직선의 방정식은 63 점 (-3, -1)을 지나고 원에 접하는 직선의 기울기를 k라 하면
y=;2!;xÑ2¾Ð{;2!;}2`+1에서 y=;2!;xÑ'5
y+1=k(x+3), 즉 kx-y+3k-1=0
원의 중심 (0, 0)과 이 직선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7과
a>b에서 a='5, b=-'5 같으므로
점 B(0, -'5)를 지나고 y축에 수직인 직선 l£의 방정식은 |3k-1|
='7에서
y=-'5 "ÃkÛ`+(-1)Û`
|3k-1|="Ã7(kÛ`+1)
이때 직선 l£과 직선 lÁ: y=;2!;x+'5의 교점을 구하기 위해
양변을 제곱하면
두 방정식을 연립하여 풀면 x=-4'5, y=-'5이므로 9kÛ`-6k+1=7kÛ`+7
C(-4'5, -'5) kÛ`-3k-3=0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접선의 기울기의
;2!;_ABÓ_BCÓ=;2!;_2'5_4'5=20 합은 3이다.
⑤
②



60 원 xÛ`+yÛ`=25 위의 점 (4,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64 점 (a, 0)을 지나고 원에 접하는 직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4x+3y=25 y=m(x-a), 즉 mx-y-ma=0
이 직선이 원 (x+1)Û`+(y+2)Û`=k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0, -1)과 이 직선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4와
원의 중심 (-1, -2)와 직선 4x+3y=25 사이의 거리는 같으므로
|-4-6-25| |1-ma|
=7
"Ã4Û`+3Û` "ÃmÛ`+(-1)Û`
=4에서
따라서 k=7Û`=49 |1-ma|=4"ÃmÛ`+1
⑤ 양변을 제곱하면

1-2am+aÛ`mÛ`=16mÛ`+16
61 원 xÛ`+yÛ`=9 위의 점 (3, 0)에서의 접선 lÁ의 방정식은 (aÛ`-16)mÛ`-2am-15=0    
yy ㉠
3x=9, 즉 x=3 yy ㉠ Ú a=4이면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4이므로 한 접선의 방정식은 x=4
‌
원 (x+1)Û`+(y-2)Û`=5의 중심 (-1, 2)와 점 (1, 1)을 지나는 직 이다.
선의 기울기는 Ú 그런데 점 (4, 0)을 지나고 x=4에 수직인 직선은 y=0(x축)이므
‌
1-2
=-;2!; 로 원에 접하지 않는다.
1-(-1)
Û a+4이면 두 접선이 수직이므로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의 곱은 -1
이므로 점 (1, 1)에서의 접선 lª의 기울기는 2이다.
‌
이다.
접선 lª의 방정식은
Ú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y-1=2(x-1), 즉 y=2x-1 yy ㉡
-15
㉠, ㉡에서 두 직선 lÁ, lª의 교점은 (3, 5)이다. Ú =-1에서 aÛ`=31
aÛ`-16
따라서 a=3, b=5이므로 Ú a>0이므로 a='¶31
ab=15 Ú, Û에서 a='¶31
② ①


62 원 xÛ`+yÛ`=16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ax+by=16 65 점 (0, 6)을 지나고 원에 접하는 직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y=mx+6, 즉 mx-y+6=0
이므로 점 Q의 좌표는 { , 0}이고, 점 R의 좌표는 {0, }이다.
16 16
a b 원의 중심 (0, 0)과 이 직선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2와 같
삼각형 OQR가 직각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2`+{ }2`=128
으므로
16 16 6
=2에서
a b "ÃmÛ`+(-1)Û`
=;2!;
256 256 aÛ`+bÛ`
+ =128, yy ㉠ 3="ÃmÛ`+1
aÛ` bÛ` aÛ`bÛ`
  
양변을 제곱하면
한편, 점 P(a, b)는 원 xÛ`+yÛ`=16 위의 점이므로
9=mÛ`+1, m=Ñ2'2
aÛ`+bÛ`=16이고, 이것을 ㉠에 대입하면
m=2'2일 때 두 직선 y=2'2x+6, y=-2의 교점은 (-2'2, -2)
=;2!;, aÛ`bÛ`=32
16
aÛ`bÛ` 이고, m=-2'2일 때 두 직선 y=-2'2x+6, y=-2의 교점은
③ (2'2, -2)이다.

11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12 2022-11-09 오후 1:27:47


따라서 삼각형의 넓이는 따라서 b=-4이고 ㉠에 대입하면 aÛ`=8이므로

;2!;_4'2_8=16'2 aÛ`+bÛ`=8+16=24
②


④

69 점 (a, b)에서 원 xÛ`+yÛ`=rÛ`에 그은 두 접선으로 생기는 두 접점
66 원 xÛ`+yÛ`=5 위의 점 (2,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을 각각 (xÁ, yÁ), (xª, yª)라 하자.
2x+y=5 점 (xÁ, yÁ)은 원 xÛ`+yÛ`=rÛ` 위의 점이므로
xÛ`+yÛ`-12x+4y+k=0에서 점 (xÁ, yÁ)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은 xÁx+yÁ y=rÛ`
(x-6)Û`+(y+2)Û`=40-k 이 접선이 점 (a, b)를 지나므로 axÁ+byÁ=rÛ` yy ㉠
이때 직선이 원에 접하려면 원의 중심 (6, -2)와 직선 2x+y-5=0 점 (xª, yª)는 원 xÛ`+yÛ`=rÛ` 위의 점이므로
|12-2-5| 점 (xª, yª)를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은
사이의 거리 ='5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아야 한다.
"Ã2Û`+1Û` xªx+yªy=rÛ`
따라서 40-k=5이므로 이 접선이 점 (a, b)를 지나므로 axª+byª=rÛ` yy ㉡
k=35 ㉠, ㉡은 두 점 (xÁ, yÁ), (xª, yª)가 직선 ax+by=rÛ` 을 지나는 것
① 을 의미하고,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은 유일하게 결정된다.

따라서 점 (a, b)에서 원 xÛ`+yÛ`=rÛ`에 그은 두 접선으로 생기는 두 접
점을 지나는 할선의 방정식은 ax+by=rÛ` 이다.
67 원 xÛ`+yÛ`=36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⑤
ax+by=36 
이때 이 직선과 원 (x-6)Û`+yÛ`=4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원의 중심 (6, 0)과 직선 ax+by-36=0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 70 점 (2, 5)는 원 xÛ`+yÛ`=10 밖의 점이므로 두 접선의 접점 A, B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의 길이 2보다 작아야 하므로
2x+5y=10
|6a-36|
<2 yy ㉠
"ÃaÛ`+bÛ` 따라서 직선 2x+5y=10의 x절편은 5이다.
  
