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수능특강 한문Ⅰ By 말랑숭이

01강 성어 1

집중탐구 1

1. 落點
낙점(떨어질 낙(락), 점 점)
점을 떨어뜨리다(찍다). 여러 후보가 있을 때 그중에 마땅한 대상을 고름.

2. 斷腸
단장(끊을 단, 창자 장)
창자가 끊어지다. 몹시 슬퍼서 창자가 끊어지는 듯함.

3. 鼻祖
비조(코 비, 할아버지 조)
첫 조상. 어떤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처음으로 연 사람≒始祖(비로소 시, 할아버지 조)

4. 茶飯事
다반사(차 다, 밥 반, 일 사)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일. 보통 있는 예사로운 일

5. 似而非
사이비(닮을 사, 말 이을 이, 아닐 비)
비슷하나 아니다. 겉으로는 비슷하나 속은 완전히 다름.

6. 刻骨難忘
각골난망(새길 각, 뼈 골, 어려울 난, 잊을 망)
뼈에 새겨져 잊기가 어렵다. 남에게 입은 은혜가 뼈에 새길 만큼 커서 잊히지 아니함.

7. 開卷有益
개권유익(열 개, 책 권, 있을 유, 더할 익)
책을 펼치면(읽으면) 이익이 있다. 책을 읽는 것을 권장함.

8. 見金如石
견금여석(볼 견, 쇠 금, 같을 여, 돌 석)
황금을 돌처럼 보다. 지나친 욕심을 절제함.

-1-
수능특강 한문Ⅰ By 말랑숭이

9. 見物生心
견물생심(볼 견, 물건 물, 날 생, 마음 심)
물건을 보면 (갖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어떠한 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10. 見善如渴
견선여갈(볼 견, 착할 선, 같을 여, 목마를 갈)
착한 일을 보기를 목마른 것같이 한다. 착한 일을 권장함.

11. 結者解之
결자해지(맺을 결, 놈 자, 풀 해, 갈 지)
맺은 사람이 그것을 풀어야 한다. 자기가 저지른 일은 자기가 해결하여야 함.

12. 鷄卵有骨
계란유골(닭 계, 알 란(난), 있을 유, 뼈 골)
달걀이 곯아 있다. 운수가 나쁜 사람은 모처럼 좋은 기회를 만나도 역시 일이 잘 안됨. * 有骨: 곯아 있다.
‘骨(골)’은 우리말의 ‘곯’과 음이 비슷하여 그 음을 빌려 적은 것임
(황희 정승이 매우 가난하여 세종대왕이 하루 동안 남대문을 통해 들어오는 진상품을 모두 황희에게 주
도록 하였다. 그러나 때마침 그날 비가 와서 진상품이 하나도 없었으며 결국 계란 한 판을 받게 되었다.
그런데 그 계란도 곯아서 먹을 수 없었다는 데서 유래함.)

집중탐구 2

1. 苦盡甘來
고진감래(쓸 고, 다할 진, 달 감, 올 래(내))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옴.

2. 過恭非禮
과공비례(지날 과, 공손할 공, 아닐 비, 예도 례(예))
지나친 공손은 예가 아니다. 공손함도 도가 지나치면 오히려 예의에 벗어남.

3. 矯角殺牛
교각살우(바로잡을 교, 뿔 각, 죽일 살, 소 우)
뿔을 바로잡으려다가 소를 죽이다. 잘못된 점을 고치려다가 그 방법이나 정도가 지나쳐 오히려 일을 그
르침.

-2-
수능특강 한문Ⅰ By 말랑숭이

4. 巧言令色
교언영색(공교할 교, 말씀 언, 하여금 령(영), 빛 색)
듣기 좋은 말과 보기 좋게 꾸민 얼굴빛. 알랑거리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

5. 權不十年
권불십년(저울추 권, 아닐 부(불), 열 십, 해 년(연))
권세는 십 년을 가지 못한다. 아무리 높은 권세라도 오래가지 못함.

6. 近墨者黑
근묵자흑(가까울 근, 먹 묵, 놈 자, 검을 흑)
먹을 가까이하는 사람은 검어진다. 나쁜 사람과 가까이 지내면 나쁜 버릇에 물들기 쉬움.

7. 錦衣夜行
금의야행(비단 금, 옷 의, 밤 야, 다닐 행)
비단옷을 입고 밤에 다닌다. 자랑삼아 하지 않으면 생색이 나지 않음. 또는 아무런 보람이 없는 일을 함.
(진(秦)나라의 도읍을 차지한 항우가 “부귀해졌는데도 고향에 돌아가지 않는 것은 비단옷을 입고 밤에 길
을 가는 것과 같아. 누가 이것을 알아주겠는가?”라고 한 데서 유래함.)

8. 多多益善
다다익선(많을 다, 더할 익, 착할 선)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은. * 益: 더욱 * 善: 좋다

9. 大器晩成
대기만성(클 대, 그릇 기, 늦을 만, 이룰 성)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짐.

10. 燈火可親
등화가친(등 등, 불 화, 옳을 가, 친할 친)
등불을 가까이할 만하다. 서늘한 가을밤은 등불을 가까이 하여 글 읽기에 좋음.

11. 莫逆之友
막역지우(없을 막, 거스를 역, 갈 지, 벗 우)
(서로) 거스름이 없는 친구. 허물이 없이 아주 친한 친구

12. 孟母斷機
-3-
수능특강 한문Ⅰ By 말랑숭이

맹모단기(맏 맹, 어머니 모, 끊을 단, 틀 기)
맹자의 어머니가 베틀의 베를 자르다. 학문을 중도에 그만두면 안 된다는 경계

집중탐구 3

1. 門前成市
문전성시(문 문, 앞 전, 이룰 성, 저자 시)
문 앞이 시장을 이루다.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 집 문 앞이 시장을 이루다시피 함.

