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07

정책-식품-2008-78

잔류농약 평가시스템 구축
- 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 구축, CODEX CCPR 대응,
홈페이지 Upgrade 및 운영 -
Establish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pesticide
residue
- Establishment of Korean style maximum pesticide residue limits,
Responding on-the-spot in CCPR, Upgrade and management for
pesticide residue website of KFDA -

주관연구기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식품의약품안전청
제 출 문

식품의약품안전청장 귀하

이 보고서를 “잔류농약평가 시스템 구축 - 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 구


축, Codex CCPR 대응, 홈페이지 Upgrade 및 운영(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이중근)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8. 11.

주관연구기관명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주관연구책임자 : 이 중 근

제1세부과제명 : 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선진화 방안


(제1세부연구기관/세부과제책임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중근
참여연구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우희동
문주석, 한기원, 황순욱
김성조, 이지연, 김보경, 김정현

제2세부과제명 : 식약청 잔류농약 웹사이트 업그레이드 및 운영


(제2세부연구기관/세부과제책임자): 아이티플라이(주)/전웅준

- 1 -
목 차

Ⅰ.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Ⅱ.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1
제1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1
1.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 ····························································································· 1
1.2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 2
1.3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3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 9
2.1 연구내용 ··························································································································· 9
2.2 연구방법 ························································································································· 10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 12
1. 주요국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 및 관리 동향 ····················································· 12
가. CODEX ························································································································· 12
나. 미국 ······························································································································· 20
다. 일본 ······························································································································· 23
라. 호주 ······························································································································· 34
마. 우리나라 ······················································································································· 35
2.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재평가 ························································································· 38
가. 재평가 방법 및 원칙 ································································································· 38
나. 재평가 및 개정(안) ···································································································· 41
3. 축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 개정(안) ······························································ 44
가. 개정(안) 작성 절차 ···································································································· 44
나. 농약잔류허용기준 개정(안) ······················································································ 45
4.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한국형 모델 개발 ················································· 58
가. 현장 의견 수렴 ··········································································································· 58
나. 재평가에 따른 기준 관리 개선 방안 ··································································· 60
다. 위해평가 방법의 효율화 방안 ··············································································· 60
라. 기준설정 면제농약 관리방안 ··················································································· 62
마. 농약잔류허용기준 관리 개선(안) ············································································ 65
5. Codex 잔류농약분과위원회(CCPR) 회의 의제 대응 ·············································· 66
가. Codex 의제별 사전 검토 ·························································································· 66
나. 40차 Codex 잔류농약분과위원회 (CCPR) 참석 및 현장 대응 ························ 68

- 2 -
6. 잔류농약 웹사이트 업그레이드 및 운영 ··································································· 70
가. 디자인 내용 ················································································································· 70
나. 연구개발 내용 ············································································································· 72
다. 연구개발 방법 ············································································································· 74
라. 연구개발 결과 ············································································································· 74
제4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76
제5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 성과 ·············································································· 77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78
제7장 참고문헌 ······················································································································ 78
제8장 첨부서류 ···················································································································· 79

Ⅲ. 제1 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81
제1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83
1.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 ··························································································· 83
1.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 83
1.3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84
제2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90
2.1 연구내용 ························································································································· 90
2.2 연구방법 ························································································································· 90
제3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 92
1. 주요국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 및 관리 동향 ····················································· 92
가. CODEX ························································································································· 92
나. 미국 ····························································································································· 100
다. 일본 ····························································································································· 122
라. 호주 ····························································································································· 133
마. 우리나라 ····················································································································· 139
2.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재평가 ······················································································· 142
가. 재평가 방법 및 원칙 ······························································································· 142
나. 재평가 및 개정(안) ·································································································· 186
3. 축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 개정(안) ···························································· 189
가. 개정(안) 작성 절차 ·································································································· 189
나. 농약잔류허용기준 개정(안) ···················································································· 190
4.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한국형 모델 개발 ··············································· 203
가. 현장 의견 수렴 ········································································································· 203

- 3 -
나. 재평가에 따른 기준 관리 개선 방안 ································································· 205
다. 위해평가 방법의 효율화 방안 ············································································· 205
라. 기준설정 면제농약 관리방안 ················································································· 223
마. 농약잔류허용기준 관리 개선(안) ·········································································· 225
5. Codex 잔류농약분과위원회(CCPR) 회의 의제 대응 ············································ 226
가. Codex 의제별 사전 검토 ························································································ 226
나. 40차 Codex 잔류농약분과위원회 (CCPR) 참석 및 현장 대응 ······················ 228
제4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230
제5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 성과 ·········································································· 231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232
제7장 참고문헌 ···················································································································· 232
제8장 첨부서류 ·················································································································· 233

Ⅳ. 제2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235


제1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 237
1.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 ························································································· 237
1.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 238
제2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 239
2.1 디자인 내용 ················································································································· 239
2.1 연구개발내용 ··············································································································· 241
2.2 연구개발방법 ··············································································································· 243
제3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 245
제4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288
제5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 성과 ·········································································· 288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289
제7장 참고문헌 ···················································································································· 289
제8장 첨부서류 ·················································································································· 289

Ⅴ. 총괄 연구과제 요약 / 291
총괄 연구과제 요약 ············································································································ 291
1세부 연구과제 요약 ·········································································································· 293
2세부 연구과제 요약 ·········································································································· 295

- 4 -
<표 차례>

[표 2-1] 일본 농약의 잔류물 정의 ···························································································· 25


[표 2-2] 우리나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 현황 ······························································ 36
[표 2-3] 농약관련 전문가 Pool 구성 현황 ·············································································· 38
[표 2-4] 농약잔류허용기준 추가 요청 의견 ············································································ 42
[표 2-5] Codex 기준과 우리나라 기준의 차이 ······································································ 44
[표 2-6] 식품의 안전성 문제에 대한 관심 ·············································································· 62
[표 2-7] 잠정 의제 목록 ·············································································································· 66
[표 3-1] 주별 샘플 수집 및 분석 분포 ·················································································· 109
[표 3-2] 수입 시료 현황 ············································································································ 114
[표 3-3] 분석된 시료수 및 상품별 검출된 잔류물 요약 ···················································· 115
[표 3-4] 신선 및 가공된 상품에 대한 잔류물 비교 ···························································· 117
[표 3-5] 일본 농약의 잔류물 정의 ·························································································· 124
[표 3-6] 우리나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 현황 ···························································· 140
[표 3-7] 농약관련 전문가 Pool 구성 현황 ············································································ 142
[표 3-8] 우리나라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 이력 ································································ 145
[표 3-9] 농약잔류허용기준 추가 요청 의견 ·········································································· 187
[표 3-10] Codex 기준과 우리나라 기준의 차이 ································································· 189
[표 3-11] 식품 중의 잔류농약 검사결과 ················································································ 211
[표 3-12] 식품의 안전성 문제에 대한 관심 ·········································································· 222
[표 3-13] 잠정 의제 목록 ·········································································································· 226

<그림 차례>

[그림 2-1] 코덱스 제출 데이터 작성 예시 ············································································ 17


[그림 2-2] 미국 EPA 농약 등록 공고 홈페이지 ···································································· 20
[그림 2-3] 약사 식품위생심의회 조직 및 구성 ······································································ 24
[그림 2-4] 식약청 홈페이지 농약잔류허용기준제안서 5차 외국의 농약잔류허용기준
data 입력 ·················································································································· 39
[그림 2-5] 식약청 홈페이지 농약잔류허용기준제안서 5차 작물잔류시험성적
data입력 ·················································································································· 40
[그림 2-6] 잔류농약화면페이지 ·································································································· 71

- 5 -
[그림 3-1] 코덱스 제출 데이터 작성 예시 ············································································ 97
[그림 3-2] 미국 EPA 농약 등록 공고 홈페이지 ·································································· 100
[그림 3-3] 약사 식품위생심의회 조직 및 구성 ···································································· 123
[그림 3-4] 식약청 홈페이지 농약잔류허용기준제안서 5차 외국의 농약잔류허용기준
data 입력 ··············································································································· 143
[그림 3-5] 식약청 홈페이지 농약잔류허용기준제안서 5차 작물잔류시험성적
data입력 ··············································································································· 144
[그림 4-1] 잔류농약화면페이지 ································································································ 240
[그림 4-2] 메뉴구조도 ················································································································ 245
[그림 4-3] 메뉴구성 및 명칭 ···································································································· 248
[그림 4-4] 확인동의서 ················································································································ 249
[그림 4-5] 농약정보 목록 ·········································································································· 250
[그림 4-6] 농약정보 상세 ·········································································································· 251
[그림 4-7] 농약시험법 ················································································································ 252
[그림 4-8]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 253
[그림 4-9] 농약잔류허용기준 codex ······················································································ 254
[그림 4-10] 등록된 국가정보 ···································································································· 255
[그림 4-11] 국가별 등록된 ADI 정보 ···················································································· 255
[그림 4-12] 잠정적용순서 ·········································································································· 257
[그림 4-13] 농약잔류허용기준 조회 결과 화면 ···································································· 258
[그림 4-14] 식품별 농약잔류허용기준 기준수 한국 ···························································· 259
[그림 4-15] 식품별 농약잔류허용기준 기준수 CODEX ····················································· 260
[그림 4-16]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목록 ·········································································· 261
[그림 4-17]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등록 초기화면 ························································ 263
[그림 4-18] 식품명 조회 ············································································································ 264
[그림 4-19]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등록에서 식품추가 한 경우 ································ 264
[그림 4-20] 국가별 농약잔류허용기준 등록 ·········································································· 265
[그림 4-21]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진행상태 등록 ························································ 266
[그림 4-22]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농약잔류허용기준(안) ··········································· 267
[그림 4-23] 농약섭취량 계산하기 ···························································································· 268
[그림 4-24] 농약잔류허용기준(안) 정보 ················································································· 268
[그림 4-25] 레포팅 툴을 이용한 파일변환 ············································································ 269
[그림 4-26] 한글파일 전환 ········································································································ 270
[그림 4-27] 작물잔류시험성적 ·································································································· 271
[그림 4-28] 작물잔류시험성적 등록 ························································································ 272
[그림 4-29] 의견쓰기 ·················································································································· 273
[그림 4-30] 아이디등록 ·············································································································· 274
[그림 4-31] 기준제안현황 목록 ································································································ 275
[그림 4-32]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진행상태 ·································································· 276
[그림 4-33] 기준제안현황 상세 ································································································ 277
[그림 4-34] 진행상태별 검색 ···································································································· 278
[그림 4-35] 신․구대조표 레포팅 툴을 이용한 파일변환 ····················································· 279
[그림 4-36] 표준품 - 관리자 ··································································································· 280
[그림 4-37] GC 분석조건 ·········································································································· 281
[그림 4-38] GC 분석정보 ·········································································································· 282
[그림 4-39] HPLC 분석조건 ····································································································· 283
[그림 4-40] HPLC 분석정보 ····································································································· 284
[그림 4-41] 농약정보자료실 목록 ···························································································· 285
[그림 4-42] 관련사이트 목록 ···································································································· 286
[그림 4-43] 아이디 등록 ············································································································ 287
최종보고서 요약문

잔류농약평가 시스템 구축-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 구축, Codex CCPR 대응,


과 제 명
홈페이지 Upgrade 및 운영

중심단어 국제식품규격위원회, 잔류농약, 농약잔류허용기준

주관연구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주관연구책임자 이 중 근

연구기간 2008. 3. 13 ~ 2008. 11. 30

우리나라 식품중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선진화를 위하여 현재 설정되어 운영되고


있는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재평가를 통한 개선안을 제시하고, 한국형 위해평가 기법
마련 및 국제식품규격위원회 잔류농약분과의 적극적인 대응을 통한 국제기준과의
조화가 될 수 있도록 본 사업을 수행하였다.
우선 현재 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농약중 불합리한 잔류허용기준의 개선을 위해
농약업체의 의견을 수렴하여 Ethofenprox 등 68종 농약에 대한 재평가를 실시하고
기준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축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의 개정안 마련을
위해 Abamectin 등 126종 농약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신규설정 농약 40종, 현 기
준 중 일부 개정 농약 32종에 대한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위해평가 방법의 개선과 관련해서는 외국의 사례를 검토하여 국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활용한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식품의약품안전청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절차를 지원하기 위하여 잔류농
약전문가 협의회 심의안건 자료의 작성을 지원하였으며, 온라인상에서 심의가 가능
하도록 e-잔류농약전문가협의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였다.
그리고 잔류농약 검사를 담당하고 있는 현장의 의견 수렴을 통하여 분석방법의
개선, 표준품 배포 확대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제안하였다.
국제기준과의 조화와 관련하여 2008년도에 개최된 제40차 Codex 잔류농약분과위
원회(CCPR)의 안건을 사전에 검토하여 대표단 훈령작성을 지원하였으며, 제40차
CCPR에 참석하여 회의 의제중 관련된 사안에 대하여 대표단과 협의하여 현장에서
대응하였고 식품분류와 관련하여 CRD 18을 작성하여 분과위원회에 제출하였다. 또
한 국내개발 농약의 Codex MRLs 설정 지원을 위하여 JMPR에 독성 및 잔류성 평
가를 위한 우선순위 목록에 포함을 요청하여 반영되었다.

- 8 -
다음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기 구축된 잔류농약 웹사이트의 관련 정보를 업그
레이드함으로써 소비자 및 잔류농약 분석 전문가에게 올바른 국내·외 잔류농약 정
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서비스 항목 추가 및 기능을 보완하였다.
- 농약정보, 농약잔류허용기준 등의 정보중 영문으로 등록된 정보 한글로 번역
서비스
- 농약잔류허용기준 조회 잠정적용기준 프로그램 변경
-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관리 재구축
- 잔류농약 영문사이트 구축
- 농약정보 최신 자료 업그레이드, 국가별 농약잔류허용기준, 기관별 표준품 등에
대한 자료 입력

- 9 -
주관연구책임자 의견

○ 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선진화


- 농약잔류허용기준 선진화를 위한 자료 고찰, 검토를 위한 전문가
풀을 구성하여 운영
- 국제기준과의 조화연구
- 한국형 잔류농약 위해평가 기법 마련
- 축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위해평가 및 기준안
마련
- 지속적인 농약 재평가
연구의 범위 - 현장의 의견 청취를 통한 정책 수립
○ Codex 회의 참석 및 의제 대응
- 코덱스 의제별 검토 및 우리나라 의견 반영을 위한 지원
○ 잔류농약 표준품, 시험법, 국내 및 국외 농약 정보 등을 위한 사이
트 업그레이드 및 운영
- 기 구축된 사이트의 성능 향상
- 제․개정된 농약 기준 입력
- 홈페이지 영문화 추진
-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용 위해평가 자료 입력

- 기초 데이터 부족으로 검토의 한계가 있음


연구의 한계점 - 코덱스 기준에 반영하는 것은 절차상 기간이 오래 소요되므로
지속적인 사업 수행이 필요함

인용시
- 출처를 명확히 하고 인용할 필요가 있음
주의사항

주관부서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잔류약품과 (☎ 380 ~ 1675)
연락처

- 10 -
Summary
Establishment of Korean style basic structure for maximum residue limits
Title of Project
of pesticide
Key Words CODEX, Pesticides residue , Maximum residue limits for pesticides
Korea Health Industry
Institute Project Leader Lee/ Joong-Keun
Development Institute
Project Period 2008. 3. 13 ~ 2008. 11. 30
This project was carried out to present plans to improve and advance existing
MRLs for of Korea pesticides by reevaluating them and to help the Korean
limits correspond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through provision of Korean risk
assessment techniques and proactive response to CCPR of Codex.
First, in order to improve unreasonable MRLs among existing ones, we
reappraised 68 pesticides including Ethofenprox through collection of opinions
from agricultural chemical companies and presented revised standards. Also, for
provision of revised standards for MRLS of stock farm products, we scrutinized
126 products including Abamectin and presented newly established standards
for 40 kinds of products and partly revised standards for 32 kinds of products
among existing ones.
We examined other countries' cases for improvement of risk assessment
methods of Korea and presented assessment methods using data retained
domestically.
Especially, to support process to set up MRLs by KFDA, we assisted
completion of data for review of the Pesticide Residue Expert Council and
developed and provided E-Pesticide Residue Expert Council Program to make
their review possible on-line.
And through collection of opinions from fields taking responsible for inspection
of pesticide residue, we proposed improvement of assessment methods and
extension of distribution of standard materials to KFDA.
We previewed the agenda of the 40th Codex CCPR held in 2008 and
supported the completion of instructions for Korean delegates of the meeting.
And we attended the 40th meeting, responded on-the-spot in consultation with
the Korean delegates for the mission relating to matters outlined in the agenda,
composed the CRD 18 related to classification of foods, and submitted it to the
subcommittee. In addition, we made a request to JMPR to include toxicity and
reside assessment into their priority list to support establishment of Codex
MRLs for domestically developed agricultural chemicals and the request was
accepted.

- 11 -
Next, in order to provide consumers and experts correct information about
pesticide residue of Korea and other countries, we updated related information
on the website of KFDA and added functions shown as below.
- Translation service in which information registered in English is translated
into Korean among information on pesticides and MRLs
- Modification of provisional standards programs for search of MRLs of
pesticides
- Recreation of management for proposals for MRLs
- Creation of English website of pesticide residue
- Input of the latest information on pesticides, MRLs of other countries, data
about standard material of each institute

- 12 -
Opinion of Project Manager

○ Advancement of Korean MRLs for pesticides


-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expert pool for examination of
data to advance Korean MRLs for pesticides
- Research on harmonization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 Provision of pesticide residue risk assessment techniques for
Korean products
- Provision of risk assessment and standards for creation of
MRLs of pesticides for stock farm products
- Steady reappraisal of pesticides
- Policy establishment through collection of opinions from fields
Scope ○ Attendance to Codex meeting and response to agenda
- Examination of each agenda of Codex and supports for
reflection of opinions of Korea
○ Operation and upgrade of website for standard materials and
test methods of pesticide residue and information on home and
overseas pesticides
- Uplift of capacity of existing website
- Input of revised standards for pesticides
- Creation of English website
- Input of data for risk assessment to establish MRLs for
pesticides

- There is limitation in examination due to a lack of data


- The application of the results to the Codex standards takes a
Limitation
long time in procedural terms, and steady performance of
project is therefore necessary.

Direction For
-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cite sources.
Citation

Supervisory KFDA Pesticide & Veterinary Drug Residues Division


Office (☎ 380 ~ 1675)

- 13 -
Ⅱ.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제1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1.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우리나라는 1988년 9월 28종 농산물 17종 농약

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한 이래 선진국의 기준설정 사례, CODEX 기준과의 조화

그리고 GAP 데이터를 활용하여 체계화되고, 과학적인 기준 설정 노력을 지속하여 왔


다. 이러한 노력으로 어느 정도 농약잔류허용기준에 대한 관리체계가 이루어지고 있으

나, 아직까지 미국, 유럽 등에 비해서는 과학적인 데이터의 미흡으로 부족한 부분이 있

다. 최근 과학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도 생성되고 있어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한 재검토와 함께 국가적 차원에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의 마련도 필요

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은 1988년 기준 설정 이래 많은 제․개정을 통하


여 보완이 되어 왔으나, 전반적인 개편을 위한 시도가 부족하였으며, 기준 설정된 농약

및 농산물간의 형평성, 기준 설정 값의 적절성 등에 대해 새로운 데이터를 통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선진화 하기위하여 위해평가 기법

의 마련과 지속적인 잔류허용기준의 재평가 등을 통하여 현 기준의 적절성 여부를 확

인하며, 보다 선진적인 농약잔류허용기준 관리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Codex에서 논의되고 있는 의제중 우리나라와 관련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적

극적인 참여와 대책을 수립하여야 하며, 과학적 자료에 근거한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

다고 본다.
따라서 2008년 4월에 중국 항주에서 개최되는 40차 Codex CCPR 회의에서 논의될

의제에 대해 사전에 충분한 검토를 통한 대응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한편 농약잔류허용기준 등의 관리와 관련하여 일반국민, 생산자, 관련전문가들이 잔


류농약에 관련된 올바른 정보를 잔류농약 웹사이트에서 손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2007

년도에 구축된 시스템의 지속적인 유지 운영 및 기능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기 구축된 잔류농약 웹사이트 운영시 불편한 사항을 개선하며, 농약정보에

- 1 -
대한 정보 필드 항목의 추가 및 최신 정보로 내용을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 농약정보에 등록된 정보 중 영문으로만 서비스되고 있는 정보를 한글로 번역하여


일반국민, 생산자 등에게 쉽게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식품의약품안정청에서 농약잔류허용기준 고시한 자료 및 신·구조문 대비표 등을

잔류농약 웹사이트에 정보 업그레이드 및 구축하여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 지방청 및 시·도 보건환경연구원과의 농약 표준품 정보를 연계하고 꾸준한 관리

가 필요하므로 구축된 표준품 웹사이트 운영시 불편한 사항을 개선하고, 정보 취


합 및 현황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 잔류농약 전문가위원회 소속 회원이 서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

이 필요하다.
○ 국외에서도 잔류농약에 대한 정보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영문 사이트를

구축하여야 한다.

1.2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 우리나라에 설정된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위해평가 등 재평가를 통한 효율적인 기준

설정 및 운영 방안 제시
◦ 농약잔류허용기준 선진화를 위한 전문가 풀 운영

◦ 한국형 잔류농약 위해평가 기법 마련

◦ 축산물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 방안 마련
◦ Codex 회의 참석 및 의제 대응

◦ 국내·외 누구든 잔류농약 정보를 쉽게 찾아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함.

◦ 잔류농약 관련 업무에 적용하여 업무 향상에 기여함


◦ 잔류농약 전문가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 구축

◦ 구축된 잔류농약 웹사이트 업그레이드 및 유지 운영

- 2 -
1.3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외연구동향
○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설정과 관리방안에 대해 외국에서 연구되어 보고되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주로 국가별 정책으로 수행되는 내용의 보고 형태임. 따라서 연구동

향 보다는 국가별 제도 및 관리 동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 식품중의 농약잔류허용기준 관리는 국가별로 자국 환경에 따라 실정에 맞도록 관


리되고 있음.

○ 일본에서는 현재 positive list system으로 변경하여 수입식품의 안전관리를 강화하

고 있음.
○ 선진외국에서는 자국의 이익을 위하여 CCPR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 각종 잔류데이타, 독성데이타 등의 실험데이타를 생성하여 CCPR에서

자국의 의사를 반영시키고 있음.


○ 일부 국가에서는 Codex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CCPR 정보 및 의견을 수렴하고,

농약기준, 등록 작물 등 농약관련 정보를 전문가 및 소비자에게 상세히 제공하고

있음.
○ 농약으로 인한 위해성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하여 위해평가 방법을 도입하고 있으

며, 위해평가를 위한 식품섭취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있음.

○ 식품중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은 국가간 교역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므로 주요 외국


의 제도와 관리 동향을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사전에 마련하는 것이 중

요함

2) 국내연구동향
○ 식품중 잔류농약허용기준 개선을 위하여 기준 설정 방법, 분석법 등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었

으나,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종합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음.

○ 국내 기준의 국제화를 위해 CCPR 활동을 뒷받침 해줄 수 있는 체계적인 지원연구


가 부족했으며, 2006, 2007년도에 수행되었으나 지속적인 지원이 요구됨.

○ 소비자와 전문가를 위한 농약정보 웹사이트가 2006년도에 구축되었고, 2007년도에

보완이 되었으나,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새로운 정보를 보완하고,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 보완이 요구되고 있음.

- 3 -
○ 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 기반 구축을 위한 사업이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라

체계적인 위해평가, 기준 재평가 등의 사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


○ 이러한 점에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종합적인 검토를 통한 농약잔류허용

기준 관리 선진화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임.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동향을 각 과제별로 세부적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음

■ 잔류농약 관리제도 개선 부분

○ 모니터링 사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 발굴 및 개선 방안 연구


- 현재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유해물질 관련 모니터링 결과를 취합, 분석하여 위해관

리팀의 관리시스템과 연계함으로써 보다 활용 가능한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 유해물질에 관한 모니터링 로드맵을 작성해 제시함으로써 환경부, 농림부, 해수부

와 연계하여 수행하여야 하는 모니터링 사업을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

○ 잔류농약 평가시스템 구축

- 우리나라로 농산물을 수출하는 주요 국가의 농약잔류 허용기준을 조사하여 국내


잠정 import tolerance를 제안하고, 일반국민, 생산자, 관련전문가들이 농약과 식품

관련 정보를 웹 사이트를 통해 수집할 수 있는 질 높은 서비스 제공

○ 잔류농약 관리시스템 구축- 잔류농약 인프라 구축

- 국가 검사기관간의 잔류농약 표준품 공유로 예산 및 인력 낭비를 최소화하고 개별

구매 및 유효기간 초과, 부적절한 관리 등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지속적인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기준 제 개정(안)을 제시

○ 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 기반 구축 운영
- 우리나라에 설정된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재평가를 통한 효율적인 기준 설정 및 운

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식품공전 농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 중 1번에서

202번까지의 농약을 대상으로 검토하여 이민옥타딘 등 89종에 대해서는 작물잔류


성적을 근거로 재평가를 통한 기준 개정안을 제시

- 4 -
■ 잔류허용기준 개선

○ 식품중 농약잔류기준 체계개선 연구


- 농산물에서 건조과정이나 가공공정 중 잔류농약 함량의 변화에 따른 감소계수의

필요성과 연구추진 방향 도출

○ 식품중 농약잔류허용기준 및 관리 개선 연구 : Part I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

- 우리나라의 식품중 농약잔류허용기준은 GAP에 의한 농약사용의 과학적인 자료,

농약1일섭취허용량(ADI), 식품섭취량, 평균체중 등을 기본으로 하여 설정

○ 잔류농약 관리시스템 구축

- 농산물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신규 및 기 설정 등 총 126개의 기준설정 및 신규농약


시험법 개발, 인삼 가공중 농약 감소계수 산출연구, 녹차 추출물 감소계수, 국가

잔류농약 표준품 공유시스템 구축

○ 잔류농약 재평가 사업

- 식품의약품안전청 설립 이전에 설정된 농약잔류허용기준을 국제적 조화 등을 고려

하여 전면적으로 재평가, 건조농산물의 기준설정을 위한 과학적 자료 축적

■ 잔류농약 분석법 개선/개발 연구

○ 식품중 잔류농약 동시다성분 대상농약 기기분석법 최적화 연구


- 식품중 잔류농약 동시다성분 분석을 위해 GC 153종, HPLC 56종을 대상으로 검출

기별, 기기별로 농약성분을 그룹화

○ 식품 중 개별분석 농약의 잔류시험법 개선 연구

- 식품공전 개별 분석법을 보다 발전된 분석 기술을 응용하여 분석의 신뢰성을 확보

함과 동시에 분석과정의 간편화 및 체계화를 수행하여 분석효율을 향상

○ 식품 중 동시다성분 분석법 개선 연구

- 농산물 중에 잔류하는 다종 다성분의 농약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식품공전상의


동시 다성분 분석법의 실효성 검증 및 개선 보완

- 5 -
○ LC-MS-MS를 이용한 잔류농약 신속검사체계 개발

- 농산물 50여종의 잔류농약에 대한 신속, 정확한 시험법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

○ 잔류농약 시험법 개선 사업

- 식품공전상 농산물과 축산물 분석법에 대하여 보다 발전된 분석 기술을 응용하여


분석의 신뢰성을 확보

- 기존 개별 분석법에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 분석 작업의 간편화 및 신속화를 위

한 과정 개선을 수행하되 물리화학적 특성의 유사성에 따른 분석 대상성분의 재분


류 등의 작업을 거쳐 총 4종의 개선된 혹은 새로운 분석법 개발

■ 모니터링
○ 식물성 원료식품의 잔류농약 조사연구

- 사과, 배, 포도 등 주요 작물에 대한 디치오카바마이트계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20

개 작물 200점의 시료를 대상으로 실시


○ 식품의 농약 잔류실태조사 및 안전성 평가 연구 (부산청, 서울청, 경인청)

- 부적합 이력식품과 국민다소비식품을 중점으로 국내 15개 지역에서 구입한 31종

900건의 유통 농산물과 10종 90건의 건강기능식품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모니터링


실시

- 분석대상 농약으로 농산물에는 동시다성분 분석이 가능한 212종과 단성분 4종 그

리고 건강기능식품에는 동시분석이 가능한 47종에 대해 실시

○ 잔류농약감시프로그램(국내 유통 농산물중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모니터링)

- 794건의 농산물을 대상으로 227종의 농약에 대해 검사

○ 잔류농약감시 프로그램(식품 중 잔류농약 신속분석체계에 대한 연구)

- 245종의 잔류농약 분석 방법을 최적화

○ 식품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 부적합 이력식품과 국민다소비식품을 중점으로 전국에서 수집한 곡류, 서류 등 25


종의 시료에 대해 200종의 잔류 농약을 검사실시

- 6 -
○ 녹차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 출하시기별로 주산지에서 녹차시료를 구입한 후 acetochlor를 포함한 61종의 대상


농약에 대한 잔류실태 조사 수행

- 총 100품목의 시료 가운데 22품목의 시료에서 bifenthrin, chlorpyrifos, dicofol,

EPN, chlorfenapyr, tebuconazole, cyhalothrin, dife -nconazole 및 tebufenpyrad


등 9종의 농약 검출

○ 단성분 분석농약 모니터링


- 단성분 분석대상 농약인 neonicotinoid계 및 ergosterol biosynthesis inhibitor(EBI)

계 농약에 대한 다성분 분석법 개발

- 그에 따른 국내 14개 지역을 경인청 및 부산청에서 각각 7지역으로 나누어 다소비


농산물 21품목(파, 오이, 상추, 피망, 고추, 배추, 가지, 취나물, 쌀/현미, 보리, 감자,

감, 밀감, 수박, 딸기, 사과, 참외, 포도, 복숭아, 토마토 및 배)을 선정 총 851건(경

인청, 417건; 부산청, 434건)에 대하여 neonicotinoid계 및 EBI계에 대한 잔류 농약


모니터링 수행

○ 특산물 잔류농약 실태조사


- 국내의 지리적 표시제 등록 특산물을 대상으로 농약 잔류실태를 조사, 파악하고자,

지리적 표시 등록 특산물 17종(서산마늘, 의성마늘, 단양마늘, 남해마늘, 괴산고추,

무안양파, 창녕양파, 철원쌀, 이천쌀, 여주쌀, 성주참외, 충주사과, 정안밤, 경산대추,


정선황기, 장흥표고버섯, 청양구기자)을 선정하여 잔류 농약 실태 조사

- 다성분 분석 농약 204종과 단성분 농약 5종(Methamidophos, Acephate,

Omethoate, Monocrotophos, Vamidothion)을 포함하여 209종의 농약에 대해 잔류


량 조사

○ 중부, 남부지역의 유통농산물 잔류농약 모니터링


- 국내 14개 지역(서울, 인천, 대구, 부산, 경기 북부, 경기 남부, 충남, 충북, 전남, 전

북, 경남, 경북, 강원, 제주)에서 수거한 농산물에 대해 농약잔류 실태 조사

- 조사대상식품은 2006년 부적합 품목을 포함하여 곡류 2종, 서류 1종, 콩류 2종, 견


과종실류 1종, 과실류 3종, 채소류 16종, 버섯류 1종으로 총 26종의 농산물을 선정

- 동시다성분 분석 농약 220여종에 대해 잔류량 조사

- 7 -
○ 잔류농약감시프로그램 (국내 유통 농산물 중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 2005년 부적합 품목을 포함하여 곡류 2종, 견과종실류 1종, 콩류 1종, 서류 1종, 과

실류 3종, 채소류 15종등 총 23종의 농산물을 국내 14개 지역에서 선정하여 동시

다성분 분석 농약 225종과 단성분 농약 3종(Acephate, Methamidophos,


Pymetrozine)을 포함하여 228종의 농약에 대해 잔류량을 조사

■ 국가 인증 표준품 공유/공급 시스템 구축


○ 국가 잔류농약 표준품 공유시스템 구축

- 농산물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

- 신규농약 시험법 개발
- 국가 잔류농약 표준품 공유시스템 구축

- 현미 중 Flucetosulfuron 및 Penoxsulam의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잔

류분석

- 8 -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1 연구내용

■ 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선진화 방안


○ 주요 외국의 기준 설정 및 관리 동향 조사
- CODEX, 미국, 일본 등
○ 전문가 풀 구성 및 운영

- 위해평가 방법 검토
- 기준 재평가에 따른 기준 관리방안
- 신규 제출 작물잔류성적을 통한 재평가
- 국제 기준과의 조화 검토
○ 축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위해평가 및 기준안 마련
- 코덱스와 기준 조화 추진

○ Codex 회의 참석 및 의제 대응

- 코덱스 의제별 검토 및 우리나라 의견 반영을 위한 지원


○ 현장의 의견 청취를 통한 정책 수립
- 잔류농약 기준 개선을 위한 workshop 개최
- 효율화 방안 마련

■ 잔류농약 웹사이트 업그레이드 및 운영


○ 농약정보, 농약잔류허용기준 등의 자료 등록 및 최신 정보 업그레이드

- 농약정보 최신 정보 업그레이드 및 기능 개선
- 농약정보 영문으로 등록된 정보 한글로 번역 서비스

- 잔류농약허용기준 신·구조문 대비표 구축

○ 잔류농약 웹사이트에 구축된 모든 정보를 영문으로 번역하여 영문사이트 구축


- 메뉴명, 타이틀 제목, 필드항목, 버튼 및 제공 서비스

- 등록된 정보를 영문으로 제공

○ 잔류농약 전문위원 커뮤니티 공간 구축


- 전문위원회 회원을 관리하여 관련 회원만 서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커뮤니티

구축

- 9 -
○ 잔류농약 일반예고 정보 구축

- 해당 항목에 필요한 항목을 규정하여 구축


○ 구축된 웹사이트 정보 업그레이드

- 사용자의 편의성에 맞게 웹사이트 기능 개선

- 잔류농약과 관련된 정보 서비스 항목 추가하여 개발


- 정보를 조회하기 편리하도록 검색 기능 보완

2.2 연구방법

■ 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선진화 방안


○ 식품 중 농약관련 전문가 Pool 구성

- 산, 학, 연, 관 전문가로 구성

- 정기적인 협의회 개최
- Workshop 등을 통한 집중 검토

○ 재평가 대상 농약의 분류

- 국내 기준 설정 농약중 제․개정 시기별 분류


- 기준 설정 근거 자료의 수집 및 정리

○ 주요 국가의 축산물 기준설정 자료 검토

- 기준설정 농약의 비교 분석
- 기준 설정 절차에 대한 비교 분석

- 대상 축산물에 대한 조사

○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한국형 모델 개발


- 재평가에 따른 개선(안) 검토

- 위해평가 방법에 대한 검토

- 농약잔류허용기준 관리 개선(안) 작성
○ Codex 회의 현장 대응

- 40차 Codex CCPR 회기중 국내 관련 의제에 대한 지원

- 우리나라 기준에 대한 의견 협의

- 10 -
■ 잔류농약 웹사이트 업그레이드 및 운영
○ 농약정보, 농약잔류허용기준 등의 자료 등록 및 최신 정보 업그레이드

- 농약정보 입력 필드 항목 추가, 변경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여 프로그램


구현

- 농약정보,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농약잔류허용기준 Codex 등에 대한 최신 자료

수집 및 입력
- 농약정보 영문으로 등록된 정보 한글로 번역하여 정보 입력

- 잔류농약허용기준 신·구조문 대비표 구축

-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기능 개선


○ 잔류농약 웹사이트에 구축된 모든 정보를 영문으로 번역하여 영문사이트 구축

- 메뉴명, 타이틀 제목, 필드항목, 버튼 등 영문 번역

- 외국인을 위한 디자인 및 기능 개선
- 등록된 정보를 영문으로 제공하기 위한 번역

○ 잔류농약 전문위원 커뮤니티 공간 구축

- 등록된 내용에 의견달기할 수 있도록 구축


- 권한자만 메뉴가 활성되고 의견을 등록할 수 있도록 처리

○ 잔류농약 일반예고 정보 구축

- 필요한 항목을 규정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여 프로그램 구현


○ 웹사이트 기능 개선 및 보완

- 사용자의 편의성에 맞게 웹사이트 기능 개선

- 잔류농약과 관련된 정보 서비스 항목 추가하여 개발


- 정보를 조회하기 편리하도록 검색 기능 보완

-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기능 개선

- 11 -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1. 주요국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 및 관리 동향

가. CODEX
코덱스 농약잔류분과위원회는 금년도에 40차 회의를 개최하였으며, JMPR에서 농약

별로 검토 우선순위에 따라 농약의 독성, 잔류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며, 그 결과를

분과위원회에서 심의한다.

1) JMPR의 평가 프로세스

JMPR은 다른 두 개의 과학자그룹으로 구성된다. FAO 전문가 패널은 농약의 사용방


법, 농약의 화학적 성상 및 조성에 관한 데이터, 잔류농약 분석방법에 대한 검토 및

GAP에 따라 사용할 경우 잔류 우려가 있는 농약의 MRL 보고에 대해 담당하고 있다.

WTO그룹은 독성학(毒性學)데이터 및 관련 데이터 평가 및 가능할 경우에는 사람에


대한 ADI 설정에 대해 담당하고, 두 그룹은 합동회의에서 공동으로 작업하여 공동보고

서를 작성한다. 이중 WHO전문가 그룹이 채택하고 있는 데이터 해석방법에 대해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잔류농약 독성평가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급성독성시험, 단기 혼합사료 투

여 독성시험, 장기 혼합사료 투여 독성시험 및 동태시험(흡수, 조직분포, 배설, 대사, 생

물학적 반감기 및 효소에 대한 영향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특별한 영향, 예컨대 발


암성, 생식독성, 최기형성 그리고 화합물에 따라서는 신경독성 등에 관한 시험데이터도

통상적으로 필요로 한다. 사람과 관련한 데이터 및 기타 정보, 예를 들면 구조-활성관

계도 구할 수 있다면 검토대상이 된다.


평가의 최종목표는 모든 독성 데이터베이스를 근거로 한 무독성량(NOAEL)을 구하

는 것이며, 이 NOAEL은 당연히 안전계수와 함께 ADI를 산출하는데 사용된다. 평가의

제1계는 각 데이터의 유효성에 대한 검토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처음에 가치가 낮은 내


용으로 평가된 시험데이터라도 전체 데이터베이스와 연관지어 평가하면 유효할 수 있

다. 따라서 모든 시험결과를 집약함으로써 화학물의 독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된다.

급성경구독성시험 데이터는 ADI를 설정하는 데 거의 고려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


한 데이터도 다른 동물종에서 감수성의 순위를 매기는데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

후 실시될 시험에서 투여량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약리학적인

- 12 -
활성, 흡수정도나 표적기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JMPR은 때에 따라서

농약( imazalil[57]) 염(鹽)의 상대적인 독성을 검토하기 위해 급성독성 데이터를 추가로


요구하고 있으며 또한, 급성독성의 종류차이를 검토하기 위해 대사(代謝)시험을 추가로

요구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단기 혼합사료 투여 독성시험은 JMPR이 평가해 온 수 많은 농약의 ADI


를 설정하는 근거가 되어 왔다. 1971년 이전 즉 장기독성시험이 농약의 안전성을 평가

하는 데 있어 필수항목으로 인식되기 까지는 ADI는 수많은 농약에 대해 단기독성시험

데이터를 근거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를 근거로 잠정ADI(TADI)도 설정해 왔다.


장기 혼합사료 투여 시험데이터가 독성데이터베이스의 필수항목이 된 이후에는 단기독

성시험데이터는 주로 장기투여시험 및 생식시험 시에 적합한 투여량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개에게는 2년 이상 투여한 시험이 거의 없다. 따라서 개의 독


성감수성이 다른 동물보다 높거나, 또는 개가 설치류보다 사람에게 외삽(추론적용)하는

데 적절한 경우는, 개 수명의 50% 이하의 투여기간에 의한 시험데이터를 근거로 ADI

를 설정한다(예, methamidophos, difluhenzuron, phenthoate 등). 장기독성시험의


NOAEL이 단기독성시험의 NOAEL보다 큰 경우, 설치류에서의 단기독성시험 데이터를

근거로 ADI를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예, diphenylamine 등). 이것은 적응으로 인하여,

장기노출에서 영향이 상실되는 경우이다.


어떤 종류의 화합물에 대해서는(예, chlormequat, dinocap 등) 다세대 생식시험이나

최기형성 시험데이터도 ADI를 설정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지발(遲發, 늦게 발생)성 신경독성은, JMPR에서 평가한 많은 화합물에 대해 잠재적


인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현재까지 leptophos의 경우에만 지발성 신경독성이 있다는

이유로 그 ADI가 삭제되었다. 하지만 ADI를 삭제한 것은 식품 속의 잔류로 인한 위험

성이 예상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본 화합물 제조과정에서 발생한 대량노출로 인해 공장


작업자에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 판매를 중지했기 때문이었다. 다른 지발성 신경독

성물질, 예컨대 isofenphos에 대해서는 ADI가 설정되어 있다. JMPR은 닭을 사용한 표

준적인 지발성 신경독성시험에서의 과대투여(LD50수치를 초과)는 식품 속의 잔류농약


을 섭취함으로써 사람에게 미치는 위해성을 평가하는 데에 적절하다고만 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위에서 서술한 영향에 대해 입수한 데이터에 대한 기본적인 해석은 독성의 특성, 노


출량 증가로 인한 작용발현의 단계적인 증가(즉, 용량-반응관계) 확인 및 역치 확인을

통해 한다.

- 13 -
화합물이 독성을 유발하는지 판단할 때 최초로 고려해야 할 점은 시험생물이 노출되

는 시험물질의 용량이다. 독성학의 기본적인 개념은 Paracelsus가 1538년에 서술한 대


로 ‘독성발현은 용량에 의존한다.’고 해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어떤 시험에서 사용한

일련의 용량이 독성반응을 유발하지 않을 경우에는 용량이 불충분했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은 모든 독성시험에 적용된다. 하지만 시험한 최고용량과 잔류농약이 사람의 노출


량 사이에 충분한 안전영역이 존재한다고 한다면 독성반응이 인정되지 않았던 시험도

그러한 잔류농약의 안전성 평가의 목적에는 부합된다고 할 수 있다. 독성이 인정되지

않을 경우에 주요 문제점은 더욱 높은 용량에서 유발될 가능성이 있는 작용의 종류, 중


요성, 또는 정도에 대해 어떠한 정보도 얻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에 시험한 최고용량에

대해 적용해야 하는 적절한 안전계수를 결정할 수 없는 것이다.

다음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어느 작용을 독성으로 판단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어느


작용을 유해하다고 판단할 것인가는 작용의 독성을 근거로 해야 한다. 혈장콜린에스테

라제의 억제는 확실히 변화이기는 하지만 명확한 ‘독성’의 범위는 아니므로 독성증상이

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간(肝)의 가역적인 중량 증가는 독성이라고 하기보다 동물의


적합성 반응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보조적인 시험은 필요할 것이다.

시험모집단(母集團)에서의 용량-반응관계 판단은 유해한 영향의 발현빈도 및 정도가

용량과 관련된다는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 시간-반응 관계도 가능하다. 즉, 일정용량을


투여하였을 때, 투여기간에 따라 유발되는 영향의 발현빈도가 증가한다는 현상이다. 중

간도살이 실시되지 않을 경우에는 투여기간이 다른 시험결과(동일 동물종/계통에 대해,

가능하다면 동일 연구기관 및 동일한 환경 하에서 실시된 시험)의 비교검토가, 시간-반


응관계를 검토하기 위해 필요할 것이다. 비교검토를 위해 중간도살 또는 보다 단기 시

험으로 실시하지 않을 경우에는 시험기간 중에는 사망한 동물 또는 절박도살동물에서

의 소견을 기준으로 주요 병변의 대체적인 발현시기를 구할 수 있다(특히, 그러한 병변


이 사망의 원인이 되었을 경우).

포유동물 생식과정의 다양한 특성은 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용량-시간-반응관계

를 확립하는 것을 복잡하게 한다. 발생초기에 시작된 영향이 그 후 발생단계에서 경감


될 가능성이 있다. 장애가 진행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멈추도록 진화된 방어기능으로 인

해, 배(胚)ㆍ태아(胎兒)에 대한 사소한 손상은 복구되고, 그리고 복구가 곤란한 손상에

대해서는(배ㆍ태아가) 배제되는 경우가 있다(예, 배 흡수나 유산). 따라서 생식시험을


통해 얻은 용량반응은 종종 단일 요인으로 인한 일시적인 변화라기보다, 복수 요인이

단계적으로 작용한 결과를 반영하고 있다.

- 14 -
독성데이터를 평가할 때, 관련되는 항목을 추계(推計, 추정계산)학적으로 해석하고,

미리 정한 기준에 따라 유의성을 검토한다. 시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추계학적인 의의에


대한 차이는 그 생물학적인 의의에 비추어 판단해야 한다. 따라서 투여동물에서는 보기

드물게 나타나는 종양의 발현빈도가 증가한 경우에는 동시에 실시한 대조군에서의 발

생빈도와 비교하여 추계학적인 차이에 의의가 없더라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개별항목 예컨대 적혈구 수 등에서 추계학적으로 의의가 있는 변화가 보이

더라도 그것은 기타 항목, 예컨대 골수 또는 비장의 병리현상이나 메토헤모글로빈 형성

등의 근거가 되는 소견이 없는 한 통상적으로 생물학적으로는 관련성이 없다고 판단한


다.

대조군에서 특정 병변의 발현빈도가 높은 경우에는 독성시험으로 얻은 데이터를 해

석하는 것이 종종 복잡해진다. 그 중에서도 특정 종양의 경우에는 동물의 종류나 계통


을 미리 선택함으로써, 어느 정도 이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예컨대 표적기관

이 신장일 경우 노화(老化)성 신장병의 발현 빈도가 높은 쥐(rat) 계통을 사용하는 장

기독성시험에서는 결과를 선택하는 것이 곤란해질 것이다.


동일 종류의 독성시험을 한 종류 이상의 동물종을 사용하여 실시할 경우에 한쪽 동

물종에서는 영향이 보이는데 다른 동물종에서는 보이지 않을 경우 또는 한 쪽 동물종

이 다른 쪽 동물종 보다 어떤 물질에 대해 감수성이 월등히 높은 경우에는 결과를 해


석하는 것이 복잡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사람에게 외삽하는 데 최적인 동물종

을 선택하는 것이 힘들어 진다. 일반적으로 최적의 동물종을 선택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일반적으로 약물의 동태 또는 약동력학(흡수, 분포, 대사, 배설)에 관한 비교 데이터)가


없을 경우 가장 감수성이 높은 동물종(가장 낮은 용량에서 유해영향이 나타난 동물종)

의 데이터를 NOAEL을 판정하거나 ADI를 설정하는데 사용한다.

발암성 시험 데이터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JMPR은 이 외에 많은 독성학적 영향을 평


가하는데 근거가 되고 있는 역치 개념을 채택하고 있다. 종양의 발현빈도를 평가할 때,

대부분의 경우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을 다른 것으로 고려해왔다.

1986년 합동회의에서 독성이 발현하게 되는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고 강조하였다. 보고서에서는 ‘독성의 메커니즘에 관한 현재의 지식은 한정되어 있지만,

독성시험에 대해 보다 타당한 계획, 실시 및 해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충분한 이해를

얻고 있다. 따라서 작용 메커니즘에 관한 지식으로 인해 사람에게서의 리스크를 보다


논리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 지므로, 작용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장려된다.’고 서

술되어 있다.

- 15 -
2) 코덱스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 방법
코덱스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제안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절차를 거쳐야 하며, 인삼의

경우와 같이 minor crop인 경우 6포장의 시험 성적이 제출되어져야 하고, 또한 한 나

라에서 모든 시험이 수행되어도 받아들여질 수 있다

■ 코덱스에 제출하는 데이터의 준비

○ 데이터의 준비
- 농약에 대한 Codex MRLs의 설정을 지원하기 위해 국가 정부 또는 제조사는

JMPR의 평가를 위한 자료를 제출한다.

- FAO Panel, JMPR의 검토를 위한 일건의 데이터를 준비한다. - FAO 매뉴얼 4장


- 이 서류는 일건으로 준비되거나 국가 정부로부터 제출된 자료로 한다.

○ 데이터의 구조

- Directory
- 배경 정보

- Metabolism 및 environmental fate

- 잔류 분석법 및 냉동 저장 안정성 데이터


- 사용 패턴

- 포장시험에서의 잔류 성적

- 저장 및 제조과정중의 잔류 변화
- 동물 제품에서의 잔류

- 상업적 혹은 소비에서의 식품중의 잔류

- 국가 잔류허용기준 및 잔류 정의
○ 제안 데이터의 구성

- 주 문서를 준비하기 위해 FAO template을 선택

- 주 문서를 사용하여 평가에 대한 데이터 요약하여 제시


자세한 연구내용은 첨부로 제공

- 16 -
[LOGO]
TITLE: [COM POUND].
[NATIONALG OVERNMENT]
SUBM ISSIONFORJMPR2009.

PURPOSE:

To provide information on [compound] to the FAOSecretary of JMPR


for evaluation by JMPRat the 2009 meeting. [Compound] is on the
FAOPanel schedule as a [periodic review] compound for evaluation in
2009.

REPORT NUMBER: [uniqueidentifying number]


NUMBEROF PAGES: [n] pages +annex +attachments
DATE OF ISSUE: [xxxxx].

AUTHORS: [Names of responsible authors and contact persons]


ADDRESS:
[Full address]

AUTHORISATION: [Head of national delegationto CCPRor other relevant


position]
ADDRESS:
[Full address of authorising officer

[그림 2-1] 코덱스 제출 데이터 작성 예시

○ 배경 정보
- 자료를 제출하는 사유를 간략하게 설명

○ 분석방법

- 포장시험과 모니터링에 사용한 방법을 간략하게 요약


- 밸리데이션 요약

- 방법을 복사하여 첨부

- 17 -
예시)

○ 사용 패턴

- 상표에 표시된 사용 패턴 요약

예시)

Residue trials - supporting information


Crop: grapes Study report identification number: AL2122/90
Analytical method ident number: AL-CY-03
Procedural recoveries: 80-98% (0.02-0.5 mg/kg)
Trial design: unreplicated single plot
Plot size: 8 sq m
Sprayer: motorised backpack
Sprayer calibration: 1 day before first application
Field sample size: 2 kg
Sampling dates: 10-31 Oct 1990
Analysis dates: 27 May 1991
Interval of sample storage: 229 days
Sample storage conditions: below -12°C
Residue levels in samples from control plots: <LOQ
Residues adjusted for % recovery? unadjusted

- 18 -
○ 잔류시험 성적 요약

다음의 예시와 같이 작성

○ 국가 잔류허용기준
국가에서 설정하고 있는 기준 현황을 아래와 같이 작성하여 제출

○ 종합 요약

- Codex 표준 포맷에 따라 보고서 준비

- Template는 체크리스트로 활용
- 국가에서 사용하기 위해 준비된 보고서와 상표를 첨부(필요시 영문자료와 함께)

- 19 -
나. 미국
1) 미국의 농약 등록 및 관리 현황
미국에서의 농약 등록은 EPA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등록에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제출하면 평가를 통하여 등록과 함께 농약잔류허용기준을 동시에 설정하여 공고한다.

[그림 2-2] 미국 EPA 농약 등록 공고 홈페이지

2) 미국의 모니터링 현황
미국에서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등에 대한 농약의 잔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미
농무부에서는 매년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2006년도에 실시한
농약데이터 프로그램(Pesticide Data Program : PDP)의 결과를 정리하며 다음과 같다.

가) 서론

1991년 식품 내 농약 잔류물에 대한 자료 수집을 위해 시작된 농약데이터 프로그램


은 1996년도 식품품질보호법(Food Quality Protection Act) 이행에 중요한 역할을 맡

고 있다. 동 법률은 농무부 장관이 유아와 아동이 빈번하게 소비하는 상품에 대한 농

약 잔류물 자료를 수집하도록 명하고 있다. PDP 자료는 미 환경보호청(EPA)에서 현


재의ㅣ농약잔류 허용량의 안전성 여부를 검토하는 과정 중 식이노출을 평가하기 위해

주로 이용된다.

PDP는 주로 노출량 평가를 위해 식료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 20 -
운영은 허용량 단속을 위해 실시하는 규제 감시 프로그램의 운영과는 크게 다르다.

PDP 표본은 소비 지점에 근접한 곳에서 수집하며 실제 소비자가 구매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시료를 준비한다. 시료 채취는 EPA 데이터 요구를 토대로 하며 식품 유통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프로그램에 대한 주요 참가 기관은 참가 주와 EPA, USDA 농업통계처(NASS),


업계와 재배자 단체를 비롯한 추가적인 이해관계자가 포함된다. PDP 주요 데이터는

EPA와 미식품의약국(FDA), USDA 경제연구처(Economic Research Service : ERS)

그리고 해외농업처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 FAS), 참가 주, 학술 기관, 농약제


품 제조사, 환경 단체, 식품안전 기구, 식품 생산업체를 대변하는 민간 부문 단체를 비

롯한 여러 곳에서 이용된다.

2006년에는 10개 주(캘리포니아, 콜로라도, 플로리다, 매릴랜드, 미시건, 뉴욕, 오하이


오, 텍사스, 워싱턴, 위스콘신); USDA 곡물검사출하집하청 (Grain Inspection,

Packers, and Stockyards Administration : GIPSA); USDA 식품안전검사처 (Food

Safety Inspection Service : FSIS)에서 시료를 제공하였다. 추가적인 시료는 15개 주


(앨라배마,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플로리다, 조지아, 아이오와, 루이지애나, 미시건, 미

네소타, 미주리, 몬타나, 뉴저지, 노스다코타, 펜실베이니아, 사우스 캐롤라이나)와 콜롬

비아 특별구의 음용수 시설 인력이 참가하여 제공되었다. 캘리포니아, 콜로라도, 플로


리다, 미시건, 미네소타, 몬타나, 뉴욕, 오하이오, 텍사스, 워싱턴주와 농산물판매처

(Agricultural Marketing Service : AMS), 국립과학연구소 (National Science Service

: NSL); GIPSA 연구소는 실험을 지원하였다.


과실과 야채 표본은 슈퍼마켓과 식료품점에 식품을 공급하는 터미널 시장과 대형

체인점 물류 센터에서 수집 한다. 이들 장소에서의 표본 추출은 농작물 생산 기간중

살포하고 수확 후 살포하는 농약(예, 살진균제와 성장 억제제)을 포함해 잔류량 측정


이 가능하며, 식품을 보관하는 동안 잔류량이 감소하는 것을 고려한다. PDP 표본 추

출 현장 참가는 자발적이며, 주 및 연방 단속 프로그램과 별도로 정한다. 2006년 700

곳이 넘는 현장에서 접근을 허용하였고 현장 수량 데이터를 비롯한 정보를 표본 수집


관에게 제공하였다. 이러한 자발적 협조는 PDP에 대단히 중요하며, 식품 유통과 생산

량 변동에 따라 표본 추출 프로토콜 조정이 가능하다.

전체 곡물 표본은 숙련된 USDA GIPSA 검사관이 수집한다. 가금류 표본은 숙련된


USDA FSIS 검사 프로그램 담당자가 지정된 도축장에서 수집한다. 처리 및 미처리

음용수 표본은 선별된 수도 처리 시설의 숙련된 수도 처리 요원이 현장에서 수집한다.

- 21 -
PDP가 선별하는 농약은 현재 용도를 등록한 농약과 독성 데이터나 식이 노출 예비

추정에 따라 확대 잔류량 자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PDP는


EPA가 위해관리 활동의 일환으로 변경된 사용 지침(즉, 적용률이나 빈도 감소)을 시

행한 농약도 감시한다.

나) 시료 채취

• 배경

PDP 시료채취 프로그램의 목적은 미국에 공급되는 식품의 통계적인 타당성을 얻도


록 하는 것이다. PDP 자료는 식품으로부터의 실질적인 잔류농약의 노출을 반영한다.

엄격한 통계 설계를 이용하여 PDP는 전국 식품 유통체계에서 시료를 무작위로 선정

하고 소비자에게 주로 제공되는 식품을 반영할 수 있는 폭넓은 절차를 마련하였다.

• 신선 및 가공 과실과 야채

2006년 채집/분석한 전체 표본에서 신선 및 가공 제품을 비롯하여 과실과 야채는


72%(13,658종 가운데 9,818 )였다. PDP를 위해 채집한 신선 상품은 바나나와 브로콜

리, 당근, 상추, 바나나, 브로콜리, 당근, 콜리플라워, 크랜베리, 가지, 자몽, 녹색 채소

(콜라드 녹색 채소, 케일), 복숭아, 자두, 시금치, 여름 호박, 수박, 겨울 호박이었다. 가


공 상품은 사과소스, 오렌지주스(냉장 및 냉동), 건조 자두(말린 자두), 냉동 감자, 건

포도, 냉동 sweet peas가 포함되었다. 콜리플라워, 가지, 자몽, 여름 호박과 같이 상대

적으로 큰 상품은 시료의 대표성을 유지하기 위해 2개 이상 채집했다. 유일한 예외는


수박으로, 선적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표본당 1개만 채집했다.

상품별 월별 대상 표본은 62종, 연간 상품별 표본은 744종이 된다.

각 상품별로 주에서 채집하는 표본의 합계는 표 3-1에 기재하였다.

• 밀

숙련된 USDA GIPSA 검사관은 PDP를 위해 2005 수확연도에 해당하는 밀 시료


687종을 채취했다(2005년 10월부터 2006년 4월). 각 주를 기본으로 하는 시료 채취율

은 3년 동안 평균을 구한 농산물 생산량 합계를 기초로 계산하였다. 시료는 트럭(표본

의 17%)과 호퍼 카(69%), 바지선(14%)에서 채취하였다.

- 22 -
• 가금류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숙련된 FSIS 검사관은 가금류 시료 1,310종을 채취했다.


검사관은 지정 도축장에서 영계와 노계 시료를 채취하여 무농약 폴리에틸렌 백에 별

도로 조직을 담아, 라벨을 표시하고 하루밤 냉동시켰다. 냉동된 표본은 조작방지 상자

에 냉동아이스팩과 함께 포장하여 노스캐롤라이나 개스토니아에 있는 NSL에 택배로


발송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 일본
1) 농약잔류 허용기준의 검토

일본의 경우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은 후생노동성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이들 기준의

설정은 약사⋅식품 위생 심의위원회에서 검토한 사항에 대해 행정적인 처리를 하고


있다.

약사⋅식품위생심의회의 위원들은 정기총회에서 선임되며, 정기 총회는 2년마다 개최

되어 후생노동대신이 새로이 임명한 위원들 가운데 심의회를 대표할 심의회장을 비롯,


각 분과회를 대표할 분과회장, 부회를 대표할 부회장을 선출한다. 회기중의 예기치 않

은 임원의 승진이나 직무 승계로 인한 회장의 재 선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총회를 추

가로 소집하여 위원들의 호선에 의해 새로운 회장을 선출할 수 있다.


분과회는 약사⋅식품위생심의회령에 정해진 대로 약사분과회, 식품위생분과회로 나뉘

어 있고, 약사분과회 아래 17개 부회(부작용피해 판정 제2부회 포함), 식품위생분과회

에는 9개의 부회가 설치되어 있다.


조사회는 안건 심의시 연구조사를 위해 필요에 따라 설치되어 있다. 조사회는 안건

심의가 종결되면 관련 조사업무도 종결된다. 위원은 간호학, 생활과학, 응용 생물화학,

수리 통계학, 법학 및 경제학 등에 관한 학식 경험자로서 후생노동대신이 임명하는 30


명 이내로 구성되어 있다.

총회, 분과회 및 각 부회는 원칙적으로 회의를 공개하고 있다. 다만, 공개에 의해 위

원의 자유로운 발언이 제한되어 공정하고 중립적인 심의에 명백한 지장을 줄 우려가


있을 경우 개인의 비밀, 기업의 지적재산 등이 개시되어 특정인에게 부당한 이익 또는

불이익을 줄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비공개로 한다.

일본 후생성 홈페이지에는 이들 각 총회, 분과회 및 각 부회의 의사록이 공개가 되고


있어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명성을 확보하고 있다.