한편, 점 P(a, b)는 원 xÛ`+yÛ`=36 위의 점이므로 aÛ`+bÛ`=36이고, ③

이것을 ㉠에 대입하면
|6a-36|
<2
6
|a-6|<2, 4<a<8
점 P가 원 xÛ`+yÛ`=36 위의 점이므로
-6ÉaÉ6 서술형 완성하기
본문 154쪽

따라서 4<aÉ6이므로 정수 a의 값은 5, 6이고 그 합은


5+6=11 01 40 02 32p 03 2'5 04 4x+2y-7=0
② 05 ;2%; 06 6

68 이차함수의 식 xÛ`-2y=0에 직선의 방정식 y=ax+b를 대입하면 01 두 점 A(-1, 0), B(5, 0)을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의 방
xÛ`-2ax-2b=0 정식은 중심의 좌표가 (2,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이므로
위의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직선이 이차함수의 그래프에 접 (x-2)Û`+yÛ`=9 yy ➊

하므로 yÛ`=9-(x-2)Û`이므로
D 8x-yÛ`=8x-9+(x-2)Û`
=aÛ`+2b=0에서 aÛ`=-2b yy ㉠
‌
4 =xÛ`+4x-5
또, 직선 y=ax+b가 원 xÛ`+(y+1)Û`=1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x+2)Û`-9 yy ➋

(0, -1)과 직선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1과 같다. 점 P(x, y)는 원 위의 점이므로 x의 값의 범위가 -1ÉxÉ5이다.
|1+b| 따라서 x=5일 때, 8x-yÛ`의 최댓값은 40이다. yy ➌
즉, =1에서
"ÃaÛ`+(-1)Û`

 40
|1+b|="aÛ`+1

양변을 제곱하면 단계 채점 기준 비율

1+2b+bÛ`=aÛ`+1 yy ㉡ 두 점을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의 방정식을 구한


➊ 20`%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경우
bÛ`+4b=0, b(b+4)=0 ➋ 8x-yÛ`을 x에 대한 이차식으로 변형한 경우 40`%
b=0이면 a=0이므로 a+0이라는 조건에 모순이다. ➌ 8x-yÛ`의 최댓값을 구한 경우 40`%

정답과 풀이 113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13 2022-11-09 오후 1:27:48


02 x축과 y축에 동시에 접하는 원의 중심은 직선 y=x 위에 있거나 ㉠을 정리하면 3yÛ`=6x-3xÛ`
직선 y=-x 위에 있다. xÛ`+yÛ`-2x=0
Ú 원의 중심이 직선 y=x 위에 있을 때, 즉, (x-1)Û`+yÛ`=1이므로 중심의 좌표가 (1, 0)이고 반지름의 길이
Ú xÛ`-5x+4=x에서 가 1인 원(원점 제외)이다. yy ➋


Ú xÛ`-6x+4=0 이 원과 원 (x+1)Û`+(y+1)Û`=9가 두 점에서 만나므로 두 원의 교점
Ú x=3Ñ'5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Ú x=3Ñ'5이면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3+'5, 3-'5인 원이므로 xÛ`+yÛ`+2x+2y-7-(xÛ`+yÛ`-2x)=0에서
‌
두 원의 넓이의 합은 4x+2y-7=0 yy ➌


Ú (3+'5)Û`p+(3-'5)Û`p=28p yy ➊  4x+2y-7=0



Û 원의 중심이 직선 y=-x 위에 있을 때, 단계 채점 기준 비율
Ú xÛ`-5x+4=-x에서 ➊ m을 소거하고 관계식을 세운 경우 40`%
Ú xÛ`-4x+4=0 ➋ 관계식으로부터 원의 방정식을 만든 경우 30`%
Ú (x-2)Û`=0, x=2 ➌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한 경우 30`%
Ú x=2이면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고 그 넓이는 4p이다. yy ➋

Ú, Û에서 모든 원의 넓이의 합은
28p+4p=32p yy ➌ 05 원 C의 중심을 C라 하면 중심이 직선 x-y-1=0 위에 있으므

 32p 로 상수 a에 대하여 점 C(a, a-1)로 놓을 수 있다. yy ➊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원 C가 y축에 접하므로 점 C의 x좌표 a에 대하여 |a|가 원의 반지름

원의 중심이 직선 y=x 위에 있을 때 두 원의 넓이 의 길이가 된다. yy ➋



➊ 40`% 점 C에서 현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원 C가 x축에 의하여 잘린
의 합을 구한 경우
원의 중심이 직선 y=-x 위에 있을 때 원의 넓이 현의 길이가 4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를 활용하면
➋ 40`% 2Û`+(a-1)Û`=aÛ`에서
를 구한 경우
➌ 모든 원의 넓이의 합을 구한 경우 20`% -2a+5=0, a=;2%;

따라서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는 ;2%;이다. yy ➌


 ;2%;
03

원 xÛ`+yÛ`=8과 직선 2x-y=2의 두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은 상수 k에 대하여
➊ 원 C의 중심의 좌표를 설정한 경우 40`%
xÛ`+yÛ`-8+k(2x-y-2)=0 yy ㉠ yy ➊
  

원이 y축에 접할 때 원의 중심의 x좌표의 절댓값이
이 원이 원점 (0, 0)을 지나므로 ➋ 20`%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됨을 안 경우
-8-2k=0에서 k=-4 yy ➋

➌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한 경우 40`%
k=-4를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xÛ`+yÛ`-8x+4y=0
(x-4)Û`+(y+2)Û`=20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5이다. yy ➌
06 xÛ`+yÛ`+6x-2y+9=0에서
(x+3)Û`+(y-1)Û`=1

 2'5
이므로 중심의 좌표가 (-3,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이다.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원의 중심 (-3, 1)과 직선 3x+4y+3n=0 사이의 거리를 d라 하면
원과 직선의 두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을 구한 |-9+4+3n|
➊ 40`% d=
경우 "Ã3Û`+4Û`
➋ 원점을 지날 때 k의 값을 구한 경우 20`% |-5+3n|
d= yy ➊
5

➌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한 경우 40`%
1ÉnÉ3일 때 d<1이므로 원과 직선의 교점은 2개이고, n¾4일 때
d>1이므로 원과 직선의 교점은 0개이다. yy ➋

