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5

첨단소재

전략 분야
첨단소재

1. 개요 ··············································································································································· 1

2. 국내외 정책동향 ·························································································································· 3

3. 생태계 분석 ······························································································································· 11

4. 기술 분석 ··································································································································· 19

5. 중소기업 시장대응전략 도출 ··································································································· 31

6. 전략품목 ····································································································································· 32

전략 품목
기능성 나노소재

1. 개요 ············································································································································ 38

2. 외부환경 분석 ··························································································································· 43

3. 기술 분석 ··································································································································· 47

4. 연구개발 네트워크 ···················································································································· 65

5. 기술로드맵 기획 ······················································································································· 70
이종접합 소재

1. 개요 ············································································································································ 80

2. 외부환경 분석 ··························································································································· 84

3. 기술 분석 ··································································································································· 90

4. 연구개발 네트워크 ················································································································· 106

5. 기술개발로드맵 ······················································································································· 113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1. 개요 ·········································································································································· 124

2. 외부환경 분석 ························································································································· 133

3. 기술 분석 ································································································································ 136

4. 연구개발 네트워크 ················································································································· 151

5. 기술개발로드맵 ······················································································································· 154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1. 개요 ·········································································································································· 164

2. 외부환경 분석 ························································································································· 172

3. 기술 분석 ································································································································ 177

4. 연구개발 네트워크 ················································································································· 197

5. 기술로드맵 기획 ····················································································································· 200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1. 개요 ·········································································································································· 210

2. 외부환경 분석 ························································································································· 216

3. 기술 분석 ································································································································ 221

4. 연구개발 네트워크 ················································································································· 235

5. 기술로드맵 기획 ····················································································································· 239


전략분야 현황분석

첨단소재
첨단소재

첨단소재

1. 개요

가. 정의

 금속·무기·유기 원료 및 이들을 조합한 원료를 새로운 제조기술로 제조하여 종래에 없던


새로운 성능 및 용도를 가지게 된 소재를 제공하는 분야임
▪ 복합재료소재, 생체적합소재, 나노소재, 특수 기능성소재, 나노세라믹복합소재 등

 첨단소재산업은 글로벌 경쟁이 치열하고 모든 기업이 소비자 니즈에 부응하는 기능의 제품


기술개발에 경주를 가하고 있어 지속적인 신규시장 창출 및 마케팅이 필요한 분야임

 특히 해외 선진기업들은 미래 수요대응으로 첨단소재개발에 역량을 집중해 글로벌 시장


독점강화를 추진하는 추세

 4차 산업혁명 제조혁신 기반 기술로서 국산 소재에 대한 수요를 창출하여, 수입의존도를


완화시키며 동시에 국산 소재기술의 임계점을 극복하여 기술수준 향상과 동시에 미래 먹거리
시장을 유지 하도록 지원할 필요 있음

나. 범위 및 분류

(1) 범위

 첨단소재는 특성, 형태 및 용도에 따라 첨단금속소재, 첨단세라믹소재, 첨단고분자소재,


첨단화학소재, 첨단바이오소재로 구분함
▪ (첨단금속소재) 기존의 물성한계를 극복하고 고효율·저비용의 제조 및 가공을 통해 새로운 기능을
구현

▪ (첨단세라믹소재) 천연광물을 정제한 원료 또는 합성원료를 이용하여 정밀히 제어된 화학 조성,


성형, 소성, 가공 등 공정 및 융복합 기술을 통해 기존의 한계를 극복

▪ (첨단고분자소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나노구조체 및 나노복합소재 등의 나노소재기술, 고분자


3D프린팅 소재, CNT 및 그래핀 등의 탄소소재 등의 새로운 기능을 부여함

▪ (첨단화학소재) 신규 원천소재의 근원기술에서부터 용도별 특수 기능성이 부가된 응용제품의 개발에


이르기까지 첨단 제조업 분야의 기반기초가 되는 고부가가치 소재임

▪ (첨단바이오소재) 바이오테크놀로지(BT)와 기능성 소재(Functional materials)의 융합으로 의료,


의약, 생물,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소재로 활용됨

1
1
전략분야 현황분석

[ 첨단소재별 주요 적용범위 ]

구분 적용범위

첨단금속소재 - 초경량 첨단 소재, 형상기억 소재, 수소 저장 소재, 초전도성 소재 형광체, 영구자석 등

첨단세라믹소재 - 전자세라믹 소재, 극한환경용 세라믹 소재, 에너지 환경 세라믹 소재 등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나노구조체 및 나노복합소재, 고분자 3D프린팅 소재, CNT 및 그래


첨단고분자소재
핀 등

첨단화학소재 - 고기능 외부자극 응답소재, 고기능 헬스케어소재, 스마트 표면기능제어소재

첨단바이오소재 - 인체 부착 또는 삽입, 생분해성이 우수한 소재 등

(2) 분류

 첨단신소재 분야의 기술분류는 산업기술분류표 상에서 기계·소재 및 화학분야에 포함되며,


금속재료, 세라믹재료, 고분자재료, 정밀화학 분야에서 첨단소재 분류가 포함
[ 첨단소재 분야의 산업기술분류 ]

구분 산업기술_대분류 산업기술_중분류 산업기술_소분류

복합재료
기계·소재 금속재료
생체재료기술

나노소재기술

고분자재료 복합재료제조기술

첨단소재 특수기능성소재기술

화학 나노세라믹복합재료기술

세라믹재료 원료 및 세라믹 분말

화학·생체기능재료

정말화학 나노응용기술

2
2
첨단소재

2. 국내외 정책동향

가. 해외 정책 동향

◎ 해외 선진국들은 미래사회 변화를 선도할 소재개발 및 시장선점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음

 주요 선진국은 사회 환경 기술 등 글로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첨단신소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산업 다방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

 세계 주요 기업들은 수요산업 발전에 따라 소재혁신을 지속하고 있으며 소재 중간재 제품에


이르는 Value-Chain 내 연계협력이 활성화 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시장을 주도

 글로벌 환경변화 및 산업적 문제 해결 측면에서 소재의 활용이 중요시됨에 따라 첨단소재와


제조업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등의 상생형 생태계 조성과 함께 국가 차원의 R&D투자
전략수립 강화 필요

[ 해외 주요국 첨단소재 개발 및 시장선점 관련 정책 현황 ]

국가 정책 현황

- 미래 신소재 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연구개발방법론에 집중 (개발기간 단축 및 비용 축


미국
소)((Materials Innovation Platform, '14)

- 미래 지속가능한 산업(에너지, 교통, 건강, 환경, 사회인프라 등)을 위한 실용적 소재개발 (Von
독일
Material zur Innovation, '15)

- 사회․경제 수요 및 환경 변화에 대비한 수요대응형 소재개발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15), 新


일본
원소전략 프로젝트(’12~’21)

- 부품소재(중간재) 국산화를 위한 막대한 예산 투입, 핵심기초소재 자급률 급격히 향상, ‘25년까


중국
지 70%를 목표로 추진 (중국제조 2025(‘15.3), 국가 13차 5개년 계획(’16.3)

*출처 : 4차 산업혁명의 원동력인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과학기술부, 2018.4.25)

◎ (미국) 소재기술을 에너지 국방 보건 등 신산업에 솔루션을 제공하는 핵심기반 분야로


정의하고 MGI 및 NNI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경주

 소재게놈이니셔티브(Material Genome Initiative : MGI) 및 국가나노기술 이니셔티브


(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 : NNI) 등 국가 차원의 소재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을 확대

3
3
전략분야 현황분석

 `11년 첨단제조업파트너십(AMP) 정책과 함께 발표된 범부처 소재 R&D 이니셔티브로써 연구


부터 상용화까지 기간단축을 목표로 하며 년까지 약 억 달러 이상을 투자
▪ (전략 목표) 소재혁신 인프라 구축, 첨단소재를 통한 국가적 차원의 목표 달성, 차세대 소재부문
인력 양성

▪ 개발기간을 2배 단축하고, 개발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제고하는 소재 혁신 인프라를 구축하여


첨단소재의 산업화 활성화 및 연구자 지원 활성화 등을 추진

[ MGI 프로그램의 목표 ]
*출처 : 미래 신시장 선점을 위한 소재기술 혁신방안(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15)

 (NNI) `01년 클린턴행정부 시절 착수된 범부처 소재 이니셔티브로써 나노원천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목표로 하며, `13~`15년 기준 연간 15억 달러 이상의 예산을 투입
▪ (전략 목표) 세계 최고수준의 나노기술 연구개발 프로그램 활성화, 신나노기술 이전을 통한 상용화
및 공익창출 과정 지원, 나노기술 선진화를 위한 교육자원, 숙련된 노동력, 인프라 개발 및 지원,
나노기술의 안전성 확보

◎ (독일) 2015년 3월 ‘소재에서 혁신으로(Vom Material Zur Innovation)’ 프로그램을


발표하고 소재 R&D 체계화·규모화 노력을 확대

 `04년부터 추진된 WING의 후속 프로그램으로 독일의 경제·산업·R&D 당면과제를 해결하고


혁신 선도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나노·소재연구와 미래 응용기술 분야와의 연
계성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
▪ 첨단기술전략은 독일의 혁신 선도력 강화를 통한 삶의 질 개선을 목표로 하며, 소재·나노 기술
프로그램은 신소재 개발, 에너지 효율 확보 두 축을 통해 이를 실현하고자 함

4
4
첨단소재

 향후 10년 동안 매해 1억 유로를 편성하여 소재 기반 제품 및 프로세스 분야 혁신 촉진,


소재 분야 선진 과학자 육성을 추진
▪ 중소기업이 중심이 된 과학기술 연구-산업계 공동 프로젝트, 혁신 제품 생산 및 프로세스 확보를
주요 평가 기준으로 삼아 중점 지원할 계획

▪ 프로젝트 집행 및 관리는 연방교육연구부의 위탁으로 율리히 프로젝트 관리단 (Projekttrager


Julich, PJT)에서 수행함

 소재 분야 기술을 3개 기반연구, 5개 응용연구로 구분하여 지원하고, 이를 통해 ①산업경쟁


력 강화, ②사회 수요 대응, ③민간부문 연구개발 역량 강화, ④전문성·전문인력 양성까지 4
대 비전을 실현하고자 함

[ 나노·소재 기술 영역 분류 ]
*출처 : 소재·나노 연구개발 지원계획 수립(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2015)

◎ (일본) 미래 산업·사회·경제 수요 대응형 소재에 대한 연구 활성화

 자원, 환경에 유해성 등 소재 대체를 위한 신물질, 신재료 개발의 ‘신원소전략 프로젝트


(’12~’21)’ 수립 추진
▪ 정부 주도로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국립물질재료연구소(NIMS) 등)이 위험도가 높은 첨단소재 분야
주도적 수행

▪ 재료분야에서 세계 최고수준의 소형 연구거점 프로그램 확립과 희토류를 사용하지 않는 신재료


개발을 목표로 하여 4개 분야의 연구개발 추진

5
5
전략분야 현황분석

[ 신원소전략프로젝트 4대 분야 ]

분야 추진내용 거점기관

- 희토류 영구 자석과 성능은 동등하지만 희소원소를 이용하지


자석재료 물질재료 연구기구
않는 새로운 자석 개발

- 촉매나 이차전지 부자재에 대해 고체, 기체, 액체 상태에서의


촉매·전지재료 원소 상호 반응을 해석하고 귀금속이나 희소원소를 사용하지 교토대
않는 대체 재료 개발

전자재료 - 전자부품 재료개발에 효율적인 새로운 대체재료 개발 도쿄공업대

- 재료의 강도나 인성과 같은 상반된 성질을 해석해 희소원소를


구조재료 교토대
대폭 줄인 구조재료의 대체재료 개발

 국가 기술경쟁력 강화 및 유지를 위해 경제산업성 소재관련 기술개발 프로젝트 추진


▪ (혁신적 신구조재료 기술개발) 한국, 중국 등의 소재기술 경쟁국과의 기술 격차를 벌이기 위한
장기적 소재기술 개발 사업 추진, ‘13년부터 향후 10년 간 약 600억엔 투자 결정

- 수송기기에 적용 가능한 복수의 기능(강도, 연성, 인성, 제진성, 내식성, 내충격성 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고성능재료(티탄합금, 탄소섬유 복합재료, 혁신강판 등) 개발 및 재료의 접합기술 개발
등 엔지니어링 세라믹소재 포함

▪ (에너지부품소재 기술개발) 세계 최첨단 에너지부품소재 기술 강화를 위한 저탄소 그린 소재


기술개발 프로젝트 추진(에너지환경 세라믹소재 포함)

- 저탄소사회 실현을 위한 초경량․고강도 혁신적 융합재료개발 프로젝트


- 저탄소사회 실현을 위한 신재료 파워 반도체 프로젝트

◎ (중국) 신소재산업은 점진적으로 강화 및 응용수준이 향상되고 있으나, 총체적인


발전이 미흡하여 육성발전단계에 정체 중임

 기업주도 시장중심에 산·학·연이 상호결합 된 신소재 혁신체계가 점진적으로 정착되어가고 있


으나 미흡한 수준임
▪ 핵심기술과 전문장비 수준이 여전히 낙후하고 핵심소재 개발능력이 부족하여 제품안정성 향상이
시급한 실정임

▪ 현재 산·학·연 혁신네트워크가 미흡하며 첨단인재가 부족하고, 표준, 검측, 평가, 계측, 관리 등의


체계가 미흡함

▪ 산업생태계가 취약하며, 저급품종 공급과잉 등은 제조강국의 장애요인임

6
6
첨단소재

 혁신능력이 점진적으로 강화되고 응용수준도 점차 향상되고 있음


▪ 첨단반도체소재, 신형 배터리소재, 희토류소재 연구분야에서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음

▪ 고성능 철강재, 경합금소재, 공정플라스틱 등 제품구조의 최적화, 고속철도, 우주항공, 해양공정,


에너지장비, 바이오소재, 나노소재 분야가 발전 중임

 새로운 과학기술혁명과 산업변혁이 가시화되면서 글로벌 신소재산업 경쟁구조 개편 중


▪ 신소재와 정보, 에너지, 바이오 등 첨단기술의 융합이 가속화 되고 빅데이터, 디지털 시뮬레이션
등의 시술이 신소재연구개발에 활용되고 인터넷+, 소재게놈계획, 적층제조 등 신기술 개발로 신소재
혁신경쟁 가속

▪ 중국제조2025, 산업구조조정, 제조업 구조조정의 기로에 있으며, 차세대정보기술, 우주항공장비,


해양공정, 첨단기술선박, 친환경에너지, 신에너지 분야의 발전은 신소재 산업에 있어서 필요조건임
*출처 : 중국산업경제브리프-신소재산업 발전(kiet, 2017)

7
7
전략분야 현황분석

나. 국내 정책 동향

◎ 2001년 소재·부품특별법 제정 이후, 국내 소재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정책 수립 및 추진

 2001년~2016년 소재·부품 R&D에 총 4.6조원 투자, 기술선진국 진입을 위한 범용소재 국산


화, 핵심품목 상용화 등 소재 응용·개발 연구에 집중
▪ 그간의 기술 및 산업역량 축적으로 소재·부품 부문이 수출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나, 핵심소재는
여전히 외국기술에 의존

- 對⽇수입 핵심품목(’15) : TAC 필름 99.4%, LCD 유리원판 97.4%, 액정 96.0%

[ 소재분야 정부 R&D 및 단계별 비중 ]

 소재기술 혁신 및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 첨단·나노·융복합 소재 관련 원천기술 확보에 중점


을 두고 정책계획을 수립함
[ 소재·부품 기술개발 관련 정부 정책 현황 ]

구분 내용

- 주력제품핵심소재(한계돌파형) 성능·공정기술 혁신 → 중소·중견기업과 연구소의 기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술이전 연계
소재기술 혁신방안 - 이머징산업전략소재(길목지키기형) 산업화 응용연구 → 수요대기업 견인 / 중소·중견
(과학기술자문회의, `15) 기업이 주도
- (챌린징산업)원천소재 창의아이디어 집중 육성 → 대학(중소기업·연구소 협력)

제4차 소재·부품발전 - 2025년까지 4대 소재·부품 수출강국 도약


기본계획 - (원천 → 사용화 연계) 대학·연구소에서 원천소재 기술 개발(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관계부처 합동, `16) 업계·출연연 등에서 상용화 기술 개발(산업통상자원부)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 - 소자, 센서·IoT, 디스플레이 등 4차 산업혁명 기반 하드웨어의 초고속化·대용량化·저


(4차산업혁명위원회, `17) 전력化를 위한 나노 소재 선도연구 강화 및 원천기술 확보

혁신성장동력 추진계획 - 미래성장동력의 ‘융복합 소재’와 국가전략프로젝트의 ‘경량소재’를 13대 혁신성장 동


(미래성장동력특별위, `17) 력의 ‘첨단소재’로 통합하여 혁신성장동력으로 원천기술 확보 추진

*출처 : 4차 산업혁명의 원동력인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과학기술부, 2018.4.25)

8
8
첨단소재

◎ 4차 산업혁명 경쟁의 원동력 확보 및 미래사회 대비를 위해 미래사회 4대 메가트렌드


및 30대 미래소재 원천기술 도출함

 (초연결 사회)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사람-사물, 정보-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한 사회로 변화
▪ 이동형인공지능 및 개인 맞춤형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 폭증에 대응할 수 있는 빅데이터 고속
분산처리가 가능한 지능형 스마트 소재 필요

 (초고령 사회) 초고령 사회로 진입, 만성질환자 증가에 따른 노동력 인구 감소 등 산업구조


변화에 대비한 건강한 사회 요구
▪ 고령인구의 삶의 질, 만성질환자의 토탈 라이프케어 수요 증가, 약물 남용 및 장기투여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웰니스 바이오소재 필요

 (지속가능한 사회) 신기후 체제(‘15.12, 파리협정) 타결로 한층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 의무 및


국가․산업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할 필요
▪ 미래의 지속가능한 환경과 경제성장의 상생을 위해 쾌적한 환경과 저탄소에너지에 필요한 환경변화
대응소재 개발 요구

 (안전한 사회) 자연재해 및 인공재난에 대한 감시, 대응을 통해 재난·재해로부터 안전한 사회


구현
▪ 지진에 대한 사회인프라 안전보장, 원전 가동/폐기 시 안전 확보 등 재난 발생 시 시의적절하고
효율적 대응을 위한 안전소재 필요

9
9
전략분야 현황분석

[ 4대 메가트렌드 및 30대 미래소재 현황 ]

메가트렌드 미래 이슈 대응소재


∙Exa스케일 인지연산 소재(exa=  )
- 초병렬 연산인지소재
데이터 폭증에 대비
- 인지가소성 전자소재
- 극저손실 신호전달 소재

∙모바일 인공지능용 소재
초연결 사회 빅데이터 고속 분산 처리 - AI용 스케일링 돌파형 초저전력 정보저장 소재
- AI용 로직 소재

∙IoH기반 복지서비스 소재
개인 맞춤형(IoH) 복지 서비스 산업 확 - 자극감응형 유연성 조절 소재
대 - 감각저장·구현 전자소재
- 초경량 유연·신축성 전자소재

∙토탈라이프케어 소재
- IoT/AI 기반 바이오센서 소재
초고령화 및 5대 만성질환자 급증
- 인체이식형 바이오소재
- 바이오배터리 기술

∙인체장기 대체·복원 소재
초고령 사회 - 감각보조용 바이오닉 소재
고령자의 신체기능 저하·결손 해결
- 골대사 조절소재, 결손 감응형 4D프린팅 소재
- 장기기능 맞춤 매트릭스,

∙스마트 약물전달 소재
약물남용/부작용/장기 투여 - 부작용 억제소재
- 고감도 약물전달 매트릭스

∙오염물질 Zero화 환경소재


유해물질 저감·차단 및 신기후 변화체제 - 다종오염물 맞춤형 스마트 다공성 소재,
대응 - 생물오염 억제용 능동정화소재
지속가능한 사회 - 자가처리 오염저감 분리막

∙Green Engineering 기반 지구환경소재


지구의 한정적 자원 대비 및 깨끗한 자
- 에너지 변환소재
연환경 유지
- 상온 고용량 수소저장 소재

∙블랙아웃 대응 에너지 소재
- 자가발전 투명세라믹스
블랙아웃 시 에너지 공급 - 초고속 대용량 전지소재
- 자가온도 유지소재
- 비리튬 상온대용량 ESS소재

∙자가전원 초소형 자율이동체 소재


안전한 사회 극한환경에서 외부의 충전없이 자율이동·
- 센서네트워크 제어용 다차원 용액공정 소재
탐사 수행
- 에너지 발생·저장용 3D 공정소재

∙방사선 대응 안전소재
안전한 우주·의료·방사선 기술 개발
- 방사선 차폐·흡수소재

∙재난대비 자가복원 치유소재


지진 대비 사회인프라 안전성 확보
- 극한환경 자가치유 고신뢰성 소재

*출처 : 4차 산업혁명의 원동력인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과학기술부, 2018.4.25)

10
10
첨단소재

3. 생태계 분석

가. 시장 동향 및 전망

(1) 해외시장

◎ 첨단소재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 2013년 세계 첨단신소재 시장규모는 1,471억 달러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19년


3,877억 달러로 연 17.53% 정도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임
▪ 이러한 성장 지속세는 계속되어 2022년에는 5,57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세계 첨단신소재산업의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백만달러, %)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CAGR

세계 첨단신소재
147,100 212,000 239,200 269,900 304,500 343,600 387,700 17.53%
시장

*출처 : Advanced Materials market Research Reports, Analysis&Consulting Stratistics MRC, 2015

 지역별로 살펴보면 미국 시장이 전체 시장의 46% 점유율을 보이며 가장 큰 시장 규모를 가


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이어 유럽이 전체 시장의 27% 점유율을 가질 것으로 전망

11
11
전략분야 현황분석

[ 세계 첨단신소재산업의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10억 달러, %)

세계시장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점유율

North America 67.7 97.5 110.0 124.2 140.1 158.1 178.3 46%

Europe 39.7 57.2 64.6 72.9 82.2 92.8 104.7 27%

Latin America 7.4 10.6 12.0 13.5 15.2 17.2 19.4 5%

Middle East 11.8 17.0 19.1 21.6 24.4 275 31.0 8%

Asia Pacific 20.6 27.7 33.5 37.8 42.6 48.1 54.3 14%

[ 대륙별 첨단신소재 시장점유율 ]


*출처 : Advanced Materials market Research Reports, Analysis&Consulting Stratistics MRC, 2015

12
12
첨단소재

(2) 국내시장

◎ 국내 첨단소재 시장은 소재부품 시장 성장과 함께 지속적인 성장을 전망함

 2012년 KOTRA의 발표자료에 따르면, 국내 소재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01년 3.4%(10


위)에서 ‘11년 5.0%(5위)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남
▪ 한국의 소재부품 수출은 프랑스, 이탈리아 등을 추월하여 세계 점유율 5위를 차지

[ 세라믹소재 분야 주요 품목별 세계시장현황 ]


(단위 : 10억 달러, %)

2001년 2007년 2020년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국가 금액 점유율 국가 금액 점유율
1 미국 370 16.2 독일 551 12.3 중국 618 12.2

2 독일 244 10.7 미국 533 11.9 독일 539 10.6

3 일본 215 9.4 중국 472 10.6 미국 529 10.4

4 영국 117 5.1 일본 367 8.2 일본 423 8.3

5 프랑스 113 5.0 프랑스 209 4.7 한국 256 5.0

6 중국 92 4.0 홍콩 201 4.5 홍콩 252 4.9

7 이탈리아 91 4.0 이탈리아 197 4.4 싱가폴 206 4.0

8 홍콩 82 3.6 한국 187 4.2 프랑스 190 3.7

9 싱가폴 82 3.6 싱가폴 178 4.0 이탈리아 175 3.4

10 한국 77 3.4 영국 156 3.5 벨기에 148 2.9

*출처 : 중소기업기술로드맵-첨단신소재부품(기술정보진흥원, 2017~2019)

 이를 근거로 첨단소재부품 분야의 국내 시장 점유율을 추론하면, 2014년 약 8조원 규모에서


2019년 21조원 규모로 연평균 12.8%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함
[ 세라믹소재 분야 주요 품목별 세계시장현황 ]
(단위 : 억 원, %)

연평균성장률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CAGR)

국내시장 80,905 16,600 131,560 148,445 67,475 188,980 213,235 17.53

*출처 : Advanced Materials market Research Reports, Analysis&Consulting Stratistics MRC, 2015

13
13
전략분야 현황분석

나. 가치사슬 분석

(1) 산업의 특징

 첨단소재는 기존 소재와는 다른 어떤 새로운 물질이나 원료로 구성되어 있는 재료라기보다는


기존 소재와 동일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새로운 공정 기술로 제조되어 물리적·화학적
제반 특성이 더욱 향상된 재료이거나, 또는 기존 소재가 가지지 않는 새로운 성질을 가지는
재료가 대부분을 차지
▪ 다만, 신소재는 종래의 대량 생산되던 기존 소재와 비교하여 소재 제조에 다양하면서도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고, 생산과 소비의 규모는 작으나 소재의 새로운 특성 또는 향상된 특성으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

 미래 신산업 창출과 혁신기술 개발의 기반이 되는 미래원천소재


▪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 IoH, 헬스케어, 환경·에너지, 안전분야 등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의
핵심영역을 뒷받침 할 원천소재

 물리․화학․재료공학 등 다학제 간 기초연구를 기반으로 창의적 아이디어 접목을 통해 신물질


발견 가능
▪ 새로운 구조․조성․복합화 등 다양한 조합을 통해 신물성 발견 및 물성의 복합화를 통해 미래소재
원천기술 개발 가능

[ 첨단신소재가 적용되는 미래사회(메가트렌드) ]

14
14
첨단소재

(2) 산업의 구조

 첨단신소재 산업은 전통적으로 핵심원료 및 원천기술 자본을 보유한 북미 일본 등 선진국 중


심으로 성장 발전함에 따라 후발국인 국내 기업의 경우 대부분 저부가가치 시장을 중심으로
산업이 형성
▪ 최근 정부 및 국내 기업의 지속적 소재 투자 확대 등에 따라 폴리케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
세계적 수준의 성과가 창출되고 있으며, 고부가 가치시장 확대를 위한 국내 기업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추진 중

[ 첨단소재 산업구조 ]

원소재 중간재 최종제품


- 철광석, 합금광석, 알루미늄/마그네 - 슬라브, STS강판, 도금강판, 알루미 - 차량용 경량소재, 고성능 모터, 바
슘 원광석, CNT 등 늄, 압출재, 복합재 잉곳, 샌드위치 이오 소재, 선박/철도용 자재 등
판재 등

- 세라믹 원료/분말 (분말/섬유/괴상, - 세라믹 소재 부품 (벌크/분체, 부 - 전략제품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


부원료 등) 품) 차전지, 항공, 수처리, 바이오 등)

- 섬유원료/원사 (전도성 섬유, 유무 - 제직/편직 및 가공 - 최종 제품 (전도성 원단, 부직포,


기 하이브리드 등) 섬유복합재 등)

- 석유원자재 및 기초화학물질 (원 - 폴리머, 기능성수지, 특수수지 (EP, - 응용제품 (전자소재/부품, 건축, 자


유/가스, 에틸렌, 프로필렌 등) ABS/SAN 등) 동차 등)

*출처 : 신산업기술로드맵-첨단신소재(기술정보진흥원, 2017)

15
15
전략분야 현황분석

(3) 산업 생태계 현황

 첨단소재 분야는 고분자 및 세라믹 소재, 기계소재, 의약·바이오·환경 소재, 정밀화학 소재 및


기타의 총5개 세부분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소기업은 기계소재분야에 60%, 의약·바이오·환
경 소재에 28%가 분포되어 있음
▪ 기계소재 분야 중소기업 수는 790개로 전체의 60.1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의약·바이오·환경 소재
분야는 369개로 28.1%로 두 분야가 전체의 88.3% 차지

▪ 기계소재 분야 중소기업 매출액은 3,896억 원으로 첨단소재 전체 분야 중소기업 매출액의 77%


차지

▪ 기계소재 분야 중소기업의 수출액은 37억 원으로 전체 42억인 첨단소재분야 중소기업 수출액의


88.1% 차지

[ 첨단소재 분야 생태계 현황 ]
(단위: 개, 명, 억 원)

종업원 수 매출액 수출액


구분 기업 수 (비중)
합계 평균 합계 평균 합계 평균
합계 1,315 (100) 39,164  - 389,155  - 11,713  -
첨단소재
중소기업 1,278 (97.2) 4,621 15 5,051 25 42 7
분야 전체
대・중견기업 37 (2.8) 34,543 987 384,104 20,216 11,671 2,918

소계 66 (5) 29,117  - 272,587  - 6,219  -


고분자 및
중소기업 48 (3.7) 257 21 522 25 2 2
세라믹 소재
대・중견기업 18 (1.4) 28,860 1,804 272,065 27,206 6,217 3,108

소계 799 (60.8) 4,808  - 7,757  - 1,577  -

기계소재 중소기업 790 (60.1) 2,872 11 3,896 32 37 9

대・중견기업 9 (0.7) 1,936 215 3,862 1,287 1,540 1,540

소계 373 (28.4) 1,306  - 542  - 0  -


의약, 바이
오, 환경 소 중소기업 369 (28.1) 1,227 45 269 8 0  -

대・중견기업 4 (0.3) 79 20 273 137 0  -

소계 61 (4.6) 3,764  - 99,414  - 3  -


정밀화학 소
중소기업 58 (4.4) 243 19 344 17 3 3

대・중견기업 3 (0.2) 3,521 1,174 99,070 99,070 0  -

소계 16 (1.2) 169  - 8,855  - 3,913  -

기타 중소기업 13 (1) 22 6 20 4 0  -

대・중견기업 3 (0.2) 147 49 8,834 2,945 3,913 3,913

※ 기업의 주요 제품상품에서 아래와 같은 키워드로 검색하고, 첨단소재 관련 협회 등의 회원사 정보등을 토대로 대상기업을
선정하여 분석 (검색키워드 : 첨단소재, 나노소재, 융복합소재, 세라믹소재, 정밀소재 등)

16
16
첨단소재

다. 주요이슈

◎ 미래 신산업 창출과 혁신기술 개발의 기반이 되는 미래원천소재로서 산업 전


방위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 IoH, 헬스케어, 환경·에너지, 안전분야 등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


의 핵심영역을 뒷받침 할 원천소재

□ 물리․화학․재료공학 등 다학제 간 기초연구를 기반으로 창의적 아이디어 접목을 통해 신물질


발견 가능

▪ (사례) ‘위상수학’ 개념을 물질에 적용하여 양자 컴퓨터 절연체, 초전도체 등 신소재 연구의 기반
마련(’16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 새로운 구조․조성․복합화 등 다양한 조합을 통해 신물성 발견 및 물성의 복합화를 통해 미래소


재 원천기술 개발 가능

▪ 전기전도성, 자성, 강도, 내열성, 내화학성, 광특성 등


*출처 : 4차 산업혁명의 원동력인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18.4.25.)

◎ 국내 첨단소재는 완제품의 성능과 부가가치를 좌우하는 핵심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원천기술 부족과 사업화 연계부족으로 인해 발생 성과가 미흡한 상황임

 (원천기술 부족) 화학․섬유․철강 등 범용소재 생산기술력은 우수하지만, 첨단소재 기술 부족으


로 중요 핵심소재는 선진국에서 수입에 의존

▪ 반도체, LCD 등 첨단 융․복합 분야 핵심소재는 대부분 일본에 의존

□ (장기간 연구개발 지원 부족) 단기간 성과창출 중심 연구에 집중

▪ 첨단소재 산업은 원천기술 기반산업으로 장기간의 기술개발이 요구되며 연구에서 상용화까지 최소


10~20년 소요

▪ 전방(upstream) 원천기술 보다는 당장 기업이 필요한 후방 (downstream) 기술에 치중

▪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투자 및 체계적 지원 부족

 (산업생태계 부재) 첨단소재 및 기술의 사업화 연결 저조

▪ 국내 R&D 투입 및 정량성과는 세계 최고수준이나, 질적성과 및 산업 파급효과 수준은 여전히 미흡

17
17
전략분야 현황분석

 (산업생태계 부재) 첨단소재 및 기술의 사업화 연결 저조


▪ 산업 수요기반의 기술사업화 위주의 연구개발 보다는 대학과 연구소 중심의 연구개발 후 사업화
연결 시도

▪ 사업화에 대한 평가, 관리제도가 부실, 연구수행 단계별 차이에 의한 기술사업화 부진

▪ 산업계 수요기반 기술사업화 역량이 부족하며, 혁신촉진형 산업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약함

 (기업의 지속적 투자 저조) 미래 성장동력인 첨단소재에 대한 기업의 투자 및 참여 저조


▪ 가시적 사업성과에 대한 압박으로 장기간의 투자의지 부족
*출처 :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첨단소재산업 육성전략(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15.06)

18
18
첨단소재

4. 기술 분석

가. 해외기술 동향

◎ 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뒷받침과 산·학·연의 공동 연구 수행으로 첨단소재 산업의


성장기반을 마련함

 (미국) 미래 신소재 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집중


▪ 첨단소재개발에서 상용화까지 개발기간·비용을 줄이기 위해 ‘MGI’전략 수립 추진(Materials
Genome Initiative, '11)

- 계산과학 활용, 실험·이론·계산의 통합연구 인프라 구축 등 소재연구 개발 가속화 전략

▪ MGI의 4대 핵심 과제는 ‘소재의 연구, 개발, 적용에 있어서 문화적 변모’, ‘실험, 연산, 이론의
통합’,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 개선’, ‘MGI 결과물을 활용할 잘 훈련된 인력의 양성’으로
구성됨

[ 소재혁신의 인프라구조(좌) 및 소재개발과정의 가속화 방향(우) ]


*출처 : 소재기술개발 전략 방안(국가과학자문회의, 2016.2.5.)

 (독일) 미래 지속가능한 산업을 위한 실용적 소재 개발


▪ (정책) 사회․경제적 수요와 미래사회의 대변화에 대응을 위한 ‘소재에서 혁신으로(Von Material zur
Innovation, '15)’ 전략 수립 추진

- 환경, 에너지, 교통, 의료 등 주요 응용분야에서 소재혁신 지원

▪ (기업) 바스프(BASF), 바이엘(Bayer) 등 화학산업 기업 중심으로 에너지, 원재료, 자동차 등 친환경


첨단 화학소재 개발에 중점

 (일본) 미래 산업·사회·경제 수요 대응형 소재 연구


▪ (정책) 자원, 환경에 유해성 등 소재 대체를 위한 신물질, 신재료 개발의 ‘신원소전략
프로젝트(’12~’21)’ 수립 추진

- 정부 주도로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국립물질재료연구소(NIMS) 등)이 위험도가 높은 첨단소재 분야


주도적 수행

19
19
전략분야 현황분석

▪ (기업) OLED 시장 증가에 따라 스미토모 화학, 일본제철주금화학(NSCC) 등 소재 공급능력 확대 및


기술개발 체제 구축

 (중국) 부품소재 국산화를 위한 대규모 예산 투자


▪ (정책) ’25년까지 부품소재 국산화율 70% 달성을 통한 ‘소재강국’을 목표로 ‘국가 13차 5개년
계획(’16.3)’ 수립

- 첨단 소재부품 육성프로그램 지원으로 '13년 중국은 세계1위 소재수출국으로 부상


*출처 : 4차 산업혁명의 원동력인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안)(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4.25.)

◎ (첨단금속소재) 수송기기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에너지 저감 경량금속소재 개발 활성화

 최근 경량금속소재 시장은 그린수송 융합 등의 핵심기반소재로서 고부가가치화 및 원소재 자


급화 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나 국내 금속산업은 철강 중심으로 편중되어 있으며 산업 전체적
으로 일본 미국에 비해 열위한 수준임
▪ 미국 및 유럽에서는 우주항공, 차세대 자동차, 우주항공의 연비향상 요구와 이와 관련한 경량화
측면에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초경량재료인 마그네슘합금에 대한 연구 진행(아우디,
피아트, EADS, VUKV, Rond Products, TNO Industrie 등)

▪ 도레이(Toray), 도호 테낙스(Toho-Tenax), 미츠비시 레이온(Mitsubishi Rayon) 등의 일본 업체들은


1970년대부터 상용화를 실현하고 집중적으로 투자하여 특허를 독점하고 있으며, 난이도 높은 공정
기술 분야에 축적된 경험을 확보하고 있음

 이중 탄소섬유의 세계 생산능력은 일본 46%(Toray, Toho-Tenax, Mitsubishi Rayon), 미국


21%(Zoltek, Hexcel, Cytec), 독일 9%(SGL), 대만 9%(Formosa)로 소수 글로벌 기업들이
과점 시장을 구성하고 있음

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미국 및 유럽 업체들이 생산을 시작하면서 일본 업체 중심의 기존


시장에 다변화가 나타나며, 중국 등 후발주자들은 저급 탄소섬유 시장에 진출하여 주로 소규
모 내수시장에 대응할 것으로 전망됨

[ 주요업체 탄소섬유 공급능력 현황 ]


*출처 : KRICT 화학정보센터(2014)

20
20
첨단소재

 탄소섬유 주요 생산기업은 우주항공, 산업용, 스포츠, 풍력블레이드 관련 분야를 중심 생산하


고 있음
[ 첨단소재 산업구조 ]

생산업체 주력분야 주요동향

보잉사에 600억불 공급 독점,


도레이(Toray) 우주항공, Oil&Gas저장, 스포츠
도요타와 공동개발

도호 테낙스(Toho Tenax) 우주항공, 산업용, 스포츠 -

미츠비시 레이온
우주항공, 산업용, 스포츠 소규모 항공기 구조재 개발
(Mitsubishi Rayon)

베스타스(Vestas)와 30억불(5년)
졸텍(Zoltek) 풍력블레이드, 자동차, 연료전지
공급 계약

에스지엘(SGL) 자동차, 스포츠, 산업자재 블레이드 제조업체 인수

풍력블레이드, 자동차, 우주항공,


헥셀(Hexcel) -
산업자재

사이텍(Cytec) 우주항공, 자동차부품 -

포모사 플라스틱
스포츠, 전자제품(기기부품) -
(Formosa Plastics)

*출처 : 탄소섬유 복합소재 시장 동향(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2016)

 개별 소재기업과 완성차 기업은 기술제휴, 공동 개발, 조인트벤처 등 다양한 형태의 협력관계


를 구축하여 새로운 소재 적용을 유도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음
▪ 일본 테이진(Teijin)사와 GM사는 기술제휴를 통한 자동차용 탄소섬유 복합소재를 공동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음

▪ 일본 도레이사는 2012년부터 독일 다임러(Daimler)사와 공동으로 자동차 소재 개발을 시작하여


메르세데스 벤츠(Mercedes-Benz)사 등에 공급하고 있음

◎ (첨단세라믹소재)해외 주요기업들은 첨단세라믹 소재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수요기업들과 전략적 제휴를 강화하고 있는 추세임

 선진기업들은 희소자원에 대한 수출금지(제한), 자원세 인상 등 ‘자원무기화’에 대응하기 위한


대체소재 기술 개발이 활발
▪ 미국 IBM社는 일본 쇼와셀社와 희소 금속을 사용하지 않는 태양전지 공동개발

21
21
전략분야 현황분석

 일본은 장기간의 기초·응용연구 기반 기술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세라믹 소재·부품을 신속하게


개발, 세트업체에 제공함으로써 전방산업의 세트업체를 선도
▪ 중국은 세트제품의 가격경쟁력 기반의 수익 창출 및 재투자를 통해 전자부품 기술수준이 빠르게
향상

 에너지·환경 분야의 경우에는 디바이스의 효율 향상, 신뢰성 제고, 원가 경쟁력 강화 중심으로


기술 개발이 집중되는 추세
▪ 일본 스미토모전기는 ’15년 저융점 용융염(NaFSA+KFSA 화합물)을 전해질로 사용한
나트륨이온전지 개발 및 상용화에 성공

 웨어러블・플랙서블 기기, 전기 자동차 등 미래소자에 대응 위한 기능성 소재 개발이 활발하


며, 고방열 세라믹소재, 단열 코팅 기술 등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상용화된 기술을 제시하
고 있음
▪ 일본의 covalent 세라믹, 프랑스의 생고방 등 선진업체의 기술수준은 분야별로 특성화에 주력

 바이오 분야의 경우, 건강한 삶 제공을 위한 맞춤형 임플란트 및 진단/치료 통합 시스템 개발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개발 진행
▪ 환자맞춤형 고기능성 임플란트 소재, 환자의 골결손 부위의 완벽 재건을 위한 3D 프린팅 기술 활용
맞춤형 골대체제, 빠른 골조직 재생 유도를 위한 다공성 소재 기공구조의 3차원적 제어기술 개발이
주요 이슈

 임플란트 회사들을 중심으로 전통적 골충진재와 더불어 약물 및 성장인자를 포함한 기능성 골


충진재를 개발하고 있으며, 환자의 골질 및 골재생능력에 따른 맞춤형 골충진재 개발에 관심

 최근, 산업기술간 융・복합화를 통해 첨단기술의 구현 및 핵심 성능 개선을 위한 다양한 기능


의 소재개발이 이슈화
▪ 초고온 고강도와 내마찰・내마모성을 가지며 동시에 경량화가 가능한 세라믹 섬유 강화 복합재료
연구 개발에 집중

▪ AVCO社 SCS-6 섬유 : 타이타늄 금속과 복합재료로 전투기(F/A-18E)의 landing gear piston에


사용, 기존 금속대비 45% 중량 감소

22
22
첨단소재

[ 세라믹 분야 해외기업 현황 ]

분야 업체명

Kyocera, Toshiba, Kyocera, Saint-Gobain, Heraeus, Hitachi Metals, TDK,


광·전자 세라믹 Hitachi Chemical, DENKA, Fraunhofer IKTS, Kawaken Fine Chemical,
Corning

기계·구조 세라믹 Applied Ceramics, Covalent Maerials, IBIDEN

에너지·환경 세라믹 이데미츠 흥산, Ohara, Sumitomo, Bloom Energy, CFCL, Kyocera

융복합 세라믹 IBIDEN, Applied Ceramics, Owens Corning, AVCO(미국)

바이오 세라믹 LITHOZ,Straumann

전통 세라믹 CHUKOH, VERSEIDAG, Saint-Gobain, 3M, Viz Reflectives, XING WEI

원료·공정 및 설비 Tosoh, Sumitomo

23
23
전략분야 현황분석

나. 국내기술 동향

◎ 2001년 소재․부품특별법 제정 이후 지속적으로 국내 소재․부품 산업의 기술경쟁력


향상

 전통적으로 강한 소재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일본은 소재산업의 주도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


에 따라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성장에 따른 무역적자 폭 확대됨
▪ ’01~’16년간 소재․부품 R&D에 총 4.6조원을 투자, 기술선진국 진입을 위한 범용소재 및 핵심품목
상용화에 집중하여 소재․부품산업의 성장기반을 마련

- R&D 정부투자 추이 : (’06) 2,494억원 → (’10) 5,071억원 → (’16) 7,331억원


- 소재․부품산업 세계 수출순위 : 5위(’14)

[ 소재·부품발전 기본계획 수립 추진경과 ]

1차(`01~`08년) 2차(`09~`12년) 3차(`13~`16년) 4차(`17~`21년)

`25년까지 100대
대익역조 개선을 ▸ 단기간 선진국 ▸ 기술 선진국 진입을 ▸ 세계 최고기술
위한 소재・부품 추격을 위한 위한 핵심소재 확보를 통한 4대
국산화 핵심품목 상용화 중점지원 소재・부품
수출강국 도약
*출처 : 4차 산업혁명의 원동력인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안)(과학기술통신부, 2018.4.25.)

 그러나 응용․개발연구에 치중, 기초․원천연구 투자가 부족하여 첨단소재 원천기술 확보에는 한



▪ 연구개발 단계별(’16년) : (기초) 24.3%, (응용) 15.3%, (개발) 42.7%, (기타) 17.8%

 그동안 기초연구는 소액․개인연구 지원에도 불구하고, SCI급 논문발표 가능한 수준의 연구에
집중하여 연구역량은 우수
▪ SCI 논문게재는 세계 3위, 미국 등록특허건수 4위, 질적지표인 영향력지수 4위 등(’16)

▪ 소재 기술수준은 최고기술보유국(미국) 대비 78.6%(’16), 기술격차는 ­3.8년 수준

- 미국(100%), 일본(96.4%), EU(94.2%), 한국(78.6%), 중국(73.5%) 순(’16년 기술수준조사)

 고부가 핵심 원천소재 확보를 위한 소재분야 중장기R&D 투자전략 부재로 미래사회 수요 대


응에는 미흡
▪ 최근 소재 개발기간 단축을 위해 계산과학 등 新연구방법론을 활용한 신소재 개발*을 추진 중이나,
급격한 사회변화 대응에는 역부족

◎ 주변국의 기술력과 가격경쟁력 사이에서 넛크래커(nut-cracker) 위기에 직면

24
24
첨단소재

 전통적으로 강한 소재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일본은 소재산업의 주도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


에 따라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성장에 따른 무역적자 폭 확대됨
▪ 디스플레이 산업(韓 세계1위, 점유율 48%, '14년) 제품의 핵심인 TAC필름은 일본에서 전량 수입

 중국은 가격경쟁력뿐만 아니라 기술경쟁력까지 맹추격 중임


▪ 풍부한 천연자원 및 낮은 생산비용(인건비/원자재비)을 내세워 꾸준히 세계시장을 잠식하고 있음

▪ 중국의 집중적인 과학기술분야 투자로, 첨단소재 중 나노소재 분야에서 우리나라와의 기술격차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는 상황

- 나노소재분야 기술격차 : 2.5년(‘00년) → 1.2년(’12년) → 1.1년(‘14년)

[ 나노·소재분야 주요국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

구분 기술수준 그룹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미국 최고 100.0 0.0

EU 선도 93.6 1.4

일본 선도 94.3 1.3

한국 추격 75.8 4.1

중국 추격 69.2 5.2

*출처 : 소재기술혁신방안(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15.10.22)

 국내의 경우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소재 기술력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중소·중견기업의 생


태계는 취약한 상황임
▪ 소재수출산업 기반과 허리가 취약한 첨탑형 생태계 구조임

[ 국내 주요 소재 대기업 및 기술(제품) ]

구분 주요기업 핵심기술(제품)

금속 POSCO, 현대제출 파이넥스공법

화학 LG화학, 효성 이차전지 소재, 폴리케톤

세라믹 삼성종합화학 파인세라믹, 극한세라믹

25
25
전략분야 현황분석

[ 기업 규모별 사업체 수 비교(`12년) ]

구분 제조업 부품소재 소재

300명 이상 678 458 129

50 ~ 299명 9,354 4,427 1,381

49명 이하 53,875 19,952 5,788

*출처 : 소재기술혁신방안(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15.10.22.)

