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7

계간 낭만음악 제21권 제4호(통권84호) 2009년 가을호 81

▶ 논문

효율적인 암보를 위한 피아노 연습

주희선

<요 약>

암보 능력은 피아니스트의 성공적인 연주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완성도 있는 연주를 하기 위해서 철저히 암보 연습을
하는 것은 필수적인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 처리 이론의 관점에서 암
기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여러 학자들과 피아니스트들의 문헌을 참
고하여 피아노 암보를 위한 체계적인 연습의 과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정보 처리 이론에서는 기억의 구조를 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으로 나
눈다. 감각기억은 환경으로부터 들어온 정보 자극을 처리하는 잠시 동안 저장
하는 기억이며 곧 단기기억으로 넘어가게 된다. 단기기억은 의식적인 정보 처
리 과정이 일어나는 곳이지만 기억의 용량이 적고 정보는 수 분 동안만 지속
된다. 단기기억에서 적절한 처리를 받은 기억 정보는 장기기억으로 넘어가게
되는데 장기기억은 기억의 용량이 무제한이며 정보가 오랫동안 지속된다. 그
러므로 효과적인 피아노 암보를 한다는 것은 단기기억에 있는 정보들이 효과
적으로 장기기억에 저장되도록 하는 여러 가지 처리, 즉 부호화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효과적인 부호화를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 청킹, 자동화, 이중처
리 등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피아노의 암보에 적용된다.
음악적 암기는 청각, 시각, 운동감각 등 감각을 통한 암기와 악곡을 분석하
고 파악하여 이를 암기에 활용하는 인지적 암기로 나누어진다. 암보를 효율적
으로 하기 위하여 피아니스트는 곡을 처음 익힐 때부터 전체적인 곡의 형태
및 구조를 파악하여야 한다. 곡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그 곡을 동질의 그룹끼
리 묶어 인지하는 청킹이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암보에 도움이 된다. 또한
연습을 하는 과정 중에는 근육 운동 감각을 통한 피아노 연주의 자동화가 이
82

루어지게 된다. 이 때 암보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부분, 즉 큰 도약이 있


다거나 왼손과 오른손이 서로 주제를 모방하는 대위법적 부분들의 경우 손의
움직임과 건반 사이의 거리 등을 의식적으로 체크하고 암기하는 것이 암보
실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시각과 청각을 이용한 이중처리의 효과
또한 활용하는 것이 좋은데 시각적 암기 능력을 갖고 있지 않은 피아니스트
라 할지라도 피아노를 떠나 악보를 꼼꼼히 살펴보며 소리를 상상해보는 정신
적 연습을 하는 것은 암보에 많은 도움이 된다.
암보를 비롯하여 모든 음악적 능력은 개인마다 차이가 크기 때문에 한 가
지 연습 방법이 모든 피아니스트에게 적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이 될 수는 없
다. 피아니스트 개개인이 암기에 대한 지식과 방법들을 익힘에 있어서 자기
자신에게 가장 적절한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검색어: 암보, 피아노 연습, 정보처리이론


효율적인 암보를 위한 피아노 연습 83

I. 서론

피아니스트가 성공적인 연주를 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의 연습과 많은 노


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정해진 시간과 공간에서 연주를 해야 하는 음악의 속
성 상, 피아니스트가 아무리 훌륭한 해석과 테크닉으로 연주를 준비했을지라
도 연주 중에 순간적으로 악보를 잊게 되면 그 연주자는 준비된 최상의 연주
를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피아니스트의 연주 준비 과정 중 효율적인 암
보를 위한 연습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흔들림 없이 성공적인 연주를 하기 위
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암보에 의한 피아노 연주는 19세기 중엽까지만 해도
보편화 되지 않았고 오히려 악보 없이 대가의 작품을 연주하는 행위는 예술
에 대한 존경을 표하지 않는 행위 또는 관객들에게 허세를 부리는 행위로 간
주되었다.75) 19세기 중엽 이후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가 최초로
그의 독주회에서 암보로 연주한 이래 암보에 의한 피아노 연주는 점차 보편
화되었고 현대의 피아니스트에게는 암보 연주가 일반화되었다. 암보에 의한
연주가 피아니스트에게 주는 장점은 악보에서 자유로워짐으로써 자신의 소리
를 더 예민하게 들을 수 있고 신체적으로 더욱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해져 음
악적인 표현의 폭이 넓어진다는 점이다.76) 또한 연주 시의 신체적 자유뿐만
아니라 악곡을 완전히 아는 데에서 오는 확신과 정신적 자유로움은 연주자로
하여금 연주하는 그 순간 더 깊은 몰입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암보 연주가 피아니스트에게 주는 심리적인 부담감 또한 상당히 크
다. 어렸을 때는 암보에 큰 어려움을 느끼지 않았던 연주자라도 점점 연주하
는 악곡이 어려워지고 연주할 분량이 늘어나게 되면 암보를 위한 연습과 노
력을 더욱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무대에 오르기 전 비교적 안정적으로 암보
를 해 놓았다 하더라도 무대에서 연주를 하는 동안 예기치 못할 상황에 직면
하게 될 가능성은 항상 있기 때문에 연주자의 입장에서는 연주에 대한 부담
이 가중된다. 그러므로 성공적인 연주를 위해서는 어떠한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는 정확하고 완벽한 암보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 피아니스트에게는 보

75) Harold C. Shonberg, The Great Pianists(New York: Simon & Schuster, 1987),
pp. 237-238.
76) 유은석, 『21세기 교사를 위한 피아노 교수전략 (서울: 학지사, 2008), p. 386.
84

다 효율적인 암보를 위한 연습 방법이 절실하다.


