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0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보안과제(O), 일반과제(O) 과제번호 2013M2A8A6035681

소듐냉각고속로개발사업단
(Sodium cooled Fast Reactor development Agency)

소형혁신 SFR 노심 열해석 및 열이송 시스템 기술개발


(Development of thermal analysis methodology and heat transport
system for innovative small SFR core design)

한국과학기술원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출 문

미래창조과학부장관 귀하

이 보고서를 "소형혁신 SFR 노심 열해석 및 열이송 시스템 기술개발" 과제의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5 . 12 . 23

주관연구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주관연구책임자 : 정 용 훈
연 구 원 : 박 해 민
" : 송 섭 리
" : 정 용 훈
" : 김 상 호
" : 유 병 현
" : 최 재 영
" : 김 용 진
" : 문 장 식
" : 감 동 훈
" : 송 중 현
" : 정 준 영
" : 최 영 재

- 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보고서 요약서

2013M2A8 해당단계 2013.03.01.


과제고유번호 단계구분 1/1
A6035681 연구기간 ~2016.02.29.
중 사 업 명 원자력기술개발사업
연구사업명
세부사업명 소듐냉각고속로개발사업단
대 과 제 명 혁신개념 소형 SFR 플랜트 개념개발 연구
연구과제명
세부과제명 소형혁신 SFR 노심 열해석 및 열이송 시스템 기술개발
해당단계 총 : 13명 정부: 402,000천원
해당단계
참 여 내부: 1명 기관: 0천원
연 구 비
연구원수 외부: 12명 계 : 402,000천원
연구책임자 정용훈
총연구기간 총 : 13명 정부: 402,000천원
참 여 내부: 1명 총연구비 기관: 0천원
연구원수 외부: 12명 계 : 402,000천원
연구기관명 및 한국과학기술원
참여기업명
소 속 부 서 명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국제공동연구 상대국명 : 상대국연구기관명 :
위 탁 연 구 연구기관명 : 연구책임자 :
요약 보고서면수 89
덕트제거형 노심 해석 방법론 개선방향 도출 및 검증 계산 수행. CFD와의 연계
계산을 통한 검증데이터와 노심 부수로 해석코드인 MATRA-LMR의 소스코드
및 인풋 설정을 변경한 계산결과를 통해 기존 난류혼합계수로도 덕트제거형 노
심 계산 수행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 노심 열출력 분포에 따른 노심입구유량제
어를 설정하여 출구부분 온도분포 구배 완화 설계를 수행. 보다 정확한 온도분
포 예측을 위해 노심 동특성 코드와의 연계 계산을 수행. 원자로 용기 내부에
삽입 가능한 중간열교환계통의 최소화/소형화 설계 개념을 도출하고, 발전사이
클 측 열교환기 및 노심의 압력강하를 포함한 최적 설계를 수행. 계통설계인자
를 활용한 1차 주요계통 모델링을 통해 소듐 풀에서의 유체 거동 모사.
, , ,
한 글
, ,
Sodium fast reactor, Core thermal-hydraulics,
색 인 어
Intermediate heat transport system,
영 어
Design optimizatio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Passive decay heat removal system

- 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요 약 문

. 제목
소형혁신 SFR 노심 열해석 및 열이송 시스템 기술개발

.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노심 열수력 해석 방법론 개선 및 열수력 설계
소형혁신 SFR의 개선된 노심 구조에 적합한 해석 방법론 개선이 필요함
20년 노심 수명 동안 출력분포가 노심의 중심 방향으로 치우쳐 생기는 온도집
중현상 완화를 위한 최적화 설계가 요구됨
설계 여유도를 가질 수 있도록 노심 계통설계를 진행해야 하며, 보다 정확한 결
과 예측을 위해 노심 동특성 해석코드와의 연계 계산을 수행하여야 함
중간열교환계통 최적화 설계 및 해석
중간열교환계통의 크기 및 구조 복잡성을 완화하여 경제적 이점을 볼 수 있도
록 개념설계가 요구됨
제거 개념 소형화 개념의 장단점을 비교분석하여 계통의 기본 레이아웃을 결정
한 후 안전성을 보장하는 범위 내에서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방향의 연구가
필요함
1차측 3차원 유동분포 해석
설계완료된 중간열교환계통 구조 및 배치를 결정하는데 있어, 소듐 풀 내부에서
의 유체 거동을 가시화 할 수 있어야 함

.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노심 열수력 해석 방법론 개선 및 소형 혁신 SFR 노심개념에 대한 노심 열수
력 설계 및 해석
◼ 기존 SFR 노심 구조 변경에 적합한 노심 열수력 해석 방법론 개선 및 검증
◼ 개선된 해석 방법론을 적용하여 소형 혁신 SFR 노심개념에 대한 노심 열수
력 설계 최적화 및 해석
○ 최적 중간열교환계통/잔열제거계통의 성능평가 및 안전해석
◼ 중간열교환계통 제거를 위한 S-CO2 유입방지 구조설계
◼ 중간열교환계통 최소화를 위한 단순화 구조설계 및 성능평가

- 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중간열교환계통 및 피동잔열제거계통의 성능평가 및 안전해석


◼ 원자로 외벽냉각을 이용한 피동잔열제거계통 개념개발
○ CFD를 통한 1차측 유동분포 해석
◼ 중간열교환계통, 피동잔열제거계통 등을 포함한 계통 모델링
◼ 1차측 구조에 따른 정상운전 및 사고시나리오 별 유동분포 해석

. 연구개발결과
노심 열수력 설계 및 해석
◼ 노심 열수력 해석 방법론 개선안 도출
- 덕트 제거형 노심의 열수력 해석을 위한 MATRA-LMR 소스코드 변경
- CFD 검증계산을 위한 예비해석 수행을 통하여 기초 열유동 정보 수집
◼ 개발된 노심 열수력 해석 방법론 검증
- CFD의 단위유로 해석을 통해 검증계산을 위한 real. k-eps. 모델 선정
- 선정된 난류모델을 사용한 ORNL-LMFBR 실험 재모사 및 검증을 통해
계산오차 5%이내에 들어감을 확인
- 덕트제거형 노심 모사를 위한 CFD 해석
- CFD를 통해 생산된 덕트제거형 노심해석 결과를 통해 개선된 부수로 해
석 방법론 검증계산을 수행하여 기존 난류혼합계수의 타당성을 재확인
◼ 소형 SFR 노심 개념에 대한 열수력 설계
- 노심 열출력 분포에 따른 입구유량 분배 비율 계산
- 노심 동특성 해석코드와의 연계계산 수행
- 첨두 집합체에서의 열수력 해석을 통해 설계여유도 이내에 들어감을 확인
중간열교환계통 최적화 설계 및 해석
◼ 중간열교환계통 개념설계
- 중간열교환계통 제거형 개념설계
- 중간열교환계통 최소화 개념설계
- 최종 계통 레이아웃으로 중간열교환계통 최소화/소형화 개념 선정 및 계통
의 주요 설계인자 계산
◼ 중간열교환기 설계코드를 통한 예비설계 수행
◼ 중간열교환계통 CO2 누출 사고상황 해석 및 발전사이클측 열교환기의 압력
강하 값을 반영하여 최적설계 수행
◼ 수은 서모사이펀 방식의 피동잔열제거계통 설계를 통해 제열요구량 확보
1차계통 유동 분포 해석

- 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차 주요계통 모델링
◼ 최적설계를 반영한 3차원 유동분포 해석
- 노심 및 중간열교환기의 다공성 모델 사용
- 정상상태 해석

.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노심열해석 기술 개발
중간열교환계통 소형화 설계 기술 개발
피동잔열제거계통 설계 기술 개발

- 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SUMMARY

. Title
Development of thermal analysis methodology and heat transport system for
innovative small SFR core design

. Objective and Motivation


Improvement of core thermal-hydraulic analysis methodology and core
thermal design
Core thermal-hydrulic analysis methodology should be modified for
ductless fuel assembly. Design optimization should be performed for flow
temperature normalization during the 20-year core lifetime. For ensuring
the design safety margin, coupled analysis should be performed using
thermal-hydraulics and neutronics codes
Optimization and analysis of conceptual IHTS design
Conceptual design should be suggested based on minimizing the size and
structure complexity of IHTS
Design optimization study sholud be performed in economic point of view
by comparing the IHTS elimination and IHTS minimization
Analysis of 3-dimensional flow distribution for primary sodium pool
Flow distribution analsys sholud be performed for finalizing the position of
main components of primary sodium pool

. Scope and Contents


○ Improvement of core thermal-hydraulic analysis methodology and Core
TH design for the innovative small-scale SFR concept
◼ Development of the suitable methodology of core thermal-hydraulic
analysis for structural change of the existing core design
◼ Verification of the suggested core thermal-hydraulic analysis
methodology
◼ Core TH design optimization and analysis for the innonative small-scale

- 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SFR concept using the suggested methodology


○ Optimization and analysis of conceptual IHTS design
◼ Design of IHX and structure for preventing S-CO2 ingression to
eliminate IHTS
◼ Design of non-pump IHTS structure for sodium natural circulation to
minimize IHTS system
◼ Performance evaluation and safety analysis of optimized IHTS and
PRHRS
◼ Development of evolutionary/revolutionary passive decay heat removal
system through external vessel cooling concept for SFR
○ Observation of flow distribution in primary sodium pool through CFD
analysis
◼ Geometric modeling of primary system components
◼ Analysis of flow distribution in normal operation and accidential
scenarios

. Results and Discussion


Design and analysis of core thermal-hydraulics
◼ Modification of core thermal analysis methodology
- Modification of the MATRA-LMR source codes for analyzing the
ductless fuel assembly
- Collecting the basic information of thermal hydraulic quantities through
preliminary calculation
◼ Validation of modified core thermal analysis methodology
- Selection of realizable k-epsilon model as main turbulent model
- Calculation of ORNL-LMFBR experiment with selected turbulent model
and proper variables
- CFD analysis for ductless type fuel assembly
- Reconfirming the conventional turbulent mixing parameter for ductless
fuel assembly by validation with CFD results
◼ Core thermal-hydraulic design for small SFR core
- Design of core flow rate distribution based on core radial power
distribution

- 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Coupled simulation
- Ensuring safety margin in hottest fuel assembly
Optimization and analysis of IHTS
◼ Conceptual design of IHTS
- Conceptual design of IHTS elimination
- Conceptual design of minimized/simplified IHTS
- Calculation of system design parameters for minimized/simplified IHTS
layout
◼ Preliminary calculation of IHX design using component analysis code
◼ Design optimization of IHTS including CO2 injection accident scenario
and pressure drop consideration of PCHE
◼ Securing heat removal rate requirement using thermosyphon type
passive decay heat removal system
Analysis of flow distribution for primary sodium pool
◼ Modeling of main components in primary sodium pool
◼ 3-dimensional flow distribution analysis based on optimized system
design
- Analysis of core and IHXs using porous medium method
- Sodium pool analysis for normal operating condition

. Recommendations for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 of core thermal analysis technology
Development of IHTS minimization technology
Development of passive decay heat removal system design technology

- 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11
Section 1. Research Motivation 11
Section 2. Scope and Objectives 12
1. Objectives 12
2. Scope 12

Chapter 2. State-of-the-art in SFR Technology 13

Chapter 3. Results and Discussion 21


Section 1. Design and analysis of core thermal-hydraulics 21
1. Modification of core thermal analysis methodology 21
2. Validation of modified core thermal analysis methodology 28
3. Core thermal-hydraulic design for small SFR core 52
Section 2. Optimization and analysis of IHTS 58
1. Conceptual design of IHTS 58
2. Preliminary calculation of IHX design using component analysis
code 63
3. Design optimization of IHTS including CO2 injection accident
scenario and pressure drop consideration of PCHE 65
4. Securing heat removal rate requirement using thermosyphon type
passive decay heat removal system 67
Section 3. Analysis of flow distribution for primary sodium pool 74
1. Modeling of main components in primary sodium pool 74
2. 3D flow distribution analysis based on optimized system design 79

Chapter 4. Project Achievements and Contributions 83

Chapter 5. Recommendations for Future Applications 84

Chapter 6. Compiled literatures on Global SFR Researches 86

Chapter 7. References 87

- 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목 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1
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11
제2절 연구개발 범위 및 목표 12
1. 연구 범위 12
2. 최종 목표 1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3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21
제1절 노심 열수력 설계 및 해석 21
1. 노심 열수력 해석 방법론 개선안 도출 21
2. 개발된 노심 열수력 해석 방법론 검증 28
3. 소형 SFR 노심 개념에 대한 열수력 설계 52
제2절 중간열교환계통 최적화 설계 및 해석 58
1. 중간열교환계통 개념설계 58
2. 중간열교환기 설계 63
3. 중간열교환계통 사고상황 해석 및 설계보완 65
4. 피동잔열제거계통 설계 67
제3절 1차계통 유동분포 해석 74
1. 1차 주요계통 모델링 74
2. 최적설계를 반영한 3차원 유동분포 해석 결과 79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83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84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86

제7장 참고문헌 87

- 1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1. 노심 열수력 해석 방법론 개선 및 열수력 설계


SFR의 냉각재인 소듐은 물에 비해 열전도도가 약 100배 정도이며, 비등점 또한 대기압
상태에서 약 900°C로 매우 높다. 따라서 소듐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SFR은 정상운전 시
노심 냉각재 온도에 약 300°C 이상의 여유가 있다.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경수로의 경
우 노심 열수력 설계 제한조건으로 DNBR이나 MCPR이 주어지지만 SFR 노심의 경우에
는 피복재와 핵연료의 최대온도에 설계 제한조건을 두게 된다. 이러한 노심 열수력 설계
기준을 만족하면서 냉각재의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노심의 온도분포를 정확하게 예
측하는 열수력 해석이 필요하다.
특정 노심 설계만을 열수력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존 노심 열수력 해석 방법과 코드
를 고려할 때, 기존 SFR 노심에 대한 구조 변경을 적용하기 위해 이에 적합한 노심 열수
력 해석 방법론 및 코드가 필요하고 이를 이용해 소형 혁신 SFR 노심개념에 대해 노심
열수력 설계가 수행되어야 한다.

2. 중간열교환계통 최적화 설계 및 해석
SFR은 다른 원전과는 달리 소듐과 2차측 작동유체의 반응으로부터 원자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1차측인 원자로 풀 내부와 2차측 발전 사이클 사이에 중간열교환기루프라는 새로
운 타입의 열교환 개념이 적용된다. SFR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경제성에 입각한 설계까지
고려야여야 하므로 중간 열교환 계통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KALIMER-600에 적용된 DTBSG개념설계는 기본적인 소듐-물 반응의 가능성을 대폭
낮추는것에는 성공하였으나 원천적인 반응제거는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며, 2차측 작동유체
를 소듐과 반응하지 않는 비활성기체인 헬륨을 사용한 경우에는 발전 사이클의 크기가
불가피하게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 두가지 사항을 모두 고려한 혁신적
인 개념을 도입하여 중간열교환루프 제거 혹은 최소화를 통한 경제성 증진 및 안전성 확
보를 목표로 한다.
중간열교환기루프 제거 혹은 최소화시에 적용할 열교환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현
재 적용된 소듐-S-CO2 열교환을 위한 PCHE개념 열교환기의 개선 혹은 대체가능한 기
기의 설계를 진행한다. 효율적 열교환을 위한 연구와 더불어 원자로용기 내부 혹은 외부
에 실질적으로 설치가 가능한 크기의 열교환기의 설계점 목표수립 및 그에 따른 경제적
이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 설계된 중간열교환기 루프 최적화에 따른 SFR의 피동 잔열제거 계통 개념을 보완
하거나, 새로운 개념을 설계하여 피동잔열제거계통의 신뢰성을 높이고 적용성을 개선하
여, 원자로의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경제성 및 수용성을 끌어올리는 것을 목

- 1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표로 한다.

3. 1차측 3차원 유동분포 해석


제거 혹은 최소화 개념을 통해 최적설계된 중간열교환계통 및 피동잔열제거계통의 해석
을 검증하기 위한 풀형 SFR의 축소 모형을 만들어 해석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작
업이 필요하다. 기 설계된 시스템의 크기로부터 축소된 모형을 통해 실험을 수행하여 데
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는 향후 해석코드검증 및 1차측 계통구조최적화 시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수준의 결과를 목표로 한다.