◎ (첨단금속소재) 각 산업분야로의 수요 확대에 따라 해외기업에 맞서 국내 기업들이


사업진출을 시작함

 각 산업분야로 탄소섬유 관련 수요가 확대되면서 세계 시장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해외 업


체들에 맞선 국내 기업들이 잇달아 사업진출을 선언하며 도전장을 내고 있음

 탄소섬유 복합소재의 산업화에 있어서는 원재료 → 원천소재 → 중간재 → 부품/완제품에 이


르는 전주기적인 가치사슬의 형성이 중요함

 국내 탄소섬유는 2012년까지 전량 수입에 의존하였으나 이후 태광산업을 시작으로 도레이첨


단 소재, 효성이 탄소섬유 양산에 들어갔으며, 원재료에서 탄소섬유에 이르는 생산체제를 구
축하고 있음
▪ 2013년부터 태광산업 1,500톤, 도레이첨단소재 2,200톤, 효성 2,000톤으로 총 5,700톤 설비를
가동하여 상업생산을 추진하고 있음

 효성은 탄소섬유 ‘TANSOME’을 개발해 2013년 5월부터 상업 생산을 하였으며, 이를 이용하


여 지난 2014년 3월과 6월에는 현대자동차의 콘셉트카 인트라도에 차체 프레임과 지붕, 사
이드 패널 등을 공급함

 태광산업은 울산공장에 생산설비를 가동하고 있으며, GS칼텍스도 탄소섬유를 미래 신성장 사


업으로 육성하고자 피치계 탄소섬유 파일럿 시설 구축작업을 완성하였으며, 샘플 테스트를 거
쳐 최근 본격 시험생산에 들어갈 계획임

 한화종합화학(前삼성종합화학)은 독일 SGL의 탄소섬유 복합소재를 들여와 국내에서 마케팅과


판매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SK케미칼은 미쓰비시 레이온의 탄소섬유 원사를 국내로 가져
와 가공 및 판매를 진행하고 있음

26
26
첨단소재

 이와 같이 탄소섬유 복합소재의 기술 및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한 국내 업계의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
[ 나노·소재분야 주요국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

업체 탄소섬유 생산 및 R&D현황

- 연간 2,000톤 규모의 탄소섬유 공장 준공을 통해 국내에서는 두 번째로 양산체제


를 갖춤 (`13년)
효성 - 1.2조원 추가 투자(`20년) → 연 1.7만 톤 규모의 생산능력 확보
- 미래형 컨셉카 ‘인트라도’의 프레임에 독자 개발한 탄소섬유 ‘TANSOME’ 적용(`14
년)

- `09년 PAN계 탄소섬유 생산 기술 독자 개발 → `11년 상업설비 구축 → `12년 3


태광산업 월 국내 최초 탄소섬유 상업생산 시작
- 원료부터 제품까지 수직계열화를 갖춘 국내 유일 업체

- 일본 본사로부터 탄소섬유 기술을 이전받아 연간 2,200톤 규모의 고강도 탄소섬


도레이첨단소재
유 TORAYCA·T700 Grade 생산

- `13년 여수산업단지에 피치계 활성탄소섬유 생산 공정 개발 완료


GS칼텍스 - 자체 가공기술로 개발한 탄소섬유 복합소재를 기아자동차 ‘올뉴 쏘렌토’의 선루프
에 적용(탄소섬유에 Nylon, PP 등을 배합하여 강판보다 50% 가량 경량화)

한화종합화학
- `13년 독일 SGL사와 합작으로 탄소섬유 사업 진출
(前삼성종합화학)

- `12년 일본 미츠비시 레이온사와 탄소섬유 개발 및 생산 관련 MOU 체결 → 탄소


SK케미칼
섬유 원사 가공 및 판매

- 탄소섬유 복합소재 고속성형 공법 개발을 진행 중


현대자동차
- 2010년 배터리 팩 하부 케이스를 대상으로 탄소섬유 적용 연구 착수

- 탄소섬유를 활용한 항공기 부품, CNG 탱크 등을 상업화


데크
- 탄소섬유 복합소재 수지 충전 응용기술 확보

한국카본 코레일 틸팅 열차에 탄소섬유 소재 납품

*출처 : 소재기술혁신방안(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15.10.22.)

◎ (국내 첨단세라믹소재) 세계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크며 기술기반이 취함, 글로벌


기술 경쟁력 제고 필요

 국내는 정보통신 전방산업이 세계시장과 기술을 리드하는데 비해 광・전자 세라믹 소재부품은


아직도 글로벌 경쟁력이 매우 미약하고, 이러한 국내 기업의 경우 핵심소재 및 가공 국내 기
술기반이 취약하며, 아직까지 국산 소재의 전구체 및 소재 반제품에 대한 해외 의존도가 높음

27
27
전략분야 현황분석

▪ 휴대전화, 디스플레이 등 전방산업의 소형, 경량화, 저가격화 이슈에 따른 글로벌 경쟁 심화

- 휴대전화의 기능 향상에 따른 탑재 부품 수량은 증가하는 반면 최종제품의 두께 감소로 내부에


적용 가능 소재 부품의 기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혁신적 아이디어 경쟁이 치열
- 초고속 통신을 위한 5세대 기술, 투명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 완제품의 특성을
획기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기능 탑재를 위하여 다양한 신소재의 기능 및 기술의 도약이 요구

 자동차 분야의 경우, 자율주행 도입과 차량 내 네트워크 강화 및 다양한 전자장치의 사물인터


넷 도입 확산에 따른 각종 센서, 무선충전, 통신 및 전자부품 수요가 급격히 증가
▪ 자동차 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전장 부품, 무선충전 시스템, 통신모듈 및 센서의 국산화
개발 요구 증가

 웨어러블 기기로 인한 전자파 영향이 이슈화됨에 따라 전자파 저감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광・전자 기기의 글로벌 트렌드인 경량화, 박형화, 소형화, 다기능화의 추구로 인해,
고방열 디바이스에서도 전자파 차폐 기능이 부여된 융복합 세라믹 소재의 연구개발이 필요

 고기능성 세라믹 원료는 선진국 의존도가 과도하여 국산화가 시급하며, 반도체, 생체, 에너지
및 디스플레이 등의 응용분야에 맞는 마이크로웨이브 소결로나 원자층 증착 장비 등의 첨단
공정 및 설비 기술 개발이 요구
▪ 세라믹 분말의 국내 생산 기반은 KC의 알루미나, 엘티씨의 지르코니아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며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탄화규소, 질화붕소, 티탄산 바륨 등의 기초원료
또한 개발이 시급

 전통세라믹은 오랜 기간 축적된 기술이 현대의 첨단기술과 적극적으로 융합되고 있으며, IT


산업 성장에 부응, 시장 고도화 추세
▪ 기존의 도자기, 유리, 연마제, 내화물, 시멘트 등과 같이 제품 그대로를 사용하던 것에 비해, 첨단
전자부품의 부자재, 건축물의 고기능화 및 안전 목적의 세라믹소재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여
적용

▪ 경량 패널, 기능성 섬유, 고강도 도자식기, 안전 및 강화 유리, 고굴절 유리, 전자부품 제조용
대용량 지그, 경량 내화물 등

28
28
첨단소재

[ 세라믹분야 국내기업 현황 ]

분야 업체명

삼성전기, KCC, 삼화페인트, 삼성SDI, LG화학, 율촌화학, 아모텍,


광·전자 세라믹
삼화전자, 아수페타시스

기계·구조 세라믹 쌍용머티리얼, SKC솔믹스, 원익큐엔씨

에너지·환경 세라믹 L&F신소재, 삼성종기원, 포스코에너지, 미코

융복합 세라믹 쌍용 머티리얼, SKC솔믹스, 한국화이바, KCC

바이오 세라믹 오스템

전통 세라믹 MEGAGEN, 한국타코닉, KCC, 한글라스, 조선내화

원료·공정 및 설비 유니세라, AVACO

29
29
전략분야 현황분석

다. 기술개발 시나리오

 수요기업 연계형 공동 기술개발 협력을 통해 고부가가치 소재 및 부품을 개발

 고기능성 제품의 특성화, 차별화를 위한 원천기술 확보 노력

 글로벌 기술규제 대응 모니터링 및 지원체계 구축 (산·학·연 연계)

30
30
첨단소재

5. 중소기업 시장대응전략 도출

Factor 기회요인 위협요인

• 기후변화협약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 첨단소재와 관련된 세계 환경규제에 대한 대비책
정책 등 전 세계적 환경감시 체제의 강화
부족
• 국가 기반산업 유지와 첨단산업 발전에 핵심적인
정책 • 기술선진국과 신흥공업국의 상호 견제로 성장 저하
소재로서 향후에도 국가별 철저한 관리
우려
• 정부에서 에너지 효율 증대를 위해 경량 복합
• 선진국의 기술보호장벽 강화
소재 적용 증가 추세

• 환경, 에너지, 생체재료 등 삶의 질과 관련된 • 원료, 소재, 제품, 수요에 이르는 전 주기 산업


신수요 증대 가치사슬 형성 및 연계구조가 취약
산업 • 기술 융합화에 따른 산업 간 연계성 강화 • 미래지향적인 기술성격으로 산업체의 즉각적인
• 자동차, 건설, 디스플레이, 풍력발전 등 주요 투자 부담
첨단산업의 성장 • 선진 기업들의 생태계 주도로 글로벌 경쟁 확산
• 글로벌 금융위기의 진정국면, 3D프린팅 등 지
속적인 호재로 전반적인 산업환경 개선
• 중국 등 경쟁국의 성장 및 저가 공세 심화
• 고급 가전에 대한 생산 및 수출 증가에 따른
시장 • 수요기반 기술사업화 역량이 부족함
첨단소재 수요 증가
• 핵심소재의 해외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음
• 다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융·복합소재에 대한
수요 증가
• 선진국 대비 고부가가치 기술 경쟁력이 낮고
• 미래 신산업 창출의 기반이 되는 원천소재
단순가공에 의한 저부가가치형 산업구조 형성
• 기존 소재의 고기능화, 고품질화 추세
기술 • 선진국 소재·부품의 모방형 기술개발 한계에 봉착,
• 수요산업의 발달로 기능성 요구가 크게 변화하여 세계적 제품수준 요구됨
신소재개발 촉진
• 전문 조직 및 인력부족

고특성 환경규제 대응
수요기업과의 원천기술 첨단소재
고부가가치 및 지원체계
협력환경 조성 개발노력 지원정책 확대
창출 구축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 수요기업과의 벨류체인을 조성하기 위한 협력 필요

➜ 자동차, 전자, 항공 등 수요기업 연계형 고부가가치 소재와 부품개발 공동 추진

➜ 고기능성 제품의 특성화, 차별화를 위한 원천기술 확보 노력

➜ 글로벌 기술규제 대응 모니터링 및 지원체계 구축 (산·학·연 연계)

31
31
전략분야 현황분석

6. 전략품목

가. 전략품목 도출절차

전문가 위원회 전략품목 전략품목


분야 설정 전략품목 선정
구성 pool 구성 후보리스트 구성

è - 30개 분야별 è - 전문가 추천 품목 è - 전략품목 도출 è - 분야별 검토위원회


- 메가트렌드 - 기술수요조사
산・학・연 전문가 가이드라인 작성 - 전문가 워크샵
- R&D과제 수요 - 타부처 정책
- 산업계 중심 구성 - 적합성 검토/평가 - 품목 검토 및 조정
- 문헌 조사

 분야 설정
▪ 메가트렌드 분석, 핵심투자주제 발굴, 타부처 정책 분석, R&D 신청·지원과제 분석 등을 통해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분야 설정

 전문가위원회 구성
▪ 현장밀착형 기술로드맵 수립 및 전략 강화를 위해 30개 분야별 산・학・연 전문가 풀을 구성하여
분야별 전략품목 추천 및 검토 진행

 전략품목 Pool 구성
▪ 주요 제품·상품의 키워드 검색과 특허정보의 기술분류 매핑, R&D과제 지원기업 매핑을 통해 분야별
분석대상 기업 Pool을 구성하여 기술수요조사 및 품목이슈 발굴

- (분야별 기술수요조사) 유망 제품·기술과 분야별 이슈사항에 대한 설문조사 통해 전략품목 후보 및


정책사항 도출
- (전문가 품목 추천) 분야별 전문가 대상 후보 추천 의뢰 의견수렴
- (타부처 정책 및 문헌조사) 타 부처 정책사항 및 문헌조사를 통한 품목 발굴

 전략품목 후보리스트 구성
▪ 전략품목 후보 발굴 체크리스트를 통해 후보 적합성 평가를 실시해 상대적으로 적합성이 부족한
품목을 1차 제외하고, 분야별 전략품목 검토위원회의 검토 기초자료로 활용

 전략품목 선정
▪ 분석대상 기업 Pool을 활용한 생태계 분석과 1차 분야별 전략품목 검토위원회, 2차 전문가
워크샵을 통해 산・학・연 전문가 반복 검토로 전략품목 선정

- (검토위원회) 전략품목 선정을 위해 산・학・연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수렴을 위한 분야별 전략품목


검토위원회 운영
- (전문가 워크샵) 전략품목 검토위원회를 통해 선정된 전략품목들에 대한 타당성 검증, 분야간
전략품목 조정 및 통합

32
32
첨단소재

나. 전략품목 도출결과

전략품목 개요 및 선정사유

• (개 요) 스마트 표면기능제어 화학소재는 자가세정, 자가치유, 내약품성,


경량선, 전기절연성 등 타 소재 대비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고기능성 소재
기능성 나노소재 • (선정사유) 현재 수입의존도가 큰 분야로 탄소계, 비탄소계, 고분자 등 다양
한 형태의 플라스틱에 플랙시블, 차폐, 오염물질 저감 및 천연물
질 활용 등 다양한 기능 및 사용범위 확대로 광범위한 중소기업
의 참여 예상

• (개 요) 금속과 플라스틱의 특성을 동시에 갖게 하는 소재로서 압연공법


(CLAD)으로 이종 및 동종간 금속간의 완전한 원자확산으로 접합
된 소재
이종접합소재
• (선정사유) 클래드메탈 소재로서 자율주행차, 휴대용 디바이스의 경량화 추세
로 수요 증가가 예상되며, 현재 금속분야 산업생태계에서 비교적
적은 연구개발비로 빠른 상용화가 예상

• (개 요) 특정 성분에 대해 선택적 투과성을 갖거나 탄력성을 극대화하여


다양한 로봇이나 장치에 범용성이 큼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 (선정사유) 기존 강체가 아닌 소프트 소재 및 관련 부품제작은 시장형성 초
기단계로서, 초기에 기술 개발 시 향후 세계적 수요가 창출될 블
루오션으로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군의 진출에 적합

• (개 요) 항균, 방충 등 다양한 식물유래 화학물질의 특성 활용, ․약물전달


이 가능한 주사가 가능한 생분해성 젤 소재
• (선정사유) 의료목적 및 천연물 특성기반 소재는 대기업의 직접 개발이 어려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운 전문분야로, 외상, 암, 골절부위 등 특수목적에 따라 세분화
된 광범위한 시장이 있으며 뷰티, 의류시장과 밀접해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확보에 유리

• (개 요) LED, 전기자동차 배터리팩 및 케이스용 알루미늄 압출형재로 방


열특성이 향상되면서도 강도, 성형성이 우수한 소재로 무기, 유기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복합소재
압축재 • (선정사유) 경량화, 전기절연, 방열 등을 요구하는 미래자동차 소재시장이 확
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중소기업의 먹거리 확보를 위해서는 중국
에 추월되기 어려운 생산기술 확보가 중요

33
33
전략품목 현황분석

기능성 나노 소재

35
기능성 나노 소재

정의 및 범위

▪ 분자구조를 직접 제어하여 특정하게 필요로 하는 성질을 가질 수 있도록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낸 재료 나노소재 또는 소자 제조에 필요한 기본요소(Building block)를 조작․제조하거나,
이를 제어함으로써 새롭거나 개선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소재, 소자 또는
시스템을 만들어 내는 과학기술을 의미

▪ 기능성 나노소재는 원소재의 재료와 구조에 따라 탄소 나노소재, 금속 나노소재, 산화물 나노소재,


다공성 나노소재, 그리고 기타 나노소재 등으로 구분됨, 이들 원소재를 포함한 잉크, 페이스트,
슬러리 등 다양한 형태의 소재를 포함

정부지원 정책

▪ 4차 산업혁명 실현 나노소재․소자, 건강한 삶을 구현하는 나노바이오,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나노에너지․환경, 제조업을 선도하는 나노공정․측정․장비 등 미래 유망기술 경쟁력 확보 중
▪ 2018년 3월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 “나노융합산업 발전전략” 수립을 통해 선도기술의 체계적
효율적 확보 노력
▪ 나노기술 7대 기술, 그래핀 등 미래 유망신산업을 실현시킬 수 있는 전력분야 핵심 기술 확보를 통한
상용화 추진
▪ 나노기업의 인프라 부족을 보완할 수 있는 공정기술 확보․효율화 추진 및 나노기술 활용 기업의
집적된 나노 클러스터 조성

중소기업 시장대응전략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능성 나노소재 관련 우수 인력 확보 •관련사업 기반 미약과 핵심원료 수입의존도 심화
•나노소재 분야 지역 거점 6대 나노인프라 구축 •소재강국의 기술심화 및 추격해오는 중국에 의존하는
•“제4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2018 나노기술 발전 원료 정재기술
시행계획 실행 •전문생산기업 부재 및 작은 내수시장 규모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연료전지, 이차전지, 수 처리시스템 등 유망산업
•시장을 주도 하고 있는 세계 선진 업체들의 수요 독점
분야의 빠른 성장으로 핵심소재 시장 수요 급증
•선진국의 지적재산권 독점 등 시장지배력이 강화되어
•디양한 필름소재와 희소금속 대체 소재분야 산업은
시장진입과 경쟁력 확보의 어려움
빠르게 성장 및 수요 급증 예상
•최근 나노물질의 인체 및 환경 유해성에 대한 이슈가
•첨단 융복합산업의 빠른 발전으로 기능성 나노소재
제기되어 수요 감소의 가능성 제기
기술 수요 급증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 핵심원료의 국산화 및 대기업과의 협업 체제 구축하여 연료전지, 이차전지, 수 처리시스템 등


유망산업 분야의 시장 대응
➜ 인체 및 환경 유해성을 회피할 수 있는 친환경, 고반응효율 제품 개발을 통한 기술경쟁력 확보
전략품목 현황분석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 기능성 소재를 구성하는 요소의 최소단위 크기가 100 nm 이하인 소재를 제조하는 기술과
이러한 구조를 갖는 소재가 나타내는 특이한 물성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기술을 의미

▪ 동일한 성분을 가진 소재의 결정 혹은 입자가 100 nm 이내인 소재를 제조하는 기술과 이러한 구
조를 갖는 소재가 나타내는 특이한 물성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기술을 의미

 기존의 벌크 소재와 구별되는 독특한 특성을 나타내거나 획기적으로 개선된 물성을 나타내는
소재를 나노소재라 하며, 크기를 직접 제어하여 특정하게 필요로 하는 기능성 가질 수 있도록
제작된 물질을 기능성 나노소재로 정의
▪ 제조기술의 경쟁력이 제품의 품질과 경쟁력을 좌우

 기능성 나노소재는 다양한 성분계 및 형태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들이 나타내는 여러 특성의
나노소재와 이들 특성을 이용하는 많은 응용제품을 포함

▪ 소재 기술 분야의 산업 환경은 전방 사업의 발전과 필요성에 따라 밀접하게 변화하는 분야

▪ 기능성 나노소재의 많은 응용분야 가운데 전방산업의 발전 속도가 빠르고 신규 소재에 대한 수요가


많은 분야는 전자재료분야, 자동차분야의 경량 고강도 소재분야, 그리고 친환경 소재 분야

[ 기능성 나노소재 적용 산업 분야 ]

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지능정보사회, 건강한 장수와 안전한 사회에 대한 욕구 증대,


기후변화 및 에너지 문제 등 미래환경 변화 대응을 위한 한계극복 기술로서 나노기술 활용의
필요성이 점차적으로 증대됨

38
38
기능성 나노 소재

▪ 글로벌 나노기술 혁신을 선도하고자 “대한민국 나노혁신 2025” 제 4기 나노기술종합발전 계획을 수립

▪ “혁신성장을 위한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에서는 나노 소자․나노시스템, 혁신적 물성․소


재 등의 기초 기술을 활용하여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동인인 지능화 기술 역량 강화 추진

▪ R&D와 산업화 측면의 2025년 목표달성을 위해 3대 전략 12과제를 추진 계획

[제4기 나노기술종합발전 계획 3대 전략 12개 과제]

39
39
전략품목 현황분석

나. 범위 및 분류

(1) 제품분류 관점

 기능성 나노소재는 일반 나노소재 및 나노 복합소재로 분류

▪ 일반 나노소재에는 탄소 나노소재, 금속 및 세라믹 나노소재, 유․무기 복합 나노소재로 분류 가능

▪ 나노 복합소재는 그 용도에 따라 전도성 나노 복합소재, 고강도, 고탄성 나노복합 소재, 에너지용 나


노 복합소재로 분류

 기능성 나노소재는 첨단 기술의 핵심 분야 중 하나로 전통 산업을 첨단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산업

▪ 나노소재 자체로만 사용되는 경우 보다는 다양한 성질을 융합하기 위하여 복합체의 형태로 사용되는
융합기술

▪ 소재 자체의 형태에 따라 나노분말, 페이스트, 나노섬유, 나노박막, 벌크 복합체 등으로 분류 가능

▪ 응용 분야는 초경량/고강도. 단열, 차단, 섬유, 코팅, 기공, 반도체 화합물, 바이오 소재분야까지 그
분야가 방대하고 다양하게 사용

(2) 주요품목 관점

◎ 탄소 나노소재

 탄소의 0차원 구조체인 탄소 양자점 혹은 플러렌(fullerene), 카본 블랙, 1차원 구조체인 탄


소 나노리본 및 탄소 나노 튜브, 탄소 섬유, 2차원 구조체인 그래핀 등을 일컫는 소재

 강도와 열전도성이 높음, 전도성이 있는 탄소 소재의 특성 보유

 CNT소재는 육각형 벌집모양의 탄소원자 결합으로 이루어진 흑연면이 원통형으로 감겨진 결합


물질로 튜브형태에 따라 화학적, 전기적, 구조적 특성변화

 플랙서블 디스플레이, 축전지, 연료전지, 반도체 메모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가능

 투과도 및 전도도가 좋지 못하여 현재로는 금속 나노와이어 기반 투명전극에 대한 관심이 높


음에 따라 초경량․고강도용 탄소소재, 고 전도성 탄소소재로의 기술 개발 활발함

40
40
기능성 나노 소재

◎ 금속 및 세라믹 나노소재

 금속 나노입자, 금속 나노와이어 등의 금속의 특성을 이용하는 소재나 SiO2, TiO2 등의 나노


입자, hollow silica 나노입자 등의 세라믹 특성을 이용하는 소재

 금속 나노소재의 경우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인쇄전자에 응용이 활발하며, 결정입자의 플라


즈모닉 특성을 활용하거나 센서에 적용되어 활용

 세라믹 나노소재의 경우 입자들의 광 투과 특성을 이용한 반사방지막에 이용되거나, 내마모성


을 이용하여 윤활제품에 쓰이는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 유․무기계 나노소재

 산화물 나노소재나, 금속 간 화합물계, 탄화물계, 질화물계, 붕화물계, 인화물계, 황화물계 등


의 복합 나노 소재를 말하며, 세 가지 이상의 성분을 가진 복합 산화물계 나노소재

 산화물 나노소재는 나노입자의 광학적 성질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소재 분야, 광학필름 소재


분야에서 활용

 TiO2의 광촉매 작용을 이용한 환경 정화용 소재, 인쇄전자 응용 금속/반도체 나노입자, 환경


산업/화학 촉매, 조명용 형광체, 태양전지, 태양광 촉매제, 발광 다이오드(LED), 광센서 등 각
종 기능성 코팅에 응용

 그래핀과 같은 구조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디칼코제나이드는 두 가지의 칼코젠 음이온과


전이금속이 결합된 나노소재로, 이황화물이 대표적

◎ 복합 나노소재

 탄소, 세라믹, 유리, 금속, 고분자로 구성된 나노 물질로 이루어진 다른 두가지 성분, 혹은 그
이상의 성분을 거시적으로 혼합 한 소재

 용도에 따라 분류되며, 전자소재, 초경량․고강도 소재, 단열소재, 섬유소재, 코팅소재, 기공소


재, 반도체 화합물, 바이오소재 등으로 분류

41
41
전략품목 현황분석

[ 주요제품 분류표 ]

주요품목
주요제품 및 세부기술
관점

탄소나노소재 탄소 양자점, 플러렌, 카본블랙, 탄소 나노튜브(SWNT, MWNT), 탄소 나노와이어, 그래핀 등

나노분말, 나노잉크, 페이스트(Ag, Cu), 나노 촉매분말(Pt, Pd), 나노결정(Au, Ag, Cu), 형광체(YAG,
금속 및
Al2O3:Cr, Y2O3:Eu 등), CMP slurry(SiO2 등), TiO2 나노입자, hollow silica 나노입자,
세라믹
AR(anti-reflection film), 수처리 멤브레인, 에어로겔, 나노기공 지지체

충진재(SiO2, TiO2, 중공 실리카), 촉매제(TiO2, ZnO, MnO2, CeO2), 센서용 소재(SnO2, ZrO2,
유․무기계
ZnO 등), 광학 필름 소재, TiO2의 광촉매 작용을 이용한 환경정화용 소재, 전이금속
나노소재
디칼코제나이드(MnS2, WS2, TaS2, TiS2) 반도체 박막 소재

분리막/멤브레인(이차전지, 연료전지, 수처리, 수소제조 등), 투명 전극 소재(CNT


전자소재
분산소재, 그래핀 분산소재)

초경량/고강도소재 구조 기능용 나노 복합소재(CNT 복합소재, 금속, 세라믹, 고분자, 타이어 소재)

단열소재 창호형 단열필름, 단열 타일

차단소재 산소, 수분 등의 투과 차단, 포장재


복합 나노소재
섬유소재 흡착포, 필터, 복합재용 충진재, 스포츠용 의류, 침구류, 주방용품, 옥실용품 등

긁힘 방지, 반사 방지, 대전 방지, 전자파 차폐, 자기 정화 코팅, 초진수/초발수


코팅소재
코팅

기공소재 지올라이트계 나노기공 소재, 에어로젤, 나노기공 담체

반도체 화합물 태양전지 소재, 양자점 소재, 형광체 소재

42
42
기능성 나노 소재

2. 외부환경 분석

가. 산업환경 분석

(1) 산업의 특징

 기능성 나노소재 산업은 기술집약적인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나노원료 소재 분야와 나노가공


소재를 생산하는 분야로 구분

▪ 나노 원료 소재 : 나노분말(양자점, 나노 형광체 등), CNT, 그래핀 등이 이에 속하며, 이를 가공하여


부품 또는 완제품이 되기는 어려움

▪ 나노 가공 소재 : 나노 원료 소재를 포함하는 소재로 주로 나노복합체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금속 나노분말을 나노잉크 형태로 만들어 나노배선 혹은 나노전극을 인쇄하는데, 이때의 잉크
가 나노 가공 소재에 해당

 기능성 나노소재 산업은 매우 다양한 기술과 응용제품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조를 보이고 있
어 분야를 세분화하고 후방산업의 특징에 따라 구조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

 기능성 나노소재 산업은 구성하는 요소의 크기가 100 nm 이내인 소재를 제조하는 기술과
이러한 구조를 갖는 소재가 나타내는 특이한 물성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기술로 정의되어
제조기술의 경쟁력이 제품의 품질과 경쟁력을 좌우

▪ 제품의 고품질화, 미세화에 따라 기술의 성숙도가 높고 산업적 요구가 존재에 대응하는 일반 벤처


기업이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자외선 차단제, 치약, 임신진단기 등 화장품이나 의약품 기반의 제품
들이 개발

▪ 또한 은, SiO2, TiO2 나노입자가 도입된 특수 방수, 항균 섬유, 광촉매 건축용 코팅제, LED, OLED
용 나노입자 및 다양한 바이오 나노제품들이 시장에 나오고 있음

 현재 기능성 나노소재 기술은 단순 생활 소재 (섬유, 화장품) 분야 및 전자 소재(전극, 방열필


름,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환경정화 시스템 등의 분야에 치중되어 있으나 현재 많은 기업 및
연구기관에서 나노소재에 대해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므로 대부분의 분야에서 나노 융
합소재를 통한 기술 변화가 이루어 질 것으로 전망됨

▪ 다수의 기업 및 연구기관에서 나노소재에 대해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므로 기능성 나노소재


기반 융합소재를 통한 기술 발전 전망

 세계적인 나노기술의 투자․발전 추세에 따라 우리나라도 나노기술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나노관련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음
▪ 기술인력 활용 실태조사, 인력양성 프로그램 수요조사, 고용동향 파악, 전문가포럼 개최, 정보 인프
라 구축 등 세부 사업 수행 및 각종 보고서 도출을 완료함

43
43
전략품목 현황분석

(2) 산업의 구조

 전방 산업의 경우 대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나노복합소재 분야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페이스트, 잉크 등의 형태로 제품화

▪ 일부 경우에 대기업을 중심으로 수직 계열화를 이루는 경우가 많음

 나노소재 및 응용기술의 개발 및 상용화는 생활소재, 섬유, 가정용품, 가전, 의료, 농업용장비


등 다양한 유관기술과 연동이 필요

▪ 다양한 사업자 간의 생태계 조성이 이루어져야 시장발전이 이루어질 전망

 기능성 나노소재 개발 시 수요부분의 니즈와 사용공정을 정확히 파악한 후 개발된 나노소재를


실제 공정에 투입 가능
▪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디스플레이용 기능성 나노소재의 경우 제일모직, 삼성전기 등이 제
조한 나노복합소재를 제공하면서 제품개발

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연구 개발 능력에 한계가 있어 기술의 집약도가 높은 분야일수록 대기업


중심의 제품개발

▪ 최근 들어 중소기업의 기술력이 높아지면서 대기업 중심에서 중소기업 중심으로 제품개발의 경향이


변화하고 있으며, 나노 원료소재로 갈수록 심화

 기능성 나노소재 분야에 참여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은 모험성이 많은 벤처기업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벤처기업들의 기술개발이 산업화가 구체화됨에 따라 대기업의 참여 기대

▪ 초경량 고강도 탄소 복합소재 분야와 인쇄 전자용 금속 나노소재 분야가 향후 발전 가능성이 크며,


전자제품에 적용되는 산화물 나노입자의 수요도 꾸준히 증가

[ 기능성 나노소재분야 산업연관구조 ]

기능성 나노소재
후방산업 전방산업
나노 원료소재 나노 기공 소재

화학전구체 CNT/CNF/카본볼, 금속 나노입자, 나노잉크, 나노 페이스트, 고분자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자


공정 장비 반도체 입자, 산화물 나노입자, 고분 복합체, 금속 복합체, 나노구조 소자/센서, 태양전지, 환경
측정/평가 장비 자 나노입자, 나노선(섬유), 나노다 필름, 나노구조 멤브레인, 나노필 정화 시스템, 화장품, 약품
(기초물질) 공체 터 /진단제

44
44
기능성 나노 소재

나. 시장환경 분석

 2019년 기준 세계 나노복합소재 시장은 22.0%의 성장률로 약 14억 달러를 기록한 도


유럽지역이 가장 큰 규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 국내 시장규모는 연평균 22.8%의 성장률로 2019년 기준 약 4.2억 달러, 세계시장 대비 약


10%의 비중으로 파악됨

[ 나노복합소재의 지역별 시장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CAGR
기업명 2013 2014 2019
(2014~2019)

Asia-Pacific 443.6 502.1 1,356.0 22.0

S. Korea 123.1 144.4 422.8 22.8

Europe 409.5 486.7 1,405.8 23.6

U.S. 265.7 325.2 1,163.0 29.0

Rest of World 112.5 129.6 303.0 18.5

Total 1,231.3 1,443.6 4,227.8 24.0

 자동차 부품, 포장재 및 전자제품 분야는 나노복합소재의 주요 응용 분야이며, 2013년에 전


세계적으로 각각 51.4%, 22.5%, 13.8%를 차지하면서 전체의 약 90%를 차지함

 2019년까지 자동차 부품과 전자제품은 2019년에 각각 40.6%, 8%로 점유율이 낮아질 것


으로 나타남

▪ 반면, 포장재 분야는 약간 증가하고, 기타에 포함된 섬유 부문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2019년에는
나노복합소재의 4번째로 큰 응용 분야가 될 것으로 예상됨

45
45
전략품목 현황분석

[ 나노복합소재의 응용분야별 시장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2013 2019
구분
백만 달러 % 백만 달러 %

자동차 부품 633.0 51.4 1,714.4 40.6

포자재 277.2 22.5 990.9 23.4

전자제품 170.1 13.8 339.8 8.0

코팅 76.6 6.2 106.3 2.5

난연제 21.2 1.7 65.5 1.5

기타(섬유 등) 53.2 4.3 1,010.9 24.0

총계 1,231.3 100.0 4,227.8 100.0

46
46
기능성 나노 소재

3.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1) 기술개발트렌드

◎ 나노 탄소소재

 나노 탄소소재의 응용을 위해서 고품질의 중간재(페이스트, 복합소재 등) 제조가 가능하여야


하나 분산, 배향 등의 세부 기술이 미흡한 실정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꾸준히 수행

 그래핀의 탁월한 광 투과도, 전기 전도도, 유연성을 이용하여 유연 투명전극으로 응용할 경우


새로운 시장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개대되고 전기적, 기계적 특성을 활용한 유연 디스플레이,
초고속 트랜지스터, 차세대 전지, 초경량 소재, 방열 소재 등의 개발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

 다만, 균일한 품질의 재료 수급이 어려운 점이 응용제품 사업화 개발에 장애로 작용하고
있어, 저가격의 고품질 그래핀 공급체계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

◎ 금속 및 세라믹 나노소재

 양자점 태양전지의 경우 기존의 유기태양전지에서 주로 사용되던 벌크 이종접합 구조뿐만


아니라, 공핍 이종접합 양자접합형 구조 등의 다양한 구조가 시도되는 중

 양자점 관련 연구개발 프로그램은 주로 대향 프로그램의 일부분으로 진행되고 있음. 양자점


연구의 대부분은 대학, 연구소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음. 기업체의 경우에도 이들
연구기관에서 스핀오프된 벤처기업들의 수가 많은 추세

 나노와이어를 결합하고 이 결합과정에서 발생되는 물질간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현상을


규명하는 것이 시급하게 해결해야하는 과제이며, 고밀도로 배열하는 방법과 기판 상에
나노와이어 층들을 쌍하서 정확한 구조물을 만드는 방법 개발이 필요

 특히, 나노와이어의 크기, 형상, 성장방향, 위치와 나노와이어 내의 불순물의 분포를 정확하게
조절하는 기술의 확보가 시급

 가장 간단한 물질조성을 지닌 투명반도체 소재는 In, Ga, Zn와 같은 금속물질의 단순


산화물이며 현재 투명전극으로 활용되는 투명전도성 산화물 소재는 모두 n형 전도특성을
지닌 소재

47
47
전략품목 현황분석

 비정질 다원계 산화물 반도체 소재는 스퍼터링과 같은 진공증착방식을 이용하여 비교적


저온에서 대면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그 특성 또한 우수하여 디스플레이 제품에 적용되는
추세

◎ 유․무기계 나노소재

 실리카 나노소재는 반도체(웨이브 연마제), 페인트(특수도료, 염료, 잉크의 첨가제), 고품위


타이어 및 종이 충진제, 약물저쟝 및 전달체, 에너지변환 촉매 담체, 실리콘(실리콘 러버,
실란트 첨가제), 화장품(고가 제품의 보습제) 광섬유 및 태양전지의 첨가제, 광학 렌즈
코팅제, 김서림 방지용 코팅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 타이타니아(TiO2) 나노분말 소재는 에너지, 환경, 생체재료, 인쇄산업 등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원천기반 소재로 자외선 차단, 자기정화용 코팅소재,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전극, 인쇄토너용
외첨제, 치과 임플란트용 코팅 및 벌크 소재 등으로의 수요가 급증

 타이타니아 나노분말 소재는 산업폐수 및 수질 정화와 관련하여 고효율 분리정제용


멤브레인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Al2O3 나노소재의 적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생체소재, 진단 및 약물전달 등과 같은 바이오 산업분야에서 새로운 잠재시장이
형성되고 있음(SiO2, TiO2, ZnO 등)

◎ 복합 나노소재

 하이브리드 나노소재의 경우 연구개발을 통한 원천기술 및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며, 국가별


시책에 따라 기회 요소가 높은 산업으로 국제 표준화의 우위 점유가 가능

 제품을 안정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소재가 사용되는 각종 나노물질의 물성 안정화


과정 및 기술개발이 필요

 생산 Batch 별 물리화학적 특성의 균일성 확보, 전처리 방법 및 기지재와의 분산성 확보


등의 하이브리드소재 제조기술을 안정화하여 균일한 특성이 발현되는 소재 개발이 필요

 전처리 방법 및 기지재와 분산성 확보 등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소재 제조기술을


안정화하여 균일한 특성을 발현하는 소재개발이 필요

48
48
기능성 나노 소재

(2) 기술환경분석

 나노 탄소소재
▪ 나노 탄소소재는 그 특성이 매우 탁월하여 여러 산업에서 새로운 시장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사업화에 장애물로 작용하는 품질관리, 저가 고품질 대량생산 및 응용분야별 세부기술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진행중

▪ 나노 탄소소재는 아직 대량 생산에 어려움이 있어 생산단가가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지속적으로 다양한 대량생산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어 점차적으로 생산단가가 낮아지고 있는 추세

▪ CVD 공정을 활용한 CNT 대량생산은 MWCNT 분야에 국한되며, SWCNT 분야는 아직 대량생산에
어려움이 있음

▪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은 2000년대 초 나노기술 종합전략을 마련하고 나노기술 사업화를 위한


연구개발 활동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으며 투자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

 금속 및 세라믹 나노소재

▪ 현재까지 상용화된 나노소재는 100~400 nm 정도의 일차입자 크기를 갖는 소재임. 현재


중점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금속복합계 음극소재, 리튬계 양극소재 등은 그보다 작은 입자크기를
구현하는 기술이 필수적

▪ 양자점을 디스플레이 소자나 태양전지 등에 응용하는 경우 물성 및 화학적 특성 측면에서 기존에


많이 사용하던 유기물질 등과 많은 차이점이 있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소자 구조가 필요

▪ 나노와이어를 합성하는 기술은 상당히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반면, 나노와이어의 특성을 정화하게
조절하고 이들 와이어를 결합해서 삼차원 구조를 만드는 기술의 진전은 느린 편

▪ 또한, 반도체-반도체, 반도체-금속 간의 접촉면을 재현성 있게 구현하고, 이 경계면에서의 물리,


화학적 현상들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재현성 개선이 필요

▪ 모든 실험에 앞서 무리, 화학적 현상들을 이론적으로 모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

▪ 투명반도체 소재에 대한 연구는 초기에는 산화아연(ZnO) 소재에 집중되었으나, 2000년대 중반을


접어들면서 GIZO(비정질 Ga-In-Zn-O)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다양한 소재와 공정기술
분야로 연구영역이 확장되는 추세

 유․무기계 나노소재

▪ 유․무기 나노소재의 대량 합성 기술 개발과 기술간 융합을 접목할 경우, 기존 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에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음

▪ 유․무기 나노소재 기술은 선진국 기술 수준으로 전략적이고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원천기술화하고


시장을 독점할 수 있으며, 소재부품의 대일 의존성을 탈피하는 초석이 될 수 있음

▪ 저가 대량생산이 가능한 새로운 제조공정 기술 개발 및 환경 친화적인 제조공정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며 광촉매 특성향상, 자외선 흡수특성 등의 광특성 개선, 표면개질, 코어-쉘 구조와 같은
구조제어 등 산화물 나노소재의 물성 제어기술 및 응용기술 개발이 필요

49
49
전략품목 현황분석

 복합 나노소재

▪ 복합 나노소재의 저가 대량생산이 가능한 새로운 제조공성 기술개발 및 환경 친화적인 제조공정


기술개발이 필수적

▪ 복합 나노소재는 단편적인 소재 기술만으로 구현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관계사 또는 외부


기업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추구하는 추세

▪ 복합 나노소재는 전자, 광학, 에너지, 우주항공, 의학 등의 전 산업 분야로의 응용이 가능하고, 구조


재료 분야의 나노복합체는 기존의 복합체에 비해 강도와 인성이 증가뿐만 고온에서도 높은 강도
유지가 가능

▪ 복합 나노소재를 합성하는 콜로이드 화학에 대한 이해 및 합성된 나노소재의 다양한 분야, 특히


촉매, 생명공학, 에너지 공학 측면으로의 이해를 바탕으로 에너지, 환경, 바이오 등의 수요 분야에
적용방안 및 대책이 필요

▪ 신 물질 개발을 통해 복합 나노소재의 연구분야로 시장개척이 용이하며 원천기술 조기 확보를 위해


중소규모 소재기업과 대기업간 협력체계 구축 및 정책지원 요구 증가

50
50
기능성 나노 소재

나. 주요기업 동향

(1) 해외기업 동향

 Hyperion Catalysis(미국)는 탄소 나노 튜브 물질에 대한 원천특허를 가지고 있었으나


2004년 특허가 만료된 상태로 탄소나노튜브를 생산하는 다른 업체들과 경쟁

▪ 전도성 고분자 분야에서 FIBRIL 나노튜브를 기반으로 한 masterbatch 및 compound를 생산 및 판


매하고 있으며 FIBRIL 나노튜브의 응용분야인 자동차 분야, 전기전자분야, 플라스틱 개발에 주력

 이외에도 XG science(미국), Angstrone materials(미국), NANOCS(미국) 등의 소재기업들이


그래핀 탄소 나노소재 관련된 기술을 개발 중
▪ XG science(미국)는 방열소재, 인쇄전자용 잉크, 에너지 저장 소재용 원소재, 방열필름을 생산 및
이차전지용 음극재 개발을 진행 중이며 그래핀 나노플레이트 양산 공정 및 제조기술을 확보

▪ Angstrone materials(미국)는 전자파 차폐제, 에너지 저장 소재용 원소재 생산 및 이차전지용 음극


재, 점착소재, 베리어 소재, 커페시터용 전극소재 개발을 진행 중이며 세계최대 고품질 그래핀 나노
플레이트 제조업체로 성장 중

▪ NANOCS(미국)는 탄소 함량 80% 이상을 갖는 싱글레이어 그래핀 제조 기술을 확보

[ 그래핀 소재․부품의 해외기업 기술개발 현황 ]

기업명 주요기술 개발현황

Graphene industries 실리콘 기판상의 그래핀


연구용 그래핀 샘플 공급
(영국) 단일 플레이크

Vorbeck 화학적 박리에 의한 그래핀 플레이크 상용생산 및 고분자


그래핀 플레이크/복합재료
(미국) 복합재료 제조

Angstron Materials
그래핀 플레이크 화학적 박리에 의한 그래핀 플레이크 상용생산
(미국)

XG Science 화학적 박리에 의한 그래핀 플레이크 상용생산 및 고분자


그래핀 플레이크/복합재료
(미국) 복합재료 제조

Graphene Energy 화학적 박리에 의한 그래핀 플레이크 상용생산 및 슈퍼커패


그래핀 슈퍼커패시터
(미국) 시터 개발

Firstnano
그래핀 합성 고품질 그래핀 CVD 합성 및 장비제작
(미국)

IBM
그래핀 트랜지스터 초고속 RF 소자, 광전자소자 개발
(미국)

후지쯔
그래핀 합성 및 트랜지스터 고품질 그래핀 CVD 저온합성 및 트랜지스터 개발
(일본)

히타치
그래핀 합성 및 트랜지스터 고품질 그래핀 CVD 합성 및 트랜지스터 개발
(일본)

51
51
전략품목 현황분석

 A123Systems(미국)은 리튬이차전지 제조업체로서 세계 최초로 올리빈 양극소재를 적용한


리튬이차전지를 출시하였으며, 전동공구용 등으로 사용되고 있음. 또한, LFP 올리빈 소재가
적용된 전력저장용 MW급 시스템을 개발

 Altaimano(미국)은 LTO(Li4Ti5O12) 나노소재를 상용화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고출력,


장수명, 리튬이차전지를 개발

 Evident Tech(미국)은 양자점 전문 생산 판매 기업으로 LED 및 바이오 관련 특허를 65건


이상 보유하고 있음

 QD-Vision(미국)은 MIT에서 스핀오프된 벤처기업으로 양자점 LED 기술을 개발함. 현재


양자점 LED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을 진행 중에 있음 LED 회사인 Nexxus Lighting과 함께
양자점 형광체 LED 램프를 개발하여 시판 중