윈슬로우(R. Winslow)는 “피아노 학습자는 암보에 대한 학습 심리를 이해
하는 역량 있는 교사에게서 세심하고 정기적인 가르침을 받아야한다”고 주장
한다.77) 그러나 이론적 토대를 갖춘 효과적인 암보 연습방법을 지도받거나
학습하기보다는 피아니스트마다 오랜 기간 동안의 경험과 연습을 통하여 각
자의 암보 연습 방법을 갖게 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의
경우 피아노 교사로부터 암보에 대한 특별한 지도를 받지 못한 채 학습한 곡
을 외워야 할 상황이 되면 곡이 외워 질 때까지 반복 연습을 하여 곡을 암보
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이다. 이렇게 암보에 대한 지도를 받지 못하고 개인
적 경험에 의해 자기만의 암보 방법을 터득하기까지는 오랜 시간과 경험이
필요하며 그 사이에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암보와 관련
된 시행착오는 주로 무대 위에서 악보를 잊게 되는 안 좋은 기억과 관련되므
로 그것이 연주자에게 미치는 심리적인 영향은 연주에 대한 공포나 불안감으
로 나타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어린 시절부터 효율적으로 암보
할 수 있는 연습 방법이 무엇인지 지도를 받아 암보에 관련된 시행착오를 겪
지 않고도 자신감 있는 연주를 할 수 있는 피아니스트로 성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암보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이에 토대를
둔 연습 전략 개발을 통해 피아노 교사와 학생, 그리고 피아니스트들이 그들
의 연습, 연주 및 지도에 실제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77) W. Robert Winslow, “The Psychology of Musical Memory,” Music Educators


Journal(Virginia: MENC, 1949), Vol. 35, No. 3, p. 15.
효율적인 암보를 위한 피아노 연습 85

II. 기억의 구조와 과정

1. 정보 처리 이론

기억(memory)이란 학습한 내용을 머리에 담아 두었다가 새로운 상황에 그


대로 적용할 수 있는 정신적 활동을 일컫는다.78) 흔히 학습 활동을 ‘기억을
위한 과정’이라고 일컬을 만큼 기억은 학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정보 처
리 이론에서는 기억의 과정을 부호화(encoding), 저장(storage), 인출
(retrieval)의 세 단계라고 본다.79) 부호화는 새로운 정보가 기존의 정보에 다
양하게 통합되어지는 변환과정을 말한다.80) 우리가 어떤 내용을 학습하거나
경험하게 되면 그것을 그대로 뇌에 저장한다고 여기기 쉬우나 기억에는 부호
화의 과정이 따르게 된다. 부호화는 정보를 기억의 저장고에 집어넣는 것을
의미하는데 부호화의 효력은 경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일상적인 사건이
나 내용을 기억할 때와 달리 많은 양의 화학 공식이나 지명, 인명 등을 기억
해야 할 때 부호화의 과정에서 별도의 노력을 기울인다면 그 정보는 더욱 효
과적으로 저장된다. 부호화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드는 요소들로는 사건이나
내용이 학습자에게 끼치는 각성(arousal) 수준, 기억 부호의 형태(type of
memory code), 정보의 그룹화(chunking), 그리고 시각적 심상(visual
imagery) 등이 있다.
저장은 부호화 된 정보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 이를 보유하여 파지
(retention)하는 상태를 일컬으며 인출은 파지 기간의 마지막에 정보를 회상
하며 사용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정보가 파지되는 저장단계 동안 기억 정보는
감각 기억(sensory memory), 단기 기억(short-term memory), 장기 기억
(long-term memory)이라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81)
감각 기억은 환경으로부터 들어온 자극이 처리될 때까지 정보를 잠시 유지
하는 정보 저장고이다. 감각 기억은 정보 처리를 위한 중요한 시작점이 되며

78) 이옥형 외, 『교육 심리학 (서울: 집문당, 1994), 213 쪽.


79) 박유미, 『음악 심리학의 이해 (서울: 음악춘추사, 2009), 113 쪽.
80) Ellen D. Gagne, 이용남 역, 『인지심리와 교수학습 (서울: 교육과학사, 1993), 14쪽.
81) 이옥형 외, 『교육 심리학 , 215 쪽.
86

처리가 곧바로 시작되지 않으면 기억의 흔적은 곧바로 사라지게 된다. 시각적
감각 기억의 경우 약 1초, 청각적 감각 기억은 약 2초에서 4초간 정보를 유
지한다.82) 감각 기억에 저장되었던 정보는 주의와 지각의 차이에 따라 일부
는 유실되고 일부는 단기 기억으로 넘어가게 된다. 작동 기억(working
memory)이라고도 불리는 단기 기억은 의도적인 사고 활동 즉, 의식적인 정
보 처리 과정이 일어나는 곳이다. 단기 기억의 정보 저장 용량은 적고 불완전
하기 때문에 한정된 양의 정보를 수 분 정도만 지속할 수 있을 뿐이다. 일반
적으로 단기 기억에서 보존되는 기억의 용량은 7(+ 또는 -2) 정보 단위이
다.83) 그러나 단기 기억은 음악적 이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만약 음악을 감상하면서 앞서 나왔던 주제가 다시 나올 때 그 주제가 몇 분
전에 들었던 같은 주제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 한다면 곡의 분석 및 이해가 불
가능할 것이다.84)
단기 기억에 저장 되었던 기억 정보는 일반적으로 수 분 후 망각 되는데,
망각되기 전에 여러 가지 노력을 통한 성공적인 처리 즉, 부호화가 가해지면
정보는 장기 기억(long-term memory)으로 넘어가게 된다. 장기 기억에 기억
된 정보는 오랫동안 기억되며 용량 또한 무한정이다. 그러므로 성공적인 암기
를 위해서는 단기 기억에 저장되었던 기억 정보를 장기기억으로 보낼 수 있
는 효과적인 부호화가 필수적이며 피아노의 암보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부호
화의 방법이 곧 효율적인 암보 연습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단기 기억의 한계를 조정하기 위한 이론인 인지 부하 이론(cognitive load
theory)은 정보의 그룹화(chunking), 자동화(automaticity), 이중 처리(dual
processing)의 세 가지 요인이 효과적인 부호화에 주요하다는 이론이다. 정보
의 그룹화는 정보의 개별적 단위를 보다 크고 의미 있는 단위로 묶는 정신과
정을 뜻한다. 그룹화를 한 정보는 그렇지 않은 정보보다 단기 기억 내에서 기
억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수월하게 기억 될 수 있다. 표 1은 그룹화하지 않은
정보와 그룹화를 한 정보를 나타낸다.

