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04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FLIGHT SAFETY REGULATIONS for

AEROPLANES

국 토 교 통 부

항공정책실

1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개정 기록표 (RECORD OF AMENDMENTS)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3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2.11

4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목 차

제1장 총칙(General) ······································································································ 1-1

1.1 규정의 구성 ···························································································································· 1-1


1.1.1.1 목적(Objectives) ············································································································ 1-1
1.1.1.2 적용(Applicability) ········································································································· 1-1
1.1.1.2.1 유효기간(Duration) ···································································································· 1-1
1.1.1.3 규정의 구성(Organization of Regulations) ···························································· 1-1
1.1.1.4 용어의 정의(Definitions) ······························································································ 1-2

1.2 시험, 자격증명서 및 기타 증명서와 관련한 일반 행정규정(General administrative


rules governing testing, Licenses, and Certificates) ·········································· 1-13
1.2.1.1 자격증명서 및 기타 증명서의 게시 및 검사(Display and inspecting of
Licenses and Certificates) ··················································································· 1-13
1.2.1.2 이름(명칭) 변경(Change of name) ········································································· 1-14
1.2.1.3 주소 변경(Change of address) ··············································································· 1-15
1.2.1.4 분실 또는 파손된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재발급
(Replacement of a lost or destroyed airman or medical certificate) 1-15
1.2.1.5 신청서, 증명서, 항공일지, 보고서 또는 기록의 위조, 복제 또는 변조
(Falsification, reproduction, or alteration of applications, certificates,
logbooks, reports, or records) ········································································ 1-15
1.2.1.6 자격증명서 및 기타 증명서의 포기, 일시 정지 또는 취소의 효력(Surrender,
Suspension, or Revocation of License or Certificate) ······························· 1-16
1.2.1.7 취소 후 재신청(Reapplication After Revocation) ············································· 1-16
1.2.1.8 일시 정지 후 재신청(Reapplication After Suspension) ··································· 1-16
1.2.1.9 자격증의 자발적인 포기 또는 교환(Voluntary Surrender or Exchange of
License) ······················································································································ 1-16
1.2.1.10 항공신체검사 기준에 맞지 아니하게 되어 업무수행을 금지하는 경우
(Prohibition on Performance During Medical Deficiency) ····················· 1-16
1.2.1.11 주정음료 등의 측정과 보고(Drug and Alcohol Testing and Reporting) · 1-17

1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1.3 예외적용(Exemptions and Equivalent Safety case) ··············································· 1-17


1.3.1.1 예외적용(Exemptions and Equivalent Safety Case) ······································· 1-17

1.4. 협조(Coordination on certification, licensing and approval activities) ········· 1-17

1.5. 항공법령과의 관계(The relation between Flight Safety Regulation and Aviation
legislation) ························································································································· 1-18

1.6 운항기술기준 관리(Control and Amendments of Flight Safety Regulations) 1-18

1.7 외국의 법규준수(Compliance with Local Regulation) ············································ 1-18

1.8 외국 항공운송사업자의 국내법규 준수(Compliance with laws, regulations and


procedures by a foreign operator) ··········································································· 1-19

1.9 항공안전감독관의 긴급보고 등 ························································································ 1-19

1.10 공해상에서의 비행규칙(Compliance with Annex 2 over the high seas airspace)
1-19

제2장 자격증명(Personal licensing) ··········································································2-1

2.1 일반 자격증명 요건(General Licensing Requirements) ·········································· 2-1


2.1.1 일반(General) ····················································································································· 2-1
2.1.1.1 적용(Applicability) ········································································································· 2-1
2.1.1.2 자격요건의 정의(Definitions of Licensing Requirements) ······························· 2-1
2.1.2 자격증명, 한정자격, 허가서(License, Ratings, and Authorizations) ·················· 2-1
2.1.2.1 적용(Applicability) ········································································································· 2-1
2.1.2.2 자격증명 발행(Licenses Issued) ··············································································· 2-1
2.1.2.3 한정자격 발행(Ratings Issued) ·················································································· 2-2

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2.1.2.4 허가서 발행(Authorization Issued) ········································································ 2-4


2.1.2.5 자격증명, 한정자격 및 허가의 기간(Duration of Licenses, Ratings, and
Authorizations) ············································································································ 2-4
2.1.2.6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한정자격 및 인가에 관한 일반사항(General
Requirements : Personnel Licenses, Ratings, and Authorizations) ······· 2-4
2.1.2.7 외국인 조종사 자격증명 및 한정증명의 전환(Pilot License and Ratings Issued
on the Basis of a Foreign Pilot License) ························································ 2-5
2.1.3 외국 및 군조종사의 자격증명과 한정자격의 인정(Validation of Foreign and
Military Licenses and Ratings) ················································································· 2-6
2.1.3.1 외국자격에 근거한 자가용 조종사 자격증명 및 한정자격(Private Pilot License
and ratings issued on the basis of a foreign pilot license) ····················· 2-6
2.1.3.2 군 조종사 경력 인정(Special Rules for Military Pilots or Former Military
Pilot) ································································································································ 2-6
2.1.4 시험 및 훈련 요구량에 대한 일반사항(General Testing and Training
Requirements) ················································································································ 2-6
2.1.4.2 학과시험 합격 점수 (Knowledge test : Prerequisites and Passing Grades )2-6
2.1.4.3 실기시험 응시자격 (Practical Test Prerequisites) ············································· 2-7
2.1.4.4 실기시험 일반절차(General Procedure) ·································································· 2-7
2.1.4.5 실기시험에 요구되는 항공기와 장비(Practical Tests : Required Aircraft and
Equipment) ···················································································································· 2-7
2.1.4.6 훈련시간 기록(Records of Training Time) ··························································· 2-8
2.1.4.7 교통안전공단이사장에 의해 자격증명을 받지 않은 비행교관으로부터 받은 비행
훈련 (Flight Training Received From Flight Instructors Not Licensed by
the Authority) ··············································································································· 2-8
2.1.4.8 모의비행장치와 비행훈련장치 사용에 대한 제한사항(Limitations on the Use of
Flight Simulators and Flight Training Device) ················································ 2-8

2.2 조종사 및 비행교관의 자격(CERTIFICATION : PILOTS, FLIGHT INSTRUCTORS) ·········


2-8
2.2.1 한정자격 및 허가서(Aircraft ratings and Pilot authorizations) ·························· 2-8
2.2.1.1 일반요건(General requirement) ················································································ 2-8
2.2.1.2 계기비행증명시험 응시요건(Instrument Rating Requirements) ······················· 2-8
2.2.1.3 조종사의 종류 한정자격(Category Rating) ····························································· 2-9

3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2.2.1.4 조종사의 등급 한정자격(Class Rating) ···································································· 2-9


2.2.1.5 형식 한정자격(Type Rating) ···················································································· 2-10
2.2.1.6 정밀계기접근 제2종 또는 제3종(CAT-II 또는 CAT-III) 조종사허가서(Category
II and III pilot authorization requirements) ···················································· 2-10
2.2.2 조종연습허가서(Student pilot license) ····································································· 2-11
2.2.2.1 적용(Applicability) ······································································································ 2-11
2.2.2.2 조종연습생의 자격조건(Eligibility Requirements for Student Pilots) ········· 2-11
2.2.2.3 조종연습 허가서 신청(Application) ········································································· 2-12
2.2.2.4 조종연습생의 단독비행 조건(Solo Requirements for Student Pilots) ········· 2-12
2.2.2.5 조종연습생 일반 제한사항 (General Limitations) ·············································· 2-12
2.2.2.6 조종연습생의 단독 야외 비행조건 (Solo Cross-Country Flight Requirements) ·
2-13
2.2.3 자가용조종사(Private pilots) ······················································································· 2-14
2.2.3.1 적용(Applicability) ······································································································ 2-14
2.2.3.2 자가용조종사 자격조건 (Eligibility Requirements : General) ······················· 2-14
2.2.3.3 자가용조종사 항공지식(Aeronautical Knowledge) ············································· 2-14
2.2.3.4 자가용조종사 비행기량(Flight Proficiency) ························································· 2-14
2.2.3.5 자가용조종사 경험(Aeronautical Experience) ···················································· 2-15
2.2.3.6 자가용조종사 업무제한(Private Pilot with Balloon Rating : Limitations) ··· 2-16
2.2.4 사업용조종사(Commercial Pilot) ················································································ 2-16
2.2.4.1 적용(Applicability) ······································································································ 2-16
2.2.4.2 사업용조종사 자격조건 (Eligibility requirements : General) ························ 2-16
2.2.4.3 사업용조종사항공지식(CommercialPilot:AeronauticalKnowledge Requirements) ··
2-16
2.2.4.4 사업용조종사 비행기량(Flight Proficiency Requirements) ····························· 2-16
2.2.4.5 사업용조종사 경험(Aeronautical experience) ···················································· 2-16
2.2.4.6 사업용조종사 업무범위(Commercial Pilot Privileges and Limitations) ······ 2-17
2.2.5 운송용조종사(Airline Transport Pilot) ····································································· 2-17
2.2.5.1 적용(Applicability) ······································································································ 2-17
2.2.5.2 운송용조종사 자격조건 (Eligibility Requirements : General) ····················· 2-17
2.2.5.3 운송용조종사 지식(Aeronautical Knowledge) ····················································· 2-18

4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2.2.5.4 운송용조종사 비행기량(Flight Proficiency) ························································· 2-18


2.2.5.5 운송용조종사(비행기) 경험(Aeronautical Experience : Aeroplane Category
Rating) ························································································································· 2-18
2.2.5.6 운송용조종사(회전익항공기)경험(Aeronautical Experience : Rotorcraft
Category and Helicopter Class Rating) ························································ 2-18
2.2.5.7 운송용조종사의 종류 및 등급 한정자격 추가(Additional Aircraft Category,
Class, and Type Ratings) ····················································································· 2-19
2.2.5.8 운송용조종사의 업무범위(Airline Transport Pilot Privileges) ······················ 2-19
2.2.6 부조종사 ···························································································································· 2-19
2.2.6.1 적용 ································································································································· 2-19
2.2.6.2 부조종사 자격조건 ······································································································· 2-19
2.2.7 경량항공기 ························································································································ 2-19
2.2.7.1 적용 ································································································································· 2-19
2.2.7.2 경량항공기 자격조건 ··································································································· 2-20
2.2.7.3 경량항공기 경험 ··········································································································· 2-20

2.3 조종사 이외의 운항승무원 자격증명(Certification : Flight Crew members Other


Than Pilots) ······················································································································· 2-20
2.3.1 항공기관사(Flight engineers) ······················································································ 2-20
2.3.1.1 적용(Applicability) ···································································································· 2-20
2.3.1.2 항공기관사 자격증명 및 한정자격(Licenses and Ratings Required) ··········· 2-20
2.3.1.3 항공기관사 자격요건(Eligibility Requirements General) ································· 2-20
2.3.1.4 항공기관사 한정자격 추가(Additional Aircraft Ratings) ·································· 2-20
2.3.1.5 항공기관사 항공지식(Knowledge Requirements) ·············································· 2-21
2.3.1.6 항공기관사 경험(Aeronautical Experience Requirements) ···························· 2-21
2.3.1.7 항공기관사 기량(Skill Requirements) ··································································· 2-21
2.3.1.8 외국 항공기관사 자격증명의 전환(Flight Engineer License Issued on Basis
of a Foreign Flight Engineer License) ···························································· 2-22
2.3.1.9 항공기관사의 업무범위(Flight Engineer Privileges) ········································· 2-22

2.4 운항승무원 이외의 항공종사자 자격증명(Licensing : airmen other than flight

5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crew members) ················································································································· 2-22


2.4.1 일반(General) ··················································································································· 2-22
2.4.1.1 적용(Applicability) ···································································································· 2-22
2.4.2 항공교통관제사(Air traffic controllers) : 삭 제 (‘08. 8. 14) ···························· 2-22
2.4.3 운항관리사(Flight operation officers) ······································································ 2-22
2.4.3.1 적용(Applicability) ···································································································· 2-22
2.4.3.2 운항관리사의 자격조건(Eligibility Requirements : General) ······················· 2-22
2.4.3.3 운항관리사의 지식(Knowledge Requirements) ·················································· 2-23
2.4.3.4 운항관리사의 경험 또는 훈련요건(Experience or Training Requirements)2-23
2.4.3.5 운항관리사의 기량(Skill Requirements) ······························································· 2-23
2.4.3.6 운항관리사의 업무범위(Privileges and Limitations) ······································· 2-23
2.4.4 항공정비사 관련 자격증명(Aviation Maintenance Technician) ························· 2-24
2.4.4.1 적용(Applicability) ···································································································· 2-24
2.4.4.2 항공정비사 자격조건(Aircraft maintenance Type II Licenses : Eligibility
Requirements : General) ····················································································· 2-24
2.4.4.3 항공정비사 항공기 한정자격 지식(Aircraft Rating : Knowledge Requirements)
2-24
2.4.4.4 항공정비사 경험(Experience Requirements) ······················································ 2-25
2.4.4.5 항공정비사 기량(Skill Requirements) ··································································· 2-25
2.4.4.6 항공정비사 업무범위(Privileges and Limitations) ············································· 2-25
2.4.4.7 정비업무범위 ················································································································· 2-25
2.4.5 항공공장정비사(Aviation Repair Specialists) <삭 제, 2009.12. 8> ················ 2-25

2.5 항공기승무원 신체검사기준과 증명서 교부(Medical Standards and Certification) 2-26


2.5.1 일반(General) ··················································································································· 2-26
2.5.1.1 적용(Applicability) ······································································································ 2-26
2.5.1.2 항공신체검사 기록(Medical Records) ··································································· 2-26
2.5.1.3 항공전문의사의 권한(Aviation Medical Examiner : Authority) ···················· 2-26
2.5.1.4 한국항공우주의학협회의 권한(The Aerospace Medical Association of Korea :
Authority) ···················································································································· 2-27
2.5.2 항공신체검사증명서 발급절차(Medical Certification Procedures) ··················· 2-27

6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2.5.2.1 적용(applicability) ······································································································· 2-27


2.5.2.2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발급(Issuance of Medical Certificate) ······················· 2-28
2.5.2.3 항공신체검사증명서 기준 및 유효기간 ··································································· 2-28
2.5.2.4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조건부 발급(Special Issuance of Medical Certificate) · 2-28
2.5.2.5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갱신(Renewal of Medical Certificate) ······················· 2-28
2.5.2.6 항공신체검사증명의 결과에 대한 이의신청 ··························································· 2-29
2.5.3 자격증명별 항공신체검사기준(Physical and Mental Standards-All Medical
Certificate) ···················································································································· 2-29
2.5.3.1 내지 2.5.3.11 <삭제, ‘06.11.20.> ········································································ 2-29
2.5.4 안과 전문의사 검진(Ophthalmic Examination) ······················································· 2-29
2.5.4.1 눈 수술(Eye Surgery) ······························································································· 2-29
2.5.4.2 선글라스 착용(Sunglasses) : 삭제(‘06.11.20.) ··················································· 2-29
2.5.4.3 다른 부적격 신체검사 기준(Other Disqualifying Physical Conditions) : 삭제
(‘06.11.20) ··················································································································· 2-29
2.5.5 신체상태의 저하(Decrease in medical fitness) ····················································· 2-29

제3장 항공훈련기관(Aviation Training Organizations) ······································· 3-1

3.1 일 반(General) ······················································································································ 3-1


3.1.1 적 용(Application) ············································································································ 3-1
3.1.2 정의(Definitions) ··············································································································· 3-1

3.2 항공훈련기관 인가(ATO Certificate) ·············································································· 3-2


3.2.1 운영요건(Operating Requirements) ············································································· 3-2
3.2.2 인가신청(Application for Certificate) ········································································· 3-2
3.2.3 인가서의 교부(Issuance of Certificate) ····································································· 3-3
3.2.4 변경신청(Application for Amendment) ······································································ 3-3
3.2.5 보고사항(Notice To The Authority) ·········································································· 3-4
3.2.6 인가의 정지 또는 취소(Suspension or Revocation of Certificate) ··················· 3-4
3.2.7 훈련과정과 종사자의 요건(Training Courses and Personnel Requirements) 3-4

7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3.3 훈련장소와 시설(Training Location and Facilities) ··················································· 3-5


3.3.1 시설과 장비(Facilities and Equipment) ······································································ 3-5
3.3.2 검사(Inspection) ················································································································ 3-6

3.4 훈련과정(Training Courses) ······························································································ 3-6


3.4.1 훈련과정의 구분(Categories of Training Courses) ················································ 3-6
3.4.2 훈련과정에 포함될 사항(Contents of Training Courses) ····································· 3-7
3.4.3 훈련과정의 수정 등(Changes of Training Courses, etc) ····································· 3-7
3.4.4 품질보증시스템(Quality Assurance System) ···························································· 3-7

3.5 종사자 요건(Personnel Requirements) ·········································································· 3-7


3.5.1 설치자의 자격요건(Organizer Requirements) ··························································· 3-7
3.5.2 책임 관리자의 자격요건(Accountable Manager Requirements) ·························· 3-8
3.5.3 주임교관의 자격요건(Chief Instructor Requirements) ··········································· 3-8
3.5.4 교관의 자격요건(Instructor Requirements) ······························································· 3-8
3.5.5 교관훈련 및 시험요건(Instructor Training and Testing Requirements) ········· 3-8
3.5.6 평가관의 자격요건 및 인정(Evaluator Requirements and Authorization) ······· 3-9
3.5.7 교관 및 평가관의 권한 및 제한(Instructor and Evaluator Privileges and
Limitation) ······················································································································ 3-10

3.6 운영규칙(Operating Rules) ······························································································ 3-10


3.6.1 훈련과정의 인정(Approval of Training Courses) ················································· 3-10
3.6.2 준수사항(Limitations) ···································································································· 3-11

3.7 행정업무(Administrative) ································································································· 3-11


3.7.1 기록관리(Record Keeping) ·························································································· 3-11
3.7.2훈련이수증명서(Graduation Certificates) ·································································· 3-12
3.7.3 성적증명서(Transcripts) ······························································································· 3-12
3.7.4 광고의 제한사항(Advertising Limitation) ································································ 3-12

8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제4 장 항공기 등록 및 등록부호 표시(AIRCRAFT REGISTRATION AND


MARKING) ························································································································ 4-1
4.1 일반(GENERAL) ···················································································································· 4-1
4.1.1.1 적용(Applicability) ········································································································· 4-1
4.1.1.2 정의(Definitions) <삭 제, 2009.12. 8> ··································································· 4-1

4.2 항공기 등록요건(REGISTRATION REQUIREMENTS) ··············································· 4-1


4.2.1.1 일반(General) ················································································································· 4-1
4.2.1.2 항공기 등록의 적합성(Registration Eligibility) ····················································· 4-1
4.2.1.3 항공기 등록신청(Application) ····················································································· 4-1

4.3 등록부호 표시 (DISPLAY OF NATIONALITY AND REGISTRATION MARKS) 4-1


4.3.1.1 적용(Applicability) ······································································································· 4-1
4.3.1.2 일반(General) ··············································································································· 4-1
4.3.1.3 등록부호 표시 : 일반(Display of Marks : General) ········································· 4-2
4.3.1.4 등록부호의 크기(Size of Marks) ············································································· 4-2
4.3.1.5 비행기와 활공기의 등록부호 표시장소(Location of Marks on Airplane and
Glider) ···························································································································· 4-3
4.3.1.6 회전익항공기의 등록부호 표시장소(Location of Marks on Rotorcraft) ········ 4-4
4.3.1.7 경항공기의 등록부호 표시장소(Location of Marks on Lighter-Than-Air
Aircraft) ························································································································ 4-4
4.3.1.8 등록부호의 크기와 표시장소의 예외(Deviation for Size and Location of
Marks) <삭 제, 2009.12. 8> ·················································································· 4-4
4.3.1.9 항공기 매각 : 등록부호 제거(Sale of Aircraft : Removal of Marks) <삭 제,
2009.12. 8> ·················································································································· 4-4
4.3.1.10 등록기호표의 부착(Affixment of Registration Number) ································· 4-4

제5장 항공기 감항성(Airworthiness) ········································································5-1


5.1 일반(General) ························································································································ 5-1
5.1.1 적용(Applicability) ············································································································ 5-1
5.1.2 용어의 정의(Definitions) ································································································· 5-1

9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5.1.3 약어(Acronyms) ················································································································· 5-2

5.2 형식증명, 수입항공기등의 형식증명승인 및 형식증명의 변경(Type Certification, Type


Certificate Validation of Imported Aircraft and Change to Type Certificate) ············· 5-2

5.3 부가 형식증명(Supplemental Type Certificates) ························································ 5-2

5.4 소음기준적합증명 ·················································································································· 5-2

5.5 항공기 등의 감항성 증명 (Airworthiness Certificates) ············································ 5-3

5.6 제작증명(Production certificate) ····················································································· 5-3

5.7 기술표준품 형식승인(Technical Standard Order authorizations) ·························· 5-3

5.8 비인가부품 및 비인가의심부품(Unapproved Parts and Suspected Unapproved Parts)


5-3
5.8.1 비인가부품 및 비인가의심부품의 사용금지 ································································· 5-3
5.8.2 비인가부품 및 비인가의심부품의 검사 방법 ······························································· 5-4
5.8.3 비인가부품 및 비인가의심부품의 신고 ········································································· 5-6
5.8.4 비인가부품 및 비인가의심부품의 격리 ········································································· 5-6
5.8.5 비인가부품 및 비인가의심부품의 조사 ········································································· 5-6
5.8.6 운항중지 항공기의 부품 사용 ························································································· 5-7
5.8.7 사고 항공기의 부품 사용 ································································································· 5-7
5.8.8 폐기부품의 처분 ················································································································· 5-8

5.9 항공기 및 장비품의 지속적인 감항성 유지(Continued Airworthiness of Aircraft


and Components) ················································································································ 5-9
5.9.1 적용(Applicability) ············································································································ 5-9
5.9.2 책임(Responsibility) ········································································································· 5-9
5.9.3 일반(General) ··················································································································· 5-10

10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5.9.4 고장, 기능불량 및 결함의 보고(Reports of Failures, Malfunctions, and Defects) ··························
5-10
5.9.5 감항성개선지시(Airworthiness Directives) ····························································· 5-11

5.10 항공기 정비등(Aircraft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Rebuilding and


Alteration) ························································································································· 5-12
5.10.1 적용(Applicability) ······································································································· 5-12
5.10.2 정비, 예방정비, 재생 및 개조를 수행하도록 인가된 자(Persons Authorized to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Rebuilding and Alteration) ········· 5-12
5.10.3 항공제품에 대한 정비등의 수행 후 사용가능상태로의 승인 (Approval for return
to service after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rebuilding, or
alteration) ······················································································································ 5-13
5.10.4 항공제품에 대한 정비등의 수행 후 사용가능상태로 승인할 수 있는 자
(Authorized Personnel to Approve for Return to Service) ······················· 5-13
5.10.5 <삭제> ····························································································································· 5-14
5.10.6 수행 원칙 : 정비(Performance Rules : Maintenance) ····································· 5-14
5.10.7 추가 수행 원칙 : 검사(Additional Performance Rules for Inspections) ···· 5-14
5.10.8 수행원칙 : 감항성 한계사항(Performance Rules : Airworthiness Limitation) 5-15
5.10.9 수리개조승인(Approved Major Repair and Alteration) ···································· 5-16
5.10.10 수명한계부품의 처리(Disposition of life-limited aircraft parts) ················ 5-16

5.11 정비 기록 및 기재(Maintenance Records and Entries) ······································ 5-17


5.11.1 정비등 기록의 내용, 양식, 처리(Content, Form, and Disposition of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Rebuilding, and Modification
Records) ······················································································································ 5-17
5.11.2 오버홀과 재생에 대한 기록 (Records of Overhaul and Rebuilding) ············ 5-18
5.11.3 정비기록 : 위조, 복제 또는 변조 (Maintenance records : Falsification,
reproduction, or alteration) ··················································································· 5-18
5.11.4 검사기록의 내용, 양식, 대수리 및 처리(Content, Form, and Disposition of
Records for Inspection) ··························································································· 5-19

11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제6장 정비조직 인증 기준(Approval for Maintenance Organization) ············ 6-1

6.1 총칙(General) ························································································································ 6-1


6.1.1 목적(Purpose) ···················································································································· 6-1
6.1.2 적용(Applicability) ············································································································ 6-1
6.1.3 용어의 정의(Definition of Terms) ··············································································· 6-1
6.1.4 약 어(Acronyms) ··············································································································· 6-2
6.1.5 정비 등의 수행기준(General Performance Rules) ·················································· 6-2
6.1.6 인증서 및 운영기준의 요건(Certificate and Operations Specifications
Requirements) ················································································································ 6-4
6.1.7 안전정책 수립(Safety policy) ························································································ 6-4
6.1.8 정비분야 인적요소(Human factors in aircraft maintenance) ······························ 6-4

6.2 인 증(Certification) ·············································································································· 6-4


6.2.1.1 인증의 신청(Application for Certificate) ······························································· 6-4
6.2.2 인증서의 발행 및 인증서의 유효성에 대한 수시점검(Issue of Certificate and
Surveillance for the validate of certificate) ························································· 6-5
6.2.3 인증서의 유효기간 및 갱신(Duration and Renewal of Certificate) ··················· 6-6
6.2.4 인증서의 개정(Amendment to or Transfer of Certificate) ································· 6-6
6.2.5 업무한정(Ratings) ·············································································································· 6-6
6.2.6 업무한정의 제한(Limited Ratings) ··············································································· 6-8

6.3 건물, 시설, 장비, 자재 및 자료(Housing, Facilities, Equipment, Materials and


Data) ········································································································································ 6-9
6.3.1 일 반(General) ··················································································································· 6-9
6.3.2 건물 및 시설의 요건(Housing and Facilities Requirements) ······························ 6-9
6.3.3 건물 및 시설의 소재지 변경(Change of Location, Housing or Facilities) ··· 6-10
6.3.4 장비, 자재 및 자료의 요건(Equipment, Materials and Data Requirements) 6-10

6.4 인력(Personnel) ·················································································································· 6-10


6.4.1 인력의 요건(Personnel Requirements) ···································································· 6-10

1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6.4.2 감독자의 요건(Supervisory Personnel Requirements) ······································· 6-11


6.4.3 검사원의 요건(Inspection Personnel Requirements) ·········································· 6-11
6.4.4 품목의 항공에 사용승인 인력 요건(Personnel Authorized to Approve an
Article for Return to Service) ················································································· 6-12
6.4.5 관리자, 감독자 및 검사 인력에 대한 기록(Record of Management, Supervisory
and Inspection Personnel) ························································································ 6-12
6.4.6 교육훈련의 요건(Training Requirements) ······························································· 6-13
6.4.7 기술관리 및 품질관리 업무의 인력요건(Personnel Requirements of Engineering
support and Quality control) ···················································································· 6-13

6.5 운영준칙(Operating Rules) ······························································································ 6-14


6.5.1 인증서의 권한 및 제한(Privileges and Limitations of Certificate) ················· 6-14
6.5.2 타 장소 수행 작업(Work Performed at Another Location) ······························ 6-14
6.5.3 항공사 등을 위한 정비 등(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and Alterations
Performed for Certificate Holder of Air Operator Certificate) ····················· 6-14
6.5.4 정비조직절차교범(AMO Procedure Manual) ··························································· 6-15
6.5.5 정비조직절차교범의 내용(AMO Procedure Manual Contents) ·························· 6-15
6.5.6 품질관리시스템(Quality Control System) ································································ 6-16
6.5.7 정비등의 검사(Inspection of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or
Alterations) ··················································································································· 6-17
6.5.8 수행능력 목록(Capability List) ··················································································· 6-18
6.5.9 계약정비(Contract Maintenance) ··············································································· 6-18
6.5.10 기록유지(Record keeping) ························································································· 6-18
6.5.11 고장 등의 보고(Service Difficulty Reports) ························································ 6-19
6.5.12 국토교통부장관의 감독(MLIT Inspections) ··························································· 6-19
6.5.13 부당한 행위에 대한 조치(Compliance and Enforcement) ································ 6-19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Instrument and Equipment) ···································· 7-1

7.1 일반(General) ························································································································ 7-1

13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7.1.1 적용(Applicability) ············································································································ 7-1


7.1.2 용어의 정의(Definition) ··································································································· 7-1
7.1.3 약어(Acronyms) ················································································································· 7-1
7.1.4 계기 및 장비 일반요건(General Instruments and Equipment Requirements) 7-2
7.1.5 비행 및 항법계기 일반요건(General Requirements for Flight and Navigational
Instruments) ······················································································································ 7-3
7.1.6 최소 비행 및 항법계기(Minimum Flight and Navigational Instruments) ········· 7-3
7.1.7 두 명의 조종사가 요구되는 운항을 위한 계기(Instruments for Operations
Requiring Two Pilots) ·································································································· 7-4
7.1.8 계기비행방식으로 비행시 갖추어야 할 계기 (IFR Instrument) ····························· 7-4
7.1.9 예비 자세지시기(Standby Attitude Indicator) ·························································· 7-4
7.1.10 정밀계기접근 제2종 운항을 위한 계기 및 장비(Instruments and Equipment for
Category II Operations) ······························································································ 7-5
7.1.11 무선통신장비(Radio Equipment) ················································································· 7-6
7.1.12 항공기 등불과 계기조명(Aircraft Light and Instrument Illumination) ··········· 7-7
7.1.13 고도경보장치(Altitude Alerting System) ································································· 7-7
7.1.14 비상, 구조 및 구명장비(Emergency, Rescue and Survival Equipment) ······· 7-7
7.1.14.1 비상장비(Emergency Equipment) ·········································································· 7-7
7.1.14.2 시각신호장비(Visual Signaling Devices) ······························································ 7-8
7.1.14.3 구명장비(Survival Kits) ····························································································· 7-8
7.1.14.4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mergency Locator Transmitter) ················· 7-8
7.1.14.5 파괴위치 표시(Marking of Break-in Points) ····················································· 7-8
7.1.14.6 산소저장 및 분배장치(Oxygen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 7-9
7.1.14.7 삭제 <2014.10.31.> ································································································· 7-10
7.1.14.8 탑재하는 비상장비 및 구명장비에 관한 기록(Records of emergency and
survival equipment carried) ·············································································· 7-10
7.1.14.9 비상탈출장비(Emergency Exit Equipment) ······················································ 7-10
7.1.14.10 휴대용 소화기(Portable Fire Extinguishers) ················································· 7-11
7.1.14.11 화장실 소화기(Lavatory Fire Extinguisher) ·················································· 7-11
7.1.14.12 화장실 연기 감지기(Lavatory Smoke Detector) ··········································· 7-11
7.1.14.13 구급, 감염예방 및 비상의료 용구(First-Aid, Unversal Precaution and

14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Emergency Medical Kit) ··················································································· 7-11


7.1.14.14 구급용 산소공급 기구(First Aid Oxygen Dispensing Units) ···················· 7-12
7.1.14.15 개인 부양장비(Individual Flotation Devices) ················································· 7-12
7.1.14.16 구명보트(Life Raft) ································································································ 7-12
7.1.14.16A 수중위치전파발생기(Underwater Locating Device) ·································· 7-13
7.1.15 기타 시스템 및 장비(Miscellaneous Systems and Equipment) : 삭제(‘08.8.14) 7-13
7.1.16 특별운항에 관한 요건(Requirements for Specific Operations) ····················· 7-14
7.1.16.1 수직분리축소(RVSM) 공역의 운항을 위한 요건(Requirements for Operations
in RVSM Airspace) ································································································ 7-14
7.1.16.2 성능기반항행(PBN)요구 공역의 운항을 위한 요건 (Requirements for
Operations in PBN Airspace) ·········································································· 7-14
7.1.16.3 최소항행성능요건 적용공역의 운항을 위한 항행장비(Navigation Equipment
for Operations in MNPS Airspace) ································································· 7-14
7.1.17 비행기록장치(Flight Recorders) ·············································································· 7-15
7.1.17.1 비행기록장치시스템(Flight Recorders System) ··············································· 7-15
7.1.17.1A 삭제 <2016.11.00> ······························································································· 7-15
7.1.17.2 비행자료기록장치(Flight Data Recorders : FDR) 및 항공기자료기록시스템
(Aircraft Data Recording Systems : ADRS) ················································ 7-18
7.1.17.2A 조종실음성녹음장치 대체 동력(Cockpit Voice Recorder alternate power) ·
7-20
7.1.17.3 조종실음성기록장치(Cockpit Voice Recorders) 및 조종실음향기록시스템
(Cockpit Audio Recording Systems) ······························································ 7-21
7.1.17.4 데이터 링크 기록장치(Data Link Recorder: DLR) 및 데이터 링크 기록시스템
(Data Link Recording System: DLRS) ···························································· 7-24
7.1.17.5 비행이미지기록장치(Airborne Image Recorder: AIR) 및 비행이미지기록장치시스
템(Airborne Image Recording System: AIRS) ·············································· 7-24
7.1.17.6 삭제 <2016.11.00> ·································································································· 7-25
7.1.17.7 삭제 <2016.11.00> ·································································································· 7-25
7.1.17.8 삭제 <2016.11.00> ·································································································· 7-25
7.1.17.9 삭제 <2016.11.00> ·································································································· 7-25
7.1.17.10 삭제 <2016.11.00> ································································································ 7-25
7.1.18 지상접근경고장치(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 7-25

15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7.1.19 공중충돌경고장치 (Airborne Collision Avoidance System) ···························· 7-26


7.1.20 비상, 구조 및 구명장비(Emergency, Rescue and Survival Equipment) : 삭제
<‘08.8.14> ····················································································································· 7-26
7.1.21 기타 시스템 및 장비(Miscellaneous Systems and Equipment) ····················· 7-26
7.1.21.1 일반(General) ············································································································· 7-26
7.1.21.2 좌석․안전벨트 및 어깨끈(Seats, Safety Belts, and Shoulder Harnesses) 7-27
7.1.21.3 보호용 회로 퓨즈(Protective Circuit Fuses) ···················································· 7-27
7.1.21.4 방빙장비(Icing Protection Systems) ·································································· 7-28
7.1.21.5 동압구 가열지시 장치(Pitot Heat Indication Equipment) ····························· 7-28
7.1.21.6 정압장치(Static Pressure System) ····································································· 7-28
7.1.21.7 조종석 와이퍼(Windshield Wipers) ····································································· 7-28
7.1.21.8 차트받침(Chart Holder) ·························································································· 7-28
7.1.21.9 기압고도보고 트랜스폰더(Pressure altitude Reporting Transponder) ····· 7-28
7.1.21.10 방사선 투사량계(Cosmic Radiation Detection Equipment) ······················· 7-29
7.1.21.11 자동착륙시스템, 전방시현장치 또는 동등한 시현장치, 시각강화시스템, 시각합성
시스템, 시각통합시스템이 장착된 비행기[Aeroplanes equipped with
automatic landing systems, a head-up displays(HUD) or equivalent
displays, enhanced vision systems (EVS), synthetic vision systems(SVS)
and/or combined vision systems(CVS)] ······················································· 7-29
7.1.21.12 전자비행정보장치(EFB; Electronic Flight Bag) ············································ 7-30

7.2 일반항공(General Aviation)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 7-31


7.2.1 항공기 계기 및 장비요건(Instrument and Equipment Requirements :
Commercial Air Transport) ······················································································ 7-31
7.2.1.1 비행 및 항법 계기(Flight and Navigational Instruments) ······························ 7-31

7.3 항공기 사용사업용(Aerial work aviation) 항공기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 7-31


7.3.1 항공기 계기 및 장비요건(Instrument and Equipment Requirements :
Commercial Air Transport) ······················································································ 7-31
7.3.1.1 비행 및 항법 계기(Flight and Navigational Instruments) ······························ 7-31
7.3.1.2 계기비행방식으로 비행시 갖추어야 할 계기(IFR Instrument) ························· 7-31
7.3.1.4 승무원 인터폰 장비 (Crew member Interphone System) ······························ 7-32

16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7.3.2 비행기 등불과 계기조명(Aeroplane Light and Instrument Illumination) ······· 7-32
7.3.3 고도경보장치(Altitude Alerting System) ································································· 7-33
7.3.4 저고도 돌풍경보시스템(Low-Altitude Windshear System) <삭 제, 2009.12. 8>
7-33
7.3.5 비상, 구조 및 구명장비(Emergency, Rescue and Survival Equipment) ······· 7-33
7.3.5.1 도끼(Crash Axe) ········································································································· 7-33
7.3.5.2 호흡보호장비 (Protective Breathing Equipment) ············································· 7-33
7.3.6 승객안내표시(Passenger Information Signs) <삭제, 2010.7.5> ······················· 7-34
7.3.7 전원공급, 분배 및 지시장치(Power Supply, Distribution and Indication System) ··························
7-34
7.4 항공운송사업용(Air transportation) 항공기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 7-34
7.4.1 항공기 계기 및 장비요건(Instrument and Equipment Requirements :
Commercial Air Transport) ······················································································ 7-34
7.4.1.1 비행 및 항법 계기(Flight and Navigational Instruments) ······························ 7-34
7.4.1.2 계기비행방식으로 비행시 갖추어야 할 계기(IFR Instrument) ························· 7-34
7.4.1.4 항행을 지속할 수 있는 충분한 항행장비 탑재(Sufficiently navigation
equipment to continue flight) ············································································· 7-35
7.4.1.5 승무원 인터폰 장비 (Crew member Interphone System) ······························ 7-35
7.4.2 비행기 등불과 계기조명(Aeroplane Light and Instrument Illumination) ······· 7-36
7.4.3 엔진계기(Engine Instruments) ···················································································· 7-36
7.4.4 착륙장치 음성경고장치(Landing Gear : Aural Warning Device) ····················· 7-37
7.4.5 고도경보장치(Altitude Alerting System) ································································· 7-37
7.4.6 삭제 <2016.11.00> ········································································································ 7-37
7.4.7 저고도 돌풍경보시스템(Low-Altitude Windshear System) ································ 7-37
7.4.8 비상, 구조 및 구명장비(Emergency, Rescue and Survival Equipment) ······· 7-38
7.4.8.1 도끼(Crash Axe) ········································································································· 7-38
7.4.8.2 호흡보호장비 (Protective Breathing Equipment) ············································· 7-38
7.4.8.3 확성기(Megaphone) ···································································································· 7-38
7.4.9 기타 시스템 및 장비(Miscellaneous Systems and Equipment) ······················· 7-39
7.4.9.1 객실 및 조종실 문(Passengers and Pilot Compartment Doors) ················· 7-39
7.4.9.2 승객안내표시(Passenger Information Signs) ······················································ 7-39

17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7.4.9.3 기내방송시스템(Public Address System) ···························································· 7-39


7.4.9.4 전원공급, 분배 및 지시장치(Power Supply, Distribution and Indication
System) ······················································································································· 7-40

제8장 항공기 운항(OPERATIONS) ············································································8-1

8.1 일반(General) ························································································································ 8-1


8.1.1 적용(Applicability) ············································································································ 8-1
8.1.2 용어의 정의(Definitions) ································································································· 8-1
8.1.3 약어(Acronyms) ················································································································· 8-8
8.1.4 항공기 요건(Aircraft Requirements) ··········································································· 8-9
8.1.4.1 항공기의 감항성(Civil Aircraft Airworthiness) ·················································· 8-9
8.1.4.2 특별감항증명서의 운항제한(Special Airworthiness Certificate Operational
Restictions) ·············································································································· 8-10
8.1.4.3 항공기의 계기 및 장비(Aircraft Instruments and Equipment) ······················ 8-10
8.1.4.4 고장난 상태의 계기 및 장비(Inoperative Instruments and Equipment) ····· 8-10
8.1.4.5 비행교범, 표시 및 플래카드 요건(Civil Aircraft Flight Manual, Marking and
Placard Requirements) ···························································································· 8-11
8.1.4.6 항공기 및 장비 검사요건(Required Aircraft and Equipment Inspections) 8-11
8.1.5 항공기 탑재 서류(Documents to be Carried on Aircraft : All Operations) 8-12
8.1.6 항공기 정비요건 (Aircraft Maintenance Requirement) ······································ 8-13
8.1.6.1 적용 (Applicability) ···································································································· 8-13
8.1.6.2 일반 (General) ············································································································· 8-13
8.1.6.3 요구되는 정비사항 (Maintenance Required) ······················································· 8-14
8.1.6.4 항공기 검사 (Inspections) ························································································ 8-14
8.1.6.5 항공기 정비프로그램의 변경(Changes to Aircraft Maintenance Programs) ·
8-16
8.1.6.6 정비, 재생 및 개조기록(Content, Form, and Disposition of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Rebuilding, and Modification Records) ·········· 8-17
8.1.6.7 정비기록 보존(Maintenance Records Retention) ·············································· 8-17
8.1.6.8 정비기록의 양도(Transfer of Maintenance Records) ······································ 8-18

18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1.7 운항승무원 요건(Flight Crew Requirements) ························································ 8-18


8.1.7.1 운항승무원의 구성(Composition of the Flight Crew) ····································· 8-18
8.1.7.2 운항승무원의 자격(Flight Crew Qualifications) ················································· 8-18
8.1.7.2.A 운항승무원의 ACAS 훈련(Flight Crew Training for ACAS) ····················· 8-18
8.1.7.3 형식한정이 없는 경우의 운항허가 등(Authorization in lieu of a type rating) ······························
8-20
8.1.7.4 계기비행방식 운항을 위한 자격요건(Rating Required for IFR Operations) 8-21
8.1.7.5 정밀계기접근 제2종 및 제3종 운항 특별허가 요건(Special Authorization
Required for Category II/III Operations) ························································ 8-21
8.1.7.6 조종사 비행기록부(Pilot Logbooks) ······································································· 8-22
8.1.8 승무원의 임무와 책임(Crew Member Duties and Responsibilities) ··············· 8-22
8.1.8.1 기장의 권한과 책임(Authority and Responsibility of the PIC) ···················· 8-22
8.1.8.2 부주의 또는 난폭한 항공기 운항(Negligent or Reckless Operations of the
Aircraft) ······················································································································· 8-23
8.1.8.3 운항승무원의 신체조건(Fitness of Flight Crew Members) ··························· 8-23
8.1.8.4 주정음료등의 사용 등(Use of Narcotics, Drug or Intoxicating Liquor) ··· 8-23
8.1.8.5 승무원의 좌석벨트와 어깨끈의 사용(Crew Member Use of Seat Belts and
Shoulder Harnesses) ······························································································ 8-24
8.1.8.6 운항승무원의 임무위치(Flight Crew Members at Duty Stations) ··············· 8-25
8.1.8.7 운항승무원의 필요장비(Required Crew Members Equipment) ····················· 8-25
8.1.8.8 점검표의 준수(Compliance with Checklists) ······················································ 8-25
8.1.8.9 수색 및 구조정보(Search and Rescue Information) ········································ 8-25
8.1.8.9.A 수색과 구조(Search and Rescue) ······································································ 8-26
8.1.8.10 항공기 서류 및 비행 서류의 제시(Production of Aircraft and Flight
Documentation) ·································································································· 8-27
8.1.8.11 운항자격심사관 및 항공안전감독관의 조종실 출입(Admission of Check
Airman and Inspector to the Flight Deck) ··················································· 8-27
8.1.8.12 기계적인 비정상보고 (Reporting Mechanical Irregularities) ······················· 8-27
8.1.8.13 항공안전장애 보고(Reporting of Incidents) ···················································· 8-27
8.1.8.14 위험상태 보고(Reporting of Hazardous Conditions) ····································· 8-28
8.1.8.15 준사고 등 보고(Reporting of Serious Incidents) ··········································· 8-28

19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1.8.16 사고 보고(Reporting of Accident) ······································································ 8-28


8.1.8.17 조종실 음성기록장치 및 비행자료기록장치의 운용(Operation of Flight Deck
Voice and Flight Data Recorders) ··································································· 8-29
8.1.8.18 승무원의 최소 산소공급 및 사용(Crew Member Oxygen: Minimum Supply
and Use) ··················································································································· 8-30
8.1.8.19 휴대용 전자기기(Portable Electronic Devices) ··············································· 8-30
8.1.8.20 레이저광선노출 대비 조종사 운항절차 ································································· 8-31
8.1.8.21 조종장치의 조작(Manipulation of the Control) ··············································· 8-31
8.1.8.22 비행중 비정상 상황의 모의조작(Simulated Abnormal Situations in Flight) · 8-31
8.1.8.23 탑재용 항공일지의 작성(Completion of the Technical Logbook) ············· 8-31
8.1.9 비행계획과 감독(Flight Planning and Supervision) ············································· 8-32
8.1.9.1 비행계획서의 제출(Submission of a Flight Plan) ············································· 8-32
8.1.9.2 비행계획의 계획된 재허가(Planned Reclearance) ············································· 8-32
8.1.9.3 비행계획서의 변경(Changes to a Flight Plan) ··················································· 8-32
8.1.9.4 비행계획서의 종료(Closing a Flight Plan) ·························································· 8-33
8.1.9.5 항공기의 감항성과 안전예방조치(Aircraft Airworthiness and Safety
Precautions) ············································································································· 8-33
8.1.9.6 운항시설의 적합성(Adequacy of Operating Facilities) ··································· 8-34
8.1.9.6A 운영자 통보(Operator notification) ··································································· 8-34
8.1.9.7 기상보고 및 예보(Meteorological Reports and Forecasts) ··························· 8-34
8.1.9.8 시계비행방식 비행을 위한 기상제한(Weather Limitations for VFR Flights) 8-34
8.1.9.9 계기비행방식 비행시 목적공항 기상(IFR Destination Aerodromes) ············ 8-34
8.1.9.10 계기비행방식으로 비행시 교체비행장 요건(IFR Destination Alternate
Requirement) ·········································································································· 8-35
8.1.9.11 계기비행방식의 비행을 위한 교체비행장 선정기준(IFR Alternate Aerodrome
Selection Criteria) ································································································· 8-36
8.1.9.13 연료, 오일탑재 계획 및 불확실 요인의 보정(Fuel, Oil and Contingency
Factors) ····················································································································· 8-37
8.1.9.14 시계비행방식 비행을 위한 최소연료탑재량(Minimum Fuel Supply for VFR
Flights) ······················································································································ 8-38
8.1.9.15 계기비행방식 비행을 위한 최소연료탑재량(Minimum Fuel Supply for IFR
Flights) ······················································································································ 8-39

20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1.9.16 항공기 적재 및 중량배분(Aircraft Loading, Mass and Balance) ··············· 8-41


8.1.9.17 모든 탑재명세서에서 고려하여야 할 최대허용중량(Maximum Allowable
Weights to be Considered on All Load Manifests) ··································· 8-42
8.1.9.18 비행허가 : 시설과 항공고시보(Flight Release: Facilities and NOTAMs)
8-42
8.1.9.19 항공정보의 제공(Dissemination of the aeronautical information) ············ 8-42
8.1.9.20 삭제 <2016.11.00> ·································································································· 8-42
8.1.9.21 삭제 <2016.11.00> ·································································································· 8-42
8.1.10 항공기 성능 및 운항제한(AIRCRAFT PERFORMANCE AND OPERATING
LIMITATIONS) ··························································································································· 8-43
8.1.10.1 적용(Applicability) ···································································································· 8-43
8.1.10.2 일반사항(General) ····································································································· 8-43
8.1.10.3 비행성능 계산(Aircraft Performance Calculations) ······································· 8-43
8.1.10.5 기록 등의 보존(Retention and Maintenance of Record) ····························· 8-44
8.1.11 비행규칙 (FLIGHT RULES) ······················································································ 8-44
8.1.11.1 지상에서의 항공기 운영(Operation of Aircraft on the Ground) ················ 8-44
8.1.11.2 이륙조건(Takeoff Conditions) ·············································································· 8-44
8.1.11.3 착빙지역 또는 착빙이 예상되는 지역으로의 운항(Flight into Known or
Expected Icing) ······································································································ 8-45
8.1.11.4 고도계의 설정(Altimeter Settings) ······································································ 8-45
8.1.11.5 최저안전고도 : 일반사항(Minimum Safe Altitudes: General) ····················· 8-46
8.1.11.6 계기접근운영 최저기상치(Instrument Approach Operating Minima) ········ 8-46
8.1.11.6A 삭제 <2016.11.00.> ······························································································ 8-47
8.1.11.6B 삭제 <2016.11.00.> ······························································································ 8-47
8.1.11.7 정밀계기접근 제2종 및 제3종(CAT II, III) 운항 : 일반운항규칙(Category II
and III Operations: General Operating Rules) ············································· 8-47
8.1.11.8 정밀계기접근 제2종 및 제3종 교범(Category II and Category III Manual)8-49
8.1.11.9 다른 항공기와의 근접비행(Operating Near Other Aircraft) ························ 8-49
8.1.11.10 통행우선권 : 수상운항 제외(Right-of-Way Rules: Except Water Operations)
8-49
8.1.11.11 통행우선권 : 수상운항(Right-of-Way Rules: Water Operations) ··········· 8-50

21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1.11.12 항공기 등불의 사용(Use of Aircraft Lights) ················································· 8-51


8.1.11.13 모의계기비행(Simulated Instrument Flight) ··················································· 8-51
8.1.11.14 물건의 투하, 살포, 항공기 예항(Dropping, Spraying, Towing) ················ 8-52
8.1.11.15 시험비행 지역(Flight Test Areas) ···································································· 8-52
8.1.11.16 비행금지공역과 비행제한공역(Prohibited Areas and Restricted Areas) 8-52
8.1.11.17 성능기반항행 또는 수직분리축소 공역에서의 운항(Operations in PBN or
RVSM Airspace) ··································································································· 8-52
8.1.11.17.A 필수통신성능 공역에서의 운항(Operations in RCP Airspace) ·············· 8-54
8.1.11.18 비 관제비행장 또는 그 인접지역에서의 운항(Operations on or in the
Vicinity of an Uncontrolled Aerodrome) ···················································· 8-54
8.1.11.19 비행장 교통장주 고도 : 터보제트기, 터보팬 또는 대형항공기(Aerodrome
Traffic Pattern Altitudes: Turbojet, turbofan, or Large Aircraft) ····· 8-55
8.1.11.20 시각 및 전자 활공각 준수(Compliance with Visual and Electronic Glide
Slopes) ····················································································································· 8-55
8.1.11.21 항공교통관제 허가의 준수(Adherence to ATC Clearances) ····················· 8-55
8.1.11.22 통신(Communications) ·························································································· 8-56
8.1.11.23 고의가 아닌 변경(Inadvertent Changes) ························································· 8-56
8.1.11.24 항공교통관제기관의 허가 : 의도된 변경(ATC Clearance: Intended Changes)
8-56
8.1.11.25 관제공항 근처 또는 내에서의 운항(Operations on or in the Vicinity of a
Controlled Aerodrome) ······················································································· 8-57
8.1.11.26 시간점검(Time Checks) ······················································································· 8-57
8.1.11.27 국제항공신호(Universal Signals) ······································································· 8-58
8.1.11.28 이․착륙을 위한 시계비행 최저기상치(VFR Weather Minimums for Takeoff
and Landing) ·········································································································· 8-58
8.1.11.29 시계비행의 금지(Unauthorized for VFR Flight) ··········································· 8-59
8.1.11.30 시계비행방식 비행의 항공교통관제 허가요건(VFR Flights Requiring ATC
Authorization) ······································································································· 8-59
8.1.11.31 시계비행기상상태 이하로의 기상악화(Weather Deterioration Below VMC)
8-59
8.1.11.32 시계비행방식에서 계기비행방식으로 변경(Changing from VFR to IFR) 8-59
8.1.11.33 시계비행방식에서 양방향통신 두절(Two-way Radio Communication Failure

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in VFR) ···················································································································· 8-59


8.1.11.34 관제공역에서의 계기비행방식(IFR in Controlled Airspace) ······················ 8-60
8.1.11.35 계기비행방식 운항을 위한 최저고도(Minimum Altitudes for IFR Operations)
8-60
8.1.11.36 자동조종장치 사용 최저고도(Minimum Altitudes for Use of an Autopilot)
8-60
8.1.11.37 관제공역 내에서 계기비행고도 또는 비행고도(IFR Cruising Altitude or
Flight Level in Controlled Airspace) ··························································· 8-61
8.1.11.38 비 관제공역에서의 계기비행고도 또는 비행고도(IFR Cruising Altitude or
Flight Level in Uncontrolled Airspace) ······················································· 8-61
8.1.11.39 계기비행방식 무선통신 (IFR Radio Communications) ································· 8-62
8.1.11.40 관제공역에서 계기비행방식 운항시 고장보고(Operation Under IFR in
Controlled Airspace : Malfunction Reports) ············································· 8-62
8.1.11.41 목적지로 계기비행방식의 지속(Continuation of IFR Flight Toward a
Destination) ··········································································································· 8-62
8.1.11.42 민간비행장으로의 계기접근(Instrument Approaches to Civil Aerodromes)
8-62
8.1.11.43 계기비행기상상태에서의 착륙(Landing During Instrument Meteorological
Conditions) ············································································································· 8-63
8.1.11.44 실패접근절차의 실행(Execution of a Missed Approach Procedure) ····· 8-63
8.1.11.45 무인자유기구 운영(Unmanned Free Balloons Operation) ························· 8-63
8.1.11.46 운항의 제한 또는 일시중지(Restriction or Suspension of Operations) 8-63
8.1.12 승객과 승객처리(Passengers and Passenger Handling) ·································· 8-64
8.1.12.1 탑승자가 해서는 아니 되는 사항(Unacceptable Conduct) ···························· 8-64
8.1.12.2 승객이 기내에 있거나 승ㆍ하기 중일 때 연료보급(Refuelling with Passengers
on Board) ················································································································ 8-64
8.1.12.3 승객좌석, 안전벨트 및 어깨끈(Passenger Seats, Safety Belts and Shoulder
Harnesses) ················································································································ 8-64
8.1.12.4 승객 브리핑(Required Passenger Briefings) ················································· 8-65
8.1.12.5 비행중 비상조치안내(In Flight Emergency Instruction) ······························· 8-65
8.1.12.6 승객용 산소의 최소공급과 사용(Passenger Oxygen: Minimum Supply and Use)
8-65

23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1.12.7 음주 또는 약물(Alcohol or Drugs) ······································································ 8-66


8.1.12.8 비상구와 비상장비로의 접근(Accessibility of Emergency Exits and
Equipment) ············································································································· 8-66
8.1.12.9 무기운반의 금지(Prohibition Against Carriage of Weapons) ····················· 8-66
8.1.12.10 객실내의 화물반입(Carriage of Cargo in Passenger Compartments) ·· 8-67
8.1.12.11 승객알림신호(Passenger Information Signs) ················································· 8-67
8.1.12.12 객실물품의 고정(Securing of Items of Mass in Passenger Compartment)
8-67
8.1.13 낙하산 및 낙하산 점핑(Parachutes and Parachute Jumping) ························ 8-67
8.1.13.1 적용(Applicability) ···································································································· 8-67
8.1.13.2 일반사항(General) ····································································································· 8-67
8.1.13.3 낙하산 및 낙하산 점프(Parachutes and parachuting) ··································· 8-67
8.1.13.4 무선장비 및 사용 요건(Radio equipment and use requirements) ············ 8-68
8.1.13.5 공항 상공 또는 공항으로 점프(Jumps over or onto airports) ···················· 8-69
8.1.13.6 A, B, C 및 D등급 공역에서 또는 공역 내로 낙하산 점프(Parachute jumps in
or into Class A, Class B, Class C, and Class D airspace) ···················· 8-69
8.1.13.7 기타 공역에서 또는 내로 점프(Jumps in or into other airspace) ············· 8-69
8.1.13.8 점프의 취소 또는 연기통보에 필요한 정보((Information required, and Notice
of Cancellation or Postponement of jump) ················································· 8-69
8.1.13.9 제한 또는 금지구역 상공 또는 상공 내로 점프(Jumps over within restricted
or prohibited areas) ······························································································ 8-70
8.1.13.10 구름으로부터의 비행시정 및 거리 요건(Flight visibility and clearance from
clouds requirements) ·························································································· 8-70
8.1.13.11 일몰부터 일출 사이의 낙하산 점프(Parachute jumps between sunset and
sunrise) ··················································································································· 8-71
8.1.13.12 알코올 및 약품(Alcohol and drugs) ································································· 8-71
8.1.13.13 검사(Inspections) ··································································································· 8-71
8.1.13.14 낙하산 장비 및 낙하산 접기 요건(Parachute equipment and packing
requirements) ······································································································· 8-71
8.1.17 조종사의 운항자격 : 기장의 지식요건(Pilot knowledge requirements for route
and area check : PIC) ······························································································ 8-72

24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2 일반항공(General Aviation)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 8-73


8.2.1 항공기 운영교범 ············································································································ 8-73
8.2.2 기장의 자격유지 : 최근의 비행경험(Recent Experience : Takeoffs and
Landings) ······················································································································· 8-73
8.2.3 조종사 자격유지 : 계기비행(Pilot Currency : IFR Operations) ······················· 8-73
8.2.4 조종사 자격회복(Pilot License Recovery) ······························································ 8-74
8.2.5 조종사의 운항자격 심사 ································································································ 8-74
8.2.6 정비 기록(Maintenance Records) ·············································································· 8-75
8.2.7 성능운용제한(Performance Operating Limitation) ··············································· 8-75
8.2.8 상승/강하율 운용절차(Operating procedures for rates of climb and descent)
8-76
8.2.9 항행데이터관리(Electronic navigation data management) ································ 8-76
8.2.10 정비관리교범(Operator’s maintenance control manual) ·································· 8-77
8.2.11 국외를 운항하는 항공기 정비프로그램(Maintenance programme) ················· 8-78
8.2.12 보안프로그램(Security programme) ······································································· 8-78

8.3 항공기 사용사업용(Aerial work aviation) 항공기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 8-79


8.3.1 승무원의 임무와 책임(Crew Member Duties and Responsibilities) ··············· 8-79
8.3.1.1 비행중요단계에서의 임무(Duties During Critical Phases of Flight :
Commercial Air Transport) ················································································· 8-79
8.3.2 비행계획과 감독(Flight Planning and Supervision) ············································· 8-79
8.3.2.1 비행계획서류의 배포 및 보존(Flight Planning Document Distribution and
Retention) ··················································································································· 8-79
8.3.2.2 비행인가요건(Flight Release Required) <삭제, 2010.7.5> ···························· 8-80
8.3.2.3 운항비행계획서(Operational Flight Plan) ····························································· 8-80
8.3.2.4 계기접근절차 및 계기비행착륙최저치(Instrument Approach Procedures and
IFR Landing Minimums) ························································································· 8-80
8.3.3 기내 휴대수하물(Carry-on Baggage) ······································································· 8-80
8.3.4 승무원의 자격기준(Crew Member Qualifications) ················································ 8-81
8.3.4.1 승무원 훈련 일반 ········································································································· 8-81
8.3.4.1A 항공사 절차 기본교육(Company Procedures Indoctrination) ····················· 8-81

25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3.4.2 초기위험물훈련(Initial Dangerous Goods Training) ········································· 8-82


8.3.4.3 초기보안훈련(Initial Security Training) ······························································· 8-82
8.3.4.4 초기 승무원 자원관리(Initial Crew Resource Management) ························· 8-82
8.3.4.5 초기 비상장비 실습훈련(Initial Emergency Equipment Drills) ····················· 8-82
8.3.4.6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Initial Aircraft Ground Training) ································ 8-82
8.3.4.7 초기비행훈련(Initial Aircraft Flight Training) ··················································· 8-83
8.3.4.8 초기특수운항훈련(Initial Specialized Operations Training) ··························· 8-84
8.3.4.9 항공기 차이점 보완훈련(Aircraft Differences) ··················································· 8-84
8.3.4.10 모의비행장치 사용(Use of Simulators) ······························································ 8-85
8.3.4.11 새로운 장비 또는 절차의 도입(Introduction of New Equipment or
Procedures) ············································································································ 8-85
8.3.4.12 저경력 기장의 기상최저치 운항허가(PIC Low Minimums Authorization) 8-85
8.3.4.13 운항승무원 정기훈련(Recurrent Training: Flight Crew Members) ·········· 8-86
8.3.4.14 조종사의 자격 : 최근의 비행경험(Recent Experience (Takeoffs and
Landings) –PIC and co-pilot) ·········································································· 8-87
8.3.4.15 비행교관의 훈련(Flight Instructor Training) ···················································· 8-87
8.3.4.16 비행 지상교관의 자격(Flight Instructor Qualifications) ································ 8-87
8.3.4.17 비행 교관의 자격유지(Maintaining for Flight Instructor Qualifications) ····· 8-88
8.3.4.18 모의비행장치 경험의 대체(Substitution of Simulator Experience) ··········· 8-88
8.3.4.19 검열운항승무원 및 교관의 운항자격(Line Qualification: Check Airman and
Instructor) ················································································································· 8-88
8.3.4.20 승무원 자격의 기록(Recording of Crew Member Qualifications) ············· 8-88
8.3.4.21 훈련 및 심사에 대한 감독(Monitoring of Training and Checking Activities)8-89
8.3.4.22 적격기간(Eligibility Period) ··················································································· 8-89
8.3.4.23 요구량의 감축(Reductions in Requirements) ··················································· 8-89
8.3.5 비행인가(Flight Release) ······························································································ 8-90
8.3.5.1 비행인가 : 착빙상태(Flight Release in Icing Conditions) ······························ 8-90
8.3.5.2 비행인가 : 시계비행방식 또는 계기비행방식(Flight Release under VFR or
IFR) ······························································································································· 8-90
8.3.5.3 비행인가 : 항공기 탑재와 성능(Flight Release: Aircraft Loading and
Performance) ············································································································ 8-90

26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3.5.4 비행인가 : 항로상에서의 비행인가 수정 또는 재인가(Flight Release:


Amendment or Re-release En Route) ···························································· 8-90

8.4 항공운송사업용(Air transportation) 항공기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 8-91


8.4.1 비행성능 계산(Aircraft Performance Calculations) ············································· 8-91
8.4.2 운항승무원 요건(Flight Crew Requirements) ························································ 8-91
8.4.2.1 항공종사자의 업무제한(Airman: Limitations on Use of Services for
Commercial Air Transport) ················································································ 8-91
8.4.2.2 조종사의 자격 : 최근의 비행경험(Recent Experience (Takeoffs and
Landings) –PIC and co-pilot) ··············································································· 8-91
8.4.2.3 조종사의 자격 : 항로교대조종사의 최근 비행경험(Recent Experience cruise
relief pilot) ················································································································· 8-91
8.4.3 승무원의 임무와 책임(Crew Member Duties and Responsibilities) ··············· 8-92
8.4.3.1 조종실 출입문의 잠금(Locking of Flight Deck Compartment Door) ········· 8-92
8.4.3.2 조종실 출입(Admission to the Flight Deck) ······················································ 8-92
8.4.3.3 비행중요단계에서의 임무(Duties During Critical Phases of Flight) ··········· 8-92
8.4.3.4 통신절차 ························································································································· 8-93
8.4.4 비행계획과 감독(Flight Planning and Supervision) ············································· 8-93
8.4.4.1 비행계획서(Air Traffic Control Flight Plan) ······················································ 8-93
8.4.4.2 이륙교체비행장(Takeoff Alternate Aerodromes) ·············································· 8-93
8.4.4.3 회항시간연장운항 인가를 득하지 못한 비행기의 착륙가능비행장으로 부터의 최대
운항허용 거리(Maximum Distance from an Adequate Aerodrome Without
an EDTO Approval) ································································································· 8-94
8.4.4.4 회항시간연장운항(Extended Diversion Time Operations) ····························· 8-95
8.4.4.5 회항시간연장운항을 위한 항로상 교체비행장(En Route Alternate Aerodromes
EDTO Operations) ··································································································· 8-95
8.4.4.6 비행계획서류의 배포 및 보존(Flight Planning Document Distribution and
Retention) ··················································································································· 8-96
8.4.4.7 비행인가요건(Flight Release Required) ······························································· 8-97
8.4.4.8 운항비행계획서(Operational Flight Plan) ····························································· 8-97
8.4.5 항공기 운항 및 성능제한(Aircraft Operating And Performance Limitations)
8-97

27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4.5.1 적용(Applicability) ······································································································ 8-97


8.4.5.2. 일반사항(General) ······································································································ 8-98
8.4.5.3 항공기 성능계산(Aircraft Performance Calculations) ····································· 8-98
8.4.5.4 이륙성능제한(Takeoff limitations) ······································································· 8-100
8.4.5.5 항로상 성능제한 : 모든 엔진 작동시(En Route Limitations: All Engines
Operating) ················································································································ 8-100
8.4.5.6 항로상 성능제한 : 한개 엔진 부작동시(En Route Limitations: One Engine
Inoperative) ············································································································· 8-100
8.4.5.7 항로상 성능제한 : 2개 엔진 부작동시(En Route Limitations: Two Engines
Inoperative) ·············································································································· 8-101
8.4.5.8 착륙성능제한(Landing Limitations) ····································································· 8-102
8.4.5.9 중량제한(General Weight Limitations) ······························································ 8-102
8.4.5.10 장애물 정보(Obstacle data) ··············································································· 8-103
8.4.5.11 전자항행자료관리(Electronic navigation data management) ···················· 8-103
8.4.6 비행규칙 (FLIGHT RULES) ···················································································· 8-103
8.4.6.1 최저안전고도(Minimum Safe VFR Altitudes) ··················································· 8-103
8.4.6.2 회항결정(Diversion Decision) ··············································································· 8-104
8.4.6.3 안정된 착륙접근 요건(Steady Landing Approach Requirements) ············· 8-105
8.4.6.4 비행중 비정상 상황의 모의(In Flight Simulation of Abnormal Situations) 8-106
8.4.6.5 목적공항 일시적 제한시의 계속비행(Continuation of Flight when Destination
Aerodrome is Temporarily Restricted: Commercial Air Transport) ··· 8-106
8.4.6.6 정밀접근에서의 활주로 말단 통과높이(Threshold crossing height for
precision approach) ···························································································· 8-106
8.4.6.7 삭제 <2016.11.00> ·································································································· 8-106
8.4.6.8 항공운송사업용 계기비행 이륙최저기상치(IFR Takeoff Minimums for
Commercial Air Transport) ············································································· 8-107
8.4.6.9 계기접근절차 및 계기비행착륙최저치(Instrument Approach Procedures and
IFR Landing Minimums) ······················································································· 8-107
8.4.6.10 계기접근의 시작(Commencing an Instrument Approach) ························· 8-107
8.4.6.11 삭제 <2014.10.31.> ······························································································· 8-107
8.4.6.12 상승/강하율 운용절차(Operating procedures for rates of climb and
descent) ················································································································· 8-108

28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4.7 승객과 승객처리(Passengers and Passenger Handling) ·································· 8-108


8.4.7.1 승객의 지시이행(Passenger Compliance with Instructions) ······················· 8-108
8.4.7.2 운송 거부(Denial of Transportation) ································································· 8-108
8.4.7.3 승객운송요건을 적용받지 않는 탑승자의 운송(Carriage of Persons Without
Compliance with these Passenger-Carrying Requirements) ················· 8-108
8.4.7.4 객실승무원의 근무위치(Cabin Crew at Duty Stations) ································· 8-108
8.4.7.5 비상구 확보(Evacuation Capability) ···································································· 8-109
8.4.7.6 자동비상구 구비(Arming of automatic emergency exits) ··························· 8-109
8.4.7.7 승객 탑승상태로 주기(Stops Where Passengers Remain on Board) ······· 8-109
8.4.7.8 지체부자유자의 운송(Carriage of Persons with Reduced Mobility) ········ 8-109
8.4.7.9 비상구 열 좌석(Exit Row Seating) ····································································· 8-110
8.4.7.10 의료용 산소사용 승객(Oxygen for Medical Use by Passengers) ·········· 8-110
8.4.7.11 기내 휴대수하물(Carry-on Baggage) ······························································· 8-110
8.4.7.13 장거리 해상운항시 승객브리핑(Passenger Briefing: Extended Overwater
Operations) ··········································································································· 8-111
8.4.7.14 승객용 좌석벨트(Passenger Seat Belts) ······················································· 8-111
8.4.7.15 승객좌석 등받이(Passenger Seat Backs) ······················································· 8-111
8.4.7.16 음식, 음료, 승객서비스 물품의 정돈(Stowage of Food, Beverage and
Passenger Service) ···························································································· 8-111
8.4.8 승무원과 운항관리사의 자격기준(Crew Member and Flight Operations Officer
Qualifications) ············································································································· 8-111
8.4.8.1 승무원 훈련 일반 ····································································································· 8-111
8.4.8.1.A 연령 60세 및 65세제한(Age 60, 65 Restriction) ······································· 8-112
8.4.8.2 기장의 자격증명 요건 : 터보제트, 터보 팬 또는 대형 항공기(PIC License
Requirements: Turbojet, Turbofan or Large Aircraft) ···························· 8-112
8.4.8.3 기장의 자격증명 요건 : 비 터보제트 또는 터보 팬 소형비행기(PIC Licence
Requirements: Non Turbojet or turbofan Small Aeroplanes) ··············· 8-112
8.4.8.4 기장의 비행경험 : 소형비행기(PIC Aeronautical Experience: Small
Aeroplanes) ··········································································································· 8-113
8.4.8.5 부기장(Co-pilot)의 자격증명 요건(Co-pilot Licence Requirements) ······· 8-113
8.4.8.6 항공기관사 임무 수행을 위한 자격을 갖춘 1명의 조종사(One Pilot Qualified to
Perform FE Functions) ························································································ 8-113

29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4.8.7 비행인가 자격을 갖춘 자(Persons Qualified to Flight Release) ··············· 8-113


8.4.8.8 항공사 절차 기본교육(Company Procedures Indoctrination) ······················ 8-113
8.4.8.9 초기위험물훈련(Initial Dangerous Goods Training) ······································ 8-114
8.4.8.10 초기 보안훈련(Initial Security Training) ························································ 8-114
8.4.8.11 초기 승무원/운항관리사 자원관리(Initial Crew/ Dispatcher Resource
Management) ······································································································· 8-114
8.4.8.12 초기 비상장비 실습훈련(Initial Emergency Equipment Drills) ················· 8-114
8.4.8.13 항공기 지상훈련(Aircraft Ground Training) ················································ 8-114
8.4.8.14 비행훈련(Aircraft Flight Training) ··································································· 8-117
8.4.8.15 초기특수운항훈련(Initial Specialized Operations Training) ······················ 8-118
8.4.8.16 항공기 차이점 보완훈련(Aircraft Differences) ·············································· 8-118
8.4.8.17 모의비행장치 사용(Use of Simulators) ···························································· 8-119
8.4.8.18 새로운 장비 또는 절차의 도입(Introduction of New Equipment or
Procedures) ········································································································· 8-119
8.4.8.19 조종사 운항자격 : 조종사 기량심사(Aircraft Proficiency Checks: PILOT) 8-120
8.4.8.20 계기기량심사(Instrument Proficiency Checks) ············································· 8-120
8.4.8.21 조종사의 최근비행경험 재취득(Re-establishing Recency of Experience:
Pilot) ······················································································································· 8-120
8.4.8.22 비행경험이 적은 운항승무원의 편성(Pairing of Low Experience Crew
Members) ·············································································································· 8-121
8.4.8.23 항공기관사 기량심사(Flight Engineer Proficiency Checks) ····················· 8-121
8.4.8.24 객실승무원 자격심사(Competence Checks: Cabin Crew) ························· 8-122
8.4.8.24.A 객실승무원의 교관, 심사관, 감독관의 임명 및 지식․기량심사(Appointment
and Competence Checks : Cabin Crew Instructors, Examiners and
Inspectors) ········································································································· 8-122
8.4.8.25 운항관리사 실무자격심사(Competence Checks: Flight Operations Officers)
8-122
8.4.8.26 조종사 운항경험(Supervised Line Flying/Operating Experience : Pilots)
8-123
8.4.8.27 항공기관사 운항경험(Supervised Line Flying: Flight Engineers) ·········· 8-124
8.4.8.28 객실승무원 운항경험(Supervised Line Experience: Cabin Crew) ·········· 8-124
8.4.8.29 운항관리사 관숙비행(Line Observations: Flight Operations Officers) · 8-124

30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4.8.30 조종사의 운항자격 : 기장의 지역․노선 및 공항에 대한 경험요건(Route, Area


and Airport Checks : Pilot Qualification) ··················································· 8-124
8.4.8.31 조종사 운항자격 : 노선심사(Pilot Operations Qualifications : Route checks
/ Line checks) ····································································································· 8-126
8.4.8.32 저경력 기장의 기상최저치 운항허가(PIC Low Minimums Authorization) ···
8-126
8.4.8.33 특수공항 지정기준(Designated Special Aerodromes) ································· 8-127
8.4.8.34 운항승무원 정기훈련(Recurrent Training: Flight Crew Members) ········ 8-127
8.4.8.34.A 운항승무원 재 자격부여 훈련(Re-Qualification Training: Flight Crew
Members) ··········································································································· 8-128
8.4.8.35 객실승무원 정기훈련(Recurrent Training: Cabin Crew) ···························· 8-130
8.4.8.35.A 객실승무원 재자격 훈련(Re-qualification Training ; Cabin crew) ····· 8-130
8.4.8.36 운항관리사 정기훈련(Recurrent Training: Flight Operations Officers) 8-131
8.4.8.37 검열운항승무원의 훈련(Check Airman Training) ········································· 8-131
8.4.8.38 비행교관의 훈련(Flight Instructor Training) ················································· 8-132
8.4.8.39 비행 ․ 운항관리사 및 객실승무원 교관의 자격(Qualifications of Pilots, Flight
dispatchers and Cabin crew Instructors) ··················································· 8-132
8.4.8.39.A 객실승무원 선임교관, 심사관, 감독관의 자격(Qualifications of Cabin crew
Senior Instructor, Examiners and Inspectors) ····································· 8-133
8.4.8.40 비행 ․ 운항관리사 및 객실승무원 교관의 자격유지(Maintaining for Flight ․
Flight dispatcher and Cabin crew Instructor Qualifications) ··············· 8-133
8.4.8.41 검열운항승무원의 자격(Check Airman Pilot Qualifications) ····················· 8-134
8.4.8.42 검열운항승무원의 임명(Check Airman Designation) ··································· 8-134
8.4.8.43 검열운항승무원의 제한사항(Check Airman Limitations) ···························· 8-134
8.4.8.44 모의비행장치 경험의 대체(Substitution of Simulator Experience) ········· 8-135
8.4.8.45 검열운항승무원 및 교관의 운항자격(Line Qualification: Check Airman and
Instructor) ·············································································································· 8-135
8.4.8.46 기량심사, 자격심사 또는 노선심사의 중단(Termination of a Proficiency,
Competence or Line Check) ··········································································· 8-135
8.4.8.47 승무원 및 운항관리사 자격의 기록(Recording of Crew Member
Qualifications) ···································································································· 8-135
8.4.8.48 훈련 및 심사에 대한 감독(Monitoring of Training and Checking Activities) 8-135

31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4.8.49 적격기간(Eligibility Period) ················································································· 8-136


8.4.8.50 요구량의 감축(Reductions in Requirements) ················································ 8-136
8.4.8.51 1인 조종사에 의한 계기비행방식(IFR) 또는 야간 운항을 위한 조종사 자격
(Single pilot operations under the Instrument Flight Rules(IFR) or at
night) ························································································································ 8-137
8.4.8.52 운항승무원의 항공영어 구술능력교육 (Aviation English Proficiency Training
Program for Pilot) ···························································································· 8-137
8.4.8.53 CFIT 조종사 훈련(Pilot Training for CFIT) ················································· 8-137
8.4.9 승무원 피로관리(Fatigue Management) ································································· 8-138
8.4.9.1 적용(Applicability) ···································································································· 8-138
8.4.9.2 비행근무편성 기준의 준수(Compliance with Scheduling Requirements) 8-138
8.4.9.3 비행근무 및 지상휴식시간(Duty and Rest Periods) ······································· 8-138
8.4.9.4 최대허용 승무시간(Maximum Number of Flight Time Hours) ·················· 8-139
8.4.9.5 특별비행근무계획(Special Flight Duty Schemes) ··········································· 8-140
8.4.10 비행인가(Flight Release) ························································································· 8-140
8.4.10.1 적용(Applicability) ································································································· 8-140
8.4.10.2 운항통제업무를 위한 자격자(Qualified Persons Required for Operational
Control Functions) ······························································································ 8-140
8.4.10.3 운항통제와 연관된 업무(Functions Associated with Operational Control)8-140
8.4.10.4 운항통제업무(Operational Control Duties) ····················································· 8-141
8.4.10.5 비행인가 : 항공기 요건(Flight Release: Aircraft Requirements) ··········· 8-141
8.4.10.6 비행인가 : 시설과 항공고시보(Flight Release: Facilities and NOTAMs)
8-141
8.4.10.7 비행인가 : 기상보고와 예보(Flight Release: Weather Reports and
Forecasts) ············································································································ 8-141
8.4.10.8 비행인가 : 착빙상태(Flight Release in Icing Conditions) ························· 8-142
8.4.10.9 비행인가 : 시계비행방식 또는 계기비행방식(Flight Release under VFR or
IFR) ··························································································································· 8-142
8.4.10.10 비행인가 : 법정연료공급량(Flight Release: Minimum Fuel Supply) ···· 8-142
8.4.10.11 비행인가 : 항공기 탑재와 성능(Flight Release: Aircraft Loading and
Performance) ······································································································ 8-142
8.4.10.12 비행인가 : 항로상에서의 비행인가 수정 또는 재인가(Flight Release:

3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Amendment or Re-release En Route) ······················································ 8-142


8.4.10.13 비행인가 : 기상레이다를 갖춘 항공기(Flight Release with Airborne
Weather Radar Equipment) ··········································································· 8-143
8.4.11 표준운항절차(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 8-143
8.4.11.1 일반(General) ·········································································································· 8-143
8.4.11.2 점검표의 사용(Use of Checklists) ···································································· 8-143
8.4.11.3 승무원 브리핑(Crew Briefings) ·········································································· 8-144
8.4.11.4 운항중 감염성 의심환자(Traveller with a suspected communicable disease
in flight) ·················································································································· 8-146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 운항증명 및 관리(Air Operator Certification and


Administration) ····························································································································· 9-1

9.1 일반(General) ························································································································ 9-1


9.1.1 적용(Applicability) ············································································································ 9-1
9.1.2 용어의 정의(Definitions) ································································································· 9-1
9.1.3 약어(Acronyms) ················································································································· 9-3
9.1.4 운항증명의 준수 등(Compliance with an Air Operator Certificate) ················ 9-3
9.1.5 운항증명의 신청(Application for an Air Operator Certificate) ·························· 9-4
9.1.6 운항증명의 교부 또는 거부(Issuance or Denial of Air Operator Certificate) · 9-4
9.1.8 운항증명의 유효기간(Duration of an Air Operator Certificate) ························ 9-4
9.1.10 검사관의 출입 등(Access for Inspection) ······························································· 9-5
9.1.11 검사 및 점검의 실시 등(Conducting Tests and Inspections) ··························· 9-6
9.1.12 운항증명소지자의 운영기준 관리유지(Certificate Holders Duty To Maintain
Operation Specifications) ·························································································· 9-6
9.1.13 운영기준의 내용(Contents of Operations specifications) ·································· 9-6
9.1.14 운영기준의 변경(Amending Operations specifications) ···································· 9-7
9.1.15 운항증명 및 효력 유지(Air Operator Certification and Continued Validity) · 9-7
9.1.15.1 적용(Applicability) ······································································································ 9-7
9.1.15.2 운영관리(Administration) ·························································································· 9-7

33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9.1.15.2.1 운항기지(Base of Operations) ············································································ 9-7


9.1.15.2.2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관리자의 요건(Management Personnel Required for
Commercial Air Transport Operations) ·············································································· 9-7
9.1.15.2.3 품질시스템(Quality System) ················································································· 9-9
9.1.15.2.4 항공안전관련 정책 및 절차에 관한 규정 등의 제출 및 개정(Submission and
Revision of Policy and Procedure Manuals) ··············································· 9-9
9.1.15.2.5 업무종사자 기록 등의 유지 및 보관(Retention and Maintenance of
Personnel Records) ·························································································· 9-10
9.1.15.2.6 조종실음성기록장치와 비행기록장치의 보관(Flight Deck Voice and Flight
Data Recorder Records) ·················································································· 9-10
9.1.15.2.7 항공기 기록(Aircraft Records) ·········································································· 9-10
9.1.15.2.8 운항증명소지자의 항공기 탑재용항공일지(AOC Holder's Aircraft Technical
Log) ························································································································· 9-11
9.1.15.2.9 전자교범 및 전자기록유지시스템(Electronic Manual & Electronic Record
Keeping System) ································································································ 9-11
9.1.15.2.10 삭제 <2016.11.00.> ··························································································· 9-11
9.1.16 항공기(Aircraft) ············································································································ 9-11
9.1.16.1 항공기의 인가(Authorized Aircraft) ···································································· 9-11
9.1.16.2 항공기 임대․차 관련 권한 및 의무의 이양(Transfer of certain functions and
duties for aircraft lease) ····················································································· 9-11
9.1.16.3 외국등록 항공기의 단순임차(Dry Leasing of Foreign Registered Aircraft)
9-12
9.1.16.4 항공기의 상호교환 사용(Aircraft Interchange) ················································ 9-13
9.1.16.5 항공기 포괄임대차 운항(Wet-Leasing) ······························································· 9-13
9.1.16.6 국적 항공사 간 항공기 임대차(Leases between commercial air transport
operators within the State) ··············································································· 9-14
9.1.16.7 외국국적 항공기의 임차승인에 따른 증명서등의 인정(Mutual validation for
Certificate & Licences) ······················································································· 9-15
9.1.17 시설 및 운항스케줄(Facilities and Operations Schedules) ····························· 9-15
9.1.17.1 시설(Facilities) ·········································································································· 9-15
9.1.18 운항업무관리(AOC Flight Operations Management) ········································ 9-16
9.1.18.1 적용(Applicability) ···································································································· 9-16

34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9.1.18.2 운항규정(Operations Manual) ··············································································· 9-16


9.1.18.3 훈련프로그램(Training Programme) ··································································· 9-17
9.1.18.4 항공기 운영교범(Aircraft Operating Manual) ·················································· 9-18
9.1.18.5 조종사 숙달훈련(Training to Proficiency: Pilots) ········································ 9-19
9.1.18.6 조종실 점검 목록표(Cockpit Check Procedure) ············································· 9-19
9.1.18.7 최소장비목록(MEL) 및 외형변경목록(CDL)(Minimum Equipment List and
Configuration Deviation List) ··········································································· 9-19
9.1.18.8 항공기 성능교범(Aircraft Performance Manual) ············································· 9-20
9.1.18.9 성능자료 관리시스템(Performance Data Control System) ·························· 9-20
9.1.18.10 항공기 탑재 및 처리교범(Aircraft Loading and Handling Manual) ········ 9-20
9.1.18.11 중량배분자료 관리시스템(Mass and Balance Data Control System) ····· 9-20
9.1.18.12 운항자료 관리시스템(Aeronautical Data Control System) ························ 9-20
9.1.18.13 기상자료의 사용(Weather Reporting Sources) ············································· 9-21
9.1.18.14 제빙과 방빙 프로그램(De-icing and Anti-icing Programme) ·················· 9-21
9.1.18.15 통신시설(Communications Facilities) ······························································· 9-21
9.1.18.16 운항노선과 운항지역(Routes and Areas of Operation) ······························ 9-21
9.1.18.17 항법의 정확도(Navigational Accuracy) ··························································· 9-22
9.1.18.18 공항요건(Airports : Required data) ································································· 9-23
9.1.18.19 안전운항체계변경검사(Approval of Additional Airport) ····························· 9-23
9.1.19 정비요건(AOC Maintenance Requirements) ························································ 9-25
9.1.19.1 정비 책임 (Maintenance Responsibility) ··························································· 9-25
9.1.19.2 운항증명 정비 시스템 및 프로그램의 승인과 수락(Approval and Acceptance
of AOC Maintenance Systems and Programmes) ······································ 9-26
9.1.19.3 정비규정(Maintenance Control Manual) ···························································· 9-26
9.1.19.4 정비관리(Maintenance Management) ································································· 9-28
9.1.19.5 품질시스템(Quality System) ·················································································· 9-28
9.1.19.6 항공기 탑재용항공일지 기록(Aircraft Technical Log Entries) ··················· 9-29
9.1.19.7 정비 기록(Maintenance Records) ········································································ 9-29
9.1.19.8 탑재용항공일지 정비기록 부분(AOC Holder's Aircraft Technical Log -
Maintenance Record Section) ··········································································· 9-30
9.1.19.9 탑재용 항공일지 정비 기록부분 확인(Release to Service or Maintenance

35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Section Records of the Technical Log) ························································ 9-30


9.1.19.10 개조 및 수리(Modification and Repairs) ························································ 9-31
9.1.19.11 항공기 정비프로그램(Aircraft Maintenance Programme) ·························· 9-31
9.1.19.12 정비, 예방정비와 개조를 수행하고 승인하기 위한 권한(Authority to Perform
and Approve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and Modifications) ····························
9-33
9.1.19.13 정비인력 교육훈련의 요건(Maintennance Personnel Training Requirements)
9-33
9.1.19.14 객실승무원 교육훈련 위탁 등에 관한 요건(Requirements for consignment
of Cabin crew training) ······················································································ 9-34
9.1.20 보안관리(Security) ······································································································· 9-34
9.1.20.1 항공기 보안 ················································································································· 9-34
9.1.20.2 불법방해행위 보고(Reporting acts of unlawful interference) ···················· 9-35
9.1.21 위험물 관리(AOC Dangerous Goods Management) ·········································· 9-35

9.2 항공기 사용사업(Aerial work aviation)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 예 비 ·············· 9-36

9.3 항공운송사업(Air transportation)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 9-36


9.3.1 운영관리(Administration) ······························································································ 9-36
9.3.1.1 비행안전문서시스템(Flight Safety Documents System) ································· 9-36
9.3.2 항공기(Aircraft) ··············································································································· 9-36
9.3.2.1 비상탈출시범(Emergency Evacuation Demonstration) ···································· 9-36
9.3.2.2 시범비행(Demonstration Flights) ··········································································· 9-37
9.3.3 운항업무관리(Flight Operations Management) ······················································ 9-37
9.3.3.1 운항스케쥴(Operations Schedules) ········································································ 9-37
9.3.3.2 항공운송사업에서의 기장의 지정(Designation of PIC for Commercial Air
Transport) ·················································································································· 9-37
9.3.3.3 객실승무원의 수(Required Cabin Crew) ······························································ 9-37
9.3.3.4 특별상황 승객의 수송(Carriage of Special Situation Passengers) ············· 9-38
9.3.3.5 승무원 심사와 표준화 프로그램(Crew Member Checking and Standardization
Programme) ··········································································································· 9-38
9.3.3.6 객실승무원 업무교범(Cabin Crew Manual) ························································· 9-38

36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9.3.3.7 승객브리핑 카드(Passenger Briefing Cards) ······················································ 9-38


9.3.3.8 노선지침서(Route Guide) ·························································································· 9-39
9.3.3.9 운항감시시스템(Flight Supervision and Monitoring System) : 국제항공운송사업, 국
내항공운송사업 및 소형항공운송사업(정기편 운항의 경우만 해당한다.) ············· 9-39
9.3.3.10 비행추적시스템(Flight Following System) : 소형항공운송사업 ··················· 9-39
9.3.3.10A 야간 및/또는 계기비행 기상조건에서의 단발 터빈엔진 항공기의 운항
(Operations by single-engine turbine-power aeroplanes at night of
Additional Airport) ····························································································· 9-40
9.3.3.11 북극 항공로 운항 ······································································································· 9-40
9.3.4 정비요건(AOC Maintenance Requirements) ·························································· 9-40
9.3.4.1 운항증명의 지속적 정비프로그램과 검사 요건 (AOC Continuous Maintenance
Programme and Inspection Requirements) ····················································· 9-40
9.3.4.2 운항증명소지자의 항공기 관리 작업을 수행하는 요원의 임무와 휴식의 제한
(Rest and Duty Limitations for Persons Performing Maintenance
Functions on AOC Holder Aircraft) ·································································· 9-41
9.3.5 보안관리(Security) ·········································································································· 9-41
9.3.5.1 적용 ································································································································· 9-41
9.3.5.2 보안훈련 프로그램 ······································································································· 9-42
9.3.5.3 비행서류 등에 대한 보안관리 ··················································································· 9-42
9.3.5.4 조종실 보안(Security of the flight crew compartment) ································ 9-42
9.3.6 항공위험물(Dangerous Goods) ··················································································· 9-43
9.3.6.1 위험물 운송에 대한 승인을 받지 아니한 항공기운영자 ····································· 9-43
9.3.6.2 위험물을 운송하는 항공기운영자 ············································································· 9-44
9.3.6.3 정보의 제공 ··················································································································· 9-45

부 칙 ······························································································································ 9-45

37
제1 장 총 칙
(General)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제1장 총칙(General)

1.1 규정의 구성
1.1.1.1 목적(Objectives)
이 기준은 항공법 제74조의2의 규정에 의하여 법과 국제민간항공조약 및 동조약 부속서에
서 정한 범위 안에서 항공기 소유자 등 및 항공종사자가 준수하여야 할 최소의 안전기준을
정하여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확보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1.1.1.2 적용(Applicability)
가. 이 기준(이하 “규정”이라 한다)은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항공기를 소유 또는 운용
하는 자에게 적용된다.
1) 대한민국에 등록된 항공기
2) 대한민국의 항공운송사업 면허를 받은 자가 운용하는 국제민간항공조약(이하 "조약"이
라 한다) 체약국에 등록된 항공기(이 경우 조약 83조의2의 규정에 의하여 국가 간의
협정에 의하여 항공기에 대한 정비는 등록국의 규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3) 대한민국 안에서 운용하고 있는 대한민국이 아닌 조약 체약국에 등록된 항공기
나. 이 규정에서 정한 일반요건은 대한민국 안에서 운항하는 모든 민간 항공기에 적용하되
운항증명 소지자에게만 적용되는 특정요건(운영기준 등 항공당국(이하 “항공당국”으로
한다)으로부터 인가받은 요건)이 일반요건과 상충될 경우에는 특정요건을 우선 적용한
다.
다. 이 규정은 적절한 증명(서), 승인서, 운영기준 등의 소지자 및 민간 항공업무에 종사하
는 모든 자에게 적용된다.
라. 이 규정은 법에 따라 항공기등, 장비품 및 부품의 설계, 제작, 정비 및 개조등에 대한
증명(승인 또는 인가) 신청자 및 소지자에게 적용된다.
마. 이 규정은 항공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자의 훈련을 담당하는 항공훈련기관을 운영하는
자에게 적용한다.

1.1.1.2.1 유효기간(Duration)
이 고시는 「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대통령훈령 제248호)에 따라 이 고
시를 발령한 후의 법령이나 현실 여건의 변화 등을 검토하여야 하는 2017년 12월 31일까
지 효력을 가진다.

1.1.1.3 규정의 구성(Organization of Regulations)


가. 이 규정은 6단계의 번호체계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 주 제목 : 한 자리 숫자(1)
2) 주 제목의 부제목 : 두 자리 숫자(1.1)
3) 부제목의 소제목 : 세 자리의 숫자(1.1.1)
4) 소제목의 각 항목 : 네 자리의 숫자(1.1.1.1)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5) 새롭게 첨가될 제목 및 항목 : 문자로 표시 (1.1.1.A, 1.1.1.1.A)


6) 각 항목의 규정 : 가. 1), 가), ①, ㉮
나. 이 규정에서 사용되는 정의는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
1) 2개 이상의 장에서 사용되는 정의는 제1장의 “정의”에 수록한다.
2) 1개의 장에 해당되는 정의는 해당 장에 수록한다.
3) 법에 수록된 정의는 본 규정의 정의에 수록하지 않는다.
4) 그 밖에 이 규정에서 사용한 용어중 정의되지 않은 용어는 법, 동법 시행령(이하 “시행
령”이라 한다), 동법 시행규칙(이하 “시행규칙”이라 한다), 조약 및 동 조약 부속서에
서 규정된 용어의 정의를 적용한다.

1.1.1.4 용어의 정의(Definitions)


이 규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감항성 확인(Airworthiness release)”이란 항공기운영자가 지정한 사람이 항공기운
영자의 항공기에 대하여 정비작업 후 사용가능한 상태임을 확인하고 문서에 서명하는
것을 말한다.
2) “감항성 확인요원(Certifying staff)”이라 함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할 수 있는 절차
에 따라 정비조직(AMO)에 의해 항공기 또는 항공기 구성품의 감항성 확인 등을 하도
록 인가된 자를 말한다.
3) “감항성자료(Airworthiness data)”라 함은 항공기 또는 장비품(비상장비품 포함)을 감
항성이 있는 상태 또는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을 보증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료를 말한다.
4) “계기시간(Instrument time)”이란 조종실 계기가 항법 및 조종을 위한 유일한 수단으
로 사용되는 시간을 말한다.
5) “계기비행기상상태(Instrument Meteorological Conditions, IMC)”라 함은 시계비행기
상상태로 규정된 것 미만의 시정, 구름으로부터의 거리 및 운고(ceiling)로 표현되는
기상상태를 말한다.
6) “계기접근절차(Instrument approach procedures)”라 함은 해당 공항의 관할권을 가
진 당국자가 정한 접근절차를 말한다.
7) “계기훈련(Instrument training)”이라 함은 실제 또는 모의계기기상상태에서 인가 받
은 교관으로부터 받는 훈련을 말한다.
8) “기구(Balloon)”라 함은 무동력 경(輕)항공기(Lighter-than-air Aircraft)의 하나로서
가스를 이용해 부양하는 비행기기를 말한다.
9) 고도측정시스템오차(Altimetry system error (ASE)) : 표준지표기압고도로 고도계를
설정했을 때 조종사에게 전시되는 기압고도와 실제 기압고도 간의 차이
10) "기상정보(Meteorological information)”라 함은 현재 또는 예상되는 기상상황에 관
한 기상보고서, 기상분석, 기상예보 및 그 밖의 기상관련 자료(statements)를 말한다.
11) "기압고도(Pressure Altitude)"라 함은 표준대기 상태에서 고도별“기압”에 해당되는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고도로서 표시하는 대기기압을 말한다.


