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제2교시

2023 수능직전 기대모의고사 문제지

수학 영역 홀수형

성명 수험 번호 ―

○ 문제지의 해당란에 성명과 수험번호를 정확히 쓰시오.


○ 답안지의 필적 확인란에 다음의 문구를 정자로 기재하시오.
올해 수고 많으셨습니다.

○ 답안지의 해당란에 성명과 수험 번호를 쓰고, 또 수험 번호, 문형


(홀수/짝수), 답을 정확히 표시하시오.
○ 단답형 답의 숫자에 ‘0’이 포함되면 그 ‘0’도 답란에 반드시 표시하시오.
○ 문항에 따라 배점이 다르니, 각 물음의 끝에 표시된 배점을 참고하시오.
배점은 2점, 3점 또는 4점입니다.
○ 계산은 문제지의 여백을 활용하시오.

※ 시험이 시작되기 전까지 표지를 넘기지 마시오.


2023 수능직전 기대모의고사 문제지 1
제2교시 수학 영역
5지선다형 3. 두 상수  에 대하여     
lim 
→ 
 일 때,  의
1.   ×  의 값은? [2점]
1)
값은? [3점]
3)

① 
② ③ ④ ⑤ ① ②  ③  ④  ⑤ 

2. 함수         에 대하여  ′ 의 값은? [2점]


 
2) 4. 두 양수   에 대하여 log    log   log  일 때,  의
 

① ② ③ ④ ⑤ 값은? [3점]
4)

① 


②

③ ④  ⑤ 

1 12
2 수학 영역
5. 좌표평면에 있는 곡선        위의 점  에서
 
7. 함수  의 그래프의 일부분이 그림과 같다.
그은 접선의 절편은? [3점]
5)

① 


②  ③ 


④ 


⑤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일 때,


lim  lim 의 값은? [3점]
7)
→    → 

① ② ③ ④ ⑤

등차수열  에 대하여     일 때,   의 값은?



6.    


[3점] 6)

①  ②  ③  ④  ⑤ 

2 12
수학 영역 3
8. 모든 실수 에 대하여 부등식  ≥    가 성립하도록 하는 
10.  ×   의 값은? [4점]


실수  의 최댓값은? [3점]
10)
8) 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9. 모든 항이 양수인 등비수열  이 

,  log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 의 값은? [4점]



9)

①  ②  ③  ④  ⑤ 

3 12
4 수학 영역
11. 이차함수 에 대하여 12. 곡선   log  와 함수  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두

점을 각각 A , B라 하자. 점 P  에 대하여  PA 일 때,


PB 
lim 
→ 
 

  양수  의 값은? [4점]12)

일 때,  ′의 값은? [4점] 11)

① ② ③ ④ ⑤

①  ② 


③  ④

⑤ 

4 12
수학 영역 5
13. 인 등차수열  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    14. 구간      에서 곡선   sin 와 직선    이 만나는
 이라 하자.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모든 교점들의  좌표의 합이  이하가 되도록 하는 모든
자연수  의 값의 합은? [4점]
14)

    

 

 
① ② ③  ④  ⑤ 

일 때, 일반항  을 구하는 과정이다.

등차수열  의 공차를 라 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가) ×    …①


이다.
        ,  
     ×   

을 ①의 식에 대입하여
  (나) ×

임을 알 수 있고,     이므로
  (다)
이다.
위의 (가), (나)에 알맞은 수를 각각  라 하고 (다)에 알맞은
식을 이라 할 때,   의 값은? [4점] 13)

① ② ③  ④  ⑤ 

5 12
6 수학 영역
15.그림과 같이 지름의 길이가 각각    인
단답형
두 원 O  O 의 두 교점 A B에 대하여 
 
AB  이다. 서로
다른 세 점 B P Q 가 한 직선 위에 있도록 원 O 위의 점 P와
16. 함수     의 그래프가 제사분면을 제외한 모든
원 O 위의 점 Q를 잡을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

대로 고른 것은? [4점] 15)


사분면을 지나기 위한 자연수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3점] 16)

