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화학Ⅰ 1.

화학의 첫걸음

1-2-1.화학식량과 몰(01)
구효진 (mistyscene@eduzone.co.kr)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
1) 제작연월일 : 2019-12-25
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
2) 제작자 : 교육지대㈜
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1. zb1 ) 다음은 원자량에 대한 학생들의 대화이다. 4. zb4 ) 다음 각 화합물의 분자량으로 옳은 것을 고른 것


은? (단, A B 는 임의의 화합물 이다.)
학생 A : 단위는 g을 사용해.
학생 B : 원자의 실제 질량 값을 사용하지. 
화합물 A :  몰의 질량 g

학생 C : 현재 원자량의 기준이 되는 원소는 수소야.
화합물 B : 분자  ×  개의 질량 g
학생 D : 평균 원자량은 동위 원소의 존재 비를 고려
하여 계산한 값이야. A   B   A   B  
원자량에 대한 설명이 옳은 학생만을 있는 대로 고른 A   B   A   B  
것은? A   B  
A D
A D B C
B C D

5. 다음 중 수소 원자의 개수가 가장 많은 것은?


2.
zb5 )

다음은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 수에 대한 자료이


(단, H C N O 의 원자량은 각각     이
zb2 )

다.
다.  몰의 개수는  ×  개이다.)
물HO   몰에 포함된 분자 수는 a 이다.
g의 HO
에테인C H   몰에 포함된 H 원자 수는 b이다.
 몰의 CH
포도당C HO   몰에 포함된 O 원자 수는 c이
 ×  개의 NH
다.
 몰의 C H
a ~ c를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L 의 H 기체 ( ℃  기압 )
a  b c a  c b
b a  c b c  a
c  b a

3. zb3 ) ℃,  기압에서 이산화탄소 CO  g의 산소 원 6. zb6 ) 아래의 표는 물질 A 와 B 에 대한 자료( ℃  기
자 수와 같은 것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 압)이다.
은? (단, 원자량은 H   , C   , N   ,
O   이다.) 구분
상태 화학식량 질량 g 부피 L 
물질
<보기>  
A 기체 (㉮)  
ㄱ. L 의 암모니아NH  에 포함된 수소 원자 수  
B 기체  (㉯) 
ㄴ. 물HO g 속의 수소 원자 수
ㄷ. 이산화질소NO   g 속의 산소 원자 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 B 는 임의의 물질이며, ℃  기압
ㄹ. 산소O  g 속의 산소 분자 수
에서 기체  몰의 부피는 L 이다.)
ㄱ, ㄴ ㄱ, ㄴ, ㄷ
㉮  , ㉯  ㉮  , ㉯ 
ㄱ, ㄴ, ㄹ ㄴ, ㄷ, ㄹ
㉮  , ㉯  ㉮  , ㉯ 
ㄱ, ㄴ, ㄷ, ㄹ
㉮  , ㉯ 

I410-UCI(KEPA)-0199-2019-001-000244110
- 1 -
2020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1-2-1.화학식량과 몰(01)

7. zb7 ) 아래 그림은 부피가 다른 두 용기에 ℃ ,  기압 9. zb9 ) 그림은 기체 (가)와 (나)의 g당 분자 수를 나타낸
의 에텐 C H  기체와 뷰텐 C H  기체가 각각 들 것이다. (가)와 (나)는 각각 A AB 중 하나이다.
어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 와 B 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
고 기체의 온도와 압력은 같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  기압에서 기체  몰의 부피는
L 이고, 아보가드로수는  ×  이다.)

<보기>
ㄱ. (나)의 부피는 L 이다.
ㄴ. 전체 원자 수는 (가)가 (나) 보다 많다.
ㄷ. 위 용기에 들어있는 기체를 완전 연소시킬 때 필요한 <보기>
산소의 몰수는 (가)와 (나)가 같다. ㄱ. 분자량비는 (가):(나)    이다.
ㄱ ㄴ ㄴ. 기체의 밀도는 (가)가 (나)보다 크다.
ㄱ, ㄴ ㄴ, ㄷ ㄷ. g 원자수는 (나)가 (가)보다 크다.
ㄱ, ㄴ, ㄷ ㄹ. A 와 B 의 원자량 비는    이다.
ㄴ ㄱ, ㄴ
8. zb8 ) 다음은 원소 X Y 로 이루어진 순물질 (가)~(라)에 ㄴ, ㄷ ㄱ, ㄴ, ㄷ
대한 자료이다. ㄴ, ㄷ, ㄹ
(가)~(라)는 각각 실험식과 분자식이 같다.
(다)를 구성하는 X 원자의 수와 Y 원자의 수는 같다.

