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3

7 무형자산

Chapter

제 1 절 무형자산의 의의 및 분류
1. 무형자산의 의의
2. 무형자산의 분류
제 3 절 식별가능 무형자산
1. 식별가능 무형자산의 인식 및 분류
2. 연구와 개발
3.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식별가능 무형자산
4. 식별가능 무형자산의 회계처리
제 4 절 영업권
1. 영업권의 의의
2. 영업권의 인식
3. 영업권의 손상차손
< 보론 > 광물자원의 탐사와 평가
제 1 절 무형자산의 의의 및 분류
1. 무형자산의 의의

무형자산 (intangible asset) :


 물리적 형태 없으나 , 식별가능한 비화폐성자산
 식별가능 : 다른 자산과 분리 또는 분할할 수 있고 개별적으로 처분가능 ( 영업권 제외 )

무형자산의 특성

1) 식별가능성 (identifiability)
① 분리가능성: 기업에서 분리 혹은 분할 , 개별적으로 매각 , 이전 , 라이선스 , 임대 ,
교환가능
② 계약상 권리 또는 기타 법적 권리
2) 특정 회계실체에 의한 통제 (controllability)
 미래경제적 효익 확보 , 제 3 자 접근제한 가능
 법적 권리에 의해 통제권 확보
• 시장에 대한 지식 , 기술적 지식 : 저작권 , 계약상 제약 , 기밀유지의무 등으로 보호 (O)
• 숙련된 종업원 , 종업원의 기술 : 통제 곤란 => 자산인식 안 함
• 고객과 관계 , 고객 충성도 , 고정고객 , 시장점유율 : 통제 곤란  자산인식 안 함
3) 미래경제적 효익 (future economic benefits)
 수익창출 또는 원가절감 등 형태로 발생
 미래경제적 효익의 창출에 높은 불확실성 ( 유형자산 대비 )
2. 무형자산의 분류

< 표 7-1> 무형자산 및 무형자산성 지출의 회계상


분류

구분 세부분류 회계처리 사례

내부창출 원칙적으로 비용처리 연구비 , 경상개발비 , 광고비 ,


식별가능 무형자산 ( 자산성 있는 개발비 제외 ) 교육훈련비 등
무형자산 외부구입 산업재산권 , 라이선스 , 저작권 ,
자산으로 인식
무형자산 시설사용권 등

내부창출 경영능력 , 고객충성도 , 시장점유율


자산 불인식
영업권 등
영업권
사업결합
자산으로 인식 영업권
영업권
제 2 절 식별가능 무형자산
1. 식별가능 무형자산의 인식 및 분류

① 무형자산의 정의를 충족하고 ,


② 자산에서 발생하는 미래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야
(probable) 하고 ,
③ 자산의 취득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
[ 예제 7-1] 무형자산의
인식
플라밍고 ( 주 ) 는 20x1 년에 사업을 시작하였는데 상표권 개발과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지출을 함 .
일반광고비 ₩ 300,000
상표권 광고비 120,000
상표권 등록 법률수수료 50,000
상표권 디자인 및 등록 원가 40,000
성공적 상표권 소송원가 30,000

플라밍고 ( 주 ) 의 지출액 중 무형자산으로 기록할 수 있는 금액은 얼마인가 ?

해답

상표권 ( 무형자산 ) 으로 인식할 금액은 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이 있고 자산 인식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 따라서 상표권 등록 법률수수료 , 상표권 디자인 및 등록 원가와 성공적 상표권 소송원가의
합계인 ₩ 120,000(= ₩ 50,000+ ₩ 40,000+ ₩ 30,000) 을 상표권 ( 무형자산 ) 으로 인식한다 .
( 주 ) 일반광고비는 해당 자산과 직접 관련이 없으며 , 상표권에 대한 광고비도 광고비의 지출로 인한
미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광고비 전액 ₩ 420,000(=
₩ 300,000+ ₩ 120,000) 을 발생한 기간인 20×1 년의 비용으로 처리해야 한다 .
[ 예제 7-2]
탄소배출권

정부는 업체들이 일정기간 동안 배출할 수 있는 탄소의 기준량을 규제하고 있다 . 규제방식에 따르면 허가기간
동안 부여된 배출권 이내로 탄소를 배출하는 업체는 잔여 탄소배출권을 타 업체에 판매할 수 있으며 ,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벌금을 지급하거나 다른 업체로부터 탄소배출권을 사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야 한다 .