12) “기장(Pilot in command)”이라 함은 비행중 항공기의 운항 및 안전을 책임지는 조종
사로서 항공기 운영자에 의해 지정된 자를 말한다.
13) “기체(Airframe)”라 함은 항공기의 동체, 지주(boom), 낫셀, 카울링, 페어링, airfoil
surfaces(프로펠러 및 동력장치의 회전 에어포일을 제외한 회전날개 포함), 착륙장
치, 보기 및 제어장치를 말한다.
14) “단독비행(Solo flight)”이라 함은 조종훈련생이 항공기를 단독 탑승자로서 점유하고
있는 비행시간 또는 조종훈련생이 한 사람 이상의 운항승무원 탑승이 요구되는 기구
또는 비행선의 기장(PIC)으로서 활동한 비행시간을 말한다.
15) “당국의 인가(또는 승인)(Approved by the Authority)”이라 함은 당국이 직접 인가
하거나 또는 당국이 인가한 절차에 따라 인가하는 것을 말한다.
16) “당국(또는 항공당국) (Authority)“이라 함은 국토교통부 또는 외국의 민간 항공당국
을 말한다.
17) “대형비행기(Large aeroplane)”라 함은 최대인가이륙중량 5,700킬로그램(12,500파
운드)이상인 비행기를 말한다.
18) “동승비행훈련시간(Dual instruction time)”이라 함은 항공기에 탑승하여 인가된 조
종사로부터 비행 훈련을 받는 비행시간을 말한다.
19) “등록국가(State of Registry)”라 함은 해당 항공기가 등록되어 있는 국제민간항공조
약의 체약국가를 말한다
20) "모의비행훈련장치(Flight Simulation Training Device)"라 함은 지상에서 비행 상태
를 시뮬레이션(simulation)하는 다음 형식의 장치를 말한다.
가) 모의비행장치(Flight simulator) : 기계, 전기, 전자 등 항공기 시스템의 조작기능, 조
종실의 정상적인 환경, 항공기의 비행특성과 성능을 실제와 같이 시뮬레이션 하는
특정 항공기 형식의 조종실을 똑같이 재현한 장치
나) 비행절차훈련장치(Flight procedures trainer) : 실제와 같은 조종실 환경을 제공하
며, 특정 등급 항공기의 계기 반응 및 전자, 전기, 기계적인 항공기 시스템의 간단한
조작, 비행특성과 성능을 시뮬레이션 하는 장치
다) 기본계기비행훈련장치(Basic instrument flight trainer) : 적절한 계기를 장착하고,
계기비행상태에서 비행 중인 항공기의 조종실 환경을 시뮬레이션 하는 장치
21) "엔진(Engine)"이란 항공기의 추진을 위하여 사용되는 또는 사용되도록 만들어진 장
치를 말한다. 프로펠러와 로터를 제외하고 최소한 그 기능 및 제어에 필요한 부품과
장비로 이루어진다.
주.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power-unit” 및 "powerplant”는 모두 "engine”을 의미한
다. 다만 APU(Auxiliary Power Unit)-보조동력장치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
하다.
22) “부기장(Co-pilot)”이란 기장 이외의 조종업무를 수행하는 자 중에서 지정된 자로서
본 규정 제8장(항공기 운항)에서 정하는 부조종사 요건에 부합하는 자를 말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23) “비행경험(Aeronautical experience)”이라 함은 이 규정의 훈련 및 비행시간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항공기, 지정된 모의비행장치 또는 비행 훈련장치를 조종한 시간
을 말한다.
24) "항공기 운영교범(Aircraft Operating Manual)"이라 함은 정상, 비정상 및 비상절차,
점검항목, 제한사항, 성능에 관한 정보, 항공기 시스템의 세부사항과 항공기 운항과
관련된 기타 자료들이 수록되어 있는 항공기 운영국가에서 승인한 교범을 말한다.
25) "비행교범(Flight Manual)" 이라함은 항공기 감항성 유지를 위한 제한사항 및 비행성
능과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해 운항승무원들에게 필요로 한 정보와 지침을 포함한
감항당국이 승인한 교범을 말한다.
26) “비행기(Aeroplane)”라 함은 주어진 비행조건 하에서 고정된 표면에 대한 공기역학
적인 반작용을 이용하여 비행을 위한 양력을 얻는 동력 중(重)항공기를 말한다.
27) "비행기록장치(Flight Recorder)"라 함은 사고/준사고 조사에 도움을 줄 목적으로 항
공기에 장착한 모든 형태의 기록 장치를 말한다.
28) "비행안전문서시스템(Flight safety documents system)"이라 함은 항공기의 비행
및 지상운영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취합하여 구성한 것으로, 최소한 운항규정 및 정
비규정(MCM)을 포함하여 상호 연관성이 있도록 항공기 운영자가 수립한 일련의 규
정, 교범, 지침 등의 체계를 말한다.
29) "비행자료분석(Flight Data Analysis)"이라 함은 비행안전을 증진하기 위해 기록된
비행자료를 분석하는 과정(process)을 말한다.
30) "비행전점검(Pre-flight inspection)"이라 함은 항공기가 의도하는 비행에 적합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행전에 수행하는 점검이다.
31) "비행훈련(Flight training)"이라 함은 지상훈련 이외의 훈련으로서 비행중인 항공기
에서 인가받은 교관으로부터 받는 훈련을 말한다.
32) “소형비행기(Small aeroplane)”라 함은 인가된 최대인가이륙중량이 5,700킬로그램
(12,500파운드) 미만인 비행기를 말한다.
33) “수리(Repair)”라 함은 항공기 또는 항공제품을 인가된 기준에 따라 사용 가능한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을 말한다.
34) "수직이착륙기(Powered-lift)"라 함은 주로 엔진으로 구동되는 부양장치 또는 엔진
추력에 의해 양력을 얻어 수직이륙, 수직착륙 및 저속비행 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평
비행 중에는 회전하지 않는 날개에 의하여 양력을 얻는 중(重)항공기(Heavier-
than-air Aircraft)를 말한다.
35) “승무시간(Flight Time)"이라 함은 승무원이 비행임무 수행을 위하여 항공기에 탑승
하여 이륙을 목적으로 항공기가 최초로 움직이기 시작한 시각부터 비행이 종료되어
최종적으로 항공기가 정지한 시각까지 경과한 총시간을 말한다.
주. Flight Time은 Block to block 또는 Chock to chock로도 정의하며, “비행시간”
이라고도 한다.
36) "순항고도(Cruising level)"라 함은 비행 중 어느 상당한 기간 동안 유지하는 고도를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말한다.
37) “승무원자원관리(Crew Resource Management) 프로그램”이라 함은 승무원 상호협
력 및 의사소통의 개선을 통하여 인적자원, 하드웨어 및 정보를 가장 효과적으로 사
용케 함으로서 안전운항능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말한다.
38) “시험관(Examiner)”이라 함은 이 규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조종사 기량점검, 항공
종사자 자격증명 및 한정자격 부여를 위한 실기시험 또는 지식심사를 실시하도록 국
토교통부장관이 임명하거나 지정한 자를 말한다.
39) "실기시험(Practical test)"이라 함은 자격증명, 한정자격 또는 인가 등을 위하여 응
시자로 하여금 지정된 모의비행장치, 비행훈련장치 또는 이러한 것들이 조합된 장치
에 탑승하여 질문에 답하고 비행중 항공기 조작을 시범 보이도록 하는 등의 능력검정
을 말한다.
40) “안전관리시스템(Safety Management System)"이라 함은 정책과 절차, 책임 및 필
요한 조직구성을 포함한 안전관리를 위한 하나의 체계적인 접근방법을 말한다.
41) “안전프로그램(Safety Programme)"이라 함은 안전을 증진하는 목적으로 하는 활동
및 이를 위한 종합된 법규를 말한다.
42) “야간(Night)”이라 함은 저녁 해질 무렵의 끝과 아침 해뜰 무렵의 시작사이 또는 일
몰과 일출사이의 시간을 말한다. 박명은 저녁 무렵 태양의 중심이 지평선 6도 아래에
있을 때 끝나고 아침 무렵 태양의 중심이 지평선 6도 아래에 있을 때 시작된다.
43) “야외비행시간(Cross-country time)”이라 함은 조종사가 항공기에서 비행중 소비하
는 시간으로서 출발지 이외 1개 지점에서의 착륙을 포함한다. 이 경우 자가용조종사
자격증명(회전익항공기의 한전자격은 제외) 사업용조종사 자격증명 또는 계기비행 증
명에 대한 야외비행요건의 충족을 위하여는 출발지로부터 직선거리 50해리 이상인 공
항에서의 착륙을 포함해야 한다.
44) “여압항공기(Pressurised aircraft)”라 함은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시 항공기의 최대운
항고도가 25,000피트 MSL 이상인 항공기를 말한다.
45) “운항관리사(Flight Dispatcher)"라 함은 안전비행을 위해 법에 의한 적절한 자격을
갖추고 운항감독 및 통제업무에 종사하기 위해 운송사업자에 의해 지정된 자를 말한다.
46) “운항승무원(Flight Crew Member)"이라 함은 비행근무시간(Flight Duty Period)동
안 항공기 운항에 필수적인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책임이 부여된 자격을 갖춘 승무
원(조종사, 항공기관사, 항공사)을 말한다.
47) "운영자(Operator)"라 함은 항공기 운영에 종사하거나 또는 종사하고자 하는 사람,
단체 또는 기업을 말한다.
48) "운영국가(State of the Operator)"라 함은 운영자의 주 사업장이 위치해 있거나 또
는 그러한 사업장이 없는 경우 운영자의 영구적인 거주지가 위치해 있는 국가를 말한
다.
49) "운항규정(Operations manual)"이라 함은 운항업무 관련 종사자들이 임무수행을 위
해서 사용하는 절차, 지시, 지침을 포함하고 있는 운영자의 규정을 말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50) "운항증명서(Air Operator Certificate)"라 함은 지정된 상업용 항공운송을 시행하기


위해 운영자에게 인가한 증명서를 말한다.
51) "운항통제(Operational control)"라 함은 항공기의 안전성과 비행의 정시성 및 효율
성 확보를 위하여 비행의 시작, 지속, 우회 또는 취소에 대한 권한을 행사하는 것을
말한다.
52) "인가된 교관(Authorized instructor)"이라 함은 다음과 같은 자를 말한다.
가) 지상훈련을 행하는 경우, 이 규정의 제2장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발급 받은 유효한
지상훈련교관 자격증을 소지한 자.
나) 비행훈련을 행하는 경우, 이 규정의 제2장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발급 받은, 유효한
비행교관 자격증을 소지한 자
53) "위험물(Dangerous goods)"이라 함은 법 및 위험물운송기술기준상의 위험물 목록에
서 정하였거나, 위험물운송기술기준에 따라 분류된 인명, 안전, 재산 또는 환경에 위
해를 야기할 수 있는 물품 또는 물질을 말한다.
54) "인적수행능력(Human performance)"이라 함은 항공학적 운영(항공업무 수행)의 효
율성과 안전에 영향을 주는 인간의 능력과 한계를 말한다.
55) "인적요소의 개념(Human Factor principles)"이라 함은 인적수행능력을 충분히 고려
하여 인간과 다른 시스템 요소간의 안전한 상호작용을 모색하고 항공학적 설계, 인
증, 훈련, 조작 및 정비에 적용하는 개념을 말한다.
56) "인가된 기준(Approved standard)"이라 함은 당국이 승인한 제조, 설계, 정비 또는
품질기준 등을 말한다.
57) "인가된 훈련(Approved training)"이라 함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인가한 특별 교육과
정 및 감독아래 행해지는 훈련을 말한다.
58) "장비(Appliance)"라 함은 항공기, 항공기 발동기, 및 프로펠러 부품이 아니면서 비행
중인 항공기의 항법, 작동 및 조종에 사용되는 계기, 장비품, 장치(Apparatus), 부품,
부속품, 또는 보기(낙하산, 통신장비 그리고, 기타 비행중에 항공기에 장착되는 장치
포함)를 말하며, 실제 명칭은 여러가지가 사용될 수 있다.
59) "장애물 격리(회피)고도/높이(Obstacle clearance altitude(OCA) or Obstacle
clearance height (OCH))"라 함은 적정한 장애물 격리(회피)기준을 제정하고 준수하
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당해 활주로 말단의 표고(또는 비행장 표고)로부터 가장 낮
은 격리(회피)고도(OCA) 또는 높이(OCH)를 말한다.
주1. OCA는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하고, OCH는 활주로말단표고를 기준으로 하되,
비정밀계기접근절차를 하는 경우 비행장 표고 또는 활주로말단표고가 비행장표
고 보다 2미터(7피트)이상 낮은 경우, 활주로말단표고를 비정밀계기접근절차의
기준으로 한다. 선회접근절차를 위한 OCH는 비행장표고를 기준으로 한다.
주2. 표현의 편의를 위해 “장애물격리(회피)고도”를 “OCA/H”의 약어로도 기술할 수
있다.
60) "정비(Maintenance)"라 함은 항공기 또는 항공제품의 지속적인 감항성을 보증하는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필요한 작업으로서, 오버홀(overhaul), 수리, 검사, 교환, 개조 및 결함수정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작업을 말한다.
61) "정비조직의 인증(Approved Maintenance Organization(AMO)"이라 함은 국토교통
부장관으로부터 항공기 또는 항공제품의 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설비, 인력
등을 갖추어 승인 받은 조직을 말한다. 지정된 항공기 정비업무는 검사, 오버홀, 정비,
수리, 개조 또는 항공기 및 항공제품의 사용가능 확인(Release to service)을 포함할
수 있다.
62) "정비규정(Maintenance Control Manual)"이라 함은 항공기에 대한 모든 계획 및 비
계획 정비가 만족할 만한 방법으로 정시에 수행되고 관리되어짐을 보증하는데 필요
한 항공기 운영자의 절차를 기재한 규정 등을 말한다.
63) "정비조직절차교범(Maintenance Organizations Procedures Manual)"이라 함은 정
비조직의 구조 및 관리의 책임, 업무의 범위, 정비시설에 대한 설명, 정비절차 및 품
질보증 또는 검사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된 정비조직의 장(Head of AMO)에
의해 배서된 서류를 말한다.
64) "정비프로그램(Maintenance Programme)"이라 함은 특정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해
필요한 신뢰성 프로그램과 같은 관련 절차 및 주기적인 점검의 이행과 특별히 계획된
정비행위 등을 기재한 서류를 말한다.
65) "정비확인(Maintenance release)"이란 정비작업이 인가된 자료와 제6장에 따른 정비
조직절차교범의 절차 또는 이와 동등한 시스템에 따라 만족스럽게 수행되었음을 확인
하고 문서에 서명하는 것을 말한다.
66) "지상조업(Ground handling)"이라 함은 공항에서 항공교통관제서비스를 제외한 항공
기의 도착, 출발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를 말한다.
67) "향(向) 정신성 물질(Psychoactive substances)"이라 함은 커피 및 담배를 제외한
알코올, 마약성 진통제, 마리화나 추출물, 진정제 및 최면제, 코카인, 기타 흥분제, 환
각제 및 휘발성 솔벤트 등을 말한다.
68) "조종시간(Pilot time)"이라 함은 다음과 같은 시간을 말한다.
가) 임무조종사로서 종사한 시간
나) 항공기, 지정된 모의비행장치 또는 비행훈련장치를 사용하여 인가 받은 교관으로부
터 훈련을 받은 시간
다) 항공기, 지정된 모의비행장치 또는 비행훈련장치를 사용하여 인가 받은 교관으로서
훈련을 시키는 시간
69) "지속정비 프로그램(Approved continuous maintenance program)의 승인"이라 함
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정비 프로그램을 말한다.
70) "최대중량(Maximum mass)"라 함은 항공기 제작국가에 의해 인증된 최대 이륙중량
을 말한다.
71) “지식심사(Knowledge test)”라 함은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또는 한정자격에 필요한
항공 지식에 관한 시험으로 필기 또는 컴퓨터 등에 의해 시행하는 심사를 말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72) "책임 관리자(Accountable manager)"라 함은 이 규정에서 정한 모든 요건에 필요한


임무를 수행하고 관리책임이 있는 자를 말한다. 책임 관리자는 필요에 따라 권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조직 내의 제3자에게 문서로 재 위임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위임을
받은 자는 해당 분야에 관한 책임 관리자가 된다.
73) “체약국(Contracting States)”이라 함은 국제민간항공조약에 서명한 모든 국가를 말
한다.
74) “최소장비목록(Minimum equipment list (MEL)”이라 함은 정해진 조건하에 특정 장
비품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항공기 운항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다. 이 목록은 항
공기 제작사가 해당 항공기 형식에 대하여 제정하고 설계국이 인가한 표준최소장비
목록(Master Minimum Equipment List)에 부합되거나 또는 더 엄격한 기준에 따라
운송사업자가 작성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은 것을 말한다.
75) “계기접근운영(Instrument approach operations)"이라 함은, 계기접근절차에 근거
한 항법유도(Navigation Guidance)계기를 사용하는 접근 및 착륙을 말한다. 계기접
근운영은 두가지 방법이 있다.
가. 2차원(2D) 계기접근운영은 오직 수평유도항법을 이용한다.
나. 3차원(3D) 계기접근운영은 수평 및 수직유도항법을 이용한다.
주 - 수평 및 수직 유도항법은 다음과 같은 시설, 장비 등에 의해 제공된다.
1) 지상에 설치된 항행안전시설 또는
2) 지상기반, 위성기반, 자체항법장비 또는 이들은 혼합하여 컴퓨터가 생성한 항
행데이타
75A) “계기접근절차(Instrument Approach Procedure)"이라 함은, 초기접근지점(Initial
approach fix) 또는 해당되는 경우 정의된 착륙 경로의 시작 지점에서 착륙 완료
지점 및 그 후 지점, 만약 착륙이 완료되지 않으면 체공 지점 또는 항로 장애물 회
피 기준을 적용한 지점까지 장애물 회피가 명시된 계기를 참조하여 미리 결정된 연
속기동을 말한다. 계기접근절차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비정밀접근절차(Non-precision approach procedure) : 2D 계기접근 운영 Type A
를 위해 설계된 계기접근절차
수직유도정보에 의한 접근절차 : 3D 계기접근 운영 Type A를 위해 설계된 성능기
반항행(PBN) 계기접근 절차
정밀접근절차 : 3D 계기접근절차 운영 Type A 또는 B를 위해 설계되고 항행시스
템(ILS, MLS, GLS and SBAS Cat I)에 기반을 둔 계기접근절차
76) "최저강하고도/높이(Minimum descent altitude (MDA) or minimum descent
height(MDH))"라 함은 2D 접근운영 또는 선회 접근 시에 시각 참조물 없이 더 이상
아래로 강하하지 못하도록 지정된 어느 특정의 고도 또는 높이를 말한다.
주1. MDA는 평균해면 고도를 기준으로 하고, MDH는 비행장표고 또는 활주로 말단고
도가 비행장표고보다 2미터(7피트)이상 낮은 경우 활주로 말단고도를 기준으로
한다. 선회접근을 하기 위한 최저 강하고도는 비행장표고를 기준으로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주2. 필수시각 참조물은 지정된 비행경로와 관련하여 조종사가 항공기 위치 및 자세변


경에 따른 강하율을 평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동안 보여야 하는 시각 보조장
비 또는 접근지역의 지형 등을 의미한다. 선회접근의 경우 시각 참조물은 활주로
주변 환경이 된다.
주3. 표현상의 편의를 위해 “최저강하고도”를 “MDA/H”의 약어로도 기술할 수 있다.
77) "코스웨어(Courseware)"라 함은 과정별로 개발된 교육용 자료로서 강의계획, 비행상
황소개(Flight event description),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오디오-비주얼 프로
그램, 책자 및 기타 간행물을 포함한다.
78) "평가관(Evaluator)"이라 함은 지정된 항공훈련기관에 의해 고용된 자로서 해당 조직
의 훈련기준에 의해 인가된 자격증명시험, 한정자격시험, 인가업무 및 기량점검 등을
실시하며,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 업무를 수행하도록 위촉하거나 임명한 자를 말하
며, 평가관 중에서 법 제51조의 규정에 의한 운항자격 심사업무를 수행하는 자는 위
촉심사관이라 한다.
79) “프로펠러(Propeller)”라 함은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축에 깃(blade)이 붙어 있고,
이것이 회전할 때 공기에 대한 작용으로 회전면에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추력을 발생
시키는 항공기 추진용 장치를 말한다.
80) <삭 제, 2009.12. 8>
81) <삭 제, 2009.12. 8>
82) “한정자격(Rating)”이라 함은 자격증명에 직접 기재하거나 자격증명의 일부로 인가
하는 것으로서 해당 자격증명과 관련하여 특정조건, 권한 또는 제한사항 등을 정하여
명시한다.
83) “항공교통관제(Air Traffic Control) 업무”라 함은 공항, 이․착륙 또는 항로상에 있는
항공기의 안전하고, 질서 있고 원활한 교통을 도모하기 위하여 행하는 업무를 말한
다.
84) “항공교통관제시설(Air Traffic Control facility)”이라 함은 항공교통관제업무를 위
한 인원 및 장비를 수용하는 건물을 말한다(예, 관제탑, 착륙통제 센터 등).
85) “항공기(Aircraft)”라 함은 지표면에 대한 공기의 반작용 이외의 공기의 반작용으로부
터 대기 중에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는 기계를 말한다.
86) “항공기 구성품(Aircraft component)”이라 함은 동력장치, 작동중인 장비품 및 비상
장비품을 포함하는 항공기의 구성품(component part)을 말한다.
87) “항공기 형식(Aircraft type)”이라 함은 동일한 기본설계로 제작된 항공기 그룹을 말
한다.
88) "탑재용항공일지”라 함은 항공기에 탑재하는 서류로서 국제민간항공조약의 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정보를 수록하기 위한 것을 말한다. 항공일지는 두개의 독립적인 부분
즉 비행자료 기록부분과 항공기 정비기록 부분으로 구성된다.
89) “항공제품(Aeronautical product)”이라 함은 항공기,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 또는 이
에 장착되는 부분조립품(subassembly), 기기, 자재 및 부분품 등을 말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90) "활공기(Glider)"라 함은 주어진 비행조건에서 그 양력을 주로 고정된 면에 대한 공


기역학적인 반작용으로부터 얻는 무동력 중(重)항공기(Heavier-than-air Aircraft)
를 말한다.
91) “활주로 가시범위(Runway visual range (RVR))”라 함은 활주로 중심선상에 위치하
는 항공기 조종사가 활주로 표면표지(Runway surface markings), 활주로 표시등, 활
주로 중심선 표시(identifying centre line) 또는 활주로 중심선 표시등화를 볼 수 있
는 거리를 말한다.
92) < 삭제: 2014.10.31 >
93) “훈련시간(Training time)”이라 함은 항공종사자가 인가된 교관으로부터 비행훈련
또는 지상훈련이나 지정된 모의비행장치/비행훈련장치를 이용한 모의비행훈련을 받
은 시간을 말한다.
94) "훈련프로그램(Training program)“이라 함은 특정 훈련목표 달성을 위하여 과정, 코
스웨어(Course ware), 시설, 비행훈련장비 및 훈련요원에 관한 사항으로 구성한 프
로그램을 말하며, 핵심 교육과목과 특별 교육과목을 포함할 수 있다.
95) “필수통신성능(Required communication performance(RCP))” 이라 함은 항공교통
관리 (Air Traffic Management : ATM)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항공기 등이 구비해
야 하는 통신성능 요건을 말한다.
96) “필수통신성능의 형식(RCP type)” 이라 함은 통신의 처리시간 ․ 지속성 ․ 유효성과
완전성에 관한 RCP 파라메터를 정하기 위한 값을 나타낸 것을 말한다.
97) “연속비행(Series of flights)”이라 함은 다음과 같은 잇따른 비행을 말한다.
가) 24시간 이내에 비행이 시작 및 종료되고
나) 같은 기장에 의해 모든 것이 수행된 경우
98) “성능기반항행(PBN)”이라 함은 계기접근절차 또는 지정된 공역, ATS(Air Traffic S
ervice) 항로를 운항하는 항공기가 갖추어야 하는 성능요건(performance require
ment)을 기반으로 한 지역항법(area navigation)을 말한다.
주. 성능요건은 특정 공역에서 운항 시 요구되는 정확성, 무결성, 연속성, 이용 가능
성 및 기능성에 관하여 항행요건(RNAV 요건, RNP 요건)으로 표현된다.
99) 지역항법(Area navigation : RNAV)이라 함은 지상 또는 위성항행안전시설의 적용
범위 내 또는 항공기 자체에 설치된 항행안전보조장치(navigation aids)의 성능한
도 내 또는 이들의 혼합된 형식의 항행안전보조장치(navigation aids)의 적용범위
내에서 어느 특정성능이 요구되는 비행구간에서 항공기의 운항이 가능하도록 허용
한 항행방법(a method of navigation)을 말한다.
주. 지역항법은 성능기반항행 및 성능기반항행의 요건에 포함되지 않은 항행도 포함
한다.
100) 항행요건(Navigation specification)이라 함은 지정된 공역에서 성능기반항행(PB
N) 운항을 하기 위해 요구되는 항공기와 운항승무원의 요건을 말하는 것으로, 다
음 두 종류가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가) RNP 요건(RNP specification). RNP 4, RNP 접근 등 접두어 RNP에 의해 지정되


며, 성능감시 및 경고발령에 관한 요건을 포함하는 지역항법을 기초로 한 항행요

나) RNAV 요건(RNAV specification). RNAV 1, RNAV 5 등 접두어 RNAV에 의해
지정되며, 성능 감시 및 경고에 관한 요건을 포함하지 않은 지역항법을 기반으로
하는 항행요건
101) 운영기준(Operations specifications)이라 함은 AOC 및 운항규정에서 정한 조건과
관련된 인가, 조건 및 제한사항을 말한다.
102) 불법간섭행위(Acts of unlawful interference). 민간항공 및 항공운송의 안전을
위태롭게 하는(또는 시도된) 다음과 같은 행위를 말한다.
가) 비행중 또는 지상에서의 항공기 불법 압류
나) 비행장 또는 항공기에서의 인질납치
다) 항공시설과 관련된 건물 또는 공항 및 항공기의 무단 점유
라) 범죄를 목적으로 위해한 장치 또는 도구, 무기 등을 공항 또는 항공기에 유입
마) 민간항행시설의 건물 또는 공항에서 승객, 승무원, 지상의 사람 또는 일반 공공의
안전 및 비행 중 또는 지상에서 항공기의 안전을 위태롭게 하는 잘못된 정보의 유

103) 기체사용시간(Time in service)이란 정비목적의 시간 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시간
으로 사용 항공기가 이륙(바퀴가 떨어진 순간)부터 착륙(바퀴가 땅에 닿는 순간)
할 때까지의 경과 시간을 말한다.
104) "감항성이 있는(Airworthy)"이란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 또는 부품이 승인받은
설계에 합치하고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를 말한다.
105) "감항성 유지(Continuing Airworthiness)"란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 또는 부품이
적용되는 감항성 요구조건에 합치하고, 운용기간 동안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게
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106) “감항성개선지시서(Airworthiness Directive)”란 법 제15조제8항에 따라 외국으
로 수출된 국산 항공기, 우리나라에 등록된 항공기와 이 항공기에 장착되어 사용
되는 발동기․프로펠러, 장비품 또는 부품 등에 불안전한 상태가 존재하고, 이 상태
가 형식설계가 동일한 다른 항공제품들에도 존재하거나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것
으로 판단될 때, 국토교통부장관이 해당 항공제품에 대한 검사, 부품의 교환, 수
리․개조를 지시하거나 운영상 준수하여야 할 절차 또는 조건과 한계사항 등을 정
하여 지시하는 문서를 말한다.
107) "시각강화장비(Enhanced Vision System; EVS)"란 영상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장면
을 실시간 전자영상으로 보여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주. 시각강화시스템은 야간시각영상화시스템(NVIS)을 포함하지 않는다.
108) "전방시현장비(Head-up Display; HUD)"란 조종사의 전방 외부시야에 비행정보
가 나타나는 시현장치를 말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109) I 등급 항행(Class I Navigation)이란 운항의 전 부분이 국제민간항공기구 표준항


행시설(VOR, VOR/DME, NDB)의 지정된 운영서비스범위 내에서 행해지는 특정
항로 전체 또는 항로 일부분의 운항을 의미한다. 또한 I 등급 항행 운항은 항행시
설의 신호가 일부 수신되지 않는 ”MEA GAP"으로 지정된 항로상의 운항을 포함
하며 이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항로상의 운항은 사용되어지는 항행 방법과는 상관
없이 “I 등급 항행”으로 정의하며 이러한 지역에서의 추측 항행 또는 VOR, VOR/
DME, NDB의 사용에 의지하지 않고 기타 다른 항행 수단을 사용하면서 이루어지
는 운항도 또한 I 등급 항행에 포함된다.
110) II 등급 항행(Class II Navigation)"이란 I 등급 이외의 운항을 말한다. 즉, II 등급
항행은 사용하는 항행 수단에 관계없이 국제민간항공기구 표준항행시설(VOR, VO
R/DME, NDB)의 운영서비스범위 밖에서 이루어지는 특정항로 전체 또는 일부분
에서의 운항을 의미한다. II 등급 항행은 ”MEA GAP"으로 지정된 항로상의 운항
을 포함하지 않는다.
111) “무인항공기(Remotely piloted aircraft)”란 사람이 탑승하지 아니하고 원격·자동
으로 비행할 수 있는 항공기를 말한다.
112) “무인항공기 시스템(Remotely piloted aircraft system)”이란 무인항공기, 무인항
공기 통제소, 필수적인 명령 및 통제 링크 및 형식 설계에서 규정된 기타 구성요소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113) “무인항공기 통제소(Remote pilot station)”란 무인항공기를 조종하기 위한 장비
를 갖추고 있는 무인항공기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말한다.
114) “무인항공기 조종사(Remote pilot)”란 무인항공기 운영자에 의하여 무인항공기의
조종에 필수적인 임무를 부여받은 자로서 무인항공기의 조종을 담당하는 자를 말
한다.
115) “무인항공기 운영자(Remote pilot aircraft operator)”란 무인항공기 운영에 총괄
적인 책임을 지는 개인, 기관 또는 업체의 대표자를 말한다.
116) “무인항공기 감시자(Remotely piloted aircraft observer)”란 무인항공기를 육안으로
감시함으로써 무인항공기 조종사가 무인항공기를 안전하게 조종할 수 있도록 지
원하기 위하여 운영자에 의해 지정되고 훈련을 받아 능력을 갖춘 자를 말한다.
117) “육안 가시선내 비행(Visual line- of-sight operation)” 이란 무인항공기 조종사
또는 무인항공기 감시자가 다른 장비의 도움 없이 무인항공기를 육안으로 직접
보면서 조종하는 것을 말한다.
118) “명령 및 통제 링크(Command and control (C2) link)”란 무인항공기의 비행을
통제하기 위하여 무인항공기와 무인항공기 통제소간의 데이터 링크를 말한다.
119) “탐지 및 회피(Detect and Avoid)”란 항공교통 충돌의 위험성 또는 다른 위험요인
들을 탐지하여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120) “최종접근구간(Final Approach Segment)”이란 착륙을 위해 정렬 및 강하가 수행
되는 계기접근절차 구간을 말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121) “시각통합시스템(CVS)"이란 시각강화시스템(EVS)과 시각합성시스템(SVS)이 제공


하는 영상을 결합하여 보여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122) “운영자물품(COMAT)"이란 운영자가 자신의 목적을 위해 운영자의 항공기에 탑
재한 물질이나 제품을 말한다.
123) “전자비행정보장치(EFB)”란 운항승무원의 항공기 운항 및 비행 근무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비행정보장치의 저장, 갱신, 시현, 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
및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전자정보시스템을 말한다.
124) “공항위치국가(State of the Aerodrome)"란 영토 내에 공항이 위치해 있는 국가
를 말한다.
125) “시각합성시스템(SVS)"이란 조종실에서 보이는 외부장면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합성영상으로 보여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1.2 시험, 자격증명서 및 기타 증명서와 관련한 일반 행정규정(General administrative


rules governing testing, Licenses, and Certificates)
1.2.1.1 자격증명서 및 기타 증명서의 게시 및 검사(Display and inspecting of Licenses
and Certificates)
가.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항공신체검사증명 및 이 규정에 의한 증명서 소지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해당 자격증명서를 소지하거나 두어야 한다.
1) 조종사 자격증명서
가) 국내에 등록된 민간 항공기 조종사는 현재 유효한 조종사 자격증명서를 소지하거나
항공기내에 접근하기 쉬운 곳에 두어야 한다.
나) 국내에 있는 외국등록의 민간 항공기 조종사는 현재 유효한 조종사 자격증명서 소지
자로써 당해 자격증명서를 소지하거나 항공기내에 접근하기 쉬운 곳에 두어야 한다.
2) 조종교육증명을 취득한 자는 해당 업무를 수행할 경우에 당해 자격증명서를 소지하거
나 항공기내 접근하기 쉬운 곳에 두어야 한다.

나. 비행교관 자격증명서를 취득한 자는 해당 업무를 수행할 경우에 당해 자격증명서나 기


타 동등한 서류를 소지하거나 항공기내 접근하기 쉬운 곳에 두어야 한다.

다. 기타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서 : 이 규정에 의하여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서를 취득한 자는


해당 업무를 수행할 경우에 당해 자격증명서를 소지하거나 항공기내 또는 근무지의 접
근하기 쉬운 곳에 두어야 한다.

라. 항공신체검사증명서 : 이 규정에서 요구하는 유효한 항공신체검사증명서를 취득한 자


는 항공업무를 수행할 경우에 당해 증명서를 소지하거나 항공기내에 접근하기 쉬운 곳
에 두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마. < 삭 제>

바. 항공훈련기관인가서 : 항공훈련기관인가서 소지자는 주 사업소에 일반인들이 접근할


수 있고 잘 보이는 곳에 인가서를 전시하여야 한다.

사. 항공기 감항증명서 : 항공기 소유자나 항공운송사업자는 객실내 또는 조종실 입구에 전


시하여야 한다.

아. 소음기준적합증명서 : 항공기 소유자나 항공운송사업자는 객실내 또는 조종실 입구에


전시하여야 한다.

자. 형식증명(승인)서 또는 부가형식증명서 : 소지자는 주 사업소의 일반인들이 접근할 수


있고 잘 보이는 곳에 증명서를 게시하여야 한다.

차. 제작증명서 : 제작증명서 소지자는 주 사업소의 일반인들이 접근할 수 있고 잘 보이는


곳에 인증서를 게시하여야 한다.

카. 항공기기술표준품 형식승인서 : 항공기기술표준품 형식승인서 소지자는 주 사업소의


일반인들이 접근할 수 있고 잘 보이는 곳에 인증서를 게시하여야 한다.

타. 정비조직 인증서 : 정비조직 인증서 소지자는 인증된 정비조직 주 사업소에 일반인들이


접근할 수 있고 잘 보이는 곳에 인증서를 게시하여야 한다.

파. 자격증명의 검사 : 국토교통부장관이 임명한 항공안전감독관 또는 관련공무원이 항공


안전상의 이유로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또는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제시를 요구하는 경
우 항공종사자는 이에 응하여야 한다.

1.2.1.2 이름(명칭) 변경(Change of name)


가. 이 규정에 의한 자격증명서 또는 기타 증명서 소지자가 자격증(인가서 또는 승인서)에
기재된 이름(명칭)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는 다음의 서류를 자격증(인가서 또는 승인서)
를 발급한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교통안전공단이사장이나 법 제31조의2의 규정에 의한
항공전문의사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 법원의 개명허가서
2) 기타 이름(명칭) 변경을 증명할 서류

나.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교통안전공단이사장이나 항공전문의사는 가항에 기재된 서류를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검토하여 그 이름 변경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1.2.1.3 주소 변경(Change of address)


1.2.1.1, 가항 각호의 자격증명서 등의 소지자는 주소(permanent mailing address)변경
시 30일 이내에 서면으로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교통안전공단이사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1.2.1.4 분실 또는 파손된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재발급


(Replacement of a lost or destroyed airman or medical certificate)
가. 이 규정에 의해 발행된 다음의 서류가 분실 또는 파손된 경우에는 교통안전공단이사장
또는 한국항공우주의학협회장(항공신체검사증명 재교부에 한한다)에게 서면으로 재발
급 신청을 하여야 한다.
1)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서
2) 항공신체검사증명서
3) 필기시험 합격통보서

나. 항공종사자 또는 신청인은 신청서에 다음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1) 항공종사자나 신청자의 이름
2) 주소
3) 주민등록번호 또는 여권번호
4) 항공종사자나 신청자의 생년월일 및 출생지
5) 필요한 경우 다음 사항에 관한 제반 정보
가) 자격증명의 종류, 등급, 자격번호, 발행일 및 한정증명
나) 항공기승무원 신체검사일
다) 재발급신청사유 및 필요시 필기시험 일자

다. 항공종사자는 분실 또는 파손된 서류에 대하여 새로운 증명서를 다시 교부 받을 때까


지 이전에 발급되었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를 국토교통부장관, 교통안전공단이사장
또는 항공전문의사로부터 교부 받아 60일까지 지니고 다닐 수 있다.

1.2.1.5 신청서, 증명서, 항공일지, 보고서 또는 기록의 위조, 복제 또는 변조(Falsification,


reproduction, or alteration of applications, certificates, logbooks, reports, or
records)
가. 이 규정에 의해 발급되는 자격증, 증명서, 한정증명, 인가서 및 1.2.1.4에 열거된 신청
서 또는 그 복사본에 대하여 다음 각 호에 의거 위조, 복제 또는 변조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1) 거짓 및 위조 기록
2) 거짓 보고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3) 사기를 목적으로 복제
4) 일체의 변조 등

나. 국토교통부장관은 가항에 규정된 금지행위를 한 자에 대하여 항공종사자 자격증, 증명


서, 한정증명, 인가를 취소하거나 효력의 일시 정지를 명할 수 있다.

1.2.1.6 자격증명서 및 기타 증명서의 포기, 일시 정지 또는 취소의 효력(Surrender,


Suspension, or Revocation of License or Certificate)
가. 이 규정에 의해 발급된 자격증명서 및 기타 증명서가 포기되거나 일시정지, 취소되었다
면 그 효력은 정지된다.

나. 이 규정에 의해 발급된 자격증명서 및 기타 증명서가 포기되거나 취소된 경우에 소지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증명서를 반환하여야 한다. 다만, 일시정지의 경우에는 반환
요청이 있을 경우에 반환하여야 한다.

1.2.1.7 취소 후 재신청(Reapplication After Revocation)


자격증, 증명서, 한정증명, 기타 인가서 등은 취소 후 국토교통부장관이 별도로 인가한 경
우가 아니라면 2년 이내에 신청할 수 없다.

1.2.1.8 일시 정지 후 재신청(Reapplication After Suspension)


자격증, 증명서, 한정증명, 기타 인가서가 일시 정지된 기간 동안 국토교통부장관이 별도로
인가한 경우가 아니라면 그 자격증을 신청할 수 없다.

1.2.1.9 자격증의 자발적인 포기 또는 교환(Voluntary Surrender or Exchange of


License)
가. 이 규정에 의해 발급된 자격증명서 및 기타 증명서 소지자는 다음의 사유로 자격증을
포기할 수 있다.
1) 본인의 취소(신청)
2) 낮은 등급의 자격증 발급에 의한 높은 등급의 자격증 포기
3) 해당 한정증명이 삭제된 경우

나. 자격증을 포기하려는 자는 포기 신청서에 다음의 진술 또는 이와 동등한 내용을 자필


로 기술하고 서명하여야 한다.
 "이 요구는 오로지 본인의 요청에 의한 것이며 다시 자격증명 시험에 합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 자격증(자격증, 한정증명의 이름 기입)이 재 발행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1.2.1.10 항공신체검사 기준에 맞지 아니하게 되어 업무수행을 금지하는 경우 (Prohibition


on Performance During Medical Deficiency)
이 규정에 의해 발급된 항공신체검사증명서를 소지한 자는 다음 기간 중에 해당 항공신체
검사증명서가 요구되는 자격의 업무를 수행하여서는 아니 된다.
1) 해당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요구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질환이 있거나 그 질환이 의심
될 때
2) 해당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요구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질환에 대한 약물 치료나 기타
치료를 받고 있을 때

1.2.1.11 주정음료 등의 측정과 보고(Drug and Alcohol Testing and Reporting)


가. 이 규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자격증, 한정자격, 증명서 또는 권한을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자는 이 규정에 따라 자격증 소지자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으로 다음과 같이
제한 받는다.
1) 중지일 후 1년 동안 자격증, 증명서, 한정자격, 자격 또는 권한이 중지되어진다.
2) 이 규정에 의해 발행된 면허증, 증명서, 한정자격, 자격 또는 권한이 중지 또는 취소되
어진다.

나. 이 규정에 의하여 마약, 마리화나, 또는 진정제 또는 자극제 일종의 재배, 가공, 생산,
판매, 처분, 소지, 이송 또는 수입에 관련된 지역 또는 국제법을 위반한 자는 다음과 같
은 제한을 받는다.
1) 중지 후 1년 동안 자격증, 증명서, 한정자격, 자격 또는 권한이 중지되어진다.
2) 이 규정에 의해 발행된 면허증, 증명서, 한정자격, 자격 또는 권한이 중지 또는 취소되
어진다.

다. 이 규정에 의하여 국토교통부장관 ․ 지방항공청장 또는 항공교통센터장은 소속 공무원


으로 하여금 주정음료 등의 섭취 또는 사용여부를 측정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사
를 요구받고 거절하거나 당국에 의해 요구된 검사결과를 제공하거나 인정하기를 거부
하는 자는 다음과 같은 제한을 받는다.
1) 거부일 후 1년 동안 자격증, 증명서, 한정자격, 자격 또는 권한이 중지되어진다.
2) 이 규정 하에서 발행된 면허증, 증명서, 한정자격, 자격 또는 권한이 중지 또는 취소되
어진다.

1.3 예외적용(Exemptions and Equivalent Safety case)


1.3.1.1 예외적용(Exemptions and Equivalent Safety Case)
국토교통부장관은 항공기 안전운항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이 규정에
서 규정한 것에 위배되는 기술절차를 제공하여서는 아니 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1.4. 협조(Coordination on certification, licensing and approval activities)


국토교통부장관(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권한을 위임받은 자)이 본 규정에 의거 증명, 허가,
승인, 인가 등의 업무를 수행할 경우, 관련부서(또는 기관)와 충분한 협의를 거쳐 업무를
진행하여야 한다.

1.5. 항공법령과의 관계(The relation between Flight Safety Regulation and Aviation
legislation)
항공법령에서 규정한 기준과 운항기술기준에서 규정한 기준이 해석상 오류 등으로 인해 상
충될 경우, 항공법령의 기준을 우선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1.6 운항기술기준 관리(Control and Amendments of Flight Safety Regulations)


가. 항공기 소유자, 항공운송사업자 및 항공훈련기관 등은 최신 운항기술기준 사본을 소속 항
공종사자 등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무실 또는 접근이 용이한 적절한 공간에 비치
하거나 전자매체 등을 활용하여 관련 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나. 항공기 소유자, 항공운송사업자 및 항공훈련기관 등은 운항기술기준을 항상 최신 상태


로 개정 ․ 관리하여야 한다.

다. 국토교통부장관은 소속 공무원 및 지방항공청 소속 공무원들의 운항기술기준 개정관


리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1.7 외국의 법규준수(Compliance with Local Regulation)


가. 항공기 운영자는 국외로 나가는 승무원에게 운항하고자 하는 지역, 항행시설 등에
관하여 직무수행 상 필요한 법, 규정, 절차 등을 준수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
해야 한다.

나. 항공기 운영자와 기장은 항공기가 운항하고 있는 국가의 관련 법규, 규정 및 절차를


준수하여야 한다.

다. 기장은 통과지역, 이용비행장, 해당 지역의 항행안전시설에 관한 법, 규정, 절차 중에


서 자신의 업무수행과 관련이 있는 것은 반드시 숙지하여야 하며, 다른 운항승무원
에게도 항공기 운항에 관해 각자의 업무수행과 관련이 있는 법, 규정, 절차를 숙지하
도록 하여야 한다.

라. 기장은 항공기 또는 탑승자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는 비상상황으로 인하여 운항


하고 있는 국가의 규정 또는 절차를 위반한 경우 다음 각호와 같이 조치하여야 한
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1) 지체 없이 해당 국가의 관련 당국에 통보
2) 사건발생 국가의 요청이 있을 시 당해 상황에 대한 보고서 제출
3) 사건발생 국가에 제출한 보고서 사본을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

마. 기장은 10일 이내에 상기 다항의 보고서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한다.

바. 항공기 운영자 또는 기장은 항공기가 운항하고 있는 국가의 항공당국 및 항공교통


관제기관으로 부터 지적을 받은 등의 경우 그 내용을 2주 이내에 국토교통부장관에
게 보고하여야 한다.

1.8 외국 항공운송사업자의 국내법규 준수(Compliance with laws, regulations and


procedures by a foreign operator)
가. 항공기의 안전운항과 관련한 대한민국의 법규를 외국인 항공운송사업자가 미 이행한
것(또는 미 이행이 의심되는 경우)을 인지하였거나, 또는 외국인 항공운송사업자의
심각한 안전문제를 항공당국이 인지한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은 당해 외국인 항공
운송사업자에게 동 위규사실(또는 안전저해 요인)을 통지하여야 하며, 항공법규 등을
위반한 경우 법 제131조 및 제147조의2에 따라 과징금 부과 또는 항공기 운항정지
또는 항공종사자 업무 정지 등의 행정처분을 할 수 있다.

나. 국토교통부장관은 가항에 따라 통지한 내용을 필요시 당해 외국 항공기의 등록 및


운영국가의 항공당국에도 통보할 수 있다.

다. 나항에 따라 외국의 항공당국에 통보하고자 할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은 당해 외국


항공운송사업자가 준수해야 하는 안전기준에 관하여 당해 외국 항공당국과 협의할
수 있다.
주. ICAO Doc 8335(인증 및 지속적인 감독, 운항검사 절차에 관한 매뉴얼)는 외국
항공운송사업자에게 시행해야 하는 운항감독에 관한 지침을 제공한다.

1.9 항공안전감독관의 긴급보고 등


가. 항공안전감독관은 법 제15조제6항 및 제153조제3항, 제4항의 규정에 의하여 점검
중에 긴급한 조치를 취하지 아니할 경우 항공기의 안전운항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안전저해요소를 발견하거나 항공업무 종사자가 항공법(이하 “법”이라 한
다.) 또는 동 법에 의한 명령에 위반한 사실을 발견하였을 때에는 다음의 조치를 취
할 수 있다.
1) 안전저해요소를 제거할 때까지 항공기의 운항을 중지
2) 해당 항공업무 종사자의 업무수행을 중지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나. 감독관은 가항의 규정에 의한 조치를 하고자할 때는 이를 유 ․ 무선으로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즉시 보고하여야 한다.

1.10 공해상에서의 비행규칙(Compliance with Annex 2 over the high seas airspace)
항공운송사업자 또는 기장은 공해상공에서 「국제민간항공조약」 부속서 2의 규정에 따
라 비행하여야 한다.
제2장 자격증명
(Personal licensing)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제2장 자격증명(Personal licensing)

2.1 일반 자격증명 요건(General Licensing Requirements)


2.1.1 일반(General)
2.1.1.1 적용(Applicability)
가. 이 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규정한다.
1) 항공종사자 자격증명과 이에 따르는 한정 및 허가서를 발행하기 위한 요건
2) 자격증명, 한정 및 허가서가 필요한 경우
3) 자격증명, 한정 및 허가서 소지자의 권한

2.1.1.2 자격요건의 정의(Definitions of Licensing Requirements)


이 장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기장시간"이라 함은 항공기가 운항하는 동안 항공기에 대한 모든 책임을 맡은 전체
시간을 말한다.
2) “비행훈련장비(Flight training equipment)”라 함은 모의비행장치(flight simulator),
비행훈련장치(flight training device) 및 항공기(Aircraft)를 말한다.
3) “부기장(Co-pilot) 시간”이란 기장시간 이외의 비행시간을 말한다.
4) “최신비행훈련장치(Advanced flight training device)”라 함은 특정한 항공기에 대
한 구조, 모델 및 형식의 항공기 조종실과 실제 항공기와 동일한 조종장치를 가지는
조종실 모의훈련장치를 말한다.
5) “한정자격(Rating)“이라 함은 자격증명서에 기재되어있거나 자격증명내용과 관련된
것으로서 특권 또는 제한사항을 규정하는 자격의 일부를 말한다.
6) “항공교통관제사 근무좌석(Operating position)“이라 함은 직접 또는 일련의 시설에
서 항공교통관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소를 말한다.
7) “항공전문의사”란 법 제31조의2 및 시행규칙 제98조의 규정에 따라 항공의학에 관
한 전문교육을 이수하고 전문의 또는 의사로서 항공의학분야에서 5년 이상의 경력이
있는 의사 중 국토교통부장관이 항공신체검사증명 업무를 수행 하도록 지정한 의사
를 말한다.

2.1.2 자격증명, 한정자격, 허가서(License, Ratings, and Authorizations)


2.1.2.1 적용(Applicability)
이 절은 정부가 발행하는 자격증명, 한정, 허가서를 설명하고 발급을 위한 시험실시와
유효화 절차를 규정한다.

2.1.2.2 자격증명 발행(Licenses Issued)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은 법 제26조의 규정에 의하여 다음 각 호와 같이 분류하여 발행할
수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1) 조종사 자격증명
가) 조종연습허가서
나) 경량항공기 조종사
다) 부조종사(MPL)
라) 자가용 조종사
마) 사업용 조종사
바) 운송용 조종사
2) 항공기관사 자격증명
3) 항공교통관제사 자격증명
4) 항공정비사 자격증명
5) <삭 제, 2009.12. 8>
6) 운항관리사 자격증명
7) 항공사 자격증명

2.1.2.3 한정자격 발행(Ratings Issued)


가. 조종사 한정자격은 다음 각 호와 같이 구분하여 발행할 수 있다.
1) 항공기 종류 한정자격(Aircraft category rating)
가) 비행기
나) 회전익 항공기
다) 활공기
라) 비행선
마) 항공우주선
2) 항공기 등급 한정자격(Aircraft class rating)
가) 육상단발(Single-engine, land)
나) 수상단발(Single-engine, sea)
다) 육상다발(Multi-engine, land)
라) 수상다발(Multi-engine, sea)
마) 활공기의 경우 상급(활공기가 특수 또는 상급활공기인 경우) 및 중급(활공기가 중
급 또는 초급활공기인 경우)
3) 항공기 형식의 한정자격
가) 비행교범에 2사람 이상의 조종사가 필요한 항공기
나) 가목 외에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하는 형식의 항공기
4) 계기비행증명
가) 계기-비행기(Instrument Aeroplane)
나) 계기-회전익항공기(Instrument Helicopter)
5) 조종교육증명
가) 조종교육증명 - 비행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나) 조종교육증명 - 회전익항공기
다) 조종교육증명 - 비행선
라) 조종교육증명 - 활공기
마) 조종교육증명 - 경량항공기(타면조종형비행기)
바) 조종교육증명 - 경량항공기(체중이동형비행기)
사) 조종교육증명 - 경량항공기(경량헬리콥터)
아) 조종교육증명 - 경량항공기(자이로플레인)
자) 조종교육증명 - 경량항공기(동력패러슈트)

나. 교통안전공단이사장은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발급 시 해당 자격에 맞는 항공기 종류,


등급 및 형식을 나타낸 한정자격과 경량항공기 종류를 조종사 자격증명서에 표기하
여 발행할 수 있다.

다. 항공기관사에 대한 한정자격은 다음 각 호와 같이 분류하여 발행할 수 있다.


1) 항공기 종류의 한정자격은 다음 각목과 같다.
가) 비행기
나) 회전익항공기
2) 항공기 등급의 한정자격은 다음 각목과 같다.
가) 육상단발
나) 육상다발
3) 항공기 형식의 한정자격은 모든 형식의 항공기에 적용한다.

라. 항공정비사에 대한 한정자격은 다음 각 호와 같이 구분하여 발행할 수 있다.


1) 항공기 종류의 한정자격은 다음 각 목과 같다.
가) 비행기
나) 비행선
다) 활공기
라) 회전익항공기
마) 항공우주선
바) 수직이착륙기

마. 항공정비사에 대한 업무범위 한정자격은 다음 각 호와 같이 분류하여 발행할 수 있


다.
1) 기체 관련분야
2) 터빈발동기 관련분야
3) 피스톤발동기 관련분야
4) 프로펠러 관련분야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5) 전자․전기․계기 관련분야

2.1.2.4 허가서 발행(Authorization Issued)


국토교통부장관은 항공기 운영자로 하여금 소속 조종사에게 허가서를 다음 각목과 같이
분류하여 발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1) 카테고리 II 조종사 허가서
2) 카테고리 III 조종사 허가서

2.1.2.5 자격증명, 한정자격 및 허가의 기간(Duration of Licenses, Ratings, and Authorizations)


교통안전공단이사장이 발행한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에는 특정한 자격 만료일자를 정하지
않는다.

2.1.2.6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한정자격 및 인가에 관한 일반사항(General Requirements


: Personnel Licenses, Ratings, and Authorizations)
가. 조종사 자격증명이 항공법령에 의하여 발급되지 않았거나 또는 항공기가 등록된 나
라에서 발급되지 않았다면, 민간항공기의 조종사로 비행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나. 항공법령 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하는 문서에 의하여 적절한 자격증명 및 항공


신체검사증명서를 소지하지 아니하고는 조종사, 비행교관, 운항승무원(flight crew
member) 및 항공교통관제사로 임무를 수행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민간항공기가
이용하는 군의 관제시설에서 민간 항공기에 대한 관제업무에 종사하는 군인에 대하
여는 이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다. 항공기에 대한 적절한 종류, 등급, 형식 한정자격(등급 및 형식 한정자격이 요구되는


경우)이 없는 자와 경량항공기 자격이 없는 자는 항공기의 조종사로서 임무를 수행하
여서는 아니된다.

라. 다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조종사 자격증명 또는 한정자격을 추가로 취득하기 위하여


유자격 교관의 감독 하에 이루어지는 훈련비행은 실시할 수 있다.

마. 훈련, 시험 혹은 무상, 무 탑승의 특수 목적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항공


기에 따른 등급이나 형식한정의 발급대신에 면허소지자에게 서면으로 임시 인가서를
발급할 수 있다. 이 인가서의 유효성은 해당 비행에 국한되어야 한다.

바. 법 제33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자격증명의 취소처분을 받고 그 취소 일부터 2년


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는 자격증명을 받을 수 없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사. 자격증명을 받은 자는 그가 받은 자격증명의 종류에 따른 항공업무 외의 항공업무에


종사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민간항공기가 이용하는 군의 관제시설에서 민간항공
기에 대한 관제업무에 종사하는 군인에 대하여는 이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아. 사항의 규정 및 항공종사자별 업무범위에 관한 규정은 상급 또는 중급 활공기에 탑


승하여 조종(활공기에 탑승하여 행하는 그 기체 및 발동기의 취급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하는 경우와 새로운 종류 ․등급 또는 형식의 항공기에 탑승하여 시험비행등을
하는 경우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은 때에는 이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자. 자가용 조종사 자격증명을 소지한 사람이 같은 종류의 항공기에 대하여 사업용 조종


사, 부조종사 또는 운송용 조종사 자격증명을 받은 경우에는 종전의 자격증명에 관
한 항공기의 등급ㆍ형식의 한정 또는 계기비행증명에 관한 한정은 새로 받은 자격증
명에 관해서도 유효하다.

차. 사업용 조종사 또는 부조종사 자격증명을 소지한 사람이 운송용 조종사 자격증명을


받은 경우에는 종전의 자격증명에 관한 항공기의 등급ㆍ형식의 한정 또는 계기비행
증명ㆍ조종교육증명에 관한 한정은 새로 받은 자격증명에 관해서도 유효하다.

카. 항공정비사의 자격이 있는 자가 비행기에 대한 자격증명을 받은 경우에는 활공기에


대한 자격증명을 받은 것으로 본다.

2.1.2.7 외국인 조종사 자격증명 및 한정증명의 전환(Pilot License and Ratings Issued
on the Basis of a Foreign Pilot License)
가. 다른 체약국(이 장에서는 우리나라와 항공운송협정을 체결하여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을 상호 인정하는 국가를 포함한다.)의 조종사 자격증명을 가지고 있는 자는 다음 각
호의 경우에 조종사 자격증명 및 한정자격 시험에 응시하여 그 자격을 취득할 수 있
다.
1) 체약국에서 발행한 자격증명이 취소되거나 정지되지 않은 경우
2) 신청자의 자격이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기준에 충족하는 자격증명을 소유하고 있
는 경우
3) 외국정부 또는 외국 정부가 인정한 민간의료기관에서 발행한 유효한 항공신체검사증
명서 또는 항공법령에 의거 발급되어진 유효한 항공신체검사증명서를 가지고 있는 경우
4) 한국어 또는 영어를 읽고, 말하고, 쓰고, 이해할 수 있는 자일 경우

나. 체약국에서 적법하게 취득한 조종사 자격증명에 기록된 항공기 한정자격은 소정의


확인절차 후, 아국의 한정자격으로 인정할 수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다. 체약국에서 적법하게 발급된 계기비행증명은 소정의 확인절차 후, 아국의 계기비행


증명으로 발급할 수 있다.

라. 법 제3장 및 이장의 규정에 의해 발급된 조종사 자격증명을 받은 자는 한정된 업무


범위 내에서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외국의 자격증명을 아국의 자격증명으로 전환
하였을 경우 외국 조종사 자격증명이 취소 또는 정지되었을 때에는 아국의 자격증명
도 그 기간 동안 취소 또는 정지된다.

마. 국토교통부장관은 국내의 자격으로 전환하는 자격에 대하여 특정한 제한사항을 둘


수 있다.

2.1.3 외국 및 군조종사의 자격증명과 한정자격의 인정(Validation of Foreign and


Military Licenses and Ratings)
2.1.3.1 외국자격에 근거한 자가용 조종사 자격증명 및 한정자격(Private Pilot License
and ratings issued on the basis of a foreign pilot license)
가. 국제민간항공조약 체약국의 자격증명을 소지한 자는 다음 각호의 조건에 부합하게
자격증명 및 한정자격을 신청할 경우 이를 인정하여 그 자격 및 한정을 취득할 수
있다.
1) 체약국에서 발행한 자격증명이 취소되거나 정지되지 않은 경우
2) 신청인이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기준을 충족하는 자격증명을 소지하는 경우
3) 외국정부 또는 외국정부가 인정한 민간 의료기관에서 발행한 유효한 항공신체검사 증
명서 또는 항공법령에 의거 발급되어진 유효한 항공신체검사증명서를 가지고 있는 경우
4) 한국어 또는 영어를 읽고, 말하고, 쓰고, 이해할 수 있는 자일 경우

나. 교통안전공단이사장은 체약국에서 취득한 항공기 한정자격(aircraft rating) 및 계기


비행증명(instrument rating)을 국내 자격증명 발급 시 이를 인정할 수 있다.

2.1.3.2 군 조종사 경력 인정(Special Rules for Military Pilots or Former Military Pilot)
운송용 조종사, 사업용 조종사, 자가용 조종사, 계기비행증명 및 조종교육증명 시험에 응
시하고자 하는 자의 경력 산정 시 군 및 경찰 비행경력을 인정할 수 있다.

2.1.4 시험 및 훈련 요구량에 대한 일반사항(General Testing and Training Requirements)


2.1.4.1 일반절차(General Procedure)
국토교통부장관이 특별히 정한 경우를 제외한 시험 및 훈련절차는 이장에서 규정한 사항
을 따른다.

2.1.4.2 학과시험 합격 점수 (Knowledge test : Prerequisites and Passing Grades )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시험 및 한정심사의 학과시험의 합격점수는 70%이상으로 한다.

2.1.4.3 실기시험 응시자격 (Practical Test Prerequisites)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시험 및 한정심사의 실기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자는 자격증명 또
는 한정심사에 대한 학과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2.1.4.4 실기시험 일반절차(General Procedure)


가. 나항을 제외하고 교통안전공단이사장은 실기시험 중 다음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
는 신청인의 능력을 근거로 이 절에 따라 발행되는 자격증명 또는 한정자격을 소지
할 수 있는 신청인의 능력을 판단한다.
1) 명시된 기준 내에서 신청한 자격증명 및 한정자격에 대한 운용영역에 명시된 과제를
수행한다.
2) 각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료함으로서 항공기에 대해 숙달했음을 다음 각 호에 대하여
입증한다.
가) 자가용 조종사 또는 사업용 조종사 시험의 경우 심각한 위험이 의심되지 않음
나) 운송용 조종사 자격증명 및 항공기 형식 한정자격 시험의 경우 전혀 의심되지 않음
다) 부조종사 또는 경량항공기 조종사 시험의 경우 심각한 위험이 의심되지 않음
3) 올바른 판단력을 입증한다.
4) 만약 항공기가 단일 조종사 운항을 위해 형식증명을 받은 경우 단일 조종사로서의
능력을 입증한다.

나. 만약 신청인이 실기시험 중의 한 항목이라도 불합격하는 경우, 신청인은 실기시험을


통과할 수 없다.

다. 신청인은 운항 관련 모든 항목에 합격할 때까지 자격증명 또는 한정자격을 교부받을


자격이 주어지지 않는다.

라. 시험관 또는 신청인은 다음의 경우에 언제라도 실기시험을 중단할 수 있다.


1) 신청인이 하나 이상의 시험항목에서 불합격하는 경우 ; 또는
2) 악기상, 항공기 감항성 또는 비행 안전성이 우려되는 경우

2.1.4.5 실기시험에 요구되는 항공기와 장비(Practical Tests : Required Aircraft and


Equipment)
가. 실기시험에 사용되는 항공기는 적법한 감항성을 유지하고 안전운항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

나. 실기시험에 사용되는 모의비행장치 또는 비행훈련장치는 인가된 규정에 의거 점검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고 운용에 하자가 없어야 한다.

2.1.4.6 훈련시간 기록(Records of Training Time)


항공종사자 실기시험에 응시하는 자는 다음 각 호의 기록이 유지된 증빙자료를 시험시
행기관에 제출하여야 한다.
1) 자격증명, 한정자격을 충족하는데 사용되는 훈련과 비행경험
2) 최근 비행경험 요건을 충족시키는 비행경력

2.1.4.7 교통안전공단이사장에 의해 자격증명을 받지 않은 비행교관으로부터 받은 비행훈


련 (Flight Training Received From Flight Instructors Not Licensed by the
Authority)
가. 군 비행교관자격을 소지한 군 조종교관으로부터 비행훈련을 받은 경우 이를 법 제34
조 제2항의 규정에 의거 발급 받은 조종교육증명을 소지한 교관으로부터 교육을 받
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나. 체약국에서 발행한 조종교육증명을 받은 교관으로부터 받은 비행훈련도 법 제34조제


2항의 규정에 의거 발급 받은 조종교육증명을 소지한 교관으로부터 교육을 받은 것
으로 간주할 수 있다.

2.1.4.8 모의비행장치와 비행훈련장치 사용에 대한 제한사항(Limitations on the Use of


Flight Simulators and Flight Training Device)
지방항공청장으로부터 지정 받은 모의비행장치(flight simulator)와 비행훈련장치(flight
training device)의 사용범위는 법 제29조의2 제3항의 규정에 의거하여 별도로 정한 기
준을 적용한다.

2.2 조종사 및 비행교관의 자격(CERTIFICATION : PILOTS, FLIGHT INSTRUCTORS)


2.2.1 한정자격 및 허가서(Aircraft ratings and Pilot authorizations)
2.2.1.1 일반요건(General requirement)
조종사자격증명에 적용되는 한정자격과 허가서를 취득하기 위한 지원자는 적절한 자격요
건을 갖추어야 하며, 비행교관은 해당항공기의 종류 ․ 등급 또는 형식에 적합한 기량이
있어야 한다.

2.2.1.2 계기비행증명시험 응시요건(Instrument Rating Requirements)


가. 계기비행증명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자의 응시요건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비행기, 회전익항공기에 대하여 계기비행증명을 신청하는 경우 해당 항공기 종류에
대한 기장으로서 50시간 이상의 야외비행경력을 가진 자로서 다음 각목의 1에 해당
하는 자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가) 법 제29조제4항제2호 및 시행규칙 제91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전문교육기관 또


는 외국정부가 인정한 교육기관 (항공기 제작사의 교육기관을 포함한다)에서 해당
항공기 종류에 대한 계기비행과정의 전문교육훈련을 이수한 자
나) 다음의 계기비행과정의 전문교육훈련을 이수한 자
① 지상교육 : 계기비행에 필요한 소정의 교육을 이수한 자
② 비행훈련 : 40시간 이상의 계기비행훈련을 이수한 자. 이 경우 20시간의 범위내에
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모의비행 장치로 계기비행증명을 받은 교관에 의하여
실시한 계기비행 훈련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 군에서의 해당항공기 종류에 대한 계기비행시간이 50시간 이상인 자

나. 법 제29조제4항제1호 및 시행규칙 제91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외국정부로부터 해


당항공기 종류에 대한 계기비행증명을 받은 자

2.2.1.3 조종사의 종류 한정자격(Category Rating)


종류 한정자격(Category rating)을 취득하려는 조종사는 다음 각 호의 요건을 충족하여
야 한다.
1) 요구되는 훈련을 받아야 하고 조종 자격증명에 항공기 종류, 등급 및 형식 한정자격
(Category, Class and Type rating)을 적용하는 항공법령에서 요구되는 항공 경험
을 가져야 한다.
2) 자격 유지기록부(logbook) 또는 훈련 기록부에 허가된 교관으로부터 확인을 받아야
하고, 확인은 신청자가 취득하려고 하는 종류, 등급, 형식(Category, Class, Type)
에 해당하는 조종사 자격증명에 대하여 다음 각 목의 분야에서 자격이 있다는 것을
입증하여야 한다.
가) 항공 지식분야
나) 기량 분야
3) 취득하려고 하는 종류, 등급, 형식(Category, Class, Type)에 해당하는 조종사 자격
증명에 대한 실기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4) 신청자가 해당 조종사 자격증명 수준에서 비행기, 회전익 항공기(rotorcraft) 또는
비행선(airship)한정 자격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학과시험을 면제한다.

2.2.1.4 조종사의 등급 한정자격(Class Rating)


등급 한정자격(Class rating)을 추가로 취득하려는 조종사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요
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1) 자격유지기록부(logbook) 또는 훈련 기록부에 허가된 교관으로부터 확인을 받아야
하고, 취득하려고 하는 등급 한정자격(Class rating)에 해당하는 조종사 자격증명에
대하여 항공지식 분야에서 자격이 있다는 증빙자료를 시험시행기관에 제출하여야 한다.
2) 취득하려고 하는 등급 한정자격(Class rating)에 해당하는 조종사 자격증명에 대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실기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3) 응시자가 해당 조종사 자격증명 수준에서 비행기, 회전익항공기 등 다른 종류의 한
정자격을 소지한 경우에는 학과시험을 면제한다.

2.2.1.5 형식 한정자격(Type Rating)


가. 조종사는 다음 각 호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항공기 형식한정 자격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1) 비행교범에 2사람 이상의 조종사가 필요한 항공기
2) <삭 제, 2009.12. 8>
3) 1) 외에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하는 형식의 항공기

나. 조종사 자격증명에 추가로 형식 한정자격(type rating)을 지원하거나 부가적인 종류


(Category) 또는 등급 한정자격(Class rating)과 동시에 수행되는 형식 한정자격
(type rating)의 취득을 원하는 자는 다음 각 호의 절차를 따라야 한다.
1) 취득하려고 하는 종류, 등급(Category, Class) 또는 형식 한정자격(Type rating)에
적절한 계기 한정자격을 소지하거나 동시에 취득하여야 한다.
2) 자격 유지기록부(logbook) 또는 훈련 기록부에 허가된 교관으로부터 확인을 받아야
하고, 확인은 신청자가 취득하려고 하는 종류, 등급, 형식(Category, Class, Type)
에 해당하는 조종사 자격증명에 대하여 아래의 분야에서 자격이 있다는 것을 입증하
여야 한다.
가) 항공 지식분야
나) 운항 분야
3) 취득하려고 하는 종류, 등급, 형식(Category, Class, Type)에 해당하는 조종사 자격
증명에 대한 학과 및 실기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2.2.1.6 정밀계기접근 제2종 또는 제3종(CAT-II 또는 CAT-III) 조종사허가서(Category


II and III pilot authorization requirements)
가. 정밀계기접근 제2종 또는 제3종 조종사 허가를 신청하는 자는 다음 각 호를 충족하
여야 한다.
1) 계기비행증명을 포함한 조종사 자격증 또는 운송용 조종사 자격증을 소지하여야 한다.
2) 해당되는 경우 허가를 획득하려는 항공기에 대한 종류, 등급 및 형식 한정자격을 소
지하여야 한다.
3) 실기시험의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야 한다.

나. 경험 요구사항 : 정밀계기접근 제2종 또는 제3종 조종사 허가를 신청하는 자는 최소


한 다음 각 호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1) 기장으로서 50시간의 야간비행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2) 실제 또는 모의계기비행 조건에서 75시간의 계기비행. 단, 다음을 초과할 수 없다.


가) 총 25시간의 승인된 모의비행장치 또는 승인된 비행훈련장치에서의 모의계기비행
나) 제3장 제3.2절에 의거하여 인가된 승인된 훈련기관에서의 40시간의 모의계기비행
3) 기장으로서 250시간의 야외비행

다. 특정 항공기 형식에 대한 정밀계기접근 제2종 또는 제3종 조종사 허가를 위한 실기


시험에 합격하여야만, 정밀계기접근 허가서를 소지한 조종사의 허가서에 동 형식의
항공기에 대한 허가사항을 갱신할 수 있다.

라. 국토교통부장관은 신청인이 특정 형식의 항공기에서 실기시험에 성공적으로 합격한


달로부터 12개월 이상 경과하였다면, 특정 형식의 항공기에 대한 정밀계기접근 제2
종 또는 제3종 조종사 허가를 갱신할 수 없다.

마. 정밀계기접근 제2종 또는 제3종 조종사 허가의 소지자가 허가가 만기되기 전 그 달


에 갱신을 위한 실기시험을 통과하는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은 소지자의 허가가 만기
되는 달에 시험에 합격했다고 간주한다.

2.2.2 조종연습허가서(Student pilot license)


2.2.2.1 적용(Applicability)
이 절은 조종연습허가서를 발급 받기 위한 요건을 기술한다.

2.2.2.2 조종연습생의 자격조건(Eligibility Requirements for Student Pilots)


가. 조종연습생 자격조건은 다음 각 호를 충족하여야 한다.
1) 16세 이상인자
2) 제2종 항공신체검사증명서 소지자
3) 국어 또는 영어를 읽고, 말하고, 쓰고, 이해할 수 있는 자

나. 자격증명 종류에 자격증명소지자의 업무범위 및 한정사항의 범위(한정된 항공기의


종류, 등급 또는 형식을 말한다)에 관한 규정은 다음 각 호의 규정에 의한 조종연습
을 위한 조종에 관하여는 이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1) 조종사 자격증명 및 항공신체검사증명을 받은 자가 한정 받은 등급 또는 형식외의
항공기(한정 받은 종류의 항공기에 한한다)에 탑승하여 행하는 조종연습으로서 그
항공기를 조종할 수 있는 자격증명 및 항공신체검사증명을 받은 자(그 항공기를 조
종할 수 있는 지식 및 능력이 있다고 인정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자를 포함
한다)의 감독 하에 행하는 조종연습
2) 조종사 자격증명을 받지 아니한 자가 항공기(2.1.2.7, 아항의 항공기를 제외한다)에
탑승하여 행하는 조종연습으로서 지방항공청장의 허가를 받고 조종교육증명을 받은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자의 감독 하에 행하는 조종연습
3) 조종사 자격증명을 받은 자가 그 자격증명에 대하여 한정을 받은 종류 외의 항공기
에 탑승하여 행하는 조종연습으로서 조종교육증명을 받은 자의 감독 하에 행하는 조
종연습

다. 지방항공청장은 나항제2호의 규정에 의한 허가의 신청이 있는 경우 신청인이 항공기


의 조종연습을 하기에 필요한 능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이를 허가한다.

라. 나항 제2호의 규정에 의한 허가는 신청인에게 항공기 조종연습허가서를 교부함으로


써 행한다.

마. 자격증명 및 항공신체검사증명의 취소(법 제33조)에 관한 규정은 나항제2호의 규정


에 의한 허가를 받은 자에 대하여 이를 준용한다.

2.2.2.3 조종연습 허가서 신청(Application)


조종연습허가서 신청자는 지방항공청장에게 다음 각 호의 서류를 제출하여야 한다.
1) 항공기 조종연습허가 신청서
2) 항공신체검사증명서(제2종) 사본

2.2.2.4 조종연습생의 단독비행 조건(Solo Requirements for Student Pilots)


가. 조종연습생은 본 규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단독비행을 할 수 없다.

나. 다음 각 호의 항공지식이 있어야 한다.


1) 단독 비행을 수행할 비행장의 공역에 대한 규정과 절차
2) 비행할 항공기의 구조와 모델에 대한 비행특성과 운항 제한사항 등

다. 조종연습생은 비행전 훈련에 대한 기동과 절차에 대하여 이해하고 다음 각 호에 대


한 기록을 유지하여야 한다.
1) 비행할 항공기에 해당하는 구조와 모델에 대한 기동과 절차에 관한 비행훈련
2) 비행할 항공기와 모델 또는 유사한 구조와 모델에 대하여 기동과 절차에 관하여 허
가된 교관이 심사하는 기량과 안정성 훈련

2.2.2.5 조종연습생 일반 제한사항 (General Limitations)


가. 조종연습생은 다음 각 호 1의 경우에 임무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1) 승객 수송
2) 보수를 받거나 또는 고용이 되어 화물 수송
3) 보수를 받거나 또는 고용이 되어 운항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4) 사업상의 목적
5) 국제 비행
6) 주간 비행 시 지상시정 3SM이하 또는 야간 비행 시 5SM이하인 경우
7) 지상 시각 참조물을 이용한 비행이 불가능한 경우
8) 허가된 교관으로부터 조종사의 자격 유지기록부(logbook)에 부과된 제한사항에 배치
되는 방법인 경우

나. 비행선(airship)에서 유자격 교관으로부터 비행훈련을 받고 있거나, 필요한 운항승무


원만 항공기에 탑승한 경우를 제외하고 학생 조종사는 1명 이상의 승무원이 요구되
는 항공기의 필수 승무원으로서 임무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다. 학생 조종사가 다음 각 호를 충족하지 못하였다면 야간에 단독 비행을 하여서는 아


니된다.
1) 학생 조종사가 향후 단독 비행을 할 공항에서의 이륙, 접근, 착륙, 복행을 포함한 야
간 비행훈련
2) 학생 조종사가 향후 단독 비행을 할 공항 주변에서의 야간 항행훈련
3) 야간 단독비행에 대한 확인

2.2.2.6 조종연습생의 단독 야외 비행조건 (Solo Cross-Country Flight Requirements)


가. 단독 야외비행 권한을 취득하려는 조종 연습은 절차에 대한 비행훈련을 할 수 있도
록 허가된 비행교관으로부터 다음 각 호의 비행훈련을 받아야 한다.
1) 단독 야외비행을 하려고 하는 항공기의 구조와 모델에 적절한 기동과 절차에 대한
비행훈련을 할 수 있도록 허가된 교관으로부터 비행훈련을 받아야 한다.
2) 허가된 비행교관에게 야외비행 숙달에 관한 기동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3) 단독 야외비행을 하려고 하는 항공기의 구조와 모델에서 단독비행 전 기동과 절차를
성공적으로 완수하여야 한다.
4) 단독 야외비행의 권한을 취득하려고 하는 조종 연습생은 비행한 항공기에 해당하는
야외 비행기동과 절차에 대하여 허가된 교관으로부터 지상교육과 비행훈련을 받아야
한다.

나. 조종연습생은 단독 야외비행을 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요건들에 대하여서 허가된


교관으로부터 확인을 받아야 한다.
1) 허가된 교관이 그 비행장에서 조종 연습생에게 훈련을 한 적이 있고 훈련을 항로상
또는 장주에 입․출항하는 양방향으로의 비행과 해당 비행장에서의 이․착륙을 포함하
는 경우
2) 조종연습생이 유효한 단독 비행 확인을 받은 경우
3) 교관이 조종 연습생이 비행을 수행하기에 충분히 숙달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4) 비행의 목적이 타 비행장에서 이․착륙 훈련을 하는 것인 경우

다. 조종연습생은 각 야외비행을 위하여 다음 각 호에서 설명된 확인을 받아야 한다.


1) 조종연습 허가서 확인
가) 조종연습생은 훈련을 시행한 허가된 교관으로부터 조종연습생 허가서에 단독 야외
비행 확인을 받아야 한다.
나) 자격 유지기록부(logbook)확인
① 조종연습생은 훈련을 시행한 허가된 교관으로부터 학생 조종사 자격 유지기록부
(logbook)에 단독 야외 비행확인을 받아야 한다.
② 훈련을 받은 자격증명을 가진 조종사가 추가로 항공기 종류 및 등급 한정자격
(Category and Class rating)을 얻기 위해서는 훈련을 시행한 허가된 교관으로부
터의 조종사 자격 유지기록부(logbook) 확인을 받아야 한다.

라. 야외비행 훈련을 받은 학생 조종사는 요구되어지는 기동과 절차에 대한 비행훈련을


받고 기록하여야 한다.

2.2.3 자가용조종사(Private pilots)


2.2.3.1 적용(Applicability)
이 절은 자가용조종사 자격증명을 받기 위한 요건을 기술한다.

2.2.3.2 자가용조종사 자격조건 (Eligibility Requirements : General)


자가용 조종사 자격증명의 자격을 갖추는 요건은 다음 각 호를 충족하여야 한다.
1) 활공기(Glider)를 제외한 자격을 위해서는 만 17세 이상이어야 한다.
2) 활공기(Glider)의 자격을 위해서는 만 16세 이상이어야 한다.
3) 국토교통부령에서 정한 항공지식분야에 관한 필요한 학과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4) 유자격 교관으로부터 비행교육훈련과 자격 유지기록부(logbook) 확인을 받아야 한다.
5) 실기시험에 응시하기 전에 취득하려는 항공기 자격에 해당하는 국토교통부령에서 정
한 비행경험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6) 취득하려는 자격에 해당하는 운항분야에 대한 실기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2.2.3.3 자가용조종사 항공지식(Aeronautical Knowledge)


자가용 조종사 자격증명 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자는 유자격 교관으로부터 지상교육을
받고 그 기록을 유지하거나 시행규칙 별표 10에서 정한 학과시험 범위에 포함된 내용을
숙지하여야 한다.

2.2.3.4 자가용조종사 비행기량(Flight Proficiency)


자가용조종사 자격증명에 지원하는 자는 유자격 교관으로부터 다음 각 호에 대한 지상교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육과 비행교육을 받고 기록을 유지하여야 한다.


1) 일반적인 사항
가) 비행전 준비
나) 비행전 절차
다) 공항운항
라) 이륙, 착륙과 복행
마) 성능조작 (Performance maneuvers)
바) 지표물 참조기동
사) 항법
아) 저속비행(Slow flight)과 실속
자) 기본계기 기동
차) 비상운영
카) 야간 비행
타) 비행 후 절차
2) 종류와 등급 한정자격(Category와 Class ratings)의 운영에 관한 사항
가) 다발엔진 등급 한정자격(class rating)을 지닌 비행기 종류 한정 자격(category
rating) 운영
나) 회전익항공기 등급 한정자격(class rating)을 지닌 회전익 종류 한정 자격
(category rating) 운영
다) 다음사항이 포함된 활공기 종류한정자격(Glider category rating) 운영
① 공항과 활공기 착륙장(gliderport) 운영
② 이륙과 착륙
③ 성능 및 속도
④ 급상승 기술
라) 이륙과 포함한 비행선 종류한정자격 운영

2.2.3.5 자가용조종사 경험(Aeronautical Experience)


가. 비행기 또는 회전익항공기 종류 한정(category rating)에 자가용조종사 자격증명 취
득 응시자는 다음 각 호의 최소 비행훈련을 받아야 한다.
1) 최소 40시간의 비행시간(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전문교육기관 이수자는 35시간)
이상의 비행경력이 있는 자(외국정부 발행 해당 항공기에 대한 조종사 자격증명 소
지자를 포함한다.) 이 경우 비행시간을 산정함에 있어 지방항공청장이 지정한 모의
비행장치를 이용한 비행훈련시간은 5시간의 범위 내에서 인정하고, 다른 종류의 항
공기 또는 경량항공기(경량항공기 타면조종형비행기는 비행기, 경량항공기 경량헬리
콥터는 회전익항공기만 해당한다) 비행경력은 해당 비행시간의 3분의 1 또는 10시
간 중 적은 시간으로 인정한다.
2) 비행기에 대하여 자격증명을 신청하는 경우 5시간 이상의 단독야외 비행경력을 포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함한 10시간 이상의 단독비행경력. 이 경우 270킬로미터 이상의 구간 비행 중 2개


의 다른 비행장에서의 이 ․ 착륙 경력을 포함한다.
나. 야간비행을 하려는 자가용조종사는 조종교육증명을 받은 자와 동승하여 이․착륙 3회
및 항법을 포함한 2시간 이상의 야간 비행훈련을 받거나 또는 유효한 계기비행증명
을 소지하여야 한다.

2.2.3.6 자가용조종사 업무제한(Private Pilot with Balloon Rating : Limitations)


자가용 조종사는 다음 각 호 1의 항공기 필요승무원으로서 행위를 할 수 없다.
1) 보수를 받거나 고용이 되어 승객 또는 화물을 수송
2) 보수를 받거나 고용이 되어 운항

2.2.4 사업용조종사(Commercial Pilot)


2.2.4.1 적용(Applicability)
이 절은 사업용조종사 자격증명을 받기 위한 요건을 규정한다.

2.2.4.2 사업용조종사 자격조건 (Eligibility requirements : General)


사업용 조종사의 자격요건은 다음 각 호를 충족하여야 한다.
1) 만 18세 이상인 자.
2) 국어 또는 영어를 읽고, 말하고, 쓰고, 이해할 수 있는 자.
3) 유자격 교관으로부터 교육받은 사항에 대하여 교육기록부(logbook)에 기록하고 이를
유지하여야 한다.
4) 국토교통부령에 규정된 항공지식 분야에 대한 지식심사를 통과하여야 한다.
5) 실기시험을 치르기 전 취득하려는 종류 및 등급 한정자격(Category와 Class rating)
의 항공기에 해당하는 시행규칙 별표 9의 경험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6) 취득하려는 종류 및 등급 한정자격(category와 class rating)의 항공기에 해당하는
국토교통부령에 규정된 실기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2.2.4.3 사업용조종사 항공지식(Commercial Pilot : Aeronautical Knowledge


Requirements)
사업용 조종사 자격증명 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자는 유자격 교관으로부터 지상교육을
받고 기록을 유지하거나, 시행규칙 별표10에서 정한 학과시험범위에 포함된 내용을 숙지
하여야 한다.

2.2.4.4 사업용조종사 비행기량(Flight Proficiency Requirements)


사업용 조종사 자격증명에 지원한 자는 유자격 교관으로부터 취득하려는 종류 및 등급
한정자격(category and class rating)의 항공기에 해당하는 지상교육과 비행교육을 받고
그 기록을 유지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2.2.4.5 사업용조종사 경험(Aeronautical experience)


가. 사업용 조종사 신청자는 국토교통부령에서 정한 다음 각 호의 비행경험이 있어야 한
다.
1) 비행기 : 200시간(전문교육기관 이수자 : 150시간)
2) 회전익항공기 : 150시간(전문교육기관 이수자 : 100시간)

나. 사업용조종사 자격증명 신청자는 취득하려는 한정자격(rating)에 해당하는 항공기의


종류, 등급, 형식을 대표하는 인가된 모의비행장치(flight simulator) 또는 비행훈련
장치(flight training device)를 이용한 훈련은 10시간의 범위 내에서 인정한다.

다. 다른 종류의 항공기 비행경력은 당해 비행시간의 3분의1 또는 50시간 중 적은 시간


의 범위 내에서 인정한다.

2.2.4.6 사업용조종사 업무범위(Commercial Pilot Privileges and Limitations)


사업용조종사 자격증명 소지자는 항공기에 탑승하여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할 수 있다.
1) 자가용조종사의 자격을 가진 자가 할 수 있는 행위
2) 보수를 받고 무상운항을 하는 항공기를 조종하는 행위
3) 항공기사용사업에 사용하는 항공기를 조종하는 행위
4) 항공운송사업에 사용하는 항공기(1인의 조종사가 필요한 항공기에 한한다)를 조종하
는 행위
5) 기장 외의 조종사로서 항공운송사업에 사용하는 항공기를 조종하는 행위

2.2.5 운송용조종사(Airline Transport Pilot)


2.2.5.1 적용(Applicability)
이 절은 운송용조종사 자격증명을 발급 받기 위한 요건을 규정한다.

2.2.5.2 운송용조종사 자격조건 (Eligibility Requirements : General)


운송용 조종사의 자격요건은 다음 각 호를 충족하여야 한다.
1) 만 21세 이상인 자
2) 국어 또는 영어를 읽고, 말하고, 쓰고, 이해할 수 있는 자
3) 다음 각 목의 요건 중에서 최소한 1목을 만족하여야 한다.
가) 사업용 조종사 자격증명과 계기비행증명을 소지
나) 제한사항이 없는 외국의 운송용 조종사 자격증명 또는 외국의 사업용 조종사 자격
증명과 계기비행증명을 소지
4) 실기시험에 응시하기 전에 시행규칙 별표9에 규정된 경험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5) 취득하려는 종류와 등급 한정자격(category와 class rating)의 항공기에 해당하는
국토교통부령에 규정된 항공지식 분야에 대한 학과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6) 취득하려는 종류와 등급 한정자격(category와 class rating)의 항공기에 해당하는


국토교통부령에 규정된 운항 분야에 대한 실기 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2.2.5.3 운송용조종사 지식(Aeronautical Knowledge)


교통안전공단이사장은 운송용 조종사 자격증명을 위한 학과시험에 있어서 취득하려는 종
류와 등급 한정자격(category와 class rating)의 항공기에 해당하는 항공지식분야를 근
거로 시험을 주관하며, 운송용조종사 자격증명 신청자는 국토교통부령에 규정된 항공지
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어야 한다.

2.2.5.4 운송용조종사 비행기량(Flight Proficiency)


운송용조종사 자격증명 신청자는 취득하려는 항공기 종류와 등급 한정자격(category와
class rating)에 대하여 유자격 교관으로부터 지상교육과 비행교육을 받고 기록을 유지
하여야 한다.

2.2.5.5 운송용조종사(비행기) 경험(Aeronautical Experience : Aeroplane Category


Rating)
비행기 종류 및 등급한정 자격을 지닌 운송용조종사 자격증명에 지원하는 자는 다음 각
호를 포함하여 조종사로서 최소 1,500시간의 비행시간을 가져야 한다.
1) 200시간의 야외 비행시간
2) 100시간의 야간 비행시간
3) 실제 또는 모의 계기비행(simulated instrument)조건 하에서 75시간의 계기비행시간
4) 비행기를 대신하는 모의비행장치(flight simulator) 비행시간은 비행훈련장치(flight
procedure trainer) 또는 기본계기비행훈련장치(basic instrument flight trainer) 시
간 25시간을 포함하여 100시간 범위 내에서 인정
5) 감독 하에 기장 임무를 500시간 이상 비행하였거나 기장으로서 250시간 이상을 비
행한 경력 또는 기장으로서 70시간 이상의 비행시간과 감독하에 기장의 임무를 수
행한 비행시간의 합계가 250시간 이상의 비행경력
6) 다른 종류의 항공기 비행경력은 당해 비행시간의 3분의1 또는 200시간 중 적은 시
간의 범위 내에서 인정

2.2.5.6 운송용조종사(회전익항공기)경험(Aeronautical Experience : Rotorcraft


Category and Helicopter Class Rating)
회전익항공기 종류와 등급 한정자격을 지닌 운송용조종사 자격증명 신청자는 최소한 다
음 각 호를 포함하는 조종사로서 적어도 총 1,000시간의 비행시간을 가져야 한다.
1) 200시간의 야외비행시간
2) 50시간의 야간비행시간
3) 기장(PIC)으로서 250시간 이상의 비행경력 또는 기장(PIC)으로서 100시간 이상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비행시간과 부기장(Co-pilot)으로서 기장의 감독 하에서 기장의 임무를 수행한 비행


시간의 합계가 250시간 이상의 비행경력
4) 실제 또는 모의계기(SIMULATED INSTRUMENT)기상조건 하에서 30시간의 계기비행
5) 회전익항공기를 대신하는 허가된 모의비행장치 또는 비행훈련장치로 훈련한 계기비
행은 100시간 범위 내에서 인정
6) 다른 종류의 항공기 비행경력은 당해 비행시간의 3분의1 또는 200시간 중 적은 시
간의 범위 내에서 인정

2.2.5.7 운송용조종사의 종류 및 등급 한정자격 추가(Additional Aircraft Category,


Class, and Type Ratings)
다른 항공기의 종류 한정자격을 지닌 운송용조종사 자격증명을 소지한 자가 다른 종류의
한정자격증명을 신청할 경우에는 다음 각 호를 충족하여야 한다.
1) 응시경력 요건 충족
2) 항공 지식분야에 대한 학과시험 합격
3) 항공경험 요건 충족
4) 운항하고자 하는 형식의 항공기에 대한 실기시험 합격

2.2.5.8 운송용조종사의 업무범위(Airline Transport Pilot Privileges)


운송용조종사 자격증명을 소지한 자는 항공기에 탑승하여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할 수 있다.
1) 사업용조종사의 자격을 가진 자가 할 수 있는 행위
2) 항공운송사업의 목적을 위하여 사용하는 항공기를 조종하는 행위

2.2.6 부조종사
2.2.6.1 적용
이 절은 부조종사 자격증명을 발급 받기 위한 요건을 규정한다.

2.2.6.2 부조종사 자격조건


부조종사 자격요건은 다음 각 호를 충족하여야 한다.
1) 만 18세 이상인 사람
2) 국어 또는 영어를 읽고, 말하고, 쓰고, 이해할 수 있는 사람
3) 시행규칙에 규정된 항공지식 분야에 대한 학과시험을 통과한 사람
4) 실기시험을 치르기 전 취득하려는 자격에 해당하는 시행규칙 별표9에서 정한 비행
경험 요건을 충족한 사람
5) 취득하려는 자격에 해당하는 운항분야에 대한 실기시험에 합격한 사람

2.2.7 경량항공기
2.2.7.1 적용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이 절은 경량항공기 자격증명을 발급 받기 위한 요건을 규정한다.

2.2.7.2 경량항공기 자격조건


경량항공기 조종사의 자격요건은 다음 각 호를 충족하여야 한다.
1) 만 17세 이상인 사람
2) 국어 또는 영어를 읽고, 말하고, 쓰고, 이해할 수 있는 사람
3) 국토교통부령에 규정된 항공지식 분야에 대한 학과시험을 통과한 사람
4) 실기시험을 치르기 전 취득하려는 자격에 해당하는 시행규칙 별표9에서 정한 비행
경험 요건을 충족한 사람
5) 취득하려는 자격에 해당하는 운항분야에 대한 실기시험에 합격한 사람

2.2.7.3 경량항공기 경험
경량항공기 종류 한정(category rating)별 자격증명 취득 응시자는 시행규칙 별표9의 최
소 비행훈련을 받아야 한다.

2.3 조종사 이외의 운항승무원 자격증명(Certification : Flight Crew members Other Than
Pilots)
2.3.1 항공기관사(Flight engineers)
2.3.1.1 적용(Applicability)
이 절은 항공기관사 자격증명을 받기 위한 요건을 규정한다.

2.3.1.2 항공기관사 자격증명 및 한정자격(Licenses and Ratings Required)


가. 항공기관사(flight engineer) 자격증명을 소지한 자 만이 민간항공기의 항공기관사로
서 활동할 수 있다.

나. 외국에서 항공기관사로 활동하였더라도, 항공기가 운용이 되고 있는 국가에 의해서


발급된 항공기관사 자격증명을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2.3.1.3 항공기관사 자격요건(Eligibility Requirements General)


항공기관사 자격증명시험에 응시하기 위한 일반적인 자격요건은 다음 각 호를 충족하여
야 한다.
1) 만 18세 이상인 자
2) 국어 또는 영어를 읽고, 말하고, 쓰고, 이해할 수 있는 자

2.3.1.4 항공기관사 한정자격 추가(Additional Aircraft Ratings)


항공기관사 자격증명에 대한 다른 항공기 등급 한정자격을 추가할 경우에는 다음 각 호
를 충족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1) 희망하는 추가 등급 한정자격에 적합한 항공기관사 훈련과정(flight engineer training


program)을 이수하여야 한다.
2) 희망하는 추가 한정자격에 대한 항공기 등급에 적합한 지식시험(knowledge test)과
실기시험(practical test)을 통과하여야 한다.

2.3.1.5 항공기관사 항공지식(Knowledge Requirements)


가. 항공기관사 자격증명을 신청하는 자는 다음 각 호에 대하여 지식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1) 항공기관사에 적용하는 규정(regulations)
2) 비행(flight)과 항공역학의 이론
3) 엔진운영(engine operation)과 관련된 기본적인 기상학
4) 중력 중심(Center of gravity) 계산법

나. 항공기관사 등급 한정자격의 취득을 위한 신청자는 다음 각 호에 대한 항공기 등급


과 관련하여 지식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1) 항공기 장비(equipment)
2) 항공기 시스템
3) 항공기 탑재(loading)
4) 제한사항(limitations)과 관련된 항공기 절차와 엔진 운영(engine operations)
5) 정상운영절차(Normal operating procedures)
6) 비상절차(emergency procedures)

다. 항공기관사 자격증명을 위한 신청자는 학과시험을 보기 전에 비행경험 요건을 완료


했다는 경력증명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2.3.1.6 항공기관사 경험(Aeronautical Experience Requirements)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자로서 항공기관사를 필요로 하는 항공기에 탑승하여 항공
기관사 업무의 실기연습을 100시간 이상 행한 경험이 있어야 한다(50시간의 범위에서
지방항공청장이 지정한 모의비행장치를 이용한 비행경력을 인정한다.)
1) <삭 제, 2009.12. 8>
1) 200시간 이상의 운송용항공기(쌍발 이상의 군용항공기를 포함한다)를 조종한 비행경
력이 있는 자
2)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전문교육기관에서 항공기관사에 필요한 과정을 2년 이상
이수한 자
3) 사업용조종사 자격증명 및 계기비행증명을 소지한 자로서 항공기관사 업무의 실기연
습을 5시간 이상 행한 자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2.3.1.7 항공기관사 기량(Skill Requirements)


가. 항공기관사 자격증명에 대한 신청자는 항공 기관사의 업무에 대한 실기시험을 통과
하여야 한다.

나. 신청자는 다음 각 호에 대한 능력을 보여주어야 한다.


1) 비행 전 검사, 업무, 출발, 이륙, 그리고 착륙 절차에 대한 수행능력
2) 비행 중 항공기,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 시스템, 설비와 관련된 정상적인 임무와 절
차에 대한 수행능력
3) 항공기 모의장치 혹은 승인된 훈련장치의 비행 중 비상임무 및 절차에 대한 수행능
력과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 시스템 및 설비의 고장을 인식하고 적절한 행동을 취
할 수 있는 능력

2.3.1.8 외국 항공기관사 자격증명의 전환(Flight Engineer License Issued on Basis


of a Foreign Flight Engineer License)
가. 교통안전공단이사장은 체약국에서 발행한 외국 항공기관사 자격증명을 국내 항공기
관사 자격증명으로 전환할 수 있다.

나. 교통안전공단이사장은 신청자의 외국 항공기관사 자격증명에 열거된 항공기 등급 한


정자격을 인정하여 추가로 발급할 수 있다.

2.3.1.9 항공기관사의 업무범위(Flight Engineer Privileges)


항공기관사는 항공기에 탑승하여 조종 장치의 조작을 제외하고 발동기 및 기체를 취급하
는 행위를 할 수 있다.

2.4 운항승무원 이외의 항공종사자 자격증명(Licensing : airmen other than flight crew
members)
2.4.1 일반(General)
2.4.1.1 적용(Applicability)
이 절은 운항승무원 이외의 다른 자격증명을 받기 위한 절차를 기술한다.

2.4.2 항공교통관제사(Air traffic controllers) : 삭 제 (‘08. 8. 14)

2.4.3 운항관리사(Flight operation officers)


2.4.3.1 적용(Applicability)
이 절은 운항관리사 자격증명을 받기 위한 요건을 규정한다.

2.4.3.2 운항관리사의 자격조건(Eligibility Requirements : General)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운항관리사(flight operations officer) 자격증명의 신청자의 자격요건은 다음 각 호를 충


족하여야 한다.
1) 만 21세 이상인 자
2) 국어 또는 영어를 읽고 말하고 이해할 수 있는 자
3) 운항관리사에 필요한 항공지식을 소유한 자

2.4.3.3 운항관리사의 지식(Knowledge Requirements)


가. 운항관리사 자격증명 신청자는 학과시험(knowledge test)을 통과하여야 한다.
나. 교통안전공단이사장은 학과시험 합격한 응시자에게 24개월 이내에 실기시험 응시자
격을 줄 수 있다.

2.4.3.4 운항관리사의 경험 또는 훈련요건(Experience or Training Requirements)


운항관리사 자격증명 신청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험이 있거나 교육
을 이수하여야 한다.
1) 항공기 운송사업 또는 항공기사용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운항에 관하여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사람 또는 다음 각 목의 두 개
이상의 경력을 통산하여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사람
가) 조종을 행한 경력
나) 공중항법에 의하여 비행을 행한 경력
다) 기상업무를 행한 경력
라) 항공기에 승무하여 무선설비의 조작을 행한 경력
2) 항공교통관제사 자격증명을 취득한 후 2년 이상의 관제실무 경력이 있는 사람
3) 고등교육법에 의한 전문대학 이상의 교육기관에서 시행규칙 별표 10 제1호에 따른
운항관리사 학과시험의 범위를 포함하는 각 과목을 이수한 사람으로서 3개월 이상의
운항관리경력(실습경력 포함)이 있는 사람
4)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전문교육기관에서 운항관리사에 필요한 과정을 이수한 사
람(해당 정부가 인정한 외국의 전문교육기관에서 운항관리에 필요한 과정을 이수한
사람을 포함한다)
5) 항공운송사업체에서 운항관리에 필요한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응시일 현재 최근 6개
월 이내에 90일(근무일 기준) 이상 항공운송사업체에서 운항관리사의 지휘ㆍ감독 하
에 운항관리실무를 보조한 경력이 있는 사람
6) 외국정부가 발행한 운항관리사의 자격증명을 소지한 사람
7) 항공교통관제사 또는 자가용조종사 이상의 자격증명을 취득한 후 2년 이상의 항공
정보업무 경력이 있는 사람

2.4.3.5 운항관리사의 기량(Skill Requirements)


운항관리사 자격증명 신청자는 국토교통부령에서 정한 실기시험(practical test)을 통과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하여야 한다.

2.4.3.6 운항관리사의 업무범위(Privileges and Limitations)


운항관리사는 항공기의 운항에 필요한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다.
가. 비행을 준비하는 기장을 도와주고 비행에 관련되는 정보의 제공
나. 운항비행계획서(Operational Flight Plan) 및 ATS 비행계획서를 준비하는 기장을 지
원하고, 동 비행계획서에 서명(적용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한다)
다. 관제기관에 ATS 비행계획서의 제출
라. 항공기의 운항여부(결항, 지연 등)를 결정하고, 기장과 합의하여 비행계획을 변경
마. 비행중인 기장에게 적절한 방법을 통하여 비행 중 안전운항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
보의 제공
바. 항공기 운항의 통제 및 비행진행 상황의 감시
사. 비상상황 발생 시, 다음 사항에 대한 조치
1) 항공교통관제가관에서 운영하는 절차와 상충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운항규정에 규정
된 절차에 따른 초동 조치
2) 착륙공항 변경 등이 필요한 경우 비행계획 변경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여 기장이
안전운항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의 제공
주. 특히 비상사태 발생 시 전․후 상황에 대한 정보가 기장은 물론 운항관리사에게도
전달되는 것이 중요하다.
아. 기타 항공법령에서 정한 업무

2.4.4 항공정비사 관련 자격증명(Aviation Maintenance Technician)


2.4.4.1 적용(Applicability)
이 절은 항공정비사 자격증명과 이에 따른 한정을 받기 위한 요건을 기술한다.

2.4.4.2 항공정비사 자격조건(Aircraft maintenance Type II Licenses : Eligibility


Requirements : General)
가. 항공정비사 자격증명과 한정자격 신청자의 일반적인 자격요건은 다음 각 호를 충족
하여야 한다.
1) 만 18세 이상인자
2) 국어 또는 영어를 읽고, 쓰고, 말하고, 이해할 수 있는 자로서 적절한 정비교범을 읽
고 설명하고 결함/수리 관련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는 자
3) 항공정비사에 필요한 항공지식과 정비실무 경력을 소지한 자

나. 항공정비사 자격증명을 소지한 자가 한정자격을 취득하고자 할 경우에는 국토교통부


령에 규정된 응시경력을 반드시 충족시켜야 하고 학과시험을 합격한 날로부터 24개
월 이내에 희망하는 날짜에 국토교통부령에 규정된 실기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2.4.4.3 항공정비사 항공기 한정자격 지식(Aircraft Rating : Knowledge Requirements)


가. 항공정비사 자격증명을 취득하려고 하는 자는 항공법령, 항공역학, 기체, 항공발동기,
전자․전기․계기에 대한 기본지식이 있어야 한다.(활공기는 항공법규, 항공역학, 활공기
체에 대한 기본지식이 있어야 한다.)

나. 신청자는 국토교통부령에서 규정한 구술과 실기시험(practical test)을 지원하기 전에


학과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2.4.4.4 항공정비사 경험(Experience Requirements)


항공정비사 응시자는 시행규칙 제76조의 규정에 의거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경험
또는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어야 한다.
1) 4년 이상의 항공기 정비․개조(자격증명을 받고자 하는 항공기가 활공기인 때에는 활
공기에 대한 정비와 개조) 경력(자격증명을 받고자 하는 항공기와 동등 이상의 것에
대한 6월 이상의 경력이 포함되어야 한다)이 있는 자
2) 고등교육법에 의한 대학 또는 전문대학에서 항공정비사에 필요한 과정을 2년 이상
이수하고 자격증명을 받고자 하는 항공기와 동등 이상의 것에 대하여 6개월 이상의
정비경력이 있는 자 또는 교육과정 이수 전에 1년 이상 정비경력이 있는 자
3) 고등교육법에 의한 대학 또는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로서 다음 각 목의 요건을 구비
한 자
가) 6월 이상의 항공기 정비경력이 있을 것
나) 항공기술요원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에서 필요한 교육을 이수할 것
4)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전문교육기관에서 항공정비사에 필요한 과정을 2년 이상
이수한 자(외국의 전문교육기관으로서 그 외국 정부가 인정한 전문교육기관의 이수
자를 포함한다)

2.4.4.5 항공정비사 기량(Skill Requirements)


가. 항공정비사 자격증명을 취득하고자 하는 자는 법 제29조의 규정에 의한 실기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나. 항공정비사로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체, 동력장치, 기타 장비품의 취급․정비


와 검사방법, 항공기의 탑재 중량 등에 대한 기량을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2.4.4.6 항공정비사 업무범위(Privileges and Limitations)


항공정비사 자격증명 소지자는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범위의 수리를 제외하고 정비한
항공기에 대하여 법 제22조의 규정에 의한 확인행위를 할 수 있다.

2.4.4.7 정비업무범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국토교통부장관은 법 제28조제1항제3호에 따라 항공정비사의 정비업무범위는 기체관련


분야, 피스톤발동기관련분야, 터빈발동기관련분야, 프로펠러관련분야, 또는 전자·전기·계
기관련분야로 한정하여야 한다.

2.4.5 항공공장정비사(Aviation Repair Specialists) <삭 제, 2009.12. 8>

2.5 항공기승무원 신체검사기준과 증명서 교부(Medical Standards and Certification)


2.5.1 일반(General)
2.5.1.1 적용(Applicability)
항공신체검사는 1종, 2종, 3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며, 각 종별 항공신체검사증명서는
항공신체검사기준 및 절차에 따라 발급하여야 한다.

2.5.1.2 항공신체검사 기록(Medical Records)


가. 항공신체검사증명서 신청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항공전문의사에게 과거 및
현재의 개인병력, 가족병력 및 유전 병력에 대한 정보를 알려 주어야 한다. 또한 과
거 항공신체검사 수검 여부 및 수검 일시, 장소, 사유, 검사결과, 부적합판정, 취소,
정지의 경험 여부를 알려주어야 한다. 항공전문의사는 거짓 진술하는 신청자에 대해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보고하도록 한다.

나. 항공전문의사는 신청자 또는 다항의 규정에 의한 위임자에게 본인의 추가적인 의학


정보와 병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관련 정보의 제공을 요구할 수 있다.

다. 신청자는 본인의 병력과 관련된 모든 정보와 기록을 관리하고 있는 진료기관, 병원,


의사 또는 관련기관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위임할 수 있다. 위임받은 진료기
관, 병원, 의사 또는 관련기관은 부득이 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공전문의사의 요구
에 응하여야 한다.

라. 항공전문의사는 요청한 의학적 정보나 병력을 제공하지 않는 신청자의 신체검사증명


서 발급을 거부할 수 있다.

마. 항공기조종사가 라항의 규정에 해당하였을 경우에는 다음 중 어느 하나가 확인될 때


까지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효력을 일시정지, 한정 또는 취소하여야 한다.
1) 신청자 또는 자격증 소지자가 항공전문의사가 요구한 병력 정보를 제공하거나 개인
병력정보공개에 대해 위임한 때
2) 항공전문의사가 신청자 또는 증명소지자가 항공신체검사기준에 충족된다고 판단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2.5.1.3 항공전문의사의 권한(Aviation Medical Examiner : Authority)


가. 시행규칙 제98조의 규정에 의한 지정기준을 충족한 자는 국토교통부장관 에게 항공
전문의사지정 신청서 및 지정 기준에 적합함을 증명하는 서류를 제출하여 항공전문
의사로 지정 받을 수 있다.

나. 국토교통부장관은 가항에 따라 항공전문의사로 지정한 자에게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위임할 수 있다.
1)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발급에 필요한 항공신체검사실시
2) 시행규칙 제95조 제7항 별표 15의 기준에 적합한 경우 항공신체검사증명서 발급
3) 항공신체검사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한 자의 증명서 발급의 보류 또는 거부
4) 법 제31조제4항 및 시행규칙 제95조제2항에 따른 제한사항의 부가
5) 2.5.5에 따라 항공신체검사증명 소지자의 신체상태 저하에 대한 판정

다. 항공전문의사는 항공신체검사증명서 발급의 보류 또는 거부의 경우 항의협에 통보하여


자문을 받아야 한다.

라. 항공전문의사는 매월 신청자의 항공신체검사 결과를 익월 5일까지 항의협에 통보하여


야 한다.

2.5.1.4 한국항공우주의학협회의 권한(The Aerospace Medical Association of Korea :


Authority)
가. 항의협은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다.
1) 항공신체검사증명의 적합성 심사에 관한 업무
2) 항공신체검사증명서 재교부에 관한 업무
3) 항공전문의사의 교육에 관한 업무
4) 시행규칙 제96조제5항의 규정에 따른 자문에 관한 업무
5) 법 제31조제4항 및 시행규칙 제95조제2항에 따른 제한사항의 부가
6) 2.5.5에 따라 항공신체검사증명 소지자의 신체상태 저하에 대한 판정

나. 항의협은 항공전문의사가 이미 발급한 항공신체검사증명서를 재심사할 수 있다.

다. 항의협은 나항의 재심사 결과 항공신체검사증명서가 부적합하게 발급된 경우에는 지


체없이 국토교통부장관 ․ 지방항공청장 또는 항공교통 센터장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라. 항의협은 항공전문의사의 요청이 있는 경우 에는 지체 없이 자문위원회에 상정하여


야 하며, 자문위원회는 신청자의 항공신체검사결과에 대한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발
급 및 거부에 대한 최종 결정을 할 수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마. 항의협은 항공전문의사로부터 통보 받은 신체검사결과를 매 분기 1회 이상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2.5.2 항공신체검사증명서 발급절차(Medical Certification Procedures)


2.5.2.1 적용(applicability)
이 절은 항공신체검사증명서 발급에 필요한 절차를 기술한다.

2.5.2.2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발급(Issuance of Medical Certificate)


가. 항공전문의사는 신체검사결과 및 병력 등을 고려하여 시행규칙 제95조제7항 별표15
의 신체검사기준에 적합할 경우 해당 항공신체검사증명서를 발급하여야 한다.

나. 항공신체검사증명서 신청자는 항공신체검사증명서 발급절차의 신체적, 정신적 기준


에 의한 신체검사를 받아야 한다.

다. 항공신체검사증명 기준에 적합하지 않는 자는 2.5.2.4에 따라 조건부적합 항공신체


검사증명서를 발급 받을 수 있다.

라. 신체검사결과 업무상 제한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그 사항을 항공신체검사증명서에 기


입하여야 한다.

2.5.2.3 항공신체검사증명서 기준 및 유효기간


항공기승무원의 1종, 2종, 3종의 항공신체검사기준 및 유효기간은 시행규칙 제95조의
규정에 의한다.

2.5.2.4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조건부 발급(Special Issuance of Medical Certificate)


가. 항공전문의사는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발급의 보류 또는 거부에 대하여 항의협 내
자문위원회의 자문을 받아야 한다.

나. 항의협은 항공전문의사의 자문 요청에 대하여 지체없이 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의


하고 그 결과를 항공전문의사 및 신청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다. 항의협의 자문위원회는 시행규칙 제95조제7항 별표15의 검사항목 중 일부항목이 신


체검사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하더라도 다음의 사항을 충족할 경우 조건부 적합으로
항공신체검사 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다.
1) 해당업무를 행함에 있어 비행안전을 위협하지 않을 것
2) 신청자의 능력, 기술, 비행경험과 운항조건을 충분히 고려할 것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라. 항공전문의사 및 항의협은 자격증명 소지자가 항공 업무를 안전하게 수행하는데 필


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항공신체검사증명서에 제한사항을 부가하여 발급할 수 있
다.

2.5.2.5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갱신(Renewal of Medical Certificate)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갱신은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최초의 증명서발급
절차에 준하여 처리되어야 한다.

2.5.2.6 항공신체검사증명의 결과에 대한 이의신청


가. 항공신체검사증명의 결과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사람은 그 결과를 통보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시행규칙 별지 50호 서식의 이의신청서(전자문서로 된 이의 신청서를
포함한다)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나. 국토교통부장관은 가목에 따른 이의신청을 받은 때에는 신청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이를 심사하고 그 결과를 신청인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2.5.3 자격증명별 항공신체검사기준(Physical and Mental Standards-All Medical


Certificate)
자격증명별 항공신체검사 기준은 시행규칙 별표 15 및 제95조제8항, 제98조제6항의 규
정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한「항공신체검사증명 업무규정」을 따른다.

2.5.3.1 내지 2.5.3.11 <삭제, ‘06.11.20.>

2.5.4 안과 전문의사 검진(Ophthalmic Examination)


최대 교정시력의 저하, 나안 시력의 상당한 저하, 안질환, 안손상이나 눈 수술, 그 밖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안과전문의의 검사를 받아 그 결과를 항공전문의사에게 제
출하여야 한다.

2.5.4.1 눈 수술(Eye Surgery)


눈 굴절상태에 영향을 주는 수술을 받은 경우는 부적합 하지만, 피검자의 면허나 한정
업무 수행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후유증이 없는 경우는 예외로 할 수 있다.

2.5.4.2 선글라스 착용(Sunglasses) : 삭제(‘06.11.20.)

2.5.4.3 다른 부적격 신체검사 기준(Other Disqualifying Physical Conditions) : 삭제


(‘06.11.20)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2장 자격증명

2.5.5 신체상태의 저하(Decrease in medical fitness)

2.5.5.1 항공신체검사증명 소지자는 법 제48조에 따라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유효기간


이내라도 신체상태의 저하로 항공업무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항공
업무에 종사하여서는 아니된다.

2.5.5.2 항공신체검사증명 소지자는 다음 어느 하나의 경우 해당 항공신체검사증명서를


발급한 항공전문의사 또는 항공우주의학협회에 보고해야 한다.
가. 중대한 상해를 입거나 병원치료를 요하는 경우
나. 20일 이상 신체상태가 저하된 경우
다. 의사 처방에 따라 약물 치료를 지속적으로 받는 경우
라. 임신이 확정된 경우

2.5.5.3 2.5.5.2에 따라 항공업무 부적합 상태라고 판단된 항공신체검사증명소지자는


해당기간동안 항공업무를 수행해서는 아니된다.
제3장 항공훈련기관
(Aviation Training Organizations)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3장 항공훈련기관

제3장 항공훈련기관(Aviation Training Organizations)

3.1 일 반(General)
3.1.1 적 용(Application)
가. 이 장은 법 제74조의2 및 시행규칙 제218조의3에 따라 항공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자의 훈련을 담당하는 항공훈련기관(ATO)의 인가와 운영을 위한 요건 등을 규정한
다.

나. 이 장은 항공운송사업자가 자신이 고용하고 있는 항공종사자를 훈련시키기 위하여


자체훈련기관을 설립하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다. 항공종사자의 자격증명과 한정자격취득을 담당하는 전문교육기관에 대하여는 법 제


29조의3 및 시행규칙 제93조에 의한 항공종사자 전문교육기관 지정을 위한 항공종
사자 자격별 훈련기준․지침 및 전문교육기관지정요령에 의한다.

3.1.2 정의(Definitions)
이 장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노선적응훈련(Line Operational Flight Training)”이라 함은 대표적인 비행구간을
정하여 비행 중 예상되는 정상, 비정상 및 비상상황에 대하여 승무원 편조별로 모의
비행장치에서 실시하는 훈련을 말한다.
2) “분교(Satellite Training Center)”라 함은 주 항공훈련기관 이외의 장소에 위치한
항공훈련기관을 말한다.
3) “비행훈련장비(Flight Training Equipment)”라 함은 운항승무원의 비행훈련을 위하
여 사용되는 모의비행장치, 비행훈련장치(Flight Training Device) 또는 비행기 등
을 말한다.
4) “안전관리과정(Safety Management Course)" 이라 함은 항공과 관련한 인적요소와
과학적 연구방법, 항공기의 안전관리와 사고예방, 항공기 사고 조사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훈련과정을 말한다.
5) “운항관리과정(Flight Operation Management Course)" 이라 함은 운항부분에서의
안전 및 경제성 운항,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응하는 방법과 기술적 관리, 승무원 자원
관리(CRM)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훈련과정을 말한다.
6) “조종사 지상학과정(Pilot Ground School Course)"이라 함은 교육교재, 시청각 교
육장비(CBT) 등을 활용하여 조종사의 학과교육을 실시하는 훈련과정을 말한다.
7) “조종사 훈련과정(Pilot Training Course)" 이라 함은 비행훈련장비를 사용하여 조
종사의 비행훈련을 실시하는 훈련과정을 말한다.
8) “책임관리자(Accountable Manager)”라 함은 항공훈련기관에서 수행되는 모든 훈련
의 운영을 담당하는 관리자로써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 제반기준의 이행에 대해 책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3장 항공훈련기관

임과 권한을 가진 자를 말한다.
9) “항공보안과정(Airport Security Course)”이라 함은 공항운영과 관련된 항공보안업
무 전반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훈련과정을 말한다.
10) “항공훈련기관 (Aviation Training Organizations)”이라 함은 법 제74조의2 및 시
행규칙 제218조의3에 따라 항공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자를 전문적으로 훈련시키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 받은 기관을 말한다.
11) “훈련운영기준(Training Specifications)”이라 함은 항공훈련기관의 운영에 필요한
훈련세부사항으로서 항공훈련기관의 조직, 훈련, 시험, 평가에 대한 제한사항과 훈
련과정의 운영 등이 수록된 서류를 말한다.
12) “객실승무원훈련과정”이라 함은 법 제74조 및 시행규칙 제218조에서 정한 객실승
무원의 자격을 획득하기 위하여 본 기준에서 정한 교육을 실시하는 훈련과정을 말
한다.
13) “항공정비 훈련과정(Maintenance Training Course)”이란 항공정비규정 또는 항공
정비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규정하고 있는 항공정비업무와 관련한 교육을 실시하는
훈련과정을 말한다.

3.2 항공훈련기관 인가(ATO Certificate)


3.2.1 운영요건(Operating Requirements)
항공훈련기관을 운영하고자 하는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훈련운영기준 (Training
Specifications)이 포함된 항공훈련기관 인가서(ATO Certificate)를 교부 받아야 한다.

3.2.2 인가신청(Application for Certificate)


가. 항공훈련기관 인가서를 교부 받고자 하는 자는 훈련을 시작하고자 하는 날부터 60
일전까지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별지 제1호 서식의 항공훈련기관 인가신청서를 제출하
여야 한다.

나. 가항의 규정에 의한 신청서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다만, 개설하


고자 하는 훈련과정의 특성상 적용할 수 없는 사항은 제외할 수 있다.
1) 설치자 및 책임 관리자의 이력서
2) 훈련운영기준에 포함될 내용
3) 평가기준 및 방법
4) 비행훈련장비에 대한 개요
5) 훈련시설
6) 교관, 평가관 등 종사자 확보현황
7) 과정별 세부 훈련운영계획
8) 훈련생, 교관, 평가관 등의 훈련과 자격 등에 관한 기록유지 시스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3장 항공훈련기관

다. 인가신청서에 포함되는 훈련시설 및 장비는 인가서의 교부를 위한 현장확인 심사 시


항공훈련기관에 설치되고 운용준비가 완료되어야 한다.

3.2.3 인가서의 교부(Issuance of Certificate)


가. 국토교통부장관은 신청인이 이 장에서 정한 제반 요건을 충족하였을 때에는 별지 제
2호 서식의 항공훈련기관 인가서를 교부하여야 한다.

나. 가항의 규정에 의한 인가서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다만, 개설하


고자 하는 훈련과정의 특성상 적용할 수 없는 사항은 제외할 수 있다.
1) 설치자의 성명과 주소
2) 항공훈련기관의 명칭과 주소
3) 발행일자와 유효기간
4) 훈련장소
5) 다음의 사항이 포함된 훈련운영기준(Training and Procedures manual)
가) 훈련기관의 조직
나) 교육훈련과정의 범위
다) 평가에 관한 사항
라) 훈련과 시험, 평가 등에 사용하는 교재 및 항공기, 모의비행장치 등 장비 등을 포
함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마) 모의비행장치 운영등급과 기타 훈련에 사용되는 장비에 관한 사항
바) 인가 받은 분교의 명칭 및 주소
사) 항공훈련기관 설치자, 관리자 및 교관에 대한 이름, 임무 및 자격요건 등
아) 항공훈련기관의 품질보증시스템(Quality Assurance System)운영에 관한 사항
자) 항공훈련기관의 기록관리에 관한 사항
차) 기타 국토교통부장관이 설정한 인가사항과 제한사항 등

다. 항공훈련기관을 인가 받은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 받은 훈련과정에 의거


다음 사항의 요건을 충족한 경우 분교에서 교육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1) 분교의 시설, 장비, 인원 및 훈련내용은 인가요건에 적합하여야 한다.
2) 주 항공훈련기관은 분교의 교관과 평가관을 직접 관리, 감독하여야 한다.
3) 분교의 인가서를 교부 받고자하는 자는 훈련을 시작하고자 하는 날부터 60일 전까
지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인가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4) 훈련운영기준에 분교의 명칭, 주소 및 인가 받을 훈련과정을 명시하여야 한다.

라. 국토교통부장관은 분교의 훈련운영기준이 포함된 항공훈련기관 인가서를 교부한다.

3.2.4 변경신청(Application for Amendment)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3장 항공훈련기관

가. 항공훈련기관은 다음 각 호의 변경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별지 제3호 서


식의 항공훈련기관 인가변경신청서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 3.2.3, 나항 제1호ㆍ제2호ㆍ제4호 및 제5호에 해당하는 사항
2) 인가사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설과 장비, 절차, 훈련과정 등

나. 국토교통부장관은 가항의 변경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항공훈련기관을 운영할 수 있


는 조건들을 별도로 정할 수 있다.

다. 국토교통부장관은 가항 및 나항 이외에 항공법령 또는 관련규정의 변경으로 인하여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항공훈련기관 인가서를 변경할 수 있다.

3.2.5 보고사항(Notice To The Authority)


항공훈련기관은 다음 각 호의 변경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지체 없이 국토교통부장관에
게 보고하여야 한다.
1) 책임 관리자
2) 교관 및 평가관
3) 기타 훈련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

3.2.6 인가의 정지 또는 취소(Suspension or Revocation of Certificate)


국토교통부장관은 항공훈련기관이 다음 각 호에 해당되는 경우 항공훈련업무를 일정기간
정지시키거나 인가를 취소할 수 있다.
1) 인가서 및 훈련운영기준에 반하여 항공훈련기관을 운영한 경우
2) 3.2.5조의 보고를 허위로 한 경우
3) 3.3.2조의 검사에 응하지 아니한 경우
4) 항공훈련기관의 인가내용과 다르게 허위광고를 하였을 경우
5) 이 장에서 정한 규정에 위반한 경우
6) 이 장에서 정한 국토교통부장관의 지시를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

3.2.7 훈련과정과 종사자의 요건(Training Courses and Personnel Requirements)


가. 항공훈련기관은 인가된 훈련과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나. 항공훈련기관은 국토교통부장관의 사전인가 없이 임의로 훈련과정을 변경하여


서는 아니 된다.

다. 항공훈련기관은 이 장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훈련을 진행할 수 있는 책임관리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3장 항공훈련기관

자를 최소 1인 이상을 두어야 한다.

라. 항공훈련기관은 인가 받은 훈련과정에 따라 주어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


격을 갖춘 충분한 교관ㆍ평가관 및 행정요원을 확보하여야 한다.

마. 항공훈련기관은 항공운송사업자의 운항승무원을 교육하고자 하는 경우, 훈련과정 및


훈련교범이 포함된 훈련운영기준에 항공운송사업자의 비행안전문서시스템(Flight
Safety Document System)에 따라 마련된 비행관련 도서들을 반영하여야 한다.

3.3 훈련장소와 시설(Training Location and Facilities)


3.3.1 시설과 장비(Facilities and Equipment)
가. 항공훈련기관은 훈련과정의 내용, 훈련생의 수 및 연간 훈련회수 등을 감안하여 필
요한 시설, 장비 및 교재 등을 갖추어야 한다.

나. 학과훈련교재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정한 범위와 수준 이상이 포함된 적절한 내용의 기본
교과서 및 필요 참고서를 갖출 것
2) 해당과정에 맞는 형식의 항공기 운항, 항공보안, 운항관리, 또는 안전관리 등의 학습
에 필요한 교재를 갖출 것
3) 해당 과정에 맞는 형식의 항공기 계기 및 장비품의 구조, 기능 또는 조작방법
을 명시한 모형 또는 도면을 갖출 것

다. 비행훈련을 위해 사용하는 비행장은 훈련용 항공기가 다음 각 호의 조건하에서 표준


이륙을 할 수 있어야 한다.
1) 항공기의 중량은 최대이륙중량으로 한다.
2) 기상조건은 풍속 5노트 이하로 해당지역의 평균최고기온으로 한다.
3) 운용방법은 항공기 제작사가 발행한 비행교범 또는 비행규정에 의한 통상의 방법으
로 한다.

