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PART 02 Technology Follow-up

온도계의 종류와 교정방법


(하)

김남중은 원광대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하고 제약플랜트 계장분야의 엔지니어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현재 제약회
사 전문 교정업체인 (주)서호에 이사로 재직하면서 LG생명과학, Celltrion 등 국제수준의 교정시스템에 참여한 바 있
김남중
으며 GMP Calibration 부문 컨설팅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2.3 열전대(熱電對 thermocouple)


·글 올리는 순서·
2.3.1 열전대는 원자로, 항공기, 동력계통, 제철소 등에서 많이 사용되며 각종 실험장비
<2011년 가을호>
1. 측정방식에 의한 분류 와 저온용 냉장, 냉동고 등에 많이 쓰인다. 특히 제약 산업 분야에서는 Validation sensor
1.1 접촉식온도계
1.2 비접촉식온도계
로 많이 사용된다.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싸며, 내구성이 있고 여러 가지 응용에서 그
2. 온도계의 종류
형태를 적합하게 바꿀 수 있고 빠른 응답, 내구성, 회로의 절연 등을 고려하여 보통 소선의
2.1 측온저항체
2.2 써미스터 형태로 만들어 쓰기도 한다. 필요에 따라 1 ㎳ 정도의 응답시간을 갖는 머리카락 보다 가는
<2012년 봄호> 열전대도 있으나, 보통은 0.5 ∼ 1 mm 의 직경을 가진 소선(素線)으로 만들어지고, 금속
2.3 열전대
2.4 바이메탈온도계 산화물의 분말로 절연이 되고 금속시스(Sheath)에 의해 보호되어 제작된 온도센서이다.
2.5 유리제온도계
맺음말
2.3.2 원리: 열전대는 재질이 다른 2 종류의 금속선으로 구성하고 그림 8과 같이 서로
다른 금속선 A, B를 접합하여 2개의 접점 Jh와 Jc사이에 온도 차(Th>Tc)를 주면 일정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그림 9와 같이 폐회로의 한 쪽 또는 금속선 B를 도중에 절단하여
개방하면 2 접점간의 온도차에 비례하는 기전력(emf)이 나타난다. 이 현상을 지벡효과(Seebeck effect)라 하며, 이
때 발생한 개방전압을 지벡 전압 또는 기전력(Seebeck voltage or emf)이라고 부른다.

그림 8 그림 9

그림 10과 같이 열전대에 전압계을 접속하면 열기전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 값에서 역으로 온도차를 알 수 있
다. 이것이 열전대 온도 센서의 원리이다.

96·GMP Update & Technology Follow-up


확인부탁드립니다.
그림 10

열전대의 열기전력은 측온(測溫)접점과 기준(基準)접점의 온도차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기준접점의 온도를 일정


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 열전대의 열기전력 규격은 기준접점의 온도가 0℃일 때의 값으로 규정하
고 있다. 따라서, 기준접점의 온도가 0℃가 아닐 경우는 등가적으로 0℃가 되도록 기준접점 온도에 해당하는 열기
전력을 보상해야 한다.

그림 11-1과 같이 기준접점의 오프¬셋 전압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배터리를 삽입하고, 이 보상전압과 기준접점
전압을 합하면 그림 11-2와 같이 기준접점 전압이 0℃ 접점의 전압과 동일하다. 그림 11-3은 이와 같은 원리를 이
용한 보상회로이며, 전자빙점기준(electronic ice point reference)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보상전압 e는 온도 센서
RT의 함수이며, 이제 기준접점의 온도가 0℃와 등가이므로 측정 전압 V를 직접 온도로 변환하면 측정 점의 온도를
알 수 있다. 하드웨어 보상방식에서는 기준온도를 계산할 필요가 없으며,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으나, 개개의 열전
대 종류마다 이 회로가 필요한 것이 단점이 있다

그림 11-1 그림11-2 그림11-3

2.3.3 연결 방법 및 특성
열전대를 사용해서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 열전대를 계기에 직접 접속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열전대 단자(보상접점)로부터 기준접점까지는 거리가 떨어져 있다. 측정점과 계기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 열전대를
계기까지 연장하면 매우 고가(高價)가 되고, 구리 도선으로 접속하여 양 접점간에 온도차가 존재하면 새로운 열전
대 회로가 형성되어 오차가 발생한다. 그래서 열전대와 같거나 거의 유사한 열기전력 특성을 갖는 보상도선1)을 사

1) Extension cable : 열전대와 동일 재질이므로 넓은 온도범위에 걸쳐 높은 정도를 유지할 수 있으나 가격이 고가(高價)이다.