82) Paul Eggen & Don Kauchak, 신종호 외 역, 『교육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6), 323쪽.
83) Ellen D. Gagne, 이용남 역, 『인지심리와 교수학습 , 13 쪽.
84) 박유미, 『음악 심리학의 이해 , 114쪽.
효율적인 암보를 위한 피아노 연습 87

표 1. 그룹화(chunking)를 통한 작동 기억의 공간 절약85)

그룹화하지 않은 정보 그룹화한 정보
U, n, r Run
2492520 24 9 25 20
L, v, o, l, o. u. e. y I love you
Seeletsthiswhyworks Let's see why this works

단기 기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두 번째 방법인 자동화는 자각이나 의


식적인 노력 없이 수행할 수 있는 정신적 조작의 사용을 의미한다. 자동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단기 기억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사용하지 않아도 그
기술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때까지 연습을 해야 하며 피아노의 암보에서도 반
복 연습을 통한 자동화는 중요한 암기 방법 중 하나이다.
세 번째 방법은 이중 처리로서 이는 시각과 청각의 두 구성 요소가 함께
정보를 처리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시각과 청각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하면
서 서로의 과정을 보충해주어 효과적인 기억을 돕는다.

그림 1. 정보 처리 모델86)

85) Paul Eggen & Don Kauchak, 신종호 외 역, 『교육심리학 , 326쪽.


86) Paul Eggen & Don Kauchak, 신종호 외 역, 『교육심리학 , 322쪽.
88

2. 음악적 암기

1) 암묵 기억과 외현 기억

부호화, 저장, 인출의 과정을 거치는 기억은 주로 ‘의식적인(conscious)’


기억을 의미한다. 효율적인 부호화를 위하여 의미 있는 연상 작용 등을 활용
하여 정보를 저장하고 그것을 시험 때 기억하여 답안을 작성하였다면 그것은
기억의 인출에 성공한 것이고 분명 ‘의식적인’ 기억이다. 그러나 음악적 암기
에 있어서는 의식적인 정보 인출로만은 설명할 수 없는 기억이 존재한다. 피
아니스트가 매우 빠른 패시지를 암보로 연주하고 있을 때 그 피아니스트의
손가락은 거의 자동적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치던 손을 멈추고 음표들을 모두
외워보라고 하면 손가락이 움직이던 속도만큼 빠르게 암기할 수 없다. 이렇게
의식적으로 기억하려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학습과 경험에 의해 수행이
향상되는 기억에 대하여 심리학자들은 오랜 기간 관심을 기울여왔다. 80년대
이후 학자들은 이런 기억을 암묵적 기억(implicit memory)이라고 칭하게 되
었다. 또한 기존에 알려져 있던 ‘의식적인’ 기억은 외현적 기억(explicit
memory)이라고 부르게 되었다.87)
음악의 암기는 외현 기억 뿐만 아니라 암묵 기억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피아노를 학습하는 동안 의식적으로 암기를 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어도 연
습을 하면서 곡을 반복적으로 듣고 같은 근육 운동을 계속했더니 자신도 모
르는 새에 곡을 암기하게 되었다면 이는 암묵 기억의 결과이다. 암묵 기억은
기억이라는 인지적 영역에 속하면서도 무의식적인 지각과 밀접한 관계를 맺
고 있다. 그러므로 부호화의 수준이나 유형은 외현 기억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암묵 기억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88) 음악 학습에서 일어나는 청각적,
근육 운동적 자극은 외현 기억보다는 암묵 기억을 통하여 암기되는 것이다.
또한 암묵 기억의 기억 시간은 외현 기억보다 오래 간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
므로 효율적인 암보를 위해서는 외현 기억과 암묵 기억의 특징 및 성질을 인
지하고 이를 잘 조화시켜야 할 것이다.

87) 박유미, 『음악 심리학의 이해 , 125쪽.


88) 박유미, 『음악 심리학의 이해 , 127쪽.
효율적인 암보를 위한 피아노 연습 89

2) 감각적 암보와 인지적 암보

가) 감각적 암보

인간이 갖고 있는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 그리고 운동 감각은 여러


가지 정보를 경험하고 인식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음악적 암기에
있어서도 시각, 청각 그리고 운동 감각은 악보를 보고, 신체적 움직임을 통해
악기를 연주하고, 그 소리를 귀로 들음으로써 암보의 기초가 된다.
청각적 암기는 흔히 “귀에 의한 암기”로 불리며 연주가에게 매우 중요한
암기이다. 실제로 많은 대중 음악가들은 음악을 귀를 통해서만 배우고 암기하
기도 한다. 피아노를 학습할 때에도 곡의 화성, 구조, 멜로디 등이 비교적 간
단한 곡들은 연습을 하는 동안 귀로 들음으로써 자연스럽게 암기되기도 한다.
청각적 암보를 위해서는 민감한 귀가 필요하며 이는 어느 정도 선천적인 것
으로 간주된다. 음악을 들었을 때 절대적인 음고(pitch)를 알 수 있는 절대
음감의 소유자는 청음이 쉽게 이루어지므로 청각적 암보에도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대 음감의 소유자라 해서 청각적 암보에 불리한 것만은 아
니다. 일반적으로 절대 음감의 소유자가 음악을 들을 때 정확한 음고를 위주
로 듣는 반면 좋은 상대 음감을 지닌 사람은 음과 음 사이의 간격과 화음의
성질 등을 주의해서 듣기 때문에 음을 그룹으로 인식하거나 개념을 파악하는
일에 보다 유리하여 청각적 암보에 더 수월할 수 있다.89) 그러므로 절대 음
감을 지니지 못한 사람이라도 자신이 지닌 상대 음감을 더욱 계발시키고자
노력한다면 청각적 암보에 더욱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청각적 암보는 악곡을
기계적으로 반복해서 듣고 외우는 것이 아니라 연주가가 갖고 있는 예술적인
청음 능력을 바탕으로 한 암보 능력이다. 청각적 암보를 할 때 기본적인 멜로
디 외에도 리듬, 악상, 아고긱 등의 지적인 개념들이 함께 인식 되고 이를 듣
게 되면 더욱 효과적인 기억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술적인 청음이란 소리
를 머릿속으로 잘 듣는 내면화된 귀의 계발과 소리를 내면서 울림을 듣는 음
향학적 과정, 곡의 끝까지 주의 집중하여 귀 기울이는 것 등의 발달된 청각
능력을 바탕으로 한다.