( 참고문헌: 외국의 자문기구 조사⋅연구 (2007) - 김선희, 숙명여대 석사학위논문 )

- 23 -
[그림 2-3] 약사 식품위생심의회 조직 및 구성

- 24 -
2) 농약의 잔류물 정의

일본의 경우 농약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된 농약들에 대해 모 화합물만으로 구분되지


않는 농약에 대해 잔류물의 정의를 정하여 관리하고 있는데 그 정의가 설정된 농약에

대해 정리한 결과는 표 2-1과 같다.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농약잔류허용기준의 명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잔류물의 정의를


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표 2-1] 일본 농약의 잔류물 정의

No Agricultural Chemical Note


2,2-DPA에 대한 최대잔류허용기준은 2,2-DPA와 dalapon
1 2,2-DPA
sodium salt의 잔류물을 포함
2,4-D에 대한 최대잔류허용기준은 2,4-D, 2,4-D sodium
salts, 2,4-D dimethylamine salts, 2,4-D ethyl ester,
2 2,4-D
2,4-D isopropyl ester, 2,4-D butoxyethyl ester 및
2,4-D alkanolamine salts의 잔류물을 포함
5-(PROPYLSULPHONYL 5-Pr opylsulfonyl-1H-benzimidazol-2-amine은
3 )-1-H-BENZIMIDAZOLE
-2-AMINE albendazole의 대사물임
abamecti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avermectin B1a,
avermectin B1b, 8,9-Z-avermectin B1a 및
4 ABAMECTIN 8,9-Z-avermectin B1b의 농산물에 대한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고, 육류 및 어류에 대해서는 avermectin B1a과
8,9-Z-avermectin B1a의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acequinocyl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acequinocyl로 계산되는
acequinocyl과 hydroxyl acequinocyl (3-dodecyl-2-
5 ACEQUINOCYL
hydroxy-1,4-naphthoquinone)이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
었음
acibenzolar-S-methyl ester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acibenzolar-S-methyl ester로 계산되는 acibenzolar-S-
ACIBENZOLAR-S-MET
6 HYL methyl ester와 acibenzolar acid (benzo [1,2,3]
thiadiazole-7-carboxylic acid)의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
되었음
aldrin 및 dieldri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aldrin 및 dieldrin
7 ALDRIN and DIELDRIN
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allethri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allethrin과 bioallethrin의 잔
8 ALLETHRIN
류물을 포함
amitraz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amitraz으로 계산되는
9 AMITRAZ amitraz및 N-2,4-dimethylphenyl-N’-methylformamidine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aramite에 대한 최대잔류허용기준은 aramite 이성질체의 잔
10 ARAMITE
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 25 -
benfuracarb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benfuracarb으로 계산되
는 benfuracarb와 각각의 carbofuran (benfuracarb의 대사
물) 및 3-OH carbofuran (carbofuran의 대사물)의 잔류물
11 BENFURACARB
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하지만 benfuracarb이 검출될 경우
기 설정된 최대잔류허용기준을 적용하고, 대사물이 검출되는
경우는 carofura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적용할 수 없음
CARBENDAZIM, THIOPHANATE, THIOPHANATE-METHYL
12 BENOMYL
및 BENOMYL 참조
13 BENSULTAP CARTAP, THIOCYCLAM 및 BENSULTAP 참조
bentazon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bentazone 및 bentazone
14 BENTAZONE
sodium의 잔류물을 포함함
Benzylpenicillin은 penethamate의 대사물임.
15 BENZYLPENICILLIN benzylpenicilli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benzylpenicillin 및
penethamate의 사용으로 생성되는 잔류물을 포함함
gamma-BHC는 lindane를을 의미함. Notification No.370을
통해서 BHC라는 용어가 단독으로 사용되었을 때, 그것은
alpha-BHC, beta-BHC, gamma-BHC 및 delta-BHC를
의미하고, BHC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이 네가지 물질의 잔류
16 BHC 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gamma-BHC만 단독으로 검출될
경우, Item 7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을 적용할 수 있고,
alpha-BHC, beta-BHC, and delta-BHC 중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이 검출되었을 경우 gamma-BHC의 검출여부와 관계
없이, BHC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을 적용함
bifenazat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곡물 및 지방에 대하여
bifenazate로 계산되는 bifenazate 및
isopropyl-2-(4-methoxybiphenyl-3-)diazenylformate
의 잔류물의 합, 그리고, 그 밖의 식품에 대하여는 bifenazate
17 BIFENAZATE
와 bifenazate로 계산되는 개별
isopropyl-2-(4-methoxybiphenyl-3-)diazenylformate,
4-hydroxybiphenyl 및 4-sulfatobiphenyl의 잔류물총 합으
로 설정되었음

18 BROMIDE Bromine은 inorganic bromine을 의미함

carbendazim, benomyl, thiophanate와


CARBENDAZIM,
THIOPHANATE, thiophanate-methyl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arbendazim으
19 THIOPHANATE-METH 로 계산되는 carbendazim 및 개별 benomyl, thiophanate,
YL and BENOMYL
thiophanate-methyl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carbofura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arbofuran과 carbofuran


으로 계산되는 대사물 3-OH carbofuran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하지만, parent carbosulfan, furathiocarb 또는
20 CARBOFURAN benfuracarb이 검출될 경우 대사물인 carbolfuran 또는
3-OH carbofuran에 더하여, 그에 상응하는 parent
substanc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적용할 수 있지만,
carbofura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적용할 수 없음

- 26 -
carbosulfa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arbosulfan으로 계산되
는 carbosulfan의 잔류물, 개별 carbofuran (carbosulfan 대
사물) 그리고 3-OH carbofuran(carbofuran 대사물)의 합으
21 CARBOSULFAN 로 설정되었음. 하지만, calbosulfan이 검출될 경우
carbosulfa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을 적용하는 반면, 대사물이
검출되었다 하더라도 carbosulfa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적
용하지 않음

CARTAP, cartap, thiocyclam 및 bensultap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22 THIOCYCLAM and cartap의 잔류물, cartap으로 계산되는 개별 bensultap과
BENSULTAP thiocyclam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23 CEFTIOFUR Ceftiofur는 대사물인 desfuroylceftiofur로 검증함
chlordan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농산물의 경우
cis-chlordane 및 trans-chlordane의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
24 CHLORDANE
되었고, 육제품 및 수산 제품에 대해서는 cis-chlordane,
trans-chlordane, oxychlordane의 잔류물을 적용하고 있음
chlorfenvinphos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25 CHLORFENVINPHOS (E)-chlorfenvinphos과 (Z)-chlorfenvinphos의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OXYTETRACYCLINE, CHLORTETRACYCLINE 및
26 CHLORTETRACYCLINE
TETRACYCLINE 참조
clethodim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lethodim 잔류물과
27 CLETHODIM clethodim으로 계산되는 clethodim sulfoxide 및 clethodim
sulfone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Clothianizine은 thiamethoxam의 대사물임. clothianizin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lothianizine 자체를 사용함으로써 뿐만
28 CLOTHIANIDIN
아니라, parent thiamethoxam를 사용함으로써 유발되는
clothianizine 잔류물을 포함
COPPER copper telephthalat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opper
29 TELEPHTHALATE telephthalate 및 telephthalic acid의 잔류물을 포함
cyfluthri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yfluthrin의 이성질체 잔류
30 CYFLUTHRIN
물의 합을 포함함
cyhalothri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lambda-cyhalothrin 잔
31 CYHALOTHRIN
류물을 포함함
cypermethrin에 대한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ypermethrin 이
32 CYPERMETHRIN 성질체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고, cypermethrin은
zeta-cypermethrin을 포함
cyproconazol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yproconazole 이성질
33 CYPROCONAZOLE
체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dazomet, metam 및 methyl isothiocyanate의 최대잔류허용
DAZOMET, METAM 기준은 methyl isothiocyanate의 잔류물 및 methyl
34 and METHYL isothiocyanate로 계산되는 개별 dazomet 및 metam의 합으
ISOTHIOCYANATE 로 설정되었음. Metam 잔류물은 metam-ammonium,
metam potassium 및 metam-sodium을 포함
DDD 및 DDE를 포함하여, DDT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35 DDT pp’-DDD, pp’-DDE, pp’-DDT 및 op’-DDT의 잔류
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DELTAMETHRIN and deltamethrin 및 tralomethri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36 TRALOMETHRIN deltamethrin 및 tralomethrin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 27 -
diafenthiuro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diafenthiuron과
diafenthiuron로 계산되는 개별 diafenthiuron-urea
[1-tert-butyl-3-(2,6-diisopropyl-4-phenoxyphenyl)
37 DIAFENTHIURON
urea] 와 diafenthiuron methaneimide-amide
[1-tert-butyl-3-(2,6-diisopropyl-4-phenoxyphenyl)
methaneimide-amide]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di-allat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di-allate 이성질체의 잔류
38 DI-ALLATE
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dicamba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dicamba,
dicamba-isopropylamine salt, dicamba- methylamine
39 DICAMBA
salt, dicamba-potassium salt 및 dicamba-sodium salt의
잔류물의 합을 포함

DICHLORVOS and dichlorvos 및 naled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dichlorvos로 계


40 NALED 산되는 dichlorvos 및 naled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diclocymet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R)-2-cyano-N-[(R)-1-(2,4-dichlorophenyl)ethyl]-3,3
41 DICLOCYMET - dimethyl-butylamide 및
(S)-2-cyano-N-[(R)-1-(2,4-dichlorophenyl)ethyl]-3,3
-dimethylbutyl-amide의 잔류물을 포함
42 DIELDRIN ALDRIN 및 DIELDRIN 참조
difenzoquat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difenzoquat로 계산되는
43 DIFENZOQUAT difenzoquat 및 difenzoquat methylsulfate의 잔류물 합으로
설정되었음

DIHYDROSTREPTOMY dihydrostreptomycin and streptomycin의 최대잔류허용기


44 CIN and 준은 dihydrostreptomycin 및 streptomycin의 잔류물 총합
STREPTOMYCIN 으로 설정되었음
dimethenamid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dimethenamid 및
45 DIMETHENAMID
dimethenamid-P의 잔류물을 포함
dimethomorph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E)-dimethomorph
46 DIMETHOMORPH
및 (Z)-dimethomorph의 잔류물 합으로 설정되었음
dimethylvinphos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47 DIMETHYLVINPHOS (E)-dimethylvinphos 및 (Z)-dimethylvinphos의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dinocap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dinocap 및 그 분해물
48 DINOCAP (2,4-dinitro-6-octylphenol, 2,6-dintro-4-octylphenol)
의 잔류물을 포함
disulfoto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disulfoton으로 계산되는
49 DISULFOTON disulfoton 및 disulfoton-sulfone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
었음
dithiocarbam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arbon disulfide로 계
산되는 zineb, ziram, thiram, nickel bis (dimethyl
50 DITHIOCARBAMATES dithiocarbamate), ferbam, propineb, polycarbamate,
mancozeb, maneb, 그리고 metiram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
되었음

- 28 -
emamectin benzo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emamectin
benzoate (B1a and B1b)와 emamectin benzoate로 계산되
는 개별 emamectin (B1a and B1b), amino-emamectin
(B1a and B1b) formylamino- emamectin (B1a and
EMAMECTIN
51 BENZOATE B1b), N-methylformylamino-emamectin (B1a and
B1b), 8,9-Z-emamectin B1a의 잔류물 총합을 농산물에
대하여 적용하고, 육제품 및 수산 제품에 대하여는
emamectin benzoate로 계산되는 emamectin B1a 및
8,9-Z-emamectin B1a의 잔류물 총합을 적용하였음
endosulfa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alpha-endosulfan과
52 ENDOSULFAN
beta-endosulfan의 잔류물 합으로 설정되었음
enrofloxaci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enrofloxacin 및
53 ENROFLOXACIN
ciprofloxacin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epoxiconazol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이성질체의 잔류물 총
54 EPOXICONAZOLE
합으로 설정되었음
Eprinomectin은 eprinomectin의 주성분인 eprinomectin
55 EPRINOMECTIN
B1a을 의미함
ethychlozat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ethychlozate로 계산되
56 ETHYCHLOZATE 는 ethychlozate 및 5-chloro-3(1H)-indazole acetate 잔
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57 FEBANTEL OXFENDAZOLE, FEBANTEL, FENBENDAZOLE 참조
fenamidon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육제품 및 수산 제품에
대하여는 fenamidone 및 fenamidone으로 계산되는
58 FENAMIDONE 5-methyl-5-phenylimidazolin-2,4-dione 잔류물의 합으
로 설정되었으며, 기타 식품에 대하여는 fenamidone 잔류물
의 양으로 설정되었음
59 FENBENDAZOLE OXFENDAZOLE, FEBANTEL, FENBENDAZOLE 참조
fenoxaprop-ethyl 최대잔류허용기준은 fenoxaprop-ethyl
및 fenoxaprop-ethyl로 계산되는 fenoxaprop, fenoxaprop
60 FENOXAPROP-ETHYL
P, fenoxaprop P-ethyl, 및 CDHB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
되었음
fenpyroxim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E)-fenpyroximate 및
61 FENPYROXIMATE
(Z)-fenpyroximate 잔류물의 총합을 설정되었음
fenti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fentin으로 계산되는
62 FENTIN triphenyltin hydroxide, triphenyltin acetate 및
triphenyltin chloride을 포함
fentrazamid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fentrazamide와 CPT를
63 FENTRAZAMIDE
포함
fenvaler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그 이성질체 잔류물의 총합
64 FENVALERATE 으로 설정되었으며, Fenvalerate 잔류물은 esfenvalerate을
포함
ferimzon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E)-ferimzone 및
65 FERIMZONE
(Z)-ferimzone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 29 -
flonicamid 최대잔류허용기준은 농산물 및 가공식품의 경우
flonicamid, N-(4-trifluoromethylnicotinyl)glycine 및
4-trifluoromethyl nicotinic acid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
66 FLONICAMID 었으며, 육제품 및 수산 제품의 경우 flonicamid,
4-trifluoromethyl nicotinic acid, 그리고
4-trifluoromethylnicotine amid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
었음
fluazifop 최대잔류허용기준은 fluazifop-butyl 및
67 FLUAZIFOP fluazifop-butyl로 계산되는 fluazifop, fluazifop P 및
fluazifop P-butyl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flucythrin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이성질체 잔류물의 총합으
68 FLUCYTHRINATE
로 설정되었음
flumethr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이성질체 잔류물의 총합으로
69 FLUMETHRIN
설정되었음
fluvalin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이성질체 잔류물의 총합으로
70 FLUVALINATE
설정되었음
fosetyl 최대잔류허용기준은 fosetyl과 fosetyl로 계산되는
phosphorous acid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Phosphorous acid는 비료로 사용되기도 함. 식품위생법 11
71 FOSETYL
조에 해당하는 위반사항을 정의하기 위해서, fosetyl이 비료
로서 사용되었는지 화학물질로서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함
furametpyr 최대잔류허용기준은 fosetyl 및 furametpyr로
72 FURAMETPYR 계산되는 hydroxyl analogues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

furathiocarb 최대잔류허용기준은 furathiocarb와
furathiocarb로 계산되는 carbofuran (a metabolite of
furathiocarb) and 3-OH carbofuran (a metabolite of
73 FURATHIOCARB carbofuran)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furathiocarb이
검출되었을 경우 furathiocarb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적용이
가능하지만, 대사물이 검출된 경우는 furathiocarb의 최대잔
류허용기준을 적용하지 않음
74 GIBBERELLIN Gibberellin은 gibberellin A3를 의미함
glufosin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곡물, 콩류, 땅콩, 종자 및
사탕무의 경우 glufosinate와 glufosinate로 계산되는
N-acethylglufosinate, 3-methylphosphinico-propionic
75 GLUFOSINATE acid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고, 기타 식품의 경우
glufosinate와 3-methylphosphinico-propionic acid의 잔
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Glufosinate는 glufosinate-ammonium을 포함

glyphos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glyphosate,


glyphosate-ammonium, glyphosate- isopropylamine,
76 GLYPHOSATE
glyphosate-trimesium 및 glyphosate sodium salts 잔류물
을 포함
heptachlor 최대잔류허용기준은 heptachlor와
77 HEPTACHLOR
heptachlorepoxide의 잔류물을 포함

- 30 -
hydrogen phosphid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hydrogen
HYDROGEN phosphide와 hydrogen phosphide로 계산되는 aluminum
78 PHOSPHIDE phosphide, magnesium phosphide 및 zinc phosphide의 잔
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IMAZAMOX-AMMONIU imazamox-ammonium 최대잔류허용기준은 imazamox와
79 M imazamox-ammonium의 잔류물을 포함
imibenconazol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imibenconazole과
imibenconazole로 계산되는 debenzylated imibenconazole
80 IMIBENCONAZOLE
[2,4-dichloro-2-(1,2,4-triazole-1-yl) acetanilide] 및
2,4-dichloroaniline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iminoctadin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iminoctadine,
81 IMINOCTADINE iminoctadine-triacetate 및 iminoctadine- albesilate의 잔
류물을 포함
iodosulfuron methyl 최대잔류허용기준은 iodosulfuron
IODOSULFURON
82 METHYL methyl 및 iodosulfuron methyl로 계산되는 iodosulfuron
methyl sodium salt 잔류물을 포함
iprodion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iprodione 및
83 IPRODIONE N-(3,5-dichlorophenyl)-3-isopropyl-2,4-dioxoimidazo
line-1-carboxamide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isofenphos 최대잔류허용기준은 isofenphos와 isofenphos로
84 ISOFENPHOS
계산되는 isofenphos-oxon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Ivermectin은 주성분인 22,23-dihydroavermectin B1a를
85 IVERMECTIN
의미함
86 LINDANE Lindane은 gamma-BHC를 의미함
maleic hydrazide 함량은 Maleic Acid 분석 방법1에 의해
얻어지는 maleic hydrazide, maleic hydrazideglycoside 및
87 MALEIC HYDRAZIDE
hydrazine 값으로 결정됨. 분석 방법2를 통해서는 maleic
hydrazide 및 maleic hydrazide glycoside의 값으로 결정됨
MCPA 최대잔류허용기준은 MCPA, MCPA ethyl ester,
88 MCPA MCPA sodium salts 및 MCPA thioethyl ester
(phenothiol)의 잔류물을 포함
mecoprop 최대잔류허용기준은 mecoprop 및 mecoprop P를
89 MECOPROP
포함
90 MEFENOXAM METALAXYL, MEFENOXAM 참조
mepanipyrim 최대잔류허용기준은 mepanipyrim 및
91 MEPANIPYRIM mepanipyrim으로 계산되는 mepanipyrim propanol 잔류물
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METALAXYL and metalaxyl 및 mefenoxam 최대잔류허용기준은 metalaxyl
92 MEFENOXAM 및 mefenoxam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93 METAM DAZOMET, METAM, METHYL ISOTHIOCYANATE 참조
methamidophos 최대잔류허용기준은 acephate-derived
94 METHAMIDOPHOS
methamidophos 잔류물을 포함
methiocarb 최대잔류허용기준은 methiocarb 및 methiocarb
95 METHIOCARB 로 계산되는 methiocarb sulphoxide, methiocarb sulphone
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96 METHOMYL THIODICARB, METHOMYL 참조
METHYL
97 ISOTHIOCYANATE DAZOMET, METAM, METHYL ISOTHIOCYANATE 참조

- 31 -
metolachlor 최대잔류허용기준은 metolachlor 및
98 METOLACHLOR
S-metolachlor 잔류물을 포함
metominostrob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99 METOMINOSTROBIN (E)-metominostrobin 및 (Z)-metominostrobin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metribuz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metribuzin 및 metribuzin으
100 METRIBUZIN 로 계산되는 deaminometribuzin, diketometribuzin,
deaminodiketometribuzin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milbemect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milbemectin A3 및
101 MILBEMECTIN
milbemectin A4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102 NALED DICHLORVOS, NALED 참조
Nicarbazin은 주성분인 N,N’-bis-(4-nitrophenyl) urea
103 NICARBAZIN
을 의미함
nitenpyram 최대잔류허용기준은 nitenpyram 및 nitenpyram
104 NITENPYRAM 으로 계산되는 CPF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으며,
Nitenpyram 잔류물은 CPM과 CPMF을 포함
최대잔류허용기준은 두가지 잔류물의 합으로 표현되었음
105 NITRAPYRIN (nitrapyrin 및 대사물인 6-chloropicolinic acid (6-CPA)).
6-CPA는 free 및 conjugated forms의 6-CPA를 포함
한계치(limit)는 orysastrobin 및
(2E)-2(methoxyimino)-2-{2-[(3E,5Z,6E)-5-(methox
106 ORYSASTROBIN yimino)-4,6-dimethyl-2,8-dioxa-3,7-diazanona-3,6-
dien-1-yl]phenyl}-N-methylacetamide의 잔류물 총합으
로 정의되었음
oxfendazole, febantel 및 fenbendazole의 최대잔류허용기준
OXFENDAZOLE, 은 oxfendazole sulfone 및 oxfendazole sulfone으로 계산
107 FEBANTEL and
FENBENDAZOLE 되는 oxfendazole, febantel 및 fenbendazole의 잔류물 총합
으로 설정되었음
oxytetracycline, chlortetracycline 및 tetracycline 최대잔
류허용기준은 oxytetracycline, chlortetracycline 및
OXYTETRACYCLINE, tetracycline 잔류량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이와같은 잔류
108 CHLORTETRACYCLINE
and TETRACYCLINE 물의 합으로 최대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된 식품의 경우는 그 최
대잔류허용기준을 적용하고, oxytetracycline 잔류량으로 설
정된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사용할 수 없음
permethr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이성질체 잔류물의 총합으로
109 PERMETHRIN
설정되었음
phenothr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이성질체 잔류물의 총합으로
110 PHENOTHRIN
설정되었음
pirlimyc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간에서는 pirlimycin 및
pirlimycin으로 계산되는 pirlimycin sulfoxide 잔류물의 총
111 PIRLIMYCIN
합으로 설정되었으며, 내장에서는 pirlimycin의 잔류물로만
설정되었음
prochloraz 최대잔류허용기준은 prochloraz 및 prochloraz로
계 산 되 는
N-folumyl-N-1-propyl-N-[2-(2,4,6-trichlorophenox
112 PROCHLORAZ
y) ethyl] urea, N-propyl-N-[2-(2,4,6-trichloro
phenoxy) ethyl] urea, 2,4,6-trichlorophenol의 잔류물 총
합으로 설정되었음

- 32 -
PROHEXADIONE-CALCI Prohexazione-calcium 함량은 prohexazione로부터 변환된
113 UM 값을 의미함
prohydrojasmo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trans-isomer 및
114 PROHYDROJASMON
epi-isomer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propamocarb 최대잔류허용기준은 propamocarb 및
115 PROPAMOCARB
propamocarb hydrochloride의 잔류물을 포함
propoxycarbazon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propoxycarbazone
116 PROPOXYCARBAZONE
및 sodium propoxycarbazone의 잔류물을 포함
pyrethr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pyrethrin I 및 pyrethrin II
117 PYRETHRINS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pyrid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pyridate 및 pyridate로 계산
118 PYRIDATE 되는 hydroxy analogues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으며,
Pyridate 잔류물은 hydroxy conjugate를 포함
pyrifenox 최대잔류허용기준은 (E)-pyrifenox 및
119 PYRIFENOX
(Z)-pyrifenox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pyriminobac-methyl 최대잔류허용기준은
PYRIMINOBAC-METHY
120 L (E)-pyriminobac-methyl 및 (Z)-pyriminobac-methyl의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quizalofop-ethyl 최대잔류허용기준은 quizalofop,
121 QUIZALOFOP-ETHYL quizalofop-ethyl, quizalofop-P, quizalofop-P-ethyl 및
quizalofop-P-tefuryl의 잔류물을 포함
resmethr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이성질체 잔류물의 총합으로
122 RESMETHRIN
설정되었음
sethoxydim 최대잔류허용기준은 sethoxydim 및
123 SETHOXYDIM sethoxydim으로 계산되는 MSO, MSO2, M2S, M2SO,
M2SO2 및 5-OH-MSO2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spinosad 최대잔류허용기준은 spinosin A 및 spinosin D의
124 SPINOSAD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spiramyc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돼지고기의 경우
spiramycin I과 항박테리아 활성이 동등한 spiramycin, 및
125 SPIRAMYCIN spiramycin I으로 계산되는 대사물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
되었으며, 기타 식품의 경우 spiramycin I 및
neo-spiramycin I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126 STREPTOMYCIN DIHYDROSTREPTOMYCIN, STREPTOMYCIN 참조
TCMTB는 2-(thiocyanomethylthio) benzothiazole를 의미
127 TCMTB

tecloftalam 최대잔류허용기준은 tecloftalam 및
128 TECLOFTALAM
tecloftalamimide의 잔류물을 포함
tepraloxydim 최대잔류허용기준은 tepraloxydim 및
tepraloxydim으로 계산되는 DMP, OH-DMP의 잔류물 총합
129 TEPRALOXYDIM
으로 설정되었음. Tepraloxydim 잔류물은 5-OH-DP을 포
함함 
OXYTETRACYCLINE, CHLORTETRACYCLINE 및
130 TETRACYCLINE
TETRACYCLINE 참조
thiabendazol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육제품 및 수산제품의 경
우 thiabendazole 및 5-hydroxythiabendazole 잔류물의 합
131 THIABENDAZOLE
으로 설정되었으며, 기타 식품의 경우 thiabendazole 잔류물
의 함량으로 설정되었음

- 33 -
132 THIOCYCLAM CARTAP, THIOCYCLAM 및 BENSULTAP 참조
thiodicarb 및 methomyl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methomyl
THIODICARB and
133 METHOMYL 및 methomyl로 계산되는 thiodicarb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
정되었으며, Methomyl 잔류물은 methomyloxime을 포함
CARBENDAZIM, THIOPHANATE, THIOPHANATE-METHYL
134 THIOPHANATE
및 BENOMYL 참조
THIOPHANATE-METH CARBENDAZIM, THIOPHANATE, THIOPHANATE-METHYL
135 YL 및 BENOMYL 참조
rice에 대한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세가지 잔류물(tiadinil 및
두 가지 대사물인 4-methyl-1,2,3-thiadiazole-5-caboxylic
136 TIADINIL acid와 4-hydroxymethyl-1,2,3-thiadiazole- 5-carboxylic
acid)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해양 동물에 대한 최대잔류허용
기준은 tiadinil 잔류물의 양으로 설정되었음
137 TRALOMETHRIN DELTAMETHRIN, TRALOMETHRIN 참조
trenbolone acet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간에서는
TRENBOLONE alpha-trenbolone, 근육에서는 beta-trenbolone, 내장에서
138 ACETATE 는 alpha-trenbolone 및 beta-trenbolone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Triadimenol은 triadimefon의 대사물임. triadimenol 최대잔
139 TRIADIMENOL 류허용기준은 triadimenol 뿐만 아니라, parent triadimefon
을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잔류물을 포함
triclabendazole 잔류물 수치는 triclabendazole 및
5-chloro-6-(2,3-dichlorophenoxy)-benzimidazol-2-o
140 TRICLABENDAZOLE
ne( triclabendazole 대사물 유도체)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
되었음
triflumizol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triflumizole 및 triflumizole
로 계산되는 대사물 4-chloro-α,α,α
141 TRIFLUMIZOLE
-trifluoro-N-(1-amino-2-propoxyethylidene)-o-tolui
dine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trinexapac-ethyl 최대잔류허용기준은 trinexapac-ethyl 및
142 TRINEXAPAC-ETHYL trinexapac-ethyl로 계산되는 trinexapac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uniconazole P 최대잔류허용기준은 uniconazole P 및
143 UNICONAZOLE P
uniconazole의 잔류물을 포함
vamidothio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vamidothion 및
144 VAMIDOTHION vamidothion으로 계산되는 vamidothion-sulfoxide 및
vamidothion-sulfone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라. 호주
농업 및 동물용 화학물질 규제에 있어 호주․뉴질랜드 식품표준청(Food Standards
Australia New Zealand: FSANZ)의 역할은 식품 내 잠재적 잔류물이 적절한 안전성
한계 내에 있다는 것을 보증함으로써 공중위생과 안전을 도모하고 현행 MRL을 유지
함으로써 기업 및 관계기관을 지원하는 것이다. 식이노출평가는 현행 건강 참고표준과

- 34 -
관련하여 제시된 대로 MRL을 설정하면 공중 보건 및 안전성 문제가 드러나지 않는다
는 것을 보여준다.
식품의 농약 및 동물약품 잔류물 규제에 관한 각료 정책지침이 FSANZ에 제공되었
다. 이 각료 정책지침의 목적은 식품의 농약 및 동물약품 잔류물 규제를 둘러싼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대체 방안을 FSANZ가 검토할 틀을 만드는 것이다. 정책 지침에 약술된
정책 원리는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해 FSANZ가 검토할 대체 방안에만 적용된다. 이해당
사자들과 논의하여, FSANZ는 식품의 잔류물질을 규제하기 위한 방안을 조사한다.
식품의 농약 잔류물에 대한 기준을 변경하기 위해서 신청서를 제출하며, FSANZ는
최종 평가를 내리는데 도움이 되는 초기/초안 평가신청서에 관한 제출물을 검토하게
된다.

마. 우리나라
우리나라는 1988년 17종 농약에 대한 기준설정을 시작으로 거의 매년 기준의 설정
및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농약의 잔류허용기준 설정현황은 표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산물, 인삼, 축산물, 차로 구분되었다가 2006년부터 차가 농산물로 포함되어 설정되어
지고 있다.
최근 들어 과학적인 근거 자료들이 생성됨에 따라 과학적 근거에 의해 기준설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상 농약과 농산물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특히 국내
에 새롭게 등록되어지거나 변경되는 농약에 대해서는 농촌진흥청으로부터 받은 작물잔
류시험성적을 근거로 기준 설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국제기준과의 조화 및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기준 설정과 관리를 위해 검토가 이

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기준 설정된 농약 중 일부에 대해 재평가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 35 -
[표 2-2] 우리나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 현황(History of Establishment of Pesticide
MRLs in Korea)

□ 농산물(Agricultural Products)

고시번호 고시일 시행일 농약수 비 고


(No. of (Date of (Date of (No. of (Remark)
notication) notication) enforcement) pesticides)
1988- 60 1988. 09. 13 1989. 09. 01 17종 최초신설

1990- 85 1990. 12. 24 1992. 01. 01 16종 농약신설

1991- 88 1991. 12. 30 1993. 01. 01 5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1992- 40 1992. 05. 07 1992. 05. 07 - 개정

1993- 72 1993. 08. 27 1993. 08. 27 - 개정

1993-102 1993. 12. 31 1995. 01. 03 67종 농약신설

1994- 6 1994. 03. 07 1995. 01. 03 - 개정

1994- 28 1994. 07. 22 1994. 07. 22 - 개정

1995- 6 1995. 02. 17 1996. 01. 03 41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1996- 10 1996. 02. 27 1996. 09. 01 92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확대

1996- 74 1996. 12. 05 1996. 12. 05 60종 농약신설

1998- 58 1998. 05. 11 1998. 05. 11 15종 개정

2000- 16 2000. 03. 31 2000. 05. 01 17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1- 4 2001. 01. 12 2001. 04. 01 54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2- 1 2002. 01. 04 2002. 04. 01 44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2- 66 2002.012.05 2003. 04. 01 94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4- 18 2004. 03. 03 2004. 04. 01 97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5- 18 2005. 04. 08 2005. 06. 01 83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건조농산물 및 밀가루 신설,
2006- 15 2006. 04. 20 2006. 04. 20 31종
차 기준 농산물에 포함
2006- 55 2006. 12. 01 2006. 12. 01 70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7- 63 2007. 09. 06 2007. 09. 06 115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8. 01. 01 19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7- 68 2007. 10. 18 2008. 04. 01 27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8- 51 2008. 08. 13 2008. 08. 13 78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8- 70 2008. 11. 07 2008. 11. 07 13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 36 -
□ 축산물(Animal Foods)
고시번호 고시일 시행일 농약수
비 고
(No. of (Date of (Date of (No. of
(Remark)
notication) notication) enforcement) pesticide)
1994-29 1994. 07. 26 1995. 03. 01 17종 최초신설
1996-10 1996. 03. 04 1996. 09. 04 52종 농약신설

2004-18 2004 .03. 03 2004. 04. 01 74종 농약신설 및 식육 확대

2004-81 2004. 10. 22 2004. 10. 22 개정

□ 인삼(Ginseng)
최초신설
1995-42 1995. 08. 23 1996. 10. 01 11종
수삼 25% 적용
1995-66 1995. 12. 29 1996. 01. 06 인삼농축액 200% 적용
2001- 4 2001. 01. 12 2001. 04. 01 7종 농약신설
2002- 1 2002. 01. 04 2002. 04. 01 2종 농약신설
2002-66 2002. 12. 05 2003. 04. 01 2종 농약신설
2004-18 2004. 03. 03 2004. 04. 01 4종 농약신설
2005-18 2005. 04. 08 2005. 06. 01 1종 농약신설
수삼 25%, 농축액 200%
2006-15 2006. 04. 20 2007. 01. 01 20종 삭제하고, 수삼, 건삼, 홍
삼 및 농축액별 기준설정
2006-55 2006. 12. 01 2006. 12. 01 8종 농약 신설
2007-63 2007. 09. 06 2007. 09. 06 24종 개정
2007-68 2007. 10. 18 2008. 04. 01 1종 개정
2008-51 2008. 08. 13 2009. 01. 01 13종 농약신설
2008-70 2008. 11. 07 2009. 04. 01 1종 농약신설

□ 차(Tea)
고시번호 고시일 시행일 농약수
비 고
(No. of (Date of (Date of (No. of
(Remark)
notication) notication) enforcement) pesticide)
2000-16 2000. 03. 31 2000. 05. 01 3종 최초신설
2001- 4 2001. 01. 12 2001. 04. 01 17종 농약신설
2002- 1 2002. 01. 04 2002. 04. 01 2종 농약신설
2002-66 2002. 12. 05 2003. 04. 01 1종 농약신설
2005-18 2005. 04. 08 2005. 06. 01 1종 농약신설
2006-15 2006. 04. 20 2006. 04. 20 24종 페지 후 농산물에 포함

- 37 -
2.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재평가
가. 재평가 방법 및 원칙
1) 전문가 풀 구성 및 운영
식품 중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재평가, 축산물에 대한 기준설정(안) 검토 등을 위하여
농약관련 전문가 Pool을 산, 학, 연, 관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구성 현황
은 표 2-3과 같다. 구성된 전문가풀은 협의회 형식으로 운영하면서 정기적인 협의회
개최, Workshop 등을 통해 기준안 등에 대해 자문을 하였다.

[표 2-3] 농약관련 전문가 Pool 구성 현황

구분 소속 직위 성명 분 야 비고
학계 건국대학교 교수 경석헌 농약 화학적 특성
충북대학교 교수 경기성 농약잔류시험
고려대학교 교수 박영식 식품분류
산업계 동부하이텍 차장 양규완 농약포장시험
신젠타(주) 차장 구두효 농약등록관리
경농(주) 부장 이창규 농약등록관리
한국작물보호협회 차장 이재학 잔류시험관리
관계 농업과학기술원 과장 임건재 농약잔류평가
농업과학기술원 연구사 이희동 농약잔류평가
연구계 전북농업기술원 - 송병훈 농약관리
계 10명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잔류농약전문가 협의회 운영지원을 위하


여 협의회 검토 안건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였다. (그림 2-4, 5)

잔류농약 전문가 협의회 자료는 제2차, 4차부터 7차까지의 자료를 정리하여 지원하였

으며, 검토안건은 농촌진흥청에서 제시한 작물잔류시험 성적, 기준안에 대한 식품섭취


량, 일일섭취허용량 등의 자료를 취합하여 정리하였다. 정리된 자료는 식약청 홈페이지

중 농약잔류데이터베이스 화면에서 해당 구성항목별로 입력하여 신속한 활용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 38 -
[그림 2-4] 식약청 홈페이지 농약잔류허용기준제안서 5차 외국의 농약잔류허용기준 data 입력

- 39 -
[그림 2-5] 식약청 홈페이지 농약잔류허용기준제안서 5차 작물잔류시험성적data입력

- 40 -
2) 국내 기준 설정 농약의 제․개정 현황
국내 기준 설정 농약의 이력사항을 확인하기 위하여 1988년 최초 농약기준이 설정된
이후 지금까지의 농약별 기준 설정 이력 현황을 조사 정리하였으며, 일부 농약은 기준
설정 현황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미확인으로 표시하였다.

나. 재평가 및 개정(안)
현 기준 설정 농약중 불합리한 기준의 재평가를 통하여 기준 개정(안)을 제시하기위

하여 농약제조업체 의견수렴을 위해 한국작물보호협회에 의견을 요청하였다. 협회에서


는 회원사에 기준 개정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취합된 의견을 제시하였다.

1) 기존 설정기준 개정 의견

현행 제안
성분명 현행기준 검토의견 비 고
번호 MRL

기 등록 약제보다 적은 약량이
투 여되 나E t of e np r ox +
고추 2.0 2004년도
85 Ethofenprox 5.0 Methoxyfenzide (8+3.2 %)SE 가
ppm 전북대학교
MRL 근접이유로 품목등록 보류
중으로 상향조정 필요

33차 소위 결과, MRL 설정 후 2004-5년


86 Ethoprophos 인삼 - 0.5
검토키로 함. 바이엘

참외 0.1 MRL 설정시 입제 성적사용, 현 2007년


101 Imidacloprid 0.5
ppm 재 희석제 등록 추진중 바이엘*

* 작물잔류시험 등 관련 자료
1. Imidacloprid 8% SC 의 참외 잔류성 시험(2007, 바이엘)

2) 추가 설정 의견
농촌진흥청에서 현재 기준이 설정된 농약중 추가로 농산물이 등록된 농약에 대해서

기준 설정을 의뢰한 것은 표 2-4와 같다. 추가설정을 요청한 농약은 65성분 48농산물

139건이다.
동 요청안은 농약제조사에서 제출한 작물잔류 시험성적을 근거로 잔류 특성 및 마진

을 고려하여 작성되었다.

- 41 -
[표 2-4] 농약잔류허용기준 추가 요청 의견

농약성분명 적용 농산물(잔류허용기준요청안) (단위 : mg/kg)

Acequinocyl 유자(2.0)
Acetamiprid 자두(0.1), 복분자(0.5)
Acrinathrin 딸기(1.0)
Azoxystrobin 포도(1.0) → 포도(머루포함,1.0), 들깻잎(5.0)
Benthiavlicarb 고추(1.0), 피망(단고추, 1.0), 토마토(1.0)
Bifenthrin 인삼(수삼, 0.5), 인삼(건삼, 0.5)
Boscalid 자두(1.0), 호박(1.0), 파(7.0)
Cadusafos 멜론(0.05), 오이(0.05)
Carbendazim 포도(1.0) → 포도(머루포함, 2.0)
Carbofuran 배추(0.3 → 0.2), 감(0.07)
Carbosulfan 멜론(0.05), 땅콩(0.05), 겨자채(0.05)
Chlorfenapyr 구기자(건조, 2.0)
Chlorfluazuron 복분자(1.0), 시금치(1.0)
Chlorothalonil 파(2.0)
Clothianidin 밤(0.05)
Cyazofamid 파(1.0)
Cyflumetofen 딸기(1.0), 배(1.0), 수박(0.5), 참외(1.0)
DBEDC 수박(0.2)
Diazinon 겨자채(0.05)
Difenoconazole 포도(1.0) → 포도(머루포함, 1.0), 파(0.05, 대파 → 1.0)
Dimethenamid-p 양파(0.2)
Dinotefuran 호박(0.5), 복숭아(1.0), 겨자채(2.0)
Dithianon 포도(3.0) → 포도(머루포함, 5.0)
Emamectin benzoate 인삼(수삼, 0.05), 인삼(건삼, 0.05), 복숭아(0.2), 들깻잎(0.05)
Ethephon 감(5.0)
딸기(0.5), 마늘(0.2), 살구(1.0), 체리(양앵두, 0.7), 대추(건조포함, 1.0),
Etofenprox
포도(1.0) → 포도(머루포함, 2.0)
Etoxazole 부추(3.0)
Etridiazole 인삼(수삼, 3.0), 인삼(건삼, 5.0)
Fenamidone 수박(0.2)
Fenbuconazole 쌀(0.1)
Flonicamid 감자(0.5), 복숭아(1.0)
Fluazifop-p-butyl 당귀(0.3), 더덕(0.05), 들깻잎(0.1)
Flufenoxuron 오이(0.3)
Fluopicolide 수박(1.0)
Flutolanil 양파(0.05)
Hexaconazole 지치(건조, 0.2)

- 42 -
가지(5.0), 들깻잎(5.0), 배추(5.0), 상추(5.0), 양배추(5.0),
Hydrogen cyanide
오이(5.0), 호박(5.0)
Imibenconazole 차(건엽, 0.2)
Imidacloprid 호박(0.3)
자두(0.1), 옥수수(0.2), 대추(건조포함, 0.3), 포도(머루포함, 0.3),
Indoxacarb
자두(0.3), 살구(0.2), 체리(양앵두, 0.2)
Iprovalicarb 부추(0.3)
Kresoxim-M 호박(0.2), 포도(5.0) → 포도(머루포함, 5.0)
Lufenuron 대추(건조포함, 2.0)
Mandipropamid 인삼(수삼, 0.1), 인삼(건삼, 0.2)
Metconazole 양파(0.1), 인삼(수삼, 2.0), 인삼(건삼, 5.0)
시금치(3.0), 대두(콩, 1.0), 인삼(수삼, 0.2), 인삼(건삼, 1.0), 살구(1.0),
Methoxyfenozide
체리(양앵두, 0.5), 대추(건조포함, 0.05), 포도(머루포함, 0.5)
Milbemectin 복분자(0.05)
Novaluron 배(0.7), 수박(0.1)
Oxolinic acid 강할(건조, 7.0)
Pencycuron 지치(건조, 1.0)
Pyraclostrobin 자두(1.0)
복숭아(3.0), 사과(0.5), 딸기(2.0), 브로콜리(녹색꽃앙배추, 3.0),
Pyridalyl
자두(1.0)
Pyriproxyfen 고추(0.5), 피망(단고추, 0.5)
Sethoxydim 인삼(수삼, 0.2), 인삼(건삼, 0.2)
Spinosad 포도(머루포함, 0.5), 복분자(0.2)
Spirodiclofen 가지(1.0), 고추(5.0), 피망(단고추, 5.0), 참외(0.3)
Spiromesifen 고추(3.0), 피망(단고추, 3.0)
Teflubenzuron 복분자(1.0), 살구(0.2), 체리(양앵두, 0.2)
Tefluthrin 부추(3.0)
Thiacloprid 밤(0.1), 인삼(수삼, 0.2), 인삼(건삼, 0.2), 대추(건조포함, 0.5)
Thiametoxam 복분자(0.5)
Thifluzamide 지치(건조, 1.0)
Thiodicarb 대추(건조포함, 0.05), 포도(머루포함, 2.0)
Trifloxystrobin 배(0.1), 자두(1.0), 포도(0.5) → 포도(머루포함, 0.5)
Zoxamide 부추(3.0)

- 43 -
2) 잔류허용기준 개선방안에 대한 업계 의견

○ MRL 설정시 잔류 가능성이 높은 제형 사용 및 사용 형태로 설정


○ 신규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시 설정 시기를 앞당기기 위한 농진청과 식약청과의

정보공유시스템 개발 요망

○ 기존 설정된 잔류허용기준 변경시 변경 근거(사용 검토된 잔류자료 등)가 없으므


로 제형, 유효성분량, 처리방법 등에 따라 잔류량의 차이가 크므로 설정 근거를

명기해서 개정(안)을 통보해 줘야 개정의 타당성을 검토할 수 있으므로 매번

MRL개정시 개정코자하는 근거를 명시해 주기 바람.

3. 축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 개정(안)


가. 개정(안) 작성 절차

1) 대상 농약의 선정

매년 CODEX에서는 농약잔류 시험성적 및 인체 위해성 평가 결과를 토대로 축산물


중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새로이 제․개정하고 있다. 2008년 현재 기준 설정된 농약은

Bentazone 등 98개 물질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국제기준 등을 참고하여 축산물중 농약

의 잔류허용기준 제․개정을 4회 한바 있으며, Acephate 등 총 87물질 (2004.10.22)에


대해 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현행 국내기준과 CODEX기준이 상이한 물질은 22종이며, 그 내용은 표 2-5와 같다.

국제적 규제 동향을 고려할 때 기준 개정의 필요성은 있으며, 국내 축산물에 대한 농


약잔류 시험 성적이 부족한 점을 고려할 때 국제기준(Codex)과의 조화가 이루어지도록

국내기준을 제․개정할 필요가 있으며, 대상 농약도 그에 준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표 2-5] Codex 기준과 우리나라 기준의 차이

구 분 우리나라 CODEX 비 고
∘기준설정공통 물질수: 60종
설정물질수 87 * 98 * ∘국내 미설정물질수: Novaluron 등 38종
∘국내만 설정한 물질수: Mecabam 등 27종

* aldrin과 dieldrin을 하나의 물질로 산정

- 44 -
2) 기준설정 방법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인 해당 가축의 부위별 농약 잔류시험


성적 등에 관한 자료가 거의 없으므로, CODEX, 미국, 일본 그리고 호주의 축산물에

대한 농약잔류 허용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동 비교 결과와 현재 국내 기준과를 비교

검토하였고 이중 가장 합리적이며, 국제 기준과의 조화 측면에서 CODEX 기준을 적용


하여 기준 개정(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3) 위해평가 검토
각 농약별 위해평가시 고려사항은 원칙적으로 ADI 대비 농약 섭취량을 농산물에

80%를 배정하고, 축산물, 음용수, 기타 환경에 의한 섭취량을 20%로 하는 것으로 검

토 하였다. 따라서 각 농약별 현재 농산물에 기준이 설정된 경우의 TMDI에 대해 축


산물에 대한 기준 설정시 추가로 섭취하게 되는 농약의 양을 포함하여 안전성을 확인

하였다.

나. 농약잔류허용기준 개정(안)

외국의 기준, 코덱스와의 조화를 위한 검토 및 위해평가를 통해 검토된 축산물의 농


약잔류허용기준 개정(안)은 다음과 같으며, 동 기준(안)은 식품공전의 작성체계에 따라

정리하였다. 동 기준안의 시행을 위해서는 개정된 기준에 대한 분석법이 같이 검토되어

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해서는 관련 기관과의 협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식품공전 [별표 6] 축산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식품명 ppm 식품명 ppm 식품명 ppm

[별표 6], (1) 감마-비에치씨(γ-BHC) 중 “쇠고기 2.0(f)”, “돼지고기 2.0(f)”, “염소고기


2.0(f)”, “양고기 2.0(f)”를 각각 삭제하고, “가금류고기 2.0(f)”을 “가금류고기 0.05(f)"로 하
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0.1(f)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부산물 0.01
유 0.01

- 45 -
[별표 6], (2)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중 “쇠고기 0.1”, “돼지고기 0.1”, “소 2.0”을 각각
삭제하고, “가금류고기 0.1”을 “가금류고기 0.05”, “돼지부산물 1.0”을 “돼지부산물 0.5”,
“유 0.1”을 ”유 0.05“, “알 0.1”을 “알 0.05”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0.05 포유류부산물 0.05 가금류부산물 0.5

[별표 6], (3) 다이아지논(Diazinon) 중 “쇠고기 0.7(f)”를 “쇠고기 2.0(f)", ”돼지고기 0.7(f)
를 돼지고기 2.0(f)", "양고기 0.7(f)“를 ”양고기 2.0(f)"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
다.
염소고기 2.0(f) 닭고기 0.02 닭고기부산물 0.02
소신장 0.03 돼지신장 0.03 염소신장 0.03
양신장 0.03 소간장 0.03 돼지간장 0.03
염소간장 0.03 양간장 0.03

[별표 6], (4) 델타메쓰린(Deltamethrin) 중 “포유류부산물 0.5(f)”을 삭제하고, “가금류고


기 0.01"을 ”가금류고기 0.1(f)", “가금류부산물 0.01”을 “가금류부산물 0.02”, “유 0.02(F)"
을 ”유 0.05(F)", "알 0.01“을 ”알 0.02“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소신장 0.03 돼지신장 0.03 양신장 0.03
염소신장 0.03 소간장 0.03 돼지간장 0.03
양간장 0.03 염소간장 0.03

[별표 6], (6) 디메티핀(Dimethipin) 중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별표 6], (8) 디크로보스(Dichlovos) “쇠고기 0.02(N)"를 삭제한다.

[별표 6], (9) 디프루벤주론(Diflubenzuron) 중 “포유류고기 0.05”를 “포유류고기 0.1(f)", ”


유 0.05“를 ”유 0.02(F)"으로 하며, 다음 항목을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1

[별표 6], (10) 메소밀(Methomyl) 중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02 가금류고기 0.02 가금류부산물 0.02
알 0.02

[별표 6], (11) 메티오카브(Methiocarb) 항목을 삭제한다.

- 46 -
[별표 6], (12) 메카밤(Mecabam)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13) 메타미도포스(Methamidofos) 중 “쇠고기 0.01”, “염소고기 0.01”, “양고기


0.01”, “소지방 0.01”, “염소지방 0.01”, “양지방 0.01”을 각각 삭제하고, "유 0.01“을 ”유
0.02“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0.01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알 0.01

[별표 6], (14) 메타크리포스(Methacrifos)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15) 메토프렌(Methoprene) 중 “포유류부산물 0.1”을 “포유류부산물 0.02”, “우


유 0.05(f)"를 ”우유(0.1)“, ”알 0.05“를 ”알 0.02“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가금류고기 0.02 가금류부산물 0.02

[별표 6], (16) 메티다시온(Methidathion) 중 “사슴고기 0.02”를 삭제한다.

[별표 6], (17) 모노크로토포스(Monocrotophos)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18) 벤디오카브(Bendiocarb)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19) 빈클로졸린(Vinclozolin) 중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쇠고기 0.05 닭고기 0.05

[별표 6], (20) 싸이로마진(Cyromazine) 중 “양고기 0.05”를 삭제하고, 다음 항목을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3

[별표 6], (22) 싸이헥사틴(Cyhexatin)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23) 아미트라즈(Amitraz) 중 “양부산물 0.2”을 추가한다.

[별표 6], (24) 아세페이트(Acephate) 중 “소지방 0.1”, “돼지지방 0.1”을 삭제하고, “쇠고
기 0.1”을 “쇠고기 0.05”, “가금류고기 0.1”을 “가금류고기 0.01”, “유 0.1”을 “유 0.02”, “알
0.1”을 “알 0.01”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0.05 포유류부산물 0.05 가금류부산물 0.01

- 47 -
[별표 6], (25) 아조싸이클로틴(Azocyclotin)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26) 알드린 & 다이드린(Aldrin & Diedrin) 중 "가금류고기 0.2(f)"를 신설한다.

[별표 6], (28) 에디펜포스(Edifenphos)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29) 에티오펜카브(Ethiofencarb)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30) 에티온(Ethion)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31) 에트림포스(Etrimfos)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32) 엔도설판(Endosulfan): α, β 및 Endosulfansulfate 포함 중 “포유류고기


0.1”을 “포유류고기 0.2(f)", "유 0.1”을 “유 0.01”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가금류고기 0.03 가금류부산물 0.03 소신장 0.03
돼지신장 0.03 양신장 0.03 염소신장 0.03
소간장 0.1 돼지간장 0.1 양간장 0.1
염소간장 0.1 알 0.03

[별표 6], (33) 엔드린(Endrin) 중 “쇠고기 0.1”, “돼지고기 0.1”, “염소고기 0.1”, “말고기
0.1”, “양고기 0.1”을 삭제하고, “가금류고기 1.0”을 “가금류고기 0.1(f)”로 한다.

[별표 6], (34) 2, 4-D 중 “포유류고기 0.05”를 “포유류고기 0.2”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
각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5.0 가금류부산물 0.05

[별표 6], 2,4,5-T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이소펜포스(Isofenphos)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키노메티오냍(chinomethionat) 항목을 삭제한다.

- 48 -
[별표 6], (38) 카바릴(Cabaryl) 중 “가금류고기 0.5”, “가금류피부 5.0”, “유가공품 0.1”을
삭제하고, “유 0.1”을 “유 0.05”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0.05 소신장 3.0 돼지신장 3.0
양신장 3.0 염소신장 3.0 소간장 1.0
돼지간장 1.0 양간장 1.0 염소간장 1.0

[별표 6], (39) 카벤다짐(Carbendazim) 중 “양고기 0.1”을 삭제하고, “쇠고기 0.1”을 “쇠고
기 0.05”, “가금류고기 0.1”을 “가금류고기 0.05”, “유 0.1”을 “유 0.05”, “알 0.1”을 “알
0.05”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05 닭지방 0.05

[별표 6], (40) 카보퓨란(Carbofuran) 중 “사슴고기 0.05”, “소신장 0.05”, “돼지신장 0.05”,
“양신장 0.05”, “말신장 0.05”, “염소신장 0.05”, “소간장 0.05”, “돼지간장 0.05”, “양간장
0.05”, “말간장 0.05”, “염소간장 0.05” 을 삭제한다.

[별표 6], (41) 크로펜테진(Clofentezine) 중 “쇠고기 0.05”, 소부산물 0.1“을 삭제하고, ”유


0.01“을 ”유 0.05“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0.05 포유류부산물 0.05

[별표 6], (43) 클로르펜빈포스(Chlorfenvinphos)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46) 터브포스(Terbufos) 중 “쇠고기 0.05”, “닭고기 0.05”를 삭제하고, 다음 항


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0.05 포유류부산물 0.05 가금류고기 0.05
가금류부산물 0.05 유 0.01 알 0.01

[별표 6], (47) 트리아디메폰(Triadimefon) 중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부산물 0.01

[별표 6], (48) 트리클로르폰(Trichlorfon)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49) 파라쿼트(Paraquat) 중 “쇠고기 0.05”, “돼지고기 0.05”, “양고기 0.05”, “소
부산물 0.05”, “돼지부산물 0.05”, “양부산물 0.05”, “소신장 0.5”, “돼지신장 0.5”, “양신장
0.5”를 각각 삭제하고, “유 0.01”을 “유 0.005”, “알 0.01”을 “알 0.005”로 하며, 다음 항목

- 49 -
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0.005 포유류부산물 0.05 가금류고기 0.005
가금류부산물 0.005

[별표 6], (51) 페니트로치온(Fenitrothion : MEP) 중 "포유류부산물 0.05“를 삭제하고,


“포유류고기 0.05(F)”를 “포유류고기 0.05(f)”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가금류고기 0.05 알 0.05

[별표 6], (53) 펜부타틴옥사이드(Fenbutatin oxide) 중 “포유류부산물 0.05”를 “포유류부


산물 0.2”로 한다.

[별표 6], (54) 펜설포티온(Fensulfothion)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55) 펜티온: MPP (Fenthion: MPP)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56) 펜토에이트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57) 포레이트(Phorate) 중 “포유류고기 0.05”를 “포유류고기 0.02”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02 가금류고기 0.05 유 0.01
알 0.05

[별표 6], (58) 포살론(Phosalone)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59) 포스멭(Phosmet)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60) 폭심(Phoxim)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61) 푸루실라졸(Flusilazole) 중 “쇠고기 0.01”, “닭고기 0.01”, “소부산물 0.02”,
“소지방 0.01”, “닭부산물 0.01”을 각각 삭제하고, “우유 0.01”을 “유 0.05”, “계란 0.01”을
“알 0.1”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1.0(f) 가금류고기 0.2 가금류부산물 0.2

- 50 -
[별표 6], (62) 프로클로라즈(Prochloraz) 중 “쇠고기 0.1”, “소부산물 5.0”, “소지반 0.5”를
삭제하고, “유 0.1”을 “유 0.05”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0.5(f) 포유류부산물 10.0 가금류고기 0.05
가금류부산물 0.2 알 0.1

[별표 6], (63) 프로파자이트(Propargite) 중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1 가금류부산물 0.1

[별표 6], (64) 프로폭서(Propoxur)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66) 피리미카브(Pirimicarb) 중 “포유류고기 0.05”를 “포유류고기 0.01”, “유


0.05”를 “유 0.01”, “알 0.05”를 “알 0.01”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별표 6], (67) 피리미포스메틸(Pirimiphos-methyl) 중 “포유류고기 0.05”를 “포유류고기


0.01”, “유 0.05”를 “유 0.01”, “알 0.05”를 “알 0.01”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별표 6], (69) 디메토에이트(Dimethoate) 중 “포유류지방 0.05”를 삭제하고, “유 0.05”를


“우유 0.05”, “양유 0.05”, “염소유 0.05”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소부산물 0.05 양부산물 0.05

[별표 6], (70) 디설포톤(Disulfoton) 중 “유 0.01”을 “우유 0.01”, “양유 0.01”, “염소유
0.01”로 한다.

[별표 6], (71) 디페닐아민(Diphenylamine) 중 다음 항목을 신설한다.


우유 0.0004(F)

[별표 6], (72) 마이클로부타닐(Myclobutanil) 중 “가금류고기 0.1”을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1”을 “가금류부산물 0.01”, “우유 0.1”을 “우유 0.01”, “알 0.1”을 “알 0.01”
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쇠고기 0.01 소부산물 0.01

[별표 6], (73) 바이오레스메트린(Bioresmethrin) 항목을 삭제한다.

- 51 -
[별표 6], (74) 바이펜트린(Bifenthrin) 중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소신장 0.05 소간장 0.05

[별표 6], (75) 싸이플루쓰린(Cyfluthrin) 중 “우유 0.01(F)"를 ”유 0.04(F)“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1.0(f)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소신장 0.05 돼지신장 0.05 양신장 0.05
염소신장 0.05 소간장 0.05 돼지간장 0.05
양간장 0.05 염소간장 0.05 알 0.01

[별표 6], (76) 퀸토젠(Quintozene) 중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닭고기 0.1(f) 닭부산물 0.1

[별표 6], (77) 크레족심-메틸(Kresoxim-methyl) 중 “포유류지방 0.05”를 삭제하고, “우유


0.01”을 “유 0.01”로 한다.

[별표 6], (78) 트리아디메놀(Triadimenol) 중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부산물 0.01

[별표 6], (79) 트리아조포스(Triazophos)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80) 페나리몰(Fenarimol) 중 “소간장 0.02”를 “소간장 0.05”로 한다.

[별표 6], (81) 펜부코나졸(Fenbuconazole) 중 다음 항목을 신설한다.


쇠고기 0.05

[별표 6], (87)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 다음에 (88)부터 (127)까지를 각각 다음과 같


이 신설한다.

[별표 6], (88) (Glufosinate-ammonium)


포유류고기 0.05 포유류부산물 0.1 가금류고기 0.05
가금류부산물 0.1 유 0.02 알 0.05

- 52 -
[별표 6], (89) 노발루론(Novaluron)
포유류고기 10.0(f) 포유류부산물 0.7 가금류고기 0.01(f)
가금류부산물 0.01 유 0.4 유지방 7
알 0.01

[별표 6], (90) 디메텐아미드(Dimethenamid-P)


포유류고기 0.01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유 0.01 알 0.01

[별표 6], (91) 디치오카바메이트(Dithiocarbamates)


포유류고기 0.05 포유류부산물 0.1 가금류고기 0.1
가금류부산물 0.1 유 0.05 알 0.05

[별표 6], (92) 디코폴(Dicofol)


쇠고기 3.0(f) 가금류고기 0.1(f) 가금류부산물 0.05
소부산물 1.0 유 0.1(F) 알 0.05

[별표 6], (93) 메톡시페노자이드(Methoxyfenozide)


포유류고기 0.05(f) 포유류부산물 0.02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유 0.01 알 0.01

[별표 6], (94) 벤타존(Bentazone)


포유류고기 0.05 유 0.05 알 0.05

[별표 6], (95) 비페나제이트(Bifenazate)


포유류고기 0.05(f)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고기 0.01(f)
가금류부산물 0.01 유 0.01 유지방 0.05
알 0.01

[별표 6], (96) 스피노사드(Spinosad)


쇠고기 3.0(f) 포유류고기 2.0(f) 포유류부산물 0.5
가금류고기 0.2(f) 소신장 1.0 소간장 2.0
우유 1.0 유지방 5.0 알 0.01

- 53 -
[별표 6], (97) 싸이프로디닐(Cyprodinil)
포유류고기 0.01(f)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고기 0.01(f)
가금류부산물 0.01 유 0.0004 알 0.01

[별표 6], (98) 아바멕틴(Abamectin)


쇠고기 0.01 염소고기 0.01 염소부산물 0.1
소지방 0.1 소신장 0.05 소간장 0.1
우유 0.005 염소유 0.005

[별표 6], (99) 에세폰(Ethephon)


쇠고기 0.1 돼지고기 0.1 염소고기 0.1
말고기 0.1 양고기 0.1 가금류고기 0.1
가금류부산물 0.2 소부산물 0.2 돼지부산물 0.2
양부산물 0.2 염소부산물 0.2 말부산물 0.2
계란 0.2 우유 0.05 염소유 0.05
양유 0.05

[별표 6], (100) 에스펜발러레이트(Esfenvalerate)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알 0.01

[별표 6], (101) 에토프로포스(Ethoprophos)


포유류고기 0.01 포유류부산물 0.01 유 0.01

[별표 6], (102) 옥사밀(Oxamyl)


포유류고기 0.02 포유류부산물 0.02 가금류고기 0.02
가금류부산물 0.02 유 0.02 알 0.02

[별표 6], (103) (Oxydemeton-methyl)


쇠고기 0.05 돼지고기 0.05 양고기 0.05
가금류고기 0.05 가금류지방 0.05 소지방 0.05
돼지지방 0.05 양지방 0.05 유 0.01
알 0.05

- 54 -
[별표 6], (104) 이미다크로프리드(Imidacloprid)
포유류고기 0.02 포유류부산물 0.05 가금류고기 0.02
가금류부산물 0.02 유 0.02 알 0.02

[별표 6], (105) 인독사카브(Indoxacarb)


포유류고기 1.0(f) 포유류부산물 0.05 가금류고기 0.01(f)
가금류부산물 0.01 유 0.1 유지방 2.0(f)
알 0.01

[별표 6], (106) 카보설판(Carbosulfan)


포유류고기 0.05 포유류부산물 0.05 가금류고기 0.05
가금류고기 0.05 유 0.03 알 0.05

[별표 6], (107) 퀴녹시펜(Quinoxyfen)


포유류고기 0.2(f)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고기 0.02(f)
가금류부산물 0.01 유 0.01 유지방 0.2
알 0.01

[별표 6], (108) 크레소딤(Chlethodim)


포유류고기 0.2 포유류부산물 0.2 가금류고기 0.2
가금류부산물 0.2 유 0.05 알 0.05

[별표 6], (109) 클로르메쿼트(Chlormequat)


소고기 0.2 돼지고기 0.2 염소고기 0.2
양고기 0.2 가금류고기 0.04 가금류부산물 0.1
소신장 0.5 돼지신장 0.5 양신장 0.5
말신장 0.5 염소신장 0.5 소간장 0.1
돼지간장 0.1 양간장 0.1 말간장 0.1
염소간장 0.1 유 0.5 알 0.1

[별표 6], (110) 클로르프로팜(Chlorpropham)


쇠고기 0.1(f) 소부산물 0.01 우유 0.0005(F)

- 55 -
[별표 6], (111) 터부코나졸(Tebuconazole)
쇠고기 0.05 닭고기 0.05 소부산물 0.05
닭부산물 0.05 우유 0.01 계란 0.05

[별표 6], (112) 테부페노자이드(Tebufenozide)


포유류고기 0.05(f) 포유류부산물 0.02 가금류고기 0.02(f)
유 0.01 알 0.02

[별표 6], (113) 트리프록시스트로빈(Trifloxystrobin)


포유류고기 0.05(f) 가금류고기 0.04(f) 가금류부산물 0.04
소신장 0.04 돼지신장 0.04 양신장 0.04
염소신장 0.04 소간장 0.05 돼지간장 0.05
양간장 0.05 염소간장 0.05 유 0.02
알 0.04

[별표 6], (114) 티아벤다졸(Thiabendazole)


쇠고기 0.1 가금류고기 0.05 소신장 1.0
소간장 0.3 우유 0.2 계란 0.01

[별표 6], (115) (Thiacloprid)


포유류고기 0.1 포유류부산물 0.5 가금류고기 0.02
가금류부산물 0.02 유 0.05 알 0.02

[별표 6], (116) 파목사돈(Famoxadone)


포유류고기 0.5(f) 포유류부산물 0.5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유 0.03(F) 알 0.01

[별표 6], (117) 페나미포스(Fenamiphos)


포유류고기 0.01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유 0.005 알 0.01

[별표 6], (118) 펜프로피모르프(Fenpropimorph)


포유류고기 0.02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가금류지방 0.01 소신장 0.05 돼지신장 0.05

- 56 -
염소신장 0.05 양신장 0.05 소간장 0.3
돼지간장 0.3 염소간장 0.3 양간장 0.3
유 0.01 알 0.01

[별표 6], (119) 펜헥사미드(Fenhexamid)


포유류고기 0.05(f) 포유류부산물 0.05 유 0.01(F)

[별표 6], (120) 프로파모카브(Propamocarb)


포유류고기 0.01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유 0.01 알 0.01

[별표 6], (121)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


포유류고기 0.01 포유류부산물 0.05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5 유 0.01 알 0.05

[별표 6], (122) 플루토라닐(Flutolanil)


포유류고기 0.05 가금류고기 0.05 가금류부산물 0.05
소신장 0.1 돼지신장 0.1 양신장 0.1
염소신장 0.1 소간장 0.2 돼지간장 0.2
양간장 0.2 염소간장 0.2 유 0.05
알 0.05

[별표 6], (123) 피라크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포유류고기 0.5 포유류부산물 0.05 가금류고기 0.05
가금류부산물 0.05 유 0.03 알 0.05

[별표 6], (124) 피페로닐 부톡사이드(Piperonyl butoxide)


쇠고기 5.0(f) 포유류고기 2.0(f) 가금류고기 7.0(f)
가금류부산물 10.0 소신장 0.3 돼지신장 0.2
양신장 0.2 염소신장 0.2 소간장 1.0
돼지간장 1.0 양간장 1.0 염소간장 1.0
유(소제외) 0.05(F) 우유 0.2(F) 알 1.0

- 57 -
[별표 6], (125) 피프로닐(Fipronil)
쇠고기 0.5(f)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2
소신장 0.02 소간장 0.1 우유 0.02
알 0.02

4.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한국형 모델 개발


가. 현장 의견 수렴
1) 잔류농약 기준 개선을 위한 workshop 개최

현장에서 잔류농약 분석을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들의 의견 수렴을 통하여 개선 방안


을 마련하고자 workshop을 다음과 같이 개최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 일자 : 2008. 7.3 - 7.4

■ 참석대상 :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시도보건환경연구원, 식약청, 지방청 등 61명


■ 회의목적

연구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하여 각 시․도등 현 실무담당자들의 의견 수렴

및 토의를 통하여 연구사업의 방향조정 및 잔류농약 기준 개선을 위한 방안을 마


련 하고자 함.