라. 학과 또는 실기훈련을 위한 강의실, 브리핑실 등의 시설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


합하여야 한다.
1) 훈련생수에 따라 충분한 면적을 갖출 것
2) 책상, 의자, 흑판, 컴퓨터, OHP, Beam Projector 등 필요한 사무기기를 갖출 것
3) 건축 관계법규에 적합할 것

마. 훈련용 항공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비행훈련을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의 항공기를 갖출 것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3장 항공훈련기관

2) 해당과정을 훈련하기에 필요한 성능, 구조 및 장비를 갖출 것


3) 훈련용 항공기 비행규정은 항공기제작사 및 국토교통부장관이 인가한 것으로
훈련생이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수 이상을 갖출 것
4) 훈련용 항공기의 감항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정비수단을 확보할 것

바. 훈련용 모의비행장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지방항공청장이 지정한 해당 형식의 항공기에 맞는 모의비행장치를 갖출 것
2) 해당과정을 훈련하기에 필요한 성능, 구조 및 장비를 갖출 것
3) 훈련용 모의비행장치의 성능 및 기능 등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본적인
정비수단을 확보할 것
4) 항공훈련기관은 모의비행장치 검사기록부를 유지, 관리할 것
5) 항공훈련기관은 모의비행장치의 다음 각목의 사항을 확인하고 시정할 것
가) 모의비행장치의 모든 성능, 기능 및 특성의 신뢰성 유지
나) 모의비행장치의 모든 개조사항
다) 비행 전 일일 기능점검
라) 훈련 종료마다 교관이나 평가관이 기록한 비행일지의 결함내용

사. 항공훈련기관은 국토교통부장관의 사전 승인 없이 훈련과정에서 사용되는 시설 및


장비를 변경하여서는 아니 된다.

아. 항공훈련기관은 인가서에 기재된 주소에 주 사무소를 설치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3.3.2 검사(Inspection)
가. 국토교통부장관은 항공훈련기관의 인가를 신청한 자에 대하여 별지 제4호 서식에 의
하여 신청서에 첨부된 내용을 서류심사하고, 훈련시설 및 장비 등을 현장확인검사
하여야 한다.

나. 국토교통부장관은 항공훈련기관이 이 장에서 정한 규정을 준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


기 위해 별지 제4호 서식에 의하여 매년1회 이상의 정기검사를 하고, 인가기준을 위
배할 현저한 우려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특별검사를 하여야 한다.

다. 국토교통부장관은 검사 동안에 발견된 지적사항을 항공훈련기관에게 통보하고 시정


토록 요구하여야 한다.

3.4 훈련과정(Training Courses)


3.4.1 훈련과정의 구분(Categories of Training Courses)
가. 국토교통부장관은 항공훈련기관의 인가 신청자가 제3장에서 정한 제반 기준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3장 항공훈련기관

충족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훈련과정을 인가할 수 있다.


1) 조종사 지상학 과정
2) 비행훈련과정
3) 항공보안과정
4) 운항관리과정
5) 안전관리과정
6) 객실승무원훈련과정
7) 항공정비 훈련과정
8) 기타 인가 신청자가 신청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훈련과정

나. 국토교통부장관은 가항의 규정에 의한 훈련과정을 인가함에 있어서 훈련내용을 감안


하여 훈련운영기준에서 이를 세부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3.4.2 훈련과정에 포함될 사항(Contents of Training Courses)


훈련과정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1) 훈련대상자가 훈련과정에 등록하기 위한 전제조건 등
2) 훈련이수를 위한 교과목 편성표, 훈련목적, 기준 등 훈련 운영계획
3) 과정 목표
4) 시험과 평가방법
5) 기타 훈련에 필요한 사항

3.4.3 훈련과정의 수정 등(Changes of Training Courses, etc)


가. 국토교통부장관은 항공훈련기관이 인가 받은 훈련과정에 명시된 훈련기준을 충
족시키지 못한다고 판단하는 경우는 해당 훈련과정을 수정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나. 국토교통부장관은 가항에 의거 수정 지시한 사항을 30일 이내에 이행하지 않


을 경우 항공훈련기관의 인가를 일시정지 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3.4.4 품질보증시스템(Quality Assurance System)


항공훈련기관은 교육훈련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훈련 및 교수기법에 대한 품질보증
시스템을 수립하여야 한다.

3.5 종사자 요건(Personnel Requirements)


3.5.1 설치자의 자격요건(Organizer Requirements)
항공훈련기관 설치자의 자격요건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25세 이상일 것
2) 훈련기관을 적정하게 운영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자일 것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3장 항공훈련기관

3) 설치자가 법인인 경우에는 그 법인의 대표자가 금치산자ㆍ한정치산자 또는 파산자로


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가 아닐 것

3.5.2 책임 관리자의 자격요건(Accountable Manager Requirements)


항공훈련기관 책임 관리자의 자격요건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25세 이상일 것
2) 훈련기관을 적정하게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자일 것
3) 훈련과정에 관하여 필요한 지식 및 경험을 가진 자일 것

3.5.3 주임교관의 자격요건(Chief Instructor Requirements)


주임교관은 교관의 자격을 갖춘 자로서 훈련과정 관련부서에서의 교관경력이 5년 이상
이어야 한다.

3.5.4 교관의 자격요건(Instructor Requirements)


가. 교관의 자격요건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18세 이상일 것
2) 국어 또는 영어를 읽고, 쓰고, 말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
3) 학과교관의 경우에는 해당 교과목에 대한 전문지식과 5년 이상의 실무경험을 가질

4) 해당 훈련과정에 유효한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또는 교관 인증서를 소지할 것
(해당되는 훈련과정에 한한다)

나. 비행훈련과정의 비행교관 자격요건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운송용조종사의 경우에는 운송용조종사 자격증명과 해당 항공기 형식의 한정
자격증명을 소지하고 운송용 항공기 기장으로서 총 비행시간 1천시간 또는 해기
종 기장으로서 비행시간 5백시간의 경력이 있을 것. 단, 모의비행장치 전담교관
의 경우 모의비행장치 비행시간을 인정할 수 있다.
2) 법 제34조제2항제2호의 규정에 의한 조종교육을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조종교육증
명을 소지하고, 시행규칙 제142조의 규정에 의한 조종교육경험을 가질 것
3) 모의비행장치를 사용하여 훈련비행을 수행하는 자는 3.5.5에서 정한 교관훈련을 이
수하고 시험요건을 충족한 자일 것

다. 항공훈련기관은 인가된 훈련 과정을 담당할 교관을 서면으로 임명하여야 한다.

3.5.5 교관훈련 및 시험요건(Instructor Training and Testing Requirements)


가. 항공훈련기관은 교관을 최초로 임용하기 전의 임용훈련과 임용된 후 임용한 날
을 기준으로 매 12개월 첫째 날에 아래의 요건들을 충족하여야 한다. 단,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3장 항공훈련기관

나항에서 정한 경우는 예외로 한다.


1) 항공기 또는 모의비행장치 비행교관은 교관으로서 갖추어야 할 지식, 기량 및
교수능력을 주임교관 또는 평가관에게 만족스럽게 시범을 보여야 한다.
2) 교관이 이수하여야 할 지상학 과목은 다음과 같다. 다만, 대학교수인 교관과 임
시 시간제 교관의 경우에는 이를 생략할 수 있다.
가) 학습과정에 대한 기본원리
나) 효과적인 교수법
다) 교관의 임무, 권한, 책임
라) 훈련정책 및 절차
마) 승무원자원관리(CRM)와 승무원 상호협조(해당되는 훈련과정에 한한다)
바) 평가방법
3) 모의비행장치 비행교관은 다음 각목의 과목이 포함된 지상학과 모의비행장치
훈련과정을 이수하여야 한다.
가) 모의비행장치의 조종계통과 시스템의 적절한 운용
나) 주변판넬과 경고판넬의 적합한 운용
다) 모의비행에 있어서의 제한사항
라) 최소장비목록(MEL)
4) 항공기 비행교관은 다음 각목의 과목이 포함된 지상학과 비행훈련장비에서의
비행훈련과정을 이수하여야 한다.
가) 비행훈련 절차와 비행조작
나) 항공기의 하부시스템과 운용규칙
다) 비상운항절차
라) 훈련 중 발생할 수 있는 비상상황
마) 안전조치

나. 교관이 만기예정 달의 이전이나 이후의 달에 가항의 교과과정을 이수한 것은 다음의


훈련 예정 달을 계산하는데 있어서 예정 만기 달에 받은 것으로 간주한다.

3.5.6 평가관의 자격요건 및 인정(Evaluator Requirements and Authorization)


가. 항공훈련기관의 평가관으로 임명받고자 하는 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충족하
여야 한다.
1) 25세 이상일 것
2) 국어 또는 영어를 읽고, 쓰고, 말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
3) 다음의 과목이 포함된 지상학을 이수할 것
가) 평가관의 임무ㆍ역할 및 책임
나) 시험과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 절차 및 기법
다) 조종사 기량의 평가(비행훈련과정에 한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3장 항공훈련기관

4)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조종사 평가를 수행하는 평가관은 항공운송사업


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기장으로서의 비행시간이 2천시간 이상이거나 당해 형식의 항
공기 기장으로서의 비행시간이 1천시간 이상이어야 하며, 모의비행장치 또는 항공기
에서 시행규칙 제163조의 규정에 준하는 지식심사와 정기기량심사(Annual
Proficiency Check)를 이수할 것

나. 항공훈련기관이 가항의 규정에 의한 평가관을 임명하고자 하는 때에는 별지 제5호


서식의 항공훈련기관 평가관 인정신청서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 평가관 인
정을 받아야 한다. 이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은 평가관 인정신청자에 대하여 시행규칙
제161조의 규정에 준하는 인정심사를 실시한 후 별지 제6호 서식의 항공훈련기관
평가관 인정서를 교부하여야 한다.

다. 법 제51조 및 시행규칙 제149조 내지 제149조의3의 규정에 의하여 조종사 운항자


격인정심사를 수행하는 평가관은 시행규칙 제162조의 자격요건을 갖추고, 시행규칙
제151조의 규정에 의하여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위촉을 받아야 한다.

라. 평가관의 훈련만기 예정일을 계산할 경우 만기 예정 달과 예정 달 전후 달에 가항제


3호 및 제4호에서 요구하는 지상학 및 심사과정을 만족스럽게 수행한 평가관은 만기
예정 달에 훈련을 받은 것으로 본다.

3.5.7 교관 및 평가관의 권한 및 제한(Instructor and Evaluator Privileges and


Limitation)
가. 항공훈련기관은 교관이 다음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비행훈련과정에서의 평가는
평가관이 행한다.
1) 교관이 자격을 갖춘 각 교과과정에서의 교육훈련
2) 교관이 자격을 갖춘 각 교과과정에서의 시험과 평가

나. 항공훈련기관은 교관이 훈련 전ㆍ후의 브리핑을 제외하고, 연속 24시간 동안 8시간


초과, 연속 7일 동안 6일 또는 40시간을 초과하여 교육을 하도록 하여서는 아니된다.

다. 항공기 조종석에서 비행 중에 훈련을 시키거나 평가를 하는 비행교관 또는 평가관의


경우에는 최소한 제2종 신체검사 증명서를 소지하여야 한다.

3.6 운영규칙(Operating Rules)


3.6.1 훈련과정의 인정(Approval of Training Courses)
가. 훈련생이 다른 항공훈련기관으로부터 훈련을 이수한 과정 또는 과목은 항공훈련기관
의 해당 과정에 연계 실시하는 경우 이를 인정할 수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3장 항공훈련기관

나. 국토교통부장관이 인가한 항공운송사업자의 훈련프로그램을 이수한 경우 이를


항공훈련기관으로부터 해당 훈련과정 또는 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다.

3.6.2 준수사항(Limitations)
가. 항공훈련기관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시험 또는 평가에서 모의비행장치나 비행훈련장치의 정지, 느린 동작, 위치 재
조정 등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2) 위치 재조정 기능은 항로에서의 강하와 접근을 시작하는 위치를 빨리 설정하기 위해
노선운항 시뮬레이션에서의 평가와 노선적응훈련을 위해서만 사용하여야 한다.
3) 인원ㆍ시설 및 장비 등을 적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나. 비행장, 비행훈련장비, 교관과 평가관등이 훈련운영기준에 명시된 요건과 기준


을 계속적으로 준수하지 못하는 경우 항공훈련기관은 인가된 훈련과정에 등록
된 학생을 훈련시켜서는 아니된다.

3.7 행정업무(Administrative)
3.7.1 기록관리(Record Keeping)
가. 항공훈련기관은 훈련생의 다음사항에 대한 기록을 관리 ․ 유지하여야 한다.
1) 훈련생 성명
2) 항공신체검사증명서(요구되는 경우에 한 한다)
3) 훈련과정명과 사용하고 있는 비행훈련장비에 대한 제작사와 모델
4) 훈련성적과 담당 교관의 성명
5) 시험 또는 평가결과 및 담당 평가관의 서명
6) 불합격한 과목에 대한 추가 이수훈련 및 평가 결과

나. 훈련생이 소지하는 비행기록부(Logbook)는 가항에서 정한 기록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다. 항공훈련기관은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 받은 과정을 담당하는 교관 및


평가관이 이 장의 요건을 준수함을 증명하는 다음과 같은 기록을 유지, 관리하
여야 한다.
1) 교관 및 평가관의 최초 임용훈련
2) 교관 및 평가관의 정기훈련

라. 항공훈련기관은 다음 각 호와 같이 기록유지를 하여야 한다.


1) 가항에서 정한 기록들은 과정을 수료한 날로부터 최소 2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2) 다항에서 정한 기록들은 교관이나 평가관이 면허소지자에 의해 고용되어 있는 동안
과 교관이 퇴사한 날 기준일로부터 2년간 보관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3장 항공훈련기관

마. 항공훈련기관은 국토교통부장관이 훈련자료를 요청할 경우 이 조에서 정한 기


록들을 제출하여야 한다.

바. 항공훈련기관은 훈련 이수자가 훈련기록을 요청할 경우 그의 훈련기록 사본을


제공하여야 한다.

3.7.2 훈련이수증명서(Graduation Certificates)


가. 항공훈련기관은 훈련생이 훈련과정을 이수하였을 때에는 별지 제7호 서식의 훈
련이수 증명서를 발급하여야 한다.

나. 항공훈련기관이 발행하는 훈련이수증명서에는 다음 사항을 기재하여야 한다.


1) 항공훈련기관의 명칭과 인가번호
2) 훈련이수자의 성명
3) 훈련과정명
4) 훈련기간
5) 훈련생이 해당과정을 이수하였음을 증명하는 문구
6) 대표자의 인증

다. 항공훈련기관은 다음의 경우 훈련생에게 과정이수증명서를 발급하여서는 아니된다.


1) 해당 훈련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경우
2) 최종시험에 불합격한 경우

3.7.3 성적증명서(Transcripts)
가. 항공훈련기관은 훈련생이 성적증명서를 요청할 경우 이를 제공하여야 한다.

나. 성적증명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훈련과정명
2) 훈련과정 이수여부
3) 성적
4) 대표자의 인증

3.7.4 광고의 제한사항(Advertising Limitation)


가. 항공훈련기관은 다음 각 호와 같은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해당 항공훈련기관에 등록하려는 사람을 잘못 인도할 수 있는 항공훈련기관 인
가서 및 훈련운영기준과 관련된 언급을 하는 것
2) 인가 받지 않은 훈련과정을 광고하는 것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3장 항공훈련기관

나.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취소통보 또는 일시정지처분을 받은 항공훈련기관은 국


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 받았던 내용을 나타내는 일체의 문구를 제거하여야 한다.
제4장 항공기 등록 및 등록부호 표시
(AIRCRAFT REGISTRATION AND MARKING)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4장 항공기 등록 및 등록부호 표시

제4장 항공기 등록 및 등록부호 표시(AIRCRAFT REGISTRATION AND MARKING)

4.1 일반(GENERAL)
4.1.1.1 적용(Applicability)
이 장은 법 제3조부터 제6조까지, 제8조부터 제12조까지, 제14조 및 제39조에 따른 항
공기의 등록과 국적기호 및 등록기호(이하 “등록부호”라 한다) 표시에 관한 사항을 규정
한다.

4.1.1.2 정의(Definitions) <삭 제, 2009.12. 8>

4.2 항공기 등록요건(REGISTRATION REQUIREMENTS)


4.2.1.1 일반(General)
법 제3조에 따라 항공기를 소유 또는 임차하여 항공기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자(이하 “소유자등”이라 한다)는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등록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4.2.1.2 항공기 등록의 적합성(Registration Eligibility)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소유 또는 임차하는 항공기나 외국의 국적을
가진 항공기는 등록할 수 없다. 다만, 대한민국의 국민 또는 법인이 임차하거나 기타 사
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항공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대한민국의 국민이 아닌 사람
2) 외국정부 또는 외국의 공공단체
3) 외국의 법인 또는 단체
4) 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주식이나 지분의 2분의 1이상을
소유하거나 그 사업을 사실상 지배하고 있는 법인
5) 외국인이 법인등기부상의 대표자이거나 외국인이 법인등기부상의 임원 수의 2분의
1이상을 차지하는 법인

4.2.1.3 항공기 등록신청(Application)


항공기를 등록하고자 하는 자는 법, 항공기 등록령 및 항공기 등록규칙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항공기 등록신청서를 제출하여야한다.

4.3 등록부호 표시 (DISPLAY OF NATIONALITY AND REGISTRATION MARKS)


4.3.1.1 적용(Applicability)
이 절은 대한민국에 등록된 항공기에 등록부호를 표시하는 방법을 규정한다.

4.3.1.2 일반(General)
가. 이 장의 요건에 따른 등록부호를 표시하지 아니한 항공기는 항공에 사용하여서는 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4장 항공기 등록 및 등록부호 표시

니 된다. 국적기호를 확인하기 위한 문자는 국제민간항공기구 부속서 7에서 정한 규


정에 의한다. 이 경우 등록부호는 시행규칙 제117조의 규정에 의한 문자 및 숫자의
일련번호로 구성되어야 한다.

나. 항공기 소유자등은 등록부호의 변형이나 혼동을 일으킬 수 있는 도안, 기호, 부호 등


을 항공기에 표시하여서는 아니된다.

다. 항공기의 등록부호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표시되어야 한다.


1) 항공기에 페인트로 칠하거나 동등 수준 이상의 방법으로 부착하여야 한다.
2) 장식을 하지 말아야 한다.
3) 배경색깔과 현저하게 차이가 있어야 한다.
4) 판독하기 쉬워야 한다.

라. 국토교통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문자조합 등은 등록기호로 지


정하지 아니한다.
1) 국제 신호 코드(International Code of Signal)로 사용되는 다섯 자리 문자조합
2) 국제통신(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의 Q 코드에 사용되는 Q로 시작하는
세 자리 문자조합
3) 그 밖의 SOS, XXX, PAN 및 TTT 등 긴급 신호와 유사한 문자

4.3.1.3 등록부호 표시 : 일반(Display of Marks : General)


가. 법 제39조의 규정에 의한 국적기호는 장식체가 아닌 로마자의 대문자 HL로 표시하
여야 하며, 등록기호는 장식체가 아닌 4개의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하고 국적기호의
뒤에 이어서 표시하여야 한다.

나. 국토교통부장관은 시행규칙 제118조부터 제120조까지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부득이


한 사유가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등록부호의 표시장소․높이․폭 등을 따로 정할
수 있다.

4.3.1.4 등록부호의 크기(Size of Marks)


가. 항공기 소유자 등은 항공기 등록부호에 사용되는 문자와 숫자의 크기에 대하여 나항
내지 바항의 요건을 준수해야 한다.

나. 등록부호에 사용하는 각 문자와 숫자의 높이는 다음의 기준에 따른다.


1) 비행기와 활공기에 표시하는 경우
가) 주 날개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50센티미터 이상
나) 수직꼬리날개 또는 동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30센티미터 이상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4장 항공기 등록 및 등록부호 표시

2) 회전익 항공기에 표시하는 경우


가) 동체 아랫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50센티미터 이상
나) 동체 옆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30센티미터 이상
3) 비행선에 표시하는 경우
가) 선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50센티미터 이상
나) 수평안정판과 수직안정판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15센티미터 이상

다. 등록부호의 폭은 숫자 “1”을 제외하고는 문자 및 숫자 높이의 3분의2가 되어야 하


며, 국적기호 “H”와 “L”은 높이와 폭이 같아야 한다.

라. 등록부호의 굵기는 등록부호 높이의 6분의1이어야 하며, 등록부호는 실선으로 표시


하여야 한다.

마. 등록부호의 간격은 각 문자 및 숫자 폭의 4분의1 이상 2분의1 이하 이어야 한다.

바. 항공기의 양면에 표시한 등록부호는 동일한 높이, 폭, 두께, 간격이어야 한다.

사. 등록부호의 각 문자 및 숫자의 높이는 같아야 한다.

4.3.1.5 비행기와 활공기의 등록부호 표시장소(Location of Marks on Airplane and


Glider)
가. <삭 제, 2009.12. 8>

나. 주 날개와 꼬리날개 또는 주 날개와 동체에 다음과 같이 표시하여야 한다.


1) 주 날개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오른쪽 날개 윗면과 왼쪽 날개 아랫면에 주 날개의
앞 끝과 뒤 끝에서 같은 거리에 위치하도록 하고, 등록부호의 윗 부분이 주 날개의
앞 끝을 향하게 표시하여야 한다. 다만, 각 기호는 보조 날개와 플랩에 걸쳐서는
아니 된다.
2) 수직 꼬리 날개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수직 꼬리 날개의 양쪽 면에, 꼬리 날개의 앞
끝과 뒤 끝에서 5센티미터 이상 떨어지도록 수평 또는 수직으로 표시하여야 한다.
다만, 수직 꼬리 날개가 2개 이상인 경우, 좌우측 바깥쪽 수직 꼬리 날개의 바깥쪽
면에 표시하여야 한다.
3) 동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주 날개와 꼬리 날개 사이에 있는 동체의 양쪽면의 수평
안정판 바로 앞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표시하여야 한다.
4) 제3호의 위치에 엔진 포드(Engine Pods)와 부속장치가 있는 경우, 당해 엔진포드
나 부속장치에 등록부호를 표시할 수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4장 항공기 등록 및 등록부호 표시

4.3.1.6 회전익항공기의 등록부호 표시장소(Location of Marks on Rotorcraft)


가. 회전익항공기의 경우에는 동체 아랫면과 동체 옆면에 다음과 같이 표시하여야 한다.
1) 동체 아랫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동체의 최대 횡단면 부근에, 등록부호의 윗부분이
동체 좌측을 향하게 표시하여야 한다.
2) 동체 옆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주 회전익의 축과 보조 회전익의 축 사이의 동체 또
는 동력장치가 있는 부근의 양측 면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표시하여야 한다.
나. <삭 제, 2009.12. 8>

4.3.1.7 경항공기의 등록부호 표시장소(Location of Marks on Lighter-Than-Air


Aircraft)
가. 비행선의 경우에는 선체 또는 수평안정판과 수직안정판에 다음과 같이 표시하여야
한다
1) 선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대칭축과 직교하는 최대횡단면 부근의 윗면과 양옆면에
표시하여야 한다.
2) 수평안정판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오른쪽 윗면과 왼쪽 아랫면에 등록부호의 윗부분이
수평안정판의 앞 끝을 향하게 표시하여야 한다.
3) 수직안정판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수직안정판의 양쪽면 아랫부분에 수평으로 표시하
여야 한다.

나. <삭 제, 2009.12. 8>

4.3.1.8 등록부호의 크기와 표시장소의 예외(Deviation for Size and Location of


Marks) <삭 제, 2009.12. 8>

4.3.1.9 항공기 매각 : 등록부호 제거(Sale of Aircraft : Removal of Marks) <삭 제,


2009.12. 8>

4.3.1.10 등록기호표의 부착(Affixment of Registration Number)


가. 소유자등은 법 제14조제1항에 따라 강철 등 내화금속으로 된 등록기호표(가로 7센
티미터 세로 5센티미터의 직사각형)를 항공기 출입구 윗부분의 안쪽 보기 쉬운 곳에
붙여야 한다.
나. 등록기호표에는 등록부호와 소유자등의 명칭을 기재하여야 한다.
제5장 항공기 감항성
(Airworthiness)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제5장 항공기 감항성(Airworthiness)

5.1 일반(General)
5.1.1 적용(Applicability)
이 장은 항공기, 엔진, 장비품 및 부품 등의 지속적인 감항성 유지를 위한 정비, 예방정
비, 수리․개조 및 검사에 대한 요건을 정한다.

5.1.2 용어의 정의(Definitions)


이 장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개조(Alteration)"라 함은 인가된 기준에 맞게 항공제품을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2) “대개조(Major Alteration)"라 함은 항공기, 발동기, 프로펠러 및 장비품 등의 설계서
에 없는 항목의 변경으로서 중량, 평행, 구조강도, 성능, 발동기 작동, 비행특성 및 기
타 품질에 상당하게 작용하여 감항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간단하고 기초적인 작업으
로는 종료할 수 없는 개조를 말하며, 세부내용은 별표 5.1.1.2A와 같다.
3) “소개조(Minor Alteration)" 라 함은 대개조 이외의 개조작업을 말한다.
4) “대수리(Major repair)”라 함은 항공기, 발동기, 프로펠러 및 장비품 등의 고장 또는
결함으로 중량, 평행, 구조강도, 성능, 발동기 작동, 비행특성 및 기타 품질에 상당하게
작용하여 감항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간단하고 기초적인 작업으로는 종료할 수 없는
수리를 말하며, 세부내용은 별표 5.1.1.2B와 같다.
5) “소수리(Minor Repairs)" 라 함은 대수리 이외의 수리작업을 말한다.
6) “등록국”이라 함은 항공기가 등록원부에 기록되어 있는 국가를 말한다.
7) “설계국가(State of Design)”이라 함은 항공기에 대해 원래의 형식 증명과 뒤이은 추
가 형식 증명을 했던 국가 또는 항공제품에 대한 설계를 승인한 국가를 말한다.
8) "예방정비(Preventive maintenance)"라 함은 경미한 정비로서 단순하고 간단한 보수
작업, 복잡한 결합을 포함하지 않은 소형 규격부품의 교환을 말하며, 별표 5.1.1.2.C와
같다.
9) “오버홀(Overhaul)”이라 함은 인가된 정비 방법, 기술 및 절차에 따라 항공제품의 성
능을 생산 당시 성능과 동일하게 복원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는 분해, 세척, 검사, 필
요한 경우 수리, 재조립이 포함되며 작업 후 인가된 기준 및 절차에 따라 성능시험을
하여야 한다.
10) “재생(Rebuild)”이라 함은 인가된 정비 방법, 기술 및 절차를 사용하여 항공제품을
복원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새 부품 혹은 새 부품의 공차와 한계(tolerance &
limitation)에 일치하는 중고부품을 사용하여 항공제품이 분해 ․ 세척 ․ 검사 ․ 수리 ․ 재
조립 및 시험되는 것을 말하며, 이 작업은 제작사 혹은 제작사에서 인정받고 등록국가
에서 허가한 조직에서만 수행할 수 있다.
11) “제작국가(State of Manufacture)”이라 함은 운항을 위한 항공기 조립 허가, 해당 형
식증명서와 모든 현행의 추가형식증명서에 부합 여부에 대한 승인 및 시험비행 및 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항 허가를 하는 국가를 말하며, 제작국가는 설계국가일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12) “필수검사항목(Required Inspection Items)”이라 함은 작업 수행자 이외의 사람에
의해 검사되어져야 하는 정비 또는 개조 항목으로써 적절하게 수행되지 않거나 부적
절한 부품 또는 자재가 사용될 경우, 항공기의 안전한 작동을 위험하게 하는 고장, 기
능장애 또는 결함을 야기할 수 있는 최소한의 항목을 말한다.
13) “생산승인(Production Approval)"이라 함은 당국이 승인한 설계와 품질관리 또는 검
사 시스템에 따라 제작자가 항공기등 또는 부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장관
이 제작자에게 허용하는 권한, 승인 또는 증명을 말한다.
14) “비행전 점검(Pre Flight Inspection)”이라 함은 항공기가 예정된 비행에 적합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행 전에 수행하는 점검을 말한다.
15) “전자식 자료(Electronic Data)”라 함은 항공기 제작사 등이 인터넷 홈페이지, DVD,
CD, 디스켓을 통하여 제공하는 전자파일형태의 자료를 말한다.

5.1.3 약어(Acronyms)
이 장에서 사용되는 약어는 다음과 같다.
1) AOC - 운항증명(Air Operator Certificate)
2) AMO - 인증된 정비조직 (Approved Maintenance Organization)
3) MEL - 최소장비목록(Minimum Equipment List)
4) PIC - 기장(Pilot in Command)
5) TC - 형식증명서(Type Certificates)
6) TCV - 형식증명승인서(Type Certificates Validation)
7) STC - 부가형식증명서(Supplemental Type Certificates)
8) PC - 생산증명서(Production Certificates)
9) PMA - 부품제작자증명(Parts Manufacturer Approval)
10) KTSOA - 기술표준품 형식승인서(Korea Technical Standard Order Authorization)
11) AD - 감항성개선지시서(Airworthiness Directive)
12) TCDS - 형식증명자료집(Type Certification Data Sheet)

5.2 형식증명, 수입항공기등의 형식증명승인 및 형식증명의 변경(Type Certification,


Type Certificate Validation of Imported Aircraft and Change to Type Certificate)
형식증명, 수입항공기등의 형식증명승인 및 형식증명의 변경에 관한 사항은 항공기 기
술기준 Part 21 Subpart B, Subpart D 및 Subpart N에 따른다.

5.3 부가 형식증명(Supplemental Type Certificates)


부가형식증명에 관한 사항은 항공기 기술기준 Part 21 Subpart E에 따른다.

5.4 소음기준적합증명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소음기준적합증명의 기준과 소음의 측정방법은 항공기 기술기준 Part 36을 따른다.

5.5 항공기 등의 감항성 증명 (Airworthiness Certificates)


항공기 감항증명, 장비품 등의 감항승인, 수출감항승인 및 수입항공제품의 감항승인에
관한 사항은 항공기 기술기준 Part 21 Subpart H, Subpart K, Subpart L 및
Subpart N에 따른다.

5.6 제작증명(Production certificate)


제작증명에 관한 사항은 항공기 기술기준 Part 21 Subpart G에 따른다.

5.7 기술표준품 형식승인(Technical Standard Order authorizations)


기술표준품 형식승인에 관한 사항은 항공기 기술기준 Part 21 Subpart O에 따른다.

5.8 비인가부품 및 비인가의심부품(Unapproved Parts and Suspected Unapproved


Parts)
5.8.1 비인가부품 및 비인가의심부품의 사용금지
가. 항공기 소유자등 및 정비조직인증을 받은 자를 포함한 어느 누구도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부품(이하 "인가부품(Approved part)"이라 한다)이 아닌 부품을 항공
기등에 장착하기 위해 생산하거나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1) 법 제17조에 따른 형식증명 및 제17조4항에 따른 부가형식증명 과정 중에 항공기 등
에 사용되어 인가된 부품
2) 법 제17조의3에 따른 제작증명을 받은 자가 생산한 부품
3) 법 제20조에 따른 형식승인을 받은 자가 생산한 기술표준품
4) 법 제20조의2에 따른 부품등제작자증명을 받은 자가 생산한 장비품 또는 부품
5) 법 제26조제9호에 따른 자격증명을 가진 자 또는 법 제138조에 의한 정비조직인증 업
체 등이 해당 부품 제작사의 정비요건에 맞게 정비, 개조, 오버홀하고 항공에 사용을 승
인한 부품
6) 외국에서 수입되는 부품의 경우 외국의 유자격정비사 또는 외국의 인가된 정비업체등이
해당 부품 제작사의 정비요건에 맞게 정비, 개조, 오버홀하고 항공에 사용을 승인한 부품
7) 우리정부와 상호항공안전협정(BASA)을 체결한 국가에서 생산된 부품으로 우리나라의
설계승인을 받아서 외국에서 생산된 부품
8) 산업표준화법 제11조에 따른 항공분야 한국산업표준(KSW)에 따라 제작되는 표준장비
품 또는 표준부품
9) 다음의 미국 산업규격에 의하여 제작된 표준부품으로서 항공기 등의 형식설계서 상에
서 참조되어 있는 부품
가) National Aerospace Standards (NAS)
나) Army-Navy Aeronautical Standard(AN)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다)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SAE)


라) SAE Sematic
마) Joint Electron Device Engineering Council
바) Joint Electron Tube Engineering Council
사)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나. 항공기 소유자등은 인가된 부품의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의심이 가는 부품,
장비품 또는 자재(이하 “비인가의심부품(Suspected Unapproved Part: SUP)”이라한
다) 또는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부품(이하 “비인가부품(Unapproved Part)”이라 한다)
을 항공기등에 장착하여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1) 가항의 인가부품에 해당하지 아니한 부품
2) 인가부품을 모방하여 제작하거나 개조한 모조품
3) 수명한계(Life Limit)를 초과한 상태에서 항공에 사용을 승인한 부품
4) 서류상으로 인가된 부품인지를 최종적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부품
다. 마감처리, 크기, 색깔, 부적당하거나 불충분한 내용의 인식표, 불완전하거나 변조된 서
류 또는 기타 의심스러운 사항이 발견된 경우에는 비인가의심부품으로 처리하여야 한
다.

5.8.2 비인가부품 및 비인가의심부품의 검사 방법


가. 항공제품을 항공에 사용하려는 자는 비인가부품 또는 비인가의심부품이 항공기등에
장착되지 않도록 확인하여야 한다.
나. 소유자등은 인가부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절차에 따른 방법을 적
용할 수 있다.
1) 획득절차(Procurement Process)
가) 부품 공급자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부품 공급자가 서류관리시스템과 수령
검사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서 자신들의 취급 부품이 인가된 업체로부터 제작 또는
수리된 품목인지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공급자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나) 부품이 비인가의심부품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생소한 부품 공급자를 확인하
기 위한 방법. 다음과 같은 경우 비인가의심부품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정확한 확
인이 필요하다.
(1) 견적 가격이나 광고된 가격이 동일한 부품의 다른 공급자가 제시한 가격보다 훨
씬 저렴할 경우
(2) 인도(delivery) 일정이 다른 공급자들에 비하여 훨씬 짧을 경우
(3) 확인되지 않은 배급업자로부터 판매 견적서나 설명서를 통하여 부품, 장비품, 또
는 자재를 최종 소비자에게 무한정으로 제공 가능하다고 알려올 경우
(4) 공급자가 인가된 업체로부터 부품이 생산되었고 항공법등에서 규정한데로 검사,
수리, 오버홀, 저장 또는 개조되었음을 입증하는 서류를 제공할 수 없을 경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2) 수령절차(Acceptance Procedures)
가) 부품의 포장(packing)으로 부품 공급자를 파악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포장이 변
형이나 손상여부의 확인
나) 실제 부품과 수령서류(delivery receipt)가 구매지시서(purchase order)에 기록된
부품번호, 제작일련번호 및 부품이력과 동일여부의 확인
다) 부품상 식별표(identification)의 임의 수정여부의 확인. 예를 들어 일련번호가 이
중으로 타각(stamped), 라벨이나 부품번호/제작 일련번호가 부적절하거나 생략, 바
이브로-에치(vibro-etch) 또는 일련번호가 정상적인 위치가 아닌 곳에 있는 경우
라) 부품의 보관기간(shelf life)나 수명한계(life limit)가 유효기간을 초과여부의 확인
마) 부품 및 입증서류를 통하여 부품이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외국감항당국의 인가된
업체로부터 공급된 것임을 추적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부품 및 입증서류
의 검사.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할 수 있는 부품 표찰은 다음과 같다.
(1) 시행규칙 제10조 서식(감항성인증서)
(2) FAA Form 8130-3, Airworthiness Approval Tag
(3) EASA Form 1 또는 JAA Form 1, Authorized Release Certificate
(4) 기타 외국감항당국의 감항성인증서
(5) 사용가능상태로 환원(return to service) 승인에 대한 정비기록 또는 확인서류
(release document)
(6) 미국 연방항공청(FAA) 기술표준품(TSO) 표시(marking)
(7) 미국 연방항공청(FAA) 부품제작자승증명(PMA) 표시(marking)
(8) 인가된 제작사로부터의 선적서/송장(shipping ticket/invoice)
바) 외관상 비정상적인 부품에 대한 확인. 예를 들어 변조 또는 비정상적인 부품의 표
면, 요구되는 식별판(plating)의 부재, 이전에 사용했던 흔적, 긁힌 자국(scratch),
중고품에 새 페인트칠한 것, 외부수리 시도 자국, 파인 자국이나 부식 여부 등
사) 다량으로 포장(package)된 표준부품(standard hardware)의 경우 부품의 종류와
수량에 따라서 무작위로 표본점검(sampling)
아) 비인가의심부품은 격리시키고 의문점이 있는 부분에 대한 조치.
예를 들어 부주의로 서류를 빠뜨렸을 경우 필요 서류를 확보하거나, 비정상 상태가
선적과정에서의 손상인지 취급상의 손상인지를 판단
3) 공급자 평가(Supplier Evaluation)
항공부품 제작업체의 경우 자신의 하청회사가 생산하여 납품하는 부품, 자재, 하부조
립품(subassembly)이나 서비스(예를 들어 공정처리, 교정 등)가 인가된 설계기준에
합치하고, 안전한 작동을 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하청회사
(supplier)에 대하여 평가할 수 있다.
4) 국토교통부장관이나 기타 외국 감항당국이 발행하는 비인가부품 또는 비인가의심부
품에 대한 통보서(Unapproved Parts Notification)의 확인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5.8.3 비인가부품 및 비인가의심부품의 신고


가. 비인가 부품 또는 비인가의심부품을 발견한 자는 이들 부품을 격리하고 국토교통부장
관 및 형식증명 소지자에게 별지 제12호 서식(비인가의심부품 신고서)을 작성하여 신고
하여야 한다.
나. 항공기 감항증명, 수리개조승인 및 항공안전감독활동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중에 비인
가부품 또는 비인가의심부품을 발견한 경우에는 이를 국토교통부장관(항공기술과장)에
게 보고하여야 하며, 국토교통부장관(항공기술과장)은 이를 형식증명 보유자에게 통보
한다.
다. 가항에 따라 신고한 자가 익명으로 신고하고자 할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은 신고자의 익
명성을 보장하여야 한다.

5.8.4 비인가부품 및 비인가의심부품의 격리


가. 소유자등은 비인가의심부품을 발견한 경우 해당 부품과 관련 서류 등을 즉시 격리시
키고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증거물로서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판정받을 때까지
또는 해당 부품의 진위여부가 판명될 때까지 격리된 장소에 별도 보관하여야 한다.
나. 소유자등은 비인가부품으로 판명된 부품은 적절한 절차 및 방법에 의거 폐기하거나
처분하여야 한다.
다. 비인가부품으로 판명된 부품은 나항에도 불구하고 교육, 훈련 기자재 또는 연구 및
개발 등의 항공에의 사용 이외의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항공에 재사용
될 수 없도록 영구적인 표시를 하여야 한다.

5.8.5 비인가부품 및 비인가의심부품의 조사


가. 국토교통부장관은 신고된 비인가부품 또는 비인가의심부품에 대해 진위여부와 사용
경위 등에 대하여 조사할 수 있다.
나. 국토교통부장관은 신고된 부품이 비인가부품이거나 비인가의심부품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관련 항공기등의 형식증명서 보유 국가 감항당국 또는 형식증명서 보유자에
게 해당 비인가의심부품 발견사실을 별첨 양식 비인가의심부품신고서를 첨부하여 통
보하여 해당 항공기의 형식증명서 보유 국가의 감항당국 또는 형식증명서 보유자가
당해 항공기의 안전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부품을 인가했는지 여
부등 조사 결과에 대하여 통보받도록 하여야 한다.
다. 국토교통부장관의 추가 정보 등에 대한 요구가 있을 경우 소유자등은 적극 협조하여
야 한다.
라. 조사 결과 비인가품으로 판명된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은 비인가부품통보서
(Unapproved Parts Notification)를 발행하여 소유자등에게 전파한다.
마. 국토교통부장관은 필요한 경우 비인가부품에 대한 조사, 교환, 정비등을 지시하는 감
항성개선지시서(AD)를 발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소유자등은 이를 수행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5.8.6 운항중지 항공기의 부품 사용


가. 소유자등은 운항중지 항공기의 부품을 저장 환경과 기간 등을 감안하여 항공기 운항
의 안전에 지장이 없을 경우에만 사용하여야 한다.
1) 소유자등은 운항중지 항공기를 보존하여 부품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항공기 및
부품의 정비이력, 감항성개선지시 수행상태 및 수리․개조 수행상태와 같은 정비기록
들을 확인하고 보존하여야 한다. 저장하기 이전의 과중력 착륙(heavy landings) 또
는 낙뢰(light strikes)와 같은 비정상 사건들은 부품의 사용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고려되어야 한다.
2) 소유자 등은 운항중지 항공기로부터 부품을 장탈할 경우에는 사용 중인 항공기에
대한 일상적인 정비 작업시 적용되는 방식과 가능한 한 동일한 방식으로 작업이 이
루어져야 한다.
3) 소유자 등은 운항중지 항공기로부터 장탈된 부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해당 부품을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관할 외국정부 감항당국에서 인가한 정비조직으로부터 점검을
받도록 하여야 한다.
나. 소유자등이 운항중지 항공기의 부품을 사용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부품의 장탈 작업은 정비교범과 같은 정비자료에서 규정한 공구와 장비 또는 동등
이상의 대체 공구와 장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2) 장탈할 부품에 접근할 경우에는 안전에 필요한 장비 등이 사용되어야 한다.
3) 혹독한 기상조건일 경우에는 야외에서의 부품의 분해작업은 실시되지 않아야 한다.
4) 모든 작업은 적절한 자격을 갖춘 자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5) 모든 부품의 열린 연결부는 장탈작업을 수행한 후에는 오물의 이입을 방지하기 위
하여 봉쇄하여야 한다.
6) 작업구역 인근에 장탈 부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하여 별도의 격리된 저장 장소
를 마련하여야 한다.
7) 부품의 장탈 등이 이루어 졌을 경우에는 정비기록서에 이를 기록하고, 각 부품에는
식별표찰을 작성하여 부착하여야 한다.

5.8.7 사고 항공기의 부품 사용
소유자등이 사고 항공기의 부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가. 해당 부품이 손상을 입지 않았다는 증거로써 항공법 제138조에 의한 정비조직인증
을 받은 업체가 해당 부품에 대하여 발행한 표찰(Airworthiness approval tag)이나
‘나’항 내지 ‘마’항에 따른 자료가 있어야 한다.
나. 오버홀과 재장착 작업 이전의 사고 상황, 사고 후의 저장 및 운반 상태, 사고 이전의
감항성 관련 기록 등 항공기 운용이력에 대한 자료를 종합하여 감항성에 대한 평가와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다. 충돌하중이 부품의 증명 강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잔여응력(residual strain)이 해당


품목의 유효강도를 감소시키거나 기능을 부적절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잠재적인 위험성
을 판단하여야 한다.
라. 부품의 강도 약화는 화재와 같은 과열에 의한 자재의 물성 변화에 의해서도 야기될
수 있으므로 부품의 균열, 변형과 더불어 과열이 되었었는지를 확인하여 안전성을 입
증하여야 한다.
마. 부품의 원래 크기를 알 수 없어 변형(distortion)의 정도를 확인할 수 없을 경우에는
당해 부품을 사용할 수 없다. 과열이 의심스러울 경우에는 연구기관 등에서 재료의
물성 변경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5.8.8 폐기부품의 처분
가. 소유자 등이 다음 각 호와 같은 항공기의 폐기 부품과 자재(이하 “폐기부품”이라 한
다)를 처분할 경우에는 당해 폐기부품이 사용 가능한 부품으로 날조되어 유통되지 않
도록 하여야 한다.
1) 육안으로 식별되거나 되지 않거나 간에 수리가 불가능한 결함을 갖고 있는 부품
2) 형식증명, 부가형식증명, 기술표준품형식승인, 수리․개조승인 등 인가된 설계
(approved design)에서 정한 규격(specifications)의 범위 내에 있지 않는 부품
3) 해당 부품 및 자재들에 대한 추가적인 작업 공정이나 재작업이 이러한 부품과 자재
를 승인된 시스템에 따라서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자격 자체를 부여할 수 없는 경

4) 인정할 수 없는 개조를 했거나 원상회복을 시킬 수 없는 재작업을 한 부품
5) 시한성 부품으로써 그 수명이 도달했거나 초과한 부품 또는 기록을 영구적으로 분
실했거나 불완전한 기록을 갖고 있는 부품
6) 심한 힘을 받았거나 열에 노출됨으로써 감항성이 있는 상태로 회복될 수 없는 부품
7) 비행횟수가 많은(high-cycle) 항공기로부터 장탈된 일차적인 구조부재로써 해당 항
공기가 노후항공기에 적용되는 의무적인 요건들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자재
나. 소유자 등은 시한성 품목의 시한 연장을 위한 평가, 사용 이력기록의 재확인, 새로운
수리 방법 및 기술의 승인이 진행되는 것과 같은 상태가 진행중일 경우에는 폐기부품
의 폐기를 유보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 해당 폐기부품은 감항성이 환원 되거나
또는 폐기되어야 한다는 결정이 있을 때까지 사용이 가능한 부품들로부터 격리되어야
한다.
다. 소유자등은 폐기부품을 사용 가능 부품 등과 항상 격리시켜야 하고, 이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절단하거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표시(mark)를 하여야 한다. 이러
한 작업은 어떠한 경우에도 폐기부품을 원래 용도대로 사용될 수 없도록 하여야 하고
또한 사용 가능한 것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한 재작업이나 위조가 불가능하게 이루어
져야 한다.
라. 소유자등이 폐기부품을 훈련 및 교육 보조재, 연구․개발 또는 비 항공용으로 사용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여 절단 등의 작업이 곤란할 경우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실제 운항을 위한 항공기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표지(mark)를 영구적으로 부착하거나, 원래의 부품번호 또는 인식
표(data plate)의 정보사항을 제거시키거나 해당 부품의 처분 기록을 유지하여야 한
다.

5.9 항공기 및 장비품의 지속적인 감항성 유지(Continued Airworthiness of Aircraft


and Components)
5.9.1 적용(Applicability)
이 절은 대한민국에 등록된 항공기 및 장비품의 지속적인 감항성 유지에 대하여 정한다.

5.9.2 책임(Responsibility)
가. 항공기 소유자등은 항공기등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감항성을 유지하고 항공기등의 감항
성 유지를 위하여 다음사항을 확인하여야 한다.
1) 감항성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정비, 오버홀, 개조 및 수리가 항공 관련 법령 및 이 규
정에서 정한방법 및 기준․절차에 따라 수행되고 있는지의 여부.
2) 정비 또는 수리․개조 등을 수행하는 경우 관련 규정에 따라 항공기 정비일지에 항공기
가 감항성이 있음을 증명하는 적합한 기록유지 여부
3) 항공기 정비작업후 사용가 판정(Return to Service)은 수행된 정비 작업이 규정된 방
법에 따라 만족스럽게 종료되었을 때에 이루어질 것
4) 정비확인 시 종결되지 않은 결함사항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되지 아니한 정비 항목들의
목록을 항공기 정비일지에 기록하고 있는지의 여부

나. 최대이륙중량 5,700kg 이상인 항공기를 운영하는 항공운송사업자 및 항공기 소유자등


은 지속적인 감항성 유지를 위해 정비, 개조 및 항공기 운영실태를 감시하고 평가하여
야 하며, 5.9.4 및 6.5.11에 따라 관련 정보를 다음 각 호의 자에게 보고 또는 통보하
여야 한다.
1) 국토교통부장관
2) 형식증명소지자
3) 개조 설계기관(해당 기관의 개조와 관련하여 발생된 지속적인 감항성에 영향이 있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다. 소유자등은 형식설계를 책임지고 있는 기관(organizations)으로부터 지속적인 감항성


유지에 관한 정보 및 정비개선회보(Service bulletin)를 획득(obtain)하고 이의 이행여
부 등을 평가(assess)하여야 하며,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 절차에 따라 필요한 후속조
치를 이행해야 한다.

라. 국내에서 설계된 항공제품의 설계승인서 소지자 및 생산승인서 소지자는 제품의 운용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자, 소유자 등으로부터 제품에 대한 결함, 고장, 및 기타 발생사항을 접수하는 시스템을


구비하여야 하며, 5.9.4 및 6.5.11에 따라 관련 정보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5.9.3 일반(General)
가. 이 규정 및 항공법령의 규정에 적합하지 아니한 자는 항공기 정비, 예방정비, 개조 및
수리 등을 수행해선 아니 된다.

나. 지속적인 감항성 유지를 위하여 제작사의 정비교범 또는 정비지침서에 감항성 한계사


항을 규정하고 있는 경우, 해당 교범, 지침서에 규정된 강제 교환 시기, 검사 주기 및
관련 절차가 이행되지 않거나 운항증명시 인가 받은 운영기준에서 정한 대체 검사 주
기 및 관련 절차 또는 이 규정의 항공기운항부문의 규정에 따라 별도로 승인을 받은 검
사 프로그램을 이행하지 않고는 항공기를 운항해선 아니 된다.

다. 이 장의 5.9.5에 따라 발행된 감항성개선지시서(AD)에 적용되는 관련 항공제품은 감항


성개선지시서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기한 내에 취하지 아니하고 항공에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5.9.4 고장, 기능불량 및 결함의 보고(Reports of Failures, Malfunctions, and Defects)


가. 항공기 소유자 또는 운영자는 항공법 제49조의3 및 시행규칙 제144조에 따라 시행규
칙 별표 6의 항공안전장애 중 항공기 감항성에 관련한 고장, 기능불량 또는 결함이 발
생한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에게 그 사실을 보고해야 한다.

나. 보고 시기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보고해야 하는 고장, 기능불량 또는 결함이 발생한 때에는 인터넷(http://esky.go.kr)
또는 전화/텔렉스/팩스를 사용하여 발생한 날로부터 3일(72시간) 이내에 공식적인 보
고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보고 내용에는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가) 항공기 일련 번호
나) 고장, 기능불량 또는 결함이 기술표준품 형식승인서(KTSOA)에 따라 인가된 품목과
관련되어있을 경우, 해당 품목의 일련번호와 형식 번호
다) 고장, 기능불량 또는 결함이 엔진 또는 프로펠러와 관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엔진
또는 프로펠러의 일련 번호
라) 생산품의 형식
마) 부품번호를 포함하여 관련된 부품, 구성품 또는 계통의 명칭
바) 고장, 기능불량 또는 결함의 양상
3) 보고양식은 별지 제9호 서식(항공기고장보고서)에 의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다. 국토교통부장관은 대한민국에 등록된 항공기일 경우 접수한 보고 내용을 해당항공기의


설계국가에 통보한다.

라. 국토교통부장관은 외국 국적 항공기의 경우 접수한 보고 내용을 해당 항공기의 등록국


가에 통보한다.

5.9.5 감항성개선지시(Airworthiness Directives)


가. 국토교통부장관은 항공기 소유자 또는 운영에게 항공기의 지속적인 감항성 유지를
위하여 감항성개선지시서를 발행하여 정비 등을 지시할 수 있다.

나. 국토교통부장관은 새로운 형식의 항공기가 등록된 경우 해당 항공기의 설계국가에


항공기가 등록되었음을 통보하고, 항공기, 기체구조, 엔진, 프로펠러 및 장비품에 관한
감항성개선지시를 포함한 필수지속감항정보(mandatory continuing airworthiness
information)의 제공을 요청한다.

다. 국토교통부장관은 설계국가에서 제공한 필수지속감항정보를 검토하여 국내 등록된


항공기 또는 운용 중인 엔진, 프로펠러, 장비품에 불안전한 상태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
에는 감항성개선지시서를 발행하여야 한다.

라. 국토교통부장관은 항공기의 불안전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 및 장비품 제작사가 발행한 정비개선회보(service bulletin), 각종 기술자
료(service letter, service information letter, technical follow up, all operator
message 등) 및 승인된 설계변경 사항을 검토하여 해당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 및 장
비품에 대한 정비, 검사를 지시하거나 운용절차 또는 제한사항을 정하여 지시할 수 있
다.

마. 대한민국에 등록된 항공기의 소유자 또는 운영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발행한 감항성


개선지시의 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항공기를 운용하거나 항공제품을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바. 국토교통부장관은 5.9.4에 따라 항공기 소유자 또는 운영자가 보고한 고장, 기능불량


및 결함 내용을 검토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감항성개선지시서를
발행할 수 있다.
1) 항공기등의 감항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설계․제작상의 결함사항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2)「항공․철도 사고조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항공기 사고조사 또는 항공안전감독활
동의 결과로 항공기 감항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고장 또는 결함사항이 있는 것으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확인된 경우
3) 동일 고장이 반복적으로 발생되어 부품의 교환, 수리․개조 등을 통한 근본적인 수정
조치가 요구되거나 반복적인 점검 등이 필요한 경우
4) 항공기 기술기준에 중요한 변경이 있는 경우
5) 국제민간항공조약 부속서 8에 따라 외국의 항공기 설계국가 또는 설계기관 등으로
부터 필수지속감항정보를 통보받아 검토한 결과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6) 항공기 안전운항을 위하여 운용한계(operating limitations) 또는 운용절차
(operation procedures)를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7) 그 밖에 국토교통부장관이 항공기 안전 확보를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한 경우

사. 국토교통부장관은 감항성개선지시서를 발행할 경우 해당 항공제품을 장착한 국내의


항공기 소유자등은 물론, 국내 제작된 항공제품에 대하여 국외의 해당 항공제품을 장착
한 항공기의 등록국가, 운영국가 또는 통보를 요청하는 국가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인터넷
을 이용하여 게시하거나 이메일, 팩스 또는 우편물 등으로 알려야 한다.

아. 항공기 소유자 또는 운영자는 해당 감항성개선지시서에서 정한 방법 이외의 방법으


로 수행하고자 할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대체수행방법(alternative methods of
compliance)에 대하여 승인을 요청하여야 한다. 다만, 감항성개선지시서 발행국가가 승
인한 대체수행방법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전에 보고(관련 SB의 개정 등 경미한 변
경 사항은 보고 불필요) 후 시행할 수 있다.

자. 국토교통부장관은 대체수행방법을 승인할 경우 항공기 감항성 유지에 문제가 없는지


를 확인한 후 승인하여야 한다.

5.10 항공기 정비등(Aircraft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Rebuilding and


Alteration)
5.10.1 적용(Applicability)
이 절은 대한민국의 감항증명을 받은 항공기 또는 이 항공기의 기체, 엔진, 프로펠러, 장비
품 및 구성품 부품의 정비, 예방정비, 재생, 개조 작업에 적용한다.

5.10.2 정비, 예방정비, 재생 및 개조를 수행하도록 인가된 자(Persons Authorized to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Rebuilding and Alteration)
가. 법 제26조제1호부터 제3호에 따른 조종사 자격증명 소지자
1) 형식한정을 받은 항공기(형식한정이 해당되지 아니한 항공기를 포함한다)에 대하여
비행전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비행전점검이 만족하게 수행되었는지에 대한
책임은 기장 또는 소속 항공사에 있다.
2) 자신이 소유하거나 운영하는 항공기에 대한 예방정비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당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항공기가 운항증명을 받아 운용되거나 감항분류가 커뮤터(C) 또는 수송(T)으로 구분


되는 경우에는 제외한다.
나. 법 제26조제9호에 따른 항공정비사 자격증명을 소지하고 해당 정비업무에 대한 교육
을 받았거나 지식과 경험이 있는 자(이하 “유자격정비사”라 한다) : 항공기 종류 및 정
비업무의 범위 내에서 정비등을 수행하거나, 유자격정비사가 아닌 자로 하여금 정비등
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자격정비사의 감독하에 있어야 한다.
다. 유자격정비사의 감독 하에 있는 유자격정비사가 아닌 자 : 다음의 조건이 모두 충족되
는 경우 유자격정비사의 감독하에서 정비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필수검사항목 및 대
수리․개조 이후 수행되는 검사업무는 제외한다.
1) 유자격정비사가 아닌 자가 정비등을 적절하게 수행하고 있음을 보증할 수 있도록 작
업사항에 대한 유자격정비사의 확인이 가능한 경우
2) 유자격정비사는 유자격정비사가 아닌 자가 직접 자문을 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경우
라. 법 제115조의2에 따른 운항증명소지자 및 법 134조에 따른 항공기사용사업자 : 보유
항공기등에 대하여 인가받은 운영기준 또는 정비규정에 따라 정비등을 수행할 수 있다.
마. 법 제138조에 따른 정비조직인증을 받은 자 : 이 기준의 제6장에 따라 정비등을 수행할 수
있다.
바. 항공제품의 제작자는 다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1) 형식증명 또는 제작증명을 인증받아 자신이 제작한 항공제품의 정비등
2) 기술표준품, 부품제작자증명, 또는 생산․제조 사양(Product and Process
Specification)을 인증받아 자신이 생산한 항공제품의 정비등
3) 제작증명 또는 생산검사시스템에 따라 제작과정 중에 있는 항공기에 대한 정비등

5.10.3 항공제품에 대한 정비등의 수행 후 사용가능상태로의 승인 (Approval for return


to service after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rebuilding, or alteration)
가. 항공기, 기체, 엔진, 프로펠러 또는 장비품에 대한 정비등의 작업을 수행 후 사용가능상
태로 승인하려는 자는 다음 각 호의 조치사항을 수행하여야 한다.
1) 5.11에 따른 정비작업 내용을 기록하여야 한다.
2) 국토교통부장관이 인가한 수리 또는 개조 서식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 방식으로 작
성하여야 한다.
3) 수리 또는 개조 결과, 인가된 비행교범에 수록된 운용한계사항이나 비행자료에 변경
이 있는 경우에는 운용한계사항이나 비행자료가 적절하게 개정되고 기술되어 있어야
한다.

5.10.4 항공제품에 대한 정비등의 수행 후 사용가능상태로 승인할 수 있는 자


(Authorized Personnel to Approve for Return to Service)
항공제품에 대한 정비등(비행전점검은 제외 한다)을 수행한 후 사용가능상태로 승인할 수
있는 자와 그 범위는 다음과 같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가. 유자격조종사는 자신이 소유하거나 운영하는 항공기에 대하여 예방정비를 수행한 후


항공기를 사용가능상태로 승인할 수 있다.
나. 유자격정비사는 인가받은 항공기 종류 및 정비 업무의 범위 내에서 정비등을 수행, 감
독 및 검사를 한 후 사용가능상태로 승인할 수 있다.
다. 정비조직인증을 받은 자는 이 기준의 제6장에 따라 사용가능상태로 승인할 수 있다.
라. 법 제115조의2에 따른 운항증명소지자 및 법 134조에 따른 항공기사용사업자는 보유
항공기등에 대하여 인가받은 운영기준 및 정비규정에 따라 사용가능상태로 승인할 수 있
다.
마. 제작자는 5.10.2에 따라 작업 후 사용가능상태로 승인할 수 있다. 다만, 소개조를 제외한
설계가 변경되는 작업에 관한 기술자료는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5.10.5 <삭제>

5.10.6 수행 원칙 : 정비(Performance Rules : Maintenance)


가. 정비, 예방 정비 또는 개조를 수행하는 자는 다음에 명시된 방법, 기술, 절차를 사용하
여야 한다.
1) 지속적인 감항성 유지를 위하여 제작사가 발행한 최신의 정비교범 또는 지침서
2) 국토교통부장관이 요구하는 추가적인 방법, 기술 및 절차 (제작사 제공 문서가 없을 경
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방법, 기술 및 절차 사용)

나. 작업자는 작업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보증하기 위하여 해당 산업분야에서 인정된 방식


에 의한 도구, 장비 및 시험도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만일, 관련 제작사가 특수한 장비,
시험기구의 사용을 권고할 경우에는 정비를 수행하는 자는 해당 장비, 기구(또는 국토
교통부장관이 인정하는 동등 장비, 기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다. 항공 제품에 대한 정비, 예방정비 또는 개조를 수행하는 자는 작업대상품의 상태가 적


어도 원형 또는 적합하게 개조된 상태(이 상태는 공기 역학적 기능, 구조강도, 진동, 퇴
화 및 기타 감항성에 영향을 주는 품질과 관련된다)와 동등한 품질이 되도록 하는 방식
으로 자재를 사용하여 작업하여야 한다.
라. 운항증명(AOC) 소지자 또는 항공기사용사업자의 운영기준, 정비규정, 정비프로그램 또
는 검사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는 방법, 기술, 작업은 이 장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
하고 인정받을 수 있는 방식이어야 한다.

5.10.7 추가 수행 원칙 : 검사(Additional Performance Rules for Inspections)


가. 일반사항
수행된 정비작업에 요구되는 추가적인 검사를 수행하는 자는 다음과 같이 수행하여야 한
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1) 검사대상 항공기 또는 해당 작업부위가 적용되는 모든 감항성 요건을 충족하는지 판정


하여야 한다.
2) 인가받은 검사프로그램이 있는 검사대상 항공기의 경우에는 해당 검사프로그램의 지
침과 절차에 따라 수행하여야 한다.
나. < 삭 제 : 2014.10.31 >
다. 연간 및 100시간 검사(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정비프로그램 또는 검사프로그램을 인
가받아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1) 연간 또는 100시간 검사를 수행하는 자는 검사 수행시 점검표를 사용해야 한다. 점검
표는 검사자 자신이 작성하거나, 검사 대상 장비품 제작자 또는 다른 출처로부터 제공
받아 사용할 수 있다. 이 점검표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규정한 항목들에 대한 범위 및
세부사항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2) 왕복엔진을 장착한 항공기의 연간 및 100시간 검사를 수행한 후 사용가능상태로 승인
하려는 자는 승인하기 전에 제작사가 제공한 지침에 따라 다음 사항이 항공기 성능이
만족스러운지 엔진을 작동하여 검사하여야 한다.
가) 엔진 출력(정적 및 무부하상태의 엔진회전수)
나) 마그네토
다) 연료 및 오일 압력
라) 실린더 및 오일 온도 등
3) 터빈엔진을 장착한 항공기의 연간, 100시간 검사 또는 진보적 검사(Progressive
inspection)를 수행한 후 사용가능상태로 승인하려는 자는 승인하기 전에 제작사가 제
공한 지침에 따라 항공기 성능이 만족스러운지 엔진을 작동하여 검사하여야 한다.

라. 진보적 검사(Progressive inspection)


1) 진보적 검사를 수행하려는 자는 진보적 검사 체계를 시작하는 시점에 항공기의 전면
적인 검사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 초도 검사 후, 진보적 검사계획에 일상검사(Routine
inspection) 및 정밀검사(Detailed inspection)가 명시되어 있어야 한다.
가) 일상검사는 실질적인 재조립과정이 없다면 시각적인 검사 또는 장치, 항공기, 장비
품 및 시스템의 점검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나) 정밀검사는 필요시 실질적인 재조립과정을 포함하여 장치, 항공기, 장비품 및 시스
템의 철저한 점검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이 항의 목적을 위한 장비품 또는 시스
템의 오버홀은 정밀검사로 간주된다.
2) 항공기가 원격지에 있고 검사가 평소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된다면, 적합한 한정을 갖
은 항공정비사, 인증 받은 정비조직, 또는 항공기 제작자는 절차에 따라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5.10.8 수행원칙 : 감항성 한계사항(Performance Rules : Airworthiness Limitation)


제작사 정비교범 또는 감항성유지지침서(Instructions for Continued Airworthiness)의 감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항성 한계사항에서 정한 검사 또는 정비를 수행하는 자는 이 한계사항에 따라 수행하거나


국토교통부장관이 인가한 운영기준, 정비프로그램 또는 검사프로그램에서 정한 기준에 따
라 수행하여야 한다.

5.10.9 수리개조승인(Approved Major Repair and Alteration)


가. 소유자등이 항공기등의 수리 또는 개조를 우리나라의 AMO를 받지 않은 국외 소재의
정비사업자에게 위탁하여 수행 하였을 경우에는 당해 항공기등의 운용 전에 지방항공
청장으로부터 수리개조승인을 얻어야 한다.

나. 소유자등은 항공기등 이외의 장비품 또는 부품에 대하여 수리 또는 개조를 우리나라의


AMO를 받지 않은 국외 소재의 정비사업자에게 위탁하여 수행 하였을 경우에는 수리개
조승인 없이 5.10.5의 규정에 의한 인력으로부터 수령검사를 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다. 수리개조승인 기준은 별표 5.10.1.9와 같다.

5.10.10 수명한계부품의 처리(Disposition of life-limited aircraft parts)

가. 이 항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수명한계부품(Life-limited parts)이란 부품에 대한 강제적인 교환 한계가 형식설계
서(형식증명자료집), 계속감항성 유지지침서 또는 정비교범 등에 정하여진 부품을 말
한다.
2) 수명상태(life status)란 수명한계부품의 누적된 사용횟수(Cycles), 시간(Hours) 또는
별도로 규정된 강제 교환 한계(Mandatory replacement limit)를 말한다.

나. 수명한계부품의 일시적 장탈
수명한계부품을 정비등의 목적으로 일시적으로 장탈하여 재장착하는 경우로서 다음과
같은 경우 다항에 따른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1) 해당 부품의 수명상태가 변하지 않은 경우
2) 동일한 제작일련번호의 제품으로 장탈 및 재장착된 경우
3) 이 부품이 장탈되어 있는 동안 사용시간이 누적되지 않은 경우

다. 장탈한 부품의 관리
항공기등에서 수명한계부품을 장탈하는 자는 해당 부품이 관리되고 있다는 것을 보증하
기 위하여 수명한계에 도달한 이후에는 다음 각 호의 하나의 방법으로 장착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 기록유지체제(Record keeping system)
부품번호, 제작일련번호 및 현재의 수명상태 등을 기록 유지하고, 장탈될 때마다 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명상태를 최신으로 갱신한다. 이 기록유지체제는 전자적 방법, 문서 또는 그밖에 다


른 수단 등으로 관리할 수 있다.
2) 표찰 또는 기록표 부착
부품에 표찰 또는 기록표를 부착한다. 이 표찰 또는 기록표에는 부품번호, 제작일련
번호 및 현재의 수명상태가 기재되어 있어야 한다. 부품이 장탈될 때마다 새로운 표
찰 또는 기록표를 작성하거나, 기존의 표찰 또는 기록표에 현재의 수명상태를 갱신
한다.
3) 비영구적인 표기
부품에 현재의 수명상태를 알 수 있도록 비영구적인 표기방법을 사용한다. 이 수명
상태는 항공기등에서 장탈될 때마다 갱신되어야 하며, 표기를 제거할 경우 이 항의
다른 방법으로 관리할 수 있다.
4) 영구적인 표기
부품에 현재의 수명상태를 알 수 있도록 영구적인 표기방법을 사용한다. 이 수명상
태는 항공기등에서 장탈될 때마다 갱신되어야 한다.
5) 격리
항공기등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여 부품을 격
리한다.
가) 부품번호, 일련번호 및 현재의 수명상태에 대한 기록의 유지
나) 해당 부품은 장착이 가능한 부품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에 보관
6) 파쇄(절단)
항공기등에 장착될 수 없도록 파쇄한다. 파쇄는 해당 부품이 수리될 수 없도록 하
고, 감항성이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재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하여야 한다.
7) 그밖에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한 방법

라. 수명한계부품의 양도
항공기등에서 수명한계부품을 장탈하여 판매 또는 양도하려는 자는 이 규정에 부합하
기 위하여 사용된 표시, 표찰 또는 다른 기록물을 해당 부품과 함께 양도하여야 한다.
다만, 파쇄된 부품의 경우는 제외한다.

5.11 정비 기록 및 기재(Maintenance Records and Entries)


5.11.1 정비등 기록의 내용, 양식, 처리(Content, Form, and Disposition of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Rebuilding, and Modification Records)
가. 항공기 또는 항공제품에 대하여 정비, 예방정비, 재생 또는 개조 작업을 수행한 자는 수
행한 작업이 만족스럽게 완료되었다고 확인한 경우, 해당 정비기록부(Maintenance
records)에 다음 사항을 기재하거나 이와 동등한 시스템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1) 수행작업의 내용(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하는 참고자료)
2) 수행작업의 완료일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3) 4항에 따라 작업을 승인한 자가 아닌 자가 작업을 수행한 경우, 그 작업을 수행한 자의


성명
4) 작업을 승인한 자의 성명, 서명 또는 날인, 자격증 번호 및 소지 자격증명의 종류

나. 대수리 또는 대개조 작업을 수행하는 자는 대수리․개조승인서를 별표 5.11.1.1에 따라


작성하여 항공기 소유자와 지방항공청장(항공검사과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다. 5.10.2 다항에 따른 유자격정비사의 감독 하에 있는 유자격정비사가 아닌 자는 이 규


정에 따른 모든 검사업무 또는 대수리․개조 작업 후 수행하는 검사업무를 하여서는 아
니 된다.

라. 대수리 및 대개조의 기록, 조치사항 및 대수리․개조승인서 서식은 별표 5.11.1.1에 따른


다.

5.11.2 오버홀과 재생에 대한 기록 (Records of Overhaul and Rebuilding)


가. 항공기등, 장비품 또는 부품 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한 경우가 아니라면
정비기록부 또는 양식에 오버홀(Overhaul)한 것으로 기록하여서는 아니 된다.
1)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하는 방법, 기술, 및 절차를 사용하여 분해, 세척, 허용된 검사,
수리 및 재조립한 경우
2) 형식증명서 소지자, 부가형식증명서 소지자, 기술표준품형식승인 소지자 또는 부품제
작자증명 소지자가 작성하여 문서화한 것으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인가하거나 인정
할 수 있는 최신의 기술기준(Standards) 및 기술자료(Technical Data)에 따라 시험을
완료한 경우

나. 항공기 또는 항공제품을 분해, 세척, 검사, 수리, 재조립 및 시험이 새 품목에 적용되는
공차 및 한계치와 동일한 기준으로 수행되지 않았다면 정비기록부 또는 양식에 재생
(Rebuilt)된 것으로 기록하여서는 아니 된다.

5.11.3 정비기록 : 위조, 복제 또는 변조 (Maintenance records : Falsification,


reproduction, or alteration)
가. 항공기 정비에 관한 기록에 대하여 다음 각 호에 따른 위조, 복제 및 변조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이 규정의 요구조건에 대한 적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작성하여 보관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모든 기록 또는 보고서 기록사항에 대한 부정한 방법 또는 의도적인 허위
사실 기재
2) 이 규정에 따른 기록 또는 보고서를 부정한 목적으로 재작성
3) 이 규정에 따른 정비문서 또는 보고서를 부정한 목적으로 변경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5장 항공기 감항성

나. 국토교통부장관은 상기 가항의 규정을 위반한 자가 소지한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서,


운항증명서, 제작증명서, 기술표준품인증서 또는 부품제작자증명서를 정지하거나 취소
할 수 있다.

5.11.4 검사기록의 내용, 양식, 대수리 및 처리(Content, Form, and Disposition of


Records for Inspection)
가. 정비기록 기재사항
항공기, 항공기체,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 설비, 장비품 및 부품을 검사 후 사용가능상
태로의 승인 또는 불승인하는 자는 해당 장비품 등에 대한 다음 사항을 정비기록부에
기재하거나 이와 동등한 시스템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1) 검사 종류 및 검사 내용에 대한 간단한 서술
2) 검사일자 및 항공기 총 사용시간
3) 항공기, 항공기체, 항공기 엔진, 프로펠러, 설비, 장비품, 부품 또는 작업부위에 대하여
사용가능상태로 승인 또는 불승인하는 자의 서명 또는 날인, 면허번호 및 면허종류
4) 항공기가 감항성이 있음이 확인되고 사용가능상태로의 승인하려는 경우 다음과 같거
나 유사한 문구를 기재하여야 한다.
“나는 이 항공기를 (검사근거 기재)에 따라 검사한 결과, 감항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
여 승인함”
5) 요구되는 정비, 해당 사양서(Specifications), 감항성개선지시서(AD), 또는 기타 인가된
자료에 부적합하여 항공기를 사용가능상태로 승인할 수 없는 경우 다음과 같거나 유사
한 문구를 기재하여야 한다.
“나는 이 항공기를 (검사근거 기재)에 따라 검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함 목록과 감
항성이 없는 품목이 있음을 항공기 소유자 또는 운영자에게 (날짜 기재) 알려드림”
6) 항공기를 국토교통부장관이 인가한 검사 프로그램에 따라 검사하였다면, 이 항공기를
검사한 자는 해당 검사프로그램 명칭, 수행된 검사프로그램의 부분 그리고 검사가 해당
검사프로그램의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다는 설명을 정비기록부에 기재하여야 한다.

나. 결함의 기록
항공기가 감항성이 없거나 해당 형식증명자료집, 감항성개선지시서(AD) 또는 감항성의
근거가 되는 그 밖의 승인된 자료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판정할 경우 이 항공기를
검사한 자는 이들 결함 목록을 작성하여 서명하고 날짜를 기록한 후 소유자 또는 운영자
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항공기 기술기준에 적합하여 작동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허용된
품목이 부작동하는 경우, 각 부작동하는 계기 및 조종실에서 조작하는 장비품에는 “부작
동(Inoperative)"이라는 표찰을 부착하고 이들 목록을 작성하여 서명하고 날짜를 기록한
후 소유자 또는 운영자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Approval for Maintenance Organization)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6.1 총칙(General)
6.1.1 목적(Purpose)
이 장은 법 제138조의 규정에 따른 정비조직인증을 위한 기준을 정함으로써 법 집행의
일관성 및 객관성을 제고하고 항공기 안전성 확보를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6.1.2 적용(Applicability)
이 장은 타인의 수요에 맞추어 항공기, 기체, 발동기, 프로펠러, 장비품 및 부품 등에 대
하여 정비 또는 수리․개조 등(이하 “정비등”이라 한다)의 작업을 수행하고 감항성을 확인
하거나, 항공기 기술관리 또는 품질관리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법 제138조에 따라 정비
조직 인증을 받고자 하는 자 또는 인증을 받은 자에게 적용한다.

6.1.3 용어의 정의(Definition of Terms)


이 장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가. “책임관리자(Accountable manager)”란 정비조직인증을 받은 사업장에서의 모든 운영
에 관한 책임과 권한을 가진 자로서 인증된 정비조직에서 임명한 사람을 말하며, 소속
인력들이 규정을 지키도록 하는 사람을 말한다.

나. “대개조(Major alteration)”란 5.1.2, 2)에서 정한 개조를 말한다.

다. “소개조(Minor Alteration)"란 5.1.2, 3)에서 정한 개조를 말한다.

라. “대수리(Major repair)”란 5.1.2, 4)에서 정한 수리를 말한다.

마. “소수리(Minor Repairs)"란 5.1.2, 5)에서 정한 수리를 말한다.

바. “운항정비(Line maintenance)”란 예측할 수 없는 고장으로 발생된 비계획 정비 또는


특수한 장비 또는 시설이 필요치 않은 서비스 및(또는) 검사를 포함한 계획점검(A
점검 및 B 점검)을 말한다.

사. "공장정비(Base Maintenance)"란 운항정비를 제외한 정비를 말한다.

아. “예방정비(Preventive maintenance)”란 단순하고 간단한 보수작업, 점검 및 복잡한 결


합을 포함하지 않은 소형 규격부품의 교환 및 윤활유등의 보충(service)을 말한다.

자. “기술관리 및 품질관리 업무”란 항공기 등에 대한 직접적인 정비행위를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항공기가 기술기준에 적합하도록 지속적인 감항성 유지를 보증하기 위한 다
음과 같은 업무를 말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1) 계획정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유지관리


2) 감항성 유지정보(AD, SB 등) 검토 및 작업지침서 개발
3) 항공기 결함 등의 분석 및 신뢰성 관리
4) 정비 업무에 관한 절차의 개발 및 관리
5) 그밖에 정비를 위한 제반 지원업무

차. “품목(Article)”이란 항공기, 기체, 발동기, 프로펠러, 장비품 또는 부품 등을 말한다.

카. “정비매뉴얼(Maintenance Manuals)”이란 항공기 등, 장비품 및 부품 제작자가 지속


적 감항성 유지를 위하여 발행하는 정비지침서(Maintenance Guidance)로서
Maintenance Manual, Overhaul Manual, Illustrated Parts Catalogue, Structure
Repair Manual, Component Maintenance Manual, Maintenance Instructions 및
Wiring Diagram 등 기술도서들을 포함한다.

6.1.4 약 어(Acronyms)
이 장에서 사용되는 약어는 다음과 같다.
가. AMO : 인증정비조직(Approved maintenance organization)
나. ATA : 항공운송협회(Air Transportation Association)
다. MLIT : 국토교통부(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라. NDT : 비파괴시험(Non Destructive Testing)

6.1.5 정비 등의 수행기준(General Performance Rules)


인증 받은 정비조직이 한정 받은 품목에 대하여 정비 등을 수행하는 때에는 다음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가. 정비 등의 수행 방법
1) 항공기 및 장비품 등의 제작자가 지속 감항성 유지를 위하여 발행한 현행 정비매뉴
얼․지침 등에 기재된 방법, 기술 및 기능 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한 방법, 기술
및 기능을 따라야 한다.
2) 인가된 정비, 예방정비 또는 개조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장비, 공구 및 재료를
갖추어야 한다.
3) 장비, 공구 및 재료는 제작자가 권고한 것이거나 적어도 제작자가 권고한 것과 동등
한 성능이 있고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한 것이어야 한다.

나. 정비 등의 수행기록
1) 작업내용 및 근거자료
2) 작업수행 종료일자
3) 작업수행자의 서명, 자격증명번호 및 자격종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4) 위의 3)항 이외의 작업수행자가 있을 경우 작업수행자의 성명


5) 작업수행 내용이 대수리 또는 대개조에 해당할 경우에는 별지 제13호 서식의 대수
리 및 개조 승인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6) 작업수행의 과정 및 후에 감항성의 인정 또는 불인정에 관계된 검사유형, 검사내용,
검사일자, 검사원의 서명․자격증명번호․자격종류 등을 기록하여야 한다.
7) 수행기록 등 정비문서는 위조, 재생 또는 변경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 정비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자
법 제26조제9호에 따른 항공정비사 자격증명(시행규칙 제71조에서 정한 해당 분야의
한정)을 소지하고 해당 정비업무에 대한 교육을 받았거나 지식과 경험이 있는 자(이하
“유자격정비사”라 한다)로서 법 제138조의 규정에 따라 인증을 받은 정비조직이 소속
인원에 대하여 정비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격을 부여한 자. 다만, 항공정비사 자격
증명 소지자가 현장에서 직접 감독한다면 자격증명이 없는 자도 정비등을 수행할 수
있다.

라. 정비 등을 수행한 후 감항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


유자격정비사로서 법 제138조의 규정에 따라 인증을 받은 정비조직이 소속 인원에 대
하여 정비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격을 부여한 자

마. 항공기 등 ․ 장비품 또는 부품 등의 제작자가 지속 감항성 유지를 위하여 발행한 현


행 정비매뉴얼․지침 등의 감항성 제한(Airworthiness Limitations) 장에 기술된 내용
에 따라 정비 및 검사 등도 수행하여야 한다.

바. 시한성부품은 정비매뉴얼 또는 정비프로그램 등에 기술된 필수 교체 부품으로서 다


음에 따라 관리하여야 한다.
1) 시한성부품의 시한(Life limit)은 누적회수, 누적시간 또는 교체 기한으로 나타내며,
제작에서부터 폐기 시까지(Back to the birth)의 사용 누적회수․시간을 관리하여야
한다.
2) 형식증명을 받은 항공기 및 장비품 등에서 시한성부품이 정비 등을 위하여 일시적으
로 장탈․재장착 하는 경우,
가) 시한상태 불변
나) 동일한 제작일련번호에서 장탈․재장착
3) 위의 바 2)항의 경우를 제외하고 시한성부품이 시한에 도달한 후에는 장착하지 못하
도록 다음 방법 중 1의 방법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가) 기록유지체제 : 실체화된 부품번호, 제작일련번호 및 현행시한상태 등을 기록 유지
하되 장탈 될 때마다 현행시한상태는 최신 시한으로 갱신 되어야 한다. 이 체제는
전자화 또는 문서화 등으로 기록유지 되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나) 표찰부착 : 부품번호, 제작일련번호 및 현행시한상태를 기록한 표찰 또는 기록표를


부착하여야 한다. 장탈 될 때마다 새로운 표찰 또는 새로운 기록표를 만들거나 기
존의 표찰 또는 기록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최신 시한으로 갱신되어야 한다.
다) 기타방법 :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방법을 따른다.

사. 정비조직의 인증을 받지 않고 수행할 수 있는 정비 등의 범위.


항공기 소유자등이 소유 또는 임차한 항공기에 대하여 수행한 예방정비, 운항정비 또
는 계획정비. 다만, 소유자등이 수행하려는 정비등을 위한 인력, 시설 및 검사체계 등
의 정비능력이 없는 경우에는 정비능력을 갖춘 정비조직인증을 받은 자 또는 해당 항
공기등, 장비품 또는 부품을 제작(항공기 객실 인테리어의 경우 개조업체 포함)한 자에
게 위탁하여야 한다. 이 경우 최종 확인검사는 유자격정비사가 하여야 한다.

아. 이 조에서 규정하지 않은 사항은 제5장 항공기 감항성(Airworthiness) 및 제8장 항공기 운


항(Operations)에서 정한 기준을 따를 수 있다.

6.1.6 인증서 및 운영기준의 요건(Certificate and Operations Specifications Requirements)


가. 누구든지 정비조직인증서, 한정 및 운영기준 없이 또는 이 장을 위반하여 운영하여
서는 아니 된다.
나. 정비조직인증서 및 운영기준은 국토교통부장관 및 공공의 점검을 위하여 사업장 내
에 비치하여야 한다.

6.1.7 안전정책 수립(Safety policy)


가. 정비조직을 인증 받고 자 하는 자는 정비조직에 대한 안전정책을 수립․발전시킬 책임
이 있으며, 이 안전정책을 수립․발전시키며 승인사항이 포함된 다양한 업무를 관리할
수 있는 적절한 경험과 자격을 갖춘 관리자를 지정하여야 한다.

나. 법 제137조의2에 따라 항공기정비업을 등록하고 정비조직인증을 받으려는 자는 법


제49조제2항, 시행규칙 제143조의4 내지 제143조의6에 따른 항공안전관리시스템을
마련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6.1.8 정비분야 인적요소(Human factors in aircraft maintenance)


정비조직은 정비계획, 정비인력관리, 정비정책 등을 수립 시 인적요소를 고려하여야 한다.

6.2 인 증(Certification)
6.2.1.1 인증의 신청(Application for Certificate)
가. 정비조직인증을 받으려는 자(이하 “신청자”라 한다)는 시행규칙 별지 제136호 서식
정비조직인증신청서에 다음의 각호의 내용을 포함한 정비조직절차교범을 첨부하여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 수행하려는 정비의 범위
2) 정비방법 및 그 절차
3) 정비에 관한 품질관리 방법 및 절차
4) 정비 등을 수행하려는 각 품목에 대한 형식, 제작사, 모델별 목록
5) 조직도, 관리 및 감독인원에 대한 이름 및 직위
6) 현 주소와 건물과 시설에 대한 설명
7) 타인과의 계약된 정비기능(Maintenance function)의 목록
8) 교육훈련 프로그램

나. 정비조직의 인증 및 한정, 한정추가 및 변경을 위하여 요구된 건물, 시설, 장비, 인력


및 기술자료 등은 인증기관(서울지방항공청, 부산지방항공청 또는 제주지방항공청)의
검사관이 현장검사를 할 때에는 반드시 정 위치에 있어야 한다. 다만, 인증받기 위해
필요한 장비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에는 정비조직이 인증을 받는 동안 또는 관련 정
비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된 계약을 체결
된 경우에는 예외로 할 수 있다.

다. 신청자가 대한민국 밖에 위치한 경우에는 대한민국 국적기 또는 이에 장비되는 품목


에 대하여 정비 등을 수행한다는 것을 입증하여야 한다.

라. 신청자는 정비조직인증을 받기 위해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 수수료를 지불하였음을


입증하여야 한다.

6.2.2 인증서의 발행 및 인증서의 유효성에 대한 수시점검(Issue of Certificate and


Surveillance for the validate of certificate)
가. 지방항공청장은 신청자가 이 장에서 정한 요구조건에 적합하다고 판단한 경우 시행
규칙 별지 제137호 서식 정비조직인증서(이하 인증서라 한다)에 정비의 범위․방법 및
품질관리절차 등을 정한 운영기준을 첨부하여 발행하여야 한다.

나. 지방항공청장은 신청자가 소속한 국가가 대한민국과 정비조직인증에 관한 협정을 체


결한 경우에는 체결된 이행절차에 따라 인증서를 발급한다.

다. 지방항공청장은 인증서를 발부한 때에는 당해 조직이 인증기준을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당해 조직이 인증기준을 충족하고 있지 않을 경우 인증
서에 대한 효력을 정지하거나 취소하여야 한다.

6.2.3 인증서의 유효기간 및 갱신(Duration and Renewal of Certificate)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가. 대한민국 내에 위치한 정비조직에 발행된 인증서 또는 한정의 유효기간은 발행일로


부터 정비조직이 양도되거나 국토교통부장관이 효력정지 또는 취소할 때까지 유효하다.

나. 대한민국 외에 위치한 정비조직에 발행된 인증서 또는 한정의 유효기간은 정비조직


이 양도되거나 국토교통부장관이 효력정지 또는 취소시키지 않았다면 발행일 이후
24개월까지 유효하다.

다. 대한민국 밖에 위치한 정비조직이 인증서 유효기간을 갱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


증서 유효기간 만료 30일전에 시행규칙 별지 제136호 서식 정비조직인증 신청서를
작성하여 관할 지방항공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이 경우 관할 지방항공청장은 유
효기간 갱신을 위하여 법 제138조제1항에 따라 정비조직인증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매 2년마다 서류 또는 현장검사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다만, 인증서 발급
이후 대한민국 국적 항공기등에 대한 정비 수행실적이 없는 경우에는 인증서 갱신을
승인하지 않을 수 있으며, 해당 정비조직이 정비한 국적항공기, 발동기 등에서 고장
및 결함 등이 발생하여 안전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현장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정비조직인증을 갱신하려는 자가 이 기간 내 갱신 신청을 아니하
면 6.2.1에 따른 신규 인증의 신청절차를 따라야 한다.

라. 인증서 보유자는 인증서의 유효기간 만료, 효력정지 또는 취소된 경우에는 관할 지


방항공청장에게 인증서를 반납하여야 한다.

6.2.4 인증서의 개정(Amendment to or Transfer of Certificate)


가. 인증서 보유자는 다음 각 호의 경우에 시행규칙 별지 제136호 서식 정비조직인증
신청서를 작성하여 지방항공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 정비조직의 소재지 변경
2) 한정의 추가 또는 개정

나. 인증서의 보유자가 그의 자산을 매각 또는 양도할 경우 새로운 보유자는 6.2.1.1의


규정에 따라 인증서 개정을 신청하여야 한다.

6.2.5 업무한정(Ratings)
정비조직인증을 받아 수행할 수 있는 업무한정은 다음과 같다.
가. 항공기 등급(Class Aircraft)
1) A1 한정(A1 Rating): 최대이륙중량 5,700킬로그램을 초과하는 비행기 또는 비행선
2) A2 한정(A2 Rating): 최대이륙중량 5,700킬로그램 이하의 비행기 또는 비행선
3) A3 한정(A3 Rating): 회전익항공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나. 엔진 등급(Class Engines)
1) B1 한정(B1 Rating): 터빈 엔진
2) B2 한정(B2 Rating): 왕복 엔진
3) B3 한정(B3 Rating): 보조동력장치

다. 장비품/부품 등급(Class Components/parts)


1) C1 한정(C1 Rating): ATA Chapter 21(에어컨디셔너 및 여압)계통에 해당하는 장
비품/부품
2) C2 한정(C2 Rating): ATA Chapter 22(자동비행)계통에 해당하는 장비품/부품
3) C3 한정(C3 Rating): ATA Chapter 23 및 34(통신 및 항법)계통에 해당하는 장비
품/부품
4) C4 한정(C4 Rating): ATA Chapter 52(도어 및 해치)계통에 해당하는 장비품/부품
5) C5 한정(C5 Rating): ATA Chapter 24, 33(전력 및 조명) 및 85 계통에 해당하는
장비품/부품
6) C6 한정(C6 Rating): ATA Chapter 25, 38, 45(장비․장구, 식․폐수 및 중앙정비) 및
50 계통에 해당하는 장비품/부품
7) C7 한정(C7 Rating): ATA Chapter 49,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및 83(보조동력, 파워플랜트, 엔진, 엔진연료제어, 점화, 에어, 엔진제어, 엔
진 계기, 배기, 윤활, 시동, 왕복엔진의 터빈, 물 분사 및 보기 기어박스)계통에 해당
하는 장비품/부품
8) C8 한정(C8 Rating): ATA Chapter 27, 55, 57.40, 57.50, 57.60 및 57.70(비행제
어, 수평안정판, 날개의 전연 및 전연장치, 후연 및 후연장치, 보조익 및 승강타 및
스포일러)계통에 해당하는 장비품/부품
9) C9 한정(C9 Rating): ATA Chapter 28(연료) 및 47계통에 해당하는 장비품/부품
10) C10 한정(C10 Rating): ATA Chapter 62, 64, 66 및 67(회전익, 꼬리 회전익, 접
이식 블레이드 및 회전익비행제어) 계통에 해당하는 장비품/부품
11) C11 한정(C11 Rating): ATA Chapter 63 및 65(회전익구동 및 꼬리 회전익구동)
계통에 해당하는 장비품/부품
12) C12 한정(C12 Rating): ATA Chapter 29(유압)계통에 해당하는 장비품/부품
13) C13 한정(C13 Rating): ATA Chapter 31, 42 및 46 계통에 해당하는 장비품/부

14) C14 한정(C14 Rating): ATA Chapter 32(랜딩기어)계통에 해당하는 장비품/부품
15) C15 한정(C15 Rating): ATA Chapter 35(산소)계통에 해당하는 장비품/부품
16) C16 한정(C16 Rating): ATA Chapter 61(프로펠러)계통에 해당하는 장비품/부품
17) C17 한정(C17 Rating): ATA Chapter 36 및 37(공압 및 진공)계통에 해당하는
장비품/부품
18) C18 한정(C18 Rating): ATA Chapter 26 및 30(화재보호 및 제방빙․강우보호)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통에 해당하는 장비품/부품
19) C19 한정(C19 Rating): ATA Chapter 56(창)계통에 해당하는 장비품/부품
20) C20 한정(C20 Rating): ATA Chapter 53, 54, 57.10, 57.20 및 57.30(동체, 나
셀․파이론, 중앙날개, 외측날개 및 날개 팁)계통에 해당하는 장비품/부품
21) C21 한정(C21 Rating): ATA Chapter 41(Water Ballast) 계통에 해당하는 장비품
/부품
22) C22 한정(C22 Rating): ATA Chapter 84(Propulsion Augmentation) 계통에 해
당하는 장비품/부품

라. 특수서비스 등급(Class Specialized Service)


D1 한정(D1 Rating): 비파괴시험(NDT)

6.2.6 업무한정의 제한(Limited Ratings)


가. 지방항공청장은 인증된 정비조직에 대하여 특정 형식의 항공기, 엔진 및 장비품 등의 정
비 등을 할 수 있는 한정을 제한하거나 일반적 수행으로는 할 수 없는 장비 및 숙련기술
이 요구되는 정비 등에 한하여 수행하도록 한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한정은 항공기의
모델, 엔진 또는 구성 장비품 등 마다 또는 특정 제작자가 제작한 부품의 수로도 할 수 있
다.

나. 가항에 따라 지방항공청장은 다음 각 호에 따라 한정을 제한할 수 있다.


1) 특정 제작사 또는 모델의 항공기 또는 해당 정비과업(Task)
2) 특정 제작사 또는 모델의 엔진 또는 해당 정비과업(Task)
3) 특정 제작사 또는 모델의 장비품/부품 또는 해당 정비과업(Task)
4) 비파괴 검사, 시험 및 절차 등
5) 특정 모델의 항공기 등에 관한 기술관리 및 품질관리 업무

다. 인증된 정비조직으로서 1인 종사자가 정비를 계획하고 수행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제한할 수 있다.
1) A2 한정(A2 Rating):
가) 왕복엔진이 장착된 최대이륙중량 5,700킬로그램 이하 비행기의 운항정비 및 계획
정비
나) 터빈엔진이 장착된 최대이륙중량 5,700킬로그램 이하 비행기의 운항정비
2) A3 한정(A3 Rating) : 단발엔진이 장착된 최대이륙중량 2,730킬로그램 미만의 회전
익항공기의 운항정비 및 계획정비
3) B2 한정(B2 Rating) : 450마력 미만의 왕복엔진
4) C1 부터 C22 까지(C1-C22 Rating) : 6.5.8의 수행능력 목록에 따른다.
5) D1 한정(D1 Rating) : NDT 방법 등으로 지정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라. 특수 서비스의 한정을 위해 정비조직의 운영기준에는 특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세서(specification)를 포함시켜야 한다. 그 명세서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현재 기업에 의해 사용되는 민간 및 군용 명세서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것
2) 신청자가 개발한 명세서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것

6.3 건물, 시설, 장비, 자재 및 자료(Housing, Facilities, Equipment, Materials and


Data)
6.3.1 일 반(General)
정비조직인증서 및 한정을 받으려면 적합한 요건의 건물, 시설, 장비, 자재 및 자료 등을
갖추어야 한다.

6.3.2 건물 및 시설의 요건(Housing and Facilities Requirements)


가. 정비조직은 다음 각 호를 갖추어야 한다.
1) 업무한정에 적합한 시설, 장비, 자재 및 인력을 수용할 수 있는 건물
2) 품목의 정비 등 및 한정된 특수 서비스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는 시설로서 다음 각
목을 포함한다.
가) 모든 정비 등을 수행하는 동안에 품목들을 적절히 격리하고 보호하기 위한 충분한
작업 공간 및 면적
나) 환경적으로 위험성이 있는 페인팅, 세척 및 용접, 기계적으로 민감한 항공전자 및
전기, 기계가공 작업 등을 하려는 경우 타 정비 등의 수행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적
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격리작업 공간
다) 정비 등을 수행하는 모든 품목들을 저장 및 보호하기에 적합한 선반 (racks), 호
이스트(hoists), 스탠드(stands), 트래이(trays) 및 기타 격리 수단
라) 장착을 위해 보관 중인 품목 또는 자재를 정비 등의 수행 중에 있는 모든 품목들
로부터 격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
마) 정비 등을 수행하는 인력이 적절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환기․조명․온도조절․습도설
비 및 기타 기후 조건에서도 정비 등을 할 수 있는 설비

나. 정비조직의 업무한정에 항공기 한정을 갖고 있는 경우 운영기준에 명시된 항공기의


형식 중 가장 큰 항공기 1대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영구적인 건물을 갖추어야 한다. 다만,
운항정비만을 위탁받아 수행하려는 경우에는 제외한다.

다. 정비조직이 가항 및 나항의 요건에 적합하고,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할 수 있는 적


합한 시설에서 해당 정비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품목에 대한 정비 등을 건
물 밖에서도 할 수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라. 기술관리 및 품질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적절한 전산장비 및 사무실을 갖추어야


한다.

6.3.3 건물 및 시설의 소재지 변경(Change of Location, Housing or Facilities)


가. 인증을 받은 정비조직은 국토교통부장관의 서면 승인 없이 건물의 위치를 변경하여
서는 아니 된다.

나. 국토교통부장관의 서면 승인 없이 정비조직은 인증서 및 운영기준에 따라 정비 등을


수행함에 있어 정비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물 또는 시설의 변경작업
을 할 수 없다.

다. 국토교통부장관은 정비조직이 소재지, 건물 또는 시설 등을 변경할 경우에 필요한


제한사항을 규정할 수 있다.

6.3.4 장비, 자재 및 자료의 요건(Equipment, Materials and Data Requirements)


가. 정비조직은 인증서 및 운영기준 하에서 정비 등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 공구
및 자재 등을 보유하여야 한다. 장비, 공구 및 자재 등은 작업이 수행되는 정비조직
내에 위치하고 통제 하에 있어야 한다.

나. 정비조직은 품목에 대한 감항성 결정을 위해 사용하는 모든 시험․ 검사 및 정밀측정


장비(Precision Measuring Equipment)들이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할 수 있는 표준
으로 교정되었음을 보증해야 한다.

다. 장비, 공구, 자재들은 품목의 제작사에 의해 권고된 것 또는 제작사에 의해 권고된


것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것으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한 것이어야 한다.

라. 정비조직은 인증서 및 운영기준 하에서 정비 등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와 서


류를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한 형식으로 유지해야 한다. 다음 각 호의 서류와 자료
는 관련된 작업이 수행될 때 이용하기 쉽고, 항상 최신의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1) 감항성개선지시(Airworthiness directives)
2) 지속 감항성 유지 지시서(Instructions for continued airworthiness)
3) 정비 매뉴얼(Maintenance manuals)
4) 표준작업 매뉴얼(Standard practice manuals)
5) 정비기술회보(Service bulletins)
6) 기타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했거나 인정할 수 있는 자료(Approved or accepted
data by MLIT)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6.4 인력(Personnel)
6.4.1 인력의 요건(Personnel Requirements)
정비조직의 인력은 다음 각 항에 적합하여야 한다.
가. 책임관리자를 임명하여야 한다.

나. 정비 등의 작업계획, 감독, 수행 및 항공에 사용하도록 환원하기 위한 자격자를 보유


하여야 한다.

다. 정비 등을 수행함에 있어 훈련 또는 지식 및 경험을 갖춘 충분한 수의 인력을 보유


하여 한다.

라. 법 제26조제9호에 따른 자격증명이 없는 자가 정비 등을 수행할 경우 훈련, 지식,


경험 또는 기능시험 등으로 업무능력을 분별하여야 한다.

6.4.2 감독자의 요건(Supervisory Personnel Requirements)


감독자는 다음 각항에 적합하여야 한다.
가. 품목에 대한 정비 등을 수행하는 현장에서 감독할 수 있는 충분한 수의 감독인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나. 감독인력은 법 제26조제9호에 따른 자격증명을 갖추어야 한다. 다만, 대한민국 외의


지역에 위치한 정비조직인 경우 해당 항공당국이 정한 규정에 따른 자격요건을 갖춘
자이어야 한다.

다. 감독자는 당해 실무경험이 최소한 36개월 이상이어야 하며, 정비 등을 수행하기 위


하여 사용된 방법, 절차, 기술, 기능, 보조물, 장비 및 공구 등에 대하여 훈련을 받았
거나 유사경험이 있어야 한다.

라. 감독자는 정비조직 관련 제 규정에 익숙하며, 영어를 읽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6.4.3 검사원의 요건(Inspection Personnel Requirements)


검사원은 다음 각항에 적합하여야 한다.
가. 품목에 대하여 정비 등을 수행한 후 감항성 유무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검사방
법, 절차, 기술, 기능, 보조재, 장비 및 공구 등에 대하여 훈련되고 익숙하여야 한다.

나. 품목의 다양한 검사대상에 따라 적합한 측정․ 검사장비 및 시각점검 보조기구 등을 능숙


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다. 검사원은 법 제26조제9호에 따른 자격증명을 갖춘 자이어야 한다. 다만, 대한민국외의


지역에 위치한 정비조직인 경우 해당 항공당국이 정한 규정에 따른 자격요건을 갖춘
자이어야 한다.

라. 관련 법규, 규정에 익숙하여야 하며, 관련 매뉴얼, 작업지시서 등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6.4.4 품목의 항공에 사용승인 인력 요건(Personnel Authorized to Approve an


Article for Return to Service)
정비 등을 수행한 품목에 대하여 항공에 사용승인 권한을 갖는 인력(이하 “감항성 확인
자”이라 한다)은 다음 각항에 적합하여야 한다.
가. 감항성 확인자는 법 제26조제9호에 따른 자격증명을 갖추어야 한다. 다만, 대한민국
외의 지역에 위치한 정비조직인 경우 해당 항공당국이 정한 규정에 따른 자격요건을
갖춘 자이어야 한다.

나. 감항성 확인자는 정비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된 방법, 절차, 기술, 기능, 보조재,
장비 및 공구 등에 대하여 교육을 받았거나 18개월 이상의 실무경험이 있어야 한다.

다. 감항성 확인자는 정비 등을 수행한 품목에 대하여 감항성 유무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


용된 검사방법, 절차, 기술, 기능, 보조재, 장비 및 공구 등에 대하여 익숙하여야 한다.

라. 감항성 확인자는 관련 법규, 규정에 익숙하여야 하며, 관련 매뉴얼, 작업지시서 등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6.4.5 관리자, 감독자 및 검사 인력에 대한 기록(Record of Management, Supervisory


and Inspection Personnel)
관리, 감독 및 검사인력 등에 관한 기록 관리는 다음 각 항에 적합하여야 한다.
가. 정비조직은 경영 관리자, 정비 등의 감독자, 전 검사원 및 감항성확인자의 명부를 각
각 보유하여야 한다.

나. 각 명부에 기재된 각 개인에 대하여 다음 사항이 포함된 충분한 정보의 요약서를 갖


추고 있어야 한다.
1) 현재의 직위
2) 총 경력기간, 근무부서 및 수행한 정비범위
3) 직무와 관련한 고용 이전 근무지의 명칭 및 고용기간
4) 현재의 직무범위
5) 보유한 자격증명의 종류 및 한정 등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다. 직무종결, 재배치, 직무범위 또는 직무의 변경, 인력의 추가 등의 변동사항은 변동


후 5일 이내 명부 및 요약서에 반영하여야 한다.

6.4.6 교육훈련의 요건(Training Requirements)


정비조직은 6.4.1 내지 6.4.4에 따른 인력에 대하여 다음 각항에 적합한 교육훈련 프로
그램을 갖추어야 한다.
가.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초도 및 보수 교육과정이 포함된 교육훈련 프로그램

나.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정비조직에서 정비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용된 각 인력 및


검사기능의 담당 직무 수행능력을 보증하여야 한다.

다. 교육훈련 이수현황은 개인별로 문서화하여 기록 유지하여야 한다.

라. 정비요원의 직무와 책임을 부여하고 부여된 임무를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하여야 한다.

마. 훈련프로그램은 인적수행능력(Human performance)에 관한 지식과 기량에 대한 교


육을 포함하여야 하고, 정비요원과 운항승무원과의 협력에 대한 교육을 포함하여야
한다.

바. 훈련프로그램은 훈련과정, 훈련방법, 강사자격, 평가, 훈련기록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


어야 하고 훈련시간 등은 다음의 최소요구량 이상을 실시하여야 한다.
1) 안전교육 : 년 8시간 이상
2) 초도교육 : 60시간 이상
3) 보수교육 : 1회당 4시간 이상
4) 항공기 기종교육 : 항공기 제작회사 또는 제작회사가 인정한 교육기관이 실시하는
교육시간 이상
5) 인적요소 : 년 4시간 이상
6) 초도 및 항공기 기종교육 이수기준 : 평가시험 70% 이상 취득
사. 인증받은 정비조직의 교육훈련 교관은 정비분야 3년 이상의 근무경력을 가져야 한
다.

6.4.7 기술관리 및 품질관리 업무의 인력요건(Personnel Requirements of


Engineering support and Quality control)
타인의 요구에 따라 기술관리 및 품질관리 업무를 지원하려는 정비조직에서 수행한 업무
에 대한 책임을 갖는 자는 다음 각 항을 충족하여야 한다.
가. 항공법 제26조제9호에 따른 항공정비사 자격증명이 있을 것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나. 해당 항공기 형식에 친숙하기 위한 교육을 받을 것


다. 수행하려는 업무에 필요한 전문교육 이수 또는 실무경험이 있을 것

6.5 운영준칙(Operating Rules)


6.5.1 인증서의 권한 및 제한(Privileges and Limitations of Certificate)
가. 인증 받은 정비조직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할 수 있다.
1) 한정 및 운영기준의 제한사항에 따른 품목에 대하여 정비 등의 수행
2) 한정 및 운영기준의 제한사항에 따른 품목에 대하여 정비 등을 수행하기 위한 신규
인력의 배치. 만일 배치된 인력이 이 장의 기준에 적합한 자격을 구비하지 않았다
면, 정비 조직은 무자격 인력에 대하여 동등한 품질 관리 시스템을 이행하고 있음을
보증해야 한다.
3) 정비 등을 수행한 후 해당 품목에 대하여 항공에의 사용가능 승인

나. 인증 받은 정비조직은 한정에 속하지 않은 어떠한 품목에 대하여도 정비 등을 수행


하여서는 아니 된다. 또한 한정에 속하는 어떠한 품목이라도 특별한 기술자료, 장비
및 시설 등이 요구됨에도 이를 갖추지 않았다면 정비 등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 인증 받은 정비조직은 다음 각 호의 사항에 대하여서는 어떠한 품목이라도 항공에의


사용승인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적합하게 승인된 기술자료 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한 자료에 따르지 아니하고
정비 등을 수행한 모든 품목
2) 적합하게 승인된 기술 자료에 따르지 아니하고 대수리 또는 대개조 작업을 수행한
모든 품목

6.5.2 타 장소 수행 작업(Work Performed at Another Location)


인증 받은 정비조직은 다음 각항과 같은 요건 하에서 정비조직 이외의 장소에서 한정에
속하는 품목에 대해 정비 등 또는 특수한 서비스의 수행을 위해 자재, 장비 및 인력 등
을 일시적으로 파송할 수 있다.
가. 작업 사항이 특별한 상황으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경우

나. 정비조직 이외의 장소에서 반복되는 정비 등 또는 특수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관련 작업절차 매뉴얼을 확보한 경우

6.5.3 항공사 등을 위한 정비 등(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and


Alterations Performed for Certificate Holder of Air Operator Certificate)
인증된 정비조직이 항공운송사업자 등이 소유한 항공기에 대하여 정비 등을 수행하는 경
우에는 다음을 따라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가. 지속적 감항성 유지 프로그램(Continuous Airworthiness Maintenance Program)을


운영하는 항공운송사업자를 위해 정비 등을 수행하는 정비조직은 해당 항공사의 정
비 프로그램 및 관련 정비매뉴얼에 따라 수행하여야 한다.

나. 지방항공청장이 승인한 항공기 검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항공기 소유자등을 위해


정비 등을 수행하는 정비조직은 해당 항공기 소유자등의 검사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
비 매뉴얼에 따라 수행하여야 한다.

다. 6.3.2에 따른 건물 및 시설의 요건에도 불구하고, 항공운송사업자의 운항정비를 수행하


려는 정비조직이 다음 각목의 요건에 적합한 경우에는 정비조직인증을 받을 수 있다.
1) 정비조직은 해당 항공운송사업자의 인가받은 정비규정과 정비프로그램에 따라 운항정
비를 수행하고,
2) 인증 받은 정비조직은 운항정비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 훈련된 인력 그리고
기술자료 등을 보유하고,
3) 인증 받은 정비조직의 운영기준에 해당 항공기 형식에 대한 운항정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인가된 경우

6.5.4 정비조직절차교범(AMO Procedure Manual)


정비조직절차교범은 다음 각항에 적합하여야 한다.
가. 정비조직은 지방항공청장이 인정한 정비조직절차교범을 보유하고 이행하여야 한다.

나. 정비조직절차교범은 최신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다. 최신상태의 정비조직절차교범은 6.4.1 내지 6.4.4에 따른 인력이 사용하기에 편리하


여야 한다.

라. 정비조직절차교범이 제정 또는 개정된 때에는 지방항공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마. 기술관리 및 품질관리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수행하는 업무를 처리하고 보증할 수 있


는 절차가 정비조직절차교범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6.5.5 정비조직절차교범의 내용(AMO Procedure Manual Contents)


정비조직절차교범에는 다음 각항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가. 정비조직의 업무행위에 대한 권한을 갖는 각각의 관리자 직위, 직무, 담당책임 범위 및
권한 등이 포함된 조직 구성도

나. 6.4.5에 따른 관리, 감독 및 검사인력 명부의 유지 및 개정절차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다. 6.3.2 및 6.3.4에 따른 건물, 시설, 장비, 자재 및 자료 등을 포함한 사업장의 운영에 대


한 기술

라. 정비조직의 수행능력 목록의 개정보고 절차 및 개정을 하기 위하여 6.5.8, 나항에 따른


자체평가 방법, 주기 및 관계 관리자에게 평가결과 보고 절차

마. 6.4.6에 따른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정절차 및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승인 받기 위한


절차

바. 정비조직 이외 다른 장소에서 수행된 정비 등의 작업을 관리하는 절차

사. 지속적 감항성 유지 프로그램을 보유한 항공사를 위한 정비 등의 수행 절차

아. 계약정비 정보의 개정, 유지 및 관리절차

자. 요구된 기록의 기술 및 기록의 획득, 저장에 사용된 기록유지 시스템 및 기록수정 절차

차. 정비조직절차교범 개정절차 및 국토교통부 제출 절차

카. 정비조직절차교범의 확인 및 관리의 장에 사용된 시스템의 내용

타. 승인받은 작업의 작업범위에 대한 일반적 기술

파. 6.5.6에 따른 품질관리시스템 및 정비조직의 절차에 대한 기술

하. 6.4.2 내지 6.4.4에 따른 정비인력의 능력을 수립하기 위해 사용한 절차에 대한 기술

거. 정비확인이 수행되어야 할 여건과 정비확인을 위한 절차에 대한 기술

너. 6.4.4에 따른 항공기 사용승인 인력 및 승인가능 범위

더. 6.5.11에 따른 결함 및 고장 등의 보고절차에 대한 기술

러. 필요한 모든 감항자료에 대한 형식증명서 소지자 등으로부터의 접수, 평가, 개정 및


배포를 위한 절차에 대한 기술

6.5.6 품질관리시스템(Quality Control System)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정비조직은 다음 각항에 적합한 품질관리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가. 정비조직은 정비 등을 수행하는 사업장의 품목 또는 외주계약 정비 등의 품목에 대
한 감항성을 보증하도록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할 수 있는 독립된 품질관리시스템을
갖추고 유지하여야 한다.

나. 정비조직의 인력은 정비 등을 수행할 때에는 품질관리시스템에 따라야 한다.

