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5

석사학위논문

슈만「시인의 사랑 Op.48」분석 연구
-제 1곡, 7곡, 16곡을 중심으로-

An Analytic Study on the「Dichterliebe Op.48」


by Robert Schumann
-Focussed on the No.1, No.7, No.16-

제 출 자 : 김 성 남
지도교수 : 이 동 훈

2007

음 악 학 과
피아노반주 전공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슈만「시인의 사랑 Op.48」분석 연구
-제 1곡, 7곡, 16곡을 중심으로-

An Analytic Study on the「Dichterliebe Op.48」


by Robert Schumann
-Focussed on the No.1, No.7, No.16-

제 출 자 : 김 성 남
지도교수 : 이 동 훈

2007

음 악 학 과
피아노반주 전공
단국대학교 대학원
슈만「시인의 사랑 Op.48」분석 연구
-제 1곡, 7곡, 16곡을 중심으로-

An Analytic Study on the「Dichterliebe Op.48」


by Robert Schumann
-Focussed on the No.1, No.7, No.16-

이 논문을 석사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07. .

단국대학교 대학원
음 악 학 과
피아노반주 전공

김 성 남
김성남의 석사학위 논문을
( )으로 판정함

심사일 : 2007. .

심사위원장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국문요약)

슈만「시인의 사랑 Op.48」분석 연구
-제 1곡, 7곡, 16곡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피아노반주 전공 김 성 남
지 도 교 수 : 이 동 훈

슈만(Robert Schumann : 1810-1856)은 독일 낭만주의 음

악의 대표적인 작곡가로서 슈베르트(Franz Schubert :

1797-1828)의 독일의 예술 가곡 형식을 한층 더 완벽하게 구

축시킨 작곡가이다.

「시인의 사랑(Dichterliebe) Op.48」은 하이네(Heinrich

Heine : 1797-1856)의 시를 가사로 하여 슈만이 작곡한 16곡

으로 되어있는 연가곡으로서, 가사의 내용에 의해 제 1-6곡까

지는 ‘사랑의 기쁨’을 노래하고, 제 7-14곡까지는 ‘실연의 아

픔’, 그리고 마지막 두 곡은 ‘인생의 허망함’을 묘사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사랑의 기쁨’으로 노래가 시작되는 제 1곡과

‘실연의 아픔’을 비통하게 표현한 제 7곡, 그리고 마지막 곡인

- i -
제 16곡만을 분석하였다.

먼저,「시인의 사랑(Dichterliebe) Op.48」을 분석하기에 앞

서 이론적 배경으로 슈만 가곡의 특징과 하이네 시에 의해 작곡

을 하게 된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론에서는 제 1곡. Im Wunderschönen Monat Mai(아름다

운 5월에), 제 7곡. Ich grolle nicht(나 울지 않으리), 제 16곡.

Die alten, bösen Lieder(옛날의 불길한 노래)의 가사 내용과

형식 및 구조, 조성 및 화성 특징, 시와 음악의 관계와 반주의

특징 등을 살펴보았는데, 그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 유절가곡 형식으로 작곡되어졌고, 시의 감정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피아노 반주 부분에 특징을 두었다.

그리고 색채적인 화성과 빈번한 전조와 다이나믹을 사용하여 시

인의 설레임, 흥분, 좌절 등의 감정을 표현하였다.

슈만은 피아노 반주의 독창성을 강조하여 선율을 돕고 있는

반주의 개념이 아닌, 선율과 대등하는 반주를 붙임으로써 시의

내용과 분위기를 좀 더 강하게 표현하였으며 시에 대한 깊이를

풍부하게 나타내고 있다. 선율과 반주를 대등한 위치에 두려는

시도는 슈만의 시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라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근거로 슈만 가곡의 특징과 작곡 의도를 이해하고

연주하게 되면 더욱 좋은 연주가 되리라 생각된다.

- ii -
목 차

국문요약 ⅰ
목 차 ⅲ
악보목차 ⅴ
표 목 차 ⅶ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2

Ⅱ. 이론적 배경 4

1. 슈만 가곡의 일반적 특징 4
2. 슈만 가곡의 피아노 반주의 특징 6
3. 시인 하이네의 생애 8
4.「시인의 사랑 Op.48」작곡 배경 9

Ⅲ.「시인의 사랑 Op.48」의 작품 분석 12

1. <제 1곡> Im Wunderschönen Monat Mai 12


(아름다운 5월에)

(1) 악곡 해설 및 가사 내용 12
(2) 형식 및 구조 13
(3) 조성 및 화성의 특징 13
(4) 시와 음악의 관계 16
(5) 피아노 반주시 유의점 18
(6) 제 1곡의 분석 요약 20

- iii -
2. <제 7곡> Ich grolle nicht(나 울지 않으리) 21

(1) 악곡 해설 및 가사 내용 21
(2) 형식 및 구조 22
(3) 조성 및 화성의 특징 23
(4) 시와 음악의 관계 25
(5) 피아노 반주시 유의점 27
(6) 제 7곡의 분석 요약 30

3. <제 16곡> Die alten, bösen Lieder


(옛날의 불길한 노래) 31

(1) 악곡 해설 및 가사 내용 31
(2) 형식 및 구조 32
(3) 조성 및 화성의 특징 33
(4) 시와 음악의 관계 35
(5) 피아노 반주시 유의점 40
(6) 제 16곡의 분석 요약 44

Ⅳ. 결론 46

참고문헌 49

Abstract 52

- iv -
악보 목차

*제 1곡

<악보1> 모호한 조성의 전주부분 (마디1-3) 14

<악보2> 마디9-12와 마디20-23의 화성과


조성 진행 (마디7-12, 마디20-23) 15

<악보3> 마디26의 종지 (마디23-26) 16

<악보4> 성부 선율의 전위된 리듬형태 (마디1-6) 17

*제 7곡

<악보5> 마디9의 부속7화음과 마디11의 부감7화음


(마디9-12) 24

<악보6> 마디3과 마디21의 변성화음


(마디1-3, 마디19-21) 24

<악보7> bass 하행의 절망적인 표현 (마디1-8) 25

<악보8> 최고음을 통한 감정 표출 (마디27-28) 26

<악보9> 후주 ƒ의 강한 표현 (마디32-36) 27

<악보10> ‘Ich grolle nicht’의 악상 비교


(마디1-2, 마디29-31) 28

<악보11> 마디13-18의 악상과 표현 (마디13-18) 29

*제 16곡

<악보12> 부감7화음의 사용 (마디12-15) 34

- v -
<악보13> 부속7화음의 연속과 선율 순차진행
(마디48-52) 34

<악보14> 장2도 위의 동형진행


(마디16-19, 마디24-27) 35

<악보15> 완전 4도, 완전 5도의 음정


(마디4-5, 8-9) 36

<악보16> ƒƒ를 통한 의지의 표현 (마디1-4) 37

<악보17> 장7도의 도약선율 (마디40-43) 38

<악보18> 긴 후주의 아름다운 시적 표현


(마디53-67) 39

<악보19> 무겁고 어두운 sƒ의 감7화음 (마디39) 40

<악보20> 코랄 형식의 반주 (마디36-43) 41

<악보21> 노래와 반주의 일치되는 악상


(마디44-47) 42

- vi -
표 목 차

<표1> 제 1곡의 형식 및 조성 13

<표2> 제 1곡의 분석 요약 20

<표3> 제 7곡의 형식 및 조성 23

<표4> 제 7곡의 분석 요약 30

<표5> 제 16곡의 형식 및 조성 33

<표6> 제 16곡의 분석 요약 44

- vii -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슈만(Robert Schumann : 1810-1856)은 독일 낭만주의 음

악의 대표적인 작곡가로서 피아노곡, 가곡, 실내악곡, 교향곡,

협주곡, 합창곡 등 음악의 여러 장르에 걸쳐 명작을 남겼으며,

작곡가로서 뿐만 아니라 문학가로서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이러한 슈만의 재능은 당시의 독일 음악계를 주도해 나갔으며

슈베르트가 개척한 시와 음악의 조화를 더욱 완벽하게 구사시켜

독일 낭만가곡을 한층 더 높은 예술의 경지로 승화시켰다.

