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2

୛ӓ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사용 지도서

원 기획
이 외 집필

2020년 9월호 법무부 출입국·외국인 통계월보에 따르면 국내 체류 외국인은 약 210만 명으로 2010년
보다 2배 가까이 증가하였습니다. 그런데 주목할 점은 체류 외국인이 양적으로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들의 유형이 결혼 이민자를 비롯하여 근로자, 유학생, 중도 입국 자녀 등으로 점차 다양해졌다는 것입
니다. 이러한 변화는 다양한 언어와 문화적 배경을 가진 구성원과의 ‘공존’의 중요성을 한국 사회에 알리
는 동시에 ‘소통’의 과제를 던져 준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국립국어원에서는 한국에 온 외국인들이 체계적으로 한국어를 배워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능동적


으로 생활하고, 사회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이 더욱 원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위
한 교육 내용을 연구하고, 한국어 교재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발간되는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는 이러한 노력의 결실 중 하나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교재 개발에는 한국어 교육 및 사회·문화 교육 전문가가 집필자와 검토자로 참여하여 한국어와


한국 문화의 전문적 내용을 체계적이면서도 친근하게 구성하였습니다. 특히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총괄하
는 법무부의 협조로 현장 요구 조사와 시범 적용을 실시하여 교사와 학습자의 의견을 폭넓게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그리고 한국어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문화 다양성을 고려하여 내용을 구성하였으
며, 풍부한 보조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교사와 학습자가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본 교재는 기초편 교재 1권, 초급 교재 2권, 중급 교재 2권의 5권으로 구성되며, 이 구성에 따라 학습


자용 익힘책과 교사용 지도서가 본 교재와 함께 출간됩니다. 이와 함께 학습자용 유형별 보조 자료와 수
업용 보조 자료를 별도로 제작하여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수학습샘터’에 게시하였습니다.

아무쪼록 이 교재가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에게 한국어를 체계적이고 충실하게 익힐


수 있는 유용한 길잡이로 널리 활용되기를 바랍니다. 그래서 이 교재를 사용하는 이민자들이 한국 사회
의 주체적인 구성원으로서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끝으로 이 교재의 개발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주신 교재 개발진과 출판사 관계자 분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2020년 12월
국립국어원장 소강춘

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국내 체류 외국인의 수가 100만 명을 넘은 2007년을 기점으로 한국 사회는 다문화 사회의 도래를 대
비하기 위해 제도적 준비를 해 왔습니다. 그중 이민 초기 정착 단계의 필수적인 지원 사항인 한국어 학
습은 여러 부처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는데, 2020년부터 법무부가 주관하는 사회통합프로그
램으로 표준화되었습니다. 사회통합프로그램은 국내 체류 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한국사회이해’ 교육 프로그램으로, 결혼 이민자와 근로자, 유학생 등 전문 인력, 중도 입국 자녀 등이 참
여합니다. 2009년에 처음 시행된 이후 점점 성장하여, 현재 약 350개의 운영 기관에서 약 6만 명의 이민
자들이 교육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민자 대상의 한국어 교육에서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교육의 체계화와 효율화, 변화
하는 사회 양상의 반영 등을 위해 교재 개발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결과물이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재입니다. 이 교재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교재와 익힘책, 교사용 지도서, 수업용 보조 자료(PPT)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교실 수업에서 사
용할 교재 이외에 교수·학습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학습 자료 일체를 개발하였습니다.

둘째, 교재는 사회통합프로그램 단계별 100시간 수업에 맞춰 구성했는데 이민자들이 한국 사회에 정


착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내용을 선정하여 살아있는 언어문화 교육이 되도록 했습니
다. 특히 변화하는 한국 사회의 모습과 특징을 교재 전체에 다양한 소재로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다양
한 문화 주제를 통해 이민자들이 한국 사회를 이해하고 적응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했습니다. 그리고 결
혼 이민자, 근로자, 유학생 등 전문 인력, 중도 입국 자녀들을 등장인물로 하여 한국 사람들과 함께 생각
과 정보를 나누고, 공감하며 생활하는 모습을 담았습니다.

셋째, 익힘책은 이민자들이 자신의 학습 속도와 능력에 맞게 학습 내용을 복습하고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교사들도 교실 상황에 맞춰서 융통성 있게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넷째, 교사용 지도서와 수업용 보조 자료(PPT)는 교사들이 수업의 핵심 내용을 명료하게 파악하고 운
용하도록 안내해 줄 것입니다. 또한 교사들의 필수적인 수업 준비 시간을 단축해 주는 대신에 교실 상황
에 맞는 수업 설계에 시간을 투자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이민자용 한국어 교재는 단지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 주는 역할만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진정한 ‘사회
통합’을 이끄는 교재여야 합니다. 이 교재를 통해 이민자들의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를 확대하고 교수·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를 기대합니다. 또한 이민자의 사회 적응을 돕고 진정한 사회통합으로 나아가는
데 일조하기를 기대해 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 사회 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을 위해 의미 있는 교재 개발 사업을 기획하고 지원해


주신 국립국어원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법무부 이민통합과 관계자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다양하고 새로운 시도를 통해 멋진 교재로 완성해 주신 하우 출판사 관계자분들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립
니다. 원고를 고치고 다듬느라 오랫동안 소중한 일상을 돌보지 못한 연구진들께도 머리 숙여 감사의 마
음을 전합니다.

2020년 12월
저자 대표 이미혜

3
교사용 지도서의 구성과 사용법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사용 지도서≫는 한국어 교사들이 교재 구성 및 편찬 의도를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수업을 이끌도록 안내하는 안내서입니다. 단원 구성, 교재 사용 방법, 수업 진행 순서와 방법
등을 제시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교사용 지도서는 교재의 구성에 맞춰 한 단원을 10쪽으로 구성하고, 각 페이지에 교재 내용과 수업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교육 현장의 상황이 다양하므로 지도서의 내용을 기본으로 삼아 현장에 맞게 적용하기를 바랍니다.

교사용 지도서는 교재, 익힘책, 수업용 보조 자료(PPT)를 함께 활용할 것을 전제로 하였습니다. 한 단원의 수업
시간을 5시간 정도로 정하고 활동을 제시했으므로, 현장 여건과 학습자 특성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조정해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단원 첫머리에 ‘수업 목표 및 내용’, ‘수업 전개’,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을 포함하여, 교사들이 단원 내용을 쉽게 파악하고
수업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1 과
ҫ
ⷼ㈢⸳㉜ 〪

제 고향은 경치가 아름다운 곳이에요

1
⸳㉜

수업 목표 및 제 고향은 경치가
Ҭ
1.ⲹ㉯ⳝ⽊㉃㉔㈕㓩㇓㓪ク⹧Ⲣ㉔ㆫ⳨㓩⽿㉔Ⲣ㉏
㊼㊌⼾ⶭ㎄㓫ⷹ
그림 ǭ ὾ᢶྖὢӪ⶯ὊᶾഞḒẞ%

ㄆ㇃⾉㒿⿍⵽㈕ 아름다운 곳이에요 ᷶࿶ᖎὢӪ⶯ὊᶾഞḒẞ%ጾ᷑὾Ἢ኏⵾ẞ%

내용 제시 О㊼㊌ⲕ㓼
그림 Ǯ ᵎࢢ὾᪮ᴲὢӪ⶯ὊᶾഞḒẞ%
‫؂‬ӽὊጾ᷑὆ၦἪ኏⵾ẞ%
그림 ǯ ྆⽚ᇖᴲὢӪ⶯ὊᶾഞḒẞ%
Оㆺ㕎ㇷ⾤⿳
ㆺ㕎ⲕ㓼モⱛⲤ⻽ㆺ㕎⼾㉕㕱ⷹ
ҭ ‫؂‬ӽὊጾ᷑὆ၦἪ኏⵾ẞ%

ㄆ㇃⾉㒿⿍⵽㈕ ⾤⿳Í۹㉔⻏ⲕ㓩ⷹÎÍ‫ۻ‬㉂Î㉏㉏⿂ㇷ㔖㐠⼾
㉕㔎゙㈕㓬ㄆ㉞ⷹ
2.⸋㔥 ⵽㈕㉃ ㊊⽆㓩⽿ ㉔ ⷼ㈢㇋ソⷢ Íⲕ㓼 ㉢⳨
⵬⻏ ㉢⳨ ⵬⻏㉏ ⸳ㄱ㇋ソ ㈷⾅㓫 Ⱶ ⸳ㄱㇷ
ㄱⲙ㉏ 㑫㋥ ㌻㉔㊇ Î ⹬㇋ ⸋㓲 Ⲡ〢㓫ⷹⷢ Ⱶ㉃

이 단원을
О㔨⸽ ㆗⻻㊾ⷹ
⽓㓩⳨㔰゙⸽⼛㇋ⱼ㉢⳨ⲕ㓼㇋⸋㓲モⱛ㓬
㋂㊒ ㇀㕔ㇽ⾪⿹
⿹ 㔮⹃ ⾪㔫ㇽ㊐〒
О㊼㊌ⲕ㓼 ㄆ㉞ⷹ
ⲛ㔂 ⲛ㔂ヨⱡⲪ
ⲛ Ⲫ⼃㇀㕔 ⲛ㔂ヨ
ヨⱡ㓯ⳮ 㓱ⳅ㉕㈽⾋㓱⸹ㄷ
⹦⳨ⲕ㓼㇋Ⲥ㓫⸋㔥⼾⹦ⲕ㉔㓲㓬ㄆ㉞ⷹ ‫ⲛ⻕㉚ۿ‬㓯ⷿ
ⷿ ⲛ㔂ヨ
ヨⱡ⳧㉞ⳮ

지도할 때는
‫㉈ ܁‬
㉘⳨ⲕ㓼モⱛ㇋⸋㓫ⳡ㉃㉘ⲕ㉔㓲㓬ㄆ ㉔ⷼ㈢㉃㋜⸳㓬⺃ⷢÅ
Оㆺ㕎ㇷ⾤⿳ ㉞ⷹ
О㉔゙⻓㉏ⲕ㓼㉂ㆺ
О㇓⻩〤㉏ⲕ㓼㉂ㆺ
ㆺ⹮㇣㈎"
ㆺ⺎ⲟ㉔㇋㈎"
㉔ⷼ㈢㇋ソⷢ㔖㈕゙Ⲥ㔖㔖⽐㊌ㄱ⹉ⷯⷹ
ㅾ⳨㉢⳨ⲕ㓼㉃モⱛ㓩ⷢⳡ㉃ㆁㄆ㉞ⷹ
ㆺ㕎ⲕ㓼モⱛⲤ⻽ㆺ㕎⼾㉕㕱ⷹ О⾤㔥ㇷ㊊「㓫ⲿ㉏㈷⾅㓫⸳ㄱ
㆒㋝ ⸽゙ Ⲥ㔖㔖㉂ ⵬㇪㋜ ㆖⳨ ⺃⾤㇋
㉧ Ⲿ〤㓩㇓ ㋜⸳㓩⸳⼉ ㊼㉏㓩 ⷢ Ⱶ㉔
㊧ㄮⷯⷹ
⾤⿳Í۹㉔⻏ⲕ㓩ⷹÎÍ‫ۻ‬㉂Î㉏㉏⿂ㇷ㔖㐠⼾
㉔ⷼ㈢㉃㋜⸳㓬⺃ⷢÅ
㉕㔎゙㈕㓬ㄆ㉞ⷹ
㉔ⷼ㈢㇋ソⷢ㔖㈕゙Ⲥ㔖㔖⽐㊌ㄱ⹉ⷯⷹ
О㔨⸽
㆒㋝ ⸽゙ Ⲥ㔖㔖㉂ ⵬㇪㋜ ㆖⳨ ⺃⾤㇋
⽓㓩⳨㔰゙⸽⼛㇋ⱼ㉢⳨ⲕ㓼㇋⸋㓲モⱛ㓬 ㉧ Ⲿ〤㓩㇓ ㋜⸳㓩⸳⼉ ㊼㉏㓩 ⷢ Ⱶ㉔
ㄆ㉞ⷹ ㄆ㇃ ⸳㉜
1차시 ㆺ㕎ㇷ⾤⿳ 2차시 ⽓㓩⳨ㇷ⹦⳨ 3차시 ㉘⳨ㇷㅾ⳨ 4차시
⾤㔥ㇷ㊊「
5차시
㊄ⱛ ㆺ㕎ㇷ⾤⿳ ⿕㉅⽎⾡⽆ ㊧ㄮⷯⷹ
⹦⳨ⲕ㓼㇋Ⲥ㓫⸋㔥⼾⹦ⲕ㉔㓲㓬ㄆ㉞ⷹ
Ã㉢⳨⵬⻏ ⲕ㓼 ㇋ソ㈷⾅㓫Ⱶ Ã⸳ㄱㇷㄱⲙ㉏㑫㋥ Ã㉢⳨ⲕ㓼モⱛ㓩⳨ Ãⲕ㓼モⱛ㓩ⷢⳡ㉘⳨ Ã㓫ⲿ㉏㈷⾅㓫⸳ㄱ
㉘⳨ⲕ㓼モⱛ㇋⸋㓫ⳡ㉃㉘ⲕ㉔㓲㓬ㄆ Ã۹㉔⻏ⲕ㓩ⷹ Ã‫ۻ‬㉂ Ã㎣Ⲿ㉏ⲕ㓼モⱛ⹦⳨ Ã㉢⳨ⲕ㓼モⱛ㓩ⷢⳡㅾ⳨

㉞ⷹ
ㅾ⳨㉢⳨ⲕ㓼㉃モⱛ㓩ⷢⳡ㉃ㆁㄆ㉞ⷹ pp. 10-13 pp. 10-13 p. 14 p. 15
•단원 지도 시 주의할 점이나
О⾤㔥ㇷ㊊「㓫ⲿ㉏㈷⾅㓫⸳ㄱ
10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Ⲩ㊒ⲛ㔂㉈Ⲕ㎧ⱏ㆘⽅ⷿ㈞ⲥ㉚㇑㈔ 11

단원의 특징, 관련 단원을 알


수 있도록 제시함.
•단원의 수업 목표 및 각 부분의
수업 내용을 자세하게 제시함.

수업 전개

ㄆ㇃ ⸳㉜
1차시 ㆺ㕎ㇷ⾤⿳ 2차시 ⽓㓩⳨ㇷ⹦⳨ 3차시 ㉘⳨ㇷㅾ⳨ 4차시
⾤㔥ㇷ㊊「
5차시
㊄ⱛ ㆺ㕎ㇷ⾤⿳ ⿕㉅⽎⾡⽆

Ã㉢⳨⵬⻏ ⲕ㓼 ㇋ソ㈷⾅㓫Ⱶ Ã⸳ㄱㇷㄱⲙ㉏㑫㋥ Ã㉢⳨ⲕ㓼モⱛ㓩⳨ Ãⲕ㓼モⱛ㓩ⷢⳡ㉘⳨ Ã㓫ⲿ㉏㈷⾅㓫⸳ㄱ


Ã۹㉔⻏ⲕ㓩ⷹ Ã‫ۻ‬㉂ Ã㎣Ⲿ㉏ⲕ㓼モⱛ⹦⳨ Ã㉢⳨ⲕ㓼モⱛ㓩ⷢⳡㅾ⳨

pp. 10-13 pp. 10-13 p. 14 p. 15

•한 단원의 수업 시간을 5시간으로 보고, 각 차시의 수업 전개와 자료(익힘책)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함.

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교 에 수업 교사 하게 제시 습니다. 도 , , 지도는
‘도 , 제시, 습’ 단계 하도록 , 하 , , , 는‘ 전, , ’ 단계 이 는 을
습니다.

⸳㉜ ㆺ㕎 ㉢⳨⵬⻏ ⲕ㓼 ㇋ソ㈷⾅㓫Ⱶ

1.ⲹ㉯ⳝ⽊㉃㉔㈕㓩㇓㓪ク⹧Ⲣ㉔ㆫ⳨㓩⽿㉔Ⲣ㉏ ʨ⸳㉜㊌ㄱ ʩ㇖ㄮ


㊼㊌⼾ⶭ㎄㓫ⷹ 1.⸳ㄱ㇋ソ ㈷⾅㓫 Ⱶ ㋅㇋ソ ㆺ⺎ Ⱶ㉃ ㆗ⲕ ㉞ⷢ㋜ ⾦㉀⽿ ㇪ⷣ㉏ 1.ⱊ⸳ㄱ㇋ソ㈷⾅㓫Ⱶ㉃「⽿⾡㇅㉖㋜㉔⼿Ⲣⱉ』Ⲏ㔂㉃㉔ㆫ⳨㓲
그림 ǭ ὾ᢶྖὢӪ⶯ὊᶾഞḒẞ% ㆺ㕎ⷢ⸳ㄱ㇋ソ㈷⾅㓫Ⱶ㉃⽓㓬⺃゙㈕㓩ⷢ㒿㔐㉛㉃㆗⻻㊾ⷹ 』ⷹ
᷶࿶ᖎὢӪ⶯ὊᶾഞḒẞ%ጾ᷑὾Ἢ኏⵾ẞ% ᷶࿶ᖎὊ὾⣒ᆶᵎὢၦᇒᆆᵖᵎẞ%‫؂‬௎᫦ઞጾ᷑὆ၦἪ኏⵾ẞ% 2.㉢⳨⵬⻏㉏ㄆ⸳ⱉㆺ⹮㉖㋜⾡㇅㉀⼈㈷⾅㓫㋜㋪Ⲣ⸋㔥㓩⸳⼉
그림 Ǯ ᵎࢢ὾᪮ᴲὢӪ⶯ὊᶾഞḒẞ% ḮઢὊ᷶࿶ࢢ྆ὢ௎᫦ᷚᤦἪ኏ⵦҍ὎ӿᖊ⵾ẞ 㓫ⷹ
‫؂‬ӽὊጾ᷑὆ၦἪ኏⵾ẞ% 2.ⲹ゙⼾⹹⻏ㆺ㕎⼾モ⽆⵽ㆺ㓫⿮㉘ⷢⷹ㉔⺃⿕㉅㇋㊼㉏㓩ⱼ 3.㓪ク⹧ⵤ⽆㉔ㆫ⳨㓫Ⱶ㉂ⲹ゙ⱉ㊊⽆㓲㊼⽿ⱘ㉔㉔ㆫ⳨㓫ⷹ
그림 ǯ ྆⽚ᇖᴲὢӪ⶯ὊᶾഞḒẞ% 㓫ⷹ ᒪ⫂ࢲὢᨢ௎ઞⵢং὾Ḓẞⵢং὾ઞጾ᷑὆ၦἪ኏⵾ẞ%
‫؂‬ӽὊጾ᷑὆ၦἪ኏⵾ẞ% 3.ㆺ㕎㉏ ㉏⿂⼾ ッ⾅㓫ⷹ ㆺ㕎ⱉ ゙㈕⹆ ⾤㉭㉃ ㇣⼈ ㊌ㄱ㓩Ɑ⵬ 4.⵬⻏ㇷ ㄆ⸳ ⲕ㓼㉏ ㈷⾅㓫 Ⱶ ㈷⾅㓫 ㉅ㄲ㇋ ⸋㓲 ㉔ㆫ⳨㓩ⷢ
㉏⿂⼾㓈ㆺソッ⾅㓲㊾ⷹゥ㔪㇋⹹⻏㈷㉏ㆺ⵬⿓㉏ㆺ⹬㉃㎁ⱉ⼈ 㔨⸽㉀⼈㔦㉭㓬ㄆ㉞ⷹ
2.⸋㔥 ⵽㈕㉃ ㊊⽆㓩⽿ ㉔ ⷼ㈢㇋ソⷢ Íⲕ㓼 ㉢⳨
ッ⾅㓬ㄆ㉞ⷹ
⵬⻏ ㉢⳨ ⵬⻏㉏ ⸳ㄱ㇋ソ ㈷⾅㓫 Ⱶ ⸳ㄱㇷ ㌎㉃㓈ⱼ㓩Ɑ⵬Ⲣ㊌⼈㊌ㄱ㓫ⷹ
ㄱⲙ㉏ 㑫㋥ ㌻㉔㊇ Î ⹬㇋ ⸋㓲 Ⲡ〢㓫ⷹⷢ Ⱶ㉃ 4.⿞㈘ㆺ㕎⼾モ⽆⵽ㆺ㉘⸳⼉㓫ⷹ㉔⺃Íㆺ㈎Î㔖㐠⼈ⷼㆺ⼾㉘ⷢ⹬
㆗⻻㊾ⷹ 〃㔥⼾㊿ㄆ㉞ⷹ

● 수업을 할 때 교사들이 하는 고사 , 이 , 을
지 하게 제시 습니다. 이 용하 시 에 수업을 할 수 있을 니다.

〪 ㆺ㕎ㇷ⾤⿳ 어휘와 문법 2


어 ‫ۻ‬㉂
㔖㈕゙⹘㇋〭ㆺ⹘㇋㇪ⷢ⾅゙⼾ⴽ⿂ⲕ⾅゙㉏㑫㋥㉔⵬ゥ㐠⼾⵬㐖⵽㈎
‫ۻ‬㉂
㇓⻩〤㉏ⲕ㓼⾈ㄮ㉂ㆺ⺃㈎"
ОⱯ⾦㉔ⶶⷹⱯ⾦㉔㎠㎠㉔㇋㈎ⶶ㆒㈎ 㕂
㕂㇓㆐㓯ⶳ㉚ⷨ 㓯ⶳ㉚ⷨ⿽㑰⵺㇑ッ ㆺ⺎Ⱶ㉏ゥ㐠⼾⽓㓬⺃゙㈕㓫ⷹ㔖㈕゙⹘㇋〭ㆺ
㇀⺔ⲥ㉚㇑㈔"
㇀ ㊒㉝㐏⸹ㄷ㇩㈔
О⿐⾦Ⲥ㉔⽑ⷹ⿐⾦Ⲥ㇋ⷢ㇨⵱⾦Ɐ㉔㉞ㆺ㈎㇨⵱゙⻓⹧㉏
㇩⾪
⹘㇋ ㇪ⷢ ⾅゙㉏ 㑫㋥ ゥ㐠⼾ ッ⾅㓬 ⺃ ゙㈕㓫ⷹ
Оⱉ ⳝⱉⱼ㇋
ⱼ㇋ ㈀㉢
㈀ ㉢㊼ⱉ
㊼ ㈎"
ク㔨㉃㆗ㄆ㉞ㆺ㈎⿐⾦Ⲥ㉂「㑉⸳ㄱ㇋⽑㉔㉞ㆺ㈎ Ɐ⾦㉔ⶶⷹ ㆫⲎ㉔㆒⼿⸄ⷹ
⵬ㄼⲕ㇣ろㇴ㉔⽑㆒㈎
㔖㈕゙ ⱉ㈘⸣ Í㉞ⷹ ㇄ⷹÎⱉ 㒳㓮⹆ Ⱶ㉂ ÍⷢÎⲢ
Оⳬ㉔」㉪㓩ⷹ㇓⻩ⳬ㉔㉞ㆺ㈎㌻ⱉ⽑ⲕ゙⻓⸳⽑㆒㈎ О㊂ⷢ ⶒ㉂ ㋣㇋
ⲉ㓯㓫ⷹ
⿐⾦Ⲥ㉔⽑ⷹ ⲹ㑉㉔㒩⽆㓩ⷹ ㇋ソゞ
ゞⲕㄻㆺ㈎
モ⽆⸳ ㄱⵘ⻩㈠㈎ ⳬ㉔ 」㉪㓲㈎ ⳝ⻛ソ ⳬ㉃ ㍅⳨ⱉ Оㄱ㉭㇋
㉭㇋ⷢㄼ
ⷢ ⲕ
ⲕ ⽘㉞ⷢ ㉅ㄲ
㉅ ㉔⽑㆒㈎

ㆺ⻻㈠㈎ ⳬ㉔」㉪㓩ⷹ ㌻ⱉ⽑ⷹ

О゙⻓㉔⽑ⷹ⸳ㄱ㇋゙ⷢ⻓㉔⽑㆒㈎ ֛ ㉂ Оⶶⷹ ࢉ  ⶶ㉂ Оⱉ㔼㇍ㆊ㉏ⲕ㓼㉂ㆺ⺎ⲟ㉔㇋㈎"


゙⻓㉔⽑ⷹ ùⱉ⳻ⷹ ࢉ  ⱉ⳴㈘
ОㆫⲎ㉔㆒⼿⸄ⷹ⿙㉏Ⲏ㎡⼾ÍㆫⲎÎ㉔⻏ⲕ㓲㈎㐉⸳ㄱⷢ  ⵬㊌ⲕ㓼㇋ⷢ㇣ろ⿏ⷹⱉ㉞ㆺ㈎
֛ ˴ Оぅㄼⷹ ࢉ  ぅㄿ
⿙㇋⸳〦㉃㏑㈎ⳝ⻛ソㆫⲎ㉔㆒⼿ⷹ㈠㈎ Оⴀⵡ㓩ⷹ ࢉ  ⴀⵡ㓫
Оⱉㆺ⹮⼈㇓㓺㉃ⱉⲕㄻㆺ㈎"
֛ ⷢ О⽘㉞ⷹ
Оⲹ㑉㉔㒩⽆㓩ⷹ⸳ㄱ㇋ⷢ㋜㓩㍘⿬ㄨ㐡ㄱⱉ㉞ㆺ㈎ㄟⱼ ࢉ  ⽘㉞ⷢ

Ⲡ⳨ⱉⴀⵡ㓩ⷹ О㉯⿂㇄ⷹ ࢉ  ㉯⿂㇄ⷢ  ⵬ⱉ⳴㈘゜㉀⼈ⱉⲕㄻㆺ㈎


㇓⳨㊂⳨㇋ⱍㄆ㉞ㆺ㈎
゜Ⲣⱕ㉔㉞ⷹ
О㌻ⱉ⽑ⷹ⸳ㄱ㇋ⷢⳬ㇋㌻ⱉ⽑㆒㈎ ㊜㈕㓩ⷹ 1 ㇓⳨ⷢㆺ⹮㇣㈎"ㆺ⺎ⲟ㉔㇋㈎"㉔ㆫ⳨㓲「ヌ㈎ О㉔ㄲ⸇㉂ァⲋゞ㉔⽘㉞ⷢㄲ⸇㉔㇋㈎
㓫㊃㓩ⷹ 「⳨ 㐠ⲿ⿜㏛ ОⲎ㎡ⱉ㆒⼿ⷹ㈘ⲟ㉔ㆺ⹮㇣㈎"
Ⲏ㎡ⱉ㆒⼿⸄ⷹ
㇙ⳮⷨ㐦ⳅ⿢㏡㉚㇑㈔
㇙ⳮⷨ㇀⹴㇩㈔"
⾦㉔ⴀⵡ㓩ⷹ ㇀⺔ⲥ㉚㇑㈔"
⿢㏡㉈㍁ⱏ⽗ⲛ〓㉰㓱⸹ㄷ㇩㈔
О゜Ⲣⱕ㉔㉞ⷹㄱⲙ㇋ⷢ゜Ⲣⱕ㉔㉞ㆺ㈎ Ɐ⾦㉔⵹ⷹ
О㓫㊃㓩ⷹ ゙⻓㉔ ⽑㋜ ㆖㆒㈎ Ɐ⾦⸳ ⽑㋜ ㆖㆒㈎ モ⽆⸳
㌻ⱉ⽑ⲕ」㉪㓩ⷹ
㊜㈕㓲㈎㓫㊃㓲㈎ ㊧ⷹ ą㊧㉂
1) 2) 3)
О⾦㉔ⴀⵡ㓩ⷹㄱⲙ㉂゙⻓㉔⽑㋜㆖㆒ソ⾦⸳⸕⻮㋜㆖㆒㈎ ⿂ⲿⷚ㈏ ⿷㑪⵴㓩ⶭ㉔ ㋅ⲿゥ㓩㉔
㉂ ⶶⷹ ąⶶ㉂
ù
⾦ャ㉃【ㄆ㉞ㆺ㈎⾦㉔ⴀⵡ㓲㈎ ⿔㎧2 ⱉ⳻ⷹ ąⱉ⳴㈘
ù
ОⲠ⳨ⱉ ⴀⵡ㓩ⷹ ㄱⲙ㉂ ㌻ⱉ ⽑㋜ ㆖㆒㈎ ⳝ⻛ソ Ⲡ⳨ⱉ ㆺ⺗ⷹ ąㆺ⺎
㇓⻩〤㉏ⲕ㓼㉃㉔ㆫ⳨㓲「ヌ㈎
ⴀⵡ㓲㈎ ⶶ㉂Ɐ⾦㉔⽑ⷹ 㐉㔛ㄆⱉ㉞ⷹ ㆫⲎ㉔㆒⼿⸄ⷹ
ㄼⷹ ąㄿ
О㊜㈕㓩゙ⷹ⻓㉔⽑㋜㆖㆒ソㄱⵘ⻩㈘モ⽆ⱉ㇄ㆺ㈎㊜㈕㓲㈎ ˴
제 고향은 몽골 울란바토르예요. 㐇ⷹ ą㐉
ОⲎ㎡ⱉ㆒⼿⸄ⷹ㇓⳨㊂⳨⼾〕㈎ⱕ⸳㉞ㆺ㈎゜⸳㉞ㆺ㈎ 2 ⷹ㉅㉃㎣Ⲿ㇋ⱼ⾥ⲕ㓮ⴖ㉔ㆫ⳨㓲「ヌ㈎ ⿔㎧;˹⿔㎧ ù
울란바토르는 차가 많아서 좀 ⽮ⷹ ą⽭
⵬⾡⸳ ㉞ㆺ㈎ 「⳨㇋ ㇣で㈎ ゙㋞㉃ ㌳ⲕ ㄻㆺ㈎ Ⲏ㎡ⱉ 복잡해요. ㋢⳩㇀⺔ⲥ㇑ッ ㆧ㉆⼎㇀⺔ⲥ㇑ッ
㆒⼿ⷹ㈠㈎ イⲛ㉤㇀㈔" イⲛㅁ㇀㈔" ⽘㉞ⷹ ą⽘㉞ⷢ
ⷢ
ОⱯ⾦㉔⵹ⷹㄱⲙ㉂Ɐ⾦㉔ⶶ㋜㆖㆒㈎Ɐ⾦㉔⵹㆒㈎ ㉯⿂㉞ⷹ ą㉯⿂㉞ⷢ
㉞ⷹ㇄ⷹ
1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Ⲩ㊒ⲛ㔂㉈Ⲕ㎧ⱏ㆘⽅ⷿ㈞ⲥ㉚㇑㈔
Ⲩ 17 ㉯⿂㇄ⷹ ą㉯⿂㇄ⷢ

ㆺ㕎 ⸳ㄱㇷㄱⲙ㉏㑫㋥ ⾤⿳ ‫ۻ‬㉂

ʨ⸳㉜㊌ㄱ ʩ㇖ㄮ ʨ⸳㉜㊌ㄱ ʩ㇖ㄮ

1.⸳ㄱ㉏⾈ㄮ㉔ㆺ⺎㋜ㄱⲙ㉏⾈ㄮ㉔ㆺ⺎㋜㉔ㆫ⳨㓩⽿㇪ⷣ⿞㈖ⷢ 1.㓪ク⹧㇋ⱼ⸳ㄱ㉏㑫㋥㉔⾡㇅㉖㋜ㄱⲙ㉏㑫㋥㉔⾡㇅㉖㋜㋠⾤㉃ 1.⸳㉜ⳝ⽊Ⲣ⸋㔥⼾㑉㓲⾤⿳㉔゙㈕⹅ⷢゥ㔪㉃㉖㋜ㄱ㐐ⷹ 1.「⳨!㉏⸋㔥⼾ⲹ゙ㇷ㓮ⴖㇹナ㓲』ⷹ


ⷼㆺⷢ⸳ㄱㇷㄱⲙ㉏⾈ㄮ㉃ッ⾅㓬⺃゙㈕㓩ⷢㆺ㕎㉛㉃㆗⻻㊾ⷹ ⸘㋞ⷹ ᵎࢢ὾᪮ᴲЊ⻎ᷞᴲṊ὾ᶆ‫غ‬ᆆⵢӪᾒᶾẞᢶ⇎὎ᓾቾᤦ⻎ᷞᴲὢ 2.⵬⽫㋜⾤㊌⼾「⳨!㉏⸋㔥㍕⻭㋪Ⲣㇹナ㓩⸳⼉㓫ⷹ
௎᫦ઞᶾൖẞ%᫦ӲὊᶾൖẞ% 2.㋪Ⲣ㓮ⴖ㉢⳨ⲕ㓼㉏㑫㋥㇋⸋㓲⿞㈘ㆺ㕎⼾゙㈕㓲⽓㓲「⸳⼉ Ӫ⶯ᷚଊ⵾ᤦ὾ᶆ‫غ‬ᆆ⵾ẞ 3.㇖ㄮ㓫Ⱶ㉃⿕㒿㓩ⱼ㓩Ɑ⵬ⲹ゙ⱉ㊄㍞㓪ク⸋ゥ㉀⼈⸄㓩ⱼ㓩㇓
ḮઢὊ௎᫦Ṋ᫦Ӳ὎᤮኏⵪ᨢᾒઞᶾ⼢ᆆӿᖊ⵾ẞ 㓫ⷹ 㔦㉖㓫ⷹⳝ⽆ⲕ㇪⼳ⱉ㉞㉀⾁ㄆ㊊㓲㊾ⷹ
2.ⲹ㉯㉏⸋㒿㇣⾤㉃「⾁ソ⾤⿳㉏㉏⿂⼾ッ⾅㓫ⷹ
2.ⲹ゙⼾⹹⻏ㆺ㕎⼾モ⽆⵽ㆺ㓫⿮㉘ⷢⷹ㉔⺃⿕㉅㇋㊼㉏㓩ⱼ 3.㓪ク⹧ⵤ⽆㉔ㆫ⳨㓫Ⱶ㉂ⲹ゙ⱉ㊊⽆㓲㊼⽿ⱘ㉔㉔ㆫ⳨㓫ⷹ
ᵎࢢ὾᪮ᴲЊ⻎ᷞᴲὢӪ⶯ᷚଊ⵾ᵖӪᬀᶾẞĹ௎᫦Њ⛮ẞ%Ӈ♢Њ ʪ㇖ㄮ
㓫ⷹ 55ᴲὢӪ⶯ὊᶾഞḒẞ%55ᴲὢӪ⶯Ὂᶾථӽ὾ᷚẞ% ᵎᆎ૮Ỗẞ%জὊѾፆ὾ᇘᵎẞ%ĺ὾ҍ὎ᵖӪᬀ὎ൖĹᶾථӽ὾ᷚẞ%ĺ
⡺௎᫦Ḓẞ%ᾛὊ௎᫦Ḓẞ% 1.㋜ⳣㆺ⺎ⲟ㇋ソゞⲕ㉞ⷢ㋜ㆡ㉀⼈ㆺ⺎ⲟ㇋ソゞⲕㄻ㉂㋜㋪ⵤ⽆
3.ㆺ㕎㉏ ㉏⿂⼾ ッ⾅㓫ⷹ ㆺ㕎ⱉ ゙㈕⹆ ⾤㉭㉃ ㇣⼈ ㊌ㄱ㓩Ɑ⵬ ὾ထҖፆᶾẞ‫؂‬ᆶӪӪ⶯ᷚଊ⵾᤮኏⵾ẞĹ⡺௎᫦ḒẞӇ♢Њ

지도 ㉏⿂⼾㓈ㆺソッ⾅㓲㊾ⷹゥ㔪㇋⹹⻏㈷㉏ㆺ⵬⿓㉏ㆺ⹬㉃㎁ⱉ⼈
ッ⾅㓬ㄆ㉞ⷹ
4.⿞㈘ㆺ㕎⼾モ⽆⵽ㆺ㉘⸳⼉㓫ⷹ
㌎㉃㓈ⱼ㓩Ɑ⵬Ⲣ㊌⼈㊌ㄱ㓫ⷹ
ᵎᆎ૮Ếӽ὾ᷚẞজὊѾፆ὾ᇘὊӽ὾ᷚẞĺ὾ထҖ‫؂‬ӽᷚଊ⵾
᤮኏⵪ൖ⸟ẳᢶᆆĹὊĺԆ⵲ۢᢶẳ⵾ẞ

3.㓪ク⹧Ⲣ ⲹ㉯㉏ ㇣⾤⹧㉃ ㉘㉀⾁ソ ⾤⿳㉏ ㉏⿂⼾ ッ⾅㓩ⲕ


⾥ⲕ⸋⸄㓩⾁ソÍ㉂Î㉃㔨㈕㓩㇓㉢ㄳ㉏㉔ㆫ⳨⼾㓩⸳⼉㓫ⷹ
2.㎣Ⲿㇷ⸋㔥㓫Ⱶ㉃⿕㒿㓩ⱼ㓩ⲕ㇪⼳ⱉ㉞㉀⾁ㄆ㊊㓲㊾ⷹ
㌎㉃ 㓈ⱼ 㓩Ɑ⵬ Ⲣ㊌⼈ ㊌ㄱ㓫ⷹ ㉕㕳㍇㉂ ㇖ㄮ 㔨⸽
㉔㓲ㄱ㐐ⷹ ⵯ㉔⸳㇋⹹⻏ⲹ㉯㇖ㄮ⾤㊌㊄㔼⼈㔨㈕㓫ⷹ

4.⾤⿳㉏㔖㐠㊊「⼾㊌ㄱ㓩ⲕッ⾅㓫ⷹ
5.㎁ⱉ㇣⾤㉃㊌ㄱ㓩ⲕ⾤⿳㉏㉏⿂ㇷ゙㈕⿳㉃㊊㔦㓩ⱼ㉔㓲ㄱ㐐ⷹ
ОⱯ⾦㉔ⶶⷹⱯ⾦㉔㎠㎠㉔㇋㈎ⶶ㆒㈎
О⿐⾦Ⲥ㉔⽑ⷹ⿐⾦Ⲥ㇋ⷢ㇨⵱⾦Ɐ㉔㉞ㆺ㈎㇨⵱゙⻓⹧㉏
지도
ク㔨㉃㆗ㄆ㉞ㆺ㈎⿐⾦Ⲥ㉂「㑉⸳ㄱ㇋⽑㉔㉞ㆺ㈎
14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Ⲩ㊒ⲛ㔂㉈Ⲕ㎧ⱏ㆘⽅ⷿ㈞ⲥ㉚㇑㈔ 15

Оⳬ㉔」㉪㓩ⷹ㇓⻩ⳬ㉔㉞ㆺ㈎㌻ⱉ⽑ⲕ゙⻓⸳⽑㆒㈎ ‫ۻ‬㉂
モ⽆⸳ ㄱⵘ⻩㈠㈎ ⳬ㉔ 」㉪㓲㈎ ⳝ⻛ソ ⳬ㉃ ㍅⳨ⱉ
ㆺ⻻㈠㈎
㔖㈕゙⹘㇋〭ㆺ⹘㇋㇪ⷢ⾅゙⼾ⴽ⿂ⲕ⾅゙㉏㑫㋥㉔⵬ゥ㐠⼾⵬㐖⵽㈎
‫ۻ‬㉂

О゙⻓㉔⽑ⷹ⸳ㄱ㇋゙ⷢ⻓㉔⽑㆒㈎ ⵺㇑ッ ㆺ⺎Ⱶ㉏ゥ㐠⼾⽓㓬⺃゙㈕㓫ⷹ㔖㈕゙⹘㇋〭ㆺ


㇩㈔ ㇩⾪
⹘㇋ ㇪ⷢ ⾅゙㉏ 㑫㋥ ゥ㐠⼾ ッ⾅㓬 ⺃ ゙㈕㓫ⷹ
ОㆫⲎ㉔㆒⼿⸄ⷹ⿙㉏Ⲏ㎡⼾ÍㆫⲎÎ㉔⻏ⲕ㓲㈎㐉⸳ㄱⷢ Оⱉ ⳝⱉⱼ㇋
ⱼ㇋ ㈀㉢
㈀ ㉢㊼ⱉ
㊼ ㈎"
㔖㈕゙ ⱉ㈘⸣ Í㉞ⷹ ㇄ⷹÎⱉ 㒳㓮⹆ Ⱶ㉂ ÍⷢÎⲢ
⿙㇋⸳〦㉃㏑㈎ⳝ⻛ソㆫⲎ㉔㆒⼿ⷹ㈠㈎ ⵬ㄼⲕ㇣ろㇴ㉔⽑㆒㈎

О㊂ⷢ ⶒ㉂ ㋣㇋
ⲉ㓯㓫ⷹ
Оⲹ㑉㉔㒩⽆㓩ⷹ⸳ㄱ㇋ⷢ㋜㓩㍘⿬ㄨ㐡ㄱⱉ㉞ㆺ㈎ㄟⱼ ㇋ソゞ
ゞⲕㄻㆺ㈎

㇓⳨㊂⳨㇋ⱍㄆ㉞ㆺ㈎ Оㄱ㉭㇋
㉭㇋ⷢㄼ
ⷢ ⲕ
ⲕ ⽘㉞ⷢ ㉅ㄲ
㉅ ㉔⽑㆒㈎

О㌻ⱉ⽑ⷹ⸳ㄱ㇋ⷢⳬ㇋㌻ⱉ⽑㆒㈎
֛㉂ Оⶶⷹ ࢉ  ⶶ㉂ Оⱉ㔼㇍ㆊ㉏ⲕ㓼㉂ㆺ⺎ⲟ㉔㇋㈎"
ùⱉ⳻ⷹ ࢉ  ⱉ⳴㈘
 ⵬㊌ⲕ㓼㇋ⷢ㇣ろ⿏ⷹⱉ㉞ㆺ㈎
֛˴ Оぅㄼⷹ ࢉ  ぅㄿ
Оⴀⵡ㓩ⷹ ࢉ  ⴀⵡ㓫
О゜Ⲣⱕ㉔㉞ⷹㄱⲙ㇋ⷢ゜Ⲣⱕ㉔㉞ㆺ㈎ Оⱉㆺ⹮⼈㇓㓺㉃ⱉⲕㄻㆺ㈎"
֛ⷢ О⽘㉞ⷹ ࢉ  ⽘㉞ⷢ
О㉯⿂㇄ⷹ ࢉ  ㉯⿂㇄ⷢ  ⵬ⱉ⳴㈘゜㉀⼈ⱉⲕㄻㆺ㈎
О㓫㊃㓩゙ⷹ⻓㉔⽑㋜㆖㆒㈎Ɐ⾦⸳⽑㋜㆖㆒㈎モ⽆⸳
㊜㈕㓲㈎㓫㊃㓲㈎ ㈎ О㉔ㄲ⸇㉂ァⲋゞ㉔⽘㉞ⷢㄲ⸇㉔㇋㈎
О⾦㉔ⴀⵡ㓩ⷹㄱⲙ㉂゙⻓㉔⽑㋜㆖㆒ソ⾦⸳⸕⻮㋜㆖㆒㈎ 㐠ⲿ⿜㏛ ОⲎ㎡ⱉ㆒⼿ⷹ㈘ⲟ㉔ㆺ⹮㇣㈎"
⾦ャ㉃【ㄆ㉞ㆺ㈎⾦㉔ⴀⵡ㓲㈎ ㇙ⳮⷨ㐦ⳅ⿢㏡㉚㇑㈔
⿢㏡㉈㍁ⱏ⽗ⲛ〓㉰㓱⸹ㄷ㇩㈔
ОⲠ⳨ⱉ ⴀⵡ㓩ⷹ ㄱⲙ㉂ ㌻ⱉ ⽑㋜ ㆖㆒㈎ ⳝ⻛ソ Ⲡ⳨ⱉ
ⴀⵡ㓲㈎
」㉪㓩ⷹ
О㊜㈕㓩゙ⷹ⻓㉔⽑㋜㆖㆒ソㄱⵘ⻩㈘モ⽆ⱉ㇄ㆺ㈎㊜㈕㓲㈎ ㊧ⷹ ą㊧㉂
3)
ОⲎ㎡ⱉ㆒⼿⸄ⷹ㇓⳨㊂⳨⼾〕㈎ⱕ⸳㉞ㆺ㈎゜⸳㉞ㆺ㈎ ⿷㑪⵴㓩ⶭ㉔ ㋅ⲿゥ㓩㉔
㉂ ⶶⷹ ąⶶ㉂
ù
⵬⾡⸳ ㉞ㆺ㈎ 「⳨㇋ ㇣で㈎ ゙㋞㉃ ㌳ⲕ ㄻㆺ㈎ Ⲏ㎡ⱉ ⿔㎧2 ⱉ⳻ⷹ ąⱉ⳴㈘
ù
㆒⼿ⷹ㈠㈎ ㆺ⺗ⷹ ąㆺ⺎
ОⱯ⾦㉔⵹ⷹㄱⲙ㉂Ɐ⾦㉔ⶶ㋜㆖㆒㈎Ɐ⾦㉔⵹㆒㈎ ⱉ㉞ⷹ ㆫⲎ㉔㆒⼿⸄ⷹ
ㄼⷹ ąㄿ
1 ˴
㐇ⷹ ą㐉
⿔㎧;˹⿔㎧ ù
⽮ⷹ ą⽭
㉆⼎㇀⺔ⲥ㇑ッ
イⲛㅁ㇀㈔" ⽘㉞ⷹ ą⽘㉞ⷢ
ⷢ
㉯⿂㉞ⷹ ą㉯⿂㉞ⷢ
•어 시 고할 내용(교사 화, Ⲩ㊒ⲛ㔂㉈Ⲕ㎧ⱏ㆘⽅ⷿ㈞ⲥ㉚㇑㈔
Ⲩ 17
㉞ⷹ㇄ⷹ
㉯⿂㇄ⷹ ą㉯⿂㇄ⷢ

어 의 , 문 등)을 지에 정리함.
•문법 시 고할 정보, 문법 문,
정보를 지에 시적으로 정리함.

사 사 5
● , 지 , 리 을 제시하여 교사용 지도 용하여 리하게 수업을 하고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㓩⳨ㇷ⹦⳨ 말하기와 듣기


말 읽기와 쓰기

㉘⳨ㇷㅾ⳨ 〪

1 ⻏㕝⽐ㆊⱉ⸽⼛⹧㇋ⱼⲕ㓼㉃モⱛ㓲㈎ⷹ㉅Ⲣⱘ㉔㉔ㆫ⳨㓲「ヌ㈎ 1 ⷹ㉅ⳡ㉃㉘ⲕ㋠⾤㇋⸄㓲「ヌ㈎

㊁ Ⲋ㓱㈷ ⿬㑟⵩ 㓞ⶢ㉉㉑ⷤⷮ 㓞ⶢ㉉⷗


2-1 EBOOK ⿬㑟⵩㉄・⸨㉉Ⲋ⿬㑟⵩㇀ゲ㊁㉌㏾⸨ㄦ㉑ⷤⷮ
㔪 ⻏㕝⽐ㆊⷢⲕ㓼㉔ㆺ⹮㇣㈎"
㓞ⶢ㉉㇀⷗ ⶫ㈷ Ɽ⾛㉉ ⽆Ⲋ ⳡ⸨ 。㉟㓤ⷤⷮ
ⷮ
2-1 EBOOK
1 2) ⻏㕝⽐㊌ⲕ㓼㉂⿜ⳡ⻏⸣ㄱⷹ㎫㇣㈎
⿜ⳡ⻏⸣ㄱ ⷹ㎫ 㑠㕤㇟㐷⿄
㇟ ㉉ⰾ⽆ㆇゲ㊖。㉟㓤ⷤⷮ㓞ⶢ㉉⷗
ⳝⲟ㉂ㆺ⺎ⲟ㉔㇋㈎" ㈺ㄧ㉉ ㄱⲊ ⽍㉓ㄣⷤⷮ
ㄣ  ⰾ㉢
㉢ ㈬⽺㓠
⽺ ㈺ㄧ㈷
㈷
㔪 ⻏㕝⽐ㆊⷢⲕ㓼㉔ㆺ⹮㇣㈎" 㔪
ㄵⲴ・㉑ⷤⷮ ⿬㑟⵩ ⽈⻽⷗ Í㒨Î⻄Ⲋ 㓤ⷤⷮ
⻏㕝⽐ ㊌ⲕ㓼㉂⿷㑪⵴㓩ⶭ㉔㇣㈎ ⻏㕝⽐ⷹ㎫ⷢ㈖⽆⵬⻏ㄆ⸳㇣㈎ⶶ㉂Ɐ⾦㉔⽑ⲕ
⿬㑟⵩ゎ⻈⹜㈷Ɫ㉄⽒㉌Í㒨Î⼳⽡ㄣⷤⷮ㓞ⶢ㉉

゙⻓⸳⽑㆒㈎㊜ⳣ」㉪㓩㋜⽐Ⲏ㎡ⱉ㆒⼿ⷹ㈘
㊜ⳣ」㉪㓩㋜⽐Ⲏ㎡ⱉ㆒⼿ⷹ㈘
㔪 ⳝⲟ㉂ㆺ⺎ⲟ㉔㇋㈎" Ⳕ㍊
㍊㇀㈬⽺㓠ⲙⲟ㋑
ⲟ㋑ Í㓞⼄⿬㉉Î
㉉Îⰾ㉓
ⰾ ㉓ㄣⷤ
ㄣⷤⷮ㓞⼄⿬㉉
⼄ ㇀⷗㇈⻞ ⱐ㉄セ㉉ ㉓ㆯゲ
ㆯゲ ⿓⼳ 㐋Ⲋ
㐋  О㑫㕯ⷹ⼽Ⱶ「ⷹ㆒㊼⽑㆒㈎㑫㕯⽑㆒㈎
ⲟ㉔㇋㈎
⻏㕝⽐ 㓩ⶭ㉔ⷢ㈖⽆⵬⻏ㄆ⸳㇣㈎ⶶ㉂Ɐ⾦㉔ ⱆⷤ
ⷤⷮⲃ㎖ⰾ
ⰾ ㆇ⼴ⷮ㈍Ⲕ㉉⻄ゲㇻⲴゎ
ゎ⻈⸨⽆㉉㇨ⷤⷮ

⽑ⲕ゙⻓⸳⽑㆒㈎㇪㑂⿏㉔ⱉ⽑㆒ソ ОⲤⲪ㋜ ⽑㉂ ゙⻓⹧㉔ ㇓㓺㉃ ㇷソ ⲾⲎ㓩ⷢ ⲟ㉃


」㉪㓫ⲟ㉔㇋㈎ 1) ㈺⳦㉔ⶂ㈚ⲧⱝ㉅⾆нⷾ⽀⾆
н ; 㓮パ㈓ 단어장 ⲤⲪ㋜⻏ⲕ㓲㈎
1)⿜ⳡ⻏⸣ㄱ _ⷹ㎫
ⷹ㎫ _㊜ⳣ」㉪㓩㋜⽐Ⲏ㎡ⱉ㆒⼿⸄ⷹ
㊜ⳣ」㉪㓩㋜⽐Ⲏ㎡ⱉ㆒⼿⸄ⷹ
2)⿷㑪⵴
⿷㑪⵴ _㓩ⶭ㉔ _㇪㑂⿏㉔ⱉ⽑㆒ソ」㉪㓩ⷹ
㇪㑂⿏㉔ⱉ⽑㆒ソ」㉪㓩ⷹ
Ұ㉙ゞ⻘㉔Ⲛ㔁㉇⿼㑯⵹㇐ヂ⹑⿳㋹⼍㐎⸸ㄶ㇨㈓ ϡ
 㑫㕯
ⲤⲪ㋜
Ⲫ㋜ Оテ㇡㇋⾈⹌⿏ⷹⱉ㉞ㆺ㈎「㑉⿞⼾㐖ⲕⱉ㈎
ұ㉙⸸ㄶⷧ⿱ㄭⱎ⽖㆗ヂ〒㉯㓰Ⲥ㉙㇐㈓ ϡ

Ҳ㉙⸸ㄶⳤ㍚㇐㈼⾊㓰ⲩⲯ㋡ⱎ㉣ㆿ㈓ ԓ


テ㇋ゞ㆒㈎
2
2 ㇓⻩〤㉏ⲕ㓼㉃㎣Ⲿ⹧㇋ⱼモⱛ㓲「ヌ㈎
2) ㅅⳄㄋⷧ⿼㑯⵹⽘⼍⾴⻔Ⲛ㓷㈓" ‘포’라고 해요.
ⱉииㆊ㉏ⲕ㓼㉔ㆺ⹮㇣㈎" 3) 㓮⼔⿼㉙ⷧㆿ⺓Ⲥ㉙㇐㈓" 경치가 아름다운 곳이에요.
⵬㊌ⲕ㓼㉂㊌㊼⸳㇣㈎
ⱉⳝⲟ㉂ㆺ⺎ⲟ㉔㇋㈎"
2 ⲕ㓼㉃モⱛ㓩ⷢⳡ㉃ㅏ「ヌ㈎
⵬⿏ⷹ⸳ⴀⵡ㓩ⲕⲎ㎡ⱉ㆒⼿ⷹ㈘ⲟ㉔㇋㈎
제 고향을 소개합니다!
1-L.mp3
Ⲛ㔁 ㊒ⲛ㔂㉈
ㇿ㕟ㆊⱉⲕ㓼㉃モⱛ㓲㈎㉧⹦ⲕ⸄㓲「ヌ㈎
1-L.mp3 ㇿ㕟 ㇓ ㆔ⶩ㓩ヌ㈎ㇿ㕟㉔⻏ⲕ㓯ⷯⷹ㇪ⷣ㉂ ⸸ㄶ㑰㋪
㇓⻩〤㇋ⱼ㊌ⲕ㓼㉃モⱛ㓩Ⲃㄮⷯⷹ 1) ㈄㕤㆏ⷧㆿⷥ⵱⻔㇐ヂ㈃ㆿ㈓"Ⲛ㔁㉇ㆿ⹳㇨㈓"
㈼⾊㓰㉊ㄷ
㊂ⷢ㋅ⲿ㇋ソㇾㄮⷯⷹ゜⹓ナ㍝⸳ⱉ㊌ 중국에서 왔어요, 고향은 산둥성 청도예요.
㈼⾊㓰㉲ョ
ⲕ㓼㉔㇋㈎㇓⻩〤⸳㍝⸳⽞㊼⼾㆒ㄱ㋜㈎" 2) ㈄㕤㆏㉔Ⲛ㔁㉇ㆿ⺓Ⲥ㉙㇐㈓"
㈖⽆ⲕ㓼㉂⽞㊼ⱉ㆒㊼㈷⾅㓫ⲟ㉔㇋㈎ 맥주가 아주 유명한 곳이에요.
㇓⻩〤⸳㍝⸳⼈ⶰ⻩㇪ヌ㈎
18
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㔶㑏 Ⲩ㊒ⲛ㔂㉈Ⲕ㎧ⱏ㆘⽅ⷿ㈞ⲥ㉚㇑㈔
Ⲩ 19

㉢⳨ⲕ㓼モⱛ㓩⳨ ʩ㔦㉭㇖ㄮ ⲕ㓼モⱛ㓩ⷢⳡ㉘⳨ ㉢⳨ⲕ㓼モⱛ㓩ⷢⳡㅾ⳨

ʨ⸋㔥⾤㇖ㄮ 1.㉢⳨ⲕ㓼㇋⸋㓲モⱛ㓩ⷢ⽓㓩⳨⼾㓫ⷹⲕ㆗⻻㊾ⷹ 1.ⳝ⽊㉃「⽿ⳡ㉏⵽㈕㉃㈷㎁㓩ⱼ㓫ⷹ 1.ㆺ⺎ⳡ㉃ㆁ㋜㆗⻻㊼ⲕⳡ㇋⹧ㆺⱍ⵽㈕㉃クⱊ㓲「ⱼ㓫ⷹ


2.㋪Ⲣⱘ㉔ⲕ㓼㇋⸋㓲㉔ㆫ⳨㓩ⱼ㓫ⷹ⸋㔥⼾㓬⺃ⷢⷹ㉅Ⲣⱘ㉂ ᷶‫غ‬ઞᶾഞḒẞ%ᶾථӽ὾ᷚẞ% ḮઢὊᾚ‫غ‬Ӫ⶯὎ᦖЦⵢઞ؊὎ᴂѺḒẞ
1.ⲕ㓼モⱛ㇋⸋㓲㉔ㆫ⳨㓩⽿ⲹ㉯㉏ⳝ⽊㉃㉔㈕㓲ッ⾅㓫ⷹ
⵽㈕㉃㒳㓮㓩㇓⽓㓩⸳⼉㋜ㄱ㓫ⷹ ᢶ⇎ᷚጾ᷑὾ᾒᶾẞ% Ӫ⶯ᷚଊ⵾ጾ᷑὎ᦖЦⵢቾₕ὎ٖẞ%
᥂ᢶྖὊጾ᷑὎ⵢӪᾒᶾẞ%
♦նὢӪ⶯὾ᶾഞᾂ⇊௎᫦ᾂ⇊᫦Ӳᾂ⇊ᶾථӽᾂ⇊ጾ᷑὾ ጾ᷑ᷚଊⵦࢾẳᾂҍУᵎẞ%
਎նὢӪ⶯ᷚଊ⵾ᤦ὾ᶆ‫ⵢغ‬Ӫᾒᶾẞ% 2.ⲹ㉯㋠⾤㇋⸋㓲㉢ㄳ㉔ㆁ⵽㈕㉃ⱋⷼ㓩ⱼ⽶⾈㓩⸳⼉㓫ⷹⲹ゙ⷢ
Ἢ኏ⵦ⇊ፆᶾᓾӪଊ૿⵾ᓾ᥂ẞ
2.ⳡ㉃㕀ㆺ㉘ⱼ㓫㔼㊼㊌㋅ㄷ⵽㈕⹬㉃ⱋⷼ㕯⽓㓲「⸳⼉㓫ⷹ 㓪ク⹧㉔ㆀ⽶⾈㇋㇪⼳ⱉ㇄ⷢ㋜㔦㉖㓲㊾ⷹ
2.㋜ㄱ⾤㉃㉔㈕㓩㇓⸋㔥ゥ㔪㉃㓪ク⹧㇋ⱼ⾅㔦㓩ⱼ㆗⻻㊾ⷹ
3.㉔ㆫ⳨ⱉⵣ⵬⾁㓫⹌㑼㉃⿕㒿ㄱ㐎Ɑ⵬ⲹ゙ⱉ㊄㍞㓪ク㉃⸋ゥ㉀⼈ ⵢং὾ઞᶾථӽ὾ᷚẞ% 3.⽶⾈㓫⵽㈕㉃⿏㐟㉀⼈ⳡ⼈ㇹナ㓩ⱼ㓫ⷹ
3.⸋㔥⼾ ⹧⻻㊼ⲕ ⱋⷼ㓫 ㋠⾤㉃ 㓩㇓ ⸋㔥 ⵽㈕㉃ ㉔㓲㓹ⷢ㋜ 㔦㉖㓩ⲕ㇪⼳⼾ㄆ㊊㓲㊾ⷹ ᒪ⫂ࢲᷚᤦἪ኏ⵦὖ᫧὾ፚḒẞ%
㔦㉖㓫ⷹ
ⵢၻᒪ὾ઞᶾഞᷚᾒᶾẞ%ⵢၻᒪ὾ઞᶾථӽ὾ᷚẞ%
਎նὢӪ⶯ᷚଊ⵾ᤦ὾ᶆ‫ⵢغ‬Ӫᾒᶾẞ%
㎣Ⲿ㉏ⲕ㓼モⱛ⹦⳨ 3.ⳡ㉃ⷹㄱ㉘㉀⾁ソ⾤㊌⼾㓈ⱼ㓫ⷹ
૮♾ઞᶾථӽ὾ᷚẞ%ፚЊₕᵎẞፚЊ⁺ؒᵒₕᵎẞ%
1.㋜ㄱ⾤㉃㉔㈕㓩㇓⹬㉭㉖⾦Ⲣ⸋㔥ゥ㔪㉃ッ⾅㓫ⷹ 4.⸄㉃ ⱘ㉔ 㔦㉖㓫 㔼 』⾤㉃ ⷹㄱ ㉘㉀⽿ ⾈⼻ⷢ ㆺ㕎ⱉ ㇄ⷢ㋜
4.ⲹ゙ㇷ㓮ⴖ⸋㔥⾤㉃㉘㉀⾁ソ㉢㇖ㄨ⻮ⱼ⽓㓩ⷢ㇖ㄮ㉃㓫ⷹ⹌⿮
2.⾤㊌⼾㉘ⲕ⹧ㆺㆫ㓩ⷢ㊊「⼾㒀㆓㓩ⱼ㓫ⷹ 㔦㉖㓫ⷹ㓤㈎㓫Ⲏ㈖ェ⼈㈘ㆺ㕎㒿㔐㉃ッ⾅㓫ⷹ
㊊⸳⿓」㓲ソ㇖ㄮ㓫ⷹ
5.ⲹ㍞ㆺ㕎⼾㔨㈕㓩㇓㋪Ⲣ㓮ⴖ㇖ㄮ㓩ⱼ㓫ⷹ 3.⹦⳨㒀㉗㉃⹌⿮⹦ⲕ⾤㊌⼾㓈ⱼ㓫ⷹ

6.㇖ㄮ㉔ⵣ⵬⾁㓫⹌㑼㉃⿕㒿ㄱ㐎Ɑ⵬ⲹ゙ⱉ㊄㍞㓪ク㉃⸋ゥ㉀⼈ 4.ⲹ㉯㋠⾤㉏⸄㉃㔦㉖㓫㔼㓲⸇⸋㔥⼾ⱘ㉔㉘㉀⽿⵽㈕㉃㔦㉖㓫ⷹ
㔦㉖㓫ⷹ 㓤㈎㓫Ⲏ㈖ェ⼈㈘ㆺ㕎㒿㔐㉃ッ⾅㓫ⷹ

1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Ⲩ㊒ⲛ㔂㉈Ⲕ㎧ⱏ㆘⽅ⷿ㈞ⲥ㉚㇑㈔ 17


」㉪㓫ⲟ㉔㇋㈎ 1) ㈺⳦㉔ⶂ㈚ⲧⱝ㉅⾆нⷾ⽀⾆
н ; 㓮パ㈓ 단어장 Ⲥ
1)⿜ⳡ⻏⸣ㄱ _ⷹ㎫
ⷹ㎫ _㊜ⳣ」㉪㓩㋜⽐Ⲏ㎡ⱉ㆒⼿⸄ⷹ
㊜ⳣ」㉪㓩㋜⽐Ⲏ㎡ⱉ㆒⼿⸄ⷹ
2)⿷㑪⵴
⿷㑪⵴ _㓩ⶭ㉔ _㇪㑂⿏㉔ⱉ⽑㆒ソ」㉪㓩ⷹ
㇪㑂⿏㉔ⱉ⽑㆒ソ」㉪㓩ⷹ
Ұ㉙ゞ⻘㉔Ⲛ㔁㉇⿼㑯⵹㇐ヂ⹑⿳㋹⼍㐎⸸ㄶ㇨㈓ ϡ
 㑫㕯

ⲤⲪ㋜
Ⲫ㋜ Оテ
ұ㉙⸸ㄶⷧ⿱ㄭⱎ⽖㆗ヂ〒㉯㓰Ⲥ㉙㇐㈓ ϡ

Ҳ㉙⸸ㄶⳤ㍚㇐㈼⾊㓰ⲩⲯ㋡ⱎ㉣ㆿ㈓ ԓ



2
2 ㇓⻩〤㉏ⲕ㓼㉃㎣Ⲿ⹧㇋ⱼモⱛ㓲「ヌ㈎
2) ㅅⳄㄋⷧ⿼㑯⵹⽘⼍⾴⻔Ⲛ㓷㈓" ‘포’라고 해요.
ⱉииㆊ㉏ⲕ㓼㉔ㆺ⹮㇣㈎" 3) 㓮⼔⿼㉙ⷧㆿ⺓Ⲥ㉙㇐㈓" 경치가 아름다운 곳이에요.
⵬㊌ⲕ㓼㉂㊌㊼⸳㇣㈎
ⱉⳝⲟ㉂ㆺ⺎ⲟ㉔㇋㈎"
2 ⲕ㓼㉃モⱛ㓩ⷢⳡ㉃ㅏ「ヌ㈎
⵬⿏ⷹ⸳ⴀⵡ㓩ⲕⲎ㎡ⱉ㆒⼿ⷹ㈘ⲟ㉔㇋㈎
제 고향을 소개합니다!
1-L.mp3
Ⲛ㔁 ㊒ⲛ㔂㉈
ㇿ㕟ㆊⱉⲕ㓼㉃モⱛ㓲㈎㉧⹦ⲕ⸄㓲「ヌ㈎
1-L.mp3 ㇿ㕟 ㇓ ㆔ⶩ㓩ヌ㈎ㇿ㕟㉔⻏ⲕ㓯ⷯⷹ㇪ⷣ㉂ ⸸ㄶ㑰㋪
㇓⻩〤㇋ⱼ㊌ⲕ㓼㉃モⱛ㓩Ⲃㄮⷯⷹ 1) ㈄㕤㆏ⷧㆿⷥ⵱⻔㇐ヂ㈃ㆿ㈓"Ⲛ㔁㉇ㆿ⹳㇨㈓"
㈼⾊㓰㉊ㄷ
㊂ⷢ㋅ⲿ㇋ソㇾㄮⷯⷹ゜⹓ナ㍝⸳ⱉ㊌ 중국에서 왔어요, 고향은 산둥성 청도예요.
㈼⾊㓰㉲ョ
ⲕ㓼㉔㇋㈎㇓⻩〤⸳㍝⸳⽞㊼⼾㆒ㄱ㋜㈎" 2) ㈄㕤㆏㉔Ⲛ㔁㉇ㆿ⺓Ⲥ㉙㇐㈓"
㈖⽆ⲕ㓼㉂⽞㊼ⱉ㆒㊼㈷⾅㓫ⲟ㉔㇋㈎ 맥주가 아주 유명한 곳이에요.
㇓⻩〤⸳㍝⸳⼈ⶰ⻩㇪ヌ㈎
18
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㔶㑏 Ⲩ㊒ⲛ㔂㉈Ⲕ㎧ⱏ㆘⽅ⷿ㈞ⲥ㉚㇑㈔
Ⲩ 19

〪 ⾤㔥ㇷ㊊「 문화와 정보



ⷼ㈢⽎⾡⽆ 〪

1-P.mp3
발음

한국의 유명한 도시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㉈㓱ⳅ㉕㇀⺔⸹ㄷ⽄ㆢⷵ⳺"㓱ⳅ㉈㈽⾋㓱⸹ㄷⱏ⽗㉚㉤ㄴⷵⷿ㓱ⳅ㉕ㄌ⸹ⷨッ㈟㉢ⷵⷿ 1)ⴆⵧ㓯ⷿ>ⴆⵞ㐜ⷿ@ Оⲅ㉅㔥 1-P.mp3
ⳣ⽌ⲛ㊒㉕⸹ㄷⷨ〨ア㉢ⷵⷿ〨ア㉈㐏⿤ⱏ⹭㇀ㇰⲛ⵲ⱏⷨ㓷Ⳅ⸹ㄷ㉢ⷵⷿ㎉㍝㉈㐏㔡ㄌⱏ㉤ⷨ 2)㓱㊉㓯ⷿ>㓱㊈㎱ⷿ@ ⿔㎧Í˱˷̂̈Î⹘㇋㉢㉅Í̎Îⱉ㇭Ⲏ㈖ⲅ㉅
㔡ㄌ㉕⸹ㄷ㉢ⷵⷿⲔ㋂ⷨⲨⱳㄹ⻕㉕ㄌ⸹⼎㇚ゟ㉕⸹ㄷ㉢ⷵⷿⳣ⽌ⲛ㊊㋂ⷨ⽞㉕⸹ㄷⷵ⳺⴪ⱏッ Ⲏ㊼〦ⲿ゙ 3)〓㉰㓯ⷿ>〓㋯㒆ⷿ@
⽞㉤ⷨ㉋ㄸ㉉⹩ヒ㈔ >̋̌̍̊@⼈⿕㉅⹆ⷹ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 1) ⱏ㉚ⲥ㉈㇀⺔ⲥ㉚㇑㈔"
1) 㓱ⳅ㇑ッ㊒㉕⸹ㄷⷨ㇀⹴㇩㈔"
㔛ㄆ㉏⸳ㄱ ⵲⾬㉚ⴆⵧ㓱ⲥ㉚㇑㈔
2) ㎉㍝㉈㇀⺔ⲥ㉚㇑㈔"
2) ⱏ㕂㇓㆐ⲛ㔂㉈㇀⺔ⲥ㉚㇑㈔"
3)㇙⻯〪㉈㉚⸹ㄷ⹭㋋㇑ッ㇀ⷦ⸹ㄷ㇑ ⵲㊒ⲛ㔂㉈㓱㊉㓱ⲥ㉚㇑㈔
ⱏⲛㅁ㇀㈔" 3) ⱏ㈟⻗⿕㑈⽁ⷨ㇀⺉㈔"
⵲㍁ⱏ⽗㆘ッ〓㉰㓸㈔
ソ㈙
㓫ⲿ㉏ㄆ⸳

배운 어휘 확인
㍝㊼
ⲹ㈸㉏⸳ㄱ

㇪⻛⹅ⷹ 
」㉪㓩ⷹ
Ⲏ㊼
㇔゙㉏⸳ㄱ 
㔛ㄆ 
ㆫⲎ


⽞㊼ 
㆒⼿⸄ⷹ


⿶ⴭ 
ⲹ㑉
㈙゜
㊄㊼ Ⲡ㇃⸳ㄱ 
㓫ⱕ 
㒩⽆㓩ⷹ
⽘㉏⸳ㄱ

㓲゜⾦ 
㓫㊃㓩ⷹ

〢゜ 〢゜ 㓲㈘⸋
〢゜㓲㈘⸋ 
クチ㔰 
ⴀⵡ㓩ⷹ
㓱Ⲿ⸳ㄱ 
㊅ ゙㈢ 
㊜㈕㓩ⷹ

О㉔ⷼ㈢㇋ソ⿞㈘ㆺ㕎㋅⳨ㆻ⵬ⷢⱵ㉃⽓㓲「ヌ㈎

리 단계

⿐⾦Ⲥ 
⵹ⷹ


Ɐ⾦ 
㑫㕯 О㉔ⷼ㈢㇋ソ⿞㈘⾤⿳㉂⾯㇣㈎"
㊄㊼ぅお⿚ 
ⶶⷹ 
ⲤⲪ㋜ О㇓⻩〤ⲕ㓼㉂ㆺ⺎ⲟ㉔㇋㈎"

⽑ⷹ 
テ
О㇓⻩〤㉏ⲕ㓼㉃モⱛ㓫ⷹ⾁ㆺ⺎Ⱶ㉃モⱛ㓩ⲕㄻㆺ㈎"
О㓫ⲿ㉏㈷⾅㓫⸳ㄱ⼈ⷢㆺ⹮ⱉ㉞ㆺ㈎"
20
0 ゟ㔶㑏
㑏㓵㓡
㓡⼎ⳣ⻥
⼎ⳣ⻥ .
.,,3 
,,3 㓱ⳅ㇀ㇽ
㓱ⳅ㇀ㇽ 㓱ⳅ⾪㔫
㓱ⳅ㇀ㇽ ⾪㔫 ㍲⳪
⳪ Ⲩ㊒ⲛ㔂㉈Ⲕ㎧ⱏ㆘⽅ⷿ㈞ⲥ㉚㇑㈔
Ⲩ 21

㓫ⲿ㉏㈷⾅㓫⸳ㄱ ⿕㉅ 〤 ⽎⾡⽆ 〤

1.㉔ⷼ㈢㉏⾤㔥ㇷ㊊「ⱉ⾡㇅㇋⸋㓫Ⱶ㉖㋜㆗⻻㊾ⷹ 1.ⲹ㉯ ⿮ ⿕㉅㉃ ⹧⻻㊼ⲕ Í㓩Î㉏ ⿕㉅㉔ ㆺ⺗ⱼ ⹧⽆ⷢ㋜ 㓪ㄮ㉢ 1.ⷼ㈢㇋ソ㓪ㄮ㓫ㆺ㕎㋅⳨ㆻ㓩ⷢⱵ㉃⽭㊂⽓㓲「ⱼ㓫ⷹ О㉔ⷼ㈢㇋ソ⿞㈘ㆺ㕎㋅⳨ㆻ⵬ⷢⱵ㉃⽓㓲「ヌ㈎
ⵦշὢ௎᫦὾ᆎ὎ᇘ὾ᵖᵎẞ%᷶࿶ᖎὊᶾഞᷚЊᔮᶾẞ% ㄨㄨ⼈㔦㉖㓲「⸳⼉㓫ⷹ 2.⿞㈘ㆺ㕎⾉⼉㉏ㆺ㕎⹧㉃㉘㉀⾁ソ㉏⿂⼾ゥ⳨ㄱ㐐ⷹ
ḮઢὊĹⵦշὢἪ኏ⵦ௎᫦ĺᷚଊ⵾ᵖᵎᔏ᫦૮ 2.ÍⴀⵡÎÍ㓫㊃ÎÍ」㉪Îⷹ㉅㇋㇪ⷢÍ㓩Îⱉㆡ㉏⿔㎧Ⲣ⽐⵬Í㐖㎫ 3.ⷼ㈢㇋ソ 㓪ㄮ㓫 ⾤⿳ ۹㉔⻏ⲕ 㓩ⷹ ‫ۻ‬㉂ ㉃ ゥ⳨ㄱ㐎⽿ ㉏⿂ㇷ
О㉔ⷼ㈢㇋ソ⿞㈘⾤⿳㉂⾯㇣㈎"
㒀Î⼈⿕㉅⹆ⷹⷢⱵ㉃㆗⻻㊾ⷹ ゙㈕⿳㉃⳨ㆻ㓩ⷢ㋜㔦㉖㓫ⷹ
2.ⲹ㉯㉏ⳝ⽊ ゙㋞ ㉃「⾁ソ㊼㊌㇋⸋㓲㆗ⲕ㉞ⷢⱵ㉃ゥ⳨ㄱ㐎ⲕ
⽓㓲「ⱼ㓫ⷹ㉔⺃Ⲥ⻽ㄱⱊ㉢⼛⼾㎁ⱉ⼈㔨㈕㓬ㄆ㉞ⷹ ⿔㎧Í˱˷̂̈Î⹘㇋㉢㉅Í̎Îⱉ㇭Ⲏ㈖ⲅ㉅㉀⼈⿕㉅⹅ⷢ 4.ⷼ㈢㉏⾉㒿ㇷナ㎍⸳⼾㔦㉖㓫ⷹ
О㇓⻩〤ⲕ㓼㉂ㆺ⺎ⲟ㉔㇋㈎"
Ⳛ㎢㇋⸋㓲ⱋⷼ㕯ッ⾅㓬ㄆ㉞ⷹⳝ⻩⵬㉔⿕㉅Ⳛ㎢㉂㇓⻩⿮
᷶࿶ᖎὊⵦշᷚᤦᶾഞᷚОᶾẞ%
Ӈ℆ઞᶾථ௎᫦Ḓẞ%
⿓」㓲ソ㓪ㄮ㓩ⱼ⹅⾽⼈㉔ⷼ㈢㇋ソⷢÍ㓩ÎⱉÍ㐖㎫㒀Î⼈
5.㉕㕳㍇㉃Ⲣ㊌⼈㊌ㄱ㓩ⲕ⽎⾡⽆㓫ⷹ О㇓⻩〤㉏ⲕ㓼㉃モⱛ㓫ⷹ⾁ㆺ⺎Ⱶ㉃モⱛ㓩ⲕㄻㆺ㈎"
⿕㉅⹆ⷹⷢⱵ㇋㋣㋅㓩ⷢⱵ㉔㊧ⷹ
ᖊᢺὊᶾථ௎᫦Ḓẞ%
О㓫ⲿ㉏㈷⾅㓫⸳ㄱ⼈ⷢㆺ⹮ⱉ㉞ㆺ㈎"
3.ⲹ㉯⼾ ⱘ㉔ ㉘㉀⾁ソ ⵽㈕㉃ ッ⾅㓫ⷹ ㉔⺃ ㋅㈎㓫 ㊊「ⱉ ㉞ⷢ 3.ⲹ㉯⿮⿕㉅㉃ⷹㄱ⹦ⲕⲹ゙⼾⹹⻏⽓㓲』ⷹ
〢〤㇋⿎㊿㉃⳥Ɑ⵬㒿ㄱ㓩ⱼ㓩ⷢⱵ⸳㊧ⷹ 4.ⲹ㉯⿮⸋㔥⼾⹦ⲕ⹹⻏⽓㓲』ⷹ
4.㋠⾤㉏⸄㉃㍅㆒「ⲕ⸄㓩ⱼ㓫ⷹ 5.㋪Ⲣ㓮ⴖ⸋㔥⼾㉘㉀⽿㇖ㄮ㓩ⱼ㓫㔼㇋㔦㉖㓫ⷹ
ⵦշᷚᤦ…ὢ௎᫦ઞᶾഞḒẞ%
▢⒦Ὂᶾථӽ὾ᷚẞ%

5.⿮㋠⾤㉃㉔㈕㓩㇓㓪ㄮ㉢㉢ㄳ㉏Ⲏ㔂㉃⽓㓲「⸳⼉㓫ⷹ
᷶࿶ᖎὊ᫦Ў὾ᾒ὆ቾ὾௎᫦ℛᷚᤦᶾഞᷚЊᓾӪᬀᶾẞ%

1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Ⲩ㊒ⲛ㔂㉈Ⲕ㎧ⱏ㆘⽅ⷿ㈞ⲥ㉚㇑㈔ 19

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발간사 2
머리말 3
교사용 지도서의 구성과 사용법 4
교재 구성표 8

1 제 고향은 경치가 아름다운 곳이에요 10

2 쓰레기는 내가 버릴게요 20

3 이걸로 한번 입어 보세요 30

4 지금 통화할 수 있어요? 40

5 많이 아프면 이 약을 드세요 50

6 맛있는 음식을 먹을 때 행복해요 60

7 집들이니까 세제나 휴지를 가져갈게요 70

8 9월부터 한국어 수업을 듣기로 했어요 80

9 근처에 자주 가는 식당이 있어요 90

10 시청 옆에 있는데 가까워요 100

11 보름달을 보면서 소원을 빌어요 110

12 실수를 자주 하는 편이에요 120

13 소포를 보내려고 하는데요 130

14 비자 연장 신청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돼요? 140

15 무역 회사에서 번역 일을 하고 있어요 150

16 그 행사에는 가족이나 친구를 데려가도 되거든요 160

17 잠을 푹 자면 좋겠어요 170

18 이 수업을 신청하는 게 어때요? 180

7
교 구성
단원 단원명 주제 어휘 문법

1 제 고향은 경치가 아름다운 곳이에요 어

2 쓰레기는 내가 버릴게요 어

3 이걸로 한번 입어 보세요 사 어

4 지금 통화할 수 있어요? 화 화

5 많이 아프면 이 약을 드세요 국 어
어 (순차)

6 맛있는 음식을 먹을 때 행복해요 어

7 집들이니까 세제나 휴지를 가져갈게요 초 와 문 초 와 문어

8 9월부터 한국어 수업을 듣기로 했어요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9 근처에 자주 가는 식당이 있어요

복습 1 (1~9과)

10 시청 옆에 있는데 가까워요 통

11 보름달을 보면서 소원을 빌어요

12 실수를 자주 하는 편이에요 와

13 소포를 보내려고 하는데요 국 국 어


비자 연장 신청을 하려면 어
14 어떻게 해야 돼요?

15 무역 회사에서 번역 일을 하고 있어요 어

그 행사에는 가족이나 친구를


16 데려가도 되거든요
사(축제)
(이유)

17 잠을 푹 자면 좋겠어요 한


18 이 수업을 신청하는 게 어때요? 문화 문화

복습 2 (10~18과)

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활동 발음 문화와 정보

한 한국 한


어 한국 통

화 어 통화 어
한국 (App)
문 어

국 사
어 국

한국어
합 로 어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한문


한국 (App)

어 통

한국

어 어 한국 문화


한국

국 국
국 국 국 (사무소)
국 국 통합

한국 회사

어 한

문화
어 문화

9
1 과
제 고향은 경치가 아름다운 곳이에요

1
제 고향은 경치가
수업 목표 및 내용 아름다운 곳이에요
제 고

어 고 개 관련 어 를 익 다.
문법 이 고 하다, 의의 와 를
익 사용할 수 있다.

하기 회사 동료에게 자기 고 에 해 개할
㋂㊒ ㇀㕔ㇽ⾪⿹
⿹ 㔮⹃ ⾪㔫ㇽ㊐〒
수 있다.
ⲛ㔂 ⲛ
ⲛ㔂ヨⱡⲪ
Ⲫ⼃㇀㕔 ⲛ㔂ヨ
ヨⱡ㓯ⳮ 㓱ⳅ㉕㈽⾋㓱⸹ㄷ
기 고 에 관한 화를 고 이해할 수 있다. ‫ⲛ⻕㉚ۿ‬㓯ⷿ
ⷿ ⲛ㔂ヨ
ヨⱡ⳧㉞ⳮ
‫㉈ ܁‬
기 고 개에 한 을 고 이해할 수
있다.
기 자기 고 을 개하는 을 수 있다.

한국의 한 도시

수업 도입 /
1차시 어휘와 문법 2 2차시
전개 어휘와 문법 1

자기 나 (고 )에서 한것 도시와 시 의 특징
이 고 하다

pp. 10-13 pp. 10-13

1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도입 5분

도입

1. 교재 그 을 이용하여 학 들과 이 기하 이 과의
주제를 한다.
그림 ➊  ὾ᢶྖὢӪ⶯ὊᶾഞḒẞ%

᷶࿶ᖎὢӪ⶯ὊᶾഞḒẞ%ጾ᷑὾Ἢ኏⵾ẞ%
그림 ➋  ᵎࢢ὾᪮ᴲὢӪ⶯ὊᶾഞḒẞ%
‫؂‬ӽὊጾ᷑὆ၦἪ኏⵾ẞ%
그림 ➌  ྆⽚ᇖᴲὢӪ⶯ὊᶾഞḒẞ%
❸ ‫؂‬ӽὊጾ᷑὆ၦἪ኏⵾ẞ%

2. 화 내용을 정리하 이 단원에서는 고 , 자기


나 , 자기 나 의 도시에서 한 것, 도시와
시 의 특징(차이점) 등에 해 부한다는 것을
알려 다.

О㉔゙⻓㉏ⲕ㓼㉂ㆺ
ㆺ⹮㇣㈎"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О㇓⻩〤㉏ⲕ㓼㉂ㆺ
ㆺ⺎ⲟ㉔㇋㈎"
이 단원에서는 용사 관 제시 니다.
아 동사 관 나 지 기 문에
구분하여 지도하도록 주의하 는 것이
좋습니다.

문화와 정보 /
말하기와 듣기 3차시 읽기와 쓰기 4차시 5차시
발음 / 마무리

자기 고 개하기 고 개하는 기 한국의 한 도시


구의 고 개 기 자기 고 개하는 기

p. 14 p. 15

과 11
45분 어휘와 문법 1 어휘와 문법 1

ⷹ㉅⸳ㄱⷢ⾡㇅㉔㈷⾅㓲㈎"
건 , , 을 에( ,
전에) 들 어 .지 지 있어 .

사 들이 사용한 건을 수 있는
이에 . ㇪⻛⹆Ɐ⾦
㔛ㄆ
⽞㊼
관방 관
⻩ㄱ㆒
사원 부 이나 이 있는 이에 . 사 들이 ㉔⼻㏭㎙㐇

㓫ⲿ
㓫ⲿ
하고 , 원을 는 이에 . 㓛⻗ㄨ
㉔㐙⽆㆒
㉔㐙⽆㆒

ソ㈙
㉗』
㉗』
ソ㈙ ⸳㏬
⸳㏬


㒀⽆ ㋅ⲿ ㍝⸳
⼈⽎
⽎ 㓫ⲿ
㓫ⲿ
〢゜
〢゜
〢゜
수 이 아 . 바다와 이 아니에 . ⿐⾦Ⲥ 㐠 ⿜㏛
㐠ⲿ ⿜㏛
㏛ ⿶ⴭ
⿷㑪⵴
⿷ ⵴
㓩ⶭ
㓩ⶭ㉔
㓩ⶭ㉔

본에서 한 이에 . 에 어 . 㓡⻝ㄮ㒆⽌ⷨ㐏⿖⾬Ⲫ㉆⼎
㈽⾋㓸㈔㉚⽅㉈⼧い⽁㇩㈔
이에 .

서 에 있는 이에 . 사 들이 운동을 하고 ㊅ ゙㈢
자전 도 . 과 주도 어 .
㓫ⱕ

국 도에서 한것 주 .
㆒㇪㉢㉔ㅀⲿㄆ
㓲゜⾦クチ㔰
바다에서 나 는 , 징어, 조개
것이에 . 한국에서는 부 이 해 로 해 .

을 리하지 고그 로 어 . 회 ㇓⻩〤⵬⻏㉏ㄆ⸳ⷢㆺ⹮㇣㈎"⾡㇅㉀⼈㈷⾅㓲㈎"

.
베트남의 수도는 하노이예요.
이 전통 이에 . 하노이는 쌀국수로 유명해요.

수 에서 한 이에 . 한국 로
국수 . 14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1 (자기 나라(고향)에서 유명한 것)

 도입, 제시  연습

1. 도시에서 한 것 에서 어 것을 알고 있는지 으 의 1. 각 도시에서 한 것을 보 지이 과 본 을 이 기해


어 는 도시에서 한 것을 할 사용하는 표현 을 알려 다. 본다.
᷶࿶ᖎὊ὾⣒ᆶᵎὢၦᇒᆆᵖᵎẞ%‫؂‬௎᫦ઞጾ᷑὆ၦἪ኏⵾ẞ% 2. 자기 나 의 수도 어 지, 으로 한지 과 화하도록
ḮઢὊ᷶࿶ࢢ྆ὢ௎᫦ᷚᤦἪ኏ⵦҍ὎ӿᖊ⵾ẞ 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한다. ᒪ⫂ࢲὢᨢ௎ઞⵢং὾Ḓẞⵢং὾ઞጾ᷑὆ၦἪ኏⵾ẞ%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4. 나 와 수도, 고 의 한 것, 한 에 해 이 기하는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활동으로 장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10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1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۹㉔⻏ⲕ 㓩ⷹ
⾦Ɐ㉔⵬゙⻓㉏㉔⼿㉃⽓㓬⺃゙㈕㓲㈎
이 고 하다
⿽㑰⵺⽙⼎ 건이나 사 의 이 을 할 사용한다. 사 의 이 을
㉚㉋ㄸ㉉⿽㑰⵺⽙⼎
⾵⻕ⲛ㓸㈔" Ó㒹Ô⻕ⲛ㓸㈔ ㇩⾪
할 는 는 이 고 합니다 는 제 이 이 고
Оⱉ㉔Ⱶ㉃ 㓫ⲿ
ⲿ⽓⼈
⽓⼈ ⾯⻏ⲕ 㓲㈎"
⵬㓫
 ⲿ⽓⼈Í㓛⽈㐫Î⻏ⲕ㓲㈎
합니다 의 로 사용 다.
О㉔⸽
㉔⸽⾦㉃㓫ⲿ⽓
ⲿ ⼈㈢
⼈ ㄎ㉔⻏ⲕ㓲㈎
О㍕㉅
㍕㉅ 〟Ⲃㄮ
〟Ⲃ ⷯⷹ
ⷯ ㊂ⷢ ㊌㉖
㊌ ㉔⻏ⲕ㓯ⷯ
ⷯⷹ
⿂ⲿ㇋ソㇾ
⿂ⲿ㇋ソㇾ
ㇾㆺ㈎ • 이것을 한국 로 고해
나 이 고해 .
֛ ㉔⻏ⲕ㓩ⷹ Оⱐ ࢉ ⱐ㉔⻏ⲕ㓩ⷹ

О㔼㇍ ࢉ 㔼㇍㉔⻏ⲕ㓩ⷹ

• 이 이
֛⻏ⲕ㓩ⷹ
⻏ⲕ㓩ⷹ О㓛⽈㐫 ࢉ
ࢉ 㓛⽈㐫⻏ⲕ㓩ⷹ 나 는 이 고 합니다.
О⿐ㄫ⳨ࢉ
ࢉ ⿐ㄫ⳨⻏ⲕ㓩ⷹ
•이 을 국이 고 해 .

1 ㇓⻩⵬⻏㉏ㇴ㉔⵬㉅ㄲ㉏㉔⼿㉃ㆺ⺗ⱼ⽓㓲㈎" •이 건을 상자 고 해 .
㓱ⳅ㉕㊊㑏ㇺ㉉㓱〓㉚⻕ⲛ㓸㈔
㉚㉋ㄸ㉉ヱ㒯㉚⻕ⲛ㓸㈔
㉝〕㉕㊊㑏ㇺ㉈⾵⻕ⲛ㓸㈔"

「⳨ 1) 「⳨ 1)

㓫」 ⳨⾈ⶭ ル㒩 ㈣〈

2) 3) 2) 3) 이 고 하다
이라고 하다 이 고 하다
( ) 지하 지하 이 고 하다
㎡㒀㇪ ㆒㇪㉢㉔
㆒ ㋩㊜ ㄨㄱ
국 국이 고 하다
2 ⷹ㉅㇋⸋㓲㉔ㆫ⳨㓲「ヌ㈎
기 기 고 하다
㊒㋂⸹ⷨア㉆⼎㈽⾋㓸㈔
ⲕ㓼㉏㉅ㄲ㉔⼿ ⲕ㓼㉏ⲤⲪ㋜㉔⼿
㓱⻕ア㉚⻕ⲛ㓸㈔
라고 하다 프 프 고 하다
ⲕ㓼㉏゜ⱕ㉔⼿ ( ) 상자 상자 고 하다
Ⲩ㊒ⲛ㔂㉈Ⲕ㎧ⱏ㆘⽅ⷿ㈞ⲥ㉚㇑㈔
Ⲩ 15 지 지 고 하다

문법 1 (이라고 하다)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ᵒ‫྆‮‬ᴲṊ⻎ᷞᴲЊ᫧ଃᷚᤦᒪ⫂ࢲὖ᫧὎ቃӪᾒᶾẞ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ᵒ‫྆‮‬ᴲЊ⇊ؒቃӪᾒઞὖ᫧ὢ὾ᆎ὾֋ؒ⵾ẞⵦշᇚ὾ᵎ૒ᷚẞ
ᒪ⫂ࢲᇚၦᵖӪᬀᶾẞ⇒ፂ⵪ൖĹ὾ҍ὎ፚ྆Ӫ⵾ẞ%ĺ὾ထҖ  연습 2
ፆᶾẞ‫؂‬࿶ቾ὾ᆎ὎ᵖီ℆ቾᤦଊ૿ⵢቾఆẞ‫ྡྷ؂‬ᤦ♦նЊ
1. 고 의 이 , 고 의관 지이 , 고 의 , 이 등의
Ĺ⯶྆Ӫ⵾ẞĺଊ૿὎ⶒᶾẞ὾ထҖᶾථҍὢ὾ᆎ὎ᇚ⵪ൖᖣ᷶ᤦ
주제에 해 운 문법을 사용하여 이 기해 보도록 한다.
ᇚ⵾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이해시 다. 1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13
50분 어휘와 문법 2 어휘와 문법 2

㇓⻩〤㉏ⲕ㓼⾈ㄮ㉂ㆺ⺃㈎"
이 다 건 이 0 , 0 이에 . 아 .
이 다 관에는 건이 있어 . 사 들의
Ɐ⾦㉔ⶶⷹ ㆫⲎ㉔㆒⼿⸄ⷹ
활을 알 수 있어 . 관 보통 도시에 이 있어 .
이 하다 여 이 있어 . 차 고사 도 아 . ⿐⾦Ⲥ㉔⽑ⷹ ⲹ㑉㉔㒩⽆㓩ⷹ
리도 시 . 이 해 . 그 서 을 기
어려 . ⳬ㉔」㉪㓩ⷹ ㌻ⱉ⽑ⷹ

사 이 다 도시에는 사 이 아 .
゙⻓㉔⽑ⷹ
이 다 의 를 이 고해 . 도시는
에도 을 .그 서 이아 다 .
교 이 리하다 도시에는 지하 , , 시 있어 . 게
Ⲡ⳨ⱉⴀⵡ㓩ⷹ
여기 기에 수 있어 .
゜Ⲣⱕ㉔㉞ⷹ
다 도시에는 에차 아 . ㊜㈕㓩ⷹ
㓫㊃㓩ⷹ
Ⲏ㎡ⱉ㆒⼿⸄ⷹ
⾦㉔ⴀⵡ㓩ⷹ
이 있다 시 에는 과 이 있어 . Ɐ⾦㉔⵹ⷹ
하다 사 이 지 아 .건 도 지 아 . 리도
조용해 . 한적해 .
이 하다 시 사 이 지 아서 도 지 아 .
을 수 있어 . 이 해 .
하다 시 차 지 아 . 그 서 기
㇓⻩〤㉏ⲕ㓼㉃㉔ㆫ⳨㓲「ヌ㈎
해 .
용하다 사 이 지 아서 시 운 리 어 . 조용해 .
제 고향은 몽골 울란바토르예요.
다 여기 기를 . 도 있어 . 도 있어 . 울란바토르는 차가 많아서 좀
나 도 있어 . 보기에 . 사진을 고 어 . 복잡해요.
아 다 .
이 다 시 건 이 지 아 .건 이 아 .
1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2 (도시와 시골의 특징)

 도입, 제시  연습

1. 도시의 습이 어 지, 시 의 습이 어 지 이 기하 는 1. 학 들에게 도시의 특징이 지, 시 의 특징이 지 문을


단어는 도시와 시 의 습을 할 사용하는 어 을 알려 다. 진다.
௎᫦ઞᶾൖẞ%᫦ӲὊᶾൖẞ% 2. 과 함께 자기 고 의 특징에 해 운 어 를 사용해 해 보도록
ḮઢὊ௎᫦Ṋ᫦Ӳ὎᤮኏⵪ᨢᾒઞᶾ⼢ᆆӿᖊ⵾ẞ 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한다. 55ᴲὢӪ⶯ὊᶾഞḒẞ%55ᴲὢӪ⶯Ὂᶾථӽ὾ᷚẞ%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Ḓẞ%ᾛὊ௎᫦Ḓẞ%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11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할 수 있다.
4. 운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1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ۻ‬㉂
㔖㈕゙⹘㇋〭ㆺ⹘㇋㇪ⷢ⾅゙⼾ⴽ⿂ⲕ⾅゙㉏㑫㋥㉔⵬ゥ㐠⼾⵬㐖⵽㈎

㕂㇓㆐㓯ⶳ㉚ⷨ 㓯ⶳ㉚ⷨ⿽㑰⵺㇑ッ 어 것의 상 를 할 사용한다. 용사 에 어


㇀⺔ⲥ㉚㇑㈔" ㊒㉝ 㐏⸹ㄷ㇩㈔ ㇩⾪
에 는 사의 특징, 상 를 할 사용한다.
Оⱉⳝⱉⱼ㇋
ⱼ ㈀㉢
㈀ ㊼ⱉ
㊼ ㈎"
⵬ㄼⲕ㇣ろㇴ㉔⽑㆒㈎
용사 운데 있다, 다 함 것 는과
О㊂ⷢ
합한다.
㊂ⷢ ⶒ㉂ ㋣㇋
㇋ソゞ
ゞⲕㄻㆺ㈎
Оㄱ㉭㇋ⷢㄼ

 ㉭㇋ⷢ ⲕ
ⲕ ⽘㉞ⷢ ㉅ㄲ
㉅ ㉔⽑㆒㈎

֛ ㉂ Оⶶⷹ ࢉ  ⶶ㉂ • 의고 어 이에
ùⱉ⳻ⷹ ࢉ  ⱉ⳴㈘
나 제 고 에는 바다 있어 .
֛ ˴ Оぅㄼⷹ ࢉ  ぅㄿ
Оⴀⵡ㓩ⷹ ࢉ  ⴀⵡ㓫
• 어 로 여행을 고 어
֛ ⷢ О⽘㉞ⷹ ࢉ  ⽘㉞ⷢ
О㉯⿂㇄ⷹ ࢉ  ㉯⿂㇄ⷢ 나 운 으로 고 어 .

