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5

설계 및 시공 1

설계 및 시공 기출문제 및 출제예상문제

·문001· 건물의 자연낙차압이 3 [kg/cm2], 주펌프 체절압력이 8 [kg/cm2] 인 경우 옥내 소


화전 설비용 주펌프와 충압펌프의 기동 및 정지점을 구하라

해설⇒ 주펌프의 정지압력 = 체절압력에 근접한 압력 → 7.7 kg/cm2


주펌프의 기동압력 = 건물 낙차압력 + h = 3 + 2 = 5 kg/cm2
충압펌프 정지압력 = 주펌프 정지압력보다 작게 → 7.3 kg/cm2
충압펌프 기동압력 = 주펌프 기동압력 + 0.5 kg/cm2 = 5 + 0.5 = 5.5 kg/cm2

·문003· 지하 2층 지상 15층 건물 각층에 능력단위 A급 2단위 소화기를 배치하고자 한


다. 층별 소요 소화기 대수를 구하라
조건 ⑴ 지하 1층: 주차장
⑵ 지하 2층: 경유 800ℓ를 사용하는 보일러실 250m2, 변전실 200m2, 주차장
400m2
⑶ 지상 1~14층: 사무실
⑷ 15층: 구내식당 주방 45m2 에 20kg LPG 탱크 2개 사용, 나머지는 사무실
⑸ 각층은 앞의 조건에서 제사한 것 이외에는 구획장소가 없는 개방된 공간
⑹ 건물은 내화구조이고 내장재는 불연재료
⑺ 각층의 바닥면적은 20x40 = 800 m2
⑻ 전층에 옥내소화전 설치, 지하주차장 및 보일러실에 스프링클러 설치
2 설계 및 시공

해설⇒ ⑴ 기본소요단위
▪ 전층(지하 1,2 층 및 지상 1~15층)
업무시설이므로 기본소요단위는 100m2 당 1단위이나 내화구조이고 내장재
가 불연재이므로 1/2로 감소하여 100m2 당 0.5 단위, 즉 200m2 당 1단위
▪ 고정식 소화설비(옥내소화전설비)가 설치되어 있으나 업무시설이므로 이에
대한 감소기준은 적용하지 않는다
▪ 따라서 소요기본단위는 800÷200 = 4 단위 → 각층마다 2단위 2개
⑵ 추가 소요량
▪ 보일러실: 250÷25 = 10 단위 → 2단위 5개
보일러실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동확산 소화용구는 면제
제2석유류인 경유는 지정수량 (1000ℓ) 미만이므로 B급 2단위 1대
▪ 변전실: C급 소화기 200÷50 = 4개. 이때 능력단위는 따지지 않는다
▪ 주방: 고정식 소화설비가 설치되어 있으나 11층 이상이므로 감소조건은 적
용하지 않는다. 45÷25 = 1.8 → 2단위 1개
10m2를 초과하므로 자동확산 소화용구 2대
LPG가스 연소기로부터 보행거리 10m 이내에 3단위 이상 소화기 1개

·문002· 펌프 정격압력이 120 psi, 체절압력 140 psi, 시급수 압력이 60~70 psi 인 경우
NFPA 기준에 의해 주펌프 및 충압펌프의 압력 설정 값을 구하라

해설⇒ 충압펌프의 정지압력 = 주펌프 체절압력 + 최소 시급수압력 = 120 + 60 = 180 psi


충압펌프의 기동압력 = 충압펌프의 정지압력―10 psi = 180―10 = 170 psi
주펌프 정지압력 = 120 + 60 = 180 psi = 충압펌프의 정지압력
주펌프 기동압력 = 충압펌프 기동압력―5 psi = 170―5 = 165 psi
설계 및 시공 3

·문004· 포소화설비의 약제 혼합방식 4가지 종류를 쓰고 설명하시오

해설⇒ 포소화설비의 약제 혼합방식


⑴ Pump Proportioner방식

펌프의 토출관과 흡입관 사이의 배관 도중에 설치한 흡입기에 펌프에서 토출


된 물의 일부를 보내고 농도 조정밸브 (Metering Valve)에서 조정된 포 소화약
제의 필요량을 포 소화약제 탱크에서 펌프 흡입측으로 보내어 이를 혼합하는
방식이다.
⑵ Pressure Proportioner 방식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튜리 관의 벤튜리 작용과 펌프 가압수의
압력에 의해서 포 원액을 흡입 혼합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원액 저장탱크에
는 Diaphragm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⑶ Line Proportioner 방식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튜리 관의 벤튜리 작용에 의해서 포 원액
을 흡입 혼합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가장 단순한 방식으로 관로조합 방식
이라고도 한다.
⑷ Pressure Side Proportioner 방식
펌프 토출관에 압입기를 설치하여 포 원액 압입용 펌프로 포 원액을 압입 시
켜 혼합하는 방식이다. 흡입 원액량의 조절은 등압밸브를 써서 물과의 압력이
일정하도록 조정하고 각각의 오리피스 면적에 따라 규정비율로 혼합한다. 이
방식은 대규모 유류저장소, 제조소 등에 많이 쓰인다.
4 설계 및 시공

⑸ Suction Proportioner 방식
펌프 흡입측 배관 도중에 설치된 흡입기로 포 원액을 흡입하는 방식이다. 원
액의 흡입량은 조절밸브에 의해서 지정농도의 포 수용액에 되도록 조정한다.

·문005· 한 층에 옥내소화전이 7개 설치되어 있고 실양정 50m, 전달계수 1.1, 펌프효율


60% 일 때 전동기의 용량 및 소요마력을 구하시오

해설⇒ 소화전 5개에 필요한 유량은


650
5x130 = 650 [lpm] = [m3/sec]
1000 × 60

전동기의 소요 출력은
650
9.8 × × 50
9.8 QH 1000 × 60
PkW = k= × 1.1 = 9.73 [kW ]
ηp 0.6

소요마력은1 HP = 0.746 kW 이므로


9.73÷0.746 = 13.04 HP

·문006· 분말소화설비의 장점 5가지를 쓰시오

해설⇒ ⑴ 소화능력이 우수하다


⑵ 약제는 절연성이므로 전기화재에도 적응성이 있다
⑶ 인체에 무해하고 기기 등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⑷ CDC (Compatible Dry Chemical Agent)로서 물과 병용함으로써 훈소 등의 화재도
진압할 수 있다
⑸ 겨울철에 기온이 낮아져도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다
설계 및 시공 5

⑹ 물분무 소화설비, 포소화설비 등과 병용하여 소화효과를 높일 수 있다


⑺ 소화약제가 반영구적이며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문007· 소화펌프 운전시 발생할 수 있는 공동현상(Cavitation)에 대해 설명하시오

해설⇒ ① 캐비테이션의 발생원인


⑴ 펌프의 흡입측 수두가 큰 경우
⑵ 펌프의 마찰손실이 클 경우
⑶ 펌프의 흡입관경이 너무 작은 경우
⑷ 이송하는 유체가 고온일 경우
⑸ 펌프의 흡입압력이 유체의 증기압보다 낮은 경우
⑹ 임펠러 속도가 지나치게 큰 경우
② 캐비테이션으로 발생하는 현상
⑴ 펌프성능 저하 (토출량, 양정, 효율감소)
⑵ 진동소음 발생
⑶ 임펠러 침식
⑶ 심하면 양수불능이 된다
③ 캐비테이션 방지대책
⑴ 펌프의 설치위치를 가능한 한 낮게 한다.
⑵ 흡입관의 유체저항을 작게 한다. (길이는 짧게, 휨은 적게, 관경은 크게)
⑶ 임펠러의 회전속도를 작게 한다.
⑷ 지나치게 고양정 펌프의 사용을 지양한다.
⑸ 설계 토출량 보다 현저하게 벗어난 운전을 피한다.
⑹ 단흡입 보다는 양흡입 펌프를 사용한다.
⑺ Av NPSH > 1.3 × Re NPSH 가 되도록 한다.
⑻ 흡입수조 내에서 지나친 와류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⑼ 펌프의 흡입측에는 절대로 유량조절 밸브를 달아서는 안된다.
⑽ 흡상이 불가능한 경우는 흡수면보다 펌프를 낮게 설치하거나 Booster Pump
를 설치하여 흡입조건을 개선한다.
6 설계 및 시공

·문008·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의 Quick Opening Device 두 가지를 설명하시오

해설⇒ ① 가속기 (Accelerator)


헤드의 작동에 따라 건식밸브 2차측 공기압력이 셋팅 압력보다 낮아 졌을 때
가속기가 작동하여 2차측 압축공기 일부를 클래퍼 1차측 중간 챔버로 보내어
건식밸브가 신속히 개방되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다.
② 공기배출기 (Exhauster)
건식밸브 2차측 공기압력이 규정압력보다 낮아졌을 때 공기배출기가 동작하여
2차측의 압축공기가 대기중으로 신속이 방출되도록 함으로서 헤드에서 물이
분출 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키는 장치이다.

·문009· 일제개방밸브의 감압 개방식과 가압 개방식에 대해 비교 설명하시오

해설⇒ ⑵ 감압 개방식
그림과 같이 밸브상부에 가압실이 있어서
가압실내를 가압수로 채워두었다가 솔레노
이드 밸브 또는 수동 개방밸브가 개방되면
실린더내의 압력이 감압되어 밸브가 열리
도록 된 것이다.
⑶ 가압 개방식
실린더 내를 평상시에는 가압해 두지 않고
전자밸브 또는 수동 개방밸브가 개방되면
실린더 내가 가압되어 밸브가 열린다.
가압 개방식은 실린더 내를 가압수로 가압
하기 위한 관로를 설치해야 한다

·문010· 준비동작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작동과정을 2단계로 나누어 설명하시오

해설⇒ ⑴ 1단계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기의 동작으로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되어 준비작
동 밸브를 개방하여 가압수를 헤드까지 송수시켜 둔다
설계 및 시공 7

⑵ 2단계
화열에 의해 폐쇄형 헤드가 감열 개방되면 물이 방사되어 소화한다

·문011· 스프링클러 설비에 대해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펌프 토출량이 3600 lpm 이고 토출 유속이 5m/sec 일 때 배관의 내경은 몇
mm 이어야 하는가?
⑵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치방식을 쓰시오
⑶ 폐쇄형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특징을 쓰시오

해설⇒ ① 배관의 내경
3600
Q= [m 3 / sec]
1000 × 60

Q = Av
Q π d2 Q 4Q 4Q
A= → = →d= [ m] = × 10 3 [mm]
v 4 v πv πv

3600

d= 60000 × 10 3 = 123.6 [mm]

② 헤드의 배치방식
⑴ 정방형 배치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치간격이 가로 세로가 같은 정사각형 배치를 말한다.