89) 유은석, 『21세기 교사를 위한 피아노 교수전략 , 389쪽.


90

시각적 암보는 눈에 의한 암보 방법으로 악보를 마치 사진처럼 머릿속에


저장하는 것, 또는 연주하는 손과 건반을 보며 그 위치를 시각적으로 기억하
는 것을 말한다. 음악가들 중에는 놀라운 시각적 암보 능력을 갖고 있었다고
전해지는 사람들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피아니스트 기제킹(Walter Gieseking,
1895-1956)과 루빈스타인(Anton Rubinstein, 1830-1894)은 악보를 사진처
럼 생생히 머릿속에 기억하였으며, 심지어 루빈스타인의 경우 악보에 묻은 얼
룩까지 기억할 정도였다고 한다.90) 그러나 모든 음악가들이 시각적 암보 능
력을 가진 것은 아니며 음악가들 중에는 시각적 암보를 그다지 선호하지 않
는 경우도 있다. 피아니스트 알리시아 데 라로차 (Alicia de Larrocha,
1923- )는 시각적인 암보는 불확실하고 불안전하게 느끼기 때문에 그다지 믿
지 않으며 프레이즈, 종지, 형식 등을 외우는 것이 암보의 확실성을 높이는
방법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이런 연습을 할 때는 부분적으로 매우 느리게
연습하여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하였다.91)
운동 감각적 암보 또한 피아니스트들에게는 매우 친숙하면서도 중요한 암
보이다. 운동 감각에 의한 암보는 피아노를 연주하는 동안 행해진 동작들을
기억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반복적인 연습을 하다 보면 자동적으로 이루
어지게 된다. 운동 감각적 암보는 근육의 반복적인 운동에 의한 것이므로 반
복 연습에 많은 시간을 할애할수록 암보는 더욱 확실해 진다. 이때 주의할 것
은 정확하고 일관된 운지법의 사용이다. 운지법이 일관되지 않을 경우 근육의
패턴이 달라지고 연주하는 신체의 느낌이 달라지므로 암기에 큰 혼란을 가져
올 수 있다.92) 피아노를 친다는 것은 깊은 사고력과 더불어 신체적으로 기민
한 기술을 요구하는 작업이다. 그러므로 정확한 테크닉과 일관된 핑거링을 사
용하여 반복 연습을 하고 이로 인해 습관처럼 형성된 근육 암기는 피아니스
트의 암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많은 피아니스트들은 운동
감각적 암보 자체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근육에 의
한 암기는 다른 암기 방법들과 마찬가지로 그 자체만으로는 불충분하므로 암

90) 유은석, 21세기 교사를 위한 피아노 교수전략 , 388쪽.


91) Marienne Uszler, 조윤수 외 역, 피아노 교수법, 최고의 길잡이 (서울: 뮤직필, 2003),
364-365쪽.
92) 유은석, 21세기 교사를 위한 피아노교수전략 , 389쪽.
효율적인 암보를 위한 피아노 연습 91

기의 모든 요소들이 함께 강화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 인지적 암보

인지적 암보는 우리 두뇌의 인지 원리를 활용하여 감각적 암보의 불완전한


면을 보완하고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암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두뇌의 암기
과정에서는 앞서 언급한 대로 부호화의 과정이 중요한데 부호화를 효율적으
로 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암기에 사용했을 때 그 정보는 더욱 확실히 저장
된다. 부호화를 효율적으로 하게 하는 요소 가운데 하나인 정보를 동질의 집
단끼리 그룹화 하는 것(chunking)은 다른 암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음악의 암
보에 있어서도 큰 효과를 나타낸다. 정보의 그룹화를 위해서는 음악적 분석이
필요한데 유사한 프레이즈들을 묶거나, 반복되는 패턴들을 묶어 체계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악곡의 형식과 화음의 구조를 파악하고 조옮김이 되는 곳
은 어디인지 클라이맥스는 어디인지를 파악하여 그것들을 기억한다면 청각적,
시각적, 근육 운동적 암보의 불확실한 면들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다.93) 이
러한 분석적 암기를 위해서는 음악의 화성, 형식 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철저한 악곡 분석 능력이 필요하다. 음악 이론을 적용한 철저한 분석과 체
계적인 암보는 매우 확고한 암보가 가능하도록 하며 피아노를 떠나서 악보만
을 보면서 외울 수 있는 정신적 연습을 가능하게 한다. 샤핀과 임뢰(Chaffin
& Imreh)는 전문 피아니스트의 연습 과정을 관찰한 실험을 통하여 인지적이
고 개념적인 암보(conceptual memory)가 연주에 있어서의 숙련된 운동 기
술(skilled mortor performance)을 이끌어주는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입증
하였다.94) 그러나 인지적 암보가 음악 분석 능력을 갖춘 피아니스트만을 위
한 것은 아니다. 효과적인 부호화를 위해서 초보자나 어린 학생이라도 자기
나름대로 악보를 보고 그 음악의 내용을 단순하게 정리하여 체계화 했을 때
인지적 암보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의 루빈-랩슨
(Rubin-Rabson)은 여러 번의 실험을 통해 음악 분석을 이용한 정신적 연습

93) 유은석, 『21세기 교사를 위한 피아노 교수전략 , 200쪽.


94) R. Chaffin, & G. Imreh, “Piano Performance as Expert Memory," Psychological
Science(지역: 발행기관, 2002), vol. 13/4, pp. 348-349.
92

이 암보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또한 악보를 체계화한 도표


(diagram)를 사용했을 때 암보 효과가 더욱 높아지는데, 전문가에 의해 분석
된 도표를 사용한 집단보다 자기 자신이 직접 악보를 보고 그린 도표를 사용
한 집단이 더욱 효과적인 암보를 한다는 결과를 발표하였다.95) 1977년에 부
잔(Tony Buzan)은 이해와 기억에 효과적인 ‘마인드 맵’(Mind Map) 테크닉
을 개발하였다. 지금은 널리 알려진 마인드 맵 테크닉은 정보의 그룹화를 통
하여 학습 내용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고 이를 시각적 이미지로 만들어 기억에
더욱 도움을 주는 방법이다. 음악의 암보에도 이 같은 맵핑 테크닉은 효과적
으로 적용될 수 있다.

