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고1 수학 2024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한빛고 기출유사문제

4. zb4 ) 다항식    이         로 인수분해


1. zb1 )       ,       일 때, 될 때,    의 값은? (단, ,  ,  는 상수이다.)

        이다.  의 값을 구하면?  

(단,  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 

 
 


5. zb5 )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는  축과 서로 다른


두 점     ,     에서 만나고     일
때, 방정식     의 모든 실근의 합은?
2. zb2 )
 
 
  
실수  ,  에 대하여      일 때,
  
   의 값은?  

  

 

6. zb6 ) 두 다항식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일 때, 다항식  의 일차항의
계수는?
3. zb3 ) 다음 중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 축의 교점의 개수
가  개인 함수의 개수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개 개
개 개
개

I410-141-24-99-088579876 - 1 -
7. zb7 ) 다음은 갑과 을이 허근  를 근으로 하면서  의 10.
zb1 0 ) 등식          ⋯   이
계수가  인 이차방정식을 구한 후 나눈 대화이다.  에 대한 항등식일 때,         의
이때, 허근  를 근으로 하면서  의 계수가  인 이 
값은? (단,       ⋯   은 상수이다.)
차방정식을 옳게 구한 것은?
   
갑 :  의 허수부분을 잘못 보고 구했더니
 
      이 나왔어.

을 :  의 실수부분을  로 잘못 보고 구했더니
      이 나왔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zb1 1 ) 이차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 의 값
에 관계없이 항상 점 P 를 지날 때, 점 P 가 이 이
차함수 그래프의 꼭짓점이다. 이 때, 이차함수의 그
래프가 직선    이 만나는 점의  좌표의 합은?


 
8. zb8 ) 다음 식의 값 중 가장 큰 것은? (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zb1 2 )  ,  ,  가 실수일 때, 이차방정식
          이 중근을 가질
9. zb9 ) 부피가        이고 밑면의 반
  때 항상 옳은 것은?
지름의 길이와 모선의 길이 비가    인 원뿔이 있     
다. 이 원뿔의 반지름의 길이와 높이가 각각  에
          
대한 일차식으로 나타내어질 때, 이 원뿔의 겉넓이
는? (단,    이고 반지름과 모선의 길이는  에 대      
한 일차식이다.)

       
       
   

I410-141-24-99-088579876 - 2 -
13.
zb1 3 )
  ≤  ≤  에서 이차함수        의 15.
zb1 5 ) 삼차다항식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최댓값이   , 최솟값이   일 때, 상수   에
<조건>
대하여   의 값은? (단, 는 양수이다.)
(가)  
 
(나)  를    으로 나눈 몫과 나머지가 같다.
 
 를     으로 나눈 나머지를   라 하자.

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면?
 
 


14.
zb1 4 ) 그림과 같이  
    
 인 실수  에 대하
여 이차함수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가 만나는 두 점을 각각  ,  라 할 때,
 , 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 , 이
라 하고, 직선     와  축이 만나는 점을  라 16.
zb1 6 ) 아래 등식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하자. 두 삼각형 과  의 넓이의 합이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상수  의 값이   이다.  의 값을
구하면? (단,  , 는 유리수이다.)     은   의 인수이다.
  를    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는    이다.
  를    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는  이다.
  를      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는   이
다.
  를    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는  이다.

 
 


17.
zb1 7 ) 삼각형  의 세 변의 길이를 ,  ,  라고 하
자. 두 등식            과
               이 성립할
때, 삼각형  둘레의 길이는    이다. 삼
각형  의 넓이는?

 


 


I410-141-24-99-088579876 - 3 -
   
18.
zb1 8 )

   에 대하여    이라 하자.

<보기> 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 은 자연수이고,   
  이다.)

<보기>
ㄱ.   
ㄴ.   
ㄷ.   ⋯   을 만족시키는
두 자리의 자연수  의 개수는  이다.
ㄱ ㄴ
ㄷ ㄱ, ㄴ
ㄴ, ㄷ

19.
zb1 9 ) 다항식  를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  이고, 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  이다.
 를  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하시오.

20.
zb2 0 ) 이차함수         의 그래프와  축이
만나는 두 점 사이의 거리가  가 되도록 하는 모든
실수  의 값의 곱이   이다. 이 때, 양수  의 값
을 구하시오.

I410-141-24-99-088579876 - 4 -
7) [상]
[해설]    ( ,  는 실수)라 하자.