따라서 f(1)+f(2)+f(3)+f(4)=2+2+2+0=6 yy ➌

04 두 직선을 m에 대하여 정리하고 연립하면 6


3y 6-3x
= (x+0, y+0) yy ㉠ yy ➊ 단계 채점 기준 비율
x y
  

㉠에서 제외된 두 점 (0, 0), (2, 0)을 직선의 방정식에 각각 대입하면 ➊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구한 경우 30`%
점 (2, 0)은 m=0일 때 두 직선의 교점이고, 점 (0, 0)을 교점이 되게 ➋ n의 값의 범위에 따른 교점의 개수를 구한 경우 40`%
하는 m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➌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한 경우 30`%

11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14 2022-11-09 오후 1:27:48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본문 155쪽 2'5 4'5
Ú, Û에서 xÁ= , yÁ=- 이므로
5 5
01 ④ 02 ③ 03 ③ 04 ① 40xÁyÁ=40_
2'5
_{-
4'5
}=-64
5 5
③
01 직선 l 의 방정식은


n

y=nx+"ÃnÛ`+1
직선 ln이 원 xÛ`+(y-10)Û`=1과 만나지 않으려면 원의 중심 (0, 10) 03 원점 O에서 직선 l에 내린 수선의 y
l
과 직선 ln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1보다 커야 하므로 발을 H라 하면 두 삼각형 OHP와 A
|-10+"ÃnÛ`+1| OHA는 직각삼각형이다.
>1 P
"ÃnÛ`+(-1)Û` OHÓ=a, HPÓ=b라 하면 O x
|-10+"ÃnÛ`+1|>"ÃnÛ`+1 aÛ`+bÛ`=25 yy ㉠ H

Ú "ÃnÛ`+1¾10이면 aÛ`+(b+2)Û`=45 yy ㉡
Ú -10+"ÃnÛ`+1>"ÃnÛ`+1에서 ㉠, ㉡을 연립하면
Ú -10>0이므로 해가 없다. 25-bÛ`=45-(b+2)Û`에서
Û "ÃnÛ`+1<10이면 4b=16, b=4
Ú 10-"ÃnÛ`+1>"ÃnÛ`+1에서 b=4를 ㉠에 대입하면 aÛ`=9
Ú "ÃnÛ`+1<5 a>0이므로 a=3
Ú 양변을 제곱하면 nÛ`+1<25, nÛ`<24 직선 l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점 A를 지나므로 직선 l의 방정식은
Ú, Û에서 자연수 n의 최댓값은 4이다. y-3=m(x-6), 즉 mx-y-6m+3=0
④ 이때 원점과 직선 l 사이의 거리가 3이므로

|-6m+3|
=3
"ÃmÛ`+(-1)Û`
|-6m+3|=3"ÃmÛ`+1
02 원 xÛ`+yÛ`=4 위의 점 P(xÁ, yÁ)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양변을 제곱하면
xÁx+yÁy=4 36mÛ`-36m+9=9mÛ`+9
이 직선이 원 (x-4)Û`+(y-2)Û`=4에도 접하므로 원의 중심 (4, 2) 3mÛ`-4m=0, m(3m-4)=0
와 직선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2와 같다.
m>0이므로 m=;3$;
|4xÁ+2yÁ-4|
=2
"ÃxÁÛ`+yÁÛ` ③

이때 xÁÛ`+yÁÛ`=4이므로
|4xÁ+2yÁ-4|=4
4xÁ+2yÁ-4=Ñ4에서 04 원 C는 원점 O를 지나므로
xÛ`+yÛ`+mx+ny=0 (m, n은 상수)으로 나타낼 수 있다.
4xÁ+2yÁ=8 또는 4xÁ+2yÁ=0
이 원이 두 점 A(8, 6), B(1, 7)을 지나므로
Ú 4xÁ+2yÁ=8일 때,
100+8m+6n=0 yy ㉠
Ú yÁ=4-2xÁ이므로 xÁÛ`+yÁÛ`=4에 대입하면
50+m+7n=0 yy ㉡
Ú xÁÛ`+(4-2xÁ)Û`=4
㉠, ㉡을 연립하여 풀면
Ú 5xÁÛ`-16xÁ+12=0
m=-8, n=-6
Ú (5xÁ-6)(xÁ-2)=0
원 C의 방정식은 xÛ`+yÛ`-8x-6y=0이므로
Ú xÁ=;5^; 또는 xÁ=2
(x-4)Û`+(y-3)Û`=25

Ú 순서쌍 (xÁ, yÁ)은 {;5^;, ;5*;}, (2, 0) 원의 중심이 점 (4, 3)이므로 선분 OA는 원의 지름이고,
OAÓ=10
Ú 두 점 모두 제4사분면의 점이 아니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Û 4xÁ+2yÁ=0일 때, 점 B(1, 7)과 두 점 O, A를 지나는 직선 y=;4#;x, 즉 3x-4y=0 사

Ú yÁ=-2xÁ을 xÁÛ`+yÁÛ`=4에 대입하면 |3-28|


이의 거리는 =5이므로 삼각형 OAB의 넓이는
"Ã3Û`+(-4)Û`
Ú xÁÛ`+(-2xÁ)Û`=4, xÁÛ`=;5$;
;2!;_10_5=25
2'5 2'5
Ú xÁ= 또는 xÁ=-
5 5 원 C 위의 점 O에서의 접선 l은 직선 OA에 수직이므로 기울기가
Ú 순서쌍 (xÁ, yÁ)은 { }, {- }
2'5 4'5 2'5 4'5
5
,-
5 5
,
5 -;3$;이고, 원점을 지나므로 접선 l의 방정식은

Ú 이 중 제4사분면에 있는 점은 { }이다.
2'5 4'5
5
,-
5 y=-;3$;x, 즉 4x+3y=0

정답과 풀이 115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15 2022-11-09 오후 1:27:49


|4+21|
점 B(1, 7)과 직선 l 사이의 거리가 =5이고, 삼각형 OAB의
"Ã4Û`+3Û`
09 도형의 이동
넓이와 삼각형 OBP의 넓이가 같으므로 직선 l 위의 점 P{a, -;3$;a}

에 대하여 OPÓ=10이어야 한다. 본문 157쪽


개념 확인하기

¾ÐaÛ`+;;Á9¤;;aÛ`=10에서 ;3%;|a|=10 01 (-2, 2) 02 (1, 4)


a<0이므로 -;3%;a=10에서 a=-6이고,
03 (4, -1) 04 (-2, -6)
05 x+2y+1=0 06 xÛ`+yÛ`=9
b=-;3$;a=8 07 4x+y-14=0 08 y=(x-5)Û`+2
따라서 ab=-48 09 (1, 2) 10 (-1, -2)
① 11 (-1, 2) 12 (-2, 1)

