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해부학

1장 서 론
해부학의 개념과 역사

1. 해부학(anatomy)의 개념
-ana(분해하다) + tome(절단하다) = 자르고, 나누어 형태와 구조를 연구하는 학문
-형태학(morphology)

2. 역사
-고대: 히포크라테스(B.C 460~377): 의학의 아버지, 해부학(anatome) 용어 처음 사용
아리스토텔레스(B.C 384~322): 동물해부
-중세: 해부학의 암흑기
-근대: 몬디노(1270~1326): 최초의 해부학 지침서(Anathomia Mundini)
베살리우스: 근대 해부학의 아버지
모르가그니: 병리학의 아버지

출처: 알기쉬운 인체해부학. 학지사 메디컬. 한종만 외 공저. 2020.


해부학의 개념과 역사

3. 해부학의 분야

▪ 현미경해부학
•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 구조물들을 확대하여 관찰하는 학문
✓ 세포학(Cytology)—세포에 대한 연구
✓ 조직학(Histology)—조직에 대한 연구
▪ 육안해부학(맨눈해부학, Macroscopic Anatomy)
• 육안으로 직접 볼 수 있는 큰 구조물들에 대한 연구
✓ 국소해부학(Regional anatomy): 머리, 목, 또는 몸통 같은 인체의 특정한 부분의 외부적,
내부적인 모든 구조물을 나타낸다.
✓ 계통해부학(Systemic anatomy): 소화계통이나 심장혈관계통(cardiovascular system) 등과 같은
신체의 기관계통(organ systems)에 대한 연구

출처: 알기쉬운 인체해부학. 학지사 메디컬. 한종만 외 공저. 2020.


퀴즈

1. 해부(anatome)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학자는?

① 베살리우스
② 아리스토텔리스
③ 몬디노
④ 히포크라테스
⑤ 모르가그니

정답 : ④

해설: 교과서 2page


-고대: 히포크라테스(B.C 460~377): 의학의 아버지, 해부학(anatome) 용어 처음 사용
아리스토텔레스(B.C 384~322): 동물해부
-중세: 해부학의 암흑기
-근대: 몬디노(1270~1326): 최초의 해부학 지침서(Anathomia Mundini)
베살리우스: 근대 해부학의 아버지
모르가그니: 병리학의 아버지
퀴즈

2. 맨눈으로 관찰이 가능한 인체의 정상적 구조와 형태를 연구하는 해부학의 분야는?

① 발생해부학
② 현미경해부학
③ 세포학
④ 조직학
⑤ 육안해부학

정답 : ⑤

해설: 교과서 3page


• 현미경해부학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 구조물들을 확대하여 관찰하는 학문
-세포학(Cytology):세포에 대한 연구
-조직학(Histology):조직에 대한 연구
• 육안해부학(맨눈해부학, Macroscopic Anatomy)
육안으로 직접 볼 수 있는 큰 구조물들에 대한 연구
-국소해부학(Regional anatomy): 머리, 목, 또는 몸통 같은 인체의 특정한 부분의 외부적,
내부적인 모든 구조물을 나타낸다.
-계통해부학(Systemic anatomy): 소화계통이나 심장혈관계통(cardiovascular system) 등과 같은
신체의 기관계통(organ systems)에 대한 연구
인체의 구성요소

원자(atom)

분자(molecule)

세포(cell): 구조적· 기능적 기본단위

조직(tissue): 구조와 기능이 비슷한 세포집단
*4대 조직: 상피(epithelial), 결합(connective), 근육(muscular), 신경(nervous)조직

기관(organ): 둘 이상의 조직이 이루어진 특별한 기능수행(위, 간, 콩팥…)

계통(system): 여러 기관들의 집단(순환, 소화, 호흡, 근육, 신경, 내분비계통…)

유기체(organism)

출처: 알기쉬운 인체해부학. 학지사 메디컬. 한종만 외 공저. 2020.


퀴즈

3. 인체의 구조 단계에서 구조와 기능이 비슷한 세포의 집단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유기체
② 조직
③ 기관
④ 계통
⑤ 개체

정답 : ②

해설: 교과서 4page


원자(atom)

분자(molecule)

세포(cell): 구조적· 기능적 기본단위.

조직(tissue): 구조와 기능이 비슷한 세포집단
*4대 조직: 상피(epithelial), 결합(connective), 근육(muscular), 신경(nervous)조직

기관(organ): 둘 이상의 조직이 이루어진 특별한 기능수행(위, 간, 콩팥…)

계통(system): 여러 기관들의 집단(순환, 소화, 호흡, 근육, 신경, 내분비계통…)

유기체(organism)
인체의 구성요소

출처: 인체해부학,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 현문사, 2017


해부학적 자세와 절단면

•해부학적 자세(anatomical position)


-인체의 모든 뼈들이 뒤틀리거나 꼬이지 않는 정렬된 자세
-서 있는 자세에서는 얼굴과 시선이 정면으로 향하며
발은 일직선 되게 모으고, 손바닥이 앞으로 향해 팔을 편 상태

•절단면
1) 시상면(sagittal plane): 좌, 우로 나눈 면
정중면(median plane): 좌, 우로 대칭적인 시상면
2) 전두면(이마면, frontal plane): 앞, 뒤로 나눈 면 =관상면(coronal plane)
3) 횡단면(가로면, transverse plane): 지면과 수평이 되는 면 =수평면(horizontal plane)
4) 사면(빗면, oblique plane): 세로축에서 벗어난 면

출처: 알기쉬운 인체해부학. 학지사 메디컬. 한종만 외 공저. 2020.


