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Ⅰ이론적 배경

특정한 위치를 전하 q가 속도 v로 운동할 때 힘 F를 받아 운동하는 방향이 바뀌면, 이 위치에서는


자기장이 존재한다. 즉 자기장 B에 의하여 전하가 받는 힘은    ×  로 정의되며, 자기장의 단위는 국제
단위로 테슬라(tesla; T)이다. 이 때, 도선에 흐르는 전하에 의해 도선이 받는 힘의 크기는 이 힘에다가
전하의 수를 곱하면 되므로, 자기장 B가 걸린 구간에서 길이 l 인 도선이 받는 힘의 크기는
의 값을 나타내게 된다. 이 전류 천칭의 평형을 해석하는 방법은 토크 평형인데,
    ×    × 
토크는    × 의 값을 나타낸다. 이 실험에서 솔레노이드가 F의 힘을 도선에 만들어준다면, 결과적으로
받침점에서부터 솔레노이드까지의 거리를 s라 했을 때, 중력에 의한 토크와 자기력에 의한 토크 합이
 
0이어야 하므로,             

 의 식을

통해 자기장의 세기를 구할 수 있다.

 cos   cos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솔레노이드의 길이    솔레노이드의 지름 
       

    
  와   의 값을 비교.
  
  

Ⅱ실험 목적

자기장과 자기력의 기초 개념을 이해하고, 솔레노이드 코일의 자기장을 전류천칭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Ⅲ실험 과정

Fig. 1 실험 장치 세팅

전류천칭의 수평을 확인(수평하지 않다면 전류천칭에 부착된 균형조절 나사로 조절)

전류천칭 실험기구와 직류전원을 연결한다.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류천칭과 코일에 전류를 흘려보내 천칭의 조정나사 쪽이 올라가는지 확인
전류를‘0’으로 하였을 때, 전류천칭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는지 확인.

솔레노이드 코일에 일정한 전류(2A)가 흐르도록 조정한 후, 전류천칭의 1번 추걸이에 추를 둔다.

기울어진 전류천칭이 다시 수평이 되도록 전류천칭에 흐르는 전류를 조정.

천칭의 평형 조건을 찾고,힘의 크기와 자기장의 크기를 구하고, 솔레노이드 내부에서의 자기장 세기와 비교한다.

전류천칭의 추걸이 홈, 추의 질량, 솔레노이드의 전류를 바꾸어 위 실험을 반복.


(코일의 온도는 상시 확인)
실험 준비물

Fig. 2 실험 준비물

Ⅳ결과

각각의 주어진 자료값을 통해 자기장의 값을 구하여 아래와 같이 나타내었다. 전류 천칭에 대한 자기장은


유효숫자를 고려하면 숫자 2개만 고려되어야 하나, 그렇게 할 때는 솔레노이드와의 오차 값이 매우 크게 나타나게
되므로, 일단은 계산 결과값을 그대로 가져왔다. 이 때, 대략적인 오차값을 비교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의 전류값을
고정시켰을 땐 솔레노이드의 자기장의 값을 이론값으로 두어 오차율을 계산하였고, 천칭의 전류값을 고정시켰을 땐
천칭의 자기장 값을 이론값으로 두었다(즉, 변수가 없는 쪽을 이론 값으로 두어 판별하였다). 중력가속도는 국제
참조 표준센터의 우리나라 대전에서 측정한 값을 사용하였다.

추의 질량(kg) 0.00011
추의 거리 d (cm) 솔레노이드 코일 전류 (A) 전류천칭 전류 (A)
2 2 0.15
4 2 0.25
6 2 0.41
8 2 0.54
10 2 0.66
Table.1 1회차 실험(솔레노이드 전류 고정)

추의 거리 d (cm) 솔레노이드 코일 자기장(T) 전류천칭 자기장(T) 오차율(%)


2 0.010093283 0.0073742 26.93953
4 0.010093283 0.008849039 12.32744
6 0.010093283 0.008093634 19.81168
8 0.010093283 0.008193555 18.82170
10 0.010093283 0.008379772 16.97674
Table.2 1회차 실험 자기장(솔레노이드 전류 고정)

추의 질량 0.00016
추의 거리 d (cm) 솔레노이드 코일 전류 (A) 전류천칭 전류 (A)
2 2 0.2
4 2 0.39
6 2 0.58
8 2 0.78
10 2 0.95
Table.3 2회차 실험(솔레노이드 전류 고정)

