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P)122.

100-Y(B01D53/56)

040

특 허 심 판 원
제 5 부
심 결

심 판 번 호 2013당1179
사 건 표 시 특허 제1199267호 『황연 저감용 선택적 무촉매 환원 설비 및
일산화질소 제거용 선택적 촉매 환원 설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질소 화합물 저감 설비』의 권리범위확인(소극)
청 구 인 주식회사 〇〇〇〇
부산 
대리인 변리사 김〇〇
서울 
피 청 구 인 주식회사 〇〇
서울 
대리인 특허법인〇〇
지정된 변리사 김〇〇, 김〇〇, 손〇〇, 양〇, 정〇〇, 홍〇〇
서울 
심 결 일 2013. 11. 13.
주 문

1. 확인대상발명의 설명서 및 도면에 기재된 ‘황연저감 하이브리드 탈질장치’는 특허 제


1199267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지 아니한다.

- 1 -
2. 심판비용은 피청구인이 부담한다.
청 구 취 지

주문과 같다.

이 유

1.기초 사실
특허 제1199267호 발명(이하 ‘이 사건 특허발명’이라 한다)에 대한 이 사건 권리범
위확인심판의 청구 경위 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이 인정된다.
가 절차의 경위
.

① 발명의 명칭 : 황연 저감용 선택적 무촉매 환원 설비 및 일산화질소 제거용 선


택적 촉매 환원 설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질소 화합물 저감 설비
② 출원 : 2012. 8. 27.
③ 등록 : 2012. 11. 2.
④ 권리범위확인심판(소극) 청구 : 2013. 5. 7.
나 이 사건 특허발명의 특허청구범위(갑 제2호증, 등록특허공보, 주요 도면은 별지
.

1 참조)

청구항 환원제를 이용하여 고정 배출원의 연소공정에서 발생되는 질소 화합물


9.

을 제거하는 질소 화합물 제거용 하이브리드 NOx 저감장치로서(이하 ‘구성 1’이라 한


다); 상기 질소 화합물 제거장치는 (A) 가스터빈, (B) 선택적 무촉매 이산화질소 제거장
치, (C)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 무촉매 이산화질소 제거장치의
전단이 상기 가스터빈에 연결되고,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의 전단이 상기 선택적
무촉매 이산화질소 제거장치의 후단과 연결되어 있으며(이하 ‘구성 2’라 한다); 상기 가
- 2 -
스터빈의 로딩값이 특정 값 이하의 조건에서는 상기 선택적 무촉매 이산화질소 제거장
치만 작동하고, 상기 가스터빈의 로딩값이 특정 값을 초과하는 조건에서는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만 작동되며; 상기 가스터빈 로딩값의 특정 값은 40-60% 범위에서 선택
되는 어느 하나의 값이고(이하 ‘구성 3’이라 한다); 상기 선택적 무촉매 이산화질소 제
거장치는 (a) 배가스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배관(이하 ‘구성 4’라 한다), (b) 상기 배관
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배관을 통과하는 배가스에 환원제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
상의 환원제 주입수단(이하 ‘구성 5’라 한다), (c) 상기 환원제 주입수단에 연결 설치되
어 상기 환원제를 저장하는 환원제 저장탱크(이하 ‘구성 6’이라 한다), (d) 상기 환원제
주입수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환원제 주입수단에 분산 보조용 유체를 공급하는 분산
보조유체 공급수단(이하 ‘구성 7’이라 한다), 및 (e) 상기 배관의 복수 개의 지점과 상
기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을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반송관을 포함하고(이하 ‘구성 8’이
라 한다); 상기 배관을 따라 흐르는 배가스 중 일부가 상기 복수 개의 반송관을 통해
반송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반송관을 통해 반송되는 반송 배가스는 서로 혼합되어 반송
혼합 배가스를 이루며; 상기 반송 혼합 배가스는 상기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으로 투
입되어 상기 환원제 주입수단에 공급됨으로써 상기 배가스가 분산 보조용 유체로 사용
되고(이하 ‘구성 9’라 한다); 상기 복수 개의 반송관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반송관은 상
기 반송관을 흐르는 반송 배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반송관 개폐 조절수단을 포함
하고(이하 ‘구성 10’이라 한다); 상기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에서 상기 환원제 주입수단
에 공급되는 분산 보조용 유체의 온도의 변동 폭이 0.001-100 ℃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2개 이상의 반송관에서 반송되는 반송 배가스 각각의 반송량이 상기 반송관 개폐
조절수단을 통해 조절되며(이하 ‘구성 11’이라 한다); 상기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은 상
기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의 전단 또는 후단에 분산보조유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 3 -
분산보조유체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이하 ‘구성 12’라 한다); 상기 2개 이상의 반송관은
반송된 반송 배가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반송 배가스 온도 센서를 각각 포함하며
(이하 ‘구성 13’이라 한다); 상기 반송관 개폐 조절수단은 상기 분산보조유체 온도 센서

및 상기 반송 배가스 온도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분산보조유체의 온도 및 각 반송 배가


스의 온도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반송 배가스의 양을 조절하고(이하 ‘구성 14’라 한다);
상기 배관의 복수 개의 지점은 상기 지점의 배관 내 온도가 서로 5-100 ℃ 온도 차이를
보이고(이하 ‘구성 15’라 한다); 상기 배관의 복수 개의 지점은 서로 50 cm 내지 50 m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것(이하 ‘구성 16’이라 한다)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NOx
저감장치(이하 ‘이 사건 제9항 발명’이라 한다).
청구항 내지 (삭제)
1 8.