10. zb1 0 ) 표는 ℃,  기압에서 A 와 B 로 이루어진  가지


기체 (가)와 (나)에 대한 자료이다.

기체 A의 B의
질량 g
부피 L  질량 g 질량 g
(가)   x y
(나)   x y

<보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ㄱ. 분자량은 (가)>(나)이다.
고른 것은? (단, X Y 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ㄴ. B 의 원자수는 (가)<(나)이다.
<보기>
ㄷ. g당 A 의 수는 (가)>(나)이다.
ㄱ. 분자량은 (나)가 (가)보다 크다. B원자수
ㄹ.  분자당  비는 (가):(나)    이다.
ㄴ. g 속에 들어 있는 분자의 몰수는 (나)가 (가)보다 크 A원자수
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ㄷ.  몰의 X 와 결합하는 Y 의 몰수는 (다)가 (나)의  배 고른 것은? (단, A 와 B 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이다. ㄱ, ㄴ ㄴ, ㄷ
ㄹ. (나)와 (라)의 분자량비는    이다. ㄱ, ㄷ ㄴ, ㄹ
ㄴ ㄱ, ㄴ ㄷ, ㄹ
ㄱ, ㄷ ㄴ, ㄷ
ㄴ, ㄹ

I410-UCI(KEPA)-0199-2019-001-000244110
- 2 -
2020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1-2-1.화학식량과 몰(01)

11.
zb1 1 ) 다음 중 몰과 아보가드로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 13.
zb1 3 ) 그림은 t℃ ,  기압에서 실린더에
은 것을 모두 고르면? ( ℃  기압에서 기체  몰의 NH g C H g CO  g 가 들어 있는 것을 나타
부피는 L 이다.) 낸 것이다.
ㄱ. CH 분자  몰에 포함된 H 원자의 양mol  은  몰
이다.
ㄴ. 일정량의 CHOH 에 포함된 원자 수는 H 원자가 O
원자의  배이다.
아보가드로수
ㄷ. H 원자수가  인 포름알데히드HCHO 
 (가)~(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

의 양mol  은  몰이다. 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ㄹ. ℃ ,  기압의 H 기체의   아보가드로수 개의 ㄱ. H 의 질량은 (가)가 (나)보다 크다.

 ㄴ. 원자의 총 수는 (나)가 (가)의  배이다.
밀도는  gL 이다.
 ㄷ. 같은 부피에 들어 있는 분자 수는 (가)와 (나)가 같다.
ㄱ, ㄴ ㄴ, ㄷ ㄱ ㄴ
ㄱ, ㄷ ㄱ, ㄹ ㄷ ㄴ, ㄷ
ㄴ, ㄹ ㄱ, ㄴ, ㄷ

12.
zb1 2 ) 그림은 (가)는 실린더에 기체 X g과 Y xg을 각
각 넣은 것을, (나)는 실린더 내 오른쪽 실린더에
X g yg을 추가로 혼합하여 넣은 것을 나타낸 것이
다. 온도는 일정하고, Y 의 분자량은 X 의  배이다. 14.
zb1 4 ) 표는 기체 (가), (나)에 대한 자료이다. (가)와 (나)
는 분자량이 같다.

A의 전체
기체 분자식 질량 g
질량 g 원자 수
(가) AB   NA
(나) AC  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 ~ C 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고, NA 는
아보가드로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보기>
고른 것은? (단, X 와 Y 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며, 피
스톤의 마찰은 무시한다.) ㄱ.    이다.

<보기> ㄴ.   NA 이다.

ㄱ. x  g이다. ㄷ. 원자량은 A  B     이다.