1 ㇓⳨ⷢㆺ⹮㇣㈎"ㆺ⺎ⲟ㉔㇋㈎"㉔ㆫ⳨㓲「ヌ㈎ •이 삼 이 있는 이에 .
「⳨ 㐠ⲿ⿜㏛ • 아 다운 이어
㇙ⳮⷨ㐦ⳅ⿢㏡㉚㇑㈔
㇙ⳮⷨ㇀⹴㇩㈔"
⿢㏡㉈㍁ⱏ⽗ⲛ〓㉰㓱⸹ㄷ㇩㈔
㇀⺔ⲥ㉚㇑㈔"

㌻ⱉ⽑ⲕ」㉪㓩ⷹ
좋다 좋
1) 2) 3)
⿂ⲿⷚ㈏ ⿷㑪⵴㓩ⶭ㉔ ㋅ⲿゥ㓩㉔
-은 다
( ) 다 운
어 다 어
ⶶ㉂Ɐ⾦㉔⽑ⷹ 㐉㔛ㄆⱉ㉞ⷹ ㆫⲎ㉔㆒⼿⸄ⷹ

-ㄴ

2 ⷹ㉅㉃㎣Ⲿ㇋ⱼ⾥ⲕ㓮ⴖ㉔ㆫ⳨㓲「ヌ㈎ ( , )

㋢⳩㇀⺔ⲥ㇑ッ ㆧ㉆⼎㇀⺔ⲥ㇑ッ
イⲛ㉤㇀㈔" イⲛㅁ㇀㈔" 있다 있는
-는
재 있다 재 있는
(있다, 다)
Ⲩ㊒ⲛ㔂㉈Ⲕ㎧ⱏ㆘⽅ⷿ㈞ⲥ㉚㇑㈔
Ⲩ 17 재 다 재 는

문법 2 (-은)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ᵎࢢ὾᪮ᴲЊ⻎ᷞᴲṊ὾ᶆ‫غ‬ᆆⵢӪᾒᶾẞᢶ⇎὎ᓾቾᤦ⻎ᷞᴲὢ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Ӫ⶯ᷚଊ⵾ᤦ὾ᶆ‫غ‬ᆆ⵾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ᵎࢢ὾᪮ᴲЊ⻎ᷞᴲὢӪ⶯ᷚଊ⵾ᵖӪᬀᶾẞĹ௎᫦Њ⛮ẞ%Ӈ♢Њ  연습 2
ᵎᆎ૮Ỗẞ%জὊѾፆ὾ᇘᵎẞ%ĺ὾ҍ὎ᵖӪᬀ὎ൖĹᶾථӽ὾ᷚẞ%ĺ
1. 지 어 에서 고 있는지, 으로 어 에서 고 지 리
὾ထҖፆᶾẞ‫؂‬ᆶӪӪ⶯ᷚଊ⵾᤮኏⵾ẞĹ⡺௎᫦ḒẞӇ♢Њ
고 하 서 을 활용하여 자 의 이 기를 하도록 한다.
ᵎᆎ૮Ếӽ὾ᷚẞজὊѾፆ὾ᇘὊӽ὾ᷚẞĺ὾ထҖ‫؂‬ӽᷚଊ⵾
᤮኏⵪ൖ⸟ẳᢶᆆĹὊĺԆ⵲ۢᢶẳ⵾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1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해시 다.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15
50분 말하기와 듣기 말하기와 듣기

1 ⻏㕝⽐ㆊⱉ⸽⼛⹧㇋ⱼⲕ㓼㉃モⱛ㓲㈎ⷹ㉅Ⲣⱘ㉔㉔ㆫ⳨㓲「ヌ㈎

2-1 EBOOK
㔪 ⻏㕝⽐ㆊⷢⲕ㓼㉔ㆺ⹮㇣㈎"
2-1 EBOOK
1 2) ⻏㕝⽐㊌ⲕ㓼㉂⿜ⳡ⻏⸣ㄱⷹ㎫㇣㈎
⿜ⳡ⻏⸣ㄱ ⷹ㎫

황: 는고 이어 㔪 ⳝⲟ㉂ㆺ⺎ⲟ㉔㇋㈎"

라흐만: 제 고 하 이 . ⻏㕝⽐ⷹ㎫ⷢ㈖⽆⵬⻏ㄆ⸳㇣㈎ⶶ㉂Ɐ⾦㉔⽑ⲕ
゙⻓⸳⽑㆒㈎㊜ⳣ」㉪㓩㋜⽐Ⲏ㎡ⱉ㆒⼿ⷹ㈘
㊜ⳣ」㉪㓩㋜⽐Ⲏ㎡ⱉ㆒⼿ⷹ㈘
황: 그 어 이에
ⲟ㉔㇋㈎
라흐만: 하 이는 리 나 수도 . 건 이
고사 도 아 . 바이 아서
한 이에 .
1)⿜ⳡ⻏⸣ㄱ _ⷹ㎫
ⷹ㎫ _㊜ⳣ」㉪㓩㋜⽐Ⲏ㎡ⱉ㆒⼿⸄ⷹ
㊜ⳣ」㉪㓩㋜⽐Ⲏ㎡ⱉ㆒⼿⸄ⷹ
2)⿷㑪⵴
⿷㑪⵴ _㓩ⶭ㉔ _㇪㑂⿏㉔ⱉ⽑㆒ソ」㉪㓩ⷹ
㇪㑂⿏㉔ⱉ⽑㆒ソ」㉪㓩ⷹ

2
2 ㇓⻩〤㉏ⲕ㓼㉃㎣Ⲿ⹧㇋ⱼモⱛ㓲「ヌ㈎
가: 의고 이어
나: 제 고 제주도 .
가: 그 어 이에
나: 바다도 하고 아 다운 이에 .

1-L.mp3

ㇿ㕟ㆊⱉⲕ㓼㉃モⱛ㓲㈎㉧⹦ⲕ⸄㓲「ヌ㈎
1-L.mp3 왕흔(여): 안 하세 . 이 고 합니다.
여 분에게 제 고 을 개하 습니다. 1) ㈄㕤㆏ⷧㆿⷥ⵱⻔㇐ヂ㈃ㆿ㈓"Ⲛ㔁㉇ㆿ⹳㇨㈓"

는 국에서 습니다. 성 도 제 중국에서 왔어요, 고향은 산둥성 청도예요.


고 이에 . 여 분도 도 주를 아시지 2) ㈄㕤㆏㉔Ⲛ㔁㉇ㆿ⺓Ⲥ㉙㇐㈓"
리고 주 아주 한 이에 . 맥주가 아주 유명한 곳이에요.
여 분도 도로 세 .
18
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㔶㑏

자기 고향 소개하기  확장 연습

 대화문 연습 1. 자기 고 에 해 개하는 하기를 한다고 알려 다.


2. 과 이 고 에 해 이 기하게 한다. 화를 할 는다 과
1. 고 개에 해 이 기하 교재의 그 을 이용해 한다.
내용을 함하여 하도록 지시한다.
᥂ᢶྖὊጾ᷑὎ⵢӪᾒᶾẞ%
਎նὢӪ⶯ᷚଊ⵾ᤦ὾ᶆ‫ⵢغ‬Ӫᾒᶾẞ% ♦նὢӪ⶯὾ᶾഞᾂ⇊௎᫦ᾂ⇊᫦Ӳᾂ⇊ᶾථӽᾂ⇊ጾ᷑὾
Ἢ኏ⵦ⇊ፆᶾᓾӪଊ૿⵾ᓾ᥂ẞ
2. 지시문을 이용하여 화 상황을 학 들에게 하게 알려 다.
3. 이 기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3. 화를 들려주고 간단한 문을 하여 화 내용을 이해했는지 하고 를 수정해 다.
한다.
਎նὢӪ⶯ᷚଊ⵾ᤦ὾ᶆ‫ⵢغ‬Ӫᾒᶾẞ%
친구의 고향 소개 듣기
૮♾ઞᶾථӽ὾ᷚẞ%ፚЊₕᵎẞፚЊ⁺ؒᵒₕᵎẞ%
1. 지시문을 이용하여 등장 과 화 상황을 한다.
4. 교사와 함께 화문을 으 서 자 게 하는 습을 한다.
정도 해서 습한다. 2. 문제를 고 들어 하는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5. 교 어 를 활용하여 과 함께 습하게 한다. 3. 기파 을 고 문제를 게 한다.

6. 습이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4. 교재 문의 을 한 해 화를 이 으 내용을 한다.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1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읽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50분

1 ⷹ㉅ⳡ㉃㉘ⲕ㋠⾤㇋⸄㓲「ヌ㈎

㊁ Ⲋ㓱㈷ ⿬㑟⵩ 㓞ⶢ㉉㉑ⷤⷮ 㓞ⶢ㉉⷗


⿬㑟⵩㉄・⸨㉉Ⲋ⿬㑟⵩㇀ゲ㊁㉌㏾⸨ㄦ㉑ⷤⷮ
㓞ⶢ㉉㇀⷗ ⶫ㈷ Ɽ⾛㉉
Ɽ  ⽆Ⲋ ⳡ⸨ 。㉟㓤ⷤⷮ
ⷮ
㑠㕤㇟㐷⿄
㐷 ㉉ⰾ⽆ㆇゲ㊖。㉟㓤ⷤⷮ㓞ⶢ㉉⷗
㈺ㄧ㉉ ㄱⲊ ⽍㉓ㄣⷤⷮ ⰾ㉢
㉢ ㈬⽺㓠
⽺ ㈺ㄧ㈷
㈷
ㄵⲴ・㉑ⷤⷮ ⿬㑟⵩ ⽈⻽⷗ Í㒨Î⻄Ⲋ 㓤ⷤⷮ
⿬㑟⵩ゎ⻈⹜㈷Ɫ㉄⽒㉌Í㒨Î⼳⽡ㄣⷤⷮ㓞ⶢ㉉

Ⳕ㍊
㍊㇀㈬⽺㓠ⲙ
㓠 ⲟ㋑
ⲟ㋑ Í㓞⼄
⼄⿬㉉Î
㉉Îⰾ㉓
㉓ㄣⷤ
ㄣⷤⷮ㓞⼄⿬㉉㇀⷗㇈⻞ ⱐ㉄ セ㉉ ㉓ㆯゲ
ゲ ⿓⼳ 㐋Ⲋ
㐋Ⲋ 다 것보다 아주 아 .특 아 .
ⱆⷤ
ⷤⷮⲃ㎖ⰾ
ⰾ ㆇ⼴ⷮ㈍Ⲕ
㈍ ㉉⻄ゲㇻⲴ ゎ
ゎ⻈⸨⽆㉉㇨ⷤⷮ
지 사 들이 여행을 와서 구 하는 을
1) ㈺⳦㉔ⶂ㈚ⲧⱝ㉅⾆нⷾ⽀⾆
н ;㓮パ㈓ 단어장 관 지 고해 .
㑫㕯
Ұ㉙ゞ⻘㉔Ⲛ㔁㉇⿼㑯⵹㇐ヂ⹑⿳㋹⼍㐎⸸ㄶ㇨㈓ 
ⲤⲪ㋜
Ⲫ㋜ 에 바다 있어 . 보통 를 고 .
ұ㉙⸸ㄶⷧ⿱ㄭⱎ⽖㆗ヂ〒㉯㓰Ⲥ㉙㇐㈓ 
Ҳ㉙⸸ㄶⳤ㍚㇐㈼⾊㓰ⲩⲯ㋡ⱎ㉣ㆿ㈓ 

에 아 .
2) ㅅⳄㄋⷧ⿼㑯⵹⽘⼍⾴⻔Ⲛ㓷㈓" ‘포’라고 해요.
3) 㓮⼔⿼㉙ⷧㆿ⺓Ⲥ㉙㇐㈓" 경치가 아름다운 곳이에요.

2 ⲕ㓼㉃モⱛ㓩ⷢⳡ㉃ㅏ「ヌ㈎

제 고향을 소개합니다!
Ⲛ㔁 ㊒ⲛ㔂㉈

⸸ㄶ㑰㋪

㈼⾊㓰㉊ㄷ

㈼⾊㓰㉲ョ

Ⲩ㊒ⲛ㔂㉈Ⲕ㎧ⱏ㆘⽅ⷿ㈞ⲥ㉚㇑㈔
Ⲩ 19

고향 소개하는 글 읽기 자기 고향 소개하는 글 쓰기

1. 그 을 보 의 내용을 하게 한다. 1. 어 을 지 알려 주고 에 들어 내용을 각해 보게 한다.


᷶‫غ‬ઞᶾഞḒẞ%ᶾථӽ὾ᷚẞ% ḮઢὊᾚ‫غ‬Ӫ⶯὎ᦖЦⵢઞ؊὎ᴂѺḒẞ
ᢶ⇎ᷚጾ᷑὾ᾒᶾẞ% Ӫ⶯ᷚଊ⵾ጾ᷑὎ᦖЦⵢቾₕ὎ٖẞ%
ጾ᷑ᷚଊⵦࢾẳᾂҍУᵎẞ%
2. 교재 문에 해자 이 내용을 간단하게 하도록 한다. 교사는
2. 을 어 게한 주제, 내용 등을 간단 해 보도록 한다. 학 들이 에 는지 해 다.
ⵢং὾ઞᶾථӽ὾ᷚẞ% 3. 한 내용을 바 으로 로 성하게 한다.
ᒪ⫂ࢲᷚᤦἪ኏ⵦὖ᫧὾ፚḒẞ%
ⵢၻᒪ὾ઞᶾഞᷚᾒᶾẞ%ⵢၻᒪ὾ઞᶾථӽ὾ᷚẞ%

3. 을 다시 으 서 문제를 게 한다.
4. 을 이 한 , 본문을 다시 으 는 어 는지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과 17
30분 문화와 정보 문화와 정보

한국의 유명한 도시
㇙⻯〪㉈㓱ⳅ㉕㇀⺔⸹ㄷ⽄ㆢⷵ⳺"㓱ⳅ㉈㈽⾋㓱⸹ㄷⱏ⽗㉚㉤ㄴⷵⷿ㓱ⳅ㉕ㄌ⸹ⷨッ㈟㉢ⷵⷿ
ⳣ⽌ⲛ㊒㉕⸹ㄷⷨ〨ア㉢ⷵⷿ〨ア㉈㐏⿤ⱏ⹭㇀ㇰⲛ⵲ⱏⷨ㓷Ⳅ⸹ㄷ㉢ⷵⷿ㎉㍝㉈㐏㔡ㄌⱏ㉤ⷨ
㔡ㄌ㉕⸹ㄷ㉢ⷵⷿⲔ㋂ⷨⲨⱳㄹ⻕㉕ㄌ⸹⼎㇚ゟ㉕⸹ㄷ㉢ⷵⷿⳣ⽌ⲛ㊊㋂ⷨ⽞㉕⸹ㄷⷵ⳺⴪ⱏッ
⽞㉤ⷨ㉋ㄸ㉉⹩ヒ㈔

㎃㍗
㔛ㄆ㉏⸳ㄱ
1) 㓱ⳅ㇑ッ㊒㉕⸹ㄷⷨ㇀⹴㇩㈔"
2) ㎉㍝㉈㇀⺔ⲥ㉚㇑㈔"
3)㇙⻯〪㉈㉚⸹ㄷ⹭㋋㇑ッ㇀ⷦ⸹ㄷ㇑
ⱏⲛㅁ㇀㈔"

ソ㈙
㓫ⲿ㉏ㄆ⸳

㍝㊼
ⲹ㈸㉏⸳ㄱ

Ⲏ㊼
㇔゙㉏⸳ㄱ

㈙゜
㊄㊼ Ⲡ㇃⸳ㄱ
⽘㉏⸳ㄱ

〢゜
㓱Ⲿ⸳ㄱ

㊄㊼ぅお⿚

20
0 ゟ㔶㑏
㑏㓵㓡
㓡⼎ⳣ⻥
⼎ⳣ⻥ .
.,,3 
,,3 㓱ⳅ㇀ㇽ
㓱ⳅ㇀ㇽ 㓱ⳅ⾪㔫
㓱ⳅ㇀ㇽ ⾪㔫 ㍲⳪

한국의 유명한 도시

1. 이 단원의 문화와 정보 에 한 것 지 알려 다.
ⵦշὢ௎᫦὾ᆎ὎ᇘ὾ᵖᵎẞ%᷶࿶ᖎὊᶾഞᷚЊᔮᶾẞ%
ḮઢὊĹⵦշὢἪ኏ⵦ௎᫦ĺᷚଊ⵾ᵖᵎᔏ᫦૮

2. 교재의 그 (사진)을 보 서 주제에 해 알고 있는 것을 상기시 고


해 보게 한다. 이 관련 시각 자료를 로 활용할 수 있다.
᷶࿶ᖎὊⵦշᷚᤦᶾഞᷚОᶾẞ%
Ӈ℆ઞᶾථ௎᫦Ḓẞ%
ᖊᢺὊᶾථ௎᫦Ḓẞ%

3. 교재를 이 으 서 내용을 한다. 이 한 정보 있는


부분에 을 나 표시하게 하는 것도 좋다.
4. 문 1, 의 을 아보고 하게 한다.
ⵦշᷚᤦ…ὢ௎᫦ઞᶾഞḒẞ%
▢⒦Ὂᶾථӽ὾ᷚẞ%

5. 문을 이용하여 학습자 자 의 을 해 보도록 한다.


᷶࿶ᖎὊ᫦Ў὾ᾒ὆ቾ὾௎᫦ℛᷚᤦᶾഞᷚЊᓾӪᬀᶾẞ%

1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마무리 20분

1-P.mp3
발음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1)ⴆⵧ㓯ⷿ>ⴆⵞ㐜ⷿ@ 1-P.mp3
2)㓱㊉㓯ⷿ>㓱㊈㎱ⷿ@ , , , 에자
Ⲏ㊼〦ⲿ゙ 3)〓㉰㓯ⷿ>〓㋯㒆ⷿ@
, , , 로 다.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1) ⱏ㉚ⲥ㉈㇀⺔ⲥ㉚㇑㈔"
⵲⾬㉚ⴆⵧ㓱ⲥ㉚㇑㈔
2) ⱏ㕂㇓㆐ⲛ㔂㉈㇀⺔ⲥ㉚㇑㈔"
⵲㊒ⲛ㔂㉈㓱㊉㓱ⲥ㉚㇑㈔
3) ⱏ㈟⻗⿕㑈⽁ⷨ㇀⺉㈔"
⵲㍁ⱏ⽗㆘ッ〓㉰㓸㈔

배운 어휘 확인


㇪⻛⹅ⷹ 
」㉪㓩ⷹ


㔛ㄆ 
ㆫⲎ


⽞㊼ 
㆒⼿⸄ⷹ


⿶ⴭ 
ⲹ㑉


㓫ⱕ 
㒩⽆㓩ⷹ


㓲゜⾦ 
㓫㊃㓩ⷹ

〢゜ 㓲㈘⸋
〢゜㓲㈘⸋ 
クチ㔰 
ⴀⵡ㓩ⷹ


㊅ ゙㈢ 
㊜㈕㓩ⷹ


⿐⾦Ⲥ 
⵹ⷹ • 이 단원에서 운어 기 나는 것을 해 보세 .

Ɐ⾦ 
㑫㕯 • 이 단원에서 운 문법

ⶶⷹ 
ⲤⲪ㋜ •여 분 고 어 이에

⽑ⷹ 
テ
• 여 분의 고 을 개한다 어 것을 개하고 어
• 한국의 한 도시로는 어 있어
Ⲩ㊒ⲛ㔂㉈Ⲕ㎧ⱏ㆘⽅ⷿ㈞ⲥ㉚㇑㈔
Ⲩ 21

발음 10분 마무리 10분

1. 교재 1 을 들려주고 하 의 이 어 게 들리는지 학습자 1. 단원에서 학습한 어 기 하는 것을 해 보게 한다.


로 해 보도록 한다. 2. 운어 목록의 어 들을 으 서 의 를 상기시 다.
2. , 한적, 다 에 는 하 의 과 나 , , 3. 단원에서 학습한 문법( 이 고 하다, )을 상기시 의 와
파로 다는 것을 알려 다. 사용법을 기 하는지 한다.
, , , 에자 으로 되는 4. 단원의 목표와 성 도를 한다.
에 해 간단 할 수 있다. 그 나 이 여
5. 익힘책을 과제로 제시하고 리한다.
해서 학습하게 되므로 이 단원에서는 하 , , 파로
다는 것에 하는 것이 좋다.

3. 교재 1 을 다시 고 교사를 해 본다.
4. 교재 화를 고 해 본다.
5. 과 함께 화를 으 습하게 한 에 한다.

과 19
2 과
쓰레기는 내가 버릴게요

수업 목표 및 내용
쓰레기는 내가 버릴게요
제 안

어 안 관련 어 를 익 다.
문법 을게 , 다 에의 의 와
를 익 사용할 수 있다.

하기 기 사에서 사 이 의 할을
분 하는 화를 할 수 있다.
기 사 에 한 화를 고 이해할 ㋂㊒ ㇀㕔ㇽ⾪⿹
⿹ 㔮⹃ ⾪㔫ㇽ㊐〒
수 있다. ㋩㆚㉝ ㋩㆚㉝Ⲫ⼃ ㇀㕔 ㋩㆚㉝ 〪⸉㓯ⳮ ㆄ⻹ⳮ〪⽌ㄌⱳ
‫Ⲃ㉉ ܆‬㈔ ㋩㆚㉝ 〨㐝㓯ⳮ
㋩㆚
기 안 을 부 하는 의 을 고 ‫㉋ⷿ㉈ ܆‬㇑
이해할 수 있다.
기 , 구, 회사 동료에게 부 하는
을 수 있다.

기 분리수

수업 도입 /
1차시 어휘와 문법 2 2차시
전개 어휘와 문법 1

안 의 안 의
을게 다 에

pp. 16-19 pp. 16-19

2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도입 5분

도입

1. 교재 그 을 이용하여 학 들과 이 기하 이 과의
주제를 한다.
그림 ➊  ྆⽚ᇖᴲЊጾ᷑὎ⵢӪᾒᶾẞ%᷶࿶ᖎὊ

᷂…ᳺဒ‫غ‬ᆆᒎီẞ%
그림 ➋  ᵒ‫྆‮‬ᴲЊጾ᷑὎ⵢӪᾒᶾẞ%᷶࿶ᖎὊ
ᾆ℆ᾆᷚኑᒒ‟௎ⒷᦖṊᙲྡྷᆆ⵾ẞ%
그림 ➌  ࢲᾚЊጾ᷑὎ⵢӪᾒᶾẞ%᷶࿶ᖎὊẞᆶᆆ
❸ ᾢ⵾ẞ%

2. 화 내용을 정리하 이 단원에서는 안 의 ,


하는 방법 등에 해 부한다는 것을 알려 다.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이 단원에서는 안 과 관련 내용을
О㉔゙⻓⹧㉂⾡ㄪ㉗
㉗㉃㓲㈎" 학습합니다. 어 1과 어 에서
О㇓⻩〤㉂㋣㇋ソ⾡
⾡ㄪ㉗㉃㓲㈎" 안 과 관련 어 제시되기 문에
제시 수 있습니다. 어 1, 에 나 는
내용이 순서 바 지 고 순차적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 합니다.

문화와 정보 /
말하기와 듣기 3차시 읽기와 쓰기 4차시 5차시
발음 / 마무리

기 사 할 정하기 안 을 부 하는 기 기 분리수
사 할에 한 부 하는 기
화 기

p. 20 p. 21

과 21
45분 어휘와 문법 1 어휘와 문법 1

㉔゙⻓⹧㉂ㆺ⺎㋣㆔㉗㉃㓲㈎"

하다 운 방을 하게 들어 . ㍝モ㓩ⷹ こ⻛㓩ⷹ ㈎⽆㓩ⷹ

하다 이 . 을 과 세제에 고 하
게 들어 . 으로 해 . 세 기로 해 .
리하다 여 재료를 사용해서 을 들어 .

을 리하다 책을 아 . 그것을 책장이 고 해 .


책이 아서 정리해 . 책을 어서 수 있어 .
㍇㉭㉃㊊⽆㓩ⷹ
을 다 보통 와 을 사용해서 방바 을 아 . ㍝モ⳨⼾⸷⽆ⷹ
⿜㉃ⷻⷹ
을 다 방에 기 있어서 . 건을
정리하지 어 . 운 것, 정리하지 것을 려
. 방을 .
을 다 방바 에 지 아 . 자 를 사용해서
방을 어 .
ㅾ⻳⳨⼾⿬⽆ⷹ
리다 기는 전기를 사용해서 방을
하는 기계 . 동사는 리다를 사용해 .
리다 방을 고 는 건을 려 .
기를 려 . ⿜㉃㎡㈖ⷹ ⿜㉃ㆁⷹ

리수 하다 기를 이, , , 〤⽆ㄆⱭ⼾㓩ⷹ

리 등을 나 서 려 . 분리수 를 해 .
분리수 리수
24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1 (집안일의 종류①)

 도입, 제시  연습

1. 안 의 에서 어 것을 알고 있는지 으 의어 는 1. 각 안 의 사진을 보 을 하는지, 안 을 해 본 을


안 을 할 사용하는 표현 을 알려 다. 이 기해 본다.
᷶࿶ᖎὊ⇛ᵒᾆ὎ᾚ℆⵾ẞ%ጾ᪲ᾆ὎⵾ẞ% 2. 안 에서 을 자주 하는지 과 화하도록 한다.
ḮઢὊ⇛ᵒᾆὢ₏ᅢᷚଊ⵾ᤦӿᖊ⵾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ᖎὊ⇛ᵒᾆℛᷚᤦጾ᷑὎ᾚ℆⵾ẞ%
한다. ጾ᪲⇛ᵒᾆ὾Њᾯ᫦Ў὾ᇘ὾҂ᆶӪ⾢೮ᶾẞ%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4. 안 의 에 해 이 기하는 활동으로 장할 수 있다.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1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할 수 있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2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ⱼ㈎
ㇰⷩ㎩Ⳅ⹭㉚㈄㇀㈔
⿂⻛㇋ㆺ⺎㉗㉃㓬Ⱶ㉃ㆬャ㓬⺃㉏㋜⼾⵬㐖ⶀ⺃゙㈕㓲㈎
을게
⳩⿢ ㎧㈟Ⲃ㈔
⿢㉚㊧⸛⻴⶟㈔ 에 어 을 할 것을 다 사 에게 하 나,
㇩⾪
자기의 의지를 다 사 에게 알 주로 사용한다.
Оⱉ㉩ㄱ⹣ㆊ ㇪ⷣ㋜ⱊ㓹ㆺ㈎
㈎
⵬㊱ル㓯ⷯⷹⷹ㉅〢㐫㉗㌳ ㇭ⱼ㈎
하는 사 이 하고 것을 할 사용하므로 화할
О㊂ⷢ
사용하고 기에서는 사용하지 는다.
㊂ⷢ㆒㋝ ㉗㉃
㉃ ⷹ⾐
⾐㓹ㆺ㈎
⿚㉂ ⵬㋅㇋
⿚㉂⵬ ⽬㉃ⱼ㈎

О㊌ⱉク㉗
ク ㏉㉔㐇
㉔ ⼾ ㊾ぅ㓬ⱼ㈎

• 의 파 에 할
֛ ㉃ⱼ㈎ О⽬ⷹ ࢉ ⽬㉃ⱼ㈎

나 제 이 를 할게 .
О㆐ⷹ ࢉ ㆐㉃ⱼ㈎

֛ ˹ⱼ㈎ О㍝モ㓩ⷹࢉ
ࢉ ㍝モ㓬ⱼ㈎
• 는 시간에 이 구할
ù⽐⹧ⷹ ࢉ ⽐⹧ⱼ㈎
ࢉ 나 해서 는 게 .

• 하 에 1시간 운동할게 .
1 ⲹㄵ㇋ソ㒀㑸⼾㓬Ɑ㇣㈎⾡㇅㉃㓲㈎"ⷉⱉⳝ㉗㉃㓬Ɑ㇣㈎"
1) ㍇ゥ㉃㊊⽆㓩ⷹ
•제 을 게 .

2) ㉅⼛ㄆ⼾㊾ぅ㓩ⷹ
「⳨ ⿏ⷺ㉃ㆁⷹ
3) 㓍チ㉃ⷾⷹ

다 을게
⷏ⱏ⿕⸀㉉ㆇⱳ㇩㈔" ㊒ⱏ⿕⸀㉉ㆇⲂ㈔
-을게요 입다 입을게
( ) 다 을게
2 ㇓⻩〤㉂ⱉ㊝チクⷴ㎣Ⲿ⹧㇋ⱼㆺ⺎ㆬャ㉃㓲㈎" 다 들을게
〢⾈ⷴ㇋ⱼ
자다 게
チクⷴ㇋ⱼ ㇈⽔ㆧ㉆⼎㉝㌹㉝㇀⵷Ⲃ㈔
-ㄹ게요 사다 게
㎣Ⲿ㇋ⱼ
( , ) 운동하다 운동할게
Ⲩㆄ⻹ⳮⷨⶃⱏ⿲⽏Ⲃ㈔
Ⲩ 25 들다 들게

문법 1 (-을게요)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ᐆᴲṊᵖྷᴲЊ὾ᶆ‫غ‬ᆆⵢӪᾒᶾẞౚᢶྖὢᐳ὾ᶾൖẞ%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ౚᢶྖὊ⇊ؒᖊ⤺ጾ᷑὎⵪ٖ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ᐆᴲṊᵖྷᴲઞУ὾ᢾӪᾒᶾẞ‫؂‬࿺୺྆ᐆᴲઞ‫ⵦࡡٲ‬ҍ὎  연습 2
ₕᵎⵢઞᢶྖ὾ᷚẞ‫؂‬࿺♦նᷚҖᵖྷᴲЊᐂᵒ⵾ᤦᶇᦗ὎ⵢӪ
1. 부 에게, 에게, 구에게 하는 것에 해 운 문법을
ᾒᶾẞĻؒᐳ♢ỂҖẞļ྆Ӫᇚ⵾ẞᇚⵢઞᢶྖ὾೭ઞᢶྖᷚҖᶾථ
사용하여 이 기해 보도록 한다.
ⶓ௣὎ᶇᦗ὎⵪ൖĹ὎Җẞĺᆆᢶẳ⵾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이해시 다. 1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23
50분 어휘와 문법 2 어휘와 문법 2

㉔゙⻓⹧㉂㋜ⳣ⾯㓲㈎"

こ⻛⼾ⶐⷹ
다 를 이 있는 에서 려 . 를
ュこ⻛⼾㓩ⷹ
어 .

개다 다 어 . 를 정리해서
장에 을 . 를 게 는 것이에 . 를
개 .

리다 을 하게 들 . 를 こ⻛⼾ⱛⷹ ヌ㐗⳨⼾⸷⽆ⷹ ⷹ⽊㋠㉃㓩ⷹ


기계로 해 . 세 기를 려 .

하다 세 기를 리지 아 . 으로 를
해 . ッⱭ㋜㓩ⷹ

다 을 하다 에주 이 아 . 운 다리 로
다 을해 . 있게 을 입을 수 있어 .

㉅ㄲ㉃⽐⹧ⷹ
을 들다 있는 을 고 어 . 자기
을 들어 .

지하다 을 들 어 . 리를 했어 . 다 ㇓⻩〤㉂ㆺ⺎㋣㆔㉗㉔ㆺ⻻㈠㈎"

에그 을 어 해 . 리를 하고 그 을 아 .
저는 요리하는 것이 어려워요.
지해 .

2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2 (집안일의 종류②)

 도입, 제시  연습

1. 안 의 에서 어 것을 알고 있는지 으 의어 는 1. 각 안 의 사진을 보 을 하는지, 안 을 해 본 을


안 을 할 사용하는 표현 을 알려 다. 이 기해 본다.
᷶࿶ᖎὊ⇛ᵒᾆ὎ᾚ℆⵾ẞ%ጾ᪲ᾆ὎⵾ẞ%ḮઢὊ⇛ᵒᾆὢ₏ᅢᷚ 2. 안 에서 을 자주 하는지 운 어 를 사용해 과
ଊ⵾ᤦ୞ӿᖊ⵾ẞ 화하도록 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한다. ᷶࿶ᖎὊ⇛ᵒᾆℛᷚᤦᶾථ⇛ᵒᾆ὎ₕᵎ⵾ẞ%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ᶾථ⇛ᵒᾆ὾ᶾီỖẞ%ṦᶾီỖẞ%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1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할 수 있다.
4. 운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2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 ⷹ㉅㇋
ㆺ⺎㓺㈯⼾⽭㊂㓫㔼㇋⹘㉏㓺㈯⼾㓮㉃⵬㐖ⶀ⺃゙㈕㓲㈎
다 에
㆘ⷈ㍣ヨ⽄ 㓱ⷿ㉋㇑ 어 행 를 한 에 의 행 를 한다고 할
㋢⳩ㆄ⻹ⳮ⽄
ㆄ⻹ⳮ⽄⿲⽌ヒ㈔
⿲⽏⳺㈔" ㇩⾪
사용한다. 의 이 나고 나서 의 을 한다.
Оⱉㆺ㊌ ㊂ⶣ㇋ ㊡ㄚ㇆ㆺ
ㄚ ㈎"
"
⵬⶙ㄇ㊌⼾㓫ⷹ㉅㇋㊡ㄚ
ㄚ㇆ㆺ
㇆ ㈎

ОⲢ㉗㉃
Ⲣ㉗㉃㆐㉂ⷹ㉅㇋ⶅ㉭ⲕ㇋⶘
⶘㉀ヌ㈎

О㇟㔥』ⷹ㉅㇋ ⿚⽬㉃⳴
⳴㈎" • 에 부 해
나 을 다 에 을 아입어 .
֛ ㉂ⷹ㉅㇋ О⽬ⷹ ࢉ
ࢉ⽬㉂ⷹ㉅㇋
О㆐ⷹ ࢉ
ࢉ㆐㉂ⷹ㉅㇋ • 주 에 했어
֛ ˴ⷹ㉅㇋ О㍝モ㓩ⷹ ࢉ㍝モ㓫ⷹ㉅㇋
ࢉ 나 구와 영화를 본 다 에 을 어 .
ù ⽐⹧ⷹ ࢉ
ࢉ⽐⹥ⷹ㉅㇋

• 원에서 1시간 정도 다 에 를할 .
1 ㆼ㊌ⳝ㉗㉃㓬Ɑ㇣㈎"㉔ㆫ⳨㓲「ヌ㈎ • 과 사를 한 다 에 지했어 .
「⳨
㆘ⷈ㉝㉉⵩ⶅⷿ㉋㇑
㋢⳩⿠㉉⽲㉉ⱳ㇩㈔" ⽲㉉ⱳ㇩㈔

㉗㉃ⵣ⵽ⷹ ࢉ ⿚㉃⽬ⷹ

1) 2) 3)

다 다 에
ヌ㐗⳨⼾⸷⽆ⷹ ㄇ㊌⼾㓩ⷹ ㋣㇋㉞ⷢⱵ㉃ⷹ⽬ⷹ -은 다음에 입다 입 다 에
ࢉ ゙Ⲣ⼾゙ⷹ
( ) 다 다 에
2 ㇓⻩〤㉂ㆼ㊌㉔㉗⹧㉃㓬Ɑ㇣㈎"㉔ㆫ⳨㓲「ヌ㈎
다 들 다 에
ㄇ㊌
㇂㊒ㄍ㊒⽄㓲ⱳ㇩㈔" ㊢⳩ㄢⷿ㉋㇑㓲ⱳ㇩㈔
보다 본다 에
こ⻛
-ㄴ 다음에 사다 다 에
 ッⱭ㋜
( , ) 운동하다 운동한 다 에
Ⲩㆄ⻹ⳮⷨⶃⱏ⿲⽏Ⲃ㈔
Ⲩ 27 들다 다 에

문법 2 (-은 다음에)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ౚᢶྖ὾У὾ⒷᦖᆆⵢӪᾒᶾẞⵦᢶྖὊᳺဒ‫غ‬ᔓ⨶ᆆ೮ӪᾒӪ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ⵦᢶྖ὎ᦚ὆ၦᐞ૯὎Њᆶ⢮Ӫᾒᶾ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ᖎ⇛ᵒᾆὊᨦᤦЊℛẞ⵾ẞ᷶࿶ᖎὊᳺဒ‫غ‬ᆆቆ ᒎီẞ%  연습 1
Ⓑᦖᆆቆ ⵾ẞ%ቆ ⵢઞҍԆࢢℛᷚⵢઞҍὢᨦᤦᆆ
1. 제, , 지 에서 을 하고 에 을 하는지
ᇚⵢӪᬀᶾẞᓾ⦿Ĺቆ ⒷᦖᆆⵢӪ‫؂‬૮ὖᷚᳺဒ‫غ‬ᆆᒎᆶઞ
리 순서를 고 하 서 다 에 를 활용하여 자 의
ҍ὾ₕᵎẞĺ྆ӪᣧЋ⵾ẞ‫؂‬࿶ቾĻⒷᦖᆆⵦ૮ὖᷚᳺဒ‫غ‬ᆆ
이 기를 하도록 한다.
ᒎᆶ᥂ẞļ྆Ӫᇚ⵾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이해시 다. 1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25
50분 말하기와 듣기 말하기와 듣기

1 ⳨ㄇ゙㇋ソ㉩ㄱ⹣ㆊㇷ⿐㋞㈖ㆊⱉ㍝モ⼾㓩⻻ⲕ㓲㈎ⷹ㉅Ⲣⱘ㉔㉔ㆫ⳨㓲「ヌ㈎

2-2 EBOOK

1 2) 2-2 EBOOK
㉩ㄱ⹣㋣㉔㊡⸕⻮⶙㈎ⱘ㉔㋣㉃㎡㈠㈎

⿐㋞㈖ ⶙ⳝ⻛㈎⵽ⱉ㍝モ⼾㓬ⱼ㈎
㍝モ⼾㓬ⱼ㈎
잠시드: 이 . 이 을 .
㉩ㄱ⹣ㆊⷢ⿏ⷺ㉏⾦Ɐ⹧㉃㎡㈠㊼ヌ㈎
⾦Ɐ⹧㉃㎡㈠㊼ヌ㈎
박진우: ,그 . 내 방을 게 .
시 는 바 의 들을 주세 . ㉩ㄱ⹣ ㆗㆞ㆺ㈎⾦Ɐ㉃㎡㈘ⷹ㉅㇋ッⱭ㋜⼾㓬⳴㈎"
⾦Ɐ㉃㎡㈘ⷹ㉅㇋ッⱭ㋜⼾㓬⳴㈎

잠시드: 알 어 . 들을 운 다 에 방을 을 ⿐㋞㈖⶙ⳝ⻲ⱼ㓲㈎ㅾ⻳⳨ⷢ⵽ⱉ⿬⽉ⱼ㈎

박진우: , 그 게 해 . 기는 내 게 .

1)㍝モ⼾㓩ⷹ
㍝モ⼾㓩ⷹ _⾦Ɐ⹧㉃㎡㈖ⷹ
⾦Ɐ⹧㉃㎡㈖ⷹ _ッⱭ㋜⼾㓩ⷹ
ッⱭ㋜⼾㓩ⷹ 2)⿜㉃ㆁⷹ
⿜㉃ㆁⷹ _ㇴ⹧㉃㎡㈖ⷹ
ㇴ⹧㉃㎡㈖ⷹ _⿜㉃ⷻⷹ
⿜㉃ⷻⷹ

2
가: ,사 이 . 이 2 ⱘ㉔゙⾡ㄵ㉃㊊⽆㓬Ɑ㇣㈎ <정리할 일>
ⷉⱉ⾡ㄪ㉗㉃㓬Ɑ㇣㈎"㎣Ⲿㇷ㉔ㆫ⳨㓲「ヌ㈎ 책상 정리하기, 쓰레기 버리기,
나: , 그 . 제 책상을 정리할게 .
분리수거 하기, 청소기 돌리기,
가: 는 지를 한 다 에 기를 게 .
컵 설거지 하기
나: 알 어 . 제 책상을 정리한 다 에 기를 게 .

2-L.mp3
2-L.mp3 왕흔(여): 이 ,사 를 이해 .전 기부
㉔⽍ㆊⱉㇿ㕟ㆊㇷ゙⾡ㄵ㇋ソ㉔ㆫ⳨㓲㈎㉧⹦ⲕ⸄㓲「ヌ㈎
게 .
이링(여): . 그 전 할 1) ㈄㕤㆏ⱎ㉙⽒㆏㇐ⲁ⾦㇊㉈〧㐜㓾ㆿ㈓"

왕흔(여): 이 기들을 운 다 에 분리수 를 해 주세 . 쓰레기 치우기, 분리수거 하기, 컵 씻기, 책상 정리


이링(여): . 할 이 있어 2) ㈄㕤㆏ⷧ⽲㊇⾦ㄯ㉜㉈㓱Ⱳ㇨㈓"
왕흔(여): . 도 고 책상 정리도 해 주세 . 는 화장 을 Ұ〩⽋ㄋⱲ⽃㓱Ⱳ㇨㈓
할게 . ұ㔪㉲ㄺ㉈㍢ョ㓱Ⱳ㇨㈓
이링(여): 알 어 . Ҳ㍢ョⳭ⽃⸼⽎Ⱳ㇨㈓

28
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㔶㑏

기숙사 청소 역할 정하기  확장 연습

 대화문 연습 1. 사 에서 할을 정하는 하기를 한다고 알려 다.


2. 과 이 해 하는 에 해 이 기하게 한다. 화를 할 는
1. 에 해 이 기하 교재의 그 을 이용해 어 상황 지 해
다 과 내용을 함하여 하도록 지시한다.
보도록 한다.
ౚᢶྖ὾ᾒઞӽ὾ᶾഞḒẞ% ᢶጾ᫮὎Ⓑᦖ⵾ᶆఆẞጾ᪲ᾆ὎⵾ᶆ⵾ẞ%⇧Ԇ὾ᶆ‫⵾غ‬ᓾ᥂ẞ
‫غ‬ᨣᢶᐳ὾‫⵾ࡡٲ‬ẞ%୞࿶Ỗẞ% ቆ ጾ᷑὎ⵢӪ૮ὖᷚጾ᷑὎ⵢઞ⇊὾ᶆ‫⵾غ‬ᓾ᥂ẞ
᷶࿶ᖎὊᄂ቞὾⫂ṊᶾළҖⒷᦖ⵾ẞ% 3. 이 기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ᾆ὎ᶾළҖࢢ਎ᶾᤦⵢቾₕ὎ٖẞ% 하고 를 수정해 다.
2. 지시문을 이용하여 화 상황을 학 들에게 하게 알려 다.
3. 화를 들려주고 간단한 문을 하여 화 내용을 이해했는지 사무실 청소 역할에 대한 대화 듣기
한다.
1. 지시문을 이용하여 등장 과 화 상황을 한다.
ౚᢶྖὊጾ᷑὎⵪ѺḒẞ%
਎Њᐞ૯ὢፆѾ೮὎♢Ỗẞ% 2. 문제를 고 들어 하는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ᾪ᫦೦ᴲઞጾ᷑὎ⵦ૮ὖᷚጾ᷑὎⵪ѺḒẞ% 3. 기파 을 고 문제를 게 한다.

4. 교사와 함께 화문을 으 서 자 게 하는 습을 한다. 4. 교재 문의 을 한 해 화를 이 으 내용을 한다.


정도 해서 습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5. 교 어 를 활용하여 과 함께 습하게 한다.


6. 습이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한다.

2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읽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50분

1 ⷹ㉅ⳡ㉃㉘ⲕ㋠⾤㇋⸄㓲「ヌ㈎

1) 】〧⽀ ㆏ㇼ ㉮ㄶ⹨ ㆏ⷧ ㇯ⷨ ㊇ⶨ㇐


、〗⼰ㅿ
⾦ㄯ㉜㉙㉣ㆿ㈓"
㇟ⷘ㉷⶘㇀㈋⼻㋘㇀ゲ㑵㑭ⰾ㉓ㆯ㈃ 집에서 파티를 해요.
2) 】〧⽀㆏ㇼ㉮ㄶ⹨㆏ⷧⱏⱏ⾦ㄯ㉜㉈
㉕㋑ㆋ㆓㋑㈃"
㑃Ⳕ㔱㇀⽃㑟㇀ゲ㉢、Ⲋⱂⱱ㈃ 㓱Ⱳ㇨㈓"
、〗⼰ㅿⰾⱢㄪ㍒プ㊖㓧㊱チ㈃
㍒プⳝ⼳⸬⼽ⷮ㈺㇀ⱦ⻨㋕㈸〗㐌㓧㈃ ㉯ㄷ⹩ 〒〨⽁
ㆇ㌵〗ㆾ㇀㈺ㄧ⾛ㅳ⻨ⳝⰾ㉓ㆯ㈃
ㅳ⻨ⳝ⸨⿡⻰㊱チ㈃ 마트에서 거실 청소,
㉞ㄦ⹘⹘⼿ 장 보기 음식물 쓰레기 버리기 회사 이 어 . 회사에서 으로 아 .
해 .
1) ㉙⽒㆏ⷧ㈅㈄㕤㆏㇐ⲁ⽻⾍⽃ㅛㆿ㈓" 다 전에는 그것을 알 어 . 그 데 지 그것을
ㇴ㕔ㅿa
2)
부탁할 일이 있어서 메모를 썼어요.
㉙⽻⾍㉔ⶂ㈚ⲧⱝ㉅⾆ нⷾ⽀⾆
н 기 하지 해 . 리에 어 . 보통 과 로 이
ⳙ㓠㉌㉉イⱹゲ⽢㉷ⵡⰾ㈃
㊖㉹㇀チ㐌ⳝ⼳⸬⼻ⳝㄦ㉘㓮ㆯ㈃ ;㓮パ㈓ 사용해 . 을 어 .
チ㐌㉉ⵘⵤⷮ㈺㇀え⻐⼳ⶅㆯ㊱チ㈃ Ұ㈄㕤㆏ⷧパ㐜Ⳮ⽃⸼⼇ㆿ㈓ 
㇟ⷘ㈷㋘㇀㉌㌨㇢ⱱ㈃ ұ㉙⽒㆏ⷧじ⻠⽃ⶕ㇋ㆿ㈓  다 에서 한 건이 있어서 , ,
㉉⹮ⰾ㉷⶘㇀《㈃AA Ҳ㉙⽒㆏ㇼ㈄㕤㆏ⷧ㊇ⶨ⺈㋨㇐ヂ 시장에서 건을 사 . 장을 .
㉉⽂⹘⼿ 〕Ⱳ㇨㈓ 
를 사용해서 방을 아 . 해 .

리한 다 에 기 이
2 ⱉ㊝㉔⵬㎣Ⲿ㔰゙⸽⼛⹧㇋ⱼ㉗㉃〢㐗㓲「ヌ㈎
나와 . 리는 을 기 고해 .
Й ⷎⳃ㇐ⲁ⽻⾍㓷㈓" 기 에 려 .
0(02 단어장

㑎ⳟ
이 다 하다는 시간이 는 .
㉠ⷹ
Й ⾦ㄯ㉜㉙㉣ㆿ㈓"
㉭「ⷹ
그 이 는데 자기 그 이 있어 . 그것을
ⱱ⻳㋠ 기다 고 해 . 보통 한 이 어 . 고
Й ⾦㇊㉈〧㐜㓷㈓" ㉅ㄲ⾦ㅾ⻳⳨

사용해 .
ⳤ㓫 ㉗㉔ ク⳨ⷹ
ⳤ㓫㉗㉔ク⳨
ク⳨
⳨ⷹ

Ⲩㆄ⻹ⳮⷨⶃⱏ⿲⽏Ⲃ㈔
Ⲩ 29

집안일을 부탁하는 메모 읽기 부탁하는 글 쓰기

1. 그 을 보 의 내용을 하게 한다. 1. 어 을 지 알려 주고 에 들어 내용을 각해 보게 한다.


὾ҍὊፚḒẞ%਎Њ਎նᷚҖᮆᶾẞ% ḮઢὊ૮ᆂᢶྖᷚҖ᷶࿶Њ⇊ᖊ⣋ⵢઞ؊὎ᴂѺḒẞ
ጾ᷑ᷚଊⵦࢾẳᾂҍУᵎẞ% Њ⁻♦ն⺖ᢶ௣ზᷚҖጾ᷑὎ᖊ⣋ⵢӪᬀᶾẞ%

2. 을 어 게한 주제, 내용 등을 간단 해 보도록 한다. 2. 교재 문에 해자 이 내용을 간단하게 하도록 한다. 교사는


ᾪ᫦೦ᴲЊᓾᖊᅾᴲᷚҖጾ᷑὎ᖊ⣋ⶒᶾẞ% 학 들이 에 는지 해 다.
ᾪ᫦೦ᴲઞጾ᷑὎ⵢ࿶Оᶾẞ% 3. 한 내용을 바 으로 로 성하게 한다.
὾ᇋᴲЊṟ⽞ᴲᷚҖጾ᷑὎ᖊ⣋ⶒᶾẞ%
὾ᇋᴲઞṦࢢОᶾẞ%

3. 을 다시 으 서 문제를 게 한다.
4. 을 이 한 , 본문을 다시 으 는 어 는지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과 27
30분 문화와 정보 문화와 정보

쓰레기 분리수거
㓱ⳅ㇑ッⷨㆄ⻹ⳮ⽄〪⽌ㄌⱳ㓵ⷵⷿ㉝⿙ㆄ⻹ⳮⷨ㊪⻮㊒
〚㑙㇑⶞㇀ッ⿲⽑ⷵⷿⷿㄷㆇㄌ㉤ⷨⴄ㑏『㓣⻕ㄮ㑿
㊪㉚ ⹲㉈ 〪⽌ㄌⱳ㑏㇑ ⿲⽑ⷵⷿ ㉋ㄸ⾬ ㆄ⻹ⳮⷨ ㉋ㄸ⾬
ㆄ⻹ⳮ〚㑙㇑⶞㇀ッ⿲⽑ⷵⷿ㈔㋞㉈㉋ㄸ⾬ㆄ⻹ⳮ㊪⻮ⳮ㇑
⶞ⷨⲔ㈜⸹⽗ㄴⷵⷿ㋢㇚⽔ⷿㆄ⻹ⳮ⽄⿲⽌ⷨ⵷㋯⵲㉳ヨ
ㆄ⻹ⳮ〚㑙⹲㉚ⷿ⽆ⷵⷿ

1) ㉝⿙ㆄ⻹ⳮⷨ㇀⺝Ⲃ⿲⼁㈔"
2) ㉋ㄸ⾬ㆄ⻹ⳮⷨ㇀⺝Ⲃ⿲⼁㈔"
3) ㇙⻯〪㉕ⲛ㔂㇑ッⷨㆄ⻹ⳮ⽄㇀⺝Ⲃ⿲⼁㈔"

플라스틱 고철/캔

30 ゟ㔶㑏㓵㓡⼎ⳣ⻥ .,,3 㓱ⳅ


㓱ⳅ
ⳅ㇀
㇀ㇽ
ㇽ㓱
㓱ⳅ⾪㔫
㓱ⳅ⾪
⾪㔫
⾪㔫
㔫 ㍲⳪
㔫㍲⳪
⳪


쓰레기 분리수거

1. 이 단원의 문화와 정보 에 한 것 지 알려 다.
ⵦշᷚᤦᳺဒ‫غ‬ᆆᒎီᔮ⇊ẞ%ḮઢὊĹᳺဒ‫غ‬ᖎᆶᨢѺĺᷚଊ⵾
ᾚ᥂⾒ᵖᵎᔏ᫦૮

2. 교재의 그 (사진)을 보 서 주제에 해 알고 있는 것을 상기시 고


해 보게 한다. 이 관련 시각 자료를 로 활용할 수 있다.
᷶࿶ᖎὊ᷂…ᳺဒ‫غ‬ᆆᒎီẞ%
ᳺဒ‫غ‬ᆆᒎᆾൖઞᶾഞᷚᒎီᶆ⵾ẞ%
ⵦշᷚᤦὖ᫧ፆᳺဒ‫غ‬ઞᶾළҖᒎီẞ%

3. 교재를 이 으 서 내용을 한다. 이 한 정보 있는


부분에 을 나 표시하게 하는 것도 좋다.
4. 문 1, 의 을 아보고 하게 한다.
ᾆᐢᳺဒ‫غ‬ઞᶾළҖᒎီẞ%
ὖ᫧ፆᳺဒ‫غ‬ઞᶾළҖᒎီẞ%

5. 문을 이용하여 학습자 자 의 을 해 보도록 한다.


᷶࿶ᖎὢӪ⶯ᷚᤦઞᳺဒ‫غ‬ᆆᶾළҖᒎီẞ%
ᳺဒ‫غ‬ᒎᆶઞᐳᒟ὾ᶾચҍ὾୞ₕὊҍУᵎẞ%

2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마무리 20분

2-P.mp3
발음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1)イⲂ㈔>イⴜ㈔@ ‘ ’에 는 2-P.mp3
2)ㇳⲂ㈔>ㇳⴜ㈔@
에자 , , ,
3)⸽⽏Ⲃ㈔>⸽⽏ⴜ㈔@
, , , 로 다.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1) ⱏ㉚⿴㇑ⷨ㊒ⱏ㏅㓧⽄イⲂ㈔
 ⵲⶟㊭㆘㈔ⷿ㉋㇑ⷨ㊒ⱏイⲂ㈔
2) ⱏ㋢ⱐ㓯⾇㆚⹉㈔
 ⵲㊷ヱ㓵ⷵⷿⷿ㉋〨㐱㉝㌹ㇳⲂ㈔
3) ⶃⱏ ㍣ヨⳮ⽄ ⸽⽏Ⲃ㈔ ㉯ㄷ⹩ ㆐ⷨ ⾬Ⱶ⹭㉉
㎧㈦㋂ヒ㈔

배운 어휘 확인


㍝モ㓩ⷹ 
ヌ㐗⳨⼾⸷⽆ⷹ
종이

こ⻛㓩ⷹ 
ⷹ⽊㋠㉃㓩ⷹ


㈎⽆㓩ⷹ 
ュこ⻛⼾㓩ⷹ


㍇㉭㉃㊊⽆㓩ⷹ 
㉅ㄲ㉃⽐⹧ⷹ


⿜㉃㎡㈖ⷹ 
ッⱭ㋜㓩ⷹ


⿜㉃ㆁⷹ 
㑎ⳟ


⿜㉃ⷻⷹ 
㉠ⷹ


㍝モ⳨⼾⸷⽆ⷹ 
㉭「ⷹ


ㅾ⻳⳨⼾⿬⽆ⷹ 
ⱱ⻳㋠ • 이 단원에서 운어 기 나는 것을 해 보세 .

〤⽆ㄆⱭ⼾㓩ⷹ 
㉅ㄲ⾦ㅾ⻳⳨
• 이 단원에서 운 문법

こ⻛⼾ⶐⷹ 
ⳤ㓫㉗㉔ク⳨ⷹ
• 안 을 자주 해

こ⻛⼾ⱛⷹ
• 안 을다 사 에게 부 해 어
• 기 분리 수 방법을 알고 있어
Ⲩㆄ⻹ⳮⷨⶃⱏ⿲⽏Ⲃ㈔
Ⲩ 31

발음 10분 마무리 10분

1. 교재 1 을 들려주고 게 의 이 어 게 들리는지 학습자 1. 단원에서 학습한 어 기 하는 것을 해 보게 한다.


로 해 보도록 한다. 2. 운어 목록의 어 들을 으 서 의 를 상기시 다.
2. , , 다 에 는 게 께로 다는 것을 알려 다. 3. 단원에서 학습한 문법( 을게 , 다 에)을 상기시 의 와
에 , , , 으로 되는 에 사용법을 기 하는지 한다.
해 간단 할 수 있다. 그 나 이 다 어 , 4. 단원의 목표와 성 도를 한다.
어 와 합하는 에서도 여 해서 학습하게
5. 익힘책을 과제로 제시하고 리한다.
되므로 이 단원에서는 게 께 로 다는 것에
하는 것이 좋다.

3. 교재 1 을 다시 고 교사를 해 본다.
4. 교재 화를 고 해 본다.
5. 과 함께 화를 으 습하게 한 에 한다.

과 29
3 과
이걸로 한번 입어 보세요

수업 목표 및 내용
이걸로 한번 입어 보세요
제 건 사기

어 , , 용 동사 관련 어 를 익 다.
문법 이나, 어 보다의 의 와 를
익 사용할 수 있다.

하기 게에서 사고 에 해
화를 할 수 있다.
기 사고 에 한 화를 고 이해할 ㋂㊒ ㇀㕔ㇽ⾪⿹
⿹ 㔮⹃ ⾪㔫ㇽ㊐〒
수 있다. ⾬Ⱶゟⳮ ㇺㄹ⿛Ⲫ⼃⼃㇀㕔 ㇺⱏⲂ
Ⲃ㇑ッㇺゟⳮ 㓱ⳅ㉕㊊㑏ㄷ㉳
‫⵲㉚ۿ‬ ゟⲛㅁ
ㅁ㉈ㇺヨⱡ㓯ⳮ
기 의 특징에 한 을 고 이해할 수
‫ ܆‬㇀〒ⷿ
있다.
기 자 이 사고 에 해 개하는
을 수 있다.

한국의 전통 시장

수업 도입 /
1차시 어휘와 문법 2 2차시
전개 어휘와 문법 1

의 관련 과 용 동사 의 관련 과 용 동사②
이나 어 보다

pp. 22-25 pp. 22-25

3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도입 5분

도입

1. 교재 그 을 이용하여 학 들과 이 기하 이 과의
주제를 한다.
그림 ➊  ⻎ᷞᴲṊ᪶‫غ‬Њጾ᷑὎ⵢӪᾒᶾẞ%
᷶࿶ᖎὊᶾഞᷚᤦṁ὎ᢶẞ%
그림 ➋  ᾪ᫦೦ᴲЊጾ᷑὎ᓾӪᾒᶾẞ%
᷶࿶ᖎὊᶾഞᷚᤦ᫪ᐦ὎ᢶẞ%
그림 ➌  ᵒ‫྆‮‬ᴲЊጾ᷑὎ᢶӪᾒᶾẞ%
᷶࿶ᖎὊᶾථЊᐳ὾ⵎẞ⵾ẞ%
❷ 2. 화 내용을 정리하 이 단원에서는 , , 용
동사 등에 해 부한다는 것을 알려 다.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이 단 원 과 관계있 는 단 원 들 아 와
습 니다. 관 련 단 원의 학 습 내 용 을
하 서 지도에 고하시 좋을 것
습니다.
• 주제: 단원
О㉔゙⻓⹧㉂ⱉⱼ㇋
㇋ソ⾡㇅㉃゙㈎"
1 과
О㇓⻩〤㉂㈎㋘⾡㇅
⾡㇅㉔㓤㈎㓲㈎"
이 단원에서는 용 동사와 관련
어 를 학습합니다. 각각의 의 에
지는 용 동사 를 구분하여
제시해 합니다.

문화와 정보 /
말하기와 듣기 3차시 읽기와 쓰기 4차시 5차시
발음 / 마무리

게에서 사기 의 특징에 한 기 한국의 전통 시장


사고 에 한 화 기 사고 에 한 기

p. 26 p. 27

과 로한 어 31
45분 어휘와 문법 1 어휘와 문법 1

⾡㇅㉃ㄳ㇆ㆺ㈎"⾡㇅㉃ㅖㆺ㈎"

다 운 에 자를 .
ㅾⷹ
을 다 바이를 는 을 .
⾈㉢ ㆔Ⲏ
전 다 업장에서 을하 안전 를 . 㔉⽼ チⳡ⻏ㄨ
㆔㊄⾈
을 다 눈이 나 사 안 을 .
다 이 에 를 ㄳⷹ
.
㈘⸽㔥 ォ⹧
다 편하게 을 운동화를 어 . Ⲿ⹌ 〢㎙
ㄫ⽆㒗 ㉣㇃㔥
들을 다 여 에 들을 어 .
다 회사에 는구 를 어 .
다 에부 를 어 . ㉔ㄳ⿕㉔ㆺ⺃㈎"

리 다 에나 리 를 어 .
업 다 업장에서 을 할 는 업화를
어 .

㎡ㄆ ゙㉔㋔ ⱉ㉣ⷹ ㎡ㄆ ゙㉔㋔ ⱉ㐇ⷹ ㎡ㄆ ゙㉔㋔ ⱉ㉧⽚ⷹ ⳇ㉔ⶶⷹ


수 다 나에게 , 이 아 . 수 아 .
어로는 사이 고해 .
㎣Ⲿ⹧㉂⾡㇅㉃ㄳ㇆ㆺ㈎"㉔ㆫ⳨㓲
㓲「ヌ㈎
수 다 나에게 , 이 . 수 . ,
, 사이 있어 .
후엔 씨가 부츠를 신었어요.
수 다 나에게 , 의 수 아주 좋아 . 잘 어울려요.

수 맞아 .
이 다 이 아 .구 의 이 아 . 는
이 아 . 34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의류 관련 명칭과 어휘 1 (착용 동사①)

 도입, 제시  연습

1. 다, 다에 수 있는 단어로 어 것을 알고 있는지 으 의 1. 각 사진을 보 수 지, 지, 맞는지 이 기해 본다.


어 는 용 동사를 할 사용하는 표현 을 알려 다. 2. 구들이 을 는지 과 화하도록 한다.
᷶࿶ᖎὊḮઢጾ᷑὎ᮆᶾẞ%ጾ᷑὎᫪᷒ᶾ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ḮઢὊ␳ẳ௣ᢶᆆӿᖊ⵾ẞ
55ᴲЊḮઢጾ᷑὎᫪᷒ᶾẞ%♢ᨢЊᶾൖẞ%և὾ᶾൖẞ%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4. 다양한 용 동사에 해 이 기하는 활동으로 장할 수 있다.
한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할 수 있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3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۹㉔⵬
チ㐡㓬ㄆ㉞ⷢ⹌ⱉ㋜㉔ゥ㉃⽓㓬⺃゙㈕㓲㈎

㎩Ⳅサ㉝㉚ⷿ㉋⸄㉚㇑㈔
⾧㄰デ⾬㉚㊭㆘㈔" 할 수 있는 지 이상을 할 사용한다.
ㇺ㉚⵲ㆩヒッ⽌⽄
⵲ ㇩⾪
ゟ㋂ヒ㈔ Оⱉ㊂ⷢ⽝㈘㉅ㄲ㉃
㉅ㄲ㉃ ㉧⾐⽬
⽬ㆺ㈎
⵬ⳝ
 ⻭ァⲐ㐟
㐟㉔⵬㎮ⲿㄆ⼾⹣
⹣ヌ㈎

О㊂ⷢ
㊂ⷢ ⿬ㄨ⵬㋜㓩㍘㉃
㉃ 㐖ⲕ㔰゙
゙㇋ⱉ㈎ • 아 에 을 어
О⻏⿄
⻏⿄ㆊ
ㆊ 㑂㈎㉗
㑂㈎ ㉔⵬ ㉗㈎
㈎㉗㇋ㄱ
ㄱⱋ㉔ 나 는 이나 과 을 어 .
㉞ㆺ㈎"ⱘ
㉞ㆺ㈎"ⱘ
ⱘ㉔㇟㔥〕
〕㈎
• 이 방학에는 어 에
나 부 이나 주에 .
֛ ㉔⵬ Оォ⹧ ࢉ ォ⹧㉔⵬ㄫ⽆㒗

Оⱉ⿜ ࢉ
ࢉ ⱉ⿜㉔⵬⾈㉢ • 이나 하 운동화를 사고 어 .
֛⵬
⵬ О㎿㓡  ࢉ
ࢉ ㎿㓡⵬㊼ㄨ
О㈘⸽㔥
㔥 ࢉ
ࢉ ㈘⸽㔥⵬Ⲿ⹌ • 페에서 나주 를 .

1 ㇓⻩〤㉂⾡㇅㉔㊧㆒㈎"㉔ㆫ⳨㓲「ヌ㈎

「⳨
㊈ⷨ㈞⹃㔫⵲⾎㉨⽄
サ㉝㇑⾧㄰デ⾬㉉ ⿚ⲛㅁ㇀㈔
⿚ⲛㅁ㇀㈔"

チ⾦

1) 2) 3)

㇓㓺 ㉅ㄲ ㋣⹧㉔チ⾦
방 방이나
이나
안 안 이나
2 ⷹ㉅㉃㎣Ⲿ㇋ⱼ⾥ⲕ㓮ⴖ㉔ㆫ⳨㓲「ヌ㈎ ( )
들 들이나
㇀⺔㉋ㄸ㉉⽲ⲛ ⾧㇋㉉⿤㈜ⲛ
㇀⺔ㄹ⿛㉉ゟⲛ ㅁ㇀㈔" ㅁ㇀㈔"
㇀⹴㇑ⱏⲛ 자 자나
ㅁ㇀㈔"
ㅁ㇀㈔" 나

( )
Ⲩ㉚ⱷ⼎㓱⿴㉢㇀〒ヒ㈔
Ⲩ 35 부 부 나

문법 1 (이나)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ౚᢶྖ὾ṁЊҖᷚᤦṁ὎ᓾӪᾒᶾẞౚᢶྖὊጾ᷑὎ᢾѺḒẞ%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ࢲᾚЊ♦նὢᣧᾆᤪፆ὎ᢶӪᬀᶾẞ‫ྡྷ؂‬ᤦ᷶ᾚᷚҖጾ᷑὾
ₕὊ⇊ፆᶾᔚẞ᷶ᾚЊĹṁ὾ₕᵎẞ‫؂‬ᆶӪᵫ᥂ᤦᆶ௎ₕᵎẞĺ྆Ӫ  연습 2
ᣧЋ⵾ẞౚЊ⇊ᆆⵦፂᾯ὆ၦУ὾ᇚⵢӪᬀ὎ൖĻṁ὾ࢢ
1. 어 을 사고 지, 어 을 고 지, 어 에 고
ᵫ᥂ᤦᆶᆆᢶ℆᥂ẞļ྆Ӫᇚⶒᶾẞ὾ထҖᤪ⣧⵪ᨢᾒઞౚЊ⇊ᆆ
지, 을 고 지 등의 주제에 해 운 문법을 사용하여
ᇚ⵪ൖĹ὾ࢢĺᆆᢶẳ⵾ẞ
지 이 기해 보도록 한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이해시 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로한 어 33
50분 어휘와 문법 2 어휘와 문법 2

⾡㇅㉃㉜㇆ㆺ㈎"ㆺ⺎ㆣヌソ⽆⼾㓹ㆺ㈎"
다 를 입어 .
㉜ⷹ
를 입어 .
다 회사에 는 목이 있는 을 입어 . 를 입어 . 㑸フ㎙ ㍝⿏㋜
다 성들 보통 를 입어 . 여성들 를 フ㎙ ㎡⽎
입어 . 에 여성들 보통 를 입어 . ぁ⻏㈖ㄨ ㈢㓡ㄨ
㏚㑪 ㊇㒗
다 에는 고 운 를 입으 해 .
⿏㋜ ㊜ⵤ
지 다 여 에는 바지를 입어 . 에는 바지를 입어 .
지 다 여행을 편한 바지 해 . 이 이에 .
㓩ⷹ
바지를 입어 .
다 성들 바지를 입어 . 여성 바지도 입고 도 ㄨ㎫㓛 ⳓⱱ㉔
입어 . ⾉⸳⽆ ⾉ⱱ㉔
원 다 와 하나로 이 있어 . 구의
에 해서 원 를입 어 .
다 을할 나 에 을 입어 . ㉔ㇴ㉔ㆺ⺃㈎"
점 를 입어 .
다 업장에서 을할 조 를 입으 편해 . 주 니
이 있어 . 건을 어 .

하다 여성들 지 목을 하게 하고 어 .
프를 해 . ⳬ㉔ⱉ㋮ⷹ ⳬ㉔ⱉⳬⷹ 㒩㓩ⷹ ⹮㉢㉖㉔⽎㉅㇋⹧ⷹ
목도리 하다 에 서 목도리를 했어 .
이 하다 에 하는 세서리 .
목 이 하다 목에 하는 세서리 . ㎣Ⲿㇷㇴ㇋⸋㓲㉔ㆫ⳨㓲「ヌ㈎

티셔츠는 편하지만
옷이 어때요? 치마는 길이가 좀 짧아요.
이 다 , 바지 다리에 해서 아 . 이 아 .
이 다 , 바지 다리나 에 해서 어 . 이 어 .
하다 을 게움 수 있어 . 이 편해 .
이 에 들다 의 양이 아주 좋아 .
3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
㍲⳪
㍲⳪
㍲⳪
⳪


의류 관련 명칭과 어휘 2 (착용 동사②)

 도입, 제시  연습

1. 입다, 하다에 수 있는 단어로 어 것을 알고 있는지 으 의 1. 각 사진을 보 이 지, 지, 편한지, 자 이 에


어 는 용 동사를 할 사용하는 표현 을 알려 다. 는지에 해 이 기해 본다.
᷶࿶ᖎὊḮઢጾ᷑὎ᾏ᷒ᶾẞ%ጾ᷑὎ⶒᶾẞ% 2. 과 함께 구 입 에 해 해 보도록 한다.
ḮઢὊ␳ẳ௣ᢶᆆӿᖊ⵾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55ᴲЊጾ᪲ṁ὎ᾏ᷒ᶾẞ%‫؂‬ṁ὾ᶾൖẞ%
한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할 수 있다.
4. 운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3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ㆺ 「ⷹ 다
Ⲏ㔂㉃⽓㓬⺃⵬ⳍ㈷㓬⺃゙㈕㓲㈎
자 이 그 행동을 시도해 나 다 사 에게 그
㉚㈨㓧ㄮ⹴㉨㉜㉚⽔㉋㇑⹭㇀㈔
㊒ゟ㉚㋚ⱏ㉤㇀㈔"
⶟㉚ⱷ⼎㓱⿴ 행동을 할 사용한다. 자기의 을 할 는 어
㉢㇀〒ヒ㈔
㇩⾪
어 로 이 사용하 다 사 에게 을 할
Оⱉ㊌㊼⸳
⸳ⱉ〗ㆺ㈎"
는 어 보세 로 이 사용한다. 적으로 1회적
⵬⶙
 ㉣ⶤ㇓⼿㇋ⱉ〗ㆺ㈎
에 해 사용한다.
О⻏㕝⽐
⻏㕝⽐ㆊ 㓫ⲿ
ⲿ ㉅ㄲ
ㄲ㋅㇋ァⲐ㐟⽬ㆺ〗ㆺ㈎"

О㉔
㉔㈘⸽㔥ⱉ
⸽㔥 ㆒㊼
㆒ 㒩㓲㈎
 㓫⿮ㄳㆺ「
「ヌ㈎

• 한국에서 어 도시에 어
֛㆒「ⷹ О㍅ⷹ ࢉ  ㍅㆒「ⷹ
나 는부 에 어 .
Оゞⷹ ࢉ  ゞ㆒ 「ⷹ

֛ㆺ「ⷹ О㉜ⷹ ࢉ  ㉜ㆺ「ⷹ • 고 구 한국에 을 을


Оㅾⷹ ࢉ  ㅏ「ⷹ
나 고기를 어 보세 .
֛㓲「ⷹ ОⲠ〢㓩ⷹ ࢉ  Ⲡ〢㓲「ⷹ
О㉗㓩ⷹ ࢉ  ㉗㓲「ⷹ
• 이 한국 좋으니 들어 보세 .
1 ⷹ⼽゙⻓㇋ⱼⲎ㔂㉃⾦ㆺ「ヌ㈎
• 도 고 한국어도 습할 수 있으니 아 바이 를
「⳨ ㉜ⷹ
㓫」 ⳨⾈ⶭ
㆘ⷵ㈔㆘㋣⾖㉢㇀〝㇀㈔ 해 보세 .
㉚⽓㆐㓱〓㉢㇀〝㇀㈔" 㓱⿴㉢㇀〒ⲛㅁ㇀㈔
㆒㇪㉢㉔ ㎡㒀㇪

1) ㈘⸽㓩ⷹ 2) ㇓㓺ⱉⷹ 3) ⽬ⷹ
㎂Ⲿ ⹬゜ 〢゜ ㊌㊼⸳ ⶅ⾁ 〦ⲕ⳨
다 보다
ⶵⲾ ⿮㋜㊇㓛 Ⲏ㊼ ㈆ⲿ ァⲐ㐟 ぅお⿚ -아 보다
다 아 보다
( , )
다 아 보다
2 ⷹ⼽゙⻓㇋ⱼⳍ㈷㓲「ヌ㈎
다 어 보다
ㇴ -어 보다 다 어 보다
㓱〓㉚㊐⽙㒯㓯ⲛ㇩ね㈔㓱⿴㉢㇀〒ヒ㈔ ( , ) 들다 들어 보다
㉅ㄲ
다 들어 보다
㇓㓺㋜
하다 해 보다
-해 보다
운동하다 운동해 보다
(하다)
Ⲩ㉚ⱷ⼎㓱⿴㉢㇀〒ヒ㈔
Ⲩ 37 부하다 부해 보다

문법 2 (-어 보다)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ᴲЊṁЊҖᷚᤦնӇⵢӪᾒᶾẞᶾථṁ὾ᇒὖᷚ೮ᶾẞ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ỚᷚҖᾚ‫غ‬ᢶ὾→ὢṁ὎ፆᶾᔚ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ᴲЊᇒὖᷚ೦ઞỚⵆ᪮Њᾒᶾᤦ⇋ỚᷚҖᢶ὾→ᆆፆᶾᔮᶾẞ  연습 2
Ĺᵒᾏ᷒ᶾẞᶾỂီẞ%ᵒᶾỂီẞ%ኺ྆ẞĺĹᾏᶾᶆᵖᨢᾒᶾẞĺ‫؂‬࿾
1. 다 사 에게 , , 여행지 에 해 하는 이 기를 하도록
ൖᦚૢᷚҖĻⵦᒒᾏᶾᓾ᥂ẞļ྆Ӫᇚ⵾ẞ૮ᆂᢶྖᷚҖጾ᷑὎
한다.
֖⵪ൖĻᶾᓾ᥂ẞļ྆Ӫᇚ⵾ẞ‫؂‬ᆶӪᾚ‫غ‬ὢӇⷢ὎ᇚ⵪ൖĹᶾ
ᔮᶾẞĺ྆Ӫᇚ⵾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5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해시 다.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로한 어 35
50분 말하기와 듣기 말하기와 듣기

1 㔼㇍ㆊⱉㇴⱉⱼ㇋ソ㊇㈢Ⲣ㉔ㆫ⳨㓲㈎ⷹ㉅Ⲣⱘ㉔㉔ㆫ⳨㓲「ヌ㈎

2-3 EBOOK
㊇㈢ ㆺソ㇪ヌ㈎ㆺ⺎ㇴ㉃㍅㉀ヌ㈎"
1 2) 2-3 EBOOK

㔼㇍ ㊊㉭㎡⽎⵬⿏㋜㉞ㆺ㈎"ⲉ㔝ㄲ㇋ソ㉜㉃Ɑ㇣㈎
ⲉ㔝ㄲ
점원: 어서 세 . 어 을 으세
㊇㈢ ⶙㉔㌎㇋㉞ㆺ㈎㉔Ɐㆺ⺌ヌ㈎"
후엔: 정장 재 이나 있어 학부 에서
㔼㇍ ⿏㋜㓽⽆ⱉ㊜ⳣ㉣㆒㈎⸕㐉゙㉔㋔㉞ㆺ㈎"
입을 .
㊇㈢ ⳝ⻭㉔ⱱ⼈㓫⿮㉜ㆺ「ヌ㈎
점원: , 이쪽에 있어 . 이건 어 세
후엔: 재 사이 조 아 . 사이 있어
점원: 그 이 로 한 입어 보세 .
1)㊊㉭㎡⽎⿏㋜
㊊㉭㎡⽎ ⿏㋜ _ ⲉ㔝ㄲ _⿏㋜㓽⽆ⱉ㉣ⷹ
⿏㋜㓽⽆ⱉ㉣ⷹ
2)㊊㉭㉯㐔フ㎙
㊊㉭㉯㐔 フ㎙ _ 㓪〢⾈⾈㉛ _㉯㐔゙㉔㋔ⱉ㉣ⷹ
㉯㐔゙㉔㋔ⱉ㉣ⷹ

2
2 ㇓⻩〤㉔㓤㈎㓫ㇴ㉃㎣Ⲿㇷ㉔ㆫ⳨㓲「ヌ㈎
가: 구와 여행을 . 입는 게 좋을
나: 니 바지나 원 를 입어 보세 . ㋂⽙㇑⹲ア㉉ⱓⱳ㇩㈔ 㒯㓱⹲ア⿕㋢⵲㍣⿕㋢⽄
⾷㉢ⷨⲂ㊭㉉⳺㈔" ㉢㇀〒ヒ㈔

3-L.mp3 점 원(여): 으시는 있으세 3-L.mp3

잠시드(남): 자 바지 보여 주세 . ㉩ㄱ⹣ㆊⱉ㊇㈢Ⲣ㉔ㆫ⳨㓲㈎㉧⹦ⲕ⸄㓲「ヌ㈎
점 원(여): 어 자 을 으세 바지나 1) ㆿ⺓ㇹ㉈㍊㆗㈓"
바지 다 으세 Ұ ұ Ҳ ҳ
잠시드(남): 바지 . 편하고 주 니 있는 로 보여
주세 .
점 원(여): 이 어 세 주 니 서 아주 편하 2) ㉮ㄶ⹨㆏ⷧㇹ㉈㉡ㆿ〜ㆿ㈓"
. 네, 입어 봤어요.
잠시드(남): 좋 . 그 로 입어 게 . 38
8 ゟ㔶㑏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㔶㑏

옷 가게에서 옷 사기  확장 연습

 대화문 연습 1. 자 의 계획을 하고 구 그 계획에 맞는 을 해 주는


하기를 한다고 알려 다.
1. 게에서 을 사는 상황에 해 이 기하 교재의 그 을 이용해
2. 과 이 한 에 해 이 기하게 한다. 화를 할 는다 과
어 상황 지 해 보도록 한다.
내용을 함하여 하도록 지시한다.
⻎ᷞᴲЊጾ᷑὎ᢶӪᾒᶾẞ%
᷶࿶ᖎὊṁЊҖᷚᤦጾ᷑὎ᢶᔮᶾẞ% ᷂…ⵎẞⵦṁᾂ⇊὾ᶆ‫⵾غ‬ᓾ᥂ẞ♦նὢ᤮኏὎೮Ὂ⻎ᶾථṁ὾
ₕὊ⇊὾ᶆ‫⵾غ‬ᓾ᥂ẞ
2. 지시문을 이용하여 화 상황을 학 들에게 하게 알려 다.
3. 이 기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3. 화를 들려주고 간단한 문을 하여 화 내용을 이해했는지
하고 를 수정해 다.
한다.
⻎ᷞᴲઞጾ᪲ṁ὾ⵎẞ⵾ẞ%
‫؂‬ṁ὎ᶾഞᷚᾏӪВѺḒẞ% 사고 싶은 옷에 대한 대화 듣기
‫؂‬ṁὢᢶ὾→Њ⻎ᷞᴲᷚҖᶾൖẞ% 1. 지시문을 이용하여 등장 과 화 상황을 한다.
4. 교사와 함께 화문을 으 서 자 게 하는 습을 한다. 2. 문제를 고 들어 하는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정도 해서 습한다.
3. 기파 을 고 문제를 게 한다.
5. 교 어 를 활용하여 과 함께 습하게 한다.
4. 교재 문의 을 한 해 화를 이 으 내용을 한다.
6. 습이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한다.

3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읽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50분

1 ⷹ㉅ⳡ㉃㉘ⲕ㋠⾤㇋⸄㓲「ヌ㈎

㉉㇩㈷㈋⼻㔥ゎ㉄㉘ㆸ。㉑ⷤⷮ㈋⼻⷗㉘ㆸ。㈵⻽
㑭ナ㎎ ⿄㋑ ㊑ⵙ⼳ ㉑ㄣⷤⷮ ㉉ 㑭ナ㎎
㑭 ㇬ ⿄㋑⷗

ㄦ㈗㓞Ⲋ 㒞㓤ⷤⷮ ⹲⸨
⸨ え ⼻ ⽃⼵ⷤⷮ ㊑ⵙ㇀⷗
㊱⽠ⷤⰾ⽆㉉㉓ㄣⷤⷮⳒ⻐ゲ㓙㈃㓠⾛Ɽ㈸ⶍㄣⷤⷮ
㉷⷗㉉㇩㉉ㆇ㊱⽃㈺㇀⹟ⷤⷮ
업 을 할 입는 이에 . 업 을 입고
해 .

시원하다 시원해 . 사용해 . 도 할


1) ㉙ゞ⻘㉇㉨㇈〒㉅⼍⾦ㄯㇹ㉈㉡㇋ㆿ㈓" 티셔츠, 바지, 조끼를 입었어요. 입으 지 아 . 이 시원해 .
2) ㉙㉨㇈〒㉇⾦㇊㉙㊬㆗㈓" 시원하고 편해요. 땀도 빨리 말라요. 을 해서 에서 이나 .
3) ㉙㊡⵩㇐⾦㇊㉙⽖㉙㉣ㆿ㈓" 주머니가 있어요.
다 이 지 바 이 리 어 . 이
.
2 ㇓⻩〤㉔゙ⲕㄻ㉂ㇴ㉔㉞ㆺ㈎"㉔㈷⼾ㅏ「ヌ㈎ 단어장
머니 에 건을 을 수 있는 것이에 . 주 니
㉣㇃」
있어 .
내가 사고 싶은 옷 내가 사고 싶은 옷 ㄱ㈢㓩ⷹ

㊇ⷧ⹾⻇㓰㊌㒜⵱㏟㑯⽃ゞⲚ ⽎⼻ⷹ

ㅀㆿ㈓ 㓰 Ⳅ㉔ ⵶㆏ⱎ ㎆㈥ヂ ㊼⽫ⷯ

㉧㋁ⱕⳭ㇐ⱶ⼀㈓Ⳣ⻠ヂ㉙⿳
㋁⽘㇐㄃㓭㉈㓮⻮ⱒⱲ㇨㈓

Ⲩ㉚ⱷ⼎㓱⿴㉢㇀〒ヒ㈔
Ⲩ 39

옷의 특징에 대한 글 읽기 사고 싶은 옷에 대한 글 쓰기

1. 그 을 보 의 내용을 하게 한다. 1. 어 을 지 알려 주고 에 들어 내용을 각해 보게 한다.


ࢲᾚЊጾ᪲ṁ὎ᾏӪᾒᶾẞ% ḮઢὊᾚ‫غ‬ЊᢶӪᬀὊṁᷚଊ⵾؊὎ᴂѺḒẞ
὾ṁὊጾ᷑὎⵪ൖᾏઞṁ὾ᷚẞ% ᷶࿶ᖎὊᶾථṁ὎ᢶӪᬀᶾẞ%
὾؊Ὂጾ᷑ᷚଊⵦࢾẳᾂҍУᵎẞ% Ṧ‫؂‬ṁ὎ᢶӪᬀᶾẞ%
2. 을 어 게한 주제, 내용 등을 간단 해 보도록 한다. 2. 교재 문에 해자 이 내용을 간단하게 하도록 한다. 교사는
ࢲᾚЊᾏὊṁὊፚḒẞ% 학 들이 에 는지 해 다.
ࢲᾚЊᾏὊ⫺ᥞ☪Ṋᐞ⇊Њᶾൖẞ% 3. 한 내용을 바 으로 로 성하게 한다.
⁺ࢆઞᶾථṁ὾ᷚẞ%
3. 을 다시 으 서 문제를 게 한다.
4. 을 이 한 , 본문을 다시 으 는 어 는지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과 로한 어 37
30분 문화와 정보 문화와 정보

한국의 전통 시장
㓱ⳅ㇑ⷨ㊊㑏ㄷ㉳㉚⽗㉚㉤ㄴⷵⷿ㊊㑏ㄷ㉳㇑ッⷨ
ⷿㆹ㓱 ⾬ⱵⲨ ㉋ㄸ㉉ 㒍ⷵⷿ 〒㑏 ⿥㔫㊍〒ⷿ ⱏⲋ㉚
ㅈⷵⷿッ㈟㇑ⷨ⵺⸑⾪ㄷ㉳Ⲱ㉳ㄷ㉳Ⲕ⹃ㄷ㉳㑏㉜
ㄷ㉳⹲㉚㉤ㄴⷵⷿ㇙⻯〪⸹㓱ⳅ㉕㊊㑏ㄷ㉳㇑㓱⿴
ⱏ〒ヒ㈔ⱳⳮ㇑ッ㊭㉈⾬Ⱶ⸹ⳄⲔ㓯ⲛ⽞㉤ⷨ㉋ㄸ⸹
⽲㇀〒ヒ㈔

1) ㊊㑏ㄷ㉳㇑ッ⾧㇋㉉㒊㆘㈔"
2) ッ㈟㇑㉤ⷨ㊊㑏ㄷ㉳㉈⾵㇩㈔"
3)㇙⻯〪㋂〉㇑ⷨ㇀⺔㊊㑏ㄷ㉳㉚㉤㇀㈔"

4
40 ゟ㔶

ゟ㔶㑏
㔶㑏㓵㓡
㔶㑏㓵㓡⼎ⳣ⻥ .
⼎ⳣ⻥ .
ⳣ⻥ .
⻥ .
.,,,3 
,3 㓱ⳅ㇀ㇽ
㓱ⳅ㇀ㇽ㓱ⳅ⾪㔫
㓱ⳅ㇀ㇽ 㓱ⳅ⾪ ㍲⳪
㓱ⳅ⾪
㓱ⳅ

한국의 전통 시장

1. 이 단원의 문화와 정보 에 한 것 지 알려 다.
ⵦշᷚᤦ᫦ᾯᷚЊᔮᶾẞ%ⵦշᷚઞᇘὊ‎⦿᫦ᾯ὾ᾒᶾẞ
ḮઢὊĹⵦշὢ‎⦿᫦ᾯĺᷚଊ⵾ᵖᵎᔏ᫦૮

2. 교재의 그 (사진)을 보 서 주제에 해 알고 있는 것을 상기시 고


해 보게 한다. 이 관련 시각 자료를 로 활용할 수 있다.
᷶࿶ᖎὊ‎⦿᫦ᾯᷚЊᔮᶾẞ%
‎⦿᫦ᾯὊᶾഞᷚᾒᶾẞ%
‎⦿᫦ᾯԆᐻ⹞‚ᇒ⫂ઞጾ᷑὾૶྆ẞ%

3. 교재를 이 으 서 내용을 한다. 이 한 정보 있는


부분에 을 나 표시하게 하는 것도 좋다.
4. 문 1, 의 을 아보고 하게 한다.
‎⦿᫦ᾯᷚᤦጾ᷑὎⬞ᵎẞ%
ᤦỂᷚᾒઞ‎⦿᫦ᾯὊፚḒẞ%

5. 문을 이용하여 학습자 자 의 을 해 보도록 한다.


᷶࿶ᖎ℆ᓊᷚઞᶾථ‎⦿᫦ᾯ὾ᾒᶾẞ%

3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마무리 20분

3-P.mp3
발음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1)㋴㆘㈔>㋳⿕㈔@ 3-P.mp3
2)ⱏ〝㇀㈔>ⱏ〛ㅕ㈔@ 에 , , , , , 와 이
3)㍋㉆ヒ㈔>㍁㋚ヒ㈔@
현상이 나 다.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의 자 하나 되어 다.
1) ⱏ㉚Ⱶ㇀⺒ヒ㈔"
⵲㉚⿕㋢ⷨ㊧㋴㆘㈔⸛㐏ゟ㉚㋚㉤㇀㈔"
2) ⱏ㊒㋂⸹㇑ⱏ〝㇀㈔"
⵲⶟㉩ⶪ㇑ⱏ〝㇀㈔
3) ⱏ㇀⺔ㇺ㉉㍋㉆ヒ㈔"
⵲㊐㉳㎧⽔⵲⿕㋢㉤㇀㈔"

배운 어휘 확인


ㅾⷹ 
㉧⽚ⷹ 
ㄨ㎫㓛


⾈㉢ 
ⳇ㉔ⶶⷹ 
ⳓⱱ㉔


㔉⽼ 
㉜ⷹ 
⾉⸳⽆


㆔㊄⾈ 
㑸フ㎙ 
⾉ⱱ㉔


㆔Ⲏ 
㍝⿏㋜ 
ⳬ㉔


チⳡ⻏ㄨ 
フ㎙ 
㋮ⷹ


ㄳⷹ 
㎡⽎ 
ⳬⷹ


㈘⸽㔥 
ぁ⻏㈖ㄨ 
㒩㓩ⷹ


ォ⹧ 
㈢㓡ㄨ 
⽎㉅㇋⹧ⷹ


Ⲿ⹌ 
㏚㑪 
㉣㇃」
• 이 단원에서 운어 기 나는 것을 해 보세 .

〢㎙ 
㊇㒗 
ㄱ㈢㓩ⷹ


ㄫ⽆㒗 
⿏㋜ 
⹽
• 이 단원에서 운 문법

㉣㇃㔥 
㊜ⵤ 
⽎⼻ⷹ • 어 을 사고 어

㎡ㄆ 
㓩ⷹ 
㊼⽫ⷯ • 게에서 한 을 할 수 있어
• 한국의 전통 시장에 해 알아
Ⲩ㉚ⱷ⼎㓱⿴㉢㇀〒ヒ㈔
Ⲩ 41

발음 10분 마무리 10분

1. 교재 1 을 들려주고 아, 어, 으의 이 어 게 들리는지 1. 단원에서 학습한 어 기 하는 것을 해 보게 한다.


학습자 로 해 보도록 한다. 2. 운어 목록의 어 들을 으 서 의 를 상기시 다.
2. , , 다 에 는 아, 어, 으 바, , 차 로 3. 단원에서 학습한 문법( 이나, 어 보다)을 상기시 의 와
다는 것을 알려 다. 사용법을 기 하는지 한다.
에 , , , , , 현상이 나 나는 4. 단원의 목표와 성 도를 한다.
에 해 간단 할 수 있다. 이 현상 이 있는 어
5. 익힘책을 과제로 제시하고 리한다.
한국어에서 아주 자주 나 나는 현상이 는 것을 알려 주고 표기할
는 들리는 로 지 고 의 에 자 을 다는 것도
알려 주 좋다.

3. 교재 1 을 다시 고 교사를 해 본다.
4. 교재 화를 고 해 본다.
5. 과 함께 화를 으 습하게 한 에 한다.

과 로한 어 39
4 과
지금 통화할 수 있어요?

4
수업 목표 및 내용
제 전화
지금 통화할 수 있어요?
어 전화를 고, 는 것과 관련 어 를
익 다.
문법 을 수 있다 다, 의의 와
를 익 사용할 수 있다.

하기 사정이 상 방과 통화하는
상황의 화를 할 수 있다.
기 구와 통화하는 화를 고 이해할 수 ㋂㊒ ㇀㕔ㇽ⾪⿹
⿹ 㔮⹃ ⾪㔫ㇽ㊐〒
있다. ㊊㔫 ㊊
㊊㔫
㔫㓅㔖 ㊊㔫㓯ⳮ 㓱ⳅ サ㔮㇑⸹㈢㉚⹋ⷨ
㓱ⳅ
‫㉉ ܆‬ㄌ㉤ⷿ
ⷿ㇊ⷿ ⾪㉨⽼
⽼ㄷ㋢〒ⶃⳮ ㄮ⽔㑰㒻ㆭ $SS
기 구에게 보 문자 시지를 고 ⿙
⿙⽙
이해할 수 있다.
기 구에게 부 하는 시지를 수 있다.

