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4

• 접선문제

• 속도문제
• 미분계수
• 변화율

곡선에 대한 접선 문제와 물체의 속도를 구


하는 문제에서 동일한 형태의 극한이 나타

점 P(1, 1)에서 포물선 y = x2의 접선을 구하시오. . ( P에서의 접선 T= lim 𝑃𝑄 )
𝑃→𝑄

접선의 기울기 m= 할선 PQ의 기울기의 극한

𝑥 2 −12 𝑓 𝑥 −𝑓(1)
𝑚 = lim = lim
𝑥→1 𝑥−1 𝑥→1 𝑥−1

순간속도
물체의 위치함수가 s = f(t)일 때 t = a에서 t = a + h 구간에서 평균속도
변위 𝒇(𝒂 + 𝒉) − 𝒇(𝒂)
평균 속도 = =
시간 𝒉

시각 t = a에서의 속도 v(a) = 구간 [a, a+h]에서의 평균속도의 극한

𝒇(𝒂 + 𝒉) − 𝒇(𝒂)
𝒗(𝒂) = 𝐥𝐢𝐦 f ( a + h ) − f ( a)
𝒉→𝟎 𝒉 mPQ = = 평균 속도
h
정의 수 a에서 함수 f의 미분계수를 f'(a)로 나타내며, 다음 극한으로 정의한다.
𝑓(𝑎+ℎ)−𝑓(𝑎) 𝑓(𝑥)−𝑓(𝑎)
𝑓′(𝑎) = lim ) = lim
ℎ→0 ℎ 𝑥→𝑎 𝑥−𝑎

1. f’(a)는 P(a , f(a ))에서 곡선 y = f(x)의 ( 접선의 기 울기)이다.


2. s = f(t)가 물체의 위치 함수이면 f ‘(a)는 시각 t = a에서 물체의 (속도 ))이다.

미분계수의 다른 표현: 순간변화율(평균변화율의 극한)

Δ𝑦 𝑓(𝑥2 ) − 𝑓(𝑥1 )
순간변화율 = lim = lim
Δ𝑥→0 Δ𝑥 𝑥2 →𝑥1 𝑥2 − 𝑥1

정의 1. f '(a)가 존재한다면 함수 f 는 a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𝒇(𝒙+𝒉)−𝒇(𝒙)
2. 𝑦 = 𝑓 𝑥 의 미분가능한 점들의 집합을 A라 할 때, 𝑥 ∈ 𝐴에 대해 𝑓′(𝑥) = 𝐥𝐢𝐦 로
𝐡→𝟎 𝒉
정의되는 함수를 𝒇의 도함수라하고 𝒇′ 으로나타낸다.
연습문제

1. 포물선 𝑦 = 4𝑥 − 𝑥 2 위의 점 (1,3)에서 접선의 기울기와 접선의 방정식을 를 구하라.

2. (a) 𝑥 = 𝑎인 점에서 𝑦 = 3 + 4𝑥 2 − 2𝑥 3 의 기울기를 구하라.


(b) 점 (1,5)와 (2,3)에서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라.

3. 10m/s의 속도로 공을 공중으로 던졌을 때 t초 후의 높이(m)는 𝑦 = 10𝑡 − 4.9𝑡 2 으로 주어진다.


𝑡 = 2일 때 속도를 구하라.

4. 다음 극한은 각각 어떤 수 a에서 어떤 함수 f 의 미분계수를 나타낸다.


