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장안리 525-1 TEL:031)499-2195/1951, FAX:031)351-0828/9

물질 안전성 자료 (MSDS)
1. 화학 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가) 제품명 : KBP1000

나) 제품의 권고 용도와 사용상의 제한

Ο 권고용도 : 사출 가공용

Ο 사용상의 제한 : 특별한 용도 (식품산업, 의료용 도구/용기 등에 사용할 경우 생산자에게 허가 등에

대한 추가 정도를 문의할 것

다) 제조자/공급자/유통업자 정보

Ο 공급회사명 : ㈜ 비지에프에코머티리얼즈

Ο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장안리 525-1

Ο 정보제공 서비스 / 긴급연락 전화번호

: 031-499-2195, 1951, 2210

Ο 담당부서 : EP소재개발실

2. 유해, 위험성

가) 유해, 위험성 분류 : 해당되지 않음 (GHS 분류기준에 따름)

나) 예방 문구를 포함한 경고 표지 항목

Ο 그림문자 : 없음

Ο 신호어 : 없음

Ο 유해, 위험문구 : 없음

Ο 예방조치 문구

- 예방 문구

P260 분진, 흄, 가스를 흡입하지 마시오.

P270 이 제품을 사용할 때는 먹거나 마시거나 흡연하지 마시오.

P280 보호장갑, 보호의, 보호안경을 착용하시오.

P284 호흡기 보호구를 착용하시오.

- 대응 문구

P302+P352 피부에 묻으면 다량의 비누와 물로 씻으시오.


P301+P303+P331 삼켰다면 입을 씻어내시오. 토하게 하려 하지 마시오.

P305+P351+P338 눈에 묻으면 15분 이상 물로 조심해서 씻으시오.

P332+P313 피부자극이 생기면 의학적인 조치∙조언을 구하시오.


- 저장 문구

P410+P403 직사광선을 피하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 보관하시오.

- 폐기 문구

P501 (관련 법규에 명시된 내용에 따라) 내용물∙용기를 폐기하시오.

다) 유해성, 위험성 분류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기타 유해성, 위험성

Ο NFPA 등급 : 보건 = 1 화재 = 1 반응성 = 0

3.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화학물질명 관용명/이명 CAS NO. 함유량(%)

Polybutylene Terephtalate PBT 26062-94-2 > 97

Others 첨가제 - <3

4. 응급조치 요령

가) 눈에 들어갔을 때

이 제품은 불활성 고체지만 눈에 들어갔을 경우 즉시 제거해야 한다.

나) 피부에 접촉했을 때

제품이 뜨거울 경우 제품이 닿는 부위를 즉시 다량의 찬물로 식히고 깨끗한 거즈로 덮은 후

바로 의사에게 보인다.

다) 흡입했을 때

해당 없음.

라) 먹었을 떄

일반적으로 응급구조 조치는 필요 없으며 구토 등으로 토해낸다.

만약 사람이 의식불명이면 머리를 옆으로 돌리게 할 것. 즉시 의사의 치료를 받을 것.

마) 급성 및 지연성의 가장 중요한 증상/영향

자료 없음.

바) 의사에 대한 정보

특별한 해독제는 없음. 증상에 따라 적절한 진료 할 것.


5. 폭발, 화재시 대처방법

가) 적절한(및 부적절한) 소화제

물, 분말 소화약제, 이산화탄소, 포말

나) 화학물질로부터 생기는 특정 유해성

열분해 생성물은 탄소, 탄소산화물 등 심한 연기가 발생될 수 있음.

다) 화재 진압 시 착용할 보호구 및 예방조치

호흡용 장비와 눈 보호장비를 착용할 것

라) 기타 정보

연소생성물의 흡입을 피하고 바람을 안고 있도록 함.

6. 누출 사고 시 대처방법

가) 인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사항 및 보호구

개인 보호장구를 착용할 것.