III. 효율적 암보를 위한 연습방법

1) 암보에 필요한 능력

많은 학자들과 피아니스트들은 효율적인 암보를 위해서 필요한 음악적 능


력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 음악적 능력들은 선천적인 면이 크기는 하지만 후
천적인 노력, 즉 체계적이고 꾸준한 훈련을 통하여 향상되는 것이다. 그러므
로 훌륭한 암보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이들 능력을 향
상시키는 훈련을 매일 매일의 연습 가운데 꾸준히 반복하는 것이 매우 중요
하다.
피아니스트 번스타인(S. Bernstein)은 암보 능력이 청음 능력과 밀접한 관
계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들은 절대 음감을 가진 사람이 청음 능력이 우수
하기는 하지만 잘 발달된 좋은 상대 음감을 갖은 사람이 효율적 암보에 갖는
장점도 많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연습을 하는 동안 짧은 시간이라도
꾸준히 청음 훈련을 하여 좋은 귀를 갖도록 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좋은 암기
능력을 갖추는 길임을 강조하였다.96)

95) Rebecca P. Shockley, Mapping Music(Madison: A-R Edition Inc., 1997), p. 5.


96) Seymour Bernstein, 백낙정 역, 자기 발견을 향한 피아노 연습 (서울: 음악춘추사, 1997),
267-268쪽.
효율적인 암보를 위한 피아노 연습 93

또한 쇼클리(R. Shockley)는 효과적 암보를 위해서는 청음 능력 외에도 음


악이론 지식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인지적 암보의 중요성을 주장하
면서 음정 관계, 화성, 스케일 등을 파악하고 음악을 외우는 것과 단순히 반
복 연습으로만 암기하는 것에는 그 효과성, 정확성 등에 있어 큰 차이가 있다
설명하였다. 또한 쇼클리는 초견, 즉흥연주, 조옮김, 화음붙이기 등도 모든 암
보에 필요한 음악적 능력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주장들을 살펴볼 때 암보를 잘 하기 위한 연습은 단기적으로는
학습하고 있는 곡을 잘 암기하여 연주하기 위한 것이지만 궁극적인 암보 능
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음악에 대한 지식과 분석 능력, 시
창 청음 능력, 초견 능력 등을 함양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준비 단계

초견을 통하여 곡을 처음 살펴보고 학습하기 시작할 때부터 암보에 대한


준비를 시작한다. 초견 이후 단순한 반복 연습으로만 곡을 익힐 것이 아니라
곡의 형식, 조성, 화성 등에 대한 대략적인 파악으로 전체적인 구조를 이해하
는 것이 암보뿐 아니라 곡을 학습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모든 피아니스트
들은 재능, 신체적 조건, 경험 등에서 큰 차이가 있으므로 누구에게나 적용되
는 한 가지 암기 방법은 없으나 학습의 초기부터 계획을 세워 체계적으로 연
습하고 암기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러므로 곡을
학습하는 초기 단계부터 모든 감각과 인지적 분석을 적절히 사용한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자신에게 맞는 연습의 단계를 계획하도록 한다.

3) 시각, 청각, 운동 감각적 암기를 위한 연습

곡을 암기하는 데 있어 시각, 청각, 운동 감각적 암보는 피아니스트가 연습


을 하는 동안 어느 정도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효과적 암보를 위
해서는 의식적으로 각 감각적 암보의 효율성을 높이고 세 가지 암보 방법들
이 서로 긴밀히 연관되도록 해야 한다.
운동 감각적 암기의 경우 반복 연습의 양에 비례하여 근육의 기억이 확실
94

해진다. 반복 연습을 더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선행 되어야 하는


것은 좋은 핑거링(fingering)을 결정하는 일이다. 초견을 할 때 임의대로 사
용했던 손가락 번호를 연습 시에 잘 검토 해 보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거나
악보에 제시되어 있는 손가락 번호가 본인에게 맞지 않는데도 그대로 사용하
는 것 또는 연습 할 때마다 일관성 없이 다른 손가락 번호를 사용하는 것은
반복 연습을 통한 운동감각적 암기에 큰 혼란을 가져오며 시간의 낭비를 초
래한다.
핑거링은 프레이징, 음(tone)의 울림, 성부 진행 등 전반적인 음악적 내용
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적절한 운지법의 사용은 암기뿐만 아니라 테
크닉적인 문제, 음악적 표현의 문제에도 직접적인 연관을 갖는 중요한 열쇠와
같다고 할 수 있다.97) 핑거링의 중요성은 이미 많은 학자와 피아니스트들에
의해 강조되어 왔다. 뉴만(W. Newman)은 “운지법이야 말로 작품을 완성시
킬 수도 있고 또 망칠수도 있다”고 하였다.98) 또한 C. P. E. Bach도 그의
저서 Essay on the True Art of Playing Keyboard Instrument에서 “예술
적 수완이나 미적 감각이 아무리 좋아도 서투른 운지법에 의해 손실되는 부
분을 보완 할 수는 없다”고 주장하였다.99) 이 같은 중요성을 생각할 때 피아
니스트는 반복 연습을 하기에 앞서 반드시 신중히 고려하여 자신에게 가장
적절한 운지법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좋은 핑거링의 기본적인 조건은 손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 가능한 한 많은
음을 그룹으로 묶어 편안하게 연주하는 것이다. 손의 위치를 바꾸어야 할 경
우에는 그것이 최대한 손을 편안하게 하며 음악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다섯 손가락을 모두 활용하여 좀
더 음을 연결하도록 하고 부자연스러운 동작을 피하도록 해야 한다. 특히 엄
지손가락은 모든 손가락 움직임의 중심이 되기 때문에 엄지손가락의 위치가
바뀌는 빈도를 줄이는 것이 좋다.100) 이는 손의 위치가 바뀌면서 일어나기

97) 안미자, 피아노 어떻게 배울까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77쪽.