<보 기>
ㄱ. 두 점 P Q의 위치에 상관없이 ∠PAQ는 일정하다.
ㄴ.  PQ 이면 
AB⊥ PQ  이다.
ㄷ. 삼각형 APQ의 넓이가   일 때,
삼각형 APQ의 외접원의 넓이는  이다.
①ㄱ ② ㄱ, ㄴ ③ ㄱ, ㄷ 17. 삼차함수         의 극값이 존재하지
④ ㄴ, ㄷ ⑤ ㄱ, ㄴ, ㄷ
 

않도록 하는 정수 의 개수를 구하시오. [3점] 17)

6 12
수학 영역 7
좌표평면에 있는 곡선         과 축으로 둘러싸인
18.  
20.    인 수열   이 

부분의 넓이는  이다.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18)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의 최솟값을





구하시오. [4점] 20)

19.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P Q의 시각  (  ) 에서의


속도가 각각          이고   일 때 두 점 P Q
 

사이의 거리가 이다. 움직이는 두 점 P Q가 한 번도 만나지


않도록 하는 모든 자연수 의 개수를 구하시오. (단,   일 때
점 P는 점 Q보다 오른쪽에 있다.) [3점] 19)

7 12
8 수학 영역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이차함수 와 양수 에 대하여
21. 22. 모든 정수 에 대하여 함수
함수     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      ≤    


    ≤    

(가)         가 있다. 상수    (단,   ) 에 대하여 함수


(나) 방정식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이다.
가 극대 또는 극소가 되는 점들의 좌표의 합이 일 때,

 
   sin  × cos 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21)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  의 최댓값은    이다.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이다.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와 는 유리수이다.) [4점] 22)

* 확인 사항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했는지 확인
하시오.
8 12
2023 수능직전 기대모의고사 문제지 1
제2교시 수학 영역(미적분) 홀수형
5지선다형 24. 두 실수   에 대하여 두 점
Acos   cos  , Bsin   sin  

사이의 거리가  일 때, sin    의 값은? [3점]


23. 



   sin  의 값은? [2점]
23) 24)

①  ② ③ ④ ⑤ ① 


②  ③ 


④ 


⑤ 



9 12
2 수학 영역(미적분) 홀수형
25. 매개변수   로 나타내어진 함수 26. 등비수열  에 대하여 
  
 ×
이라 하자.   ,

  

    ln , 
     

(
lim    ≠
→∞
) 일 때,  



 ×
의 값은? [3점]

26)

에 대하여 


  인 점의  좌표는? [3점] 25) ① 


②

③ 


④ 


⑤

① ②  ③ ④ 


⑤

10 12
홀수형 수학 영역(미적분) 3
27.곡선       의 변곡점이   일 때,  의 값은?


  28. 자연수 에 대하여 함수

(단,  는 상수이다.) [3점] 27) 


  
 sin  cos
   ×   cos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가    에서 극대인 모든 을 작은 수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할 때, 번째 수를  이라 하자.   의 값은? [4점]

28)
 


①  ②  ③  ④  ⑤ 

11 12
2 수학 영역(미적분) 홀수형
단답형 30.  인 상수  와 이차함수  에 대하여
함수   가          에서 최대 또는 최소일 때,
 

 ′ 의 최솟값은 이다.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그림과 같이 길이가 인 선분 AB를 지름으로 하고 중심이

30)
29.
O인 반원이 있다. 세 호 AC AP AQ의 길이가 각각



,   이 되도록 호 AB 위에 세 점 C P Q를 잡을 때, 두
선분 PB QB가 선분 OC와 만나는 점을 각각 R S라 하자.
사각형 PQSR의 넓이를  이라 할 때,  × lim 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  ) [4점]
29)

* 확인 사항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했는지 확인
하시오.
12 12
홀수형 수학 영역(미적분) 3
2023 수능직전 기대모의고사 정답
공통 미적
1. ⑤ 12. ⑤ 23. ⑤
2. ② 13. ③ 24. ③
3. ③ 14. ④ 25. ②
4. ④ 15. ② 26. ①
5. ① 16. 5 27. ②
6. ② 17. 7 28. ⑤
7. ④ 18. 40 29. 30
8. ③ 19. 3 30. 16
9. ④ 20. 10 1컷 88
10. ④ 21. 245 2컷 78
11. ⑤ 22. 49 3컷 70

13 12
2 수학 영역(미적분) 홀수형
<수능당일 저녁 수리논술 무료특강>

네이버 Band를 통해 생중계하는 수리논술 벼락치기 무료특강!