나)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사항

유출된 물질은 오수, 토양수, 지하수에 유입되지 않게 할 것.

다) 정화 또는 제거 방법

회수된 물질을 폐기할 때는 지역폐기물 규칙에 의하여 행한다.

7. 취급 및 저장방법

현행법규 및 규정에 의하여 저장 및 취급할 것. 서늘하고 거조한 장소에 보관할 것.

밀폐된 용기에 보관할 것. 혼합금지 물질과 분리할 것.

8.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

가) 화학물질의 노출 기준, 생물학적 노출기준 등

노출기준에 제정되어 있지 않음.

나) 적절한 공학적 관리방법

분진 발생시 국소배기 또는 공정밀폐 배기시설을 설치 할 것.

다) 개인 보호구

Ο 호흡기 보호

작업장에 작업 중 생성될 수 있는 분진 및 가스를 막기 위한 분진방지용 마스크를 착용할 것.

Ο 눈 보호

용융된 수지를 취급할 경우 보안경을 착용할 것.


Ο 손 보호

뜨거운 물질과 접촉이 일어날 수 있는 곳에서는 내열성이 강한 장갑, 팔 보호대를 착용할 것.

Ο 신체 보호

뜨거운 물질과 접촉이 일어날 수 있는 곳에서는 내열성이 강한 보호구를 착용하고

안면 보호구를 착용할 것.

라) 작업방법 관리

특별한 조치는 필요 없으나 취급 후 잘 씻을 것.

9. 물리화학적 특성

가) 외관 : Color 별 Pellet형태의 고체

나) 냄새 : 무취

다) 냄새 역치 : 자료 없음

라) pH : 해당 없음

마) 녹는점/어는점 : 녹는점 220~230℃

바) 초기 끓는점과 끓는 점 범위 : 해당 없음

사) 인화점 : 자료 없음.

아) 증발 속도 : 해당 없음

자) 인화성(고체,기체) : 자료 없음

차) 인화 또는 폭발 범위의 상한/하한 : 자료없음.

카) 증기압 : 자료 없음

타) 용해도 : 물에 불용

파) 증기밀도 : 해당 없음

하) 비중 : 1.22~1.32

거) n-옥탄올/물 분배계수 : 해당 없음

너) 자연발화 온도 : 자료 없음

더) 분해 온도 : 자료 없음

러) 점도 : 자료 없음

머) 분자량 : 자료 없음

10. 안정성 및 반응성

가) 화학적 안정성 : 상온 상압에서 안정함.

나) 유해 반응의 가능성 : 자료 없음
다) 피해야 할 조건 : 과열, 스파크 및 기타 점화원을 피할 것.

피해야 할 물질 : 강산화제, 혼합금지 물질과의 접촉을 피할 것.

라) 분해시 생성되는 유해물질 : 열분해 시 연기와 작극성 흄이 생성될 수 있음.

11. 독성에 관한 정보

가) 가능성이 높은 노출 경로에 관한 정보

Ο 호흡기를 통한 흡입 : 자료 없음

Ο 입을 통한 섭취 : 자료 없음

Ο 눈, 피부 접촉 : 자료 없음

나) 단기 및 장기 노출에 의한 지연, 급성 영향 및 만성 영향

Ο 급성 독성

급성경구독성 : 조성 자료 참고

삼켯을 때 유해한 유해성 물질로 분류되지 않음.

혼합물의 분류 기준에 따름

급성흡입독성 : 조성 자료 참고

흡입으로 인한 유해 물질로 분류되지 않음.

혼합물의 분류 기준에 따름

급성경피독성 : 조성 자료 참고

피부와 접촉시 유해한 물질로 분류되지 않음.

혼합물의 분류 기준에 따름

급성 독성 (기타경로) : 자료 없음

Ο 피부 부식성 또는 자극성 : 토끼 (Rabbit) 피부 자극 없음.

Ο 심한 눈 손상 또는 자극성 물질 : 토끼 (Rabbit) 눈 자극 없음.