이때 헤드간의 거리 S ( S = L ) 는
S = 2r cos θ
정방형 배치에서 각 θ 는 45 이므로 r 이 2.1 m 이면
S = 2 × 2.1× cos 45° = 2.97 m

로 되고 헤드 1개의 방호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A = S × L = 2.97 2 = 8.82 m 2

⑵ 장방형 배치
헤드간의 간격이 가로와 세로가 다르게 배치한 것으로 두 원의 만나는 점
과 이웃하는 헤드를 연결한 선과 이루는 각θ의 크기에 따라 헤드 간격과
하나의 헤드가 담당하는 방호면적이 달라진다. 그림에서 S는 L보다 길다.
8 설계 및 시공

r
θ r θ
L
L

30°
S
S

⑶ 지그재그 배치
헤드를 그림과 같이 지그재그로 배치한 것으로 보통 3개의 헤드를 직선으
로 연결하면 정삼각형이 되도록 배치한다. r = 2.1m라면
a = 2r cos 30° = 2 × 2.1× cos 30° = 3.637 m
b = 2a cos 30° = 2 × 3.637 × cos 30° = 6.3 m

가 되고 하나의 헤드가 방호하는 면적은 그림에서 정육각형 A로 나타내지


는 면적인데 이 정육각형의 면적은 한 변의 길이가 r 인 정삼각형 6개의
면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r cos 30° 2.12
A = r× ×6 = cos 30° × 6 = 11.46 m 2
2 2
⑷ 잡형 배치
앞에 설명한 것과 같이 어떤 규칙성을 가지고 배치한 것이 아니라 그때 그
때 상황에 따라서 적당히 배치한 것을 말한다.
③ 폐쇄형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특징
⑴ 물이 헤드까지 상치 차 있으므로 화재로 인해 헤드가 터지면 즉시 물을
방사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방식에 비해서 신속히 소화할 수 있다
⑵ 설치장소의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장소에서는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부동액을 넣거나 보온을 해야
한다
⑶ 헤드만 터지면 물이 방사되므로 개방형 스프링클러나 준비작동식 스프링
클러 시스템에서와 같이 별도의 화재감지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설계 및 시공 9

·문012· 지상5층 건물에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하고자 한다. 각 층에 설치하는 소화전의


수는 3개, 분당 방사량은 130ℓ/min, 실양정 50m, 배관의 압력손실수두는 실양
정의 25%, 호스의 마찰손실수두는 3.5m, 노즐선단의 방사압력 1.7kg/cm2, 펌프
효율 60%, 여유율 1.2 이고, 30분간 연속적으로 방사한다고 할 때 다음사항에
답하시오
⑴ 펌프 토출량 ⑵ 펌프양정 ⑶ 수원의 양 m3 ⑷ 정동기 용량 kW

해설⇒ ⑴ 펌프 토출량
Q = 3x130 lpm = 390 lpm
390
390 lpm = m 3 = 0.0065 m 3 / sec
1000 × 60
⑵ 펌프양정
H = P1 + P2 + P3 + 17 [m]
H = 50 + 50x0.25 + 3.5 + 17 = 83 [m]
⑶ 수원의 양
기준상으로는 20분간 방수하는 것으로 해서 20x130x3 = 7800ℓ 이면 되나, 문
제에서는 30분간 방수한다고 했으니 390 lpmx30 min = 11700ℓ = 11.7 m3
⑷ 정동기 용량
9.8QH 9.8 × 0.0065 × 83
P= × 1.2 = × 1.2 = 10.57 kW
η 0.6

·문013· A구역(저장용기 3병), B구역(저장용기 5병), C구역(저장용기 3병) 이고 방호구역


은 가로 5m, 세로 8m, 높이 6m 인 장소에 전역방출방식의 고압식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설치하고자 한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제어반은 저장용기 실내에 설치되고, 저장용기의 가방방식은 가스가압식으
로 하고, 저장용기 68ℓ, 약제량 45kg 이고 체크밸브의 표시는 로 한다
⑴ 저장용기실의 계통도를 그리시오 (배관구경은 무시한다)
⑵ B구역에 소화약제 방출 후 이산화탄소 가스의 농도(%)를 구하시오
10 설계 및 시공

해설⇒ ⑴ 계통도

⑵ 이산화탄소의 농도
이산화탄소 약제량: 5x45 kg = 225 kg
방호구역의 체적: 5x8x6 = 240 m3
탄산가스의 분자량은 12 + 16x2 = 44 g/mol
22.4
기체상태의 탄산가스 1 mol의 체적은 22.4ℓ →1g의 체적은 l
44
22.4 3 22.4
1kg의 체적은 m → 225 kg의 체적은 225x =114.545 m3
44 44
CO 2 의 체적
CO2 농도= × 100
방호구역의 체적 ( 방호구역내 공기의 체적) + CO 2 의 체적
114.545
= × 100 = 32.3%
240 + 114.545
설계 및 시공 11

·문014· 물계통 소화설비의 가압펌프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① 정격토출량 800 lpm, 정격토출 양정 80m인 표준 수직원심펌프의 성능특성
곡선을 그리시오(체절점, 설계점, 150%의 유량점을 명시할 것)
② 소화펌프의 수온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2가지 이상을 쓰고 기술규격을
기술하시오

해설⇒ ① 성능특성곡선

② 수온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⑴ 릴리프 밸브 설치
체절압력 미만에서 개방되는 릴리프밸브를 설치한다.
⑵ 서미스터 사용
수온이 설정온도(30℃) 이상이 되면 서미스터 밸브의 벨로우즈가 팽창되어
Remote Valve가 동작하여 물이 수조로 배수된다
⑶ 오리피스 설치
정격토출 유량의 2~3%가 흐를 수 있도록 조절한다

·문015· 펌프의 압력 세팅방법을 설명하시오

해설⇒ 펌프의 압력 세팅방법


⑴ 압력스위치에는 눈금이 Range 와 Diff 로 표시되어 있고 단위는 kg/cm2로 되
어 있는데 검정 세모로 표시된 압력 지시기는 압력스위치 상단에 위치한 조
절나사를 돌리면 원하는 압력눈금에 맞출 수 있다.
⑵ Range 눈금의 압력은 검정 세모로 표시된 지시기에 맞춘 눈금의 압력이 되
면 펌프가 멈추는 작동 정지 압력이다.
12 설계 및 시공

⑶ Diff 압력은 Range 에 설정된 압력에서 Diff 에 설정된 압력만큼 감소하면 펌


프가 재작동하는 차이 압력이다.
⑷ 예를들어 Range에 10 kg/cm2를 설정하고 Diff 에 1 kg/cm2의 압력으로 맞추었
다면 펌프는 9 kg/cm2의 압력에서 기동하여 10 kg/cm2의 압력이 되면 정지한
다.

·문016· 다음 도면과 같이 스프링클러설비를 설계하고자 한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고가수조 압력계

시험배관

자동경보밸브 배수관

40m
성능시험배관

300mmHg

수원

[조건] ① 대기압은 1.0332 kg/cm2, 진공계 지시압은 300 mmHg


② 배관의 마찰손실은 실양정의 30%
③ 기계효율 95%, 수력효율 90%, 체적효율 80%, 여유율 10%
[물음] ⑴ 펌프의 분당 토출량
⑵ 펌프의 전양정
⑶ 펌프의 전효율
⑷ 펌프동력 (kW)
설계 및 시공 13

해설⇒ ⑴ 펌프의 분당 토출량


8x80ℓ/min = 640ℓ/min = 0.010667 m3/sec
⑵ 펌프의 전양정
300
흡입양정 = 10.332 × = 4.078 m
760

배관의 마찰손실 = (40 + 4.078)x0.3 = 13.22 m


헤드의 방사압력 1 kg/cm2 = 10 m
전양정 = 40 + 4.08 + 13.22 + 10 = 67.3 m
⑶ 펌프의 전효율
전효율 = 0.95x0.9x0.8 = 0.684 = 68.4%
⑷ 펌프동력 (kW)
9.8QH 9.8 × 0.010667 × 67.3
동력 P = × 여유율 = × 1.1 = 11.3 kW
η 0.684

·문017· 실양정, 손실수두, 속도수두 및 압력계와 진공계의 지시치 관계를 그림으로 도


시하시오

해설⇒ 다음 그림과 같다
14 설계 및 시공

·문018·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①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청정소화약제의 상품명과 화학식, 작동시간, 소화
원리를 쓰시오
② 청정소화약제와 이산화탄소, 할론 소화약제의 특성을 3가지 이상 쓰시오
③ ODP 와 GWP 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해설⇒ ① 청정소화약제의 상품명과 화학식, 작동시간, 소화원리

상품명 화학식 방사시간 소화원리


HCFC-22 ( CHCIF2 ) 82% 10초 부촉매효과
HCFC
HCFC-123 ( CHCI 2 CF3 ) 4.75%
Blend A
HCFC-124 ( CHCIFCF3 ) 9.5%
(NAFS-III)
C10 H 16 3.75% 가 혼합된 것

HFC-227EA CF3 CHFCF3 10초 부촉매효과


(FM-200)
CHF3 10초 부촉매효과
HFC-23
IG-541 N 2 52%, Ar 40%, CO 2 8% 60초 질식효과
(Inergen) 가 혼합된 것

② 청정소화약제와 이산화탄소, 할론 소화약제의 특성


⑴ 청정 소화약제
⒜ 소화할 때 기화로 인한 잔여물을 남기지 않는다
⒝ 전기적으로는 비 전도성인 증발성 가스상태의 소화약제이다
⒞ ODP 와 GDP 가 매우 낮다
⑵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 무색 무취이다.
⒝ 비중은 공기의 약 1.52배 이다
⒞ 전기적으로 비 도전성이다.
⒟ CO2는 압축 및 냉각에 의해 쉽게 액화되고 더욱 냉각하면 고화 한다.
⑸ 액화탄산은 온도가 상승하면 압력이 증가하고, 온도가 31℃이상으로
되면 CO2는 모두 기체로 되는데 이 온도를 이산화탄소의 임계온도라
고 한다.
설계 및 시공 15

⑹ CO2는 온도 ―56.3℃, 압력 5.3kg/cm2 의 점에서는 고체, 액체 기체가


공존하게 되는데 이 점을 삼중점이라고 한다
⑺ 지구 온난화 지수 (GWP) 가 크다
⑶ 할론 소화약제
⒜ 화학적 부촉매작용에 의한 연소 억제작용이 크다
⒝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금속에 대한 부식성이 적다.
⒞ 전기적으로 부도체이기 때문에 전기화재에도 적용할 수 있다.
⒟ 변질되거나 자연분해 되는 일이 없다.
⒠ 소방대상물에 대한 오염이 없다.
⒡ 5~10% 정도의 낮은 설계농도로도 소화가 가능하다.
⒢ ODP 와 GWP 가 크다
③ ODP 와 GWP
⑴ 오존 파괴지수
오존파괴지수 (ODP: Ozone Depletion Potential) 는 어떤 물질 1 kg 의 오존파
괴능력을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서, 기준물질로 CFC-11 ( CCl 2 F ) 의
오존파괴능력을 1로 하고 상대적으로 다른 물질의 오존파괴능력을, 대기
권에서의 수명, 물질의 단위 질량당 염소나 브롬질량의 비, 활성염소와 브
롬의 오존파괴능력을 고려하여 그 물질의 ODP 를 결정하는데 그 계산 식
은 다음과 같다.
어떤물질 1kg 이 파괴하는 오존량
어떤물질의 ODP =
CFC − 11 1kg 이 파괴하는 오존량

염소나 브롬을 함유하지 않는 물질도 오존을 파괴할 경우 ODP값을 가지


게 된다.