남해유화 ( 주 ) 는 상당량의 탄소를 배출하고 있다 . 20×1 년부터 20×4 년까지의 기간에 탄소배출기준을
초과하리라고 예상되는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20×1. 1. 1 에 탄소배출권을 ₩ 400,000 에 구입하였으며 , 동
탄소배출권의 잔여 유효기간은 4 년이다 .

남해유화 ( 주 ) 가 취득한 탄소배출권에 대하여 취득시점에 필요한 회계처리를 하라 .

해답

<20×1 년 1 월 1 일 ( 탄소배출권 취득시 )>


( 차 ) 탄소배출권 400,000 (대) 현 금 400,000
2. 연구와 개발
(1) 연구단계
연구 : 새로운 과학적 , 기술적 지식이나 이해를 얻기 위해 수행하는 독창적이고 계획적인
탐구활동
연구단계 : 비용 ( 자산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음 )
① 새로운 지식 획득 활동
② 연구결과를 탐색 , 평가 , 최종선택 , 응용 활동
③ 재료 , 장치 , 제품 , 공정 , 시스템 , 용역 등 대체안 탐색활동
④ 신규 or 개선된 재료 , 제품 , 공정 , 시스템 등의 대체안 제안 , 설계 , 평가 ,
선택

[ 그림 7-1] 대체안들의
연구 및 기초 상업화 개발과정에서 상업적
⇒ 응용가능성 ⇒ ⇒ ⇒ ⇒ 양산
개발의 연구 결정 시제품 생산 시험생산
회계처리 탐색

연구단계 개발단계 생산단계

개발비 또는 경상개발비
< 자산인식요건 >
① 기술적 실현가능성
② 사용 및 판매 의도
연구비 ( 비용 ) 생산원가 ( 자산 )
③ 사용 및 판매 능력
④ 자산성 확보
⑤ 개발 및 사용자원 확보
⑥ 측정가능성
(2) 개발단계

개발 : 상업적인 생산∙ 사용 전에 연구결과나 관련 지식을 새롭게 하거나 현저히 개량한 재료 ,


장치 ,
제품 , 공정 , 시스템 또는 용역의 생산을 위한 계획이나 설계에 적용하는 활동
개발단계 : 다음 조건 충족하면 무형자산으로 처리하고 , 충족 않으면 경상개발비로 비용처리
① 기술적 실현가능성
② 사용∙판매 의도
③ 사용∙판매 능력
④ 자산성 확보
⑤ 개발 및 사용 자원 확보
⑥ 측정가능
개발활동 :
① 생산∙사용전의 원형과 모형의 설계 , 제작 , 시험
② 새로운 기술과 관련된 공구 , 금형 , 주형 등 설계
③ 소규모 시험공장 설계 , 건설 , 가동 ( 상업적 목적 아님 )
④ 신재료 , 제품 , 공정 , 시스템에 대해 최종안을 설계 , 제작 , 시험
개발비 취득원가
①무형자산의 창출에 사용되었거나 소비된 재료원가 , 용역원가 등
②무형자산의 창출을 위하여 발생한 종업원급여
③법적 권리를 등록하기 위한 수수료
④무형자산의 창출에 사용된 특허권과 라이선스의 상각비
⑤무형자산의 취득에 소요된 자본화대상 차입원가 등
[ 예제 7-3] 연구비와 개발비

제 1 부 ) 연구비
순산 ( 주 ) 는 20×1 년중 다음과 같은 지출이 있었다 .
신지식 탐구를 위한 연구실 연구비 ₩ 100,000
신기술 개발을 위한 공구 , 금형 , 주형 등 설계비 22,500
상업생산중에 발생한 정기검사 등을 포함한 품질관리비 135,000
실험실 전용 시설물 ( 내용연수 5 년 ) 의 건축비 200,000
순산 ( 주 ) 가 20×1 년에 연구비 ( 비용 ) 로 처리해야 할 금액은 얼마인가 ?

해답

20×1 년 연구비=₩ 100,000 +₩ 200,000 =₩ 300,000


(주) 1) 신기술 개발을 위한 공구 , 금형 , 주형 등 설계활동은 개발단계의 활동으로서 무형자산
인식조건을 만족
시키면 무형자산으로 분류하고 그 이외의 경우는 경상개발비로서 비용으로 처리한다 .
2) 품질관리비는 제조원가에 포함시킨다 .
3) 실험실 전용 시설물은 다른 대체적인 용도가 없으므로 내용연수가 5 년이라도 당해 연도에 모두 연구비
로 비용처리한다 .