다 확인대상발명
.

확인대상발명은 ‘황연저감 하이브리드 탈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설명서와 도면은


별지 2 기재와 같다.

당사자의 주장
2.

가 청구인 주장의 요지
.

(1) 확인대상발명은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구성 11과 대비될 수 있을 정도로 특정

되어 있다.
(2) 확인대상발명은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구성 13을 결여하고 있고, 구성 3 및 15

와는 상이하므로,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지 않는다.


나 피청구인 주장의 요지
.

확인대상발명은 가스터빈 ‘운전 초기’에 ‘환원제 주입수단’에 공급되는 분산 보조

- 4 -
용 유체의 온도 변동 폭이 0.001 내지 50 ℃ 범위 내인지 여부가 명확하지 않아 이 사
건 제9항 발명의 구성 11에 대비될 수 있는 정도로 구체적으로 특정되지 않았으므로,
이 사건 심판청구는 각하되어야 한다.

이해관계
3.

청구인은 이 사건 특허발명과 동종 업종인 ‘환경오염 방지 시설업’에 종사하는 자


임을 갑 제1호증(사업자등록증)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 사건 심판청구는 이해
관계인에 의한 적법한 심판청구로 인정된다.

4.확인대상발명의 실시 및 특정
가 확인대상발명의 실시 여부
.

청구인은 앞서 ‘3. 이해관계’에 살핀 바와 같이 이 사건 특허발명과 동종의 업에


종사하는 자로서 확인대상발명을 실시할 예정임을 밝히고 있는바(2013. 5. 7. 심판청구
서), 확인대상발명은 청구인이 장래 실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피청구인의 답변서에서
도 확인대상발명의 실시 여부에 대해서는 다툼이 없다), 이 사건 심판청구는 확인의 이
익이 인정된다.
나 확인대상발명의 특정 여부
.

(1) 판단기준

특허권의 권리범위확인심판을 청구함에 있어 심판청구의 대상이 되는 확인대상발


명은 당해 특허발명과 서로 대비할 수 있을 만큼 구체적으로 특정되어야 하는바, 그 특
정을 위해서 대상물의 구체적인 구성을 전부 기재할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특허발명의
구성요건과 대비하여 그 차이점을 판단함에 필요할 정도로 특허발명의 구성요건에 대

- 5 -
응하는 부분의 구체적인 구성을 기재하여야 함이 원칙이다(대법원 2005. 4. 29. 선고
2003후656 판결, 대법원 2005. 9. 29. 선고 2004후486 판결 등 참조).

그런데 피청구인은, 확인대상발명은 팬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변동 폭 유


지 시점이 가스터빈의 ‘운전 초기’인지 여부가 명확하지 않고(이하 ‘피청구인 주장 1’이
라 한다), 배기가스가 ‘환원제 주입수단’에 공급되는 배기가스인지 여부가 명확하지 않
아(이하 ‘피청구인 주장 2’라 한다),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구성 11에 대비될 수 있는
정도로 구체적으로 특정되지 않았는바, 이 사건 심판청구는 각하되어야 한다고 주장하
므로, 이에 대해 살핀다.
(2) 구체적 판단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구성 11은 ‘상기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에서 상기 환원제


주입수단에 공급되는 분산 보조용 유체의 온도의 변동 폭이 0.001 내지 50 ℃ 범위 내
에 유지되도록, 상기 2개 이상의 반송관에서 반송되는 반송 배가스 각각의 반송량이 상
기 반송관 개폐 조절수단을 통해 조절되는 것’인데, 이에 대하여 확인대상발명의 설명
서에는 ‘팬(230)(이 사건 특허발명의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에 해당된다)을 거쳐 기화
기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이 사건 특허발명의 ‘분산 보조용 유체’에 해당된다)의 온도의
변동 폭은 대략 50 ℃ 이하로 유지되도록 제1취출개폐밸브와 제2취출개폐밸브(이 사건
특허발명의 ‘반송관 개폐 조절수단’에 해당된다)가 조절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가) 피청구인의 주장 1

먼저, 피청구인은,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구성 11은 가스터빈의 ‘운전 초기’에 환


원제 주입수단에 공급되는 분산 보조용 유체의 온도 변동 폭을 한정하고 있으나, 확인
대상발명에서 팬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변동 폭을 유지하는 시점은 가스터빈
의 ‘운전 초기’인지 여부가 명확하지 않아, 확인대상발명이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구성

- 6 -
11과 대비될 수 있을 정도로 특정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살피건대, ①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어디에도 분산보조유체 공급수
단에서 환원제 주입수단에 공급되는 분산 보조용 유체의 온도 변동 폭을 0.001 내지 50
℃ 범위 내로 유지하는 시점을 가스터빈의 ‘운전 초기’로 한정하고 있지 않고, 이 사건
특허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더라도 분산 보조용 유체의 온도 변동 폭이 유지되는
시점이 ‘운전 초기’로 한정되어 기재돼 있지 않으며{이 사건 특허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가스터빈 로딩값이 40-60% 사이의 값을 정하여 그 이하에서 이산화질소 제거장치가