Vol.9 _ 2012. 05·97


PART 02 Technology Follow-up

용하여 그림과 같이 열전대와 계기 사이를 접속한다. 보상도선 을 사용하면 기준접점까지 열전대를 연장한 것과 같
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림12 A thermocouple measuring circuit with a heat source, cold junction and a measuring instrument.

(출처: http://en.wikipedia.org/wiki/Thermocouple )

온도보상이라 함은 온도 측정회로가 구성될 때 측온접점 만의 온도가 피측정물의 온도로서 표시되어야 하는 것에


비해 측온체(測溫體) 외에 도선, 도관 등의 신호전달부 주위 또는 열전대용 변환기 등의 주위온도 변화가 측정오차
를 발생시킴으로 측정온도를 기준으로 주위온도의 변화에 따른 오차를 보정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보상도선 또는
열전도선을 사용하면 주위온도 변화에 따른 오차를 보상한 형태로서 보상도선을 사용할 경우 측온접점부터 기준접
점까지 등가회로가 되는 즉, 열전도선을 쓴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

98·GMP Update & Technology Follow-up


특히 제약산업에서 사용하는 장비 중에 열전대를 사용하는 것은 고온에 적용하는 경우가 많은데(예를 들어 Hot
Air Sterilizer, Furnace, Dryer) 사용자는 단순히 온도 센서로 알고 사용하고 있지만 센서의 단선, 케이블의 극성
바뀜, 피복이 벗겨져 혼선(이 때는 혼촉(混觸)된 부분의 온도를 지시하게 됨), 온도조절계의 설정 변경으로 인한 화
재로 직접 연결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그래서 대부분의 안전 장치로 과열 방지 장치를 장착하지만 이마저도 충
만식 온도계로 제작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또 열전대는 센서와 온도 지시부를 연장하여 사용
하게 될 경우에는 반드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규격 별로 정해진(그림 13 참조) extension cable을 사용하여야
하고 연결부위에도 센서의 타입별로 해당되는 컨넥터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림 13 IEC 60584-3 Colour coding of thermocouple extension wires

Vol.9 _ 2012. 05·99


PART 02 Technology Follow-up

표 5 열전대 종류 및 허용오차2)

소선재질(+) 등급별 허용오차


TYPE 피복색
소선재질(-) Class 1 Class 2 Class 3

온도범위 70%Platinum - - - 600℃ 이상 800℃ 이하

허용차 30%Rhodium - - ±4℃

B 온도범위 - 600℃ 이상 1700℃ 이하 800℃ 이상 1700℃ 이하


94%Platinum - 회색
허용차 - ±0.0025×ㅣ t ㅣ ±0.005×ㅣtㅣ
6%Rhodium
구 등급 - - Class 0.5

87%Platinum
온도범위 1100℃ 이상 1600℃ 이하 0℃ 이상 600℃ 이하 -
R -13%Rhodium 구분선필요
허용차 99.9%Platinum ±[1+0.003(t-1100)] ±1.5℃ -

90%Platinum - 흑색
온도범위 0℃ 이상 1100℃ 이하 600℃ 이상 1600℃ 이하 -
S 10%Rhodium

허용차 99.9%Platinum ±1℃ ±0.0025×ㅣtㅣ -

구 등급 - Class 0.25 -

온도범위 Chromel (90%Ni - -40 이상 375℃ 이하 -40 이상 333℃ 이하 -167 이상 40℃ 이하

허용차 10%Cr) ±1.5℃ ±2.5℃ ±2.5℃

K 온도범위 청색 375℃ 이상 1000℃ 이하 333℃ 이상 1200℃ 이하 -200 이상 -167℃ 이하


Alumel (95%Ni -
허용차 ±0.004×ㅣtㅣ ±0.0075×ㅣtㅣ ±0.015×ㅣtㅣ
2%Mn - 2%Al)
구 등급 Class 0.4 Class 0.75 Class 1.5