■ 회의결과

◦ 주제발표
- 가공식품중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연구

- 국내 잔류농약 연구현황

- 유통농산물중의 잔류농약의 관리
- 농산물 생산단계에서 잔류농약의 안전관리

◦ 잔류농약 안전관리를 위한 토의

□ 농산물 검사 시험법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검토하여 현 실정에 맞는 분석법의

개발이 필요. 필요시 기관간의 MOU 추진

- 시험법에 대해 현재 연구가 진행중이며, 필요시 시․도별 건의가 필요함


- 건의 후 분담을 통해 연구 기관에 따라 매트릭스별 분류 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 공전에만 의존하지 말고, 연구회를 조직해 주제를 정한 후 의견을 교환하도

록 함. 조속한 해결방안을 추진중에 있음.

- 58 -
- 법을 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식품공전을 기준으로 시험을 이행. 다른 방법은 차

선일 수 밖에 없으며 현실과 시행에 있어 차이가 있음


- 법 개정을 위한 건의를 적극적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각 시․도별 지속적인 의

견 교환이 이루어져야 함. 전문성이 부족한 농림수산식품부에 적극적 건의가 뒤

따라야 함.

□ 보건환경연구원 현 상황

- 현장검사소를 설치하라는 요구가 많았음. 관리사무소에서 검사 감독팀을 만들어


간이속성검사를 시행하기로 함. 하지만 간이속성검사의 실효성이 낮다는 점에

서 시행하지 않을 것을 건의 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음. 식약청을 비롯한 관련

기관에서 실효성이 낮다는 공식적인 답변과 명확한 결론(문서화된 지침)을 내렸


으면 함.

- 법적 개정을 요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음. 방법론적 개선 제기가

필요. 개선에 대한 검토를 하겠음.

□ 간이검사

간이검사의 실효성에 대한 의견
- 간이검사의 실시는 전시효과, 주변 농민들의 경각심을 일깨워주는 계기, 홍보효

과가 되기도 함. 실효성에 대한 문제로 인해 간이검사 횟수를 점차적으로 줄여나

갈 계획임.
- 간이검사, 안전성 검사는 지자체별 실정에 맞춰 시행되어야 한다고 생각.

(부산보연의 경우 양성 0.5%)

- 농산물품질관리원 : 간이분석을 폐지하고 전량 정밀분석을 시행하려 함. 자체적


으로 분석법을 만들어 부적합일 경우 재분석하는 법을 개발함

□ 표준품 사업
- 식약청 홈페이지에 관련정보들을 모두 게재하고 있으며 지자체 내 시행에 있어

어려움이 있을 경우 식약청으로 연락하면 검토 후 협조 및 지원 가능. 일관성

있게 주어진 예산에 한해서 확대해 나갈 계획.


- 평소에도 이메일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교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임. 시․

도와 함께 상생하며 서로가 같이 협조하며 현실 개선에 힘을 모아야 할 것임.

- 59 -
□ 위해평가 사업

- 동 사업과 관련하여 농산물품질관리원 등에서 실시한 잔류농약 모니터링 결과


자료 등 적극적인 협조를 필요로 함

2) 의견 수렴 결과
주로 많이 제시된 분석방법의 개발과 표준품 보급에 대해 동 의견을 식품의약품안전
청 해당과에 전달하고 해당과에서는 분석방법을 개발하여 보급할 예정이며, 표준품도
보급할 예정이다.

나. 재평가에 따른 기준관리 개선방안


현재 기준 설정된 농약에 대해 2007년도와 2008년도에 재평가를 통하여 개정안이 제
시되었다. 하지만 개정안이외에도 재평가가 필요하거나 전체적인 미 등록 농약, 미 등
록 농산물에 대한 관리방향에 대해 충분한 검토는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체적인 검토 즉 농약잔류허용기준의 관리, 모니터링 방법의 개선, 국내 기준
의 국제 조화 그리고, 농약 분석법의 적정화를 위한 통합된 연구 관리가 필요하다고 하
겠다. 이러한 점에서 현재 식약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가 잔류농약 안전관리 사업단의
추진을 통한 종합적인 검토와 관리가 요구된다.

다. 위해평가 방법의 효율화 방안


1) 외국의 사례

(1) 농약관련 규정

농약 사용은 직업상 농약에 노출되고(농약 처리 작물의 제조, 제작, 운반, 처리, 취급


중에), 농약이 처리된 작물을 소비하고, 가정에서 사용된 농약에 노출되는 인간에게 악

영향을 초래할 수 있으며, 환경독성과 환경 피해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각

국은 안전 대책에 대한 해석과 승인 여부에 대한 관리와 통보 요건, 정의, 기준과 관련


하여 저마다 다른 절차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불행히도 일부 계획은 관료주의나 법률

문구에 과도하게 얽매이는 바람에 계획의 주요 목표, 특히 건강에 관한 목표가 행정상

명확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 같은 접근법을 일치시키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고 이 같은 노력은 충분히 가치가 있지만, 정치적 영향력과 압력 때문에 어

려움이 따를 수 있다.

- 60 -
일반적으로 농약 신제품을 등록하려는 기업은 최소한 유관 당국의 심의를 위해 아래

의 정보를 제출해야 한다.


• 활성 물질 규격

여기에는 화학제품의 내용(CAS와 기타 식별 번호, 화학제품명, 동의어)과 물리화학

적 속성, 순도와 불순물, 농약 활성 형태, 분석 방법이 포함된다.


• 이용 데이터 제안

살포율 및 횟수와 제제, 효능 데이터와 함께 사용용도.

• 독물학 연구 자료
• 인간 독물학과 직업 의학 데이터

임상 정보와 감시 데이터, 해독 연구 포함.

• 잔류물 데이터
수확 시기부터 저장 기간 동안, 가공 후 농약을 처리한 농작물과 식품의 잔류물.

여기에는 계량적 측면과 분해, 전환 산출물, 식물 대사, 반응 산출물이 포함된다.

• 환경독물학과 환경 운명 및 행태
• 기타 관련 정보

기타 용도나 기타 국가, 등록 분야에 대한 허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2) 종합의견

일본의 한 자료에 의하면 식품의 안전성과 관련하여 유전자 변형 식품, 잔류농약, 식


품첨가물, 식중독, 다이옥신 중 관심이 높은 순서대로 표시한 결과를 보면 표 과 같다.

가장 관심이 높은 응답을 나타낸 것은 식중독(28%)이다. 이어 식품첨가물(24%), 다이

옥신(22%), 잔류농약(17%), 유전자 변형 식품(9%)의 순이었다.


반면 잔류농약, 식품첨가물, 다이옥신은 70% 전후의 응답자가 상위 3위까지로 언급

하고 있는 점으로 볼 때 응답자의 관심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위해평가

를 통한 식품중 잔류농약의 관리는 중요하다고 하겠다.

- 61 -
[표 2-6] 식품의 안전성 문제에 대한 관심

제1위 제2위 제3위 제4위 제5위


잔류농약 17% 32% 22% 18% 11%
식품첨가물 24 21 22 19 14
식중독 28 9 12 14 37
유전자변형식품 9 14 23 25 29
다이옥신 22 24 21 24 9

우리나라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 절차를 보면 농약회사에서 농약을 등록 신청하고


등록이 완료된 농약별 농산물에 대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통보가 오면 식약청에서 는

기준 설정을 위한 검토를 하게 된다.

이때 기준의 설정은 ADI는 JMPR(Codex), 미국 EPA, 일본에서의 기준치를 순서에


따라 적용하며, 단위는 체중 kg당 mg과 1인당(한국인의 평균체중 55 kg) mg수로 표

현하여 적정한 수준인지 여부를 평가한다. “농약사용지침서”에 등재된 자료 및 농촌진

흥청 농약데이타베이스에 근거하거나 작물잔류시험에 근거하여 이미 잔류기준이 설정


된 작물과 기준의 신설 또는 개정이 요구되는 작물을 대상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근거로 식품섭취량을 구하고, 이에 대한 최대 농약섭취량을 구한다.

※ 농약섭취량(mg/day/head) = 잔류기준(mg/kg) x 식품섭취량(g/day) / 1000


이러한 방식에 의해 실시되고 있는 국내 농약의 위해성 평가는 미국, 일본, EU의

경우와 절차상에서는 유사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의 수준으로는 충분한 과

학적 데이터가 부족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이러한 자료이외의 외국에서와


같이 실제적인 노출량 평가, 모니터링에 따른 위해평가 등의 기초데이터 생성을 통한

평가가 필요하다.

또한 위해평가를 위해 필요한 정보중 국내에서 생산하지 않는 1일 허용섭취량(ADI)


등에 대해서도 우선은 CODEX 등의 자료를 활용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국내 독성실험

을 통한 자료의 생성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본다.

라. 기준설정 면제농약 관리방안


농진청에 등록된 농약에 대한 잔류허용기준 설정현황은 다음과 같다

※ 42차 소위 후 식약청 요청 신규성분 포함, 44차 소위 제외되었고, 08.8.13일자 식

의약청 고시내용 포함

- 62 -
등록농약 기설정 설정제외* 설정요청 검토 중 미설정**
434성분 334성분 73성분 9성분 8성분 10성분
* **
설정제외 : 비식용작물, 미생물농약, 무기농약, 항생제 등, 미설정 농약 : 장기미생산 농약 등

등록된 농약은 잔류허용기준이 신속하게 설정되어야 하나 현재 등록과 기준 설정기

관이 분리되어 있어서 어느 정도의 시간의 차이는 있다. 이러한 시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기준 설정이 제외되는 농약의 경우 현 법 체계로 볼 때 농진청


에서 등록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제외 되는 농약의 고시를 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본다.

- 63 -
번호 설정면제
잔류가능성 없음 : 1종
1 1-MCP
미생물 : 22종
2 Ampelomyces quisqualis AQ94013
3 B.T. subsp. aizawai
4 B.T. subsp. aizawai GB413
5 B.T. subsp. aizawai NT0423
6 B.T. subsp. kurstaki
7 B.T. var. kurstaki
8 Bacillus subtilis DBB1501
9 Bacillus subtilis GB0365
10 Bacillus subtilis JKK238
11 Bacillus subtilis KBC1010
12 Bacillus subtilis QST713
13 Bacillus subtilis Y1336
14 Beauveria bassiana TBI-1
15 Paecilomyces fumosoroseus DBB-2032
16 Paenibacillus polymyxa AC-1
17 Streptomyces colombiensis WYE20
18 Streptomyces goshikiensis WYE324
19 KB 401(정확하지 않음)
20 KBC 3017(정확하지 않음)
21 QST 2808(정확하지 않음)
22 GHA(정확하지 않음)
23 DBB 1501(정확하지 않음)

농약보조제(전착제) : 7종
24
Blend of alkyl aryl polyethoxylate & sodium salt of alkyl sulfonate alkylate(카바)
Needs(polynaphthyl methane sulfonic (PMSAADA))
25
Needs(polyoxyethylene fatty acid ester(PFAE))
26
Polyoxy ethylene alkyl aryl ether(전착제)
27
Siloxane
28
Sodium ligno sulfonate(전착제)
29
Spreadersticker
30
무기동제 : 4종
31 Copper hydroxide
32 Copper oxychloride
33 Copper sulfate basic
34 Tribasic copper sulfate
천연물 : 5종
35 Gibberellic acid
36 Gibberellin A4+7
37 IAA
38 IBA(4-indol-3-ylbutyric acid)
39 Pelargonic acid(식품 등에 많이 존재)
무기염류 : 4종
40 Bordeaux mixture
41 Calcium carbonate
42 Lime sulfur
43 Sulfur
오일류 : 3종
44 Machine oil
45 Paraffin
46 Paraffinic oil
비식용작물에만 등록 : 18종
47 2-(1-naphthyl)acetamide(NAD)
48 Benfluralin
49 Bensulide
50 Butralin
51 Decylalcohol
52 Flazasulfuron
53 Imazapyr
54 Imazaquin
55 Isoxaben
56 Magnesium Phosphide
57 Moranteltartrate
58 Neoasozin
59 Oxycarboxim
60 Prodiamin
61 Prohexadion-Ca
62 Sodium 5-mononitroguaicol
63 Sulfuryl fluoride
64 Trifloxysulfuron-sodium
기타(MRL 설정 미만 사용)
65 Azadirachtin

- 64 -
마. 농약잔류허용기준 관리 개선(안)
농약잔류허용기준 관리 개선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은 다음의 것들을 들 수
있다.
- 코덱스 ADI 변경에 따른 국내 기준의 섭취량 초과여부 검토

- 코덱스 기준 삭제된 농산물 검토

- 국내 농약기준 중 기존 설정 농약 재평가 자료 재 검토
- 국내 기준 적용 절차 영문 자료 마련

- Import tolerance 관련 국내 방안 정리

- 소면적 재배 작물에 대한 농약기준 설정 참여 지원

이상의 내용들을 고려하면서 국내 실정에 맞는 한국형 포지티브 시스템 구축을 검토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해 점차적으로 준비해야할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 새로운 섭취량에 의한 평가

Deterministic technic
Probabilistic technic

- 단기섭취량 중심의 평가 실시

- Codex 와의 조화
- 한국형 그룹 MRL

- Import tolerance 도입 방안 마련

- 일률적인 기준 설정

이상에서와 같이 기준 관리 개선은 일시에 하는데 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전반적인

검토를 통해 필요한 자료의 생성과 생성된 자료의 검토를 하면서 추진되어야 할 것으


로 본다.

- 65 -
5. Codex 잔류농약분과위원회(CCPR) 회의 의제 대응

가. Codex 의제별 사전 검토
코덱스 회의전 고시된 잠정의제에 대해 사전 검토를 하였으며, 훈령안 작성을 위한
회의에 참석하여 차문을 하였다.
논의될 주요의제는 다음과 같다.

○ 2007 JMPR 보고서 - 건조고추기준 설정

○ Global Minor Use Summit(GMUS) 검토사항


○ 식품 및 사료중의 농약최대잔류허용기준(MRLs)

○ 식품 및 사료에 대한 Codex 품목분류 개정초안(3단계)

○ 잔류농약분석법에 관한 사항들
○ Codex 검토 우선순위 농약 목록 결정

○ 전 세계 소규모 재배 작물 관련 사항

○ Codex를 통한 범 국가적 조화된 MRLs 설정 방안

[표 2-7] 잠정 의제 목록

의제 내 용 관련문서
번호

회의개회 (O
pen
ingo
f th
eSessio
n)

1 의제 채택 (A
dop
tio
nof th
eAg
end
a) C
X /P
R08
/40
/1

2 분과위원회 서기 선정 (A
ppo
intm
ento
f th
eRap
porteu
rs)

당 분과위원회와 관련된 사항들


3 (M
atters ReferredtotheC o
m mitteebyth eC o d
exA
lim
entariu
s C
X /P
R08
/40
/2
Co
m m issio
nan d/o
rO th
er Cod
exC ommittees)

20
07년 JM PR보고서 Section2o f th
e
4 (R
eport on G eneral C
o nsid eratio
n s by th e 200
7 Jo
int 2
0 07JM P
R
FAO/W HOM eetin
g so nPesticideR esid
ues (JM
PR)) Rep ort
식품 및 사료 중의 최대잔류허용기준(초)안- 4 ,7단계 C
X /P
R08
/40
/3
(Draft an d P ro
posed D raft M axim
umR esid
u e L
imits fo
r
C
L20
07/4
0-P
R
5 Pesticid
es inF oods andF eeds at S
teps 7an
d4 )
6,3 단계에 대한 각국 의견
C
X /P
R08
/40
/3
(Gov ernment comm ents at Step
s 6an d3 ) -A
dd.1

- 66 -
의제 내 용 관련문서
번호

식품 및 사료에 대한 C
odex분류항목 개정(초)안- 4
단계 C
X /P
R08
/40
/4

6 (P
rop
osed D raft revisio
no f th
eC odex C lassificatio
nofF
ood
s
andAnimal F eeds at Step4) CX/PR08
/40
/4
3단계에 대한 각국의견 (C om m en
ts at S
tep 3) -A
d d
.1

잔류농약분석방법에 관한 사항들:
7
(M atters RelatedtoM eth
odso
fA n
alysis fo
rP esticid
eResid
ues
(tob eco n
sid eredbytheA dHocWorkingG ro
u p):
잔류농약측정에 대한 결과의 불확실도 측정의 적용에 대한
C
L2 0
07/15
-P R;
(a)
논의문서
(Discu
ssio
nP aper o n theE stimatio
no fU ncertain
ty o
fResu
lts C
X /P
R0 8/40/5
fo
r theD eterminatio
no fPesticid
eR esid
ues)

전유로부터 유지방의 분리 절차에 대한 논의문서


(b
) (Discu
ssio
nP aper onth
ePro
ced
ures fo
rSep
aratio
nofM
ilkF
at C
X /P
R08
/40
/6
fromW holeMilk)

주기적재평가 M R
Ls의 검토를 위한 논의문서
8 (Discussio
nPap
er o
n th
eCo
nsid
eratio
nof th
eMR
LsP
erio
dic C
X /P
R08
/40
/7
Rev iew)
CL2 007/xx
-P R
ALINO RM
Codex농약 우선 대상 목록 설정 0
7/30/2
4
9
(E
stab
lish
m en
tofC
odexP
rio
rityL
ists o
fPesticid
es) AppendixV III;
CX/PR0 8/40/9;
CRD1

10
기타사업 및 향후작업
(O
ther B
usin
ess an
dFu
tureW
ork)

GMU S검토사항
(i) (C
onsid eratio
nof M
atters A
risin
g fro
mGlo
bal M
in
or U
se C
X /P
R08
/40
/10
Summ it)
유 및 유지방의 M RL
s
(ii) C
X /P
R08
/40
/11
(M
ilkan
dMilkF
at Max
imu
mResid
ueL
imits)

12
차기 회의일시 및 장소
(D
ate an
dPlaceo
fNex
tSessio
n)

13
보고서 채택
(A
dop
tio
nof th
eRep
ort)

- 67 -
나. 40차 Codex 잔류농약분과위원회 (CCPR) 참석 및 현장 대응

중국 항주에서 개최된 40차 회의에 참석하였으며 주요 의제별 대표단에 자문하여 현


장에서 수행한 업무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07 JMPR 보고서

○ 가공식품 잔류허용기준
: 가공계수 관련 전자작업반에 참여희망국은 EC에 E-mail 신청 요망 (EC와 미국이

주도함)

○ 건조고추의 농약잔류허용기준
: 대한민국에서 제공한 14개 농약에 대한 건조고추 잔류자료 및 정보를 이용하여 가

공계수 10에서 7로 하향조정하도록 평가

□ 식품 및 사료 중 최대잔류허용기준

○ 우리나라 의견 제출 (CRD 18)

: Dimethomorph (225)
Republic of Korea supports advancement of all MRLs to Step 5/8. Especially,

we support the maximum residue level of 5 mg/kg for dimethomorph in peppers,

chilli dried used the new generic processing factor of 7.

□ 식품 및 사료에 대한 CODEX 분류항목 개정(초)안

○ 우리나라 의견 제출 (CRD 18)


: Republic of Korea propose to put 'Allium x wakegii Araki' into the 'VA 0391

Tree onion'.

C
odexC
ode C
omm
odities S
cientific n
omen
clatu
re

V
A039
1 T
ree on
ion A
lliumx w
akegii A
raki

○ 네덜란드 등 여러 국가들의 제안으로 "bulb vegetable", "Fruiting vegetable, other

than cucurbit" 등 4개 그룹 분류작업을 2단계로 재작성하기로 결정


○「MRLs 외삽법을 통한 대표작물 선택기준 및 지침」은 4단계로 진행함에 합의

○ 네덜란드와 미국이 주관하는 식품분류에 대한 전자작업반

: 태국, 일본, 중국, 브라질, EC, 대한민국 등 참여

- 68 -
□ 잔류농약분석법에 관한 사항들
○ 분석방법 및 샘플링에 관한 작업반 회의 결과

- 의장 : IAEA의 Dr Josef Brodesser

- 결과의 불확실도(Measurement Uncertainty; MU)


: 케냐에서 우리나라와 모로코간의 디치오카바메이트 시험법을 이용한 “caper" 중

의양성 문제 해결의 진행상황 문의

: 우리나라는 올 연말까지 분석법 검증절차를 마치고, 모로코에 우리나라 시험법


제공예정

□ 주기적재평가 MRLs의 검토를 위한 논의문서


○ 3개의 첨부 문서 논의

- 부의장인 Dr. Hanns는 위해분석원칙에 대한 전자작업반 제안

: 아르헨티나(의장), 네덜란드, 일본, EC 등 13개국, 2개 국제기구 참여


※ 동 원칙을 가공하여 우리나라의 원칙에 이용

□ Global Minor Use Summit(GMUS) 검토사항


○ FAO는 GMUS 작업반 설립을 제안하였으며 독일, 일본 등은 농약제조회사에서

등록을 지원하지 않는 농약에 대한 동 사안이 재배 면적, 분류, 정의 등을 정함에

어려움을 지적
○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참여 의사 밝힘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주도)

: 인삼 등 수출작물의 기준설정 시 국익에 도움이 되므로 적극적인 참여 필요


○ 의장 : 미국, 부의장 : 네덜란드, 케냐

□ Achieving Globally Harminized MRLs Through Codex


○ 미국이 PROPOSAL을 설명하고, 차기회의에서 논의하기 위한 토의문서 준비 작업

반 설립에 동의

○ 작업반: 미국(의장), 유럽, 독일, 브라질, 중국, 일본, 칠레, 호주, 뉴질랜드, 아르헨
티나, Crop Life

- 69 -
6. 잔류농약 웹사이트 업그레이드 및 운영

가. 디자인 내용
1) 디자인 CONCEPT

정보 자체가 사이트 Theme가 되므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UI (User Interface)
원하는 정보를 얻도록 디자인

통일성 지향하는 컨텐츠에 대한 습득을 손쉽게하는 통일성 있는 디자인

속도 정보 속도 획득 측면에서 사용자 환경을 고려한 디자인

심미성 사용자의 편익을 도모하기 위하여 쉽고 빠른 디자인을 기본으로 하여


이미지가 고급스럽게 표현될 수 있도록 디자인

2) 디자인 GUIDE

Identity Color를 기본적으로 활용하며 편안한 Color Tone 사용으로


Color
사용자에게 안전적인 이미지를 보여준다.

편리성을 고려한 카테고리별 정리


Navigation
전체 사이트의 동일한 위치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메뉴를 구성한다.

가독성이 뛰어난 Typography 구성하고 노출정도, 중요도, 컨텐츠 특성에


Typography
따라 Font 크기, 색상을 통일한다.

사진, 관련이미지 등을 정확히 적용하여 Identity 강화 방안을 추구한다.


Image
빠른 로딩 속도를 위하여 웹에 최적화된 이미지 요소를 사용한다.

동적 요소인 Flash를 사용하여 사이트 전체에 다양성과 흥미적 요소를


Animation
가미한다.

Icon 아이콘의 적절한 사용으로 정보에 대한 직관력을 높인다.

3) User Interface
사이트 사용자의 시선 흐름 분석, 마우스 쾌적 분석을 통한 사용자의 사용 형태 자료

에 근거한 사이트로 일괄적인 Navigation Identity 부여한다.

- 70 -
<그림 2-6 잔류농약화면페이지>
* 기존 한글만 제공한 사이트에 영문 혼용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 71 -
나. 연구개발 내용

1) 농약정보
가) 농약정보

(1) 농약정보 추가 필드 항목 구축

적용대상작물, 시행일자
(2) 농약정보 입력 항목 및 등록된 자료 영문은 한글로 한글은 영문으로 번역

(3) 농약정보 자료 입력

나)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 농약잔류허용기준 CODEX


(1) 최신 자료 업그레이드

(2)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에 입안예고 단계부터는 해당

정보를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메뉴에 정보제공처리


기준고시 전까지는 비고에 단계 처리일자 표기

2) 농약별 농약잔류허용기준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에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입안예고 단계부터는 해당 항목


에 정보제공 처리

3) 농약잔류허용기준 조회

가) 잠정기준 적용순서 (변경에 정보에 따른 프로그램 수정)


(1) 잔류허용기준 : 잔류허용기준 한국 기준으로 해당 정보에 [잔류허용기준]으로 표

기되고, CODEX 해당 정보가 있으면 같이 보여준다.

(2) CODEX 기준 : 농약잔류허용기준 CODEX 등록된 모든 정보를 가지고 오며, 해


당 정보가 있으면 [CODEX 기준]으로 표기한다.

(3) 유사농산물최저치 :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기준으로 ‘식품의 분류’ 기준에 따른

유사 농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를 보여주고 그 중 최저치 값에 [유사농산물 최


저치] 표기한다.

(4) 해당농약최저치 :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기준으로 등록된 모든 농산물의 농약잔

류허용기준을 보여주며, 그 중 최저치 값에 [해당 농약최저치] 표기한다.


(5) 기타농산물기준 : 유사농산물최저치 기준이 없을 경우에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기준으로 ‘식품의 분류’ 기준에 따른 [기타농산물기준]을 적용한다.

4) 식품별 농약잔류허용기준
가) 기준수 (기준수 정보 제공에 대한 프로그램 수정)

기타류에 해당 되는 농약은 기준수에서 삭제 처리

- 72 -
나) 추가 자료입력

5)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가) 사용자화면에 제공하지 않고 메뉴 권한자만 접근 가능하다.

나) 메뉴 추가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기준제안현황, 진행상태별 검색


다) 기준제안에 따른 현황관리 개발

기준제안번호 기준으로 농약, 식품, 진행상태, 의견에 따른 정보 서비스 구성

라) 기준제안 단계(8단계)별로 처리 상태 개발
진행 상태에 따른 처리 기능 개발(농약정보, 농약별 잔류허용기준 연계처리)

기준제안별 진행상태 일괄 변경할 수 있도록 개발

마) 기존 html로 처리된 작물잔류시험성적 자료를 DB화 처리


기존 등록된 정보 입력 작업

바) 농약별 농약잔류허용기준(안) 신규 데이터, 기존 데이터 구분하여 볼 수 있도록

개발
사) 잔류농약 전문위원 커뮤니티 공간으로 의견쓰기 구축

권한자만 메뉴가 활성되고 의견을 등록할 수 있도록 처리

아) 등록된 농약정보 및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데이터 기준으로


신·구대조표, 개정고시(안) 한글 파일 형식으로 저장처리

→ 레포팅 툴을 이용하여 처리

6) 표준품
가) 정보 취합 및 현황에 대한 관리 개선

나) 자료입력(해당 기관별 표준품 자료)

7) 농약정보자료실
자료입력(동영상자료)

8) 관련사이트

자료입력(국내·외 참조사이트)
9) 아이디관리

가) 아이디등록

(1) 아이디 정보 관리 및 메뉴별 권한 설정 항목으로 재구성


(2) 아이디 구분 등록에 등록된 정보와 연동처리

(3) 메뉴별로 읽기, 등록, 화면활성여부로 구분하여 관리

- 73 -
나) 아이디 구분 등록 : 시도별·지방청명 등의 등록된 정보는 아이디 등록과 연동 처리

다. 연구개발 방법

1) 농약정보, 농약잔류허용기준 등의 자료 등록 및 최신 정보 업그레이드

가) 농약정보 입력 필드 항목 추가, 변경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여 프로그램


구현

나) 농약정보,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농약잔류허용기준 Codex 등에 대한 최신 자료

수집 및 입력
다) 농약정보 영문으로 등록된 정보 한글로 번역하여 정보 입력

라) 잔류농약허용기준 신·구조문 대비표 구축

마)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기능 개선


2) 잔류농약 웹사이트에 구축된 정보를 영문으로 번역하여 영문사이트 구축

가) 메뉴명, 타이틀 제목, 필드항목, 버튼 등 영문 번역

나) 외국인을 위한 디자인 및 기능 개선
다) 등록된 정보를 영문으로 제공하기 위한 번역

3) 잔류농약 전문위원 커뮤니티 공간 구축

가) 등록된 내용에 의견달기할 수 있도록 구축


나) 권한자만 메뉴가 활성되고 의견을 등록할 수 있도록 처리

4) 잔류농약 일반예고 정보 구축

필요한 항목을 규정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여 프로그램 구현


5) 웹사이트 기능 개선 및 보완

가) 사용자의 편의성에 맞게 웹사이트 기능 개선

나) 잔류농약과 관련된 정보 서비스 항목 추가하여 개발


다) 정보를 조회하기 편리하도록 검색 기능 보완

라)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기능 개선

라. 연구개발 결과

본 사업에서 수행한 프로그램 개발 및 유지보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메뉴 명칭 및 구성
- 확인 동의서

- 농약정보

- 74 -
- 농약잔류허용기준 조회

- 식품별 농약잔류허용기준
-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 표준품

- 잔류농약분석매뉴얼
- 농약정보자료실

- 관련사이트

- 아이디관리

- 75 -
제4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기 설정 농약에 대한 재평가를 통하여 과학적인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설정이 이루어

졌으며, 기준 설정 면제농약의 제시, 위해평가 방법에 대한 향후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농약관리에 효과적인 방안이 제공되었다.


또한 축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 개정안을 제시함으로써 최근 3년간 개정이

되지 않았던 부분을 보완하고, 국제 기준과의 조화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Codex 잔류농약분과위원회의 적극적인 참여와 국내에서 개발된 농약을 코덱스 기준


화하기 위한 시도는 앞으로 국내에서 생산된 농약의 국제기준 등록이라는 좋은 성과

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식품중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심의를 온라인상에서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


발하여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심의 및 기준 설정이 가능해 질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잔류농약 홈페이지의 보완 및 영문화를 통하여 농약에 대한 모든 정보를 국

내․외 일반국민 및 잔류농약 전문가들에게 일괄적으로 제공하고, 권한에 따라 볼 수


있는 메뉴를 분리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잔류허용기준 제안서 개발로 식

약청 담당자의 업무시간을 상당부분 단축할 수 있으며, 자료 오류로 인한 문제점을 많

은 부분 해소함으로써 업무 향상에 기여하였고, 잔류허용기준 제안서를 새롭게 개발함


으로써 업무 향상에 기여하였다.

- 76 -
제5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5.1 활용성과

잔류농약 평가 시스템 구축- 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 구축, Codex CCPR 대


총괄과제명
응, 홈페이지 Upgrade 및 운영

총괄과제책임자 이중근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식품화학

가. 연구논문

번호 논문제목 저자명 저널명 집(권) 페이지 Impact 국내/ SCI여부


factor 국외
1
2

나. 학술발표

번호 발표제목 발표형태 발표자 학회명 연월일 발표지 국내/


국제
잔류농약평가시스 한국농약과
1 구두발표 이중근 08.10.10 국내
템 구축 학회

다. 지식재산권
출원/
번호 특허명 출원(등록)인 출원(등록)국 출원(등록)번호 IPC분류
등록
1
2

라. 정책활용
- 식품공전 제·개정시 활용
- Codex의 농약잔류허용기준 개정 및 설정에 대한 국가 대응자료로 활용
- 중장기 농약잔류허용기준 관리 방안 수립에 활용

마. 타연구/차기연구에 활용
※ 타연구 및 차기연구에 활용된 예를 구체적으로 기술함.
- 국익 확보를 위한 Codex CCPR 활동지원을 위한 향후연구에 활용

- 77 -
바. 언론홍보 및 대국민교육
※ 언론홍보 및 대국민교육 내용, 일자 등을 간략히 기술함.
○ 국제무대에서 국익과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국가기관으로써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업무
수행 성과의 홍보자료로 활용

사. 기타
※ 임상시험 , 관련 DB구축, 워크샾 또는 심포지움 개최 등의 경우 구체적으로 기술함.

5.2 활용계획
- 식품공전 제․개정시 활용

- CODEX 잔류농약분과위원회 참석 및 의제 대응

- 축산물 농약잔류허용기준 고시에 활용


- 홈페이지 운영 및 활성화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해당 없음

제7장 참고문헌

1. 식품공전(별책 포함), 식품의약품안전청, 2005


2.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X PR 04/5, 2004

3. Author, A. 2001. Validation of method RAS12.1 by analysis of fortified specimens

(plant material) for [compound] and evaluation of recoveries. Plant Protection


Institute, address. Project 2001/PPI/RAS2. Unpublished.

4. Author, B. 1995. Determination of residues of [compound] and of [metabolite 1] in

grapes after application as WG 500 - field trial, [compound]. Plant Protection


Institute, address. Project 95/PPI/RES6. Unpublished..

5. Author, C. 2005. Report on the [national government] Residue Survey Results

2003-2004. [Responsible organization, report number]

- 78 -
6. 2006년도 CODEX 국제식품규격위원회 활동보고서, 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7. CODEX 국제식품규격위원회 규정집(16차 개정본), 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청,

2006

8. 김선희, 외국의 자문기구 조사⋅연구 2007


9. 농약사용지침서, 농약공업협회, 2007

10. 村上貴久 ; 食品衛生法に基づく殘留農藥基準の設定について, 食品衛生硏究, Vol. 43,

No. 2, 1993
11. 잔류농약기준편람, 사단법인 일본식품위생협회, 1994

12. G.W.A. Milne, Handbook of pesticides, CRC Press, 1995

13. McKenna & Cuneo, Pesticide Regulation Handbook, McGraw-Hill, Inc, 1993
14. Hirohiko Yamada 등 ; 農藥の安全性評價 ; 最近の進步と展望, 食衛誌, Vol. 34,

No. 2, 1993

15. JMPR, International programme on chemistry safety, 2001


16. CFR, Title 40, Volume 23, 2006

17. CFR Title 40, part 150 to 189, USEPA, 2001

18. The Pesticide Manual (11th Edition), edited by C.D.S. Tomlin,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UK, 1997.

19. 食品安全性の經濟評價, 農林統計協會, 2004

20. 이서래, 이미경, 김남형 ; 한국인에 의한 농약의 이론적 최대 섭취량 및 안전지표의


산정,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7, No. 4, 1995
21. TECHNICAL REPORT OF EFSA, Evaluation of the European Union Pesticide
Safety Review Process, (Question No EFSA-Q-2008-399), Issued by the
Working Group on the Review of the Efficiency of the Pesticide Peer-Review
Process on 27 August 2008
22. 食品中の殘留農藥における毒性評價の原則, 厚生省生活衛生局食品化學課監修
23. Timothy C. Marrs, Bryan Ballantyne, Pesticide Toxicology and International
Regulation, John Wiley & Sons, Ltd, UK, 2004

제8장 첨부서류
“해 당 없 음”

- 79 -
Ⅲ. 제1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세 부 과 제 명 : 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 선진화 방안

세부과제책임자 : 이중근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81 -
제1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1.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우리나라는 1988년 9월 28종 농산물 17종 농약

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한 이래 선진국의 기준설정 사례, CODEX 기준과의 조화


그리고 GAP 데이터를 활용하여 체계화되고, 과학적인 기준 설정 노력을 지속하여 왔

다. 이러한 노력으로 어느 정도 농약잔류허용기준에 대한 관리체계가 이루어지고 있으

나, 아직까지 미국, 유럽 등에 비해서는 과학적인 데이터의 미흡으로 부족한 부분이 있


다. 최근 과학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도 생성되고 있어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한 재검토와 함께 국가적 차원에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의 마련도 필요

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은 1988년 기준 설정 이래 많은 제․개정을 통하

여 보완이 되어 왔으나, 전반적인 개편을 위한 시도가 부족하였으며, 기준 설정된 농약

및 농산물간의 형평성, 기준 설정 값의 적절성 등에 대해 새로운 데이터를 통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선진화 하기위하여 위해평가 기법

의 마련과 지속적인 잔류허용기준의 재평가 등을 통하여 현 기준의 적절성 여부를 확


인하며, 보다 선진적인 농약잔류허용기준 관리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Codex에서 논의되고 있는 의제중 우리나라와 관련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적

극적인 참여와 대책을 수립하여야 하며, 과학적 자료에 근거한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
다고 본다.

따라서 2008년 4월에 중국 항주에서 개최되는 40차 Codex CCPR 회의에서 논의될

의제에 대해 사전에 충분한 검토를 통한 대응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1.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 우리나라에 설정된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위해평가 등 재평가를 통한 효율적인 기준

설정 및 운영 방안 제시

◦ 농약잔류허용기준 선진화를 위한 전문가 풀 운영


◦ 한국형 잔류농약 위해평가 기법 마련

◦ 축산물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 방안 마련

◦ Codex 회의 참석 및 의제 대응

- 83 -
1.3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국외연구동향
○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설정과 관리방안에 대해 외국에서 연구되어 보고되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주로 국가별 정책으로 수행되는 내용의 보고 형태임. 따라서 연구동

향 보다는 국가별 제도 및 관리 동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 식품중의 농약잔류허용기준 관리는 국가별로 자국 환경에 따라 실정에 맞도록 관


리되고 있음.

○ 일본에서는 현재 positive list system으로 변경하여 수입식품의 안전관리를 강화하

고 있음.
○ 선진외국에서는 자국의 이익을 위하여 CCPR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 각종 잔류데이타, 독성데이타 등의 실험데이타를 생성하여 CCPR에서

자국의 의사를 반영시키고 있음.


○ 일부 국가에서는 Codex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CCPR 정보 및 의견을 수렴하고,

농약기준, 등록 작물 등 농약관련 정보를 전문가 및 소비자에게 상세히 제공하고

있음.
○ 농약으로 인한 위해성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하여 위해평가 방법을 도입하고 있으

며, 위해평가를 위한 식품섭취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있음.

○ 식품중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은 국가간 교역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므로 주요 외국


의 제도와 관리 동향을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사전에 마련하는 것이 중

요함

2) 국내연구동향
○ 식품중 잔류농약허용기준 개선을 위하여 기준 설정 방법, 분석법 등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었
으나,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종합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음.

○ 국내 기준의 국제화를 위해 CCPR 활동을 뒷받침 해줄 수 있는 체계적인 지원연구

가 부족했으며, 2006, 2007년도에 수행되었으나 지속적인 지원이 요구됨.


○ 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 기반 구축을 위한 사업이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라

체계적인 위해평가, 기준 재평가 등의 사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

- 84 -
○ 이러한 점에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종합적인 검토를 통한 농약잔류허용

기준 관리 선진화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임.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동향을 각 과제별로 세부적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음

■ 잔류농약 관리제도 개선 부분
○ 모니터링 사업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 발굴 및 개선 방안 연구

- 현재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유해물질 관련 모니터링 결과를 취합, 분석하여 위해관

리팀의 관리시스템과 연계함으로써 보다 활용 가능한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 유해물질에 관한 모니터링 로드맵을 작성해 제시함으로써 환경부, 농림부, 해수부

와 연계하여 수행하여야 하는 모니터링 사업을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

○ 잔류농약 평가시스템 구축
- 우리나라로 농산물을 수출하는 주요 국가의 농약잔류 허용기준을 조사하여 국내

잠정 import tolerance를 제안하고, 일반국민, 생산자, 관련전문가들이 농약과 식품

관련 정보를 웹 사이트를 통해 수집할 수 있는 질 높은 서비스 제공

○ 잔류농약 관리시스템 구축- 잔류농약 인프라 구축

- 국가 검사기관간의 잔류농약 표준품 공유로 예산 및 인력 낭비를 최소화하고 개별


구매 및 유효기간 초과, 부적절한 관리 등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지속적인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기준 제 개정(안)을 제시

○ 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 기반 구축 운영

- 우리나라에 설정된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재평가를 통한 효율적인 기준 설정 및 운

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식품공전 농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 중 1번에서


202번까지의 농약을 대상으로 검토하여 이민옥타딘 등 89종에 대해서는 작물잔류

성적을 근거로 재평가를 통한 기준 개정안을 제시

■ 잔류허용기준 개선

○ 식품중 농약잔류기준 체계개선 연구

- 85 -
- 농산물에서 건조과정이나 가공공정 중 잔류농약 함량의 변화에 따른 감소계수의

필요성과 연구추진 방향 도출

○ 식품중 농약잔류허용기준 및 관리 개선 연구 : Part I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

- 우리나라의 식품중 농약잔류허용기준은 GAP에 의한 농약사용의 과학적인 자료,


농약1일섭취허용량(ADI), 식품섭취량, 평균체중 등을 기본으로 하여 설정

○ 잔류농약 관리시스템 구축
- 농산물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신규 및 기 설정 등 총 126개의 기준설정 및 신규농약

시험법 개발, 인삼 가공중 농약 감소계수 산출연구, 녹차 추출물 감소계수, 국가

잔류농약 표준품 공유시스템 구축

○ 잔류농약 재평가 사업

- 식품의약품안전청 설립 이전에 설정된 농약잔류허용기준을 국제적 조화 등을 고려


하여 전면적으로 재평가, 건조농산물의 기준설정을 위한 과학적 자료 축적

■ 잔류농약 분석법 개선/개발 연구


○ 식품중 잔류농약 동시다성분 대상농약 기기분석법 최적화 연구

- 식품중 잔류농약 동시다성분 분석을 위해 GC 153종, HPLC 56종을 대상으로 검출

기별, 기기별로 농약성분을 그룹화

○ 식품 중 개별분석 농약의 잔류시험법 개선 연구

- 식품공전 개별 분석법을 보다 발전된 분석 기술을 응용하여 분석의 신뢰성을 확보


함과 동시에 분석과정의 간편화 및 체계화를 수행하여 분석효율을 향상

○ 식품 중 동시다성분 분석법 개선 연구
- 농산물 중에 잔류하는 다종 다성분의 농약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식품공전상의

동시 다성분 분석법의 실효성 검증 및 개선 보완

○ LC-MS-MS를 이용한 잔류농약 신속검사체계 개발

- 농산물 50여종의 잔류농약에 대한 신속, 정확한 시험법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

- 86 -
○ 잔류농약 시험법 개선 사업
- 식품공전상 농산물과 축산물 분석법에 대하여 보다 발전된 분석 기술을 응용하여

분석의 신뢰성을 확보

- 기존 개별 분석법에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 분석 작업의 간편화 및 신속화를 위


한 과정 개선을 수행하되 물리화학적 특성의 유사성에 따른 분석 대상성분의 재분

류 등의 작업을 거쳐 총 4종의 개선된 혹은 새로운 분석법 개발

■ 모니터링

○ 식물성 원료식품의 잔류농약 조사연구

- 사과, 배, 포도 등 주요 작물에 대한 디치오카바마이트계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20


개 작물 200점의 시료를 대상으로 실시

○ 식품의 농약 잔류실태조사 및 안전성 평가 연구 (부산청, 서울청, 경인청)

- 부적합 이력식품과 국민다소비식품을 중점으로 국내 15개 지역에서 구입한 31종


900건의 유통 농산물과 10종 90건의 건강기능식품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모니터링

실시

- 분석대상 농약으로 농산물에는 동시다성분 분석이 가능한 212종과 단성분 4종 그


리고 건강기능식품에는 동시분석이 가능한 47종에 대해 실시

○ 잔류농약감시프로그램(국내 유통 농산물중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모니터링)


- 794건의 농산물을 대상으로 227종의 농약에 대해 검사

○ 잔류농약감시 프로그램(식품 중 잔류농약 신속분석체계에 대한 연구)


- 245종의 잔류농약 분석 방법을 최적화

○ 식품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 부적합 이력식품과 국민다소비식품을 중점으로 전국에서 수집한 곡류, 서류 등 25

종의 시료에 대해 200종의 잔류 농약을 검사실시

○ 녹차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 출하시기별로 주산지에서 녹차시료를 구입한 후 acetochlor를 포함한 61종의 대상

- 87 -
농약에 대한 잔류실태 조사 수행

- 총 100품목의 시료 가운데 22품목의 시료에서 bifenthrin, chlorpyrifos, dicofol,


EPN, chlorfenapyr, tebuconazole, cyhalothrin, dife -nconazole 및 tebufenpyrad

등 9종의 농약 검출

○ 단성분 분석농약 모니터링

- 단성분 분석대상 농약인 neonicotinoid계 및 ergosterol biosynthesis inhibitor(EBI)

계 농약에 대한 다성분 분석법 개발


- 그에 따른 국내 14개 지역을 경인청 및 부산청에서 각각 7지역으로 나누어 다소비

농산물 21품목(파, 오이, 상추, 피망, 고추, 배추, 가지, 취나물, 쌀/현미, 보리, 감자,

감, 밀감, 수박, 딸기, 사과, 참외, 포도, 복숭아, 토마토 및 배)을 선정 총 851건(경
인청, 417건; 부산청, 434건)에 대하여 neonicotinoid계 및 EBI계에 대한 잔류 농약

모니터링 수행

○ 특산물 잔류농약 실태조사

- 국내의 지리적 표시제 등록 특산물을 대상으로 농약 잔류실태를 조사, 파악하고자,

지리적 표시 등록 특산물 17종(서산마늘, 의성마늘, 단양마늘, 남해마늘, 괴산고추,


무안양파, 창녕양파, 철원쌀, 이천쌀, 여주쌀, 성주참외, 충주사과, 정안밤, 경산대추,

정선황기, 장흥표고버섯, 청양구기자)을 선정하여 잔류 농약 실태 조사

- 다성분 분석 농약 204종과 단성분 농약 5종(Methamidophos, Acephate,


Omethoate, Monocrotophos, Vamidothion)을 포함하여 209종의 농약에 대해 잔류

량 조사

○ 중부, 남부지역의 유통농산물 잔류농약 모니터링

- 국내 14개 지역(서울, 인천, 대구, 부산, 경기 북부, 경기 남부, 충남, 충북, 전남, 전

북, 경남, 경북, 강원, 제주)에서 수거한 농산물에 대해 농약잔류 실태 조사


- 조사대상식품은 2006년 부적합 품목을 포함하여 곡류 2종, 서류 1종, 콩류 2종, 견

과종실류 1종, 과실류 3종, 채소류 16종, 버섯류 1종으로 총 26종의 농산물을 선정

- 동시다성분 분석 농약 220여종에 대해 잔류량 조사

○ 잔류농약감시프로그램 (국내 유통 농산물 중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 88 -
- 2005년 부적합 품목을 포함하여 곡류 2종, 견과종실류 1종, 콩류 1종, 서류 1종, 과

실류 3종, 채소류 15종등 총 23종의 농산물을 국내 14개 지역에서 선정하여 동시


다성분 분석 농약 225종과 단성분 농약 3종(Acephate, Methamidophos,

Pymetrozine)을 포함하여 228종의 농약에 대해 잔류량을 조사

- 89 -
제2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1 연구내용

○ 주요 외국의 기준 설정 및 관리 동향 조사

- CODEX, 미국, 일본 등
○ 전문가 풀 구성 및 운영

- 위해평가 방법 검토
- 기준 재평가에 따른 기준 관리방안
- 신규 제출 작물잔류성적을 통한 재평가
- 국제 기준과의 조화 검토
○ 축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위해평가 및 기준안 마련

- 코덱스와 기준 조화 추진
○ Codex 회의 참석 및 의제 대응

- 코덱스 의제별 검토 및 우리나라 의견 반영을 위한 지원

○ 현장의 의견 청취를 통한 정책 수립
- 잔류농약 기준 개선을 위한 workshop 개최

- 효율화 방안 마련

2.2 연구방법

○ 식품 중 농약관련 전문가 Pool 구성


- 산, 학, 연, 관 전문가로 구성

- 정기적인 협의회 개최

- Workshop 등을 통한 집중 검토
○ 재평가 대상 농약의 분류

- 국내 기준 설정 농약중 제․개정 시기별 분류

- 기준 설정 근거 자료의 수집 및 정리
○ 주요 국가의 축산물 기준설정 자료 검토

- 기준설정 농약의 비교 분석

- 기준 설정 절차에 대한 비교 분석

- 90 -
- 대상 축산물에 대한 조사

○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한국형 모델 개발


- 재평가에 따른 개선(안) 검토

- 위해평가 방법에 대한 검토

- 농약잔류허용기준 관리 개선(안) 작성
○ Codex 회의 현장 대응

- 40차 Codex CCPR 회기중 국내 관련 의제에 대한 지원

- 우리나라 기준에 대한 의견 협의

- 91 -
제3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1. 주요국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 및 관리 동향

가. CODEX
코덱스 농약잔류분과위원회는 금년도에 40차 회의를 개최하였으며, JMPR에서 농약

별로 검토 우선순위에 따라 농약의 독성, 잔류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며, 그 결과를

분과위원회에서 심의한다.

1) JMPR의 평가 프로세스

JMPR은 다른 두 개의 과학자그룹으로 구성된다. FAO 전문가 패널은 농약의 사용방


법, 농약의 화학적 성상 및 조성에 관한 데이터, 잔류농약 분석방법에 대한 검토 및

GAP에 따라 사용할 경우 잔류 우려가 있는 농약의 MRL 보고에 대해 담당하고 있다.

WTO그룹은 독성학(毒性學)데이터 및 관련 데이터 평가 및 가능할 경우에는 사람에


대한 ADI 설정에 대해 담당하고, 두 그룹은 합동회의에서 공동으로 작업하여 공동보고

서를 작성한다. 이중 WHO전문가 그룹이 채택하고 있는 데이터 해석방법에 대해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잔류농약 독성평가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급성독성시험, 단기 혼합사료 투

여 독성시험, 장기 혼합사료 투여 독성시험 및 동태시험(흡수, 조직분포, 배설, 대사, 생

물학적 반감기 및 효소에 대한 영향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특별한 영향, 예컨대 발


암성, 생식독성, 최기형성 그리고 화합물에 따라서는 신경독성 등에 관한 시험데이터도

통상적으로 필요로 한다. 사람과 관련한 데이터 및 기타 정보, 예를 들면 구조-활성관

계도 구할 수 있다면 검토대상이 된다.


평가의 최종목표는 모든 독성 데이터베이스를 근거로 한 무독성량(NOAEL)을 구하

는 것이며, 이 NOAEL은 당연히 안전계수와 함께 ADI를 산출하는데 사용된다. 평가의

제1계는 각 데이터의 유효성에 대한 검토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처음에 가치가 낮은 내


용으로 평가된 시험데이터라도 전체 데이터베이스와 연관지어 평가하면 유효할 수 있

다. 따라서 모든 시험결과를 집약함으로써 화학물의 독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된다.

급성경구독성시험 데이터는 ADI를 설정하는 데 거의 고려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


한 데이터도 다른 동물종에서 감수성의 순위를 매기는데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

후 실시될 시험에서 투여량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약리학적인

- 92 -
활성, 흡수정도나 표적기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JMPR은 때에 따라서

농약( imazalil[57]) 염(鹽)의 상대적인 독성을 검토하기 위해 급성독성 데이터를 추가로


요구하고 있으며 또한, 급성독성의 종류차이를 검토하기 위해 대사(代謝)시험을 추가로

요구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단기 혼합사료 투여 독성시험은 JMPR이 평가해 온 수 많은 농약의 ADI


를 설정하는 근거가 되어 왔다. 1971년 이전 즉 장기독성시험이 농약의 안전성을 평가

하는 데 있어 필수항목으로 인식되기 까지는 ADI는 수많은 농약에 대해 단기독성시험

데이터를 근거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를 근거로 잠정ADI(TADI)도 설정해 왔다.


장기 혼합사료 투여 시험데이터가 독성데이터베이스의 필수항목이 된 이후에는 단기독

성시험데이터는 주로 장기투여시험 및 생식시험 시에 적합한 투여량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개에게는 2년 이상 투여한 시험이 거의 없다. 따라서 개의 독


성감수성이 다른 동물보다 높거나, 또는 개가 설치류보다 사람에게 외삽(추론적용)하는

데 적절한 경우는, 개 수명의 50% 이하의 투여기간에 의한 시험데이터를 근거로 ADI

를 설정한다(예, methamidophos, difluhenzuron, phenthoate 등). 장기독성시험의


NOAEL이 단기독성시험의 NOAEL보다 큰 경우, 설치류에서의 단기독성시험 데이터를

근거로 ADI를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예, diphenylamine 등). 이것은 적응으로 인하여,

장기노출에서 영향이 상실되는 경우이다.


어떤 종류의 화합물에 대해서는(예, chlormequat, dinocap 등) 다세대 생식시험이나

최기형성 시험데이터도 ADI를 설정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지발(遲發, 늦게 발생)성 신경독성은, JMPR에서 평가한 많은 화합물에 대해 잠재적


인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현재까지 leptophos의 경우에만 지발성 신경독성이 있다는

이유로 그 ADI가 삭제되었다. 하지만 ADI를 삭제한 것은 식품 속의 잔류로 인한 위험

성이 예상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본 화합물 제조과정에서 발생한 대량노출로 인해 공장


작업자에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 판매를 중지했기 때문이었다. 다른 지발성 신경독

성물질, 예컨대 isofenphos에 대해서는 ADI가 설정되어 있다. JMPR은 닭을 사용한 표

준적인 지발성 신경독성시험에서의 과대투여(LD50수치를 초과)는 식품 속의 잔류농약


을 섭취함으로써 사람에게 미치는 위해성을 평가하는 데에 적절하다고만 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위에서 서술한 영향에 대해 입수한 데이터에 대한 기본적인 해석은 독성의 특성, 노


출량 증가로 인한 작용발현의 단계적인 증가(즉, 용량-반응관계) 확인 및 역치 확인을

통해 한다.

- 93 -
화합물이 독성을 유발하는지 판단할 때 최초로 고려해야 할 점은 시험생물이 노출되

는 시험물질의 용량이다. 독성학의 기본적인 개념은 Paracelsus가 1538년에 서술한 대


로 ‘독성발현은 용량에 의존한다.’고 해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어떤 시험에서 사용한

일련의 용량이 독성반응을 유발하지 않을 경우에는 용량이 불충분했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은 모든 독성시험에 적용된다. 하지만 시험한 최고용량과 잔류농약이 사람의 노출


량 사이에 충분한 안전영역이 존재한다고 한다면 독성반응이 인정되지 않았던 시험도

그러한 잔류농약의 안전성 평가의 목적에는 부합된다고 할 수 있다. 독성이 인정되지

않을 경우에 주요 문제점은 더욱 높은 용량에서 유발될 가능성이 있는 작용의 종류, 중


요성, 또는 정도에 대해 어떠한 정보도 얻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에 시험한 최고용량에

대해 적용해야 하는 적절한 안전계수를 결정할 수 없는 것이다.

다음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어느 작용을 독성으로 판단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어느


작용을 유해하다고 판단할 것인가는 작용의 독성을 근거로 해야 한다. 혈장콜린에스테

라제의 억제는 확실히 변화이기는 하지만 명확한 ‘독성’의 범위는 아니므로 독성증상이

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간(肝)의 가역적인 중량 증가는 독성이라고 하기보다 동물의


적합성 반응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보조적인 시험은 필요할 것이다.

시험모집단(母集團)에서의 용량-반응관계 판단은 유해한 영향의 발현빈도 및 정도가

용량과 관련된다는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 시간-반응 관계도 가능하다. 즉, 일정용량을


투여하였을 때, 투여기간에 따라 유발되는 영향의 발현빈도가 증가한다는 현상이다. 중

간도살이 실시되지 않을 경우에는 투여기간이 다른 시험결과(동일 동물종/계통에 대해,

가능하다면 동일 연구기관 및 동일한 환경 하에서 실시된 시험)의 비교검토가, 시간-반


응관계를 검토하기 위해 필요할 것이다. 비교검토를 위해 중간도살 또는 보다 단기 시

험으로 실시하지 않을 경우에는 시험기간 중에는 사망한 동물 또는 절박도살동물에서

의 소견을 기준으로 주요 병변의 대체적인 발현시기를 구할 수 있다(특히, 그러한 병변


이 사망의 원인이 되었을 경우).

포유동물 생식과정의 다양한 특성은 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용량-시간-반응관계

를 확립하는 것을 복잡하게 한다. 발생초기에 시작된 영향이 그 후 발생단계에서 경감


될 가능성이 있다. 장애가 진행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멈추도록 진화된 방어기능으로 인

해, 배(胚)ㆍ태아(胎兒)에 대한 사소한 손상은 복구되고, 그리고 복구가 곤란한 손상에

대해서는(배ㆍ태아가) 배제되는 경우가 있다(예, 배 흡수나 유산). 따라서 생식시험을


통해 얻은 용량반응은 종종 단일 요인으로 인한 일시적인 변화라기보다, 복수 요인이

단계적으로 작용한 결과를 반영하고 있다.

- 94 -
독성데이터를 평가할 때, 관련되는 항목을 추계(推計, 추정계산)학적으로 해석하고,

미리 정한 기준에 따라 유의성을 검토한다. 시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추계학적인 의의에


대한 차이는 그 생물학적인 의의에 비추어 판단해야 한다. 따라서 투여동물에서는 보기

드물게 나타나는 종양의 발현빈도가 증가한 경우에는 동시에 실시한 대조군에서의 발

생빈도와 비교하여 추계학적인 차이에 의의가 없더라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개별항목 예컨대 적혈구 수 등에서 추계학적으로 의의가 있는 변화가 보이

더라도 그것은 기타 항목, 예컨대 골수 또는 비장의 병리현상이나 메토헤모글로빈 형성

등의 근거가 되는 소견이 없는 한 통상적으로 생물학적으로는 관련성이 없다고 판단한


다.

대조군에서 특정 병변의 발현빈도가 높은 경우에는 독성시험으로 얻은 데이터를 해

석하는 것이 종종 복잡해진다. 그 중에서도 특정 종양의 경우에는 동물의 종류나 계통


을 미리 선택함으로써, 어느 정도 이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예컨대 표적기관

이 신장일 경우 노화(老化)성 신장병의 발현 빈도가 높은 쥐(rat) 계통을 사용하는 장

기독성시험에서는 결과를 선택하는 것이 곤란해질 것이다.


동일 종류의 독성시험을 한 종류 이상의 동물종을 사용하여 실시할 경우에 한쪽 동

물종에서는 영향이 보이는데 다른 동물종에서는 보이지 않을 경우 또는 한 쪽 동물종

이 다른 쪽 동물종 보다 어떤 물질에 대해 감수성이 월등히 높은 경우에는 결과를 해


석하는 것이 복잡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사람에게 외삽하는 데 최적인 동물종

을 선택하는 것이 힘들어 진다. 일반적으로 최적의 동물종을 선택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일반적으로 약물의 동태 또는 약동력학(흡수, 분포, 대사, 배설)에 관한 비교 데이터)가


없을 경우 가장 감수성이 높은 동물종(가장 낮은 용량에서 유해영향이 나타난 동물종)

의 데이터를 NOAEL을 판정하거나 ADI를 설정하는데 사용한다.

