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off_routin

형식화된 세팅의 변형
Analysis_Forme
비정형성
운동장 혹은 골목길에서 여러 방식으로
놀고있는 아이들을 보면 놀이 공간의 형태는
중요한 요소가 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Analysis_program
변칙성
아이들의 놀이공간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strategy
기존 공간의 설계 의도를 보기좋게 벗어난다.
골목길은 축구장이 되기도 하고 낯설게하기/dépaysement
술래잡기의 장애물, 혹은 관습적으로 봐왔던 이미지,
인간을 말로쓰는 보드게임판이 되기도 한다. 느꼈던 경험을 해체하고 재편집하여
완전한 새로움과 진부함 사이
호기심을 자극하는 새로움이
analysis_child 지속되는 공간을 만든다.
호기심
알아낸 것을 경험으로 쌓고 또 새로운
대상을 찾는 아이들이 향하는 놀이환경은
호기심을 유발하는 새로운 분위기의 공간이다.

analysis_site
지속성
새로움이라함은 결국 새롭지 못한 때가 온다.
더욱이 매일 지나는 아파트단지의 놀이터라면 <전형적인 놀이터와 낯설게하기 놀이터의 비교>
새로움이 쉽게 지루함으로 바뀔 것이다.
design strategy_2
design strategy_1

기울기 스케일
활동적 움직임의 기반은 중력이다. 산을 한 걸음에 넘고 바다를 손에 넣는 상상
같은 공간의 익숙치 않은 기울기로 적응된 스케일의 붕괴는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어린이 활동에 생경한 경험을 제공한다.
design strategy_3

재조합
뒤틀린 공간들 사이사이 공간들을 짜임새 있게 연결하여
변칙적인 움직임과 낯설은 시퀀스를 제공한다.

expected use

역동적/잔잔한 움직임
뒤틀린 공간들 사이 활동이 잔잔한 공간과 역동적인 공간을 교차하여 완급조절이 가능하게 만들었고,
이를 통해 변칙적인 움직임과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자 했다.

잔잔한 움직임

역동적 움직임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