슈만은 낭만파 서정 시인들의 시를 택하여 시의 운율과 내용

을 가장 조화롭게 하는 가곡을 작곡하려고 노력하였으며, 피아

노 반주도 성악선율을 단순히 보완하는 것에서 벗어나 시의 내

용을 보강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슈만의 가곡은 성악과 피아노가 동등하게 어울리는 이중주라

는 점을 특징으로 하며 때로는 피아노가 더 강조되기도 하는데

이는 슈만 자신이 피아니스트였다는 사실이 반영된 것이라 볼

수 있다.

반주는 음악 전체 구조의 토대역할을 한다는 의미에서 연주자

와의 진정한 협력관계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더 나아가서

좋은 앙상블을 위해 반주자 스스로 자신의 음악을 만들어 나갈

- 1 -
수 있어야 하며, 함께 하는 연주자와의 이해를 통해 융화와 조

화의 극치를 이루도록 하는 노력과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슈만의 연가곡 중 3곡을 골라 형식 및 구조,

조성 및 화성의 특징, 시와 음악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를 토

대로 피아노가 얼마만큼 주도적으로 시의 내용과 음악을 조화시

켰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연주자가 이 작품을 실제 연주함에

있어서 단순히 기능면에 치우치지 않고 그의 음악 세계를 깊이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이 논문에서는 슈만의 작품 중 널리 알려져 있는「시인의 사

랑(Dichterliebe) Op.48」의 제 1곡. Im Wunderschöen

Monat Mai(아름다운 5월에), 제 7곡. Ich grolle nicht(나 울지

않으리), 제 16곡. Die alten, bösen Lieder(옛날의 불길한 노


래)의 3곡을 택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슈만 가곡의 특징과 하이네 시에 의해 작곡을 하게 된

배경 등을 살펴보고, 작품분석에서는 시의 내용과 형식 및 구

조, 조성 및 화성 특징, 시와 음악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

실제 연주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성악부와 반주부의 해석상의 유

- 2 -
의점들을 함께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 쓰인 악보는 세광음악출판사에서 출간한

Schumann 연가곡집 Dichterliebe(고성용)이다.

- 3 -
Ⅱ. 이론적 배경

1. 슈만 가곡의 일반적 특징

슈만(Robert Schumann : 1810-1856)은 독일 낭만주의 음

악의 대표적인 작곡가로서 슈베르트(Franz Schubert :

1797-1828) 의 독일 예술 가곡 형식을 한층 더 완벽하게 구축

시킨 작곡가이다.

슈만은 슈베르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그와 다른 점

은 슈베르트의 가곡은 고전파의 형식이 일정하게 사용되었지만,

슈만의 가곡은 엄격한 고전파 형식을 탈피하여 좀 더 자유롭다

는 것이다.

슈베르트가 시를 노래했다면 슈만은 시로 이야기한다고 말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슈만은 낭만주의 감정의 윤곽이나 외면

보다는 그 내면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슈만은 1840년 이전에는 대부분 피아노곡들을 작곡하였으나

1840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가곡을 작곡하기 시작하였다.

1840년에 140여개의 가곡이나 작곡하여 이 해를 그의 ‘리트의

해’라고 불리운다.

슈만이 가곡 작곡에 전념하게 된 이유는 클라라를 향한 사랑

의 정열과 심정을 시와 음악에 나타내고 싶었기 때문일 것이다.

슈만에게 있어 문학, 특히 시는 그의 음악을 표현하는 중요한

- 4 -
도구 중 하나였다. 그는 어려서부터 아버지의 영향으로 많은 문

학 작품들을 접하였던 것이 예술가로서의 자질을 갖게 하였다.

그는 단어의 강약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시의 억양이 음악의

리듬과 강약에 일치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시

의 표면적인 뜻 뿐 아니라 내적인 숨은 뜻에 알맞은 음악적인

표현을 찾기 위해 노래와 피아노, 시와 음악을 동등하게 엮어나

갔다.

슈만의 가곡은 시의 구조에 따라 형식이 어느 정도 결정된다.

즉, ‘같은 음형으로 각 연을 연주하는 유절 가곡 형식(strophic

form)과 시의 개념이나 분위기 변화에 따라 각각의 연에 대해

붙이는 통작 가곡 형식(through-composed form)등을 사용하

였다.’1)
그는 물론 단순하고 민요적인 가사의 대부분에 유절가곡 형식

을 적용하고 있지만, 또 ‘심리적이고 내용이 복잡한 시에도 유

절가곡 형식을 쓰고 있다.’2)

슈만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특징 중 또 하나는 작품 경향이 대

체로 몽상적이고 내성적이라는 점이다. 이것은 그가 한창 민감

한 나이인 16세 때 하나 뿐인 누나 에밀리와 그의 아버지의 잇


단 죽음으로 인한 것으로 보여진다.

슈만은 음악의 속도나 느낌에 관한 용어를 독일어로 쓴 최초

의 사람이기도 하다. 이는 낭만주의의 불가분적 요소인 민족주

1) 세광 음악 출판사 편집국, 「서양음악사」 (서울: 세광 음악 출판사, 1987), p. 177


2) 동화 출판사 편집국, 「세계의 명가곡 전집」 (서울: 동화 출판사, 1987), p. 25

- 5 -
의적 경향으로 인한 것이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슈만은 새로운 방향에서 가곡에 접근

을 시도한 작곡가이며, ‘낭만시대 예술가곡의 표현의 발상을 대

두시키는데 중요한 요건이 된 선율과 색채적 표현은 그의 수준

높은 지성에 따른 예술성을 부각하고 있다 하겠다.’3)

2. 슈만 가곡의 피아노 반주의 특징

슈만은 성악 성부와 피아노 반주부를 분리시켜 각각의 특징을

살리면서도 성악 성부와 교차되는 반주 부분에서는 조화를 이루

어 슈만의 개성적인 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그의 피아노 반주는 분위기와 시의 표현에 많은 비중을 두어,

신비적이고 화성이 모호하게 진행됨으로 인해 느껴지는 몽상적

인 성악 성부와 반주부가 서로 대화 형식의 진행을 이루고 있

다. 그래서 어떤 때에는 피아노곡에 성악성부가 얹혀 있는 곡으

로 착각이 들 정도로 피아노 역할이 중요시 되고 있다. 또, 성

악성부에 미처 표현하지 못한 부분을 반주부의 후주 부분에서


마무리하고 있는 곡도 많다.

슈만의 가곡 속의 전주와 간주, 그리고 후주에서 보다 확장된

모습을 보이며 피아노 작곡가로서의 대가다운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3) C.Roatand, 삼호출판사 역, 「독일음악」 (서울: 삼호출판사, 1986), p. 137

- 6 -
슈만은 성악과 피아노의 이중주로 표현될 만큼 가곡에서의 피

아노 반주를 ‘반주’로서가 아닌 ‘연주’로서 인식하게 하며, 때로

는 ‘피아노 독주곡을 듣고 있는 착각을 일으킬 정도로 반주를

독립시키기도 한다.’4)

그의 음악의 화성은 그 어휘가 확대되어 나타나는 반음계적

진행, 변화화음, 비화성음의 자유로운 사용, 이명동음의 사용으

로 인한 조성의 불명확함과 모호성으로 낭만주의적 분위기를 묘

사하였다.