발암성 시험 데이터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JMPR은 이 외에 많은 독성학적 영향을 평


가하는데 근거가 되고 있는 역치 개념을 채택하고 있다. 종양의 발현빈도를 평가할 때,

대부분의 경우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을 다른 것으로 고려해왔다.

1986년 합동회의에서 독성이 발현하게 되는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고 강조하였다. 보고서에서는 ‘독성의 메커니즘에 관한 현재의 지식은 한정되어 있지만,

독성시험에 대해 보다 타당한 계획, 실시 및 해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충분한 이해를

얻고 있다. 따라서 작용 메커니즘에 관한 지식으로 인해 사람에게서의 리스크를 보다


논리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 지므로, 작용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장려된다.’고 서

술되어 있다.

- 95 -
2) 코덱스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 방법
코덱스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제안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절차를 거쳐야 하며, 인삼의

경우와 같이 minor crop인 경우 6포장의 시험 성적이 제출되어져야 하고, 또한 한 나

라에서 모든 시험이 수행되어도 받아들여질 수 있다

■ 코덱스에 제출하는 데이터의 준비

○ 데이터의 준비
- 농약에 대한 Codex MRLs의 설정을 지원하기 위해 국가 정부 또는 제조사는

JMPR의 평가를 위한 자료를 제출한다.

- FAO Panel, JMPR의 검토를 위한 일건의 데이터를 준비한다. - FAO 매뉴얼 4장


- 이 서류는 일건으로 준비되거나 국가 정부로부터 제출된 자료로 한다.

○ 데이터의 구조

- Directory
- 배경 정보

- Metabolism 및 environmental fate

- 잔류 분석법 및 냉동 저장 안정성 데이터


- 사용 패턴

- 포장시험에서의 잔류 성적

- 저장 및 제조과정중의 잔류 변화
- 동물 제품에서의 잔류

- 상업적 혹은 소비에서의 식품중의 잔류

- 국가 잔류허용기준 및 잔류 정의
○ 제안 데이터의 구성

- 주 문서를 준비하기 위해 FAO template을 선택

- 주 문서를 사용하여 평가에 대한 데이터 요약하여 제시


자세한 연구내용은 첨부로 제공

- 96 -
[LOGO]
TITLE: [COM POUND].
[NATIONALG OVERNMENT]
SUBM ISSIONFORJMPR2009.

PURPOSE:

To provide information on [compound] to the FAOSecretary of JMPR


for evaluation by JMPRat the 2009 meeting. [Compound] is on the
FAOPanel schedule as a [periodic review] compound for evaluation in
2009.

REPORT NUMBER: [uniqueidentifying number]


NUMBEROF PAGES: [n] pages +annex +attachments
DATE OF ISSUE: [xxxxx].

AUTHORS: [Names of responsible authors and contact persons]


ADDRESS:
[Full address]

AUTHORISATION: [Head of national delegationto CCPRor other relevant


position]
ADDRESS:
[Full address of authorising officer

[그림 3-1] 코덱스 제출 데이터 작성 예시

○ 배경 정보
- 자료를 제출하는 사유를 간략하게 설명

○ 분석방법

- 포장시험과 모니터링에 사용한 방법을 간략하게 요약


- 밸리데이션 요약

- 방법을 복사하여 첨부

- 97 -
예시)

○ 사용 패턴

- 상표에 표시된 사용 패턴 요약

예시)

Residue trials - supporting information


Crop: grapes Study report identification number: AL2122/90
Analytical method ident number: AL-CY-03
Procedural recoveries: 80-98% (0.02-0.5 mg/kg)
Trial design: unreplicated single plot
Plot size: 8 sq m
Sprayer: motorised backpack
Sprayer calibration: 1 day before first application
Field sample size: 2 kg
Sampling dates: 10-31 Oct 1990
Analysis dates: 27 May 1991
Interval of sample storage: 229 days
Sample storage conditions: below -12°C
Residue levels in samples from control plots: <LOQ
Residues adjusted for % recovery? unadjusted

- 98 -
○ 잔류시험 성적 요약

다음의 예시와 같이 작성

○ 국가 잔류허용기준
국가에서 설정하고 있는 기준 현황을 아래와 같이 작성하여 제출

○ 종합 요약

- Codex 표준 포맷에 따라 보고서 준비

- Template는 체크리스트로 활용
- 국가에서 사용하기 위해 준비된 보고서와 상표를 첨부(필요시 영문자료와 함께)

- 99 -
나. 미국
1) 미국의 농약 등록 및 관리 현황
미국에서의 농약 등록은 EPA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등록에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제출하면 평가를 통하여 등록과 함께 농약잔류허용기준을 동시에 설정하여 공고한다.

[그림 3-2] 미국 EPA 농약 등록 공고 홈페이지

가) 농약 허용기준 및 면제기준

CFR Title 40, Volume 23의 PART 180에 의해 식품 중 농약에 대한 허용기준 및


면제기준을 정하고 있다.

(1) Zero tolerances

Zero tolerance란 시판용으로 공급되는 농축산물 상품에 농약이 전혀 잔류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이다. 농축산물의 내부나 표면의 농약에 대해 무 잔류 원칙을 확정할 수 있

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아래 이유 때문이다.

(a) 온혈동물의 두 가지 종(species)의 식이에서 안전한 수준의 농약량이 아직 신뢰


성 있게 결정되지 않았다.

(b) 농약이 발암성이거나, 시험동물의 먹이에 섞어서 섭취시켰을 때 시험동물 종의

한 가지 이상에서 경고할만한 생리적 영향을 일으켰다.


(c) 농약에 독성이 있는데도 과일, 채소, 기타 농축산물이 견디지 못하거나 함유하지

못할 경우에도 혹은 못할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 100 -
(d) 농축산물 상품이 주간 거래(interstate commerce) 되기 전에 농약의 모든 잔류물

은 우수 농작물 관리를 통해, 이를테면 세척, 솔질 또는 기후나 농약 자체의 변


화를 통해 정상적으로 제거된다.

(2) 농산물이나 가공식품에 잔류하는 농약의 허용기준 또는 면제를 제안하는 청원


허용기준 또는 면제의 확정, 변경 또는 폐지를 요청하는 청원서를 작성하는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FFDCA(미국 연방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법) section 408(d)에 의거하여 FDA에


청원서를 접수할 때는 2부를 제출해야 한다. 제출된 서류에서 외국어가 사용된

부분에는 정확하고 완전한 영어 번역문을 병기해야 한다. 청원서는 180.33에 명

시된 요금을 위해 예치금을 동봉해야 한다. FFDCA section 408(g)(2)에 의거한


거부 통보가 발송될 경우를 대비해 청원서에 청원자의 우편주소를 기재해야 한

다. 청원서에는 청원자 또는 그의 변호사나 대리인, 또는 (기업인 경우) 권한을

받은 임원의 서명이 있어야 한다.


(b) 청원서에는 아래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① 청원 내용 외에도 청원을 보충하여 제출 또는 인용된 데이터, 정보 및 논거의 내

용을 요약한 요약서. 요약서의 인쇄본과 전자파일 둘 다 제출해야 한다. 전자 파


일의 형식(format)은 살충제프로그램 사무국(Office of Pesticide Programs)의 현

행 전자데이터 제출 표준을 따라야 한다.

이 표준은 http://www.epa.gov/oppfead1/eds/edsgoals.htm에 명시되어 있다.


② 요약서나 요약서 내에 담긴 모든 정보가 FFDCA section 408(d)(3)에 의거하여

게시될 청원 등록 고지(notice of filing of the petition)의 일부로서 또는 FFDCA

section 408에 의거하여 공포된 제안된 규정이나 최종 규정의 일부로서 공개될


수 있다는 점에 청원자가 동의한다는 진술서.

③ 살충제 잔류물과 그 잔류물의 원인 살충제 각각의 명칭, 화학명 및 조성.

④ 살충제의 권장 사용량, 빈도, 방법 및 사용 시기를 나타낸 데이터.


⑤ 살충제의 안전성에 관련하여 수행된 시험 및 조사의 종합 보고서 그 시험과 조사

를 수행하는 데 사용한 방법 및 통제책에 관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것.

⑥ 식품의 내부나 표면에 잔류할 성 싶은 잔류살충제의 성질과 양에 관하여 수행된


시험과 조사의 종합보고서. 사용된 분석방법에 대한 설명을 포함할 것. (잔류물

시험에 관한 정보는 Sec. 180.34를 참조)

- 101 -
⑦ 허용기준이 제시되어 있는 잔류살충제일 경우, 잔류살충제의 제시된 허용기준

⑧ 제시된 허용기준을 초과하게 될 잔류살충제 분량을 제거하기 위한 실용적 제거방법


⑨ 식품의 내부나 표면의 잔류살충제 농도를 검출 및 측정하기 위한 실용적 방법. 또

는 그런 방법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를 기술한 진술서.

⑩ 가공식품의 허용기준에 관한 청원인 경우, 그 식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한 가공방


법을 사용해서 수행한 조사의 보고서.

⑪ FFDCA section408(b)(2)(C)에 의거하여 행정관(Administrator)이 판정을 내리는

데 필요할 수 있는 정보.
⑫ 그 살충제가 자연 발생하는 에스트로겐(여성호르몬) 또는 다른 엔도크린(내분비

호르몬)의 영향에 의해 일어나는 것과 유사한 영향을 인간에게 일으킬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해 행정관이 필요로 할 수 있는 정보.


⑬ 이미 승인된 허용기준 혹은 면제기준에 의거한 잔류살충제 노출에 관한 정보

⑭ 청원서에 기재된 잔류살충제에 관하여, 국제 식품규격위원회(Codex Alimentarius

Commission)에서 확정된 최대 잔류물 농도에 관한 정보. 그 잔류살충제에 대한


Codex 최대 잔류농도가 정해져 있으나 청원자가 그 농도의 채택을 제안하지 않

는 경우, 그 Codex 농도를 포기하려는 이유를 설명한 진술서.

⑮ 청원을 뒷받침하기 위해 행정관이 규정에 의해 요구하는 데이터 및 정보 및 청원


을 뒷받침 하는 합리적 근거

(c) 이상과 같이 명시된 데이터는 별도 페이지나 별도 섹션으로 작성하고 알맞게 식


별표시를 해야 한다. 그런 데이터가 이미 이전 신청서에서 제출되었다면 현재의

청원서는 그 과거 신청서를 참조하는 것으로써 그 데이터를 반영할 수 있다.

(d) 이 섹션의 (e)에 언급된 사항을 제외하면, FFDCA section 408(d)에서 명시한 데
이터가 결여되었거나 이해하기 어렵게 기술된 청원서는 접수 받아서는 안 된다.

이 파트(part 180)에 의거하여 FDA에 제출되거나 입수된 정보의 공개 여부에 관

해서는 규정에 따라 적용한다. 행정관은 이 섹션의 (b)(1)에서 참조된 요약서의


전문(full text)을 늦어도 그 청원의 등록 고지가 Federal Register(연방관보)에

게시될 때까지는 EPA Edocket (Electronic Docket 전자문서자료실)

(http://www.epa.gov/edocket)에 공개해야 한다.


(e) 행정관은 청원서 접수일로부터 15일 내에 청원의 수락 여부를 청원자에게 통보

해야 하고, 만약 수락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이유를 함께 통보해야 한다. 청원자

- 102 -
가 원한다면 청원자는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 통보한 후 그 부족한 부분을 보충

할 수 있다. 청원자가 청원을 보충 또는 설명할 생각이 없고 제출된 그대로 접수


하기를 서면으로 요청하면 그 청원은 접수되어야 하고 그 사실을 청원자에게 통

보해야 한다.

(f) 잔류살충제 허용기준 청원이 섹션의 (b)의 요구사항을 충족했다고 행정관이 판정


한 경우, 판정 후 30일 이내에 그 청원 접수 고지가 Federal Register에 게시되어

야 한다. 이 고지에는 해당 잔류살충제의 명칭과 허용기준을 청원하려는 상품의

명칭을 명시해야 하고, 잔류살충제의 검출 및 측정 시 행정관이 이용할 수 있는


분석법에 대한 설명문이 있음을 밝히거나 청원자가 그런 방법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를 밝힌 진술을 밝혀야 한다.

이 고지는 이 섹션의 (b)에서 요구된 요약서의 전문이 위치한 FDA 전자문서자


료실(ED) 웹사이트주소((http://www.epa.gov/edocket)를 뚜렷이 명시하고, 이해

당사자들에게 그 청원의 추가 정보를 보려면 이 문서를 참조하라고 해야 한다. 요

약서의 전문은 고지에서 생략될 수 있다.


(g) 행정관은 청원을 심사하면서 언제든 살충제 샘플을 요청할 수 있다. 살충제샘플

요청서에서 행정관은 살충제의 잔류물 측정에 사용된 분석법과 제시된 허용기준

초과 분량을 제거하기 위해 청원자가 제안한 방법을 검증하는 데 적절하다고 생


각되는 샘플 수량을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

(h) 행정관은 허용기준 규정을 확정, 변경 또는 폐지하는 지령(order)을 발행할지(청

원자가 제안한 조치와 일치하든 다르든), Sec. 180.29에 의거하여 제안된 허용기
준 규정을 발표하고 그에 대한 공공의견을 요청할지, 또는 청원을 거부할지를

FFDCA법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 행정관은 그런 지령 혹은 제안된 규정을 연방

관보에 게시해야 한다. 제안된 규정에 대한 의견을 접수한 뒤, 행정관은 허용기


준 규정을 확정, 변경, 또는 폐지하는 지령을 발행할 수 있다. 이 섹션에 의거하

여 발표된 지령에는 본 장의 파트 178에 따라 반대의견서 및 공개청문회 요청서

를 제출하는 방법을 간략히 소개해야 한다.

(3) 잠정 허용기준(Temporary tolerances)

(a) FFDCA section 408(r)의 권한에 의거하여 정해진 잠정 허용기준(또는 허용기준


면제)은 FFDCA section 408(a)(1) 또는 (a)(2)와 Sec. 180.30의 목적을 위한 허용

기준 (또는 허용 요건 면제)로 간주되어야 한다.

- 103 -
(b) 미국 연방 살충제, 살균제 및 설치류제거제법(Federal Insecticide, Fungicide, and

Rodenticide Act FIFRA) 하에 살충제 실험허가를 획득하였거나 허가 받으려 하


는 자의 잠정 허용기준 요청서 또는 임시 기준면제 요청서에는 Sec. 180.7(b)에

기술된 주제에 관한 이용 가능한 데이터와 Sec. 180.33에 제시된 커버 요금으로

서 예치금을 동봉해야 한다.


(c) 임시 허용기준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요청자는 FFDCA section 408(d)와 Sec.

180.7에 명시된 청원절차를 준수해야 한다. 단, 이 섹션에 명시된 것은 예외이다.

(d) 행정관이 해당 FFDCA section 408(b)(2) 또는 (c)의 안전성 표준이 충족된다고


결론 내린 경우, 임시 허용기준 또는 임시 면제기준은 FIFRA법의 권한으로 주

어진 실험허가에 의거하여 살충제를 실험하는 동안 생산된 농축산물의 적법한

시판을 위해 설정된 기간 동안 발행될 수 있다. FFDCA section 408(e)의 요구사


항을 적용 받으므로 임시 허용기준 또는 임시 기준면제는 그 실험허가가 폐지되

는 경우 폐지될 수 있고, 임시 허용기준 신청서에 물질정보의 틀린 내용이 진술

된 것이 밝혀지는 경우, 또는 그 살충제에 대한 새로운 과학적 데이터나 실험결


과에서 그 살충제가 FFDCA section 408(b)(2) 또는 (c)의 해당 안전성 표준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밝혀지는 경우에는 언제든 취소될 수 있다.

(e) 임시 허용기준을 정할 때는 아래 조건이 포함된다.


① 실험허가에 의거하여 허가된 지정 농작물에 사용될 살충제의 양적 제한

② 실험허가서에 명시된 적격의 인물이 살충제를 지정 농작물에 선의의 실험적 용도

로 사용케 하기 위한 제한
③ 실험을 위해 임시 허용기준을 정한 실험의 허가를 받은 개인이나 회사는 실험에서

나온 안전성 관련 결과의 모든 보고를 즉시 EPA에게 알려야 한다는 요구사항.

④ 실험을 위해 임시 허용기준을 정한 실험의 허가를 받은 개인이나 회사는 생산량,


유통량 및 성과 기록을 2년 동안 유지해야 하고, 모든 합리적인 요청 시에는 그

기록들을 EPA의 어떤 당국자나 직원이 요청하든 제공해야 한다는 요구사항.

(4) 허용기준 또는 면제기준의 변경 또는 폐지 절차 (Procedure for modifying and

revoking tolerances or exemptions from tolerances)

(a) 행정관은 농축산물 상품이나 가공식품의 잔류살충제 허용기준을 변경 또는 폐지


하는 규정이나 그런 잔류살충제의 허용기준 적용 면제를 변경 또는 폐지하는 규

정을 발포할 것을 자진하여 제안할 수 있다.

- 104 -
(b) 잔류살충제 허용기준 또는 면제기준을 변경 내지 폐지하는 규정을 발포하기를

제안하는 청원서를 누구든지 행정관에게 제출할 수 있다. 이 청원서에는 그 제안


에 대한 합리적 근거를 밝혀야 한다. 합리적인 근거에는 그 사람이 그 허용기준

또는 면제기준에 매우 관심 있다는 것을 피력한 설명과 그 살충제의 새로운 사

용법이 개발되었거나 예전 사용법이 포기되었다는 것, 그 살충제의 독성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가 나왔다는 것, 또는 그 허용기준이나 면제기준을 적용한 경험으

로부터 그것의 변경이나 폐지가 정당화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주장(가급적 데이

터로 뒷받침 할 것)이 포함될 수 있다. FIFRA법에 따라 살충제를 등록했거나 살


충제 등록 신청서를 제출했다는 증거서류는 그 사람이 그 살충제의 전체나 일부

를 구성하는 살충제품의 허용기준 또는 면제기준에 높은 관심이 있다는 증거로

서 간주되어야 한다. 새 데이터는 청원서 제출을 위해 Sec. 180.7(b)에 명시된 형


태로 제시되어야 한다.

(c) 행정관이 게시한 제안서나 청원서에 대한 조치의 완료 절차는 Sec. 180.29와

180.7에 명시된 것을 따라야 한다.

(5) 허용 요건 적용 면제 (Exemptions from the requirement of a tolerance)

허용 요건 면제는 현재의 일반적 사용조건이나 제안된 사용조건 아래 농축산물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살충제에 대해 농축산물 상품의 내부나 표면에 잔류하는 총량이

공중보건에 아무 유해를 끼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될 때 부여된다.

(6) 살충제 허용 요건 적용 면제 (Pesticide chemicals exemptions from the

requirement of a tolerance)

(a) 자라는 농작물에 우수 농작물관리 기준(good agricultural practice)에 따라 사용


되는 경우, 아래 살충제는 허용 요건 적용이 면제 된다.

① 보류

② N-옥틸바이시클로(2,2,1)-5-헵텐-2,3-디카르복시마이드[N-Octylbicyclo(2,2,1)-5-heptene-2,3-dicarboximide]
③ 원유(Petroleum oils)

④ 피페로닐 부톡사이드(Piperonyl butoxide)

⑤ 보류
⑥ 피레트럼(Pyrethrum)과 피레트린(Pyrethrins)

⑦ 로테논(Rotenone) 또는 데리스(derris) 혹은 그 뿌리

- 105 -
⑧ 사바딜라(Sabadilla)

(b) 이 살충제들이 수확기나 수확 후에 농작물에 사용된 경우에는 허용 요건이 면제


되지 않는다.

(7) 수확 전후로 사용된 불활성 성분 허용 요건 적용 면제 (Inert ingredients used


pre- and post-harvest exemptions from the requirement of a tolerance)

자라는 농작물이나 수확 후의 농축산물 상품에 사용된 살충제의 불활성 (또는 간

혹 활성) 성분으로서 우수 농작물관리 기준에 따라 사용된 경우에는 허용 요건에서


면제된다.

2) 미국의 모니터링 현황
미국에서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등에 대한 농약의 잔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미
농무부에서는 매년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2006년도에 실시한
농약데이터 프로그램(Pesticide Data Program : PDP)의 결과를 정리하며 다음과 같다.

가) 서론
1991년 식품 내 농약 잔류물에 대한 자료 수집을 위해 시작된 농약데이터 프로그램

은 1996년도 식품품질보호법(Food Quality Protection Act) 이행에 중요한 역할을 맡

고 있다. 동 법률은 농무부 장관이 유아와 아동이 빈번하게 소비하는 상품에 대한 농


약 잔류물 자료를 수집하도록 명하고 있다. PDP 자료는 미 환경보호청(EPA)에서 현

재의ㅣ농약잔류 허용량의 안전성 여부를 검토하는 과정 중 식이노출을 평가하기 위해

주로 이용된다.
PDP는 주로 노출량 평가를 위해 식료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운영은 허용량 단속을 위해 실시하는 규제 감시 프로그램의 운영과는 크게 다르다.

PDP 표본은 소비 지점에 근접한 곳에서 수집하며 실제 소비자가 구매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시료를 준비한다. 시료 채취는 EPA 데이터 요구를 토대로 하며 식품 유통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프로그램에 대한 주요 참가 기관은 참가 주와 EPA, USDA 농업통계처(NASS),


업계와 재배자 단체를 비롯한 추가적인 이해관계자가 포함된다. PDP 주요 데이터는

EPA와 미식품의약국(FDA), USDA 경제연구처(Economic Research Service : ERS)

- 106 -
그리고 해외농업처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 FAS), 참가 주, 학술 기관, 농약제

품 제조사, 환경 단체, 식품안전 기구, 식품 생산업체를 대변하는 민간 부문 단체를 비


롯한 여러 곳에서 이용된다.

2006년에는 10개 주(캘리포니아, 콜로라도, 플로리다, 매릴랜드, 미시건, 뉴욕, 오하이

오, 텍사스, 워싱턴, 위스콘신); USDA 곡물검사출하집하청 (Grain Inspection,


Packers, and Stockyards Administration : GIPSA); USDA 식품안전검사처 (Food

Safety Inspection Service : FSIS)에서 시료를 제공하였다. 추가적인 시료는 15개 주

(앨라배마,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플로리다, 조지아, 아이오와, 루이지애나, 미시건, 미


네소타, 미주리, 몬타나, 뉴저지, 노스다코타, 펜실베이니아, 사우스 캐롤라이나)와 콜롬

비아 특별구의 음용수 시설 인력이 참가하여 제공되었다. 캘리포니아, 콜로라도, 플로

리다, 미시건, 미네소타, 몬타나, 뉴욕, 오하이오, 텍사스, 워싱턴주와 농산물판매처


(Agricultural Marketing Service : AMS), 국립과학연구소 (National Science Service

: NSL); GIPSA 연구소는 실험을 지원하였다.

과실과 야채 표본은 슈퍼마켓과 식료품점에 식품을 공급하는 터미널 시장과 대형


체인점 물류 센터에서 수집 한다. 이들 장소에서의 표본 추출은 농작물 생산 기간중

살포하고 수확 후 살포하는 농약(예, 살진균제와 성장 억제제)을 포함해 잔류량 측정

이 가능하며, 식품을 보관하는 동안 잔류량이 감소하는 것을 고려한다. PDP 표본 추


출 현장 참가는 자발적이며, 주 및 연방 단속 프로그램과 별도로 정한다. 2006년 700

곳이 넘는 현장에서 접근을 허용하였고 현장 수량 데이터를 비롯한 정보를 표본 수집

관에게 제공하였다. 이러한 자발적 협조는 PDP에 대단히 중요하며, 식품 유통과 생산


량 변동에 따라 표본 추출 프로토콜 조정이 가능하다.

전체 곡물 표본은 숙련된 USDA GIPSA 검사관이 수집한다. 가금류 표본은 숙련된

USDA FSIS 검사 프로그램 담당자가 지정된 도축장에서 수집한다. 처리 및 미처리


음용수 표본은 선별된 수도 처리 시설의 숙련된 수도 처리 요원이 현장에서 수집한다.

PDP가 선별하는 농약은 현재 용도를 등록한 농약과 독성 데이터나 식이 노출 예비

추정에 따라 확대 잔류량 자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PDP는


EPA가 위해관리 활동의 일환으로 변경된 사용 지침(즉, 적용률이나 빈도 감소)을 시

행한 농약도 감시한다.

- 107 -
나) 시료 채취

• 배경
PDP 시료채취 프로그램의 목적은 미국에 공급되는 식품의 통계적인 타당성을 얻도

록 하는 것이다. PDP 자료는 식품으로부터의 실질적인 잔류농약의 노출을 반영한다.

엄격한 통계 설계를 이용하여 PDP는 전국 식품 유통체계에서 시료를 무작위로 선정


하고 소비자에게 주로 제공되는 식품을 반영할 수 있는 폭넓은 절차를 마련하였다.

• 신선 및 가공 과실과 야채
2006년 채집/분석한 전체 표본에서 신선 및 가공 제품을 비롯하여 과실과 야채는

72%(13,658종 가운데 9,818 )였다. PDP를 위해 채집한 신선 상품은 바나나와 브로콜

리, 당근, 상추, 바나나, 브로콜리, 당근, 콜리플라워, 크랜베리, 가지, 자몽, 녹색 채소


(콜라드 녹색 채소, 케일), 복숭아, 자두, 시금치, 여름 호박, 수박, 겨울 호박이었다. 가

공 상품은 사과소스, 오렌지주스(냉장 및 냉동), 건조 자두(말린 자두), 냉동 감자, 건

포도, 냉동 sweet peas가 포함되었다. 콜리플라워, 가지, 자몽, 여름 호박과 같이 상대


적으로 큰 상품은 시료의 대표성을 유지하기 위해 2개 이상 채집했다. 유일한 예외는

수박으로, 선적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표본당 1개만 채집했다.

상품별 월별 대상 표본은 62종, 연간 상품별 표본은 744종이 된다.


각 상품별로 주에서 채집하는 표본의 합계는 표 3-1에 기재하였다.

• 밀
숙련된 USDA GIPSA 검사관은 PDP를 위해 2005 수확연도에 해당하는 밀 시료

687종을 채취했다(2005년 10월부터 2006년 4월). 각 주를 기본으로 하는 시료 채취율

은 3년 동안 평균을 구한 농산물 생산량 합계를 기초로 계산하였다. 시료는 트럭(표본


의 17%)과 호퍼 카(69%), 바지선(14%)에서 채취하였다.

• 가금류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숙련된 FSIS 검사관은 가금류 시료 1,310종을 채취했다.

검사관은 지정 도축장에서 영계와 노계 시료를 채취하여 무농약 폴리에틸렌 백에 별

도로 조직을 담아, 라벨을 표시하고 하루밤 냉동시켰다. 냉동된 표본은 조작방지 상자


에 냉동아이스팩과 함께 포장하여 노스캐롤라이나 개스토니아에 있는 NSL에 택배로

발송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 108 -
[표 3-1] 주별 샘플 수집 및 분석 분포

신선 과일 및 채소류*
Total
주 BN BR CA CF CR EP GF GK GL PC PU SP SS WM WS Fresh

California 168 41 30 126 168 167 168 31 11 15 99 113 42 127 84 1,390

Colorado 24 6 8 18 24 24 24 1 5 3 17 18 6 - 12 190

Florida 84 21 62 63 84 84 84 7 14 17 53 57 21 189 42 882

Maryland 48 12 16 36 48 48 48 6 6 4 38 32 12 24 24 402

Michigan 72 18 28 54 72 72 72 8 10 10 55 47 18 - 36 572

Newyork 108 27 40 81 108 107 108 17 10 12 89 72 27 42 54 902

Ohio 70 18 56 54 72 72 72 10 8 5 46 53 18 - 36 590

Texas 96 24 33 72 96 94 96 10 13 16 75 70 24 168 45 932

Washington 48 12 35 36 48 48 47 4 8 5 28 34 12 - 24 389

Wisconsin 24 6 8 18 24 24 24 4 1 3 15 15 6 0 12 184

742 185 316 558 744 740 743 98 86 90 515 511 186 550 369 6,433

가공 과일 및 채소류*
Total Total Fresh NUT
주 AC OJ PD PS PZ RA &Processed Product 음용수 생산품
Processed F&B PB WB

California 168 125 66 168 168 84 779 1,390 166 88

Colorado 24 18 7 24 24 12 109 190 24 14

Florida 84 63 31 84 84 42 388 882 83 34

Maryland 48 36 8 48 48 24 212 402 48 25

Michigan 72 54 17 72 72 36 323 572 72 35

Newyork 108 81 19 108 108 54 478 902 108 48

Ohio 72 54 26 72 72 36 332 590 70 36

Texas 96 72 21 96 96 48 429 932 96 49


Washingto
n 48 36 20 48 48 24 224 389 48 24

Wisconsin 24 18 9 24 24 12 111 184 24 12

744 557 224 744 744 372 3,385 6,433 739 367

- 109 -
* < 약어 범례 >
AC = 사과쨈 GK = 그린케일 PZ = 배
BN = 바나나 GL = 그린콜라드 RA = 건포도
BR = 브로콜리 OJ = 오렌지쥬스 SP = 시금치
CA = 덩굴월귤 PB = 땅콩버터 SS = 여름호박
CF = 컬리플라워 PC = 복숭아 WB = 병음료수
CR = 당근 PD = 자두(건조) WM = 수박
EP = 가지 PS = 스위트피(냉동) WS = 겨울호박
GF = 오렌지주스 PU = 자두

• 땅콩버터
PDP는 2006년 땅콩버터 시료 739개를 채취 및 분석하였다. 주요 체인점 물류센터와

터미널 시장을 포함한 일상적인 PDP 표본 추출 현장에서 표본 1파운드 가량을 채집

했다.

• 병 포장수와 수돗물

PDP 주 시료 채집관은 10개 참가 주(캘리포니아-7, 콜로라도-1, 플로리다-3, 매릴랜


드-2, 미시건-3, 뉴욕-4, 오하이오-3, 텍사스-4, 워싱턴-2, 위스콘신-1) 표본 추출율의

절반 수준의 병 포장수 표본 367개를 채취했다. 표본은 86%가 국내산이었으며, 13%가

수입산, 1%는 원산지가 혼합되었다.


수돗물 표본추출 프로젝트에서는 표면 수원에서 물을 끌어내는 14개주와 콜롬비아

특별구 지역 수도 체계에서 음용수 표본 737개를 채집했다. 숙련된 정수장 요원은 격

월로 표본을 채집하여 콜로라도와 몬타나, 뉴욕 주 실험실로 보내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본은 원수 취수뿐 아니라 처리 후 마무리된 음용수에서 채집한 물이 포함되었다.

다) 실험실 업무

• 개요

12개 연구소(주 연구소 10곳, 연방 2곳)가 PDP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소는 미량의
잔류물도 검출할 수 있는 계측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연구소 직원은 집중 훈련을 받고

분석 능력을 지속적으로 입증해야 한다.

- 110 -
• 신선 및 가공 과실과 야채

과실 및 야채를 분석하는 PDP 참가 연구소는 다성분분석법(Multi residue Methods


: MRMs)을 이용하여 모 농약과 대사물질, 분해물, 이성체 252개를 모니터링 하였다.

시험 시설에 도착한 시료는 육안으로 합격 여부를 검토하여 적합과 비식용(부패하

거나 멍들거나, 상한 경우)으로 판단한다. 합격한 표본은 잔류물에 대한 실제 노출을


유사하게 표현하기 위해 평균 소비자의 섭취 방식에 따라 준비한다. 신선 표본은 다음

과 같이 준비한다 : (1) 바나나는 껍질을 벗긴다. (2) 브로콜리는 육안으로 점검하여

훼손된 부분이나 시든 꽃, 비식용 부분을 제거하고 세척한다. (3) 크랜베리는 세척한


다. (4) 당근은 세척하여 껍질을 벗긴 다음 줄기 끝을 제거한다. (5) 콜리플라워는 육

안으로 점검하여 훼손된 부분과 겉잎은 폐기한 다음 세척한다. (6) 가지와 여름 호박,

겨울 호박은 세척하고 끝부분은 제거한다. (7) 자몽은 껍질을 벗기고 흰색 막을 제거


한다. (8) 녹색채소는 육안으로 점검하여 훼손되거나/시든 잎과 겉잎은 폐기한 다음

세척한다. (9) 복숭아와 자두는 세척한 다음 줄기와 잎을 제거하고 씨를 발라낸다.

(10) 시금치는 육안으로 점검하여 훼손되거나/시든 잎과 뻣뻣한 줄기는 제거한 다음


세척한다. (11) 큰 수박은 4등분하여 껍질을 벗긴다.

가공 표본은 다음과 같이 준비 한다 : (1) 애플소스, 냉동 완두콩, 냉동 감자는 즙을

비롯하여 전체 함량을 균질화 한다. (2) 신선 및 복원 오렌지주스 표본은 동질성을 띨


때까지 혼합한다. 건조 자두와 건포도의 경우, 표본을 재 탈수 하여 상품 추출을 손쉽

게 한다.

• 땅콩버터

미주리주 캔사스 시티의 USDA GIPSA 연구소는 땅콩버터 시료 77개에 대해 모 농

약과 대사물질, 분해물, 이성체를 분석했다.

• 밀

미주리주 캔사스 시티의 USDA GIPSA 연구소는 밀 시료 71개에 대해 모 농약과


대사물질, 분해물, 이성체를 분석했다.

• 가금류
노스캐롤라이나 개스토니아 소재 AMS NSL은 가금류 육질(허벅지살/가슴살) 시료

96개에 대해 모 농약과 대사물질, 분해물, 이성체를 시험했다.

- 111 -
• 병 포장수

미네소타 연구소는 병 포장수 시료 84개에 대해 모 농약과 대사물질, 분해물, 이성


체를 분석했다.

• 음용수
콜로라도, 몬타나, 뉴욕 연구소는 음용수 시료 242개에 대해 모 농약과 대사물질, 분

해물, 이성체를 분석했다.

• 품질 보증 프로그램

QA/QC 프로그램의 주된 목표는 PDP 자료의 신뢰성과 참가 연구소의 성과 대등성

을 보장하는 것이다. PDP QA 프로그램 지침은 EPA 모범실험실규범(GLP)을 토대로


하는 SOP를 통해 제공된다.

라) 데이터베이스 관리
PDP는 버지니아주 마나사스 소재 모니터링 프로그램 사무소(MPO)에 중앙 자료 보

관소 역할을 하는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 있다. PDP 데이터베이스에 수집 및

저장된 자료는 시료채취와 제품 정보, 잔류물 검사결과, 각 분석 시료에 대한 회수율


등 프로세스 제어뿐 아니라 각 표본 세트에 대한 강화된 QA/QC 회수를 포함한다.

마) 시료분석 결과와 검토

• 시료분석 결과

2006년 PDP는 신선 및 가공 과실과 야채, 땅콩버터, 밀, 가금류, 병 포장수, 처리 및


미처리 음용수를 비롯하여 각종 식품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채취 및 분석을 실시한

표본 13,658개 가운데, 9,818개는 과실 및 야채 상품, 739개는 땅콩버터 표본, 687개는

밀 표본, 1,310개는 가금류 닭가슴살 및 허벅지살 표본 쌍, 367개는 병 포장수 표본,


737개는 음용수 표본이었다.

미국에서 전부 생산된 음용수 표본을 제외하고, 전체 표본 가운데 80% 가량은 미국

에서 생산되고, 18%는 수입품, 1%는 혼합 원산지, 1%는 원산지 불명이었다. 표 3-2는


수입 시료들의 국가별 현황을 정리하였다. 국내 표본 가운데, 약 39%(8,322개 가운데

3,269개)는 캘리포니아에서 재배, 포장, 유통되었다. 오렌지주스 표본 가운데 약

- 112 -
32%(557개 가운데 178개)는 통합 원산지였다(즉, 주스는 1개 국가 이상의 오렌지 농축

액으로 구성되었다).
표 3-3은 신선 및 가공 과실과 야채, 땅콩버터, 곡물(밀), 가금류, 병 포장수(생수)

제품에 대해 2006년에 분석한 잔류물 검출 수치의 개요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신

선 과실 및 야채의 64%, 가공 과실 및 야채의 59%는 잔류물이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땅콩버터 표본은 30%, 밀 표본은 69%, 닭 가슴살과 허벅지살 표본은 7%, 병 포

장수 표본은 19%에서 잔류물이 검출되었다.

EPA는 기존 농약 사용량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식이 소비 조사와 함께 식품 감


시 자료를 이용하여 농약에 대한 식이 노출을 추정한다. EPA는 LOD 이하로 보고된

표본 결과와 허용량을 초과하는 표본 결과를 비롯하여 PDP가 보고하는 결과를 모두

이용한다. PDP 실험실은 LOD를 정하고 LOD 이하의 기기 반응은 불검출로 보고해야
한다.

- 113 -
[표 3-2] 수입 시료 현황

신선 과일 및 체소류 가공과일 및 채소류 땅콩 물 시료 총%

국가 = 26 BN BR CA CF CR EP GF GK GL PC PU SP SS WM WS AC OJ PD PS PZ RA PB WB

Argentina 2 1 2 5 <0.1

Bahamas 5 5 <0.1

Belize 1 1 <0.1

Brazil 12 12 0.1

Canada 1 18 7 77 4 5 1 2 22 76 97 26 6 342 3.1

Chile 24 192 1 1 218 2.0

Colombia 59 59 0.5

Costa Rica 193 9 202 1.8

Croatia 1 1 <0.1

Dominican
2 2 <0.1
Republic

Ecuador 217 217 2.0

Fiji 12 12 0.1

France ` 1 23 24 0.2

Grenada 1 1 <0.1

Guatemala 158 23 1 1 183 1.7

Honduras 65 12 1 26 14 118 1.1

Iceland 4 4 <0.1

Israel 1 1 <0.1

Italy 2 2 <0.1

Mexico 12 5 11 23 260 7 13 1 23 88 183 237 2 1 867 7.9

Netherlands 3 3 <0.1

New
6 6 0.1
Zealand

Nicaragua 1 5 9 15 0.1

Panama 2 2 4 <0.1

Peru 1 1 <0.1

Poland 5 5 <0.1

Unknown
34 1 1 3 39 0.4
Country

수입 수 742 6 18 18 101 276 13 14 1 24 194 28 89 252 264 22 15 2 92 100 3 27 48 2349

총 % 100 3 6 3 14 37 2 14 1 27 38 5 48 46 72 3 3 1 12 13 1 4 13 21.5

미국산 1,310개 가금류 시료수와 687 밀 시료수의 %가 추가됨 18.2

- 114 -
[표 3-3] 분석된 시료수 및 상품별 검출된 잔류물 요약
분석 검출된 검출 시료 다른 농약 다른 잔류물 총 잔류물
시료수 시료수 비율(%) 검출 검출 검출
신선과일 및 채소류:
Bananas 742 563 76 15 16 828
Broccoli 185 163 88 17 19 313
Carrots 744 623 84 21 25 1,462
Cauliflower 558 448 80 14 16 509
Cranberries 316 219 69 12 13 378
Egplant 740 191 26 16 19 339
Grapefruit 743 345 46 9 11 512
Greens, Collard 86 63 73 21 24 158
Greens, Kale 98 69 70 29 33 249
Peaches 90 89 99 33 37 411
Plums 515 357 69 19 21 597
Spicach 511 479 94 48 58 1,979
Summer Squash 186 176 95 23 29 462
Watermelon 550 136 25 25 28 207
Winter Squash 369 169 46 26 29 262
총 계 6,433 4,090 64 8,666

가공 과일 및 채소류:
Applesauce 744 691 93 26 28 2,121
Orange Juice 557 297 53 8 9 397
Plums, Dried (Prunes) 224 23 10 11 12 30
Potatoes, Frozen 744 653 88 22 26 1,148
Raisins 372 233 63 28 29 604
Sweet Peas, Frozen 744 114 15 12 12 138
총 계 3,385 2,011 59 4,438
과일과 채소류 계:
분석된 시료수 = 9,818 다른 농약들이 검출된 총수 = 113 잔류물이 검출된 시료수 = 6,101
다른 잔류물이 검출된 총수 = 125 잔류물 검출율 = 62,1% 잔류물 검출 총수 = 13,104
검출된 검출 시료 다른 농약 다른 잔류물 총 잔류물
분석시료수
시료수 비율(%) 검출 검출 검출
가공땅콩 생산품:
땅콩버터 739 223 30 6 8 243

검출된 검출 시료 다른 농약 다른 잔류물 총 잔류물


분석시료수
시료수 비율(%) 검출 검출 검출
곡류 생산품:
밀 687 475 69 15 15 669

육류:
가금류, 가슴살 655 40 6 7 7 49
가금류, 넓적다리 655 54 8 7 8 76
총 가금류 1,310 94 7 125
물 생산품:
병 물 367 70 19 6 12 178
모든 상품들 (737 음용수 시료는 제외)
분석 시료수 = 12,921 다른 농약들이 검출된 총수 = 166 잔류물이 검출된 시료수 = 6,963
다른 잔류물들이 검출된 총수 = 178 잔류물 검출 % = 53.9% 잔류물 검출 총 수 = 14,319
※ 농약수와 다른 잔류물의 차이는 모 화합물과 그의 대사물로 구분됨. 모 화합물과 그의 대
사물은 단성분 농약 검출로 보고됨.

- 115 -
표 3-3에서 알 수 있듯이 표본 가운데 46%(처리 및 미처리 음용수 표본 제외)는 잔

류물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다(즉, 결과는 확정된 LOD 이하였다). 잔류물


이 함유된 표본들의 경우 절대 다수의 검출 시료는 정해진 잔류허용량과 적용수치

(action level)를 크게 밑돌았다.

• 신선 대 가공품

2006 잔류물 자료는 종전과 마찬가지로 신선 제품에 대한 잔류 양상은 가공품과 전

혀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잔류물 수치(농도)의 증가나 잔류물 수치의 감소는


조리나 저온살균, 기타 가공 단계와 같은 가공 효과의 직접적인 결과일 가능성이 높

다. 선별된 신선 및 가공품에 대한 잔류물의 비교는 표 3-4에 표시하였다.

신선 사과 및/혹은 사과 소스에 있어서 표본의 10% 이상에서 검출된 농약은


acetamiprid, carbaryl, carbendazim(benomyl과 thiophanate methyl의 대사물질),

diphenylamine, imidacloprid, phosmet, thiabendazole, thiacloprid였다. 신선 사과와 사

과 소스에서는 총 8개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Acetamiprid와 diphenylamine,


imidacloprid, phosmet, thiabendazole은 사과소스보다 신선 사과에서 빈번하게 검출되

었다. 이에 비해, carbaryl, carbendazim, thiacloprid 검출 표본 비율은 신선 사과보다

사과소스가 높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 diphenylamine은 신선 사과의 82.9%, 사과소스


표본의 30.2에서 검출된 반면, carbendazim은 사과소스의 82.6%, 신선 과일의 20.8%에

서 검출되었다.

건포도는 주로 국내산이지만, 포도는 절반 가량이 수입품이다. 표본 10% 이상에서


검출되는 잔류물은 대부분 포도에서 확인되었다. 검출된 화합물은 captan,

chlorpyrifos, cyprodinil, fludioxonil, imidacloprid, iprodione, myclobutanil이 포함된다.

건포도 표본 10% 이상에서 더 높게 검출된 잔류물은 살충제 propargite가 유일했다.


Propargite는 신선 포도 표본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Chlorpyrifos와 fludioxonil은 신

선 자두에서 검출되었지만 건조 자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Iprodione은 신선 자두

의 36.3%, 건조 자두의 0.4%에서 확인되었다. Phosmet은 신선 자두의 15.5%, 건조 자


두의 1.8%에서 검출되었다.

• 수입 vs 국내 잔류물 비교
표본을 채집할 때 각 PDP 표본의 원산지 정보를 기록한다. PDP가 작성하는 자료는

국내산 및 수입 제품을 비롯하여 미국 소비자가 이용하는 식품에 들어 있는 농약 잔

- 116 -
[표 3-4] 신선 및 가공된 상품에 대한 잔류물 비교

사과 -- 신선 (2005) 사과소스 (2006)


검출된 최소 검출량 최대 검출량 검출된 최소 검출량 최대 검출량
농약명
시료의 % ppm ppm 시료의 % ppm ppm
Acetamiprid 70.0 0.001 0.13 51.5 0.001 0.031
Cabaryl 7.1 0.0005 0.32 22.2 0.0005 0.23
Carbendazim 20.8 0.0002 0.16 82.6 0.0005 0.04
Diphenylamin 82.9 0.0048 2.9 30.2 0.0048 0.16
Imidacloprid 26.6 0.0002 0.015 17.5 0.0002 0.0027
Phosmet 19.4 0.008 0.28 1.7 0.008 0.008
Thiabendazole 88.0 0.0002 7.0 38.8 0.0002 1.2
Thiacloprid 3.0 0.003 0.018 12.8 0.0007 0.0062
포도 -- 신선 (2005) 건포도 (2006)
Captan 16.8 0.0125 1.2 0.5 0.040 0.040
Chlorpyrifos 12.4 0.0063 0.19 0.8 0.007 0.022
Cyprodinil 26.8 0.0079 1.4 1.9 0.027 0.41
Fludioxonil 13.7 0.011 0.5 0.3 0.13 0.13
Imidacloprid 18.1 0.01 0.47 0.9 0.066 0.066
Iprodione 16.1 0.025 1.6 0.8 0.025 1.3
Myclobutanil 15.8 0.033 0.35 1.3 0.053 0.067
Propargite 0 0 0 31.5 0.0058 1.2
자두(PLUMS) -- 신선 (2006) 자두(PLUMS) -- 건조 (2006)
Chlorpyrifos 17.1 0.005 0.18 0 0 0
Fludioxonil 18.8 0.18 1.8 0 0 0
Iprodione 36.3 0.065 6.9 0.4 0.36 0.36
Phosmet 15.5 0.005 0.18 1.8 0.005 0.16

류물을 반영한다. 자몽, 녹색 채소, 건포도와 같이 대부분의 상품은 전량 국내 원산지

가 대부분이다. 단, 가지와 자두, 수박과 같은 신선 상품은 연중 일정 기간은 국내 재


배업자가 생산하고 나머지 기간에는 수입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국내산과 멕시코산 겨울 호박의 검출 수는 큰 차이가 없었다. 단, 잔류

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칠레산 자두 표본은 국내 표본에 비해 검출률이


높게 나타났다. 잔류물이 검출되는 상품 비율이 10%를 넘고 개별 잔류물 비교가 가능

한 경우 표본 세트를 선정하여 자료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자료는 국내산과 수입산 농

작물에 대한 잔류 양상이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겨울 호박 자료에서는 2005-2006년에 국내 표본의 44.8%, 멕시코산 표본의

41.4%에서 잔류물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Dieldrin은 국내 표본의 10.4%, 멕시코

- 117 -
산 표본의 0.2%에서 검출되었다. Endosulfan sulfate는 국내산 겨울 호박 표본(14.3%)

보다 멕시코산 겨울 호박 표본(26.3%)에서 빈번하게 검출되었다.


자두의 경우에는 2005-2006년에 칠레산 표본의 98.6%, 국내산 표본의 55.2%에서 잔

류물이 검출되었다. Chlorpyrifos와 iprodione은 국내산 자두 표본보다 수입산 자두 표

본에서 자주 검출되었다. 예를 들어, iprodione 잔류물은 국내산 표본 2.1%에 비해 칠


레산 자두 표본의 94.7%에서 검출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chlorpyrifos도 국내 표본

(3.0%)에 비해 칠레산 표본(26.3%)이 높게 검출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fludioxonil과

phosmet는 칠레산 자두 표본보다 국내 자두 표본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Fludioxonil은


칠레산 자두 표본 419개에서 전혀 검출되지 않았지만, 국산 자두 표본은 32.5%에서

검출되었다. Phosmet는 국내산이 28.1%, 칠레산이 1.2%에서 확인되었다.

• 국가 평가

시험 표본의 10% 이상에서 잔류물이 검출된 농약/상품의 쌍에 대해 정리한 결과 대

부분의 경우 검출된 잔류물 수치는 허용 수준의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였다.

• 수확 후 사용

농약은 승인된 라벨 용도에 따라 수확 전후에 농작물에 사용될 수 있다. PDP 자료


는 농약 사용이 이미 이루어진 시점에서 표본을 채집하기 때문에 수확 전후의 것을

포함한다. 수확 후 사용되는 농약은 주로 살균제(예, imazalil, o-phenylphenol,

thiabendazole) 이지만, 일부 살충제(예, piperonyl butoxide)와 발아억제제(예,


chlorpropham)이며, 중요한 수확 후 작물 처리제이다.

• 환경 오염

DDT, DDD, DDE

과실과 야채 총 9,455개, 땅콩버터 739개, 밀 687개, 가금류 시료 1,310개(가슴살과


허벅지살 시료 655개 쌍), 처리(완료) 음용수 시료 235개, 미 처리수 시료 236개를 선

별하여 DDT의 대사물질 DDE p,p를 파악하였다. DDT의 사용은 미국에서 1972년부터

금지되었다. 하지만 환경 내 존재로 인해 DDE p,p 대사물질 잔류물은 시험 과실 및


야채 시료의 4.2%(9,455개 시료 가운데 398개 검출)에서 검출되었다. DDE p,p 잔류

물은 브로콜리 (1.1%), 당근 (27.5%), 케일 녹색 채소 (32.4%), 복숭아 (1.1%), 시금치

- 118 -
(34.2%), 여름 호박(0.5%), 수박 (0.2%), 겨울 호박 (0.5%)에서 확인되었다. DDE p,p

잔류물은 땅콩버터와 가금류에도 검출되었다. 과실 및 야채에 대해서는 DDD o,p’


(1,637개 시료)와 DDD p,p’(9,440개 시료)를 비롯한 기타 DDT 대사물질을 분석하였다.

DDD o,p’의 경우 시금치에서 0.002ppm이 검출되었을 뿐이며, DDD p,p’는 당근에서

0.016ppm이 검출되었다(5.2%). DDD p,p’의 잔류물은 당근 (0.5%), 케일 녹색 채소


(32.4%), 시금치 (8.6%), 여름 호박(1.9%)에서 검출되었다. DDT와 대사물질 검출물 일

체는 전체 상품에 대해 정한 적용기준(action levels)을 크게 밑돌았다.

기타 외부영향에 의한 농약

1974년 미국에서는 aldrin과 dieldrin의 사용이 취소되었으며, 1978년에는 heptachlor

가 취소되었다. 이러한 취소에도 불구하고 환경 지속성으로 인해 dieldrin 잔류물은


2006년 당근, 냉동감자, 시금치, 여름호박에서 검출되었다. Dieldrin은 당근 0.1%, 냉동

감자 0.4%, 시금치 0.2%, 여름호박 9.1%, 겨울호박 1.6%에서 확인되었다. Heptachlor

의 대사물질인 heptachlor epoxide는 여름호박(1.6%)과 겨울호박(0.5%)에서 검출되었


다. cis-chlordane 이성체는 당근 (0.9%), 시금치 (0.4%), 여름호박(4.3%), 겨울호박

(1.4%)에서 검출되었다. trans-chlordane의 잔류물은 시금치 (0.2%), 여름호박 (1.6%),

겨울호박 (0.3%)에서 검출되었다. 전체 검출물은 적용기준(action levels)을 크게 밑돌


았다.

• 다성분 분석 농약 잔류물 검출
PDP는 MRM을 채택하여 EPA가 동일 상품의 여러 가지 농약잔류에 대한 노출을

평가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최신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자료는 공통된 독성 메커니즘

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농약에 대한 누적 노출을 고려하는 평가에 중요하다.


자료에는 처리 및 미처리 음용수를 제외한 전체 시험 표본 가운데 46%는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고, 28%는 1개 농약, 26%는 1개 이상의 농약이 들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2003년 이전 요약에 보고된 것과 같이 "잔류물"수가 아니라 "농약" 수를 보고하


기 위해 모 화합물과 대사물질을 합산한다. 예를 들어, Endosulfan I, II와 sulfate가 검

출된 표본은 동일 화합물이므로 농약 1개 검출로 나타내었다.

다중 잔류물 검출은 대부분 재배를 하는 동안 농약을 한 종 이상 도포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하지만 다른 요인도 다중 검출에 기인할 수 있다.

PDP가 분석하는 표본은 대부분 동일한 부지에서 생산되는 상품 3 내지 5파운드의

- 119 -
혼합물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혼합물 표본 결과에 포함되는 다중

잔류물 검출 추정 농도는 상품 1회 섭취량에 함유되는 농도당 농약 수를 반영하거나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 허용기준 위반
허용기준은 연방 식품, 의약품, 화장품법 408조에 따라 농산물 원료에 허용되는 농

약 잔류물의 최대량으로 정의한다. 허용량은 가공 식품에도 적용된다. 잔류물이 허용

수치를 초과하거나 잔류물에 정해진 허용량이 없는 경우 허용량 위반이 발생한다.


USDA가 담당하는 육류와 가금류, 계란 제품을 제외하고, FDA는 주간 통상을 통해

이동하는 수입 및 국산 식품 일체에 대한 허용량을 단속한다.

PDP는 단속 프로그램이 아니지만, 허용량을 초과하는 잔류물이나 허용량이 정해지


지 않은 잔류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표본은 FDA에 보고한다. 이러한 통보는

긴밀한 감시가 필요한 분야를 지적하기 위해 USDA와 FDA가 체결한 양해각서에 따

라 진행한다.
2006년 잔류물이 442개인 표본 총 412개가 추정 허용량 위반으로 FDA에 보고되었

다. 허용량이 정해지지 않은 표본(병 포장수와 음용수)을 제외하고, 허용량을 초과하는

잔류물은 2006년 시험 표본 12,554개의 0.2%에서 검출되었으며, 31개 표본은 잔류물이


1개였다. 허용량을 정하지 않은 잔류물은 표본의 3.1%(잔류물 1개는 367개, 잔류물 2

개는 17개, 잔류물 3개는 2개, 잔류물 4개는 1개)에서 확인되었다. 이러한 잔류물은 대

부분 대단히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일부 잔류물은 분무로 인한 이동이나 농작


물 순환 재배로 발생했을 수도 있다.

• 병 포장수 결과
병 포장수는 미국 2대 소비 음료이다. PDP는 병 포장수 소비율이 높기 때문에 2005

년부터 병 포장수 시험을 시작하여 2006년에도 계속하였다. 병 포장수는 FDA 및 주

규제 기관의 포장 식료품으로 규제한다. FDA는 수돗물시스템에 대한 EPA 최대 오염


물질 기준(Maximum Contaminant Levels : MCL)을 병 포장수 품질 기준(Standards

of Quality : SOQ)으로 채택하였다. 병 포장수는 수돗물 체계와 유사한 기준에 부합한다.

병 포장수의 출처는 대단히 다양하다. PDP가 표본을 채집한 음용수는 수돗물을 정


화한 물과 광천수, 빙하수가 포함되었다. 병 포장수는 라벨에 구체적인 산지를 표시할

필요가 없지만, 병입자는 다음과 같은 병 포장수 분류를 위해 통합 정의를 제공하는

- 120 -
FDA의 확인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 병 포장수, 음용수, 지하수, 지표수, 증류수, 이온

제거수, 삼투압 처리수, 광천수, 정제수, 탄산수, 용출수, 살균수 그리고 우물. 2006년에
는 98개 브랜드의 병 포장수 표본을 채집하였다. 여기에는 지방 병 포장수 브랜드뿐

아니라 전국 브랜드도 포함되었다. 일부 병입 회사는 수원이 다양하며 라벨에 이를 기

재할 수 있다.
전국 각지에 있는 주요 병 포장수 브랜드의 표본을 추출하면 다양한 수원의 표본을

구할 수 있다. 병 포장수는 중량과 운송비용 때문에 국내 수원에서 생산된다. 단, 51개

표본은 캐나다와 크로아티아, 피지, 프랑스, 아이슬란드, 이탈리아 산이었다.


2006년, PDP는 84개 농약과 대사물질 시험을 위해 다중잔류물 검출 방식을 이용하

여 병 포장수 표본 367개를 분석했다. 채집한 병 포장수 표본의 19%에서 6개 농약의

잔류물 12종이 검출되었다. 검출물은 모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초제와 이들의 대사


물질이었다.

용천수에서는 잔류물이 대량으로 검출된 반면, 상수도원에서 정수된 표본은 3.5%만

잔류물이 검출되었다. 잔류물이 검출된 표본은 대부분 단일 농약이나 대사물질만 함유


했다. 일부 표본은 주어진 표본 안에서 검출 농약이 최대 4개인 다중 잔류물을 함유했

다. 검출물은 전부 FDA SOQ를 크게 밑돌았다.

• 음용수 결과

미처리 및 처리 음용수 표본은 앨라배마,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플로리다, 조지아,

아이오와, 루이지애나, 미네소타, 미주리, 몬타나, 뉴저지, 노스다코타, 펜실베이니아,


사우스 캐롤라이나, 콜롬비아 특별구의 상수도 시스템에서 채집하였다. 각 유역은 지

방 지세와 유역 규모, 지형학, 토양 유형, 지질학, 토지 이용 현황, 토지 관리 관행, 농

작물 유형, 살포 농약, 살포 방법이 반영된다. 수질 평가와 관련된 복잡성으로 말미암


아 자료는 표본을 구한 유역의 고유 특성만 반영한다.

PDP는 240개 농약과 대사물질 시험을 위해 MRM을 이용하여 상수도 시스템의 표

본 737개를 분석했다. 2006년도 조사에 참가한 정수장은 표면수를 주요 수원으로 이용


하고 있다. 본 문서에 제시된 자료는 정수장 취수량에서 채집한 미처리수와 고객 공급

직전 채집한 처리수(살균후)에 대한 것이다. 미처리 취수에서는 48개 잔류물이 처리수

에서는 39개 잔류물이 검출되었다. 검출물은 대부분 흔히 사용되는 제초제와 대사물질


이었다. PDP 시험 프로필에 포함된 농약은 대부분 검출되지 않았으며, 처리수 표본의

검출물은 EPA MCL이나 건강 권고(Health Advisory : HA) 수치를 초과하지 않았다.

- 121 -
다. 일본

1) 농약잔류 허용기준의 검토
일본의 경우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은 후생노동성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이들 기준의

설정은 약사⋅식품 위생 심의위원회에서 검토한 사항에 대해 행정적인 처리를 하고

있다.
약사⋅식품위생심의회의 위원들은 정기총회에서 선임되며, 정기 총회는 2년마다 개최

되어 후생노동대신이 새로이 임명한 위원들 가운데 심의회를 대표할 심의회장을 비롯,

각 분과회를 대표할 분과회장, 부회를 대표할 부회장을 선출한다. 회기중의 예기치 않


은 임원의 승진이나 직무 승계로 인한 회장의 재 선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총회를 추

가로 소집하여 위원들의 호선에 의해 새로운 회장을 선출할 수 있다.

분과회는 약사⋅식품위생심의회령에 정해진 대로 약사분과회, 식품위생분과회로 나뉘


어 있고, 약사분과회 아래 17개 부회(부작용피해 판정 제2부회 포함), 식품위생분과회

에는 9개의 부회가 설치되어 있다.

조사회는 안건 심의시 연구조사를 위해 필요에 따라 설치되어 있다. 조사회는 안건


심의가 종결되면 관련 조사업무도 종결된다. 위원은 간호학, 생활과학, 응용 생물화학,

수리 통계학, 법학 및 경제학 등에 관한 학식 경험자로서 후생노동대신이 임명하는 30

명 이내로 구성되어 있다.


총회, 분과회 및 각 부회는 원칙적으로 회의를 공개하고 있다. 다만, 공개에 의해 위

원의 자유로운 발언이 제한되어 공정하고 중립적인 심의에 명백한 지장을 줄 우려가

있을 경우 개인의 비밀, 기업의 지적재산 등이 개시되어 특정인에게 부당한 이익 또는


불이익을 줄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비공개로 한다.

일본 후생성 홈페이지에는 이들 각 총회, 분과회 및 각 부회의 의사록이 공개가 되고

있어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명성을 확보하고 있다.