2𝑥 −32 cos 𝜋+ℎ +1
각 경우에 대해 f 와 a를 설명하라. (a) lim (𝑏) lim
𝑥→5 𝑥−5 ℎ→0 ℎ

5. 새로운 금광에서 금 x kg 을 생산하는 비용은 C=f(x)달러이다. 𝑓′(50)=36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상수함수의 도함수
• 거듭 제곱함수의 도함수
• 다항함수의 도함수
• 사인함수의 도함수
• 코사인함수의 도함수

𝒅
(1) 𝒅𝒙 𝒙𝒂 = 𝒂𝒙𝒂−𝟏 (a는 실수) 𝑥 𝑎 ′ = 𝑎𝑥 𝑎−1 (a는 실수)

𝑑 𝑑
(2) 𝑑𝑥 sin 𝑥 =cosx , sin 𝑥 ’=cosx (3 ) 𝑑𝑥 cos 𝑥 = −sin 𝑥, cos 𝑥 ′ = −sin 𝑥

𝒅
(4) 𝒅𝒙(𝑎𝑛 𝑥 𝑛 +𝑎𝑛−1 𝑥 𝑛−1 + ⋯ + 𝑎1 𝑥 + 𝑎0 ) =

.
• 곱의 법칙 : (𝑓𝑔)′ = 𝑓′𝑔 + 𝑔𝑓′

𝑓 ′ 𝑓𝑔′ +𝑔𝑓′
• 나눗셈의 법칙 : =
𝑔 𝑔2

𝑑 𝑑 sin 𝑥
• 삼각함수의 도함수 : tan 𝑥 =
𝑑𝑥 𝑑𝑥 cos 𝑥

𝑑 𝑑
• tan 𝑥 = sec 2 𝑥 , csc 𝑥 = − csc 𝑥 cot 𝑥
𝑑𝑥 𝑑𝑥

𝑑 𝑑
• sec 𝑥 = sec 𝑥 tan 𝑥 , cot 𝑥 = − csc 2 𝑥
𝑑𝑥 𝑑𝑥
3-3, 3-4 요약
𝒇(𝒙+𝒉)−𝒇(𝒙)
𝑦 = 𝑓 𝑥 의 미분가능한 점들의 집합을 A라 할 때, 𝑥 ∈ 𝐴에 대해 𝑓′(𝑥) = 𝐥𝐢𝐦 로
𝐡→𝟎 𝒉
정의되는 함수를 𝒇의 도함수라하고 𝒇′ 으로나타낸다.

𝒅
(1) 𝒙𝒂 = 𝒂𝒙𝒂−𝟏 (a는 실수) 𝑥 𝑎 ′ = 𝑎𝑥 𝑎−1 (a는 실수)
𝒅𝒙

𝑑 𝑑
(2) 𝑑𝑥 sin 𝑥 =cosx , sin 𝑥 ’=cosx (3 ) 𝑑𝑥 cos 𝑥 = −sin 𝑥, cos 𝑥 ′ = −sin 𝑥

f 와 g가 모두 미분 가능한 함수이면 다음을 얻는다.


𝑑 𝑑
(1) 상수배 법칙 𝑐𝑓(𝑥) = 𝑐 𝑓(𝑥) (c는 상수) (𝑐𝑓)′(𝑥)) = 𝑐𝑓′(𝑥)
𝑑𝑥 𝑑𝑥

𝑑 𝑑 𝑑
(2) 합, 차의 법칙 𝑓(𝑥) ± 𝑔(𝑥) = 𝑓(𝑥) ± 𝑔(𝑥) 𝑓±𝑔 ′
𝑥 = 𝑓′(𝑥) ± 𝑔′(𝑥)
𝑑𝑥 𝑑𝑥 𝑑𝑥

𝑑 𝑑 𝑑
(3) 곱의 법칙 : 𝑓(𝑥) 𝑔(𝑥) = 𝑓(𝑥) 𝑔(𝑥) + 𝑔(𝑥) 𝑓(𝑥) , (f g)’ = f g’+ g f ’
𝑑𝑥 𝑑𝑥 𝑑𝑥

𝑑 𝑑
𝑑 𝑓(𝑥) 𝑔(𝑥) 𝑓(𝑥) −𝑓(𝑥) 𝑔(𝑥) 𝑓 ′ 𝑓′ 𝑔−𝑓𝑔′
(4) 나눗셈의 법칙 ∶ = 𝑑𝑥 𝑑𝑥
=
𝑑𝑥 𝑔(𝑥) [𝑔(𝑥)]2 𝑔 𝑔2

