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7. 극한과 도함수 http://matrix.skku.ac.

kr/math4ai-intro/W7/

7.1. 함수의 극한(limit)

  
‘  가 1 에 한없이 가까이 갈 때     의 값은 어떻게 될까?’
 

  

  
    는    일 때, 정의되지 않음(∵    에서 분모가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의 값이  이 아니면서 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  의 값은  에 한없이 가까워짐을 알


수 있다.

     
 → 일 때  →  또는 lim  
  → 

  
를 이용하여 함수     의    근처에서 함숫값   를 계산하고 그래프를
 
그린 것이다.

-------- http://matrix.skku.ac.kr/KOFAC/ --------------------------------


f(x) = (x^2 - 1)/(x - 1) # 함수 정의
show(plot(f(x), (x, -0.5, 1.5), ymin = -1, ymax = 2.5, detect_poles = 'show', exclude = [1])) # 함
수 그래프, x=1에서 극한값 그래프를 확인하기 위해 범위 (x, -0.5, 1.5), ymin = -1, ymax = 2.5 로
선택

1
n = 10
for i in range(1, n): # 1보다 크면서 1에 가까이 있는 x값에 대해서 f(x) 계산
s = (1 + 1/(10^i)).n()
print("x =", s, "f(x) =", f(s).n())
print() # 한 줄 비우기
for i in range(1, n): # 1보다 작으면서 1에 가까이 있는 x값에 대해서 f(x) 계산
s = (1 - 1/(10^(n - i))).n()
print("x =", s, "f(x) =", f(s).n())
--------------------------------------------------------------------------------------

x = 1.10000000000000 f(x) = 2.10000000000000


x = 1.01000000000000 f(x) = 2.01000000000000
x = 1.00100000000000 f(x) = 2.00099999999992
x = 1.00010000000000 f(x) = 2.00009999999939
x = 1.00001000000000 f(x) = 2.00001000000083
x = 1.00000100000000 f(x) = 2.00000100008890
x = 1.00000010000000 f(x) = 2.00000009992007
x = 1.00000001000000 f(x) = 2.00000000000000
x = 1.00000000100000 f(x) = 2.00000000000000
x = 0.999999999000000 f(x) = 2.00000000000000
x = 0.999999990000000 f(x) = 1.99999998889777
x = 0.999999900000000 f(x) = 1.99999990007993
x = 0.999999000000000 f(x) = 1.99999900002212
x = 0.999990000000000 f(x) = 1.99998999999917
x = 0.999900000000000 f(x) = 1.99989999999950
x = 0.999000000000000 f(x) = 1.99899999999997
x = 0.990000000000000 f(x) = 1.99000000000000
x = 0.900000000000000 f(x) = 1.90000000000000

2
를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 가 1에 가까이 갈 때   는 2에 가까이 감을 확인하고 예측
할 수 있다. 또한 위 예시의 극한을 명령어 limit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http://matrix.skku.ac.kr/KOFAC/ --------------------------------


limit((x^2 - 1)/(x - 1), x = 1) # limit(f(x), x = a)
--------------------------------------------------------------------------------------
2 ■

  
따라서 함수     는  의 값이 1이 아니면서 1에 한없이 가까이 갈 때, 2에 가까워진다.
 

* 가  에 가까이 갈 때   는  에 가까워지면, “ →  일 때   는  에 수렴한다”고 하고


lim   로 표기한다. 이때  를   의 극한(limit) 또는 극한값이라고 부른다. 수렴하지 않으면
→

발산한다고 한다.


함수     이    근처에서 발산함을 그래프를 그려서 확인할 수 있다.

-------- http://matrix.skku.ac.kr/KOFAC/ --------------------------------


f(x) = 1/(x^2) # 함수 정의
show(plot(f(x), (x, -5, 5), ymin = -2, ymax = 2, detect_poles = 'show'))
n = 10
for i in range(1, n): # 0보다 크면서 0에 가까이 있는 x값에 대해서 f(x)계산
s = (0 + 1/(10^i)).n()
print("x =", s, "f(x) =", f(s).n())
print() # 한 줄 비우기
for i in range(1, n): # 0보다 작으면서 0에 가까이 있는 x값에 대해서 f(x)계산
s = (0 - 1/(10^(n - i))).n()
print("x =", s, "f(x) =", f(s).n())
--------------------------------------------------------------------------------------
x = 0.100000000000000 f(x) = 100.000000000000
x = 0.0100000000000000 f(x) = 10000.0000000000
x = 0.00100000000000000 f(x) = 1.00000000000000e6
x = 0.000100000000000000 f(x) = 1.00000000000000e8
x = 0.0000100000000000000 f(x) = 1.00000000000000e10
x = 1.00000000000000e-6 f(x) = 1.00000000000000e12