다. 정비조직은 다음 각 호의 내용이 포함된 품질관리매뉴얼을 제정하여야 한다.


1) 입고 원자재의 적합한 품질을 보증하기 검사절차
2) 정비 등의 전 대상품목에 대한 예비검사 절차
3) 정비 등을 수행하기 이전 품목에 숨겨진 손상에 연관된 검사절차
4) 검사 인력의 숙련도 유지절차
5) 품목의 정비 등을 하기 위한 최신 기술자료 유지 및 설정절차
6) 정비 등을 수행하는 무자격증명 자의 인력배치 및 감독절차
7) 최종검사 수행 및 항공에의 사용을 위한 정비해제 절차
8) 정비 등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험 및 측정 장비의 검교정 주기 및 절차
9) 결함에 대한 수정조치의 수행절차
10) 특수하게 수행되는 정비 등에 있어서는 제작사의 검사기준 또는 지정자료의 근거
11) 검사와 정비 양식의 견본 및 양식 기입 방법 또는 각각의 양식 매뉴얼에 대한 참

12) 품질관리매뉴얼의 개정절차

라. 정비조직은 상기 다항의 규정에 의한 품질관리매뉴얼을 제정하거나 개정하였을 경우


에는 국토교통부에 제출하여야 한다.

6.5.7 정비등의 검사(Inspection of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or


Alterations)
정비조직은 정비등이 수행된 품목을 항공에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하기(Return to
service) 위하여 다음의 각 항을 따라야 한다.
가. 정비조직은 정비등 수행한 해당 품목이 감항성이 있다는 정비확인(Maintenance
release)을 다음의 절차에 따라 승인하여야 한다.
1. 정비조직이 해당 품목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2. 유자격정비사는 수행한 작업에 대하여 감항성이 있음을 확인하여야 한다.
3. 필수검사항목 등 재확인이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검사원이 검사를 수행하여야 한
다.

나. 가항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검사원 및 감항성확인자는 6.4.3 및 6.4.4의 요건에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적합하여야 한다.

다. 대한민국 외의 지역에 위치한 인가받은 정비조직에서는 유자격정비사 또는 정비조직


절차교범에 감항성 확인자로 명시된 자만이 최종적인 검사 및 정비확인을 위한 서명
을 할 수 있다.

6.5.8 수행능력 목록(Capability List)


인증 받은 정비조직은 지방항공청장으로부터 한정 받은 품목이 정비조직절차교범에 명시
된 수행능력목록 또는 운영기준에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정비등을 수행할 수 있
다.
가. 수행능력목록은 각 품목의 제작자가 지정한 명칭, 모델 등으로 명시되고 지방항공청
장이 인정할 수 있는 양식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나. 수행능력목록에 있을 품목은 정비조직의 한정범위 내에 있고 6.5.5, 라)에 따른 자체


평가를 수행한 후 등재될 수 있다. 또한 정비조직은 매년 자체평가를 수행하여 6.3
및 6.4에 따른 건물, 시설, 장비 및 인력 등을 적합한지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정비
조직은 모든 평가문서를 보관하고 있어야 한다.

다. 정비조직은 수행능력목록에 품목을 추가 또는 변경한 경우에는 그 개정 사본을 지방


항공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6.5.9 계약정비(Contract Maintenance)


가. 인증 받은 정비조직은 다음과 같은 경우 품목에 대한 정비기능에 관하여 외부업체와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1) 정비조직이 외부업체에 계약을 체결한 정비기능을 지방항공청장이 인가하고,
2) 정비조직은 외부업체에 대한 능력을 평가하여야 하고,
3) 정비조직은 다음 각항의 정보를 유지하는 경우
가) 외부업체과 계약한 정비기능
나) 외부업체의 명칭, 해당될 경우 보유한 인증서 및 한정 등(외국 정비시설의 경우
해당 항공당국이 발행한 인증서 및 한정 등)

나. 인증 받은 정비조직이 인증 받지 않은 외부업체와 계약을 맺을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보증하여야 한다.
1) 인증받지 않은 외부업체는 인증받은 정비조직의 품질관리시스템과 동등한 수준의
시스템 구비하고 있음
2) 인증받은 정비조직은 인증 받지 않은 외부업체에서 수행된 작업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이 있음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3) 인증받지 않은 외부업체에서 수행된 작업은 시험 또는 검사를 통해 만족스럽게 검


증되어야 하며, 감항성이 있는지의 여부는 인증받은 정비조직이 확인함

6.5.10 기록유지(Record keeping)


가. 인증 받은 정비조직은 6.1.5 일반적인 수행기준에 따라 수행하였음을 증명하는 기록
을 국문 또는 영문으로 남겨야 한다. 기록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한 형식으로 유
지되어야 한다.

나. 인증 받은 정비조직은 정비, 예방정비 또는 개조가 수행된 품목의 소유자 또는 운영


자에게 정비확인(Maintenance Release) 사본을 제공하여야 한다.

다. 인증 받은 정비조직은 품목이 항공에의 사용가능상태로 승인된 날짜로부터 2년 동안


요구된 기록을 유지하여야 한다.

라. 정비조직은 국토교통부 또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검사를 위하여 모든 기록물


을 이용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6.5.11 고장 등의 보고(Service Difficulty Reports)


인증 받은 정비조직은 인가 받은 한정품목에 대하여 비행안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장, 기능불량 및 결함 등을 발견한 경우에는 96시간 이내 다음 각항의 내용을 포
함하여 국토교통부장관 및 항공기 운영자에게 보고 또는 통보하여야 한다.

가. 항공기 등록부호
나. 형식, 제작사 및 품목의 모델
다. 고장, 기능불량 및 결함이 발견된 날짜
라. 고장, 기능불량 및 결함의 현상
마. 사용시간 또는 오버홀 이후의 경과시간 (해당될 경우)
바. 고장, 기능불량 및 결함의 확실한 원인
사. 사안의 중대성 또는 수정조치의 결정 등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기타정보
아. 정비조직이 항공운송사업자, 형식증명(부가형식증명 포함), 부품제작자증명 또는 기
술표준품 인증 소지자에 속한 경우에는 어느 한곳에서 보고하여도 된다.

6.5.12 국토교통부장관의 감독(MLIT Inspections)


인증 받은 정비조직은 이 기준의 이행여부를 국토교통부장관이 확인감독하기 위하여 어
느 때라도 정비조직을 검사할 수 있도록 허락하여야 한다.

6.5.13 부당한 행위에 대한 조치(Compliance and Enforcement)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6장 정비조직의 인증

인증 받은 정비조직이 정비 등을 부당하게 수행하였을 경우에는 법 제138조 및 관계 제


법령 등의 규정에 따른다.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Instrument and Equipment)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Instrument and Equipment)

7.1 일반(General)
7.1.1 적용(Applicability)
가. 본 장은 법 제40조 및 제41조, 국제민간항공조약 부속서에서 정한 요건에 따라, 항
공기를 소유 또는 임차하여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자(이하 “소유자등”  이라
한다)가 항공기를 항공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항공기에 갖추어야 할 계기 및 장비
등에 관한 최소의 요건을 규정한다.

나. 7.1은 특별히 명시된 것을 제외하고 항공에 사용하는 모든 민간항공기(이하 “모든


항공기”라 한다)에 적용된다.

7.1.2 용어의 정의(Definition)


가. 비상위치무선표지설비(Emergency locator transmitter (ELT)). 비상상황을 감지하
여 지정된 주파수로 특수한 신호를 자동 혹은 수동으로 발산하는 장비를 말한다.
1) 고정식 자동비상위치 무선표지설비(Automatic fixed ELT (ELT(AF)). 항공기에 영
구적으로 장착된 긴급위치 발신기
2) 휴대용 자동비상위치 무선표지설비(Automatic portable ELT (ELT(AP)). 항공기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추락 등 조난 시 항공기에서 쉽게 떼어내어 휴대할 수 있는 긴급
위치 발신기.
3) 자동전개식 비상위치 무선표지설비(Automatic deployable ELT (ELT(AD)). 항공기
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추락 등 조난 시 항공기에서 자동적으로 전개되며 수동전개
도 가능한 긴급위치 발신기.
4) 생존 비상위치 무선표지설비(Survival ELT (ELT(S)). 비상시에 생존자들이 작동시
키도록 예비용으로 장착된, 항공기에서 떼어낼 수 있는 긴급위치 발신기.

나. “장거리 해상비행(Extended Overwater Operation)”이란 육상단발비행기의 경우에


는 비상착륙에 적합한 육지로부터 185킬로미터(100해리) 이상의 해상을 비행하는
것을 말하며, 육상다발비행기의 경우에는 1개의 발동기가 작동하지 아니하여도 비상
착륙이 적합한 육지로부터 740킬로미터(400해리) 이상의 해상을 비행하는 것을 말
한다.

7.1.3 약어(Acronyms)
이 장에서 사용하는 약어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ADF - 자동방향탐지기(Automatic Direction Finder)
2) AOC - 운항증명(Air Operator Certificate)
3) DH - 결심고도(Decision Height)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4) DME - 거리측정시설(Distance Measuring Equipment)


5) ELT -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mergency Locator Transmitter)
6) ILS - 계기착륙시설(Instrument Landing System)
7) IFR - 계기비행방식(Instrument Flight Rule)
8) IMC - 계기비행기상상태(Instrument Meteorological Conditions)
9) LRNS - 장거리항법장비(Long Range Navigation Systems)
10) MEL - 최소장비목록(Minimum Equipment List)
11) MHz - 메가헤르쯔(Megahertz)
12) MLS - 마이크로파착륙시설(Microwave Landing System)
13) MNPS - 최소항행성능요건(Minimum Navigation Performance Specifications)
14) NDB - 무지향표지시설 (Non-Directional Beacon)
15) PBE - 호흡보호장비(Protective Breathing Equipment)
16) RVSM - 수직분리축소(Reduced Vertical Separation Minimum)
17) SSR - 2차 감시레이다(Secondary Surveillance Radar)
18) VFR - 시계비행방식(Visual Flight Rules)
19) VMC - 시계비행기상상태(Visual Meteorological Conditions)
20) VOR - 전방향표지시설(VHF Omnidirectional Range)
21) VSM - 수직분리(Vertical Separation Minimum)

7.1.4 계기 및 장비 일반요건(General Instruments and Equipment Requirements)


가. 모든 항공기에는 감항증명서 발행에 필요한 최소장비에 추가하여 해당 운항에 투입
되는 항공기 및 운항상황에 따라 이 장에서 규정한 계기, 장비 및 비행서류 등을 적
합하도록 장착하거나 탑재하여야 한다.

나. 모든 항공기에는 감항성 요건에 따라 요구되는 인가된 계기 및 장비가 장착되어야


한다.

다. 대한민국에 등록되지 않은 항공기를 운항할 경우 대한민국이 요구하는 계기 및 장비


를 장착하지 않은 항공기는 등록국의 요건에 따라 장착되고 검사되어야 한다.

라. 항공기 운항 중 1명의 항공기승무원에 의해 사용되는 장비는 좌석에서 쉽게 작동시


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야 한다.

마. 하나의 장비가 2명 이상의 항공기승무원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에는 어느 좌석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야 한다.

바.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에 장착된 계기 및 장비가 다음의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1) 최소성능기준과 운항 및 감항 요건을 충족할 것
2) 항로 비행중 통신이나 항법에 필요한 장비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장비에 결함이 발
생하여도 안전하게 통신이나 항법을 수행할 수 있을 것
3) 최소장비목록(MEL)에 적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운항에 적합한 작동상태를 유지
할 것

사. 항행 및 통신장비의 장착은 통신 또는 항행 목적으로 필요하거나 또는 두 목적을 동


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하나의 장비가 고장 시, 그 고장으로 인해 통신 또는
항행 목적에 필요한 다른 장비가 고장 나지 않도록 독립적으로 장착되어야 한다.

7.1.5 비행 및 항법계기 일반요건(General Requirements for Flight and Navigational


Instruments)
가. 모든 항공기에는 운항승무원이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수행할 수 있도록 비행 및 항법
계기를 장착하여야 한다.
1) 항공기 비행경로 조작
2) 필요한 절차에 의한 기동행위
3) 예상되는 운항조건 하에서 항공기 운용한계 관찰

나. 주작동 시스템에서 예비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수단이 장착된 경우에는 확실한 위치


제어(positive positioning control)가 포함되어야 하고 선택된 시스템을 명확히 나타
내는 표시가 있어야 한다.

다. 운항승무원이 사용하는 계기들은 비행경로에 따라 정상적으로 전방을 주시하였을 때


당해 운항승무원의 좌석 및 시선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운항승
무원의 좌석에서 지시치를 쉽게 볼 수 있도록 배열되어야 한다.

라. 최대이륙중량 5,700kg 이상 항공기에는 주(主) 전력생산 장치와는 별도로 30분 이


상 자세계(artificial horizon)를 작동시키고, 기장이 분명하게 식별할 수 있는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비상전력생산 장치를 장착하여야 한다. 동 비상전력생산 장치는 주
전력생산 장치의 고장 시 자동으로 작동하여야 하고 비상 전력임을 표시할 수 있어
야 한다.

7.1.6 최소 비행 및 항법계기(Minimum Flight and Navigational Instruments)


어느 누구도 다음 각 호의 계기를 장착하지 않고는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1) 노트(Knots)로 나타내는 교정된 속도계
2) 비행중 어떤 기압으로도 조정할 수 있도록 헥토파스칼/밀리바 단위의 보조눈금이 있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고 피트 단위의 정밀고도계
3) 시, 분, 초를 나타내는 정확한 시계(개인 소유물은 승인이 불필요함)
4) 나침반

7.1.7 두 명의 조종사가 요구되는 운항을 위한 계기(Instruments for Operations


Requiring Two Pilots)
두 명의 조종가가 요구되는 항공기의 경우 각 조종석에는 다음 각호의 비행계기가 분리
되어 장착되어야 한다.
1) 노트(Knots)로 나타내는 교정된 속도계
2) 비행중 어떤 기압으로도 측정할 수 있도록 헥토파스칼/밀리바 단위의 보조 눈금이
있는 피트 단위의 정밀고도계
3) 승강계(Vertical Speed Indicator)
4) 선회 및 경사지시기
5) 자세지시기
6) 방향지시기

7.1.8 계기비행방식으로 비행시 갖추어야 할 계기 (IFR Instrument)


계기비행기상조건 또는 야간에 착륙하려는 항공기에는 다음에 각호의 지정위치까지 항법
신호를 받으며 비행할 수 있도록 무선항법장비를 장착하여야 한다.
1) 시계착륙을 할 수 있는 지점
2) 계기비행기상조건에서 착륙이 계획된 비행장
3) 선정된 교체비행장

7.1.9 예비 자세지시기(Standby Attitude Indicator)


가.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예비 자세지시기 1기(Single)를 장착하지 않는 한 최대인가이
륙중량 5,700킬로그램을 초과하는 비행기 및 최대인가승객좌석 9석을 초과하는 항
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1) 다른 자세지시기와 독립적으로 작동되어야 한다.
2) 정상적으로 운항하는 동안 계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야 한다.
3) 정상적인 발전기가 완전히 부 작동된 후에도 독립된 발전기로부터 독립된 전원에서
최소한 30분 동안은 자동으로 공급받아야 한다.

나. 예비 자세지시기가 비상전원으로 작동될 경우 운항승무원에게 예비 자세지시기가 비


상전원으로부터 작동되고 있음을 확실하게 나타내 주어야 한다.

다. 예비 자세지시기가 자체 전력 공급원을 사용 중일 경우 그 표시가 예비 자세지시기


또는 계기판에 있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라. 장착된 예비 자세지시기가 360°의 종경사(Pitch) 및 횡경사(Roll)에 대한 비행자세를


제공할 수 없다면 선회 및 경사지시기(Turn and Slip Indicator)는 경사지시기(Slip
Indicator)로 대체될 수 있다.

7.1.10 정밀계기접근 제2종 운항을 위한 계기 및 장비(Instruments and Equipment for


Category II Operations)
가. 시행규칙 제186조에 따른 정밀계기접근 제2종 운항을 위해서는 다음에서 정한 계기
및 장비를 항공기에 장착하여야 한다. 다만, 7.2.1.2 또는 제7장의 기타 다른 조항에
서 요구하는 계기와 장비는 7.2.1.6과 관련하여 이중으로 장착할 필요는 없다.
1) 제1그룹(왕복엔진 항공기 및 터보프롭 항공기)
가) 2개의 방위각제공시설(Localizer/LLZ) 및 활공각제공시설(Glide slope/GP) 수신장치
주. 각 장치에는 기본 계기착륙시설(ILS) 정보가 제공되어야 하며, 각각의 계기판넬
에 나타나야 한다. 그러나, ILS 방위각제공시설(Localizer)l 및 활공각제공시설
(Glide Slope) 수신안테나가 각각 1개씩 사용될 수 있다.
나) 최소한 1개의 계기착륙시설의 작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통신장비
다) 외측 및 중간 마커를 청각 및 시각표시로 구별하게 해주는 마커 비콘(Marker
Beacon) 수신장치
라) 2개의 자이로스코프식 자세지시(pitch and bank indicating) 시스템
마) 2개의 자이로스코프식 방향지시(direction indicating) 시스템
바) 2개의 속도계
사) 2개의 정밀고도계(고도계 눈금오차와 항공기의 바퀴높이에 따른 고도수정용 플래
카드를 각각 보유하고 20피트 간격으로 표시되어야 하며, 대기압으로 교정이 가능
한 정밀고도계)
아) 2개의 승강계(Vertical Speed Indicators)
자) Automatic Approach Coupler나 Flight Director System으로 구성된 비행조작유
도장치(Flight Control Guidance System)
주. Flight Director System은 ILS Localizer와 관련된 Steering Command에 대
한 계산된 정보를 나타내 주고, ILS Glide Slope 또는 ILS Glide Slope 기본정
보와 관련된 Pitch Command에 대한 계산된 정보를 동일한 계기상에 나타내
주는 것이어야 한다. Automatic Approach Coupler는 최소한 ILS Localizer와
관련된 Automatic Steering을 제공하여야 하며, Flight Control Guidance
System은 상기 가목에서 명시한 수신장비 중 하나로 동작될 수 있다.
차) 결심고도(DH)가 150피트 이하인 정밀계기접근 제2종 운항의 경우에는 내측 마커
를 청각과 시각으로 알려주는 마커 비콘 수신장치 또는 전파고도계(Radio
Altimeter)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2) 제2그룹 (터보제트, 터보팬엔진 장착 비행기)


가) 제1호 가목․라목․바목․자목 및 정밀계기접근 제3종 운항을 위하여 장착된 전파고도
계와 자동추력장치(Autothrottle System)가 고장났을 경우 이를 조종사가 즉각 발
견할 수 있게 하는 경고장치
나) 2중 조종장치(Dual Controls)
다) 보조 정압원이 포함된 외부에 구멍이 있는 정압장치
라) 조종사가 착륙시(Touch Down)와 착륙활주시 안전한 시계전환(Safe visual transition)
을 할 수 있도록 조종실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조종실 앞 유리 와이퍼(Windshield
Wiper) 또는 이와 동등한 수단
마) 각 속도계의 동압관(Pitot Tube)에 대한 가열장비 또는 결빙으로 인한 동압장치
(Pitot System)의 부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대체장비

나. 정밀계기접근 제2종에 대한 계기 및 장비의 인가와 정비요건은 별표 7.1.10에 규정한


다.

7.1.11 무선통신장비(Radio Equipment)


가. 운항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무선통신장비(비행 중 기상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장비 포함)를 갖추지 아니하고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관제를 받는 시계비행방식 또는 계기비행방식으로 운항하거나 야간에 운항하는 모든


항공기는 비상주파수인 121.5MHz를 포함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항공기지국과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주 : 항로상에서 무선송신 성능이 정상으로 입증되면 이 요건이 충족된 것으로 간주한다.

다. 항공기에 운항승무원이 각각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변경 판넬이 장착되어 있지 아


니하면 계기비행방식의 운항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라. 항공기 소유자 및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가 운항지역의 항공교통관제 업무요건에


따라 통신 및 항법장비를 갖추지 않는 한 지상 시각 참조물에 의해 항법을 할 수 없
는 항로상에서 시계비행방식 또는 계기비행방식으로 운항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다
만 최소한 다음에 열거한 장비를 갖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정상운항 상태에서 회항 항로를 포함한 항로의 어느 지점에서나 해당 지상국과 통신
할 수 있는 two-way 방식의 2개의 독립된 무선통신장비(다만, 일반항공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경우 당해 항공기가 1대의 무선통신장비만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
부장관에 의해 형식승인된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주. 각 장비에는 독립된 안테나가 장착되어야 한다. 단, 견고한 비선형(non-wire) 안
테나 또는 이와 동등한 신뢰성이 있는 기타 안테나가 장착된 경우에는 1개의 안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테나가 있어도 가능하다.


2) 운항하고자 하는 항로에 필요한 2차 감시레이다 트랜스폰다

마. 2대 이상의 통신장비가 필요한 경우 각 장비는 서로 독립되어야 하며, 한 장비의 결


함이 다른 장비의 결함을 초래하지 않도록 다른 장비들로부터 독립되어야 한다.

바. 항공기에 붐 마이크 또는 이와 동등한 장비가 장착되지 않거나 조종간에 송신단추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1명의 조종사에 의한 계기비행방식이나 야간에 운항을 하여서
는 아니된다.

7.1.12 항공기 등불과 계기조명(Aircraft Light and Instrument Illumination)


가. 야간에 운항하는 모든 항공기는 다음 각 호의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1) 국토교통부령에서 규정한 운중(雲中) 비행 또는 계기비행 시 장착해야 할 계기
2) < 삭 제 ; 2014.10.31 >
3) 착륙등 : 항공운송사업용 항공기의 경우 2기 이상, 그 밖의 항공기에는 1기 이상 장
착 다만, 소형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로서 1기의 착륙등이 장착되었으나 해
당 항공기에 착륙등을 추가로 장착하기 위하여 필요한 항공기 개조 등의 기술이 그
항공기 제작사 등에 의하여 개발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1기의 착륙등을 갖추고 비행
할 수 있다.
3) 항공기 안전운항에 필수적인 비행계기와 장비에 대한 조명
4) 객실내의 조명시설
5) 각 승무원 위치별 독립적으로 이동사용이 가능한 손전등(다만 개인이 휴대한 경우는
승인이 필요 없다)

나. 위 가항 제2)호 중 충돌방지등 및 제3)호의 착륙등은 주간에 비행하고자 하는 항공


기에도 필요한 수량을 장착해야 한다.

7.1.13 고도경보장치(Altitude Alerting System)


지역항행협정에 의하여 고도 2만9천피트 이상으로 수직분리 300미터(1,000피트)가 적용
되는 공역에서 운항하기 위해서는 선정된 고도로부터 벗어날 경우 운항승무원에게 경보
를 줄 수 있는 장치가 항공기에 장착되어야 한다. 다만, 경고의 범위는 ±90미터(300 피
트)를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

7.1.14 비상, 구조 및 구명장비(Emergency, Rescue and Survival Equipment)


7.1.14.1 비상장비(Emergency Equipment)
법 제41조의 규정에 의한 비상 및 부양 장비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갖추어야 한다.
1) 객실에 있는 장비는 승무원이나 승객이 즉시 사용가능 해야 함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2) 작동법에 대한 명확한 구분과 표시


3) 최근의 검사날짜의 표시
4) 저장소나 용기로 운반되는 경우는 내용물을 표시

7.1.14.2 시각신호장비(Visual Signaling Devices)


수색 및 구조가 어려운 지역의 수면이나 내륙을 횡단하여 운항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장비를 포함한 그 지역에 적합한 신호장비(Signalling Devices)를 갖추어야 한다.
1) 요격 및 피요격 항공기가 사용하는 시각신호장비(Visual Signals)
2) 해상 비행에 필요한 각 구명보트에 최소한 1개의 불꽃조난 신호장비

7.1.14.3 구명장비(Survival Kits)


수색 및 구조가 어려운 지역을 운항하고자 할 경우에는 시행규칙 제125조에 따라 항공기
탑승자의 수에 해당하는 충분한 구명장비(Survival Kits)와 운항하고자 하는 항로에 적합
한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7.1.14.4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mergency Locator Transmitter)


가. 모든 항공기는 시행규칙 제122조에 따라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LT)를 장착
하여야 한다.
나.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에 사용되는 건전지는 다음의 경우 교체하여야 한다.
다만, 충전이 가능한 경우에는 재충전한다.
1) 1시간 이상 연속 송신기를 사용한 경우 또는
2) 유효수명의 50퍼센트(충전용 건전지의 경우 충전유효수명의 50 퍼센트)가 지난 경

3) 교체 또는 충전할 수 있는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 건전지의 유효일자는 송신
기의 외부에 읽기 쉽게 표시하여야 한다.
주. 건전지 유효수명은 탑재가능 기간 동안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건전지예,
Water-activated)에는 적용되지 아니한다.
다.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LT)는 ICAO 부속서 제10권 Volume Ⅲ에 따라 운용
되어야 한다.
라. 항공기에 장착되는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LT)는 121.5MHz 및 406MHz로
동시에 송신되어야 한다.
마. 장거리 해상비행을 하는 항공기에는 최소한 한개 이상의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
비를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명정에 장착하거나 객실승무원이 신속히 접근하
여 사용할 수 있는 곳에 비치하여야 한다.

7.1.14.5 파괴위치 표시(Marking of Break-in Points)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가. 항공기 비상시 구조요원들이 파괴하기에 적합한 동체부분이 있다면 그 장소를 나항


의 그림과 같이 동체부분에 적색 또는 황색으로 표시하여야 한다. 필요하다면 배경
과 대조되는 백색으로 윤곽을 나타내어야 한다.
나. 양쪽 모퉁이의 표지가 2미터 이상 벌어지면 중간지점에서 9x3 센치미터 선을 표시
간격이 2미터가 되지 않도록 다음 그림과 같이 표시하여야 한다.

7.1.14.6 산소저장 및 분배장치(Oxygen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가. 산소사용이 요구되는 고도에서 운항하고자 하는 항공기는 시행규칙 제131조에 따라
적절하게 산소를 저장하고 분배해주는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나. 산소장치, 최소 산소흐름율, 산소공급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항공기 형식증명


감항성 기준을 충족하여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1만피트를 초과하는 고도로 운항하고자 하는 경우 운항승무원이


임무수행 중에 즉시 사용할 수 있는 곳에 산소마스크를 구비하여야 한다.

라. 운항증명소지자는 2만 5천 피트를 초과(또는 대기기압이 376hPa 미만의 고도 위로


비행시)하는 고도로 여압장치가 있는 항공기를 운항시키고자 할 경우 다음 사항을
충족하여야 한다.
1) 운항승무원의 산소마스크는 즉시 착용이 가능한 형태(Quick-donning type of oxyg
en mask)이어야 한다.
주 : Quick-donning 형 산소마스크 : 자신의 임무좌석에서 한 손으로 5초 이내에 착
용하여 사용가능하고 승무원 상호간 통신이 가능한 형태의 산소마스크
2) 객실의 여압이 상실될 경우 객실승무원이 위치에 관계없이 즉시 산소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여분의 산소 배출구와 마스크 또는 산소마스크를 장착한 휴대용 산소용구가
당해 항공기에 탑승해야 할 최소 객실승무원 수만큼 객실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어야
한다.
3) 산소공급 단말장치(Terminal)와 연결된 산소분배기구는 각 사용자가 어느 좌석에 있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던지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야 하며, 분배기구 및 산소배출구의 전체수량


은 좌석수의 10퍼센트 이상이어야 하고, 여분의 산소용구는 객실 전체에 고르게 구
비되어야 한다.

마. 운항증명소지자는 특정 운항에 필요한 보조 산소량을 운항규정(Operations Manual)


에서 정한 운항절차, 운항노선, 비상절차에 해당되는 비행고도와 비행시간에 근거하
여 결정해야 한다.

바. 비여압 항공기와 여압항공기에 필요한 보조 산소량은 별표 7.1.14.6에서 규정한다.

7.1.14.7 < 삭 제 ; 2014.10.31>

7.1.14.8 탑재하는 비상장비 및 구명장비에 관한 기록(Records of emergency and


survival equipment carried)
항공기 소유자 등은 구조조정센터와의 신속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긴급통신체제를 유지하
여야 하며, 항공기에 탑재하는 비상장비 및 구명장비의 정보를 포함한 일람표를 만들어
관리해야 한다. 탑재하는 비상장비 및 구명장비 일람표에 포함되어야 할 정보에는 구명
보트 및 불꽃 신호장비의 수량 ․ 색상 ․ 형식, 비상의료구호품 및 수상 구호품(water
supplies) 그리고 휴대용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LT)의 종류 및 주파수 등을 포
함시켜야 한다.

7.1.14.9 비상탈출장비(Emergency Exit Equipment)


가. 비행기가 지상에 있는 상태에서 지상으로부터 6피트 이상 높이에 장착되어 있는 승
객운송용 비행기의 비상구(날개 위에 있는 비상구는 제외)는 승객이 지상으로 내려
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항공당국에 의해 인가된 비상탈출장비가 있어야 한다.

나. 모든 항공기에는 승객 비상구 위치 및 접근방법, 비상구 여는 방법 등이 주 객실 통


로를 따라 승객들이 접근할 때 잘 보일 수 있도록 표시되어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최대승객 좌석수가 19석을 초과하는 여객운송용 비행기에 비상조


명장비 및 다음 각 호와 같은 독립된 주 조명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1) 각 객실 비상구의 표시와 위치 조명
2) 객실에 충분한 밝기 제공
3) 객실 바닥에 비상탈출로 표시

라. 모든 비행기는 외부에서 비상탈출구를 열 수 있도록 비행기 외부의 각 비상탈출구


에 비상탈출구를 여는 방법을 표시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마. 승객운송용 비행기에는 비행기 형식증명 요건을 충족하는 옆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만든 탈출통로를 장착하여야 한다.

바. 기타 비상탈출장비의 상세한 사항은 별표 7.1.14.9에서 규정한다.

7.1.14.10 휴대용 소화기(Portable Fire Extinguishers)


모든 항공기에는 승무원, 승객 등이 객실 및 화물실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소
화기를 다음 각 호에 따라 구비하여야 한다.
1) 소화액의 종류와 양은 사용되는 객실 또는 화물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종류
에 적합하여야 한다.
주. 객실에서 사용하기 위한 소화기는 유독성 가스에 의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2) E급 화물실에는 최소 1개 이상의 휴대용 소화기가 비행중 승무원이 편리하게 접근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하며, 최소 1개 이상의 휴대용 소화기가 주방 내 혹은 쉽
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3) 항공기의 조종실내에는 최소한 1개 이상의 휴대용 소화기가 운항승무원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4) 승객좌석이 6석 이상인 항공기의 경우 객실 내에 시행규칙 별표 21에서 정한 수만
큼의 휴대용 소화기가 승객 및 승무원이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어야 한다.

7.1.14.11 화장실 소화기(Lavatory Fire Extinguisher)


가. 최대승객 좌석수가 19석을 초과하는 여객 운송용 항공기에는 각 화장실내에는 쓰레
기통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나. 가항에 따라 화장실내에 설치된 소화기는 쓰레기통에서 화재발생 즉시 자동으로 소


화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7.1.14.12 화장실 연기 감지기(Lavatory Smoke Detector)


최대승객 좌석수가 19석을 초과하는 여객운송용 항공기의 각 화장실에는 다음에서 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연기감지기 또는 이와 동등한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1) 조종실내 경고등 또는,
2) 각 비행단계별 객실승무원의 근무위치를 고려하여 객실승무원이 쉽게 알아볼 수 있
는 경고등 또는 청각경고(Audio Warning)장비

7.1.14.13 구급, 감염예방 및 비상의료 용구(First-Aid, Unversal Precaution and


Emergency Medical Kit)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모든 항공기에는 항공법 시행규칙 제125조에 따라 구급의료용품(First-aid Kit), 감염예


방의료용구(Unversal Precaution Kit) 및 비상의료용구(Emergency Medical Kit)를 탑
재하여야 한다. 다만, 비행거리가 2시간을 초과하고 승객 좌석 수가 100석을 초과하는
항공기의 경우에는 전문의사 또는 비행 중 응급처치 자격을 갖춘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비상의료용구(Emergency Medical Kit)를 1조 이상 탑재해야 한다.

7.1.14.14 구급용 산소공급 기구(First Aid Oxygen Dispensing Units)


가. 운항증명소지자가 여압항공기로 2만5천피트를 초과하는 고도로 승객운송을 하기 위
해서는 당해 항공기에 다음에서 정한 장비를 구비하여야 한다.
1) 객실 압력감소에 따라 생리학적 이유 등로 산소가 필요한 승객을 위한 희석시키지 않은
구급용 산소공급기구
2) 객실승무원이 구급용 산소공급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수(최소 2개 이상)
의 산소 분배장치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특정 운항과 노선에 대하여 가항에서 요구하는 구급용 산소(first-


aid oxygen)의 양을 다음 각 호에서 정한 바에 따라 결정하여야 한다.
1) 8천 피트 이상의 객실고도에서 객실 압력이 감소된 후의 비행시간
2) 표준대기조건으로 제공되어야 할 1인당 평균 산소 공급율은 최소 분당 3리터 이상
3) 최소한 탑승객의 2퍼센트(그러나 1명 이상)이상이 사용할 수 있는 양

7.1.14.15 개인 부양장비(Individual Flotation Devices)


가. 모든 항공기에는 시행규칙 제125조에서 정한 바에 따라 구명동의 또는 이와 동등한
성능을 갖춘 개인용 부양장비를 구비하여야 한다.

나. 모든 구명동의 또는 이와 동등한 개인용 부양장비는 이를 사용하려는 사람의 좌석이


나 침대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비치되어야 한다.

다. 장거리 해상비행용 개인용 부양장비는 인가된 생존자 위치표시등(Survivor locator l


ight)이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라. 운항증명소지자가 비행이 수면 위에서 종료되고 그 수면이 넓고 깊지 않아 탑승자의


생존을 위한 개인용 부양장비가 필요하지 않다고 입증할 경우, 항공당국은 운항증명
소지자의 신청에 의해 개인용 부양장비를 비치하지 않은 항공기의 해상비행을 인가
할 수 있다.

7.1.14.16 구명보트(Life Raft)


가. 모든 항공기에는 시행규칙 제125조에서 정한 바에 따라 구명보트 또는 이와 동등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성능을 갖은 부양장비를 구비하여야 한다.


주. 탑재된 구명보트 중 가장 큰 수용능력을 가진 구명보트 1개가 손실된 경우에도
항공기 탑승자 전원을 수용할 수 있는 적정용량의 여분의 구명보트가 비치되어
있어야 한다.

나. 구명보트는 비상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비치하여야 한다.

다. 구명보트는 다음 각 호의 장비를 구비하여야 한다.


1) 1개의 생존자위치표시등(Survivor Location Light)
2) 1개의 구명장비(Survival Kit)
3) 1개의 불꽃조난신호장비(Pyrotechnic Signalling Device)

라. < 삭 제 ; 2014.10.31 >

마. 원격조종으로 펼칠 수 없고 총 중량이 40킬로그램 이상인 구명보트는 기계적으로 펼


칠 수 있는 보조장치가 있어야 한다.

7.1.14.16A 수중위치전파발생기(Underwater Locating Device)

최대이륙중량 27,000kg을 초과하는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모든 비행기로서, 다음 각


호와 같이 장거리 해상을 비행하는 비행기는 8.8kHz 주파수로 작동되는 수중위치전파발
생기 1개를 2018년 1월 1일 이전까지 장착하여야 한다. 수중위치전파발생기는 최소 30
일간 작동될 수 있어야 하며, 주익 또는 미익에 장착되어서는 아니 된다.

가. 비상착륙에 적합한 육지로부터 120분 또는 740킬로미터(400해리) 중 짧은 거리 이


상의 해상을 비행하는 다음의 경우
1) 쌍발비행기는 임계발동기가 작동하지 않아도 최저안전고도 이상으로 비행하여 교체
비행장에 착륙할 수 있는 경우
2) 3발 이상의 비행기는 2개의 발동기가 작동하지 않아도 항로상 교체비행장에 착륙
할 수 있는 경우

나. 가항 외의 비행기는 30분 또는 185킬로미터(100해리) 중 짧은 거리 이상의 해상을


비행하는 경우

주. 수중위치탐지신호(ULB: Underwater Locator Beacon) 성능요건은 SAE AS6254,


Minimum Performance Standard for Underwater Locating Devices
(Acoustic) (Self-powered) 또는 이와 동등한 문서에 포함되어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7.1.15 기타 시스템 및 장비(Miscellaneous Systems and Equipment) : 삭제(‘08.8.14)

7.1.16 특별운항에 관한 요건(Requirements for Specific Operations)


7.1.16.1 수직분리축소(RVSM) 공역의 운항을 위한 요건(Requirements for Operations
in RVSM Airspace)
가. 조종사에게 비행중인 고도를 전시해 주고, 지정된 고도를 자동으로 유지하고, 항공기
가 지정된 비행고도에서 ± 90m(300ft)를 이탈하는 경우 경고하고, 기압고도를 자동
으로 알려주는 (automatically maintaining a selected flight level)장비를 구비해야
한다.

나. 당해 RVSM 공역에서 운항하고자 할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 기타 세부 기준에 관하여는 8.1.11.17을 준용한다.

7.1.16.2 성능기반항행(PBN)요구 공역의 운항을 위한 요건 (Requirements for


Operations in PBN Airspace)
가. 성능기반항행(PBN)요구 공역을 운항하기 위해서 필요 항법장비의 하나 또는 조합을
이용하여 비행시간의 95퍼센트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다음과 같은 항법성능이 요구된
다.

종류 정확도 필요 항법장비
RNAV 10 (RNP10) ±10NM INS(IRU), FMS, GPS(GNSS)
VOR/DME, DME/DME,
RNAV 5 ±5NM
INS(IRU), GPS(GNSS)
RNAV 2 ±2NM GPS(GNSS), DME/DME,
RNAV 1 ±1NM DME/DME/IRU

RNP 4 ±4NM GNSS


Basic RNP 1 ±1NM GNSS
RNP APCH ±1~±0.3 NM GNSS
RNP AR APCH ±0.1~±0.3 NM GNSS

나. 해당 성능기반항행(PBN)공역에서 운항하려면 8.1.11.17을 준용한다.

7.1.16.3 최소항행성능요건 적용공역의 운항을 위한 항행장비(Navigation Equipment


for Operations in MNPS Airspace)
가. 항공기가 다음에서 정한 항법장비를 갖추지 않는 한 항공기를 최소항행성능요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MNPS) 적용공역에서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1) 항로의 어느 지점에서나 운항승무원에게 정확하게 항로 이탈여부를 계속적으로 지
시해 주어야 한다.
2) 최소항행성능요건 공역 운영관련 항공기 등록국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주. 장비는 Regional Supplementary Procedures 형식으로 ICAO Doc.7030에 규정
된 Minimum Navigation Performance Specifications을 준수해야 한다.

나. 최소항행성능요건 적용공역 운항을 위해 필요한 항법계기는 각각의 조종사가 조종


석에서 잘 볼 수 있어야 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다. 최소항행성능요건 적용공역에서 제한 없이 운항을 하기 위하여 항공기는 2개의 독


립된 장거리항법장치(LRNS)를 장착하여야 한다.

라. 공시된 특정항로를 따라 최소항행성능요건에 따른 운항을 하기 위하여 해당 항공기


는 별도로 규정하지 않는 한 1대 이상의 장거리항법장치를 장착하여야 한다.

7.1.17 비행기록장치(Flight Recorders)


7.1.17.1 비행기록장치시스템(Flight Recorders System)
가. 일반
1) 충격보호 비행기록장치(Crash protected flight recorders)는 다음의 어느 하나 또
는 그 이상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가) 비행자료기록장치(FDR)
나)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
다) 비행이미지기록장치(AIR)
라) 데이터통신기록장치(DLR)
주. 이미지 및 데이터 링크 정보는 CVR 또는 FDR에 각각 기록될 수 있다.
2) 경량비행기록장치(Lightweight flight recorders)는 다음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가) 항공기데이터기록시스템(ADRS)
나) 조종실오디오기록시스템(CARS)
다) 비행이미지기록시스템(AIRS)
라) 데이터통신기록시스템(DLRS)
주. 이미지 및 데이터 링크 정보는 CARS 또는 ADRS에 각각 기록될 수 있다.
3) 2016년 1월 1일 이전에 국제민간항공조약 체약국에 형식증명신청서가 제출된 항공기에
대한 비행기록장치와 이와 관련된 기준은 EUROCAE ED-112, ED-56A, ED-55, Mi
nimum Operational Performance Specifications (MOPS) 또는 동등한 문서에 명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되어 있다.
4) 2016년 1월 1일 이후에 국제민간항공조약 체약국에 형식증명신청서가 제출된 항공기에
대한 비행기록장치와 이와 관련된 기준은 EUROCAE ED-112A, Minimum Operationa
l Performance Specification (MOPS) 또는 동등한 문서에 명시되어 있다.
5) 경량비행기록장치(Lightweight flight recorders)와 이와 관련된 기준은 EUROCAE E
D 155, Minimum Operational Performance Specification (MOPS) 또는 동등한 문
서에 명시되어 있다.
나. 구조 및 장착(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1) 비행기록장치시스템은 저장된 정보의 보존, 녹음, 재생을 위하여 기록상태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제조되고, 비행기에 장착되어야 하며, 비행기 추락과 화재에 대해
서도 저항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2) 비전개식(Non-deployable) 비행기록장치시스템을 담고 있는 용기(Container)는 다음
사항을 충족하여야 한다.
가) 밝은 오렌지 또는 밝은 황색이어야 한다.
나) 위치수색이 용이하도록 빛을 반사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져야 한다.
다) 사고로 인한 충격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기록장치에 고정시킨 수중위치전파발생기를
갖고 있어야 한다. 수중위치전파발생기는 37.5kHz의 주파수로 자동으로 작동되어야
하며, 2018년 1월 1일부터는 최소한 90일간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3) 자동전개식(Automatic Deployable) 비행기록장치시스템을 담고 있는 용기(Container)
는 다음 사항을 충족하여야 한다.
가) 밝은 오렌지색이여야 하나, 항공기 외부에서 보이는 표면은 다른 색일 수 있다.
나) 위치수색이 용이하도록 빛을 반사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져야 한다.
다) 자동으로 작동되는 구조의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LT)가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4) 비행기록장치시스템은 다음 사항이 충족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가) 기록내용의 손상확률을 최소화할 것
나) 비행기록장치 운영에 있어 필수 또는 비상 장치에 위해를 끼치지 않도록 최대의
신뢰성을 제공하는 버스로부터 전기를 받을 것
다) 비행기록장치시스템이 정상으로 작동하는지 비행 전 점검할 수 있게 해주는 청각
및 시각적인 수단이 있을 것
라) 비행기록장치시스템에 말소장비가 있다면, 비행 중 또는 사고발생 시 해당 장비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될 것
5) 감항당국에 의해 승인된 방법으로 시험할 때 비행기록장치시스템은 해당 장비가 운
영되도록 설계된 것 이상의 극한환경에서 적합한지 입증되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6) 비행기록장치시스템의 기록들 간에는 정확한 시간교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7) 제작자는 감항당국에 다음 각 호의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가) 작동지침서, 장비 작동한계 및 장착 절차
나) 측정단위별 파라미터의 원천자료 또는 계산식
다) 제작자의 시험보고서 등
다. 운용(Operation)
1) 비행기록장치는 비행 중 스위치를 OFF 하여서는 아니 된다.
2) 비행기록장치는 자료보존을 위해 사고 및 준사고 발생시, 비행이 종료된 후 작동이 중지
되어야 하고 ICAO 부속서 13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수거 등의 처분 전에 재작동(재사용)
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주1. 항공기에서 비행기록장치 기록을 제거할 필요성 여부는 작동 중의 충격을 포함한 사건
이나 상황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사고조사를 수행하는 국가의 사고조사당국이 결정한다.
주2. 비행기록장치 기록 보유에 대한 운영자의 책임은 9.1.15.2.6(조종실 음성기록장치와
비행기록장치의 보관)항에 명시되어 있다.
라. 지속적인 운용성 및 검사(Continued serviceability and Inspection)
FDR 및 CVR 장치의 지속적인 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록 및 운용상태가 점검되고
평가되어야 한다.
주. FDR과 CVR 시스템의 검사절차는 별표 7.1.17.6의 규정을 따른다.
마. 비행기록장치의 전자문서(Electronic Documentation)
항공기운영자가 사고조사기관에 제공하는 FDR 및 ADRS의 파라미터 정보수록문서는
전자문서포맷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단, 제작사에서 해당문서를 전자문서포맷으로 제공
하지 않는 경우, 종이문서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주. 비행기록장치의 매개변수에 관련한 산업규격은 ARINC 647A, 비행기록장치 전자문서
또는 이와 동등한 문서에 명시되어 있다.
바. 복합기록장치(Combination Recorders)
1) FDR 및 CVR 장착이 요구되는 최대이륙중량이 5,700kg을 초과하는 항공운송사업
외의 용도에 사용되는 모든 비행기에는 2개의 복합기록장치(FDR/CVR)를 대신 장착
할 수 있다.
2) FDR 및 CVR 장착이 요구되는 2016년 1월 1일 이후에 체약국에 형식증명신청서가
제출된 최대이륙중량이 15,000kg을 초과하는 모든 항공운송사업용 비행기에는 2개
의 복합기록장치(FDR/CVR)를 장착해야 한다. 두 개의 복합기록장치 중 하나는 조종
석에 최대한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야 하고, 다른 하나는 조종석과 최대한 먼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3) FDR 및 CVR 장착이 요구되는 2016년 1월 1일 이후에 체약국에 형식증명신청서가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제출된 최대이륙중량이 5,700kg을 초과하는 모든 항공운송사업용 비행기에는 2개의


복합기록장치(FDR/CVR)를 장착하여야 한다.
4) FDR 및 CVR의 장착이 요구되는 최대이륙중량이 5,700kg을 초과하는 모든 항공운
송사업용 비행기에는 2개의 복합기록장치가 대신 장착될 수 있다.
5) FDR 및 CVR의 장착이 요구되는 최대이륙중량이 5,700kg 이하의 모든 항공운송사
업용 다발 터빈엔진 비행기에는 FDR, CVR을 장착하거나 하나의 복합기록장치(FDR
/CVR)가 대신 장착될 수 있다.

7.1.17.1A 삭제 <’16.11.00>

7.1.17.2 비행자료기록장치(Flight Data Recorders : FDR) 및 항공기자료기록시스템


(Aircraft Data Recording Systems : ADRS)
가. 운용(operation)
운항증명소지자 및 비행기 소유자 등은 다음 기준에 따라 1개 이상의 비행기록장치를
장착하고 운항하여야 하며, 세부 장착기준은 다음과 같다.
1) 2016년 1월 1일 이후 형식증명신청서가 체약국에 제출된 운항증명소지자의 비행기
가) 최대이륙중량 5,700kg 이하의 모든 터빈엔진 비행기에는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
하는 비행기록장치를 장착하여야 한다.
① Type II FDR
② 조종사에게 시현되는 비행경로와 속도 파라미터를 기록할 수 있는 C급 AIR 또는
AIRS
③ 별표 7.1.17.3의 표 - Parameter for Aircraft Data Recording Systems에 정의
된 필수 매개변수를 기록할 수 있는 ADRS
2) 2016년 1월 1일 이후 형식증명신청서가 체약국에 제출된 운항증명소지자 외의 비행기
가) 최대이륙중량 5,700kg 이하이고 승객 5명 이상을 수송할 수 있는 모든 터빈엔진
비행기에는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비행기록장치를 장착하여야 한다.
① Type II FDR
② 조종사에게 시현되는 비행경로와 속도 파라미터를 기록할 수 있는 C급 AIR
주1. 형식증명신청서가 체약국에 제출된다는 것“은 이형 또는 파생된 모형(Variants or
Derivative Models)의 특정비행기의 증명 날짜가 아닌 비행기 형식을 위한 최초
의 “형식증명(Type Certificate)” 신청날짜를 말한다.
주2. 비행이미지기록장치(AIR) 및 항공기자료기록시스템(ADRS)의 분류는 7.1.17.5에 있다.
3) 1989년 1월 1일 이후 제작된 비행기
가) 최대이륙중량이 27,000kg을 초과하는 모든 비행기에는 Type I FDR을 장착하여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야 한다.
나) 최대이륙중량이 5,700kg을 초과하고 27,000kg 이내인 모든 비행기는 Type II FDR
을 장착하여야 한다.
4) 1990년 1월 1일 이후 제작된 최대이륙중량이 5,700kg 이하인 다발 터빈엔진 비행기
로서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비행기는 Type IIA FDR를 장착하도록 한다.
5) 1987년 1월 1일 이후 1989년 1월 1일 이전에 제작된 항공운송사업용 비행기
가) 나)항을 제외한 최대이륙중량이 5,700kg을 초과하는 모든 터빈엔진 비행기는 시간,
고도, 속도, 정상 가속도, 기수 및 피치자세, 롤 자세, 무선 송신기 발신 신호 및 각
엔진별 출력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파라미터를 기록하는 FDR을 장착하여야 한다.
나) 최대이륙중량 27,000kg을 초과하는 터빈엔진 비행기로서 1969년 9월 30일 이후에
원형기 형식(Prototype)을 인가받은 비행기는 Type II FDR을 장착하여야 한다.
6) 7)을 제외한, 1987년 1월 1일에서 1989년 1월 1일 사이에 처음으로 개별감항증명을
발급받은 최대이륙중량이 5,700kg을 초과하는 모든 터빈엔진 비행기에는 시간, 고도,
속도, 정상가속도, 비행기수 및 추가적인 매개변수(피치자세, 롤자세, 무선송신기 발신
신호 및 각 엔진의 출력 결정에 필요한 매개변수)를 기록하는 FDR을 장착하여야 한
다.
7) 최대이륙중량 27,000kg을 초과하는 터빈엔진 비행기로서 1969년 9월 30일 이후에 원형기
형식(Prototype)을 인가받은 비행기는 Type II FDR을 장착하여야 한다.
8) 1987년 1월 1일 이전에 제작된 항공운송사업용 비행기
가) 최대이륙중량이 5,700kg을 초과하는 모든 터빈엔진 비행기는 시간, 고도, 속도, 정상
가속도 및 기수방향을 기록해야 하는 FDR을 장착하여야 한다.
나) 최대이륙중량이 27,000kg을 초과하는 터빈엔진 비행기중 1969년 9월 30일 이후 원형기
형식(Prototype)을 인가받은 모든 비행기는 시간, 고도, 속도, 정상 가속도 및 기수
방위에 추가하여 다음 사항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파라미터를 기록하도록 하는 FDR을
장착하여야 한다.
① 비행경로를 유지할 수 있는 비행기의 고도 및
② 비행경로를 유지할 수 있는 비행기의 기본 추력과(the basic forces acting upon the
aeroplane) 그 기본 추력의 원천(the origin of basic forces)
9) 2005년 1월 1일 이후 제작된 비행기
최대이륙중량이 5,700kg을 초과하는 모든 비행기에는 Type IA FDR을 장착하여야 한
다.
10) FDR을 장착해야 하는 2016년 1월 1일 이후에 형식증명 신청서가 체약국에 제출된
비행기로서, 정상가속도, 종축가속도 및 횡축가속도를 기록해야 하는 모든 비행기는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최대 샘플링 및 기록 간격을 0.0625초로 파라미터를 기록하여야 한다.


11) FDR을 장착해야 하는 2016년 1월 1일 이후에 형식증명 신청서가 체약국에 제출
된 비행기로서, 조종사가 하는 입력 또는 기본조작(피치, 롤, 요)에 대한 조종면 위
치를 기록해야 하는 모든 비행기는 최대 샘플링 및 기록 간격을 0.125초로 파라미
터를 기록하여야 한다.
주. 형식증명신청서가 체약국에 제출된다는 것“은 이형 또는 파생된 모형(Variants o
r Derivative Models)의 특정비행기의 증명 날짜가 아닌 비행기 형식을 위한 최초
의 “형식증명(Type Certificate)” 신청날짜를 말한다.
12) 1)부터 11)까지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별
도로 그 장착요건을 승인할 수 있다.
가) 당해 비행기에 장착해야 하는 형식의 FDR이 생산되지 않은 경우
나) 해당 형식의 비행기에 장착해야 하는 형식의 FDR을 해당 비행기에 장착하는데 필요한
기술이 개발되지 않아 장착하는데 상당한 기일이 소요될 경우
나. 형식 및 파라미터(Type and Parameters)
1) Type I과 Type IA FDR은 비행기의 비행경로, 속도, 자세, 엔진출력, 배열상태(configur
ation) 및 조작(operation)에 관한 내용을 정확하게 판독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를 기록
하여야 하며 Type I, Type 1A FDR에 기록되어야 할 파라미터는 별표 7.1.17.2에 따른
다.
2) Type II 및 Type IIA FDR은 비행기의 비행경로, 속도, 자세, 엔진출력 및 양력과 항력
장치의 배열(configuration)에 관한 내용을 정확하게 판독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를 기록
하여야 하며, Type II 및 Type IIA FDR에 기록되어야 할 파라미터는 별표 7.1.17.2
에 따른다.
다. 사용중단(Discontinuation)
1) 메탈포일(metal foil) 방식의 FDR은 사용하면 아니 된다.
2) FM(frequency modulation)을 사용하는 아날로그 방식의 FDR을 사용하면 아니 된
다.
3) 사진식 필름(photographic film) 방식의 FDR을 사용하면 아니 된다.
4) 자기테이프(magnetic tape) 방식의 FDR을 사용하면 아니 된다.
라. 지속시간(Duration)
1) Type I, IA and II : 25시간
2) Type IIA : 30분

7.1.17.2A 조종실음성녹음장치 대체 동력(Cockpit Voice Recorder alternate power)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다음 각 목에 따른 비행기에는 동력이 정지되거나 동력손실에 의해 CVR 녹음이 중단될


경우에 CVR 및 연관된 조종실 마이크 구성품에 10분(±1분)간의 동력을 제공해 주는 대
체동력원이 있어야 한다. 대체동력원은 자동으로 작동되어야 하며, CVR은 대체동력원에
가능한 한 가까운 곳에 위치해야 한다.

주. “대체”란 CVR에 정상적으로 제공되는 동력원과는 분리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위


의 조건이 충족되고 전원이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면, 항공기 배터리 또는 기타 동
력원을 사용하는 것은 인정된다.

가. 2018년 1월 1일 이후 형식증명신청서가 체약국에 제출된 최대이륙중량이 27,000kg


을 초과하는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비행기에 장착된 복합기록장치의 경우에는
전방 CVR에 동력을제공해 주는 대체동력원이 있어야 한다.

나. 2018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개별감항증명을 발급받은 최대이륙중량 27,000kg을


초과하는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비행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CVR에 동력을 제공
해 주는 대체동력원이 있어야 한다.

7.1.17.3 조종실음성기록장치(Cockpit Voice Recorders) 및 조종실음향기록시스템


(Cockpit Audio Recording Systems)
가. 기록되는 신호(Signals)
1) CVR과 CARS는 자력으로 비행기가 움직이기 전에 기록이 시작되어야 하고, 자력으
로 더 이상 비행기가 움직일 수 없어서 비행이 종료될 때까지 기록이 지속되어야 한
다. 또한 CVR 및 CARS는 가용 전력 사정에 따라서 비행 시작 시에는 엔진 시동 전
에 조종실 점검(cockpit check)시 가능한 한 신속히 기록되어야 하고 비행 종료 시에
는 엔진이 꺼진 직후 조종실 점검을 마무리할 때까지 기록이 이루어져야 한다.
2) CVR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4개 이상의 독립된 채널을 기록해야 한다.
가) 비행기 내의 무선설비를 사용하여 송수신 되는 음성통화
나) 조종실내의 모든 소리
다) 조종실내에서 비행기 내선 통화 장치를 사용한 운항승무원 사이의 음성통화(내선
통화장치를 설치한 경우에 해당한다)
라) 헤드셋이나 스피커에서 나오는 항행 또는 진입 보조물 식별에 관한 음성이나 청각
신호
마) 기내 방송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안내한 운항승무원의 방송
내용
바) 비행자료 기록장치에서 기록되지 않는다면, ATS를 이용한 디지털 통신 내용(적용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이 가능할 경우에 해당한다)


3) CARS는 최소한 다음과 같은 2개 이상의 독립된 채널을 기록해야 한다.
가) 비행기 내의 무선설비를 사용하여 송수신 되는 음성통화
나) 조종실내의 모든 소리
다) 조종실내에서 비행기 내선 통화 장치를 사용한 운항승무원 사이의 음성통화(내선
통화장치를 설치한 경우에 해당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4) CVR은 최소한 4개의 채널을 동시에 기록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테이프
방식의 CVR은 채널 간의 시간적 관련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일렬 방식(in
-line format)으로 녹음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 만일 양방향 형식을 사용하는 경우
에는 일렬방식과 채널할당이 양방향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5) 각 채널에 우선적으로 할당해야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채널 1 - 부기장의 헤드셋 및 라이브 붐 마이크로폰
나) 채널 2 - 기장의 헤드셋 및 라이브 붐 마이크로폰
다) 채널 3 - 주변 마이크로폰
라) 채널 4 - 시각을 확인할 수 있는 참조기준. 이에 더하여 세 번째 승무원 및 네 번째
승무원의 헤드셋 및 라이브 붐 마이크
주1. 채널 1은 기록헤드의 본체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여야 한다.
주2. 테이프의 바깥쪽 끝부분이 가운데 부분보다 충격 위험이 높기 때문에 우선 채널
할당은 종래의 자기테이프 이동 구조식의 사용을 상정하고 명시된다. 이것은 종래의
자기테이프가 갖고 있는 제약이 적용되지 않는 대체 기록수단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6) 테이프 방식의 조종실 음성기록장치에서 채널 간의 정확한 시간 보정을 위해서 기록
장치는 직렬식으로 기록해야 한다. 만약, 양방향의 구성이 사용된다면 직렬식 및 채널
할당이 양방향 모두에 유지되어야 한다.
나. 운용(Operation)
비행기에는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른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 또는 조종실음향기록
시스템(CARS)를 1개 이상 장착하여야 한다.
1) 2016년 1월 1일 이후 형식증명신청서가 체약국에 제출된 1명 이상의 조종사에 의해
운항되는 비행기로서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최대이륙중량 2,250kg을 초과하고 5,
700kg 이하인 모든 터빈엔진비행기에는 CVR 또는 CARS를 장착하여야 한다.
2) 2016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개별감항증명을 발급받는 1명 이상의 조종사에 의해
운항되는 비행기로서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최대이륙중량 5,700kg 이하인 모든
터빈엔진비행기에는 CVR 또는 CARS를 장착하여야 한다.
3) 2016년 1월 1일 이후 형식증명신청서가 체약국에 제출된 최대이륙중량이 5,700kg을
초과하고 승객 5명 이상을 수송할 수 있으며, 1명 이상의 조종사에 의해 운항하는
비행기로서 항공운송사업 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모든 터빈엔진비행기에는 CVR을 장착
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4) 1987년 1월 1일 이후 최초 개별감항증명을 발급받은 최대이륙중량이 27,000kg을


초과하는 비행기로서 항공운송사업 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모든 비행기는 CVR을 장착
하여야 한다.
5) 1987년 1월 1일 이후 최초 개별감항증명을 발급받은 최대이륙중량이 5,700kg을 초
과하고 27,000kg 이하인 비행기로서 항공운송사업 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모든 비행
기는 CVR을 장착하여야 한다.
6) 2003년 1월 1일 이후 처음으로 개별 감항증명을 발급받은 최대이륙중량이 5,700kg
을 초과하는 모든 비행기에는 적어도 운항의 최근 2시간의 기록 정보를 유지할 수
있는 CVR을 장착하여야 한다.
7) 1987년 1월 1일 이후 처음으로 개별 감항증명을 발급받은 최대이륙중량이 5,700kg
을 초과하는 모든 비행기에는 CVR을 장착하여야 한다.
8) 1987년 1월 1일 이전에 처음으로 개별 감항증명을 발급받은 최대이륙중량이 27,00
0kg을 초과하는 터빈엔진 비행기로서 1969년 9월 30일 이후에 당해국가로부터 모델
형식을 인가받은 모든 비행기에는 CVR을 장착하여야 한다.
9) 1987년 1월 1일 이전에 처음으로 개별감항증명을 발급받은 최대이륙중량이 5,700kg
을 초과하고 27,000kg 이하인 터빈엔진 비행기로서 1969년 9월 30일 이후에 항공
당국으로부터 모델형식을 허가받은 모든 비행기에는 운항시간 동안 조종실의 실제음
성 기록을 목적으로 하는 CVR을 장착하여야 한다.
다. 사용중단(Discontinuation)
자기테이프 및 와이어 방식의 CVR을 사용 하여서는 아니 된다.
라. 기록기간(Duration)
1) 조종실음성기록장치는 최근 30분 동안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어야 한다.
2) 2016년 1월 1일부로 조종실음성기록장치는 최근 2시간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어야 한
다.
마. 조종실음성기록장치의 대체 동력(Alternate Power)
다음 사항에 따른 운항증명 소지자의 비행기에는 동력이 정지되거나 동력손실에 의해
CVR 녹음이 중단될 경우에 CVR 및 연관된 조종실 마이크 구성품에 10분(±1분)간의
동력을 제공해 주는 대체 동력원이 있어야 한다. 대체 동력원은 자동으로 작동되어야
하며, CVR은 대체 동력원에 가능한 한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주. “대체”란 CVR에 정상적으로 제공되는 동력원과는 분리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위의
조건이 충족되고 전원이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면, 항공기 배터리 또는 기타 동력원을
사용하는 것은 인정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1) 2018년 1월 1일 이후 형식증명신청서가 체약국에 제출된 최대이륙중량이 27,000kg


을 초과하는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비행기에 장착된 복합기록장치의 경우에는 전
방 CVR에 동력을제공해 주는 대체동력원이 있어야 한다.
2) 2018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개별감항증명을 발급받은 최대이륙중량 27,000kg을
초과하는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비행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CVR에 동력을 제공해
주는 대체동력원이 있어야 한다.

7.1.17.4 데이터 링크 기록장치(Data Link Recorder: DLR) 및 데이터 링크 기록시스템


(Data Link Recording System: DLRS)
가. 별표 7.1.17.4의 나항에 명시된 데이터 링크 통신을 적용하고, CVR을 장착해야 하
는 2016년 1월 1일 이후 제작된 모든 비행기는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링크 통신메시
지를 비행기록장치에 기록할 수 있어야 한다.
나. 별표 7.1.17.4의 나항의 데이터 링크통신을 장착 및 적용을 위하여 2016년 1월 1일
이후 개조하는 모든 비행기는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링크 통신메시지를 비행기록장치에
기록할 수 있어야 한다.
주1. 데이터링크는 현재 AFN 기반 또는 FANS 1/A이 장착된 비행기에서 수행되고 있
다.
주2. FDR 또는 CVR에 기록하는 것이 금전적 또는 다른 이유로 어려울 경우, B등급 AIR
는 비행기에서 오가는 데이터링크를 기록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 데이터 링크 기록장치의 최소기록기간은 CVR의 기록기간(Duration)과 같아야 한다.
라. 데이터링크 기록은 조종실 음향녹음과 연관성(Correlation)이 있어야 한다.

7.1.17.5 비행이미지기록장치(Airborne Image Recorder: AIR) 및 비행이미지기록장치시스


템(Airborne Image Recording System: AIRS)
가. AIR 또는 AIRS의 등급 및 기능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1) A등급 AIR 또는 AIRS는 조종석의 일반적인 구역을 영상으로 포착하여 기존의 재래
식 비행기록장치에 더하여 추가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2) B등급 AIR 또는 AIRS는 데이터 링크 메시지 시현을 포착한다.
3) C등급 AIR 또는 AIRS는 계기와 조종패널을 포착한다.
주. 승무원의 사생활을 존중하기 위해, 조종석 구역의 영상은 현실적으로 가능하다면
운항승무원이 정상적인 조종 위치에 앉아 있을 동안 그들의 머리와 어깨를 제외하도
록 설계할 수 있다.
나. AIR 또는 AIRS는 자력으로 비행기가 움직이기 전에 기록이 시작되어야 하고, 자력
으로 움직일 수 없어서 비행이 종료될 때까지 기록이 지속되어야 한다. 또한 AIR 또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는 AIRS는 가용 전력사정에 따라서 비행 시작 시에는 엔진 시동 전에 조종실 점검(c


ockpit check)을 할 때부터 기록이 시작되어야 하고 비행 종료 시에는 엔진이 꺼지고
난 이후 조종실 점검을 마무리할 때까지 기록되어야 한다.
다. 삭제 <2016.11.00.>
라. 삭제 <2016.11.00.>
마. 삭제 <2016.11.00.>
바. 삭제 <2016.11.00.>
사. 삭제 <2016.11.00.>
아. 삭제 <2016.11.00.>

7.1.17.6 삭제 <2016.11.00.>

7.1.17.7 삭제 <2016.11.00.>

7.1.17.8 삭제 <2016.11.00.>

7.1.17.9 삭제 <2016.11.00.>

7.1.17.10 삭제 <2016.11.00.>

7.1.18 지상접근경고장치(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가. 항공기 소유자 또는 항공운송사업자가 시행규칙 제135조의2에 따라 비행기에 장착
해야 하는 지상접근경고장치는 비행기가 지상의 지형지물에 접근하는 경우 조종실내
의 화면상에 비행기가 위치한 지역의 지형지물을 표시하여 조종사에게 사전에 예방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경고해 주는 기능을 가진 구조이어야 하며, 시행규칙 제135조
의2제2항에서 규정한 성능을 갖추어야 한다.

나. 가항의 규정에 의한 지상접근경고장치는 강하율, 지상접근, 이륙 또는 복행 후 고도


손실, 부정확한 착륙 비행형태 및 활공각 이하로의 이탈 등에 대하여 시각신호와 함
께 청각신호로 시기적절하고 분명한 청각신호를 운항승무원에게 자동으로 제공하여
야 한다.

다. 지상접근경고장치(GPWS)는 다음 각 호와 같은 상황을 추가로 경고하여야 한다.


1) 과도한 강하율
2) 과도한 지형접근율
3) 이륙 또는 복행후 과도한 고도상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4) 착륙외형(Landing Configuration, 착륙장치와 고양력장치)이 아닌 상태로 장애물 안


전고도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불안전한 지형근접
5) 계기활공각(Instrument glide path) 아래로 과도한 강하

7.1.19 공중충돌경고장치 (Airborne Collision Avoidance System)


가. 항공기 소유자 등은 시행규칙 제135조의2에 따라 공중충돌경고장치(Airborne
Collision Avoidance System, ACASⅡ)를 항공기에 장착하여야 한다.

나. 가항의 규정에 의한 공중충돌경고장치는 조종사에게 타 항공기의 위치 및 접근율 등


이 계기상에 나타나야 하며, 위험한 상황을 피할 수 있는 지시계기 및 청각경고가
제공되어야 한다.

다. 조종사 등은 별표 7.1.19에서 규정한 바에 따라 공중충돌경고장치(ACAS Ⅱ)를 운용


하여야 한다.

7.1.20 비상, 구조 및 구명장비(Emergency, Rescue and Survival Equipment) :


삭제<‘08.8.14>

7.1.21 기타 시스템 및 장비(Miscellaneous Systems and Equipment)


7.1.21.1 일반(General)
모든 항공기는 다음의 장비를 장착하고 비행하여야 한다.

가. 이용 가능한 구급 용구(FAK)

나. 휴대용 소화기 ;
1) 소화액은 비행 중 항공기 안에서 분사할 때 기내 오염으로 위험이 발생하지 않는 종
류이어야 하고, 적어도 한 개는 다음 각 호의 장소에 위치하여야 한다. 단, 동 항공
기의 감항증명서에 따라 장착된 소화기는 규정된 사항을 충족한 것으로 간주한다.
가) 조종실 내 및
나) 조종실과 분리되어 조종사가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객실인 경우는 각 객실 마다
2) 2011년 12월 31일 또는 이후에 최초로 제작된 비행기로서 화장실내 타올, 휴지, 쓰
레기처리용기 등과 함께 붙박이 형태로 제작된 소화기와 2016년 12월 31일 또는
이후에 최초로 제작된 비행기에 사용되는 휴대용 소화기의 소화액은 다음의 사항을
충족하여야 한다.
가) 항공기 등록국가에 적용되는 최소 성능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나) Annex A, GroupⅡ of the Montreal Protocol on Substances That Deplete
the Ozone Layer, 8th Edition, 2009.에 수록된 타입이어서는 아니 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주. 소화기 성분(agents)에 관한 정보는 UNEP Halons Technical Options


Committee Technical Note. 1 - New Technology Halon alternatives and
FAA Report No. DOT/FAA/AR-99-63, Options to the Use of Halons for
Aircraft Fire Suppression Systems을 참조할 수 있다.

다.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 승객 수에 따른 좌석 및 침대 ; 좌석 및 침대에는 안전벨트


및 침대용 안전대가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라. 비행 중에 사용할 수 있는 적정 용량의 예비교체 퓨즈(Electric Fuse) ; 제작사가 별


도로 권고한 경우에 한한다.

마. 수색 및 구조 목적을 위하여 지대공신호부호를 사용하는 장비

바. 운항승무원 및 비행기에 장착된 승객 좌석 수에 해당하는 최소 객실 승무원수 이상


의 객실승무원용 좌석

7.1.21.2 좌석․안전벨트 및 어깨끈(Seats, Safety Belts, and Shoulder Harnesses)


시행규칙 제126조에 따라 모든 항공기에 구비해야 할 승객 및 승무원의 좌석 등은 다음
각 호에 따라 장착해야 한다.
1) 만 2세 이상의 각 탑승자를 위한 안전벨트가 달린 좌석 또는 침대
주. 2명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긴 의자와 같은 침대는 2명이 순항 중에만 사용
할 수 있도록 인가된 안전벨트를 장착하여야 한다.
2) 안전벨트와 어깨 끈이 있는 조종실 및 객실승무원을 위한 객실내의 좌석 : 각 좌석별
어깨 끈이 있는 안전벨트는 항공기의 급속한 감속시 착용자의 몸통을 자동적으로 조
여 줄 수 있는 장치가 되어 있어야 하며, 특히 조종사의 어깨 끈이 있는 안전벨트는
조종을 방해하여 갑자기 조종사를 무능력하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되어
있어야 한다. <단서 삭제 : 2014.10.31 >
주.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내부 잠김 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3) 승객운송용 항공기의 객실승무원 좌석
가) 모든 항공기는 비상탈출에 관한 시행규칙 제218조에 규정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각 객실승무원을 위한 어깨 끈과 벨트가 구비된 좌석을 항공기의
세로축 15도 이내에서 비행기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하도록 장착하여야 한다.
나) 객실승무원 좌석은 신속한 비상탈출을 위해 항공기의 실내 바닥높이에 가깝게 그
리고 기타 비상구에 가깝게 위치시켜야 한다.

7.1.21.3 보호용 회로 퓨즈(Protective Circuit Fuses)


만약 퓨즈가 사용된다면, 항공기 소유자 또는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에 각 종류의 회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로 퓨즈의 10% 또는 3개 중 더 많은 예비 회로퓨즈를 준비하여야만 퓨즈 보호


(Protective Fuse) 기능이 설치된 항공기를 운항할 수 있다.

7.1.21.4 방빙장비(Icing Protection Systems)


항공기가 방빙(Ice Protection)과 관련된 항공기 감항요건에 의한 증명을 받지 않는 한
시행규칙 제135조에 따라 결빙이 항공기 안전에 악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종석 유리창
(Windshields), 날개(Wings), 꼬리부분(Empennage), 프로펠러(Propellers) 및 기타 항공
기 부품에서 얼음을 제거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추어야 결빙될 수 있는 기상상
태에서 항공기를 운항 할 수 있다.

7.1.21.5 동압구 가열지시 장치(Pitot Heat Indication Equipment)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에서 정한 요건에 적합한 동압구 가열지시장치(Pitot Heat
Indication System)를 항공기에 장착하여야 항공운송사업용 항공기를 운항할 수 있다.
1) 지시장치는 운항승무원이 잘 볼 수 있는 호박색 등(Amber Light)으로 작동할 것
2) 동압관 가열장치(Pitot Heating System)의 스위치가 꺼져(off)있거나, 스위치가 켜져
(on)있고 동압관 가열장치가 1개라도 부작동 할 경우 운항승무원에게 경고를 줄 수
있도록 설계될 것

7.1.21.6 정압장치(Static Pressure System)


운항증명소지자는 공기흐름의 진동, 습기 또는 기타 다른 외부 요인으로 대기압이 최소
한으로 빠져나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밀폐되도록 장착된 2개의 독립된 정압장치를 갖
추고 항공기를 운항하여야 한다.

7.1.21.7 조종석 와이퍼(Windshield Wipers)


최대인가이륙중량이 5천7백킬로그램 이상인 항공기는 강수시 조종실 앞 유리창을 잘 볼
수 있게 해주는 조종실 앞 유리 와이퍼 또는 동등한 장비가 각각의 조종석에 장착되어야
운항할 수 있다.

7.1.21.8 차트받침(Chart Holder)


야간에 운항하는 항공기는 조명이 되고 읽기 쉬운 위치에 운항절차 등을 끼워 놓고 볼
수 있는 차트받침을 구비하여야 한다.

7.1.21.9 기압고도보고 트랜스폰더(Pressure altitude Reporting Transponder)


가. 모든 비행기는 ICAO 부속서 10, Vol. Ⅳ의 기준에 따라 기압고도보고 트랜스폰더를
운용하여야 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 이외의 항공기운영자는 특별히 면제되지 않는 한 시계비행(VFR)을
하기 위해 부속서 10, Volume IV의 기준에 따라 기압고도보고 트랜스폰더(pressur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e-altitude reporting transponder)를 항공기에 구비하여야 한다.


주. 동 장비는 공중충돌경고장치(ACAS) 뿐만 아니라 항공교통업무(ATS)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 항공기운영자는 기압고도보고 트랜스폰더를 장착하지 아니하고 기압고도의 보고가
필요한 공역에서 비행하여서는 아니 된다.
라. 운항증명소지자가 운영하는 비행기는 고도 7.62m(25ft) 또는 이보다 정밀한 기압고도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공급원(data source)을 구비하여야 한다.
마. 비행기에 공중 또는 지상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장비가 장착된 경우에는
동 정보가 Mode S 트랜스폰더에 제공되어야 한다.
주1. 위 조항들은 Mode S 레이더를 사용하는 항공교통서비스뿐만 아니라 공중충돌방
지시스템(ACAS)의 효과를 개선할 것이다. 특히 추적 프로세스의 정밀도는 7.62
(25ft) 이상으로 크게 향상된다.
주2. Mode C 트랜스폰더 응답 시 데이터공급원의 정밀도와 무관하게 30.50m(100ft)
증가 시마다 기압고도를 보고하여야 한다.

7.1.21.10 방사선 투사량계(Cosmic Radiation Detection Equipment)


항공기가 평균해면으로부터 15,000미터(49,000FT)를 초과하여 비행하고자 하는 경우,
항공운송사업자 또는 항공기 운영자는 시행규칙 제133조에 따라 방사선 투사량계기를
항공기에 장착하여야 하며, 연속되는 12개월간 각 승무원들의 우주방사선 투사량을 기록
하고 이를 유지하여야 한다.

7.1.21.11 자동착륙시스템, 전방시현장치 또는 동등한 시현장치, 시각강화시스템, 시각합성


시스템, 시각통합시스템이 장착된 비행기[Aeroplanes equipped with automatic
landing systems, a head-up displays(HUD) or equivalent displays, enhanced
vision systems (EVS), synthetic vision systems(SVS) and/or combined vision
systems(CVS)]
가. 자동착륙시스템(Automatic Landing Systems), 전방시현장치(HUD) 또는 동등한 시
현장치, 시각강화시스템(EVS), 시각합성시스템(SVS), 시각통합시스템(CVS) 또는 이
러한 장치·시스템을 통합한 시스템을 장착한 비행기를 운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국
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주. RTCA와 EUROCAE 문서 참고자료를 포함한 전방시현장치(HUD) 또는 동등한 시
현장치와 이에 관련된 정보는 All-Weather Operations (Doc 9365)에 수록되어 있
다.
나. 자동착륙시스템(Automatic Landing Systems), 전방시현장치(HUD) 또는 동등한 시
현장치, 시각강화시스템(EVS), 시각합성시스템(SVS) 또는 시각통합시스템(CVS)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운항승인을 하는 경우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확


인 하여야 한다.
1) 장비가 항공기 기술기준에 적합한지 여부
2) 항공기운영자가 자동착륙시스템(Automatic Landing Systems), 전방시현장치(HUD)
또는 동등한 시현장치, 시각강화시스템(EVS), 시각합성시스템(SVS) 또는 시각통합
시스템(CVS)의 지원을 받는 운항에 대한 위험평가를 수행하였는지 여부
3) 항공기운영자가 자동착륙시스템(Automatic Landing Systems), 전방시현장치(HUD)
또는 동등한 시현장치, 시각강화시스템(EVS), 시각합성시스템(SVS), 시각통합시스템
(CVS)을 사용하기 위한 절차와 훈련기준을 수립하고 문서화하였는지 여부
주1. 위험평가에 대한 세부사항은 Safety Management Manual(SMM) (Doc 9859)에
수록되어 있다.
주2. 운영승인과 관련된 세부절차는 별표 7.1.21.11에 규정되어 있다.

7.1.21.12 전자비행정보장치(EFB; Electronic Flight Bag)


주. 전자비행장치(EFB)의 장비, 기능, 운영승인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은 Electronic Flig
ht Bags 매뉴얼(Doc 10020)에 수록되어 있다.
가. 전자비행정보장치(EFB)의 장비
기내에서 휴대용 전자비행정보장치(EFB)를 사용하기 위해 항공기운영자는 해당 장치가
비행기 시스템, 장비의 성능 또는 비행기 운항능력에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여야 한다.
나. 전자비행정보장치(EFB)의 기능
1) 비행기 기내에서 전자비행정보장치(EFB)를 사용하기 위해서 항공기운영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수행하여야 한다.
가) 각 전자비행정보장치(EFB)의 기능과 관련 위험평가
나) 전자비행정보장치(EFB)의 각 기능과 장비를 사용하기 위한 절차 및 훈련기준을 수립
하고 문서화
다) 전자비행정보장치(EFB)가 고장 났을 경우 운항승무원이 안전운항을 위한 충분한
정보를 즉시 이용가능한지 여부
주. 위험평가에 대한 세부사항은 Safety Management Manual(SMM)(Doc 9859)에 수
록되어 있다.
다.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은 비행기의 안전운항을 위해 다음 각 사항을 확
인한 후 전자비행정보장치(EFB)의 운영을 승인하여야 한다.
1) 항공기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포함하여 전자비행정보장치(EFB)의 장비 및 장착된
하드웨어가 항공기 기술기준에 적합한지 여부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2) 항공기운영자가 전자비행정보장치(EFB) 기능의 지원을 받는 운항과 이에 관련하여


안전위험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3) 항공기운영자가 전자비행정보장치(EFB)의 기능에 의해 시현되고 담고 있는 정보의
중복성 관련 기준을 설정하였는지 여부
4) 항공기운영자가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전자비행정보장치(EFB)의 기능을 관리
하기 위한 절차를 수립하고 문서화하였는지 여부
5) 항공기운영자가 전자비행정보장치(EFB)와 동 장치의 기능에 대한 사용방법, 훈련기준을
수립하고 문서화하였는지 여부
주. 위험평가에 대한 세부사항은 Safety Management Manual(SMM)(Doc 9859)에 수
록되어 있다.

7.2 일반항공(General Aviation)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7.2.1 항공기 계기 및 장비요건(Instrument and Equipment Requirements : Commercial Air
Transport)
7.2.1.1 비행 및 항법 계기(Flight and Navigational Instruments)
항공기는 다음 각 호의 규정이 정하는 항행장비를 구비하여야 한다. 다만 시계비행규칙
에 따라 지상시각 표지에 의거 운항을 완수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가. 비행계획에 따라 비행을 진행할 수 있는 항행장비
나. 항공교통업무 규칙이 정하는 항행 장비

7.3 항공기 사용사업용(Aerial work aviation) 항공기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7.3.1 항공기 계기 및 장비요건(Instrument and Equipment Requirements :


Commercial Air Transport)
7.3.1.1 비행 및 항법 계기(Flight and Navigational Instruments)
항공기는 다음 각 호의 규정이 정하는 항행장비를 구비하여야 한다. 다만 시계비행규칙
에 따라 지상시각 표지에 의거 운항을 완수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가. 비행계획에 따라 비행을 진행할 수 있는 항행장비
나. 항공교통업무 규칙이 정하는 항행 장비

7.3.1.2 계기비행방식으로 비행시 갖추어야 할 계기(IFR Instrument)


가. 시행규칙 제122조 및 제134조에서 정한 계기 이외에 다음 각 호의 계기를 갖추지
않을 경우에는 계기비행방식 또는 지형지물을 참조하여 비행할 없는 항로를 시계비
행방식으로 운항하여서는 아니 된다.
1) 1대의 마커 수신장비
2) 마이크로파 착륙 시설(MLS)이 필요한 곳 에서는 1대의 계기착륙시설 또는 마이크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파 착륙시설
3) 지역항법(Area Navigation)이 요구되는 항로를 운항할 경우에는 지역항법장치(Area
Navigation System)
4) 항법이 전방향표지시설 신호로만 실시되는 항로에서는 추가 전방향표지시설 수신장비
5) 자동방향탐지기(ADF) 1대. 단 무지향표지시설(NDB) 신호로만 계기접근절차가 구성
되어 있는 공항에 운항하거나 무지향표지시설(NDB) 신호로만 구성되어 있는 항로를
운항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나. 고도 및 방향 유지방식(Altitude hold and Heading Mode)을 갖춘 자동조종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한 1명의 조종사에 의한 계기비행방식으로 운항을 하여서는 아니된
다.

다. 계기비행절차에 따라 착륙하고자 하는 경우 시계 착륙이 가능한 지점까지 유도하거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장비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 경우 해당 장비는 착륙하고
자 하는 각 공항 및 교체공항에서 그 사용이 가능하여야 한다.

7.3.1.3 : <예비>

7.3.1.4 승무원 인터폰 장비 (Crew member Interphone System)


가. 항공기사용사업자는 휴대용이 아닌 모든 운항승무원이 사용할 수 있는 헤드셋과 마
이크가 장착된 운항승무원용 기내 인터폰 장치를 장착하지 않으면 2명 이상의 조종
사가 필요한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나. 최대인가이륙중량 15,000킬로그램을 초과하거나 최대인가승객좌석 19석을 초과하는


항공기를 운용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에서 정한 승무원 인터폰 시스템을 갖추지
아니하고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1) 핸드셋, 헤드셋, 마이크, 선택 스위치, 신호장치를 제외하고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승객방송장치
2) 조종실과 다음의 장소 사이에 상호 송수신 할 수 있는 장치
가) 객실
나) 객실과 다른 층에 위치한 주방(Galley)
다) 객실과 다른 층에 위치하고 쉽게 접근할 수 없는 멀리 떨어진 승무원실
3) 다음의 장소에서 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함
가) 조종실의 각 조종석
나) 각 비상구에 가까운 객실승무원 좌석
4) 운항승무원과 객실승무원 상호간에 경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음성과
시각신호로 된 경고장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5) 정상호출인지 또는 비상호출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호출 수신장치


6) 지상직원과 최소 2명의 운항승무원간에 상호 송수신 기능이 제공되는 장치

7.3.2 비행기 등불과 계기조명(Aeroplane Light and Instrument Illumination)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시행규칙 제137조에서 정한 항공기의 등불 이외에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장비를 추가로 장착하지 않으면 야간에 비행기를 운항해서는 아니된다.
1) 2개의 착륙등 또는 2개의 분리된 전원을 가진 필라멘트가 있는 1개의 착륙등
2) 비행기가 수상 또는 수륙 양용인 경우 해상에서의 충돌방지를 위한 국제기준에 적합
한 충돌 방지등

7.3.3 고도경보장치(Altitude Alerting System)


항공기사용사업자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성능의 고도경보장치를 갖추지 않는 한, 최대
인가이륙중량 5천700킬로그램을 초과하는 항공기, 최대인가승객좌석 9석을 초과하는 터
빈 프로펠러 항공기 또는 터보제트엔진 장착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1) 상승 또는 강하시에 사전에 설정한 고도에 접근시의 경보
2) 사전 설정고도에서 위 또는 아래로 이탈시 최소한 음성 신호 경보

7.3.4 저고도 돌풍경보시스템(Low-Altitude Windshear System) <삭 제, 2009.12. 8>

7.3.5 비상, 구조 및 구명장비(Emergency, Rescue and Survival Equipment)


7.3.5.1 도끼(Crash Axe)
항공기사용사업자는 해당 형식 항공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승객들에게 보이지 않
는 장소에 도끼를 장착하여야 한다.

7.3.5.2 호흡보호장비 (Protective Breathing Equipment)


가.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최대인가이륙중량이 5,700킬로그램을 초과하거나 최대인가좌석
수가 19석을 초과하는 항공기에 다음의 장비를 구비하여야 한다.
1) 운항승무원이 조종실에서 근무하는 동안 각 운항승무원의 눈, 코, 입을 보호할 수
있고 최소한 15분 이상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호흡보호장비 또는 산소마스크
2) 최소객실승무원의 눈, 코, 입을 보호할 수 있고 최소한 15분 이상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호흡보호장비

나. 가항의 규정에 의한 호흡보호장비(PBE)에 공급되는 산소는 추가산소장비로 제공될 수 있


다.

다. 운항승무원이 사용할 호흡보호장비는 조종실내의 편리한 곳에 비치하여 운항승무원


이 근무위치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호흡보호장비는 휴대용 소화기와 같이 또는 인접한


곳에 있어야 한다. 그러나 소화기가 화물칸 내부에 있는 경우 호흡보호장비는 외부
에 설치되어야 하나 화물칸 출입구와 인접해야 한다.

마. 호흡보호장비 사용시 통신에 지장을 주어서는 아니된다.

7.3.6 승객안내표시(Passenger Information Signs) <삭제, 2010.7.5>

7.3.7 전원공급, 분배 및 지시장치(Power Supply, Distribution and Indication System)


가. 항공기사용사업자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전원공급, 분배 및 지시장치를 장착하고 항
공기를 운항하여야 한다.
1)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운송용 항공기의 감항요건을 충족하는 전원공급 및 분배
장치, 또는
2) 1개의 전원이나 전원 분배 장치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 외부전원공급장치를 사용하
여 필요한 계기 및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고 분배할 수 있는 전원공급 및 분배장치.
다만, 국토교통부장관은 전원시스템에 사용되는 일반부품이 고장으로부터 적절히 보
호되도록 설계되었다고 판단되면 이를 사용토록 인가할 수 있다.
3) 비행계기에 적정 전원이 공급되는 지를 나타내주는 장치

나. 엔진구동 동력장치가 사용될 경우 엔진별로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

7.4 항공운송사업용(Air transportation) 항공기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7.4.1 항공기 계기 및 장비요건(Instrument and Equipment Requirements :


Commercial Air Transport)
7.4.1.1 비행 및 항법 계기(Flight and Navigational Instruments)
항공기는 다음 각 호의 규정이 정하는 항행장비를 구비하여야 한다. 다만 시계비행규칙
에 따라 지상시각 표지에 의거 운항을 완수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가. 비행계획에 따라 비행을 진행할 수 있는 항행장비
나. 항공교통업무 규칙이 정하는 항행 장비

7.4.1.2 계기비행방식으로 비행시 갖추어야 할 계기(IFR Instrument)


가. 운항증명소지자의 항공기는 시행규칙 제134조에서 정한 계기 이외에 정한 최소한의
계기를 갖추지 않을 경우는 계기비행방식 또는 지형지물을 참조하여 비행 할 수 없
는 항로를 시계비행방식으로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1) 1대의 전방향표지시설(VOR) 수신기, 1대의 거리측정시설(DME) 장치, 1대의 마커
수신장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2) 접근을 위해 계기착륙시설(ILS) 또는 마이크로파 착륙시설(MLS)이 필요한 곳에서는


1대의 계기착륙시설 또는 마이크로파 착륙시설
3) 지역항법(Area Navigation)이 요구되는 항로를 운항할 경우에는 지역항법장치(Area
Navigation System)
4) 항법이 전방향표지시설 신호로만 실시되는 항로에서는 추가 전방향표지시설 수신장비
5) 자동방향탐지기(ADF) 1대. 단 무지향표지시설(NDB) 신호로만 계기접근절차가 구성
되어 있는 공항에 운항하거나 무지향표지시설(NDB) 신호로만 구성되어 있는 항로를
운항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의 항공기에 최소한 고도 및 방향 유지방식(Altitude hold and
Heading Mode)을 갖춘 자동조종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한 1명의 조종사에 의한 계기
비행방식으로 운항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의 항공기가 계기비행절차에 의거 착륙하고자 하는 경우 시계 착륙이


가능한 지점까지 유도하거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장비를 구비하여야 한다. 당
해 장비는 착륙하고자 하는 각 공항 및 교체공항에서 그 사용이 가능하여야 한다.

7.4.1.3 : <예비>

7.4.1.4 항행을 지속할 수 있는 충분한 항행장비 탑재(Sufficiently navigation


equipment to continue flight)
항공운송사업용 항공기는 각 비행단계에서 하나의 장비가 작동되지 않더라도, 7.1.16.1,
7.1.16.3, 7.4.1.1, 7.4.1.2 및 8.1.11.17의 규정을 준수하여 항공기가 운항할 수 있도록
하는 항행장비를 충분히 탑재해야 한다.

7.4.1.5 승무원 인터폰 장비 (Crew member Interphone System)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휴대용이 아닌 모든 운항승무원이 사용할 수 있는 헤드셋과 마이
크가 장착된 운항승무원용 기내 인터폰 장치를 장착하지 않으면 2명 이상의 조종사
가 필요한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나. 최대인가이륙중량 15,000킬로그램을 초과하거나 최대인가승객좌석 19석을 초과하는


항공기를 운용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에서 정한 승무원 인터폰 시스템을 갖추지
아니하고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1) 핸드셋, 헤드셋, 마이크, 선택 스위치, 신호장치를 제외하고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승객방송장치
2) 조종실과 다음의 장소 사이에 상호 송수신 할 수 있는 장치
가) 객실
나) 객실과 다른 층에 위치한 주방(Galley)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다) 객실과 다른 층에 위치하고 쉽게 접근할 수 없는 멀리 떨어진 승무원실


3) 다음의 장소에서 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함
가) 조종실의 각 조종석
나) 각 비상구에 가까운 객실승무원 좌석
4) 운항승무원과 객실승무원 상호간에 경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음성과
시각신호로 된 경고장치
5) 정상호출인지 또는 비상호출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호출 수신장치
6) 지상직원과 최소 2명의 운항승무원간에 상호 송수신 기능이 제공되는 장치

7.4.2 비행기 등불과 계기조명(Aeroplane Light and Instrument Illumination)


운항증명소지자는 시행규칙 제137조에서 정한 항공기의 등불 이외에 다음 각 호에서 정
하는 장비를 추가로 장착하지 않으면 야간에 비행기를 운항해서는 아니된다.
1) 2개의 착륙등 또는 2개의 분리된 전원을 가진 필라멘트가 있는 1개의 착륙등. 다만,
소형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로서 1기의 착륙등이 장착되었으나 해당 항공
기에 착륙등을 추가로 장착하기 위하여 필요한 항공기 개조 등의 기술이 그 항공기
제작사 등에 의하여 개발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1기의 착륙등을 갖추고 비행할 수
있다.
2) 비행기가 수상 또는 수륙 양용인 경우 해상에서의 충돌방지를 위한 국제기준에 적합
한 충돌 방지등

7.4.3 엔진계기(Engine Instruments)


가.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엔진계기를 장착하여야 한
다. 다만, 국토교통부장관이 터빈엔진 항공기에 다른 계기의 사용을 허가하거나 장착
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각 엔진에 대한 연료압력계기 또는 각 엔진의 독립된 연료압력경고장치 또는 주요
경고장치로부터 각각의 경고회로를 차단 할 수 있는 장치가 있는 모든 엔진의 주 경
고장치
2) 연료흐름계기
3) 각 연료탱크별 사용 연료량 지시계기
4) 각 엔진에 대한 오일압력 지시계기
5) 각 오일탱크에 오일량 지시계기
6) 각 엔진오일 온도 지시계기
7) 각 엔진 회전계기

나. 왕복엔진 항공기는 가항에 추가하여 다음 각 호의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1) 각 엔진의 기화기 공기온도 지시계기
2) 각 공냉식 엔진의 실린더 헤드 온도 지시계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3) 각 엔진의 매니폴드 압력계기


4) 역회전 프로펠러에 대해서는 역회전 피치에 있을 때 조종사에게 다음 각목과 같이
지시하는 장치
가) 이 장치는 피치각 변동 한계치 내에서는 어느 시점에서도 작동되어야 한다. 단, 최
저 피치각 한계치 이상에서의 지시는 없어도 된다.
나) 표시되는 자료는 프로펠러 블레이드 각도 작동상태를 나타내거나 또는 블레이드
각도를 직접 나타내어야 한다.

7.4.4 착륙장치 음성경고장치(Landing Gear : Aural Warning Device)


가. 착륙장치가 장착된 비행기는 다음 각 호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작동하
는 착륙장치 음성경고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1) 접근을 위한 고양력장치(Wing-flap) 위치가 설정된 비행기의 경우, 고양력장치가
비행교범에 정하여진 최대 인가 실패접근 위치를 넘었을 때 착륙장치가 완전하게 내
려오지 아니하거나 고정되지 않았을 경우
2) 실패접근 고 양력장치(Wing-flap) 위치를 갖추지 않은 비행기의 경우, 고양력장치가
착륙장치가 정상착륙 위치를 넘었을 때 착륙장치가 완전하게 내려오지 아니하거나
고정되지 않았을 경우

나. 가항에서 요구하는 경고장치는 다음 각 호를 충족하여야 한다.


1) 수동차단 장치가 없어도 된다.
2) 형식증명 감항성 요건에 따라 장착된 추력연동장치(Throttle-actuated Device)에
추가되어야 한다.
3) 음성경고장치가 포함된 추력연동장치의 어느 부분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다. 고양력장치 위치감지장치는(Flap Position Sensing Unit) 항공기의 적합한 곳에 장


착될 수 있다.

7.4.5 고도경보장치(Altitude Alerting System)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성능의 고도경보장치를 갖추지 않는 한, 운항증
명소지자는 최대인가이륙중량 5천700킬로그램을 초과하는 항공기 및 최대인가승객좌석
9석을 초과하는 터빈 프로펠러 항공기 또는 터보제트엔진 장착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상승 또는 강하시에 사전에 설정한 고도에 접근시의 경보
2) 사전 설정고도에서 위 또는 아래로 이탈시 최소한 음성 신호 경보

7.4.6 삭제 <2016.11.00>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7.4.7 저고도 돌풍경보시스템(Low-Altitude Windshear System)


가. 이․착륙 중 저고도 돌풍경보시스템(Low-Altitude Windshear System)을 장착하지 아
니하고는 2001년 1월 1일 이후 도입하는 최대이륙중량이 5,700킬로그램을 초과하거
나 최대이륙중량이 5,700킬로그램을 초과하거나 최대탑승인가승객 좌석이 9석을 초
과한 터빈엔진(터보프롭발동기를 제외한다)을 장착한 비행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된
다.

나. 저고도 돌풍경보시스템은 이․착륙 중에 조종사에게 돌풍조우지역 및 진입감지를 계기


또는 음성으로 경고를 주고 가능한 경우 비행유도지시를 제공하여야 한다.

7.4.8 비상, 구조 및 구명장비(Emergency, Rescue and Survival Equipment)


7.4.8.1 도끼(Crash Axe)
운항증명소지자는 해당 형식 항공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승객들에게 보이지 않는
장소에 도끼를 장착하여야 한다.

7.4.8.2 호흡보호장비 (Protective Breathing Equipment)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최대인가이륙중량 5,700킬로그램을 초과하거나 최대인가 좌석수
19석을 초과하는 항공기에 다음에서 정한 장비를 구비하여야 한다.
1) 운항승무원이 조종실에서 근무하는 동안 각 운항승무원의 눈, 코, 입을 보호할 수
있고 최소한 15분 이상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호흡 보호장비 또는 산소마스크
2) 최소객실승무원의 눈, 코, 입을 보호할 수 있고 최소한 15분 이상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호흡보호장비

나. 가항의 규정에 의한 호흡보호장비(PBE)에 공급되는 산소는 추가산소장비로 제공될


수 있다.

다. 운항승무원이 사용할 호흡 보호장비는 조종실내의 편리한 곳에 비치하여 운항승무원


이 근무위치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호흡 보호장비는 휴대용 소화기와 같이 또는 인접한


곳에 있어야 한다. 그러나 소화기가 화물칸 내부에 있는 경우 호흡 보호장비는 외부
에 설치되어야 하나 화물칸 출입구와 인접해야 한다.

마. 호흡 보호장비 사용시 통신에 지장을 주어서는 아니된다.

7.4.8.3 확성기(Megaphone)
가. 항공운송사업용 항공기(여객 운송용에 한함)에는 비상탈출을 지휘하는 승무원이 쉽게 사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용할 수 있는 건전지로 전원을 공급받는 휴대용 확성기(Portable Battery-Powered


Megaphones)가 국토교통부령에 따라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나. 가항에서 요구하는 확성기의 비치위치는 다음과 같다.


1) 1개의 확성기를 장착시 : 정상비행시 객실승무원의 좌석으로 배정된 곳에서 쉽게 사
용할 수 있도록 객실의 맨 뒤쪽에 비치
2) 2개의 확성기를 장착시 : 항공기의 맨 앞쪽과 맨 뒤쪽에 각 1개 이상 비치
3) 확성기는 객실승무원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곳에 장착하여야 한다.
주. 국토교통부장관이 비상시 탈출에 더 유용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나항에서 규정한
위치 이외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7.4.9 기타 시스템 및 장비(Miscellaneous Systems and Equipment)


7.4.9.1 객실 및 조종실 문(Passengers and Pilot Compartment Doors)
운항증명소지자는 최대 승객좌석수가 19석을 초과하는 승객운송용 항공기에 대하여 다
음 각 호에서 정한 사항을 갖추지 아니하고는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1) 조종사 허가 없이 승객이 문을 열 수 없도록 잠금장치가 되어 있는 객실과 조종실
사이의 문
2) 객실과 비상탈출장비가 설치된 객실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 객실에서 비상탈출장비
가 설치된 객실로 통과하기 위한 문의 열쇠. 다만, 열쇠는 승무원 각자가 쉽게 이용
할 수 있어야 한다.
3) 비상시 승무원이 승객이 이용하고 잠글 수 있는 칸(화장실 등)으로 통하는 문을 열 수
있는 장치
4) 승객이 비상탈출구로 접근하는데 사용되는 각 내부의 문 또는 커텐에는 이․착륙시에
열려져 있다고 적혀 있는 플래카드가 부착

7.4.9.2 승객안내표시(Passenger Information Signs)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갖추지 아니하고 승객을 운송하는 항공기를 운항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금연을 알리는 최소 1개의 승객안내표시(문자나 기호를 사용)와 좌석벨트를 착용해
야 할 때 알리는 최소 1개의 표시(문자나 기호 중 1개 사용)는 객실내 어떠한 조명
상태에서도 앉아 있는 자가 쉽게 볼 수 있어야 한다.
2) 안전벨트 착용표시와 금연표시는 자동으로 작동되거나 승무원이 작동할 수 있는 구
조이어야 한다.
3) 전방의 각 벌크헤드(Bulk Head)와 각 승객좌석의 뒷면에는 "착석 중에는 안전벨트
를 매시오(Fasten Seat Belt While Seated)"  라는 표시나 플래카드가 있어야 한
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

7.4.9.3 기내방송시스템(Public Address System)


운항증명소지자는 최대인가 승객좌석이 19석을 초과하는 승객운송용 항공기 운항을 위
해서는 다음에서 정한 기내방송시스템(Public Address System)을 장착하여야 한다.
1) 핸드셋, 헤드셋, 마이크, 선택스위치 및 신호장비 등을 제외하고 인터폰장치
(Interphone System)와 독립적으로 작동이 가능할 것
2) 비상구가 가까워서 착석한 객실승무원들끼리 구두로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1개의 마
이크로 1개 이상의 비상구를 담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객실승무원 좌석이 인접한
객실바닥 높이의 비상구에는 착석한 객실승무원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
이 장착되어 있을 것
3) 사용하려는 객실승무원이 각자의 좌석에서 10초 이내에 작동이 가능할 것
4) 모든 승객좌석, 화장실, 객실승무원 좌석, 업무구역에서 기내방송을 인지하고 들을
수 있을 것

7.4.9.4 전원공급, 분배 및 지시장치(Power Supply, Distribution and Indication


System)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전원공급, 분배 및 지시장치를 장착하고 항공
기를 운항하여야 한다.
1)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운송용 항공기의 감항요건을 충족하는 전원공급 및 분배
장치, 또는
2) 1개의 전원이나 전원 분배 장치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 외부전원공급장치를 사용하
여 필요한 계기 및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고 분배할 수 있는 전원공급 및 분배장치.
다만, 국토교통부장관은 전원시스템에 사용되는 일반부품이 고장으로부터 적절히 보
호되도록 설계되었다고 판단되면 이를 사용토록 인가할 수 있다.
3) 비행계기에 적정 전원이 공급되는 지를 나타내주는 장치

나. 엔진구동 동력장치가 사용될 경우 엔진별로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


제8장 항공기 운항
(OPERATIONS)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제8장 항공기 운항(OPERATIONS)

8.1 일반(General)
8.1.1 적용(Applicability)
가. 이 장은 다음 각 호의 운항에 대한 요건을 규정한다.
1) 대한민국의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을 소지한 자가 대한민국에 등록된 항공기를 사용하
여 행하는 운항
2) 대한민국의 운항증명소지자가 대한민국에 등록된 항공기 또는 외국에 등록된 항공기
를 사용하여 행하는 운항
3) 외국정부에서 발행한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소지자, 운항증명소지자 또는 이와 동등
한 증명을 소지한 자가 대한민국 내에서 행하는 항공기 운항

나. 대한민국 이외의 지역에서 운항하는 경우 대한민국 조종사와 운항증명소지자는 이


장에서 정한 요건을 준수하는 운항이 해당 국가의 법을 위반하지 않는 한 이를 준수
하여야 한다.

다. 8.1은 특별히 명시된 것을 제외하고 가항에서 규정한 모든 민간항공기의 운항(이하


“모든 운항”이라 한다)에 적용한다.
주 : 외국의 항공운송사업자에게 적용되지 않는 사항이 있을 경우 “이 요건은 외국
항공운송사업자에게 적용되지 않는다”라는 문구로 구분한다.

8.1.2 용어의 정의(Definitions)


이 장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1일(Calender day)"이라 함은 세계표준시(UTC)나 지역표준시(Local Time)를 사용
하여 00:00시에 시작하여 24:00시에 끝나는 기간을 말한다.
2) “검열운항승무원(Check Airman)”이란 다음과 같다.
가) “운항자격심사관(MLIT Check Airman)"이라 함은 조종사 운항자격 심사업무를
수행하는 국토교통부 소속 공무원을 말한다.
나) “위촉심사관(Check Airman Designation)"이라 함은 법 제51조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자격인정 또는 심사를 담당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장관이 위촉한 자
를 말한다.
다) “모의비행장치 검열운항승무원(Check Airman Simulator)"이라 함은 특정 운항증
명소지자를 위하여, 특정 항공기 형식에 대하여 모의비행장치 또는 비행훈련장치
를 이용하여 훈련 및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추고 임명을 받은 자를 말
한다.
라) “항공기 검열운항승무원(Check Airman Aircraft)"이라 함은 특정 운항증명소지자
를 위하여, 특정 항공기 형식에 대하여 항공기, 모의비행장치 또는 비행훈련장치를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이용하여 훈련 및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추고 임명을 받은 자를 말한


다.
3) “결심고도/높이(Decision altitude(DA) or decision height(DH))"라 함은, 활주로
접근을 계속하기 위해 필요한 시각 참조물이 식별되지 않을 경우 실패접근을
시도해야할 때의 3D 계기접근운영시의 특정고도 또는 높이를 말한다.
주1. 결심고도(DA)는 평균해면고도(MSL)를 기준으로 표시하고, 결심높이(DH)는 활
주로 말단의 높이를 기준으로 표시한다.
주2. 필요한 시각 참조물이란 조종사가 원하는 비행로로 비행하기 위해 항공기 위치
및 위치변경비율을 판단하기 위하여 육안으로 충분히 볼 수 있는 시각 보조물
또는 접근구역의 부분을 말한다.
주3. 표현상의 편의를 위해 두 가지가 동시에 쓰일 때는 결심고도/높이 또는 DH/A로
기술할 수 있다.
4) “곡기비행(Aerobatic flight)"이라 함은 항공기로 행하여지는 급격한 자세변경, 비정
상 자세, 속도의 비정상적인 증․감속 등과 같은 인위적인 기동을 말한다.
5) "교체공항(Alternate aerodrome)"이란 착륙예정 공항에 착륙이 불가능하거나 적절
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항공기가 비행을 계속할 수 있는 필요한 업무와 시설
이용이 가능한 공항으로서 항공기 성능 요구사항이 충족되어야 하며, 운영이 가능한
공항을 말한다. 교체공항은 다음을 포함한다.
가) 이륙교체공항(Take-off alternate), 이륙 후 얼마 안 있어 착륙을 해야 하나, 출
발지 공항을 사용할 수 없을 때 항공기가 착륙할 수 있는 교체공항
나) 항로상 교체공항(En-route alternate), 항로 비행 중 노선 변경이 필요한 착륙할
수 있는 교체공항
다) <삭 제 ; 2014.10.31 >
라) 목적지 교체공항(Destination alternate), 착륙예정 공항에 착륙이 불가능하거나
착륙이 부적절할 때 항공기가 착륙할 수 있는 교체공항
6) < 삭 제 ; 2014.10.31 >
7) “관제비행(Controlled Flight)”이라 함은 항공교통관제지시에 따라 행하는 모든 비행
을 말한다.
8) “노선운항승무시간(Line Operating Flight Time)"이라 함은 운항증명소지자가 유상
운항을 하는 동안 해당 운항승무원에 의해 기록된 승무시간을 말하며, “노선운항비
행시간(Line Operating Flight Time)”이라고도 한다.
9) “비행계획서(Flight Plan)"라 함은 계획된 비행 또는 비행의 일부분을 위하여 항공교
통업무기관에 제출하는 일정한 정보를 말한다.
10) “비행근무시간(Flight Duty Period)”이란 운항승무원이 1개 구간 또는 연속되는
2개 구간 이상의 비행이 포함된 근무의 시작을 보고한 때부터 마지막 비행이 종료
되어 최종적으로 항공기의 발동기가 정지된 때까지의 총 시간을 말한다.
주. 승무원이 집(또는 숙박장소)으로부터 운영자가 지정한 장소까지 이동하는데 소요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되는 시간은 비행근무시간에 포함하지 아니한다.


11) "비행장운영최저치(Aerodrome operating minima)" 라 함은 아래 조건에 따른 비
행장 사용가능 기상제한치를 말한다.
가) 이륙의 경우 활주로가시범위(RVR) 및/또는 시정(VIS), 필요한 경우 구름상태
(Ceiling);
나) 2D 계기접근운영 착륙의 경우 활주로가시범위(RVR) 및/또는 시정(VIS), 최저강하
고도/높이(MDA/H), 필요한 경우 구름상태;
다) 3D 계기접근 운영 착륙의 경우 적절한 운항의 종류 및/또는 등급에 따른 활주로
가시범위(RVR) 및/또는 시정(VIS), 결심고도/높이(DA/H)
라) < 삭 제 ; 2014.10.31 >
12) “비행중요단계(Critical Phases of Flight)"라 함은 순항비행을 제외한 지상활주,
이륙 및 착륙을 포함한 고도 1만피트 이하에서 운항하는 모든 비행을 말한다.
13) “승객 비상구 열 좌석(Passenger exit row seats)”이라 함은 비상구로 직접 접근
할 수 있는 승객 좌석으로서 승객이 비상구로 접근하기 위하여 통과하여야 할 탈출
구 내측 좌석에서부터 통로까지의 좌석 열을 말한다.   직접접근 할 수 있는 승객
좌석이라 함은 통로를 거치거나 또는 장애물을 우회함이 없이 똑 바로 탈출구로 접
근할 수 있는 좌석을 의미한다.
14) “승무시간(Flight Time)"이라 함은 비행기의 경우 이륙을 목적으로 최초 움직이기
시작한 때부터 비행이 종료되어 최종적으로 비행기가 정지한 때까지의 총 시간을
말한다.
주.Flight Time은 Block to block 또는 Chock to chock로도 정의하며, “비행시
간”이라고도 한다.
15) “승무원(Crew Member)"이란 항공운송사업자 및 항공기사용사업자에 의하여 비행
근무시간(Flight Duty Period)동안 항공기에 탑승하여 임무를 수행하도록 임무가
부여된 자(운항승무원과 객실승무원)를 말한다.
16) 비임무 이동(Positioning)"이란 운영자의 지시에 따라 비임무 승무원이 승객 신분으
로서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주. 여기에 정의된 Positioning은 Deadheading 용어와 같은 의미이다.
17) "외형변경목록(Configuration deviation list)"이라 함은 형식증명소지자가 해당 감
항당국의 승인을 받고 작성한 목록으로서 비행을 개시함에 있어 누락될 수 있는 항
공기 외부부품의 확인에 사용하며, 필요한 경우 항공기 운항한계와 성능보정에 관
한 정보를 포함한다.
18) “운항비행계획서(Operational Flight Plan)”라 함은 운항하고자 하는 공항에 대한
항공기 성능, 운항제한사항 및 항로상에서 예상되는 조건 등을 고려하여 안전한 비
행을 수행하기 위하여 항공운송사업자가 작성한 비행계획서를 말한다.
19) “운항승무원(Flight Crew Member)"이라 함은 비행근무시간(Flight Duty Period)
동안 항공기 운항에 필수적인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책임이 부여된 자격을 갖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승무원(조종사, 항공기관사, 항공사)을 말한다.