❖ 다항함수, 유리함수, 삼각함수의 미분과 이들의 사칙연산의 미분이 가능


미분의 기본 공식

𝑑 𝑑 𝑑
sin 𝑥 = cos 𝑥 = tan 𝑥 =
삼각함수 𝑑𝑥 𝑑𝑥 𝑑𝑥
도함수
𝑑 𝑑 𝑑
𝑑𝑥
csc 𝑥 = 𝑑𝑥
sec 𝑥 = 𝑑𝑥
cot 𝑥 =

1. 𝑓 𝑥 = 3 𝑥 2. 𝑓 𝑥 = 3𝑥 4 − 2𝑥 + 5 3. 𝑔 𝑥 = 𝑥 2 1 − 2𝑥 4. 𝑔 𝑡 = 𝑡 3 𝑐𝑜𝑠𝑡
1+2𝑥 𝑥 2 +4𝑥+3 3
5. 𝑔 𝑥 = 6. 𝑦 = 7. 𝑧 = + 2 cos 𝑦 8. 𝑦 = 𝑥 𝑠𝑖𝑛𝑥 𝑐𝑜𝑠𝑥
3−4𝑥 𝑥 𝑦 10

8. 입자의 운동방정식이 𝑠 = 𝑡 3 − 3𝑡이다. 여기서 s는 미터, t는 초이다. 다음을 구하라.


(a) t 의 함수로 나타낸 속도와 가속도
(b) 2초 후의 가속도
(c) 속도가 0일 때의 가속도

𝑑 1 𝑔′(𝑥) 1 ′ 𝑔′
3. 역수법칙 g가 미분가능하면 =− 임을 보여라. =−
𝑑𝑥 𝑔 𝑥 [𝑔 𝑥 ]2 𝑔 𝑔2

1
4. (a) 𝑓 𝑥 = 를 미분하시오.
𝑥 4 +𝑥 2 +1

𝑑
(b) 𝑥 −𝑛 =
𝑑𝑥
• (f o g)’= f ’g’
• (f o g)’(x) = f ‘(g(x)) ∙ g‘(x)
𝒅𝒚 𝒅𝒚 𝒅𝒖
• = 𝒅𝒖 ∙ 𝒅𝒙 𝑥 → 𝑢=𝑔 𝑥 → 𝑦
𝒅𝒙

(a) y = (2x + 1)5 (b) 𝐹(𝑥) = sin( 𝑥 2 + 1)


1
(c) 𝑓 𝑥 = 3 (d) y = 𝑠𝑖𝑛2 𝑥
𝑥 2 +𝑥+1

(e) 𝑦 = 𝑠𝑒𝑐 2 𝑥 + 𝑡𝑎𝑛2 𝑥 (f) 𝑦 = cos(𝑥 2 )


• 음함수 f(x,y)=0 에서 y를 x의 함수로 보았을 때의 미분 방법

• (1) 방정식 f (x, y) = 0의 양변을 x에 대해 미분한다.

𝑑𝑦
• (2) (1)의 의 결과를 y’ 또는 𝑑𝑥 에 대해 푼다.

데카르트의 엽선
x3 + y3 = 6xy
음함수 미분법 요약

𝑑𝑦 𝑑𝑥
③ {단계 3] 단계 2의 결과에서 또는 에 대해 푼다.
𝑑𝑥 𝑑𝑦
• 합성함수의 미분법(연쇄법칙)
(a) y = (2x + 1)5 (b) 𝐹(𝑥) = 𝑥 2 + 1
• (f o g)’=f ’g’
1
𝑑𝑦 𝑑𝑦 𝑑𝑢
(c) 𝑓 𝑥 = 3 (d) y = 𝑠𝑖𝑛2 𝑥
𝑥 2 +𝑥+1
• = 𝑑𝑢 ∙ 𝑑𝑥
𝑑𝑥

• 음함수 f(x,y)=0 에서 y를 x의 함수로 보았을 때의 미분 방법

• (1) 방정식 f (x, y) = 0의 양변을 x에 대해 미분한다.