제 1 부 ) 개발비와 특허권
지은 ( 주 ) 는 첨단상품의 개발과 관련하여 발생한 개발비 ₩ 500,000 이 무형자산의 요건을 충족하여 이를 20×1. 1. 1 부터
개발비로 기록한 후 5 년의 내용연수에 걸쳐 정액법으로 상각해오고 있다 . 지은 ( 주 ) 는 20×3 년초에 동 첨단상품의
제조기술에 대하여 특허권을 성공적으로 취득하였으며 , 특허권 취득과 관련하여 직접비로 ₩ 800,000 이 지출되었다 .
지은 ( 주 ) 가 특허권의 원가로 기록해야 할 금액은 얼마인가 ?

해답

특허권의 취득원가:₩ 800,000


( 주 ) 개발비 지출액이 무형자산에 계상되어 있는 상태에서 동 신제품에 대하여 특허권을 취득한 경우에 특허권 취득을 위하여
직접 사용된 금액을 특허권의 원가로 하고 , 개발비 미상각잔액 ( ₩ 300,000) 을 특허권의 취득원가로 대체하지 않는다 .
3.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식별가능 무형자산

사업결합으로 취득하는 무형자산 : 취득일의 공정가치


공정가치의 자격
 신뢰성 있게 측정가능
• 영업권과 분리하여 인식 가능
• 유한 내용연수를 가지고 있는 경우
 ‘ 미래경제적 효익의 유입가능성이 높다’는 시장의 기대 반영
4. 식별가능 무형자산의 회계처리

(1) 무형자산의 원가

무형자산의 매입가격과 매입에 직접 관련된 법률비용 및 기타 부대원가의 합을


취득원가로 기록

무형자산을 현금이 아닌 주식 또는 기타 현물자산과의 교환으로 취득한 경우에는


유형자산과 마찬가지로 상업적 실질 (commercial substance) 이 있는 교환의 경우에는
공정가치법을 따르고 , 상업적 실질이 없는 교환의 경우에는 장부금액법을 따라
취득원가를 결정
(3) 무형자산의 상각과 손상차손

1)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

 내용연수 : 내용연수 결정시 고려 사항


 자산의 사용방식 , 자산이 경영진에 의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지 여부
 유사한 자산들의 내용연수 추정치에 관한 공개된 정보
 기술적 , 공학적 , 상업적 또는 기타 유형의 진부화
 산업의 안정성과 제품이나 용역의 시장수요 변화
 기존 또는 잠재적인 경쟁자의 예상전략
 해당 자산 유지비용의 수준과 그 수준에 도달할 수 있는 능력과 의도
 해당 자산의 통제가능 기간과 해당 자산의 사용에 대한 법적 또는 이와 유사한 제한
 해당 자산의 내용연수가 다른 자산의 내용연수에 의해 결정되는지의 여부

 상각
 체계적인 방법으로 내용연수 동안 상각대상금액을 배분
 상각대상금액 :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 차감한 금액
 상각방법 : 자산의 미래경제적 효익이 소비되는 형태를 반영하는 합리적인 방법
 정액법 , 생산량비례법 , 체감잔액법 사용가능
 다른 합리적인 상각방법을 정할 수 없는 경우 : 정액법
 잔존가치 : 일반적으로 ₩ 0 으로 봄
 직접법 사용 : 상각누계액계정은 사용하지 않지만 주석으로 공시
2)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

비한정내용연수 가진 무형자산 : 상각하지 않음


자산손상검사 : 매년 또는 손상의 징후 있을 때 수행
내용연수를 한정할 수 없다는 추정이 적절한지를 매 회계기간마다 검토
비한정내용연수를 유한내용연수로 변경한 경우 : 회계추정의 변경
[ 예제 7-4] 매출액비례법에 의한 무형자산의 상각

나라 ( 주 ) 는 20×1.1.1 에 라이선스를 ₩ 2,000,000 에 취득함 . 동 라이선스의 계약기간은 20×8


년말까지 8 년임 . 나라 ( 주 ) 는 라이선스의 취득으로 20×8 년까지 8 년 동안 매출액이 총 ₩ 8,000,000
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함 ; 20×1 년에는 ₩ 1,200,000 의 매출액이 증가함 . 나라 ( 주 ) 는
매출액비례법을 이용하여 라이선스를 상각 .
20×1 년에 라이선스와 관련하여 필요한 분개를 하라 .

