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1

Chapter 9 :
외부 비압축성 점성 유동
NO25007 선체유체역학
부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담당교수 : 이 인 원
2
2.6 유체유동의 기술과 분류
• 점성 유동 vs. 비점성유동
3
9. 외부 비압축성 점성유동
• 외부유동 : 무한한 유체 속에 잠겨 있는 물체 주위 유동
– 외부유동의 현상
• 정체점 (stagnation point) : 자유유동이 물체에 부딪혀
서 멈추는 점. 이후 유동이 갈라져서 물체를 따라 흐른다.
• 경계층 (boundary layer, BL) : 물체 주위에 생성되는 표
면 (속도 0) 와 외부 균일유동 사이의 완충 구역
• 층류-난류 천이 (T; transition)
• LBL (층류 경계층 ) vs. TBL (난류경계층)
• 박리 (S; separation) : 압력 구배로 인해 유동이 전진 못
Flow around an airfoil
하고 떨어져나옴

Flow separation on an airfoil


4
9.1 경계층 개념
• Prandtl (1904) 의 경계층 개념
– 이론과 실제 사이의 간극을 연결
• 이론유체역학 : Euler 방정식, potential flow,
d’Alembert’s paradox
• 수력학 : 파이프 유동의 경험 법칙

Ludwig Prandtl (1875-1953)


5
9.1 경계층 개념
• Prandtl (1904) 의 경계층 개념
– 경계층이란 ?
• 물체 표면 (점착조건에 의하여 유속 0) 과 표면에서 먼 지점 (유속 U) 사이의 얇은 층
• 두께  << 길이 L
• 유속 u ~ U (외부유속), v << u
– 왜 Prandtl 의 시대까지 와야 했는가 ?
• 경계층이 워낙 얇아서 관측되기 어렵기 때문

To
Notscale
to scale
U

U
6
9.1 경계층 개념
• 경계층의 발달
– 층류-난류 천이
Ux
• 기준 : Reynolds number based on x Re x 

• 주의 : 경계층에서는 유속이 빨라지지 않아도 x 가 자연스
럽게 늘어난다 !
• 임계 Reynolds 수 (critical Reynolds number)
Re x ,crit  300,000 ~ 500,000
• 천이 Reynolds 수 (transitional Reynolds number)
Effect of viscosity on B. L. growth
Re x , tr  1,000,000

Re x ,crit Re x , tr

Laminar & Turbulent B. L.


7
9.2 경계층 두께
• 경계층 두께의 여러 정의들
– 경계층 (교란) 두께 (BL thickness) 
• x 방향 속도성분이 자유유동 속도의 99% 에 해당하는 위치까지의 수직 거리  0.99
• 99% 의 의미 : 없음  95%  0.95 혹은 99.5%  0.995 도 사용됨
• 단점 : 측정오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물리적 타당성이 빈약하다.
– 배제 두께 (displacement thickness) *
• (경계층 존재를 무시하고) 외부 균일유동만 있다고 할 때, 유량을 실제와 동일하게 맞추기 위하여
벽면이 유동 안으로 (가상적으로) 이동해야 하는 거리
   *   
 u  u
0   *   0   0   0        0  U  0 1  U  dy
   
* *
uw dy Uw dy Uw dy Uw dy Uw dy U w 1 dy

8
9.2 경계층 두께
• 경계층 두께의 여러 정의들
– 운동량 두께 (momentum thickness) 
• (경계층 존재를 무시하고) 외부 균일유동만 있다고 할 때, 경계층 내의 유속 저하로 인하여 줄어드
는 운동량 플럭스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벽면이 (가상적으로) 이동해야 하는 거리
 
u u u u
   1   dy   1   dy
0
U U 0
U U

– 배제 두께 및 운동량 두께의 장점
• 물리적 의미 (타당성) 가 있음
• 적분 형태이므로 경계층 두께 근처의 실험 오차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9
9.3 층류 평판경계층
• Prandtl 과 Blasius
– Prandtl 의 경계층 근사 (“Motion of fluids with very low viscosity”, 1904)
U u v
Continuity :  0
x y
u u 1 p   2u  2u 
x  momentum : u v    2  2 
x y  x  x y 
v v 1 p  2v 2v 
y  momentum : u v    2  2 
x y  y  x y 