온도범위 Chromel (90%Ni - -40 이상 375℃ 이하 -40 이상 333℃ 이하 -167 이상 40℃ 이하

허용차 10%Cr) ±1.5℃ ±2.5℃ ±2.5℃

E 온도범위 자색 375℃ 이상 800℃ 이하 333℃ 이상 900℃ 이하 -200 이상 -167℃ 이하


Constantan
허용차 ±0.004×ㅣtㅣ ±0.0075×ㅣ t ㅣ ±0.015×ㅣtㅣ
(55%Cu - 45%Ni)
구 등급 Class 0.4 Class 0.75 Class 1.5

온도범위 -40 이상 375℃ 이하 -40 이상 333℃ 이하 -


99.5%Iron
허용차 ±1.5℃ ±2.5℃ -

J 온도범위 황색 375℃ 이상 750℃ 이하 333℃ 이상 750℃ 이하 -


Constantan
허용차 ±0.004×ㅣtㅣ ±0.0075×ㅣtㅣ -
(55%Cu - 45%Ni)
구 등급 Class 0.4 Class 0.75 -

2) Thermocouple Tolerance Classes as per IEC 60584-2

100·GMP Update & Technology Follow-up


소선재질(+) 등급별 허용오차
TYPE 피복색
소선재질(-) Class 1 Class 2 Class 3

온도범위 -40 이상 125℃ 이하 -40 이상 133℃ 이하 -67 이상 40℃ 이하


100%Copper
허용차 ±0.5℃ ±1℃ ±1℃

T 온도범위 갈색 175℃ 이상 350℃ 이하 133℃ 이상 350℃ 이하 -200 이상 -67℃ 이하


Constantan
허용차 ±0.004×ㅣtㅣ ±0.0075×ㅣtㅣ ±0.015×ㅣtㅣ
(55%Cu - 45%Ni)
구 등급 Class 0.4 Class 0.75 Class 1.5

온도범위 Nicrosil (84%Ni- -40 이상 375℃ 이하 -40 이상 333℃ 이하 -67 이상 40℃ 이하

허용차 14.2%Cr-1.45%Si) ±1.5℃ ±2.5℃ ±2.5℃


N
온도범위 Nisil (95%Ni - 375℃ 이상 1000℃ 이하 333℃ 이상1200℃ 이하 -200 이상 -167℃ 이하

허용차 4.4%Si - 0.15%Mg) ±0.004×ㅣtㅣ ±0.0075×ㅣtㅣ ±0.015×ㅣtㅣ

2.4 바이메탈(Bimetal)온도계
2.4.1 원리 : 고체의 열팽창을 이용한 온도계는 흔히 바이메탈이라고 부른다. 바이메탈은 온도에 따라 열팽창률이
다른 ‘불변강(不變綱 invar)과 황동’ 또는 ‘불변강과 철’과 같이, 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쌍금속판(bimetal)
을 밀착시켜 온도가 증가하면 활 모양으로 휘게 하여 한 쪽은 고정시키고 붙인 것이다(사진 15 좌측). 전류가 흐르
는 동안 발생한 열량에 따라 열팽창률이 큰 금속판이 작은 금속판 쪽으로 휘어짐으로써 회로의 연결이 차단되었다
가 식으면 다시 회로가 연결되는 방식으로 적정 온도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다리미와 같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
해야 하는 기구에 사용하고 있다. 유틸리티 등 배관이나 설비에 장착된 바이메탈 온도계는 (사진 15 우측) 감온부(
感溫部)를 스프링식으로 만들어 고정하고 다른 쪽엔 금속 bar를 고정시키고 사진 15 중앙처럼 그 끝에는 온도 눈금
판과 지침(Pointer)이 장착되어 온도 증감에 따라 지침이 회전하여 온도를 지시한다.

2.4.2 종류 : 대기 온도 측정용 바이메탈식온도계 (Bimetallic Thermometers for Atmospheric Temperature)


와 공업용 바이메탈식온도계가 있다.