운전하고, 상기 특정 값을 초과할 때는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를 운전함으로써, 운전


시작 후 30 분 이내에 해당하는 운전 초기의 이산화질소 저감율의 극대화 및 운전 시
작 30 분 경과 후에 해당하는 운전 정상화 조건에서의 일산화질소 저감율의 극대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고 기재되어 있어(식별번호 [33] 참조), 이 사건
제9항 발명이 발전소 가스터빈의 운전 초기에 배가스의 이산화질소 제거에 효과적이라
는 점은 인정되나, 상기 기재로부터 알 수 있듯이 ‘선택적 무촉매 이산화질소 제거장치’
는 가스터빈 로딩값이 40 내지 60% 이하 일 때 운전되는 것이어서, 이 사건 제9항 발
명의 구성 9에서 분산 보조용 유체의 온도 변동 폭을 특정 온도범위로 유지하는 시점
이 ‘운전 초기’로 한정된 것으로 보기 어렵다}, ② 확인대상발명의 설명서에도, “팬(230)
의 전단에는 제4온도센서(210)가 설치되어 있어서, 제4온도센서(210)는 팬(230)으로 유입
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제4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로 송신되고, 상기 제어부는 온도 데이터가 소정의 기준기화온도(환원제를 기화
시키기 위해 팬을 거쳐 기화기로 인입되는 온도로 대략 암모니아 수용액의 경우
300~400 ℃로 설정하고, 운전 시 온도 변동 폭을 50 ℃ 이하로 설정함)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고 기재되어 있어, 팬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변동 폭을

- 7 -
유지하는 시점이 단지 ‘운전 시’라고 한정되어 있을 뿐이고, 배기가스의 온도 변동 폭
관련한 상기 기재는 “먼저 가스터빈의 초기 기동시 발생하는 황연을 제거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하단이나, “이하에서는 가스터빈의 정상기동 시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과
정을 살펴본다.” 하단이 아닌, “이하에서는 제1취출관과 제2취출관을 통해 배기가스를
취출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하단에 기재되어 있어, 확인대상발명에서 배기가스의 온도
변동 폭을 유지하는 시점을 ‘운전 초기’나 ‘정상가동 시’로 한정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피청구인은 확인대상발명에서 온도 변동 폭을 50 ℃ 이하로 유지하
는 것은 ‘암모니아 수용액’의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어서, 가스터빈의 ‘정상가동 시’에 적
용되는 것이라고 주장하나, 상기 기재는 환원제를 기화시키기 위해 팬을 거쳐 기화기로
인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환원제로 ‘암모니아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300 내지
400 ℃로 설정된다는 것이지, 배기가스의 온도 변동 폭이, 환원제로 ‘암모니아 수용액’

을 사용하는 경우 50 ℃ 이하로 설정된다는 것은 아니고, 앞서 살핀 바와 같이, 확인대


상발명에서 배기가스의 온도 변동 폭을 특정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는 시점은 ‘운전 초
기’나 ‘정상가동 시’ 모두에 해당되는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청구인의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결과적으로,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구성 11에서 분산 보조용 유체의 온도 변동 폭
을 특정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는 시점은 발전소 가스터빈의 운전 시기와 상관없는 것
이고, 확인대상발명도 ‘운전 초기’나 ‘정상가동 시’에 상관없이 배기가스의 온도 변동 폭
을 특정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어서, 확인대상발명은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구성
11과 서로 대비하여 차이점을 판단함에 필요한 정도로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할

것이다. 설령, 피청구인의 주장대로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구성 11에서 분산 보조용 유

- 8 -
체의 온도 변동 폭을 특정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는 시점이 가스터빈의 ‘운전 초기’라
하여도, 확인대상발명에서도 가스터빈의 ‘운전 초기’에 배기가스의 온도 변동 폭을 특정
온도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 명백한 이상, 확인대상발명은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구성
11과 대비하여 차이점을 판단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할 것이므

로, 피청구인의 주장 1은 받아들일 수 없다.


(나) 피청구인의 주장 2

또한, 피청구인은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구성 11은 ‘환원제 주입수단’에 유입되는


분산 조보용 유체의 온도 변동 폭을 한정하고 있으나, 확인대상발명은 ‘팬’에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변동 폭만을 한정하고 있어, 확인대상발명은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구
성 11과 대비하여 판단할 수 있을 정도로 특정되어 있지 않다고 주장한다.
살피건대, ①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는 “상기 분산보조유체 공급수
단에서 상기 환원제 주입수단에 공급되는 분산 보조용 유체의 온도의 변동 폭이
0.001-50 ℃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이라고 기재되어 있어,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구

성 11은 ‘환원제 주입수단에 공급되는 분산보조용 유체’가 아니라, ‘분산보조유체 공급


수단에서 환원제 주입수단에 공급되는 분산 보조용 유체’의 온도 변동 폭을 한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 사건 특허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더라도, 상세한 설명에
“반송관 개폐 조절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개폐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i) 상기 분

산보조유체 공급수단에 공급되는 반송 혼합 배가스의 온도 변동 폭 또는 (ii) 상기 환원


제 주입수단에 공급되는 분산 보조용 유체의 온도 변동 폭이 0.001-100 ℃, 바람직하게
는 0.00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30 ℃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2개 이상의
반송관에서 반송되는 반송 배가스 각각의 반송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기
재되어 있어(식별번호 [40] 참조), 구성 11은 ‘환원제 주입수단’에 공급되는 분산 보조용