98) William Newman, The Pianists’ Problem(New York: Harper and Brother
Publisher, 1950), p. 73.
99) C. P. E. Bach, Essay on the True Art of Playing Keyboard Instrument(New
York: W. W. Norton & Company Inc., 1949), p. 41.
100) 송정이, 피아노 연주와 교수법 (서울: 음악춘추사, 2006), 39쪽.
효율적인 암보를 위한 피아노 연습 95

쉬운 불필요한 악센트를 방지하고 손가락의 위치 변동을 최소화하여 경제적


인 핑거링을 하기 위함이다.
원전판 악보를 제외한 피아노 악보에는 각 에디션마다 학습자들이 보편적
으로 사용하도록 제안된 손가락 번호가 명시되어 있다. 이 번호들은 그 작곡
가에 대하여 오랜 시간동안 연구한 학자나 피아니스트, 편집자들이 제안한 것
으로써 일반적으로 믿을 만하며 연습 시에는 이를 우선 따르는 것이 좋다. 그
러나 피아니스트 개인마다 신체적 조건이 다르므로 편집자가 제안한 핑거링
으로 쳐 본 후 자신의 손에 잘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연습의 초기 단계에
여러 가지 손가락 번호를 시도해 보고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운지법을 결정
하는 것이 좋다.
샨도르는 그의 저서 On Piano Playing에서 학습 초기에 이루어지는 너무
이른 암기의 단점에 대하여 강조하고 있다. 샨도르는 악보를 암기한다는 것이
단지 음을 기억하여 악보 없이 연주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악곡
의 부분 부분을 최상의 테크닉으로 연주할 수 있는 팔과 손, 손목 등의 위치
와 페달의 사용 등 모든 것을 종합적으로 암기하여 재현해 내는 것을 의미한
다고 주장한다.101) 그러므로 악곡을 배우기 시작하자마자 시작하는 암보보다
는 연구와 연습을 통하여 악곡의 각 부분에 적절한 테크닉과 음악적 표현들
이 충분히 익혀진 후에 암기를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반면 암보를 학습의 마지막 단계에서 하려고 한다면 그것 또한 효과적이지
못하므로 학습의 초기부터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 암기를 염두에 둔 연습을
해야 할 것이다.102)
운동 감각적 암기는 반복 연습에 의해 이루어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 반복
연습이 무의미하게 손가락만을 훈련하는 연습이 되어서는 안 되며 음악적인
해석과 테크닉적인 문제들을 여러 가지로 연구하고 시도해 보아 가장 적합한
근육 및 팔과 손의 움직임을 결정하여 총체적으로 암기하도록 연습하여야 한
다. 또한 곡의 부분적 특징에 따라 건반 위에서 손가락의 벌림 정도, 움직이
는 방향, 손목과 팔의 움직임, 이 때 근육에 힘을 넣는 법과 빼는 법 등을 의
식적으로 암기한다면 효과적인 운동 감각적 암기를 할 수 있다.103)

101) Sandor Gyorgy, 김귀현 역, On Piano Playing(서울: 음악춘추사, 2008), 198쪽.


102) 임옥빈, 초견과 암보 (서울: 태림출판사, 2002), 35쪽.
96

번스타인은 그의 저서 자기발견을 향한 피아노 연습 (With your own


two hands)에서 피아노를 연주할 때 연주자가 눈의 초점을 어디에 두느냐
하는 문제도 암기에 영향을 준다고 주장한다. 그는 늘 눈을 감고 연습하던 부
분을 무대에서 연주하면서 무의식적으로 눈을 떴을 때 순간적으로 악보를 잊
은 본인의 경험을 고백하고 있다.104) 이는 무의식적으로 기억 된 시각적 감
각이 암기된 기억 정보의 인출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이
런 일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고려해야 할 악곡의 특정 부분들,
특히 도약하는 음형이 있는 부분들에서는 눈의 초점을 어디에 두어 건반의
어떤 부분에 시선을 고정 시킬 것인지 꼼꼼히 확인하고 이를 의식적으로 암
기하라고 권고한다.105)
시각적 암기 능력이 탁월한 사람이 아니라 하더라도 다른 암기 방법들의
사용과 함께 시각적 암기를 의식적으로 강화한다면 암보에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그러므로 곡을 암기하는 단계 혹은 완전히 암기한 단계에서도 때때로
전 곡을 책을 보고 치면서 의식적으로 악보를 시각적으로 각인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피아노를 떠나 악보만을 보면서 내청을 이
용하여 음악을 떠올리고 악보 상의 중요 부분들을 시각적으로 암기하는 정신
적인 연습도 큰 도움이 된다.
쇼클리는 인지적 분석을 통해 파악한 악곡의 특징을 시각화하여 암기의 효
율성을 높이는 ‘음악 지도’(music mapping)의 사용을 권장한다. 음악 지도
는 피아노를 떠나 악보를 공부하여 얻게 된 중요한 악곡의 특징들, 즉 멜로
디, 프레이즈의 구성, 리듬, 화성, 음형의 반복과 대조, 여러 가지 패턴 등을
자신이 알아보기 편한 부호를 정하여 지도를 그려 그것을 암기에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분석적 암기의 장점과 시각적 암기의 장점을 합한 것으로
서 피아노 학습의 어떤 단계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106)

103) 임옥빈, 초견과 암보 (서울: 태림출판사, 2002), 33쪽.


104) Seymour Bernstein, 백낙정 역, 자기발견을 향한 피아노연습 , 256쪽.
105) Seymour Bernstein, 백낙정 역, 자기발견을 향한 피아노연습 , 256-260쪽.
106) Rebecca P. Shockley, Mapping Music, p. 7.
효율적인 암보를 위한 피아노 연습 97

[예 1] Gurlitt: Etude in C Major (excerpt)와 musical map107)

4) 인지적 암보를 위한 분석

준비 단계에서 악곡 전체의 구조와 형식을 파악하는 일차적 분석을 한 후,


연습이 진행되어 갈 때 본격적으로 암기를 하면서 더욱 세밀한 인지적 분석
을 한다면 암기를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다. 특히 암보 연주 시에 혼란을 주는
특정 부분들의 암기를 더욱 강화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다음은 암기를 위한 악
곡 분석 시 세밀한 주의를 요하는 부분들이다.