⑵ 지구 온난화 지수
지구온난화 지수 (GWP: Global Warming Potential) 는 오존파괴지수와 같은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어떤물질 1kg 이 기여하는 지구 온난화 정도
어떤물질의 GWP =
CFC − 11 1kg 이 기여하는 지구 온난화 정도
할론 가스는 분자내의 CCl , CF , CBr 의 결합이 파장 8~13 μm 부근의 적외
선을 강력히 흡수하여 대기중에서 온실효과를 일으킨다. 할론가스 이외에
도 CO2 , H 2 O , CH 4 , NO 2 , CCl 4 등 50여종 이상의 온실효과 물질이 있다.
16 설계 및 시공

·문019· 건물 지하층에 있는 발전기실 및 축전지실에 전역방출방식 이산화탄소 소화설


비를 화재안전기준에 준하여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① 소화설비는 고압식으로 한다
② 발전기실의 크기: 가로 8m, 세로 10m, 높이 6m
개구부의 크기: 1.8mx3mx2개소 (자동폐쇄장치 있음)
③ 축전지실의 크기: 가로 5m, 세로 6m, 높이 3m
개구부의 크기: 1mx2mx1개소 (자동폐쇄장치 없음)
④ 가스저장용기의 내용적 68ℓ, 충전비 1.5
⑤ 가스저장용기는 공용으로 한다
⑥ 가스량은 다음표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방호구역의 체적(m3) 소화약제량(kg/m3) 약제저장량의 최저한도 (kg)


50~150 미만 0.9 50
150 이상 1500 미만 0.8 135

⑦ 개구부 가산량은 5 kg/m2 로 계산한다


[물음]
① 방호구역별로 필요한 가스용기의 병수는?
② 집합장치에 필요한 가스용기의 병수는
③ 방호구역별 선택밸브 직후의 유량은 몇 kg/sec 인가?
④ 저장용기의 내압시험 압력은 몇 kg/cm2 인가
⑤ 저장용기와 선택밸브 사이에 설치하는 안전장치의 작동 압력은?
⑥ 분사헤드의 방출압력은 21℃에서 몇 kg/cm2 이상이어야 하는가?
⑦ 음향경보장치는 약제방사 개시후 몇 분 동안 경보를 계속해야 하는가?
⑧ 각 방호구역에 필요한 음향경보장치는 각각 몇 개씩인가?
해설⇒ ① 방호구역별로 필요한 가스용기의 병수
저장용기 1개의 이산화탄소량: 68÷1.5 = 45.33 kg
발전기실: 8x10x6x0.8 = 384 kg → 384÷45.33 = 8.47→9병
축전지실: 5x6x3x0.9 + 1x2x5 = 91 kg → 91÷45.33 = 2병
설계 및 시공 17

② 집합장치에 필요한 가스용기의 병수


저장용기를 공용하므로 가장 많은 9병이면 된다
③ 방호구역별 선택밸브 직후의 유량
발전기실: 384÷60 = 6.4 kg/sec
축전지실: 91÷60 = 1.52 kg/sec
④ 저장용기의 내압시험 압력
저장용기는 고압식은 250㎏/㎠ 이상, 저압식은 35㎏/㎠ 이상의 내압시험압력
에 합격한 것으로 할 것
⑤ 저장용기와 선택밸브 사이에 설치하는 안전장치의 작동 압력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저장용기와 선택밸브 또는 개폐밸브 사이에 는 내압시
험압력 0.8배에서 작동하는 안전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⑤ 분사헤드의 방출압력
분사헤드의 방사압력이 21㎏/㎠(저압식의 것에 있어서는 10.5㎏/㎠) 이상의 것
으로 할 것
⑥ 음향경보장치의 경보시간
소화약제의 방사개시후 1분 이상 경보를 계속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⑦ 각 방호구역에 필요한 음향경보장치의 개수
방호구역마다 1개씩 설치한다

·문020· 스프링클러 설비에 대해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펌프 토출량이 2.4 m3/min, 유속 3 m/sec 일 때 토출측 배관의 구경은?
⑵ 배관구경 150mm, 배관길이 60m, 유속 3 m/sec, 마찰계수 0.02 일 때 달시
바이스바흐 식을 이용하여 마찰손실수두를 구하시오

해설⇒ ⑴ 토출측 배관의 구경


π d2 4Q 4Q
Q = Av = v→d= [ m] = × 10 3 [mm]
4 πv πv

2.4

d= 60 × 1000 = 130.3 [mm]
π ×3
18 설계 및 시공

⑵ 마찰손실수두
l v2 60 32
Hl = λ ⋅ = 0.02 × × = 3.67 [m]
D 2g 150 × 10 −3 2 × 9.8

·문021· 위험물 옥외탱크 저장소에 포소화설비를 설치할 경우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⑴ 탱크 높이는 15m 이고, 직경 35m 인 휘발유 탱크이다
⑵ II형 방출구를 사용하고, 약제 농도 6%형 수성막포를 사용한다
⑶ 보조포 소화전은 5개가 설치되어 있다
⑷ 송액관의 관경 및 길이는 150mmx100m, 125mmx80m, 100mmx70m,
65mmx50m 이다
⑸ 펌프효율은 60%, 방사압은 3.5kg/cm2 이다
물음:
① 포소화 약제량을 구하시오
② 고정포 방출구 수는 몇 개 인가?
③ 펌프 토출량은 몇 m3/min 인가?

해설⇒ ① 포소화 약제량


⑴ 고정포 방출구에서 방출하기 위해 필요한 양
Q = AQ1TS [ℓ]
π d2 π × 35 2
A: 탱크의 액면적 = = [m2]
4 4

S: 포수용액의 농도 6% = 0.006
Q1: 액면적 1m2당 방출되는 포수용액의 양: 다음표에서 4 [lpm]
T: 방출시간: 다음표에서 55분

방출구의 종류 I형 II형 특형
방출량 시간 방출량 시간 방출량 시간
위험물의 종류
l / m 2분 (분) l / m 2분 (분) l / m 2분 (분)
제1석유류 4 30 4 55 8 30
제2석유류 4 20 4 30 8 20
제3석유류 4 15 4 25 8 15
설계 및 시공 19

π × 35 2
Q = AQ1TS = × 4 × 55 × 0.06 = 12700 l
4

⑵ 보조포 소화전에서 방출하기 위해 필요한 양


400 lpm 으로 20분 이상 방출해야 하므로
Q = NSx400x20 [ℓ]
N: 보조포 방출구의 수(3이상인 때는 3으로 한다)
Q = 3x0.06x400x20 = 1440[ℓ]
⑶ 송액관에 채우기 위해 필요한 양 (75mm 이하의 송액관은 제외)
Q = ALS
L: 송액관의 길이 (m)
π
Q= (0.152x100 + 0.1252x80 + 0.12x70)x0.06 = 0.198 m3 = 198ℓ
4

⑷ 필요한 총 소화약제량 = 12700 + 1440 + 198 = 14338ℓ


② 고정포 방출구 수
다음표에 따라서 3개

포 방출구의 수
탱크 직경 (m)
I형, II형 특형
13미만 1 2
13~19 미만 1 3
19~24 미만 1 4
24~35 미만 2 5
35~42 미만 3 6
42~46 미만 4 7

③ 펌프 토출량
Q = AQ1 + Nx400
π × 35 2
= × 4 + 3 × 400 = 5048 lpm = 5.048 m3/min
4
20 설계 및 시공

·문022· 드렌처 설비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① 일반적인 사항
② 배관 설치시 주의사항
③ 수원 및 방수량
④ 헤드 배치기준

해설⇒ ① 일반적인 사항
⑴ 드렌처 설비는, 가연성 액체 또는 가스를 수용하는 탱크 및 가연성 가스를
저장, 제조, 취급하는 옥외설비로부터 인접한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한
방화대상물로의 연소(延燒)를 방호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설비이다.
⑵ 드렌처설비는 방호하는 건물의 외벽, 지붕, 창 또는 기타의 개구부, 처마,
차양 등의 돌출부에 개방형 드렌처 헤드를 설치하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밸브를 동작시켜 물을 분사하도록 한다.
⑶ 결국 드렌처 설비는 개방형 스프링클러 설비와 같은 설비인데, 스프링클러
설비가 옥내화재에 대한 소화설비인데 대하여 드렌처 설비는 외부로부터의
화재에 의한 해당 건물의 연소를 방지하기 위한 방화설비인 것이다.
② 배관 설치시 주의사항
⑴ 가압송수장치는 점검이 용이하고, 화재 등의 피해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
할 것
⑵ 일제개방밸브는 소방대상물 층마다 설치하되 바닥으로부터 0.8~1.5m 이하
의 높이에 설치한다
⑶ 급수를 차단할 수 있는 개폐밸브는 개폐표시형으로 하고, 펌프의 흡입측
배관에는 버터플라이밸브 외의 개폐표시형밸브를 설치한다
③ 수원 및 방수량

⑴ 수원의 수량은 드렌처헤드가 가장 많이 설치된 제어밸브의 드렌처헤드의


설치개수에 1.6 ㎥를 곱하여 얻은 수치 이상이 되도록 할 것

⑵ 드렌처설비는 드렌처헤드가 가장 많이 설치된 제어밸브에 설치된 드렌처


헤드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 각각의 헤드선단에 방수압력이 1 ㎏/㎠
이상, 방수량이 80ℓ/min 이상이 되도록 할 것
설계 및 시공 21

④ 헤드 배치기준
⑴ 폭 2.5 m 이하의 창 또는 다른 개구부에는 하나의 헤드를 그 상부 중앙
유리면에서 20 cm 정도 떨어져 배치한다.
⑵ 폭 2.5 m 를 초과하는 창 또는 기타의 개구부에는 폭 2.5 m 마다 헤드를
배치해야 한다.