( 참고문헌: 외국의 자문기구 조사⋅연구 (2007) - 김선희, 숙명여대 석사학위논문 )

- 122 -
[그림 3-3] 약사 식품위생심의회 조직 및 구성

- 123 -
2) 농약의 잔류물 정의

일본의 경우 농약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된 농약들에 대해 모 화합물만으로 구분되지


않는 농약에 대해 잔류물의 정의를 정하여 관리하고 있는데 그 정의가 설정된 농약에

대해 정리한 결과는 표 3-5와 같다.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농약잔류허용기준의 명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잔류물의 정의를


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표 3-5] 일본 농약의 잔류물 정의

No Agricultural Chemical Note


2,2-DPA에 대한 최대잔류허용기준은 2,2-DPA와 dalapon
1 2,2-DPA
sodium salt의 잔류물을 포함
2,4-D에 대한 최대잔류허용기준은 2,4-D, 2,4-D sodium
salts, 2,4-D dimethylamine salts, 2,4-D ethyl ester,
2 2,4-D
2,4-D isopropyl ester, 2,4-D butoxyethyl ester 및
2,4-D alkanolamine salts의 잔류물을 포함
5-(PROPYLSULPHONYL 5-Pr opylsulfonyl-1H-benzimidazol-2-amine은
3 )-1-H-BENZIMIDAZOLE
-2-AMINE albendazole의 대사물임
abamecti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avermectin B1a,
avermectin B1b, 8,9-Z-avermectin B1a 및
4 ABAMECTIN 8,9-Z-avermectin B1b의 농산물에 대한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고, 육류 및 어류에 대해서는 avermectin B1a과
8,9-Z-avermectin B1a의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acequinocyl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acequinocyl로 계산되는
acequinocyl과 hydroxyl acequinocyl (3-dodecyl-2-
5 ACEQUINOCYL
hydroxy-1,4-naphthoquinone)이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
었음
acibenzolar-S-methyl ester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acibenzolar-S-methyl ester로 계산되는 acibenzolar-S-
ACIBENZOLAR-S-MET
6 HYL methyl ester와 acibenzolar acid (benzo [1,2,3]
thiadiazole-7-carboxylic acid)의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
되었음
aldrin 및 dieldri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aldrin 및 dieldrin
7 ALDRIN and DIELDRIN
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allethri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allethrin과 bioallethrin의 잔
8 ALLETHRIN
류물을 포함
amitraz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amitraz으로 계산되는
9 AMITRAZ amitraz및 N-2,4-dimethylphenyl-N’-methylformamidine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aramite에 대한 최대잔류허용기준은 aramite 이성질체의 잔
10 ARAMITE
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 124 -
benfuracarb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benfuracarb으로 계산되
는 benfuracarb와 각각의 carbofuran (benfuracarb의 대사
물) 및 3-OH carbofuran (carbofuran의 대사물)의 잔류물
11 BENFURACARB
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하지만 benfuracarb이 검출될 경우
기 설정된 최대잔류허용기준을 적용하고, 대사물이 검출되는
경우는 carofura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적용할 수 없음
CARBENDAZIM, THIOPHANATE, THIOPHANATE-METHYL
12 BENOMYL
및 BENOMYL 참조
13 BENSULTAP CARTAP, THIOCYCLAM 및 BENSULTAP 참조
bentazon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bentazone 및 bentazone
14 BENTAZONE
sodium의 잔류물을 포함함
Benzylpenicillin은 penethamate의 대사물임.
15 BENZYLPENICILLIN benzylpenicilli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benzylpenicillin 및
penethamate의 사용으로 생성되는 잔류물을 포함함
gamma-BHC는 lindane를을 의미함. Notification No.370을
통해서 BHC라는 용어가 단독으로 사용되었을 때, 그것은
alpha-BHC, beta-BHC, gamma-BHC 및 delta-BHC를
의미하고, BHC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이 네가지 물질의 잔류
16 BHC 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gamma-BHC만 단독으로 검출될
경우, Item 7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을 적용할 수 있고,
alpha-BHC, beta-BHC, and delta-BHC 중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이 검출되었을 경우 gamma-BHC의 검출여부와 관계
없이, BHC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을 적용함
bifenazat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곡물 및 지방에 대하여
bifenazate로 계산되는 bifenazate 및
isopropyl-2-(4-methoxybiphenyl-3-)diazenylformate
의 잔류물의 합, 그리고, 그 밖의 식품에 대하여는 bifenazate
17 BIFENAZATE
와 bifenazate로 계산되는 개별
isopropyl-2-(4-methoxybiphenyl-3-)diazenylformate,
4-hydroxybiphenyl 및 4-sulfatobiphenyl의 잔류물총 합으
로 설정되었음

18 BROMIDE Bromine은 inorganic bromine을 의미함

carbendazim, benomyl, thiophanate와


CARBENDAZIM,
THIOPHANATE, thiophanate-methyl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arbendazim으
19 THIOPHANATE-METH 로 계산되는 carbendazim 및 개별 benomyl, thiophanate,
YL and BENOMYL
thiophanate-methyl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carbofura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arbofuran과 carbofuran


으로 계산되는 대사물 3-OH carbofuran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하지만, parent carbosulfan, furathiocarb 또는
20 CARBOFURAN benfuracarb이 검출될 경우 대사물인 carbolfuran 또는
3-OH carbofuran에 더하여, 그에 상응하는 parent
substanc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적용할 수 있지만,
carbofura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적용할 수 없음

- 125 -
carbosulfa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arbosulfan으로 계산되
는 carbosulfan의 잔류물, 개별 carbofuran (carbosulfan 대
사물) 그리고 3-OH carbofuran(carbofuran 대사물)의 합으
21 CARBOSULFAN 로 설정되었음. 하지만, calbosulfan이 검출될 경우
carbosulfa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을 적용하는 반면, 대사물이
검출되었다 하더라도 carbosulfa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적
용하지 않음

CARTAP, cartap, thiocyclam 및 bensultap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22 THIOCYCLAM and cartap의 잔류물, cartap으로 계산되는 개별 bensultap과
BENSULTAP thiocyclam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23 CEFTIOFUR Ceftiofur는 대사물인 desfuroylceftiofur로 검증함
chlordan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농산물의 경우
cis-chlordane 및 trans-chlordane의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
24 CHLORDANE
되었고, 육제품 및 수산 제품에 대해서는 cis-chlordane,
trans-chlordane, oxychlordane의 잔류물을 적용하고 있음
chlorfenvinphos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25 CHLORFENVINPHOS (E)-chlorfenvinphos과 (Z)-chlorfenvinphos의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OXYTETRACYCLINE, CHLORTETRACYCLINE 및
26 CHLORTETRACYCLINE
TETRACYCLINE 참조
clethodim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lethodim 잔류물과
27 CLETHODIM clethodim으로 계산되는 clethodim sulfoxide 및 clethodim
sulfone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Clothianizine은 thiamethoxam의 대사물임. clothianizin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lothianizine 자체를 사용함으로써 뿐만
28 CLOTHIANIDIN
아니라, parent thiamethoxam를 사용함으로써 유발되는
clothianizine 잔류물을 포함
COPPER copper telephthalat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opper
29 TELEPHTHALATE telephthalate 및 telephthalic acid의 잔류물을 포함
cyfluthri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yfluthrin의 이성질체 잔류
30 CYFLUTHRIN
물의 합을 포함함
cyhalothri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lambda-cyhalothrin 잔
31 CYHALOTHRIN
류물을 포함함
cypermethrin에 대한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ypermethrin 이
32 CYPERMETHRIN 성질체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고, cypermethrin은
zeta-cypermethrin을 포함
cyproconazol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yproconazole 이성질
33 CYPROCONAZOLE
체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dazomet, metam 및 methyl isothiocyanate의 최대잔류허용
DAZOMET, METAM 기준은 methyl isothiocyanate의 잔류물 및 methyl
34 and METHYL isothiocyanate로 계산되는 개별 dazomet 및 metam의 합으
ISOTHIOCYANATE 로 설정되었음. Metam 잔류물은 metam-ammonium,
metam potassium 및 metam-sodium을 포함
DDD 및 DDE를 포함하여, DDT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35 DDT pp’-DDD, pp’-DDE, pp’-DDT 및 op’-DDT의 잔류
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DELTAMETHRIN and deltamethrin 및 tralomethri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36 TRALOMETHRIN deltamethrin 및 tralomethrin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 126 -
diafenthiuro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diafenthiuron과
diafenthiuron로 계산되는 개별 diafenthiuron-urea
[1-tert-butyl-3-(2,6-diisopropyl-4-phenoxyphenyl)
37 DIAFENTHIURON
urea] 와 diafenthiuron methaneimide-amide
[1-tert-butyl-3-(2,6-diisopropyl-4-phenoxyphenyl)
methaneimide-amide]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di-allat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di-allate 이성질체의 잔류
38 DI-ALLATE
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dicamba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dicamba,
dicamba-isopropylamine salt, dicamba- methylamine
39 DICAMBA
salt, dicamba-potassium salt 및 dicamba-sodium salt의
잔류물의 합을 포함

DICHLORVOS and dichlorvos 및 naled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dichlorvos로 계


40 NALED 산되는 dichlorvos 및 naled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diclocymet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R)-2-cyano-N-[(R)-1-(2,4-dichlorophenyl)ethyl]-3,3
41 DICLOCYMET - dimethyl-butylamide 및
(S)-2-cyano-N-[(R)-1-(2,4-dichlorophenyl)ethyl]-3,3
-dimethylbutyl-amide의 잔류물을 포함
42 DIELDRIN ALDRIN 및 DIELDRIN 참조
difenzoquat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difenzoquat로 계산되는
43 DIFENZOQUAT difenzoquat 및 difenzoquat methylsulfate의 잔류물 합으로
설정되었음

DIHYDROSTREPTOMY dihydrostreptomycin and streptomycin의 최대잔류허용기


44 CIN and 준은 dihydrostreptomycin 및 streptomycin의 잔류물 총합
STREPTOMYCIN 으로 설정되었음
dimethenamid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dimethenamid 및
45 DIMETHENAMID
dimethenamid-P의 잔류물을 포함
dimethomorph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E)-dimethomorph
46 DIMETHOMORPH
및 (Z)-dimethomorph의 잔류물 합으로 설정되었음
dimethylvinphos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47 DIMETHYLVINPHOS (E)-dimethylvinphos 및 (Z)-dimethylvinphos의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dinocap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dinocap 및 그 분해물
48 DINOCAP (2,4-dinitro-6-octylphenol, 2,6-dintro-4-octylphenol)
의 잔류물을 포함
disulfoto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disulfoton으로 계산되는
49 DISULFOTON disulfoton 및 disulfoton-sulfone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
었음
dithiocarbam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carbon disulfide로 계
산되는 zineb, ziram, thiram, nickel bis (dimethyl
50 DITHIOCARBAMATES dithiocarbamate), ferbam, propineb, polycarbamate,
mancozeb, maneb, 그리고 metiram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
되었음

- 127 -
emamectin benzo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emamectin
benzoate (B1a and B1b)와 emamectin benzoate로 계산되
는 개별 emamectin (B1a and B1b), amino-emamectin
(B1a and B1b) formylamino- emamectin (B1a and
EMAMECTIN
51 BENZOATE B1b), N-methylformylamino-emamectin (B1a and
B1b), 8,9-Z-emamectin B1a의 잔류물 총합을 농산물에
대하여 적용하고, 육제품 및 수산 제품에 대하여는
emamectin benzoate로 계산되는 emamectin B1a 및
8,9-Z-emamectin B1a의 잔류물 총합을 적용하였음
endosulfa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alpha-endosulfan과
52 ENDOSULFAN
beta-endosulfan의 잔류물 합으로 설정되었음
enrofloxaci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enrofloxacin 및
53 ENROFLOXACIN
ciprofloxacin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epoxiconazol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이성질체의 잔류물 총
54 EPOXICONAZOLE
합으로 설정되었음
Eprinomectin은 eprinomectin의 주성분인 eprinomectin
55 EPRINOMECTIN
B1a을 의미함
ethychlozat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ethychlozate로 계산되
56 ETHYCHLOZATE 는 ethychlozate 및 5-chloro-3(1H)-indazole acetate 잔
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57 FEBANTEL OXFENDAZOLE, FEBANTEL, FENBENDAZOLE 참조
fenamidone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육제품 및 수산 제품에
대하여는 fenamidone 및 fenamidone으로 계산되는
58 FENAMIDONE 5-methyl-5-phenylimidazolin-2,4-dione 잔류물의 합으
로 설정되었으며, 기타 식품에 대하여는 fenamidone 잔류물
의 양으로 설정되었음
59 FENBENDAZOLE OXFENDAZOLE, FEBANTEL, FENBENDAZOLE 참조
fenoxaprop-ethyl 최대잔류허용기준은 fenoxaprop-ethyl
및 fenoxaprop-ethyl로 계산되는 fenoxaprop, fenoxaprop
60 FENOXAPROP-ETHYL
P, fenoxaprop P-ethyl, 및 CDHB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
되었음
fenpyroxim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E)-fenpyroximate 및
61 FENPYROXIMATE
(Z)-fenpyroximate 잔류물의 총합을 설정되었음
fentin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fentin으로 계산되는
62 FENTIN triphenyltin hydroxide, triphenyltin acetate 및
triphenyltin chloride을 포함
fentrazamid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fentrazamide와 CPT를
63 FENTRAZAMIDE
포함
fenvaler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그 이성질체 잔류물의 총합
64 FENVALERATE 으로 설정되었으며, Fenvalerate 잔류물은 esfenvalerate을
포함
ferimzon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E)-ferimzone 및
65 FERIMZONE
(Z)-ferimzone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 128 -
flonicamid 최대잔류허용기준은 농산물 및 가공식품의 경우
flonicamid, N-(4-trifluoromethylnicotinyl)glycine 및
4-trifluoromethyl nicotinic acid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
66 FLONICAMID 었으며, 육제품 및 수산 제품의 경우 flonicamid,
4-trifluoromethyl nicotinic acid, 그리고
4-trifluoromethylnicotine amid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
었음
fluazifop 최대잔류허용기준은 fluazifop-butyl 및
67 FLUAZIFOP fluazifop-butyl로 계산되는 fluazifop, fluazifop P 및
fluazifop P-butyl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flucythrin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이성질체 잔류물의 총합으
68 FLUCYTHRINATE
로 설정되었음
flumethr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이성질체 잔류물의 총합으로
69 FLUMETHRIN
설정되었음
fluvalin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이성질체 잔류물의 총합으로
70 FLUVALINATE
설정되었음
fosetyl 최대잔류허용기준은 fosetyl과 fosetyl로 계산되는
phosphorous acid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Phosphorous acid는 비료로 사용되기도 함. 식품위생법 11
71 FOSETYL
조에 해당하는 위반사항을 정의하기 위해서, fosetyl이 비료
로서 사용되었는지 화학물질로서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함
furametpyr 최대잔류허용기준은 fosetyl 및 furametpyr로
72 FURAMETPYR 계산되는 hydroxyl analogues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

furathiocarb 최대잔류허용기준은 furathiocarb와
furathiocarb로 계산되는 carbofuran (a metabolite of
furathiocarb) and 3-OH carbofuran (a metabolite of
73 FURATHIOCARB carbofuran)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furathiocarb이
검출되었을 경우 furathiocarb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적용이
가능하지만, 대사물이 검출된 경우는 furathiocarb의 최대잔
류허용기준을 적용하지 않음
74 GIBBERELLIN Gibberellin은 gibberellin A3를 의미함
glufosin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곡물, 콩류, 땅콩, 종자 및
사탕무의 경우 glufosinate와 glufosinate로 계산되는
N-acethylglufosinate, 3-methylphosphinico-propionic
75 GLUFOSINATE acid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고, 기타 식품의 경우
glufosinate와 3-methylphosphinico-propionic acid의 잔
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Glufosinate는 glufosinate-ammonium을 포함

glyphos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glyphosate,


glyphosate-ammonium, glyphosate- isopropylamine,
76 GLYPHOSATE
glyphosate-trimesium 및 glyphosate sodium salts 잔류물
을 포함
heptachlor 최대잔류허용기준은 heptachlor와
77 HEPTACHLOR
heptachlorepoxide의 잔류물을 포함

- 129 -
hydrogen phosphid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hydrogen
HYDROGEN phosphide와 hydrogen phosphide로 계산되는 aluminum
78 PHOSPHIDE phosphide, magnesium phosphide 및 zinc phosphide의 잔
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IMAZAMOX-AMMONIU imazamox-ammonium 최대잔류허용기준은 imazamox와
79 M imazamox-ammonium의 잔류물을 포함
imibenconazol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imibenconazole과
imibenconazole로 계산되는 debenzylated imibenconazole
80 IMIBENCONAZOLE
[2,4-dichloro-2-(1,2,4-triazole-1-yl) acetanilide] 및
2,4-dichloroaniline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iminoctadin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iminoctadine,
81 IMINOCTADINE iminoctadine-triacetate 및 iminoctadine- albesilate의 잔
류물을 포함
iodosulfuron methyl 최대잔류허용기준은 iodosulfuron
IODOSULFURON
82 METHYL methyl 및 iodosulfuron methyl로 계산되는 iodosulfuron
methyl sodium salt 잔류물을 포함
iprodion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iprodione 및
83 IPRODIONE N-(3,5-dichlorophenyl)-3-isopropyl-2,4-dioxoimidazo
line-1-carboxamide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isofenphos 최대잔류허용기준은 isofenphos와 isofenphos로
84 ISOFENPHOS
계산되는 isofenphos-oxon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Ivermectin은 주성분인 22,23-dihydroavermectin B1a를
85 IVERMECTIN
의미함
86 LINDANE Lindane은 gamma-BHC를 의미함
maleic hydrazide 함량은 Maleic Acid 분석 방법1에 의해
얻어지는 maleic hydrazide, maleic hydrazideglycoside 및
87 MALEIC HYDRAZIDE
hydrazine 값으로 결정됨. 분석 방법2를 통해서는 maleic
hydrazide 및 maleic hydrazide glycoside의 값으로 결정됨
MCPA 최대잔류허용기준은 MCPA, MCPA ethyl ester,
88 MCPA MCPA sodium salts 및 MCPA thioethyl ester
(phenothiol)의 잔류물을 포함
mecoprop 최대잔류허용기준은 mecoprop 및 mecoprop P를
89 MECOPROP
포함
90 MEFENOXAM METALAXYL, MEFENOXAM 참조
mepanipyrim 최대잔류허용기준은 mepanipyrim 및
91 MEPANIPYRIM mepanipyrim으로 계산되는 mepanipyrim propanol 잔류물
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METALAXYL and metalaxyl 및 mefenoxam 최대잔류허용기준은 metalaxyl
92 MEFENOXAM 및 mefenoxam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93 METAM DAZOMET, METAM, METHYL ISOTHIOCYANATE 참조
methamidophos 최대잔류허용기준은 acephate-derived
94 METHAMIDOPHOS
methamidophos 잔류물을 포함
methiocarb 최대잔류허용기준은 methiocarb 및 methiocarb
95 METHIOCARB 로 계산되는 methiocarb sulphoxide, methiocarb sulphone
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96 METHOMYL THIODICARB, METHOMYL 참조
METHYL
97 ISOTHIOCYANATE DAZOMET, METAM, METHYL ISOTHIOCYANATE 참조

- 130 -
metolachlor 최대잔류허용기준은 metolachlor 및
98 METOLACHLOR
S-metolachlor 잔류물을 포함
metominostrob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99 METOMINOSTROBIN (E)-metominostrobin 및 (Z)-metominostrobin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metribuz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metribuzin 및 metribuzin으
100 METRIBUZIN 로 계산되는 deaminometribuzin, diketometribuzin,
deaminodiketometribuzin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milbemect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milbemectin A3 및
101 MILBEMECTIN
milbemectin A4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102 NALED DICHLORVOS, NALED 참조
Nicarbazin은 주성분인 N,N’-bis-(4-nitrophenyl) urea
103 NICARBAZIN
을 의미함
nitenpyram 최대잔류허용기준은 nitenpyram 및 nitenpyram
104 NITENPYRAM 으로 계산되는 CPF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으며,
Nitenpyram 잔류물은 CPM과 CPMF을 포함
최대잔류허용기준은 두가지 잔류물의 합으로 표현되었음
105 NITRAPYRIN (nitrapyrin 및 대사물인 6-chloropicolinic acid (6-CPA)).
6-CPA는 free 및 conjugated forms의 6-CPA를 포함
한계치(limit)는 orysastrobin 및
(2E)-2(methoxyimino)-2-{2-[(3E,5Z,6E)-5-(methox
106 ORYSASTROBIN yimino)-4,6-dimethyl-2,8-dioxa-3,7-diazanona-3,6-
dien-1-yl]phenyl}-N-methylacetamide의 잔류물 총합으
로 정의되었음
oxfendazole, febantel 및 fenbendazole의 최대잔류허용기준
OXFENDAZOLE, 은 oxfendazole sulfone 및 oxfendazole sulfone으로 계산
107 FEBANTEL and
FENBENDAZOLE 되는 oxfendazole, febantel 및 fenbendazole의 잔류물 총합
으로 설정되었음
oxytetracycline, chlortetracycline 및 tetracycline 최대잔
류허용기준은 oxytetracycline, chlortetracycline 및
OXYTETRACYCLINE, tetracycline 잔류량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이와같은 잔류
108 CHLORTETRACYCLINE
and TETRACYCLINE 물의 합으로 최대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된 식품의 경우는 그 최
대잔류허용기준을 적용하고, oxytetracycline 잔류량으로 설
정된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사용할 수 없음
permethr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이성질체 잔류물의 총합으로
109 PERMETHRIN
설정되었음
phenothr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이성질체 잔류물의 총합으로
110 PHENOTHRIN
설정되었음
pirlimyc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간에서는 pirlimycin 및
pirlimycin으로 계산되는 pirlimycin sulfoxide 잔류물의 총
111 PIRLIMYCIN
합으로 설정되었으며, 내장에서는 pirlimycin의 잔류물로만
설정되었음
prochloraz 최대잔류허용기준은 prochloraz 및 prochloraz로
계 산 되 는
N-folumyl-N-1-propyl-N-[2-(2,4,6-trichlorophenox
112 PROCHLORAZ
y) ethyl] urea, N-propyl-N-[2-(2,4,6-trichloro
phenoxy) ethyl] urea, 2,4,6-trichlorophenol의 잔류물 총
합으로 설정되었음

- 131 -
PROHEXADIONE-CALCI Prohexazione-calcium 함량은 prohexazione로부터 변환된
113 UM 값을 의미함
prohydrojasmo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trans-isomer 및
114 PROHYDROJASMON
epi-isomer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propamocarb 최대잔류허용기준은 propamocarb 및
115 PROPAMOCARB
propamocarb hydrochloride의 잔류물을 포함
propoxycarbazon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propoxycarbazone
116 PROPOXYCARBAZONE
및 sodium propoxycarbazone의 잔류물을 포함
pyrethr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pyrethrin I 및 pyrethrin II
117 PYRETHRINS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pyrid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pyridate 및 pyridate로 계산
118 PYRIDATE 되는 hydroxy analogues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으며,
Pyridate 잔류물은 hydroxy conjugate를 포함
pyrifenox 최대잔류허용기준은 (E)-pyrifenox 및
119 PYRIFENOX
(Z)-pyrifenox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pyriminobac-methyl 최대잔류허용기준은
PYRIMINOBAC-METHY
120 L (E)-pyriminobac-methyl 및 (Z)-pyriminobac-methyl의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quizalofop-ethyl 최대잔류허용기준은 quizalofop,
121 QUIZALOFOP-ETHYL quizalofop-ethyl, quizalofop-P, quizalofop-P-ethyl 및
quizalofop-P-tefuryl의 잔류물을 포함
resmethr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이성질체 잔류물의 총합으로
122 RESMETHRIN
설정되었음
sethoxydim 최대잔류허용기준은 sethoxydim 및
123 SETHOXYDIM sethoxydim으로 계산되는 MSO, MSO2, M2S, M2SO,
M2SO2 및 5-OH-MSO2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spinosad 최대잔류허용기준은 spinosin A 및 spinosin D의
124 SPINOSAD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spiramyci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돼지고기의 경우
spiramycin I과 항박테리아 활성이 동등한 spiramycin, 및
125 SPIRAMYCIN spiramycin I으로 계산되는 대사물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
되었으며, 기타 식품의 경우 spiramycin I 및
neo-spiramycin I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126 STREPTOMYCIN DIHYDROSTREPTOMYCIN, STREPTOMYCIN 참조
TCMTB는 2-(thiocyanomethylthio) benzothiazole를 의미
127 TCMTB

tecloftalam 최대잔류허용기준은 tecloftalam 및
128 TECLOFTALAM
tecloftalamimide의 잔류물을 포함
tepraloxydim 최대잔류허용기준은 tepraloxydim 및
tepraloxydim으로 계산되는 DMP, OH-DMP의 잔류물 총합
129 TEPRALOXYDIM
으로 설정되었음. Tepraloxydim 잔류물은 5-OH-DP을 포
함함 
OXYTETRACYCLINE, CHLORTETRACYCLINE 및
130 TETRACYCLINE
TETRACYCLINE 참조
thiabendazol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육제품 및 수산제품의 경
우 thiabendazole 및 5-hydroxythiabendazole 잔류물의 합
131 THIABENDAZOLE
으로 설정되었으며, 기타 식품의 경우 thiabendazole 잔류물
의 함량으로 설정되었음

- 132 -
132 THIOCYCLAM CARTAP, THIOCYCLAM 및 BENSULTAP 참조
thiodicarb 및 methomyl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은 methomyl
THIODICARB and
133 METHOMYL 및 methomyl로 계산되는 thiodicarb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
정되었으며, Methomyl 잔류물은 methomyloxime을 포함
CARBENDAZIM, THIOPHANATE, THIOPHANATE-METHYL
134 THIOPHANATE
및 BENOMYL 참조
THIOPHANATE-METH CARBENDAZIM, THIOPHANATE, THIOPHANATE-METHYL
135 YL 및 BENOMYL 참조
rice에 대한 최대잔류허용기준은 세가지 잔류물(tiadinil 및
두 가지 대사물인 4-methyl-1,2,3-thiadiazole-5-caboxylic
136 TIADINIL acid와 4-hydroxymethyl-1,2,3-thiadiazole- 5-carboxylic
acid)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해양 동물에 대한 최대잔류허용
기준은 tiadinil 잔류물의 양으로 설정되었음
137 TRALOMETHRIN DELTAMETHRIN, TRALOMETHRIN 참조
trenbolone acetat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간에서는
TRENBOLONE alpha-trenbolone, 근육에서는 beta-trenbolone, 내장에서
138 ACETATE 는 alpha-trenbolone 및 beta-trenbolone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Triadimenol은 triadimefon의 대사물임. triadimenol 최대잔
139 TRIADIMENOL 류허용기준은 triadimenol 뿐만 아니라, parent triadimefon
을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잔류물을 포함
triclabendazole 잔류물 수치는 triclabendazole 및
5-chloro-6-(2,3-dichlorophenoxy)-benzimidazol-2-o
140 TRICLABENDAZOLE
ne( triclabendazole 대사물 유도체)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
되었음
triflumizole 최대잔류허용기준은 triflumizole 및 triflumizole
로 계산되는 대사물 4-chloro-α,α,α
141 TRIFLUMIZOLE
-trifluoro-N-(1-amino-2-propoxyethylidene)-o-tolui
dine 잔류물의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trinexapac-ethyl 최대잔류허용기준은 trinexapac-ethyl 및
142 TRINEXAPAC-ETHYL trinexapac-ethyl로 계산되는 trinexapac 잔류물의 합으로
설정되었음
uniconazole P 최대잔류허용기준은 uniconazole P 및
143 UNICONAZOLE P
uniconazole의 잔류물을 포함
vamidothion 최대잔류허용기준은 vamidothion 및
144 VAMIDOTHION vamidothion으로 계산되는 vamidothion-sulfoxide 및
vamidothion-sulfone의 잔류물 총합으로 설정되었음

라. 호주
농업 및 동물용 화학물질 규제에 있어 호주․뉴질랜드 식품표준청(Food Standards
Australia New Zealand: FSANZ)의 역할은 식품 내 잠재적 잔류물이 적절한 안전성
한계 내에 있다는 것을 보증함으로써 공중위생과 안전을 도모하고 현행 MRL을 유지
함으로써 기업 및 관계기관을 지원하는 것이다. 식이노출평가는 현행 건강 참고표준과
관련하여 제시된 대로 MRL을 설정하면 공중 보건 및 안전성 문제가 드러나지 않는다

- 133 -
는 것을 보여준다.
식품의 농약 및 동물약품 잔류물 규제에 관한 각료 정책지침이 FSANZ에 제공되었
다. 이 각료 정책지침의 목적은 식품의 농약 및 동물약품 잔류물 규제를 둘러싼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대체 방안을 FSANZ가 검토할 틀을 만드는 것이다. 정책 지침에 약술된
정책 원리는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해 FSANZ가 검토할 대체 방안에만 적용된다. 이해당사
자들과 논의하여, FSANZ는 식품의 잔류물질을 규제하기 위한 방안을 조사한다.
식품의 농약 잔류물에 대한 기준을 변경하기 위해서 신청서를 제출하며, FSANZ는
최종 평가를 내리는데 도움이 되는 초기/초안 평가신청서에 관한 제출물을 검토하게 되
는데, 이에 대해 실제로 제출된 차에 대한 엔도설판(e
n d
osu
lfan
) 개정 신청 자료의 내용
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목 적
이 신청서의 목적은 호주에서 사용되는 농업 및 동물용 화학물질에 대한 현행 MRL
의 법을 갱신하는 것이다. 이것은 전염병, 질병의 효율적인 관리와 일관되도록 식품의
잔류물을 최소화함으로써 농약이 사용된 식품의 판매를 허용하고 공중보건 및 안전을
보호 할 것이다.

2) 결 정
FSANZ는 평가를 내렸으며 농약잔류허용기준에 대해 제출된 변경안을 승인할
것을 권고한다.

3) 결정 이유
FSANZ 는 다음의 이유로 제출된 변경안을 승인할 것을 권고한다.

• MRL은 전염병, 질병의 효율적인 관리와 일치하도록 식품 내 잔류물을 최소화함으


로써 공중보건 및 안전을 보호 하는데 기여한다.
• 제시된 대로 MRL을 정하면 공중 보건 및 안전문제가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을 식
이노출평가는 보여준다.
• 이 접근법은 식품에서 당연히 발생할 수 있는 잔류물에 관하여 개방성(openness)
과 투명성(transparency)을 보증한다.
• 제시된 변경안은 전염병과 질병을 통제하고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농업
및 동물용 화학물질로 처리된 식품의 합법적 판매를 허용하는 동시에 공중보건 및
안전성을 유지함으로써 이해 관계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 APVMA(Australian Pesticides and Veterinary Medicines Authority)는 이 신청서

- 134 -
에 개설된 대로 상품에 관한 화학물질 사용을 지지하는 2005년 7월 1일 농업 및
동물용 화학물질에 대한 요건 및 지침 매뉴얼 (The Manual of Requirements and
Guidelines(MORAG))에 따라 적정 잔류물, 동물전이, 처리 및 신진대사 연구를 평
가했다.
• 화학물질안전관리국(Office of Chemical S
afety: OCS)은 각 화학물질에 대한 독성
평가를 수행하여 일일섭취허용량(ADI)과 적절한 급성참고수치(ARfD)를 설정했다.
• FSANZ는 규제영향평가에 착수하여 제시된 변경안이 필요하며, 비용 효율적이고
유익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 제시된 변경안은 농업 및 식품 기준간의 불일치를 제거하고 제조업자, 수입업자 및
호주, 주 및 지역정부 집행기관에 확실성과 일관성을 제공할 것이다.
• 차 매매를 활성화시키고 국내 기준과 국제 기준의 일관성을 증진시킬 것이므로 차
에 대한 엔도설판(Endosulfan) MRL의 유지 제안은 적절하다
• 변경 제안은 FSANZ법령 18절의 목적과 일치한다.

4) 협 의
FSANZ는 신청서의 평가를 완료했으며 FSANZ법령 36절(2007년7월1일 이전 시행)에
의거하여 공공협의회를 한 번 거쳤다. 이 최종평가보고서와 그 권고안은 FSANZ위원회
가 승인하였으며 호주 뉴질랜드 식품규정 각료회의(각료회의)에 통보되었다.

만일 FSANZ가 법에 따라 초안수정안을 검토할 것을 각료회의에서 요청하지 않는


경우, 수정안은 연방관보와 뉴질랜드관보에 공포될 것이며 호주의 주 및 지방정부 식품
법에 의거하여 개정하지 않고 참고자료(references)로 채택될 것이다.

5) 위해평가 요약
APVMA는 식품에 규정된 농약 사용을 검토할 때 일련의 데이터를 평가한다. 이 데
이터로 처리된 식품에 대한 농약의 알맞은 잔류량은 얼마일지를 APVMA가 결정할 수
있다. 규정된 대로 농약을 사용하는 경우 식품에 남는 최대잔류량은 얼마가 될지 또한
이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APVMA는 MRL을 결정한다.
APVMA는 농업 및 동물용 화학물질에 대한 요건 및 지침 매뉴얼에 따라 독성, 잔류
량, 동물 전이, 대사물질에 대한 연구를 평가했다.
OCS는 농약의 독성평가에 착수했으며 적절한 ADIs와 ARfD를 설정했다.
FSANZ는 이 신청서의 일부로 APVMA가 제출한 식이노출평가를 검토했으며 MRL
과 관련된 잔류량은 공중보건 및 안전성 문제를 드러내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다. 이는
화학물질에 대한 식이노출평가(식품섭취데이터와 MRL 또는 잔류데이터를 이용하여 계

- 135 -
산)를 ADI 및 어떤 경우에는 ArfD와 비교함으로써 결정 된다
추가로 MRL은 식품에 잔류할 수 있는 농약의 최대수준이며 처리된 식품에 일반적
으로 나타나는 수준은 아니다. 그러나 잔류량이 더 많다는 것이 공중보건 및 안전성에
대해 받아들일 수 없는 위험을 나타내는 것은 아님을 식이노출평가가 보여주는 지 여
부와 관계없이, MRL을 식품 규정에 통합하는 것은 농약의 잔류량이 최소화된다는 것
을 의미한다(즉, MRL을 절대로 초과할 수 없다).
ADI와 ArfD의 계산에 내재된 추가적 안전요소가 의미하는 것은 예상 노출이 참조건
강표준(reference health standards)보다 낮은 경우 공중보건과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6) 영향분석
영향분석은 이용 가능한 정보에 기초하여 발생 가능한 영향을 나타낸다. 영향분석은
이해당사자, 제시된 변화의 목적과 일치하는 대안, 규제 또는 비규제 조항의 잠재적 영
향을 확인하는 과정에 도움이 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시민협의에서 나온 정보는 제
시된 변경안을 최종 평가하는데 필요하다.

7) 이해당사자
제안된 MRL개정안에 영향을 받는 당사자는 다음과 같다.

• 국내 및 해외 소비자
• 국내 및 수입식품의 재배자 및 제조자
• 농산품 및 식품의 수입업자
• 식품 내 농업 및 동물용 화학물질의 사용과 잠재적 잔류 결과를 감시하고 규제하
는 일에 관여하는 호주 정부, 주 및 지역정부기관

8) 비용편익분석
● 기준을 변경하지 않음
제시된 MRL 삭제 또는 축소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 수입업자들과 소비자들은 이익
을 얻을 수 있다. MRL이 안전한 식품의 수입과 판매를 허용할 필요성이 협의를 통해
확인된 경우 특정 MRL을 유지할 수 있다.
새로운 MRL 또는 확대된 MRL에 따라 잔류물 함유식품은 합법적으로 판매될 수 없
기 때문에 이 조치로 인해 국내 및 수입식품의 재배자와 제조자에게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제1차 생산자는 MRL에 따라 식품을 생산하지 않거나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들은 규정된 라벨 조건에 따라 전염병과 질병을 통제하기 위해 화학제품을 사용하며,

- 136 -
결과적으로 생기는 잔류물은 용인할 수 있는 정도이고 합법적으로 처리된 식품은 판매
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농약의 합법적 사용으로 인해 식품 법에 의거하여 판매할
수 없는 식품이 생산된다면 제1차 생산자는 상당한 손실을 입게 될 것이다. 제1차 생산
자의 주요 손실은 이제 농촌 및 지역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새로운 MRL 또는 확대된 MRL에 따라 잔류물 함유식품은 수입될 수 없기 때문에
이 조치로 인해 수입업자에게 비용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조치는 수입업자들이
안전한 제품이나 식품의 출처를 명시할 기회를 제한할 수 있다.
이 조치는 농업법과 식품법 간 불일치를 용인하며 그로 인해 규제의 집행에 있어 불
확실성, 비효율성과 혼란을 야기할 것이다. 이것은 전체 이해당사자에게 부정적인 영향
을 미칠 것이다.

● 제안된 바와 같이 기존 MRL을 생략하거나 축소시키기 위해 기준 변경


이 조치는 규제기관이 식품 공급에 있어 잔류물을 최소화하는 기준을 지지하고 있다
는 사회적 신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새로운 MRL 또는 낮은 MRL을 초과하는 잔류물 함유식품은 합법적으로 수입되거나
소비자에게 판매될 수 없기 때문에 이 조치로 인해 수입업자와 소비자에게 비용이 발
생할 수 있다. 어떠한 MRL 삭제 또는 축소도 식품의 수입을 제한할 가능성이 있으며
높은 식품비용을 발생시키고 소비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제품의 범위를 축소시킬 가능
성이 있다.
요청대로 사용패턴을 변경하고, 적절한 이용은 제안된 MRL과 이미 일치하기 때문에
이 조치는 제조자에게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을 것이다.
식품 내 잔류물의 기준 변경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지만, 이 조치로 인해 호주 정부,
주 및 지방정부기관에 뚜렷한 비용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다.

● 제안된 바와 같이 새로운 MRL을 포함시키거나 기존 MRL을 확대하기 위해 기준을


변경
FSANZ는 요청된 새로운 MRL이나 확대된 MRL을 법에 통합시키는 것과 관련한 어
떠한 안전성 문제도 확인하지 못했다. FSANZ는 그 제안이 식이노출 관계가 있을 것이
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 조치를 진행하는 것은 식품 공급 시 농약 잔류물에 관련하여
식품공급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조치는 새로운 MRL이나 확대된 MRL에 따라 잔류물이 있는 식품이 판매될 수
있는 경우, 식품의 가격과 이용가능성 면에서 보면 소비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소비
자에 대한 추가비용 부담은 없었다.
이 조치는 새로운 MRL이나 확대된 MRL에 따라 잔류물을 함유한 식품을 판매할 수

- 137 -
있다는 점에서 국내 및 수출 식품의 재배자 및 제조자에게 유익하다.
이 조치는 새로운 MRL이나 확대된 MRL에 따라 잔류물을 함유한 식품을 수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입업자에게 유익할 것이다.
식품 내 잔류물에 대한 기준 변경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고 잔류물 감시 프로그램의
근소한 변경과 관련하여 최소한의 영향이 있겠지만, 이 조치는 호주 정부, 주 및 지방
정부기관에 상당한 비용을 초래하지 않을 것이다.
농업법과 식품법을 더욱 일치시키는 것은 제1차 생산자에게 드는 보전비용을 최소화
하고 규제의 효율적 시행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조치의 비교
신청서를 평가할 때, FSANZ는 호주 내 소비자, 식품 회사, 정부를 포함하여 사회의
모든 부문에 미치는 다양한 규제(비규제) 조치의 영향을 검토한다.
초기/초안 평가 시 제시된 MRL을 약간 변경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새로운 MRL
을 포함시키고 일부 기존 MRL을 확대, 생략, 축소시키기 위해 일정표 변경 조치를 승
인할 것을 FSANZ는 권고한다.
APVMA이 권고하고 초기/초안 평가 시에 협의된 대로 제거하기 보다는 ‘녹차, 홍차’
에 포함된 엔도설판(Endosulfan)에 대해 T30 mg/kg의 MRL을 유지할 것을 FSANZ는
권고했다.
‘녹차, 홍차’에 대해 엔도설판(Endosulfan) MRL을 유지할 것을 권고한다.
• 제안된 MRL 변경안과 관련하여 공중보건 및 안전성의 문제는 없다
• 이 접근법은 식품에서 당연히 생길 수 있는 잔류물에 관하여 개방성과 투명성을
보증한다.
• 변경안은 처리된 식품의 판매를 합법적으로 허용한다는 점에서 제1차 생산자와
농촌 및 지역사회에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비용을 최소화할 것이다
• 변경안은 전염병과 질병을 통제하기 위한 농업 및 동물용 화학물질의 효과적인
사용과 일관되게 식품 내 잔류물을 최소화할 것이다.
• 변경안은 농업과 식품 기준간의 불일치를 제거하고 관계기관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차의 매매를 활성화시키고 국내 기준과 국제 기준간의 일치를 증진시킬 것이므로
차에 대한 엔도설판(Endosulfan) MRL의 유지 제안은 적절하다

9) 수입식품
국제적으로, 국가들은 MRL을 자체 규정 하에 두고 GAP 또는 GVP(Good
Veterinary Practice: 우수수의규범)를 따른다. 전염병, 질병, 환경요인이 다르고 제품
사용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농업 및 동물용 화학물질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다르게 사

- 138 -
용된다. 이는 수입된 식품 내 잔류물이 국내에서 생산된 식품의 잔류물과 다를 수 있다
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기존 MRL이 국내에서 생산되는 식품에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해도 MRL의
삭제나 축소는 기존 MRL에 따르는 수입식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는 수입식품에
삭제나 축소로 제안된 MRL에 따라 잔류물이 포함될 수 있기 때문이다.
FSANZ는 MRL 삭제와 축소의 관련성이 고려된다는 것을 보증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변경안을 검토하기 위한 현행 과정 중에 FSANZ는 특정 MRL을 유지할 필요성
을 보여주는 특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출물을 장려한다. 안전한 식품의 판매를 허용하
는데 MRL이 필요한 경우와 이 MRL과 관련된 잔류물이 공공보건이나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적절한 데이터나 정보에 의해 MRL이 뒷받침 되는
경우, FSANZ는 삭제할 것이 제안된 MRL을 유지하거나 축소시키지 않을 것을 검토할
것이다. 데이터 요건에 대한 추가정보는 FSANZ에서 얻을 수 있다.
수입식품이 영향 받을 수 있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해, FSANZ는 삭제
및/또는 축소가 제안된 MRL을 가진 식품을 집계했고 초기/초안 평가 시 감소 또는 삭
제한 경우의 영향에 관한 비평을 조사했다.
몇몇 제출자들은 차에 대한 Endosulfan MRL의 삭제 제안이 미치는 영향에 관해 비
평했다. 삭제나 감소가 제안된 기타 특정 MRL에 관해서는 어떤 제출자도 문제를 제기
하지 않았다. 만일 수반하는 영향이 확인된다면 법안 내 MRL의 수정을 FSANZ에 신
청할 수 있으며 이 신청서는 FSANZ법령에 따라 검토될 것이다.

마. 우리나라
우리나라는 1988년 17종 농약에 대한 기준설정을 시작으로 거의 매년 기준의 설정
및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농약의 잔류허용기준 설정현황은 표 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산물, 인삼, 축산물, 차로 구분되었다가 2006년부터 차가 농산물로 포함되어 설정되어
지고 있다.
최근 들어 과학적인 근거 자료들이 생성됨에 따라 과학적 근거에 의해 기준설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상 농약과 농산물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특히 국내
에 새롭게 등록되어지거나 변경되는 농약에 대해서는 농촌진흥청으로부터 받은 작물잔
류시험성적을 근거로 기준 설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국제기준과의 조화 및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기준 설정과 관리를 위해 검토가 이
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기준 설정된 농약 중 일부에 대해 재평가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 139 -
[표 3-6] 우리나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 현황(History of Establishment of Pesticide
MRLs in Korea)

□ 농산물(Agricultural Products)

고시번호 고시일 시행일 농약수 비 고


(No. of (Date of (Date of (No. of (Remark)
notication) notication) enforcement) pesticides)
1988- 60 1988. 09. 13 1989. 09. 01 17종 최초신설

1990- 85 1990. 12. 24 1992. 01. 01 16종 농약신설

1991- 88 1991. 12. 30 1993. 01. 01 5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1992- 40 1992. 05. 07 1992. 05. 07 - 개정

1993- 72 1993. 08. 27 1993. 08. 27 - 개정

1993-102 1993. 12. 31 1995. 01. 03 67종 농약신설

1994- 6 1994. 03. 07 1995. 01. 03 - 개정

1994- 28 1994. 07. 22 1994. 07. 22 - 개정

1995- 6 1995. 02. 17 1996. 01. 03 41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1996- 10 1996. 02. 27 1996. 09. 01 92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확대

1996- 74 1996. 12. 05 1996. 12. 05 60종 농약신설

1998- 58 1998. 05. 11 1998. 05. 11 15종 개정

2000- 16 2000. 03. 31 2000. 05. 01 17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1- 4 2001. 01. 12 2001. 04. 01 54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2- 1 2002. 01. 04 2002. 04. 01 44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2- 66 2002.012.05 2003. 04. 01 94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4- 18 2004. 03. 03 2004. 04. 01 97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5- 18 2005. 04. 08 2005. 06. 01 83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건조농산물 및 밀가루 신설,
2006- 15 2006. 04. 20 2006. 04. 20 31종
차 기준 농산물에 포함
2006- 55 2006. 12. 01 2006. 12. 01 70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7- 63 2007. 09. 06 2007. 09. 06 115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8. 01. 01 19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7- 68 2007. 10. 18 2008. 04. 01 27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8- 51 2008. 08. 13 2008. 08. 13 78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2008- 70 2008. 11. 07 2008. 11. 07 13종 농약신설 및 농산물 확대

- 140 -
□ 축산물(Animal Foods)
고시번호 고시일 시행일 농약수
비 고
(No. of (Date of (Date of (No. of
(Remark)
notication) notication) enforcement) pesticide)
1994-29 1994. 07. 26 1995. 03. 01 17종 최초신설
1996-10 1996. 03. 04 1996. 09. 04 52종 농약신설

2004-18 2004 .03. 03 2004. 04. 01 74종 농약신설 및 식육 확대

2004-81 2004. 10. 22 2004. 10. 22 개정

□ 인삼(Ginseng)
최초신설
1995-42 1995. 08. 23 1996. 10. 01 11종
수삼 25% 적용
1995-66 1995. 12. 29 1996. 01. 06 인삼농축액 200% 적용
2001- 4 2001. 01. 12 2001. 04. 01 7종 농약신설
2002- 1 2002. 01. 04 2002. 04. 01 2종 농약신설
2002-66 2002. 12. 05 2003. 04. 01 2종 농약신설
2004-18 2004. 03. 03 2004. 04. 01 4종 농약신설
2005-18 2005. 04. 08 2005. 06. 01 1종 농약신설
수삼 25%, 농축액 200%
2006-15 2006. 04. 20 2007. 01. 01 20종 삭제하고, 수삼, 건삼, 홍
삼 및 농축액별 기준설정
2006-55 2006. 12. 01 2006. 12. 01 8종 농약 신설
2007-63 2007. 09. 06 2007. 09. 06 24종 개정
2007-68 2007. 10. 18 2008. 04. 01 1종 개정
2008-51 2008. 08. 13 2009. 01. 01 13종 농약신설
2008-70 2008. 11. 07 2009. 04. 01 1종 농약신설

□ 차(Tea)
고시번호 고시일 시행일 농약수
비 고
(No. of (Date of (Date of (No. of
(Remark)
notication) notication) enforcement) pesticide)
2000-16 2000. 03. 31 2000. 05. 01 3종 최초신설
2001- 4 2001. 01. 12 2001. 04. 01 17종 농약신설
2002- 1 2002. 01. 04 2002. 04. 01 2종 농약신설
2002-66 2002. 12. 05 2003. 04. 01 1종 농약신설
2005-18 2005. 04. 08 2005. 06. 01 1종 농약신설
2006-15 2006. 04. 20 2006. 04. 20 24종 페지 후 농산물에 포함

- 141 -
2.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재평가
가. 재평가 방법 및 원칙
1) 전문가 풀 구성 및 운영
식품 중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재평가, 축산물에 대한 기준설정(안) 검토 등을 위하여
농약관련 전문가 Pool을 산, 학, 연, 관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구성 현황
은 표 3-7과 같다. 구성된 전문가풀은 협의회 형식으로 운영하면서 정기적인 협의회
개최, Workshop 등을 통해 기준안 등에 대해 자문을 하였다.

[표 3-7] 농약관련 전문가 Pool 구성 현황

구분 소속 직위 성명 분 야 비고
학계 건국대학교 교수 경석헌 농약 화학적 특성
충북대학교 교수 경기성 농약잔류시험
고려대학교 교수 박영식 식품분류
산업계 동부하이텍 차장 양규완 농약포장시험
신젠타(주) 차장 구두효 농약등록관리
경농(주) 부장 이창규 농약등록관리
한국작물보호협회 차장 이재학 잔류시험관리
관계 농업과학기술원 과장 임건재 농약잔류평가
농업과학기술원 연구사 이희동 농약잔류평가
연구계 전북농업기술원 - 송병훈 농약관리
계 10명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잔류농약전문가 협의회 운영지원을 위하


여 협의회 검토 안건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였다. (그림 3-4, 5)

잔류농약 전문가 협의회 자료는 제2차, 4차부터 7차까지의 자료를 정리하여 지원하였

으며, 검토안건은 농촌진흥청에서 제시한 작물잔류시험 성적, 기준안에 대한 식품섭취


량, 일일섭취허용량 등의 자료를 취합하여 정리하였다. 정리된 자료는 식약청 홈페이지

중 농약잔류데이터베이스 화면에서 해당 구성항목별로 입력하여 신속한 활용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 142 -
[그림 3-4] 식약청 홈페이지 농약잔류허용기준제안서 5차 외국의 농약잔류허용기준 data 입력

- 143 -
[그림 3-5] 식약청 홈페이지 농약잔류허용기준제안서 5차 작물잔류시험성적 data입력

- 144 -
2) 국내 기준 설정 농약의 제․개정 현황
국내 기준 설정 농약의 이력사항을 확인하기 위하여 1988년 최초 농약기준이 설정된
이후 지금까지의 농약별 기준 설정 이력 현황을 조사 정리하여 표 3-8에 나타내었으
며, 일부 농약은 기준설정 현황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미확인으로 표시하였다.

[표 3-8] 우리나라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 이력


□ 농산물

농약명 신규설정일 개정일 기준요약 비고

2002.01.04 감 등 10종 개정
2002.12.05 딸기 등 2종 개정
1 이민옥타딘 2004.03.02 마늘 등 2종 개정
2005.04.08 매실 개정
2007.09.06 쌀 등 2종 개정

1993.12.31 쌀 등 81종 신설
2 글루포시네이트 2006.12.01 차 개정
2007.09.06 대추 개정

1993.12.31 쌀 등 78종 신설
3 글리포세이트
1996.03.04 수수 개정

4 나프로파마이드 미확인

5 노르풀루라존 1996.12.05 대두 등 15종 신설

6 니트라피린 1996.12.05 옥수수 등 5종 신설

1990.12.14 토마토 등 9종 신설
7 다미노자이드
1995.02.27 쌀 등 20종 개정

1988.9.13 쌀 등 24종 신설 (잠정)


1990.12.14 가지 등 24종 신설
1991.12.30 감귤 삭제
8 다이아지논 1993.12.31 대두 등 27종 개정
1995.02.27 보리 등 15종 개정
1996.03.04 키위 등 2종 개정
2007.09.06 배추(건조) 등 2종 개정

- 145 -
1993.12.31 쌀 등 64종 신설
1996.03.04 땅콩 등 4종 개정
1998.05.11 복숭아 등 2종 개정
9 델타메쓰린
2001.01.12 감 개정
2002.01.04 기타감귤류 개정
2005.04.08 밤 등 2종 개정

10 도딘 1996.03.04 딸기 등 5종 신설

11 디노캡 1996.12.05 오이 등 10종 신설

1988.9.13 쌀등 26종 신설 (잠정)


1990.12.14 가지 등 26종 신설
1991.12.30 감귤 삭제
12 디디티 1993.12.31 대두 등 27종 개정
1995.02.27 수수 등 9종 개정
1996.03.04 쌀 등 4종 개정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13 디메치핀 1993.12.31 감자 등 4종 신설

1988.9.13 감귤 등 2종 신설 (잠정)
1990.12.14 감귤 등 2종 신설
1991.12.30 감귤 삭제
14 디메토에이트 1993.12.31 대두 등 15종 개정
1995.02.27 옥수수 등 22종 개정
1996.03.04 자두 개정
1998.05.11 레몬 등 5종 개정

15 디설포톤 1996.12.05 옥수수 등 10종 신설

16 디우론 1996.12.05 보리 등 17종 신설

디치오카바메
1996.03.04 밀 등 18종 신설 이트 →
디메칠디치오- 디메칠디치오
17 2005.04.08 고추 등 10종 개정
카바메이트 카바메이트로
2007.09.06 옥수수 개정
개정
(08.04.08)

18 디캄바 1996.12.05 보리 등 8종 신설

- 146 -
1990.12.14 사과 등 13종 신설
1993.12.31 호박 등 4종 개정
19 디코폴
1995.02.27 배추 등 29종 개정
1996.03.04 콩류 개정

20 디쿼트 1996.03.04 쌀 등 12종 신설

1990.12.14 가지 등 11종 신설
1991.12.30 곡류 삭제
1993.08.27 밀 개정
21 디크로보스
1993.12.31 호박 등 7종 개정
1995.02.27 수수 등 41종 개정
2002.01.04 들깻잎 개정

1993.12.31 보리 등 78종 신설
22 디크로프루아니드
1996.03.04 토마토 등 5종 개정

23 디클로란 1995.02.27 대두 등 17종 신설

24 디클로베닐 1996.12.05 사과 등 11종 신설

25 디클로포프-메칠 1996.12.05 보리 등 3종 신설

1996.12.05 보리 등 12종 신설
2001.01.12 밀감 등 4종 개정
2002.12.05 더덕 개정
2004.03.02 고추 등 4종 개정
26 디페노코나졸 2005.04.08 호박 개정
2006.04.20 차 개정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2006.12.01 마 개정
2007.09.06 마늘 등 3종 개정

27 디페닐아민 1995.02.27 사과 등 2종 신설

28 디펜아미드 1996.12.05 대두 12종 신설

1993.12.31 대두 등 40종 신설
1996.03.04 대두 등 6종 개정
29 디프루벤주론
2004.03.02 피망 개정
2005.04.08 배추 등 2종 개정

- 147 -
1996.12.05 보리 등 14종 신설
30 리누론
2007.09.06 마 개정

1996.12.05 보리 등 36종 신설
2002.12.05 고추 등 2종 개정
31 마이클로부타닐 2004.03.02 취나물 개정
2006.04.20 고추(건조) 등 3종 개정
2007.09.06 대추(건조) 개정
1988.9.13 쌀 등 17종 신설 (잠정)
1990.12.14 감 등 17종 신설
1991.12.30 감귤 삭제
1993.08.27 밀 개정
32 말라치온
1993.12.31 대두 등 27종 개정
1995.02.27 보리 등 26종 개정
1998.05.11 레몬 등 4종 삭제
2006.12.01 밀가루 개정

말레익하이드라- 1993.12.31 감자 등 32종 신설


33
자이드 1996.03.04 양파 개정

34 메빈포스 1996.03.04 양배추 등 24종 신설

1990.12.14 고추 등 14종 신설
1993.12.31 호박 등 5종 개정
35 메소밀 1995.02.27 쌀 등 28종 개정
1996.03.04 옥수수 등 4종 개정
2006.04.20 양파(건조) 등 2종 개정

1995.02.27 쌀 등 17종 신설
36 메치오카브 2005.04.08 밀감 등 2종 개정
2007.09.06 상추 개정

37 메카밤 1996.03.04 레몬 등 4종 신설

1993.12.31 쌀 등 41종 신설
1996.03.04 쌀 개정
1998.05.11 레몬 등 5종 삭제
38 메타락실 2004.03.02 피망 개정
2005.04.08 참외 개정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2007.09.06 배추 등 2종 개정

- 148 -
1993.12.31 대두 등 18종 신설
39 메타미도포스
1996.03.04 감자 등 6종 개정

1996.12.05 옥수수 등 25종 신설


40 메토라클로르
2004.03.02 파 등 3종 개정

41 메토브로무론 1996.12.05 감자 등 2종 신설

42 메토프렌 1993.12.31 쌀 등 11종 신설

43 메톡시클로르 1996.12.05 쌀 등 38종 신설

44 메트리부진 1993.12.31 쌀 등 40종 신설

1990.12.14 복숭아 등 15종 신설


1993.12.31 호박 등 5종 개정
1995.02.27 수수 등 9종 개정
1996.03.04 오이 등 2종 개정
45 메티다치온
1998.05.11 레몬 등 5종 개정
2002.12.05 가지 개정
2006.04.20 차 개정
2007.09.06 차 개정

1990.12.14 감자 등 17종 신설
46 메틸브로마이드 1993.12.31 호박 등 3종 개정
1995.02.27 대두 등 15종 개정

47 모노크로토포스 1996.03.04 옥수수 등 19종 신설

1993.12.31 쌀 등 7종 신설
48 바미도티온
1996.03.04 사과 등 2종 개정

49 바이오레스메스린 1996.12.05 밀 신설

50 베나락실 1996.03.04 양파 등 8종 신설

1990.12.14 배 등 24종 신설
1993.12.31 개별농산물에 대한 기준
51 베노밀
개정
1993.12.31 호박 등 7종 개정

- 149 -
52 벤디오카브 1993.12.31 쌀 등 14종 신설

53 벤설프론-메칠 1996.12.05 쌀 신설

1993.12.31 쌀 등 42종 신설
54 벤타존
1996.03.04 쌀 등 11종 개정

1996.12.05 쌀 등 4종 신설
2001.01.12 감 등 7종 개정
55 부프로페진 2002.12.05 복숭아 개정
2006.04.20 차 개정
2007.09.06 키위 등 2종 개정

56 브로마실 1996.12.05 파인애플 등 2종 신설

1996.03.04 채소류 등 16종 신설


57 브로모프로필레이트
2004.03.02 채소류 개정

1988.9.13 쌀등 26종 신설 (잠정)


1990.12.14 가지 등 26종 신설
1991.12.30 감귤 삭제
58 비 에치 씨
1993.12.31 대두 등 19종 개정
1995.02.27 수수 등 12종 개정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1993.12.31 보리 등 27종 신설
1996.03.04 살구 등 2종 개정
2001.01.12 감 등 6종 개정
59 비터타놀 2002.12.05 가지 개정
2004.03.02 고사리 등 3종 개정
2006.04.20 차 개정
2007.09.06 녹차추출물 개정

60 비페녹스 1996.12.05 쌀 등 7종 신설

- 150 -
1996.12.05 옥수수 등 12종 신설
2001.01.12 파 등 2종 개정
2002.01.04 근대 등 3종 개정
2002.12.05 더덕 등 2종 개정
61 비펜스린
2004.03.02 시금치 등 2종 개정
2006.04.20 차 개정
2006.12.01 호박 등 2종 개정
2007.09.06 감 등 8종 개정

1995.02.27 양배추 등 21종 신설


62 빈클로졸린
1996.03.04 살구 등 2종 개정

63 세톡시딤 1993.12.31 옥수수 등 74종 신설

64 시마진 1996.12.05 옥수수 등 18종 신설

1996.03.04 콩류 등 6종 신설
65 싸이로마진
2007.09.06 수박 외 2종 개정

쌀 등 76종 신설
1996.03.04 옥수수 등 10종 개정
66 싸이퍼메쓰린 1993.12.31 2000.03.31 고춧잎 등 5종 개정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2007.09.06 파(건조) 개정
1993.12.31 보리 등 56종 신설
67 싸이플루쓰린 1996.03.04 옥수수 등 5종 개정
2007.09.06 고추 개정

1993.12.31 보리 등 78종 신설
1996.03.04 감자 등 6종 개정
68 싸이할로쓰린 2001.01.12 고추 등 2종 개정
2006.04.20 차 개정
2007.09.06 차 개정

69 싸이헥사틴 1996.03.04 콩류 등 16종 신설

70 아닐라진 1996.03.04 보리 등 2종 신설

1993.12.31 오이 등 27종 신설
2005.04.08 감 개정
71 아미트라즈
2006.04.20 차 개정
2007.09.06 키위 개정

- 151 -
72 아세토클로르 1996.12.05 옥수수 등 4종 신설

1993.12.31 옥수수 등 37종 신설


73 아세페이트 1996.03.04 감자 개정
2007.09.06 사과 개정

1996.03.04 콩류 등 10종 신설
74 아조싸이클로틴 2005.04.08 구기자 개정
2007.09.06 배 등 3종 개정

1990.12.14 가지 등 15종 신설
1993.12.31 호박 등 3종 개정
75 아진포스-메틸 1995.02.27 쌀 등 39종 개정
1996.03.04 셀러리 개정
2006.04.20 고추(건조) 등 5종 개정
1988.9.13 쌀 등 26종 신설 (잠정)
1990.12.14 가지 등 26종 신설
1991.12.30 감귤 삭제
76 알드린 및 디엘드린
1993.12.31 대두 등 23종 개정
1995.02.27 수수 등 12종 개정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1993.12.31 쌀 등 26종 신설
77 알디카브
1996.03.04 레몬 등 3종 개정

78 알라클로르 1996.12.05 옥수수 등 10종 신설

1993.12.31 쌀 등 20종 신설
79 알루미늄포스파이드
2002.01.04 건조채소류 등 2종 개정

80 에디펜포스 1993.12.31 쌀 신설

81 에세폰 1996.12.05 보리 등 15종 신설

1993.12.31 보리 등 81종 신설
82 에치오펜카브
1996.03.04 보리 등 9종 개정

83 에치온 1993.12.31 옥수수 등 26종 신설

1996.12.05 고추 등 7종 신설
84 에탈풀루라린 2004.03.02 당근 등 5종 개정
2007.09.06 마 개정

- 152 -
1996.12.05 쌀 등 8종 신설
2001.01.12 고추 등 4종 개정
2002.12.05 가지 등 2종 개정
85 에토펜프록스
2004.03.02 대두 등 2종 개정
2006.12.01 포도 등 4종 개정
2007.09.06 자고추 등 3종 개정

1993.12.31 쌀 등 28종 신설
86 에토프로포스
2005.04.08 시금치 개정

87 에톡시퀸 1993.12.31 사과 등 2종 신설

88 에트림포스 1993.12.31 쌀 등 64종 신설

1990.12.14 대두 등 9종 신설
89 에틸렌디브로마이드 1993.12.31 레몬 등 2종 개정
1995.02.27 쌀 등 7종 개정

1993.12.31 쌀 등 20종 신설
1995.02.27 옥수수 등 37종 개정
90 엔도설판
1996.03.04 양배추 등 11종 개정
2007.09.06 호밀 등 57종 개정
1988.9.13 쌀 등 26종 신설 (잠정)
1990.12.14 가지 등 26종 신설
1991.12.30 감귤 삭제
91 엔드린
1993.12.31 대두 등 19종 개정
1995.02.27 수수 등 13종 개정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92 엠씨피비 1996.12.05 쌀 등 2종 신설