Philipp Sipitta 박사는 그의 저서에서 ‘슈베르트와 멘델스존

(F. Mendelssohn : 1809-1847)에게 있어서 가곡에서의 피아

노는 때로 독립적일 수 있지만 반주라는 말이 극히 어울리는 것

같다고 한 반면 슈만에게는 이 말이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5)


피아노부와 성악부에 대해서 평등을 주장했기 때문이다.

슈만은 반주를 선율과 함께 동등한 위치에 올려놓음으로써 성

악과 피아노의 이중주를 실현시킨 작곡가이다. 그러므로 슈만

가곡은 반주부분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올바른 해석에 의한 연주

를 할 수 없다 하겠다.

4) Loy Wilkinson, 「Heritage of music(음악의 유산) Vol.5」 (서울:중앙일보사, 1996),


p. 185
5) Henry Theopilus Finck, 국민음악연구회 역, 「가곡의 역사와 작곡가」
(서울:국민음악연구회, 1976), p. 111

- 7 -
3. 시인 하이네의 생애

하이네(Heinrich Heine : 1797-1856)는 강렬한 색채를 지닌

세계주의자였으며 19세기 전반에 7월 혁명, 2월 혁명과 같은

어려운 시국 속에서 독일의 비참함을 극복하기 위해 싸운 애국

시인이기도 했다. ‘그는 자신 속의 모순을 항상 의식하고 비판

함으로써 진실만을 추구했다. 그의 서정성의 아름다움과 비판의

날카로움은 유례를 찾아볼 수 없었으며, 시와 산문으로 보수적

인 속물을 풍자하고 위선자를 공격하면서 진실된 인간성을 옹호

하였다.’6) 그는 ‘자신의 정치 ․ 사회적 견해를 밝히면서 공산주


의에 대한 어쩔 수 없는 수용과 감출 수 없는 불안을 글로 기술

하였지만 일정한 거리를 가졌고, 계속적으로 자유와 사회적 권

리에 대해 주시하였다.’7)

하이네는 1816년 숙부 집에 머무르며 사촌인 테레제를 연모

하였지만 결국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그 실연의 소통을

<Lyrischen Intermezzo(서정적 간주곡)> 등의 작품으로 남겼

다.

1846년에 병이 악화되어 1848년에는 마침내 쓰러지게 되고


이후 8년 동안 무덤 같은 병상의 생활을 하게 된다. 전신마비로

겨우 손만을 움직일 수 있을 뿐이었지만, 그 어느 때보다도 이

시기에 그의 생애에서 가장 높은 평가받는 작품들을 창작하였

6) 강두식 역, 「Heine 시집」 (서울:정음사, 1973), p. 175


7) 김연순, 「도이치 시 문학의 어제와 오늘」 (서울:사계절, 1993), p. 91

- 8 -
다.

‘1886년에 출판된 샬리에의 가곡 목록은 하이네의 시에 의한

것을 3,000곡 이상 포함하고 있다.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 1749-1832)가 그 다음으로 1,700곡, 다른 서정 시인

들은 훨씬 적다. 하이네의 개성이 충만한 시 가운데 “Du bist

wie eine Blume(그대는 꽃과 같이)”는 그 당시 여러 작곡가에

의하여 가곡으로 만들어진 것이 무려 160곡, “Ich hab' im

traum geweinet(나는 꿈 속에서 울었네)”에 붙여진 곡은 83곡,

“Ein Fichtenbaum steht einsam(전나무는 쓸쓸히 서 있네)”는

76곡, “Ich kann's nicht fassen(나는 이해할 수 없어요)”는 37

편이 있다. 슈베르트가 더 오래 살았다면 슈만과 마찬가지로 하

이네의 시를 애용하였을 것이다.’8)


1856년 척추결핵으로 투병생활을 하다가 삶을 마감하고, 그

는 오늘날 우리에게 시인이자 산문작가이며 비평가로 남게 되었

다.

4.「시인의 사랑 Op.48」작곡 배경

슈베르트(1797-1828)가 18세기 말의 괴테와 실러(Johann

Christoph Friedrich von Schiller : 1759-1805)나 초기 낭만

파 작가인 18세기 초 ․ 중기의 클롭슈토크(Friedrich Gottlieb

8) Henry T. Finck, 「가곡의 역사와 작곡가」(서울:삼호,1988), p. 99

- 9 -
Klopstock : 1724-1803), 슐레겔 형제(August Wilhelm von

Schlegel : 1767-1845, Friedrich von Schlegel :

1772-1829) 등의 시로 많은 가곡을 작곡한 데 반하여, 슈만은

하이네, 아이헨도르프(Joseph Freiherr von Eichendorff :

1788-1857), 뤼케르트(Friedrich Rückert : 1788-1866), 가이

벨(Emanuel von Geibel : 1815-1844), 레나우(Nikolaus

Lenau : 1802-1850), 샤미소(Adelbert von Chamisso :

1781-1838) 등 19세기에 속한 시인들의 시에 주로 음악을 만

들었다.

물론 슈베르트가 뮐러(Müller : 1774-1827), 하이네 등의 젊

은 시인들의 시에 의하여 작곡한 가곡도 상당수 있으나, 가곡

작품의 연대적인 비중에 의한다면 슈베르트는 다분히 시에 있어

서 18세기에 큰 비중을 두고, 슈만은 19세기에 비중을 두고 있

다.

슈만은 클라라와 열정적인 사랑을 체험하고 많은 가곡을 썼으

며 또한 가곡을 통하여 미묘한 인간감정을 묘사했다. 이렇듯 인

간의 깊은 내면 감정을 노래로 발출시킨 슈만의 가곡은 독일 가

곡 역사에서 한 획을 그을 수 있을 만큼 크다고 볼 수 있다.

슈만의 가곡 「시인의 사랑 Op.48」은 하이네의 시 중 두 번

째로 긴 시인 <Gedichte von Heinich Heine, 20 Lieder und

Gesang aus dem Lyrischen Intermezzo(서정적 간주곡)>에서

가사를 취하였다.

이 곡은 슈만이 30세이던 1840년에 작곡되었는데, 이 해는

- 10 -
클라라와의 오랜 연애 기간 동안의 사랑을 극복하고 결혼한 해

이기도 하다. 1840년 5월 24일에 작곡을 시작하여 일주일 후에

완성되었다.

하이네는 그의 삼촌 딸과의 사랑에 실패한 쓰라린 경험이 있

는데 그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심경을 이 <Lyrischen

Intermezzo(서정적 간주곡)>에 담았다. 슈만 역시 클라라와의

5년간에 걸친 어려운 사랑의 체험을 통해 체감한 사랑의 아픔

이 있었기에 이러한 사랑의 체험을 하이네가 시로 나타내 보였

듯이 슈만 또한 노래로서 나타내고 싶었던 것이다. 이 가곡집은

슈만에게 있어서 자서전적이며 사랑의 일기와 같은 것이다. 가

곡은 단편적인 서정시로서 하이네 시집의 65곡 중에서 16곡만

을 취했으며, 일관된 줄거리로 배열된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하

이네 시의 정리된 순서를 따랐다.