3
x = 1.00000000000000e-7 f(x) = 1.00000000000000e14
x = 1.00000000000000e-8 f(x) = 1.00000000000000e16
x = 1.00000000000000e-9 f(x) = 1.00000000000000e18

x = -1.00000000000000e-9 f(x) = 1.00000000000000e18


x = -1.00000000000000e-8 f(x) = 1.00000000000000e16
x = -1.00000000000000e-7 f(x) = 1.00000000000000e14
x = -1.00000000000000e-6 f(x) = 1.00000000000000e12
x = -0.0000100000000000000 f(x) = 1.00000000000000e10
x = -0.000100000000000000 f(x) = 1.00000000000000e8
x = -0.00100000000000000 f(x) = 1.00000000000000e6
x = -0.0100000000000000 f(x) = 10000.0000000000
x = -0.100000000000000 f(x) = 100.000000000000 ■

[참고] 위에 제시된 극한의 정의는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직관적인 것으로, 극한의 엄밀한 정의는 고
등학교 수준을 넘는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주소 2장의 DEFINITION 7 Epsilon-Delta Definition을
참고하시오.
http://matrix.skku.ac.kr/Cal-Book1/Ch2/

함수   의 우극한 lim     과 좌극한 lim     을 로 계산해본다.


 →  →

예제 1. 다음 극한(limit)을 구하시오.
sin      
lim  (극한) , lim 
   
(좌극한), lim 
   
(우극한)
→   →   → 

-------- http://matrix.skku.ac.kr/KOFAC/ --------------------------------

4
g(x) = sin(x)/(x + 1)
show (g(x))
show(plot(g(x), (x, -2, 4), ymin = -5, ymax = 5, detect_poles = 'show'))
print(limit(g(x), x = 2)) # x = 2일 때 극한
--------------------------------------------------------------------------------------
1/3*sin(2)
sin  
# x = 2일 때 극한    sin 
  

-------- http://matrix.skku.ac.kr/KOFAC/ --------------------------------


var ("x")
f(x)=(x^2-4)/abs(x-2)
show (f(x))
show (plot(f(x), (x, -2, 4), ymin = -5, ymax = 5, exclude=[2])) # x = 2에서는 함수
가 정의되지 않으므로 그 점은 그래프에서 제외한다.
print(limit(f(x), x = 2, dir = '-')) # x = 2일 때 좌극한
print(limit(f(x), x = 2, dir = '+')) # x = 2일 때 우극한
--------------------------------------------------------------------------------------
-4 # x = 2일 때 좌극한
4 # x = 2일 때 우극한 ■

5
     
lim  
와 lim 
  
가 둘 다 존재하지만 그 값이 다르므로    에서의 극한값이 존재하지
 →    →  

않는다.

*우극한 lim 와 좌극한 lim 가 모두 존재하고, 그 값이 같으면   에서의 극한값이 존재한
 
→ →

다고 한다.

sin 
예제 2. (1) lim  와 (2) lim  을 구하시오.
  cos  sin
→  → 
 

sin
풀이. lim 
 cos
를 구하기 위해, 좌극한과 우극한을 구하여 비교한다.

→ 

 sin sin
   이면 cos   이므로,     ,
  cos  cos
 sin sin
   이면 cos   이므로,   
  cos cos
sin
이므로    의 그래프는 아래쪽 그림과 같다.
 cos 
sin
따라서 lim   ∞로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  cos
→ 

-------- http://matrix.skku.ac.kr/KOFAC/ --------------------------------


f(x) = sin(x)/abs(cos(x))
show(plot(f(x), (x, -2, 4), ymin = -5, ymax = 5, detect_poles = 'show'))
print(limit(f(x), x = pi/2)) # x = pi/2일 때 극한
g(x) = x^2/sin(x)
show (g(x))

6
show(plot(g(x), (x, -2, 4), ymin = -5, ymax = 5, detect_poles = 'show'))
print(limit(g(x), x = pi/4)) # x = pi/4일 때 극한
--------------------------------------------------------------------------------------
+Infinity # x = pi/2 에서는 위의 함수의 극한이 존재하지 않음. 발산(diverge)

-------- http://matrix.skku.ac.kr/KOFAC/ --------------------------------


g(x) = x^2/sin(x)
print(limit(g(x), x = pi/4)) # x = pi/4일 때 극한
plot(g(x), (x, -2, 4), ymin = -5, ymax = 5, detect_poles = 'show')
--------------------------------------------------------------------------------------

1/16*sqrt(2)*pi^2 # x = pi/4일 때 극한(limit)이  
  으로 존재한다. 즉, x = pi/4에서 함숫값


은  
  로 수렴(converge)한다.


*함수의 극한에서는   일 때  값의 존재여부가 중요하지 않다. 즉  가 존재하지 않아도


극한 lim  은 정의될 수 있다. 만일  가 정의되고 lim   이면,  는    에서 연
→ →

속(continuous)이라고 한다.