13 (2, -1) 14 y=-2x+3
15 (x+2)Û`+(y+3)Û`=4 16 y=x+2
17 y=xÛ`-x-3 18 y=4x-2
19 xÛ`+(y-3)Û`=2

01 (3-5, -2+4), 즉 (-2, 2)


 (-2, 2)

02 (-3+4, 1+3), 즉 (1, 4)
 (1, 4)

03 (1+3, 3-4), 즉 (4, -1)
 (4, -1)

04 (-5+3, -2-4), 즉 (-2, -6)
 (-2, -6)

05 (x-1)+2(y+2)-2=0, 즉 x+2y+1=0
 x+2y+1=0

06 (x+2-2)Û`+(y-3+3)Û`=9, 즉 xÛ`+yÛ`=9
 xÛ`+yÛ`=9

07 4x+y-3=0을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
큼 평행이동하면
4(x-3)+(y+1)-3=0, 즉 4x+y-14=0
 4x+y-14=0

올림포스 고난도 08 y=(x-2)Û`+3을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1
만큼 평행이동하면
y+1=(x-3-2)Û`+3, 즉 y=(x-5)Û`+2
진짜 수학 상위권 학생을 위한
 y=(x-5)Û`+2
단계적 맞춤형 고난도 교재!

09  (1, 2)
11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16 2022-11-09 오후 1:27:49


10  (-1, -2) 02 점 (a, -2)의 y좌표가 -2에서 -4로 옮겨졌으므로
a=-2
즉, 주어진 평행이동은 (x, y) 2Ú (x-3, y-2)이고,
11  (-1, 2)
점 (-2, -2)는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5, -4)로 이동되므로
b=-5
12  (-2, 1) 따라서 a+b=-2+(-5)=-7
②
13  (2, -1)


03 점 (a, -2)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14 -y=2x-3, 즉 y=-2x+3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a-3, 2)이다.
 y=-2x+3 원 (x-3)Û`+(y+b)Û`=9의 중심의 좌표는 (3, -b)이므로

a-3=3, 2=-b

15 (x+2)Û`+(-y-3)Û`=4, 즉 (x+2)Û`+(y+3)Û`=4 따라서 a=6, b=-2이므로


 (x+2)Û`+(y+3)Û`=4 a+b=4

④


16 y=-(-x)+2, 즉 y=x+2
 y=x+2 04 주어진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a, 3)이 점 (a-2, 3+a)로 이동

되고, 이동된 점이 직선 y=2x+5 위에 있으므로
17 y=(-x)Û`-x-3, 즉 y=xÛ`-x-3 3+a=2(a-2)+5에서
 y=xÛ`-x-3 3+a=2a+1, a=2

②

18 -y=-4x+2, 즉 y=4x-2
 y=4x-2 05 점 (3, -1)을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2, 1)이다.
19 (y-3)Û`+xÛ`=2, 즉 xÛ`+(y-3)Û`=2 이 점이 중심이 (2, -3)인 원 위에 있으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두
 xÛ`+(y-3)Û`=2 점 (2, -3), (2, 1) 사이의 거리와 같다.

따라서 이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Ã(2-2)Û`+(1+3)Û`=4
④

본문 158~165쪽
유형 완성하기
06 점 A(2, 4)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2a만큼
01 ⑤ 02 ② 03 ④ 04 ② 05 ④ 평행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A'(2+a, 4+2a)이다.
06 ① 07 ④ 08 ③ 09 ① 10 ④ OA'Õ=2OAÓ이므로
11 ① 12 ③ 13 ② 14 ⑤ 15 ② "Ã(2+a)Û`+(4+2a)Û`=2"Ã2Û`+4Û`

16 ⑤ 17 ④ 18 ③ 19 ① 20 ③ 양변을 제곱하면
(2+a)Û`+(4+2a)Û`=80
21 제1사분면 22 ⑤ 23 ④ 24 ③
aÛ`+4a-12=0
25 ④ 26 ④ 27 ② 28 ③ 29 ①
(a-2)(a+6)=0
30 ② 31 ③ 32 ④ 33 ⑤ 34 ②
a<0이므로 a=-6
35 ② 36 ⑤ 37 ① 38 ④ ①
39 (가): x+2y+1=0, (나): x+2y-1=0 40 ③

41 ② 42 ④ 43 ④ 44 ⑤ 45 ②
07 직선 2x-y+1=0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k
46 ③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은
2(x-2)-(y-k)+1=0
01 점 (a, b)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 2x-y-3+k=0
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a-2, b+4)이므로 이 직선이 직선 2x-y-2=0과 일치하므로
a-2=3, b+4=6 -3+k=-2
따라서 a=5, b=2이므로 ab=10 따라서 k=1
⑤ ④


정답과 풀이 117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17 2022-11-09 오후 1:27:49


08 직선 x+2y+1=0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 xÛ`+yÛ`-2x+6y+6=0을 변형하면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은 (x-1)Û`+(y+3)Û`=4

(x-2)+2(y-1)+1=0 평행이동해도 반지름의 길이는 변하지 않으므로 c=4

x+2y-3=0 따라서 a+b+c=-2+6+4=8

이 직선이 점 (k, 0)을 지나므로 ③


k-3=0
따라서 k=3 13 y=xÛ`-4x+3=(x-2)Û`-1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2, -1)
③ 이다.

이 포물선을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6만큼 평행이동
한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2, 5)이므로
09 직선을 x축 또는 y축의 방향으로 평행이동하여도 직선의 기울기 a=-2, b=5
는 변하지 않으므로 따라서 b-a=7
a=2 ②


직선 y=2x+b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

14 포물선 y=xÛ`+8x+11=(x+4)Û`-5의 꼭짓점의 좌표는


행이동하면
y-3=2(x+2)+b
(-4, -5)이므로 이 포물선을 x축의 방향으로 -2a만큼, y축의 방향
y=2x+7+b
으로 3a만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이 직선이 y=2x+3과 일치하므로
(-4-2a, -5+3a)이다.
7+b=3, b=-4
이 꼭짓점이 x축 위에 있으므로
따라서 a-b=2-(-4)=6
-5+3a=0, a=;3%;
①

따라서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꼭짓점의 x좌표는
10 22
10 xÛ`+yÛ`+4x-2y-11=0에서 -4-
3
=-
3
(x+2)Û`+(y-1)Û`=16 ⑤