• Order-of-magnitude analysis : 방정식의 각 항의 크기 분석  각 항의 상대적인 중요도


 1  1
 U ~ 1, P  P ~ U ,
2
~ , ~
x L y 
u v U
 연속방정식 :  0 v~   L  1  v  U
 x
  y L
~U L ~v 

v v 1 P 2v  2 v divide by U 2 
 y-mom. 방정식 : u  v    2   2   
x U
Uu*  y 
  y x y
U v*
v* 
L U v* 2
1 U 2 P* U  v* U  2 v*
L2 x*  
L y*   y* L3 x*2 L 2 y*2

  v * v *  P * 1     2 v *  2 v *  P
2 2

   u *  v*        2
 0
L  x * y *  y * Re  L  x *2
y *  y
10
9.3 층류 평판경계층
• Prandtl 과 Blasius
– Prandtl 의 경계층 근사 (“Motion of fluids with very low viscosity”, 1904)
u v
Continuity :  0
x y
u u 1 p   2u  2u 
x  momentum : u v    2  2 
x y  x  x y 
v v 1 p  2v 2v 
y  momentum : u v    2  2 
x y  y  x y 

• Order-of-magnitude analysis : 계속
dP
 평행평판의 경우 : 0
dx

 x-mom. 방정식 : x 방향의 변화율 (  x ) >> y 방향의 변화율 (  y )  u 의 y 방향 2계


편도함수를 무시할 수 없다.  경계층 가정의 핵심

u u 1 dP  2u  2u
u  v   2  2
x v*U 
u *U  y dx x
 y
U u *

L U v* 2
1 U 2 P* U  u* U  2 u*
L x *  
 x*  L x* L x*
2 2
 2 x*2

u * u * dP * 1  2 u * 1  L   2 u *
2 2
1 L
   u *
devide by U 2 L
 v*         ~1
x * y * dx * Re x *2 Re    y *2 Re   
11
9.3 층류 평판경계층
• Prandtl 과 Blasius
– Prandtl (1904) : 평행평판에 대한 경계층 방정식

u v u v
Continuity :  0 Continuity :  0
x y x y
u u 1 p   2u  2u  u u  2u
x  momentum : u v    2  2  x  momentum : u v  2
x y  x  x y  x y y
v v 1 p  2v 2v  p
y  momentum : u v    2  2  y  momentum : 0
x y  y  x y  y

Boundary Layer Similarity


12
9.3 층류 평판경계층
• Prandtl 과 Blasius
– Blasius (1908) : 평판 경계층에 대한 최초의 이론해 제시
• 상사변수(similarity variable)를 도입, 편미분 방정식을 상미분 방정식으로 변환

 f ,   y
u U
 상사변수 :  const  means y  c x , f   ff   0
U x

 경계층의 범위 ?  경계층 두께 : 외부유속 U 의 99% 까지

 U  99 x
u y    
99 U
U  f   
    5 . 0    5 .0
100  x  100 x U
13
9.3 층류 평판경계층
• Prandtl 과 Blasius
x
– Blasius (1908) 이론해   5.0
U
14
9.3 층류 평판경계층
• Prandtl 과 Blasius
– Blasius (1908) : 평판 경계층에 대한 최초의 이론해 제시
• 경계층 두께 관계식
Ux
 국부 Reynolds 수 : Re x 

 
 층류 경계층에 대한 경계층 두께  5. 0  5.0 Re x1 2   ~ x
x Ux
15
9.3 층류 평판경계층
• Prandtl 과 Blasius
– Blasius (1908) : 평판 경계층에 대한 최초의 이론해 제시
• 마찰응력 관계식
u du  d  df  U
f 
U
 Blasius 해로부터   U   U
y d y d  d  x x

u
f 0  0.332U
U U
 마찰응력 = 벽면에서의 전단응력 : 0    U
y y 0
x x

0 0.664 U 
 마찰응력계수 : 무차원 마찰응력 cf   U  0. 664  0.664 Re x1 2
U 2 U
2 2
x Ux

• 마찰항력 관계식 

 마찰항력 = 마찰응력을 면적에 대하여 적분 D f  b  0 dx


0

 마찰항력계수 : 무차원 마찰항력



b  0 dx
 
 
Cf 
Df
 
1
   
1
   1.328 Re 1 2
   
0
c x dx 0.664 dx 1. 328
U 2  b  U 2  b   0
2 2 f
0 Ux U
16
9.4 운동량 적분방정식
• 경계층의 근사해법
– 9.3 Blasius 엄밀해 vs. 9.4 운동량 적분방정식

 f  풀기 위해 상사변환 실시, 상미분방정식 f   ff   0 의 무한급수 해 (수치적분)