 IBM(미국)은 Si 나노와이어의 선택적 수직 배양 기술을 확립하였으며, 특정 면적 내에 3차원


트랜지스터 개념 확립 및 기술을 확립

 HP(미국)은 ErSi2 나노와이어의 나노전도체 합성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Si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실리콘 발광과 단전자 효과 및 대면적 기판 위에 수직 성장 기술을 개발

 나노클레이는 일본 도요타(Toyota) 자동차의 중앙연구소에서 경량화를 목적으로 개발하여


최초 상용화. 도요타는 유베(Ube Industries)와 공동으로 폴리머 소재에 나노클레이 입자들을
결합하여 기계적 강도와 내열성 등이 우수한 복합소재를 개발
▪ 바이엘(Bayer)의 경우 합성 수지와 나노클레이 입자를 복합화시켜 합성수지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킴

 전자잉크(E-ink) 소재는 현재 대만의 소형 TFT-LCD 업체인 프라임 뷰 인터내셔널 (PVI)에서


독점 공급
▪ PVI는 지난 2009년 2억 1500만 달러에 미국 E-ink를 인수했으며, 피인수 기업의 소재기술은 미국
MIT 대학의 미디어랩(Media Lab) 연구진이 개발한 것으로 1997년 제이콥슨(Joe Jacobson) 등의
일부 연구진이 E-ink를 창업 상용화

 전자부품에 전극 패턴 형성 시, 프린터로 인쇄하듯 원하는 패턴을 그리는 방식으로 나노금속


또는 세라믹 입자들과 화학소재를 결합한 패터닝용 복합소재가 사용
▪ 미국의 듀폰, 캐봇(Cabot), 일본 세이코엡슨, 알박(Ulvac)을 비롯해 국내 기업들도 이러한 잉크 소
재의 제품 적용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상황

▪ 레이 시스템은 광이온화 탐지기와 무선 방사선 탐지 기술을 개발하고 있고, 독성의 산업가스와 휘발


성 유기화합물(VOCs)을 감지하는 무선 휴대용 모니터 및 다중 위협 감지 시스템인 에이리어레이 플
러스(AreaRAE Plus)를 개발함

▪ 다우(Dow), 도레이(Toray) 등 업체들은 멤브레인 성능 향상 연구개발에 적극적인 상황

52
52
기능성 나노 소재

(2) 국내기업 동향

 국내에서는 나노탄소소재를 활용한 고분자 복합소재와 투명전극필름소재에 적용이 가장 활발


▪ 효성은 정전기방지 및 방열제품, 제일모직은 외부에서 탄소나노튜브를 구매하여 가공한 후 자동차,
전자부품 등에 소재로 적용

 CVD 그래핀의 경우 일진머티리얼스, 이엔에이치 등에서도 CVD 그래핀 합성을 위한


동박제조 및 응용제품이 터치패널 개발에 투자

[ 그래핀 소재․부품의 국내기업 기술개발 현황 ]

분야 세부기술 개발기업

투명전극양산 삼성테크윈

디스플레이 삼성전자, SMD, LG전자, 삼성LED 등


투명전극
태양전지전극 삼천리, 삼성테크윈

터치패널 삼성테크윈, SMD 등

RFIC 삼성종기원 등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삼성종기원 등

태양전지전극 SK에너지, 동진쎄미켐 등


에너지용
이차전지전극 LG화학, 삼성SDI, 포스코, GS칼텍스 등
전극재료
슈퍼커패시터 삼성전기 등

차량용 구조제 현대기아차 등


초경량/고강도
복합소재
복합재 양산 포스코, KCC, 효성 등

LED 방열 삼성전자, LG전자, 율촌화학 등


방열재료
자동차 ECU 현대자동차

봉지제 SMD, 미래나노텍 등


베리어/코팅 재료
포장재 율촌화학 등

전도성잉크 동진쎄미켐, 잉크테크, 삼성전기, 대주전자재료 등


나노잉크용 소재
전자파 차폐 동진쎄미켐, 대주전자재료 등

 최근 제일모직, LG전자, LG화학, 롯데케미컬, SK케미컬 등에서 이차전지 분리막 연구개발에


뛰어듦, PVDF 다공성 분리막을 제조하는 연구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는 추세

53
53
전략품목 현황분석

 엘앤에프신소재는 WPM(World Primier Materials)  사업으로 자동차용 양극소재 개발을


수행 중. 단기적으로는 니켈 과량계 양극소재를 나노소재로 코팅하여 고운 수명특성,
Swelling 특성 등을 개선하여 상품화. 장기적으로는 Li-rich 나노 양극소재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 중

 삼성SDI는 여러 참여기업과 함께 WPM 사업인 자동차용 음극소재인 금속복합계 소재를


개발. 특히 Si계 음극소재의 평균 입자크기를 100-200 nm 크기로 제어함으로써 700Ah/g
이상의 용량 달성과 수명특성도 개선 연구가 중점적으로 진행 중

 MK전자는 상기의 자동차용 음극과제에 참여하여, 기 보유하고 있는 Nano Si 제조기술을


기반으로 Si계 나노음극소재의 제조공정기술을 개발하는 중

 양자점 LED, 디스플레이 등 발광소재 분야에서는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가 천연색


화면표기가 가능한 시제품을 발표한 바 있으며, 삼성전자는 양자점 TV를 상용화하여 사업화

 나노와이어 소재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테카급 나노소자 개발 사업을 시작으로 5-10년 내에


직면할 반도체 소자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나노소재 기술이 연구되고 있음
▪ 나노와이어 합성과 특성 평가는 대학과 연구소 중심으로 진행 중

 첨단 소재업체인 도레이코리아는 수처리 업체인 웅진케미컬을 인수하여 역삼투압 필터시장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며 탄소나노섬유로 만드는 자동차 ‘티웨이브’를 연구개발

 미국 소재기업인 XG Science는 한화 L&C와 탄소나노소재 개발과 기술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MOU를 체결하고 그래핀 관련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연구개발에 협력

 현대건설은 세계 최초로 카본 나노튜브 역삼투압방식을 활용한 해수 담수화 기술 추진

 한국화이바는 유리섬유로부터 상하수도 배관, 방탄헬멧 등 방산분야에서 다양한 제품 생산 중

 탄소섬유강화 하이브리드소재 분야에서는 부품가공 및 조립에서 일부 중소업체가 항공기용


부품을 공급 중이며, 한화나노텍이 CNT를 생산 중

 소재기업 상보는 CNT를 터치센서의 전극으로 제작하여 스마트폰에 적용하고


CNT/은나노와이어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을 개발하여 ITO 필름을 대체할 부품으로
디스플레이용 광학 필름에 사용

 IT 관련 소재기업인 코스모신소재는 디스플레이용 고기능성 은나노와이어 필름 및


탄소나노튜브 하이브리드 필름을 이용한 투명전극 필름을 개발 완료하여 사업화

54
54
기능성 나노 소재

[ 국내외 중요 기업 동향 ]

회사명 국가 설립연도 관련 동향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의 물질 특성 보유
미국 1982 •탄소 나노튜브를 충전재로 사용한 masterbatch나 고분자화합물을 생산
•Field emission display, 자동차, 구조재료 분야에 적용 GM 등에 공급

•그래핀 나노혈소판의 설계 및 제조의 개척자


•2011년 포스코와 한화케미칼이 그래핀 생산을 위해 지분 인수
미국 2006
•방열소재, 인쇄전자용 잉크, 에너지 저장 소재용 원소재, 방열필름 생산 및 2
차 전지용 음극재 개발 중

•리튬이온 배터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나노 스케일 재료를 개발 공구제조업


체인 DeWalt사에 공급
미국 2001
•세계 최초로 올리빈 양극소재를 적용한 리튬이차전지를 출시
•LFP 올리빈 소재가 적용된 전력저장용 MW급 시스템을 개발

•양자점 LED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을 진행 중


미국, •LED 회사인 Nexxus Lighting과 함께 양자점 형광체 LED 램프를 개발하여
2004
한국 시판 중
•삼성전자에 퀀텀닷(QD) 지식재산권(IP)을 매각

•Si 나노와이어의 선택적 수직 배양 기술을 확립


•정 면적 내에 3차원 트랜지스터 개념 확립 및 기술을 확립
미국 1967
•100배 이상의 저장능력을 보이며 10만배 이상 빠른 전송속도를 보이는 나노
와이어 기술 기반의 혁신적 메모리 개발

•ErSi2 나노와이어의 나노전도체 합성 기술을 개발


미국 1939 •Si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실리콘 발광과 단전자 효과 및 대면적 기판 위에 수직
성장 기술을 개발

•CVD 그래핀 생산
한국 1978 •그래핀 플레이크 생산
•그래핀 기술을 이용한 터치패널 개발 중

•니켈복합계 (NCM) 양극소재를 나노소재로 코팅하여 고운 수명특성,


Swelling 특성 등을 개선하여 상품화
한국 2011
•자동차용 양극소재 개발을 수행 중
•Li-rich 나노 양극소재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 중

• 자동차용 음극소재인 금속복합계 소재를 개발


한국 1970 •Si계 음극소재의 평균 입자크기를 100-200 nm 크기로 제어
•700Ah/g 이상의 용량 달성과 수명특성도 개선 연구가 중점적으로 진행 중

55
55
전략품목 현황분석

다. 특허 동향

◎ 기능성 나노 소재 기술 분야 특허상 주요 기술

 기능성 나노 소재 기술분야는 발수, 방오 기능성 코팅 소재, 이차전지 분리막 소재, 미세먼지


저감용 기능성 나노필터 소재,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전도성 나노잉크 소재, 스마트
자기치유 코팅 소재, 전자파 차폐 코팅제 및 그래핀 기반 응용 OLED 소재 등의 하위 기술이
포함됨

요소기술 코드 설명

발수, 방오 기능성 코팅 기능성 세라믹 나노입자를 이용한 발수, 방오 및 항균 기능성을


A
소재 기술 갖는 코팅제 및 필름 소재

열수축을 극복하기 위해 분리막 표면에 세라믹 나노입자와 바인


이차전지 분리막 소재 B
더로 구성된 코팅소재

미세먼지 저감용 기능성


C 금속나노입자, 나노와이어가 도입된 신개념 에어필터 소재 개발
나노필터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전도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잉크형태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D
전도성 나노잉크 FPCB 등의 전극이나 회로제조시 패턴 프린팅 방식의 기술개발

스마트 자기치유 코팅
E 손상에 대한 자생적 회복능력을 가지는 소재
소재

고분자 수지안에 특수 메탈 피그먼트 배합 분산 기술 및 고른


전자파 차폐 코팅제 F
전기 전도성 네트워크 형성 기술

대면적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그래핀 투


그래핀 기반 응용 OLED G
명 전극

56
56
기능성 나노 소재

◎ 세부 분야별 특허동향

 주요 기술별 출원인 국가별 특허동향

▪ 기능성 나노 소재 기술의 요소기술별 주요 출원인별 특허정보 데이터를 입수하였으며, 최근 10년간


의 특허데이터를 비교 분석함

요소기술 한국 미국 일본 유럽 기타 계

발수, 방오 기능성 코팅 소재 기술 72 51 92 14 6 235

이차전지 분리막 소재 41 13 88 2 1 145

미세먼지 저감용 기능성 나노필터 81 37 23 6 10 157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전도성


213 505 185 167 260 1,330
나노잉크

스마트 자기치유 코팅 소재 34 28 9 9 15 95

전자파 차폐 코팅제 112 1 18 1 4 136

그래핀 기반 응용 OLED 218 32 7 12 7 276

합계 771 667 422 211 303 2,374

▪ 기능성 나노소재의 출원인 국가별 특허동향은, 전반적으로 한국 출원인이 가장 활발한 연구개발을


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미국, 일본, 유럽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요소기술별 특허 점유율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음

▪ 발수, 방오 기능성 코팅 소재 기술 분야에서는 일본과 한국 출원인의 특허비중이 높았으며, 유럽 출


원인이 상대적으로 적은 출원량을 보유하고 있음

▪ 이차전지 분리막 소재 역시 일본, 한국 출원인의 순으로 비중이 높았으며, 미국과 유럽 출원인의 출


원은 미미함

▪ 미세먼지 저감용 기능성 나노필터 기술 분야에서는 한국 출원인이 가장 많은 출원을 하고 있으며,


유럽 출원인이 상대적으로 적은 출원량을 보이고 있음

▪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전도성 나노잉크 기술은 미국 출원인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으며, 한국, 일
본, 유럽의 순으로 출원함

▪ 스마트 자기치유 코팅소재 기술 분야는 전반적으로 특허출원이 낮으며, 한국과 미국 출원인의 특허


출원이 우세함

▪ 전자파 차폐 코팅제 및 그래핀 기반 응용 OLED 기술 분야의 경우 한국 출원인의 특허출원이 높은


분야로서, 한국 이외국의 출원인은 특허출원이 낮음

57
57
전략품목 현황분석

▪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지난 10년간 대체적으로 특허 출원이 등락을 거듭하며 큰 증가


세나 하락세를 보이지 않고 꾸준히 출원되는 경향을 보임
* 2017~2018년은 미공개 출원이 존재하여 출원 수가 적게 보이는 구간으로, 시계열 동향을 파악할 때 이 점을
유의해야 함.

▪ 요소기술별 국가별 특허 집중도를 살펴보면, 한국 국적 출원인과와 외국 출원인의 점유율에 차이를


보임

▪ 한국 국적 출원인의 경우 그래핀 기반 응용 OLED 기술 (G) 분야의 특허출원 비율이 28.3%로 가


장 높으며,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전도성 나노잉크 기술 (D)과 전자파 차폐 코팅제 기술 (F)이 각
각 27.6% 및 14.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국외 출원인의 경우 역시 그래핀 기반 응용 OLED 기술 (G) 분야의 특허 점유율이 69.7%로 압도


적으로 높고 발수, 방오 기능성 코팅 소재 기술 (A)의 점유율이 10.2%를 보이나 이외의 기술분야
는 출원량이 10% 미만으로 미미함

58
58
기능성 나노 소재

◎ 주요 기술별 출원인 동향

기술
요소기술 주요출원인 국내특허동향
집중도
• 三菱電機株式会社 (미츠비시 전기)
• 기업중심
발수, 방오 기능성 코팅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 동우화인켐, ㈜엘지하우시스, 도레이
소재 기술 • 富⼠フイルム株式会社 (후지필름)
첨단소재, 다이니폰 인사츠
• 3M Innovative Properties

• 東レ株式会社(도레이) • 기업중심
이차전지 분리막 소재 ◔
• 三菱樹脂株式会社 (미츠비시 전기) • 미쯔비시, 닛토덴코, 엘지회학 등

• (주)에프티이앤이
미세먼지 저감용 기능성 • 기업중심
◔ • 이 아이 듀폰
나노필터 • ㈜에프티이앤이 등
• 한남대학교산학협력단

• Xerox Corporation • 기업 중심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 • DEXERIALS • 선파워, 엘지전자, 삼성전자,
전도성 나노잉크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삼성전기 등

• 대학, 공공연구기관 중심
스마트 자기치유 코팅 • 하버드칼리지
◯ • 하버드칼리지, 연세대학교,
소재 • 연세대학교
한국화학연구원 등

• 森 淳司(개인) • 기업 중심
전자파 차폐 코팅제 ◔ • (주)창성 • ㈜창성, 두성산업, 한국세라믹기술원,
• 두성산업 제일모직, 현대자동차 등

• 삼성디스플레이 • 기업, 공공연구기관, 대학 등


• 한국기계연구원 • 삼성디스플레이, 한국기계연구원,
그래핀 기반 응용 OLED ◓
• 엘지디스플레이 엘지디스플레이,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등

※ ●: 1000건 이상, ◕: 500~999건, ◓: 200~499건, ◔: 100~199건, ◯: 100건 미만

59
59
전략품목 현황분석

 발수, 방오 기능성 코팅 소재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발수, 방오 기능성 코팅 소재 기술 분야는 미츠비시 전기에서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동우화인켐 및 후지필름 주식회사도 다수의 특허를 보유함

 이차전지 분리막 소재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이차전지 분리막 소재 기술 분야는 한국의 일본의 도레이, 미츠비시 등의 기업의 특허출원이 활발함

 미세먼지 저감용 기능성 나노필터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미세먼지 저감용 기능성 나노필터 기술 분야는 ㈜에프티이앤이의 특허가 가장 많으며, 이 아이 듀


폰, 한남대학교산학협력단 등에서 출원을 하고 있음

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전도성 나노잉크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전도성 나노잉크 기술 분야는 Xerox에 이어 DEXERIALS,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등에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함

 스마트 자기치유 코팅 소재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스마트 자기치유 코팅 소재 기술 분야는 하버드칼리지, 연세대학교 등 대학에서 특허를 출원하고 있


 전자파 차폐 코팅제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전자파 차폐 코팅제 기술 분야는 특이하게 개인 (森 淳司)의 특허출원 활동이 가장 높았으며, ㈜창


성, 두성산업 등의 기업에서 특허를 출원하고 있음

 그래핀 기반 응용 OLED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그래핀 기반 응용 OLED 기술 분야는 한국 출원인이 강세를 보이며,삼성디스플레이, 한국기계연구


원, 엘지디스플레이,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등의 출원활동이 활발함

60
60
기능성 나노 소재

◎ 국가별 특허활동지수(AI) 비교

 특허활동지수(Activity Index)는 상대적 집중도를 살펴보기 위한 지표로서, 그 값이 1보다 큰


경우 상대적 특허활동이 활발함을 나타냄

▪ 한국은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전도성 나노잉크 기술 (D) 분야에서는 특허활동이 다소 부진하나, 전


자파 차폐 코팅제 (F) 및 그래핀 기반 응용 OLED 기술 (G) 분야의 특허출원은 매우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미국은 전자파 차폐 코팅제 (F) 기술 분야에서는 특허활동이 매우 부진하나,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전도성 나노잉크 기술 (D)분야의 특허출원은 다소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일본은 그래핀 기반 응용 OLED 기술 (G) 분야에서는 특허활동이 다소 부진하나, 이차전지 분리막


소재 (B) 및 발수, 방오 기능성 코팅 소재 기술 (A) 분야의 특허출원은 매우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유럽은 전자파 차폐 코팅제 (F) 기술 분야에서는 특허활동이 매우 부진하나,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전도성 나노잉크 기술 (D) 분야 특허출원은 다소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61
61
전략품목 현황분석

◎ 질적 수준을 고려한 각국의 시장력 분석

 특허의 시장력과 질적 수준은 PSF (Σ패밀리수/Σ특허수) 및 CPP (Σ피인용수/Σ특허수) 지수로


판단할 수 있음

▪ 기능성 나노소재 분야 특허의 평균 시장력과 질적 수준은 각각 1.31, 2.21로 나타나, 해당분야 특


의 경우 시장성과 질적 수준이 비교적 높지 않음

▪ 유럽은 시장력이 전체특허의 평균을 상회하고 있으나, 질적 측면에서 타 국가에 비해 낮은 편이며,


전체 특허의 평균에 미치지 못해 기술력이 낮은 특허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남

▪ 유럽국가 중 특허비중이 높은 독일(DE)의 경우 유럽 전체특허 양상과 비슷하게 시장력은 높으나 질


적 측면에서 낮은 특허를 보유함

▪ 미국의 경우 시장성은 평균에 비해 다소 떨어지지만 특허의 질적 수준은 3.43으로 높은 것으로 나


타나 기술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우수한 특허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남

▪ 한국과 일본의 경우 시장력과 질적 수준이 해당 기술분야의 평균보다 다소 낮은 특허를 출원하고 있


으며, 중국은 인용도가 매우 낮아 기술력이 상당히 낮은 특허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남

PFS CPP
국가 특허 수
(Σ패밀리수/Σ특허수) (Σ피인용수/Σ특허수)

EU 211 1.59 0.71

JP 422 1.16 0.96

KR 771 1.12 1.03

US 667 1.44 3.43

CN 89 1.05 0.04

DE 83 1.86 0.60
전체평균 52 1.31 2.21

62
62
기능성 나노 소재

◎ 기능성 나노 소재 기술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 및 공백기술

 기능성 나노 소재 기술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은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전도성 나노잉크 기술


분야이며, 해당분야의 특허기술 경쟁이 가장 치열한 것으로 나타남

▪ 기능성 나노 소재 기술 분야의 공백기술은 특허출원이 가장 적은 스마트 자기치유 코팅 소재 분야이


며, 이외에 이차전지 분리막 소재, 미세먼지 저감용 기능성 나노필터 및 전자파 차폐 코팅제 역시
특허출원이 활발하지 않은 공백기술 분야로 나타남

요소기술 기술 집중도

발수, 방오 기능성 코팅 소재 기술 ◓

이차전지 분리막 소재 ◔

미세먼지 저감용 기능성 나노필터 ◔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전도성 나노잉크 ●

스마트 자기치유 코팅 소재 ◯

전자파 차폐 코팅제 ◔

그래핀 기반 응용 OLED ◓

※ ●: 1000건 이상, ◕: 500~999건, ◓: 200~499건, ◔: 100~199건, ◯: 100건 미만

◎ 최신 국내 특허기술 동향

요소기술 최근 핵심기술 동향

발수, 방오 기능성 코팅
• 방오, 발수성 향상을 위한 나노 입자의 치환, 중공형성 및 적층 기술
소재 기술
• 막소재의 내열성 및 열수축성 개선을 위한 나노 무기소재 (필러 및 바인더)의 화학적,
이차전지 분리막 소재
구조적 특성화 기술
미세먼지 저감용 기능성
• 나노 섬유/나노 튜브 및 나노실버 등의 금속을 활용한 공기필터 기술
나노필터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 도전성, 자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잉크 형성 및 패턴 프린팅 기술
전도성 나노잉크

스마트 자기치유 코팅
• 자기 회복능을 가진 나노소재 코팅 기술
소재

전자파 차폐 코팅제 • 고분자 내에 금속입자를 분산시켜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재료를 형성하는 기술

그래핀 기반 응용 OLED • 그래핀 투명전극이 적용된 OLED 기술

63
63
전략품목 현황분석

 국내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기능성 나노 소재 기술분야는 대부분 (대)기업을 중심으로 개발


중인 것으로 나타남

▪ 발수, 방오 기능성 코팅 소재 기술 분야에서는 기능성 향상을 위한 나노입자 (실리카 등)의 관능기


변형, 구조 형성 기술과 함께 적층(코팅) 공정 기술을 연구개발 중인 것으로 나타남

▪ 이차전지 분리막 소재 기술분야에서는 내열성 및 열수축성이 우수한 분리막을 위한 무기계 필러 바


인더 등의 화학적, 구조적, 적층공정 개선 기술을 개발 중임

▪ 미세먼지 저감용 기능성 나노필터 기술 분야에서는 나노섬유 웹, 나노튜브 및 나노금속 입자를 함유


한 에어필터 기술이 개발되고 있음

▪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전도성 나노잉크 기술분야에서는 다양한 도전성, 자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잉크 형성 및 패턴 프린팅 기술을 개발 중임

▪ 스마트 자기치유 코팅 소재 기술 분야에서는 자기 회복능을 가지는 다양한 나노소재를 접목하여 물


리적 손상에 대한 자기치유 특성을 구비하는 기술을 개발 중임

▪ 전자파 차폐 코팅제 기술 분야에서는 고분자 재료에 금속입자를 포함시켜 전자파를 차단하는 기술을
개발 중임

▪ 그래핀 기반 응용 OLED 기술 분야에서는 그래핀을 포함하는 투명 전극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는 기술을 개발 중임

◎ 중소기업 특허전략 수립 방향 및 시사점

 기능성 나노 소재 기술 분야의 공백기술 분야는 스마트 자기치유 코팅 소재 분야로서, 특허


출원 점유율도 낮고 다출원인이 나타나지 않으며, 기업의 특허출원도 활발하지 않아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및 기술거래를 통한 시장진입이 비교적 용이한 분야인 것으로 판단됨
▪ 미세먼지 저감용 기능성 나노필터 및 전자파 차폐 코팅제 기술분야 역시 일부 기업을 중심으로 특허
를 보유하고 있어 소재 및 공정의 개량 등의 기술개발을 통해 기존기술의 회피전략 수립이 상대적으
로 용이할 것으로 판단됨

▪ 전자파 차폐 코팅제 및 그래핀 기반 응용 OLED 기술의 경우 전체 특허점유율은 낮으나 해외에 비


해 국내 특허의 경쟁력이 높고 상대적으로 국내 기술 경쟁이 치열한 분야로서, 해당분야의 경우 국
내 진입장벽에 비해 해외 장벽이 낮을 것으로 보임

▪ 발수, 방오 기능성 코팅 소재 기술 및 이차전지 분리막 소재 기술의 경우 해외(일본)의 기술 경쟁력


이 높은 분야로, 국내에서도 (대)기업의 기술선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중소기업의 진입장벽이 높
을 것으로 사료됨

▪ 향후 중소기업은 경쟁이 치열한 대기업들의 경쟁이 치열한 발수, 방오 기능성 코팅 소재 기술 및 이


차전지 분리막 소재 기술 보다는 시장진입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스마트 자기치유 코팅 소재, 미세먼
지 저감용 기능성 나노필터 및 전자파 차폐 코팅제 기술 분야에 집중하여 연구개발하고, 특히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이 활발한 스마트 자기치유 코팅 기술 분야에서는 기술 매입이나 라이센
싱 등을 통해 부족한 연구개발능력을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됨

64
64
기능성 나노 소재

4. 연구개발 네트워크

가. 연구개발 기관/자원

◎ 연구개발 기관

 연구분야 및 지역별 서비스 거점으로 6대 인프라를 활용하여 2017년 총 60,705건(산


28,814건, 학 19,149건, 연 12,742건)의 서비스 제공

 국내 나노기술 기반시설 현황

▪ 지역거점 6대 나노인프라: 연구분야 및 지역별 서비스 거점으로 6대 나노인프라를 구축․운영 중

▪ 나노종합기술원(KAIST), 한국나노기술원(KANC), 나노융합기술원(POSTECH), 전북나노기술집적센터


(KETI), 광주나노기술집적센터(KITECH), 나노융합실용화센터(대구TP) 등 6개 기관

 나노인프라 활용현황

▪ 2017년 60,705건(전년 대비 7.5%↑)의 산․학․연 서비스 제공 → 산업체 28,814건(6.8%↑), 대학


19,149건(6.5%↓), 연구계 12,742건(41.5%↑)

▪ 20173,942명 인력양성, 전년대비 1,424명(약 57%) 증가

[ 2017년 나노인프라 기관별 활용 현황 ]


‘17 예산
부처 기관명 기술 분야 이용수입 이용건수 이용지수 인력양성
(백만원)

나노종합 실리콘계 CMOS


41,242 15,266 26,896 2,503 265
과학기술 기술원(대전) 일괄공정
정보
통신부 한국나노 비 실리콘계(화합물)
28,209 7,254 12,880 1,524 1,301
기술원(수원) CMOS 일괄공정

나노융합 전력반도체
11,538 4,366 10,302 713 2,183
기술원(포항) / OLED 소재

전북나노기술 인쇄전자
3,259 1,340 4,521 177 79
산업통상 집적센터 / 디스플레이(2세대)
자원부 광주나노기술 광, 에너지
6,400 485 4,168 249 59
집적센터 / 디스플레이

나노융합실용화센 나노융복합소재 및
3,640 469 1,938 373 55
터(대구) 부품기술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 555 - - - -


나노·인프라 이용자 서비스, 인력양성 등 지원

65
65
전략품목 현황분석

◎ 연구개발 자원

 10개 부처‧청 및 출연(연)에서 ’17년 나노분야 투자액은 총 6,483억원으로 정부 R&D 총


투자액(19조 4615억원)의 3.3% 차지

 ’17년 나노기술 분야에 대한 정부투자는 총 6,483억원임

▪ ’17년 정부 R&D 총 투자액 19조 4,615억원 중 나노분야는 3.3% 비중을 차지

▪ 부처별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692억원(41.5%), 중소벤처기업부 1,217억원(18.8%), 교육부


733억원(11.3%), 산업통상자원부 515억원(0.8%), 환경부 89억원(1.4%) 순으로 투자

▪ 부문별로는 연구개발(R&D)이 5,635억원(87%)으로 가장 높고, 인력양성 513억원(8%), 인프라


335억원(5%) 순임

[2017년도 부처별 나노기술 투자실적]


(단위 : 백만원)

구분 R&D 인프라 인력양성 합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53,962 8,583 6,742 269,287


⦁ 교육부 29,733 - 43,577 73,310
⦁ 농림축산식품부 3,100 - - 3,100
⦁ 산업통상자원부 44,979 5,570 1,020 51,569
⦁ 보건복지부 833 - - 833
⦁ 환경부 8,913 - - 8,913
⦁ 고용노동부 200 20 4 224
⦁ 중소벤처기업부 121,736 - - 121,736
⦁ 식품의약품안전처 2,450 - - 2,450
⦁ 방위사업청 1,029 - - 1,029
⦁ 출연연구기관 96,578 19,279 - 115,857

합 계 563,513 33,452 51,343 648,308

※ 16년 대비 중소벤처기업부(184%), 과학기술정보통신부(26.7%) 및 교육부(20.2%) 예산 증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나노기술의 정부 R&D 성과를 기반으로 공공기술과 사업화 아이디어를 보유한 수요기업을 연계하는
나노융합2020사업 추진

▪ ’17년까지 사업화 누적매출 3,821억 원 달성(’17년 순 매출: 1,081억원) 중에 있으며, ’20년까지


투입대비 약 6배 매출(1조원) 기대

▪ 다양한 기업에 나노기술 소개를 통해 기업의 혁신 유도 및 현안 해결을 지원하는 ‘기업과 함께하는


나노플러스’ 지속 추진

66
66
기능성 나노 소재

 산업통상자원부

▪ 나노소재의 수요처 상용화 제품 적용을 통해 사업화 될 수 있도록 기술공급-수요기업 간 제품화 촉


진 품목 발굴 및 개발 지원

※ ’17년 5건의 나노융합제품을 출시하였으며, ’22년까지 20종 이상의 나노융합 제품 출시를 통해


1,000억원 이상의 매출 발생 및 고용창출 추진

▪ 중소‧벤처 나노기업의 사업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개발 애로요인 극복을 위한 시제품 개발 및 성


능평가, T2B(Tech to Business) 플랫폼 활용, 국내외 신시장 발굴 등 지원

※ ’18년 신규 시제품개발/성능검증 지원 대상기업 발굴, 상시(250건, ’17년 대비 50건 상승) 및


대규모 제품거래를 위한 상담회(1회 이상)개최 추진

 중소기업벤처부

▪ R&D 성과 제고 및 글로벌화를 위한 기술사업화 지원 강화, 중소기업 간 기숧ㅂ력 기반 조성과 기


술융합을 통한 신시장 창출을 위한 네트워크형 R&D 지원 강화

▪ 나노기술을 활용,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 및 글로벌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 분야 중점


투자

 나노종합기술원

▪ 나노인프라를 기반으로 정부투자 연구성과의 후속개발(시제품제작 등 사업화개발)을 통해 창업, 기술


이전 등 실질적인 사업화 창출(Lab-to-Business Market) 및 인프라 플랫폼 활용 극대화

※ ’18년 신규과제 지원을 통해 첨단센서 우수원천기술 발굴 및 사업화 추진

67
67
전략품목 현황분석

나. 연구개발 인력

 ‘17년 나노분야 핵심연구인력 8,896명(5.3%↓), 산업체 종사자수 150,460명(0.6%↑),


나노학과 264개(5.2%↑), 재학생수 40,855명(9.6%↑)

 대학 나노분야 학과 및 재학생

▪ 나노기술학과* 264개(전년 대비 5.2% 증가), 나노학과 재학생수는 40,855명(전년 대비 9.6% 증


가)으로 학과수와 학생수 모두 증가

*나노기술학과 기준 : 학과명에 ‘나노’가 포함된 학과와 나노기술 관련 교과목을 개설․운영하는 유관


학과를 포함.(반도체, 신소재, 물리, 화학 등)

 나노기술 연구개발 인력

▪ 나노분야 연구 인력은 8,896명으로 전년대비5.3% 감소

▪ 대학연구실 5.2%, 정부출연연구원 인력 5.5% 감소

*연구인력 기준 : 정부출연연구원 및 대학연구실 연구원 수

※ 정부 출연(연) 나노분야 4개 연구실 폐쇄로 인하여 연구인력 일부 감소

 산업인력

▪ 나노분야 산업체 종사자수는 150,460명으로 전년대비 0.6% 증가

▪ 분야별로는 나노전자(2.3%↓) 감소한 반면 나노소재(11.7%), 나노바이오․의료(13.1%) 증가하였고,


나노장비․기기 분야는(32.1%)로 크게 증가

[ 2017년 나노기술 연구인력 및 현장 전문인력 현황 ]

구분 2016년 2017년 증감 비 고

나노분야 연구인력 9,392명 8,896명 △496명
- 정부출연(연) 2,134명 2,134명 △124명 나노기술연감(’16-’17)
- 대학연구실 7,134명 6,762명 △372명

산업통상자원부,
* 149,529명 150,460명
산업체 종사자 931명 2017나노융합산업조사
(’15년 기준) (’16년 기준)
(’16-’17)


대학 나노기술학과 수 251개 264개 13개 나노기술연감(’16-’17)


나노학과 재학생 수 37,285명 40,855명 3,570명
- 학부생 32,681명 35,546명 2,865명 나노기술연감(’16-’17)
- 석박사 연구생 4,604명 5,309명 705명


나노기술학과 추이 : 43개(’06) → 73개(’11) → 234개(’14) → 241개(’15) → 251개(’16) → 264개(’17)

68
68
기능성 나노 소재

다. 기술이전가능 기술

(1) 기술이전가능 기관 및 세부내용

 나노융합2020사업 기초 연구 성과 상용화 촉진을 위해 과기정통부‧산업부 공동 R&BD 사업


추진(’17년 202.36억 원)
*나노융합기술‧제품 개발에 따른 조기 사업화 성공(7건), 매출(1,081억원, 누적 3,821억원), 고용(174명, 누적 665명) 창출

[ 2017년도 나노융합2020 기술사업화 성과 ]

기관 지원기술 내용

아이엠 플렉서블 유해 자외선 차단용 발열스마 ⦁비인듐계 나노입자를 상온에서 증착한 선박/차량용 투명
디스플레이 트 필름 사업화 발열 필름을 개발

⦁나노복합체를 적용하여 휘도 개선과 에너지 소비 절감


주식회사 고굴절 유무기 나노복합체를 적용한 프
성능을 가진 디스프레이용 프리즘 코팅액 개발 및
엠트 리즘 코팅액 사업화
사업화

⦁OLED 패널의 전극 패턴 중 불량 부위를 깊이 수백 nm


급으로 절삭 가공하고 열 손상 없이 해당 불량을
극초단 레이저 기반 나노융합 가공시스 제거하는 극초단 레이저 나노가공 시스템 사업화
에이치피케이
템 사업화 ⦁의료, 바이오, 에너지 등 첨단 IT, BT, NT 분야의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나노가공 시스템 개발로 글로벌
시장 진입 가능

⦁개발목표 제품인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핵심


부품으로서 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염(NaOCl)을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및 수소 발생기 발상시키는 나노다공성 구조 DSA전극 개발 및 사업화
(주)엘켐텍
사업화 ⦁개발목표 제품인 수소 발생용 수전해 장치의 핵심
부품으로서 물을 전기 분해하여(산소와 수로를
분리)수소를 발생시키는 막전극접합체의 개발 및 사업화

⦁나노구조체 형성 기술을 적용하여 175 ㎛ 두께의


커버글래스에서 지문 이미지 검출이 가능한 언더글래스
방식 지문인식 모듈(비광학식: 정전용량 방식) 개발 및
크루셜텍 모바일용 언더 글래스 방식의 지문인식
사업화
(주) 모듈 사업화
⦁기존 버튼형의 지문인식 모둘을 대체하며 기존 제품
대비 약 1.5배 이상의 커버글래스 두께이서도 동작
가능함

69
69
전략품목 현황분석

5. 기술로드맵 기획

가. SWOT분석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능성 나노소재 관련 우수 인력 확보 •관련사업 기반 미약과 핵심원료 수입의존도 심화


•나노소재 분야 지역 거점 6대 나노인프라 구축 •소재강국의 기술심화 및 추격해오는 중국에 의존하는
•“제4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2018 나노기술 발전 원료 정재기술
시행계획 실행 •전문생산기업 부재 및 작은 내수시장 규모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연료전지, 이차전지, 수 처리시스템 등 유망산업
•시장을 주도 하고 있는 세계 선진 업체들의 수요 독점
분야의 빠른 성장으로 핵심소재 시장 수요 급증
•선진국의 지적재산권 독점 등 시장지배력이 강화되어
•디양한 필름소재와 희소금속 대체 소재분야 산업은
시장진입과 경쟁력 확보의 어려움
빠르게 성장 및 수요 급증 예상
•최근 나노물질의 인체 및 환경 유해성에 대한 이슈가
•첨단 융복합산업의 빠른 발전으로 기능성 나노소재
제기되어 수요 감소의 가능성 제기
기술 수요 급증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 핵심원료의 국산화 및 대기업과의 협업 체제 구축하여 연료전지, 이차전지, 수 처리시스템 등 유망


산업 분야의 시장 대응
➜ 인체 및 환경 유해성을 회피할 수 있는 친환경, 고반응효율 제품 개발을 통한 기술경쟁력 확보

70
70
기능성 나노 소재

나. 중소기업 핵심요소기술

(1) 핵심요소기술 도출절차

 특허/논문 분석을 통한 요소기술과 기술수요와 각종 문헌을 기반으로 한 요소기술, 전문가


추천 요소기술을 종합하여 품목별 전문가를 통해 분류조정한 후, 전문가 평가과정을 거쳐
핵심요소기술을 선정
- 기술개발시급성(10), 기술개발파급성(10), 단기개발가능성(10), 중소기업 적합성(10)을 고려하여 평가

요소기술 요소기술 핵심요소기술 핵심요소기술


Pool 구성 분류 조정 선정평가 선정

- 특허/논문 분석 è - 품목별 전문가 è - 산학연 전문가 검토 è - 평가결과 반영


- 기술수요 및
요소기술 분류 - 평가항목별 요소기술 로드맵 기획 대상
문헌분석
조정·재정의 선정평가 핵심요소기술 도출
- 전문가 추천

71
71
전략품목 현황분석

(2) 요소기술

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타부처로드맵,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하여 요소기술 도출

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전문가를 통해 기술의 범위, 요소기술 간 중복성 등을 조정·검토하여


최종 요소기술명 확정

[ 기능성 나노소재 ]

요소기술 출처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탄소나노소재의 투명전극소재 기술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경량 전자파 차폐용 소재 기술
클러스터링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특허/논문


전도성 나노분말 제조 및 적층 공정기술
클러스터링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나노구조기반 기능성 소재 제조 기술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형광 나노입자를 이용한 QLED 소재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스마트 고탄성 복합 나노소재 제조 기술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자기세정형(Anti-fouling) 코팅 기술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경량화 기술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이차전지용 다공성 복합 나노소재 제조 기술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친환경 고내식 강판-광범위한 제안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고기능성 배리어 그래핀 복합 필름소재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나노다공성을 갖는 복합소재 필터 제조기술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고성능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클러스터링

72
72
기능성 나노 소재

(3) 핵심요소기술

 확정된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핵심요소기술 선정평가를 통하여


중소기업에 적합한 핵심요소기술 선정

 중소기업 개발 적합성 및 품목 개발을 위한 기술개발 시급성 등을 이유로 요소기술 전체를


핵심요소기술로 선정

[ 기능성 나노소재 ]

핵심요소기술 개요

기능성 세라믹 나노입자를 이용한 발수, 방오 및 항균 기능성을 갖는


탄소나노소재의 투명전극소재 기술
코팅제 및 필름 소재

열수축을 극복하기 위해 분리막 표면에 세라믹 나노입자와 바인더로


경량 전자파 차폐용 소재 기술
구성된 코팅소재

전도성 나노분말 제조 및 적층 공정기술 금속나노입자, 나노와이어가 도입된 신개념 에어필터 소재 개발

전도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잉크형태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FPCB 등


나노구조기반 기능성 소재 제조 기술
의 전극이나 회로제조 시 패턴 프린팅 방식의 기술개발

형광 나노입자를 이용한 QLED 소재 형광 나노입자를 이용한 전계발광 특성(QLED) 소재 개발

스마트 고탄성 복합 나노소재 제조 기술 손상에 대한 자생적 회복능력을 가지는 소재

자기세정형(Anti-fouling) 코팅 기술 외부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표면 흡착을 방해하는 기술

코팅 제품 제조 공정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고온의 열에너지 경화


경량화 기술 공정 대신 열에너지 소비를 100℃이하로 줄이는 저온 경화 코팅 공정
기술을 통해 경량화와 에너지 저감효과를 끌어냄

이차전지용 다공성 복합 나노소재 제조 고분자 수지안에 특수 메탈 피그먼트 배합 분산 기술 및 고른 전기 전


기술 도성 네트워크 형성 기술

스마트 표면처리강판, 친환경 증착기술, 기존 표면처리강판에 비해 도


친환경 고내식 강판-광범위한 제안
금량은 절반 이하이며, 도금과정에 Zn만을 사용하지 않고 Mg을 혼합

전기영동 전착법에 의한 다양한 그래핀 패턴층 제작 및 그래핀-자성재


고기능성 배리어 그래핀 복합 필름소재
료 복합층,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

나노다공성을 갖는 복합소재 필터 제조기 대면적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그래핀 투명 전


술 극

고출력 특성, 에너지밀도는 연료전지에 비해서 낮으며, 전기이중층


고성능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 EDLC) 및 준커패시터
(Psuedocapacitor)

73
73
전략품목 현황분석

다. 기술개발전략

(1) 우리의 현황

 (시장규모 및 성장률) 국내 시장규모는 2019년 기준 22.8%의 성장률에 따라 약 4.2억


달러로 전망하고 있으며, 세계 시장 중 가장 큰 규모를 가진 지역은 EU로 연평균 약
23.6%, 14억 달러 수준인 것으로 나타남

▪ 국내시장 규모는 세계시장 대비 약 10%의 비중으로 향후에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판단됨

 (기술수준) 세계 최고 기술국은 미국으로, 국내 기술수준은 미국 대비 63.8%로 분석됨

 (특허 출원 및 피인용율) 특허출원량은 771건으로 주요 선진국과 비교하여 많은 건 수를


나타냄 (미국 667건, 일본 422건)

▪ 특허인용율은 일본(0.96)보다 약간 높은 10.3으로 미국(3.43)과는 큰 차이가 있음

 선진국 대비 특허 출원 수가 많은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기술수준’ 및


‘특허피인용율’ 측면을 살펴보면 기술의 원천성 및 활용성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판단됨

74
74
기능성 나노 소재

(2) 기술개발로드맵

 중소기업 최종 기술로드맵은 기술/시장 니즈, 연차별 개발계획, 최종목표 등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성을 제시함

75
75
전략품목 현황분석

※ 참고 : 핵심요소기술 평가결과

지표별 평가결과
요소기술 기술개발 기술개발 단기개발 중소기업 비고
합계
시급성 파급성 가능성 적합성

탄소나노소재의
8.0 9.0 8.0 9.0 17.0 선정
투명전극소재 기술

경량 전자파 차폐용 소재
8.0 9.0 8.0 9.0 17.0 선정
기술

전도성 나노분말 제조 및
10.0 9.0 8.0 10.0 18.5 선정
적층 공정기술

나노구조기반 기능성 소재
10.0 8.0 6.0 9.0 16.5 선정
제조 기술

형광 나노입자를 이용한
4.0 4.0 3.0 4.0 7.5
QLED 소재

스마트 고탄성 복합
8.0 7.7 8.3 8.0 32.0 선정
나노소재 제조 기술

자기세정형(Anti-fouling)
5.0 5.3 4.3 5.7 20.3
코팅 기술

경량화 기술 6.7 5.0 4.0 4.3 20.0

이차전지용 다공성 복합
7.0 7.0 6.3 7.3 27.7 선정
나노소재 제조 기술

친환경 고내식
5.0 6.7 5.0 4.7 21.3
강판-광범위한 제안

고기능성 배리어 그래핀


5.3 5.0 3.3 4.3 18.0
복합 필름소재

나노다공성을 갖는
6.3 7.0 5.0 6.3 24.7 선정
복합소재 필터 제조기술

고성능 슈퍼커패시터용
5.7 4.3 3.7 5.0 18.7
전극

76
76
전략품목 현황분석

이종접합 소재

77
이종접합 소재

정의 및 범위

▪ 이종접합 소재기술은 Fe, Al, Mg, Ti 등의 다양한 금속소재와 CFRP 및 GFRP 등의 고분자 소재
등의 다종 소재를 융합(Multi-Materials Integration, MMI)하여 소재 전 과정의 재활용성까지
확보한 기술임. 크게 기계적, 화학적 그리고 열적 방식 세 가지로 구분되며, 리벳과 같은 기계적
접합기술과 구조용 접착제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고전적인 방식과 용접/접합 방식의 기술을 의미함

▪ Steel 재료와 고분자 소재부품을 연결해야 되는 경우에는 용융을 통한 원자 간의 금속결합을


유도하여 접합하는 전통적인 용접방식으로는 접근이 불가하여 확산접합 메커니즘을 활용한 용접/접합
기술이 적용되어야 하며, 확산접합이 가능한 용접공정으로는 레이저, 초음파, 마찰교반접합(FSJ) 및
마찰교반점접합(FSSJ) 4가지 공정이 있음

정부지원 정책

▪ 정부는 이종접합소재와 관련하여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WPM 사업, 전략적핵심소재사업 등과