제 2 절 연구개발 범위 및 목표

1. 연구 범위
본 연구의 범위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뉘며, 노심 열수력 해석, 중간열교환계통 최적설계
및 1차측 3차원 유동분포 해석이 그 주제가 된다. 타 기관에서 수행된 실험 데이터 및 해
석코드를 바탕으로 새로운 타입의 노심 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타당한 방법론을 개발하
는 것이 목적이며, 소형혁신 SFR 노심개념에 적용될 수 있는 와이어 랩 구조의 노심해석
을 수행하는 것으로 범위를 설정한다. 노심 및 발전사이클의 균형을 맞추는 중간열교환계
통의 최적설계를 진행함과 동시에, 중간열교환계통 자체의 크기나 구조를 단순화 하는 설
계를 수행하는 것이 계통설계에 있어 주요한 목표가 된다. 또한 설계된 자료를 기반으로
한 1차측 소듐 거동을 3차원으로 모사하여, 계통배치 관점에서 문제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가시화 하여 관찰하는 것을 포함한다.

2. 최종 목표
가. 노심 열수력 해석 방법론 개선 및
소형 혁신 SFR 노심개념에 대한 노심 열수력 설계
1) 기존 SFR 노심에 대한 구조 변경에 적합한 노심 열수력 해석 방법론 개선 및 검증
2) 개선된 해석 방법론을 적용하여 소형 혁신 SFR 노심개념의 노심 열수력 설계 최적
화 및 해석
나. 중간열교환계통 최적화 설계 및 해석
1) 중간열교환계통 최소화 개념설계
2) 중간열교환계통 최소화를 위한 펌프 삽입형 열교환계통 설계
3) 중간열교환계통 최소화를 위한 중간열교환기 최적설계
4) 중간열교환계통 S-CO2 유입방지 구조설계
5) 최적설계된 1차계통에 적용가능한 피동잔열제거계통 설계
다. 설계완료된 1차측 3차원 유동분포 해석
1) 1차측 주요 계통 모델링
2) 1차계통 모델링을 통한 3차원 유동분포 해석

- 1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현황

1. 노심 열해석 코드 개발

SFR의 노심 열수력 설계의 경우 냉각재인 소듐이 높은 비등점을 가지기 때문에 피복


재 온도와 핵연료의 최대온도에 설계 제한조건을 두게 된다. 이러한 노심 열수력 설계 기
준을 만족하면서 냉각재의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노심의 온도분포를 정확하게 예측
할 필요가 있는데, 그 해석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porous medium 방
법이고 다른 하나는 부수로 해석 방법이다. Porous medium 방법은 부수로 해석 방법에
비해 정확하고 그 적용범위도 넓은 반면 입력작성이 복잡하고 계산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porous medium 방법을 사용하는 코드로는 ANL
(Argonne National Laboratory) 에서 개발한 COMMIX (COMponent MIXing)가 있다.
부수로 해석 방법은 냉각재 유동이 반경방향 속도에 비해 축방향 속도가 상당히 커 그
값이 열수력 현상에 지배적인 영향을 준다고 가정하고 축방향 및 반경방향 운동량 방정
식을 분리함으로써 계산적으로 이점이 있다. 부수로 해석 방법을 사용하는 코드로는 한국
원자력연구원(KAERI)에서 개발한 MATRA-LMR (Multichannel Analyzer for Transient
and steady-state in Rod Array-Liquid Metal Reactor)이 있다.
마찬가지로 부수로 해석 방법을 활용해 미국의 COBRA (COolant Boiling in Rod
Arrays)코드를 기반으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에서 개발한 MATRA 코드가 있는데
경수로에만 적용 가능할 뿐 SFR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MATRA 코드에 소듐
에 대한 물성치를 계산하는 subroutine을 추가하고 핵연료 집합체 내 각 부수로의 형태
및 wire-wrap에 의한 압력강하 상관식을 추가함으로서 SFR 노심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것이 MATRA-LMR 코드이다. 추가적으로 한국원자력연구원은 SFR의 주요 사고
시나리오 중 하나인 fuel blockage에 대한 열수력 해석을 위하여 MATRA-LMR-FB를
개발하였다. 해당 코드는 급격한 유로 면적의 변화와 높은 반경방향 유량의 계산이 가능
하도록 explicit scheme을 이용한 열수력 해석을 수행한다.

2. 일차 주요계통 설계

가장 널리 사용되는 다관식 열교환기(Shell & Tube Heat Exchanger)는 비단 원자로


뿐 아니라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동체 내부에 많은 전열관을 갖추고 이들의 관벽을
거쳐 동체측 유체와 관내 유체간에 열교환을 수행하는 구조이다. 현재 국내에서 설계된
소듐고속냉각로인 KALIMER의 일차열교환계통 및 중간열교환계통간의 중간열교환기 및
증기발생기 뿐 아니라 해외에서 진행중인 SFR의 열교환 시스템에도 많이 적용되어 있다.
전열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중관을 사용하지만, 열교환을 증대시키는 것을 중점으로
설계하면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하여 원자로의 경제성 측면에 있어 단점으로 작용하게 된
다.

- 1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2.2-1. KALIMER-600의 중간열교환기 구조

SHE(Spiral Heat Exchanger)는 2개의 전열관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소용돌이형


으로 가공한 구조를 갖는 열교환기이다. 내부에 고온유체를 흐르게 하고 동체측 유체를
가열하는 구조로서 액체-액체의 열교환기에 많이 사용된다. 향류, 병류 및 직교류의 접촉
이 가능하고 전열계수가 크며 유속을 빠르게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많이 쓰이는 다관식
열교환기에 비해 열손실도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PCHE와 더불어 컴팩트한 설계
가 가능하다. 현재는 고온가스로의 중간열교환기로도 적용가능하다고 판단되고 있다.
SHE의 열전달 특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는 유로의 직경 및 파이프 표면상태를 변경하
는 방식이 존재한다.

그림 2.2-2. Spiral Heat Exchanger 개념도

SFR의 2차측 작동유체로 사용되는 S-CO2의 열전달을 위해서는 중간열교환계통에서


소듐으로부터 S-CO2로 전달되는 중간열교환기의 성능이 높아질수록 원자로 전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하지만 단순한 열교환기의 효율뿐만 아니라 그 크기를 작을수록 경제
적 이점을 살릴 수 있다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여 PCHE(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를 사용한 설계가 적용되었다. 중간열교환기 루프 내의 소듐이 지그재그 형태의 유로를

- 1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지나가게 되면 직선형보다 약 2.3배 정도의 열전달 효율을 확보할 수 있으나 압력손실로


인한 성능저하가 우려되는 것이 기존 PCHE의 취약점이다.

그림 2.2-3. 소듐-S-CO2 열교환기로 사용되는 PCHE 개념도

국내에서는 위에서 언급되었던 PCHE의 압력강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독창적 고유


개념의 익형 핀 형태의 PCHE를 개발하여 계통압력손실을 기존대비 1/14으로 줄이는 데
성공하였다.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에서는 익형 핀 형태의 PCHE개념을
KALIMER-600원자로에 도입하여 계통제어논리를 평가하고 계통과도성능을 분석하기 위
한 MMS-LMR전산코드를 개발하였으며, 중간열교환기 설계전산코드에 필요한 경사류 압
력손실 및 열전달 상관식을 개선하였으며 정밀 전산해석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그림 2.2-4. 지그재그 형태의 유로를 갖는 PCHE와 익형 핀 형태의 PCHE간의 압력손실


및 열전달 성능 비교

- 1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소듐냉각고속로의 중간열교환루프 제거를 위해


DTBSG(Double Tube Bundle Steam Generator)개념을 사용하여 소듐-물 반응사고를 근
본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계통설계를 제안하였다. DTBSG는 고온의 소듐이 지나가는 튜
브다발과 저온의 물-수증기가 지나가는 튜브 집합체 및 고온 및 저온 튜브 다발사이에
전열매체로서 우드합금(Pb-Sn-Cd-Bi 합금)을 사용한다. DTBSG는 단일 지역형, 복수 지
역형, 세로 분리형 및 반경 분리형 이중 전열관 집합체 증기발생기로 구분되며 한국원자
력연구원에서는 반경 분리형 이중 전열관 집합체 개념에 대한 성능특성을 분석하였다. 또
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개념을 사용하는 NSSS(Nuclear Steam Supply System)의
적정 기기 배치안을 도출하고 검증 실험 연구항목을 통해 일체화 개념 전열성능 특성을
평가하고 보완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림 2.2-5. DTBSG의 튜브 다발 구성방법

3. 중간열교환계통 개념설계

미국의 INL에서 현재 기존 SFR 설계에 적용된 풀형 혹은 루프형 개념을 혼합한 루프


-풀 혼합형 설계가 진행되고 있다. 이는 1차측 풀 타입 원자로 내부의 출구공간, 중간열
교환기, 1차측 펌프 및 원자로 입구공간이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며 본 1차 루프
는 저온풀 영역에 담겨 있는 형상을 가진다. 저온풀은 고온풀과 구조적으로 독립된 형태
를 갖지만 열전달 측면에서는 긴밀하게 관계되어 있다. 정상운전시 1차 루프는 고온풀의
입구부분에 설치된 펌프에 의한 강제순환을 통하여 순환하는 구조이며, 이러한 유동을 통
해 전달된 고온풀의 에너지는 중간열교환기를 통해 중간열교환 루프로 전달된다. 이 때
사용되는 열교환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왔던 다관식 열교환기 혹은, 에너지 밀도가
5~10배 이상으로 높은 컴팩트한 열교환기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 1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2.3-1. 루프-풀 혼합형 SFR 개념도

앞서 설명된 루프-풀 혼합형 SFR에서 한단계 더 나아간 개념으로 중간열교환 루프를


완전히 제거하는 방식도 언급된 바 있다. 1차측 소듐과 발전사이클에 사용되는 유체의 반
응을 원천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물 혹은 CO2 대신 안정한 헬륨을 발전사이클 작동유
체로 사용한다. 해당 디자인은 소듐-물 혹은 소듐-S-CO2의 반응으로 야기되는 원자로의
안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디자인이며, 중간열교환 루프 자체를 제거하여
원자로 전체의 효율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본 개념에서는 1차측 소듐을 원자로
외부로 끌어와 펌프를 통한 강제순환을 시키고, 발전사이클 쪽으로의 열전달을 위한 열교
환기가 여러 개 적용되는 중간열교환 루프가 완전히 제거된 디자인이다. 하지만 헬륨의
열수력적 특성으로 인해 발전사이클측 자체의 구조가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한 경제적 손
실도 생각해볼 수 있어 앞으로의 연구가 더 필요한 개념이다.

그림 2.3-2. 다중 재가열 헬륨 브레이튼 사이클을 이용하여 중간열교환 루프를 제거한


SFR 개념도

- 1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루프-풀 혼합형 개념과 다중 재가열 헬륨 브레이튼 사이클을 모두 적용한 개선된 SFR


의 개념 역시 언급된 바 있다. 1차측 소듐이 직접 원자로 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
에 안전성이 확보된 설계이며 동시에 중간열교환기루프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원자로 전
체의 경제적 측면에서 이점을 갖는다.

그림 2.3-4. 루프-풀 혼합형 및 다중 재가열 헬륨 브레이튼 사이클을 이용한


개선된 SFR 열전달 개념도

4. 피동잔열제거계통 설계

국내에서 SFR의 피동잔열제거 계통에 관련한 선행연구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에서 개념설계한 SFR인 KALIMER-150 및 KALIMER-600에 PVCS(Passive Reactor
Vessel Cooling System) 및 PDRC(Passive Decay heat Removal Circuit) 개념이 적용되
었다. PVCS는 원자로 외벽냉각을 통한 잔열제거계통으로서 외부의 찬 공기가 유입되어
원자로 외벽을 따라 열을 제거한 후 다시 원자로 외부로 방출되는 방식으로 운전원의 특
별한 조치 없이 피동적으로 열 제거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1,000MWth
이하의 열출력을 갖는 저용량 원자로에 적용 가능하며, 국내에서는 KALIMER-150의 피
동잔열제거계통으로 채택되었다. PDRC는 풀 직접 냉각방식을 사용하는 잔열제거계통이
므로 1,000MWth이상의 열출력을 갖는 원자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PVCS의 부족한
열제거 성능을 보완할 수 있다. PDRC는 원자로 내부 소듐 풀에 삽입되는 DHX와 PDRC
루프 내부의 열을 최종 열침원으로 방출하는 AHX로 구성되어 있다. 정상운전 시 PDRC
의 DHX는 원자로의 고온풀과 직접적인 접촉이 배제되어 있으며, 원자로 정지 시 온도상
승으로 인한 소듐 풀의 팽창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DHX가 잠기게 된다. 이 때 DHX를
통해 원자로 내부의 열이 PDRC 루프 내부의 소듐으로 전달되고, 가열된 소듐은 자연순
환을 통해 AHX로의 순환을 반복하며 원자로 내부의 잔열을 최종 열침원인 대기 중으로
방출한다.

- 1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2.4-1. KALIMER-600의 중간열교환계통 및 피동잔열제거 계통

미국 에너지부 DOE(Department of Energy)의 ALMR/IFR프로그램 아래 GE-Hitachi


에 의해 개발중인 SFR인 PRISM(Power Reactor Innovative Small Modular)은 피동잔열
제거를 위해 RVACS(Reactor Vessel Auxiliary Cooling System) 및 ACS와 같은 계통을
구비하고 있다. RVACS는 자연순환을 이용하여 원자로용기 외벽을 냉각하는 방식의 피
동잔열제거 계통으로, 정상운전 중 RVACS에 의한 열손실은 약 2MWth(정격출력의
0.2%)정도이다. ACS(Auxiliary Cooling System)는 중간계통 냉각재의 자연순환을 이용
한 증기발생기 직접냉각 방식으로 원자로 내에서의 피동잔열제거를 수행한다.

그림 2.4-2. PRISM 잔열제거계통: RVACS

- 1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프랑스에서 설계한 ERF(European Fast Reactor)은 3,600MWth의 열출력을 갖는 SFR


는 대용량으로 분류되며, 원자로 내 잔열제거를 위해 DRC(Direct Reactor Cooling)방식
과 SGU(Steam Generator Unit) 보조냉각장치를 적용하였다. EFR에 적용된 DRC는 중간
열교환기와 유사한 형태의 DHX를 원자로 풀에 담기게 하여 별도의 소듐 루프를 형성시
키고, 이를 원자로 건물 상단으로 끌어올려 AHX를 이용한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DRC
루프 내부에서 순환하는 2차 소듐을 냉각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총 6개의 DRC루프로 구
성되어 있으며, 이 중 3개는 자연순환으로(DRC1), 나머지 3개는 강제순환으로(DRC2) 구
동되며 제거할 수 있는 잔열제거 용량은 30MWth이다. 자연순환을 사용하는 DRC1 루프
는 소듐 및 공기의 자연순환을 이용한 완전한 피동개념의 잔열제거계통이다. 이 계통에서
는 소듐 고화 방지를 위하여 원자로 전 운전기간 동안 항상 대기상태로 유지되며, 이로인
한 정상운전시의 열손실은 7.5MWth(원자로 정격출력의 0.2%)수준이다. DRC2 루프는 소
듐 및 공기의 강제순환에 의해 운전되며, 소듐의 구동을 위한 전자기펌프와 공기측 강제
순환을 위해 병렬로 설치된 2대의 AHX 공기 냉각팬을 포함한다. 외부전원 상실시에도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DRC1 루프와 같이 소듐 고화 방지를 위하여
원자로 전 운전기간동안 항상 대기상태로 유지된다. SGU 보조냉각장치는 앞서 언급된
PRISM에서 사용하는 ACS의 개념과 동일한 개념으로서 증기발생기 외벽을 직접 냉각하
여 원자로의 잔열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그림 2.4-3. EFR 잔열제거계통: DRC

- 2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노심 열수력 설계 및 해석

1. 노심 열수력 해석 방법론 개선안 도출


소형 혁신 SFR 노심의 집합체에 덕트가 제거된 형식이 초기에 제시되었으며 본 연구
에서는 해당 노형의 특수성에 따른 해석 방법론이 달라져야 할 것이라 예측하였다. 기존
코드의 활용성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동시에 신뢰성 있는 해석을 위해 CFD를 통한 검증
시스템을 제시하였고 이는 덕트제거형 노심에 대한 노심 해석 방법론 개발로 연결되었다.
기존 노심 열수력 해석 방법론 분석 및 현재 부수로 해석코드의 한계점을 도출한 후 집
합체간 교환 유량과 압력강하 모델을 적용하여 수정하였다. CFD와의 연계 계산을 위해
ORNL의 LMFBR 실험보고서를 참고하여 CFD의 검증계산을 위한 예비해석을 수행하였
다.