·문023· 펌프 성능시험 배관의 시공방법을 기술하시오

해설⇒ ① 설치 위치
성능시험배관은 펌프의 토출측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하여 설치한다
② 배관 구경
⑴ 배관구경은 정격 토출압력의 65%이하에서 정격 토출량의 150%이상을 토
출 할 수 있는 크기로 한다.
⑵ 유량계를 설치하는 경우는 유량계의 구경과 동일하게 한다)
③ 유량 측정장치
⑴ 유량측정장치는 오리피스와 압력계를 사용하는 방법 또는 유량계를 사용
하는 방법으로 한다
⑵ 정격 토출량의 150%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유량측정 장치를 설치한다
⑶ 펌프 정격 토출량의 175% 까지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⑷ 유량계를 기준으로 상류측은 배관구경의 8배 이상, 하류측은 배관구경의
5배 이상 직관부가 있도록 한다
⑸ 유량계는 수평배관에 수직으로 설치한다

·문024· 옥내 소화전이 각층에 5개씩 설치되어 있는 건물에 피토게이지를 이용하여 방


수량을 측정할 경우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① 방수압을 측정하는 위치를 쓰시오
② 최고층 최말단에 설치 된 소화전의 방수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쓰시오
③ 방수량을 구하는 다음 공식의 유도과정을 쓰시오
Q = 0.653d 2 p , Q [lpm], d [mm], p [kg/cm2]

④ 방사압이 7kg/cm2을 초과할 경우 미치는 영향을 2가지 쓰시오


⑤ 규정방사압을 초과할 경우 감압방식 4가지를 쓰고 설명하시오
22 설계 및 시공

해설⇒ ① 방수압을 측정하는 위치


노즐 선단에서 노즐 구경의 1/2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측정한다
② 최고층 최말단에 설치 된 소화전의 방수압을 측정하는 방법
물을 방사하면서 피토관 입구를 수류의 중심선과 일치하게 해서 측정한다
③ 방수량을 구하는 공식의 유도과정

v2
그림에서 h = → v = 2 gh
2g

Q = Av = C p A 2 gh [m3/sec] (Cp: 피토관의 유량계수 0.99)

물의 경우 비중량 γ = 1000 [kg/m3] 이고, 1 [kg/cm2] = 104 [kg/m2] 이므로


p p × 10 4
h= = [ m]
γ 1000
2
π ⎛ d ⎞ p × 10 4
Q = Cp ⋅⎜ ⎟ 2g ×
4 ⎝ 1000 ⎠ 1000
= 0.000010885 p [m 3 / sec]
= 0.000010885 × 1000 × 60 p [lpm] = 0.6531 p [lpm]

④ 방사압이 7 kg/cm2을 초과할 경우 미치는 영향


⑴ 배관과 배관부속 및 호스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⑵ 소화전 호스에 가해지는 반동이 너무 커서 소화활동이 어렵다
⑤ 규정방사압을 초과할 경우 감압방식
⑴ 감압밸브
소화전 앵글밸브에 Pressure reducing valve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설치가 용
이하며 기존건물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⑵ 고가수조 방식
⒜ 고가수조를 옥상에 설치하고 가압펌프 없이 자연낙차를 이용하는 것이

설계 및 시공 23

⒝ 초고층건물에서 저층부에는 압력이 7 kg/cm2을 초과할 수 있으므로 별


도의 감압밸브를 설치해야 한다
⒞ 고가수조 수면으로부터 수직으로 17m 이내에 있는 층에서는 규정방사
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적용할 수 없다
⑶ 배관을 분리하는 방법
소화펌프를 건물 높이에 따라 저층용, 고층용으로 또는 저층용, 중층용,
고층용으로 별도의 배관을 하는 방식이다. 배관이 2중 3중으로 되므로 비
용이 많이 든다
⑷ 부스터 펌프 방식
건물 중간에 수조와 Booster 펌프를 별도로 설치해서 고층부에 소화수를
공급하는 방법으로 공사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문025· 바닥면적 1000 m2, 높이 5m 인 전산실에 할론1301 소화설비를 전역방출방식으


로 설치하고자 한다. 개구부의 크기는 가로 3m, 세로 2m이고, 자동폐쇄장치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내화구조이고, 용기는 50kg 용,
고압식이다
① 최소 약제량(kg)은?
② 저장용기의 수를 구하시오
③ 배관을 강관으로 하는 경우 배관기준에 대해 쓰시오
④ 차동식 스포트형 1종 감지기를 설치할 경우 감지기 설치개수를 구하시오
⑤ 감지기 회로수를 구하시오
⑥ 방출율 2kg/cm2·sec, 방사압력 20 kg/cm2, 헤드 수가 25개 일 대 헤드의 분구
면적 mm2 을 구하시오
⑦ Soaking Time 에 대해 설명하시오

해설⇒ ① 최소 약제량
전산실의 경우 할론1301의 소요 약제량은 0.32~0.64 kg/m3 이고 가산량은 2.4
kg/m2 이다
최소 약제량 = 0.32x1000x5 + 2.4x3x2 = 1614.4 kg
② 저장용기의 수
1614.4÷50 = 32.3→33병
24 설계 및 시공

③ 배관기준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에 배관은 압력배관용 탄소강강관 중 이음이 없는
(Seamless Pipe) Schedule 40 이상의 것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것
으로 하고, 아연도금 등에 의해 방식처리 된 것을 사용할 것
④ 감지기 설치개수
높이 4m 이상 8m 미만의 경우 차동식 스포트형 1종은 45m2마다 1개씩 설치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1000÷45 = 22.22 → 23개
할론소화설비의 감지기 회로는 교차회로로 해야 하므로
23x2 = 46개
⑤ 감지기 회로수
교차회로 방식이므로 2회로
⑥ 헤드의 분구면적
소화약제를 10초 이내에 방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해야 하므로
약제량
분구면적 =
헤드수 × 방사율 × 방사시간
1614.4
= = 3.23 cm 2 = 323 mm 2
25 × 2 × 10
⑦ Soaking Time
⑴ Soaking Time이란 전역방출방식 할론 소화설비로 소화하는 경우, 화재시 심
부화재 (Deep Seated Fire 또는 Smoldering Combustion)의 확실한 소화와 재연
소를 방지하기 위해서, 소화약제 방출 후에 화재구획의 밀폐상태를 한 동
안 유지해 두는 시간을 말한다.
⑵ 화재시 할론 소화약제가 방출되면 화재는 수초 내에 진압되나 심부화재의
경우 재발화를 완전히 방지하기 위해서는 약 10분 정도의 Soaking Time이
필요하다.

·문026·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① 배관의 신축이음의 종류 3가지 이상
② 건식 스프링클러의 경우 상향으로 헤드를 설치하는데 제외사항 3가지
설계 및 시공 25

해설⇒ ① 배관의 신축이음


그림과 같이 슬리브형 (sleeve type), 벨로우즈형, 루우프형, 스위블형, 볼조인
트의 5가지가 있다

② 상향으로 헤드를 설치하는데 제외사항 3가지


⑴ Dry Pendant Type Head 를 쓰는 경우
⑵ 헤드 설치장소가 동결의 우려가 없는 경우
⑶ 개방형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문027· 스프링클러 설비의 감시제어반에서 확인되어야 하는 스프링클러 설비 구성기기


의 비정상상태 감시신호 4가지를 쓰시오. 단, 물올림 장치는 없는 것으로 하며,
수신반은 P형 기준임

해설⇒ 감시제어반에서는 다음의 각 확인회로마다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을 할 수 있어


야 한다

⑴ 기동용 수압개폐장치의 압력스위치회로

⑵ 수조 또는 물올림탱크의 저수위감시회로

⑶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방밸브의 압력스위치회로

⑷ 일제개방밸브를 사용하는 설비의 화재감지기회로

⑸ 개폐밸브의 폐쇄상태 확인회로


⑹ 그 밖의 이와 비슷한 회로
26 설계 및 시공

·문028· 선택밸브 등을 이용하여 전기실에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연감


지기 A, B와 방출방식은 가스압력식) 화재시 본 설비 구성기기의 동작순서를
쓰시오. 단, 감지기 A 가 먼저 동작되는 것으로 이때 사이렌이 울리고, 감지기
B가 동작시 솔레노이드 밸브가 동작되는 것으로 하며 종합 수신반과의 연동관
계는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해설⇒ 작동 시퀀스는 다음과 같다

·문029· 옥외 소화전설비에 대해 다음 조건을 참고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① 정압흡입방식
② 지상식 옥외소화전 2개소 설치
③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사용
물음:
① 펌프의 흡입측과 토출측 주위 배관을 도시하고 구성품의 이름을 쓰시오
② 안전밸브와 릴리프밸브의 차이점을 쓰시오
③ 릴리프밸브의 압력설정방법을 쓰시오
④ 소화전의 동파방지를 위해 시공시 유의해야 할 사항 2가지를 쓰시오
설계 및 시공 27

해설⇒ ① 배관 도시

② 안전밸브와 릴리프밸브의 차이점

비교항목 릴리프밸브 안전밸브


적용유체 액체 기체
작동상태 설정압력 초과시 서서히 방출 설정압력 초과시 순간적으로
완전방출
작동압력 체절압력 미만에서 작동 설정압력 이상에서 작동

③ 릴리프밸브의 압력설정방법
⑴ 주펌프의 토출측 개폐밸브를 잠그고 펌프를 수동으로 기동한다
⑵ 릴리프밸브의 뚜껑을 개방하여 스패너로 압력조절 나사를 좌우로 돌리면
서 물이 나오는 시점을 압력계를 보면서 조절한다
28 설계 및 시공

④ 소화전의 동파방지를 위해 시공시 유의해야 할 사항


⑴ 배관 및 배관부속을 보온재로 보온한다
⑵ 지하에 배관을 매설할 때는 동결 깊이 이상의 깊이로 매설하고, 모래나 자
갈 등을 채워 배수가 잘 되도록 한다

·문030· 콘루프형 휘발유 옥외저장탱크 (내경 15m, 높이 10m) 에 II 형방출구 2개를 설


치할 경우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① 포수용액의 양: 220ℓ/min ② 포방출율: 4ℓ/min·m2
③ 약제농도: 3% ④ 보조포 소화전: 4개 설치
⑤ 송액관: 내경 100mm, 길이 500m
물음:
① 고정포 방출구에서 방출하기 위해 필요한 소화약제 저장량
② 보조포 방출구에서 방출하기 위해 필요한 소화약제 저장량
③ 탱크까지의 송액관에 채우기 위해 필요한 소화약제량

해설⇒ ① 고정포 방출구에서 방출하기 위해 필요한 소화약제 저장량


π × 15 2
Q = AQ1TS = × 4 × 55 × 0.03 = 1166.3 l
4

② 보조포 방출구에서 방출하기 위해 필요한 소화약제 저장량


Q = NSx400x20 = 3x0.03x8000 = 720ℓ
③ 탱크까지의 송액관에 채우기 위해 필요한 소화약제량
2
π ⎛ 100 ⎞ 3
⎜ ⎟ × 500 × 0.03 = 0.1178 m = 117.8 l
4 ⎝ 1000 ⎠

·문031· 하나의 방호구역으로 구성된 가로15m, 세로 6m, 높이 6m 인 래크식 창고에 특


수가연물을 저장하고 있을 때 표준형 스프링클러 헤드(폐쇄형)를 정방형으로
설치하고자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이 방호구역에 설치해야 하는 헤드의 수는?
⑵ 총 헤드를 담당하는 배관의 최소 관경은 몇 mm 인가?
⑶ 옥상수조를 포함한 수원의 양은 몇 ℓ인가?
설계 및 시공 29

해설⇒ ① 헤드 수
헤드간의 거리 S ( S = L ) 는
S = 2r cos θ
특수 가연물의 경우 r = 1.7m 이므로
S = 2 × 1.7 × cos 45° = 2.404 m

로 되고 헤드 1개의 방호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A = S × L = 2.404 2 = 5.78 m 2

헤드 수는 15x6÷5.78 = 15.57 → 16개


특수가연물을 저장하는 경우는 랙크높이 4m 이하마다 설치해야 하므로 높이
가 6m 이면 2층으로 설치해야 한다
16x2 = 32 개
② 배관의 최소 관경
다음표(화재안전기준 별표1)에서 특수가연물을 저장하는 경우에는 “다”를 적
용해야 하므로 관경의 90 mm 이상으로 해야 한다

구경 25 32 40 50 65 80 90 100 125 150mm


가 2 3 5 10 30 60 80 100 160 161 이상
나 2 4 7 15 30 60 65 100 160 161 이상
다 1 2 5 8 15 27 40 55 90 91 이상

③ 수원의 양
32x80 lpmx20분 = 51200ℓ = 51.2 m3
30 설계 및 시공

·문032·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다중전송신호의 특징을 기술하시오

해설⇒ R형 수신기에서 사용하는 다중전송신호의 특징


⑴ 선로수가 적게 들어 경제적이다.
⑵ 선로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⑶ 증설 또는 이설이 비교적 용이하다.
⑷ 화재 발생지구를 선명하게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⑸ 신호 전달이 정확하다.