사진15 바이메탈의 원리와 구조(좌:원리, 가운데:내부구조, 우:센서부분)

Vol.9 _ 2012. 05·101


PART 02 Technology Follow-up

사진16 바이메탈온도계(좌:대기온도용, 우:공업용)

2.4.3 특성 : Case, Cover, 감온부 등은 Stainless Steel로 제작되어 있으며 완전 밀폐형으로 옥외설치도 가능하
며 보통 제약 현장의 유틸리티 설비나 제조설비의 일반 온도 관리용으로 부식의 염려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이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측정온도치의 판독이 쉽고 유리제 온도계에 비하여 견고하다.

2.4.4 아래 표 6은 바이메탈온도계 지시온도 오차와 허용차3)를 나타낸 것이다.

표 6 바이메탈온도계 지시온도 오차와 허용차

지시부 크기(mm)
측정범위(℃)
60 75 100,125,150

-50~50, -30~50 ±2%, 눈금 1℃의 것은 ±1%

0~50 ±2% 또는 ±1%

0~100 ±2%, 눈금 1℃의 것은 ±1%

0~150, 0~200 ±2%, 눈금 2℃의 것은 ±1%


±2% ±2%
0~250 ±2%

0~300, 0~350 ±2% 또는 ±1%

0~400 ±2%, 눈금 5℃의 것은 ±1%

0~500 ±2% 또는 ±1%

3) KS B 5320 BIMETALLIC THERMOMETERS

102·GMP Update & Technology Follow-up


2.4.5 바이메탈온도계의 교정방법4)
▶ 바이메탈온도계는 온도에 따라 지시눈금이 변하므로 기준온도계의 온도와 피교정 온도계의 온도눈금 사이의
차이를 구하는 것이다.
▶ 교정에 참여하는 모든 장비는 사용하기 전에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피교정 온도계의 지시부 및 측온부 등
의 외관을 검사한다.
▶ 소급성이 있는 기준 온도계와 피교정 온도계를 액체항온조에서 비교하여 교정한다. 비교 교정할 때 가급적 측
정하는 온도 간격을 일정하게 하여 측정한다.
▶ 최근에는 액체항온조 외에 Dry block 또는 Heating Block이라는 교정장치가 있어 쉽게 교정할 수 있으나 만
약 없다면 기준온도계는 -50 ~ 350℃ 범위에서 ±0.1℃와 ±0.05℃의 안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항온조를 준
비한다.
▶ 온도센서는 충분히 담가서 사용하며 피교정 온도계의 측온부와 기준온도계의 측온부를 항온조 내의 온도균일
지역(uniform zone)의 같은 위치에 설치한다. 다시 설명하면 액체 항온조에 기준 온도계와 피교정 온도계의
감온부를 항온지역에 가능한 한 같은 깊이 및 위치에 설치한다.
▶ Data sheet에 피교정 온도계의 의뢰처, 사용온도영역, 온도눈금, 제작사 및 고유번호 등과 기준온도계의 사양
과 교정일을 기록하고 기준 온도계 측정장치를 30분 정도 예열한다.
▶ 액체항온조의 전원과 히터, FAN 등의 전원을 켜고 액체항온조의 온도를 교정하려는 온도로 온도조절기를 이
용하여 설정한다.
▶ 액체항온조의 온도가 안정되면 측정을 시작한다.
▶ 측정은 ① 기준 온도계 → ② 피교정 온도계 → ③ 기준 온도계 → ④ 피교정 온도계 → ⑤ 기준온도계의 순서
로 실시한다.
▶ 피교정 온도계가 2대 이상일 경우에는 첫 번째 기준온도계를 측정한 후 피교정 온도계 ①, ②, ③의 순서로 측
정하고 두 번째 기준온도계를 측정한 후에는 피교정 온도계 ③, ②, ①의 순서로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기준온
도계를 측정한다.
▶ 피교정 온도계는 위의 측정과정 중 액체 항온조의 온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시간 안에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개수로 제한한다.
▶ 피교정 온도계 온도눈금의 읽는 자리 수는 1℃ 이상 눈금간격 온도계의 경우 소수점 이하 첫 째 자리까지,
0.5℃ 이하 눈금간격의 경우 소수점 이하 둘 째 자리까지 읽는다.
▶ 측정결과는 기준온도계 3회와 피교정 온도계 2회를 평균하여 기준온도계 평균 = (① 기준온도계 + ③ 기준
온도계 + ⑤ 기준온도계)/3피교정 온도계 평균 = (② 피교정 온도계 + ④ 피교정 온도계)/2와 같이 구한다.
▶ 예를 들어 온도범위가 0 ~ 90℃이고, 분해능 2℃인 바이메탈 온도계를 표준백금저항 온도계로 액체 항온조
에서 비교 교정한 결과를 아래 표 7에 예를 들었다. 부가 설명하자면 90℃ 온도에서의 보정값은 기준온도계의
측정온도에서 피교정 온도계의 측정온도를 빼주어 얻는다. 따라서 보정값 = 90.0℃ - 89.3℃ = 0.7℃이다.