20) “연료보급공항(Refueling Airport)”이라 함은 어떤 항로를 비행하는 항공기에 대하
여 연료만을 보급하기 위하여 사용이 인가된 공항을 말한다. 비행계획에 있어서 최
초의 착륙예정지로 사용할 수 있다.
21) “예비공항(Provisional Airport)”이라 함은 정규공항의 예비로서 지정하며 정규공
항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그 정규공항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항을
말한다. 비행계획에 있어서 최초의 착륙예정지로 사용할 수 있다.
22) “유효활주로길이(Effective Length of the Runway)"라 함은 활주로 접근경로 말
단의 장애물 통과허용 평면과 활주로 중심선이 교차하는 지점으로부터 반대쪽 활주
로 끝까지의 착륙에 사용되는 활주로 길이를 말한다.
23) <삭 제 ; 2014.10.31 >
24) <삭 제 : 2014.10.31 >
25) <삭 제 : 2014.10.31 >
26) “일반항공운항(General aviation operation)"이라 함은 항공운송사업 또는 항공기
사용사업 운항 이외의 운항을 말한다.
27) <삭제>
28) “장애물제한표면(Obstruction clearance plane)”이라 함은 활주로를 둘러싸고 있는
일정구역에 대하여 측면에서 볼 경우 1:20의 구배로 활주로에서부터 상향하는 경
사면으로서 모든 장애물에 저촉되지 않는 표면 임. 이 표면을 위에서 볼 경우, 이
구역의 중심선과 활주로중심선은 일치하며, 이 표면은 활주로중심선과 활주로 말단
의 장애물에 저촉되지 않는 표면이 교차하는 지점에서부터 시작하여 최소한 1,500
피트 이상 나아감. 구역의 중심선은 1,500 피트 이상 나아간 지점에서 해당 활주로
에 대한 이륙경로 또는 계기접근로와 일치함. 이륙경로나 접근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1,500 피트 이상 나아간 지점과 반지름 4,000 피트 이상의 호가 만나 이
루는 표면이 모든 장애물로부터 자유로와 지는 지점까지 장애물 제한 표면이 됨.
또 이 구역은 활주로와 장애물제한표면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중심선 좌우로 각각
200 피트의 너비를 지니고 있으며, 이 너비는 활주로 끝까지 동일함. 그리고 활주
로와 장애물제한표면의 교차점으로부터 1,500 피트 떨어진 지점까지 중심선 좌우
의 너비는 200 피트에서 500 피트로 균등하게 넓어짐. 이 후부터는 중심선 좌우로
각각 500 피트 너비를 유지함.
29) "헬리콥터-접근 및 착륙단계(Approach and landing phase-helicopters)"라 함은
최종접근 및 이륙지역(FATO)의 표고 위로 300m(1,000피트)를 초과한 고도에서
비행한다면, 바로 그 FATO의 표고 상방 300m(1,000피트)에서부터 또는 기타의
경우엔 강하를 시작한 지점부터 착륙 또는 실패착륙 지점까지의 부분을 말한다.
30) “조언공역(Advisory airspace)"이라 함은 조종사에게 항공교통 조언업무가 제공되
는 지정된 공역이나 항로를 말한다.
31) “정규공항(Regular Airport)”이라 함은 인가된 노선의 출발지, 기착지 및 목적지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사용하는 공항을 말하며, 비행계획에 있어서 최초의 착륙예정지로 사용할 수 있는


공항을 말한다.
32) “임계엔진(발동기)-(Critical engine)"이라 함은 해당 엔진이 부작동시 항공기의 성
능이나 조작 등에 가장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 엔진을 말한다.
33) “착륙결심점(Landing Decision Point)"이라 함은 엔진 부작동시 착륙을 안전하게
계속하거나 착륙을 단념하고 실패접근을 결정하는 착륙성능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지점을 말한다.
34) <삭 제 ; 2014.10.31 >
35) <삭 제 : 2014.10.31 >
36) <삭 제 : 2014.10.31 >
37) “비행일지(Journey Log)"라 함은 항공기 등록기호, 승무원 성명 및 임무, 비행종류,
날짜, 장소 및 도착과 출발시간이 기록된 매 비행마다 기장이 서명한 양식을 말한다.
38) “표준최소장비목록(MMEL : Master Minimum Equipment List)“이라 함은 비행
시작 시 1개 또는 그 이상 부작동하는 요소들이 있어도 운항할 수 있도록 항공기
제작국가의 승인 하에 제작자가 특정 항공기 형식에 대하여 설정한 요건을 말한다.
표준최소장비목록은 특별한 운항조건, 제한사항, 절차 등과 연관되어 있다.
39) “항공기사용사업(Aerial work)"이라 함은 항공기를 농업, 건축, 사진촬영, 조사, 관
측, 순찰, 수색 및 구조, 공중광고사업 등과 같은 특정 목적을 위하여 행하는 사업
을 말한다.
40) “항공안전관련 중요임무(Safety-sensitive functions in aviation)”라 함은 운항승
무원의 임무, 객실승무원의 임무, 비행교관의 임무, 운항관리사의 임무, 항공정비사
의 임무 및 항공교통관제사의 임무를 말한다.
41) “항공안전관련 중요임무 종사자”라 함은 운항승무원, 객실승무원, 비행교관, 운항관
리사, 항공정비사, 항공교통관제사(국토교통부 또는 군 항공교통관제시설에 종사하
는 자는 제외)를 말한다.
42) <삭 제 ; 2014.10.31 >
43) <삭 제 : 2014.10.31 >
44) <삭 제 : 2014.10.31 >
45) "휴식시간(Rest period)"이란 운항승무원 또는 객실승무원이 근무 후 그리고/또는
전에 모든 근무로부터 벗어나 있는 연속적이고 한정된 시간을 말한다.
46) “고도측정시스템 오차(Altimetry system error : ASE)"라 함은 표준지표기압고도로
고도계를 설정했을 때 , 조종사에게 전시되는 기압고 도와 실제 기압고도 간의 차
이를 말한다.
47) “항로교대조종사(Cruise relief pilot)”라 함은 이․착륙단계를 제외한 운항 동안, 기
장 또는 부기장(Co-pilot)이 계획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조종사 임무를 수행하
는 운항승무원을 말한다.
48) “안전목표수준(Target level of safety : TLS)”이라 함은 특정상황에 있어서 수용할 만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한 위험도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개념을 말한다.


49) “총 수직오차(Total vertical error : TVE)”라 함은 항공기가 비행한 실제 기압고도
와 배정받은 기압고도 간의 수직적 차이를 말한다.
50) "혼잡지역(Congested area)"이라 함은 도시, 마을 또는 주거지로서 주거, 상업 또
는 휴양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지역을 말한다.
51) <삭 제 : 2014.10.31 >
52) <삭 제 : 2014.10.31 >
53) <삭 제 : 2014.10.31 >
54) <삭 제 : 2014.10.31 >
55) <삭 제 : 2014.10.31 >
56) <삭 제 : 2014.10.31 >
57) <삭 제 : 2014.10.31 >
58) <삭 제 : 2014.10.31 >
59) <삭 제 : 2014.10.31 >
60) "객실승무원(Cabin crew member)"이란 승객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운영자 또
는 기장으로부터 부여된 임무(운항승무원으로서의 역할은 제외)를 수행하는 승무원
을 말한다.
61) “선임 객실승무원”이라 함은 비행 중 승객통제를 포함한 객실안전 절차를 최종 확
인하도록 운항증명소지자로부터 임무를 부여 받은 객실승무원을 말한다.
62) “전자항행자료(Electronic Navigation Data)”란 항공기 항행에 필요한 활주로, 출
도착절차, 픽스(fix) 등 공항, 항로와 관계된 항행자료를 항공기 FMC(Flight
Management Computer)에 입력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전자형태로 제작한 것을
말한다.
63) “가속정지 가능 거리[Accelerate-stop distance available (ASDA)]”란 활주로정
지대가 있는 경우 그 길이를 포함한 이륙활주가 가능한 길이를 말한다.
64) “착륙가능거리[Landing distance available (LDA)]”란 비행기의 착륙 지상활주가
가능한 것으로 공표한 활주로의 길이를 말한다.
65) “근무(Duty)”란 항공기운영자가 운항승무원 또는 객실승무원에게 수행토록 요구
하는 모든 임무로서 피로를 야기하는 비행근무, 행정업무, 훈련, 비임무 이동 및 대
기를 말한다.
주. 여기서 정의된 근무(Duty)는 근로기준법 등 노동관계법상 ‘근로’ 또는 ‘근무’의 의
미와 같지 아니하다.
66) “근무시간(Duty period)”이란 운항승무원 또는 객실승무원이 항공기 운영자의 요
구에 따라 근무보고를 하거나 근무를 시작한 때부터 모든 근무가 끝나는 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67) “피로(Fatigue)”란 항공기 안전운항 또는 안전관련 근무의 수행에 필요한 승무원의
경계 및 수행능력을 해칠 수 있는 수면부족, 일주리듬의 변동 또는 업무 과부하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결과로 발생하는 정신적・신체적 수행능력이 저하된 생리적 상태를 말한다.


68) "근무명부(Roster)"란 승무원이 임무수행이 필요한 경우 운영자에 의해 제공되는
시간 명부를 말한다.
주. 여기서 정의된 근무명부(Roster)는 스케줄(Schedule), 시간표(Line of time), 근
무형태(Pattern), 근무윤번(Rotation)과 같은 의미이다.
69) "대기(Standby)"란 승무원이 운영자의 요구에 따라 중간에 휴식시간 없이 특정 임
무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정한 기간을 말한다.
70) "모기지(Home base)"란 운영자에 의해 승무원에게 지정되는 장소로 승무원이 정
상적으로 하나의 근무시간 또는 연속근무시간(series of duty periods)을 시작하고
끝내는 장소를 말한다.
71) "적절한 숙박시설(Suitable accommodation)"이란 적절한 휴식을 위해 필요한 설비
가 갖추어진 침실을 말한다.
72) "추가 운항승무원(Augmented flight crew)"이란 항공기 운항에 필요한 최소운항승
무원 외에 추가된 운항승무원을 말하며, 비행 중 휴식을 목적으로 각 운항 승무원
은 다른 유자격 운항승무원으로 대체시키고 부여된 임무위치를 떠날 수 있다.
73) "출두시각(Reporting time)"이란 운영자가 근무를 위해 승무원을 출두시키는 시각
을 말한다.
74) “예측불가 운항상황(Unforeseen operational circumstance)"이란 운영자가 통제할
수 없는 기상, 장비 고장 또는 항공교통지연(Air traffic delay)과 같은 예기치 않
은 사건을 말한다.
75) “피로위험관리시스템(Fatigue Risk Management System: FRMS)"이란 관련 직원
이 충분한 각성상태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 경험
및 과학적 원리・지식에 근거하여 피로관련 안전위험요소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관
리하는 데이터 기반의 수단을 말한다.
76) “업무용항공운영(Corporate aviation operation)”이란 전문조종사를 고용하여 운항
하는 회사의 항공기를 사용하거나 비상업용으로 회사업무수행에 필요한 승객이나
물품을 운송하는 것을 말한다.
77) “운영기지(Operating base)”란 운항통제를 실시할 수 있도록 운영자가 지정한 장
소를 말한다.
78) <삭 제 : 2014.10.31 >
79) <삭 제 : 2014.10.31 >
80) <삭 제 : 2014.10.31 >
81) <삭 제 : 2014.10.31 >
82) "산업실무지침(Industry codes of practice)"이란 국제민간항공기구의 국제표준 및
권고사항의 항공안전 요건을 따르기 위해 산업체에 의해 개발된 항공산업의 특정 분
야를 위한 안내지침을 말한다.
83) "국가안전프로그램(State safety programme)"이란 항공안전을 확보하고 안전목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를 달성하기 위한 항공 관련 제반 규정 및 안전활동을 포함한 종합적인 안전관리체


계를 말한다.
84) "회항시간연장운항(Extended diversion time operation. EDTO)"이란 쌍발 이상의
터빈엔진 비행기 운항 시, 항로상 교체공항까지의 회항시간이 운영국가가 수립한 기
준시간(threshold time)보다 긴 경우에 적용하는 비행기 운항을 말한다.
85) “회항시간연장운항 임계연료(EDTO critical fuel)”란 항로상 가장 먼 임계지점
(the most critical point)에서 운항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 고장 시, 항로상
교체공항까지 비행하기 위해 필요한 연료량을 말한다.
86) “회항시간연장운항-중요시스템(EDTO-significant system)”이란 EDTO에 의해 회
항하는 동안 항공기의 안전운항 및 착륙에 중요한 시스템을 말하며, 이러한 시스템
이 고장 나거나 기능저하 시 EDTO 비행의 안전성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87) “고립공항(Isolated aerodrome)”이란 특정 비행기 형식에 적합한 목적지 교체공항
이 없는 목적지 공항을 말한다.
88) “최대회항시간(Maximum diversion time)”이란 항로상의 한 지점으로부터 항로상
교체공항까지 시간으로 표시되는 최대허용거리를 말한다.
89) “귀환불능지점(Point of no return)”이란 비행기가 특정 비행에 이용 가능한 항로
상 교체공항 뿐만 아니라 목적지 공항으로의 비행이 가능한 마지막 지리적인 지점을
말한다.
90) “기준시간(Threshold time)”이란 항로상 교체공항까지의 거리를 운영국가가 설정
한 시간으로 표시된 거리를 말하며, 이 시간을 벗어나 운항하고자 하는 경우 운영국
가로 부터의 EDTO 승인을 받아야 한다.

8.1.3 약어(Acronyms)
이 장에서 사용되는 약어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AFM - 비행교범(Aeroplane Flight Manual)
2) AGL - 지표면상공고도(Above Ground Level)
3) AOC - 운항증명(Air Operator Certificate)
4) AOM - 항공기 운영교범(Aircraft Operating Manual)
5) APU - 보조동력장치(Auxiliary Power Unit)
6) ATC - 항공교통관제(Air Traffic Control)
7) CAT - 종류(Category)
8) CDL - 외형변경목록(Configuration Deviation List)
9) CRM - 승무원자원관리(Crew Resource Management)
10) DH - 결심고도(Decision Height)
11) ETA - 도착예정시각(Estimated Time of Arrival)
12) EDTO - 회항시간연장운항(Extended Diversion Time Operation)
13) FE - 항공기관사(Flight Engineer)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14) FL - 비행고도(Flight Level)


15) GPS - 위성항행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16) IMC - 계기비행기상상태(Instrument Meteorological Conditions)
17) INS - 관성항법장치(Inertial Navigation System)
18) LDA - 로컬라이저형 방위보조기(Localizer-type Directional Aid)
19) LOC - 방위각제공시설(Localizer)
20) LORAN - 장거리항행(Long Range Navigation)
21) LVTO - 저시정이륙(Low Visibility Take Off)
22) MDA - 최저강하고도(Minimum Descent Altitude)
23) MEA - 최저항로고도(Minimum En Route Altitude)
24) MEL - 최소장비목록(Minimum Equipment List
25) MMEL - 표준최소장비목록(Master Minimum Equipment List)
26) MOCA - 최소장애물허용고도(Minimum Obstruction Clearance Altitude)
27) MSL - 평균해면고도(Mean Sea Level)
28) NOTAM - 항공고시보(Notice to Airmen)
29) PBE - 호흡보호장비(Protective Breathing Equipment)
30) PIC - 기장(Pilot In Command)
31) <삭 제 : 2014.10.31 >
32) RVR - 활주로 가시범위(Runway Visibility Range)
33) RVSM - 수직분리축소(Reduced Vertical Separation Minimum)
34) SCA - 선임객실승무원(Senior Cabin Attendant)
35) SM - 육상마일(Statute Miles)
36) TACAN - 전술항행표지시설(Tactical Air Navigation System)
37) VMC - 시계비행기상상태(Visual Meteorological Conditions)
38) VSM - 수직분리(Vertical Separation Minimum)
39) V₁- 이륙결심속도(Takeoff decision speed)
40) Vmo - 운항최대속도(Maximum operating speed)
41) Vso - 실속속도 또는 착륙형태에서 최저안정비행속도(Stalling speed or the
minimum steady flight speed in the landing configuration)

8.1.4 항공기 요건(Aircraft Requirements)


8.1.4.1 항공기의 감항성(Civil Aircraft Airworthiness)
가. 누구든지 감항성이 없는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나. 기장은 탑승하여 조종하려는 항공기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다. 기장은 항공기에 기계적, 전기적 또는 구조적으로 감항성에 부적합한 상태가 발생한


경우에는 실행 가능한 가장 빠른 방법으로 비행을 중지하여야 한다.

8.1.4.2 특별감항증명서의 운항제한(Special Airworthiness Certificate Operational


Restictions)
법 제15조제3항 및 시행규칙 제18조에 따라 특별감항증명서를 발급받은 항공기를 운항
하려는 자는 증명서에 명시된 제한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8.1.4.3 항공기의 계기 및 장비(Aircraft Instruments and Equipment)


항공기를 운항하고자 하는 자는 운항의 종류와 운항하고자 하는 노선에 적합한 필수 계
기 및 항법장비를 장착하여야 한다.
주1. 운항을 위한 필수 계기 및 장비는 제7장에 규정한다.
주2. 상기 검사에 대한 요건은 제5장에서 규정한다.

8.1.4.4 고장난 상태의 계기 및 장비(Inoperative Instruments and Equipment)


가. 항공기를 운항하고자 하는 자는 계기 및 장비가 고장난 상태로 항공기를 이륙하여서
는 아니된다. 다만,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요건이 충족되지 않는 한 계기 및 장비가 고장난 상태로 다


발엔진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1) 해당 항공기에 대하여 인가 받은 최소장비목록이 있을 것
2) 국토교통부장관이 운항증명소지자에게 인가한 최소장비목록에 따라 운항을 허가한
운항규정이 있을 것
3) 운항승무원은 운항증명소지자가 인가 받아 적용하는 운항규정의 최소장비목록에 포
함된 정보를 인쇄물 또는 다른 방법으로 비행하기 전 언제든지 직접 이용할 수 있을 것
4) 인가 받은 최소장비목록에는 형식설계변경에 재증명을 필요로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것
5) 인가 받은 최소장비목록은 다항에서 정한 제한에 따라 작성할 것
6) 인가 받은 최소장비목록은 특정 계기 및 장비 고장시 항공기 운항에 관한 내용을 포
함할 것
7) 고장난 계기 및 장비에 관한 기록과 제6호에서 규정한 정보를 조종사가 이용할 수
있을 것
8) 항공기는 최소장비목록에서 정하여진 조건과 제한사항에 따라 운항할 것

다. 다음의 계기 및 장비는 최소장비목록에 포함하여서는 아니된다.


1) 모든 비행조건에서 안전운항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고 항공기 감항증명 요건에 해
당하는 계기 및 장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2) 감항성개선지시서(Airworthiness Directive)에서 정한 계기 및 장비. 다만, 감항성개


선지시서에서 다르게 규정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이 규정 제7장, 제8장 및 제9장에서 규정한 특정운항 방식에 필요한 계기 및 장비

라. 상기 다항 1) 및 3)에도 불구하고 계기 또는 장비가 고장난 상태에 있는 항공기는


국토해양부장관으로부터 특별감항증명(특별비행허가)을 받아 운항할 수 있다.

마. 고장난 상태의 계기와 장비에 대한 별도의 제한사항은 별표 8.1.4.4에 규정한다.

8.1.4.5 비행교범, 표시 및 플래카드 요건(Civil Aircraft Flight Manual, Marking and


Placard Requirements)
가. 대한민국에 등록된 항공기는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교범을 항공기에 비치하지
아니하고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1) 항공기제작국 관할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 받은 유효한 비행교범(AFM) 또는 운항증
명소지자가 항공당국에 신고한 항공기 운영교범(AOM 또는 POM)
2) 비행교범이 없는 경우에는 기장에게 안전운항을 위하여 필요한 제한사항이 포함된
비행교범에 준하는 자료, 표시(Marking), 플래카드(Placard) 또는 이들의 혼합형태

나. 대한민국 안에서 운항하거나 대한민국 상공을 통과하여 비행하는 항공기는 인가 받


은 비행교범, 표시 및 플래카드에서 정한 운항 제한사항과 항공기 등록국이 규정한
운항 제한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 등록국에서 규정한 운항 제한사항이 포함된 플래카드, 목


록표, 계기표시 또는 이들의 복합형태 등을 항공기내에서 잘 보일 수 있게 비치하여
야 한다.

라. 8.1.4.5 및 8.1.5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운항승무원이 비행교범 등을 소지하고 운항


중 기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를 기내탑재와 동일한 것으로 본다.

마. 항공운송사업자 및 항공기 운영자 등은 항상 최신의 정보가 수록될 수 있도록 비행


교범을 개정․관리하여야 한다.

8.1.4.6 항공기 및 장비 검사요건(Required Aircraft and Equipment Inspections)


가. 항공기는 다음에서 정한 검사를 받지 아니하고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국토교
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은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최근 12월 이내의 연간 검사
2) 항공운송사업용 항공기의 경우 100시간 검사.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3) 계기비행을 하고자 하는 비행기의 경우 24월 이내의 고도계 및 동정압계기 검사


4) 트랜스폰더가 장착된 항공기의 경우 최근 24월 이내의 트랜스폰더 검사
5) 자동으로 작동되는 구조의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LT)가 장착된 항공기의
경우 12월 이내의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 검사

나. 국토해양부 고시 「항공기 기술기준」 Part 21, Subpart H의 부록 C에 따라 국토교


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받은 정비프로그램에 따라 정비가 수행되는 항공기의 경우에
는 12월 이내의 연간검사 또는 100시간 검사를 하지 않아도 된다.

8.1.5 항공기 탑재 서류(Documents to be Carried on Aircraft : All Operations)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서류를 항공기에 비치하지 아니하고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 된다.
1) 항공기 등록증명서
2) 감항증명서
3) 항공기 탑재용항공일지
4) 항공기 무선국 허가증
5) 승객명단, 승하기 지점 (적용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한다)
6) 특별탑재정보가 포함된 화물목록
7) 항공운송사업의 운항증명서 사본으로서 항공당국의 확인을 받은 것 및 운영기준 사본
(국제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경우에는 영문으로 된 것을 포함한다)
8) 소음기준적합증명서, 적용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한다.(국외 비행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경우에는 영문으로 된 것을 포함한다.)
9) 비행교범(AFM)
주) 항공기 운영교범(FCOM) 등으로 항공기 운항제한치를 포함한 성능자료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이를 대체할 수 있다.
10) 업무수행에 필요한 운항규정의 관련부분, 적용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한다.
11) 최소장비목록(MEL)
12) 정밀계기접근 제2종 또는 제3종(CAT-II 또는 CAT-III) 규정, 적용할 수 있는 경
우에 한한다.
13) 운항비행계획서(Operational Flight Plan)
14) 항공교통관제기관에 제출된 비행계획서(Filed ATS flight plan), 단, 반복비행계획
서를 제출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5) 항공고시보(NOTAM) 브리핑 서류
16) 기상정보(Meteorological information)
17) 항공기 중량배분 서류(Mass and balance documentation)
18) 특별승객명단(Roster of Special situation passenger)
19) 운항하고자 하는 지역 및 회항에 대비한 노선지침서
20) 비행에 관한 보고양식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21) 국제선의 경우 세관신고서


22) 다음의 기술교범, 항공지도 및 정보사항:
가) 비행경로의 변경까지를 고려한 예상 비행경로에 적합한 최신의 항로지도 및 비행
장 이․착륙절차 차트(Terminal Chart)
나) ICAO 부속서 2에 규정된 비행기가 요격받는 경우 기장이 취하여야 하는 절차
다) ICAO 부속서 2에 규정된 비행기가 요격되고 있거나 요격된 경우 사용하는 시각신

23) 기타 국토교통부장관이 요구하거나 운항 하고자 하는 국가에서 요구하는 서류
주1. 특별승객  이라 함은 무장 보안요원, 국외 추방자, 호송되는 사람 및 특별진료
가 필요한 사람 등을 말한다.
주2. 소음기준적합증명서는 ICAO Annex 16. Volume 1에서 정한 기준에 따른다.
정부인가를 받은 경우 다른 서류에 포함하여 탑재할 수 있다.

8.1.6 항공기 정비요건 (Aircraft Maintenance Requirement)


8.1.6.1 적용 (Applicability)
가. 이 절은 대한민국에 등록되어 국내외를 운항하고 항공법령의 적용을 받는 민간 항공
기에 대한 검사행위를 규정한다.

나. 8.1.6.3 및 8.1.6.4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운항증명소지자에게 승인한 지속정비프로그


램(continuous maintenance program)을 적용 받는 항공기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다. <삭 제>

라. 이 절은 항공기가 대한민국에 등록되었는 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민간 항공기에


적용된다.

마. 타 등록국에서 승인하고 인정한 점검프로그램에 의하여 운영되는 외국적 항공기가


대한민국 내를 운항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장비를 구비하지 못한 경우 대한민국 내를
운항하기 전에 그 항공기의 소유자/운영자는 해당 장비를 장착한 후 운항하여야 한
다.

8.1.6.2 일반 (General)
가. 등록된 항공기의 소유자 또는 운영자는 법 제15조에 따라 모든 감항성개선지시서의
이행을 포함하여 항공기를 감항성이 있는 상태로 유지할 책임이 있다.

나. 누구든지 항공법령 또는 이 운항기술기준을 따르지 아니하고 항공기 정비, 예방정비,


수리 또는 개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다. 항공기 소유자 또는 운영자가 인가받은 정비프로그램 또는 검사프로그램에는 항공기


의 지속적인 감항성 유지를 위하여 제작사에서 발행한 정비교범 또는 지침서에서 요
구하는 부품 등의 강제교환시기, 점검주기 및 관련 절차가 포함되어있어야 한다.

라.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정비프로그램 또는 검사프로그램을 인가받은 자는 해당 정


비프로그램 또는 검사프로그램에 따라 정비 등을 수행하여야 하며, 그러하지 아니한
자는 제작사가 제공하는 정비교범에 따라 정비 등을 수행하여야 한다.

마. 국내에 등록된 항공기의 소유자 또는 운영자는 항공기 형식증명소유자가 권고하는


주기마다 중량측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바. 마항에 의거 중량측정을 수행한 경우에는 중량측정기록, 중량 및 중심위치 명세서 및


기본장비목록을 포함한 중량 및 평형보고서를 작성하여 유지하여야 한다.

사. 사고 등으로 감항성을 상실했던 항공기가 감항성 회복을 위하여 중량 및 평형(weight


and Balance)이 변화한 경우 소유자 또는 운영자는 감항증명 또는 수리개조승인을 위
한 신청서류에 라항의 중량 및 평형보고서를 추가하여야 한다.

8.1.6.3 요구되는 정비사항 (Maintenance Required)


각 항공기 소유자 혹은 운영자는 다음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1) 이 장에 의하여 항공기를 검사하고 제5장에 정한 기준에 의거 결함이 수리되어야 한다.
2) 최소장비목록(MEL)에서 허용되지 않는 한 부작동 계기 혹은 차기에 검사가 요구되
는 장비품은 수리, 교환, 장탈 혹은 검사해야 한다.
3) 결함 현황에 부작동 계기 혹은 장비품이 포함된 경우 항공기에 플래카드를 부착해야 한다.
4) 정비요원은 항공기가 사용가능상태로 환원됨을 나타내는 정비수행 사항 및 확인서명
을 해당 항공기의 탑재용 항공일지에 기록하여야 한다.

8.1.6.4 항공기 검사 (Inspections)


가. 항공기 소유자 또는 운영자는 다항에 명시된 항공기를 제외하고 지난 12개월 이내에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를 수행하지 않은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 된다.
1) 법 제15조에 따른 감항증명
2) 제5장에 따른 연간검사(annual inspection)를 수행하고 5.10.4 따른 인가된 정비조
직 또는 사람에 의한 사용가능상태로의 환원

나. 항공기 소유자 또는 운영자는 다항에 명시된 항공기를 제외하고 지난 100시간 이내


에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를 수행하지 않은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 된다.
1) 법 제15조에 따른 감항증명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2) 항공기 사용시간(time in service) 100시간 이내에 연간검사 또는 100시간검사를


수행하고 5.10.4에 따라 인가된 정비조직 또는 사람에 의한 사용가능상태로의 환원.
이 경우 10시간을 초과할 수 없으며 초과된 시간은 차기 100시간 검사 시기를 산정
하는데 포함되어야 한다.

다. 다음 각 호의 항공기는 가항 및 나항을 적용하지 않는다.


1) 특별감항증명(특별비행허가)을 받은 항공기
2)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정비프로그램 또는 진보적인 검사프로그램을 인가받아 정비
등을 수행하는 항공기

라. 진보적인 검사(progressive inspection). 진보적인 검사프로그램을 적용하려고 하는


항공기 소유자 혹은 운영자는 지방항공청장에게 인가 신청할 수 있고,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충족하여야 한다.
1) 진보적인 검사의 감독 및 수행은 5.10.4에 따른 자격을 갖춘 유자격정비사, 적절한
한정을 인가받는 정비조직 또는 항공기 제작사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2) 현행의 검사절차는 이용가능하고 조종사와 정비사가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다음의 세부적인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가) 검사에 대한 책임의 연속성, 보고서의 작성, 정비기록의 보관 및 기술적 참고자료
의 근거를 포함한 진보적인 검사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여야 한다.
나) 일상검사(routine inspection) 및 정밀 검사(detailed inspection)를 수행할 시간
또는 일자로 된 주기가 포함된 검사 계획, 검사주기가 10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지침 및 경험에 의한 검사주기 변경 지침
다) 일상검사 및 정밀검사 양식 견본 및 이들의 사용 지침
라) 보고서 견본 및 이의 사용 지침
3) 항공기의 분해 및 올바른 검사에 필요한 충분한 건물 및 장비
4) 항공기에 대한 적절한 최신의 기술정보

마. 항공기의 소유자 또는 운영자는 다음의 검사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


하여야 하고, 항공기 정비기록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1) 제작사가 권고한 최신의 검사프로그램
2) 운항증명소지자가 사용하도록 국토교통부장관이 인가한 항공기의 지속적인 정비프로그램
3) 항공기 소유자 또는 운영자에 의해 설정된 것으로 지방항공청장의 인가를 받은 검사
프로그램

바. 항공기 소유자 또는 운영자는 선택한 검사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검사항목에 대한


일정관리에 대한 책임자를 명시하고 항공기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자에게 검사프
로그램의 사본을 제공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사. 항공기 소유자 또는 운영자는 항공기 사양서(specifications), 형식자료집(type data


sheets) 또는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받은 도서에 명시된 수명한계품목(life
limited parts)의 교환요건을 충족하지 않거나 선택한 검사프로그램에 따라 설정된
기체, 엔진, 프로펠러, 장비품(appliances), 구명장비(survival equipment) 및 비상장
비(emergency equipment)를 포함한 항공기에 대한 검사가 수행되지 않은 항공기
를 운항하여서는 아니 된다.

아. 검사프로그램을 제정하거나 개정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 고시 「항공기 기술기준」


Part 21 Subpart H 부록 D에 따라 다음 사항을 포함한 검사프로그램을 수립하여
관할 지방항공청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 항공기 검사에 요구되는 시험(tests), 확인(checks)을 포함한 지침 및 절차. 이 지침
과 절차에는 검사가 요구되는 기체, 엔진, 프로펠러, 장비품, 구명장비 및 비상장비
의 부품 및 대상 부위가 상세하게 명시되어 있어야 한다.
2) 검사의 수행은 사용시간(time in service), 사용일자(calendar time), 시스템 작동
횟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현된 프로그램에 따른 일정에 따라 수행되어야 한다.

자. 운영자가 적용 중인 검사프로그램을 다른 프로그램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새로


운 프로그램에 따른 검사시기의 결정은 이전 프로그램에 따라 누적된 사용시간, 사
용일자, 작동횟수를 적용하여야 한다.

차. 항공기 검사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사용에 편리하도록 인적요인(Human Factors) 개념


을 반영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주. 인적요인의 적용에 관한 지침은 ICAO Doc 9683(Human Factors Training


Manual)을 참조한다.

카. 항공기 검사프로그램의 개정사항 복사본은 모든 조직 또는 인원에게 즉시 제공되어


야 한다.

8.1.6.5 항공기 정비프로그램의 변경(Changes to Aircraft Maintenance Programs)


가. 국토교통부장관은 인가한 정비프로그램 또는 검사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적합성 유지
를 위하여 개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해당 항공기 소유자 혹은 운영자에게 통
보하여 프로그램의 해당 부분을 개정토록 요구할 수 있다.

나. 해당 항공기 소유자 혹은 운영자는 국토교통부장관으로 부터 가항의 통보를 받은 후


30일 이내에 재심을 요구하는 청원을 국토교통부장관에게 할 수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다. 항공기 소유자 등으로 부터 나항의 재심요청서가 접수된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은 안


전을 위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요구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재심결과를 항공기 소유자
등에게 통보하기 전까지 가항의 개정 권고사항을 유보할 수 있다.

8.1.6.6 정비, 재생 및 개조기록(Content, Form, and Disposition of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Rebuilding, and Modification Records)
항공기 소유자 혹은 운영자는 다음의 정비기록을 유지한다.
1) 항공기
가) 항공기 및 사용한계품목(life limited parts)의 총 사용시간 (시간, 일자, 싸이클)
나) 요구되거나 인가된 검사가 수행된 이후의 시간을 포함한 최근의 항공기 검사 현황
다) 항공기의 최근의 기본중량(empty mass) 및 무게중심의 위치
라) 장비품의 추가 혹은 제거
마) 사용시간 및 일자를 포함한 정비 및 개조의 형식 및 범위
바) 작업수행일자
사) 감항성개선지시서의 수행방법을 포함한 수행이력
2) 사용한계품목
가) 총 사용시간
나) 마지막 오버홀 수행 일자
다) 마지막 오버홀 수행이후 사용시간
라) 마지막 검사 일자
3) 사용시간에 의해 사용가능 여부 및 사용수명이 결정되는 계기 및 장비품
가) 사용가능 여부와 사용수명 결정을 위해 필요한 사용시간 기록
나) 최종 검사 일자

8.1.6.7 정비기록 보존(Maintenance Records Retention)


가. 항공기 소유자 또는 운영자는 반복되는 차기 작업 또는 동등한 작업범위의 다른 작
업에 의해 대체될 때까지 최소 1년 이상 정비기록을 보존하여야 한다.
1) 다음 사항을 포함한 각 항공기(기체 포함), 엔진, 프로펠러 및 장비품에 대한 정비,
예방정비, 소개조의 기록 및 100시간, 연간 및 그 밖의 필요 또는 인가된 검사의 기

가) 수행한 작업에 대한 기술 (혹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하는 참고자료)
나) 수행된 작업의 완료일자
다) 항공기를 사용가능상태로 환원하는 것을 승인하는 자의 서명 및 증명서 번호
2) 다음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
가) 항공기 기체, 각 엔진, 프로펠러의 총 사용시간
나) 모든 사용한계품목의 현황
다) 특정시간에 오버홀을 요하는 항공기 장착 모든 부품의 마지막 오버홀 시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라) 항공기 및 관련 장비품의 해당 검사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된 마지막 검사이후의 사


용시간을 포함한 항공기의 검사 현황
마) 감항성개선지시서의 수행 방법, 감항성개선지시서 번호 및 개정번호를 포함한 해
당 감항성개선지시서의 현황. 반복수행을 요하는 감항성개선지시서는 차기 수행시
간과 일자
바) 기체, 현재 장착된 엔진, 프로펠러 및 장비품의 대개조(major modification)에 대한
이 장에서 기술하고 있는 양식의 사본

나. 소유자등은 항공기를 매각 또는 임대할 경우 가항에 따른 기록을 항공기와 함께 양


도하여야 한다.

다. 결함 현황은 결함이 해소되어 항공기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환원될 때까지 보존한다.

라. 항공기 소유자 또는 운영자는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검사


가 가능하도록 모든 정비사항을 기록하여야 하며, 임차된 항공기의 경우 임차기간
동안 위 가항 내지 다항 및 8.1.6.6에서 정한 기준을 따라 정비사항을 기록 및 유지
하여야 한다.

8.1.6.8 정비기록의 양도(Transfer of Maintenance Records)


대한민국에 등록된 항공기를 매각하거나 임대하는 소유자 혹은 운영자는 항공기를 매각
하거나 임대할 때 구매자 혹은 임차자에게 항공기 정비기록을 양도해야 한다.

8.1.7 운항승무원 요건(Flight Crew Requirements)


8.1.7.1 운항승무원의 구성(Composition of the Flight Crew)
가. 운항승무원의 수는 비행교범(AFM) 또는 감항증명서에서 정한 수 보다 적어서는 아
니된다.

나.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계기비행을 하는 경우에는 부기장(Co-pilot)이 있어야 한다. 다


만,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허가를 받은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다. 운항증명소지자 및 항공기 운영자는 조종사 1명을 기장(PIC)으로 지명하여야 한다.

8.1.7.2 운항승무원의 자격(Flight Crew Qualifications)


가. 기장은 비행을 위하여 편조된 각 운항승무원에 대하여 형식한정을 포함한 자격증명
과 최근의 비행경험 요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나. 비행교범에 2명 이상의 조종사가 필요한 것으로 되어 있거나 그 밖에 국토교통부장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관이 지정하는 형식의 항공기를 운항하고자 하는 자는 사용 예정 항공기 형식 및 운


항방식에 따른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8.1.7.2.A 운항승무원의 ACAS 훈련(Flight Crew Training for ACAS)


가. ACASⅡ가 장착된 비행기의 기장은 각 비행승무원이 ACASⅡ장비사용과 충돌회피에
관한 적합한 훈련을 이수하였음을 확인해야 한다.
주. ACASⅡ장비사용 및 충돌회피에 관한 역량을 키우기 위한 적합한 훈련은 다음과
같은 사례 중 하나에 의해 증명될 수 있다.
1) ACASⅡ의 사용과 운영이 형식한정을 위한 훈련요목에 포함된 ACASⅡ장비를 장착
한 비행기에 대한 형식한정의 소유
2) ACASⅡ를 사용하는 조종사에 대한 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국가로부터 인가받은 훈
련조직 또는 사람에 의해 발행되고 소유자가 위의 주 1)에 언급된 지침에 따라 훈련
되어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서류의 소유
3) 위의 주 1)에 언급된 지침에 따라 ACASⅡ의 사용에 대해 훈련받은 조종사에 의해
수행되는 포괄적인 비행전 브리핑

나. 항공기 소유자 등은 소속 조종사에게 다음 사항을 포함한 공중충돌경고장치의 운용


에 관한 교육을 조종사로서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초기 및 정기 교육훈련과정에
포함하여 실시하여야 하며, 항공운송사업자의 경우 8.4.8.13, 8.4.8.14 및 8.4.8.34
의 규정에 의한 훈련프로그램에 다음사항을 포함한 공중충돌경고장치의 운용에 관한
교육을 포함하여야 한다.
1) 학과 교육내용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가) ACAS 운영이론(Theory of ACAS operation)
- RA, TA의 정의 및 범위
- ACAS의 기능 : Surveillance, Collision avoidance 등
- Advisory thresholds
- ACAS 운용제한(ACAS limitations), 여기에는 GPWS/EGPWS 의 Warning이 있을
경우의 ACAS 운용제한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 ACAS 기능의 작동이 금지(inhibit)되는 상황
나) 운영절차(Operating procedures)
- ACAS control system 사용절차 및 표시사항의 식별
- TA mode 사용절차
- 승무원간 협조절차
- RA따른 회피기동 시 관제기관 또는 항공당국 보고절차 등
다) 조언기능의 한계
2) 모의비행장치 등을 활용한 ACAS 기동 훈련과정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하며,
실제 상황조우 시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훈련되어야 한다. (다만, ACAS가 장착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된 모의비행장치를 이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최초평가는 해당기종의 ACAS의 기능


과 작동이 동일하게 묘사되는 쌍방대화형식의 CBT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쌍방대
화형식의 CBT는 조종사에게 반응이 올바른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알려주어야 하며,
반응이 올바르지 않거나, 부적절할 경우 올바른 반응이 무엇인지를 보여줄 수 있는
성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가) TA 및 RA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다음의 항공기 기동 방법
- 수직속도 변화가 요구되는 최초 RA기동
- 수직속도 변화가 요구되지 않는 최초 RA 기동
- 일정율(rate) 유지 RA 기동
- 고도 통과 RA 기동
- Rate가 증가하는 RA 기동
- RA기동이 반대로 되는 경우
- RA기동을 약화시키는 방법
- 항공기가 최대운영고도에서 여러 대의 항공기를 조우했을 경우의 RA 기동
- RA기동에 반응하지 않거나, 천천히 또는 늦게 반응한 경우의 결과시범
- 표시된 RA기동이 지시하는 방향과 반대로 기동하는 경우의 결과시범
나) TA 및 RA 상황에서의 승무원간 협조 절차
다) RA 상황을 가정한 가)에서 명시한 항공기 기동에 관한 시나리오 훈련
3) 그 밖에 ICAO Doc 8168 PAN_OPS(Part III, Section 3, 제3장 붙임(조종사를 위한
ACAS 훈련지침))에 명시된 사항들을 충족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과정이 수립되어야
한다.

다. 나항의 교육훈련내용은 초기 및 정기보수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하며, 특히 보수교


육과정에는 다음 사항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1) 항공운송사업자의 운항경험 등에 의해 보완이 필요하다고 확인된 사항
2) 항공기 운영환경을 고려하여 교육내용에 반영해야 할 사항
3) ACAS events의 분석결과
4) 항공기의 시스템 개선 및 신형 항공기의 도입에 따른 운영절차의 차이점 등

라. 항공운송사업자는 조종사로 하여금 매 4년(쌍방대화형식의 CBT를 이용할 경우, 매


2년)에 한 번은 나항 2)에서 정한 시나리오를 모두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모의비행장치 등을 통한 비행훈련과정에서는 자격 있는 교관, 검사관 또는 운
항자격심사관(Check pilot)에 의해 평가되어야 한다.

마. 나항의 ACAS 사용에 관한 조종사 훈련은 지상교육, 실제기동훈련으로 구분하여 실


시하여야 하며, 지상교육에는 조종사의 관련 지식 습득여부를 필기시험이나 CBT를
이용한 평가를 통해서 검증되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8.1.7.3 형식한정이 없는 경우의 운항허가 등(Authorization in lieu of a type rating)


가. 국토교통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형식한정이 없어도 최대 60일
까지 항공기를 운항하게 할 수 있다.
1) 국토교통부장관이 허가시 정한 운항상의 제한조건으로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때
2) 신청인이 당해 비행편 또는 일련의 비행편(series of flight)에 대하여 형식한정이
불필요함을 입증할 수 있을 때
3) 다음에서 정한 운항에 해당할 때
가) 공수비행, 훈련비행, 시험비행 또는 조종사의 면허나 한정자격심사를 위한 실기시
험비행
나) 대한민국 내에서 이루어지는 비행. 다만,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사전 허가를 받
아 정비목적으로 국제민간항공조약 체약국으로 비행하는 항공기는 그러하지 아니
하다.
다) 항공운송사업 목적 이외의 비행. 다만, 훈련비행 또는 실기시험비행을 목적으로 이
용료를 받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나. 국토교통부장관은 이 예외규정에 의한 비행인가 목적이 허가된 기간 내에 달성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최대 60일의 범위 내에서 운항허가를 연장할 수 있다.

8.1.7.4 계기비행방식 운항을 위한 자격요건(Rating Required for IFR Operations)


계기비행방식(IFR) 또는 시계비행방식(VFR)으로 최저기상치 미만의 기상조건하에서 운
항시 다음에서 정한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한 항공기의 기장으로서 임무를 수행하여서는
아니 된다.
1) 비행기의 경우 조종사는 계기비행증명을 소지하거나 운항하고자 하는 항공기의 종
류, 등급 및 형식에 대한 한정자격과 함께 운송용조종사 자격증명을 소지한 자. 이
경우 형식한정은 필요한 경우에 한한다.
2) < 삭 제 ; 2014.10.31 >

8.1.7.5 정밀계기접근 제2종 및 제3종 운항 특별허가 요건(Special Authorization


Required for Category II/III Operations)
가. 정밀계기접근 제2종 및 제3종 운항을 하고자 하는 조종사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요
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1) 기장(PIC)의 임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해당 항공기 형식에 대하여 유효한 정밀
계기접근 제2종 또는 제3종 운항자격을 소지할 것. 이 경우 정밀계기접근 운항자격
기준은 국토교통부장관이 따로 정할 수 있다.
2) 부기장(Co-pilot)의 임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정밀계기접근 제2종 또는 제3종으
로 운항하는 항공기에서 부기장(Co-pilot)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운항자격을 소지
할 것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나. 항공당국으로부터 교부받은 운영기준(Operations Specifications)에서 정밀계기접근


제2종 및 제3종을 인가 받은 운항증명소지자의 조종사에 대하여는 개별적인 허가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다.

8.1.7.6 조종사 비행기록부(Pilot Logbooks)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조종사의 자격증명시험, 한정자격시험 또는 최근의 비행경험 요건
을 충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비행훈련 및 경험에 대하여 정확하게 기록․유지하여야
한다.

나.조종사는 모든 운항 시 조종사 비행기록부(Pilot Logbook)를 소지하거나 기내 접근하


기 쉬운 곳에 두어야 하며, 동 기록부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다만, 항공
사업에 종사하는 조종사의 경우에는 해당 사업자가 발행한 전산 출력물 등으로 동
기록부를 대체할 수 있다.
1) 비행 일자
2) 항공기 형식
3) 착륙 회수
4) 기장으로서의 비행시간
5) 부기장(Co-pilot)으로서의 비행시간
6) 부기장(Co-pilot)으로서 기장감독하의 비행시간
7) 교관조종사로서의 비행시간
8) 학생조종사로서의 비행시간
9) 항공기관사로서의 비행시간
10) 주간 시계비행시간
11) 주간 야외비행시간
12) 야간 시계비행시간
13) 야간 야외비행시간
14) 실제항공기 계기비행시간
15) 모의비행장치 계기비행시간
16) 기타 비행훈련 및 운항자격심사 등 최근의 비행경험 요건 등

다. 학생조종사는 모든 단독비행 시 비행교관의 확인서명이 포함된 조종사 비행기록부를


소지하거나 접근하기 쉬운 곳에 탑재하여야 한다.

8.1.8 승무원의 임무와 책임(Crew Member Duties and Responsibilities)


8.1.8.1 기장의 권한과 책임(Authority and Responsibility of the PIC)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가. 기장은 다음의 구분에 따른 책임을 갖는다.


1) 비행기의 기장(PIC)은 비행기의 문이 닫힌 시점부터 탑승중인 모든 승무원, 승객
또는 화물의 안전에 대한 책임을 갖는다. 또한 기장은 이륙을 목적으로 이동을 시
작한 시점부터 비행의 최종종료단계에서 엔진의 작동이 멈출 때까지 비행기의 안
전과 보안 및 운항에 대하여 책임을 갖는다.
2) < 삭 제 ; 2014.10.31 >

나. 기장은 기장의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항공기 운항에 대하여 최종적인 권한을 가진다.

다. 기장은 항공기의 비행 조작여부에 관계없이 항공기를 항공규칙에 따라 운항하여야


할 책임이 있다. 다만 안전상 불가피하거나 비상상황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며
이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의 요청시 서면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라. 기장은 항공기와 관련하여 인명의 중상이나 사망 또는 상당한 비행기 파손이나 재산


손실이 초래된 사고에 대하여 가장 신속한 수단으로 가장 인접한 관련당국에 통보해
야 할 책임을 갖는다.

마. 수상에서 장거리 비행을 하는 비행기의 기장은 비상착수 발생 시 해상의 상태와 해


수 온도, 비상 착륙이 적합한 육지로부터의 거리, 수색 및 구조 시설의 이용에 제한
이 없는지 등과 같은 운항 환경 및 조건을 고려하여 비행기 탑승자들의 생존을 위협
하는 위험요소들을 평가해야 하며, 이러한 위험요소들의 평가에 근거하여 항공법 시
행규칙 제125조에 따라 갖추어야 할 장비들이 항공기에 구비되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8.1.8.2 부주의 또는 난폭한 항공기 운항(Negligent or Reckless Operations of the


Aircraft)
다른 사람의 인명이나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부주의하고 무모한 방법으로 항공
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8.1.8.3 운항승무원의 신체조건(Fitness of Flight Crew Members)


가. 운항승무원은 소지한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에 따른 항공업무를 수행하기에 부적합한
신체적 결함을 인지한 경우에는 그 임무를 수행하여서는 아니된다.

나. 기장은 다음 각 호의 사항에 대하여 조치해야 할 책임이 있다.


1) 운항승무원이 상해, 질병, 피로, 술이나 약물 복용 등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
우 해당 비행을 중지
2) 운항승무원의 임무수행능력이 피로, 질병 또는 산소부족 등으로 인해 현저히 저하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경우 가장 근접한 착륙적합공항으로 비행

8.1.8.4 주정음료등의 사용 등(Use of Narcotics, Drug or Intoxicating Liquor)


가.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은 항공종사자(조종연습을 하는 자를 포함한다)
및 객실승무원이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항공업무(조종연습을 포함한다) 또는
객실승무원의 업무를 수행하지 못하도록 하여야 하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
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된다.
1) 알코올 성분의 음료 복용 후 8시간 이내
2) 알코올의 영향 하에 있을 때
3) 항공업무(조종연습을 포함한다) 또는 객실승무원의 업무에 영향을 미치고 비행안전을
저해하는 약물(마리화나, 모르핀, 펜사이클린, 암페타민, 코케인 등) 또는 환각 물질
을 사용중일 때
4) 혈중 알코올 농도 0.03퍼센트 이상일 때
5) 마약, 마리화나, 진정제 또는 자극제를 재배, 가공, 생산, 판매, 처분, 소지, 이송 또
는 수입하여 국내법 또는 국제법을 위반한 경우
6) 국토교통부 또는 지방항공청에 소속된 공무원이 주정음료 등의 섭취 또는 사용여부
를 측정하고자 할 때 이를 거절할 경우

나. 항공종사자(조종연습을 하는 자를 포함한다) 및 객실승무원은 국토교통부 또는 지방


항공청에 소속된 공무원의 요청이 있을 시 항공업무(조종연습을 포함한다) 또는 객
실승무원의 업무를 수행하기 직전부터 임무를 수행한 직후까지 주류등의 섭취 또는
사용여부에 대한 검사를 받아야 한다.

다. 주류등에 관한 검사와 관련된 요건은 별표 8.1.8.4에 규정한다.

8.1.8.5 승무원의 좌석벨트와 어깨끈의 사용(Crew Member Use of Seat Belts and
Shoulder Harnesses)
가. 임무를 수행중인 모든 승무원은 다음 각호에 따라 항공기가 이․착륙하는 때와 기장의
지시에 따라 임무 석에 착석중일 때는 항상 좌석벨트를 착용하여야 한다.
1) 운항승무원
가) 모든 운항승무원은 임무 석에 착석중일 때에는 항상 좌석벨트를 착용하여야 한다.
나) 조종석에 앉아 있는 운항승무원은 비행중요단계(Critical Phases of Flight) 동안
어깨 끈을 착용하여야 한다. 다만, 조종석 이외의 좌석에 앉아 있는 운항승무원은
어깨 끈을 착용함으로써 임무를 수행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 한, 이착륙단계 동
안 어깨 끈을 착용하여야 한다.
2) 객실승무원
모든 객실승무원은 이착륙하는 동안 및 기장의 지시가 있는 경우 항상 좌석벨트를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착용하여야 한다. 어깨 끈이 장착된 경우 어깨 끈을 포함한다.

나. 좌석벨트와 어깨끈이 장착된 좌석에 착석하는 자는 비행중요단계(Critical Phases of


Flight)동안 좌석벨트와 어깨끈을 착용하고 있어야 한다.(다만, 비행중요단계라 하더
라도 화재진압, 응급환자 구호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다. 빈 좌석에 있는 좌석벨트와 어깨끈은 승무원의 임무수행을 방해하거나 비상사태 발


생시 탑승자의 신속한 탈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8.1.8.6 운항승무원의 임무위치(Flight Crew Members at Duty Stations)


가. 운항승무원은 이․착륙 및 비행의 중요단계에서 지정된 근무위치에 있어야 한다.

나. 운항승무원은 다음 각 호에서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비행단계 동안 자신의 근


무위치에 있어야 한다.
1) 항공기 운항과 관련된 자신의 임무수행을 위하여 좌석을 이탈해야 할 경우
2) 생리적인 필요에 의하여 좌석을 이탈해야 할 경우, 이 경우 자격을 갖춘 1명의 조종
사가 계속 항공기를 조종할 수 있어야 한다.
3) 휴식시간을 갖기 위해 자격을 갖춘 교대승무원과 임무 교대를 할 경우

다. 자격을 갖춘 교대승무원에 관한 세부 요건은 별표 8.1.8.6에 규정한다.

8.1.8.7 운항승무원의 필요장비(Required Crew Members Equipment)


가. 야간비행을 하는 승무원은 전등을 자신의 임무석에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나. 운항승무원은 최소한 이륙전, 이륙후, 착륙전 및 비상절차가 포함된 항공기 점검표를


자신의 임무석에 지니고 있어야 한다.

다. 운항승무원은 계획된 비행항로와 목적지 변경에 따른 사용예상항로를 포함하는 현재


유효하고 적합한 항로지도(charts)를 자신의 임무석에 지니고 있어야 한다.

라. 운항승무원 중 항공신체검사증명시 교정안경을 사용하여 항공업무를 수행하도록 판


정된 자는 항공운송사업용 항공기의 운항승무원으로 임무 수행시 여분의 교정안경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8.1.8.8 점검표의 준수(Compliance with Checklists)


기장은 항공기 운항시 운항승무원으로 하여금 인가된 점검표 절차(Checklist procedures)
에 따라 임무를 수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8.1.8.9 수색 및 구조정보(Search and Rescue Information)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운항하고자하는 지역에서의 수색 및 구조업무에 관한 필요정보를
기장이 탑승 중에 이용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나. 국제항공노선에서 비행하는 항공기의 기장은 운항하게 될 지역의 수색 및 구조 업무


에 필요한 정보를 자신의 조종석에 비치하여 임무수행 중 항상 참조할 수 있도록 하
여야 한다.

다. 기장은 비행 중 조난신호(distress transmission)를 접수한 경우 다음 각 호의 조치를 취하


여야 한다.(가능한 경우에 한한다.)
1) 조난 신호에 대하여 즉각 응답
2) 조난 항공기의 위치 기록
3) 수신 신호의 방위(bearing) 기록
4) 인근의 수색 및 구조본부(rescue coordination center) 또는 관제기관(air traffic
services unit)에 입수된 모든 이용 가능한 정보를 제공
5) 기장의 판단 또는 관제소등의 지시에 따라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 한하여 조난위
치로 항공기 이동

8.1.8.9.A 수색과 구조(Search and Rescue)


가. 국내외에서 비행하는 항공기의 기장은 운항하게 될 지역의 수색 및 구조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나. 사고현장에 최초로 도착한 항공기가 수색구조항공기가 아닐 경우, 최초로 도착한 항


공기는 수색구조항공기가 사고현장에 도착할 때 까지, 뒤이어 도착하는 다른 모든
항공기들의 현장 활동을 담당해야 한다. 만약 최초로 도착한 항공기가 수색구조센터
또는 항공교통기관과 통신을 유지할 수 없을 경우, 상호 합의하여 통신을 유지할 수
있는 항공기에게 위 역할을 위임하여야 한다.

다. 다른 항공기 또는 지상의 항공기가 조난상태에 있는 것을 목격한 기장은, 가능하고


비합리적이거나 불필요하다고 생각되지 않는 한 다음과 같이 조치하여야 한다.
1) 그 현장을 어쩔 수 없이 떠나게 되거나 더 이상 필요가 없다는 구조조정센터의 조언
이 있을 때까지 조난 항공기를 주시
2) 조난 항공기의 위치를 결정
3) 다음의 사항을 가능한 한 많은 적절한 구조조정센터 또는 항공교통업무기관에 통보
가) 조난당한 항공기 또는 선박의 종류, 식별부호 및 상태
나) 지리적 격자 좌표형태로 표현되거나 분명한 지식표식이나 항행안전 시설로부터의
거리와 진방위로 나타낸 위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다) 국제표준의 시와 분으로 나타낸 목격시각


라) 목격된 사람의 수
마) 사람들이 조난당한 항공기 또는 선박을 포기했는지 여부
바) 현장 기상상태
사) 생존자들의 외관상 신체적 상태
아) 조난위치로의 외관상 최상의 지상접근경로
4) 구조조정센터 또는 항공교통기관으로부터 지시받은 대로 조치

8.1.8.10 항공기 서류 및 비행 서류의 제시(Production of Aircraft and Flight


Documentation)
기장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검사관이 항공기에 탑재하도록 요구된 서류의 제시를
요청하는 경우 이에 응하여야 한다.

8.1.8.11 운항자격심사관 및 항공안전감독관의 조종실 출입(Admission of Check Airman


and Inspector to the Flight Deck)
가. 국토교통부 항공안전감독관이 항공안전감독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운항자격심사관
증(Check Airman Credential Form) 또는 항공안전감독관증(Aviation Safety
Inspectors Credential Form) 및 별지 제8호 서식의 항공기출입요구서를 기장(PIC)
에게 제시하는 경우, 기장은 운항자격심사관 또는 항공안전감독관이 항공기의 조종
실 출입을 방해받지 않고 자유로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나. 조종사훈련(또는 심사)에 지장이 예상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


자격심사관 또는 항공안전감독관이 운항 중 감독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운항자격심사
관 또는 항공안전감독관에게 항공기 조종실 관찰 좌석 또는 객실내 탑승 좌석을 제
공하여야 한다.

다. 조종실에 관찰을 위한 좌석이 없는 승객좌석이 30석 이하의 1995년 12월 20일 이


전에 형식증명된 항공기의 경우에는 운항증명소지자가 임무수행 중인 운항자격심사
관 또는 항공안전감독관에게 헤드폰이나 스피커가 장착된 앞쪽의 승객좌석을 제공하
여야 한다.

라. 가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기장은 항공기 안전운항상의 이유로 조종실의 출입을 불


허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당해 기장은 비행종료 후 7일 이내에 그 사유를 명기한 보
고서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8.1.8.12 기계적인 비정상보고 (Reporting Mechanical Irregularities)


기장은 비행 중에 발생한 모든 기계적인 결함에 대하여 비행 종료 후 탑재용항공일지에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기록하여야 한다.

8.1.8.13 항공안전장애 보고(Reporting of Incidents)


항공운송사업자, 항공기사용사업자 또는 항공기의 소유자등은 소속 운항승무원 등이 항
공기를 운영하는 과정 중 항공법 제49조의3 및 시행규칙 제144조에 따라 시행규칙 별
표 6의 항공안전장애를 발생시키거나 발생한 것을 알게 된 때부터 72시간 이내(시행규
칙 별표 6 제43호 및 제44호의 경우에는 즉시 보고하여야 한다)에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보고하여야 한다.
가. 국제항공운송사업자: 국토교통부장관
나. 국제항공운송사업자 이외의 항공운송사업자, 항공기사용사업자 또는 항공기의 소유
자등: 지방항공청장

8.1.8.14 위험상태 보고(Reporting of Hazardous Conditions)


기장은 기상상태와 관련된 것을 포함한 항로에서 조우한 위험한 비행상태(예 : 기류의 교
란, 뇌우, 화산재 구름 발생, 화산의 폭발 등) 및 다음 사항을 포함한 다른 항공기의 안전
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을 지체 없이 항공교통관제기관에 보고하여야 한다.
1) 항공교통관제기관이나 운항승무원이 관련절차를 준수하지 아니하거나 관제절차에 문
제가 있는 경우
2) 항공교통관제시설이 고장 난 경우

8.1.8.15 준사고 등 보고(Reporting of Serious Incidents)


가. 항공운송사업자, 항공기사용사업자 또는 항공기의 소유자등은 소속 운항승무원 등이
항공법 제49조의3 및 시행규칙 제144조에 따라 시행규칙 별표 5의 항공기준사고를
발생시키거나 발생한 것을 알게 된 때에는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라 즉시 보고하여
야 한다.
1) 국제항공운송사업자: 국토교통부장관
2) 국제항공운송사업자 이외의 항공운송사업자, 항공기사용사업자 또는 항공기의 소유
자등: 지방항공청장

나. 기장은 항공기에 탑재된 위험물을 포함한 비행 중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상


황이 허용할 경우 해당 항공교통관제기관에 이를 알려야 한다.

다. 항공기 내에서 운항승무원 및 객실승무원에 대한 불법방해 행위가 발생하였을 때에


는 이를 지체 없이 해당 국가 및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8.1.8.16 사고 보고(Reporting of Accident)


가. 항공운송사업자, 항공기사용사업자 또는 항공기의 소유자등은 소속 운항승무원 등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항공법 제2조제13호에 따른 항공기사고를 발생시키거나 발생한 것을 알게 된 때에


는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라 즉시 보고하여야 한다.
1) 국제항공운송사업자: 국토교통부장관
2) 국제항공운송사업자 이외의 항공운송사업자, 항공기사용사업자 또는 항공기의 소유
자등: 지방항공청장

나. 기장은 자신이 책임을 지고 있는 비행중에 발생한 사고에 대하여 국토교통부장관에


게 이를 보고하여야 한다.

다. 기장은 조난상태에 있는 항공기, 선박 등(이하 “조난항공기등”이라 한다)을 발견한


경우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다음 각 호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다만, 이러
한 조치가 불합리하거나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조난항공기등의 사고지점을 지속적으로 관찰(다만, 수색구조팀 등에 의하여 조난 항
공기등의 구조가 개시되는 등 더 이상 잔류 필요성이 없는 경우는 제외한다)
2) 조난 항공기등의 위치 확인
3) 다음의 각목의 정보를 구조조정본부 또는 항공교통업무기관에 통보
가) 조난 항공기등의 종류, 식별부호 및 상태
나) 지리적 좌표로 표현된 위치 또는 지상 참조물이나 항행안전시설로부터의 거리와
진방위로 표시된 위치
다) 목격된 국제표준시각(UTC)
라) 목격된 사람의 수
마) 탑승객의 조난 항공기등 포기(이탈) 여부
바) 현장 기상상태
사) 생존자의 외관상 신체적 상태
아) 조난위치로의 최상의 접근경로
4) 구조조정센터 또는 항공교통업무기관의 지시에 의한 조치

8.1.8.17 조종실 음성기록장치 및 비행자료기록장치의 운용(Operation of Flight Deck


Voice and Flight Data Recorders)
가. 기장은 비행기록장치가 장착된 항공기를 운항할 경우 다음 각 호에서 정한 기간동
안 비행기록장치가 계속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단, 다음 각 호의 경우
로서 최소장비목록(MEL)에서 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1) 비행자료기록장치(FDR) : 항공기가 이륙활주를 시작한 시점부터 착륙활주를 종료한
시점까지
2)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 : 출발 전 점검표의 절차를 시작한 시점부터(또는 엔진이
작동해야만 CVR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는 엔진 작동 시부터) 비행종료 후 모든 엔
진을 정지하고 조종실을 떠나기 위한 엔진정지 등 점검표의 확인을 종료한 시점까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지.

나. 기장은 사고 또는 준사고의 조사를 위하여 자료를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


외하고, 비행 중 비행자료기록장치 또는 조종실음성기록장치를 부작동되게 하거나
스위치를 끄거나 기록을 지워서는 아니된다.

다. 기타 CVR/FDR 관련 운용에 관해서는 7.1.17.6의 규정에 따른다.

8.1.8.18 승무원의 최소 산소공급 및 사용(Crew Member Oxygen: Minimum Supply and


Use)
가. 기장은 비행 전 산소가 희박하여 운항승무원의 신체기능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고도에서의 비행에 대비하여 승무원이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산소와 마스크가
확보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주. 산소공급과 사용에 관한 요건은 7.1.14.6에 기술되어있다.

나. 고고도 비행을 하는 항공기는 시행규칙 제131조에서 정한 산소공급 장치를 구비하


여야 한다.

다. 비행중 1명의 조종사가 여압 항공기를 조종할 경우에는 다음 각 호와 같이 산소마스


크를 착용하여야 한다.
1) 항공운송사업 이외의 비행의 경우, 다른 조종사가 임무좌석에 있지 않다면, 비행고
도 3만5천 피트를 초과하는 고도로 비행하는 경우
2)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비행의 경우, 다른 조종사가 임무좌석에 있지 않다면, 비행고
도 2만5천 피트를 초과하여 비행하는 경우
3) 위 1), 2)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한 Quick-donning형의 산
소마스크를 장착한 항공기는 상기 절차를 이행하지 않을 수 있다.
주. Quick-donning 형 산소마스크 : 자신의 임무좌석에서 한 손으로 5초 이내에 착
용하여 사용가능하고 승무원 상호간 통신이 가능한 형태의 산소마스크

라. 모든 운항승무원은 항공법 시행규칙 제131조 제1항에 따른 산소 공급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호흡용 산소마스크를 계속 사용하여야 한다.

마. 객실승무원은 기압손실 발생시 비상강하 중에 의식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호되어야


하며, 비상강하 후 수평비행 중에 객실승무원이 승객들에게 응급치료를 할 수 있도
록 보호수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승객은 기압손실시 산소결핍에서 오는 영
향으로부터 생존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장비나 운용절차에 의해 보호되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8.1.8.19 휴대용 전자기기(Portable Electronic Devices)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기장 또는 선임객실승무원은 항공기의 성능
및 장비에 악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을 허용하여서는 아니된다.
1) 항공운송사업 이외의 계기비행방식으로 비행중인 항공기는 기장이 전자기기의 사용
을 사전에 허용한 경우
2)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는 운항증명소지자가 사용이 가능한 기기를 결정하
고 이를 운항규정에 수록한 경우
3) 기장이 승객들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 경우

8.1.8.20 레이저광선노출 대비 조종사 운항절차


가. 조종사가 비행중 외부로부터 방사된 레이저광선에 노출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항공기
소유자등은 다음 사항이 포함된 교육을 조종사에게 실시하여야 한다.
1) 비행전 절차
2) 레이저 방사가 예상되는 공역에 진입하기 전의 비행절차
3) 레이저가 조종실에 노출된 이후의 비행절차
4) 레이저에 노출되었을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보고하는 절차
5) 기타 ICAO DOC 9815(Manual on Laser Emitters and Flight Safety, 레이저 방출
기와 비행안전에 관한 매뉴얼)에 포함된 사항

나. 가항의 제1)항 내지 제4)항에 포함될 사항에 대해서는 별표 8.1.8.20에서 정한다.

8.1.8.21 조종장치의 조작(Manipulation of the Control)


가. 기장은 운항시 무자격자가 항공기 조종장치를 조작하도록 허용하여서는 아니된다.
나.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를 조종하고자 하는 자는 운항승무원으로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적합한 자격을 갖추어야 하며, 운항증명소지자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한다.
주. 항공운송사업에 종사하는 항공종사자에 관한 자격은 8.4에서 규정한다.

8.1.8.22 비행중 비정상 상황의 모의조작(Simulated Abnormal Situations in Flight)


운항승무원은 운항하는 동안 인위적으로 비정상 또는 비상상황을 모의하거나 계기비행상
태를 모의하여 비행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8.1.8.23 탑재용 항공일지의 작성(Completion of the Technical Logbook)


기장은 운항 전, 운항 중 또는 운항 후 각각 적절한 시점에 탑재용 항공일지의 모든 관
련 항목을 기록하거나 기록되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국제항행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비행자료는 다음 항목들을 포함하여 기록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Ⅰ - 국적 및 등록부호
Ⅱ - 비행연원일
Ⅲ - 승무원의 성명
Ⅳ - 승무원의 업무
Ⅴ - 출발지
Ⅵ - 도착지
Ⅶ - 출발시각
Ⅷ - 도착시각
Ⅸ - 비행시간
Ⅹ - 비행형태(자가용, 항공기사용사업, 정기 또는 부정기)
Ⅺ - 항공기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
Ⅻ - 기장의 서명

8.1.9 비행계획과 감독(Flight Planning and Supervision)


8.1.9.1 비행계획서의 제출(Submission of a Flight Plan)
가. 다음 각 호의 비행을 하고자 하는 자는 비행을 시작하기 전에 시계비행방식(VFR)
또는 계기비행방식(IFR)의 비행계획서를 별표 8.1.9.1에 따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 항공교통관제(ATC)업무를 제공받는 비행(이 경우 일부구간의 비행인 경우를 포함한다)
2) 조언공역 내에서의 계기비행방식에 의한 비행
3)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공역 또는 항공로를 따라 행하는 비행으로서 비행정보업
무, 경보업무, 수색 및 구조업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항공교통관제기관이 요구하
는 경우
4)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공역 또는 항공로를 따라 행하는 비행으로서 군기관 또는
인접국가의 항공교통관제기관과의 피아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항공교통관제
기관이 요구하는 경우
5) 국가간 경계선을 통과하는 비행

나. 기장은 반복비행계획서가 제출된 경우를 제외하고 출발전 또는 비행중에 반드시 비


행계획서를 항공교통관제기관에 제출하여야 한다.

다. 기장은 항공교통관제 당국이 별도로 정하지 않는 한 다음 각 호의 1에 따라 항공교


통관제기관에 비행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1) 항공기 출발 최소 60분전
2) 비행 중 제출할 경우, 다음 각 목에서 정한 지점의 도착예정시각 최소 10분전
가) 관제구(Control Area) 또는 조언구역(Advisory Area)으로의 진입이 계획된 지점
나) 항로(Airway) 또는 조언항로(Advisory Route)를 횡단하는 지점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8.1.9.2 비행계획의 계획된 재허가(Planned Reclearance)


탑재된 연료(fuel endurance) 소모에 따라 목적지 변경 가능성이 있으나, 비행 계획상
법정탑재연료량 요건을 충족하는 비행 계획을 수립한 자는 항공교통관제기관에 비행계획
서를 제출할 때 그 가능성을 함께 통보하여야 한다.

8.1.9.3 비행계획서의 변경(Changes to a Flight Plan)


가. 모든 조종사는 관제기관의 관제 하에 비행하는 계기비행 또는 시계비행을 위하여 제
출한 비행계획서에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관련 항공교통관
제기관에 이를 보고하여야 한다.

나. 가항을 제외한 시계비행을 하는 경우 기장은 비행계획에 중요한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관련 항공교통관제기관에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이를 보고하여야 한다.
주. 항공기 출발 전에 제출된 탑재연료량 또는 탑승객 수 등이 항공기 출발시점에 변
경된 경우에는 이를 중요한 변경사항으로 간주하여 항공교통관제기관에 보고하여
야 한다.

8.1.9.4 비행계획서의 종료(Closing a Flight Plan)


가. 기장은 항공교통관제기관에서 자동적으로 비행계획서를 종료시키지 않는 경우를 제
외하고 목적 공항에 착륙한 후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인편이나 무선을 통하여 항공
교통관제기관에 도착보고를 하여야 한다.

나. 목적지에 도착하지 않았으나 비행의 일부구간에 대하여만 비행계획서를 제출하였을


경우, 조종사는 항로상에서 관련 항공교통관제기관과 협의하여 해당 비행계획서를
종료시켜야 한다.

다. 도착공항에 항공교통관제기관이 없을 경우, 조종사는 착륙 후 가능한 빠른 시간 내


에 가장 빠른 방법으로 인접한 항공교통관제기관에 연락을 취하여 비행계획을 종료
시켜야 한다.

8.1.9.5 항공기의 감항성과 안전예방조치(Aircraft Airworthiness and Safety


Precautions)
가. 기장은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요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에는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 된다.
1) 비행기는 감항성이 있고 적합한 증명서(감항증명서, 항공기등록증 등)를 탑재하고 있
을 것
2) 예상되는 비행조건을 고려하여 항공기에 필요한 계기 및 장비가 적절히 장착되어 있
을 것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3) 필요한 정비가 수행되었고 해당 항공기에 대하여 정비확인이 이루어 졌을 것(이 경


우 해당되는 경우에 한한다)
4) 예상되는 비행조건을 고려하여 항공기의 중량 및 무게중심 위치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을 것
5) 탑재 하중이 적절히 분배되고 안전하게 고정되어 있을 것
6) 비행교범 상의 항공기운항 제한치를 초과하지 않을 것

나. 기장은 항공기 출발 전 가항에서 규정한 요건을 충족하였다고 판단될 경우 탑재용


항공일지에 확인서명을 하여야 한다.

8.1.9.6 운항시설의 적합성(Adequacy of Operating Facilities)


항공기를 운항하고자 하는 자는 지상 또는 수상에 설치된 통신시설 및 항행안전시설을
포함하여 항공기의 안전운항 및 비행과 직접 연관된 시설, 지역의 상태가 적합하다고 판
단되지 않는 한 비행을 시작하여서는 아니 된다.

8.1.9.6A 운영자 통보(Operator notification)


운영자의 운영기지가 항공기 등록국가가 아닌 국가에 위치하고 있다면, 운영자는 운영기
지가 위치해 있는 국가에 통보해야 한다. 이 경우, 운영기지에 대한 안전 및 보안 감독
은 운영기지가 위치한 국가와 등록국간에 협조하여야 한다.

8.1.9.7 기상보고 및 예보(Meteorological Reports and Forecasts)


가. 기장은 비행을 시작하기 전에 수행하고자 하는 비행과 관련된 이용가능한 모든 기상
정보를 파악하여야 한다.

나. 기장은 원거리 비행계획을 준비하거나 계기비행방식(IFR)에 의해 비행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사항을 준비하여야 한다.
1) 이용 가능한 현재의 기상보고 및 예보에 대한 검토
2) 기상상태로 인하여 계획된 대로 비행을 완료하지 못할 경우에 예비계획
주1. 비행계획 단계에서 착륙비행장으로 지정할 때보다 교체비행장으로 지정할 때 더
높은 착륙최저치를 공시할 수 있다.
주2. 비행계획서에 관한 세부사항은 ICAO 부속서 2 PANS-ATM(Doc 4444)에 수록되
어 있다.

8.1.9.8 시계비행방식 비행을 위한 기상제한(Weather Limitations for VFR Flights)


시계비행방식(VFR)에 의한 비행을 하고자 하는 자는 시계비행방식에 의한 비행을 하고
자 하는 비행노선 또는 지역에서 이용 가능한 현재의 기상보고 또는 예보 등의 기상조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이 시계비행방식에 의한 비행을 하는데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비행을 시작하여서는 아


니 된다.
주. 시계비행규칙에 따라 비행할 때에는, NVIS(night vision imaging systems)를 사용
하여도 8.1.9.8에 따라야 한다.

8.1.9.9 계기비행방식 비행시 목적공항 기상(IFR Destination Aerodromes)


가. 계기비행방식(IFR)에 의한 비행을 하고자 하는 자는 다음에서 정한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한 비행을 시작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출발공항의 기상이 최저기상치 이상일 것
2) 교체비행장 요건에 따라 선정된 교체공항 또는 착륙예정공항의 기상보고 또는 기상
예보가 공항사용예정시간에 최저기상치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이륙 또는 재 비행계
획지점을 초과하여 비행을 계속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각각의 교체공항에서 접근 및 착륙이 안전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운항증명소지자가
수립한 공항 최저기상치에 운고 및 시정 증가분을 가산하여 적정한 안전 마진(Margin)을
설정하여야 한다.
다.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은 운항증명소지자 이외의 항공기운영자의 시간여유분
(Margin of Time)을 포함한 공항 사용예정시간(Estimated Time of Use) 사용을 위
한 기준을 승인할 수 있다.
주. ‘사용예정시간’은 도착 1시간 전후로 간주되며, 세부사항은 Flight Planning and Fue
l Management Manual(Doc 9976)에 따른다.

8.1.9.10 계기비행방식으로 비행시 교체비행장 요건(IFR Destination Alternate


Requirement)
가. 계기비행규칙(IFR)에 의한 비행을 하고자 하는 자는 다음에서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비행계획서에 최소한 1개의 목적지 교체비행장을 정하지 아니하고 비행을 시작하여
서는 아니 된다.
1) 출발공항 또는 비행 중 재비행계획 지점(point of in-flight re-planning)부터 목적
지공항까지 비행하는 동안 비행과 관련한 모든 기상조건 및 운항정보를 고려하여 공
항사용예정시간에 다음 사항을 고려한 경우
가) 시계기상상태(VMC) 하에서 접근 및 착륙이 가능
나) 분리활주로(separate runways)가 공항사용예정시간에 사용가능하며, 적어도 1개의 활
주로는 사용가능한 계기접근절차를 갖추고 있을 것
2) 목적지 공항이 고립공항인 경우
가) 착륙하려는 공항에 표준계기접근철차가 수립되어 있을 것(운항증명소지자의 경우
에는 적용하지 아니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나) 고립공항으로 비행하기 위해서는 귀환불능지점(Point of no return)이 결정되어


있을 것
다) 운항증명소지자의 경우에는 공항사용 예정시간에서의 기상상태, 교통량, 기타 운항
상태가 안전한 착륙을 수행할 수 있음을 지시하지 않는 한 귀환불능지점을 초과하여
비행하지 말 것
라) 운항증명소지자 이외의 경우에는 공항사용 예정시간에서의 기상상태가 다음 사항을
충족하지 않는 한 귀환불능지점을 초과하여 비행하지 말 것
① 운고(雲高)가 계기접근절차의 최저치 보다 300m(1,000ft) 이상
② 시정이 5,500m(3 NM) 이상이거나 표준 계기접근 절차의 최저치보다 4,000m(2 N
M) 이상
주1. 분리활주로는 동일 공항에 2개 이상의 활주로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1개의 활주로가
폐쇄되더라도 다른 활주로로 운항할 수 있다.
주2. 고립공항까지의 운항계획 수립을 위한 세부사항은 Flight Planning and Fuel
Management(FPFM) Manual(Doc 9976)에 수록되어 있다.
나. 운항증명 소지자는 목적지공항의 기상상태가 다음 사항과 같은 경우 최소한 2개의
목적지 교체공항을 선정하여야 한다.
1) 사용예정시간에서의 기상상태가 운항증명소지자가 수립한 비행장 기상최저치 미만
2) 목적지공항의 기상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다. 이륙교체공항, 항로상교체공항 및 목적지교체공항의 요건에도 불구하고 운항증명소
지자가 실시한 위험평가결과 동등한 수준의 안전이 보장됨을 증명할 경우 운항증명
소지자는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의 승인을 받아 교체비행장 선정기준을
변경
1) 운영증명소지자의 능력
2) 비행기 및 관련 시스템의 전체 능력
3) 이용가능한 공항의 기술, 능력 및 하부구조
4) 기상정보의 신뢰성 및 품질
5) 교체공항과 관련된 확인된 위험 및 위험평가
6) 특정한 완화 조치
주. 안전위험평가, 편차샘플을 포함한 편차결정은 Flight Planning and Fuel Management
(FPFM) Manual(Doc 9976) 및 Safety Management Manual(SMM)(Doc 9859)을 참
조한다.

8.1.9.11 계기비행방식의 비행을 위한 교체비행장 선정기준(IFR Alternate Aerodrome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Selection Criteria)
가. 교체비행장 최저기상치가 공표된 경우 항공기운영자는 계기비행방식(IFR)에 의한 비행
계획 시 교체비행장 도착예정시간에서의 기상예보가 다음 사항을 충족하는 교체비행장을
선정하여야 한다.
1) 운항증명소지자 이외의 경우에는 출발공항에서 이륙 시점에 교체비행장이 최저기상
치 이상일 것
2) 운항증명 소지자의 경우에는 다음 사항의 시점에서 운항증명 소지자가 수립한 최저
기상치 이상일 것
가) 출발공항 이륙 시점 또는
나) 재 비행계획지점

나. 교체비행장 최저기상치가 공표되지 않았고 계기비행방식에 의한 교체비행장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 기장은 교체비행장 도착예정시간의 기상조건이 다음 각 호에서 정한
기상치 이상임을 확인하여야 한다.
1) 정밀접근 : 운고 180m(600ft) 및 시정 3km(2 statute miles) 이상
2) 비정밀접근 : 운고 240m(800ft) 및 시정 5km(3 statute miles) 이상

다. 가항 및 나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기장의 경우에는


운영기준(Operations Specifications)에 정하여 항공당국의 인가를 받은 경우, 승인
받은 교체비행장 최저 기상치를 적용할 수 있다.

8.1.9.12 <삭 제 ; 2014.10.31 >

8.1.9.13 연료, 오일탑재 계획 및 불확실 요인의 보정(Fuel, Oil Planning and


Contingency Factors)
항공법 시행규칙 제136조 및 별표 23(항공기에 실어야 할 연료 및 오일의 양)에서 정한 연료는
다음 기준에 따라 산정되어야 한다.

가. 항공기는 계획된 비행을 안전하게 완수하고 계획된 운항과의 편차를 감안하여 충분한
연료를 탑재하여야 한다.

나. 탑재연료량은 적어도 다음 사항을 근거로 산출되어야 한다.


1) 연료소모감시시스템에서 얻은 특정 항공기의 최신자료 또는 항공기 제작사에서 제공된
자료
2) 비행계획에 포함되어야할 운항 조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가) 예상 항공기 중량
나) 항공고시보(NOTAM)
다) 현재 기상보고 또는 기상보고 및 기상예보의 조합
라) 항공교통업무 절차, 제한사항 및 예측된 지연
마) 정비이월, 외장변경의 영향
바) 항공기 착륙지연 또는 연료와 오일의 소모를 증가시킬만한 사항

다. 비행중 연료관리(In-flight Fuel Management)


1) 기장은 착륙할 때 계획된 최종예비연료가 남아있고 안전한 착륙이 가능한 공항까지 도달
하는데 필요한 연료보다 탑재된 사용가능한 연료량이 적지 않음을 지속적으로 확인하
여야 한다.
주. 최종예비연료(final reserve fuel) 보호는 기존의 계획대로 안전한 운항이 종료될
수 없는 예기치 못한 사건이 발생할 경우 어떠한 공항에도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
기 위함이다. 재분석, 조정, 재계획 검토를 포함한 비행 중 계획에 관한 세부사항은
Flight Planning and Fuel Management Manual(Doc 9976)을 참조한다.
가) 기장은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하여 최종예비연료에다 교체공항까지 비행하는 연
료를 더한 양 또는 고립공항까지 비행하는데 필요한 연료를 더한 양보다 적은 연
료로 목적공항에 착륙이 예상되는 경우 ATC로부터 지연정보를 요청하여야 한다.
나) 특정 공항에 착륙하려고 할 때, 그 공항에 대한 기존 허가의 어떤 변경도 계획된
최종예비연료보다 적은 연료로 착륙할 수 있다고 예상될 때 기장은 MINIMUM FU
EL 선언하여 최소연료 상태임을 ATC에 알려야 한다.
주1. MINIMUM FUEL 선언은 특정공항에 착륙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기존 허가에 어
떤 변경이 발생하면 계획된 최종예비연료보다 적은 연료로 착륙할 수 있음을 AT
C에 통지하는 것이다. 이는 비상상황은 아니지만 추가적인 지연이 발생하면 비상
상황으로 될 수 있는 있는 상황이다.
주2. MINIMUM FUEL 선언에 관한 지침은 연료계획교범(Doc 9976)을 참조한다.
다) 기장은 착륙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공항에 착륙할 때, 예상되는
사용가능한 연료가 계획된 최종예비연료보다 적을 경우 MAYDAY MAYDAY MAYD
AY FUEL 방송을 통해 연료 비상상황을 선언해야 한다.
주1. 계획된 최종예비연료는 8.1.9.15 나. 2) 마) ① 또는 ②항에서 산정된 값을 의미하며,
어느 공항이더라도 착륙에 필요한 연료의 최소량이다.
주2. “MAYDAY FUEL" 이란 용어는 [국제민간항공협약 부속서 10, 제 2권, 5.3.2.1 b)
3]에서 요구되는 조난상황의 특성을 표현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주3. 비행 중 연료관리절차에 관한 지침은 연료계획교범(Doc 9976)을 참조한다.


라. 삭제 <2016.11.00.>
마. 삭제 <2016.11.00.>
바 삭제 <2016.11.00.>
아. 삭제 <2016.11.00.>

8.1.9.14 시계비행방식 비행을 위한 최소연료탑재량(Minimum Fuel Supply for VFR


Flights)
가. 시행규칙 제136조 및 별표 23에서 정한 연료량을 탑재하여야 한다.
나. 항공기운영자는 비행 전 계획했던 기존의 의도대로 비행이 시작되지 않았다면 연료
사용을 재분석하여야 하며, 필요할 경우 계획된 운항을 조정하여야 한다.

8.1.9.15 계기비행방식 비행을 위한 최소연료탑재량(Minimum Fuel Supply for IFR


Flights)

가. 운송사업용 비행기 외의 비행기


1) 항공기운영자는 항공기가 안전하게 비행을 완수할 수 있도록 비행노선의 기상조건
및 비행이 지연될 것을 고려하여 충분한 연료를 탑재하지 않으면 비행을 해서는 아니 된
다.
2) 항공기운영자는 8.1.9.10에 따라 교체비행장이 요구되지 않는 상태에서 계기비행방
식으로 운항하거나, 고립공항으로 운항할 경우에는 목적지 비행장까지 비행 후에 순
항고도로 최소 45분 간 비행할 수 있는 최종예비연료량 또는,
3) 항공기운영자는 계기비행방식으로 운영하면서 목적지 교체비행장이 요구되는 경우,
목적지 교체비행장까지 비행 그리고 교체비행장까지 비행 후에 순항고도로 최소 45
분간 비행할 수 있는 최종 예비연료(Final reserve fuel)
주. 고립공항(isolated aerodrome) 운항계획 수립을 위한 세부사항은 Flight Planning
and Fuel Management Manual(Doc 9976)에 따른다.
4) 항공기운영자는 비행 전 계획했던 기존의 의도대로 비행이 시작되지 않았다면 연료
사용을 재분석하여야 하며, 필요할 경우 계획된 운항을 조정하여야 한다.

나. 운송사업용 비행기
1) 운항증명소지자는 비행 전 요구되는 탑재연료량 산정은 다음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가) 지상활주연료(Taxi Fuel)
이륙공항의 현지조건 및 보조동력장치(APU)의 연료소모량을 고려하여 이륙 전에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소모될 것으로 예측되는 연료


나) 운항연료(Trip Fuel)
항공기가 이륙부터 또는 비행중 재 비행계획 지점(point of in-flight re-planning)부
터 나. 2)항의 운항조건을 고려하여 목적공항에 착륙할 때까지 요구되는 연료
다) 보정연료(Contingency Fuel)
예상치 못한 요인(unforeseen factor)에 대비하기 위한 연료로서 계획된 운항연료
의 5퍼센트 또는 비행중 재 비행계획 지점(point of in-flight re-planning)에서
요구되는 운항연료의 5퍼센트에 해당하는 보정연료를 탑재할 수 있다. 다만, 항로
상 교체공항(En-route Alternate)이 별표 8.1.9.13에서 정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운항연료의 3퍼센트에 해당하는 보정연료를 탑재할 수 있다. 보정연료는 표준대기
상태에서 목적공항 상공 450m(1,500 ft)에서 5분간 체공할 수 있는 양보다 적어
서는 아니 된다.
주. 예측치 못한 요인들(Unforeseen factors)은 목적공항까지의 연료소모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는 요인들로 예상연료 소모데이터와 각 비행기별 편차, 기상예보의 편차,
지연의 연장(지상 또는 공중), 계획된 항로․순항고도의 편차 등이다.
라) 목적지교체공항 연료(Destination Alternate Fuel)
① 목적지교체공항이 요구되는 경우, 다음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연료량
㉮ 목적공항에서 실패접근
㉯ 예상 순항고도까지 상승
㉰ 예상항로 비행
㉱ 예상접근이 시작되는 시점까지 강하
㉲ 목적지교체공항에 접근 및 착륙
② 두 개의 목적지 교체공항이 필요한 경우 1) 라) ①에 따라 산정된 두 교체공항 연료
중 더 많은 연료량
③ 목적지교체공항 없는 비행의 경우 표준대기상태에서 항공기가 목적공항 상공 450m
(1,500ft)에서 체공속도로 15분 동안 비행하기 위한 연료량
④ 목적공항이 고립공항(Isolated Airdrome)인 경우
㉮ 왕복엔진 항공기의 경우, 최종예비연료를 포함하여 순항고도에서 45분간 비행 할
수 있는 연료에다 순항고도에서 비행시간의 15퍼센트에 해당하는 연료를 합한
연료량 또는 2시간 연료 중 더 적은 연료량
㉯ 터빈엔진 항공기의 경우, 최종예비연료(final reserve fuel)를 포함하여 목적공
항 상공에서 정상적인 순항 연료소모율로 2시간 비행할 수 있는 연료량
마) 최종예비연료(Final Reserve Fuel)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목적공항 또는 목적지 교체공항이 요구되지 않을 때 목적공항에 도착 시의 예상중


량을 이용해 산정될 수 있는 연료로 다음과 같다.
① 왕복엔진 항공기의 경우, 순항속도 및 순항고도로 45분 비행할 수 있는 연료량
② 터빈엔진 항공기의 경우, 공항 450m(1,500 ft) 상공, 표준대기 상태에서 체공
속도로 30분 동안 비행할 수 있는 연료량
바) 추가연료(Additional Fuel)
1) 나)부터 마)까지 따라 산정된 최소연료가 다음을 수행하는데 불충분할 경우
추가로 탑재하는 연료이다.
① 항공기가 항로상 가장 심각한 임계점에서 엔진고장 또는 여압장치 고장이 발생한
것을 가정하여, 둘 중 더 많은 연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교체공항으로 비행하여
다음을 포함하는 연료
㉮ 표준대기 상태에서 공항 450m(1,500 ft) 상공에서 체공속도로 15분 동안 비행
㉯ 접근 및 착륙
② 회항시간 연장운항(EDTO) 임계연료 시나리오에 부합하여 항공기가 회항시간 연
장운항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연료(회항시간 연장운항 임계연료 시나리오에 관한
지침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부속서 6, 1권 첨부 D를 참조한다.)
③ ① 및 ②에서 언급되지 않은 기타 추가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연료
사) 재량연료(Discretionary Fuel)
항공기 기장의 재량에 의해 추가로 탑재되는 여분의 연료
3) 운영자는 항공기 형식 등을 고려하여 최종예비연료를 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4) 1) 가)부터 마)까지 및 필요 시 바)의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한 비행을 시작해서는
아니 되며, 1) 나)부터 마)까지 및 필요 시 바)의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한 재 비행
계획 지점을 지나 계속 비행해서는 아니 된다.
5) 1) 가)부터 라)까지 및 바)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국토교통부장관은 운영자가 동등
한 안전수준을 증명하는 구체적인 안전위험평가를 근거하여 비행 전 지상활주연료,
운항연료, 보정연료, 목적지교체공항연료와 추가연료 산정방법을 예외적으로 적용하
여 인가할 수 있으며, 안전위험평가는 적어도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가) 비행연료 산정
나) 운영자의 능력
① 연료소모 감시프로그램을 포함한 데이터기반 방식에 대한 능력
② 높은 수준의 교체공항 사용 능력
다) 구체적인 위험완화 조치
주. 구체적인 안전위험평가 지침, 연료소모량 감시프로그램 및 교체공항의 사용은 연료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계획교범(Doc 9976)을 참조한다.


6) 항공기운영자는 비행 전 수립한 계획에 따라 비행이 시작되지 않았을 경우 연료 사용을
재분석하여야 하며, 필요할 경우에는 계획된 운항을 조정하여야 한다.
주. 이륙 전 보정연료(Contingency Fuel) 사용을 시작할 경우 재분석, 조정, 재계획
검토를 포함한 비행 중 연료 관리 절차에 관한 세부사항은 Flight Planning and Fue
l Management Manual(Doc 9976)을 참조한다.

8.1.9.16 항공기 적재 및 중량배분(Aircraft Loading, Mass and Balance)


가. 기장은 탑재된 모든 짐이 적절히 배분되고 안전하게 고정되지 않는 한 항공기를 운
항시켜서는 아니 된다.

나. 기장은 항공기 중량에 대한 계산과 중량중심의 위치가 예상되는 비행조건을 고려하


여 해당 비행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 한 운항하여서는 아
니 된다.
주.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운항에서 운항증명소지자가 탑재관리사(Load master) 또는
자격을 구비한 자를 지정할 경우 기장은 이들에게 책임을 위임할 수 있으나 적재
절차가 적절히 준수되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다.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운항을 하는 경우에는 기장은 탑재명세서에 명시된 적재와 중


량배분의 계산이 정확하게 항공기 제한범위를 충족하지 않는 한 비행을 시작하여서
는 아니 된다.

8.1.9.17 모든 탑재명세서에서 고려하여야 할 최대허용중량(Maximum Allowable


Weights to be Considered on All Load Manifests)
기장은 해당 비행편의 최대허용중량이 다음의 조건하에서 최대허용이륙중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 이륙시간대에 사용 가능한 특정 활주로 및 상태;
2) 예상되는 연료 및 오일 소모량이 적용할 수 있는 항로상 운항성능, 착륙중량 및 목
적 공항과 교체공항의 착륙활주로길이 제한 등에 적합한 지의 여부

8.1.9.18 비행허가 : 시설과 항공고시보(Flight Release: Facilities and NOTAMs)


가. 항공기 소유자 등은 해당 비행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적
합한 통신 및 항법시설이 없는 항로상으로 비행하거나, 비행을 허가해서는 아니된다.

나. 운항관리사는 당해 비행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공항상태와 항행안전시설의 이


상상태에 관한 제반 정보를 기장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주. 운항비행계획서 검토시 기장에게 항로, 시설 및 공항 등에 관련된 이용 가능한


모든 항공고시보(NOTAMS)를 제공하여야 한다.

8.1.9.19 항공정보의 제공(Dissemination of the aeronautical information)


항공기 소유자 등은 운항승무원 및 운항담당자에게 항공고시보(NOTAM), 항공정보간행
물(AIP), 항공정보규정(AIRAC) 및 항공정보회람(AIC)에 수록된 정보를 배포하기 위한
적절한 절차를 수립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8.1.9.20 삭제 <2016.11.00.>

8.1.9.21 삭제 <2016.11.00.>

8.1.10 항공기 성능 및 운항제한(AIRCRAFT PERFORMANCE AND OPERATING


LIMITATIONS)
8.1.10.1 적용(Applicability)
이 절에서는 ICAO 부속서 8의 규정에 의해 증명을 받은 대한민국에 등록된 모든 항공
기에 대한 성능 및 운항제한에 대하여 규정한다.

8.1.10.2 일반사항(General)
가. 항공기 소유자 등은 다음의 사항을 초과하여서는 항공기를 운항해서는 아니 된다.
1) 국토교통부장관이 특별히 규정한 성능제한; 또는
2) 비행교범(AFM)의 운항제한 또는 이와 동등한 효력을 갖는 규정에서 제한한 사항

나. 항공기 소유자 등은 다음에 따라 항공기를 운항하여 한다.


1) 국토교통부장관이 인가한 항공기 감항증명서 또는 이와 동등한 서류에 명시된 조건
2) 국토교통부장관이 특별히 정한 운항제한 사항
3) 부속서 16, 제1권의 소음적합증명에 적용하는 규정을 이행하기 위한 중량의 제한사
항(특별히 국토교통부장관에 의해 달리 허가된 경우는 제외)

다. < 삭 제 ; 2014.10.31 >

8.1.10.3 비행성능 계산(Aircraft Performance Calculations)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비행교범(AFM)에 포함된 성능자료 또는 다른 인가된 자료가
8.4.5의 요건에 따라 결정되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나. 성능자료 적용시 성능 산출은 항공기 외형(Configuration), 환경 조건, 성능에 악 영


향을 미칠 수 있는 시스템 작동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8.1.10.4 총 중량 및 장애물 통과제한(General Weight and Obstruction Clearance


Limitations)
가. 기장은 비행시 최대허용중량이 다음 각 호를 고려한 최대허용이․착륙중량, 또는 항로
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성능, 또는 착륙거리제한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
지 아니하고 이륙해서는 아니 된다.
1) 사용될 이․착륙 지역의 조건
2) 사용될 활주로의 경사도(육상항공기만 해당)
3) 기압고도
4) 외기온도
5) 현재의 기상보고 또는 예보된 바람
6)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떤 알고 있는 조건 즉, 대기와 항공기 외형
(Configuration) 등

나. 기장은 정상적인 엔진 작동 가정 하에 예정된 항로 또는 계획된 회항 경로상의 모든


지점을 포함한 비행단계에서 모든 장애물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없는 중량으로 이륙
해서는 아니 된다.

다. 기장은 어떠한 경우에도 이륙 시 중량이 비행교범이 정하는 기압고도별 최대이륙중


량을 초과하도록 해서는 아니 된다.

라. 기장은 어떠한 경우에도 이륙 시 중량이 비행교범이 정하는 기압고도별 최대중량을


초과하도록 해서는 아니 된다.

마. 기장은 어떠한 경우에도 이륙 시 또는 착륙 시 중량이 부속서 16, Volume 1에 의


해 발행된 소음증명으로 부과된 최대중량을 초과하도록 해서는 아니 된다 . 다만 달
리 규정된 공항 또는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달리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바. < 삭 제 ; 2014.10.31 >
사. < 삭 제 ; 2014.10.31 >
아. < 삭 제 ; 2014.10.31 >

8.1.10.5 기록 등의 보존(Retention and Maintenance of Record)


항공기 소유자 및 운영자 등은 별표 9.1.15.2.5의 규정을 준용하여 기록물을 기록유지하
고 보관해야 한다.

8.1.11 비행규칙 (FLIGHT RULES)


8.1.11.1 지상에서의 항공기 운영(Operation of Aircraft on the Ground)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가. 공항의 이동지역 내에서 항공기를 지상 활주를 시키고자 하는 자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제반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1) 항공기의 운영자, 소유자, 임차자, 또는 지정된 대리인으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을 것
2) 항공기를 지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보유할 것
3) 무선통신이 필요한 경우 무선통신기 이용자격을 갖출 것
4) 공항배치, 이동로, 신호, 표지, 등화, 관제신호 및 지시, 관제용어 및 절차 등의 공항
정보에 관하여 자격이 있는 자로부터 교육을 받고 공항에서 항공기를 안전하게 이동
시키는데 필요한 운항기준을 준수할 수 있을 것
나. <삭 제 ; 2014.10.31 >

8.1.11.2 이륙조건(Takeoff Conditions)


기장은 이륙을 시작하기 전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확인하여야 한다.
1) 이용 가능한 제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공항의 기상과 사용할 활주로의
상태가 항공기를 안전하게 이륙 및 출발시킬 수 있는 지의 여부; 그리고
2) 항공기의 이륙방향 활주로가시범위(RVR) 또는 시정(Visibility)이 적용 이륙기상최저
치와 같거나 그 이상임을 확인하여야 한다.

8.1.11.3 착빙지역 또는 착빙이 예상되는 지역으로의 운항(Flight into Known or


Expected Icing)
가. 항공기 운영자는 항공기가 착빙 가능상태에서의 운항이 승인되고 충분한 제빙 또는
방빙장치를 갖추고 있지 않는 한, 착빙이 예상되거나 조우된 지역 또는 항로로 항공
기를 이륙시키거나 계속해서 운항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나. 항공기 운영자는 항공기의 성능 또는 조종에 악영향을 미치는 서리, 얼음 또는 눈이


항공기의 날개, 조종면, 프로펠러, 엔진 흡입구 또는 기타 중요표면에 붙어 있는 상
태로 항공기를 이륙시켜서는 아니된다.

다. 항공기운영자는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운항에 있어 서리, 얼음 또는 눈이 항공기에


부착되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승인을 받은 절차에 따라 지상
에서 방빙 또는 제빙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항공기를 이륙시켜서는 아니 된다.

주. 항공기 지상 제빙/방빙에 대한 세부사항은 Manual of Aircraft Ground


De-icing/Anti-icing Operations(Doc 9640)에 있다.

8.1.11.4 고도계의 설정(Altimeter Settings)


가. 기장은 다음 각 호와 같이 고도계 수정치(Altimeter Set)를 기준으로 순항고도를 유
지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1) 해면고도 1만4천 피트 미만에서는 다음 각목과 같이 고도계 수정치를 맞춘다.


주. 동 요건은 공역내 및 항로상에서 운항하는 항공기가 해면고도 1만4천 피트 미만
에서 29.92인치를 사용하도록 요구된 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가) 항로상에서 항공기로부터 100해리 이내에 위치한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통보
된 고도계 수정치
나) 항로상에 항공교통관제기관이 없는 경우, 근접한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통보
된 고도계 수정치
다) 항공기에 무선통신시설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 출발공항의 고도 혹은 출발이전 이
용가능 한 적정 고도계 수정치
2) 해면고도 1만4천 피트 이상의 고도에서는 29.92 인치를 맞춘다.

나. 기장은 이용할 수 있는 최저 비행고도를 결정하기 위하여서는 별표 8.1.11.4의 표를


참조한다.

8.1.11.5 최저안전고도 : 일반사항(Minimum Safe Altitudes: General)


조종사는 이착륙을 제외하고 다음 각 호에서 정한 고도 미만에서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 된다
1) 모든 지역 : 동력장치가 고장났을 경우 지상시설 또는 인명에 위험을 주지 않고 비
상착륙을 하거나 비행을 계속할 수 있는 고도
2) 혼잡지역 상공 : 도시, 마을 혹은 집단적으로 사람들이 노출되어 있는 혼잡한 지역
상공을 비행중일 경우, 항공기의 수평반경 600미터(2,000피트)의 범위 내에서 가장
높은 장애물 위로 300미터(1,000피트)의 고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고도
3) 혼잡지역 상공 이외의 지역 : 사람, 선박, 자동차 혹은 여타 구조물의 150미터(500
피트) 이내로 근접하여 운항할 수 없는 인적이 드문 지역 혹은 수면위를 제외하고
지표면에서 150미터(500피트)의 고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고도
4) < 삭 제 ; 2014.10.31 >

8.1.11.6 계기접근운영 최저기상치(Instrument Approach Operating Minima)


가. 운항증명 소지자는 별표 8.1.11.6에 따라 취항하는 각 비행장의 운항 최저치를 수립하여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비행장 운항 최저치는 해당
공항을 관할하는 그 국가가 특별히 인가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최저치보다 낮아서는 아니
된다.
나. 운항증명 소지자 이외의 비행기 기장은 운항하려는 각 비행장마다 등록국가에 의해
명기된 기준에 의거하여 공항 운영최저치를 수립하여야 한다. 이러한 최저치는 공항
등록국가가 특별히 인가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국가가 그 공항에 대하여 정한 최저치
보다 낮아서는 아니 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다. 운항증명 소지자는 활주로가시범위(RVR)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 Cate


gory II 및 Category III 계기접근(Instrument approach operations)을 시도하여서는 아
니 된다.
라. 운항증명 소지자는 활주로가시범위(RVR)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시정 800m
(2,600ft) 미만에서 계기접근(Instrument Approach Operations)을 시도하여서는 아니
된다.
마.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은 자동착륙시스템, 전방시현장치(HUD) 또는 동등한
시현장치, 시각강화시스템(EVS), 시각합성시스템(SVS) 또는 시각통합시스템(CVS)을
탑재한 비행기의 운항기준 완화(Operational Credit)를 승인할 수 있다. 이러한 승인은
계기접근절차의 분류에 영향을 주어서는 아니 된다.
주1. 운항기준 완화(Operational Credit)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한다.
1) 접근 금지(8.1.11.43 나항)를 목적으로 한 비행장 운항 최저치 미만의 기상최저치
설정
2) 시정요건 감축 또는 충족
3) 비행 중 성능(Airborne Capabilities)이 지원됨에 따라 요구되는 지상시설 감소
주2. 자동착륙시스템, 전방시현장치(HUD) 또는 동등한 시현장치, 시각강화시스템(EV
S), 시각합성시스템(SVS) 또는 시각통합시스템(CVS)을 탑재한 비행기의 운항기준
완화(Operational Credit)와 이에 관련된 세부사항은 별표 7.1.21.11과 Manual of
All-Weather Operations(Doc 9365)에 수록되어 있다.
주3. RTCA와 EUROCAE 문서 참고자료를 포함한 전방시현장치(HUD) 또는 동등한 시
현장치와 이에 관련된 정보는 All-Weather Operations(Doc 9365)에 수록되어
있다.
바. 계기접근운영(Instrument approach operations)은 다음 각 호와 같이 분류되며 분류
된 기준 이하로 계기접근운영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1) Type A : 75m(250ft)이상의 최저강하고도 또는 결심고도
2) Type B : 75m(250ft) 미만의 결심고도.
(가) Category-Ⅰ(CAT I): 결심고도가 60m (200ft) 이상이고, 시정 800m 이상 또는 활주
로 가시범위(RVR)가 550m 이상
(나) Category II(CAT II) : 결심고도가 30m (100ft) 이상 60m(200ft) 미만이고, 활주로
가시범위(RVR)가 300m이상
(다) Category IIIA(CAT IIIA) : 결심고도가 30m(100ft) 미만이거나 결심고도를 적용하
지 않으며(No DH), 활주로 가시범위(RVR)가 175m 이상
(라) Category IIIB(CAT IIIB) : 결심고도가 15m(50ft) 미만이거나 결심고도를 적용하지
않으며(No DH), 활주로 가시범위(RVR)가 50m이상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마) Category IIIC (CAT IIIC) : 결심고도를 적용하지 않고(No DH), 활주로 가시범위
(RVR)의 제한이 없음.
사. 계기접근절차를 사용한 2D 계기접근운영을 위한 운영최저치는 수립된 최저강하고도(MDA)
또는 최저강하높이(MDH), 최저시정 그리고 필요시 구름상태에 의해 결정하여야 한다.
아. 계기접근절차를 사용한 3D 계기접근절차운영을 위한 운영최저치는 수립된 결심고도(DA)
또는 결심높이(DH) 그리고 최저시정 또는 활주로시정(RVR)에 의해 결정하여야 한다.

8.1.11.6A 삭제 <2016.11.00.>

8.1.11.6B 삭제 <2016.11.00.>

8.1.11.7 정밀계기접근 제2종 및 제3종(CAT II, III) 운항 : 일반운항규칙(Category II


and III Operations: General Operating Rules)
가. 항공기가 정밀계기접근 제2종 및 제3종(CAT-II, III) 운항을 위해서는 다음 각 호를
충족하여야 한다.
1) 기장과 부기장(Co-pilot)은 정밀계기접근 운항에 적합한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2) 각 운항승무원은 사용하고자 하는 항공기 및 절차에 대한 적절한 지식을 보유하고
익숙하여야 한다.
3) 항공기를 조종하고 있는 조종사의 전방에 있는 계기 판넬에 사용되는 비행조작유도
장치(Flight Control Guidance System) 유형에 적합한 계기가 있어야 한다.

나.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득한 경우를 제외하고 정밀계기접근 제2종


또는 제3종 운항을 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지상장비와 항공기 장비가 설치 또는 장착
되고 정상적으로 작동되어야 한다.

다. 접근절차가 있고 결심고도(DH)를 사용하여야 할 때 결심고도는 다음 중 가장 높은


것을 사용한다.
1) 접근절차에서 정한 결심고도(DH)
2) 기장에게 적용되는 결심고도(DH)
3) 해당 항공기에 장착된 장비에 적용되는 결심고도(DH)

라.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별도의 승인을 득한 경우를 제외하고 결심고도(DH)의 사용


이 요구되는 정밀계기접근 제2종 또는 제3종 운항을 하고자 하는 조종사는 다음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가 받은 결심고도(DH) 이하로 계속 접근을 하여
서는 아니 된다.
1) 항공기가 정상적인 조작 및 강하율로 강하하여 활주로의 접지구역 내에 접지, 착륙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2) 조종사가 다음의 시각 참조물(Visual references)중 최소한 1개는 명확히 보고 이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가) 접근등 시스템 : 적색측면등(red side row bars) 또는 적색 말단등(red terminating
bars)이 명확하게 보이지도 않고 참조할 수 없는 상태에서 진입등(approach
lights)만을 참조하여 활주로의 접지구역표면으로부터 30미터(100피트)높이의 고
도 미만으로 강하할 수 없다.
나) 활주로 말단 (Threshold)
다) 활주로 말단 표시 (Threshold markings)
라) 활주로 말단등 (Threshold lights)
마) 접지구역 또는 접지구역표지 (Touchdown zone or touchdown zone markings)
바) 접지구역등 (Touchdown zone lights)

마.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득하지 않는 한 항공기를 조종하는 각 조종


사는 라항의 요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즉시 실패접근을 수행하여야 한다.