그림 3.1.1-1 덕트제거형 노심의 열수력 해석 방법론

가. 덕트 제거 노심의 열수력 해석을 위한 소스코드 변경


MATRA-LMR은 SFR 노심의 핵연료봉 집합체에 흐르는 원자로냉각수의 온도, 유량,
압력, 엔탈피 등을 계산하기 위한 열수력 해석코드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에서 개
발되었다. 핵연료봉 집합체의 유로면적을 여러 개의 부수로로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부수
로를 수직방향으로 나누어 이에 대해 질량, 운동량 및 에너지 방정식을 이용하여 열수력
적 특성을 해석한다. MATRA-LMR은 가장자리에 덕트가 설비되어있고, 연료봉 배치는
삼대각행선 형태로 되어있는 집합체에 대해 계산을 수행하도록 코드가 구성되어있으며
입력파일을 작성하여 집합체와 집합체내 연료봉의 크기, 연료봉 개수는 자유롭게 조절하
여 해석 가능하다. 하지만 이와 같은 형태가 아닌 노심 설계 시, 입력파일의 변경만으로
는 원자로 냉각수의 열수력 해석이 불가능하므로 새로운 노심 설계 개념을 적용 시, 소스
코드의 변경을 통하여 이러한 노심 설계 변경에 대한 열수력 해석을 가능하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SFR의 장주기 운전을 위하여 덕트를 제거하는 노심 형태의 설계가 제

- 2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안되었으며, 덕트 제거로 야기된 구조적 불안정성 때문에 일정 높이마다 집합체 가장자리


에 그리드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집합체를 지지하도록 설계하였다. 덕트 제거로 인해 노심
열수력 해석 시 달라지는 주요 변수로는 집합체 내 압력강하 및 집합체 간 교환 유량 등
이 있으며 이를 수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MATRA-LMR 내 부수로는 그 위치에 따라 다음 세 가지 interior, edge, corner 중 하
나로 나뉘며, 덕트는 핵연료봉 집합체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덕트제거형 노
심 해석 시부수로의 edge, corner 부분에 적용된 압력강하 모델의 변경이 필요하다. 코드
에 적용된 압력강하 모델의 경우, 부수로 내 수력학적 직경을 이용하여 압력강하를 계산
하기 때문에 기존 코드의 edge, corner 부수로에서 수력학적 직경을 계산할 시, 덕트로
인한 영향은 포함하지 않도록 모델을 변경해야 한다. 모델 수정 초기단계에서는
KALIMER-600의 노심유량 및 열출력 등을 이용하여 변경한 모델을 적용한 코드와 기존
코드의 비교가 이루어졌으며, 원자로 냉각수는 집합체 가장자리에 가까울수록 낮은 온도
를 보였고, 질량유속은 집합체 가장자리에서 크게 높음을 관찰 가능할 수 있었다.

그림 3.1.1-2 덕트 제거 노심(좌) 및 grid spacer가 위치한 노심(우)의 단면도

그림 3.1.1-3 MATRA-LMR에 적용된 수력학적 직경 계산 수식 및


덕트의 영향을 제거한 수력학적 직경 계산 수식

- 2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존 노심 디자인에서는 덕트가 집합체 사이를 막고 있기 때문에 MATRA-LMR은 집


합체가 주위의 다른 집합체와 분리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집합체 사이에서의 열 교환 및
유량 교환 계산을 수행하지 않으나 덕트 제거 노심의 경우 집합체간 이에 대한 계산이
필연적이다. 교환유량 계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한 집합체에 영향을 주는 주위 집합체
들의 열수력 해석을 수행하고 집합체 사이마다 추가적인 부수로를 설정한다. 추가된 부수
로의 열수력 특성은 주위 집합체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결정되고, 이를 해석하고자 하는
집합체의 경계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추가된 부수로와 집합체 가장자리 부수로 사이에 적
합한 유량 교환 모델을 적용하여 집합체에 대한 열수력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림 3.1.1-4 노심 출구에서의 냉각수 온도 및 질량유속 분포

그림 3.1.1-5 집합체간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추가된 부수로 개념

- 2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스페이서 그리드가 설치될 부수로는 집합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edge, corner 부분으
로 이에 적용되는 압력강하 모델 및 교환 유량 모델의 변경이 필요하였다. 스페이서 그리
드는 특정 수직방향 위치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높이에 대해서만 압력강하 모
델을 변경하고, 나머지 높이에 대해서는 덕트 제거 노심에서 사용한 압력강하 모델을 사
용하였다. 초기 계산결과 비교를 위해 선정된 기준노형인 KALIMER-600의 노심유량 및
열출력 등을 이용하여 (1)기존 노심 형태, (2)덕트 제거 노심형태 및 (3)덕트 제거 노심에
스페이서 그리드를 적용한 형상에 대해 해석을 수행하였다. 스페이서 그리드의 개수는 총
4개로 설정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압력강하가 10배로 늘어났다고 가정하고 열수력 해석을
진행하였다. 해석 결과, 스페이서 그리드가 설치된 높이에서 압력강하가 증가함을 확인하
였다.

그림 3.1.1-6 KALIMER-600 운전조건에서의 기존 노심, 덕트 제거 노심 및


스페이서 그리드 적용 노심의 압력강하 분포

나. CFD 검증 계산을 위한 예비해석 수행


덕트제거형 노심 부수로 해석에 있어 수정된 MATRA-LMR 코드를 검증하는데 있어
CFD의 계산결과가 필요하였다. MATRA-LMR에서 계산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집합체
간 교환 유량 계산을 CFD로 수행하고, 그 결과를 MATRA-LMR의 입력으로 주기 위하
여 CFD가 노심 부수로 해석을 하는 데 있어 충분한 신뢰성이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검
증계산을 계획하였으며, 1차년도에서는 검증계산을 위한 예비해석을 수행하였다. 예비해
석을 위해 벤치마킹을 수행한 실험결과로는 Oak-Ridge National Laboratory (ORNL)의
1970년도 Liquid Metal Fast Breeder Reactor (LMFBR) 핵연료 집합체 실험 보고서
(ORNL-TM-4113)의 Test series 2, test 2, Run 109 항목을 선정하였다. 총 19개의 연료
봉 구조를 포함한 육각형의 캔 모양으로 구성된 LMFBR 19-pin mock-up 실험장치는 여
러 실험조건에서 운영되었으며, 각 실험데이터의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체계적
인 보고서 형식으로 쓰여 있어, CFD의 검증계산에 오랫동안 사용된 데이터이다. 표
3.1.1-1과 그림 3.1.1-7을 참고하여 유로 영역의 3D모델을 완성하고, 산업 및 공업계에서
널리 쓰이는 난류모델인 k-epsilon 모델을 사용하여 예비해석을 수행하였다.

- 2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표 3.1.1-1 ORNL LMFBR 핵연료집합체 실험장치 설계정보 및


Test series 2, Test 2, Run 109 실험조건
항목 값
실험장치
입구 (cm) 30.48
히터 (cm) 53.34
출구 (cm) 7.62
핵연료봉 외경 (mm) 5.84
와이어랩 직경 (mm) 1.42
와이어랩 간격 (cm) 30.48
초기 유량 및 온도
입구온도 (°C) 315.69
입구유량 (L/sec) 3.45
2
열유속 (kW/m )
히터 1 889
히터 8, 18 19 878
히터 12, 13, 14 858
히터 2, 7, 9, 17 876
히터 4, 5, 11, 15 880
히터 3, 6, 10, 16 854

그림 3.1.1-7. ORNL의 LMFBR 핵연료집합체 실험장치의 수직, 수평단면도

- 2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CA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부수로 형상 모사를 완료하였으며, 상용 CFD 툴인


STAR-CCM+를 사용하여 예비해석을 수행하였다. 와이어랩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구조의 단순화 없이 나선형 구조를 갖는 유로형상을 모사하였고, 4,200만개 노드를 생성
하였다. 생성된 노드의 평균 크기는 0.5mm 이며 사용된 기본 형태는 복잡한 형상 모사를
위해 널리 쓰이는 사면체 구조를 채택하였다. 해당 형상 및 노드생성 결과는 각각 그림
3.1.1-8과 그림 3.1.1-9에서 볼 수 있다.

그림 3.1.1-8. ORNL LMFBR 실험 벤치마킹을 위한 부수로 유로 형상 모사

그림 3.1.1-9. 부수로 출구 영역의 반경방향 단면도

온도장 분포 경향성은 실험결과와 일치하나 집합체의 벽면에 가까워질수록 온도를 더욱


낮게 예측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ORNL-LMFBR 실험데이터를 사용하
여 검증계산을 한 CFD 계산결과에서 반복적으로 관찰되는 결과였으나, 기존 오류 범위
보다 더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벽면 근처의 노드가 벽 법칙이 적용되기 위한 범위보다
크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으로 판단하여 실험영역을 제대로 모사하기 위한 y+ 계산을 수
행하였다. 계산결과를 통해 얻은 첫 번째 노드의 크기는 0.18 mm 인데 반해 기 생성된
노드의 크기는 평균 0.5 mm임을 감안하였을 때, 벽면 근처에서의 난류 예측이 잘못된 것
을 알 수 있었다.

- 2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표 3.1.1-2. ORNL LMFBR 실험 Series test 2, Test 2, Run 109 실험결과


(출구영역에서의 온도분포)
부수로 영역 # 온도 (°C)
#3 370.9
#6 370.8
#8 362.4
#16 366.5
#17 356.2
#27 351.6
#34 352.1
#35 353.4
#36 354.6

그림 3.1.1-10. ORNL LMFBR Test Series 2, Test 2, Run 109 케이스에 대한


CFD해석 결과 (출구영역에서의 온도분포)

그림 3.1.1-11. ORNL LMFBR Test Series 2, Test 2, Run 109 케이스에 대한


CFD해석 결과 (출구 부분 접선방향 속도분포)

- 2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CFD를 통한 예비해석 결과를 통하여, 차후 검증계산을 위해 얻어야 하는 데이터를 정


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료봉과 와이어랩의 접촉상태 모델링 결정


2. 난류모델을 사용할 시, 벽면에서의 적합한 노드 크기
3. 2 혹은 3방정식을 사용하는 난류모델 중 적합한 모델 선정의 필요성
4. 입구조건에서의 유체발달 모사

각 항목은 부수로 해석에 있어 난류형상 예측에 주요한 영향을 끼치게 되며, 이는 곧


열전달의 변화로 이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설정이 필요하다. 또한 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실용적인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 과제의 목표이기 때문에, 계산과정에 있어 커다란 기회
비용이 소요되는 직접수치모사(Direct numerical simulation, DNS) 혹은 레이놀즈 스트레
스 모델 (Reynolds stress model, RSM) 과 같은 고정밀 계산은 후보군에서 제외하였다.

2. 개발된 노심 열수력 해석 방법론 검증


제안된 노심 열수력 해석 방법론을 정량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1차년도보다 구체적인
계산이 수행되었으며, 기준 데이터를 생성해야하는 CFD 계산의 경우 난류모델 선정을
위한 DNS와의 비교 계산이 수행되었다. 비교계산을 통해 가장 최적의 난류모델로 선정
된 Standard k-epsilon을 사용하여 1차년도에서 예비해석을 수행한 ORNL의 LMFBR 실
험을 재모사하였고, 정량적인 비교를 통해 5%오차범이 이내로 예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검증 완료된 CFD의 계산 옵션을 기반으로 하여 덕트제거형 노심에 관한 해석을
수행하였고, 이를 검증데이터로 활용한 MATRA-LMR의 난류혼합계수의 타당성을 평가
하였다.

가. CFD의 난류모델 선정을 위한 단위유로 해석


검증데이터 생산을 위한 CFD 해석은 결과값을 신뢰할 수 있는 타당한 계산절차와 실
험결과와의 비교가 먼저 수행되어야 하며, 당연하게도 이러한 부분은 어떤 난류모델을 사
용하는가에 민감한 연관성이 있다. 고정밀 실험 혹은 계산을 바탕으로 여러 난류모델 후
보군 중 가장 적합한 상황과 모델을 선정하여야 하며, 그에 따른 노드생성연구가 후속되
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나선모양의 유동영역을 각각 축 방향과 반경방향의 유체 흐름으로 분류
한 뒤 사각채널로 재구성한 영역에서의 DNS계산을 수행한 Ranjan (2010)의 결과와 비교
하여 난류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유동영역의 모사는 기준계산이 된 DNS의
경우와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그림 3.1.2-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각채널로 재구성된
유동영역에서, 사선방향으로 감긴 와이어 영역의 유동을 재현하기 위해 입구조건을 각각
축방향과 반경방향 둘 모두로 사용하였으며, 유동의 완전발달을 모사하기 위해 마주보는
면을 주기반복적 경계조건으로 설정하였다.

- 2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1.2-1. 난류모델 선정을 위한 유동 채널 구성

평가에 선정된 난류모델은 총 네 가지로, 아래와 같이 설정되었다.

1. Standard k-epsilon,
2. Standard k-epsilon with quadratic relation
3. Standard k-epsilon with cubic relation
4. Realizable k-epsilon

첫 번째의 std. k-eps. 모델은 가장 널리 쓰여왔던 2방정식 난류모사 모델이다. 해당 모


델은 레이놀즈 스트레스가 유동변형에 비례된다고 가정하는 Boussinesq 근사법에서 출발
한 모델이며, 이 때의 점성응력텐서(T)는 난류가 통과하는 유동영역 자체에만 연관된다
고 가정한다(수식 3.1.2-1). 그 때문에 난류에너지는 모든 방향에 동일하게 적용되어 복잡
한 3차원 유동 모사에 한계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계산효율성이 좋고 오차가 상
대적으로 적어 첫 번째 후보 모델로 선정되었다. 뒤 이어 선택된 모델은 대칭성을 벗어나
기 위해 점성응력텐서항을 좀 더 확장시킨 모델이며, quadratic 의 경우 난류의 평균변형
속도가 레이놀즈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항이 추가되어 있으며 (수식 3.1.2-2), cubic의
경우는 quadratic에 더해 속도장의 영향이 포함되어 있다(수식 3.1.2-3). 마지막인 real.
k-eps. 모델은 기존 std. k-eps. 모델의 C μ 상수를 eddy viscosity 측면에서 수정한 모델
이며 현재 STAR-CCM+의 추천 난류 모델이기도 하다.

2
Tt,lin =−ρv' v' = 2µtS− ( µt∇⋅ v+ ρk) I (수식 3.1.2-1)
3
k 1  k k 1 
Tt,quad = Tt,lin −4C1µt S⋅S− I(S: S) −4C2µt   −4C3µt W⋅ WT − I(W: WT )
W⋅S+S⋅ WT 
ε  3  ε ε 3 
(수식 3.1.2-2)

- 2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k2 k2
2(
Tt,cubic = Tt,quad −8C4µt 
(S⋅ S)⋅ W+ WT
⋅ (S⋅ S)
 −8C µ S: S−W: WT ) S
ε2 5 t
ε (수식 3.1.2-3)

S=
1
2
( ∆v−∆vT ) (수식 3.1.2-4)

W=
1
2
( ∇v−∇vT )
(수식 3.1.2-5)

벽면에서의 난류모델 적용을 위해 벽법칙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two-layer


wall treatment 옵션을 선택하였다. 해당 벽법칙 모델은 y+값이 5이하인 laminar
sublayer와 30이상인 law of the wall 영역 모두에 적용 가능하며, 두 부분의 가운데 영
역인 buffer layer에도 적절한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큰 오차 없이 모사 가능하도록 개발
된 모델이다. 따라서 어느 y+에도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난류모델 선정 계산에서는 벽면
근처에서의 유동 모사가 모델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므로, laminar sublayer
까지 모사할 수 있도록 최대 y+값이 1 이하가 되도록 계산노드를 설정하였다.
그림 3.1.2-2에서 볼 수 있듯이 벽면에서의 계산용 노드 생성은 10겹으로 이루어져 있
으며 첫 노드의 두께와 다음 노드의 두께 비율은 1.2로 고정되었다. 99% boundary layer
이후의 영역은 polyhedral 형태를 가지며 이는 예비해석에서 수행한 tetrahedral 형태의
노드보다 공간 유용도 및 계산수렴성에 있어 유리하다.

그림 3.1.2-2. 난류모델 선정 계산에 사용된 계산용 노드

축 방향과 반경방향의 입 출구조건은 주기경계조건을 사용하여 유동의 발달을 관찰하였


음. 계산에 사용된 무차원화된 유동조건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기준으로 삼
은 DNS 계산의 조건과 정확히 일치하도록 설정하였다. 무차원화된 경계조건으로부터 우
리가 원하는 크기의 조건을 도출해낼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채널의 높이를 현재 설계
중인 소형 혁신 SFR 노심의 채널 두께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표 3.1.2-1의 무차원화된
유동조건은 그림 3.1.2-1의 유동영역 크기와 수식 3.1.2-6부터 12까지의 수식 조합으로부
터 역산해 낼 수 있다.