4) KASTO 00-50108-219 바이메탈 온도계의 표준교정절차 (Standard Calibration Procedure of Bimetal Thermometers)

Vol.9 _ 2012. 05·103


PART 02 Technology Follow-up

표 7 액체항온조에서 비교 교정한 결과

항온조 기준 온도계 피교정 온도계


설정온도
측정온도 평 균 측정온도 평 균
(℃)
(℃) (℃) (℃) (℃)

-20.0
-17.6
-20 -20.0 -20.0 -17.7
-17.8
-20.0

0.0
2.0
0 0.0 0.0 2.0
2.0
0.0

30.0
30.8
30 30.0 30.0 30.9
31.0
30.0

60.0
59.2
60 60.0 60.0 59.3
59.4
60.0

90.0
89.4
90 90.0 90.0 89.3
89.2
90.0

▶ 교정 데이터의 처리에는 불확도 A형 평가(Type A evaluation)항목에 기준온도계 및 피교정 온도계의 산란에
의한 불확도가 포함되고 B형 평가(Type B evaluation)항목에서는 기준온도계, AC bridge, 표준저항의 합성
표준불확도, 장기안정도가 포함되고 액체 항온조 내 기준온도계 및 피교정 온도계 위치의 차이에 의한 불확
도, 측정시 액체 항온조의 온도변화에 의한 불확도 등을 포함하게 된다.
▶ 교정초보자는 불확도 평가에 대하여 이해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이 분야에 관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
▶ 위의 교정 결과에서 각 온도 별 측정 값에 대한 보정값이 산출되게 된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보게 되는 교정성
적서에 보정값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은 실제 보정을 한 것이 아니고 교정을 의뢰한 사용자가 보정이 필요한
값만큼을 더하거나 빼서 사용하거나 제조사에 의뢰하여 보정 후 다시 교정 기관에 의뢰하여 교정을 받아서 사
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 그러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가능하다면 현장에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적 능력을 가진 전문업체에 의
뢰하는 것이 좋다. 그렇게 하는 것이 사용자 입장에서는 오히려 시간과 돈을 절약하게 되는 것이다.

2.5 유리제(Glass)온도계
2.5.1 원리 : 기온이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계로는 열팽창을 이용한 온도계가 흔하다. 물질은 열을 얻으면 부피
나 길이가 늘어나고 열을 잃으면 부피나 길이가 줄어드는데 이 원리를 이용한 온도계가 열팽창 온도계이다. 주변에
서 흔히 보는 액체 온도계는 수은이나 붉은 색소를 첨가한 알코올 온도계이다. 액체 온도계는 진공상태의 가느다란
유리관에 수은이나 알코올을 적당량 넣은 것이다.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이 온도계를 더운 물에 담그면 더운 물
에서 온도계로 열이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열을 얻은 수은이나 알코올의 부피가 열적 평형 상태가 될 때까지 늘어나

104·GMP Update & Technology Follow-up


유리관 위로 올라간다. 열적 평형상태가 되면 온도계 속의 액체 부피는 더 이상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이때의 수은주
나 알코올의 높이를 읽으면 측정하려는 물질의 온도가 된다. 알코올온도계는 수은온도계보다 부피 팽창비율이 크기
때문에 눈금을 읽기 편하지만 끓는점이 78℃로 낮아서 높은 온도를 측정한 후에 유리관 벽에 알코올이 붙어 정확한
눈금을 읽기가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알코올온도계의 단점을 해결한 것이 수은온도계이므로 상대적으로
눈금이 더 정확하다고 할 수 있지만 눈금 간격이 좁다.