수능 후 수리논술을 효과적으로 준비하기 위한 Tip들을 방출
하는 시간입니다. 수능 당일 오르비 사이트가 터질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수강신청 QR 코드 미리 인쇄해두거나 찍어두세요.
(선착순 100명)

수강신청 QR 코드

14 12
홀수형 수학 영역(미적분) 3
1) 정답 : ⑤  8) 정답 : ③ 

 ×           부등식    ≥  를 만족시켜야 한다.


함수      의 도함수는  ′     이므로
 

함수      는    에서 극솟값이자 최솟값  을 갖는다.


2) 정답 : ② 
따라서   ≥  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 의 최댓값은  이다.
 ′       이므로 ′  이다.

3) 정답 : ③ 
9) 정답 : ④
에서 분모가  으로 수렴하므로
     
lim  
     이므로    .
 →
분자도  으로 수렴해야하고, 따라서       이다.

   

또한 이 값을 극한에 대입한 후 분모, 분자에서    를 나눠주면 또한  log   log      이므로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    이다.
    ⋯ 


그런데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4) 정답 : ④  
 ⋯     

log    에서      이고 
      이므로 공비를  라 하면    .  

log   log  에서    이다.


 

따라서    에서    ,    임을 알 수 있고,



따라서    ×      
 

  이다.



 10) 정답 : ④ 
5) 정답 : ① 

, 이므로 점   에서 그은 접선

 
       ′       
 ×   
의 기울기는  이다.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     이므로




 절편은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정답 : ②   
등차수열의 성질에 의하여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정답 : ⑤ 

lim 
 →
 의 분모가  으로 가므로 분자도  으로 간다.
 

7) 정답 : ④  따라서    이므로        로 두자. 

    이므로


에서    로 치환하면
lim 
→     
이고
lim  lim    lim   임을 알 수 있고
lim 

 lim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에서        이다.
lim    이다. 따라서 lim  lim  
→ →  →

따라서  ′     로부터  ′   이다.

15 12
2 수학 영역(미적분) 홀수형
큼) 에 의해  값의 총합은      이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   (단,  ≤  ≤ ) 일 때,
 값의 총합은         이다.
12) 정답 : ⑤ 

 

점 A 와 점 B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  B ′  

이때  값의 총합은    이고 이 값이  이하여야 하므로


이라 하자. 가능한  는      뿐이다.

PB  PA 이므로  AA ′ ( ∵∆PAA′  ∆PBB′ 은 AA 닮음)
BB ′ 
이고, 두 점 A 와 B 는 곡선   log  위의 점이므로  2)    일 때,
점 A 의  좌표를       라 하면 점 B 의  좌표는  이다. 
   로 치환하면, 본 문제에서 원하는 값은  ≤  ≤  에서
또한  PA′ 이므로        이고
PB′  
sin    , 즉 sin    을 만족하는  를 모두 더한 후  을 곱해

  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주면 모든 교점의  좌표들의 합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점 B 의 좌표가 B  이므로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이다.    

이고 이 모든  값의 총합은  이고, 이를  으로 나누면 모든 


좌표의 합이다. 따라서 이 경우 역시 모든  좌표의 합인
    가  이하이므로    일 때도 성립한다.
 
 

3)    일 때, 곡선   sin 와 직선    의 교점이 존재하


지 않는다.
따라서, 가능한 모든  은        이고 이들의 합은  이
13)
등차중항의 성질에 의하여               
다.
이다.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에 대입하면
    
(가) = 2 임을 알 수 있다. 15) 정답 : ②
  평가원의 ㄱㄴㄷ문제는 무조건 ㄱㄴㄷ 사이의 유기성이 있을 것
을 기대하고 풀 것.
       ,      ×   을 문제의 ①식에