한국 활에 도움이 되는
( )

수업 도입 /
1차시 어휘와 문법 2 2차시
전개 어휘와 문법 1

전화로 하는 전화 표현
을 수 있다 다

pp. 28-31 pp. 28-31

4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도입 5분

도입

1. 교재 그 을 이용하여 학 들과 이 기하 이 과의
주제를 한다.
그림 ➊  ⻎ᷞᴲЊጾ᷑὎ⵢӪᾒᶾẞ%
᷶࿶ᖎὊ਎նṊᾚ℆‎⹞ᆆ⵾ẞ%
그림 ➋  ྆ᐆᴲЊጾ᷑὎ⵢӪᾒᶾẞ%
᷶࿶ᖎὊӪ⶯ᷚᾒઞ♦նЊ⁻ԆᶾළҖ
᷺྇὎⵾ẞ%
그림 ➌  ὾ᇋᴲṊᵒ‫྆‮‬ᴲЊጾ᷑὎ⵢӪᾒᶾẞ%
❷ ᷶࿶ᖎὊ਎նᷚҖᾚ℆቞᫦⇊ᆆᓾࢾẞ%

2. 화 내용을 정리하 이 단원에서는 전화로


하는 , 전화를 , 전화를 을 사용하는
표현 등에 해 부한다는 것을 알려 다.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이 단원에서는 전화로 하는 과 전화
표현에 해 학습합니다. 어 1에서는
О㉔゙⻓⹧㉂㋜ⳣ⾡
⾡㇅㉃㓲㈎" 전화로 하는 에 해 학습하고 어
О㇓⻩〤㉂ⷉⲾ㇋ⱼ
ⱼ㊄㔥⼾㉢㊼㓲㈎" 에서는 전화를 할 사용하는 표현에 해
학습하기 문에 어 를 사용하는 상황과
차이점에 해 정 하게 교수하 는 것이
합니다.

문화와 정보 /
말하기와 듣기 3차시 읽기와 쓰기 4차시 5차시
발음 / 마무리

과 통화하기 문자 시지 기 한국 활에 도움이 되는
구와 통화하는 화 기 부 하는 시지 기 ( )

p. 32 p. 33

과 통화 어 41
45분 어휘와 문법 1 어휘와 문법 1

㕖⸋㊄㔥⼈㋜ⳣ⾱㓲㈎"

전 다 에게 전화를 해서 이 기를 할
.그사 의 를 . 전화를 어 .

전 다 다 사 이 나에게 전화를 어 .
여보세 전화를 어 . ㊄㔥⼾ⱱⷹ ㊄㔥⼾⿔ⷹ ㊄㔥⼾ⵛⷹ

전 다 전화로 이 기 어 . 전화를
어 .

내다 전화로 전화를 하지 고 을
. 문자를 보내 .

다 다 사 이 전화로 을 서 ⾤㉢⼾「⵽ⷹ ⾤㉢⼾⿔ⷹ ⾤㉢⼾㋜㈖ⷹ


보 어 . 나는 문자를 어 .

지 다 문자를 지 하지 아 .
그 서 문자를 지 .

㊄㔥⼾⿏ⴽⷹ ⲿ㊌㊄㔥⼾㓩ⷹ ㇟ゥ㑉㔥⼾㓩ⷹ


전 다 내 전화를 어 . 그 데 다
사 을 고 있어 . 그 사 에게 전화를 바 어 . ㇓⻩〤㉂㊄㔥⼾㉢㊼㓲㈎"㉔ㆫ⳨㓲「ヌ㈎

제전 하다 다 나 에 있는 사 에게 전화를 ⷉⲾ㇋ⱼ⾤㉢⼾㉢㊼「⵽㈎" ⷉⲾㇷ㇟ゥ㑉㔥⼾㉢㊼㓲㈎" ⲿ㊌㊄㔥⼾㉢㊼㓲㈎"

해 . 국제 전화를 해 .
누구에게 문자를 자주 보내요?
하다 을 보고 이 기를 해 . 영상
통화를 해 . 저는 친구에게 문자를 자주 보내요.

44 ゟ㔶㑏㓵㓡⼎ⳣ⻥
⻥ .

⻥ .
.,,3
,,3 
,3 
㓱ⳅ㇀ㇽ
㓱ⳅ㇀
㓱ⳅ㇀ㇽ
㇀ㇽ
㇀ㇽ 㓱ⳅ⾪㔫
㓱ⳅ⾪
㓱ⳅ
㓱ⳅ⾪㔫
ⳅ⾪㔫
ⳅ⾪
⾪㔫
㔫 ㍲⳪
㍲⳪
⳪

어휘 1 (휴대 전화로 하는 일)

 도입, 제시  연습

1. 전화로 하는 에서 어 것을 알고 있는지 으 의 1. 각 사진을 보 어 상황 지, 어 게 하는지 이 기해 본다.


어 는 전화로 하는 을 할 사용하는 표현 을 알려 다. 2. 구에게 문자를 자주 보내는지, 구와 영상 통화를 하는지, 국제
᷶࿶ᖎὊ⼾ଊ‎⹞ၦጾ᷑὎⵾ẞ%Ṧ‫؂‬ҍ὎ᾚ℆⵾ẞ%ḮઢὊ⼾ଊ 전화를 자주 하는지 과 화하도록 한다.
‎⹞ၦⵢઞᾆ὎ӿᖊ⵾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ᖎὊ਎նᷚҖፂᾚᆆᾚ℆ᓾࢾẞ%
한다. Њ⁻೮Ԇ᷆ᇒࢢᾚ℆ḋᣋ⦿⹞ᆆ⵾ẞ%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4. 다양한 상황에 해 이 기하는 활동으로 장할 수 있다.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할 수 있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4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ㄆ㉞ⷹ㇄ⷹ
ㆺ⺎ゥ㔪㉔⵬㉗㉔ⱉⷩ㓩Ɑ⵬ㆺ⺎㉗㉃㓬ㄆ㉞ⷢⷩ⻼㉔㉞㉅㉃⵬㐖ⶀ⺃゙㈕㓲㈎
을 수 있다 다
㒂㉳ⷺ㋢⳩㑏㔫㓲ㄌ 어 상황이나 이 하 나 할 수 있는 이 있다는
㉤㇀㈔"
⶟Ⲳ㍄㆘㈔
㇩⾪
것을 할 을 수 있다를 사용한다. 의 에는
ОⱉⱭ⳨㉔㊼⿄
㉔㊼⿄ ノ㐫
ノ㐫㊸"㊼⽓㇋
⽓㇋⸳ゥ⸃㉃
⿔㉃ㄆ㉞ㆺ㈎"
을 수 다 를 사용한다. 보통 문할 는 을 수
⵬⶙
 ゥ⸃㉃⿔㉃ㄆ㉞ㆺ㈎ 있어 를 사용하 할 는 을 수 있어
О⵽㉗
⵽㉗㉂ ㉗㉔
㉔ ㉞ㆺ
㉞ ソ㓫ⲿㆺノ㐫
㐫㇋ⱍㄆ 어 .를 사용한다.
㇄ㆺ㈎
О㊂ⷢ
㊂ⷢ㓫ⲿ㉅ㄲ㉃
ㄲ㉃⽐⹧ㄆ㉞ㆺ
ㆺ㈎

• 한국어 책을 을 수 있어
֛ ㉃ㄆ㉞ⷹ О⽬ⷹ ࢉ ⽬㉃ㄆ㉞ㆺ㈎

О⿔ⷹ ࢉ ⿔㉃ㄆ㉞ㆺ㈎

나 아니 . 한국어를 해서 을수 어 .
֛ ˹ㄆ㉞ⷹ Оⱉⷹ ࢉ ⱍㄆ㉞ㆺ㈎

ù⽐⹧ⷹ ࢉ
ࢉ ⽐⹧ㄆ㉞ㆺ㈎
• 이 주 에 를 도와 수 있어
나 , 주 에 시간이 있으니 도와 게 .
1 ⾡㇅㉃㓬ㄆ㉞ㆺ㈎"⾡㇅㉃㓬ㄆ㇄ㆺ㈎"㉔ㆫ⳨㓲「ヌ㈎
• 는 운 을아 을수 어 .
㉚⽓ ⻕⿊
「⳨ 㓱ⳅ㇀⼎⾪㉨⽄〒ⶃⷿ о ; • 한국 구에게 리를 서 한국 을 들수
1) ⳮㄍゟ㇑ッ㈔⽌㓯ⷿ о ; 있어 .
2) ㋢⳩㊊㔫⽄⿚ⷿ ; о
3) 㓱ⳅ㉋ㄸ㉉⽖⹭ⷿ о о

㉚⽓㆐㓱ⳅ㇀⼎⾪㉨⽄ ⶟㓱ⳅ㇀⼎⾪㉨⽄〒ⶆㄌ
〒ⶆㄌ㉤㇀㈔" ㉤㇀㈔
다 을 수 있다 다
-을 수 있다/없다 입다 입을 수 있다 다
2 ㇓⻩〤㉂⾡㇅㉃㓬ㄆ㉞ㆺ㈎"⾡㇅㉃㓬ㄆ㇄ㆺ㈎" ( ) 다 을 수 있다 다
㈘⸽
다 들을 수 있다 다
㊈ⷨㄌ㇥㉉㓲ㄌ㉤㇀㈔
㈎⽆ 자다 수 있다 다
㊈ⷨ㉨㊊ⱳ⽄㐟ㄌ㇊㇀㈔
㈆ⲿㆺ -ㄹ 수 있다/없다 사다 수 있다 다
( , ) 하다 할 수 있다 다
Ⲩ㋢⳩㑏㔫㓲ㄌ㉤㇀㈔"
Ⲩ 45 들다 들 수 있다 다

문법 1 (-을 수 있다/없다)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습해 본다.


὾ᇋᴲṊ⬊ᾯૢ὾⦿⹞ᆆⵢӪᾒᶾẞ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습하도록 한다.
ౚᢶྖὊጾ᪲὾ᶆ‫غ‬ᆆⵢӪᾒᶾ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ᇋᴲЊ⬊ᾯૢᷚҖ‎⹞ᆆⶒᶾẞ‫؂‬࿺୺⬊ᾯૢ὾⇊ؒĹᾚ‫غ‬Ṋ  연습 2
‎⹞ၦ὾ᶆ‫⵾غ‬ẞ᫦Ў὾Ԧ␸ᵎẞ%ᵒԦ␸ᵎẞ%ĺᵖӪᬀᶾẞ‫؂‬࿾
1. 운동, 리, 국어 등의 주제에 해 운 문법을 사용하여 학 들이
ൖĹ⇊ؒ⦿⹞⵪ᨢᾒᶾẞ%ĺ὾ထҖ⇒ፂ⵾ẞ૮ᆂᢶྖᷚҖጾ᷑὎⵪
할 수 있는지, 할 수 는지 이 기해 보도록 한다.
ᨢᾒઞ⇊⵪ᨢ᷐ઞ⇊ፆᶾᔆൖĹ὎ᨢᾒ૮᷐૮ĺᆆᢶẳ⵾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이해시 다. 0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통화 어 43
50분 어휘와 문법 2 어휘와 문법 2

㇓⻩〤㉂㊄㔥⼾㉢㊼㓲㈎"ⷹ㉅㒿㔐㉃゙㈕㓲ソ⽓㓲「ヌ㈎

전 전화에서 리 나 . 전화기에 ㇓「ヌ㈎"


㋜ⳣ㆔Ⲑヌ㈎
㊄㔥⼾㉧⾐ⱱ㇆ㆺ㈎
전화 보여 . 전화 어 .
지 계 전화 지 그 자리에 어서
전화를 아 . 로 지 안 계세 .
여 전화를 을 제 해 .
전 에게 전화했지
의 전화 아니에 . 전화를 어 .다 ㊄㔥ㇾㆺ㈎
사 에게는 전화 어 . 로해 . 㑉㔥㋅㉔㇋㈎

이에 와 지 전화로
이 기하고 있어 . 그 서 다 전화를 아 .

㊄㔥⿮㔛ⱉ⾆⿮㉔㇋㈎"
㉔㇋㈎ ⽝ⶌ⾈⹣⼈㓲㈎
전 이에 다 사 에게 전화 를 ㋞⸽㉀⼈㓲㈎

어 . 전화 이에
이에 다 사 에게 자기 전화 를
해 .
⸄㉭㉔㇄ㆺ㈎ 㕖⸋㊄㔥⿞㐫⽆ⱉ㇄ㆺ㈎
사 이 이나
조용한 에서 전화 리 나 안 . ㇓⻩〤㉂ⷹ㉅ゥ㔪㇋ソㆺ⺗ⱼ㓲㈎"㉔ㆫ⳨㓲「ヌ㈎
진동으로 해 .
㎣Ⲿⱉ㑉㔥㋅㉔㇋㈎
친구가 통화 중이에요.
리 전화를 사용하려 리 어떻게 해요?
㊄㔥⿻モ⽆ⱉㄱⵘ⻩㈠㈎
있어 해 . 리 으 조 에 전화
. ㎣Ⲿ㇋ⱼ⾤㉢⽶ㄱ㋜⸄㉭㉔㇄ㆺ㈎ 조금 후에 다시 전화를 걸어요.

이 에게 문자 시지를 보 지
이 어 . 장이 어 . 4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2 (전화 표현)

 도입, 제시  연습

1. 전화를 자주 하는지 으 는 단어는 전화를 할 사용하는 1. 학 들에게 구에게 전화했는데 통화 , 전화 리


표현 을 알려 다. 시 , 구에게 문자 시지의 장이 을 어 게 하는지
᷶࿶ᖎὊᾚ℆‎⹞ᆆ⵾ẞ%‎⹞ᆆ⵾ᤦጾ᪲ᇚ὎⵾ẞ%ḮઢὊ‎⹞ᆆ 문을 진다.
⵪ൖᢶẳⵢઞᶾ⼢ᆆӿᖊ⵾ẞ 2. 과 함께 다양한 상황에서 자 이 어 게 하는지에 해 해 보도록
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한다.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55ᴲઞ♦նЊ⦿⹞ℛᾆൖᶾළҖ⵾ẞ%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ፂᾚ቞᫦⇊૿ᾯ὾᷐὎ൖ‫غ‬ᖎ὾ᶾൖẞ%
할 수 있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4. 운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4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
クⱊ㉔⵬゙ㄵ㉃⹦゙ⷢ⻓㇋ⱼ㎣ⳟ㓩ⱼ⽓㓬⺃゙㈕㓲㈎
는 사 이 하는 사 과 나이 나어 , 는 사 에게
㆘⵲㉚ㄮ⵲ ㇩⾪
함을 표현할 사용한다. 서문( 아 어 )의 로 사용하 ,
㆚㊕⻕ㆱ Оⱉ⻏⿄
⻏⿄ ⳝ⻭
⻭ ㉔⽐
㉔⽐ⵛ㉃ⱼⷹ㉅㇋⺣㑉㔥㓲 의문문( 아 어 ) 동 한 로 양 리 한다. 의문문( 니 )도
㉎㆚㊕⻕ⳣ⻱⸩
⾧㄰ ㉝㉚ㆱ"
⵬㉈
 ⳝ⻛ 사용할 수 있으 , 서 동 한 로 양 리 하여 서문(
Оⱉ㊼⽓
㊼⽓㇋ ㄱⱋ
ⱋ㉞ㆺ" 아 어 ), 의문문( 아 어 ), 문( 시다, 을 ), 문(
⵬㆒
 ⷯ ㆬャ
ャ㉔ ㉞ㆺ 으세 )의 의 로 사용할 수 있다.
О㉔⹹ⱉ ⱘ㉔
ⱘ ヾ㓨
ヾ 㓩⻩ ⱍⱭㆫ

• 어제 에 어
֛ ㆒ О⿔ⷹ ࢉ  ⿔㆒
О㊧ⷹ ࢉ  ㊧㆒ 나 나는 구와 고기를 어.
֛ㆺ О⽬ⷹ ࢉ  ⽬ㆺ
• 주 에 시간이 있니
ù㇣れⷹ ࢉ  ㇣で

֛ 㓲 О㊄㔥㓩ⷹ ࢉ  ㊄㔥㓲


나 . 이
О㈘⸽㓩ⷹ ࢉ  ㈘⸽㓲
•주 에 한 에 자.
7LS ㊐㋋㓯Ⲃ ⸑㓸ㆱ 㓯ⷨ ㈻ゟ⻙㇑Ⲃⷨ ゟ㈛㓯㋢ ㆜ⷨ
ⱻ㉚㊭ⷿ
• 학교에 지각하지 . 와.

1 ⷹ㉅⸋㔥⼾「ⲕ⿓⽓⼈⿏ⵇ「ヌ㈎
-아/어/해 -았/었/했어 -(으)ㄹ 거야
「⳨ 다 어 어 을
방학에 뭐 해요?
⿢㓰㇑⾵㓸" ㇙㔀ⱏ
다 어
여행을 가요.
적다 적어 적 어 적을
다 어
1) 2) 3)
-니? -았/었/했니? -(으)ㄹ 거니?
전화번호가 안젤라 씨한테 수업 후에 다 니 니 을 니
몇 번이에요? 010-1234- 문자를
를 보냈어요?
보냈어요 네, 그런데 아직 뭐 할 거예요?
시내에 갈 거예요. 다 니 니 니
5678이에
5678이에요. 답장이 없어
없어요.
적다 적니 적 니
다 니 니
2 ㎣Ⲿㇷ⿓⽓⼈㉔ㆫ⳨㓲「ヌ㈎ -자 -지 말자 -아/어/해 -지 마
다 자 지 자 어 지
㋜ⵯ㊼⽓㉔ㆫ⳨ 㕖ⱉⲐ㔱
다 자 지 자 지
㓩⼡㉗Ⲣ
이/가
이야/야 이었어/였어 이/가 아니야
아니었어
Ⲩ㋢⳩㑏㔫㓲ㄌ㉤㇀㈔"
Ⲩ 47
학 이 학 이
학 학 이 학 이 어
아니 아니 어
수 수
수 수 수였어
아니 아니 어
문법 2 (반말)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로바 본다.


ᵒ‫྆‮‬Ṋᵎࢢ὾᪮Њ⦿⹞ℛ὾ᷚẞ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을 사용하여 과 습하도록
ౚᢶྖὊ♦⵾ᤦᐢᇚၦ὾ᶆ‫ⵢغ‬Ӫᾒᶾẞ 한다.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૮ᆂᢶྖԆ὾ᶆ‫⵪غ‬ൖࢢᓾ૮ࢢ὾ЊᇘѺࢢᓎၦ♦ⵢ⇊ᵔ὆ቾ
Ĺᵎᶾẞĺᆆᢶẳ⵾ᤦᇚ⵾ẞ‫؂‬ထ⇊ᇖ♦ⵦ♦նṊ὾ᶆ‫⵪غ‬ൖ  연습 2
Ĺᵎᶾĺᆆᢶẳ⵾ᤦᇚ⵾ẞ὾ҍ὎Ĺᐢᇚĺ὾྆Ӫ⵾ẞ
1. 지 주 이 기, 하 과, 계획에 해 고 하 서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을 사용하여 이 기를 하도록 한다.
이해시 다.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1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과 통화 어 45
50분 말하기와 듣기 말하기와 듣기

1 チクⷴⲢ㑉㔥㓩ⲕㄻㆺソ㊄㔥⼾ⱱ㇆ㆺ㈎ⷹ㉅Ⲣⱘ㉔㉔ㆫ⳨㓲「ヌ㈎

2-4 EBOOK ㋝㈢ ㇓「ヌ㈎ⷹ⾤㔥ノ㐫㉜ⷯⷹ


ⷹ⾤㔥ノ㐫

1 2) 2-4 EBOOK
⻏㕝⽐㆔ⶩ㓩ヌ㈎"㊂ⷢ⻏㕝⽐㉔⻏ⲕ㓩ⷢ⸣㈎

㊊㆒⻏チクⷴ㊡⿏ⵇ㊼ヌ㈎
직 원: 여보세 . 한국 전자입니다.
㋝㈢ ㊊㆒⻏チクⷴ㉂㋜ⳣ㉢⽆㇋㆔Ⲑヌ㈎
라흐만: 안 하세 는 이 고 하는데 .
ⳝ⻫⸣⾡ㄪ㉗㉔㇋㈎"
장 바 주세 .
⻏㕝⽐㇪ⷣㄆ㇃㇋ⱍㄆ㇄ㆺソ㊄㔥㓹ㆺ㈎
ㄆ㇃㇋ⱍㄆ㇄ㆺソ
직 원: 장 지 자리에 안 계세 .
그 데 이에 ㋝㈢ ⳝ⻭㊌ⱉ⽓ㆄ㊄㓲⹣⽉ⱼ㈎

라흐만: 회사에 수 어서 전화했어 .


직 원: 그 제 전해 게 .
1)ⷹ⾤㔥ノ㐫
ⷹ⾤㔥ノ㐫 _㊊㆒⻏チクⷴ
㊊㆒⻏チクⷴ _ㄆ㇃㇋⾐ⱉⷹ
ㄆ㇃㇋⾐ⱉⷹ 2)㓫ⲿ㊄㉢
㓫ⲿ㊄㉢ _㑼㉭ⷴ
㑼㉭ⷴ _㔰゙㇋⾐ⱉⷹ
㔰゙㇋⾐ⱉⷹ

2
가: 안 하세 . 는이 데 . 2 ㇓⻩〤㉂⵽㉗㓫ⲿㆺㄆ㇃㇋ⱍㄆ㇄ㆺ㈎チクⷴⴖ㊄㔥⼈㉔ㆫ⳨㓲「ヌ㈎
나: . 이 , 이에
가: 제 아파서 학교에 수 어 .
나: 알 어 . 에서 어 .

4-L.mp3 라 민(남): 여보세 4-L.mp3

아나이스(여): ,지 어 ⻏⿄ㆊㇷ㆒⵬㉔ㄨㆊⱉ㉔ㆫ⳨㓲㈎㉧⹦ⲕ⸄㓲「ヌ㈎

라 민(남): 나 지 안이 . 그 데 이 이 . 1) ⹑ゞ⻘㉇㇯ⷨ⾦ㄯㆱヨ㉙㉣ㆿ㈓"
아나이스(여): 그 에 제 수 있어 다 학 유학생 친구들과 모임이 있어요.
구들 다 어.
2) ⻔⿉㆏ⷧ㆗⵱㉙ㄭ㆏㇐ⲁㆿ⺜ⲁ㇛⻕㓾ㆿ㈓"
라 민(남): 안해. 이 을 . 나 기다리지 고
어.
전화했어요.
아나이스(여): , 알 어. 이 다시 전화해.
48
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㔶㑏

선생님과 통화하기  확장 연습

 대화문 연습 1. 과 통화하는 하기를 한다고 알려 다.


2. 에게 전화하는 상황에 해 이 기하게 한다. 화를 할 는
1. 과 통화하는 상황에 해 이 기하 교재의 그 을 이용해 어
다 과 내용을 함하여 하도록 지시한다.
상황 지 이 기하도록 한다.
ᤪᣧૢᷚҖṦ‎⹞ᆆⶒઞ⇊ጾ᪲ᾆൖፂᷚ‎⹞ⶒઞ⇊὾ᶆ‫⵾غ‬
ౚᢶྖ὾Ṧ⦿⹞ᆆⵢઞҍУᵎẞ%
ᓾ᥂ẞ
྆⽚ᇖᴲઞ⇊ؒዂ὾ᶾൖẞ%
὾࿾ൖᤪᣧૢᷚҖᶾළҖ‎⹞ᆆ⵾ẞ% 3. 이 기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2. 지시문을 이용하여 화 상황을 학 들에게 하게 알려 다. 하고 를 수정해 다.

3. 화를 들려주고 간단한 문을 하여 화 내용을 이해했는지


한다. 친구와 통화하는 대화 듣기
྆⽚ᇖᴲઞᤪᣧૢᷚҖṦ‎⹞ᆆⶒᶾẞ% 1. 지시문을 이용하여 등장 과 화 상황을 한다.
ᤪᣧૢὊ‎⹞ᆆᐥᵢᶾẞ%
2. 문제를 고 들어 하는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ᣧૢὊṦ‎⹞ᆆᐥ὎ᨢ᷐ᶾẞ%
྆⽚ᇖᴲઞ૮᫦‎⹞⵾ẞ% 3. 기파 을 고 문제를 게 한다.

4. 교사와 함께 화문을 으 서 자 게 하는 습을 한다. 4. 교재 문의 을 한 해 화를 이 으 내용을 한다.


정도 해서 습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5. 교 어 를 활용하여 과 함께 습하게 한다.


6. 습이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한다.

4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읽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50분

1 ⷹ㉅ⳡ㉃㉘ⲕ㋠⾤㇋⸄㓲「ヌ㈎

1) ㉙⽒㉇㈅㆙㊔⻔㇐ⲁ⾩㉧⽃】ⶉㆿ㈓"
이링

안젤라, 오늘 한국어 수업에 왜 안 왔어? 걱정이 돼서 문자를 보냈어요.


혹시 무슨 일이 있어?
걱정이 돼서 연락했어. 2) ㉙⽻ㄶ㋡㉔ⶂ㈚ⲧⱝ㉅⾆нⷾ⽀⾆
н

안젤라 ;㓮パ㈓
아, 아니. 고향에서 부모님이 오셔서 Ұ㉙⽒㉇㇯ⷨ㓯Ⲿ㇐㆙ⱙㆿ㈓ 
못 갔어.
지금 시내에서 구경하고 있어.
ұ㆙㊔⻔ⷧ㋡⳨〧⾍ⷹ㉈⽕⵼ㆿ㈓ 다 이 구 학교에 안 어 . 이
     있어 아파 계 각해 . 그것이 정이에 .
이링
Ҳ㆙㊔⻔ⷧ㉙⹾ⱎ㉙⽒㇐ⲁ㊉㔪⽃
그렇구나. 부모님과 즐거운 시간 보내. 정이 .
그런데 다음 시간에 시험이 있어. 알지?
㓱Ⱳ㇨㈓ 
하다 화점과 시장에 건이 있는지 아
안젤라 3) ㆙㊔⻔ⷧ㉙⽒㇐ⲁ⾦㇊㉈⾫ㆿ〕Ⱳ㇨㈓"
사지 고 여기 기 .구 해 .
아, 맞다! 시험이 있지?
이따가 전화할게.
시험 범위를 물어볼 거예요.
시험 범위 좀 알려 줘. 시 시 을 . 어 부 어 지
부해 . 시 .

2 ㎣Ⲿ㇋ⱼ〢㐗㓩ⷢ⽶ㄱ㋜⼾ㅏ「ヌ㈎
단어장
Й ⾦ㄯ㉜㉙ゴⲒㆿ㈓" 친구
㔜ㄱ

Ɱ㊊㉔⹅ⷹ
Ɱ㊊㉔

ⲾⲎ㓩
㓩ⷹ
㓩ⷹ
Й ㎨ⳃ㇐ⲁ⾦㇊㉈〧㐜㓱Ⱳ㇨㈓"
ㄱ㔂⿲
⿲㈯

Й ⿘⽘⼍ㆃパ㈓

Ⲩ㋢⳩㑏㔫㓲ㄌ㉤㇀㈔"
Ⲩ 49

문자 메시지 읽기 부탁하는 메시지 쓰기

1. 그 을 보 의 내용을 하게 한다. 1. 어 을 지 알려 주고 에 들어 내용을 각해 보게 한다.


὾ҍὊፚḒẞ% ḮઢὊ♦նᷚҖᖊ⣋ⵢઞ቞᫦⇊ᆆᴂѺḒẞ
਎Њ਎նᷚҖ቞᫦⇊ᆆᓾ࣒ᶾẞ% ♦նᷚҖጾ᪲ᾆ὎ᖊ⣋⵪ѺḒẞ%
ጾ᷑ᷚଊⵦࢾẳᾂҍУᵎẞ%
2. 교재 문에 해자 이 내용을 간단하게 하도록 한다. 교사는
2. 을 어 게한 주제, 내용 등을 간단 해 보도록 한다. 학 들이 에 는지 해 다.
὾ᇋὊṦᵒ‫྆‮‬ᷚҖፂᾚᆆᓾ࣒ᶾẞ% 3. 한 내용을 바 으로 로 성하게 한다.
ᵒ‫྆‮‬ઞṦⵣ՚ᷚᵒОᶾẞ% 성 을 제로 학 들 리 문자로 보내 보도록 한다.
૮ὖ᫦Ўᷚઞጾ᪲ᾆ὾ᾒᶾẞ%
3. 을 다시 으 서 문제를 게 한다.
4. 을 이 한 , 본문을 다시 으 는 어 는지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과 통화 어 47
30분 문화와 정보 문화와 정보

한국 생활에 도움이 되는 스마트폰 앱(App)


ㄮ⽔㑰㒻ㆭ $SS ㇑ⷨ㈽㈛㓱ⱻ⹭㉚⽗ㄴⷵⷿ㇙⻯〪㉈⾋㓴ㆭ㉉ゟ㈛㓸〝ㄴⷵ⳺"㕜⸑
㊊㔫㎱⽼⻕⼎⾋㓴㉉㌹㉆⾇⾋㓴㉕㉚⽅㉚⽼㉝㋂ヨ㊊㔫⿴㔡ⱏ㉨⹃㉆⼎㉢⼂⹏ⷵⷿ
ⷿ㉋㉆⼎ ÓⳄ㓸㋌Ô ㆭ㉚ ㉤ㄴⷵⷿ ㇀⹒㈞ ⿟Ⳳ ⹲ア㉚⵲ ⵴ㄷ ⹲㉕ ㆱ㈌ 㔮⹃ ㋋ ㈵㔈㓱
カ㔰㇑ッ⵲⼎㊊㔫㓯㋢㆜㆘⸹⹏ⷵⷿ㈵㔈㓲⺉㉚ㆭ㉆⼎㉨ㄹ㉕㈵㎧⽄⾪㉨⵲
㍌㒅㉆⼎㆝⽑ⷵⷿⳣ⻯⾇す⽌⸹㈢㉉⿚㉉ㄌ㉤ㄴⷵⷿ

1) ⾋㓴ㆭ㇑ⷨ⾧㄰㊐〒ⱏ㉤㇀㈔"
2)ÓⳄ㓸㋌Ôㆭ㉈㇂㊒ゟ㈛㓸㈔"
3) ㇙⻯〪㉚㆝ⲛ㉤ⷨㄮ⽔㑰㒻ㆭ㉉ヨⱡ㓸〒ヒ㈔

50 ゟ㔶㑏㓵㓡⼎ⳣ⻥
⻥ .,,3 㓱ⳅ㇀ㇽ
ㇽ 㓱ⳅ⾪㔫
㓱ⳅ ㍲⳪

한국 생활에 도움이 되는 스마트폰 앱(App)

1. 이 단원의 문화와 정보 에 한 것 지 알려 다.
ࢪᇒ૮᪮ᇒ⫂⯺὎ᢶẳⵢ⇊ẞ%
᪮ᇒ⫂⯺ᷚᤦጾ᪲ᵻ὎ᾚ℆ᢶẳ⵾ẞ%
ḮઢὊĹⵦշᣧ⹦ᷚ௎Ị὾ఢઞ᪮ᇒ⫂⯺ᵻ( )ĺᷚଊ⵾ᵖᵎᔏ᫦૮

2. 교재의 그 (사진)을 보 서 주제에 해 알고 있는 것을 상기시 고


해 보게 한다. 이 관련 시각 자료를 로 활용할 수 있다.
᷶࿶ᖎ὾ᢶẳ⵾ᔂᵻ὾ᾒᶾẞ%
‫؂‬ᵻὊጾ᷑὎⵪ൖₕᵎẞ%
ᣧ⹦⵪ൖጾ᪲ᵻ὾ⵎẞ⵾ẞ%
3. 교재를 이 으 서 내용을 한다. 이 한 정보 있는
부분에 을 나 표시하게 하는 것도 좋다.
4. 문 1, 의 을 아보고 하게 한다.
኏⵲ᵻᷚઞጾ᪲‟ᓾЊᾒᶾẞ%
Ĺն⵾™ĺᵻὊ᷂…ᢶẳ⵾ẞ%
5. 문을 이용하여 학습자 자 의 을 해 보도록 한다.
᷶࿶ᖎ὾ᵖӪᾒઞₕὊ᪮ᇒ⫂⯺ᵻ὎ᦖЦ⵾ᓾ᥂ẞ

4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마무리 20분

4-P.mp3
발음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 ゥ
⿐ ゥ 㔛
1)〒ⶆㄌ㉤㇀㈔>〒ⶆㅷ㉚ㅕ㈔@ ‘ ’ ‘ ’ 에 는‘ ’ 4-P.mp3
2)㑏㔫㓲ㄌ㉤㇀㈔>㑏㔫㓲ㅷ㉚ㅕ㈔@
(으) 의 에자
࿬ ၴ ฽ 3)ⱓㄌ㇊㇀ッ>ⱓㅷ㇉ㅕッ@
로 다.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1) 㓱ⳅ㇀⼎⾪㉨〒ⶆㄌ㉤㇀㈔
2) ⱏ㋢⳩㑏㔫㓲ㄌ㉤㇀㈔"

๺ቹ༪ ሸ
༪ᅃሸ
⽝ⷯ㊂

ⳮチ 
チ㇟ ⵲⶟Ⲳ㍄㆘㈔
3) ⱏ⾧㄰㉝㉚㇑㈔"
⵲ㇰⷩㄌ㇉㇑ⱓㄌ㇊㇀ッ㊊㔫㓿㇀㈔

배운 어휘 확인


㊄㔥⼾ⱱⷹ ⽝ⶌ⾈⹣⼈㓩ヌ㈎
㋞⸽㉀⼈㓩ヌ㈎

㊄㔥⼾⿔ⷹ
㕖⸋㊄㔥⿞㐫⽆ⱉ㇄ㆺ㈎

㊄㔥⼾ⵛⷹ

⸄㉭㉔㇄ㆺ㈎

⾤㉢⼾「⵽ⷹ
㊄㔥⿮㔛ⱉ⾆⿮㉔㇋㈎"

⾤㉢⼾⿔ⷹ

㊄㔥ㇾㆺ㈎

⾤㉢⼾㋜㈖ⷹ

㋜ⳣ㆔Ⲑヌ㈎

㊄㔥⼾⿏ⴽⷹ

㔜ㄱ

ⲿ㊌㊄㔥⼾㓩ⷹ

Ɱ㊊㉔⹅ⷹ

㇟ゥ㑉㔥⼾㓩ⷹ • 이 단원에서 운어 기 나는 것을 해 보세 .

ⲾⲎ㓩ⷹ

㇓「ヌ㈎" • 이 단원에서 운 문법

ㄱ㔂⿲㈯

㊄㔥⼾㉧⾐ⱱ㇆ㆺ㈎
• 한국 로 전화할 수 있어

㑉㔥㋅㉔㇋㈎
• 한국 사 과 자주 문자를 주고 아
• 한국에서 활할 장 이 는 이
Ⲩ㋢⳩㑏㔫㓲ㄌ㉤㇀㈔"
Ⲩ 51

발음 10분 마무리 10분

1. 교재 1 을 들려주고 수의 이 어 게 들리는지 학습자 로 1. 단원에서 학습한 어 기 하는 것을 해 보게 한다.


해 보도록 한다. 2. 운어 목록의 어 들을 으 서 의 를 상기시 다.
2. 보 , 통화할, 다 에 는수 로 다는 것을 알려 다. 3. 단원에서 학습한 문법( 을 수 있다 다, )을 상기시 의 와
에자 으로 되는 에 해 사용법을 기 하는지 한다.
간단 할 수 있다. 관 (으) 에는 다양한 자 이 4. 단원의 목표와 성 도를 한다.
수 있으나 이 과에서는 에 하여 습하는 것이 좋다.
5. 익힘책을 과제로 제시하고 리한다.
3. 교재 1 을 다시 고 교사를 해 본다.
4. 교재 화를 고 해 본다.
5. 과 함께 화를 으 습하게 한 에 한다.

과 통화 어 49
5 과
많이 아프면 이 약을 드세요

수업 목표 및 내용
많이 아프면 이 약을
제 국
드세요
어 의 , 상 관련 어 를 익 다.
문법 으 , 어서(순차)의 의 와
를 익 사용할 수 있다.

하기 국에서 상을 하고 을 사는
화를 할 수 있다.
기 국에서 을 사는 화를 고 이해할 ㋂㊒ ㇀㕔ㇽ⾪⿹
⿹ 㔮⹃ ⾪㔫ㇽ㊐〒
수 있다. ㆲⳅ ㆲ
ㆲ㋡カⲪ⼃
⼃㇀㕔 ㆲⳅ㇑ッ
ッㆲゟⳮ 㕜㉝㋢㐘㉚ㆲⳅ
‫⾇㉆ ܁܆‬
 ㆘㓢㎩
㎩Ⳅ㇑Ⲃ㊢㇂㓯ⷨ
기 에 용법을 고 이해할
‫ ܆‬㇀ッ ㄎ㍁  ⳧ㆄⳮ
수 있다.
기 아 상에 한 문 에
을 수 있다.

지 이 국

수업 도입 /
1차시 어휘와 문법 2 2차시
전개 어휘와 문법 1

상 관련 어 의
으 어서

pp. 34-37 pp. 34-37

5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도입 5분

도입

1. 교재 그 을 이용하여 학 들과 이 기하 이 과의
주제를 한다.
그림 ➊  ᷶‫غ‬ઞᶾഞḒẞ%὾᷶ᾚઞᶾഞЊᵎ⬖ẞ%
ጾ᪲ᶇ὎ᢶӪᬀᶾẞ%
그림 ➋  ὾ࢲᾚઞᶾഞᆆ૮⓮ᶾẞ%
ጾ᪲ᶇ὾ⵎẞ⵾ẞ%ᶇᢶઞጾ᷑὎™ẞ%
그림 ➌  ᷶࿶ᖎὊᶾഞЊᵎ⬪ᶾẞ%
ᶇշᷚᤦጾ᪲ᶇ὎ᣊᶾẞ%
❷ 2. 화 내용을 정리하 이 단원에서는 아 상,
그 한 등에 해 부한다는 것을 알려
다.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이 단 원 과 관계있 는 단 원 들 아 와
습 니다. 관 련 단 원의 학 습 내 용 을
하 서 지도에 고하시 좋을 것
습니다.
• 주제: 원 단원
1 1과
О㉔゙⻓⹧㉂ㆺ⹮ⱉ
ⱉ㆒㒀㈎"
О㇓⻩〤㉂ㆼ㊌ㆬⲿ
ㆬⲿ㇋ⱔㆺ㈎" • 어휘: , 원
1 1과
• 문법: 이 표현 어서
1 1과

문화와 정보 /
말하기와 듣기 3차시 읽기와 쓰기 4차시 5차시
발음 / 마무리

국에서 상 하기 기 지 이 국
한 을 사는 화 기 상 문에 기

p. 38 p. 39

과 프 51
45분 어휘와 문법 1 어휘와 문법 1

ㆺ⹮ⱉ㆒㒀㈎"
㇀⹴ⱏ㆘㒆㈔"

이 다 리나 이 . 도 . 이나 . ㇝㉚⵲ⲛⳮ㎭㉉㓸㈔

머리 이 다 으 리 아파 .
㏠⾦㉔⵬ⷹ
통이에 . 이 으 이 아파 . 통이에 . ㇗㉔⵬ⷹ
을 으 아파 . 통이에 .

사 하다 을 어 . 계 화장 에
.계 사를 하 에 힘이 어 . ⳨㎧㉃㓩ⷹ

⽫⽆ⱉ㆒㓛ⷹ

이 다 기에 려서 이 나 . 을 ⾉㉔〫ⷹ
화장지로 어 .
㉔ⱉ㆒㓛ⷹ

을 하다 기에 려서 록 록 하고 기 을
㒄㉔〢⻩㋜ⷹ
해 .

목이 다 기에 리 목이 부어 . 을 할 수
어 . 을 을 도 아파 . ⿞ⱉ㆒㓛ⷹ
ッ゙⼾㓩ⷹ
ⷹ⽆⼾ⷹ㎡ⷹ
이 지다 의 부 어 .1 동안 를
하고 있어 . ㇓⻩〤㉂ㆼ㊌ㆺ⹮ⱉ㆒㒉ㆺ㈎"㉔ㆫ⳨㓲「ヌ㈎

다리 다 다 에서 어 어 . 다리에서 나 .
다리를 다 어 . 지난 주말에 축구를 했어요.
운동장에서 넘어져서 다리를 다쳤어요.

54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1 (증상 관련 어휘)

 도입, 제시  연습

1. 아 상을 표현하는 단어 에서 어 것을 알고 있는지 으 1. 각각의 아 상 사진을 보 서 제어 아 는지 아 을


어 는 상을 할 사용하는 표현 을 알려 다. 이 기해 본다.
᷶࿶ᖎὊᶾഞЊᵎ⬖ẞ%ᶾළҖᵎ⬖ẞ% 2. 제어 아 는지 과 함께 상을 해 보도록 한다.
К‫غ‬ᷚ҂ᆶቾᶾථ↧ᣋ὾ᾒᶾ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К‫غ‬ᷚ҂၂ᶾẞᶾഞЊᶾළҖᵎ⬪ᶾẞ%
한다.
4. 다양한 과 그에 맞는 상을 이 기하는 활동으로 장할 수 있다.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할 수 있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5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ۻ܀‬㉀⾁
ㆡ⵽㈕㉔⹘⵽㈕㉏㊜Ɐ㉔⵬ⱉ㊊㉔⹇⺃゙㈕㓲㈎

⽗㉚ ㆘㓡⾇『㈨㇑
ⱏ〒ヒ㈔
어 상황에 한 조건을 할 사용한다. 하
⽱⽌ⱏ㆘㓡ⲛ㇝㉚⵲㈔ ㇩⾪
나 한 를 정할 도 다. (에), (에)
Оⱉⱉ㊝⹧㉔㓫
㓫ⲿ㇋ ㇪⾁ ⾯㓩
㓩ⲕㄻㆺ㈎"
⵬ⱘ
 ㉔㊌㊼⸳㇋ⱉⲕㄻㆺ㈎
와 이 수 있다.
Оㄱⱋ㉔
ㄱⱋ㉔㉞㉀⾁⿚⽬㉃⳴
⽬ ㈎"
О⿜㓪㉃
⿜㓪㉃㓩⾁ ⲕ㓼㇋ⱉソ〢
ソ ⾈ⷴⷴ㉃ ⽐⵱
⽐ 
Ɑ㇣㈎
Ɑ㇣㈎ • 내 등
나 안 이 .
֛ ㉀⾁ О⽬ⷹ ࢉ ⽬㉀⾁

О㉞ⷹ ࢉ ㉞㉀⾁

• 아 을 안 어서 고파 .
֛ ⾁ Оⷹ㎡ⷹ ࢉ
ࢉ ⷹ㎡⾁
ù⽐⹧ⷹ ࢉ
ࢉ ⽐⹧⾁ 나 고프 을 으

• 이 으 세계 여행을 하고 어 .
1 ㉔゙⻓⹧㉂ⲕ⿄㉔㉞ㆺ㈎㊧㉂⿜⿳㉃㉔ㆫ⳨㓲㊼ヌ㈎
• 부하 시 에합 할 .
「⳨
ⳮ㎭㉉Ⲗラ㓯⾇⹿⻈㓱㍁⽄
㇀㊒〨㐱ⳮ㎭㉉
⽔ホ〒ヒ㈔
Ⲗラ㓸㈔

ㆺ㊌〢㐫⳨㎧㉃Ⲑャ㓩ⷹ ⹹⻂㓫㌻⼾⽎ㄱⷹ

다 으
1) 2) 3)
좋다 좋으
-으면 있다 있으
( ) 다 으
㈎㋘⿞ⱉ⽑㉔⵬㇪ⷹ ㈎㋘⿙㇋㉩㉔㆔㇪ⷹ ㉢㊼ⷹ⽆ⱉ〫ⷹ
다 부으
㉢㊄Ɑ⼾㐖ⷹ ㎿㓡⼾㊜ⳣ⽐⽎ㄱⷹ ⽎゙㋜⼾㓩ⷹ 다

2 ㇓⻩〤㉂ㆺ⺗ⱼ㓬Ɑ㇣㈎"㉔ㆫ⳨㓲「ヌ㈎ 자다 자
ⱏ㊣⹭㉚㓱ⳅ㇑ 하다 하
㓱ⳅ㇀⽄㉭㓯⾇ ㇰ⾇⾵㓲ⱳ㇩㈔" ⸻㉚⽗㉆⾇⾷ -면
⾵㓯ⲛㅁ㇀㈔" ゟⲛㅁ㇀㈔" 아프다 아프
( , )
하다 하
Ⲩ⽗㉚㆘㓡⾇㉚ㆲ㉉⹩ヒ㈔
Ⲩ 55 들다 들

문법 1 (-으면)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ᵒ‫྆‮‬ᴲὢ᷆վ὾ᶾൖẞ%ᵎⴒ♦նᷚҖᶾළҖᇚⵢቾₕᵎẞ%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하게


하여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ᵒ‫྆‮‬ᴲЊቂᆶЊᵎⴎӪ᷾὾ᇘ὾ࢢẞ‫؂‬࿶ቾᶾළҖⵢઞҖ
ₕᵎẞ%ౚЊ⇊ЊᾒᶾẞᓛỚᷚЊẞบⵢࢢઞᶇշᷚЊẞĹ⁺ؒ  연습 2
ᵎ⬖ẞĺᶾළҖ⵾ẞ%Ĺ⁺ؒᵎⴎቾᶇշᷚЊ᥂ẞĺ᷂…ᓛỚᷚЊẞ%
1. 한국어를 하 , 들이 한국에 , 이 으 등의
Ĺᇘ὾ᵎⴎቾᓛỚᷚЊẞĺ὾ထҖᶾථᾆὢ⁺Ѿ὎ᇚ⵪ൖĹ὆ቾĺ὎
주제에 해 정하여 이 기해 보고 의 도 문장을 들어
ᢶẳ⵾ẞ
보도록 한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이해시 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프 53
50분 어휘와 문법 2 어휘와 문법 2

ㆺ⹮ⱉ㆒㒀㈎"⾡ㄪㆬ㉔㓤㈎㓲㈎"

㇝㉚⵲㈔
제 이 이나 . 이 아 .그 을 내리는 ⳣ⻳㓸㇝㊒⽄⹩ヒ㈔
을 어 해 .해 제 .
리 아프 이 을 어 .그 리 안
아파 . 리 아 ,이 아 , 아 을
㒀ㄨ⼾〭㉔ⷹ
수 있는 진통제 고 해 . 㓲㇗㊌

기에 어 . 기 을 어 .
제 을 이 어 . 하게 어 .
그 서 화 안 . 화제를 어 .
⹌㑉ㆬ ⿠⹣⼾〭㉔ⷹ
지사제 사를 해 . 지사제를 으 사 춰 .
(어 1에서 사를 하다를 으므로 제시할 수 있 )

ⱐ⳨ㆬ モ⸴ㆬ㉃⿏⼻ⷹ
파 이다 운동을 이 해서 다 어 아파 .
어 지 아 .이 파 를 여 .
이다 리를 했어 . 에 을 어 .
나 . 기에 이 들어 안 . 를 여 .
モ㔥㊌ ㇖ⲕ⼾⿏⼻ⷹ
이다 부 다
고 다 어 어 . 다리에서 나 . 나는
㇓⻩〤㉂ㆺ⹮ⱉ㆒㒉ㆺ㈎"ㆬⲿ㇋ソ⾡ㄪㆬ㉃イㆺ㈎"
에바 는 이 고 .
을 다 어 어 . 다리에서 나 . 고를 저는 지난번에 머리가 아파서
바 기 전에 다 을 하게 해 해 . 그 을 두통약을 샀어요.
.

5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2 (약의 종류)

 도입, 제시  연습

1. 학 들이 어 아 지, 그 는 지 으 서 1. 학 들에게 제 어 아 는지, 그 국에서 을 는지


단어는 국에서 수 있는 이 을 알려 다. 문을 진다.
᷶࿶ᖎὊᶾഞЊᵎ⬖ẞ%‫؂‬ӽ὾ᵎⴎቾጾ᪲ᶇ὾ⵎẞ⵾ẞ%ḮઢὊᶇ 2. 자 이 아파서 을 에 해 과 함께 해 보도록 한다.
὾ᆎ὎ӿᖊ⵾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55ᴲઞᶾഞЊᵎ⬪ᶾẞ%ᶇշᷚᤦጾ᪲ᶇ὎ᣊᶾẞ%
한다.
5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할 수 있다.
4. 운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5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ㆺソ ㄈ㌻
ソ⼈Ⲥ⻽㉔㉞ⷢ⹌㓺⸽㉔ㄱⱋ㊃㉀⼈㉔ㆺソ㉗ㆺ⵴㉃⽓㓬⺃゙㈕㓲㈎

ㆲⳅ㇑ⱏッヨ㔫㊒⽄
㆘㎭〨㐱ヨ㔫ⱏ ゟㇳⲂ㈔
서로 관련 있는 행동을 시간 순서에 해서
㉭㆚⹉㈔ ㇩⾪
이 기할 사용한다. 어서는 어로 여서 수 있다.
Оⱉ㊌㉔ㄪ
ㄪㆊ ㊇ㄷ⽬㇆ㆺ㈎"
"
⵬⶙
 㒩㉏㊇㇋ソ⸳ㄱ⻐㉃゙
゙ソ⽬㇆ㆺ㈎
시간의 순서를 나 내는 고와 하지 어서는 과
О㋜ⵯ
의행 아주 한 관계 있을 이고, 고는
㋜ⵯ㊼⽓㇋
㊼ ㎣ ⼾ ⽐⵬ソⱘ㉔
㎣Ⲿ ㉔㇟㔥⼾
〗ㆺ㈎
〗ㆺ㈎ 시간의 관계 할 사용한다.
О㊂ⷢ㋣㇋ソ
ソ㈎⽆㓲ソ⽬ㆺ㈎

֛㆒ソ О㇪ⷹ ࢉ  ㇷソ
О⽐⵬ⷹ ࢉ  ⽐⵬ソ • 어 을 어
֛ㆺソ О⽐⹧ⷹ ࢉ  ⽐⹧ㆺソ 나 , 구 교 에서 아서 어 .
О⳨ⷹ⽆ⷹ ࢉ  ⳨ⷹ⻻ソ

֛㓲ソ ОⲠ〢㓩ⷹ ࢉ  Ⲡ〢㓲ソ • 어제 했어


О㈘⸽㓩ⷹࢉ
ࢉ  ㈘⸽㓲ソ
나 에 서 장을 어 .
1 ㇓⻩〤㉂ㆺ⺗ⱼ㓲㈎"㉔ㆫ⳨㓲「ヌ㈎ •지 주 에 이를 들어서 어 .
「⳨ 1) 2) 3)
㏉㉔㐇⼾⽬ㆺ㈎ ㉅ㄲ㉃⽬ㆺ㈎ ㇟㔥⼾〕㈎ ⾦㉃⽎フ㈎ • 구를 나서 영화관에 어 .

㋣㇋ソ⽐⹧ⷹ ㋝㊈㈎⽆㓩ⷹ ㇟㔥Ⲥ㇋ⱉⷹ ㋣㇋ソⵞ㉔ⷹ

㊌Ⲣ㊇㇋ゾⷹ ⿞ⷾㄱ㐎ⷹ ⵽⻻⿔ⷹ ⽎㑪㇋ゾⷹ


ⷹ㈘⼈⹣⿔ⷹ 다 아서
-아서 다 서
㏏㉚㐍⽄㋩㇑ッ⽖⹭㇀ッ⽲㇀㈔ ( , ) 보다 서
㊈ⷨ㋩㇑ッ⽖⹭㇀ッ⽲㇀㈔
㊒Ⲩ㊍㇑ッゟッ⽲㇀㈔"
다 도와서

다 어서
2 ⷹ㉅㉃㎣Ⲿ㇋ⱼ⾦ㆺ「ⲕ㓮ⴖ㉔ㆫ⳨㓲「ヌ㈎
이다 여서
-어서
ㄌ㇉㉚⵩⵵ⷿ㉋㇑ 다 서
㆘㎭㇑㉝㇀⵲ッ ㋩㇑ⱏッ⾵㓸㈔" ㎩Ⳅ⽄⽖⵲ッ ( , )
㊒㉝⽳㊈⾵㓸㈔" ⾵㓸㈔"
다 어서
다 부어서
Ⲩ⽗㉚㆘㓡⾇㉚ㆲ㉉⹩ヒ㈔
Ⲩ 57
리하다 리해서
-해서
전화하다 전화해서
(하다)
하다 해서

문법 2 (-어서)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ᴲઞᶾഞЊᵎ⬖ẞ%ᐆᨢᴲઞᶾഞᷚВѺᷚẞ%Ѻ‫غ‬ᷚᤦጾ᷑὎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ѺḒ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하게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하여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ᴲઞᵎ♲ᖊ⤺ᦖ⹞Њᵒఆẞ‫ྡྷ؂‬ᤦᐆᨢᴲЊᶇշᷚВѺḒẞ  연습 2
‫؂‬ᆶӪ‫؂‬ᶇշᷚᤦᦖ⹞…ᆆᢾѺḒẞᐆᨢᴲЊᶾළҖᇚ⵾ẞ%
1. 아 에 어나서 을 하는지, 수업이 다 에 에 서 을
ĹᶇշᷚЊᤦᦖ⹞…ᆆᢶḶҖẞĺቆ ᶇշᷚЊẞ‫؂‬૮ὖᷚ‫؂‬
하는지, 구와 나서 하는지 고 하 서 어서를 활용하여
ᶇշᷚᤦᦖ⹞…ᆆᢶẞЊઞӽ௎ᶇշ὾ᷚẞᢶઞӽ௎ᶇշ὾ᷚẞ
자 의 이 기를 하도록 한다.
УὊҍ὎ౚᒒᇚ⵪ⵎẞЊ᷐ᶾẞ὾⒢ဆᤦၦԊဲ὾ᾒઞౚⶓ௣὎
ᐞၦ὾ᶾᤦ὾ᶆ‫⵪غ‬ൖĹᶾᤦĺᆆᢶẳ⵾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해시 다.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프 55
50분 말하기와 듣기 말하기와 듣기

1 ㆬⲿ㇋ソㆬ゙ㇷ㉔ㆫ⳨㓲㈎ⷹ㉅Ⲣⱘ㉔㉔ㆫ⳨㓲「ヌ㈎

2-5 EBOOK ㆬ゙ ㆺ⺗ⱼ㇪ボㆺ㈎"

1 2) 2-5 EBOOK
㉔⽍ ⿞ⱉ㆒㓛ⲕッ゙⼾㓲㈎
⿞ⱉ㆒㓛ⲕッ゙⼾㓲㈎

약사: 어 게 어 ㆬ゙ ㆼ㊌〢㐫㆒㒉ㆺ㈎"

이링: 이 나고 리 아파 . ㉔⽍ ㇪ⷣ㆒㎧〢㐫㆒㒉ㆺ㈎

약사: 제부 아 어 ㆬ゙ ⳝ⻭㉔ㆬ㉃㋜ⳣ⹣ヌ㈎ⳝ⻛⸳Ⲑャ㆒㓛⾁


이링: 아 부 아 어 . 㓩⼡㇋⹌⿮㆒㎧Ⲣ㊂ⶣ㇋⹣ヌ㈎
약사: 그 이 을 지 세 .그 도계 아프 ⳝ⽆ⲕ㊽㉃ⵞ㇓ソ⹣ヌ㈎
㊽㉃ⵞ㇓ソ⹣ヌ㈎

원에 보세 . 그리고 에 서 세 .

1)⿞ⱉ㆒㓛ⲕッ゙⼾㓩ⷹ
⿞ⱉ㆒㓛ⲕッ゙⼾㓩ⷹ _㓩⼡㇋⹌⿮㆒㎧Ⲣ㊂ⶣ㇋⽬ⷹ㊽㉃ⵞ㇓ソ⽬ⷹ
㓩⼡㇋⹌⿮㆒㎧Ⲣ㊂ⶣ㇋⽬ⷹ ㊽㉃ⵞ㇓ソ⽬ⷹ
2)㇗㉔⵬ⲕ⽫⽆ⱉ㆒㓛ⷹ
㇗㉔⵬ⲕ⽫⽆ⱉ㆒㓛ⷹ _〈㈢㇋ⱉ「ⷹ㋣㇋ⱉソ㓅ㄚⷹ
〈㈢㇋ⱉ「ⷹ ㋣㇋ⱉソ㓅ㄚⷹ
2
2 ㆒㒀ソㆬⲿ㇋ㇾㆺ㈎ㆬⲿ㇋ソㆬ㉃゙「ヌ㈎
가: 어 게 어
나: 기 을 사 어 .( 기 을 사고 어 .) ㇀⺝Ⲃㇰモ㇀㈔"
가: 어 아프세
㇀⹴ⱏ㆘㓡ヒ㈔"
나: 기 도 나고 목도 아파 .
가: 제부 아 어
나: 어제부 아 어 .
5-L.mp3

㉩ㄱ⹣ㆊⱉ㆒㒀ソㆬⲿ㇋ⱔㆺ㈎㉧⹦ⲕ⸄㓲「ヌ㈎

1) ㉮ㄶ⹨㆏ⷧㆿ⹳ⱎ㆗㒅㈓"
5-L.mp3 잠시드(남): 파 주세 . 어깨하고 허리가 아파요.
약 사(여): 어 에 이 2) ㆱⳄ㇐ヂㆿ⺓ㆱ㉈ォㆿ㈓"
잠시드(남): 어 하고 리 . 어제 운 들 어 . Ұ ұ Ҳ ҳ
약 사(여): 어 게 아프세 들 수 있어
잠시드(남): , 그 데 들 아파 .
약 사(여): 이 여 보세 . 58
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㔶㑏

약국에서 증상 말하기  확장 연습

 대화문 연습 1. 아 국에 와서 을 사는 하기를 한다고 알려 다.


2. 과 이 아 상을 하고 한 을 사는 방법에 해
1. 국에서 을 사는 상황에 해 이 기하 교재의 그 을 이용해
이 기하게 한다. 화를 할 는 다 과 내용을 함하여
어 상황 지 해 보도록 한다.
하도록 지시한다.
᷶‫غ‬ઞᶾഞḒẞ%
᷶ᾚઞᶾഞЊᵎ⬖ẞ% ᶇᢶṊ⹢ᾚЊఢᶾᶾഞЊᶾළҖᵎⴒ⇊↧ᣋ὎὾ᶆ‫᥂ⵢغ‬ẞ‫؂‬ᆶӪ
ጾ᪲ᶇ὾ⵎẞⵦ⇊ᶇ὎ᶾළҖቃઞ⇊ᷚଊ⵾ᤦ௎὾ᶆ‫⵾غ‬ᓾ᥂ẞ
὾᷶ᾚઞጾ᪲ᶇ὾ⵎẞ⵾ẞ%
2. 지시문을 이용하여 화 상황을 학 들에게 하게 알려 다. 3. 이 기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하고 를 수정해 다.
3. 화를 들려주고 간단한 문을 하여 화 내용을 이해했는지 한다.
᷶ᾚઞᶾഞЊᵎ⬖ẞ%
᷂…ᖊ⤺ᵎ⬪ᶾẞ% 약국에서 하는 대화 듣기
ᶇ὎᷂…ቃᶾẞ% 1. 지시문을 이용하여 등장 과 화 상황을 한다.
4. 교사와 함께 화문을 으 서 자 게 하는 습을 한다. 2. 문제를 고 들어 하는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정도 해서 습한다.
3. 기파 을 고 문제를 게 한다.
5. 교 어 를 활용하여 과 함께 습하게 한다.
4. 교재 문의 을 한 해 화를 이 으 내용을 한다.
6. 습이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한다.

5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읽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50분

1 ⷹ㉅ⳡ㉃㉘ⲕ㋠⾤㇋⸄㓲「ヌ㈎

1) ㆱ〙㑘㉔ⶂ㈚ⲧⱝ㉅⾆нⷾ⽀⾆
н ;㓮パ㈓
약 봉 투
Ұ㉙ㆱ㉇㓮⼦㇐パ⿳⽱ㆿ㈓ 
라민 귀하 ұ㉙ㆱ㉇㊌ㄼ㇐⽱㋡㆛㆗㈓  
남・여 25 세
Ҳ⻔⿉㆏ⷧㄭ⾫ⷾネィ㉙㇐㈓  
용법

1일 2회 ( 침 녁 ) 3 일분 2) ㉙ㆱ㉇⾄㎪⹂㆙⽱ㆿ㈓"
□ 식전 30분
□ 식후 즉시
□ 식후 30분
□ 식후 1~2시간
3일 동안 먹어요. 을 어 . 을 에 아서 .
3) ㉙ㆱ㉇㇁㊑⽱ㆿ㈓" 용 을어 게 어 하 에 , 제 어
행복약국
식후 30분에 먹어요. 용법 을 는 방법이에 . 을 을 는 용법을
보세 .
용법 용
2 ㆒㓜゙⻓㉔㉖㐫⶟㇋㋠⾤㉃㓹ㆺ㈎ㆺ⺗ⱼ㓩⾁㊧㉃⳴㈎"⸑ⳡ㉃ㅏ「ヌ㈎
전 사하기 전에 을 어 . 0분 에 을
어 . 전 0분에 을 어 .
단어장

여러분 안녕하세요? 저는 필리핀에서 온 마리셀이에요. 저에게 한국의 겨울 날씨는 너무 ㈕⿳

추워요. 그래서 어제부터 기침을 하고 콧물이 나요. 열도 있어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㔰 사 에 을 어 . 사한 다 0분



에 을 어 . 0분에 어 .
ㄲ㊄
‫ׅ‬ 댓글
ㄲ㔼 시
⸑ⳡ

Ⲩ⽗㉚㆘㓡⾇㉚ㆲ㉉⹩ヒ㈔
Ⲩ 59

약 봉투 읽기 증상에 대한 질문 글에 댓글 쓰기

1. 그 을 보 의 내용을 하게 한다. 1. 어 을 지 알려 주고 에 들어 내용을 각해 보게 한다.


὾ᔓ⨶ઞፚḒẞ%ᶾഞᷚᤦᐥᵎẞ%᷶‫غ‬ᷚጾ᷑὾᭲ᾒᶾẞ% ᵎⴒᢶྖ὾ᾂ⤺ुᷚ⇒ፂ὎ⶒᶾẞḮઢὊ‫؂‬ᢶྖὢ⇒ፂᷚₕὊ
ᐳᒟ὎ᵖီ℆ઞଝ؊὎ᴂѺḒẞ
2. 을 어 게한 주제, 내용 등을 간단 해 보도록 한다.
ᵎⴒᢶྖᷚҖₕὊᐳᒟ὎ᵖီℎൖⵎẞⵦࢾẳὊጾ᷑ᾂЊẞ%
਎Њᵎ⬖ẞ%὾ᶇὊⵢჲᷚኑᒒቃᶾẞ%᷂…ቃᶾẞ%
2. 교재 문에 해자 이 내용을 간단하게 하도록 한다. 교사는
ቺ♪௣ᵒቃᶾẞ%
학 들이 에 는지 해 다.
3. 을 다시 으 서 문제를 게 한다.
어 자주 아파
4. 을 이 한 , 본문을 다시 으 는어 는지 기에 어 . 상이 어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어 게하 기 리 나을 수 있어
을 는 게 좋아
그 방법을 제 해 어
3. 한 내용을 바 으로 로 성하게 한다.

과 프 57
30분 문화와 정보 문화와 정보

휴일지킴이 약국
㓱ⳅ㇑ッⷨ 㒯㉕㊍㇑ッ⸹ 㓸㇝㊒ ㋤㑏㊒ ヨ㔫㊒ ⱖⳮㆲ
㒆ㄮ⽄イㄌ㉤ㄴⷵⷿ㓯㋢⽖⸑〨〪㉕ㆲ⹭㉈ㆲⳅ㇑ッエⷵⷿ
㕜㉝㇑ㆲ㉚㓪㈔㓯⾇㇀⺝Ⲃ㓲⳺㈔"ⳣ⻯⾇㕜㉝㋢㐘㉚ㆲⳅ㉉
이 게 에 단 을 수있 . ㍋㆘〒ヒ㈔㕜㉝㋢㐘㉚ㆲⳅ㉈㕜㉝㇑⸹⾪㉉㇡ⷵⷿ㕜㉝㋢㐘㉚
시간이나 에 자기 이 아프 어 게 해 ㆲⳅ㔦㒦㉚㋢㇑㊎ラ㓯⾇㕜㉝㋢㐘㉚ㆲⳅ㉉㍋㉉ㄌ㉤ㄴⷵⷿ

국이 문을 아서 을 수 어 . 하지 국이 ⳣ⽌ⲛ㓪㈔㓱ㆲ㊐〒⸹㔬㉜㓲ㄌ㉤ㄴⷵⷿ

문을 에도 운 편의점에서 간단한 상 을
1) ㆲ㉉㇀⹴㇑ッイㄌ㉤㇀㈔"
수 있어 . 편의점에서는 기 , 화제, 해 제, 2) 㕜㉝㋢㐘㉚ㆲⳅ㉈㇀⺔ㆲⳅ㉚㇑㈔"
진통제, 파 등을 아 . 고 도로 게 에서도 3) ㇙⻯〪ⲛ㔂㇑ッⷨ㇀⹴㇑ッㆲ㉉イㄌ㉤㇀㈔"

상 을 수 있으니 자기 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 .

60
60 ゟ㔶㑏
ゟ㔶㑏㓵
ゟ㔶
ゟ㔶
㔶㑏
㔶㑏㓵

㑏㓵
㓵㓡
㓵㓡⼎ⳣ⻥
⼎ⳣ .,,3
⼎ⳣ
⼎ⳣ⻥
.,,3 㓱
㓱ⳅ㇀ㇽ㓱ⳅ⾪㔫
㓱ⳅ⾪㔫
㓱ⳅ⾪㔫
㓱 ⳅ⾪㔫
⾪㔫㍲⳪
⾪㔫

휴일 지킴이 약국

1. 이 단원의 문화와 정보 에 한 것 지 알려 다.
ⵦշᷚᤦᶇ὎ᢶᔮ⇊ẞ%⼾ᾆᷚઞᶾഞᷚᤦᶇ὎ᢾᨢᾒᶾẞ%
ḮઢὊĹ⼾ᾆ⇊⢾὾ᶇշĺᷚଊ⵾ᵖᵎᔏ᫦૮

2. 교재의 그 (사진)을 보 서 주제에 해 알고 있는 것을 상기시 고


해 보게 한다. 이 관련 시각 자료를 로 활용할 수 있다.
᷶࿶ᖎὊᓾ⦿ᶾഞᷚᤦᶇ὎ᢶẞ%
⼾ᾆᷚЛᾚ‫غ‬ᶇ὾ⵎẞⵢቾᶾළҖ⵾ẞ%
⼾ᾆᷚᶇշ὎ᶾළҖ⑈὎ᨢᾒᶾẞ%

3. 교재를 이 으 서 내용을 한다. 이 한 정보 있는


부분에 을 나 표시하게 하는 것도 좋다.
4. 문 1, 의 을 아보고 하게 한다.
ᶇ὎ᶾഞᷚᤦᢾᨢᾒᶾẞ%
⼾ᾆ⇊⢾὾ᶇշὊᶾථᶇշ὾ᷚẞ%

5. 문을 이용하여 학습자 자 의 을 해 보도록 한다.


᷶࿶ᖎӪ⶯ᷚᤦઞᶾഞᷚᤦᶇ὎ᢾᨢᾒᶾẞ%

5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마무리 20분

5-P.mp3
발음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1)ⶽ㋢>ⶳ㎧@ 5-P.mp3
2)㇀⺝Ⲃ>㇀⺒㏏@ 의 에 , ,
3)㊭㋢㈔>㊢㎧㈔@
, , 로 다.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1) ⱏ㇙ⳮ㇑⾬Ⱶ㉉ⶽ㋢⽔ヒ㈔
⵲⶟㆝Ⲉㄴⷵⷿ
2) ⱏ㇀⺝Ⲃㇰモ㇀㈔"
⵲⽱⽌ⱏ㆘㒆㈔
3) ⱏⱞ㉚⿠㉉⽲㉉⳺㈔"
⵲㊭㋢㈔

배운
운 어휘 확인


㇗㉔⵬ⷹ 
モ㔥㊌


㏠⾦㉔⵬ⷹ 
㒀ㄨ


⽫⽆ⱉ㆒㓛ⷹ 
⿠⹣


⳨㎧㉃㓩ⷹ 
〭㉔ⷹ


㉔ⱉ㆒㓛ⷹ 
モ⸴ㆬ


⾉㉔〫ⷹ 
㇖ⲕ


⿞ⱉ㆒㓛ⷹ 
⿏⼻ⷹ


ッ゙⼾㓩ⷹ 
㈕⿳


〢⻩㋜ⷹ 
㔰


ⷹ㎡ⷹ 
〤 • 이 단원에서 운어 기 나는 것을 해 보세 .

㓲㇗㊌ 
ㄲ㊄ • 이 단원에서 운 문법

⹌㑉ㆬ 
ㄲ㔼
• 한국에서 아 적이 있어

ⱐ⳨ㆬ 
⸑ⳡ
• 국에서 한 을 수 있어
• 지 이 국에 해 알고 있어
Ⲩ⽗㉚㆘㓡⾇㉚ㆲ㉉⹩ヒ㈔
Ⲩ 61

발음 10분 마무리 10분

1. 교재 1 을 들려주고 지, 어 게 , 좋지 의 이어 게 1. 단원에서 학습한 어 기 하는 것을 해 보게 한다.


들리는지 학습자 로 해 보도록 한다. 2. 운어 목록의 어 들을 으 서 의 를 상기시 다.
2. 다 에 는 지 , 게 로 다는 것을 알려 3. 단원에서 학습한 문법( 으 , 어서(순차))을 상기시 의 와
다. 사용법을 기 하는지 한다.
에 , , , 으로 되는 에 해 4. 단원의 목표와 성 도를 한다.
간단 할 수 있다. 한편 이 의 순서 서로 바 어도
5. 익힘책을 과제로 제시하고 리한다.
현상이 나 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게 좋다.

3. 교재 1 을 다시 고 교사를 해 본다.
4. 교재 화를 고 해 본다.
5. 과 함께 화를 으 습하게 한 에 한다.

과 프 59
6 과
맛있는 음식을 먹을 때 행복해요

수업 목표 및 내용
맛있는 음식을 먹을 때
제 기분과 정
행복해요
어 기분, 정 관련 어 를 익 다.
문법 , 을 의의 와 를
익 사용할 수 있다.

하기 구의 을 보고 기분을 는 화를
할 수 있다.
기 기분과 정에 관한 화를 고 이해할 ㋂㊒ ㇀㕔ㇽ⾪⿹
⿹ 㔮⹃ ⾪㔫ㇽ㊐〒
수 있다. ⳮ〪Ⲩⱖ㊐ ⳮ〪ⱖ㊐ⲪⲪ⼃㇀㕔 ⳮ〪㇑ ⸑㓸⽙㓯ⳮ ㉚⾎㑾㏢
‫Ⲉ ܁܆‬ ㎩Ⳅ⵲ ⱏ㊣㇑Ⲃ
㎩Ⳅ
기 한국 활에 한이 을 고 이해할
‫⺉㉉ ܁܆‬ ㉚⽼㉝ㆄⳮ
㉚⽼
수 있다.
기 구나 에게 한국 활을 개하는
을 수 있다.

수업 도입 /
1차시 어휘와 문법 2 2차시
전개 어휘와 문법 1

좋 기분과 정 좋지 기분과 정

pp. 40-43 pp. 40-43

6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도입 5분

도입

1. 교재 그 을 이용하여 학 들과 이 기하 이 과의
주제를 한다.
그림 ➊  Њ⁻὾У὾᫧ᢶᆆ⵾ẞ὾Њ⁻‫غ‬ᖎ὾
ᶾൖᓾ᷶ẞ%ὖ᫧ᇥ὾ᶾථҍУᵎẞ%
᷶࿶ᖎὊᇥᾒઞὖ᫧὎ቃ὆ቾ‫غ‬ᖎ὾
ᶾൖẞ%
그림 ➋  ὾ᢶྖ೮Ὂጾ᷑὎ᐥᵢᶾẞ%ᾯⵣؒ὎
ᐥ὆ቾ‫غ‬ᖎ὾ᶾൖẞ%᷶࿶ᖎὊ᷂…‫غ‬ᖎ὾
ₕᵎẞ%

그림 ➌  ὾᷶ᾚઞ᷆վ὾ᶾൖᓾ᷶ẞ%Ṧ‫؂‬࿺ҍ
Уᵎẞ%᷶࿶ᖎὊ᷂…‫غ‬ᖎ὾ᵒₕᵎẞ%

2. 화 내용을 정리하 이 단원에서는 기분, 정


등에 해 부한다는 것을 알려 다.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이 단원과 관계있는 단원들 아 와 습니다.
관련 단원의 학습 내용을 하 서 지도에
고하시 좋을 것 습니다.
학습자들 적으로 정이나 기분을
О㉔゙⻓⹧㉂⳨〤㉔
㉔ㆺ⺃㈎"
표현할 기분이 좋다, 기분이 나 다 와
О㇓⻩〤㉂ㆼ㊌⳨〤
⳨〤㉔㊧㆒㈎"
표현을 하게 사용하 는데 그
ㆼ㊌⳨〤㉔㆔
㆔㊧㆒㈎" 표현보다는 다양한 어 로 정을 세분화
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
합니다.

문화와 정보 /
말하기와 듣기 3차시 읽기와 쓰기 4차시 5차시
발음 / 마무리

좋지 기분과 한국 할이 기 이
정에 해 하기 한국 활이 기
좋 기분과 정에
한 화 기

p. 44 p. 45

과 61
45분 어휘와 문법 1 어휘와 문법 1

㋜ⳣ⳨〤㉔ㆺ⺃㈎"

이 시 을 어 . 께서 찬해 カ㉉⿚ㆤ㇀㈔ⳣ⻡ッⳮね㈔
⳨〤㉔㊧ⷹ
주 어 . 구들에게 도 어 . 기분이
어 기분이 좋아 .
좋아 조아

내 아이 을 .그 서 에
도 안 자 . 아이 기분이 어 나 . 에
ㄳ⵬ⷹ
고 에 려고 들 지다 했어 . 내
행기를 . 나 .

리 아이 학교에서 상을 어 .
아이 좋아해 . 도 기 . ⳨れⷹ

㓺」㓩ⷹ

아기를 어 . 되어서 아기를


안고 있어 . 아기 서눈 이 것 아 .
㋗ⱴⷹ
아기를 보고 있으 행 해 .
행 해 행보 ⿓ⱑⷹ

나서 사해 . 나서 습니다.
에고 구를 나서 . ㇓⻩〤㉂⾡㇅㉃㓩⾁⳨〤㉔㊧㆒㈎"

구와 이 이 원에 서 재 있게 저는 운동하면 기분이 좋아요.


아 . 있는 도 고 이 기도 하고 기분이
좋아 . . 게보 어 .

64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1 (좋은 기분과 감정)

 도입, 제시  연습

1. 기분과 정을 표현하는 단어로 어 것을 알고 있는지 으 의 1. 을 하 기분이 좋 지, 제 기분이 좋 지 기분이 좋 을 의


어 는 좋 기분과 좋 정을 할 사용하는 표현 을 알려 다. 을 이 기해 본다.
᷶࿶ᖎὊጾ᷑὎ⵢቾ‫غ‬ᖎ὾ₕᵎẞ%᷂…‫غ‬ᖎ὾ₕᵎẞ%ḮઢὊ‫غ‬ᖎԆ 2. 을하 기분이 좋 지 과 화하도록 한다.
К‟὎ӿᖊ⵾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ᖎὊጾ᷑὎ⵢቾ‫غ‬ᖎ὾ₕᵎẞ%
한다. ‫؂‬ൖ‫غ‬ᖎ὾ᶾൖẞ%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4. 다양한 상황에서의 기분과 정에 해 이 기하는 활동으로 장할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수 있다.
할 수 있다.
0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아어 로 단어를 는
등 화를 수 있다.

6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Ⲃۻ܀‬
ⷹ⼽゙⻓㉏㉗㉔⵬ゥ㔪㉃㎁㎚㓬⺃゙㈕㓲㈎

サ㉝デ⾬⼎㋢ⱗ㉉
하는 시의 상황이나 상 를 보고 으로 어
⿚ㆤ㇀㈔ ㇽ㊐⽙ ㊭Ⲉ㇀㈔
㇩⾪
이나 정을 하여 할 사용한다. 과 를 할
Оⱉソ㈙㇋ソㄱ㇋
ㄱ㇋ .7;⼾㐙
㐙Ɑ㇣㈎
⵬ⳝ⻭〢゜㇋
㇋ㄱ㊄㇋⸳㌼
㌼㓩Ⲃ⶙㈎
는 을 다.
Оⱉㆺ㊌
ㆺ ⿙ㄱ⳴㋜㉗
㋜ 㓹ㆺ㈎
⵬⽑㉔ 㓡ⲗ㓩Ⲃㆺ㈎

О⵽㉗
㉗ ぅⱉ
ぅⱉ㇪ⷯ⳴
㇪ⷯ ⵱ㆊ
⵱ ⱉ ㎆Ⲃㆺ
ㆺ㈎ • 국적 시 에 합 했어 .
나 와, 정 기 어 .
֛ Ⲃ  О㊧ⷹ ࢉ ㊧Ⲃㆺ㈎

О㎆ⷹ ࢉ ㎆Ⲃㆺ㈎

• 이 이 에게 맞을
О㇪ⷹ ࢉ ㇪Ⲃㆺ㈎
ࢉ 나 어 .
О㆒㓛ⷹ ࢉ
ࢉ ㆒㓛Ⲃㆺ㈎

• 눈이 이 와서 이 어 .
1 ⳝ⽊㉃「ⲕ㉔ㆫ⳨㓲「ヌ㈎
• 회사에 이 아서 힘들 어 .
「⳨

㎩Ⳅ⹭Ⲩ㇙㔀㉉ⱏ㈔ ㋝ⱺⲈ㇀㈔

㎣Ⲿ⹧Ⲣ㇓㓺㉃ⱉⷹ ㋗ⱴⷹ

1) 2) 3)

㉭㓪ⳣ㉃⿔㆞ⷹ ⷹ㉅ⷾ㇋ⲕ㓼㇋ⱉⷹ ⵱ㆊⱉ㕝⽆ⷹ 다


⳨〤㉔㊧ⷹ ⱉ㊝⹧㉔㊧㆒㓩ⷹ ぅⱉ㇪ⷹ

2 ㎣Ⲿ㉏Ⲑ㔱㉃⹦ⲕ㉔ㆫ⳨㓲「ヌ㈎ 하다 하
-겠-

( , )
ㇰ⻣⽖㇑ⱏ㊣⹭㉉ⷿ⽖⵲㈔ ㊐⽙⿙ⱗⲈ㇀㈔ 다

Ⲩ⽞㉤ⷨ㉋ㄸ㉉⽲㉉⺉㔀〓㓸㈔
Ⲩ 65 들다 들

문법 1 (-겠-)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ౚᢶྖ὾⛮ⵆᆆᇒ᫦ቺ὾ᶆ‫ⵢغ‬Ӫᾒᶾẞ⻎ᷞᴲЊ⇊Л὎ᓾ᷶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मẞ⻎ᷞᴲઞ‫غ‬ᖎ὾ᶾථҍУᵎ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하게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하여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ᴲЊᣒ⇊Л὎ᓾ᷶™ẞ‫⇊؂‬Л὎ᣧᾆᤪፆၦᐥᵢᶾẞẺᆶઞ  연습 2
⻎ᷞᴲὢ‫غ‬ᖎ὎⁺ؒᵖᨢᾒᶾẞ‫ྡྷ؂‬ᤦᇚ⵾ẞĹṊ‟ᇚₕҪᶾẞĺ
1. 장학 을 을 , 다 에고 에 , 의
὾ထҖࢾЊ⇋‛ⵦҍὊᵎ૒⇊ᇖ‫؂‬ᢶྖὢ‫غ‬ᖎ὎▞☫⵾ᤦᇚ⵪ൖ
상황이나 상 를 보고 기분이나 정을 하여 이 기해 보도록
ĹҪĺ὎ᢶẳ⵾ẞ
한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이해시 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63
50분 어휘와 문법 2 어휘와 문법 2

㋜ⳣ⳨〤㉔ㆺ⺃㈎"

이 시 을 어 . 구와 어 . ⱛ㆘㋢ⱏ㋃㇌㇀㈔ⳣ⻡ッㄱ㒝㈔

기분이 어 기분이 안 좋아 .
ㄫ㓛ⷹ ⳨〤㉔㆔㊧ⷹ
아지 어서 고 어 . .
할 니께서 아 서 .
Ɱ㊊⹅ⷹ
한국에 자 아 . 고 에 있는 이
보고 어 . 구도 고 자 있어서 로 . 로
사진을 .
㈆⼍ⷹ
구 시간에 어 . 동안 기다려도
안와 . 구 전화도 안 아서 화 나 .

㔥⵬ⷹ

편이 아파서 원에서 사를 어 .
내 사 과를 알 수 있어 . 안 좋 각이 들어 .
정 .

리 해 .그 데 도 고 도 ㋩㋛⵬ⷹ
⸄⸄㓩ⷹ
이 서 수 어 . 나 . 도 운데
안에 사 들도 고 시 서 나 . ㇓⻩〤㉂⾡㇅㉃㓩⾁⳨〤㉔㆔㊧㆒㈎"

한 국 로 이 기하고 어 . 그 데
친구하고 싸우면 기분이 안 좋아요.
한국 를 해서 해 . 한국 사 도 제 을 화나요.
알아들어서 해 .

6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2 (좋지 않은 기분과 감정)

 도입, 제시  연습

1. 을 하 기분이 안 좋 지 으 는 단어는 기분이 안 1. 학 들에게 을하 기분이 안 좋 지 제안좋 정이 는지


좋을 의 정을 표현하는 어 을 알려 다. 문을 진다.
᷶࿶ᖎὊጾ᷑὎ⵢቾ‫غ‬ᖎ὾ᵒₕᵎẞ%᷂…‫غ‬ᖎ὾ᵒₕᵎẞ%ḮઢὊ 2. 과 함께 자 의 좋지 기분과 정에 해 해 보도록 한다.
‫غ‬ᖎ὾ₕ⇊ᵔ὎ൖὢК‟὎ⵦշᶾၦⱦ⸎ⵢઞᐳᒟᷚଊ⵾ӿᖊ⵾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55ᴲઞጾ᷑὎ⵢቾ‫غ‬ᖎ὾ᵒₕᵎẞ%᷂…‫؂‬࿺К‟὾೮ᶾẞ%
한다.
1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할 수 있다.
4. 운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6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ۻ܀‬㉃⺃ 을때
ㆺ⺎㓺㈯⵬ゥ㔪㉔㉗ㆺⵯㄈⱋ㉔⵬⸽㆔㉃⵬㐖⵽㈎
어 행 나 상황이 어나는 동안이나 시간을 나
사용한다. 과 의 시간을 나 는 을 를 다.
㕂㇓㆐ⷨ㇂㊒
㔀〓㓸㈔"
㇩⾪
부 시간을 나 내는 사 에 를 서 방학 ,
Оⱉㆼ㊌〢⾈ⷴ
〢⾈ⷴ㉔⽑
㉔ ⽑㉔クⱊ⵬㈎
⵬ "
⵬㆒㓝⺃ 〢⾈ⷴ㉔ク
クⱊ⵬㈎ 시 , 등학교 , 장 와 이 다. 그 나 아 ,
О㈵゙⻓
㈵゙⻓Ⲣㄲ゙㓬 ⺃ ㄉⱉ
ㄉⱉ⻐㉃⽭㊂⹧㋜⽎ヌ㈎
점 , , 전, , , 주, 주 등 어 의 안에
Оㄇ㊌ⱉ
ㄇ㊌ⱉ ⽑㆒
⽑ ソ 㕳⹧⺃㓫ⲿ
㓫 ㎣Ⲿⱉ⸳ㇷ㋆㈎
이 시간의 의 있기 문에 사 와는 이 지
㊈ⷨⱏ㊣⹭Ⲩ⽞㉤ⷨ
는다.
㉋ㄸ㉉ ⽲㉉⺉㔀〓㓸㈔ ֛ ㉃⺃  О⽬ⷹ ࢉ ⽬㉃⺃

О⽑ⷹ ࢉ ⽑㉃⺃

֛ ˹⺃ Оⱉⷹ ࢉ ⱍ⺃



ù㕳⹧ⷹ ࢉ
ࢉ 㕳⹧⺃ • 주 에 시간 있을 해
나 주로 안 을 해 .
7LS Ⲩⱳ㉕ㄷⱑ㉉⵲㐜ⶆ⺉ⷨÓ㇌㉉⺉Ô⽄ゟ㈛㓱ⷿ

• 기분이 좋을 어 게 해
1 ⳝ⽊㉃「ⲕ㉔ㆫ⳨㓲「ヌ㈎ 나 도 고 도 .
「⳨
•시 사 과 이 기하지 세 .
ⳮ〪㉚㆚㊭㉉⺉ ⳮ〪㉚㆚㊭㉉⺉ア㍍㓸㈔
㇀⺝Ⲃ㓸㈔" • 방학 고 에 .

⳨〤㉔㆔㊧ⷹ ゜㍇㓩ⷹ

1) 2) 3)
다 을
-을 때 좋다 좋을
( ) 있다 있을
㔥⵬ⷹ ⸄⸄㓩ⷹ ⿙㇋㉩㉔㆔㇪ⷹ
다 들을
⽑㉔⽬ⷹ ㎣Ⲿ㇋ⱼ㉔ㆫ⳨㓩ⷹ ㊜㈕㓫㉅㆓㉃⹦ⷹ
보다
2 ㇓⻩〤㉏⳨〤㉃㎣Ⲿㇷ㉔ㆫ⳨㓲「ヌ㈎ 아프다 아
㇂㊒ ㇂㊒ ㇂㊒ ㊈ⷨ〨⾎ⷺⲨ㊊㔫㑏㔫㓲⺉
-ㄹ 때 하다 할
㔀〓㓸㈔" ㈌⼎㈦㈔" ㄱ㒝㈔" 㔀〓㓸㈔ ( , ) 학 이다 학
힘들다 힘들
Ⲩ⽞㉤ⷨ㉋ㄸ㉉⽲㉉⺉㔀〓㓸㈔
Ⲩ 67
다 로

문법 2 (-을 때)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ౚᢶྖ὾՚᫮ᷚᤦ὾ᶆ‫ⵢغ‬Ӫᾒᶾẞ᷶ᾚὢ‫غ‬ᖎ὾ᶾථҍУᵎẞ%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ᾚઞ᷂…‫غ‬ᖎ὾ₕὊҍУᵎ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하게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하여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Ӫ⒦ᴲᷚҖ⇒ፂ⵾ẞĹӪ⒦ᴲઞ᷂…ⶓᓿ⵾ẞ%ĺḐᷚ‫؂‬ᇆ὎ᓾ᥂ẞ  연습 2
Њ⁻೮Ԇọ὆ቾᤦ᫧ᢶⵢӪᾒᶾẞ‫؂‬ဆĹЊ⁻೮Ԇᇥᾒઞὖ᫧὎ቃ὎
1. 제 기분이 좋 지, 제 기분이 안 좋 지, 구와 고 하 서
ൖⶓᓿ⵾ẞĺ྆Ӫᇚ⵾ẞĹὖ᫧὎ቃ὎ൖĺ⒢ဆᶾථᾆ὾ᾆᶾࢢઞ
을 를 활용하여 자 의 정과 상황에 해 이 기를 하도록 한다.
᫦Ў὎ᇚ⵪ൖĹ὎ൖĺᆆᢶẳ⵾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이해시 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65
50분 말하기와 듣기 말하기와 듣기

1 ㎣Ⲿ㇋ⱼ㆔㊧㉂㉗㉔クⲍㆺ㈎ⷹ㉅Ⲣⱘ㉔㉔ㆫ⳨㓲「ヌ㈎

2-6 EBOOK
㆒⵬㉔ㄨ ㆔㊏⻏ㆊ⾡ㄪ㉗㉞ㆺ㈎"ㆿⳂ㉔㆔㊧⶙㈎
1 2) 2-6 EBOOK
㆔㊏⻏ ㆒⿬㋜ⴖソ⾎㉔㆔㊧㉀フソ〈㈢㇋Ⲑヌ㈎
㆒⿬㋜ⴖソ⾎㉔㆔㊧㉀フソ〈㈢㇋Ⲑヌ㈎
아나이스: 안 , 있어 이안좋 .
㆒⵬㉔ㄨ ㊊⽓㈎"⽑㉔Ɱ㊊⹅Ⲃㆺ㈎
Ɱ㊊⹅Ⲃㆺ㈎
안 젤 라: 제 한 구 고 으로 아 어 .
㆔㊏⻏ ⶙㉔⻫㉗㉔㉞㉃⺅㊊⽓ㄫ㒗㈎
아나이스: 정 이 어 .
こ⽆ⲕ㓼㇋ⱉソ㆒⿬㋜⼾「ⲕㄻㆺ㈎
㆒⿬㋜⼾「ⲕㄻㆺ㈎
안 젤 라: , 이 이 있을 정 .
리 고 에 서 구를 나고 어 .

2 1)㆒⿬㋜ⴖソ⾎㉔㆔㊧㉀フソ〈㈢㇋Ⲑㄱⷹ
㆒⿬㋜ⴖソ⾎㉔㆔㊧㉀フソ〈㈢㇋Ⲑㄱⷹ _Ɱ㊊⹅ⷹ
Ɱ㊊⹅ⷹ _㆒⿬㋜⼾「ⷹ
㆒⿬㋜⼾「ⷹ

가: 이 안 좋아 보여 . 있어 2)㊌㉗㎣㓫㎣Ⲿⱉⲕ㓼㉀⼈⸷㆒ⱔⷹ
㊌㉗㎣㓫㎣Ⲿⱉⲕ㓼㉀⼈⸷㆒ⱔⷹ _㈆⼍ⷹ
㈆⼍ⷹ _㎣Ⲿ⼾⽐⵬ⷹ
㎣Ⲿ⼾⽐⵬ⷹ

나: 지 을 어 어 .그 서 나고 상해 .
가: 정 이 상하 어 . 2 ㎣Ⲿ㉏ㆿⳂ㉃「ⲕソ⼈⳨〤㉃㉔ㆫ⳨㓲「ヌ㈎
나: , 지 안에 와 국 등록 이 있어 . 그 데
㇅Ⳉ㉚㆚㊭㆘㈔ ㋢ⱗ㉉㉠㇀⿲⼈㇀㈔
어 려서 정 . 리지 을 으
⾧㄰㉝㉤㇀㈔" ⳣ⻡ッ㋯㋡⵲㈔
좋 어 .

6-L.mp3 고 천(여): , 다 주 수업에 와 .


6-L.mp3
선생님(여): 있어
ⲕ㍗ㆊㇷチクⷴ㉔㉔ㆫ⳨㓲㈎㉧⹦ⲕ⸄㓲「ヌ㈎
고 천(여): 다 주에 아파 로 이사를 . 이제
1) Ⲛ㍜㆏ⷧⷾ㉊㋁ㄋ㇈㇐㈅⾕ㇼ㈓"
이 어 .
선생님(여): 와, 하해 . 고 정 좋 어 . 새 아파트로 이사를 가요.
고 천(여): , 기 . 을 을 는진 2) Ⲛ㍜㆏ⷧ㈓㋝Ⳮ〩㉙ㆿ⺈㈓"
힘들 어 . 하지 좋아서 이 너무 기뻐요.
안와 .
선생님(여): 정 고 했어 . 이사 하세 68
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㔶㑏

좋지 않은 기분과 감정에 대해 말하기  확장 연습

 대화문 연습 1. 구의 을 보고 서로의 기분에 해서 하기를 한다고 알려 다.


2. 구의 을 보고 서로 기분이 어 지 이 기하게 한다. 화를 할
1. 기분이 좋지 을 의 정에 해 이 기하 교재의 그 을 이용해
는다 과 내용을 함하여 하도록 지시한다.
어 상황 지 해 보도록 한다.
⇊ؒ♦նὢ᷆վ὾Ṧ‫؂‬࿺⇊ፅӪṦ‫؂‬࿺‫غ‬ᖎᾂ⇊὾Ἢᆆፆᶾᓾ᥂ẞ
὾᷶ᾚὢ᷆վ὾ᶾൖᓾ᷶ẞ%
‫؂‬ᆶӪ὾ᶆ‫غ‬ᆆ೮Ὂ⻎‫؂‬ᢶྖὢ‫غ‬ᖎ὾ࢢК‟὾ᶾ඲ҍУὊ⇊௎
ጾ᪲ᾆ὾ᣧ‫ؾ‬ҍУᵎẞ%
▞☫⵾ᤦ὾ᶆ‫⵾غ‬ᓾ᥂ẞ
὾ᢶྖὊ‫غ‬ᖎ὾ᶾ඲ٖẞ%
2. 지시문을 이용하여 화 상황을 학 들에게 하게 알려 다. 3. 이 기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하고 를 수정해 다.
3. 화를 들려주고 간단한 문을 하여 화 내용을 이해했는지
한다.
὾᷶ᾚᷚҖጾ᪲ᾆ὾ᾒᶾẞ%
좋은 기분과 감정에 대한 대화 듣기
ࢲᾚઞ᷶ᾚὢ‫غ‬ᖎ὎ᶾළҖ▞☫ⶒᶾẞ% 1. 지시문을 이용하여 등장 과 화 상황을 한다.
᷶ᾚઞ὾࿺ᾆ὾ᾒ὎ൖ‫غ‬ᖎ὾ᶾൖẞ%
2. 문제를 고 들어 하는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4. 교사와 함께 화문을 으 서 자 게 하는 습을 한다.
3. 기파 을 고 문제를 게 한다.
정도 해서 습한다.
4. 교재 문의 을 한 해 화를 이 으 내용을 한다.
5. 교 어 를 활용하여 과 함께 습하게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6. 습이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한다.