7.2. 도함수(derivative)와 미분(differentiation)

7
‘점    에서 포물선    에 대한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함수   위의 점      에서 접선의 기울기가 일 때 접선의 방정식

        

*할선  의 기울기 : 포물선    위의 점    근처에서 한 점     에 대하여

    
할선(secant) 의 기울기 : sec    
  

*접선의 기울기 : 할선  의 기울기의  →  일 때의 극한으로 정의

접선(tangent)의 기울기
           
tan  lim   lim   lim  lim       
→  →    →  →

*포물선    위의 점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      , 즉,     

8
*미분가능(differentiable) : 함수 의 정의역 내에 속하는 점 에 대하여, 극한값

     


lim 

 lim 

→ →

이 존재하면 함수  는    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하고, 이 극한값을    에서의 함수  의 미분계


수(differential coefficient)라 하며  ′ 로 나타낸다.

*미분계수 : 접선의 기울기.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       ′    

*    는    에서 미분가능이면,    에서 연속이다.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   가    에서 연속이라도 반드시 미분가능인 것은 아니다.

수직인
    
접선
    

연속이 아니므로 연속이지만 연속이고


미분 불가능 미분 불가능 미분가능

*   가 구간의 각 점  에서 미분가능하면,    는 이 구간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   의 도함수(derivative) : 각 점 에 그 점에서의 미분계수를 대응시키는 함수.

 
 ′    ′       
 

*     의 2계 도함수(2nd derivative)
-      의 도함수  ′   ′   가 다시 미분가능할 때, 그 도함수  ′′

 ″  ″ 



* 계 도함수( -th derivative) :      를 계속하여  번 미분한 함수.

9

      


   가 존재하는 경우,    는  번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 미분에 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①  ′    ′ ( 는 실수)
② ±′   ′ ± ′
③ ′   ′  ′
 ′  ′


④  ′ 
  

, 단   

[참고] 그 밖에 여러 가지 미분 공식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있다.


http://matrix.skku.ac.kr/Cal-Book1/Ch3/

예제 3.      의 도함수(derivative)와 2계 도함수 ″, 3계 도함수 ″′를 구하시오.


풀이.  ′     ,  ″     ,  ″′  
-------- http://matrix.skku.ac.kr/KOFAC/ --------------------------------
f(x) = x^2 + 4*e^x
print(diff(f(x), x)) # dy/dx
print(diff(f(x), x, 2)) # 2계도함수
print(diff(f(x), x, 3)) # 3계도함수
--------------------------------------------------------------------------------------
2*x + 4*e^x # dy/dx, 도함수
4*e^x + 2 # 2계도함수
4*e^x # 3계도함수 ■



예제 4.   sin   의 도함수(derivative)와 2계 도함수 ″ 를 구하시오.
풀이. 합성함수의 미분법과 곱의 미분법을 이용하면
 
 ′  cos      cos  
 
″  × cos    × sin ×  ×  × 
 
  cos  sin     이다.
-------- http://matrix.skku.ac.kr/KOFAC/ --------------------------------
f(x) = sin(x^3) + 4*(e^(x^2))
print(diff(f(x), x)) # dy/dx
print(diff(f(x), x, 2)) # 2계도함수
--------------------------------------------------------------------------------------

10
3*x^2*cos(x^3) + 8*x*e^(x^2) # dy/dx, 도함수
-9*x^4*sin(x^3) + 16*x^2*e^(x^2) + 6*x*cos(x^3) + 8*e^(x^2) # 2계도함수 ■

예제 5. 곡선     
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풀이. 함수     
 의 그래프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에

  
서  ′   이므로         즉,       이다.
  
-------- http://matrix.skku.ac.kr/KOFAC/ --------------------------------
f(x) = x^2 + sqrt(x)
x0 = 4
df(x) = diff(f(x), x) # 도함수 구하기
print("접선의 방정식 : y =", f(x0) + df(x0)*(x - x0))
p1 = plot(f(x), (x, 0, 10)) # 함수 f(x) 그리기
p2 = plot(f(x0) + df(x0)*(x - x0), (x, 0, 10), color = 'red') # 접선 그리기
p1 + p2 # 함수 f(x)와 접선을 동시에 보여주기
--------------------------------------------------------------------------------------

접선의 방정식: y = 33/4*x – 15 #        ′             ■

◩ 열린 문제 7-1 다른 교재에서 찾은 (연속) 미분가능한 함수의 3계 도함수(3rd derivative)를 구하시

오.

[참고자료]
[함수의 극한과 연속] http://matrix.skku.ac.kr/Cal-Book1/Ch2/
[도함수] http://youtu.be/A-vDsF9ulTs

11
[미분] http://matrix.skku.ac.kr/Cal-Book1/Ch3/
[명령어 모음] http://matrix.skku.ac.kr/Lab-Book/Sage-Lab-Manual-1.htm
[미적분학 교재] http://matrix.skku.ac.kr/Cal-Book1/
[연습문제와 풀이] http://matrix.skku.ac.kr/Cal-Book/
[일변수함수와 미적분] http://matrix.skku.ac.kr/PBL/
[다변수함수와 미적분] http://matrix.skku.ac.kr/PBL2/

1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