·문033· 연감지기에서 광전식 감지기의 구조와 원리를 설명하시오

해설⇒ ① 광전식 감지기 개요


⑴ 광전식 감지기 (Photo-electronic Smoke Detector)는 외부의 빛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암실형태의 Chamber속에 광원과 수광 소자를 설치해 놓은 것
으로 감지기 주위의 공기가 일정한 농도의 연기를 포함하게 되는 경우에
동작하도록 한 감지기이다.
⑵ 광전식 연 감지기에는 스포트형, 분리형 및 고감도형이 있으며 스포트형은
또다시 감광식과 산란광식 으로 나누어 지고, 축적시간의 유무에 따라 축
적형과 비축적형으로 구분된다.
② 광전식 스포트형 연감지기의 구조와 동작원리
⑴ 감광식
감광식은 그림과 같이 발광부에서 방사되는
빛의 양 저하
빛이 수광부에 직접 조사되는 구조로서 감지
기 내부에 연기가 유입되면 연기에 포함된
미립자에 의해 빛의 양이 감소해서 수광부의
출력전압이 감소하여 기준치 이하로 되면 화 수광부 발광부

재신호를 발신하도록 한 것이다.


설계 및 시공 31

⑵ 산란광식
산란광식은 감지기 내부에 연기가 유입되면 발광부로부터 방사되는 빛이
연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립자에 의해 산란되어 수광 소자에 입사하면 수광
부의 출력전압이 높아지고 이 전압이 일정치에 도달했을 때 화재신호를 발
하도록 한 것이다. 광전식 연감지기로는 산란광식이 주로 많이 쓰인다.
산란광식 연감지기의 구조는 그림과 같이
연기
암실 내에 발광 다이오드 (광원)와 포토 빛

트랜지스터 (수광부)를 설치한 것이다. 암 광원


산란광
실 내에 연기가 유입되면 산란광이 수광
부인 포토 트랜지스터에 입사되어 발생하
수광부
는 출력전압을 OP Amp로 증폭한다.
③ 광전식 분리형 연감지기의 구조와 동작원리
⑴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는 광전식 스포트형 감지기의 발광부와 수광부를 분
리한 것으로 넓은 지역에서 연기의 누적에 의한 수광량의 변화에 의해 동
작한다.
⑵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는 그림과 같이 송광부와 수광부가 분리되어 설치되
며 송광부에서 수광부로 항시 빛을 조사하고 있다. 공간으로 확산된 연기
가 빛의 진로를 방해하면 수광부의 수광량이 감소하므로 이를 검출하여
화재신호를 발하는 것이다

L
화재신호
발광 증폭 제어
회로 회로 회로
장애신호
송광부 수광부

⑶ 그림에서 L 은 5~100 m 이하로 하기 때문에 큰 공간을 갖는 체육관이나


홀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감지농도를 스포트 형보다 높
게 설정해도 화재 감지성능이 떨어지지 않으며 국소적 또는 일시적인 연
기의 체류에는 동작하지 않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비화재보의 방
지에 도움이 된다.
⑷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의 공칭감시거리는 5~100 m 이하에서 5 m 간격으로
되어 있다.
32 설계 및 시공

·문034· 그림의 자동화재 탐지설비 계통도에서 A~F 의 최소 전선수를 명기하시오. 단,


감지기와 벨·표시등 공통선은 별개로 하며, 직상층 우선 경보방식임

해설⇒ ① 최소 전선수

전선수 전선 용도
A 7 표시등1, 전화1, 응답표시등1, 벨·표시등공통선1, 벨1,
감지기1, 감지기공통1
B 8 표시등1, 전화1, 응답표시등1, 벨·표시등공통선1, 벨1,
감지기2, 감지기공통1
C 11 표시등1, 전화1, 응답표시등1, 벨·표시등공통선1, 벨2,
감지기4, 감지기공통1
D 14 표시등1, 전화1, 응답표시등1, 벨·표시등공통선1, 벨3,
감지기6, 감지기공통1
E 16 표시등1, 전화1, 응답표시등1, 벨·표시등공통선1, 벨4,
감지기7, 감지기공통1
F 19 표시등1, 전화1, 응답표시등1, 벨·표시등공통선1, 벨5,
감지기8, 감지기공통2

◈ 전선 가닥수 선정시 고려사항


⑴ 기본선 4가닥(표시등선, 전화선, 응답표시등선, 벨·표시등 공통선)은 층수
나 경계구역 수에 관계없이 1가닥이면 된다
⑵ 문제의 경우 3, 4, 5층은 한 층에 경계구역이 2씩 있고, 경보는 층별로 하
면 되므로 층별로 벨선 1가닥씩을 추가한다
설계 및 시공 33

⑶ 감지기 회로에서 하나의 공통선에 접속할 수 있는 경계구역은 7개 이하로


해야 하므로 1층의 경계구역에는 감지기 공통선 1가닥을 추가한다
◈ P형 수신기의 전선 가닥수

·문035· P형과 R형 수신기를 설명하고 그 차이를 간략하게 비교하시오(대용량 기준)

해설⇒ ① P형과 R형 수신기에 대한 설명


⑴ P형 수신기
⒜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해지는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발생을 소방
대상물 관계자에게 통보하고
⒝ 필요에 따라 소화펌프 기동장치, 부수신기, 비상경보장치, 방화댐퍼 등
과 같이 화재와 관련된 다른 소화, 감시 및 경보기능과도 연동하여 사
용된다
⑵ R형 수신기
⒜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해진 신호를 중계기를 통해서 각 회선마다
고유의 신호로서 수신하여 관계자에게 통보하는 수신기이다.
⒝ 고유의 신호는 주로 시분할 방식의 다중통신 방식을 이용하고 있기 때
문에 한 쌍의 전송로로 각 경계구역마다 고유의 신호로 된 여러 경계구
역의 신호를 제공할 수 있어서 P형 수신기에 비해 회선수를 줄일 수
있어서, 건물의 증축, 개축 등 경계구역이 증가되는 경우에도 중계기의
증설 내지는 회로수의 증대 등에 대응하여 간편하게 회로를 추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4 설계 및 시공

② P형 수신기와 R형 수신기의 특성 비교

항목 P형 수신기 R형 수신기
신뢰성 외부회로의 단락 등으로 수 외부선로의 단락 등으로 인해 특
신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정 중계기에 고장이 발생해도 다
전체 시스템이 마비된다. 른 중계기는 정상적인 동작을 하
므로 전체 시스템이 마비되지는
않는다.
유지관리 간선의 배선수가 많으므로 간선수가 적으므로 유지관리가 쉽
유지관리가 어려우며 수신 고 내부부품이 모쥴화 되어 있어
반 내부회로 연결이 복잡하 수리가 용이하다.
여 수리가 어렵다.
증설변경 건물의 증개축으로 인해 회 회로 증설시에는 중계기의 예비회
로가 증설되면 기기 장치로 로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중계기를
부터 수신반까지 배선 배관 신규로 설치하고 기 설치된 중계
을 추가해야 하며 자탐설비 기에서 신호선만 분기하면 되므로
등의 회로가 증가될 경우에 건축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회로의
는 별도의 수신반을 추가로 증설을 할 수 있다.
설치해야 한다.
공사비 간선수가 많으므로 배관 배 간선수가 적으므로 배관 배선비
선비 및 인건비가 많이 소 및 인건비 등이 대폭 절감 된다.
요 된다.
가격 수신반의 가격은 R형에 비 수신반과 중계기 등의 가격이 매
해 저렴하다. 우 고가이다.
신호전달 개별신호 방식이다 다중 전송신호 방식이다.
표시방식 창구식 또는 지도식을 사용 창구식, 지도식, 디지털식 또는
한다. CRT 방식을 사용한다.
설치공간 회선수 당의 설치공간이 비 회선수 당의 설치공간이 적게 필
교적 많이 필요하다. 요하다.
설계 및 시공 35

·문036· 다음 도면과 조건에서 감지기의 종별 설치개수를 산출하시오


8F 4.5m
7F 3.5m
6F 3.5m
5F 3.5m
4F 3.5m
3F 3.5m
2F 3.5m
계단 1F 계단 3.5m
B1 4.5m
B2 4m

[조건]
1. 지하 2층에서 지상 7층: 720m2, 한변의 길이는 50m
2. 자상8층: 400m2
3. 화장실면적: 30m2
4. 사용감지기: 차동식 스포트형 1종
5. 주요구조부: 내화구조
6. 계단은 연감지기 2종
7. 계단이 2개 장소에 있고 별도 경계구역으로 되어 있다

해설⇒ ① 차동식 스포트형 1종 감지기 수량


⑴ 1~7층: 층고가 4m 미만이고 내화구조이므로 1개/90m2
720 − 30
= 7.67 → 8개/층, 8 × 7 = 56개
90
⑵ 층고가 4m 이상인 지하층과 8층은 1개/45m2
720 − 30
지하층 = 15.33 → 16개/층, 16 × 2 = 32개
45
400 − 30
8층 = 8.22 → 9개
45
⑶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총계 56 + 32 + 9 = 97 개
② 연감지기 수량
연감지기는 수직거리 15m(3종은 10m)마다 설치해야 하므로
3.5 × 7 + 4.5
⑴ 왼쪽 계단 = 1.93 → 2개
15
3.5 × 7
⑵ 오른쪽 계단 = 1.63 → 2개
15
36 설계 및 시공

4 + 4.5
⑶ 지하층 = 0.57 → 1개 , 양쪽 계단에 하나씩 2개
15
⑷ 연감지기 총계 2 + 2 + 2 = 6개
◈ 차동식 스포트형, 보상식 스포트형 및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 설치기준
부착높이 및 소방대상물에 따라 다음 표에 의한 바닥 면적 (m2) 마다 1개 이
상을 설치할 것.