6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읽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50분

1 ⷹ㉅ⳡ㉃㉘ⲕ㋠⾤㇋⸄㓲「ヌ㈎

받는 사람 나시르<nasir3792@tmail.com>

보낸 사람 잠시드<jamshid@tmail.com>

제목 한국 생활이 정말 즐거워요

ⵡㄦ⼰ㅿ
ㆉ⶞㓞チ㈃"
㈃㋍ㆯ⺌ⱱ㋑⵲㈃"
㉷⷗ㆇ㊱㉜㋑⵲㈃㉘⶙㇀㍊㈺㓠Ⲵ㇀ㇳ㈸⹸⷗㉿⽈㕨⹜Ⲋㇻ⻽㈛ㆯ㈃ 는 한국에서 1 어 . 1 전에 한국에
Ⳓ⼻Ⲋ㓠Ⲵゎ⻈㉄㉉ㆠⳝ⼳㉉㓧㓞㋑⾅㓧ゲⷹⷹ㓮ㆯ㈃
㓞㋑⽅㋑Ⳙ㈷㊜㈷㎘ⲳ⸨⽆㉉ゎⳈⲊ㓠Ⲵ⽈⸨㉜㓧㈃ 어 . 1 전이 이에 . 는 에 한국에
Ⳓ⻐ゲ㈃㋍㈷㓠Ⲵイ㔝㉉㉿⽈㋌Ɫ㈕㈃ 어 . 에는 한국어를 했는데 해는
ⷮ㈺ⷳ㇀⷗㎘ⲳ⹜ⲗ㊁㊱⸨⻽㇈㓯㈸ⱂⱢ㇘㈃㉿⽈㉤⾷㉓ⱷ㋑㈃"
ⷮ㈺㇀ⵡㄦ⼰ㅿ㓞Ⲋ⸨㓣ⴋ㇈㓯㓞Ⲋ㄰ㆯ㈃㈋⼻ⴙⱍ㉉ⰾ㈃ 보다 할 수 있어 .
Ⳓ⻢ⷮ㈺㇀⺘㇋⻅㓡ⱱ㈃
㉞ㄦ⹘⹘⼿ 장

이 하다 는 단어를 이 해
1) ㉮ㄶ⹨㆏ⷧ㍚㉊㓰Ⳅ㇐㈃㉈⺈ㆿ⺏ㆿ㈓" 정말 힘들고 외로웠어요.
2) ㉮ㄶ⹨㆏ⷧ㈓㋝ゴ㔭㉙ㆿ⺈㈓" 정말 즐거워요. 주 어 .그 서 지 이제 알아 . 이해할
3) ㉮ㄶ⹨㆏ⷧⷾ㉊⸃㇐⾦㇊㉈㓱Ⱳ㇨㈓" 친구들과 제주도로 여행을 갈 거예요. 수 있어 . 단어 어려 서 . 이해하지
해 .
2 ㇓⻩〤⸳㎣Ⲿ⵬ⱉ㊝㇋ⱼ㓫ⲿク㔨㇋⸋㓲㉔⽶㉗㉃ㅏ「ヌ㈎
지 안 . 이 해 되는 것을 조할
사용해 . 이 을 아 , 에 세 .
받는 사람
보낸 사람
한 이에 . 나 세 .
제목

Ⲩ⽞㉤ⷨ㉋ㄸ㉉⽲㉉⺉㔀〓㓸㈔
Ⲩ 69

한국 생활 이메일 읽기 한국 생활 이메일 쓰기

1. 그 을 보 의 내용을 하게 한다. 1. 어 을 지 알려 주고 에 들어 내용을 각해 보게 한다.


਎Њ቞ᾆ὎ᮆᶾẞ% ḮઢὊ♦նࢢЊ⁻ᷚҖⵦշᣧ⹦ᷚଊⵦ؊὎ᴂѺḒẞ
਎նⵦ⥖ᮆᶾẞ% ⵦշᣧ⹦὎ᵖီℎൖⵎẞⵦࢾẳὊፚḒẞ%
ጾ᷑ᷚଊ⵾ᤦᮆᶾẞ% ᶾථࢾẳ὎ᳺቾЊ⁻೮὾ѻ‟὎ᵒ⵪ٖẞ%
2. 을 어 게한 주제, 내용 등을 간단 해 보도록 한다. ᷶࿶ᖎὊ᷂…‫غ‬ᖎ὾ₕᵢᶾẞ%

ᾪ᫦೦ᴲЊ⒢ὖⵦշᷚṞ὎ൖᶾ൪ᶾẞ% 2. 교재 문에 해자 이 내용을 간단하게 하도록 한다. 교사는


ẞ↢ⵦշᣧ⹦Ὂᶾൖẞ% 학 들이 에 는지 해 다.
૮ὖ૶ᷚጾ᪲ӎ⺗὾ᾒᶾẞ% 3. 한 내용을 바 으로 로 성하게 한다.
3. 을 다시 으 서 문제를 게 한다.
4. 을 이 한 , 본문을 다시 으 는 어 는지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과 67
30분 문화와 정보 문화와 정보

이모티콘
㇙⻯〪㉈⾪㉨⽄〒ⶆ⺉㇀⺝Ⲃ㓵ⷵ⳺"㈔㋞ゟ⻙⹭㉈⾪㉨⽄〒ⶆ⺉⳧㉨ㇽ
㉚⾎㑾㏢ ⳣ⽐⽙ ㉉㓴ⴜ〒ⶈⷵⷿ㉚⻸Ⲃ㓯⾇ⳮ〪㉚⵲ⱖ㊐㉉㉭㊊㓲ㄌ㉤ⲛ
㉵⿈⸹㉤ㄴⷵⷿ
㉚⾎㑾㏢㉈⵲⻕⽔ⷿ㊢⳩㆑ⷿ⽆ⷵⷿ㓱ⳅ㇑ッⷨⷿ㉋Ⲩⱞ㉚ゟ㈛㓵ⷵⷿ

㈞㉃⺃ ̋̋̎̎AA

ㄫ㓝⺃ ̠̠̜̜

㔥⵷㉃⺃ ̡̡

ⲕ⽎㈙⺃ ˱̅

Í㉈Î㉔⻏ⲕ⽓㓬⺃ ̇̇̇̋

㇙⻯〪⵲⻕㇑ッⷨ㇀⺔㉚⾎㑾㏢㉉ゟ㈛㓵ⷵ⳺"

선생님
1) ゟ⻙⹭㉈㈆㉚⾎㑾㏢㉉ゟ㈛㓸㈔"
2) ㈤㉉⺉ゟ㈛㓯ⷨ㉚⾎㑾㏢㉈⾵㇩㈔" 라흐만 씨, 운전면허 시험에 합격했
어요?
3) ㇙⻯〪㉈㇀⺔㉚⾎㑾㏢㉉㉨㋂ゟ㈛㓸㈔"
라흐만
아니요, 떨어졌어요. ㅠㅠ

선생님

시험이 어려웠어요?

라흐만
아니요, 제가 공부를 많이 못 했어요
.

선생님

다음에는 꼭 합격할 거예요. 힘내요


!!

라흐만

감사합니다. 선생님^^

70 ゟ㔶㑏㓵
ゟ㔶㑏㓵㓡
ゟ㔶㑏㓵㓡
㔶㑏㓵
㔶㑏
㑏 㓡⼎ⳣ⻥
⼎ⳣ⻥ .
.,,3 㓱
㓱ⳅ㇀ㇽ 㓱ⳅ
㓱ⳅ㇀ㇽ
㓱ⳅ㇀ㇽ㓱ⳅ⾪㔫㍲⳪
⳪

이모티콘

1. 이 단원의 문화와 정보 에 한 것 지 알려 다.
᷶࿶ᖎፂᾚᆆᓾࣆൖ‫؂‬ᇆ௎ᇘ὾ᢶẳⵢ⇊ẞ%
؊ᾚଊ᫪ᳺઞҍ὾὾ኲ⫺❢὾ᷚẞ
὾ኲ⫺❢Ὂᓾ⦿‫؂‬ፂᾚᆆᓾࢾઞᢶྖὢ‫غ‬ᖎ὎ⱦ⸎⵾ẞ
ḮઢὊĹ὾ኲ⫺❢ĺᷚଊ⵾ᵖᵎᔏ᫦૮

2. 교재의 그 (사진)을 보 서 주제에 해 알고 있는 것을 상기시 고


해 보게 한다. 이 관련 시각 자료를 로 활용할 수 있다.
᷶࿶ᖎὊ‫غ‬ᖎ὾ₕ὎ൖᶾථ὾ኲ⫺❢὎ᢶẳ⵾ẞ%
᪶ⴖൖᢶẳⵢઞ὾ኲ⫺❢ὊፚḒẞ%
᷶࿶ᖎࢢ྆ᷚᤦઞᶾථ὾ኲ⫺❢὎ᇘ὾ᢶẳ⵾ẞ%

3. 교재를 이 으 서 내용을 한다. 이 한 정보 있는


부분에 을 나 표시하게 하는 것도 좋다.
4. 문 1, 의 을 아보고 하게 한다.
ᢶྖ೮ὊṦ὾ኲ⫺❢὎ᢶẳ⵾ẞ%
ọ὎ൖᢶẳⵢઞ὾ኲ⫺❢ὊፚḒẞ%

5. 문을 이용하여 학습자 자 의 을 해 보도록 한다.


᷶࿶ᖎὊᶾථ὾ኲ⫺❢὎ᾚ℆ᢶẳ⵾ẞ%

6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마무리 20분

6-P.mp3
발음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1)㋝ⱺⲈ⶟㈔>㋝ⱺⴞ⶟㈔@ 6-P.mp3
2)㊭Ⲉ⶟㈔>㊢㏑⶟㈔@
자리에서 로 다.
3)⾧㄰㉝>⾧㄰ⷸ@
에자 , 로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바 어서 다.
1) ⱏㇰ⻣⽖㇑ⱏ㊣⹭Ⲩ㇙㔀㉉ⱏ㈔
⵲㋝ⱺⲈ⶟㈔
2) ⱏ㉚⿴㇑㉳㓰⳩㉉⿚ㆤ㇀㈔
⵲ⳮ〪㉚㊭Ⲉ⶟㈔
‘ ’
3) ⱏⲛ㔂㇑⾧㄰㉝⼎ⱏ㈔"
⵲ㇰざⱏⲏ㔣㓸㈔ 합성어에서 단어에 이 있고 에 는
단어에 이, , 여, , , , 와 이
그 사이에 를 하여 한다.

배운
운 어휘 확인


⳨〤㉔㊧ⷹ 
ㄫ㓛ⷹ


⳨れⷹ 
㈆⼍ⷹ


㓺」㓩ⷹ 
㔥⵬ⷹ


ㄳ⵬ⷹ 
Ɱ㊊⹅ⷹ • 이 단원에서 운어 기 나는 것을 해 보세 .

⿓ⱑⷹ 
㋩㋛⵬ⷹ • 이 단원에서 운 문법

㋗ⱴⷹ 
⸄⸄㓩ⷹ
• 이나 기분이 어 그 기분이 어

⳨〤㉔㆔㊧ⷹ
• 이나 구에게 한국 활에 해 알려 적이 있어
• 전화로 문자를 보 이 을 자주 사용해
Ⲩ⽞㉤ⷨ㉋ㄸ㉉⽲㉉⺉㔀〓㓸㈔
Ⲩ 71

발음 10분 마무리 10분

1. 교재 1 을 들려주고 , 좋 , 의 이 1. 단원에서 학습한 어 기 하는 것을 해 보게 한다.


어 게 들리는지 학습자 로 해 보도록 한다. 2. 운어 목록의 어 들을 으 서 의 를 상기시 다.
2. ,좋 에서 이 으로 다는 것을 알려 다. 3. 단원에서 학습한 문법( , 을 )을 상기시 의 와
이 리 이 에 , 으로 사용법을 기 하는지 한다.
되는 화 현상을 알려 다.
4. 단원의 목표와 성 도를 한다.
에서 로 좋 에서 조 로
다는 것을 해 다. 5. 익힘책을 과제로 제시하고 리한다.
다 으로 합성어에서 단어에 이 있고 에 는 단어에 이,
, 여, , , , 와 이 그 사이에 을 어
하는 현상도 알려 다. 이 로
다는 것을 해 다.

3. 교재 1 을 다시 고 교사를 해 본다.
4. 교재 화를 고 해 본다.
5. 과 함께 화를 으 습하게 한 에 한다.

과 69
7 과
집들이니까 세제나 휴지를 가져갈게요

7
집들이니까 세제나
수업 목표 및 내용
휴지를 가져갈게요
제 와 방문

어 와 방문 관련 어 를 익 다.
문법 을 , 으니 의 의 와
를 익 사용할 수 있다.

하기 특 한 에 구를 하는 화를
할 수 있다. ㋂㊒ ㇀㕔ㇽ⾪⿹
⿹ 㔮⹃ ⾪㔫ㇽ㊐〒
기 와 방문에 관한 화를 고 이해할 ㍲⸑ㇽ⿢⾪ ㍲⸑ㇽ⿢⾪ ㇀㕔 ㍲⸑㓯ⳮ
ⳮ ㋩⹭㉚デ⾬
‫⻡㉉ ܆‬㈔" ㉚⽼㉝ ⸊㉳㓯ⳮ
수 있다.
‫⳺ⷵ㉆ ܁܆‬

기 학교 회의에 하는 이 을 고
이해할 수 있다.
기 에 장하는 이 을 수 있다.

들이

수업 도입 /
1차시 어휘와 문법 2 2차시
전개 어휘와 문법 1

관련 어 방문 관련 어
을 으니 (이 )

pp. 46-49 pp. 46-49

7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도입 5분

도입

1. 교재 그 을 이용하여 학 들과 이 기하 이 과의
주제를 한다.
그림 ➊  ⻎ᷞᴲЊ⁻ὊᶾഞᷚОᶾẞ%ጾ᷑὎Њ⇊Ӫ
ОᶾẞṦ‫؂‬ҍ὎Њ⇊ӪО὎ٖẞ%᷶࿶ᖎὊ
⫃ᓎⵦࢪᷚ૮ᆂᢶྖ⇛὎ᐳፂ⵪ൖጾ᷑὎
Њ⇊ӪЊẞ%
그림 ➋  …὾᪲ᴲЊᶾഞᷚОᶾẞ%ౚᢶྖὊ
ᶾළҖᾂᢶ⵾ẞ%

❷ 그림 ➌  Ӫ⒦ᴲЊ⻎ᷞᴲЊ⁻὎┒ଊⶒᶾẞጾ᪲
ࢪᾂҍУᵎẞ%᷶࿶ᖎὊⵦշᷚᤦ૮ᆂ
ᢶྖ⇛ᷚЊᔮᶾẞ%᷂…ጾ᪲ᾆၦЊ
ᔮᶾẞ%

2. 화 내용을 정리하 이 단원에서는 , 방문,


❸ 특 한 등에 해 부한다는 것을 알려 다.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이 단 원 과 관계있 는 단 원 들 아 와
습 니다. 관 련 단 원의 학 습 내 용 을
하 서 지도에 고하시 좋을 것
습니다.
• 주제: 특 한 단원
Оⷉⱉㆺ⹮㇋ⱔㆺ㈎
㈎" • 어휘:
О㇓⻩〤㉂㓫ⲿ㇋ソ
ソⷹ⼽゙⻓㋣㇋ 1 11과
ⱉ〗ㆺ㈎" • 문법: 의 을 는 표현
1 1과
• 문법: 이 , 원 표현
1 1과

문화와 정보 /
말하기와 듣기 3차시 읽기와 쓰기 4차시 5차시
발음 / 마무리

특 한 에 하기 회의에 하는 이 기 들이
와 방문 화 기 에 장하는 기

p. 50 p. 51

과 71
45분 어휘와 문법 1 어휘와 문법 1

들이 이사를 해서 구들을 으로 했어 . 다 이 ⾡ㄪ㉗⼈ⷹ⼽゙⻓⹧㉃㍬⸋㓲㈎"ⳝ⽆ⲕ⾡㇅㉃㓲㈎"

하해 . 그것이 들이 . 들이할 구들과 있는


㋣⹧㉔
도 고 운 시간을 보 어 .
ュⷴ㉃⽚㉔㓩ⷹ
들이 리
㉅ㄲ㉃㌻⽆ⷹ
지 를 어 . 지로 아 .
화장 에는 상 지 있어 .
한 화장지 㕖㋜
제 을세 할 세 기에 세제를 어 . 세제를 어서 ヌ㊌
를해 . 해 . 부 에서 지할 도 주방
세제를 사용해 .
을 다 들이에 를 어 . 으로 지
チ⾦㉃ⱉ㊔ⱉⷹ
고 을 .
을 이하다 이 에 어 . 게 사하 어서
세 . 들어 세 고 해 . 을 맞이해 .
맞이하다 지하다
⸷㉤㎡
을 리다 을 해서 상 에 아 . 상에 을
차려 . 이 기 전에 을 차려 . ュⷴ㉃⸋㊈㓩ⷹ

㉭ⵯⱐ

아기 한 이 어 .한 이에 . 아기의 한 ⳣ⿓㋜
를해 . 를해 .
아기 지고 아 . 리 아이는 리 나는 장 을
좋아해 . ㇓⻩〤ⲕ㓼㇋ソⷢㆼ㊌ュⷴ㉃㍬⸋㓲㈎"ュⷴ㉃㍬⸋㓫ⷹ㉅㇋⾱㓲㈎"
ュⷴ㉃㍬⸋㓫ⷹ㉅㇋⾱㓲㈎"
장 장
생일에 손님을 초대해요.
지 으로 지 . 아이 에 지를 손님을 초대하면 맛있는 음식을
해 . 차려서 손님에게 대접해요.
을 하다 에게 고 움을 표현하고 어 .좋
을 들 나사 려 .
하다 파다 74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1 (초대 관련 어휘 )

 도입, 제시  연습

1. 를 표현하는 단어로 어 것을 알고 있는지 으 의어 는 1. 들이와 사진을 보 고 에서는 제 사 들을 하는지


다 사 을 할 사용하는 표현 을 알려 다. 한다 에 하는지 해본 을 이 기해 본다.
᷶࿶ᖎὊ૮ᆂᢶྖ὎⇛὆ၦ┒ଊ⵾ᔮᶾẞ%᷂…ጾ᪲ᾆၦ 2. 고 에서는 제 로 을 하는지 을 한 다 에는
┒ଊⶒᶾẞ%ᦚૢ὎┒ଊⵦࢪ᷶࿶ᖎὊጾ᷑὎ⶒᶾẞ%ḮઢὊ૮ᆂ 하는지 과 화하도록 한다.
ᢶྖ὎┒ଊⵢઞⱦ⸎὎ӿᖊ⵾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ᖎӪ⶯ᷚᤦઞ᷂…ᦚૢ὎┒ଊ⵾ẞ%ᦚૢ὾Ḯ‫غ‬‎ᷚጾ᪲ℊᙎᆆ
한다. ⵾ẞ%ᦚૢ὾⇛ᷚḮቾ።⵾ẞ%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4. 이나 특 한 에 을 하는 활동으로 장할 수 있다.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할 수 있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7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
Ⲿㆺ㇋ソⷹ⼽゙⻓㉏㉏ⲇ㉃⾦㉃⺃゙㈕㓲㈎

㋂⽙㇑㋩⹭㉚⽄㓲ⱳ㇩㈔
다 사 의 의 이나 을 을 사용한다.
ㄱⳮ㆘ざ㓯ⲛ㈜⽌㋩㇑ㇳ⻡㈔"
㇩⾪
하는 사 이 자 의 의지나 의사를 나 도 다.
Оⱉ㊼⽓㇋ ⱘ㉔
㉔ ⿚⽬㉃⻛㈎"
⶟ⱞ㉚ⱓⲂ㈔
⵬⿂㆔㓲㈎ㆬャ㉔
ㆬ ㉞ㆺソ⾐
⾐ⱉ㈎
고 다와 하지 고 다는 현 성을
О㋣㇋
고려하지 고 단순 을 나 내고 을 는 현재의
㋣㇋ ュⷴ⹧㉔㇪ㄵⱭ㇣㈎ⳝ
ⳝ⻩ⷯ⳴
㍝モ ㊡ 㓬⻛㈎"
㍝モ 에 한 구 적 의사를 표시할 사용한다. 보통
Оⳬ㉔
ⳬ㉔ ⽑㉔
㉔ ⽏㔎㈎
㔎 ㊜
㊜ⳣ⽐⸕⳨
⳨ⷹ⻻㊿⻛㈎" 한 사이나 하는 사 보다 아 사 에게 다.

֛ ㉃⻛㈎" О⽬ⷹ ࢉ ⽬㉃⻛㈎"



О㉘ⷹ ࢉ ㉘㉃⻛㈎"

• 이 구하
֛ ˹⻛㈎" О㇪ⷹ ࢉ ㇭⻛㈎"
ࢉ 나 해서 .
ù⽐⹧ⷹ ࢉ
ࢉ ⽐⹧⻛㈎"

• 운데 시원한 아이 을
1 ㎣Ⲿ⼾⽐⵱Ɑ㇣㈎㎣Ⲿ㇋ⱼ㉏ⲇ㉃⾦ㆺ「ヌ㈎ 나 좋아 . 제 게 .
「⳨ ⽐⵬ⷹ
•주 에 하
㈜⽌㇀⹴㇑ッ⽖⵷⻡㈔" Ⲡ㈢ ㋣ㆡ ㎿㓡㄃ 㔶ゟ⳥㍛㏅㓧ㄉ㇑ッ⽖⵲㈔
• 이 영화는 서 서안 .

1) ⱉⷹ 2) 㐖ⷹ 3) ⽬ⷹ

㇟㔥Ⲥ ⶭ⻛⿜ ⶰ㉔Ⲡ㈢ ⿬ㄨ 㐡ㄱ ㋜㓩㍘ ⳮ⿚ ㋩㉭⾁ ⺍『㉔

다 을
-을래요? 다 을
2 ㇪ⷣㄆ㇃㉔ⵣ⵬ⲕ㎣Ⲿ⹧Ⲣ㓩ⲕㄻ㉂㉗㉔㉞ㆺ㈎"㎣Ⲿ㇋ⱼ⾦ㆺ「ヌ㈎ ( ) 다 을
다 을

ㄌ㇉⵩⵲ⲛⱞ㉚ 다
⿠⽲㉉⻡㈔"

-ㄹ래요?
전화하다 전화할
( , )
들다 들
Ⲩ㋩⹭㉚ⷵ⳺ヒ㊒⵲㕜㋢⽄ⱏ㊚ⱓⲂ㈔
Ⲩ 75 다 도

문법 1 (-을래요?)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ౚᢶྖ὾՚᫮ᷚᤦ὾ᶆ‫ⵢغ‬ӪᾒᶾẞӪ⒦ᴲઞ⻎ᷞᴲᷚҖጾ᷑὎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ፆᶾᔚ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Ӫ⒦ᴲઞ℆ᇚᷚ⇛೮὾ᆆ⵪ѺḒẞ⇛೮὾ᷚ⻎ᷞᴲᆆ┒ଊⵢӪ  연습 2
ᬀᶾẞ‫ྡྷ؂‬ᤦ⻎ᷞᴲᷚҖĹḮӪᬀᶾẞ%ᵒḮӪᬀᶾẞ%ĺᶾચ⋇ᾂ⇊
1. 수업 에 을 할지, 을지, 어 에 지 등에 해 구의
ፆᶾᔚẞ‫؂‬࿾ൖĹẺᆶ⇛ᷚḶྡྷẞ%ĺ὾ထҖ૮ᆂᢶྖ὾ጾ᷑὎
이나 의 을 는 화를 해 보도록 한다.
Ớⵢઞ⇊ᶾચ⋇὎ᤪ⣧ⵢઞ⇊ፆᶾᔆൖĹ὎ྡྷẞ%ĺᆆᢶẳ⵾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이해시 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73
50분 어휘와 문법 2 어휘와 문법 2

ⷹ⼽゙⻓㉃⿜⾤㓬⺃ㆺ⺗ⱼ㓲㈎"

ⶭ㐇⼾㓩ⷹ

리 하다 다 사 을 방문할 는 그 바로
똑똑
안 . 기 전에 전화를 해 . 리 ⿂⽆㇖⻐㓩ⷹ
해 .
하다 다

시 을 하다 구와 시간을 해 .
ⷪ㋜㆖ⱼ⸳㌼㓩ⷹ
구도 그 시간이 좋아 . 나도 그 시간이 좋아 . 그
ㆬャㄱⱋ㉃㊊㓩ⷹ
시간으로 시간을 정해 .

지 게 도 하다 시간에 으 안 .
시간보다 조 도 해 . 지 게도 해 .
지 게 도 하다 안 도차 다

하다 다 사 의 이나 방, 는사 에 ㉖゙⼾⵬ⷉⷹ ⾅㓮㉃Ɐ⶙ⷹ
들어 문을 려 . , 를해 .
이나 세 정도 게 를해 . ⷿ⽃ゟ⻙㉕㋩㉚⵲ゟ⾧ㄻ㉉⿢⾪㓲⺉⿈⽌㇜⻖㉉㓸㈔
ⳣ⽌ⲛㆲラㄷⱑ㉉㊐㓯ⷨⲂ㊭㆘㈔

사 다 사 을 나 이 사를 해 . ㇓⻩〤㉂ⷹ⼽゙⻓㉃⿜⾤㓬⺃ㆺ⺗ⱼ㓹ㆺ㈎"

서로 사를 나 어 .
저는 다른 사람의 집이나 사무실을 방문할 때,
함을 다 는 한국어 이에 . 한국어 먼저 인사를 한 다음에 명함을 건넸어요.
함이 있어 . 사 에게 제 함을
. 함을 건 .내 지고 있는 건을 다
사 에 주는 것을 건 다 고 해 . 사 에게
건을 건 는 으로 건 . 7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2 (방문 관련 어휘)

 도입, 제시  연습

1. 다 사 을 방문할 어 게 하는지 으 는 단어는 1. 학 들에게 다 사 의 이나 사 에 방문할 어 게 했는지


방문할 사용하는 어 을 알려 다. 문을 진다.
᷶࿶ᖎὊ૮ᆂᢶྖ⇛὾ࢢᢶጾ᫮ᷚᐳፂ⵾ᔮᶾẞ%ᐳፂ⵪ൖᶾළҖ 2. 과 함께 다 사 의 이나 사 에 방문할 어 게 했는지에
ⶒᶾẞ%ḮઢὊ૮ᆂᢶྖ⇛὾ࢢᢶጾ᫮ᷚᐳፂ⵪ൖᢶẳⵢઞᶾ⼢ᆆ 해 해 보도록 한다.
ӿᖊ⵾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55ᴲઞ૮ᆂᢶྖὢ⇛὾ࢢᢶጾ᫮ᷚᐳፂ⵪ൖᶾළҖⶒᶾẞ%
한다. 55ᴲὢࢢ྆ᷚᤦઞ૮ᆂᢶྖὢ⇛὾ࢢᢶጾ᫮὎ᐳፂ⵪ൖᶾළҖ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ⵢઞҖₕᵎẞ%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할 수 있다.
4. 운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7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ۻ܀‬㉀ⷯ⳴
ㆺ⺎㉗㉏㉔㈷⵬㈢㉖㉃⽓㓬⺃゙㈕㓲㈎

ⶃ㉝㋋㈔㓱㔶㉕ⱏ 내용이 문장의 원 이나 이 를 나
㉤㉆ⷵ⳺ⷰ㋢⽔ヒ㈔

⶟㉝㌹ㇰⲈㄴⷵⷿ ㇩⾪
사용한다. 이 의 어서와 바 수 있지 으니 는
Оⱉ⵱ㆊⱉ
ⱉ㊧㉀ⷯ⳴
⳴ ゜㍇
㍇㓩⻩
⻩ ⵬ⱍ⳴㈎"
⵬㋜ⳣ㉂㊡⸕㈖ⷯ⳴
⳴ ㉔⹹ⱉⱑ
ⱑㄱⷹ
주로 주관적 이 를, 어서 는 관적 원 을
О⿑㇋
나 다. 한 어서 와 리 과 표현 이나
⿑㇋ ぅⱉ㇪ⷯ⳴
⳴ ㈖゜
㈖ ㉃ㅾヌ㈎
О㋣⹧㉔
㋣⹧㉔⼾
⼾ 㓩ⷯ⳴ヌ㊌⵬
⳴ ⵬㕖㋜⼾゙ⷢ
ⷢⱼ
표현 과 여서 수 있다. 특 문장의 부분
ㆺ⺃㈎"
ㆺ⺃㈎" 보통 문이나 문이 이 다. 구어 에서
이 을 할 는 으니 와 이 으로 수
֛ ㉀ⷯ⳴ О⽬ⷹ ࢉ ⽬㉀ⷯ⳴

있다.
О⽑ⷹ ࢉ ⽑㉀ⷯ⳴

֛ ⷯ⳴ О゙ⷹ ࢉ ゙ⷯ⳴



ù㕳⹧ⷹ ࢉ
ࢉ 㕳⹣ⷯ⳴
• 이 니 시를
7LS Ó‫ⷿ㉚ۿ‬ÔⷨÓ‫⳺ⷵ㉚ۿ‬Ô⼎ゟ㈛㓸㈔ 나 시는 니 지하 을 .

• 좋으니 책할
1 ⻏㕝⽐ㆊ㉏ク㉗㒀㑸⼾㊾ぅ㓲㈎㎣Ⲿㇷ㉔ㆫ⳨㓲「ヌ㈎
나 하니 내 .
㉔㈷ ㊌㆔

「⳨ ㈔㉝ ㄷⱑ 㑈㈔㉝㇑㓱ⳅ㇀ㄌ㇉㉚㉤ⷿ ㉝㈔㉝㇑⽖⵲ⷿ • 여기는 학교니 를 지 세 .


1) 㒆㑾㉳ヨ 㔀〓ㄸ⸍㇑⽼ⷠⱏ⽗ⷿ ⱳⳮ⼎ⱏⷿ • 으니 서로 사나 세 .
2) デ⾬ ⻕㕣⽖㆐ⱏⴳ㉉㊭㆘㓯ⷿ ⴳ㉉デ⾬㓯ⷿ

3) 㓲㉝ ⻕㕣⽖㆐ⱏⶳ⻡⽄㉭〨⽁ⷿ ㄸゟ㕂㇑ⶳ⻡⿢㇑ⱏⷿ

다 으니
㑈㈔㉝㇑㓱ⳅ㇀ㄌ㇉㉚㉤㉆ⷵ⳺ 다 으니
サ㉝㒆㑾⽄㇂㊒㓲⳺㈔"
㉝㈔㉝㇑㓸㈔ -으니까
있다 있으니
( )
다 들으니
2 㓫ⲿ㎣Ⲿⱉ㇓⻩〤㉏ⲕ㓼㇋ⱍ⺃⾡㇅㉃㊾ぅ㓩⾁㊧㆒㈎"ⳝ㉔㈷ⷢ⾯㇣㈎" 다 니

㈜⽌ⲛ㔂㉈㋢⳩㎇㈜ⷵ⳺⹒ⴒ㈞ㇺ㉉ⱏ㊚ⱏヒ㈔ 다 니
다 니
-니까
Ⲩ㋩⹭㉚ⷵ⳺ヒ㊒⵲㕜㋢⽄ⱏ㊚ⱓⲂ㈔
Ⲩ 77 하다 하니
( , )
학 이다 학 이니
다 기니

문법 2 (-으니까)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غ‬ઞᶾഞḒẞ%ᵒ‫྆‮‬ᴲઞ⇊ؒፚⵢӪᾒᶾẞ%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ᵒ‫྆‮‬ᴲὢᣋᢶЊ⇊ؒጾ᪲὾ᶆ‫غ‬ᆆⵢӪᾒᶾ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하게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하여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ᢶᣋᢶЊᵒ‫྆‮‬ᴲᷚҖጾ᪲ᇚ὎ⵢӪᾒᶾẞ%Ĺࢾᾆર⇊ᇒ᥂ẞĺ  연습 2
὾ထҖ኏၃὾ࢢᖊ⣋὎ⵢӪᬀᶾẞ‫؂‬࿺୺Ṧ‫؂‬࿺኏၃὎⵾ẞ‫؂‬
1. 한국 구 여 분의 고 에 을 하 좋 지그이 는
὾ἪઞĹࢾᾆℛẞⵦ⺖ὢЊᾒᶾẞĺ὾ထҖᶾථᾆὢỚᾂ὾ࢢ὾Ἢᆆ
지 으니 를 활용하여 조 해 주세 .
ᇚ⵪ൖ὆૒ٖᆆᢶẳ⵾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이해시 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75
50분 말하기와 듣기 말하기와 듣기

1 㑫〄㓫⵱㇋㎣Ⲿ⼾㍬⸋㓩⻻ⲕ㓲㈎ⷹ㉅Ⲣⱘ㉔㉔ㆫ⳨㓲「ヌ㈎

ⲕ㍗ 㔼㇍ㆊ㉔⿮㊼㑂㈎㉗㇋㋣⹧㉔⼾㓬Ɑ㇣㈎
㋣⹧㉔
2-7 EBOOK
ㄱⱋ㉞㉀⾁㈖⽆㋣㇋㇭⻛㈎"
1 2)
2-7 EBOOK
㔼㇍ ⶙ⱍⱼ㈎ⳝ⻫⸣⿰ㅏ㋣㊊⽆ⷹ㓹ㆺ㈎"
㋣㊊⽆ⷹ㓹ㆺ㈎
고천: ,이 주 에 를할 . 시간
㓤㈎㓫Ɑクⱊ㓲「ⲕㆶ⳨㓲㊼ヌ㈎チ⾦⼈
있으 리 에
ⱉ㊔ⱍⱼ㈎
후엔: , 게 . 그 데 이 이에 한
ⲕ㍗ 㓤㈎㓫Ɑ㆒⾡Ⱶ⸳㇄ㆺ㈎ⳝⶋ㇪ヌ㈎
각해 보고 기해 주세 . 로 게 .
고천: 한 아 것도 어 . 그 세 . 㔼㇍ ㋣⹧㉔ⷯ⳴ヌ㊌⵬㕖㋜⼾ⱉ㊔ⱍⱼ㈎㉅ㄲ⸳
ヌ㊌⵬㕖㋜
㊡⽐⹧ㆺⱉⲕ㈎
후엔: 니 지나 장 을 게 . 도
들어 고 .
1)㋣⹧㉔ _㋣㊊⽆⼾ⷹ㓹ⷹ
㋣㊊⽆⼾ⷹ㓹ⷹ _㋣⹧㉔
㋣⹧㉔ ヌ㊌⵬㕖㋜
2)⹼⸷㉤㎡ _⹼㉔⸷㉔ⷹ
⹼㉔⸷㉔ⷹ _⸷㉤㎡ⳣ⿓㋜⵬㉭ⵯⱐ
⸷㉤㎡ ⳣ⿓㋜⵬㉭ⵯⱐ

2
2 ㇓⻩〤㉂ㆼ㊌㎣Ⲿ⼾㍬⸋㓩ⲕㄻㆺ㈎"㑫〄㓫⵱㇋㎣Ⲿ⼾㍬⸋㓲「ヌ㈎
가: 다 주에 파 를할 . 시간이 으 파 에

ⷿ㉋㋂㇑サ㉝㒆㑾⽄㓲ⱳ㇩㈔
⶟⴪ⱓⲂ㈔
나: , 게 .그 데 이에 고 ㄷⱑ㉚Ⲳ㍄㉆⾇㒆㑾㇑ㇳ⻡㈔"
있으 기해 주세 . 할게 .
가: 한 아 것도 어 . 그 세 .
나: 이니 제 이 를사 게 . 7-L.mp3

㔼㇍ㆊⱉ⵴㒩Ⲣ㓮ⴖ㋣⹧㉔チ⾦㉃ⲕ⼻ⲕ㉞ㆺ㈎㉧⹦ⲕ⸄㓲「ヌ㈎

7-L.mp3 후엔(여): 기아 ,고 이사를 해서 들이에 리 1) ⹬㉇ⶂ㈚ⲧⱝ㉅⾆нⷾ⽀⾆


н ;㓮パ㈓

을 했어 . 이 수 있지 Ұ㕁㇒㆏ⱎ㊢㉇㋨⹬㉙㇐㍱⸐⿙ㆣㆿ㈓ 

민수(남): 그 ,그 이 들이 을사 ұⲚ㍜㆏ⷧⶳ㍀テ⾫㉈⿙ㆣㆿ㈓ 

후엔(여): 그 .고 는 차를 좋아하니 차를 Ҳ㕁㇒㆏ⷧ㋨⹬㉙テ⾫⼍パ㊑⵱㕛㋡⽃ィⱲ㇨㈓ 

할 2) Ⲛ㍜㆏ⷧ㈅㕁㇒㆏ⱎ㊢㉈㍱⸐㓾ㆿ㈓"

민수(남): 차도 지 세제나 지는 어 들이 이사를 해서 집들이에 초대했어요.


로 보통 세제나 지를 이 해 . 78
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후엔(여): 그 그 그 로해 .

특별한 날에 초대하기  확장 연습

 대화문 연습 1. 제 구를 하고 지특 한 에 구를 하는 하기를
한다고 알려 다.
1. 특 한 에 구를 하는 것에 해 이 기하 교재의 그 을
2. 과 이특 한 에 구를 하는 것에 해 이 기하게 한다.
이용해 어 상황 지 해 보도록 한다.
화를 할 는 다 과 내용을 함하여 하도록 지시한다.
὾ౚᢶྖὊጾ᪲὾ᶆ‫غ‬ᆆⵢઞҍУᵎẞ%
Ӫ⒦ᴲઞẺ᪲ᾆၦ┒ଊⵢӪᬀᶾẞ% ᷂…♦նᆆ┒ଊⵢӪᬀὊ⇊ጾ᪲⫃ᓎⵦࢪᾂ⇊὾ᶆ‫⵾غ‬ᓾ᥂ẞ
⻎ᷞᴲઞጾ᪲ᤪፆ὎ᣧЋ⵾ẞ% ♦նὢ᤮኏὎೮Ὂ⻎┒ଊᷚВҍᾂ⇊Вൖጾ᷑὎Њ⁂Вҍᾂ⇊
ଊ૿⵾℆᥂ẞ
2. 지시문을 이용하여 화 상황을 학 들에게 하게 알려 다.
3. 화를 들려주고 간단한 문을 하여 화 내용을 이해했는지 3. 이 기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한다. 하고 를 수정해 다.
Ӫ⒦ᴲઞṦ⻎ᷞᴲᆆ┒ଊⶒᶾẞ%
᷂…⇛೮὾ᆆ⵪ѺḒẞ% 초대와 방문 대화 듣기
⻎ᷞᴲઞ⇛೮὾ᤪፆၦጾ᷑὎Њ⁂ВѺḒẞ%
1. 지시문을 이용하여 등장 과 화 상황을 한다.
4. 교사와 함께 화문을 으 서 자 게 하는 습을 한다.
정도 해서 습한다. 2. 문제를 고 들어 하는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5. 교 어 를 활용하여 과 함께 습하게 한다. 3. 기파 을 고 문제를 게 한다.

6. 습이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4. 교재 문의 을 한 해 화를 이 으 내용을 한다.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7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읽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50분

1 ⷹ㉅ⳡ㉃㉘ⲕ㋠⾤㇋⸄㓲「ヌ㈎

받는 사람 제이슨<jasonmckay@kmail.com> 한 학기 어 . 다 주부 학교에 지
보낸 사람 박경일<kipark64@hanmail.com> 고 에서 어 . 방학이에 . 방학 보내고 다
제목 다음 주에 학교에 오실래요?
학기에 나 .
㊁㉉ㄟㅿ
개 이 주에 방학이 나 . 다 주부 다시
ㆉ⶞㓞チ㈃⿅ⲃ㉌㉑ⷤⷮ
⿑㓟㉜、⵲パㆯ㈃"⾷Ⲵ㇀ゲ⸬ㆇ㇟パ㋑㈃" 부를 시 해 . 다 주 개학이에 .
ⲍⱐ㓟㉑ⷤⷮⳒ⻐ゲ㈗ㆯ⾹ザイⷩ⹜ⲗ㓣ⴋ⽢㉷㔥㉄⼳㓞Ⲋ㄰ㄣⷤⷮ
ⷮ㈺㊱㇀ㆱ㊁ㄦⱀ㉉ⲡ㌳㈵チ㈃" 원 리 국 사 이에 . 국 사 들
㉷⷗ⷮ㈺㊱㇀ⲅヘ㍹Ⳕ㓞ⷤ⳩ⷮ㈺㊱㇀㓠⿣㓟Ⲯ㇀㇟ㄪ⻐㈃" 영어 자기 나 이에 . 원어 자기 나 을
⽫㉌㔛㉋㓞ㄦ⽶ⷹ㉢㊱チ㈃
사용하는 사 이에 . 국 이 리에게 영어를
Ⲯ㉢⿅ⲃ㉌⹘⼿
. 영어 원어 이에 .

하다 아 에 회사에 . 해 . 에 에
1) Ⲿ㉲テゴⷹ㉙㊑㉙ㄯ㆏㇐ⲁ㉙⽻㉜㉈㈅ㅛㆿ㈓" 회의를 하고 싶어서 이메일을 썼어요.
2) Ⲿ㉲テゴⷹ㉇㊑㉙ㄯ㆏⽃㇁㊑⽕⵱Ⲛㅀㆿ㈓" 다음 주에 만나고 싶어 해요. 와 . 해 . 할 와 할 이 이
3) ⽻㉜㉈㉝㉇ⷾ㉊㇐㊑㉙ㄯ㆏ⱎ⾦㇊㉈㓱⳹㈓" 답장을 쓸 거예요. .

2 ㈯⽶㉗㇋⸄㉭㉃ㅏ「ヌ㈎ 하다 이 와서 을 . 내용을 어 .
을 해 . 을 한다 에 해 .
단어장

받는 사람 박경일<kipark64@hanmail.com>
⿜㓪 을 다 에 그 사 에게 을 보내 .
ⱛ㓪
보낸 사람 제이슨<jasonmckay@kmail.com>
㈢ㆺ⿄

장을 . 을 하 장을 .
제목 re: 다음 주에 학교에 오실래요?
㔦㉖
교 회사에서는 사장 이 장 아 . 학교
⸄㉭

ⲹ㉭ 에서는 교장 이 장 분이에 .

Ⲩ㋩⹭㉚ⷵ⳺ヒ㊒⵲㕜㋢⽄ⱏ㊚ⱓⲂ㈔
Ⲩ 79

회의에 초대하는 이메일 읽기 초대에 답장하는 이메일 쓰기

1. 그 을 보 의 내용을 하게 한다. 1. 어 을 지 알려 주고 에 들어 내용을 각해 보게 한다.


਎Њ቞ᾆ὎ᮆᶾẞ%਎նⵦ⥖ᮆᶾẞ% ḮઢὊ┒ଊᆆᐥὊ⻎ᷚ὾቞ᾆၦ૿ᾯ὎ᴂѺḒẞ
Ṧ቞ᾆ὎ᮆᶾẞ% ૿ᾯᷚⵎẞⵦࢾẳᷚઞፚЊᾒᶾẞ%

2. 을 어 게한 주제, 내용 등을 간단 해 보도록 한다. 2. 교재 문에 해자 이 내용을 간단하게 하도록 한다. 교사는


՚ᾯᤪᣧૢὊṦ὾቞ᾆ὎ᮆᶾẞ% 학 들이 에 는지 해 다.
՚ᾯᤪᣧૢὊ᷂……὾᪲ᴲᆆᇖࢢӪᬀᶾ⵾ẞ% 3. 한 내용을 바 으로 로 성하게 한다.
቞ᾆ὎ᾇὊ૮ὖᷚ…὾᪲ᴲઞጾ᷑὎⵪ٖẞ%

3. 을 다시 으 서 문제를 게 한다.
4. 을 이 한 , 본문을 다시 으 는 어 는지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과 77
30분 문화와 정보 문화와 정보

집들이 선물
㓱ⳅ㇑ッⷨキ㋩㉆⼎㉚ゟ㓯⾇ⱏ㊣㉚⵲㎩Ⳅ㎩㍜⹭㉉
㋩㉆⼎ ㍲⸑㓵ⷵⷿ ㉚ⱻ㉉ Ó㋩⹭㉚Ô⻕ⲛ 㓵ⷵⷿ ㋩⹭㉚㇑
들이는 그 의 안 을 기원한다는 의 있어 . ⱓ ⺉ ゟ⻙⹭㉈ 㕜㋢ ヒ㊒ ⱞ㉈ サ㔮㈛㓐㉉ デ⾬㓵ⷵⷿ
ヒ㊒ⷨÕヒ㊒㉕ⱳ㓐㍛⻳⸻㉉⽗㉚⿶㇀ッ〨㉨ⱏ⹋ヒ㈔Ö
그 서 들이에 사 들 특 한 을 해 .
⻕ⷨ⻈㉚㉤ㄴⷵⷿ㕜㋢ⷨ㉭㓎⽌ⳮ⺉⾪㇑⾎⹫㉝㉚㉭
보통 지나 세제를 하지 이나 화분, 양 , 㓎⽌ⳮ⽄⿕⻕ⷨ⽔㉋㉆⼎㕜㋢⽄デ⾬㓵ⷵⷿ
주방용 이나 현 도 해 . 기분을 좋게
들어 . 화분 기를 하게 해 주고 로운
1) 㓱ⳅ㇑ッⷨキ㋩㉆⼎㉚ゟ㓯ⲛ⾧㇋㉉㓸㈔"
이 자 다는 의 있어 . 양 는 그 에 재 이
2) ㋩⹭㉚㇑ⱓ⺉ゟ⻙⹭㉚㈆㕜㋢ㇽヒ㊒⽄デ⾬㓸㈔"
아진다는 이 있어 . 을 게 수 있는 3) ㇙⻯〪ⲛ㔂㇑ッⷨⷿ⽃ゟ⻙㋩㇑ⱓ⺉⾧㇋㉉デ⾬㓸㈔"
이나 주방용 도 해 . 에는 한 것을
수 있게 현 을 주는 사 들도 아 .

80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㔫 ㍲⳪
⳪

집들이 선물

1. 이 단원의 문화와 정보 에 한 것 지 알려 다.
ⵦշᷚᤦઞᣒ⇛὆ၦ὾ᢶᆆⵢቾ⇛೮὾ᆆ⵾ẞ⇛೮὾Вൖጾ᷑὎
ᤪፆ⵪ٖẞ%ḮઢὊĹ⇛೮὾ᤪፆĺᷚଊ⵾ᵖᵎᔏ᫦૮

2. 교재의 그 을 보 서 주제에 해 알고 있는 것을 상기시 고 해


보게 한다. 이 관련 시각 자료를 로 활용할 수 있다.
᷂…⇛೮὾ᆆ⵾ẞ%
⇛೮὾ᷚ਎նᆆ┒ଊ⵾ẞ%
⇛೮὾ᷚВൖጾ᷑὎ᤪፆ⵾ẞ%

3. 교재를 이 으 서 내용을 한다. 이 한 정보 있는


부분에 을 나 표시하게 하는 것도 좋다.
4. 문 1, 의 을 아보고 하게 한다.
ⵦշᷚᤦઞᣒ⇛ᷚ὾ᢶⵢӪጾ᷑὎⵾ẞ%
⇛೮὾ᷚВൖᢶྖ೮὾Ṧ⼾⇊Ṋ᥂…ᆆᤪፆ⵾ẞ%

5. 문을 이용하여 학습자 자 의 을 해 보도록 한다.


᷶࿶ᖎӪ⶯ᷚᤦઞ૮ᆂᢶྖὢ⇛ᷚВൖጾ᷑὎ᤪፆ⵾ẞ%

7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마무리 20분

7-P.mp3
발음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1)ⷰ㋢㆜Ⲃ>໖㌸㆚㏏@ 7-P.mp3
2)⽕㕵ⷵ⳺>⽔㐔ⷵ⳺@
에자 , , 로
3)Ⲳ㍄㋢⽖>Ⲳ㍃㎧⽖@
다.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1)ㆲラㄷⱑ㇑ⷰ㋢㆜Ⲃㇰヒ㈔
2) ⱏⳲ㉚⽗㉚⽕㕵ⷵ⳺㊧ⳮⷿ⼁㋅⻡㈔"
⵲⶟㍝㍝㕵ㇰヒ㈔
3) ⱏⶴ㍁⸹Ⲳ㍄㋢⽖ヒ㊒⵲㕜㋢ⷨ㇀⺉㈔"
⵲ⳣⱻ⸹㊭㆘㈔

배운 어휘 확인


㋣⹧㉔ 
ㆬャㄱⱋ㉃㊊㓩ⷹ


㕖㋜ 
ⷪ㋜㆖ⱼ⸳㌼㓩ⷹ


ヌ㊌ 
ⶭ㐇⼾㓩ⷹ


ュⷴ㉃⽚㉔㓩ⷹ 
㉖゙⼾⵬ⷉⷹ


㉅ㄲ㉃㌻⽆ⷹ 
⾅㓮㉃Ɐ⶙ⷹ


チ⾦㉃ⱉ㊔ⱉⷹ 
⿜㓪


⸷㉤㎡ 
ⱛ㓪


㉭ⵯⱐ 
㈢ㆺ⿄
• 이 단원에서 운어 기 나는 것을 해 보세 .

ⳣ⿓㋜ 
㔦㉖
• 이 단원에서 운 문법

ュⷴ㉃⸋㊈㓩ⷹ 
⸄㉭
• 구들을 에 한 적이 있어

⿂⽆㇖⻐㓩ⷹ 
ⲹ㉭
• 한국어로 이 을 수 있어
• 한국 사 들 들이에 어 을해
Ⲩ㋩⹭㉚ⷵ⳺ヒ㊒⵲㕜㋢⽄ⱏ㊚ⱓⲂ㈔
Ⲩ 81

발음 10분 마무리 10분

1. 교재 1 을 들려주고 지 게, 니 , 지 의 이 1. 단원에서 학습한 어 기 하는 것을 해 보게 한다.


어 게 들리는지 학습자 로 해 보도록 한다. 2. 운어 목록의 어 들을 으 서 의 를 상기시 다.
2. 에자 , 로 , 되는 에 해 3. 단원에서 학습한 문법( 을 , 으니 )을 상기시 의 와
할 수 있다. 게는 안 로 니 는 니 , 지 사용법을 기 하는지 한다.
찬 으로 다는 것을 알려 다.
4. 단원의 목표와 성 도를 한다.
3. 교재 1 을 다시 고 교사를 해 본다.
5. 익힘책을 과제로 제시하고 리한다.
4. 교재 화를 고 해 본다.
5. 과 함께 화를 으 습하게 한 에 한다.

과 79
8 과
9월부터 한국어 수업을 듣기로 했어요

수업 목표 및 내용
9월부터 한국어 수업을
제 한국어 수업
듣기로 했어요
어 한국어 수업 , 한국어 과정 수료
관련 어 를 익 다.
문법 기 전에, 기로 하다의 의 와
를 익 사용할 수 있다.

하기 한국어 수업 에 한 화를 할 수
있다. ㋂㊒ ㇀㕔ㇽ⾪⿹
⿹ 㔮⹃ ⾪㔫ㇽ㊐〒
기 단계 시 에 한 화를 고 㓱ⳅ㇀ㄌ㇉ 㓱ⳅ ㄌ㇉ ㄹ㍣
㓱ⳅ㇀ 㓱ⳅ㇀ ㄌ㇉㇑⸑㓸 ゟ㔶 㓵㓡⼎ⳣ⻥
ゟ㔶㑏
이해할 수 있다. 㓱ⳅ㇀Ⲩ㊐ ㉚ㆱⳮ ⵲⷏ⳮ
‫ⳮ ܆‬㊊㇑ 㓱
㓱ⳅ㇀
㓱ⳅ Ⲩ㊐㇑⸑㓱
기 한국어 과정에 한 안내 문자를 고 ‫⼎ⳮ ܆‬㓯ⷿ ⾪ ㉞ⳮ
⾪㉨
⾪㉨
이해할 수 있다.
기 한국어 과정을 안내하는 을 수 있다.

사회통합프로그램

수업 도입 /
1차시 어휘와 문법 2 2차시
전개 어휘와 문법 1

한국어 수업 관련 어 한국어 과정 수료 관련 어
기 전에 기로 하다

pp. 52-55 pp. 52-55

8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도입 5분

도입

1. 교재 그 을 이용하여 학 들과 이 기하 이 과의
주제를 한다.
그림 ➊ ᷶‫غ‬ઞᾂ⤺ु⹒⮢὾⇊Ḓẞ⹒⮢὾⇊
὾ᆎ὾ፚḒẞ%᷶࿶ᖎὊ᷶‫غ‬ᷚЊᾏⶒᶾẞ%
᷶‫غ‬ᷚᤦጾ᷑὎᫪Ⓑ⵪ᨢᾒᶾẞ%
그림 ➋  ὾⑏὾ᆎ὾ፚḒẞ%ኲౚኑ֖὾ᷚẞ%
᷶࿶ᖎὊ⇊ؒኑ૲ӎ⑏὎ӿᖊ⵾ẞ%
그림 ➌  ὾ᢶྖ೮Ὂጾ᪲ӿᖊᆆ⵪ٖẞ%᷶࿶ᖎὊ
❷ ὾ᒒⵣ‫غ‬ᨢ᷏὾ࡧࢢቾጾ᪲᫦ⷢ὎ᔚẞ%
᫦ⷢᷚ⵳ҳⵢቾᶾළҖ⵪ѺḒẞ%

2. 화 내용을 정리하 이 단원에서는 한국어 수업


, 한국어 과정 수료, 사회통합프로그램 등에
해 부한다는 것을 알려 다.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О㔠㒠㉔㋜㇋ソ⾡㇅㉃
㉃ㄳ㍝㓬ㄆ㉞ㆺ㈎"
이 단원을 지도할 는 제 학습자들의
О㇓⻩〤㉂⾡㇅㉃ㄳ
ㄳ㍝㓩ⲕㄻㆺ㈎"
사회통합과정과 관련 과 사회통합과정
페이지 등의 자료를 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 수 있습니다.

문화와 정보 /
말하기와 듣기 3차시 읽기와 쓰기 4차시 5차시
발음 / 마무리

한국어 수업에 한이 기 한국어 과정 안내 문자 기 사회통합프로그램


나 기 한국어 과정 안내 문자 기
단계 시 에 해 기

p. 56 p. 57

과 한국어 로 어 81
45분 어휘와 문법 1 어휘와 문법 1

㓫ⲿㆺㄆ㇃㉃ㄳ㍝㓩ⲕㄻㆺ㈎㎣Ⲿㇷ㉔ㆫ⳨㓲「ヌ㈎

한국어 단계 수업이에 과정 이 이에 . ⾆ⷼⲐㄆ㇃㉔㇋㈎"


단계를 부해 과정 이 ㄳ㍝㉂ㆼ㊌㓲㈎"
Ⲣ㊊⾅ 㓫ⲿㆺ㍬ⳤ
사 그 수업을 하시는 이 이
사 이 ⱕ゙⾅ ㊊㆒⻏ ㄳ㍝⳨ⱋ ;;a;;

제부 제 지해 기 Ⲣ㊊⳨ⱋ ;;a;; Ⲣ㊊ㄱⱋ 

간이 제 ㄳ㍝㉖㈢
 Ⲣ㊊㉭モ ㎠モⱕ㉏ㄵ
㊊㈢
이 수업 제 시 하고 제 나 과정
기간이 어 게
⵱㋩ ㈎㉗
㈎㉗ Ⲣ㊊ㄱⱋ ㉖㊊ㄱⱋ
시 이 수업 시간 부해 단계
;; 㑂 a ㄱⱋ
과정 시간 100시간이에 Ⲣ㊊㊊「

원 이 수업을 한사 이 이에 ;; 㑂 a ㄱⱋ

원이 이에 ;;   㑂 
원 이 ㄆ㇃㉂⾡ㄪ㈎㉗㇋㓲㈎"
ㆼ㊌〢㐫ㄆ㇃㓲㈎"
원 이 수업 지 들을 수 있어 정원이
이에

㇓⻩〤㉏㓫ⲿㆺㄆ㇃㉃㉔ㆫ⳨㓲「ヌ㈎

과정에 한 여 지 정보 . 이 수업 Ⲣ㊊⾅㉔⾯㇣㈎" Ⲣ㊊⳨ⱋ㉂ㆼ㊌㇣㈎" ㉖㈢㉂⾆⾅㉔㇋㈎"


제시 해 하 에 시간 부해 에
해 이 수업에 해 알고 어 . 과정 정보를 ㉭モⷢㆺ⹮㇣㈎" ㄆ㇃㉂⾡ㄪ㈎㉗㇋㓲㈎" ㄆ㇃ㄱⱋ㉂ㆼ㊌㇣㈎"

알고 어 .
시 하 에 시간 부해 . 수업 정 시간
시간이에 . 84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1 (한국어 수업 신청 관련 어휘)

 도입, 제시  연습

1. 한국어 수업을 할 표현하는 단어로 어 것을 알고 있는지 1. 사회통합정보 이 페이지를 보 단계 수업 지 기간


으 의 어 는 한국어 수업을 할 사용하는 표현 을 제 지 과정 정보를 하 과정 해본 을 이 기해 본다.
알려 다. 2. 한국어 수업을 하고 으 어 정보를 알아 하는지 과
᷶࿶ᖎὊ⇊ؒኑ૲ӎᷚᤦⵦշᶾᆆӿᖊ⵾ẞ%᷂…᫪Ⓑⶒᶾẞ%ጾ᪲ 화하도록 한다.
ẞᾆᷚӿᖊ⵾ẞ%ḮઢὊⵦշᶾᨢ᷏᫪Ⓑᷚଊⵦӿᖊᆆ⵾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ᖊ⤺ᨢ᷏⵾ẞ%ᨢ᷏Ὂጾ᪲ẞᾆᷚ⵾ẞ%
한다. ᫪Ⓑ‫غ‬ЎὊ᷂…Ḓẞ%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Ԇ‟‫غ‬ЎὊᶾළҖఆẞ%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4. 다 단계의 한국어 수업을 하는 활동으로 장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5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4. 운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8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 ⳨܀‬㊄㇋
ㆡ㓺⸽「ⷹ⹘㓺⸽㉔⽭㊂㉗ㆺ⵴㉃⵬㐖⵽㈎
전에
어 행동이나 상 에 는 사 보다 시간상
ㄹ㍣㓯ⳮ㊊㇑ ㄌ㇉
ㄷⱑ㉉㔬㉜㓿㇀㈔" ⶟㔬㉜㓿㇀㈔ㄌ㇉㉈
㇩⾪
사용한다. 과 를 나 문장에는 을 수
Оⱉⱑ㉢⳨ ㉗㉔
㉔ クⲄ
クⲄソㆬャㄱ
ㄱⱋ㇋㊜ⳣⷪ㉃

㑈㈔㉝ㄷ〨㐱㓸㈔
Ɑ㇣㈎
고 문장에 다. 조사 에를 해서 기 전으로
⵬ⳝ⻭㎄⿕㓩⳨㊄㇋㊄㔥 ㊼
㊼ヌ㈎
㊼ヌ㈎ 수 있다. 사 에는 전에를 다.
О⿚㉃
⿚㉃ ⽬⳨㊄㇋ュ㉃㆐㉀ヌ㈎
Оュⷴ㉔
ュⷴ㉔㇪⳨㊄㇋ ㋣㉃
㋣ ㍝モ㓲㈎
㈎

• 한국에 기 전에 을 했어
֛ ⳨㊄㇋ О㇪ⷹ ࢉ ㇪⳨㊄㇋

나 고 에서 회사에 다 어 .
О㉘ⷹ ࢉ ㉘⳨㊄㇋

О⽬ⷹ ࢉ ⽬⳨㊄㇋
ࢉ • 이 이 에게 맞을
О⽐⹧ⷹ ࢉ
ࢉ ⽐⹧⳨㊄㇋
나 사기 전에 한 입어 보세 .

1 ㆺ⺎㉗㉃㓩⳨㊄㇋⾱㓬Ɑ㇣㈎"㉔ㆫ⳨㓲「ヌ㈎ • 에서 내리기 전에 를 으세 .
「⳨ •시 보기 전에 을 세 .
ⳮ㍁㇑ッⶃ⽌ⳮ㊊㇑
㋨㉉㍔Ⲋ㈔

⳨㌻㇋ソ⵽⽆ⷹ ㋢㉃㍎⳨ⷹ

1) 2) 3)

㈆㎄㓩ⷹ ⾦Ɐ㉃゙ⷹ ゙⾡ㄵ㉃⵬ⱉⷹ


ⱉㄨ⻳㉖㋜⼾㔦㉖㓩ⷹ ゙㉔㋔⼾㔦㉖㓩ⷹ ㇋ㆺ㏁㉃ⵘⷹ

다 기 전에
2 ⷼⲐㄆ㇃㉔ⵣ⵬⳨㊄㇋⾡㇅㉃㓬Ɑ㇣㈎" 나다 나기 전에
-기 전에
하다 하기 전에
( , )
다 기 전에
Ⲩ㈩〨㐱㓱ⳅ㇀ㄌ㇉㉉⹬ⳮ⼎㓿㇀㈔
Ⲩ 85 들다 들기 전에

문법 1 (-기 전에)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ᵎࢢ὾᪮ᴲṊᵒ‫྆‮‬ᴲЊጾ᷑὎ᓾӪᾒᶾẞ%ౚᢶྖὊҖ᫦⬚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ᵨᷚᤦጾ᪲὾ᶆ‫غ‬ᆆ⵾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하게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하여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ᵒ‫྆‮‬ᴲઞᨢ᷏὎᫪Ⓑ⵪ѺḒẞ‫؂‬ဆ᫪Ⓑ‎ᷚጾ᷑὎ቆ ᵖᵎᶆ  연습 2
⵾ẞ%ᨢ᷏᫦Ў὎⹟ᾂ⵾ᶆఆẞቆ ᨢ᷏᫦Ў὎⹟ᾂ⵾ẞ‫؂‬૮ὖᷚ
1. 하기 전에, 건을 사기 전에, 사 을 나 기 전에 등의 주제를
ᨢ᷏὎᫪Ⓑ⵪ѺḒẞᨦᤦઞ⹟ᾂ὾ቆ ᫪Ⓑ὾ࢢℛ὾ᷚẞ‫؂‬ౚ
지고 그 행동을 하기 전에 해 하는 에 해 다양하게 이 기해
Њ⇊ᨦᤦᆆᇚ⵪ൖĹᨢ᷏὎᫪Ⓑⵢ‫غ‬‎ᷚᨢ᷏᫦Ў὎⹟ᾂ⵾ẞĺ
보도록 한다.
὾ထҖᵨὢᾆᓾ૮ಮὢᾆ὾ቆ ᾆᶾࢪൖ᫦Ў὾ቆ ᾆൖĹ‫غ‬
‎ᷚĺᆆᢶẳ⵾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5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해시 다.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한국어 로 어 83
50분 어휘와 문법 2 어휘와 문법 2

ⷼⲐ⼾ㄆ⼛㓩ⲕㄻㆺ㈎ㆺ⺗ⱼ㓲㈎"
단계 한국어는 0단계부 1단계, 단계, 단계, 단계,
5단계 지 부할 수 있어 . 리는 단계에서 부해 .
⾡ㄪㄱ㔂㉃〕㈎"
이수 이수는 하나의 과정을 내는 것이에 . 단계 부를 ⾆ㄱⱋ㉔ゥㄆ㇃㉃
어 . 도 0 고 단계 시 에도 합 했어 . ⹧ㆺ㈎"
단계를 이수했어 . 단계를 이수했으니 단계에서 부할 a ⷼⲐ  ⷼⲐ

수 있어 .
㉔ㄆ ㉖㊊
㉖ ㎄ゾ ⳨
⳨㊾ ㄱⱋ ㉔ゥ ㄱⱋ ㉔ゥ
부하 에와 . 에 어 .
했어 . 구 안 어 . 구 했어 . 㒮ⱉ ⷼⲐ㒮ⱉ ㋅ⱋ㒮ⱉ ./&7

㓯ⲅ 㓬
㓬Ⲏ㈖ ⷹ㉅ⷼⲐ㍀㇓ⱉⷩ ⷹ㉅ⷼⲐ㍀㇓ⱉⷩ
이 단계는 100시간 에서 0시간 이상 해 .
이 0시간보다 다는 이에 . 그것보다 적 것 ‫ أ‬㉯㉈ㄱ ㇄㉅
㋅ⱋ㒮ⱉ㇋㉯㉈ㄱ㓩㇓
이하 고 해 . 0시간 이하는 이수 안 . 㓯ⲅ

는 다 로 시 이에 . 단계 수업이 나 〦㓯ⲅ ⸽㉗ⷼⲐ㍕㉅〢㐫 ⷼⲐⲹ㈸㉃㉯ㄆ⼛㓩ⲕ


단계를 부했는지 시 을 . 그 시 을 단계 ㉯ㄆ⼛㓩⾁㓲⸇ⷼⲐ ㉈ㄱ㓫㋅ⱋ㒮ⱉ㇋ソ㍸㊂
‫ ؤ‬㉯ㄆ
㉯ㄆ⼛ ㉔ㄆ⹅ㆺⷹ㉅ⷼⲐ⼈ ㊇ㄆ ㊇ ㍬Ⲣ
고해 .
㄰ⳤ ⹤㊇ㄱ㇋⽐ ㄰ⳤ
ㄱ㔂㇋〦㓯ⲅ㓩⾁
ㆺ⺗ⱼ㓲㈎"
ⷼⲐ⼾⹌⿮⹧㉀⾁
ⷼⲐ㇋ⱍㄆ㉞ㆺ㈎"
기 보다 점수 아서 P 하는 것을 합 이 고
해 . 이 단계 에서 5점을 아서 합 했어 . 구는
5 점을 아서 합 했어 . ㇓⻩〤㉏㓫ⲿㆺㄆ㇃㇋⸋㓲㉔ㆫ⳨㓲「ヌ㈎
합 합
시 시 에 합 했어 . 다시 시 을 . 그것을 무슨 수업을 들어요?
시험에 합격하려면
재 시 고해 . 간 시 에 재 시할 수 있어 .
어떻게 해요?
수 단계 에서 합 했어 . 그 단계를 들으 이번 학기가 끝날 때
단계에 수 있어 . 해서 내는 것을 재수료 고 무슨 시험을 봐요?
해 . 단계에서 재수료 하 단계에 수 있어 .
아 단계에서 단계로 어 . 단계에서 단계로
했어 . 8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2 (한국어 과정 수료 관련 어휘)

 도입, 제시  연습

1. 단계를 수료하고 으 어 게 하는지 으 는 단어는 1. 학 들에게 단계를 수료하려 시간 이상 해 하는지


한국어 과정을 수료할 사용하는 어 을 알려 다. 시 을 하는지, 합 할 어 게 할 수 있는지 문을
᷶࿶ᖎὊ૲ӎᆆᾢࡧࢾӪᬀ⇊ẞ%૲ӎᷚЊӪᬀ⇊ẞ%὾૲ӎᆆ 진다.
ᾢࡧࢾઞҍ὎ᨢზ྆Ӫ⵾ẞᨢზⵢӪᬀᶾẞ‫؂‬ဆᶾළҖ⵾ẞ%ጾ᪲ 2. 과 함께 한국어 과정 수료 기 에 해 해 보도록 한다.
᫦ⷢ὎ᔚẞ%ḮઢὊⵦշᶾԆ‟὎ᨢზ⵪ൖⵎẞⵦᶾ⼢ᆆӿᖊ⵾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ӎᆆᨢზⵢӪᬀᶾẞኑ᫦Ў὾ᣋᨢ᷏὎೮ᶾᶆఆẞ%
한다. ጾ᪲᫦ⷢ὎ᔚẞ%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ኑ‚὾ᣋ὎ᐥᵎᶆఆẞ%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5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할 수 있다.
4. 운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8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 ⼈⳨܀‬㓩ⷹ
Ⲑ㔱㓩Ɑ⵬ⲉ㊊㓫㉗㉃⽓㓬⺃゙㈕㓲㈎
하다
ⷿ㉋㓰ⳮ㇑ㄌ㇉
㆘ⷵ㈔㉝㉚㉤㇀ッ 어 을 할 것을 자 이나 다 사 과 정하 나
⹭㉉ⱳ㇩㈔"
㓰ⳮ〨㐱⹬ⳮ⼎㓿㇀㈔ ㇩⾪
할 사용한다. 적으로 이 에 해
Оⱉⷹ㉅㊼〢㐫
㊼〢㐫 㕖ⱉ
㕖ⱉ㋜㈎" ㆺ⹮ ⱉヌ㈎"
⵬㉔⿮㇋ⷢ㆒㉔⹧Ⲣ⿏ⷹ⼈ ⱉ⳨⼈㓹ㆺ㈎
하기문에 과 으로 이 사용하는데 과 를
О㎣Ⲿ⹧Ⲣ㓪ⲹㆡ
나 는 문장이 아니 문장에 과 의 을
㎣Ⲿ⹧ ⲹ ⶭ⻛ⶭ ⿜㇋ソ⾈
⾈㉔⳨⼈㓹ㆺ㈎
О㊼⽓㇋
㊼⽓㇋ ㎣Ⲿ
㎣ ⹧Ⲣ
⹧ ㄱ㔂Ⲡ〢⼾
〢 㓩⳨⼈㓹ㆺ㈎
다. 상황에 기로 하다, 기로 정하다, 기로
하다 등으로 동사를 바 수 있다.

֛ ⳨⼈㓩ⷹ  Оⱉⷹ ࢉ
ࢉ ⱉ⳨⼈㓩ⷹ
• 주 에등
О⽬ⷹ ࢉ ⽬⳨⼈㓩ⷹ

О㆕ⷹ ࢉ ㆕⳨⼈㓩ⷹ
ࢉ 나 안해 . 이 주 에는 구와 나기로 했어 .
О⽐⹧ⷹ ࢉ
ࢉ ⽐⹧⳨⼈㓩ⷹ

• 다 주에 단계 지
나 ,그 서 부 시 부 하기로 했어 .
1 ㉗㊊㒿⼾「ⲕⲐ㔱㉃㉔ㆫ⳨㓲「ヌ㈎
• 니와 이 다이어 하기로 했어 .

⾉ ⳣ 㑂 ㉗
• 이 안 좋아서 0분 기로 했어 .
⾏㈔㉝㇑ ⾏㈔㉝㇑ⷨ
ㄷⱑ㉤㇀㈔" 㔶ゟゟ⻙⹭Ⲩ
「⳨ 1) 2) 3)
㇥㔫〒ⳮ⼎㓿㇀㈔
회사 친구와 쇼핑 한국어 룸메이트와
사람들과 시험공부 청소
영화

2 ㇓⻩〤㉂ㆺ⺎㑫〄㓫Ⲑ㔱㉔㉞ㆺ㈎"㉔ㆫ⳨㓲「ヌ㈎

다 기로 하다
㊼⽓
⿜㓪 ㇖㕖 보다 보기로 하다
-기로 하다
운동하다 운동하기로 하다
( , )
다 기로 하다
Ⲩ㈩〨㐱㓱ⳅ㇀ㄌ㇉㉉⹬ⳮ⼎㓿㇀㈔
Ⲩ 87 다 기로 하다

문법 2 (-기로 하다)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ౚᢶྖ὾ᶾഞᷚᾒᶾẞ%ጾ᪲὾ᶆ‫غ‬ᆆ⵾ẞ%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하게


하여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૮ὖⵣ‫غ‬ᨢ᷏ᷚଊ⵾὾ᶆ‫ⵢغ‬Ӫᾒᶾẞ྆ᐆᴲઞ૮ὖ
ⵣ‫غ‬ᷚᨢ᷏὎೮὎ѺḒẞ%྆ᐆᴲઞᾆ὾ᾒᶾᤦ૮ὖⵣ‫غ‬ᷚઞ  연습 2
ᨢ᷏὎ዅ೮ᶾẞ‫؂‬ҍ὎Һ‟ⶒᶾẞ⹆ᾚҺ‟ⵢ‫غ‬௎ⵢӪЊ⁻ԆУ὾
1. 주 , 방학, 계획에 해 기로 하다를 활용하여 자 의 이 기를
὾ᶆ‫⵾غ‬ᤦ὾ᐂҺ‟ⶒᶾẞҺ‟὾ࡧࢶᶾẞ‫؂‬࿾ൖĹᾆ὾ᾒᶾᤦ
하도록 한다.
ⵣ‫غ‬ᖊ⤺೭‫غ‬ၦⶒᶾẞĺ὾ထҖᇚ⵾ẞ὾ထҖҺ᫶ⵢѺࢢᶇᦗ⵪ൖ
Ĺ‫غ‬ၦⵢ૮ĺᆆᢶẳ⵾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55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해시 다.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한국어 로 어 85
50분 말하기와 듣기 말하기와 듣기

1 ㄆ㇃㉔ⵣ⵬ⲕ⻏㕝⽐ㆊㇷ㔼㇍ㆊⱉ㉔ㆫ⳨㓲㈎ⷹ㉅Ⲣⱘ㉔㉔ㆫ⳨㓲「ヌ㈎

⻏㕝⽐ ⷹ㉅㊼㇋ⷼⲐⱉⵣ⵬⶙㈎
2-8 EBOOK 㔼㇍ㆊⷢㄆ㇃㉃Ⲑャ⹧㉃Ɑ㇣㈎"

1 2) 2-8 EBOOK
㔼㇍⶙ⷼⲐ㒮ⱉㄱ㔂㇋㓯ⲅ㓩⾁ⷼⲐㄆ㇃㉃
ㄳ㍝㓬Ɑ㇣㈎
라흐만: 다 주에 단계 나 . 는 수업을 계 들을
⻏㕝⽐ⷼⲐ⸳㇓⳨㇋ソ⿞㈙Ɑ㇣㈎"
㇓⳨
㔼㇍ ㆒
 ⷯ㈎㋣㉔⽮ㆺソ
㋣㉔⽮ㆺソ ⱉ⳴㈘⸣ソⲠ〢㓩⳨⼈
후 엔: , 단계 시 에 합 하 단계 수업을 할 .
㓹ㆺ㈎
라흐만: 단계도 에서
⻏㕝⽐㆒ⳝ⻛㈎"㊂ⷢ㇓⳨㇋ソⲐャⲠ〢㓬Ɑ㇣㈎
후 엔: 아니 , 시간이 맞지 아서 으로 바 기로 했어 .
㆒ㄟ⶙㈎
라흐만: 아, 그 는 여기에서 계 부할 .아 .

1)㇓⳨
㇓⳨ _㋣㉔⽮ⷹⱉ⳴㈘⸣ソⲠ〢㓩ⷹ
㋣㉔⽮ⷹ ⱉ⳴㈘⸣ソⲠ〢㓩ⷹ
2)㑂㈎㉗⿓
㑂㈎㉗⿓ _ㄱⱋ㉔⽚㋜㆖ⷹ㒮㉗⿓㉀⼈⿏ⴽⷹ
ㄱⱋ㉔⽚㋜㆖ⷹ 㒮㉗⿓㉀⼈⿏ⴽⷹ
2
가: 단계 나 어 게할
나: 단계 에 합 하 단계 수업을 할 . 2 ⷼⲐⱉⵣ⵬⾁ㆺ⺗ⱼ㓬Ɑ㇣㈎"㎣Ⲿㇷ㉔ㆫ⳨㓲「ヌ㈎
가: 단계도 여기에서
나: , 이 고 시간도 좋아서 여기에서 계 부하기로 했어 .

8-L.mp3 선생님(여): 여 분, 다 주에 단계 시 이 있어 .
알고 있지 8-L.mp3

잠시드(남): , . 시 본 다 에 점수는 어 게 알 수 チクⷴⲢ㉩ㄱ⹣ㆊⱉ㉔ㆫ⳨㓲㈎㉧⹦ⲕ⸄㓲「ヌ㈎

있어 1) ㇁㊑ㄶ㔇㉙㉣ㆿ㈓"
선생님(여): 시 이 에 사회통합정보 페이지에서 다음 주에 시험이 있어요.
할 수 있어 . 이페이지에 들어 서 보
. 2) ㄶ㔇㊌ㄋⷧㆿ⺜ⲁ㔫㉛㓷㈓"
잠시드(남): . 알 어 . 사합니다. 사회통합정보망 홈페이지에서 확인해요.
, 시 을 보기 전에 는 문법을 문하고
데 . 88
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㔶㑏

선생님(여): 아, 그 세 이 는 시간에 어보세 .

한국어 수업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  확장 연습

 대화문 연습 1. 단계 수업이 나 단계 수업 어 에서 어 게 부할 것 지
단계 수업 계획에 해 구와 하기를 한다고 알려 다.
1. 단계 나고 단계 에합 하 단계 수업 어 에서 어 게
2. 과 이 단계 수업이 에 어 에서 어 게 부할 것 지에
부할 것 지에 해 이 기하 교재의 그 을 이용해 어 상황 지
해 이 기하게 한다. 화를 할 는 다 과 내용을 함하여
해 보도록 한다.
하도록 지시한다.
὾᷶ᾚὢ⇛Ὂ᥆⤺ṊЊٖẾҍУᵎẞ%ቆҍУᵎẞ%⇛὾ቊቾӎᦗ
ӿᖊ⵪ᨢᾒ὎ٖẞ% ૲ӎᨢ᷏Ὂᶾഞᷚᤦӿᖊ⵪ҍᾂ⇊Ṧ‫؂‬ӽᷚᤦӿᖊⵢઞ⇊὾ᶆ‫⵾غ‬
ᓾ᥂ẞ♦նὢ὾ᶆ‫غ‬ᆆ೮Ὂ⻎ᾚ᫪Ὂᶾഞᷚᤦӿᖊ⵪ҍᾂ⇊Ṧ
2. 지시문을 이용하여 화 상황을 학 들에게 하게 알려 다. ‫؂‬ထҖⵢઞ⇊௎὾ᶆ‫⵾غ‬ᓾ᥂ẞ
3. 화를 들려주고 간단한 문을 하여 화 내용을 이해했는지
3. 이 기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한다. 하고 를 수정해 다.
᷶ᾚઞᨢ᷏὎ӎᦗ೮὎ѺḒẞ%૲ӎ௎᷶‫غ‬ᷚᤦᐺỂѺḒẞ%
ࢲᾚઞ૲ӎᨢ᷏὎ᶾഞᷚᤦӿᖊ⵪ѺḒẞ%
단계 평가 시험에 대해 듣기
4. 교사와 함께 화문을 으 서 자 게 하는 습을 한다.
1. 지시문을 이용하여 등장 과 화 상황을 한다.
정도 해서 습한다.
2. 문제를 고 들어 하는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5. 교 어 를 활용하여 과 함께 습하게 한다.
3. 기파 을 고 문제를 게 한다.
6. 습이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한다. 4. 교재 문의 을 한 해 화를 이 으 내용을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8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읽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50분

1 㓫ⲿㆺⲢ㊊㆔⵽ㇷ⾤㉢⼾㉘ⲕ㋠⾤㇋⸄㓲「ヌ㈎

안젤라 010-1234-5678

Ⲣ㊊⾅ 㓫ⲿㆺ㍬ⳤ ;;ⶤ㓪⳨ⷼⲐ 㑂


ⱕ゙⾅ ㊊㆒⻏ ㄳ㍝⳨ⱋ ;;a;;
Ⲣ㊊⳨ⱋ ;;a;; Ⲣ㊊ㄱⱋ 
ㄳ㍝㉖㈢㊊㈢  Ⲣ㊊㉭モ ㎠モⱕ㉏ㄵ
⵱㋩ ㈎㉗ Ⲣ㊊ㄱⱋ ㉖㊊ㄱⱋ
Ⲣ㊊㊊「 ;; 㑂 a ㄱⱋ
;; 㑂 a ㄱⱋ

오후 1: 21

고천 씨, 3학기에도 한국어 수업을 듣지요? 이번 주부터 신청을 받아요. 같이 신청할까요?


신청하기 전에 연락 주세요. 과정 안내 찍어서 보내니까 한번 보세요. 리 는 지 있어 . 사 1 에 있고
오후 1: 25
한국어 교 에 있어 .

1) ㆙㊔⻔㆏ⷧ㈅⾩㉧⽃】ⶉㆿ㈓" 한국어 수업을 같이 신청하고 싶어서 문자를 보냈어요. 수업을 하는 교 을 의 이 고 해 .


그 데 의 기 여 지 . 으 의 ,
2) 㓰Ⳅㆿ㍱⳩ㄋ㇈㇐⸐㓰ト⾊㉅⼍⽟㉅⾆ н㑳⽋⾆
н ;㓮パ㈓
Ұ㉙ㄋ㇈㉇㈨㉜〧㐰ㄸ㍢㓷㈓ 
의 이 고해 . 리 는 의 이
ұ㉙ㄋ㇈㉇⾍⹑⾊⳹㋡⹬㉈ㄋ㉣ㆿ㈓  개 있어 . 리 의 에서 부해 .
Ҳ㉙ㄋ㇈㉇㑇㈓㉜⽓ⷾㄶⱐ⹂㆙ⲥ〧㓷㈓ 

3) ㄋ㇈㉈⹫ⷧⲤ㉇ㆿ⹳㇨㈓" 1층 소강의실 3이에요.


2 ⽶⾈!⼾「ⲕ㓫ⲿㆺㄆ㇃㉃ⱘ㉔⹦ⲕㄻ㉂㎣Ⲿ㇋ⱼ⾤㉢⼾ㅏ「ヌ㈎

<메모> 친구
 ⾶⹬㉈Ⱳ㇨㈓"
೚Ү঩઴ӓ
 ㇁㊑〧㐰ㄸ㍢㓷㈓"
;;
 ㄋ㇈㉇㇁㊑㓷㈓"
;;a
 ਒ࣵӒठaठ

Ⲩ㈩〨㐱㓱ⳅ㇀ㄌ㇉㉉⹬ⳮ⼎㓿㇀㈔
Ⲩ 89

한국어 과정 안내 문자 읽기 한국어 과정 안내 문자 쓰기

1. 그 을 보 의 내용을 하게 한다. 1. 어 을 지 알려 주고 에 들어 내용을 각해 보게 한다.


਎Њፂᾚᆆⶒᶾẞ% ḮઢὊⵦշᶾᨢ᷏὎У὾೭ӪᬀὊ♦նᷚҖፂᾚᆆᴂѺḒẞ
਎նᷚҖፂᾚᆆᓾ࣒ᶾẞ% ♦նᷚҖⵦշᶾᨢ᷏ᷚଊ⵾ጾ᷑὎ᵖီ℆ቾₕ὎ٖẞ%
ጾ᪲ࢾẳὢፂᾚᾂҍУᵎẞ%
2. 교재 문에 해자 이 내용을 간단하게 하도록 한다. 교사는
2. 을 어 게한 주제, 내용 등을 간단 해 보도록 한다. 학 들이 에 는지 해 다.
ᵒ‫྆‮‬ᴲઞṦፂᾚᆆᓾ࣒ᶾẞ%὾ᨢ᷏Ὂ᷂…ᖊ⤺᫪Ⓑ⵪ᨢᾒᶾẞ% 3. 한 내용을 바 으로 로 성하게 한다.
ኲౚኑ኏ٖ⇊೮὎ᨢᾒᶾẞ%
ጾ᪲ẞᾆᷚᨢ᷏὎⵾ẞ%

3. 을 다시 으 서 문제를 게 한다.
4. 을 이 한 , 본문을 다시 으 는 어 는지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과 한국어 로 어 87
30분 문화와 정보 문화와 정보

사회통합프로그램
㓱ⳅ㇑ⷨ㉚⿊㉨㉕㓱ⳅ㊉㉎㉉⸹ㇽ㋂ⷨⷿㆹ㓱㓡⼎ⳣ⻥㉚㉤ㄴⷵⷿⱏ㉳
⸑㓅㊉㉜㓡⼎ⳣ⻥㉈ゟ㔶㑏㓵㓡⼎ⳣ⻥㉢ⷵⷿゟ㔶㑏㓵㓡⼎ⳣ⻥㉈⸂Ⲗ〨㐱
⸂Ⲗ⳺㋢㉤ㄴⷵⷿa⸂ⲖⷨÓ㓱ⳅ㇀ㇽ㓱ⳅ⾪㔫Ô⽄⽔㋢⽕⸂Ⲗ㇑ッⷨ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여하고 으 회원 입을 Ó㓱ⳅゟ㔶㉚㓸Ô⽄ ⿤㈣ⷵⷿ ⸂Ⲗ⳺㋢ ㉚ㄌ㓯⾇ ⳅ㊉ ㎓⹪ 㓪ⳮㄷ㔈㉉ 〒㋢
하고 사전 를 해 . ㆜㆘⸹⹏ⷵⷿゟ㔶㑏㓵㓡⼎ⳣ⻥ⲿ㈾ⳮⲪ㉚㊍㊍⽗㆘㋢ⲛ㉤ㄴⷵⷿⳣ⻡ッ
㉚⿊㉨⹭㉕ゟ㔶㑏㓵㓡⼎ⳣ⻥㍆ⱏⳮ㔶ⱏ⽗㆘㊟ㄴⷵⷿ
ㄴⷵⷿ
5단계 지 이수한 사 자를 하 나 영주 을
을 , 국적을 을 시 이 제되 나 점수를
는 등 이수 이 있어 .
1) ゟ㔶㑏㓵㓡⼎ⳣ⻥㉈㇀⺔㓡⼎ⳣ⻥㉚㇑㈔"
0 단계 부 시 하 나 한국어 시 (T PIK) 2) ㈔㋞ゟ㔶㑏㓵㓡⼎ⳣ⻥㍆ⱏⱏ㇀⼁㈦㈔"
등 이 있는 사 등 사전 를 보지 고 3) ㇙⻯〪㉈ゟ㔶㑏㓵㓡⼎ⳣ⻥㇑ッ⾧㇋㉉⿤㈜ⲛㅁ㇀㈔"

단계 정을 는 방법도 있어 . 자세한 것
사회통합정보 ( . . . )에서 할 수
있어 .

사 단계
교육명
한국어와 한국문화 한국사회이해
구분
단계 0단계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과정 기초 초급1 초급2 중급1 중급2 기본 심화
총 교육시간 15시간 100시간 100시간 100시간 100시간 50시간 20시간
1단계 2단계 3단계 중간 영주용 귀화용
평가 없음
평가 평가 평가 평가 종합평가 종합평가
구술
3점 미만 3점~ 21점~ 41점~ 61점~ 81점
사전 평가
(필기점수 20점 40점 60점 80점 이상
무관)

90
9 0 ゟ㔶
ゟ㔶
ゟ㔶㑏㓵
㔶㑏㓵
㔶㑏
㑏㓵
㑏㓵
㓵㓡
㓡⼎ⳣ⻥ .
ⳣ⻥ .,,3
ⳣ⻥ .,,3 
,,3
,,3 㓱
,,3 
3 㓱ⳅ
㓱ⳅ㇀ㇽ
㓱ⳅ㇀
㓱 ⳅ
ⳅ㇀
ⳅ㇀ㇽ

㇀ㇽ

ㇽ㓱
㓱ⳅⳅ
ⳅ⾪㔫
ⳅ⾪㔫
ⳅ⾪
⾪㔫

⾪㔫
㔫㍲㍲⳪ 
㍲⳪
㍲⳪

사회통합프로그램

1. 이 단원의 문화와 정보 에 한 것 지 알려 다.
᷶࿶ᖎ὾⇊ؒӿᖊⵢઞⵦշᶾⴎၦ‫ྲ؂‬὾ᆎ὾ፚḒẞ%ⵦշᷚઞ
Ẃշᾂ὎௎Ṋ℆ઞ᷶࿶Њ⇊ⴎၦ‫ྲ؂‬὾ᾒᶾẞ‫؂‬ℛᷚᤦḮઢὊ
Ĺᢶ⺖⦿⵳ⴎၦ‫ྲ؂‬ĺᷚଊ⵾ᵖᵎᔏ᫦૮

2. 교재의 그 을 보 서 주제에 해 알고 있는 것을 상기시 고 해


보게 한다. 이 관련 시각 자료를 로 활용할 수 있다.
᷶࿶ᖎὊᢶ⺖⦿⵳ⴎၦ‫ྲ؂‬὎ᶾළҖᵖҖచᶾẞ%
὾ⴎၦ‫ྲ؂‬Ὂᶾഞᷚᤦ᫪Ⓑ⵪ᨢᾒᶾẞ%
᷶࿶ᖎὊኑ૲ӎᖊ⤺ᨢ᷏὎೮᷒ᶾẞ%

3. 교재를 이 으 서 내용을 한다. 이 한 정보 있는


부분에 을 나 표시하게 하는 것도 좋다.
4. 문 1, 의 을 아보고 하게 한다.
ᢶ⺖⦿⵳ⴎၦ‫ྲ؂‬Ὂᶾථⴎၦ‫ྲ؂‬὾ᷚẞ%
ẞ↢ᢶ⺖⦿⵳ⴎၦ‫⑂ྲ؂‬ЊЊᶾီỖẞ%᩶Ỗẞ%

5. 문을 이용하여 학습자 자 의 을 해 보도록 한다.


᷶࿶ᖎὊᢶ⺖⦿⵳ⴎၦ‫ྲ؂‬ᷚᤦጾ᷑὎ᐺẺӪᬀᶾẞ%

8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마무리 20분

8-P.mp3
발음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1)㓵ⲋ㓯⾇>㓵ⴢ㎱⾇@ 8-P.mp3
2)⹬ⳮ⼎㓿㇀㈔>⹬⵪⼎㓸ㅕ㈔@ , 에 로
3)㆘ㄥ⶟㈔>㆘ㄤ⶟㈔@
다.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1) ㄷ㔈㇑㓵ⲋ㓯⾇⸂Ⲗ⽄Ⲧ〨㓲ⱳ㇩㈔
ㄷⱑ㉚⽠㋢㆜㆘ッⱏ⳺㈞⸩ッⷿⷸⱳ㇩㈔ 에 로 다.
2) ⱏⷿ㉋㓰ⳮ㇑ㄌ㇉⹭㉉ⱳ㇩㈔"
⵲㆘ⷵ㈔㉝㉚㉤㇀ッ㓰ⳮ〨㐱⹬ⳮ⼎㓿㇀㈔
3) ⱏⷿ㉋㓰ⳮⷨ㉝㉚㉤㇀ッㄣⱳ㇩㈔
⵲㆘ㄥ⶟㈔

에 , 로 다.

배운 어휘 확인


Ⲣ㊊⾅ 
㉔ゥ


ㄳ㍝⳨ⱋ 
㒮ⱉ


Ⲣ㊊⳨ⱋ 
㓯ⲅ


㈎㉗ 
〦㓯ⲅ • 이 단원에서 운어 기 나는 것을 해 보세 .

ⷼⲐ 
㉯㉈ㄱ • 이 단원에서 운 문법

㉔ㄆ 
㉯ㄆ⼛
• 이 한국어 수업을 어 게 했어

㎄ゾ 
㄰ⳤ
•다 학기 한국어 과정 방법에 해 알아
• 사회통합프로그램에 해 알고 있어
Ⲩ㈩〨㐱㓱ⳅ㇀ㄌ㇉㉉⹬ⳮ⼎㓿㇀㈔
Ⲩ 91

발음 10분 마무리 10분

1. 교재 1 을 들려주고 합 하 , 기로, 아 의 이 1. 단원에서 학습한 어 기 하는 것을 해 보게 한다.


어 게 들리는지 학습자 로 해 보도록 한다. 2. 운어 목록의 어 들을 으 서 의 를 상기시 다.
2. , 에 로 되는 화와 3. 단원에서 학습한 문법( 기 전에, 기로 하다)을 상기시 의 와
에 로 되는 을 알려 다. 그 서 사용법을 기 하는지 한다.
합 이 합 으로 기로는 로 로 그리고 합 하 이 합
4. 단원의 목표와 성 도를 한다.
것을 알려 다.
다 으로 에 , 으로 되는 화 5. 익힘책을 과제로 제시하고 리한다.
현상도 알려 다.
아 에서 아 로 다는 것을 해 다.
3. 교재 1 을 다시 고 교사를 해 본다.
4. 교재 화를 고 해 본다.
5. 과 함께 화를 으 습하게 한 에 한다.

과 한국어 로 어 89
9 과
근처에 자주 가는 식당이 있어요

9
근처에 자주 가는
수업 목표 및 내용
식당이 있어요

어 의 , 의 특징 관련 어 를
익 다.
문법 을 것 다, 는의 의 와
를 익 사용할 수 있다.

하기 동료와 회 장 를 정하는 화를 할 ㋂㊒ ㇀㕔ㇽ⾪⿹


⿹ 㔮⹃ ⾪㔫ㇽ㊐〒
수 있다. ㈌ㄸ ⽞
⽞ㄸ⸍㉕㑱
㑱㋫ 㔶ㄸ ㉳
㉳ヨ㊐㓯ⳮ 㓱ⳅ㉕⿤⸄ㆭ $SS
‫ⱞⱻ㉉ ܁܆‬
ⱞⷿ ⽞㋩ ヨ
ヨⱡ㓯ⷨ⳧ㆄⳮ
기 정보에 관한 화를 고 이해할 수
‫ⷨ ܆‬
있다.
기 방문 을 고 이해할 수 있다.
기 을 개하는 을 수 있다.

한국의

수업 도입 /
1차시 어휘와 문법 2 2차시
전개 어휘와 문법 1

의 의 특징
을것 다 는

pp. 58-61 pp. 58-61

9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도입 5분

도입

1. 교재 그 을 이용하여 학 들과 이 기하 이 과의
주제를 한다.
그림 ➊  ὾Ѻᆶ℆ᓊᷚᶾථ᫧ଃ὾ᓾ᷶ẞ%
᷶࿶ᖎὊᶾථ᫧ଃᷚᾚ℆Њẞ%
그림 ➋  ᷶‫غ‬ઞⵦ᫧ଃ὾ᷚẞ᷶࿶ᖎὊⵦ᫧὎
ₕᵎ⵾ẞ%ⵦ᫧Ὂᇥ὾ᶾൖẞ%
그림 ➌  ὾ౚᢶྖὊᶾථ᫧ଃᷚ೮ᶾОᶾẞ%
὾᫧ଃὊᶾළҖᓾ᷶ẞ%
❷ 2. 화 내용을 정리하 이 단원에서는 , ,
의 , 등에 해 부한다는 것을 알려
다.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이 단원과 관계있는 단원들 아 와 습
니다. 관련 단원의 학습 내용을 하 서
지도에 고하시 좋을 것 습니다.
• 주제: , 단원
О㉔ㄲ⸇㇋゙⻓⹧㉔
㉔㈀㉔⻲ⱼ⽑㉃⳴㈎" 1 과
О㇓⻩〤㉂ㆺ⺎ㄲ⸇
ㄲ⸇㇋㉢㊼ⱉ㈎" • 어휘:
㈀ⳝㄲ⸇㇋㉢
㉢㊼ⱉ㈎" 1 과
• 문법: 표현

문화와 정보 /
말하기와 듣기 3차시 읽기와 쓰기 4차시 5차시
발음 / 마무리

회 장 정하기 방문 기 한국의
정보 기 자주 는 개 기

p. 62 p. 63

과 어 91
45분 어휘와 문법 1 어휘와 문법 1

㉔㉅ㄲ⹧㉃⽬ㆺ〗ㆺ㈎"⽘㉔ㆺ⺃㈎"

하다 리할 재료 하 이
있어 .

이 시원하다 운 국 이정 시원해 .
국 ⲿ⾦㉔ㄱ㈢㓩ⷹ
㉯⼛ⱉㄳチ㓩ⷹ
다 이 아 .

