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피킬러 기본 결과확인서 - 9주차 Main - 64479704 PDF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3

표절검사의 기준!

카피킬러
www.copykiller.com

카피킬러라이트 표절 검사
결과 확인서

문서표절률 42%

확인서정보

검사번호 : 00064479704 발급일자 : 2020.05.18 14:39

아이디 : goodgoodchess2000@gm ail.com 닉네임 : hskim 00

검사일자 : 2020.05.18 14:28

검사문서 : 9주차 Main.docx

비고 :

본 확인서는 g oodg oodchess2000@g mail.com 사용자가 카피킬러에서 표절검사를 수행한 표절분석 결과에 대한 문서로 카피킬러 표절검사 시스템이
자동으로 생성한 자료입니다. 문서 작성 기준이 각 학교, 기관마다 다르기 때문에 최종 평가자의 표절평가 결과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1 /3 C opyright ⓒ m uhayu All Rights reserved.


표절검사의 기준! 카피킬러
www.copykiller.com

표절 검사 상세 결과

문서표절률 전체문장 동일문장 의심문장 인용/ 출처 법령/ 성경

42% 31 4 6 0 0

표절결과문서명 9주차 Main.docx

9주차 Main Report


6. Data and Results
실험 A
<Table. 1: 실험 A의 결과>
실험 A 첨가된 2-프로판올 양(전체 양) 물 층 톨루엔 층
부피(mL) 혼탁도 부피(mL) 혼탁도
0.0mL 1.9 약간 혼탁 2.0 아주 혼탁
0.3 mL (0.3 mL) 2.8 약간 혼탁 1.5 아주 혼탁
0.3 mL (0.6 mL) 2.6 혼탁 2.0 아주 혼탁
0.1 mL (0.7 mL) 2.0 약간 혼탁 2.4 아주 혼탁
0.1 mL (0.8 mL) 3.9 혼탁 0.9 맑음
0.1 mL (0.9 mL) 4.1 혼탁 0.8 맑음
0.3 mL (1.2 mL) 4.4 혼탁 0.8 맑음
0.3 mL (1.5 mL) 4.5 혼탁 1.0 맑음
0.3 mL (1.8 mL) 4.6 약간 혼탁 1.2 맑음
0.3 mL (2.1 mL) 4.9 약간 혼탁 1.2 맑음
0.3 mL (2.4 mL) 5.7 약간 혼탁 0.7 맑음
0.3 mL (2.7 mL) 6.1 약간 혼탁 0.6 맑음
0.1 mL (2.8 mL) 5.9 약간 혼탁 0.9 맑음
0.3 mL (3.1 mL) 맑아지면서 층 구분 안됨

<Fig.1 : 2 Layers> <Fig.2 : 물 층이 혼탁> <Fig.3 : 2개의 층 모두 약간 혼탁>

<Fig.4 : 두개의 층 혼탁> <Fig.5: 둘다 혼탁> <Fig.6: 맑음, 층 구분 없음>

실험 B
<Table B: 실험 B의 결과>
실험 B 첨가된 2-프로판올 양(전체 양) 물 층 톨루엔 층
부피(mL) 혼탁도 부피(mL) 혼탁도
0.0 mL 3.0 약간 혼탃 1.0 맑음
0.3 mL (0.3 mL) 3.2 약간 혼탁 1.1 맑음
0.3 mL (0.6 mL) 3.5 아주 혼탁 1.1 맑음
0.3 mL (0.9 mL) 3.9 아주 혼탁 1.0 맑음
0.3 mL (1.2 mL) 4.2 아주 혼탁 1.0 맑음
0.3 mL (1.5 mL) 4.4 아주 혼탁 1.1 맑음
0.3 mL (1.8 mL) 4.5 약간 혼탁 1.3 맑음
0.3 mL (2.1 mL) 4.8 약간 혼탁 1.3 맑음
0.3 mL (2.4 mL) 4.8 약간 혼탁 1.6 약간 혼탁
0.6 mL (3.0 mL) 5.2 약간 혼탁 1.8 약간 혼탁

2 /3 C opyright ⓒ m uhayu All Rights reserved.