𝑑𝑦 x3 + y3 = 6xy
• (2) (1)의 의 결과를 y’ 또는 에 대해 푼다.
𝑑𝑥

역함수 𝒚 = 𝒇−𝟏 𝒙 미분법 y = f −1(x)  x =f (y)


1 𝑥 → 𝑦 → 𝑥
1. 𝑓 −1 (𝑎 )=b 이고 f ‘(b) ≠ 0이면, 𝑓 −1 ′(𝑎) = 𝑑(f o 𝑓−1 )
𝑓′ (𝑏)
f o 𝑓 (x) = x ⇒
−1
=1
𝑑𝑥
𝑑𝑦 1 1
2.) = , 𝑓 −1 ′(𝑥) = 𝑑𝑓 𝑑𝑓−1 𝑑𝑓(𝑦) 𝑑𝑓−1 𝑥 𝑑𝑥 𝑑𝑦
𝑑𝑥 𝑑𝑥 𝑓′ 𝑦 ∙ = ∙ 𝑑𝑥 = ∙ 𝑑𝑥 =1
𝑑𝑦 𝑑𝑦 𝑑𝑥 𝑑𝑦 𝑑𝑦
𝑑𝑦 1 1 1
• = 𝑑𝑥 , 𝑓 −1 ′(𝑎) = 𝑓′(𝑓−1(𝑎)) = (여기서 𝑓 −1 𝑎 =b )
𝑑𝑥 𝑓′(𝑏)
𝑑𝑦

• 지수함수의 도함수
• 로그함수의 도함수
• 로그미분법(거듭제곱법칙: 𝑥 𝑛 ′
= 𝑛𝑥 𝑛−1 )
• 역삼각함수의 도함수
• 쌍곡선함수의 도함수
• 역쌍곡선 함수의 도함수
(f –1 )’(a) = (a, f –1 (a))에서 접선의 기울기

f 가 일대일이고 미분 가능한 함수라 가정하자.


f –1 의 그래프와 (a, b)에서 접선 L을 y = x에 대해 선대칭시키면
f 의 그래프와 (b, a)에서 접선 l 이 된다.

∴ 점 (a, b)에서 그래프 f –1 의 접선 L 의 기울기를 Δy /Δx라 두면


점 (b, a)에서 그래프 f 의 접선 l 의 기울기는 Δx/Δy 이므로
Δy 1 1
𝑓 −1 ′(𝑎) = = = .
Δx Δx 𝑓′(𝑏)
Δy

역함수 𝒚 = 𝒇 −𝟏
𝒙 미분법 y = f −1(x)  x =f (y)

1
𝑥 → 𝑦 → 𝑥
1. 𝑓 −1 (𝑎 )=b 이고 f ‘(b) ≠ 0이면, 𝑓 −1 ′(𝑎) = 𝑑(f o 𝑓−1 )
𝑓′ (𝑏)
f o 𝑓 (x) = x ⇒
−1
=1
𝑑𝑥
𝑑𝑦 1 1
2.) = , 𝑓 −1 ′(𝑥) = 𝑑𝑓 𝑑𝑓−1 𝑑𝑥 𝑑𝑦
𝑑𝑥 𝑑𝑥 𝑓′ 𝑦 ∙ = ∙ 𝑑𝑥 =1
𝑑𝑦 𝑑𝑦 𝑑𝑥 𝑑𝑦
지수함수의 도함수

ah − 1 eh − 1
lim = ln a , lim =1
h →0 h h →0 h

지수함수 f(x) = ax의 도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𝑥+ℎ − 𝑎 𝑥 𝑎 𝑥 𝑎ℎ − 1 ℎ−1
𝑓 𝑥 + ℎ − 𝑓 𝑥 𝑎 𝑎
𝑓 ′ 𝑥 = lim = lim = lim = 𝑎 𝑥 lim = 𝑎 𝑥 ln 𝑎
ℎ→0 ℎ ℎ→0 ℎ ℎ→0 ℎ ℎ→0 ℎ