다 이 .

시다 이 시어 .
ⷾⷹ ㅾⷹ ㄱⷹ ㋩ⷹ
다 이 .

하다 이 해 .
⽝㏞㓩ⷹ ㄺⱴⷹ ⷾ㏞㓩ⷹ
하다 자 이 해 .
㋰㋭㓩ⷹ ㊜⿂⼛ⱉ⹧ㆺⱉⷹ ェ㏞㓩ⷹ
다 을안 어서 국이 .
㉔㉅ㄲ⹧㉂⽘㉔ㆺ⺃㈎"
들 다 조 료 이 들어간
건 에 좋지 을 것 아 .

하다 이 해

하다 를 어 이 해

매콤하고 짭짤해요.

94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1 (음식의 맛)

 도입, 제시  연습

1. 을 표현하는 단어로 어 것을 알고 있는지 으 의 1. 각 사진을 보 어 지이 과 어본 을 이 기해


어 는 을 할 사용하는 표현 을 알려 다. 본다.
᷶࿶ᖎὊḮઢፚቃ᷒ᶾẞ%‫؂‬ὖ᫧Ὂᇥ὾ᶾൖẞ% 2. 들의 이어 지 과 화하도록 한다.
ḮઢὊὖ᫧ὢᇥ὎ӿᖊ⵾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ࢣ⇊ᔀὖ( , 운 , 화 )Ὂᇥ὾ᶾൖẞ%
한다.
4. 다양한 에 해 을 이 기하는 활동으로 장할 수 있다.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5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할 수 있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9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ۻ܀‬㉃Ⱶⱘⷹ
ㆺ⺎㉗㇋⸋㓫㎁㎚㉃⵬㐖ⶀ⺃゙㈕㓲㈎
을 다
㆘ⷵ㈔ⳣ⻱⸩㆘㋂
어 에 한 을나 사용한다. 여 상황을
㉚㉋ㄸ ⽣㈟ⱻⱞ㆘㈔ ㇩⾪
통해 하는 을 할 주로 사용한다. 개 적
⽲㇀〝㇀㈔" Оⱉ㊂ⱉ⿜㊡
⿜ 「ヌ㈎ ㇣れ㊸
㊸"
⵬⶙㊊⽓㇣れ⶙㈎ⳝ⻫⸣㊡
㊡ぅㅀⱵ
의 을 표현하는 으므로 학 적이고 적
ⱘ㆒㈎ 상황에서는 어 리지 는다.
ОⲾ⼿㉔ ⽑㉔
㉔ ⵤ㇆
ⵤ ⶙㈎Ⲙぅⱉ
ⱉ ㇭Ⱶⱘ㆒㈎
О⸽ク㉔
⸽ク㉔ ㉔チ⾦㉃
⾦ ⿔㉀
⿔ ⾁㆒㊼㊧㆒㓬 Ⱶ
ⱘ㆒㈎
• 리 주 에 이 원에
֛ ㉃Ⱶⱘⷹ  О⽬ⷹ ࢉ ⽬㉃Ⱶⱘⷹ
ࢉ 나 그 데 서사 이 을것 아 .
ù⽢ⷹ ࢉ ⽝㈙Ⱶⱘⷹ

각해 .
֛ ˹Ⱶⱘⷹ О㋩ⷹ ࢉ ㋭Ⱶⱘⷹ

ùⷾⷹ ࢉ ⷾⱵⱘⷹ

• 이 , 자료 정리는 다 했어
1 ⳝ⽊㉃「ⲕ㉔ㆫ⳨㓲「ヌ㈎ 나 의 다 했고 0분 안으로 것 습니다.
㉚ㄸ⸍㇑ 「⳨ ルⷺ㉚⽗㆘ッ
• 시 이 어려 것 아서 부했습니다.
㉨⽌ⱏ㉤㉉ⱻⱞ㆘㈔" ㉨⽌ⱏ㇊㉉ⱻⱞ㆘㈔

• 이 영화 고편을 어 . 영화 재 있을 것 어 .
㉔ㄲ⸇㇋㉢⽆ⱉ㉞ⷹ ュⷴ㉔⽑㆒ソ㉢⽆ⱉ㇄ⷹ

1) 2) 3)

다 을것 다
-을 것 같다 좋다 좋을 것 다
㇓㉢㎣Ⲿⱉチ⾦㉃㊧㆒㓩ⷹ ㆬャㄱⱋ㇋⸳㌼㓬ㄆ㉞ⷹ ㆒㉔ⱉ㉢㊄Ɑ⼾㉧㐖ⷹ
ⴭ㉔㇣でソ㊧㆒㓩ⷹ ⳬ㉔⽏㔎ソ㊡ⷪⷹ ㆒ぐⱉ㆔㉪㆒㋆ソⶓㆺ㋜ⷹ
( ) 있다 있을 것 다
다 들을 것 다
2 ⷹ㉅㇋⸋㓲㎣Ⲿ⹧Ⲣ㓮ⴖ⽓㓲「ヌ㈎

⵽㉗⵱ㆊ
자다 것 다
ⶃ㉝⵷㆐ⱏ㇀⺕ⱻⱞ㆘㈔"
사다 것 다
ⷼⲐㄆ㇃ -ㄹ 것 같다
ⶃ㉝㉈かⱏㇳⱻⱞ㆘㈔
하다 할것 다
ⶤ㔼㉏⾈ㄮ ( , )
학 이다 학 것 다
Ⲩ⳥㍛㇑㉨㋂ⱏⷨㄸ⸍㉚㉤㇀㈔
Ⲩ 95 다 것 다

문법 1 (-을 것 같다)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ᵎࢢ὾᪮ᴲṊ…ᾎ᪮ᴲЊ᫧ଃᷚᤦὖ᫧὎ӪᅾӪᾒᶾẞౚᢶྖὊ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ὢὖ᫧὎ᾢᵖᵎ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ᾎ᪮ᴲઞ὾ὖ᫧὎ᵒቃᶾᔮᶾẞ‫ྡྷ؂‬ᤦᇥ὎ᾢኲᅾ⇊ᇖὖ᫧  연습 2
ᢶ⇎ᷚӪ▞Њ૮᤹Цࢢᾒᶾᤦὖ᫧ᇥ὎᪇Җ▞☫⵪ᨢᾒᶾẞ‫؂‬࿾
1. 내 , 단계 수업, 수업이 나고 에 의 교통 등의 주제에
ൖĹ὾ὖ᫧ὊᇮỂҍУᵎẞĺ྆Ӫᇚ⵾ẞ὾ထҖ▞☫⵾ᤦᇚ⵪ൖĹ὎
해 하여 이 기해 보도록 한다.
ҍУ૮ĺᆆᢶẳ⵾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이해시 다. 0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어 93
50분 어휘와 문법 2 어휘와 문법 2

㉔ㄲ⸇㉂ㆺ⺎㑫㋥㉔㉞ㆺ㈎"

이 다 이 의 양이 아 . ⽘㋣㉀⼈㈷⾅㓩ⷹ ㉢⽆ⱉ㇄ⷹ ㊿㉃ソⷹ


조 주문해도 사 이 을 수 있어 .

이 이 다 순 부 개 주문했는데
5 지의 찬이 나 어 .

하다 이 으로 해서 한
전에 하지 으 사할 수 어 .
⿎⿓㌽㉔⽑㉔⵬㇪ⷹ
리 다 이 으로 해서 사
ㆳ㉔⽑ⷹ
시간에는 자리 어 .
ソぅㄨⱉ㊧ⷹ
을 다 (자리 다와 하여) 그 서 보통 을 〤㈯⳨ⱉ㊧ⷹ

서서 1시간 정도 기다려 해 .

다 그 편안한 분 기
좋아 .
㎭⽏㉔ⱉ㉞ⷹ
다 이 에 사하 이 와
료를 서 로 .서 좋아 .
㇓⻩〤㉂㈆ㄲ㓬⺃ㆺ⺎ㄲ⸇㇋㉢㊼ⱉ㈎"㈀Ɑ⳨㇋㉢㊼ⱉ㈎"
㈀ Ɑ⳨㇋ ㉢㊼ ⱉ "
이 있다 이 의 자는 서로 이 있어서
리로 이 기해도 아 .
집 근처에 있는 식당에 자주 가요.
양도 많고 맛집으로 유명해서 자주 가요.

9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2 (식당의 특징)

 도입, 제시  연습

1. 자주 는 어 지 으 는 단어는 의 1. 학 들에게 자주 는 이어 지, 그 의 는 지,
특징을 표현할 사용하는 어 을 알려 다. 이어 지 문을 진다.
᷶࿶ᖎὊᶾථ᫧ଃᷚᾚ℆Њẞ%Ṧ‫؂‬᫧ଃᷚᾚ℆Њẞ% 2. 과 함께 자 이 자주 는 의 특징에 해 해 보도록 한다.
ḮઢὊ᫧ଃ὎᤮኏⵪ᨢᾒઞᶾ⼢ᆆӿᖊ⵾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55ᴲЊᾚ℆Њઞ᫧ଃὊᶾථӽ὾ᷚẞ%Ṧ‫؂‬ӽᷚᾚ℆Њẞ%
한다.
5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할 수 있다.
4. 운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9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
⹘㇋㇪ⷢ⾅゙⼾ㄆㄲ㓩⽿㔐㉯㉗ㆺ⵬ⷢ⸽㉣㉃⽓㓬⺃゙㈕㓲㈎

ㇽㄸ⸍ㆧ㇑㋅ッッ
현재 어나는 동 을 할 사용한다. 동사 에 어
⶟㈽⾋㓱ㄸ⸍㉚㇀ッ
ⳮⷿ⽌ⷨゟ⻙⹭㉚⽗⶟㈔
㓷カルⷺ⹭㉚⽗㆘㈔
㇩⾪
사의 현재 동 , 상 를 한다.
Оⱉㆺ⺎㉅ㄲ㉃
㉃ ㊧㆒
㊧㆒㓲㈎"
⵬㊌ⱉ ㊧㆒㓩ⷢ㉅ㄲ㉂〦ⲕ
ⲕ⳨㇣
⳨ ㈎

О㊂⳨
㊂⳨ 㐉モ⽆⼈ ㈞゙ⷢ⻓㉂ⷉ
ⷉⲾ㇣㈎"
О㊌ⱉ
㊌ⱉ ゙ⷢ ⲟ㉂
㉂㉖㍗㉔㇋㈎
㇋  • 어 에 자주
나 제 자주 는 한 이에 .

• 어 악을 들어
֛ ⷢ О⽬ⷹ ࢉ
ࢉ⽬ⷢ 나 제 는 악 T 이에 .
О゙ⷹ ࢉ
ࢉ゙ⷢ
О㓩ⷹ ࢉ
ࢉ㓩ⷢ
ù⽐⹧ⷹ ࢉ⽐⹣ⷢ

•이 제 아는 이에 .

•제 주로 하는 운동 구 .
1 ㎣Ⲿⱉ⾱㓩ⲕ㉞ㆺ㈎"㎣Ⲿ⼾㍅㆒「ヌ㈎

㆒⵬㉔ㄨ 㔼㇍

⻏㕝⽐ 㕯㇋㈖

㉔⽍
「⳨ ㊌㉔ㄪ

㊒㉚㄰㆐ⱏ⷏Ⳅ㇩㈔" ㊈㌔㇑ッ⾬㉉⽔ㄷⷨゟ⻙㉚
㊒㉚㄰㆐㇩㈔

2 ㎣Ⲿ⹧㇋ⱼ⾦ㆺ「ヌ㈎
다 는
㉨㋂ⱏⷨㄸ⸍㉚ ㋢⳩㓯ⷨ㉝㉚ 다 는
㊭㆘㓯ⷨ㉋ㄸ㉚ ㉤㇀㈔" ⾵㇩㈔" -는
⾵㇩㈔"
㋢⳩ゟⷨⲥ㉚ 하다 하는
㇀⹴㇩㈔" ( , )
다 는
Ⲩ⳥㍛㇑㉨㋂ⱏⷨㄸ⸍㉚㉤㇀㈔
Ⲩ 97 들다 는

문법 2 (-는)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Ὂᇥ⇛ᾂҍУᵎẞ᫧ଃᵨᷚᢶྖ೮὾ℎ὎ᤦᤦ‫غ‬૮ᆶӪ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ᾒᶾẞౚᢶྖ὾‫؂‬ᢶྖ೮὎Њᆶ⢮ቾᤦ὾ᶆ‫ⵢغ‬Ӫᾒᶾ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ᢶྖ೮὎ᓾӪ…὾᪲ᴲЊፚ྆Ӫᇚ⵾ẞ%Ĺ᫧ଃᵨᷚℎᤦᤦ  연습 2
‫غ‬૮ᆶઞᢶྖ೮὾ᇘमẞĺ྆Ӫᇚ⵾ẞĹℎᤦᤦ‫غ‬૮ᆶઞᢶྖĺ⒢ဆ
1. 좋아하는 이 지. 자주 는 이 있는지 고 하 서
⸎ᾶⵢӪᾒઞ௣ᾛ὎ᇚ⵪ൖĹઞĺ὎ᢶẳ⵾ẞ
는을 활용하여 자 의 이 기를 하도록 한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이해시 다.
1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어 95
50분 말하기와 듣기 말하기와 듣기

1 㔰ㄲ㉭モ⼾㍅ⲕ㉞ㆺ㈎ⷹ㉅Ⲣⱘ㉔㉔ㆫ⳨㓲「ヌ㈎

㆒⵬㉔ㄨ ㉩ㄱ⹣ㆊ㈖⽆⿓㔰ㄲ㉃ㆺ⹮㇋ソ㓩ⷢⱼ
2-9 EBOOK ㊧㉃⳴㈎"
1 2)
㉩ㄱ⹣ ㉔ⳟ㍕㇋㊌ⱉ㉢㊼ⱉⷢㄲ⸇㉔㉞ㆺ㈎
㉢㊼ⱉⷢㄲ⸇
2-9 EBOOK
아나이스: 시 ,고 사 을 어 에서 하는 게 좋을 Ɑ⳨ⱍ⻛㈎"
잠 시 드: 이 에 제 좋아하는 페 있어 . 기에 ㆒⵬㉔ㄨ Ɑ⳨ⷢㆺ⺎ⲟ㉔㇋㈎"
아나이스: 기는 어 이에
㉩ㄱ⹣ ㉯⼛⸳ㄳチ㓩ⲕㆳ⸳⽑㆒㈎ⳝ⻛ソュⷴ㉔
잠 시 드: 분 기도 좋고 도 좋아 . 그 서 이 상 㓱ゥ⽑㆒㈎㉖㐫⶟ⱳエ㓩⾁⵬ㇷ㈎㇓⳨
아 . 하 나와 . 여기 보세 . 「ヌ㈎
아나이스: 와, 여기 정 있을 것 아 . 여기로 . ㆒⵬㉔ㄨ ㇷ㇓⳨㊊⽓⽘㉞㉃Ⱶⱘ㆒㈎㇓⳨⼈ⱉ㈎

1)㈖⽆⿓㔰ㄲ _㉢㊼ⱉⷹㄲ⸇
㉢㊼ⱉⷹ ㄲ⸇ _㉯⼛ⱉㄳチ㓩ⲕㆳ㉔⽑ⷹ
㉯⼛ⱉㄳチ㓩ⲕㆳ㉔⽑ⷹ
2 2)ⲕ㓼゙⻓⾈㉛ _㊧㆒㓩ⷹ㎫㒠
㊧㆒㓩ⷹ ㎫㒠 _〤㈯⳨ⱉ㊧ⲕ㎿㓡⽘⸳㊧ⷹ
〤㈯⳨ⱉ㊧ⲕ㎿㓡⽘⸳㊧ⷹ
가: 리 회 을 어 에서 하는 게 좋을
나: 학교 에 이 있어 . 기
2 㓫ⲿㆺⲹㄵ㉏㎣Ⲿ⹧Ⲣ㔰ㄲ㉃㓬Ɑ㇣㈎ㆺ⺎ⲟ㉀⼈ⱍⱭ㇣㈎"㉔ㆫ⳨㓲「ヌ㈎
가: 어 이에
나: 분 기도 좋고 양이 아 . 그 서 상 서서 는 이에 .
㇀⹴㇑ッ㔶ㄸ㉉㓲⳺㈔" 㓰ⲿ⳥㍛㉕⽞㋩㉆⼎ⱏ㈔
가: 좋아 . 그 기로 .

9-L.mp3

9-L.mp3 이 링(여): 이 고 에 ⻏㕝⽐ㆊㇷ㉔⽍ㆊⱉⱘ㉔⿚㉃⽬㉀⻩ⱍⱭ㇣㈎㉧⹦ⲕ⸄㓲「ヌ㈎


라흐만(남): 좋아 . 학교 어
1) ⹑ゞ⻘㉇ㆿⷥㄷ⸌㇐ⱒⱲ㇨㈓"
이 링(여): 기는 전에도 으니
정 장 에 있는 분 에 시다.
분식집
2) ⹑ゞ⻘㉙ⱎⷧㄷ⸌ト⾊㉅⼍⽟㉅⾆н㑳⽋⾆
н ;㓮パ㈓
라흐만(남): 그 아 한 도안 어 .
Ұ⿱ㄭ㊏⼸㉲ㆦ㇐㉣ㆿ㈓ 
이 링(여): 찬도 이 나 고 에 조 료도 안
ұ⿓⿘㍂㉙⽖㉙⵱ㇼ㈓ 
어 . 으로도 하고 . Ҳ㓶オ㉧⽋ⱎ㇉ㆿ㈓ 
라흐만(남): 좋아 . 기 서 어 . 그 데 지 98
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㔶㑏

점 시간이어서 자리 을것 아 .
리 시다.

외식 장소 정하기  확장 연습

 대화문 연습 1. 한국어 교 구들과 회 장 를 정하는 하기를 한다고 알려 다.


2. 과 이회 장 로적 한주 에 해 이 기하게 한다.
1. 회 이 한 상황( , 하할 등)에 해 이 기하 교재의
화를 할 는 다 과 내용을 함하여 하도록 지시한다.
그 을 이용해 어 상황 지 해 보도록 한다.
ᶾഞᆆ▞⒦ⵢӪᬀὊ⇊‫؂‬ӽ὎▞⒦ⵢઞ὾ἪЊጾ᷑ᾂ⇊௎὾ᶆ‫⵾غ‬
὾ౚᢶྖὊጾ᷑὎ᓾӪᾒઞҍУᵎẞ%
ᓾ᥂ẞ♦նὢ᤮኏὎೮Ὂ⻎‫؂‬᫧ଃ὾ᶾ඲ҍУὊ⇊▞☫⵾ᤦ
὾ࢲᾚЊЎ᫧ଃὊᶾථ᫧ଃᾂҍУᵎẞ%
὾ᶆ‫⵾غ‬ᓾ᥂ẞ
᷶࿶ᖎὊ὾࿺᫧ଃₕᵎẞ%
3. 이 기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2. 지시문을 이용하여 화 상황을 학 들에게 하게 알려 다.
하고 를 수정해 다.
3. 화를 들려주고 간단한 문을 하여 화 내용을 이해했는지
한다.
맛집 정보 듣기
὾ౚᢶྖὊጾ᪲ኲᾎ὎ⵢီӪ⵾ẞ%
ࢲᾚЊᶾચ᫧ଃ὎ᇚⶒᶾẞ% 1. 지시문을 이용하여 등장 과 화 상황을 한다.
‫؂‬᫧ଃὊፚЊₕᵎẞ% 2. 문제를 고 들어 하는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4. 교사와 함께 화문을 으 서 자 게 하는 습을 한다. 3. 기파 을 고 문제를 게 한다.
정도 해서 습한다.
4. 교재 문의 을 한 해 화를 이 으 내용을 한다.
5. 교 어 를 활용하여 과 함께 습하게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6. 습이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한다.

9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읽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50분

1 ⷹ㉅ⳡ㉃㉘ⲕ㋠⾤㇋⸄㓲「ヌ㈎

㇟ⷘⲊ㓱㎘ⲳⰾ㈋⼻㋘㇀ⶥ⻞㇬ゲ ㇻㄧ㈸㓞ⳝ⻽
㓮ㄣⷤⷮ㈋⼻⷗⽢㉷ ㄝ⽃
ㄝ 㑟㒪㈵
㒪 ⻽ⱨゝ㓧
㓧「ㄣⷤⷮ

Ⳓ⼻Ⲋ ⽍㋘
㋘㈵⻽ ㈬⽺㓠 Ⳕ㍊ ㄧⷼ㈸ ㌺ㆇⱉㄣ
ㄣⷤⷮ
ⷤⷮ 
ㄧⷼ㈷ ペⷩ
ⷩ㉉ ⽆ㆇゲ ㉗⼻ⰾ ㆹㆻ
ㆻㄣⷤⷮ
ⷮ ㊴㈸ ゲゲ

ⳝⷮ⼻⷗ゎ⻈⸨⽻⽺㉓ㆻㄣⷤⷮ㈋⼻⸨
⸨〙 ㉿⸨
ⳝⷮ⼽ ⷮ㈺㇀ ⹜ㆯⱉㄣⷤⷮ ㈺ㄧ㉉ ⷮ ⽍㉓㈸ ⱪ
ⱍㆇゲ ⽫⷏ チ ⱐ⼳
⼳ ㄦ㏌ㄣⷤⷮ
ⷤⷮ ㍊㈺
㈺㇀⷗ ⽆㈸
㈸ ⱪ
하다 을 으로 해 .
ⱍ㆓㋑⽅㈋⼻⷗ⷮ⽡㈸・㉓ㆻㄣⷤⷮ 하다 다

을 다 지도를 보고 을 아 어 .

1) ㉙ゞ⻘㉇ⷎⳃㇼㄷ⸌㇐ⱙㆿ㈓" 고향 친구와 식당에 갔어요.


2) ㄷ⸌㉇ㆿ⺓Ⲥ㉙㇐㈓" 맛집으로 유명해요.
3) ㉊ㄷ㉈⾋Ⱡ㋁⾩㓾ㆿ㈓"Ⳣ㉊ㄷ⹬㉈⵹Ⲓㆿ㈓" 세 개 주문했어요. 다 먹었어요.

2 ㇓⻩〤㉔㉢㊼ⱉⷢ⽘㋣㉃モⱛ㓲「ヌ㈎

단어장

Āㆿ⺓ㄷ⸌㉙㇐㈓" ㍅㆒ⱉ
㆒ⱉⷹ

Ā㉧㋁ⱎⷧ㉙㈼ⱎ⾴㇨㈓"

ĀⳢㄷ⸌㉊ㄷ⽝㉙ㆿ⺈㈓"

Ⲩ⳥㍛㇑㉨㋂ⱏⷨㄸ⸍㉚㉤㇀㈔
Ⲩ 99

맛집 방문 경험담 읽기 자주 가는 식당 소개하기

1. 그 을 보 의 내용을 하게 한다. 1. 어 을 지 알려 주고 에 들어 내용을 각해 보게 한다.


᷶‫غ‬ઞᶾഞḒẞ%ᢶྖ೮὾Ṧℎ὎ᤦᾒᶾẞ% ḮઢὊᇥ⇛὎ᦖЦⵢઞ؊὎ᴂѺḒẞ
ጾ᷑ᷚଊⵦࢾẳᾂҍУᵎẞ% ᫧ଃᦖЦᷚⵎẞⵦࢾẳὊጾ᷑ᾂЊẞ%

2. 을 어 게한 주제, 내용 등을 간단 해 보도록 한다. 2. 교재 문에 해자 이 내용을 간단하게 하도록 한다. 교사는


਎նṊ᫧ଃᷚОᶾẞ%ᶾථ᫧ଃᷚОᶾẞ% 학 들이 에 는지 해 다.
᷆ᇒࢢ‫غ‬૮၂ᶾẞ%ὖ᫧὎᷆ᇒࢢ᫦✺ᶾẞ% 3. 한 내용을 바 으로 로 성하게 한다.

3. 을 다시 으 서 문제를 게 한다.
4. 을 이 한 , 본문을 다시 으 는 어 는지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과 어 97
30분 문화와 정보 문화와 정보

한국의 배달 앱(App)
㓱ⳅゟ⻙⹭㉈㉋ㄸ㉉⿤⸄ㄷ㐗⺉⿤⸄ㆭ $SS ㉉㉨㋂
㉚㈛㓵ⷵⷿ⿤⸄ㆭ㉆⼎㋂⾪㓲⺉ⷨ⽳㊈ㆭ㉉㇝ⲛ㉋ㄸ
㊪⼹ㇽ ㄸ⸍㉉ デ㐧㓵ⷵⷿ ㉋ㄸ ㊪⼹ㇽ ㄸ⸍㉉ デ㐧㓯⾇
ㄸ⸍ ⽼ⷠ⽄ 〖 ㄌ ㉤ㄴⷵⷿ ⷿ㉋㉆⼎ ⽲ⲛ ㅁ㉈ ㉋ㄸ㉉
デ㐧㓵ⷵⷿⳣ㕂㇑Ó㋂⾪㓯ⳮÔ⽄⷏⽁ⲛ㋂ヨ㊊㔫⿴㔡⽄
ㆆⷿ㉋㇑Ⲗア㓵ⷵⷿⲖア㉈ㆭ㇑ッ㎱⹩⼎㓯ⱳ⵲⿤⸄
㋣㈨㉚㈄㉉⺉㔖⳩㉆⼎㓲ㄌ㉤ㄴⷵⷿ⿤⸄ㆭ㉉㉚㈛㓯⾇
㆘㋂㒯⽌㓵ⷵⷿ

1) 㓱ⳅゟ⻙⹭㉈㇀⺝Ⲃ㉋ㄸ㉉⿤⸄ㄷ㏗㈔"
2) ⿤⸄ㆭ㉉㉚㈛㓯⾇Ⲗア㉈㇀⺝Ⲃ㓸㈔"
3) ㇙⻯〪ⲛ㔂㇑ッⷨ㇀⺔⿢⿹㉆⼎㉋ㄸ㉉⿤⸄ㄷ㏗㈔"

주문하기

100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한국의 배달 앱

1. 이 단원의 문화와 정보 에 한 것 지 알려 다.
ⵦշᷚᤦᐺ૶ὖ᫧ቃᶾᔮ⇊ẞ%ⵦշᢶྖ೮὾ᐺ૶᫦⢶ൖᵻ὎ᇘ὾
὾ẳ⵾ẞḮઢὊĹⵦշὢᐺ૶ᵻĺᷚଊ⵾ᵖᵎᔏ᫦૮

2. 교재의 그 (사진)을 보 서 주제에 해 알고 있는 것을 상기시 고


해 보게 한다. 이 관련 시각 자료를 로 활용할 수 있다.
᷶࿶ᖎ὾ᢶẳ⵾ᔂᐺ૶ᵻ὾ᾒᶾẞ%
ᐺ૶ᵻᷚઞᶾථҍ὾ᾒᶾẞ%
ᐺ૶ᵻ὆ၦ℆ፂⵢઞҍ὾ᓿᾫ⵾ẞ%

3. 교재를 이 으 서 내용을 한다. 이 한 정보 있는


부분에 을 나 표시하게 하는 것도 좋다.
4. 문 1, 의 을 아보고 하게 한다.
ⵦշᢶྖ೮ὊᶾළҖὖ᫧὎ᐺ૶᫦✦ẞ%
ᐺ૶ᵻ὎὾ẳⵢቾӎᢺὊᶾළҖ⵾ẞ%

5. 문을 이용하여 학습자 자 의 을 해 보도록 한다.


᷶࿶ᖎӪ⶯ᷚᤦઞᶾථᐳᒟ὆ၦὖ᫧὎ᐺ૶᫦✦ẞ%

9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마무리 20분

9-P.mp3
발음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1)⽣㈟ⱻⱞ㆘㈔>⽣㈟௕ⱏ㐜㈔@ ‘ ’에 는 9-P.mp3
2)㇊㉉ⱻⱞ㆘㈔>㇉ㆇ௕ⱏ㐜㈔@
관 (으) 에자 , , ,
3)⾖⽲㉉ⱻⱞ㆘㈔>⾑⽱⳧௕ⱏ㐜㈔@
, , , 로 다.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1) ⱏ㉚ⱳ⽲㇀〝㇀㈔"
⵲㆘ⷵ㈔㆚⽲㇀〝㇀㈔ⳣ⻱⸩㆘㋂⽣㈟ⱻ
ⱞ㆘㈔
2) ⱏ㓰ⲿㆧㄸ⸍㇑ⱓ⻡㈔"
⵲ ⱳⳮⷨ㓷カルⷺ㉚⽗㆘ッ㉨⽌ⱏ㇊㉉ⱻⱞ㆘㈔
3) ⱏㇽ⿙㍃㉚㊐⽙⽗㉚⵲㈄⶟㈔
⵲ⶒ⾧⽗㆘ッⷿ⾖⽲㉉ⱻⱞ㆘㈔

배운 어휘 확인


㉯⼛ⱉㄳチ㓩ⷹ 
ェ㏞㓩ⷹ


ⲿ⾦㉔ㄱ㈢㓩ⷹ 
㉢⽆ⱉ㇄ⷹ


ⷾⷹ 
⽘㋣㉀⼈㈷⾅㓩ⷹ


ㅾⷹ 
㊿㉃ソⷹ


ㄱⷹ 
ㆳ㉔⽑ⷹ


㋩ⷹ 
⿎⿓㌽㉔⽑㉔⵬㇪ⷹ


⽝㏞㓩ⷹ 
〤㈯⳨ⱉ㊧ⷹ


㋰㋭㓩ⷹ 
ソぅㄨⱉ㊧ⷹ • 이 단원에서 운어 기 나는 것을 해 보세 .

ㄺⱴⷹ 
㎭⽏㉔ⱉ㉞ⷹ • 이 단원에서 운 문법

㊜⿂⼛ⱉ⹧ㆺⱉⷹ 
㍅㆒ⱉⷹ
• 구들과 어 에서 회 을 하고 어

ⷾ㏞㓩ⷹ
• 에 본 적이 있어 어 에 보고 어
• 을 사용해 어
Ⲩ⳥㍛㇑㉨㋂ⱏⷨㄸ⸍㉚㉤㇀㈔
Ⲩ 101

발음 10분 마무리 10분

1. 교재 1 을 들려주고 것 의 이 어 게 들리는지 학습자 1. 단원에서 학습한 어 기 하는 것을 해 보게 한다.


로 해 보도록 한다. 2. 운어 목록의 어 들을 으 서 의 를 상기시 다.
2. , 을, 을다 에 는 것이 으로 다는 것을 알려 3. 단원에서 학습한 문법( 을것 다, 는)을 상기시 의 와
다. 사용법을 기 하는지 한다.
관 (으) 에 , , , 으로 되는 4. 단원의 목표와 성 도를 한다.
에 해 간단 할 수 있다. 그 나 이 여
5. 익힘책을 과제로 제시하고 리한다.
해서 학습하게 되므로 이 단원에서는 을 것이 을 으로
다는 것에 하는 것이 좋다.

3. 교재 1 을 다시 고 교사를 해 본다.
4. 교재 화를 고 해 본다.
5. 과 함께 화를 으 습하게 한 에 한다.

과 어 99
10 과
시청 옆에 있는데 가까워요

10
시청 옆에 있는데
수업 목표 및 내용 가까워요
제 안내

어 안내, 교통수단 이용 관련 어 를
익 다.
문법 는데, 기 문에의 의 와
를 익 사용할 수 있다.

㋂㊒ ㇀㕔ㇽ⾪⿹
⿹ 㔮⹃ ⾪㔫ㇽ㊐〒
하기 을 고 주는 화를 할 수 Ⳳ㆚ⶃ Ⳳ ㆚ⶃⲿ㑏
㑏 Ⳳ㍋ⳮ
ⳮ ⲿ㑏㓅㋢㒉
‫⸩ⷨ ܁܆‬ Ⳳド⾋
⾋㓯ⷨ⳧ㆄⳮ
있다.
‫⾪⺉ⳮ ܁܆‬㇑
기 안내하는 화를 고 이해할 수 있다.
기 장의 안내를 고 이해할 수 있다.
기 하는 을 수 있다.

교통 표지

수업 도입 /
1차시 어휘와 문법 2 2차시
전개 어휘와 문법 1

안내 관련 어 교통수단 이용 어
는데 기 문에

pp. 64-67 pp. 64-67

10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도입 5분

도입

1. 교재 그 을 이용하여 학 들과 이 기하 이 과의
주제를 한다.
그림 ➊  ࢲᾚઞᶾഞᆆ⑈Ӫᾒᶾẞ%‫؂‬ӽ὾ᶾഞᷚ
ᾒઞ⇊ᵖᵎẞ%᷶ᾚઞጾ᷑὎ⵢӪᾒᶾẞ%
그림 ➋  ᷶ᾚઞ⇊ؒጾ᷑὎ᓾӪᾒᶾẞ%
᷶࿶ᖎὊ‫ق‬὎ኲᆆൖᶾළҖ⵾ẞ%
그림 ➌  ὾ᢶྖ೮Ὂጾ᷑὎⣞ᶾẞ%
᷶࿶ᖎὊⵦշᶾ᥆⤺ᷚḶൖᶾළҖṊẞ%
❷ 2. 화 내용을 정리하 이 단원에서는 안내, 교통
수단 이용 등에 해 부한다는 것을 알려 다.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이 단 원 과 관계있 는 단 원 들 아 와
습 니다. 관 련 단 원의 학 습 내 용 을
하 서 지도에 고하시 좋을 것
습니다.
• 주제: 교통 단원
1 1과
О㉔゙⻓⹧㉂⾡㇅㉃
㉃㓲㈎" • 문법: 는데
О㇓⻩〤㉂㋝㉭㉔⵬
⵬㓪ⲹ㇋ソ㋣⳴㋜ 1 1 과( 조)
ㆺ⺗ⱼⱉ㈎" • 문법: 이 표현
1 1 과( 어서)
과( 으니 )

문화와 정보 /
말하기와 듣기 3차시 읽기와 쓰기 4차시 5차시
발음 / 마무리

기 장의 안내 기 교통 표지
안내 정보 기 하는 기

p. 68 p. 69

과 101
45분 어휘와 문법 1 어휘와 문법 1

㉔ⳟ㍕㇋⾡㇅㉔㉞ㆺ㈎" ⾧㇋㉚㉤㇀㈔" ㈾ⲿⱏ㉤㇀㈔


단 도 을건 고 어 .하 이 있는 에서
건 . 단보도 . 단보도를 건 .
교 을 건 고 어 . 단보도 어 . 계단으로 ㈸ⲹ

서건 . 육교로 을 건 .
ㆬⲿ㉔
육교 육 〈㈢⽚㉂㒩㇋㉞ⷹ

간 , , 록 이 있어 . 록 을
기다려 . 을건 .
ㄳ㔛⹬
사 리 사 리는 개의 이 나는 이에 . 차들이
이다 . 이 세 개 있으 삼 리 . ㈈㌎㉀⼈
㌣ⱉⷹ ⿬ㄨ㊊⼳㉭
ⱉⷹ
⺤⿏⼈ⱉⷹ
를 는 이에 . 사 들이 를 㔶ⷼ「⸳
기다려 .
정 장정 장 ㇪⼽㌎㉀⼈
ⱉⷹ
지하 지하 을 고 내리는 이에 .
゙Ɑ⽆
지하 지하

다 다 (교재의 그 을 보 ) 원이 어 에 ㋜㓩㍘㇔
있어 으로 . 으로 계 . 쪽이나 쪽
으로 지 아 .
ⷹ㉅㉭モ㇋ㆺ⺗ⱼⱉ㈎"ⳝ⽊㉃「ⲕ㉔ㆫ⳨㓲「ヌ㈎
다 (교재의 그 이나 교사의 양을
리 ) 여기에서 쪽으로 . ㆬⲿ ㉂㓺 3&⿜

다 (교재의 그 이나 교사의 양을 여기에서 약국에 어떻게 가요?


리 ) 여기에서 쪽으로 .
에 있다 (교재의 그 을 보 ) 국이 어 에 쭉 가세요. 병원 맞은편에 있어요.

있어 국 에 원이 있어 . 원 에 국이
114 ゟ㔶㑏㓵㓡⼎ⳣ⻥ .,,3 㓱
㓱ⳅ㇀ㇽ
㇀ㇽ
ㇽ㓱ⳅ
ㇽ 㓱ⳅ⾪㔫
㓱ⳅ⾪㔫
ⳅ⾪㔫
ⳅ⾪㔫
ⳅ⾪
⾪㔫
㔫㍲㍲⳪
㍲⳪
⳪
⳪


있어 . 을 건 . 맞 편에 있어 .

어휘 1 (길 안내)

 도입, 제시  연습

1. 을 안내하는 단어로 어 것을 알고 있는지 으 을 1. 교재의 그 을 보 어 건 이 있는지 이 기해 본다.


안내할 사용하는 어 를 운다고 알려 다. 2. 교재의 그 사 이 서 있는 에서 국, 행, P 방에 어 게
ⵦշᶾ᥆⤺ᷚᤦ⯂ὢ‚ᷚᶾළҖЊẞ%ⵦշᇚၦᶾළҖᇚ⵾ẞ% 는지 과 화하도록 한다.
ḮઢὊ‫ق‬ᵒࢾ⵪ൖᢶẳⵢઞ૲ᶾᆆӿᖊ⵾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ὊⶓὊᶾළҖЊẞ%
한다. 6)ᐳὊᶾළҖЊẞ%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4. 한국어 에 이 있는지 어보 에서 그 에 는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방법에 해 이 기하는 활동으로 장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ⵦغ‬շᶾ᥆⤺ᷚᤦ⯂ὢ‚⛮ⵆᨗὊⶓᷚᶾළҖЊẞ%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10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ۻ܀‬ 는
⹘㇋㉔ㆺ㋜ⷢ⵽㈕㇋⸋㓫⿞Ⲏ㉔⵬ゥ㔪㉃ッ⾅㓬⺃゙㈕㓲㈎ 에 이어지는 내용에 한 이나 상황을 할 사용한다
사용한다.
어 을 하 서 에 문, 제안, 부 , 하는 문장에서 주로
㇀⹴㇩㈔"
사용한다. 이다는 데를 사용하고, 과 의 에 해 할
㇩⾪
㈆㆘㋣㆚ㇽ㈔" 는데를 사용한다.
⿲ㄮ⽄ ⳮⷿ⽌ⷨ⸩ Оⱉ㊱ル㓩
㊱ル㓩㋜⽐
㓩㋜⽐㉔ⳟ
⽐ ㉔ ⳟ㍕㇋㉂㓺㉔
㍕㇋ ㉂㓺㉔
㓺 ㉞ㆺ㈎"
㉞ㆺ㈎"
⿲ㄮⱏ㆚ㇽ㈔
⵬ㄱ㍝㇡㇋ ㉞ⷢ⸣㇓⳨㇋ソⱉ⳴㈠
ⱉ ㈎

О⿞ⲕ㓜⸣㈖⽆⿚⽬㉀⻩
⽬ ⱉ㈎ 이 도있
О㈎㋘
㈎㋘ 㓫ⲿㆺ
㓫ⲿ ⼾ ⿞㈖ⷢ⸣ ㆒㊼㉯⿂㉞ㆺ㈎
㉞  서 1 1 과에서 조의 는데 를 학습한 적이 있다. 는
동 하나 의 다 므로 학습자들이 동하지 도록 지도한다.
֛ⷢ⸣ О⽬ⷹ ࢉ  ⽬ⷢ⸣
Оⱉⷹ ࢉ  ⱉⷢ⸣
֛㉂⸣ О⽑ⷹ ࢉ  ⽑㉂⸣
О㊧ⷹ ࢉ  ㊧㉂⸣ 이 을
֛˴⸣ О㐇ⷹ ࢉ  㐉⸣
О㈷⾅㓩ⷹ ࢉ ㈷⾅㓫⸣ 으로 해 화 되는 단어 으므로 을 하게 어 다.
는데 는데 , 는데 는데 , 있는데 는데 , 는데 는데
7LS Ó‫ⷿ㉚ۿ‬ÔⷨÓ‫⸩㉜ۿ‬Ô⽄ゟ㈛㓸㈔

1 ⳝ⽊㉃「ⲕ㉔ㆫ⳨㓲「ヌ㈎
• 에 는데 한 있어
「⳨
나 그 부 해 .
かⱏㇰⷨ⸩㈜ア㉚㇊㇀㈔
• 데 시
나 , 이 .
ぅⱉ㇪ⷹ ㈖゜㉔㇄ⷹ • 리 아 데 에 이 어 .
• 주 에 영화를 는데 정 재 있 어 .
1) 2) 3)

다 는데
-는데 다 는데
㓪ⲹㆡ㇋ㇴⱉⱼⱉ⽑ⷹ 〢⾈ⷴクㄳ㉔ⷹ ㋜㓩㍘㉃㐞ⷹ (동사 , , 다 는데
ㇴ㉔ㄼⲕ㊧ⷹ 㓫ⲿ㇋㉞ㆺソ⾐ⱉⷹ ㉢⽆ⱉ㇄ⷹ 있다, 다) 있다 있는데
들다 는데
2 ㎣Ⲿㇷㆬャ㉃㓲「ヌ㈎
좋다 좋 데
⵷㆐ⱏ㊭㉈⸩ⱞ㉚ ⿈㆚㓸㈔ -은데
⶟㊭㆘㈔ 적다 적 데
㈞⹃㓲⳺㈔" ㄷⱑ㉚㇊㇀㈔ ( 용사 )
다 운데
Ⲩㄷ㍣㇧㇑㉤ⷨ⸩ⱏ⳺㈦㈔
Ⲩ 115 바 다 바 데
-ㄴ데
하다 한데
( 용사 , )
힘들다 힘 데

문법 1 (-는데)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ᵒ‫྆‮‬ᴲṊ…ᾎ᪮ᴲઞᇖࢢ‫غ‬ၦⶒᶾẞ…ᾎ᪮ᴲઞ⇊ؒፚⵢӪ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ᾒᶾẞ%ᒎ᪮ᆆ‫غ‬૮ᆶӪᾒᶾẞ‫؂‬࿺୺ᵎ⇋ᒎ᪮ЊᵒṞᶾ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ᵒ‫྆‮‬ᴲЊ…ᾎ᪮ᴲᷚҖĹṦᵒṊẞ%ĺፆᶾẞ‫؂‬ဆᶾළҖଊ૿ⵢቾ  연습 2
ₕ὎ٖẞ%⇊ؒᾚ‫غ‬ὢᣋ⹳὎ቆ ᤮኏ⵢઞҍ὾ₕᵎẞᒎ᪮ᆆ
1. 는데를 활용하여 구에게 지 의 상황을 하 서 이 하고
‫غ‬૮ᆶӪᾒઞᣋ⹳὾ᷚẞ‫؂‬࿺୺ᒎ᪮ЊᵒṊẞౚЦὢፂᾯ὎
것을 제안하는 습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을 정하는 이 기 지
ⵢࢢၦ᷺ҺⵢӪᬀᶾẞ὾࿾ൖĹઞ୺὆̤୺ĺᆆᢶẳ⵾ᤦ᷺Һ⵾ẞ
해 보도록 한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이해시 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103
50분 어휘와 문법 2 어휘와 문법 2

㔰゙⳴㋜ㆺ⺗ⱼⱉ㈎"
ⲹ㑉㎫⹣⼈㈎ⳣ㉃⵽ⷹ

다 회사에 를 . 를
이 기할 100 고해 .

을 내다 나 지하 을 을내 해 .
그것이 이에 . 교통 로 수 있어 . ⿬ㄨ⼾㐖ⷹ
그 으로 수도 있어 . 그 을 현 이 고 해 .

에 내리다 를 어 .도 했어 . 에서
내려 .
⿬ㄨ㇋ソ⵽⽆ⷹ
지하 다 를 어 . 그다 에
지하 로 바 서 . 지하 로 아 . 지하
㋜㓩㍘⼈ⱍ㆒㐖ⷹ
을 이 기할 는 지하 이 고해 . ⿮㎄Ⲿ⼈⵬ⱉⷹ

다 지하 에서 내 어 . 나 는 이 㔰゙ⱉ「㉔ⷹ

이 있어 . 나 는 을 구 고 해 . 구는
로 아 해 .
㇓⻩〤㉂㓫ⲿㆺⲹㄵ㇋ソ㋣⳴㋜ㆺ⺗ⱼⱉ㈎"
사 이다 1 구 에 회사 있어 . .
회사 바로 눈에 보여 .

이 을 학교 근처에서 20번 버스를 타요.


그리고 호수 공원에서 내려서 지하철로 갈아타요.
동사 다 에 는 조사 다 고 다양하다. 그리고 대인시장역에서 내려요.
하지 도록 조사와 동사를 하여 제시한다.
11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2 (교통 수단 이용)

 도입, 제시  연습

1. 에서 한국어 지 어 게 는지 으 나 지하 과 1. 교재의 그 을 보고 이 는 지어 게 는지 이 기해 본다.


관련하여 사용하는 어 를 운다고 알려 다. 2. 과 함께 한국어 교 에서 지어 게 는지 자 의 이 기를
᷶࿶ᖎὊ⇛ᷚᤦⵦշᶾ᥆⤺ٖ⇊ᶾළҖṊẞ% 하도록 한다.
ḮઢὊᒎ᪮ࢢ⇊ⵢ⒪ԆԊဲద૲ᶾᆆӿᖊ⵾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55ᴲઞⵦշᶾ՚᫮ᷚᤦ⇛ٖ⇊ᶾළҖЊẞ%
한다. ᶾළҖṊẞ%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4. 에서 회사, 시장, 지 는 방법에 해 이 기하는 활동으로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장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ᢶ᫦ᾯӿ⵷ٖ⇊ᶾළҖЊẞ%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5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10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 ⳨ۻ܀‬㇋
때 에
ㆡ⵽㈕㉔⹘⵽㈕㉏㉔㈷㉛㉃⵬㐖⵽㈎
어 의 이 를 할 사용한다. 내용이 내용의
이 을 나 다. 이다 는 이기 문에 를 사용하고,
㇩⾪ 과 의 에 해 할 기 문에 를 사용한다.
Оⱉ⻏⾁㉃ ㉢㊼
㊼ ⽬ㆺ
ㆺ㈎" 사적 상황에도 사용하지 적 상황에도 어 다.
⵬⶙ㄼⲕ⽘㉞⳨⺃⾤㇋ ㉢㊼
㊼⽬ㆺ㈎

О⸳ㄱ㇋
⸳ㄱ㇋゙ⷢ⻓㉔⽑⳨⺃⾤㇋ⲹ
ⲹ㑉㉔
」㉪ ⷯⷹ
」㉪㓯 ⷹ
• 주 에
나 , 다 주에 한 시 이 있기 문에 수 어 .
О㈘⸽㉃
㈘⸽㉃ ㇗ㄷ
㇗ㄷ㕯
㕯 㓩⳨⺃⾤㇋Ɐⱕ
ⱕ㓲㈎
• 여기 이 게사 이 아
나 화점이 세 을 하기 문에 것 아 .
㐧ㄷ⽄㐜ⲛ ㋢⳩㉈Ⳳ㉚⽕㕵ⳮ⺉⾪㇑
ⱓ⳺㈔" ㈔⳩㉚⽗㉚⵲ㇳⱳ㇩㈔ ֛ ⳨⺃⾤㇋  О⽬ⷹ ࢉ ⽬⳨⺃⾤㇋
ࢉ • 방학이기 문에 학교에 안 .
Оㆺ⼀ⷹ ࢉ
ࢉ ㆺ⼀⳨⺃⾤㇋
О㐖ⷹ ࢉ 㐖⳨⺃⾤㇋

• 어제 게 기 문에 해 .
О㐇ⷹ ࢉ 㐇⳨⺃⾤㇋

1 ⳝ⽊㉃「ⲕ㉔ㆫ⳨㓲「ヌ㈎ 다 기 문에
-기 때문에 좋다 좋기 문에
「⳨
㋢㓯㍞㉚⿲ㄮ〒ⷿざ⽁ⳮ⺉⾪㇑ ( , ) 하다 하기 문에
㈆㋢㓯㍞㉉㐜㈔" ㋢㓯㍞㉉㐜㈔ 바 다 바 기 문에

⿬ㄨ「ⷹぐ⼻ⷹ ㋜㓩㍘㉃㐖ⷹ
때 에 니
1) 2) 3) 세 문법 이 를 할 사용하는 문법으로, 기 문에 는
어서 나 으니 에 해 적 상황에서 자 게 사용 다.

기 문에 어서 으니
과 합
ⳝ㎿㓡㄃㉂〤㈯⳨ⱉ㊧ⷹ ㊌㉔ㄪㆊⱉⶭ⻛⼾㉧㓩ⷹ 〢⾈ⷴ㉔㓫ⲿ㇋㇪ㄱⷹ
ュⷴ㉔⽑ⷹ ㉖⳨ⱉ⽑ⷹ ㊼⽓㇋⾐⽐⵬ⷹ 행 ( , )

2 ㇓⻩〤㉂⾦Ɐ㉃ゞ⺃㊼⼈ㆺ⹮㇋ゾ㈎"㈀Ɑ⳨㇋ゾ㈎" 이 때 에 때 에

ㅂⲛ㊭㉈⾬Ⱶ㉚⽗ⳮ⺉⾪㇑ ⹴㉨㉜㉚ⷿㆹ㓯ⳮ⺉⾪㇑
이기 문에 는 이다 와 기 문에 합 것이고, 문에 는
ㄷ㉳㇑㉨㋂ⱏ㈔ ㄷⶃ㇑ッㇺ㉉ゟ㈔ 으로 이 사용한다.
는 학 이기 문에 부해 .
Ⲩㄷ㍣㇧㇑㉤ⷨ⸩ⱏ⳺㈦㈔
Ⲩ 117 어제 기 문에 학교에 어 .

문법 2 (-기 때문에)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ᴲઞ⣧᫦ᆆ⣊Ӫᬀᶾẞ‫؂‬࿺୺⇊ؒ␲Њᇘᵎᤦ‫ق‬὾ᇓ⸊ẞ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ẞؒ὾ᇘ὾ࢢḶѺḒ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ᴲઞ૮ᆶЊᵎ⬖ẞ⣧᫦ᆆ⣊Ӫᬀᶾẞ‫؂‬࿺୺Ӫ⒦ᴲઞ⣧᫦  연습 2
ẞؒ὎ѻ‟ⵢӪᾒᶾẞӪ⒦ᴲЊ⣧᫦ẞؒ὾ᇘ὾ࢢḮઞ὾Ἢᆆ⻎ᷞ
1. 건을 어 (시장, 화점, 등)에서 사는지, 기에서
ᴲᷚҖᇚⵢӪᬀᶾẞ‫؂‬὾Ἢઞ‫ق‬὾ᇓ⾒ઞҍ὾ᷚẞ὾ထҖᶾථ
사는지 고 하 서 기 문에 를 활용하여 그 게 각하는
ᾆὢ὾Ἢᆆᇚ⵪ൖĹ‫غ‬ൖፂᷚĺᆆᢶẳ⵾ẞ
이 를 이 기해 보도록 한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이해시 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105
50분 말하기와 듣기 말하기와 듣기

1 ⳬ㉃⾌⻏ソⷹ⼽゙⻓㇋ⱼ⾦ㆺ〕㈎ⷹ㉅Ⲣⱘ㉔㉔ㆫ⳨㓲「ヌ㈎

2-10 EBOOK ⻏㕝⽐ ㊂⳨㈎㓫ⲿ㉂㓺㉃㍅ⷢ⸣ㆺ⹮㇋㉞ㆺ㈎"


㓫ⲿ㉂㓺

1 2) 2-10 EBOOK
㆒㊼⽫ⷯ ㈈㌎㉀⼈㌣ⱉ⾁ㄱ㍝㉔㉞ㆺ㈎ㄱ㍝⽚㉂㒩㇋

라 흐 만: 기 , 원을 는데 어 에 있어 ㉞ㆺ㈎

아주머니: 기에서 단보도를 건 시 이 있어 . 시 ⻏㕝⽐ ⱐ゙㓯ⷯⷹⳝ⻫⸣㇓⳨㇋ソㆿ⽎⵬ⱱ⽉⳴㈎"

맞 편에 있어 . ㆒㊼⽫ⷯ 〤㌯ⱱ⻻㈎㐉⸳⼈㇡㇋㉞⳨⺃⾤㇋

라 흐 만: 사합니다. 그 데 여기에서 나 ⳣ⿜㍅㉃ㄆ㉞㉃Ɑ㇣㈎

아주머니: 10분 려 . 건 이 아주 기 문에 방 을
수 있을 .
1)㓫ⲿ㉂㓺
㓫ⲿ㉂㓺 _㈈㌎㉀⼈㌣ⱉⷹ
㈈㌎㉀⼈㌣ⱉⷹ _㐉⸳⼈㇡㇋㉞ⷹ
㐉⸳⼈㇡㇋㉞ⷹ
2)〈㈢ _㊂⳨㇋ソ㔶ⷼ「⸳⼾Ɐⶌⷹ
㊂⳨㇋ソ㔶ⷼ「⸳⼾Ɐⶌⷹ _Ɐ⾦㉔㆒㊼㐇ⷹ
Ɐ⾦㉔㆒㊼㐇ⷹ
2
가: 에어 게 2 ㎣Ⲿ㋣㇋ㆺ⺗ⱼⱉ㈎"ⳝ⽊㉃「ⲕ㉔ㆫ⳨㓲「ヌ㈎
나: 여기에서 육교를 건 정 장이 있어 .
⻕⿊㆐㋩㇑㇀⺝Ⲃⱏ㈔"
정 장 에 의 이 있어 .
가: 아나이 에어 게 ㇙ⳮ㇑ッ㈾ⲿ⽄Ⱶⶒ⾇
나: 시 사 리에서 쪽으로 지하 이 있어 . ⿲ㄮ㊐⼹㉳㉚㉤㇀㈔⿲ㄮ㊐⼹㉳
㇧㇑⻕⿊㆐㋩㉚㉤㇀㈔
지하 바로 에 리 이 있어 .
라민 집

10-L.mp3

10-L.mp3 라 민(남): 여보세 . 안 ,어 고 있어 ⻏⿄ㆊㇷ㆔㊏⻏ㆊⱉ㉔ㆫ⳨㓲㈎㉧⹦ⲕ⸄㓲「ヌ㈎


안젤라(여): , 지 의 다 는데 아 페를 어 .
1) ㆙㊔⻔㆏ⷧ⻔⿉㆏⽃ㆿ⹳㇐ヂ⽕⵱㈓"
라 민(남): 아, 그 시 국 보여
안젤라(여): , 보여 .
아름 카페에서 만나요.
라 민(남): 그 국 에서 육교를 건 세 . 육교를 2) ㆙㊔⻔㆏ⷧⱲⳭ㇐ㆿ⺜ⲁⱎ㈓"
건 바로 아 페 있어 . 페 기 우체국 앞에서 육교를 건너서 가요.
문에 게 을 수 있을 .
안젤라(여): , 리 게 . 어서 안해 , . 118
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㔶㑏

길 찾기  확장 연습

 대화문 연습 1. 구 에 는 방법에 해 고 하는 하기를 한다고 알려 다.


2. 교재의 그 을 보고 에 는 방법에 해 간단하게
1. 을 를 어 게 하는지 이 기하 교재의 그 을 이용해 어
이 기하게 한다. 그리고 과 함께 제 자기의 를 책이나
상황 지 해 보도록 한다.
이 등에 간단 그리고 는 방법에 해 이 기하는 습을 하도록
ࢲᾚઞᶾഞᷚЊӪᬀᶾẞ%‫؂‬ӽᷚᶾළҖЊઞ⇊ᵖᵎẞ% 한다.
‫ق‬὎ኲᆆൖઞᶾළҖ⵾ẞ%
3. 이 기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ᖎὊ‫ق‬὎ኲᆆൖᶾළҖ⵾ẞ%
하고 를 수정해 다.
2. 지시문을 이용하여 화 상황을 학 들에게 하게 알려 다.
3. 화를 들려주고 간단한 문을 하여 화 내용을 이해했는지 길 안내 정보 듣기
한다.
1. 지시문을 이용하여 등장 과 화 상황을 한다.
ࢲᾚઞᶾഞᆆ⑈Ӫᾒᶾẞ%‫؂‬ӽᷚᶾළҖЊẞ%Ѻ‫⇊ٖغ‬᫦Ў὾
᷆ᇒࢢ҂ီẞ% 2. 문제를 고 들어 하는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4. 교사와 함께 화문을 으 서 자 게 하는 습을 한다. 3. 기파 을 고 문제를 게 한다.


정도 해서 습한다. 4. 교재 문의 을 한 해 화를 이 으 내용을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5. 교 어 를 활용하여 과 함께 습하게 한다.
6. 습이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한다.

10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읽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50분

1 ⷹ㉅ⳡ㉃㉘ⲕ㋠⾤㇋⸄㓲「ヌ㈎

받는 사람 안젤라<angela21@gmail.com>

보낸 사람 이링<yy7970@qq.com>

제목 다음 주 일요일에 조금 일찍 올 수 있어요?

ㆉ㊄⻄ㅿ㇀ⱱ

ⷮ㈺㊱㉌㈃㉌㇀㊁イ㉌㑵㑭ⰾ㉓⷗⸘ⳝㆰ㓞㋑㈃"㔑ㄦ㉌㌨㇬ゲ㊖⸨㇬㊴・㉓ㆯ㈃"㎘ⲳ⹜㉉⽆㉉
㇟ⳝ⹸⾙㇀㈺ㄧ㈸⽆㉉㊳〺㓡Ɫ㇘㈃Ⳓ⻐ゲ㊖⿄ゃⱪⱍㆇ㈃㈋⼻㋘㇀㌺ㆇ㇟⷗⿑⿨㈸ㆌ⻰㊴ⱱ㈃
㔐・ⲕ㈗ㆌ㋑㈃"ⲕ㈗㆖㇀ゲ㔫ⷱ、⸨⼳Ɽⶁ⽶㒞㉄㉼㉉㉓⷗⸘Ⳓ㇖㇀⾖Ⲿ㔚ㆇ㑵㑟ⰾ㉓ㆯ㈃㈋⼻ 하다 다 주에 이 의 파 있는 것을
㋘㈷⾖Ⲿ㔚ㆇ㑵㑟⸲㔐㇘㈃
지 어 .기 해 .
⽫㉌㉍㈵⽶㉹㔚㊱チ㈃Ⲋ⽃㈕㈃
 ㉉⽂ㅹ 기 하다 기어 다

리 에어 게 를 지하 을
1) ㉙⽒㆏ⷧⷾ㉊㋁㉜㈓㉜㇐⾦㇊㉈㓷㈓" 집에서 생일 파티를 해요.
어서 어 게 그것이 방법이에 .
2) ㉙⽒㆏ⷧ㈅㉊ㄷ㉈⽖㉙㋃お㓷㈓" 친구들이 많이 오기 때문에 많이 준비해요.
보통 시간 문을 어 . 편의점에서 이것 것
3) ㉙⽒㆏㉔㋨㉇ㆿ⹳㇐㉣ㆿ㈓"
수 있어 .
Ұ 버스
ұ Ҳ
무궁화 무궁화
편의점 편의점
아파트

버스
아파트
파 리 아파 에 고 할 니는 주 에
버스
무궁화
아파트 호수 공원 편의점
호수 공원 호수 공원 사세 .

2 ク㉗㇋㎣Ⲿ⼾㍬⸋㓩ⲕㄻㆺ㈎㇓⻩〤㉏㋣㇋ⱉⷢ⿜⿳㉃㆗⻻㊼ヌ㈎

단어장
㈜⽌㋩㇑㍋㆘ㇰⷨ⿢⿹㉉㆝⼁㋅Ⲃ㈔ ⳨ㆻ㓩
㓩ⷹ

⿜⿳
㒩㉏㊇

㆒㒀㑪



Ⲩㄷ㍣㇧㇑㉤ⷨ⸩ⱏ⳺㈦㈔
Ⲩ 119

초대장의 길 안내 읽기 길 설명하는 글 쓰기

1. 이 의 는사 ,보 사 , 제목을 보 의 내용을 하게 1. 어 을 지 알려 주고 에 들어 내용을 각해 보게 한다.


한다. ᣧᾆᷚ♦նᆆ┒ଊⵢӪᬀᶾẞ┒ଊᾯᷚ᷶࿶ᖎὢ⇛ᷚЊઞᐳᒟ὎ᴂ
὾ҍὊጾ᷑὾ᷚẞ%਎Њ὾቞ᾆ὎ᓾ࣒ᶾẞ%਎նⵦ⥖ᓾ࣒ᶾẞ% ѺḒẞቆ ⇛ᷚЊઞᐳᒟ὎቞ኲ⵾ẞ
Ṧ὾቞ᾆ὎ᓾࣂҍУᵎẞ%
2. 자 이 내용을 간단하게 하도록 한다. 이 교통편을
2. 을 어 게한 주제, 내용 등을 간단 해 보도록 한다. 안내하고 로 의 를 하도록 한다. 를 할
૮ὖ℆ᾆẞᾆᷚጾ᪲ᾆ὾ᾒᶾẞ%὾ᇋᴲઞᵒ‫྆‮‬ᴲᷚҖጾ᷑὎ 는 에 있는 건 이나 구나 알 한 장 를 시 점으로
ᖊ⣋ⶒᶾẞ%὾ᇋᴲઞᶾഞᷚᢾᵎẞ%὾ᇋᴲ⇛ᷚᶾළҖЊẞ% 정하도록 지도한다. 기 전에 교사는 학 들이 에
는지 해 다.
3. 을 다시 으 서 문제를 게 한다.
3. 한 내용을 바 으로 로 성하게 한다.
4. 을 이 한 , 본문을 다시 으 는 어 는지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과 107
30분 문화와 정보 문화와 정보

교통 표지판
㇙⻯〪㉈ Ⳳ㇑ッ ㉚⻱ ⱻ  ㉉ ㉨㋂ 〘ⷵ⳺" ㉚ⱻ㉉ ⲿ㑏 㓅㋢㒉㉚⻕ⲛ 㓵ⷵⷿ ⲿ㑏 㓅㋢㒉㉈
⾎ㆹギ⳾㉚⿈㋢⳧㉨⼎Ⳅバ⹏ⷵⷿ ⷨ㋂㉕㓯⻕ⷨ㉕⿈㉢ⷵⷿⳣ⽌ⲛ ⷨ⳩㋢㉕㉕⿈㉚ⲛ ⷨ
ⱏⷯ㓯ⷿⷨⱻ㉉⵲㐜ⶈⷵⷿ㉚⻸Ⲃⲿ㑏㓅㋢㒉㉕⾎ㆹⲨギ⳾㉉〒⾇㉕⿈⽄㆝ㄌ㉤ㄴⷵⷿ

1) ⷨ⾧㄰⻈㉚㇑㈔"
2) ⷨ
ⷨ⾧㄰⻈㉚㇑㈔"
3) ㇙⻯〪⵲⻕㉕ⲿ㑏㓅㋢㒉㉉ヨⱡ㓸〒ヒ㈔

조심하세요
ⶳ⻗ギ⿕㐥すⱑギ㐻⹒⽌

㈵㔈㓯ⷵ⳺㊢ㄽ㓯ヒ㈔ ㇀⽎㉚ㇽⷿⷸ⺉㊢ㄽ㓯ヒ㈔ Ⲧゟ㋋㉚ⷵ⳺㊢ㄽ㓯ヒ㈔

이렇게 하지 마세요
㕰ギ㉚⵲㒆⻗ギ⿕㐥すⱑギ㐻⹒⽌

㇙ⳮ⼎ⷿⷵ㋢⽔ヒ㈔ ㋂㍁㓯㋢⽔ヒ㈔ ㉨㊊ⱳ⽄㐜ⲛⱏ㋢⽔ヒ㈔

이렇게 하세요
㒆⻗ギ⿕㐥㕰ギ㐻⹒⽌

ⱷ㇀ⷿⷵⷨゟ⻙⽖ⱓㄌ㉤㇀㈔ ㉨㊊ⱳ⽖ⷿⷸㄌ㉤㇀㈔ Ⳳ㉉Ⱶⶖㄌ㉤㇀㈔

1 0
120 ゟ㔶
ゟ㔶㑏
ゟ㔶㑏

㔶㑏㓵

㑏㓵㓡
㑏㓵
㓵 ⼎ⳣ⻥
⼎ⳣ⻥ .
ⳣ⻥ .
ⳣ⻥
⻥ .
⻥ .
.,,,,3
,,,3 
,,3
,3
3 
3
㓱㓱ⳅ㇀
㓱ⳅ㇀ㇽ
㓱ⳅ㇀ㇽ
ⳅ㇀ㇽ
㇀ㇽ
㇀ㇽ
ㇽ㓱
ㇽ 㓱ⳅ
㓱ⳅ⾪
㓱ⳅ⾪㔫
㓱ⳅ⾪㔫
ⳅ⾪
ⳅ⾪㔫
ⳅ⾪㔫
⾪㔫 ㍲
⾪㔫 ㍲⳪


교통 표지판 5. 문을 이용하여 학습자 자 의 을 해 보도록 한다.

1. 이 단원의 문화와 정보 에 한 것 지 알려 다. ᷶࿶ᖎӪ⶯ὢ՚⦿ⱦ⇊⬚὎ᦖЦ⵾ᓾ᥂ẞⵦշὢⱦ⇊⬚Ԇ‫؂‬ᇆ὾ࢢ


ὢᐂЊ૮ᆂҍ὾ᾒᶾẞ%
⹃᫦ⵦշᷚᤦẾ‎὎⵾ẞ%‫ق‬ᷚᤦ὾࿺ⱦ⇊⬚ᔮᶾẞ%ጾ᪲ཅᾂ⇊
ᵖᵎẞ%ḮઢὊ‫ق‬ᷚᤦᾚ℆ᔆᨢᾒઞĹ՚⦿ⱦ⇊⬚ĺᷚଊ⵾ӿᖊ⵪
ѺḒẞ

2. 교재의 그 (사진)을 보 서 주제에 해 알고 있는 것을 상기시 고


해 보게 한다. 이 관련 시각 자료를 로 활용할 수 있다.
՚⦿ⱦ⇊⬚Ὂ‫ق‬὎૮૚ൖܷᵖᵎᶆⵢઞҍ὎‫؂‬ᇆ὆ၦⱦ᫦ⵦ
ѺḒẞ(표지 을 하나 보여 주 )὾ⱦ⇊⬚Ὂጾ᪲ཅᾂ⇊ᵖᵎẞ%

3. 교재를 이 으 서 내용을 한다. 이 한 정보 있는


부분에 을 나 표시하게 하는 것도 좋다.
4. 문 1, 의 을 아보고 하게 한다.

 ઞጾ᪲ཅ὾ᷚẞ%
ઞጾ᪲ཅ὾ᷚẞ%

10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마무리 20분

10-P.mp3
발음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1)㈾ⲿ>㈾ⵂ@ 10-P.mp3
2)㉤ⷨ⸩>㉜ⷨ⸩@
, , 에 , , , ,
3)㇀⺝Ⲃ>㇀⺒㏏@
, , , , 로 다.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1) ⱏ㉚⳥㍛㇑ッ㊍㉚㉤㇀㈔"
 ⵲⶟㊈㈾ⲿ⽄㋢⵲⾇ッ㊍㉚㉤㇀㈔
2) ⱏ㋢⳩㇀⹴㇑ッⳮⷿ⽌ⷨⱳ㇩㈔"
 ⵲⿴㎊Ⳅㆧ㇑㉤ⷨ⸩㇂㊒ㇽ㈔"
, , , 에서 , , 로
3) ⱏ㊈㋢⳩㈾ⲿㆧ㇑㉤ⷨ⸩㇀⺝Ⲃⱏ㈔"
⵲㈾ⲿ⽄㋢⵲ッ⺪⿕⼎P㌵ㇰヒ㈔ 다.

로 , , 이 합되는 , , 로
배운 어휘 확인
다.

㈸ⲹ 
⿬ㄨ⼾㐖ⷹ

DRUNKEN 
ㄳ㔛⹬ 
ⲹ㑉㎫⹣⼈㈎ⳣ㉃⵽ⷹ


㔶ⷼ「⸳ 
⿬ㄨ㇋ソ⵽⽆ⷹ

BEWARE

⿬ㄨ㊊⼳㉭ 
㋜㓩㍘⼈ⱍ㆒㐖ⷹ


゙Ɑ⽆ 
⿮㎄Ⲿ⼈⵬ⱉⷹ


㋜㓩㍘㇔ 
㔰゙ⱉ「㉔ⷹ


⽚㉂㒩㇋㉞ⷹ 
⳨ㆻ㓩ⷹ • 이 단원에서 운어 기 나는 것을 해 보세 .

㌣ⱉⷹ 
⿜⿳ • 이 단원에서 운 문법
⺤⿏⼈ⱉⷹ 
㒩㉏㊇ • 는 에 을어 게 아
㈈㌎㉀⼈ⱉⷹ
㈈ 
㆒㒀㑪
• 구에게 을 주고 어 을 할수
㇪⼽㌎㉀⼈ⱉⷹ
㇪⼽
있어
• 한국의 교통 표지 을 알아
Ⲩㄷ㍣㇧㇑㉤ⷨ⸩ⱏ⳺㈦㈔
Ⲩ 121

발음 10분 마무리 10분

1. 교재 1 을 들려주고 이 어 게 들리는지 학습자 로 1. 단원에서 학습한 어 기 하는 것을 해 보게 한다.


해 보도록 한다. 2. 운어 목록의 어 들을 으 서 의 를 상기시 다.
2. 육교에서 에 이 로 다는 것을 알려 3. 단원에서 학습한 문법( 는데, 기 문에)을 상기시
다. 의 와 사용법을 기 하는지 한다.
있는데에서 이 자리에 로 다는 것과
4. 단원의 목표와 성 도를 한다.
그다 으로 에 이 로 다는 것을 알려
다. 5. 익힘책을 과제로 제시하고 리한다.
어 게에서 에 로 다는 것을 알려
다.
여 해서 학습하게 되고, 이 하나로 통 것이
아니므로 하나 하되 장시 지 고 제시 단어에
하는 것이 좋다.

3. 교재 1 을 다시 고 교사를 해 본다.
4. 교재 화를 고 해 본다.
5. 과 함께 화를 으 습하게 한 에 한다.

과 109
11 과
보름달을 보면서 소원을 빌어요

11
보름달을 보면서
수업 목표 및 내용 소원을 빌어요

어 , 에 하는 관련 어 를 익 다.
문법 게, 으 서의 의 와 를익
사용할 수 있다.

하기 에 하는 을 할 수 있다.
㋂㊒ ㇀㕔ㇽ⾪⿹
⿹ 㔮⹃ ⾪㔫ㇽ㊐〒
기 에한 에 한 화를 고 이해할 ⾋㊋ ⾋㊋⾋㊋㇑ 㓯ⷨ㉝ ⾋㊋㇑㓯ⷨ㉝⽙㓯ⳮ 㓱ⳅ㉕⾋㊋
수 있다. ‫Ⲃ ܁‬ ⾋㊋ヨⱡ㓯ⷨ⳧ㆄⳮ
‫⾇㉆ ܆‬ッ

기 한국의 에 한 을 고 이해할 수
있다.
기 을 개하는 을 수 있다.

한국의

수업 도입 /
1차시 어휘와 문법 2 2차시
전개 어휘와 문법 1

에 하는 한국의
게 으 서

pp. 70-73 pp. 70-73

11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도입 5분

도입

1. 교재 그 을 이용하여 학 들과 이 기하 이 과의
주제를 한다.
그림 ➊  ⻎ᷞᴲὢЊ⁻ὊᶾഞᷚОᶾẞ%਎նᆆ

ᇖࢢ࿶Оᶾẞ%᷶࿶ᖎὊ᷂…὾ထҖЊ⁻὾
⵲ۢᇖࢢẞ%
그림 ➋  Ӫ⒦ᴲὢЊ⁻Ὂጾ᷑὎⵾ẞ%
὾ࢪὊጾ᪲ࢪᾂҍУᵎẞ%
❸ 그림 ➌  ὾ᢶྖ೮Ὂጾ᷑὎⵾ẞ%὾ࢪὊጾ᪲ࢪᾂ
ҍУᵎẞ%‫ࢪ؂‬᷶࿶ᖎὊጾ᷑὎⵾ẞ%

2. 화 내용을 정리하 이 단원에서는 , 에


하는 등에 해 부한다는 것을 알려 다.

О㉔゙⻓⹧㉂ⷉⲾ㇣
㇣㈎"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ソ⾡㇅㉃㓩ⲕ
㓩ⲕ㉞ㆺ㈎" 고 의 에 해 개하 나 이 기할
О㇓⻩〤ⲕ㓼㇋ソ
ソⷢㆼ㊌ⱉ㊝㉔㓮ⴖ 지 표현이나 국어로 표현이
⾈㇓㈎" 수 있습니다. 학 수 에 맞는
에서 한 어 를 지도할 수 있습니다.

문화와 정보 /
말하기와 듣기 3차시 읽기와 쓰기 4차시 5차시
발음 / 마무리

에 하는 하기 한국의 에 한 기 한국의
에한 에 한 화 기 고 의 개하는 기

p. 74 p. 75

과 어 111
45분 어휘와 문법 1 어휘와 문법 1

ⲛ㔂㇑ッⱏ㊣Ⲩ㎩㍜㉚⾎⹒⾎㇙㈔
⾅㊅㇋⾡㇅㉃㓲㈎"
고 에내 다 지 사는 수원이에 . 고 부 이에 .
부 고 에 사세 . 그 서 에부 ,고 에 .
고 에 내려 . ㎣㍖
ⱉ㊝㉔⾈㉔ⷹ

고 이 사는 보다 에 있을 , 고 에 내려 다 고 하지
고 고 에 다 고 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세 .
고 ,이 ,삼 ,사 이에 . 보다 조
이에 . ⲕ㓼㇋⵽⻻ⱉⷹ ソ⼈㆔〢⼾⾥ⷹ
이 이다 이되 들이 이 고 에서 나 .
고 에 이 여 . ㌻⼄⼾㋜⵽ⷹ
다 을 나 서로 그동안 지 어 어 게
지 어 건 했어 이 게 사해 . 서로 안부를 어 .
하다 에 아 할아 지, 할 니, 조상들의 에
서 사하고 을해 .성 를해 . ナ⾜⼾㓩ⷹ
지내다 아 에 에서 으로 아
할아 지, 할 니, 조상들께 사해 . 차 를 지내 .

이 (교재의 그 을 보 ) 이는 개의 을 지고 는
게 이에 . 이를 하다 고 해 . 보통 들과 에 이
해 . ㈿ⶰ㉔ ㇖⵱⽆⳨ ㊌⳨㌻⳨

이 리
리 (교재의 그 을 보 ) 리기는 을 바 에 리는 ㇓⻩〤ⲕ㓼㇋ソⷢ⾅㊅㇋⾡㇅㉃㓲㈎"
이 . 리기를 하다, 을 리다 고 해 .
제 (교재의 그 을 보 ) 제기차기는 제기를 지고 로 우리 고향에서도 명절에 가족이 모여요.
하는 이 . 제기차기를 하다, 제기를 차다 고 해 . 보통 모여서 맛있는 음식도 먹고 재미있는 놀이도 해요.
들과 에 이해 .
이와 리기, 제기차기 전통적으로는 에 하는
이지 에는 다 에도 해 .
124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1 (명절에 하는 일)

 도입, 제시  연습

1. 에 을 하는지 알고 있는지 으 에 하는 과 1. 고 에서는 에 을 하는지 어본다.


관련 어 를 운다고 알려 다. 2. 고 에서 에 을 하는지 과 화하도록 한다.
኏‒Ὂ᤮ࢪ὾ࢢ▞ᤧ⒢ဆḥࢪᖊ⤺ॎℛЊᾯℛẞⵦࢪ὾ᷚ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표현을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ᖎӪ⶯ᷚ௎኏‒὾ᾒ⇊ẞ%᷶࿶ᖎὊ኏‒ᷚጾ᷑὎⵾ẞ%
4. 고 에서 에 하는 이 한국과 어 게 하고 다 지에 해
ḮઢὊ኏‒ԆԊဲద૲ᶾᆆӿᖊ⵾ẞ
이 기하는 활동으로 장할 수 있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0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한다.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할 수 있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11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ⱼۻ‬
⹘㇋㇪ⷢ⵽㈕㉏Í㊊⸳⿜⿳Î⹬㉃「㎈㓲ソ⽓㓬⺃゙㈕㓲㈎

ㄱⳮㆱ 에 는 동사의 정도, 방법 등을 보 해서 할
⽞㉤Ⲃ ⽲㇀⻕
㇩⾪
사용한다. 이것 보통 용사와 합하여 에 는
Оⱉ⽫⽆⼾
⼾ ㆺ⺗
⺗ⱼ㓲
ⱼ 㓲⹣⽉⳴㈎"
㈎"
⵬⵱ㆊⱉ ⸕㈖
㈖ⷯ⳴㊡ ㋮ⱼ㉧
㉧⻏㊼ヌ㈎
동사를 주는 부사의 할을 한다. 다, 다의
О⾅㊅㇋ⷢⱉ㊝⹧Ⲣ
, 이, 리의 로 사용되는 부사도 있다.
⾅㊅㇋ ⾈ ソ㉯⿂
⾈㇓ ⿂㉞ⱼⶰ㆒㈎
О⿙㇋ⷢ ㎁㈖
㎁ ⷯ⳴
ⷯ ㇴ㉃⹹⻂㓩ⱼ
ⱼ ㉜ㆺ
ㆺㆫ
㓲㈎
㓲㈎

• 과 을 이 .
⶟㓲⽱ⷵ⸹
나 , 에서 세 해서 게 어 .
⽗㉚⹩ヒ㈔ ֛ ⱼ О㉣ⷹ ࢉ
ࢉ㉣ⱼ
О㋮ⷹ ࢉ
ࢉ㋮ⱼ
О㇣れⷹ ࢉ
ࢉ㇣れⱼ • 을 있게 입 .
О⹹⻂㓩ⷹ ࢉ⹹⻂㓩ⱼ

나 이 있어서 . 아

1 ㇓⻩〤㉏ク㔨ㄮⲤ㉃㉔ㆫ⳨㓲「ヌ㈎ • , 안 들려 . 게 이 기해 주세 .
「⳨
• 는 기 전에 을 하게 어 .
㊈ⷨ㋂⽙㇑〒㑏
ⷰⲂ㉝㇀⵲㈔

ⷪⷹ ㉗ㆺ⵬ⷹ

1) 2) 3)

㐇ⷹ ⹦ⷹ ⷾⷹ ⽎ㄱⷹ ⴀⵡ㓩ⷹ ㍝モ㓩ⷹ

2 ㋜ⵯ⾅㊅㇋⾡㇅㉃㓹ㆺ㈎"ㆺ⺗ⱼ「ⶄㆺ㈎" 다 게
• ⷎⳃ⽃⽕⵼ㆿ㈓"
㋢⵵⾋㊋㇑ⲛ㔂㎩Ⳅ⹭㉉
있다 있게
• ⾦ㄯ㉊ㄷ㉈⽕⹬㇋ㆿ㈓"
-게
㍲⸑㓸ッ㉵⿈㉤Ⲃⶶㆤ㇀㈔ 다 게
• ⾦㇊㉈㓮⾆ヂ】ⶉㆿ㈓" ( , )
바 다 바 게
Ⲩ〒⽅⸄㉉〒⾇ッヨ㈨㉉ぎ㇀㈔
Ⲩ 125
하다 하게

문법 1 (-게)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ᴲὢЊ⁻೮Ὂᐯ὎ቃӪᾒᶾẞὖ᫧὾ᶾ඲ҍУᵎẞ%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ᓾ⦿᫧ᢶ‎ᷚᐯ὎ᶾළҖቃ὆྆Ӫ὾ᶆ‫⵾غ‬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ᐯ὎ቃ‫غ‬‎ᷚ⵪ቂ૒Њ᪶‫غ‬ᷚҖᐯ὎ᶾළҖቃ὆྆Ӫ὾ᶆ‫⵾غ‬ẞ%  연습 2
ĹᇥᾒҖቃᶾ྆ĺ྆Ӫ⵾ẞ‫؂‬ဆ᪶‫غ‬ઞ⵪ቂ૒ᷚҖᶾළҖᇚⵢቾ
1. 지 에 을 했는지, 어 게 보 는지, 을어 게 는지
ₕ὎ٖẞ%ĹᇥᾒҖቃҪᪿ૒૮ĺ὾ထҖಮᷚḮઞ௣ᢶᆆնⒾ​὆ၦ
등에 고 하 서 게 를 활용하여 자 의 이 기를 해 보도록
ᾚ᥂⾒ⱦ⸎⵪ൖ⸟ẳᢶᷚĹҖĺᆆᖣ᷶ẞ
한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이해시 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어 113
50분 어휘와 문법 2 어휘와 문법 2

㓫ⲿ㉏⾅㊅㉃㆗㆒「ヌ㈎⾅㊅㇋⾡㇅㉃㓲㈎"
1 1 이에 . 을
기 으로 한 이에 . 보통 을 보 자를 수
있어 . 그것이 이에 . ヌ⿞⼾㓩ⷹ
,
하다 다 에 어 들께 하는 것을 세 고해 . ッ⵱ ㉅⻼㈣㉗ ヌ⿞⼾⿔ⷹ
부 이나 어 들께 세 를 해 . 세 할 해 이
으세 . 고 사해 . 보통 어 께 세 를 하 을 는데
그 을세 이 고해 .
에 는 이에 . 에 국을 으 한
아진다는 이 있어 . 국을 다 고 해 .
⺍ⲿ ㈿ⶰ㉔
이 이는 개의 을 지고 는 게 이에 . 이를
하다 고 해 . 보통 들과 에 이해 .
이 리

을에 있는 장 이에 .
15 이에 . 「⼿ⷾ
을 다 편 에 는 이에 . 재료는 이에 .
편을 는 것을 편을 다 고 해 . ㎁ゾ ㉅⻼㈣㉗
15 에 장 이 .그 을 보 이 고
해 .그 서 에보 을 수 있어 . 하 에 보 이 있을
보 이 다 고해 . ル㒩㉃ぎⷹ モ㈢㉃えⷹ
원을 다 한국 사 들 보 이 원을 어 . 원
내 원하는 것, 바 는 것이에 . 㓫ⲿ㇋ソⷢッ⵱Ⲣ㎁ゾ㇋⾡㇅㉃㓲㈎"

이 을 설날에는 어른들께 세배를 하고 떡국을 먹어요.


, 으로 나 제시하되 어 1에서 학습한 어 도 상기시 추석에는…
다. 이 , 에 하는 도 있으므로 그 부분도 함께
어 다.
고 에 내려 다, 이 이다, 차 를 지내다, 성 를 하다 등 12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2 (한국의 명절)

 도입, 제시  연습

1. 한국에 어 이 있는지 으 한국의 과 관련 1. 한국에서 과 에 을 하는지 어본다.


어 를 운다고 알려 다. 2. 과 함께 한국의 과 에 해 해 보도록 한다.
ⵦշᷚᶾථ኏‒὾ᾒઞ⇊ᵖᵎẞ%‫ࢪ؂‬ጾ᷑὎⵾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ḮઢὊⵦշὢ኏‒ԆԊဲద૲ᶾᆆӿᖊ⵾ẞ
᤮ࢪᷚઞጾ᷑὎⵾ẞ%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ઞጾ᷑὎⵾ẞ%
한다.
4. 한국의 에 한이 기 나 자기 나 에서 에 하는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에 해 장하여 이 기할 수 있다.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1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할 수 있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11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ソ
⹌ⱉ㋜㉔ゥ㉏㓺⸽㉔⸽ㄱ㇋㉗ㆺ⵴㉃⵬㐖⵽㈎

지 행동을 동시에 할 사용한다. 그리고


㇀㊘⿟〒⽅⸄㉚ ⶟㓱ⳅ㎩Ⳅ㓯ⲛ
ⱞ㉚〒⽅⸄㉉〒⾇ッ
㇩⾪
문장의 주어 아 한다.
⺛ⷨ⸩〝㇀㈔" Оⱉㆺ㊌ ㎣Ⲿ⼾ ㍬⸋
㍬⸋㓲ソ ⾯㓹
㓹ㆺ㈎"
ヨ㈨㉉ぎ㇌㇀㈔
⵬ⲕ㓼㉅ㄲ㉃
㉃ ⽬㉀⾁ソ㉔ㆫ⳨
⳨ 㓹ㆺ㈎
⳨⼾

О㊂ⷢ
㊂ⷢ㉅㆓㉃⹧㉀⾁ソⲠ〢㓩ⷢ
ⷢⱵ㉃
㊧㆒ ㈎
㊧㆒㓲 • 조 을 것 아 . 안해 .
О㊂ⷢ
㊂ⷢ㓫ⲿ
ⲿ 㔰゙㇋
゙ ソ ㉗㓩⾁ソ 㓫ⲿㆺ⸳
㓫 나 책 으 서 기다리고 있으니 세 .
⿞㈖ⲕ ㉞ㆺ
㉞ㆺ㈎

• 이 영화 어
֛ ㉀⾁ソ  О⽬ⷹ ࢉ ⽬㉀⾁ソ

나 ,정 서 서 어 .
О㉘ⷹ ࢉ
ࢉ ㉘㉀⾁ソ
ù⹦ⷹ ࢉ
ࢉ ⹧㉀⾁ソ
• 시간이 는데 서 이 기할
֛ ⾁ソ О㇪ⷹ ࢉ ㇪⾁ソ

О⽐⵬ⷹࢉ ⽐⵬⾁ソ
• 는 부 서 는 것을 좋아해 .
1 ⾅㊅㉏⾈ㄮ㉔㇋㈎゙⻓⹧㉔⾡㇅㉃㓲㈎"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キ㓸㉜ゟ⽄㓯⾇ッヒ⿤⽄㓸㈔

ェ㓲㉖゙⼾㓩ⷹ ヌ⿞⼾㓩ⷹ

1) 2) 3)

다 으 서
-으면서 입다 입으 서
⺍ⲿ㉃⽬ⷹ 79⼾「ⷹ 〢⾈ⷴクⱊ㉃㓩ⷹ
( ) 다 으 서
㉔ㆫ⳨㓩ⷹ ル㒩㉃ぎⷹ ㌻⼄⼾㋜⵽ⷹ
다 들으 서
2 ㇓⻩〤㉂⹌ⱉ㋜㉗㉃ⱘ㉔㓬⺃ⱉ㉞ㆺ㈎"㉔ㆫ⳨㓲「ヌ㈎
다 서
㊈ⷨ79⽄〒⾇ッ⿠㉉⽲㇀㈔ ㊈ⷨ㉋㆙㉉⹭㉆⾇ッ㈞⹃㓸㈔ -면서 시다 시 서
( , ) 운동하다 운동하 서
Ⲩ〒⽅⸄㉉〒⾇ッヨ㈨㉉ぎ㇀㈔
Ⲩ 127 다 서

문법 2 (-으면서)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Ӫ⒦ᴲઞᶾ‹ᐮᷚጾ᷑὎ⶒᶾẞ%ᓾᆎ૶὎ᔮᶾẞ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ᓾᆎ૶὎ᔆൖጾ᷑὎ⶒ὎ٖ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ᓾᆎ૶὎ᔮᶾẞ‫؂‬ൖУ὾ᦖỚ௎ᙖ᷒ᶾẞ὾ထҖౚЊ⇊ⶓ௣὎У὾  연습 2
ⵢઞҍ὎ᇚ⵪ൖĹ὆ቾᤦĺᆆᢶẳ⵾ᵨಮፂᾯ὎᷺Һ⵪ᨢᾒᶾẞ
1. 지 을 이 할 있는지 고 하 서 으 서를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활용하여 자 의 이 기를 해 보도록 한다.
이해시 다.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과 어 115
50분 말하기와 듣기 말하기와 듣기

1 ㉔⽍ㆊㇷ㑼㉭ⷴ㉔⾅㊅㇋⸋㓲㉔ㆫ⳨㓲㈎ⷹ㉅Ⲣⱘ㉔㉔ㆫ⳨㓲「ヌ㈎

㉔⽍ ⵽㉗〢㐫ッ㇖㕖⶙㈎㑼㉭ⷴ㉂㉔⿮㇖㕖㇋
2-11 EBOOK ⲕ㓼㇋ⱉヌ㈎"

1 2) 2-11 EBOOK
㑼㉭ ⶙⵽㉗㆒㎧㉗㌳㎄⿕㓬Ɑ㇣㈎㉔⽍ㆊⷢ

이링: 내 부 . 장 이 에고 에 ㆺ⺗ⱼ「ⶀⱭ㇣㈎"

세 ㉔⽍ ㊂ⷢⲕ㓼㎣Ⲿ⹧㉃㍬⸋㓲ソⱘ㉔「ⶀⱭ㇣㈎
ⲕ㓼㎣Ⲿ⹧㉃㍬⸋㓲ソⱘ㉔「ⶀⱭ㇣㈎
팀장: , 내 아 할 .이 는어 게 㓫ⲿ゙⻓⹧㉂「㑉⾱㓩⾁ソ「⵽㈎"
보 㑼㉭ ㌻⼄⼾㋜⵽ⲕㆺ⼽⹧ⴖヌ⿞⼾㓲㈎
ㆺ⼽⹧ⴖヌ⿞⼾㓲㈎
이링: 는 고 의 을 들어 을 . 한국 ㇪⻝⽐㇋㎣㍖⹧㉔⾈㉔ⷯ⳴⾅㊅㉅ㄲ㉃ⱘ㉔
사 들 보통 하 서 보내 ⽬㉀⾁ソ㉯⿂㉞ⱼ「⵽㈎
팀장: 차 를 지내고 국을 어 . 에 들이
이니 을 이 으 서 재 있게 보내 . 1)ⲕ㓼㎣Ⲿ⹧㉃㍬⸋㓲ソⱘ㉔「⵽ⷹ
ⲕ㓼㎣Ⲿ⹧㉃㍬⸋㓲ソⱘ㉔「⵽ⷹ _ㆺ⼽⹧ⴖヌ⿞⼾㓩ⷹ
ㆺ⼽⹧ⴖヌ⿞⼾㓩ⷹ
2)ⲕ㓼㉏⾅㊅㉅ㄲ㉃⽐⹧ㆺ⽬ⷹ
ⲕ㓼㉏⾅㊅㉅ㄲ㉃⽐⹧ㆺ⽬ⷹ _⺍ⲿ㉃⽬ⷹ
⺍ⲿ㉃⽬ⷹ

2 2 ㇓⻩〤ⲕ㓼㇋ⷢㆺ⺎⾅㊅㉔㉞ㆺ㈎"㎣Ⲿㇷ㉔ㆫ⳨㓲「ヌ㈎
가: 국에서는 단 에 는 을 으 서용 기를
.
나: 에서는 에보 을 보 서 원을 어 .
그리고 도 어 .
11-L.mp3

⻏㕝⽐ㆊㇷ㊌㉔ㄪㆊⱉ⾅㊅㇖㕖㉔ㆫ⳨⼾㓲㈎㉧⹦ⲕ⸄㓲「ヌ㈎

11-L.mp3 제이슨(남): , 보 어 1) ⻔㕢⽕㆏ⷧ㇛㕛⽃ㆿ⺜ⲁ】ⶉㆿ㈓"


라흐만(남): , 는 고 구들하고 이 여서 고 을 고향 친구들하고 같이 모여서 고향 음식을 만들어서 먹었어요.
들어서 어 . 제이 는
2) ㊑㉙ㄯ㆏ⱎ㇛㕛㇐㓮㋡㆛㉇ⱺ㉈Ⲛ⽀パ㈓
제이슨(남): 는 동료들하고 한 을에 서 재 있게
Ұ㓰ㇰ⽓㉈㇐ⱙㆿ㈓
보 어 .
ұヰ㒮㉈⽕⹬㇋ㆿ㈓
라흐만(남): 한 을 기 서 했어
Ҳ㓰〒㉈㉡ㆿ〜ㆿ㈓
제이슨(남): 한 도 입어 보고 편 들기 이 있어서
ҳⲚ㔁㉊ㄷ㉈⽕⹬㇋ㆿ㈓
편도 들어 어 . 한국 전통 이도 하고 .
라흐만(남): 와, 정 재 있 . 128
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ゟ㔶㑏
㔶㑏

명절에 하는 일 말하기  확장 연습

 대화문 연습 1. 고 의 에 한 하기를 한다고 알려 다.


2. 고 의 하나를 정하고 그 을 하는지 이 기하게 한다.
1. 에 을 하는지 이 기하 교재의 그 을 이용해 어 상황 지
화를 할 는다 과 내용을 함하여 하도록 지시한다.
해 보도록 한다.
Ӫ⶯ὢ኏‒ℛᶾථ኏‒ᷚଊ⵾὾ᶆ‫ⵢغ‬ӪᬀὊ⇊‫ࢪ؂‬ᓾ⦿Ӫ⶯
ౚᢶྖὊጾ᷑ᷚଊ⵾὾ᶆ‫ⵢغ‬ઞҍУᵎẞ%὾ᇋᴲઞẂշᾂᾂ୺
ᢶྖ೮὾ጾ᷑὎ⵢઞ⇊὾ᶆ‫⵾غ‬ᓾ᥂ẞ
኏‒ᷚⵦշᷚᤦጾ᷑὎⵪ٖẞ%⬊ᾯૢὊⵦշᢶྖᾂ୺኏‒ᷚጾ᷑὎
⵪ٖẞ% 3. 이 기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하고 를 수정해 다.
2. 지시문을 이용하여 화 상황을 학 들에게 하게 알려 다.
3. 화를 들려주고 간단한 문을 하여 화 내용을 이해했는지
한다. 명절에 한 일에 대한 대화 듣기

ࢾᾆὊጾ᪲ࢪ὾ᷚẞ%⬊ᾯૢὊ᤮᷺⼾ᷚጾ᷑὎⵾ẞ% 1. 지시문을 이용하여 등장 과 화 상황을 한다.


὾ᇋᴲઞጾ᷑὎⵾ẞ% 2. 문제를 고 들어 하는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4. 교사와 함께 화문을 으 서 자 게 하는 습을 한다. 3. 기파 을 고 문제를 게 한다.
정도 해서 습한다.
4. 교재 문의 을 한 해 화를 이 으 내용을 한다.
5. 교 어 를 활용하여 과 함께 습하게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6. 습이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한다.