2.5.2 종류 : 액체봉입(封入)온도계5)는 형태에 따라 고체봉상 온도계와 이중 유리관 온도계로 분류된다. 일반적


으로 우리가 흔히 접하게 되는 온도계인 알코올, 수은을 이용한 막대 온도계, 교정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벡크만 온
도계, 의료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체온계와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최고, 최저 온도계 등이 있다. (사진 17 좌측부터)

막대 온도계 벡크만 온도계 부분도 체온계 최고, 최저 온도계

사진 17 온도계 종류

2.5.3 특성
유리제 온도계의 장점은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정확도가 좋은 편이며 사용자가
숙련되지 않았더라도 사용하기가 쉬우며 가장 큰 장점으로는 측정에 부수적으로 필요
한 장비가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취급 시 깨지기가 쉬우며 정밀한
정확도를 갖지 못하며 측정 범위 별로 나누어져 있으며 자동 기록 및 조절을 할 수 없
다는 것이다. 온도계는 아래 그림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특히 수은온도계의 경우는 고
온 사용시 수은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압력의 고온의 건조된 불활
성 기체를 봉입하게 된다. 기체를 봉입한 온도계는 아래 그림과 같이 팽창실이 있다.

그림 15 유리제 온도계의 구조

5) ISO 386:1977 Liquid-in-glass laboratory thermometers -- Principles of design, construction and use

Vol.9 _ 2012. 05·105


PART 02 Technology Follow-up

위의 그림에서 구부(球部)에 사용되는 액체를 감온액(感溫液)이라고 하는데 온도 영역에 따른 감온액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표 8. 온도 영역에 따른 감온액의 종류

구분 종류 온도 영역 비고

알코올 (alcohol) -80 ℃ ~ 70 ℃


톨루엔 (toluene) -80 ℃ ~ 100 ℃
유기 화합물
펜탄 (pentane) -200 ℃ ~ 30 ℃
크레오소트(creosote) -5 ℃ ~ 200 ℃

수은 -35 ℃ (-38.9 ℃응고) 하한


수은류 수은–8.5% 탈륨합금 -56 ℃ (-59 ℃ 응고) 하한
수은-갈륨 합금 1000 ℃ 상한

만약 현장에서 온도계를 사용하면서 측정값이 의심스러운 경우에는 온도를 측정하고 나서 즉시 빙점조에 온도계
를 넣어 측정하게 되면 빙점 온도와 비교하여 차이값 만큼을 오차라고 판단할 수 있다. 유리제 온도계는 부적당한
유리의 사용과 열처리 강도에 따라 경시변화에 의한 오차가 많이 발생되며 높은 온도 사용으로 구부가 자주 가열되
면 팽창하여 오차를 일으키거나 수은이 끊어지는 등 파손되기도 한다.

2.5.4 유리제온도계의 교정방법6)


▶ 유리제온도계의 교정은 2.4.5의 바이메탈 온도계의 교정과 유사하다. 단, 온도계의 특성상 구부를 포함하여 감
온액이 팽창하여 올라온 눈금부근까지를 측정하려는 온도부위에 넣어 교정하는 전체 담금(total immersion)
방법과 구부를 포함하여 일정하게 정해진 부분(담금선)까지만 측정하려는 온도부위에 넣어 사용하는 부분
담금(partial immersion)방법, 마지막으로 온도계 전체를 측정하려는 온도 부위에 넣어 사용하는 완전담금
(complete immersion)방법으로 구분하여 교정하여야 한다.
▶ 또한 추가적인 장비로 빙점조(ice point)와 유리제 온도계의 눈금을 정확히 읽기 위한 10배율의 확대경이 필
요하다.
▶ 교정을 시작하기 전에 구부 안에 기체 방울(air pocket)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감온액이 모세관의 중간에서
끊어진 부분이 없는지 확인하여 만약 존재하면 숙련된 사람이 조치해야 한다.
▶ 빙점조는 교정 시작 한 시간 전에 미리 만들어 얼음의 온도가 안정화 되도록 하고 물 교반장치를 작동한다.
▶ 온도계와 사람 눈을 수평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온도계를 수직하게 세우고 10배 이상 배율의 확대경을 직각
이 되게 설치한다.
▶ 데이터 기록지에 피교정 온도계의 의뢰처, 온도영역, 온도눈금, 제작사 및 고유번호 등과 기준온도계에 관한
정보와 교정 날짜를 기록한다.
▶ 기준기인 표준백금저항온도계를 온도계 브리지와 연결하고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며, 기타 교정에 사용되
는 모든 장비의 전원을 올려준 후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노트 또는 데이터 기록지에 기록한다. 그 후 30
분 이상 예열을 시킨다.
▶ 준비된 빙점조에 피교정 유리온도계와 기준기 표준백금 저항온도계 그리고 확대경을 설치한 다음 ① 기준기(

