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1 다음을 계산하시오.

2 다음 중 정수가 아닌 유리수를 모두 고르
  시오.
⑴  ⑵   
 
⑶ 

 
⑷ 

,  , 


, , 

3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4 다음 직각삼각형에서  의 값을 구하시오.


⑴          ⑴ ⑵
⑵          

⑶  ×    
 

⑷    ÷ 

시작하기 전에

1 준비 학습 문제를 풀고 이전에 배운 학습 요소를


점검하면서 드는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해 보자. 2 이 단원의 내용을 미리 살펴본 후 알고 싶은 내용
이나 배움에 임하는 마음가짐을 적어 보자.
1 제곱근의 뜻과 성질
• 제곱근의 뜻을 알고, 그 성질을 이해한다.

제곱근이란 무엇일까?

생각 열기 다음 그림은 한 눈금의 길이가 인 모눈종이 위에 직각삼각형을 그린 것이다.

➊ 오른쪽 표의 빈칸에 알맞은 수를 써넣어 보자.


직각삼각형 ㈎ ㈏
➋ 직각삼각형 ㈎의 빗변의 길이를 라고 할 때, 다음
(빗변의 길이)  
안에 알맞은 수를 써넣어 보자.
빗변의 길이 
 

제곱하여 가 되는 수는 과  이 있다. 즉,
   ,     
이다.
일반적으로 음이 아닌 수 에 대하여 제곱하여 가 되는 수, 즉
  
  
인 수 를 의 제곱근이라고 한다.
보기  의 제곱근은  와   이다.

양수나 음수를 제곱하면 항상 양수이므로 음수의 제곱근은 생각하지 않는다.


봄벨리(Bombelli, 또, 제곱하여 이 되는 수는 뿐이므로 의 제곱근은 이다.
Raphael,1526~1572)
여러 가지 수의 제곱근
양수의 제곱근은 양수와 음수 개가 있고, 그 두 수의 절댓값은 같다.
을 연구하였다.
양수 의 제곱근 중에서 양수인 것을 양의 제곱근,
음수인 것을 음의 제곱근이라 하고, 기호   를 사용하여 각각  
 ,  
   
와 같이 나타낸다. 이때, 기호   를 근호라고 한다.
또, 
 와  
 를 한꺼번에 ± 
 로 나타내기도 한다.

보기  의 양의 제곱근은 
 , 음의 제곱근은  
 이다. 즉,  의 제곱근은 ± 
 로 나타낼 수 있다.
배우고 익히는 수학

1 다음 수의 제곱근을 구하시오.

⑴  ⑵  ⑶  ⑷ 


2 다음 수의 제곱근을 근호를 사용하여 나타내시오.



⑴  ⑵  ⑶ 

⑷ 

3 다음 도형에서 의 값을 구하시오.
⑴ ⑵

근호의 유래 태도 및 실천

독일의 수학자 루돌프 Rudolff C  ∼ 는 년에


뿌리를 뜻하는 radix 의 첫 글자 r 에서 제곱근 기호 √를 고안
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루돌프의 기호를 사용한 √  은
  의 양의 제곱근인지, 의 양의 제곱근에 을 더한 것인지
가 분명하지 않았다.
그 후에 프랑스의 수학자 데카르트 Descartes R
 ∼ 는 년에 √에 가로줄을 그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제곱근 기호  를 사용하였다. 데카르트의 기호를 사용
하면     , 
  과 같이 분명히 구별할 수 있다.
(자료: Cajori, F., “A History of Mathematical Notations: Vol I”)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