- 9 -
유체뿐만 아니라,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에 공급되는 분산 보조용 유체의 온도 변동
폭도 한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구성 11에서 분산 보조용
유체의 온도 변동 폭은 결국 ‘분산보조유체 온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되는 것인데, 구성
14에 “상기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은 상기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의 전단 또는 후단에

분산보조유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분산보조유체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고 기재되


어 있어,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구성 11에서 분산 보조용 유체의 온도 변동 폭은 ‘분산
보조유체 공급수단의 전단 또는 후단’에서 측정됨을 알 수 있다.
② 한편, 확인대상발명에서 ‘팬(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을 거쳐 기화기’로 유입되
는 배기가스(분산 보조용 유체)는 결국 제1인젝션그리드(151)와 제2인젝션그리드(153)(이
사건 제9항 발명의 ‘환원제 주입수단’에 해당된다)에 유입되므로, 확인대상발명도 ‘팬에
서 제1인젝션그리드(151) 및 제2인젝션그리드(153)로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변동
폭을 한정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확인대상발명에서도 팬(230)의 전단에 설치된 제4온
도센서(210)에 의해 팬(230)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변동 폭이 측정되므로, 확인
대상발명에서 ‘팬을 거쳐 기화기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변동 폭은 이 사건 제9
항 발명의 구성 11에서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에서 환원제 주입수단에 공급되는 분산
보조용 유체’의 온도 변동 폭에 대응되어, 확인대상발명은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구성
11과 서로 대비하여 차이점을 판단함에 필요한 정도로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할

것인바, 피청구인의 주장 2는 받아들일 수 없다.


(3) 소결론

결국, 확인대상발명은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구성 11과 대비하여 판단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적으로 특정된 것이고, 뒤에서 살피는 바와 같이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나
머지 구성들과도 대비하여 판단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적으로 특정된 것이므로, 확인대

- 10 -
상발명은 이 사건 제9항 발명과 대비하여 판단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적으로 특정된
것으로 인정된다.

5. 확인대상발명이 이 사건 제 항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지 않는지 여부


9

가 판단기준
.

특허발명의 청구항이 복수의 구성요소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구성요소가 유기


적으로 결합된 전체로서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것이지, 각 구성요소가 독립하여 보호
되는 것은 아니므로, 특허발명과 대비되는 확인대상발명이 특허발명의 청구항에 기재된
필수적 구성요소들 중의 일부만을 갖추고 있고 나머지 구성요소가 결여된 경우에는 원
칙적으로 그 확인대상발명은 특허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지 아니한다(대법원 2009. 10.
29. 선고 2009후1606 판결, 대법원 2005. 9. 30. 선고 2004후3553 판결 등 참조).

나 이 사건 제 항 발명과 확인대상발명의 대비
. 9

(1) 구성 1

구성 1은 이 사건 제9항 발명의 전제부로서, 환원제를 이용하여 고정 배출원의 연


소공정에서 발생되는 질소 화합물을 제거하는 질소 화합물 제거용 하이브리드 NOx 저
감장치인데, 확인대상발명도 환원제를 이용하여 가스터빈의 가동 시 이산화질소로 인한
황연을 제거하고 배기가스 내의 질소산화물을 탈질하는 황연저감 하이브리드 탈질장치
인바, 양 대응구성은 환원제를 이용하여 고정 배출원의 연소공정에서 발생되는 질소 화
합물을 제거하는 질소 화합물 제거용 하이브리드 NOx 저감장치라는 점에서 서로 동일
하다.
(2) 구성 2

구성 2는 상기 질소 화합물 제거장치는 (A) 가스터빈, (B) 선택적 무촉매 이산화

- 11 -
질소 제거장치, (C)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 무촉매 이산화질소
제거장치의 전단이 상기 가스터빈에 연결되고,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의 전단이
상기 선택적 무촉매 이산화질소 제거장치의 후단과 연결되어 있는 것인데, 확인대상발
명도 가스터빈의 초기 기동 시 발생하는 이산화질소로 인한 황연을 제거하고 가스터빈
이 정상적인 가동상태에 있을 때 배기가스 내의 질소산화물을 탈질하는 하이브리드 탈
질장치에 관한 것으로(확인대상발명 설명서 중 ‘목적’ 참조), 도 1에 나타나 있지는 않
으나, 확인대상발명의 하이브리드 탈질장치는 가스터빈의 후단에 메인덕트(1)에 의해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이고, 환원제를 이용한 선택적 무촉매 이산화질소 제거장치{제1
및 제2인젝션그리드(151, 153), 에탄올저장탱크(101) 등}와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촉매
(2), 암모니아저장탱크(103) 등}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인젝션 그리드(151, 153)가 촉매

(2)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가스터빈, 제1 및 제2인젝션 그리드(151, 153) 및 촉매(2)

가 메인덕트(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바(확인대상발명의 도 1 참조), 양 대응구성


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3) 구성 3

구성 3은 가스터빈의 로딩값이 특정 값 이하의 조건에서는 상기 선택적 무촉매


이산화질소 제거장치만 작동하고, 상기 가스터빈의 로딩값이 특정 값을 초과하는 조건
에서는 상기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만 작동되며; 상기 가스터빈 로딩값의 특정 값은 40
내지 60% 범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값인 것인데, 확인대상발명은 제1온도센서
(113)와 제2온도센서(114)에서 측정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에탄올 분사 온도범위(440