해답

<20×1.1.1( 라이선스 취득시 )>

( 차 ) 라이선스 ( 무형자산 ) 2,000,000 (대) 현 금 2,000,000

<20×1.12.31( 무형자산의 상각 )>

( 차 ) 무형자산상각비 300,000 ( 대 ) 라이선스 ( 무형자산 ) 300,000

* 매출액비례법:₩ 2,000,000×( ₩ 1,200,000/ ₩ 8,000,000) =₩ 300,000


(4) 무형자산의 재평가

취득 이후 : 원가모형과 재평가모형 중 하나를 선택


 원가모형 : 취득원가
 재평가모형
• 재평가일에 공정가치로 평가
• 장부금액 표시 : 공정가치에서 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
• 공정가치 : 활성시장에서 형성된 가격
① 거래되는 항목 ( 자산 ) 들이 동질적
② 구매자들과 판매자들을 언제든지 찾을 수 있고
③ 가격이 공개되어 이용가능한 시장

재평가회계처리
① 재평가 빈도 : 공정가치의 변동성에 따름
② 같은 부류의 모든 무형자산은 재평가모형을 적용 ( 활성시장이 없는 경우 제외 )
③ 장부금액을 재평가시점의 공정가치로 수정
④ 장부금액 증가 : 재평가잉여금 ; 장부금액 감소 : 당기손익
⑤ 재평가잉여금누계액 : 실현되는 시점에 이익잉여금으로 직접 대체
[ 예제 7-5] 무형자산의 재평가

종로 ( 주 ) 는 20×1 년초에 특허권을 ₩ 400,000 에 취득하였다 . 이 특허권은 법령에 의하여 10 년간


사용할 수 있고 , 10 년 후의 잔존가치는 ₩ 0 이다 . 종로 ( 주 ) 는 정액법에 의하여 특허권을 상각하고 있
고 , 취득 후의 회계처리는 재평가법을 채택하고 있다 . 재무제표에는 상각후잔액으로 무형자산의
장부금액을 표시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 20×2 년말 이 특허권을 재평가한 결과 공정가치가
₩ 440,000 임을 알게 되었다 . 내용연수는 변하지 않고 20×2 년말 현재 8 년이 남아 있다 . 20×2 년말의
회계처리를 하라 .
해답

<20×2 년말 > ( 차 ) 특허권상각 40,000* (대) 특 허 권 40,000


* ₩ 400,000( 취득원가 )/10( 내용연수 ) =₩ 40,000

(차) 특 허 권 120,000* ( 대 ) 자산재평가이익 120,000


( 기타포괄손익 )
* ₩ 440,000( 재평가액 ) - ( ₩ 400,000( 취득원가 ) -₩ 40,000×2 년 ) =₩ 120,000
제 3 절 영업권
1. 영업권의 의의

영업권 (goodwill) :
• 기업의 다른 자산과 구별하여 개별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미래경제적 효익을
발생시키는 자산
• 내부창출영업권 : 인식하지 않음
•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영업권 :

영업권의 본질 : 피취득기업의
① 계속기업 요소로서의 공정가치 또는
② 피취득자의 순자산을 취득자의 순자산과 결합함으로써 발생되는 시너지효과
2. 영업권의 인식

내부창출 영업권

내부적으로 영업권이 창출되지만 자산으로 인식하지 않음


① 미래효익과 관련된 원가를 식별하는 것이 어려움
② 분리가능하지 않고 , 계약상 또는 기타 법적 권리에서 발생하는 자원은 아님
③ 유상으로 취득한 것이 아니므로 취득원가주의에 부합되지 않음

사업결합으로 발생한 영업권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영업권은 자산으로 인식


 종합평가접근법
① 사업결합에 소요된 매수원가
② 식별가능한 자산 , 부채 및 우발부채를 취득일의 공정가치 순액으로 평가한 취득자의 지분
♣ 영업권 : ① - ②
⇒ 식별가능한 유형 및 무형의 자산으로는 식별할 수 없는 모든 가치를 포함
[ 예제 7-6] 영 업 권

PA( 주 ) 는 SA( 주 ) 를 합병하였는데 합병 직전 SA( 주 ) 의 재무상태표는 아래와 같다 .


단 , SA( 주 ) 는 상각이 완료된 특허권이 있으며 , 이의 공정가치는 ₩ 72,000 이라고
하자 . PA 사가 SA 사에 합병대가로 지급한 현금은 ₩ 1,600,000 이었다 .
PA 사가 기록할 영업권 금액을 산출하고 , 합병에 관련된 분개를 제시하라 .