이 작품은 모두 16곡으로 이루어졌는데 제 1-6곡까지는 사랑

의 기쁨을 노래하고 제 7-14곡까지는 실연의 아픔, 그리고 마

지막 2곡은 지나간 청춘에 대한 덧없는 향수를 묘사하고 있다.

1844년 라이프찌히 페터스(Peters)사에 의해 출판될 때 초판

에 앞서 4곡이 삭제되었고, 헌정자도 처음에는 멘델스존으로 하

였으나 그 당시 유명한 소프라노인 Wilhelmine Schröder

Devrient로 바꿨다.

- 11 -
Ⅲ.「시인의 사랑 Op.48」의 작품 분석

1. <제 1곡> Im Wunderschönen Monat Mai


(아름다운 5월에)

(1) 악곡 해설 및 가사 내용

Langsam, zart(느리고 부드럽게)로 시작되는 2/4박자의 곡이

다. 이 곡은 16곡 전체의 막을 여는 곡으로 펼쳐진 화음에서 오

는 뉘앙스가 서주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다.

전주는 조용한 분위기로 시작되며, 꽃이 피는 아름다운 5월에

사랑하는 이에 대한 애정을 고백할 때의 설레임과 들뜬 마음을

잘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자기의 사랑고백을 새들이 노래하는

것에 비유하고 있다.

Im wunderschönen Monat Mai, 아름다운 5월이여


als alle knospen sprangen, 모든 꽃봉오리 펴
da ist in meinem Herzen 나의 마음속에도

die Liebe aufgegangen. 사랑이 피어나리

Im wunderschönen Monat Mai, 아름다운 5월이여


als alle Vögel sangen, 모든 새들 노래해
da hab’ ich ihr gestanden 내 마음 고백 했네

mein Sehnen und Verlangen. 내 그리움과 소망

- 12 -
(2) 형식 및 구조

제 1곡은 전체 26마디로 되어 있으며 전주(4마디) + A(a+b,

8마디) + 간주(3마디) + Aʹ(aʹ+bʹ, 8마디) + 후주(3마디)의 2

부분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A와 A'는 가사만 다를 뿐 선율이나 화성, 반주가 그대로 반복

되는 유절가곡 형식이다. 또한 A부분을 동기별로 분석하여 보

면 주요 동기 a, a', b, b'가 전곡을 통해 리듬과 선율이 그대로

반복되거나 동형 진행하고 있다.

제 1곡의 형식, 마디, 조성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표

1>

<표1> 제 1곡의 형식 및 조성
A Aʹ
형식 전주 간주 후주
a b a' b'
1-4 5-8 9-12 13-15 16-19 20-23 24-26
마디
(4) (4) (4) (3) (4) (4) (3)
조성 f# A b→D f# A b→D f#

(3) 조성 및 화성의 특징

제 1곡의 조성은 f# minor로 시작되어 A Major와 전조 되


었다가 다시 f# minor로 전조되어 나타난다.

- 13 -
전체적으로 화성진행은 단순하나 계류음을 통한 불협화음을

빈번히 사용하고 있다.

처음 4마디는 전주부로서 조성이 모호하다. 시작하는 화음이

ⅰ이나 Ⅰ의 화음이 아니라 ⅳ6이나 ⅱ6으로 분석할 수 있다.

<악보1>

<악보1> 모호한 조성의 전주부분 (마디1-3)

마디9-12와 마디20-23에서 선율은 상행하고 있으나 반주부

하성부는 g-f#, b♭-a로 하행하는 반음계적 진행을 보이고 있

고, 변성화음(Borrowed chord)9)을 사용하고 있다. 조성은 b

minor에서 D Major로 전조되고 있다.<악보2>

9) 같은 으뜸음 조의 조표를 Major와 minor 사이에서 차용한다는 뜻이다. 즉, 장조는


상승하는 특성, 단조는 하강하는 특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 14 -
<악보2> 마디9-12와 마디20-23의 화성과 조성 진행
(마디7-12, 마디20-23)

- 15 -
이 곡의 후주의 끝인 마디26은 으뜸화음이 아닌 딸림화음으

로 끝을 맺고 있다.<악보3>

<악보3> 마디26의 종지 (마디23-26)

(4) 시와 음악의 관계

제 1곡의 성악 선율은 곡 전체에서 순차선율로 진행되고 있

으며, 변화가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시의 내용인 잔잔

한 마음을 나타낸다. 또한 계류음을 통한 불협화음의 빈번한 사

용으로 시인의 사랑에 대한 번민과 기대감, 설레임을 잘 묘사하

고 있다.

처음 4마디의 전주의 모호한 조성은 시인이 여인에게 사랑을

느끼며 이루어지기를 소망하는 설레임과 기대 어린 마음을 가졌

을 때의 불안정한 심정을 예시하고 있다.

마디5-8까지의 성부 선율은 서주부분인 반주부의 선율의 음

- 16 -
형이 전위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어 곡의 통일감을 보여주고 있

다.<악보4>

<악보4> 성부 선율의 전위된 리듬형태 (마디1-6)

마디9-12, 마디20-23에서는 상행하는 선율을 사용함으로 주

인공의 들뜬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마음의 사랑을 고백하는 부

분으로 선율선은 상행 진행되어 가사와 함께 점점 고조되어가는

느낌을 나타내고 있으며, 변성화음의 사용과 조성의 전조가 마

음속의 설레임을 극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마디12와 마디23에서는 사랑의 고백으로 설레이는 마음을

- 17 -
‘aufgegangen(피어나리)’와 ‘Verlangen(소망)’을 강조하는 최고

음으로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종지 부분에서는 마지막 가사인 ‘mein Sehnen und

Verlangen(나의 그리움과 애타는 사랑을)’의 여운을 남기는 느

낌을 주고 다음 곡의 분위기를 암시하기 위해 반종지로 끝을 맺

고 있다.

(5) 피아노 반주시 유의점

제 1곡의 피아노부는 마침내 그녀에게 떨리는 마음으로 사랑

의 괴로움을 고백하는 순간을 우리들에게 전해주고 5월의 향기

로움을 나타내준다.

사랑이 피어나려는 애틋한 감정의 묘사를 서정성이 뛰어난 아

르페지오 선율로 처음부터 끝까지 진행하고 있으며, 선율이 등

장하면서 반주의 윗성부가 선율선을 중복하기도 하지만 서로 성

부에 종속되지 않고 노래와 반주가 주고받으면서 독자적인 형태

로 이루어지고 있다.
슈만은 시인의 감정을 단조에, 자연의 풍경 묘사는 장조에 담

아내는데, f#단조와 A장조가 사랑하는 사람의 미묘한 심리를 표

현하고 있다.10)

또한 피아노의 오른손 윗선율은 붙임줄에 의해 당김과 해결

10) 세광편집국, 「최신 명곡해설전집 24권」(서울: 세광, 1992), p. 458

- 18 -
지연(계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진행을 낳고 있다. 오른손 선

율선을 legato(음과 음 사이를 연결하듯)로 표현해야 하고, 왼손

에서 오른손 선율선에 이르는 부분도 한 묶음으로 연결해야 한

다.

이 곡의 첫머리에서는 f# minor의 분명한 조성을 느낄 수가

없는데 이는 살며시 찾아온 사랑을 표현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

므로 첫음(C#)은 accent(그 음을 특히 세게)가 주어지지 않도록

지긋이 건반을 눌러 시작하도록 한다.