내지 470 ℃) 이내인 경우, 제1인젝션그리드(151) 또는 제2인젝션그리드(153)를 통해 에


탄올을 분사하여 황연을 제거하고, 제1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온도가 위 에탄올분사온도
범위를 초과하고 제3온도센서(115)의 온도가 촉매활성온도에 도달하면 에탄올 분사를

- 12 -
중단하고 제2인젝션그리드(153)를 통해 환원제인 암모니아를 분사하는 것이다.
살피건대, 구성 3은 선택적 무촉매 이산화질소 제거장치에서 선택적 촉매 환원 장
치로 운전을 전환하는 기준이 ‘가스터빈의 로딩값’인 데 비해, 확인대상발명은 배관 내
배기가스의 ‘온도’이어서, 양 대응구성은 차이가 있으며, 이 사건 제9항 발명은 이산화
질소 제거장치 또는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의 선택적 운전을 결정하는 인자로서 배관
내 배기가스의 ‘온도’ 대신에 가스터빈의 ‘로딩값’을 사용함으로써, 배기가스 내 이산화
질소 및 일산화질소의 저감을 극대화하는 것이므로(식별번호 [32] 참조), 양 대응구성은
상이하다.
(4) 구성 4

구성 4는 산택적 무촉매 이산화질소 제거장치가 배가스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배관(2)을 포함하는 것인데, 확인대상발명도 배기가스가 이동하는 메인덕트(1)를 포함하
므로, 양 대응구성은 동일하다.
(5) 구성 5

구성 5는 배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배관을 통과하는 배가스에 환원제를 공급하


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원제 주입수단(4)을 포함하는 것인데, 확인대상발명도 메인덕
트에 연결되어 에탄올을 공급하는 제1인젝션그리드(151)와 제2인젝션그리드(153)를 포함
하며, 확인대상발명에서 에탄올은 환원제로, 제1인젝션그리드(151) 및 제2인젝션그리드
(153)는 환원제 주입수단으로 작용하는 것이므로, 양 대응구성은 동일하다.

(6) 구성 6

구성 6은 환원제 주입수단에 연결 설치되어 환원제를 저장하는 환원제 저장탱크


(6)를 포함하는 것인데, 확인대상발명도 제1인젝션그리드와 제2인젝션그리드에 연결되

어 에탄올을 저장하는 에탄올저장탱크(101)를 포함하므로, 양 대응구성은 동일하다.

- 13 -
(7) 구성 7
구성 7은 환원제 주입수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환원제 주입수단에 분산 보조용
유체를 공급하는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10)을 포함하는 것인데, 확인대상발명도 제1
및 제2 인젝션그리드에 연결되어 취출된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팬(230)을 포함하며, 확
인대상발명에서 팬(230)은 구성 7의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에 해당하므로, 양 대응구성
은 동일하다.
(8) 구성 8

구성 8은 배관(2)의 복수 개의 지점과 상기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10)을 연결시키


는 복수 개의 반송관(24)을 포함하는 것인데, 확인대상발명도 팬(230)과 메인덕트(1)를
연결시키는 제1 및 제2취출관(241, 242)을 포함하므로, 양 대응구성은 동일하다.
(9) 구성 9

구성 9는 배관을 따라 흐르는 배가스 중 일부가 복수 개의 반송관을 통해 반송되


고, 상기 복수 개의 반송관을 통해 반송되는 반송 배가스는 서로 혼합되어 반송 혼합
배가스를 이루며; 상기 반송 혼합 배가스는 상기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으로 투입되어
상기 환원제 주입수단에 공급됨으로써 상기 배가스가 분산 보조용 유체로 사용되는 것
인데, 확인대상발명도 제1 및 제2취출관을 통해 취출된 배기가스는 서로 혼합되어 팬
(230)으로 유입되고 기화기에서 상기 에탄올과 혼합되어 기화된 에탄올과 배기가스의

혼합가스가 상기 제1 및 제2인젝션그리드에 공급되는 것이므로, 양 대응구성은 동일하


다.
(10) 구성 10

구성 10은 복수 개의 반송관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반송관은 상기 반송관을 흐르


는 반송 배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반송관 개폐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인데, 확인

- 14 -
대상발명도 제1 및 제2취출관(241, 242)은 각각 제1취출개폐밸브(220)와 제2취출개폐밸
브(222)를 가지므로, 양 대응구성은 동일하다.
(11) 구성 11

구성 11은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에서 환원제 주입수단에 공급되는 분산 보조용


유체의 온도의 변동 폭이 0.001 내지 50 ℃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2개 이상의 반
송관에서 반송되는 반송 배가스 각각의 반송량이 반송관 개폐 조절수단을 통해 조절되
는 것인데, 확인대상발명도 팬(230)을 거쳐 기화기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변동
폭이 대략 50 ℃ 이내로 유지되도록 제1 및 제2취출관에서 취출되는 배기가스의 양이
제1취출개폐밸브와 제2취출개폐밸브를 통해 조절되는 것이며, 앞서 ‘3. 확인대상발명의
특정 여부’에서 살핀 바와 같이, 확인대상발명에서 ‘팬을 거쳐 기화기로 유입되는 배기
가스’의 온도의 변동 폭은 구성 9에서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에서 환원제 주입수단에
공급되는 분산 보조용 유체’의 온도 변동 폭에 해당되며, 확인대상발명의 온도 변동 폭
‘50 ℃ 이하’는 구성 11의 온도 변동 폭 ‘0.001 내지 50 ℃’를 포함하는 범위이므로, 양

대응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이에 대하여 청구인도 다투지 않는다).