추의 거리 d (cm) 솔레노이드 코일 자기장(T) 전류천칭 자기장(T) 오차율(%)


2 0.010093283 0.008044581 20.297672
4 0.010093283 0.008250853 18.254023
6 0.010093283 0.008321981 17.549316
8 0.010093283 0.008250853 18.254023
10 0.010093283 0.00846798 16.102813
Table.4 2회차 실험 자기장(솔레노이드 전류 고정)

추의 질량 0.00016
추의 거리 d (cm) 솔레노이드 코일 전류 (A) 전류천칭 전류 (A)
2 0.39 1
4 0.72 1
6 1.16 1
8 1.54 1
10 1.98 1
Table.5 3회차 실험(전류천칭 전류 고정)

추의 거리 d (cm) 솔레노이드 코일 자기장(T) 전류천칭 자기장(T) 오차율(%)


2 0.00196819 0.001608916 22.330178
4 0.003633582 0.003217833 12.920165
6 0.005854104 0.004826749 21.284621
8 0.007771828 0.006435665 20.761843
10 0.00999235 0.008044581 24.212181
Table.6 3회차 실험 자기장(전류천칭 전류 고정)

추의 질량 0.00011
추의 거리 d (cm) 솔레노이드 코일 전류 (A) 전류천칭 전류 (A)
2 0.219181402 1
4 0.438362804 1
6 0.657544206 1
8 0.876725609 1
10 1.095907011 1
Table.7 4회차 실험(전류천칭 전류 고정)
위와 같은 결과값을 나타냈다. 실제 전류 천칭과 솔레노이드 코일의 자기장을 비교하였을 때 20% 내외로
오차값이 발생하였으며, Table 1과 Table 3을 비교하여, 솔레노이드의 전류를 고정시켰을 때, 추의
무게를 변화시켜 전류천칭에 걸어주어야 하는 전류의 값을 비교해보았을 때

(16/11)*(0.11g 일 때 천칭
추의 거리 d (cm) 0.11g 일 때 천칭 전류 0.16g 일 때 천칭 전류
전류)
2 0.15 0.218182 0.2
4 0.25 0.363636 0.39
6 0.41 0.596364 0.58
8 0.54 0.785455 0.78
10 0.66 0.96 0.95
Table. 8 솔레노이드 전류 고정

이때의 각각의 값 모두 완전한 실험값이므로, 오차를 구하지는 않겠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 값을 통해 어느 정도


비슷한 전류 값이 도출되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실험 결과 값은 어느 정도 신뢰도가 있다는 것을 알고 갈 수 있다.

이때 Table.7의 값은 일부로 다른 색으로 표현하였는데, 그러한 이유는 값을 역으로 추측하는 과정이었기 때문이다.
두 방식으로 추측한 자기장이 완전히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역으로 계산하면 솔레노이드에 걸리는 전류는 질량에
비례함을 쉽게 알 수 있는데, 이를 활용하여 이번에는 Table.5 과 Table.7의 값을 비율로써 계산해보겠다.

0.11g 일 때 솔레노이드 (16/11)*(0.11g 일 때 0.16g 일 때 솔레노이드


추의 거리 d (cm)
전류 솔레노이드 전류) 전류
2 0.219181 0.318809 0.39
4 0.438363 0.637619 0.72
6 0.657544 0.956428 1.16
8 0.876726 1.275237 1.54
10 1.095907 1.594047 1.98
Table. 9 솔레노이드 전류 고정
물론 실제로 자기장의 값이 어느정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전류의 값을 비교할 때도 어느
정도의 값의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 
   
이때 추세선은       의 꼴로 결과적으로 질량에 비례하도록 선형 그래프로 나타나야 하고, 실제로도
    
추세선의 개형을 절편이 0이 되도록 설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정확한 선형의 그래프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0.11g의 기울기인 0.0667의 16/11배인 0.0970의 값과 매우 근사한 0.0963의 값이 나타났다.

주어진 값들을 통해 원래 나타나야 하는 기울기 값을 구하면 0.11g 일 때는 0.1068A/cm, 0.16g 일 때는


0.15535A/cm 의 값을 갖고, 어느정도 값의 차이가 발생함을 관측할 수 있다.
추의 거리에 따른 솔레노이드의 전류 값은 솔레노이드의 코일 전류가 결과적으로 역으로 구한 전류 값이기 때문에
똑같은 오차 원인이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 값을 비교하는 것이 의미 없어 구하지 않겠다.