마디9-12는 자기 마음의 움직임을 고백하는 부분으로 상행하

는 성악성부의 선율선과 더불어 반주 bass부분의 하행 진행이

cresc.(점점 크게)로 진행되면서 사랑의 감정을 증폭시키며 분

위기를 고조시켜 준다. 그리고 긴 흐름으로 볼 때, 마디9-10보

다 마디11-12가 한층 더 느낌이 커지도록 이끌어가서 성악성부

의 선율선이 최고조에 이르렀을 때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후주부는 사랑의 고백은 했으나 여인의 대한 사랑의 확신을

갖지 못한 채 서서히 동작이 멈추어지듯이 자연스럽게 rit.(점점

느리게)로 이끌어간다. 탄식과 눈물로부터 승화된 노래가 곧바

로 다음 곡으로 연결될 수 있게 마지막 마디의 해결되지 않은

화성이 여운을 남기도록 표현해야 한다.

- 19 -
(6) 제 1곡의 분석 요약

제 1곡은 A와 A'로 이루어진 2부분 형식이며, 전체적인 반주

는 16분음표의 계류음으로 진행되어진다. 피아노 반주는 부분적

으로 성악 선율과 중복됨으로써 선율을 강조하는 효과를 주고

있으며, 전조가 빈번한 f# minor곡이다.<표2>

<표2> 제 1곡의 분석 요약

마디 구조 선율 피아노 반주 조성

반주부의
1-4 전주 f# minor
주제 제시

5-8 A Phrase a
부분적인
성부선율 중복, A Major
9-12 Phrase b 독립적인 반주

특징적인 요소
13-15 간주 f# minor
간주에서 반복

16-19 Phrase aʹ
부분적인
Aʹ 성부선율 중복, A Major
20-23 Phrase bʹ 독립적인 반주

전주의
24-26 후주 f# minor
선율 반복

- 20 -
2. <제 7곡> Ich grolle nicht (나 울지 않으리)

(1) 악곡 해설 및 가사 내용

제 7곡은 Nicht Schnell(너무 빠르지 않게)로 불러야 할 4/4

박자의 곡이다.

이 곡에서의 시인은 애인의 배신을 알게 된다. 그때까지의 달

콤한 사랑의 노래는 자취를 감추고 일체가 과거의 것이 된다.

배반당한 시인의 비통한 탄식이 이 곡 안에서 폭발하면서 이 연

가곡의 절정을 이룬다. ‘부단히 던져지는 화음에 ‘나 울지 않으

리’라는 이성과의 어긋나는 감정의 번민이 들리는 곳이다.’11)

Ich grolle nicht, 나 울지 않으리,


und wenn das Herz auch bricht, 가슴 찢어져도,

ewig verlor'nes Lieb, 영원히 잊혀진 사랑,


ewig verlor'nes Lieb! 영원히 잊혀진 사랑!
ich grolle nicht, 나 울지 않으리,

ich grolle nicht. 나 울지 않으리.


Wie du auch strahlst 빛나는 다이아몬드로
in Diamantenpracht, 속에 빛날지라도,

es fällt kein Strahl 그대 마음속의 밤엔

in deines Herzens Nacht, 아무런 빛이 없다는 것,

11) 세광편집국, 「최신 명곡해설전집 24권」(서울: 세광, 1992), p. 461

- 21 -
das weiβ ich längst. 난 오래 전에 알았었네.

Ich grolle nicht, 나 울지 않으리,


und wenn das Herz auch bricht. 마음이 부서져도.
Ich sah dich ja im Traume, 꿈속에 그대를 보았네,

und sah die Nacht 그대 마음속의


in deines Herzens Raume, 밤을,
und sah die Schlang', 그대 마음속을 파고드는,

die dir am Herzen friβt, 악마를 보았네,


ich sah, mein Lieb, 내 마음의 사랑이여,
wie sehr du elend bist. 그대가 얼마나 가여운지.

Ich grolle nicht, 나 울지 않으리,


ich grolle nicht. 나 울지 않으리.

(2) 형식 및 구조

제 7곡은 36마디로 되어 있으며 A, A'의 2부분 형식으로 구

성된 유절가곡이다. A와 A'는 똑같지는 않지만, 거의 비슷한


Phrase로 반복되고 있으며, A'의 클라이막스 부분에서는 변형

되고 있다. 전주는 생략되었으며, 2마디의 후주가 있다.

제 7곡의 형식, 마디, 조성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표

3>

- 22 -
<표3> 제 7곡의 형식 및 조성

A A'
형식 후주
a b a'
1-12 13-18 19-33 34-36
마디
(12) (6) (15) (3)
조성 C a→b→c C C

이 곡의 주조성인 C장조는 앞의 곡인 제 6곡 e단조의 나란한

조인 G장조의 버금딸림조이다. 2절 가사의 상당부분은 시의 내

용을 더 살리기 위해 반복을 많이 했다.

(3) 조성 및 화성 특징

제 7곡의 주조성은 C장조이며 마디13-18에서 잠시 a와 b로

바뀌었다가 다시 C장조로 되돌아온다.

이 곡의 화성은 낭만화성의 진수를 보여주듯이 감7화음

(Diminished 7th chord), 변성화음(Borrowed chord), 부속7화

음(Secondary Dominant 7th chord)등 다양한 화성을 사용함

으로써 화성적 색채를 더했으며<악보5>, 마디3과 마디21에서

나타나는 화성 장음계의 6음을 이용한 변성화음(Borrowed

chord)은 낭만시대에 쓰여지는 작곡 기법의 특징을 잘 나타내

고 있다.<악보6>

- 23 -
<악보5> 마디9의 부속7화음과 마디11의 부감7화음 (마디9-12)

<악보6> 마디3과 마디21의 변성화음 (마디1-3, 마디19-21)

- 24 -
(4) 시와 음악의 관계

제 7곡의 선율은 노래와 거의 같은 윤곽을 가진 대선율을 이

루고, 피아노의 오른손은 8분음표의 리듬으로 시종일관 되어 고

동치는 심장소리의 느낌을 표현하고 있으며, 왼손은 한 옥타브

의 2분음표를 써서 감정을 억제하는 듯한 효과를 내고 있다.

마디4-7과 마디22-25의 반주의 bass부분이 긴 하행 선율로

이루어져 있어 절망적인 느낌을 표현하고 있다.<악보7>

<악보7> bass 하행의 절망적인 표현 (마디1-8)

- 25 -
마디26-28에서는 이 곡 전체의 가장 격정적인 감정표출이

나타나는데 ‘die dir am Herzen friβt,(내 가슴 여인이여)’ 부분

에서 a음까지 올라가는 최고음을 사용하고 있다.<악보8>

<악보8> 최고음을 통한 감정 표출 (마디27-28)

‘ich sah, mein Lieb, wie sehr du elend bist(내 마음의 사

랑이여, 그대가 얼마나 가여운지)’ 부분에서도 최고음에서 하행

하고 rit.(점점 느리게)와 tenuto(그 음을 특히 눌러서)를 사용하

였으며, 음의 높낮이보다는 동음에 의한 recitativo(말하듯이)를

통해서 가사를 또박또박 강조하여 결국 원망하지 않고 잊겠다는

의지의 표현과 함께 반어적으로 잊을 수 없는 그리움을 표현하

는 부분이기도 하다.