지수함수의 미분법
𝑑 𝑑
(1) 𝑑𝑥 𝑎 𝑥 = 2 𝑒𝑥 =
𝑑𝑥
𝑑 𝑦
𝑎 = 𝑎 𝑦 ln 𝑎
𝑑𝑦

로그함수 y = loga x ⇔ ay = x

1. 지수함수를 x에 관해 음함수적으로 미분한다.

1 1 1 1
(ay ln a) y’ = 1 ⇒ 𝒚′ = 𝑎𝑦 ln 𝑎 = 𝑥 ln 𝑎 = ln 𝑎 ∙ 𝑥

2. 역함수의 도함수는 𝑓 ∘ 𝑓 −1 (x)= x 이므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𝑑𝑦 1 1 1
= = 𝑦 =
𝑑𝑥 𝑑𝑥 𝑎 ln 𝑎 𝑥 ln 𝑎
𝑑𝑦
ln 𝑥
𝒅𝒚 𝟏 log 𝑎 𝑥 =
특히 a = e라 하면 자연로그함수 y = ln x의 도함수는 = 𝒙 이다. ln 𝑎
𝒅𝒙

로그함수의 미분법
𝑑 𝑑
(1) 𝑑𝑥 log 𝑎 𝑥 = 2 ln 𝑥 =
𝑑𝑥
로그미분법
곱, 몫, 거듭제곱을 포함하는 복잡한 함수의 도함수는 종종 로그를 취해 간단히 될 수 있다.

로그미분법의 단계
1. 방정식 y = f(x)의 양변에 로그를 취하고, 간단히 한다.
2 . x에 관해 음함수적으로 미분한다.
3 . 결과로 얻은 방정식을 y’에 대해 푼다.

거듭제곱 법칙 n이 임의의 실수이고 f(x) = xn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f ’(x) = nxn-1

다음 함수를 미분하시오.

𝑥 3/4 𝑥 2 +1
(1) 𝑦 = (3𝑥+2)5

2 𝑦=𝑥 𝑥
역삼각함수의 도함수

❖ y = sin–1x라 하면 sin y = x이므로 x에 관해 음함수적으로 미분하면 다음을 얻는다.

𝑑𝑦 𝑑𝑦 1 1 1
cos 𝑦 𝑑𝑥 = 1 ⇒ = cos 𝑦 = = , –p/2 ≤ y ≤ p/2
𝑑𝑥 1−𝑠𝑖𝑛2 𝑦 1−𝑥 2

𝑑 −1
1
sin 𝑥 = , −1 < 𝑥 < 1
𝑑𝑥 1−𝑥 2
역삼각함수의 도함수
❖ y = sin–1x라 하면 sin y = x이므로 x에 관해 음함수적으로 미분하면 다음을 얻는다.
𝑑𝑦 𝑑𝑦 1 1 1
cos 𝑦 =1 ⇒ = = = , –p/2 ≤ y ≤ p/2
𝑑𝑥 𝑑𝑥 cos 𝑦 1−𝑠𝑖𝑛2 𝑦 1−𝑥 2

𝑑 −1
1
sin 𝑥 = , −1 < 𝑥 < 1
𝑑𝑥 1 − 𝑥2

❖ y = cos–1 x라 하면 cos y = x이므로 x에 대해 음함수적으로 미분하면 다음을 얻는다.