Qx =Lz ∫U(x,y)dy (수식 3.1.2-6)


Qz = ∫∫ W(x,y)dxdy
S (수식 3.1.2-7)
Ub = Qx ( 2hLz ) (수식 3.1.2-8)
Wb =Qz S (수식 3.1.2-9)

- 3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ρUbh
Rex =
µ (수식 3.1.2-10)
ρWh
Rez = b

µ (수식 3.1.2-11)

Reb = Rex2 + Rez2 (수식 3.1.2-12)

표 3.1.2-1. 난류모델 검증계산의 무차원화된 유동조건

해석된 유동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DNS계산과 비교되었다. 채널 내 임의의 x-y평


면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유동의 축방향, 반경방향의 속도분포를 관찰하였고, 난류에너지
생성량 또한 비교하였다. 난류로 인해 생성된 recirculation bubble의 크기를 기준으로 하
여 오차율을 판단하였으며, 벽면에서의 난류인자가 제대로 계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채널 하부 및 와이어 구조 벽면에서의 wall shear stress 값의 비교도 함께 이루어졌다.
그림 3.1.2-3부터 3.1.2-13 까지는 각 유동조건에 따른 난류모델의 계산결과를 비교변수
측면에서 도식화 한 그림이다. 각 그림에서의 알파벳 소문자는 해당 결과에 사용된 난류
모델을 표기하며 각각 (a) DNS, (b) std. k-eps., (c) std. k-eps. quadratic, (d) std.
k-eps. cubic 및 (e) real. k-eps. 모델을 지칭한다. 반복되는 표기를 피하기 위하여 해당
그림의 하부 캡션에서는 인덱싱을 생략하였다. 모든 값은 축방향 입구유동 속도에 의해
무차원화한 후 비교하였다.
첫 그룹인 그림 3.1.2-3부터 3.1.2-6 까지는 축방향 유동분포에 대한 결과이다. 반경방
향의 유동이 없는 Case A의 경우 채널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속도분포를 관찰
할 수 있으며, 이는 DNS계산의 결과와 일치한다. 반경방향의 유속이 증가하는 Case B부
터 반경방향의 유속이 최대가 되는 Case D로 갈수록 입구부분에서의 유속 분포도가 변
화함을 알 수 있으며, 그 차이는 점점 증가하였다. 가장 큰 관찰결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Case D의 그림을 참고하여 보면 유동입구의 와이어와 맞닿은 부분에서 DNS결과와 유속
분포의 차이가 두드러지며 이는 난류모델 계산시의 노드해상도와 모델 정확도의 다름에
서 생기는 오차라고 판단된다. 채널 내의 최대/최소 속도 분포값은 정량적으로 1%내의
오차율을 가지는 정도이므로 공학적 설계 측면에서는 후보군으로 선정된 4가지 난류모델
모두 충분한 수준의 해석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3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1.2-3. Case A의 축 방향 속도 분포

그림 3.1.2-4. Case B의 축 방향 속도 분포

- 3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1.2-5. Case C의 축 방향 속도 분포

그림 3.1.2-6. Case D의 축 방향 속도 분포

- 3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두 번째 그룹인 그림 3.1.2-7부터 그림 3.1.2-9 까지는 반경방향 속도구배를 도식하였


다. 기대했던 대로 반경방향 입구에서부터의 속도가 가장 크며, 유동이 와이어 구조를 넘
어서는 부분부터 방해구조체로 인한 유동의 역류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역류한 유동 구
조를 recirculation bubble이라고 지칭하며, 역류가 시작된 부분인 detached부터 shear
stress line을 따라 reattach 하는 부분의 길이를 reattachment 길이로 정의한다. 이 때 유
동이 3차원 나선형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부분역류현상으로 인해 와이어랩 구조
를 가진 핵연료집합체 내에서는 부분적인 열 누적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며, 현재
난류모델 선정에 있어서는 유동역류구조의 크기를 얼마나 정확히 예측하는지가 난류모델
의 성능을 평가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구조는 비단 원자력 뿐 아니라, 열교
환기에서 대부분 생기는 주요한 현상이기 때문에 기존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던
backward-facing step 문제와 위상적으로 동일한 구조이다. 다만 기존의
backward-facing step 문제는 대부분 2차원에서의 유동모사를 주로 다뤘으나, 소듐냉각
고속로의 와이어랩 구조를 갖는 핵연료집합체에서는 축 방향의 유동이 반경방향보다 주
요한 상황이 대부분이므로 이를 포함한 3차원 해석이 필요하다.
해석결과를 보면 축 방향의 유동량이 증가함에 따라 속도구배 및 난류구조 예측에 있
어 기준결과인 DNS해석과 더 큰 차이를 보인다. 모델별로 다른 양상이 나타나는 것이
흥미로운 결과였으며, Case B 에서는 난류모델과 상관없이 대부분 비슷한 결과를 예측하
였으나, Case D 에서는 그 차이가 두드러진다.

그림 3.1.2-7. Case B의 횡 방향 속도 분포

- 3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1.2-8. Case C의 횡 방향 속도 분포

그림 3.1.2-9. Case D의 횡 방향 속도 분포

- 3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채널 내 검은 화살표는 유선을 의미하며 반경방향 유동량이 증가함에 따라 재순환 영


역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사용된 난류모델별로 이 재순환 영역의 크기를
가장 잘 예측하는 범위가 존재하며 이것은 결국 와이어랩의 구조에 따라서 난류모델을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는 결론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정량적인 비교를 위해 이를 표
3.1.2-2에 정리하였으며 해당 위치에 관한 기호 정보는 그림 3.1.2-16에서 확인할 수 있
다. Case B의 경우 realizable k-eps. 모델이 가장 잘 예측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Case
C 의 경우 std. k-eps 모델은 전부 reattachment 위치를 잘 예측하지만 재순환 구조의
중심점의 기준으로 정렬하면 std. k-eps with cubic relation이 가장 잘 예측한다고 판단
된다. 마지막으로 Case D의 경우 linear std. k-eps. 모델의 해석결과가 최소 오차율을 보
이며 가장 적합한 모델로 생각된다.

그림 3.1.2-16. 유동구조에 따른 위치별 인덱싱


xt: 유동입구, xb: 재순환 영역의 중심점, xr: reattachment 위치, xc: 채널 중심

표 3.1.2-2 재순환 영역의 주요 위치 및 DNS와의 오차율


Case B
xb xr Error ( xb) Error ( xr )
DNS 1.39 3.32 - -
Std. k-ε Linear 1.15 2.71 20.9 % 22.5 %
Std. k-ε Quadratic 1.15 2.71 20.9 % 22.5 %
Std. k-ε Cubic 1.15 2.71 20.9 % 22.5 %
Realizable k-ε 1.25 3.21 11.2 % 3.4 %
Case C
xb xr Error ( xb) Error ( xr )
DNS 2.01 4.67 - -
Std. k-ε Linear 1.67 4.75 20.4 % 0.0 %
Std. k-ε Quadratic 1.67 4.75 20.4 % 0.0 %
Std. k-ε Cubic 1.68 4.92 19.6 % 0.0 %
Realizable k-ε 1.98 6.08 1.5 % 23.2 %
Case D
xb xr Error ( xb) Error ( xr )
DNS 2.46 5.55 - -
Std. k-ε Linear 2.01 5.80 22.4 % 4.3 %
Std. k-ε Quadratic 2.11 6.64 16.6 % 16.4 %
Std. k-ε Cubic 2.15 7.27 14.4 % 23.7 %
Realizable k-ε 2.52 8.15 2.4 % 31.9 %

- 3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1.2-10부터 그림 3.1.2-12 까지는 난류 운동에너지 계산결과를 비교하였다. 반경


방향 유동이 존재하지 않는 Case A의 경우, 와이어 구조의 양 옆 부분 및 채널의 벽면
근처에서 가장 높은 값이 형성되어 있음을 관찰 가능하다. 반경방향 유동이 존재하는 경
우 난류운동에너지는 반경방향 속도 및 소용돌이도가 가장 큰 부분인 detachment 위치에
집중된 것을 알 수 있다. 경향성은 DNS의 계산결과와 동일하나 채널 중심부의 전체적인
난류운동에너지가 낮게 예측되었다. 이는 유동조건에 상관없이 k-eps. 모델 전반에 걸쳐
서 동일하게 관찰되었으며, 그로 인해 유동의 역류 현상이 DNS 결과에 비해 크게 예측
하는것의 주요한 이유가 된다.

그림 3.1.2-10. Case A의 난류운동에너지

- 3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1.2-11. Case B의 난류운동에너지

그림 3.1.2-12. Case C의 난류운동에너지

- 3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1.2-13. Case D의 난류운동에너지

마지막으로 그림 3.1.2-14 및 그림 3.1.2-15에서는 채널 벽면에서의 wall shear stress를


비교하였다. 상대적으로 단순한 영역인 바닥 벽면에서의 wall shear stress는 대체적으로
잘 모사되었다고 판단된다. 채널의 양쪽 끝 부분인 경우 난류모델을 사용하였을 때, 미세
한 두 번째 재순환 영역을 모사하지 못 하는 관계로 국소 영역에서의 극대값이 표현되지
않았으며, 반경방향 유량이 존재함에 따라 생기는 xr근처에서의 극대값 또한 평균값으로
만 나타내어지는 결과를 보인다. 와이어의 표면 방향에 따른 해석결과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며, 총 평균값은 잘 모사하지만 국소영역의 세부적인 부분까지는 예측하기 힘듦을 알
수 있다. 이는 난류모델의 태생적인 한계이지만 계통 설계에 있어서는 무시할 만한 오류
이므로 k-eps. 모델은 여전히 유효한 해석모델이라고 판단될 수 있다.
관찰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반경방향 속도와 축 방향 속도의 비율에 따라 최적 난
류모델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이는 정상상태 및 자연유동 상황을 모사하는 데 있어 상
황에 따른 적합한 난류모델을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3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1.2-14. 채널 바닥 벽면에서의 무차원화된 wall shear stress

그림 3.1.2-15. 와이어 구조 벽면에서의 무차원화된 wall shear stress

- 4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나. 선정된 난류모델을 사용한 ORNL-LMFBR 실험 재모사 및 검증


가. 에서 수행된 난류모델 선정 결과를 사용하여 1차년도에 예비해석을 수행하였던
ORNL-LMFBR 실험을 다시한번 모사하여 계산의 신뢰성을 높였으며, 해석결과와 실험
결과 비교를 통한 CFD 검증을 수행하였다. 실험장치 형상 및 실험조건은 기존과 동일하
게 설정하였으나, 와이어와 핵연료봉의 접합 모델링을 기존 연구된 논문의 결과에 의해
재정의하였고 계산노드 생산과정 역시 선정된 난류모델 및 벽법칙 모델의 권장값을 사용
하여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림 3.1.2-16은 집합체 해석을 위해 생성된 계산노드의 형상이다. Merzari (2012)의 와
이어, 핵연료봉 접촉 모델에 따른 열수력 해석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접촉각도를 7.5
도로 설정하여 유로를 재구성하였으며, 적합한 벽법칙 사용을 위해 최대 y+를 1 이하로
맞추었다. 벽면으로부터 시작되는 boundary layer의 길이는 난류모델 선정 계산에서 사용
하였던 99% boundary layer를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며, 레이어는 총 5개의 층으로 조밀도
를 조정하였다. 계산결과의 빠른 수렴을 위한 작업이었으며, 노드생성연구를 통해 해석결
과의 수렴성을 확인하여 최적노드생성 옵션을 찾아 적용하였다.
난류모델은 기존 예비해석 결과를 활용하여, 축방향 및 반경방향 유동 비율값을 토대로
난류모델 선정 해석결과와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real. k-eps. 모델을 사용하기로 결정하
였다. 해석영역의 입구 부분에서의 유동의 완전발달여부에 따른 차이점은, 해석영역의 종
료부분인 출구값에서의 온도 분포로 판단하였으며 최종 계산 결과 큰 차이점이 없는 것
으로 판단하여 입구의 extrusion 방식은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일차적으로 실험장치의 출구부분에서의 온도분포를 비교하였으며, 이후 좀 더 정밀한
비교를 위해 실험영역 내부에 위치한 25부분의 채널 온도값을 비교하여 총 계산의 오차
율을 산정하였다. 또한 동일한 실험을 바탕으로 수행한 타 검증논문의 참고 및 비교를 통
해 계산결과 재확인 과정을 거쳤다.

그림 3.1.2-16. ORNL LMFBR 실험장치 모사 및 계산노드 형상

- 4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해석에 사용된 소듐의 물성치 정보는 Sobolev (2011)에 의해 작성된 보고서에서 참고


하였으며, 밀도, 점성, 비열 및 열전도 계수에 관한 4가지 추천 상관식을 사용하였다. 해
당 값은 수식 3.1.2-13부터 수식 3.1.2-16에 기술되어 있다.

ρNa[kg / m3] =1014−0.235⋅T (수식 3.1.2-13)


−1 −1 −2 −4
cp(Na)[Jkg K ] =−3.001×10 ⋅T +1658−0.8479⋅T +4.454×10 ⋅T
6 2
(수식 3.1.2-14)
556.835
lnηNa[Pa⋅ s] = −0.3958⋅ lnT −6.4406
T (수식 3.1.2-15)
λNa[Wm−1 K−1] =110−0.0648⋅T +1.16×10−5 ⋅T2 (수식 3.1.2-16)

기존에 수행된 ORNL-LMFBR 실험을 사용한 CFD 검증논문에서는 전부 비슷한 양상


의 온도분포 차이가 보고되어 왔다. 이는 1차년도 예비해석 결과에도 명시되어 있듯 채널
중앙부에서의 온도예측은 비교적 정확하나, 집합체 벽면으로 갈수록 온도를 더욱 낮게 예
측하는 경향인데, Fricano (2014)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CFD의 계산한계성으로 해석되어
야 하기 보다는 실험장치의 온도측정센서 위치의 불확실성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생
각하여 위치 불확실성을 포함하여 계산오차를 재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논문을
참고하여 수식 3.1.2-17에 의해 오차비교값을 재정의 하였으며 이는 실험장비에서 해당
채널 내의 온도측정센서 위치가 존재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모든 CFD 계산결과의 온도범
위값과 비교한다는 의미가 된다. 해당 식을 토대로 출구부분에서의 온도분포를 계산하였
으며, 각 채널별 온도가 측정될 수 있는 범위는 분홍색 band로 표기하였다.

Mini=1,2,..,n (TExp. −TCFDi, )


Error =
TExp. (수식 3.1.2-17)

그림 3.1.2-17. ORNL-LMFBR의 핵연료봉 및 채널 번호체계

- 4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1.2-18을 통해 CFD와 실험결과의 점대점 비교보다는 에러영역을 포함한 비교를


하면, 대부분의 온도는 해당 채널의 온도분포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
만 여전히 채널 36에서의 온도는 차이를 보이게 되었고, 이것이 정말 외각채널에서의 계
산 부정확으로 인한 차이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나머지 위치에 대한 온도분포도 작성을
수행하였다.