(12) 구성 12

구성 12는,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은 상기 분산보조유체 공급수단의 전단 또는 후


단에 분산보조유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분산보조유체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데, 확인대상발명도 팬(230)의 입구단에 설치되며 제1취출관(241) 및/또는 제2취출관
(242)을 통해 취출된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4온도센서(210)를 포함하므로, 양

대응구성은 동일하다.
(13) 구성 13

구성 13은, 반송관 개폐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반송관은 반송된 반송

- 15 -
배가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반송 배가스 온도 센서를 각각 포함하는 것인데, 확인
대상발명은 제1인젝션그리드(151) 전단에 위치하며 제1인젝션그리드 전단에서 배기가스
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113), 제1인젝션그리드(151)와 제2인젝션그리드(153) 사
이에 위치하며 제2인젝션그리드 전단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114), 및 제2인젝
션그리드와 촉매(2) 사이에 위치하며 촉매(2) 전단에서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온도센서
(115)는 포함하나, 구성 11의 반송관(24)에 해당되는 제1 및 제2취출관(241, 242)은 온도

센서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확인대상발명은 구성 13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다.


(14) 구성 14

구성 14는, 반송관 개폐 조절수단 각각은 분산보조유체 온도 센서 및 반송 배가스


온도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분산보조유체의 온도 및 각 반송 배가스의 온도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반송 배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것인데, 확인대상발명은 앞서 ‘(13) 구성 13’
에서 살핀 바와 같이, 구성 13의 ‘반송 배가스 온도 센서’에 대응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제1취출개폐밸브(220)와 제2취출개폐밸브(222)는 상기 제4온도센서(210)에서
측정한 온도 데이터에만 근거하여 취출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조절하므로, 확인대상발명
의 대응구성은 구성 14와 상이하다.
(15) 구성 15

구성 15는 배관의 복수 개의 지점은 상기 지점의 배관 내 온도가 서로 5 내지


100 ℃ 온도 차이를 보이는 것인데, 확인대상발명은 제1취출관의 제1취출점(P1)과 제2

취출관의 제2취출점(P2)에서의 온도는 137 내지 294 ℃의 온도 차이를 보이므로, 확인


대상발명은 구성 15와 차이가 있으며, 이 사건 제9항 발명은 구성 15에 의해 운전 시작
후 0 내지 30 분 동안의 불규칙한 연소 배가스 배출 환경 속에서도 실질적으로 균일한
이산화질소 제거 효율이 달성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데(식별번호 [41] 참조), 확인대

- 16 -
상발명은 구성 15의 온도 차이와는 차이가 있어서 이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할
것이므로, 확인대상발명의 대응구성은 구성 15와 상이하다.
(16) 구성 16

구성 16은, 배관의 복수 개의 지점은 서로 50 ㎝ 내지 30 m 거리만큼 떨어져 있


는 것인데, 확인대상발명도 제1취출점(P1)과 제2취출점(P2)이 서로 15 내지 20 m 거리
만큼 떨어져 있는 것이어서, 확인대상발명의 거리범위가 구성 16의 거리범위에 포함되
므로, 양 대응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 소결.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확인대상발명은 구성 1, 2, 4 내지 12 및 16를 포함하고 있


으나, 구성 13을 결여하고 있고, 구성 3, 14 및 15와는 상이하므로, 이 사건 제9항 발명
의 권리범위에 속하지 않는다.

결론
6.

그러므로 이 사건 심판청구를 인용하기로 하며, 심판비용은 피청구인의 부담으로


하여 주문과 같이 심결한다.

19982975
심판장 심판관 설삼민
19989244
주 심 심판관 이충재
19990049
심판관 김자영

- 17 -
별지 이 사건 특허발명의 주요 도면
[ 1]

도1

도5

[주요 도면부호]
2: 배관, 4: 주입수단, 6: 저장탱크, 8: 주입펌프, 10: 유체공급수단, 12: 연돌(stack), 14:

관, 16: 조절수단, 18: 밸브, 20: 온도센서, 22: 이젝터(ejector), 24: 반송관

- 18 -
별지 확인대상발명의 설명서 및 도면
[ 2]

확인대상발명의 명칭
1.

황연저감 하이브리드 탈질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2.

도 1은 확인대상발명의 블록도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메인덕트, 2: 촉매

101: 에탄올 저장탱크, 102: 암모니아 수용액 저장탱크

120: 에탄올 개폐밸브, 121:암모니아 개폐밸브, 110: 제5온도센서

141: 배출관, 142: 제1분사관, 143: 제2분사관

123: 제1분사개폐밸브, 124: 제2분사개폐밸브,

151: 제1인젝션그리드, 153: 제2인젝션그리드,

113: 제1온도센서, 114: 제2온도센서, 115: 제3온도센서,

241: 제1취출관, 242:제 2취출관, P1: 제1취출지점, P2: 제2취출지점

220: 제1취출개폐밸브, 222: 제2취출개폐밸브, 210: 제4온도센서

확인대상발명의 상세한 설명
3.