𝑑𝑦 𝑑𝑦 1 1 1
−𝑠𝑖𝑛 𝑦 =1 ⇒ = =− =− , 0≤𝑦≤𝜋
𝑑𝑥 𝑑𝑥 −sin 𝑦 2
1 − 𝑐𝑜𝑠 𝑦 1−𝑥 2

𝑑 1
cos−1 𝑥 = − , −1 < 𝑥 < 1
𝑑𝑥 1−𝑥 2

❖ y = tan–1 x라 하면 tan y = x이다. 이 방정식을 x에 대해 음함수적으로 미분하면 다음을 얻는다.


𝑑𝑦 𝑑𝑦 1 1 1 𝑑 1
sec 2 𝑦 𝑑𝑥 = 1 ⇒ 𝑑𝑥 = sec2 𝑦 = 1+tan2 𝑦 = 1+𝑥2 ⇒ 𝑑𝑥 tan−1 𝑥 = 1+𝑥2

𝑑 1
tan−1 𝑥 =
𝑑𝑥 1 + 𝑥2
역삼각함수의 도함수들
나머지 역삼각함수의 도함수는 자주 이용되지 않으나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𝑑 −1
1 𝑑 −1
1
sin 𝑥 = csc 𝑥 = −
𝑑𝑥 1 − 𝑥2 𝑑𝑥 𝑥 𝑥2 − 1
𝑑
cos −1 𝑥 = −
1 𝑑
sec −1 𝑥 =
1 각 도함수들이 정의되는
𝑑𝑥 1 − 𝑥2 𝑑𝑥 𝑥 𝑥2 − 1 정의역으로 제한된다.
𝑑 1 𝑑 1
tan−1 𝑥 = cot −1 𝑥 = −
𝑑𝑥 1 + 𝑥2 𝑑𝑥 1 + 𝑥2

(예제) 다음을 미분하시오.


𝑥 𝑥
1) 𝑦 = 𝑠𝑖𝑛−1 (2𝑥) 2) 𝑦 = 𝑠𝑖𝑛−1 2 3) 𝑦 = 𝑡𝑎𝑛−1 (2𝑥) 4) 𝑦 = 𝑡𝑎𝑛−1 𝑎
5) 𝑓(𝑥) = arctan 𝑥 6) 𝑓(𝑥) = 𝑥 arctan 𝑥

풀이
1  1 −1/2  −1 x
f '( x ) = x  x  + tan x= + tan −1 x
( x) 2 (1 + x)
2
1+ 2 
쌍곡선 함수: Hyperbolic Functions
𝑑 𝑑 𝑒 𝑥 −𝑒 −𝑥 1 𝑑 1
1. sinh 𝑥 = = 2 𝑑𝑥 𝑒 𝑥 − 𝑒 −𝑥 = 2 (𝑒 𝑥 + 𝑒 −𝑥 ) = cosh 𝑥
𝑑𝑥 𝑑𝑥 2

𝑑 𝑑 𝑒 𝑥 +𝑒 −𝑥 1 𝑑 1
2. cosh 𝑥 = = 2 𝑑𝑥 𝑒 𝑥 + 𝑒 −𝑥 = 2 (𝑒 𝑥 − 𝑒 −𝑥 ) = sinh 𝑥
𝑑𝑥 𝑑𝑥 2
ex − e−x 1
sinh x = csch x =
2 sinh x
𝑑
3. e + e−x
x
tanh 𝑥 1
cosh x = sech x =
𝑑𝑥 2 cosh x
sinh x 1
tanh x = coth x =
cosh x tanh x
𝑑
4. 𝑑𝑥
sech 𝑥

d d
( sinh x ) = cosh x ( csch x ) = − csch x coth x
dx dx
d d
( cosh x ) = sinh x ( sech x ) = − sech x tanh x
dx dx
쌍곡선함수의 도함수들 d d
( tanh x ) = sech 2 x ( coth x ) = − csch 2 x
dx dx
역쌍곡선함수의 도함수
쌍곡선함수들이 미분 가능하므로 역쌍곡선함수도 미분 가능하며 역함수 미분법에 의해 쉽게 증명된다.