1.6

1.5

1.4

1.3
(T-Tin)/(Tout-Tin)

1.2

1.1

1.0

0.9
CFD
0.8 EXP
0.7

0.6
36 35 17 16 3 6 8 27
Channel Number

그림 3.1.2-18. 출구부분에서의 온도분포 비교

만약 36번 채널에 해당하는 위치인 corner 채널에서의 온도분포가 유동해석 영역의 전


반에 걸쳐 일어나게 된다면 CFD의 계산예측이 잘못되었을 확률이 크지만, 다른 높이에
서의 corner 채널에 대한 비교값이 오차허용범위 이내라면 출구영역에 국한된 36번 채널
의 온도센서 고장으로 인한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보고 전체 영역에 대한 온도분포 비교
를 수행하였다. 표 3.1.2-3은 유동영역 전반에 걸쳐 설치된 온도측정센서의 위치정보와
그에따른 측정온도 및 CFD의 계산결과가 포함되어 있다. 수식 3.1.2-17에 의해 산출된
오류값은 해당 위치에서의 계산에러를 뜻하며, 이 값이 특별히 큰 위치에 대하여 붉은색
으로 강조표시를 하였다.
연료봉 및 부수로채널의 번호 정의는 그림 3.1.2-17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높이는 히
터 영역의 바닥부분으로 0으로 정의하였을 때, 해당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로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계산오차는 에러범위내에서 0%에 가까웠으며 온도차이가 큰 영역의 채널 구성
은 edge나 corner 채널에만 국한되지는 않았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온도예측의 차이는 채
널의 위치에 따른 CFD의 해석한계에 있다기보다는 실험측정에서의 불확실성에 의존성이
더 크다고 판단되며, 해당 오차를 포함한다 하여도 오차허용범위인 5%이내에 들어가므로
CFD의 열해석 성능 검증 조건에 만족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4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표 3.1.2-3. ORNL-LMFBR 실험장치의 채널 내 온도측정센서 위치 및 결과 비교


Rod Height Channel EXP T. CFD T. Error
(#) (in) (#) (°C) (°C) (%)
15 4 37 608.7 608.7 0.0
17 6 21 619.5 619.5 0.0
18 7 24 625.8 625.8 0.0
11 8 31 619.7 619.7 0.0
5 9 3 628.8 628.8 0.0
4 9 13 629.5 629.5 0.0
14 9 17 624.4 624.4 0.0
16 9 21 625.9 625.9 0.0
10 9 29 614.7 614.7 0.0
19 14 24 624.7 634.0 1.5
18 15 8 640.7 640.7 0.0
13 16 35 608.3 615.8 1.2
15 16 37 630.2 630.2 0.0
8 17 9 644.8 644.8 0.0
12 17 33 631.5 626.6 0.8
17 18 22 646.1 646.1 0.0
13 18 34 629.5 629.5 0.0
18 19 24 641.4 641.4 0.0
12 19 32 632.8 632.8 0.0
11 20 31 610.0 622.7 2.1
5 21 3 659.4 659.4 0.0
4 21 13 659.2 659.2 0.0
14 21 17 651.6 651.6 0.0
16 21 21 649.4 649.4 0.0
10 21 29 634.4 634.4 0.0
Exit 3 652.3 652.3 0.0
Exit 6 655.7 655.7 0.0
Exit 8 645.2 646.8 0.2
Exit 16 647.7 647.7 0.0
Exit 17 639.8 639.7 0.0
Exit 27 633.5 632.1 0.2
Exit 35 635.8 628.8 1.1
Exit 36 636.7 627.4 1.5

다. 덕트제거형 노심 모사를 위한 CFD 해석


기존 덕트구조를 갖는 노심 집합체 검증계산을 통하여 CFD의 계산능력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덕트제거형 노심 모사를 수행하였다. 기존형 노심과의 비교를 위해 기본노
심은 현재까지 검증계산으로 사용했던 ORNL LMFBR로 결정하였고, 덕트 제거 모사를
위해, 마주보고 있는 덕트구조를 가상의 주기반복경계조건으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6각구
조의 덕트형 노심에는 총 3쌍의 주기반복경계조건이 설정되었으며, 연료봉의 열출력은 기
존 실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정하고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계산
결과는 차후 진행되는 MATRA-LMR의 난류혼합계수를 결정하는데 기준데이터를 제공
하게 된다. 덕트를 제거할 시 외각채널 부분의 국부 유동저항이 감소하게 되어 대부분의
유량이 외각으로 흐르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해 온도분포 경향은 채널의 중심부에 집중하
여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해석을 통한 결과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는 그림 3.1.2-19에 나타내었다.

- 4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1.2-19. 기존형 노심과 덕트제거형 노심의 온도분포경향 비교

라. 개선된 부수로 해석 방법론 검증계산 및 결론 도출


노심 집합체에 흐르는 냉각재를 여러 부수로로 나누어 열수력 해석을 수행하는
MATRA-LMR 해석코드는 각 부수로에서의 질량유량, 온도 등 주요 열수력 요소들을 계
산한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 각 채널의 압력강하, 반경방향 유량 등의 해석이 반드시 필
요하며, 덕트 제거 SFR 노심의 경우 기존 SFR 노심과 비교하여 외곽 부분의 압력강하가
줄어들고 집합체 사이에서 반경방향 유량이 형성된다. 따라서 코드수정을 위해 외곽 부수
로의 압력강하 및 집합체간 교환유량 해석에 대한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덕트 제거 SFR 노심에서 외곽 부수로의 압력강하는 수력학적 직경을 수정하여 계산된
다. MATRA-LMR 해석코드에서 기본값으로 사용하는 압력강하 모델은 매끈한 관의 마
찰압력강하에 와이어랩의 영향을 보정하는 Novendstern 모델로, 수식 3.1.2-18과 같이 표
현된다.

 L  ρV2  4A
∆P = Mfs   , Dh =
 Dh  2  Pw (수식 3.1.2-18)
 : 유로 면적
  : 수력학적 직경
 : 압력강하계수 (매끈한 관)
 : 유체의 이동거리
  와이어랩 보정계수
  : wetted perimeter
 : 유속
 : 밀도

- 4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존 SFR 노심에서 가장자리의 wetted perimeter는 덕트, 연료봉, 와이어를 모두 고려


하여 계산되었으나 덕트 제거 SFR 노심은 연료봉, 와이어 구조만을 고려한다.
MATRA-LMR 해석코드 내의 부수로 종류와 각 부수로 타입의 wetted perimeter는 다음
과 같이 계산된다.

그림 3.1.2-20. 기존 SFR 노심 및 덕트 제거 SFR 노심 부수로의 wetted perimeter

덕트 제거 SFR 노심에서 인접한 집합체간 유량계산은 주기반복경계조건을 이용하여 계


산하며, 이는 특정 형태가 무한히 반복적으로 나타날 때에 적용 가능한 경계조건으로, 기
준해석노드의 한 경계면을 통해 유체가 흐르면 반대면에서 같은 양의 유체가 흐르게 되
도록 설정한다. 덕트 제거 SFR 노심의 경우 집합체들이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
에 주기반복경계조건을 적용해야 하며, 그림 3.1.2-21에서 7-pin의 예시로 덕트 제거
SFR 노심에 적용될 주기반복경계조건의 적용법을 확인할 수 있다.
도출된 압력강하 및 집합체간 유량교환 해석 방법론을 MATRA-LMR 해석코드에 적
용하기 위하여 geomh.out 파일의 수정을 수행하였다. MATRA-LMR 해석코드는 부수로
의 구조적 특징을 나타내는 geomh.out 파일과 유체의 입구조건, 연료봉의 열출력, 열수력
해석에 사용될 물리모델 등을 나타내는 matra.inp 파일을 이용하여 열수력 해석을 수행하
므로, 덕트 제거 SFR 노심의 경우 기존 덕트 SFR 노심과 비교하여 구조적 특징이 바뀌
었기 때문에 열수력 해석은 geomh.out 파일의 수정을 통해 수행된다.

- 4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1.2-21. 7-pin 덕트 제거 SFR 노심에서의 주기반복경계조건

그림 3.1.2-22. MATRA-LMR 해석코드 계산의 흐름

geomh.out 파일수정에 적용된 방법론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ORNL LMFBR 실험에서 사


용된 노심구조에서 덕트가 제거된 노심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19-pin의 경우, 부수로
개수는 총 42개이고 각각의 부수로는 번호를 가지며 1~24번 부수로는 interior 부수로,
25~36번 부수로는 edge 부수로, 37~42번 부수로는 corner 부수로로 정의된다. 따라서 외
곽 부수로에서 압력강하를 수정하기 위해 25~42번 부수로의 wetted perimeter를 수정하
였다.
집합체간 교환유량 계산을 위해서 외곽 부수로와 반대면의 외곽 부수로를 연결하는
gap을 추가한다. gap은 인접한 두 부수로 사이를 정의하는 MATRA-LMR의 input 값으
로 gap의 벌어진 길이 (gap spacing), 인접한 두 부수로의 질량 중심거리 (centroid to
centroid distance)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gap이 있는 경우 MATRA-LMR은 반경방향

- 4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유량을 계산하게 되며, 19 pin의 경우 기존 SFR 노심은 총 60개의 gap이 존재하므로 덕


트 제거 SFR의 경우 집합체간에 생긴 12개의 gap을 합하여 총 72개의 gap이 존재하게
된다. 집합체간에 추가된 gap과 geomh.out 파일 수정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그림 3.1.2-23. 19 pin 노심에 대한 MATRA-LMR 부수로 번호체계

그림 3.1.2-24. geomh.out 파일 내 외곽 부수로의 wetted perimeter 수정

그림 3.1.2-25. 19 pin 덕트 제거 SFR 노심의 주기반복경계조건

- 4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1.2-26. geomh.out 파일 내 gap 추가

덕트 제거 SFR 노심의 열수력 해석을 위해 적용된 두 개의 모델들을 개별적으로 검증


하기 위하여 기존 SFR 노심 (reference, ORNL LMFBR), 기존 SFR 노심에 압력강하 수
정 적용 (modification 1), 기존 SFR 노심에 집합체간 유량 추가 (modification 2)를 비교
하였다. 비교할 변수는 각 부수로의 질량유속 및 무차원 온도상승분포로 무차원 온도상승
은 노심 출구에서의 평균 온도상승 대비 부수로의 온도상승의 비율로 계산된다.
Modification 1의 외곽 부수로에서의 질량유속이 높아 냉각재의 온도 분포가 기존 SFR
노심보다 거칠어짐을 확인하였고, Modification 2의 경우 질량유속은 기존 SFR 노심과
매우 유사하지만 향상된 엔탈피 교환에 의해 냉각재 온도 분포가 보다 부드러워짐을 확
인하였다. 따라서 geomh.out의 수정이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3.1.2-27. Modification 1 및 modification 2의 부수로별 질량유속 분포

- 4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1.2-28. modification 1, modification 2의 부수로별 무차원 온도상승 분포

그림 3.1.2-29. 핵연료집합체 및 스페이서 그리드 구성

그림 3.1.2-30에서는 핵연료집합체를 반경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영역에 대한 정규화된


온도분포 결과를 관찰할 수 있다. 이는 ORNL LMFBR 실험을 기준으로 계산 된 결과이
며, 각 Case 별 온도분포를 보면, Case 1은 실험결과와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모습을 보
이며, 덕트제거형 노심으로 가정하고 계산한 경우에는 온도분포가 중심축으로 치우친 경
향을 관찰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기술된 CFD의 덕트제거형 노심결과에서 설명하였듯이
외각채널로 대부분의 유동이 흐른 결과라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채널 최외곽부로 가장
많은 유동이 흐를 수 있는 경우인 Case 3의 경우 온도치우침 현상이 가장 심한 것을 관
찰할 수 있으며, 이로 미루어 볼 때 덕트제거형 노심 열 설계를 수행 시, 핵연료집합체간
의 간극 조절이 노심 열수력 설계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5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1.2-30. 핵연료집합체 및 스페이서 그리드 구성별 CFD 해석 결과


(반경방향 온도분포)

그림 3.1.2-31. 핵연료집합체 및 스페이서 그리드 구성별 CFD 해석 결과 (질량유속)

최종적으로 CFD를 통한 덕트제거형 노심 해석 결과와 MATRA-LMR 계산 결과의 비


교를 통하여 방법론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MATRA-LMR와 CFD는 모두 ORNL 19pin
실험장치에서 코너 부분을 제외한 가장자리가 열려있는 구조를 모사하였다. 두 가지 해석
결과, MATRA-LMR 해석 결과는 노심 출구온도를 기준으로, 일부 가장자리 부수로를
제외하면 CFD 해석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따라서 이는 MATRA 해석코드가 집
합체간 유량교환 및 엔탈피 교환에 사용되는 중요한 변수인 난류혼합계수의 수정 없이
덕트제거형 노심에 대해 해석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 5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1.8
1.7
1.6
1.5
1.4
(T-Tin)/(Tout-Tin)

1.3
1.2
1.1
1.0
0.9 CFD
0.8
MATRA

0.7
0.6
36 35 17 16 3 6 8 27
Channel Number

그림 3.1.2-32. 덕트제거형 노심에 대한 CFD 및 MATRA-LMR 해석결과 비교

3. 소형 SFR 노심 개념에 대한 열수력 설계


집합체 간의 고른 출구온도분포를 위한 채널별 유속분배도를 제시하고, 그에 맞춰 설계
된 소형 혁신 SFR에 대한 열수력 및 노심 동특성 해석코드와의 연계를 통해 설계 제한
조건의 만족여부를 확인하였다.

가. 노심 열출력 분포에 따른 입구유량 분배 계산

그림 3.1.3-1. 수명 초, 수명 말에서의 집합체간 열 출력 분포

- 5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집합체간의 열출력분포는 원자로 수명초에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지만 시간이 지남


에 따라 가장자리의 집합체는 출력이 낮아지고 중앙의 집합체에서 출력이 커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는 노심 출구에서의 온도 불균형을 일으키고, 노심 상부구조에 출구 온도차
이로 인한 열피로도 누적현상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해야 한다.
집합체간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노심 출구에서의 냉각재간 온도차를 줄일 수 있다. 수명
초에는 열 출력 분포가 고르기 때문에 유량조절을 하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심
중앙에 많은 유량이 흐르도록 조절하는 방향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유량조절 방식
은 비교적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연료 교체 없이 약 20년동안 가동되는 소형 혁신
SFR에서는 적용되기 어렵다.
따라서 소형 혁신 SFR 노심은 수명에 상관없이 초기 설정값으로 고정된 유동분배방식
을 채택하였다.이는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유량 조절 장치의 변동사항이 없기 때문에 20
년 장주기에도 적용되기 알맞은 방식으로 판단된다. 유량조절에 대한 결과로, 수명 초에
는 가장자리 집합체에서 유량조절 전보다 높은 출구온도를 보이지만, 수명 말에서는 중앙
집합체들의 출구온도를 매우 고르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유량 조절은 모든 집합체들에 개별적으로 적용되지 않고, 집합체들을 총 7개의
링으로 나누어 각 링 별로 유량을 설계하였다. 이는 같은 링 내의 집합체들은 매우 유사
한 열 출력 분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별적 유량조절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이라 예상된다. 유량 조절의 최적화를 위하여 집합체 출구온도들의 표준편차를 계산하
였고, 수명 초 및 수명 말에서 가장 낮은 표준편차를 가지는 유량 조절 조건을 찾아내었
다. 유량설계를 하기 전, 수명 말에서의 출구온도 표준편차는 26°C 이었지만, 유량조절
후에는 12°C까지 낮아짐을 확인하여 보다 균일한 출구온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3.1.3-2. 소형 혁신 SFR 노심의 링 (중앙에서부터 링 번호 2, 3, 4, 5, 6, 7, 8)

- 5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표 3.1.3-1. 각 링별 최적화 된 질량 유속 비율

링 번호 2 3 4 5 6 7 8
평균 질량유속 대비 질량 유속 비율 1.17 1.18 1.12 1.07 0.97 0.96 0.85

그림 3.1.3-3. 유량 최적화 수행 결과 (단위: °C)

나. 노심 동특성 해석코드와의 연계계산 수행


도출된 유량 최적화 설계 결과를 이용하여 노심 중성자 동특성 해석코드와의 연계계산
을 수행하였다. 중성자 동특성 해석은 McCard 코드를 이용하여 수행되었고, 위에서 사용
한 집합체 출력분포는 연료 및 냉각재 온도를 모두 균일하다고 가정하여 수행된 결과이
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집합체간 열 출력 분포 계산을 위해 MATRA-LMR 코드를 이용
한 열수력 해석 결과를 McCard에 반영하여 계산하였다.
McCard와의 연계계산에는 각 집합체들의 축 방향 연료 온도, 피복재 온도, 냉각재 온
도 분포 데이터가 사용된다. 1회 연계계산 결과, 노심 내 집합체간의 열 출력 분포는 연
계계산 전과 비교하였을 때 평균 0.6% 정도의 차이를 보임으로 매우 작음을 확인할 수
있다.

- 5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1.3-4. 연계계산 전 및 1회 연계계산 후의 집합체간 열출력 분포 (수명 초)

McCard는 몬테카를로 방식을 통하여 노심 열출력을 계산하며, 계산 특성상 약 최대


2%의 오차율을 보인다. 따라서 연계계산 결과는 계산 전과 비교하였을 때 최대오차율 이
내의 계산결과를 확인하였으므로 연계계산이 수렴하였다고 판단되지만, 보다 정확한 계산
을 위하여 1회의 연계계산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새롭게 계산된 집합체
간 열 출력 분포를 이용하여 최적화 된 유량 조절을 찾아내었고, McCard와 열수력 해석
결과와의 연계계산이 수행되었다.

그림 3.1.3-5. McCard와 열수력 해석의 연계계산을 이용한 질량유속 최적화 설계시의


노심 출구온도 분포

- 5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표 3.1.3-2. 1회 연계계산 후, 각 링별 최적화 된 질량 유속 비율

링 번호 2 3 4 5 6 7 8
평균 질량유속 대비 질량 유속 비율 1.18 1.19 1.14 1.07 0.95 0.95 0.87

2회 연계계산의 결과 1회 연계계산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수명 초 노심출구온도가


1.5%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최대 오차율 범위 안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열수력 해석 코드와 McCard와의 연계계산의 수렴성 범위에 들었다 볼 수 있고,
질량유속 최적화는 표 3.1.3-2에 해당하는 결과를 최종적으로 얻어내었다.

