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0

산 - 염기 수용액 평형

& 다양성자산의 해리

31016 유서흠 , 31115 김수현


물에 녹았을 때 pH 가 7 보다 낮은 물질

물에 녹았을 때 이온화하여 수소이온을 내놓는 물질

전해질이며 신맛이 나며 염기와 중화반응함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과 반응하여 수소기체 발생


염기

수용액의 pH 가 7 보다 높은 물질

수용액에서 수산화이온 내놓는 물질

전해질이며 쓴맛이 나며 산과 중화반응을 함

대부분 금속 산화물이며 단백질을 녹이는 성질이 있음


아레니우스 산 - 염기
물에 녹였을 때 수소이온을 내놓는 물질
물에 녹아 수산화이온을 내놓는 물질

에서만 적용가능
액에서 수소이온이나 수 산화이 온을 내놓 지 않 는 물질에 서는 적용불가 예

브뢴스테드 - 로리
산 - 다른 화합물에 양성자 (H+) 를 주는 화합물
염기 - 다른 화합물로부터 양성자 (H+) 를 받는 화합물

특징
수용액이 아닌 경우에도 설명 가능
짝산 - 짝염기 존재

산이 이온화될 수 있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야


짝산 & 짝염기

염기가 있어야 산으로 작용 , 산이 있어야 염기로 작용

가능

산성 물질은 양성자를 잃고 산의 짝염기인 염기를 만들고

염기성 물질이 양성자를 얻으면 염기의 짝산인 산을 만듦


산 - 염기 평형
물의 해리

* 물의 자체 양성자 이전 반응

* 물의 자체 이온화 반응
물의 해리

* ‘ 용매의 자체 이온화 반응 평형 상수’는 이온곱 상수라고 부른다 .


Ka, pKa

Ka 값이 높을수록 산의 세기가 세다 .
Kb, pKb

Kb 값이 높을수록 염기의 세기가 세다 .

산의 pKa + 짝염기의 pKb = 14


산 - 염기 거동과 화학구조

수소산의 세기에 영향을 주는 두가지 요인

1. 결합의 세기가 어떠한지


2. RO- 안정도
산 - 염기 거동과 화학구조

수소를 가진 분자는 H-A 결합이 H+, A- 일 때 산으로 작용한다 .

결합의 세기가 강할 경우 , 약한 결합에 비해 분리되기 어려워 약산으로 기능

HCl, HBr, HI 가 모두 강산인데 같은 17 주기인 HF 는 약산인 이유가 설명된다 .

HF 는 분자들끼리 수소결합으로 결합이 매우 세기 때문에 매우 약산이 된다 .

또한 I, Br, Cl 순으로 주기가 크므로 결합길이는 길고 결합은 약하다 .

따라서 HF <<< HCl < HBr < HI


산 - 염기 거동과 화학구조
해당 분자가 해리되어 음이온이 되었을 때 해당 음이온의 안정도가 클 수록 산도 더 강해진다 .

같은 족에서 아래쪽으로 갈 수록 산의 세기가 증가한다 .


- H-A 에서 A 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결합의 세기가 약해지기 때문

같은 주기에서 오른쪽으로 갈 수록 산의 세기가 증가한다 .


- A 의 전기음성도가 높으면 전자를 끌어들이는 힘이 세서 수소이온을 만들 확률이 증가

따라서 CH4 < NH3 < H2O < HF


산 - 염기 거동과 화학구조

산소산의 세기에 영향을 주는 두가지 요인

1. A 의 전기음성도
2. 고립산소수의 개수
산 - 염기 거동과 화학구조

산소산은 HOA 의 형태를 갖기 때문에 H 와 O 가 항상 결합하고 결합에너지는 일정하다 .

고립산소수란 H 와 결합하지 않은 산소수로 고립산소수가 많을 수록 산의 세기가 커진다 .

HOCl, HOClO, HOClO2, HOClO3

이 네개의 분자에서 고립 산소수는 각각 0, 1, 2, 3 개이다 .

따라서 HOCl < HOClO < HOClO2 < HOClO3


산 - 염기 거동과 화학구조
다양성자산

산 한 분자가 1 개 보다 많은 수소이온을 낼 수 있는 산을 다양성자산이라고 한다 .

일양성자산 : HCl, HNO3, CH3COOH

다양성자산 : H2SO4, H2CO3, H3PO4


다양성자산 해리

H2SO4(aq) + H2O(l) → H3O+(aq) + HSO4-(aq)

  HSO4-(aq) + H2O(l) → H3O+(aq) + SO42-(aq)


다양성자산 해리

H3PO4(aq) + H2O(l) → H3O+(aq) + H2PO4-


(aq)
  H2PO4-(aq) + H2O(l) → H3O+(aq) + HPO42-(aq)

  HPO42-(aq) + H2O(l) → H3O+(aq) + PO43-(aq)


인산의 적정 & 완충용액

산이나 염기를 넣어주어도 용액의 pH 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 현상을

완충 작용이라고 하고 , 이런 특성을 가진 용액을 완충 용액이라고

한다 .
인산의 적정 & 완충용액

산과 그의 염 또는 약염기와 그의 염을 혼합해서 만듦
해리하지 않은 약산 ( 또는 약염기 ) 과 염이 해리해서 생기는 짝염기 ( 또는 짝산 ) 가
인산의 적정 & 완충용액

준 산이 해리해서 생긴 수소 이온은 짝염기와 결합하여 약산이 되고 , 넣어준 염기는


인산의 적정 & 완충용액

가까운 산이 이용된다 . 자연은 인산 (HPO) 과 같은 다양성자산으로 이 문제를 해결

에 대한 pK 가 7.20 이기 때문에 pH7 정도의 완충 용액을 만드는 데에 적당하다 .


인산의 적정 & 완충용액
인산의 적정 & 완충용액
인산의 적정 & 완충용액
인산의 적정 & 완충용액

첫 번째 완충 영역 최대 pH: 2.24 인산의 =

2.15
인산의 적정 & 완충용액

제 3 당량점은 매우 약한 산이라 반응하기 힘들어 당량점을 찾기 매우


힘들다 .
제 3 당량점의 의 값은 7.10 으로 매우 작다 .
THANK
YOU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