이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2, 1)이다.
이 원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원 15 y=2xÛ`-12x+17=2(x-3)Û`-1은 꼭짓점이 (3, -1)인 포물
의 중심은 점 (-2+a, 1+b)이고, 선이고, y=2xÛ`-4x+5=2(x-1)Û`+3은 꼭짓점이 (1, 3)인 포물선
원 (x-1)Û`+(y-2)Û`=16의 중심인 점 (1, 2)와 일치하므로 이다.
-2+a=1, 1+b=2에서 a=3, b=1 점 (3, -1)이 점 (1, 3)으로 옮겨졌으므로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따라서 a+b=4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④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직선 l을 평행이동하면

l': 3(x+2)+4(y-4)-6=0에서 3x+4y-16=0
따라서 두 직선 l, l' 사이의 거리는 직선 l 위의 한 점 (2, 0)과 직선
11 원 xÛ`+yÛ`+4x-10y+28=0은 l'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x+2)Û`+(y-5)Û`=1
|6-16|
에서 중심의 좌표가 (-2, 5)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이다. =2
"Ã3Û`+4Û`
이 원을 x축의 방향으로 3a만큼, y축의 방향으로 2a만큼 평행이동하 ②

면 중심의 좌표는 (-2+3a, 5+2a)이고,
중심이 직선 y=-x 위에 있으므로
5+2a=-(-2+3a), 5+2a=2-3a
16 포물선 y=xÛ`-10을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5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따라서 a=-;5#; y+5=(x-1)Û`-10

① y=xÛ`-2x-14

이 그래프와 직선 y=x-4의 교점의 x좌표는
xÛ`-2x-14=x-4에서
12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xÛ`-3x-10=0
중심이 (0, 0)이므로 평행이동하기 전의 원의 중심은 (1, -3)이다. (x+2)(x-5)=0
원 xÛ`+yÛ`+ax+by+6=0의 중심은 {- , - }이므로
a b x=-2 또는 x=5
2 2
따라서 두 교점의 좌표는 (-2, -6), (5, 1)이고 선분 AB의 길이는
a b
-
2
=1, - =-3
2 "Ã(5+2)Û`+(1+6)Û`=7'2
a=-2, b=6 ⑤

11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18 2022-11-09 오후 1:27:49


17 기울기가 a이고 원 xÛ`+yÛ`=9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직선 2x-3y+1=0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y=axÑ3"ÃaÛ`+1 -2x+3y+1=0

직선 l을 y축의 방향으로 18만큼 평행이동하면 다시 주어진 원에 접하 이 직선이 원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원의 중심을 지나야 하므로

므로 -2a+9+1=0에서 a=5

3"ÃaÛ`+1=9에서 aÛ`=8이고 b=-9 ⑤


따라서 aÛ`+bÛ`=8+81=89
④
23 직선 y=3x-4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 l의 방정식은

-y=3x-4, 즉 y=-3x+4
18 세 직선의 기울기가 모두 다르므로 평행이동한 직선이 두 직선의 직선 y=3x-4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 m의 방정식은
교점을 지날 때 삼각형을 이루지 않는다. y=-3x-4
두 직선 3x-y-1=0, x+y-5=0의 교점의 x좌표는 두 직선 l과 m 사이의 거리는 직선 l 위의 한 점 (0, 4)와 직선 m 사
3x-1=-x+5에서 x=;2#; 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5$;'¶10
|4+4|
이때 y=;2&;이므로 교점은 {;2#;, ;2&;}이다. "Ã3Û`+1Û`

직선 x-2y=0을 y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a=;5$;

④
x-2(y-k)=0이고, 이 직선이 점 {;2#;, ;2&;}을 지나므로

;2#;-2{;2&;-k}=0
24 직선 ax+(b-2)y+4=0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따라서 k=;;Á4Á;; 방정식은 -ax-(b-2)y+4=0
③ ax+(b-2)y-4=0

이 직선이 직선 (b+3)x-(a+5)y-4=0과 일치하므로
a=b+3, b-2=-a-5
19 점 (a, 7)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a, 7)이고 이 점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0, b=-3
이 직선 y=2x-3 위에 있으므로
따라서 a-2b=6
7=-2a-3, a=-5
③

①

20 점 P(5, 2)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25 원 (x+6)Û`+(y-4)Û`=6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Q(5, -2) (x-6)Û`+(y-4)Û`=6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R(-5, 2) 이므로 중심이 C(6, 4)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6인 원이다.
따라서 삼각형 PQR의 넓이는 이 원의 중심에서 직선 y=x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6-4|
;2!;_PQÓ_PRÓ=;2!;_4_10=20 CHÓ=
"Ã1Û`+(-1)Û`
='2

③ 직각삼각형 CHA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AHÓ="Ã('6)Û`-('2)Û`=2
따라서 ABÓ=2AHÓ=2_2=4
21 점 (a, b)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a, -b)가 제1사분면 ④
위에 있으므로

a>0, b<0
ab=p, b-a=q라 하면 ab<0, b-a<0이므로
p<0, q<0
26 xÛ`+yÛ`-10x-2ay+64=0에서
(x-5)Û`+(y-a)Û`=aÛ`-39
점 (p, q)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p, -q)이고,
이 원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점 (-p, -q)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q, -p)이
(x-a)Û`+(y-5)Û`=aÛ`-39
이므로 중심의 좌표는 (a, 5)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ÃaÛ`-39이다.
므로 제1사분면 위에 있다.
 제1사분면
이때 원이 x축에 접하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중심의 y좌표의 절댓값과

같다.
22 xÛ`+yÛ`-2ax-6y+aÛ`=0에서 "ÃaÛ`-39=5에서 aÛ`-39=25
(x-a)Û`+(y-3)Û`=9 따라서 aÛ`=64
이므로 중심의 좌표가 (a, 3)인 원이다. ④

정답과 풀이 119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19 2022-11-09 오후 1:27:50


27 xÛ`+yÛ`+12x-16y+84=0에서 이때 기울기가 -1로 같은 두 접선도 x축의 방향으로만 -4만큼 평행

(x+6)Û`+(y-8)Û`=16 이동했을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므로 원 CÁ은 중심의 좌표가 (-6, 8)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4이다. 따라서 두 접선 사이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 기울기가 -1인 임의의

원 CÁ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원 Cª는 중심의 좌표가 (6, -8) 직선이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했을 때, 이동 전과 후의 두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4인 원이다. 직선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된다.