바. 결심고도(DH) 없이 제3종 정밀계기접근을 하고자 하는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발행


한 승인서에 명시된 규정을 따르지 아니하고서는 항공기를 착륙시킬 수 없다.

사. 가항 내지 바항은 운항증명을 받은 항공운송사업자에 의해 운항되는 항공기에는 적용


되지 아니 한다. 항공기 운항이 운항증명소지자의 운영기준(Operations
Specifications)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는 한 정밀계기접근 제2종 또는 제3종 운항을 행
할 수 없다.

8.1.11.8 정밀계기접근 제2종 및 제3종 교범(Category II and Category III Manual)


가. 항공기 운영자는 다항의 규정을 제외하고 다음 각 호와 같은 조건이 갖추어지지 않
은 경우 정밀계기접근 제2종 또는 3종 운항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1) 항공기내에 당해 항공기에 적합한 현재 유효하고 인가된 정밀계기접근 제2종 또는
제3종 교범이 있을 것
2) 관련 교범에서 정한 절차, 지시 및 제한에 따라 운항이 이루어 질 것
3) 교범에 명시된 특정 정밀계기접근 제2종 또는 제3종 운항에 필요한 계기와 장비가
교범에 명시된 정비프로그램에 따라 점검되고 유지 될 것

나. 각 항공운송사업자는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 받은 교범 1부를 주 운항기지에


비치하여야 하며, 국토교통부 항공안전감독관 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지명한 자가
점검을 위하여 이를 요청 시 이용가능 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 가항과 나항은 제9장의 규정에 따라 발행된 운항증명소지자가 수행하는 운항에는 적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용되지 않는다.

라. 특정 정밀계기접근 제2종 교범의 요건은 별표 8.1.11.8에 규정한다.

8.1.11.9 다른 항공기와의 근접비행(Operating Near Other Aircraft)


가. 기장은 충돌사고를 발생시킬 정도로 다른 항공기에 근접하여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기장은 타 항공기의 기장과 사전협의 없이 편대비행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다. 항공기 운영자는 편대 비행하는 항공기에 승객을 수송하여서는 아니된다.

8.1.11.10 통행우선권 : 수상운항 제외(Right-of-Way Rules: Except Water


Operations)
가. 일반규칙
1) 조종사는 다른 항공기의 발견과 회피를 위해 외부 경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2) 조종사는 이 조항에 따른 통행우선권을 준수하여야 하며 통행우선권을 가진 항공기
가 있을 때 그 항공기의 위, 아래 또는 앞을 근접하여 통과하여서는 아니된다.

나. 조난에 처한 항공기 : 조난에 처한 항공기는 다른 항공기에 우선하여 통행 우선권을


가진다.

다. 집중시
1) 동일한 종류의 항공기가 거의 동일고도에서 집중되는 경우에는 우측 항공기가 우선
권을 가지게 된다.
2) 집중되는 항공기들의 종류가 상이하다면 다음과 같이 통행 우선권이 부여된다.
가) 기구는 다른 종류 항공기들에 대하여 통행 우선권을 가진다.
나) 글라이더는 비행선, 비행기 또는 회전익항공기에 대하여 통행 우선권을 가진다.
다) 비행선(Airship)은 비행기 또는 회전익항공기에 대하여 우선권을 가진다.

라. 예인 혹은 재급유 : 다른 항공기를 예인 또는 재급유 하는 항공기는 조난에 처한 항


공기를 제외하고 동력엔진에 의해 운항되는 다른 항공기에 우선하여 우선권을 가진다.

마. 정면접근 : 항공기가 정면으로 서로 접근할 때에는 각 조종사는 운항경로를 오른쪽


으로 변경한다.

바. 추월 : 추월되는 항공기는 통행 우선권을 가지게 되고 추월하는 항공기는 오른쪽으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로 운항경로를 변경하여 추월하여야 한다.

사. 착륙 : 착륙 중이거나 착륙을 위한 최종 접근로 상에 있는 항공기는 비행 중인 다른


항공기 또는 지상에서 이동중인 항공기에 대하여 통행우선권을 가진다.
주. 이미 착륙하여 활주로를 개방 중이거나 최종 접근로 상에 진입 중인 기장은 항공
기를 위한 통행 우선권을 갖기 위하여 이 규정을 이용하여서는 아니된다.

아. 2대 이상의 착륙항공기 : 2대 이상의 항공기가 착륙을 위하여 비행장으로 접근중일


때에는 더 낮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가 통행 우선권을 갖는다.
주. 기장은 최종 착륙중인 항공기의 앞에 끼어 들거나 그 항공기를 추월하기 위하여
이 조항에서 정한 규정을 이용하여서는 아니된다.

8.1.11.11 통행우선권 : 수상운항(Right-of-Way Rules: Water Operations)


가. 일반규칙 : 수상에서 항공기를 운항하고자 하는 자는 모든 선박과의 거리를 유지하
여야 하며 선박의 항법을 방해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이 조항의 규정에 의해 통행
우선권이 부여된 다른 선박 또는 다른 항공기에게 우선권을 양보하여야 한다.

나. 교차 : 항공기간 혹은 항공기와 선박이 교차하는 경우에는 우측에 위치한 항공기 혹


은 선박이 통행 우선권을 갖는다.

다. 정면접근 : 항공기 혹은 선박이 정면으로 접근하는 경우에는 각자가 우측으로 경로


를 변경하여야 한다.

라. 추월 : 추월을 당하는 항공기 혹은 선박이 우선권을 가지며 추월을 하는 선박 혹은


항공기는 항로를 변경하여야 한다.

마. 특정 환경 : 항공기 혹은 선박이 충돌위험이 있을 정도로 접근할 경우에는 각 항공


기 또는 선박은 각각의 제한사항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접근을 하여야 한다.

8.1.11.12 항공기 등불의 사용(Use of Aircraft Lights)


가. 항공기에 적색 충돌 방지등이 장치되었을 경우 기장은 엔진 시동 전에 스위치를 켜
야 하며 엔진이 작동되고 있는 동안에는 항상 등을 켜고 있어야 한다.

나. 기장은 다음 각 호와 같은 항공기 등불을 켜지 않으면 일몰과 일출사이의 시간동안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 된다.
1) 항행등
2) 공중충돌방지등(장착되어 있을 경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주. 섬광등이 임무를 수행하는데 나쁜 영향을 미치거나 외부에 있는 사람에게 눈부심을


주어 위험을 유발할 수 있는 경우 조종사는 섬광등을 끄거나 빛의 강도를 줄일 수
있다.

다. 기장은 다음 각 호의 1의 등화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에는 야간에 공항의 이동


지역 내에서 항공기를 계류시키거나 이동시켜서는 아니된다.
1) 항공기가 조명에 의해 명확하게 보일 것
2) 항공기가 항행등을 켤 것
3) 항공기가 장애등에 의해 표시된 지역에 있을 것

라. 항공기 운영자는 다음 각 호의 등화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에는 항공기를 정박 시


켜서는 아니 된다.
1) 항공기가 정박등(Anchor lights)을 켤 것
2) 항공기가 정박등이 요구되지 않는 지역에 있을 것

8.1.11.13 모의계기비행(Simulated Instrument Flight)


가. 항공기로 모의계기비행을 하는 경우는 다음 각 호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1) 완벽하게 작동하는 이중 조종 장치(Dual Control)를 장착하고 있을 것
2) 다른 조종석에는 최소한 자가용 조종사 자격증명과 운항하고자 하는 항공기에 적합
한 항공기 종류 및 등급 한정자격을 소지한 조종사가 안전한 비행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착석하여 있을 것
3) 안전한 비행이 이루어지도록 착석한 조종사가 항공기의 전방 및 양측면에 대한 적절
한 시계를 확보하고 있거나 또는 항공기내에 관숙승무원(Observer)이 있어 안전한
비행이 이루어지도록 착석한 조종사(safety pilot)의 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

나.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운항시 비정상 또는 비상상황 등을 모의하여 비행하여서는 아니


된다.

8.1.11.14 물건의 투하, 살포, 항공기 예항(Dropping, Spraying, Towing)


조종사는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경우
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가. 항공기에서의 물건의 투하, 살포
나. 항공기 또는 다른 물체의 예항
다. 낙하산 강하

8.1.11.15 시험비행 지역(Flight Test Areas)


수면 위 또는 교통량이 적은 인적이 드문 지역의 상공 이외의 지역에서 항공기 시험비행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8.1.11.16 비행금지공역과 비행제한공역(Prohibited Areas and Restricted Areas)


통제공역(비행금지공역과 비행제한공역) 및 설정된 특정구역에서는 제한조건을 준수하거
나 또는, 구역을 설정한 관련당국의 허가를 득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공기를 운항하여
서는 아니 된다.

8.1.11.17 성능기반항행 또는 수직분리축소 공역에서의 운항(Operations in PBN or


RVSM Airspace)
가. 대한민국에 등록된 항공기가 성능기반항행(PBN) 요구공역이나 수직분리축소(RVSM)
공역으로 지정된 공역을 운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나. 성능기반항행(PBN) 또는 수직분리축소 적용공역에서의 운항을 위한 절차 및 제한사


항을 따르지 않는 한 동 공역에서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 된다.
주. 비행단계별 PBN 적용은 다음 표와 같다.

비행 단계
항법 종류 해양/ 접근 이륙
대륙
원격 착륙
항로 초기 중간 최종 실패
항로
RNAV 10 10
RNAV 5 5 5
RNAV 2 2 2 2
b
RNAV 1 1 1 1 1 1 1
RNP 4 4
a,c a a ab a,c
Basic-RNP 1 1 1 1 1 1
RNP APCH 1 1 0.3 1
주 : (단위 : NM)
a. STAR와 SID에만 사용되도록 제한된다.
b. 실패접근단계의 초기상승 이후에만 설정할 수 있다.
c. 비행장 표점에서 30NM 이후는 경고기능의 정확도 범위가 2NM이다.

다. 지역항행협정에 의거 300m의 수직분리최저치가 적용되는 FL290이상의 공역을 운항


하고자 하는 항공기는 운항중인 고도를 표시하고 지정된 고도를 자동으로 유지하고,
지정 고도를 90m 이상 이탈하는 경우 경고하고, 기압고도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장
비를 구비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라. 항공기 소유자등은 보유한 각 형식의 항공기 그룹마다 최소 2대의 비행기를 선정하


여 최소 2년에 한 번 또는 매 1,000 비행시간 간격(이중 더 긴 기간을 기준으로 한
다) 이내로 고도유지 성능을 모니터링하여야 한다. 만일 소유자등의 항공기 형식 그
룹이 한 대의 비행기로만 구성되어 있으면 규정된 기간 이내에 해당 비행기의 고도
유지 성능을 모니터링하여야 한다.
주. 부속서 11(3.3.5.2)에 따라 수립된 지역 감시 프로그램(regional monitoring
programme)에 의한 고도유지 성능 모니터링 자료는 본 항의 요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마. 법 제69조의3 및 시행규칙 제204조의3의 규정에 의한 성능기반항행 요구 또는 수직


분리축소공역 운항승인을 위한 기준은 별표 8.1.11.17에 규정한다.

바. 조종사는 인가된 비행계획에 영향을 주는 위급상황(장비고장, 기상상황 등) 발생시


필히 항공교통관제기관에 보고해야 한다.

사. 다음과 같은 장비고장이 발생 시에는 조종사는 항공교통관제기관에 필히 보고해야 한다.


1) 항공기에 탑재된 자동고도유지 장치의 고장
2) 고도측정시스템의 제한치 초과
3) 고도보고 트랜스폰더의 고장
4) 고 도 의 강 하 가 필 요 한 엔 진의 고장
5) 인가된 비행계획에 영향을 주는 기타 다른 장비의 고장

아. 국토교통부장관은 다음사항을 충족할 경우 RVSM을 인가하여야 한다.


1) 비행기의 수직항행 성능이 별표 8.1.11.17에 규정된 요건의 충족
2) 항공기 운영자는 지속적 감항성유지 프로그램에 관한 적절한 절차의 마련
3) 항공기 운영자는 RVSM 공역에서의 운항을 위한 적절한 비행 승무원 절차의 마련

자. 국토교통부장관은 부속서 11(3.3.4.1)의 규정에 따라 수립된 감시당국에 의해 발행되


는 고도유지 성능에 관한 모니터링 결과 보고서를 접수하고 항공기 운용자에게 수정 조
치지시 등 후속 처리하여야 한다.

차. 항공기 운영자는 아항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수정조치를 지시한 경우, 수정 지시를


접수한 즉시, 해당 항공기 또는 항공기 형식그룹에 대해 신속한 수정조치를 이행하여야
한다.

카. RVSM 인가 없이 RVSM 공역에서 운항하는 것으로 확인된 항공기가 발견된 경우, 국토


교통부장관은 해당 국가 및 운영자에게 동 사실을 통보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적절한 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치를 취하도록 한다.

8.1.11.17.A 필수통신성능 공역에서의 운항(Operations in RCP Airspace)

RCP type이 지정된 항로 또는 공역을 비행하고자 하는 항공기는 다음의 요건을 갖추어


항공당국으로 부터 RCP 지정공역의 운항을 위한 승인을 받아야 한다.

1) 지정된 RCP type에 따라 작동해야 하는 통신장비

2) 시행규칙 제122조 및 7.1.11에서 정한 통신장비

8.1.11.18 비 관제비행장 또는 그 인접지역에서의 운항(Operations on or in the


Vicinity of an Uncontrolled Aerodrome)
가. 관제탑을 운영하지 않는 비행장에 착륙하기 위하여 접근할 때 조종사는 다음 각 호
를 준수하여야 한다.
1) 비행기 조종사는 항공기의 모든 선회를 왼쪽으로 하여야 한다. 단, 공항을 관할하고
있는 당국에 의해 지시를 받을 경우 오른쪽으로 선회를 한다.
2) < 삭 제 ; 2014.10.31 >

나. 관제탑을 운영하지 않는 비행장을 출발할 때 조종사는 해당 비행장의 관할권을 가지


고 있는 당국이 설정한 교통장주(Traffic patterns)를 준수하여야 한다.

다. 조종사는 안전과 활주로 상태 또는 교통상황을 고려하여 다른 방향의 활주로를 사용


하는 것이 더 낫다고 판단되지 않는 한 정풍방향의 활주로로 이착륙을 하여야 한다.

라. 등화신호(Light signals) 또는 시각표지(Visual marking)에 대한 적절한 표시


(Display)는 별표 8.1.11.27에 규정한다.

8.1.11.19 비행장 교통장주 고도 : 터보제트기, 터보팬 또는 대형항공기(Aerodrome


Traffic Pattern Altitudes: Turbojet, turbofan, or Large Aircraft)
가. 항공기가 비행장에 도착 시, 터보제트, 터보팬 또는 대형 항공기의 기장은 착륙을 위
한 강하가 더 필요할 때까지 최소한 지표면상공고도(AGL) 1,500피트로 장주에 진입
하여야 한다.

나. 항공기가 비행장을 출발할 시, 터보제트, 터보팬 또는 대형 항공기의 기장은 가능한


빨리 지표면상공고도(AGL) 1,500피트로 상승하여야 한다.

8.1.11.20 시각 및 전자 활공각 준수(Compliance with Visual and Electronic Glide


Slopes)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가. 시계접근경사표시기(VASI: Visual Approach Slope Indicator)가 운용되는 활주로에


접근하는 기장은 안전한 착륙을 위하여 활공각(Glide Slopes) 보다 더 낮은 고도로
내려갈 필요가 있을 때까지 활공각 고도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나. 계기착륙시설(ILS)이 운용되는 활주로에 접근하는 터보제트, 터보팬 또는 대형 항공


기의 기장은 활공각과 일치하는 지점에서부터 중간마커(Middle Marker)까지 활공경
사각을 따라 비행하거나 그 보다 높게 비행하여야 한다.

8.1.11.21 항공교통관제 허가의 준수(Adherence to ATC Clearances)


가. 기장은 비상사태를 제외하고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허가를 득한 사항에 대해 수
정허가를 득하지 아니하고는 이를 벗어나서는 아니된다.
주1. 비행계획서에는 항공교통관제에 필요한 비행의 일부분 또는 항공기의 기동
(Manoeuvres)을 설명하기 위하여 전 비행 중 일부만이 포함될 수 있다. 항공교
통관제 허가에는 허가제한에 나타난 대로 또는, 지상활주, 착륙 혹은 이륙과 같
은 특정 기동에 대한 언급에 의해 비행계획서 전체의 내용 중 일부분만 포함될
수 있다.
주2. 가항은 시계비행기상상태(VMC)에서 운항할 때 조종사가 계기비행방식(IFR) 허
가내용을 취소하거나 관제비행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공역에서 운항할 때 관제비
행 허가를 취소하는 것을 금하는 것은 아니다.

나. 기장은 관제비행(Controlled flight)이 요구되는 공역에서 운항하는 경우에는 항공기


의 안전운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긴급한 상황을 제외하고 항공교통관제 지시를
지체 없이 따라야 한다.

다. 비상사태로 항공교통관제 허가 또는 지시를 벗어난 경우 기장은 가능한 신속히 그


사항을 관제기관에 알려야 한다.

8.1.11.22 통신(Communications)
관제비행(Controlled flight)으로 항공기를 운항하고자 하는 자는 해당 항공교통관제기관
과의 주파수를 지속적으로 청취하고 양방향통신을 유지하여야 한다.
주1. 해당 항공교통관제기관이 관제비행장(Controlled aerodrome)에서의 공항교통
(Aerodrome traffic)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항공기에 대한 세부적인 절차를 정할 수
있다.
주2. 항공교통관제기관의 허가를 득한 경우 지속적인 청취를 위하여 자동신호장비
(Automatic signaling devices)를 사용할 수 있다.

8.1.11.23 고의가 아닌 변경(Inadvertent Changes)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기장은 관제비행(Controlled flight) 중 비행계획서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벗어나는 경우


에 다음 각 호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1) 항로이탈 : 기장은 항로를 이탈한 경우 가능한 한 빨리 항공기가 항로로 되돌아 갈
수 있도록 항공기 기수를 조정
2) 진대기속도 편차 : 기장은 순항고도에서 보고지점 사이의 평균 진대기속도가 비행계
획서에 명시된 속도와 ±5퍼센트의 차이가 발생될 것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해당 항
공교통관제기관에 이를 통보
3) 예정시간 변경 : 기장은 보고지점, 비행정보구역의 경계 또는 도착공항의 도착예정
시각이 관제기관에 보고된 시간보다 3분 이상 초과될 경우, 해당 항공교통관제 당국
이 정한 시간 또는, 국지절차에서 정한 시간이 초과될 경우 가능한 빨리 수정된 도
착예정시각을 통보

8.1.11.24 항공교통관제기관의 허가 : 의도된 변경(ATC Clearance: Intended


Changes)
기장은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사항을 포함하여 비행계획을 변경 요청하여야 한다.
1) 순항고도 변경시 : 항공기 호출부호, 새로운 순항고도 및 순항속도, 적용할 수 있다
면, 계속되는 다음 비행정보구역의 수정된 도착예정시각
2) 항로 변경 시 :
가) 도착지를 변경하지 않을 경우 : 항공기 호출부호, 비행방식, 항로변경이 시작되는
위치가 포함된 비행계획자료에 관한 새로운 항로의 세부사항, 변경 예정시간, 기타
관련된 정보사항
나) 도착지를 변경할 경우 : 항공기 호출부호, 비행조건, 항로변경이 시작되는 위치가
포함된 변경된 공항까지의 변경된 항로에 관한 세부사항, 변경된 예정시간, 교체공
항 기타 관련된 정보사항

8.1.11.25 관제공항 근처 또는 내에서의 운항(Operations on or in the Vicinity of a


Controlled Aerodrome)
가. 기장은 운영 중인 관제탑이 있는 공항에서 항공기와 관제탑간의 양방향통신이 유지
되지 않으면 그 공항 상공을 운항하거나 통과, 출발, 도착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도착하는 항공기 : 기장은 도착시 지상으로부터 고도 2천 500 피트까지 운항 시에는


상기 가 항에서 요구되는 통신을 최소한 공항 5해리 전에 유지하여야 한다.

다. 출발하는 항공기 : 기장은 출발시 지상활주 전에 관제탑과 통신을 유지하여야 한다.

라. 이륙, 착륙, 지상활주허가 : 기장은 관제탑이 운영되는 공항에서 관제사의 적절한 허


가 없이 항공기를 활주로나 유도로에서 운항하거나, 이착륙을 해서는 아니 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주. 이륙 활주로까지의  지상활주(Taxi to) 허가는 이륙활주로를 가로지르거나 이륙


활주로에 진입하는 것을 허가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기장이 이륙활주로까지
지상활주 중 다른 활주로를 건널 수 있도록 허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항 내 다
른 지점까지의 지상활주 허가는 인가지점까지의 지상활주 경로를 교차하는 모든
활주로를 건널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 통신두절 : 기장은 통신기기 고장 또는 양방향통신 두절 시, 다음 각호와 같은 조건


에서 시계비행을 계속하여 착륙할 수 있다.
1) 기상조건이 시계비행제한치 이상일 때
2) 빛 총(라이트 건)신호로 착륙허가를 받았을 때
주. 계기비행 운항 중에는 양방향통신 두절절차가 적용됨

8.1.11.26 시간점검(Time Checks)


가. 기장은 운항 중에 자정을 기준으로 시작되는 시간과 분으로 24시간으로 하루가 표현
되는 세계표준시간(UTC)을 사용해야 한다.

나. 기장은 관제비행 전과 비행 중 필요시 시간점검을 하여야 한다.

8.1.11.27 국제항공신호(Universal Signals)


가. 항공기를 운항하는 자는 국제항공신호를 수신 받거나 목격하였을 경우 그 신호가 요
구하는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나. 국제항공신호는 지정된 의미만 가진다.

다. 움직이는 항공기에서 국제항공신호를 사용하는 자는 지시된 목적으로만 신호를 사용


해야 한다.

라. 국제항공신호와 혼동될 수 있는 신호를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마. 항공기 소유자 등은 항공기 유도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을 이수하지 아니


한 자로 하여금 항공기 유도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여서는 아니된다.

바. 운항증명소지자의 경우 소속 항공기 유도원(Signalman)을 위한 교육훈련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다만, 유도업무를 위탁시킨 경우에는 유도업무를 위임받
은 조직이 수립한 유도원 교육훈련프로그램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동 프로그램의 이
행여부에 대해 지도 감독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사. 국제항공신호는 시행규칙 별표 19의6 및 이 기준 별표 8.1.11.27에서 정한 바에 따


른다.

8.1.11.28 이․착륙을 위한 시계비행 최저기상치(VFR Weather Minimums for Takeoff


and Landing)
가. 기장은 다음 사항이 충족되지 않는 한 관제권 안의 비행장에서 이륙 또는 착륙을 하
거나 관제권 안으로 진입할 수 없다.
1) 보고된 운고 1,500피트 이상, 그리고
2) 보고되었다면, 보고된 지상시정 3마일 이상

나. 기장은 지상시정이 보고되지 않았을 경우 비행시정을 3마일 이상 유지해야 한다.

다. G등급 공역 : 기장은 지표로부터 1,200피트 이하의 고도로 G등급 공역에 위치한 공


항에 이륙 또는 착륙을 하기 위하여 장주 내로 진입코자 할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충족하여야 한다.
1) 항공기 : 시정이 적어도 1마일 이상이고 항공기가 활주로 1/2마일 이내에서 구름을
회피하여 운항할 수 있거나
2) < 삭 제 ; 2014.10.31 >
주. 이 부분에 대한 기상제한치의 유일한 예외는 특별 시계비행 운항밖에 없다.

8.1.11.29 시계비행의 금지(Unauthorized for VFR Flight)


시행규칙 제184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다만, 항공교통관제기관의 허가는 2만9천 피트 이상
의 고도에서 최소 300미터(1,000피트)의 수직 분리된 지역 내로 허가되지 않을 수 있다.

8.1.11.30 시계비행방식 비행의 항공교통관제 허가요건(VFR Flights Requiring ATC


Authorization)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 관련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허가를 득하지 않는
한 조종사는 시계비행방식에 의한 비행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1) 비행고도 20,000 피트 초과
2) 천음속이나 초음속으로 운항

8.1.11.31 시계비행기상상태 이하로의 기상악화(Weather Deterioration Below VMC)


관제비행 하에서 시계비행을 하는 조종사는 관제기관에 제출한 비행계획에 맞추어 시
계비행 기상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 다음 각 호의 1을 수행하여야 한다 .
1) 항공기를 시계비행기상조건 하에서 목적지나 교체공항으로 비행하거나 또는 관제허
가가 필요한 공역을 벗어날 수 있도록 변경된 허가를 요청한다.
2) 허가를 득할 수 없을 경우에는 계속해서 시계비행상태를 유지하고 공역을 떠나거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근처의 적합한 비행장에 착륙하기 위하여 취한 조치를 해당 관제기관에 통보한다.


3) 관제공역 내에서 운항하기 위하여 특별 시계비행 운항인가를 요청해야 한다.
4) 계기비행운항의 한정자격이 있으면 계기비행 운항허가를 요청한다.

8.1.11.32 시계비행방식에서 계기비행방식으로 변경(Changing from VFR to IFR)


시계비행방식으로 운항하는 조종사가 계기비행방식으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조치하여야 한다.
1) 비행계획을 제출하였다면 수정 변경된 비행계획을 실행하기 위하여 변경 사항을 항
공교통관제기관에 통보하여야 한다.
2) 관제공역 내인 경우 해당 관제기관에 비행계획을 제출하고 계기비행을 시작하기 전
에 허가를 득하여야 한다.

8.1.11.33 시계비행방식에서 양방향통신 두절(Two-way Radio Communication Failure


in VFR)
조종사는 항공교통관제(ATC) 하에서 시계비행방식으로 비행 중 통신두절 시 또는 통신
두절 후 시계방식에 의한 운항이 가능할 경우 다음 각 호를 따라야 한다.
1) 시계비행방식으로 계속비행
2) 가장 가까운 착륙적합비행장에 착륙
3) 가능한 가장 신속한 수단을 이용하여 항공교통관제기관에 도착을 통보

8.1.11.34 관제공역에서의 계기비행방식(IFR in Controlled Airspace)


관제공역에서 계기비행방식으로 비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1) 계기비행계획서 제출
2) 관련 항공교통관제허가 획득

8.1.11.35 계기비행방식 운항을 위한 최저고도(Minimum Altitudes for IFR Operations)


가. 최저고도에서 항공기 운항 : 계기비행은 이․착륙을 제외하고 다음 각 호에서 정한 고
도 이상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1) 비행공역의 관할기관이 지정한 최저고도
2) 지정된 최저고도가 없을 때-
가) 높은 지형이나 산악지역에서는 항공기 위치로부터 8킬로미터 이내에 있는 제일 높
은 장애물로부터 600미터 (2,000피트) 이상 높이
나) 제1호에서 규정한 지역 이외에서는 항공기 위치로부터 8킬로미터 이내에서 가장
높은 장애물로부터 300미터(1,000피트) 이상 높이
다) 최저항로고도(MEA)와 최저장애물통과고도(MOCA)가 설정된 항로의 경우 운항하
는 항공기가 관련 항행안전시설(VOR, VORTAC, TACAN)로부터 22해리 이내에
위치하고 있다면 최저항로고도 이하로 강하하여 설정된 최저장애물통과고도까지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항공기를 운항시킬 수 있다.

나. 장애물 통과를 위한 상승
1) 관제기관과 통신이 불가능할 때 조종사는 최저고도로 적용하는 지점을 지나는 즉시
더 높은 최저계기비행고도로 상승해야 한다.
2) 만일 지상 장애물의 장애를 받는다면, 조종사는 적용할 수 있는 최저통과고도 또는
그 이상에서 더 높은 최저고도가 적용되는 지점으로 상승해야 한다.

8.1.11.36 자동조종장치 사용 최저고도(Minimum Altitudes for Use of an Autopilot)


가. 조종사는 항로운항 중 지상 500피트 미만의 고도에서 자동조종장치를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주. 순항상태에서 고장 발생시 비행교범(AFM)에 규정된 최대손실고도에 2를 곱하여
500피트 보다 크면 그 수치가 자동조종장치 사용 최저고도가 된다.

나. 조종사는 계기접근 중 최저강하고도(MDA) 또는 결심고도(DH) 50피트 미만에서 자


동조종 장치를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주. 접근상태에서 고장발생 시 비행교범에 규정된 최대손실고도에 2를 곱하여 50피트
보다 크면 그 수치가 자동조종장치 사용 최저고도가 된다.

다. 가항 및 나항에도 불구하고 항공당국은 다음 각 호에 부합할 경우 자동능력이 승인


된 비행조종유도장치(Flight Control Guidance System)를 접지까지 사용할 수 있도
록 운영기준(Operations Specifications)을 인가할 수 있다.
1) 비행교범에 자동접근 중 자동조종장치(Autopilot) 결함시 고도상실이 명시되어 있지 않
고,
2) 접지까지 비행조종유도장치를 사용해도 이 항의 안전 기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고 판단될 경우

라. 가항에도 불구하고 항공당국은 다음 각 호에 부합할 경우 자동능력이 승인된 자동조


종장치를 이륙 및 초기상승단계(Takeoff and initial climb phase)에서 사용할 수 있
도록 운영기준을 인가 할 수 있다.
1) 비행교범에 확실히 증명된 자동조종장치 사용제한 최저고도(Minimum Altitude
Engagement Certification Restriction)가 명시되어 있고,
2) 비행교범에 명시된 자동조종장치 사용제한 최저고도 또는 항공당국이 명시한 고도
중 높은 고도 미만에서 자동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며,
3) 자동장치를 사용해도 이 조항의 안전기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될 경우

8.1.11.37 관제공역 내에서 계기비행고도 또는 비행고도(IFR Cruising Altitude or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Flight Level in Controlled Airspace)


가. 관제공역 내에서 계기비행으로 순항중인 항공기의 조종사는 관제기관에 의해 지정된
비행고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나. 조종사는 관제기관이 운상(구름 위) 시계비행을 지시하면 시계기상조건에서 시계비


행 순항고도를 유지해야 한다.

8.1.11.38 비 관제공역에서의 계기비행고도 또는 비행고도(IFR Cruising Altitude or


Flight Level in Uncontrolled Airspace)
가. 계기기상조건 하에서 지상 또는 해상 900미터(3,000피트) 이상에서 순항중인 항공기
의 조종사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한 고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1) 자침로 0°에서 179°까지 5,000, 7,000피트 또는 FL210과 같은 홀수 천 단위 해발
고도 또는 비행고도(FL)
2) 자침로 180°에서 359°까지 4,000, 6,000피트 또는 FL220과 같은 짝수 천 단위 해
발고도 또는 비행고도(FL)

나. 조종사는 다음 각 호의 경우 가항에서 규정한 순항고도에서 이탈할 수 있다.


1) 항공교통관제기관의 인가가 있을 때
2) 대기장주 운항시, 또는,
3) 선회기동시

8.1.11.39 계기비행방식 무선통신 (IFR Radio Communications)


관제공역에서 계기비행방식으로 항공기를 운항하는 기장은 해당 주파수를 지속적으로 청
취하고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가능한 신속히 보고하여야 한다.
1) 지정된 각 보고지점 또는 관제기관이 지정한 보고지점의 통과시간과 고도. 단, 레이
다 관제지역 내에서는 관제기관의 필요에 의해 특별히 지정된 지점에 한 한다.
2) 예보되지 않은 기상상태 조우 시
3) 악기상, 비정상 무선국지시 같은 비행안전에 관한 정보

8.1.11.40 관제공역에서 계기비행방식 운항시 고장보고(Operation Under IFR in


Controlled Airspace : Malfunction Reports)
가. 관제공역에서 계기비행중인 기장은 비행 중 발생하는 항행, 접근, 통신장비의 고장에
대하여 가능한 신속히 관제기관에 보고해야 한다.

나. 기장은 가항에 규정된 사항을 보고하는 경우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1) 항공기 식별부호
2) 해당 장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3) 계기비행 하에서 관제장비 결함에 따른 조종사의 운항능력 저하정도


4) 항공교통관제(ATC) 기관이 수행해 주어야 할 협조의 내용과 정도

8.1.11.41 목적지로 계기비행방식의 지속(Continuation of IFR Flight Toward a


Destination)
조종사는 착륙예정비행장이나 적어도 하나의 교체비행장의 최신 기상정보가 도착예정시
각에 설정된 계기접근 기상최저치 이상이 되지 않으면 그 비행장에 착륙하기 위하여 계
기비행을 계속하여서는 아니 된다

8.1.11.42 민간비행장으로의 계기접근(Instrument Approaches to Civil Aerodromes)


가. 항공기를 운항하는 자는 해당기관으로부터 별도의 인가를 득하지 않는 한 당해 공항
관할기관에 의해 규정된 표준계기접근 절차를 적용해야 한다.

나. 인가된 결심고도(DH) 또는 최저강하고도(MDA) : 접근절차에서 인가된 결심고도나


최저강하고도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한 고도 중 높은 고도로 한다.
1) 접근절차에 설정된 결심고도 또는 최저강하고도
2) 기장의 자격에 따른 결심고도 또는 최저강하고도
3) 항공기 장착장비에 따른 결심고도 또는 최저강하고도

8.1.11.43 계기비행기상상태에서의 착륙(Landing During Instrument Meteorological


Conditions)
가. 조종사는 비행시정이 해당 표준계기 접근절차에 규정된 시정치 미만인 경우 착륙을
시도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조종사는 착륙하고자 하는 활주로의 시정 보고치 또는 활주로 가시범위(RVR)가 공


항운영최저치 미만인 경우 최종접근구간 또는 비행장 표고(aerodrome elevation)로
부터 300m(1000FT)이하로 강하하여서는 아니 된다.
주 : 최종접근구간에 관한 기준은 ICAO 기술지침 PANS-OPS(Doc 8168), Volume
Ⅱ를 적용한다.

다. 조종사는 최종접근구간 집입 또는 비행장 표고 300m 이하로 강하한 후 시정 또는


RVR이 최저치미만으로 떨어지면 결심고도(DH) 또는 최저강하고도(MDH)까지 접근
비행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당해 비행장의 운항(기상)최저치의 한
계를 초과하는 지점을 넘어서까지 진입착륙을 계속하여서는 아니 된다.

8.1.11.44 실패접근절차의 실행(Execution of a Missed Approach Procedure)


조종사는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되는 경우 즉시 실패접근을 수행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1) 다음 상황에서 요구되는 시각 참조물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가) 항공기가 최저강하고도(MDA) 이하로 비행시; 또는,
나) 결심고도(DH)가 표시되어 있고 사용이 요구될 경우 결심고도를 포함하여 실패접
근점 도달시, 그리고 그 후 접지시까지
2) 최저강하고도 또는 그 이상에서 선회접근 중 항공기의 정상적인 경사도(Normal
bank)로 공항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선회기동 중 공항의
식별 가능한 부분이 조종사에게 분명히 보이지 않을 경우

8.1.11.45 무인자유기구 운영(Unmanned Free Balloons Operation)


무인자유기구를 운영하고자 하는 자는 별표 8.1.11.45에서 정한 기준을 준수하여야 한
다.

8.1.11.46 운항의 제한 또는 일시중지(Restriction or Suspension of Operations)


운항증명소지자 및 항공기 운영자 등은 운항하고자 하는 공항 및 활주로 상태 등이 항공
기의 안전운항에 위험을 주는 상태일 경우 위험상태가 해소될 때까지 항공기의 운항을
제한하거나 일시 중지하여야 한다.

8.1.12 승객과 승객처리(Passengers and Passenger Handling)


8.1.12.1 탑승자가 해서는 아니 되는 사항(Unacceptable Conduct)
가. 항공기에 탑승중인 어느 누구도 직무수행중인 승무원을 방해해서는 아니 된다.

나. 각 승객은 좌석벨트를 매라는 신호가 켜있는 동안에는 계속 좌석벨트를 매고 있어야 한다.

다. 항공기에 탑승중인 어느 누구도 무모하거나 부주의한 행동을 해서는 안되며, 그러한


행동으로 항공기 또는 승객과 재산을 위험에 처하게 해서는 아니 된다.

라. 항공기에 자기 자신이나 화물을 은닉하여서는 아니 된다.

마. 어느 누구도 금연신호가 켜있는 동안에는 흡연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바. 어느 누구도 항공기 화장실에서 흡연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사. 어느 누구도 항공기 화장실에 설치된 연기 탐지기를 함부로 변경하거나 작동을 중지


시키거나 훼손하여서는 아니 된다.

8.1.12.2 승객이 기내에 있거나 승ㆍ하기 중일 때 연료보급(Refuelling with Passengers


on Board)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가. 비행기의 경우, 기장은 승객이 기내에 있을 때나 탑승 또는 하기 중에는 다음의 경


우를 제외하고 연료보급을 하도록 허용하여서는 아니된다.
1) 항공기에 탈출 시작과 탈출을 지시할 준비가 되어있는 자격을 갖춘 자를 배치한 때.
2) 항공기에 배치한 자격을 갖춘 자와 연료보급을 감독하는 지상요원간에 상호 송수신
통신이 유지될 때
나. < 삭 제 ; 2014.10.31 >

8.1.12.3 승객좌석, 안전벨트 및 어깨끈(Passenger Seats, Safety Belts and Shoulder


Harnesses)
가. 기장은 이착륙시 각 탑승자가 지정된 좌석에 앉아 있도록 하여야 하며 좌석벨트와
어깨끈(설치된 경우)을 정확히 매고 있도록 하여야 한다.

나. 기장이 안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판단할 때에는 이착륙 이외의 시간에도 각 탑승객
이 좌석벨트를 안전하게 매고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 기장은 이착륙시 탑승자에게 제공되는 좌석벨트 1개에는 만2세 이상인 자 2명 이상


이 동시에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주.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운항에 객실승무원이 탑승할 경우, 기장은 상기 각 항의 확
인책임을 위임할 수 있으나 이륙전에 해당 브리핑을 실시하였는지 확인하여야 한
다.

8.1.12.4 승객 브리핑(Required Passenger Briefings)


가. 기장은 항공기를 이륙하기 전에 승무원들이 다음 각 호의 비상장비의 위치와 사용법
을 인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하며, 승객에게도 다음 각 호의 사항에 대해 브리
핑을 하여야 한다.(다만, 객실승무원이 탑승한 경우, 기장은 객실승무원으로 하여금
승객 브리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장은 이륙 전에 객실승무원이 해당 브
리핑을 실시하였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1) 흡연제한과 금지
2) 비상구 위치와 사용방법
3) 좌석벨트 또는 어깨 끈(harnesses) 사용방법
4) 구명동의 등 비상 부양장비 위치와 사용방법
5) 소화기 위치 및 사용방법(객실승무원이 탑승하지 않는 경우에 한함)
6) 이․착륙 전 좌석 등받이 조절
7) 해면고도 10,000ft 이상의 고도로 운항시 산소공급장치의 정상 및 비상 사용방법
8) 승객용 브리핑 카드를 포함하여 개인이 사용하도록 제공되는 다른 비상장비

나. 기장 또는 선임객실승무원은 좌석벨트 신호를 끄기 직전 또는 직후에 승객들이 좌석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에 앉아 있는 동안 좌석벨트를 매고 있도록 브리핑을 하여야 한다.

다. 기장 또는 선임객실승무원은 항공기가 이륙하기 전에 지체부자유자에게 개인적으로


다음 각 호에 대하여 브리핑하여야 한다.
1) 가장 적합한 비상구로 가기 위한 통로
2) 비상 사태시 비상구로 이동을 시작해야 할 시기 등

8.1.12.5 비행중 비상조치안내(In Flight Emergency Instruction)


기장은 비행중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모든 탑승객이 상황에 맞는 비상조치를 할 수 있
도록 안내하고 이를 확인하여야 한다.
주. 항공운송사업을 위하여 객실승무원이 탑승한 경우 기장은 상기 사항의 책임을 객실
승무원들에게 위임할 수 있으나, 적합한 브리핑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8.1.12.6 승객용 산소의 최소공급과 사용(Passenger Oxygen: Minimum Supply and


Use)
가. 기장은 산소의 부족이 승객에게 위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도의 모든 비행에서
승객들이 호흡용 산소와 마스크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나. 기장은 국토교통부장관이 규정한 최소산소공급량이 항공기에 탑재되어 있는지를 확


인하여야 한다.
주. 산소 저장과 분배장치의 요구사항은 7.1.14.6에 규정되어 있다.

다. 기장은 객실여압고도가 1만5천피트를 초과하는 객실기압고도에서는 모든 승객이 산


소를 계속하여 사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8.1.12.7 음주 또는 약물(Alcohol or Drugs)


가. 만취된 것으로 보이거나 약물에 의한 신체적 영향을 나타내는 자를 탑승시켜서는 아니된
다. (항공운송사업자로부터 사전 탑승 승인을 받고 적절한 간호를 받은 환자승객은 제외)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에 탑승한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자에게는 알코올 음료를 제


공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취한 듯이 보이는 자
2) 호송중인 자나 호송을 당하는 자
3) 치명적이거나 위험한 무기를 가지고 승객이나 승무원에게 접근할 수 있는 자

다. 항공운송사업자는 가항 및 나항의 규정에 의거 탑승을 거부하거나 항공기에 취한 자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가 탑승하여 소란이 있었다면, 사건 발생일 후 5일 이내에 해당 지방항공청에 보고


하여야 한다.

8.1.12.8 비상구와 비상장비로의 접근(Accessibility of Emergency Exits and


Equipment)
어느 누구도 항공기가 지상이동, 이․착륙 또는 승객이 기내에 머무를 동안에 기내 휴대수
하물 또는 기타 물건이 승객들의 비상탈출구로의 접근을 방해하도록 방치하는 것을 허용
하여서는 아니된다.

8.1.12.9 무기운반의 금지(Prohibition Against Carriage of Weapons)


가. 항공운송사업자 및 항공기 소유자 등은 승객등이 항공기 탑승시 공개적 또는 비공개
적이든 간에 치명적이거나 위험한 무기를 휴대하거나 지참하도록 허락해서는 아니
되며, 항공기 내에서 무기류를 발견한 때에는 즉시 관계기관에 신고하여야 한다.

나. 항공운송사업자 및 항공기 소유자 등은 정당한 소지허가를 받은 무기류일지라도 항


공기내 휴대탑승을 금하도록 하여야 하며, 승객으로부터 동 무기류 등을 회수하여
위탁수화물로 탁송하거나 탁송을 거부하여야 한다. 단, 정부기관의 업무수행(경호, 범
인호송)을 위하여 불가피하게 기내에 탑재할 경우에는 당해 항공기의 기장에게 보관시
키도록 하고 목적지에 도착한 후 이를 반환 받도록 하여야 한다.

8.1.12.10 객실내의 화물반입(Carriage of Cargo in Passenger Compartments)


가.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는 항공기 객실에 화물 운송을 하여서는 아
니 된다.

나. 객실내의 화물운송에 관한 요건은 별표 8.1.12.10에 규정한다.

8.1.12.11 승객알림신호(Passenger Information Signs)


기장은 지상이동이나 이․착륙 그리고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승객알림 신호(Passeng
er Information Signs)를 하여야 한다.

8.1.12.12 객실물품의 고정(Securing of Items of Mass in Passenger Compartment)


가. 기장은 지상이동, 이․착륙 및 난기류 기상상태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객실물품이
적절히 고정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 항공기를 이착륙 시켜야 한다.
나. 기장은 승객서비스 수레를 원위치에 고정시키지 아니하고 항공기의 지상이동, 이․착륙
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8.1.13 낙하산 및 낙하산 점핑(Parachutes and Parachute Jumping)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8.1.13.1 적용(Applicability)
가. 이 절은 낙하산의 사용과 유지관리에 관한 관리 요건과 운항 중 비상상황으로 인하
여 필요한 낙하산 점핑을 제외하고 대한민국 내에서 낙하산 점프와 관련되는 규칙
요건을 규정한다.

나. 이 절은 지상에서 비상시 필요하여 적용하는 낙하산 점프(예: 소방 또는 인명구조)에


는 적용하지 않는다.

8.1.13.2 일반사항(General)
낙하산 점프가 항공교통, 사람 또는 지상에 있는 재산에 위험을 준다면, 어느 누구도 낙
하산 점프를 하여서는 아니 되며, 어떠한 항공기의 기장(PIC)도 그 항공기로부터 낙하산
점프를 하도록 허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8.1.13.3 낙하산 및 낙하산 점프(Parachutes and parachuting)


가. 항공기의 기장(PIC)은 인가 받은 형태가 아닌 낙하산을 항공기에 탑재하여 비상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서는 아니 되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충족하여야 한다.
1) 만약 의자형태(캐노피가 있는)로, 최근 120일 이내에 자격을 갖추고 적절한 등급의
설치자격을 갖춘 자에 의해 낙하산을 접었거나, 또는;
2) 만약 다른 형태로서, 낙하산 장치를 위한 자격증과 적절히 평가된 설치자격을 갖춘
자에 의해 낙하산을 접은 경우
가) 최근 120일 이내에, 만약 캐노피(canopy), 슈라우드(shrouds) 및 어깨끈(harness)
이 나일론, 레이온 또는 이와 유사한 합성섬유 또는 재료들이 습기찬 환경에서 곰
팡이 또는 다른 균류들의 번식에 의한 골조의 손상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자재
로 조립되었거나, 또는;
나) 최근 60일 이내에, 만약 낙하산의 어떤 부품이 실크, 명주 또는 기타 자연산 섬유,
또는 상기 가 목에 규정되지 않은 재료로 만들어진 경우

나. 비상인 경우를 제외하고, 기장이 허용하거나 어느 누구도 이 조항에 따르지 않는 한


대한민국 내에서 항공기로부터 낙하산 점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 항공기에 탑승한 각 자가 인가된 낙하산을 착용하지 않은 한, 승객(승무원을 제외한)


을 탑승시킨 항공기의 기장은 다음을 초과하는 어떠한 의도적인 기동을 수행하여서
는 아니 된다.
1) 수평선을 기준으로 60도의 경사각, 또는,
2) 수평선을 기준으로 항공기 앞부분을 30도 이상 높게 들거나 낮게 하는 자세

라. 다항은 다음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아니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1) 조종사 자격증명 또는 한정자격 조종을 위한 시험비행의 경우, 또는;


2) 다음 조건하에서, 자격증명 또는 한정자격을 위한 규정에 의하여 필요한 나선식 점
프 또는 기타 비행의 기동
가) 자격을 갖춘 비행교관, 또는
나) 이 규정 제3장 및 제9장에 의거 교육하는 운송용조종사

8.1.13.4 무선장비 및 사용 요건(Radio equipment and use requirements)


가. 항공교통관제(ATC)기관에 의하여 다른 방법으로 허가 받았을 경우
1) 비행하는 동안 다음을 충족하지 않는 한 관제공역에서 또는 내로 운항하는 항공기로
부터 어느 누구도 낙하산 점프를 하거나, 기장이 낙하산 점프를 하도록 허용하여서
는 아니 된다.
가) 해당 항공기가 관련 항공교통관제기관과 통신 할 수 있는 양방향 무선통신 시스템
장비가 장착된 경우;
나) 점프를 수행할 인근의 항공교통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점프를 수행하
기 최소 5분전에 인접 항공교통관제기관과 항공기 간에 통신이 이루어진 경우 ,
그리고
다) 나목에 의거 입수한 정보를 해당 항공편 기장과 점프를 할 자가 입수한 경우;
2) 그리고, 관제공역 내에서 또는 관제공역 내로 점프를 하기 위하여 운항하는 항공기
의 기장은 매 비행동안 다음을 충족하여야 한다.
가) 항공기와 항공교통관제기관간에 첫 번째 무선통신이 이루어진 이후부터 기장이 점
프 활동이 해당 항공기로부터 종료되었다고 항공교통관제기관에 통보할 때까지 해
당 항공기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관련 주파수를 지속적으로 유지 또는 청취; 그리고
나) 해당 항공기로부터 마지막으로 점프한 자가 지상에 도달하는 때에 해당 항공편에
서 점프 활동이 종료되었음을 항공교통관제기관에 통보

나. 기장은 비행 중에, 필요한 무선통신시스템이 부작동 되는 경우, 관제공역 내에서 또


는 관제공역 내로 운항하는 때에는 항공기로부터의 어떠한 점프 활동도 허가해서는
아니된다. 다만, 통신시스템이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허가를 득한 이후 비행 중
에 부작동 된 경우에는 해당 항공편으로부터 점프 활동을 계속 할 수 있다.

8.1.13.5 공항 상공 또는 공항으로 점프(Jumps over or onto airports)


공항당국으로부터 사전허가를 받지 않은 한, 항공기로부터 어느 누구도 공항으로 낙하산
점프를 하거나, 기장이 낙하산 점프를 하도록 허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8.1.13.6 A, B, C 및 D등급 공역에서 또는 공역 내로 낙하산 점프(Parachute jumps in


or into Class A, Class B, Class C, and Class D airspace)
항공교통관제기관의 허가 없이 또는 허가 조건을 위반하여 A, B, C 및 D등급 공역에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또는 공역 내로 항공기로부터 어느 누구도 낙하산 점프를 하거나, 기장이 낙하산 점프를


하도록 허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8.1.13.7 기타 공역에서 또는 내로 점프(Jumps in or into other airspace)


점프를 실시하기 최소 1시간 전부터, 점프가 끝나는 시간으로부터 24시간 전을 넘지 않
는 시간에, 8.1.13.8 가항에서 규정한 정보를 포함 인접 항공교통관제기관에 통보하지
않은 한 공역에서 또는 공역 내로 항공기로부터 어느 누구도 낙하산 점프를 하거나, 기
장이 낙하산 점프를 하도록 허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8.1.13.8 점프의 취소 또는 연기통보에 필요한 정보((Information required, and Notice


of Cancellation or Postponement of jump)
가. 8.1.13.6에 의거 허가를 요청하는 자와 8.1.13.7에 의거 통보를 하는 자는 다음 정보
(개인 또는 그룹으로)를 허가 신청서 또는 통보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1) 점프를 시작하는 날짜 및 시간
2) 착지 목표물 부근 반경을 해리(NM)로 표현한 점프 지역의 넓이
3) 다음과 관련된 점프 지역 중심의 위치
가) 착지목표지역으로부터 전방향표지시설(VOR)이 30NM 또는 그 이내에 위치한 경
우 인접한 전방향표지시설 위치로부터의 방위 및 거리로 표시; 또는
나) 착지목표지역으로부터 인접 전방향표지시설이 30NM 이상 떨어진 경우, 관련 항공
지도상의 인접 공항, 도회지, 또는 시로 묘사한다.
4) 점프를 실시할 해발고도
5) 점프할 기간
6) 허가를 신청하거나 통지서를 제출하는 자의 이름, 주소, 그리고 전화번호
7) 사용될 항공기
8) 무선통신이 가능한 경우 무선주파수

나. 8.1.13.6에 의거 허가를 요청하는 자와 8.1.13.7에 의거 통지서를 제출하는 자는, 이미


신청하였거나 계획하였던 점프 계획이 취소되거나 연기되는 경우 즉시 허가를 신청하
였거나 통지서를 제출한 항공교통관제기관 또는 운항서비스지점에 통보하여야 한다.

8.1.13.9 제한 또는 금지구역 상공 또는 상공 내로 점프(Jumps over within restricted


or prohibited areas)
점프에 대하여 해당지역을 관장하고 있는 기관으로부터 허가를 받지 않은 경우 제한 또
는 금지지역 상공 또는 상공 이내로 어느 누구도 항공기로부터 낙하산 점프를 하거나,
항공기의 기장은 낙하산 점프를 하도록 허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8.1.13.10 구름으로부터의 비행시정 및 거리 요건(Flight visibility and clearance from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clouds requirements)
다음의 상황에서 어느 누구도 항공기로부터 낙하산 점프를 하거나, 항공기의 기장은 해
당 항공기로부터 낙하산 점프를 하도록 허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가. 구름 속으로 또는 통과; 또는
나. 비행시정 또는 구름으로부터의 거리가 다음 표에 규정된 비행시정 또는 구름으로부
터의 거리를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고 도 비행 시정 구름으로부터의 거리

평균해면고도로부터 150m/500ft, 아래
350m/1,200ft 또는 그 5Km/3SM 300m/1,000ft 위
이하인 경우 600m/2,000ft 수평
평균해면고도로부터
150m/500ft 아래
350m/1,200ft를 초과하지만
5Km/3SM 300m/1,000ft 위
3,000m/ 10,000ft 미만인
600m/2,000ft 수평
경우

평균해면고도로부터
300m/1,000ft 아래
350m/1,200ft를 초과하고
5Km/5SM 300m/1,000ft 위
3,000m/10,000ft 이상인
2Km/1 Mile 수평
경우

8.1.13.11 일몰부터 일출 사이의 낙하산 점프(Parachute jumps between sunset and


sunrise)
가. 점프하는 자가 최소한 3SM을 볼 수 있도록 비칠 수 있는 등화(Light)장비를 갖추지
않는 한 일몰부터 일출사이에 어느 누구도 항공기로부터 낙하산 점프를 하거나, 항
공기의 기장은 해당 항공기로부터 낙하산 점프를 하도록 허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일몰부터 일출사이에 낙하산 점프를 하는 자는 가항에 규정한 등화장비를 항공기에


서 뛰어내릴 때부터 지상에 착지할 때까지 켜야 한다.

8.1.13.12 알코올 및 약품(Alcohol and drugs)


어느 누구도 다음의 현상을 보이는 동안 낙하산 점프를 하거나, 기장은 해당 항공기로부
터 낙하산 점프를 하도록 허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알코올에 취한 상태일 때; 또는
2) 점프업무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안전을 저해하는 약품을 사용 중일 때

8.1.13.13 검사(Inspections)
항공당국은 이 규정을 적용 받는 어떠한 낙하산 점프 운항에 대해서도 이 규정을 지키고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검사(점프를 수행하는 장소를 포함) 할 수 있다.

8.1.13.14 낙하산 장비 및 낙하산 접기 요건(Parachute equipment and packing


requirements)
가. 점프하는 자가 최소한 하나의 주 낙하산(One main parachute)과 하나의 보조 낙하
산이 다음과 같이 접은 낙하산을 갖춘 1인용 어깨끈(Single-harness)을 가진, 이중
낙하산 꾸러미(Dual-parachute pack) 또는 2인용 어깨끈(Dual-harness)을 가진, 이
중 낙하산 꾸러미를 메지 않은 한 어느 누구도 항공기로부터 낙하산 점프를 하거나,
기장(PIC)은 해당 항공기로부터 낙하산 점프를 하도록 허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주 낙하산은 그것을 사용하는 날로부터 120일전 이내에 반드시 자격을 갖춘 낙하산
조립정비사 또는 점프를 한 사람에 의하여 접은 것이어야 한다.
2) 보조 낙하산(Auxiliary)은 반드시 해당 등급에 상당하는 자격을 갖춘 조립정비사가
접은 것이어야 한다.
가) 사용하는 날로부터 120일전 이내에, 만약 캐노피(canopy), 슈라우드(shroud) 및
어깨끈(harness)이 나일론, 레이온 또는 이와 유사한 합성섬유 또는 재료들이 습
기찬 환경에서 곰팡이 또는 다른 균류들의 번식에 의한 골조의 손상을 충분히 방
지할 수 있는 자재로 조립되었거나, 또는;
나) 사용하는 날로부터 60일전 이내에, 만약 낙하산의 어떤 부품이 실크, 명주 또는
기타 자연산 섬유, 또는 상기 가 목에 규정되지 않은 재료로 만들어진 경우.

나. 어느 누구도 항공기에 설치된 자동식(주: 낙하산 수납주머니와 비행기를 연결하는


유연한 줄 ; 자동으로 펼쳐지게 함)과 다음에 기술되고 첨부된 낙하산 기능을 수행
하는 보조낙하산을 원조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보조낙하산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주 낙하산 캐노피의 직접 개산을 보조하는 보조장치가 없는 주 낙하산을 사용하여
낙하산 점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1) 보조장치는 장치에 짐을 싣기 전에 짐칸을 충분히 길게 열 수 있어야 한다.
2) 보조장치는 다음의 정적인 하중강도를 가져야 한다.:
가) 만약 보조장치가 낙하산의 기능을 수행하는 낙하산을 펴기 위한 보조낙하산을 원
조한다면, 최소한 12.72킬로그램(28파운드) 이상 72.7킬로그램(160파운드)를 초과
하지 않아야 한다.
나) 만약 보조장치가 주 낙하산 캐노피의 직접 개산을 원조한다면 최소한 25.5킬로그
램(56파운드) 이상 145.5킬로그램(320파운드)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3) 만약 해당 낙하산이 2인용 어깨끈을 가진, 이중 낙하산 꾸러미 형태라면, 이중 낙하
산 어깨끈, 철물, 주 캐노피, 개산 슬라이더(Deployment slider), 매달기(Suspension),
및 조종 라인(Steering lines)은 매25회의 점프마다 검사하여야 한다.
4) 보조장치는 다음이 첨부되어야 한다.
가) 한편에, 정선(Static line)핀 위에 정선, 또는 만약 정선 핀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상기 정선을 낙하산 콘에 맨다; 그리고


나) 다른 한편에, 낙하산을 펴기 위한 보조낙하산 꼭대기 물림쇠 끈 또는 물림쇠 고리,
또는 만약 낙하산을 펴기 위한 보조낙하산이 사용되지 않는다면, 주 낙하산 캐노피

다. 어느 누구도 제2장에 의거 발급된 현행 낙하산 조립정비사 자격증명을 가진 자 또는


해당 낙하산으로 점프를 하는 자가 아닌 경우 주 낙하산에 상기 나 항에 의거 요구
되는 보조장치를 매 달아서는 아니 된다.

8.1.14 <삭 제>

8.1.15 <삭 제>

8.1.16 <삭 제>

8.1.17 조종사의 운항자격 : 기장의 지식요건(Pilot knowledge requirements for route


and area check : PIC)
가.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기장은 비행전 운항증명소지자가 제공하는 노선
지침서(Route Manual), 운항비행계획서, 항공고시보(NOTAM) 및 기상정보 등을 검
토하여 운항하고자 하는 지역, 노선 및 공항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나.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기장은 최근 12개월 이내에 가항에서 정한 지식


의 유무에 대해 국토교통부장관이 지명한 소속공무원 또는 위촉심사관으로부터 심사
를 받아야 한다.

다. 항공운송사업 외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기장은 이륙조건 또는 이륙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적합한 상승률을 결정할 수 있도록 상승성능에 관한 충분한 정보(모든 엔진이
가동된 상태에서의 상승성능)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8.2 일반항공(General Aviation)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8.2.1 항공기 운영교범

가. 국외비행에 사용되는 항공기 운영자는 항공기 운항절차(정상, 비정상 및 비상절차, 계


기접근절차 등)를 포함하여 비행교범 및 비행교범 준수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점검표가 수록된 항공기 운영교범(Aircraft Operating Manual)을 운항승무원
및 운항업무 관련 직원에게 제공 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나. 항공기 운영교범은 활용되는 비행교범 및 점검표와 일관성이 있어야 하며, 사용자가


사용에 편리하도록 인적요인(Human Factors) 개념을 반영하여 설계 하여야 한다.

주. 인적요인 개념의 적용에 관한 지침은 ICAO Doc 9683(Human Factors Training


Manual)을 참조한다.

다. 운영교범은 운항승무원 및 운항통제업무 등 운항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모든 부서에


배부되어 근무 중 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하며, 비행중에는 운항승무원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접근이 용이한 곳에 비치하여야 한다.

8.2.2 기장의 자격유지 : 최근의 비행경험(Recent Experience : Takeoffs and


Landings)
가. 여객을 운송하거나 2인 이상의 조종사를 필요로 하는 항공기의 기장은 최근 90일
이내에 동일 등급 항공기 형식 또는 모의비행장치를 이용하여 다음 각 호에서 정한
비행경험을 유지하여야 한다.
1) 직접 비행조작으로 최소한 3회의 이∙착륙을 행한 경험이 있어야 한다.
2) 야간비행의 경우 제1호의 조건으로 야간에 1회의 이․착륙을 행한 경험이 있어야 한다.

나. 가항 이외의 항공기의 기장은 최근 180일 이내에 동일 등급 항공기 형식 또는 모의


비행장치를 이용하여 3회 이상의 이․착륙 경험을 유지하여야 한다.

8.2.3 조종사 자격유지 : 계기비행(Pilot Currency : IFR Operations)


가. 계기비행방식(IFR) 또는 계기비행기상상태 하에서 계기비행을 하고자 하는 조종사는
계기비행을 하고자 하는 날부터 기산하여 그 이전 6월까지의 사이에 6회 이상의 계
기접근과 6시간 이상의 계기비행(모의계기비행을 포함한다)을 행한 경험이 있어야 한
다.

나.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한 자로부터 계기비행심사를 이수한 조종사는 심사 이후 6개


월 동안은 계기비행 경험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8.2.4 조종사 자격회복(Pilot License Recovery)


가. 8.2.2의 비행경험을 유지하지 못한 기장 또는 조종사는 운항하고자 하는 당해 등급
의 항공기 또는 모의비행장치를 이용하여 조종교육증명을 받은 자와 동승하여 2시간
이상, 3회 이상의 이․착륙 비행교육을 받아야 한다.

나. < 삭 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다. 1개의 조종석으로 형식 증명된 항공기의 기장으로서 임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최근 24월 이내에 운항하고자 하는 당해 등급의 항공기 또는 모의비행장치를 이용하
여 조종교육증명을 받은 자의 감독하에서 2시간 이상의 비행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단, 조종석이 1개 밖에 없어 심사관 동승이 불가한 형식의 항공기는 지상 입회심사로
갈음할 수 있다.

라. 조종교육증명을 받은 자가 비행교육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당해 등급의 항공기 기동


에 관한 사항도 포함하여 교육하여야 한다.

마. 2인 이상의 조종사를 필요로 하는 항공기의 부조종사로서 임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최근 12월 이내에 다음 요건을 충족하지 아니하고 임무를 수행하여서는 아니 된
다.
1) 항공기시스템, 성능, 정상 및 비정상 비행절차를 숙지할 것
2) 직접 비행 조작하여 행한 3회의 이․착륙 기록이 있을 것

8.2.5 조종사의 운항자격 심사


가. 항공운송사업용이 아닌 국외비행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기장은 시행규칙 제149조의
2에 따른 지식요건과 제149조의3에 따른 기량요건을 갖추어야 하며, 기장 외의조종
사는 149조의 3에 따른 기량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나. 시행규칙 제154조제4항에 의한 심사는 항공기 또는 모의비행장치를 이용하여 연1회
실시한다. 다만, 국토교통부 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체약국 정부로부터 인
가받은 훈련시설을 이용하여 실시한 심사도 인정할 수 있다.
다. 항공운송사업용이 아닌 국외비행에 사용되는 항공기 조종사의 운항자격심사는 별도
의 노선을 정하여 편도로 심사할 수 있다.

8.2.6 정비 기록(Maintenance Records)


가. 국외비행에 사용되는 항공기 운영자는 다음의 정비기록을 유지하여야 한다.

1) 항공기와 수명한계 장비품의 총 사용 시간(시간, 사용일수 및 사이클)

2) 모든 의무적인 지속적 감항성 정보에 대한 현재 이행 기록

3) 항공기와 중요 장비품에 대한 개조와 수리의 세부사항

4) 정해진 오버홀 수명에 근거한 항공기 또는 그 부분품의 마지막 오버홀 이후에 사용


된 시간(시간, 사용일수 및 사이클 등)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5) 정비 및 검사프로그램 이행 기록

6) 정비확인과 감항성확인에 대한 서명을 위한 요건이 충족되었음을 증빙하는 세부 정


비 기록

나. 가항의 제1호 내지 제5호에 있는 항목들은 영구적으로 운영을 중지한 후 최소한 90


일 동안 보관되도록 하여야 하고, 가항 6)에 있는 기록은 정비확인 또는 감항성 확
인서명 이후 최소한 1년 동안 보관되도록 하여야 한다.

8.2.7 성능운용제한(Performance Operating Limitation)


국외비행에 사용되는 항공기 운영자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항공기 성능운용제한을 준
수하여 항공기를 운항하여야 한다.

가. 비행성능 계산;
운영자는 비행성능 계산 시 항공기 중량, 운항절차, 비행장 표고와 관련된 기압고도,
온도, 바람, 활주로 기울기, 활주로 상태(물, 눈, 얼음 여부, 수상비행장의 경우 수면
상태)를 고려해야 한다.

나. 중량제한(Mass limitations);
1) 이륙 시 중량은 8.4.5.4에서 정하는 중량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비행진행
에 따른 연료소모, 연료배출에 따라 감소되는 중량은 이를 제외하여 계산될 수 있
다.
2) 어떠한 경우에도 이륙 시 중량은 비행교범이 정하는 기압고도별 최대이륙중량을 초
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어떠한 경우에도 착륙 시 중량은 비행교범이 정하는 기압고도별 최대착륙중량을 초
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4) 어떠한 경우에도 이륙 시 또는 착륙 시 중량은 부속서 16, Volume 1에 의해 발행
된 소음증명으로 부과된 최대중량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달리 규정된 공
항 또는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달리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다. 이륙;
1) 비행기가 이륙 시 임계엔진이 고장나거나 그 밖의 이유로 이륙을 포기할 경우에는
활주로 가용거리 또는 가속정지거리 내에서 이륙을 중단하거나 항로상에 도달할 때
까지 비행경로의 장애물을 적절한 기준치로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주. 적절한 기준치는 부속서6 Part Ⅰ 첨부 C에 그 예를 그림으로 표시하였다.
2) 활주로 가용거리를 결정할 때는 이륙 전 비행기의 활주로 정렬 때문에 활주로 가용
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감안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라. 항로;
비행기가 항로상 또는 회항이 계획된 어느 지점에서 임계엔진이 고장난 경우, 착륙적
합비행장까지 최저장애물회피고도 이상을 지속적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마. 착륙;
1) 목적지 또는 교체비행장의 착륙접근로에서 모든 장애물을 회피하여 착륙공항의 이용
가능 착륙거리 내에서 착륙이 불가능하거나 수상비행기의 경우 충분한 감속할 수 없
는 공항을 운항해서는 아니 된다.
2) 목적지 또는 교체비행장의 착륙성능 허용범위가 정해지지 않았다면, 접근 및 착륙기
술을 감안하여 허용범위를 정하여야 한다.

8.2.8 상승/강하율 운용절차(Operating procedures for rates of climb and descent)


조종사는 배정고도로의 상승 또는 강하 시, 인접한 고도에서 비행하고 있는 타 항공기
를 인지한 경우에는 항공교통관제기관의 별도 지시에 의한 경우를 제외하고, 배정고도
300m(1000ft) 전에 상승/강하율을 8m/sec 또는 1,500ft/min 미만으로 하여 불필요한
ACASⅡ 회피기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8.2.9 항행데이터관리(Electronic navigation data management)


국외비행에 사용되는 항공기 운영자는 다음 각 목을 보증하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문서화된 절차가 없는 한 공중 또는 지상에서 적용하기 위한 항행데이터를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가. 항행데이터의 처리과정 및 항행데이터에 의해 산출된 결과(delivered products)가


적정한 기준(Jeppesen Chart 등 항행데이터 Source)과 일치할 것

나. 산출된 결과(the products)가 사용하는 장비의 기능에 적합할 것

다. 자료의 처리과정과 그 결과물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것

라. 항행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항공기에게 적시에 배포하고, 최신판을 가제하는 절차의


이행

8.2.10 정비관리교범(Operator’s maintenance control manual)


국외를 운항하는 항공기 운영자는 정비, 운영 인력의 활용 및 지침을 위해 다음 각 목의
사항이 포함된 정비관리교범(maintenance control manual)을 정비직원 및 관련 직원에
게 제공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가. 다음의 운영자 정비책임 절차를 준수하기 위한 방법


1) 항공기는 감항성이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2) 계획된 비행에 필요한 운항장비 및 비상장비는 사용가능한 상태이어야 한다.
3) 감항증명서는 유효해야 한다.
4)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정비 및 정비확인이 되지 않는 한 항공
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 된다.
5) 5.10.4에 해당하는 자가 정비확인 후 서명하여야 한다.
6) 운영자는 정비가 정비 또는 검사프로그램에 의거 수행됨을 보증해야 한다.

나. 가항에서 요구하는 인력에 대한 이름 및 임무

다. 8.1.6.4 마항에서 요구하는 항공기 검사프로그램

라. 8.1.6.6에 따른 운영자의 정비기록 작성 및 8.1.6.7에 따른 정비기록 보존에 관한 방법

마. 5.9.4 나.항에서 요구하는 보고 절차

바. 필수적인 감항성 유지 정보를 이행하기 위한 절차

사. 정비프로그램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정비프로그램의 성능과 효율성에 대한


분석 및 지속적인 관찰 시스템

아. 교범이 적용되는 항공기 형식과 모델

자. 감항성에 영향을 미치는 항공기의 사용불능 상태를 기록하고 수정된다는 것을 보증


하는 절차

차. 항공기 운영중에 발생한 주요한 사건들에 대해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보고하는 절차

8.2.11 국외를 운항하는 항공기 정비프로그램(Maintenance programme)

가. 국외를 운항하는 항공기 운영자는 항공기 정비이행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된 항공기 정비 또는 검사프로그램(Maintenance programme)을 마련하여 운영
하여야 한다.
1) 항공기 예상 가동률을 고려하여 수행되어야 할 정비작업과 정비주기
2) 적용가능 시, 지속적인 기체구조 보전프로그램
3) 1) 및 2)에 대한 예외사항이나 변경 절차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4) 적용가능 시, 등록국가로부터 승인받은 경우 항공기 시스템, 장비품 및 동력장치에


대한 상태 모니터링 및 신뢰성 프로그램 설명
5) 형식설계인증에 필수적으로 명시된 정비작업 및 정비주기는 승인받은 것과 동일하여
야 한다.

주. 항공기 정비 또는 검사프로그램은 설계 국가 또는 형식설계에 대한 책임이 있는


기관에 의하여 만들어진 정비프로그램 정보 및 추가적인 적용 가능한 경험에 근거
하여야 한다.

나. 항공기 정비 또는 검사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사용에 편리하도록 인적요인(Human


Factors) 개념을 반영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주. 인적요인의 적용에 관한 지침은 ICAO Doc 9683(Human Factors Training


Manual)을 참조한다.

다. 항공기 정비 또는 검사프로그램의 개정사항 복사본은 관련 조직 또는 인원에게 즉시


제공되어야 한다.

8.2.12 보안프로그램(Security programme)


최대이륙중량이 5,700kg 이상인 항공기를 운영하는 자는 ‘국가항공보안계획’의 요건을
충족하는 자체 보안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이행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8.3 항공기 사용사업용(Aerial work aviation) 항공기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8.3.1 승무원의 임무와 책임(Crew Member Duties and Responsibilities)


8.3.1.1 비행중요단계에서의 임무(Duties During Critical Phases of Flight :
Commercial Air Transport)
가. 항공기 운영자는 운항승무원으로 하여금 비행중요단계에서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
하여 필요한 임무 외에 어떠한 다른 임무를 수행하도록 요구하여서는 아니되며, 운
항승무원도 이를 수행하여서는 아니된다. 필요한 임무 외의 임무란 항공사 선전방송,
흥미 있는 풍경에 대한 안내, 회사급여 또는 관련서류의 작성 등과 같은 안전과 관
련 없는 업무를 말한다.

나. 운항승무원은 비행중요단계에서 운항승무원의 임무수행을 산만하게 하거나 방해가


되는 어떤 행위도 하여서는 아니되며, 기장은 이를 허용하여서도 아니된다. 임무수행
에 방해되는 일이란 취식, 조종실 내 또는 조종실과 객실간의 불필요한 대화, 비행과
관련 없는 간행물의 독서 등을 말한다.

8.3.2 비행계획과 감독(Flight Planning and Supervision)


8.3.2.1 비행계획서류의 배포 및 보존(Flight Planning Document Distribution and
Retention)
가. 기장은 항공기 출발 전 다음 각 호의 비행준비 서류를 확인하고 서명하여야 한다.
1) 법정연료량, 항로상 운항성능, 목적지비행장 및 교체비행장에 대한 비행계획을 결정
하기 위하여 사용된 항공고시보(NOTAM)와 적절한 기상자료 등이 첨부된 운항비행
계획서
2) 탑재중량배분, 무게중심(C.G), 이․착륙중량과 최대운항중량 제한 및 성능분석에 대하
여 적합성을 나타내주는 탑재명세서
3) 이전의 비행에서 항공기의 기계적 결함이 탑재용 항공일지에 기록되어졌고, 출발공
항에서 정비 또는 점검이 수행되어졌거나 또는 출발공항에서의 정비확인
(Maintenance release)이 이루어진 경우 탑재용 항공일지의 관련 페이지

나. 항공기사용사업자는 기장이 서명한 모든 비행허가서류가 출발공항(복수비행의 경우


최초 출발공항)에 보관되고 이용할 수 있지 않는 한 운항을 위하여 항공기를 이륙시
켜서는 아니된다.

다. 기장은 가항에서 규정한 서류의 사본을 목적 공항에 도착할 때까지 항공기에 소지하
여야 한다.
주1. 이 항에 명시된 서류들은 모든 항공기 운항에 있어 8.1에서 정한 서류에 추가
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주2. 국토교통부장관은 후속적인 검토를 위하여 모든 서류를 이용할 수 있는 나항과


다른 보관 장소를 승인할 수 있다.

8.3.2.2 비행인가요건(Flight Release Required) <삭제, 2010.7.5>

8.3.2.3 운항비행계획서(Operational Flight Plan)


가. 운항비행계획서는 모든 비행 시 작성하여야 한다. 운항비행계획서는 항공기사용사업
자로부터 운항통제업무를 수행토록 권한을 부여받은 자가 작성하고 서명한 다음 기
장이 확인 후 서명하여야 하며, 8.3.2.1 및 별표 9.1.15.2.5 의 규정에 따라 취급되
고 보관되어야 한다.

나. 기장이 운항비행계획서(Operational Flight Plan)에 서명하지 않는 한 비행을 시작하


여서는 아니 된다.

다. 기장 및 항공기 운영자로부터 운항통제업무를 수행토록 권한을 부여받은 자가 해당 비


행이 안전하게 실시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기장은 운항비행계획서에 서명할 수 있다.
주. 운항비행계획서에는 기상 및 기타 예상되는 요소를 고려하여 목적지비행장까지의
비행과 모든 교체비행장으로의 비행에 필요한 항로 및 연료계산이 포함되어야 한다.

라. 운항비행계획서에 서명하는 기장은 연료공급, 교체비행장, 항로와 공항에 대한 기상


보고 ․ 예보 및 항공고시보(NOTAM) 등과 같은 비행계획정보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마. 항공기가 중간기착 공항에서 6시간 이상 체류하였을 경우 새로운 운항비행계획서 없


이 비행을 계속하여서는 아니된다.

8.3.2.4 계기접근절차 및 계기비행착륙최저치(Instrument Approach Procedures and


IFR Landing Minimums)
가. 운항규정에 지정된 계기비행 기상최저치와 계기접근절차에 반하여 계기접근을 하여
서는 아니 된다.

나. 최저시정치가 800m 미만으로 설정된 공항에서 활주로 가시범위(RVR)정보가 제공되


지 않는 한 계기접근 및 착륙을 시도하도록 하여서는 아니 된다.

8.3.3 기내 휴대수하물(Carry-on Baggage)


가. 항공기사용사업자는 기내 휴대수하물이 운항규정에 따라 적절하고 안전하게 적재할
수 없다면 기내 휴대수하물의 탑재를 허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나. 항공기사용사업자 각 기내 휴대수하물이 상단 선반에 인가된 고정끈으로 단단히 고


정되었는지 또는 문이 닫히도록 적재되었는지 또는 칸막이 벽 뒤 허가된 장소에 적
재되었는지를 최소 1명 이상의 승무원이 확인하지 아니하고서는 지상이동 또는 후진
준비를 위하여 항공기 승객 출입문을 닫는 것을 허용하여서는 아니된다.

다. 항공기사용사업자는 기내 휴대수하물이 적재위치에 부착된 최대허용중량을 초과하도


록 허용하여서는 아니된다.
주. 적재장소는 항공기가 형식증명된 비상착륙 조건하에 명시된 최대관성력을 초래하
기에 충분한 충돌 충격 하에서 수하물을 지탱할 수 있어야 한다.

8.3.4 승무원의 자격기준(Crew Member Qualifications)


8.3.4.1 승무원 훈련 일반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임무 수행을 위하여 모든 운항승무원을 적절히 훈련할 수 있도록 국
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의 인가를 받아 지상 및 비행훈련계획을 수립하고 유지
하여야 한다. 이 경우 훈련프로그램에는 다음을 포함해야 한다.

가. 지상 및 비행훈련시설과 자격을 갖춘 교관에 관한 사항

나. 운항승무원이 승무하는 비행기 형식에 맞는 지상 및 비행훈련의 구성

다. 동력장치, 기체, 시스템의 고장, 화재 또는 기타 비정상상태로 인해 야기되는 모든 형


태의 비상 또는 비정상 상황 및 절차에 관한 훈련과 운항승무원간 협조에 관한 사항

라. 실수의 관리와 위협요소를 포함한 인적요소 및 운항지역에 대한 시계/계기비행절차


에 대한 지식과 기술, 위험물 수송에 관한 사항

마. 비정상 또는 비상절차와 관련한 다른 운항승무원의 임무와 관련된 운항승무원 각각


의 책임에 관한 기능을 알고 있음을 보증하기 위한 사항

바. 적절한 훈련주기 설정 및 훈련프로그램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방법

8.3.4.1A 항공사 절차 기본교육(Company Procedures Indoctrination)


가.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인가한 항공사 절차 기본교육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승무원으로서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항공사 절차 기본교육과정에는 운항승무원의 임무를 규정
한 운항규정 절차에 대한 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나. 과목 및 학과시간 요구량은 별표 8.3.4.1A에 규정한다.

8.3.4.2 초기위험물훈련(Initial Dangerous Goods Training)


가.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인가한 위험물 초기훈련 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승무원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
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위험물 훈련 교육 대상, 과목, 내용, 최소 교육시간 등은 항공위험물운송기준(국토교


통부 고시) 제12조(교육과목 등) 및 표1-1, 표1-1(a), 표1-2를 따른다.

8.3.4.3 초기보안훈련(Initial Security Training)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인가한 초기보안훈련 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승무원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
니 된다.

8.3.4.4 초기 승무원 자원관리(Initial Crew Resource Management)


가.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인가한 초기 승무원자원관리(CRM) 과정을 이
수하지 못한 자는 승무원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학과의 제목(Curriculum topics)은 별표 8.3.4.4에 규정한다.

8.3.4.5 초기 비상장비 실습훈련(Initial Emergency Equipment Drills)


가. 운항하고자 하는 항공기에서 사용되는 비상장비에 대하여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
항공청장이 인가한 초기 비상장비과정 및 훈련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승무원의 임무
를 수행할 수 없으며,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학과과정 요건은 별표 8.3.4.5에 규정한다.

8.3.4.6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Initial Aircraft Ground Training)


가. 운항하고자 하는 항공기 형식에 대하여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인가한
초기지상훈련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승무원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항공기사용
사업자는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가항에 따른 운항승무원을 위한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에는 항공기의 성능, 중량배분,


운항정책, 시스템, 제한사항 및 정상, 비정상절차와 비상절차가 수록된 운항규정
(Operations Manual)의 관련 부분이 포함되어야 한다. 항공기에 따른 초기 항공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지상훈련 요구량은 다음과 같다.


1) 터보제트 ․ 팬 항공기, 120시간
2) 기타 항공기
가) 왕복엔진, 64시간
나) 터보 프로펠러 엔진, 80시간
주1. 운항승무원의 학과과정에 대한 요건은 별표 8.3.4.6A에 규정한다.
주2.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를 받은 운항승무원의 비행경험 정도에
따라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의 과목 및 시간을 분리하여 운영할 수 있다.
다) 터보샤프트 엔진 : AOC 증명시 국토교통부장관이 기종별로 승인한 교육훈련프로
그램에서 정한 시간

다. 객실승무원을 위한 초기 항공기지상훈련은 항공기 형식별 특정 형태(Configuration),


장비와 정상 및 비상절차가 수록된 운항규정(Operations Manual)의 관련부분을 포
함하여야 한다. 항공기에 따른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 요구량은 다음과 같다.
1) 터보제트 ․ 팬 항공기. 16시간
2) 기타 항공기
가) 왕복엔진. 8시간
나) 터보 프로펠러 엔진. 8시간
주. 객실승무원 학과과정 요건은 별표 8.3.4.6B에 규정한다.
다) 터보샤프트 엔진 : AOC 증명시 국토교통부장관이 기종별로 승인한 교육훈련프로
그램에서 정한 시간

라. <삭제, 2010.7.5>

마. 전환 또는 승격훈련의 경우 지상훈련의 교육과목 등은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을 준용


하여 실시하되, 훈련시간 등은 항공기사용사업자가 별도로 정하여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의 인가를 받아 실시하여야 한다.

8.3.4.7 초기비행훈련(Initial Aircraft Flight Training)


가.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인가한 해당 항공기 형식에 대한 초기비행훈련
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운항승무원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된다.

나. 초기비행훈련은 운항증명소지자의 정상, 비정상 및 비상절차에 따라 항공기의 기동


과 안전운항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다.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운항승무원의 비행경험 정도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항공청장이 인가한 초기비행훈련 과정을 분리하여 운영할 수 있다.

라. 비행훈련시간은 항공기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지정한 모의비행장치로 실시할 수 있


다. 항공기에 따른 초기비행훈련 요구량은 다음과 같다.
1) 터보제트 ․ 팬 항공기 : 조종사 및 항공기관사 22시간
2) 기타 항공기 : 조종사 및 항공기관사 18시간

마. 전환 또는 승격훈련의 경우 비행훈련의 과목 등은 초기비행훈련을 준용하여 실시하


되, 훈련시간 등은 항공기사용사업자가 별도로 정하여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
공청장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바. 세부적인 비행훈련과정은 별표 8.3.4.7에 규정한다.

8.3.4.8 초기특수운항훈련(Initial Specialized Operations Training)


가.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인가한 초기특수운항훈련을 이수하지 못한 자
는 해당 운항을 위한 운항승무원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특수운항을 위한 초기훈련과정에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사항이 포함되도록 하여야


한다.
1) 저시정 이륙 및 정밀계기접근(CAT-II, III) 착륙을 포함한 최저기상치에서의 운항
2) < 삭 제 ; 2014.10.31 >
3) 특수항행
4) 기장의 우측석 자격

다. 세부적인 특수운항훈련 과정은 별표 8.3.4.8에 규정한다.

8.3.4.9 항공기 차이점 보완훈련(Aircraft Differences)


가.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인가한 동일 형식의 항공기간 차이점 보완훈련
을 이수하지 못한 운항승무원은 차이점 보완훈련을 실시하여야 하는 해당 형식의 항
공기에 대한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
여서는 아니 된다.

나. 운항승무원의 항공기 차이점 보완훈련은 부과된 임무 및 책임에 관한 내용으로 다음


각 호와 같이 설정되어야 한다.
1) 항공당국이 불필요한 과목이라고 결정하지 않는 한, 초기지상훈련에서 요구되는 각
각의 적합한 과목 또는 부분에 대한 교육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2) 항공당국이 불필요한 과목이라고 결정하지 않는 한, 초기비행훈련에서 요구되는 각


각의 적합한 기동 또는 절차에 대한 비행훈련
3) 항공기 및 항공기 운항과 관련하여 운항승무원에게 필요하다고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결정한 지상 및 비행훈련 계획시간

다. 모든 형식의 항공기에 필요한 항공기 차이점 보완훈련은 초기, 전환 및 승격훈련에


포함되어야 한다.

라. <삭제, 2010.7.5>

8.3.4.10 모의비행장치 사용(Use of Simulators)


운항승무원 자격을 위하여 사용되는 모의비행장치와 비행훈련을 목적으로 하는 기타 훈
련장치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사항을 갖추어야 한다.
1) 지방항공청장으로부터 다음의 각호에 대하여 지정을 받아야 한다.
가) 항공운송사업의 운항증명소지자
나) 훈련 또는 심사를 수행할 항공기 형식(유사항공기 형식 포함)
다) 모의비행장치의 등급
2) 인가 시 요구되는 성능, 기능 및 기타 특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3) 개조가 필요한 성능, 기능 또는 승인이 요구된 다른 특성의 변경이 해당 항공기와
일치하여야 한다.
4) 매일 첫 비행 전에 기능점검을 하여야 한다.
5) 각 훈련 또는 심사비행 종료 후 해당 교관 또는 검열운항승무원이 기록할 수 있는
일일결함기록부(Daily Discrepancy Log)를 유지하여야 한다.

8.3.4.11 새로운 장비 또는 절차의 도입(Introduction of New Equipment or


Procedures)
항공기사용사업자가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인가한 훈련프로그램에 새로운
장비 또는 절차에 대한 과정이 설정되어 있고, 운항을 위하여 해당 장비 또는 절차의 사
용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경우 운항승무원의 직무와 해당 항공기의 특별한 차
이를 고려한 해당 교과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운항승무원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
며,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된다.

8.3.4.12 저경력 기장의 기상최저치 운항허가(PIC Low Minimums Authorization)


가. 해당 형식 항공기의 기장으로서 이․착륙을 포함한 15회의 비행(flights) 또는 100시
간의 비행에서 기장의 임무를 수행(CAT-I 또는 CAT-II 절차를 사용한 5회의 착륙
접근을 포함)하기 전까지는 운고가 300 피트 미만이거나 시정이 1마일 미만일 때
계기접근을 계획하거나 시도하여서는 아니 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나. 해당 형식 항공기의 기장으로서 이착륙을 포함한 20회의 비행(flights) 또는 100시


간의 기장비행 경력(CAT-III 절차를 사용한 5회의 접근 및 착륙을 포함)을 갖추기
전까지는 운고가 100피트 미만이거나 활주로가시범위(RVR) 300미터 미만일 때 접
근을 계획하거나 시도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 가항 및 나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운항규정에 정하여 국토교통


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으로부터 인가받은 기상치를 적용할 수 있다.

8.3.4.13 운항승무원 정기훈련(Recurrent Training: Flight Crew Members)


가. 최근 12개월 이내에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으로부터 인가 받은 정기 지
상훈련 및 비행훈련과정을 이수하지 아니한 자는 운항승무원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
으며,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정기 지상훈련에는 다음 각 호의 훈련이 포함되어야 한다.


1) 항공기 시스템과 제한사항, 정상․비정상 및 비상절차
2) 비상장비와 실습
3) 승무원자원관리(CRM)
4) 위험물의 식별 및 운송
5) 보안교육

다. 항공기에 따른 지상훈련 요구량은 다음과 같다.


1) 터보팬 ․ 제트 항공기 : 25시간
2) 기타 항공기
가) 왕복엔진 : 16시간
나) 터보 프로펠러 엔진 : 20시간
다) 터보샤프트 엔진 : 국토교통부장관이 기종별로 승인한 교육훈련프로그램에서 정한
시간

라. 정기 비행훈련에는 다음 각 호의 훈련이 포함되어야 한다.


1) 항공기사용사업자의 정상․비정상 및 비상절차에 대한 항공기의 조작과 안전운항
2) 비행중 위험 회피에 필요한 조작과 절차
3) 조종사에 대하여, 인가된 최저 기상치 하에서의 1회의 저시정 이륙과 운항증명소지
자에게 인가한 최저 기상치 하에서 2회의 접근 및 1회의 실패접근

마. 세부적인 정기훈련 요건은 별표 8.3.4.13에 정한 요건을 준용한다.


주. 해당 형식의 항공기와 수행될 운항에 대한 기량심사(Proficiency check)를 항공기
사용사업자로부터 만족스럽게 완료한 경우 기량심사는 정기비행훈련으로 갈음할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수 있다.

8.3.4.14 조종사의 자격 : 최근의 비행경험(Recent Experience (Takeoffs and Landings)


–PIC and co-pilot)
가. 항공기 사용사업에 사용되는 비행기의 조종사는 법 제45조에 따라 운항하고자 하는
동일형식의 항공기 또는 승인된 모의비행장치를 이용하여 최근 90일 이내에 3회의
이륙 및 착륙을 행한 비행경험이 있어야 한다.

나. 야간에 제1항에 따른 운항업무에 종사하고자하는 조종사는 제1항의 비행경험중 야간


에 적어도 1회의 이륙 및 착륙을 행한 비행경험이 있어야 한다.

다. 이∙착륙에 대한 최근의 비행경험을 충족하지 못한 조종사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인가


한 재자격 훈련과정을 이수하여야 한다.

8.3.4.15 비행교관의 훈련(Flight Instructor Training)


가.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인가한 교육훈련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비
행교관으로서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
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비행교관심사를 받고자 하는 자는 별지 제16호의 서식을 작성하여 심사예정일 15일


전까지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청하여야 한다.

다. 비행교관의 세부 훈련프로그램에 대한 요건은 별표 8.3.4.15에 규정한다.

8.3.4.16 비행 지상교관의 자격(Flight Instructor Qualifications)


가. 해당 항공기 형식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자는 수립된 훈련프
로그램의 비행교관으로서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1) 기장, 항공기관사 또는 항법사 업무수행을 위하여 갖추어야 할 해당 항공종사자 자
격증명 및 한정자격을 소지할 것
2) 기장, 항공기관사 또는 항법사 업무수행을 위하여 요구되는 해당 정기훈련 등 항공
기에 대한 적합한 훈련과정을 이수할 것
3) 기장, 항공기관사 또는 항법사 업무수행을 위하여 적합한 기량심사(Proficiency
Check), 자격심사(Competency Check) 및 최근의 비행경험 심사(Recency of
experience checks)를 이수할 것. 단, 비행임무를 수행하지 않는 모의비행장치 전
담 비행교관의 경우에는 최근의 비행경험 요건에 대하여는 예외로 한다.
4) 초기 또는 전환훈련 요건을 충족하고 국토교통부장관이 지명한 소속공무원 또는 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촉심사관이 비행 중 또는 모의비행장치에서 행한 기량심사(Authority-observed


in-flight competency check)를 만족스럽게 이수할 것
5) 제1종 항공신체검사증명서를 소지할 것. 단, 항공기 임무승무원(Required crew
member)으로서 종사하지 않을 경우에는 최소한 제3종 항공신체검사증명서를 소지
하되, 모의비행장치 비행교관의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나. <삭 제, 2010.7.5>

8.3.4.17 비행 교관의 자격유지(Maintaining for Flight Instructor Qualifications)


가. 항공기사용사업자는 비행교관의 지식 ․ 기술 및 자격의 유지를 위한 정기교육훈련 프
로그램을 수립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나. 가항에 따른 정기교육훈련프로그램에는 최소한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1) 항공법령 등 관련 규정
2) 교육평가 및 심사 절차 등

8.3.4.18 모의비행장치 경험의 대체(Substitution of Simulator Experience)


가.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지방항공청장으로부터 지정을 받지 못한 모의비행장치를 훈련
및 심사를 위하여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외국의 항공운송사업자 또는 훈련
기관에서 자국의 정부로부터 인가받은 훈련프로그램 및 모의비행장치를 항공기사용
사업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행규칙 제93조에 따라 지방항공청장으로부터
모의비행장치 지정을 받아야 한다.

나.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지방항공청장이 지정한 목적 이외에 모의비행장치를 사용하여서


는 아니 된다.

8.3.4.19 검열운항승무원 및 교관의 운항자격(Line Qualification: Check Airman and


Instructor)
최근 12개월 이내에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자는 검열운항승
무원이나 모의비행장치 교관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임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항공기 형식에서 임무운항승무원(Required flight crew
member)으로서 최소한 5회의 비행을 할 것
2) 임무가 부여된 항공기 형식의 조종실에서 2회의 전 비행과정을 관찰할 것

8.3.4.20 승무원 자격의 기록(Recording of Crew Member Qualification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승무원의 기록부에 이 장에서 요구하는 각 자격의 이수에 관한 사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항을 기록하고 유지하여야 한다.

나. 조종사는 이 장에서 정한 교과과정을 다른 교과과정과 병행 또는 혼합하여 이수할


수 있으나, 교과과정 이수에 관하여서는 각각 기록되어야 한다.

8.3.4.21 훈련 및 심사에 대한 감독(Monitoring of Training and Checking Activities)


가. 항공기사용사업자는 항공업무종사자에 대한 훈련 및 심사에 관한 규정을 제정하여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나.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은 항공기사용사업자가 가목에 따라 인가 받은 규


정을 준수하지 아니하고 훈련 및 심사를 실시한 경우 해당 훈련 또는 심사를 무효로
하거나 재 실시를 명할 수 있다.

8.3.4.22 적격기간(Eligibility Period)


가. 법 제51조제2항 및 이 장에서 요구하는 조종사의 운항자격 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행하여야 하는 기량심사, 시험, 자격심사 또는 정기훈련(지상훈련의 경우
는 예외로 한다) 또는 경험(노선 및 공항)을 수행하여야 하는 승무원은 적격기간 중
언제든지 이 요건을 이수할 수 있다.

나. 적격기간은 요건을 이수하여야 할 날자가 속한 월과 전 후1개월을 포함하여 3개월로


정한다.

다. 적격기간 내에 요건을 이수한 경우 차기 기준 월 산정 시 이를 기준 월에 이수한 것


으로 간주한다.

8.3.4.23 요구량의 감축(Reductions in Requirements)


가. 항공당국은 승무원의 이전 경험을 고려하여 이 장에서 정한 훈련요구량의 일정부분
을 줄이거나 면제를 인정할 수 있다.

나. 훈련요구량의 감축이나 면제를 요청한 운항증명소지자는 요청 근거를 서면으로 제출


하여야 한다.

다. 특정 승무원에 대한 요청이 있었을 경우 항공기사용사업자는 해당 승무원의 기록부


에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으로부터 감축이나 면제를 인정받은 서류와 그
에 대한 근거를 보관하여야 한다.

라. 비행훈련을 성공적으로 이수한 자, 교관 또는 검열운항승무원으로부터 추천을 받은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자, 검열운항승무원에 대한 적절한 비행심사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자 또는 계획시간


(Programmed time) 보다 적은 시간의 과정을 이수토록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
정을 받은 자는 특정 항공기에 대하여 설정된 비행훈련 계획시간을 모두 충족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주. 국토교통부장관은 이전 6개월 동안 특정 훈련과정에서 수행한 비행심사의 20퍼
센트가 불합격된 것을 발견한 경우, 해당 훈련과정에서의 비행훈련 효과가 개선
되었다고 판명될 때까지 상기의 인정방법을 적용하지 아니할 수 있다.

8.3.5 비행인가(Flight Release)


8.3.5.1 비행인가 : 착빙상태(Flight Release in Icing Conditions)
가. 항공기의 비행을 허가하는 자 또는 기장이 항공기에 인가된 제빙 또는 방빙 장비를 충
분히 작동시켜도 결빙상태를 해결할 수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항공기사용사업자는 비
행을 인가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항공기 출발공항에서 지상 제빙 및 방빙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


장이 항공기사용사업자에게 인가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적합한 시설과 장비를
기장이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서리, 얼음, 눈 등이 항공기에 달라붙을 것이 예상되는
조건에서는 항공기사용사업자는 비행을 인가하여서는 아니 된다.

8.3.5.2 비행인가 : 시계비행방식 또는 계기비행방식(Flight Release under VFR or


IFR)
항공기사용사업자는 기상보고 및 예보에 따라 판단한 결과 운항비행계획서에 명시된 대
로 해당 비행을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시계 비행방식 또는 계기 비행방식
에 의한 비행을 인가하여서는 아니 된다.

8.3.5.3 비행인가 : 항공기 탑재와 성능(Flight Release: Aircraft Loading and


Performance)
항공기사용사업자는 항공기 예상탑재량에 따른 운용범위가 다음 각 호에서 정한 범위를
초과하여 운항비행계획서를 발행하여서는 아니 된다.
1) 무게중심 운용한계
2) 항공기운용한계
3) 최소성능요건

8.3.5.4 비행인가 : 항로상에서의 비행인가 수정 또는 재인가(Flight Release:


Amendment or Re-release En Route)
가. 항로상에서 비행 중 비행경로의 허가 사항을 수정하여 비행한 자는 수정받은 인가
사항을 기록해 두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나. 기장은 항로상에서 비행인가의 수정 또는 재인가 요청을 위하여서는 항로, 공항선정,


법정연료량이 적합하여야 한다.

다. 기장은 기상정보의 변화로 인하여 공항이 본래의 비행인가와 부적합하게 되는 경우


계획된 공항으로의 계속비행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8.4 항공운송사업용(Air transportation) 항공기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8.4.1 비행성능 계산(Aircraft Performance Calculations)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비행교범(AFM)에 포함된 성능자료 또는 다른 인가된 자료가 제
8.3.4절에서의 요건에 따라 결정되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나. 가항에 따른 성능자료를 적용할 경우에는 항공기 외형(Configuration), 환경 조건,


성능에 악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스템 작동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8.4.2 운항승무원 요건(Flight Crew Requirements)


8.4.2.1 항공종사자의 업무제한(Airman: Limitations on Use of Services for
Commercial Air Transport)
가. 항공운송사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자는 해당 항공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나. 항공운송사업 목적의 운항을 하고자 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종사자 자격을 갖추


지 아니한 자를 업무에 종사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주 : 항공운송사업에 종사하는 항공종사자에 관한 자격은 8.4.8에 규정한다.

8.4.2.2 조종사의 자격 : 최근의 비행경험(Recent Experience (Takeoffs and Landings)


–PIC and co-pilot)
가.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비행기의 조종사는 법 제45조에 따라 운항하고자 하는 동일
형식의 항공기 또는 승인된 모의비행장치를 이용하여 최근 90일 이내에 3회의 이륙 및
착륙을 행한 비행경험이 있어야 한다.

나. 야간에 가. 항의 규정에 의한 운항업무에 종사하고자하는 조종사는 가. 항의 비행경


험중 적어도 야간에 1회의 이륙 및 착륙을 행한 비행경험이 있어야 한다. 다만, 정기
편을 운항하는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운항업무에 종사하는 조종사는 그
러하지 아니하다.

다. 이∙착륙에 대한 최근의 비행경험을 충족하지 못한 조종사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인가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한 재취득 훈련과정을 이수하여야 한다.

8.4.2.3 조종사의 자격 : 항로교대조종사의 최근 비행경험(Recent Experience cruise relief


pilot)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조종사는 최근 90일 이내에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험이 없는 한 항로교대조종사(cruise relief pilot)로 임무를 수행하여서는 아니
되며, 운영자는 이러한 조종사에게 항로교대조종사의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가. 동일 형식의 항공기를 이용하여 기장(PIC), 부기장(Co-pilot) 또는 항로교대조종사


(cruise relief pilot)로서 운항한 경험

나. 동일 형식 항공기 또는 그러한 목적으로 승인된 모의비행장치를 이용하여 정상, 비정상


및 비상절차(normal, abnormal and emergency procedures)를 포함하는 비행기량 훈
련을 이수하고 접근 및 착륙 절차를 수행한 경험

8.4.3 승무원의 임무와 책임(Crew Member Duties and Responsibilities)


8.4.3.1 조종실 출입문의 잠금(Locking of Flight Deck Compartment Door)
항공운송사업을 목적으로 운항하는 항공기의 기장은 승객을 태우고 운항하는 동안 조종
실 출입문을 항상 잠궈야 한다. 다만, 기장이 운항 및 비상탈출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판
단하는 경우와 8.4.3.2 가항에서 정한 자가 출입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
다.

8.4.3.2 조종실 출입(Admission to the Flight Deck)


가. 항공운송사업을 위해 운항을 하는 항공기의 조종실 출입은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자
로 제한한다.
1) 임무중인 승무원
2) 각종 증명, 자격증명 또는 안전감독업무를 수행하는 검사의 권한을 갖는 정부의 관
계자 (공무수행 시에만 해당된다)
3) 운항규정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허가를 받은 자

나. 기장은 조종실 출입을 허가하기 전에 다음 사항을 확인하여야 한다.


1) 안전운항의 관점에서 조종실 출입 허가가 항공기 운항에 지장을 주거나 주의를 산
만하게 하는 지의 여부
2) 조종실에 탑승한 모든 사람들이 관련된 안전절차를 숙지하고 있는 지의 여부

8.4.3.3 비행중요단계에서의 임무(Duties During Critical Phases of Flight)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운항승무원으로 하여금 비행중요단계에서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하여 필요한 임무 외에 어떠한 다른 임무를 수행하도록 요구하여서는 아니 되며, 운


항승무원도 이를 수행하여서는 아니된다. 필요한 임무 외의 임무란 객실요리의 주문,
승객의 연계편 확인, 항공사 선전방송, 흥미 있는 풍경에 대한 안내, 회사급여 또는
관련서류의 작성 등과 같은 안전과 관련 없는 업무를 말한다.

나. 운항승무원은 비행중요단계에서 운항승무원의 임무수행을 산만하게 하거나 방해가


되는 어떤 행위도 하여서는 아니 되며, 기장은 이를 허용하여서도 아니 된다. 임무수
행에 방해되는 일이란 취식, 조종실 내 또는 조종실과 객실간의 불필요한 대화, 비행
과 관련 없는 간행물의 독서 등을 말한다.

8.4.3.4 통신절차
가. 항공기가 항공운송사업자의 운항규정에서 정한 복잡한 국제 관제공역을 비행하는 때
에는 기장 또는 부기장(Co-pilot) 1인은 해당 교통관제기관과의 주파수를 지속적으
로 청취하고 양방향 통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항상 헤드셋을 착용하여야 한다.
나. 항공기가 교통관제기관간의 관제권이 이양되는 구간에서 해당 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주파수 변경지시가 없는 경우 운항승무원은 주파수 변경 여부를 해당 교통관제기관
에 재확인하여야 한다.
다. 운항승무원은 비행중에는 항상 조종실 비상주파수 볼륨을 청취가 가능한 상태로 설
정하고 운항하여야 한다.

8.4.4 비행계획과 감독(Flight Planning and Supervision)


8.4.4.1 비행계획서(Air Traffic Control Flight Plan)
관계 당국으로부터 허가를 받은 경우를 제외하고 비행계획서(Air Traffic Control Flight
Plan)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는 이륙하여서는 아니 된
다.

8.4.4.2 이륙교체비행장(Takeoff Alternate Aerodromes)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운항비행계획서에
적합한 이륙교체비행장을 명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항공기의 비행을 허가하거나
이륙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출발공항의 기상조건이 해당항공기가 운항하기에 적합한 착륙최저치 미만인 경우
2) 기타의 사유로 항공기가 이륙하는 출발공항으로의 회항이 불가능할 경우

나. 운항비행계획서에 명시한 이륙교체비행장은 다음 각 호에서 정한 거리 내에 위치하


여야 한다.
1) 쌍발엔진 항공기 : 실제이륙중량을 사용하여 무풍상태 및 국제표준대기(ISA)로 산정
되고 항공기운용교범에서 결정된 1개 엔진 부작동시 순항속도로 1시간의 비행시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2) 3발 또는 4발 엔진 비행기 : 실제이륙중량을 사용하여 무풍상태 및 국제표준대기


(ISA)로 산정되고 비행기운용교범에서 결정된 모든 엔진 작동시 순항속도로 2시간의
비행시간.
3) 회항시간연장운항(EDTO)을 인가받은 비행기 : 실제이륙중량을 감안하여 운영자가 인
가받은 최대회항시간.
다. 항공운송사업자가 이륙교체비행장을 선정할 때에는 예상되는 이용시간 동안의 기상조
건이 해당운항에 대한 공항운항최저치 이상이어야 한다.

라. 회항시간 연장운항을 신청하려는 자는 별지 제17호 서식(회항시간 연장운항 승인 신


청서)에 법 제74조의2에 따라 고시하는 운항기술기준에 적합함을 증명하는 서류를
첨부하여 운항 개시 예정일 20일 전까지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8.4.4.3 회항시간연장운항 인가를 득하지 못한 비행기의 착륙가능비행장으로 부터의


최대 운항허용 거리(Maximum Distance from an Adequate Aerodrome Without an
EDTO Approval)

가. 항공운송사업용 비행기는 항로상의 착륙가능비행장으로부터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지점을 벗어나서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회항시간연장운항 인가를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터빈엔진 비행기
가) 쌍발 터빈엔진 비행기 : 나항에 따라 결정된 1개의 엔진이 부작동된 상태의
순항속도로 착륙가능비행장으로부터 60분의 비행거리. 다만, 최대인가승객
좌석수가 20석 미만이며 최대이륙중량이 4만5천360킬로그램 미만인 비행기로서,
항공법 시행규칙 제15조제3호에 따른 전세운송을 위한 부정기편 운항의 경우에는
180분으로 한다.
나) 삼발이상의 터빈엔진 비행기 : 나항에 따라 결정된 모든 엔진이 작동된 상태의
순항속도로 착륙가능비행장으로부터 180분의 비행거리(화물만을 전용으로
운송하기 위한 3개 이상의 터빈엔진을 가진 비행기는 제외한다.)
2) 왕복엔진 비행기 : 나항에 따라 결정된 1개 엔진 부작동 상태의 순항속도로
120분을 초과하는 거리 또는 300해리 중 더 짧은 거리
나. 항공운송사업 운항증명소지자는 착륙가능비행장까지의 최대거리를 계산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와 같은 조건 하에서 쌍발비행기는 1개 엔진 부작동 시 및 삼발 이상의
다발비행기는 모든 엔진 작동시의 진대기속도를 근거로 최대운항속도(Vmo)를
초과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속도를 결정하여야 한다.
1) 국제표준대기(ISA);
2) 수평비행
가) 터빈엔진 비행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① 쌍발비행기는 고도1만7천 피트(FL170) 또는 비행교범(AFM)에 명시된 상승률을


사용하여 비행기가 1개 엔진 부작동 상태에서 상승하고 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비행고도 중 낮은 고도
② 삼발 이상의 다발비행기는 비행교범(AFM)에 명시된 모든 엔진 작동 상태에서
상승하고 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순항 비행고도
나) 왕복엔진비행기
① 고도 8천 피트; 또는
② 비행교범(RFM)에 명시된 상승률을 사용하여 항공기가 1개 엔진 부작동 상태에서
상승하고 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비행고도 중 낮은 고도
3) 나머지 작동 엔진의 최대 연속 추력 또는 동력
4) 항공기 중량은 다음의 각목에서 정한 중량이상 일 것
가) 해발고도에서 최대이륙중량으로 이륙하여 가항에 규정된 범위에 도달한 시점에서
의 중량
나) 장거리순항비행 최적고도까지 모든 엔진으로 상승하여 가항에 규정된 범위에 도달
한 시점에서의 중량
다) 장거리순항비행 최적고도와 속도로 모든 엔진으로 순항하여 가항에 규정된 범위에
도달한 시점에서의 중량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규정에 항공기 형식별로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자료를 수록하


여야 한다.
1) 나항에 따라서 결정된 1개 엔진 부작동 순항속도,
2) 가항 및 나항에 따라 결정된 착륙가능비행장으로부터의 최대거리
주. 위에서 정한 속도와 고도(Flight Level)는 단지 착륙가능비행장으로부터의 최대거
리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8.4.4.4 회항시간연장운항(Extended Diversion Time Operations)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를 득하지 않는 한 8.4.4.3에서 정한
규정에 의거 결정된 최대거리를 벗어나서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나. 회항시간연장운항을 수행하기 전 항공운송사업자는 항공기에 인가된 회항시간 이내에


서 이용 가능한 항로상 교체착륙적합비행장이 있는 지를 확인하고 확보하여야 한다.

다. 회항시간연장운항 승인 기준은 별표 8.4.4.4 및 별표 8.4.4.5에 규정한다.

8.4.4.5 회항시간연장운항을 위한 항로상 교체비행장(En Route Alternate Aerodromes


EDTO Operations)
가. 기장은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 받은 회항시간연장운항을 위한 항로상 교체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행장이 회항시간연장운항의 회항시간(Diversion Time)에 따라 선정되어 비행계획서


상에 명시되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나. 회항시간연장운항을 위한 항로상 교체비행장 선정시의 해당 공항 기상조건은 항공기


출발예정시간을 기준으로 가장 빠른 착륙예정시간의 1시간 전부터 가장 늦은 착륙예
정시간의 1시간 후까지의 사이에 다음 각 호의 1의 표준 최저 기상치 또는 운항증명
소지자가 운영기준으로 인가받은 교체공항 기상최저치 이상이어야 한다.
주. 계기비행방식(IFR)에 의한 비행의 교체비행장 선정시 사용되는 기상예보기준은 회
항시간연장운항을 위한 교체비행장 선정 시에도 사용된다.