재무상태표
══════
SA( 주 ) 20×1. 12. 31 현재

자산 장부금액 공정가치 부채․자본 장부금액 공정가치

현금 ₩ 100,000 ₩ 100,000 유동부채 ₩ 220,000 ₩ 220,000

매출채권 140,000 140,000 자본금 400,000

재고자산 168,000 488,000 이익잉여금 400,000

유형자산 612,000 820,000

특허권 ( 미기록 ) - 72,000

자산총계 ₩ 1,020,000 부채와 자본총계 ₩ 1,020,000


해답

합병대가: ₩ 1,600,000
순자산의 공정가치: 자산의 공정가치-부채의 공정가치
= (100,000 + 140,000 + 488,000 + 820,000 + 72,000) - (220,000)
=₩ 1,400,000
영 업 권: ₩ 1,600,000 -₩ 1,400,000 =₩ 200,000

합병분개:
(차) 현 금 100,000 ( 대 ) 유동부채 220,000
매출채권 140,000 현 금 1,600,000
재고자산 488,000
유형자산 820,000
특허권 72,000
영업권 200,000
 
3. 영업권의 손상차손

- 영업권은 상각을 하지 않고 대신 손상차손의 대상이 됨


- 영업권에 대해서는 최소한 매 회계연도마다 손상검사를 실시해야 함
- 손상차손 (impairment loss) 은 당기손익으로 인식
- 회수가능액 (recoverable amount) 은 순공정가치와 사용가치 중 큰 금액을 의미
- 순공정가치 (net fair value) 는 합리적 판단력과 거래의사가 있는 독립적
당사자간에 이루어진 자산 ( 현금창출단위 ) 의 매각으로부터 수취할 수 있는
금액에서 처분비용 (costs to sell) 을 차감한 금액을 말함
- 사용가치 (value in use) 는 자산 ( 현금창출단위 ) 에서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는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말함
[ 예제 7-7] 영업권의 손상차손

PA( 주 ) 는 20×1.1.1 에 식별가능한 순자산의 공정가치가 ₩ 15,000 인 SA( 주 ) 의 주식 100%


를 ₩ 20,000 에 취득하고 ₩ 5,000 을 영업권으로 기록하였다 . 20×1.12.31 에 SA( 주 ) 의
회수가능액은 ₩ 10,000 으로 추정되었다 . SA( 주 ) 의 식별가능한 자산들에 대하여서는
내용연수 10 년 동안 정액법으로 감가상각을 하며 잔존가치는 없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
SA( 주 ) 가 하나의 현금창출단위라고 가정하고 20×1.12.31 에 SA( 주 ) 에 대하여 손상검사를
실시하고 적절한 회계처리를 제시하라 .

해답

1) 손상차손의 계산 

영업권 식별가능한 순자산 합계

장부금액 ₩ 5,000 15,000--1,500= ₩ 13,500 ₩ 18,500

회수가능액 (10,000)

손상차손 ₩ 8,500

* 영업권은 상각하지 않으며 , 식별가능한 순자산의 상각액은 ₩ 1,500( ₩ 15,000/10 년 ) 이다 .


2) 손상차손의 배분

영업권 식별가능한 순자산 합계

장부금액 ₩ 5,000 ₩ 13,500 ₩ 18,500

손상차손의 배분 (5,000) (3,500) (8,500)

손상차손 반영후 장부금액 ₩0 ₩ 10,000 ₩ 10,000

* 손상차손 ₩ 8,500 은 우선적으로 영업권에 배정하여 장부금액 ₩ 5,000 을 전액 감액시킨다 . 잔여 손상차손


₩ 3,500 은 현금창출단위인 S 사의 기타 식별가능한 순자산의 장부금액에서 감액시킨다 . 기타 식별가능한
순자산이 여러 가지의 자산으로 구성되었다면 개별자산의 감액은 장부금액에 비례하여 분배한다 .