ㄴ. (나)에서 실린더 양쪽에 들어 있는 X g 기체의 몰수 ㄱ ㄷ


비는 왼쪽:오른쪽은    이다. ㄱ, ㄴ ㄴ, ㄷ
ㄷ. 실린더 내 오른쪽에 들어 있는 기체의 총 몰수비는 ㄱ, ㄴ, ㄷ
(가):(나)   
ㄹ. (나) 실린더에 들어있는 기체의 밀도비는 왼쪽:오른쪽
은    이다.
ㄱ, ㄴ ㄴ, ㄷ
ㄱ, ㄷ ㄱ, ㄹ
ㄴ, ㄹ

I410-UCI(KEPA)-0199-2019-001-000244110
- 3 -
2020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1-2-1.화학식량과 몰(01)

15.
zb1 5 ) 표는 ℃ ,  기압에서  가지 기체 (가)와 (나)에 17.
zb1 7 ) 그림은 X Y Z 원자의 상대적 질량을 비교한
대한 자료이다. 것이다.

기체 (가) (나)
분자식 C H C H
질량 g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H C 의 원자량은 각각   이다.)
<보기> (가) X 원자  개의 질량과 Y 원자  개의 질량이 같다.
ㄱ. 분자의 몰수는 (가) : (나)     이다. (나) Y 원자  개의 질량과 Z 원자  개의 질량이 같다.
ㄴ. 기체의 밀도 비는 (가) : (나)     이다. Y 의 원자량이  일 때, XZ의 화학식량으로 옳은 것
ㄷ. 단위 부피당 질량은 (가) : (나)     이다. 은? (단, X ~ Z 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ㄱ ㄴ  
ㄷ ㄱ, ㄴ  
ㄴ, ㄷ 

16.
zb1 6 ) 화학 반응식과 물질의 질량을 이용하여 화학 반 18.
zb1 8 ) 표는 몇 가지 화합물의 분자량에 관한 자료이다.
응의 양적 관계를 계산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화합물 ZX ZX  ZY 
분자량 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X ~ Z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보기>
㉠과 ㉡에 들어갈 말을 옳게 짝 지은 것은?
ㄱ. 원자량의 크기는 X  Z  Y 순이다.
㉠ ㉡ ㄴ. 화합물 Y X 의 분자량은 ZY 보다 작다.
A 의 부피 B 의 부피
ㄷ. X 원자 g 속에 들어 있는 원자의 수는 ZY  g 속
A 의 양mol  B 의 양mol 
에 들어 있는 분자의 수와 같다.
A 의 양mol  B 의 부피
ㄱ ㄴ
A 의 부피 B 의 양mol 
ㄱ, ㄷ ㄴ, ㄷ
A 의 원자량 B 의 원자량
ㄱ, ㄴ, ㄷ

I410-UCI(KEPA)-0199-2019-001-000244110
- 4 -
2020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1-2-1.화학식량과 몰(01)

19.zb1 9 ) 표는 우리 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연료인 LNG 21.


zb2 1 ) 다음 중 입자 수가 가장 많은 것은? (단,
와 LPG 의 주성분 물질과 화학식을 나타낸 것이다. H C N O Fe의 원자량은 각각  ,  ,  ,  ,
 이다.)
연료 주성분 물질 화학식
철Fe g에 들어있는 원자 수
LNG 메테인 CH
프로페인 C H 수소H  g에 들어있는 분자 수
LPG
뷰테인 C H 포도당C HO  g에 들어있는 분자 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암모니아NH  g에 들어있는 수소 원자 수


고른 것은? (단, H C O 의 원자량은 각각    ℃,  기압의 이산화 탄소CO  L 에 들어있는
이다.) 원자 수
<보기>
ㄱ. g 속에 들어 있는 H 원자의 수는 뷰테인이 가장
적다.
ㄴ. 프로페인 g이 완전 연소되는 데 필요한 산소의 부
피는 ℃ ,  기압에서 L 이다.
ㄷ. 연료 g을 완전 연소시켰을 때 생성되는 물HO  의
질량은 메테인이 프로페인보다 크다.
ㄱ ㄴ
ㄱ, ㄷ ㄴ, ㄷ
ㄱ, ㄴ, ㄷ