11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읽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50분

1 ⷹ㉅ⳡ㉃㉘ⲕ㋠⾤㇋⸄㓲「ヌ㈎

㓠Ⲵ㉄ ⸀㒴㉸㉋ ⽺㉺㈷ ジⵦⲗ ㍶コ㉑ⷤⷮ ジⵦ㈷ ゜㓧ⰾ


ㄦ㉘⸺⷗ ⵦ㉑ⷤⷮ ジⵦ㇀⷗ 、㐾 ⰾ㊒ ㎘㍋⹜㉉ ⽽㇈ゲ
㌰⻹⼳㋑⵲Ⲋ㈪ゎ⻈㇀ⱱチ⿓⼳㓤ⷤⷮⳒ⻞⽶㈪ゎ⻈㈷ㆇ⻖
ゎ⻈㇀ⱱ⸋ⷸ㈸㓞⽶ゲチ⿙⸪㈸㊸ⷤⷮジⵦ㇀⷗、㐾⺂Ⲵ㈸
⽡ㄣⷤⷮ
㍶コ㈷㓠㓧㉄ⶪゎⰾ㉜ⵘⵤⱪ㈸㊑゚⹜㇀ⱱⱅゎ⹘⼻⷗
ⵦ㉑ⷤⷮ㍶コ㇀⷗、㐾タ⾑⼳ⰾⱢⵡ㋘㇀ゲ㌰⻹⼳㋑⵷ⷤⷮ
㉉ⵦ㇀⷗ム㒞㈸⽡Ⲋ、⼴ⷳ㈸、⽶ゲプ㈗㈸぀ⷤⷮ 표 이다 그 에서 장 해서 사 들이 이
아는 것을 할 사용해 . 한국의 표적 여행지는
1) 㓰Ⳅ㇐ⷧㆿ⺓⾊㊊㉙㉣ㆿ㈓"
제주도 . 전주의 표적 이에 .
설날과 추석이 있어요. 해에 할아 지께서 건 하고 부자 되 . 고
2) ト⵶㇐㓮ⷧⱺ㉈⾍⹑Ⲛ⽀パ㈓
좋 내용의 을해주 어 .
Ұ ㍀⼉⽃㋡ⶂ㈓ ұパ⿣⽃㓷㈓
Ҳ ヰ㒮㉈⽕⹬ㆿ㈓ ҳ】⽄⸃㉈〚㈓
3) ㎆ッ㉇⾦ㄯ⵶㉙㇐㈓"
한 해는 과 의 .
한 해의 농사가 잘 끝난 것을 조상들에게 감사하는 날이에요.
한 해 한해, 하내
2 ㇓⻩〤ⲕ㓼㉏⾅㊅㉃モⱛ㓲「ヌ㈎ 사
부 사를 지어 . 나 과 등을
단어장 . 그 서 이나 는 사 지 고
Й ⾊㊊㉙⽄㉙⾴㇨㈓" ⸋㒿㊃ 고 에서 지고 와서 어 .
⸖⸃

Й ㇁㊑㇨㈓" 㓫㓲
㓲 아 할아 지, 할 니를 조상이 고 해 .
ⶵ゙

㊜ゥ
Й Ⳣ⵶⾴㓷㈓"

Ⲩ〒⽅⸄㉉〒⾇ッヨ㈨㉉ぎ㇀㈔
Ⲩ 129

한국의 명절에 대한 글 읽기 명절 소개하는 글 쓰기

1. 그 을 보 의 내용을 하게 한다. 1. 어 을 지 알려 주고 에 들어 내용을 각해 보게 한다.


὾ᢶྖ೮Ὂጾ᷑὎ⵢӪᾒᶾẞ%ጾ᪲ࢪᾂҍУᵎẞ% ḮઢὊ᷶࿶ᖎӪ⶯ὢ኏‒὎ᦖЦⵢઞ؊὎ᴂѺḒẞ
Ӫ⶯ὢ኏‒὎ᦖЦ⵪ൖⵎẞⵦࢾẳὊጾ᷑὾ᾒ὎ٖẞ%
2. 을 어 게한 주제, 내용 등을 간단 해 보도록 한다.
ⵦշᷚઞ⡺኏‒ၦᶾථ኏‒὾ᾒᶾẞ%ⵦշᢶྖ೮Ὂ᤮ࢪᷚጾ᷑὎ 2. 교재 문에 해자 이 내용을 간단하게 하도록 한다. 교사는
⵾ẞ%▞ᤧᷚઞጾ᷑὎⵾ẞ% 학 들이 에 는지 해 다.
3. 한 내용을 바 으로 로 성하게 한다.
3. 을 다시 으 서 문제를 게 한다.
4. 을 이 한 , 본문을 다시 으 는 어 는지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과 어 117
30분 문화와 정보 문화와 정보

한국의 명절
㈔㋞ 㓱ⳅ ゟ⻙⹭㉈ ドⲨ ㎇ツ㉉ ⸑㓅㊉㉜ ⾋㊋㉚⻕ⲛ
サⱐ㓵ⷵⷿ ⳣ⻯⵲ ㇮⵷㇑ⷨ ㊐㈩ ⸑〒⽅ 㓱ㄸ ⸂ㇰ
한국의 단 와 국의 단 는 이 과 는 지 ⹃㋢⸹㐏⾋㊋㉚㇌ㄴⷵⷿ㊐㈩⸑〒⽅㉈㉋⼂㈩㉝⼎
㓱㓸㉕㍡〒⽅⸄㉚⻁ⷨ⵷㉢ⷵⷿ⸑〒⽅㇑ⷨㇰⲜ⿠Ⲩ
의 다 이에 . 한국의 단 는 한 해의 사
⵲⾬㔡⹒⵲⺇㏧ⱞ㉈〨⻳㉉⽲ㄴⷵⷿ㓱ㄸ㉈ㆹ⼂㈩
되기를 바 는 이지 국의 단 는 국 나 의 ㉝㉚⵲㉝㉚ⲛ㍃㉋ㄸ㉉⽲ㄴⷵⷿ⸂ㇰⷨ㓱㓸ⶻゟ㉕
시 원을 기리는 이에 . 㓓ⶪ㉉⿕⻕ⷨ⵷⼎㉋⼂㈩㉝㉢ⷵⷿ⹃㋢ⷨ㉝ⶪ㋋
⿟㉚ ⱏ㉳ ⳰ ⵷㉢ⷵⷿ ㆹ⼂ ㈩ ㉝㉚⵲ ㉝㉚ⲛ
㒑㋃㉉⽲ㄴⷵⷿ

1) ㊐㈩⸑〒⽅㇑ⷨ⾧㇋㉉⽲㇀㈔" 〢⻭
2) ⸂ㇰⷨ㇂㊒㇩㈔"
3) ㇙⻯〪ⲛ㔂㇑ⷨ㇀⺔⾋㊋㉚㉤㇀㈔"

⸽㋜㒋
㒋㊽㊽
130 ゟ㔶㑏
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

한국의 명절

1. 이 단원의 문화와 정보 에 한 것 지 알려 다.
᤮ࢪԆ▞ᤧᇚӪⵦշὢ૮ᆂ኏‒὎ᵖӪᾒᶾẞ%
ḮઢὊĹⵦշὢ૮ᶛⵦ኏‒ĺᷚଊ⵾ᵖᵎᔏ᫦૮

2. 교재의 그 (사진)을 보 서 주제에 해 알고 있는 것을 상기시 고


해 보게 한다. 이 관련 시각 자료를 로 활용할 수 있다.
὾ҍὊጾ᷑὾ᷚẞ%὾ҍ὎᷂…ቃઞ⇊ᵖᵎẞ%
3. 교재를 이 으 서 내용을 한다. 이 한 정보 있는
부분에 을 나 표시하게 하는 것도 좋다.
4. 문 1, 의 을 아보고 하게 한다.
‟Ởଊᓾᆎᷚઞጾ᷑὎ቃᶾẞ%
૲Ḯઞ᷂…Ḓẞ%

5. 문을 이용하여 학습자 자 의 을 해 보도록 한다.


᷶࿶ᖎӪ⶯ᷚઞᶾථ኏‒὾ᾒᶾẞ%
‫؂‬ൖቃઞὖ᫧ὊፚḒẞ%

11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마무리 20분

11-P.mp3
발음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1)㋴Ⲃ>㋳ⴜ@ ‘ ’ 11-P.mp3
2)⿜ㆤ㋢㈔>⿛ⱒ㌸㈔@
단어의 는자 에서
3)ⵤ㇙ッ>ⵞ⼁ッ@
되고 한다.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1) ⱏ⽱⽌⽄㇀⺝Ⲃ㓸⹩⽏⳺㈔"
 ⵲⵷㆐ⱏ⸛㈜ⷵ⳺㋴Ⲃ㉭⻕㋂ヒ㈔
2) ⱏ㇀㊘⿟〒⽅⸄㉚㍆⿜ㆤ㊾"〝㇀㈔" 이 을 때
 ⵲⶟〒⽅⸄㉉〒⾇ッヨ㈨㉉ぎ㇌㇀㈔
에 이 ,
3) ⱏ㓱ⳅ㇑ッⷨド⵷㇑⾧㄰㉋ㄸ㉉⽲㇀㈔"
⵲⺓ⳅ㉉ⵤ㇙ッ⽲㇀㈔ 하여 한다.

‘ ’
에 이 , 을 하지
배운 어휘 확인
는다.

ⲕ㓼㇋⵽⻻ⱉⷹ 
ヌ⿞⼾⿔ⷹ


㎣㍖ 
⺍ⲿ


ⱉ㊝㉔⾈㉔ⷹ 
㎁ゾ ㉅⻼㈣㉗


ソ⼈㆔〢⼾⾥ⷹ 
ル㒩㉃ぎⷹ


ナ⾜⼾㓩ⷹ 
「⼿ⷾ


㌻⼄⼾㋜⵽ⷹ 
モ㈢㉃えⷹ


㈿ⶰ㉔ 
⸋㒿㊃


㇖⵱⽆⳨ 
⸖⸃ • 이 단원에서 운어 기 나는 것을 해 보세 .

㊌⳨㌻⳨ 
㓫㓲 • 이 단원에서 운 문법

ッ⵱ ㉅⻼㈣㉗ 
ⶵ゙ • 여 분 나 에서는 이 있습니

ヌ⿞⼾㓩ⷹ 
㊜ゥ
㊊㈣⸋「
⸋「⼿⼿㇪Ⲗ⿚Ⲣ⵬⾦
⵬⾦ • 여 분 나 에서는 에 보통 을 합니
• 한국의 표적 입니
Ⲩ〒⽅⸄㉉〒⾇ッヨ㈨㉉ぎ㇀㈔
Ⲩ 131

발음 10분 마무리 10분

1. 교재 1 을 들려주고 이 어 게 들리는지 학습자 로 1. 단원에서 학습한 어 기 하는 것을 해 보게 한다.


해 보도록 한다. 2. 운어 목록의 어 들을 으 서 의 를 상기시 다.
2. 게에서 이 자리에 로 다는 것과 3. 단원에서 학습한 문법( 게, 으 서)을 상기시 의 와 사용법을
에 이 로 다는 것을 알려 다. 기 하는지 한다.
지 에서 에 이 현상이 어나
4. 단원의 목표와 성 도를 한다.
에 있는 이 다는 것을 알려 다.
여서에서 에 이 되지 로 5. 익힘책을 과제로 제시하고 리한다.
다는 것을 알려 다.
여 해서 학습하게 되고, 이 하나로 통 것이
아니므로 하나 하되 장시 지 고 제시 단어에
하는 것이 좋다.

3. 교재 1 을 다시 고 교사를 해 본다.
4. 교재 화를 고 해 본다.
5. 과 함께 화를 으 습하게 한 에 한다.

과 어 119
12 과
실수를 자주 하는 편이에요

12
실수를 자주 하는
수업 목표 및 내용
편이에요
제 수와

어 정, 수 관련 어 를 익 다.
문법 적이 있다, 는 편이다의
의 와 를 익 사용할 수 있다.

㋂㊒ ㇀㕔ㇽ⾪⿹
⿹ 㔮⹃ ⾪㔫ㇽ㊐〒
하기 수 에 관한 화를 할 수 있다.

ㄻㄌㇽⲔ㔈 ⱖ㊐ㄻㄌ Ⲕ
Ⲕ㔈Ⲩⱖ㊐⽙㓯ⳮ 㓱ⳅ㉕Ó㈜⽌Ô⾪㔫

기 사 한 한 수에 관한 화를 고 ‫㉈ ܆‬㊉㉚㉤
㉤ⷿ ㄻㄌⲔ㔈ㆄⳮ
이해할 수 있다. ‫ⷨ ܆‬㒯㉚ⷿ
‫܁܆‬

기 수 을 고 이해할 수 있다.
기 수 을 수 있다.

한국의 리 문화

수업 도입 /
1차시 어휘와 문법 2 2차시
전개 어휘와 문법 1

다양한 정 수 관련 어
적이 있다 는 편이다

pp. 76-79 pp. 76-79

12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도입 5분

어, 교통 카드가 아니네. 도입

1. 교재 그 을 이용하여 학 들과 이 기하 이 과의
주제를 한다.
그림 ➊  ὾᷶ᾚઞᒎ᪮ᷚᤦጾ᪲ᾆ὾ᣧӆᶾẞ%
὾ൖ‫غ‬ᖎ὾ᶾ඲ٖẞ%᷶࿶ᖎ௎὾࿺Ӈⷢ὾
ᾒᶾẞ%
그림 ➋  ὾᷶ᾚઞࢲᾚⵦ⥖ጾ᪲ᇚ὎ⶒᶾẞ%
ᐢᇚ὎ⶒ὎ൖࢲᾚઞ‫غ‬ᖎ὾ᶾ඲ٖẞ%
᷶࿶ᖎ௎὾࿺᫮ᨢᆆ⵾ẞ%
삐삐
❷ 그림 ➌  ὾ࢲᾚઞ᫧ଃᷚᤦጾ᪲ᾆ὾ᣧӆᶾẞ%
‚Ớ὾ࢲᾚὢᇚ὎ᾢ὾⵾ⶒ὎ٖẞ%
὾ൖࢲᾚઞ‫غ‬ᖎ὾ᶾ඲ٖẞ%
지하철역이
어디에 있어? ᷶࿶ᖎ௎὾࿺᫮ᨢᆆ⵾ẞ%

2. 화 내용을 정리하 이 단원에서는 한국에서 하는


❸ 수, 수했을 의 정 등에 해 부한다는
것을 알려 다.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이 단 원 과 관계있 는 단 원 들 아 와
습 니다. 관 련 단 원의 학 습 내 용 을
하 서 지도에 고하시 좋을 것
돌김갈불 О㉔゙⻓⹧㇋ⱼㆺ⺎
⺎㉗㉔ク⳪Ⱶⱘ㆒㈎" 습니다.
하나 주세요 О㇓⻩〤⸳㓫ⲿ⽓㉃
㉃㉧⾐㓲ソㄵㄆ⼾㉢㊼ • 어휘: 정
㓲㈎" 과
• 문법: 표현
과 ( 어 보다)

문화와 정보 /
말하기와 듣기 3차시 읽기와 쓰기 4차시 5차시
발음 / 마무리

수 하기 수 에 한 기 한국의 리 문화
사 한 한 수 기 수 기

p. 80 p. 81

과 121
45분 어휘와 문법 1 어휘와 문법 1

㇓⻩〤㉂㉔⻬⺃⳨〤㉔ㆺ⺃㈎"

하다 에 서 계 을 하는데 지 을 에 고
어 . 한 이 있는데 게 어 어 . 황해 .
황하다 황하다, 하다
하다 사 이 데 에서 어 어 . 해 .
다 영화를 . 구에게 이 기를 들
어 . 서 . ⸇㔪㓩ⷹ ㍄㓡㓩ⷹ ⾡デⷹ
하다 부를 했는데 시 점수 안 좋아 .
고 회사 있어서 했는데 에
어 어 . 상해 .
하다 안 좋 이 있어 . 정이 있어 . 기분이
해 .
하다 하다, 다
다 고 에 있는 , 구 보고 어 . 그리 . ャゥ㓩ⷹ ㈖㈙㓩ⷹ ⳝ⽋ⷹ

㓱ⳅ㇀Ⲧ〨⽄㇝ㄽ㕵㓿㇀㈔
ⳣ⻱⸩㊍ㄌⱏ⵲ざッラカ㓸㈔
이 을
다, 그 다 와 어 활용에 아
익 하지 학 들도 있으니 해 다.
㇓⻩〤㉂㓫ⲿ㇋㍕㉅ㇾ㉃⺃ㆺ⺎Ⲏ㔂㉃㓹ㆺ㈎"ⳝ⺃⳨〤㉔ㆺ⺊ㆺ㈎"㉔ㆫ⳨㓲「ヌ㈎

에 화장실 안에 휴지통이 없어서 당황했어요.


• 기분, 정 관련 어
기분이 좋아 , 기 , 나 , 행 해 , ,
, 기분이 안 좋아 , , 정 , 로 ,
화나 , 나 , 해 134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1 (다양한 감정)

 도입, 제시  연습

1. 기분이 어 지, 그 지 으 과에서 운 기분 어 를 1. 한국에 을 한 과 그 의 기분에 해 이 기해 본다.


상기시 다. 그리고 기분, 정을 할 사용하는 어 를 2. 운 표현을 활용하여 자 의 과 그 의 기분에 해 과
운다고 알려 다. 화하도록 한다.
᷶࿶ᖎὊḮઢ‫غ‬ᖎ὾ᶾൖẞ%Ṧẞ%ḮઢὊ૮ᶛⵦК‟ⱦ⸎૲ᶾᆆ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ӿᖊ⵾ẞ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한다.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할 수 있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12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㊃㉔㉞ⷹ
ⲢⱭ゙Ɐ㉔⵬Ⲏ㔂㉃㉔ㆫ⳨㓬⺃゙㈕㓲㈎
이 있다
㓱ⳅ㇑ッㄻㄌ㓱 과 사건이나 을 이 기할 사용한다. 그 이 을 는
㊉㉚㉤㇀㈔" ㇩⾪
적이 다를 사용한다. 특 하 나 한 했 을 조하고
Оⱉ⿂㔛ㆊ
ㆊ ぅお⿚
ぅお ⽬ㆺ 〗ㆺ
ㆺ㈎"
을 어 보다와 합 어 본 적이 있다의 로도 이
⵬⶙⽬㉂㊃㉔㉞ㆺ㈎
사용 다.
О㊂ⷢ
㊂ⷢⱉ⿜㉃㉚ㆺ⿬⽈㊃㉔㉞ㆺ
ㆺ㈎
Оⲕ⹬㓪
ⲕ⹬㓪ⲹ⺃ⷢ⿙
ⷢ ㉃ェ㈠ Ⲡ〢㓫
㓫㊃㉔
⽑㉔㉞ㆺ㈎ • 한국어로 책을 적이 있어
나 아니 , 어려 서 적이 어 .
⶟㐧ㄷ⽄㐜ⲛ㉭⾖ ֛ ㉂㊃㉔㉞ⷹ О⽬ⷹ ࢉ
ࢉ ⽬㉂㊃㉔㉞ⷹ
⽙㓸ッⷿ⽃ⲥ㇑ⱚ㇀㈔ О㉘ⷹ ࢉ
ࢉ ㉘㉂㊃㉔㉞ⷹ • 제주도에 본 적이 있어
ⳣ⺉ⶒ⾧⸍㔰㓿㇀㈔ ùⱰⷹ ࢉ
ࢉ ⱱ㉂㊃㉔㉞ⷹ
나 ,한 본 적이 있어 .
֛ ˴㊃㉔㉞ⷹ Оⱉⷹ ࢉ
ࢉ ⱋ ㊃㉔㉞ⷹ
О「ⷹ ࢉ
ࢉ 』 ㊃㉔㉞ⷹ • 는 사장 께 을 한 적이 있는데 그 사장 께서 화를 내 어 .
• 는부 에 적이 있어서 부 의 한 을 알아 .
1 㓫ⲿ㇋ソㆺ⺎Ⲏ㔂㉃㓹ⷢ㋜㉔ㆫ⳨㓲「ヌ㈎

「⳨ 㓫ⲿ㉅ㄲ㉃⽐⹧ⷹ
⶟ⱓか㌼㉉⽖⹫㊉㉚㉤㇀㈔
㊢⳩㋸㋢⽖⽞㉤Ⲃ⽲㇌㇀㈔ 다 적이 있다
㓱ⳅ㉋ㄸ㉉⽖⹫㊉㉚㉤㇀㈔" ⱍぅ㌶ⳮ⿚ⳮ㎡ ⳣ⻡ッⳮ〪㉚㊭ㆤ㇀㈔ -은 적이 있다 다 적이 있다
( ) 입다 입 적이 있다
1) ⷹ⼽⸳ㄱ㇋ⱉ「ⷹ 2) ㆔㊧㉂㉗㉔ク⳨ⷹ 3) ㄵㄆ㓩ⷹ 다 들 적이 있다
⿏⸅ⱉ㇋ⱉⷹ 㓫ⲿ㎣Ⲿㇷⷹ㑓ⷹ
㈵゙⻓㇋ⱼ⿓⽓㉃㓩ⷹ 다 간 적이 있다
㔝㉢㇓㓺㉃⺌⵬ⷹ ㄱ㔂㉃⾐「ⷹ
㍕㉅ⱋ⸳ㄱ㇋ソ⿙Ɑ⽆⼾Ɒⷹ ㆒㒀ソ〈㈢㇋ⱉⷹ
ⳬ㉃㉚ㆺ⿬⽆ⷹ -ㄴ 적이 있다 다 운 적이 있다
( , ) 수하다 수한 적이 있다
다 적이 있다

2 ㇓⻩〤㉂㑫〄㓫Ⲏ㔂㉃㓫㊃㉔㉞ㆺ㈎"㉔ㆫ⳨㓲「ヌ㈎

이 있다 다
㊈ⷨⲦ㓷㇑ッ㆘㉚⸽ⱏㄌ⽄
⽖⵵㊉㉚㉤㇀㈔㊐⽙⽸㉤㇌㇀㈔ 문법 을 할 사용하는 문법으로, 적이
있다 는 단순 의 를 할 사용하지 어
보다는 주어의 의지 있고, 의도 상황에서 자 게
Ⲩㄻㄌ⽄㉨㋂㓯ⷨ㒯㉚㇑㈔
Ⲩ 135 사용 다.
교통사고 적이 있어 . ( )
교통사고 나 어 . ( )

문법 1 (-은 적이 있다)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ᾎ᪮ᴲṊ὾ᇋᴲЊ᫮ᨢⵦӇⷢᷚଊ⵾὾ᶆ‫ⵢغ‬Ӫᾒᶾẞ὾ᇋᴲઞ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ᶾථ᫮ᨢᆆⵦҍУᵎ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ᇋᴲઞⵦշᷚᤦԆѺᷚᾶᐂᾒઞ᫮ᨢᆆⶒᶾẞ὾ထҖᾚ᫪ὢ  연습 2
ԆѺὢӇⷢᷚଊ⵾ᇚ⵪ൖĹὊ​὾ᾒ૮ĺᆆᢶẳ⵾ᤦᇚ⵾ẞ
1. 지 지 서특 한 을 한 적이 있는지 고 하 서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적이 있다를 활용하여 자 의 이 기를 해 보도록 한다.
이해시 다. 한사 을본 사고나 수 을 한 한국에서의 특 한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등에 해 이 기해 보도록 할 수 있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과 123
50분 어휘와 문법 2 어휘와 문법 2

㓫ⲿ㇋ソ㉔⻫Ⲏ㔂㉃㓫㊃㉔㉞ㆺ㈎"
사 에게 을 하다 (교재의 그 을보 ) 시어 니께 이
있어 을 했어 . 한국에서 사 에게 을하 안 . 사 어머니, 이거
맛있어 수진~
나보다 나이 사 이나 사 이에 . 부 , 교수 , 사장 등이
사 이에 . 사 에게는 이 있어 이 게 을해 .
을 사용하다 사장 께서 한 어 이 게 을
사용하 안 . 사장 께서 한 주 어 고 해 .
사 이 을 다 (교재의 그 을 보 ) 아나이 교수 께 ㈵゙⻓㇋ⱼ⿓⽓㉃㓩ⷹ ㈵゙⻓㉏㉔⼿㉃〢⼻ⷹ 㓫ュ㉀⼈⾦Ɐ㉃⹣⽆ⷹ
수진 이 게 이 을 어 . 한국에서 사 에게 이 을 부 안 .
ⶶ㉛⽓㉃㉧⾐゙㈕㓩ⷹ
교수 께는 교수 , 사장 께는 사장 이 게 .
을 리다 (교재의 그 을 보 ) 기 할아 지께 한 으로 코피
건을 어 . 한국에서 사 에게 한 으로 건을 리 안 .
사 한 건을 양 으로 려 .

사 이 다 (교재의 그 을 보 ) 시 는 한국 사 이 㓫ⲿ゙⻓㉔ㆫ⳨⼾⾐㆗㆒⹦ⷹ ⳡ㉢⼾㉧⾐㉘ⷹ ㉧⾐⿕㉅㓩ⷹ


하는 을 이해하지 했어 . 을 이해하지 하는 것을 알아 는다고 해 .
알아 다 다

다 (교재의 그 을 보 ) 는 의 자를
이 고 고 주문했어 . 이 게 이나 책의 자를
을 있어 .
하다 (교재의 그 을 보 ) 제이 는 한국어 이 어려 . ㄳ⿕㉃ㄳⲕ⹧ㆺⱉⷹ ⶭㆬ㉢ゾ㇋㆕ⷹ ゙⻓㉃㉧⾐「ⷹ
고 해 하는데 고 했어 . 했어 .
을 고들 다 (교재의 그 을 보 ) 아나이 의 고 에서는 에 ㄷ㇀⽱ⷵⴜ⿙⽙㉉㓱㊉㉚㉤㇀㈔
들어 을 고 들어 . 그 지 한국에서는 에 들어 을
고 들어 안 .
㇓⻩〤㉂㓫ⲿ㇋ソㆺ⺎ㄵㄆ⼾㓹ㆺ㈎"㉔ㆫ⳨㓲「ヌ㈎
에 다 나 지하 의 자리는 나이 사 , 이 편한
사 이 는 자리, 자 이에 . 그 서 건 하고 사 자 에
버스에서 아무 생각 없이 노약자석에 앉았어요.
으 안 . 사람들이 이상하게 쳐다봐서 당황했어요.
사 을 다 (교재의 그 을 보 ) 안 고 각하고
사를 했어 . 그 데 그 사 아니 어 . 사 을 어 .
13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이 을
부 다와 어 활용에 아 익 하지 학 들도 있으니
해 다.

어휘 2 (실수)

 도입, 제시  연습

1. 한국에서 어 수를 했는지 으 한국에서 하는 수와 1. 한국에서 어 수를 했는지, 그 기분이 어 는지 어본다.


관련 어 를 운다고 알려 다. 2. 과 함께 수 과그 의 정에 해 해 보도록 한다.
᷶࿶ᖎὊⵦշᷚᤦᶾථ᫮ᨢᆆⶒᶾẞ%ἡᢶྖᷚҖᶾථ᫮ᨢᆆ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ⶒᶾẞ%ⵦշᇚ὎ᾢኺ྆ᤦᶾථ᫮ᨢᆆⶒᶾẞ%ḮઢὊ᫮ᨢᷚԊⵦ
᷂…ᶾථ᫮ᨢᆆⶒᶾẞ%
૲ᶾᆆӿᖊ⵾ẞ
‫؂‬࿺᫮ᨢᆆⶒ὎ൖ‫غ‬ᖎ὾ᶾ൪ᶾẞ%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한다.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할 수 있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12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 ⷢۻ܀‬㒩㉔ⷹ
ㆺ⺎㉗㇋⸋㓲⸋㍞⼈ㆺ⺎㌎㇋ⱉ⳻ⷹⲕ㒮ⱉ㓬⺃゙㈕㓲㈎
는 이다
⶟㊊㓱ⳅ㉋ㄸ㉉
어 에 해 양쪽의 상황이 있을 로 어 쪽에 다고
㓱ⳅ㉋ㄸ㉉
㉭⹩ヒ㈔"
㉭⽲ⷨ㒯㉚㇑㈔ ㇩⾪
할 사용한다. 동사와 합할 는 자주, 이, , 조 ,
Оⱉ⳨ㄇ゙
゙ ⿜㇋
㇋ ⱉ〗ㆺ㈎
〗 "㎿
㎿㈎"
⵬⶙㋜ⵯ⿮ ⿜「ⷹ㐉㒩㉔㇋
㇋㈎
의와 부사를 함께 사용한다. 과 의 에 해 할 는
О㈎㋘㉂
편이다를 사용한다.
㈎㋘㉂㔰゙ ㉗㉔
㉗ ㊜ⳣ
㊜ 㓫ⱉ㓫 㒩㉔㇋㈎
О㊂ⷢ
㊂ⷢ㉗㌳ ㉢ⲕ
ⲕ ㉗㌳㉗ㆺ⵬ⷢ㒩㉔㇋㈎

֛ⷢ㒩㉔ⷹ О㉘ⷹ ࢉ  ㉘ⷢ㒩㉔ⷹ • 안 는 한국 구 아


О⽐⵬ⷹ ࢉ  ⽐⵬ⷢ㒩㉔ⷹ
나 ,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어서 한국 구 편이에 .
֛㉂㒩㉔ⷹ Оⶶⷹ ࢉ  ⶶ㉂㒩㉔ⷹ
Оㆯⷹ ࢉ  ㆯ㉂㒩㉔ⷹ
• 이 재 있는데 제이 도
֛˴㒩㉔ⷹ О㐇ⷹ ࢉ  㐉 㒩㉔ⷹ
О⿏れⷹ ࢉ  ⿏ろ㒩㉔ⷹ
나 아니 , 는 를 의 안 보는 편이에 .

• 는 할 는 편한 을 자주 입는 편이에 .
1 ㇓⻩〤㉂ⷹ㉅㉗㉃ㆿ⽎⵬㉢㊼㓲㈎" 㓩ⲕ㉔ㆫ⳨㓲「ヌ㈎
• 리 수영 수 서어 편이에 .
「⳨ ㈘⸽㉃㓩ⷹ

1) ㉖ㄨ㐭㑪㉅ㄲ㉃⽬ⷹ ㊄㔎 ㆔
㊄㔎㆔Ɑ㉏㆔㉢㊼㓱ゥ
Ɑ㉏ ㆔ ㉢㊼ 㓱ゥ

2) ㄊ㉃⽎ㄱⷹ
0% 50% 100%
다 는 편이다
3) ㎣Ⲿ⼾⽐⵬ⷹ
-는 편이다 다 는 편이다
4) ⲕ㓼㎣Ⲿ⵬ⱉ㊝㇋ⱼ㊄㔥㓩ⷹ (동사 , , 보다 보는 편이다
㆘ⷵ㈔㔶ゟ㉝㉚⿕ざッ 있다, 다) 들다 는 편이다
㈞⹃㉉㉨㋂㓯ⷨ㒯㉚㇑㈔" ⱳ㉕㆚㓯ⷨ㒯㉚㇑㈔
있다 있는 편이다

적다 적 편이다
2 㓫ⲿㆺㄆ㇃Ⲣ㈖⽆⿓㎣Ⲿ㇋⸋㓲㉔ㆫ⳨㓲「ヌ㈎ -은 편이다
다 편이다
( 용사 )
다 운 편이다
㈜⽌ㄌ㇉㉈ㄍ㊒ⱏ⽗㉈㒯㉚㇑㈔ ㇀㕔ⱏㄠ㈞㒯㉚㇑㈔
-ㄴ 편이다 바 다 바 편이다
( 용사 , 하다 한 편이다
Ⲩㄻㄌ⽄㉨㋂㓯ⷨ㒯㉚㇑㈔
Ⲩ 137 ) 힘들다 힘 편이다

문법 2 (-는 편이다)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ౚᢶྖ὾᫧ଃᷚᤦⵦշὖ᫧὎ቃӪᾒᶾẞ‫؂‬࿺୺ᾪ᫦೦ᴲઞẂշ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ᢶྖᾂ୺ⵦշὖ᫧὎ᾢቃઞҍУᵎ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 방 로 화 표( 를 그리고 쪽 다, 쪽 다 고  연습 2
서하 )ᾪ᫦೦ᴲઞⵦշὖ᫧὎ᾢቃᶾẞĹᾢቃ૮ĺ὾⋇ᷚ୞
1. 한국어 수업의 제 양이 어 지, 리 구들이 어 지, 한국의
ЊٖỖẞ὾ထҖᶾચ⋇ᷚ୞ЊٖẾ⇊ᇚ⵪ൖĹઞ⯂὾૮ĺᆆ
여 지 어 지 등에 해 고 하 서 는 편이다를
ᢶẳ⵾ẞ
활용하여 자 의 이 기를 해 보도록 한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이해시 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125
50분 말하기와 듣기 말하기와 듣기

1 ⲕ㍗ㆊㇷ㔼㇍ㆊⱉㄵㄆ㇋⸋㓲㉔ㆫ⳨㓲㈎ⷹ㉅Ⲣⱘ㉔㉔ㆫ⳨㓲「ヌ㈎

52,000원
ⲕ㍗ 㔼㇍ㆊⷢ㓫ⲿ⽓㉃㉧㓩ⷯ⳴㊧Ⲃㆺ㈎
25,000원
2-12 EBOOK
㔼㇍ ㆒ⷯ㇋㈎㊂⸳ⱉⵟㄵㄆ⼾㓲㈎⽿㎥㊄㇋⸳
ⱉⵟㄵㄆ⼾㓲㈎
1 2)
2-12 EBOOK ㄱ㉭㇋ソ⾦Ɐⱒ㉃㉧⾐㆗㆒⹧㇆ㆺ㈎
고천: 는 한국 을 하니 좋 어 . ⳝ⺃㍄㓡㓹ㆺ㈎
㍄㓡㓹ㆺ㈎
후엔: 아니에 . 도 아 한국어를 해 . 전에도 ⲕ㍗ ⳝ㊊⸳ⷢⲬ㌾㉂㒩㉔㇋㈎㊂ⷢ⽿㎥㊄㇋
시장에서 건 을 알아들 어 . 그 상했어 . 㐡ㄱ⳨゙ⷴ㉔㊌⽓㉃㉧⾐㆗㆒⹧ㆺソ
고천: 그 정도는 편이에 . 는 전에 주 를 ⷹ⼽ⲟ㉀⼈ⱔㆺ㈎
서 건이 다 으로 어 . 㔼㇍ 㓫ⲿ⽓㉂㊊⽓ㄟ㋜㆖㆒㈎
후엔: 한국 정 지 아 .

1)ⱉⵟㄵㄆ㓩ⷹ
ⱉⵟㄵㄆ㓩ⷹ _㍄㓡㓩ⷹ
㍄㓡㓩ⷹ _㐡ㄱ⳨゙ⷴ㉔㊌⽓㉃㉧⾐㆗㆒⹧ㆺソⷹ⼽ⲟ㉀⼈ⱉⷹ
㐡ㄱ⳨゙ⷴ㉔㊌⽓㉃㉧⾐㆗㆒⹧ㆺソⷹ⼽ⲟ㉀⼈ⱉⷹ

2 2)㆒㋝㓫ⲿㆺ⼾㉧⾐㓩ⷹ
㆒㋝㓫ⲿㆺ⼾㉧⾐㓩ⷹ _ャゥ㓩ⷹ
ャゥ㓩ⷹ _㋣㊼モ⼾㉧⾐ㅏソ⾦Ɐ㉔ⷹ⼽㋣㉀⼈ⱉⷹ
㋣㊼モ⼾㉧⾐ㅏソ⾦Ɐ㉔ⷹ⼽㋣㉀⼈ⱉⷹ

가: 한국에서 수를 한 적이 있어
나: 는 에서 이 을 해서 점원이 제 을
2 ㇓⻩〤㉂㓫ⲿ㇋ソㄵㄆ⼾㓫㊃㉔㉞ㆺ㈎"㉔ㆫ⳨㓲「ヌ㈎
알아들 적이 있어 . 그 정 했어 .
다: 는 한국에 을 을 서 사장 께
한 적이 있어 . 사장 을 보고 정 황했어 .
12-L.mp3

㆔㊏⻏ㆊㇷ⹣⿂㑪⽆ㆊⱉ㉔ㆫ⳨㓲㈎㉧⹦ⲕ⸄㓲「ヌ㈎

12-L.mp3 안 젤 라(여): 리 , 이 그 있어
1) ⹨⿇㑯⽋㆏㉔ㄺㄋⱎ㆗ⷶⱺ㉈⾍⹑Ⲛ⽀パ㈓
드미트리(남): 제 과장 께 을 한 으로 려서 화 나
Ұⲧ㉲ⷹⴛ㔪⽃ⶉㆿ㈓
것 아 . ұⲧ㉲ⷹⴛ⿘⽘㉈㓾ㆿ㈓
안 젤 라(여): 한국 문화하고 고 문화 다 지 도 Ҳⲧ㉲ⷹ㉔㉙⽄㉈〫⻵ㆿ㈓
수를 자주 하는 편이에 . ҳⲧ㉲ⷹⴛ㓰リ㉅⼍⾫ⱴ㉈⹨⼇ㆿ㈓
드미트리(남): 전에는 과장 이 을 부 적도 있어 .
2) ㆙㊔⻔㆏ⷧㆿ⺓ㄺㄋ⽃㓾ㆿ㈓"
안 젤 라(여): 하하. 도 과장 께 을 한 적이 있어 . 과장님께 반말을 했어요.
그 과장 이 이 황하 어 .
드미트리(남): 으로 조 해 어 . 138
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ゟ㔶㑏

실수 경험 말하기  확장 연습

 대화문 연습 1. 한국에서 한 수에 한 하기를 한다고 알려 다.


2. 과 이 한국에서 수를 한 적이 있는지, 그 수를 했는지,
1. 한국에서 어 수를 했는지 이 기하 교재의 그 을 이용해 어
그 기분이 어 는지 이 기하게 한다. 화를 할 는다 과
상황 지 해 보도록 한다.
내용을 함하여 하도록 지시한다.
⻎ᷞᴲЊ᫧ଃᷚᤦ᷆ᇒᆆࢾᶆఆẞ%‫؂‬࿺୺᷆ᇒᆆࢾီӪ⵾ẞ%
᷶࿶ᖎὊ὾࿺᫮ᨢᆆⵦ​὾ᾒᶾẞ% ⵦշᷚᤦ᷂…ᶾථ᫮ᨢᆆⶒઞ⇊Ṧ‫؂‬࿺᫮ᨢᆆⶒઞ⇊‫؂‬ൖ‫غ‬ᖎ὾
ᶾ൪ઞ⇊὾ᶆ‫⵾غ‬ᓾ᥂ẞ
2. 지시문을 이용하여 화 상황을 학 들에게 하게 알려 다.
3. 이 기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3. 화를 들려주고 간단한 문을 하여 화 내용을 이해했는지 하고 를 수정해 다.
한다.
⻎ᷞᴲઞᶾථ᫮ᨢᆆⶒᶾẞ%‫؂‬ൖ‫غ‬ᖎ὾ᶾ൪ᶾẞ%
윗사람한테 한 실수 경험 듣기
Ӫ⒦ᴲઞⵦշᷚᤦᶾථ᫮ᨢᆆⶒᶾẞ%Ṧ὾࿺᫮ᨢᆆⶒᶾẞ%
1. 지시문을 이용하여 등장 과 화 상황을 한다.
4. 교사와 함께 화문을 으 서 자 게 하는 습을 한다.
정도 해서 습한다. 2. 문제를 고 들어 하는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5. 교 어 를 활용하여 과 함께 습하게 한다. 3. 기파 을 고 문제를 게 한다.

6. 습이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4. 교재 문의 을 한 해 화를 이 으 내용을 한다.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12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읽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50분

1 ⷹ㉅ⳡ㉃㉘ⲕ㋠⾤㇋⸄㓲「ヌ㈎

㉷⷗㍹Ⳕ㓡 ⹸ ⽃㈸⿡ㄝ⼳㉗㊱㐑ⷤⷮⳒ⻠⸘㓠Ⲵㆯ⼳
㉜⾅㓧ゲ⿡ㄝ㇀ゲⷼ㔟㓠ⳝㆰ㉉㉓ㄣⷤⷮ、㐾ⷱ⽈ⳝ㇀
Ⲯ㐾㎠⹘⼳⸀⽶ÏょÐ⺘⷗Ï㔜ㄥ㉑ⷤⷮÐ⻄Ⲋ㓤ⷤⷮⳒ⼻Ⲋ
⵲⼾⹸⷗Ï㓞㌰㉑ⷤⷮÐ⻄Ⲋ㓤ⷤⷮⳒ⻠⸘Ⳓⵦ㈷Ⲯ㐾㎠⹘⼳
⸇㈸⹸Ï㉙㆘㉉〗㊒㓤ⷤⷮÐ⻄Ⲋ㓮ㄣⷤⷮ㉷⷗Í㉙㆘Î㉄⺷㈸
⾁⻄ゲⷼ㔟㓮ㄣⷤⷮⳒ⹸㓠Ⲵ㉋⸲⼐ⰾ⾖ㄟ⽈㉋㋑ㆌ⻰
㊱⽶ゲ⿡ㄝ㈃Ⳙ㈸⵲㊱ㆻㄣⷤⷮⶁ⾖Ⲋ⽃㈛ㄣⷤⷮ

단 에서 교통 로 을 를
는 기계 . 그것을 단 기 고 해 . 보통
1) ㉮ㄶ⹨㆏ⷧ㔵ゞ㇐ⱒ⺈ㆿ⺜ⲁⱎ㈓"
버스를 타고 가요. 을 로 내기 문에 단 기를 사용해 .

2) ㉮ㄶ⹨㆏ⷧ㈅⸌㔯㓾ㆿ㈓" 다 단 기에 교통 를 .
Ұ ⿱ㄭ⽃㉬⾕㐛ヂ
ұ ⿱ㄭ㈓⳨㉈⾑⻔ヂ
나 지하 로 아 . 해 .
Ҳ Ⲿ㑎㎰⹨㉩ㆨ㉙〧㊢㓷ヂ
하 에서 내려 . 하차해 .
3) 㓰Ⳅ㉛⹂⼠ⷧㆿ⺜ⲁ⸸ㇼ㋁㇋ㆿ㈓"
버스 요금을 내 줬어요. 원 있 에서 고 을 이 고
해 .
2 㓫ⲿ㇋ソㄵㄆ㓫Ⲏ㔂㉃ㅏ「ヌ㈎
장에서 이 하는 사 을 동료 고
㇂㊒
단어장
해 .
㇀⹴㇑ッ ⷼ⽓⳨

⸋ⷹ
⾧㄰ㄻㄌ⽄㓿㇀㈔"
㔧㄰
㓩㌻

㉤ㆣ

⸽⼛

Ⲩㄻㄌ⽄㉨㋂㓯ⷨ㒯㉚㇑㈔
Ⲩ 139

실수 경험에 대한 글 읽기 실수 경험담 쓰기

1. 그 을 보 의 내용을 하게 한다. 1. 어 을 지 알려 주고 에 들어 내용을 각해 보게 한다.


ᾪ᫦೦ᴲᷚҖᶾථፂ…Њᣧ‫ؾ‬ҍУᵎẞ% ḮઢὊᾚ‫غ‬ὢ᫮ᨢӇⷢ὎؊ၦᴂѺḒẞ᫮ᨢᷚଊ⵾ᴂൖⵎẞⵦ
ᾪ᫦೦ᴲὢⱦ‟὾ᶾൖẞ% ࢾẳὊጾ᷑὾ᾒ὎ٖẞ%

2. 을 어 게한 주제, 내용 등을 간단 해 보도록 한다. 2. 교재 문에 해자 이 내용을 간단하게 하도록 한다. 교사는


ᾪ᫦೦ᴲઞᒎ᪮ᆆ⣒ൖ።ၦẞؒ὎ࢾẞ%‫؂‬࿺୺ᒎ᪮ᷚᤦጾ᪲ᾆ὾ 학 들이 에 는지 해 다.
ᾒ᷒ᶾẞ%‫؂‬ൖ‫غ‬ᖎ὾ᶾ൪ᶾẞ% 3. 한 내용을 바 으로 로 성하게 한다.

3. 을 다시 으 서 문제를 게 한다.
4. 을 이 한 , 본문을 다시 으 는 어 는지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과 127
30분 문화와 정보 문화와 정보

한국의 ‘우리’ 문화
㇙⻯〪㉈Ó㈜⽌ⱏ㊣ÔÓ㈜⽌㔶ゟÔÓ㈜⽌⿙Ô㍛⻳Ó㈜⽌Ô⻕ⷨ⽙㉉⹭㇀〕㊉㉚㉤ㄴⷵ⳺"㈨⻡Ó㈜⽌Ôⷨ
⽙㓯ⷨゟ⻙Ⲩ⹬ⷨゟ⻙㉉㓴ⴜ㉕⿈㓯ⷨ⽙㉢ⷵⷿⳣ⻯⵲㓱ⳅゟ⻙⹭㉈Ó⵲Ô⽄㉕⿈㓲⺉㇑⸹Ó㈜⽌Ô⽄
ㆋⷵⷿÓ⵲Ô〒ⷿ⸹Óⶃⱏラ㓱Ⲧ⹃㍤Ô⽄㋋㈔㓯Ⲃサⱐ㓯ⳮ⺉⾪㉢ⷵⷿ

1) Ó㈜⽌㓰ⲿÔÓ㈜⽌㔶ゟÔ㇑ッÓ㈜⽌Ôⷨ⾧㇋㉉㉕⿈㓸㈔"
2) 㓱ⳅゟ⻙⹭㉈㈆Ó㈜⽌Ô⻕ⷨ⽙㉉ゟ㈛㓸㈔"
3) ㇙⻯〪ⲛ㔂㇑⸹Ó㈜⽌Ôㇽかㄵ㓱⽙㉚㉤㇀㈔"

우리 가족

우리 학교

우리 반
140 ゟ㔶㑏
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한국의 ‘우리’ 문화

1. 이 단원의 문화와 정보 에 한 것 지 알려 다.
ⵦշᢶྖ೮὾ĹẺᆶĺ྆ઞᇚ὎ᾚ℆ᢶẳⵢ⇊ẞ%
ḮઢὊĹẺᆶĺᷚଊ⵾ᵖᵎᔏ᫦૮

2. 교재의 그 (사진)을 보 서 주제에 해 알고 있는 것을 상기시 고


해 보게 한다. 이 관련 시각 자료를 로 활용할 수 있다.
ĹẺᆶĺઞᇚⵢઞᢶྖԆ೭ઞᢶྖ὎⵲ۢὢᐂⵢઞᇚ὾ᷚẞ‫؂‬࿺୺
ⵦշᢶྖὊĹࢢĺᆆὢᐂ⵪ൖ௎ĹẺᆶĺᆆᢶẳ⵾ẞ‫؂‬࿶ቾⵦշᢶྖ೮Ὂ
ᶾચᣋ⹳ᷚᤦĹẺᆶĺ྆ઞᇚ὎ᢶẳ⵪ٖẞ%

3. 교재를 이 으 서 내용을 한다. 이 한 정보 있는


부분에 을 나 표시하게 하는 것도 좋다.
4. 문 1, 의 을 아보고 하게 한다.
ⵦշᢶྖ὾ᾚ℆ⵢઞᇚᾂĹẺᆶⵣ՚ĺĹẺᆶ⺖ᢶĺᷚᤦẺᆶઞጾ᷑὎
ὢᐂ⵾ẞ%
ⵦշᢶྖ೮ὊṦĹẺᆶĺ྆ઞᇚ὎ᢶẳ⵾ẞ%

5. 문을 이용하여 학습자 자 의 을 해 보도록 한다.


᷶࿶ᖎӪ⶯ᷚ௎ĹẺᆶĺṊᙎ᫁ⵦᇚ὾ᾒᶾẞ%

12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마무리 20분

12-P.mp3
발음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1)⾬Ⱶⱘ>⾬Ⱶⴁ@ ‘ ’ 12-P.mp3
2)㉠㇀⿲⼈㇀㈔>㉚⻯⿲⼁ㅕ㈔@
우리 회사 단어의 는 자 에서
3)ㆵ㉈㒯㉚㇑㈔>ㆴう㒮ⷵ㇑㈔@
하고 한다.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1)⾬Ⱶⱘ㉉㉭⾖㆝㆘⹭㇌㇀㈔
2) ⱏ⾧㄰㉝㉤㇀㈔"
 ⵲㋢ⱗ㉉㉠㇀⿲⼈㇀㈔
‘ ’
3) ⱏ㋢⳩㉢ⲛ㉤ⷨㇺ㉚㇀⺉㈔" 에 이 , 을 하지
⵲㉚ㇺ㉈ㆵ㉈㒯㉚㇑㈔
는다.

이 을 때
에 이 ,
배운 어휘 확인
하여 한다.

⸇㔪㓩ⷹ 
㉧⾐⿕㉅㓩ⷹ


㍄㓡㓩ⷹ 
ㄳ⿕㉃ㄳⲕ⹧ㆺⱉⷹ


⾡デⷹ 
ⶭㆬ㉢ゾ㇋㆕ⷹ


ャゥ㓩ⷹ 
゙⻓㉃㉧⾐「ⷹ


㈖㈙㓩ⷹ 
ⷼ⽓⳨


ⳝ⽋ⷹ 
⸋ⷹ


⿓⽓㉃㓩ⷹ 
㔧㄰ • 이 단원에서 운어 기 나는 것을 해 보세 .

㉔⼿㉃〢⼻ⷹ 
㓩㌻
• 이 단원에서 운 문법

㓫ュ㉀⼈⾦Ɐ㉃⹣⽆ⷹ 
㉤ㆣ
• 한국에서 어 수를 했어 기분이 어 어

⾐㆗㆒⹦ⷹ 
⸽⼛
•여 분 한국에서 어 이 있 어 그 기분이

ⳡ㉢⼾㉧⾐㉘ⷹ
어 어
•여 분 한국의 리 문화에 해서 알아
Ⲩㄻㄌ⽄㉨㋂㓯ⷨ㒯㉚㇑㈔
Ⲩ 141

발음 10분 마무리 10분

1. 교재 1 을 들려주고 이 어 게 들리는지 학습자 로 1. 단원에서 학습한 어 기 하는 것을 해 보게 한다.


해 보도록 한다. 2. 운어 목록의 어 들을 으 서 의 를 상기시 다.
2. 건 에서 이 자리에 다는 것을 3. 단원에서 학습한 문법( 적이 있다, 는 편이다)을
알려 다. 상기시 의 와 사용법을 기 하는지 한다.
어 어 에서 에 이 되지 고
4. 단원의 목표와 성 도를 한다.
의것 다는 것을 알려 다.
편이에 에서 에 이 현상이 5. 익힘책을 과제로 제시하고 리한다.
어나 에 있는 이 다는 것을 알려 다.
여 해서 학습하게 되고, 이 하나로 통 것이
아니므로 하나 하되 장시 지 고 제시 단어에
하는 것이 좋다.

3. 교재 1 을 다시 고 교사를 해 본다.
4. 교재 화를 고 해 본다.
5. 과 함께 화를 으 습하게 한 에 한다.

과 129
13 과
소포를 보내려고 하는데요

13
소포를 보내려고
수업 목표 및 내용
하는데요
제 국과 행

어 국, 행 관련 어 를 익 다.
문법 으려고 하다, 어 되다의 의 와
를 익 사용할 수 있다.

하기 국에서 보내는 화를 할 수
있다. ㋂㊒ ㇀㕔ㇽ⾪⿹
⿹ 㔮⹃ ⾪㔫ㇽ㊐〒
기 행에서 통장을 는 화를 고 ㈜㍤ⳅⲨ㉈㔀 ㈜㍤
㈜ ⳅ㉈㔀Ⲫ⼃㇀㕔 ㈜㍤ⳅ㇑
㇑ッヨ㒹〒ⶃⳮ 㓱ⳅ㉕㋂ヨ
‫ⲛ⼁㉆ ܆‬㓯
㓯ⷿ 㐧⿤ ㄹ
ㄹ㍣ッㆄⳮ
이해할 수 있다.
‫ ܆‬㇀ㆱ⹋ⷿ
기 국 이용에 한 문을 고
이해할 수 있다.
기 서를 수 있다.

한국의 주

수업 도입 /
1차시 어휘와 문법 2 2차시
전개 어휘와 문법 1

국 관련 어 행 관련 어
으려고 하다 어 되다

pp. 82-85 pp. 82-85

13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도입 5분

도입

1. 교재 그 을 이용하여 학 들과 이 기하 이 과의
주제를 한다.
그림 ➊  ⻎ᷞᴲઞᶾഞᷚᾒᶾẞ%Ѻ‫غ‬ᷚᤦጾ᷑὎
ⵢઞҍУᵎẞ%᷶࿶ᖎὊⵦշᷚᤦẺⒾշᷚ
Њᔂ​὾ᾒᶾẞ%ፚⵢ࿶Њᔮᶾẞ%
그림 ➋  ྆ᐆᴲઞᶾഞᷚᾒᶾẞ%Ѻ‫غ‬ᷚᤦጾ᷑὎
ⵢઞҍУᵎẞ%᷶࿶ᖎ௎὾ҍ὎ᾚ℆
὾ẳ⵾ẞ%

❷ 그림 ➌  ྆⽚ᇖᴲઞᶾഞᷚᾒᶾẞ%Ѻ‫غ‬ᷚᤦጾ᷑὎
ⵢઞҍУᵎẞ%᷶࿶ᖎὊⵦշᷚᤦὊⶓᷚ
Њᔂ​὾ᾒᶾẞ%ፚⵢ࿶Њᔮᶾẞ%

2. 화 내용을 정리하 이 단원에서는 국, 행


등에서 한 에 해 부한다는 것을 알려 다.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О㉔゙⻓⹧㉂ㆺ⹮㇋
㇋ソ⾡㇅㉃㓲㈎"
하기와 기 활동에서 이 어지는 화는
О㇓⻩〤㉂㈖㍞ⲿ㉔
㉔⵬㉂㓺㇋㉢㊼ⱉ㈎"
국이나 행의 원과 으로 할이
합니다. 학 들이 할과 상황에 맞는
적 한 화를 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조를
아 이끌어 시 좋 습니다.

문화와 정보 /
말하기와 듣기 3차시 읽기와 쓰기 4차시 5차시
발음 / 마무리

국에서 보내기 국 이용 문 기 한국의 주


행에서 통장 는 화 기 서 기

p. 86 p. 87

과 131
45분 어휘와 문법 1 어휘와 문법 1

㈖㍞ⲿ㇋ソ ⾡㇅㉃ 㓲㈎"


㈖㍞ⲿ㇋ソ⾡㇅㉃㓲㈎"

지 내다 고 에 있는 구에게 편지를 어 . 국에
서 편지를 고 에 보내 . 편지를 부 다도 사용해 .
포 내다 편지 아니 건을 보내 . 국에서 モ㒳⼾「⵽ⷹ
를 보내 . 를 보내 . 보통 를보 과
특 으로 보 수 있어 . 특 리 보내는 .
는 장해서 편으로 보내는 건을 하고,
는 건을 고 이 원하는 장 지 해
㒩㋜⼾「⵽ⷹ
주는 것을 해 .
㐡⿞⼾「⵽ⷹ
편지나 서 를 보 안전하게 보 수 있는
방법이에 . 도 했는지 할 수 있어 . 한서 는
등기로 보내 .
제 한국에서 다 나 로 편지나
를보 게 보 수 있는 방법이에 . 편지
를 로 보내 주세 . ⹬⳨

지 (교재의 그 을 보 ) 편지를 다 에 여기에 ⲿ㊌㑫ⳤ㈖㒩 (06

편지를 어 . 편지 .
㒩㋜⼾「ⶀ⺃⾡㇅㉃ㅏ㈎"
다 (교재의 그 을 보 ) 보내는 사 과 는 사 의
이어 지 . 편지 의 쪽 부분에 보내는 사 의
주 를 . 쪽 아 부분에 는 사 의 주 를 . 「⵽゙ⷢ⻓

㊼モ⼾ㅾⷹ
ソ㈙㑫〄ㄱ ⱕソⲾ ⳣ⵸㔥⼈ 
ⲿ⽋ⲿㆺ㈢
㈖㒿⼾〭㉔ⷹ
다 (교재의 그 을 보 ) 주 고 도 0 7 5 1 1

. 도시 다 지 다 도 있어 . 편 . 편
는주 아 에 . ⿔゙ⷢ⻓

㒩㋜〔㑓 Ⲏ⳨⸳㆔゜ㄱⷼ㈢Ⲿ〢〢⼈ 
표 이다 (교재의 그 을 보 ) 편지 에주 와 편 ㎫⽊ .DULP5H]DXO

1 5 3 7 8 ㈖㒩⿮㔛⼾ㅾⷹ
를다 다 에 을 으로 내 . 편지에 표를
여 .
이다 부 다 144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1 (우체국 관련 어휘)

 도입, 제시  연습

1. 국에 본 적이 있는지, 을하 는지 으 국과 1. 국에 자주 는지, 기에서 을 하는지 어본다.


관련 어 를 운다고 알려 다. 2. 국에 본 에 해 과 화하도록 한다.
᷶࿶ᖎὊẺⒾշᷚЊᔂ​὾ᾒᶾẞ%Ѻ‫غ‬ᷚጾ᷑὎ⵢ࿶Оᶾẞ% ╦؆ᷚӪ⶯ᷚ⯂⇊ࢢᦖ⯶ᆆᓾࣂ​὾ᾒᶾẞ%
ḮઢὊẺⒾշԆԊဲదᶾ⼢ᆆӿᖊ⵾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한다.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할 수 있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13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ⲕ㓩ⷹ
ㆺ⺎㉗㉃㓬⽎㉅㉔㉞㉅㉃⵬㐖ⶀ⺃゙㈕㓲㈎
고 하다
어 을 하고자 하는 의지나 목적을 나 사용한다.
㉚㇕㇑ㄮ (06 ⽄〒ⶃ⼁ⲛ㓸㈔ ㇩⾪
하지 어 을 하려고 했지 국 하지 한 에 해
ОⱉⷉⲾ㓫㐵㒩
㒩㋜⼾
㋜⼾ ㅾ⻻ⲕ 㓲㈎"
㇀⺝Ⲃ ㇰモ㇀㈔? ⵬〢⾈ⷴⴖㅾ⻻ⲕ㓲㈎
할 으려고 했다를 사용한다.
О㒮㉗㇋
㒮㉗㇋ⷢㄱⱋ㉔㇄ㆺ㈎
ㆺ 
ⳝ⻛ ㊼⽓
ⳝ⻛ソ ⽓㇋㓫
㇋ ⲿㆺㄆ㇃㉃⹧㉀⻻ⲕ㓲㈎
⹧ 
Оぅⱉ
ぅ ㇷソソ ㇪ⷣ㉂
ⷣ ㋣㇋
㋣ ㉞㉀⻻ⲕ
ⲕ㓲㈎ • 주 에 할
나 는고 을 들어서 으려고 해 .
֛ ㉀⻻ⲕ㓩ⷹ  О⽬ⷹ ࢉ ⽬㉀⻻ⲕ㓩ⷹ

О㉘ⷹ ࢉ ㉘㉀⻻ⲕ㓩ⷹ

• 국에 려고 하는데 . 여기에서 어 게
֛ ⻻ⲕ㓩ⷹ Оⱉⷹ ࢉ
ࢉ ⱉ⻻ⲕ㓩ⷹ 나 여기에서 쪽으로 국이 나와 .
ù⽐⹧ⷹ ࢉ
ࢉ ⽐⹧⻻ⲕ㓩ⷹ
• 에 들과 운 으로 여행 려고 해 .

1 ⾡㇅㉃㓩⻻ⲕ㓲㈎"㉔ㆫ⳨㓲「ヌ㈎ •이 학기에는 한국어 수업도 고 도 려고 해 .


「⳨

⾧㇋㉉㓯⼁ⲛ㓸㈔" 㓧ⲝ㓸ッ㊧ㄠ⼁ⲛ㓸㈔

ㄚⷹ

1) 2) 3)

㉔⽶㉗㉃「⵽ⷹ ㎣Ⲿ⼾⽐⵬ⷹ ⲕ㓼㇋ⱔⷹ㇪ⷹ


다 으려고 하다
-으려고 하다
다 으려고 하다
2 ㇓⻩〤㉂⾡㇅㉃㓩⻻ⲕ㓲㈎"㉔ㆫ⳨㓲「ヌ㈎ ( )
다 들으려고 하다
Ⲟ㇀⽱ⷵ㉕サㄹ㉚㇑㈔
ⳣ⻡ッデ⾬㉉㋄か㓯⼁ⲛ㓸㈔ 다 려고 하다
-려고 하다
전하다 전하려고 하다
( , )
Ⲩヨ㒹⽄〒ⶃ⼁ⲛ㓯ⷨ⸩㈔
Ⲩ 145 들다 들려고 하다

문법 1 (-으려고 하다)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ᇖᴲЊẺⒾշᷚОᶾẞ+39ᆆᓾࢾӪᬀὊҍУᵎẞ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ᇖᴲЊẺⒾշᷚОᶾẞ⇋ỚᷚҖ᷶‫غ‬ᷚṦṞઞ⇊ጾ᷑὎ⵢӪ
ᬀὊ⇊⇋ỚᷚҖᇚ⵾ᶆ⵾ẞ὾ထҖ‫؂‬ӽᷚḲኳ​ᷚଊ⵾ᇚ⵪ൖ  연습 2
Ĺ὆ီӪⵢ૮ĺᆆᢶẳ⵾ẞ
1. 으려고 하다 를 활용하여 수업이 다 에 주 에 어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계획이 있는지 자 의 이 기를 해 보도록 한다.
이해시 다.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과 133
50분 어휘와 문법 2 어휘와 문법 2

㉂㓺㇋ソ⾡㇅㉃㓲㈎"

계 개 하다 을 들다 행에 이 나
㎄ⳣ㓩ⷹ
있는지 수 있는 것이 통장 계 . 그 데 통장 ⸵㉃㍅ⷹ

계 으 행에 서 통장을 들어 . 계 를 ㉜ⳣ㓩ⷹ 㔐ⳣ㉢⸽㉖㎄⳨ $70 ⼾


⸵㉃⶘ⷹ ㉔㈕㓩ⷹ
개 해 . 통장의 를계 고해 .
하다 을 다 지고 있는 현 을 통장에 어 . ⸵㉃⿏ⴽⷹ
Ⲑ㊨⼾ⱛッ㓩ⷹ 㔧㊄㓩ⷹ
입 해 . 㑉㉭㉃⽐⹧ⷹ
하다 을 다 지 현 이 어서 통장에서 을
아 . 해 .
을 다 전하다 고 있는데 한국
어 .고 을 한국 으로 바 . 전해 .
을 내다 하다 고 에 있는 들에게 을
보내 . 해 .

용 들다 통장 있는데 통장과
어 . 를 들어 . 는 개
있어 . 용 는 한 에 이 한 에 나 는 ㄳ㈕㎫⹣ ⸵㉃「⵽ⷹ
㍞㐇㎫⹣⼾⽐⹧ⷹ ⲠⲢⳣ㉃⵵〢㓩ⷹ ルⳣ㓩ⷹ
고, 는 통장에 있는 이 그 그 나 는
.
을 하다 과 에서 사용하는 전기, 수도, ㇓⻩〤㉂㉂㓺㇋㉢㊼ⱉ㈎"Ɑ⳨㇋ソ⾡㇅㉃㓲㈎"
전화 등에 한 이에 . 그 을 과 을
부하다 고 해 . 저는 은행에 가서 통장을 만들었어요.
이용하다 을 을 , 을
을 , T 을 이용할 수 있어 . T 행문
다 에도 이용할 수 있어서 편리해 .
14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2 (은행 관련 어휘)

 도입, 제시  연습

1. 행에 본 적이 있는지, 을하 는지 으 행과 1. 행에 자주 는지, 기에서 을 하는지 어본다.


관련 어 를 운다고 알려 다. 2. 행에 본 에 해 과 화하도록 한다.
᷶࿶ᖎὊὊⶓᷚЊᔂ​὾ᾒᶾẞ%Ѻ‫غ‬ᷚጾ᷑὎ⵢ࿶Оᶾ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ḮઢὊὊⶓԆԊဲదᶾ⼢ᆆӿᖊ⵾ẞ
᷆ᇒࢢᾚ℆ὊⶓᷚЊẞ%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Ὂⶓᷚጾ᷑὎ⵢ࿶Њẞ%
한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할 수 있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13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ㆺㆫ ⹅ⷹ
ㆺ⺎㓺㈯⼾㓲ㆫ㓬㉏⾡ⱉ㉞Ɑ⵬㓤㈎ⱉ㉞㉅㉃⵬㐖ⶀ⺃゙㈕㓲㈎

㑏㉳㉉⽖⹭⼁ⲛ㓯ⷨ⸩㈔ 어 행 를해 할의 있 나 있 을나
㇀⺝Ⲃ㓸ㆱ⹉㈔" ⽳㊈㉚ㄹ㍣ッ⽄
ㆄホㆱ⹉㈔
㇩⾪
사용한다. 어 하다로 사용되기도 한다.
Оⱉ㔰゙㇋
㇋ ⾆ㄱ⳴㋜
ㄱ⳴㋜ⱉㆫ⹃㈎"
⵬㆒㔡ㄱ⳴㋜
㋜ⱉㆫ⹃㈎

Оㄳ㈕
ㄳ㈕㎫⹣⼾⽐⹧ ⺃ ㄳ〤㋛㉔㉞ㆺㆫ ⹃㈎
О⿜㉔
⿜㉔ ⸕⻩㈠
⸕⻩ ソ㍝
ソ モ⼾㓲ㆫ⹃㈎ • 자기 이 이 나는데 어 게 해
나 그 해 제를 어 .
֛㆒ㆫ⹅ⷹ О㍅ⷹ ࢉ  ㍅㆒ㆫ⹅ⷹ
О⽐⵬ⷹ ࢉ  ⽐⵬ㆫ⹅ⷹ • 점 으 안
֛ㆺㆫ⹅ⷹ О㉘ⷹ ࢉ  ㉘ㆺㆫ⹅ⷹ 나 , 에는 행 문을 으니 점 시간에
О⽐⹧ⷹ ࢉ  ⽐⹧ㆺㆫ⹅ⷹ
행에 다 와 .
֛㓲ㆫ⹅ⷹ О㉗㓩ⷹ ࢉ  ㉗㓲ㆫ⹅ⷹ
Оソ⾅㓩ⷹ ࢉ  ソ⾅㓲ㆫ⹅ⷹ
• 한국에서 사 에게 을 사용해 .
1 ⷹ㉅゙⻓⹧㉂⾡㇅㉃㓲ㆫ⹃㈎"
• 기 안 좋을 는 를 .
「⳨

⻕⿊㉈ ⾧㇋㉉ 㓸ㆱ ⹉㈔? 㑏㉳㉉⽖⹭㇀ㆱ⹉㈔

⻏⿄ 㑉㉭㉃⽐⹧ⷹ

1) 2) 3)

-아야 되다 다 아 되다
( , ) 보다 되다

⿐⿄ㄆ ㊊ ⻏㕝⽐ ⸵㉃㍅ⷹ


㉃㍅ ⳮナ⿄ 㔉⽣㉃ㅾⷹ 다 어 되다
-어야 되다 들다 들어 되다
2 ㇓⻩〤㉂⾡㇅㉃㓩ⲕㄻㆺ㈎"ㆺ⺗ⱼ㓲ㆫ⹃㈎" ( , ) 다 되다
다 들어 되다
㊈ⷨ㓱ⳅ㇀⽄㉭㓯ⲛㅁ㇀㈔ 㓱ⳅゟ⻙Ⲩ㉚ㆱⳮ⽄
㇀⺝Ⲃ㓸ㆱ⹉㈔" ⽗㉚㓸ㆱ⹉㈔
-해야 되다 하다 해 되다
Ⲩヨ㒹⽄〒ⶃ⼁ⲛ㓯ⷨ⸩㈔
Ⲩ 147 (하다) 이용하다 이용해 되다

문법 2 (-어야 되다)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ᇋᴲЊὊⶓᷚОᶾẞὊⶓᷚᤦ⦿ᾯ὎ᇖ೮ီӪ⵾ẞ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ᾯ὎ᇖ೮ൖፚЊⵎẞ⵪ٖ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ᇋᴲઞὊⶓᷚᤦ⦿ᾯ὎ᇖ೮ီӪ⵾ẞ‫؂‬࿺୺⦿ᾯ὎ᇖ೮ൖẂշᾂ  연습 2
೻ၧ↧֖᷶УὊ᫪ᖎ↧὾ܷⵎẞ⵾ẞ‫؂‬ᆶӪ᫪Ⓑᤦᅢⵦᾯᳺઞ
1. 한국어를 하기 해 한 것, 으로 하고 에 한것
ҍ௎ⵎẞ⵾ẞ὾ထҖܷⵎẞⵢӪᵒⵢቾᵒఢઞҍᇚ⵪ൖĹᶾᶆ
등에 해 어 되다를 활용하여 자 의 이 기를 해 보도록 한다.
ఢ૮ĺᆆᢶẳ⵾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이해시 다. 5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135
50분 말하기와 듣기 말하기와 듣기

1 ㈖㍞ⲿ㇋ソ㔼㇍ㆊㇷ㋝㈢㉔㉔ㆫ⳨㓲㈎ⷹ㉅Ⲣⱘ㉔㉔ㆫ⳨㓲「ヌ㈎

㔼㇍ ㆔ⶩ㓩ヌ㈎"⿷㑪⵴㇋モ㒳⼾「⵽⻻ⲕ㓩ⷢ⸣㈎
⿷㑪⵴
2-13 EBOOK
㋝㈢ ㉔㆔㇋⾯ⱉ⹧ㆺ㉞ㆺ㈎"
1 2) 2-13 EBOOK 㔼㇍ ㇴ㓩ⲕ㔥㉭㓊㈎
후엔: 안 하세 에 를 보내려고 하는데 .
㋝㈢ ㉗⿓㓩ⲕ㑫ⳤ㉔㉞ⷢ⸣ㆺ⺎ⱱ⼈㓩ㄵⱭ㇣㈎"
직원: 이 안에 들어 있어
㔼㇍ ㉗⿓
⿓㉀⼈㓬ⱼ㈎㇪ⷣ「⵽⾁⿷㑪⵴㇋ㆼ㊌
⿷㑪⵴
후엔: 서 .
⸳㌼㓲㈎"
직원: 하고 특 이 있는데 어 로하
㋝㈢「㑉㉗㇋ソ㉗㊊⸳ⱱ⻻㈎ⷹ㉅㊼⽓⳴㋜ⷢ
후엔: 특 으로 할게 . 보내 에 제도 해
⸳㌼㓬Ɑ㇣㈎
직원: 보통 에서 정도 려 . 다 주 지는 도 할 .

1)⿷㑪⵴
⿷㑪⵴ _ㇴ㔥㉭㓊
ㇴ 㔥㉭㓊 _㉗⿓
㉗⿓ 2)㈖㋔⿷㐎ㄨ㐘
㈖㋔⿷㐎ㄨ㐘 _ソ⼳
ソ⼳ _㑫ⳤ

2
가: 국에 를 보내려고 하는데 . 2 ㈖㍞ⲿ㇋ソュⷴⲢ㋝㈢㉔⹅ㆺソ㐡⿞⼾「⵽ⷢ⸋㔥⼾㓲「ヌ㈎
나: 안에 들어 있어
가: 과자하고 기 . ㆚㇑⾵ⱏ⹭㇀㉤㇀㈔"
㐧⿤⽄〒ⶃ⼁ⲛ㓯ⷨ⸩㈔
나: 여기에 려 으세 . 하고 특 이 있는데 어 로하
㇙ⳮ㇑ㇳ⼁ⶽ㉆ヒ㈔
가: 리 보내 서 특 으로 할게 .
나: , 5 안에 도 할 .

13-L.mp3

13-L.mp3 라흐만(남): 안 하세 통장을 들려고 하는데 . ⻏㕝⽐ㆊⱉ㉂㓺㇋ソ㉔ㆫ⳨㓲㈎㉧⹦ⲕ⸄㓲「ヌ㈎


직 원(여): 분 주시 어
1) ⻔㕢⽕㆏ⷧ⾦㇊㉈⽕⹬⼀Ⲛ㓷㈓"⾍⹑Ⲛ⽀パ㈓
라흐만(남): , 여기 있어 .

ㄸ〩㋠ 
㑎㉲ 
㍣㐌㎰⹨ 
ㄸ㈚㎰⹨
직 원(여): 그리고 이 서도 .
2) ⻔㕢⽕㆏ⷧㆿ⺜ⲁ㓷ㆰ⹈㈓"
라흐만(남): , 알 어 . 아 , 도 들어 주세 .
신분증을 줘요 Ⳣ⽋Ⲛ 신청서를 써요 
직 원(여): 교통 할 하고 할 있어 .
어 로 하시 어
라흐만(남): 교통 할 로 해 주세 . 148
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㔶㑏

우체국에서 택배 보내기  확장 연습

 대화문 연습 1. 국에서 를 보내는 하기를 한다고 알려 다.


2. 과 이 과 원이 되어 국에서 를 보내는 상황으로
1. 국에 서 어 게 할 것 지 이 기하 교재의 그 을
이 기하게 한다. 화를 할 는 다 과 내용을 함하여
이용해 어 상황 지 해 보도록 한다.
하도록 지시한다.
⻎ᷞᴲઞᶾഞᷚОᶾẞ%Ѻ‫غ‬ᷚᤦፚⵢઞҍУᵎẞ%
᷶࿶ᖎ௎ẺⒾշᷚᤦӪ⶯὆ၦ⣧ᐺᆆᓾࣂ​὾ᾒᶾẞ% ᶾഞၦᶾථፆѾ὎ᓾࢾӪᬀὊ⇊ᾆᐢⵢӪ⫃ؓℛᷚᶾථ҂ၦᓾࢾӪ
ᬀὊ⇊᫦ЎὊ᷆ᇒࢢ҂ᆶઞ⇊὾ᶆ‫⵾غ‬ᓾ᥂ẞ
2. 지시문을 이용하여 화 상황을 학 들에게 하게 알려 다.
3. 이 기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3. 화를 들려주고 간단한 문을 하여 화 내용을 이해했는지 하고 를 수정해 다.
한다.
⻎ᷞᴲઞጾ᷑὎ⵢ࿶ẺⒾշᷚОᶾẞ%ጾ᷑὎ᓾࢾီӪ⵾ẞ%
은행에서 통장 만드는 대화 듣기
ẺⒾշᷚᤦፆѾ὎ᓾࣆൖ⇋Ớ὾ጾ᷑὎ፆᶾᔚẞ%
Ӫ⶯ٖ⇊௎␳ⵢઞ୺᫦Ў὾᷆ᇒࢢ҂ီẞ% 1. 지시문을 이용하여 등장 과 화 상황을 한다.

4. 교사와 함께 화문을 으 서 자 게 하는 습을 한다. 2. 문제를 고 들어 하는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정도 해서 습한다. 3. 기파 을 고 문제를 게 한다.
5. 교 어 를 활용하여 과 함께 습하게 한다. 4. 교재 문의 을 한 해 화를 이 으 내용을 한다.
6. 습이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한다.

13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읽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50분

1 ⷹ㉅ⳡ㉃㉘ⲕ㋠⾤㇋⸄㓲「ヌ㈎

㈋㍓Ⲵ㇀ゲ⷗ 㒞㋑ⵡ プ㒨 ⹡ ㈋㒞 ゲ〺ㄝ ㇘Ⳙ ムⳘ


⹡ ㈷㓯 ㆸ⾖⼳ 㓣ⴋ 㓧 ㊸ⷤⷮ Ⳓ⻠⸘ ㈋㍓Ⲵ㈷ ㈋㒞
㈖㒩㇃⾡ㄱⱋ ㆸ⾖ㄦⱀⲗ㈷㓯ㆸ⾖ㄦⱀ㉉ⷮ⼵ⷤⷮ㈋㒞ㆸ⾖ㄦⱀ㈷
㒮㉗ ㇪㊄ㄱa㇪㔼ㄱ ㄦ〗㐠ㄦ⳩㋑㉑ⷤⷮⳒ⼻ⲊⳘ㈳ㆸ⾖ㄦⱀ㈷ㄦ〗㐠ㄦ
〙⳩㋑㉑ⷤⷮ㈋㍓Ⲵ㇀ゲ㈷㓯ゲ〺ㄝ⼳㉉㈊㓞Ⲋ㄰㈵⽶
ㄦ〙⳩㋑ⰾㆠ⸾ⷤⷮ

ⳣ㈾㇃⾡ㄱⱋ ㊱⽈㇀ ㉑㍹Ⳙ㈸ 㓞⻰Ⲋ 㓤ⷤ⳩" ㈋㍓Ⲵ㈷ ㊱⽈㇀ ⾙㈸ 업 국에는 편지나 를 보내 .
㒮㉗ ㇪㊄ㄱa㇪㔼ㄱ〤 ⷲㄣⷤⷮⳒ⻞ⷤ⳩㈋㍓Ⲵ$70㈸㉉㈊㓧、チ㈃⽒㉌㇟㉹
그것을 편 업 고해 .
ㄦ〗㐠㇟㔱ㄦ〙⳩㋑㉉㈊㓡・㉓ㄣⷤⷮ

업 국에는 편지를 보내는 고 행


1) ㈛㍣Ⳅ㉇ㆿ⺓ヂおㄭⱎ㉣ㆿ㈓" 우편 서비스와 은행 서비스가 있어요.
2) ㈛㒮㇈⾦ㄶⱐⲧ㉇㓿㇈⾦ㄶⱐ㉇ㆿ⺜ⲁ⸃⻔㈓" 우편 업무 시간은 9시부터 6시까지,
도 수 있어 . 그것을 행 업 고해 .
3) ㋁⽘㇐⸺㉈㍊㉅⼀Ⲛ㓷㈓ㆿ⺜ⲁ㓷ㆰ⹈㈓" 은행 업무 시간은 9시부터 4시 30분 과 관련 을 융이 고 해 .
우체국 ATM을 이용하면 돼요. 까지예요.
국이나 행에 을 기는 것을 이 고
2 ⷉⲾ㇋ⱼ㐡⿞⼾「⵽⻻ⲕ㓲㈎"㐡⿞ㄳ㍝ソ⼾ㅏ「ヌ㈎ 해 .
단어장
다 을 나아 를 해 리 을내 안
㈖㒩㇃⾡
좋 이 사 에게 을 주는 것을 보 이 고
㉂㓺㇃⾡
ⳣ㈾ 해 .
㇣ⳣ

「㔂
업 시 국이나 행, 회사 등에서 문을 고
㇃⾡ㄱⱋ
ⱋ 하는 시간을 업 시간이 고 해 .
⵽㈕⾦

내용 안에 들어 있는 건을 내용 이 고
해 .

Ⲩヨ㒹⽄〒ⶃ⼁ⲛ㓯ⷨ⸩㈔
Ⲩ 149

우체국 이용 설명문 읽기 택배 신청서 쓰기

1. 국의 업 시간 안내를 보 의 내용을 하게 한다. 1. 어 을 지 알려 주고 에 들어 내용을 각해 보게 한다.


ẺⒾշᷚᤦ⯂⇊ᆆᓾࢾӪᬀ὆ቾ᷂…Њᶆఆẞ% ḮઢὊ⣧ᐺ᫪ⒷᤦᆆᴂѺḒẞ
ẺⒾշᷚᤦ⯂⇊ᓾࢾઞᾆᇚӪ૮ᆂᾆ௎⵪ᨢᾒᶾẞ% ⣧ᐺᆆᓾࣆൖ὾᫪Ⓑᤦᷚᶾഞᷚጾ᷑὎ᶾළҖ᭲ᶆ⵪ٖẞ%

2. 을 어 게한 주제, 내용 등을 간단 해 보도록 한다. 2. 교재 문에 해 자 이 내용을 교재의 서에 도록


ẺⒾշᷚᤦᶾථᾆ὎⵪ᨢᾒᶾẞ%Ẻ⯂᷏ጾ᫦ЎὊ᷂…ٖ⇊Ḓẞ% 한다. 교사는 학 들이 에 는지 해 다.
ؒἿ᷏ጾ᫦ЎὊ᷂…ٖ⇊Ḓẞ%℆ᇚᷚ௎ẺⒾշ὎὾ẳ⵪ᨢᾒᶾẞ%

3. 을 다시 으 서 문제를 게 한다.
4. 을 이 한 , 본문을 다시 으 는 어 는지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과 137
30분 문화와 정보 문화와 정보

한국의 주소
㓱ⳅ㉈ ⸹⼎⾋ ㋂ヨ⽄ ゟ㈛㓵ⷵⷿ ⸹⼎⾋ ㋂ヨⷨ ⸹⼎
㉚⽅Ⲩ Ⱶ⾬ ⿴㔡⼎ 㓅ⳮ㓵ⷵⷿ 㓱ⳅ㉕ ㋂ヨ⽄ ㆇ ⺉ⷨ
Ó⸹ㄷ㉚⽅⸹⼎⾋ⲨⱵ⾬⿴㔡Ô㍛⻳㐏㉳ヨ㇑ッ㉩㉈㉳ヨ㉕
ㄎッ⼎ㆋⷵⷿ㇩⽄⹭㇀ッ㈟㎊㉢ⳅÉ㈌ⳅ㉜㍣㉕㋂ヨⷨ
Óッ㈟㑱《ㄷ ㆹ㍝Ⳅ ⾏⹃⹃⼎  ッ㈟㎊㉢ⳅÉ㈌ⳅ㉜㍣Ô
㉢ⷵⷿ

1) 㓱ⳅ㉕⸹⼎⾋㋂ヨⷨ⾧㇋㉆⼎㓅ⳮ㓸㈔"
2) 㓱ⳅ㉕㋂ヨ⽄ㆄⷨㄎッⷨ⾧㇋㉚㇑㈔"
3) ㇙⻯〪ⲛ㔂㇑ッⷨ㋂ヨ⽄㇀⺝Ⲃㅕ㈔"

֒ 㓰⵹⸐⼍
+DQQDPG ⳱
DHURJLO

150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


ⳅ⾪㔫㍲⳪

한국의 주소

1. 이 단원의 문화와 정보 에 한 것 지 알려 다.
ⵦշᷚᤦ⯂⇊ࢢ⣧ᐺᆆᓾࣂ​὾ᾒᶾẞ%‫؂‬ൖᐥઞᢶྖὢጾ᷑὎
ᵖᵎᶆఆẞ%ḮઢὊĹⵦշὢ℆ᦖĺᷚଊ⵾ᵖᵎᔏ᫦૮

2. 교재의 그 (사진)을 보 서 주제에 해 알고 있는 것을 상기시 고


해 보게 한다. 이 관련 시각 자료를 로 활용할 수 있다.
⇊ؒᢾӪᾒઞ⇛ὢ℆ᦖᆆᵖᵎẞ%
ⵦշὢ℆ᦖઞ᷶࿶ᖎӪ⶯℆ᦖṊᳺઞᨦᤦЊ⁺ؒ૮ᅾ⇊ẞ%
ⵦշὢ℆ᦖઞᶾථᨦᤦၦ᭲ẞ%

3. 교재를 이 으 서 내용을 한다. 이 한 정보 있는


부분에 을 나 표시하게 하는 것도 좋다.
4. 문 1, 의 을 아보고 하게 한다.
ⵦշὢ௎ၦ኏℆ᦖઞጾ᷑὆ၦⱦ‫⵾غ‬ẞ%
ⵦշὢ℆ᦖᆆᳺઞᨦᤦᆆጾ᷑὾ᷚẞ%

5. 문을 이용하여 학습자 자 의 을 해 보도록 한다.


᷶࿶ᖎӪ⶯ᷚᤦઞ℆ᦖᆆᶾළҖ᭲ẞ%

13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마무리 20분

13-P.mp3
발음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1)㐧⿤>㐧ち@ 13-P.mp3
2)㈜㒯⿴㔡>㈜㒯⿲ⶳ@
, , 에 , , , ,
3)ㇺ㓯ⲛ>ㇰ㐜ⲛ@
, , , , 로 다.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1)㎩Ⳅ㓱㐻㐧⿤⽄〒ⶃ㈔
2)㈜㒯⿴㔡ⱏ⾵㇩㈔"
‘ ’
3)ⱏ㉚㇕㇑ㄮ (06 ⽄〒ⶃⲛㅁ㉈⸩㈔
⵲㆚㇑⾵ⱏ⹭㇀㉤㇀㈔" 이 단어의 이하의 자리에 이
ⱏㇺ㓯ⲛ㔫㉳㓐㈔
현 에서는 을 하지 기도 한다.

배운 어휘 확인


㒩㋜⼾「⵽ⷹ 㔐ⳣ㉢⸽㉖㎄⳨ $70 ⼾ 자리에서 으로 되고
㉔㈕㓩ⷹ

㐡⿞⼾「⵽ⷹ 그것이 다 성으로 을 나 화

ㄳ㈕㎫⹣㍞㐇㎫⹣⼾⽐⹧ⷹ

モ㒳⼾「⵽ⷹ 어 다.

ⲠⲢⳣ㉃⵵〢㓩ⷹ

⹬⳨

⸵㉃「⵽ⷹ ルⳣ㓩ⷹ

ⲿ㊌㑫ⳤ㈖㒩 (06

㈖㒩㇃⾡

㊼モ

㉂㓺㇃⾡

㈖㒿⼾〭㉔ⷹ

ⳣ㈾

㈖㒩⿮㔛

㇣ⳣ

㒩㋜〔㑓

「㔂

Ⲑ㊨⼾ⱛッ㓩ⷹ 㑉㉭㉃⽐⹧ⷹ
• 이 단원에서 운어 기 나는 것을 해 보세 .

㇃⾡ㄱⱋ

㉜ⳣ㓩ⷹ ⸵㉃⶘ⷹ

⵽㈕⾦
• 이 단원에서 운 문법

㎄ⳣ㓩ⷹ ⸵㉃㍅ⷹ
•여 분 고 에 를 보내고 어

⸵㉃⿏ⴽⷹ 㔧㊄㓩ⷹ
• 를보 국에서 어 게 해 해
•여 분 한국의 주 에 해 니
Ⲩヨ㒹⽄〒ⶃ⼁ⲛ㓯ⷨ⸩㈔
Ⲩ 151

발음 10분 마무리 10분

1. 교재 1 을 들려주고 이 어 게 들리는지 학습자 로 1. 단원에서 학습한 어 기 하는 것을 해 보게 한다.


해 보도록 한다. 2. 운어 목록의 어 들을 으 서 의 를 상기시 다.
2. 에서 에 이 로 다는 것을 알려 3. 단원에서 학습한 문법( 으려고 하다, 어 되다)을 상기시
다. 의 와 사용법을 기 하는지 한다.
편 에서 는 리 하게 되 나아 되지 기도
4. 단원의 목표와 성 도를 한다.
한다는 것을 알려 다. 서 이 되어 수 있다는
것도 알려 다. 5. 익힘책을 과제로 제시하고 리한다.
하고 에서 이 자리에 로 다는 것과 그
다 으로 에 이 로 다는 것을 알려
다.
여 해서 학습하게 되고, 이 하나로 통 것이
아니므로 하나 하되 장시 지 고 제시 단어에
하는 것이 좋다.

3. 교재 1 을 다시 고 교사를 해 본다.
4. 교재 화를 고 해 본다.
5. 과 함께 화를 으 습하게 한 에 한다.

과 139
14 과
비자 연장 신청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돼요?

14

수업 목표 및 내용 비자 연장 신청을 하려면
제 기관 어떻게 해야 돼요?
어 기관에서 하는 업 와 서 관련
어 를익 다
문법 어도 되다, 으려 의 의 와
를 익 사용할 수 있다.

하기 입국 국 에서 한업 와
관련 화를 할 수 있다.
㋂㊒ ㇀㕔ㇽ⾪⿹
⿹ 㔮⹃ ⾪㔫ㇽ㊐〒
기 입국 국 원과의 화를 고
ⲦⲦⳮⲪ ⲦⲦⳮⲪ㇉㇉⾧ㄹ㍣ッ ㎊㉢ⳅÉ㈌ⳅ㉜㍣ ㎊㉢ⳅÉ㈌ⳅ㉜㍣ ゟ⾧ヨ
이해할 수 있다.
‫ ܆‬㇀⸹⹋ⷿ
ⷿ ㉚㈛㓯ⳮ

기 입국 국 의 통합 서를 고 ‫⾇⼁㉆ ܆‬
 ㎊㉢ⳅÉ㈌ⳅ㉜㍣㇑ッ
㑏㓵ㄹ㍣ッㆄⳮ
이해할 수 있다.
기 입국 국 의 통합 서를 수
있다.

입국· 국

수업 도입 /
1차시 어휘와 문법 2 2차시
전개 어휘와 문법 1

기관의 업 입국 국 관련 서
어도 되다 으려

pp. 88-91 pp. 88-91

14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도입 5분

도입

1. 교재 그 을 이용하여 학 들과 이 기하 이 과의
주제를 한다.
그림 ➊ ὾ᢶྖὊ⇊ؒᶾഞᷚᾒᶾẞ%᷶‫غ‬ᷚᤦ
ጾ᷑὎ᶾථᾆ὎ⵢӪᬀ὎ٖẞ%
그림 ➋ ᷶‫غ‬ઞᶾഞᾂҍУᵎẞ%὾ౚᢶྖὊ
ጾ᷑὎ⵢ࿶Ṟᶾẞ%
그림 ➌ ὾ࢲᾚઞ⇊ؒጾ᷑὎ⵢӪᾒᶾẞ%
὾ҍ὎Ẻᆶ℆ᓊᷚᤦᶾഞᷚᤦ ှⵢҖ⵪
❷ ᨢᾒᶾẞ%

2. 화 내용을 정리하 이 단원에서는 다양한


기관과 그 에서 할 수 있는 등에 해
부한다는 것을 알려 다.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이 단원과 관계있는 단원과 주제는 아 와
습니다. 아 의 내용을 고하시
부한 내용의 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
습니다
• 주제: 이 과의 주제 기관
О㉔゙⻓⹧㉂㋜ⳣㆺ
ㆺ⹮㇋ソ⾡㇅㉃㓲㈎" 학습자 주 의 주 , 보건
О㇓⻩〤㉂ⲠⲠ⳨Ⲥ
⳨Ⲥ㇋ⱉソ㊼⼈⾡㇅㉃㓲㈎" 등과도 관련지어 할 수 있습니다.
• 문법: 의도나 목적을 나 내는 으려고
하다와 관지어 할 수 있다.
1과

문화와 정보 /
말하기와 듣기 3차시 읽기와 쓰기 4차시 5차시
발음 / 마무리

입국 국 입국 국 입국 국
이용에 한 화하기 통합 서 기
입국 국 관련 입국 국
화 기 통합 서 기

p. 92 p. 93

과 어 141
45분 어휘와 문법 1 어휘와 문법 1

Ⲿ㍝㉔⵬㓺㊊」㋜ノ㐫 ㊼⿄ノ㐫 ㇋ソ⾡㇅㉃㓲㈎"


고하다 리 활에서 바 것이 있으 그것을 나 에
㎄クㄳⲕ⼾㓩ⷹ
알려 해 . 아이를 어 .다 으로 이사를 어 .
을 했어 . 이 것을 나 에 알려 .

고 이사를 서주 어 .나 에
알려 .

고 리 에 아이 어 어 . 나 에 알려 .
㋛⾅ソ⼾⿔ⷹ
㊼モ〃Ⲏㄳⲕ⼾㓩ⷹ
고 사 이 해서 부부 되 어 .나 에
㔝㉖ㄳⲕ⼾㓩ⷹ
알려 .

사 이 부부입니다. 아이 제 어 습니다. 「Ɐモ㇋ソ⾡㇅㉃㓲㈎"


제 이사를 습니다. 서 를 보 알 수 있어 . 그
서 서 . 한서 를주 에서 을
내고 을 수 있어 .

나 에서 하는 에서 운 에 있는 원이에 .
아주 한 으로 구나 게 이용할 수 있어 . ㇣⿜㊼゙⼾⽚ⷹ

사 다 원에서 제 것이 Ɐⱕ㋞ⷼソ⼾⿔ⷹ
Ɐⱕⱳ㋞㉃⿔ⷹ
어 들도 주사 맞는 것을 어해 .

아프기 전에 리 하는 것
Ⳅ㍣㇑ッ⾧㇋㉉㓸㈔" ㋂ヨ〉Ⲕㄹⲛ⽄㓸㈔
사 그 에 리기 전에 리지 도록 리 맞는
주사 . 를들 방 주사 있어 .
㇓⻩〤㉂ㆺ⺎ⲠⲠ⳨Ⲥ㉃㉔㈕㓲〗ㆺ㈎"Ɑ⳨㇋ソ⾡㇅㉃㓹ㆺ㈎"
아 이 는지 1 에 한 정도 을 하는
것이에 . ㄱ㍝Ⲿ㍝⾁゙⾡モ
저는 보건소에 가서 건강 검진을 받았어요.
㊼⿄ノ㐫「ⱯモⲎ㌿ソ⹬

단 진을 고 에어 안좋 지어
지 알 수 있는 서 . 154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1 (공공 기관 업무)

 도입, 제시  연습

1. 주 에 보건 , 주 등이 있는지 어 문에 기에 1. 각 업 관련 그 을 보 어 에서 을 하고 있는지 그 을해
는지 으 의어 는 리 기관에서 하고 을 본 이 있는지 이 기해 본다.
할 사용하는 표현 을 알려 다. 2. 기관 방문 과 그 에서 했 에 해 과 화하도록 한다.
᷶࿶ᖎὊ⇛ᷚᤦЊٖẾ℆ᐆ᥆⤺ࢢᓾѾᦖᷚЊᔂ​὾ᾒᶾ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ጾ᪲ᾆൖፂᷚѺ‫غ‬ᷚОᶾẞ%
᷶‫غ‬Ĺ‎ᾏ᫪Ӫĺ྆Ӫ᭲ᾒᶾẞ᷶‫غ‬ᷚᤦጾ᷑὎⵪ᨢᾒᶾẞ%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4. 교재에 나와 있는 업 이 에 이 장 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한다.
업 로 장할 수 있다.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할 수 있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14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ㆺ⸳ ⹅ⷹ
ㆺ⺎㓺㈯⵬ゥ㐠⼾㓽⻐㓩Ɑ⵬㓽㈕㓮㉃⵬㐖ⶀ⺃゙㈕㓲㈎
도 다
어 을 하고 을 자기보다 나이 나 를
㎊サㄹⲛ⽄⵺㒯㉚
⶟⵺㒯㉚㓸⸹
㓸⸹⹉㈔"
⹉㈔
㇩⾪
지고 있는 사 에게 을 구하 나 그 행동을 을
Оⱉ
ⱉ㉔ㇴ㉜ㆺ
㉔ ㇴ ㉜ㆺ 〕⸳⹃㈎"
〕⸳ ⹃㈎"
⵬⶙㉜ㆺ「ヌ㈎
해 사용한다. 그 행동을 계 하는 것이 아니
О㉖㐫⶟㉀⼈
회적으로 어 에 어 보다를 여서 사용한다.
㉖㐫⶟ ㊼
㊼モ〃Ⲏ ㄳ ⼾ 㓲⸳⹃㈎
Ⲏㄳⲕ
О㉔㊤㉔⹧㉃
㉃⿬⻻⸳⹃㈎" 그리고 하지 을 보통 (으) 안 되다 를
사용한다.
֛㆒⸳⹅ⷹ О⿔ⷹ ࢉ  ⿔㆒⸳⹅ⷹ
О㇪ⷹ ࢉ  ㇷ⸳⹅ⷹ

֛ㆺ⸳⹅ⷹ О㉜ⷹ ࢉ  ㉜ㆺ⸳⹅ⷹ


О⽐⹧ⷹ ࢉ  ⽐⹧ㆺ⸳⹅ⷹ
• 아이 아 데 해도
֛㓲⸳⹅ⷹ О⽓㓩ⷹ ࢉ  ⽓㓲⸳⹅ⷹ
О㊄㔥㓩ⷹࢉ
ࢉ  ㊄㔥㓲⸳⹅ⷹ
나 , 보세 .

