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

하버마스의 이론

• 위르겐 하버마스 (Jürgen Habermas) 는 독일의


철학자이며 , 현대 사회 이론 및 실용적 이념의 분야에서
큰 영향력을 가진 인물이다 . 하버마스는 20 세기의 주요
사회 이론가 중 하나로 여겨지며 , 의사소통 이론과
공공권리 이론를 주장하였다 .
• 1. 의사소통 이론 (Communicative Action Theory):

하버마스는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사회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려는 시도를 했습니다 . 그는 인간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를 공유하고 이해하며 , 이를 통해 합리적인 합의와
이해를 이끌어낸다고 주장했습니다 .
하바마스가 주장한 의사소통의 합리성
• 하버마스는 억압 없는 해방된 사회를 위해 이상적인 언어 모델에 주목했다 . 언어도 하나의 행위다 . 예를

들어 , ‘ 내일 그곳에 갈게’라는 말은 그렇게 하겠다는 행동의 약속을 담고 있다 . 이 약속이 지켜지는 이유는

서로가 상대의 말을 알아듣고 그 말이 진실임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 하버마스는 이런 일상의 언어생활에서

인류의 해방을 향한 열쇠를 발견한다 . 그는 합리성을 단순히 논리적 사고가 아닌 , 사람들 사이의 대화와

토론에서 찾는다 . ‘ 의사소통의 합리성’이라는 새로운 이성의 잣대를 세운 것이다 .

• 그는 올바른 대화의 기준으로 서로 무슨 뜻인지 이해할 수 있고 , 그 내용이 참이어야 하며 , 말하는 사람들의

관계가 평등하고 수평적이어야 함을 든다 . 그는 대화속에서 이성의 새로운 역할을 찾는 독창적인 철학의 장을

열었다 . 나아가 하버마스가 추구한 대화의 윤리 , 곧 ‘담론 윤리학은’은 현대 민주 사회에 도덕과 근거를

제시해 주는 이론으로 각광받게 되었다


• 의사소통 이론 >(Communicative Action Theory): 하버마스는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사회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려는 시도를 했습니다 . 그는 인간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를 공유하고 이해하며 , 이를 통해 합리적인 합의와 이해를 이끌어낸다고 주장했다 .

• 1. - 의사소통의 합리성을 실현해야 서로 갈등하는 다양한 의견을 합지럭으로


논의하여 합의에 도달할 수 있고 , 대화에 참여한 모든 사람이 합의 결과를 수용할
수 있다고 주장함 .
• 2. - 이상적 담화 조건 : 의사소통의 합리성을 실현하려면 담론에 참여한 사람들이
참되고 옳고 진실하며 서로 이해할 수 있는 말을 해야 함 .
• 3. - 공론장을 통해 구성원 모두가 합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 4. - 의사소통 능력을 가진 시민이 의사소통 과정의 참여 주체가 되어야 한다 .
n 의사소통 과정에서 지켜야 할 규범
• 1. 대화 상대를 동등한 인격의 소유자로 대하고 판단력과 지각이 있는 주체로
대한다 .
• 2. 어떤 상황에서든 본인이나 다른 대화 상대자를 기만하거나 속일 의도를
가져서는 안된다 .
• 3. 모든 대화 참가자는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고 , 이들의 물음에 개방적으로
답변하고 토론에 임한다 .
• 4. 인종 또는 계급적 편견이나 지위가 대화 상대의 의견을 제시하거나 막기
위한 억압적 수단으로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
• 5. 대화 중에 제기된 물음이나 질문에는 그 어떤 금기도 적용되지 않으며 ,
누구도 질문에서 벗어나는 특권을 누릴 수 없다 .
-< 하버마스 , 의사소통 행위 이론 >-
2. 공공권리 이론 (Discourse Ethics):

하버마스는 도덕적 의사결정의 기초로 대화와 논의를


제시했습니다 . 그는 윤리적 원칙을 발견하기 위해
자유롭고 평등한 토론과 논의를 통해 이끌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 이러한 원칙을 통해 정의롭고 타당한
의사결정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 이는 정치적인
의사결정과 윤리적 판단에 적용될 수 있다 .
하바마스의 이상적 언어상황
• * 하버마스의 이상적 언어상황
• 이상적 언어상황은 사람들이 동등한 발언기회를 갖고 토론에 참여하여 합의 (Konsensus) 에
도달하는 사회이다 . 이러한 이상적 언어상황은 1) 의사소통의 합리성을 실현해야 서로
갈등하는 다양한 의견을 논의해야 하며 , 2) 담론에 참여한 모든 사람이 합의 결과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고 ,. 3) 공적 문제에 대한 옳고 그름의 판단은 공적 담론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 4) 시민들의 담론을 거치지 않은 공적 결정은 정당성을 갖지 못하는 것을 전제로 한
다 . 즉 이해가능성 , 진리 , 올바름 , 진실성이라는 네 가지의 규범이 충족되어야 하는 것이다 .
3. 사회학 이론 (Sociological Theory):
• 하버마스는 사회학적 관점에서도 활발한 연구를
진행했다 . 그는 현대 사회의 구조와 동적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통신과 사회 변동성 , 신자유주의와 감시
등에 관한 이론적 접근을 제시했다 .
4. 실용적 이념 (Pragmatic Theory of Truth):

하버마스는 진리에 대한 개념을 탐구하면서 실용적


접근을 취했다 . 그는 진리를 의사소통 과정에서 동의의
결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보았으며 , 진리는 지속적인
토론과 공론화를 통해 발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하버마스 철학의 의의
그의 철학의 진정한 의의는 이성이 불신 받고 있는 이 시대에서 계몽주의의 긍정적
유산을 현대적으로 되살리기 위해 의연하게 노력해 왔다는 데 있다 . 또한 현대철학의
중요한 논쟁들 가운데 우뚝 서서 신선한 문제의식을 끊임없이 제기했다는 데 있다 .