다. 첨두 집합체에서의 열수력 해석
질량유속 최적설계가 이루어진 소형혁신 SFR 노심에 대한 열수력 해석을 통하여 설계
한계점을 만족시키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였다. 열수력 해석은 수명 초 및 수명 말의
첨두집합체에 대하여 수행되었으며 MATRA-LMR 코드를 이용하여 열수력 해석이 수행
되었다. 본 노심에서의 설계한계점은 피복재 최대온도 (645°C) 와 핵연료 최대온도
(1,150°C) 로 산정하였다. 열수력해석에 사용된 첨두집합체는 다음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첨두집합체에서의 수직방향 열출력은 노심의 평균과 같다고 가정하였고, 각 연료봉
마다의 출력은 McCard 해석 결과를 이용하였다. 중성자의 mean path가 매우 긴 고속로
특성상 한 집합체 내의 모든 연료봉이 비슷한 출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림 3.1.3-6. 수명 초 및 수명 말의 첨두집합체 위치

집합체 내에서 가장 온도가 높은 채널은 집합체 중심부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집합체


중심부에서의 압력강하가 가장자리 부분보다 높기 때문에 질량유속이 작아 중심부 부수
로에서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인다. 가장 높은 채널에서도 피복재와 핵연료
최대온도는 설계한계기준보다 낮은 값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냉각재의 높은 열전도
율, 기존 고속로에 비해 낮은 열밀도로 인하여, 냉각재 온도, 피복재 온도, 연료핀 최대
온도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 5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1.3-7. 축방향 노심 열 출력 분포

그림 3.1.3-8. 첨두집합체에서의 출구온도분포

표 3.1.3-3. 피복재 및 핵연료 최대온도


수명 초
피복재 최대온도 598.1°C (< 645 °C)
핵연료 최대온도 623.7°C (<1150 °C)
수명 말
피복재 최대온도 589.1°C(< 645 °C)
핵연료 최대온도 601.4°C(<1150 °C)

- 5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2 절 중간열교환계통 최적화 설계 및 해석

1. 중간열교환계통 개념설계
소형 혁신 SFR의 중간열교환계통 제거 혹은 최소화 개념도출 및 안전구조물 개념설계
를 수행하였다. 제거안에 필요한 PCHE의 크기를 계산하여 그 가능성을 평가하고, 사고
시 발전사이클측의 S-CO2가 노심 내부로의 유입방지를 위한 안전구조물 구조를 제안하
였다. 최소화안의 경우 기존 150MWe급 SFR의 중간열교환계통의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
하여 펌프 내삽입형 구조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안전장치 작동방식을 제안하여 개념설계
를 완료하였다.

가. 중간열교환계통 제거형 개념설계


중간열교환계통 제거 개념설계는 SFR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간열교환계통을
제거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경제적 이점 및 열교환 효율 증진을 위하여 1차측과 발전사
이클측 S-CO2가 원자로 용기 내부에서 직접 열교환을 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열교환
기로는 적은 용적 대비 고효율의 열교환 성능을 보이는 PCHE를 선정하였으며 이는 열
교환기를 원자로용기 내부에 설치할 시에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으므로 원자로 내에서의
효율적인 계통배치가 가능하게 하는 인자로 평가된다. 세부3에서 설계중인 발전사이클의
레이아웃 종류에 따라 (1사이클, 2사이클 및 3사이클) 각 상황에 필요한 열교환기의 크기
를 계산하였으며, PCHE의 크기가 가장 큰 경우를 상정하였을 때 (1사이클 설계 기준),
S-CO2의 압력강하 한계가 제한적인 100kPa를 만족하는 열교환기 크기는 열교환 유량
길이 0.5m 총 체적 1.78m3이며 이는 원자로내부 고온풀 영역에 충분히 배치 가능하다고
평가되었다. PCHE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열교환을 수행하는 유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채널 별 압력강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발전사이클측의 S-CO2가 이에 더 민감
하므로 S-CO2측의 압력강하 한계점 이내로 PCHE의 열교환기 설계점 한계를 설정하였
다.

표 3.2.1-1. 중간열교환계통 제거 개념 적용 시 열교환을 위한 PCHE의 크기 계산


S-CO2측
S-CO2측
S-CO2측 설계 압력강하 열교환 유로
압력강하 부피(m 3 )
조건 한계점 설정 길이 (m)
(kPa)
(kPa)
1 사이클 89 0.5 0.6
100
3 사이클 88.9 0.5 1.78
1 사이클 818.7 0.8 0.39
1,000
3 사이클 818.7 0.8 1.19

- 5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2.1-1. 소형 혁신 SFR의 중간열교환계통 제거 개념설계

제거 개념 적용 시 예측가능한 사고 시나리오는 PCHE의 내부 마이크로 채널 영역에


서의 크랙을 통한 S-CO2의 유입 혹은 열교환기의 입출구 유로에서의 파단을 통한 고압
CO2의 노심 내 다량 유입상황이 예상된다. 전자의 경우는 소듐-CO2 반응생성물 크기를
토대로 PCHE의 내부 마이크로 채널 크랙의 Self-plugging 여부를 평가할 수 있으며, 이
를 가정한 개념설계를 수행였다. PCHE내 마이크로 채널로의 S-CO2 주입 시, 크랙의 크
기에 따라 열교환기 출구 부분으로의 S-CO2 혹은 반응생성물의 유입 가능성을 근본적으
로 배제시킬 수 있도록 열교환 유로의 말단 부분 혹은 그 밖의 영역에 소듐-CO2 반응생
성물을 걸러낼 수 있는 그물형 구조물을 설치하는 개념을 제안하였다.

그림 3.2.1-2. PCHE 채널 내 소듐-CO2 반응생성물의 Self-plugging


특성을 이용한 격리구조

열교환기 자체의 대량 파단 혹은 내부 순환배관의 파단 시를 상정했을 때, 노심으로의


S-CO2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자로 내 커버가스 영역으로의 배출 유도 구조물을 설
계하였다. 그림 3.2.1-3과 같은 구조물을 노심 하단부에 설치하여 기체인 CO2의 소듐과의
밀도차를 이용한 노심영역 밖으로의 일차적 유도를 통하여 노심 내 void reactivity의 급

- 5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격한 변화를 방지하도록 설계하였다. 그 밖에 PCHE에서 열교환을 수행한 후 저온풀을


통하여 다시 노심영역으로 들어가는 유로를 인위적으로 변경하여 커버가스 영역 근처에
서의 기체포집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S-CO2 유입 상황을 최대한 배제하도록 설계하였
다.

그림 3.2.1-3. 중간열교환계통 제거개념 적용 시 노심 내부로 유입된 S-CO2의


커버가스 영역으로의 배출 유도를 위한 하부 구조물 (노심 하단부에 위치)

나. 중간열교환계통 최소화 개념설계

그림 3.2.1-4. 소형 혁신 SFR의 중간열교환계통 최소화 개념설계

중간열교환계통 최소화 개념은 현재 설계된 SFR의 루프형 중간열교환계통의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하거나 그 크기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간열교환을 수
행하는 열교환기는 단순화된 열교환계통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배치하였으며, 열교환 효

- 6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율을 확보하기 위해 중간열교환계통 내삽입 펌프를 설치하여 소듐 순환유량을 충족하도


록 제안하였다. 소듐-S-CO2 열교환은 PCHE를 적용하였으며 원자로 풀 헤드 상단부에
배치하였다. 발전사이클의 S-CO2가 노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서 해당 시나리오 시 소듐-S-CO2가 반응하여 생긴 반응 생성물이 원자로 헤드 상단영역
에 국한되어 노심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하며 방출된 S-CO2는 별도의 저장탱크로 이동하
여 격리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설계하였다.

그림 3.2.1-5. 소듐-S-CO2 열교환부에서의 파단사고로 인한


노심 내 CO2 유입 방지 개념

다. 최종 계통 레이아웃 선정 및 계통 주요 설계인자 계산
1차년도에서 수행된 제거형 및 최소화 설계 후보군 중, 안전성이 보장되는 최소화 설계
를 최종 계통 레이아웃으로 정하고 최적설계를 진행하였다. 중간열교환계통을 제거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PCHE측의 2차측 발전유체인 S-CO2의 운전조건이 원자로 소듐
풀의 운전조건을 훨씬 상회하는 200기압이라는 것이 주요한 원인이었다. S-CO2의 누출
이 직접적으로 노심에 영향을 주는 상황을 근본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낮다
고 판단되었으며, 또한 노심 하부에 그림 3.2.1-3과 같은 구조물을 설치할 시 압력강하로
인한 계통 전반의 운전효율 저하가 예상되었다.
중간열교환계통 간소화 설계를 위하여 중간열교환계통 루프의 소형 풀 타입 개념이 제
시되었다. 1차년도에 제시된 개념에 따르면 이는 중간열교환계통의 소듐-소듐 및 소듐
-S-CO2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배관이 전부 제거된 일체형 구조이며, 계통 전체가 원자로
용기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아래 그림을 참고하면 중간열교환풀 전체
를 구분짓는 격벽이 존재하며, 그 크기는 중간열교환기 및 중간열교환계통 펌프의 반경방
향 크기에 제한을 받는다. 이는 후술될 중간열교환기 설계결과에 따라 반경방향 크기가
결정되었으며, 계통의 높이는 중간열교환계통의 PCHE에서의 소듐 누출 모사 해석결과에
의해 결정된다. 최종 개념설계도 및 설계인자는 그림 3.2.1-6 및 표 3.2.1-2에 표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3장에서는 1차측 소듐풀 거동 해석을 수행하였다.

- 6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2.1-6. 1차측 주요 계통구성

그림 3.2.1-7. 소형혁신 SFR의 1차계통 정격운전조건

- 6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표 3.2.1-2. 중간열교환계통 주요 설계인자

Variable Item Value (m)

Diameter or IHX 1.8


Radial L. PCHE 1.3
IHX 6
PCHE 1.1
Height
Total
10
(IHTS)

2. 중간열교환기 설계
최대반경 1.8m 크기로 제한된 상태에서의 중간열교환기 설계는, 발전사이클측에서 제
시한 PCHE 소듐측 입/출구 온도 및 유량조건을 기본으로 설계되었으며, 이 부분은 세부
3의 PCHE 열교환기 압력강하 값을 반영하여 최적설계를 진행하였다. 그림 3.2.2-1에서
볼 수 있듯이 열교환기 타입은 TEMA Type E의 구조를 갖는 각관형 열교환기이며, 쉘
측은 중간열교환풀의 소듐, 관 측은 고온풀의 소듐이 통과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림 3.2.2-1. 중간열교환기 개형도

본 연구에서는 중간열교환기 설계를 위해 Kern method를 기반으로 하여 설계를 완료


하였다. Kern method는 기본적인 각관형 열교환기를 설계하기 위한 기본적인 방법이며,
이에 사용되는 여러 상관식은 실험을 통해 검증되었기 때문에 적용범위에 맞춰 사용한다
면 충분히 신뢰도 있는 설계가 가능한 방법이다. 다만 소듐과 같은 낮은 Prandtl 수를 갖
는 유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Peclet 수를 이용한 Nusselt 값을 산정해야 하는데 본 연구

- 6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에서 사용된 상관식은 아래 수식에 기술되어 있다. 수식 3.2.2-1은 Lubarsky 와 Kaufman


이 제시한 저 Pr 수에서의 튜브 측 Nu 상관식이며, 수식 3.2.2-2는 쉘 측 Nu 상관식이
다.

Nu = 0.625Pe0.4 (수식 3.2.2-1)

Nu = 0.212Pe0.6 (수식 3.2.2-2)

나머지 계산항에 대하여는 Kern method의 기본 수식을 활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설계


제한인자인 최대 반경방향 크기에 맞춰 압력강하를 고려하여 최적화된 설계값을 도출해
내기 위해 자체적인 코드를 작성하였다. 이는 튜브측의 직경, 개수, 피치에 해당하는 값과
쉘측의 배플구조체의 개수를 변화하여 2차측 PCHE의 압력강하 값을 반영한 최적화 디
자인을 산출해 내도록 내부적인 반복계산 프로세스가 들어가 있다. 현재 세부3의 PCHE
측 최종설계 자료에 따르면 PCHE측 압력강하는 46kPa 이 되며, 이를 반영할 시 중간열
교환계통의 총 압력강하는 약 490kPa에 해당한다.

그림 3.2.2-2. Kern method를 기반으로 한 중간열교환기 최적설계 코드 실행 화면

PCHE의 소듐측 입/출구 온도는 각 525 °C/383 °C 이며 질량유량은 루프당 986kg/s를


기준으로 설계하였다. 고온풀의 소듐은 IHX의 입구 부분에 유입된 후, 삼각정렬 구조를
갖는 3,500개의 내경 13.5mm의 관 집합체를 통해 열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열교환기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배플 구조가 사용되었으며 이 때 배플/창 비율은 25%로 가정
하였다. 해당 구조를 적용할 시 IHX의 총 높이는 6m로 결정되며, 이는 충분히 원자로 용
기 내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임을 알 수 있다.

- 6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표 3.2.2-1. IHX 설계인자


Design parameters Design value
No. of IHX 2
Thermal duty per single IHX
178.0
(MWth)
Tube (Primary)
No. of tubes 3500
Tube ID / OD (mm) 13.5 / 15.9
Active tube length (m) 5.5
Tube pitch / angle / packing (mm) 27 / 30° / Triangular
Mass flow rate (kg/s) 905
Shell (Intermediate)
IHX shell ID / OD (m) 1.68 / 1.78
No. of baffles 12
Shell length (m) 6.0
Mass flow rate 986
Temperature (°C)
Tube-side inlet / outlet 545 / 390
Shell-side inlet / outlet 383 / 525
Pressure drop (kPa)
Tube-side 26.18
Shell-side 433.2

3. 중간열교환계통 사고상황 해석 및 설계보완


PCHE로부터의 S-CO2 누출 사고로 인한 메인 풀 영향을 배제시키는 구조로는, 중간열
교환풀 상부에 격리구조물의 설치가 제시되었다. 이는 발전사이클측의 200bar 상태의 고
압이 소듐 풀 내부로 직접 침투함을 방지하는 구조로서, 미소균열 혹은 대량파단사고 두
가지 경우에 모두 적용 가능한 안전구조물이라고 평가된다. 아래의 중간열교환풀 계통도
에서 관찰 가능하듯이, IHX를 거친 소듐이 중간열교환 풀 상부로 이동하며 PCHE와 열
교환을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PCHE의 내부 크랙 방향이 IHX쪽을 향하는 상황이 되어도
결과적으로는 격리구조물로 배출시키는 방향의 소듐유동과 마주하게 되어 최대한 사고영
역을 국한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된다. 다만 발전사이클측과 중간열교환풀의 압력차이가 상
당하여 S-CO2가 IHX까지 도달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입방향이 IHX쪽으로 향
한 상태에서의 초크유동 해석을 통해 IHX까지 도달하지 못하도록 중간열교환풀의 riser
길이를 설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CFD해석을 통해 해당 길이를 산정하였다.

- 6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2.3-1. 중간열교환풀 개념 열전달 계통도

그림 3.2.3-2. 중간열교환풀 S-CO2 누출 시나리오 해석 결과

- 6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사고시나리오를 해석하기 위하여 균열 크기를 크게 두 가지로 가정하였다. 마이크로미


터 단위의 미소균열일 경우 큰 압력차이 상황에서도 사고상황은 미비할 것으로 판단하여,
작은 균열상황은 2mm, 큰 파단사고의 경우를 산정하여 10mm 까지의 균열을 가정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오일러리안 다상유동 분석방법을 통하여 CFD 계산을 수행했으며 중
간열교환계통의 운전조건은 530°C 대기압 상황이라 가정하였고, CO2 입구부분은 200bar
의 constant pressure 입구조건으로 설정하였다. 그림 3.2.3-2에서 볼 수 있듯이 CO2기체
의 최대 주입가능 깊이는 2.5m 정도이며 보수적으로 판단하여, 중간열교환계통의 riser
영역 길이는 3m로 결정하였다.