20.zb2 0 ) 표는 원자량을 정하는 기준과 이와 관련된 자료


22.
zb2 2 ) 표는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질량이 같은 기체
이다. 현재 사용되는 원소의 원자량은 기준 I에 따
(가)~(다)에 대한 자료이다.
른 것으로 C 에 대한 상대적 질량이다. 기준 II는


영희가 
C 대신 
O 를 사용하여 새롭게 제안한 것 기체 분자식 부피 L 
이다. (가) XY  
(나) Z 
원자량을 정하는 기준에 따른
 몰의 정의 (다) XZ 
기준 
O 의 원자량

C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I 원자량 
C 의 원자 수  고른 것은? (단, X ~ Z는 임의의 원소기호이다.)
 
 <보기>
O의
II 원자량 
O 의 원자 수  ㄱ. 원자량은 X  Z이다.
  ㄴ. 분자량은 XZ  XY 

기준 I보다 기준 II에서 더 큰 값을 갖는 것만을 <보 ㄷ. g에 들어 있는 원자 수는 (가)가 (나)의  배이다.


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ㄴ

<보기> ㄱ, ㄷ ㄴ, ㄷ

ㄱ. ℃ ,  기압에서 산소O   몰의 부피 ㄱ, ㄴ, ㄷ

ㄴ. 이산화 탄소CO  분자  개의 질량
ㄷ. 이산화 탄소CO   몰의 분자 수
ㄱ ㄴ
ㄱ, ㄷ ㄴ, ㄷ
ㄱ, ㄴ, ㄷ

I410-UCI(KEPA)-0199-2019-001-000244110
- 5 -
2020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1-2-1.화학식량과 몰(01)

23.
zb2 3 ) 그림 (가)와 같이 용기의 왼쪽에는 수소 H  g 25.
zb2 5 ) 그림은  ℃,  기압에서  가지 기체의 질량, 부피,
이, 오른쪽에는 미지 기체 g이 들어 있다. 용기 몰수에 대한 자료이다.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올바르
안의 피스톤은 양쪽의 압력이 같아지도록 움직인다. 게 짝지어진 것은? (단, 원자량은 H =  , C =  ,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오른쪽의 꼭지를 연 후, O =  이다.)
피스톤이 정지한 순간 꼭지를 닫았더니 그림 (나)와
기체 산소( O  ) 수소( H ) 이산화 탄소( CO )
같이 되었다.
질량( g ) (가)  -
부피( L )  - (다)
몰수(몰) - (나) 

(가) (나) (다)


  
  
  
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  
고른 것은? (단, H 의 원자량은  이다.)

<보기>
ㄱ. 미지 기체의 분자량은  이다.
ㄴ. 배출된 미지 기체의 몰수는  몰이다.
ㄷ. (나)에서 수소와 미지 기체의 밀도 비는    이다.
ㄱ ㄴ
ㄱ, ㄷ ㄴ, ㄷ
ㄱ, ㄴ, ㄷ

24.
zb2 4 ) 그림은 X Y Z 원자의 상대적인 질량비를 나타
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X ~ Z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고, X 의
원자량은  이다.)
<보기>
ㄱ. X  Z의 원자량비는    이다.
ㄴ. ZY 의 분자량은  이다.
ㄷ. g에 포함된 원자수비는 ZY  가 XZ보다 많다.
ㄱ ㄴ
ㄴ, ㄷ ㄱ, ㄷ
ㄱ, ㄴ, ㄷ

I410-UCI(KEPA)-0199-2019-001-000244110
- 6 -
2020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1-2-1.화학식량과 몰(01)

  × 
 ×  개의 NH 는     몰이므로
  × 
 
1) [정답] 수소 원자는    ×  몰이다.
 