전체적으로 이 곡은 dramatic한 감정이 넘쳐흐르고 있으며,

후주의 맨 마지막 부분도 이에 호응하여 ♪(8분음표)를 ƒ(세게)

- 26 -
로 세 번 처리함으로서 ‘Ich grolle nicht(나 울지 않으리)’ 라는

강한 다짐을 의미하며 끝내고 있다.<악보9>

<악보9> 후주 ƒ의 강한 표현 (마디32-36)

(5) 피아노 반주시 유의점

노래가 시작되는 ‘Ich grolle nicht(나 울지 않으리)’ 부분은

절제된 mƒ(조금 세게)로 시작함으로써 노래의 극적인 면을 보여

주는 효과를 나타내고, 마디30-32의 ‘Ich grolle nicht(나 울지


않으리)’ 반복 부분은 눈물이 날만큼 깊은 감정을 아주 강한 효

과로 나타낸다. 이러한 시작과 마지막의 셈여림을 mp(조금 여

리게)와 ƒ(세게)로 느껴질만큼 대조되게 표현한다.<악보10>

- 27 -
<악보10> ‘Ich grolle nicht’의 악상 비교 (마디1-2, 마디29-31)

마디13-18의 왼손 bass는 ƒ의 선율과 성악성부의 음이 일치

하면서 상승할 때마다 이성과 감정의 흔들림이 보이도록 긴장감

을 주고, 마디16은 가사를 느끼면서 tenuto(그 음을 특히 눌러

서) 하듯 rit.(점점 느리게)를 하며, 마디17-18은 a tempo(본디

빠르기로) 해주고 멀리서 들려오던 소리가 가까이 들리듯 차츰

cresc.(점점 크게) 한다.<악보11>

- 28 -
<악보11> 마디13-18의 악상과 표현 (마디13-18)

마디24-29까지는 긴 호흡으로 절정까지 달하도록 하고, 하행

하는 반주 bass가 cresc.(점점 크게)를 동반한 성악성부의 최고

음 A까지의 진행을 도와 풍부하게 표현한다.

마디33-36까지는 원망하지 않으리라는 감정의 폭을 한층 더

넓혀가면서 cresc. 해 주고, 후주의 맨 마지막 부분은 ♪를 ƒ로

세 번 처리함으로 ‘나 울지 않으리’라는 다짐을 결연하게 표현

해 준다.

- 29 -
(6) 제 7곡의 분석 요약

제 7곡은 A와 Aʹ의 2부분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A' 부

분에서는 A의 Phrase를 거의 반복하고 있다. 8분음표의 연속으

로 이루어진 피아노 반주는 시인의 비통함과 좌절, 흥분을 나타

내고 있는 동시에 심장소리를 표현하고 있다.<표4>

<표4> 제 7곡의 분석 요약

마디 구조 선율 피아노 반주 조성
1-4 Phrase a
5-8 Phrase b
A
9-12 Phrase c
13-18 Phrase d
19-22 Phrase a' 8분음표의
23-26 Phrase b' 연속 C Major

Phrase c'
27-30
A' (클라이막스)

31-33
Phrase d'
34-36 후주

- 30 -
3. <제 16곡> Die alten, bösen Lieder
(옛날의 불길한 노래)

(1) 악곡 해설 및 가사 내용

제 16곡은 Ziemlich Langsam(적당히 느리게) 로 연주되는

4/4박자의 곡이다.

이제까지 불리운 사랑의 노래를 커다란 관 속에 넣어서 바다에

가라앉혀 버리려는 망각에의 동경을 슈만이「시인의 사랑

(Dichterliebe)」의 끝맺음으로 정리하여 노래한 마지막 곡이다.

Die alten, bösen Lieder, 옛날의 불길한 노래,


die Träume bös´ und arg, 나쁘고 악한 꿈들,
die laβt uns jetzt begraben, 이제 모두 묻어 버리세.

holt einen groβen Sarg. 지금 큰 관을 가져 오게.


Hinein leg´ ich gar manches. 그 속에 많은 것 넣겠지만,
doch sag´ ich noch nicht was; 무엇인지 말하지 않겠네.

der Sarg muβ sein noch gröβer 관은 더 커야 하네


wie´s Heidelberger Faβ. 하이델베르크의 술통보다도.
Und holt eine Totenbahre 그리고 관대를 가져오게

und Bretter fest und dick; 단단하고 두꺼운 판도.


Noch muβ sie sein noch länger, 그것은 더 길어야 하네,
als wie zu Mainz die Brüche 마인츠의 다리 보다도

- 31 -
Und holt mir auch 그리고 열두 거인을
zwölf Riesen, 데려오게,

die müssen noch stärker sein, 그들은 더 건장해야 하네,


als wie der starke Christoph, 용사 크리스토보다도,
im dom zu Cöln am Rhein. 라인 강가 쾰른성당에 있는,

Die sollen den Sarg forttragen, 그들은 그 관을 운반하여,


und senken ins Meer hinab; 바다 속으로 던져야 하네.
denn solchem groβen Sarge 그렇게 거대한 관에는

gebührt ein groβes Grab. 거대한 무덤이 어울리니까.


Wisst ihr, 그대들은 아는가,
warum der Sarg wohl so 왜 관이 그렇게 크고

groβ und schwer mag sein? 무거워야 하는지?


Ich senkt' auch meine Liebe 내 그 속에 내 사랑도
und meinen Schmerz hinein. 고통도 함께 넣어야 하니까.

(2) 형식 및 구조

전체 67마디로 긴 후주를 가지는 마지막 곡으로서, A-B-C의

겹세도막 형식으로 구성된 통절가곡이다.

긴 후주로 인해 마치 성악곡과 피아노곡의 두 부분으로 되어

있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

후주 부분은 A(8마디)와 A'(7마디)로 이루어진 2부분형식으로

되어 있어, 곡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자유로운 형식을 취하고

- 32 -
있다.

제 16곡의 형식, 마디, 조성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표

5>

<표5> 제 16곡의 형식 및 조성

A B C
형식 전주 후주
a b c c' d e
1-3 4-11 12-19 20-27 28-35 36-43 44-52 53-67
마디
(3) (8) (8) (8) (8) (8) (9) (15)
조성 C# C# g#→E f# g#→c# c# f#→c# D♭→e♭→D♭

(3) 조성 및 화성의 특징

이 곡은 c# minor에서 4/4박자이지만 후주로 이어지면서 D

♭ Major의 6/4박자로 바뀐다.

이 곡은 전체적으로 주3화음인 Ⅰ와 Ⅴ가 많이 쓰였지만, 많

은 전조를 하고 있어 화성적 색채에 변화를 주고 있다.


마디12-15 사이에 쓰인 부감7화음은 어두운 분위기를 묘사

하고 있다.<악보12>

- 33 -
<악보12> 부감7화음의 사용 (마디12-15)

그리고 마디48-49는 부속7화음을 연속으로 사용하고 있어 종

지감을 더욱 확실히 보여주며, ‘mein Liebe und meinen

Schmerz(내 사랑과 내 번민)’을 강조하고 있다.<악보13>

<악보13> 부속7화음의 연속과 선율 순차진행 (마디48-52)

- 34 -
(4) 시와 음악의 관계

전체적으로 선율에 도약진행을 많이 사용하여 사랑의 설레임

과 잔잔함을 노래하던 첫 부분의 곡들과는 많은 대조를 이루고

있다.