가) 종지의 위치와 성격 파악하기

악곡에서 종지의 위치와 그 성격을 파악하고 인지하는 것은 곡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비상시에 악곡을 유용하게 기억할 수 있는 구조적
열쇠가 된다. 또한 종지는 뚜렷한 구조적 구분점이 되기 때문에 작품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표시 해 놓고 그 중 어느 하나를 골라 그 지점부터 시작하는

107) Rebecca P. Shockley, Mapping Music, pp. 22-23.


98

연습을 하는 것도 효과적이다.108) 특히 Bach의 곡들처럼 암보 연주를 하다


악보를 잊었을 때 다시 연주를 시작하기 어려운 곡들의 경우 이러한 연습은
필수적이다.

[예 2] 종지의 파악이 암보에 도움이 되는 악곡의 예


Bach Invention C Major BWV 772

나) 전조 및 화성의 변화 인지하기

악곡에서 조바꿈이 일어나는 지점은 암보에 유용한 분기점이 되는 부분이


다. 그러므로 악곡 전체를 치면서 모든 전조를 분석하고 적어놓는 것이 좋다.

108) Seymour Bernstein, 백낙정 역, 자기발견을 향한 피아노연습 , 265쪽.


효율적인 암보를 위한 피아노 연습 99

또 화음이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부분은 멜로디나 리듬을 단순화하여 화음의


진행을 느낄 수 있도록 쳐보며 화음 진행을 암기하는 것이 좋다.

[예 3] 화성 변화의 파악이 암보에 도움이 되는 악곡의 예


Beethoven Sonata C Major Op. 2, No. 3, 1악장

다) 주제 선율의 반복이나 변형을 파악하기

악곡에서 주제 선율이 반복되는 경우, 같은 주제가 다른 조에서 반복되는


경우, 또는 변형된 형태로 주제가 반복되는 경우에는 이들을 원 주제와 비교
해서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반복되던 주제가
끝부분에서만 변형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다른 섹션으로 넘어가게 될 경
우 이를 간과하면 암기에 중대한 실수를 하게 되므로 특별히 주의하여 분석
하고 암기하도록 한다.
바흐의 invention이나 fugue같은 대위법적인 형식의 곡은 2성부 혹은 3성
부에서 주제의 모방이 일어나므로 자세히 분석하여야 한다. 연습을 할 때 각
성부를 따로따로 연습하도록 하고 성부 별로 따로 암기하도록 하는 것이 좋
다.
100

[예 4] 변형 된 주제의 파악이 암보에 도움이 되는 악곡의 예


Beethoven Sonata C Maj. Op. 2, No. 3, 1악장

라) 도약하는 음정을 익히기

암보 연주 시 넓은 간격의 도약이 나오면 순간적으로 착각을 하는 경우가


생긴다. 그러므로 5도 이상 큰 간격의 도약은 반드시 운동 감각이나 청각에만
의존하지 말고 분석을 통해 음정 관계를 인지하도록 해야 한다. 번스타인은
도약하는 음정을 암기할 때 운동 감각 및 시각적 암기를 더욱 효율적으로 강
화하라고 주장한다. 그는 모든 종류의 도약을 연주할 때 그 움직임이 경제적
일 수 있도록 손을 건반에 가능한 가깝게 두도록 하여 연주하고 그 음정 간의
거리를 운동 감각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외우라고 권고한다. 또한 도약을 연
주할 때의 시선 처리도 가장 편안한 것으로 결정하여 초점이 바뀌었을 때 당
효율적인 암보를 위한 피아노 연습 101

황하는 일이 없도록 시각적인 부분도 미리 준비하라고 주장한다. 건반에 대한


감각을 익히기 위하여 모든 도약 부분은 눈을 감은 채로 연습해 보는 것이 도
움이 된다고 충고하고 있다.109)

[예 5] 왼손, 오른손의 도약이 많은 악곡의 예


Chopin Etude Op. 25, No. 4

5) 강화

단계적인 연습을 통하여 암보가 되었다 하더라도 연주를 앞두고는 끊임없


이 암보를 강화하고 실제 연주에 가까운 환경을 만들어 연습하는 것이 필요
하다. 친구나 가족들 앞에서 실제 연주와 같은 마음가짐으로 연주 해 보도록
하고 혹시 암기에 실수가 생기는 부분이 있으면 이를 보완해 나간다.
각 손을 따로 암기 해 보는 것도 암기를 강화하는 좋은 방법 중 하나이다.
대위법적인 곡이 아니라 하더라도 왼손을 독립적으로 암기할 수 있을 정도로
완벽하게 알고 있으면 오른손의 표현력에도 자유로움이 생길 뿐 아니라 암보
자체도 매우 확고해진다. 또한 피아노를 떠나서 내청을 이용한 정신적인 작업
을 통하여 악보를 외워 보는 것도 이 단계에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연주할 때 암보의 문제는 주로 집중력이 떨어질 때 생긴다. 연습할 때에는
기술적인 문제, 분석적인 문제 등 많은 생각들을 하지만 연주를 할 때에는 이

109) Seymour Bernstein, 백낙정 역, 자기발견을 향한 피아노연습 , 256-260쪽.