3) 회계처리

( 차 ) 손상차손 8,500 ( 대 ) 영 업 권 5,000


제자산 3,500
 
보론 7A 광물자원의 탐사와 평가
1. 탐사평가자산의 의의

[ 그 림 7A-1] 광 물 자 원 의 탐 사 와
평가
2. 탐사평가자산의 인식

탐사평가자산 ( 무형자산 ): 취득원가


• 탐사권리의 취득 ; 지형학적 ∙ 지질학적 ∙ 지구화학적 및 지구물리학적 연구 ; 탐사를
위한 시추 , 굴착 , 표본추출 , 광물자산 추출의 기술적 실현가능성과
상업화가능성에 대한 평가
• 탐사원가
① 기간비용법
② 성공원가법
③ 전부원가법
♣ K-IFRS : 전부원가법
• 복구원가 : 충당부채 요건 충족 ⇒현재가치를 탐사평가자산과 충당부채계상

개발비 ( 무형자산 ) : 기술적 실현가능성 및 상업화가능성 판단 후 개발활동 원가


* 개발비라는 표현보다는 개발원가가 더 적절함 .
[ 예제 7A-1] 탐사평가자산

광물을 채굴하여 판매하는 동식광업 ( 주 ) 의 20×1 년 탐사 및 평가활동과 관련된 자료가 다음과


같다 . 동식광업 ( 주 ) 의 결산일은 12 월 31 일이다 .
1) 20×1 년말에 탐사평가자산으로 회계처리할 금액은 ?
2) 20×2 년초에 광물자원추출의 기술적 실현가능성과 상업화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면
어떤 회계처리를 해야 하는가 ?

항목 내용 금액 ( ₩ )
1 광구 A 의 탐사에 대한 법적 권리를 취득하기 전에 발생한 초기탐색비용 150,000
20×1 년초에 취득한 광구 A 의 탐사용 시추장비 ( 내용연수 5 년 , 잔존가치
2 1,000,000
0)
3 20×1 년초 광구 A 에 대한 20 년간 채굴권 획득을 위한 지출 1,800,000
4 20×1 년중 광구 A 에 대한 채굴권을 획득한 후에 지출한 탐사원가 500,000
20×1 년중 광물자원 추출의 기술적 실현가능성과 상업화가능성에 대한
5 1,000,000
평가와 관련한 지출
* 탐사와 평가활동 전에 발생한 초기탐색비용 ( 항목 1) 은 발생한 기간에 비용처리한다 .
해답

1) 탐사평가자산
① 무형자산 

항목 내용 및 계산근거 금액 ( ₩ )

2 시추장비의 감가상각비 (1,000,000/5 년 ) 200,000

3 채굴권 취득원가 1,800,000

4 탐사원가 500,000

5 기술적 실현가능성과 상업화가능성 평가와 관련된 지출 1,000,000

계 3,500,000
② 유형자산
시추장비의 20×1 년말 장부금액: ₩ 1,000,000 -₩ 200,000 =₩ 800,000

2) 20×2 년초 ( 기술적 실현가능성과 상업화가능성이 있음이 확인되어 개발활동을 시작 )


( 차 ) 시추권 ( 무형자산 ) 3,500,000 ( 대 ) 탐사평가자산 3,500,000
( 차 ) 시추장비 ( 유형자산 ) 800,000 ( 대 ) 탐사평가자산
800,000 
[ 예제 7A-2] 광물자원의 상각

차령개발 ( 주 ) 는 제주도 남쪽 대륙붕 100km2 에 대하여 유전탐사권을 ₩ 400,000 에 취득하였다 .


차령개발 ( 주 ) 는 3 곳을 시추한 결과 그중 하나에서 유정을 발견하였다 . 각 시추공마다 탐사비용은
₩ 800,000 이며 , 유정의 개발비로 ₩ 6,800,000 을 지출하였다 . 또한 유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형설비자산의 취득원가가 ₩ 480,000 이고 , 추정잔존가치는 ₩ 0 이며 , 내용연수는 16 년이며 ,
유정의 매장량은 80,000 배럴로 추정된다 . 차령개발 ( 주 ) 는 시추설비와 광물자원의 개발비는
생산량비례법으로 상각하며 , 첫해에 2,500 배럴을 채굴하였다 .
차령개발 ( 주 ) 가 행할 감가상각과 감모상각에 대한 분개를 하라 . 단 , 차령개발 ( 주 ) 는
탐사원가에 대해 전부원가법을 사용함 .

해답

생산단위당 감가상각비=₩ 480,000/80,000 배럴=₩ 6/ 배럴


생산단위당 감모상각비= ( ₩ 400,000 +₩ 800,000×3 +₩ 6,800,000)/80,000 배럴=₩ 120/ 배럴
< 분개 >
( 차 ) 감가상각비 * 15,000 ( 대 ) 감가상각누계액 15,000
* 2,500 배럴 × ₩ 6 =₩ 30,000
( 차 ) 감모상각비 * 300,000 ( 대 ) 광물자원개발비 300,000
* 2,500 배럴 × ₩ 120 =₩ 300,000
제7장끝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