[해설] ⦁학생 A, 학생 B : 원자량은 상대적인 질량이 0.04몰의 C H 속의 수소 원자는
므로 단위가 없다. 0.24(=0.04×6)몰이다.
⦁학생 C : 현재 원자량의 기준이 되는 것은 질  
량수 12인 탄소이다. 기체 5.6L는     몰이므로 H 5.6L 속
 
⦁학생 D : 평균 원자량은 동위 원소의 존재비를  
수소 원자는    ×  몰이다.
고려하여 각 동위 원소의 질량에 존재 비율을 곱  
한 값을 모두 더하여 구한다.
6) [정답]
2) [정답] [해설] 기체 1몰의 부피 22.4L를 적용하여 물질의 몰
[해설] ⦁물 1몰에 포함된 분자 수는 1몰이다. 수를 포함하여 자료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메테인 1몰에 포함된 H 원자 수는 6몰이다. 구분
화학식량 질량(g) 부피(L) 몰수(몰)
물질
⦁포도당 0.5몰에 포함된 O 원자 수는 3(=0.5×6) (가) 16 0.025
 
이다. A  
(  ×  ) 
 


(  ×  )

   
0.05
3) [정답] (나) 1.6
B 32 1.12 
(   ×  ) (  )
 
[해설] 이산화 탄소 33g은 0.75(=  )몰이고
  × 
7) [정답]
이 속의 산소 원자 수는 1.5(=0.75×2)몰이다.
ㄱ. 0℃, 1기압에서 기체 1몰의 부피는 22.4L이  × 
[해설] (가)는 1몰이고 (나)는 0.05(   )몰이
므로 11.2L의 암모니아( NH )는 0.5몰이고 이 속  × 
다.
에 포함된 수소 원자 수는 1.5(=0.5×3)몰이다.
ㄱ. (나)의 부피는 1.12(   ×  )L이다.

ㄴ. 물( HO ) 13.5g은 0.75(=  )몰이고 이 ㄴ. 전체 원자 수는 (가)가 (나)보다 많다 ⇒ 1몰,
 ×  
속에 포함된 수소 원자 수는 1.5(=0.75×2)몰이다. 0.05몰
 ㄷ. C H O→CO HO ,
ㄷ. 이산화 질소( NO ) 23g은 0.5(=  )
  ×  C H O→CO HO 이므로 (가)인 C H 1
몰이고 이 속에 포함된 산소 원자 수는 몰을 완전 연소할 때 필요한 산소( O )는 3몰이고,
1(=0.5×2)몰이다. (나)인 C H 1몰을 완전 연소할 때 필요한 산소

ㄹ. 산소( O ) 48g은 1.5(=  )몰이고 이것은 ( O )는 6몰이다. 0.05몰을 연소할 때 필요한 산
 × 
소는 0.3(=6×0.05)몰이다.
분자의 수이다.
8) [정답]
4) [정답]
[해설] (다)의 분자식은 XY이고 구성하는 X와 Y의 개

[해설] ⦁화합물 A : 1몰의 질량은 42(=  )g이다. 수비가 1:1이므로 X의 원자량이  , Y의 원자량

 이  라 하면 다음의 식이 성립한다.
⦁화합물 B : 분자  ×  개는 0.05(=  
X  Y        ,       
  
 ×  
 
)몰이므로 1몰의 질량은 360(=  )g 원자량 비에 따라 (가), (나), (라)를 구성하는 X
 ×  
와 Y의 개수비는 다음과 같다.
이다.
   
따라서 분자량은 A가 42, B가 360이다. (가) : X  Y             ⇒ 분
   
5) [정답] 자식 XY 
     
[해설] 6g의 HO 는     몰이므로 수소 원자 (나) : X  Y             ⇒ 분자
     
  식 X Y
는    ×  몰이다.
     
(라) : X  Y             ⇒ 분
0.05몰의 CH 속의 수소 원자는    
0.2(=0.05×4)몰이다. 자식 X Y
ㄱ, ㄴ. X와 Y의 원자량을 각각 7, 8이라 하면,

I410-UCI(KEPA)-0199-2019-001-000244110
- 7 -
2020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1-2-1.화학식량과 몰(01)

(가)의 분자량은 23(=7+8×2)이고 (나)의 분자량은 아보가드로 수 


   몰 이려면 폼알데히드의 양
22(=7×2+8)이다. 또한, 1g 속에 들어 있는 분자  
  
의 몰수는 (가)가  몰, (나)가  몰이다. 은  이다.
  