1) 1개의 정밀접근절차(A Single Precision Approach)가 가능한 공항


운고 600피트 및 시정 3,200미터 또는 당해 공항의 가장 낮은 최저 기상치에 운고
400피트 및 시정 1,600미터를 더한 것 중 높은 기상치
2) 2개 이상의 정밀접근절차가 가능한 공항
운고 400피트 및 시정 1,600미터 또는 당해 공항의 가장 낮은 최저 기상치에 운고
200피트 및 시정 800미터를 더한 것 중 높은 기상치
3) 비정밀접근 절차만 가능한 공항
운고 800피트 및 시정 3,200미터 또는 당해 공항의 가장 낮은 최저 기상치에 운고
400피트 및 시정 1,600미터를 더한 것 중 높은 기상치

8.4.4.6 비행계획서류의 배포 및 보존(Flight Planning Document Distribution and


Retention)
가.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기장은 항공기 출발 전 다음 각 호의 비행준비
서류를 확인하고 서명하여야 한다.
1) 법정연료량, 항로상 운항성능, 목적지비행장 및 교체비행장에 대한 비행계획을 결정
하기 위하여 사용된 항공고시보(NOTAM)와 적절한 기상자료 등이 첨부된 운항비행
계획서
2) 탑재중량배분, 무게중심(C.G), 이․착륙중량과 최대운항중량 제한 및 성능분석에 대하
여 적합성을 나타내주는 탑재명세서
3) 이전의 비행에서 항공기의 기계적 결함이 탑재용 항공일지에 기록되어졌고, 출발공
항에서 정비 또는 점검이 수행되어졌거나 또는 출발공항에서의 정비확인(Maintenance
release)이 이루어진 경우 탑재용 항공일지의 관련 페이지

나. 기장이 서명한 모든 비행허가서류가 출발공항(복수노선의 경우 최초 출발공항)에 보


관되고 이용할 수 있지 않는 한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운항을 위하여 항공기를 이륙
시켜서는 아니 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다. 기장은 가항에서 규정한 서류의 사본을 목적공항에 도착할 때까지 항공기에 소지하
여야 한다.
주1. 이 조항에 명시된 서류들은 모든 항공기 운항에 있어 제8.2절에 정한 서류에
추가된다.
주2. 국토교통부장관은 후속적인 검토를 위하여 모든 서류를 이용할 수 있는 나항과
다른 보관 장소를 승인할 수 있다.

8.4.4.7 비행인가요건(Flight Release Required)


가. 해당 비행에 대한 운항통제업무(Operational control functions)를 수행하기 위하여
운항증명소지자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은 자의 인가를 득하지 아니하고 비행감시시스
템(Flight following system)에 의한 비행을 시작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로부터 운항통제업무를 수행토록 임무를 부여받은 자가 특정 운항 또


는 일련의 운항에 대하여 비행인가를 하지 않는 한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운항을 시
작하여서는 아니 된다.

8.4.4.8 운항비행계획서(Operational Flight Plan)


가. 운항비행계획서는 모든 비행 시 작성하여야 한다. 운항비행계획서는 운항관리사가
작성하고 서명한 다음 기장이 확인 후 서명하여야 하며, 8.4.4.6 및 별표 9.1.15.2.5
의 규정에 따라 취급되고 보관되어야 한다.

나. 기장이 운항비행계획서(Operational Flight Plan)에 서명하지 않는 한 비행을 시작하


여서는 아니 된다.

다. 기장 및 항공운송사업자로부터 운항통제업무를 수행토록 권한을 부여받은 자가 해당 비


행이 안전하게 실시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기장은 운항비행계획서에 서명할 수 있다.
주. 운항비행계획서에는 기상 및 기타 예상되는 요소를 고려하여 목적지비행장까지의
비행과 모든 교체비행장으로의 비행에 필요한 항로 및 연료계산이 포함되어야 한
다.

라. 운항비행계획서에 서명하는 기장은 연료공급, 교체비행장, 항로와 공항에 대한 기상


보고․예보 및 항공고시보(NOTAM) 등과 같은 비행계획정보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마. 항공기가 중간기착 공항에서 6시간 이상 체류하였을 경우 새로운 운항비행계획서 없


이 비행을 계속하여서는 아니 된다.

8.4.5 항공기 운항 및 성능제한(Aircraft Operating And Performance Limitations)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8.4.5.1 적용(Applicability)
이 절에서는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특별허가를 받은 항공기 또는 특정 운항 및 성능제
한에 대하여 면제를 받은 항공기를 제외하고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모든 항공기에 대
한 성능과 운항제한을 규정한다.

8.4.5.2. 일반사항(General)
가.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를 사용하는 항공운송사업자는 이 절에서 정한 항공
운송사업용 항공기 관련조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나. 특별한 환경으로 인해 안전 요건의 엄격한 준수가 불필요한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은


이 절에서 정한 요건으로부터 예외적인 적용을 허가할 수 있다.

다. 이 절에서 정한 요구조건을 항공기의 특별 사양(수상비행기, 비행선, 초음속항공기)


으로 인해 이행할 수 없는 경우 항공운송사업자는 이 절에서 정한 안전수준으로 국
토교통부장관이 인가한 별도의 성능표준을 따라야 한다.

라. 항공운송사업자는 운상(구름 위)비행을 제외하고 항공기가 계속적으로 주간에 시계비


행방식으로 운항할 수 없다면 유상승객 운송에 단발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마. 항공운송사업자는 항공기가 다음 각 호의 조건하에서 계속 운항하지 않는 한 8.4.5.4


부터 8.4.5.8의 성능제한에 부합할 수 없는 한 어떠한 형식의 항공기라도 여객 운송
에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1) 주간비행
2) 운상비행을 제외한 시계비행방식의 비행; 그리고
3) 계획된 항로나 계획된 회항 항로의 최저항로고도(MEA) 또는 해면고도로부터 5천
피트 중 더 높은 고도까지 중요엔진이 부작동 되어도 최소한 분당 50피트의 상승이
가능한 중량

바. 마항 3)에 부합될 수 없는 다발엔진 항공기는 단발엔진 항공기로 간주되며 라항의


요건을 따라야 한다.

사. 비행교범에 수록된 성능에 관한 정보와 8.4.5에서 규정한 기준에 적합하다고 판단되


지 않은 상태에서 비행을 하여서는 안 된다.

아. 국토교통부장관은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모든 항공기에 대하여 8.4.5에서 규정한


성능제한 사항을 개정하거나, 신규로 제정하고자 할 때는 ICAO 부속서 6의 기준에
적합하도록 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자. < 삭 제 ; 2014.10.31 >


차. < 삭 제 ; 2014.10.31 >

8.4.5.3 항공기 성능계산(Aircraft Performance Calculations)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이 절에서 요구되는 운항 및 성능제한이 비행교범(AFM) 또는 국
토교통부장관이 달리 승인한 자료에 의해 정확하게 계산된 것을 확인하지 않으면 항
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를 이륙시켜서는 아니 된다.

나. 항공운송사업용 항공기의 운항 및 성능제한을 산출하는 자는 이 절에 부합되는 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성능자료가 비행단계별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정확하게 고려
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1) 항공기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합리적으로 예견된 악 조건에서의 운항;
2) 2개의 엔진을 가진 항공기가 1개 엔진 부작동의 경우, 적용될 경우;
3) 3개 이상의 엔진을 가진 항공기가 2개 엔진 부작동의 경우, 적용될 경우

다. 8.4.5.3부터 8.4.5.8까지의 성능 및 제한조건 산출시 산출자는 모든 엔진 작동시와


부작동 엔진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상황을 명확히 고려하여야 한다.
1) 비행의 모든 단계
가) 항공기 중량에 따른 연료 및 오일 소모의 영향
나) 비행경로, 바람, 항공기 외형(Configuration) 변동이 연료소모에 미치는 영향
다) 항공기 중량 및 연료 잔량에 대한 연료방출 영향, 적용할 수 있고 인가된 경우
라) 방빙장치 사용에 의한 영향, 적용할 수 있고 기상상태가 이의 사용이 필요할 때
마) 계획된 항로 및 계획된 회항 항로상의 외기 온도 및 바람
바) 장애물 통과를 위하여 필요한 비행경로 및 최저고도
2) 이 ․ 착륙 시
가) 오염(물, 진창 눈, 눈, 얼음 등)된 이륙활주로 또는 이륙지역의 상태;
나) 사용 활주로의 경사도;
다) 개방구역(Clearway) 및 정지로(Stopway)가 포함된 활주로 길이, 적용될 경우;
라) 이착륙 활주로의 기압고도;
마) 이륙시의 외기 온도 및 바람;
바) 도착지와 계획된 교체공항의 예상 외기 온도 및 바람;
사) 항공기 형식별 지상운용 특성(제동력 등); 그리고
아) 이륙경로, 착륙경로 및 착륙활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착륙보조시설 및 지형
주1. 실제조건이 성능산출기준과 다를 경우 보간법 또는 계산을 통하여 특정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주2. 바람효과 수정시 무풍을 기본으로 한 이․착륙 자료는 보고된 정풍의 50퍼센트,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보고된 배풍의 150퍼센트를 고려하여 수정한다.

라. 기장은 비행교범에 수록된 성능에 관한 정보가 위의 다항 및 8.1.10.3에 규정된 기


준이 비행하는데 맞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비행하여서는
안 된다.

8.4.5.4 이륙성능제한(Takeoff limitations)


가. 비행기 : 항공운송사업자는 최대허용이륙중량 결정시 다음 각 호의 요건에 충족되지
않는 한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비행기를 이륙시켜서는 아니 된다.
1) 이륙활주소요길이가 활주로의 길이보다 더 길지 않아야 한다.
2) 터빈엔진 비행기
가) 이륙거리는 활주로의 길이에 개방구역(Clearway)을 더한 길이 이내 이어야 하며,
계산에 포함된 개방구역 길이는 활주로 길이의 1/2 이내이어야 한다; 그리고
나) 가속정지거리는 활주로 길이와 정지로(Stopway) 길이를 더한 길이를 초과하여서
는 아니 된다.
3) 왕복엔진 비행기는 가속정지거리가 이륙 중 V₁에 도달할 때까지 활주로 길이를 초
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4) 만약 비행기가 V₁속도 이후에 중요엔진이 부작동 될지라도 장애물 통과를 위해 다
음 각 호를 만족하는 이륙비행경로를 유지해야 한다.
가) 터빈엔진 비행기는 최소 수직으로 10.7미터(35피트) 높이로, 왕복엔진 비행기는
15.2미터(50피트) 높이로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을 것
나) 이륙비행경로의 폭은 비행장 경계 이내에서는 수평으로 최소한 60미터(200피트)
이고 경계를 지나서는 수평으로 최소한 90미터(300피트)이어야 하며, 이륙경로상
의 모든 지점에서의 비행기 기울기는 15도 각도 이내일 것
5) 이용 가능한 활주로는 이륙전 항공기 정대에 따른 길이 손실을 반영하여 계산되어야 한다.

나. < 삭 제 ; 2014.10.31 >

8.4.5.5 항로상 성능제한 : 모든 엔진 작동시(En Route Limitations: All Engines


Operating)
항공운송사업자는 모든 엔진 작동상태에서 운항예정 항로의 좌우 10해리 이내 모든 지
형 및 장애물 상공 최소 300미터(1,000피트) 고도에서 최소 6.9Vso의 상승률이 허용되
지 않는 중량으로 항공운송사업용으로 왕복엔진 항공기를 이륙시켜서는 아니 된다.

8.4.5.6 항로상 성능제한 : 한개 엔진 부작동시(En Route Limitations: One Engine


Inoperative)
가. 비행기 : 항공운송사업자는 비행기가 항로의 임계지점에서 엔진 1개 부작동시 다음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각 호와 같이 착륙적합공항으로 계속 비행할 수 없으면 항공운송사업용으로 이륙시켜서


는 아니 된다.
1) 왕복엔진 비행기
가) 계획된 비행항로 양편의 9.3킬로미터(5마일) 이내에 있는 모든 지형과 장애물 상
공 300미터(1,000피트) 고도에서 최저상승률 0.079-(0.106/장착엔진수)Vso²
(Vso가 놋트로 표시될 때) 유지
나) 비행기가 착륙이 예정된 비행장 상공의 최저 450미터(1,500피트) 고도에서 양
(Positive)의 상승각 유지
2) 터빈엔진 운송용 비행기
가) 계획된 비행항로 양편의 9.3킬로미터(5마일) 이내 모든 지형과 장애물 상공 최소
300미터(1,000피트) 고도에서 상승각 유지
나) 순항고도로부터 계획된 착륙비행장까지 계획된 비행경로 양편의 9.3킬로미터(5마
일) 이내 모든 지형과 장애물 상공 최소 600미터(2,000피트) 통과가 가능한 순 비
행경로(Net flight path) 유지
다) 착륙이 예정된 비행장의 최저 450미터(1,500피트) 고도에서 상승각 유지
주. 가항에서 언급된 9.3킬로미터(5마일)의 모든 지형과 장애물 통과 마진은 항법
정확도가 95퍼센트 수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18.5킬로미터(10마일)까지
연장시킬 수 있다.
나. < 삭 제 ; 2014.10.31 >

8.4.5.7 항로상 성능제한 : 2개 엔진 부작동시(En Route Limitations: Two Engines


Inoperative)
가. 비행기 : 항공운송사업자는 계획된 항로(모든 엔진 작동 순항추력으로)상의 어떤 지
점에서 90분 이내 에 착륙적합비행장이 없으면 비행 중 임계지점에서 2개의 임계엔
진이 동시에 부작동할 경우 비행기가 착륙적합비행장으로 계속 비행하여 다음 각 호
와 같은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한 3개 이상의 엔진을 보유한 비행기를 항공운송사업
용으로 이륙시켜서는 아니 된다.
1) 터빈엔진 비행기
가) 비행계획된 항로 양편 5마일(4.34해리) 이내의 모든 지형 및 장애물을 수직으로
최소 2천 피트 이상으로 통과하는(비행경로를 따라 예상된 외기온도 고려) 순 비
행경로 (Net flight path)
나) 계획된 착륙공항 상공 1,500피트에서 양의 상승각 유지
다) 계획된 착륙공항 상공 1,500피트에 도착한 후 순항추력으로 15분 동안 더 비행하
기에 충분한 연료
주. 엔진 부작동 후 연료 및 오일 소모는 비행교범(AFM)의 순 비행경로 자료에 허용
된 소모와 동일하다.
2) 왕복엔진 비행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가) 5,000피트 고도 또는 비행계획된 항로 양편 10마일 이내의 가장 높은 장애물 위


1,000피트 고도에서 분당 0.013Vso² 피트의 상승률 유지
나) 계획된 착륙공항 최소 300m(1,000피트)고도에 도달할 충분한 연료
주1. 왕복엔진 비행기의 2개의 엔진이 정지되었을 때 순항고도에서 최저고도까지 강
하하는 동안 기술된 상승률을 충족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최저고도에 도달하였
을 때 충족하면 된다. 이때 강하는 규정된 것보다 0.013Vso² 만큼 큰 강하률로
순 비행경로를 따르는 것을 가정한다.
주2. 연료 방출량 계획시 2개의 엔진 부작동 지점에서 비행을 시작하여 최소 공항 직
상공 300미터(1,000피트)에 도달할 수 있도록 연료를 유지하여야 한다.
나. < 삭 제 ; 2014.10.31 >

8.4.5.8 착륙성능제한(Landing Limitations)


가. 비행기 : 항공운송사업자는 목적지 또는 교체비행장의 착륙접근로에서 모든 장애물
을 회피하여 착륙공항의 이용가능 착륙거리 내에서 착륙이 가능하지 아니한 공항을
운항해서는 아니 되며, 목적지 또는 교체비행장 도착시의 비행기 중량이 비행기가 활
주로 말단 상공 50피트 지점부터 다음 각 호에서 정한 거리 내에서 완전착륙정지 할
수 있지 않는 한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비행기를 이륙시켜서는 아니된다.
1) 터빈엔진 비행기는 활주로 유효거리의 60퍼센트 이내
2) 왕복엔진 비행기는 활주로 유효거리의 70퍼센트 이내

나. 항공운송사업자는 목적지 비행장의 허용 착륙중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착륙성능제한


을 결정하는 자로 하여금 다음 각 호를 확인하도록 해야 한다.
1) 무풍 기준으로 가장 유리한 활주로 및 가장 유리한 방향으로 비행기를 착륙
2) 비행기는 예측 가능한 풍속과 풍향, 활주로의 상태, 지상운용특성(Ground handling),
착륙보조시설, 지형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활주로에 착륙
주. 착륙공항의 활주로가 젖어 있거나 미끄럽다고 예보되었다면, 유효착륙거리는 정
상 착륙거리보다 115퍼센트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특정 비행기 형식은
115퍼센트보다 짧은 거리의 활주로에서 착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비행교
범(AFM)에 따른다.

다. 가항1)의 필요조건을 충족할 수 없어 이륙 할 수 없는 터빈엔진 운송용 비행기는


가항의 필요조건을 충족시키는 교체비행장이 있어야 이륙이 가능하다.

라. < 삭 제 ; 2014.10.31 >


마. < 삭 제 : 2014.10.31 >

8.4.5.9 중량제한(General Weight Limitations)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항공운송사업자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항공기 중량한계기준을 준수하여 운항하여야


한다.
가. 이륙시 중량은 8.4.5에서 정하는 중량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비행진행에
따른 연료소모, 연료배출에 따라 감소되는 중량은 이를 제외하여 계산될 수 있다.

나. 어떠한 경우에도 이륙 시 중량은 비행교범이 정하는 기압고도별 최대이륙중량을 초


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 어떠한 경우에도 이륙시 중량은 비행교범이 정하는 기압고도별 최대중량을 초과하여


서는 아니 된다.

라. 어떠한 경우에도 이륙시 또는 착륙시 중량은 부속서 16, Volume 1에 의해 발행된


소음증명으로 부과된 최대중량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달리 규정된 공항
또는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달리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8.4.5.10 장애물 정보(Obstacle data)


항공운송사업자는 항공정보간행물(AIP)을 통해 배포되는 장애물 정보를 참조하여
8.4.5.4의 규정에 의한 이륙성능을 포함하여 초기상승, 접근 및 착륙단계를 이행하기 위
한 절차를 수립하여야 하며, 동 절차를 개발하는 경우, 항공지도의 정확성여부를 확인해
야 한다.

8.4.5.11 전자항행자료관리(Electronic navigation data management)


항공운송사업자는 다음 각목을 보증하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문서화된 절차가 없는
한 공중 또는 지상에서 적용하기 위한 항행데이터를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가. 항행데이터의 처리과정 및 항행데이터에 의해 산출된 결과(delivered products)가
적정한 기준(Jeppesen Chart 등 항행데이터 Source)과 일치할 것

나. 산출된 결과(the products)가 사용하는 장비의 기능에 적합할 것

다. 자료의 처리과정과 그 결과물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것

라. 항행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항공기에게 적시에 배포하고, 최신판을 가제하는 절차의


이행

8.4.5.12 <삭 제 ; 2014.10.31 >

8.4.5.13 <삭 제 : 2014.10.31 >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8.4.6 비행규칙 (FLIGHT RULES)


8.4.6.1 최저안전고도(Minimum Safe VFR Altitudes)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다음의 시계비행을 위한 최저안전고도를 준수해야 한다.
1) 산악, 언덕 또는 기타 장애물 상방 1,000피트 미만의 고도에서 또는 지표상공
1,000피트 미만의 고도에서는 주간에 시계비행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2) 예정항로의 중심으로부터 5해리의 수평거리 이내에서 가장 높은 장애물 상공 1,000
피트 또는 지정된 산악지역 내의 항로 중심으로부터 5마일 수평거리 내에서 가장 높
은 장애물 상공 2,000피트 미만의 고도에서는 야간에 시계비행을 하여서는 아니 된
다.

나. 항공운송사업자는 최저안전고도 설정방법을 법 제55조의 규정에 따라 국토교통부장


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다. 국토교통부장관은 위 나항에 의거, 신고된 사항이 다음의 요건에 맞는지 확인하고


만약 불만족할 경우 이를 수정토록 항공운송사업자에게 권고하여야 한다.
1) 항공기위치결정에 대한 정확도 및 신뢰도
2) 사용되는 고도계 표시의 정확성 여부
3) 예기치 못하는 고도변경에 따른 지상 장애물 조건
4) 난기류 등의 기상조건 조우 가능성
5) 항공도의 부정확도 가능성
6) 공역제한 사항

라. 최저비행고도는 ICAO 부속서 제2권(Rules of Air)에서 정하는 최저비행고도 이상으


로 설정되어야 한다.

마. 위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최저안전고도 아래에서 비행하고자 하는 자는 시행규칙 제


172조(최저안전고도 아래에서의 비행허가)의 규정에 따라 비행허가신청서를 지방항
공청장에게 제출하여 허가를 받을 수 있다.

8.4.6.2 회항결정(Diversion Decision)


가. 기장은 나항을 제외하고 항공기의 엔진고장 또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엔진을 정
지시킬 경우에는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착륙적합비행장에 항공기를
착륙시켜야 한다.

나. 기장은 엔진이 3개 이상인 항공기가 1개의 엔진이 고장 또는 정지된 경우 다음 각


호를 고려하여 선정한 공항으로 비행하는 것이 가장 가까운 착륙적합비행장에 착륙
하는 것 못지않게 안전하다고 판단되면 그 공항으로 계속 비행할 수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1) 고장의 성격과 비행을 계속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 문제점


2) 엔진정지 시점에서의 고도, 중량 및 사용가능 연료
3) 항로 및 착륙가능 공항의 기상
4) 항공교통의 혼잡도
5) 지형의 종류
6) 사용하고자 하는 공항의 친숙도

다. 기장은 비행 중 발생한 엔진의 정지에 대하여 가능한 한 빨리 해당 항공교통관제기


관에 보고하여야 하며, 비행의 진행사항에 대한 정보를 위하여 연락을 유지하여야
한다.

라. 기장은 가장 가까운 착륙적합비행장 이외의 비행장에 착륙하였을 경우 가장 가까운


비행장 이외의 비행장을 선정한 이유를 설명하는 서면 보고서를 소속 항공운송사업
자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해당 항공운송사업자는 조종사가 모기지에 돌아온 후 10일
이내에 보고서의 사본에 의견을 첨부하여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8.4.6.3 안정된 착륙접근 요건(Steady Landing Approach Requirements)


가. 기장은 착륙형태(Landing Configuration)에서 안정된 속도, 강하율, 그리고 수직/수
평 비행경로를 유지하여야 한다. 다만 안정된 접근이 되지 않으면 착륙을 시도해서
는 아니되며, 착륙접근 형태별 요건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계기비행기상상태(IMC) 하에서는 최종 접근 경로상 비행장 표고로부터 1,000피트에
서 항공기는 착륙을 위한 착륙형태, 강하중이라면 안정된 강하율 유지 및 허용범위
안에서의 목표속도 또는 이전에 필요에 의하여 높은 속도를 유지하였을 경우에는 목
표속도로 줄여 안정된 접근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2) 계기비행기상상태 하에서는 비행장 표고로부터 1,000피트에서 항공기를 강하중이라
면 분당 1,000피트를 초과하지 않는 안정적인 강하율을 유지, 허용범위 안에서의 목
표속도를 유지 및 경로상에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3) 위 각호와 같은 상태의 안정적인 접근율을 위해서는 착륙접지시까지 유지되어야 하
며 만일 비행장 표고로부터 1,000피트 이하에서 안정되지 않고 유지되지 않으면 실
패접근을 시작하여야 한다.

나. 기장은 시계비행기상상태(VMC) 하에서는 최종접근 경로상 비행장 표고로부터 500


피트에서 항공기는 착륙을 위한 착륙형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강하중이라면 안정된
강하율 유지 및 허용범위 안에서의 목표속도 또는 이전에 필요에 의하여 높은 속도
를 유지하였을 경우에는 목표속도로 줄여 안정된 접근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항공
기는 비행장 표고로부터 500피트에서 다음 각 호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1) 분당 1,000피트를 초과하지 않는 안정된 강하율을 유지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2) 허용된 범위 안의 목표속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3) 다음 각목을 제외하고 활주로에 정대 되어야 한다.
가) 계기접근 또는 국지절차로 인하여 비행장 표고로부터 500피트에서 활주로에 정대
할 수 없을 때
나) 안전한 범위 내에서의 기동(활주로 변경 포함)이 필요할 때
4) 기장은 다음 각목을 고려하여 안전하다고 결정되지 않는 한 500피트 이하에서의 기
동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가) 과도하지 않은 범위 이내에서 강하 경로를 획득하기 위한 강하율 변경
나) 활주로 중앙선에서의 이탈 정도
다) 착륙 활주로 변경 시 착륙 활주로 진입말단의 거리차이가 있는 경우(Runway
Threshold Stagger)
라) 배풍/측풍요소
마) 가용한 활주로 길이

다. 나항의 시계비행기상상태 하에서의 안정적인 접근을 위해서는 착륙 접근 시까지 유


지되어야 하며 만일 비행장 표고로부터 500피트 이하에서 안정되지 않고 유지되지
않으면 실패접근을 시작해야 한다.

라. 기장은 착륙 활주로 진입말단(Runway Threshold)의 통과시 다음 각 호와 같은 상


태를 유지할 수 없을 경우에는 실패접근을 시작하여야 한다.
1) 착륙접지를 위하여 착지직전에 착륙마무리를 위해 땡김(Flare)을 시작할 때까지 허
용된 범위 안에서 목표속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2) 정상적인 기동에 의한 안정적인 비행경로에 있어야 한다.
3) 착륙접지구역에 정상적인 착륙을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8.4.6.4 비행중 비정상 상황의 모의(In Flight Simulation of Abnormal Situations)


항공운송사업자는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운항시 비정상 또는 비상상황을 모의하여 비행하
여서는 아니 된다.

8.4.6.5 목적공항 일시적 제한시의 계속비행(Continuation of Flight when Destination


Aerodrome is Temporarily Restricted: Commercial Air Transport)
기장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운항을 제한하거나
착륙이 일시 중지된 공항으로 계속 비행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기장의 판단으로 안전운항에 위험이 있는 상황이 도착예정시각에 충분히 해소될 것
이라고 예상되는 경우
2) 더 이상 안전한 절차가 없는 경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8.4.6.6 정밀접근에서의 활주로 말단 통과높이(Threshold crossing height for


precision approach)
항공운송사업자는 3D 계기접근운영을 행하는 비행기가 착륙형태 및 자세를 갖추고 안전
기준치 이상으로 활주로 말단을 통과할 수 있도록 운항절차를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
다.

8.4.6.7 삭제 <2016.11.00.>

8.4.6.8 항공운송사업용 계기비행 이륙최저기상치(IFR Takeoff Minimums for


Commercial Air Transport)
가. 항공운송사업자가 계기비행절차로 이륙하고자 할 경우 각 공항별로 설정된 이륙최저
기상치를 준수해야 한다. 다만, 공고된 이륙최저기상치가 없거나 관제기관의 인가를
득하지 아니한 경우 다음 각 호의 기상조건 이상을 충족하여야 한다.
1) 엔진 2개 이하의 항공기 : 시정 1 마일
2) 엔진 3개 이상의 항공기 : 시정1/2 마일
3) < 삭 제 ; 2014.10.31 >

나. 가항에도 불구하고 해당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 받은 운영기준 또는 이륙최저기상치


를 적용할 수 있다.

8.4.6.9 계기접근절차 및 계기비행착륙최저치(Instrument Approach Procedures and


IFR Landing Minimums)
가. 운영기준(Operations Specifications)에 지정된 계기비행 기상최저치와 계기접근절차
에 반하여 계기접근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시정최저치가 최저시정치가 800m 미만으로 설정된 공항에서 활주로 가시범위(RVR)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한 계기접근 및 착륙을 시도하도록 하여서는 아니 된다.

8.4.6.10 계기접근의 시작(Commencing an Instrument Approach)


가. 기장은 최종접근지점 또는 최종접근지점이 없는 경우 계기접근절차의 최종접근단계
가 시작되는 지점을 지나서 접근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다음 각 호의 요건을 충족하
여야 한다.
1) 해당 공항에 대한 해당기관의 인가된 기상정보
2) 해당 공항에 대한 최신의 기상정보가 그 절차에 요구되는 최저시정치 이상일 때

나. 기장은 당해 비행장의 운항최저치를 침범하는 지점을 넘어서까지 진입착륙을 계속하


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계기접근절차의 최종접근단계에 접어든 후 기상조건이 최저
치 미만으로 보고받은 경우에는 결심고도 또는 최저 강하고도까지 접근을 계속할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수 있다.
주. 나항의 목적을 위하여 최종접근단계는 최종접근지점이나 계기접근절차에 기술된
시설에서 시작된다. 만일 선회절차가 포함되고 최종접근 지점이 없는 절차라면
최종접근단계는 절차선회가 완료되고 절차에 기술된 거리 이내에서 항공기가 공
항 쪽으로 최종접근 방향에 위치했을 때부터 시작된다.

8.4.6.11 <삭 제 ; 2014.10.31 >

8.4.6.12 상승/강하율 운용절차(Operating procedures for rates of climb and


descent)
항공교통관제기관의 별도 지시에 의한 경우를 제외하고 불필요한 ACAS Ⅱ 회피 기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항공기운영자는 배정고도로의 상승 또는 강하시 조종사가 인접한 고도
에서 비행하고 있는 타 항공기를 인지한 경우에 상승/강하의 최종 300m(1,000ft) 구간
에서는 상승/강하율을 8m/sec 또는 1,500ft/min 미만으로 하는 절차를 마련하여야 한
다.

8.4.7 승객과 승객처리(Passengers and Passenger Handling)


8.4.7.1 승객의 지시이행(Passenger Compliance with Instructions)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에 탑승한 각 승객은 이 절에서 정한 규정에 따라 승무
원의 지시를 따라야 한다.

8.4.7.2 운송 거부(Denial of Transportation)


항공운송사업자는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 항공기 탑승을 거부할 수 있다.
1) 국토교통부장관이 규정한 비상구 열 좌석 제한에 관한 지시를 승객이 거부할 경우
2) 승객이 신체장애로 인하여 비상구 열 좌석에만 앉아야 되는 경우
3) 지상 또는 기내에서 항공기 운항을 방해하거나 타 이용객 혹은 근무자를 위해하는
경우

8.4.7.3 승객운송요건을 적용받지 않는 탑승자의 운송(Carriage of Persons Without


Compliance with these Passenger-Carrying Requirements)
가. 나항의 승객운송요건은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탑승자에게는 적용되지 아니한
다.
1) 해당 편에 편조되지 않은 승무원
2) 공무 수행중인 감독기관의 직원
3) 화물 또는 동물의 안전이나 보안에 필요한 자
4) 항공당국의 인가를 받은 운항증명소지자의 운항규정에 의해 탑승이 허가된 자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나. 항공운송사업자는 다음의 승객운송요건을 준수해야 한다.


1) 승객에게 인가된 좌석과 좌석벨트가 있어야 한다.
2) 좌석 사용자가 항공기승무원의 직무수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좌석이 위치하여야
한다.
3) 좌석으로부터 조종실, 출구 또는 비상구로 접근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한다.
4) 승객이 금연 및 좌석벨트를 착용해야 하는 경우 통지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야 한
다.
5) 승무원이 승객에게 비상장비의 사용과 비상구에 대하여 설명을 해주어야 한다.

8.4.7.4 객실승무원의 근무위치(Cabin Crew at Duty Stations)


가. 항공기가 지상 활주 중일 때 객실승무원은 항공기와 승객의 안전에 관련된 직무를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좌석벨트와 어깨끈을 매고 근무위치에 앉아 있어야 한다.

나. 이․착륙시 객실승무원은 비상탈출을 해야 할 경우 승객의 가장 효과적인 탈출을 제공


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객실비상구에 가능한 한 가깝게 접근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전 항공기에 균등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다. 주기 중인 항공기에 승객이 탑승하고 있는 경우 객실승무원 또는 항공기의 비상탈출절


차에 관하여 자격요건을 갖춘 다른 직원이 다음 각 호와 같은 방식으로 위치하여야 한
다.
1) 자격요건을 갖춘 직원 1명만 요구될 경우 운항규정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직원을
배치하여야 한다.
2) 자격요건을 갖춘 직원 2명 이상이 요구될 경우 비상탈출시 가장 효과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직원들을 전 객실에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야 한다.

8.4.7.5 비상구 확보(Evacuation Capability)


기장, 선임객실승무원 또는 운항증명소지자로 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자는 항공기가 지상
활주 전에 승객들이 항공기에 탑승되어 있을 때 정상수단 또는 비상수단으로 승객들이
바깥으로 나갈 수 있는 객실비상구가 적어도 1개 이상 있는 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8.4.7.6 자동비상구 구비(Arming of automatic emergency exits)


항공운송사업자는 항공기에 자동으로 팽창되는 비상탈출 보조장비가 탈출을 위하여 준비
되어 있지 않을 경우 당해 항공기에 승객을 탑승시켜 지상이동 또는 이착륙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8.4.7.7 승객 탑승상태로 주기(Stops Where Passengers Remain on Board)


가. 승객이 탑승한 채로 주기시 기장과 선임객실승무원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확인하여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야 한다.
1) 모든 엔진 정지
2) 탈출할 수 있는1개 이상의 출구가 승객의 하기를 위하여 열려있는 상태
3) 해당 항공기 비상탈출절차에 대한 자격이 있고, 승객의 안전에 대하여 책임이 있으
며 탑승객이 식별할 수 있는 즉시 이용 가능한 최소한 1명의 직원의 배치

나. 승객이 항공기에 탑승한 채로 연료보급을 할 경우 기장 또는 운항증명소지자에 의해


위임된 자는 운항규정의 준수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8.4.7.8 지체부자유자의 운송(Carriage of Persons with Reduced Mobility)


항공운송사업자는 지체부자유자가 좌석 점유시 그로 인하여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근무 중인 승무원 방해
2) 비상장비로의 접근 방해
3) 항공기의 비상탈출 방해

8.4.7.9 비상구 열 좌석(Exit Row Seating)


기장, 선임객실승무원 또는 운항증명서소지자가 권한을 위임한 자는 승객이 비상구를 열
거나 신속한 탈출을 위하여 필요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승객을
비상구 열 좌석에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주 : 비상구 열 좌석에 관한 추가적인 요건은 별표 8.4.7.9를 참조한다.

8.4.7.10 의료용 산소사용 승객(Oxygen for Medical Use by Passengers)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대로 승객에게 의료용 산소의 저장, 생
성 또는 공급이 가능한 장비를 운반 그리고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나. 객실승무원은 승객의 의료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탑재한 산소저장, 분배장비의 10


피트 이내에서는 승객이 흡연을 하도록 허용하여서도 아니 된다.

다. 객실승무원은 승객이 항공기에 탑승하고 있는 상태에서 산소분배장비를 산소통으로


부터 연결 또는 분리하도록 허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8.4.7.11 기내 휴대수하물(Carry-on Baggage)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기내 휴대수하물이 운항증명소지자의 운항규정에 따라 적절하고
안전하게 적재할 수 없다면 기내 휴대수하물의 탑재를 허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각 기내 휴대수하물을 상단 선반에 인가된 고정끈으로 단단히 고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정되었는지 또는 문이 닫히도록 적재되었는지 또는 칸막이 벽 뒤 허가된 장소에 적


재되었는지를 최소 1명 이상의 승무원이 확인하지 아니하고서는 지상이동 또는 후진
준비를 위하여 항공기 승객 출입문을 닫도록 허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기내 휴대수하물이 적재위치에 부착된 최대허용중량을 초과하도록


허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주. 적재장소는 항공기가 형식증명된 비상착륙 조건하에 명시된 최대관성력을 초래하
기에 충분한 충돌 충격 하에서 수하물을 지탱할 수 있어야 한다.

8.4.7.12 <삭 제>

8.4.7.13 장거리 해상운항시 승객브리핑(Passenger Briefing: Extended Overwater


Operations)
항공운송사업자는 장거리 해상운항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모든 승객에게 구두 또는 기
타 방법으로 구명동의의 착용과 팽창방법의 시범을 포함하여 구명동의, 구명보트 및 기
타 부양장비의 위치와 사용방법에 대하여 브리핑을 하여야 한다.

8.4.7.14 승객용 좌석벨트(Passenger Seat Belts)


가. 좌석 또는 침상을 점유하고 있는 승객은 좌석벨트 착용신호가 켜있는 동안 또는 좌
석벨트 착용신호가 설치되지 않은 항공기는 기장이 지시할 경우 좌석벨트를 매고 있
어야 한다.

나. 이․착륙시 승객용 좌석벨트는 2명 이상의 승객에게 사용되어서는 아니 된다.

다. 비어있는 좌석의 좌석벨트와 어깨끈(설치된 경우)은 직무수행을 하는데 또는 비상사


태시 승객들의 신속한 탈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정돈하여 두어야 한다.
주1. 만2세 미만의 승객은 좌석이나 침상을 점유하고 있는 성인이 껴안을 수 있다.
주2. 침대의자 또는 소파 같은 침상은 각 승객에게 허가된 좌석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면 순항 중에 한하여 두 사람까지 사용할 수 있다.

8.4.7.15 승객좌석 등받이(Passenger Seat Backs)


기장 또는 선임객실승무원은 승객의 좌석 등받이가 똑바로 세워지지 않았다면 이륙이나
착륙을 허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주. 좌석 등받이가 승객의 통로나 비상구 접근에 방해가 되지 않을 경우 운항증명소지
자의 운항규정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예외로 적용될 수도 있다.

8.4.7.16 음식, 음료, 승객서비스 물품의 정돈(Stowage of Food, Beverage and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Passenger Service)
기장 또는 선임객실승무원은 다음 각 호와 같은 경우 항공기의 지상이동, 이․착륙을 허용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음식, 음료 또는 식탁용 기구가 승객용 좌석에 위치한 경우
2) 음식, 음료쟁반 및 좌석 등받이 탁자가 원위치에 있지 않을 경우

8.4.8 승무원과 운항관리사의 자격기준(Crew Member and Flight Operations Officer


Qualifications)
8.4.8.1 승무원 훈련 일반
운항증명소지자는 모든 비행승무원이 임무 수행을 위하여 적절히 훈련되도록 항공당국의
인가를 받은 지상 및 비행훈련계획을 수립하고 유지하여야 한다. 훈련프로그램에는 다음
각 호를 포함해야 한다.
가. 지상 및 비행훈련시설과 자격을 갖춘 교관에 관한 사항
나. 운항승무원이 승무하는 비행기 형식에 맞는 지상 및 비행훈련의 구성
다. 동력장치, 기체, 시스템의 고장, 화재 또는 기타 비정상상태로 인해 야기되는 모든
형태의 비상 또는 비정상 상황 및 절차에 관한 훈련과 운항승무원간 협조에 관한 사항
라. 항공기 비정상자세 예방 및 회복훈련(UPRT)
주1. 모의비행훈련장치에서의 비정상자세 예방 및 회복훈련 절차는 ICAO Procedures
for Air Navigation Services Training(PANS-TRG, Doc 9868)에 수록되어 있
다.
주2. 모의비행훈련장치에서의 비정상자세 회복훈련과 관련된 세부사항은 ICAO Manual on
Aeroplane Upset Prevention and Recovery Training(Doc 10011)에 수록되어 있
다.
마. 실수의 관리와 위협요소를 포함한 인적요소 및 운항지역에 대한 시계/계기비행절차
에 대한 지식과 기술, 위험물 수송에 관한 사항
바. 비정상 또는 비상절차와 관련한 다른 운항승무원의 임무와 관련된 운항승무원 각각
의 책임에 관한 기능을 알고 있음을 보증하기 위한 사항
사. 적절한 훈련주기 설정 및 훈련프로그램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방법
아. < 삭 제 ; 2014.10.31 >

8.4.8.1.A 연령 60세 및 65세제한(Age 60, 65 Restriction)


가. 60번째 생일이 도래한 자는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조종사로서 항공업무
를 수행하여서는 아니 된다. 단 2인 이상의 조종사를 필요로 하는 항공기를 조종하
는 경우 65번째 생일이 도래할 때까지 조종사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나. <삭 제 : 2016.2.11>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8.4.8.2 기장의 자격증명 요건 : 터보제트, 터보 팬 또는 대형 항공기(PIC License Requirements:


Turbojet, Turbofan or Large Aircraft)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터보제트 , 터보 팬 또는 대형항공기 기장의 임무를 수행하고
자 하는 자는 운송용조종사 자격증명과 해당 항공기의 한정자격을 소지하여야 한다.

8.4.8.3 기장의 자격증명 요건 : 비 터보제트 또는 터보 팬 소형비행기(PIC Licence


Requirements: Non Turbojet or turbofan Small Aeroplanes)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비 터보제트 또는 터보 팬 소형 항공기 기장의 임무를 수행하
고자 하는 자는 다음에서 정한 자격증명 요건을 구비하여야 한다.
1) 계기비행방식(IFR) 운항 : 운항하고자 하는 항공기의 종류, 등급에 대한 한정자격과
사업용 조종사 자격증명 및 계기비행증명을 소지하고 해당 비행경험 요건 충족
2) 주간 시계비행방식(VFR) 운항 : 운항하고자 하는 항공기에 대한 종류, 등급에 대한
한정자격과 사업용 조종사 자격증명 소지

8.4.8.4 기장의 비행경험 : 소형비행기(PIC Aeronautical Experience: Small Aeroplanes)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소형항공기의 기장은 다음에서 정한 경험이 있어야 한다.
1) 계기비행방식(IFR) 운항 : 운송용 조종사 자격증명 시험 응시에 필요한 최소 비행경
험 요건 충족
2) 시계비행방식(VFR) 운항 : 25시간의 야간비행시간이 포함된 최소한 100시간의 야
외비행시간을 포함하여 조종사로서 최소한 500시간의 비행시간

8.4.8.5 부기장(Co-pilot)의 자격증명 요건(Co-pilot Licence Requirements)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부기장(Co-pilot)은 다음 각 호에서 규정한 자격을 갖추
어야 한다.
1) 사업용조종사 자격증명과 운항하고자 하는 항공기에 적합한 항공기 종류, 등급 한정
자격 및 형식 한정자격. 다만, 비 터보제트 또는 터보 팬 소형항공기의 경우에는 형
식 한정자격을 제외한다.
2) 계기비행증명

8.4.8.6 항공기관사 임무 수행을 위한 자격을 갖춘 1명의 조종사(One Pilot Qualified to


Perform FE Function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관사가 필요한 모든 비행에 항공기관사의 임무불능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편조된 운항승무원중 항공기관사 이외에 항공기관사 임무
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자격을 갖춘 1명 이상의 운항승무원을 구성 편조하여야 한다.
이 경우를 대비하여 배정된 운항승무원은 별표 8.4.8.6에 명시된 교과과목을 이수하
여야 항공기관사 유고시 임무를 대행하여 수행할 수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나. 가항에 따라 항공기관사의 임무를 대신 수행하기 위하여는 당해 기종 항공기관사 임


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교육과목 및 내용을 포함하는 인가 받은 초기, 전환 또는
승격훈련의 교육훈련과정을 이수하여야 한다.
주. 항공기관사 임무에 필요한 최소과목은 별표 8.4.8.6에 의한다.

8.4.8.7 비행인가 자격을 갖춘 자(Persons Qualified to Flight Release)


항공운송사업의 비행을 인가하는 운항관리사의 임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다음에서
정한 자격증명을 갖추어야 한다.
1) 운항관리사 자격증명
2) 해당 운항 및 인가하고자 하는 항공기 형식에 대해 운항증명소지자가 부여한 자격

8.4.8.8 항공사 절차 기본교육(Company Procedures Indoctrination)


가.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 받은 항공사 절차 기본교육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승무원 또
는 운항관리사로서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된다. 항공사 절차 기본교육과정에는 운항승무원 또는 운항관리사
의 임무를 규정한 운항규정 절차에 대한 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

나. 과목 및 학과시간 요구량은 별표 8.3.4.1에 규정한다.

8.4.8.9 초기위험물훈련(Initial Dangerous Goods Training)


가.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인가한 위험물 초기훈련 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승무원 또는 운항관리사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는 이들에
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위험물 훈련 교육 대상, 과목, 내용, 최소 교육시간 등은 항공위험물운송기준(국토교


통부 고시) 제12조(교육과목 등) 및 표1-1, 표1-1(a), 표1-2를 따른다.

8.4.8.10 초기 보안훈련(Initial Security Training)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 받은 초기보안훈련 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승무원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8.4.8.11 초기 승무원/운항관리사 자원관리(Initial Crew/ Dispatcher Resource


Management)
가.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 받은 초기 승무원자원관리(CRM) 과정 또는 운항관리사자원
관리(DRM) 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승무원 또는 운항관리사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나. 학과의 제목(Curriculum topics)은 별표 8.3.4.4에 규정한다.

8.4.8.12 초기 비상장비 실습훈련(Initial Emergency Equipment Drills)


가. 운항하고자 하는 항공기에서 사용되는 비상장비에 대하여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 받
은 초기 비상장비과정 및 훈련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승무원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
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학과과정 요건은 별표 8.3.4.5에 규정한다.

8.4.8.13 항공기 지상훈련(Aircraft Ground Training)


가. 운항하고자 하는 항공기 형식에 대하여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를 받은 초기지상훈련
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승무원 또는 운항관리사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
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가항에 따른 운항승무원을 위한 초기항공기지상훈련에는 항공기의 성능, 중량배분,


운항정책, 시스템, 제한사항 및 정상, 비정상절차와 비상절차가 수록된 운항규정
(Operations Manual)의 관련 부분이 포함되어야 한다. 항공기에 따른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 요구량은 다음과 같다.
1) 터보제트 ․ 팬 항공기, 120시간
2) 기타 항공기
가) 왕복엔진, 64시간
나) 터보 프로펠러 엔진, 80시간
주1. 운항승무원의 학과과정에 대한 요건은 별표 8.3.4.6A에 규정한다.
주2.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를 받은 운항승무원의 비행경험 정도에
따라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의 과목 및 시간을 분리하여 운영할 수 있다.
다) 터보샤프트 엔진 : AOC 증명시 국토교통부장관이 기종별로 승인한 교육훈련프로
그램에서 정한 시간

다. 객실승무원을 위한 초기 항공기지상훈련은 항공기 형식별 특정 형태(Configuration),


장비와 정상 및 비상절차가 수록된 운항규정(Operations Manual)의 관련부분을 포
함하여야 한다. 항공기에 따른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 요구량은 다음과 같다.
1) 터보제트 ․ 팬 항공기. 16시간
2) 기타 항공기
가) 왕복엔진. 8시간
나) 터보 프로펠러 엔진. 8시간
주. 객실승무원 학과과정 요건은 별표 8.3.4.6B에 규정한다.
다) 터보샤프트 엔진 : AOC 증명시 국토교통부장관이 기종별로 승인한 교육훈련프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그램에서 정한 시간

라. 운항관리사를 위한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은 항공기 형식별 비행준비절차, 성능, 중량


배분, 시스템, 제한사항이 수록된 운항규정(Operations Manual)의 관련부분을 포함
하여야 한다. 항공기에 따른 초기 항공기지상훈련 요구량은 다음과 같다.
1) 터보제트 ․ 팬 항공기 : 40시간
2) 기타 항공기
가) 왕복엔진 : 30시간
나) 터보 프로펠러 엔진 : 40시간
주. 운항관리사의 학과 과정에 대한 요건은 별표 8.3.4.6C에 규정한다.
다) 터보샤프트 엔진 : AOC 증명시 국토교통부장관이 기종별로 승인한 교육훈련프로
그램에서 정한 시간

마. 전환 또는 승격훈련의 경우 지상훈련의 교육과목 등은 초기 항공기지상훈련을 준용


하여 실시하되, 훈련시간 등은 운항증명소지자가 별도로 정하여 항공당국의 인가를
받아 실시하여야 한다. 다만, 운항승무원의 지상훈련시간은 다음의 최소요구량 이상
이어야 한다.
가) 터보제트, 팬 항공기
1) 기종 전환(기장에 한함)
- 당해 기종 한정자격 소지자 : 55시간
- 당해 기종 한정자격 미소지자 : 120시간
2) 기장 승격
- 당해 기종 부기장(Co-pilot) : 32시간
- 타 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소지) : 64시간
- 타 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 미소지) : 80시간
3) 기종 전환[부기장(Co-pilot)에 한함]
- 타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소지) : 64시간
- 타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 미소지) : 80시간
나) 터보 프로펠러 항공기
1) 기종 전환(기장에 한함)
- 당해 기종 한정자격 소지자 : 30시간
- 당해 기종 한정자격 미소지자 : 80시간
2) 기장승격
- 당해 기종 부기장(Co-pilot) : 15시간
- 타 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소지) : 40시간
- 타 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 미소지) : 64시간
3) 기종 전환[부기장(Co-pilot)에 한함]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 타 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소지) : 40시간


- 타 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 미소지) : 64시간
다) 왕복엔진
1) 기종 전환(기장에 한함)
- 당해 기종 한정자격 소지자 : 16시간
- 당해 기종 한정자격 미소지자 : 64시간
2) 기장승격
- 당해 기종 부기장(Co-pilot) : 8시간
- 타 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소지) : 16시간
- 타 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 미소지) : 56시간
3) 기종 전환[부기장(Co-pilot)에 한함]
- 타 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 미소지) : 56시간
라) 터보샤프트 엔진 : AOC 증명시 국토교통부장관이 기종별로 승인한 교육훈련프로그
램에서 정한 시간

8.4.8.14 비행훈련(Aircraft Flight Training)


가.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를 받은 해당 항공기 형식에 대한 초기비행훈련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운항승무원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초기비행훈련은 운항증명소지자의 정상, 비정상 및 비상절차에 따라 항공기의 기동


과 안전운항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10노트 이상의 풍속이 변화하는 돌풍 상황에서
의 훈련 및 항공기 비정상자세회복(UPRT) 훈련을 포함하여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를 받은 운항승무원의 비행경험 정도에 따


라 초기비행훈련 과정을 분리하여 운영할 수 있다.

라. 비행훈련시간은 항공기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지정한 모의비행장치로 실시할 수 있


다. 항공기에 따른 초기비행훈련 요구량은 다음과 같다.
1) 터보제트 ․ 팬 항공기 : 조종사 및 항공기관사 22시간
2) 기타 항공기 : 조종사 및 항공기관사 18시간

마. 전환 또는 승격훈련의 경우 비행훈련의 과목 등은 초기비행훈련을 준용하여 실시하


되, 훈련시간 등은 운항증명소지자가 다음의 최소요구량 이상으로 정하여 항공당국
의 인가를 받아 실시하여야 한다. 다만, 2시간이상의 실제항공기 훈련(제3종 모의비
행장치훈련으로 대체가능)이 포함되어야 한다.
1) 터보제트, 팬 항공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가) 기종 전환(기장에 한함)
- 당해 기종 한정자격 소지자 : 16시간
- 당해 기종 한정자격 미소지자 : 22시간
나) 기장승격
- 당해 기종 부기장(Co-pilot) : 8시간
- 타 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소지) : 16시간
- 타 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 미소지) : 22시간
다) 기종 전환[부기장(Co-pilot)에 한함]
- 타 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 미소지) : 22시간
2) 터보 프로펠러 항공기
가) 기종 전환(기장에 한함)
- 당해 기종 한정자격 소지자 : 12시간
- 당해 기종 한정자격 미소지자 : 18시간
나) 기장승격
- 당해 기종 부기장(Co-pilot) : 8시간
- 타 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소지) : 16시간
- 타 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 미소지) : 18시간
다) 기종 전환[부기장(Co-pilot)에 한함]
- 타 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 미소지) : 18시간
3) 왕복엔진
가) 기종 전환(기장에 한함)
- 당해 기종 한정자격 소지자 : 8시간
- 당해 기종 한정자격 미소지자 : 18시간
나) 기장 승격
- 당해 기종 부기장(Co-pilot) : 12시간
- 타 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소지) : 16시간
- 타 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 미소지) : 18시간
다) 기종 전환[부기장(Co-pilot)에 한함]
- 타 기종 부기장(Co-pilot)(당해 기종 한정 미소지) : 18시간
4) 터보샤프트 엔진 : AOC 증명시 국토교통부장관이 기종별로 승인한 교육훈련프로그
램에서 정한 시간

바. 세부적인 비행훈련과정은 별표 8.3.4.7에 규정한다.

8.4.8.15 초기특수운항훈련(Initial Specialized Operations Training)


가.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 받은 초기특수운항훈련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해당 운항을
위한 운항승무원 또는 운항관리사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된다.

나. 특수운항을 위한 초기훈련과정에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사항이 포함되도록 하여야 한다.


1) 저시정 이륙 및 정밀계기접근(CAT-II, III) 착륙을 포함한 최저기상치에서의 운항
2) 회항시간 연장운항
3) 특수항행
4) 기장의 우측석 자격

다. 세부적인 특수운항훈련 과정은 별표 8.3.4.8에 규정한다.

8.4.8.16 항공기 차이점 보완훈련(Aircraft Differences)


가.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 받은 동일 형식의 항공기간 차이점 보완훈련을 이수하지 못
한 운항승무원 및 운항관리사는 차이점 보완훈련을 실시하여야 하는 해당 형식의 항
공기에 대한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
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운항승무원 및 운항관리사의 항공기 차이점 보완훈련은 부과된 임무 및 책임에 관한


내용으로 다음 각 호와 같이 설정되어야 한다.
1) 항공당국이 불필요한 과목이라고 결정하지 않는 한, 초기지상훈련에서 요구되는 각
각의 적합한 과목 또는 부분에 대한 교육
2) 항공당국이 불필요한 과목이라고 결정하지 않는 한, 초기비행훈련에서 요구되는 각
각의 적합한 기동 또는 절차에 대한 비행훈련
3) 항공기 및 항공기 운항과 관련하여 운항승무원 또는 운항관리사에게 필요하다고 항
공당국이 결정한 지상 및 비행훈련 계획시간

다. 모든 형식의 항공기에 필요한 항공기 차이점 보완훈련은 초기, 전환 및 승격훈련에


포함되어야 한다.

라. 항공기 차이점 보완훈련 과정 중 운항관리사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은 별표 8.4.8.16


에 규정한다.

8.4.8.17 모의비행장치 사용(Use of Simulators)


운항승무원 자격을 위하여 사용되는 모의비행장치와 비행훈련을 목적으로 하는 기타 훈
련장치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사항을 갖추어야 한다.
1) 지방항공청장으로부터 다음의 각호에 대하여 지정을 받아야 한다.
가) 항공운송사업의 운항증명소지자
나) 훈련 또는 심사를 수행할 항공기 형식(유사항공기 형식 포함)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다) 모의비행장치의 등급
2) 인가 시 요구되는 성능, 기능 및 기타 특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3) 개조가 필요한 성능, 기능 또는 승인이 요구된 다른 특성의 변경이 해당 항공기와
일치하여야 한다.
4) 매일 첫 비행 전에 기능점검을 하여야 한다.
5) 각 훈련 또는 심사비행 종료 후 해당 교관 또는 검열운항승무원이 기록할 수 있는
일일결함기록부(Daily Discrepancy Log)를 유지하여야 한다.

8.4.8.18 새로운 장비 또는 절차의 도입(Introduction of New Equipment or


Procedures)
운항증명소지자가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 받은 훈련프로그램에 새로운 장비 또는 절차에
대한 과정이 설정되어 있고, 운항을 위하여 해당 장비 또는 절차의 사용에 대한 전문적
인 지식이 필요한 경우 운항승무원의 직무와 해당 항공기의 특별한 차이를 고려한 해당
교과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운항승무원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8.4.8.19 조종사 운항자격 : 조종사 기량심사(Aircraft Proficiency Checks: PILOT)


가.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를 운항하고자 하는 조종사는 법 제51조에 따라 운
항하고자 하는 동일 형식의 항공기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지정한 동일한 형식의 모의
비행장치를 이용하여 최근 12개월 이내에 2회의 기량심사를 이수하여야 한다. 다만,
동일한 심사가 연속되는 4개월 이내에 발생되어서는 아니 되며, 2회의 심사 중 1회
는 모의비행장치를 이용한 훈련으로 갈음할 수 있다.

나. 기량심사에는 별표 8.4.8.19에서 정한 조작 및 절차를 포함하여 실시하여야 하며, 지


방항공청장이 지정한 모의비행장치 또는 기타 적합한 훈련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다. 기량심사를 받는 조종사가 요구되는 조작 중 어느 한 가지에 불합격된 경우 기량심


사를 수행하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지명한 소속공무원 또는 위촉심사관은 기량심사를
수행하는 과정 동안 해당 조종사에게 추가 훈련을 부여할 수 있다. 추가한 재 조작
에서 불합격될 경우 기량심사를 수행하는 자는 심사를 받는 조종사에게 조종사의 기
량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다른 조작을 반복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만일 심사를 받는
조종사가 심사를 수행하는 조종사에게 조종수행능력을 만족스럽게 시범보이지 못할
경우 해당 조종사는 기량심사를 만족스럽게 이수할 때까지 항공기의 조종사로서 임
무를 수행하여서는 아니된다.

8.4.8.20 계기기량심사(Instrument Proficiency Checks)


가. 최근 6개월 이내에 국토교통부장관이 인가한 계기자격심사(Instrument competency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check)에 통과하지 못한 자는 계기비행방식(IFR) 운항의 조종사로서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정
기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조종사는 정기적인 기량심사로 갈음할 수 있다.

나. 조종사는 특정 항공기 형식에 대하여 상기 항공기 기량심사 및 계기기량심사를 동시


에 이수하여야 한다.

8.4.8.21 조종사의 최근비행경험 재취득(Re-establishing Recency of Experience:


Pilot)

가.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조종사로서 최근 90일 이내에 운항하고자 하는


동일 형식의 항공기로 3회의 이륙과 3회의 착륙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최근비
행경험을 재취득하기 위해서는 검열운항승무원의 감독 하에 다음 각 호에 대한 심사
를 받아야 한다.

1) 운항하고자 하는 동일 형식의 항공기 또는 지정 받은 모의비행장치로 최소 3회의


이․착륙

2) 1)항에 따른 이․착륙은 최소한 다음 항목을 포함하여야 한다.


가) 중요엔진 모의 부작동 상태에서 1회의 이륙
나) 운항증명소지자가 인가 받은 최저기상치에서 1회의 ILS 접근 및 착륙
다) 1회의 완전착륙

나. 최근비행경험 재취득을 위한 필요한 이륙 및 착륙요건을 수행하기 위하여 모의비행


장치를 이용하여 훈련하는 경우 각 임무위치에는 유자격 조종사가 위치해야 하며,
모의비행장치는 정상비행 환경에서 운영되어야 한다.

다. 검열운항승무원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최근 비행경험 요건을 재취득하는 조종


사의 기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과목에 대한 기량을 확인할 수 있다.

8.4.8.22 비행경험이 적은 운항승무원의 편성(Pairing of Low Experience Crew


Members)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운항승무원을 편성하는 경우, 안전운항확보를 위해 비행경험, 기
량, 승무원자원관리(CRM)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나. 부기장(Co-pilot)이 항공운송사업에서 운항하고자 하는 해당 형식 항공기의 비행시


간이 100시간 미만이고, 기장이 적합한 자격을 갖춘 검열운항승무원 또는 비행교관
이 아닌 경우 기장은 별표 8.4.8.22에서 지정한 상황에서의 모든 이륙과 착륙을 직
접 수행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다. 항공운송사업자는 편조된 각각의 조종사가 기장 또는 부기장(Co-pilot)으로서 해당


형식 항공기에서의 노선운항승무시간(Line operating flight time)이 100시간 미만인
경우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기장 또는 부기장(Co-pilot)으로서 동시 편
조되어 임무를 수행하도록 해서는 아니 된다.

라. 항공당국은 운항증명소지자의 신청에 의거 별표 8.4.8.22에 명시된 상황에 따라 운


영기준(Operations Specifications)을 개정인가 함으로서 나항에서 정한 규정의 적용
을 면제하여 줄 수 있다.

8.4.8.23 항공기관사 기량심사(Flight Engineer Proficiency Checks)


가. 항공기관사는 연속되는 6개월 내에 기량심사를 이수하지 못하거나 6개월 내에 50시
간의 비행경력을 갖지 못하는 자는 해당형식 항공기의 항공기관사로서 임무를 수행
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는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항공기관사 기량심사를 위한 세부적인 절차는 별표 8.4.8.23에 규정한다.

8.4.8.24 객실승무원 자격심사(Competence Checks: Cabin Crew)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매 12개월 마다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 받은 객실승무원훈련프로
그램에 따라 개별 객실승무원의 임무수행 능력에 대한 지식과 기량 심사를 실시하여
야 하며, 동 심사에 합격하지 아니한 자에게 객실승무원으로서의 임무를 부여하여서
는 아니 된다.

나. 객실승무원의 지식 및 기량심사에 사용되는 세부절차는 별표 8.4.8.24에 규정한다.

8.4.8.24.A 객실승무원의 교관, 심사관, 감독관의 임명 및 지식․기량심사(Appointment


and Competence Checks : Cabin Crew Instructors, Examiners and Inspectors)
가. 여객을 운송하고자 하는 운항증명소지자(또는 운항증명신청자)는 객실승무원의 교육훈
련을 실시하는 교관 및 객실승무원의 기량을 평가하는 심사관, 객실안전 및 객실승무원
의 훈련에 관한 감독업무를 수행하는 감독관을 임명하여야 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또는 운항증명신청자)가 가항에 따라 교관․심사관․감독관을 임명하고자


할 경우에는 항공당국으로 부터 인가받은 객실승무원 훈련프로그램에 따라 임명하고자
하는 자의 직무능력의 적절성에 대해 자체 심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또는 운항증명신청자)는 나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


를 충족한 자를 객실승무원 심사관과 감독관으로 임명하여야 한다.
1) 국토교통부장관(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지정한 항공안전감독관으로부터 객실안전에 관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한 법규, 훈련평가 기법 등에 관한 구술심사에 합격할 것


2) 운항규정에 심사관 및 감독관 평가방법을 규정하여 항공당국의 인가를 받은 경우 동
방법에 따라 자체평가에 합격할 것

라). 운항증명소지자는 객실승무원 감독관의 자격유지 기준을 정하여 항공당국의 인가를


받아 매 12개월 마다 지식과 기량을 심사하여야 한다.

마. 가항에도 불구하고, 운항증명소지자(또는 신청자)의 사업 규모 및 영업범위 등이 소


규모(여객운송용 비행기를 5대 미만 보유 등)일 경우, 국토교통부장관(또는 지방항공
청장)이 당해 사업자의 객실승무원의 인적구성 등을 고려하여 객실승무원의 심사관
으로 하여금 감독관을 겸임하도록 승인할 수 있다.

8.4.8.25 운항관리사 실무자격심사(Competence Checks: Flight Operations Officers)


가. 최근 12개월 이내에 비행준비와 그 후속적인 업무가 직무에 맞는 임무를 수행하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운항관리사 훈련프로그램에서 정한 실무 자격심사를 이수하지 못한
자는 운항관리사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는 이들에게 임무를 부
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운항관리사 자격심사에 사용되는 세부절차는 별표 8.4.8.25에 규정한다.

8.4.8.26 조종사 운항경험(Supervised Line Flying/Operating Experience : Pilots)


가. 최초로 기장의 자격을 갖는 조종사는 연속된 120일 내에 이․착륙이 포함된 최소 60
회의 비행(Flights) 또는 이․착륙 20회가 포함된 100시간 (Flight time)의 비행에서
항공기 검열운항승무원 또는 비행교관의 감독하에 기장의 임무를 수행한 운항경험을
이수해야 한다. 단, 최초의 기장 자격을 취득하려는 조종사가 현재 동 기종 부기장
(Co-pilot)인 경우에는 80일 이내 이․착륙이 포함된 최소 40회의 비행 또는 이,착륙
14회가 포함된 70시간 이상의 운항경험을 이수해야 한다.

나. 새로운 형식의 항공기로 전환하는 기장은 이․착륙이 포함된 최소 20회 비행(flights)


또는 이․착륙 14회가 포함된 60시간(flight time)의 비행에서 항공기 검열운항승무원
또는 비행교관의 감독 하에 기장임무를 수행한 운항경험을 이수하여야 한다. 다만,
동일계열 항공기(제작사가 같고 동일 등급의 항공기를 말함)인 경우 50% 범위 내에
서 이·착륙횟수를 감축할 수 있다.

다. 기장 외의 임무를 위하여 타 기종으로 전환 하고자 하는 조종사는 이,착륙이 포함된


최소 20회 비행(flights) 또는 이,착륙 10회가 포함된 60시간(flight time)의 비행에
서 항공기 검열운항승무원 또는 비행교관의 감독 하에 해당 임무의 운항경험을 이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하야 한다. 단, 이․착륙 요구량은 총 이․착륙 요구 횟수의 50% 범위 내에서 기장에


대한 보조임무(Pilot Monitoring) 수행으로 충족할 수 있다.

라. 항공운송사업자는 기장 자격을 갖추기 위한 조종사가 운항경험을 하고 있는 동안 동


승한 항공기 검열운항승무원 또는 비행교관은 기장임무 자격자로서 조종사 좌석에
위치하도록 해야 하며, 운항경험 시 유자격 부기장의 추가 편성은 운항규정 등에 반
영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마. 전환하는 기장의 경우, 기장 임무를 수행하는 항공기 검열운항승무원 또는 비행교관


은 전환 조종사가 운항하고자 하는 해당 형식의 항공기를 사용하여 최소한 10회의
이륙과 착륙을 행하였고, 기장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이 있음을 항공기 검열
운항승무원 또는 비행교관에게 만족스럽게 시범을 보였다면 항공기 검열운항승무원
또는 비행교관은 관숙 승무원(Observer) 좌석에 위치할 수 있다.

바. 최초로 부기장(Co-pilot)의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이․착륙이 포함된 40회의 비행


(flights)이나 이․착륙 20회가 포함된 100시간(flight time)의 비행에서 항공기 검열운
항승무원 또는 비행교관의 감독 하에 해당운항을 수행한 경험을 갖추어야 한다. 단,
이․착륙 요구량은 총 이․착륙 요구 횟수의 50% 범위 내에서 기장에 대한 보조임무
(Pilot Monitoring)를 수행한 것으로 갈음할 수 있다.

사. 특수공항을 대상으로 운항경험을 실시하는 경우, 비행교관은 최근 12개월 이내에 해


당 공항에 대해 운항경험(관숙비행을 포함한다)이 있어야 한다.

8.4.8.27 항공기관사 운항경험(Supervised Line Flying: Flight Engineers)


해당 형식 항공기의 항공기관사 자격을 취득하고자 하는 자는 시행규칙 별표 11 제2호
한정심사 중 조종사 및 항공기관사 응시경력을 충족하여야 한다.

8.4.8.28 객실승무원 운항경험(Supervised Line Experience: Cabin Crew)


객실승무원의 업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본 장에서 정한 객실승무원 초기훈련을 이수한
후, 운항경험심사관(Operating Experience Supervisor)의 감독 하에 최소한 2편의 비행
에서 객실승무원으로서의 임무수행 능력을 평가받아야 하고, 동 평가에 합격하여야 한다.
주 : 자격취득을 위한 경험충족 비행구간은 객실승무원의 요구인원수에 포함하지 않는다.

8.4.8.29 운항관리사 관숙비행(Line Observations: Flight Operations Officers)


가. 최근 12개월 이내에 운항승무원의 행동 관찰 및 내․외부 통신 모니터를 위하여 운항
노선 중 한 노선에서 조종실에 탑승하여 착륙을 포함하는 최소한 1편의 비행동안 관
숙비행을 하지 않은 자는 운항관리사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된다. 운항관리사가 관숙비행을 하는 경우


관숙비행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시간동안 조종실에 위치하여야 한다.
나. < 삭 제 ; 2014.10.31 >
주. 비행자격의 목적에 관하여 운항관리사는 운항승무원간 통신시스템 및 무선통신의 모
니터링이 가능해야 하며, 운항승무원의 행동 관찰도 가능해야 한다.

8.4.8.30 조종사의 운항자격 : 기장의 지역․노선 및 공항에 대한 경험요건(Route, Area


and Airport Checks : Pilot Qualification)
가. 다음 각 호의 경우를 제외하고, 다항의 구분에 의한 당해 지역∙노선을 운항하고자 하
는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기장(PIC)은 12개월 이내에 다항의 구분에 의
한 당해 지역∙노선의 착륙 공항에 대하여 유자격 기장과 동승한 조종사, 검열조종사
또는 조종실 관숙조종사로서 조종실에 탑승하여 1회 이상의 편도비행과 착륙을 행한
경험이 있어야 한다.(여기에는 모의비행장치의 이용 또는 타 형식의 항공기에 탑승하
여 실시한 관숙비행 또는 시각교재 (pictorial means)를 이용한 교육의 이수도 포함
된다.)
주 : 시각교재(pictorial means)는 비디오테이프, 35mm 슬라이드, 사진 등 해당 공항 및
주변특성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으로, 국토교통부장관으로 부터 인가받은 자료이
어야 한다.
1) 당해 공항에 관한 접근이 어려운 지형지물 상공을 통과하지 않거나, 계기접근절차와
항행보조시설이 해당 기장에게 익숙한 절차와 유사하고, 또한 당해 공항에 국토교통
부장관에 의해 인가된 가산치가 통상의 최저 기상치에 추가되었거나, 당해 공항의
접근 및 착륙이 시계기상 상태에서 이루어질 것이라는 기상예보가 있는 경우 ; 또
는,
2) 접근개시고도로부터의 강하가 주간 시계비행상태(VMC)에서 실시될 경우 ; 또는,
3) 항공운송사업자가 기장에게 적절한 시각교재방식(pictorial means)에 의해 공항착륙
자격을 부여한 경우 ; 또는,
4) 당해 공항이 기장이 착륙할 수 있는 타 지역(다항의 구분에 의한)의 근접한 공항으
로의 회항이 가능한 연료를 탑재하고 비행계획을 한 경우

나. 가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별표 8.4.8.33에서 정한 특수공항을 운항하고자 하는 항


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기장은 최근 12개월 이내에 다음의 요건을 충족하
여야 한다.
1) 유자격 기장과 동승한 조종사, 검열조종사 또는 조종실 관숙조종사로서 조종실에 탑승
하여 해당 공항에서 이륙과 착륙을 행한 경험이 있어야 한다. 또는,
2)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 받은 당해 공항의 특별 시각교재(pictorial means)를
이용한 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3) 만일 해당공항의 운고가 가장 낮은 최저항로고도(MEA)나 최소장애물허용고도


(MOCA) 또는 해당공항의 계기접근절차에 명시된 최초진입고도 보다 최소 1,000피
트 이상이고 시정이 최소 3마일 이상인 상태에서 이륙 또는 착륙이 이루어지는 경
우에는 1)항 및 2)항의 요건을 적용하지 않는다.

다. 가항의 규정에서 정한 지역∙노선의 구분은 다음과 같다.


1) 중국, 몽골, 러시아 지역∙노선
2) 1)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노선
3) 남태평양․대양주 지역∙노선
4) 유럽 지역∙노선
5) 중동․아프리카(서남아시아 포함) 지역∙노선
6) 북아메리카 지역∙노선
7) 중․남아메리카 지역∙노선
8) 국내 지역∙노선

라.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를 사용하여 국내선을 운항하는 기장이 국제노선을


운항하고자 할 경우, 최근 12개월 이내에 가 및 다항의 규정에 의한 당해 지역∙노선
을 운항한 경험을 갖추어야 한다.

마. 위촉심사관 또는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해당 형식 항공기의 기장으로서 기장비행


시간이 1천시간 이상인 기장이 신규개설노선을 운항하고자 할 경우 상기 가항 및 나
항의 요건은 적용되지 아니한다. 단, 일반기장은 안전운항체계변경검사 결과에서 분
류한 공항 등급에 따른다.

바. 소형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를 국내에서 운항하고자 하는 기장에게는 상기


가항 내지 다항을 적용하지 않는다.

사. 항공운송사업자가 나항 및 별표 8.4.8.33에서 정한 특수공항을 운항하고자 하는 경


우 운영기준에 이를 수록하여 항공당국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8.4.8.31 조종사 운항자격 : 노선심사(Pilot Operations Qualifications : Route checks


/ Line checks)
가.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조종사는 최근 12개월 이내에 국토교통부장관이
지명한 소속공무원 또는 위촉심사관과 운항하고자 하는 동일 항공기 형식에 동승하
여 노선심사를 받아야 한다.

나. 노선심사는 항공운송사업자의 비행계획 등을 고려하여 해당 항공기가 운항중인 노선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및 공항 중에서 실시하여야 하며, 비행전(Preflight) 준비단계부터 비행후(Postflight)


디브리핑 단계까지 이륙과 착륙을 포함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8.4.8.32 저경력 기장의 기상최저치 운항허가(PIC Low Minimums Authorization)


가. 해당 형식 항공기의 기장으로서 이․착륙을 포함한 15회의 비행(flights) 또는 100시
간의 비행에서 기장의 임무를 수행(CAT-I 또는 CAT-II 절차를 사용한 5회의 착륙
접근을 포함)하기 전까지는 운고가 300 피트 미만이거나 시정이 1마일 미만일 때
계기접근을 계획하거나 시도하여서는 아니된다.

나. 해당 형식 항공기의 기장으로서 이착륙을 포함한 20회의 비행(flights) 또는 100시


간의 기장비행 경력(CAT-III 절차를 사용한 5회의 접근 및 착륙을 포함)을 갖추기
전까지는 운고가 100피트 미만이거나 활주로가시범위(RVR) 300미터 미만일 때 접
근을 계획하거나 시도하여서는 아니된다.

다. 가항 및 나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운항증명소지자는 운영기준에 정하여 국토교통부


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인가한 기상치를 적용할 수 있다.

8.4.8.33 특수공항 지정기준(Designated Special Aerodromes)


가.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하는 특수공항 지정기준은 다음 각호와 같다.
1) 공항주변의 산악지형, 장애물 또는 제한사항 등으로 인하여 이륙, 착륙 또는 복행
시 항공기 운항에 영향을 주는 공항
2) 특정한 도착 또는 출발절차를 적용하는 공항
3) 운항에 필요한 공항시설이 미흡하거나 제한된 정보(NOTAM, 지역 기상 또는 언어
등)를 제공하는 공항
4) 기타 이․착륙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공항
나. 특수공항 지정․해지를 위한 평가서의 제출
1) 국적항공사 최초로 정기편을 신규로 취항하려는 공항에 대해 안전운항체계변경검사
를 신청하려는 항공운송사업자는 해당 공항 및 교체공항(항로상 교체공항은 제외 한다)
의 특수공항 해당여부를 확인받기 위해 별지 제17호 서식의 특수공항 지정․해지평가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항공안전감독관 또는 항공운송사업자는 특수공항으로 지정되어 있는 공항 중 공항


시설이 개선되거나 이․착륙 절차가 수립되는 등 특수공항으로 지정했던 당시의 요건이
해소되어 특수공항 지정을 해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별지 제17호서식의
특수공항 지정․해지평가서를 작성하여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할 수 있다.
다. 특수공항을 지정하거나 해지하기 위한 평가서의 처리
1) 국토교통부장관은 항공안전감독관 또는 항공운송사업자가 제출한 특수공항 지정․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지평가서를 검토하여 특수공항을 지정하거나 해지할 수 있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특수공항을 지정하거나 해지하는 경우, 관련 정보를 고시하여야
한다.
라. 특수공항에 대한 주기적인 검토
1) 국토교통부장관은 국내항공운송사업자 또는 국제항공운송사업자의 운항증명에 따라
교부된 운영기준에 명시되어 있는 정규공항, 교체공항, 예비공항 및 연료보급공항에 대
하여 2년 주기로 특수공항 해당여부를 검토하여야 한다.
마. 특수공항의 운항을 위한 기장의 자격
1) 특수공항으로 지정된 공항을 운항하고자 하는 기장은 8.4.8.30의 자격 요건을 충족
하여야 한다. 다만, 항공기운항 중 비정상상황이 발생하여 비행계획상의 목적지 교체공
항 이외의 공항으로 회항이 필요한 경우에는 특수공항 운항을 위한 기장의 자격조건에
충족하지 아니하더라도 특수공항으로 회항할 수 있다.
바.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하는 특수 공항은 별표 8.4.8.33에 규정한다.

8.4.8.34 운항승무원 정기훈련(Recurrent Training: Flight Crew Members)


가. 최근 12개월 이내에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 받은 정기 지상훈련 및 비행훈련과정을
이수하지 아니한 자는 운항승무원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정기 지상훈련에는 다음 각 호의 훈련이 포함되어야 한다.


1) 항공기 시스템과 제한사항, 정상․비정상 및 비상절차
2) 비상장비와 실습
3) 승무원자원관리(CRM)
4) 위험물의 식별 및 운송
5) 보안교육

다. 항공기에 따른 지상훈련 요구량은 다음과 같다.


1) 터보팬 ․ 제트 항공기 : 25시간.
2) 기타 항공기
가) 왕복엔진 : 16시간
나) 터보 프로펠러 엔진 : 20시간
다) 터보샤프트 엔진 : AOC 증명시 국토교통부장관이 기종별로 승인한 교육훈련프로
그램에서 정한 시간

라. 정기 비행훈련에는 다음 각 호의 훈련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운항증명소지자의 정상․비정상 및 비상절차에 대한 항공기의 조작과 안전운항
2) 10노트 이상의 풍속이 변화하는 돌풍 상황에서의 훈련 및 항공기 비정상자세회복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UPRT) 훈련을 포함한 비행 중 위험 회피에 필요한 조작과 절차


3) 조종사에 대하여, 인가된 최저기상치 하에서의 1회의 저시정 이륙과 운항증명소지자
에게 인가한 최저기상치 하에서 2회의 접근 및 1회의 10노트 이상의 풍속이 변화하
는 돌풍 상황에서의 실패접근

마. 세부적인 정기훈련 요건은 별표 8.3.4.13에 규정한다. 다만, 정기비행훈련은 별표


8.4.8.19를 준용할 수 있다.
주. 해당 형식의 항공기와 수행될 운항에 대한 기량심사(Proficiency check)를 운항
증명소지자로부터 만족스럽게 완료한 경우 기량심사를 정기비행훈련으로 갈음할
수 있다.

8.4.8.34.A 운항승무원 재 자격부여 훈련(Re-Qualification Training: Flight Crew


Members)
가. 당해기종 승무 중 최근 3년 이내의 일정기간동안 승무를 중단한 경우, 항공당국으로
부터 인가 받은 재자격 부여 지상훈련 및 비행훈련과정을 이수하지 아니한 자는 운
항승무원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
여서는 아니 된다.
나. 재자격 부여 훈련의 지상 및 비행훈련의 과목 등은 전환과정 훈련을 준용하여 실시
하되, 훈련시간 및 운항경험 등은 승무 중단기간을 고려, 다음의 최소요구량 이상 실
시하여야 한다.
1) 터보제트, 팬 항공기
가) 지상교육
-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 14시간
- 6개월 이상 1년 미만 : 20시간
- 1년 이상 2년 미만 : 35시간
- 2년 이상 3년 미만 : 35시간
나) 비행훈련
-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 6시간
- 6개월 이상 1년 미만 : 8시간
- 1년 이상 2년 미만 : 10시간
- 2년 이상 3년 미만 : 12시간
다) 운항경험
-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 3회의 이착륙
- 6개월 이상 1년 미만 : 6회의 이착륙
- 1년 이상 2년 미만 : 8회의 이착륙
- 2년 이상 3년 미만 : 10회의 이착륙
2) 터보 프로펠러 항공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가) 지상교육
-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 10시간
- 6개월 이상 1년 미만 : 15시간
- 1년 이상 2년 미만 : 25시간
- 2년 이상 3년 미만 : 25시간
나) 비행훈련
-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 6시간
- 6개월 이상 1년 미만 : 8시간
- 1년 이상 2년 미만 : 10시간
- 2년 이상 3년 미만 : 12시간
다) 운항경험
-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 2회의 이착륙
- 6개월 이상 1년 미만 : 4회의 이착륙
- 1년 이상 2년 미만 : 6회의 이착륙
- 2년 이상 3년 미만 : 8회의 이착륙
3) 왕복엔진, 터보샤프트 엔진 : AOC 증명시 국토교통부장관이 기종별로 승인한 교육
훈련프로그램에서 정한 시간
다. 승무 중단기간이 3년 이상의 경우에는 전환(당해 기종 한정소지)과정에 준하여 실시
한다.

8.4.8.35 객실승무원 정기훈련(Recurrent Training: Cabin Crew)


가. 최근 12개월 이내에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 받은 정기 지상학과정(단 위험물 식별
및 운송 부분은 24개월 이내로 한다) 이수하지 못한 자는 객실승무원으로서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정기 지상훈련에는 다음 각 호의 훈련이 포함되어야 한다.


1) 항공기 특수 외형(configuration), 장비 및 절차
2) 비상 및 구급장비와 실습
3) 승무원자원관리(CRM)
4) 위험물 식별 및 운송
5) 보안교육

다. 항공기에 따른 지상훈련 요구량은 다음과 같다.


1) 터보팬 ․ 제트 항공기 : 12시간
2) 기타 항공기
가) 왕복엔진 : 4시간
나) 터보프로펠러 엔진 : 5시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다) 터보샤프트 엔진 : AOC 증명시 국토교통부장관이 기종별로 승인한 교육훈련프로


그램에서 정한 시간

라. 객실승무원에 대한 세부적인 비상훈련 프로그램에 관한 요건은 별표 8.4.8.35에 규


정한다.

8.4.8.35.A 객실승무원 재자격 훈련(Re-qualification Training ; Cabin crew)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8.3.8.35에서 정한 정기훈련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객실승무원에
게 객실승무원의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가 정기훈련을 이수하지 못한 자로 하여금 객실승무원으로서의 임무


를 수행토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 각 호의 내용을 포함한 재격훈련을 이수토록 하여
야 한다. 다만, 정기훈련을 이수하지 않은 기간이 36개월을 초과한 경우에는 초기
객실승무원 훈련과정을 이수토록 하여야 한다.
1) 객실안전 규정 및 절차(변경 내용 포함)
2) 비상대응절차
3) 비상장비 사용법
4) 항공기 지상훈련
5) 항공 보안
6) 승무원 자원관리
7) 응급처치
8) 지식 및 기량 심사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나항의 각 호에서 정한 사항을 포함한 객실승무원 재자격 훈련프


로그램을 수립하여 항공당국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8.4.8.36 운항관리사 정기훈련(Recurrent Training: Flight Operations Officers)


가. 최근 12개월 이내에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 받은 정기 지상학 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운항관리사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된다.

나. 정기 지상훈련에는 다음 각 호에 대한 훈련이 포함되어야 한다.


1) 항공기의 특성에 따른 비행준비
2) 운항관리사 자원관리(DRM) 또는 초기승무원자원관리(CRM)
3) 위험물 식별 및 운송

다. 항공기에 따른 지상훈련 요구량은 다음과 같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1) 터보팬 ․ 제트 항공기 : 20시간


2) 기타 항공기
가) 왕복엔진 : 8시간
나) 터보 프로펠러 엔진 : 10시간
다) 터보샤프트 엔진 : AOC 증명시 국토교통부장관이 기종별로 승인한 교육훈련프로
그램에서 정한 시간

라. 인가된 운항증명 및 운영기준에 명시된 비행운항 감독 및 통제의 방법에 관한 모든


특정요소를 설명하는 운송사업자의 특별교육과정의 만족할 만한 이수
주. 교육과정의 구성에 관한 지침은 ICAO Doc 7192 Part D-3을 참조한다.

마. 운항관리사의 세부적인 훈련프로그램 요건은 별표 8.4.8.36에 규정한다.

8.4.8.37 검열운항승무원의 훈련(Check Airman Training)


가.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 받은 교육훈련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검열운항승무원으
로서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검열운항승무원에 대한 세부적인 훈련프로그램 요건은 별표 8.4.8.37에 규정한다.

8.4.8.38 비행교관의 훈련(Flight Instructor Training)


가.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 받은 교육훈련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자는 비행교관으로서 임
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비행교관의 세부 훈련프로그램에 대한 요건은 별표 8.3.4.15에 규정한다.

8.4.8.39 비행 ․ 운항관리사 및 객실승무원 교관의 자격(Qualifications of Pilots, Flight


dispatchers and Cabin crew Instructors)
가. 해당 항공기 형식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자는 수립된 훈련프
로그램의 비행교관으로서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1) 기장, 항공기관사 또는 항법사 업무수행을 위하여 갖추어야 할 해당 항공종사자 자
격증명 및 한정자격을 소지할 것
2) 기장, 항공기관사 또는 항법사 업무수행을 위하여 요구되는 해당 정기훈련 등 항공
기에 대한 적합한 훈련과정을 이수할 것
3) 기장, 항공기관사 또는 항법사 업무수행을 위하여 적합한 기량심사(Proficiency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Check), 자격심사(Competency Check) 및 최근의 비행경험 심사(Recency of


experience checks)를 이수할 것. 단, 비행임무를 수행하지 않는 모의비행장치 전
담 비행교관의 경우에는 최근의 비행경험 요건에 대하여는 예외로 한다.
4) 초기 또는 전환훈련 요건을 충족하고 국토교통부장관이 지명한 소속공무원 또는 위
촉심사관이 비행 중 또는 모의비행장치에서 행한 기량심사(Authority-observed
in-flight competency check)를 만족스럽게 이수할 것
5) 제1종 항공신체검사증명서를 소지할 것. 단, 항공기 임무승무원(Required crew
member)으로서 종사하지 않을 경우에는 최소한 제3종 항공신체검사증명서를 소지
하되, 모의비행장치 비행교관의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의 자격을 모두 갖추지 못한 자에게 운항관리사에 대한


지상교육교관(검열관 포함)으로서 임무를 수행토록 해서는 아니 된다.
1) 운항관리사 자격증명 소지하거나, 2년 이상의 운항관리업무 경험 보유
2) 최근 2년 이내에 실무자격심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은 사실이 없는 자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의 자격을 모두 갖추지 못한 자에게 객실승무원 교육훈


련을 담당하는 교관으로서 임무를 수행토록 해서는 아니 된다. 다만, 객실안전 분야
외의 전문가가 교관임무를 수행하도록 할 경우에는 해당 분야의 교관자격 또는 지식
과 기량을 갖춘 자를 선정하여야 한다.
1) 객실승무원으로서 연속해서 2년 이상의 승무경력 또는 1,500시간 이상의 비행시간
을 보유(동일 형식의 항공기를 보유한 다른 항공사에서의 승무경력 포함)
2) 객실안전관련 법규정, 항공기 설비 및 장비, 비상대응 절차 등을 포함한 객실승무원
안전훈련 업무수행에 요구되는 지식과 기량을 확보하기 위한 24시간 이상의 교육
이수

8.4.8.39.A 객실승무원 선임교관, 심사관, 감독관의 자격(Qualifications of Cabin crew


Senior Instructor, Examiners and Inspectors)
가. 운항증명소지자(또는 신청자)는 다음 각 호의 자격을 모두 갖추지 못한 자에게 객실
승무원의 교육훈련 평가를 담당하는 심사관(운항경험 심사관 포함)으로서 임무를 수
행토록 해서는 아니 된다.
1) 객실승무원 훈련 교관 경력 2년 이상보유
2) 객실승무원 비상대응 절차 및 비상장비의 실습 평가에 요구되는 24시간 이상의 교
육 이수

나. 운항증명소지자(또는 신청자)는 다음 각 호의 자격을 모두 갖추지 못한 자에게 객실


승무원 교관훈련(Instructor Training)을 담당하는 선임교관(Senior Instructor) 또는
객실승무원 훈련을 포함한 객실안전 전반에 대한 평가와 감독 업무를 수행하는 감독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관(Inspector)으로서 임무를 수행토록 해서는 아니 된다.


1) 객실 교관(또는 심사관) 경력 2년 이상 보유 또는 객실승무원으로서의 비행시간 5,0
00시간 이상 보유
2) 객실승무원 안전훈련 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영 관련 기준, 훈련의 평가 방법, 객실안
전 절차 관련 기준, 객실승무원 안전절차 이행 점검 기준 등 훈련 평가와 현장 객실
안전 점검에 요구되는 지식과 기량을 확보하기 위한 24시간 이상의 교육 이수
다. 운항증명소지자(또는 신청자)의 사업 규모 및 영업범위 등이 소규모(여객운송용 비행
기를 5대 미만 보유 등)일 경우, 가항 및 나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당해 사업자의 객실승무원의 인적구성 등을 고려하여 심사관
및 감독관의 자격기준을 달리 정할 수 있다.

8.4.8.40 비행 ․ 운항관리사 및 객실승무원 교관의 자격유지(Maintaining for Flight ․


Flight dispatcher and Cabin crew Instructor Qualification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비행교관 ․ 운항관리사 및 객실승무원 지상교관(검열운항관리사 및
객실승무원 심사관․선임교관․감독관 포함)의 지식 ․ 기술 및 자격의 유지를 위한 정기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나. 가항에 따른 정기교육훈련프로그램에는 최소한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1) 항공법령 등 관련 규정
2) 교육, 심사, 점검에 필요한 지식과 요령(skill)
3) 훈련/교육평가 및 심사절차 등

8.4.8.41 검열운항승무원의 자격(Check Airman Pilot Qualifications)


해당 항공기 형식에 대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자는 수립된 훈련프로그램
의 검열운항승무원으로서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
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1) 기장, 항공기관사 또는 항법사 업무수행을 위하여 갖추어야 할 해당 항공종사자 자
격증명 및 한정자격을 소지할 것
2) 기장, 항공기관사 또는 항법사 업무수행을 위하여 요구되는 해당 정기훈련 등 항공
기에 대한 적합한 훈련과정을 이수할 것
3) 기장, 항공기관사 또는 항법사 업무수행을 위하여 적합한 기량심사(Proficiency
check), 자격심사(Competency check) 및 최근의 비행경험심사 (Recency of
experience check)를 이수할 것. 단, 비행임무를 수행하지 않는 모의비행장치 검열
운항승무원의 경우에는 최근 비행경험 요건에 대하여는 예외로 한다.
4) 초기 또는 전환훈련 요건을 충족하고 비행 중 또는 모의비행장치에서 행한 관찰심사
(Authority-observed in-flight competency check)를 만족스럽게 이수할 것
5) 제1종 또는 제2종 항공신체검사증명서를 소지할 것. 단, 항공기 임무승무원으로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종사하지 않을 경우에는 최소한 제3종 항공신체검사증명서를 소지하되, 모의비행장


치 전담 검열승무원의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6) 검열운항승무원의 직무범위에 대하여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를 받을 것

8.4.8.42 검열운항승무원의 임명(Check Airman Designation)


연속되는 12개월 내에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의 수행 직무에 대하여 인가를 받지 못한
자는 비행심사를 수행하는 검열운항승무원으로서 해당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
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8.4.8.43 검열운항승무원의 제한사항(Check Airman Limitations)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 비행심사를 위하여 검열운항승무원으로서 임무를 수행
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된다.
1) 항공기에서 임무 운항승무원(Required flight crew member)으로서 비행심사를 행
하고자 하는 자가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및 한정자격과 심사를 행할 승무원의 위치
(position) 및 운항에 대하여 이 장에서 정한 각종 적합한 훈련(training), 자격
(qualification) 및 자격 유지 요건(currency requirement)을 이수하지 못한 경우
2) 항공기에서 관찰 검열운항승무원으로서 비행심사를 행하고자 하는 자가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및 한정자격과 심사를 행할 승무원의 위치(position) 및 운항에 대하여 이
장에서 정한 각종 적합한 훈련(training), 자격(qualification) 및 노선 및 지역비행경
험(Route and Area experience) 요건을 갖추지 아니한 경우
3) 모의비행장치에서 비행심사를 행하고자 하는 자가 심사를 행할 승무원의 위치
(position) 및 운항에 대하여 이 장에서 정한 각종 적합한 훈련(training), 자격
(qualification) 및 노선관찰(Line observation) 요건을 이수하지 못한 경우

8.4.8.44 모의비행장치 경험의 대체(Substitution of Simulator Experience)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지방항공청장으로부터 지정을 받지 못한 모의비행장치를 훈련 및
심사를 위하여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외국의 항공운송사업자 또는 훈련기관
에서 자국의 정부로부터 인가받은 훈련프로그램 및 모의비행장치를 운항증명소지자
가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관련 서류를 사전에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 승
인을 받아야 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지방항공청장이 지정한 목적 이외에 모의비행장치를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8.4.8.45 검열운항승무원 및 교관의 운항자격(Line Qualification: Check Airman and


Instructor)
최근 12개월 이내에 다음 각 호 1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자는 검열운항승무원이나 모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의비행장치 교관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으며, 운항증명소지자 또한 이들에게 임무를 부


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임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항공기 형식에서 임무운항승무원(Required flight crew
member)으로서 최소한 5회의 비행을 할 것
2) 임무가 부여된 항공기 형식의 조종실에서 2회의 전 비행과정을 관찰할 것

8.4.8.46 기량심사, 자격심사 또는 노선심사의 중단(Termination of a Proficiency,


Competence or Line Check)
어떤 이유로 심사를 중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 운항증명소지자는 재심사를 완료할 때까지
항공운송사업용 항공기의 승무원이나 운항관리사에게 임무를 부여하여서는 아니된다.

8.4.8.47 승무원 및 운항관리사 자격의 기록(Recording of Crew Member


Qualification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승무원 및 운항관리사의 기록부에 이 장에서 요구하는 각 자격의
이수에 관한 사항을 기록하고 유지하여야 한다.

나. 조종사는 이 장에서 정한 교과과정을 다른 교과과정과 병행 또는 혼합하여 이수할


수 있으나, 교과과정 이수에 관하여서는 각각 기록되어야 한다.

8.4.8.48 훈련 및 심사에 대한 감독(Monitoring of Training and Checking Activitie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업무종사자에 대한 훈련 및 심사에 관한 규정을 제정하여 항
공당국의 인가를 득하여야 한다.

나. 항공당국은 운항증명소지자가 가항에 따라 인가 받은 규정을 준수하지 아니하고 훈


련 및 심사를 실시한 경우 해당 훈련 또는 심사를 무효로 하거나 재 실시를 명할 수
있다.

8.4.8.49 적격기간(Eligibility Period)


가. 법 제51조제2항 및 이 장에서 요구하는 조종사․객실승무원 및 운항관리사가 자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이수하여야 하는 기량심사, 시험, 자격심사 또는 정기훈
련(지상훈련의 경우는 예외로 한다) 또는 경험(노선 및 공항) 등은 나항 및 다항에서
정한 적격기간 중 언제든지 이 요건을 이수할 수 있다.

나. 적격기간은 요건을 이수하여야 할 날자가 속한 월과 전 후1개월을 포함하여 3개월로


정한다.

다. 적격기간 내에 요건을 이수한 경우 차기 기준 월 산정 시 이를 기준 월에 이수한 것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으로 간주한다.

8.4.8.50 요구량의 감축(Reductions in Requirements)


가. 항공당국은 승무원의 이전 경험을 고려하여 이 장에서 정한 훈련요구량의 일정부분
을 줄이거나 면제를 인정할 수 있다.

나. 훈련요구량의 감축이나 면제를 요청한 운항증명소지자는 요청 근거를 서면으로 제출


하여야 한다.

다. 특정 승무원에 대한 요청이 있었을 경우 운항증명소지자는 해당 승무원의 기록부에


항공당국으로부터 감축이나 면제를 인정받은 서류와 그에 대한 근거를 보관하여야
한다.

라. 비행훈련을 성공적으로 이수한 자, 교관 또는 검열운항승무원으로부터 추천을 받은


자, 검열운항승무원에 대한 적절한 비행심사를 성공적으로 이수한 자 또는 계획시간
(Programmed time) 보다 적은 시간의 과정을 이수토록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
정을 받은 자는 특정 항공기에 대하여 설정된 비행훈련 계획시간을 모두 충족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주. 국토교통부장관은 이전 6개월 동안 특정 훈련과정에서 수행한 비행심사의 20퍼
센트가 불합격된 것을 발견한 경우, 해당 훈련과정에서의 비행훈련 효과가 개선
되었다고 판명될 때까지 상기의 인정방법을 적용하지 아니할 수 있다.

8.4.8.51 1인 조종사에 의한 계기비행방식(IFR) 또는 야간 운항을 위한 조종사


자격(Single pilot operations under the Instrument Flight Rules(IFR) or at night)
가. 국토교통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특별히 허가한 경우에 한하여 다음과 같은
자격요건을 갖춘 1인 조종사로 하여금 계기비행 또는 야간에 제한된 운항을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은 운항시간, 탑승인원, 운항구간, 당해 항공기가
갖추어야 할 성능요건(당해 항공기에 장착해야 할 계기․장비요건 포함) 등을 제한하
거나 추가할 수 있다.
1) IFR 또는 야간에 운항하기 위하여, 동일기종으로 최소 50시간 이상의 비행시간이
필요하며 그 중 최소 10시간은 기장으로서 비행한 시간이어야 한다.
2) IFR 비행을 위하여, 동급 비행기에 대한 최소 25시간의 IFR 비행시간이 필요하며,
1)항의 50시간의 비행시간에 포함할 수 있다.
3) 야간비행을 위하여, 15시간의 야간비행시간이 필요하며, 1)항의 50시간의 비행시간
에 포함할 수 있다.
4) IFR 비행을 위하여, IFR 조건하에서는 1인 조종사로서 아래의 최근경험이 요구된다.
i) 1인 조종사로서 동급비행기로 최근 90일 동안 3번의 계기접근을 포함하여 최소 5회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의 IFR 비행
ii) 최근 90일 이내에 동일 비행기로 IFR 계기접근 점검(check)을 받을 것
5) 야간비행을 위하여, 최근 90일 이내에 동급 비행기로 1인 조종사로서 야간에 최소
3회의 이 ․ 착륙경험이 있어야 한다.
6) 8.4.8.34 및 9.3.1.3의 비상탈출을 포함한 승객 브리핑, 오토파일럿 관리, 비행중 교
범의 사용 등을 포함하는 훈련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이수하여야 한다.

나. 8.4.8.19, 8.4.8.34 및 8.4.8.48에 명시된 최초/보수훈련과 업무능력점검은 지정된 운


용환경에서 동급 항공기의 1인 조종사 역할에서 기장으로서 수행되어야 한다.

8.4.8.52 운항승무원의 항공영어 구술능력교육 (Aviation English Proficiency Training


Program for Pilot)
운항증명 소지자는 국제항공업무에 종사하는 운항승무원에 대한 항공영어구술능력 향상
을 위한 교육훈련프로그램을 ICAO Doc. 9835 제4장의 규정에 따라 수립․시행하여야 한
다.

8.4.8.53 CFIT 조종사 훈련(Pilot Training for CFIT)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조종사가 CFIT 관련 사고 및 준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다음의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한 훈련프로그램을 수립하고 이행하여야 한다.
1) CFIT 사고 및 준사고에 선행되는 요소를 인식하는 방법
2) CFIT 예방을 위한 수단과 방법
3) CFIT를 회피하기 위한 상황인식 방법
4) CFIT 직면 시 탈출(Escape) 방법 및 기술 등

나. CFIT 훈련프로그램은 별도로 수립할 수 있으나, 기존의 초기훈련, 전환훈련, 정기훈


련 및 평가프로그램에 포함하여 수립할 수 있다. 다만, 정기훈련 주기는 최소 매 2
년 주기로 반복하여 실시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 지상훈련프로그램은 직면한 CFIT 상황을 인지하고 회피하기 위해 승무원의 인식능


력을 증진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이 경우, ICAO에서 배포된 “Controlled Flight
into Terrain Education and Training Aid"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수립할 수 있다.

라. 모의비행장치를 이용한 훈련프로그램은 잠재된 CFIT 상황을 인식하고 사고 및 준사


고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를 숙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최소한 시
계비행상태에서의 CFIT 조우 상황과, 계기비행상태에서의 CFIT 조우 상황이 포함되
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8.4.9 승무원 피로관리(Fatigue Management)


8.4.9.1 적용(Applicability)
이 절은 항공운송사업의 운항분야에 종사하는 운항승무원, 객실승무원 및 운항관리사의
승무․비행근무 및 휴식기준에 적용된다.

8.4.9.2 비행근무편성 기준의 준수(Compliance with Scheduling Requirements)


가. 국토교통부장관은 다음의 경우 규정된 비행근무시간 제한을 초과하더라도 규정된 비
행근무시간 제한기준을 준수한 것으로 간주한다.
1) 해당 비행이 규정된 제한시간 내에 정상적으로 종료될 것으로 계획되었으나,
2) 운항증명소지자가 통제할 수 없는 상황(악기상, 고장, 항공교통관제, 천재지변, 비상
사태, 긴급사태 등)으로 인해 항공기 출발 이후에 1)호에 따른 계획된 시간 내에 목적지
공항에 도착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

나. 국토교통부장관은 운항증명소지자가 통제할 수 없는 상황으로 인해 비행근무시간을


초과한 경우 이를 규정된 비행근무시간 제한을 준수한 것으로 간주한다.

8.4.9.3 비행근무 및 지상휴식시간(Duty and Rest Period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승무원, 객실승무원 및 운항관리사의 피로관리를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운항승무원 및 객실승무원의 비행근무는 별표 8.4.9.3에서 정한 기준을 초과하여
편성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운항관리사의 근무시간은 연속 24시간 내 연속 10시간을 초과토록 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근로기준법 제54조에 따라 제공된 휴게시간은 근무시간에 포함되지 아
니한다.
3) 규정된 휴식시간 중에 있는 운항승무원에게 항공기 운항을 요구하여서는 아니 된다.
4) 운항승무원, 객실승무원 및 운항관리사가 계획된 비행근무시간 직전에 충분한 휴식
을 취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5) 운항승무원, 객실승무원 및 운항관리사에게 연속되는 7일의 기간 동안에 연속되는


24시간의 휴식을 부여하여야 한다.

나. 운항승무원, 객실승무원 및 운항관리사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별표 8.4.9.3에서 정한 비행근무에 따른 최소휴식시간을 갖지 못한 자는 항공운송사
업을 위한 비행근무에 종사하여서는 아니 된다.
2) 규정된 휴식시간 동안에 운항증명소지자가 부여하는 비행근무를 수락하여서는 아니된다.
3) 운항승무원, 객실승무원 및 운항관리사는 계획된 비행근무시간 직전에 최소한 8시간
의 휴식을 취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4) 승무원은 비행근무 전에 주어진 휴식시간에는 충분히 쉬어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별표에서 정한대로 승무원의 휴식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 경


우 승무원의 다음 휴식시간은 연장되어야 한다.

주1. 운항증명소지자의 요구에 의해 승무원이 비행을 위하여 또는 비행종료 후 한 지


역 내가 아닌 다른 지역으로 지상운송에 소요된 시간은 별표 8.4.9.3에서 정한
최소휴식시간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주2. 운항증명소지자의 명에 의거 승무원이 모기지로 또는 모기지로부터 항공기에서
운송에 소요된 시간은 별표 8.4.9.3에서 정한 최소휴식시간으로 간주하지 않는
다.

8.4.9.4 최대허용 승무시간(Maximum Number of Flight Time Hours)


가. 운항승무원 및 객실승무원의 총 승무시간이 별표 8.4.9.3에서 정한 제한시간을 초과
할 경우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임무를 위하여 해당 승무원을 편조
하여서는 아니 되며, 운항승무원 및 객실승무원 또한 이를 수락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임무 운항승무원으로서 운항중 항공기에서 보낸 모든 시간은 휴게 또는 임무수행에


상관없이 승무시간으로 간주한다.

다. 운항승무원이 연속되는 24시간 동안에 12시간 이상 승무하도록 편조된 경우 항공기


에 적합한 휴식시설을 제공하여야 한다.

8.4.9.5 특별비행근무계획(Special Flight Duty Schemes)


항공당국은 운항증명소지자에게 특별비행근무계획을 인가할 수 있다.

8.4.10 비행인가(Flight Release)


8.4.10.1 적용(Applicability)
이 절은 운항증명소지자 또는 운항증명소지자가 지정한 자에 의한 비행인가서를 발부하
는데 적용된다.

8.4.10.2 운항통제업무를 위한 자격자(Qualified Persons Required for Operational


Control Function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매 비행 편마다 운항통제를 위한 업무 및 책
임을 수행할 자격을 갖춘 자를 지정하여야 한다.

나. 정기 스케쥴에 의거 승객을 운송하는 비행에 대한 운항통제업무를 수행하는 운항관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리 센터에는 자격증명을 소지하고 제반자격을 갖춘 운항관리사 또는 운항관리업무


수행에 필요한 교육훈련을 이수한 자가 근무하여야 한다.

다. 항공운송사업 이외의 비행에 대하여는 운항통제에 자격을 갖춘 자와 운항 전, 운항


중 및 운항 후 기장과 협의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라. 기장은 모든 비행의 운항통제에 관련하여 공동적인 책임을 갖게되고 또한 비행 중


운항통제에 관한 의사 결정시 상황에 따른 최종 결정권한을 가진다.
주. 기장이 권고 사항과 다르게 결정을 한 경우, 기장에게 권고한 자는 관련 사실의
내용을 기록해 두어야 한다.

8.4.10.3 운항통제와 연관된 업무(Functions Associated with Operational Control)


운항증명소지자의 운항통제에 책임이 있는 자는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1) 특정 운항편에 대한 인가
2) 해당 비행을 운항통제하고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자와 적합한 시설이 이용가
능한지를 확인
3) 비행계획과 준비가 적합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
4) 항공기 위치 및 비행감시업무가 이루어지고 있는 지를 확인
5) 계획된 승객운송 비행편의 안전운항을 위한 비행진행 과정에 대한 감시와 필요한 정
보제공 여부를 확인

8.4.10.4 운항통제업무(Operational Control Duties)


가. 항공운송사업자에서의 운항통제업무를 수행하는 운항관리사의 임무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운항비행계획서(Operational Flight Plan)를 작성 및 서명하여 기장의 비행준비를 지
원하고, 비행계획서(ATS FPL)를 기장에게 제공 및 관련 항공교통기관에 제출
2) 항공기의 운항여부(결항, 지연 등)를 결정하고, 기장과 합의하여 비행계획을 변경
3) 항공기의 비행진행사항을 감시하고, 비행 중 안전운항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기장
에게 제공
4) 비상시 운항증명소지자의 운항규정에 규정된 절차에 따른 초도 조치
5) 항공기 운항의 통제 및 감시
6) 기타 항공법령에서 정한 업무

나. 운항통제업무를 수행하는 자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절차와 상반되는 조치를 하여서


는 아니 된다.
1) 항공교통관제
2) 기상업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3) 통신업무

8.4.10.5 비행인가 : 항공기 요건(Flight Release: Aircraft Requirements)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항공기가 계획된 운항을 위하여 감항성과 적합한 장비를 갖추지
못한 경우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비행을 인가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항공운송사업자는 당해 형식 항공기에 대하여 인가된 최소장비목록(MEL)에서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장착된 계기 및 장비가 부 작동하는 항공기를 사용하는 항공운송사
업을 위한 비행을 인가하여서는 아니 된다.

8.4.10.6 비행인가 : 시설과 항공고시보(Flight Release: Facilities and NOTAMs)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해당 비행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적
합한 통신 및 항법시설이 없는 항로상으로 비행을 인가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운항관리사는 당해 비행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공항상태와 항행안전시설의 이
상상태에 관한 제반 정보를 기장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주. 운항비행계획서 검토 시 기장에게 항로, 시설 및 공항 등에 관련된 이용 가능한
모든 항공고시보(NOTAMS)를 제공하여야 한다.

8.4.10.7 비행인가 : 기상보고와 예보(Flight Release: Weather Reports and


Forecasts)
가. 운항하고자 하는 항로상의 기상보고와 예보를 충분히 파악하지 못한 경우에는 비행
을 인가하여서는 아니된다.

나. 기상보고와 예보에 관한 제반정보를 기장에게 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비행을 인가


하여서는 아니 된다.

8.4.10.8 비행인가 : 착빙상태(Flight Release in Icing Conditions)


가. 항공기의 비행을 허가하는 자 또는 기장의 판단이 항공기에 인가된 제빙 또는 방빙
장비를 충분히 작동시켜도 결빙상태를 해결할 수 없다고 예상되는 경우 운항증명소
지자는 비행을 인가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항공기 출발공항에서 지상 제빙 및 방빙을 위하여 항공당국이 운항증명소지자에게


인가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적합한 시설과 장비를 기장이 이용할 수 없는 경
우, 서리, 얼음, 눈 등이 항공기에 달라붙을 것이 예상되는 조건에서는 비행을 인가
하여서는 아니 된다.

8.4.10.9 비행인가 : 시계비행방식 또는 계기비행방식(Flight Release under VFR or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IFR)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조건에 따라 기상보고 또는 예보 또는 이를 복합적으로 산정한 예
보가 해당 비행을 운항비행계획서에 명시된 대로 수행할 수 있다고 예상되지 않는 한 시
계비행방식 또는 계기비행방식에 의한 비행을 인가하여서는 아니 된다.

8.4.10.10 비행인가 : 법정연료공급량(Flight Release: Minimum Fuel Supply)


항공운송사업자는 운항비행계획서에 명시된 연료량이 이 장에서 정한 법정연료량 이상이
아닌 경우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비행을 인가하여서는 아니 된다.

8.4.10.11 비행인가 : 항공기 탑재와 성능(Flight Release: Aircraft Loading and


Performance)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 예상탑재량에 따른 운용범위가 다음 각 호에서 정한 범위를 초
과하여 운항비행계획서를 발행하여서는 아니 된다.
1) 무게중심 운용한계
2) 항공기운용한계
3) 최소성능요건

8.4.10.12 비행인가 : 항로상에서의 비행인가 수정 또는 재인가(Flight Release:


Amendment or Re-release En Route)
가. 항로상에서 비행 중 비행경로의 허가 사항을 수정하여 비행한 자는 수정받은 인가
사항을 기록해 두어야 한다.

나. 기장은 항로상에서 비행인가의 수정 또는 재인가 요청을 위하여서는 항로, 공항선정,


법정연료량이 적합하여야 한다.