2. 拔本塞源
발본색원(뽑을 발, 근본 본, 변방 새(막힐 색), 근원 원)
뿌리를 뽑고 근원을 막다. 좋지 않은 일의 근본 원인이 되는 요소를 완전히 없애 버려서 다시는 그러한
일이 생길 수 없도록 함.

3. 發憤忘食
발분망식(필 발, 분할 분, 잊을 망, 밥 식)
분발하여 먹는 것을 잊다. 끼니까지도 잊을 정도로 어떤 일에 열중하여 노력함.

4. 覆車之戒
복거지계(다시 복, 수레 차, 갈 지, 경계할 계)
엎어진 수레의 경계. 남의 실패를 거울삼아 자기를 경계함.

5. 不遠千里
불원천리(아닐 부(불), 멀 원, 일천 천, 마을 리(이))
천 리 길을 멀다고 여기지 않는다. 아무리 먼 길이라도 기쁘게 여겨 달려감.

6. 不恥下問
불치하문(아닐 부(불), 부끄러울 치, 아래 하, 물을 문)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다. 손아랫사람이나 지위나 학식이 자기만 못한 사람에게 모르
는 것을 묻는 일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함.

7. 事必歸正
사필귀정(일 사, 반드시 필, 돌아갈 귀, 바를 정)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 데로 돌아간다.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길로 돌아감.

-4-
수능특강 한문Ⅰ By 말랑숭이

8. 愛之重之
애지중지(사랑 애, 갈 지, 무거울 중)
사랑하고 소중히 여기다. 매우 사랑하고 소중히 여기는 모양

9. 言飛千里
언비천리(말씀 언, 날 비, 일천 천, 마을 리(이))
말이 천 리를 날아간다. 말이 몹시 빠르고도 멀리 전하여 퍼짐.

10. 言中有骨
언중유골(말씀 언, 가운데 중, 있을 유, 뼈 골)
말 속에 뼈가 있다. 예사로운 말 속에 단단한 속뜻이 들어 있음.

11. 炎凉世態
염량세태(불꽃 염, 서늘할 량(양), 인간 세, 모습 태)
뜨거워졌다가 차가워지는 세태. 세력이 있을 때는 아첨하여 따르고 세력이 없어지면 푸대접하는 세상인

12. 五里霧中
오리무중(다섯 오, 마을 리(이), 안개 무, 가운데 중)
오 리나 되는 짙은 안개 속에 있다. 무슨 일에 대하여 방향이나 갈피를 잡을 수 없음.

집중탐구 4

1. 吾鼻三尺
오비삼척(나 오, 코 비, 석 삼, 자 척)
내 코가 석 자. 자기 사정이 급하여 남을 돌볼 겨를이 없음.

2. 龍頭蛇尾
용두사미(용 룡(용), 머리 두, 긴 뱀 사, 꼬리 미)
용의 머리에 뱀의 꼬리. 처음은 왕성하나 끝이 부진함.

3. 牛耳讀經
우이독경(소 우, 귀 이, 읽을 독, 지날 경)
쇠귀에 경 읽기.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

-5-
수능특강 한문Ⅰ By 말랑숭이

4. 自强不息
자강불식(스스로 자, 강할 강, 아닐 부(불), 쉴 식)
스스로 힘써 쉬지 아니하다. 스스로 힘써 몸과 마음을 가다듬어 쉬지 아니함.

5. 進退兩難
진퇴양난(나아갈 진, 물러날 퇴, 두 량(양), 어려울 난)
나아가기도 물러나기도 둘 다 어렵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어려운 처지

6. 初志一貫
초지일관(처음 초, 뜻 지, 한 일, 꿸 관)
처음 품은 뜻을 한결같이 꿰뚫다. 처음에 세운 뜻을 끝까지 밀고 나감.

7. 推己及人
추기급인(밀 추, 몸 기, 미칠 급, 사람 인)
자기를 미루어 남에게 미친다. 자기의 처지에 비추어 다른 사람의 형편을 헤아림.

8. 風樹之嘆
풍수지탄(바람 풍, 나무 수, 갈 지, 탄식할 탄)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의 탄식.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
(『한시외전』에 ‘나무가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자식이 봉양하려 하나 어버이가 기다려 주
지 않는다.’고 하여 돌아가신 어버이를 생각하는 마음을 나타낸 데서 유래함.)

9. 下石上臺
하석상대(아래 하, 돌 석, 윗 상, 대 대)
아랫돌로 윗대를 받친다. 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둘러맞춤.

10. 螢雪之功
형설지공(반딧불이 형, 눈 설, 갈 지, 공 공)
반딧불이와 눈의 공. 고생을 하면서 부지런하고 꾸준하게 공부하는 자세
(진(晉)나라 차윤이 반딧불을 모아 그 불빛으로 글을 읽고, 손강이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에 비추어
글을 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함.)

11. 昏定晨省
혼정신성(어두울 혼, 정할 정, 새벽 신, 살필 성)
저녁에는 (부모님의 잠자리를) 정해 드리고, 새벽에는 (안부를) 살핀다. 부모를 잘 섬기고 효성을 다함.

-6-
수능특강 한문Ⅰ By 말랑숭이

12. 後生可畏
후생가외(뒤 후, 날 생, 옳을 가, 두려워할 외)
젊은 후학들을 두려워할 만하다. 후진들이 선배들보다 젊고 기력이 좋다, 학문을 닦음에 따라 큰 인물이
될 수 있으므로 가히 두려움.

-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