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2학년 양운고등학교 1학기 기말고사

수학1 내신코치에서는 전국 최신 기출문제를 완전무료로 제공합니다.

     
1. zb1)
zb
zb
zb1)1)
1)

 
⋅ 

⋅ 

⋅ 

⋅ ⋅
의 값은?
값은? 5. zb5)
zb
zb
zb5)5)
5)

       을
을 만족시키는 상수 의
의 값


  은?

 

 
 
   
 





6. zb6)
zb
zb
zb6)6)
6) 삼각형  가 sin  cos  sin  를 만족시킬

2. zb2)
zb
zb
zb2)2)
2) 삼각형  에서   ,,   ,,   일
일 때, 삼각 때, 다음 중 삼각형  의 모양으로 항상 옳은
것은?
것은 ?
형  의 넓이는?
넓이는?
  인 이등변삼각형

 

  인 이등변삼각형

 

  인 이등변삼각형


  인 직각삼각형
  인 직각삼각형

3. zb3)
zb
zb
zb3)3)
3) 공비가 이
이 아니고 첫째항이 인
인 등비수열 
에 대하여    일 때,  의 값은?
값은?
7. zb7)
zb
zb
zb7)7)
7) 공차가 인
인 등차수열 에 대하여 세 항  ,
  ,  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고,
이루고, 세항
   ,  ,  는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룬다.
이룬다.
    의 값은?
값은?

 
 

4. zb4)
zb
zb
zb4)4)
4) 다음 각 수열을 귀납적 정의로 나타내었다.
나타내었다. 바르
지 못한 것을 고르면?
고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8. zb8)


zb
zb
zb8)8)
8) 첫째항이 이고
이고 공차가 인
인 등차수열 에 대
, , , , ⋯   ,       

하여 


  

의 값은?
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zb9)
zb
zb
zb9)9)
9) 등차수열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 의
등차수열 13. zb13)
zb
zb
zb
13)
13)
13) 모든 항이 양수인 수열  ,  ,  , ⋯,,  이 다
값은?
값은? 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만족시킨다.

(가)        


(가)       ⋯    
     
(나) 

  

  
(나)               ⋯  
  항까지의 합  에 대하
수열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  여  의 값은?
값은?

     
     
  

10. zb10)
zb
zb
zb
10)
10)
10) 두 수열 , 에 대하여     ,,
 
   일 때,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이 항상 성립한다
14. 수열 이     이고
이고,
이고,
이때,    의 값은?
zb14)
zb
zb
zb 14)
14)
14)

고 한다.
한다. 이때, 값은?
     ⋯              ⋯ 을
  

 
만족시킬 때,  

  의 값은?
값은?


 
 


11. 다음 그림과 같은 사각형  에서 


zb11)
zb
zb
zb
11)
11)
11)   
 , 15. zb15)
zb
zb
zb 15)
15)
15) 에 대하여   ,,
다음은 임의의 자연수 에
    일 때, 대각선  의 길
  ,,      일       을 만족하는 수열 의 일반항을
이는?
이는? 구하는 과정이다.
과정이다.

      의 양변에 가 을 더하면

   가      ---(*)을 얻는다.

      라 두면 식(*)은 나   이고

      이 되므로

 
 수열 의 일반항은   다 이 된다.

 
 그런데     에서
       다   이다.

따라서   다   이다.


12. zb12)
zb
zb
zb
12)
12)
12) 수열 이 모든 자연수 에
에 대하여
위의 빈칸 (가)에 들어갈 수식을  , 빈칸 (나)에
 이 홀수
 
 들어갈 수식을  , 빈칸 (다)에 들어갈 수식을
    이고   일
일 때,    의
  이 짝수
 
 이라고 할 때,  의 값은? 값은?

값은?
값은?
 
 
 
 


16.zb16)
zb
zb
zb
16)
16)
16) 그림과 같이 원 에 내접하고 
  ,, 20.zb20)
zb
zb
zb
20)
20)
20) 그림과 같이 원 모양의 호수에 네 지점  ,  ,
  ,  를 연결하는 네 개의 다리가 있다.
있다.
∠   인 삼각형  가 있다.
있다. 원 의 넓이
    m , 
    m , 
  m , 
   m 일
 때, 이 호수의 넓이를  , 다리로 둘러싸인 사각형
가  일일 때, 원  위의 점  에 대하여 삼각형

 의 넓이를  라 하자.
하자.  과  를 각각 구하
 의 넓이의 최댓값은?
최댓값은? (단, 점  는 점  도 아
시오.
시오. (이때,
이때, 다리의 폭은 무시한다.)
무시한다.)
니고 점  도 아니다
아니다.)
.)

   
   
 
 

  

 
 

17.zb17)
zb
zb
zb 17)
17)
17) 항까지의 합  을
수열 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      이라
이라 하자.
하자.

(1) 일반항  을 구하시오.

(2)    의 값을 구하시오.

18.zb18)
zb
zb
zb 18)
18)
18) 모든 자연수 에
에 대하여 다음 식이 항상 성립함
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증명하시오.
증명하시오.

       ⋯   ⋅⋅⋅ ⋯   


19.zb19)
zb
zb
zb 19)
19)
19) 에 대한 함수  
에     의 값이 최소



가 되도록 하는  의 값을  이라 할 때,  의


구하시오. (단, 은
값을 구하시오. 은 자연수이다.)
자연수이다.)
      ⋯    
즉,     일 때도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그러므로 i  , ii  에서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19) [중] 

20) [중상]     m  ,   



 m  

1) [하]

2) [중]

3) [하]

4) [하]

5) [중]

6) [중]

7) [중]

8) [중]

9) [중상]

10) [중]

11) [중상]

12) [중]

13) [중상]

14) [중상]

15) [중상]

16) [상]

17) [하] (1)     ≥ ,    (2) 

18) [특] i    일 때,
(좌변) , (우변) 이므로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ii    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이다.
양변에   을 곱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