대입하면 계수비교법에 의하여 (나) = 2 임을 알 수 있다.
기대모의고사도 이러한 유기성을 기대하고 풀어도 좋다.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로부터    이다.
따라서 (다) =   이다.
참고로 이 문제가 2022 수능 예비문항과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정답 : 10 있는데, 2018년 기대모의고사에서 출제한 가형 전용 벡터 문제를
14) 정답 :  수학1 문항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곡선   sin 와 직선   의 교점에 대하여  의 범위를
나누어 생각해 보자.
ㄱ.
∠APB 는 호 AB 에 대한 원주각이다.
1)    일 때
   로 치환하면, 본 문제에서 원하는 값은  ≤  ≤  에서
또한, ∠AQB 도 호 AB 에 대한 원주각이다.
따라서, ∠APB 와 ∠AQB 는 항상 일정하다.
    을 만족하는  값의 합에  을 곱해준 값과 같다. (단순

sin

치환) 삼각형 APQ 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일정하므로,
자연스럽게 ∠PAQ 도 일정하다. (참)
   일 때, 교점이  개가 나오는데 대칭성에 의해  값의 총합은 (즉, 어떻게 선분 PQ를 그어도 세 각의 구성이 같은 삼각형이 나
 이다. 옴을 알 수 있다. ㄷ을 풀기 위한 핵심 아이디어!)
   일 때, 교점이  개가 나오는데 대칭성과 주기성 (   번째
교점의  좌표는 은   번째 교점들의  좌표에 비해 각각  씩 ㄴ.
16 12
홀수형 수학 영역(미적분) 3
선분 AB 에 선분 PQ 가 수직인 상황을 생각해 보도록 하자. 삼각형  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     
cos∠PAQ   

 ×  ×  


에서


sin∠PAQ 
  cos ∠PAQ   ∵ sin∠PAQ 



점 B P  Q 는 일직선상에 있어야 하므로 다음과 같은 상황이다. 이고, 사인법칙에 의하여


 
   

sin∠PAQ 


   



이다. 따라서 삼각형  의 외접원의 넓이는  



이고 이를 절반

으로 나누면  

가 삼각형 의 외접원의 넓이가 된다. 따라서

그런데 호 AP 에 대한 원주각 ∠ABP 는 직각이므로, 선분 AP 는 ㄷ.은 (거짓)


원 O 의 지름이다. 마찬가지로 선분 AQ 도 원 O 의 지름이다.
 

선분 PQ 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 선분 PB 와 선분 BQ 의 길이를 16) 정답 : 

각각 구해보자. 곡선      위의 점 중  축 위에 있는 점     을


선분 AP 의 길이는  이고, 선분 AB 의 길이는  이므로, 피타 생각해보면, 우상향하는 지수함수 그래프의 특성상 이 점이
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선분 PB 의 길이는 1이다.    인 영역에 포함되어야 제 사분면을 제외한 모든 사분면을

마찬가지 논리로 선분 AQ 의 길이는   이고 선분 AB 의 길이 지날 수 있다.


는  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선분 BQ 의 길이는 3이 따라서      에서 자연수  의 최솟값은  이다.
다. (참고)   축은 어느 사분면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선분 PQ 의 길이는     이다. (참)
ㄷ. 17) 정답 : 
앞서 푼 ㄱ, ㄴ을 연관시켜 보도록 하자.
 ′       이고,  ′ 의 부호변화가 있으면 안되므로
ㄱ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은 ∠APB 와 ∠AQP 의 크기가 항상 일정

하다는 점을 밝혔고, 이를 이용하여 특수한 상황이었던 ㄴ의 상황 이차함수  ′의 근은  개 이하여야 한다.


에서 점 P 나 Q 의 위치가 달라져도, 삼각형 APQ 의 모양이 달라 따라서 판별식을 통해      ≤  을 만족해야 하므로 

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삼각형이 닮은 삼각형이기  ≤  ≤  이고, 정수 의 개수는 개 이다.


때문에)
18) 정답 : 
다시 말하면 넓이가  인 삼각형을 삼각형  라 하고, 보기 ㄴ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의 선분 AB 와 선분 PQ 가 수직일 때의 삼각형 APQ 를 삼각형 곡선          와  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 라 할 때, ㄱ. 보기에 의하여 삼각형  와 삼각형  는 AA
 