감지기의 종류
부착 소방 대상물의 차동식 보상식 정온식
높이 구분 스포트형 스포트형 스포트형
1종 2종 1종 2종 특종 1종 2종
주요구조부가
90 70 90 70 70 60 20
4m 내화 구조인 것
미만 기타 구조의
50 40 50 40 40 30 15
소방 대상물
주요구조부가
45 35 45 35 35 30
4~8 m 내화 구조인 것
미만 기타 구조의
30 25 30 25 25 15
소방 대상물

·문037·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다음 그림의 SVP(Supervisory Panel)에 연결된 감지기의 전선수를 구하시오

④ ④
⑤ ⑥ SVP Ω Ω

⑵ 교차회로 방식으로 하지 않아도 되는 감지기의 종류를 5가지 쓰시오


설계 및 시공 37

해설⇒ ① 감지기의 전선수

구간 ① ② ③ ④ ⑤ ⑥
전선수 4 8 4 4 8 8

② 교차회로 방식으로 하지 않아도 되는 감지기의 종류


⑴ 불꽃 감지기
⑵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⑶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⑷ 아날로그식 감지기
⑸ 다신호식 감지기
⑹ 축적형 감지기
⑺ 복합형 감지기
◈ 교차회로 방식
⑴ 교차회로방식은 화재탐지 설비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림과
같이 두개의 감지회로를 교차하도록 배치하기 때문에 X선 배선방식이라
고도 한다.

⑵ 감지기가 화재를 탐지하는 것은 일반 배선방식과 동일하나, 이 경우에는


1개회로의 감지기가 동작했을 때는 그와 연동되는 소화설비가 동작하지
않고, 감지기 회로별로 1개씩 두개 이상의 감지기가 동작했을 때만 수신
반에서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기동출력을 내보내도록 되어 있다.

·문038· 자동화재 탐지설비에 대해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① 발신기 뒷면에 종단저항을 설치하는 목적을 쓰시오
② 내화배선으로 해야 하는 회로를 쓰시오
③ 내화배선 시공방법에 대해 쓰시오
38 설계 및 시공

해설⇒ ① 종단저항을 설치하는 목적


감지기 회로의 종단에 설치하여 배선의 단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도통시험
을 하기 위해서 설치한다
② 내화배선회로
전원(비상전원)과 수신반 사이 및 수신반과 중계기 사이의 전원회로

③ 내화배선 시공방법
⑴ 금속관,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또는 합성수지관에 수납하여 내화구조로 된
벽 또는 바닥의 표면으로부터 25mm이상의 깊이로 매설해야 한다.
⑵ 단 내화성능을 갖는 배선 전용실, 배선용 샤프트, 피트, 덕트 등에 설치하
는 경우는 노출배선으로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다른 설비의 배선이 있는
경우에는 이로부터 15cm이상 이격 시키거나 소방 설비용 배선과 이웃하는
다른 설비의 배선 중 가장 큰 전선 지름의 1.5배 이상 높이의 불연성 격벽
을 설치해야 한다.

일반배선 d 소방배선 일반배선 소방배선


15cm이상
1.5 d 이상
배선 전용실 배선 전용실

⑶ 단 이 경우 소방용 배선과 다른 용도의 배선 중 어느 한 가지가 금속관, 2


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등과 같이 불연성의 전선관에 수납 되어 있는 경우
에는 ⑵의 방법으로 하지 않아도 된다.
⑷ 노출용 내화케이블을 Cable Rack, Cable Tray 등에 여러 선을 포설하는 경우
에는 노출용 내화케이블을 1단으로 배선해야 한다. 단 그림과 같이 내화배
선을 상부에 배선하지 않는 경우는 2단으로 배선할 수 있다.
설계 및 시공 39

내화케이블 일반케이블

⑸ 노출용 내화 케이블을 금속제 덕트 또는 단열성이 없는 불연구조의 덕트


등에 포설하는 경우에 덕트 길이는 2 m 이하로 하고 그 양단은 충분히 개
방하여 공기의 유통이 잘 되어야 한다.

·문039· 바닥면적이 380m2인 소방대상물에 경유거실에 제연설비를 설치하고자 할 대 다


음 물음에 답하시오
① 소요배출량(CMH)은?
② 풍도의 높이를 600mm로 할 때 풍도의 최소 폭은? 단, 풍도 내에서의 풍속
은 화재안전기준에 준한다
③ 송풍기 전압은 50 mmAq, 효율 55%, 회전수 1200 rpm, 여유율 20% 일 때
송풍기의 축동력은?
④ 풍량을 20% 증가시킬 때 회전수 (rpm)은?
⑤ ④의 회전수로 회전할 때 송풍기의 전압은?
⑥ ③의 풍량으로 15kW 전동기를 선정하여 풍량을 20% 증가시켰다면 이 전
동기의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계산으로 판정하시오
⑦ 송풍기와 전동기를 연결할 때 설치기준을 쓰시오
⑧ 제연설비에서 많이 사용하는 송풍기의 명칭과 특징을 쓰시오

해설⇒ ① 배출량
바닥면적 400m2미만인 제연구역의 경우 최소배출량은 1m2당 1m3/·분 이상으
로 하되 최저배출량은 5000 m3/hour 이상으로 하고, 경유거실인 경우에는 이
의 1.5배로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380x1 x60x1.5 = 34200 [Cubic Meter per Hour]
② 풍도의 최소 폭
34200 [m3/hour] = 34200÷3600 [m3/sec] = 9.5 m3/sec
배출기의 흡입측 풍도안의 풍속은 15㎧ 이하로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Q = Av =WHv
9.5
9.5 = Wx0.6x15 → W = = 1.055 m = 1055 mm
0.6 × 15
40 설계 및 시공

③ 송풍기의 축동력
1 mmAq = 1 kg/m2 이므로
PT Q 50 × 9.5
PkW = ×α = × 1.2 = 10.16 kW
102η 102 × 0.55

④ 풍량을 20% 증가시킬 때 회전수


유량은 회전수에 비례하므로
1200x1.2 = 1440 rpm

유량은 회전수에 비례하고


전압력(전양정)은 회전수의 제곱에 비례하고
동력은 회전수의 3제곱에 비례한다
즉 토출량, 전양정, 축동력은 각각 회전수의 1승, 2승, 3승에 비례한다

⑤ 풍량을 20% 증가시킬 때의 송풍기 전압


전압력은 회전수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2
⎛ 1440 ⎞
50 × ⎜ ⎟ = 72 mmAq
⎝ 1200 ⎠

⑥ 15kW 전동기의 사용가능 여부


동력은 회전수의 3승에 비례하므로
3
⎛ 1440 ⎞
10.16 × ⎜ ⎟ = 17.56 kW
⎝ 1200 ⎠

가 되므로 15 kW 전동기로는 안된다


⑦ 송풍기와 전동기를 연결할 때 설치기준
배출기의 전동기 부분과 배풍기 부분은 분리해서 설치해야 하고, 배풍기 부
분은 유효한 내열처리를 한 것이어야 한다
⑧ 송풍기의 명칭과 특징
⑴ 송풍기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팬은 다익팬(시로코 팬)이다
⑵ 다익팬은 깃이 전방으로 굽은 것으로, 소형으로 대풍량을
취급할 수 있다
⑶ 구조상 고속회전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높은 압력은 낼 수
없다
⑷ 풍량이 크다는 장점은 있으나 효율은 최저이다
설계 및 시공 41

⑸ 정압을 600~800 Pa 정도로 사용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좋다


⑹ 같은 회전수에서 다른 팬에 비해 통풍능력이 크다

·문040· 제연설비 설치장소의 제연구획의 기준 5가지를 쓰시오

해설⇒ 제연구획의 기준

⑴ 하나의 제연구역의 면적은 1,000 ㎡이내로 할 것

⑵ 거실과 통로 및 복도는 상호 제연구획 할 것

⑶ 통로상의 제연구역은 보행중심선의 길이가 60m 를 초과하지 않을 것

⑷ 하나의 제연구역은 직경 60m 원내에 들어갈 수 있을 것

⑸ 하나의 제연구역은 2 개 이상 층에 미치지 안하도록 할 것. 다만, 층의 구분


이 불분명한 부분은 그 부분을 다른 부분과 별도로 제연구획 해야 한다.

·문032· 펌프효율, 수력효율, 기계효율, 체적효율에 대해 설명하시오

해설⇒ ⑴ 펌프효율은 수력효율, 기계효율, 체적효율의 합성이다. 즉


펌프효율 = 수력효율(η1)x기계효율(η2)x체적효율(η3)
⑵ 수력효율은 펌프가 실제로 발생하는 양정과 펌프의 이론양정의 비이다. 즉
펌프가 실제로 발생하는 양정
수력효율 = × 100% ≒ 80 ~ 95%
폄프의 이론양정

⑶ 기계효율은 펌프의 축과 베어링의 마찰 등에 의한 손실을 감안한 효율이다.


마찰손실을 Lf, 유체가 필요로 하는 동력을 L ( = γQH) 라고 하면 기계효율은
L− Lf ⎛ Lf ⎞
기계효율 = × 100% = ⎜⎜1 − ⎟ × 100% ≒ 90 ~ 97%
L ⎝ L ⎟⎠

⑷ 체적효율은 펌프의 실제 토출유량과 흡입유량의 비로 이는 펌프에서의 누설


및 역류하는 유량손실을 감안한 것이다. 즉
펌프가 실제로 토출하는 유량
체적효율 = × 100% ≒ 90 ~ 95%
폄프의 흡입유량

·문033· 주펌프의 단독운전방식과 병렬운전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


42 설계 및 시공

해설⇒ 주펌프 운전방식


① 단독 운전방식
⑴ 소요 양정 및 유량에 적합한 펌프 1대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⑵ 가장 경제적이고 설치공간이 최소라는 장점이 있는 반면 기동전류가 크고
고장시에는 대책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② 병렬 운전방식
⑴ 2대 이상의 펌프를 병렬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⑵ 예를들어 2000 lpm 펌프 1대 대신 1000 lpm 펌프 2대를 병렬로 사용하면
기동전류가 감소하고, 1대가 고장나도 다른 1대로 최소한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⑶ 한편 병렬로 하면 이론상으로는 토출량이 2배가 되나 실제로는 저항손실
등에 의해서 2배 보다는 적게 되고, 설치공간이 커지며,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문034· 압력챔버를 사용하는 경우 펌프압력 세팅방법을 설명하시오

해설⇒ 압력챔버를 사용하는 경우 펌프 세팅방법


⑴ 주펌프와 충압펌프의 기동압력은 자연낙차압보다 높아야 한다. 기동점이 자
연낙차압보다 낮으면 옥상 고가수조에 의한 낙차압에 압력챔버에 상시 가해
지고 있으므로 고가수조에 물이 차있는 한 펌프는 절대로 자동기동이 되지
않는다
⑵ 주펌프의 기동압력은 “h +자연낙차압”으로 한다. h 는 옥내소화전은 2 kg/cm2,
스프링클러는 1.5 kg/cm2 정도로 한다. 옥내소화전은 방사압이 1.7 kg/cm2 이고
스프링클러는 1 kg/cm2 이므로 여기에 배관손실을 기동압력을 결정하는 것이
원칙이다
⑶ 주펌프 정지압력은 체절운전점에 근접한 값으로 한다. 정지압력을 소요 양정
값으로 할 수도 있으나 큰 용량의 펌프인 경우 소화전이나 스프링클러 헤드
의 기준개수를 기준으로 양정이 결정되는데 소화전이나 스프링클러 헤드가
기준개수 이하로 사용될 경우는 유량이 정격유량보다 작고 이에 따라 양정이
높아지기 때문에 펌프의 기동-정지가 반복되어 소손 될 우려가 있으므로 체
절운전점에 근접한 값으로 정지압력을 정하는 것이 안전하다
설계 및 시공 43

