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사물놀이

김소피아
2교시
4가지의 악기
꽹과리
● 놋쇠로 만든 악기
● 채로 두들겨 소리를 내는 한국 전통 악기이다 '
꽹꽹'하는 소리가 난다
● 꽹과리로 이름 붙여졌다
● 꽹과리는 놋쇠로 얇게 만들어졌다
● 사물놀이에 쓰일 때에는 가장 덩치가 작으면서도
소리는 가장 두드러진다
● 꽹과리는 풍물놀이나 사물놀이에서 지휘자의 역
할을 맡아 가락과 진풀이를 엮어 나간다
● 둥글고 납작한 나뭇조각을 끝에 달아서 채로 쓴

● 꽹과리를 들고 있는 손의 손가락을 꽹과리의 뒤
쪽에 넣어 소리의 여운을 조절한다

● 한국의 타악기이다
● 한국에서 직접 만든 것이다
● 국악기 중 금부(金部)에 포함된다
● 놋쇠를 이용해 큰 그릇 모양으로 징을 만들어 끈
을 매달아 손에 쥐고 채를 이용해 치거나 나무로
만든 틀에 묶고 친다
● 채는 나무로 만든 손잡이에 끝부분을 헝겊으로
감아 만든다
● 사물(四物)의 하나로 사물놀이에 쓰이며 군악(軍
樂)이나 무악(巫樂), 불교음악 등에도 사용된다
장구
● 오동나무 통나무를 양쪽 속을 파내고 가운데를
잘룩하게 깎아서 양쪽에 가죽을 대고 줄을 사용
한다
● 가운데가 잘룩하게 들어가서 세요고라고 부르
기도 한다
● 노루가죽이나 개가죽을 사용한다
● 요즘에는 노루가죽은 거의 쓰지 않고, 일반적으
로 소가죽, 양가죽, 개가죽을 사용한다.
● 가죽은 왼쪽은 두꺼운 것을 써서 낮고 부드러운
소리가 나고, 오른쪽은 얇은 것을 써서 높고 날
카로운 소리가 난다.

● 타악기 중 하나로 동물의 피막을 씌워 그 부분을
치면서 연주하는 악기이다
● 호른보스텔과 작스의 악기 분류에 따르면 특수한
것을 제외한 대부분의 막명악기는 북이다
● 역사가 오래된 악기이며, 예전부터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었다
● 채나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친다
● 수많은 종류가 있으며, 피막의 두께가 소리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사물놀이는 깊은 뿌리가 있다. 사물놀이의 어
미는 한국의 역사만큼이나 긴 역사를 가지고
있는 풍물놀이이기 때문이다. 사물놀이는 한국
한국 드럼 연주의 유래 의 뛰어난 예술적 감각과 일하는 사람들의 삶
으로부터 비롯된 산물인 것이다.
이야기는 한국의 조상님들이 농사법을 알아 무
리를 지어 살던 때부터 시작된다. 사람들이 농
사를 지을 줄 알 게 되면서 좋은 땅을 찾아 이
곳 저곳 무리를 지어 다니면서 무리중 지혜로
언제 한국의 드럼 연주가 시작 됐 운 자를 뽑아 우두머리로 정해 살았다. 그래서
었나요? 우두머리를 앞세워 제천의식, 즉 비우제를 치
렀다. 제천의식에서는 반드시 놀이와 음악이
빠질 수 없었다. 이것이 굿의 전통이었다. 이때
이러한 대동의 굿판에서 한국의 조상님들께서
누리셨을 음악의 모습은 당연히 '두들소리', 즉
타악이 그 시초이며 기본이었다.
사물이란, 원래 절에서 불교의식 때 쓰

인 법고(法鼓)·운판(雲板)·목어(木魚)·범종
한국 드럼 연주의 유래 (梵鐘)의 네 악기를 가리키던 말이였습

니다. 뒤에 이것이 북·징·목탁·태평소로

바뀌고 지금은 다시 북·장구·징·꽹과리의

네 민속타악기로 바뀌어, 일반적으로 사


사물놀이 연주의 기원은 어디서
물놀이라고 하고 이 네 종류의 악기로
부터 시작했을까요?
연주되는 음악과 그 음악에 의한 놀이를

가리키게 되었다.
사물놀이의 박자
● 5채

오채질굿이라 부른다. 상당히 길고 복잡하며 2박자, 3박자가 혼합된 혼합박자로 호흡을 맞추


기도 어렵다. 고로 나도 아직 제대로 익히지 못한 가락이다.

● 6채

우질굿, 좌질굿이라고 부른다. 호남 우도 가락에서 연주되는 방법과 웃다리 가락에서 연주되


는 방법이 상당히 다르며 우도 가락 중 (오채)질굿에 속하는 가락으로 우질굿, 좌질굿이라 불
린다. 그러나 질굿 자체를 익히지 못한 고로 명확하지는 않다.역시 2박자와 3박자가 혼합된
혼합박자로, 웃다리 가락에서는 7채와 싸잡아서 일컬어진다. 그 이유는 7채 가락의 마지막
부분이 6채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이다. 즉, 7채의 뒷부분을 잘라내면 6채가 된다 이 말씀이
다. 고로 웃다리에서는 6채가 7채에서 파생된 것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질굿에서 엄연히 독
립 가락으로 존재하는 만큼 그 기원은 7채와 관련이 없을 것 같다.
사물놀이의 박자
● 7채
웃다리 가락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길군악 칠채라 부른다. '길군악'이라는 명칭은 행진곡과 비슷
한 의미로 파악되는데 웃다리 풍물 가락에서 사용될 때는 경박스러울 정도로 종종걸음을 치게
만드는 가락이다. 그러나 사물놀이의 웃다리 가락에서 사용될 때는 육중한 느낌을 주는 양면성
을 가지고 있다. 역시 2박자와 3박자가 혼합된 혼합박자로 호흡이 매우 재미있는 가락이다.

● 12채
삼천포 12채 가락이라 불리며 영남 사물놀이에서 길군악의 역할을 맞고 있다. 2박자와 3박자
가 혼합된 혼합박자로 박자의 구성은 간단하지만 길이가 상당히 길다.
사물놀이 수업에 대한 나의 목표와 기대
저는 최선을 다해서 열심히 노력하고 A를 받는것이 저의 목표입니다.

사물놀이 수업 저의 기대는 여러가지의 박자를 배우고, 스트레스 푸는것이다.

그리고, 사물놀이의 깊은 역사와 전통을 배웠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