역쌍곡선함수의 도함수 표
d 1
14
dx
( sinh −1 x ) = 𝑑
csch−1 𝑥 = −
1
1 + x2 𝑑𝑥 𝑥 𝑥2 + 1
d 1
dx
( cosh −1 x ) =
𝑑
sech−1 𝑥 = −
1
x2 − 1 𝑑𝑥 𝑥 1 − 𝑥2
d 1 𝑑 1
dx
( tanh −1 x ) =
1 − x2 𝑑𝑥
coth−1 𝑥 =
1 − 𝑥2

※ tanh–1 x와 coth–1 x의 도함수 공식이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주목하자.


그러나 이 함수들의 정의역은 공통인 수를 갖지 않는다. tanh–1 x는 |x| < 1에서 정의되고
coth–1 x는 |x| > 1에서 정의된다.
예제 11 sinh−1 𝑥 = ln 𝑥 + 𝑥 2 + 1 ,𝑥 ∈ ℝ

cosh−1 𝑥 = ln 𝑥 + 𝑥 2 − 1 ,𝑥 ≥ 1
𝑑 1
sinh −1
𝑥 = 임을 보여라
𝑑𝑥 1+𝑥 2
1 1+𝑥
tanh−1 𝑥 = ln , −1 < 𝑥 < 1
2 1−𝑥
풀이
y = sinh–1 x로 놓으면 sinh y = x이다. 음함수 미분법으로 이 식을 x에 관해
미분하면 다음을 얻는다.

dy
cosh y =1
dx

한편 cosh2 y – sinh2 y = 1이고 coshy ≥ 0이므로 cosh 𝑦 = 1 + sinh2 𝑦 이다.


따라서 다음을 얻는다.

dy 1 1 1
= = =
dx cosh y 1 + sinh 2 y 1 + x2
cosh−1 𝑥 = ln 𝑥 + 𝑥 2 − 1 , 𝑥≥1
많은 자연 현상에서 어떤 양은 그들의 크기에 비례하는 비율로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𝑑𝑦
y(t)가 시각 t에서 양 y의 값이고 t에 관한 y의 변화율 가 크기 y(t)에 비례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𝑑𝑡

𝑑𝑦
= 𝑘𝑦 (k는 상수)
𝑑𝑡

위의 미분방정식을 자연성장 법칙(k > 0) , 자연붕괴 법칙 (k < 0)이라 한다.

정리 미분방정식 dy /dt = ky의 유일한 해는 y(t) = y(0) ekt 인 지수함수이다.


226
88 Ra

예제 3
226
라듐 226 ( 88 Ra)의 반감기는 1590년이다.
226
(a) 라듐 226 시료의 질량이 100mg이다. t년 후에 남아 있는 88 Ra의 질량에 대한 식을 구하라.
(b) 1000년 후의 질량(mg)을 밀리그램 단위의 정수값으로 구하라.
(c) 질량이 30mg으로 줄어드는 때는 언제인가?

풀이
(a) m(t)를 t년 후에 남는 라듐 226의 질량이라 하면 dm/dt = km, y(0) = 100이므로 𝑚(𝑡) = 𝑚(0)𝑒 𝑘𝑡 = 100𝑒 𝑘𝑡
k의 값을 정하기 위해 반감기 y(1590) = (1/2)(100)을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1 1 ln 2
100𝑒 1950𝑘 = 50 ; 𝑒 1950𝑘 = ; 1950𝑘 = ln = − ln 2 ; 𝑘=−
2 2 1950
따라서 m(t) = e–(ln 2)t/1590이고 eln 2 = 2인 사실을 이용하면 𝑚(𝑡) = 100 × 2−𝑡/1950 이다.

(b) 1000년 후의 질량은 m(1000) = 100 e-(ln 2)1000/1590 ≈ 65 mg 이다.