닮음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닮음비의 제곱이 넓이비임을 이용하면 삼각형  의 넓이 이다. 따라서    이다.
는  이므로   의 넓이비는    닮음비는    이다. 즉,
두 삼각형   의 외접원의 넓이비 역시   임을 알 수 있다. 19) 정답 : 
점 P 는    일 땐 꾸준히 왼쪽으로 운동하다가
이제 삼각형  의 외접원의 넓이를 구한 후 나누기 를 하여 정    일 땐 꾸준히 오른쪽으로 운동한다.
답을 구하자.
점 Q 는    일 땐 꾸준히 오른쪽으로 운동하다가
17 12
2 수학 영역(미적분) 홀수형
 일 땐 꾸준히 왼쪽으로 운동한다. 을 관통하는 그래프를 나타낼지는 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이 경우 점 P 는 Q 보다 오른쪽에 있어야만 두 점이 (가)조건을 만족하는 의 케이스를 나눠보도록 하자.
영원히 만나지 않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문제 조건에 대한 의문 해결!)       (양의 실수를 중근으로 가질 때)
또한 두 점 P  Q 가 제일 가까워지는 시각은    일 때임을 알
수 있다.
≤≤ 일 때 점 P 가 이동한 거리는 왼쪽으로
        이고


 ≤  ≤  일 때 점 Q 가 이동한 거리는 오른쪽으로


 
      



이므로   


  에서    이다.

따라서 가능한 자연수 의 개수는 이다. 이 경우,  의 부호가 음이 아니므로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20) 정답 : ② 

수열의 귀납적 정의 문제는, 문제의 조건에 맞게 잘 나열하는 게 따라서 ′  , ′  


상책이다. 다만  ≥  부터는   이 부분적으로 공비가  인 즉,     에서 방정식    은 중근을 가지지 않으므로

등비수열을 이룬다는 것은 눈치채주자.        꼴로 표현되어야 (나)조건을 만족시킬 수 

      
  있다. (단,  ≠  )
      
       하지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이고,




에서,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 는 존재하지 않음
  

   ×     × × ⋯ 에서 을 알 수 있다. (추가설명 : 두 식을 전개하여 항등식이 되기 위


한 조건을 적용하면      이 나오는데, 이는    이라는 점
 

  (단,  ≥  ) 이므로
 

과  ≠ 라는 점에 모순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  을 찾아주면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일 때 처음으로 문제의 부등식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단,    )
       
(   이 음의 실근 하나와 양의 실근 하나를 가질 때)
21) 정답 : 

      이고  ′       으로부터



  ′   이다.



 ′ 

즉, 곡선    가 두 점      을 지난다는 것은 확실


하나 그 점들에서 극대 또는 극소가 될지, 아니면 평범하게 축
18 12
홀수형 수학 영역(미적분)

3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방정식  ′  의 실근인


      에서 각각 극소, 극대, 극소임을
 
   

 
이 경우는 구간   에서  의 부호가 모두 음이므로 알 수 있고, 이들의 합이 이어야 하므로   이다. (근과 계수의
    이고,    이므로 따라서  ′   ,  ′   .

관계를 이용해도 좋다.)

그런데, 양수  에 대하여  ′   이고  ′   이면 따라서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사차함수는 구간    에서 극댓값을


가짐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두 구간  ∞ ,  ∞  에서 22)
 보다 작은 극솟값을 가짐도 알 수 있다. 문제 박스의 조건을 해석하면   ≤  ≤  이다. 즉,
(∵ 극솟값이      보다 작으므로) 는  함숫값을 기준으로 ± 이내의 위아래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는 존재할 수 없다.
한편 lim   ∞  이므로 두 구간  ∞ ,  ∞  에서
→ ± ∞ 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을 그래프로 나타내보면 다음과 같다.
곡선    는  축과 각각 적어도 한 점 이상에서 만난다.
따라서, 곡선    는      를 포함한 네 점에서  축
과 만나므로 (나)조건에 모순이다.
( 이 서로 다른 실근  개를 가지는
        
데, 하나는  이고 하나는  인 경우)

<그림 1>

여기에  

cos   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도 구간    에서  의 함숫값의 부호가 모두 음이


므로     이고,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그림 2>

따라서  는    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즉, 빗금친 영역 ( 의 부호를 의미)과



cos   가 같은 부호에
  
        꼴로 표현이 된다.