그의 이성에 바탕을 둔 현대의 새로운 계몽을 요구하는 의사소통행위 이론은


과학기술의 무분별한 근대화 과정의 결과로서 도구적 가치의 만연 , 관료주의의 폐해 ,
원칙과 합의가 결려된 왜곡된 의사소통 등 많은 구조적 불합리성을 겪고 있는
우리사회의 현실에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과 변화과정 요약
과시적 공공성
• 15, 16 세 기 당 시 ‘ 공 공 성 ’ 이 라 는 개 념 은 권 력 이
대중들에게 표상되는 방식으로서왕이나 귀족 , 영주 ,
고위성 직자 등 공적인 시선에 노출된 개인들이 지닌
일종의 지위 속성처럼 나타남
• 르네상스가 진행되면서 점차 그 중요성을 잃게 되었음
공론장의 형성
• 16 세기 서유럽에서 상업자본주의가 발달하면서 정치권력의 제도적
형식 변화 -> 새로운 유형의 공론장이 형성
• 시장경제 안에서 경쟁하는 개인들의 관계인 시민사회 그리고
가부장적 핵가족의 내밀한 관계를 아우르는 사적 영역 구성
• 폭력과 사법권의 정당한 사용을 독점하 는 근대국가 체제가 탄생
_-> 공 론 장 은 이 러 한 국 가 와 사 적 개 인 사 이 에 일 종 의
매개영역으로서의 기능을 함 .
원칙적으로 누구에게나 열려 있었던 이 공간은 국가의 일부가 아니
라 , 오히려 공권력이 비판에 부쳐지는 논의의 장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음
공론장 기능의 발달
18 세기 유럽에서 공론장이 출현한 데에는 여러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

• 사회의 점진적인 분화 , 국민국가에로의 권력집중 , 세속화 등의 경향과 더불어

공적 규범과 사적인 도덕 사이의 분리가 이루어짐 -> 개인의 내면성과 사생활 발전

• 노동생활과 외부세계로부터 단절된 가정으로 사적 개인의 주관성과 자율성이 성장 ,

문학과 예술의 소비를 통해 자기계발의 기획 에 점점 더 몰두함

• -> 부르주아지의 문예 공론장은 비판적이며 합리적인 정치토론을 위한 문화적

자원을 마련하였고 , 정치 공론장의 원형으로서 기능


부르주아 공론장의 쇠퇴 과정
• 19 세기 후반 이래 대기업 자본주의와 복지국가 체제가 성장하고 대중민주주의 확대 -> 부르주아 공론장 쇠퇴

• 공론장은 국가가 사적인 시장경제로부터 분화된 사회질서 위에 기반을 두고 있었음 _> 국가와 시민사회가 고도로

발전 , 양자의 융합이 촉진됨 , 국가는 자본주의의 모순을 관리하기 위해 , 개개인의 삶과 복지 , 사적 이해관계에 개입

• 다양한 이익집단들은 권력구조 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면서 , 국가의 영역에 침투하고 사익을 추구 ->

자율적인 시민으로서가 아니라 , 서비스의 고객 내지 소비자로서 국가에 대해 점점 더 의존적인 관계를 맺게 됨

• 독립적이며 비판적인 시민들 간에 벌어졌던 정치논쟁은 이제 그 외양만 남은 채 , 실제로는 국가 영역 안의

전문정치인들에 의해 이루어졌음 , 같은 맥락으로 공론은 점점 여론조사결과와 동일시되어 가고 , 정치가들은

권력투쟁의 논리에 따라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작하고 통제하려는 전략 구사함


미디어의 변화

• 부르주아 공론장의 기반을 마련했던 미디어 또한 근본적인 변화를 겪게 됨

• 한때 합리적 , 비판적 논쟁의 장이었던 미디어의 상업화로 인해 광고와 마케팅 , 이미지 조작 , 여론

조정과 홍보 , 그리고 문화소비의 영역으로 변화

• 공론장과 사적영역의 분리가 함축하고 있었던 것은 사적 이해관계 의 경쟁이 기본적으로 시장의

규제에 맡겨지고 의견의 공적 경합에는 관여하지 않음 -> 상업화된 미디어는 저널리즘적 효과가

커질수록 사적 이해관계의 압력에 영향을 크게 받음

• 공론장이 광고에 이용됨에 따라 , 사적 소유자로서의 개인들이 공중으로서의 개인들에게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침 -> 문화산업의 발달은 비판적인 공 중의 자율성이 자리하고 있었던 사생활을 잠식해

들어가 , 수동적인 서비스와 오락 , 여가의 온상으로 기능을 변화시킴


• 이 모든 진단을 바탕으로 하버마스는 20 세기 서유럽의 공론장이 다시 봉건화
되었다고 결론지음 .

현대사회의 공론장은 공중을 앞에 놓고 명망과 평판 , 위신을 펼쳐 보이는


궁정이나 다를 바 없다 . 과거의 공론장이 어떤 인물이나 사안을 합리적 논쟁과
공론의 심판에 부치는 법정과 같았다면 , 현대사회의 공론장은 공중을 앞에 놓고
명망과 평판 , 위신을 펼쳐 보이는 궁정이나 다를 바 없다 . 부르주아 공론장의
이상 이었던 공공성의 비판적 원리는 쇠퇴하였다 . 하버마스에 의하면 , 이제
공공성은 조작적 목적을 위해 제조될 수 있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 공론 또한 더
이상 공중의 자유로운 토론과 이성적이고 자율적인 의견조정과정을 거쳐 나오지
않는다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