4. 피동잔열제거계통 설계
본 연구는 현재까지 제시된 SFR의 피동잔열제거계통의 주요 개념인 DRACS(Direct
Reactor Auxiliary Cooling System)과 RVACS(Reactor Vessel Auxiliary Cooling
System) 각각의 장점을 살리기 위한 새로운 피동잔열제거계통을 설계하기 위해 수행하
였다. 외벽냉각 방식인 RVACS가 열출력 1000MWth 미만의 중소형 SFR에서 적용가능
하다는 것에 착안하여 본 연구의 참고 노형인 iSFR (열출력 392.6MWth)의 외벽을 자연
순환하는 공기 대신 상변화 써모사이펀을 적용함으로써 피동적으로 기존의 RVACS보다
뛰어난 열제거 효율을 갖는 피동잔열제거계통을 제안하였다. 상변화 써모사이펀의 증발부
(evaporator)는 원자로 외벽에 부착되어 사고 시 냉각재 펌프의 정지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소듐 저온풀에서 원자로 외벽으로 복사되는 열을 흡수한다. 이에 따라 증발부에서
증발한 작동유체가 상변화 써모사이펀의 응축기(condenser)에서 수냉 방식으로 응축되어
원자로 내부의 잔열을 제거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그림 3.2.4-1. 원자로 외벽냉각을 통한 피동잔열제거 써모사이펀

써모사이펀의 작동유체는 사고 또는 천이상태 시의 원자로 외벽온도에서 작동이 가능


한 수은(Hg), 세슘(Cs), 포타슘(K), Thermex을 후보군으로 선정했으며, 이 중 고온의 소

- 6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듐 및 물, 대기와 반응을 가지지 않으며, 작동온도의 범위(250°C~650°C)가 SFR 외벽냉각


에 가장 적합한 수은을 작동유체로 선택하였다. 그리고 수은의 고부식성에도 이용 가능한
SUS316을 써모사이펀의 구조재로 선정하였다.
제안된 수은 써모사이펀을 이용한 원자로 외벽냉각 피동잔열제거계통은 제한된 원자로
외벽 면적에서도 제열용량을 증대시켜 RVACS가 가진 한계를 개선하고, 원자로 외벽에
계통을 설치함으로써 소듐과 무관하게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
서 원자로 용기 내부의 기기를 최소화하여 원자로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내부 구조의
변경 없이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작동유체는 수은을 사용함으로써 유체간 열교환이 증
발부에서 ‘소듐-외벽-수은’, 응축부에서 ‘수은-물’이 됨으로써 구조적으로 소듐 화재를 배
제하게 설계되었다. 응축부에서는 물을 최종 열침원으로 사용해 높은 냉각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써모사이펀의 파손으로 수은이 외부로 누출되어도 물을 통해 저장수조 내에
억류가 가능해 수은의 독성으로 발생하는 피해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림 3.2.4-2. 피동잔열제거 써모사이펀의 구조

써모사이펀의 목표 잔열제열용량은 iSFR의 열출력 392.6MWth의 1%에 해당하는 양에


불확실성 요소를 고려하여 10%의 마진을 두어 4.32MW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는 원자로
정지 이후 약 3시간 경과하였을 때의 잔열에 해당한다. 또한 단일고장사고를 고려하여 목
표 잔열제열용량의 200%인 8.64MW의 잔열을 4개의 독립된 써모사이펀 계통에서 50%씩
제거하는 것으로 한다. 써모사이펀 1개 계통의 구조는 증발기가 원자로의 이중외벽의 바
깥쪽인 격납용기(containment vessel, 또는 guard vessel)에 원주를 따라 속이 비어있는
껍데기 모양의 4분호 형태로 부착된다. 증발기의 위치는 소듐 저온풀의 수위 (원자로용기
헤드로부터 8.35m) 아래에 위치한다. 응축기는 지표상에 위치한 수조에 잠겨 있으며 다수
의 수직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증발기와 응축기는 단열처리 된 파이프로 연결되어 수은증
기가 응축기로 가는 도중에 응축으로 인한 자연 순환의 방해를 방지한다. 써모사이펀의 3
차원 구조는 상기 그림 3.1.4-2에 표시하였다.

- 6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2.4-3. 소듐풀 내의 유량 및 소듐 저온풀의 온도 해석 흐름도

외벽 냉각 써모사이펀의 설계는 MATLAB을 이용한 인하우스 코드를 통하여 수행되었


으며 단순화된 1D형태 시스템의 열전달 모델을 이용하였다. 써모사이펀의 설계를 위해
인하우스 코드는 원자로 정지 후 소듐풀 내부의 유량 및 소듐 저온풀의 온도 해석과 써
모사이펀 내부의 열이송 부분으로 나누어 해석하였다. 소듐풀 내부의 온도 제한조건으로
핵연료 중심부 온도는 용융점인 1350°C, 핵연료-피복재 접촉면 온도는 공융점(Eutectic
Liquefaction Limit)인 650°C, 고온풀 온도는 구조재 한계온도인 760°C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핵연료-피복재 접촉면의 공융점이 가장 주요한 제한조건임을 확인하였고 이 때
허용 가능한 소듐 저온풀의 온도는 590°C로 나타나므로 써모사이펀의 설계는 저온풀의
온도 590°C를 기준으로 설계되었다.

그림 3.2.4-4. 소듐풀 내부 모사를 통한 소듐 저온풀의 설계기준 온도 설정

- 6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소듐 냉각재 풀에서 증발기까지의 열전달은 방사방향의 일차원 열전달이라 가정하여 각


구조재 (원자로 용기(reactor vessel), 격납용기 (containment vessel 또는 guard vessel),
증발기 외벽)에서는 전도열전달을, 원자로 용기와 격납용기 사이의 아르곤으로 채워진 간
극(gap)에서는 대류와 복사 열전달을 고려하여 계산을 수행하였다.

그림 3.2.4-5. 원자로 외벽냉각 써모사이펀 설계과정의 흐름도

써모사이펀 내부의 열전달은 증발기, 단열관, 응축기의 각 부분을 일차원의 이상 열전


달 모델을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증발기에서는 소듐 풀로부터 전달된 잔열이 수은 풀과
수은 막 두 가지 경로로 전달되며 각 부분의 비등 열전달 모델은 [Shiraishi. et. al.,
2003]의 상관식을 이용하였다. 응축기 내부에서는 [Rohsenow, 1956]의 막응축 모델을 사
용하여 수은의 응축으로 전달되는 열을 계산하고, 응축기 외부에서는 [Rohsenow, 1952]
의 핵비등 모델의 사용하여 냉각수의 비등으로 제거되는 열을 계산하였다. 써모사이펀 내
부의 수은 온도가 작동 온도인 250~650°C를 만족하고 써모사이펀 증발기의 크기가 최대
설치 가능한 높이인 7.1m (cold 풀 수위~원자로 용기 하부헤드 곡면 시작부)를 넘지 않도
록 제한조건을 설정하였다. 이를 제한 조건으로 증발부 길이, 응축부 길이 및 튜브 개수,
수은 충전율(Filling ratio)에 대한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 7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2.4-6. 증발부 길이에 따른 소듐 저온풀 온도변화

그림 3.2.4-7. 응축부 튜브 개수에 따른 따른 소듐 저온풀 온도변화

- 7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2.4-8. 수은 충전율에 따른 소듐 저온풀 온도변화

그림 3.2.4-9. 설계한 외벽냉각 써모사이펀과 RVACS의 제열용량 비교

설계 변수로 설계된 외벽냉각 써모사이펀의 설계변수와 정상상태 운전 조건은 표


3.1.4-2에 명시하였다. 원자로 용기 내부의 온도가 443.67°C, 핵연료-피복재 접촉부 온도
가 502.45°C로 설계 제한 조건을 만족 한다. 표원자로 용기 외부(reactor vessel outer)와
격납용기 내부(conatinment vessel inner) 사이의 Ag 간극(gap)에서의 큰 열저항으로 열
의 병목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g 간극에서의 열 유동은 복사열전달이 약
95~97%를 차지해 대류열전달보다 복사열전달이 우세하며, 이는 온도의 4승에 비례하는
복사열전달의 특성상 원자로 용기의 절대온도가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
서 추가적으로 제열용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사고 시에만 Ag 간극에서의
열저항을 줄여줄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외벽냉각 써모사이펀은 기존의
RVACS 설계 대비 약 3~4배 더 뛰어난 열전달 효율(격납용기 열유속 기준)을 가지므로
충분한 열제거 성능을 보일것으로 예측된다.

- 7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표 3.2.4-1. 외벽냉각 써모사이펀의 설계변수


Thermosyphon Module
Number of module 4
Mass of mercury 22,000 kg / module
Filling ratio 79.8 %
DHR performance 2.16MWth / module
Material SUS 316
Evaporator (Hollow shell)
Length 10.0m
Wall thick 15mm
Envelope thickness 30mm
Vessel coverage 63% 2
Surface area 71.66m
Adiabatic Section (Single tube)
Length 4.0m
Diameter 0.2m
Condenser (Multiple tubes)
Length 1.5m
Number of tubes 20
Inner diameter 40mm
Outer diameter 44mm2
Surface area 4.15m

표 3.2.4-2. 외벽냉각 써모사이펀의 설계운전 온도


Equilibrium Temperature (Steady states)
Reactor vessel inner 423.87°C
Reactor vessel outer 396.51°C
Gap 342.38°C
Containment vessel inner 290.64°C
Containment vessel outer 284.90°C
Evaporator wall outer 263.80°C
Evaporator wall inner 258.64°C
Saturated mercury 258.23°C
Condenser inner 258.11°C
Condenser outer 115.01°C
Cooling water (Ultimate heat sink) 99.61°C

- 7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3 절 1차계통 유동 분포 해석

1. 1차 주요계통 모델링
본 연구의 최종단계인 1차계동 유동 분포 해석을 위해 설계완료된 1차측 주요계통을
단순화 모델링 하였다. 중간열교환기를 포함한 중간열교환 풀은 영역 구분을 위한 정도로
구조체의 외벽 크기만 모사하였으며, 중간열교환기 및 노심은 다공성 물질로 간주하고 계
산하기 위하여 개별 유체영역으로 분리하였다. 1차측 계통을 전부 포함하는 소듐 풀의 하
부형상은 대부분의 소듐고속로에서 채택한 torisphirical 구조로 모사되어 있으며, 고온풀
과 저온풀의 영역 구분을 위한 내부 baffle 구조는 중간열교환계통의 외벽구조 및 노심영
역의 바깥 형상을 따라 모사되었다. 그림 3.3.1-1에는 소듐 풀의 내부반경 내에 1차 주요
계통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계통 모델링은 1차계통의 유동분포 해석을
수행하기 위함이므로 내부구조의 모사는 제외하였으며, 단순화된 계통의 외벽구조에 따른
모델링만 수행하였다.

그림 3.3.1-1. 1차 주요계통의 반경방향 레이아웃

- 7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가. 원자로 내부 소듐 풀
소듐 내부 풀의 반경방향 크기는 8.4 미터이며 축방향으로는 총 15미터에 달한다.

그림 3.3.1-2. 소듐 풀

나. 노심 하부 지지 구조체
노심하부구조체는 반경방향 3.329 미터의 노심을 지지하도록 설계된 구조이며, 1차계통
펌프를 통해 소듐 풀 내의 유량을 지속적으로 공급받는 입구가 두 방향으로 모사되어 있
다.

그림 3.3.1-3. 노심 하부지지 구조체

- 7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 노심
소형혁신 SFR의 노심은 반사체 구조를 통한 유량이 없는 것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
에 반사체 영역을 제외한 내부 핵연료 집합체 영역만 모사되어 있으며, 형상을 단순화 시
킨 실린더 형태로 모델링하였다. 반경방향 2.28m의 직경과 축방향 3.85m에 해당하는 체
적을 갖는다.

그림 3.3.1-4. 노심

라. 일차계통펌프
일차계통 펌프는 PGSFR의 펌프 크기를 기준으로 모사되어 있으며 반경방향 1.8m 직
경의 크기를 갖는다.

그림 3.3.1-5. 일차계통펌프

- 7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마. 중간열교환기
중간열교환기는 표 3.2.2-1에 설정된 설계인자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절의 첫부분에
기술된대로 내부구조를 제외한 외벽구조만 모사되었다. 단순한 실린더 형태이며, 1차측
소듐이 통과할 수 있는 유체 입출구 생성하기 위해 중간열교환계통의 외벽을 뚫고 나와
있는 형태로 모사되었다.

그림 3.3.1-6. 중간열교환기
바. 중간열교환계통
중간열교환계통은 중간열교환 펌프 및 중간열교환기를 모두 포함하는 부분타원형태로
모사되어 있으며, 1차계통의 소듐과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 부분을 제외하면 소듐풀
과의 유량교환 영역은 없다.

그림 3.3.1-7. 중간열교환계통

- 7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사. 격벽구조물
격벽 구조물은 중간열교환계통의 외벽형상 및 반사체를 포함한 노심의 반경방향 정사
영에 인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고온풀과 저온풀의 영역 구분을 위한 구조체 역할을
한다.

그림 3.3.1-8. 격벽구조물
아. 상부 구조체
제어봉 및 제반 시설을 포함하는 노심 상부구조체는 단순한 실린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직접적인 열전달에 관련된 역할을 수행하진 않으나, 유동분포에 끼치는 영향을 보
기 위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그림 3.3.1-9. 상부 구조체

- 7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자. 1차측 주요계통 배치

그림 3.3.1-10. 1차 주요계통 배치도

2. 최적설계를 반영한 3차원 유동분포 해석 결과


소형 혁신 SFR 노심의 열출력은 356MWth 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발전사이클측과의
열전달을 위해서는 두 개의 중간열교환기를 통해 각각 178MWth 만큼의 열교환이 필요
하다. 해당 조건을 기반으로 하여 1차측 PTHS를 통해 노심으로 주입되는 유량을 총
1,810 kg/s 로 설정하였고, 노심의 입구온도인 390°C로 설정하였다. PHTS에서 나온 유체
는 노심, 고온풀, 중간열교환기, 저온풀을 거쳐 다시 PHTS의 입구로 들어가게 된다. 노
심을 통과하여 출구온도가 545°C에 이르면 고온풀 영역을 거쳐 중간열교환기로 들어가

- 79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178MWth 만큼의 열량을 중간열교환계통에 전달하게 된다. 1차계통의 열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노심에서 얻은 열량을 중간열교환기에서 모두 소진하도록 volumetric heat
generation 옵션을 사용하여 각 열전달 계통의 열교환 값으로 설정하였다. 계통의 모든
벽면은 단열조건이라 가정하였으며, 소듐 풀의 상부 부분의 압력이 1기압이 되도록 기준
기압 조건을 적용한 뒤 열해석을 수행하였다.

가. 노심 및 중간열교환기의 다공성 모델 사용
노심 및 중간열교환기의 복잡한 내부 구조를 전부 모사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계산
노드가 필요하며, 이는 유체의 거동을 보기 위한 본 연구의 의도에 맞지 않아 다공성 모
델을 적용한 해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CD-Adapco 사에서 제공하는 STAR-CCM+에는
영역별 유체해석 방법을 다르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다공성 모델을 사용할 경우 해당 모델
에서 요구하는 변수의 값을 올바르게 설정하여야 한다. STAR-CCM+에서는 실험 혹은
기존 압력강하 모델을 계산하는 코드를 기반으로, 최소 4가지 이상의 계산결과를 이용하
여 다공성 물질의 특성을 대표하는 상수값을 추산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유동속
도에 따른 단위길이당 압력강하 정보를 기반으로 수식 3.3.1-1에 제시된 2차 근사식을 통
해 다공성 매질에서의 관성저항계수, Pi, 및 점성저항계수, Pv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간열교환계통 설계코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구한 후 해당 식에 대입
하여 적절한 P i 및 P v 값을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노심에서의 압력강하를 통한 상
수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압력강하가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집합체 입구 부분 오리피스를
통한 압력강하를 계산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방법이지만, 정보가 부족한 관계로 PGSFR
의 압력강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노심에서의 다공성 관련 계수를 설정하였다.

∆P
=−( Pi v + Pv ) v
L (수식 3.3.1-1)

표 3.3.1-1. 중간열교환기 입구속도에 따른 압력강하 계산결과


Velocity (m/s) ΔP (kPa) Length (m) ΔP/Length
0.6 1.68 3.87 0.43
1.2 7.46 5.37 1.39
1.81 18.01 6.51 2.77
2.41 33.79 7.47 4.52

나. 정상상태 해석
설계된 데이터 및 설정된 값을 바탕으로 1차계통의 정상상태에서의 유동분포를 모사하
는 계산을 수행하였다. 질량보존이 제대로 되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PTHS의
입구 부분 유속을 관찰하였으나, 입력값으로 준 1,810 kg/s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 80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열전달 측면에 있어, 노심의 입/출구 온도가 정확히 모사되는지, 또한 중간열교환기를 지


난 후의 소듐 온도가 제대로 계산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가상의 단면을 나누어 가시화
하였다. 그림 3.3.1-11 및 그림 3.3.1-12를 통해 노심의 입 출구 부분에서의 온도가 제대
로 모사됨을 관찰함과 동시에, 속도벡터의 가시화를 통해 유동의 흐름이 어떻게 이루어지
는지 알 수 있다.