존재하는 구간에서는    sin  가 양의 함숫값을, 빗금친 영역

(단,  ′   이므로  는  보다 큰 실수여야 함을 사차함수 개형



 
( 의 부호를 의미)과 cos   가 반대 부호에 존재하는 구간에서는

으로도 알 수 있다.)    sin  가 음의 함숫값을 가질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   sin  가 있을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9 12
2 수학 영역(미적분) 홀수형

<그림 3>

결국 문제의 조건을 잘 만족시키면서  값도 최대가 되도록 하는  는
축 위쪽의 영역에서 아래쪽의 영역으로 내려올 땐 무조건  값이 일 수 
밖에 없고, 수많은 정수에서  값이  인 점을 규칙적으로 계속 반복하여 
tan  를 만족시키는 두 번째로 작은 양수인    임을 알 수
지나야 하므로 
   sin  의 주기는 ‘정확히’ 여야 한다. 
 있다. 그리고 이 때 값은   이다. 그림으로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   이다. 

또한 이 곡선은    을 지나므로



 
 
 sin  ×       sin  ×   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 

 
sin  sin     인 를 찾아야 한다.

    일 때
 
우리가 찾는 값은   의 최댓값이므로, 음수보다는 양수가 달달할
  
것이다.    일 때를 봐보고, 가능한 경우가 없으면 다시 로 넘어오도록
하자.

   
      
  의 값은  가 작은 양수일수록 최대가 된다. 따라서 따라서   의 최댓값은    이므로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sin  sin     인 최소의 양수 를 찾자.


 

  이다.



sin      cos이므로 sin  cos tan   에서






tan  을 만족시키는 최소의 양수 는    임을 알 수 있다.

23)    sin

  
(그리고 이 때  sin  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   이다.)

 

      cos     cos 
     
따라서      의 최댓값은     이다. 
    
   sin    
라고 하고 많이 틀릴 것이다. 그 이유는, ‘수식적인’ 부분만 신경썼기 24)
때문이다.

cos   sin    cos   sin  
   sin  는 구간  에서는
 
위의 <그림 3>에서처럼
cos   cos  sin  sin   cos   cos  sin   sin 

   인 영역에 있어야하는데,    인 경우 함수는  
  cos  sin  cos  sin   

  
 
    sin      는 다음과 같이 그려져서 문제의 조건에 에서 cos  sin  cos  sin    ,
  

맞지 않음을 알 수 있다. cos  sin  cos  sin   sin    

25)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이다.
 

26)
   로부터   임을 알 수 있다.

20 12
홀수형 수학 영역(미적분) 3
 
lim  의 값이 수렴하므로, lim  lim 
 
로부터 lim 
→∞ →∞ →∞





 
   →∞ 

의 값이 이 아닌 값으로 수렴해야함을 알 수 있고, 따라서 등비수열 


의 공비는  이다.
 
또한   이므로    × 이므로   이다.



 
∞

따라서


 

    이다.
 
 

27) 마찬가지 논리로, 


∠ AOC  

임을 알 수 있다.
함수  를     


 라 하자.

이제, 구하려는 영역의 넓이를 나타내면 아래 그림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곡선      



 
 의 변곡점이   이므로
 ″  이다.

    




 

 에서   

  
 

이므로
   


에서 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넓이를 한 번에 구하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삼각형으로 분할하여 계산하도록 하자. 위 그림에서,
    
 
삼각형 PBQ 의 넓이에서 삼각형 RBS 의 넓이를 빼는 발상을 떠
28)
올리면 된다.
 먼저 삼각형 PBQ 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변 BQ 의 길이를 구해
 
   
보도록 하자.

 ′   × cos   sin이므로  ′     이기 위해서는

  ∠ AQB가 지름에 대한 원주각이므로, 직각이다.

tan     이어야 한다.

따라서 가능한 은     ⋯으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따라서, 변 BQ 의 길이는 
AB × cos∠ABQ 이므로, cos 이다.
  

 ″   ×cos  sin cos에서 
마찬가지로, 변 BP 의 길이도 cos 로 구할 수 있다.
위의 중

 
 ″    sin
  



  을 만족시키는 은    ⋯ 이므로, 수열
∠ PBQ 의 크기가  이므로, 삼각형 PBQ 의 넓이  은 
 은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을 이룬다. 따라서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   × 

BP × 

BQ× sin∠PBQ  cos  × cos  × sin 

이다.