ㄷ. 1몰의 X와 결합하는 Y의 몰수는 (나)가 0.5 ㄹ. 0℃, 1기압에서 기체 1몰의 부피는 22.4L이
몰, (다)가 1몰이므로 (다)가 (나)의 2배이다.  
므로 H 기체  A   몰 의 부피는 (22.4×
ㄹ. (나)의 분자량은 22이고 (라)의 분자량은  
29(=7×3+8)이다.  
 )L이고 질량은 (2×  )이다 따라서 이때의 밀도
 
9) [정답]  
는     g/L이다.
[해설] ㄱ. 1g 당 분자 수의 역수는 같은 분자 수에  
해당하는 질량이다. 즉, 주어진 1g 당 분자 수의
12) [정답]
역수의 비는 분자량의 비와 같다. ⇒ (가):(나) =
[해설]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의 몰수는 부피와
23:16 따라서 분자량이 더 큰 (가)가 AB 이고
비례하므로 (가)에서 X를 3몰이라 가정하면 Y를
(나)가 A 이다.
2몰이라 할 수 있다. (가)의 오른쪽에 X를 추가로
ㄴ. 기체의 밀도비는 분자량비와 같으므로 (가)가 넣었을 때 X와 Y의 부피비가 1:4(=2:8)이므로 왼
(나)보다 크다. 쪽와 오른쪽의 몰수는 각각 3몰, 12몰이다. 따라
ㄷ. 1g 당 원자 수는 1g 당 분자 수에 한 분자를 서 추가로 오른쪽에 넣어준 X의 몰수는
구성하는 원자 수를 곱하여 얻을 수 있으므로 10(=12-2)몰이다. X 3몰이 3g이므로 추가로 넣
(가):(나) = 16×3 : 23×2 = 24:23이다. 어준 X 10몰은 10g이다. 즉, X의 분자량은 1이
ㄹ. (가)의 분자량을 23, (나)의 분자량을 16이라 고 Y의 분자량은 5이다.(Y의 분자량은 X의 5배)
 따라서 Y 2몰의 질량은 10g이다.
하면 A의 원자량은 8(   ), B의 원자량은
 ㄱ. x는 10(g)이다.
7(=23-16)이다. 따라서 A와 B의 원자량 비는 8:7
ㄴ. (나)에서 실린더 양쪽에 들어 있는 X( g) 기체
이다.
의 몰수는 왼쪽:오른쪽 = 3:10이다.
ㄷ. 실린더 내 오른쪽에 들어 있는 기체의 총 몰
10) [정답]
[해설] ㄱ, ㄴ. 해당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 1몰의 부 수비는 (가):(나) = 2:12 = 1:6이다.
피를 3.6L라 가정하면 (가)의 분자량은 12(=2×6) ㄹ. (나) 실린더에 들어 있는 기체의 밀도비는 왼
이고 (나)의 분자량은 15(=3×5)이다.
  
쪽:오른쪽 =        이다.
 
ㄴ. B의 질량이 (가)와 (나)에서 같으므로 B의 원
자 수는 (가)=(나)이다. (같은 물질은 질량과 몰수 13) [정답]
가 비례) [해설] 해당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 VL는 1몰이라 가
ㄷ. A의 질량은 A의 몰수와 비례하므로 1g 당 정하면 (가)는 1몰, (나)와 (다)는 2몰이다.
x x ㄱ. (가) 속의 H는 3몰이고, (나) 속의 H는
원자 수 비는 (가):(나) =        이다.
 
4(=2×2)몰이므로 (가)가 (나)보다 작다.
ㄹ. (가) 기체 1.8L는 0.5몰이고 (나) 기체 1.2L는
ㄴ. 원자의 총수는 (가)가 4(=1×4)몰, (나)가
 8(=2×4)몰이다.
 몰이므로 (가) 기체 1몰에는 A가 8xg, B가

ㄷ. (가)와 (나) 모두 VL 속에는 기체가 1몰 들어
2yg이고 (나) 기체 1몰에는 A가 9xg, B가 3yg이
있다.
다. 각 원자의 질량은 각 원자의 수와 비례하므
B 원자 수 14) [정답]
로  의 비는
A 원자 수 [해설] (가)에는 AB 에는 전체 원자가 4몰 존재하므로
y y AB 분자는 2몰 존재한다. (나) AC 의 질량이
(가) : (나) =        이다.
x x
42g이고 이중 A의 질량이 36g이므로 C의 질량
11) [정답] 은 6(=42-36)g이다. (나)에서 A와 C의 원자량을
[해설] ㄱ. CH 1몰에 포함된 H 원자는 4몰이다. 각각 a, b라 가정하면 각 원소가 차지하는 질량
ㄴ. CHOH 1몰에 포함된 H 원자는 4몰이고 O 을 원자량으로 나누어 개수비를 구하는 것으로부
터 다음의 식을 얻는다.
원자는 1몰이다.
 