(c) 다음과 같이 m(t) = 30인 t의 값을 구하면, 100e-(ln 2)t/1590 = 30 또는 e-(ln 2)t/1590 = 0.3 이므로 양변에 자연로
그를 취한다.
ln 2 ln 0.3
− 𝑡 = ln 0 . 3 ⇒ 𝑡 = −1950 ≈ 2762 (년)
1950 ln 2
미분 가능한 함수 f 에 대해 y = f(x)라 하면, 미분 dx와 dy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𝒙의 미분: 𝒅𝒙 = ∆𝒙
𝒚의 미분: 𝒅𝒚 = f ‘(x)∆𝒙 = f ‘(x)dx

▪ 점 (a, f(a))에서 f 의 접선의 방정식 : y = f(a) + f ’(a)(x – a)

▪ 곡선 y = f(x)에 대한 근사로써 점 (a, f(a))에서 f 의 접선을 이용한다.

❖ f 의 선형근사 : f(x) ≈ f(a) + f '(a)(x – a)

❖ f 의 선형근사 : ⇒ f(x+∆x) ≈ f(x) + f ‘(x)dx = f(x) + dy

⇒ f(x+∆x) = f(x) + ∆y ≈ f(x) + dy


예제 1 1. 수 3.98과 4.05 의 근삿값을 구하라.
2. a = 1에서 함수 𝑓(𝑥) = 𝑥 + 3 의 선형화 를 구하라.
3. a = 4에서 함수 𝑓(𝑥) = 𝑥 의 선형화 를 구하라.
풀이 1
1 1 1
2. f(x) = (x + 3) 1/2
: 𝑓′(𝑥) = (𝑥 −2
+ 3) =2 ⇒ 𝑓(1) = 2, 𝑓′(1) = 4
2 𝑥+3
1 7 𝑥
𝐿(𝑥) = 𝑓(1) + 𝑓′(1)(𝑥 − 1) = 2 + (𝑥 − 1) = +
4 4 4

1 1 1 1
3. f(x) = x1/2 의 도함수 : 𝑓′(𝑥) = (𝑥)−2 = ⇒ 𝑓(4) = 2, 𝑓′(4) =
2 2 𝑥 4
1 7 𝑥
𝐿(𝑥) = 𝑓(4) + 𝑓′(4)(𝑥 − 4) = 2 + (𝑥 − 1) = +
4 4 4

𝑑𝑥 = 4 − 3.98 = 0.02,
𝑑𝑦 = 𝑓 ′ 𝑥 𝑑𝑥 = (1/4)0.02 = 0.005
𝐿(3.98) = 𝑓(4) + 𝑓′(4)(𝑥 − 4) 함수 f 의 선형근사

7 𝑥 7 𝑥
𝑥≈ + ( x가 4의 부근에 있을 때), 𝑥+3≈ + ( x가 1의 부근)
4 4 4 4

7 0.98 7 1.05
3.98 ≈ + = 1.995, 4.05 ≈ + = 2.0125
4 4 4 4
𝟑. 𝟗𝟖 = 𝟏. 𝟗𝟗𝟒𝟗𝟗 ⋯ , 𝟒. 𝟎𝟓 = 𝟐. 𝟎𝟏𝟐𝟒𝟔1⋯
1. 0.99, 0.999 의 근삿값을 구하시오.

1 1
𝑓(𝑥) = 𝑥 라 두면 𝑓 ′ 𝑥 = 2 이므로 𝑓 ′ 1 = 2
𝑥
0.99 ≈ 1 + 𝑓 ′ 1 (0.99 − 1)=1+0.5(-0.01)=0.995
0.999 ≈ 1 + 𝑓 ′ 1 (0.999 − 1)=1+0.5(-0.001)=0.9995

2. 선형근사 또는 미분을 이용해서 (0.9999)4 를 추정하시오.

(0.9999)4 ≈ 14 + 4(1)3 0.9999 − 1 = 0.999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