29) 정답 : 30 이제, 삼각형 RBS 의 넓이를 구해보도록 하자.


호 AP 의 길이가 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이므로, 


∠AOP 의 크기는 이다. 호 AQ 의 길이가 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 이므로,∠AOQ의 크기는 이다.

21 12
2 수학 영역(미적분) 홀수형
삼각형 PBQ 의 넓이를 구할 때처럼, 두 변과 그 사이의 일 때,   
 ′    

끼인각을 이용하여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도록 하자. 의 세 경우가 존재한다.
먼저 변 BS 의 길이를 구하자. 변 OB 는 원의 반지름이므로,
길이가  이다. 첫 번째 경우는    이므로   
    일 수 없으므로
∠ SBO의 크기가  이므로, 변 BS 의 길이는  sec 이다.
 가능한 경우가 아니다.

마찬가지로, 변 BR 의 길이도 같은 방법으로 구하면, 세 번째 경우인      인 경우,  


 sec  이다.   는          에서만 극대 또는 극소이고


     이므로 함수   는    에서 극대,    에서 극소



∠ RBS 의 크기가  이므로, 삼각형 RBS 의 넓이  는
 


이거나    에서 극소,    에서 극대이다.
그런데      이므로
   
   × 
BR× 
BS × sin∠RBS  ×  sec ×  sec  × sin   
   
로 구할 수 있다.    에서 극대,    에서 극소이거나
   에서 극소,    에서 극대일 수 없다.

따라서 구하고자 하는 사각형의 넓이      는  


따라서 가능한 경우가 아니다.
cos  × cos  × sin    sec  × sec  × sin 이고,
 

  결국 두 번째 경우인  ′   ,      ,  

간단한 극한 계산을 하면, 극한값이      에 수렴함을 쉽게 즉  ′        ln  인 경우만이 가능하다.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 ×    이다.     ln  을 이용하여
     ln ≠
30) 정답 : 16
우선, 이 문제를 풀기에 앞서          에서 최대, 최소 라따라서 하면,  ′     ,  ′    이다.
 ′  에서    이고,      ln 이다.
임을 다시 한 번 파악하고 넘어가자.
(최대, 최소란 뜻은 극대, 극소라는 의미도 포함하지만 그 역은  )
아니므로 동치가 아니다! 더 많은 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극대-극
소 조건만 쓸 경우 문제풀이에 애를 먹을 수 있다. 함수     가 최댓값과 최솟값을 모두 가지기 위해서는
이는   에서 확인해보자. )


lim  와 lim  가 모두 수렴해야한다.


  
→ ∞

 )
 →∞

(±∞ 로 발산한다면 최댓값, 최솟값을 갖지 않겠죠?)


  를 미분하면  ′  ′ 이고,
   
 의 최고차항이 양수일 때, lim  는 양의 무한으로 발산 

         에서 최대 또는 최소이므로
→±∞

         에서 미분계수가  이어야 한다.


하므로 lim   또한 발산하여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


따라서 세 등식  의 최고차항이 음수일 때, lim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lim      ln으로 조건을 만족시킨다.


  


을 만족시킨다.
→±∞

따라서    .
 는 이차함수이므로  ′  이 되도록 하는 실수  는 하나   )
만 존재하고 어떤 실수 에 대하여     이 되도록 하는 실수
 는 최대 두 개까지 존재할 수 있으므로 문제에서     에서 최대 또는 최소라고 했는데
결국   는 최대 세 개의 극값만을 가질 수 있다.

    에서의 함숫값이
따라서          에서만 극대 또는 극소이다.
       ln  ln ( ∵   )
 

따라서 에서 lim   ln 의 값보다 크므로




 ′   일 때, 
→±∞

  는     에서 최솟값이 아니라, 최댓값   ln 를 갖


 
  

 ′   일 때, 
 
  는다.
22 12
4 수학 영역(미적분) 홀수형
따라서   는    에서 최솟값을 가지며,


  의 값은 lim   ln 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  
→±∞

    ln  ≤ ln

를 정리하면    ≤  이 되고,


   

   이므로  를 양변에서 나눠 정리하면  ≤  .


ln

 ′   이므로 이것의 최솟값은  ln 이므로




  ln  ln  ln이다. 따라서   이다.
 

23 1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