출처: 인체해부학,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 현문사, 2017 해부학적 자세-출처: 인체해부학,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 현문사, 2017
퀴즈

4. 해부학적 용어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① 정중면- 인체를 좌, 우 대칭으로 나눈 면


② 시상면- 인체를 앞, 뒤로 나눈 면
③ 관상면-인체를 좌, 우로 나눈 면
④ 횡단면-인체가 지면에 직각을 이룬 면
⑤ 수직면- 인체를 위, 아래로 나눈 면

정답 : ①

해설: 교과서 6page


1) 시상면(sagittal plane): 좌, 우로 나눈 면
정중면(median plane): 좌, 우로 대칭적인 시상면
2) 전두면(이마면, frontal plane): 앞, 뒤로 나눈 면 =관상면(coronal plane)
3) 횡단면(가로면, transverse plane): 지면과 수평이 되는 면 =수평면(horizontal plane)
4) 사면(빗면, oblique plane): 세로축에서 벗어난 면
몸의 위치와 방향 용어

- 위치와 방향 용어
1)전-후(anterior-posterior): 배와 가슴
2)상-하(superior-inferior): 머리
3)근위-원위(몸쪽-먼쪽, proximal-distal): 몸통
4)내측-외측(안쪽-가쪽, medial-lateral): 정중선
5)천부-심부(얕은-깊은, superficial-deep): 피부표면
6)벽쪽-내장쪽(parietal-visceral): 벽과 내장

출처: 알기쉬운 인체해부학. 학지사 메디컬. 한종만 외 공저. 2020.


몸의 위치와 방향 용어

출처: 인체해부학,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 현문사, 2017


몸의 위치와 방향 용어

출처: 인체해부학,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 현문사, 2017


몸의 위치와 방향 용어

출처: 인체해부학,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 현문사, 2017


몸의 위치와 방향 용어

출처: 인체해부학,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 현문사, 2017


몸의 위치와 방향 용어

- 주요 돌출부(projection) 용어
1)돌기(process): 표면에서 많이 튀어나온 부분
2)결절(tubercle): 혹처럼 부풀어 오른 부분
3)조면(tuberosity): 면이 거칠게 된 부분
4)융기(eminence): 약간 둥그스름하게 돌출된 부분
5)능선(crest): 나지막하게 길게 두드러진 부분

- 주요 함몰부(depression) 용어
1)와(오목, fossa): 오목하게 들어간 곳
2)절흔(패임, notch): 칼로 깎은 듯 패인 부분
3)열(틈새, fissure): 2개 이상의 뼈가 만든 작은 틈
4)공(구멍, foramen): 면에 뚫린 구멍(혈관과 신경의 통로)
5)동(굴, sinus): 기관 안의 빈 공간
고리뼈

출처: 알기쉬운 인체해부학. 학지사 메디컬. 한종만 외 공저. 2020.


인체 전체구분

출처: 알기쉬운 인체해부학. 학지사 메디컬. 한종만 외 공저. 2020.


흉부의 구분

쇄골: 목과구분
위쪽
-흉부의 구분
아래쪽
늑골궁: 배부와 구분

- 흉골(복장뼈, sternum) 액와부 (겨드랑부위, axillary region)


늑하부(갈비밑부위, hypochondriac region)

출처: 알기쉬운 인체해부학. 학지사 메디컬. 한종만 외 공저. 2020.


복부의 구분

-복부의 구분

간의 우엽 위, 비장 췌장, 소장, 대장
담낭,소장, 대장
RUQ LUQ

난소, 난관, 충수
요관,소장, 대장
RLQ LLQ
난소, 난관, 요관,소장, 대장

임상적 구분(배꼽중심 4등분) 해부학적 구분(9등분)

출처: 알기쉬운 인체해부학. 학지사 메디컬. 한종만 외 공저. 2020.


상지와 하지의 구분

-상지(upper limb region)의 구분

상지대 쇄골(빗장뼈, clavicle)


견갑골(scapular)

자유상지부 상완(위팔, arm)


전완(아래 팔, forearm) 주부(팔꿈치부위, cubital region)
수부(손, hand) 수근부(손목부위, carpal region)
수지(finger)

-하지의 (lower limb region) 구분

장골(엉덩뼈, ilium)
하지대 관골(볼기뼈, hip bone) 치골(두덩뼈, pubis)
좌골(궁둥뼈, ischium)
자유하지부 대퇴부(넙다리부, thigh region)
하퇴부(종아리부, leg region) 슬부(무릎부위, knee region)
족부(foot) 족근부(발목부위, tarsal region)
족지(toe)

출처: 알기쉬운 인체해부학. 학지사 메디컬. 한종만 외 공저. 2020.


체강

두개강

배측체강
(dorsal cavity) 척수강

체 강 심막강
body cavity 흉강 종격강 심장, 기관,식도,흉선
흉막강

복측체강 복강
(Ventral cavity)

골반강

방광, 자궁, 전립선, 직장, s상결장

출처: 알기쉬운 인체해부학. 학지사 메디컬. 한종만 외 공저. 2020. 출처: 인체해부학,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 현문사, 2017
Q&A HIT TALK 으로 주세요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