같이 다양한 R&D 프로그램을 지원

▪ 중소/중견기업이 주관기관으로 참여하는 소재부품 패키지형 기술개발사업, 소재부품 이종기술융합형


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소재 특성(high risk, high return)을 고려하여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투자로 핵심 소재/부품 개발을 지원

중소기업 시장대응전략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환경) 산업계 전반에서


•(환경) 전문 인력 확보의 어려움
•(기술) 높은 수준의 이종접합소재 기술 확보
•(기술) 이종접합소재 핵심 원천 기술 부족
•(정책) 산업지원 정책 수립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환경) 세계적인 환경 규제 강화
•(환경) 전 세계적인 산업 경기 침체
•(기술) 독자기술 연구·개발 및 확보
•(정책) 미시적 R&D 정책
•(정책) 중소기업 기반의 기술개발 지원 확대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 이종접합소재 기술의 고기능성, 고신뢰성 확보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필요

➜ 관련 산업분야에 바로 적용이 가능한 이종접합소재 기술을 위한 R&D 연구 역량 필요


전략품목 현황분석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 이종접합 기술이란 단일 경량소재로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Fe, Al, Mg, Ti 등의 다양한


금속소재와 CFRP 및 GFRP 등의 고분자 소재 등의 서로 다른 물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기계적, 화학적, 열적 공정을 활용하여 접합하는
것임
▪ 이종소재의 기계적 체결 방법으로는 볼팅, FDS(Flow drill screw), SPR(Self-pierce rivet) 및 클린
칭 등이 있으며 금속-금속뿐만 아니라 금속-고분자 소재의 체결방법으로도 활용되고 있음

▪ 고분자 소재로 구성된 대부분의 복합재료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하며, 접착제를 사용한 접합에서
는 접착제와 피접착제 사이의 계면 친화력에 따라 접합강도가 결정되며, 강도의 확보를 위해서는 표
면처리가 중요함

 소재는 금속의 경우에는 철강 소재에서부터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티타늄 등 경량 소재이며,


고분자 소재의 경우에는 구조재료로 적용 가능한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LFT 복합소재,
수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및 CFRP 등의 소재임

 이종접합소재의 성형 및 가공기술은 고/액상 변태를 이용하는 정형가공 주조, 고상


소성변형을 이용하는 단조, 압출, 압연, 인발 등의 소성가공, 열처리 및 표면 처리 등이며,
기존 공법 대비 성형 한계 극복을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함

 자동차 산업분야에서 초기 경량화 기술은 기존의 철강 소재 차체를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소재로 대체하는 기술과, 철강 소재의 강성 향상에 따른 두께, 형상 및 제조 공법 변경을
통한 경량화로 모두 단일 금속 소재를 중심으로 경량화 기술개발이 진행됨

▪ 제조단가와 생산성 및 충돌 안정성 확보 측면에서 단일 소재가 아니라 다중 금속 소재의 적용 필요


성이 대두됨

▪ 자동차에서 경량화 요구가 기존 내연기관보다 더 큰 전기자동차 및 고급 자동차의 경우에는 기존의


다중 금속 소재 경량화만이 아니라, 고분자 소재까지 적용한 다종소재 성형, 접합기술이 필요함

 선진국의 이종소재 접합, 성형 등의 연구핵심은 다양한 소재간의 접합성(접합 시 변형 및


부식) 문제 해결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공법과 접착제가 개발되어 있으며, 국내의 다종소재
성형, 접합 경량화 기술은 현재 개념정립 단계로 후발주자임

 국내 이종소재 접합기술은 선진국에 비해 자동차 경량화로 강화되는 규제에 능동적 대체를


위해 국가적 차원의 로드맵을 통한 전략적 경량화와 산업 생태계로 육성이 미흡하며, 국내
산업 현황을 연계한 이종소재 접합기술의 개발이 필요함

80
80
이종접합 소재

나. 범위 및 분류

(1) 제품분류 관점

 이종소재 접합기술의 핵심은 다양한 소재간의 접합성(접합 시 변형 및 부식) 문제 해결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접합 공법과 접착제 개발이 필요함

▪ 이종소재 접합을 위해서 소재에 따라 아크용접, 저항점용접, 레이저용접, 마찰교반용접, 기계적 체결,
접착 등 다양한 형태의 이종소재 접합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 아크용접을 이용한 이종소재 접합기술 자동차 샤시 부품에 많이 사용되는 조립기술로 Al/Fe 접합에
사용될 때는 Al계 와이어를 주로 이용하여 Al부품에는 용접이 되고 steel 부품에는 브레이징이 되는
용접-브레이징 형태로 적용됨

- FeAl3(Fe4Al13)이나 Fe2Al5와 같은 Al/Fe 금속간 화합물(IMC, Inter-metallic Compound)이 성


장하여 접합부 파단을 야기하므로 IMC층의 두께를 10 μm 이내로 제어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IMC
의 두께를 제어하기 위하여 용접재료의 선정과 저입열의 구현이 중요함

▪ 마찰교반용접은 고상용접으로 저입열 구현이 가능하므로 이종재료 접합에 활발히 적용되는 공정임

- 마찰교반용접의 경우 원천기술에 대한 지적재산권이 유효하여 연구 및 적용에 한계가 있었으나 기


본적인 기술에 대한 특허가 하나씩 만료됨에 따라 기술적용이 보다 활발해 질 것으로 예상됨

▪ 난용접성 이종소재 접합을 위하여 접착제 접합과 더불어 기계적 체결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
가됨

- 기계적 체결은 열변형이 없고, 대상 이종 소재의 강도가 달라도 접합이 가능하며, 또한 공정 시간이
짧고 자동화가 가능하며 친환경적임

▪ 접착은 주로 에폭시, 우레탄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도포→밀착→경화 과정을 통해 소재를 영구적


으로 결합시키는 공법으로, 공정온도가 상온~200℃ 정도로 비교적 낮고 소재의 재질 및 치수의 자
유도가 높음

 이종접합소재 성형 시 스틸소재를 활용한 기술은 핫스탬핑, TWB(Tailor Weld Blank), 두


개의 판재를 겹쳐서 용접한 후 성형하는 PATCH 성형기술 등이 있으며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등 경량 소재의 경우 일반 프레스 성형, 온간 성형, Gas Forming, 전자기 성형
등이 존재함

▪ 핫 스탬핑 기술은 고온의 소재를 양호한 성형성과 스프링백 특성을 이용하여 프레스 성형한 후 금형
내에서 급냉하여(Quenching)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얻음으로써 고강도의 판넬 부품을 생산함

▪ Prepreg Compression Molding(PCM) 성형 기술은 탄소섬유에 레진이 함침된 프리프레그


(Prepreg) 소재를 적층하여 금형에서 성형 및 경화 공정을 거쳐 부품을 제작함

▪ 금속-CFRP 동시 성형 기술은 금속에 CFRP를 적층하여 제작한 금속-CFRP 블랭크를 이용하여 금형


에서 성형 및 경화 공정을 거쳐 부품을 제작하는 기술임

81
81
전략품목 현황분석

 이종소재 접합을 위한 표면처리 기술로는 금속-금속, 금속-고분자소재 접합 후 발생할 수


있는 갈바닉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처리 기술, 금속-고분자소재 접합 시 접합성(Anchoring)
향상을 위한 금속소재의 표면의 roughness를 부여하거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표면처리 기술

 이종접합소재의 신뢰성 평가 기술에는 각 이종소재 별 접합부 평가기술, 접합 공정기술 별


시험 평가기술, 접합 소재의 내식성 시험 평가기술 등이 있으며, 현재 대부분 기존 동종
소재의 시험 방법을 벤치마킹 하여 수행중임

[ 제품분류 관점 기술범위 ]

전략품목 제품분류 관점 세부기술

•초음파 진동을 활용한 금속-CFRP 확산접합 기술


접합기술 •FSW 및 FSSJ의 고상용접 공정을 적용한 스틸-알루미늄 접합기술
•초고강도용 리벳 부품의 국산화 기술

•이종소재로 접합된 부품의 제품 성형기술


성형기술 •핫스탬핑 공법, Prepreg Compression Molding(PCM) 성형
공법, 금속-CFRP 동시 성형공법 기술
이종접합소재
•이종소재 접합부의 갈바닉 부식 억제 기술
•금속소재에 비전도성 표면처리(silane coupling)를 통한 계면
표면처리기술
내식성 향상 기술
•고강도강의 기계적 체결을 위한 국부 연화기술

•Al-Steel-CFRP 등 이종소재 별 접합부 평가기술


신뢰성 평가기술
•금속/CFRP 접합 소재의 계면 내식성(염수/갈바닉) 평가기술

82
82
이종접합 소재

(2) 공급망 관점

 이종접합소재 산업을 공급망 관점에서 살펴보면 크게 자동차, 조선, 항공우주, 가전 및


통신/모바일 디바이스로 구분할 수 있음
▪ 이종접합소재 기술은 기존 대량생산 방식에 적합할 수 있도록 관련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들
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음

▪ 이종소재 접합기술은 자동차 산업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연비개선 및 경량화 요구에 따라 다양한 연


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종금속 및 고분자 소재까지 적용한 기술 개발로 이어지고 있음

▪ 조선 분야에서 이종소재 접합기술은 각 소재에 따라 부식이 일으키는 환경이 다른 제품에 적용되고


있으며, 자동차 산업과 마찬가지로 경량화 요구에 따라 관련 기술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

▪ 항공우주산업에 사용되는 티타늄합금과 알루미늄합금의 접합에 마찰교반접합 기술을 이용한 이종재


료 접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주로 비철금속의 이종소재 접합에 마찰교반접합, 마찰
교반점접합 기술이 활용됨

▪ 통신/모바일 디바이스 분야에서 이종소재 접합기술은 제품의 디자인 심미성을 위한 금속-플라스틱


이종소재 접합 및 금형기술 등이 사용되며, 배터리에 사용되는 박판 Cu, Al 이종소재에 대해 초음
파 용접기술을 활용되고 있음

[ 공급망 관점 기술범위 ]

전략품목 공급망 관점 세부기술

•환경문제로 인한 차량의 차체 및 섀시 경량화를 위한 경량 금속 및


고분자 소재의 접합, 성형기술
자동차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의 이종소재
접합기술

•선박 중량 저감을 위한 철 및 비철금속의 이종 접합 기술, 선박용


조선 열교환기, 대형선박 터보차져 샤프트 이종소재 접합기술
이종접합소재 •이종접합소재 갈바닉 부식 및 해수 환경에 의한 부식 방지 기술

•동체 및 날개 경량화에 따른 Al, Ti 등 금속 소재 및 CFRP 고분자


항공우주
소재의 이종접합 기술 및 접합부 신뢰성 평가기술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의 감성 품질 향상 및 내부식, 생활방수 특성을


통신/모바일 디바이스 향살 시킬 수 있는 이종소재 접합, 성형기술
•소형 배터리팩의 Cu, Al 이종소재 접합기술

83
83
전략품목 현황분석

2. 외부환경 분석

가. 산업환경 분석

(1) 산업의 특징

 이종접합소재 산업은 금속 및 고분자소재 등의 소재를 개발하는 소재산업, 각 이종소재를 접


합, 성형 및 표면처리하기 위한 장비산업, 단일 소재의 특징을 모두 사용하기 위해 이종소재
로 활용하는 자동차, 항공우주 및 전자 등의 산업을 포함함

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온실가스 감축은 가장 중요한 환경이슈가 되고 있으며, 수요자 요구의


다양화, 성능향상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동차, 항공우주, 통신/모바일 등의 산업
분야에서 이종소재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음

 자동차 산업의 경우 연비/환경규제와 충돌 안전성규제가 동시에 강화되고 있어 차량 경량화를


위한 적용 소재의 다변화가 추진되고 있음 초고강도강, 알루미늄합금,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의
다종소재 (Multi-Material) 적용을 통한 경량화 기술개발 경쟁이 치열함

▪ 자동차 산업에서 초기 경량화 기술은 기존의 철강 소재 차체를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소재로 대체하
는 기술과, 철강 소재의 강성 향상에 따른 두께, 형상 및 제조 공법 변경을 통한 경량화로 모두 단
일 금속 소재를 중심으로 경량화 기술개발이 진행됨

▪ 자동차에서 경량화 요구가 기존 내연기관보다 더 큰 전기동력 자동차 및 고급 자동차의 경우에는 기


존의 다중 금속 소재 경량화만이 아니라, 고분자 소재까지 적용한 다종소재 성형, 접합기술이 필요

 항공우주 산업은 항공 운송 수요 증가와 이에 따른 항공MRO(정비) 성장, 특수목적 활용 요


구에 따른 융복합기술 적용 확산을 위한 경제성, 생산성, 성능개선 등을 요구 융복합, 글로벌
환경규제 요구, 초미세 가공 위한 초정밀화의 가속화에 대응하기 위해 경량화 요구

 전자 및 통신/모바일기기 산업분야에서는 디자인 심미성 증대화, 이동성, 미세공정 대응을 위


한 부품의 고정밀화, 사용자 편의 위한 기능 지능화를 위해 정밀화, 소형화된 이종소재 접합
및 성형 기술을 요구함

84
84
이종접합 소재

[ 산업별 필요 기술 ]

수요산업 요구사항 세부기술

경량화 차체 및 섀시 적용 경량 금속 및 CFRP 성형, 이종소재접합 기술

경제성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효율 성형, 접합 기술

내구성 CFRP /980MPa급 이상 고장력강 이종재 접합 및 내구 신뢰성 평가 기술


자동차

고성능화 차체 및 섀시 부품 신뢰성 평가, 표면처리 및 접합 기술

구조 해석에 따른 경량화 및 고강도 구조물 제작을 위한 접합 및 소재 기술


경량화
고분자소재 접합 및 성능 평가 기술

항공우주 정밀화 이종소재 정밀 접합 및 3D 구조적용 확대, 정밀 몰딩 기술

소형화 모바일디바이스 케이스 적용 이종소재 성형, 접합, 표면처리 기술

전자/통신 고성능화 고효율, 고성능 배터리 제작을 위한 이종소재 접합 기술

기타 디자인 심미성 증대를 위한 CFRP, 금속 내장재 성형, 접합 표면처리 기술

85
85
전략품목 현황분석

(2) 산업의 구조

 이종접합소재 산업은 성형 및 접합을 포함한 기술의 진입장벽이 높으며 몇몇 기업이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신규진입이 매우 어려움
▪ 국내 이종소재 접합기술은 현장 맞춤형 기술로서 적용성은 우수하지만 선진국에 비해 강화되는 규제
에 능동적 대체를 위해 국가적 차원의 로드맵을 통한 전략화와 산업 생태계로 육성은 미흡함

 국내 산업 현황을 연계한 혁신적 기술 프로그램 및 이종접합소재 기술의 개발이 필요함

 후방산업은 이종소재에 사용되는 핵심요소기술인 접합 기술, 성형 기술, 표면처리 기술 등을


보유한 장비 설계 및 제조 산업, 소재 개발 산업 등이 있음

▪ 금속 및 고분자소재 등의 이종접합소재 개발을 위해서는 초음파용접, 레이저용접, 마찰교반용접 등


의 접합 기술을 보유함

▪ 성형 관련 기술개발은 단품 및 모듈 단위의 제품 개발을 위한 소재 및 성형 기술, Metal-CFRP 동


시 성형 기술을 보유

▪ 이종소재간 접합성(Anchoring)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 기술, 금속 표면 roughness 향상을 위한 표


면처리 기술, 금속/CFRP 접합 소재 계면의 내식성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 공정기술

▪ 1.2GPa 이상 적용 가능한 SPR(Self Piercing Rivet) 체결 기술에는 초고강도강 적용을 위한 국부


연화기술 개발, 초고강도 소재에 적용 가능한 리벳부품의 국산화, 내부식성 및 갈바닉 부식 억제를
위한 도금/피막 기술 적용

 전방산업은 자동차, 항공우주, 조선, 전기/전자 및 통신/모바일 디바이스 등으로 구성

▪ 자동차 분야는 차체, 섀시, 파워트레인 및 전장 등 다양한 부품에 이종접합소재를 적극 활용한 경량


화 및 고성능화를 확보하고 있으며, 최근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의 친환경 자동차의 소재로서 차
체에 금속-고분자소재의 활용이 증가하여 시장이 확대됨

▪ 항공우주분야는 고유가 및 각종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동체, 날개에 고분자소재를 적극 활용


하여 이종접합소재 기술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엔진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경량금속의 이
종소재의 접합 기술이 요구됨

▪ 조선, 선박분야는 요트, LNG선 등의 고부가가치 선박의 고급화 및 경량화 이슈에 맞물려 이종접합
소재의 활용이 급증하고 있고, 또한 기존 전통적인 용접을 줄이고 마찰교반용접 공정을 사용한 경량
이종소재 시장이 확대되고 있음

▪ 전기/전자 분야에서는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의 친환경차량과, 각종 모


바일디바이스에 활용되는 배터리에 Cu, Al의 이종소재 초음파 접합의 활용이 증대됨

▪ 통신/모바일디바이스분야는 사용자 요구에 맞는 디자인 심미성, 내부식성에 대응하기 위하여 이종접


합소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성형, 접합 및 표면처리 기술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음

86
86
이종접합 소재

[ 이종접합소재 기술 분야 산업구조 ]

후방산업 이종접합소재 기술 분야 전방산업

고강도 금속 및 고분자소재 개 이종소재 접합 기술, 성형 기술,


자동차, 항공우주, 조선, 전기/전
발 기술, 접합 및 성형 장비 설 부식 억제 기술, 신뢰성 평가 기
자, 통신/모바일디바이스
계 및 제조 기술, 표면처리 기술 술

87
87
전략품목 현황분석

나. 시장환경 분석

 세계 첨단신소재 시장규모는 2019년 기준 3조 8,770억 달러, 연평균 12.8%의 꾸준한 성장


세를 보일 것으로 판단됨

▪ 이러한 성장 지속세는 계속되어 2022년에는 5조 5,7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세계 첨단신소재부품분야 산업의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CAGR
구분 `13 `14 `15 `16 `17 `18 `19
(`13~`15)

세계시장 147,100 212,000 239,200 369,900 304,500 343,600 387,700 12.83

* 출처 : Advanced Materials market Research Reports, Analysis&Consulting Stratistics MRC, 2015

 지역별로 살펴보면 미국 시장이 전체 시장의 46% 점유율을 보이며 가장 큰 시장 규모를 가


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이어 유럽이 전체 시장의 27% 점유율을 가질 것으로 전망

[ 세계 첨단신소재 대륙별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10억 달러, %)

세계시장
구분 `13 `14 `15 `16 `17 `18 `19
점유율

North America 67.7 97.5 110.0 124.2 140.1 158.1 178.3 46

Europe 39.7 57.2 64.6 72.9 82.2 92.8 104.7 27

Latin America 7.4 10.6 12.0 13.5 15.2 17.2 19.4 5

Middle East 11.8 17.0 19.1 21.6 24.4 27.5 31.0 8

Asia Pacific 20.6 39.7 33.5 37.8 42.6 48.1 54.3 14

*출처 : Advanced Materials market Research Reports, Analysis&Consulting Stratistics MRC, 2015

 국내 첨단신소재 산업의 시장 점유율은 2001년 3.4%(약 770억 달러)에서 2020년 5.0%


(약 2,560억 달러)로 증가할 전망임
▪ 한국의 소재부품 수출은 프랑스, 이탈리아 등을 추월하여 세계 점유율 5위를 차지할 것으로 판단됨

88
88
이종접합 소재

[ 세계 첨단신소재 국가별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10억 달러, %)

2001 2007 2020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국가 금액 점유율 국가 금액 점유율

1 미국 370 16.2 독일 551 12.3 중국 618 12.2

2 독일 244 10.7 미국 533 11.9 독일 539 10.6

3 일본 215 9.4 중국 472 10.6 미국 529 10.4

4 영국 117 5.1 일본 367 8.2 일본 423 8.3

5 프랑스 113 5.0 프랑스 209 407 한국 256 5.0

6 중국 92 4.0 홍콩 201 4.5 홍콩 252 4.9

7 이탈리아 91 4.0 이탈리아 197 4.4 싱가포르 206 4.0

8 홍콩 82 3.6 한국 187 4.2 프랑스 190 3.7

9 싱가포르 82 3.6 싱가포르 178 4.0 이탈리아 175 3.4

10 한국 77 3.4 영국 156 3.5 벨기에 148 2.9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89
89
전략품목 현황분석

3.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1) 기술개발트렌드

◎ 연구 개발 동향

 용접접합 분야에서는 이종소재 활용에 필수 기술인 접합기술은 알루미늄 적용 중심으로 다양


하게 개발되어 양산 적용 중이며, CFRP 적용 확대를 목표로 개발 진행 중임
▪ 그러나 이들 기술 대부분은 해외 선진사가 양산화한 접합기술 설비를 도입하여 벤치마킹 수준에서
이를 적용한 개발 성격의 시제품을 제작하고 있으며, 용접 접합 분야의 원천 핵심기술은 매우
부족함

▪ Refill FSSW(Friction Stir Spot Welding)공정 기술은 기존 FSSW 공정 후 남아있는 키홀의 빈


공간을 채워 강도를 보강하는 방식으로 2004년 구체적인 기술 정립 현재까지는 전 세계적으로 본
기술을 통해 차체에 적용하여 양산한 사례는 없으며 BMW에서는 이미 본 기술에 대한 공학적
검증을 끝내고 차세대 접합기술로 선정하여 2020년 신규라인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는 최신 기술

[ Refill FSSW 공정 작동원리 ]

▪ 이종소재 마찰교반점접합(FSSJ) 공정 기술은 고상상태(Solid State)에서 접합이 이뤄지므로 특히 Al


합금과 같은 비철금속의 용접에 매우 효과적인 기술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미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FSSJ의 발열 메커니즘에 기인하여 Steel 또는 열가소성 CFRP 소재와의
확산을 통한 접합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됨

- (Steel+Al) 금속간화합물(Intermetallic Compounds), 후크(Hook), 도금(Zinc) 유/무 영향 등

- (CFRP+Al) 계면 인터락킹(Interlocking) 현상, 버블(Bubble) 영향 등

90
90
이종접합 소재

[ Al + CFRP의 FSSJ 접합 메커니즘 ]

▪ 열전도 확산접합(Heat Conducted Diffusion Joining) 기술은 열전도를 이용한 Steel과 CFRP간 확
산접합 기술은 2011년 일본 Osaka 대학에서 금속 열전도에 의한 접합계면 확산접합의 개념으로
최초 가능성에 대해 발표함

[ 일본 Osaka 대학에서 발표한 레이저 열전도 확산접합 개념 ]

▪ 초고강도 셀프 피어싱 리벳 기술은 이미 국내외에서 많은 연구를 통해 공학적인 검증이 완료되어 이


종 재료 간 접합에 상당량 적용 중에 있음 그러나 장비 및 소모재는 해외 선진업체에서 도입 사용
하고 있으며 소재 조합별 해외 메이커의 추천 리벳 규격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개
발 및 제품 국산화 필요 현재 SPR 공정은 초고강도강의 적용은 불가하기 때문에 독일 Paderborn
대학에서는 국부 연화를 통한 초고강도강의 SPR 적용 연구가 진행됨

[ 초고강도강의 SPR 공정 적용을 위한 국부연화 방법 ]

91
91
전략품목 현황분석

▪ 탄성공진 초음파 피로시험 기술 15∼25kHz 영역에서 재료의 공진주파수를 이용하여 주기적인 응력


을 가하는 가속피로 시험방법으로,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시험편의 공진주파수와 일치하는 진동파를
발생시켜 시험편에 주기적인 응력을 발생시키는 원리임

- 초음파 피로시험은 약 20kHz의 시험 속도를 갖기 때문에 피로한도의 결과를 얻기까지의 소요시간


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1,000만 cycle 시험 시 기존 기계식 피로시험은 14시간
이 소요)

[ 초음파 피로시험의 원리 ]

 성형기술 분야는 차체 부품 제조업계에서는 완성차의 경량화 부품 개발에 대한 요구로 다양한


소재를 적용한 경량차체 부품 개발을 진행해 왔으며, 스틸, 알루미늄, 마그네슘, CFRP,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들을 활용하여 개발을 진행
▪ 이종소재를 성형 시 접합하며 성형할 수 있는 기술로는 BMW 7 시리즈에 적용된 핫스탬핑
B-PILLAR 부품 내부에 보강부품으로써 Preform된 CFRP를 추가적으로 프레스 압착하는 성형공법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금속 브라켓류에 플라스틱 등 고분자 부품이 연결 접합되도록 하는
Overmolding 기술 등이 개발됨

▪ 이형(異形)블랭크재 통전가열 성형 기술은 도체에 전류가 흐르면 자체 저항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는


현상(Joule’s 1st Law)을 말하며 1841년 제임스 프레스콧 줄이 처음 연구하여 기초이론을 정립함

- 특히 통전가열은 폭(Width)이 일정한 사각형 판재에 대한 가열은 문제가 없으나, 차체부품 제조에
필요한 폭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이형(異形)블랭크재 균일가열기술은 현재까지는 전 세계적으로 제
품에 적용된 사례는 없으며, 일본 TOYOHASH 대학에서 2016년부터 본 기술에 대한 일부 기초연
구를 진행하고 있는 최신 기술임

[ 이형(異形) 블랭크재 균일 통전가열시스템 개념도 ]

92
92
이종접합 소재

▪ 이종소재 동시복합압출성형 기술은 알루미늄, 동, 아연합금 등과 같이 소성량이 큰 빌렛(Billet)을 압


출 컨테이너에 넣고 램(Ram)으로 압력을 가하여 다이(Die)의 구멍으로 소재를 밀어내어 제품을 만
들어 내는 공정으로 1850년 무렵 최초로 실용화된 공정으로 현재까지도 많은 제품들에 적용되고
있는 기술임

- 2016년 독일 프라운호퍼에서는 본 기술에 대한 공학적 기초연구를 시뮬레이션 단계에서 진행하고


있는 최신 기술임

[ 이종소재 동시복합압출성형 기술 개념도 ]

93
93
전략품목 현황분석

(2) 기술환경분석

 이종접합소재 기술 분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자동차 경량화임


▪ 자동차용 이종소재 접합기술은 환경 규제로 인한 연비개선 및 경량화 요구에 따라 차체 경량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 자동차 산업의 경량화는 초기 단일 금속 소재 중심의 경량화에서 다중 금속 소재 경량화를


거쳐 고분자 소재까지 적용한 다종 소재기술 개발로 진행됨

▪ 알루미늄과 스틸, CFRP-Metal 등의 이종소재 접합기술에 대해 아크용접, 마찰교반용접, 저항점용접,


레이저용접, 기계적 체결, 접착본딩 등 다양한 형태의 이종소재 접합기술에 대한 제한적 연구가
수행됨

▪ 실용화에 도달하기 위하여 많은 제약요인들을 해결하여야함

 자동차 이종소재 접합기술 연구의 핵심은 다양한 소재간의 접합성 (접합 시 변형 및 부식)
문제 해결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접합 공법과 접착제 개발이 필요함
▪ 이종소재 접합을 위해서 소재에 따라 아크용접, 저항점용접, 레이저용접, 마찰교반용접, 기계적 체결,
접착 본딩 등 다양한 형태의 이종소재 접합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 현재 이종소재에 대한 접합기술이 차체 제작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강도 기준


및 시험방법, 절차에 대한 표준화된 규정이 없음

▪ 작업 표준화 및 시험규격 제정의 필요성

▪ 볼트체결 등 기계적 체결에서의 인장강도는 ASTM D5961을 기본으로 하고, 접착강도의 경우는
ASTM D1002를 기준하지만 하이브리드 체결에서는 그 규격에 대한 정의가 모호

▪ 다종소재의 조립 수요 증대에 따라 시험 표준을 제안함으로서 품질 기준 및 평가의 일반화를 통해


전체적인 품질이 관리되어야 함

94
94
이종접합 소재

나. 주요기업 동향

(1) 해외업체 동향

 이종접합소재 초경량 차체 기술

▪ 최근 차체 및 차체 부품개발 트랜드는 여러 경량소재들을 혼용하는 이종접합소재 기술을 활용하여


경량화를 도모함과 더불어 부품 성능을 최적화하는 단계로 발전하고 있음

▪ SuperLightCar 프로젝트는 폭스바겐을 중심으로 유럽의 37개 산업체, 학교, 연구소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진행한 이종접합소재 기술의 차체 응용을 구체화 한 연구 사례로써 Golf V 차체를 베이스
모델로 삼아 차체 중량을 30%이상 감소시키면서 경량화에 따른 비용 상승을 5Euro/kg 이내로
정하는 것을 목표함

▪ Volvo는 충돌안전 성능을 향상시키고 최소의 비용 상승 하에서 차체를 경량화 하는 방안으로


다양한 경량소재들을 사용하는 이종접합소재 기술을 향후 차체 분야의 미래 기술로 주목 함

▪ 독일의 Institute for Automotive Engineering (IKA) of RWTH Aachen 대학은 Erbsloh, Ford,
Henkel, Hydro Aluminium, ThyssenKrupp Steel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이종접합소재로
구성된 프런트 바디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음. 이로부터 중량 최적화 관점에서 38% 경량화 된
프런트 바디를 개발하였으며, 비용 최적화 측면에서 18% 중량 감소를 구현함

▪ Cosma International은 배기가스 저감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 시키는 차체 기술로 스틸, 경량소재


및 복합재료를 혼용하는 이종접합소재 차체를 주목하고 이에 대응하는 성형기술 및 접합기술의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 Multi-Material Mix 접합 기술

▪ Audi, BMW, VolksWagen 등 국외 선진 자동차 업체들은 차체의 강도 및 강성 등 품질 향상,


경량소재 대응의 목적으로 접착제 사용을 확대하고 있으며, 향후 경량 이종소재 접합 기술로 활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함

▪ 해외 차종의 접착제 적용분야는 구조 형상적 문제로 용접을 진행하기 어려운 용접 난이부와 강성


증대가 필요한 구조 강성부, 그리고 알루미늄 및 이종재료가 사용되고 있는 경량 이종소재 부위에
적용되고 있음

▪ BMW 530i, Audi A6, Benz E320 등은 알루미늄 및 이종재료 용접 부위에 접착제를 적용하고
기계적 접합을 추가하여 접착 강도를 강화시켰음

 마찰교반용접 기술
▪ 마찰교반용접은 최근 자동차 메이커들이 상용화 하기 시작하여 미국의 Ford사는 GT 모델의 Center
Tunnel에 마찰교반용접을 적용하였으며 일본의 Mazda사는 Al 리어 도어 부위에 마찰교반점용접을
도입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Tower Automotive사의 space frame 및 engine supporter
mount, Pipe & Die Cast사의 intake manifolder, Volvo사의 트럭용 Seat Frame 등에도
마찰교반용접이 적용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95
95
전략품목 현황분석

[ 해외 주요국의 마찰교반용접 기술개발 현황 ]

개발주체 개발 내용

美 Ford사 GT모델 Center Tunnel부품의 FSW 기술개발

⽇ Mazda사 RX-8 모델의 리어 도어의 FSSW 기술 개발

美 Tower Automotive사 Space frame, Engine supporter mount의 FSW 기술 개발

美 Pipe&DieCast사 intake manifolder에 FSW 적용

*출처: Friction Stir Welding and Process Processing-Current State of the Art and Needs for the Future, William J. Arbegast,
수송기계용 경량합금의 마찰교반용접, 포항산업과학연구원

96
96
이종접합 소재

(2) 국내업체 동향

 이종접합소재 기술을 도입한 차체 연구 사례로 다종재료를 사용한 경량 차체개발


(자동차기반기술개발사업, 현대자동차)이 진행되었음. 본 프로젝트는 차체 주요 골격에
알루미늄 압출재와 주조재를 적용하고 그 외 판넬류에 알루미늄 및 스틸 판재를 사용함

▪ 샌드위치 판재 Moving 외판 및 하니컴 판넬 Center Floor를 개발하고 Self-Piercing Rivet, Blind


Rivet, Mig Welding을 사용하여 부품들을 결합함

 최근 현대자동차가 제네시스 모델에 차체 구조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해외 경쟁모델에 비하여


가벼우면서 강성은 12~14% 우수하도록 개발에 성공함

 국내에서 기계적 접합은 파워트레인 등 타 자동차 부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반면, 차체


분야는 적용사례가 거의 미미한 실정임

▪ 이러한 원인은 국내 완성차 업계에서 알루미늄 차체의 양산화를 구현한 사례가 없으므로 이종재료
및 난용접성 소재의 접합기술로 사용되는 기계적 접합을 차체에 적용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인 것으
로 판단됨

▪ 그러나 국내 자동차 업계도 경량소재의 활용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기계적 접합의 차체


적용은 조만간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

 마발교반용접 분야는 국내 일부 연구소 및 학교에서 주도적으로 동종재료간의 접합 품질


확보에 주안점을 두고 기초 특성 평가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포항산업과학연구원이 성균관대학교 및 수원대학교와 공동으로 마찰교반용접을 적용한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의 이종접합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후에 스틸과 알루미늄간의 접합에 마찰교반점용접을 적
용하여 이종소재 접합 특성을 평가함

▪ 자동차부품연구원은 한중공동연구의 일환으로 마찰교반용접시스템을 구축하고 마찰교반용접을 적용


한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간의 이종소재 접합 특성을 분석함

97
97
전략품목 현황분석

[ 국내외 중요 기업 동향 ]

회사명 국가 설립연도 관련 동향

•알루미늄 차체 개발 1위 (ASF: Aluminium space frame)


독일 1909 •Al, Mg 등 비철금속 및 CFRP를 사용한 이종소재 차체 개발
•다양한 소재결합을 위해 14가지 접합 방식 적용

•차량 space frame에 CFRP 적용


•CFRP 중심의 이종소재 성형 및 접합 기술 개발
독일 1916
•BMW 7 시리즈는 16개 파트에 4가지 성형공법을 적용
•Center pillar, Roof rail, Roof side outer 등의 부품에 CFRP적용

•F-150 알루미늄 풀바디 적용


•금속-고분자접합-성형 하이브리드 공정 기술 개발
미국 1903
•DOE(Department of Energy)의 Multi Material Lightweight Vehicle
(MMLV) 프로젝트를 통한 이종소재 경량화 기술 개발

•스틸과 경금속을 오버랩 시킨 후에 레이저 용접을 통한 접합 기술 개발


독일 1937
•알루미늄, 마그네슘 합금 또는 플라스틱의 레이저 이종접합 기술 개발

•열경화성 CFRP와 알루미늄 프레임 구조의 프론트 바디 접합 기술


일본 1937
•클래드재와 알루미늄의 마찰 교반 접합 기술

•알루미늄 및 스틸 이종소재 클린칭 리벳과 접착제의 하이브리드 접합


독일 1926
•알루미늄-스틸 접합 ImpAcT (Impulsed Accelerated Tacking) 기술

오스트리아 2001 •CFRP-금속 접합기술과 접합부 갈바닉 부식특성에 대한 연구

•마그네슘을 물리적 증기 증착법을 이용한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한국 1967 마찰교반용접 기술
•알루미늄과 FRP 접합에 삽입부재와 접착제 이용한 이종접합 기술

•국내 차체 성형 전문 기업
한국 1977
•Al Fender Apron, Al Front Side Member 부품화 기술 보유

•차체 및 섀시 성형과 관련된 금형 전문 기업


한국 1973
•레이저 접합 등에 대한 접합 기술 확보

98
98
이종접합 소재

다. 특허 동향

◎ 이종접합 소재 기술 분야 특허상 주요 기술

 주요 기술
▪ 이종접합 소재 기술 분야는 다음과 같이 경량화에 사용되는 금속 재료, PEEK (polyether
etherketone), PI (polyimide) 및 탄소섬유 등의 하위 기술이 포함됨

요소기술 코드 설명

경량화에 사용되는 금속 화학적인 처리를 거친 금속재료가 사용되며, 알루미늄, 스테인


A
재료 레스, 마그네슘 등의 다양한 종류가 사용됨

PEEK 트랜스 밋션용 오일 실링, 엔진/베어링 열수메터부품, 열수펌프


B
(polyetheretherketone) 등

PI
C 항공우주용 내열구조 부품, 공업용 모터/PCB외 절연재료 등
(polyimide)

탄소섬유 D 항공기에 주로 이용, 자동차에는 CNG Cylinder에 일부 이용

◎ 세부 분야별 특허동향

 주요 기술별 출원인 국가별 특허동향


▪ 이종접합 소재 기술의 요소기술별 주요 출원인별 특허정보 데이터를 입수하였으며, 최근 10년간의
특허데이터를 비교 분석함

요소기술 한국 미국 일본 유럽 기타 계

경량화에 사용되는 금속 재료 52 6 31 2 4 95

PEEK (polyetheretherketone) 2 59 38 50 5 154

PI (polyimide) 51 5 49 10 3 118

탄소섬유 70 581 196 352 63 1,262

합계 175 651 314 414 75 1,629

99
99
전략품목 현황분석

▪ 이종접합 소재 기술 분야의 국가별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미국과 유럽 출원인의 연구개


발이 활발하며, 그 다음으로 일본, 한국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요소기술별 특허 점유율은 출원인
국적별로 차이가 있음

▪ 경량화에 사용되는 금속재료 기술 분야에서는 한국과 일본 국적 출원인의 특허비중이 높았으며, 미


국과 유럽 출원인의 특허는 집계되지 않음

▪ 이종접합 소재 중 PEEK (polyetheretherketone)의 경우 미국과 유럽 출원인의 특허출원 비중이 높


으며, 일본이 뒤를 이음

▪ 이종접합 소재 중 PI(polyimide)의 경우 한국 출원인의 특허출원 점유율이 가장 높은 분야로, 일본


출원인이 뒤를 잇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국적 출원인의 출원은 미진한 분야임

▪ 이종접합 소재 중 탄소섬유는 다른 요소기술에 비해 특허출원 비중이 가장 높은 분야로, 미국, 유럽,


일본 출원인의 순으로 특허비중이 높으며, 한국 출원인의 특허 출원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

▪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지난 10년간 대체적으로 특허 출원이 등락을 거듭하며 큰 증가


세나 하락세를 보이지 않고 꾸준히 출원되는 경향을 보임
*17~2018년은 미공개 출원이 존재하여 출원 수가 적게 보이는 구간으로, 시계열 동향을 파악할 때 이 점을 유
의해야 함

▪ 요소기술별 국가별 특허 집중도를 살펴보면, 한국 국적 출원인과와 해외 출원인의 점유율에 차이를


보임

▪ 한국 국적 출원인의 경우 PEEK (polyetheretherketone) 소재 (B) 를 제외하면 이종접합 소재로서


경량화 금속 (A), PI(polyimide) (C), 탄소섬유 (D)를 각각 29.7%, 29.1% 및 40%로 골고루 출
원하고 있으며, 이중 탄소섬유 (D) 소재의 특허 점유율이 가장 높음

▪ 외국 출원인의 경우 역시 탄소섬유 (D) 의 특허출원 비중이 82%로 압도적으로 높으며, 국내 점유


율이 낮은 PEEK (polyetheretherketone) 소재 (B)가 10.5%로 뒤를 이음

100
100
이종접합 소재

▪ 외국 출원인의 특허출원 분야 중 경량화 금속 (A) 및 PI(polyimide) (C) 의 이종접합 소재 개발 분


야는 상대적으로 점유율이 낮은 편임

 주요 기술별 출원인 동향

요소기술 기술집중도 주요출원인 국내특허동향

• 한국기계연구원
• 기업, 공공연구기관, 대학
경량화에 사용되는 금속 재료 ◯ • 대유신소재
• 부경대학교산학협력단
• 한국기계연구원, 대유신소재,
가온전선, 부경대학교산학협력단
• 가온전선

• NOK株式会社
• 기업중심
PEEK (polyetherether-
ketone)
◔ • DIONEX SOFTRON
• Agilent Technologies
• 아레바를 제외하면 다출원인
없음
• AREVA

• 住友電気⼯業株式会社 스미토모
• 공공연구기관, 기업 중심

전기)
PI(polyimide) • 한국과학기술원, 한국화학연구원,
• 한국과학기술원
두산, 삼성전기, 경상대학교
• 한국화학연구원

• The Boeing Company • 기업 중심


탄소섬유 ● • Airbus Operations • 보잉, 한국항공우주산업,
• 東レ株式会社(도레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 ●: 1,000건 이상, ◕: 500~999건, ◓: 300~499건, ◔: 100~299건, ◯: 100건 미만

101
101
전략품목 현황분석

 경량화에 사용되는 금속 재료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경량화 금속재료 기술 분야는 국내 출원인이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기업, 공공연구기관,
대학이 골고루 특허를 출원하고 있음

 PEEK (polyetheretherketone)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PEEK (polyetheretherketone) 이종접합 소재 기술 분야는 해외기관에서 출원을 주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해외기업인 아레바를 제외하면 출원이 활발하지 않음

 PI(polyimide)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PI(polyimide) 이종접합 소재 기술 분야는 일본, 한국에서 출원을 주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공공
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원, 한국화학연구원)과 기업 (두산, 삼성전기)이 고르게 출원을 주도하고 있

 탄소섬유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탄소섬유 이종접합 소재 기술분야는 해외기관에서 출원을 주도하고 있으며, The Boeing Company,
Airbus Operations, 도레이 등이 주요 출원인임

▪ 국내에서도 항공우주 관련 기업/기관인 보잉, 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이 출원을 주


도하고 있음

◎ 국가별 특허활동지수(AI) 비교

 특허활동지수(Activity Index)는 상대적 집중도를 살펴보기 위한 지표로서, 그 값이 1보다 큰


경우 상대적 특허활동이 활발함을 나타냄
▪ 한국은 경량화에 사용되는 금속 재료 분야 (A) 및 PI(polyimide) (C) 기술 분야에서 특허활동이
5.1, 4.02로 매우 활발하며 PEEK (poly- etheretherketone) (B) 기술 분야의 특허활동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남

▪ 미국은 탄소섬유 (D) 분야를 제외하면 다른 요소기술 분야에서는 특허활동이 미진하며, 탄소섬유 기
술 분야도 AI 지수가 1.15로 높지 않음

▪ 일본은 탄소섬유 (D)를 제외하면 경량화 금속재료, PEEK (poly- etheretherketone) (B) 및
PI(polyimide) (C) 소재 기술분야에서 골고루 일정수준 이상의 특허활동을 나타내며, 특히
PI(polyimide) (C) 재료에 대한 특허활동이 2.15로 가장 활발함

▪ 유럽은 경량화 금속재료와 PI(polyimide) (C) 소재 기술 분야의 특허활동이 부진하며, PEEK


(polyetheretherketone) (B)의 특허활동이 1.28로 요소기술 중 특허활동이 가장 높으나 타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특허활동이 낮은 편임

102
102
이종접합 소재

◎ 질적 수준을 고려한 각국의 시장력 분석

 특허의 시장력과 질적 수준은 PSF (Σ패밀리수/Σ특허수) 및 CPP (Σ피인용수/Σ특허수) 지수로


판단할 수 있음

▪ 이종접합 소재 분야 특허의 평균 시장력과 질적 수준은 각각 1.36, 1.02로 나타나, 해당분야 특허


의 경우 시장성과 질적 수준이 비교적 높지 않음

▪ 해당분야 특허의 시장력은 특허수가 많은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아 전체 평균 1.36과 유


사한 시장성을 가진 특허가 출원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프랑스 (FR)에서 1.73으로 상대적으로
시장성이 다소 높은 특허를 출원함

▪ 이종접합 소재 분야에서 미국만이 특허의 질적수준이 1.37로 높아 해당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기술의 특허가 출원되는 것으로 나타나나, 특허수가 많은 타 국가의 특허는 질적수준이 높지 않음

PFS CPP
국가 특허 수
(Σ패밀리수/Σ특허수) (Σ피인용수/Σ특허수)

EU 414 1.40 0.41


JP 314 1.21 0.36
KR 175 1.50 0.33
US 651 1.35 1.37
DE 194 1.38 0.45
FR 95 1.73 0.44
전체평균 58 1.36 1.02

103
103
전략품목 현황분석

◎ 이종접합 소재 기술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 및 공백기술

 이종접합 소재 기술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은 탄소섬유 소재 분야이며, 해당분야의 특허기술


경쟁이 가장 치열한 것으로 나타남

▪ 이종접합 소재 기술 분야의 공백기술은 특허출원이 가장 적은 경량화에 사용되는 금속재료 분야이


며, PEEK (polyetheretherketone) 및 PI (polyimide) 역시 특허출원이 활발하지 않은 공백기술
분야로 나타남

요소기술 기술 집중도

경량화에 사용되는 금속 재료 ◯

PEEK (polyetheretherketone) ◔

PI (polyimide) ◔

탄소섬유 ●

※ ●: 1,000건 이상, ◕: 500~999건, ◓: 300~499건, ◔: 100~299건, ◯: 100건 미만

◎ 최신 국내 특허기술 동향

요소기술 최근 핵심기술 동향

• 알루미늄, 마그네슘, 스테인레스, 이들의 합금 및 이를


경량화에 사용되는 금속 재료
이용한 복합재료 등을 수송기기 경량화에 활용

PEEK (polyetheretherketone) • 다양한 기기, 부품의 밀봉, 씰링 재료로 주로 활용

PI (polyimide) • 방열, 내열, 절연성을 부가하는 부품 및 재료에 활용

탄소섬유 • 항공분야의 외장재, 부품 등에 활용

 국내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이종접합 소재 기술 분야는 요소 기술별로 특허기술 주도 그룹이


상이함

▪ 경량화에 사용되는 금속재료 분야에서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이들의 합금 등을 주요 소재로 활용


하며, 이를 이용한 복합재료 등을 수송기기 부품 및 외장재 경량화에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 중임

▪ PEEK (polyetheretherketone) 소재는 부품 이음새의 밀봉, 씰링 재료로 주로 활용되며, 활용 범위


는 운송차, 공정 설비, 전자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음

▪ PI(polyimide) 소재는 방열, 내열, 절연 등 부품의 열적 성능을 개량하는 분야에 접목되어 개발되고
있음

▪ 탄소섬유는 항공우주 분야의 외장재 및 부품에 다양하게 적용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음