1990.12.14 복숭아 등 3종 신설
93 오메토에이트 1993.12.31 셀러리 등 2종 개정
1995.02.27 녹두 등 34종 개정

1996.12.05 쌀 등 14종 신설
94 옥사디아존
2005.04.08 율무 개정

95 옥사딕실 1996.12.05 참깨 등 34종 신설

96 옥사밀 1993.12.31 쌀 등 76종 신설

- 153 -
97 옥시풀루오르펜 1996.12.05 옥수수 등 24종 신설

98 올쏘-페닐페놀
1994.03.07 고구마 등 6종 개정
1993.12.31 쌀 등 12종 신설
1995.02.27 수수 등 25종 개정
99 2,4-D
1996.03.04 쌀 개정
1998.05.11 자몽 등 2종 삭제

100 이마자릴 1993.12.31 쌀 등 34종 신설

1996.12.05 쌀 등 19종 신설
2000.03.31 고추잎 등 4종 개정
2001.01.12 참외 등 5종 개정
101 이미다크로프리드
2002.01.04 근대 등 4종 개정
2002.12.05 복숭아 개정
2006.12.01 더덕 등 3종 개정

102 이산화황 1996.12.05 포도 신설

103 이소펜포스 1995.02.17 쌀 등 13종 신설

1988.9.13 쌀 신설 (잠정)
104 이소프로카브
2002.01.04 쌀 신설
1995.02.27 쌀 등 21종 신설
105 이프로디온 1996.03.04 보리 개정
2004.03.02 감 등 3종 개정
1988.9.13 쌀 등 19종 신설 (잠정)
1990.12.14 가지 등 19종 신설
106 이피엔 1991.12.30 감귤 삭제
1993.12.31 대두 등 15종 개정
1995.02.27 콩류 등 4종 개정

1993.12.31 쌀 등 68종 신설
107 치노메치오네이트
1996.03.04 오이 등 2종 신설

108 치오메톤 1996.03.04 쌀 등 29종 신설

1990.12.14 고추 등 14종 신설
109 치오파네이트-메틸 1993.12.31 개별농산물기준개정,
호박 등 4종 개정

- 154 -
1996.12.05 감자 등 2종 신설
2000.03.31 수박 등 2종 개정
2001.01.12 마늘 등 4종 개정
110 카두사포스
2002.12.05 참외 개정
2006.12.01 고추 등 2종 개정
2007.09.06 당근 등 3종 개정
1988.9.13 쌀 등 11종 신설 (잠정)
1990.12.14 감귤 등 11종 신설
1991.12.30 감귤 삭제
111 카바릴 1993.08.27 밀 개정
1993.12.31 대두 등 20종 개정
1995.02.27 보리 등 22종 개정
1998.05.11 레몬 등 8종 삭제
1993.12.31 쌀 등 58종 신설
1996.03.04 보리 등 8종 개정
1998.05.11 파인애플 삭제
2001.01.12 대추 등 6종 개정
2002.12.05 더덕 개정
112 카벤다짐
2004.03.02 피망 개정
2005.04.08 취나물 개정
2006.04.20 차 개정
2006.12.01 배추 개정
2007.09.06 대추(건조) 등 2종 개정

113 카보페노치온 1993.12.31 고추 등 11종 신설

1990.12.14 감자 등 14종 신설
1993.12.31 호박 등 5종 개정
1995.02.27 배 등 20종 개정
114 카보후란
1996.03.04 밀 등 2종 개정
2002.01.04 고추 등 6종 개정
2007.09.06 배추 등 3종 개정

115 카복신 1996.12.05 쌀 등 9종 신설

1996.03.04 쌀 등 11종 신설
116 칼탑 2001.01.12 밀감 등 5종 개정
2005.04.08 파 개정
1988.9.13 오이 등 6종 신설 (잠정)
1990.12.14 배 등 6종 신설
117 캡타폴
1993.12.31 대두 등 12종 개정
1995.02.27 감자 등 6종 개정

- 155 -
1988.9.13 보리 등 9종 신설(잠정)
1990.12.14 가지 등 9종 신설
1993.12.31 대두 등 20종 개정
118 캡탄
1995.02.27 콩류 등 13종 개정
1998.05.11 복숭아 등 4종 삭제
2006.04.20 당근(건조) 등 2종 개정

119 퀴자로포프-에틸 1996.12.05 대두 등 6종 신설

퀸토젠:퀸토젠
과 펜타클로로
아닐린 및 메
1996.03.04 토마토 등 9종 신설
120 퀸토젠 칠펜타클로로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페닐설파이드
의 합계량
(06.04.20)
1996.12.05 대두 등 3종 신설
121 크레소딤 2004.03.02 감자 등 4종 개정
2007.09.06 도라지 등 4종 개정

1996.12.05 대두 등 7종 신설
122 크로마존
2004.03.02 쌀 개정

1993.12.31 녹두 등 39종 신설
123 크로펜테진
1996.03.04 밀감 등 7종 개정

1993.12.31 아몬드 등 13종 신설


124 클로로벤질레이트
1995.02.27 가지 등 4종 개정

1990.12.14 메론 등 15종 신설
1993.12.31 호박 등 5종 개정
1995.02.27 쌀 등 20종 개정
1996.03.04 보리 등 2종 개정
1998.05.11 레몬 등 6종 개정
125 클로로타로닐
2002.12.05 수박 개정
2004.03.02 마늘 등 4종 개정
2005.04.08 사과 등 3종 개정
2006.12.01 가지 개정
2007.09.06 밀감 개정

126 클로르단 1996.03.04 쌀 등 11종 신설

- 156 -
127 클로르메쿼트 1993.12.31 보리 등 12종 신설

128 클로르설프론 1996.12.05 보리 등 3종 신설

1993.12.31 쌀 등 33종 신설
129 클로르펜빈포스
1996.03.04 감자 등 4종 개정

1993.12.31 쌀 등 8종 신설
130 클로르프로팜
1995.02.27 녹두 등 64종 개정

1990.12.14 배추 등 13종 신설
1993.12.31 호박 등 4종 개정
1995.02.27 보리 등 51종 개정
131 클로르피리포스 2002.01.04 감 등 2종 개정
2006.04.20 차 등 2종 개정
2006.12.01 배추 등 3종 개정
2007.09.06 녹차추출물 개정

1993.12.31 쌀 등 2종 신설
클로르피리포스-메
132 1996.03.04 쌀 등 5종 개정

2007.09.06 밀가루 개정

1996.12.05 땅콩 등 4종 신설
2001.01.12 감 등 6종 개정
2002.12.05 더덕 등 2종 개정
133 터부코나졸 2004.03.02 쌀 등 3종 개정
2005.04.08 밀감 개정
2006.12.01 마 등 2종 개정
2007.09.06 파 등 3종 개정

134 터부트린 1996.12.05 보리 등 3종 신설

1993.12.31 쌀 등 14종 신설
135 터브포스
1996.03.04 대두 등 2종 개정

136 테크나젠 1996.03.04 양상추 등 2종 신설

1990.12.14 배 등 8종 신설
1993.12.31 호박 등 4종 개정
137 테트라디폰 1995.02.27 오이 등 9종 개정
1996.03.04 기타감귤류등 2종 개정
2007.09.06 고추 등 2종 개정

- 157 -
1996.03.04 토마토 등 6종 신설
2001.01.12 수박 개정
2002.01.04 고추 개정
138 토릴플루아니드 2002.12.05 감 등 2종 개정
2004.03.02 밀감 개정
2005.04.08 오이 개정
2007.09.06 피망 개정

1996.12.05 감자 등 2종 신설
139 톨크로포스-메칠 2001.01.12 사과 등 2종 개정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140 트라로메스린 1993.12.31 대추 등 65종 신설

1993.12.31 보리 등 8종 신설
1996.03.04 사과 등 3종 개정
141 트리아디메놀
2002.12.05 들깻잎 개정
2007.09.06 파 개정

1993.12.31 보리 등 16종 신설
142 트리아디메폰 1996.03.04 보리 등 2종 개정
2005.04.08 구기자 개정

143 트리아조포스 1996.12.05 곡류 등 13종 신설

144 트리알레이트 1996.12.05 보리 등 3종 신설

1993.12.31 쌀 등 79종 신설
145 트리클로폰 1996.03.04 쌀 등 4종 개정
2006.04.20 고추(건조) 등 3종 개정

1996.12.05 쌀 신설
146 트리클로피르
2005.04.08 밀감 개정

1993.12.31 쌀 등 15종 신설
147 트리포린 2004.03.02 피망 개정
2005.04.08 호박 등 2종 개정

148 트리풀루라린 1996.12.05 보리 등 37종 신설

1993.12.31 보리 등 69종 신설
149 트리프루미졸 2001.01.12 고추 등 2종 개정
2007.09.06 대두 등 2종 개정

- 158 -
1993.12.31 쌀 등 16종 신설
150 티아벤다졸
1996.03.04 기타곡류 개정

1993.12.31 옥수수 등 4종 신설
2002.12.05 배추 등 2종 개정
151 티오디카브
2004.03.02 고추 개정
2006.12.01 감 등 2종 개정

152 티오벤카브 1993.12.31 쌀 등 45종 신설

1988.9.13 쌀 등 25종 신설 (잠정)


1990.12.14 감 등 25종 신설
1991.12.30 감귤 삭제
153 파라치온 1993.12.31 대두 등 21종 개정
1995.02.27 수수 등 13종 개정
1996.03.04 옥수수 등 3종 개정
1998.05.11 레몬 등 8종 삭제

1996.03.04 쌀 등 9종 신설
154 파라쿼트
2005.04.08 고추 개정

1993.12.31 쌀 등 74종 신설
155 파라티온-메틸 1996.03.04 완두콩 등 8종 개정
1998.05.11 복숭아 등 13종 삭제

156 파클로부트라졸 1996.03.04 사과 등 5종 신설

1993.12.31 쌀 등 81종 신설
157 퍼메쓰린
1996.03.04 옥수수 등 12종 개정

1996.12.05 오이 등 12종 신설
2001.01.12 고추 등 4종 개정
2002.12.05 가지 개정
158 페나리몰
2004.03.02 보리 등 3종 개정
2005.04.08 구기자 개정
2007.09.06 대추(건조) 개정

159 페나미포스 1995.02.27 대두 등 28종 신설

160 페노트린 1996.03.04 쌀 등 4종 신설

1996.12.05 밀 등 5종 신설
161 페녹사프로프-에칠 2004.03.02 고추 등 3종 개정
2005.04.08 보리 개정

- 159 -
1988.9.13 쌀 등 15종 신설 (잠정)
1990.12.14 감 등 15종 신설
1991.12.30 감귤 삭제
1993.08.27 밀 개정
1993.12.31 대두 등 12종 개정
162 페니트로치온 1995.02.27 보리 등 25종 개정
1996.03.04 오이 등 3종 개정
1998.05.11 레몬 등 6종 개정
2001.01.12 파 개정
2006.04.20 밀가루 등 2종 개정
2006.12.01 복숭아 개정
1993.12.31 쌀 등 48종 신설
2002.01.04 고추 등 5종 개정
163 펜디메타린 2004.03.02 사과 등 2종 개정
2005.04.08 구기자 개정
2007.09.06 파(건조) 등 2종 개정
1993.12.31 보리 등 81종 신설
164 펜발러레이트 1996.03.04 대두 등 4종 개정
2001.01.12 참나물 등 3종 개정
1996.12.05 사과 등 6종 신설
2001.01.12 감 등 8종 개정
165 펜부코나졸 2002.01.04 밀감 등 2종 개정
2005.04.08 매실 개정
2007.09.06 배 개정

166 펜부타틴 옥사이드 1993.12.31 대두 등 68종 신설

167 펜설포티온 1993.12.31 옥수수 등 16종 신설

1988.9.13 사과 등 2종 신설 (잠정)
1990.12.14 사과 등 2종 신설
168 펜치온 1993.12.31 대두 등 11종 개정
1995.02.27 완두콩 등 11종 개정
1998.05.11 자몽 등 6종 삭제
1996.12.05 사과 등 4종 신설
169 펜코나졸
2004.03.02 감 등 5종 개정
1988.9.13 쌀 등 8종 신설 (잠정)
1990.12.14 감 등 8종 신설
1991.12.30 감귤 삭제
170 펜토에이트
1993.12.31 레몬 등 5종 개정
1998.05.11 오렌지 등 5종 개정
2007.09.06 배추 개정

- 160 -
1996.12.05 수박 등 8종 신설
171 펜프로파스린
2001.01.12 고추 등 2종 개정

172 펜틴 1996.03.04 쌀 등 4종 신설

1993.12.31 보리 등 8종 신설
173 포레이트,
2005.04.08 마늘 개정

174 포모치온 1996.03.04 레몬 등 4종 신설

1993.12.31 감자 등 15종 신설
175 포사론
2005.04.08 고추 등 2종 개정

176 포스메트 1993.12.31 쌀 등 20종 신설

177 포스파미돈 미확인

178 폭심 1993.12.31 쌀 등 19종 신설

1990.12.14 딸기 등 6종 신설
1993.12.31 호박 등 3종 개정
179 폴펫 1995.02.27 파 등 12종 개정
2002.12.05 수박 개정
2005.04.08 감 개정

1996.03.04 보리 등 9종 신설
2002.12.05 감 등 2종 개정
180 푸루실라졸
2004.03.02 딸기 등 7종 개정
2007.09.06 고추 등 3종 개정

181 푸르발리네이트 1993.12.31 감자 등 32종 신설

182 푸르시트리네이트 1993.12.31 보리 등 76종 신설

1996.12.05 대두 등 16종 신설
183 풀루아지호프-부틸 2004.03.02 수박 등 3종 개정
2007.09.06 배추 등 2종 개정

184 프로메트린 1996.12.05 옥수수 등 7종 신설

- 161 -
1993.12.31 쌀 등 18종 신설
2001.01.12 부추 등 2종 개정
185 프로시미돈
2004.03.02 피망 개정
2007.09.06 기타농산물 개정
1996.03.04 보리 등 15종 신설
2002.12.05 수박 등 2종 개정
186 프로클로라즈 2004.03.02 고추 등 5종 개정
2005.04.08 피망 등 2종 개정
2007.09.06 감 등 4종 개정

187 프로파닐 1996.12.05 쌀 등 4종 신설

1993.12.31 쌀 등 13종 신설
1996.03.04 오이 등 2종 개정
2005.04.08 감자 등 2종 개정
188 프로파모카브
2006.04.20 고추 개정
2006.12.01 복숭아 등 2종 개정
2007.09.06 멜론 등 2종 개정

189 프로파자이트 1993.12.31 옥수수 등 21종 신설

1996.12.05 배추 등 9종 신설
190 프로페노포스
2004.03.02 피망 개정

쌀 등 10종 신설
191 프로폭서 1996.03.04
2002.01.04 근경류 삭제

1993.12.31 쌀 등 21종 신설
192 프로피코나졸
1996.03.04 보리 등 4종 개정

193 피라조포스 1996.12.05 보리 등 7종 신설

194 피레쓰린 1993.12.31 쌀 등 77종 신설

1993.12.31 쌀 등 74종 신설
195 피리미카브
1996.03.04 가지 등 2종 개정
1993.12.31 쌀 등 10종 신설
196 피리미포스-메틸 1995.02.27 보리 등 23종 개정
2004.03.02 피망 개정

197 피리미포스-에틸 1996.12.05 땅콩 등 4종 신설

- 162 -
198 피페로닐부톡사이드 1996.03.04 보리 등 16종 신설

199 헥사지논 1996.12.05 파인애플 신설

1996.03.04 사과 등 4종 신설
2001.01.12 감 등 12종 개정
200 헥사코나졸 2002.12.05 더덕 개정
2004.03.02 취나물 개정
2007.09.06 고추 등 6종 개정

201 헥시치아족스 1996.12.05 사과 등 3종 신설

1996.03.04 보리 등 18종 신설
202 헵타크로
2002.01.04 제목 개정

2000.03.31 고추 등 6종 신설
203 벤푸라카브 2002.01.04 고추 등 3종 개정
2007.09.06 고추 등 3종 개정
2000.03.31 사과 등 2종 신설
204 이소프로치오란 2005.04.08 마늘 개정
2007.09.06 양파 개정

205 이프로벤포스 2000.03.31 쌀 신설

2000.03.31 감자 등 8종 신설
2001.01.12 고추 등 2종 개정
2002.01.04 부추 개정
2002.12.05 더덕 등 3종 개정
206 클로르훼나피르
2004.03.02 피망 개정
2005.04.08 가지 등 2종 개정
2006.12.01 토마토 개정
2007.09.06 파(건조) 개정
2000.03.31 감 등 7종 신설
2001.01.12 밀감 등 2종 개정
207 테부페노자이드
시금치 개정
2004.03.02 배 등 2종 개정
2000.03.31 고추 등 9종 신설
2001.01.12 참외 등 2종 개정
208 테부펜피라드 2002.12.05 더덕 개정
2004.03.02 피망 개정
2007.09.06 녹차추출물 개정

- 163 -
2000.03.31 감 등 6종 신설
209 테프루벤주론 2004.03.02 고추 등 3종 개정
2007.09.06 배추(건조) 등 3종 개정
2000.03.31 배 등 6종 신설
210 페나자퀸 2002.01.04 신선초 신설
2004.03.02 가지 등 2종 개정
2000.03.31 감 등 6종 신설
211 프로치오포스
2007.09.06 배추(건조) 개정
2000.03.31 감 등 9종 신설
2001.01.12 밀감 등 2종 개정
212 플루페녹수론 2004.03.02 피망 개정
2005.04.08 도라지 개정
2007.09.06 배추(건조) 등 2종 개정
2000.03.31 고추 등 6종 신설
213 피라크로포스 2004.03.02 피망 개정
2007.09.06 녹차추출물 개정
2000.03.31 고추 등 6종 신설
214 피리다벤 2004.03.02 피망 개정
2005.04.08 오이 개정
2000.03.31 감자 등 4종 신설
215 피프로닐
2004.03.02 쌀 개정

216 훼노부카브 2000.03.31 쌀 신설

2001.01.12 배추 등 2종 신설
217 디메칠빈포스
2002.01.04 토마토 개정
2001.01.12 고추 등 11종 신설
2002.01.04 수박 등 2종 개정
218 디메토모르프 2002.12.05 감자 개정
2004.03.02 피망 개정
2007.09.06 배추(건조) 개정

2001.01.12 밀감 등 4종 신설
219 디아펜치우론
2004.03.02 사과 등 2종 개정

2001.01.12 고추 등 8종 신설
2002.12.05 포도 개정
2004.03.02 피망 개정
220 디에토펜카브
2005.04.08 참나물 개정
2006.12.01 가지 등 2종 개정
2007.09.06 토마토 등 2종 개정

- 164 -
2001.01.12 감자 등 13종 신설
221 디치아논
2004.03.02 감 등 5종 개정

2001.01.12 딸기 등 2종 신설
2002.01.04 오이 등 2종 개정
222 메파니피림 2004.03.02 고추 개정
2006.12.01 가지 등 2종 개정
2007.09.06 배 등 2종 개정
2001.01.12 쌀 등 3종 신설
223 벤설탑 2006.12.01 사과 등 2종 개정
2007.09.06 배추 등 2종 개정
2001.01.12 오이 등 4종 신설
2002.01.04 감자 등 2종 개정
2002.12.05 고추 등 2종 개정
224 싸이목사닐
2004.03.02 배추 등 3종 개정
2005.04.08 고추 등 2종 개정
2006.12.01 참깨 개정

2001.01.12 딸기 등 2종 신설
2002.12.05 배 개정
225 싸이프로디닐
2004.03.02 포도 등 2종 개정
2007.09.06 밀감 개정

226 싸이프로코나졸 2001.01.12 사과 등 2종 신설

2001.01.12 밀감 등 5종 신설
2002.01.04 감자 등 3종 개정
2002.12.05 배추 등 2종 개정
227 아세타미프리드 2004.03.02 쌀 등 3종 개정
2005.04.08 더덕 등 3종 개정
2006.12.01 가지 등 2종 개정
2007.09.06 대두 등 4종 개정

2001.01.12 파 등 15종 신설
2002.01.04 마늘 등 3종 개정
2002.12.05 가지 등 2종 개정
228 아족시스트로빈 2004.03.02 딸기 등 3종 개정
2005.04.08 도라지 등 2종 개정
2006.12.01 감자 등 4종 개정
2007.09.06 마 등 2종 개정

2001.01.12 쌀 신설
229 카프로파마이드
2006.12.01 기타농산물 개정

- 165 -
2001.01.12 밀감 등 4종 신설
2002.01.04 수박 등 2종 개정
2004.03.02 감 등 7종 개정
230 크레속심-메칠
2005.04.08 고추 개정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2006.12.01 파 등 2종 개정
2001.01.12 감 등 5종 신설
2004.03.02 고추 등 3종 개정
231 클로르플루아주론 2005.04.08 파 등 2종 개정
2006.12.01 미나리 개정
2007.09.06 배 등 3종 개정

232 트리싸이클라졸 2001.01.12 쌀 신설

2001.01.12 쌀 신설
233 펜시쿠론 2006.12.01 기타농산물 개정
2007.09.06 마늘 개정
2001.01.12 배 등 4종 신설
2002.01.04 밀감 개정
234 펜프록시메이트
2006.12.01 도라지 등 2종 개정
2007.09.06 녹차추출물 개정
2001.01.12 딸기 등 4종 신설
2002.12.05 마늘 개정
235 포스치아제이트
2006.12.01 멜론 개정
2007.09.06 키위 개정
2001.01.12 토마토 신설
236 피리프록시펜
2002.12.05 가지 등 2종 개정
2001.01.12 고추 등 10종 신설
2002.01.04 감자 등 4종 개정
237 피메트로진
2005.04.08 더덕 등 3종 개정
2006.12.01 가지 개정
2001.01.12 감자 등 3종 신설
2002.01.04 고추 등 2종 개정
2002.12.05 오이 등 2종 개정
238 후루디옥소닐 2004.03.02 복숭아 등 2종 개정
2005.04.08 마늘 개정
2006.12.01 가지 등 4종 개정
수삼 개정

- 166 -
2001.01.12 감자 등 7종 신설
2004.03.02 피망 개정
239 후루아지남
2005.04.08 복숭아 등 2종 개정
2006.04.20 차 개정

240 훼녹시카브 2001.01.12 감 등 2종 신설

241 누아리몰 2002.01.04 메론 등 5종 신설

2002.01.04 배추 등 3종 신설
2002.12.05 감 등 3종 개정
2004.03.02 밀감 개정
242 루페누론
2005.04.08 피망 개정
2006.12.01 배 등 3종 개정
2007.09.06 들깻잎 등 3종 개정

243 메타벤즈티아주론 2002.01.04 마늘 등 3종 신설

244 메프로닐 2002.01.04 감자 신설

245 벤퓨러세이트 2002.01.04 쌀 신설

2002.01.04 감자 등 10종 신설
2002.12.05 가지 등 2종 개정
246 스피노사드 2004.03.02 상추 개정
2006.12.01 케일 개정
2007.09.06 고추 등 2종 개정

247 실라프루오펜 2002.01.04 감 등 3종 신설

2002.01.04 사과 등 3종 신설
2002.12.05 가지 등 3종 신설
248 아바멕틴
2004.03.02 파 등 4종 개정
2006.12.01 딸기 증 2종 개정
2002.01.04 감자 등 5종 신설
에마멕틴 2004.03.02 가지 등 8종 개정
249
벤조에이트 2005.04.08 수박 개정
2006.12.01 케일 개정

250 에스프로카브 2002.01.04 쌀 신설

2002.01.04 밀감 등 2종 신설
2002.12.05 배 등 2종 개정
251 에톡사졸 2005.04.08 수박 등 2종 개정
2006.12.01 복숭아 개정
2007.09.06 포도 개정

- 167 -
252 오리자린 2002.01.04 사과 신설

253 이미벤코나졸 2002.01.04 밀감 등 3종 신설

2002.01.04 마늘 등 6종 신설
2002.12.05 참외 개정
254 카보설판 2004.03.02 파 개정
2006.12.01 고추 등 3종 개정
2007.09.06 감자 등 3종 개정
2002.01.04 감자 등 5종 신설
2004.03.02 고추 등 2종 개정
255 파목사돈 2005.04.08 참깨 개정
2006.12.01 멜론 개정
2007.09.06 배 등 2종 개정

256 플루오로이미드 2002.01.04 감 등 2종 신설

2002.01.04 배 등 5종 신설
2002.12.05 감 개정
2004.03.02 밀감 등 3종 개정
257 플루퀸코나졸
2005.04.08 파 등 5종 개정
2006.12.01 고추 등 2종 개정
2007.09.06 대추 등 3종 개정
2002.01.04 감 등 6종 신설
258 피리다펜치온 2005.04.08 구기자 개정
2007.09.06 구기자(건조) 개정
2002.01.04 딸기 등 5종 신설
2002.12.05 복숭아 등 2종 개정
2004.03.02 감 등 4종 개정
259 피리메타닐
2005.04.08 도라지 개정
2006.12.01 가지 등 4종 개정
2007.09.06 가지 등 5종 개정

260 할펜프록스 2002.01.04 밀감 신설

2002.01.04 마늘 등 4종 신설
261 할록시포프
2006.12.01 도라지 개정
2002.01.04 밀감 등 4종 신설
262 헥사프루무론
2006.04.20 차 개정

263 훼노치오카브 2002.01.04 밀감 신설

264 다이므론 2002.12.05 쌀 신설

- 168 -
2002.12.05 대두 신설
265 디메텐아미드
2006.12.01 옥수수 등 2종 개정

266 디치오피르 2002.12.05 쌀 신설

267 디클로르프로프 2002.12.05 사과 신설

268 메탐-소디움 2002.12.05 마늘 등 3종 신설

269 메톨카브 2002.12.05 쌀 신설

270 메페나셑 2002.12.05 쌀 신설


메피쿼트
271 2002.12.05 포도 신설
클로라이드
272 몰리네이트 2002.12.05 쌀 신설

2002.12.05 고추 등 8종 신설
2004.03.02 가지 등 2종 개정
273 밀베멕틴
2005.04.08 도라지 개정
2007.09.06 녹차추출물 개정

274 벤족시메이트 2002.12.05 밀감 등 2종 신설

275 부타클로르 2002.12.05 밀 등 3종 신설

276 비스피리박-소디움 2002.12.05 쌀 신설

277 싸이클로설파무론 2002.12.05 쌀 신설

278 싸이클로프로스린 2002.12.05 쌀 신설

279 싸이할로포프-부틸 2002.12.05 쌀 신설

280 씨노설푸론 2002.12.05 쌀 신설

281 씨메트린 2002.12.05 쌀 신설

282 아닐로포스 2002.12.05 쌀 신설

2002.12.05 고추 등 5종 신설
아시벤졸라-에스-메 2004.03.02 감 개정
283
칠 2005.04.08 사과 등 3종 개정
2007.09.06 쌀 개정

284 아짐설푸론 2002.12.05 쌀 신설

2002.12.05 밀감 등 2종 신설
285 아크리나쓰린
2007.09.06 오이 등 3종 개정

- 169 -
286 에트리디아졸 2002.12.05 고추 등 3종 신설

287 이나벤파이드 2002.12.05 쌀 신설

288 이마조설푸론 2002.12.05 쌀 신설

289 이사조포스 미확인

2002.12.05 감자 등 5종 신설
2004.03.02 고추 등 4종 개정
290 인독사카브 2005.04.08 감 등 2종 개정
2006.12.01 딸기 개정
2007.09.06 쌀 등 3종 개정
2002.12.05 감자 등 4종 신설
2004.03.02 배추 등 3종 개정
291 족사마이드
2006.12.01 멜론 등 3종 개정
2007.09.06 배 등 2종 개정

292 퀸크로락 2002.12.05 쌀 신설


클로로페녹시
293 2002.12.05 가지 등 2종 신설
아세테이트
294 터부틸라진 2002.12.05 밀감 등 2종 신설

295 테닐클로르 2002.12.05 쌀 신설

296 테클로프탈람 2002.12.05 쌀 신설

2002.12.05 고추 등 5종 신설
297 테트라코나졸 2006.12.01 감 등 6종 개정
2007.09.06 호박 개정

298 티아조피르 2002.12.05 밀감 신설

2002.12.05 쌀 신설
299 티프루자마이드
2006.12.01 수삼 개정

300 펜톡사존 2002.12.05 쌀 신설

2002.12.05 딸기 등 4종 신설
301 펜헥사미드 2004.03.02 고추 등 2종 개정
2007.09.06 피망 개정
2002.12.05 감자 등 8종 신설
302 포세틸-알루미늄
2005.04.08 참외 개정

- 170 -
2002.12.05 수박 등 2종 신설
303 포클로르페누론 2004.03.02 참외 등 2종 개정
2007.09.06 멜론 등 2종 개정

304 프로베나졸 2002.12.05 쌀 신설

305 프로파퀴자포프 2002.12.05 고추 등 4종 신설

306 프리틸라클로르 2002.12.05 쌀 신설

307 프탈리드 2002.12.05 쌀 신설

308 플루설파마이드 2002.12.05 배추 신설

2002.12.05 쌀 신설
2005.04.08 딸기 개정
309 플루토라닐
2006.12.01 기타농산물 개정
수삼 개정

310 플루페나셑 2002.12.05 감자 등 2종 신설

311 피라조설푸론-에칠 2002.12.05 쌀 신설

312 피라족시펜 2002.12.05 쌀 신설

313 피라퀼론 2002.12.05 쌀 신설

314 피리미노박-메칠 2002.12.05 쌀 신설

315 피리미디펜 2002.12.05 밀감 등 3종 신설

316 피리부티카브 2002.12.05 쌀 신설

317 하이멕사졸 2002.12.05 쌀 신설

318 할로설푸론-메칠 2002.12.05 쌀 신설

319 니코설푸론 2004.03.02 옥수수 신설

320 다조멜 2004.03.02 마늘 등 7종 신설

2004.03.02 고추 등 4종 신설
2005.04.08 배 등 3종 개정
321 디노페푸란
2006.12.01 감 등 2종 개정
2007.09.06 딸기 등 5종 개정

322 디메피퍼레이트 2004.03.02 쌀 신설

- 171 -
2004.03.02 고추 등 5종 신설
2005.04.08 오이 등 2종 개정
323 보스칼리드
2006.12.01 감 등 4종 개정
2007.09.06 상추 등 4종 개정

324 비페나제이트 2004.03.02 가지 등 6종 신설

2004.03.02 감자 등 9종 신설
325 시아조파미드 2006.12.01 배 등 5종 개정
2007.09.06 참깨 개정
2004.03.02 더덕 등 5종 신설
326 아세퀴노실
2007.09.06 고추 등 4종 개정

327 아자훼니딘 2004.03.02 사과 신설

328 에톡시설푸론 2004.03.02 쌀 신설

329 옥사지크로메폰 2004.03.02 쌀 신설

330 인다노판 2004.03.02 쌀 신설

331 카펜트라존-에칠 2004.03.02 사과 등 2종 신설

2004.03.02 피망 등 12종 신설
332 크로치아니딘 2006.12.01 배추 등 5종 개정
2007.09.06 대두 등 2종 개정

2004.03.02 감자 등 4종 신설
333 테부피림포스 2005.04.08 시금치 개정
2006.12.01 수삼 개정

334 트리넥사팍-에칠 2004.03.02 쌀 신설

2004.03.02 감 등 7종 신설
2005.04.08 매실 등 2종 개정
335 트리프록시스트로빈
2006.12.01 배추 개정
2007.09.06 파 등 4종 개정

2004.03.02 포도 신설
336 티디아주론
2007.09.06 키위 등 2종 개정

2004.03.02 피망 등 14종 신설
2005.04.08 매실 등 2종 개정
337 티아메톡삼
2006.12.01 가지 개정
2007.09.06 자두 등 3종 개정
2004.03.02 감자 등 11종 신설
338 티아클로프리드
2006.12.01 감 등 2종 개정

- 172 -
339 티오싸이크람 2004.03.02 감 등 2종 신설

340 페녹사닐 2004.03.02 쌀 신설

341 펜트라자마이드 2004.03.02 쌀 신설

342 플루미옥사진 2004.03.02 사과 등 2종 신설

343 플러옥시피르 2004.03.02 사과 신설

344 피라졸레이트 2004.03.02 쌀 신설

2004.03.02 고추 등 6종 신설
2005.04.08 오이 등 2종 개정
345 피라크로스트로빈
2006.12.01 감 등 3종 개정
2007.09.06 파 등 4종 개정

346 피라플루펜-에칠 2004.03.02 사과 신설

347 피리프탈리드 2004.03.02 쌀 신설


에틸렌비스디
348 나밤 2005.04.08 치오카바메이
트기준에따름
2005.04.08 사과 신설
349 노발루론
2007.09.06 고추 등 5종 개정
에틸렌비스디
350 마네브 2005.04.08 치오카바메이
트기준에따름
에틸렌비스디
2005.04.08
351 만코제브 치오카바메이
2007.09.06 파 등 2종 개정
트기준에따름
2005.04.08 감 등 8종 신설
352 메톡시페노자이드 2006.12.01 고구마 등 2종 개종
2007.09.06 피망 개정
2005.04.08 배 등 5종 신설
353 메트코나졸 2006.12.01 포도 개정
2007.09.06 감 등 2종 개정

354 메티람 2005.04.08

2005.04.08 밀감 등 2종 신설
355 스피로디크로펜 2006.12.01 포도 개정
2007.09.06 복숭아 개정
2005.04.08 감자 등 10종 신설
356 에타복삼
2007.09.06 멜론 개정

- 173 -
에틸렌비스디치오카 2005.04.08 배 등 11종 신설
357
바메이트 2006.04.20 수삼 개정
2005.04.08 포도 등 8종 신설
358 이프로발리카브 2006.12.01 마늘 개정
2007.09.06 참깨 개정
에틸렌비스디
359 지네브 2005.04.08 치오카바메이
트기준에따름
디메칠디치오
360 지람 2005.04.08 카바메이트기
준에따름
2005.04.08 땅콩 신설
361 테플루스린 2006.12.01 마늘 등 3종 개정
2007.09.06 배추 등 3종 개정

362 트리아자메이트 2005.04.08 사과 등 3종 신설


디메칠디치오
363 티람 2005.04.08 카바메이트기
준에따름
364 티아디닐 2005.04.08 쌀 신설

2005.04.08 감자 등 6종 신설
365 페나미돈 2006.12.01 토마토 등 2종 개정
2007.09.06 양파 개정
디메칠디치오
366 퍼밤 2005.04.08 카바메이트기
준에따름
367 푸라치오카브 2005.04.08 배 등 16종 신설

2005.04.08 감 등 17종 신설
368 프로피네브
2007.09.06 구기자 개정

369 프로피소클로르 2005.04.08 마늘 등 2종 신설

370 플루피라조포스 2005.04.08 배추 신설

371 디니코나졸 2006.12.01 사과 등 3종 신설

372 메코프로프-피 2006.12.01 쌀 신설

2006.12.01 딸기 등 5종 신설
373 스피로메시펜
2007.09.06 배 등 3종 개정

374 알라니카브 2006.12.01 오이 등 2종 신설

- 174 -
375 오푸레이스 2006.12.01 토마토 등 3종 신설

376 트리풀루무론 2006.12.01 사과 등 2종 신설

377 치펜설푸론-메칠 2006.12.01 보리 등 2종 신설

378 페림존 2006.12.01 쌀 등 2종 신설

2006.12.01 배 등 4종 신설
379 풀루아크리피림
2007.09.06 고추 등 2종 개정
2006.12.01 파 등 2종 신설
380 피리다릴
2007.09.06 고추 등 4종 개정

381 6-벤질 아미노퓨린 2007.09.06 배 등 3종 신설

382 벤조비사이클론 2007.09.06 쌀 신설

383 카펜스트롤 2007.09.06 쌀 신설

384 사이플루페나미드 2007.09.06 딸기 등 5종 신설

385 펜클로림 2007.09.06 쌀 신설

386 플로니카미드 2007.09.06 배 등 5종 신설

387 플루세토설퓨론 2007.09.06 쌀 신설

388 시안화 수소 2007.09.06 바나나 등 4종 신설

389 페녹슐람 2007.09.06 쌀 신설

390 시메코나졸 2007.09.06 배 등 4종 신설

391 만디프로파미드 2007.09.06 고추 등 2종 신설

392 메소트리온 2007.09.06 쌀 신설

393 메트알데히드 2007.09.06 배추 등 2종 신설

394 비스트리플루론 2007.09.06 배추 등 2종 신설

395 플루오피콜라이드 2007.09.06 토마토 등 2종 신설

396 에티클로제이트 2007.09.06 밀감 등 2종 신설

397 옥사디아길 2007.09.06 쌀 신설

398 퀴날포스 2007.09.06 쌀 신설

- 175 -
□ 인삼

순번 농약명 신규설정일 개정일 기준요약 비고

인삼(건조품) 신설
1 디디티 1995.08.22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인삼(건조품) 신설
2 비 에치 씨 1995.08.22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인삼(건조품) 신설
3 알드린 및 디엘드린 1995.08.22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인삼(건조품) 신설
4 엔드린 1995.08.22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5 파라치온 1995.08.22 인삼(건조품) 신설

인삼(건조품) 신설
6 메타락실 1995.08.22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7 엔도설판 1995.08.22 인삼(건조품) 신설

인삼(건조품) 신설
8 퀸토젠 1995.08.22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9 캡탄 1995.08.22 인삼(건조품) 신설

10 다이아지논 1995.08.22 인삼(건조품) 신설

인삼(건조품) 신설
11 카벤다짐 1995.08.22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12 델타메스린 2001.01.12 인삼(건조품) 신설

인삼(건조품) 신설
13 디에토펜카브 2001.01.12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인삼(건조품) 신설
14 디페노코나졸 2001.01.12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인삼(건조품) 신설
15 싸이퍼메쓰린 2001.01.12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인삼(건조품) 신설
16 아족시스트로빈 2001.01.12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 176 -
인삼(건조품) 신설
17 토릴플루아니드 2001.01.12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인삼(건조품) 신설
18 톨크로포스메칠 2001.01.12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인삼(건조품) 신설
19 이민옥타딘 2002.01.04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인삼(건조품) 신설
20 피리메타닐 2002.01.04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21 메탐-소디움 2002.01.04 인삼(건조품) 신설

인삼(건조품) 신설
22 펜헥사미드 2002.01.04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23 다조멭 2004.03.02 인삼(건조품) 신설

인삼(건조품) 신설
24 시아조파미드 2004.03.02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인삼(건조품) 신설
25 싸이프로디닐 2004.03.02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인삼(건조품) 신설
26 크레속심-메칠 2004.03.02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에틸렌비스디치오카 인삼(건조품) 신설
27 2005.04.08
바메이트 2006.04.20 수삼 등 5종 개정

수삼 신설
28 카두사포스 2006.12.01
2007.09.06 건삼 등 3종 개정
“펜시쿠론*”
수삼 신설
29 펜시쿠론 2006.12.01 으로 변경
2007.09.06
07.09.06
수삼 신설
30 후루디옥소닐 2006.12.01
2007.09.06 건삼 등 4종 개정

수삼 신설
31 카보설판 2006.12.01
2007.09.06 건삼 등 4종 개정

수삼 신설
32 티프루자마이드 2006.12.01
2007.09.06 건삼 등 3종 개정
“풀루토라닐
수삼 신설
33 플루토라닐 2006.12.01 *”로 변경
2007.09.06 인삼농축액 신설
07.09.06

- 177 -
“티프루자마
수삼 신설
34 테부피림포스 2006.12.01 이드*”로 변
2007.09.06 건삼 등 3종 개정
경 07.09.06
수삼 신설
35 트리프록시스트로빈 2006.12.01
2007.09.06 건삼 등 3종 개정

36 보스칼리드 2007.09.06 수삼 신설

37 디메토모르프 2007.09.06 수삼 신설

38 클로로타로닐 2007.09.06 수삼 신설

39 테플루스린 2007.09.06 수삼 신설

40 플루퀸코나졸 2007.09.06 수삼 신설

□ 차

식품공
농약명 신규설정일 개정일 기준요약 비고
전번호
2000.03.31 차 신설
1 테부펜피라드
2006.04.20 폐지
2000.03.31 차 신설
2 플루페녹수론
2006.04.20 폐지
2000.03.31 차 신설
3 피라크로포스
2006.04.20 폐지
2001.01.12 차 신설
4 디페노코나졸
2006.04.20 폐지
2001.01.12 차 신설
5 메치다치온
2006.04.20 폐지
2001.01.12 차 신설
6 부프로페진
2006.04.20 폐지
2001.01.12 차 신설
7 비터타놀
2006.04.20 폐지
2001.01.12 차 신설
8 비펜스린
2006.04.20 폐지
2001.01.12 차 신설
9 싸이할로쓰린
2006.04.20 폐지
2001.01.12 차 신설
10 아미트라즈
2006.04.20 폐지

- 178 -
2001.01.12 차 신설
11 아족시스트로빈
2006.04.20 폐지
2001.01.12 차 신설
12 카벤다짐
2006.04.20 폐지
2001.01.12 차 신설
13 클로르페나피르
2006.04.20 폐지
2001.01.12 차 신설
14 클로르플루아주론
2006.04.20 폐지
2001.01.12 차 신설
15 터부코나졸
2006.04.20 폐지
2001.01.12 차 신설
16 트리프루미졸
2006.04.20 폐지
2001.01.12 차 신설
17 페니트로치온
2006.04.20 폐지
2001.01.12 차 신설
18 펜피록시메이트
2006.04.20 폐지
2001.01.12 차 신설
19 후루아지남
2006.04.20 폐지
2001.01.12 차 신설
20 헥시치아족스
2006.04.20 폐지
2002.01.04 차 신설
21 클로르피리포스
2006.04.20 폐지
2002.01.04 차 신설
22 헥사프루무론
2006.04.20 폐지
2002.12.05 차 신설
23 밀베멕틴
2006.04.20 폐지
2005.04.08 차 신설
24 티아메톡삼
2006.04.20 폐지
26 디페노코나졸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45 메치다치온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55 부프로페진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59 비터타놀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61 비펜스린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68 싸이할로쓰린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71 아미트라즈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112 카벤다짐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131 클로르피리포스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 179 -
133 터부코나졸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149 트리프루미졸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162 페니트로치온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201 헥시치아족스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206 클로르훼나피르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209 테부펜피라드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212 플루페녹수론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213 피라크로포스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228 아족시스트로빈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231 클로르플루아주론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234 펜피록시메이트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239 후루아지남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262 헥사프루무론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273 밀베멕틴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337 티아메톡삼 2006.04.20 차 추가 농산물에 포함

□ 축산물

순번 농약명 신규설정일 개정일 기준요약 비고

소고기 등 5종 신설
1 감마 비에치씨 1993.07.29
2004.03.02 소고기 등 6종 개정

소고기 등 3종 신설
2 글리포세이트 1996.03.04
2004.03.02 우유 등 5종 개정

소고기 등 3종 신설
3 다이아지논 1993.07.29
2004.03.02 닭고기 등 7종 개정

소고기 등 6종 신설
4 델타메쓰린 1996.03.04
2004.03.02 유 등 10종 개정

- 180 -
소고기 등 8종 신설
5 디디티 1993.07.29
2004.03.02 소고기 등 10종 개정

소고기 등 6종 신설
6 디메치핀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10종 개정

소고기 등 5종 신설
7 디쿼트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10종 개정

소고기 등 5종 신설
8 디크로보스 1993.07.29
2004.03.02 소고기 등 6종 개정

소고기 등 6종 신설
9 디프루벤주론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7종 개정

소고기 등 5종 신설
10 메소밀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6종 개정

소고기 등 6종 신설
11 메치오카브 1996.03.04
2004.03.02 가금육 개정

12 메카밤 1996.03.04 소고기 신설

소고기 등 3종 신설
13 메타미도포스 1996.03.04
2004.03.02 소지방 등 4종 개정

가금육 신설
14 메타크리포스 1996.03.04
2004.03.02 가금육 개정

소고기 등 5종 신설
15 메토프렌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8종 개정

소고기 등 6종 신설
16 메티다치온 1993.07.29
2004.03.02 소지방 등 13종 개정

소고기 등 5종 신설
17 모노크로토포스 1996.03.04
2004.03.02 가금육 개정

소고기 등 2종 신설
18 벤디오카브 1996.03.04
2004.03.02 소부산물 등 8종 개정

소고기 등 2종 신설
19 빈클로졸린 1996.03.04
2004.03.02 우유 등 2종 개정

- 181 -
소고기 등 2종 신설
20 싸이로마진 1996.03.04
2004.03.02 유 등 3종 개정

소고기 등 6종 신설
21 싸이퍼메쓰린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8종 개정

소고기 등 5종 신설
22 싸이헥사틴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7종 개정

소고기 등 3종 신설
23 아미트라즈 1996.03.04
2004.03.02 소부산물 등 4종 개정

소고기 등 3종 신설
24 아세페이트 1996.03.04
2004.03.02 소지방 등 6종 개정

소고기 등 5종 신설
25 아조싸이클로틴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7종 개정

소고기 등 6종 신설
26 알드린 및 디엘드린 1993.07.29
2004.03.02 소고기 등 7종 개정

소고기 등 5종 신설
27 알디카브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6종 개정

소고기 등 2종 신설
28 에디펜포스 1996.03.04
2004.03.02 가금육 개정

소고기 등 3종 신설
29 에치오펜카브 1996.03.04
2004.03.02 가금육 개정

소고기 등 6종 신설
30 에치온 1993.07.29
2004.03.02 가금육 등 6종 개정

소고기 등 2종 신설
31 에트림포스 1996.03.04
2004.03.02 가금육 개정

소고기 등 5종 신설
32 엔도설판 1993.07.29
2004.03.02 소고기 등 6종 개정

33 엔드린 1993.07.29 소고기 등 6종 신설

소고기 등 5종 신설
34 2,4-D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8종 개정
2004.10.22 포유류고기 개정

- 182 -
35 2,4,5 T 1996.03.04 소고기 등 5종 신설

36 이소펜포스 1996.03.04 소고기 등 6종 신설

37 치노메치오네이트 1996.03.04 소고기 등 5종 신설

소고기 등 5종신설
38 카바릴 1993.07.29
2004.03.02 가금육 등 5종 개정

소고기 등 4종 신설
39 카벤다짐 1996.03.04
2004.03.02 닭고기 등 4종 개정

소고기 등 6종 신설
40 카보후란 1993.07.29
2004.03.02 소지방 등 11종 개정

소고기 등 2종 신설
41 크로펜테진 1996.03.04
가금육 등 5종 개정

소고기 등 6종 신설
42 클로르단 1996.03.04
2004.03.02 가금육 등 8종 개정

43 클로르펜빈포스 1993.07.29 소고기 등 5종 신설

소고기 등 5종 신설
44 클로르피리포스 1993.07.29
2004.03.02 소고기 등 13종 개정

클로르피리포스-메 소고기 등 2종 신설
45 1996.03.04
틸 2004.03.02 소지방 등 6종 개정

46 터브포스 1996.03.04 소고기 등 2종 신설

소고기 등 6종 신설
47 트리아디메폰 1996.03.04
2004.03.02 가금육 등 8종 개정

48 트리클로폰 1996.03.04 소고기 등 3종 신설

소고기 등 3종 신설
49 파라쿼트 1996.03.04
2004.03.02 소부산물 등 8종 개정

소고기 등 6종 신설
50 퍼메쓰린 1996.03.04
2004.03.02 가금육 등 9종 개정

소고기 등 6종 신설
51 페니트로치온 1993.07.29
2004.03.02 소고기 등 6종 개정

- 183 -
소고기 등 5종 신설
52 펜발러레이트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7종 개정

소고기 등 5종 신설
53 펜부타틴옥사이드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10종 개정

54 펜설포티온 1993.07.29 소고기 등 5종 신설

소고기 등 5종 신설
55 펜치온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6종 개정

56 펜토에이트 1996.03.04 소고기 신설

소고기 등 5종 신설
57 포레이트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5종 개정

58 포사론 1996.03.04 양고기 신설

59 포스메트 1996.03.04 소고기 신설

60 폭심 1996.03.04 소고기 등 2종 신설

소고기 등 2종 신설
61 푸루실라졸 1996.03.04
2004.03.02 소지방 등 5종 개정

소고기 신설
62 프로클로라즈 1996.03.04
2004.03.02 소지방 등 3종 개정

소고기 등 6종 신설
63 프로파자이트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8종 개정

소고기 등 5종 신설
64 프로폭서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5종 개정

소고기 등 6종 신설
65 프로피코나졸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8종 개정

소고기 등 5종 신설
66 피리미카브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7종 개정

소고기 등 5종 신설
67 피리미포스메틸 1996.03.04
2004.03.02 소고기 등 7종 개정

- 184 -
소고기 등 8종 신설
68 헵타크로 1993.07.29
2004.03.02 소고기 등 10종 개정

69 디메토에이트 2004.03.02 소고기 등 13종 신설

70 디설포톤 2004.03.02 계란 등 3종 신설

71 디페닐아민 2004.03.02 소간 등 3종 신설

72 마이클로부타닐 2004.03.02 소고기 등 6종 신설

73 바이오레스메스린 2004.03.02 포유류고기등 2종 신설

74 비펜스린 2004.03.02 닭고기 등 9종 신설

75 싸이플루쓰린 2004.03.02 우유 신설

76 퀸토젠 2004.03.02 닭고기 등 3종 신설

77 크레속심-메칠 2004.03.02 우유 등 5종 신설

78 트리아디메놀 2004.03.02 유 등 4종 신설

79 트리아조포스 2004.03.02 소고기 등 2종 신설

80 페나리몰 2004.03.02 소고기 등 3종 신설

81 펜부코나졸 2004.03.02 소고기 등 9종 신설

82 펜코나졸 2004.03.02 소고기 등 5종 신설

83 펜프로파스린 2004.03.02 소고기 등 6종 신설

84 프로페노포스 2004.03.02 유 등 3종 신설

85 플루메쓰린 2004.03.02 소고기 등 2종 신설

86 펜프록시메이트 2004.03.02 소고기 등 4종 신설

87 피리프록시펜 2004.03.02 소고기 등 4종 신설

- 185 -
나. 재평가 및 개정(안)
현 기준 설정 농약중 불합리한 기준의 재평가를 통하여 기준 개정(안)을 제시하기위

하여 농약제조업체 의견수렴을 위해 한국작물보호협회에 의견을 요청하였다. 협회에서

는 회원사에 기준 개정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취합된 의견을 제시하였다.

1) 기존 설정기준 개정 의견

현행 제안
성분명 현행기준 검토의견 비 고
번호 MRL

기 등록 약제보다 적은 약량이
투 여되 나E t of e np r ox +
고추 2.0 2004년도
85 Ethofenprox 5.0 Methoxyfenzide (8+3.2 %)SE 가
ppm 전북대학교
MRL 근접이유로 품목등록 보류
중으로 상향조정 필요

33차 소위 결과, MRL 설정 후 2004-5년


86 Ethoprophos 인삼 - 0.5
검토키로 함. 바이엘

참외 0.1 MRL 설정시 입제 성적사용, 현 2007년


101 Imidacloprid 0.5
ppm 재 희석제 등록 추진중 바이엘*

* 작물잔류시험 등 관련 자료
1. Imidacloprid 8% SC 의 참외 잔류성 시험(2007, 바이엘)

2) 추가 설정 의견

농촌진흥청에서 현재 기준이 설정된 농약중 추가로 농산물이 등록된 농약에 대해서


기준 설정을 의뢰한 것은 표 3-9와 같다. 추가설정을 요청한 농약은 65성분 48농산물

139건이다.

동 요청안은 농약제조사에서 제출한 작물잔류 시험성적을 근거로 잔류 특성 및 마진


을 고려하여 작성되었다.

- 186 -
[표 3-9] 농약잔류허용기준 추가 요청 의견

농약성분명 적용 농산물(잔류허용기준요청안) (단위 : mg/kg)

Acequinocyl 유자(2.0)
Acetamiprid 자두(0.1), 복분자(0.5)
Acrinathrin 딸기(1.0)
Azoxystrobin 포도(1.0) → 포도(머루포함,1.0), 들깻잎(5.0)
Benthiavlicarb 고추(1.0), 피망(단고추, 1.0), 토마토(1.0)
Bifenthrin 인삼(수삼, 0.5), 인삼(건삼, 0.5)
Boscalid 자두(1.0), 호박(1.0), 파(7.0)
Cadusafos 멜론(0.05), 오이(0.05)
Carbendazim 포도(1.0) → 포도(머루포함, 2.0)
Carbofuran 배추(0.3 → 0.2), 감(0.07)
Carbosulfan 멜론(0.05), 땅콩(0.05), 겨자채(0.05)
Chlorfenapyr 구기자(건조, 2.0)
Chlorfluazuron 복분자(1.0), 시금치(1.0)
Chlorothalonil 파(2.0)
Clothianidin 밤(0.05)
Cyazofamid 파(1.0)
Cyflumetofen 딸기(1.0), 배(1.0), 수박(0.5), 참외(1.0)
DBEDC 수박(0.2)
Diazinon 겨자채(0.05)
Difenoconazole 포도(1.0) → 포도(머루포함, 1.0), 파(0.05, 대파 → 1.0)
Dimethenamid-p 양파(0.2)
Dinotefuran 호박(0.5), 복숭아(1.0), 겨자채(2.0)
Dithianon 포도(3.0) → 포도(머루포함, 5.0)
Emamectin benzoate 인삼(수삼, 0.05), 인삼(건삼, 0.05), 복숭아(0.2), 들깻잎(0.05)
Ethephon 감(5.0)
딸기(0.5), 마늘(0.2), 살구(1.0), 체리(양앵두, 0.7), 대추(건조포함, 1.0),
Etofenprox
포도(1.0) → 포도(머루포함, 2.0)
Etoxazole 부추(3.0)
Etridiazole 인삼(수삼, 3.0), 인삼(건삼, 5.0)
Fenamidone 수박(0.2)
Fenbuconazole 쌀(0.1)
Flonicamid 감자(0.5), 복숭아(1.0)
Fluazifop-p-butyl 당귀(0.3), 더덕(0.05), 들깻잎(0.1)
Flufenoxuron 오이(0.3)
Fluopicolide 수박(1.0)
Flutolanil 양파(0.05)
Hexaconazole 지치(건조, 0.2)

- 187 -
가지(5.0), 들깻잎(5.0), 배추(5.0), 상추(5.0), 양배추(5.0),
Hydrogen cyanide
오이(5.0), 호박(5.0)
Imibenconazole 차(건엽, 0.2)
Imidacloprid 호박(0.3)
자두(0.1), 옥수수(0.2), 대추(건조포함, 0.3), 포도(머루포함, 0.3),
Indoxacarb
자두(0.3), 살구(0.2), 체리(양앵두, 0.2)
Iprovalicarb 부추(0.3)
Kresoxim-M 호박(0.2), 포도(5.0) → 포도(머루포함, 5.0)
Lufenuron 대추(건조포함, 2.0)
Mandipropamid 인삼(수삼, 0.1), 인삼(건삼, 0.2)
Metconazole 양파(0.1), 인삼(수삼, 2.0), 인삼(건삼, 5.0)
시금치(3.0), 대두(콩, 1.0), 인삼(수삼, 0.2), 인삼(건삼, 1.0), 살구(1.0),
Methoxyfenozide
체리(양앵두, 0.5), 대추(건조포함, 0.05), 포도(머루포함, 0.5)
Milbemectin 복분자(0.05)
Novaluron 배(0.7), 수박(0.1)
Oxolinic acid 강할(건조, 7.0)
Pencycuron 지치(건조, 1.0)
Pyraclostrobin 자두(1.0)
복숭아(3.0), 사과(0.5), 딸기(2.0), 브로콜리(녹색꽃앙배추, 3.0),
Pyridalyl
자두(1.0)
Pyriproxyfen 고추(0.5), 피망(단고추, 0.5)
Sethoxydim 인삼(수삼, 0.2), 인삼(건삼, 0.2)
Spinosad 포도(머루포함, 0.5), 복분자(0.2)
Spirodiclofen 가지(1.0), 고추(5.0), 피망(단고추, 5.0), 참외(0.3)
Spiromesifen 고추(3.0), 피망(단고추, 3.0)
Teflubenzuron 복분자(1.0), 살구(0.2), 체리(양앵두, 0.2)
Tefluthrin 부추(3.0)
Thiacloprid 밤(0.1), 인삼(수삼, 0.2), 인삼(건삼, 0.2), 대추(건조포함, 0.5)
Thiametoxam 복분자(0.5)
Thifluzamide 지치(건조, 1.0)
Thiodicarb 대추(건조포함, 0.05), 포도(머루포함, 2.0)
Trifloxystrobin 배(0.1), 자두(1.0), 포도(0.5) → 포도(머루포함, 0.5)
Zoxamide 부추(3.0)

- 188 -
2) 잔류허용기준 개선방안에 대한 업계 의견

○ MRL 설정시 잔류 가능성이 높은 제형 사용 및 사용 형태로 설정


○ 신규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시 설정 시기를 앞당기기 위한 농진청과 식약청과의

정보공유시스템 개발 요망

○ 기존 설정된 잔류허용기준 변경시 변경 근거(사용 검토된 잔류자료 등)가 없으므


로 제형, 유효성분량, 처리방법 등에 따라 잔류량의 차이가 크므로 설정 근거를

명기해서 개정(안)을 통보해 줘야 개정의 타당성을 검토할 수 있으므로 매번

MRL 개정시 개정코자하는 근거를 명시해 주기 바람.

3. 축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 개정(안)


가. 개정(안) 작성 절차

1) 대상 농약의 선정

매년 CODEX에서는 농약잔류 시험성적 및 인체 위해성 평가 결과를 토대로 축산물


중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새로이 제․개정하고 있다. 2008년 현재 기준 설정된 농약은

Bentazone 등 98개 물질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국제기준 등을 참고하여 축산물중 농약

의 잔류허용기준 제․개정을 4회 한바 있으며, Acephate 등 총 87물질 (2004.10.22)에


대해 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현행 국내기준과 CODEX기준이 상이한 물질은 22종이며, 그 내용은 표 3-10과 같다.

국제적 규제 동향을 고려할 때 기준 개정의 필요성은 있으며, 국내 축산물에 대한 농


약잔류 시험 성적이 부족한 점을 고려할 때 국제기준(Codex)과의 조화가 이루어지도록

국내기준을 제․개정할 필요가 있으며, 대상 농약도 그에 준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표 3-10] Codex 기준과 우리나라 기준의 차이

구 분 우리나라 CODEX 비 고
∘기준설정공통 물질수: 60종
설정물질수 87 * 98 * ∘국내 미설정물질수: Novaluron 등 38종
∘국내만 설정한 물질수: Mecabam 등 27종

* aldrin과 dieldrin을 하나의 물질로 산정

- 189 -
2) 기준설정 방법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인 해당 가축의 부위별 농약 잔류시험


성적 등에 관한 자료가 거의 없으므로, CODEX, 미국, 일본 그리고 호주의 축산물에

대한 농약잔류 허용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동 비교 결과와 현재 국내 기준과를 비교

검토하였고 이중 가장 합리적이며, 국제 기준과의 조화 측면에서 CODEX 기준을 적용


하여 기준 개정(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3) 위해평가 검토
각 농약별 위해평가시 고려사항은 원칙적으로 ADI 대비 농약 섭취량을 농산물에

80%를 배정하고, 축산물, 음용수, 기타 환경에 의한 섭취량을 20%로 하는 것으로 검

토 하였다. 따라서 각 농약별 현재 농산물에 기준이 설정된 경우의 TMDI에 대해 축


산물에 대한 기준 설정시 추가로 섭취하게 되는 농약의 양을 포함하여 안전성을 확인

하였다.

나. 농약잔류허용기준 개정(안)

외국의 기준, 코덱스와의 조화를 위한 검토 및 위해평가를 통해 검토된 축산물의 농


약잔류허용기준 개정(안)은 다음과 같으며, 동 기준(안)은 식품공전의 작성체계에 따라

정리하였다. 동 기준안의 시행을 위해서는 개정된 기준에 대한 분석법이 같이 검토되어

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해서는 관련 기관과의 협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식품공전 [별표 6] 축산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식품명 ppm 식품명 ppm 식품명 ppm

[별표 6], (1) 감마-비에치씨(γ-BHC) 중 “쇠고기 2.0(f)”, “돼지고기 2.0(f)”, “염소고기


2.0(f)”, “양고기 2.0(f)”를 각각 삭제하고, “가금류고기 2.0(f)”을 “가금류고기 0.05(f)"로 하
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0.1(f)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부산물 0.01
유 0.01

- 190 -
[별표 6], (2)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중 “쇠고기 0.1”, “돼지고기 0.1”, “소 2.0”을 각각
삭제하고, “가금류고기 0.1”을 “가금류고기 0.05”, “돼지부산물 1.0”을 “돼지부산물 0.5”,
“유 0.1”을 ”유 0.05“, “알 0.1”을 “알 0.05”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0.05 포유류부산물 0.05 가금류부산물 0.5

[별표 6], (3) 다이아지논(Diazinon) 중 “쇠고기 0.7(f)”를 “쇠고기 2.0(f)", ”돼지고기 0.7(f)
를 돼지고기 2.0(f)", "양고기 0.7(f)“를 ”양고기 2.0(f)"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
다.
염소고기 2.0(f) 닭고기 0.02 닭고기부산물 0.02
소신장 0.03 돼지신장 0.03 염소신장 0.03
양신장 0.03 소간장 0.03 돼지간장 0.03
염소간장 0.03 양간장 0.03

[별표 6], (4) 델타메쓰린(Deltamethrin) 중 “포유류부산물 0.5(f)”을 삭제하고, “가금류고


기 0.01"을 ”가금류고기 0.1(f)", “가금류부산물 0.01”을 “가금류부산물 0.02”, “유 0.02(F)"
을 ”유 0.05(F)", "알 0.01“을 ”알 0.02“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소신장 0.03 돼지신장 0.03 양신장 0.03
염소신장 0.03 소간장 0.03 돼지간장 0.03
양간장 0.03 염소간장 0.03

[별표 6], (6) 디메티핀(Dimethipin) 중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별표 6], (8) 디크로보스(Dichlovos) “쇠고기 0.02(N)"를 삭제한다.