ㄷ. 폼알데히드(HCHO) 1몰에 포함된 H 원자 수 AC          
a c
는 2몰이므로 H 원자 수가
a와 c의 비는 12:1이다. 다시 (가)에서 A 2몰의
질량이 24g이므로 a는 12이고 c는 1이라 할 수

I410-UCI(KEPA)-0199-2019-001-000244110
- 8 -
2020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1-2-1.화학식량과 몰(01)

있다. 이에 따라 (나)의 분자량은 28(=12×2+1×4) 


ㄱ. 1g 속에 들어 있는 분자 수는 메테인이 
이고 (가)와 (나)는 분자량이 같다고 하였으므로 
B의 원자량은 16(=28-12)이다.  
몰, 프로페인이  몰, 뷰테인이  몰이므로 1g
ㄱ. (가)는 2몰이고 분자량이 28이므로 질량은  
56(=2×28)g이다. 속에 들어 있는 H 원자 수는 메테인이
ㄴ. (나)의 분자량은 28이고 질량이 42g이므로    
    몰, 프로페인이     몰, 뷰테인이
   

몰수는 1.5(   )몰이다. 따라서 전체 원자 수  

    몰이다.
 
(  )는 9(=1.5×6) NA 이다.
ㄴ. 프로페인의 분자량이 44이므로 22g은 0.5몰
ㄷ. 원자량은 A  B         이다.
이다. 프로페인 1몰이 연소될 때 필요한 산소의
15) [정답] 몰수는 5몰이므로 0.5몰이 연소될 때 필요한 산
[해설] ㄱ. (가)의 분자량은 28(=12×2+1×4), (나)의 분 소의 몰수는 2.5몰이다. 0℃, 1기압의 기체 2.5몰
자량은 42(=12×3+1×6)이므로 1g 속 분자의 몰수 이 차지하는 부피는 56(=2.5×22.4)L이다.
  ㄷ. 각 물질 1몰이 연소될 때 생성되는 물의 몰
는 (가) : (나) =        이다.
  수는 메테인이 2몰, 프로페인이 4몰, 뷰테인이 5
ㄴ. 기체의 밀도비는 분자량 비와 같으므로 (가): 몰이다. 연료 1g에 해당하는 몰수는 메테인이
(나) = 28 : 42 = 2 : 3이다.   
 몰, 프로페인이  몰, 뷰테인이  몰이므로
ㄷ. 단위 부피당 질량비는 분자량 비와 같으므로   
(가):(나) = 28 : 42 = 2 : 3이다.  
생성되는 물의 몰수는 메테인이     몰, 프
 
16) [정답]   
로페인이     몰, 뷰테인이  몰이다.
[해설] ㉠ 물질의 질량을 몰질량으로 나누면 물질의   
몰수를 알 수 있다. ㉡ 화학 반응식에서 계수비
20) [정답]
는 몰수비이므로 ㉠에 계수비를 적용하면 B의 몰
[해설] 실제 원자의 질량은 변하지 않고 원자량은 실
수를 알 수 있다.
제 원자의 질량에 아보가드로 수를 곱한 값이다.
17) [정답] 또한 1몰의 질량은 화학식량에 g을 붙인 값이다.
[해설] X, Y, Z의 원자량을 각각    라 하면 다음 기준 I에서 
O 1몰의 질량이 15.995g이고 기준
의 식이 성립한다. Ⅱ에서 O 1몰의 질량이 16g이므로 기준 I보다


   Ⅱ의 아보가드로 수가 더 크다.
  