104
104
이종접합 소재

◎ 중소기업 특허전략 수립 방향 및 시사점

 이종접합 소재 기술 분야에서 출원된 특허는 전반적으로 시장성이나 질적 수준이 높지 않아


원천특허 보다는 개량특허가 많은 분야로 판단됨

▪ 소재의 물리화학적 특성 개량 및 적용범위를 다양화하여 기술개발을 시도하거나, 기존 특허의 회피


설계가 타 분야에 비해 비교적 용이할 수 있어 중소기업의 진입 장벽이 높지 않을 것으로 사료됨

▪ 요소기술별 공백기술 분야는 경량화에 사용되는 금속 재료 분야로서, 해당분야는 특허 출원 건수도


작고 다출원인이 나타나지 않으며, 기업, 공공연구기관, 대학이 산발적으로 특허출원에 참여하고 있
어 중소기업의 시장진입이 비교적 용이한 분야인 것으로 판단됨

▪ PEEK (polyetheretherketone) 기술 분야의 경우, 한국 출원인의 출원 비율이 높지 않고 해당분야


의 특허활동 지수도 낮아 국내 연구 활동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며, 중소기업의 국내 진입장벽이 낮
을 것으로 보임

▪ PI(polyimide) 소재는 한국과 일본에서 특허출원 강세를 보이고 있어 기술 경쟁이 예상되는 분야임

▪ 탄소섬유 기술의 경우 해외에 비해 한국 출원인의 특허출원 점유율이 낮고 특허출원 건수도 적어 한


국이 후발주자인 것으로 분석되며, 해외와의 기술격차가 있어 중소기업의 시장진입 시 국내외 연구
기관과의 기술적 협력과 더불어 선도기관의 특허회피 전략 수립 등 부족한 연구개발능력을 보완하
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됨

105
105
전략품목 현황분석

4. 연구개발 네트워크

가. 연구개발 기관/자원

(1) 연구개발 기관

◎ 고등기술연구원 : 국내외 표준기술 조사

 금속과 고분자 소재의 기계적 체결 공정별 실험

 금속과 고분자 소재의 기계적 체결 기술 조사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Eco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관련 소재 원천 기술을 보유

 주조, 금형, 소성가공 및 용접 기술 센터를 바탕으로 이종소재 관련 연구개발

◎ 재료연구소

 금속소재 개발 기술 및 복합소재의 합성 및 성형에 관련 연구개발 기술을 확보

◎ 재)한국탄소융합기술원

 단품 재료 체결/접합기술에 화학적/기계적 접합 기술 분석

 복합재료 접합 상호 비교를 위한 해석 방법 분석

 이종재료 접합 해석 방법 분석

◎ 재)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 금속/CFRP 이종접합 시험평가 자료 조사

 금속/CFRP 이종접합 강도, 인장, 피로시험

 금속/Carbon Epoxy laminate 재료에 대한 기초 물성 검증

106
106
이종접합 소재

◎ 자동차부품연구원

 공용 알루미늄 합금, CFRP 및 GFRP RTM 성형, 하이드로 포밍 및 롤러 헤밍과 등의 특수


성형 및 각종 접합 기술

◎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고기능성 표면처리 소재 기술을 바탕으로 내식성 향상 기술과 마그네슘 판재를 이용한 차체


경량화 기술

107
107
전략품목 현황분석

(2) 연구개발 자원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혁신사업

 제품서비스기술/공정·품질기술/산학연협력기술/상용화기술 개발사업

 중소기업 R&D 역량제고사업

 지역특화산업육성(융복합기술개발사업)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연구인력지원사업

 산업주도형 기술교육혁신 사업

 혁신형 일자리 선도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전략핵심소재기술개발사업

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 산업엔진 프로젝트(19대 미래성장동력)

◎ 중소기업진흥공단

 인력양성 (컨설팅 지원사업) : 중소기업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하여 성장기‧정체기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근본체질 강화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

◎ 제조업 혁신 3.0 전략 실행대책

 생산 현장의 스마트화를 통해 획기적인 생산성·경쟁력 제고

 개인맞춤형 유연생산을 위한 스마트공장 고도화와 융합신제품 생산에 필요한 8대 스마트 제


조기술 개발 추진

108
108
이종접합 소재

 스마트공장 자동화 설비, 지능형로봇, 자율 공정 시스템 등에 복합센서 연결 및 데이터 수집·


제어 등에 활용

◎ K-ICT 스마트 디바이스 육성방안

 제조업 혁신 3.0전략 실행대책의 후속조치

 성장성·경쟁력 등을 고려해 10대 스마트 디바이스 부품·모듈기술 및 스마트 센서 핵심 성능


구현을 위한 공정·회로설계 기술 개발

 스마트 디바이스 제품 개발·제작·테스트를 위한 단계별 맞춤형 지원 및 공통 시설·장비 등


제작 지원 환경 구축

 투자유치·마케팅 진행 및 해외 시장진출 지원

 스마트 디바이스 분야의 석·박사급 전문인력 양성 및 디바이스 제작 프로그램 개발·보급 등


저변확대

109
109
전략품목 현황분석

(3) 중소기업 대상 시설 및 장비 지원

◎ 중소기업전용연구시설(Rental Lab)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공동연구수행 및 장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에게 연구공간을 제공

 연구원 인프라(인력, 장비 등)를 활용한 근접 지원

 지원내용은 크게 시설 지원, 장비 지원, 기술 및 공동연구 지원으로 구성되어 있음

◎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 (중소벤처기업부)

 주관기관이 보유한 연구시설과 장비, 소프트웨어를 중소기업이 공동 활용하도록 지원

 연구개발과 설계 및 디자인, 시제품 제작, 성능평가, 양산 및 마케팅에 이르는 원스톱 지원

 중소기업이 첨단 고가 연구장비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110
110
이종접합 소재

나. 연구개발 인력

 이종접합소재 기술 분야는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고등기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재료연구소에서 주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 이종접합소재 분야 주요 연구조직 현황 ]

기관 소속 연구분야

•레이저 응용 가공 기술 및 자동화
로봇생산기술센터 •Al/Steel 용접, 철-비철 이종재료 접합 및 본딩 기술
고등기술연구원
신소재공정센터 •가공 열처리 기술, 이종소재 용접/접합 및 모니터링
기술, 대면적 스프레이 코팅 기술

복합소재설계팀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 •초연결을 위한 IoT 통신/네트워크 및 스마트 센서 핵
융합부품상용화팀
원 심원천 기술
시험평가팀

•Al/Fe, Mg/Fe 이종금속 용접 기술 개발


뿌리산업기술연구소 •HIC/SSCC 부식저항성 평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용접접합그룹 •경량, 난성형성 및 하이브리드 소재 정밀 압출기술
성형기술그룹 •중소기업 제품 및 소재 · 부품의 시험 · 검사 및 신
뢰성 평가

111
111
전략품목 현황분석

다. 기술이전가능 기술

◎ 기술이전가능 기관 및 세부내용

 이종접합소재 기술의 요소기술은 크게 기반기술, 응용기술의 두 개의 분류로 구분됨

[ 이종접합소재 기술 관련 이전 기술 ]

기관 이전 기술 내용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탄소섬유 복합재 차체 부품


- EV, HEV 등 미래형 고효율 자동차에 적용
- 적용가능부품: Hood, Roof 등 복합재 차체
경량 알루미늄/마그네슘
재료연구소 •우주항공, 철도, 토목/건축 등 타분야 경량화 소재
금속복합재료 기술
- 기존 부품대비 경량화 효과
- 탄소섬유 적용 및 섬유체적율 증가를 통한 기계적 성능 개선
- 기존 복합재 대비 고속 성형공정 도입을 통한 생산원가 절감

112
112
이종접합 소재

5. 기술개발로드맵

가. SWOT분석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환경) 산업계 전반에서


•(환경) 전문 인력 확보의 어려움
•(기술) 높은 수준의 이종접합소재 기술 확보
•(기술) 이종접합소재 핵심 원천 기술 부족
•(정책) 산업지원 정책 수립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환경) 세계적인 환경 규제 강화
•(환경) 전 세계적인 산업 경기 침체
•(기술) 독자기술 연구·개발 및 확보
•(정책) 미시적 R&D 정책
•(정책) 중소기업 기반의 기술개발 지원 확대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 이종접합소재 기술의 고기능성, 고신뢰성 확보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필요

➜ 관련 산업분야에 바로 적용이 가능한 이종접합소재 기술을 위한 R&D 연구 역량 필요

113
113
전략품목 현황분석

나. 중소기업 핵심요소기술

(1) 핵심요소기술 도출절차

 특허/논문 분석을 통한 요소기술과 기술수요와 각종 문헌을 기반으로 한 요소기술, 전문가


추천 요소기술을 종합하여 품목별 전문가를 통해 분류조정한 후, 전문가 평가과정을 거쳐
핵심요소기술을 선정
- 기술개발시급성(10), 기술개발파급성(10), 단기개발가능성(10), 중소기업 적합성(10)을 고려하여 평가

요소기술 요소기술 핵심요소기술 핵심요소기술


Pool 구성 분류 조정 선정평가 선정

- 특허/논문 분석 è - 품목별 전문가 è - 산학연 전문가 검토 è - 평가결과 반영


- 기술수요 및
요소기술 분류 - 평가항목별 요소기술 로드맵 기획 대상
문헌분석
조정·재정의 선정평가 핵심요소기술 도출
- 전문가 추천

114
114
이종접합 소재

(2) 요소기술

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타부처로드맵,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하여 요소기술 도출

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전문가를 통해 기술의 범위, 요소기술 간 중복성 등을 조정·검토하여


최종 요소기술명 확정

[ 이종접합소재의 요소기술 ]

요소기술 출처

경량화에 사용되는 금속 재료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PPS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LCP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PEEK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PI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내열PA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탄소섬유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아라미드 섬유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115
115
전략품목 현황분석

(3) 핵심요소기술

 확정된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핵심요소기술 선정평가를 통하여


중소기업에 적합한 핵심요소기술 선정

 중소기업 개발 적합성 및 품목 개발을 위한 기술개발 시급성 등을 이유로 요소기술 전체를


핵심요소기술로 선정

[ 이종접합소재의 핵심요소기술 ]

핵심요소기술 개요

화학적인 처리를 거친 금속재료가 사용되며,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마그네슘 등의


경량화에 사용되는 금속 재료
다양한 종류가 사용됨

Alternator, Waterpump, 배기가스 밸브/필터, 각종 센서, EV용 배터리 등에 사


PPS
용되는 접착소재

용융 시에 네마틱 결정성을 보이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엔진 및 엔진관련부품,


LCP
보빈, 커넥터, 전기전자 부품 접착시 사용
난연성, 높은 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기계적 강도, 가공성을 보이는 플라스
PEEK 틱 소재로 트랜스 미션용 오일 실링, 엔진/베어링 열수메터부품, 열수펌프 등에서
사용

PI 항공우주용 내열구조 부품, 공업용 모터/PCB외 절연재료 등

내열PA 엔진 및 연료관련 부품 등

탄소섬유 항공기에 주로 이용, 자동차에는 CNG Cylinder에 일부 이용

아라미드 섬유 타이밍벨트, 무단변속기용 벨트, 타이어 코드 및 보강재, 브레이크패드

116
116
이종접합 소재

다. 기술개발전략

(1) 우리의 현황

 (시장규모 및 성장률) 국내 시장규모는 2019년 기준 12.8%의 성장률에 따라 약 2,560억


달러로 전망하고 있으며, 세계 시장 중 가장 큰 규모를 가진 국가는 중국으로 연평균 약
12.2%, 6,180억 달러 수준인 것으로 나타남

 (기술수준) 세계 최고기술국은 미국으로, 국내 기술수준은 최고 기술대비 69.2%로 분석됨

 (특허 출원 및 피인용율) 특허출원량은 175건으로 주요 선진국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있음


(미국 651건, EU 414건)
▪ 특허인용율은 일본(0.36)보다 약간 낮은 0.33으로 미국(1.37)과는 큰 차이가 있음

 시장규모 및 기술의 양적·질적 측면 등 전반적으로 세계 주요국들과 차이가 큰 것으로 보여짐

117
117
전략품목 현황분석

(2) 기술개발로드맵

 중소기업 최종 기술로드맵은 기술/시장 니즈, 연차별 개발계획, 최종목표 등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성을 제시함

118
118
이종접합 소재

※ 참고 : 핵심요소기술 평가결과

지표별 평가결과
요소기술 기술개발 기술개발 단기개발 중소기업 비고
합계
시급성 파급성 가능성 적합성

경량화에 사용되는 금속
7.0 7.7 6.7 7.0 28.3 선정
재료

PPS 5.3 6.0 3.7 4.7 19.7 선정

LCP 5.3 3.7 5.3 4.7 19.0

PEEK 5.3 4.7 5.0 5.0 20.0 선정

PI 6.0 5.7 4.7 4.7 21.0 선정

내열PA 5.0 5.0 4.0 5.7 19.7 선정

탄소섬유 6.3 7.7 6.0 7.0 27.0 선정

아라미드 섬유 5.7 6.0 4.0 4.3 20.0 선정

119
119
전략품목 현황분석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121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정의 및 범위

▪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즉 소프트 액츄에이터는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져 금속


기반 장치 대비 복잡한 회로 및 부품 없이 최소화 된 디자인으로 구동이 가능하여 웨어러블 기기,
휴대기기, 소형 로봇에 적용 가능한 소재를 의미함

정부지원 정책

▪ 산업통상자원부는 정밀 반복 구동형 소프트 액츄에이터 소재 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2020년부터


2026년까지 총 98억 원을 R&D에 집중 지원하여 반복구동이 가능하고 고가 부품을 대체하는
소프트 액츄에이터 개발에 투자할 계획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소프트 웨어러블 로봇 개발을 목적으로 2016년부터 2022년 까지 총 145억


원을 지원하여 의복형태로 착용되어 근력을 보조하고 정확도를 높여주며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차세대 착용형 로봇 기술 개발에 적극 지원할 계획

▪ 다중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극단적 크기와 양상으로 변형함으로써 초기 모양과 매우 다른 형상으로


변화하는 메타모핑 기계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며, 이에 2018년부터 2027년까지 총 72억 원을
투자할 계획

중소기업 시장대응전략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환경) 유연한 적용가능 범위 •(환경) 수입에 의존


•(기술) 우수한 인프라 •(기술) 핵심 원천기술 미흡
•(정책) 산업지원 정책 형성 •(정책) 지원 분야 제한적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환경) 제조 패러다임의 변화 •(환경) 생산지원 인프라 부족


•(기술) 기반기술 연구·개발 •(기술) 글로벌 업체와의 기술격차
•(정책) 정부와 업계에서의 관심 증대 •(정책) 미시적 R&D 정책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 다차원의 변형 구현과 고기능성, 고신뢰성 지능형 소프트 액츄에이터 개발

➜ 액츄에이션 시 큰 변형률과 전달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신복합 소재 개발

➜ 나노, 마이크로 구조로 소형화하며 동시에 저가격화 기술을 접목한 소프트 액츄에이터 제품 개발
전략품목 현황분석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 소프트 액츄에이터 기반 기술이란 부드러운 물질을 이용해 강철로 만들어진 일반 로봇보다


움직임이 유연하고 외부 충격에 강해 다양한 환경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
▪ 소프트 액츄에이터란 탄성이 우수한 변형체를 이용하여 신축성을 함유하며 부드러운 움직임이 가능
한 기계 장치용 소재

 금속 로봇은 관절을 통해 움직이기 때문에 복잡한 동작을 구현하기에는 제한이 있지만,


소프트 액츄에이터는 소재를 어떻게 프로그래밍 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동작의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물체를 다룰 수 있음
▪ 금속의 소재의 강체 로봇은 미세 조절이 가능하도록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
모터, 관절, 기어 등 많은 부품이 필요하지만 소프트 기계 장치용 소재는 자기 조립 (self-folding)
에 의해 전통적인 로봇 설계로 구현이 어려운 초소형 곤충, 문어 모사 로봇 등 새로운 형식의 구동
메커니즘 도입이 가능

▪ 마이크로 디바이스에서 기계적 변형 정밀 조작을 기계식이나 전자식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연결선


이나 장치의 부피가 마이크로 디바이스의 디자인의 제한점으로 존재하고 부품가격이 상승함. 외부자
극 감응형 능동 소재 개발 시 저가의 초소형 마이크로 디바이스 개발이 가능해짐

 유럽은 소프트 액츄에이터의 개발을 위해 EU의 지원으로 약 1000만 유로 규모의 OCTOPUS


Project를 2009년-2013년에 진행하였으며, 의료용 소프트 액츄에이터 개발을 위해
STIFF-FLOP Project를 2012-2015년에 진행 중
▪ 미국은 미-국방성의 지원으로 Chembot Project라는 25년 장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등 선진국에
서는 대규모 연구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는 아직 관련 기술 개발이 미흡한 상태이므로 국내
에서도 각광받고 있는 기술인 소프트 로봇 개발이 필요함

 소프트 액츄에이터 연구를 선도하는 하버드, MIT, SSAT, 코넬 및 시카고 대학에서는 유체,
겔, 폴리머와 같이 부드럽고 변형이 용이한 소재를 이용하는 소프트 엑츄에이터를 개발하고
사업화하는 단계까지 이르렀지만, 로봇의 정밀도, 구동 효율, 동작 속도가 매우 낮음

 한편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강성이 우수한 고분자 뼈대 구조물이 로봇에 적용될 경우 높은


하중을 담당할 수 있고, 큰 구동력을 생성할 수 있음
▪ 더하여 더욱 부드러운 로봇의 움직임을 기대할 수 있음. 특히, 부드러운 고분자 소재와 변형이 가능
한 로봇의 뼈대 구조물이 융합될 경우 두 소재의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음

 차세대 소프트 액츄에이터를 통해 로봇의 작업 영역이 산업현장 뿐만 아니라 의료 및


일상생활 환경으로 확대될 수 있고, 소프트 액츄에이터 원천기술을 통해 생산 원가 절감,
새로운 시장 창출 및 국가 경쟁력 제고가 가능

124
124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나. 범위 및 분류

(1) 구동 방식에 따른 소프트 액츄에이터의 분류

[ 여러 가지 구동 방식의 소프트 액츄에이터 ]

◎ 전기 감응형 소프트 액츄에이터

 전기장 감응형 LCN을 이용한 표면 조절 기술

▪ 전기장 상에서 액정 고분자를 배향시켜 표면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기술을 이용해 햅틱 기술로 응용
시킴

[ 전기장에 의한 액정 고분자 배열 변화 ]

◎ 자기 감응형 소프트 액츄에이터

 자기장 감응형 고분자 복합체 복합모션 제어 기술

▪ 외부에서 가해주는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을 조절해 복합체 내부에 같은 방향으로 배열된 부분들이
반응해 휘어짐을 이용하여 복잡한 굴곡이 있는 공간을 오르거나 점프하는 등의 복합모션을 구현함

125
125
전략품목 현황분석

[ 자기장조절로 복합모션을 하는 고분자 필름 ]

◎ 화학 감응형 소프트 액츄에이터

 서울대학교 김호영 교수 연구팀은 수분을 이용하여 움직일 수 있는 고분자 소프트로봇을 개발


하였으며, 수분에 의해 반응하는 층과 반응하지 않는 층으로 이루어진 이중층 구조를 이용하
여 수분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소프트로봇으로의 응용 기술을 개발함
▪ 수분이 많은 체세포와 같은 바이오 환경에서 소프트로봇의 다리 부분에 항생제를 코팅하여 소프트로
봇이 움직이면서 움직인 영역의 세균을 사멸시키는 기술을 확보함

[ 수분조건에 반응해 워킹하는 소프트로봇 ]

◎ 열 감응형 소프트 액츄에이터

 열 감응형 액정고분자 (LCE)를 이용한 4D 프린팅 기술


▪ 온도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액정 고분자의 형태 변화를 이용하여 2D에서 3D로 또는 3D에서 3D로
의 가역적인 변환을 이루었고, 구현하기 힘든 가우시안 형태 변환을 구현함

126
126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 열에 의한 4차원 형태 변화]

◎ 광 감응형 소프트 액츄에이터

 액정(liquid crystals)은 다양한 방법 (표면에너지, 전기장 및 자기장 등)을 통해 원하는


방향으로 액정분자의 배향을 조절할 수 있는 이방성 물질임. 따라서 광분자기계를 액정상에
탑재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정렬시킨 후 가교 등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면, 빛에 의한
분자레벨에서의 응력/변형을 거시적 레벨의 기계적인 일로써 극대화 시킬 수 있음

 액정 고분자 복셀 패터닝 기술
▪ 액정 고분자의 배향을 3차원 화소 수준에서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함

▪ 원하는 패턴을 만들어 외부 자극에 따라 복잡한 형상변형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음

[ 액정 고분자 배열 조절로 복잡한 구조 형상화 ]

127
127
전략품목 현황분석

▪ 카이럴 (chiral) 배향에 의한 3차원 나선형 구조로써 구름 운동을 함. 배향 패턴을 조절해 구동 방향


과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음

[ 카이럴 배향에 의한 나선구조로 움직이는 로봇 ]

◎ 공압식 소프트 액츄에이터

 공압 구동 방식은 외부 장치에서 압력을 조절하면 액츄에이터 구조 내부의 공기 통로를 통


해서 분산되어 있는 각 부분의 에어 챔버들의 부피 팽창과 수축이 일어나며, 이 부피 변화를
통해 구조 전체에 동력을 전달하고 움직임을 만들어 냄.

▪ 이때 에어 챔버의 위치, 물성, 두께의 변화와 구속 장치의 추가 등을 통해 구조의 변형을 제어. 대


표적인 공압 구동 방식의 소프트 액츄에이터에는 하버드대 George Whitesides 교수 연구진의 험
지 극복용 소프트 액츄에이터가 있음

[ 험지 극복용 공압식 소프트 액츄에이터 ]

128
128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 옥토봇 (Octobot)

▪ 미국 하버드대 제니퍼 루이스 교수팀이 연결선이나 외부에서의 동력원 없이 과산화수소수 기반의 액


체를 화학분해시켜 발생하는 산소를 이용해 다리의 움직임이 가능한 옥토봇을 개발

[ 화학반응에 의해 작동하는 소프트 액츄에이터 ]

 소프트 로봇 및 액츄에이터

▪ 2017년 미국 스탠포드대 연구진은 스스로 몸체를 자라게 하면서 주위 환경에 적응하는 균주나 성
장 중인 뉴런, 덩굴식물 등 자연 현상에 착안한 신개념 소프트 로봇을 개발

▪ 건물 붕괴 시 복잡한 잔해 더미를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어 생존자 확인에 용이

129
129
전략품목 현황분석

(2) 역할에 따른 소프트 액츄에이터 분류

◎ 소프트 내시경

[ 조직 조사와 샘플 채취가 가능한 소프트 액츄에이터 ]

 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와 카네기 멜론 대학교 등이 공동으로 개발한 미세 바늘 흡인술 생


체검사(fine-needle aspiration biopsy)용 캡슐 로봇 ‘B-MASCE’는 위 안으로 들어가 조직을
조사하고 샘플을 채취할 수 있으며 자석을 이용해 외부에서 움직임을 조작할 수 있음

[ 내시경에 사용되는 소프트 액츄에이터 ]

▪ 미국 콜로라도대학 렌츌러 연구그룹(Rentschler Research Group)은 결장 내시경 로봇을 개발 벌레


처럼 생긴 캡슐로봇은 벌레가 움직이듯이 연동 운동을 하면서 이동할 수 있음 몸을 수축 및 확장하
면서 기어감

130
130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 약물전달형

[ 종이접기 원리를 이용한 소프트 액츄에이터 ]

 MIT CSAIL(컴퓨터과학인공지능연구소)가 발표한 삼키는 종이접기 기술을 활용하는 오리가미


로봇은 박혀있는 단추 모양의 배터리를 제거하거나 아픈 부위에 약물을 투입하는데 활용 가능
소형 자석이 붙어있어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음

▪ 스틱-슬립이라는 동작을 구현하며 이동하는데 마찰을 이용해 몸 안에 붙어 있다가 풀어지는 힘을 이


용해 벌레처럼 거동함

[ 스스로 자라는 소프트 액츄에이터 ]

 먹을 수 있는 소프트 액츄에이터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EPFL)이 개발한 소프트 액츄에이터


는 젤라틴 내부에 액체와 공기를 간직하고 잇다가 화학적으로 반응하면서 동작함 4cm의 크
기로 카메라, 소형 배터리, 센서 등을 탑재할 수 있음

131
131
전략품목 현황분석

◎ 환자 보조형

 손이 마비되거나 근육이 손상된 사람이 외부 동력의 힘을 빌릴 수 있게 한다 가벼운 통조림


은 물론 1kg이 넘는 추도 들어 올릴 수 있고 문고리를 돌려 문을 열수도 있다 액소 글러브
폴리는 힘을 전달하는 와이어와 폴리머 소재의 장갑으로 이루어져 있음

▪ 고분자 재료이기 때문에 물에 닿거나 심지어 물속에 넣어도 망가지지 않는 장점이 있음

▪ 착용감이 편안하고 소독도 쉽다 엄지와 검지 중지에 착용할 수 있는 3개의 손가락이 있고 사용자의


손 크기에 맞게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음

[ 장갑형 소프트 액츄에이터 ]

◎ 군사용 근력보조형

 외골격형이나 슈트형 근력증강 시스템이 군사용이나 산업용, 재활 및 트레이닝용으로 활발히


연구 개발되어지고 있음

[ 근력보조형 슈트 ]

132
132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2. 외부환경 분석

가. 산업환경 분석

(1) 산업의 특징

 산업에 적용되는 기술에 따라 제품을 분류하면, 고출력의 동력이 필요한 제조용 로봇에 주로
사용되는 유공압 구동장치 분야, 전자력을 이용하여 속도 변동 및 가감속 구현, 정밀 제어를
통해 안전성 확보가 필수적인 서비스 로봇에 주로 사용되는 전동 구동 장치분야 그리고
센서와 융합되어 초정밀, 지능 동작 제어가 가능하며 주로 전기력을 이용하는 스마트
구동장치 분야로 분류함

 고출력의 다이내믹한 로봇 동작을 제조업 분야에서는 유압식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


전동식으로 상당부분 대체되고 있는 상황이나 유압만의 특유의 파워와 다이나믹한 동작
구현으로 인해 새롭게 각광 받고 있음

▪ 유압식 로봇의 대표적인 사례는 미국 보스턴 다이나믹스, SARCOS 등

 제조용 로봇 이외에 일반 서비스 분야의 로봇은 대부분 전동식 구동 장치를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 저가이면서 고효율의 소형 액추에이터 시장이 각광 받고 있음

▪ 매년 5%이상씩 시장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서보 모터의 경우 대부분 독일, 스위스, 일본


등에서 주도하고 있음

▪ 국내에서는 산업 구조상 일본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고 있고 최근 일본은 전용 모션 네트워크화로


서보 시스템을 패키지화하는 기술로 가고 있음

 유공압 및 전기가 아닌 초음파, MEMS등의 기술을 이용해 초소형 액추에이터 시장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음. 초음파 액추에이터는 초음파 영역의 기계적 진동을 구동원으로 압전 세라믹을
사용하는 액추에이터임

 후방 산업으로 금형, 표면처리, 열처리, 소성가공, 표면처리, 주조, 용접 등 제조업 근간이


되는 뿌리산업 분야가 될 수 있으며 전방 산업으로 스마트 기기와 융합된 장비, 의료용 기기
분야, 첨단 지능형 로봇 분야가 해당됨

후방산업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전방산업

뿌리산업 분야(금형, 열처리, 소성 스마트 기기 융합, 의료기기,


구동기, 감속기, 제어기
강공, 표면처리, 주조, 용접) 지능형 로봇 산업

133
133
전략품목 현황분석

(2) 산업의 구조

 헬스케어, 아웃도어, 제품생산, 오락 등 적용되는 산업의 범위는 다양함

 (외부자극 감응형 스마트 재료) 외부환경의 자극(온도, 빛, 압력 등)을 감지하여, 이 자극에


대해 유용하고, 가역적인 방법으로 반응하는 적응형 또는 지능형 재료 개발 진행

 (지능형 로봇) 외부환경을 스스로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기계장치
개발 진행

 (보조기구) 자신의 무게보다 더 무거운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인공 근육으로 활용할 수 있


음 현재 보조기구 산업에서 적용되는 기술은 모두 기계와 소프트 물질의 합성품. 소프트 액츄
에이터만의 기술은 개발단계에 있음

 (소프트 그리퍼) 미국 벤처 캐피털 ‘벤록(Venrock)’에서 인공지능과 자동화 분야 담당 투자자


인 ‘데이비드 팩맨’의 월스트리트저널과 인터뷰에서 소프트 그리퍼 분야의 기술 혁신에 대해
얘기함

▪ 미국 펜실베니아주 베들레헴에 위치한 캔디 제조업체 ‘저스트 본(Just Born)’은 매년 20억 개에 달


하는 메시멜로우로 만들어진 ‘핍스(Peeps)’ 과자를 판매하고 있는 캔디 제조업체 ‘저스트 본’은 더 많
은 제품을 생산하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핍스를 좀 더 주의 깊게 다룰 수
있는 소프트 로봇을 2018년 8월 도입

▪ 소프트 로봇 전문업체인 ‘소프트 로보틱스(Soft Robotics)’로부터 소프트 로봇 16대를 도입해 핍스


를 상하지 않고 피킹하는 공정에 투입할 계획을 세우고 적용하고 있음 망가지기 쉬운 제품을 다루
는데 소프트 그리퍼가 적합하다고 판단함

 IT, 자동차, 가전, 항공, 생체의료, 로봇 등 소프트 액츄에이터가 적용될 수 있는 분야가


다양하여 인간 생활 전반에 침투할 것으로 전망됨 국내 부품, 소재 산업은 빠른 성장을
이뤄왔으나, 여전히 핵심소재 개발은 선진국에 비해 열세, 많은 부분 수입에 의존

134
134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나. 시장환경 분석

 스마트 재료(Smart Materials)란 외부환경으로부터 자극(습기, 온도, 압력, 자기장, 전기장,


빛 등)을 감지 및 판단하고, 이 외부 자극에 대해 유용하고, 신뢰성 있고, 재현 가능하고,
가역적인 방법으로 반응, 제어하는 지능적 거동(Smart Behavior)을 나타내는 적응형 또는
지능형 재료(Adaptive or Intelligent Material)를 뜻함

▪ 스마트 재료는 응용 측면에서 크게 변환기(Transducers), 액추에이터(Actuator, 작동장치) · 모터


(Motors), 센서(Sensors), 구조재료(Structural Materials) 및 코팅재(Coating)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외 진동제어,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에도 적용되고 있음

 세계 스마트 재료의 시장 규모는 2018년 약 387.8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14.9%로 성


장하여 2022년 약 726.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됨
▪ 대륙별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임

[ 세계 스마트재료 시장 전망 ]
(단위: 억 달러)

지역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CAGR(%)

북미 85.2 92.2 100.5 111.1 124.6 142.4 166.4 199.8 13.8

유럽 76.9 83.6 91.8 102.1 115.3 132.7 156.2 189.1 14.6

아시아-태평양 93.9 103.3 114.7 129.0 147.3 171.5 204.3 250.1 15.9

기타 33.6 36.9 40.8 45.7 5.0 60.3 71.5 87.3 15.4

합계 289.7 316.0 347.8 387.8 439.2 506.9 598.5 726.3 14.9

*출처: KISTI market report,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7

 국내 스마트 재료의 시장규모는 2018년 약 1조 692억 원(약 9억 4,728만 달러)로 세계시장


대비 약 2%의 비중인 것으로 파악됨

▪ 2022년에는 연평균 성장률 15.9%에 따라 약 1조 99,293억 규모로 성장하게 될 것으로 예측함

[ 국내 스마트재료 시장 전망 ]
(단위: 억 원)

지역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CAGR(%)

한국 6,868 7,960 9,225 10,692 12,392 14,363 16,646 19,293 15.9

*출처: KISTI market report,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7

135
135
전략품목 현황분석

3.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1) 연구 개발 동향

 주변 환경에 적응하여 로봇의 구조가 변형되는 소프트로봇의 특징을 이용해 다양한 조건을
극복하고 탐사하는 정찰, 수색구조 로봇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

 소프트로봇 기술을 응용해 인체 장기, 곤충, 연체동물 등 자연계를 모사하려는 시도가 진행


중이며, 인체 장기의 경우 실제에 가까운 모사를 통해 인체 작동 원리의 이해, 수술 전
테스트베드 등으로 활용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

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구와 융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메커니즘이나


휴먼-컴퓨터 인터렉션 (HCI) 요소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 중

 지난 60여년의 역사 속에서 정해진 환경에서 작업하는 산업용 로봇에서 필드 로봇 서비스 및


의료 로봇 휴머노이드 등 로봇의 활동 영역이 점점 더 복잡해지고 다양하게 확장됨. 하지만
대응할 수 있는 환경조건이 유한하여 한계가 존재

 이와는 달리 생물들은 신체 구성 물질과 구조의 유연성을 바탕으로 다양하고 가변적인 자연


환경에 적응. 따라서 이들이 가진 장점인 연성 기반 적응성에 착안하여 부드러운 소재의
소프트 액츄에이터로 활용

 1988년 동경공업대학교 Shigeo Hirose 교수가 ICRA 학회에서 발표한 능동 내시경용


형상기억합금 서보 액츄에이터 시스템과 1989년 도시바 사 Koichi Suzumori 연구원이 일본
기계학회 논문집에 발표한 유연 마이크로 액츄에이터가 소프트 액츄에이터의 시초

 초기 소프트 액츄에이터에 대한 기술적인 수요와 관심이 낮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소재가


다양하지 않아 하나의 연구 분야로 자리잡기 까지 20여년 소요

 2007년 미국 국방성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발표한 CHembot 프로젝트로 다시


관심. 부드럽고 유연한 소재를 활용하여 하나의 개체가 다양한 지형을 극복하고 다중 임무를
수행하는 로봇의 개발을 목표로 함

 2009년 iRobot사의 재밍 로봇을 시작으로 다양한 형태의 소프트 액츄에이터 연구가 진행

 Thomoson Reuters사의 Web of Science에서 Core collection Analysis를 이용하여 소프트


로봇을 주제로 검색한 결과 2016년 기준으로 946편의 논문들이 발표됨. 점진적으로
증가하다 2010년 기준으로 급격히 급증. 77%에 해당하는 논문들이 미국과 유럽연합에서
나옴. 이후 일본, 캐나다, 한국, 중국 순

136
136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 EU에서 7차 연구개발 체제 개획 지원으로 문어의 형태와 동작을 모사하여 새로운 소프트


로봇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OCTOPUs 프로젝트를 통해 소프트 액츄에이터 연구가 진행

▪ 소프트 액츄에이터 기반의 자극 감응형 소재 기술 특허는 급격한 증가나 감소 추세를 보이는 구간


없이 최근까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국가별 특허 점유 현황을 살펴보면, 한국 (KIPO)
519건 (19%), 미국 (USPTO) 656건 (23%), 일본 (JPO) 1,240건 (45%), 유럽 (EPO) 353건
(13%)의 특허가 출원되어, 본 기술은 일본 (JPO)이 가장 많은 특허기술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137
137
전략품목 현황분석

(2) 기술환경분석

 국내에서 소프트 액츄에이터, 소프트 로보틱스 연구는 정부가 지원하는 과제를 통해서 연구가
진행되기 보다는 소수의 학교 연구실 수준에서 분야별로 개별적으로 분산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 관련 소재기술 수준은 낮고 무역역조 상태이며, 소프트 액츄에이터 기술 개발 미흡 시 소재


공급난 악화, 제품가격 상승, 기술경쟁력 저하에 따른 세계시장 경쟁력 약화가 우려됨

▪ 소프트 액츄에이터 소재 자체보다는 이를 이용한 응용기술 위주로 투자 및 개발이 집중되고 있어 원


천 소재에 대한 국산화율이 매우 낮으며 세계 시장을 주도하기보다는 원천소재 보유국에 의하여 이
끌려 가는 형태를 보이고 있음

[ 자극 감응형 소재 기술 특허 동향 ]

 2015년 산업부 보고 자료에 따르면, 웨어러블 기기가 1세대 단독형 컴퓨팅장치에서


부착형/직물일체형인 3세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진화됨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의 전원기술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음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 액츄에이터의 기술력이 필요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미래 산업 대응 소재의 정부 R&D 투자 방향 보고서(ISSUE


PAPER 2015-19)에서, 지능형로봇, 착용형 스마트 기기 및 미래 자동차의 주요 소재
특성으로 유연한 소프트 액츄에이터, 소재의 필요성을 강조함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18년도 정부 R&D 투자방향에서는 ‘유연 기능소자’ 및 ‘고기능성


유연응답 소재’ 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투자를 계획했고 앞으로도 정부 투자 기획방향이 될 것

138
138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 이에 국내의 소프트 액츄에이터 기술 경쟁력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으로 여러 연구 기관이


연합 연구단을 구성할 필요가 있음

 4차 산업혁명 기반 초연결 사회 구축을 통한 우리나라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하는 스마트


소프트 액츄에이터 개발 전략과제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인 연구, 기술 개발 지원 필요성이
있음

139
139
전략품목 현황분석

나. 주요기업 동향

◎ iRobot 사

 미국의 군용, 업무용, 가정용 로봇을 설계 및 개발하는 회사로서, 소프트 액츄에이터에


관해서는 2008년 고등기획연구원(DARPA)과 육군 연구청등 미국 국방부 산하 기관의
지원을 받아 Chembot (프로그램 명) 개발 진행

[ 재밍 (jamming) 로봇 ]

◎ Soft Robotics Inc.

 다양한 형태와 다리 개수를 가지는 산업용 그리퍼 제품 개발, 생산, 판매 중임

[ 소프트 로보틱스사의 소프트 그리퍼 제품 예시 ]

140
140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 Empire robotics

[ 그리퍼인 버사볼 (versaball) ]

 스트레스 볼(stress ball: 물렁물렁한 고무 공으로 스트레스 해소나 악력을 키우는데 사용됨)을
닮은 로봇 그리퍼인 버사볼(versaball)을 개발. 볼 내부에 있는 모래 입자와 공기 밸브를
이용해 그리퍼의 딱딱한 성질과 부드러운 성질을 바꿀 수 있으며, 최대 9kg의 물건까지
빠르게 들어 올릴 수 있음

141
141
전략품목 현황분석

다. 특허 동향

◎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기술 분야 특허상 주요 기술

 주요 기술
▪ 인체 장기 내부를 관찰하고 샘플을 채취하는 내시경용 소프트 기계장치, 무통으로 표적부위에 약물
을 전달하는 약물전달용 소프트 기계장치, 수술용 소프트 기계장치, 환자 보조용 소프트 기계장치,
험지나 재난 현장을 탐사하고 정찰하기 위한 탐사 및 정찰용 소프트 기계장치, 경량로봇 기술 등의
포함됨

요소기술 코드 설명

초소형 소프트 기계장치로 고통없이 인체 장기 내


내시경용 소프트 기계장치 A
부를 관찰하고 샘플을 채취하는 장치

약물전달용 소프트 기계장 무통으로 필요한 곳에 약물을 전달하는 초소형 바


B
치 늘형태 장치 또는 소프트 로봇

기존의 체외 수술과 달리 체내에서 국지적으로 수


수술용 소프트 기계장치 C
술이 가능한 소형 기계장치

환자 보조용 소프트 기계 인공근육을 제조하여 환자의 보행이나 체내 장기의


D
장치 동작을 보조하는 장치

탐사 및 정찰용 소프트 기 위험지역이나 험지 및 재난 현장을 탐사하고 정찰


E
계장치 하는 산업용 혹은 군용 장치

초경량 유연하고 신축성이 소프트로봇용 소재와 인간의 감각을 대체해 감각


F
있는 소재 을 저장하고 구현하는 소재

강하고 가벼운 소재와 외부 충격량 감소설계, 로봇


경량로봇 기구 기술 G
기구의 포터블 기능 및 안전성 향상 기술

3D프린팅 몰드를 사용하여 몰드 성형을 하며, 모


소프트로보틱스 3D프린팅
H 터와 센서 등의 다양한 기계요소 부품들의 조립 공
몰드 성형 기술
정과 합쳐 로봇을 제작함

142
142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 세부 분야별 특허동향

 주요 기술별 국가별 특허동향

▪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기술의 요소기술별 주요 국가별 특허정보 데이터 입수하였으며, 최근 10년


간의 특허데이터를 비교 분석함

요소기술 한국 미국 일본 유럽 계

내시경용 소프트 기계장치 16 208 179 68 471

약물전달용 소프트 기계장치 306 791 79 722 1898

수술용 소프트 기계장치 10 62 4 10 86

환자 보조용 소프트 기계장치 10 17 13 4 44

탐사 및 정찰용 소프트 기계장치 10 4 1 2 17

초경량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소재 28 124 30 42 224

경량로봇 기구 기술 23 13 18 14 68

소프트로보틱스 3D프린팅 몰드 성형 기술 77 150 38 61 326

▪ 국가별 요소기술별 특허동향에서 미국이 가장 활발한 연구개발을 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유럽,


한국, 일본 순으로 나타남

▪ 내시경용 소프트 기계장치 분야에서는 미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이 상대적으
로 적은 출원량을 보유하고 있음

▪ 약물전달용 소프트 기계장치 분야는 미국과 유럽의 특허출원량이 많고, 그 다음 한국, 일본 순으로
나타남

▪ 수술용 소프트 기계장치 분야에서는 전체적으로 출원이 미비하며, 미국, 한국, 유럽, 일본 순으로 나
타남

▪ 환자 보조용 소프트 기계장치 분야에서도 미국이 가장 많은 출원을 하고 있으며, 유럽이 상대적으로


적은 출원량을 보이고 있음

▪ 탐사 및 정찰용 소프트 기계장치 분야는 전체적으로 출원이 미비하며, 한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


지하고 있음

▪ 초경량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소재 분야는 미국이 가장 많이 출원을 하고 있고, 일본이 상대적으로


적은 출원량을 보유하고 있음

143
143
전략품목 현황분석

▪ 경량로봇 기구 기술 분야에는 한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 일본, 유럽, 미국


순으로 나타남

▪ 소프트로보틱스 3D 프린팅 몰드 성형 기술은 미국이 가장 많은 출원을 하고 있고, 일본이 상대적으


로 적은 출원량을 보유하고 있음

▪ 한국의 특허 출원량은 꾸준히 유지되었으나, 2016년 이후 출원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 해외 국가의 특허 출원량도 한국과 유사하게 2016년 이후 꾸준히 출원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냄

144
144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 주요 기술별 출원인 동향

요소기술 기술집중도 주요출원인 국내 특허동향

∙FUJIFILM Corporation
내시경용 소프트 기 ∙출원미비
◓ ∙Hoya Corporation
계장치 ∙한전케이피에스, 삼성전자 등.
∙OLYMPUS Co, Ltd.

∙Sanofi-Aventis ∙중소기업 중심
약물전달용 소프트
●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엠큐어, 메가젠임플란트, Panance
기계장치
∙Terumo Co, Ltd. 등.

∙코비디엔 리미티드 파트너스


∙Board of Regents of the ∙출원미비
수술용 소프트 기계
◔ University of Nebraska ∙국립암센터,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장치
∙The First Affiliated Hospital of 등
Nanjing Medical Universit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출원미비
환자 보조용 소프트
◔ ∙Panasonic Corporation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성균관대학
기계장치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교산학협력단 등.

∙(주) 동보파워텍
탐사 및 정찰용 소프
◯ ∙(주)솔트웍스 ∙출원미비
트 기계장치
∙소프트상추주식회사

∙(주) 씨케이머티리얼즈랩 ∙기업 중심.


초경량 유연하고 신
◔ ∙BASF SE ∙(주)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엘지전자
축성이 있는 소재
∙R-Tech Ueno, Ltd. 등.

∙墫野 和夫
∙개인출원, 중소기업 중심 출원미비
경량로봇 기구 기술 ◔ ∙이우성
∙이우성, 주식회사엔라이트 등.
∙Entertainment Robotics/H.H. Lund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업, 공공연구기관 중심


소프트로보틱스 3D프
◓ ∙엘지디스플레이주식회사 ∙삼성전자, 엘지디스플레이, 엘지전
린팅 몰드 성형 기술
∙퀄컴 인코퍼레이티드 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 50건 이상, ◕: 30~49건, ◓: 20~29건, ◔: 10~19건, ◯: 10건 미만

 내시경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내시경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 분야는 FUJIFILM Corporation이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Hoya Corporation와 OLYMPUS Co, Ltd. 순으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함

 약물전달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약물전달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 분야는 요소기술 중 가장 출원이 활발한 분야로, Sanofi-Aventis,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Terumo Co, Ltd. 순으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함

145
145
전략품목 현황분석

 수술용 소프트 기계 장치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수술용 소프트 기계 장치 기술 분야는 국내 출원은 미비하며, 해외에서도 출원이 많지 않으며, 코비


디엔 리미티드 파트너스,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The First Affiliated
Hospital of Nanjing Medical University 등이 특허를 보유함

 환자보조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환자보조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 분야는 국내 및 해외 출원이 미비하고,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anasonic Corporation,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순으로 특허를 보유함

 탐사 및 정찰용 소프트 기계 장치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탐사 및 정찰용 소프트 기계 장치 기술 분야는 국내 및 해외 출원이 미비하고, (주) 동보파워텍, ㈜
솔트웍스, 소프트상추주식회사가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 초경량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소재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초경량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소재 기술 분야는 (주) 씨케이머티리얼즈랩. BASF SE, R-Tech Ueno,
Ltd.가 특허를 보유함

 경량로봇 기구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경량로봇 기구 기술 분야는 墫野 和夫, 이우성, Entertainment Robotics/H.H. Lund등이 많은 특허


를 보유함

 소프트로보틱스 3D프린팅 몰드 성형 기술 분야는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지디스플레이주식회사,


퀄컴 인코퍼레이티드 등이 많은 특허를 보유함.