따라서 선분 PQ의 길이의 최댓값은 두 원 CÁ, Cª의 중심 사이의 거리 즉, 두 직선 y=-x, y=-x-4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것과 같으므로

에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더한 값과 같으므로 직선 y=-x 위의 점 (0, 0)과 직선 x+y+4=0 사이의 거리는

"Ã(6+6)Û`+(-8-8)Û`+4+4=28 |4|
=2'2
"Ã1Û`+1Û`
②

30 점 P가 원 (x-5)Û`+(y-3)Û`=4 위에 있으므로 원을 대칭이동
28 원 xÛ`+yÛ`+4x-10y+28=0은 하면 점 Q의 위치를 알 수 있다.
(x+2)Û`+(y-5)Û`=1 원 (x-5)Û`+(y-3)Û`=4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에서 중심의 좌표가 (-2, 5)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이다. (x-5)Û`+(y+3)Û`=4
이 원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원 C는 중심의 좌표가 (-2, -5) 다시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이다. (x+3)Û`+(y-5)Û`=4 yy ㉠

  
직선 y=2x+a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 l은 이므로 중심의 좌표가 (-3, 5)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다.
x=2y+a이고, 직선 l이 원 C의 둘레의 길이를 이등분하므로 원의 중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심 (-2, -5)를 지난다.
y+7=;2!;(x+1)에서 x-2y-13=0
따라서 -2=-10+a에서 a=8
③ 이 직선과 원 ㉠의 중심 (-3, 5) 사이의 거리는

|-3-10-13| 26
=
"Ã1Û`+(-2)Û` '5
ABÓ="Ã(-1-5)Û`+(-7+4)Û`=3'5이므로
29 직선 l의 방정식을 y=-x+p (p는 상수)라 하면
xÛ`-4x+5=-x+p에서 삼각형 AQB의 넓이의 최댓값은

;2!;_3'5_{
xÛ`-3x+5-p=0 26
+2}=39+3'5
'5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따라서 a=39, b=3이므로 a+b=42
DÁ=9-20+4p=0에서 p=;;Á4Á;; ②

l: y=-x+;;Á4Á;;

곡선 y=xÛ`-4x+5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31 기울기가 3이고 y절편이 a인 직선의 방정식은


y=3x+a
y=xÛ`+4x+5
이 직선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직선 m의 방정식을 y=-x+q (q는 상수)라 하면
y=3(x-2)+a
xÛ`+4x+5=-x+q에서
다시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xÛ`+5x+5-q=0
-y=3(-x-2)+a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이 직선이 점 (2, 4)를 지나므로
Dª=25-20+4q=0에서 q=-;4%; -4=3_(-4)+a에서 a=8

m: y=-x-;4%;
③

두 직선 l과 m 사이의 거리는 직선 l 위의 한 점 {0, ;;Á4;Á ;}과 직선 m 사
32 포물선 y=xÛ`+ax+6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y=xÛ`-ax+6

|;;Á4Á;;+;4%;| 이 포물선을 다시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2'2 -y=(x+2)Û`-a(x+2)+6
"Ã1Û`+1Û`
① 이 포물선이 점 (0, 6)을 지나므로

다른 풀이 -6=4-2a+6에서 a=8

포물선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했을 때, 포물선이 어떻게 평행이동했 ④



는지를 꼭짓점의 이동을 통해 확인해 보면 포물선의 꼭짓점이 점 (2, 1)
에서 점 (-2, 1)로 이동했으므로 포물선은 x축의 방향으로만 -4만 33 xÛ`+yÛ`-8x+2y+k=0에서
큼 평행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 (x-4)Û`+(y+1)Û`=17-k

12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20 2022-11-09 오후 1:27:50


이 원을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하면 상수 k에 대하여 원 C의 방정식을
(x-4)Û`+(y-3)Û`=17-k (x-4k)Û`+(y-3k)Û`=10Û`
다시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으로 놓으면 원 C가 원점을 지나므로
(x-3)Û`+(y-4)Û`=17-k 16kÛ`+9kÛ`=10Û`에서 k=Ñ2
이 원이 점 (3, -2)를 지나므로 원 C의 중심의 좌표는 k=2일 때 (8, 6)이고, k=-2일 때
0Û`+(-6)Û`=17-k에서 k=-19 (-8, -6)이므로
⑤ a=8, b=6 또는 a=-8, b=-6

따라서 ab=48
①
34 방정식 f(-x, -y+1)=0이 나타내는 도형은 방정식 f(x, y)=0


이 나타내는 도형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y축의 방향으로 1만
b+d
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②와 같다. 38 주어진 식 a+c
를 두 점 P, Q의 좌표를 활용하여 변형하면
② b+d b-(-d)
=

a+c a-(-c)
이 식은 두 점 (a, b), (-c, -d)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이다.
35 ㄱ. f(x+1, y+1)=0은 f(x, y)=0이 나타내는 도형을 x축 원 xÛ`+yÛ`-10x-6y+30=0을 C라 하면
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 (x-5)Û`+(y-3)Û`=4
로 옳은 등식이다. 이므로 원 C는 중심의 좌표가 (5, 3)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
ㄴ. f(x-2, y-1)=0은 f(x, y)=0이 나타내는 도형을 x축의 방향 고, 점 (-c, -d)는 원 C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 C' 위의 점
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옳지 않은 이다.
등식이다. b+d
따라서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원 C 위의 점 P와 원 C' 위의
a+c
ㄷ. f(y, x)=0은 f(x, y)=0이 나타내는 도형을 직선 y=x에 대하
점 (-c, -d)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이다.
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옳지 않은 등식이다.
두 원 C, C'이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원에 접하는 4개의 직선
ㄹ. f(-y, -x)=0은 f(x, y)=0이 나타내는 도형을 직선 y=x에
중 기울기가 최대일 때와 최소일 때의 직선은 원점을 지난다.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옳은 등
y
식이다. 기울기가
최대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ㄹ이다. C

②

O x
기울기가
36 곡선 P: y=xÛ`+2x-8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곡선 P' 최소

은 C'
-y=xÛ`-2x-8, 즉 y=-xÛ`+2x+8
두 곡선 P, P'의 교점의 x좌표는
직선 mx-y=0(m은 실수)에 대하여
xÛ`+2x-8=-xÛ`+2x+8에서
|5m-3|
=2에서 |5m-3|=2"ÃmÛ`+1
2xÛ`=16, x=Ñ2'2 "ÃmÛ`+1
따라서 두 점 A, B의 좌표는 (-2'2, -4'2), (2'2, 4'2)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ABÓ="Ã(2'2+2'2)Û`+(4'2+4'2)Û`=4'¶10 25mÛ`-30m+9=4mÛ`+4
⑤ 21mÛ`-30m+5=0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구하는 최댓값과 최솟

값의 합은 ;;Á7¼;;이다.
37 직선 l: 3x-4y+50=0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 l'의
방정식은 ④