[별표 6], (9) 디프루벤주론(Diflubenzuron) 중 “포유류고기 0.05”를 “포유류고기 0.1(f)", ”


유 0.05“를 ”유 0.02(F)"으로 하며, 다음 항목을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1

[별표 6], (10) 메소밀(Methomyl) 중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02 가금류고기 0.02 가금류부산물 0.02
알 0.02

[별표 6], (11) 메티오카브(Methiocarb) 항목을 삭제한다.

- 191 -
[별표 6], (12) 메카밤(Mecabam)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13) 메타미도포스(Methamidofos) 중 “쇠고기 0.01”, “염소고기 0.01”, “양고기


0.01”, “소지방 0.01”, “염소지방 0.01”, “양지방 0.01”을 각각 삭제하고, "유 0.01“을 ”유
0.02“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0.01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알 0.01

[별표 6], (14) 메타크리포스(Methacrifos)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15) 메토프렌(Methoprene) 중 “포유류부산물 0.1”을 “포유류부산물 0.02”, “우


유 0.05(f)"를 ”우유(0.1)“, ”알 0.05“를 ”알 0.02“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가금류고기 0.02 가금류부산물 0.02

[별표 6], (16) 메티다시온(Methidathion) 중 “사슴고기 0.02”를 삭제한다.

[별표 6], (17) 모노크로토포스(Monocrotophos)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18) 벤디오카브(Bendiocarb)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19) 빈클로졸린(Vinclozolin) 중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쇠고기 0.05 닭고기 0.05

[별표 6], (20) 싸이로마진(Cyromazine) 중 “양고기 0.05”를 삭제하고, 다음 항목을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3

[별표 6], (22) 싸이헥사틴(Cyhexatin)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23) 아미트라즈(Amitraz) 중 “양부산물 0.2”을 추가한다.

[별표 6], (24) 아세페이트(Acephate) 중 “소지방 0.1”, “돼지지방 0.1”을 삭제하고, “쇠고
기 0.1”을 “쇠고기 0.05”, “가금류고기 0.1”을 “가금류고기 0.01”, “유 0.1”을 “유 0.02”, “알
0.1”을 “알 0.01”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0.05 포유류부산물 0.05 가금류부산물 0.01

- 192 -
[별표 6], (25) 아조싸이클로틴(Azocyclotin)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26) 알드린 & 다이드린(Aldrin & Diedrin) 중 "가금류고기 0.2(f)"를 신설한다.

[별표 6], (28) 에디펜포스(Edifenphos)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29) 에티오펜카브(Ethiofencarb)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30) 에티온(Ethion)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31) 에트림포스(Etrimfos)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32) 엔도설판(Endosulfan): α, β 및 Endosulfansulfate 포함 중 “포유류고기


0.1”을 “포유류고기 0.2(f)", "유 0.1”을 “유 0.01”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가금류고기 0.03 가금류부산물 0.03 소신장 0.03
돼지신장 0.03 양신장 0.03 염소신장 0.03
소간장 0.1 돼지간장 0.1 양간장 0.1
염소간장 0.1 알 0.03

[별표 6], (33) 엔드린(Endrin) 중 “쇠고기 0.1”, “돼지고기 0.1”, “염소고기 0.1”, “말고기
0.1”, “양고기 0.1”을 삭제하고, “가금류고기 1.0”을 “가금류고기 0.1(f)”로 한다.

[별표 6], (34) 2, 4-D 중 “포유류고기 0.05”를 “포유류고기 0.2”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
각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5.0 가금류부산물 0.05

[별표 6], 2,4,5-T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이소펜포스(Isofenphos)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키노메티오냍(chinomethionat) 항목을 삭제한다.

- 193 -
[별표 6], (38) 카바릴(Cabaryl) 중 “가금류고기 0.5”, “가금류피부 5.0”, “유가공품 0.1”을
삭제하고, “유 0.1”을 “유 0.05”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0.05 소신장 3.0 돼지신장 3.0
양신장 3.0 염소신장 3.0 소간장 1.0
돼지간장 1.0 양간장 1.0 염소간장 1.0

[별표 6], (39) 카벤다짐(Carbendazim) 중 “양고기 0.1”을 삭제하고, “쇠고기 0.1”을 “쇠고
기 0.05”, “가금류고기 0.1”을 “가금류고기 0.05”, “유 0.1”을 “유 0.05”, “알 0.1”을 “알
0.05”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05 닭지방 0.05

[별표 6], (40) 카보퓨란(Carbofuran) 중 “사슴고기 0.05”, “소신장 0.05”, “돼지신장 0.05”,
“양신장 0.05”, “말신장 0.05”, “염소신장 0.05”, “소간장 0.05”, “돼지간장 0.05”, “양간장
0.05”, “말간장 0.05”, “염소간장 0.05” 을 삭제한다.

[별표 6], (41) 크로펜테진(Clofentezine) 중 “쇠고기 0.05”, 소부산물 0.1“을 삭제하고, ”유


0.01“을 ”유 0.05“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0.05 포유류부산물 0.05

[별표 6], (43) 클로르펜빈포스(Chlorfenvinphos)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46) 터브포스(Terbufos) 중 “쇠고기 0.05”, “닭고기 0.05”를 삭제하고, 다음 항


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0.05 포유류부산물 0.05 가금류고기 0.05
가금류부산물 0.05 유 0.01 알 0.01

[별표 6], (47) 트리아디메폰(Triadimefon) 중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부산물 0.01

[별표 6], (48) 트리클로르폰(Trichlorfon)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49) 파라쿼트(Paraquat) 중 “쇠고기 0.05”, “돼지고기 0.05”, “양고기 0.05”, “소
부산물 0.05”, “돼지부산물 0.05”, “양부산물 0.05”, “소신장 0.5”, “돼지신장 0.5”, “양신장
0.5”를 각각 삭제하고, “유 0.01”을 “유 0.005”, “알 0.01”을 “알 0.005”로 하며, 다음 항목

- 194 -
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0.005 포유류부산물 0.05 가금류고기 0.005
가금류부산물 0.005

[별표 6], (51) 페니트로치온(Fenitrothion : MEP) 중 "포유류부산물 0.05“를 삭제하고,


“포유류고기 0.05(F)”를 “포유류고기 0.05(f)”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가금류고기 0.05 알 0.05

[별표 6], (53) 펜부타틴옥사이드(Fenbutatin oxide) 중 “포유류부산물 0.05”를 “포유류부


산물 0.2”로 한다.

[별표 6], (54) 펜설포티온(Fensulfothion)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55) 펜티온: MPP (Fenthion: MPP)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56) 펜토에이트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57) 포레이트(Phorate) 중 “포유류고기 0.05”를 “포유류고기 0.02”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02 가금류고기 0.05 유 0.01
알 0.05

[별표 6], (58) 포살론(Phosalone)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59) 포스멭(Phosmet)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60) 폭심(Phoxim)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61) 푸루실라졸(Flusilazole) 중 “쇠고기 0.01”, “닭고기 0.01”, “소부산물 0.02”,
“소지방 0.01”, “닭부산물 0.01”을 각각 삭제하고, “우유 0.01”을 “유 0.05”, “계란 0.01”을
“알 0.1”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1.0(f) 가금류고기 0.2 가금류부산물 0.2

- 195 -
[별표 6], (62) 프로클로라즈(Prochloraz) 중 “쇠고기 0.1”, “소부산물 5.0”, “소지반 0.5”를
삭제하고, “유 0.1”을 “유 0.05”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0.5(f) 포유류부산물 10.0 가금류고기 0.05
가금류부산물 0.2 알 0.1

[별표 6], (63) 프로파자이트(Propargite) 중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1 가금류부산물 0.1

[별표 6], (64) 프로폭서(Propoxur)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66) 피리미카브(Pirimicarb) 중 “포유류고기 0.05”를 “포유류고기 0.01”, “유


0.05”를 “유 0.01”, “알 0.05”를 “알 0.01”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별표 6], (67) 피리미포스메틸(Pirimiphos-methyl) 중 “포유류고기 0.05”를 “포유류고기


0.01”, “유 0.05”를 “유 0.01”, “알 0.05”를 “알 0.01”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별표 6], (69) 디메토에이트(Dimethoate) 중 “포유류지방 0.05”를 삭제하고, “유 0.05”를


“우유 0.05”, “양유 0.05”, “염소유 0.05”로 하며,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소부산물 0.05 양부산물 0.05

[별표 6], (70) 디설포톤(Disulfoton) 중 “유 0.01”을 “우유 0.01”, “양유 0.01”, “염소유
0.01”로 한다.

[별표 6], (71) 디페닐아민(Diphenylamine) 중 다음 항목을 신설한다.


우유 0.0004(F)

[별표 6], (72) 마이클로부타닐(Myclobutanil) 중 “가금류고기 0.1”을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1”을 “가금류부산물 0.01”, “우유 0.1”을 “우유 0.01”, “알 0.1”을 “알 0.01”
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쇠고기 0.01 소부산물 0.01

[별표 6], (73) 바이오레스메트린(Bioresmethrin) 항목을 삭제한다.

- 196 -
[별표 6], (74) 바이펜트린(Bifenthrin) 중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소신장 0.05 소간장 0.05

[별표 6], (75) 싸이플루쓰린(Cyfluthrin) 중 “우유 0.01(F)"를 ”유 0.04(F)“로 하고,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고기 1.0(f)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소신장 0.05 돼지신장 0.05 양신장 0.05
염소신장 0.05 소간장 0.05 돼지간장 0.05
양간장 0.05 염소간장 0.05 알 0.01

[별표 6], (76) 퀸토젠(Quintozene) 중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닭고기 0.1(f) 닭부산물 0.1

[별표 6], (77) 크레족심-메틸(Kresoxim-methyl) 중 “포유류지방 0.05”를 삭제하고, “우유


0.01”을 “유 0.01”로 한다.

[별표 6], (78) 트리아디메놀(Triadimenol) 중 다음 항목을 각각 신설한다.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부산물 0.01

[별표 6], (79) 트리아조포스(Triazophos) 항목을 삭제한다.

[별표 6], (80) 페나리몰(Fenarimol) 중 “소간장 0.02”를 “소간장 0.05”로 한다.

[별표 6], (81) 펜부코나졸(Fenbuconazole) 중 다음 항목을 신설한다.


쇠고기 0.05

[별표 6], (87)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 다음에 (88)부터 (127)까지를 각각 다음과 같


이 신설한다.

[별표 6], (88) (Glufosinate-ammonium)


포유류고기 0.05 포유류부산물 0.1 가금류고기 0.05
가금류부산물 0.1 유 0.02 알 0.05

- 197 -
[별표 6], (89) 노발루론(Novaluron)
포유류고기 10.0(f) 포유류부산물 0.7 가금류고기 0.01(f)
가금류부산물 0.01 유 0.4 유지방 7
알 0.01

[별표 6], (90) 디메텐아미드(Dimethenamid-P)


포유류고기 0.01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유 0.01 알 0.01

[별표 6], (91) 디치오카바메이트(Dithiocarbamates)


포유류고기 0.05 포유류부산물 0.1 가금류고기 0.1
가금류부산물 0.1 유 0.05 알 0.05

[별표 6], (92) 디코폴(Dicofol)


쇠고기 3.0(f) 가금류고기 0.1(f) 가금류부산물 0.05
소부산물 1.0 유 0.1(F) 알 0.05

[별표 6], (93) 메톡시페노자이드(Methoxyfenozide)


포유류고기 0.05(f) 포유류부산물 0.02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유 0.01 알 0.01

[별표 6], (94) 벤타존(Bentazone)


포유류고기 0.05 유 0.05 알 0.05

[별표 6], (95) 비페나제이트(Bifenazate)


포유류고기 0.05(f)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고기 0.01(f)
가금류부산물 0.01 유 0.01 유지방 0.05
알 0.01

[별표 6], (96) 스피노사드(Spinosad)


쇠고기 3.0(f) 포유류고기 2.0(f) 포유류부산물 0.5
가금류고기 0.2(f) 소신장 1.0 소간장 2.0
우유 1.0 유지방 5.0 알 0.01

- 198 -
[별표 6], (97) 싸이프로디닐(Cyprodinil)
포유류고기 0.01(f)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고기 0.01(f)
가금류부산물 0.01 유 0.0004 알 0.01

[별표 6], (98) 아바멕틴(Abamectin)


쇠고기 0.01 염소고기 0.01 염소부산물 0.1
소지방 0.1 소신장 0.05 소간장 0.1
우유 0.005 염소유 0.005

[별표 6], (99) 에세폰(Ethephon)


쇠고기 0.1 돼지고기 0.1 염소고기 0.1
말고기 0.1 양고기 0.1 가금류고기 0.1
가금류부산물 0.2 소부산물 0.2 돼지부산물 0.2
양부산물 0.2 염소부산물 0.2 말부산물 0.2
계란 0.2 우유 0.05 염소유 0.05
양유 0.05

[별표 6], (100) 에스펜발러레이트(Esfenvalerate)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알 0.01

[별표 6], (101) 에토프로포스(Ethoprophos)


포유류고기 0.01 포유류부산물 0.01 유 0.01

[별표 6], (102) 옥사밀(Oxamyl)


포유류고기 0.02 포유류부산물 0.02 가금류고기 0.02
가금류부산물 0.02 유 0.02 알 0.02

[별표 6], (103) (Oxydemeton-methyl)


쇠고기 0.05 돼지고기 0.05 양고기 0.05
가금류고기 0.05 가금류지방 0.05 소지방 0.05
돼지지방 0.05 양지방 0.05 유 0.01
알 0.05

- 199 -
[별표 6], (104) 이미다크로프리드(Imidacloprid)
포유류고기 0.02 포유류부산물 0.05 가금류고기 0.02
가금류부산물 0.02 유 0.02 알 0.02

[별표 6], (105) 인독사카브(Indoxacarb)


포유류고기 1.0(f) 포유류부산물 0.05 가금류고기 0.01(f)
가금류부산물 0.01 유 0.1 유지방 2.0(f)
알 0.01

[별표 6], (106) 카보설판(Carbosulfan)


포유류고기 0.05 포유류부산물 0.05 가금류고기 0.05
가금류고기 0.05 유 0.03 알 0.05

[별표 6], (107) 퀴녹시펜(Quinoxyfen)


포유류고기 0.2(f)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고기 0.02(f)
가금류부산물 0.01 유 0.01 유지방 0.2
알 0.01

[별표 6], (108) 크레소딤(Chlethodim)


포유류고기 0.2 포유류부산물 0.2 가금류고기 0.2
가금류부산물 0.2 유 0.05 알 0.05

[별표 6], (109) 클로르메쿼트(Chlormequat)


소고기 0.2 돼지고기 0.2 염소고기 0.2
양고기 0.2 가금류고기 0.04 가금류부산물 0.1
소신장 0.5 돼지신장 0.5 양신장 0.5
말신장 0.5 염소신장 0.5 소간장 0.1
돼지간장 0.1 양간장 0.1 말간장 0.1
염소간장 0.1 유 0.5 알 0.1

[별표 6], (110) 클로르프로팜(Chlorpropham)


쇠고기 0.1(f) 소부산물 0.01 우유 0.0005(F)

- 200 -
[별표 6], (111) 터부코나졸(Tebuconazole)
쇠고기 0.05 닭고기 0.05 소부산물 0.05
닭부산물 0.05 우유 0.01 계란 0.05

[별표 6], (112) 테부페노자이드(Tebufenozide)


포유류고기 0.05(f) 포유류부산물 0.02 가금류고기 0.02(f)
유 0.01 알 0.02

[별표 6], (113) 트리프록시스트로빈(Trifloxystrobin)


포유류고기 0.05(f) 가금류고기 0.04(f) 가금류부산물 0.04
소신장 0.04 돼지신장 0.04 양신장 0.04
염소신장 0.04 소간장 0.05 돼지간장 0.05
양간장 0.05 염소간장 0.05 유 0.02
알 0.04

[별표 6], (114) 티아벤다졸(Thiabendazole)


쇠고기 0.1 가금류고기 0.05 소신장 1.0
소간장 0.3 우유 0.2 계란 0.01

[별표 6], (115) (Thiacloprid)


포유류고기 0.1 포유류부산물 0.5 가금류고기 0.02
가금류부산물 0.02 유 0.05 알 0.02

[별표 6], (116) 파목사돈(Famoxadone)


포유류고기 0.5(f) 포유류부산물 0.5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유 0.03(F) 알 0.01

[별표 6], (117) 페나미포스(Fenamiphos)


포유류고기 0.01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유 0.005 알 0.01

[별표 6], (118) 펜프로피모르프(Fenpropimorph)


포유류고기 0.02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가금류지방 0.01 소신장 0.05 돼지신장 0.05

- 201 -
염소신장 0.05 양신장 0.05 소간장 0.3
돼지간장 0.3 염소간장 0.3 양간장 0.3
유 0.01 알 0.01

[별표 6], (119) 펜헥사미드(Fenhexamid)


포유류고기 0.05(f) 포유류부산물 0.05 유 0.01(F)

[별표 6], (120) 프로파모카브(Propamocarb)


포유류고기 0.01 포유류부산물 0.01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1 유 0.01 알 0.01

[별표 6], (121)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


포유류고기 0.01 포유류부산물 0.05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5 유 0.01 알 0.05

[별표 6], (122) 플루토라닐(Flutolanil)


포유류고기 0.05 가금류고기 0.05 가금류부산물 0.05
소신장 0.1 돼지신장 0.1 양신장 0.1
염소신장 0.1 소간장 0.2 돼지간장 0.2
양간장 0.2 염소간장 0.2 유 0.05
알 0.05

[별표 6], (123) 피라크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포유류고기 0.5 포유류부산물 0.05 가금류고기 0.05
가금류부산물 0.05 유 0.03 알 0.05

[별표 6], (124) 피페로닐 부톡사이드(Piperonyl butoxide)


쇠고기 5.0(f) 포유류고기 2.0(f) 가금류고기 7.0(f)
가금류부산물 10.0 소신장 0.3 돼지신장 0.2
양신장 0.2 염소신장 0.2 소간장 1.0
돼지간장 1.0 양간장 1.0 염소간장 1.0
유(소제외) 0.05(F) 우유 0.2(F) 알 1.0

- 202 -
[별표 6], (125) 피프로닐(Fipronil)
쇠고기 0.5(f) 가금류고기 0.01 가금류부산물 0.02
소신장 0.02 소간장 0.1 우유 0.02
알 0.02

4.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한국형 모델 개발


가. 현장 의견 수렴
1) 잔류농약 기준 개선을 위한 workshop 개최

현장에서 잔류농약 분석을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들의 의견 수렴을 통하여 개선 방안


을 마련하고자 workshop을 다음과 같이 개최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 일자 : 2008. 7.3 - 7.4

■ 참석대상 :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시도보건환경연구원, 식약청, 지방청 등 61명


■ 회의목적

연구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하여 각 시․도등 현 실무담당자들의 의견 수렴

및 토의를 통하여 연구사업의 방향조정 및 잔류농약 기준 개선을 위한 방안을 마


련 하고자 함.

■ 회의결과

◦ 주제발표
- 가공식품중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연구

- 국내 잔류농약 연구현황

- 유통농산물중의 잔류농약의 관리
- 농산물 생산단계에서 잔류농약의 안전관리

◦ 잔류농약 안전관리를 위한 토의

□ 농산물 검사 시험법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검토하여 현 실정에 맞는 분석법의

개발이 필요. 필요시 기관간의 MOU 추진

- 시험법에 대해 현재 연구가 진행중이며, 필요시 시․도별 건의가 필요함


- 건의 후 분담을 통해 연구 기관에 따라 매트릭스별 분류 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 공전에만 의존하지 말고, 연구회를 조직해 주제를 정한 후 의견을 교환하도

록 함. 조속한 해결방안을 추진중에 있음.

- 203 -
- 법을 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식품공전을 기준으로 시험을 이행. 다른 방법은 차

선일 수 밖에 없으며 현실과 시행에 있어 차이가 있음


- 법 개정을 위한 건의를 적극적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각 시․도별 지속적인 의

견 교환이 이루어져야 함. 전문성이 부족한 농림수산식품부에 적극적 건의가 뒤

따라야 함.

□ 보건환경연구원 현 상황

- 현장검사소를 설치하라는 요구가 많았음. 관리사무소에서 검사 감독팀을 만들어


간이속성검사를 시행하기로 함. 하지만 간이속성검사의 실효성이 낮다는 점에

서 시행하지 않을 것을 건의 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음. 식약청을 비롯한 관련

기관에서 실효성이 낮다는 공식적인 답변과 명확한 결론(문서화된 지침)을 내렸


으면 함.

- 법적 개정을 요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음. 방법론적 개선 제기가

필요. 개선에 대한 검토를 하겠음.

□ 간이검사

간이검사의 실효성에 대한 의견
- 간이검사의 실시는 전시효과, 주변 농민들의 경각심을 일깨워주는 계기, 홍보효

과가 되기도 함. 실효성에 대한 문제로 인해 간이검사 횟수를 점차적으로 줄여나

갈 계획임.
- 간이검사, 안전성 검사는 지자체별 실정에 맞춰 시행되어야 한다고 생각.

(부산보연의 경우 양성 0.5%)

- 농산물품질관리원 : 간이분석을 폐지하고 전량 정밀분석을 시행하려 함. 자체적


으로 분석법을 만들어 부적합일 경우 재분석하는 법을 개발함

□ 표준품 사업
- 식약청 홈페이지에 관련정보들을 모두 게재하고 있으며 지자체 내 시행에 있어

어려움이 있을 경우 식약청으로 연락하면 검토 후 협조 및 지원 가능. 일관성

있게 주어진 예산에 한해서 확대해 나갈 계획.


- 평소에도 이메일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교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임. 시․

도와 함께 상생하며 서로가 같이 협조하며 현실 개선에 힘을 모아야 할 것임.

- 204 -
□ 위해평가 사업

- 동 사업과 관련하여 농산물품질관리원 등에서 실시한 잔류농약 모니터링 결과


자료 등 적극적인 협조를 필요로 함

2) 의견 수렴 결과
주로 많이 제시된 분석방법의 개발과 표준품 보급에 대해 동 의견을 식품의약품안전
청 해당과에 전달하고 해당과에서는 분석방법을 개발하여 보급할 예정이며, 표준품도
보급할 예정이다.

나. 재평가에 따른 기준관리 개선방안


현재 기준 설정된 농약에 대해 2007년도와 2008년도에 재평가를 통하여 개정안이 제
시되었다. 하지만 개정안이외에도 재평가가 필요하거나 전체적인 미 등록 농약, 미 등
록 농산물에 대한 관리방향에 대해 충분한 검토는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체적인 검토 즉 농약잔류허용기준의 관리, 모니터링 방법의 개선, 국내 기준
의 국제 조화 그리고, 농약 분석법의 적정화를 위한 통합된 연구 관리가 필요하다고 하
겠다. 이러한 점에서 현재 식약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가 잔류농약 안전관리 사업단의
추진을 통한 종합적인 검토와 관리가 요구된다.

다. 위해평가 방법의 효율화 방안


1) 외국의 사례

(1) 농약관련 규정

농약 사용은 직업상 농약에 노출되고(농약 처리 작물의 제조, 제작, 운반, 처리, 취급


중에), 농약이 처리된 작물을 소비하고, 가정에서 사용된 농약에 노출되는 인간에게 악

영향을 초래할 수 있으며, 환경독성과 환경 피해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각

국은 안전 대책에 대한 해석과 승인 여부에 대한 관리와 통보 요건, 정의, 기준과 관련


하여 저마다 다른 절차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불행히도 일부 계획은 관료주의나 법률

문구에 과도하게 얽매이는 바람에 계획의 주요 목표, 특히 건강에 관한 목표가 행정상

명확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 같은 접근법을 일치시키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고 이 같은 노력은 충분히 가치가 있지만, 정치적 영향력과 압력 때문에 어

려움이 따를 수 있다.

- 205 -
일반적으로 농약 신제품을 등록하려는 기업은 최소한 유관 당국의 심의를 위해 아래

의 정보를 제출해야 한다.


• 활성 물질 규격

여기에는 화학제품의 내용(CAS와 기타 식별 번호, 화학제품명, 동의어)과 물리화학

적 속성, 순도와 불순물, 농약 활성 형태, 분석 방법이 포함된다.


• 이용 데이터 제안

살포율 및 횟수와 제제, 효능 데이터와 함께 사용용도.

• 독물학 연구 자료
• 인간 독물학과 직업 의학 데이터

임상 정보와 감시 데이터, 해독 연구 포함.

• 잔류물 데이터
수확 시기부터 저장 기간 동안, 가공 후 농약을 처리한 농작물과 식품의 잔류물.

여기에는 계량적 측면과 분해, 전환 산출물, 식물 대사, 반응 산출물이 포함된다.

• 환경독물학과 환경 운명 및 행태
• 기타 관련 정보

기타 용도나 기타 국가, 등록 분야에 대한 허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의 정보를 검토하고 권고를 제시하는 행정 절차는 각종 유관 당국마다 다르다.

대부분의 경우, 각 전문 분야의 독립된 전문가들로 구성된 별도 하위 그룹이 제출 정

보의 다양한 내용을 검토하여 유관 당국의 주요 감독위원회에 토의 내용과 결론을 제


공한다.

미국은 최근까지 농약 규제가 영국과 유사했지만, 세부적인 내용에는 차이가 있다.

농약을 규제한 주요 법률은 연방살충제살균제살서제법(FIFRA 1947)이었다. 1996년도


식품품질보호법(FQPA)(미국, 1996)은 위해평가에 사용되는 방법론에 변화를 가져왔으

며, 이는 결국 영국의 위해평가에 사용되는 방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FQPA는

(a) 모든 노출원에 대한 심의와 (b) 한 종 이상의 농약에 대한 동시 노출 심의를 의무


화하였다. 전자는 통합 노출, 후자는 누적 노출이라고 한다. 독성 기제가 유사한 농약

은 누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기본 가정이기 때문에, 독성 작용의 기제가 ‘공통

된 농약그룹의 확인’(CMG)이 필요하다. 이것을 확인하는 것 자체가 까다로운 문제이


며, CMG 구성원을 식별하였다면, CMG의 다양한 영향을 참작해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에는 위험지수 접근방식이 포함되었다.

- 206 -
(2) 급성 식이노출 평가에 포함되는 소비 데이터
농약 잔류물에 대한 급성(단기, 실제로는 일일) 노출을 계산할 때, 평생 평균 식품 섭

취량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이러한 ‘만성’ 데이터는 일생동안 불가피하

게 발생하는 소비 패턴의 최고점과 굴곡, 변화를 균등하게 만든다. 장기 소비 데이터


는 특정 상품을 소비하지 않는 날을 고려하지만, 이는 한번의 식사나 1일 소비를 토대

로 하는 최악의 추정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만성 노출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특정

식품에 대한 소비 데이터는 반드시 1일 식품 소비량을 계산하는데 사용하는 수치보다


낮을 것이다. 1일 소비 데이터는 ‘섭취량’이라고 하며 농약이나 기타 독성 화학약품에

대한 급성 노출을 계산할 때 사용한다. 영국에서는 2개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성

인과 ‘유아’(1½ - 4½세 아동)에 대한 섭취량 추정치를 판단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는 일반적으로 범위가 제한된 식품에 대해 체중에 비해 소비량이 많은 유아나 다양한

식품이 제공되어 이를 소비하는 성인을 고려하여 극단의 소비량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추가적인 데이터베이스의 이용은 유용한 정보를 추가로 얻을 가능성


이 없다. 과일이나 야채를 그대로 섭취하는 유아와 달리 영아는 동질화한 식품(예, 퓨

레)을 소비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USEPA와 같은 기관은 연령과 성, 민족과 같은 여러 요인을 참작하여 광범위한 소


비자 집단으로 분류된 식품 소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다(미국보건통계원, 2003). 현

재 국제적인 차원에서 사용하기 위해 광범위한 지역의 정보를 토대로 한 다른 데이터

세트를 취합하고 있다. 극단적인 식품 소비자가 아닌 ‘높은 수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기 위해 97.5 백분위 값을 대푯값으로 선택했다. 이 백분위수를 이용하는 근거는 명

확하게 확립되지 않았지만, 빈번하게 소비되는 식품을 장기간 섭취할 때, 이는 일반적

으로 ‘수치가 높은’ 값을 얻는 지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백분위수는 기본적으로


단기 노출 평가에도 사용되었다. 미국이 소비자 위해평가 결정점으로 99.9 백분위 수

를 사용하는 것을 놓고 적절한 백분위수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3) 급성 식이노출 평가

농약 잔류물의 급성 노출로 인한 소비자 위해평가는 mg/kg bw/일로 표시되는 급성

RfD(Reference dose)와 잔류물 섭취량 계산 수치의 비교로 이루어진다. 계산한 섭취량


이 급성 RfD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10-500배 안전마진을 포함), 위해평가는 농약 사

용의 규제목적으로 볼 때 허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일부 화합물은 급성이나

- 207 -
단기 효과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급성 RfD가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4) 소비자 노출 계산

잔류물이나 섭취량, 체중을 나타내는 대표 값을 기본으로 하는 계산을 이용하는 것은

농약 잔류물에 대한 소비자 급성 노출을 가장 간단하고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


법이지만, 최악의 데이터를 계속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과대평가가 될 수

있다. 급성 독성 화합물의 위험을 좀더 합리적으로 추정하기 위해, 현재 식품 소비량

이나 잔류물과 같은 데이터 범위(특히, 전체 빈도 분포)의 사용을 허용하고 식품 가공


으로 인한 잔류량의 변화와 실제 농약 사용 패턴을 고려하는 확률론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FAO와 WHO는 확률론적 모델링이 향후 자주 이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은 인정했


지만,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은 극소수에 불과하며, 이 기

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5) 식이 위해 평가

USEPA와 PMRA는 주로 급성(1일)과 만성(장기)간 식품의 농약 노출 위험을 모두

평가하고 있다. 급성 식이 위해의 경우, 적절한 동물 독성 연구에서 역효과가 관찰되


지 않는 무작용량(NOAEL)을 해당 불확실성 계수로 나눈다. 미국에서는 화합물이 유

아에게 민감하다는 증거가 나타나는 경우 급성 참고용량(aRfD)이라고 알려진 값을

FQPA 안전계수로 또 나눈다.


만성 식이위해에 대해서도 유사한 접근법을 채택하고 있다. 흔히 반복 용량 연구에서

선정되고 주로 장기적이거나 연속적인 노출과 관련된 최종 값을 반영하는 NOAEL은

적절한 불확실성 계수로 나눈다. 미국에서는 만성참고용량(Chronic reference dose :


cRfD)으로 알려진 값을 FQPA 안전 계수로 나누며 이는 만성 인구조정 용량(Chronic

population adjusted dose : cPAD)이 된다. cPAD에 해당하는 캐나다의 1일 섭취허용

량(ADI) 역시 불확실성과 안전 계수를 참작하여 도출한다. 이 값은 아동과 같은 민감


한 인구 집단을 비롯하여 평생 인간에게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간주되는 농약 잔류

물의 식이 노출 수준으로 판단된다.

2) 일본의 잔류농약 기준설정에서의 노출평가 사례

잔류농약기준을 설정할 때는 먼저 대상 농약의 안전성 시험성적을 토대로 일일 섭취

- 208 -
허용량을 평가한다. 일일 섭취 허용량이 설정 가능하다고 판단될 때는 국제기준 등에

기초하여 잔류농약기준의 기준치(안)이 설정되며, 다음으로 해당 기준치(안)을 채택한


경우에 예상되는 노출량이 계산된다.

그 결과, 예상되는 노출량이 일일 섭취 허용량에 기초한 허용량을 넘지 않는 경우,

국민의 건강 확보에는 지장이 없다고 판단되므로 해당 기준치(안)를 잔류농약기준으로


한다.

한편, 예상되는 섭취량이 허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노출평가에 관한 모든 요소를

재검토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한다.


또한 일일 섭취 허용량을 설정할 수 없다고 판단될 때에는 잔류농약기준은 ‘불검출’

이 기준이 되고, 해당 농약이 농작물에 잔류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금지된다.

즉, 잔류농약기준을 설정할 때는 일일 섭취 허용량의 평가와 노출량(노출평가)가 중


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중 일일 섭취 허용량의 평가는, 일반적으로 동물을 이용한 장기간의 안전성 시험

성적을 토대로 해당 농약이 동물에 독성 영향을 주지 않는 양(무독성량)을 구하고, 그


양을 사람과 동물의 종차(種差) 및 사람간의 차이(개체차)를 고려한 안전계수(통상적

으로 100)로 나누어 일일 섭취 허용량을 결정하는 방법이 이미 국제적으로 정착되어

있는데, 일본에서도 같은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한편, 노출평가의 경우 일본에서는, 이론적 최대 일일 섭취량 방식〔TMDI 방식: 기

준치(안) × 평균 식품섭취량의 총합〕에 따른 계산을 기본으로 한다. 그러나 이 방식

에 의한 계산은 실제 노출량보다 과대하게 평가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예를 들어, 잔류기준이 설정된 161개 농약을 대상으로 이론적 최대 일일 섭취량 방식

에 의한 노출량의 계산값이 일일 섭취 허용량의 80%를 넘는 것은 페니트로티온과 말

라티온 2가지뿐이다. 그러나 이들 2가지 농약의 마켓 바스켓 조사에 의한 노출량 추산


치는 일일 섭취 허용량의 0.1~2.9%로 보고되고 있다.

국제적으로 볼 때 노출평가에 대해서는 과학적으로 보다 정밀한 계산방식이 채택되

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전문가회의 등에서의 검토를 거쳐 1997년 12월, 실제


농작물에 대한 잔류를 조사한 시험(작물잔류시험) 성적에 의거하여 잔류량 등을 기본

으로 하는 ‘추정 일일 섭취량 방식(EDI 방식)’으로 이루어진 지침을 공표하였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WHO 합동식품규격위원회(코덱스위원회))에서 책정되는


국제기준도 WHO의 지침을 기본으로 노출량을 계산하고 허용량을 비교하여, 안전성을

확인한 후에 기준을 결정하고 있다.

- 209 -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일본 입장에서 노출평가를 실시하는 것은 다음의 2가지

로 나뉜다.
① 현행 이론적 최대 일일 섭취량 방식을 유지하고 계산된 노출량이 일일 섭취 허

용량에 기초한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국제기준 등보다 더 엄격한 기준치를

채택하는 등의 조치를 강구한다.


② 현행 이론적 최대 일일 섭취량 방식 대신에 더욱 정밀한 계산방식을 도입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계산된 노출량이 허용량을 넘지 않을 경우에는 국제기준 등을

일본의 기준치로 채택한다. 또한 새로운 방식에 의한 계산에서도 노출량이 허용


량을 넘을 경우에는 국제기준 등보다 더 엄격한 기준치를 채택하는 등 일본의

식생활 실태에서도 노출량이 허용량을 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강구한다.

그러나 상기①의 방책은 1994년 12월에 일본 국회에서 비준되었고, 1995년 1월에 발


효한 세계무역기구 설립을 위한 마라케쉬협정(WTO협정)의 하나인 위생 및 식물검역

조치의 적용에 관한 협정(SPS협정)에서 보면,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SPS협

정은 관련 국제기준이 있는 경우, 회원국은 원칙적으로 이에 기초하여 조치를 취하도


록 의무화되어 있고, 국제기준보다 엄격한 조치를 강구할 수 있는 것은 과학적으로 정

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 등으로 한정되어 있다. 한편, 이론적 최대 일일 섭취량 방식을

통해 계산된 노출량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실제의 노출량에 비해 과대한 수치가 도출


된다는 이유로 ①의 방책은 SPS협정에 위반될 우려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②의 방책이 과학적으로 타당할 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의 일원인

일본에도 적당한 것으로 판단하고, 향후 노출평가의 바람직한 방식에 대해 검토한 결


과는 다음과 같다.

가) 잔류기준 설정에서의 노출평가 현황 등


(1) 노출평가의 현황과 문제점

현재 잔류농약기준 설정에서 노출평가의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는 이론적 최대 일일

섭취량 방식은, 농작물별 기준치(안)에 해당 농작물의 평균 섭취량을 곱하여 얻은 노


출량을 기준을 설정하고자 하는 모든 농작물에 대해 구하고, 그 총합을 해당 농약의

노출량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방식은 기준치를 설정하고자 하는 모든 농작물에 기준치(안)의 상한까지


농약이 잔류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기준치(안)를 농작물에의 농약 잔류량 대표치로 이용하는 이 방식의 계산 결

- 210 -
과는

① 어떤 농작물 모두가 특정한 농약으로 처리되지는 않는다는 점,


② 어떤 농약으로 처리된 농작물 중 그 농약이 잔류기준 상한까지 잔류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점,

③ 잔류농약은 대부분의 경우, 농작물의 보관, 수송, 가공, 조리 등의 과정에서 감소


한다는 점,

④ 잔류기준은 원칙적으로 농작물 전체에 적용되지만, 잔류하는 농약의 대부분이 비

가식부(먹을 수 없는 부분)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없어진다는 점


등의 요인으로 실제 노출량을 반영한 것이 아니라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일본에서 실시한 마켓 바스켓 조사 결과와의 차이와 일본에서 유통되고 있는 농작물

에서의 잔류농약 검사결과(표 3-11) 등은 이러한 문제를 증명하는 것이다.

[표 3-11] 식품 중의 잔류농약 검사결과

검출 수ㆍ검출율 기준치를 넘는 건수ㆍ율


년도 검사 수
(건) (%) (건) (%)

기준치가 설정되어 1994 117,127 1,091 0.93 25 0.02

있는 것 1995 161,960 1,311 0.81 22 0.01

기준치가 설정되어있지 1994 53,894 226 0.42


않은 것 1995 92,897 469 0.51

(출처: 「식품 중의 잔류농약」 후생성 생활위생국 식품화학과, 1997년 10월)

평균 섭취량, 식품 섭취량을 조사하고 있는 국민영양조사가 종래에 개인별이 아닌 세


대별이었다는 점 등에서 국민 평균 1일 1인당 섭취량을 노출량 계산에 사용해 왔다.

노출량과 비교하는 허용량의 기초가 되는 일일 섭취 허용량은 평생 동안 계속 섭취해

왔다고 하더라도 건강 확보에 지장이 없는 양이므로, 노출량 계산에 활용되는 섭취량


은 국민 평균치로 하더라도 큰 지장이 없다.

그러나 식품 섭취량의 조사방식은 1995년 조사부터 개인별 조사로 변경되었다는 점

등을 이유로 유ㆍ소아 등에 대해서는 별도의 계산을 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 211 -
나) 노출평가의 기본방침

일본 잔류농약 분과회에서는 현황을 토대로 현재의 과학기술 수준에 따라 국민의 건


강을 확보하는 것을 최대 목적으로 삼고, 다음 기본방침에 준하여 더욱 정밀한 노출평

가 방법을 도입하고 있다.

① 작물잔류시험성적, 가식부의 잔류농약에 관한 시험성적, 가공ㆍ조리가 잔류농약에


주는 영향에 관한 시험성적 등에 근거한 과학적 노출량 계산 방식의 채택

② 국민 평균과 아울러 유ㆍ소아, 임산부, 고령자별로도 노출평가 실시

③ 기준설정 농작물 이외외 식품, 물ㆍ공기 등을 매개로 농약에 노출되는 것에 대한


고려

④ 기준설정 후 정기적인 개정

⑤ 마켓 바스켓 조사 등에 의한 기준설정 후 잔류농약 노출실태 파악


또한 상기에 의해 계산된 노출량 혹은 기준설정 후에 조사된 노출량이 허용량을 넘

는 경우에는 각각 기준치(안) 혹은 기준치를 엄격하게 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강구하

고 있다.

다) 새로운 노출평가에 관한 방법

잔류농약기준 설정에서의 노출평가는 실제 노출량 자체의 계산을 목적으로 하는 것


이 아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노출평가의 의의는 해당 기준(안)이 채택되어 운용된 상

황에서 실제 노출량이 허용량을 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설정된 기준이 국

민의 건강 확보에 지장이 없음을 명확히 하는 것에 있다.

(1) 새로운 노출평가의 개요

잔류농약기준 설정에서의 새로운 노출평가는 각 농작물별 농약 잔류량에 해당 농작


물의 섭취량을 곱하여 그 총합을 노출량으로 한다는 점에서는 이론적 최대 일일 섭취

량 방식 및 WHO의 추정 일일 섭취량 방식과 동일하지만, 각 농작물에서의 농약 잔류

량 및 해당 농작물의 섭취량 등에 대해 다음 사항을 고려하도록 한다.


① 작물잔류시험에서 얻은 잔류수준의 평균치 등

② 가식부에서의 잔류

③ 가공ㆍ조리가 잔류수준에 주는 영향
④ 유ㆍ소아 등의 섭취량을 이용한 노출평가

⑤ 기준이 설정된 농작물 이외의 식품, 물ㆍ공기 등을 매개로 농약에 노출되는 것

- 212 -
노출평가의 의의에 비추어, 이론적 최대 일일 섭취량 방식에 의한 계산에 의해서도

허용량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더욱 정밀한 새로운 방식으로 계산을 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새로운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에도 계산된 노출량이 허용량을 넘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다면 반드시 모든 농작물에 대해 상기 ①~③의 모든 사항을 검토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들 사항 중 ④, ⑤에 대해서는 이론적 최대 일일 섭취량 방식에 의해


안전성이 확인되는 경우라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WHO의 추정 일일 섭취량 방식에서 고려하고 있는 사항 중 ‘해당 농작물이 해

당 농약으로 처리되는 비율’ 및 ‘해당 농작물의 국산과 수입의 비율’에 대해서는, 해당


농약의 판매 등록이 새로 실시되는 등 시간의 경과에 따라 큰 변동이 예상되므로 신

중히 대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준설정 농작물에서의 노출량을 일본의 실제 상황에 입각한 추정 일


일 섭취량 방식(일본형 추정 일일 섭취량 방식)에 따라 국민평균 및 유ㆍ소아, 임산부

및 고령자에 대해 각각 다음과 같이 계산하여 구한다.

노출량 농작물A의 잔류수준 농작물A의 섭취량

농작물B의 잔류수준 농작물B의 섭취량

(기준치 설정 농작물에 대해 이하 동일하게 계산한 총합)

한편, 농작물로부터 허용되는 섭취량을 국민평균 및 유ㆍ소아, 임산부, 고령자 각각에


대해 다음에 의해 구한다.

물 등에서의
농작물에서 일일 섭취 허용량
평균체중 노출에 관한
허용되는 섭취량 (체중 1kg당)
계수(0.8)

위에서 구한 노출량과 허용되는 섭취량을 비교함으로써, 유ㆍ소아, 임산부, 고령자를

포함한 국민 전체에 대해 일본의 식생활 등 실태에 입각한 안전성 확보가 되도록 하

고 있다.

- 213 -
(2) 새로운 노출평가 방법
■ 제1단계

국민평균, 유ㆍ소아, 임산부, 고령자에 대해 이론적 최대 일일 섭취량 방식을 활용하

여 계산된 노출량을 각각에 대응하는 허용 섭취량(물ㆍ공기 등에서의 노출을 고려하


여 설정된다)과 비교한다.

그 결과, 어느 경우이든 계산된 노출량이 더 작은 경우에는 안전성이 확보된다고 판

단되므로, 더 이상의 계산은 하지 않고 계산의 전제가 된 기준치(안)를 잔류기준치로


한다. 반대로, 어느 경우이든 계산된 노출량이 더 큰 경우에는 제2단계 계산을 한다.

■ 제2단계

국민평균, 유ㆍ소아, 임산부, 고령자에 대해 일본형 추정 일일 섭취량 방식을 이용하


여 더욱 정밀히 계산된 노출량을 각각에 대응하는 허용 섭취량과 비교한다.

그 결과, 어느 경우이든 계산된 노출량이 더 작은 경우에는 안전성이 확보된다고 판

단되므로 계산의 전제가 된 기준치(안)를 잔류기준치로 한다. 반대로, 어느 경우이든


계산된 노출량이 더 큰 경우에는 제3단계의 조치를 강구한다.

■ 제3단계

제1단계, 제2단계 계산의 전제가 된 기준치(안)로는 국민의 건강 확보에 지장을 초래


할 위험을 부정할 수 없으므로, 해당 기준치(안)보다 더 엄격한 기준치를 채택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강구한다.

(3) 일본형 추정 일일 섭취량 방식의 구체적인 내용

새로운 노출평가에서 도입한 일본형 추정 일일 섭취량 방식에서는 다음 (가)부터

(라)에 의해 노출량 계산에 활용되는 농약의 잔류량을 과학적인 시험성적 등에 기초하


여 구하도록 한다.

(가)작물잔류시험에서의 잔류량 평균치 등의 채택

① 이론적 최대 일일 섭취량 방식에서는 개개의 농작물에 잔류기준치 상한까지의


농약이 잔류하고 있다고 가정하여 노출량을 계산한다. 그러나 잔류기준치 수준

까지 농약이 잔류하는 식품은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실제 잔류수준을 더욱 정

확히 반영할 필요가 있다.


농작물에서의 농약잔류에 대해서는, 작물잔류시험에 의해 일정 조건 하에서 실

제로 농약을 사용하여 농작물에 어느 정도 잔류하는지 사전검사가 실시되고 있다.

- 214 -
그러므로 작물잔류 시험성적을 토대로 노출량을 계산하는 것이 적당하다. 계산

에 있어서는 실제 잔류량을 밑돌지 않을 것, 장기적 노출량의 계산이라는 목적에


부합할 것 등의 요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일정 조건 하에서 실시된 복수의 작물잔류시험에서의 잔

류량 평균치를 토대로 노출량을 계산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② 구체적으로는 작물잔류시험을 토대로 더욱 정확한 잔류레벨을 구하고자 하는 농

작물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해당 농약을 허용 범위 내에서 최대한 다량 사용하

고, 최종 사용에서 수확까지의 기간을 최단으로 한 경우의 작물잔류시험(흔히 말


하는 최대 사용조건 하의 작물잔류시험)을 여러 번 실시, 각각의 시험에서 얻은

잔류량 평균치를 해당 농작물 중의 농약 잔류량 대표치로 한다. 이 때 개개의 작

물잔류시험에서 해당 농약의 잔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분석에


사용한 검사법의 검출한계를 잔류량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작물잔류시험에서 얻은 잔류량 분포 등으로 볼 때 적절하다고 판

단되는 경우에는 중앙치 등 평균치 이외의 대표치를 이용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


다.

  필요한 작물잔류시험의 수에 대해서는 각 사례별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FAO

의 지침에서는 각 농약ㆍ농작물 조합별로 6개 이상의 시험실시가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식품 중의 농약 잔류량은 농약 사용방법과 기상조건 등에 따라 다르므

로, 이 시험을 수입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국가와 지역별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들 조건 등이 동등하다고 판단되는 국가/지역의 경우에는 통합하여 검


토할 수 있다.

③ 또한 WHO 지침에서는 노출량의 계산에 최대 사용조건 하에서의 작물잔류시험

중앙치(STMR: supervised trial median residue)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지만, 작


물잔류 시험성적의 수가 한정되어 있는 등의 이유로 현 단계에서는 평균치를 기

본으로 필요에 따라 중앙치 등을 고려하는 것이 적당하다.

(나)비가식부 제거에 의한 영향 고려
바나나, 파인애플 등은 껍질을 먹지 않지만, 대부분의 경우 잔류기준은 껍질 등의 비

가식부를 포함한 유통시의 형태에 대해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섭취하는 것은

가식부에 함유되어 있는 농약이므로, 노출량의 계산에는 가식부에 잔류하는 농약의 비


율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농약과 농작물의 조합별로 기준설정 대상 농작물 전체와 가식부(바나

- 215 -
나의 알맹이와 과실 전체, 현맥(玄麥)과 소맥분 등)의 잔류농약 농도에 관한 시험을 실

시하여 가식부 계수를 구함으로써, 실제로 섭취되는 농약수준에 보다 근접한 노출량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대상이 되는 농작물에 대해서는 일본의 식습관에 비추어 일반적으로 어떤 부분

을 먹고 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가식부 계수란 예를 들어, 어떤 농약을 바나나에 사용한 경우, 과실 전체에 1ppm의

농도로 농약이 잔류한다고 가정할 경우 바나나를 먹을 때는 껍질을 벗긴다. 이때 이

바나나 알맹이의 잔류농도가 0.1ppm이었다고 하면, 결과적으로 사람의 체내에 섭취되


는 바나나 중의 농약농도는 0.1ppm이며, 1ppm은 아니다. 이처럼 가식부와 농작물 전

체의 잔류농도 비율, 이 경우에서는 0.1을 가식부 계수라고 한다.

즉, 비가식부를 포함한 농작물 전체의 잔류수준에 가식부 계수를 곱하면 실제로 먹는


가식부의 잔류수준을 구할 수 있다.

또한 가식부 계수를 구하는 시험은 경우에 따라, (가)에서 기술한 잔류수준을 구하는

작물잔류시험과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다)가공ㆍ조리가 농약잔류에 주는 영향을 고려

농약은 수확 후의 보관, 운송, 가공, 조리 과정에서 대부분 감소하지만 노출량 계산에


서 현실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것은 가공ㆍ조리에 따른 감소라는 요인이다.

구체적으로는 농약과 농작물의 조합별로 날것인 상태의 농작물과 가공ㆍ조리 후의

식품(쌀과 밥, 목화씨와 기름 등)의 잔류농도에 관한 시험을 실시하여 가공ㆍ조리 계


수를 구함으로써, 실제로 섭취되는 농약수준에 좀더 근접한 노출량 추정이 가능하다.

또한 대상이 되는 농작물에 대해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일본의 식습관에 비추어 일

반적으로 어떤 가공ㆍ조리가 이뤄지고 있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 가공ㆍ조리 등에서 잔류농약은 대부분 감소하지만, 가공ㆍ조리 등의 과정에서 독

성이 더 강한 분해물 등이 발생하지 않는지에 대해서도 유의해야 한다.

가공ㆍ조리 계수란 쌀에 어떤 농약이 1ppm 잔류한다고 가정할 경우 이 쌀을 물로


씻어 밥을 지으면 잔류농약의 70%가 감소한다면, 먹을 수 있는 상태에서는 농약의 잔

류수준은 쌀 속의 농도로 환산하여 0.3ppm이다.

이처럼 가공, 조리 전과 후의 잔류농도 비율, 이 경우에는 0.3을 가공ㆍ조리 계수라


한다.

즉, 날 것인 상태의 농작물 잔류수준에 가공ㆍ조리 계수를 곱하면 가공, 조리 후의

- 216 -
잔류수준을 구할 수 있다.

(라)기타

해당 농작물이 해당 농약으로 처리되는 경우 및 해당 농작물의 국산과 수입의 비율

에 대해서는 신중히 대처하도록 하고, 시간이 경과해도 크게 변동하지 않음을 나타내


는 명백한 데이터가 있는 경우 등에 한해 고려하도록 한다.

라) 마켓 바스켓 조사 등에 따른 잔류농약의 노출실태 파악


잔류기준 설정 시에는 기준 설정에 의해 잔류량이 조절된 상태에서 해당 농약의 노

출량을 조사하기가 불가능하다는 등의 이유로, 어떤 형태로든 계산을 실시해야 하지

만, 실제 노출량의 파악이라는 관점에서 보자면 노출량 계산에 의한 것이 아닌 마켓


바스켓 조사 등에 의해 농약의 노출량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설정으로부터 일정 기간을 두고 마켓 바스켓 조사 등을 실시하여 노출량

실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앞서 설명한 노출량 계산 방법은 실제 노출량을 밑도는


것이 아니므로, 그런 가능성은 없다고 생각되지만, 예를 들어 마켓 바스켓 조사 등에

의해 조사된 노출량이 허용 섭취량을 넘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현행 기준치를 더

욱 엄격한 기준치로 변경하는 등의 방책이 필요하다.


또한, 마켓 바스켓 방식에 의한 조사 등을 실시할 때는 일본형 추정 일일 섭취량방식

으로 노출량을 계산한 농약을 우선적으로 그 조사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EU의 농약 안전성 평가과정

유럽식품안전청(European Food Safety Agency: EFSA)의 농약 안전성 평가과정의

효율성 검토 지시 후, 실무 작업반이 구성되었다. 실무 작업반은 유럽연합집행위원회


와 회원국의 위해관리 전문가들 뿐 아니라 EFSA의 위해평가 전문가 (작물보호제품과

잔류물에 대한 위원단(Panel on Plant Protection Product and their Residues: PPR)과

농약 위해평가 검토부(Pesticide Risk Assessment Peer Review: PRAPeR))들로 구성


되었으며, 유럽의약청(EMEA)의 대표도 참여하였다.

작업반은 2007년 11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약 6주에 한번 씩 만났다. 신청서관리에

사용되는 IT도구(IUCLID5 및 EURs)를 개관하기 위해 유럽 화학물질 관리청


(European Chemicals Agency: ECHA), 네덜란드 약품평가위원회(the Netherlands

- 217 -
Medicines Evaluation Board: MEB)와 Extedo GmbH의 전문가들이 실무작업반의 해

당분야 작업(1회)에 참여하였다. 덧붙여, 신청자/신고자에 관한 부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유럽작물보호협회에 청문회가 개최되었다. 검토 내용에는 신규 및 기존 활성물질

전체에 대한 안전성 평가가 포함되었다. 평가과정의 3,4단계에 직접적으로 해당하는

절차상의 문제는 논의에서 제외되었다. 평가과정은 최대잔류허용기준(MRLs)의 설정을


포함하여 다루어졌다.

하위그룹은 별도의 측면을 논의했고 연구결과를 실무 작업반에 보고했다. 실무 작업

반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다양한 측면 즉, 전체 과정의 관리 및 문서


조사, 개별 단계의 관리, 안전성 검토를 시행하는데 필요한 도구(IT도구 뿐 아니라 지

침문서와 운영절차), 화학약품에 대한 기타 새로운 EU 법령과의 조정을 검토했다. 과

제의 시행과 관련된 조사결과는 실무작업반에서 검토하지 않았다.


작업반이 보고서의 초안을 작성하는 동안 지침 91/414/EEC를 대신하는 새로운 법이

제정되었다. 이는 앞으로의 상호 검토가 시행될 정확한 규제의 틀이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시된 새 법안의 주요한 요소는 이 보고


서에서 검토되었다.

가) 주요 내용
■ 농약 안전성 평가과정의 관리에 있어서 개선해야 할 점

관계서류 제출부터 위해평가 과정의 결론까지 전체 과정을 관리하기 위해 단일 조직

인 농약운영위원회가 설립될 것을 제안한다. 운영위원회는 EFSA, 회원국들 및 집행위


원회에 의해서 구성될 것이다. 농약운영위원회의 권한은

• 위해평가 과정의 기획 및 감시

• 위해평가와 MRL설정 과정의 통합


• 물질의 분류에 관해 ECHA와의 조정

이며 다음의 사항을 보증하기 위한 것이다

• 법적으로 규정된 의무에 따라서, 과학적으로 높은 수준의 결론 도출

• Regulation(EC) No 396/2005와 초안을 포함하여 관련 법규에 명시된 법정기한의

조화

위의 목적을 성취하는데 있어 다음을 보증하기 위해 농약운영위원회는 위해평가 과

- 218 -
정을 조정한다.

• 위해평가 과정에 참여하는 EFSA의 가용자원과 모든 회원국이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되며 회원국, EFSA, 집행위원회, 필요하면 신청자/신고자 및 기타 이해당사자

와 긴밀하게 협조한다.
• 예상되는 처리기간 및 자원에 관한 정보의 개방적이고 투명한 교류

• 위해평가 작업의 총괄적인 계획과 MRL프로그램이 회원국, EFSA, 집행위원회에

명확히 전달되는 것과 그 당사자들이 수용한 지원 마감기간(applicable deadlines)


• 위해평가를 시행하기 위해 적절한 절차 및 지침서의 개발 및 준수

■ 제출단계– 관련서류 품질에 대한 개선안


관련서류의 품질은 평가와 상호검토과정에 따르는 효율성을 보증하는데 있어 주요한

요소로 확인된다. 그러므로 다음 영역은 관련서류의 품질과 과정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잠재적으로 중요하다고 확인된 것이다.


• 신청자/신고자와 심사 회원국(Rapporteur Member State: RMS)간 신청 전 회의

• 신청서류 작성지침의 개선과 개정 (‘관련서류, 평가보고서 초안(Draft Assessment

Reports: DAR) 및 EFSA 결정’의 구성 및 형식 검토’라는 표제 하에서 다루어짐)


• 신청서류의 구성 검사의 일관성 향상. 신청 전 회의는 회원국이 일관성 있게 신청

자/신고자에게 제공한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그 회의에 대한 지침과 우수사례 지침

이 적소에 배치되어 있어야 한다.

신청서류의 구성 검사와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권고한다.

• 엄격하고도 일관된 접근법이 완전성 검사단계에 있는 모든 회원국에 적용되어야


한다.

• 회원국의 경험과 기존 지침, 서류 검사에 관한 지침을 고려해야 하며 적절해야 한

다. 이것은 과정의 절차적 및 기술적 측면을 다루고 이 영역에서 우수사례를 확립


해야 한다.

■ 평가단계 - DAR 품질의 개선점


새로운 규정 초안에 제시된 처리기간을 고려할 때 전반적으로 요청하는 것은 가능하

면 peer review 과정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 RMS가 뛰어난 품질의 DAR을

- 219 -
만드는 것이다. 다음의 영역이 DAR 품질과 과정의 효율성을 개선하는데 있어 잠재적

으로 중요하다고 확인되었다.
• DAR 준비 중 신청자/신지자와의 접촉

• RMS에 대한 지원(‘EFSA helpdesk’ 또는 co-RMS 제도)

• DAR 지침의 개선과 개정

평가과정 중 RMS와 신청자/신고자간 접촉은 가능하면, 문제의 설명과 해결을 돕는

데 중요하다고 간주되었다. 한편, 요청되지 않은 데이터 제출은 피해야 한다. 적절한


접촉점을 확립할 것과 마무리에 앞서 인쇄 상 및 실제 오류를 확인하기 위해 신청자/

신고자에게 DAR의 최종안에 가까운 안을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RMS의 요청에 따

라, EFSA는 EFSA와 기타 회원국에 의한 지원을 조정할 ‘Helpdesk’를 조직할 것을 제


안하였다. DAR 제출 이전의 협의 중에 해결된 결정적인 문제를 기록해야 하며, 그리

고 나서는 peer review 과정 중 다시 재검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 Peer review 단계
Peer review 단계는 몇 년에 걸쳐 합리화되었으며 이제 정착되었다. 그러나 규정 초

안은 효율성을 더욱 개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 다음 사항을 검

토해야 한다.
• Peer review에 있어 추후 검토될 모든 주요 문제는 의견제출 기간 중 틀림없이 확

인한다.

• 제출된 의견에 따라, 서면 절차 또는 PRAPeR 전문가 회의가 조직된다. 중요한 의


견이 없을 때는, EFSA의 결론이 추가 절차 없이 최종적으로 승인될 것이다.

• 일반 원칙인 Peer review 중, DAR 또는 공식 의견제출 기간 중 제기된 중요한 문

제들만 깊이 있게 검토해야 한다. 그러나 심각한 문제를 나타내는 새로운 문제는


항상 검토해야 한다.

더욱이, 상호검토 중 작성된 서류를 이용하는 것에 대하여 RMS에는 다른 절차가 있


을 수도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이 접근법을 표준화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검토과정의 효율성에 관해 제안된 다양한 개선안에도 불구하고, 현재 규정 초안에 명

기된 17주의 핵심기간은 EFSA가 효율적이고 확고한 Peer review를 시행하는데 불충


분할 수도 있다는 것을 작업반은 확인했다.

- 220 -
■ MRL 설정

새로운 활성물질 및 기존 활성물질을 검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작물 보호 제품의 ’


대표 사용(representative use)’에 기반을 둔 원칙이 확립되었으며 위해평가 과정의 효

율성을 개선시키는데 있어 중요한 단계가 되었다. 그러나 전반적인 MRL 설정과정이

더 효율적이 되도록 하기 위해, 가능하다면 자신들이 추구하고 있는 우수농산물관리제


(GAP)의 전 범위를 지원하기 위해 MRL 설정에 관해 필요한 정보와 연구 자료를 신

청자들이 제출할 것을 장려해야 한다. 그러한 연구는 식물 또는 가축의 신진대사 연

구, 처리연구, 윤작연구, 사육연구 및 모든 기반에서 시행하기 위한 분석적 방법에 관


한 연구를 의미한다.

■ 분류 및 라벨링
EU내 국제조화시스템(Globally Harmonised System: GHS)의 실시 뿐 아니라, 화학

물질에 대한 새로운 유럽연합법(화학물질의 등록, 평가, 허가 및 제한(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s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 REACH))의 실시는 EU의 분


류 및 라벨링 시스템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ECHA가 활동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특히 ‘분류 및 라벨링 관련서류’의 준비와 평가과정의 소요기간과 관련

하여 투명성과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작물보호제품의 영역에서 ECHA와 EFSA간


의 의무와 협력에 대해 신속하고 명확하게 정의할 것을 권고했다.

분명하고 지속적인 실시를 보증하고 평가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농

약운영위원회가 이 주제를 우선과제로 택할 것을 권장했다.