Ο 호흡기 과민성 : 조성 자료 참고

피부 접촉에 의한 과민성 물질로 분류되지 않음.

혼합물의 분류 기준에 따름

Ο 발암성 : 실험용 쥐 (rat), 암컷

경구노출- 발암 영향은 관찰된 바 없음

피부노출- 발암 영향은 관찰된 바 없음.

흡입했을 때- 발암영향은 관찰된 바 없음.

Ο 생식세포 변이원성 : 분류되지 않음

Ο 생식독성 : 생식 및 발달독성 시험 결과 생식 기능에 어떠한 영향도

나타나지 않음.

Ο 표적장기, 전신독성 물질 (1회 노출) : 당해 물질 또는 혼합물은 특정 표적 장기 독성 물질로

분류되지 않음.
Ο 표적장기, 전신독성 물질 (반복 노출) : 당해 물질 또는 혼합물은 특정 표적 장기 독성 물질로

분류되지 않음.

Ο 흡입유해성 : 분류되지 않음 (GHS 분류기준에 따름)

다) 독성의 수치적 척도(급성 독성 추정치 등) : 자료 없음

12. 환경에 미치는 영향

가) 수생, 육생 생태독성 : 자료 없음

나) 잔류성 및 분해성 : 자료 없음

다) 생물 농축성 : 자료 없음

라) 토양 이동성 : 자료 없음

마) 기타 유해 영향 : 자료 없음

13. 폐기 시 주의사항

가) 폐기방법 : 적용 규정에 따라 폐기 할 것.

나) 폐기시 주의사항 : 폐기물 처리에 대한 법률적 사항 또는 자치단체 규정에 대해서는 책임있는

기관/담당자의 조언을 받도록 권고 함.

14. 운송에 필요한 정보

가) 유엔 번호 : 자료 없음

나) 유엔 적정 선적명 : 자료 없음

다) 운송에서의 위험성 등급 : 자료 없음

라) 용기등급 : 자료 없음

마) 해양오염물질(해당/비해당) : 자료 없음

바) 사용자 운송 또는 운송 수단에 관련해 알 필요가 있거나 필요한 특별한 안전 대책 : 자료 없음

15. 법적 규제현황

가)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규제 : 해당 없음

나) 화학물질관리법에 의한 규제 : 해당 없음

다)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의한 규제 : 해당 없음

라) 폐기물관리법에 의한 규제 : 해당 없음

마) 기타 국내 및 외국법에 의한 규제

Ο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관리법 : 해당없음


Ο EU 분류정보

- 확정분류 결과 : 유해한 물질로 분류되지 않음.

- 위험 문구 : 해당 없음

- 예방조치 문구 : S2, S13, S36/37/39

Ο 미국 관리 정보

- OSHA 규정 (29CFR1910.119) : 해당없음

- CERCLA 103 규정 (40CFR302.4) : 해당없음

- EPCRA 302 규정 (40CFR355.30) : 해당없음

- EPCRA 304 규정 (40CFR355.40) : 해당없음

- EPCRA 313 규정 (40CFR372.65) : 해당없음

16. 기타 참고사항

가) 자료의 출처

- 화학물질정보 시스템, 국립환경과학원

- MSDS, 산업안전관리공단

나) 최초작성 일자 : 2013년 07월 05일

다) 개정횟수 및 최종 개정일자

- 최종 개정 횟수 : 2차(Ver.2)

- 최종 개정 일자 : 2023, 02, 10

라) 기타

이 자료는 산업안전보건법 및 GHS 요구사항을 따라서 아래 부분이 개정되고 ㈜코프라의 현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앞서 기술된 위험성만을 유일한 위험성으로 보증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당사 제품을 타 물질들과 혼용하여 사용할 경우 제품 안정성은 사용자의 독자적 책임이며, 사용자는

반드시 안전과 보건 기준에 적합하게 사용하여야 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