-3x+4y+50=0
직선 l 위의 한 점 (-6, 8)과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39 주어진 두 직선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각각 평행이동하면
|18+32+50| 2(x+2)+y-3=0, x-y=0
=20
"Ã(-3)Û`+4Û`
직선 2x+y+1=0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두 직선 l, l' 사이의 거리가 20이므로 두 직선에 모두 접하는 원 C의
x+2y+1=0
반지름의 길이는 10이다.
이번에는 두 직선 x+2y+1=0 , y=x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각각

또, 두 직선 l, l'에 모두 접하기 위해서는 원 C의 중심은 직선 y=;4#;x 평행이동하면
위에 있어야 한다. x+2y-1=0 , x-y-2=0

정답과 풀이 121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21 2022-11-09 오후 1:27:50


따라서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x+2y-1=0 43 점 B가 직선 y=x 위의 점이므로 점 A를 y=x에 대하여 대칭이
 (가): x+2y+1=0, (나): x+2y-1=0 동한 점을 A'이라 하면

A'(1, -1)
y
40 대칭이동한 점을 A'(a, b)라 하면 5 C

선분 AA'의 중점 { } 는 직선 y=2x+1 위에 있으므로


5+a 1+b
,
2 2 y=x
1+b 5+a
=2_ +1
2 2 B
2a-b=-11 yy ㉠ A 1
O
두 점 A, A'을 지나는 직선은 직선 y=2x+1과 수직이므로 두 직선 -1 1 x
의 기울기의 곱이 -1이다. -1 A'

1-b 이때 ABÓ=A'BÓ이므로
즉, _2=-1 에서
5-a
ABÓ+BCÓ=A'BÓ+BCÓ¾A'CÓ
a+2b=7 yy ㉡
직선 A'C의 방정식은
㉠, ㉡를 연립하여 풀면 a=-3, b=5이므로 점 A'의 좌표는
x=1
(-3, 5)이다.
직선 x=1과 직선 y=x의 교점의 좌표는 (1, 1)이고, 점 B의 좌표가
③

(1, 1)일 때 삼각형 ABC는 ∠B=90ù인 직각삼각형이 된다.
따라서 점 B의 좌표가 (1, 1)일 때 삼각형 ABC의 둘레의 길이가 최
41 점 A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소이고, 이때 삼각형 ABC의 넓이는
A'(-2, -2)
y ;2!;_2_4=4
B
8
④

44 직선 y=2x-4 위를 움직이는 점 P(x, y)를 y축에 대하여 대칭
A 2 이동한 점이 이루는 도형의 방정식은
l : y=-2x-4
-2 O P 3 x
점 P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 이루는 도형의 방정식은
A' -2
m : y=;2!;(x+4)
이때 APÓ=A'PÓ이므로
두 직선 l, m의 교점의 x좌표는
APÓ+BPÓ=A'PÓ+BPÓ¾A'BÓ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은 y=2x+2이므로 직선 y=2x+2의 x절 -2x-4=;2!;(x+4)에서 x=-;;Á5ª;;이고,
편이 APÓ+BPÓ가 최소가 될 때의 점 P의 x좌표이다.
이때 y좌표는 y=;5$;
따라서 점 P의 x좌표는 -1이다.
② 따라서 a=-;;Á5ª;;, b=;5$;이므로

b-a=;;Á5¤;;

42 점 A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 ⑤



점 B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이라 하면
A'(-1, 3), B'(5, -1)
45 P(x, y)라 하면 PAÓ : PBÓ=2 : 1에서
y PAÓ Û`=4PBÓ Û`이므로
A' 3 A
xÛ`+(y+1)Û`=4{xÛ`+(y-2)Û`}
P xÛ`+(y-3)Û`=4
1 B
Q 즉, 도형 C는 중심의 좌표가 (0, 3)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다.
-1 O 1 5 x 도형 C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 D는 중심의 좌표가
-1 B'
(3,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다.
이때 APÓ=A'PÓ, QBÓ=QB'Ó이므로 따라서 두 점 P, Q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
APÓ+PQÓ+QBÓ=A'PÓ+PQÓ+QB'Ó¾A'B'Ó 에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더한 것과 같으므로
따라서 APÓ+PQÓ+QBÓ의 최솟값은 "Ã(3-0)Û`+(0-3)Û`+2+2=4+3'2
A'B'Ó="Ã(5+1)Û`+(-1-3)Û`=2'¶13 a=4, b=3이므로 a+b=7
④ ②


12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22 2022-11-09 오후 1:27:51


46 aÛ`+bÛ`=2b에서 aÛ`+(b-1)Û`=1이므로 점 (a, b)는 중심의 좌 단계 채점 기준 비율
표가 (0,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위를 움직인다. ➊ 평행이동한 원의 중심과 반지름의 길이를 구한 경우 20`%
점 (-2, 0)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 x축에 접하는 원의 중심과 반지름의 관계를 이용하여
➋ 60`%
동하면 중심의 좌표가 (-2,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이므로 도 a의 값을 구한 경우
형 C의 방정식은 ➌ a의 값의 합을 구한 경우 20`%
(x+2)Û`+(y-1)Û`=1
따라서 도형 C 위의 점 P와 직선 3x-4y-45=0 사이의 거리의 최댓
값은 원의 중심 (-2, 1)과 직선 3x-4y-45=0 사이의 거리에 원 03 xÛ`+yÛ`+2x-6y=0에서
의 반지름의 길이를 더한 것과 같으므로 (x+1)Û`+(y-3)Û`=10
|-6-4-45| 이므로 원 CÁ의 중심의 좌표는 (-1, 3)이다.
+1=12
"Ã3Û`+(-4)Û` 원 CÁ을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원
③
Cª의 중심의 좌표는 (2, 3+a)이므로 yy ➊


두 원 CÁ, Cª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Ã{2-(-1)}Û`+{(3+a)-3}Û`=5 yy ➋


"Ã9+aÛ`=5, 9+aÛ`=25
aÛ`=16
a는 양수이므로 a=4 yy ➌


4

본문 166쪽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서술형 완성하기
원 CÁ의 중심을 평행이동하여 원 Cª의 중심을 구한
40`%
01 -2 02 6 03 4 04 (7, 3) 05 3 ➊
경우
06 26 ➋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구한 경우 40`%
➌ a의 값을 구한 경우 20`%