6) KASTO 04-50104-003 유리제온도계의 표준교정절차 (Standard Calibration Procedure of Liquid-in-Glass Thermometers)

106·GMP Update & Technology Follow-up


백금 저항온도계) → ② 피교정기(유리 온도계) → ③ 기준기 → ④ 피교정기 → ⑤ 기준기의 순서로 측정한다.
▶ 피교정 유리 온도계가 2 대 이상일 경우 두 번째 기준기 측정 전에는 피교정기 유리 온도계 측정시에는 유리
온도계 1, 2, 3 등의 순서로, 두 번째 기준기 측정 후에는 유리 온도계 3, 2, 1의 순서로 측정한다.
▶ 피교정 유리 온도계는 측정 과정 중 액체항온조의 온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시간 안에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개수로 제한한다.
▶ 빙점조 교정을 완료한다.
▶ 온도조절기를 사용하여 액체항온조의 온도를 교정하려는 온도로 맞춘다.
▶ 액체 항온조의 온도가 교정하고자 하는 온도일 때 피교정 유리 온도계의 한 눈금 안에서 안정되고 있는지 살
피고, 그 안에 안정되도록 정밀 조정한다.
▶ 액체 항온조의 온도가 유리 온도계의 한 눈금을 벗어나게 안정되면 측정을 시작한다.
▶ 피교정 유리 온도계와 기준기 표준백금 저항온도계 그리고 확대경을 설치한 다음 ① 기준기(백금 저항온도계)
→ ② 피교정기(유리 온도계) → ③ 기준기 → ④ 피교정기 → ⑤ 기준기의 순서로 측정한다.
▶ 피교정 유리 온도계가 2 대 이상일 경우 두 번째 기준기 측정 전에는 피교정기 유리 온도계 측정시에는 유리
온도계 1, 2, 3 등의 순서로, 두 번째 기준기 측정 후에는 유리온도계 3, 2, 1의 순서로 측정한다.
▶ 온도계에 수직으로 설치된 10배 정도의 확대경을 통해 읽은 유리 온도계의 온도 눈금을 읽는 자릿수는 0.5℃
~ 1℃ 눈금 간격 온도계의 경우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까지, 0.1℃ ~ 0.2℃ 눈금 간격의 경우 소수점 이하 셋
째 자리까지 읽는다.
▶ 측정결과는 기준기 3회와 피측정기 2회를 평균하여 기준기 평균 = (① 기준기 + ③ 기준기 + ⑤ 기준기) ÷ 3
으로 산출하고 피교정기 평균 = (② 피교정기 + ④ 피교정기) ÷ 2와 같이 구한다. 기준기 평균은 기준기인 표
준백금 저항온도계의 성적서를 이용하여 온도로 환산한다.
▶ 다음 표는 0~50℃까지의 측정 결과를 표로 예시하였다.

표9 유리제온도계의 측정결과

설정온도 기준온도계 (표준백금저항온도계)의 측정값, Ω 피교정 온도계 (유리온도계)의 측정 값, ℃


℃ 측정저항 평균 표준편차 측정온도 평균 표준편차

25.54338
0 25.54339 0.00001 0.015
25.54340 0.013 0.0036
빙점 (0.0022 ℃) (0.00010 ℃) 0.010
25.54339

26.56419
26.56421 0.00002 10.050
10 26.56421 10.053 0.0036
(10.0392 ℃) (0.00020 ℃) 10.055
26.56423

27.57054
27.57056 0.000025 19.980
20 27.57056 19.983 0.0036
(19.9462 ℃) (0.00025 ℃) 19.985
27.57059