마디24-27은 마디16-19보다 장2도 위에서 동형진행을 하면

서뺳der Sarg muβ sein noch gröβer(관은 더 커야 하네)’의

어감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악보14>

<악보14> 장2도 위의 동형진행 (마디16-19, 마디24-27)

- 35 -
마디4-5의 ‘Die alten, bösen Lieder(지겨운 추억의 노래)’에

서 완전4, 5도 음정을 사용하여 허무하고 공허한 마음을 나타냈

다. 마디8-9도 마찬가지이다. 이 음정은 전주에서 나타난 음정

과도 같아 곡의 통일성을 더하고 있다.<악보15>

<악보15> 완전 4도, 완전 5도의 음정(마디4-5, 8-9)

시인의 사랑의 끝맺음으로 슈만은 이제까지의 모든 것을 커다

란 관 속에 넣어서 바다에 깊이 가라앉혀 버리려는 망각에의 동

경을 노래하고 있다. 시작부분에서 뿀와 ♪뾿♪뾿♪♩ 의 리듬과

극적인 ƒ를 사용하였고, 화성은 Ⅰ-Ⅴ-Ⅰ의 단순한 시작으로 자

- 36 -
신의 생각을 이제는 정리해야 한다는 확고한 의지를 표현하고

있다.<악보16>

<악보16> ƒƒ를 통한 의지의 표현 (마디1-4)

마디40-43는 ‘denn solchem groβen Sarge gebührt ein

groβes Grab(이렇게 큰 관, 큰 무덤)’의 시어를 표현하기 위해

장7도 도약 선율을 쓰고 있다. 이러한 가사그리기(Word

painting)는 슈베르트 이후 슈만까지의 낭만시대의 가곡에서 자

주 쓰이던 작곡 기법이다.<악보17>

- 37 -
<악보17> 장7도의 도약선율 (마디40-43)

마디48의 마지막 박부터 마디52까지의 ‘Ich senkt auch

meine Liebe und meinen Schmerz hinein(내 사랑과 내 번민

다 넣기 위해)’은 Adagio(매우 느리게)와 순차 진행으로 조용히

마무리 되고 있다.

열다섯 마디로 구성된 아름다운 후주는 지금까지의 사랑의 기

쁨과 아픔을 아름다운 추억으로 여기며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듯한 시상을 이어받아 시의 내용을 더욱 생생히 살려내고 있

다.<악보18>

- 38 -
<악보18> 긴 후주의 아름다운 시적 표현(마디53-67)

- 39 -
(5) 반주의 유의점

제 16곡의 전주는 4옥타브로 중복되어 강한 느낌을 주고 있

어 비장한 시인의 마음을 암시하고 있다.

이 곡에서는 fermata(늘임표)가 2번 나오는데, 첫머리의

fermata를 통한 단조화음은 이 곡의 과거와의 결별을 선언하듯


단호하게, 특히 페달을 확실히 끊어주어야 한다.

마디39에서는 fermata를 통한 감7화음이 사용되는데 가사처

럼 어둡고 침침한 바다 속을 상상하듯 반주도 무겁고 어두운 sƒ

가 되어야 한다.<악보19>

<악보19> 무겁고 어두운 sƒ의 감7화음 (마디39)

전체적으로 계속되는 8분음표 음형이 애통함과 안타까움과 좌

절을 나타내고 있지만, 마디36부터 마디43까지의 반주는 코랄

형식으로 큰 관과 큰 무덤을 묻어 버리겠다는 비장함을 한층 더

- 40 -
강하게 표현하고 있다.<악보20>

<악보20> 코랄 형식의 반주 (마디36-43)

전주를 지나 계속되는 반주는 강한 ƒƒ(매우 세게)를 요구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성악선율의 단호하고 절도있는 느낌으로 리

듬적 공유감을 느끼며 연주해야 하고, 특히 피아노 오른손의 음

형 중 매번 네번째 8분음표의 스타카토 선율을 부각시켜 주는

것이 효과적이라 하겠다.

인상 깊은 반주부의 음형이 계속해서 반복되다가 마디15-19

부터 선율이 E장조에서 f#단조, G#장조로 2도씩 상행하는데 이

- 41 -
때 왼손 옥타브 선율는 성악선율과 함께, 또 오른손 상행음계와

함께 감정의 폭을 넓혀 고조시켜야 한다.

마디35-43은 반주가 코드형태로 바뀌어서 둘째, 넷째 박이

accent로 나타나는데, 무거운 관이 바다에 조금씩 가라앉는 듯

한 무게감을 주어 깊이 있는 톤으로 표현해 준다.

마디40-43은 ‘groβen Sarge(거대한 관), groβes Grab(거대

한 무덤)’이란 가사의 느낌을 살려 큰 스케일로 코드 하나하나

를 깊고 어둡고 크게 표현해 준다.

마디44-47는 마음이 너무 무겁고 지쳐 말조차도 크게 나오

지 않는 듯 악상이 p(작게)로 표현되어 있다. 반주부도 성악선

율과 함께 지친 감정을 나타내 주며 가사를 말하듯이 연주에 임

하도록 한다.<악보21>

<악보21> 노래와 반주의 일치되는 악상 (마디44-47)

- 42 -
마디49의 가사 ‘Liebe(사랑)’를 노래할 때는 사랑스런 느낌을

담아 표현하고, 마디51-52의 반주는 마디50의 가사 ‘Schmerz

(고통)’를 더욱 되새겨 더욱 절박하고도 고통스러운 심정을 표

현해 준다.

15마디에 이르는 길고 아름다운 피아노의 후주는 6/4박자,

Andante espressivo(느리고 감정이 풍부한)로 변화하면서 제

12곡의 후주로 등장했던 진행이 재현된다. 그러나 그 선율은 마

디59-60의 recitativo(말하듯이)로 차단된다.

마디53-60은 시인의 슬픔을 떠올리듯 옛 생각에 젖었다가 깨

어나듯이 분위기를 바꿔주고, 이어지는 마디61-62는 반음계적

진행을 통해 복잡하게 사랑의 과정을 재현하는데, 다성부 각각

의 선율선을 잘 살리면서 하나씩 해결해 주며 마디가 진행될수

록 cresc.로 감정의 폭을 넓혀 마디64까지 도달하게 한다.

마디64부터 마지막 마디까지는 rit.(점점느리게)로 서서히 느

려지면서 마치 복잡하게 얽힌 실타래가 하나씩 풀려가듯 회상을

접어간다.

이 후주는 계류음과 잔잔한 8분음표의 사용으로 전개되고 있

으며, 전체 16곡의 coda 역할을 하고 있다.

전 16곡을 맺는 의미도 함께 지닌 이 후주부는 옛 슬픔이 배

어있는 시인의 사랑의 추억을 떠올리면서, 동시에 새 삶을 위한

동경과 굳은 의지를 다지는 심리적인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하

겠다.

- 43 -
(6) 제 16곡의 분석 요약

제 16곡은 후주를 포함하고 있는 겹세도막 형식이다.

후주는 전체 16곡의 Coda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8분음표

의 음형과 계류음의 사용은 제 1곡과 분위기를 비슷하게 하여

전체적인 통일성을 주고 있다. 선율은 Phrase의 반복에 의해

서 큰 변화 없이 진행되어진다.