ㄱ. 1몰의 개수가 더 많으므로 1몰의 부피도 더
Y의 원자량인  가 24라면  는 8이고  는 32이
크다.
다. 따라서 XZ의 화학식량은 40(=8+32)이다.
ㄴ. 원자나 분자의 실제 질량은 변하지 않는다.
18) [정답] ㄷ. 아보가드로 수가 더 크므로 1몰에 들어 가는
[해설] ㄱ. X, Y, Z의 원자량을 각각    라 하면 분자 수도 더 크다.
다음의 식이 성립한다.
21) [정답]
    
[해설] 철 56g에 들어 있는 원자 수는 1몰이다.
    
     수소 8g에 들어 있는 분자 수는 4몰이다.
 는 16이고  는 12,  는 1이다. 원자량의 크기 포도당 90g에 들어 있는 분자 수는 0.5몰이
는 X  Z  Y 순이다. 다.
ㄴ. 화합물 Y X 의 분자량은 18, ZY  의 분자량은 암모니아 51g의 분자 수는 3몰이고 그 속에
16이다. 들어 있는 수소 원자 수는 9몰이다.
ㄷ. X 원자 1g 속에 들어 있는 원자의 몰수는 이산화 탄소 22.4L에 들어 있는 분자 수는 1
 몰이고 그 속에 들어 있는 총 원자 수는 3몰이
 몰이고 ZY  1g 속에 들어 있는 분자의 몰수 다.


도  몰이다. 22) [정답]

[해설] 주어진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 1몰의 부피를
19) [정답]  
88L라 하면 (가)는  몰, (나)는  몰, (다)는
[해설] 분자량은 메테인이 16, 프로페인이 44, 뷰테인  
이 58이다. 
 몰이다. (가)~(다)는 모두 같은 질량(wg)이라


I410-UCI(KEPA)-0199-2019-001-000244110
- 9 -
2020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1-2-1.화학식량과 몰(01)

하였으므로 (가)의 분자량은 4w, (나)의 분자량은


8w, (다)의 분자량은 11w이다.
ㄱ. X, Y, Z의 원자량을 각각    라 하면 다
음의 식이 성립한다.
    w
  w
    w
  w   w    w이다.
ㄱ. 원자량은 X<Z이다.
ㄴ. 분자량은 (다)가 (가)보다 크다.

ㄷ. 1g에 들어 있는 원자 수는 (가)가  몰,
w
 
(나)가  몰, (다)가  몰이다. 1몰을 구성하
w w
는 원자 수가 (가)는 5몰, (나)는 2몰, (다)는 3몰
이다. 따라서 1g에 들어 있는 분자 수는 (가)가
   
 몰, (나)가     몰, (다)가  몰이
w w w w
다.

23) [정답]
[해설]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몰수에 비례하므로 (가)에서 수소의 몰수가 1몰이
므로 미지 기체의 몰수는 2몰이다. 또한, (나)에
서 수소의 몰수가 1몰, 미지 기체의 몰수가 0.5
몰이다.
ㄱ. 미지 기체 2몰의 질량이 56g이므로 미지 기
체의 분자량은 28이다.
ㄴ. 배출된 미지 기체의 몰수는 1.5(=2-0.5)몰이
다.
ㄷ. 기체의 밀도비는 분자량비와 같으므로 수소와
미지 기체의 밀도비는 2:28 = 1:14이다.

24) [정답]
[해설] X, Y, Z의 원자량을 각각    라 하면 다음
의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이다.
ㄱ. 원자량 비는 X:Z = 12:16 = 3:4이다.
ㄴ. ZY  의 분자량은 20이다.

ㄷ. 1g에 포함된 몰수는 ZY  가  몰, XZ가


 이고 두 물질은 1몰당 원자 수가 3으로 같으

 
므로 1g에 포함된 원자 수는 ZY  가    
 

몰, XZ 가  이다.


25) [정답]
[해설] 산소 11.2L는 0.5몰이고 이에 해당하는 질량
은 16g이다. 수소의 분자량은 2이고 8g의 몰수는
4몰이다.
이산화 탄소 2몰의 부피는 44.8(=2×22.4)L이다.

I410-UCI(KEPA)-0199-2019-001-000244110
- 1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