01 점 (2, -3)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y+3=m(x-2) yy ➊

이 직선을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시키면 04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면 점 Q의 좌표는 (b, a), 점 R의 좌
y+3=m(x-6) 표는 (-b, -a), 점 S의 좌표는 (a, -b)이다.
다시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키면 이때 점 R를 x축의 방향으로 10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
x+3=m(y-6) yy ➋ 한 점 (-b+10, -a+4)가 점 S(a, -b)와 일치하므로 yy ➊



이 직선이 점 (5, 2)를 지나므로 x좌표와 y좌표를 각각 비교하면
8=-4m에서 m=-2 yy ➌ -b+10=a, -a+4=-b yy ➋


 -2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7, b=3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7, 3)이다. yy ➌
➊ 점 (2, -3)을 지나는 직선의 식을 구한 경우 20`%

 (7, 3)
평행이동과 대칭이동시킨 직선의 방정식을 각각 구

➋ 60`%
한 경우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➌ m의 값을 구한 경우 20`% ➊ 각 점의 좌표를 구한 경우 60`%
➋ x좌표와 y좌표를 비교한 경우 20`%
➌ 점 P의 좌표를 구한 경우 20`%
02 중심의 좌표가 (1, a)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을 y축의 방향
으로 -3만큼 평행이동하면 중심의 좌표가 (1, a-3)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 된다. yy ➊
05 원 (x-1)Û`+(y+2)Û`=5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

이 원이 x축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의 y좌표의 절댓값은 반지름의 길이 로 3-a만큼 평행이동하면 원의 중심은 점 (1, -2)에서 점
와 같다. (1+a, 1-a)로 옮겨진다. yy ➊

|a-3|=2에서 a-3=Ñ2 중심이 (1+a, 1-a)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5인 원이 직선
a=1 또는 a=5 yy ➋ y=2x-3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2(1+a)-(1-a)-3|
<'5 yy ➋
1+5=6 yy ➌ "Ã2Û`+(-1)Û`


6 |3a-2|<5, -5<3a-2<5

정답과 풀이 123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23 2022-11-09 오후 1:27:51


-1<a<;3&; 다른 풀이

세 점 P(-2, 3), Q(2, -3), R(3, -2)에 대하여 점 P를 원점(P')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의 값은 0, 1, 2로 그 개수는 3이다.
으로 옮기는 평행이동에 의하여 세 점을 평행이동하면 평행이동된 삼각
yy ➌
형 P'Q'R'의 넓이는 삼각형 PQR의 넓이와 같다.

3
P'(0, 0), Q'(4, -6), R'(5, -5)에 대하여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삼각형 P'Q'R'의 넓이는
20`%
;2!;_|4_(-5)-(-6)_5|=5
➊ 평행이동한 원의 중심을 구한 경우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의 관계를 이용하여 부
➋ 60`%
등식을 세운 경우
➌ 정수 a의 개수를 구한 경우 20`% 02 두 직선 l, m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고, 두 직선이 모두
이차함수의 그래프에 접하므로 0이 아닌 상수 a에 대하여
l : y=ax+b, m : x=ay+b
06 직선 12x+5y=0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 로 놓을 수 있다.
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12(x-a)+5(y-b)=0 직선 l이 곡선 y=;2!;xÛ`+4에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12x+5y-12a-5b=0 yy ➊
;2!;xÛ`+4=ax+b, 즉 xÛ`-2ax+8-2b=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할 때,


이 직선이 원 xÛ`+yÛ`=4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0, 0)과 직선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aÛ`-(8-2b)=0에서
4
|-12a-5b| yy ㉠
즉, =2 yy ➋ 2b=8-aÛ`
"Ã12Û`+5Û`

따라서 |12a+5b|=26이고 a, b가 모두 양수이므로 직선 m도 곡선 y=;2!;xÛ`+4에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12a+5b=26 yy ➌ 1 b
;2!;xÛ`+4= x- , 즉 axÛ`-2x+8a+2b=0의 판별식을 Dª라 할 때,

 26 a a


=1-a(8a+2b)=0 yy ㉡
단계 채점 기준 비율 4
➊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을 구한 경우 20`% ㉠을 ㉡에 대입하면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의 관계를 이용하여 식 1-a(8a+8-aÛ`)=0
➋ 60`%
을 세운 경우 aÜ`-8aÛ`-8a+1=0
➌ 12a+5b의 값을 구한 경우 20`% (a+1)(aÛ`-9a+1)=0
a=-1이면 l, m이 서로 다른 직선이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므
로 a+-1이고
aÛ`-9a+1=0
이때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직선 l, m의 기울기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기울기의 합은 9이다.
④

본문 167쪽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01 ⑤ 02 ④ 03 ① 04 2'¶13 03 두 점 B, C가 직선 y=-2x 위에 있고 원점이 선분 BC를 3 : 1


로 내분하므로 상수 p에 대하여
B(-3p, 6p), C(p, -2p)로 나타낼 수 있다.
01 점 P(-2, 3)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Q의 좌표는 점 C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2p, p)이고,
(2, -3),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R의 좌표는 (3, -2)
이것이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이므로
이다.
12-3p+p
두 점 P, Q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이 -2p= 에서 p=-3
3
y-3=-;2#;(x+2), 즉 3x+2y=0 p=
k+6p-2p
에서 k=-p=3
3
이므로 점 R와 이 직선 사이의 거리는 이때 점 C의 좌표가 (-3, 6)이므로
|9-4| 5 a=-3, b=6
= 이고,
"Ã3Û`+2Û` '¶13
따라서 abk=(-3)_6_3=-54
PQÓ="Ã4Û`+(-6)Û`=2'¶13
①
따라서 삼각형 PQR의 넓이는

;2!;_2'¶13_
5
'¶13
=5
04 선분 PQ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APÓ+QBÓ의 길이는 짧아지므로
⑤ PQÓ=3이어야 한다.

12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상)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24 2022-11-09 오후 1:27:52


이때 점 A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A'(3, 4)이고, 점 A'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할 때
점 A"(3, -4)에 대하여
APÓ+QBÓ=A"QÓ+QBÓ¾A"BÓ
y
A A'
4

2 B

O P 3 Q 7 x

-4
A''

따라서 APÓ+QBÓ의 최솟값은


A"BÓ="Ã(7-3)Û`+(2+4)Û`=2'¶13
 2'¶13

50일 수학
50일 만에 수학의 맥을 잡다!
EBS 선생님과 취약점 보완을 위한
긴급 학습법

정답과 풀이 125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25 2022-11-09 오후 1:27:52


memo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26 2022-11-09 오후 1:27:52


memo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27 2022-11-09 오후 1:27:52


memo

EBS올림포스(수학(상))해설(088~128)_칠.indd 128 2022-11-09 오후 1:27:5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