7LS 〨㊐㊉㉜⸑⸊㉉㓲 ⺉ⷨÓ ㉆ ⾇㆚⹋ⷿÔ⽄ゟ㈛㓸㈔ • 제 에 전화해도


나 아니 , 에는 아이 자서 전화 을수 어 .
1 ⳝ⽊㉃「ⲕ㉔ㆫ⳨㓲「ヌ㈎
「⳨ • 여기 있는 어도 .
㆚㇑⹭㇀ⱏ⸹⹉㈔" ⶟⹭㇀ㇽ⸹⹉㈔
• 이쪽 문 어도 .
⹧ㆺ㇪ⷹ

1) 2) 3)
사다 사도 되다
-아도 되다
나다 나도 되다
( , )
다 와도 되다
ㇴ㉃㉜ㆺ「ⷹ ㇓⳨㇋ゾ㋞㉃㌳ⷹ ㊼⽓㇋Ɐⱕⱳ㋞㉃⿔㉀⻩ⱉⷹ
다 어도 되다
-어도 되다
다 어도 되다
2 ㇓⻩〤㉂㉔⻬⺃ㆺ⺗ⱼ⽓㓲㈎"㎣Ⲿ㇋ⱼ㉔ㆫ⳨㓲「ヌ㈎ ( , )
다 도 되다
ㄌ㇉㉚㉤ⷨ⸩㒨㉉ ㋩㇑㉝㉚㉤㇀ッ かⱏㇰⷨ⸩㈜ア㉚
㆚ⱏ㋢ⲛ㈄㇀㈔ ㉝㌹㑔⳥㓸ㆱ⹉㈔ ㇊㇀㈔ 전화하다 전화해도 되다
-해도 되다
고하다 고해도 되다
Ⲩか㉨㇜㉳ㄹ㍣㉉㓯⼁⾇㇀⺝Ⲃ㓸ㆱ⹉㈔"
Ⲩ 155 (하다)
장하다 장해도 되다

문법 1 (-어도 되다)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ᾚЊᶾഞᷚ‎⹞ⵦҍУᵎẞ%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ጾ᷑὎ፆᶾᓾӪᾒᶾ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ᖎ὾ᵎ὾ᆆࢽᵢᶾẞ‫؂‬࿶ቾጾ᷑὎⵾ᶆఆẞ%  연습 2
‫▦؂‬ᣧ᫪Ӫⵢઞᐳᒟᾢᵖᵎẞ%‫؂‬࿺୺᷶࿶ᖎὊᵎ὾ᆆࢽᵎᤦ
1. 리 활에서 의 을 아 하는 상황에 해 이 기하고
Ẃ▦ⵢ‫غ‬Њ⾢೮ᶾẞ⇋ỚᷚҖࢲ⯂὾Њ௎ళ૒ٖ%ᵒళ૒ٖ%
그 한 문장을 들어 서로 이 기해 보도록 한다.
ፆᶾᓾӪᬀᶾẞᶾළҖ⇒ፂ⵪ᨢᾒᶾ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이해시 다. 0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어 143
50분 어휘와 문법 2 어휘와 문법 2

㎄㉜ⲿÃ㈆ⲿ㉖㍝㇋ソ⾡㇅㉃㓲㈎"

록 한국 사 들 하나 있어 .
그 사 이 , 주 , 그리고 사 다 하나
있어 . 그 사 을 알 수 있는 .

록 국 도 한국에 있고 어 . ㈆ⲿ㉖⹬⼉㋛ ㇟㊼ⳍ ⲿ㊃㎍⹤ⳓ㔥

한국 의 주 등록 들어 . 국 이니
㎊㉢ⳅÉ㈌ⳅ㉜㍣㇑ッ⾧㇋㉉ㄹ㍣㓸㈔" ㈌ⳅ㉜⹲⼏㋡㉉ㄹ㍣㓸㈔
국 등록 이에 .

다 나 의 국적을 는 것이에 .
㑉㓯ㄳ㍝ソ⼾ㅏ「ヌ㈎

자기 나 국적을 리고 그 나 국적으로 㑎㓴ㄸ㍢ヂ ㄸⲚヂ


㈆ⲿ㉖⹬⼉㋛㉃
바 는 것이에 . ⷹㄱ⿔ⲕㄻㆺ㈎
□㇈⾦テ㐦
㇈⾦

@ ㈆ⲿ㉖⹬⼉
>>@ >@㍣⼸㉧Ⲋ㈋㔭⹂

국 이지 그 나 에서 동안 수 있는 ㍞⼳⳨ⱋ㉃
> @ ⹬⼉㋛㉯⿕ⳤ
>@ >@ⳤ⾦㍚〈ⲓ

ゞ㋣
서 . ⳬⱼ㓩ⲕㄻㆺ㈎ >@ ㍞⼳⳨ⱋ㇖㉭
>@ >@㉴㉡Ⳅ ⸁ㄋ〒ㄋ 

>@ ㍞⼳㉢ⲅ〃Ⲏ
>@ >@㍣⼸㋡〈ⲓ

㍞⼳㉢ⲅ㉃ > @ ㍣
㍣⼸㉧Ⲋ〧㇘ >@⹱⼎ゞ㓶〈ⲓㄸⲚ

⿏ⴽⲕㄻㆺ㈎ ハ ⾊ ハ〉 >@⵹


ハ⾊
ハ〉 >@㇘

록 국 이지 한국에서 고 어 . ゴⶩ㈨㉜⺨ⷧ ⶩ ㈨ ㉜ ㈋Ⳅ㉛⹱⼎⿳㔠


Ⳅ㊈
㈋Ⳅ㉛⹱⼎⿳㔠

㇘Ⳓ⿳㔠 ㇘Ⳓ⿚⳩㉜㉧ ㇘Ⳓ㈼㔼Ⳮⱐ


한국 를 주세 . 해 . ⸐㓰⿉Ⳅⶂ㋁ョ
㊉㔪⿳㔠 ㇉㉊

그 를 어 어 . 다시 고 어 .
㎊㉢ⳅÉ㈌ⳅ㉜㍣㇑ッ⾧㇋㉉㓸㈔" ㍤⼹ⳮⱑ㉉㇜㉳㓸㈔
제 지그 에 수 있어 .

하다 게 고 을 기간을 장해 .
㇓⻩〤㉂㎄㉜ⲿÃ㈆ⲿ㉖㍝㇋ⱉソ⾡㇅㉃㓹ㆺ㈎"㉔ㆫ⳨㓲「ヌ㈎
에 하 어 . 업 자
저는 출입국・외국인청에 가서 외국인 등록증을 재발급 받았어요.
어 . 그 데 한국 사 과 했어 . 자의
바 는 .
15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2 (출입국·외국인청 관련 서류)

 도입, 제시  연습

1. 교사의 주 등록 을 보여 주 학 들도 한 를 지고 있는지 1. 학 들이 지고 있는 지 하고 해 하는
그 것을 표현할 사용하는 어 를 운다고 알려 다. 업 지 어본다.
᷶࿶ᖎὊⵦշᷚ᷶ⶓⵢ࿶Ḳҍ὾ᵎ૒⇊ẞ% 2. 과 함께 자 에게 한 와 그것을 해 한 업 에
‫؂‬࿶ቾቆ ▦ᾏշ·ẂշᾂⒷᷚᤦጾ᷑὎᫪Ⓑ⵾ᶆ⵾ẞ% 해 해 보도록 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한다. 55ᴲЊ᷆ᇒ‎ᷚẂշᾂ೻ၧ↧὎ᾍᶾᒎ၂ᶾẞ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ဆጾ᷑὎᫪Ⓑ⵾ᶆఆẞ%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할 수 있다.
4. 운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14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
ㆺ⺎㉗㉃㉔⼡⳨㈯㓫㊜Ɐ㉃⽓㓬⺃゙㈕㓲㈎

㈌ⳅ㉜⹲⼏㋡㉉㉵⿛⳪ 어 을 이 고자 할 그것을 이 려 어
㈌ⳅ㉜⹲⼏㋡㉉㉵⿛⳪
⿚㉆⼁⾇ゟ㋤Ⲩ㇙ⳓ㉚ ㇩⾪
할 조건 등에 해 할 사용한다. 과에서 운
㓪㈔㓸㈔ Оⱉ ㄱ
 ㍝㇋
㇋ⱉ⻻⾁ ㆺ⺗
ㆺ ⱼ㓲ㆫ
ㆫ ⹃㈎"
⿚ⲛㅁ㉈⸩㈔
⵬⿮⿬ㄨ⼾㐖ヌ㈎
으려고 하다와 그 이합 진 고 할 수도
있다.
Оぅ㉢
ぅ㉢㇖㉭ㄳ㍝㉃
㍝ 㓩⻻⾁⿜⾤ ㇣ㆬ㉃
㓲ㆫ ⹃㈎
㓲ㆫ⹃
Оⱐ⳨㇋
ⱐ⳨㇋ ⱱ⽆
⽆㋜ ㆖㉀⻻⾁ュ㉃㉢
㉢㊼㆐㉀ヌ㈎

• 에서 을 해 보고 어 .
֛ ㉀⻻⾁  О⽬ⷹ ࢉ ⽬㉀⻻⾁

나 을 하려 회원 입을 해 .
О㉘ⷹ ࢉ ㉘㉀⻻⾁

• 을 전하고 데 .
֛ ⻻⾁ Оⱉⷹ ࢉ ⱉ⻻⾁

ù⽐⹧ⷹ ࢉ
ࢉ ⽐⹧⻻⾁ 나 을 전하려 여 이 있어 합니다.

1 ⳝ⽊㉃「ⲕ㉔ㆫ⳨㓲「ヌ㈎ • 한국에서 업하려 한국어를 .

「⳨ • 여행을 려 행기표를 해 해 .
㓱ⳅ㇀⽄㉭㓯⼁⾇
㓱ⳅ㇀⽄㉭㓯⼁⾇ 㓱ⳅ⹩⻕⽔⽄⽗㉚〛ㆱ⹉㈔
㇀⺝Ⲃ㓸ㆱ⹉㈔"

㓫ⲿㆺ⼾㉧㓩ⷹ 㓫ⲿ⹣⻏⽎⼾⽑㉔「ⷹ

1) 2) 3)

다 으려
-으려면 입다 입으려
( ) 다 으려
Ɐⱕ㉃㋜㐎ⷹ 〢㉢ⱉ⹅ⷹ ぅ㉢〃Ⲏㄳ㍝㉃㓩ⷹ 다 들으려
㈘⸽㉃㉢㊼㓩ⷹ ⸵㉃㆒ⴜㅾⷹ ㎄㉜ⲿÃ㈆ⲿ㉖㍝㇋ⱉⷹ

사다 사려
2 ㇓⻩〤㉂⾡㇅㉃㓩ⲕㄻㆺ㈎"ㆺ⺗ⱼ㓲ㆫ⹃㈎" 아 다 아 려
-려면
하다 하려
( , )
다 도 려
Ⲩか㉨㇜㉳ㄹ㍣㉉㓯⼁⾇㇀⺝Ⲃ㓸ㆱ⹉㈔"
Ⲩ 157 알다 알려

문법 2 (-으려면)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ᢶྖὊᶾഞᷚЎҍУᵎẞ%ĹẂշᾂ೻ၧ↧὎ᾶᐦؓᐥӪᬀᶾẞĺ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ᇚⵢӪᾒᶾẞ὾ᢶྖὊጾ᷑὎ᾍᶾᒎ၂ᶾẞ%૮᫦ᐥ὎ൖ‫࣯؂‬ᵒ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ఢҪ⇊ẞ%ጾ᪲ℊᙎፆ὾ⵎẞ⵪ٖẞ%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 연습 2
὾ᢶྖὊጾ᷑὎ⵢӪᬀᶾẞ%‫؂‬࿺୺‫؂‬ҍ὎ⵢီቾ‫࣯؂‬ఢ⇊ᵔᵎẞ
1. 리 학 들이 현재 바 는 것이나 계획하고 있는 것에 해 하고
ኑЊ⇊ܷⵎẞⵦҍ὾ᾒᶾẞ‫؂‬ҍ὾ܷᾒᶾᶆఆẞỚⵢઞҍԆ
그것을 이 려 한 것이 지에 해 다양한 의 을 하는
ⵎẞⵦҍᷚଊ⵾ᇚ⵪ൖĹ὆ီቾĺ὎ᢶẳ⵾ᤦỚⵢઞҍ὎ᇚⵢӪಮᷚ
화를 해 보도록 한다.
ܷⵎẞⵦҍ὎ᇚ⵪ᨢᾒᶾ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이해시 다. 1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어 145
50분 말하기와 듣기 말하기와 듣기

1 ㎄㉜ⲿÃ㈆ⲿ㉖㍝㇋ソぅ㉢㇖㉭ㄳ㍝㉃㓩⻻ⲕ㓲㈎ⷹ㉅Ⲣⱘ㉔㉔ㆫ⳨㓲「ヌ㈎

㋝㈢ ㆺソ㇪ヌ㈎ㆺ⺗ⱼ㇪ボㆺ㈎"
2-14 EBOOK
⻏⿄ ぅ㉢㇖㉭ㄳ㍝㉃㓩⻻⾁
ぅ㉢㇖㉭ㄳ㍝㉃㓩⻻⾁ㆺ⺗ⱼ㓲ㆫ⹃㈎"
1 2)
2-14 EBOOK ㋝㈢ ㇓⳨ㄳ㍝ソ⼾ㅾヌ㈎゙㋞Ⲣㄳ〤㋛㉂
직원: 어서 세 . 어 게 어 ⱉ㊔㇪ボㆺ㈎"
라민: 국 등록 을 하려 어 게 해
⻏⿄ ⶙㇓⳨ⱉ㊔ㇾㆺ㈎
직원: 여기 서를 세 . 사진과 분 을 어
㋝㈢ ㄆㄆ⼛ⷢ⽐㈢㉜ⷯⷹ
⽐㈢
라민: , 여기 어 .
직원: 수수료는 원입니다. ⻏⿄ ㉔⿮㇋ㄳ㍝㓩⾁㍞⼳⳨ⱋ㉔ㆿ⽎⵬㇖㉭⹃㈎"

라민: 이 에 하 제 을 수 있어 ㋝㈢ ㍸⸋ⶤ⳴㋜㇖㉭⹉ⷯⷹ


직원: 주 정도 니다.

1)ぅ㉢㇖㉭ㄳ㍝㉃㓩ⷹ
ぅ㉢㇖㉭ㄳ㍝㉃㓩ⷹ _⽐㈢ 2)㈆ⲿ㉖⹬⼉㋛ㄳ㍝㉃㓩ⷹ
㈆ⲿ㉖⹬⼉㋛ㄳ㍝㉃㓩ⷹ _ ⽐㈢
2 2)
직원: 어서 세 . 어 게 어
라민: 자 을 하려 어 게 해
2 ㇓⻩〤㉂㎄㉜ⲿÃ㈆ⲿ㉖㍝㇋ⱉソ㊼⼈⾡㇅㉃㓲㈎"
직원: 여기 서를 세 . 사진과 분 을 어
ュⷴⲢ㋝㈢㉔⹅ㆺ㎣Ⲿㇷ㉔ㆫ⳨㓲「ヌ㈎
그리고 한 서 도 지고 지
라민: , 여기 습니다.
이 에 하 나
직원: 한 정도 니다.

14-L.mp3

14-L.mp3 직원(여): 어서 세 . 어 게 어 ⻏⿄ㆊㇷ㋝㈢㉔㉔ㆫ⳨㓲㈎㉧⹦ⲕ⸄㓲「ヌ㈎


라민(남): 국 등록 을 재 으려 어 게 해
직원(여): 여기 서를 세 . 여 하고 사진 지고 1) ⻔⿉㆏ⷧ㈅㎉㉡ⳄÈ㈋Ⳅ㉛㍢㇐ⱙㆿ㈓"

어 외국인 등록증을 재발급받으려고 갔어요.


라민(남): , 여기 있어 . 그 데 국 등록 제 을
2) ㈋Ⳅ㉛⹱⼎㋠㉈㉴⿚⳩⿙㉅⼀⾆⾦㇊㉈ⱎ㋡Ⲛⱎㆰ⹈㈓"
수 있어
직원(여): 보통 주 정도 려 . 여권과 사진을 가지고 가야 돼요.
라민(남): 수업이 있을 기힘 데 로 아도
158
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㔶㑏
직원(여): , 지 하 에서 을 수 있어 .

출입국·외국인청 이용에 필요한 대화하기  확장 연습

 대화문 연습 1. 입국 국 에서 한업 에 해 원과 화를 할 것이 고
안내한다.
1. 입국 국 에서 한 업 등에 해 이 기하 교재의
2. 과 이 한업 있어서 방문한 국 과 국 에게 한
그 을 이용해 이 사 이 어 업 문에 을지 해 보도록 한다.
정보를 알려 주는 원이 되어 화를 해 보도록 한다.
὾ࢲᾚઞᶾഞᷚЎҍУᵎẞ%
὾᷶ᾚᖎὊᶾഞᷚᤦᾆⵢઞᖎᾂҍУᵎẞ% ὾ൖẂշᾂ೻ၧ↧᫪Ⓑ៚ᇖᵎ૒྆ᙎᾚ᷺ᾯѺ℆⇊ᓊӇ᫪ӪⒾᅢ
ᾚҳᓊӇ೻ᷚଊ⵾ᤦ௎ፅӪଊ૿⵾ᓾ᥂ẞ
὾ࢲᾚઞጾ᪲ᾆൖፂᷚ᷶‫غ‬ᷚṞ὎ٖẞ%
3. 이 기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2. 지시문을 이용하여 화 상황을 학 들에게 하게 알려 다.
하고 를 수정해 다.
3. 화를 들려주고 간단한 문을 하여 화 내용을 이해했는지
한다.
출입국·외국인청 관련 대화 듣기
὾ࢲᾚઞጾ᷑὎ⵢ࿶᷶‫غ‬ᷚṞᶾẞ%
‫؂‬ҍ὎ⵢီቾጾ᷑὾ⵎẞ⵾ẞ% 1. 지시문을 이용하여 등장 과 화 상황을 한다.
‫؂‬ҍ὎᫪Ⓑⵢቾ᫦Ў὾᷆ᇒࢢ҂ီẞ% 2. 문제를 고 들어 하는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4. 교사와 함께 화문을 으 서 자 게 하는 습을 한다. 3. 기파 을 고 문제를 게 한다. 다 과 문도 할
정도 해서 습한다. 수 있다.
5. 교 어 를 활용하여 과 함께 습하게 한다. ᫪Ⓑⵦҍ὎⣧ᐺၦ௎ᐥ὎ᨢᾒᶾẞ%
6. 습이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4. 교재 문의 을 한 해 화를 이 으 내용을 한다.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14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읽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50분

1 ⷹ㉅ⳡ㉃㉘ⲕ㋠⾤㇋⸄㓲「ヌ㈎

㑎㓴ㄸ㍢ヂ ㄸⲚヂ

□ ㇈⾦テ㐦
>9@ ㈋Ⳅ㉛⹱⼎ >@㍣⼸㉧Ⲋ㈋㔭⹂
>@ ⹱⼎㋠㉴⿚⳩
>@㍣⼸Ⳮⱐ㇛㉲
> @ⳤ⾦㍚〈ⲓ
>@㉴㉡Ⳅ ⸁ㄋ〒ㄋ
1) 외국인 등록(외국인 등록증)을 신청했어요.
>@ ㍣⼸㉧Ⲋ〈ⲓ
>@ ㍣⼸㉧Ⲋ〧㇘
> @㍣⼸㋡〈ⲓ
> @⹱⼎ゞ㓶〈ⲓㄸⲚ
2)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에 살아요.
ハ ⾊ ハ〉 >9@⵹
3) (주)한국새시에서 일해요.
ハ⾊
$QLVXUX 5DKPDQ ハ〉 >@㇘
ゴⶩ㈨㉜⺨ⷧ ⶩ ㈨ ㉜ ㈋Ⳅ㉛⹱⼎⿳㔠
㈋Ⳅ㉛⹱⼎⿳㔠
Ⳅ㊈ ⿡⳦⻔⸨ㄶ 1) ⻔㕢⽕㆏ⷧ⾦㇊㉈
㇘Ⳓ⿳㔠 2.
    
㇘Ⳓ⿚⳩㉜㉧
  
 ㇘Ⳓ㈼㔼Ⳮⱐ 
성 서 등에서 이 을 해 .
ㄸ㍢㓾ㆿ㈓"
⸐㓰⿉Ⳅⶂ
ⲓⳭ⸸㆙ァㄶ⸁㈧ⳃ〧〧⼍
㋁ョ
㊉㔪⿳㔠 ㇉㉊ 㕛⸐㊉㔪  2) ⻔㕢⽕㆏ⷧ㓰Ⳅ㇐ヂ 성 이 에서 이 것이에 .
〔Ⳅ㋁ョ 6KDKHHG7DMXGGLQ$KPHG$YH'KDND ㊉㔪⿳㔠  
㈧ⳤ⾦㍚ ㋁ 㓰Ⳅガㄶ ゞ㇈㉧⹱⼎⿳㔠  ㊉㔪⿳㔠
ㆿ⹳㇐ィ㆗㈓"
ⳤ⾦㍚
㇨㊏ⳤ⾦㍚ ゞ㇈㉧⹱⼎⿳㔠 ㊉㔪⿳㔠 3) ⻔㕢⽕㆏ⷧㆿ⹳㇐ヂ 이 에서 성이 아니 진 내 이 이에 .
ㄸ㍢㉜ ;; ㄸ㍢㉛ヂ⾊⺨ⷧ㉛ RAHMAN ㉜㓷㈓"
성 자 지 여자 지 .

2 ㇓⻩〤㉂ⲠⲠ⳨Ⲥ㇋ⱉソ㊼⼈⾡㇅㉃㓲㈎"ㄳ㍝ソ⼾ㅏ「ヌ㈎ 그서 를 .

㑎㓴ㄸ㍢ヂ ㄸⲚヂ 그 서 나 등록 을 이 지 사용할 수


□㇈⾦テ㐦
단어장
있어 .
>@ ㈋Ⳅ㉛⹱⼎ >@㍣⼸㉧Ⲋ㈋㔭⹂
>@ ⹱⼎㋠㉴⿚⳩ > @ⳤ⾦㍚〈ⲓ
ⳟ⾡㍕
>@㍣⼸Ⳮⱐ㇛㉲ >@㉴㉡Ⳅ ⸁ㄋ〒ㄋ ゞ㋣
>@ ㍣⼸㉧Ⲋ〈ⲓ > @㍣⼸㋡〈ⲓ ㍞⼳㋜
>@ ㍣⼸㉧Ⲋ〧㇘ >@⹱⼎ゞ㓶〈ⲓㄸⲚ
〢㇓
ハ ⾊ ハ〉 >@⵹ ㈷㔷⳨
⳨ⱋ
ハ⾊
ハ〉 >@㇘
ゴⶩ㈨㉜⺨ⷧ ⶩ ㈨ ㉜ ㈋Ⳅ㉛⹱⼎⿳㔠 ゙㇃㉢⹬⼉
⹬⼉⿮
⿮㔛
Ⳅ㊈
㈋Ⳅ㉛⹱⼎⿳㔠
ソ⾅
㇘Ⳓ⿳㔠 ㇘Ⳓ⿚⳩㉜㉧ ㇘Ⳓ㈼㔼Ⳮⱐ
⸐㓰⿉Ⳅⶂ ㉖
㋁ョ
㊉㔪⿳㔠 ㇉㉊ 㕛⸐㊉㔪
〔Ⳅ㋁ョ ㊉㔪⿳㔠
㈧ⳤ⾦㍚ ゞ㇈㉧⹱⼎⿳㔠 ㊉㔪⿳㔠
ⳤ⾦㍚
㇨㊏ⳤ⾦㍚ ゞ㇈㉧⹱⼎⿳㔠 ㊉㔪⿳㔠

ㄸ㍢㉜ ㄸ㍢㉛ヂ⾊⺨ⷧ㉛

Ⲩか㉨㇜㉳ㄹ㍣㉉㓯⼁⾇㇀⺝Ⲃ㓸ㆱ⹉㈔"
Ⲩ 159

출입국·외국인청 통합 신청서 읽기 출입국·외국인청 통합 신청서 쓰기

1. 그 을 보 의 내용을 하게 한다. 1. 자 이 입국 국 에 다고 각하고 어 것에 해 을


᷶࿶ᖎ὾࿺ᤦᅢᆆᔂ​὾ᾒᶾẞ% 할지 각하게 한다.
ᶾഞᷚᤦᔮᶾẞ% ᷶࿶ᖎ▦ᾏշwẂշᾂⒷᷚṦОᶾẞ%
⇊ٖؒ⇊⹆ᾚᴂᨢᾒ᷒ᶾẞ%ḮઢᐺẺቾ૮ᆂᢶྖ௎Ị὎ᐥ⇊ Ѻ‫غ‬ᷚЊቾጾ᷑὎᫪Ⓑ⵪ѺḒẞ%
ᵔᵎ௎὾࿺ᤦᅢᆆᾢᴂᨢᾒᶾẞ ‫؂‬ဆᶾഞᷚጾ᷑὎​ᶾᶆ⵾ẞ%

2. 서 양 의 기입 목들을 보 각 목에 어 내용을 적어 하는지 2. 자 이 내용을 간단하게 이 기해 본다.


본다. 3. 이 기한 내용을 바 으로 로서 의 을 게 한다.
὾ᢶྖὊጾ᷑὎᫪Ⓑⶒᶾẞ%
὾ᢶྖὊⵦշᷚᤦᶾഞᷚᢾᵎẞ%
὾ᢶྖ὾ᾆⵢઞӽὊᶾഞḒẞ%

3. 을 다시 으 서 문제를 게 한다.
4. 을 이 한 , 본문을 다시 으 는 어 는지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과 어 147
30분 문화와 정보 문화와 정보

출입국・외국인청(사무소)
㈌ⳅ㉜㉚ⳅⶃ㇑ッか㉨㇜㉳ㄹ㍣㉉㓯ⱳ⵲㈌ⳅ㉜⹲⼏㋡㉉ ㆳ㊼
ⳮ㒳Ⲡ
㒳Ⲡ㓱
㒳Ⲡ
㎃㍗
⿛⳪⿚㉆⼁⾇ ㎊㉢ⳅÉ㈌ⳅ㉜㍣㉚⵲ ㎊㉢ⳅÉ㈌ⳅ㉜ゟ⾧ヨ㇑ ㉖㍗
㉖㍗
ソ㈙

ソ㈙⵴〢
ⱏㆱ㓵ⷵⷿ
㉖㍗Ⲡ㓱
㓱 ㄆ㈢
㎊㉢ⳅÉ㈌ⳅ㉜㍣Ⲩ ㎊㉢ⳅÉ㈌ⳅ㉜ゟ⾧ヨⷨ ㊊ⳅ㇑ ⱡヨ
㎊㉢ⳅÉ㈌ⳅ㉜㍣ⱡヨ㎊㉢ⳅÉ㈌ⳅ㉜ゟ⾧ヨⱡヨ ⱏ㉤ㄴⷵⷿ
㍝㊼
㉚ⲥ㇑ッ㇉⾧⽄〒⼁⾇㉜㐱ⶥ㉆⼎ゟ㊊㇩ㆲ㉉㓯ⲛ⿢⾪㓸ㆱ
⸋㊄

㓵ⷵⷿⳣ⻯⵲㋡⾋ッ⽄⿛⳪⿚ⱳ⵲㈌ⳅ㉜⹲⼏㋡㉉⿚㉆⻯ⱓ
⺉ⷨ㇩ㆲ㓯㋢㆜㆘⸹⹏ⷵⷿ ⸋Ⲿ

㉜㐱ⶥゟ㊊㇩ㆲ⿢⾪ッかㄮ⽄㉚㈛㓯⼁⾇⽳㊈㓯㉚㏠⽌㆘ ㊄㊼ ㈙゜

ZZZKLNRUHDJRNU ㇑㊎ラ㓸ㆱ㓵ⷵⷿ 〢゜

㍄㈢
Ⲫ㊼
1) ㇂㊒㎊㉢ⳅÉ㈌ⳅ㉜㍣㉉⿢⾪㓸㈔" ⳮ㓲Ⲡ㓱

2) ㎊㉢ⳅÉ㈌ⳅ㉜㍣㇑ゟ㊊㇩ㆲ㉉㓯⼁⾇㇀⺝Ⲃ㓸ㆱ⹉㈔"
㇓ㄆ
3) ㇙⻯〪㉈㇀ⷦ㎊㉢ⳅÉ㈌ⳅ㉜㍣㇑ⱏ〝㇀㈔"

㊌㊼

160
60
60 ゟ
ゟ㔶㑏㓵㓡
㓡⼎ⳣ⻥ .,,3 
,,3 
,3 
3 㓱
㓱ⳅ㇀ㇽ
㓱ⳅ㇀ㇽ
ⳅ㇀
㇀ㇽ
ㇽ㓱㓱ⳅ⾪㔫
㓱ⳅ
㓱ⳅ⾪㔫
ⳅ⾪㔫
㔫 ㍲⳪
㍲⳪

출입국·외국인청(사무소)

1. 이 단원의 문화와 정보 에 한 것 지 알려 다.
᷶࿶ᖎᷚҖЊᾯⵎẞⵦӿӿ‫غ‬ԊὊᶾഞḒẞ%
᷆ᇒᷚⵦᒒᴳЊẞ%
ጾ᪲ᾆൖፂᷚЊẞ%

2. 교재의 그 (사진)을 보 서 주제에 해 알고 있는 것을 상기시 고


해 보게 한다. 이 관련 시각 자료를 로 활용할 수 있다.
⇊௎ᆆᓾቾ᷶࿶ᖎ⇛ᷚᤦЊᾯЊٖẾ▦ᾏշwẂշᾂⒷὊᶾഞḒẞ%
Ѻ‫غ‬ᷚᤦᇘ὾‫غ‬૮ᆶ⇊ᵔ὆ီቾᶾළҖⵢቾఢઞ⇊ᵎ᥂ẞ%

3. 교재를 이 으 서 내용을 한다. 이 한 정보 있는


부분에 을 나 표시하게 하는 것도 좋다.
4. 문 1, 의 을 아보고 하게 한다.
᷂…▦ᾏշwẂշᾂⒷ὎ᐳፂ⵾ẞ%
▦ᾏշwẂշᾂⒷᷚᢶ‎Ḓᶇ὎ⵢီቾᶾළҖ⵾ᶆఆẞ%

5. 문을 이용하여 학습자 자 의 을 해 보도록 한다.


᷶࿶ᖎὊᶾચ▦ᾏշwẂշᾂⒷᷚЊᔮᶾẞ%
Ѻ‫⇛⇊ٖغ‬ᷚᤦ᷆ᇒࢢ҂ီẞ%

14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마무리 20분

14-P.mp3
발음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1)㈌ⳅ㉜⹲⼏㋡>㈌Ⳅ⳰⹲ⶴ㌷@ 14-P.mp3
2)㇙ⳓ>㇙ಲ@
한자로 이 어진 단어도 한자와 한자 합하여
3)ㄹ〪㋡>ㄹ〪㌷@
화 어 이되 화 어 다.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그 등록 등 의 이다. 그 데
1)㈌ⳅ㉜⹲⼏㋡㉉ㄹ㍣㓸㈔ 화 어 이 아 에도 구하고 해
2)㈌ⳅ㉜⹲⼏㋡㉉⿛⳪⿚㉆⼁⾇㇙ⳓ㉚㓪㈔㓸㈔
3) ⱏㄹ〪㋡㉈ⱏ㊚ㇰモ㇀㈔"
한자 이 아 자리에 나 이 이
⵲⶟㇙ⳮ㉤㇀㈔ 으로 되는 한자들이 있다. 를 들어 과,
법, 등의 한자 그것이다. 단어로 를
들 서의 으로 하지 지
분 에서는 분 으로 다.
배운 어휘 확인


Ⲿ㍝ 
㑉㓯ㄳ㍝ソ ㄳⲕソ


㊼⿄ノ㐫 
㈆ⲿ㉖⹬⼉


㊼モ〃Ⲏㄳⲕ⼾㓩ⷹ 
⹬⼉㋛㉯⿕ⳤ


㎄クㄳⲕ⼾㓩ⷹ 
㍞⼳⳨ⱋ㇖㉭


㔝㉖ㄳⲕ⼾㓩ⷹ 
㍞⼳㉢ⲅ〃Ⲏ


㋛⾅ソ⼾⿔ⷹ 
ⳟ⾡㍕


「Ɐモ 
㍞⼳㋜


Ɐⱕⱳ㋞㉃⿔ⷹ 
〢㇓


㇣⿜㊼゙⼾⽚ⷹ 
㈷㔷⳨ⱋ


Ɐⱕ㋞ⷼソ⼾⿔ⷹ 
゙㇃㉢⹬⼉⿮㔛 • 이 단원에서 운어 기 나는 것을 해 보세 .

㈆ⲿ㉖⹬⼉㋛ 
ソ⾅ • 이 단원에서 운 문법

㇟㊼ⳍ 
㉖
•여 분 제 입국· 국 에

ⲿ㊃㎍⹤ⳓ㔥
• 입국· 국 에서 어 을 할 수 있어
•여 분 입국· 국 의 이용 방법을 알아
Ⲩか㉨㇜㉳ㄹ㍣㉉㓯⼁⾇㇀⺝Ⲃ㓸ㆱ⹉㈔"
Ⲩ 161

발음 10분 마무리 10분

1. 교재 1 을 들려주고 , 의 이 어 게 들리는지 학습자 1. 단원에서 학습한 어 기 하는 것을 해 보게 한다.


로 해 보도록 한다. 2. 운어 목록의 어 들을 으 서 의 를 상기시 다.
2. 이 한 자들이 이 으로 다는 것을 알려 다. 3. 단원에서 학습한 문법( 어도 되다, 으려 )을 상기시 의 와
이 의 자로는 의 법 등이 있다는 정보를 하여 사용법을 기 하는지 한다.
수 있다.
4. 단원의 목표와 성 도를 한다.
3. 교재 1 을 다시 고 교사를 해 본다.
5. 익힘책을 과제로 제시하고 리한다.
4. 교재 화를 고 해 본다.
5. 과 함께 화를 으 습하게 한 에 한다.

과 어 149
15 과
무역 회사에서 번역 일을 하고 있어요

15

무역 회사에서 번역 일을

수업 목표 및 내용
하고 있어요
제 장 활

어 업 관련 어 를 익 다.
문법 고 있다, 의의 와 를
익 사용할 수 있다.

㋂㊒ ㇀㕔ㇽ⾪⿹
⿹ 㔮⹃ ⾪㔫ㇽ㊐〒
하기 장에서 업 관련 화를 할 수
㋣㉳サ㔮 ㇉⾧Ⲫ⼃㇀
㇀㕔 ㇉⾧㋢ㄷ⿚ⳮ 㓱ⳅ㔶ゟ㉕㋣㈵
있다. ‫ⲛ ܆‬㉤ⷿ
 ㇉⾧Ⲫ⼃⽼㉝ㆄⳮ
‫㉈ ܆‬
기 업 관련 화를 고 이해할 수 있다.
기 업 관련 을 고 이해할 수 있다.
기 업 관련 을 수 있다.

한국 회사의

수업 도입 /
1차시 어휘와 문법 2 2차시
전개 어휘와 문법 1

하는 에서 자주 장업
하는 건 이
고 있다

pp. 94-97 pp. 94-97

15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도입 5분

도입

1. 교재 그 을 이용하여 학 들과 이 기하 이 과의
주제를 한다.
그림 ➊  ὾ᢶྖὊᶾഞᷚᤦᾆⵢઞҍУᵎẞ%
ᦚᷚ೮Ӫᾒઞҍ὾ጾ᷑ᾆٖẞ%
그림 ➋  ὾ౚᢶྖ὾ᾒઞӽὊᶾഞᾆٖẞ%
ౚᢶྖὊ⇊ؒጾ᪲ᾆ὎ⵢӪᾒᶾẞ%
그림 ➌  ὾ᢶྖὊᶾഞᷚᤦᾆ⵾ẞ%
὾ᾆ὎ⵢီቾጾ᷑὎ᾢ⵾ᶆ⵪ٖẞ%
❷ 2. 화 내용을 정리하 이 단원에서는 장, 업 ,
등에 해 부한다는 것을 알려 다.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이 단원에 나 는 관 문법 합하는
것이 지와 시제에 각 과에
나 어 되어 있습니다. 기 학 습한
내용을 고하여 이 과의 내용을 지도하시
О㉔゙⻓⹧㉂㋝㉭㇋
㇋ソ㋜ⳣ⾡ㄪ㉗㉃㓲㈎" 좋 습니다.
О㇓⻩〤㉂㋝㉭㇋ソ
ソ⾡ㄪ㉗㉃㓲㈎"
• 문법: 관
1과 용사 관
과 동사 현재 관
1 과 동사 관

문화와 정보 /
말하기와 듣기 3차시 읽기와 쓰기 4차시 5차시
발음 / 마무리

업 관련 화하기 업 기 한국 회사의
장에서 하는 기 업 기

p. 98 p. 99

과 회사 어 151
45분 어휘와 문법 1 어휘와 문법 1

㇓⻩〤㉔㉗㓩ⷢⲟ㇋⾡㇅㉔㉞ㆺ㈎"

ソ⼳ ⾅㓮 ゙㈢㋛
회사에서 한 내용을 나 이에 는
것이에 .

함 자 의이 , 업, 주 , 등을 적
이 .

사원 그 회사 원이 는 것을 알 수 있는 사진이
있는 .
사원 사원 」゙⳨ 㓛⽈㐫

사 어 문서를 것으로 여 장 들수
있는 기계 .

로 서 를 이에 하는 기계 .
㎄ⳟ〢 ㆔㊄⾈㆔㊄㔥

그 원이 회사에 시에 는지 회사에서
시에 나 는지 는 서 . ⳨Ⲑ ⲠⲾ

전 리를 보 하기 하여 는 자.

전 을 보 하기 하여 는 . ㇓⻩〤㉂㉗㓩ⷢⲟ㇋ソ⾡㇅㉃㉢㊼゙㈕㓲㈎"㉔ㆫ⳨㓲「ヌ㈎

계 사 이할수 는 을 하는 것이에 .
저는 사무실에서 일해요.
우리 공장에는 기계가
저는 사무실에서 복사기와
건을 들 나 고 는 데에 는 건이에 . 많아요. 그리고 저는 일할 때
프린터를 자주 사용해요.
공구를 많이 사용해요.

164 ゟ㔶㑏㓵㓡⼎ⳣ
ⳣ⻥ .,,3 㓱ⳅ㇀
㇀ㇽ
㇀ㇽ
㇀ㇽ
ㇽ㓱ⳅ⾪㔫
㓱ⳅ⾪㔫

㓱ⳅⳅ⾪㔫
⾪㔫 ㍲⳪

어휘 1 (일하는 곳)

 도입, 제시  연습

1. 하는 에서 자주 수 있고 사용하는 건에 한 단어로 어 1. 하는 의 건 사진을 보 어 건 지 이 과 사용한 을


것을 알고 있는지 으 의 어 는 하는 에서 사용하는 이 기해 본다.
건의 이 을 운다고 알려 다. 2. 하는 에 어 건을 사용하는지 과 화하도록 한다.
᷶࿶ᖎᾆⵢઞӽὊᶾഞḒẞ%‫؂‬ӽᷚᤦጾ᷑὎ᾚ℆ᢶẳ⵾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ḮઢὊ‫؂‬ӽᷚᤦᢶẳⵢઞፆѾ὾ᆎ὎ӿᖊ⵾ẞ
ᓿᢶ‫غ‬ᆆᾚ℆ᢶẳ⵾ẞ%ጾ᷑὎⵪ൖᢶẳ⵾ẞ%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4. 학 들이 원할 교과서에 나 지 다양한 건들의 이 을
한다.
알려 주는 것으로 장할 수 있다.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할 수 있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15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㉞ⲕ܀‬

⸽㉣㉏㋞㓺㉃⽓㓬⺃゙㈕㓲㈎
고 있다
⶟㊒ⱏ㋢⳩
ㇰⷩキカ㓐㉚
⹭㇀㈄㋢㈔"
㊐⽌㓯ⲛ㉤ㄴⷵⷿ 어 동 이 나지 고 지 도 진행 을나 다.
㇩⾪
지 을 하는지에 해 할 사용한다. 는 어
Оⱉ㓫ⲿ㇋
㇋ソ⾡
⾡ㄪ㉗
ㄪ ㉗㉃
㉃㓩ヌ㈎"

⵬㊂
 ⷢ⾡㇔㔰゙㇋
㔰 ソ⿮㇔㉗㉃

을 적으로 지 한다는 의 를 나 내기도 한다.
㓩ⲕ㉞ㆺ㈎

О㊂ⷢ
㊂ⷢ㋜ⳣ
㋜ ㈙゜㇋
゜ ソゞⲕ
ⲕ㉞ㆺ㈎
О㍬⹬㓪
㍬⹬㓪ⲹ㇋ソ
⹬㓪ⲹ㇋ソ
㇋ソ 㓪ク
㓪ク⹧㇋ⱼ
ク⹧㇋ⱼ
⹧ ⱼ㇟ㆺ⼾ • 아 부 하고 있어
ⱉ⼻㎡ⲕ㉞ㆺ㈎
나 구 와서 리를 하고 있어 .
֛ ⲕ㉞ⷹ О㍅ⷹ ࢉ
ࢉ ㍅ⲕ㉞ⷹ
Оゞⷹ ࢉ ゞⲕ㉞ⷹ

• 이 , 을안해
Оⲕ㎡ⷹ ࢉ
ࢉ ⲕ㎡ⲕ㉞ⷹ 나 악을 고 있어서 어 .
О㉗㓩ⷹ ࢉ
ࢉ ㉗㓩ⲕ㉞ⷹ

1 ㉔゙⻓⹧㉂㋜ⳣ⾱㓩ⲕ㉞ㆺ㈎"㉔ㆫ⳨㓲「ヌ㈎
• 조용 해 주세 . 아기 지 을 자고 있어 .

• 는 자동차 장에 다니고 있어 .
「⳨
⻕⿊㆐ⷨ㋢⳩
㓰ⲿ㇑ッㄷ㔈㉉〒ⲛ㉤㇀㈔
⾷㓯ⲛ㉤㇀㈔"

⻏⿄ ㄱ㔂㉃「ⷹ

1) 2) 3)

㉔⽍ 㔼㇍ ⳮナ⿄

⾦Ɐ㉃㒃⽝㓩ⷹ ⿷㑪⵴ㆺ⼾ⱉ⼻㎡ⷹ ⶰ㉔Ⲡ㈢㇋ソⶰⷹ

2 ⷹ㉅㇋⸋㓲Íⲕ㉞ⷹÎ⼾゙㈕㓲ソ㎣Ⲿㇷ㉔ㆫ⳨㓲「ヌ㈎

다 고 있다
㋜ⳣ゙ⷢⲟ ㋜ⳣ㓩ⷢ㉗ ㋜ⳣ⿞㈖ⷢⱵ -고 있다 다 고 있다
( , ) 하다 하고 있다
Ⲩ⾧㇚㔶ゟ㇑ッ⿴㇚㉝㉉㓯ⲛ㉤㇀㈔
Ⲩ 165 들다 들고 있다

문법 1 (-고 있다)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ᇋᴲЊ⇊ؒጾ᪲ᾆ὎⵾ẞ%⇊ؒᣋᢶЊ὾ᇋᴲЊጾ᪲ᾆ὎ⵢઞ⇊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ᵖӪᬀᶾ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ᇋᴲઞᾆ὎ᵎ℆ᾢⵢઞᢶྖ὾ᷚẞ‫ྡྷ؂‬ᤦᾚ‫غ‬Њ⵾ᶆⵢઞᾆ὎  연습 2
ᾢᵖᵎẞ὾ᇋᴲὢᣋᢶЊᣒᣋⲒ὾೮ᶾṞᶾẞ%֋ؒ⵾ẞ὾ᇋᴲઞ
1. 지 사는 , 지 하는 , 지 는 것 등의 주제에 해
‫؂‬ᣋⲒ὎‟ᆶⵢઞᾆ὎᫦ᾛⶒᶾẞ‫؂‬ᆶӪᵎ⇋ࡧࢢ⇊ᵔᵢᶾẞ⇊ؒ
이 기해 보도록 한다.
⵾ẞᵎ⇋ࡧࢢ⇊ᵔὊᾆ὎ᇚ⵪ൖĹӪᾒ૮ĺᆆᢶẳ⵾ẞ
⇊ؒᶾഞᷚᢾӪᾒᶾẞ%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ᢾӪᾒઞӽ὾ᶾഞḒẞ%
이해시 다.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과 회사 어 153
50분 어휘와 문법 2 어휘와 문법 2

㇓⻩〤㉂㋝㉭㇋ソㆺ⺎㉗㉃㓲㈎"
하다 서 는 자기 로 안 . 여기에 㒍ㄨ⼾「⵽ⷹ
ソ⼳⼾㎄⻼㓩ⷹ ㉔⽶㉗㉃「⵽ⷹ
을 하는지 정해 있어 . 정해진 로 는 것을 ソ⼳⼾⿮㇔㓩ⷹ
ソ⼳⼾」゙㓩ⷹ
㎄ 㔦㉖㊄㔥⼾㓩ⷹ
성한다고 해 . ⳟ

하다 다 나 로 을다 나 로바 어
는 것이에 .
하다 다
하다 서 를 이에 프 해 .

하다 려 다 ソ⼳⼾㉣ナ㓩ⷹ ⳟ
사하다 서 를 것으로 10부 들어 .
⾦Ɐ㉃⹧ⷹ
내다 서 를 에 있는 사 에게 전화 ⾦Ɐ㉃㇭⽆ⷹ
㎄ ⾦Ɐ㉃ㄴⷹ
보내는 것이에 . ⳟ

이 을 내다 에서 편지를 .
전 하다 이 , 도 했어 ⳨Ⲑ⼾㏑ⷹ ⾦Ɐ㉃⵽⽆ⷹ
어 알고 어서 전화를 해 . ⳨Ⲑ⼾ⵘⷹ


계 다 다 하 기계의 , ⳟ
할 해 . ⾦Ɐ㉃⽐⹧ⷹ ⾦Ɐ㉃㇯⳨ⷹ

을 다 여기에 있는 것을 다 으로 지고 .
㇓⻩〤㉂㋝㉭㇋ソ⾡ㄪ㉗㉃㓲㈎"㉔ㆫ⳨㓲「ヌ㈎
을 들다 건을 다 으로 기려 으로 들어
. 부 해 . 이것 들어 주세 .
을 리다 아 에 있는 것을 로 려 . 저는 회사에서 서류를 번역해요.
보통 컴퓨터 앞에서 일해요.
을 내리다 에 있는 것을 아 로 내려 .
을 들다 장에서는 건을 들고 그것을
아 . 16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2 (직장에서 하는 일)

 도입, 제시  연습

1. 장에서 어 을 하는지 으 는 단어는 장에서 하는 1. 학 들에게 어 장에 다니는지, 장에서 하는 지,


을 표현할 사용하는 단어 을 알려 다. 할 사용하는 도구는 지 문을 진다. 에서 운어 1
᷶࿶ᖎὊ⇋ᾯᷚᤦᶾථᾆ೮὎⵾ẞ%‫؂‬ᾆ὎ᾚ℆⵾ẞ% 단어들과 함께 합하여 문장을 들도록 도한다.
⇋ᾯᷚᤦⵢઞᾆ὎ⵦշᶾၦᶾළҖᇚⵢቾₕ὎ٖẞ% 2. 과 함께 자 이 장에서 하는 의 특징에 해 해 보도록 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한다. 55ᴲЊ૮૒ઞ⇋ᾯὊᶾථӽ὾ᷚẞ%⇋ᾯᷚᤦᶾථᾆ὎ᇘ὾⵾ẞ%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ᾆ⵪ൖጾ᪲ፆѾ὎ᾚ℆ᢶẳ⵾ẞ%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5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할 수 있다.
4. 운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15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
⹘㇋㇪ⷢ⾅゙⼾ㄆㄲ㓩⽿ⲢⱭ㇋㉗ㆺⵯ⸽㉣㉃⽓㓬⺃゙㈕㓲㈎

에 는 사의 상 를 하는데 그 상 되는
㆚㊕⻕㆐⿴㇚㓱ッ⼹

㊧ⱏ㊚ㇰヒ㈔
⶟㆝Ⲉㄴⷵⷿ
㇩⾪
동 이나 행 과 에 어 나 료 행 을
Оⱉ㕯㇋㈖
㈖ㆊ ㆒⳴⸳㌼㓫
㓫 㐡⿞
㐡⿞⼾
㊂㌎㉀⼈㇯
㇯Ⲅ㊼ヌ㈎
나 다.
⵬⶙
 ㆗Ⲃㄮⷯⷹ

О㉔Ɐ
㉔Ɐⲕ㓼㇋
㇋ ⱔ㉃
ⱔ ⺃㌳㉂゙㋞
㋞㉔㇋㈎
О㓛⻗ㄨ
㓛⻗ㄨ㇋ソ
㇋ソ
ソ ㇬㆒⵬㉔ㄨ㉜
㉔ ⷯⷹ • 안 의그 어 에 있어
나 제 그 그 기에 있어 .
֛ ㉂ О⽬ⷹ ࢉ ⽬㉂

О㌳ⷹ ࢉ ㌳㉂
ࢉ • 이 사진 제 어
֛ ˴ Оⱉⷹ ࢉ ⱋ
ࢉ 나 고등학교 업 사진이에 .
ù⽐⹧ⷹ ࢉ
ࢉ ⽐⹥

• 어제 제 이 . 보세 .
1 ⷉⱉⳝ㉗㉃㓹ㆺ㈎"㉔ㆫ⳨㓲「ヌ㈎
• 에 바지 아 .

⷏ⱏ㉚㊒㓐㉉ ㊼ⱋ㇃⾡㉗㋜
㒉⽣㓿㇀㈔"
㇉⾧ⶃ㈛ ⸉⸍㉨ ㉚㊒㓐㉉㒉⽣㓱ゟ⻙㉈
「⳨ ㊒㓐㉉㒉⽣㓯ⷿ ㉚⽓ ㉚⽓㆐㇩㈔
1) 㐧⿤⽄ㇵⳮⷿ ㉚ッ㋄
2) 〒ⲛッ⽄㉩バ㓯ⷿ ⳴ⲛ㉈
3) ⾪㉕㊊㔫⽄⿚ⷿ ⹩⿈㑰⽌ 다
-은 다
( ) 입다 입
2 ㎣Ⲿ㇋ⱼ㋜ⵯ㉗㇋⸋㓲⾦ㆺ「ⲕ㓮ⴖ㉔ㆫ⳨㓲「ヌ㈎ 다 들

㊼⽓㇋⽐ⵯ゙⻓ ㇪ⷣㄆ㇃㇋㇪⳨㊄㇋㓫㉗ 자다
-ㄴ 사다
㋜ⵯ⿜㓪 㕖ⱉ⳨ⱋ ㇋ⱋⲟ ㆺ㊌㔰゙㇋ソ㓫㉗
( , ) 하다 한
Ⲩ⾧㇚㔶ゟ㇑ッ⿴㇚㉝㉉㓯ⲛ㉤㇀㈔
Ⲩ 167 들다

문법 2 (-은)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ౚᢶྖὊ⇋ᾯᷚᾒઞҍУᵎẞᣋᢶЊᵒ‫྆‮‬ᴲᷚҖ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ᾆ὾ࡧࢶᶾẞ%ᵒࡧࢶᶾẞ%ፆᶾᔚẞᵎᇒ‫؂‬ᾆ὎ᣋᢶЊᶾ…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ᵒ‫྆‮‬ᴲᷚҖ᫦✺ᶾẞ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 연습 2
‫؂‬ᾆ὎ᣋᢶЊᶾ…ᵒ‫྆‮‬ᴲᷚҖ᫦✺ᶾẞ‫ྡྷ؂‬ᤦᵒ‫྆‮‬ᴲઞ
1. 과지 에 해 고 하 서 을 활용하여 자 의 이 기를
Ḯઢٖ⇊‫؂‬ᾆ὎૮ࡧ࣒ᶾẞᣋᢶЊ‫؂‬ᾆ὎ᶾ…὾ᶆ‫ⶒغ‬὆૒ٖ
하도록 한다.
‫؂‬ᾆὊԆѺᆆⱦ᫦⵾ᶆ⵾ẞ‫؂‬࿾ൖĹᒒ᷷ⵦᤦᅢĺ྆Ӫᇚ⵾ẞ
2. 과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이해시 다.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회사 어 155
50분 말하기와 듣기 말하기와 듣기

1 ⻏㕝⽐ㆊㇷ⿓㉭ⷴ㉔㇃⾡㉔ㆫ⳨⼾㓲㈎ⷹ㉅Ⲣⱘ㉔㉔ㆫ⳨㓲「ヌ㈎

2-15 EBOOK ⿓㉭ⷴ ⻏㕝⽐ㆊ㇪ⷣ⸳㆔㊄⾈㉠㋜⽓ⲕⴤㅾヌ㈎

1 2) 2-15 EBOOK
⻏㕝⽐⶙⿓㉭ⷴ

반장님: , 도 안전 지 고 세 . ⿓㉭ⷴ㋜ⳣ⾡ㄪ㉗㉃㓩ⲕ㉞ㆺ㈎"

라흐만: , 장 . ⻏㕝⽐ ㆒⳴⸳㌼㓫⾦Ɐ⹧㉃㇯⳨ⲕ㉞ㄮⷯⷹ


반장님: 지 을 하고 있어 ⳝ⻫⸣㇪ⷣ㉣㇃㉂ㆿ⽎⵬㓲ㆫ⹃㈎"
라흐만: 어제 들어 건들을 기고 있습니다. 그 데 ⿓㉭ⷴㄱ⳴㋜㈎㉗㉔ⷹⵣ⵬⾁⳨Ⲑ㊄㈢ⵘⷢⱭ
업 나해 ㉠㉀⾁㆔⹃㈎
반장님: 시 지 . 이 다 나 하게 정리하는
으 안 .
1)㆒⳴⸳㌼㓩ⷹ
㆒⳴⸳㌼㓩ⷹ _⳨Ⲑ㊄㈢㉃ⵘⷹ
⳨Ⲑ㊄㈢㉃ⵘⷹ 2)ㆺ㊌⹧ㆺ㇪ⷹ
ㆺ㊌⹧ㆺ㇪ⷹ _ⴀⵡ㓩ⱼ㊊⽆㓩ⷹ
ⴀⵡ㓩ⱼ㊊⽆㓩ⷹ

2
2 ㇓⻩〤㉂㋝㉭㇋ソㆺ⺎㉗㉃㓲㈎"㓫ⲿ㇋㇪⳨㊄㇋ㆺ⺎㉗㉃㓹ㆺ㈎"
가: 한국에 기 전에 고 에서 한 이 ㎣Ⲿㇷ㉔ㆫ⳨㓲「ヌ㈎
기(회사, 장)에서 한 이
나: 한국에 기 전에 제 한 학교에서 이 어 .

15-L.mp3

15-L.mp3
과 장(남): 안 ,지 을 하고 있어 ㆔㊏⻏ㆊⱉ゙⾡ㄵ㇋ソ㉗㓩ⲕ㉞ㆺ㈎㉧⹦ⲕ⸄㓲「ヌ㈎
안젤라(여): 국에서 어제 을 하고 있습니다.
1) ㆙㊔⻔㆏ⷧ㋡⳨⾦ㄯ㉜㉈㓮Ⲛ㉣ㆿ㈓"
과 장(남): 그 그 이 나 제 전에 서 메일을 번역하고 있어요.
사해 이 시에 회의 있어 .
2) ㆙㊔⻔㆏ⱎ㓷ㆰ⹊ⷧ㉜㉈⾍⹑Ⲛ⽀パ㈓
안젤라(여): , 과장 . 회의에는 분이 하세
Ұヂ⼸〒ゞ ұ㔵㉔㋃お
과 장(남): 이 할 . 사한 다 에 회의
Ҳ㔵㉔㍅ッ ҳヂ⼸⿳㇙
도 해 주세 . 부 해 .
168
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㔶㑏

업무 이야기  확장 연습

 대화문 연습 1. 한국에 기 전에 고 에서 한 에 해 이 기한다고 알려 다.


2. 과 이 자 이 과 에 한 에 해 이 기하게 한다. 화를 할
1. 장 업 상황에 해 이 기하 교재의 그 을 이용해 어
는다 과 내용을 함하여 하도록 지시한다.
상황 지 해 보도록 한다.
ⵦշᷚḮ‫غ‬‎ᷚ…ЊⵦᾆὊ
὾ౚᢶྖὊᶾഞᷚᾒઞҍУᵎẞ%
ⵦշᷚḮ‫غ‬‎ᷚ…Њ૮૖⺖ᢶઞ
὾ౚᢶྖὊᶾථԊӎᾂҍУᵎẞ%
ⵦշᷚḮ‫غ‬‎ᷚ…ЊᾆⵦӽὊ
὾࿺ӽᷚᤦᾆ⵪ൖጾ᷑὎⁺᫶⵾ᶆ⵪ٖẞ%
3. 이 기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2. 지시문을 이용하여 화 상황을 학 들에게 하게 알려 다.
하고 를 수정해 다.
3. 화를 들려주고 간단한 문을 하여 화 내용을 이해했는지
한다.
직장에서 하는 일 듣기
὾ౚᢶྖὊᶾഞᷚᤦ὾ᶆ‫⵾غ‬ẞ%
὾ࢲᾚઞ⇊ؒጾ᪲ᾆ὎ⵢӪᾒᶾẞ% 1. 지시문을 이용하여 등장 과 화 상황을 한다.
ᐢᾯૢὊࢲᾚᷚҖጾ᪲ᾆ὎᫦✺ᶾẞ% 2. 문제를 고 들어 하는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4. 교사와 함께 화문을 으 서 자 게 하는 습을 한다. 3. 기파 을 고 문제를 게 한다.
정도 해서 습한다.
4. 교재 문의 을 한 해 화를 이 으 내용을 한다.
5. 교 어 를 활용하여 과 함께 습하게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6. 습이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한다.

15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읽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50분

1 ⷹ㉅ⳡ㉃㉘ⲕ㋠⾤㇋⸄㓲「ヌ㈎

받은 메일

보낸 사람 김정수 과장

제목 안젤라 업무

첨부파일: 제품 구매 확인서

㇟ⷘ㓙⼻㓘㇀ゲ㇡ⲅㆡゲ⼳、⵷ⷤⷮ㓠Ⲵㆯ⻽⿣㇉〗㐌㓤ⷤⷮ⵲㉌ Ⳙ ㄦ⳩㋑ⵘ⵲ㆠ
⸾ⷤⷮ
다 사 이 나에게 을보 어 .내
ㆯ㊇⿎㇀⸘㉉〺⹘ゎ㉢㉉㓠Ⲵ㇀⸨㌱㓮ㄣⷤⷮ㇟ⷘ㔥㉄㓞⻞㈋⼻㔥ゎ⼳⿑⾙㓡Ⱪⷤⷮ
그 을 어 . 그것을 이 고해 .
㊺㈃㓠ペⷩ㉉ⷤ⳩㎘㉺㓞ⱱ㔥ゎㆉ⵲㊖〗㐌㓤ⷤⷮⳒ⼻Ⲋ㔥㉄⹸㐾㇉⸨〗㐌㓤ⷤⷮ
사 나한 을보 어 .그사 이
1) ㆙㊔⻔㆏ⷧㆿ⺓㉜㉈㓷ㆰ⹈㈓" 보 사 이에 .
Ұ⿳㇙ ұ㒈⽢ Ҳ⿣ヰ ҳⳃ⽢

2) ⲧ㉲ⷹ㉙ㄶ㐕㉜㉇㇁㊑⳹㋡㓷ㆰ⹈㈓" 내일(금) 3시까지 해야 돼요. 단어장 계 회사와 회사, 사 과 사 이 한 을


㑉㇔㓩ⷹ
㓩ⷹ
ⷹ 서 입니다. 계 서를 을 지 합니다.
3) ⸨㉙お⹨ゞ㉲㉇㉙㔵ゞ㇐⾦ㄯ㉜⼍ㇼ㈓" 회의하러 와요.
하다 을 제 지 해 주세 . 다
2 ㈯Ⲣ㉭ⷴ㉏⽶㉗㇋⸄㉭㉃ㅏ「ヌ㈎
사 에게 이 기해 .

보내기 미리보기 저장하기

받는 사람 김정수 과장님 주소록


제목 업무 메일 확인했습니다.

Ⲩ⾧㇚㔶ゟ㇑ッ⿴㇚㉝㉉㓯ⲛ㉤㇀㈔
Ⲩ 169

업무 메일 읽기 업무 메일 쓰기

1. 의 내용을 하게 한다. 1. 어 을 지 알려 주고 에 들어 내용을 각해 보게 한다.


ᶾථ₏ᅢὢ؊὾ᷚẞ%ᶾഞᷚᤦᇘ὾ᔆᨢᾒᶾẞ%὾ထҖ⺖ᢶᷚᤦ ḮઢὊ⺖ᢶᾆၦᐥઞ቞ᾆᷚ૿ᾯ὎ᴂѺḒẞ
቞ᾆ὎ᴂൖઞጾ᪲ࢾẳ὾ᇘᵎẞ% ቞ᾆᷚⵎẞⵦࢾẳὊጾ᷑ᾂЊẞ%

2. 을 어 게한 주제, 내용 등을 간단 해 보도록 한다. 2. 교재 문에 해자 이 내용을 간단하게 하도록 한다. 교사는


਎Њᓾࣂ቞ᾆ὾ᷚẞ%ᵒ‫྆‮‬ᴲЊ⵪ᾆ὾ፚḒẞ%ᒒ᷷Ὂ᷂…ٖ⇊ 학 들이 에 는지 해 다.
⵾ẞ%⺖ᢶᷚ਎ЊṊẞ% 3. 한 내용을 바 으로 로 성하게 한다.
ᵒ‫྆‮‬ᴲઞ⦿᷷௎⵾ᶆ⵾ẞ%

3. 을 다시 으 서 문제를 게 한다.
4. 을 이 한 , 본문을 다시 으 는 어 는지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과 회사 어 157
30분 문화와 정보 문화와 정보

한국 회사의 직위
㔶ゟ㇑ⷨ㇙⻯㋣㈵ⱏ㉤ㄴⷵⷿ㍾⳥㇑ⷨ㋣㈵㉕㉚⽅㉚
ⷿㆹ㓸㊟㋢⽖㊊㑏㊉㉜㋣㈵⾋㎰㉈ゟ㉳〨ゟ㉳㊊⾧
カ⾧㉚ゟ〨㉳㍁㉳Ⲩ㉳⸑⽌ゟ㈨㉢ⷵⷿ
⸑㍤⼎ゟ㈨㉆⼎㉢ゟ㓱㕂㇑㉝㊐ⳮⱑ㉝㉉㓯ⲛⷯ⼂㉉
㉜㊐⿚㉆⾇⸂Ⲗ㊉㉆⼎ㄶ㋤㉉㓵ⷵⷿ

1) 㓱ⳅ㔶ゟ㇑ⷨ㇀⺔㋣㈵ⱏ㉤㇀㈔"
2) Ⲩ㉳〒ⷿⶼ㉈㋣㈵ⷨ⾧㇋㉚㇑㈔"
3) ㇙⻯〪⵲⻕㉕㔶ゟ㇑ⷨ㇀⺔㋣㈵ⱏ㉤㇀㈔"

17
170
70
0 ゟ㔶㑏㓵㓡
㓡⼎ⳣ⻥ .,,3 㓱ⳅ㇀ㇽ㓱ⳅ⾪㔫㍲⳪
㓡⼎ⳣ⻥ .,,3
㓡⼎ⳣ⻥ .
㓡 ⼎ⳣ⻥ . 3 㓱ⳅ㇀
㓱ⳅ㇀
㓱
㓱ⳅ㇀
㇀ㇽ
㇀ㇽ㓱
㓱ⳅⳅ⾪
ⳅ⾪㔫 ㍲⳪ 
⾪㔫
⾪㔫㍲⳪

한국 회사의 직위

1. 이 단원의 문화와 정보 에 한 것 지 알려 다.
ⵦշᷚᤦᾆ὎⵾ᔮ⇊ẞ%⺖ᢶᷚઞ૮ᶛⵦ⇋ἎЊᾒᶾẞ
ḮઢὊĹⵦշ⺖ᢶὢ⇋Ἆĺᷚଊ⵾ᵖᵎᔏ᫦૮

2. 교재의 그 (사진)을 보 서 주제에 해 알고 있는 것을 상기시 고


해 보게 한다. 이 관련 시각 자료를 로 활용할 수 있다.
᷶࿶ᖎ὾૮૒ઞ⺖ᢶᷚઞᶾථ⇋Ἆὢᢶྖ὾ᾒᶾẞ%
⺖ᢶᷚᤦ᷶࿶ᖎὢ⇋ἎઞፚḒẞ%
᷶࿶ᖎὊ᷾᫶⾒ᾆ⵾ᤦᶾථ⇋Ἆٖ⇊᫃⇎ⵢӪᬀᶾẞ%

3. 교재를 이 으 서 내용을 한다. 이 한 정보 있는


부분에 을 나 표시하게 하는 것도 좋다.
4. 문 1, 의 을 아보고 하게 한다.
ⵦշ⺖ᢶᷚઞᶾථ⇋ἎЊᾒᪿ૒ٖ%
Ԇᾯᓾ૮জὊ⇋Ἆઞጾ᷑ᾏ૒ٖ%

5. 문을 이용하여 학습자 자 의 을 해 보도록 한다.


᷶࿶ᖎࢢ྆ὢ⺖ᢶᷚઞᶾථ⇋ἎЊᾒᪿ૒ٖ%
ⵦշԆᙎ᫁⵾ẞ%૶྆ẞ%

15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마무리 20분

15-P.mp3
발음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1)ㇵⳮⲛ>ㇸⳮⲛ@ 에 이 때 는 15-P.mp3
2)㉞ⲛ>㉝⴩@
운데 , , , 운데 하나 있고
3)㆛ⲛ>㆚⴩@
ႚ༐ጎ๷ዉઝ 다 성으로 , , , 있을 그
㉳㉚⾋㍞
〨㉳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자 이 , , , 로 다.
㔫 
㊊㔫

NRRNFRNU 1) ⱏ㋨ⷿㇵⲓ㇀㈔"
㉚⽼㉝ OHHPF#KDQ

 ッ㈟ㄷ
㊪⼎Ⳅヒ㊪⸑⼎  ⵲㋢⳩ㇵⳮⲛ㉤㇀㈔
2) ⱏ㋢⳩⾵㓯ⲛ㉤㇀㈔"
 ⵲㍍㉉㉞ⲛ㉤㇀㈔
3) ⱏ㓰サ⹭㉈ㆧ㌔㇑㆛ⲛデサⷺ㉈⹞㌔㇑㆛㉆ヒ㈔
⵲⶟㆝Ⲉㄴⷵⷿ

배운 어휘 확인


ソ⼳ 
㎄⻼㓩ⷹ


⾅㓮 
」゙㓩ⷹ


゙㈢㋛ 
㒍ㄨ


」゙⳨ 
㔦㉖


㓛⽈㐫 
㏑ⷹ


㎄ⳟ〢 
ⵘⷹ


㆔㊄⾈ 
⹧ⷹ


㆔㊄㔥 
㇭⽆ⷹ


⳨Ⲑ 
ㄴⷹ
• 이 단원에서 운어 기 나는 것을 해 보세 .

ⲠⲾ 
⵽⽆ⷹ
• 이 단원에서 운 문법

㉣ナ㓩ⷹ 
㇯⳨ⷹ
•여 분 회사에서 어 을 자주 해

⿮㇔㓩ⷹ 
㑉㇔㓩ⷹ
• 할 한이 을 수 있어
• 한국 회사의 에 해 알고 있어
Ⲩ⾧㇚㔶ゟ㇑ッ⿴㇚㉝㉉㓯ⲛ㉤㇀㈔
Ⲩ 171

발음 10분 마무리 10분

1. 교재 1 을 들려주고 이 어 게 들리는지 학습자 로 1. 단원에서 학습한 어 기 하는 것을 해 보게 한다.


해 보도록 한다. 2. 운어 목록의 어 들을 으 서 의 를 상기시 다.
2. 기고, 고, 고 기고, , 안 로 다는 것을 알려 3. 단원에서 학습한 문법( 고 있다, )을 상기시 의 와
다. 사용법을 기 하는지 한다.
자리에서 하나 리 나고 다 하나는 리
4. 단원의 목표와 성 도를 한다.
나지 는다는 것을 어 다. 그리고 이 나지 는 자 의
성에 이 어 자 이 화 어나지 5. 익힘책을 과제로 제시하고 리한다.
그 지 을 어나지 는다고 한다.
그 과 기고 는 화 어나지 고 고, 고 는 화
어나지 는 차이를 이해시 다.
3. 교재 1 을 다시 고 교사를 해 본다.
4. 교재 화를 고 해 본다.
5. 과 함께 화를 으 습하게 한 에 한다.

과 회사 어 159
16 과
그 행사에는 가족이나 친구를 데려가도 되거든요

16
그 행사에는 가족이나
수업 목표 및 내용
친구를 데려가도 되거든요
제 행사( 제)

어 행사 , 게시 관련 어 를 익 다.
문법 을, (이 )의 의 와
를익 사용할 수 있다.

하기 동료와 행사를 알리는 화를 할 수


있다.
㋂㊒ ㇀㕔ㇽ⾪⿹
⿹ 㔮⹃ ⾪㔫ㇽ㊐〒
기 제와 행사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을 㔀 ㎈㊒
㔀ゟ 㒹ㄮ㐱Ⲃㄷ㒉 㔀 ヨㄸ㆝⽌ⳮ
㔀ゟ ヒⲖ㉜㉕⵷
고 이해할 수 있다. ‫㉉ ܆‬ ⲛ㔂㎈㊒ヨⱡ㓯ⷨ
‫⹫ⱳ ܆‬㈔ ㉚㈽
‫܁܆‬ ⳧ㆄⳮ
기 제에 한 과 를 고 이해할
수 있다
기 행사를 개하는 을 수 있다.

세계 의

수업 도입 /
1차시 어휘와 문법 2 2차시
전개 어휘와 문법 1

제 관련 어 게시 관련 어
을 (이 )

pp. 100-103 pp. 100-103

16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도입 5분

도입

1. 교재 그 을 이용하여 학 들과 이 기하 이 과의
주제를 한다.
그림 ➊  ᶾථ⯶᪮⤺Ḓẞ%
᷶࿶ᖎὊ▟…ᷚᾚ℆Њẞ%
὾࿺ҍ὎ᶾഞᷚᤦᇘ὾ᔆᨢᾒᶾẞ%
그림 ➋  Җ᫦⬚ᷚᤦᶾථᦖ᫧὎ᔆᨢᾒᶾẞ%
ᵎ⬖⫂ࢢẺᆶ᥆⤺Җ᫦⬚ᷚઞᶾථ؊὾
ᾒᶾẞ%

❷ 그림 ➌  ౚᢶྖ὾ጾ᷑὎ᓾӪᾒᶾẞ%
᷶࿶ᖎὊҖ᫦⬚ࢾẳℛᷚጾ᷑὾ЊᾯԊ᫶
ᾒᶾẞ%

2. 화 내용을 정리하 이 단원에서는 리 주 에서


게 수 있는 다양한 와 게시 고 등에
❸ 해 부한다는 것을 알려 다.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О㉔㒳ㄨ㐫ㇷⱼㄱ㒃
㒃㇋ソㆺ⺎モㄲ㉃㆗ㄆ 이 단원 와 게시 이 이
㉞ㆺ㈎" 등 장 하므 로 하기와 기에서 어 게
О㇓⻩〤㉂㇓⻩モ
モㄲ⹧㉃ㆺ⺗ⱼ㆗㆒㈎" 표현을 리하는지 구어와 문어의 차이점
등에 해서도 하 지도하 좋을 것
습니다.

문화와 정보 /
말하기와 듣기 3차시 읽기와 쓰기 4차시 5차시
발음 / 마무리

행사 전하기 제 기 세계 의
제 정보 기 행사( 제) 개하는 기

p. 104 p. 105

과그 사 161
45분 어휘와 문법 1 어휘와 문법 1

㒳ㄨ㐫⼾「ⲕ㎂㊌㇋⸋㓲㉔ㆫ⳨㓲「ヌ㈎

어 을할 그 을하 나 여할 수 있는
사 이에 .

어 행사나 제는 기에 할 을
내 할 도 있어 . 할 수 있는 용이에 .

악, 용, 등을 사 들 에서 보여 10월 29일(금)
주는 것이에 . 에서 하 리 이 고해 . a
대 상 내・외국인
참 가 비 무료 (기념품 제공)
준 비 물 운동화, 물
보기 하는 것이 아니 으로 하는
문화 공연 가수 및 댄스팀 공연
것이에 . 체 험 거 리 컵, 부채 만들기
장 소 상암동 월드컵 경기장
어 것을 하고 을 그것을 사 에게 스 57
오시는 길 버스 571, 271, 7715
7
77 , 7011, 9711번
지하철 6호
6호선
선 상암 월드컵
월드 경기장
기장
장역 1
1번 출구
아 주세 . 하는 것이에 . 수업 고 어 .수 신청 및 문의 http
http://t
://toget
://togetherw
ogetherwalk
herwalk
alk.co
k co.kr
co kr,
, 하고 어 . 이에 . 02-
2 522-
2-5 8
8822
주 최 서울출입국
출입국・외국인청
한 것을 어 . 문의해 . 후 원 법무
무부

어 행사나 을 사 이나
회사 .
カㆡ㈩⹩㏋Ⲕⳮ㉳㇑ッ㓱⽔㉋ⱶⳮ㎈㊒⽄㓸㈔
원 이 제나 행사를 할 수 있도록 을 사 이나 ㉚㔀ゟ㇑ⷨ㓱ⳅゟ⻙㈌ⳅゟ⻙⾎⹒㍆ⱏ㓲ㄌ㉤㇀㈔

회사 .
㇓⻩〤㉔Ⲏ㔂㓫㓺゙㇋⸋㓲㉔ㆫ⳨㓲「ヌ㈎

저는 아이와 함께 어린이날 행사에 참가했어요.


여러 가지 체험거리도 있어서 재미있었어요.

174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1 (축제 포스터 관련 어휘)

 도입, 제시  연습

1. 에 나 는 단어로 어 것을 알고 있는지 으 의어 는 1. 제 를보 어 행사 지 자 이 본 제 을 이 기해
행사 등에 자주 나 는 표현 을 알려 다. 본다.
᷶࿶ᖎὊ▟…Њᔮᶾẞ%▟…Вൖ‫…▟؂‬Њጾ᷑὎ⵢઞ▟…ᾂ⇊ 2. 제에 알아 할 정보 지 서로 한 것을 고
ᶾළҖᵖᨢᾒᶾẞ%‫؂‬ҍ὎Ў૲ⵢҖᵖီ℆ઞҍ὾⯶᪮⤺Ḓẞ 하는 화를 하도록 한다.
ḮઢὊⶓᢶ⯶᪮⤺ᷚᾚ℆ࢢḮઞ૲ᶾᆆӿᖊ⵾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ЊଊᣋὊ਎նḒẞ%⑂Њᙎઞ᷆ᇒḒẞ%
한다.
4. 다양한 제에 해 이 기하는 활동으로 장할 수 있다.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100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할 수 있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16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
⹘㇋㇪ⷢ⾅゙⼾ㄆㄲ㓩⽿⿂⻛㇋㉗ㆺ⵱ゥ㔪㉔⵬㎁㎚㇣㊊㉏⸳⹬㉃⵬㐖ⶀ⺃゙㈕㓲㈎

ヒⲖ㉜㉕⵷㔀ゟ㇑
㍆ⱏ㓲ゟ⻙㉤㇀㈔"
㓲 에 는 사나 어 의 상 나 상황이 아 나지
㇩⾪
의 을나 사용한다.
Оⱉⷹ㉅㓪⳨㇋
㓪⳨㇋⸳㓫
⸳ 㓫ⲿㆺ ㄆ㇃
㇃㉃⹧㉃
Ⲑ㔱㉔㇋㈎"
"
⵬⶙
 ㄳ㍝㓩⻻ⲕ㓲㈎

О⵽ⶤ
⵽ⶤ〢㐫㆒
㆒⼻⿏㉔
⼻ 㑪⼾ 㓬
㓬クⱊ
ⱊ㉔㇋㈎ • , 어 로
Оⲉ㔝ㄲ
㔝ㄲ ⱍ
ⱍ ⺃ ㉜㉃ ㇴ ㊡゙ⲕㄻ
ㄻㆺ㈎ 나 이 에제 제주도 .

㊈㈔ⳣ⻱⸩ⱏ㊣㓯ⲛ • 이 어도
ⱞ㉚ⱏ⸹⹉㈔" ֛ ㉃ О⽬ⷹ ࢉ ⽬㉃

О㌳ⷹ ࢉ ㌳㉃
ࢉ 나 아니 , 이 아이 학교에서 을 것이에 .
֛ ˹ Оⱉⷹ ࢉ ⱍ

О「⵽ⷹ ࢉ
ࢉ 「ⶀ • 여기는 제 다 주부 할 회사 .

• 이것 고 에보 이에 .
1 ㇓㓺Ⲑ㔱㒿⼾「ⲕⲐ㔱㉃㉔ㆫ⳨㓲「ヌ㈎

㈣㉗ ㈣㉗

10:00 제주공항 도착 3) 6:30 한라산 국립 공원


「⳨ 11:00 제주박물관 4) 13:00 점심(해물된장찌개)
1) 13:00 점심(고기국수) 15:00 민속촌
2) 15:00 동문 시장 구경

다 을
㉝ㄷ㇑ⱓⲥ㉈㊒㋂⿖⾬Ⲫ㉚㇑㈔ -을 다 을
( ) 다 을
다 들을
2 ㎣Ⲿ㇋ⱼⲐ㔱㉃⾦ㆺ「ⲕ㇓⻩〤㉏Ⲑ㔱⸳㉔ㆫ⳨㓲「ヌ㈎

㊼⽓㇋㓬㉗ ク㉗㒀㑸㇋㎣Ⲿ⵬⸽⼛⼾㍬⸋㓲ソ
㓮ⴖ⽬㉃㉅ㄲ 보다
-ㄹ 사다
ⲕ㓼㇋ⱍ⺃ⱉ㊝㇋ⱼ㊿チ⾦
( , ) 나다
Ⲩⳣ㔀ゟ㇑ⷨⱏ㊣㉚⵲㎩Ⳅ⽄⸩⼁ⱏ⸹⹋ⱳ⹫㈔
Ⲩ 175 알다 알

문법 1 (-을)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غ‬ઞᶾഞḒẞ%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ᣧૢ὾ⵣᣧ೮ᷚҖጾ᷑὎ፆᶾᓾӪᾒᶾ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Њ૮ὖ℆Ḓẞᵎ⇋᫦ᾛⵢ⇊ᵔᵢᶾẞᐂྡྷὢᾆ὾ᷚẞĹ਎Њ  연습 2
὾▟…ᷚ⑂Њ⵾ẞ%ĺᤪᣧૢ὾ᐂྡྷὢᾆ὎ᐂᆶ⇊ؒ⁺ᢶⵢӪᾒᶾẞ
1. 주 에 할 , 에게 , 동료를 해서 함께 을 등
‫ྡྷ؂‬ᤦᐂྡྷὢᾆᷚଊ⵾ፆᶾᓾ૒ٖĹ▟…ᷚ⑂Њ⵪ᢶྖĺ὾྆Ӫ
으로 할 에 해 이 기해 보도록 한다.
ፆᶾᔚ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이해시 다. 10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그 사 163
50분 어휘와 문법 2 어휘와 문법 2

ⱼㄱ㒃㇋ソ⾡㇅㉃㆗ㄆ㉞ㆺ㈎"

㇎⽆⿷㉔㐫⼾
㉔㈕㓬ㄆ㇄ⷹ
에 사는 사 이에 . 아파 에 이
아파 주 이에 .

이 리다 사 들이 여 여 .제 을
어 .수 에 이 려 .
㊼⿄⾈㉛㉔
리 이 이용하다 리 이 를 고 . ㇗⽆ⷹ

내려 . 이 게 기계를 사용하는 것을 이용해 . ⷼㄆⱉ⹅ⷹ

해 . 지하 , , 시를 자주 이용해 .

단수 이 안 나와 . 전기 안 들어 는 것 정전
이에 .

를 진 사 들의 이에 .

원을 하다 을할사 이부 해 .사 을
⸽㔛㔰㔰㈢㉃ ㉚ㆺ⿬⽈⾦Ɐ㉃ ㋝㈢㉃まⷹ
구해 .
⾈㋣㓩ⷹ ㍅ⷹ

어 건이에 . 는 을분 고
㇀⺔ゟ⻙㉚㉠㇀⿲⽎㋢ⱗ㉉㍋ⲛ㉤㇀㈔
해 .

다 한 사 을 고 는 것이에 .
입 사원을 아 . ㇓⻩〤㉂ⱼㄱ㒃㇋ソㆺ⺎モㄲ㉃〗ㆺ㈎"

저는 게시판에서 동호회 회원 모집 알림을 봤어요.


축구 동호회에서 회원을 모집해요.

17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2 (게시판 관련 어휘)

 도입, 제시  연습

1. 게시 에 어 있는지 으 는 단어는 게시 1. 학 들에게 주 에 게시 이 있는지 어 고를 관 있게 보는지


에서 자주 사용되는 어 을 알려 다. 는다.
᷶࿶ᖎὊᶾഞҖ᫦⬚὎ᾚ℆ᔚẞ%Ṧ‫؂‬Җ᫦⬚὎ᾚ℆ᔚẞ% 2. 과 함께 자 이 에본 고의 내용에 해 정보를 주고 는
ḮઢὊҖ᫦⬚ԛӪᷚᾚ℆ࢢḮઞᶾ⼢ᆆӿᖊ⵾ẞ 화를 하도록 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한다. 55ᴲઞẞ↢Җ᫦⬚ᷚᤦᶾථԛӪᆆᔮᶾẞ‫؂‬ԛӪઞጾ᪲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ࢾẳ὾᷒ᶾẞ%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101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할 수 있다.
4. 운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16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Ɑۻ܀‬㈎ ㉔㈷
Ⲿㆺ㇋ソ㉔㈷⵬゙ㄵ㉃ⱋⷼ㓩ⱼ⽓㓬⺃゙㈕㓲㈎

상 방에게 어 이 나 사 을 한 이 할
㇩⾪
사용한다. 주로 구어에서 사용하 , 는 사 이 하는
㋢⳩⾵㓸㈔" Оⱉ㈀Ⲑⷼ㉀⼈
ⷼ㉀⼈ ㇭⻏
㇭⻏ⱉ㈎"
⵬㇪ⷣ㇎⽆⿷
 ⿷㉔㐫㊊⳨㊇ⱳ㉃
㉃ 㓲ソ
내용을 를 것이 고 각하고 알려 주로
㇎⽆⿷㉔㐫⼾㉔㈕㓬ㄆ㇄Ɑ
Ɑ⹥㈎ 다. 이 과 의 에 을 여서
О㇪ⷣ
㇪ⷣ ⻏㕝⽐
⽐ ㆊⱉ
ㆊ 㔰゙㇋⾐ㇷ
ㇷ㈎ 사용할 수 있다.
〢⾈ⷴ㉔㓫
〢⾈ⷴ㉔ 㓫ⲿ㇋
ⲿ ㇪ㄱⱭ⹥㈎
О「〢⼻
「〢⼻ㆊⷢ
 㓫ⲿㆺ⼾
㓫ⲿㆺ ㉧⾐㓲㈎
㈎
㉚⼂ッ⽄ㆄⲛ㉤㇀㈔
㋜ⵯ㊼㇋㓫ⲿ㇋ㇾⱭ⹥㈎
㋜ⵯ㊼
Ⲃㄷ㒉㇑ッ㋣㈨㍌㈛ • 이
Ⲧⲛ⽄〝ⱳ⹫㈔
֛ Ɑ⹥㈎  О⽬ⷹ ࢉ ⽬Ɑ⹥㈎

나 이 이이 에서 제 있 .
О㊧ⷹ ࢉ ㊧Ɑ⹥㈎

Оⱉⷹ ࢉ
ࢉ ⱉⱭ⹥㈎ • 건들이 다 장되어 있어
О㐇ⷹ ࢉ 㐇Ɑ⹥㈎

나 이 이에 . 내 이사 .
1 ⾡ㄪ㉗㉔㉞ㆺ㈎"ⳝ㉔㈷ⷢ⾯㇣㈎" • 는 구를 좋아하 .
「⳨
• 시 에 합 하기 해 부를 이했 .
㆒㎧㇋㉗㌳㉗ㆺ⵬ⷹ ㄱ㔂㉔㉞ⷹ
㊼⽓㇋ⳟ⾡㓩ⷹ ㄇ㊌ⱉ⽑ⷹ
㈎㋘㉗㉔⽑ⷹ ⿙ⷪⱼ⳴㋜Ⲡ〢㓩ⷹ

⻕㕣⽖㆐⽗㉚㓧ⲝ㓸㈔" ⶟㆘㎭㇑㉝㌹㉝㇀⵽ⱳ⹫㈔

2 ⷹ㉅㇋⸋㓲㎣Ⲿㇷ㉔ㆫ⳨㓲「ヌ㈎

ㆺ⺎㉅ㄲ㉃㊧㆒㓲㈎" ㈘⸽㉃㉢㊼㓲㈎" ㊈ⷨ⺓〔㉚⽄㊭㆘㓸㈔ 다
㊒ⱏ⽣㈞㉋ㄸ㉉㊭㆘㓯ⱳ⹫㈔ -거든요 하다 하
㕖ⱉ㇋⾱㓩ⲕㄻㆺ㈎" ⷉⲾ⼾㊌㉗⽐⵬ⲕㄻㆺ㈎"
( , ) 들다 들

Ⲩⳣ㔀ゟ㇑ⷨⱏ㊣㉚⵲㎩Ⳅ⽄⸩⼁ⱏ⸹⹋ⱳ⹫㈔
Ⲩ 177 다

문법 2 (-거든요(이유))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ࢲᾚઞ὾ုᤦᆆᳺӪᾒᶾẞࢲᾚઞ᷶ᾚṊҖ᫦⬚ᷚᤦ⇋Ớ⑎ẳ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ӿӪᆆᔂ὾ᶆ‫غ‬ᆆⵢӪᾒᶾ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ࢲᾚЊᐞᡦҍУᵎẞ‫ྡྷ؂‬ᤦ὾᷶ᾚЊĹ⇊ؒፚ⵾ẞ%྆Ӫ  연습 2
ፆ᷒ᶾẞࢲᾚЊĹ὾ုᤦᆆᳺӪᾒᶾẞĺ྆Ӫଊ૿ⶒᶾẞ‫؂‬࿺୺὾
1. 어 을 좋아하는지. 에 하고 지 고 하 서
ࢲᾚઞṦ὾ုᤦᆆᳺઞ⇊‫؂‬὾Ἢ௎᷶ᾚᷚҖᇚ⵾℆Ӫᬀᶾẞ὾
를 활용하여 자 의 이 기를 하도록 한다.
᷶ᾚઞ὾὾ᶆ‫غ‬ᆆḮઢ⒢ὖ೮὎ѺḒẞ὾ထҖᣋଊᐳᷚҖᶾථ
὾Ἢࢢᢶ᫮὎⒢ὖᵖီℎൖĹѺ೪ẞĺᆆᢶẳ⵾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10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해시 다.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그 사 165
50분 말하기와 듣기 말하기와 듣기

1 ㉔⽍ㆊⱉㇿ㕟ㆊ㇋ⱼ㓺゙モㄲ㇋⸋㓲㉔ㆫ⳨㓲㈎ⷹ㉅Ⲣⱘ㉔㉔ㆫ⳨㓲「ヌ㈎

2-16 EBOOK ㉔⽍ ㇿ㕟ㆊⷹ㉅㊼㇋㓫⽎㉅Ɒ⳨㎂㊌㇋ⱘ㉔


㓫⽎㉅Ɒ⳨㎂㊌
1 2) 2-16 EBOOK
ⱍ⻛㈎"ⱉ㊝㉔⵬㎣Ⲿ⼾⸣⻻ⱉ⸳⹅Ɑ⹥㈎

이링: , 다 주에 세계 의 행사에 이 ㇿ㕟 Ɑ⳨ⱉソ⾯㓩ⷢⱭ㇣㈎"


이나 구를 데려 도 되 . ㉔⽍ ㇓⻩゙⻓⹧㉔⾈㇓ソ㓮ⴖⱰⷢⱭ㇣㈎⺣
왕흔: 기 서 하는 Ⲡ㇖⸳【ㄆ㉞ⲕ㇓⻩ⱉ㋜㍞㔂Ɑ⽆⸳㉞ㆺ㈎
이링: 여 나 사 들이 여서 서로의 문화를 개하는 .
ㇿ㕟 ㉯⿂㉞Ⲃㆺ㈎⾱㊾ぅ㓲ㆫ⹃㈎"
도 수 있고, 여 지 리도 있어 .
㉔⽍ 㑫〄㕯㊾ぅ㓬Ɐ㇄ㆺ㈎⸳ㄱ⻐㓩ⲕ⽎ㄵ⾦㉂
왕흔: 재 있 어 . 해
Ɑ⳨ソ㊿Ɑ㇣㈎
이링: 특 할 건 어 . 도시 하고 기서
.

1)㓫⽎㉅Ɒ⳨㎂㊌ _㇓⻩゙⻓⹧㉔⾈㇓ソ㓮ⴖⱰⷹ
㇓⻩゙⻓⹧㉔⾈㇓ソ㓮ⴖⱰⷹ
2
2)ヌⲐ㉖㉏⵱㓺゙
ヌⲐ㉖㉏⵱㓺゙ _㇓⻩⵬⻏゙⻓⹧㉔⾈㇓ソソ⼈㉏⾤㔥⼾モⱛ㓩ⷹ
㇓⻩⵬⻏゙⻓⹧㉔⾈㇓ソソ⼈㉏⾤㔥⼾モⱛ㓩ⷹ
가: 는 어 행사( 제)에 보고 어
나: 는 리기를 좋아하 .그 서 제에 보고
어 . 2 ㇓⻩〤⸳㎣Ⲿㇷⱘ㉔ⱉⲕㄻ㉂㓺゙ⱉ㉞ㆺ㈎"㎣Ⲿ㇋ⱼ㉔ㆫ⳨㓲「ヌ㈎
가: 정 그 제 나 고를 본 적이 있어
나: 이 을에 한 에서 제를 할 .

16-L.mp3
진행자(남): 안 하 니 . 0 1 한 기 제에 와 주 16-L.mp3

㓫⽎㉅Ɒ⳨㎂㊌⼾㓲㈎㉧⹦ⲕ⸄㓲「ヌ㈎
여 분 습니다.
해도 프로그램을 했 , 1) ㉙㓿ゞ㉔㓠⼍Ⳣ⻤㉙㆗ⷶⱺ㉈Ⲛ⽀パ㈓
여 분도 아시는 지 와 아이 그 의 Ұⲥ㇛ ұ⾦⼠㋣⼠
이 있을 정입니다. ҲⲚ⿉オ⸈ ҳ㊉㑎㉔オ㍣㔇
쪽에서는 료 진료와 건 상 을 을 수도
2) Ⳮⶫ㓏㉇ⷎⱎ⿙㉈ㄋ㉣ㆿ㈓"
있고 , 쪽에서는 여 나 의 전통 의상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기 제에 여하
걷기 축제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이 받을 수 있어요.
분들께 기 도 니다. 178
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ゟ㔶㑏

자, 그 다 이 운동을 한 다 에 어

행사 소식 전하기  확장 연습

 대화문 연습 1. 한국어를 이 부하는 구들과 고 제를 하나 정하는


하기를 한다고 알려 다.
1. 행사 에 해 이 기하 교재의 그 을 이용해 어 상황 지
2. 과 이 고 제에 해 이 기하게 한다. 화를 할 는
해 보도록 한다.
다 과 내용을 함하여 하도록 지시한다.
὾ౚᢶྖὊጾ᷑ᷚଊ⵾὾ᶆ‫ⵢغ‬ӪᾒઞҍУᵎẞ%
὾ࢲᾚઞጾ᷑὎ᦖЦⵢઞҍУᵎẞ% ᶾථ▟…ᷚЊӪᬀὊ⇊‫…▟؂‬ᷚЊቾጾ᷑὾ₕὊ⇊὾ᶆ‫⵾غ‬ᓾ᥂ẞ
♦նὢ᤮኏὎೮Ὂ⻎‫…▟؂‬ઞᶾථℊᙎፆ὾ⵎẞ⵪⇊֋ؒⵦҍ὎
᷶࿶ᖎὊᶾථ▟…ᆆₕᵎ⵾ẞ%
ᦖЦⵦ♦նᷚҖᦖЦ⵾ᓾ᥂ẞ
2. 지시문을 이용하여 화 상황을 학 들에게 하게 알려 다.
3. 이 기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3. 화를 들려주고 간단한 문을 하여 화 내용을 이해했는지 하고 를 수정해 다.
한다.
὾ౚᢶྖὊᶾථ▟…ᷚଊ⵾὾ᶆ‫غ‬ᆆ⵾ẞ%
축제 정보 듣기
▟…ᷚᤦጾ᷑὎⵪ᨢᾒᶾẞ%
▟…ℊᙎፆὊፚЊᾒᶾẞ% 1. 지시문을 이용하여 등장 과 화 상황을 한다.