146
146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 국가별 특허활동지수(AI) 비교

 특허활동지수(Activity Index)는 상대적 집중도를 살펴보기 위한 지표로서, 그 값이 1보다 큰


경우에는 상대적 특허활동이 활발함을 나타냄

 한국은 내시경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분야에 서는 특허활동이 부진하나, 탐사 및 정찰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분야의 특허출원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미국은 경량로봇 기구 기술분야에서는 특허활동이 부진하나, 노수술용 소프트 기계 장치


기술분야의 특허출원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일본은 수술용 소프트 기계 장치 기술 분야에서는 특허활동이 부진하나, 내시경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 분야의 특허출원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유럽은 환자보조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 분야에서는 특허활동이 부진하나, 약물전달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 분야의 특허출원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147
147
전략품목 현황분석

◎ 질적 수준을 고려한 각국의 시장력 분석

 시장력이 전체 평균 1.22를 상회하는 국가는 미국이 유일하며, 질적인 수준이 평균 5.05보다


높은 특허 보유국도 미국임

▪ 질적인 측면을 같이 고려한 시장력에 있어서 미국은 질적 수준 뿐만 아니라 시장성도 높은 국가 쪽


으로 조사됨

▪ 한국은 질적수준도 낮은 편에 속하며, 시장성도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이스라엘은 출원 수는 많지 않고, 시장력도 평균치에 밑도나, 질적수준은 높은 편에 속하는 것으로


조사됨

PFS CPP
국가 특허 수
(Σ패밀리수/Σ특허수) (Σ피인용수/Σ특허수)

US 1369 1.346238 8.294118

DE 494 1.064777 1.710345

KR 480 1.064583 0.454545

JP 362 1.096685 1.603175

IL 112 1.205357 4.588235

SE 96 1.104167 2.309524

전체평균 79.78 1.228412 5.053481

◎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기술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 및 공백기술

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기술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은 약물전달용 소프트 기계장치, 내시경용


소프트 기계장치, 소프트로보틱스 3D 프린팅 몰드 성형기술이, 공백기술은 탐사 및 정찰용
소프트 기계장치, 경량로봇 기구 기술기술로 나타남

▪ 영유아 노인용 건강관리 식품 기술 분야에서 약물전달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이 가장 경쟁이 치열


한 분야이고, 탐사 및 정찰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은 아직까지 출원이 활발하지 않은 공백기술 분
야로 나타남

148
148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요소기술 기술 집중도

내시경용 소프트 기계장치 ◓

약물전달용 소프트 기계장치 ●

수술용 소프트 기계장치 ◔

환자 보조용 소프트 기계장치 ◔

탐사 및 정찰용 소프트 기계장치 ◯

초경량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소재 ◔

경량로봇 기구 기술 ◔

소프트로보틱스 3D프린팅 몰드 성형 기술 ◓

※ ●: 50건 이상, ◕: 30~49건, ◓: 20~29건, ◔: 10~19건, ◯: 10건 미만

◎ 최신 국내 특허기술 동향

요소기술 최근 핵심기술 동향

내시경용 소프트 기계장 신축성, 가요성을 갖는 도파관, 관절 조작 가능한 내시경 장치


치 기술

약물전달용 소프트 기계 소수성 전기방사 섬유를 이용한 3차원 매트릭스 소재, 세포지
장치 지체, 약물 용출 자가 유지형 봉합재 등.

상처 봉합, 드레싱을 위한 마이크로구조기반 시스템


수술용 소프트 기계장치
세포지지체, 연조직 절개를 위한 장치, 최소 침습 절단 기구 등.

환자 보조용 소프트 기계 근력지원 소프트 외골격 슈트, 이동 보조 장치, 호흡보조장치,


장치 카테터 삽입 장치 등.

탐사 및 정찰용 소프트 매설물 탐지로봇의 보행기구, 원자로 내 검사를 위한 장치, 레


기계장치 플리카 채취 장치,

초경량 유연하고 신축성 기능성 고분자 화합물 소재, 폴리(아미도이미도) 코폴리머, 그


이 있는 소재 래핀계 박막, 폴리이미드계 필름 등.

협소공간 용접용 수직다관절 로봇 장치, 와이어 구동 기반 경


경량로봇 기구 기술
량 로봇 암 장치, 압전소자를 이용한 로봇 등.

소프트로보틱스 3D프린팅 3D 프린터를 이용한 세라믹몰드


몰드 성형 기술 3D 프린터를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 몰드

149
149
전략품목 현황분석

 국내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대기업은 소프트로보틱스 3D 프린팅 몰드 성형기술을, 중소기업은


약물전달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을 집중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수술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에서는 상처 봉합, 드레싱을 위한 마이크로구조기반 시스템, 세포지지


체, 연조직 절개를 위한 장치, 최소 침습 절단 기구 등이 대학연구기관 중심으로 연구개발되고 있음

▪ 내시경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에서는 신축성, 가요성을 갖는 도파관, 관절 조작 가능한 내시경 장


치 기술 등이 대기업 중심으로 연구개발 되고 있음

▪ 약물전달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분야는 소수성 전기방사 섬유를 이용한 3차원 매트릭스 소재, 세포
지지체, 약물 용출 자가 유지형 봉합재 등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연구개발 되고 있음

▪ 탐사 및 정찰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 분야는 전체적으로 관련 특허가 거의 없는 분야이며, 국내는


중소기업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음

◎ 중소기업 특허전략 수립 방향 및 시사점

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기술 분야의 공백기술 분야는 탐사 및 정찰용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기술이고 중소기업의 시장진입 상대적으로 수월한 분야는 약물전달용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기술로 나타남

▪ 기계장치가 경량화, 소형화되고, 그 활용범위가 인체 내부 등 협소한 공간에 진입할 수 있는 범위로


확대됨에 따라서 가요성, 신축성을 갖는 소재를 이용한 기계장치 개발이 더욱 활발해 질 것으로 전
망됨

▪ 향후 중소기업은 해외기업들의 경쟁이 치열한 내시경용 소프트 기계장치, 수술용 소프트 기계장치,
환자보조용 소프트 기계장치의 소재기술 보다는 시장진입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탐사 및 정찰용 소
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기술, 약물 전달용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기술분야에 집중하여 연구개발함

▪ 특히 대학연구기관의 연구개발이 활발한 수술용 소프트 기계장치 소재분야에서는 기술 매입이나 라


이센싱 등을 통해 부족한 연구개발능력을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됨

150
150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4. 연구개발 네트워크

가. 연구개발 기관/자원

(1) 연구개발 기관

◎ 소프트 액츄에이터와 액츄에이터 소재에 관한 연구 진행.

 서울대학교 고승환 교수 연구팀 ­ 저밀도 폴리에틴렌필름을 이용하여 움직이고 색변화가 가능


한 액츄에이터 연구

 서울대학교 김호영 교수 연구팀 ­ 야생밀과 제라늄의 씨앗이 건조한 땅에서 살아남기위해 특


수한 꼬리를 움직여 스스로 땅을 파고들어가는 데서 착안하여 습기를 이용해 휘어져 앞으로
이동하는 소프트 액츄에이터 연구

(2) 연구개발 자원

◎ 국가 연구개발 지원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벌크형 다차원 구동 소프트 액츄에이터 소재

▪ 제조 및 물류공정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 변형가능 물체의 작업 계획 파지 조작기술 개발

▪ 마이크로 가변형 광/전자 디바이스 소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인간중심 소프트로봇기술 연구센터

▪ 차세대 소프트 그리퍼를 위한 소프트 로보틱스 기반 기술 개발

▪ 능동 가변렌즈 어레이용 광계 연구

▪ 신소재를 이용한 차세대 메타물질 흡수체에 대한 연구

▪ 광경로 제어기반 기능성 메타소자 연구

151
151
전략품목 현황분석

나. 연구개발 인력

 소프트 액츄에이터 기술 분야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


구원에서 주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 소프트 액츄에이터 기반 기술 분야 주요 연구조직 현황 ]

기관 소속 연구분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투명소자
유전탄성체, 능동적 박막 렌즈 기술, 촉각센서
(ETRI) UX창의연구센터

융합기술연구센터
한국기계연구원 수술로봇, 소프트로봇, 로봇 설계 기술 및 지능화 기술
의료지원로봇연구실

4D 프린팅, 적층형 자가접기를 이용한 소프트로봇, 지능형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지능로봇연구단
로봇

152
152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다. 기술이전가능 기술

◎ 기술이전가능 기관 및 세부내용

 소프트 액츄에이터 기술은 구조 기반 기술부터 산업체 적용 기술까지 공동연구 분야가


무궁무진

 기술이전이 가능한 기관은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등이 있음

[ 소프트 액츄에이터 기술 관련 이전 기술 ]

기관 이전 기술 내용

•소프트 액츄에이터 기술을 활용. 웨어러블 슈트를 이용한


한국로봇 지능정보기술 활용 노약자 보행안전 기술과 소프트 액츄에
소프트 웨어러블 슈트 기술
융합연구원 이터와 센서 및 구조 시스템 구동제어 기술을 접목한 소프
트 외골격 기술

그래핀 구조체를 이용한 •햅틱 피드백 시스템, 웨어러블 헬스케어 전자기기, 능동촉
한국과학
소프트 액츄에이터의 성능 가 시스템, VR, AR용 능동형 디스플레이, 소프트 로봇 등
기술원
향상 기술 의 분야에 접목 가능한 기술

153
153
전략품목 현황분석

5. 기술개발로드맵

가. SWOT분석

 최종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은 기술/시장 니즈, 연차별 개발계획, 최종목표 등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성을 제시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환경) 유연한 적용가능 범위 •(환경) 수입에 의존


•(기술) 우수한 인프라 •(기술) 핵심 원천기술 미흡
•(정책) 산업지원 정책 형성 •(정책) 지원 분야 제한적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환경) 제조 패러다임의 변화 •(환경) 생산지원 인프라 부족


•(기술) 기반기술 연구·개발 •(기술) 글로벌 업체와의 기술격차
•(정책) 정부와 업계에서의 관심 증대 •(정책) 미시적 R&D 정책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 다차원의 변형 구현과 고기능성, 고신뢰성 지능형 소프트 액츄에이터 개발

➜ 액츄에이션 시 큰 변형률과 전달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신복합 소재 개발

➜ 나노, 마이크로 구조로 소형화하며 동시에 저가격화 기술을 접목한 소프트 액츄에이터 제품 개발

154
154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나. 중소기업 핵심요소기술

(1) 핵심요소기술 도출절차

 특허/논문 분석을 통한 요소기술과 기술수요와 각종 문헌을 기반으로 한 요소기술, 전문가


추천 요소기술을 종합하여 품목별 전문가를 통해 분류조정한 후, 전문가 평가과정을 거쳐
핵심요소기술을 선정
- 기술개발시급성(10), 기술개발파급성(10), 단기개발가능성(10), 중소기업 적합성(10)을 고려하여 평가

요소기술 요소기술 핵심요소기술 핵심요소기술


Pool 구성 분류 조정 선정평가 선정

- 특허/논문 분석 è - 품목별 전문가 è - 산학연 전문가 검토 è - 평가결과 반영


- 기술수요 및
요소기술 분류 - 평가항목별 요소기술 로드맵 기획 대상
문헌분석
조정·재정의 선정평가 핵심요소기술 도출
- 전문가 추천

155
155
전략품목 현황분석

(2) 요소기술

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타부처로드맵,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하여 요소기술 도출

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전문가를 통해 기술의 범위, 요소기술 간 중복성 등을 조정·검토하여


최종 요소기술명 확정

[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

요소기술 출처

내시경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약물전달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수술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환자 보조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피킹 및 패키징용 소프트 그리퍼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탐사 및 정찰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형태가변형 반응기 및 디바이스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군사 혹은 근로자 근력보조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초경량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소재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경량로봇 기구 기술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소프트로보틱스 링크와 조인트 소재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소프트로보틱스의 3D프린팅 이용 소재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소프트로보틱스의 방법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소프트로보틱스의 액체금속 소프트 센서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소프트로보틱스의 폴리머 시트 기반 소프 센터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경량화 및 내구성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인공근육활용 로봇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156
156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3) 핵심요소기술

 확정된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핵심요소기술 선정평가를 통하여


중소기업에 적합한 핵심요소기술 선정

 중소기업 개발 적합성 및 품목 개발을 위한 기술개발 시급성 등을 이유로 요소기술 전체를


핵심요소기술로 선정

[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

핵심요소기술 개요

초소형 소프트 기계장치로 고통없이 인체 장기 내부를 관찰하고 샘플을 채


내시경용 소프트 기계장치
취하는 장치

무통으로 필요한 곳에 약물을 전달하는 초소형 바늘형태 장치 또는 소프트


약물전달용 소프트 기계장치
로봇

수술용 소프트 기계장치 기존의 체외 수술과 달리 체내에서 국지적으로 수술이 가능한 소형 기계장치

환자 보조용 소프트 기계장치 인공근육을 제조하여 환자의 보행이나 체내 장기의 동작을 보조하는 장치

음식물이나 생물체와 같이 부드럽고 복잡한 형태의 소재를 손상없이 파지가


피킹 및 패키징용 소프트 그리퍼
가능한 소프트 그리퍼

위험지역이나 험지 및 재난 현장을 탐사하고 정찰하는 산업용 혹은 군용


탐사 및 정찰용 소프트 기계장치
장치

형태가 변하는 유연 반응기와 같은 소프트 기계장치 및 형태변형에 따라


형태가변형 반응기 및 디바이스
기능이 달라지는 디바이스

군사 혹은 근로자 근력보조용 소프트


외부골격을 통해 근력을 강화시켜 신체능력을 극대화시키는 기계장치
기계장치

초경량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소재 소프트로봇용 소재와 인간의 감각을 대체해 감각을 저장하고 구현하는 소재

강하고 가벼운 소재와 외부 충격량 감소설계, 로봇 기구의 포터블 기능 및


경량로봇 기구 기술
안전성 향상 기술

폴리머, 종이, 천, 필름, 얇은 금속 박막과 같이 강성이 작은 소재를 활용


소프트로보틱스 링크와 조인트 소재
하고, 강성의 소재가 링크와 조인트로 활용되어 움직임을 생성함

금속과 더불어 고무와 같은 연성 소재를 사용하여 3D프린터를 이용하여


소프트로보틱스의 3D프린팅 이용 소재
제작함

3D프린팅 몰드를 사용하여 몰드 성형을 하며, 모터와 센서 등의 다양한


소프트로보틱스의 방법
기계요소 부품들의 조립 공정과 합쳐 로봇을 제작함

액체 금속을 주입하여 구조의 변형에 따른 액체 금속 패턴의 저항 변화로


소프트로보틱스의 액체금속 소프트 센서
변위를 측정하는 소프트 센서

소프트로보틱스의 폴리머 시트 기반 주름진 금속 박막 패턴을 이용하여 큰 변형에서 측정 감도가 유지되는 폴


소프 센터 리머 시트 기반의 소프트 센서

착용성이 뛰어난 유연한 소재기술, 근력로봇의 경우 경량화와 제품의 내구


경량화 및 내구성
성이 중요하므로 소재가 중요함

인공근육활용 로봇 웨어러블 형태의 소재기반 인공근육을 활용한 재활용 로봇 소재

157
157
전략품목 현황분석

다. 기술개발전략

(1) 우리의 현황

 (시장규모 및 성장률) 세계 시장규모는 2018년 기준 14.9%의 성장률에 따라 약 387.8억


달러로 전망하고 있으며, 국내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약 9.5억 달러로 세계시장 대비 약
2%의 비중을 나타냄

▪ 국내시장규모는 연평균성장률 15.9%로 2022년 약 17.9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 (기술수준) 최고 기술국은 미국으로, 국내 기술수준은 미국 대비 53.6%로 나타남

 (특허 출원 및 피인용율) 특허출원량은 77건으로 미국(150건)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나머지


주요 선진국보다 높은 수치를 보임(EU 61건, 일본 38건)

▪ 특허인용율은 가장 낮은 0.45로 미국(8.29), 독일(1.71), 일본(1.60)과 큰 차이를 보임

 시장 및 기술 측면 모두 세계수준 대비 현격한 차이가 있으며, 산업 기반 및 저변에 매우


취약한 상황으로 판단됨
▪ 산업 생태계의 자생력 확보를 위해 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158
158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2) 기술개발로드맵

 중소기업 최종 기술로드맵은 기술/시장 니즈, 연차별 개발계획, 최종목표 등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성을 제시

159
159
전략품목 현황분석

※ 참고 : 핵심요소기술 평가결과

지표별 평가결과
요소기술 기술개발 기술개발 단기개발 중소기업 비고
합계
시급성 파급성 가능성 적합성

내시경용 소프트 기계장치 8.7 7.3 8.0 9.7 33.7 선정

약물전달용 소프트
8.0 7.0 6.5 9.0 30.5 선정
기계장치

수술용 소프트 기계장치 7.5 7.5 7.0 9.0 31.0 선정

환자 보조용 소프트
8.0 8.0 7.5 8.5 32.0 선정
기계장치

피킹 및 패키징용 소프트
5.3 5.3 5.3 6.0 22.0
그리퍼

탐사 및 정찰용 소프트
8.0 6.5 5.5 8.0 28.0 선정
기계장치

형태가변형 반응기 및
4.5 5.0 4.0 6.0 19.5
디바이스
군사 혹은 근로자
근력보조용 소프트 5.0 6.0 4.0 5.5 20.5
기계장치
초경량 유연하고 신축성이
7.5 9.0 7.5 9.0 33.0 선정
있는 소재

경량로봇 기구 기술 7.0 6.5 6.0 7.5 27.0 선정

소프트로보틱스 링크와
6.0 5.5 4.5 6.0 22.0
조인트 소재

소프트로보틱스의
5.5 6.5 4.0 5.5 21.5
3D프린팅 이용 소재

소프트로보틱스의 방법 8.0 8.0 6.0 8.5 30.5 선정

소프트로보틱스의
4.5 3.5 4.0 5.5 17.5
액체금속 소프트 센서

소프트로보틱스의 폴리머
4.0 3.5 4.0 5.5 17.0
시트 기반 소프 센터

경량화 및 내구성 5.0 4.5 5.5 6.0 21.0

인공근육활용 로봇 5.0 5.0 3.7 5.3 19.0

160
160
전략품목 현황분석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161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정의 및 범위

▪ 생물체의 기능 및 정보를 활용하여 유용물질을 상업적으로 생산하는 산업으로, 유전자재조합 기술과


세포배양기술 등 생명체 관련기술(Biotechnology) 직접 활용하여 생물체의 기능 및 정보를 활용하여
만들어지는 기능성 소재

▪ 인간 유전자 치료 기술, 산업미생물, 유용작물 및 가축 등의 유전체 연구, 새로운 생물촉매 개발 및


생체적합성 소재,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 화장품 소재, 방충/제초제, 천연항생제, 기능성 효소 동물용
바이오소재 등을 포함

정부지원 정책

▪ 정부는 ’20년까지 세계 7대 바이오의약품 강국 도약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여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종합적, 체계적 육성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약품 산업의 미래비전 및 발전전략 BiO-Pharma 2020
수립)을 수립하고 5대 핵심기술분야를 선정함(R&D투자확대, 인프라 조성, 제도 예측가능성확대,
글로벌 사업화 촉진 등에 대한 분야)

▪ 글로벌 바이오 강국실현을 위해 2025년까지 5%의 시장점유율 달성계획을 수립하고, 국산 신약


개발, 일자리 창출, 글로벌 기술이전 성과 제고, 사회문제 해결에 바이오 R&D 기여 등 국민생활에
직결되는 4대 세부 목표를 제시

중소기업 시장대응전략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환경) 높은 수준의 의료 환경 및 인력풀 확보 •(환경) 바이오 산업의 작은 규모와 관련업체의 영세


•(기술) 바이오 관련 산업 급속한 성장 •(기술) 핵심 원천기술의 높은 해외 의존도
•(정책) 바이오산업의 정책적 지원 확대 •(정책) R&D 인프라, 투자 부족 및 산업계 연계 미흡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환경) 글로벌 기업의 국내시장 마케팅관리


•(환경) 헬스케어 시장의 계속적 성장
•(기술) 생산지원 인프라 부족 글로벌 업체와의
•(기술) BT/IT/메카트로닉스 등 사회적 인력풀
기술격차
•(정책) 정부의 높은 규제개선 의지
•(정책) 미시적 R&D 정책에 따른 정책불안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 틈새시장 공략 및 신규 타깃 발굴을 통한 니치버스터 소재 출시 전략으로 신규시장 개척


➜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과 한층 강화된 산학연 기술연계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제품 개발
전략품목 현황분석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 보건 의료용 기능성 소재는 지구상의 모든 생물체, 생물체가 생산하는 물질, 생물체가 소유한
정보 등을 이용한 제품과 그에 활용되는 생물 소재 및 자원을 위미

▪ 자연계의 동물, 식물, 곤충 등의 생물체에서 유래하는 물질과 이를 2차 가공하여 부가가치를 높인


가공물질을 포함

▪ 농업. 식품, 미용, 의료, 보건 산업 등에 활용되는 생물체 유래 제조 원료를 의미하며 넓은 의미에서


는 이러한 생물체 유래 물질을 가공, 활용하여 생산되는 제품까지 포함

 기본적으로 의약품, 식품, 생활용품, 산업용품 등의 제조원료 또는 중간체로 제공되기 위해


분리된 모든 화합물을 일컬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2차 가공을 거치지 않고 직접 상품으로
이용되는 경우 포함

 보건 의료용 기능성 신소재를 활용하여 기존제품 및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분야는 확대


되고 있는 추세이며, 최근 식품, 화장품, 의약품 분야에서 상호간의 기술 및 소재를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융합산업의 형성 급증

▪ 약효식품, Cosmeceuticals, Beauty Foods, 분자신의약, 바이오신약 등 과거의 별도 산업 영역이


융합되어 신산업 군을 형성하는 추세

▪ 친환경, 바이오식품, 바이오화학, 나노바이오 등 4개 분야별 혹은 융합된 형태의 보건 의료용 기능


성신소재분야의 성장 잠재력 부각 중

 보건 의료 산업은 기술, 지식 집약적이고 핵심특허 및 신기술 의존도가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21세기 산업 성장을 주도할 분야로 주목

▪ 보건 의료 기술은 의약, 화학, 환경, 식품, 에너지 농업, 해양 등 많은 산업부문의 기반 기술로 자리


잡아 21세기 산업의 핵심적 역할

▪ 보건 의료 산업은 이종기술(IT와 BT)의 융합이 이루어지는 집적화 산업이며, 미래에는 전자정보 기


술을 확보한 기업이 진입하기에 유리. 따라서 화학, 기계, 전산, 소재기술을 통한 하드웨어 및 소프
트웨어, 소모품, 서비스의 다양한 결합이 가능

▪ 완성품에서의 핵심기술 및 특허의 비중이 높아 시장선점의 효과가 크며 모방전략이 적합하지 않음

▪ 보건 의료 기술은 산업화에 기여하는 정도가 매우 크며, 또한 기초기술 의존도가 높아 산학연의 협


력체제 및 데이터의 체계적 관리가 요구되는 분야로써 창의적 아이디어와 미래 수요에 대한 선행적
인 R&D 투자가 선행된다면 독자기술을 통한 글로벌 시장 공략이 가능한 전략산업

164
164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 보건 의료 산업은 대부분의 제품들이 인허가가 요구되거나 까다로운 인증과 절차가 필요하며


때로는 장기간의 개발기간과 대규모의 투자를 필요로 함. 보건 의료 산업의 대표적인
바이오의약의 경우, 신약개발에 6년 이상의 기간과 5천억 원 이상의 비용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되고 성공 확률 역시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특히 전임 상 이후 산업화
단계에서 대부분의 비용과 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리스크가 큰 분야

165
165
전략품목 현황분석

나. 범위 및 분류

(1) 제품분류 관점

◎ 생체적합성 소재

 생체적합성 소재는 천연고분자, 합성고분자, 금속, 세라믹 및 복합재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의료기기/용품에 활용
▪ 생체적합성 소재를 위한 원재료인 생체조직 대체제(치과용 재료 등), 생체재료의표면 개질소재, 생
체 조직보조제(접착제, 봉합사등) 및 의료용품 및 기기에 활용되는 생체적합 의료기기를 포함

 생체적합성(생체재료가 생체조직 이나 체액, 혈액 등과 접촉하였을 때 거부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특성)과 생체기능성(생체재료가 체내에 존재하는 동안 목표한 기능을 완전히 수행할 수
있어야 하는 특성)을 갖추고 있는 소재

◎ 건강기능성식품 소재

 주로 생물, 식물에서 추출한 소재나 신체에 존재하는 효소 등으로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시키
며 대사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제조가공하기 위한 소재

▪ 생화학, 미생물학, 효소학, 유전공학, 위생, 수의학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프로바이오틱스 생


성물이나 지방합성 억제용 소재 등을 제품화하는 추세

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상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을 말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작용 등과 같은 보거용도에 유용한 효과

◎ 천연 화장품 소재

 천연 화장품소재는 인공적으로 합성한 이전 화장품과는 달리 생물이 자연적으로 만들어내는


성분을 활용한 소재를 의미
▪ 천연 화장품소재는 생물기반의 소재로 주름생성 예방제품, 항노화 제품, 고지속성 자외선 차단제품,
기미 주근깨 완화제품 등을 포함

◎ 방충/제초 소재

 방충/제초제는 해충방제 및 잡초제거, 생산성 강화 등의 용도를 위한 천연성분활용제품이


다수 개발되고 있으며 생산성강화 및 효능물질성분의 강화 등을 위한 신품종종자 및
기능성작물개발이 진행

166
166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 바이오능약(Biological Pest Control Agent)은 식물의 해충 제거와 잡초예방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으로 주변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고 사람에게 치명적이었던 합성농약 대체

▪ 소재별로 구분하면 친환경 농약 소재로 생화학농약, 미생물농약, PIP 농약 등의 소재가 있으며, 친환


경 비료 소재로는 유기물 비료, 미생물 비료 등의 소재로 구분

◎ 천연 항생제 소재

 식품, 화장품 중의 장기보존 및 유토익한 연장을 위해 사용되는 첨가물로서 미생물에 의한


부패 방지에 사용되는 생물유래 소재

 기존 항생제가 지닌 독성을 최소화 시킨 천연물 유래의 항생제 대체제 개발과 이를 이용한


제품화

▪ 미생물(생균제)을 이용한 항생제 대체재, 약용식물(허브)추출물 항생제 대체재, 농산물 가공 부산물


을 이용한 항생제 대체재

◎ 바이오 향료 소재

 동‧식물성 천연 향료성분과 생물전화기술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바이오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소재

 천연물 유래에서 추출한 정유를 기존의 화학 향료로 대체하는 소재

▪ 과일, 곡물, 채소, 주류, 유제품, 등에서 추출한 제품으로 식품 소재로 활용하는 식향료, 미용이나
위생 제품에 첨가되는 향장향료가 있음

◎ 바이오 염료 소재

 식품 및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염색이 가능한 천연 또는 생물전화기술을 통해 만들어진


소재

 천연색소/염료를 활용한 제품은 전 세계적인 정책 전환과 시장 환경 및 소비 행동 구조의


변화로 인해 향후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

▪ 섬유/피혁용 천연염료,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색소 첨가물, 공업용 천연도료(잉크, 페인트),


방향제 등의 포함

▪ 경제성, 생산성과 실용적 가치를 가지는 농생명 원료에서 제품화 및 개발에 이르는 스트림별
표준화된 원천기술 확보와 기능성(항균소취, 항아토피 등)과 약리작용을 가지는 다양한
기능성생리활성 제품이 개발되는 추세

167
167
전략품목 현황분석

▪ 현재까지 알려진 산업화 가능성이 있는 천연색소의 원료는 수 백 종에 이르며, 이 중 국내에서는


100 여종 이내의 원료에서 색소 채취가 가능

▪ 국내의 경우 관련 연구기반 및 시장 수요 측면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천연색소 응용제품군은 섬유


피혁용 천연염료 및 응용분야, 의약품용 첨가물 분야, 천연도료(잉크, 페인트 등)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예측

▪ 천연원료를 사용해 생산하는 천연도료는 아마인유, 동유, 송진, 낙엽송진, 밀감껍질, 천연라텍스와
같은 식물의 진과 식물왁스 등의 천연원료로부터 생산

◎ 천연 감미/조미 소재

 단맛, 쓴맛, 쓴맛, 신맛, 매운맛 등을 낼 수 있는 천연 유래 감미 및 조미 소재로 주요


식품기업들은 설탕 대체재로 사용된 인공합성 감미료의 규제강화와 소비자들의 천연소재에
대한 기호 증가로 산업 수요 크게 증가

▪ 설탕의 천연 대체제로 각광받는 스테비오사이드는 설탕에 비해 300배 당도를 가지고 미국, 일본,
한국, 브라질,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등에서 사용

▪ 저칼로리 컨셉의 고감미료 소재시장은 다이어트 유행에 따라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타가토
스, 트레할로스, 아라비노스 등을 활용한 제품군이 출시되는 상황

 천연 조미 소재는 현재 옥수수, 대두, 어패류를 중심으로 추출하는 형식을 통하여 생산


▪ 곰팡이류, 이끼류에 함유되어 있는 푸마르산은 산미류 조미료로 청량음료나 발포 음료류에 유기산과
병용되어 사용

▪ 기능성 아미노산인 타우린은 소의 담즙이나 어패류에서 추출하는 감미료 중 하나로 수산가공품의 풍


미 개선에 사용

◎ 기능성 효소 소재

 고온, 고압 등 특수한 상황에서 산화환원, 가수분해, 이성 및 합성 반응을 촉진하는 산업용


효소

 미생물, 식물, 동물 등 대량 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유용 효소자원의 스크리닝, 극한미생물


유래 효소 개발, 난배양성 미생물 유래 신기능 효소 자원의 확보 등을 통한 원료소재 개발
▪ 식품용 효소, 세제용 효소, 섬유‧펄프 및 피혁공업에 사용되는 효소, 화학공업에 사용되는 효소, 의료
용 효소(치료용, 진단용) 등이 포함

 재조합 유전자 발현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미생물 또는 고등생물 유래의 유용 유전자를


특정 숙주 세포에서 발현하는 기술이 확대 사용되는 추세

168
168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 식품공업에 사용되는 효소는 알콜발효, 낙농제품, 제빵 및 제과, 식품 가공 등에 사용되는 효소원으


로는 세균, 곰팡이, 방선균 사용

▪ 세제‧섬유‧제지, 화학공업 분야에서도 각 기능에 맞는 균주 발현 효소를 사용하여 공정의 효율도와


생산품의 완성도 증가

▪ 의료용 효소는 치료용과 진단용으로 구분되며 동물성, 식물성, 세균성 효소를 발견한 후, 미생물 재
조합 방식을 통하여 대량 생산

◎ 동물용 바이오 소재

 동물용 사료, 동물용 치료제, 동물용 백신 등에 활용되는 바이오소재로 유용성분의 인간적용


이 전 단계 등에서도 많이 적용되어 개발

▪ 천연 항생제 대체재 분야는 현재 동물에 대한 항생제 사용이 금지 시 되는 산업 동향에 발맞추어


창출되는 신규 시장이며 글로벌 시장 진출이 가능하고, 수입 대체

169
169
전략품목 현황분석

[주요제품 분류표]

세부전략분야 주요품목 주요제품 및 기술


생분해성 생체이식용 소재
세라믹 소재(정밀성형, 고밀도화, 특성제어)
금속 초정밀 가공 소재
차세대 스텐트용 소재
생체적합성 소재 의료용 기기
바이오 인공장기
생체 분해성 금속재료
생체환경 반응형 소재
조직 재생용 생체소재
생체조절 기능성 소재
질병예방 기능성 소재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
질병회복 기능성 소재
노화억제 기능성 소재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소재
히알루론산 소재
줄기세포 배양물 화장품 소재
천연화장품 소재 콜라겐/젤라틴 화장품 소재
보톨리늄 톡신 화장품 소재
항노화 기능성 화장품 소재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
미생물 발효 농약
보건의료용 천적활용 친환경 방제
방충, 제조 소재
기능성 소재 천연 미네랄 소재 비료
친환경 비료 생산성 향상
천적활용 친환경 방제
세균질병 예방용 항생제 대체 소재
항생제 내성균 방제용 천연물 소재
천연 항생제 소재
가축 면역증강용 천연물 소재
질병 치료 및 성장촉진용 천연물 소재
항바이러스, 항곰팡이, 항염증용 천연물 소재
소취, 탈취제 바이오 향료
향장품용 바이오 향료
바이오 향료 소재
식/음료 바이오 향료
고품질/고순도 의료용 천연 색소
식품/도료용 천연색소
천연잉크
바이오 염료 소재
천연염재 추출물을 이용한 헬스케어 제품
색상 다양화 기술
천연 조미료 소재
천연 조미, 감미제
바이오 기능성 당류 소재
식품 첨가물 효소제재
섬유 제조용 효소제재
기능성 효소
의약용 효소제재
가축 사료용 효소제재

170
170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2) 공급망 관점

 보건 의료용 기능성 소재는 생체적합성 소재,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 화장품소재,


방충/제초제, 천연항생제, 바이오향료, 바이오 염료(도료), 천연 감미/조미제, 기능성 효소,
동물용 바이오소재 등을 포함

 생체적합성 소재는 의약품 이외의 의료 용품에 활용되는 소재로 대표적으로 인체 내의 손상된


장기나 조직의 일부를 대체하여 기능을 보완하는데 이용
▪ 생체거부 반응이나 독성반응을 나타내지 않는 생체적합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

 건강기능성식품 소재는 인체의 건강을 증진 목적으로 정제‧캅셀‧분말‧과립‧액상‧환 등의 형태로


제조 가공한 것으로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지닌 천연물 유래 소재를
포함

 천연 화장품소재는 생물체의 유용한 특성을 이용한 기술인 바이오 테크놀러지를 기반으로 한


식물 색소, 동물세포 등을 통해 추출된 다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포함

 방충/제초제는 기존 화학물질 유래의 소재를 대체하는 바이오 소재를 포함


▪ 미생물 유래의 병을 방제하는 친환경 천연물 농약, 농지에서 출현하는 잡초를 방제하는 친환경
천연물 제초제를 포함

 천연 항생제는 축산, 어류, 식품, 의료 분야에 사용되는 화학 소재의 항생제를 대체하는


효능을 지닌 질병발생 등에 대한 예방적 효과가 있는 바이오 소재를 포함

 바이오 향료는 동식물에서 추출하거나, 효소반응 및 발효에 의해 생성된 천연향료로 화장품,


식료품 등의 생활용품에 향기를 가하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을 포함

 바이오 색소, 염료(도료)는 동식물, 미생물 등의 생물체에서 생성되는 색을 발현할 수 있는


천연물로서 색소, 염료 등의 형태로 식품, 향장품, 섬유, 의약품 등 다양한 소재에
포괄적으로 적용되는 물질을 포함

 천연 감미 및 조미제는 단맛, 쓴맛, 신맛, 매운맛 등을 낼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감미 및


조미 소재를 포함

 기능성 효소는 고온, 고압 등 특수한 상황에서 산화환원, 가수분해, 이성 및 합성 반응을


촉진하는 천연물 유래의 산업용 효소를 포함

 동물용 바이오소재는 바이오 사료, 동물용 치료제, 동물용 약품 등에 활용되는 바이오자원


소재로 유전자공학, 단백질공학, 발효 공학 등 첨단 기술이 이용되는 분야

171
171
전략품목 현황분석

2. 외부환경 분석

가. 산업환경 분석

(1) 산업의 특징

 보건의료용 산업은 식량, 환경, 에너지, 자원 등 인류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기술로서,


타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국가 발전을 위한 차세대 동력산업으로 주목

 인구증가와 사회발전에 따른 자원 및 식량 소비의 급격한 증가로 보건의료용 소재 분야는 생


명체 및 생명체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생체 정보를 바탕으로 한 친환경 산업

 국내 보건의료용 소재 개발의 비중이 학문기관이 높아 바이오자원 및 이들의 활성메커니즘에


대한 연구에 의존도가 높은 편
▪ 다양한 분야의 연구결과를 활용한 생산기술에 기반을 두는 형태로 대형블록버스터 제품보다 다품종
제품 생산 형태로 변화

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에 대한 연구/개발은 최근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서 대학 및 연


구소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제품화하여 시장에 소개되고 있는 제품도 대기업이 아닌 중
소기업이나 중견기업 위주로 시장 확보 노력

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가 적용되는 의료기기는 세계적으로 10개 이내의 메이저 회사들이 독
점적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시장 규모가 큰 제품일수록 과점도가 높은 편으로, 열약한 환경의
한국 기업들이 높은 시장 진입장벽을 극복하기 어려움

 보건의료용 소재는 지속적인 바이오제품의 대중화에 따라 시장 확대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되


며, 국가적인 성장산업으로 육성 중

▪ 2014년 10월 나고야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생물유전자원의 이용에 대한 산업계의 철저한 대비에


대한 필요성 대두

172
172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2) 산업의 구조

 보건의료용 소재 산업은 유용한 자원 및 소재와 이들의 가공중간체인 원료/소재부분과 이를


가공, 제조하기 위한 제조, 공정 시설부분으로 구성

 보건의료용 소재산업은 바이오 화학제품 제외 산업 전반에 걸친 화학 소재를 대체하는 친환경


천연물 유래의 소재를 발굴, 가공하는 산업 전반을 포함

 원료/소재부분은 기초연구로 국가연구기관과 대학에서 주도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만들어진


핵심 원천 기술이 산학연 협동으로 관련기업으로 이전되어 산업화

▪ 중소기업 위주로 제품화를 위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며 대기업은 실리 추구를 위한 아웃소싱형태로


참여

 주로 중소기업들은 보건의료용 소재 원료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역량


확보

▪ 다국적 기업의 지적재산권 문제를 벗어나 새로운 물질자체를 찾아내는 것으로써 국내 대형 유통 기


업과의 협력으로 빠른 자금회수를 기대

[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분야 산업연관구조 ]

후방산업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분야 전방산업

건강 기능성 식품제조 업체
기능성 화장품 제조 업체
농림 재배업체
천연물 의약품 제조 업체 천연물 분리기기 생산업체
수산 양식업체
바이오 향료 제조 업체 천연물 소재 개발, 가공업체
축산물 생산업체
바이오 색소, 도료 제조 업체 발효공정 업체 등
미생물 배양업체 등
친환경 농약 제조 업체
식품 업체 등

173
173
전략품목 현황분석

나. 시장환경 분석

(1) 세계시장

 세라믹 산업은 지속적 시장 확대가 기대되는 유망 산업으로 국내 시장확대 전망에 따라 수출


지향과 함께 내수 시장에 대한 여건 고려 필요

▪ (세계 시장) 2016년 4,402억 달러에서 연평균 6.4%의 성장하여 2025년 7,785억 달러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

▪ 미국과 일본은 디스플레이, 이동통신,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전자세라믹스 및 나노 잉크를 이용한


인쇄전자, 세라믹 나노코팅 등의 첨단 세라믹 소재 개발에 주력

▪ 기존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여 항공우주 로켓엔진, 가스터빈블레이드, 인공관절 등 첨단 구조


세라믹스 시장도 확대

[ 세계 세라믹 시장현황 및 전망 ]
(단위 : 억 달러, %)

성장률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20년 2025년
(CAGR)

세계 세라믹 3,678 3,898 4,137 5,680 7,785 6.4

*출처 : 美 Wintergreen Research('12) 자료를 기반으로 추정


*출처 : 세라믹산업 경재력강화 방안 연구 (한국세라믹기술원, 2017)

 바이오세라믹 소재시장은 치과용, 정형외과용, 생체이식용 세라믹을 포함하며 주요 재료는


루미나 및 지르코니아 세라믹 소재로 구성

 세계 바이오세라믹 소재·부품 시장은 2018년 기준 약 139억 달러로 연평균 4.2%의 성장을


보였으며, 전체 세라믹 시장의 약 21%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바이오세라믹 세계시장은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의 비중이 매우 높음


▪ 특히 미국은 연 약 6%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세계 바이오세라믹 시장을 주도하는 38개 기업 중에서 미국기업이 26개사, 유럽기업이 22개사로서


미국과 유럽기업이 바이오세라믹 시장을 지배하며, 일본도 4개 기업이 활발히 활동함
- 일본 교세라, 무라타, NTK, TDK, 미국 Cree, Corning 등의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는 상황
- 인공관절 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미국의 CeramTec, Zimmer, DePuy, Stryker, Biomet사와 영국의 Smith
& Nephew 사가 90% 정도를 장악하고 있으며, CoorTek사는 고관절 사업확장 5개년 계획 추진 중

174
174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 세계 세라믹소재 분야 주요 품목별 세계시장 현황 및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성장률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 2017년 2018년
(CAGR)

전자세라믹 소재·부품 19,333 20,435 21,600 22,831 24,132 25,507 5.7

기계구조세라믹
11,702 12,661 13,700 14,823 16,038 17,353 8.2
소재·부품

환경세라믹 소재·부품 5,508 5,999 6,533 7,114 7,747 8,437 8.9

바이오세라믹
11,434 11,846 12,258 12,770 13,483 13,954 4.2
소재·부품

합계 47,977 50,941 54,091 57,538 61,400 65,251 6.8

*출처 : 美 Wintergreen Research('12) 자료를 기반으로 추정

175
175
전략품목 현황분석

(2) 국내시장

 (국내 시장) 2016년 74.5조원에서 연평균 9.8% 성장하여 2025년 173조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
▪ 전체 세라믹산업 내 첨단세라믹 시장규모는 2014년 35조원으로 전년 대비 12.4% 성장하여
세라믹산업 전체 시장의 56%를 차지

▪ 전통세라믹 시장규모는 2014년 27조원으로 전년 대비 1.2% 감소하여 전체 시장의 44%를 차지

[ 국내 세라믹 시장현황 및 전망 ]
(단위 : 조 원, %)

성장률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20년 2025년
(CAGR)

국내 세라믹 58.3 61.8 67.8 108.2 172.5 9.8

*출처 : 세라믹산업 통계 및 동향조사 (한국세라믹기술원&산업연구원, 2015)

 국내 바이오세라믹 소재·부품 시장은 2018년 기준 약 39.7억 달러로 연평균 3.5%의 성장을


보였으며, 전체 세라믹 시장의 약 21%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국내 세라믹소재 분야 주요 품목별 시장현황 및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성장률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 2017년 2018년
(CAGR)

전자세라믹 소재·부품 92,300 105,222 119,953 136,746 155,890 3,621 7.66

기계구조세라믹
35,750 40,330 45,524 51,418 57,793 6,150 46.77
소재·부품

환경세라믹 소재·부품 15,650 17,372 19,282 21,403 23,757 2,352 6,13

바이오세라믹
3,342 3,459 3,580 3,704 3,834 3,968 3.49
소재·부품

합계 147,042 166,383 188,339 213,271 241,274 16,091 18.66

*출처 : 세라믹산업 경재력강화 방안 연구 (한국세라믹기술원, 2017)

176
176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3.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1) 기술개발트렌드

 국가적 당면과제 중 식량 안보, 기후변화, 식품안전, 에너지 고갈, 국제환경 규제(REACH) 강


화 등에 따라 보건의료용 기능성 신소재 기술개발을 통하여 신속히 해결하기 위한 기반 수립
필요
▪ 바이러스성 인수공통질병 대책 수립과 항생제 대체재 개발이 시급

▪ 세계적으로 비만 및 당뇨 인구의 증가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은 세계적으로 고기능성 및 신기능성


관련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시급히 수행 필요

 선진국을 중심으로 합성화학 산업기반 경제에서 생명자원산업 기반 경제로의 빠른 진화를 위


한 무한 경쟁이 전개됨에 따라 다분야의 핵심 소재 및 정보 제공으로 시장을 먼저 선점하는
것이 유리

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자원 및 이를 이용한 신소재 산업 시장이 확대 됨에 따라 국가적으로는


NBIC 국가융합기술지도에 바이오자원․신소재․장기 개발을 포함시켜 범정부 차원의 막대한
R&D 지원

 새로운 바이오자원의 선점과 공급권의 독점을 위한 글로벌 경쟁이 가속화


▪ 선진국들은 보건의료용 신소재 개발을 위한 개발도상국의 바이오 자원을 수집 및 보관 하려는 노력
증대

▪ 기존 화학소재산업에서 바이오신소재로의 변화를 통한 거대시장 창출이 가능하며 기존 시장 대체로


인한 고용 창출 파급효과 발생

 친환경, 맞춤형 제품
▪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제품보다는 나이, 성별, 섭취시간, 몸 상태 등에 따른 개별 맞춤형 제
품군들이 인기를 얻고 있음

▪ 소비자들의 친환경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건강기능식품도 합성원료보다는 자연친화적인 원료(허


브, 향신료 등)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의 기호와 요구에 따른 다양한 맛과 형태의 제품이
개발되고 있음

 원천소재 개발
▪ 2016년 12월,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존 제형인 분말, 환, 정제, 캡슐, 과립, 액상,
페이스트, 시럽, 겔, 편상 제형에서 ‘필름’ 제형이 추가되어 지속적으로 신규 제형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177
177
전략품목 현황분석

▪ 캡슐의 경우 기존에는 돈피, 우피를 사용해 왔는데 광우병, 구제역 등으로 동물성 원료에 대한
인식이 악화되자 식물성 연질캡슐 제형화 기술을 개발하였고 최근 씹어먹는 형태의 츄어블 연질캡슐
개발에도 성공함

▪ 식물성 연질캡슐의 경우는 채식주의자, 이슬람교도 등을 위한 할랄식품으로도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됨