이차방정식        의 근은
1) [중]
     ± 
   × 
[해설]                    ± 

므로         이다.
갑은  의 실수부분은 제대로 보았으므로   

즉,       이다. 
이차방정식        의 근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은  의 허수부분은 제대로 보았으므로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이고, 켤레근의 성질으로부터 다른
 
한 근은    이다.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의 두 근은
    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로부터
2) [중] 두 근의 합은  , 두 근의 곱은  이므로 구하는 이차
        
방정식은       이다.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 8) [중]
  
  
 

[해설]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하]              
 
[해설]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와  축의 교점이  개일
  
      
때는 방정식    의 판별식을  라 하면    일
때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가장 큰 수는 번이다.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9) [중상]
 [해설]

∙       에서       
 원뿔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라 하면 높이는 

∙       에서          이므로

따라서    인 이차함수의 개수는  개 


 ×   ×   

4) [하]   
에서          
 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따라서 원뿔의 겉넓이는

5) [하]

 ×   
×  ×   
[해설]    의 두 근이   이므로
     
     의
        
두 근은      또는      에서
   10) [중]
   또는  이다.
 
[해설]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의

      양변에    을 대입하면,      
두 근의 합은      이다.
  양변에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6) [중]
[해설]                  에서 11) [중]
       이다. [해설]         
따라서  의 일차항의 계수는  이다.         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1) 제작연월일 : 2024-03-11 2) 제작자 : 교육지대㈜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 - 5 -
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I410-141-24-99-088579876
의 값에 관계없이 성립하려면 
나머지는      이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이 이차함수는   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       에서       이다.
구하는 값은   이다. 따라서     이므로 ⋯ ㉠

12) [중]         이다.


[해설] 주어진 방정식이 중근을 가지려면 이 방정식의 판별    ,    이고
식 에 대하여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다.       에서     이고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나머지          이다.

∴   따라서     이다.

13) [중] 16) [중]



[해설]              라  [해설]     은 인수가 아니다.
하자.     이고    가   ≤  ≤  의 범위에     이므로 나머지는  이다.
포함되지 않는다.      이므로 나머지는   이다.
   에서 최대이므로        ⋯ ①            
   에서 최소이므로         ,
     ⋯ ②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로 나눈 나머지는   이다.
① ② 를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이므로 나머지는  이다.
∴    따라서 옳은 것은 이다.

14) [상] 17) [상]


[해설] 두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를 각각 [해설] 삼각형  의
     ,          라 하자. 세 변의 길이가 ,  ,  이므로
두 그래프가 조건을 만족할 때 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의 두 근이 
     
 , 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이다.

직선     의  절편은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이고
∆ ∆   이므로
     이면 삼각형이 될 수 없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에서    이다.
따라서 삼각형  는
 
          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    이다.
            삼각형  의 둘레가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이고      이다.  
따라서 삼각형  의 넓이는  ×    이다.

15) [중상]

[해설] 삼차다항식  를    으로 나눈 18) [중상]
몫과 나머지가 같으므로    

[해설]    이므로
몫과 나머지를   라 하면 
           이다.       
  이다.
 

 를    으로 나눈 몫은 이고 그러므로        즉,       이고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1) 제작연월일 : 2024-03-11 2) 제작자 : 교육지대㈜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 - 6 -
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I410-141-24-99-088579876
         ,      즉,     이다.

ㄱ.       
ㄴ.            
ㄷ.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려면
 이  의 배수여야 한다.
따라서 두 자리 자연수  의 개수는  개다.
그러므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19) [중]   
[해설] 다항식  를 이차식     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  , 몫을   라 하면
          이다.
나머지정리에 의해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위 두 식을 연립하면    ,    이다.
따라서 나머지는    이다.

20) [중] 




[해설] 이차함수         와  축이 만나는 두
점의  좌표를 각각  ,  라 하자.
(단,    )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성질으로부터  ,  는 이차방

정식         의 두 근이다.
근과 계수의 관계로부터
    ,      ⋯㉠
또한, 주어진 이차함수와  축이 만나는 두 점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    이다.
 
곱셈공식          를 이용하면
        
 
정리하면         
이 이차방정식의 모든 실근의 곱이   이므로
 
근과 계수의 관계로부터    

∴   
따라서 양수 의 값은 
 이다.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1) 제작연월일 : 2024-03-11 2) 제작자 : 교육지대㈜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 - 7 -
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I410-141-24-99-08857987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