■ 정보를 관리하고 안전성 평가 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도구 이용의 개선

• EFSA와 유럽연합집행위원회 웹사이트에 개선안을 만들 것을 제안했다. 집행위원


회 웹사이트(농약 평가 & 허가와 농약 잔류물 영역)의 구조 검토를 일관성과 투명

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개선할 것을 권고했다.

■ 종합 결론

결론적으로, 다음의 내용들에 의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농약 운영위원회의 창설을 통한 작업프로그램의 관리의 향상


• 제출된 신청 서류의 질 향상

• 신청서류, DAR, EFSA 결론의 구성 및 형식 개정

- 221 -
• 특히 MRL 설정과 관련하여 새로운 절차의 채택 고려

• GD 개발과 관리 개선
• 새로운 IT기술의 향상

4) 종합의견

일본의 한 자료에 의하면 식품의 안전성과 관련하여 유전자 변형 식품, 잔류농약, 식

품첨가물, 식중독, 다이옥신 중 관심이 높은 순서대로 표시한 결과를 보면 표 3-12와


같다. 가장 관심이 높은 응답을 나타낸 것은 식중독(28%)이다. 이어 식품첨가물(24%),

다이옥신(22%), 잔류농약(17%), 유전자 변형 식품(9%)의 순이었다.

반면 잔류농약, 식품첨가물, 다이옥신은 70% 전후의 응답자가 상위 3위까지로 언급


하고 있는 점으로 볼 때 응답자의 관심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위해평가

를 통한 식품중 잔류농약의 관리는 중요하다고 하겠다.

[표 3-12] 식품의 안전성 문제에 대한 관심

제1위 제2위 제3위 제4위 제5위


잔류농약 17% 32% 22% 18% 11%
식품첨가물 24 21 22 19 14
식중독 28 9 12 14 37
유전자변형식품 9 14 23 25 29
다이옥신 22 24 21 24 9

우리나라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 절차를 보면 농약회사에서 농약을 등록 신청하고

등록이 완료된 농약별 농산물에 대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통보가 오면 식약청에서 는


기준 설정을 위한 검토를 하게 된다.

이때 기준의 설정은 ADI는 JMPR(Codex), 미국 EPA, 일본에서의 기준치를 순서에

따라 적용하며, 단위는 체중 kg당 mg과 1인당(한국인의 평균체중 55 kg) mg수로 표


현하여 적정한 수준인지 여부를 평가한다. “농약사용지침서”에 등재된 자료 및 농촌진

흥청 농약데이타베이스에 근거하거나 작물잔류시험에 근거하여 이미 잔류기준이 설정

된 작물과 기준의 신설 또는 개정이 요구되는 작물을 대상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근거로 식품섭취량을 구하고, 이에 대한 최대 농약섭취량을 구한다.

※ 농약섭취량(mg/day/head) = 잔류기준(mg/kg) x 식품섭취량(g/day) / 1000

이러한 방식에 의해 실시되고 있는 국내 농약의 위해성 평가는 미국, 일본, EU의

- 222 -
경우와 절차상에서는 유사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의 수준으로는 충분한 과

학적 데이터가 부족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이러한 자료이외의 외국에서와


같이 실제적인 노출량 평가, 모니터링에 따른 위해평가 등의 기초데이터 생성을 통한

평가가 필요하다.

또한 위해평가를 위해 필요한 정보중 국내에서 생산하지 않는 1일 허용섭취량(ADI)


등에 대해서도 우선은 CODEX 등의 자료를 활용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국내 독성실험

을 통한 자료의 생성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본다.

라. 기준설정 면제농약 관리방안


농진청에 등록된 농약에 대한 잔류허용기준 설정현황은 다음과 같다

※ 42차 소위 후 식약청 요청 신규성분 포함, 44차 소위 제외되었고, 08.8.13일자 식

의약청 고시내용 포함

등록농약 기설정 설정제외* 설정요청 검토 중 미설정**


434성분 334성분 73성분 9성분 8성분 10성분
* **
설정제외 : 비식용작물, 미생물농약, 무기농약, 항생제 등, 미설정 농약 : 장기미생산 농약 등

등록된 농약은 잔류허용기준이 신속하게 설정되어야 하나 현재 등록과 기준 설정기


관이 분리되어 있어서 어느 정도의 시간의 차이는 있다. 이러한 시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기준 설정이 제외되는 농약의 경우 현 법 체계로 볼 때 농진청

에서 등록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제외 되는 농약의 고시를 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본다.

- 223 -
번호 설정면제
잔류가능성 없음 : 1종
1 1-MCP
미생물 : 22종
2 Ampelomyces quisqualis AQ94013
3 B.T. subsp. aizawai
4 B.T. subsp. aizawai GB413
5 B.T. subsp. aizawai NT0423
6 B.T. subsp. kurstaki
7 B.T. var. kurstaki
8 Bacillus subtilis DBB1501
9 Bacillus subtilis GB0365
10 Bacillus subtilis JKK238
11 Bacillus subtilis KBC1010
12 Bacillus subtilis QST713
13 Bacillus subtilis Y1336
14 Beauveria bassiana TBI-1
15 Paecilomyces fumosoroseus DBB-2032
16 Paenibacillus polymyxa AC-1
17 Streptomyces colombiensis WYE20
18 Streptomyces goshikiensis WYE324
19 KB 401(정확하지 않음)
20 KBC 3017(정확하지 않음)
21 QST 2808(정확하지 않음)
22 GHA(정확하지 않음)
23 DBB 1501(정확하지 않음)

농약보조제(전착제) : 7종
24
Blend of alkyl aryl polyethoxylate & sodium salt of alkyl sulfonate alkylate(카바)
Needs(polynaphthyl methane sulfonic (PMSAADA))
25
Needs(polyoxyethylene fatty acid ester(PFAE))
26
Polyoxy ethylene alkyl aryl ether(전착제)
27
Siloxane
28
Sodium ligno sulfonate(전착제)
29
Spreadersticker
30
무기동제 : 4종
31 Copper hydroxide
32 Copper oxychloride
33 Copper sulfate basic
34 Tribasic copper sulfate
천연물 : 5종
35 Gibberellic acid
36 Gibberellin A4+7
37 IAA
38 IBA(4-indol-3-ylbutyric acid)
39 Pelargonic acid(식품 등에 많이 존재)
무기염류 : 4종
40 Bordeaux mixture
41 Calcium carbonate
42 Lime sulfur
43 Sulfur
오일류 : 3종
44 Machine oil
45 Paraffin
46 Paraffinic oil
비식용작물에만 등록 : 18종
47 2-(1-naphthyl)acetamide(NAD)
48 Benfluralin
49 Bensulide
50 Butralin
51 Decylalcohol
52 Flazasulfuron
53 Imazapyr
54 Imazaquin
55 Isoxaben
56 Magnesium Phosphide
57 Moranteltartrate
58 Neoasozin
59 Oxycarboxim
60 Prodiamin
61 Prohexadion-Ca
62 Sodium 5-mononitroguaicol
63 Sulfuryl fluoride
64 Trifloxysulfuron-sodium
기타(MRL 설정 미만 사용)
65 Azadirachtin

- 224 -
마. 농약잔류허용기준 관리 개선(안)
농약잔류허용기준 관리 개선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은 다음의 것들을 들 수
있다.
- 코덱스 ADI 변경에 따른 국내 기준의 섭취량 초과여부 검토

- 코덱스 기준 삭제된 농산물 검토

- 국내 농약기준 중 기존 설정 농약 재평가 자료 재 검토
- 국내 기준 적용 절차 영문 자료 마련

- Import tolerance 관련 국내 방안 정리

- 소면적 재배 작물에 대한 농약기준 설정 참여 지원

이상의 내용들을 고려하면서 국내 실정에 맞는 한국형 포지티브 시스템 구축을 검토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해 점차적으로 준비해야할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 새로운 섭취량에 의한 평가

Deterministic technic
Probabilistic technic

- 단기섭취량 중심의 평가 실시

- Codex 와의 조화
- 한국형 그룹 MRL

- Import tolerance 도입 방안 마련

- 일률적인 기준 설정

이상에서와 같이 기준 관리 개선은 일시에 하는데 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전반적인

검토를 통해 필요한 자료의 생성과 생성된 자료의 검토를 하면서 추진되어야 할 것으


로 본다.

- 225 -
5. Codex 잔류농약분과위원회(CCPR) 회의 의제 대응

가. Codex 의제별 사전 검토
코덱스 회의전 고시된 잠정의제에 대해 사전 검토를 하였으며, 훈령안 작성을 위한
회의에 참석하여 차문을 하였다.
논의될 주요의제는 다음과 같다.

○ 2007 JMPR 보고서 - 건조고추기준 설정

○ Global Minor Use Summit(GMUS) 검토사항


○ 식품 및 사료중의 농약최대잔류허용기준(MRLs)

○ 식품 및 사료에 대한 Codex 품목분류 개정초안(3단계)

○ 잔류농약분석법에 관한 사항들
○ Codex 검토 우선순위 농약 목록 결정

○ 전 세계 소규모 재배 작물 관련 사항

○ Codex를 통한 범 국가적 조화된 MRLs 설정 방안

[표 3-13] 잠정 의제 목록

의제 내 용 관련문서
번호

회의개회 (O
pen
ingo
f th
eSessio
n)

1 의제 채택 (A
dop
tio
nof th
eAg
end
a) C
X /P
R08
/40
/1

2 분과위원회 서기 선정 (A
ppo
intm
ento
f th
eRap
porteu
rs)

당 분과위원회와 관련된 사항들


3 (M
atters ReferredtotheC o
m mitteebyth eC o d
exA
lim
entariu
s C
X /P
R08
/40
/2
Co
m m issio
nan d/o
rO th
er Cod
exC ommittees)

20
07년 JM PR보고서 Section2o f th
e
4 (R
eport on G eneral C
o nsid eratio
n s by th e 200
7 Jo
int 2
0 07JM P
R
FAO/W HOM eetin
g so nPesticideR esid
ues (JM
PR)) Rep ort
식품 및 사료 중의 최대잔류허용기준(초)안- 4 ,7단계 C
X /P
R08
/40
/3
(Draft an d P ro
posed D raft M axim
umR esid
u e L
imits fo
r
C
L20
07/4
0-P
R
5 Pesticid
es inF oods andF eeds at S
teps 7an
d4 )
6,3 단계에 대한 각국 의견
C
X /P
R08
/40
/3
(Gov ernment comm ents at Step
s 6an d3 ) -A
dd.1

- 226 -
의제 내 용 관련문서
번호

식품 및 사료에 대한 C
odex분류항목 개정(초)안- 4
단계 C
X /P
R08
/40
/4

6 (P
rop
osed D raft revisio
no f th
eC odex C lassificatio
nofF
ood
s
andAnimal F eeds at Step4) CX/PR08
/40
/4
3단계에 대한 각국의견 (C om m en
ts at S
tep 3) -A
d d
.1

잔류농약분석방법에 관한 사항들:
7
(M atters RelatedtoM eth
odso
fA n
alysis fo
rP esticid
eResid
ues
(tob eco n
sid eredbytheA dHocWorkingG ro
u p):
잔류농약측정에 대한 결과의 불확실도 측정의 적용에 대한
C
L2 0
07/15
-P R;
(a)
논의문서
(Discu
ssio
nP aper o n theE stimatio
no fU ncertain
ty o
fResu
lts C
X /P
R0 8/40/5
fo
r theD eterminatio
no fPesticid
eR esid
ues)

전유로부터 유지방의 분리 절차에 대한 논의문서


(b
) (Discu
ssio
nP aper onth
ePro
ced
ures fo
rSep
aratio
nofM
ilkF
at C
X /P
R08
/40
/6
fromW holeMilk)

주기적재평가 M R
Ls의 검토를 위한 논의문서
8 (Discussio
nPap
er o
n th
eCo
nsid
eratio
nof th
eMR
LsP
erio
dic C
X /P
R08
/40
/7
Rev iew)
CL2 007/xx
-P R
ALINO RM
Codex농약 우선 대상 목록 설정 0
7/30/2
4
9
(E
stab
lish
m en
tofC
odexP
rio
rityL
ists o
fPesticid
es) AppendixV III;
CX/PR0 8/40/9;
CRD1

10
기타사업 및 향후작업
(O
ther B
usin
ess an
dFu
tureW
ork)

GMU S검토사항
(i) (C
onsid eratio
nof M
atters A
risin
g fro
mGlo
bal M
in
or U
se C
X /P
R08
/40
/10
Summ it)
유 및 유지방의 M RL
s
(ii) C
X /P
R08
/40
/11
(M
ilkan
dMilkF
at Max
imu
mResid
ueL
imits)

12
차기 회의일시 및 장소
(D
ate an
dPlaceo
fNex
tSessio
n)

13
보고서 채택
(A
dop
tio
nof th
eRep
ort)

- 227 -
나. 40차 Codex 잔류농약분과위원회 (CCPR) 참석 및 현장 대응

중국 항주에서 개최된 40차 회의에 참석하였으며 주요 의제별 대표단에 자문하여 현


장에서 수행한 업무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07 JMPR 보고서

○ 가공식품 잔류허용기준
: 가공계수 관련 전자작업반에 참여희망국은 EC에 E-mail 신청 요망 (EC와 미국이

주도함)

○ 건조고추의 농약잔류허용기준
: 대한민국에서 제공한 14개 농약에 대한 건조고추 잔류자료 및 정보를 이용하여 가

공계수 10에서 7로 하향조정하도록 평가

□ 식품 및 사료 중 최대잔류허용기준

○ 우리나라 의견 제출 (CRD 18)

: Dimethomorph (225)
Republic of Korea supports advancement of all MRLs to Step 5/8. Especially,

we support the maximum residue level of 5 mg/kg for dimethomorph in peppers,

chilli dried used the new generic processing factor of 7.

□ 식품 및 사료에 대한 CODEX 분류항목 개정(초)안

○ 우리나라 의견 제출 (CRD 18)


: Republic of Korea propose to put 'Allium x wakegii Araki' into the 'VA 0391

Tree onion'.

C
odexC
ode C
omm
odities S
cientific n
omen
clatu
re

V
A039
1 T
ree on
ion A
lliumx w
akegii A
raki

○ 네덜란드 등 여러 국가들의 제안으로 "bulb vegetable", "Fruiting vegetable, other

than cucurbit" 등 4개 그룹 분류작업을 2단계로 재작성하기로 결정


○「MRLs 외삽법을 통한 대표작물 선택기준 및 지침」은 4단계로 진행함에 합의

○ 네덜란드와 미국이 주관하는 식품분류에 대한 전자작업반

: 태국, 일본, 중국, 브라질, EC, 대한민국 등 참여

- 228 -
□ 잔류농약분석법에 관한 사항들
○ 분석방법 및 샘플링에 관한 작업반 회의 결과

- 의장 : IAEA의 Dr Josef Brodesser

- 결과의 불확실도(Measurement Uncertainty; MU)


: 케냐에서 우리나라와 모로코간의 디치오카바메이트 시험법을 이용한 “caper" 중

의양성 문제 해결의 진행상황 문의

: 우리나라는 올 연말까지 분석법 검증절차를 마치고, 모로코에 우리나라 시험법


제공예정

□ 주기적재평가 MRLs의 검토를 위한 논의문서


○ 3개의 첨부 문서 논의

- 부의장인 Dr. Hanns는 위해분석원칙에 대한 전자작업반 제안

: 아르헨티나(의장), 네덜란드, 일본, EC 등 13개국, 2개 국제기구 참여


※ 동 원칙을 가공하여 우리나라의 원칙에 이용

□ Global Minor Use Summit(GMUS) 검토사항


○ FAO는 GMUS 작업반 설립을 제안하였으며 독일, 일본 등은 농약제조회사에서

등록을 지원하지 않는 농약에 대한 동 사안이 재배 면적, 분류, 정의 등을 정함에

어려움을 지적
○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참여 의사 밝힘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주도)

: 인삼 등 수출작물의 기준설정 시 국익에 도움이 되므로 적극적인 참여 필요


○ 의장 : 미국, 부의장 : 네덜란드, 케냐

□ Achieving Globally Harminized MRLs Through Codex


○ 미국이 PROPOSAL을 설명하고, 차기회의에서 논의하기 위한 토의문서 준비 작업

반 설립에 동의

○ 작업반: 미국(의장), 유럽, 독일, 브라질, 중국, 일본, 칠레, 호주, 뉴질랜드, 아르헨
티나, Crop Life

- 229 -
제4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기 설정 농약에 대한 재평가를 통하여 과학적인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설정이 이루어

졌으며, 기준 설정 면제농약의 제시, 위해평가 방법에 대한 향후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농약관리에 효과적인 방안이 제공되었다.


또한 축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 개정안을 제시함으로써 최근 3년간 개정이

되지 않았던 부분을 보완하고, 국제 기준과의 조화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Codex 잔류농약분과위원회의 적극적인 참여와 국내에서 개발된 농약을 코덱스 기준


화하기 위한 시도는 앞으로 국내에서 생산된 농약의 국제기준 등록이라는 좋은 성과

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 230 -
제5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5.1 활용성과

총괄과제명 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선진화 방안

총괄과제책임자 이중근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식품화학

가. 연구논문

번호 논문제목 저자명 저널명 집(권) 페이지 Impact 국내/ SCI여부


factor 국외
1
2

나. 학술발표

번호 발표제목 발표형태 발표자 학회명 연월일 발표지 국내/


국제
잔류농약평가시스 한국농약과
1 구두발표 이중근 08.10.10 국내
템 구축 학회

다. 지식재산권
출원/
번호 특허명 출원(등록)인 출원(등록)국 출원(등록)번호 IPC분류
등록
1
2

라. 정책활용
- 식품공전 제·개정시 활용
- Codex의 농약잔류허용기준 개정 및 설정에 대한 국가 대응자료로 활용
- 중장기 농약잔류허용기준 관리 방안 수립에 활용

마. 타연구/차기연구에 활용
※ 타연구 및 차기연구에 활용된 예를 구체적으로 기술함.
- 국익 확보를 위한 Codex CCPR 활동지원을 위한 향후연구에 활용

- 231 -
바. 언론홍보 및 대국민교육
※ 언론홍보 및 대국민교육 내용, 일자 등을 간략히 기술함.
○ 국제무대에서 국익과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국가기관으로써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업무
수행 성과의 홍보자료로 활용

사. 기타
※ 임상시험 , 관련 DB구축, 워크샾 또는 심포지움 개최 등의 경우 구체적으로 기술함.

5.2 활용계획
- 식품공전 제․개정시 활용

- CODEX 잔류농약분과위원회 참석 및 의제 대응

- 축산물 농약잔류허용기준 고시에 활용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해당 없음

제7장 참고문헌

1. 식품공전(별책 포함), 식품의약품안전청, 2005

2.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X PR 04/5, 2004


3. Author, A. 2001. Validation of method RAS12.1 by analysis of fortified specimens

(plant material) for [compound] and evaluation of recoveries. Plant Protection

Institute, address. Project 2001/PPI/RAS2. Unpublished.


4. Author, B. 1995. Determination of residues of [compound] and of [metabolite 1] in

grapes after application as WG 500 - field trial, [compound]. Plant Protection

Institute, address. Project 95/PPI/RES6. Unpublished..


5. Author, C. 2005. Report on the [national government] Residue Survey Results

2003-2004. [Responsible organization, report number]

6. 2006년도 CODEX 국제식품규격위원회 활동보고서, 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청,

- 232 -
2007

7. CODEX 국제식품규격위원회 규정집(16차 개정본), 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청,


2006

8. 김선희, 외국의 자문기구 조사⋅연구 2007

9. 농약사용지침서, 농약공업협회, 2007


10. 村上貴久 ; 食品衛生法に基づく殘留農藥基準の設定について, 食品衛生硏究, Vol. 43,

No. 2, 1993

11. 잔류농약기준편람, 사단법인 일본식품위생협회, 1994


12. G.W.A. Milne, Handbook of pesticides, CRC Press, 1995

13. McKenna & Cuneo, Pesticide Regulation Handbook, McGraw-Hill, Inc, 1993

14. Hirohiko Yamada 등 ; 農藥の安全性評價 ; 最近の進步と展望, 食衛誌, Vol. 34,


No. 2, 1993

15. JMPR, International programme on chemistry safety, 2001

16. CFR, Title 40, Volume 23, 2006


17. CFR Title 40, part 150 to 189, USEPA, 2001

18. The Pesticide Manual (11th Edition), edited by C.D.S. Tomlin,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UK, 1997.


19. 食品安全性の經濟評價, 農林統計協會, 2004

20. 이서래, 이미경, 김남형 ; 한국인에 의한 농약의 이론적 최대 섭취량 및 안전지표의


산정,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7, No. 4, 1995
21. TECHNICAL REPORT OF EFSA, Evaluation of the European Union Pesticide
Safety Review Process, (Question No EFSA-Q-2008-399), Issued by the
Working Group on the Review of the Efficiency of the Pesticide Peer-Review
Process on 27 August 2008
22. 食品中の殘留農藥における毒性評價の原則, 厚生省生活衛生局食品化學課監修
23. Timothy C. Marrs, Bryan Ballantyne, Pesticide Toxicology and International
Regulation, John Wiley & Sons, Ltd, UK, 2004

제8장 첨부서류
“해 당 없 음”

- 233 -
Ⅳ. 제2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세 부 과 제 명 : 식약청 잔류농약 웹사이트 업그레이드 및 운영

세부과제책임자 : 전웅준 / 아이티플라이 (주)

- 235 -
제1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
1.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
1. 연구개발배경

- 농약잔류허용기준 등의 관리와 관련하여 일반국민, 생산자, 관련전문가들이 잔류농약


에 관련된 올바른 정보를 잔류농약 웹사이트에서 손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2007년도

에 구축된 시스템의 지속적인 유지 운영 및 기능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기 구축된 잔류농약 웹사이트 운영시 불편한 사항을 개선하며, 농약정보


에 대한 정보 필드 항목의 추가 및 최신 정보로 내용을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 농약정보에 등록된 정보 중 영문으로만 서비스되고 있는 정보를 한글로 번역하여 일

반 국민, 생산자 등에게 쉽게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식품의약품안정청에서 농약잔류허용기준 고시한 자료 및 신·구조문 대비표 등을 잔

류농약 웹사이트에 정보 업그레이드 및 구축하여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 지방청 및 시·도보건환경연구원과의 농약 표준품 정보를 연계하고 꾸준한 관리가 필


요하므로 구축된 표준품 웹사이트 운영시 불편한 사항을 개선하고, 정보 취합 및 현

황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 잔류농약 전문가위원회 소속 회원이 서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이


필요하다.

- 국외에서도 잔류농약에 대한 정보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영문 사이트를 구축

하여야 한다.

2. 연구개발목적

가. 국내·외 누구든 잔류농약 정보를 쉽게 찾아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함.


나. 잔류농약 관련 업무에 적용하여 업무 향상에 기여함.

다. 잔류농약 전문가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 구축함.

라. 구축된 잔류농액 웹사이트 업그레이드 및 유지 운영

3. 연구개발범위

가. 농약정보, 농약잔류허용기준 등의 자료 등록 및 최신 정보 업그레이드


(1) 농약정보 최신 정보 업그레이드 및 기능 개선

(2)농약정보 영문으로 등록된 정보 한글로 번역 서비스

- 237 -
(3) 잔류농약허용기준 신·구조문 대비표 구축

나. 잔류농약 웹사이트에 구축된 정보를 영문으로 번역하여 영문사이트 구축


(1) 메뉴명, 타이틀 제목, 필드항목 등 제공 서비스

(2) 등록된 정보를 영문으로 제공

다. 잔류농약 전문위원 커뮤니티 공간 구축


전문위원회 회원을 관리하여 관련 회원만 서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커뮤니티

구축

라. 잔류농약 일반예고 정보 구축
해당 항목에 필요한 항목을 규정하여 구축

마. 구축된 웹사이트 정보 업그레이드

(1) 사용자의 편의성에 맞게 웹사이트 기능 개선


(2) 잔류농약과 관련된 정보 서비스 항목 추가하여 개발

(3) 정보를 조회하기 편리하도록 검색 기능 보완

1.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1. 연구목표의 달성도

- 웹사이트 정보 업그레이드(정보수집및입력)

- 웹사이트 기능 개선

- 영문사이트
- 농약정보 한글 번역

- 잔류농약 전문위원회 커뮤니티

- 잔류농약 일반예고
- 잔류농약허용기준 신·구조문 대비표 등 계획대로 모두 완료하였음

2. 연구목표의 기대효과
가. 국내·외 잔류농약에 관심 있는 일반국민, 생산자, 관련전문가들에게 잔류농약 정보를

쉽게 찾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나. 커뮤니티를 구축하여 전문가들이 서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공간 구성으로 사이트


를 활성화 시킨다.

- 238 -
제2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2.1. 디자인 내용

1. 디자인 CONCEPT

정보 자체가 사이트 Theme가 되므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UI (User Interface)
원하는 정보를 얻도록 디자인

통일성 지향하는 컨텐츠에 대한 습득을 손쉽게하는 통일성 있는 디자인

속도 정보 속도 획득 측면에서 사용자 환경을 고려한 디자인

심미성 사용자의 편익을 도모하기 위하여 쉽고 빠른 디자인을 기본으로 하여


이미지가 고급스럽게 표현될 수 있도록 디자인

2. 디자인 GUIDE

Identity Color를 기본적으로 활용하며 편안한 Color Tone 사용으로


Color
사용자에게 안전적인 이미지를 보여준다.

편리성을 고려한 카테고리별 정리


Navigation
전체 사이트의 동일한 위치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메뉴를 구성한다.

가독성이 뛰어난 Typography 구성하고 노출정도, 중요도, 컨텐츠 특성에


Typography
따라 Font 크기, 색상을 통일한다.

사진, 관련이미지 등을 정확히 적용하여 Identity 강화 방안을 추구한다.


Image
빠른 로딩 속도를 위하여 웹에 최적화된 이미지 요소를 사용한다.

동적 요소인 Flash를 사용하여 사이트 전체에 다양성과 흥미적 요소를


Animation
가미한다.

Icon 아이콘의 적절한 사용으로 정보에 대한 직관력을 높인다.

3. User Interface
사이트 사용자의 시선 흐름 분석, 마우스 쾌적 분석을 통한 사용자의 사용 형태
자료에 근거한 사이트로 일괄적인 Navigation Identity 부여한다.

- 239 -
<그림4-1. 잔류농약화면페이지>

⪢ 기존 한글만 제공한 사이트에 영문 혼용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 240 -
2.2. 연구개발 내용
1. 농약정보
가. 농약정보

(1) 농약정보 추가 필드 항목 구축

적용대상작물, 시행일자
(2) 농약정보 입력 항목 및 등록된 자료 영문은 한글로 한글은 영문으로 번역

(3) 농약정보 자료 입력

나.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 농약잔류허용기준 CODEX


(1) 최신 자료 업그레이드

(2)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에 입안예고 단계부터는

해당 정보를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메뉴에 정보제공처리


- 기준고시 전까지는 비고에 단계 처리일자 표기

2. 농약별 농약잔류허용기준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에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입안예고 단계부터는 해당 항목

에 정보제공 처리

3. 농약잔류허용기준 조회
가. 잠정기준 적용순서 (변경에 정보에 따른 프로그램 수정)

(1) 잔류허용기준 : 잔류허용기준 한국 기준으로 해당 정보에 [잔류허용기준]으로


표기되고, CODEX 해당 정보가 있으면 같이 보여준다.

(2) CODEX 기준 : 농약잔류허용기준 CODEX 등록된 모든 정보를 가지고 오며,

해당 정보가 있으면 [CODEX 기준]으로 표기한다.


(3) 유사농산물최저치 :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기준으로 ‘식품의 분류’ 기준에

따른 유사 농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를 보여주고 그 중 최저치 값에

[유사농산물 최저치] 표기한다.


(4) 해당농약최저치 :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기준으로 등록된 모든 농산물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을 보여주며, 그 중 최저치 값에 [해당 농약최저치] 표기한다.

(5) 기타농산물기준 : 유사농산물최저치 기준이 없을 경우에 농약잔류허용기준

- 241 -
한국 기준으로 ‘식품의 분류’ 기준에 따른 [기타농산물기준]을 적용한다.

4. 식품별 농약잔류허용기준
가. 기준수 (기준수 정보 제공에 대한 프로그램 수정)

기타류에 해당 되는 농약은 기준수에서 삭제 처리


나. 추가 자료입력

5.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가. 사용자화면에 제공하지 않고 메뉴 권한자만 접근 가능하다.

나. 메뉴 추가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기준제안현황, 진행상태별 검색


다. 기준제안에 따른 현황관리 개발

기준제안번호 기준으로 농약, 식품, 진행상태, 의견에 따른 정보 서비스 구성

라. 기준제안 단계(8단계)별로 처리 상태 개발
진행 상태에 따른 처리 기능 개발(농약정보, 농약별 잔류허용기준 연계처리)

기준제안별 진행상태 일괄 변경할 수 있도록 개발

마. 기존 html로 처리된 작물잔류시험성적 자료를 DB화 처리


기존 등록된 정보 입력 작업

바. 농약별 농약잔류허용기준(안) 신규 데이터, 기존 데이터 구분하여 볼 수 있도록 개발

사 잔류농약 전문위원 커뮤니티 공간으로 의견쓰기 구축


권한자만 메뉴가 활성되고 의견을 등록할 수 있도록 처리

아. 등록된 농약정보 및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데이터 기준으로

신·구대조표, 개정고시(안) 한글 파일 형식으로 저장처리


→ 레포팅 툴을 이용하여 처리

6. 표준품
가. 정보 취합 및 현황에 대한 관리 개선

나. 자료입력(해당 기관별 표준품 자료)

- 242 -
7. 농약정보자료실
자료입력(동영상자료)

8. 관련사이트
자료입력(국내·외 참조사이트)

9. 아이디관리
가. 아이디등록

(1) 아이디 정보 관리 및 메뉴별 권한 설정 항목으로 재구성


(2) 아이디 구분 등록에 등록된 정보와 연동처리
(3) 메뉴별로 읽기, 등록, 화면활성여부로 구분하여 관리

나. 아이디 구분 등록 : 시도별·지방청명 등의 등록된 정보는 아이디 등록과 연동 처리

2.3. 연구개발 방법

1. 농약정보, 농약잔류허용기준 등의 자료 등록 및 최신 정보 업그레


이드
가. 농약정보 입력 필드 항목 추가, 변경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여 프로그램

구현

나. 농약정보,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농약잔류허용기준 Codex 등에 대한 최신 자료


수집 및 입력

다. 농약정보 영문으로 등록된 정보 한글로 번역하여 정보 입력

라. 잔류농약허용기준 신·구조문 대비표 구축


마.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기능 개선

2. 잔류농약 웹사이트에 구축된 정보를 영문으로 번역하여 영문

사이트 구축
가. 메뉴명, 타이틀 제목, 필드항목, 버튼 등 영문 번역

나. 외국인을 위한 디자인 및 기능 개선
다. 등록된 정보를 영문으로 제공하기 위한 번역

- 243 -
3. 잔류농약 전문위원 커뮤니티 공간 구축
가. 등록된 내용에 의견달기할 수 있도록 구축
나. 권한자만 메뉴가 활성되고 의견을 등록할 수 있도록 처리

4. 잔류농약 일반예고 정보 구축
필요한 항목을 규정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여 프로그램 구현

5. 웹사이트 기능 개선 및 보완
가. 사용자의 편의성에 맞게 웹사이트 기능 개선

나. 잔류농약과 관련된 정보 서비스 항목 추가하여 개발

다. 정보를 조회하기 편리하도록 검색 기능 보완

라.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기능 개선

- 244 -
제3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3.1. 사이트구성

1. 메뉴구조도

<그림 4-2. 메뉴구조도>

가. 메뉴는 농약정보, 농약별 농약잔류허용기준, 농약잔류허용기준 조회, 식품별 농약잔

류허용기준,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표준품, 잔류농약분석매뉴얼, 농약정보자료실, 관


련사이트, 아이디관리로 구분하여 구성

나. 각 메뉴는 아이디관리>아이디등록에서 메뉴별 권한 설정에 따라 접근 처리

사이트 관리자는 super admin(본청 관리자)이 메뉴별 권한 부여


다. <그림4-2. 메뉴구조도>에서 하늘색 색상의 메뉴는 super admin인 본청 담당자가

메뉴 권한를 부여한 경우만 활성 되는 메뉴

라. 메뉴구조도는 3depth 메뉴 기준으로 정리

- 245 -
2. 메뉴별 DATA 관계

DEPTH 1 DEPTH 2 DEPTH 3 메뉴별 DATA 관계

농약등록, 농약용도등록,
농약정보 농약정보 농약정보
국가별 ADI

농약등록, 식품의 분류등록,


농약정보허용기준 한국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농약정보허용기준 CODEX 농약등록, 식품의 분류등록

Qualification of MRLs
(CODEX)

농약등록

농약용도등록 농약정보

농약등록
국가별 ADI 국가별 ADI 조회
국가 및 ADI 정보관리

국가 및 ADI 정보관리 농약등록

Backup 농약정보

농약별 농약정보허용기준 한국
농약잔류허용기준 농약정보허용기준 CODEX

농약정보허용기준 한국
농약잔류허용기준 농약별잔류허용기준
농약정보허용기준 CODEX
조회 조회
식품별 농약잔류허용기준

잠정기준안내(한국어)

잠정기준안내(영어)

식품의 분류등록
식품명 식품별
농약정보허용기준 한국
농약잔류어용기준 농약잔류허용기준
농약정보허용기준 CODEX

식품의 분류등록 대분류

중분류 대분류

소분류 대분류, 중분류

식품명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농약정보
농약잔류허용기준 농약잔류허용기준 농약정보허용기준 한국
제안서 제안서 농약정보허용기준 CODEX
국가별 ADI

- 246 -
농약잔류허용기준
기준제안현황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제안서

진행상태별검색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농약정보, 제조회사등록,
표준품 표준품현황
상태등록, 수량단위등록

표준품지급현황 표준품지급현황 표준품현황

소속별 분양횟수 표준품현황

표준품별 분양횟수 표준품현황

관리 제조회사 등록

상태등록

수량단위등록

잔류농약분석매뉴얼 GC 분석조건

GC 분석정보 농약정보

HPLC 분석조건

HPLC 분석정보 농약정보, HPLC 분석구분

HPLC 분석구분

농약정보자료실

관련사이트

아이디관리 아이디등록 아이디구분등록, 전체메뉴

아이디구분등록

⪢ 메뉴구조도는 3depth 메뉴 기준으로 정리

- 247 -
3. 메뉴명칭 및 구성
가. 기존에는 한글로만 제공된 메뉴 명칭을 영문으로도 제공한다.
나. 제공하는 영문 명칭은 사용자페이지 기준으로 제공한다.

다. 별도로 영문을 제작하지 않고 한글 영문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림 4-3. 메뉴구성 및 명칭>

⪢ 메뉴는 1 depth 기준

- 248 -
3.2. 메뉴별 상세설명
1. 확인 동의서

<그림 4-4. 확인동의서>

가. 사이트 연결시 확인 동의서를 체크해야 만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나. 한번 체크하면 사이트 종료전까지는 다시 확인 동의서를 체크하지는 않는다.

다. 체크박스를 선택하지 않고 [Enter] 클릭하면 alert ‘동의 체크를 해야만 이 시스템

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라고 뜬다.


라. 안내문구를 영문으로 제공한다.

2. 농약정보
기존페이지에 별도로 영문을 제작하지 않고 한글 영문 혼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디자인은 한글, 영문 혼용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변형하였다.

버튼에 마우스오버하면 alt tag 로 영문 번역 처리

가. 농약정보 목록

<그림4-5. 농약정보 목록> 기능 및 처리는 전년도와 동일하다.

- 249 -
<그림 4-5. 농약정보 목록>

나. 농약정보 상세

(1) <그림 4-6. 농약정보 상세> 기존에는 한글로만 제공된 항목 및 내용을


영문으로도 제공한다.

(2) 적용대상작물 항목 이동하여 등록 수정 관리(기존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에 등

록된 항목)

- 250 -
<그림 4-6. 농약정보 상세>

- 251 -
다. 시험법

(1) 등록된 시험법 정보를 최신 정보로 업그레이드


(2) <그림4-6. 농약정보 상세> 시험법을 클릭하면 <그림4-7. 농약시험법> 뜬다.

<그림4-7. 농약시험법>

라. 농약잔류허용기준

(1)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및 codex 등록된 정보 재검사


(2)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및 codex 기준 최신 정보 업그레이드

(3)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에 입안예고 단계부터는 해당 정보를 농약잔류허용

기준 한국 메뉴에 정보제공처리
기준고시 전까지는 비고에 단계 처리일자 표기

(4) 그 외 기능 및 처리는 전년도와 동일하다.

- 252 -
<그림4-8.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 253 -
<그림4-9. 농약잔류허용기준 codex>

- 254 -
마. 국가별 ADI

(1) 관리자에게만 권한이 있는 메뉴이다.


(2) 국가 정보 추가 등록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외국의 농약잔류허용기준(mg/kg)와 연동 처리된다.

<그림4-10. 등록된 국가정보>

(2) 등록된 국가별 ADI

<그림4-11. 국가별 등록된 ADI 정보>

- 255 -
3 농약잔류허용기준 조회
가. 식품공전 ‘농산물의 잔류농약 잠정기준 적용’ 해당란의 적용기준을 따라
잠정적용기준 (최저기준)을 단계별로 찾는 프로그램이다.

나. 농약정보에 등록된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과 CODEX 정보와 연동 처리하여 조

회한다.
다. 잠정기준 적용순서

(1) '가‘의 잠정적용기준(최저기준) 단계별 변경에 따라 프로그램을 변경

기타농산물기준 변경
‘CODEX 기준이 없을 경우에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기준으로 ‘식품의 분류’

기준에 따른 [기타농산물기준]을 적용‘ 처리를 ’유사농산물 최저치 기준이 없을

경우에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기준으로 ‘식품의 분류’ 기준에 따른 [기타농산


물기준]을 적용 처리한다.

- 256 -
(2) 잠정적용적용순서

<그림4-12. 잠정적용순서>

- 257 -
라. 기존에는 한글로만 제공된 정보 및 내용을 영문으로도 제공한다.

<그림4-13. 농약잔류허용기준 조회 결과 화면>

- 258 -
4. 식품별 농약잔류허용기준
가. 기준수는 한국과 CODEX 구분하여 정보를 보여주며, 기준수를 클릭하면,
한국은 <그림4-14.식품별 농약잔류허용기준 기준수 한국>농약정보에 등록된

농약잔류허용기준 정보를 팝업으로 보여준다.

나. CODEX은 <그림4-15. 식품별 농약잔류허용기준 기준수 CODEX> 농약정보에


등록된 농약잔류허용기준 정보를 팝업으로 보여준다. (CODEX는 단계 CXL

정보만 보여준다.)

<그림4-14. 식품별 농약잔류허용기준 기준수 한국>

- 259 -
<그림4-15. 식품별 농약잔류허용기준 기준수 CODEX>

- 260 -
5.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가. 사용자화면에서는 제공되는 않는 메뉴
나.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1) 검색은 전체, 기준제안번호, 농약명 한글, 농약명 영문, 작물명,을 키워드

입력하여 검색한다.
(2) NO는 카운터수 기준으로 표기한다.

<그림4-16.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목록>

(3) 기존 입력된 자료를 신규 개발한 프로그램에 입력처리

- 261 -
다.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등록

(1) 기준제한번호(신규) : 직접입력처리


(1) 농약명 : 농약정보에 등록된 농약과 연동 처리

(2) 공전번호 : 농약정보에 등록된 농약의 공전번호 자동으로 불러옴

(3) 농약용도 : 농약정보에 등록된 농약의 농약용도 자동으로 불러옴


(4) ADI : 등록된 ADI 정보가 있으면 자동으로 불러오고, 없으면 직접입력처리

(5) 1인1일 섭취허용량 : 직접입력하며 몸무게는 기본으로 55kg 셋팅하며 정보

변경도 가능하게 처리
(6) 작물명(신규) : 직접입력처리

(7) 파일첨부

(8) 비고(신규)
(9) 농약잔류허용기준(안)(변경)

(가) 식품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그림4-18. 식품명 조회> 팝업창이 뜨고

식품을 선택하면 <그림4-19.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등록에서 식품추가


한 경우> 처럼 화면에 적용되고 (나)-(사) 항목에 대하여 정보 연동 및

입력 필드가 생성된다.

(나) 식품명 : 식품의 분류와 연동 처리


(다) 식품섭취량 : 식품의 분류 식품명 항목에 있는 식품섭취량 정보를

자동으로 불러옴

(라) 농진청 요구안 MRL : 직접입력처리


(마) 식약청 요구안 MRL : 직접입력처리

(바) 외국의 농약잔류허용기준 : <그림4-20. 국가별 농약잔류허용기준 등록>

처럼 식품별로 다른 나라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정보를 등록 국가정보는


‘농약정보>국가별 ADI >국가 및 ADI 정보 관리와 연동 처리

(단, 농약매뉴얼 항목은 연동에서 삭제처리)

(사) 진행상태
- <그림4-21.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진행상태 등록> 농약에 대한

식품의 진행상태 정보를 등록한다.

- 등록된 정보는 기준제안현황 및 진행상태별 검색 메뉴와 연동 처리


- 진행상태는 단계 구성

기준제안서 → 잔류농약전문위원회 1차 → 입안예고(안)송부 → 입안예고

- 262 -
→ 잔류농약전문위원회 2차 → 식품위생심의위원회 → 규제심사 →

개정고시
- 기준제안서에서 입안예고까지의 정보는 사용자에게 미공개처리

- 입안예고이후 부터는 사용자에게 정보공개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메뉴와 연동)


- 규제심사까지는 정보수정 가능(가변적)

- 개정고시가 되면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에서는 정보수정 불가 처리

<그림4-17.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등록 초기화면>

- 263 -
<그림4-18. 식품명 조회>

<그림4-19.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등록에서 식품추가 한 경우>

- 264 -
<그림4-20. 국가별 농약잔류허용기준 등록>

- 265 -
<그림4-21.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진행상태 등록>

- 266 -
라.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상세

(1) ‘다.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등록’ 에 등록된 정보 기준으로 <그림4-22.


농약잔류 허용기준 제안서 농약잔류허용기준(안)> 처럼 농약잔류허용기준(안),

작물잔류 시험성적, 의견쓰기 메뉴 구성

<그림4-22.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농약잔류허용기준(안)>

- 267 -
(2) 농약섭취량 계산하기

(가) 농약섭취량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그림4-23.농약섭취량 계산하기>


팝업으로 뜨고 식품섭취량 과 MRL 값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농약섭취량

계산처리

(나) 농약섭취량 = 식품섭취량 * MRL / 1000

<그림4-23.농약섭취량 계산하기>

(3) 농약잔류허용기준(안)

(가) <그림4-19.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등록에서 식품추가 한 경우> 등록된

정보는 <그림4-24.농약잔류허용기준(안) 정보> 처럼 신규로 처리하고


신규는 회색 색상으로 표기하고 위치는 항상 위쪽에 둔다.

(나) 기존정보는 해당 농약 기준 ‘농약정보>농약잔류허용기준 한국’ 에 등록된

정보를 자동으로 가져온다.


(다) 체크박스를 선택하면 해당 정보만 화면에 보여준다.

신규만 선택하면 신규정보, 기존만 선택하면 기존정보만 화면에 보인다.

<그림4-24. 농약잔류허용기준(안) 정보>

- 268 -
(라) 농약섭취량 합계 : <그림4-22.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농약잔류허용기준(안)>
- 신규 농약섭취량 (ADI 대비 %) 소계

신규 등록된 정보를 농진청과 식약청으로 구분하여 계산

- 기존 농약섭취량 (ADI 대비 %) 소계
현재 기준 정보를 농진청과 식약청으로 구분하여 계산

- 개정후 농약섭취량 (ADI 대비 %) 합계

위 (가) + (나) 합계 정보를 농진청과 식약청으로 구분하여 계산


(마) 인쇄버튼을 클릭하면 등록된 농약잔류허용기준(안), 작물잔류시험성적

정보를 <그림4-25. 레포팅 툴을 이용한 파일변환> 처럼 ‘레포팅 툴

형식으로 팝업이 뜨고 인쇄, 한글 <그림4-26. 한글파일 전환>, 엑셀파일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림4-25. 레포팅 툴을 이용한 파일변환>

- 269 -
<그림4-26. 한글파일 전환>

- 270 -
(4) 작물잔류시험성적

(가) 기존에는 html 형식으로 등록하였으나 <그림4-27. 작물잔류시험성적


등록> 처럼 정보를 DB화

(나) 정보입력

기존 등록된 HTML 파일을 DB에 재입력

<그림4-27. 작물잔류시험성적>

(다) 정보입력 버튼을 클릭하면 <그림4-28. 작물잔류시험성적 등록> 팝업창이


뜨고 정보를 등록한다.

- 271 -
<그림4-28. 작물잔류시험성적 등록>

(라) 정보수정은 <그림4-27. 작물잔류시험성적> 작물명을 클릭하면 작물잔류험

성적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는 팝업으로 뜸

- 272 -
(5) 의견쓰기

<그림4-29. 의견쓰기>

- 273 -
(가) <그림4-30. 아이디등록>에서 메뉴별 권한설정>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등록

권한자에게만 의견쓰기에 글을 등록할 수 있다.

<그림4-30. 아이디등록>

(나) 등록된 정보는 본인과 관리자에게만 글 수정, 삭제 권한이 있다.

(다) 의견쓰기 등록하면 이름, 아이디, 등록일시, 첨부파일, 삭제버튼 순으로

표기되며 첨부파일은 파일이 업로드된 경우에만 표기된다.

마. 기준제안현황

(1)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에 등록된 정보를 기준제안번호 기준으로 관리


(2) 목록은 <그림4-31. 기준제안현황 목록> 처럼 기준제안번호, 기준제안번호에

대한 등록된 농약건수, 농약에 대한 의견쓰기에 등록된 글 수,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에 등록된 농약에 대한 식품의 제안 진행상태를

- 274 -
일괄처리 할 수 있도록 <그림4-32.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진행상태>

구성

<그림4-31. 기준제안현황 목록>

- 275 -
<그림4-32.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진행상태>

- 276 -
(3) 기준제안현황 상세

(가) 목록에서 기준제안번호를 클릭하면 <그림4-33. 기준제안현황 상세> 페이


지로 이동한다.

(나) 기준제안번호에 기준으로 등록된 농약 및 식품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다) <그림4-33. 기준제안현황 상세> 농약명을 클릭하면 <그림4-22. 농약잔류허


용기준 제안서 농약잔류허용기준(안)> 페이지로 이동한다.

(라) <그림4-33. 기준제안현황 상세> 의견건수를 클릭하면 <그림4-29. 의견쓰

기> 페이지로 이동한다.

<그림4-33. 기준제안현황 상세>

- 277 -
(마)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등록>진행상태 또는 기준제안현황>일괄변경

<그림4-32.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진행상태> 등록된 정보를 보여준다.


(바)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상세 의견쓰기<그림4-29. 의견쓰기> 에 등록된

글 건수를 보여주고 의견건수를 클릭하면 <그림4-29. 의견쓰기> 페이지로

이동한다.
(3) 진행상태별 검색

(가) 진행상태는 ‘기준제안서,잔류농약전문위원회 1차, 입안예고(안)송부, 입안예

고, 잔류농약전문위원회 2차, 식품위생심의위원회, 규제심사, 개정고시‘ 구성


(나) 진행상태와 처리일자를 입력하고 조회 버튼을 클릭하면 <그림4-34. 진행

상태별 검색>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4-34. 진행상태별 검색>

(다) 엑셀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조회 정보에 대해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 처리한다.

(라) 개정고시(안) 버튼을 클릭하면 조회 정보에 대해 레포팅 툴을 이용하여 파


일을 변환하여 인쇄, 한글, 엑셀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마) 신․구대조표 버튼을 클릭하면 조회 정보에 대해 레포팅 툴을 이용하여 파

일을 변환하여 인쇄, 한글, 엑셀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 278 -
<그림4-35. 신․구대조표 레포팅 툴을 이용한 파일변환>

- 279 -
6. 표준품
가. 유효기간은 매월 말일 24시 기준으로 유료 만료 처리하고 만료가 되면 해당
항목의 색상은 회색으로 변경 처리

나. 권한 관리자 (수퍼관리자와 해당소속 담당자)만 유효만료된 정보를 볼 수 있게

처리
다. 년도별 구분은 삭제

라. 검색은 소속구분(관리자모드에서만 지원)과 표준품 키워드 검색 처리

마. 지방청, 시도별 환경보건연구원에게 아이디(ID)를 부여하여, 로그인하면 소속에


등록된 기본 정보가 자동 연계 처리되어 운영

바. 농약정보에 등록된 표준품명과 연계 처리

사. 자료입력

<그림4-36. 표준품 - 관리자>

- 280 -
7. 잔류농약분석매뉴얼
가. GC 분석조건: 영문번역

<그림4-37. GC 분석조건>

- 281 -
나. GC 분석정보 : 영문번역

(1) 농약정보와 연동하여 농약명, 공전번호 정보를 불러옴


(2) 농약분석정보 파일은 PDF 형식으로 제공

(3) 검출기 정보 항목은 직접입력 처리

(4) 자료입력

<그림4-38. GC 분석정보>

- 282 -
다. HPLC 분석조건 : 영문번력

<그림4-39. HPLC 분석조건>

- 283 -
라. HPLC 분석정보 : 영문번역

(1) 농약정보와 연동하여 농약명, 공전번호 정보를 불러옴


(2) 농약분석정보 파일은 PDF 형식으로 제공

(3) 머무름시간, 농도 정보 항목은 직접입력 처리

(4) 구분은 HPLC 분석구분과 연동하여 등록된 정보 불러옴


(5) 자료입력

<그림4-40. HPLC 분석정보>

마. HPLC 분석구분

(1) 사용자화면에서는 안보이게 처리

- 284 -
(2) 기존 그대로 운영처리

8. 농약정보자료실
가. 검색은 구분선택 및 제목, 등록인, 내용은 키워드 검색

나. 전체, 농약정보, 시험법, 기타, 동영상자료로 구분

다. 동영상자료는 동영상 파일 링크 처리
라. 자료입력

<그림4-41. 농약정보자료실 목록>

- 285 -
9. 관련사이트
가. 국내․외 작물별 등록 농약, 잔류농약 관련사이트 자료입력
나. 사이트 이용방법 안내 및 웹 화면을 작성하여 제공

다. 관련사이트 등록 항목은 제목, URL, 목록 소개글, 내용, 목록 이미지, 파일첨부를

입력한 후 등록 버튼을 클릭한다.


라. 검색은 제목과 소개글 키워드 검색 처리

마. 영문 번역

<그림4-42. 관련사이트 목록>

- 286 -
11. 아이디관리
가. 아이디등록
(1) 아이디 정보 관리 및 메뉴별 권한 설정 항목으로 구성

(2) 아이디 구분 등록에 등록된 정보와 연동 처리

(3) 메뉴별로 등록, 화면활성여부로 구분하여 관리

<그림4-43. 아이디 등록>

- 287 -
제4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잔류농약 평가 시스템 구축으로 농약에 대한 정보를 일반 국민 및 잔류농약 전문가
들에게 서비스가 제공되며 권한에 따라 볼 수 있는 메뉴가 분리된다.

잔류허용기준 제안서 개발로 업무 향상에 기여하였다.

제5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5.1 활용성과

세부과제명 잔류농약 웹사이트 업그레이드 및 운영

세부과제책임자 전 웅 준 / (주)아이티플라이 / 수학

가. 연구논문

번호 논문제목 저자명 저널명 집(권) 페이지 Impact 국내/ SCI여부


factor 국외
1
2

나. 학술발표

국내/
번호 발표제목 발표형태 발표자 학회명 연월일 발표지 국제
1
2

다. 지적재산권

번호 출원/
등록 특허명 출원(등록)인 출원(등록)국 출원(등록)번호 IPC분류
1
2

라. 정책활용

※ 기타 관련정책에 활용 예를 구체적으로 기술함.

마. 타연구/차기연구에 활용

※ 타연구 및 차기연구에 활용된 예를 구체적으로 기술함.

- 288 -
바. 언론홍보 및 대국민교육

※ 언론홍보 및 대국민교육 내용, 일자 등을 간략히 기술함.

사. 기타

※ 임상시험 , 관련 DB구축, 워크샾 또는 심포지움 개최 등의 경우 구체적으로 기술함.

5.2 활용계획
- 식약청 홈페이지 운영 및 활성화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처음 선정 시와 비교하여 변경된 내용을 명시

제7장 참고문헌

제8장 첨부서류
◦ 본 연구개발사업의 성과로 기술된 게재된 학술지 논문 전체 사본(게재 허가를 받은 경우 게재
증명서)과 산업재산권 등록증(또는 출원서) 사본을 반드시 첨부할 것.

- 289 -
- 290 -
총괄 연구과제 요약

과제번호 08082식품안015 공개가능여부 공개 / 비공개

단위과제명 식품 기준규격 연구
잔류농약평가 시스템 구축-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 구축, Codex CCPR 대응, 홈페
과 제 명
이지 Upgrade 및 운영
주민등록번호
성 명 이 중 근 (앞번호만기재)
581001

연구책임자 소속 기관명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전자우편 leejk@khidi.or.kr 전화번호 02-2194-7488

○ 연구목표 (400~600자)

우리나라 식품중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선진화를 위하여 한국형 위해평가 기법을 마련


하고, 현재 설정되어 운영되고 있는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재평가 및 국제식품규격위원
회 잔류농약분과의 적극적인 대응을 통한 국제기준과의 조화가 되도록 함. 또한 현재
식약청에 구축된 잔류농약 홈페이지를 업그레이드하고자 함.

○ 연구내용 (1000~1200자)
○ 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선진화
- 농약잔류허용기준 선진화를 위한 자료 고찰, 검토를 위한 전문가 풀을 구성하여 운영
- 국제기준과의 조화연구
- 한국형 잔류농약 위해평가 기법 마련
- 축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위해평가 및 기준안 마련
․ 코덱스와 기준 조화 추진
- 지속적인 농약 재평가
․ 신규 제출 작물잔류성적을 통한 재평가
- 현장의 의견 청취를 통한 정책 수립
․ 잔류농약 기준 개선을 위한 workshop 개최
․ 효율화 방안 마련
○ Codex 회의 참석 및 의제 대응
- 코덱스 의제별 검토 및 우리나라 의견 반영을 위한 지원

- 291 -
○ 잔류농약 표준품, 시험법, 국내 및 국외 농약 정보 등을 위한 사이트 업그레이드 및
운영
- 기 구축된 사이트의 성능 향상
- 제․개정된 농약 기준 입력
- 홈페이지 영문화 추진
-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용 위해평가 자료 입력

○ 연구성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포함) (400~600자)

○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선진화
○ 농약잔류허용기준 제․개정시 활용
○ 우리나라 연구결과의 Codex 의견 제시를 통한 위상 제고
○ 안정적인 잔류농약 홈페이지 운영 및 업그레이드

○ 총괄 참여연구원
성 명 주민등록번호(앞번호만 기재) 성 명 주민등록번호(앞번호만 기재)
이중근 581001 전웅준 680202
한기원 630218 김수옥 690522
문주석 561022 허지홍 790803
우희동 770305 조예리 860505
황순욱 641101 이현임 750123
이지연 700206 임양태 820429
김성조 590309 이정연 870924
김보경 821021 이관형 820610
김정현 771008

한글 국제식품규격위원회, 잔류농약, 농약잔류허용기준


Keywords
(5개 내외)
영문 CODEX, Residue pesticides, Maximum residue limits for pesticides

주1) 연구목표, 연구내용, 연구성과를 서술형으로 기재


2) 국가연구개발사업 DB를 통한 공개를 희망하지 않는 경우 공개가능여부란에 “비공개"로
표시
3) 연구성과는 그간의 연구결과 및 기대성과를 서술

- 292 -
1세부 연구과제 요약

과제번호 08082식품안015 공개가능여부 공개 / 비공개

단위과제명 식품 기준규격 연구

제1 세부과제명 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선진화 방안


주민등록번호
성 명 이 중 근 (앞번호만기재)
581001

연구책임자 소속 기관명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전자우편 leejk@khidi.or.kr 전화번호 02-2194-7488

○ 연구목표 (400~600자)

우리나라 식품중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선진화를 위하여 한국형 위해평가 기법을 마련하


고, 현재 설정되어 운영되고 있는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재평가 및 국제식품규격위원회
잔류농약분과의 적극적인 대응을 통한 국제기준과의 조화가 되도록 함

○ 연구내용 (1000~1200자)

○ 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선진화


- 농약잔류허용기준 선진화를 위한 자료 고찰, 검토를 위한 전문가 풀을 구성하여 운영
- 국제기준과의 조화연구
- 한국형 잔류농약 위해평가 기법 마련
- 축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위해평가 및 기준안 마련
․ 코덱스와 기준 조화 추진
- 지속적인 농약 재평가
․ 신규 제출 작물잔류성적을 통한 재평가
- 현장의 의견 청취를 통한 정책 수립
․ 잔류농약 기준 개선을 위한 workshop 개최
․ 효율화 방안 마련
○ Codex 회의 참석 및 의제 대응
- 코덱스 의제별 검토 및 우리나라 의견 반영을 위한 지원

- 293 -
○ 연구성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포함) (400~600자)

○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선진화
○ 농약잔류허용기준 제․개정시 활용
○ 우리나라 연구결과의 Codex 의견 제시를 통한 위상 제고

○ 참여연구원
성 명 주민등록번호(앞번호만 기재) 성 명 주민등록번호(앞번호만 기재)
이중근 581001
한기원 630218
문주석 561022
우희동 770305
황순욱 641101
이지연 700206
김성조 590309
김보경 821021
김정현 771008

한글 국제식품규격위원회, 잔류농약, 농약잔류허용기준


Keywords
(5개 내외)
영문 CODEX, Residue pesticides, Maximum residue limits for pesticides

주1) 연구목표, 연구내용, 연구성과를 서술형으로 기재


2) 국가연구개발사업 DB를 통한 공개를 희망하지 않는 경우 공개가능여부란에 “비공개"로
표시
3) 연구성과는 그간의 연구결과 및 기대성과를 서술
4) 세부과제가 없을시 작성하지 않음 (세부과제별로 작성)

- 294 -
2세부 연구과제 요약

과제
자동부여 공개가능여부
고유번호
잔류농약평가 시스템 구축-한국형 농약잔류허용기준 구축, Codex CCPR 대응, 홈페이
주관과제명
지 Upgrade 및 운영
제 2 세부과제명 잔류농약 웹사이트 업그레이드 및 운영

성 명 전 웅 준 주민등록번호 680202
연구책임자 소속 기관명 (주) 아이티플라이
전자우편 juj0000@empal.com 전화번호 02-332-1780

○ 연구목표 (400 ~600자)

구축된 잔류농약 웹사이트 관련 정보 유지 운영 및 업그레이드하여 일반국민, 관련전문가들이


잔류농약과 관련된 농약정보 등 관련 정보를 편리하게 연결하여 사용자가 하나의 웹 사이트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 연구내용 (1000~1200자)

◦ 농약정보, 농약잔류허용기준 등의 정보중 영문으로 등록된 정보 한글로 번역

서비스

◦ 농약잔류허용기준 조회 잠정적용기준 프로그램 변경


◦ 농약잔류허용기준 제안서 재구축

- 잔류농약 전문위원 커뮤니티 공간 구축

- 잔류농약허용기준 신·구조문 대비표 및 개정고시안 구축


- 농약정보자료실 정보 서비스 항목 추가

- 잔류농약 일반예고 정보 구축 등

◦ 잔류농약 영문사이트 구축 (사용자화면만 제공)


◦ 구축된 웹사이트 정보 유지 운영 및 기능 업그레이드

◦ 자료 입력

- 295 -
○ 연구성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포함) (400 ~600자)

- 구축된 잔류농약 웹사이트의 안정적인 운영 및 관련 정보 업그레이드함으로써 일반 국민 및


잔류농약전문가에게 올바른 국내·외 잔류농약 정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공하고
잔류농약 정보를 보강하고 검색 조건 등의 웹사이트 기능 개선 및 보완으로 사이트를 확장한다.

- 농약에 대한 정보를 일반 국민 및 잔류농약 전문가들에게 서비스가 제공되며 권한에 따라


볼 수 있는 메뉴가 분리된다.
- 잔류허용기준 제안서 개발로 업무 향상에 기여하였다.

○ 참여연구원
성 명 주민등록번호 성 명 주민등록번호
전 웅 준 680202
김 수 옥 690522
허 지 홍 790803
조 예 리 860505
이 현 임 750123
조 한 상 740525
최 수 진 680521
고 혜 현 750612
김 광 훈 760417
김 영 숙 831229
김 현 수 740622
강 철 770326
나 상 운 700522

농약정보, 농약잔류허용기준, codex 농약잔류허용기준,


한글
Keywords 식품별 농약잔류허용기준, 표준품, 잠정적용기준
(5개 내외)
영문

주1) 연구목표, 연구내용, 연구성과를 서술형으로 기재


2) 국가연구개발사업 DB를 통한 공개를 희망하지 않는 경우 공개가능여부란에 “공개불가"로 표시
3) 연구성과는 그간의 연구결과 및 기대성과를 서술
4) 세부과제가 없을시 작성하지 않음 (세부과제별로 작성)

- 296 -
주 의

1. 이 보고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시행한 용역연구개발사업의


연구결과보고서입니다.

2. 이 보고서 내용을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시행한 용역연구개발사업의 연구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3. 국가과학기술 기밀유지에 필요한 내용은 대외적으로 발표 또는


공개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4. 이 보고서 내용을 신문, 방송, 참고문헌, 세미나 등에 인용 시에


는 해당 주관부서 또는 연구책임자와 사전에 상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97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