28.58616
28.58619 0.00003 30.000
30 28.58619 30.003 0.0036
(30.0113 ℃) (0.00030 ℃) 30.005
28.58622

Vol.9 _ 2012. 05·107


PART 02 Technology Follow-up

설정온도 기준온도계 (표준백금저항온도계)의 측정값, Ω 피교정 온도계 (유리온도계)의 측정 값, ℃


℃ 측정저항 평균 표준편차 측정온도 평균 표준편차

29.59535
29.59537 0.000021 40.055
40 29.59536 40.058 0.0036
(40.0252 ℃) (0.00021 ℃) 40.060
29.59539

30.59684
30.59686 0.00002 49.990
50 30.59686 49.993 0.0036
(49.9932 ℃) (0.00020 ℃) 49.995
30.59688

▶ 유리제 온도계는 정밀 측정용도나 정확도가 요구되는 교정이 필요할 경우의 교정에는 부분담금 온도계의 스템
보정과 전체담금 온도계의 스템보정이 필요한데 만약 피교정 온도계가 미국 규격품인 경우에는 미국표준규격
집(ASTM) 을 참조한다. 피교정 온도계가 미국 규격품이든 아니든 실제 사용자가 항상 사용하는 온도 환경의
평균 온도를 tsp로 정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며 교정 요구 사항에 이러한 요구가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일반적으로 미국표준규격집에 명시된 온도값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결정하여 보정값을 계산
하며 반드시 성적서에 tsp 값을 적어준다.
▶ 또 유리제 온도계는 내부 또는 외부 압력이 작용하는 곳에 사용될 경우에는 구부가 수축되어 용적이 작아져서
온도 눈금값이 높아지므로 필요할 경우 보정식을 적용해야 한다.
▶ 마지막으로 유리제 온도계도 경시변화에 대한 보정이 필요할 경우에도 보정식을 적용한다.
▶ 합성 표준 불확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은 피교정기 측정값과 기준기 측정값 두 가지이지만 초보자가 이해하
기 쉽지 않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 예전에는 시험실 등에서 유리제 온도계를 많이 사용했지만 깨지기가 쉽고 자동화된 기록을 얻기가 어려워 최
근에는 데이터 로거를 많이 사용하거나 정밀한 측정이 필요한 경우 기존의 수은 온도계를 디지털 타입(사진 18
참조)으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다.

사진 18 Stick Thermometer (한국플루크 대리점 ㈜서호 제공)

108·GMP Update & Technology Follow-up


맺음말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는 데에 비접촉식과 접촉식 중 어느 쪽이 우수한가 우열을 결정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어떤
쪽인가를 선택해야 한다면 “접촉식 온도계”를 선택할 것을 권장한다. 그 이유는 접촉식에서는 센서와 피측정물과의
열평형 상태를 얻기 쉽고 오차 요인을 확인하기 쉽기 때문이다. 오차 요인이 확인되면 센서의 가공 등의 연구에 의
해 보다 정확한 온도측정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비접촉식에서는 현실적으로 방사율의 설정, 반사, 투과의 영향 등
불안정한 요소가 많기 때문에 정확한 온도측정은 곤란하다. 다만 측정상황(피 측정물의 상태, 환경 등), 정밀도의 필
요성 등을 고려하면 비접촉식 온도계가 우수한 면도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선택해야 한다.

온도를 측정하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두 가지 도구는 측온저항체와 열전대이다. 어느 때 열전대를 쓰고 어느 때


측온저항체를 써야 하는가? 보통 네 가지 요소(온도, 시간, 크기, 총 요구 정확도)에 따라 결정된다.
정확한 온도측정에 필요한 것은 측정자가 온도측정기의 특징을 확인하고 어떤 온도계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고려하는 것이 핵심이며 만일 판단이 곤란하면 전문가에게 문의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교정기관에서 교정하고 붙여주는 교정 라벨을 얻기 위한 형식적인 교정 보다는 전체적인 Loop system으로 교


정이 수행되었는 지와 허용오차를 벗어난 계기들이 있는지 등 교정 결과를 면밀히 검토하여 교정 품질을 확보하도
록 노력해야 한다.

Vol.9 _ 2012. 05·10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