<표6> 제 16곡의 분석 요약

마디 구조 선율의 전개 피아노 반주 조성

1-3 전주
phrase a
4-7 (4옥타브중복)

A phrase a
8-11
의 반복

12-15 phrase b

16-19 phrase c
계속되는
20-23 phrase d
8분음표 음형
c# minor
24-27 B phrase c'

28-31 phrase d'

32-35 phrase c''

phrase a'
36-39 코랄 형태의
의 변형
C 반주
40-42 phrase a
43 의 변형 오른손의

- 44 -
phrase a''
44-47 당김음 음형
의 변형

코랄 형태의
48-52 phrase d
반주

계류음과
53-67 D 제 1곡의 재현 8분음표 음형의
반주

- 45 -
Ⅴ. 결론

슈만의 대표적인 작품인 연가곡「시인의 사랑(Dichterliebe)

Op.48」은 하이네의 <Gedichte von Heinich Heine, 20

Lieder und Gesang aus dem Lyrischen Intermezzo

(서정적 간주곡)>에서 16편의 시를 슈만이 선별하여 작곡한 곡

으로 그의 낭만적인 작곡기법을 성숙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 논문은 제 1곡, 제 7곡, 제 16곡을 악곡 해설 및 가사내

용, 형식 및 구조, 조성 및 화성의 특징, 시와 음악의 관계, 반

주의 특징 등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으로서 그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1곡은 유절가곡 형식으로 되어있으며, A와 A'는 가사만

다를 뿐 형식, 화성, 선율 면에서 거의 같다. 선율은 처음 전주

에서의 음형이 전위되어 나타나고 있어 통일성을 부여하고 있

다. 반주는 성부의 선율과 부분적으로 중복되고 있으며, 때로는

독립성 있는 선율로 성부와의 2중주를 이루고 있다. 전체적인

화성은 처음 시작과 끝이 다른 곡들과는 달리 으뜸화음으로 되

어있지 않아 들떠있고 설레이는 시인의 마음을 보여주고 있으

며, 종지에서는 반종지로 끝나고 있어 다음 곡이 진행되어 질

것을 예상하고 있다.

제 7곡은 1곡과 마찬가지로 A와 A'로 이루어진 2부분 형식이

다. 전주 없이 시작되는 이 곡은 시인의 비통함과 절정, 좌절,

- 46 -
흥분이 피아노 반주부의 끊임없는 8분음표의 음형으로 나타나

고 있으며, 선율은 대부분 동형진행으로 가사의 의미를 반복하

여 강조하고 있다. 전체적인 화성은 부속7화음, 변성화음 등을

써서 화성의 색채를 더하고 있으며, 그 이전 시대에까지 잘 쓰

이지 않았던 화성의 진행을 보이고 있어 낭만주의의 자유로운

작곡 기법의 면모가 보여지고 있다.

제 16곡은 Coda를 포함한 A - B - C의 겹세도막 형식이다.

제 1곡과 제 7곡과는 달리 도약진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

것은 시인의 비통함과 비장함을 나타내 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

다. 계속되는 8분음표 음형의 반주부는 끊임없이 안타까워하고

좌절하는 시인의 마음을 대변해 주고 있지만, 후반부에서 바뀌

는 코랄 형식의 반주는 가사와 선율의 강조의 역할을 더해주고

있다. 후주부는 박자도 바뀌고 조성도 바뀌면서 제 1곡의 모티

브와 유사성을 갖는다. 8분음표의 펼친 화음의 음형과 계류음의

사용으로 곡 전체의 Coda역할도 하지만 하나의 분위기로 이어

주는 매개체의 역할도 하고 있다.

슈만은 피아노 반주의 독창성에 의해서 그 시의 내용을 형식

화 하려고 하였다. 그 예로 슈만은 가사의 선율과 대등하는 반

주를 붙임으로써 시에 대한 심리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다. 시에

대한 해석과 여기서 나타나게 되는 사상이나 생각은 선율과 피

아노 반주에 의해서 전체적인 시의 느낌을 표현했다고 해도 과

언이 아니다. 그리고 선율과 반주가 대등한 위치에서 표현하려

고 했다.

- 47 -
이 연구를 통하여 독일 낭만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 중의 한

사람인 슈만의 연가곡「시인의 사랑(Dichterliebe) Op.48」은

특징적인 작법과 선율의 전개, 반주부의 독창성이 잘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48 -
참 고 문 헌

1. 국내 서적

김미애,「독일 가곡의 이해」, 서울: 삼호출판사, 1998

김진균,「서양음악사」, 서울: 태림 출판사, 1984

김형주,「세계 음악 이해」, 서울: 문원, 1975

도이치 시문학 연구모임,「도이치 시문학의 어제와 오늘」,


서울: 사계절, 1993

동화출판사 편집국,「세계의 명가곡 전집」,


서울: 동화출판사, 1987

세광편집국, 「최신 명곡해설전집 24권」, 서울: 세광, 1992

홍정수, 김미옥-오희숙 공저, 「두길 서양음악사」,


서울: 새노래 출판사, 1996

2. 번역서

Finck, Henry Theophilus「Songs and songwriters


(가곡의 역사와 작곡가)」,
국민음악연구회 역, 서울: 국민음악연구회, 1976

Finck, Henry Theophilus「Songs and songwriters


(가곡의 역사와 작곡가)」,
삼호출판사 역, 서울: 삼호출판사, 1988

Grout, D. J. 「A History of western music(서양음악사)」,

- 49 -
세광음악출판사 편집국 역,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7

Heine, Heinrich「Heine, Heinrich(하이네 시집)」,


강두식 역, 서울: 정음사, 1973

Meister, Barbara「Sacred songs(예술가곡 개론)」,


이경숙 역, 서울: 지문사, 1990
Reute, Evelyn「La Melodie et le Lied
(프랑스 가곡과 독일 가곡)」,
국민음악연구회 역, 서울: 국민 음악 연구회, 1976

Roatand, Claude「La Musique allemande(독일음악)」,


삼호출판사 역, 서울: 삼호출판사, 1986

Wilkinson, Loy「Heritage of music(음악의 유산) Vol.5」,


중앙일보사역, 서울: 중앙일보사, 1996

3. 참고 논문

오지영 「슈만의 연가곡 시인의 사랑 Op.48에 관한 연구 :


반주부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반주학과, 2005

천현주 「슈만의 연가곡 시인의 사랑 Op.48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1998

김경호 「슈만의 시인의 사랑 Op.48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성악전공, 2001

- 50 -
4. 사전

세광음악출판사 편집부 「음악대사전」, 1995

세광음악출판사 「음악용어사전」, 1986

- 51 -
Abstract

An Analytic Study on「Dichterliebe Op.48」


by Robert Schumann
-Focussed on the 1st, 7th, 16th song-

Kim, Sung - nam


Major in Piano Accompanying
Dep. Dankook University department of Music
Adviser : Prof. Lee, Dong - hoon

Robert Schumann(1810-1856) was one of the most


famous Romantic composers in Germany. He also
succeeded Franz Schubert(1797-1828) as a composer who
developed the form of Deutsche Lieder, German songs,
more complete ever than before.
His「Dichterliebe(A Poet's Love, op.48)」is a song cycle
consists of 16 love songs, including poems by Heinrich
Heine(1797-1856). The cycle is divided in three parts by
the themes. Songs 1 to 6 are about 'delight of love', and
Songs 7 to 14 'pain of rejecting love.' Last 2 Songs are
about 'vanity in life.'
This study only analyzes the 1st Song for beginning
with 'delight of love', the 7th Song for singing the pain of

- 52 -
broken heart and the 16th, last Song.
Before getting in main theme, the background for
characteristics of Schumann's songs and composing with
Heine's poem are considered.
The analysis of the lyrics, form, structure, development
of melody and accompaniment along with the scales and
chords of the 1st, 7th, and 16th song has been studied
and characterized as follows.
Composed mostly in many verses, 「Dichterliebe」
includes many parts of piano accompaniment that help
convey the emotions of the lyrics. The composer also
uses frequent changes in scale and dynamics to express
the feelings of restlessness, excitement and
disappointment.
Schumann emphasizes the creativity of the piano
accompaniment for a stronger expression of the poem.
This thesis analyzes the piano accompaniment for
「Dichterliebe」as an equal partner of the piece rather
than an aid for the vocal part of the song which boosts
the understanding of the poem. Placing the accompaniment
on the same level as the melody is a view analysis of
Schumann's work.
On the basis, the knowledge of Schumann's songs and
his intention will contribute to a far better performance of
「Dichterliebe」.

- 5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