Ⅴ논의

이 실험을 시작하기에 앞서 기본적인 의문점이 들 수 있는데, 전류 천칭에 모든 지점에 전류가 흐르는데 왜 구하는
Fig. 3 추의 거리에 따른 천칭의 전류
힘은 한 변에 대해서만 구하는 것일까? 라는 생각이 들 수 있다. 그러한 이유는 일단 천칭 옆면 전류에 대해서는
이전 앞에서도 말했듯이 크로스 곱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x축과 평행한 방향의 부분으로 자기장이 걸렸다면,
전류의 방향과 완전히 평행하므로 크기의 값이 0이 되어 고려할 필요가 없다.
이 실험에서 투자율을 역으로 가정을 달리하면 구할 수 있는데, 양 변에서 구한 자기장의 세기가 완전히 동일하다고
    
가정하면,      의  값으로 다른 변들의 길이를 측정하고, 전류 값을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
 
 

이 실험에서 전류천칭과 솔레노이드 전류 방향을 변화시키려면 동시에 변화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의


자기장의 방향이 왼쪽으로 걸리도록 하였을 때는 천칭에는 위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해야 하고, 그 반대로 걸어주고 싶다면, 오른쪽과 시계방향으로 동시에 바뀌어야 우측 천칭에 걸어둔 중력에 의한
토크와 평형을 이룰 수 있다.
이 실험에서 오차값이 20%로 결코 작다고 할 수 없는 오차값이 나타났는데, 그러한 원인을 분석해보자. 이 실험에
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로는 전류천칭이 만약 솔레노이드에 정확하게 평행하게 들어가지 않는다면, 옆면에 의한 자
기력의 세기는 상쇄되지만, 나머지 한 변은 전기력의 세기가 바뀌게 된다. 또한 사람이 직접 전류를 대략 0.01A 단
위로 바꾸어가면서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애초에 전류의 최소 단위가 매우 크고, 또한 사람의 육안으로 평행을 이
룰 때 까지 천칭의 전류를 변화시켜가는 것이기 때문에 이 또한 매우 부정확한 결과값을 초래한다.
또한, 받침점에서의 마찰이 실제로는 평행하지 않은데 그렇게 보이도록 힘을 가할 수 있으므로 이 또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 외의 외부 바람의 영향과 같은 점들은 완전히 밀폐된 공간에서의 시행 등으로 충분히
보완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 실험을 만약 나보고 보완하라고 한다면, 나는 전류 천칭 판이 일단 고정되어있지 않도록 할 것이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대략적으로 나타나야하는 전류의 범위를 구한 후, (천칭이 고정되지 않으면 매 시행마다 어느 한 쪽으로
기울면서 거리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거리를 측정해야 한다는 불편함은 있겠지만) 여러번 시행하여 더욱
정확한 전류 값을 구할 것이다. 또한 천칭을 이용하기보다 반대편에 힘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굳이 평형을 맞추지 않
아도 되고, 사람이 만들어 내는 오차를 줄이도록 할 것이다.

Ⅵ결론

실제로 솔레노이드를 통해 걸어준 자기장과, 천칭에 걸어준 전류를 통해 토크 평형이 이루도록 하면,
원래 이론적으로 나타나야 하는 자기장의 값을 서로 비교해보았을 때 20%의 오차율로 값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 과정을 다시 질량만을 변화시켜 거리에 따른 전류값의 그래프를 비교해 보면 실제로 선형에
매우 근접한 결과 값이 나타나고, 그 때 발생하는 기울기끼리의 비율 또한 질량에 비례하여 나타난다.
때문에 이 실험의 결과 값은 나름 신뢰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차 발생 요인으로는 몇 가지
분석해보면 천칭의 방향과 솔레노이드의 자기장 방향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 자기력의 값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고, 최소단위 0.01A단위로 변화시켜가기에는 다소 부정확성이 존재했을 것이다. 또한
받침점에서 어느 정도 고정되어있으므로 고정점에서 발생하는 마찰이 실제로는 평형이 아니지만 평형인
것처럼 보이게 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Ⅵ참고문헌
Raymond A. Serway, Chris Vuille College Physics 9th Edition 일반물리학
이기준, 최승호, 박기성. 전자기학 실험서. DGIST PRESS.

Ⅶ부록
국가 참조 표준센터 중력가속도
참조표준명 : Korea Absolute Gravity Point (KAGP)- 001[주소 : 대전 유성구 도룡동 1 한국표준과학연구
원 힘 연구실]
http://www.srd.re.kr/db/srdDataInfoView.do?scid=S02004001001&sdid=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