▪ 최근에는 고령자들의 뇌혈관 질환, 치매, 면역 저하 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내 미생물, 즉,


유산균을 활용하여 노화에 따른 뇌질환, 면역 기능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 원료물질의 안전성 확보
▪ 가르시나아 캄보지아 다이어트 식품의 간 손상 위험관련 이슈와 내추렬앤도텍의 가짜 백수오 사건
등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2016년 5월 건강기능 식품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개정, 건기식
재평가 제도가 도입

▪ 건기식 재평가제도는 식용원료 여부, 일일섭취량 안전성 여부, 이상사례 및 독성 여부, 섭취 시


주의사항 적절여부 등에 의해서 해당 건기식 원료의 허가사항을 유지하거나 변경할 것으로 고시하는
것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안전관리가 크게 강화되고 있어 원료물질의 개발, 인허가, 관리 등에 업체의
부담감이 커지고 있음

 신규 기능성 원료 고시

▪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기존 27가지 기능성원료 범주에서 2014년 ‘정자 운동성 개선’, ‘월경전


변화에 의한 불편한 상태 개선’, ‘유산균 증식을 통한 여성 질 건강’, ‘어린이 키 성장’, 2015년
‘수면의 질 개선’에 도음을 주는 신규 기능성 원료를 추가 등재

▪ 하지만 국내 식약처는 기능성식품원료의 잇따른 문제로 인해 이들의 인허가를 보수적으로 운영하고


있어, 건기식 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새로운 트랜드 조성이 지연되고 있음

▪ 현재 건강기능식품의 품질관리를 위한 기능/지표성분이 몇몇 원료들을 제외하고는 해당 원료의


특정성분이 아니어서 다른 원료가 혼입되었을 경우 판별해 내기가 어려운 실정으로 건강기능성
원료의 기원 및 종 특이 성분의 판별이 매우 중요해 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종판별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음

178
178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2) 기술환경분석

 지난 수십년 간 생물체 유전관련 다양한 연구 성과(염기서열 해독 기술, 유전체학 기술)를 바


탕으로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개발 추진 및 시장 기반 확보

 사업화 위험성이 높아 대기업의 투자가 적은 만큼 중소기업들의 기술 개발 및 투자를 통해


특허 확보를 통한 시장 진출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상승효과 예측

 국내 천연물 라이브러리 및 저독성 항균물질 스크리닝 기법은 천연물 화학부터 생물학적 제재


개발 살균제 제재 개발 경험으로 다수 확보된 실정

 의료기기/용품의 원재료를 고가의 수입원료로써 많이 사용하는 등의 이유로 외산에 비해 국산


의 이익률은 상당히 낮아 경쟁력을 갖추기 어려움

 인체삽입 용품의 경우, 생체재료인 원료가 국제규격에 적합하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안정적인
공급이 된다면, 경쟁력있는 의료기기/용품이 개발 가능할 것임. 특히, 이러한 분야는 국내에
서 활발한 조직공학 및 재생의학 분야와 접목되어 시너지 효과 기대

 원천 소재 활용방안의 국내 기술력 확보는 새로운 성장 동력산업으로 추진 가능

▪ 향료 국산화와 식품, 건강, 에너지 환경, 향장 생활용품 등과 연계 가능

 기존 화학 제품군에 대한 불신과 건강 중심의 소비성향으로 인해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중


심의 화장품, 아동용품 등 신소재가 적용되어 시장 내 수용성이 높은 실정

 건강기능식품․고령친화식품 산업은 1차 농수축산업을 비롯하여 고부가가치 기능성 식품산업,


타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국가 차원의 주력산업이며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일한 기간산업으로 사회적, 경제적, 산업적 발전의 근간이 될 수 있음

▪ 건강기능식품산업은 기타 식료품, 가공식품, 음료품, 사료, 담배, 의약품, 농립수산품, 화학제품, 일반


기계, 전기 및 전자기기, 수송 장비, 기타 제조업제품, 전력, 가스 및 수도, 건설, 도소매, 음식점 및
운수 및 보관, 기타서비스 산업에 생산 및 고용, 부가가치 유발 효과를 제공

▪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2조 원 대로 추산되며 그 규모가 더욱 커져 국제 시장 점유율도 높아지


고 있는 산업임

▪ 기후변화 및 FTA 대응, 나고야 협정에 따른 국내 생명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이 필요한 시점에서 국
내 토착형 천연물 유래 건강기능성 소재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의 개발은 식품의 고부가
가치화, 기능성화 전략수출 품목화 등으로 차별화가 가능하며 궁극적으로 국내 건강 기능성 식품의
산업 촉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179
179
전략품목 현황분석

 새로운 기능성식품 소재개발은 국내산 원료 및 그 가공품을 활용한 생산 부문의 고용창출은


물론이고, 건강 기능성 식품산업, 제약산업, 포장재산업, 요식산업, 관광축제산업 등 연관 산
업 부문의 고용이 창출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다양한 천연물의 식․의약 소재로의 전환에 의한 기능성 원료는 고부가가치 기능성 식품 산업 발전과
부가가치 창출에 깅할 것이며, 더 나아가 건강기능성 원료를 제조하기 위한 1차 원재료 생산농가의
소득 증대 및 안정화에 기여

 세계 농림수산물 소재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herbal & botanical extracts 47.4%, fish oils
35.3%, non-herbal extracts 16.1%로 구성됨

▪ herbal & botanical extracts 시장은 대부분이 면역, 심혈관 건강, 에너지 증진, 정신건강관련 기능
성 소재 영역이며, 단일 허브추출물로 제조한 보충제의 경우, 소비자의 관심이 감소하는 추세여서
특정 질병과 관련된 기능성 성분들이 조합 또는 혼합된 보충제가 향후 유망할 것으로 예측

▪ 기능성 소재별로 시장 추이를 분석해 보면 면역소재로 echinacea, 콜레스테롤과 혈압 조절용 소재


로 garlic, 정신건강과 혈행개선소재로 ginkgo biloba, 에너지 증진소재로 ginseng, 전립선 건강 소
재로 saw palmetto, 우울․불면 소재로 St. John's Wort 등이 관심을 받고 있으며, 기타 중국전통
의약품, ayurvedic compounds 등의 소재가 시장에 출시되고 있음. 한편 Fish oils 시장은 주로
fish oils과 미세조류에서 추출한 PUFAs가 있으며, 성인(주로 노인)과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식품,
음료, 식이보충제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음

 기능성 화장품 소재의 경우, 최근 소비자들이 성분과 그에 따른 효과, 피부 안전성 등을 우선


해 화장품을 고르는 경향이 보이고 있어 생리활성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 바이
오소재 화장품에 대한 수요 증가

 신소재 확보에 유리한 해양, 산지 자운이 풍부해 기존 산업 대비 지속가능한 개발이 가능해


경제적 가치창출이 가능

180
180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나. 주요기업 동향

(1) 해외업체동향

 Smith & Nephews(영국)는 Advanced Tissue Science(미국) 사에 인공피부 개발을 위해


투자 하였고 Amgen(미국)는 Gilford 제약사에서 신경재생 의약물을 개발하기 위해 투자

 또한 Striker사는 Creative Biomol사의 인공뼈 개발을 위해, Medtronic사는 LifeCell사에


심장 판막을 위하여 투자

 영국에서는 Medilink라는 과제명으로 1,500만 파운드, 스위스에서는 약 200만 스위스


프랑을 투자했으며, 일본의 경우 문부성에서는 재생의공학, 후생성에서는 조직공학에 의한
재생조직화의 기반기술, 과기청에서는 QOL을 지향한 생체 융화재료의 신창출 및 생체외
세포조직과 조직공학, 통산성에서는 3차원세포조직 모듈 공학이라는 프로그램으로 지원

 천연 방부제 분야의 두드러진 주요 기업은 없으나 ALOEBIOTICS RES LABS INC, BIO
BOTAN INC, CONOPCO INC DBA UNILEVER, GEN MILLS INC, PROCTER & GAMBLE
등이 활발히 활동

 화장품, 의약부외품 메이커인 일본 사티스 제약은 식물에서 추출한 항균성 성분을 조합해
향후, 화장품의 천연 방부제 개발

▪ 항균 활성이나 항염 작용이 있다고 여겨지는 식물 72 종류를 스크리닝 하는 것과 동시에 식물로부


터 항생물질을 추출하는데 성공

 영국의 테이트&라일(Tate & Lyle)의 수크랄로스(scralose)는 설탕 분자 내 세 군데의


수산기를 염소기로 선택적으로 치환시켜 제조하였으며, 설탕의 약 600~700배 정도의 단맛을
제공
▪ 수크랄로스는 ’91년 캐나다에서 최초로 식품첨가물로 사용 허가, 미국은 ’99년, 유럽연합은 ’00년,
개발국인 영국은 ’02년에 사용 허가

 중국의 연간 효소 생산량은 매년 10%씩 증가하고 있으며, 생산하는 효소의 종류는 15종


생산
▪ 중국은 효소 생산원가 및 효소 응용기술 등 우월한 투자조건을 구비해 Novo Nordise, Gerencor
등 글로벌 기업의 투자를 유인하여 효소 생산 다국적기업의 중요한 생산기지로 부상

 미국의 Olly Public Benefit Corp 사는 Gummy 비타민 식품보충제를 출시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바(Bar), 알약 대신 액체 형태의 Baby Drop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향후에도 지속해서 출시될 것으로 전망

181
181
전략품목 현황분석

▪ Private Label 업체인 Perrigo Company는 Ferrara Candy Company와 공급 파트너쉽 계약을 통
해 비타민에 맛을 더한 Gummy 비타민과 다양한 제품 출시를 준비 중에 있음. 기존 비타민 및 식
품보충제의 경우 대부분 알약 형태로 출시되었지만 다양한 소비층을 공략하기 위해 물에 타먹는 비
타민 캔디 등 획기적인 제품을 출시

▪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근력강화식품이나 영양보충식품 등 고령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제품들을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음. 칼슘 강화를 통해 치아 유지 및 골다공증예방 제품이 캐나다에서
인기를 끌고 있으며 오메가3와 DHA를 함유한 제품도 반응이 좋음

▪ 트리브 프로즌 뉴트리션(Thrive Frozen Nutrition)은 근육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시키기 위해 유청단


백질과 루신, 그 외 필수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근력과 근육기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Thrive를 출시

 일본은 고령자 개개인에 다양한 수용에 부합하는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스프, 푸딩 등 유동
식 및 개호식 등으로 확대하고 있음. 일본 야쿠르트는 시니어 고객을 타겟으로 야쿠르트 골드
유산균 음료를 출시하였고 메이지 유업의 경우 우유에 넣어 마시는 분말 종류를 커피, 딸기
등의 맛으로 나눠 시니어가 마시기 용이한 전용 상품을 개발하고 있음. 또한 Danine, Yajult,
Megmilk Snow Brand 등에서 요거트를 이용한 시니어 제품들을 출시

 중국 정부는 국민 건강을 위해 뼈 건강을 중요시하면서 고령화와 1가구 2자녀 정책 등으로


인해 칼슘제 시장이 급성장을 보여 탕천베이이엔 건강보조식품 업체인 칼슘 보충제 판매량이
급증

▪ 노인 일반식품시장 중 90% 이상이 분유, 콩분유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고령친화식품 소비규모
는 약 1,000억 위안(약 17조 원)에 이르러 총 노인 소비규모의 1/3을 차지하고 있음

▪ 칭다오 Biomate 식품 유한회사는 주로 영유아 보조식품을 연구 개발하고 있으며 생산, 판매, 서비


스까지 제공하는 회사임. 중국 영유아 보조식품도 2014년 375.9억 위안을 달성하였고 지속적인 성
장세를 보일 전망

▪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네델란드 최대 유제품 회


사인 Friesland Compina는 60대 이상 노인을 타겟으로 영양을 보충할 수 있는 제품을 출시

182
182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2) 국내업체동향

 바이오자원 및 신소재, 장기분야의 경우, 상당수의 제품이 상용화단계 이전의 연구개발단계이


기 때문에 대학 및 연구소단계에 머물러있는 경우가 많은 상황
▪ 실질적인 중소기업참여현황은 화장품소재가 대부분이며 화학소재의 경우 농업 및 세제 등의 분야에
소수의 업체가 참여

 삼양사는 꾸준히 의료 사업에 투자하여 왔고 비교적 최근에는 의공학 분야의 시장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노테크메디칼, 리젠 바이오텍, 바이오레인, 메디켐텍 등 인체의 각종
조직의 재생을 돕거나 조직을 만드는 업체가 설립되었으며, 대학과 연구소, 바이오 벤처를
중심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

 에스코텍(주)는 한우 송아지 뼈를 처리, 가공하여 골조직 손실부에 이식함으로써 새로운


골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재료를 개발함

 친환경 농업용품의 경우 경농, 수입 생물농약을 대체하기위한 개발이 동부팜한농(대기업)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린바이오텍, KIBC 등의 중소기업이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생물농약개발에 참여

 씨티 씨바이오는 동물사료 첨가효소제 씨티씨자임을 개발하면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였고


동물사료용 효소첨가제는 가격이 비싼 옥수수나 콩 대신 값싼 밀을 먹어도 소화할 수 있도록
돕는 효소 약품

 인트론 바이오는 인도네시아 CP그룹(Charoen Pokphand)과 자체 보유한 특화기술인


박테리오파지(세균을 잡아먹는 생물체) 기술을 활용한 항생제대체재 분야에서의 전략적
제휴를 MOU(양해각서)를 체결

▪ 박테리오파지 기술 적용 제품 판매가 본격화 되면, 인도네시아만 초기 연간 200억원 규모 시장 예상

▪ 향후에는 연간 500억 원 이상으로 확대될 수 있으며 CP 그룹의 동남아시아 계열사까지 확대된다면


수배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주)CJ가 세계 최초로 특정 세균에만 작용하는 기생형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하여 유익한


세균은 남겨두고 병원성 세균만 파괴하는 사료용 항생제 대체제 개발

 기능성식품산업은 한국인삼공사가 38%의 시장점유율을 갖고 주도적으로 시장을 이끌고


있음. 최근 광동제약, 남양, 종근당, 풀무원 등 제약회사와 식품기업들이 건강기능식품시장에
참여하고 있음

183
183
전략품목 현황분석

 중소기업은 주로 홍삼제품 생산에 참여하고 있으며, 글루코사민, 아로에겔, 키토산, 클로렐라


등 다양한 제품 생산에 참여함. 건강 기능성 식품 생산 10대 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의
생산비중은 약 41% 수준임

 세계 5대 건강식품 대부분의 발효식품으로 지정될 만큼 발효식품산업은 다양한 성장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나 아직 대기업들이 본격적인 투자를 하지 않고,대학 연구소에서 관련기초연구가
수행되는 수준임

 (주)쎌바이오텍은 프로바이오틱스 업체로 중간재 및 완제품을 국내외에 OEM/ODM의 형태로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외 프로바이오틱스 시장 증가로 매출액이 상승하고 있음. 공중파 광고
확대로 브랜드 인지도를 확립(2013년)하였으며 듀얼코팅 기술을 개발해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중국에서 특허를 출원

 (주) 서흥은 의약용 하드캡슐 제조(국내 1위)와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OEM 전문 기업으로,
중국을 포함한 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기업 매출액 증가가 예상되며 주요
제품으로는 백수오궁, 면역엔 웰뮨, 메가포스 등이 있음

184
184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 국내외 중요 기업 동향 ]

회사명 국가 설립연도 관련 동향

•세계적인 다국적 기업으로 전문 의료용품과 가정용 의료용품 생산


영국 1931 •상처치료, 정형외과적 골절, 정형외과적 인공관절 삽입물, 보조기 지지대 생산
•인체 세포 배양에 의한 인조피부, 헬스 케어 제품 생산

•신경재생 의약물을 개발하기 위해 투자 (Gilford사)


미국 1980
•2017년 종근당과 골다공증 혁신 신약 공동 판매 협약

•의료용 임플란트, 외과기술, 영상기술 개발, 환자진료 및 응급 의료기기를 제


작 및 개발
미국 1936 •인공뼈 개발을 위해 Creative Biomol사 투자
•2016년 최초로 매출이 100억 달러를 초과, 의료부문 2건 포함 총8건의 인수
를 완료

•세계적인 다국적 제약회사


•Ferrara Candy Company와 공급 파트너쉽 계약을 통해 비타민에 맛을 더한
미국 1887
Gummy 비타민 출시
•물에 타먹는 비타민 캔디 등 획기적인 제품을 출시

•2015년 시판중인 메이지 프로바이오 요구르트의 생산능력 증설 투자


•우유에 넣어 마시는 분말 종류를 커피, 딸기 등의 맛으로 나눠 시니어가 마시
일본 1994 기 용이한 전용 상품을 개발
•Danine, Yajult, Megmilk Snow Brand 등에서 요거트를 이용한 시니어 제
품들을 출시

•주로 영유아 보조식품을 연구 개발


•현재 중국 전역에 10여 개 사무소에 대략 500명의 직원
중국 2002
•일본 와세다대학과 중국대중영양발전센터와 협력해 아세아인의 체질에 맞는
제품 생산을 위해 노력

•2015년 N-Rephasin® SAL200 전세계 최초 임상1상 식약처 허가


한국 1999 •2016년 N-Rephasin® SAL200 임상2상 식약처 허가
•2018년 슈퍼박테리아 신약 7500억원 기술수출 성공

•2015년 Forbes Asia 선정 ‘아시아 200대 유망기업’


한국 1995 •2015년 'World Class 300' 선정(중소기업청)
•2018년 유산균 약물전달시스템과 항암치료용 재조합 유산균 2종 특허

•의약용 하드캡슐 제조(국내 1위)와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OEM 전문 기업


한국 1973 •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기업 매출액 증가
•주요 제품으로는 백수오궁, 면역엔 웰뮨, 메가포스 등이 있음

185
185
전략품목 현황분석

다. 특허 동향

◎ 보건 의료용 기능성 소재 기술 분야 특허상 주요 기술

 주요 기술
▪ 보건 의료용 기능성 소재 기술분야는 아래 표에 기재된 ‘생분해성 임플란트 의료 섬유’를 포함한 총
11개의 주요 기술이 있음

요소기술 코드 설명

생분해성 임플란트 의료 천연소재 기반 생체적합성 소재를 이용하여 생분해성 임플란


A
섬유 트 의료섬유를 개발 정형외과, 성형외과에서 사용

생체 분해성 임플란트 마그네슘 합금기반 생분해성 임플란트 금속 소재 정형외과,


B
금속 소재 성형외과 사용 임플란트

3D 프린터 기반
C 3D 프린터 기반 인체이식용 의료기기 소재 생분해성 고분자
인체이식용 의료기기 소재

약물전달용 단백질 소재 D 줄기세포 치료, 면역제제용 단백질 소재 치료제

식물자원, 식물성 오일, 폐식물자원, 목질계, 미생물계, 해양


바이오매스 원료 E
식물 자원, 동물자원 등

Gum, polysaccharide, starch, lignin, PLA, PHB, PBS,


고분자 중합복합재료 F
PHA를 중합하여 만드는 복합재료 기술

필름, Sheet, plate, 성형 및 블렌딩, 금형 및 사출제품, 포


성형,가공 및 응용산업 G
장재, 건설, 전자, 의료용, 자동차 등에 사용

하이드로젤 H 단백질 약물 전달을 위한 주입용 하이드로젤

고분자 젤 I 외부 압력으로 약물을 전달하는 고분자 젤

식물 유래 항균제 ex) 고삼, 황금 추출물, 향나무, 대나무,


항균제 J
소나무 등

방충제-시장성 부족 K 식물 유래 방충제 ex) 시트로넬라, 로즈마리, 라벤더 등

186
186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 세부 분야별 특허동향

 주요 기술별 출원인 국적별 특허동향

▪ 보건 의료용 기능성 소재 기술의 요소기술별 주요 출원인 국적별 특허정보 데이터 입수하였으며, 최


근 10년간의 특허데이터를 비교 분석함

요소기술 한국 미국 일본 유럽 기타 계

생분해성 임플란트 의료 섬유 12 32 3 17 9 73

생체 분해성 임플란트 금속 소재 29 64 14 28 29 164

3D 프린터 기반 인체이식용 의료기기 소재 122 121 19 32 36 330

약물전달용 단백질 소재 124 292 11 67 78 572

바이오매스 원료 29 6 9 0 6 50

고분자 중합복합재료 26 51 31 34 28 170

성형,가공 및 응용산업 67 144 166 78 52 507

하이드로젤 264 509 6 137 149 1,065

고분자 젤 264 509 6 137 149 1,065

항균제 19 102 24 54 24 223

방충제-시장성 부족 141 57 22 23 18 261

합계 1,097 1,887 311 607 578 4,480

▪ 요소기술별 출원인 국적별 특허동향에서 미국국적의 출원인이 가장 활발한 연구개발을 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한국, 유럽, 일본 국적의 출원인 순으로 나타남

▪ 생분해성 임플란트 의료 섬유 분야에서는 미국국적의 출원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국적의 출원인이 상대적으로 적은 출원량을 보유하고 있음

▪ 생체 분해성 임플란트 금속 소재 분야는 미국국적의 출원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한국, 유럽, 일본 국적의 출원인 순으로 특허를 많이 출원하고 있음

▪ 3D 프린터 기반 인체이식용 의료기기 소재 분야에서는 한국국적의 출원인이 가장 많은 출원을 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미국국적의 출원인이 많은 출원량을 보이고 있음

▪ 약물전달용 단백질 소재 기술은 미국, 한국 국적의 출원인 순으로 출원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됨

▪ 바이오매스 원료 기술 분야에서는 한국국적의 출원인과 일본국적의 출원인 순인 것으로 조사됨

▪ 고분자 중합복합재료 분야에서는 미국, 유럽, 일본, 한국국적의 출원인 순으로 출원량이 많은 것으로
파악됨

187
187
전략품목 현황분석

▪ 성형, 가공 및 응용산업 분야는 일본국적의 출원인과 일본국적의 출원인의 출원량이 가장 많은 것으


로 파악됨

▪ 하이드로젤 분야와 고분자 젤 분야에서는 미국국적의 출원인의 출원량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


사됨

▪ 항균제 분야에서는 미국국적의 출원인의 출원량이 월등히 많은 것으로 조사됨

▪ 방충제-시장성 부족 분야에서는 한국국적의 출원인의 출원량이 타 국적의 출원인에 비해 많은 것으


로 파악됨

▪ 관점을 국내·외 출원인으로 바꾸어 보면 한국국적의 출원인은 외국국적의 출원인에 비해 3D 프린터


기반 인체이식용 의료기기 소재 분야(C), 방충제-시장성 부족 분야(K)의 출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
게 나타나고 있음

▪ 반면, 한국국적의 출원인은 외국국적의 출원인에 비해 고분자 중합복합재료 분야(F), 성형,가공 및


응용산업 분야(G), 항균제 분야(J)에서 상대적으로 특허 출원 비중이 낮은 것으로 파악됨

188
188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 한국국적 출원인의 출원량이 가장 많은 하이드로젤 분야(H분야)와 고분자 젤 분야(I분야)의 경우


2016년에 출원량이 급증하였고 나머지 분야들은 등락을 거듭하며 출원량의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외국국적 출원인의 출원량에서도 하이드로젤 분야(H분야)와 고분자 젤 분야(I분야)의 출원량이 타 분


야에 비해 많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됨
* 년은 미공개 출원이 존재하여 출원 수가 적게 보이는 구간으로, 시계열 동향을 파악할 때 이 점을
2017~2018

유의해야 함.

189
189
전략품목 현황분석

 주요 기술별 출원인 동향

요소기술 기술집중도 주요출원인 국내 특허동향

•Tepha, Inc.
•대학 중심
생분해성 임플란트 의료 •ガラパゴス·ナムロ-ゼ·フェン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 ノ-トシャップ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등
•Ethicon, Inc.
•オリンパス株式会社 •중소기업 중심
생체 분해성 임플란트
◔ •유앤아이 주식회사 •유앤아이 주식회사, (주) 웹
금속 소재
•신세스 게엠바하 스 등
•한국기계연구원 •공공연구기관, 대학 중심
3D 프린터 기반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기계연구원, 연세대학교
인체이식용 의료기기 소재
•이윤택 산학협력단 등
•The Regents of the
•대학 중심
University of California
약물전달용 단백질 소재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성균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학 중심
바이오매스 원료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영남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학교 산학협력단 등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대학 중심
고분자 중합복합재료 ◔ CO., LTD.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포항
•Terumo Kabushiki Kaisha 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등
•Covidien LP

•FUJIFILM Corporation •대학, 기업 중심


성형,가공 및 응용산업 ● •Neptune-Benson, LLC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
•三菱樹脂株式会社 단,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등

•Allergan, Inc.
•대학 중심
•Massachusetts Institute of
하이드로젤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아
Technology
주대학교산학협력단 등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Allergan, Inc.
•대학 중심
•Massachusetts Institute of
고분자 젤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Technolog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등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뉴욕대학
•중소기업, 개인 중심
•유니버스티 오브 로체스터
항균제 ◓ •(주) 본느, (주) 지에스 바이
•Helper Bea Therapeutics
오 등
Limited
•Bayer CropScience AG •중소기업, 대학 중심
방충제-시장성 부족 ◓ •(주) 클푸 •(주) 클푸, 고려대학교 산학
•エステ-株式会社 협력단 등

※ ●: 400건 이상, ◕: 300~399건, ◓: 200~299건, ◔: 100~199건, ◯: 100건 미만

190
190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 생분해성 임플란트 의료 섬유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Tepha, Inc.이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ガラパゴス·ナムロ-ゼ·フェンノ-ト


シャップ과 Ethicon, Inc. 순으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함

 생체 분해성 임플란트 금속 소재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オリンパス株式会社가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한국의 유앤아이 주식회사


가 많은 특허를 출원하고 있음

 3D 프린터 기반 인체이식용 의료기기 소재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한국의 한국기계연구원이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등이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 약물전달용 단백질 소재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가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는 한국의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이 다수의 특허를 보유함

 바이오매스 원료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한국의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순으로 가장 많은 특


허를 보유하고 있음

 고분자 중합복합재료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가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그
다음으로 Terumo Kabushiki Kaisha, Covidien LP 순으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함

 성형,가공 및 응용산업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FUJIFILM Corporation가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Neptune-Benson,


LLC, 三菱樹脂株式会社등이 많은 특허를 출원하고 있음

 하이드로젤 기술 분야 및 고분자 젤 기술 분야의 주요 출원인 동향


▪ Allergan, Inc.가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한국의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이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 항균제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뉴욕대학이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유니버스티 오브 로체스터, Helper


Bea Therapeutics Limited가 다수의 특허를 보유함

191
191
전략품목 현황분석

 방충제-시장성 부족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Bayer CropScience AG가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한국의 (주) 클푸가 많은
특허를 출원하고 있음

◎ 국가별 특허활동지수(AI) 비교

 특허활동지수(Activity Index)는 상대적 집중도를 살펴보기 위한 지표로서, 그 값이 1보다 큰


경우에는 상대적 특허활동이 활발함을 나타냄

 한국은 항균제 분야에서는 특허활동이 부진하나, 바이오매스 원료 분야의 특허출원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미국은 바이오매스 원료 분야에서는 특허활동이 부진하나, 약물전달용 단백질 소재 분야의 특


허출원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일본은 하이드로젤 분야와 고분자 젤 분야에서는 특허활동이 부진하나, 성형, 가공 및 응용산


업 분야의 특허출원은 매우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유럽은 바이오매스 원료 분야에서는 특허활동이 매우 부진하나, 항균제 분야의 특허출원은 활


발한 것으로 나타남

192
192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193
193
전략품목 현황분석

◎ 질적 수준을 고려한 각국의 시장력 분석

 시장력이 전체 평균을 상회하는 국가로는 미국, 독일, 스위스가 있으며, 질적인 수준이 평균
보다 높은 특허 보유국은 미국, 독일임

▪ 질적인 측면을 같이 고려한 시장력에 있어서 미국, 독일은 질적 수준과 시장성이 모두 높은 국가로
조사됨

▪ 한국은 시장력과 질적 수준이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남

PFS CPP
국가 특허 수
(Σ패밀리수/Σ특허수) (Σ피인용수/Σ특허수)

JP 311 1.073955 0.08

KR 1097 1.146764 0

US 1887 1.629571 2.423323

DE 182 1.840659 2.722222

CH 105 2.285714 0.2

전체평균 88 1.55 1.85

◎ 보건 의료용 기능성 소재 기술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 및 공백기술

 보건 의료용 기능성 소재 기술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은 약물전달용 단백질 소재 분야, 고분자


중합복합재료 분야 등이며, 공백기술에 해당하는 분야는 생분해성 임플란트 의료 섬유 분야,
바이오매스 원료 분야로 나타남

▪ 보건 의료용 기능성 소재 기술 분야에서 하이드로젤 분야 및 고분자 젤 분야가 가장 경쟁이 치열한


분야로 나타남

194
194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요소기술 기술 집중도

생분해성 임플란트 의료 섬유 ◯

생체 분해성 임플란트 금속 소재 ◔

3D 프린터 기반 인체이식용 의료기기 소재 ◕

약물전달용 단백질 소재 ●

바이오매스 원료 ◯

고분자 중합복합재료 ◔

성형,가공 및 응용산업 ●

하이드로젤 ●

고분자 젤 ●

항균제 ◓

방충제-시장성 부족 ◓

※ ●: 50건 이상, ◕: 30~49건, ◓: 20~29건, ◔: 10~19건, ◯: 10건 미만

◎ 최신 국내 특허기술 동향

요소기술 최근 핵심기술 동향

생분해성 임플란트 의료 섬유 ∙높은 인장탄성률과 낮은 파단신장률을 가지는 생분해성 고분자섬유 제조 기술

생체 분해성 임플란트 금속 소재 •생체분해성 합금 제조 기술

3D 프린터 기반 인체이식용
•인체에 주입하여 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프린팅 방법
의료기기 소재

약물전달용 단백질 소재 •약물전달 수송체 및 세포전달수단으로 유용한 마이크로 입자 제조기술

바이오매스 원료 •농산물로부터 추출하는 기술

고분자 중합복합재료 •생체흡수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 기술

성형,가공 및 응용산업 •다양한 용도의 포장재용 필름의 제조 기술

•약물 확산의 용이성 및 높은 조절성을 갖춘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 이용되는


하이드로젤
하이드로겔 제조기술

고분자 젤 •자가진단 및 치료용 약물전달체 조성물로 이용되는 기술

항균제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살균 효과를 가지는 기술

방충제-시장성 부족 •천연물로부터 추출된 물질을 이용한 살충제 제조기술

195
195
전략품목 현황분석

 국내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대학은 생분해성 임플란트 의료 섬유 분야, 3D 프린터 기반


인체이식용 의료기기 소재 분야, 약물전달용 단백질 소재 분야, 바이오매스 원료 분야,
고분자 중합복합재료 분야, 성형,가공 및 응용산업 분야, 하이드로젤 분야, 고분자 젤 분야,
방충제-시장성 부족 분야를 주로 연구하고 있음

 공공연구기관은 3D 프린터 기반 인체이식용 의료기기 소재 분야를, 중소기업은 생체 분해성


임플란트 금속 소재 분야, 성형,가공 및 응용산업 분야, 항균제 분야, 방충제-시장성 부족
분야에 집중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중소기업 특허전략 수립 방향 및 시사점

 보건 의료용 기능성 소재 기술 분야의 공백기술 분야는 상대적으로 기술 집중도가 낮다고 볼


수 있는 생분해성 임플란트 의료 섬유 분야, 바이오매스 원료 분야이고 대부분의 분야에서 대
학의 특허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다양한 분야의 보건 의료용 기능성 소재 기술 분야는 점차적으로 시장이 확대되고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향후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기술 집중도가 낮아 상대적으로 진입이 용이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 원


료 분야에 집중하여 연구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됨

196
196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4. 연구개발 네트워크

가. 연구개발 기관/자원

◎ 연구개발 기관

[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연구기관 ]

기관 요소기술

⦁면역 보강제, 혈류개선용 소재 및 고령친화식품소재 가공기술


한국식품연구원
⦁항노화·뷰티 소재탐색기술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소재 탐색 및 혈당강하개선


한국한의학연구원
식품적용기술

⦁천식 예방 또는 치료용 소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항바이러스 소재 및 면역증강제

농촌진흥청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소재 탐색기술

◎ 연구개발 자원

 2012년 한·미 FTA 발효, 약가제도 개편 등 제약산업을 둘러싼 환경 변화로 국내 제약산업


종합 육성 대책 마련 필요성 제기

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2012년)에 따라 제약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


수립 추진

 제2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 (2018~2022)

▪ (R&D) 신약 개발 역량 제고를 위한 R&D 강화

▪ (인력양성) 제약산업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 및 창업 지원

▪ (수출지원) 현장수요 중심의 수출 지원체계 강화

▪ (제도개선) 선진 제약 강국 도약을 위한 제약산업 육성 기반 조성

 4차산업혁명 융합의료기기 핵심기술 개발

 [헬스케어 융합기술 개발] 지능형 인체 삽입형 의료기기, 스마트 진단/치료 통합솔루션, AI


기반 로봇 융합 의료기기 등 인공지능

197
197
전략품목 현황분석

▪ 바이오·로봇기술 융합 의료기기 기술 개발 추진

▪ 과기부, 산업부, 복지부, 식약처, 범부처 사업 기획으로 8개 과제 선정 (2018~2022, 420억원)

[ 중점 투자 분야 및 기술범위 ]

중점 투자분야 기술 범위

지능형 인체 삽입형 인체 이식되어 손상조직 또는 장기를 대체하는 능동 기능 의료기기


의료기기 개발 또는 패러다임 혁신형 인공지능 기반 인체삽입형 의료기기

스마트 진단/치료 기존의 진료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의료-ICT 융복합 솔


통합솔루션 개발 류션을 제공하는 스마트 진단/치료 시스템 개발

로봇 기반의 수술 및 치료, 재활, 응급의료를 보조하는 목적의 의료


AI기반 로봇 융합 의료기기
기기로서 의료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융합을 통해 새로운 임상
개발
적 효과를 제공하는 융합 의료기기

 [범부처 R&D 추진] 가치창출·임상수요기반·질환극복 등 의료기기 기술 개발 사업은 통합하여


산업부, 과기부, 복지부 범부처 R&D 사업으로 추진 계획(2020~2929, 3조원)
▪ 중점 투자 분야로 시장친화형 글로벌 기업 육성, 4차산업혁명 및 미래 의료환경 선도, 의료공공복지
및 사회문제 해결, 의료기기 사업화 역량 강화로 구분하여 추진 중

 식약처와 농림축산식품부는 공동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개발에서부터 상품화까지 ‘원스톱’


지원 체계를 구축

▪ 기능성 원료 인정 심사 시 GRP(우수심사기준)를 적용한 심사기준을 마련

▪ 불필요한 제출 자료 간소화 및 신속심사 도입으로 심사기간 단축

 농림축산식품부는 건강 기능성 식품시장 육성을 위해 기능성 농식품 자원 통합 DB 구축 등


원료·소재 단계의 기능성 정보 제공을 강화하고, 국가식품클러스터(전북 익산) 내에 위치한
기능성평가지원센터를 활용하여 원료 표준화부터 제품화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기업의
기능성 제품개발을 위한 R&D 지원 및 임상시험 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나갈 예정임

198
198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다. 기술이전가능 기술

◎ 기술이전가능 기관 및 세부내용

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제품개발 지원을 통하여 해외 기술이전 및 시장출시 등 경제적


성과 창출
▪ 1995년부터 2017년까지 의약품 30건, 의료기기 206건, 화장품 267건 등 총 503건의 제품개발

▪ 최근 4년간(2014~2017) 총 27건의 의약품 해외 기술이전 계약체결로 최대 약 8.1조 원 규모의


경제적 성과 창출 예상

[ 2018년도 보건의료 분야 기술사업화 성과 ]

기관 지원기술 내용

⦁KL1333은 현재 임상 1상 진행 중이지만 시판 중인
경북대학교 β-lapachone의 미토콘드리아
약물보다 NQO1 활성화 능력을 증진시키고 효력 연구
병원 기능 개선에 관한 기초연구
에서 더 뛰어난 효과

한국인 피부전층모델을 활용한 ⦁화장품 연구에 있어 동물실험 금지에 따른 한국인 피


이화여자
신규 기능성 화장품 피부효능 부모델의 개발과 이를 활용한 화장품 기능성평가법과
대학교
평가 동물실험 대체기술 개발 화장품 신소재 개발

⦁heterodimer Fc 기술은 국내에서는 최초로 개발된


항체중쇄불변부위 이종이중체 기술이며 다국적 생명 공학/제약회사의 기술과 비교하
아주대학교
(Heterodimeric Fc) 기반 기술 여 상등하거나 향상된 heterodimer Fc 형성 수율
(~94%) 및 열안정성을 가지고 있음

⦁배아줄기세포를 분화시켜 발암성이 근본적으로 제거된


안전한 신경전구세포인 PSA-NCAM 양성 세포를 만들
뉴로필린 1(Neuropilin 1)에 대 고, 이들 세포를 활용하여 척수 손상과 같은 신경계질
연세대학교 환에 적용
한 항체 및 이의 용도
⦁배아줄기세포유래 신경세포 이용 척수손상 세포치료제
를 개발 중

199
199
전략품목 현황분석

5. 기술로드맵 기획

가. SWOT분석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환경) 높은 수준의 의료 환경 및 인력풀 확보 •(환경) 바이오 산업의 작은 규모와 관련업체의 영세


•(기술) 바이오 관련 산업 급속한 성장 •(기술) 핵심 원천기술의 높은 해외 의존도
•(정책) 바이오산업의 정책적 지원 확대 •(정책) R&D 인프라, 투자 부족 및 산업계 연계 미흡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환경) 글로벌 기업의 국내시장 마케팅관리


•(환경) 헬스케어 시장의 계속적 성장
•(기술) 생산지원 인프라 부족 글로벌 업체와의
•(기술) BT/IT/메카트로닉스 등 사회적 인력풀
기술격차
•(정책) 정부의 높은 규제개선 의지
•(정책) 미시적 R&D 정책에 따른 정책불안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 틈새시장 공략 및 신규 타깃 발굴을 통한 니치버스터 소재 출시 전략으로 신규시장 개척


➜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과 한층 강화된 산학연 기술연계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제품 개발

200
200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나. 중소기업 핵심요소기술

(1) 핵심요소기술 도출절차

 특허/논문 분석을 통한 요소기술과 기술수요와 각종 문헌을 기반으로 한 요소기술, 전문가


추천 요소기술을 종합하여 품목별 전문가를 통해 분류조정한 후, 전문가 평가과정을 거쳐
핵심요소기술을 선정
- 기술개발시급성(10), 기술개발파급성(10), 단기개발가능성(10), 중소기업 적합성(10)을 고려하여 평가

요소기술 요소기술 핵심요소기술 핵심요소기술


Pool 구성 분류 조정 선정평가 선정

- 특허/논문 분석 è - 품목별 전문가 è - 산학연 전문가 검토 è - 평가결과 반영


- 기술수요 및
요소기술 분류 - 평가항목별 요소기술 로드맵 기획 대상
문헌분석
조정·재정의 선정평가 핵심요소기술 도출
- 전문가 추천

201
201
전략품목 현황분석

(2) 요소기술

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타부처로드맵,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하여 요소기술 도출

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전문가를 통해 기술의 범위, 요소기술 간 중복성 등을 조정·검토하여


최종 요소기술명 확정

[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

요소기술 출처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생분해성 임플란트 의료 섬유
클러스터링

생체 분해성 임플란트 금속 소재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3D 프린터 기반 인체이식용 의료기기 소재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약물전달용 단백질 소재
클러스터링

바이오매스 원료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단량체 및 발효, 효소 기술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고분자 중합복합재료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성형,가공 및 응용산업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하이드로젤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고분자 젤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항균제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방충제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202
202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3) 핵심요소기술

 확정된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핵심요소기술 선정평가를 통하여


중소기업에 적합한 핵심요소기술 선정

 중소기업 개발 적합성 및 품목 개발을 위한 기술개발 시급성 등을 이유로 요소기술 전체를


핵심요소기술로 선정

[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

핵심요소기술 개요

천연소재 기반 생체적합성 소재를 이용하여 생분해성 임플란트 의료


생분해성 임플란트 의료 섬유
섬유를 개발 정형외과, 성형외과에서 사용

마그네슘 합금기반 생분해성 임플란트 금속 소재 정형외과, 성형외과


생체 분해성 임플란트 금속 소재
사용 임플란트

3D 프린터 기반 인체이식용
3D 프린터 기반 인체이식용 의료기기 소재 생분해성 고분자
의료기기 소재

약물전달용 단백질 소재 줄기세포 치료, 면역제제용 단백질 소재 치료제

식물자원, 식물성 오일, 폐식물자원, 목질계, 미생물계, 해양식물 자원,


바이오매스 원료
동물자원 등
효소(oxygenase, peroxidase, lactate dehydrogenase, oxidase
lipase, peptidase 등), 미생물(Alcaligenes eutrophus, Sphaerotilus
단량체 및 발효, 효소 기술 natans, E, Coli 등), 단량체(Cardanol, 1,3-butandoil, lactic acid,
fructose, Castor oil, Lignin, Glucose, Pectin, Starch, 각종 Amino
acid 등)
Gum, polysaccharide, starch, lignin, PLA, PHB, PBS, PHA를 중합
고분자 중합복합재료
하여 만드는 복합재료 기술

필름, Sheet, plate, 성형 및 블렌딩, 금형 및 사출제품, 포장재, 건설,


성형,가공 및 응용산업
전자, 의료용, 자동차 등에 사용

하이드로젤 단백질 약물 전달을 위한 주입용 하이드로젤

고분자 젤 외부 압력으로 약물을 전달하는 고분자 젤

항균제 식물 유래 항균제 ex) 고삼, 황금 추출물, 향나무, 대나무, 소나무 등

방충제 식물 유래 방충제 ex) 시트로넬라, 로즈마리, 라벤더 등

203
203
전략품목 현황분석

다. 기술개발전략

(1) 우리의 현황

 (시장규모 및 성장률) 국내 시장규모는 2018년 기준 약 3.5%의 성장률에 따라 약 39.7억


달러로 파악되며, 세계 시장 중 가장 큰 규모를 가진 지역은 미국로 연평균 약 6.0%,
61.4억 달러 수준인 것으로 나타남

 (기술수준) 세계 최고기술국은 미국으로 국내 기술수준은 미국 대비 62.4%로 분석됨

 (특허 출원 및 피인용율) 특허출원량은 1,097건으로 미국과는 차이가 있으나 나머지


국가보다 많은 것으로 파악됨 (미국 1,887건, 일본 311건, EU 607건)

 그러나 특허인용율은 특허인용율은 0으로 미국(2.42), 독일(2.72) 등 주요 선진국과


비교하였을 때 기술자산 획득에 있어 질적인 측면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사료됨

▪ 기술의 원천성 및 응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해야 할 것임

204
204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2) 기술개발로드맵

 중소기업 최종 기술로드맵은 기술/시장 니즈, 연차별 개발계획, 최종목표 등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성을 제시함

205
205
전략품목 현황분석

※ 참고 : 핵심요소기술 평가결과

지표별 평가결과
요소기술 기술개발 기술개발 단기개발 중소기업 비고
합계
시급성 파급성 가능성 적합성

생분해성 임플란트 의료
9.0 8.0 8.0 10.0 17.5
섬유

생체 분해성 임플란트
9.0 7.0 8.0 9.0 16.5
금속 소재

3D 프린터 기반
인체이식용 의료기기 9.0 9.0 7.0 10.0 17.5
소재

약물전달용 단백질 소재 9.0 9.0 7.0 10.0 17.5

바이오매스 원료 7.3 8.0 5.7 6.0 27.0 선정

단량체 및 발효, 효소
4.7 4.7 4.0 5.0 18.3 선정
기술

고분자 중합복합재료 5.3 5.7 4.3 5.3 20.7 선정

성형,가공 및 응용산업 6.7 5.7 4.7 5.3 22.3 선정

하이드로젤 7.3 8.0 7.3 7.7 30.3 선정

고분자 젤 6.3 4.7 4.7 5.7 21.3 선정

항균제 6.3 6.3 7.3 7.0 27.0 선정

방충제 5.3 5.3 6.0 6.7 23.3 선정

206
206
전략품목 현황분석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207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정의 및 범위

▪ 고방열소재는 전자기기가 소형화되고 고성능화됨에 따라 전자기기 내의 발열량이 증가함.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고장은 55%가 온도에 의한 것으로 발열은 전자기기의 내열성 및 장수명화의 관점에서
중요한 문제점의 하나임. 전기자동차와 전자기기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경량 발열부품
을 제조하기 위한 알루미늄 방열소재를 의미함

▪ 방열소재로 우수한 열전도도를 갖는 금속 및 세라믹 소재가 주로 이용되고, 그 중에서도 알루미늄은


다른 금속대비 높은 열전도도와 우수한 성형성을 지니고 있음. 알루미늄합금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
의 온도가 높아지는 부분을 열방출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알루미늄 소재 및 가공기술

정부지원 정책

▪ 산업통상자원부는 ‘주력산업 경쟁력 제고로 산업경제의 활력회복‘을 통해 주력 산업의 선제적인 사업


재편을 활성화하고, 스마트화․융복합화․서비스화를 통해 산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 2.5조 원 규모의
시장창출 지원

▪ 제 6 차 산업기술 혁신계획 (14~18) 소재부품산업의 세계시장 선점 및 질적 성장을 위해 “고부가가


치 소재 부품의 핵심기술에 집중투자(국가과학기술심의회, ‘13.12)

▪ 매년 5천개 내수기업 수출기업화로 중소․중견기업 수출 비중 제고로 22년까지 외국인투자기업 일자


리 5만개, 유턴기업 일자리 1천개 (직접고용, 누계) 창출 계획함.