u
• 유속분포
U
• 보다 간단한 (근사적) 방법 ? : 유속분포를 적당히 가정  검사체적 운동량 방정식에 대입

– 검사체적 (폭 w) 에 대한 질량보존
• 주의 : 경계층 경계선 bc 는 유선이 아니다 !!  bc
를 지나는 유량 존재
• 정상, 2차원 유동에서의 질량 보존 법칙  각 면에
서의 질량유량의 균형
정상
  

t CV
dV   V  dA  0  m
CS
 ab  m
 bc  m
 cd  0  m
 bc   m
 ab  m
 cd

     

       
 ab    u dy w , m
m  cd   u dy   u dy  
dx w , 
m     u dy  dx w
 
bc
0   0 x 0     0
x  
17
9.4 운동량 적분방정식
• 경계층의 근사해법
– 운동량보존 ; 우변 (모멘텀 플럭스)
• 기본방정식
무시 정상

 
  
FSx  FBx  
t CV
u d V  CS u  V  n dA 

FSx  mf ab  mf bc  mf cd

• 각 면에서의 모멘텀 플럭스

     

       
mf ab   u u dy w , mf cd   u u dy   u u dy  dx  w , mf  Um   U   u dy  dx w
 
bc bc
0  
0 x 0    
 0
x  

• 모멘텀 플럭스의 합

      

 
 
 
CS u  V  n dA   
 x  0
u u dy 

dx  U
x

0
u dy  dx w
 
18
9.4 운동량 적분방정식
• 경계층의 근사해법
– 운동량보존 ; 좌변 (표면력)
• 면 ab : 압력 힘 Fab  pw
• 면 cd : 압력 힘의 Taylor 전개
 dp  
Fcd   p   dx  w   d 
 dx  x 
• 면 bc : 압력 힘 (수직력)의 x 방향 성분

 1 dp    1 dp  
Fbc   p   dx 
 d  sin   
 p   dx  d
 2 dx x   2 dx x 

• 면 ad : 전단력
 1 
Fad    w  d w  wdx
 2 
• 모든 표면력의 합
0 0
 dp 1 dp 1 
Fsx    dx  dx d   w dx  d w dx w
 dx 2 dx 2 
19
9.4 운동량 적분방정식
• 경계층의 근사해법
– 운동량보존
• 좌변 (표면력) = 우변 (모멘텀 플럭스)
 dp        

 
   dx   dx  w    u u dy  dx  U  u dy  dx w
 
w
 dx    0
x  x 0  
• 양변  w dx, 압력구배 대체 : (경계층 밖의 비점성 유동에 대한) Bernoulli 방정식 사용

       dp 
   
dp dU dp dU
x  0
  dx  U dx ,    dy  dx 0 
   w   u u dy   U u dy ,    U dy 
dx  x 0   0
dx
  
  dU
 w    u u dy  U  u dy 
dx 0
U dy
x 0 x 0
  
  dU
U  u dy   dx 0
uU dy  u dy
• 정리  운동량 적분방정식 x 0 x 0
     
  
 w    u u dy 
x 0 x 0
uU dy 
dU
dx 0
u dy 
dU
dx 0
U dy 
x 0
 uU  u 2
dy dU
dx 0
U  u  dy

 
 2 u u dU  u
 U   1   dy  U  1   dy
x 0
U  U  dx 0  U
 
w  u u u
 
d
 
U   U
2 * dU    1   dy,    1   dy
*

0
 dx dx U 0
U U
20
9.4 운동량 적분방정식
• 운동량 적분방정식
– 성격
• 경계층 방정식 (편미분방정식)  y 방향으로 적분  (x 방향의) 상미분 방정식
 w x  d


dx
 
U 2 x  x   * x Ux 
dU
dx
• 벽면 전단응력에 대한 특별한 가정이 없음  층류, 난류 구분 없이 사용가능
du du
 vs.   lam   turb    u v
dy dr

– 풀이과정
1. 자유유동 속도 Ux  를 구한다.
 경계층이 없다고 가정하고 비점성유동 (포텐셜유동) 의 물체 벽면에서의 속도를 구함  외부유동 속도
 경계층 내의 압력 : Bernoulli 방정식을 이용하여 속도 U 의 함수로 나타냄

2. 경계층 내의 속도 분포에 대한 적당한 근사식을 가정한다.


3. 2의 결과를 이용, 배제두께/운동량두께를 계산하고 운동량 적분방정식에 대입,  w x  를 구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