⑷ 충압펌프의 기동-정지압력은 주펌프의 기동-정지압력 범위 내에 있도록 한다


⑸ 충압펌프의 기동압력은 주펌프 기동점보다 0.5kg/cm2 이상 높게 한다

·문035· 옥내소화전 방수구를 면제할 수 있는 장소를 5가지 쓰시오

해설⇒ ⑴ 냉장창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창고의 냉동실

⑵ 고온의 노가 설치된 장소 또는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는 물품의 저장 또는 취


급 장소

⑶ 발전소, 변전소 등으로서 전기시설이 설치된 장소

⑷ 식물원, 수족관, 목욕실, 수영장(관람석 부분을 제외한다) 또는 그 밖의 이와


비슷한 장소

⑸ 야외음악당, 야외극장 또는 그 밖의 이와 비슷한 장소

·문036·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① 소방용 합성수지 배관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3가지 쓰시오
② 배관 및 수조의 동파방지 방법을 쓰시오
③ 소방배관에 Butterfly Valve사용을 제한하는 이유를 쓰시오

해설⇒ ① 소방용 합성수지 배관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⑴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
⑵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피트 등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⑶ 천장과 반자를 불연재료로 하고 그 내부에 습식 배관으로 하는 경우
44 설계 및 시공

④ 배관 및 수조의 동파방지 방법
⑴ 단열재로 보온
⑵ 수조에 히팅코일, 배관에 히팅케이블 설치
⑶ 부동액 혼입
⑷ 동결심도 이상의 깊이로 지하에 매설
⑸ 관내 물을 상시 유동시킨다
⑥ 소방배관에 Butterfly Valve사용을 제한하는 이유
⑴ 버터플라이 밸브는 유체저항이 크다
⑵ 유효 NPSH가 감소하여 캐비테이션 발생을 촉진한다
⑶ 개폐조작이 빨라서 수격작용 발생을 촉진한다

·문037· 습식폐쇄형, 건식폐쇄형, 일제살수식, 준비동작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장단점을


쓰시오

해설⇒ ① 습식 폐쇄형

장점 단점
⑴ 헤드 개방시 즉시 살수 ⑴ 동결되는 장소에는 적용불가
⑵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적 ⑵ 층고가 높으면 적용 곤란
⑶ 유지관리가 용이한 편이다 ⑶ 헤드 오동작시 수손피해가 크다

② 건식 폐쇄형

장점 단점
⑴ 동결되는 장소에도 사용가능 ⑴ 살수되기까지의 시간지연
⑵ 별도의 화재감지장치 불필요 ⑵ 헤드는 상향으로만 사용
⑶ 옥외사용 가능 ⑶ 공기압축기 등의 부대설비 필요
⑷ 압축공기가 화재촉진 우려
설계 및 시공 45

③ 일제 살수식 (개방형 스프링클러)

장점 단점
⑴ 대형화재 급속한 화재에 적용 ⑴ 별도의 화재감지장치 필요
⑵ 천정고가 높은 곳에 적용 ⑵ 오동작시에는 엄청남 수손피해
⑶ 동결 우려가 없다 ⑶ 대량 급수설비가 필요하다
④ 준비 동작식

장점 단점
⑴ 동결되는 장소에도 적용가능 ⑴ 별도의 화재감지장치 필요
⑵ 헤드개방 전에 경보발생 ⑵ 일반 헤드는 원칙적으로 상향
⑶ 헤드파손에 의한 수손피해가 없다 으로만 설치해야 한다

·문038· 물분무 소화설비의 배수설비와 물분무헤드 설치제외 장소를 기술하시오

해설⇒ ① 물분무 소화설비의 배수설비


⑴ 물분무 소화설비를 설치하는 차고 주차장 등에는 배수설비를 해야 한다.
⑵ 차량이 주차하는 장소의 적당한 곳에 높이 10 cm 이상의 경계 턱으로 배수
구를 설치해야 한다.
⑶ 배수구에는 새어 나온 기름을 모아 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 40 m 이하마다
집수관, 소화 핏트 등 기름분리장치를 해야 한다.
⑷ 주차장 바닥은 배수구를 향하여 2/100 이상의 기울기를 유지해야 한다.
⑸ 배수설비는 가압송수장치의 최대송수능력의 수량을 유효하게 배수할 수 있
는 크기 및 기울기로 해야 한다.
② 물분무 소화설비의 설치제외 장소
⑴ 물과 심하게 반응하는 물질 또는 물과 반응하여 위험한 물질을 생성하는
물질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⑵ 고온의 물질 및 증류범위가 넓어 끓어 넘치는 위험이 있는 물질을 저장 또
는 취급하는 장소
⑶ 운전시에 표면 온도가 260 °C 이상 되는 등 직접 물을 분무하는 경우 그 부
분에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는 기계장치 등이 있는 장소
46 설계 및 시공

·문039·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저압식과 고압식에 대해 다음 항목을 비교 기술하시오


⑴ 저장압력 ⑵ 충전비 ⑶ 저장용기의 수 ⑷ 노즐 방사압력 ⑸ 저장실 면적

해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저압식과 고압식의 비교

비교항목 저압식 고압식


저장압력 ―18℃에서 21 kg/cm2 상온에서 60 kg/cm2
충전비 1.1~1.4 ℓ/kg 1.5~1.9 ℓ/kg
저장용기 대형저장탱크 1개 설치 여러 개의 압력용기
방사압력 노즐방사압 10.5 kg/cm2 노즐방사압 21 kg/cm2
저장실 면적 고압식보다 작다 저압식보다 크다

·문040·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 대해서 다음 사항을 기술하시오


① 옥외가스 주입구의 설치기준
② 옥외가스 주입구를 설치해야 한 소방대상물
③ 선택밸브 설치기준

해설⇒ ① 옥외가스 주입구의 설치기준


⒜ 옥외가스 주입구는 방호구역별로 설치해야 한다.
⒝ 옥외가스 주입구로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주입배관은 선택밸브 2차측에서
분기하고 그 부근의 점검하기 쉬운 위치에 체크밸브를 설치해야 한다.
⒞ 옥외가스 주입구는 소방자동차의 통행이 쉬운 곳에 노출하여 설치하며, 주
입구가 2 이상인 때에는 이를 같은 장소에 설치해야 한다.
⒟ 옥외가스 주입구 부근에는 방호구역별 안내도를 기재한 표지를 해야 한다.
② 옥외 가스주입구를 설치해야 할 소방대상물
⒜ 공장·창고로서 지정수량 1000배 이상의 특수가연물을 저장·취급하는 장소
⒝ 발전실 변전실 축전지실 통신기기실 전산실로 바닥면적이 900m2이상인 곳
⒞ 승강기 등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로서 주차대수가 50대 이상인 곳.
.③ 선택밸브의 설치기준
하나의 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에 2 이상의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이 있
어 이산화탄소 저장용기를 공용하는 경우에는 선택밸브를 설치해야 한다
⒜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마다 설치할 것.
설계 및 시공 47

⒝ 방호구역 외의 장소에 설치할 것.


⒞ 각 선택밸브에는 그 담당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을 표시할 것.

·문041· 할론 소화설비의 방출시간을 10초 이내로 제한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해설⇒ ⑴ 분해생성물의 발생 억제
할론 1301은 인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독성은 거의 없으나 분해생성
물은 매우 유독하다. 따라서 최단 시간 내에 소화농도에 이르러서 신속히 소
화함으로써 Halo-carbon이 분해되어 발생하는 유독가스의 양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⑵ 배관 내에서의 충분한 유속
배관내에 충분한 유속이 확보되어야 균질한 흐름을 얻을 수가 있다
⑶ 노즐로부터 충분한 Flow Rate
분사노즐로부터 충분한 flow rate 가 확보되어야 분사된 할론가스가 방호공간
내의 공기와 신속히 잘 혼합될 수 있다
⑷ 화재 성장속도와 조기소화
일단 화재가 발행한 후에는 가능한 한 최단시간 내에 소화약제가 투입되어
신속히 소화농도에 이르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방출시간을 제한
한다
⑸ 누설량 감소
누설 틈새가 있는 공간에 Halo-carbon약제가 방출되면 실내공간의 압력이 양
압으로 되어 외부의 압력보다 높아 지므로 약제의 일부가 밖으로 누설된다.
누설되는 약제량은 시간에 비례해서 증가하므로 약제를 신속이 방출해서 소
화를 완료해야 누설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문042· 분말 소화설비의 배관 설치기준과 배관시공시 유의사항을 기술하시오

해설⇒ ① 일반적인 배관 기준
⑴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관은 아연도 배관용 탄소강강관 또는 동등이상
의 강도 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으로 할 것. 다만 축압식 분말 소화
설비에 사용하는 것 중에서 20℃에서 압력이 25~42 kg/cm2인 것은 압력
배관용 탄소강강관 중 이음이 없는 스케줄 40이상의 것 이상
48 설계 및 시공

⑵ 동관을 사용할 때는 최고사용압력의 1.5배 이상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⑶ 밸브류는 개폐위치 또는 개폐방향을 표시한 것을 사용할 것.
⑷ 배관부속 및 밸브는 배관과 동등 이상의 강도와 내식성 내열성이 있는 것
② 배관 설계지침
⑴ 굴곡부(엘보우)를 지난 후에 배관을 분기할 때는 관경의 20배 이상의 거
리를 두고 분기할 것. 이는 그림과 같이 분말약제가 굴곡부분 관경의 20
배 정도를 지나야 밀도가 균일해지기 때문이다. 너무 가까운 곳에서 분기
하면 분기되는 분체의 양이 달라지게 된다

20d
밀도가 낮다
밀도가 높다
d

⑵ 분사헤드를 설치하는 가지배관은 토너먼트 방식으로 할 것. 이는 분말약


제가 헤드 별로 균일하게 하기 위함이다
⑶ T를 사용해서 분기할 때는 양쪽이 대칭이 되도록 할 것

·문043·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경계구역 설정기준을 ⑴ 면적에 의한 경계구역 ⑵ 수직공


간에 대한 경계구역으로 나주어 기술하시오

해설⇒ ① 면적에 의한 경계구역


⑴ 하나의 경계구역은 2개 이상의 건물에 미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⑵ 또한 하나의 경계구역은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다만
500m2이하의 범위 내에서는 2개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다.
⑶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 m2이하로 하고 한 변의 길이는 50 m 이하
로 한다. 다만 당해 소방대상물의 주된 출입구에서 그 내부전체가 훤히
보이는 경우에는 1000 m2이하로 할 수 있다.
⑷ 지하구에 있어서 하나의 경계구역의 길이는 700m이하로 한다.
⑸ 외기에 면하여 상시 개방된 부분이 있는 차고 주차장 창고 등에 있어서는
외기에 면하는 각 부분으로부터 5m의 범위 안에 있는 부분은 경계구역의
설계 및 시공 49

면적에 산입하지 않는다.