가 목적.

확인대상발명은 가스터빈의 초기 기동 시 발생하는 이산화질소로 인한 황연을 제


거하고 가스터빈이 정상적인 기동상태에 있을 때 배기가스 내의 질소산화물을 탈질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형태로 질소산화물을 저감하는 황연저감 하이브리드 탈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 구성.

- 19 -
확인대상발명은 환원제인 에탄올을 저장하는 에탄올저장탱크(101)와, 환원제인 암
모니아 수용액을 저장하는 암모니아저장탱크(103)와, 상기 에탄올저장탱크(101)의 후단
에 위치하여 에탄올의 유로를 개폐하는 에탄올개폐밸브(120) 및 상기 암모니아저장탱크
(103)의 후단에 위치하여 암모니아 수용액의 유로를 개폐하는 암모니아개폐밸브(121)와,

각 탱크의 환원제를 펌핑하는 에탄올 펌프(130) 및 암모니아 펌프(131)와, 상기 암모니


아저장탱크와/또는 에탄올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암모니아 수용액과/또는 에탄올과
후술하는 취출관을 통해 취출된 배기가스가 혼합되어 환원제가 기화되는 기화기(300)
와, 상기 기화기의 출구단에 연결된 배출관(141)과 상기 배출관에 연결된 제1분사관
(142)과/또는 제2분사관(143)에 각각 연결되어 기화된 환원제와 배기가스의 혼합가스를

메인덕트(1) 내로 분사하는 제1인젝션그리드(151) 및 제2인젝션그리드(153)와, 상기 제1


인젝션그리드와 제2인젝션그리드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폐열을 회수함으로서 배기가스
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는 제1열교환기(171) 및 제2열교환기(172)와, 상기 제1분사관
(142) 및 제2분사관(143)에 각각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제1분사개폐밸브(123) 및 제

2분사개폐밸브(124)와, 상기 메인덕트(1)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2인젝션그리드의 뒷단에

위치하는 촉매(2)와, 상기 제1인젝션그리드(151)의 전단에 연결되어 배기가스의 일부를


취출하는 제1취출관(241)과, 상기 촉매(2)의 뒷단에 연결되어 배기가스의 일부를 취출하
는 제2취출관(242)과, 상기 제1취출관과 제2취출관에 각각 설치된 제1취출개페밸브(220)
및 제2취출개폐밸브(222)와, 상기 제1취출관 및/또는 제2취출관으로부터 취출된 배기가
스가 혼합되어 유입되며 유입된 배기가스를 상기 기화기(300)로 송출하는 팬(230)과, 상
기 제1인젝션그리드(151) 전단에 위치하며 전단에서의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113)와, 상기 제1인젝션그리드와 제2인젝션그리드(153) 사이에서 제2인젝션그
리드 전단에 위치하며 제2인젝션그리드 전단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114)와,

- 20 -
상기 촉매(2)와 상기 제2인젝션그리드 사이에서 상기 촉매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촉매
전단에서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온도센서(115)와, 상기 팬(230)의 입구단에 설치되며 상
기 제1취출관(241) 및/또는 제2취출관(242)을 통해 취출된 배기가스가 혼합되어 상기
팬(230)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4온도센서(210)와, 상기 기화기의 출
구단에서 설치되며 상기 기화기를 통해 유출된 기화된 환원제와 배기가스의 혼합가스
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5온도센서(110)와, 상기 제1 내지 제5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
도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각종 밸브를 제어하거나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미
도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확인대상발명의 작용관계를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가스터빈의 초기 기동 시 발생하는 황연을 제거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가스터빈의 초기 기동 시에는, 배기가스에 이산화질소가 다량 포함되어 있어 이
를 제거하거나 저감하지 아니할 경우 황연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황연을 저
감하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에탄올개폐밸브(120)를 개방하여 상기 에탄올
저장탱크(101)에 저장된 에탄올을 에탄올펌프(130)를 이용해 기화기(300)로 펌핑한다.
또한, 제1취출관(241)과/또는 제2취출관(242)으로 메인덕트(1)의 배기가스를 일부
취출하여 팬(230)을 이용해 기화기(300)로 투입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1취출관(241)과
제2취출관(242)을 통해 취출된 배기가스와 에탄올이 기화기(300) 내에서 혼합되고 에탄
올의 기화가 일어나게 되며, 기화된 에탄올과 배기가스를 배출관(141)을 통해 제1분사
관(142) 또는 제2분사관(143)을 거쳐 제1인젝션그리드(151) 또는 제2인젝션그리드(153)로
유입되어 메인덕트(1) 내에 분사된다.
에탄올 분사는 제1인젝션그리드와 제2인젝션그리드 부근의 온도가 대략 440~470
℃정도(이하, '에탄올분사온도범위') 이하일 때 이루어지고, 제1온도센서(113)는 제1인젝