중소기업 시장대응전략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환경) 거대 수요기업의 시장진입 •(환경) 영세한 산업구조
•(기술) 알루미늄 합금 연구 및 기업이 다수 존재 •(기술) 핵심 원천기술 미흡
•(정책) 산업지원 정책 수립 •(정책) 산업계 연계 미흡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환경) 제조 패러다임의 변화 •(환경) 생산지원 인프라 부족


•(기술) 기반기술 연구·개발 •(기술) 글로벌 업체와의 기술격차
•(정책) 정부와 업계의 높은 니즈 •(정책) 미시적 R&D 정책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 자동차 경량화 고연비화등 사회적 추세를 따르는 알루미늄 제품 다양화를 통하여 시장요구에 적절
히 대응,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 모터 구동부의 방열부 부품 개발
➜ 전기자동차에 요구되는 방열 핵심 부품 및 공정기술 제고
전략품목 현황분석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 열에 취약한 특성을 갖는 반도체 관련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여 고집적/고 출력화하면서


반도체 및 전자부품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열기능 향상에 대한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음

 방열부품(Heat Sink)은 제품 끝단에 설치되어 기동 중 발생하는 열을 제어하는데 사용하므로


제품의 수명과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 부품임
▪ 전자부품 고장 원인의 56% 열방출에 기인함 (출처: US Air Force Avionics Integrity Programs,
GEC Research)

▪ 고출력 경량 방열부품이 전자부품의 경우, 열에 의한 칩의 온도 상승은 단기적으로는 부품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며 장기적으로는 수명이 감소하게 하는 요인이 됨

 압출(Extrusion)이란 금속블럭을 고압하에서 작은 다이 공(hole)을 통하여 밀어냄으로서


단면을 수축시키는 공정을 말하며, 이 공정은 주로 재료의 변형 저항이 작은 온도 조건, 즉
열간에서 행하여지고, 봉이나 관의 생산에 주로 이용되지만, 연한 재료에 대해서는
불규칙적인 단면을 가진 긴 제품의 생산에도 이용.

 현재 지구온난화 등에 따른 세계적인 환경보호 움직임으로 말미암아 이산화탄소 배출규제 등


환경관련 국제적인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또한 에너지 절약차원에서도 항공기, 자동차 및
선박 등 수송기계의 경량화(weight reduction)는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 이러한 범세계적 추세를 감안할 경우, 경량금속은 기존의 철강 재료에 비해 가벼우면서 높은 비강도
및 내식성을 가지는 재료로서 주로 이용되는 합금으로는 Al, Mg 및 Ti 합금 등을 들 수가 있음

▪ 특히, 경량화 및 환경문제 측면에서 Al 및 Mg 등의 경량재료가 지금까지 최우선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으며, 선진국에서는 현재 신소재, 신공정 기술 및 기술융합화에 집중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몇몇 나라에서는 경량 소재 기술개발을 국가 지정 사업으로 확정하고 있는 실정임

▪ 차세대 전자소자 등 전기전자 부품은 경박단소 및 다기능화 하면서 고집적화 하고 있어 열 밀도의


증가로 열의 방출 문제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열의 방출이 디바이스의 신뢰성 및 수
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 경량/방열 소재의 경우 경량화뿐만 아니라 발생된 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방출함으로써 부품의 효율


을 향상시키고 사용 수명을 늘려주는 핵심 소재 기술임

▪ 기반산업, 융합기술, 첨단 지식산업의 특성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에 적


합한 업종

210
210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나. 범위 및 분류

(1) 제품분류 관점

 경량/방열 소재는 가전, 조명 및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에 기술의 적용이 가 능하며 생산성
및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다이캐스팅을 포함한 주조공정 및 소성가공을 이용한 부품 개발
기술의 접목이 요구됨

▪ 각종 기기의 소형화 고성능화가 진행되면서 방열소재 시장은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으나, 고신뢰성
기판 및 실장 소재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고방열 소재는 일본으로부터 수입에 의존하
는 상황임

▪ 자동차, 반도체 및 LED 기술은 실생활에 밀접한 관련이 있고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은 분야로서,


특히 LED의 경우는 모바일, TV 등의 BLU로의 응용을넘어 차세대 조명으로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
어 방열 소재기술의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하는 상황임

▪ 전 세계적으로 경량/고방열 방열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원소재 및 관련 특허 출원이 미비하고 선진국


과의 격차가 작아 기술개발을 서두른다면 핵심부품 분야와는 달리 시장 진입을 위한 기회비용이 작
을 것으로 판단되어 조속 한 연구개발이 추진되어야 함

[ 자동차 방열부품 적용 예 ]
*출처 : 고효율 방열부품용 알루미늄 합금 및 최적 성형기술 개발

211
211
전략품목 현황분석

[ 상용 주조 알루미늄 합금에서 Al 함량에 따른 열전도도 특성 ]


*출처 : 고효율 방열부품용 알루미늄 합금 및 최적 성형기술 개발

 알루미늄 합금은 성분에 따라 열전도도를 포함한 물리적 특성과 강도 및 연성등의 기계적


성질이 변화함. 또한 성분과 내부구조에 의해 압출을 포함한 성형 특성이 변화하므로 기계적
특성과 전도도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합금화, 공정기술이 동시에 개발되어야 함
▪ 일반적으로 동일한 온도에서 전기전도도와 열전도도는 거의 유사한 거동을 보이고, 열을 발산하는
측면에서는 부품의 외형이 매우 중요함

▪ 전기자동차 내부에 발열이 일어나는 다양한 부품이 있음. 이러한 부품의 형상은 매우 다양하며 이
형상을 경제성을 가지면서 성형하는 기술이 요구됨

▪ 부품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기계적 성질의 경우, 합금 조성에 민감하게 좌우되므로, 열전도성과 기계
적 특성의 조화를 가지도록 합금을 설계하는 기술이 요구됨

212
212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 각 성분에 따른 알루미늄의 전도도 변화 ]


*출처 : 고효율 방열부품용 알루미늄 합금 및 최적 성형기술 개발

213
213
전략품목 현황분석

[ 제품분류 관점 기술범위 ]

전략품목 제품분류 관점 세부기술

고방열 합금 •석출경화 및 분산을 이용한 열전도도도 향상


설계기술 •전도도 향상을 위한 합금화 기술

프로파일 •알루미늄 합금 프로파일 압출기술


기반 압출기술 •복잡형상 압출 기술
기술
고방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압출공정 제어 기술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합금 압출능 •압출능 향상을 위한 합금 설계 기술
고방열 소재 향상기술

배터리팩 적용기술 •배터리팩 보호를 위한 복잡형상 압출기술

전기자동차 패널
•near net shape 압출기술
적용기술

방영모둘 성형화 및
•냉각핀, 효과적인 방열을 위한 외형 일체화 압출기술
다양화 기술

214
214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2) 공급망 관점

 고방열 알루미늄 합금은 알루미늄 특유의 경량성으로 자동차산업에 핵심 소재로 주목을 받고


있음

▪ 미래 지능형 산업, 환경, 모바일, 자동차, 우주, 항공, 군수 등 다양한 응용 산업에 적용

[ 공급망 관점 기술범위 ]

전략품목 공급망 관점 세부기술

•자동차 경량화 추세에 따라 합금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고


강도화 기술, 합금화를 이용한 열전도도 향상기술
자동차
•전기자동차의 다양한 부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복합한 형상
의 알루미늄 합금 성형기술

•전기자동차에 탑재되는 반도체 및 LED등 핵심 전장부품의


전기자동차용
방열기술
알루미늄 반도체 및 LED
•열전달 최적화 형상 또는 형태 설계 기술
고방열 소재
•압출을 통한 복잡형상 제조기술

•자동차는 다양한 부품의 결합체로 그 형상과 용도가 다양함.


기타 외장 부품 또한 자동차는 에너지 소모를 극소화해야 하기 때문에 방열
특성과 강도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기술이 요구됨

215
215
전략품목 현황분석

2. 외부환경 분석

가. 산업환경 분석

(1) 산업의 특징

 국제환경규제에 대응 가능한 CO2 배출 및 에너지 저감 경량 부품소재의 수요 증대로 친환경


핵심 공정 및 경량화 부품 응용 기술 필요

▪ 범세계적인 환경규제의 강화와 에너지 효율향상 요구

▪ 미국 등 주요 자동차 수출 대상 국가들의 공해배출, 차량연비 기준 강화

▪ 각국의 공해/연료소비 극소화 등 대응 기술개발 기술우위 선점 경쟁

▪ 공해 및 에너지 저감 경량소재 개발로 수출 경쟁력 강화

▪ 알루미늄 우수성으로는 차체 10% 경량화시 연료 6~8% 절감, 자동차 운행기간 중 CO2 등 유해


가스 발생량 저감, 경량화로 자동차 크기를 현행대로 유지하면서 기존 재료 2kg을 알루미늄 1kg으
로 대체가능하며 재활용률이 높음

▪ 기반산업, 융합기술, 첨단 지식산업의 특성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에


적합한 업종

▪ 현재 국내에서 일반소형 승용차를 1대 제조하는데 있어 사용재료별로 보면 철강재료 40%, 특수강


20%, 알루미늄 15%, 플라스틱 10% 수준이며, 특히 알루미늄의 사용량은 향후 크게 증가될
것으로 예상

[ 자동차용 알루미늄 합금의 수요변화 ]


*출처 : 고효율 방열부품용 알루미늄 합금 및 최적 성형기술 개발

 경량 소재 및 부품 생산 산업은 에너지 절감효과 및 부가가치가 매우 큰 산업


▪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 수송기기의 경량화에 의한 연비 향상 효과

216
216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 휴대용 통신기기, 노트북 컴퓨터, 영상음향기기 및 가전부품의 박형 제작 및 경량화에 따른 고부가


가치화

▪ 항공 산업은 고부가가치 기술 집약형 산업으로 타산업의 기술개발을 선도할 뿐 아니라 이 분야에서


개발된 기술은 각 산업분야로 급속히 파급, 확산됨으로써 국가의 첨단 기술 확립에 크게 공헌하는
산업

▪ 알루미늄 합금 등 경량 소재를 적용한 자동차 경량화 및 고효율화 기술은 에너지 절감을 위해


필수적이며, 그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 중

▪ 경량 소재 및 부품 산업은 재생,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환경 친화적이며 국제 환경 규제에 대응이


적합한 산업

▪ 다품종·소량 생산으로 응용분야에 따라 재료기술, 설계기술, 공정기술 등이 다르기 때문에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에 적합하며, 주로 대기업인 수요기업과의 상생 협력이 중요한 분야

217
217
전략품목 현황분석

(2) 산업의 구조

 알루미늄 압출소재 산업은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알루미늄 대체 요구가 매우 증가하고 있음

 연비 향상을 위해 차체 소재 시장에서도 지각 변동이 일어나고 있으며, 특히 고급 승용차 및


상용차의 알루미늄 차체 채용으로 철강 주도의 시장 구도 위협
▪ Toyota 등 타 자동차 업체들도 알루미늄을 확대 채용할 것이라는 발표가 이어지면서, 알루미늄 생
산 업체에 대한 자동차사의 직·간접 투자도 확대, 도요타는 고베제강과 협력, 멕시코에 연 4만8천
톤 규모 설비 신설 추진

 전기자동차가 현대자동차등 대기업을 위시하여, 현재 논의되고 있는 미세먼지 저감 대책의 일


환으로 개발과 생산이 급박하게 이루어 지고 있으며, 산업재편이 일어나려는 지금이 진입 적
기로 알루미늄 생산업체를 주축으로 소재 및 부품 가공업체가 동반성장하는 산업 생태계 구
축이 필요

 후방산업은 압출제품에 요구되는 알루미늄 합금 원소재 산업이 있음


▪ 고열전도도 원소재는 압출성형시 금속소성이 원활하고 제품의 강도 및 내구성이 높은 소재등이 요구됨

▪ 압출은 대량 생산에 적합한 공정으로 생산성 특히 압출능이 우수해야함. 합금 소재별고 적절한 압출


공정 개발이 필요함

▪ 열전도도도 중요하지만 기계적 특성 향상도 최종제품의 내구성 즉 신뢰성 향상을 위해 필수적임

▪ 고 방열 원천소재를 수입하는 형국임

 전방산업은 자동차 부품, 구조용 소형재 부품, 일반 구조용 소재 등이 있음


▪ 전기자동차를 포함한 자동차부품의 경우, 엔진, 프레임 그리고 기타 구조용 소재가 알루미늄 소재가
사용됨. 전기자동차의 경우엔, 배터리 팩 외장, 기타 자동차 내 외부 외장부위에 주로 사용됨. 열이
많이 발생하는 부분에 고열전도 그리고 고방열 디자인을 구비해야만 함

▪ 세계적인 자동차 경량화 추세는 독일의 유명 카 메이커를 필두로 진행되고 있으며, 차 구성 부품을
철강으로부터 많은 부분이 알루미늄 합금으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임. 전기자동차의 경우는 일반 자
동차에 비해 고 열원이 발생하는 비율이 적으므로 많은 부분이 알루미늄 제품이 사용될 경우가 큼

▪ 배터리 등을 보호하기 위한 외부 소재를 압출로 생산할 경우는 박육프로파일 압출이 매우 중요하며


주조공법으로 생산되는 제품에 비해 높은 경제성을 가질 수 있음

[ 고방열 알루미늄 압출소재 기술 분야 산업구조 ]

후방산업 소재 및 압출기술 전방산업

압출, 프로파일, 복합성형 및 성 구조재료, 자동차부품, 기타 소


원소재 주조업체, 압출장비 업체
형가공 업체 형재 부품

218
218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나. 시장환경 분석

(1) 해외시장환경

 국내 방열제품 생산기업들이 LED 붐을 타고 특수소재를 이용한 차별화제품으로 승부를 걸고


있으며, 이는 LED TV를 시작으로 최근 LED 조명 시장이 열리면서 발열문제가 핵심 해결 과
제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임

▪ 특히, LED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적절하게 배출하지 못하면 LED 제품의 기능 저하에 따른
수명단축이 발생할 수 있어 문제가 되는 추세

▪ 따라서, LED 제품이 점차 고출력, 고휘도, COB(Chip On Board) 패턴으로 바뀌고 있어


다양한형태의 방열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는 상황

▪ 다만, LED TV 및 조명 시장이 개화기여서 방열 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개발과 제품 평가


기준이 미미해 근본적인 대책이 요구되는 추세

[ 신소재 기반 방열소재 분야의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CAGR
구분 `17 `18 `19 `20 `21 `22
(`17~`22)

세계시장 3,596 3,844 4,123 4,451 4,709 4,982 5.8

*출처 : 방열소재 및 방열접착 기술시장동향 및 사업화 이슈분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3 재가공

[ 신소재 기반 방열소재 분야의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

219
219
전략품목 현황분석

(2) 국내시장환경

 국내 소재부품 시장은 세계 시장 대비 1.8% 시장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국내 신소재 기반 방열소재 시장규모를 추정

[ 신소재 기반 방열소재 분야의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백만 원, %)

CAGR
구분 `17 `18 `19 `20 `21 `22
(`17~`22)

국내시장 71,207 76,103 81,635 88,130 93,047 98,239 5.8

*출처 : 방열소재 및 방열접착 기술시장동향 및 사업화 이슈분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3 재가공

[ 신소재 기반 방열소재 분야의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

220
220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3.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1) 기술개발트렌드

 수송기계, 토목․건축, 전기전자․IT 산업뿐만 아니라 로봇, 항공우주, 신재생에너지 산업 분야의


수요 증가 및 기술 복합화/고도화로 인한 소성가공 산업의 동반 기술 복합화/고도화 요구로
산학연이 연계된 신기술개발이 활성화
▪ 소성가공의 임계성능 향상 및 다양한 분야의 적용을 위하여서 seamless 압출기술, 고압 정밀압출
기술, 가변곡률 압출기술, 복합상 압출을 이용한 초경량 고강도 제조 기술, 단조압출을 이용한
고생산성·고정밀 압출기술, 컴퓨터 시뮬레이션(해석)을 통한 등온/등속압출 기술 등의 기술개발 진행

 최근 기존의 수송기계, 건축 등 기존의 압출․인발 산업의 적용분야에서 벗어나 특수합금의 미


세성형 기술의 확대로 전자, 의료기기 등 미래유망산업의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

▪ 특수합금의 미세성형 기술은 성형성 개선 및 기능성을 부여한 Ti계, NiTi계, CoCr계, stailess steel,
Ni, Cu 등의 특수합금 소재를 이용하여 인발 등의 성형공정으로 미세 관제나 선재를 제조하여
스텐트, 카테터 등의 의료기기 및 EDM, MEMS 등 전자부품 등의 직경 1mm 이하의 미세
부품제조로 적용범위가 확대

221
221
전략품목 현황분석

(2) 기술환경분석

 압출․인발 산업은 현재 대부분이 중간재의 형태로 완제품 제조업체에 제공하기 때문에 다른


소성가공산업에 비해 부가가치가 낮은 특성이 있으며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압출․인발
성형을 통한 최종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

 정부는 제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경량소재 압출․인발성형 분야를 포함하는 뿌리산
업에 대한 종합적인 정책 지원 방안 마련

▪ 2012년 1월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을 제정 및 시행하고, 2012년 12월 “제1차


뿌리산업진흥기본 계획”을 확정

▪ 뿌리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예산을 증액시키는 경향을 보임

▪ 뿌리산업 이행보증사업을 통해 계약에 따르는 채무이행을 보증해 주는 사업을 실시

 산업통상자원부는 2013년 9월 보도 자료를 통해 뿌리산업을 포함하는 산업파급효과가 큰 4


대 전략산업을 지정하고, 이들 분야의 인력양성·공급 등 산업여건 지원방침 발표

▪ 매년 50∼100개의 첨단뿌리기술을 발굴·선정하여 기술개발, 인력지원, 해외시장 개척 등을 종합적


으로 지원

 산업통상자원부는 2014년 6월 “창조경제 기반도성을 위한 뿌리산업 R&D 활성화 방안”을 통


해 2020년 미래핵심 뿌리기술 50개 확보를 목표로 R&D지원정책을 수립

222
222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나. 주요기업 동향

(1) 해외업체동향

 유럽, 일본, 미국 등의 기술선진국에서는 특화된 분야의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으로 시장을 변


경하고 있으며 관련 기술개발에 집중

 선진국에서는 신흥개발도상국과의 가격 경쟁력 향상을 위해 중국, 인도, 브라질 등에 현지 생


산 공장을 확보/증설

 고베제강은 중국내 자동차 시장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선재공장 4곳을 중국내에 확보

 티센크루프도 철계소재, 알루미늄, 동합금 및 타이타늄 합금에 대하여 특화시키고 있으며, 유


럽 자동차 시장에 철계와 알루미늄 판재 및 전신재의 대부분을 공급

▪ 발전소 및 케미칼 플랜트의 열교환기용 타이타늄 압연재를 생산 및 공급

▪ 고장력 강판, 고내마모 강판, 제진 강판 등 고부가가치 압연 강판 개발 및 생산

 알루미늄 소성가공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에 있는 Alcoa의 경우 고부가가치 산업인 항공우주


및 국방에 관계된 7,xxx계 알루미늄 합금 압출을 제외하고 대부분 사업을 철수하고 압연 분
야를 육성

223
223
전략품목 현황분석

(2) 국내업체동향

 압출․인발 공정 모두 중소기업의 비중이 크며, 고부가가치 사업 영역인 자동차 소재용 고력


알루미늄합금 및 마그네슘 합금 압출 및 인발 분야의 연구개발 및 생산경쟁이 치열

▪ 빌렛 미세조직 제어, 가변단면, 가변곡률, 복합형상, Seam 라인 제어 같이 기존의 단일공정에 의한


압출 및 인발이 아니라 복합적인 기술과 관련한 원소재 및 설비개발 선점을 위한 개발 경쟁이
치열

 알루미늄 압출의 경우에는 동양강철, 신양금속, 남선알미늄과 같은 중견기업 이외에는 대부분


이 중소기업으로 보원경금속, 아이엘티, 고강, 코레스, 알맥스 등에서 제품의 생산과 기술개발
등의 산업을 담당하고 있으며 압출산업은 대부분은 최종 제품이 아닌 중간재 방식의 전방산
업에 공급

224
224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다. 특허 동향

◎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기술 분야 특허상 주요 기술

 주요 기술
▪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기술분야는 아래 표에 기재된 ‘친환경 희토류 자석 재활용 기
술’을 포함한 총 8개의 주요 기술이 있음

요소기술 코드 설명

핵심원료소재 A 이차 전지용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기술 및 차세대 전지 기술

배터리 타입(파우치, 각형, 원통형)별 제작기술, 고용량 고출력 배


배터리 셀 B
터리 셀 기술

경량형 배터리 모듈/ 팩 제작 기술 및 배터리 모듈 추가(레고형 배


배터리 모듈/팩 C
터리 모듈)장착 및 제어기술

에너지 세라믹(복합 산화 원재료 측면에서는 이트리아 복합 지르코니아, 탄소복합재, 리튬코


D
물 합성 기술) 발트, 망간 등의 복합 산화물 합성기술

에너지 세라믹(다공성 나
노분말 및 분리막 이온 E 다공성 나노분말 및 분리막, 이온전도성 소재
전도성 소재 기술)

에너지 세라믹
(SOFC/MCFC, 이차 F SOFC/MCFC 소재, 이차 전지 소재(분리막 및 전도성 소재)등
전지 소재 기술)

세라믹스 제조 및 평가기 고밀도 양극, 음극 소재 기술 개발을 위한 리튬 전지용 다공성 탄


G
술 소전극 세라믹스 제조 및 평가 기술

다공성 복합산화물제조기 고밀도 양극, 음극 소재 기술 개발을 위한 리튬이온전지 양극재 다


H
술 공성 복합산화물 제조기술

225
225
전략품목 현황분석

◎ 세부 분야별 특허동향

 주요 기술별 출원인 국적별 특허동향

▪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기술분야의 요소기술별 주요 출원인 국적별 특허정보 데이터
입수하였으며, 최근 10년간의 특허데이터를 비교 분석함

요소기술 한국 미국 일본 유럽 기타 계

핵심원료소재 35 5 23 3 8 74

배터리 셀 29 4 16 3 0 52

배터리 모듈/팩 189 15 16 27 5 252

에너지 세라믹
2 0 8 0 0 10
(복합 산화물 합성 기술)

에너지 세라믹
204 191 152 31 47 625
(다공성 나노분말 및 분리막 이온전도성 소재 기술)

에너지 세라믹
174 17 29 13 10 243
(SOFC/MCFC, 이차 전지 소재 기술)

세라믹스 제조 및 평가기술 31 3 18 3 1 56

다공성 복합산화물제조기술 34 3 20 5 1 63

합계 698 238 282 85 72 1375

▪ 요소기술별 출원인 국적별 특허동향에서 한국국적의 출원인이 가장 활발한 연구개발을 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일본, 미국, 유럽 국적의 출원인 순으로 나타남

▪ 핵심원료소재 분야에서는 한국국적의 출원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국적의 출원


인이 상대적으로 적은 출원량을 보유하고 있음

▪ 배터리 셀 분야는 한국국적의 출원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일본, 미


국, 유럽 국적의 출원인 순으로 특허를 많이 출원하고 있음

▪ 배터리 모듈/팩 분야에서는 한국국적의 출원인이 가장 많은 출원을 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유럽


국적의 출원인이 많은 출원량을 보이고 있음

▪ 에너지 세라믹(복합 산화물 합성 기술) 분야는 일본, 한국 국적의 출원인 순으로 출원량이 가장 많
은 것으로 파악됨

▪ 에너지 세라믹(다공성 나노분말 및 분리막 이온전도성 소재 기술) 분야에서는 한국국적의 출원인이


가장 많은 출원을 하였으며 그 뒤로 미국, 일본, 유럽 국적의 출원인 순으로 출원이 이루어짐

226
226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 에너지 세라믹(SOFC/MCFC, 이차 전지 소재 기술) 분야에서는 한국, 일본, 미국, 유럽국적의 출원


인 순으로 파악됨

▪ 세라믹스 제조 및 평가기술 분야는 한국국적의 출원인과 일본국적의 출원인의 순서로 출원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됨

▪ 다공성 복합산화물제조기술 분야에서는 한국국적의 출원인의 출원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됨

▪ 관점을 국내·외 출원인으로 바꾸어 보면 한국국적의 출원인은 외국국적의 출원인에 비해 배터리 모


듈/팩 분야(C), 에너지 세라믹(SOFC/MCFC, 이차 전지 소재 기술) 분야(F)의 출원 비중이 상대적으
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

▪ 반면, 한국국적의 출원인은 외국국적의 출원인에 비해 에너지 세라믹(다공성 나노분말 및 분리막 이


온전도성 소재 기술) 분야(E)에서 상대적으로 특허 출원 비중이 낮은 것으로 파악됨

227
227
전략품목 현황분석

▪ 한국국적 출원인의 출원량이 가장 많은 에너지 세라믹(다공성 나노분말 및 분리막 이온전도성 소재


기술) 분야(E)의 경우 2014년을 정점으로 최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음

▪ 외국국적 출원인의 출원량에서는 에너지 세라믹(다공성 나노분말 및 분리막 이온전도성 소재 기술)


분야(E)의 출원량이 등락을 보이고 있으나 꾸준히 출원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됨
*2017~2018년은 미공개 출원이 존재하여 출원 수가 적게 보이는 구간으로, 시계열 동향을 파악할 때 이 점을
유의해야 함.

228
228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 주요 기술별 출원인 동향

요소기술 기술집중도 주요출원인 국내 특허동향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기업 중심


핵심원료소재 ◔ •墫野 和夫 •주식회사 엘지화학,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아모그린텍 등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기업 중심


배터리 셀 ◔ •墫野 和夫 •주식회사 엘지화학,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아모그린텍 등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기업 중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배터리 모듈/팩 ● •주식회사 엘지화학, 한국지질자
•헤레우스 프레셔스 메탈즈 노
원연구원 등
스 아메리카 콘쇼호켄 엘엘씨

•墫野 和夫
에너지 세라믹(복합 •중소기업 중심
◯ •エス·ジ-·ケイ有限会社
산화물 합성 기술) •(주)레프코리아, 김형후
•해久永 善三

에너지 세라믹(다공성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기업 중심
나노분말 및 분리막 •Toray Battery Separator Film
● •주식회사 엘지화학, 주식회사
이온전도성 소재 기 Co., Ltd.
아모그린텍 등
술) •Celgard, LLC

•공공연구기관, 대기업 중심
에너지 세라믹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주식회
(SOFC/MCFC, 이차 ● •주식회사 포스코
사 포스코,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지 소재 기술) •삼성전기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세라믹스 제조 및 평 •대기업 중심
◔ •墫野 和夫
가기술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등
•株式会社カネカ

•墫野 和夫 •대기업 중심
다공성 복합산화물제
◔ •株式会社カネカ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현대자동
조기술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차주식회사 등

※ ●: 200건 이상, ◕: 150~199건, ◓: 100~149건, ◔: 50~99건, ◯: 50건 미만

229
229
전략품목 현황분석

 핵심원료소재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한국의 주식회사 엘지화학이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墫野 和夫, 주식회


사 아모그린텍 순으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함

 배터리 셀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한국의 주식회사 엘지화학이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墫野 和夫가 많은


특허를 출원하고 있음

 배터리 모듈/팩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한국의 주식회사 엘지화학이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이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 에너지 세라믹(복합 산화물 합성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墫野 和夫이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 에너지 세라믹(다공성 나노분말 및 분리막 이온전도성 소재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한국의 주식회사 엘지화학이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그 다음으로 (Toray Battery Separator


Film Co., Ltd. 순으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함

 에너지 세라믹(SOFC/MCFC, 이차 전지 소재 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주식회사 포스코등이 많


은 특허를 출원하고 있음

 세라믹스 제조 및 평가기술 분야의 주요 출원인 동향

▪ 한국의 현대자동차주식회사가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 다공성 복합산화물제조기술 분야 주요 출원인 동향

▪ 墫野 和夫이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230
230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 국가별 특허활동지수(AI) 비교

 특허활동지수(Activity Index)는 상대적 집중도를 살펴보기 위한 지표로서, 그 값이 1보다 큰


경우에는 상대적 특허활동이 활발함을 나타냄

 한국은 에너지 세라믹(복합 산화물 합성 기술) 분야에서는 특허활동이 부진하나, 배터리 모듈/
팩 분야의 특허출원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미국은 에너지 세라믹(복합 산화물 합성 기술) 분야에서는 특허활동이 매우 부진하나, 에너지


세라믹(다공성 나노분말 및 분리막 이온전도성 소재 기술) 분야의 특허출원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일본은 배터리 모듈/팩 분야에서는 특허활동이 부진하나, 에너지 세라믹(복합 산화물 합성 기


술) 분야의 특허출원은 매우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유럽은 에너지 세라믹(복합 산화물 합성 기술) 분야에서는 특허활동이 매우 부진하나, 배터리


모듈/팩 분야의 특허출원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231
231
전략품목 현황분석

◎ 질적 수준을 고려한 각국의 시장력 분석

 시장력이 전체 평균을 상회하는 국가로는 미국, 중국이 있으며, 질적인 수준이 평균 보다


높은 특허 보유국은 미국임

▪ 질적인 측면을 같이 고려한 시장력에 있어서 미국은 질적 수준과 시장성이 모두 높은 국가로 조사됨

▪ 한국은 시장력과 질적 수준 모두 평균 미만 인 것으로 나타남

PFS CPP
국가 특허 수
(Σ패밀리수/Σ특허수) (Σ피인용수/Σ특허수)

KR 698 1.336676 0.153846

US 238 1.731092 1.333333

JP 282 1.471631 0.295455

DE 44 1.363636 0

CN 27 1.666667 0.4

전체평균 55 1.52 0.76

◎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 및 공백기술

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기술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은 배터리 모듈/팩 분야,


에너지 세라믹(다공성 나노분말 및 분리막 이온전도성 소재 기술) 분야, 에너지
세라믹(SOFC/MCFC, 이차 전지 소재 기술) 분야이며, 공백기술에 해당하는 분야는 에너지
세라믹(복합 산화물 합성 기술) 분야로 나타남

▪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기술 분야에서 에너지 세라믹(다공성 나노분말 및 분리막 이


온전도성 소재 기술) 분야가 가장 경쟁이 치열한 분야로 나타남

232
232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요소기술 기술 집중도

핵심원료소재 ◔

배터리 셀 ◔

배터리 모듈/팩 ●

에너지 세라믹(복합 산화물 합성 기술) ◯

에너지 세라믹(다공성 나노분말 및 분리막 이온전도성 소재 기술) ●

에너지 세라믹(SOFC/MCFC, 이차 전지 소재 기술) ●

세라믹스 제조 및 평가기술 ◔

다공성 복합산화물제조기술 ◔

※ ●: 50건 이상, ◕: 30~49건, ◓: 20~29건, ◔: 10~19건, ◯: 10건 미만

◎ 최신 국내 특허기술 동향

요소기술 최근 핵심기술 동향

핵심원료소재 ∙방열성능이 향상되도록 방열 모듈을 이용한 전지팩

배터리 셀 ∙회로기판의 온도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자연냉각 구조를 갖는 배터리팩

배터리 모듈/팩 ∙안정성 및 공간활용도가 개선된 중대형 전지팩 및 패키징방법

에너지 세라믹
∙태양에너지를 축적한 에너지를 활용한 라이트 시스템
(복합 산화물 합성 기술)

에너지 세라믹
(다공성 나노분말 및 분리막 이 ∙나노포러스구조를 구비한 연료전지 촉매전극
온전도성 소재 기술)

에너지 세라믹(SOFC/MCFC, 이차 ∙개질기와 반응기를 포함하는 셀모듈로 구성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스


전지 소재 기술) 택

세라믹스 제조 및 평가기술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모듈 간접 냉각 및 가열장치

다공성 복합산화물제조기술 ∙금속산화물 피막 코팅용도 제조기술

 국내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대기업은 핵심원료소재 분야, 배터리 셀 분야, 배터리 모듈/팩


분야, 에너지 세라믹(다공성 나노분말 및 분리막 이온전도성 소재 기술) 분야, 에너지
세라믹(SOFC/MCFC, 이차 전지 소재 기술) 분야, 세라믹스 제조 및 평가기술 분야 및
다공성 복합산화물제조기술 분야를, 중소기업은 에너지 세라믹(복합 산화물 합성 기술)

233
233
전략품목 현황분석

분야를, 공공연구기관은 에너지 세라믹(SOFC/MCFC, 이차 전지 소재 기술) 분야를


집중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대기업이 국내에서는 관련분야에서 주도적으로
연구개발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중소기업 특허전략 수립 방향 및 시사점

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분야의 공백기술 분야는 에너지 세라믹(복합 산화물
합성 기술) 분야이고 대부분의 분야에서 대기업의 특허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 환경오염 저감정책에 따라 특히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에너지 소재에 대한 연구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시장 또한 확대되고 있는 추세임

▪ 대기업 위주의 치열한 경쟁구도에서 향후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기술 집중도가 낮아 상대적으로 진


입이 용이할 수 있는 에너지 세라믹(복합 산화물 합성 기술) 분야에 집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
료됨

234
234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4. 연구개발 네트워크

가. 연구개발 기관/자원

◎ 알루미늄 압출관련 연구 기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인천 센터

▪ 미래성장동력 대응 복합기능 구현 고품위 비철합금 소재 개발

▪ 자동차, 모바일, 산업방재 등 분야별로 특화된 사업 중심의 기술 개발

▪ 관련 중소기업의 제품 설계에서부터 양산까지 적극 지원

 재료연구소 알루미늄 연구실

▪ 알루미늄 압출소재연구

▪ 주조용 알루미늄의 밀도향상 및 내부 포어등 결함 제어 기술

 재료연구소 마그네슘 연구실

▪ 비철합금의 압출제어 기술

▪ 난성형금속의 저온 성형기술

◎ 국가 연구개발 지원사업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혁신사업

▪ 제품서비스기술/공정·품질기술/산학연협력기술/상용화기술 개발사업

▪ 중소기업 R&D 역량제고사업

▪ 지역특화산업육성(융복합기술개발사업)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연구인력지원사업

▪ 산업주도형 기술교육혁신 사업

▪ 혁신형 일자리 선도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 전략핵심소재기술개발사업

235
235
전략품목 현황분석

▪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 산업엔진 프로젝트(19대 미래성장동력)

 중소기업진흥공단

▪ 인력양성 (컨설팅 지원사업) : 중소기업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하여 성장기‧정체기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근본체질 강화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

 제조업 혁신 3.0 전략 실행대책

▪ 생산 현장의 스마트화를 통해 획기적인 생산성·경쟁력 제고

▪ 개인맞춤형 유연생산을 위한 스마트공장 고도화와 융합신제품 생산에 필요한 8대 스마트 제조기술


개발 추진

▪ 스마트공장 자동화 설비, 지능형로봇, 자율 공정 시스템 등에 복합센서 연결 및 데이터 수집·제어


등에 활용

◎ 중소기업 대상 시설 및 장비 지원

 중소기업전용연구시설(Rental Lab)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공동연구수행 및 장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에게 연구공간을 제공

▪ 연구원 인프라(인력, 장비 등)를 활용한 근접 지원

▪ 지원내용은 크게 시설 지원, 장비 지원, 기술 및 공동연구 지원으로 구성되어 있음

236
236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나. 연구개발 인력

 원천합금 개발은 재료연구소의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그룹에서 진행하고 다른 그룹도


압출소재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 한국 생산기술연구원의 경우는 인천 및 다른 지역본부를 통해 중소기업지원 등, 연구개발


지원을 필두로 핵심인력을 양성하고 있음. 특히 인천 센터는 우리나라의 기반기술 즉
뿌리기술을 위주로 연구개발 및 중소기업지원 등을 수행하고 있음

[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소재 기술 분야 주요 연구조직 현황 ]

기관 소속 연구분야

•비철합금의 압출기술
•알루미늄 합금의 주조 및 설계기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뿌리산업기술연구소(인천)
•국가주물기술센터 건립 및 주물단지 환경친화적 고도
화 첨단화

•알루미늄 및 비철합금의 합금설계


재료연구소 금속재료 연구본부
•압출 해석 및 유동해석

237
237
전략품목 현황분석

다. 기술이전가능 기술

◎ 기술이전가능 기관 및 세부내용

 고방열 알루미늄합금의 설계 기술과 석출 및 고분산합금의 압출기술이 있음.

 기술이전이 가능한 기관은 재료연구소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이 있음

[ 센서 및 화상처리 기술 관련 이전 기술 ]

기관 이전 기술 내용

•고강도 및 고열전도도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서는 제 2 상이 효과


고강도 고전도도 적으로 분산되어야 함
재료연구소
알루미늄합금 제조기술 •압출에 필요한 주조품이 품질이 우수해야 하며, 주조품의 치밀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결과가 있음

한국생산기술 •다이캐스팅을 포함은 주조형 합금으로 고상 및 액상의 온도를 저감.


고열전도도도 합금
연구원 160W/mK이상의 열전도를 가지는 합금의 베조

238
238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5. 기술로드맵 기획

가. SWOT분석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환경) 거대 수요기업의 시장진입 •(환경) 영세한 산업구조
•(기술) 알루미늄 합금 연구 및 기업이 다수 존재 •(기술) 핵심 원천기술 미흡
•(정책) 산업지원 정책 수립 •(정책) 산업계 연계 미흡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환경) 제조 패러다임의 변화 •(환경) 생산지원 인프라 부족


•(기술) 기반기술 연구·개발 •(기술) 글로벌 업체와의 기술격차
•(정책) 정부와 업계의 높은 니즈 •(정책) 미시적 R&D 정책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 자동차 경량화 고연비화등 사회적 추세를 따르는 알루미늄 제품 다양화를 통하여 시장요구에 적절
히 대응,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 모터 구동부의 방열부 부품 개발
➜ 전기자동차에 요구되는 방열 핵심 부품 및 공정기술 제고

239
239
전략품목 현황분석

나. 중소기업 핵심요소기술

(1) 핵심요소기술 도출절차

 특허/논문 분석을 통한 요소기술과 기술수요와 각종 문헌을 기반으로 한 요소기술, 전문가


추천 요소기술을 종합하여 품목별 전문가를 통해 분류조정한 후, 전문가 평가과정을 거쳐
핵심요소기술을 선정
- 기술개발시급성(10), 기술개발파급성(10), 단기개발가능성(10), 중소기업 적합성(10)을 고려하여 평가

요소기술 요소기술 핵심요소기술 핵심요소기술


Pool 구성 분류 조정 선정평가 선정

- 특허/논문 분석 è - 품목별 전문가 è - 산학연 전문가 검토 è - 평가결과 반영


- 기술수요 및
요소기술 분류 - 평가항목별 요소기술 로드맵 기획 대상
문헌분석
조정·재정의 선정평가 핵심요소기술 도출
- 전문가 추천

240
240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2) 요소기술

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타부처로드맵,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하여 요소기술 도출

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전문가를 통해 기술의 범위, 요소기술 간 중복성 등을 조정·검토하여


최종 요소기술명 확정

[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소재의 요소기술 ]

요소기술 출처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핵심원료소재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배터리 셀
클러스터링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특허/논문


배터리 모듈/팩
클러스터링

기술수요,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에너지 세라믹(복합 산화물 합성 기술)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에너지 세라믹(다공성 나노분말 및 분리막 이온전도성 소재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기술)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에너지 세라믹(SOFC/MCFC, 이차 전지 소재 기술)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세라믹스 제조 및 평가기술
클러스터링

기술/시장 분석, 전문가 추천, 특허/논문


다공성 복합산화물제조기술
클러스터링

241
241
전략품목 현황분석

(3) 핵심요소기술

 확정된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핵심요소기술 선정평가를 통하여


중소기업에 적합한 핵심요소기술 선정

 중소기업 개발 적합성 및 품목 개발을 위한 기술개발 시급성 등을 이유로 요소기술 전체를


핵심요소기술로 선정

[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소재의 핵심요소기술 ]

핵심요소기술 개요

핵심원료소재 이차 전지용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기술 및 차세대 전지 기술

배터리 셀 배터리 타입(파우치, 각형, 원통형)별 제작기술, 고용량 고출력 배터리 셀 기술

경량형 배터리 모듈/ 팩 제작 기술 및 배터리 모듈 추가(레고형 배터리 모듈)장


배터리 모듈/팩
착 및 제어기술

에너지 세라믹(복합 산화물 원재료 측면에서는 이트리아 복합 지르코니아, 탄소복합재, 리튬코발트, 망간 등


합성 기술) 의 복합 산화물 합성기술

에너지 세라믹(다공성
나노분말 및 분리막 다공성 나노분말 및 분리막, 이온전도성 소재
이온전도성 소재 기술)

에너지 세라믹(SOFC/MCFC,
SOFC/MCFC 소재, 이차 전지 소재(분리막 및 전도성 소재)등
이차 전지 소재 기술)

고밀도 양극, 음극 소재 기술 개발을 위한 리튬 전지용 다공성 탄소전극 세라믹


세라믹스 제조 및 평가기술
스 제조 및 평가 기술

고밀도 양극, 음극 소재 기술 개발을 위한 리튬이온전지 양극재 다공성 복합산


다공성 복합산화물제조기술
화물 제조기술

242
242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다. 기술개발전략

(1) 우리의 현황

 (시장규모 및 성장률) 세계 시장규모는 5.8%의 성장률에 따라 2020년 기준 약 44.51억


달러로 전망하며, 국내 시장규모는 2020년 약 0.78억 달러, 성장률은 약 5.8%로 세계시장
대비 약 2%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파악됨

 (기술수준) 국내 기술수준 54.44%로 주요 선진국들과 비교하여 매우 낮은 수준임


▪ 미국 100.0%, 유럽 93.33%, 일본 80.56%, 중국 67.22%

 (특허 출원 및 피인용율) 특허출원량은 698건으로 세계 주요국들(미국 238건, 일본


282건)과 비교하여 매우 많은 것으로 나타남

▪ 반면, 특허 피인용율은 0.15로 미국(1.33), 일본(0.29)와 비교하여 적지 않은 차이를 보임

 기술자산 확보를 위한 활발한 노력이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질적성장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임
▪ 또한 시장규모 및 기술수준의 격차가 매우 크므로 전반적인 측면에서 전략과 노력이 수반되어야 함

243
243
전략품목 현황분석

(2) 기술개발로드맵

 중소기업 최종 기술로드맵은 기술/시장 니즈, 연차별 개발계획, 최종목표 등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성을 제시함

244
244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 고방열 압축재

※ 참고 : 핵심요소기술 평가결과

지표별 평가결과
요소기술 기술개발 기술개발 단기개발 중소기업 비고
합계
시급성 파급성 가능성 적합성

핵심원료소재 9.0 8.0 7.3 7.7 32.0 선정

배터리 셀 6.0 5.7 6.0 6.0 23.7 선정

배터리 모듈/팩 7.0 7.7 8.0 7.7 30.3 선정

에너지 세라믹(복합 산화물


6.0 6.7 4.7 6.0 23.3 선정
합성 기술)

에너지 세라믹(다공성
나노분말 및 분리막 6.0 5.3 5.3 5.3 22.0
이온전도성 소재 기술)

에너지
세라믹(SOFC/MCFC, 이차 6.0 5.7 5.7 5.0 22.3 선정
전지 소재 기술)

세라믹스 제조 및
5.7 6.0 6.3 4.0 22.0
평가기술

다공성
7.0 7.0 8.0 7.7 29.7 선정
복합산화물제조기술

245
245
전략품목 현황분석

※ 붙임

1. 참여위원 명단

소속 직위 성명

광운대학교 교수 최경훈

포항금속소재진흥원 책임연구원 장준원

나노베이스 이사 김병민

센트론테놀러지(주) 대표 이경득

연세대학교 교수 왕강균

가천대학교 교수 이승현

자동차부품연구원 책임연구원 윤여성

레이젠(주) 책임연구원 정봉수

고등기술연구원 박사 박기영

인하대학교 교수 위정재

재료연구소 박사 한승전

246
246
2. 전략품목 선정평가 결과

전략품목 후보 지표별 평가결과


4차
중소 일자리 비고
산업
No 명칭 기술성 시장성 기업 창출 합계
혁명
적합성 효과성
대응성
1 이종접합소재 8.7 9.7 9.3 8.7 8.7 45.1 선정

경량형 고강도 알루미늄 합


2 2.3 2.7 1.3 3.3 3.3 12.9

3 기능성 나노소재 9.3 8.7 8.3 8.7 8.3 43.3 선정

저가 고특성 균질상 제어
4 2.7 2.3 1.7 2.3 2.0 11.0
Fe-Cu 소재

고효율 영구자석소재 제조기


5 5.7 6.3 5.0 6.3 5.3 28.6

6 수소저장 마그네슘합금 2.3 2.7 2.0 3.0 2.7 12.7

7 소프트 기계장치용 소재 8.7 8.3 8.3 8.7 8.0 42.0 선정

스트레처블 전극용 복합재료


8 2.3 2.0 2.0 2.0 2.7 11.0
페이스트

하이브리드 다공성 나노소재


9 를 활용한 맞춤형 환경오염 7.3 8.0 8.3 8.0 8.7 40.3
물질 제어소재 및 장치

10 나노패터닝장치 2.0 2.3 2.0 2.0 2.0 10.3

약물전달용 생분해성 인젝터


11 8.3 8.7 8.7 8.7 8.3 42.7
블 하이드로젤

12 보건의료용 기능성 소재 7.7 8.3 8.7 9.0 8.3 42.0 선정

엠보싱형 격자구조를 가진
13 2.3 2.3 1.7 2.0 2.0 10.3
LPG 연료탱크

14 고급화 소재이용 압연롤 5.0 4.0 4.0 4.5 5.0 22.5

전기자동차용 고방열 Al 압
15 8.0 10.0 10.0 7.0 8.0 43.0 선정
축제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