102

런 세부적인 생각들에서 벗어나 음악적 내용에 몰입하여 연주하는 것이 중요


하다. 그러므로 연습 할 때에도 때로는 연주할 때와 같이 음악적 표현과 느낌
에 집중하도록 해보고 이때의 정신적, 감정적, 신체적 상태를 무대 연주에서
도 그대로 재현할 수 있어야 완전한 암보 연주가 가능하다.
효율적인 암보를 위한 피아노 연습 103

IV. 결론

암보란 피아니스트라면 필연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정이며 성공적인 연주와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므로 연습의 마무리 단계에 와서야 암보를 하
는 연습 방식은 지양되어야 하며, 연습의 전 과정 동안 암보를 위한 단계적이
고 체계적인 노력이 있어야만 한다. 암보 능력에는 청음 능력, 초견 능력, 음
악 분석 능력, 시각적 암기 능력 등 여러 가지 음악적 능력이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런 음악적 능력이 뛰어난 피아니스트들은 상대적으로 쉽게 암보
를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음악 능력이 연습과 훈련을 통하여 향
상될 수 있듯이 암보와 관련된 음악적 능력들도 후천적인 노력에 따라 발전
할 수 있다.
암보는 시각, 청각, 운동 감각을 사용한 감각적 암보와 음악적인 분석 및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인지적 암보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 서로 보완할 수
있을 때 가장 효율적이다. 그러므로 곡을 익히기 시작해서부터 연습의 각 단
계에서 할 수 있는 곡의 분석 및 파악, 시각, 청각, 운동 감각을 사용한 연습
등을 통해 암기 연습을 철저히 해야만 한다. 그렇게 하는 과정 중에 피아니스
트 각자가 갖고 있는 개개인의 신체적, 음악적 조건들에 따라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연습 방법이 개발될 것이다. 자신이 갖고 있는 음악적 능력을 바탕으
로 그 장점을 충분히 살리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후천적 노력이 더
해져서 각자의 연습 페이스에 맞는 암보 연습 방법이 개발된다면 피아니스트
로서 큰 자산이 될 것이다.
104

<참고문헌>

박유미. 음악 심리학의 이해 . 서울: 음악춘추사, 2009.


송정이. 피아노 연주와 교수법 . 서울: 음악춘추사, 2006.
안미자. 피아노 어떻게 배울까 .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유은석. 21세기 교사를 위한 피아노 교수전략 . 서울: 학지사, 2008.
이옥형 외. 교육 심리학 . 서울: 집문당, 1994.
임옥빈. 초견과 암보 . 서울: 태림출판사, 2002.

Gagne, Ellen D. 이용남 역. 인지심리와 교수학습 . 서울: 교육과학사, 1993.


Eggen, Paul & Don Kauchak. 신종호 외 역. 교육심리학 . 서울: 학지사,
2006.
Slavin, Robert. 강갑원 외 역. 교육심리학 제 7판 .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4.
Uszler, Marienne. 조윤수 외 역. 피아노 교수법, 최고의 길잡이 . 서울: 뮤직
필, 2003.
Sandor, Gyorgy. 김귀현 역. On Piano Playing. 서울: 음악춘추사, 2008.
Bernstein, Seymour. 백낙정 역. 자기발견을 향한 피아노연습 . 서울: 음악춘
추사, 1997.
Chaffin, R. & G. Imreh, “Practicing Perfection: Piano Performance as
Expert Memory.” Psychological Science(New Jersey: Blackwell
Publishers, July, 2002). Vol. 13, No. 4, pp. 342-349.
Winslow, W. Robert. ‘The Psychology of Musical Memory’ Music
Educators Journal(Virginia: MENC, January, 1949), Vol. 35, No.
3, pp. 15-46.
Shonberg, Harold C. The Great Pianists. New York: Simon and Schuster,
Inc., 1987.
Shockley, Rebecca P. Mapping Music. Madison: A-R Edition, Inc., 1997.
Newman, William. The Pianist’ Problems. New York: Harper and
Brother Publisher, 1950.
효율적인 암보를 위한 피아노 연습 105

Bach, C. P. E. Essay on the True Art of Playing Keyboard Instrument.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Inc., 1949.

악보

Bach, J. S. Invention C Major BWV 772. 서울: 음악춘추사, 1984.


Beethoven, L. Sonata C Major Op.2, No. 3. 서울: 음악춘추사, 1984.
Chopin, F. Etude Op.25, No. 4. 서울: 음악춘추사, 1984.
106

<Abstract>

A Study on the Piano Practice for


Effective Memorization

Heesun Chu

The ability of memorizing the piece is one of the crucial elements


that influence on the successful piano performance. Therefore,
systematic and thorough practice for memorization is essential
procedure for the successful piano performance.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related literature of memorization in the view point of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nd discussed about the effective way
to practice for memorize the musical pieces based on the ideas of
renowned pianists and scholars.
In terms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the constitution of
memory has three steps including sensory memory, short-term
memory, and long-term memory. Sensory memory stores the
information coming from the environment for the very short time, and
the information goes on to the short-term memory soon.
Short-term memory is the place where conscious processing of
information takes place. The capacity of short-term memory is very
limited and the duration of memory is only several minutes. The
information that received proper treatment from short-term memory
goes on to the long-term memory. Unlike short-term memory, the
capacity of long-term memory is limitless and information could be
stored for very long time. Hence, memorizing effectively means
effective encoding, which is to treat the information in the short-term
memory to help moving to long-term memory. The representative
효율적인 암보를 위한 피아노 연습 107

ways of encoding include chunking, automaticity, and dual processing,


and all of them can be applied for the memorization of piano pieces.
Musical memorization consists of sensory memory, including visual
memory, aural memory, and kinesthetic memory, and cognitive
memory which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ieces from
musical analysis. To memorize the piece successfully, a pianist should
intend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piece from the beginning of
the learning procedure. Th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the piece
is helpful for good memory because it enables to recognize the piece
by similar groups, which is called ‘chunking.’ While practicing,
automaticity of piano playing is proceeded. For better memorization
through kinesthetic memory, pianists should not practice simple and
repetitively, but consciously check and memorize the use of muscl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keys. Pianists should take extra care if
there is a part where are big leaps in the melodic line or contrapuntal
part which has imitative left and right hands. Additionally, it is good
to use the effect of dual processing for effective memory. It is very
helpful to stay away from the piano and carefully look at the music as
imagining the sound.
Since all kinds of musical abilities including memory differ from
every pianists, one way of practicing cannot be generalized for every
pianists. Therefor, pianists should learn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practice for good memorization and develop their own practice
technique.

Keywords: musical memory, practicing piano,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