- 21 -
션그리드 전단에서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고, 제2온도센서(114)는 제2인젝션그리드
전단에서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온도
데이터를 근거로 제1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온도가 에탄올분사온도범위 이하에 있을 때
제1분사개폐밸브(123)를 개방하여 제1인젝션그리드(151)를 통해 기화된 에탄올과 배기
가스의 혼합가스를 메인덕트(1) 내로 분사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1온도센서(113)에
서 측정한 온도가 위 온도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제1분사개폐밸브를 닫아 제1인젝션그
리드(151)를 통해 상기 혼합가스가 분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제2온도센서(114)는 제2인젝션그리드 전단에서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
로 송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해당 온도가 상기 에탄올분사온도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
를 판단하여, 이하일 경우에만 제2분사개폐밸브(124)를 개방하여 제2인젝션그리드로
혼합가스가 분사되도록 한다.
따라서, 가스터빈의 초기 기동 시에는 온도구배가 제1온도센서가 설치된 지점, 제
2온도센서가 설치된 지점, 제3온도센서가 설치된 지점 순으로 낮아지게 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2온도센서, 제3온도센서에서의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결국, 가스터빈이


정상적인 기동을 하기 이전인 초기 기동 시 제1온도센서, 제2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온
도가 위 에탄올분사온도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제1인젝션그리드 또는 제2인젝션그
리드에서 혼합가스의 분사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가스터빈의 정상 기동 시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앞서 본 바와 같이, 가스터빈의 기동이 정상상태에 들어오면, 제1온도센서가 설치
된 지점에서의 온도가 위 에탄올분사온도범위를 초과하고, 제3온도센서의 온도가 아래
촉매 활성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이때에는 기화된 에탄올과 배기가스의 혼합가스의 분
사를 중단하여, 황연저감설비의 작동을 중단하게 된다. 또한, 가스터빈이 정상적인 기

- 22 -
동을 하게 되면, 제1온도센서가 설치된 지점에서의 배기가스의 온도는 대략 600 ℃ 이
상이며, 이는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온도가 떨어진 상태로 제3온도센
서가 설치된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제3온도센서(115)가 촉매(2) 전단에서의 온
도를 측정하여 촉매의 활성온도인 대략 200~400 ℃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모
니아개폐밸브(121)를 개방하여 암모니아저장탱크(103)에 저장된 암모니아 수용액을 암
모니아펌프(131)를 이용해 기화기로 공급하며, 제1취출관(241) 및/또는 제2취출관(242)
을 통해 취출된 배기가스를 기화기(300)로 공급하여, 상기 기화기에서 암모니아 수용액
이 배기가스와 혼합되고 기화되어 배출관(141)을 통해, 제2분사관(143)으로 공급되어 제
2인젝션그리드(153)를 통해 메인덕트(1)내로 분사된다. 이때, 제1분사개폐밸브(123)는 제

1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상기 에탄올분사온도범위를 초과하므로(예컨대 대략

600 ℃ 이상) 닫히고 제2분사개폐밸브(124)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제2인젝션그리드

(153)를 통해 분사된 암모니아는 촉매(2)로 유입되어 질소산화물(이산화질소 및 일산화

질소 포함)과 반응하여 제거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제1취출관과 제2취출관을 통해 배기가스를 취출하는 과정을 살펴본
다.
제1취출관의 취출지점 P1과 제2취출관의 취출지점 P2는 대략 15~20 m 정도 떨
어져 있으며, 가스터빈의 최초 기동 시에는 취출지점 P1의 온도는 높은 반면 취출지점
P2의 온도는 낮기 때문에, 제1취출개폐밸브(220)과 제2취출개폐밸브(222)를 동시에 개방

하여 제1취출관(241)과 제2취출관(242)으로부터 배기가스를 동시에 취출하여 혼합한 뒤


팬(230)으로 보낸다. 팬(230)의 전단에는 제4온도센서(210)가 설치되어 있어서, 제4온도
센서(210)는 팬(230)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제4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로 송신되고, 상기 제어부는 온도 데이터가 소정의

- 23 -
기준기화온도(환원제를 기화시키기 위해 팬을 거쳐 기화기로 인입되는 온도로 대략 암
모니아 수용액의 경우 300~400 ℃로 설정하고, 운전 시 온도 변동 폭을 50 ℃ 이하로
설정함)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온도가 기준기화온도에 근접하도록 제1취
출개폐밸브와 제2취출개폐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제1취출지점과 제2취출지점에서
취출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조절함으로서 온도 데이터가 기준취출온도에 근접하도록 제
어하게 된다. 온도가 기준기화온도 이하인 경우, 제1취출개폐밸브를 좀 더 개방하여 제
1취출지점에서의 취출량을 늘려 기준기화온도를 맞추게 된다. 또한, 제3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온도가 기준기화온도에 근접한 경우에는 제1취출개폐밸브를 닫고 제2취출개폐


밸브만을 개방하여 제2취출관을 통해서만 배기가스를 취출하여 팬(230)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또한, 제5온도센서는 기화기의 출구단에 설치되는데, 기화기 출구단에서 기화되어
배출되는 에탄올 또는 암모니아와 배기가스의 혼합가스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
부로 송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해당 온도가 180~240 ℃(이하, ‘기화판단온도’라 함)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온도가 기화판단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기화과정에 문제가 있다
고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주의나 경고를 하거나 환원제 공급을 중단하게 된다.
한편, 확인대상발명은 제1취출관과 제2취출관에 온도센서를 가지고 있지 아니하
므로, 제1취출지점과 제2취출지점에서의 온도측정을 하지 아니하지만, 실험을 통해 확
인한 바로는 137~294 ℃ 온도 차이를 보인다.
4.도면
[도 1]

- 24 -
- 2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