그림 3.3.1-11. 1차계통 유동분포 해석을 통한 온도장 및 속도장 계산결과

- 81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림 3.3.1-12. 1차계통 유동분포 해석을 통한 유선분포도

- 82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목 표 연구개발 수행내용 달성도


• 기존 해석코드의 한계점 도출 및 새로운 방법론
제시를 위한 MATRA-LMR 해석코드 분석
- 노심 열수력 설계 • 압력강하 모델 및 집합체간 교환 유량 모델을
100 %
방법론 개선 반영하여 MATRA-LMR코드 수정
• CFD연계 계산 방법론을 위한 검증계산 수행 및

예비계산 수행
• 난류모델 선정 및 계산에 적합한 계산용 노드

크기 선정 후 ORNL 실험데이터를 통한 CFD


계산결과를 검증
- 개선된 노심 열수력 • 검증된 CFD 조건을 기반으로 덕트제거형 노심에 100 %
해석 방법론 검증
대한 열수력 해석을 수행
• CFD와 동일한 방식으로 MATRA-LMR에 대한

열수력 해석을 수행 후 오차율 산출


ㆍ노심 열수력 개선 방법론 도출 완료 및 연계계산을
통한 방법론 검증 완료
- 소형 혁신 SFR
ㆍ제안된 SFR 노심에 대한 열수력 설계 해석 및
노심개념에 대한 100 %
입구부분 유량제어를 통한 최적화 수행
노심 열수력 설계
ㆍ노심 동특성 코드와의 연계계산을 통한 정확도
향상
• 중간열교환계통 제거를 위한 PCHE 열교환기 크기

계산 및 발전사이클측 S-CO2 유입방지를 위한


- 중간열교환계통
안전구조물 개념설계 100 %
개념설계 • 중간열교환계통 최소화를 위한 펌프 내장형 열교환

시스템 개념설계
• 중간열교환풀 개념의 열전달 계통이 원자로 용기

내 삽입가능하도록 계통별 반경방향 크기 설정


- 중간열교환계통 • 발전사이클측 조건에 따른 PCHE의 소듐측 열수력
100 %
설계 완료 및 해석 조건을 기준으로 한 IHX 예비설계
• PCHE 내 S-CO2 유입으로 인한 메인풀에서의

영향을 근본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유로 설계


- 중간열교환계통 ㆍ계통의 압력강하를 고려한 중간열교환기의
피동잔열제거계통 최적설계 수행 100 %
설계 및 최적화 ㆍ피동잔열제거계통 성능평가 및 안전해석
• 원자로 외벽냉각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수은 써모사이펀을 도입
- 피동잔열제거계통 • KALIMER-150 원자로 용기 크기를 기반으로 하여 100 %
설계
수은 써모사이펀을 모사할 수 있도록 내부
인하우스 코드를 작성 후 계통설계 수행
- CFD를 통한 1차측 ㆍ설계된 1차 계통의 3D 모델링 완료
100 %
유동해석 ㆍCFD를 통한 운전시나리오별 유동해석 수행

- 83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1. 노심열해석 기술 개발
소듐냉각고속로 주요 계통설계의 최적화를 위한 소듐 풀의 유동분포 모사가 필요하며
3차원 효과를 보기 위한 실험 혹은 그에 상응하는 계산이 필요하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CFD를 통한 발전소 모사가 가능하나, 발전소 전체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컴퓨터 자원의 한계성이 따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계통해석코드와 연계하는 방향의 해
석이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고속로의 특성상 온도에 따른 중성자속의 영향이 크므로 비
정상상태 해석에 있어서는 노심 중성자 동특성 코드와의 연계 계산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노심해석에 있어 MATRA-LMR이라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개발된
부수로 해석 코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 이르러서는 노심에서의 fuel blockage 사고
를 모사하기 위해 업데이트된 MATRA-LMR-FB코드가 개발되었다. 가압형경수로의 경
우 이미 국내/해외에서 노심 동특성 코드와 연계한 계산체계가 구축되어지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프로젝트로는 미국의 산업체, 학계 및 연구소의 통합연구개발환경을 통한
CASL 프로젝트가 진행중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노심해석코드 뿐 아니라 다중물리해석을
위한 여러 코드를 통합하여 가압형경수로 해석에 있어 신뢰도를 높이려는 시도가 진행중
이다. 또한 상용 CFD코드인 STAR-CCM+와 DeCART 노심 중성자 동특성 코드를 연계
한 계산이 시도되었으며, 또 다른 조합으로는 Openfoam과 Serpent의 연계가 이루어졌다.
고속로 분야에서는 최근 TRACE와 PARCS의 연계를 통한 비정상상태 해석이 수행된 바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비보호 냉각재 유량상실사고 및 비보호 열제원 상실사고 시의 원자로
풀 내 소듐거동을 모사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 수집이 완료되었으며, 단순연계방식이긴 하
나 MATRA-LMR과 McCard의 연계계산 자동화가 가능한 상태에 이르렀다. 이를 토대로
계통별 설계코드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식의 연구가 진행될 수 있다.

2. 중간열교환계통 소형화 설계 기술 개발
기존의 소듐냉각고속로에서의 중간열교환계통의 역할은 발전사이클측 유체인 물과 소
듐의 반응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하지만 계통의 크기가 크고 계
통 복잡도가 높을수록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며,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계통을
생략할 수 있을 정도의 안전장치를 개발하거나, 계통의 크기 및 구조 최소화를 통해 경제
적 이점을 꾀할 필요가 있다. 발전사이클측 유체를 초임계 이산화탄소 브레이튼 사이클을
적용한 원자로에서는, PCHE 타입의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계통의 크기 축소를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른 중간열교환계통의 소형화 방향의 설계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중간열교환계통을 포함한 원자로 전체의 구성에 따른 연구는, 미국의 INL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 타입으로 정리될 수 있다. 1차측 고온 풀, 중간열
교환기, PHTS, 중간열교환기 순으로 이어지는 1차형 루프 전체가 저온 풀 영역에 담겨
있으며, 저온풀과 고온풀은 구조적으로 독립되어 있으나 열전달 측면에서는 긴밀하게 연

- 84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중간열교환계통 제거 레이아웃 역시 검토중이며, 소듐과 발


전유체간의 반응으로 인한 사고 시나리오를 근본적으로 배제할 수 있도록 헬륨을 사용하
는 개념이 언급되었다. 이는 중간열교환계통 제거와 작동유체간의 반응으로 인한 사고 모
두 해결되는 구성이긴 하나, 헬륨의 열수력적 특성으로 인해 2차측 발전사이클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기술된 두 가지 방식을 모두 적용한 방식 역시 제안되었
으며, 이는 계통의 크기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2차측 발전유체인 헬륨이 1차 소듐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막는 안전성을 좀 더 중요시한 설계이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중간열교환계통 소형화 설계 과정을 바탕으로, 보다 세밀한 정량적
평가가 필요하며, 이는 내부적으로 개발된 중간열교환기 코드 및 발전사이클측 PCHE 설
계코드의 계산 신뢰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각 계통설계 코드의 검증은
실험 혹은 실험을 대체할 만큼의 고정밀 CFD 해석을 통해 검증해야 하며, 노심해석 코
드의 경우는 이미 여러 영역에 걸쳐 검증계산이 수행되어 왔으므로 큰 무리 없이 해석을
진행할 수 있다. 현재 작성된 중간열교환기 설계 프로그램의 소스코드를 활용하여 발전사
이클측 PCHE 설계코드 및 노심 측 열해석 코드와의 연계를 통해, 원자로 전체 운전효율
및 계통의 크기 제한을 바탕으로 한 최적화 루틴이 개발 가능하며 이는 곧 원자로의 출
력에 국한되지 않는 중간열교환계통 소형화 설계코드로 발전시킬 수 있다.

3. 피동잔열제거계통 설계 기술 개발
소듐냉각고속로에서 사고 또는 연료재장전, 유지보수 등의 이유로 원자로 가동이 중단
되었을 때, 핵분열이 멈춘 상황에서도 핵분열생성물로 인한 잔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를 제거하지 않으면 노심 과열로 연결되며 심각하게는 노심 용융까지 발전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노심을 냉각시킬 수 있는 잔열제거계통의 설계기술이 필요하다. 소
듐냉각고속로의 경우 냉각재로 사용하는 소듐의 특성상 물 혹은 공기와의 접촉반응을 통
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해당 시나리오를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개념
설계가 요구된다.
이러한 계통설계를 위해 여러 가지 개념이 제시되어 왔으며, 그 분류는 크게 노심직접
냉각계통과 원자로용기 냉각계통의 두 가지 형태의 잔열제거계통으로 분류된다. 유럽의
EFR 및 인도의 PFBR에서는 열교환기가 고온풀에 직접 담겨진 형태의 직접냉각방식계통
을 설계하고 검증 중에 있으며, 이와 반대개념인 원자로용기 냉각계통이 적용된 원자로로
는 미국의 GE사에서 설계한 PRISM이 있다. 국내에서 진행되는 연구로는 PGSFR에 적
용된 직접냉각방식의 열 제거계통이 적용되어 있으며 설계 검증을 위한 소듐 풀 내부의
유동 모사 연구가 진행중이다.
본 과제에서 제시된 수은을 작동유체로 하는 상변화 서모사이펀을 이용하여 원자로 외
벽냉각 방식의 피동잔열제거계통을 제시하였다. 현재까지의 외벽냉각 방식은 열출력
400MWth 이하의 중소형 이하 원자로에만 적용되었지만, 상변화를 이용한 3~4배의 제열
능력이 향상된 계통개념을 이용하면 더욱 큰 출력의 원자로에도 적용 가능하리라 판단되
며, 차후 설계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실험을 통한 코드검증 및 소듐 풀 내부의 유동트
랩 여부를 추가 해석할 필요성이 있다.

- 85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 American Nuclear Society Annual Meeting (2013, Atlanta, USA)


(2) American Nuclear Society Annual Meeting (2014, Anaheim, USA)
(3) American Nuclear Society Annual Meeting (2015, Texas, USA)
(4) The 2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uclear Engineering (2014, Prague, Czech
Republic)
(5) The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uclear Engineering (2015, Chiba, Japan)
(6) The 15th International Topical Meeting on Nuclear Reactor Thermalhydraulics
(2013, Pisa, Italy)
(7) The 16th International Topical Meeting on Nuclear Reactor Thermalhydraulics
(2015, Chicago, USA)
(8) The 13th International Congress on Advances in Nuclear Power Plants (2014,
Charlotte, USA
(9) The 14th International Congress on Advances in Nuclear Power Plants (2015,
Nice, France)
(10) The 10th International Topical Meeting on Nuclear Thermal-Hydraulics (2014,
Okinawa, Japan)

- 86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 7 장 참고문헌

(1) CD-adapco, 2014. STAR-CCM+ User Guide, Version 9.02.011. CD-adapco, New
York.
(2) Craft, T. J., Launder, B. E., Suga, K., 199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ubic eddy-viscosity model of turbulence. Int. J. Heat Fluid Fl. vol. 17, no. 2, pp.
108-115.
(3) Fricano, J. W., Baglietto, E., 2014. A quantitative CFD benchmark for sodium fast
reactor fuel assembly modeling. Ann. Nucl. Energy. vol. 64, pp. 32-42.
(4) Gajapathy, R., Velusamy, K., Selvaraj, P., Chellapandi, P., Chetal, S.C., 2007. CFD
investigation of helical wire-wrapped 7-pin fuel bundle and the challenges in
modeling full scale 217 pin bundle. J. Nucl. Eng. Des. vol. 237, pp. 2332-2342.
(5) Gajapathy, R., Velusamy, K., Selvaraj, P., Chellapandi, P., Chetal, S. C., 2009. A
comparative CFD investigation of helical wire-wrapped 7, 19 and 37 fuel pin
bundles and its extendibility to 217 pin bundle. J. Nucl. Eng. Des. vol. 239, pp.
2279-2292.
(6) Hamman, Kurt D., Berry, Ray A., 2010. A CFD simulation process for fast reactor
fuel assemblies. J. Nucl. Eng. Des. vol. 240, pp. 2304-2312.
(7) Natesan, K., Sundararajan, T., Narasimhan, Arunn, Velusamy, K., 2010. Turbulent
flow simulation in a wire-wrap rod bundle of an LMFBR. J. Nucl. Eng. Des. vol.
240, pp. 1063-1072.
(8) Novendstern, E. H., 1972. Turbulent flow pressure drop model for fuel rod
assemblies utilizing a helical wire-wrap spacer system. J. Nucl. Eng. Des. vol. 22,
pp. 19-27
(9) Shih, T.-H., Liou, W. W., Shabbir, A., Yang, Z. and Zhu, J., 1994. A new k-e
eddy viscosity model for high Reynolds number turbulent flows model
development and validation. Computers & Fluids. vol. 24, no. 3, pp. 227-238.
(10) KIM, W. S., KIM, Y. G., KIM, Y. J.: A subchannel analysis code MATRA-LMR
for wire wrapped LMR subassembly, Ann. Nucl. Energy. 2002, 29:303-321.
(11) Sobolev, V.: Database of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liquid metal coolants for
GEN-IV, SCK-CEN, 2011.
(12) Merzari, E., Pointer, W.D., Smith, J.G., Tentner, A., Fischer, P.: Numerical
simulation of the flow in wire-wrapped pin bundles: Effect of pin-wire contact
modeling, J. Nucl. Eng. Des. 2012, 253:374-386.
(13) Fontana, M. H., MacPherson, R.E., Gnadt, P.A., Parsly, L.F., Wantland, J.L., 1973.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 19-rod simulated LMFBR fuel assembly in a
hexagonal duct (Fuel failure mockup bundle 2A) record of Experimental Data.

- 87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Oak Ridge, TN.


(14) Ranjan, R., Pantano, C. and Fischer P., 2010. Direct simulation of turbulent swept
flow over a wire in a channel. J. Fluid Mech. vol. 651, pp. 165-209.
(15) Eoh, J. H., Kim, S., Kim, S. J., & Kim, S. O. 2007. Feasibility study of a passive
DHR system with heat transfer enhancement mechanism in a lead-cooled fast
reactor. Nuclear technology, 160(2), 216-232
(16) Hahn, D. H., Kim, Y. I., & Kim, Y. G. 2007. KALIMER-600 conceptual
design report.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Daejeon (Korea,
Republic of).
(17) Hahn, D., Kim, Y., Lee, C. B., Kim, S., Lee, J., Lee, Y., and Jeong, H. 2007.
Conceptual design of the sodium-cooled fast reactor KALIMER-600.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39(3), 193.
(18) Haider, S. I., Joshi, Y. K., & Nakayama, W. 2002. A natural circulation model of
the closed loop, two-phase thermosyphon for electronics cooling. Journal of heat
transfer, 124(5), 881-890.
(19) Faghri, A. (2012). Review and advances in heat pipe science and
technology.Journal of heat transfer, 134(12), 123001.
(20) Faghri, A. (1995). Heat pipe science and technology. Global Digital Press.
(21) Perry, R. H., Green D. W., Maloney, J. O. 1997. Perry's chemical engineers'
handbook. New York: McGraw-hill
(22) Shiraishi, M., Kikuchi, K., & Yamanishi, T. 1981. Investigation o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two-phase closed thermosyphon. Journal of Heat Recovery
Systems, 1(4), 287-297.
(23) da Cunha, A. F. V., & Mantelli, M. B. 2009. Analytical and experimental analysis
of a high temperature mercury thermosyphon. Journal of Heat Transfer, 131(9),
092901.
(24) Rohsenow, W. M. 1956. Heat transfer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in laminar
film condensation. Trans. Asme, 78, 1645-1648.
(25) Rohsenow, W. M. 1951. A method of correlating heat transfer data for surface
boiling of liquids. Cambridge, Mass.: MIT Division of Industrial Cooporation.
(26) Reay, D., McGlen, R., & Kew, P. 2013. Heat pipes: Theory, design and
applications. Butterworth-Heinemann.
(27) Kwon, Y. M., Chang, W. P., Lee, Y. B., Hahn, D., & Cahalan, J. E. 2005.
Comparative analysis for evaluating passive safety design features of the
KALIMER-150.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Nuclear Society, 92, 440-441.
(28) Kwon, Y. M., Jung, H. Y., Ha, K. S., Jang, W. P., Lee, Y. B., & Han, D. H.
2005. Evaluation of the inherent safety of the KALIMER-150 design using the
SAS4A/SASSYS-1 computer cod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Taejon (Korea, Republic of).

- 88 -
국가연구개발 보고서원문 성과물 전담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가공・서비스 하는 연구보고서는 동의 없이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주 의

1. 이 보고서는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시행한 소듐냉각고속로개발사업단의 연구


보고서입니다.

2. 이 보고서 내용을 발표하는 때에는 반드시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시행한 소


듐냉각고속로개발사업단의 연구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3. 국가과학기술 기밀유지에 필요한 내용은 대외적으로 발표 또는 공개하여서


는 아니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