표절검사의 기준! 카피킬러
www.copykiller.com

1.0 mL (4.0 mL) 맑아지면서 층 구분 안됨

7. Discussion
이번 실험은 서로 섞이지 않는 물 층과 툴루엔 층에 보조계면활성제이자 양쪽성 용매인 2-Propanol을 첨가해서 마이크로 에멀전의 형
성을 확인하는 실험이었다.첫 번째 실험에서는 CTAB 수용액 층과 톨루엔 층이 밀도의 차이에 의해서 나뉘게 된다.밀도가 큰 액체-(CT
BA 수용액)층이 아래쪽에 위치하고,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유기층 - 툴루엔이 위로 뜨는것이다.
CTAB의 구조와 물 층과 툴루엔 층에서 생성되는 에멀젼에 대한 설명
첫 번째로, CTAB의 분자량은 364.45g/mol이며, C19H42BrN의 분자식을 가지고 있다.계면활성제인 CTAB는 물과 툴루엔의 용해를
더 원활하게 한다. CTAB가 생성한 미셸로 2-Propanol (IPA)이 스며들어 가게 된다면, 미셸 내부 공간이 조금 더 넓어지게 되면서
더 많은 양의 유기물질이 용해되게 때문에, 톨루엔의 물층에 대한 분산력이 더 커지게 된다.물층과 톨루엔 층이 조금씩 혼탁해 지는 것
이 발견되면, 에멀젼이 점점 생성되고 있음을 알아낼 수 있다.
혼탁해지는 이유
실험 A에서는, CTAB를 첨가하면서, 용해를 더 원활하게 하였다. 하지만, 처음에는 그 농도가 임계미계농도를 초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에멀전이 형성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IPA를 넣어주면서, 물 층에 녹아있던 CTAB가 툴로엔 층으로 다시 녹아 들어가기 때문에, 에
멀젼이 형성됨을 발견할 수 있다.실험 B에서는, CTAB인 계면활성제가 없었기 때문에, IPA가 더 많은 양으로 요구됬다. 따라서, 처음
IPA를 첨가했을 때는 물 층만 조금 혼탁해졌다.
마이크로 에멀젼의 형성
마이크로 에멀젼은 IPA를 과량으로 첨가하여 마이크로 에멀젼이 형성되면서, 아예 투명하게 보이게 되는 현상이었다.실험 A에서는, IP
A를 넣어서 모든 층에 CTAB가 녹아서 마이크로 에먼젼이 형성되었다. 실험 B에서는, CTAB가 없었기 때문에, 물 층과 톨루엔 층이 모
두 마이크로 에멀젼을 형성하였다.IPA를 약 4.0ml넣자 모든 층이 투명해지면서, 마이크로 에멀젼이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IPA의 역할
IPA (2-Propanol)이이 -OH의 작용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A과 B두 실험 모두 이를 첨가했을 때, 물층이 더 많이 늘어 났음을
알 수 있다.이는 IPA를 가지면서 이양이 특정한 양 정도 이상만 된다면 톨루엔의 양이 많아지면서 보조계면활성제에서 용매의 역할로
바뀌는걸 발견할 수 있다.따라서, 물과 유기용매에 모두 혼합이 가능하고, 따라서 본래 섞이지 않는 물층과 톨루엔 층이 섞임을 도와주
는 역할을 한다.따라서, 에멀젼이 형성된다. 많이 과량의 IPA가 첨가 된다면, 물과 톨루엔 층이 모두 녹게 되면서, 마이크로 에멀젼이
형성된다.
실험 A와 B에서 IPA를 넣는 양이 차이나는 이유 (각 층에 대한 용해도)
CTAB를 첨가하지 않았던 실험 B에서는, 실험 A에서보다 더 많은 IPA를 넣었을 때 층의 구분이 사라지면서 1개의 층이 된다.따라서
이는 투명하고 보이지 않는 마이크로 에멀젼의 형성이다. 계면활성제인 CTAB는 물과 툴루엔의 용해를 더 원활하게 한다.따라서, CTAB
가 첨가된 실험 A에서는 용해도가 비교적 더 높아진다. CTAB가 생성한 미셸로 2-Propanol (IPA)이 스며들어 가게 된다면, 미셸 내
부 공간이 조금 더 넓어지게 되면서 더 많은 양의 유기물질이 용해되게 때문에, 톨루엔의 물층에 대한 분산력이 더 커지게 된다.따라서
, CTAB 계면활성제가 없는 B에서는 더 많은 양의 IPA가 요구될 것이다. 실험 결과 실험 A에서 필요한 IPA의 양이 3.1ml이었고, 실
험 B (No CPAB)에서는 4.0ml의 IPA가 요구 되었기 때문에, 예상한 결과의 부응하였다.이것으로 보아서, 계면활성제가 없는 경우,
보조 계면활성제가 더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험중 갑자기 혼탁해졌다가 다시 약간 혼탁해지는 현상이 자주 일어나면서, 일시적으로 혼동을 주었다.이 원인은 너무 많
은 에멀젼이 생성되었다고 판단하였고, 이를 보안하기 위해서는 너무 강하게 실린더를 흔들지 않고 적당하게 조절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IPA의 양이 보조계면활성제에서 용매의 역할로 바뀌었는데, 이때 IPA가 물층에 녹으면서 물층이 더 혼탁해지는 것을 발견 했어
야 했는데, 쉽지 않았다. 앞으로 더 자세히 관찰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8. Reference
대한화학회, 표준 일반화학실험 제 7판, 천문각, p.p 298 ~ 304
김인섭 외 3인, 숨마쿰라우데 화학 II, 이룸이앤비, 2011, p 288~289

3 /3 C opyright ⓒ m uhayu All Rights reserved.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