⑹ 물분무등 소화설비의 화재감지 장치로 화재감지기를 사용한 경우의 경계
구역은 당해 소화설비의 방사구역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③ 수직공간에 대한 경계구역
⑴ 연감지기를 설치해야 하는 계단, 경사로, 엘리베이터 권상기실, 린넨 슈트,
파이프 닥트 등의 부분에 대해서는 별도로 경계구역을 설정해야 한다.
⑵ 하나의 경계구역은 높이 45m이하로 하고, 지하층의 계단 및 경사로는 별
도로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해야 한다. 또 지하층이 2층 이상인 것에 있어
서는 지상층과 별개의 경계구역으로 해야 한다. 단 지하층이 1층인 경우는
지상층과 합해서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다.
⑶ 층수가 2층 이하인 경우 계단부분에 설치하는 연감지기의 경계구역은 2층
의 거실 등을 포함하여 600 m2이하의 범위에서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다.
⑷ 하나의 건축물에 수평거리 50m이내의 범위 안에 2이상의 계단, 경사로 등
이 있는 경우는 이를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다.

·문044·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감지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소를 6가지 이상 기술


하시오

해설⇒ 감지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소


⑴ 천정 또는 반자의 높이가 20 m 이상인 장소. 다만 행자부장관이 정하여 고시
하는 장소는 제외한다.
⑵ 헛간 등 외부와 기류가 통하는 장소로서 감지기에 의하여 화재발생을 유효하
게 감지할 수 없는 장소
⑶ 부식성가스가 체류하고 있는 장소
⑷ 고온 및 저온으로 감지기의 기능이 정지 되거나 감지기의 유지관리가 어려운
장소
⑸ 목욕실, 변소,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
⑹ 파이프 덕트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2개 층마다 방화 구획된 것이나 수
평단면적이 5 m 2 이하인 것
⑺ 먼지, 가루, 수증기가 다량으로 체류하는 장소 또는 주방 등 평시에 연기가
50 설계 및 시공

발생하는 장소 (연감지기에 한한다.)


⑻ 실내용적이 20 m 3 이하인 장소
⑼ 기타 화재발생의 위험이 적은 장소로서 감지기의 유지관리가 어려운 장소

·문045· 송배전식 감지기 배선을 그림으로 설명하시오

해설⇒ ⑴ 감지기의 송배전식 배선방식은 다음 그림1과 같이 배선하는 것을 말한다


⑵ 그림2와 같이 중간에서 분기하면 그림의 X 표에서 단선되어도 도통시험으로
발견할 수가 없게 된다

·문046· 자동화재 속보설비에 대해 다음 사항을 기술하시오


① 설치기준
② 자동화재 속보설비의 설치 제외가 가능한 경우
③ 자동화재 속보설비의 표시기능

해설⇒ ① 자동화재 속보설비의 설치기준


⑴ 자동화재 탐지설비와 연동으로 작동하여 소방관서에 전달 되도록 할 것.
⑵ 발신기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1.5m이하의 높이에 설치
⑶ 일반전화선에 연결할 때는 일반전화기의 1차측에 결선해야 한다.
설계 및 시공 51

② 자동화재 속보설비의 설치 제외
수신반이 설치된 장소에 상시 통화가 가능한 전화가 가설되어 있고, 감시인이
상주하는 경우에는 자동화재 속보설비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③ 자동화재 속보설비의 표시기능
⑴ 동작시간 표시기능
⑵ 동작횟수 표시기능
⑶ 화재경보 표시기능
⑷ 전화번호 표시기능
⑸ 비상스위치 작동 표시기능

·문047· 피난기구 설치기준을 기술하시오

해설⇒ 피난기구의 설치기준


⑴ 피난기구는 계단, 피난구 기타 피난시설로부터 적당한 거리에 있는 안전한
구조로 된 피난 또는 소화활동상 유효한 개구부에 고정하여 설치하거나 필요
한 때에 신속하고 유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상태에 둘 것.
⑵ 피난기구를 설치하는 개구부는 상하로 동일 직선상이 아닌 위치에 있을 것.
⑶ 소방대상물의 지붕, 바닥, 보 기타 구조상 견고한 부분에 볼트조임, 매입, 용
접 등의 방법으로 견고하게 부착할 것.
⑷ 4층 이상의 층에 피난사다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금속성 고정사다리를 설치
하고 당해 고정사다리에는 쉽게 피난할 수 있는 구조의 노대를 설치할 것.
⑸ 완강기는 하강시 로프가 소방대상물과 접촉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할 것.
⑹ 미끄럼 봉, 완강기 및 피난로프의 길이는 부착위치에서 지면 기타 장착면까
지 충분한 길이로 할 것.
⑺ 미끄럼대는 안전한 강하속도를 유지하도록 할 것.
⑻ 구조대는 피난상 지장이 없고 안전한 강하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것.
⑼ 피난기구를 설치한 장소에는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피난기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발광식 또는 축광식 표지를 부착할 것.

·문048· 송풍기의 ⑴ 정압 ⑵ 동압 ⑶ 전압 ⑷ 동압과 정압의 변화에 대해 설명하시오


52 설계 및 시공

해설⇒ ① 정압
정압은 공기의 흐름에 평행인 표면에 미치는 압력으로 그 표면에 수직인 구멍
을 통해서 측정되며, 전압에서 동압을 뺀 값이다. 즉
PS = PT − PV
정압

흐름방향 동압

② 동압
동압은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생기는 압력이며 전압과 정압의 차로 나타난다.
v2
PV = γ ( γ = 유체의 비중량, v = 유속, g = 9.8 m / sec 2 )
2g
PV = PT − PS

③ 전압
전압은 송풍기에 의해서 증가한 압력의 양으로 송풍기의 토출측과 흡입측의
압력차이다. 즉 전압 PT 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PT = PTO − PTI
PTO = 토출측 전압
PTI = 흡입측 전압
또한 전압은 정압( PS ) 과 동압( PV ) 의 합이다. 즉
PT = PS + PV

④ 동압과 정압의 변화
⑴ 손실이 없다고 가정하면 덕트 내에서의 전압은 어디서나 같으므로 정압과
동압의 합도 항상 같다
PsA PsC
PvA PvC
PsB PvB
⑵ 그림과 같은 관로를 기체가 통과하는 경우
A에서는 유속이 느리므로 동압이 작고 정압이 크다
B에서는 유속이 빨라지므로 동압이 커지고 정압이 작아진다
C에서는 유속이 느려지므로 동압이 작아지고 정압이 커진다
⑶ 즉 C부분에서 유체는 잃었던 정압을 다시 취득하게 되는데 이를 정압 재
취득 이라고 한다. 이때 정압재취득의 양은
ΔPs = PsC - PsB = PvC – PvB
설계 및 시공 53

⑷ B→C 구간에서의 덕트 저항손실을 PAB 라 하면 실제로 재취득 한 정압은


ΔPs = PsC - PsB― PAB

·문049· 송풍기 선정시 고려사항을 기술하시오

해설⇒ ① 송풍기의 전압
송풍기는 덕트와 조합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덕트계의 전 저항손실에 상당하
는 값에 적합한 전압의 송풍기를 선정해야 한다. 이 값에 큰 차이가 있으면
소정의 풍량이 흐르지 않거나 풍량이 과대해지거나 한다.
② 송풍기 풍량
덕트계의 저항은 공기가 흐르는 속도의 2승에 비례하는데, 단면이 정해진 덕
트계에서 유속은 풍량에 비례하므로 결국 저항은 풍량의 2승에 비례한다. 송
풍기는 펌프와 마찬가지로 송풍기의 특성곡선과 덕트계의 저항곡선과의 교점
에서 운전된다.
③ 송풍기 회전수
송풍기도 펌프와 같이, 동일 송풍기에서 이송하는 공기의 온도와 비중량이 일
정할 때 회전수를 변화시키면 풍량, 전압, 동력은 각각 회전수의 1승, 2승, 3승
에 비례해서 변화한다.
④ 송풍기 효율
송풍기 효율은 대략 다음과 같다
Sirocco Fan: 40~60%
Turbo Fan: 60~80%
Axial Fan: 40~85%
⑤ 송풍기 동력
송풍기의 소요동력은 다음식으로 계산한다

PkW =
PT Q

(1+α ) kW
6120 × η f ηt

·문050· 거실제연에서 제연전용설비를 사용하는 경우 ⑴ 1실 단독제연방식 ⑵ 인접구역


상호제연방식 ⑶ 통로배출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
54 설계 및 시공

해설⇒ ⑴ 1실 단독제연방식
화재실에만 급기하고 배기하는 방법이다
A구역 화재시에는 MD1과 MD4 를 열고 MD2와 MD3 를 닫는다
B구역 화재시에는 MD2와 MD3 를 열고 MD1과 MD4 를 닫는다

이 방식은 급기구가 화점 가까이 있을 때는 연소를 촉진할 우려가 있고 또한


실내 기류가 난기류가 되어 청결층과 연기층을 뒤섞어 버릴 우려가 있다
⒝ 인접구역 상호 제연방식
급기는 인접구역에서 하고 배기는 화재실에서 하는 방식이다
A구역 화재시에는 MD2과 MD4 를 열고 MD1와 MD3 를 닫는다
B구역 화재시에는 MD1와 MD3 를 열고 MD2과 MD4 를 닫는다
⒞ 통로 배출방식
각각의 거실이 50m2 미만으로 구획되어 통로에 면한 경우에 급기는 하지 않
고 통로에서 배연만 해서 화재실로부터 통로로 유입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함
으로써 통로를 피난경로로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는 방식이다. 단, 경유
거실이 있을 때는 경유거실에서 직접 배출해야 한다

통로배출
경유거실

직접배출
설계 및 시공 55

·문051· 소화용수 설비에 대해 다음을 설명하시오


① 상수도 소화용수 설비 설치대상
② 상수도 소화용수 설비의 설치면제 대상
③ 소화수조 설치대상
④ 소화수저 또는 저수조의 설치면제 대상

해설⇒ ① 상수도 소화용수 설비 설치대상


⑴ 연면적 5000 m 2 이상의 소방 대상물
⑵ 가스시설로서 지상에 노출된 탱크의 용량합계가 100톤 이상인 곳
② 상수도 소화용수 설비의 설치면제
상수도 소화용수설비를 설치해야 할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수평거리
140m 이내에 공공의 소방을 위한 소화전이 있는 경우에는 설치가 면제된다
③ 소화수조 설치대상
상수도 소화용수 설비를 설치해야 할 소방대상물의 대지경계선으로부터 180m
이내에 75mm 이상의 상수도관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지역에서는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로 해야 한다
④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의 설치면제
소화수조를 설치해야 할 소방대상물에 유수의 양이 800 lpm 이상인 유수를
사용할 수 있는 때는 소화수조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