4. 교사와 함께 화문을 으 서 자 게 하는 습을 한다. 2. 문제를 고 들어 하는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정도 해서 습한다. 3. 기파 을 고 문제를 게 한다.
5. 교 어 를 활용하여 과 함께 습하게 한다. 4. 교재 문의 을 한 해 화를 이 으 내용을 한다.
6. 습이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한 로운 어
한다.

16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읽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50분

1 ⷹ㉅ⳡ㉃㉘ⲕ㋠⾤㇋⸄㓲「ヌ㈎

ㇻⲴ㉋ ッ㐠㇀ゲ⷗ ㍶コⵦ ㉷⶘㇀ 㓠ⰾ㈤


ㇻⲴ㉋㍷㊁⼳ⱐ㍭㓤ⷤⷮ㉉⿣㍷㊁㇀⷗ム㒞 한가위 외국인 축제
⽅⹜ⳝ㓯ゎㇻⲴ㉋㎾㉉㑼 .SRS ⶢ⻐⸀㔥 ೚Ү঩௪ૃ‫׺‬ട
ࣚಘٖܿӗ
㓠Ⲵㆯ㏰㋉⸀㔥⹡ⷮㆨ㓠㓯ゎⰾ㊳〺⸺ㆯ ৵Ү੅ஸ੃౶ .SRS ֜‫׺ۊ‬ട
㉓ㄣⷤⷮⲴ⵲㇀Ɫ㊱㓞⷗ㇻⲴ㉋㉉⽶ⶾⲳⵡ 일시 2020
2020년
202 년 9월 30일(일
30 ) 18:
8:00-21:00
8 00-21
0-21
21:00
0
00
㌵㇈ⰾⷞ㓤ⷤⷮ㓠ⰾ㈤ㇻⲴ㉋㍷㊁㉄ⶢ⻐ 장소 외국인
외국 센터 대
대강당
간 2020
2020년
년 8월
월 31일
31일 18:00
0
⸀㔥 ㏰㋉ ⸀㔥㇀ ㌵ⰾ㓡 ゎ⻈⹜㈷ ㉉⿣ ⷳ 참가 신청 기간

⽈⳩㋑ㇻⲴ㉋ッ㐠㔕㒕㉉㋑㇀ゲㄨ㍒㓞ㄦ⽶
신청 방법 외국인
외국
국인
인센
행사 문의 외국인

센터
터 홈페이지에서
센터
터사
이지
사무국(02-
사무국(02-
신청
국(02 123-4
3-4567)
567
567)
7
한국의 을 고 어로 한 고
⸾ⷤⷮ 해 .

개 하다 제나 행사 등을 해서 하는 것이에 .
1) ㉙㓿ゞ㇐㍅㇘㓱ㄋ㉣ⷧゞ⻘㉇ⷎⳃ㇨㈓" 국내에 거주하는 모든 외국인이 참여할 수 있어요. 01 에 에서 동계 회를 개 했어 .
2) ㉙㓿ゞ㇐ㆿ⺓㓠⼍Ⳣ⻤㉙㉣ㆿ㈓" 송편 만들기, 케이팝(K-pop) 노래 대회,
한국어 퀴즈 대회가 있어요. 하다 여행이 아니 어 장 나 지 에 사는 것을
3) ⶲ⻠⸐㔵⵱㐀㋙⸐㔵㇐㍅ⱎ㓱ゞ⻘㉇ㆿ⺜ⲁ㓷ㆰ⹈㈓"
해 .
이번 달 말까지 외국인 센터 홈페이지에서 신청해야 해요.
2 ㇓⻩〤ⲕ㓼㇋ⷢㆺ⺎㓺゙ ㎂㊌ ⱉ㉞ㆺ㈎"
ⳝ㓺゙ ㎂㊌ ㇋⸋㓲ソ⽶⾈㓩ⲕモⱛ㓩ⷢⳡ㉃ㅏ「ヌ㈎

단어장

Ā⾦ㄯ㓿ゞ ㎇㊑ ㇨㈓" 㓫ⱉ㈯

ⱛ㍸㓩ⷹ
ⶭ⻛ 㔰
ⶭ⻛⸋
Ā㇁㊑㓷㈓"
㏻㋔⸋
⸋㔰

Ɑ㊼㓩ⷹ
ĀⳢ㓿ゞ ㎇㊑ ㇐ヂ⾦㇊㉈ ㍀㇓㓩ⷹ
】Ⱳ⵱㓱ㄋ㉣ㆿ㈓" ⱉⷩ㓩ⷹ

Ⲩⳣ㔀ゟ㇑ⷨⱏ㊣㉚⵲㎩Ⳅ⽄⸩⼁ⱏ⸹⹋ⱳ⹫㈔
Ⲩ 179

축제 포스터 읽기 행사(축제) 소개하는 글 쓰기

1. 그 을 보 의 내용을 하게 한다. 1. 한국이나 자기 나 의 특 한 제나 행사를 개하는 을


ᶾථ⯶᪮⤺Ḓẞ%⑂Њଊᣋ὾਎նḒẞ% 것이 고 알려 주고 에 들어 내용을 각해 보게 한다.
ᶾථࢾẳ὾ᾒઞҍУᵎẞ%⯶᪮⤺ὢࢾẳ὎ⵢࢢⵢࢢፂᾯ὆ၦᳺቾ ⶓᢶ( 제)ᆆᦖЦⵢઞ؊὎ᴂѺḒẞ
ᶾළҖᴂᨢᾒ὎ٖẞ% ⶓᢶ( 제)ᦖЦᷚⵎẞⵦࢾẳὊጾ᷑ᾂЊẞ%
ᶾළҖᳺቾ‫؂‬؊὎ᾇὊᢶྖ὾‫…▟؂‬ᷚЊӪᬀ὎ٖẞ%
2. 을 어 게한 주제, 내용 등을 간단 해 보도록 한다.
਎Њ▟…ᆆЦ╦⵾ẞ%ᶾථⶓᢶᆆ⵾ẞ%਎Њ⑂Њ⵪ᨢᾒᶾẞ% 2. 교재 문에 해자 이 내용을 간단하게 하도록 한다. 교사는
᫪ⒷὊᶾഞᷚᤦᶾළҖ⵾ẞ% 학 들이 에 는지 해 다.
3. 한 내용을 바 으로 을 성하게 한다.
3. 을 다시 으 서 문제를 게 한다.
4. 을 이 한 , 본문을 다시 으 는 어 는지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과그 사 167
30분 문화와 정보 문화와 정보

세계인의 날
㓱ⳅ㇑ゟⷨ㉚⿊㉨ⱏ㊍㊍ⷩ㇀⵲⾇ッ㉚⿊㉨ㇽ㓱ⳅ㉜㉚
㓴ⴜ㇀㈟⽌ⲛヨ㑏㓯ⷨ㉳㉚㓪㈔㓿ㄴⷵⷿⳣ⻡ッ⽣ⶪ㈩
㉝㉉ÓヒⲖ㉜㉕⵷ 7RJHWKHUGD\ Ô⼎㋢㊐㓿ㄴⷵⷿヒⲖ㉜㉕
⵷㉈ 㓱ⳅ㇑ ゟⷨ ㉚⿊㉨ㇽ 㓱ⳅ㉜㉚ ⾎⹒ ッ⼎⽄ ㉚㓸㓯ⲛ
㓴ⴜ ㉭ イ㆘ⱏⷨ ゟ㔶⽄ ⽖⹭ⳮ ㈵㓱 ⵷㉢ⷵⷿ ヒⲖ㉜㉕
⵷㇑ⷨⷿㆹ㓱㔀ゟⱏ㇝⽑ⷵⷿ㎈㓯Ⲧ㇜㊊ㄷ㔶㍤㔈㔀ゟ
ヒⲖ⿊ラⲦ㇜ゟ㋤Ⲧ⾎㊊⹲㇙⻯㔀ゟⱏⱡ㍾⹏ⷵⷿ

1) ヒⲖ㉜㉕⵷㉈㇂㊒㇩㈔"
2) ヒⲖ㉜㉕⵷㇑ⷨ㇀⺔㔀ゟ⽄㓸㈔"
3) ㇙⻯〪㉈ヒⲖ㉜㉕⵷㔀ゟ㇑㍆㇙㓱㊉㉚㉤㇀㈔"

180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세계인의 날

1. 이 단원의 문화와 정보 에 한 것 지 알려 다.
᷶࿶ᖎ▟…ᷚЊᔮ⇊ẞ%ⵦշᷚઞ▟…ЊᇘᵎẞḮઢὊ᷶࿶ᖎԆУὊ
ⵦշᷚᢶઞẂշᾂ὾ЊቾₕὊĹ᥂ӎᾂὢࢪĺ▟…ᷚଊ⵾ᵖᵎᔏ᫦૮

2. 교재의 그 (사진)을 보 서 주제에 해 알고 있는 것을 상기시 고


해 보게 한다. 이 관련 시각 자료를 로 활용할 수 있다.
᷶࿶ᖎὊ᥂ӎᾂὢࢪⶓᢶᷚЊᔂ​὾ᾒᶾẞ%
᥂ӎᾂὢࢪⶓᢶઞṦ⵾ẞ%
ⵦշᷚẂշᾂ὎Ἆⵦⶓᢶઞጾ᷑὾ᾒᶾẞ%

3. 교재를 이 으 서 내용을 한다. 이 한 정보 있는


부분에 을 나 표시하게 하는 것도 좋다.
4. 문 1, 의 을 아보고 하게 한다.
᥂ӎᾂὢࢪὊ᷂…Ḓẞ%
᥂ӎᾂὢࢪᷚઞᶾථⶓᢶᆆ⵾ẞ%

5. 문을 이용하여 학습자 자 의 을 해 보도록 한다.


᷶࿶ᖎὊ᥂ӎᾂὢࢪⶓᢶᷚ⑂᷶ⵦ​὾ᾒᶾẞ%

16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마무리 20분

16-P.mp3
발음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1)ⱶⳮ>ⱶ⵪@ ‘ 다’ 하는 에 16-P.mp3
2)ⱶⷨⱳ>Ⱶⷨⱳ@
과 이 합하 화 어 다.
3)ⱷ㇌ⱳ⹫㈔>ⱳጩⴒ⹫㈔@
이 에 는 을 나 화 어 다.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자리에서 으로 바 고 이것이
1) ⱏ㈌ⳅ㉜ⱶⳮ⸑㔶㇑㍆ⱏ㓲ⱳ㇩㈔" 화 어나는 , , , 과 합하여
 ⵲⶟㍆ⱏ㓯⼁ⲛ㓸㈔
2) ⱏ㓱⽔㉋ⱶⳮ㎈㊒ⱏ⾵㇩㈔"
화 어 다.
5월  ⵲㍆ⱏ㉨⹭㉚㓴ⴜⱶⷨⱳ㇩㈔
3) ⱏ⾧㄰㉝㉚㉤㇀㈔"㓧ⲝ㓱ⱻⱞ㆘㈔
⵲㓯⼧㊪㉝ⱷ㇌ⱳ⹫㈔

세계인의 날

배운 어휘 확인


㒳ㄨ㐫 
㊼㍸ 
㓫ⱉ㈯


㎂㊌ 
㔼㈢ 
ⱛ㍸㓩ⷹ


⸋ゥ 
ⱼㄱ㒃 
ⶭ⻛⸋㔰


㍀ⱉぅ 
㊼⿄⾈㉛ 
㏻㋔⸋㔰


㊾ぅ⾦ 
⸽㔛㔰 
Ɑ㊼㓩ⷹ


⾤㔥Ⲡ㇖ 
㔰㈢ 
㍀㇓㓩ⷹ
• 이 단원에서 운어 기 나는 것을 해 보세 .

㍞㔂Ɑ⽆ 
ⷼㄆⱉ⹅ⷹ 
ⱉⷩ㓩ⷹ
• 이 단원에서 운 문법

㇪ㄱⷢⳬ 
まⷹ
• 국 을 한어 행사 있어

⾤㉏ 
㍆㈕Ⲡⲕ
• 여 분 나 에서는 어 제 려
• 세계 의 행사에 해 알아
Ⲩⳣ㔀ゟ㇑ⷨⱏ㊣㉚⵲㎩Ⳅ⽄⸩⼁ⱏ⸹⹋ⱳ⹫㈔
Ⲩ 181

발음 10분 마무리 10분

1. 교재 1 을 들려주고 이 어 게 들리는지 학습자 로 1. 단원에서 학습한 어 기 하는 것을 해 보게 한다.


해 보도록 한다. 2. 운어 목록의 어 들을 으 서 의 를 상기시 다.
2. 기는 로 는 건는 으로 는 로 3. 단원에서 학습한 문법( 을, )을 상기시 의 와
다는 것을 알려 다. 사용법을 기 하는지 한다.
자리에 , , , 고다 성 자리에 ,
4. 단원의 목표와 성 도를 한다.
, , 이 나 화 어 다.
한편 이 에 는 을 나 화 어 다. 5. 익힘책을 과제로 제시하고 리한다.
자리에서 으로 바 고 성에
화 어나는 , , , 과 합하 화 어 다.
3. 교재 1 을 다시 고 교사를 해 본다.
4. 교재 화를 고 해 본다.
5. 과 함께 화를 으 습하게 한 에 한다.

과그 사 169
17 과
잠을 푹 자면 좋겠어요

17

수업 목표 및 내용 잠을 푹 자면 좋겠어요
제 건

어 건 한 활 습관, 건 이상 상 관련
어 를 익 다.
문법 으 좋 다, 에의 의 와
를 익 사용할 수 있다.

하기 건 에 한 화를 할 수 있다.
기 건 고 에 관한 화를 고 이해할 수 ㋂㊒ ㇀㕔ㇽ⾪⿹
⿹ 㔮⹃ ⾪㔫ㇽ㊐〒
있다. Ⱶⱛ Ⱶ
Ⱶⱛ㓱サ㔮ㄴⲪ Ⱶⱛ㇑ ⸑㓸㊢㇂㓯ⳮ ⿊ⱑ㈔⿹
Ⱶⱛ㉚カ㋡㋡カ Ⱶⱛ㓱 サ㔮ㄴⲪ㇑⸑㓸
Ⱶⱛ
기 건 한 활 습관을 개하는 을 고 ‫⾇㉆ ܁܆‬㊭Ⲉⷿ
 ⳧ㆄⳮ
⳧
이해할 수 있다. ‫ۿ‬㇑

기 건 한 활 습관을 개하는 을 수
있다.

간 법

수업 도입 /
1차시 어휘와 문법 2 2차시
전개 어휘와 문법 1

건 관련 활 습관 건 관련 상세 표현
으 좋 다 에

pp. 106-109 pp. 106-109

17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도입 5분

도입

1. 교재 그 을 이용하여 학 들과 이 기하 이 과의
주제를 한다.
그림 ➊  ᢶྖ೮὾ӿỚᷚᤦጾ᷑὎⵾ẞ%

᷶࿶ᖎὊᶾථẾ௣὎⵾ẞ%
그림 ➋  ᷶‫غ‬ઞ᫧ଃ὾ᷚẞ᷶࿶ᖎὊᶾථὖ᫧὎
ₕᵎ⵾ẞ%⯓ᦖᷚᶾථὖ᫧὎ᾚ℆ቃᶾẞ%
ᶾථὖ᫧὾ѾПᷚₕᵎẞ%
❸ 그림 ➌  ࢲᾚઞጾ᷑὎ⵢӪᾒᶾẞ%
᷶࿶ᖎὊ⯓ᦖᷚᾪ὎ᾢᾚઞ⯂὾ᷚẞ%

2. 화 내용을 정리하 이 단원에서는 건 활,


건 상 등에 해 부한다는 것을 알려 다.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이 단 원 과 관계있 는 단 원 들 아 와
О㉔゙⻓⹧㉂Ɐⱕ㉃
㉃㈯㓲ソ⾱㓲㈎" 습 니다. 관 련 단 원의 학 습 내 용 을
О㇓⻩〤㉂Ɐⱕ㉃㈯
㈯㓲ソ⾱㓲㈎" 하 서 지도에 고하시 좋을 것
습니다.
• 문법: 조건 표현
5과 으

문화와 정보 /
말하기와 듣기 3차시 읽기와 쓰기 4차시 5차시
발음 / 마무리

건 상 해 하기 건 한 활에 한 기 간 법
건 고 기 건 한 습관 개하는 기

p. 110 p. 111

과 어 171
45분 어휘와 문법 1 어휘와 문법 1

㇓⻩〤㉏Ɐⱕ㉂ㆺ⺃㈎"「㑉ㆺ⺗ⱼク㔨㓲㈎"

㈘⸽㉃ⴽ㊾㕯㓩ⷹ
부 하지 정도나 이에 . 을 분 ㉅ㄲ㉃ⲙⲕ⼡⽬ⷹ

고 어 . 을 분 자 해 .

고 좋아하는 것 지 고 여 지를 다
어 .

이다 정해진 시간에 자 나 는 을 하는
㉩㉃㎈〤㕯㉢ⷹ
것이에 . 하다 . 에 동사 ㄲ゙⼾Ⳛ㎢㊃㉀⼈㓩ⷹ

적으로로 바 어 .
㈘⸽㉃Ɑ㉏㓩㋜㆖ⷹ
하다 안 하다 하지 고 지지 고계 㒩ㄲ㉔ㄷ㓩ⷹ

하는 것이에 . 한국어 부를 동안 했어 .
지 하 이 좋아 .

이 하다 시간 정도 자 하는데 5시간 ㉩㉔〢㊝㓩ⷹ


ㄲ゙ⱉ〦Ⳛ㎢㓩ⷹ
시간 에 자 .

이 하다 자기 좋아하는 어 .
㊈ⷨⱵⱛ㓱㒯㉚㇑㈔㈞⹃㉉ⵃ㋄㕵㓯ⱳ⹫㈔
사 하다 적이다 의 이에 .
다 한 시간에 사하지 고 이 시간에
다 시간에 다 해 .
Ɐⱕ㓫ク㔨ㄮⲤ㇋ⷢ⺣⾡㇅㉔㉞ㆺ㈎"㉔ㆫ⳨㓲「ヌ㈎
㈎
을 하지 는다 주 에도 자고 운동을
의 하지 아 . 의 는 안 하는 쪽에 .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게 좋아요.

그 서 상 부정 하고 이 사용해 .
184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1 (건강 관련 생활 습관)

 도입, 제시  연습

1. 건 을 표현하는 단어로 어 것을 알고 있는지 으 의어 는 1. 건 과 관련 자 의 활 습관에 해 이 기해 본다.


건 에 해 할 사용하는 표현 을 알려 다. 2. 건 한 활 습관이 지 과 화하도록 한다.
᷶࿶ᖎѾПὊᶾൖẞ%ѾП὎Ἆ⵾ጾ᷑὾ℛẞ⵾ẞ%ḮઢὊѾП὎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Ἆ⵾ℛẞⵦᣧ⹦ᪿԊᷚଊ⵾ᇚⵢઞ૲ᶾᆆᐺỖẞ
ѾПⵦᣧ⹦὎Ἆ⵾ጾ᷑὎ⵢቾₕᵎẞ%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ጾ᷑὎ⵢቾᵒₕᵎẞ%
한다.
4. 건 한 에 해 이 기하는 활동으로 장할 수 있다.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10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할 수 있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17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ۻ܀‬㉀⾁㊧Ⲃⷹ
㕩⽙㉃⽓㓬⺃゙㈕㓲㈎

⹴㉨㉜㉈⽔㉋㇑⹩ⷨ⸩ 으로 어 이 어나 나 어 상황이 되기를 바
㉚ㇺ㉈㇀⺒ヒ㈔"
㊢⳩㉩㉆⾇㊭Ⲉ㇀㈔
㇩⾪
, 는현 과 되는 상황을 하 나 한
Оⱉ㊼⽓㇋ 㓫ⲿ
ⲿㆺⷩ⻼
ㆺⷩ ㄱ㔂「㋜
「㋜㈎"
⵬⶙
 ⽚㆒㈎
상황을 정하여 표현할 사용한다. 정의 의 를
㉔⿮㇋
⿮ ⷢⴤ㓯ⲅ㓩⾁㊧Ⲃㆺ
ㆺ㈎ 조하기 해 에 과 을 여 사용하기도 한다.
О㉔⿮
㉔⿮㇓⼿㇋
㇓ ⲕ㓼㇋ⱔⷹ㇪⾁㊧Ⲃㆺ㈎
Оぅ㉢⼾ ㇖㉭
㉭㓬ㄆ
㓬 ㉞㉀⾁㊧Ⲃㆺ
ㆺ㈎
• 이 에부 께 고 것이 있어
나 , 을 로 으 좋 어 .
֛ ㉀⾁㊧Ⲃⷹ О⽬ⷹ ࢉ
ࢉ⽬㉀⾁㊧Ⲃⷹ
О㉣ⷹ ࢉ
ࢉ㉣㉀⾁㊧Ⲃⷹ
• 이 , 해 하고 이
֛ ⾁㊧Ⲃⷹ Оⱉⷹ ࢉ
ࢉⱉ⾁㊧Ⲃⷹ
ОⱯⱕ㓩ⷹ ࢉⱯⱕ㓩⾁㊧Ⲃⷹ
ࢉ 나 시 에 합 하 좋 어 .

•여 여행을 좋 어 .
1 ⱉ㊝⹧㉔⾡㇅㉃㓩⾁㊧Ⲃㆺ㈎"

「⳨ ㈜⽌⺂㉚㉝㌹㉝㇀⵲⾇
• 리 이이 회에서 하 좋 어 .
㊭Ⲉ㇀㈔

⹼㉗㌳㉗ㆺ⵬ⷹ

1) 2) 3)

다 으 좋 다
-으면 좋겠다 다 으 좋 다
⵴㒩㆒㎧㉃ⴤ⽬ⷹ ⹼ⱼ㉛㉃⸚㓩ⷹ ⵴㒩ㄊ㉃⸚⽎ㄱⷹ
( ) 있다 있으 좋 다
다 들으 좋 다
2 ㇓⻩〤㉂㇭㓲ⴤ㓩ⲕㄻ㉂㉗㉔㉞ㆺ㈎"㎣Ⲿㇷ㉔ㆫ⳨㓲「ヌ㈎
다 좋 다
㊈ⷨㇳ㓸㓱ⳅ㇀ⷯ⼂ㄷ㔈
⳪㇑㓵ⲋ㓯⾇㊭Ⲉ㇀㈔ -면 좋겠다 사다 사 좋 다
( , ) 행 하다 행 하 좋 다
Ⲩ㉯㉉㓋㉨⾇㊭Ⲉ㇀㈔
Ⲩ 185 다 좋 다

문법 1 (-으면 좋겠다)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ࢲᾚᦚૢ὾ṁЊҖᷚᤦṁ὎ӪᅾӪᾒᶾẞࢲᾚઞṁὢᢶ὾→ᆆ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ፆᶾᓾӪᾒᶾ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ࢲᾚઞ὾ṁ὾ᇒὖᷚ೮᷒ᶾẞ‫؂‬࿺୺⇊ؒᦚᷚ೮Ӫᾒઞṁὢ  연습 2
ᢶ὾→Њ὾ࢲᾚᷚҖऒጾ⛮ẞ὾ࢲᾚઞᶾථᢶ὾→ὢṁ὎ᐥӪ
1. 해 하고 이나 바 는 에 해 구와 이 기해 보도록
ᬀᶾẞ%⇊ؒ‫؂‬ҍ὾᷐ઞ୺ᾚ‫غ‬ЊỚⵢѺࢢᐥӪᬀὊᢶ὾→ὢṁ὎
한다.
ᇚⵢӪᬀᶾẞ‫؂‬࿾ൖĹ὆ቾₕҪ૮ĺᆆᢶẳ⵾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이해시 다. 10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어 173
50분 어휘와 문법 2 어휘와 문법 2

㋜ⳣⲬ㌾㆒㈎"ㆺ⹮ⱉ㆔㊧㆒㈎"

이 다 의 을 안 이 고 해 .
기분이 안 좋 나 건 이 안 좋으 안 이 안 좋아 .

이 다 시 에 어 서 기운이 어 .
회사에서 상사에게 을 들으 기운이 지
㆔エ㉔㆔㊧ⷹ 㕳 ⳨㈘ ㉔㇄ⷹ ㉜⽘㉔㇄ⷹ ㆺ㋜⻮ⷹ
이 다 이 아프니 을 고 각이
어 . 을 고 각을 입 이 고 해 . 다
로는 이 고도 해 .

지 다 자기 의 자 에 서 어나 어
에 어

ㆿⳂ㇋⾯ⱉ⵬ⷹ ㇗㉔⵬ⷹ モ㔥ⱉ㆔⹅ⷹ ⾎ゞ㉔⵬ⷹ

에 다 하 나 지 하 부도
안 좋아 . 에 게 와 . ㊈ⷨヨ㔫ⱏ㆚⹉㈔㈔㋞Ⲗラⳣ⻯⶟㈔

에 자주 나 .

이 다 기 이 나고 이나 . 도 . 도 .

다 을 는데 에계 있어 . ㇓⻩〤㉂㓡ⲗ㓬⺃ㆺ⹮ⱉ㆔㊧㆒㈎"

아 로 내려 지 아 .

이 다 이나 운동을 자기 하게 하 저는 피곤할 때 어지러워요.

이 아프고 어 수 어 . 그것을 한국 사
이 고해 .

18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2 (건강 관련 상세 표현)

 도입, 제시  연습

1. 지건 상 를 으 는 단어는 건 상 를 1. 학 들에게 건 상 를 상, , 하 에서 보게 하고 그
표현할 사용하는 어 을 알려 다. 이 로어 어 게 안 좋 지 문을 진다.
᷶࿶ᖎ⇊ؒѾПὊԦ␸ᵎẞ%ᶾഞЊᵒₕᵎẞ%ḮઢὊѾПᣋ⣦ᆆ 2. 과 함께 자 의 건 상 에 해 해 보도록 한다.
᤮኏⵪ᨢᾒઞᶾ⼢ᆆӿᖊ⵾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55ᴲઞẞ↢ѾП὾ᶾථ⯂὾ᷚẞ%
한다. ѾП὾ᵒₕὊӽ὾ᾒᶾẞ%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10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할 수 있다.
4. 운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17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۹㇋
ㆺ⹮㇋㊧㉂㋜⵬ろ㋜⼾⽓㓬⺃゙㈕㓲㈎

어 것이 좋 나 안 좋을 그 상이 되는 것에 여서
㉚⽓㆐⸍⳥㉉㉭⽲⶟㈔ ⸍⳥㉈ⷑ㇑㊭㆘㈔
⸍⳥㉉㊭㆘㓸㈔" ⳣ⻡ッ⽗㉚⽲㉆⼁ⲛ㓸㈔
㇩⾪
사용한다. 그 서 에 좋다, 안 좋다 와 자주 이
Оⱉ㈎㋘Ⲑャ
Ⲑ 㓡ⲗ㓫 Ⱶⱘ㆒㈎
㆒㈎
⵬ⳝ
 ⻩ヌ㈎"ⳝ⻭Ⳝ㉃⹣ヌ㈎
㈎
사용한다.
Ⳝ 㓡⼈㔰」㇋㊧㆒㈎
Ⳝ㉂

Оⱐ⳨
ⱐ⳨㇋ ぅ㐖
ぅ㐖⿄ㄱ
⿄ & ⱉ㊧㆒㈎
О⸃⿞ⷢ Ɐⱕ
ⱕ㇋㊧㋜㆖㆒㈎ • 계 을 자 .
⸃⿞ ⵛ㉀ヌ㈎
⸃⿞⼾ ヌ
나 를 이세 . 는 에 안 좋아 .
֛ ㇋ Оⷋ ࢉ ⷋ㇋
ࢉ ОⱯⱕ ࢉ
ࢉ Ɐⱕ㇋ • 이 아서 이 자주 해 .
Оⱐ⳨ ࢉ
ࢉ ⱐ⳨㇋ Оモ㔥 ࢉ
ࢉ モ㔥㇋
나 삼을 세 . 삼이 로 회 에 좋아 .
7LS Ó‫㉚ۿ‬ゟ⻙㉚⾇Ó ゟ⻙ ㇑ⲂÔ⽄ゟ㈛㓸㈔Ô
• 전화를 보는 것 눈 건 에 안 좋아 .
1 ⷹ㉅㉂ㆺ⹮㇋㊧㉃⳴㈎"ㆺ⹮㇋㆔㊧㉃⳴㈎"㉔ㆫ⳨㓲「ヌ㈎
• 운 건 에 안 좋아 .
「⳨
ゟⲨⷨヨ㔫㇑㊭㆘㈔

゙Ⲣ モ㔥о

1) 2) 3)

㎈〤㓫㉩ 㓡〢о ⹹⻂㓫㌻ ⱐ⳨о ㋫㉅ㄲ Ɐⱕ;


;

2 ㇓⻩〤㉂Ɐⱕ㉃㈯㓲ソ㉢㊼⽬ⷢ㉅ㄲ㉔㉞ㆺ㈎"ⳝ㉅ㄲ㉂ㆺ⹮㇋㊧㆒㈎"
건 건 에
㊈ⷨ㆘㎭⽔ⷿゟⲨ⽄㓯⵲⽲㇀㈔
ゟⲨⷨ㓧〨㇑⸹㊭ⲛヨ㔫㇑⸹㊭ⱳ⹫㈔
-에 다리 다리에
( , ) 부 부에
Ⲩ㉯㉉㓋㉨⾇㊭Ⲉ㇀㈔
Ⲩ 187 눈 눈에

문법 2 (에)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ᇋᴲЊଃ؆὎ᾢቃઞҍ὾⺖ᢶ௣ზઞ᫪‫⵾غ‬ẞ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ᾢቃઞ὾Ἢᆆፆᶾᔮᶾ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ᇋᴲЊଃ؆὎ᾢቃઞ὾ἪЊᾒᶾẞ  연습 2
ଃ؆ὊₕὊὖ᫧὾ᷚẞ‫؂‬࿺୺ᶾഞᷚₕᵎẞ%ᐞၦ਒(시 )ᷚₕᵎẞ
1. 자주 는 이 지그 이어 에좋 지 고 하 서
὾ထҖₕὊҍᵒₕὊҍ὾ᾒ὎ൖᶾഞᆆᇚⵢӪᬀ὎ൖ⁺ᢶĹᷚĺᆆ
에를 활용하여 자 의 습관에 해 이 기를 하도록 한다.
ᢶẳ⵾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이해시 다. 10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어 175
50분 말하기와 듣기 말하기와 듣기

1 ㆒⵬㉔ㄨㆊㇷ㊌㉔ㄪㆊⱉⱯⱕ㇋⸋㓲㉔ㆫ⳨㓲㈎ⷹ㉅Ⲣⱘ㉔㉔ㆫ⳨㓲「ヌ㈎

㆒⵬㉔ㄨ ㊌㉔ㄪㆊ⾡ㄪ㉗㉞ㆺ㈎"㆔エ㉔㆔㊧㆒㈎
2-17 EBOOK
㊌㉔ㄪ ㈎㋘⿙㇋㉧⾐㉢㈎
⿙㇋㉧⾐㉢㈎ ㉩㉃㎈〤㕯㉢⾁
1 2) 2-17 EBOOK ㊧Ⲃㆺ㈎
아나이스: 제이 , 있어 안 이 안 좋아 . ㆒⵬㉔ㄨ ⳝ⻩⾁㉢⳨㊄㇋⹹⻂㓫⾦⼈グ㈠⼾㓲「ヌ㈎
㉢⳨㊄㇋⹹⻂㓫⾦⼈グ㈠⼾㓲「ヌ㈎
제 이 슨: 화 안 . 이 편안해지 좋 어 . 〦⾁㋛㇋㊧Ɑ⹥㈎
㈎
아나이스: 그 아 에 사과를 어 보세 . 화에 좋 . ㊌㉔ㄪ ⳝ⻛㈎"㇪ⷣ〢㐫㓫⿮㓲〕ㆫⲂㆺ㈎
제 이 슨: 그 부 한 해 어 .
㆒⵬㉔ㄨ ⽿㎥㓲「⾁Ⲭ㌾㆒㋠Ɑ㇣㈎
아나이스: 해보 아 .
㊌㉔ㄪ ㆗⻻㋆ソⲕ⽎㈠㈎
제 이 슨: 알려 서 고 .

1)⿙㇋㉧⾐㉢ⷹ㉩㉃㎈〤㕯㉢ⷹ
⿙㇋㉧⾐㉢ⷹ ㉩㉃㎈〤㕯㉢ⷹ _㉢⳨㊄㇋⹹⻂㓫⾦⼈グ㈠⼾㓩ⷹ〦⾁㋛㇋㊧ⷹ
㉢⳨㊄㇋⹹⻂㓫⾦⼈グ㈠⼾㓩ⷹ 〦⾁㋛㇋㊧ⷹ

2 2)モ㔥ⱉ㆔⹅ⷹャ㉔㊡㒩㆔㓲㋜ⷹ
モ㔥ⱉ㆔⹅ⷹ ャ㉔㊡㒩㆔㓲㋜ⷹ _㆒㎧㇋゙Ⲣ⼾⽬ⷹモ㔥㇋㊧ⷹ
㆒㎧㇋゙Ⲣ⼾⽬ⷹ モ㔥㇋㊧ⷹ

가: 입 이 어 . 을 으 좋 어 .
나: 회사 문에 아 서
2 ⾎㉔㆔㊧㉃⺃㇓⻩〤㉂ㆺ⺗ⱼ㓲㈎"㇓⻩〤⽐㉏㑫〄㓫⿜⿳㇋⸋㓲㉔ㆫ⳨㓲「ヌ㈎
재 있는 을 해 보세 . 그리고 고 한 차를
보세 . 이 해 서 이 .

17-L.mp3 청취자(여): 안 하세 서 에 사는 주부입니다. 는 17-L.mp3

화 안 서 정이에 . ㇓㉢ⱉ⻏⹮㇪㇋ソⱯⱕⲕ⿄㉃㉔ㆫ⳨㓩ⲕ㉞ㆺ㈎㉧⹦ⲕ⸄㓲「ヌ㈎
전문가(남): , 보통 운동을 자주 하 니
1) ㇘㉧ⷧ⾦㇊㇐⸐㓷ⱳ㊏㓷㈓"
청취자(여): 자주 하지 지 주 에한 시간 정도 어 .
소화가 안 돼서 걱정해요.
전문가(남): 에 이나 과자 간 을 니
청취자(여): , 11시 되 고파서 자주 게 . 2) ⵹㉧ⱎ㆜⼀㋃⿡⿸㉅⼍⽟ⷧⱺ㉇н㑳⽍ⱺ㉇
н ;㓮パ㈓

전문가(남): 그 . 에 시 화에 안 좋습니다. Ұⱐㄷ㉈㊡⳨⽕⹨パ㈓  

그 니 수 있으 안 시는 게 좋고 . ұ㈝⹂㉈⸚㉧㋁㓮パ㈓  

운동 한 에 이 하는 것보다 자주 하는 것이 Ҳ⾫ ㉈⽖㉙⹨パ㈓  

합니다. 을 이 시 좋 습니다. 188


8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ゟ㔶㑏

건강 상태 말하기  확장 연습

 대화문 연습 1. 한국어 교 구들과 현재 건 상 에 해 하기를 한다고 알려


다.
1. 이 안 좋을 한 것에 해 이 기하 교재의 그 을 이용해
2. 과 이 건 에 한 고 을 이 기하고 좋 방법을 조 해 주도록
어 상황 지 해 보도록 한다.
한다.
὾ౚᢶྖὊጾ᷑὎ⵢӪᾒઞҍУᵎẞ%
὾ࢲᾚઞᶾഞЊᵎⴒҍУᵎẞ% ẞ↢ዂ὾ᵒₕὊӽ὾ᾒᶾẞ%
ѾП὾ᶾළҖఢቾₕҪᶾẞ%
᷶࿶ᖎὊᾪ὎ዅᾢൖᶾළҖ⵾ẞ%
።ⵢቾ( 으 )ₕ὎ٖẞ%
2. 지시문을 이용하여 화 상황을 학 들에게 하게 알려 다.
3. 이 기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3. 화를 들려주고 간단한 문을 하여 화 내용을 이해했는지 하고 를 수정해 다.
한다.
὾ౚᢶྖὊጾ᷑ᷚଊ⵾὾ᶆ‫ⵢغ‬Ӫᾒᶾẞ%
건강 고민 듣기
ࢲᾚઞᶾഞЊᵒₕ૮Ӫᇚⶒᶾẞ%
ᦖ⹞ᷚઞፚЊₕᵎẞ% 1. 지시문을 이용하여 등장 과 화 상황을 한다.

4. 교사와 함께 화문을 으 서 자 게 하는 습을 한다. 2. 문제를 고 들어 하는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정도 해서 습한다. 3. 기파 을 고 문제를 게 한다.
5. 교 어 를 활용하여 과 함께 습하게 한다. 4. 교재 문의 을 한 해 화를 이 으 내용을 한다.
6. 습이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한다.

17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읽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50분

1 ⷹ㉅ⳡ㉃㉘ⲕ㋠⾤㇋⸄㓲「ヌ㈎

<일상생활 속 건강
강한 생활 습관>
㍐㋩㍽〙㕤㉞㉗ⳝ
㍽〙㕤
〙 ㉞㈸㉗⻰⽶⽢㉷㎴㓖⼳⽆㉉⽃ㄦ㋑ ㆋㆇㆠ⸾ⷤⷮ⺘㎜⸀㇀
⸀ ⶾ㈕ゲ㕋⸀㉹㔚⼳
⽆㉉ 、⽶
⽆㉉ 、 ㆉ⸾
ㆉ ⷤⷮ
ⷮ ㉗ⳝ ㉹㇀
㉹ ⹮⺷
⺷㓠⾛
㓠 ⻽ゥ
ゥ㈕㓞Ⲋ ⽃㈺
㈺㉉㒞
㒞㓧㋑⷗ ㈺ㆈ
㈺ㆈ㈸⹜㈵⽶
⽶ 㒺㉜
㉜ ・

㉓ㄣⷤⷮ
ⷮ ⹮⺷㓠
⺷㓠㈋㈬⼳㓠㉙⽃ㄦ⷗ⱪ⸨㊜ㄣ
ㄣⷤⷮ
⹄㋩㉌゚イ㔝㇀ゲ㈍⸲㓞ⳝ
ⰾ⳩㈍
㈍Ɫ⼻⷗ⱦ
⷗ ㆯゲⱆⷤⷮ㇃⼻⿬㉉㐠㇬㇀ㄝ㎸⻨㉉㐠、ⷮ⷗ⲅⷱ㈸㉉㈊㓤ㄦⷮイ㔝
ヘ ⰾ⿶㈍
ヘ㉄ ⿶ ㈍⸲
㈍⸲㈷Ɽ
㈷Ɽⱊ㇀⽒㈋㊜ㄣⷤ
㊜ㄣⷤⷮ
리 다 하는 활을 상 활이 고
デ㋩
㋩ Ɽⱊ㇀㊜
㊜㈷㈺ㄧ⽡ⳝ
해 .
㋠㈺ㄧ㉉ⵡⷱ㈺ㄧ ⹡㈸⽆㉉ ⽡㋑ ㆋㄣⷤⷮ
ⷮ ⾃㇀ ㊜㋑ ㆋⳝ ⹸⾙㉑ⷤⷮ ㌻プ㇬ⲗ㉌㈸
⽆㉉ ⽡ㄣⷤⷮ
⽆㉉⽡ㄣⷤ
ⷤⷮⷼⳔ㈷ⷀⱤⱊ㇀㊜Ⲋ㇟⻪㋑ⵡⳑ㈷㓖⻽㔥。㇀㊜ㄣⷤⷮ
ⷼⳔ㈷ ⷀ Ɽⱊ㇀ ㊜Ⲋ ㇟⻪㋑ⵡ ⳑ㈷ 㓖⻽ 㔥。㇀ ㊜ㄣⷤⷮ
아주 이, 분하게 는 이에 . 보통 자다,
다와 양으로 자주 사용해 .
1) ⱴⱚ㓰ゴ㔭ㄳⲩ㉙㆗ⷶⱺ㉇⾴㇨㈓"
Ұ㓊㉧Ⳮ ұ㉧㋁㈝⹂㓮Ⳮ Ҳ㒮ㄷ㓮Ⳮ ҳㆰ㍋⽖㉙⽱Ⳮ 한 이 다시 좋 상 로
2) ㉧Ⳮ㊉㇐⾦㇊㉈㓮⾆ㄤⲁ㉬ㄋ㉣ㆿ㈓" 아 는 것이에 .
따뜻한 물로 샤워하고 마음이 편해지는 음악을 들으면 돼요.
3) ⷾ㉊㋊ⱴⱚ㇐㊬㋡㆛㉇㉊ㄷ㉇⾴㇨㈓"⾍⹑Ⲛ⽀パ㈓
Ұ㋰ⱺ ұ⽢㈝ⱺ Ҳ⸁ⱺ ҳㆅⱺ

2 ㇓⻩〤⽐㉏Ɐⱕ㓫ク㔨ㄮⲤⲢ㉔㈷⼾ㅏ「ヌ㈎

단어장
<나만의 건강한 생활 습관>
〦⾁㋛

㍠㋹

⹔㋹

プ㋹

Ⲩ㉯㉉㓋㉨⾇㊭Ⲉ㇀㈔
Ⲩ 189

건강한 생활에 대한 글 읽기 건강한 습관 소개하는 글 쓰기

1. 제목을 보 의 내용을 하게 한다. 1. 어 을 지 알려 주고 에 들어 내용을 각해 보게 한다.


὾؊὎Ṧᮆᶾẞ%਎Њᾇ὆ቾₕ὎ҍУᵎẞ% ḮઢὊ᷶࿶ᖎ὾ѾП὎Ἆ⵾ᤦⵢઞᾆ὎ᦖЦⵢઞ؊὎ᴂѺḒẞ
ጾ᷑ᷚଊⵦࢾẳᾂҍУᵎẞ% ѾПⵦᣧ⹦ᪿԊᷚⵎẞⵦࢾẳὊጾ᷑ᾂЊẞ%
ѾПᷚ௎Ị὾ఢઞࢾẳ὾ኑЊ⇊ᾒᶾẞ%
2. 교재 문에 해자 이 내용을 간단하게 하도록 한다. 교사는
2. 을 어 게한 주제, 내용 등을 간단 해 보도록 한다. 학 들이 에 는지 해 다.
△ᖎ⾒ᾚઞҍ὾Ṧₕᵎẞ%ᾆᣋᣧ⹦ᷚᤦẾ௣ⵢઞҍ὾Ṧₕᵎẞ% 3. 한 내용을 바 으로 로 성하게 한다.
ѾПⵦὖ᫧὎ቃઞҍ὾Ṧₕᵎẞ%

3. 을 다시 으 서 문제를 게 한다.
4. 을 이 한 , 본문을 다시 으 는 어 는지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과 어 177
30분 문화와 정보 문화와 정보

민간요법
㓱ⳅ㇑ッⷨ㇮⵷〨㐱⾔㉚㆘㓣⺉『㈨㇑ⱏⱳ⵲ㆲ㉉⽲㋢
㆜ⲛ『㉉ⲛ㎧ⷨ⿢⿹⹭㉚㊊㓸㋢ⲛ㉤ㄴⷵⷿ㇩⽄⹭㇀
ヨ㔫ⱏ⹋㋢㆜㉉⺉㇀⽱ⷵ⹭㉈㆘㓢㆘㉚㉕⿤⽄ル㉆⼎
ㆇ㇀㋂㇌ㄴⷵⷿ㉚⻸Ⲃ㆘㓢⿤⽄⵼Ⲃ㓯ⷨ㇀⽱ⷵ㉕ル㉉
ÓㆲルÔ㉚⻕ⲛ 〬⻶ㄴⷵⷿ ⳮ㎭㉚ ㄽ㓲 ⺉ⷨ ⿤⽄ ⵤ㇙ッ
⽲㉆⾇ⳮ㎭㉚ゟ⻕㋢ⲛㄐ㉉⽗㉚⽔ㄹⷿ㉋⵷㇑ⷨ㏧⵲⾬
ⳅ㉉⽲㉆⾇ㄐ㉚㉭ⴋⷵⷿ㉚⻯㓱⿊ⱑ㈔⿹㉈Ⲩ㓰㊉㉜
⳥ⱳⱏ㇊ⷨⱻ⸹㉤㋢⽖㇀⺔⿢⿹㉈㉕㓰㊉㉆⼎ⳣ㔽Ⲩⱏ
㉢㋡⹋㇀㋢⳩⳺㋢ゟ⻝⿚ⲛ㉤ㄴⷵⷿ

1) 㓱ⳅ㉕⿊ⱑ㈔⿹㇑ⷨ㇀⺔⿢⿹㉚㉤㇀㈔"
2) ㉚⻯㓱⿊ⱑ㈔⿹㉈⾎⹒Ⲩ㓰㊉㉜⿢⿹㉚㇑㈔"
3) ㇙⻯〪ⲛ㔂㇑ⷨ㇀⺔⿊ⱑ㈔⿹㉚㉤㇀㈔"
⻯〪ⲛ㔂㇑ⷨ ㇀⺔ ⿊ⱑ㈔⿹
ⱑ ㉚ ㉤㇀㈔"

190
90 ゟ㔶㑏㓵㓡⼎ⳣ⻥ .,,3 㓱ⳅ㇀
ゟ㔶㑏㓵㓡⼎ⳣ⻥ .,,3 㓱ⳅ㇀
㇀ㇽ
ㇽ㓱ⳅ⾪㔫㍲⳪
㓱ⳅ⾪㔫 ㍲⳪ 

민간요법

1. 이 단원의 문화와 정보 에 한 것 지 알려 다.
ⵦշᷚઞḥࢪᖊ⤺ᓛỚᷚЊ⇊ᵔӪ⇛ᷚᤦ᪮᪮ၦ♢ზⵢઞᐆЎẞᒟ὾
᷶࿶Њ⇊ᾒᶾẞḮઢὊĹⵦշὢᐆЎẞᒟĺᷚଊ⵾ᵖᵎᔏ᫦૮

2. 교재의 그 (사진)을 보 서 주제에 해 알고 있는 것을 상기시 고


해 보게 한다. 이 관련 시각 자료를 로 활용할 수 있다.
᷶࿶ᖎࢢ྆ᷚ௎ḥࢪᷚᓛỚ὾ࢢᶇշ὾ᇘ⇊ᵔ‫غ‬ൖፂᷚ⇛ᷚᤦ
♢ზⵢઞ᷶࿶Њ⇊ᐳᒟ὾ᾒ᷒⇊ẞ%
᷶࿶ᖎ⇛ᷚᤦᾚ℆ᢶẳⵦᐳᒟ὾ᾒᶾẞ%

3. 교재를 이 으 서 내용을 한다. 이 한 정보 있는


부분에 을 나 표시하게 하는 것도 좋다.
4. 문 1, 의 을 아보고 하게 한다.
ⵦշὢᐆЎẞᒟᷚઞᶾථᐳᒟ὾ᾒᶾẞ%
὾࿶ⵦᐆЎẞᒟὊኲౚԆⵣ​ᾂᐳᒟᾂЊẞ%

5. 문을 이용하여 학습자 자 의 을 해 보도록 한다.


᷶࿶ᖎӪ⶯὾ࢢ⇛ᷚઞᶾථᐆЎẞᒟ὾ᾒᶾẞ%

17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마무리 20분

17-P.mp3
발음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1)㊭Ⲉ㇀㈔>㊢㏏ㅕ㈔@ ‘ ’ 17-P.mp3
2)〬Ⳡ㎨㓱㒯㉚㇑㈔>〬Ⳡ㎧㎳㒮ⷵ㇑㈔@
다 에 , , , 이
3)㓯㋢㆜㋢⽖>㓯㋢㆚㎧⽖@
화 어나 , , , 로 다.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이것 순서 바 어도 화 어 다.
1) ㉯㉉㎎〪㕵㉨⾇㊭Ⲉ㇀㈔
2) ⱏ㈔㋞ヨ㔫ⱏ㆚⹉㈔"
 ⵲⶟ㄸゟⱏ〬Ⳡ㎨㓱㒯㉚㇑㈔
3) ⱏ㈞⹃㉉㉨㋂㓯ヒ㈔"
⵲ ㉨㋂㓯㋢㆜㋢⽖ⱏⵥㄷⱑ㊐⸹ⱷ㇀㈔

배운 어휘 확인


㉩㉃㎈〤㕯㉢ⷹ 
㕳 ⳨㈘ ㉔㇄ⷹ


㉅ㄲ㉃ⲙⲕ⼡⽬ⷹ 
㉜⽘㉔㇄ⷹ


ㄲ゙⼾Ⳛ㎢㊃㉀⼈㓩ⷹ 
ㆺ㋜⻮ⷹ


㈘⸽㉃ⴽ㊾㕯㓩ⷹ 
ㆿⳂ㇋⾯ⱉ⵬ⷹ


㉩㉔〢㊝㓩ⷹ 
㇗㉔⵬ⷹ


㒩ㄲ㉔ㄷ㓩ⷹ 
モ㔥ⱉ㆔⹅ⷹ
• 이 단원에서 운어 기 나는 것을 해 보세 .

ㄲ゙ⱉ〦Ⳛ㎢㓩ⷹ 
⾎ゞ㉔⵬ⷹ
• 이 단원에서 운 문법

㈘⸽㉃Ɑ㉏㓩㋜㆖ⷹ 
〦⾁㋛


㆔エ㉔㆔㊧ⷹ
• 여 분의 건 어
•건 을 해어 습관을 지고 있어
• 여 분이 알고 있는 간 법
Ⲩ㉯㉉㓋㉨⾇㊭Ⲉ㇀㈔
Ⲩ 191

발음 10분 마무리 10분

1. 교재 1 을 들려주고 이 어 게 들리는지 학습자 로 1. 단원에서 학습한 어 기 하는 것을 해 보게 한다.


해 보도록 한다. 2. 운어 목록의 어 들을 으 서 의 를 상기시 다.
2. 좋 어 , 한 , 하지 지 이 조 , , 하지 3. 단원에서 학습한 문법( 으 좋 다, 에)을 상기시 의 와
안 으로 다는 것을 알려 다. 사용법을 기 하는지 한다.
이다 에 , , , 과 을 는 화 어나
4. 단원의 목표와 성 도를 한다.
, , , 으로 되고 그것 순서 바 어도 화
어 다고 한다 5. 익힘책을 과제로 제시하고 리한다.

3. 교재 1 을 다시 고 교사를 해 본다.
4. 교재 화를 고 해 본다.
5. 과 함께 화를 으 습하게 한 에 한다.

과 어 179
18 과
이 수업을 신청하는 게 어때요?

18
수업 목표 및 내용 이 수업을 신청하는 게
제 문화 활
어때요?
어 문화 수업, 수 관련 어 를
익 다.
문법 는게어 , 어 보이다의
의 와 를 익 사용할 수 있다.

하기 문화 수업에 해 화를 할 수
있다.
기 문화 수업 화를 고 이해할 ㋂㊒ ㇀㕔ㇽ⾪⿹
⿹ 㔮⹃ ⾪㔫ㇽ㊐〒
수 있다. ⾪㔫サ㔮 ⾪㔫
⾪ ピ㐱ㄌ ㄌ㇉ㄌⱛㄹ㍣ ⾪㔫ピ
ピ㐱ㄌ㇉㊢㇂㓯ⳮ ⾪㔫ⱏ㉤ⷨ⵷
‫Ⲃⷨ ܆‬㇀⺉
⺉㈔" ⿤㈜ⲛ ㅁ㉈ⱛ㊮㇑⸑㓱
기 문화 수업을 개하는 을 고
‫ ܁‬㇀〒㉚ⷿ ⳧ㆄⳮ
이해할 수 있다.
기 수 하고 수업을 개하는 을
수 있다.

문화 있는

수업 도입 /
1차시 어휘와 문법 2 2차시
전개 어휘와 문법 1

문화 수업
는게어 어 보이다

pp. 112-115 pp. 112-115

180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도입 5분

도입

1. 교재 그 을 이용하여 학 들과 이 기하 이 과의
주제를 한다.
그림 ➊  ౚᢶྖ὾ጾ᷑὎⵾ẞ%ౚᢶྖὊጾ᪲

ᨢ᷏ᷚԊ᫶὾ᾒઞҍУᵎẞ%
그림 ➋  ᷶‫غ‬ઞፂ⹞᥆⤺Ḓẞᢶྖ೮὾ጾ᷑὎
ᐺẺӪᾒᶾẞ%
그림 ➌  ࢲᾚઞጾ᷑὎ⵢӪᾒᶾẞ%᷶࿶ᖎ௎ⵦշᶾ
❸ ᇚӪᐺẺӪᬀὊᨢ᷏὾ᾒᶾẞ%

2. 화 내용을 정리하 이 단원에서는 문화 수업,


수 등에 해 부한다는 것을 알려 다.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이 단 원 과 관계있 는 단 원 들 아 와
О㉔゙⻓⹧㉂⾡㇅㉃
㉃⿞㈠㈎" 습 니다. 관 련 단 원의 학 습 내 용 을
О㇓⻩〤㉂⾡㇅㉃⿞
⿞㈖ⲕㄻㆺ㈎" 하 서 지도에 고하시 좋을 것
습니다.
• 주제: 한국어 수업(사회통합과정)

문화와 정보 /
말하기와 듣기 3차시 읽기와 쓰기 4차시 5차시
발음 / 마무리

문화 수업에 해 하기 안내 기 문화 있는
수 방법 기 개하는 기

p. 116 p. 117

과 어 181
45분 어휘와 문법 1 어휘와 문법 1

⾤㔥ノ㐫㇋ⷢㆺ⺎ㄆ㇃㉔㉞ㆺ㈎"
원 동아리나 에서 이할사 이 합니다.
이 할 사 을 구합니다.
수 어 것을 나 시 을 보기 해 할수
있는 기간이에 .
수 의를 고 어서 하는 것이에 .
어 게 할 수 있어 해
으로 할 수 있어

㈎ⱉ ㈫き⸍ㄨ ㍗㇖ぅⷉ⽐⹧⳨
힘 운동을 좋아하지 아 . 를 보세 .
을 는 것이에 . 그 데 있는 이 아니
건 을 해서 는 것이에 .
⸳㉢⳨⽐⹧⳨ ㆺ㓪㉢ⲅ㋛ ⿂㈕㉢ⲅ㋛
들 으려 해 .그 데 부에
좋 를 들고 어 .
도 들 으로 도자기를 들어 . 도 들고 그 도
들어 . ⶭ⻛ⲹㄵ ㉅㆓ⲹㄵ ㈎⽆ⲹㄵ

업을 해 국어 자 이 해 . 국어를
고자 도 . ⾪㔫ピ㐱㇑ⷨ㇀⺔ㄌ㇉㉚㉤㇀㈔" ㈔ⱏㄌ㇉㉚㉤㇀㈔

용 용사 되고 어 . 용사 되려 자 이
해 . 이 수업을 들으 용자 시 을 할수 ㇓⻩〤㉂⾤㔥ノ㐫㇋ソㆺ⺎ㄆ㇃㉃⹦ⲕㄻㆺ㈎"㉔ㆫ⳨㓲「ヌ㈎
있어 .
교 를 부 고 어 . 저는 천연 비누 만들기 수업을 듣고 싶어요.
악교 악과 다양한 악기를 수 있어 .
리교 다양한 리를 고 어 .
194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1 (문화 센터 강좌)

 도입, 제시  연습

1. 문화 에서 사용하는 단어로 어 것을 알고 있는지 으 의 1. 문화 수업과 고 수업에 해 이 기해 본다.


어 는 문화 에서 수 할 수 있는 다양한 수업에 해 할 2. 문화 에는 어 수업들이 있는지 고 수업이 지 과
사용하는 표현 을 알려 다. 화하도록 한다.
᷶࿶ᖎፂ⹞᥆⤺ઞᶾථӽ὾ᷚẞ%ፂ⹞᥆⤺ᷚᤦઞጾ᷑὎ᐺỖẞ%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ḮઢὊፂ⹞᥆⤺ὢ૮ᶛⵦᨢ᷏ᷚଊ⵾ӿᖊ⵾ẞ
ፂ⹞᥆⤺ᷚઞᶾථᨢ᷏὾ᾒᶾẞ%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ᴲઞᶾථᨢ᷏ᷚԊ᫶὾ᾒᶾẞ%
한다.
4. 자 이 들고 동 회(동아리)를 개하기 활동으로 장할 수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있다.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11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할 수 있다.
4. 운 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이 어 로 단어를 는등
화를 수 있다.

18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 ⱼⷢ܀‬ㆺ⺃㈎"
ⳍ㈷㓩Ɑ⵬㊜ㆼ㉃㓬⺃゙㈕㓲㈎
는게 때
상 방의 고 이나 정에 해좋 방법을 하 나
㇩⾪
조 을 할 사용한다.
Оⱉ㈵㋣ ㆒㉔⹧
㆒㉔⹧㉔ⶌ
㉔ ⶌ⾡⺵ㆺソ
ソ ㉩㉃
㊈⸹ⶳ⻡⽄㉭ ㉧ㄆⱉ㇄ㆺ㈎

〨⽁ⲛㅁ㇀㈔
⵬㈵
 ㋣㇋㓫⿮㉔ㆫ⳨㓩ⷢⱼㆺ⺃㈎"

О㈎㋘
㈎㋘ ⳨㈘㉔
㉔ ㇄㉀
㇄ ⷯ⳴Ɐⱕㄲ㓊
㓊㉃ • 한국어 수업이 조 어려 .
⽬ⷢⱼㆺ⺃㈎" 나 그 습을 하는 게 어
О㓫ⲿㆺ
㓫ⲿ
 ㄆ㇃㉃⹦
㉃ ⹦ⲕ㓫
ⲕ ⲿㆺⷩ⻼
⻼ㄱ㔂㉃
• 아 부 리 어지 고 기운이 어 .
「ⷢⱼㆺ⺃㈎"
ⳣ⻳⾪㔫ピ㐱㇑ッ 나 이 안 좋으 원에 는 게 어
ⶳ⻡ⲿㄻ㉉ㄹ㍣㓯ⷨⲂ ֛ ⷢⱼㆺ⺃㈎" О⽬ⷹ ࢉ
ࢉ⽬ⷢⱼㆺ⺃㈎"

㇀⺉㈔" О⿞㈖ⷹ ࢉ⿞㈖ⷢⱼㆺ⺃㈎"


ࢉ • 고 에다 는게어
ОⲠ〢㓩ⷹࢉⲠ〢㓩ⷢⱼㆺ⺃㈎"
ù⽐⹧ⷹ ࢉ⽐⹣ⷢⱼㆺ⺃㈎"

• 그 문제는 께 이 기해 보는 게 어
1 ㉔゙⻓⹧㉂ⲕ⿄㉔㉞ㆺ㈎㊧㉂⿜⿳㉃㉔ㆫ⳨㓲「ヌ㈎

「⳨ ⳣ⻯⾇㈔⽌ⲿㄻ㇑ⱏⷨⲂ㇀⺉㈔"
㆘ⷵ⾇㎩Ⳅ㇑Ⲃ⿤㈜ⷨⲂ㇀⺉㈔"
㓱ⳅ㈔⽌⽄⿤㈜ⲛㅁ㇀㈔
㓫ⲿ㈎⽆⼾⿞㈖ⲕㄻⷹ

㈎⽆ⲹㄵ㇋ⱉⷹ ㎣Ⲿ㇋ⱼ⿞㈖ⷹ

1) 2) 3)

㇓㓺㉃ㆺ⹮⼈ⱍ㋜⾈⼻Ⲃⷹ ㎣Ⲿ⼾⽑㉔゙ⳓⲕㄻⷹ ㈎㋘⾎㉔㉢㊼㆒㓛ⷹ


㊌㊼⸳㇋ⱉⷹ ⲕ㓼㇋ⷹⶢ㇪ⷹ ⾈㉛㇋ⱉ「ⷹ ㇋ㄨ㇍㇋ㄨ 616 ⼾㓩ⷹ ㈘⸽㉃㓩ⷹ ⾎㇋㊧㉂㉅ㄲ㉃⽬ⷹ

다 는게어
2 ㉔゙⻓⹧㇋ⱼ㊧㉂⿜⿳㉃㉔ㆫ⳨㓲「ヌ㈎
다 는게어
-는 게 어때요?
ⲛ㔂㉚ⳣ⽌㈦㈔
ㇰⷩ⵷㆐ⱏ㆘㋂ ㊭㉈㔶ゟ⽄㍋ⲛ 입다 입는 게 어
㊭㆘㈔ ㅁ㇀㈔ ( , )
하다 하는 게 어
Ⲩ
Ⲩ ㉚ㄌ㇉㉉ㄹ㍣㓯ⷨⲂ㇀⺉㈔" 195 다 사는 게 어

문법 1 (-는 게 어때요)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ౚᢶྖ὾ংྡྷᆆ೭Ӫᾒᶾẞ᷶ᾚઞংྡྷᆆᾢᖊᅾӪᬀᶾẞࢲᾚઞ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ₕὊᐳᒟ὎Њᅾⓚ℆Ӫᬀᶾ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૮ᆂᢶྖ὾᷶࿶ᖎᷚҖѻ‟὾ࢢӪᐆ὎὾ᶆ‫⵾غ‬ẞ᷶࿶ᖎὊ‫؂‬  연습 2
ᢶྖᷚҖ᷶࿶ᖎ὾ᵖӪᾒઞₕὊᐳᒟ὎Њᅾⓚ℆Ӫᬀᶾẞ‫؂‬࿾ൖ
1. 고 을 해 하는 좋 방법에 해 구와 이 기해 보도록 한다.
ĹઞҖᶾൖẞ%ĺ὾ထҖᇚ⵾ℎᨢᾒᶾẞ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이해시 다. 11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어 183
50분 어휘와 문법 2 어휘와 문법 2

㏄㓕㐫⼈⾤㔥ノ㐫ㄆ㇃㉃ㆺ⺗ⱼㄳ㍝㓲㈎"

㉖㐫⶟㉀⼈㆗㆒「ⷹ 㓛⼈ⳝ⻟㉃チ㐡㓩ⷹ ㄱⱋ㉃㔦㉖㓩ⷹ


다 하 나 한 것이
있으 으로 정보를 아 .

을 하다 여 지 에서 에 는
것을 .

시 을 하다 수업을 하려
시간 지 해 . ㏊㓛㐱⼎⾪㔫ピ㐱ㄌ㇉㉉
㔠㒠㉔㋜㇋ソ
㔰㈢ⱉ㉜㉃㓩ⷹ
㇀⺝Ⲃㄹ㍣㓸㈔"
이지에 원 을 하다 을 할
㉜㐱ⶥ㉆⼎㆝㆘〒ⲛ
도 그 사이 에 이 ,주 ,I , 등을
㔦㒦㉚㋢㇑ッ㔶㈨ⱏ㉢㉉㓸㈔
들어 건을 수 있어 .

수 제하다 수업을 들으려 을내 해 .


그 이 수 료 . 그리고 수 료를 내는 방법
현 으로 수도 있고 로 수도 있어 . 이 게
을 내는 것이 제하는 것이에 .

ㄆ㇃㉃⹦ⷹ ㄆⱕ⼛⼾ⲉ㊌㓩ⷹ ㄆⱕㄳ㍝㉃㓩ⷹ

㇓⻩〤㉂㓫ⲿㆺㄆ㇃㉃ㄳ㍝㓬⺃ㆺ⺗ⱼㄳ㍝㓹ㆺ㈎"

저는 홈페이지에서 프로그램을
찾아보고 신청했어요.

196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어휘 2 (수업 신청)

 도입, 제시  연습

1. 문화 수 방법을 으 는 단어는 문화 1. 학 들에게 문화 수 방법에 해 문을 진다.


수업을 할 사용하는 어 을 알려 다. 2. 과 함께 문화 수 방법에 해 해 보도록 한다. 이
᷶࿶ᖎፂ⹞᥆⤺ᷚЊᔮᶾẞ%ፂ⹞᥆⤺ᨢ᷏὎೮Ὂ​὾ᾒᶾẞ% 제 문화 및수 안내 자료를 보 서 습할 수 있다.
ḮઢὊፂ⹞᥆⤺ᨢ᷏὎᫪ⒷⵢઞᐳᒟԆᨦᤦᆆᇚ⵪ൖᴂᨢᾒઞ 3. 학 들 리 이 기한 것 교사 정리해 주 이 이 기한다.
ᶾ⼢ᆆӿᖊ⵾ẞ
ጾ᪲ᨢ᷏὎೭Ӫᬀᶾẞ%
2. 교사를 어 를 리 내어 한 는다. 이 에 주의하게 ὾ፂ⹞᥆⤺ઞᶾළҖᨢП᫪Ⓑ὎⵪ᨢᾒᶾẞ%
한다. ᐳᒟ὾ᶾဿѺࢢᓿᾫⵢ⇊ᵔᵎẞ%ᐳᒟ὎♦նᷚҖЊᅾⓚ℆᥂ẞ
3. 어 의 의 를 한다. 어 사용 문장을 로 제시하 나
11 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의 를 어서 해 다. 상황에 의어나 의어 등을 로
할 수 있다.
4. 운어 를 리 내어 도록 한다.

184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ۻ‬ㆺ 「㉔ⷹ
㇈⽔㉚ㄌ㇉㉚
゙⻓㉔⵬゙⾦㉏ゥ㔪㉃「ⲕ㋢㉣㉔⵬ⷠ⵨㉃⽓㓬⺃゙㈕㓲㈎
이다
㉵⿈㉤㇀〒㇙㈔
어 을 보고 그 상 나 상황을 하 나 단할
㇩⾪
사용한다.
Оⱉ㊌ⱉ㉔㉅ㄲ㉃
ㄲ ⽐⹧㇆ㆺ㈎
㈎
⵬㆒
 ㊼⽘㉞ㆺ「㇓㈎

О㔰゙㇋㉗㉔
㔰゙㇋ ⽑ ㈎"
⽑㆒ " ㈎㋘㓡ⲗ
ⲗ㓲「㇓㈎
О⿟㔥㊇
⿟㔥㊇㇋ソ
㇋ 㒀ⷢ
㒀 ⾦Ɐ⹧㉂⾈
㉂ ⹌ ㊧㆒「㇓㈎ • 이 구할 재 있어 .
나 제 보기에 구는 힘들어 보여 .

㉜㐱ⶥ㉆⼎⾪㔫ピ㐱
֛㆒「㉔ⷹ Оⶶⷹ ࢉ  ⶶ㆒「㉔ⷹ • 이 해서 에 들어 .
Оぅㄼⷹ ࢉ  ぅㄼ「㉔ⷹ
ㄌ㇉㉉㆝㆘〖⳺" 나 그리고 원들도 해 보여 .
֛ㆺ「㉔ⷹ О㊃ⷹ ࢉ  ㊃ㆺ「㉔ⷹ
Оⶒⷹ ࢉ  ⶒㆺ「㉔ⷹ
• 이사를 했는데 이 아서 아 보여 .
֛ 㓲「㉔ⷹ О㓡ⲗ㓩ⷹ ࢉ  㓡ⲗ㓲「㉔ⷹ
О㎣㊅㓩ⷹ ࢉ  ㎣㊅㓲「㉔ⷹ
• 사진이 보여 .
1 ⷹ㉅ⳝ⽊㉃「ⲕ㉔ㆫ⳨㓲「ヌ㈎

「⳨
㈔ⱏㄌ㇉㉚㉵⿈㉤㇀〒㇙㈔
㊈ⷨ㈔ⱏㄌ㇉㉉⹭㇀㈔
㈎ⱉㄆ㇃㉃⹦ⷹ

㉯⿂㉞ⷹ ㊧ⷹ
다 아 보이다
1) 2) 3) -아 보이다 다 보이다
( , ) 다 아 보이다
다 아 보이다

ㆺ㊌⽫⽆ㄨ㐖㉗㉃⿏ⴽ㇆ⷹ ㉔⿮㇓⼿㇋ⲕ㓼㇋ⱉⷹ ⿙⳴㋜㉗㉃㓩ⷹ


다 보이다
㊆ⷹ ⳸ⵟ㓩ⷹ ⳨〤㉔㊧ⷹ 㓺」㓩ⷹ 㓡ⲗ㓩ⷹ 㕳⹧ⷹ -어 보이다 다 보이다
( , ) 있다 있어 보이다
2 ㆺ⺃「㇓㈎"㎣Ⲿㇷ㉔ㆫ⳨㓲「ヌ㈎ 다 보이다
㇧㎩Ⳅ⽄〒ヒ㈔ ⸂Ⲗ㍍ㆧ㉕⿤㈞⾪⿹㉉ 㕜ⱏⱚ㉉⺉ゟ㋤㉉〒ヒ㈔
ㇰⷩⳮ〪㉚㇀⺉〒㇙㈔" ⷿㄷ〒ヒ㈔㇀⺉〒㇙㈔" ㇀⺉〒㇙㈔"
하다 해 보이다
-해 보이다
하다 해 보이다
(하다)
Ⲩ
Ⲩ ㉚ㄌ㇉㉉ㄹ㍣㓯ⷨⲂ㇀⺉㈔" 197 행 하다 행 해 보이다

문법 2 (-어 보이다)

 도입, 제시  연습 1

1. 도입 그 과 화를 통해 문법이 사용되는 상황을 지시 다. 1. 보기 의 화를 교사와 함께 성해 본다.


὾ౚᢶྖὊፂ⹞᥆⤺ᨢ᷏὎ᵖᵎᓾӪᾒᶾẞፂ⹞᥆⤺ᨢ᷏Ὂ 2. 나 지 문제를 보기 의 화 과 성하도록 한다.
⛾Ⳳ⤺ᷚᤦᢶ⇎὎ᓾӪᤪ⣧⵾ᶆ⵾ẞ 3. 습한 것을 표하게 하 나 교사 전 학 상으로 하게 하여
2. 교재의 표 문을 보 서 문법의 의 를 한다. 한다. 그리고 있으 수정해 다.

ౚᢶྖὊⴎၦ‫ྲ؂‬὎ᤪ⣧ⵢ‫غ‬Ἆ⵾ᤦ᷶࿶ᨢ᷏ᢶ⇎὎ᓾӪᾒᶾẞ  연습 2
ᢶྖ೮ὢⱦ‟՚᫮ὢኲᪿ὾࿺ҍ὎ᓾӪᾒᶾẞᢶ⇎὎ᓾ૒ٖⵢࢢὢ
1. 구의 기분이 어 지, 단계에서 이 운 문법이 어 지,
ᨢ᷏὾…ᾆĹᾶᐂᾒ὎ѺḒẞĺ⁺ؒ▞☫⵪ᨢᾒᶾẞ὾࿾ൖĹᶾ
을 사진을 보 서 사 들 기분이 어 지 어 보이다 를
ᓾ὾૮ĺᆆᖣ᷶ᤦĹᾶᐂᾒᶾᓾ᷶ẞĺ྆Ӫᇚ⵾ẞ
활용하여 자 의 이 기를 하도록 한다.
3. 학 들과 교재의 문들을 으 서 문법의 의 를 하고
2. 구와 화한 것을 표하게 하고 있으 수정해 다.
이해시 다.
115쪽을 게 하 나 과제로 제시한다. 익힘책 습 활동
4. 문법의 정보를 제시하고 한다.
이도에 교재 습 문제 전 로 활용한다.
5. 문을 제시하고 문법의 의 와 사용법을 정 하게 이해시 다.

과 어 185
50분 말하기와 듣기 말하기와 듣기

1 ㉔⽍ㆊㇷㇿ㕟ㆊⱉ⾤㔥ノ㐫ㄆ㇃㇋⸋㓲㉔ㆫ⳨㓲㈎ⷹ㉅Ⲣⱘ㉔㉔ㆫ⳨㓲「ヌ㈎

㉔⽍ ㇪ⷣ⾤㔥ノ㐫㒐㓝⽌㉃〗ㆺ㈎㊂⸳㓩⵬⿞㈖⾁
2-18 EBOOK ㊧Ⲃⷢ⸣ㆺ⺎ㄆ㇃㉃ㄳ㍝㓩⾁㊧㉃⳴㈎"
1 2) ㇿ㕟 ㊂⸳⾤㔥ノ㐫㇋ソㄆ㇃㉃⽑㉔⹧㇆ⷢ⸣⸳㈜㉔
2-18 EBOOK

이링: 문화 을 어 . 도 하나 좋 는데 어 수업을 ⹅ⲕ㆒㊼㊧㆞ㆺ㈎㉔⽍ㆊⷢ㈘⸽㉃㊧㆒㓩ⷯ⳴


하 좋을 ㈎ⱉ⼾⿞㈖ⷢⱼㆺ⺃㈎"
왕흔: 도 문화 에서 수업을 이 들 는데 도움이 되고 아주 좋 어 . ㉔⽍ ㆒㊧㉂クⱊ㉔㇋㈎㊂⸳㈎ⱉㄆ㇃㉔㉯⿂㉞ㆺ
이 는 리에 관 이 있으니 한 를 하는 게 어 「㇞ㆺ㈎ㆺ⼀㋜ⷢ㆖Ⲃ㊸"チ㌼ㄈ⾈㋣㉔ⷯ⳴
이링: 아, 좋 각이에 . 도 한 리 수업이 좋아 보였어 . 어 지는 ㋣㇋ⱉソこ⽆ㄳ㍝㓲ㆫⲂㆺ㈎
순 이니 에 서 리 해 어 . ㇿ㕟 ㍬ⳤ⿓㉔ⷯ⳴ㆺ⼀㋜㆖㉃Ɑ㇣㈎㊂⸳こ⽆
왕흔: 이니 어 지 을 . 도 리 재 있는 수업을 아 어 . ㉯⿂㉞ⷢㄆ㇃㉃㍅㆒〕ㆫⲂㆺ㈎

1)㈘⸽㉃㊧㆒㓩ⷯ⳴㈎ⱉ⼾⿞㈖ⷹ
㈘⸽㉃㊧㆒㓩ⷯ⳴㈎ⱉ⼾⿞㈖ⷹ _㈎ⱉㄆ㇃㉔㉯⿂㉞ⷹ
㈎ⱉㄆ㇃㉔㉯⿂㉞ⷹ
2 2)㈎⽆㇋Ⲥㄷ㉔㉞㉀ⷯ⳴㓫ㄲⱕ㊨⼾ㄳ㍝㓩ⷹ
㈎⽆㇋Ⲥㄷ㉔㉞㉀ⷯ⳴㓫ㄲⱕ㊨⼾ㄳ㍝㓩ⷹ _㓫ㄲ㈎⽆ㄆ㇃㉔㊧ⷹ
㓫ㄲ㈎⽆ㄆ㇃㉔㊧ⷹ

가: 어 수업을 했어
2 ㇓⻩〤㉂ㆺ⺎ㄆ㇃㉃ㄳ㍝㓹ㆺ㈎"ㆺ⺎ㄆ㇃㉃ㄳ㍝㓩ⲕㄻㆺ㈎"㎣Ⲿㇷ㉔ㆫ⳨㓲「ヌ㈎
나: 수업이 재 있어 보여서 수업을 했어 .
가: 는 하 좋을 ⽖⹭ⳮ⽄㊭㆘㓸ッ
㇀⺔ㄌ㇉㉉ㄹ㍣㓿㇀㈔"
Ⲧ㇩ⲿㄻ㉉ㄹ㍣㓿㇀㈔
나: 에 는 것을 좋아하니 를 하는 게 어

직 원(남): 어 게 어 18-L.mp3
18-L.mp3
안젤라(여): 들기 수업을 하려고 하는데 . ㆔㊏⻏ㆊⱉ⾤㔥ノ㐫㇋ⱔㆺ㈎㉧⹦ⲕ⸄㓲「ヌ㈎
직 원(남): . 에는 들기 수업이 세 개 1) ⹬㉇ⶂ㈚ⲧⱝ㉇ⱺ㉈Ⲛ⽀パ㈓
있습니다. 시간표부 해 보세 . Ұ㔥㒥㉙㋡㇐ヂㄸ㍢㓷ㆰ⹈㈓
안젤라(여): , 사합니다. .... 여기 화 전 수업이 재 있어
ұ㉜㈓㉜ㄋ㇈㉇ㄸ㍢㉙⵨⵼ㆿ㈓
보여 . 기간이 제 지
Ҳ㆙㊔⻔㆏ⷧ㉜㈓㉜ㄋ㇈㉈ㄸ㍢㓱Ⱳ㇨㈓
직 원(남): 이 주 지입니다. 그 데 순 이니
ҳ㍜㇛おⷎ⽕⹬Ⳮㄋ㇈㉇⾍⹑パⱠ㇨㈓
하시는 게 어 세
2) ㆙㊔⻔㆏ⱎㄸ㍢㓰ㄋ㇈㉇㇁㊑ㄶ㉨㓷㈓"
안젤라(여): 그 할게 .
직 원(남): , 여기 서 주세 . 수업 다 주부 다음 달 첫 번째 주부터 시작해요.
198
8 ゟ㔶㑏
ゟ㔶
ゟ㔶㑏㓵㓡⼎ⳣ⻥ .,,3 㓱ⳅ㇀ㇽ㓱ⳅ⾪㔫㍲⳪
㔶㑏
시 합니다.

문화 센터 수업에 대해 말하기  확장 연습

 대화문 연습 1. 고 수업 에 해 하기를 한다고 알려 다.


2. 과 이 고 문화 수업에 해 이 기하게 한다. 화를
1. 문화 수업에 해 이 기하 교재의 그 을 이용해 어
할 는다 과 내용을 함하여 하도록 지시한다.
상황 지 해 보도록 한다.
ᶾථᨢ᷏὎᫪Ⓑ⵪ѺḒẞ%὾ἪЊፚḒẞ%
὾ౚᢶྖὊጾ᷑὎ᓾӪᾒઞҍУᵎẞ%
♦նᷚҖᶾỂᆶઞᨢ᷏὎▞⒦⵾℆᥂ẞ὾Ἢ௎У὾ᇚ⵾℆᥂ẞ
ፂ⹞᥆⤺⭂ⴖᇉᷚઞᶾථࢾẳ὾ᾒᶾẞ%
᷶࿶ᖎὊ᫦Ў὾ᾒ὆ቾᶾථᨢ᷏὎೭Ӫᬀᶾẞ% 3. 이 기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하고 를 수정해 다.
2. 지시문을 이용하여 화 상황을 학 들에게 하게 알려 다.
3. 화를 들려주고 간단한 문을 하여 화 내용을 이해했는지
한다. 수강 신청 방법 듣기

὾ౚᢶྖὊጾ᷑὎ⵢӪᾒᶾẞ% 1. 지시문을 이용하여 등장 과 화 상황을 한다.


὾ᇋᴲઞᶾථᨢ᷏὎▞⒦ⶒᶾẞ% 2. 문제를 고 들어 하는 정보를 파악하게 한다.
ẞЊᨢ᷏ὊᶾီỖẞ%
3. 기파 을 고 문제를 게 한다.
᫪ⒷὊ᷂…⵾ᶆ⵾ẞ%
4. 교재 문의 을 한 해 화를 이 으 내용을 한다.
4. 교사와 함께 화문을 으 서 자 게 하는 습을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정도 해서 습한다.
5. 교 어 를 활용하여 과 함께 습하게 한다.
6. 습이 나 한 을 표시 나 교사 전 학 을 상으로
한다.

186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읽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50분

1 ⷹ㉅ⳡ㉃㉘ⲕ㋠⾤㇋⸄㓲「ヌ㈎

주민 센터 문화 강좌 수강생 모집
К㉽・ⳝⱀ⽒ⷳ㉌a㉌
К㉽・⿑⿨⿑⾙㉽・⺘⷗㉉⽫㉌㉽・ M#JFIRUNU
К・ⱊ⼐⾖⼐ Ⲯ㉤〺⽅㈗㉤⼐〺⿹⸨
⾙㉄
강좌명 대상 시간 강의실 인원
맛있는 커피
성인 화 9-11시 101호 15명
(바리스타 자격증 과정)
컴퓨터 기초 초등학생 월~금 14-15시 102호 15명 그 지 에 고 있는 사 들을 해여
컴퓨터 중・고등학생
(컴퓨터 활용 능력 자격증 과정) 및 성인
월~금 17-18시 103호 15명
지 편리한 서 를 제 하는 이에 .
생활 영어 성인 화, 목 20-21시 201호 15명

수 수업을 는 학 이에 .

수 수업을 고 내는 이에 .
1) ⱚ㊭ㄸ㍢㉇㇁㊑㓷ㆰ⹈㈓" 매달 25일부터 28일까지 신청해야 돼요.
2) ⱚ㊭ㄸ㍢㉇ㆿ⺜ⲁ㓷㈓" 방문해서 접수하거나 이메일로 접수해요. 수업을 하는 데 한여 지 재료를 사는
데 들어 는 이에 .
3) ⱚ㊭㇐⸐㓰ト⾊㉅⼍⽟㉅⾆ н㑳⽋⾆
н ;㓮パ㈓
ҰÒ㏉㓚㐰Ⳮ㍱Óⷧㆿ⽂⸸ㄸ㍢㓱ㄋ㉣ㆿ㈓  교 수업에서 사용되는 책의 이에 .
ұÒ⽝㉣ⷧ㏄㓦Óⷧ㉴⼠おⱎ⾦⼠㇨㈓ 
ҲÒゴ㔭㇤ㆿÓⷧ㉜㋁㉜㇐⹑⿳ㄋ㇈㉙㉣ㆿ㈓  원 하나의 장 에 들어 는 사 의 수 .

2 ㇓⻩〤㉔ㄆⱕ㓩ⲕㄻ㉂ⱕ㊨ㇷⳝ㉔㈷⼾ㅏ「ヌ㈎
단어장

㒐㓝⽌

⸳㈜㉔⹅ⷹ

チ㌼
チ㌼ㄈ
ⱕ㊨

㊈ㄆ

〄⸳

⿏⽆ㄨ㐖

Ⲩ
Ⲩ ㉚ㄌ㇉㉉ㄹ㍣㓯ⷨⲂ㇀⺉㈔" 199

강좌 안내 읽기 강좌 소개하는 글 쓰기

1. 제목을 보 의 내용을 하게 한다. 1. 어 을 지 알려 주고 에 들어 내용을 각해 보게 한다.


὾؊὎Ṧᮆᶾẞ%਎Њᾇ὆ቾₕ὎ҍУᵎẞ% ḮઢὊ᷶࿶ᖎ὾᫦Ў὾ࢢ‫⺖غ‬Њᾒ὆ቾᨢПⵢӪᬀὊПₖᆆᦖЦⵢઞ
ጾ᷑ᷚଊⵦࢾẳᾂҍУᵎẞ% ؊὎ᴂѺḒẞ
‫؂‬ПₖᆆᨢПⵢӪᬀὊ὾ἪЊጾ᷑ᾂЊẞ%
2. 을 어 게한 주제, 내용 등을 간단 해 보도록 한다.
ኲ⇛‫غ‬Ў὾᷂…Ḓẞ%ᨢПზઞ᷆ᇒḒẞ%‛ᨢᾯᦖઞᶾഞḒẞ% 2. 교재 문에 해자 이 내용을 간단하게 하도록 한다. 교사는
ᶾථᨢ᷏὾ᾒᶾẞ% 학 들이 에 는지 해 다.
‫؂‬ᨢ᷏Ὂᨢ᷏᫦Ў὾ᶾළҖఆẞ% 3. 한 내용을 바 으로 로 성하게 한다.

3. 을 다시 으 서 문제를 게 한다.
4. 을 이 한 , 본문을 다시 으 는 어 는지
한다. 한 로운 어 , 표현을 한다.

과 어 187
30분 문화와 정보 문화와 정보

문화가 있는 날
⽣⸄⽔㋢⽕㋂ㄌ㈔㉝㉈⾪㔫ⱏ㉤ⷨ⵷㉢ⷵⷿ⾪㔫ⱏ
㉤ⷨ ⵷㇑ⷨ ㇥㔫Ⲫ Ⲧ㇜㉳ ⿖⾬Ⲫ ⿈ㄐⲪ ㄮ㒹㎟ ㄷド
⹲㊊ⳅ㇑㉤ⷨ⾪㔫ㄷド㉉㓲㉜⹌ⱏⲋ㉚⵲⾧⼡⼎㋝Ⳳ
ㄌ㉤ㄴⷵⷿⳣ⽌ⲛ㋢㇚⽔ⷿ㑱ギ㉤ⷨ㓡⼎ⳣ⻥㉚㉤㇀ッ
㓱ⳅ㉕ⷿㆹ㓱⾪㔫⽄Ⲕ㔈㓲ㄌ㉤ㄴⷵⷿ⺩㓱㉚⵷㇑ⷨ
⿟㇑ ⾪㉉ ㇙ⷨ ⾪㔫 ㄷド⸹ ㉤ㄴⷵⷿ ⳣ⻡ッ 㒴ヨ㇑ ㉝
⺉⾪㇑ ⾪㔫⽄ ㋝ⳮ㋢ ⾖㓱 ゟ⻙⹭㉈ ㉚⵷ ⾪㔫 ㄷド㉉
㉚㈛㓵ⷵⷿ

1) ⾪㔫ⱏ㉤ⷨ⵷㉈㇂㊒㇩㈔"
2) ⾪㔫ⱏ㉤ⷨ⵷㇑ⷨ⾧㇋㉉㓲ㄌ㉤㇀㈔"
3) ㇙⻯〪㉈⾪㔫ⱏ㉤ⷨ⵷㇑⾧㇋㉉㓯ⲛㅁ㇀㈔"

200 ゟ㔶㑏㓵
㑏㓵
㓵㓡⼎
㓵㓡 ⼎ⳣ⻥ .
⼎ⳣ
ⳣ ,,3 㓱ⳅ㇀ㇽ㓱ⳅ⾪㔫
㔫 ㍲⳪
㍲⳪
㍲⳪
㍲⳪
⳪



문화가 있는 날 5. 문을 이용하여 학습자 자 의 을 해 보도록 한다.

1. 이 단원의 문화와 정보 에 한 것 지 알려 다. ᷶࿶ᖎὊĹፂ⹞Њᾒઞࢪĺᷚጾ᷑὎ⵢӪᬀᶾẞ%

᷶࿶ᖎ᫦Ў὾ᾒ὆ቾḋ⹞ᆆᓾѺࢢӿ᷺὎ᓾѺࢢ‎᫦⺖ᷚЊӪ
ᬀ⇊ẞ%‫؂‬࿺୺⁺ؒЊҳ὾ᖊ૾᪮࿶Ỗẞ%
ᬆЊҳᷚ὾࿺ҍ὎⵪ᨢᾒઞᐳᒟ὾ᾒᶾẞḮઢὊĹፂ⹞Њᾒઞࢪĺᷚ
ଊ⵾ᵖᵎᔏ᫦૮

2. 교재의 그 (사진)을 보 서 주제에 해 알고 있는 것을 상기시 고


해 보게 한다. 이 관련 시각 자료를 로 활용할 수 있다.
᷶࿶ᖎὊᶾഞᷚЊӪᬀᶾẞ%ጾ᷑὎ⒾⷢⵢӪᬀᶾẞ%
Ĺፂ⹞ЊᾒઞࢪĺὊᶾථࢪ὾ᷚẞ%
Ĺፂ⹞ЊᾒઞࢪĺὊጾ᷑὾ₕᵎẞ%

3. 교재를 이 으 서 내용을 한다. 이 한 정보 있는


부분에 을 나 표시하게 하는 것도 좋다.
4. 문 1, 의 을 아보고 하게 한다.
Ĺፂ⹞ЊᾒઞࢪĺὊ᷂…Ḓẞ%
Ĺፂ⹞Њᾒઞࢪĺᷚઞጾ᷑὎⵪ᨢᾒᶾẞ%

188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2


단원 마무리 20분

18-P.mp3
발음

1. 다음을 듣고 따라 읽으세요.
1)㇀㓰㉨ⲋ㋡>㇀㓰㉨ⲋ㌷@ ‘ ’ 18-P.mp3
2)㔀〓㓸>㔀〒㎹@
한자 에 어 자 는지에 상관 이
3)㍝㇜か⷏>㍛ⶪか⷏@
1월 단어의 간이나 지 에 적으로
일 월 화 수 목 금 토
2. 다음을 듣고 연습해 보세요. 으로 다.
1) ㇀㓰㉨ⲋ㋡ㄌ㇉㉉⹬ⲛㅁ㇀㈔
2) ⱏㇰⷩ㔀〓㓸〒㇙㈔
 ⵲⶟ⲛ㔂㎩Ⳅ⹭㉉⽖⵽ⱳ⹫㈔
3) ⱏ⾪㔫ピ㐱㉕㍝㇜か⷏⽖⹭ⳮㄌ㇉㉉⹬ⲛㅁ㇀㈔
⵲ⳣ⻳ⱞ㉚ㄹ㍣㓲⳺㈔"
로 , , 이 합되는 , , 로
문화가
가 있는 날 다.

배운 어휘 확인


㈎ⱉ 
㔠㒠㉔㋜
에 , , , , , 와 이

㈫き⸍ㄨ 
㔰㈢ⱉ㉜㉃㓩ⷹ


㍗㇖ぅⷉ 
ㄆⱕㄳ㍝㉃㓩ⷹ
현상이 나 다.

⸳㉢⳨ 
ㄆⱕ⼛⼾ⲉ㊌㓩ⷹ 의 자 하나 되어 다.

ㆺ㓪 
ㄆ㇃㉃⹦ⷹ


㉢ⲅ㋛ 
㒐㓝⽌


⿂㈕ 
⸳㈜㉔⹅ⷹ


ⶭ⻛ⲹㄵ 
チ㌼ㄈ


㉅㆓ⲹㄵ 
ⱕ㊨


㈎⽆ⲹㄵ 
㊈ㄆ • 이 단원에서 운어 기 나는 것을 해 보세 .

㉖㐫⶟㉀⼈㆗㆒「ⷹ 
〄⸳ • 이 단원에서 운 문법

㓛⼈ⳝ⻟㉃チ㐡㓩ⷹ 
⿏⽆ㄨ㐖
•여 분 시간이 있으 어 것을 고 어

ㄱⱋ㉃㔦㉖㓩ⷹ
•그 를 하려 어 게해 해
• 문화 있는 어 이에
Ⲩ
Ⲩ ㉚ㄌ㇉㉉ㄹ㍣㓯ⷨⲂ㇀⺉㈔" 201

발음 10분 마무리 10분

1. 교재 1 을 들려주고 이 어 게 들리는지 학습자 로 1. 단원에서 학습한 어 기 하는 것을 해 보게 한다.


해 보도록 한다. 2. 운어 목록의 어 들을 으 서 의 를 상기시 다.
2. 자 , 행 해, 자 , 행보 , 로 3. 단원에서 학습한 문법( 는 게 어 , 어 보이다)을 상기시
다는 것을 알려 다. 의 와 사용법을 기 하는지 한다.
특 한 한자 의 화
4. 단원의 목표와 성 도를 한다.
이어 의 과 이 나 화 할 이기도 하지
5. 익힘책을 과제로 제시하고 리한다.
한자 에어 자 는지에 상관 이 단어의 간이나
지 에 적으로 으로 다.
분 , 국 등록 , 자

과 이 나 로 다.
현상
의자 이다 으로 을 나 다 로
자리를 다.
3. 교재 1 을 다시 고 교사를 해 본다.
4. 교재 화를 고 해 본다.
5. 과 함께 화를 으 습하게 한 에 한다.

과 어 189
기획·연구
박정아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이슬비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
정혜선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 박지수 국립국어원 연구원

집필진
책임 집필
이미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공동 집필
이영숙 한양대학교 국제교육원 교수 조항록 상명대학교 한국학과 교수
안경화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대우교수 배재원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특임교수
김현정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선도센터 책임연구원 정미지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특임교수
이윤진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오지혜 세명대학교 미디어문화학부 교수
유해준 상지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박수연 조선대학교 언어교육원 교육부장
강유선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연구원 이미선 서정대학교 사회통합프로그램 강사
이명순 대전대학교 사회통합프로그램 강사

연구 보조원
김민정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강사 오민수 건국대학교 언어교육원 강사
위햇님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강사 이승민 (재)한국이민재단 강사
남미정 상명대학교 국제언어문화교육원 강사 곽은선 고려대학교 한국어센터 강사
권수진 한양대학교 국제교육원 강사 강수진 상명대학교 국제언어문화교육원 강사
진보영 안산시외국인주민지원본부 사회통합프로그램 강사


초급 2 (교사용 지도서)
초판 발행 2020년 12월 10일

기획·연구 국립국어원
관계 기관 협조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이민통합과
지은이 이미혜 외

펴낸이 박민우
기획팀 송인성, 김선명, 박종인
편집팀 박우진, 김영주, 김정아, 최미라, 전혜련
관리팀 임선희, 정철호, 김성언, 권주련
펴낸곳 (주)도서출판 하우

주소 서울시 중랑구 망우로68길 48


전화 (02)922-7090
팩스 (02)922-7092
홈페이지 http://www.hawoo.co.kr
e-mail hawoo@hawoo.co.kr
등록번호 제475호

값 13,000원
ISBN 979-11-90154-91-8 14710
ISBN 979-11-90154-80-2 14710 (set)

✽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전재와 무단 복제를 금지하며,


이 책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하려면 반드시 저작권자와 (주)도서출판 하우의 서면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