다. 기장은 기상정보의 변화로 인하여 공항이 본래의 비행인가와 부적합하게 되는 경우


계획된 공항으로의 계속비행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8.4.10.13 비행인가 : 기상레이다를 갖춘 항공기(Flight Release with Airborne


Weather Radar Equipment)
항공운송사업자는 승객을 운송하는 대형항공기에서 예상하는 비행항로상의 기상 정보가
뇌우나 기타 위험한 기상현상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을 때에는 항공기에 탑재된 기상레
이더 장비가 정상 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한 계기비행방식이나 야간시계비행방식의 비행
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8.4.11 표준운항절차(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8.4.11.1 일반(General)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운항승무원들이 비행임무 시 사용할 수 있는 표준운항절차(SOP)


를 수립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나. 가항의 표준운항절차에는 다음 사항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1) 조종실 점검절차 및 점검표(Checklists)
2) 승무원 브리핑
3) 당해 항공기 운영교범에 명시된 비행절차
4) 표준복창절차(Standard call-outs)
5) 점검표의 표준화된 사용방법(정상, 비정상 및 비상)
6) 운항승무원간의 임무의 구분과 배정

8.4.11.2 점검표의 사용(Use of Checklists)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8.4.11.1 나항의 점검표에 운항승무원이 비행안전과 관련하여 반
드시 확인하고 수행하여야 하는 운항단계별 행위절차를 명시하도록 하여야 하며, 운
항승무원에게 항공기와 시스템 형태를 확인하는 데 있어 인간행동방식의 취약성
(vulnerabilities in human performance)을 보완할 수 있는 형식으로 작성하여 제공
되도록 하여야 한다.

나. 점검표는 다음 각목의 요건을 충족하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1) 정상상황에 사용되는 점검표는 운항승무원에게 다음의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가) 조종실 조작판의 범위와 논리적인 순서
나) 내부 및 외부 조종실 운영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논리적인 행동순서
다) 운항승무원이 동일상황에 대한 인지를 동시에 공유하도록 하는 상호 확인절차
라) 조종실 임무의 논리적인 배분을 보장하게 하는 승무원 협력
2) 비정상과 비상상황에서 사용되는 점검표는 운항승무원에게 비정상과 비상상황의 조
치사항을 인식하게끔 하여야 하며, 과중된 임무상황 하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인적오
류를 최소화하도록 보완되어야 하며,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가) 각 운항승무원이 수행하여야 할 역할과 임무
나)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진단에 대한 지침과 행위
다) 시간적, 순차적 방법에 의한 비상조치절차
3) 점검표의 항목의 순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구성되어야 한다.
가) 항공기 시스템의 작동순서
나) 작동기기 등의 조종실 내 물리적인 위치
다) 객실승무원이나 부기장(Co-pilot)의 임무와 연관된 운항환경
라) 비상상황 바로 직전 정상상황에서 점검된 비상상황과 연관된 항목
마) 비정상 및 비상상황에서 가장 먼저 수행되어야 할 항목
4) 점검표 점검항목의 수는 비행안전에 저해하는 경우 제한되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5) 점검표간의 순서는 단계별로 상호 간섭되지 않아야 하며, 점검표 간섭 시 운항승무


원의 조치사항은 표준운항절차에 명확하게 기술되어야 한다.
6) 점검표의 응답은 점검항목(스위치, 레버, 등, 량 등)의 량이나 실제 상태를 표현하여
야 하며, Set, Checked, Completed와 같은 부정확한 응답은 피해야 한다.
7) 점검표는 비행의 특정단계(엔진시동, 지상활주, 이륙 등)별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준운항절차는 각 비행단계별 중요부분의 점검표가(예를 들면, 활주로상에서
이륙점검표) 조종사로 하여금 당해 점검표를 이행하는 데 점검 항목간 겹침이 없이
여유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수립하여야 한다.
8) 점검표의 형태와 디자인은 모든 조종실 환경 하에서 판독이 가능하도록 문자체에 대
한 기본원칙이 있어야 한다.
9) 색상을 사용하는 경우, 점검표의 인덱스 디자인에 표준색상을 사용하여야 하며, 일
반적으로, 정상점검표는 녹색, 시스템 고장은 황색, 비상점검표는 적색을 사용한다.
10) 색상을 적용하여 정상, 비정상과 비상점검표를 식별하는 수단으로만 사용해서는 안
된다.

8.4.11.3 승무원 브리핑(Crew Briefings)


가. 8.4.11.1 나항의 승무원 브리핑은 승무원간 임무를 교환하고 관련행위를 표준화하기
위해 승무원의 상황인식을 증진시키고 승무원간 구별된 행동방식을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수립하여야 한다.

나. 항공운송사업자는 운항승무원과 객실승무원이 사용할 각 승무원별 브리핑과 통합된


승무원브리핑 절차를 수립하여야 한다.

다. 항공운송사업자는 운항 및 객실승무원에게 운항의 실제 조건과 환경이 반영된 운항


단계별 승무원 브리핑 절차를 제공하여야 한다.

라. 운항승무원 브리핑은 비행 전, 출발, 도착의 비행단계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마. 객실승무원 브리핑은 비행 전, 근무일의 첫 출발 시 실시해야 하며, 다음의 경우 추


가로 실시하여야 한다.
1) 승무원 또는 항공기 기종변경 시
2) 도착과 출발시간 간격이 2시간 이상인 비행 시

바. 비행 전 브리핑은 항공기 운항관련사항 뿐만 아니라 승무원간의 협력에 중점을 두어


야 하므로, 운항승무원과 객실승무원이 함께 실시하여야 하며,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
야 한다..
1) 항공기 운항 및 승객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장비 부작동 또는 비정상적인 작동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포함한 비행에 필수적인 사항


2) 승무원간 의사통신, 비상절차 및 안전관련 절차
3) 기상상황

사. 운항승무원 출발브리핑은 이륙과 상승 시 관련되는 모든 사항이 우선 시 되어야 하


며,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1) 사용 활주로, 항공기 외형(Configuration) 과 이륙속도
2) 유도로 경로, 관련 위험장소
3) 출발 절차
4) 출발 경로
5) 항법 및 통신장비 설정
6) 소음감소절차(해당 시)를 포함한 공항, 지형지물 및 성능의 제한사항
7) 이륙교체공항(해당 시)
8) 최소장비목록에 관련된 품목(해당 시)
9) 관련 비상절차의 확인 및 표준복창절차

아. 운항승무원 도착브리핑은 강하, 접근 및 착륙에 관련되는 모든 사항이 우선 시되어


야 하며,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1) 강하 중 최저안전고도와 지형의 위험요소
2) 도착 경로
3) 계기 또는 시각 접근절차와 사용활주로
4) 운항최저치, 항공기 외형과 착륙속도
5) 항법과 통신장비의 설정
6) 유도로 경로, 관련 위험장소
7) 실패접근절차
8) 교체공항 및 필요 연료량 계산
9) 관련 비상절차의 확인 및 표준복창절차
10) 저온 시 수정사항

자. 객실승무원 브리핑은 출발 시 관련되는 모든 사항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다음과 같


은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1) 이륙 및 착륙 시 근무위치의 지정
2) 비상장비의 확인
3) 특별주의가 요구되는 승객정보
4) 비상시 각 개인별 행동절차 확인(Self-review)
5) 관련 비상절차의 확인
6) 승객 또는 승무원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항 또는 보안사항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7) 새로운 절차, 장비 및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항공사의 추가 지침 등

8.4.11.4 운항중 감염성 의심환자(Traveller with a suspected communicable disease in


flight)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운항중에 승무원이 탑승객의 발열 및 다른 증상으로 인한 감염병
의심 환자를 판단하는 절차가 있어야 한다.

나. 항공운송사업자는 운항중에 감염병으로 의심되는 환자로 판단될 경우 기장이 다음


각 호의 정보를 적시에 항공교통관제 당국에 보고하는 절차가 있어야 한다.

1) 항공기 식별부호
2) 출발 공항
3) 도착 공항
4) 도착 예상시간
5) 탑승객 수
6) 의심되는 환자의 수
7) 의심되는 환자 증세 등

8.4.11.5 < 삭 제 ; 2014.10.31 >

8.4.11.6 < 삭 제 ; 2014.10.31 >

8.4.11.7 < 삭 제 ; 2014.10.31 >

8.4.11.8 < 삭 제 ; 2014.10.31 >

8.5 < 삭 제 ; 2014.10.31 >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 운항증명 및 관리
(Air Operator Certification and Administration)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 운항증명 및 관리(Air Operator Certification and


Administration)

9.1 일반(General)
9.1.1 적용(Applicability)
가. 이 장은 법 제115조의2 및 시행규칙 제280조 내지 제280조의3의 규정에 의하여 항
공운송사업의 운항증명을 위한 요건 및 운항증명소지자가 준수하여야 할 제반 요건
을 규정한다.

나. 이 장은 특별히 명시된 것을 제외하고 운항증명소지자가 항공운송사업을 위하여 수


행하는 모든 업무에 적용된다.

9.1.2 용어의 정의(Definitions)


이 장에 사용되는 용어의 뜻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인수점검표”라 함은 위험물 포장의 외형을 검사하는 서류와 모든 요건이 충족되었
는 지를 판단하는데 사용하는 관련 서류를 말한다.
2) “탑재용항공일지”란 항 중 발견된 항공기의 결함 및 고장을 기록하거나 항공기 주
정비시설이 있는 기지로의 운항이 계획된 사이에 수행한 모든 정비사항을 세부적으
로 기록하기 위하여 항공기에 비치된 서류를 말한다. 탑재용항공일지에는 운항승무
원이 숙지해야 할 비행안전과 관련된 운항정보와 정비기록이 포함되어야 한다.
3) “감항성확인“이라 함은 자신의 이익을 대표하는 개인 또는 정비 조직에 의해서 행해
지는 것 보다는 운용자가 특별히 인가한 사람이 정비 후 행하는 확인 행위를 말한
다. 실제로 감항성확인에 서명하는 자는 운용자를 대신하는 인가자로써 임무를 수행
하는 것이며, 감항성확인에 포함된 정비행위가 운용자의 지속적 정비 프로그램에 따
라 수행되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해당 정비단계에 서명한 자는 각 단계별로 수행
된 정비에 대해 책임을 지며, 감항성확인은 전체 정비작업에 대해 인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가 유자격 항공정비사나 정비조직의 정비 역할 또는 그들이 수행하거나
감독할 임무에 대한 책임을 결코 덜어주는 것은 아니다. 운용자는 감항성확인을 수
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유자격 항공정비사 또는 정비조직의 이름 또는 직책을
지정할 책임이 있다. 이에 추가하여 운용자는 감항성확인 시점을 지정해야 한다. 일
반적으로 감항성확인은 운영기준의 정비행위에 규정되어 있는 검사를 수행한 이후에
필요하다. 운영기준의 정비행위에는 점검이나 기타 주요 정비 등이 포함된다.
4) “화물기”라 함은 승객이 아닌 화물을 운송하는 항공기를 말한다. 다음 각목에 해당
자는 승객으로 간주하지 아니 한다.
가) 승무원
나) 운항규정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탑승이 허용된 항공사의 직원
다) 국토교통부 검사관 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지명한 공무원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라) 탑재된 특정 화물과 관련하여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탑승한 자


5) <삭 제>
6) <삭 제>
7) “위험물 운송서류”라 함은 항공운송에 의한 안전한 위험물 수송을 위하여 국제민간
항공기구 기술지시에 명시된 서류를 말한다. 위험물 운송서류는 위험물을 항공운송
에 위탁하는 사람이 작성해야 하며 이들 위험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해야 하며, 위험
물이 적합한 명칭과 유엔번호(만약 지정되었다면)에 의해 정확히 기술되어졌고 정확
히 분류, 포장 및 인식표가 붙어 있으며 운송하기에 적합한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는
서명이 있어야 한다.
8) “직접담당자”라 함은 예방정비 개조 또는 기타 항공기 감항성에 영향을 주는 작업을
수행한 정비소에서 작업에 대한 책임자를 말한다.
9) “동등정비시스템”이라 함은 항공운송사업자가 정비조직과 협정을 맺어 정비활동을
수행하거나 또는 항공운송사업자의 정비시스템이 국토교통부의 승인을 받았고 이시
스템이 정비조직의 정비시스템과 동등하면 자신이 정비, 예방정비, 개조 등을 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10) <삭 제>
11) “취급대리인”이라 함은 항공사를 대신하여 승객이나 화물의 접수, 탑승(적재), 하기
(적하), 환승(환적) 또는 기타의 업무에 대해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는 대리인을
말한다.
12) “지속시간”이라 함은 제빙/방빙액이 항공기의 주요표면에 서리나 얼음의 형성과 눈
의 축적을 방지할 수 있는 예상시간이 있으며 이러한 액을 최종적으로 뿌리기 시작
한 시점부터 시작하여 용액의 효과가 상실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13) “교환협정‘이라 함은 단순임차 및 공항에서 항공기의 운항권리 취득 또는 양도에
대하여 항공사에 허용하는 임차계약을 말한다.
14) “정비규정(Maintenance Control Manual)”이라 함은 정비 및 이와 관련업무를 수
행하는 자가 업무수행에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절차, 지시, 지침 등이 포함되어 있
는 교범을 말한다.
15) <삭 제>
16) <삭 제>
17) <삭 제>
18) <삭 제>
19) <삭 제>
20) <삭 제>
21) <삭 제>
22) “기술지시(Technical instructions)”라 함은 부록을 포함해서 국제민간항공기구의
협의에 따라 인가되고 발행된 위험물 안전수송에 대한 기술지시서(Doc.
9284-AN/905)의 최신 개정판을 말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23) “숙달훈련”이라 함은 기량심사를 하는 동안 조종사가 성공적으로 수행해야 할 규


정된 조작과 절차를 가르치는 훈련을 말한다.
24) <삭 제>
25) <삭 제>
26) “단순임차(Dry Lease)”라 함은 임차 항공기를 운용하는 데 필요한 승무원을 임대자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하지 않는 임차를 말한다.
27) “포괄임차(Wet Lease)”라 함은 임차 항공기를 운용하는 데 필요한 승무원(들)을
임대자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임차를 말한다.
28) “항공기 상호교환(Aircraft Interchange)”이라 함은 AOC 소지자가 다른 AOC 소지
자에게 단순임차 방식으로 짧은 기간 동안 항공기 운항관리 책임을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
29) “완전비상탈출시범(Full Evacuation Demonstration)”이라 함은 운항증명신청자(또
는 소지자)가 운용하고자 하는 항공기에 적용하는 비상탈출절차 및 탈출 장비의 적정
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승객과 승무원을 탑승시켜 모의 비상상황을 실현하는 시범을
말한다.
30) “부분비상탈출시범(Full Evacuation Demonstration)”이라 함은 운항증명소지자(또는
신청자)가 운용하고자 하는 항공기에 적용하는 비상탈출절차 및 탈출장비의 적정성
을 입증하기 위하여 승무원을 탑승시켜 모의 비상상황을 실현하는 시범을 말한다.

9.1.3 약어(Acronyms)
이 장에서 사용되는 약어는 다음과 같다.
1) AOC - 운항증명 (Air Operator Certificate)
2) AMO - 정비조직(Approved Maintenance Organization)
3) CDL - 외형변경목록(Configuration Deviation List)
4) MEL - 최소장비목록(Minimum Equipment List)

9.1.4 운항증명의 준수 등(Compliance with an Air Operator Certificate)


가.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를 운항하고자 하는 자는 항공당국으로부터 운항증
명을 교부 받아 이를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나. 가항의 규정에 의한 운항증명을 받은 자는 항공당국으로부터 운항조건과 제한사항이


명시된 운영기준을 교부 받지 않는 한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를 운항하여
서는 아니 된다.

다. 나항에 의거 교부 받은 운영기준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행규칙 제280조의4


의 규정에 따라 항공당국에게 운영기준 변경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라. 운항증명소지자는 운영기준에서 정한 세부기준에 따라 항공기 운항을 하여야 한다.

마. 항공운송사업자는 자신의 업무를 대행하는 제삼자에 대한 정책 및 절차를 수립하여야


한다.

9.1.5 운항증명의 신청(Application for an Air Operator Certificate)


가. 항공운송사업을 위하여 운항증명을 신청하고자 하는 자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한 방법
에 따라 항공당국에게 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1) 시행규칙 제280조에서 정한 신청절차에 따라 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2) 시행규칙 별표 54에서 정한 서류를 포함한 다음 각 목에 관한 서류를 신청서에 첨
부하여야 한다.
가) 운항하고자 하는 항로 및 지역과 목적 공항 및 교체공항(Proposed routes and
areas of operations, destination and alternate aerodromes)
나) 항공기 정비계획(Maintenance arrangements)
다) 사업계획 및 재원에 관한 자료(Financial data and a business plan)

나. 운항증명을 최초로 교부 받고자 하는 자는 운항증명신청서를 운항개시예정일 최소


90일 이전에 제출하여야 한다.

9.1.6 운항증명의 교부 또는 거부(Issuance or Denial of Air Operator Certificate)


가.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으로부터 운항증명을 교부 받고자 하는 자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법 제114조의 규정에 의한 항공운송사업 면허의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아니할 것
2) 대한민국 내에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주영업소와 기타 사무소를 확보하고 있을 것
3) 시행규칙 제280조의2에서 정한 검사기준과 이 장에서 정한 기준에 적합할 것
4) 법 제112조에 따른 국내항공운송사업 및 국제항공운송사업 면허증, 법 제132조에
따른 소형항공운송사업 등록증을 보유하고 있을 것(이 경우 해당하는 사업에 한한
다)

나. 항공당국은 신청자가 가항의 규정에 의한 기준에 적합하지 아니 하거나 기타 안전운


항체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운항증명을 교부하지 아니할 수 있다.

9.1.7 (예 비)

9.1.8 운항증명의 유효기간(Duration of an Air Operator Certificate)


항공당국이 교부한 운항증명은 다음 각 호에서 정한 기간까지 유효하다.
1) 항공당국이 운항증명의 내용을 수정, 일시정지, 취소 또는 무효화하는 때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2) 운항증명소지자가 항공당국에게 운항증명을 반납한 때


3) 운항증명소지자가 60일을 초과하여 운항을 중지한 때

9.1.9 운항증명의 변경(Amendment of an Air Operator Certificate)


가. 항공당국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운항증명을 변경할 수 있다.
1) 항공운송사업의 안전과 공공의 이익을 위해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2) 운항증명소지자가 변경을 신청하고, 항공운송사업의 안전과 공공의 이익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

나. 항공당국이 항공운송사업의 안전과 관련하여 공공의 이익을 위해 즉각적인 변경이


요구되는 긴급상황을 서면으로 통지할 경우 동 변경사항은 운항증명소지자가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유효하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나항에 의한 변경사항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으나 이것이 철


회될 때까지 변경된 운항증명의 내용을 준수하여야 한다.

라. 나항에 의한 긴급변경이 필요한 사항 이외에 항공당국이 변경한 사항은 운항증명소


지자가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 한 항공운송사업자가 통보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후에
효력이 발생된다. 이의신청 기간은 이의신청이 종료될 때까지 유효기간 산정 일에서
제외된다.

마. 운항증명소지자가 다음 각 호의 사항에 대하여 운항증명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는 항공당국에 운항증명 변경신청서와 변경내용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첨부하여
변경 예정일 30일 전까지 제출하여야 한다.
1) 운항증명(AOC) 형태의 변경
2) 사업자명, 주소, 전화번호, 팩스, E-mail의 변경

바. 마항에 의한 변경의 경우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당국으로부터 변경인가를 받은 이후


에 이를 변경 적용하여야 한다.

9.1.10 검사관의 출입 등(Access for Inspection)


가. 법 제115조의2제6항의 규정에 의하여 항공당국이 운항증명소지자의 법규 이행여부
와 안전운항체계에 대하여 검사를 하는 경우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국토교통부장관이 지명한 공무원이 운항증명소지자의 조직, 시설 및 항공기 등에 출
입이 가능하도록 조치하고 점검에 협조하여야 한다.
2) 운항증명소지자가 운항 및 정비를 위하여 업무계약을 체결한 기관 또는 회사의 조직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이나 시설을 방문 또는 검사할 수 있도록 협조하여야 한다.


3) 운항중인 항공기의 조종실에 국토교통부장관이 지명한 공무원이 방해받지 않고 출입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지명한 공무원이 항공기에 탑승하여 항공기승무


원의 행동 및 대화를 관찰할 수 있도록 조종실 관찰 좌석(Observer seat)을 제공하
여야 한다.

9.1.11 검사 및 점검의 실시 등(Conducting Tests and Inspection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지명한 공무원이 항공법령 및 운영기준의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검사 또는 점검을 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주 운항기지에 다음 각 호에서 정한 사항을 갖추어야 한다.


1) 현재 소지하고 있는 유효한 운항증명(운영기준을 포함한다)
2) 운항규정과 정비규정
3) 항공법령 및 규정에 의하여 운항증명소지자가 유지하여야 할 제반 기록, 서류, 보고
서의 목록, 위치 및 담당자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국토교통부 소속공무원 등이 운항증명, 운영기준, 운항규정, 정비


규정, 기록, 서류 또는 보고서 등의 제출을 요구할 경우 이를 제시하여야 한다.

9.1.12 운항증명소지자의 운영기준 관리유지(Certificate Holders Duty To Maintain


Operation Specification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 주기지에 운영기준 일체를 비치하고 최신의 상태로 유지하여
야 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운영기준의 내용 중에서 필요한 내용을 운항규정 및 정비규정에


상세한 설명과 함께 수록하여야 하며, 각 운영기준의 요건이 의무 준수사항임을 명
시하여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업무종사자에게 해당 임무 및 책임과 관련되는 운영기준의 내용을


알려주어야 한다.

9.1.13 운영기준의 내용(Contents of Operations specifications)


가.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항공기를 운항하고자 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으로부터 운영기준을 교부 받아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나. 운영기준에 수록되어야 할 내용은 시행규칙 제280조의3제2항에서 정한 것 이외에 다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1) 특수공항운항(단거리 이착륙 운항 또는 착륙과 일시대기 운항 등)
2) 특수 접근절차(깊은 각 접근, ILS를 이용한 정밀 활주로 monitor 접근, 로컬라이저
형식의 자이로 장치를 이용한 정밀 활주로 접근절차, RNP 접근절차 등)
3) 야간 또는 계기비행 기상상태에서의 단발엔진에 의한 여객운송
4) 특수절차가 적용되는 지역에서의 운항(상이한 고도단위 또는 상이한 고도계설정절차를
사용하는 지역에서의 운항 등)
5) HUD 및/또는 EVS를 이용하는 경우를 포함한 취항하는 비행장 운항 최저치
(Aerodrome operating minima)

9.1.14 운영기준의 변경(Amending Operations specifications)


가. 법 제115조의2제3항의 규정에 의거 항공당국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운영기
준을 변경할 수 있다.
1) 항공운송사업의 안전과 공공의 이익을 위해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2) 운항증명소지자가 변경을 신청하고 항공운송사업의 안전과 공공의 이익에 지장이 없
다고 인정되는 경우

나. 운영기준의 변경신청, 교부 및 적용일 등에 관하여는 시행규칙 제280조의4의 규정에


의한다.

9.1.15 운항증명 및 효력 유지(Air Operator Certification and Continued Validity)


9.1.15.1 적용(Applicability)
9.1.15는 항공운송사업의 운항증명과 운항증명소지자가 그 효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요
건을 규정한다.

9.1.15.2 운영관리(Administration)
9.1.15.2.1 운항기지(Base of Operations)
가. 운항증명에 의거 정비를 수행토록 인가를 받지 못한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 주기지
를 유지하여야 한다.

나. 운항증명에 의거 정비를 수행토록 인가를 받은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 및 정비 주기


지를 유지하여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 주기지와 정비 주기지를 정하는 경우 이를 동일한 장소에 두


거나 분리된 장소에 따로 둘 수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라. 주기지의 위치를 정하거나 변경하려는 운항증명소지자는 최소 25일 이전에 국토교통


부장관에게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9.1.15.2.2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관리자의 요건(Management Personnel Required for


Commercial Air Transport Operation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법령 등에서 정한 안전기준을 이행할 수 있는 권한과 책임을
가진 자를 관리책임자로 임명하여야 한다.

나. 가항의 규정에 의거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 또는 이와 동등한 보직에 관리책


임자를 두어야 한다. 이 경우 관리책임자는 해당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민간항공
부문에서의 업무능력과 경험을 갖춘 자이어야 한다.
1) 운항담당 임원 또는 책임자(Director of Operations)
가) 운송용조종사 자격증명을 소지한 사람으로서 최소 3년 이상의 항공운송사업용 항
공기 기장 경험 또는
나) 운항관리사 자격증명을 소지한 사람으로서 최소 3년 이상의 항공운송사업용 항공
기 운항관리 경험
2) 선임기장(Chief Pilot)
소속 항공사가 보유한 기종 중 1개 이상의 적정 한정이 있는 운송용조종사 자격증명
을 소지한 사람으로서 최소 3년 이상의 항공운송사업용 항공기 기장 경험
3) 안전부문 담당임원(Director of Safety)
4) 정비담당 임원 또는 책임자(Director of Maintenance)
항공정비사 자격증명을 소지한 사람으로서 소속 항공사가 보유한 항공기(발동기, 프
로펠러, 장비품 또는 부품을 포함한다)와 동등한 종류 또는 등급의 항공기에 대하여
3년 이상의 정비, 정비관리 또는 감독 경험
5) 품질담당 임원 또는 책임자(Quality Manager)
가) 정비분야 : 항공정비사 자격증명을 소지한 사람으로서 소속 항공사가 보유한 항공
기(발동기, 프로펠러, 장비품 또는 부품을 포함한다)와 동등한 종류 또는 등급의
항공기에 대하여 3년 이상의 정비, 정비관리, 감독경험 등을 보유한 사람 또는
나) 운항분야 : 운송용조종사 자격증명을 소지한 사람으로서 최소 3년 이상의 항공운
송사업용 항공기 기장 경험을 보유한 사람

주. 민간 항공부문에서의 업무능력 이란 항공 관계법 및 규정 등에서 정한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직무지식이 있음을 말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를 고려하여 나항에서 정한 보직보다 적은 수의 보직에


관리자를 임명하거나 다른 형태의 보직을 운영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높은
안전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증명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1) 운항의 종류
2) 사용 항공기의 수
3) 운항지역

9.1.15.2.3 품질시스템(Quality System)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 안전운항과 감항성 확보를 위하여 준수하여야 할 절차를
감시하는 품질시스템을 구축하고 품질관리자를 임명하여야 한다.

나. 품질시스템이 확인한 결과에 대하여는 시정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고책임자의


참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다. 품질시스템은 준수하여야 할 모든 규정, 기준 및 절차에 따라 운항이 이루어지고 있


는 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절차가 설정된 품질보증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라. 운항증명소지자는 품질시스템에 관한 내용을 수록한 서류를 구비하여야 한다.

마. 가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운항증명소지자가 전 분야에 품질시스템을 통일 적용하기


위하여 하나의 품질관리 부서를 정한 경우라면, 운항(Operations)부문에 1인과 정비
(Maintenance)부문에 1인으로 하여 2인의 품질관리자를 지명할 수도 있다.

바. 가항 내지 마항에도 불구하고, 항공당국이 AOC 소지자의 항공기 보유대수·사업의


범위 등을 고려하여 품질시스템의 수립이 불필요하다고 인정한 경우에는 예외로 한
다.

9.1.15.2.4 항공안전관련 정책 및 절차에 관한 규정 등의 제출 및 개정(Submission and


Revision of Policy and Procedure Manual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법 제116조 및 시행규칙 제282조 내지 제283조의2에 의한 각 규
정들은 다음 각 호에서 정한 기준에 의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1) 해당 업무종사자가 임무와 책임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침과 정보를
수록하여야 하며, 항공기 운영관련 모든 분야의 종사자들이 각자의 임무, 책임 및 업
무 전반에 관한 근무관계를 적절한 방식으로 지시받고 이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
다.
2) 각 규정은 개정하기 편리하고 현재 유효한 개정현황을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형태이
어야 한다.
3) 각 페이지에는 최근 개정일자가 기록되어야 한다.
4) 관계 법규 및 운항증명소지자의 운영기준 등과 상반되지 않아야 한다.
5) 각 규정에는 항공관련 법규의 조항에 대한 적절한 표시가 있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당국에 사전 신고하지 아니하거나 인가를 받기 전에는 항공기


운항 및 감항성 유지에 관한 정책과 절차를 규정한 운항규정 또는 정비규정을 적용
하여서는 아니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규정 또는 정비규정 등을 정하거나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를 적용 예정일로부터 최소 15일전까지 항공당국에 제출하여야 한다.
주 : 이 조에서 규정이라 함은 교범, 매뉴얼 등을 포함한다.

9.1.15.2.5 업무종사자 기록 등의 유지 및 보관(Retention and Maintenance of


Personnel Record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 운항, 운항통제, 지상조업, 정비업무 및 기타 운항지원업무
에 관한 기록 및 이에 종사하는 직원의 자격 및 훈련에 관한 최신기록을 유지하여야
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승무원, 객실승무원 및 운항관리사에 대하여는 당해 임무 수


행에 필요한 경험과 자격을 구비하였는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개인기록을 유지하여
야 한다.

다. 가항 및 나항의 규정에 의하여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한 종사


자 기록 등을 정해진 기간 동안 보관하여야 한다.
1) 운항승무원에 관한 기록
2) 객실승무원에 관한 기록
3) 운항관리사에 관한 기록
4) 운항 및 정비관리 등에 관한 기록(연료 및 오일에 관한 기록 포함)

라. 운항증명소지자의 업무종사자 등에 대한 기록의 유지 및 보관에 관한 세부기준은 별


표 9.1.15.2.5에 규정한다.

9.1.15.2.6 조종실음성기록장치와 비행기록장치의 보관(Flight Deck Voice and Flight


Data Recorder Record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에서 정한 사항을 보관하여야 한다.
1) 최신의 비행기록장치 교정기록

나. 항공기 사고나 국토교통부장관에게 긴급히 보고하여야 할 사건이 발생하였을 경우


운항증명소지자는 음성기록장치와 비행기록장치를 장탈하여 최소 60일 또는 국토교
통부장관이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그 이상의 기간 동안 이를 보존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9.1.15.2.7 항공기 기록(Aircraft Record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최신의 항공기 목록을 유지하고, 변경사
항이 발생할 때마다 운영기준 변경신청서를 항공당국에 제출하여야 한다.

나. 가항의 규정에 의한 항공기 목록에는 임대차 협정에 의해 운항하는 타 운항증명소지


자의 항공기에 대한 기록을 포함한다.

9.1.15.2.8 운항증명소지자의 항공기 탑재용항공일지(AOC Holder's Aircraft Technical


Log)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 일정기록(Journey Log)과 정비기록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항
공기 탑재용항공일지를 항공기에 탑재하여야 한다. 항공기 일정기록에 관한 사항은 시행
규칙 제124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정비기록에 관한 사항은 9.1.19.8에 규정되어 있다.

9.1.15.2.9 전자교범 및 전자기록유지시스템(Electronic Manual & Electronic Record


Keeping System)
가. 제반 안전기준을 준수하기 위하여 규정, 절차, 지침 등 교범 및 각종 기록물을 전자
형태로 운용하고자 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전자교범 및 전자기록유지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절차와 규정을 수립하여야 한다.
나. 항공기에 탑재 운용하는 교범, 각종 규정 및 탑재용 비행일지는 전자비행정보
(Electronic Flight Bag)를 장착하여 전자교범 및 전자기록 형태로 운영 할 수 있다.
다. 전자교범 및 전자기록유지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세부 요건은 별표 9.1.15.2.9에서 규
정한다.

9.1.15.2.10 삭제 <2016.11.00.>

9.1.16 항공기(Aircraft)
9.1.16.1 항공기의 인가(Authorized Aircraft)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 항공기 형식에 대해 해당 항공기 형식을 기
입한 운영기준을 교부받은 후 운항하여야 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가 보유 중인 항공기에 항공기 형식을 추가 또는 변경하기 위하여 운


영기준의 변경을 신청할 경우에는 해당 형식의 항공기에 대한 해당 항공기의 평가과
정(당해 형식의 항공기를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의 보유 여부에 대한 평가과정)을 거
쳤음을 입증하여야 한다.

9.1.16.2 항공기 임대․차 관련 권한 및 의무의 이양(Transfer of certain functions and


duties for aircraft lease)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가. 국토교통부장관은 법 제2조의2에 따라 외국에 등록된 항공기를 임차하여 운용하거


나, 대한민국에 등록된 항공기를 외국에 임대하여 운용토록 하는 경우 그 임대․차 항
공기의 등록국가 또는 운영국가와 당해 임대․차 항공기의 감항증명, 항공종사자 자격
관리, 항공기 운항 등에 관한 권한과 의무의 이양에 관한 협정을 체결하여야 한다.

나. 가항에 따라 체결하는 협정에는 최소한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대한민국과 상대국간의 「국제민간항공조약」제12조, 제30조, 제31조 및 제32조제a
항의 이행에 관한 책임과 권한 및 기능과 임무
2) 협정서의 유효기한
3) 임대차 항공기의 안전관리를 위해 다음 각 목의 사항들을 논의할 수 있는 양국 간
정기적인 협력회의 개최에 관한 사항
가) 항공기 운항
나) 항공기의 지속적인 감항성 유지 및 정비
다) 항공기 운영자의 정비절차
라) 운항승무원 및 객실승무원의 훈련 및 점검
마) 당해 항공기의 안전점검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
4) 협정체결 이후, 국제민간항공기구에 협정사실 통보 의무국
5) 임대차 항공기에 탑재해야 할 서류의 목록
6) 임대차 항공기의 등록부호, 형식, 제작일련번호
7) 기타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사항

다. 국토교통부장관은 법 제2조의2에 따라 외국의 항공당국에 「국제민간항공조약」 부


속서 1, 2, 6, 8에서 정한 기준의 이행과 감독에 관한 사항을 이양하거나 외국의 항
공당국으로 부터 이양 받을 수 있다.

라. 국토교통부장관은 가항에 따라 협정을 체결하기 전에 대한민국에 등록된 항공기를


임차하여 운영할 국가의 법규 및 안전감독체계, 감항증명 등 항공기 인증체계, 항공종
사자 자격관리 등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할 수 있다.

마. 국토교통부장관은 가항에 따라 협정을 체결하기 전에 대한민국에 등록된 항공기를


임차하여 운영하고자 하는 자의 항공기 운영능력 등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할 수 있
다.

바. 가항부터 마항에 따라 협정을 체결한 경우에는 국토교통부 소속 항공안전감독관 또


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지명한 국토교통부 소속 공무원이 대한민국에 임차된 외국등록
항공기에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출입하여 감독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사. 나항 4)에 따라 우리나라가 ICAO에 협정문 통보의무국으로 지정된 경우, 국토교통


부장관은 「국제민간항공조약」 83bis에 따라 협정문 사본을 국제민간항공기구(ICA
O) 이사회에 통보하여야 한다.

9.1.16.3 외국등록 항공기의 단순임차(Dry Leasing of Foreign Registered Aircraft)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9.1.16.2에 따라 체결된 협정서에 명시된 항공기에 한하여 외국
등록항공기를 임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 외국 등록항공기를 임차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운송사업자는 시행규칙 제280조의5에


따라 다음의 서류를 첨부한 운영기준 변경신청서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 9.1.19.3 나항에서 규정된 정보를 포함한 정비규정
2) 별표 9.1.16.3에서 정한 사항을 증빙할 수 있는 서류

다. 가항 및 나항에 따라 외국에 등록된 항공기를 임차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자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9.1.16.2에 따라 체결된 협정에 따라 「국제민간항공조약」 제12조 및 제30조 부터
제32조에서 정한 항공기 등록국의 권한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한민국에 이양할 경
우, 항공기를 임차하여 사용하는 동안 대한민국의 규정 준수
2) 9.1.16.2에 따른 협정에 1)호에서 규정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항공기
를 임차하여 사용하는 동안 항공기 등록국의 감항 규정 준수

라. 가항부터 다항에 따라 항공운송사업자 등이 외국에 등록된 항공기의 임차사용을 승


인받은 경우, 다음 각 호의 서류를 당해 항공기에 탑재하고 운항하여야 한다.
1) 「국제민간항공조약」 83bis에 따른 감독 및 의무의 이양에 관해 대한민국과 상대
국간 체결한 협정서 사본
2) 운항증명 및 운영기준의 사본

마. 외국 국적 항공기 단순임차에 관한 세부 추가요건은 별표 9.1.16.3에 규정한다.

9.1.16.4 항공기의 상호교환 사용(Aircraft Interchange)


가. 국제민간항공조약 제83조의2의 규정에 의거, 타 운항증명소지자와 항공기를 상호 교
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나. 외국등록 항공기를 상호 교환하여 운송사업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9.1.16.3에서 정한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이 경우, “임차” 또는 “임차계약”은 “상호교환” 또는 “상
호교환사용계약”으로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다. 항공기 상호교환 사용에 관한 추가요건은 별표 9.1.16.4에 규정한다.

9.1.16.5 항공기 포괄임대차 운항(Wet-Leasing)


가. 법 제2조의2 및 9.1.16.2에 따라 대한민국에 등록된 항공기를 포괄임대 하고자 하는
자는 9.1.16.2에 따라 대한민국과 당해 항공기를 운영할 국가간 체결한 협정에 따라,
운항이 이루어질 국가의 관련법규와 항공당국이 부과한 제한사항을 준수하여 운항하
여야 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가 9.1.16.2에 따라 대한민국과 항공기 등록국가 간 체결한 협정에


따라 외국의 운항증명소지자로부터 외국에 등록된 항공기를 포괄임차하여 사용하고
자 하는 경우에는 9.1.16.3에서 정한 사항(이 경우, “임차” 또는 “임차계약”은 “포괄
임차” 또는 “포괄임차계약”으로 한다.)을 준수하여야 한다.

다. 항공기 포괄 임대차 운항에 대한 추가요건은 별표 9.1.16.5에 규정한다.

9.1.16.6 국적 항공사 간 항공기 임대차(Leases between commercial air transport


operators within the State)
가. 운항증명 소지자가 대한민국에 등록된 항공기를 임차하여 사용할 경우 시행규칙 제
280조의4의 규정에 의한 운영기준 변경 신청서를 작성하여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
출하여야 한다. 신청서에는 다음 각 호의 서류를 첨부하여야 한다.
1) 임차항공기의 형식 및 제작일련번호, 등록부호가 명시된 법적 구속력을 가진 단순임
차 증빙서류의 사본
2) 임차계약 기간을 증빙하는 서류
3) 임차 항공기의 감항성이 유효함을 증비할 수 있는 서류

나. 가항의 규정에 의하여 항공기를 임차하여 운영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


항을 충족하여야 한다.
1) 단순임차의 경우
가) 임차하고자 하는 항공기는 대한민국에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나) 임차 항공기는 임차기간 동안 임차인이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받은 운영기
준, 운항규정 및 정비규정 등 제반 규정에 의해 관리되어야 한다.
다) 승무원(운항 및 객실)과 운항관리사는 임차 항공기를 운용하는데 필요한 훈련 요
건들을 이수하고 제반 통신 및 운항(관리)절차에 익숙하여야 한다.
라) 정비사는 임차 항공기에 대한 정비 및 관련 정비지원 장비의 운용을 위해 필요한
교육훈련을 이수하고, 제반 정비절차에 익숙하여야 한다.

2) 포괄임차의 경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가) 임차하고자 하는 항공기는 대한민국에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나) 임차 항공기는 임차기간 동안 임차인이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받은 운영기
준, 운항규정 및 정비규정 등 제반 규정에 의해 관리되어야 한다.
다) 임차된 승무원(운항 및 객실) 등은 임차 항공기를 운용하는데 필요한 훈련 요건들
을 이수하고 제반 통신 및 운항(관리)절차에 익숙하여야 한다.
라) 정비사는 임차 항공기에 대한 정비 및 관련 정비지원 장비의 운용을 위해 필요한
교육훈련을 이수하고, 제반 정비절차에 익숙하여야 한다.
마) 임차 항공기로 행할 운항의 종류와 운항통제 절차 및 지상조업은 적절하여야 한
다.

다. 나목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국토교통부장관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9.3.2.1(비상


탈출시범) 및 9.3.2.2(시범비행)에 따라 임차인에게 시범을 지시할 수 있다.

라. 국토교통부장관은 가 및 나목의 기준에 의거 임차를 허가할 경우, 변경된 운영기준


을 신청자(임차인)에게 교부하여야 하며, 교부되는 운영기준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
이 포함되어야 한다. 만약 임대인이 운항증명을 소지한 자일 경우, 임대인은 운영기
준에서 임차 항공기를 삭제하도록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운영기준 변경을 신청하여야
한다.
1) 임차 항공기 형식 리스트
2) 등록부호 및 일련번호
3) 임차 항공기의 운항과 관련된 특정 규정 등

9.1.16.7 외국국적 항공기의 임차승인에 따른 증명서등의 인정(Mutual validation for


Certificate & Licences)
법 제2조의2 및 9.1.16.2 부터 9.1.16.5까지에 따라 외국에 등록된 항공기의 임차 사용
을 승인한 경우, 당해 항공기 등록국가의 항공당국이 「국제민간항공조약」 및 그 부속
서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발행한 다음 각 호의 증명․면허 등은 국토교통부장관이 행한
것으로 본다.
가. 법 제15조제1항에 따른 감항증명
나. 법 제25조제1항에 따른 항공종사자의 자격증명
다. 법 제31조제1항에 따른 항공신체검사증명
라. 법 제34조제1항에 따른 계기비행증명
마. 법 제34조의2제1항에 따른 항공영어구술능력증명

9.1.17 시설 및 운항스케줄(Facilities and Operations Schedules)


9.1.17.1 시설(Facilities)
가. 운항증명을 신청하거나 운항증명을 소지한 자는 운항 주기지에 운항지역 및 운항유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형에 적합한 운항지원시설 및 정비지원시설을 두어야 한다.

나.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운항증명소지자는 취항하는 각 공항마다 항공기의 안전한 서비


스와 조업에 적합한 지상조업시설 또는 지상조업 지원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9.1.18 운항업무관리(AOC Flight Operations Management)


9.1.18.1 적용(Applicability)
9.1.18은 운항증명을 위한 요건 중 운항업무 종사자와 그 직무에 대한 운영 및 관리요건
을 규정한다.

9.1.18.2 운항규정(Operations Manual)


항공운송사업자 등은 다음의 사항을 준수하여 운항규정을 작성․배포 및 개정 관리하여야
한다.
가. 운항승무원 등 운항업무 종사자에게 배포되는 운항규정은 법 제116조 및 시행규칙
제282조 내지 제283조의2의 규정에 따라 항공당국에 신고 또는 인가를 받은 것이어
야 한다.

나. 운항규정에는 운항증명소지자가 수행할 항공기 운항에 관한 제반 방침과 절차가 수


록되어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소속 직원의 이용안내를 위하여 운항증명 절차와 관련 방침이 포


함된 운항규정을 마련하고 최신의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라.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규정을 필요로 하는 업무종사자들에게 운항규정 또는 관련 조


항을 배포하고 수정판 또는 개정판을 제공하여야 한다.

마. 운항규정은 시행규칙 제283조의 규정에서 정한 내용을 포함하도록 작성하여야 하며,


단행본이나 여러 권으로 발간할 수 있다.

바. 마항의 규정에 따라 작성해야 할 운항규정 중 항공기 운영교범 (Aircraft Operating


Manual, Operating Manual 또는 Pilot Operating Manual)은 제작사에서 발행한 것
또는 운항증명소지자가 자체 제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사. 마항의 규정에 따라 작성해야 할 훈련교범(Training Manual)은 운항승무원, 운항관


리사, 객실승무원 훈련교범을 각 권으로 작성하고, 동 훈련교범에는 인적성능과 관련
된 지식 및 기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훈련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아. 운항규정에는 마항에서 정한 것 이외에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1) 운항통제 및 관련 정책․과정․기준․절차(비행의 개시, 지속, 회항 및 종료에 관한 운항
승무원 및 운항관리사의 기능과 책임사항 포함)
2) 지상조업 협정 및 절차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가) 지상조업에 관한 책임과 권한
나) 주기장 운영(Ramp operations)
다) 여객처리(Passenger Services)
라) 수하물처리(Baggage Services)
마) 객실 서비스(Cabin Services)
바) 중량 및 균형관리(Weight & Balance control)
사) 지상지원장비(Ground support equipment)
아) 연료보급(Fuel services)
자) 지상조업에 관한 훈련프로그램
3) < 삭 제 ; 2014.10.31 >

자. 사고 및 준사고에 관련된 항공기의 비행기록장치(조종실음성기록장치 및 비행자료기


록장치)의 자료를 보존하기 위한 기장의 조치사항 등을 명시한 절차. 여기에는
8.1.8.17에 명시된 기준들을 포함하여야 한다.

차. 항공기 보안에 관한 다음 각 호의 사항
1) 객실 내에서 보안위반 사건 등 발생 시 객실승무원과 운항승무원간 분별 있는 의사
소통(discreetly communication)이 가능토록 하는 방침 및 적절한 절차
2) 조종실 접근에 관한 방침과 적절한 절차
3) 항공기가 지상 및 비행 중 폭발물, 무기 또는 기타 위험물로 부터의 위협(threat) 또
는 경고(warning)에 관한 방침과 적절한 절차
4) 항공기내에 숨겨진 무기, 폭발물 및 기타 위험한 장비를 검색하기 위한 폭발물 수색
및 항공기 검사에 관한 절차 및 관련 점검표

카. 전방시현장비(HUD) 및 시각강화장비(EVS)의 운용을 위한 지침 및 훈련 요건(해당


장비를 운용하는 경우에 한한다.)

타. 전방시현장비(HUD) 및 시각강화장비(EVS)를 이용하는 계기접근 시 공항운영최저치


의 결정을 위한 지침(해당 장비를 운용하는 경우에 한한다.)

파. 전자비행정보장치(EFB)의 운용을 위한 지침 및 훈련 요건(해당장비를 운용하는 경우


에 해당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9.1.18.3 훈련프로그램(Training Programme)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모든 운항업무 종사자들에게 임무와 책임 및 운항에서의 임무 연
관성에 대해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훈련, 심사 및 기록유지에 관하여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를 받은


훈련프로그램에 관한 교범이 있어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임무를 수행하는 운항승무원, 객실승무원과


운항관리사 등 운항통제업무를 수행하는 종사자의 자격을 주기 위한 훈련이수과정을
적용하기 전 항공당국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라. 운항증명소지자는 인가 받은 훈련프로그램을 개정하고자 할 경우 이를 항공당국에


제출하여 서면으로 인가를 받아야 한다.

마. 운항증명소지자는 교육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정책수립 등을 담당하는 부서를 지정


하고 동 담당부서에 대한 책임과 역할에 대해서도 규정하여야 한다.

바. 운항증명소지자는 훈련주기 및 훈련프로그램의 적정성을 조사, 개선할 수 있는 대책


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야 한다.

사. 운항증명소지자는 객실승무원의 교육훈련과 동 교육훈련에 대한 평가가 분리되어 실


시될 수 있도록 담당 교관을 구분하여 운용하여야 한다.

9.1.18.4 항공기 운영교범(Aircraft Operating Manual)


가. 운항증명소지자 또는 운항증명신청자는 운항하고자 하는 각 항공기의 정상, 비정상
및 비상절차가 수록된 항공기 운영교범(Aircraft Operating Manual)을 항공당국에
제출해야 하며, 항공당국은 이를 검토한 후, 수정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운항증명소
지자 또는 운항증명신청자에게 통보하여 개정토록 해야 한다. 이 경우 운항증명소지
자 등은 이를 개정안에 반영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나. 항공기 운영교범(Aircraft Operating Manual)은 운항증명소지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해당 항공기의 제작사의 자료를 근거로 ICAO Doc 8168 VolumeⅠ(Flight
Procedures)에 따라 제정하여야 하며, 운항증명소지자 등은 모든 운항단계(운항 전,
운항 중, 운항 후 및 비상상황 등을 포함)에서 필요한 절차(운영교범, 비행교범 또는
감항증명과 관련된 기타 문서에 의하여 규정되는 절차를 포함)의 준수 및 이행여부
를 확인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점검표(check list)를 작성하고 이를 사용하게 하여야
한다. 점검표(check list)는 ICOA Doc 9683(Human Factors Training Manual)에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정하는 바에 따라 구성되어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의 기종별 항공기 운영교범(Aircraft Operating Manual)은 운항승무


원 및 운항통제업무 등 운항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모든 부서에 배부되어 근무 중 쉽
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라. 항공기 운영교범은 비행동안 운항승무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비치하여야 한다.

9.1.18.5 조종사 숙달훈련(Training to Proficiency: Pilot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조종사들이 초기심사를 마치고 기량심사를 하는 동안 항공당국이
인가한 범위 내에서 조종사 기량심사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항공기 조작과 절차에
대한 숙달훈련을 시킬 수 있다.

나. 기량심사에서의 모의비행장치 훈련과 관련된 요건은 별표 9.1.18.5에서 규정한다.

9.1.18.6 조종실 점검 목록표(Cockpit Check Procedure)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해당 항공기의 형식에 적합한 요약된 조종실 점검 목록표를 운항
승무원에게 배포하고 각 항공기마다 이를 비치하여야 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인가된 절차가 운항승무원이 엔진시동, 이륙 또는 착륙하기 전과


엔진 및 시스템이 비정상 작동되거나 비상 상황시에 안전을 위한 점검을 할 수 있도
록 필요한 항목들이 포함되도록 확인하여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승무원이 수행하여야 할 점검항목이 기억에 의해 수행되지 않


도록 점검절차를 수립하고 이행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라. 운항증명소지자는 각 항공기의 조종실에 점검절차를 비치하여야 하며, 운항승무원은


운항 중 그 절차를 따라야 한다.

9.1.18.7 최소장비목록(MEL) 및 외형변경목록(CDL)(Minimum Equipment List and


Configuration Deviation List)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승무원, 정비사 및 운항통제업무를 부여받은 종사자가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항공당국의 인가를 받은 최소장비목록(이하 “MEL”
이라 한다)을 제공하여야 한다.

나. MEL은 항공기 형식별로 부작동하는 부품, 장비 또는 계기를 가지고 항공기를 출발


시키거나 계속적으로 비행할 수 있는 상황과 제한사항 및 절차를 명시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단서 : 삭제>

다. 최대이륙중량 5,700킬로그램 이상의 항공기에 있어서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승무원,


정비사 및 운항통제 임무를 부여받은 종사자가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할 수 있
도록 항공기 형식에 맞는 외형변경목록(CDL)을 제공하여야 한다.

라. 항공기운영자 등은 항공기 설계국가에서 승인한 표준최소장비목록(MMEL) 을 기초


로 하여 MEL을 최신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개정하여야 한다.

9.1.18.8 항공기 성능교범(Aircraft Performance Manual)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승무원과 운항통제업무를 부여받은 종사자가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항공당국이 인정할 수 있는 항공기성능교범을 제공하여야 한
다.

나. 항공기성능교범은 모든 정상비행단계에서 항공기 성능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도록


형식별로 세분화하여 성능에 관한 적절한 정보를 포함하여야 한다.

9.1.18.9 성능자료 관리시스템(Performance Data Control System)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각 항공기, 노선 및 공항에 대한 최신 성능자료
를 산출하고 유지하여야 하며, 업무종사자에게 배포하기 위한 항공당국으로부터 인
가를 받은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

나.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를 받은 시스템은 출발과 도착 성능계산을 위해 장애물


에 대한 최신 자료를 제공하여야 한다.

9.1.18.10 항공기 탑재 및 처리교범(Aircraft Loading and Handling Manual)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승무원, 지상조업 종사자 및 운항통제업무를 부여받은 종사자
가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항공당국이 인정할 수 있는 항공기 탑재
및 처리교범을 제정하여 제공하여야 한다.

나. 항공기 탑재 및 처리교범은 항공기 형식별로 항공기 조업 및 탑재에 대한 절차와 제


한사항이 수록되어야 한다.

9.1.18.11 중량배분자료 관리시스템(Mass and Balance Data Control System)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하고자 하는 각 항공기의 중량배분에 관한 최신 정보를 산출하고
유지하여야 하며, 관련 종사자에게 배포하기 위하여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를 받은 시스
템이 있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9.1.18.12 운항자료 관리시스템(Aeronautical Data Control System)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하고자 하는 공항에서의 안전운항을 위하여 사용 항로 및 공
항에 대한 최신의 운항자료를 수집․유지하고 이를 관련 종사자에게 배포하여야 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가항의 규정에 의한 운항자료의 관리를 위하여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를 받은 운항자료관리시스템이 있어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별표 9.1.18.12에 규정한 내용을 포함한 사용공항에 관한 운항정


보를 종사자에게 배포하여야 한다.

라. 운항자료 관리시스템에 포함하여야 할 특정 공항정보는 별표 9.1.18.12에 규정한다.

9.1.18.13 기상자료의 사용(Weather Reporting Sources)


가. 운항증명소지자가 비행준비, 항로선정 및 공항운항을 위한 운항결정시 사용하는 기
상보고자료 및 예보는 기상관서 또는 그 외 승인된 기관으로부터 인가 받은 시스템
이어야 한다.

나. 정기(여객)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하고자 하는 항로 및 공항에


대해 안전운항을 저해할 수 있는 악 기상 예보나 보고를 수집할 수 있는 인가된 시
스템이 있어야 한다.

다. 비행계획이나 운항통제를 원활히 지원하기 위한 기상자료의 출처는 별표 9.1.18.13


에 규정한다.

9.1.18.14 제빙과 방빙 프로그램(De-icing and Anti-icing Programme)


가. 서리, 얼음 또는 눈 등이 항공기에 결빙될 것이 예상되는 상태 하에서 항공기를 운
항하고자 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적합한 방빙 장비를 갖춘 항공기를 사용할 것
2) 운항승무원은 서리, 얼음 또는 눈 등의 상태에 대한 적절한 제빙과 방빙 교육을 이
수할 것
3) 지상 제빙과 방빙 프로그램은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를 받을 것

나. 항공운송사업자의 제빙프로그램과 관련된 세부적인 요건은 별표 9.1.18.14에 규정한다.

9.1.18.15 통신시설(Communications Facilities)


가. 운항증명소지자의 각 비행에 사용되는 항공기는 운항하고자 하는 항로 및 대체 항로
상에서 항공교통관제기관과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나. 정기편 여객운송을 하고자 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정상적인 운항조건에서 전체 항로


상의 비행중인 모든 항공기와 신속하고 정확한 무선통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9.1.18.16 운항노선과 운항지역(Routes and Areas of Operation)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한 기준에 충족하는 항로, 운항지역 및 공항에
서만 운항하여야 한다.
1) 계획된 운항에 적합하도록 기상서비스, 지상조업, 항공기 및 보조 장비에 대한 정비 등
을 포함한 지상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설비와 직무능력을 갖춘 종사자가 있어야 한
다.
2) 사용하고자 하는 항공기의 성능이 최저비행고도 요건을 준수할 수 있도록 적절하여야 한다.
3) 사용하고자 하는 항공기의 장비가 계획된 운항을 위한 최소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4) 최신의 적합한 지도와 차트가 이용 가능하여야 한다.
5) 쌍발항공기가 사용될 경우 착륙가능공항(Adequate airports)이 제한된 시간 및 거리
내에 있어야 한다.
6) 단발항공기가 사용될 경우 안전하게 비상착륙(Forced landing)할 수 있는 표면이 있
어야 한다.

나. 법 제115조의2 및 시행규칙 제280조의4의 규정에 의거 운항증명소지자가 운항하고


자 하는 지역 또는 항로의 운항에 필요한 인가를 받기 위해서는 항공당국에게 다음
사항을 입증해 보여야 한다.
1) 항로의 전구간 또는 일부구간을 비행하여 정규공항, 예비공항 및 연료보급 공항간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을 것
2) 9.1.18.13 내지 9.1.18.17, 9.3.3.9, 9.3.3.10에서 규정한 시설 또는 업무요건 등이 계
획된 운항에 적합할 것

다. 나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운항증명소지자가 충분한 안전운항체계를 갖추었음을 입


증해 보이는 경우에는 해당 지역 또는 항로에 대하여 실제비행을 요하지는 아니한
다. 이 경우 운항증명소지자는 공항시설, 정비시설, 운항관리용 통신시설, 항공기 항
법장비, 급유체계, 공지통신시설, 지상조업 및 업무종사자 등이 계획된 운항에 적합
함을 입증하여야 한다.

라.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를 받지 않는 한 어떠한 운항지역 또는 항


로상에서도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항공기 운항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9.1.18.17 항법의 정확도(Navigational Accuracy)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예정된 항로나 지역에서 다음 각 호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항공기
가 항법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1) 항공교통관제기관에서 요구하는 정확도 이내이어야 한다. 그리고


2) 운항에 필요한 정확도 이내로 비행계획에 있는 공항으로 비행할 수 있어야 한다.

나. 항공당국은 지형의 특성으로 인해 적절한 항법시스템에 대한 참조물이 없는 상황인


경우 지문항법(Pilotage)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주간시계방식 운항을 인가할 수
있다.

다. 교체공항으로의 비행하는 항로에 필요한 항행안전시설을 제외하고, 항공당국은 운항


증명소지자의 운영기준에 관제공역 이외의 항로인가에 필요한 지상 비시각 지상장비
(non-visual ground aids)에 관한 목록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라. 운항증명소지자가 안전운항에 적합한 등화로 된 지상참조물이 있음을 제시하는 경우


에는 비시각 지상장비는 항로상 야간 시계비행방식 운항에는 요구되지 아니 한다.

마. 운항증명소지자가 천문항법이나 기타 별도의 특수항법을 사용하는 일부 노선을 운항


하고자 할 경우는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를 받아야 한다.

9.1.18.18 공항요건(Airports : Required data)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공항을 인가 받고자 하는 경우 당해 공항이 계획
된 운항에 적합하게 시설 및 장비가 갖추었음을 입증해 보여야 한다.

나. 가항의 규정에 의한 입증내용에는 비행장제원 및 포장강도, 장애물, 항공기 이동지역


내 지상안전, 등화시설, 항행안전시설 및 통신시설, 항공교통관제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공항에 관하여 9.1.18.12의 규정에 의한 운항자


료관리시스템 사용이 가능함을 입증해 보여야 한다.

9.1.18.19 안전운항체계변경검사(Approval of Additional Airport)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운항을 개시하기 전에 국토교통부장관
으로부터 안전운항체계변경검사를 받아야 한다.
1) 법 제115조의2제2항에 따라 교부한 운영기준(이하 이조에서 운영기준이란 한다)에 정
규공항으로 허가받은 공항 이외의 공항에 대하여 새로운 노선을 운항하고자 하는 경우
2) 운영기준에 허가받은 항공기 외에 새로운 형식의 항공기를 도입하여 운항하고자 하는
경우

나. 안전운항체계변경검사의 내용 및 절차는 시행규칙 제281조의 규정에 따라 수행하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이 기준 9.1.18의 각 요건에 충족하여야 하며, 새로운 형식의 항공기를 도입하여 운항


하고자 하는 경우 9.3.2.1 및 9.3.2.2의 요건을 추가로 충족하여야 한다.

다. 시행규칙 제281조제2항에 따른 안전적합성 입증자료란 운항증명소지자가 별표


9.1.18.19A의 안전적합성 평가 프로그램(Safety Evaluation Program)의 세부내용에
대해 안전성여부를 스스로 검증한 자료를 말하며, 운항증명소지자는 안전성 입증자료
를 해당 노선 운항 중지 후 5년 동안 보관하여야 한다.

라. 안전운항체계변경을 위한 검사(서류검사, 현장검사)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실시한다.


이 경우 서류검사는 운항증명소지자가 제출한 안전적합성 입증자료를 확인하는 것으
로 하되, 운항증명소지자의 운영기준(Operation Specifications)에 안전적합성평가 프
로그램을 인가받은 경우에는 별표 9.1.18.19B에 따라 운항증명소지자가 제출하는 안
전적합성 입증자료 요약서를 확인하는 것으로 갈음한다.
1) 서류검사와 현장검사 실시
가) 운영기준에 정규공항으로 등재되지 않은 공항에 국적항공사 최초로 정기항공편을 운
항하고자 하는 경우
나) 운영기준에 등재되어 있는 항공기보다 규모(항공기 주 날개의 폭 및 길이)가 큰 새로
운 형식의 항공기를 운항하고자 하는 경우
2) 서류검사만 실시
가) 운영기준에 정규공항으로 등재되지 않은 공항에 1)가)목 이외에 정기항공편을 운항
하고자 하는 경우
나) 운영기준에 정규공항으로 등재되지 않은 공항에 주 1회 이상의 횟수로 총 8회(16편)
이상의 부정기항공편을 운항하고자 하는 경우
다) 운영기준에 정규공항으로 등재된 공항에 부정기항공편으로 운항하다가 정기항공편
으로 변경하여 운항하고자 하는 경우
라) 운영기준에 정규공항으로 등재되어 있는 공항에 12개월을 초과하여 운항중지 후 운
항을 재개하고자 하는 경우
마) 운영기준에 정규공항으로 등재되어 있는 공항에 허가받은 기종 외에 다른 기종의 항
공기로 변경하여 운항하고자 하는 경우
3) 현장검사와 서류검사 면제(운항증명소지자의 운영기준(Operation Specifications)에
안전적합성평가 프로그램을 인가받은 경우). 다만, 운영기준(C070)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운항증명소지자가 별표 9.1.18.19B에 따라 작성하여 제출한 안전적합성 입
증자료 요약서를 확인하여야 한다.
가) 운영기준에 정규공항으로 등재되지 않은 공항에 부정기항공편을 주 1회 이상의 횟수
로 총 8회(16편) 미만을 운항하고자 하는 경우
나) 운영기준에서 정규공항으로 허가받은 공항에 예상치 못한 사유(취항 항공기의 사고
또는 고장 등으로 해당 운항편이 결항된 경우)가 발생하여 해당 공항에 인가되지 않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은 다른 기종의 항공기를 일시적으로 대체하여 운항하고자 하는 경우


다) 정기편 또는 부정기항공편으로 운항 중 예상치 못한 사유(취항 항공기의 사고 또는
고장 등)가 발생하여 정규공항으로 허가 받지 않은 공항에 착륙하여 승객 수송을 위
해 일시적으로 대체 항공기를 운항하고자 하는 경우
라) 새로운 노선의 개설을 위한 훈련비행을 하는 경우
마) 운영기준에서 정규공항을 등재되어 있는 공항간에 동일 기종의 항공기를 운항하고자
하는 경우
바) 운영기준에 정규공항으로 등재되어 있는 공항에 모든 기종의 항공기가 12월 이하의
기간 동안 운항중지 후 운항을 재개하고자 하는 경우
사) 운영기준에 정규공항으로 등재되어 있지 않은 공항에 응급구호 물품 수송 또는 긴급
사태 발생(천재지변, 전쟁 등)으로 긴급피난을 위한 승객 수송을 위해 일시적으로 항
공기를 운항하고자 하는 경우
아) 운영기준에 정규공항으로 등재 되지 않은 공항에 정부 또는 군의 전세기ㆍ특별기를 운
항하는 경우(타 국가 정부ㆍ군의 전세기ㆍ특별기를 포함한다)

9.1.19 정비요건(AOC Maintenance Requirements)


9.1.19.1 정비 책임 (Maintenance Responsibility)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의 사항들을 수행함으로서 항공기의 감항성과 운용하는
장비와 비상 장비의 사용가능함을 보증하여야 한다.
1) 비행전 점검 수행을 보증
2) 해당 항공기 형식에 적용할 수 있는 최소장비목록(MEL)과 외형변경목록(CDL)을 고
려하여 인가된 기준으로 항공기의 안전 운항에 영향을 주는 모든 결함이나 손상에
대한 수정작업 수행을 보증
3) 승인된 항공기 정비 프로그램에 의거 모든 정비가 수행을 보증
4) 승인된 항공기 정비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5)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시한 운항개선지시(Operational Directive), 감항성 개선지시
(Airworthiness Directive) 및 기타 감항성 요구 조건들에 대한 수행 보증
6) 비항공기등의 개조의 경우 승인된 기준과 구체적 방침에 따라 개조가 수행됨을 보증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와 관련하여 운영 중인 각각의 항공기의 감항증명서가


여전히 유효한지를 보증하여야 한다.
1) 가항의 요건
2) 증명서 만료일
3) 증명서에 열거된 기타 정비 조건
주. 국토교통부장관은 감항증명서에 만료일자를 적용 또는 적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가항에서 규정한 요구 조건들을 항공당국에 의해 승인되거나 허용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되는 절차에 의거 수행됨을 보증하여야 한다.

라.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항공 제품에 대한 정비, 예방정비와 개조가 정비규정


(Maintenance Control Manual) 또는 지속적인 감항성을 위한 현행 지침 및 적용되
는 항공 법규에 의거하여 수행됨을 보증하여야 한다.

마. 운항증명소지자는 어떤 정비, 예방정비 또는 개조의 수행을 위해 타인 또는 제3의


업체와 계약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계약 하에서 수행된 모든 작업들에 대한 책
임은 운항증명소지자에게 있다.

9.1.19.2 운항증명 정비 시스템 및 프로그램의 승인과 수락(Approval and Acceptance


of AOC Maintenance Systems and Programme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정비조직 또는 국토교통부장관에 의해 승인된 이와 동등한 정비
시스템에 의하여 정비 및 운영되지 않는다면,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된다. 다
만, 운항승무원에 의한 비행 전 점검은 제외한다.

나. 항공기의 정비는 AMO 또는 항공당국이 승인한 동등한 정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


어야 한다.

다. 국토교통부장관이 동등의 정비 시스템을 허용할 경우, 정비 확인 및 항공기 감항성


에 대해 서명하도록 지정된 자는 제2장에 의거하여 당해 승인서 수령 또는 명단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9.1.19.3 정비규정(Maintenance Control Manual)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다음 각 호를 포함하는 조직의 구조와 관련한
세부 사항들을 포함하여 관련 정비와 운항 부문 종사자들을 위한 지침으로 사용하기
위한 운항증명소지자의 정비규정과 그 개정 내용들을 제출하여야 한다.
1) 9.1.15.2.2에 의해 요구된 바와 같이 정비시스템에 대해 책임 있는 관리자와 지명된

2) 9.1.19.1의 정비책임(운항증명서 소유자가 정비조직 인 곳을 제외)과 9.1.19.5의 품
질시스템을 충족하기 위하여 지켜야 할 절차들. 이러한 절차들은 운항증명을 받은
정기항공운송사업자의 경우는 정비규정에 인가된 정비조직의 경우 정비조직 절차 매
뉴얼(Procedures Manual)에 포함될 수 있다.
3) 운송사업자의 경우, 결함 발견 후 72시간 이내에 국토교통부장관에게 기능불능
(Failure), 고장(Malfunction)과 결함(Defect)을 보고하는 절차: 추가로 전화/텔렉스/
팩스/인터넷(http://esky.go.kr) 등에 의해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즉각적인 보고가 이루
어져야 하는 항목들은 다음 각목과 같으며,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최대 72시간 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내) 공식적인 보고가 이루어져야 한다.


가) 주요 구조부재 기능불능
나) 조종 계통 기능불능
다) 항공기 화재
라) 엔진 구조부 고장 또는
마) 기타 안전에 즉각적인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고 고려되는 기타 상황

나. 운항증명소지자의 정비규정은 별도의 부분으로 발행할 수 있으며, 다음 각 호의 정


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1) 운항증명소지자와 정비조직사이의 행정적인 협의(계약)에 대한 기술 또는 정비 절차
에 대한 기술 및 정비가 정비조직 시스템에 의해서가 아닌 다른 시스템에 기초하고
있을 때 정비확인(release)을 완료하고 서명하는 절차에 대한 기술
2) 운영하고 있는 항공기들이 감항성을 확보한 상태에 있다는 것을 보증하는 절차에 대
한 기술
3) 각 비행을 위하여 운영할 수 있는 비상 장비가 작동 가능하다는 것을 보증하는 절차
에 대한 기술
4) 정비규정에 의거하여 모든 정비가 수행되었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람
(들)에 대한 이름과 직무
5) 9.1.19.11에서 요구된 정비 프로그램에 대한 참조
6) 9.1.19.7에 의해 요구된 운영자의 정비 기록에 대한 작성과 보관에 대한 방법에 대
한 기술
7) 5.9.1.2에서 규정한 바에 따른 모든 대상에 대한 정비와 운영 경험에 대한 모니터링
관리, 평가 및 보고를 하기 위한 절차 기술
8) 최대이륙중량 5,700킬로그램을 초과하는 모든 항공기에 대해 형식 설계에 책임있는
기관으로부터의 지속적 감항성 정보의 획득과 평가 및 어떤 결과적인 조치를 이행하
는 절차 기술 및 등록국가에 의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어떤 행위를 수행하여야 할
절차에 대한 기술
9) 9.1.19.1 가항5)에서 요구된바와 같은 지속적이며 필수적인 감항성 정보를 이행하기
위한 절차에 대한 기술
10) 정비 프로그램의 부족한 점을 수정하기 위하여 정비 프로그램의 기능과 효과의 분
석 및 지속적인 관찰 시스템을 수립하고 유지하는데 대한 기술
11) 매뉴얼이 적용되는 항공기 형식과 모델에 대한 기술
12) 항공기 감항성에 영향을 미치는 항공기의 사용불능 상태는 기록되고 수정된다는
것을 보증하는 절차에 대한 기술
13) 항공기 운영 중에 발생하는 주요한 사건들에 대해 등록국가에게 통보하는 절차에
대한 기술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다. 항공운송사업을 함에 있어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 또는 검토하지 않은 어떠한 정


비규정 또는 그 일부분도 운항증명소지자의 직원에게 제공되어서는 아니된다.

라. 항공운송사업자는 정비규정(MCM)에 대한 적정성을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최신정보


가 반영될 수 있도록 동 교범을 개정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 및 유지하여야 한
다.

마. 항공운사업자는 정비규정(MCM)을 변경 또는 개정한 경우에는 이를 동 교범이 배포


된 조직 및 직원에게 개정 또는 변경사항을 통지하여야 한다.

바. 규정은 인적요인 개념에 따라 구성되어야 한다.


주. 인적요인 개념의 적용에 관한 지침은 인적요소 훈련교범(ICAO Doc 9683)을 참
조한다.

9.1.19.4 정비관리(Maintenance Management)


가. 정비조직으로서 승인된 운항증명소지자는 9.1.19.1, 가항제2호․제3호․제5호 및 제6호
에서 기술된 요건들을 수행할 수 있다.

나. 운항증명소지자가 정비조직이 아니라면,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을 이용하여 9.1.19.1,


가항 2)․3)․5) 및 6)에 의거하여 자신의 책임을 충족시켜야 한다.
1)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하거나 인정한 동등한 정비 시스템
2) 운항증명소지자와 정비조직 간에 서면 정비계약을 통한 협정. 이 계약에는 국토교통
부장관이 승인하거나 인정하는 필수 정비업무와 품질업무 지원범위가 자세히 규정되
어야 한다.
주. ICAO DOC 9389, 첨부 6F는 계약상의 정비 협정에 대한 요건들을 포함하고 있
다.

다. 각 운항증명소지자는 모든 9.1.19.1의 정비요건 과 운항증명소지자의 정비규정의 정


비요건과 같은 승인된 기준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보증하고 품질시스템이 제대로 작
동함을 보증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수락할 수 있는 사람이나 사람들의 집단
(group)을 고용하여야 한다.

라. 운항증명소지자는 다항에서 규정한 자를 위해 적절한 위치에 알맞은 사무실 시설을


제공하여야 한다.

9.1.19.5 품질시스템(Quality System)


가. 정비 목적을 위해, 9.1.15.2.3에 의하여 요구된 각 운항증명소지자의 품질시스템은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적어도 다음 각 호의 기능들을 추가적으로 가져야 한다.


1) 9.1.19.1의 행위들이 승인된 절차에 의거하여 수행되는지를 관찰
2) 모든 계약 정비가 계약에 의거하여 수행되는지를 확인
3) 9.1.19의 요건을 지속적으로 부합하는지를 관찰
4) 안전한 정비 실무, 항공기와 항공 제품들의 감항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필요한 적절
한 절차들의 이행을 관찰

나. 정비 목적을 위해, 9.1.15.2.3에 의하여 요구된 각 운항증명소지자의 품질시스템은


모든 정비행위가 적용해야 하는 요건, 기준, 절차에 의거 모든 정비 운영이 수행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고안된 절차를 포함하고 있는 품질보증프로그램을 가져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가 정비조직인 경우, 운항증명소지자의 품질 관리 시스템은 정비조직


의 요건들과 합쳐져서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기 위해 제출될 수 있다.

9.1.19.6 항공기 탑재용항공일지 기록(Aircraft Technical Log Entries)


가. 항공기/항공제품의 결함 또는 기능불량이 보고되거나 확인되었을 경우 비행의 안정
성에 중요한 조치를 행하는 사람은 탑재용 항공일지의 정비 기록 부분에 이에 대하
여 기록하여야 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각 운항승무원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소에 요구되는 적정 분량


의 기록부를 유지하도록 하는 절차를 가져야 하고, 이 절차를 운항증명소지자의 운
항규정에 기재해 두어야 한다.

9.1.19.7 정비 기록(Maintenance Record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수락할 수 있는 형식으로 다음 각 호의 기록들
을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1) 항공기와 수명한계 장비품의 총 사용 시간(시간, 달력 시간 및 싸이클)
2) 모든 의무적인 지속적 감항성 정보에 대한 현재 이행 상태
3) 항공기와 중요 장비품에 대한 개조와 수리의 세부사항
4) 정해진 오버홀 수명에 근거한 항공기 또는 그 부분품의 마지막 오버홀 이후에 사용
된 시간(TSO: 시간, 달력 시간 및 싸이클 등)
5) 정비 프로그램에 의한 항공기의 현재 상태
6) 정비확인과 감항성확인에 대한 서명을 위한 요건이 충족되었음을 증빙하는 세부 정
비 기록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가항 제1호 내지 제5호에 있는 항목들이 영구적으로 운영을 중지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한 후 최소한 90일 동안 보관되도록 하여야 하고, 가항 6)에 있는 기록이 정비확인


또는 감항성 확인서명 이후 최소한 1년 동안 보관되도록 확인하여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운영자가 일시적으로 바뀔 경우 가항에 명시된 기록들이 새 운영


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보증하여야 한다.

라.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가 영구적으로 다른 운영자에게 양도될 때 가항에 명시된


기록들도 양도되도록 보증하여야 한다.

9.1.19.8 탑재용항공일지 정비기록 부분(AOC Holder's Aircraft Technical Log -


Maintenance Record Section)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각 항공기에 대한 다음의 각호의 정보를 포함하여 항공기 정비기
록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탑재용 항공일지를 사용하여야 한다.
1) 지속적인 비행 안전을 보증하기 위해 필요한 이전 비행에 관한 정보
2) 현재의 항공기 정비확인 또는 항공기 감항성 확인
3) 국토교통부장관이 정비 기록이 별도로 유지되는 것을 동의 할 수 있는 경우를 제외
하고 설정된 정비(검사)계획에 의거하여 수행 예정인 정비(검사) 및 설정된 정비(검
사)계획이 없을 경우 수행될 정비(검사)를 포함한 현재의 항공기 정비(검사) 현황
4) <삭 제>
5) 항공기 운항에 영향을 미치는 정비이월된(deferred) 결함들
주. 항공기 감항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함들은 수정 조치를 위해 훗날로 연기될
수 있다. 이러한 조치가 취해졌을 때, 이러한 조치에 대한 기록을 위한 방법이 반
드시 마련되어 있어야 하며, 탑재용 항공일지에는 오직 이러한 조치를 기록하기
위한 기입란을 가지고 있다. 일부 항공사들은 비행시간, 비행횟수, 모기지로 귀
환할 때까지, 차기 비행전 결함이 수정되지 전까지 등으로 정비이월 기간을 허용
할 수 있도록 정비이월 결함을 분류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나. 항공기 탑재용 항공일지 및 이와 관련한 개정은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


다.

9.1.19.9 탑재용 항공일지 정비 기록부분 확인(Release to Service or Maintenance


Section Records of the Technical Log)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정비조직 또는 이와 동등한 시스템에 의
해 항공기가 정비되거나 확인되지 않는 한 해당 항공기를 운영해서는 아니 된다.

나. 동등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만약 정비확인 또는 감항성 확인이 제2


장에 의거하여 적절하게 면허와 한정을 받은 자에 의하여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가항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에 따른 확인(release)후 항공기를 운영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비확인 또는 감항성


확인은 운항증명의 정비규정에 의거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다.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운항증명서 정비규정에 의거 기록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정비조직을 사용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가항의 규정에 의한 정비확인 후 항공기를
운항해서는 아니 된다.

라. 운항증명소지자는 해당 항공기 정비확인 또는 감항성확인서 사본 1부를 기장에게 제


공하거나 정비확인이 탑재용항공일지의 정비 부분에 기록되었음을 확인시켜야 한다.

9.1.19.10 개조 및 수리(Modification and Repairs)


가. 모든 개조 및 수리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수락할 수 있는 감항성 요건에 부합하여야
한다. 또한 항공기 감항성 요구 조건에 부합함을 입증하는 데이터가 유지된다는 것
을 보증하기 위한 절차가 수립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수리 또는 대개조의 경우, 국토
교통부장관이 승인한 기술 자료에 의거하여 해당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나. 운항증명의 운영기준에 의거하여 항공기, 기체, 엔진, 프로펠러, 장치, 부분품 또는


부품에 대한 정비, 예방 정비 그리고 개조를 하는 것에 대하여 인가를 받은 운항증
명소지자가 항공기의 대수리 또는 대개조 후 항공기를 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환원시
키고자 하는 경우, 현재의 유효한 해당 한정자격을 보유한 항공정비사 또는 항공공
장정비사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작업 종료 즉시 기체, 엔진, 프로펠러, 혹은 장비품에 대한 대개조


또는 대수리에 대한 보고서를 준비하여야 한다.

라. 운항증명소지자는 국토교통부장관에 대개조 보고서 사본 1부를 제출하여야 하며, 검


사에 이용될 수 있도록 각 대수리 보고서 사본 1부를 보관하여야 한다.

9.1.19.11 항공기 정비프로그램(Aircraft Maintenance Programme)


가. 운항증명 신청자 및 운항증명 소유자 등은 본 장에서 규정한 사항을 반영한 정비 및
관련 운항직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정비프로그램을 제정하여 항공당국의 승인을 받
아야 하며, 이를 개정하고자 할 경우 시행규칙 제283조 내지 제283조의2의 규정에
의거 항공당국의 승인(또는 신고)을 얻어야 한다.

나. 항공당국은 운항증명 신청자 및 운항증명 소지자에게 신뢰성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운항증명 신청자 등에게 정비규정에 신뢰성프로그램을 포함할 것을 요
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운항증명 신청자 등은 자신의 정비규정에 신뢰성프로그램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에 대한 절차와 내용을 규정하여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가 9.1.19.2의 규정에 의거 인가받은 정비프로그램에 따라


정비된다는 것을 보증하여야 한다. 항공기 정비프로그램은 다음 각 호를 포함하여야
한다.
1) 항공기 예상 가동율을 고려하여 수행되어야 할 정비 작업들(tasks) 및 정비 주기
2) 해당되는 경우, 지속적인 구조부 보전(structural integrity) 프로그램
3) 1) 및 2)에 대한 예외사항(deviate)이나 변경절차
4) 해당되는 경우, 컨디션 모니터링 및 신뢰성 프로그램, 및 항공기 시스템, 장비품 및
엔진에 대한 설명
5) 정비프로그램은 인적요인(Human Factors principles)을 반영하여 제정하여야 한다.

라. 형식설계의 승인 조건으로서 일정한 정비주기에 반드시 수행해야하는 반복 정비 작업


들은 승인 조건과 동일하게 정하여져야 한다.
주. 정비프로그램은 설계 국가 또는 형식설계에 대한 책임이 있는 기관에 의하여 만들
어진 정비 프로그램 정보 및 추가적인 적용 가능한 경험에 근거하여야 하여야 한
다.

마.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당국에 의한 운항증명소지자의 정비프로그램에 대한 심의와


승인을 받지 않은 정비 프로그램 또는 이의 부분을 종사자에게 제공하여서는 아니된
다.

바. 운항증명소지자의 정비프로그램과 동 프로그램의 개정에 대한 항공당국의 승인은 시


행규칙 제280조의3에 따라 운영기준에 명기되어야 한다.

사. 각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를 보증할 수 있는 검사프로그램 및 기타 정비, 예


방정비 및 개조를 담당하는(covering)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1) 운항증명소지자 또는 기타 다른 개인이나 법인이 운항증명소지자의 정비관리교범에
의거하여 정비, 예방정비, 및 개조를 수행
2) 사용 상태로 환원하기 위하여 확인된(released) 각 항공기는 감항성이 있고 운항을
위하여 적절하게 유지관리 되었음

아. 항공당국은 대한민국의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을 소지하지 않은 외국에 고용된 직원


이 기체 구성품, 엔진, 장비품 및 예비 부품들의 정비, 개조, 또는 검사를 할 수 있도
록 본 장의 해당 조항에 대한 예외사항(deviation)을 허가하기 위하여 운항증명소지
자에 발급된 운영기준을 개정할 수 있다. 이 조항에 의하여 예외사항의 권한을 갖은
각 운항증명소지자는 외국의 시설과 실무에 대한 감독을 하도록 규정함으로써 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장(Parts)에 따라서 수행된 모든 작업이 운항증명소지자의 정비규정에 의거하여 수


행된다는 것을 보증하여야 한다.

자. 운항증명소지자는 정비프로그램의 적절성을 주기적으로 검토하여야 하며, 동 프로그


램을 개정할 경우, 개정사항을 동 프로그램을 배포한 모든 조직 및 관계자들에게 통
보하여야 한다.

9.1.19.12 정비, 예방정비와 개조를 수행하고 승인하기 위한 권한(Authority to Perform


and Approve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and Modifications)
가. 정비조직으로 인가를 받지 아니한 운항증명소지자는 운영기준에서 인가 받고 정비프
로그램과 정비규정에서 규정하였다면 정비 항공기, 항공기체, 항공엔진, 프로펠러, 장
치, 부분품의 사용 상태로의 환원을 위한 부품의 정비, 예방정비, 개조를 수행하고
승인을 할 수 있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정비 프로그램 및 정비규정에서 규정한 바에 따라 항공기, 항공기


체, 항공엔진, 프로펠러, 장치, 부분품 또는 부품의 사용 상태로의 환원을 위한 부품
의 정비, 예방정비, 개조의 수행을 위하여 적합하게 한정된 정비조직에 위탁하여 수
행할 수 있다.

다. 정비조직으로서 인가를 받지 않은 운항증명소지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기술


자료에 의거하여 항공기, 기체, 엔진, 프로펠러, 또는 장비품의 사용 상태로의 환원시
키기 위한 정비, 예방정비 또는 개조작업을 하거나 감독을 수행한 후 승인하기 위해
서는 제2장에 의거하여 적합하게 면허를 받고 한정을 받은 자를 사용하여야 한다.

9.1.19.13 정비인력 교육훈련의 요건(Maintennance Personnel Training


Requirement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정비요원의 직무와 책임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항공당국이
승인한 초도 및 보수 교육과정이 포함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갖추어야 한다.

나. 가항에 따른 교육훈련프로그램에 대한 이수현황은 정비요원 개인별로 문서화하여 기


록 유지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전산 시스템으로 관련 교육훈련기록을 관리 할 수 있
다.

다. 교육훈련프로그램에는 인적수행능력(Human performance)에 관한 지식과 기량에 대


한 교육을 포함하여야 하고, 정비요원과 운항승무원과의 협력에 관한 교육을 포함하
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라. 교육훈련프로그램은 훈련과정, 훈련방법, 교관의 자격, 훈련효과측정, 훈련기록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고 훈련시간 등은 다음의 최소요구량 이상을 실시하여야 한다.
1) 안전교육 : 년 8시간 이상
2) 초도교육 : 60시간 이상
3) 보수교육 : 1회당 4시간 이상
4) 항공기 기종교육 : 항공기 제작회사 또는 제작회사가 인정한 교육기관이 실시하는
교육시간 이상
5) 인적요소 : 년 4시간 이상
6) 초도 및 항공기 기종교육 이수기준 : 평가시험 70% 이상 취득

마. 교육훈련프로그램은 항공기 정비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용된 각 인력 및 검사기능


의 담당 직무 수행능력을 보증할 수 있어야 한다.

바. 교육훈련 교관은 정비분야 3년 이상의 근무경력을 가져야 한다.

9.1.19.14 객실승무원 교육훈련 위탁 등에 관한 요건(Requirements for consignment


of Cabin crew training)
가. 운항증명신청자(또는 소지자)는 객실승무원 교육훈련과정의 일부 또는 전체를 다음
각 호의 기관에 위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객실승무원 훈련프로그램에 위탁훈련기
관, 위탁훈련과정 및 위탁기간 등을 명시하여야 한다.
1) 제3장에서 정한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으로 부터 객실승무원 훈련기관으로 인가
받은 기관
2) 외국의 항공당국으로 부터 객실승무원 훈련기관으로 인가 받은 기관

나. 운항증명신청자(또는 소지자)는 객실승무원의 교육훈련을 위한 설비 및 장비 등을


임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객실승무원 훈련프로그램에 다음 각 호의 사항
을 명시하여야 한다.
1) 임대자 및 임차기간
2) 임차 설비 및 장비의 세부사양․기능, 임차수량 등

다. 운항증명신청자(또는 소지자)는 가항에 따라 객실승무원의 교육훈련을 위탁하였을


경우에도 객실승무원의 교육훈련에 관한 기록을 유지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9.1.20 보안관리(Security)
9.1.20.1 항공기 보안
가. 항공기가 당일 비행을 마치고 야간에 항공기를 주기하거나 또는 5시간 이상 주기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비인가자가 항공기 외부에서 내부로 출입할 수 없도록 항공기에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탑승할 수 있는 탑승 장비는 제거되어야 하며, 항공기는 조명이 있는 곳에 주기시켜


야 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 위협 증가시 출입문에 봉인조치 또는 경비원 등을 배치하


여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 전 보안확인점검표를 이용하여 기내보안점검을 실시하여야


하며, 승무원들에게 기내보안점검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관련 사항에 관한 지침을
수립하여 제공하여야 한다.

라. 운항증명소지자는 조종실의 안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1) 조종실 출입통제 대책 수립
2) 조종실 출입문 열쇠 보관방법 마련
3) 조종실 출입이 공식적으로 허용된 자의 출입 시를 제외하고 승객 탑승 전부터 승객
이 모두 하기 한 후까지 조종실 출입문 시건 조치
4) 승객좌석이 60석을 초과하거나 또는 최대이륙중량 45,500킬로그램을 초과하는 모든
승객운송용 비행기에는 최소한 다음과 같은 사양을 갖춘 조종실 출입문을 장착하여
야 한다.
가) 소형 총기류, 수류탄 파편 등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한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방탄성
나) 조종석에서만 잠그거나 열 수 있는 장치
다) 조종실 내에서 외부의 출입 요구자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
5) 항공안전 및 보안에 관한 법률 제32조의 규정에 의한 국토교통부장관의 안전조치에
따른 항공안전 및 보안시설 설치
6) 조종실 진입을 요구하는 사람을 식별하고 의심되는 행동 또는 위험가능성을 파악하
기 위해 조종실에서 조종실 출입문 외부 인근지역을 확인 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
어야 한다.

마. 기내에서 폭발의심물체가 발견된 경우에는 폭발의 강도를 약화시키거나 폭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지정된 폭발물피해최소구역에서 사용되도록 하여야 한다.

9.1.20.2 불법방해행위 보고(Reporting acts of unlawful interference)

비행 중 불법방해행위가 발생하면 기장은 지체 없이 그 행위에 대하여 지정된 지역당국


에 보고를 하여야 한다.

9.1.21 위험물 관리(AOC Dangerous Goods Management)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항공운송사업자 등은 법 제59조(위험물 운송 등) 내지 제61조(위험물 취급에 관한 교육


등) 및 시행규칙 제200조 내지 제202조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한 항공위험물운
송기술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9.2 항공기 사용사업(Aerial work aviation)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 예 비

9.3 항공운송사업(Air transportation)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9.3.1 운영관리(Administration)
9.3.1.1 비행안전문서시스템(Flight Safety Documents System)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소속 항공기 운영관련 종사자들이 활용하는 비행안전 규정/교범
등의 자료를 관리하기 위한 “비행안전문서시스템 운영매뉴얼”을 수립하여 항공당국
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나. 비행안전문서시스템(Flight Safety Documents System)에 관한 세부요건은 별표


9.3.1.1에서 정한다.

다. 시행규칙 제280조의2 및 제283조에 따라 항공운송사업자가 운항증명신청 시 항공당


국에 제출해야 할 교범과 운항규정 및 정비규정에 포함되는 모든 규정/교범/지침 등
은 가항에 따른 비행안전문서시스템 운영매뉴얼에 따라 제정․개정 및 배포․관리되어
야 한다.

9.3.2 항공기(Aircraft)
9.3.2.1 비상탈출시범(Emergency Evacuation Demonstration)
가. 운항증명신청자가 여객운송을 목적으로 항공기를 운용하려거나, 운항증명소지자가
운영기준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형식의 항공기를 도입하여 여객운송용으로 운용하려
는 경우, 운항증명신청자 또는 소지자는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비상탈출시범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제출하고 그에 따라 시범을 실시하여야 한다.

나. 국토교통부장관은 가항에도 불구하고 운항증명신청자 또는 소지자가 동일한 형식의


기종에 대하여 항공기 제작사 또는 타 항공사에서 비상탈출시범을 성공적으로 수행
하였다는 증명자료를 제출하는 경우에는 이를 확인한 후 운항증명신청자 또는 소지
자로 하여금 승무원의 비상탈출 훈련의 적절성을 검증하는 별표 9.3.2.1 라. 1), 2)
에 대한 시범만 실시토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비상탈출 미끄럼틀(Escape Slider)
은 팽창하지 아니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다. 가항에 따라 비상탈출시범을 하고자 하는 경우, 장거리해상비행에 여객운송용 항공


기를 운용하고자 하는 운항증명신청자(또는 소지자)는 당해 형식 항공기의 비상착수
상황대응에 필요한 절차와 관련 장비의 사용능력에 대한 시범을 실시하여야 한다.

라. 비상탈출시범에 관한 세부 요건은 별표 9.3.2.1에서 규정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9.3.2.2 시범비행(Demonstration Flights)


가. 항공운송사업을 목적으로 항공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자는 항공당국에 해당 기종에
대한 시범비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보여야 한다.

나. 특수운항지역을 운항하거나 특수항법시스템을 사용하는 항공기를 운항하고자 하는


자는 항공당국에 해당되는 운항방식으로 시범비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보여야 한
다.

다. 가항에서 규정한 시범비행은 사용예정인 항공기 기종과 해당 운항방식에 적용되는


법규 및 규정에 의거 실시하여야 한다.

라. 가항 및 나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항공당국이 시범비행이 불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


우 이 조의 적용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운항증명소지자는 관련 입증자료를
사전에 항공당국에 제출하여야 한다.

마. 시범비행에 대한 추가 요건은 별표 9.3.2.2에 규정한다.

9.3.3 운항업무관리(Flight Operations Management)


9.3.3.1 운항스케쥴(Operations Schedules)
정기항공운송사업을 위한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스케쥴을 정할 때 중간기착지에서 항공
기 조업이 적절히 수행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부여해야 하며, 항로상의 바람과 해
당 항공기의 순항속도 등을 고려해야 한다. 순항속도는 해당 항공기 엔진의 정해진 출력
속도보다 높아서는 안된다.

9.3.3.2 항공운송사업에서의 기장의 지정(Designation of PIC for Commercial Air


Transport)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운항을 하는 때에는 매 비행마다 1명의 조종사
를 기장으로 지명해야 한다.

9.3.3.3 객실승무원의 수(Required Cabin Crew)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승객 수송시 요구되는 최소 객실승무원이 시행규칙 제218조에 따
라 탑승하도록 계획하여야 하며 기장은 비행 전에 이를 확인하여야 한다.

나. 지상에 주기하고 있는 항공기에 승객이 탑승하고 있을 때에는 최소 객실승무원(또는


해당 항공기의 비상탈출절차에 대해 자격이 있는 자)의 수는 해당 편 운항에 필요한
인원의 1/2이 탑승하고 있어야 한다.
주. 1/2한 결과 소수점이 나올 경우 소수점 이하의 수는 생략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9.3.3.4 특별상황 승객의 수송(Carriage of Special Situation Passengers)


운항증명소지자는 특별상황 승객을 다음 각 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송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운항증명소지자의 운항규정에 해당절차가 설정되어 있으며,
2) 기장이 이를 알고 있으며 동의를 한 경우

9.3.3.5 승무원 심사와 표준화 프로그램(Crew Member Checking and Standardization


Programme)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를 받은 승무원 심사와 표준화에 관한 프로그램
이 있어야 한다.

9.3.3.6 객실승무원 업무교범(Cabin Crew Manual)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객실승무원 및 여객운송 담당자들이 그들의 업무를 수행토록 국토
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한 객실업무교범을 제공하여야 한다.
주. 여객운송 담당자가 임무(발권, 좌석배정 등)에 필요한 방침과 절차(기내반입 휴대
품, 비상구열 좌석 배정, 승객처리 기준 등)를 규정하여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
한 교범을 제공하면 이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본다.

나. 객실업무교범은 객실승무원과 여객 운송시 적용되는 운항업무 방침과 절차가 수록되


어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 형식별로 정상, 비정상 및 비상상황에 관한 절차와 비상장


비의 위치 및 작동법이 자세히 수록된 교범을 객실승무원에게 배포하여야 한다.

라. 운항증명소지자로부터 비행임무를 부여받은 객실승무원은 비행임무 수행 시 필요사


항을 항시 확인하여 승객의 안전을 확보 할 수 있도록 객실승무원 업무교범을 소지
및 유지관리 하여야 한다.

9.3.3.7 승객브리핑 카드(Passenger Briefing Card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구두 브리핑에 추가하여 여객을 운송하는 각 항공기마다 승객이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다음 각 호의 사항이 수록된 카드를 비치하여야 한다.
1) 비상구에 대한 도해와 작동 방법
2) 비상장비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기타 안내
3) 비상구 좌석열 착석에 대한 제한과 요건에 관련된 정보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각 카드가 해당 편에 사용되는 항공기 형식에 맞는 적절한 정보를


담고 있도록 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다. 승객브리핑 카드에 포함되어야 할 특정정보에 관한 사항은 별표 9.3.3.7에 규정한다.

9.3.3.8 노선지침서(Route Guide)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승무원과 운항통제업무를 부여받은 종사자가 그들의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항공당국에 신고한 노선지침서와 항공지도를 제공
하여야 한다.

나. 노선지침서와 항공지도는 항공운송사업자가 수행할 운항의 종류와 지역에 적합한 최


신의 것이어야 한다.

9.3.3.9 운항감시시스템(Flight Supervision and Monitoring System) :


국제항공운송사업, 국내항공운송사업 및 소형항공운송사업(정기편 운항의 경우만
해당한다.)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정기편을 운항하는 경우 항공기 출발관리 및 운항상황 감시 등 운
항관리를 하는데 적합한 시스템을 운영하여야 한다. 이 경우 운항증명소지자는 동
시스템을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 받아 운영기준에 수록하여야 한다.

나. 가항에 의한 운항감시시스템에는 정기편의 운항준비, 출발관리 및 공지통신 등 운항


관리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각 지점에 충분한 운항관리센터(Dispatch center)들
이 포함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정기편을 운항하는 경우 적절한 운항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각 운항


관리센터에 자격이 있는 운항관리사를 배치하여야 한다.

9.3.3.10 비행추적시스템(Flight Following System) : 소형항공운송사업


가. 전세편(Charter flight)을 포함하여 부정기 운항을 하는 운항증명소지자의 경우 모든
공항에서 출발․도착 관리 및 운항준비서류 등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비하여야 한다.

나. 가항에서 규정한 시스템에는 회항을 포함하여 모든 공항에서 출발과 도착을 감시하


기 위한 사설 또는 공공용 시설에 의한 통신수단이 포함되어야 한다.

다. 최대이륙중량 5,700킬로그램 미만의 항공기인 경우 항공교통관제기관에 비행계획서


가 제출되어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유효한 비행편에 대하여는 운항추적시스템이
요구되지 않는다.

라. 가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9.3.3.9의 규정에 의한 운항감시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운항증명소지자는 이 규정을 적용 받지 아니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마. 비행추적시스템의 세부적인 요건은 별표 9.3.3.10에 규정한다.

9.3.3.10A 야간 및/또는 계기비행 기상조건에서의 단발 터빈엔진 항공기의


운항(Operations by single-engine turbine-power aeroplanes at night of Additional
Airport)
야간 및 / 또는 계기비행 기상조건(IMC) 하에서 단발 터빈엔진 항공기를 이용하여 항공
운송사업을 할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가. 국제선 운항의 경우 운항지역의 국가 당국이 인정할 수 있는 환경이상(Over a
surface environment acceptable)의 조건에서만 운항되어야 한다.

나. IMC 조건에서 단발 터빈엔진 항공기 운항의 인가는 단발 터빈엔진 항공기가 계기비


행(IFR)규정에 따른 비행에 대해 적합하고, 다음에서 정한 사항을 충족하여야 한다.
1) 엔진의 신뢰성 확보 프로그램
2) 운영자의 정비절차, 운항규정 및 승무원 훈련프로그램 및
3) 항공법령 등에서 규정한 장비 요건
4) 별표 9.1.19.6의 야간 및 / 또는 계기비행 기상조건(IMC) 하에서 단발 터빈엔진 항
공기 운항에 필요한 추가사항

다. 단발 터빈엔진 항공기가 IMC 조건에서 운항시 엔진경향 모니터링 프로그램


(program for engine trend monitoring)을 갖추어야 하고, 터빈엔진을 모니터링하기 위
해 엔진과 항공기 제작사가 권고한 계기, 시스템 및 운항/정비절차를 활용해야 한다.

라. IMC 조건에서 운영하는 단발 터빈엔진 항공기는 자동경향모니터링시스템(automatic


trend monitoring system)을 장착해야 한다.

9.3.3.11 북극 항공로 운항
가. 운항증명소지지가 북극지역에 설정된 북극 항공로를 운항하고자 하는 때에는 시행규
칙 제280조의4의 규정에 의거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북극 항공로의 운항인가를
받아야 한다.

나. 북극 항공로의 운항인가에 관한 신청내용, 운항인가, 운항절차 등 세부적인 사항은


별표 9.3.3.11에 규정한다.

9.3.4 정비요건(AOC Maintenance Requirements)


9.3.4.1 운항증명의 지속적 정비프로그램과 검사 요건 (AOC Continuous Maintenance
Programme and Inspection Requirements)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의 내용을 포함하는 지속적 정비프로그램을 제정․운영하여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지속적으로 항공기의 감항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1) 검사실무
2) 계획정비 및 검사프로그램
3) 비계획 정비프로그램
4) 오바홀 및 수리 시스템
5) 기체구조 검사프로그램
6) 검사항목
7) 신뢰성관리프로그램
8) 기록보존시스템
9) 지속분석 및 감독프로그램
10) 정책과 절차

9.3.4.2 운항증명소지자의 항공기 관리 작업을 수행하는 요원의 임무와 휴식의


제한(Rest and Duty Limitations for Persons Performing Maintenance Functions on
AOC Holder Aircraft)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 정비업무를 수행하는 자로 하여금 임무를 시작하기 전 최
소 8시간의 휴식을 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항공운송사업용 항공기의 정비업무를 수행
하도록 하여서는 아니 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 정비업무를 수행하는 자로 하여금 항공운송사업용 항공기


의 정비업무를 12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계획을 수립해서는 아니 된다.

다. 고장등으로 인해 항공기의 사용이 불가능해진 경우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운송사업


용 항공기의 정비업무를 수행하는 자의 근무제한시간을 다음과 같이 확대하여 적용
할 수 있다.
1) 16시간 연속 근무
2) 1일에 20시간의 근무

라. 운항증명소지자는 다항에 따른 비계획적인 항공기 정비업무를 수행한 자에게는 최소


10시간 이상의 휴식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마. 운항증명소유자는 항공기 정비업무를 수행하는 자를 연속 7일 중에 연속 24시간동


안 업무에서 제외시키거나 또는 월간단위로 그에 상응하는 시간을 업무에서 제외시
켜야 한다.

9.3.5 보안관리(Security)
9.3.5.1 적용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제
운항증명 및 관리
8장 항공기 운항

이 절은 운항증명을 위한 요건중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저해하는 불법방해 행위로부터 항


공기 및 승객을 보호하는데 적용되는 요건을 규정한다.

9.3.5.2 보안훈련 프로그램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납치, 폭파위협 및 기타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저해하는 불법방
해 행위 등을 방지하고, 이와 같은 사건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종사자들로
하여금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인가된 훈련프로그램을 설정․유지하고 이를
시행하여야 한다. 훈련프로그램에는 최소한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항공기 보호를 위한 조종실 출입등 보안절차
2) 항공기 검색절차 및 점검표
3) 중대한 사건에 대한 위험 결정
4) 승무원간 의사소통 및 협조
5) 적절한 자기방어 방법
6) 승무원에게 지급된 인가된 비 살상용 방어무기(non-lethal protective devices)에
대한 사용절차
7) 테러리스트 행동 경향 및 행동특성에 대한 이해
8)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실제 훈련 과정
9) 비행 후 승무원을 위한 보안 고려 사항

9.3.5.3 비행서류 등에 대한 보안관리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비인가 물품 반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물탑재명세서, 위험물보고
서, 무기운송보고서 등 수하물 운송에 관계되는 비행서류에 대한 보안대책을 수립하
여야 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가항의 규정에 의한 비행서류 등 및 그 밖에 국토교통부장관이 정


하는 비행서류를 비 인가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관리하고, 영업 종료 후 비행서류
가 방치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작성하는 날로부터 1년 이상 보존하여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사용하지 않은 비행서류는 항공사 직원 또는 항공사 대리인에 의


해 관리되는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여야 한다.

9.3.5.4 조종실 보안(Security of the flight crew compartment)

가. 조종실이 별도로 설비된 항공기의 경우, 그 출입문은 시건장치가 되어있어야 한다.

나. 항공운송사업자는 객실에서 수상쩍은 행동을 하는 승객 또는 보안 위반 행위 등이


발생한 때 객실승무원이 이를 조종사에게 알릴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을 강구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9.3.6 항공위험물(Dangerous Goods)

주1. 국제민간항공조약 체약국이 위험물을 취급하는 모든 기관에 대한 감독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에 관한 기준은 국제민간항공조약 부속서 18 제11장에 수록되어 있다.
주2. 위험물 운송을 위한 항공기운영자의 책임 사항은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한 항공
위험물운송기술기준 제7장(항공사의 의무) 또는 국제민간항공조약 부속서 18, 제8장,
제9장, 제10장에 수록되어 있다. 항공위험물운송기술기준 별표 또는 ICAO 위험물
기술지침서(Technical Instructions for the Safe Transport of Dangerous Goo
ds by Air, Doc 9284, Technical Instructions) 제7장은 항공기운영자의 책임에
관한 사항과 사고 및 준사고 보고에 관련된 기준을 포함하고 있다.
주3. 승무원과 승객의 위험물 항공운송에 관련된 기준은 항공위험물운송기술기준 제8장
(승객 및 승무원에 관한 규정) 또는 ICAO 위험물 기술지침서 제8장 제1절에 수록
되어 있다.
주4. 항공위험물운송기술기준 별표 또는 ICAO 위험물 기술지침서에 규정된 위험물의
분류 기준을 충족시키는 운영자 물품(COMAT)은 화물로 간주되며, 항공위험물운
송기술기준(고시) 별표 또는 ICAO 기술지침서 제1장 2.2.2항 및 2.2.3항의 규정
에 따라 운송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산소발생기(Chemical Oxygen Generator
s), 연료제어장치(Fuel Control Units), 소화기(Fire Extinguishers), 오일(Oils),
윤활유(Lubricants), 청소용 물품(Cleaning Products) 등의 항공기 부품 등)

9.3.6.1 위험물 운송에 대한 승인을 받지 아니한 항공기운영자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으로부터 위험물의 운송을 승인 받지 아니한 항공기운


영자는 다음의 사항을 수행하여야 하며,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은 항공기운
영자의 이행 여부를 감독(확인)하여야 한다.
가. 국제민간항공조약 부속서 18 및 ICAO 위험물 기술지침서 제1장 제4절에 수록된 기준
또는 항공위험물운송기술기준을 충족하는 위험물에 관한 훈련프로그램의 수립
나. 항공기운영자가 운항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이 다음의 사항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운항규정에 국제민간항공조약 부속서 18 및 ICAO 위험물 기술지침서에 수록된 기
준 또는 항공위험물운송기술기준을 충족하는 위험물에 관한 정책과 절차를 수립하였
는지 여부
1) 위험물로 분류된 항공기운영자 물품(COMAT)을 포함한 미신고된 위험물의 식별 및 거부
2) 다음의 각 호의 경우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에게 보고(발생한 국가의
항공당국을 포함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가) 화물 또는 우편물에서 미신고된 위험물을 발견하였을 경우


나) 위험물에 관련된 사고 및 준사고

9.3.6.2 위험물을 운송하는 항공기운영자

위험물을 운송하고자 하는 항공기운영자는 다음의 사항을 수행하여야 하며, 국토교통부


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은 항공법 제115조의2에 따른 운항증명·운영기준의 발급, 변경
및 정기 또는 수시검사 시 이를 확인하여야 한다.
가. 항공기운영자가 ICAO 부속서 18에 따른 Technical Instructions 제1장 제4절 표1-4
에 수록된 기준 또는 항공위험물운송기술기준을 충족하는 위험물에 관한 훈련 프로그
램의 수립 여부(위험물에 관련 훈련 프로그램의 세부내용은 항공기운영자의 운항규
정에 포함되어야 함)
나. 운항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이 다음의 사항을 수행하기 위해 국제민간항공조약 부속서
18 및 ICAO 위험물 기술지침서에 수록된 기준 또는 항공위험물운송기술기준을 충
족하는 위험물에 관한 정책과 절차를 운항규정에 수립 여부
1) 위험물로 분류된 항공기운영자 물품(COMAT)을 포함하여 미신고된 위험물의 식별
및 거부
2) 다음의 경우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관할 지방항공청장에 보고(발생한 국가의 항공당국을
포함한다)
가) 화물 또는 우편물에서 미신고된 위험물을 발견하였을 경우
나) 위험물에 관련된 사고 및 준사고
다) 위험물이 다음과 같이 운송되었음을 발견할 경우
① 항공위험물운송기술기준 또는 ICAO 위험물 기술지침서 제7장 제2절에 따라 위험물
이 적재, 상호 격리, 분리 및 보관되지 않은 경우
② 기장에게 위험물 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경우
3) 위험물[항공기에 적재된 항공기운영자물품(COMAT)을 포함]의 접수, 취급, 보관, 운
송, 적재 및 적하
4) 기장에게 운송할 위험물에 대한 정확하고 읽을 수 있게 쓰여 졌거나 인쇄된 정보의
제공
주. 화물 운송 제한에 관한 사항은 항공법 제146조(군수품 수송의 금지) 또는 국제민간
항공협약 제35조를 따른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8장 항공기 운항

9.3.6.3 정보의 제공

항공기운영자는 업무를 위탁 받은 자를 포함하여 화물의 접수, 취급, 적재, 적하에 관련된


모든 직원들에게 위험물 운송에 대한 항공기운영자의 운송 승인 및 제한사항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부칙(2001.10.04)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02.06.12)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02.12.31)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03.09.25)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04.04.24)

제1조(시행일)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경과조치) 이 규정 시행당시 종전의 규정에 의하여 자격을 갖춘 항공종사자 및 객
실승무원과 각종 증명, 인가, 지정, 승인을 받은 것은 이 규정에 의하여 자격을 갖추고
각종 증명, 인가, 지정 및 승인을 받은 것으로 본다.

부칙(2004.07.14)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부 칙

부칙(2004.08.24)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04.12.31)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05.04.29)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05.11.08)

제1조(시행일)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6.4.1.6(교육훈련의 요건)의 개


정 규정 및 9.2.2.9(비행안전문서시스템)의 신설규정은 2006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 및 비행자료기록장치(FDR)의 장착에 관한 적용특례)
7.3.6.1 내지 7.3.6.3의 개정 규정은 이 고시 시행 후 관련 시행규칙 제135조의2(사고
예방장치 등)의 규정이 개정되어 시행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06.08.02)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06.11.20)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07.12.26)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부 칙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08.03.26)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08.08.14)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09.06.11)

제1조(시행일)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고시의 폐지) 「운항기술기준(항공안전본부고시 제2008-64호)」은 폐지한다.

부칙(2009.12.08)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10.07.05)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11.01.05)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11.06.13)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부 칙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12.02.23)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12.12.04)

제1조(시행일)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고시의 폐지) 「비인가부품 또는 비인가의심 부품의 처리 및 부품 사용 등에
대한 기준(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287호, 2012.05.31)」은 폐지한다.

부칙(2013.04.30)

제1조(시행일)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13.06.26)

제1조(시행일)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8.1.8.23, 8.2.9, 8.2.10, 8.2.11 및 8.2.12의
개정 규정은 고시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부칙(2013.09.11)

제1조(시행일)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회항시간 연장운항과 관련한 8.4.11.5 부터
8.4.11.8의 신설 규정은 2014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 연료탑재 요건과 관련한 8.1.9.13의 개정 규정과 8.1.9.20 부터 8.1.9.21의 신설 규정


은 항공법 시행규칙 별표 23(항공기에 실어야 할 연료 및 오일의 양) 규정이 개정되어 시행된
날부터 적용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부 칙

부칙(2014.02.04)

제1조(시행일)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14.10.31)

제1조(시행일) 이 고시는 2014년 11월 29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고시의 폐지) 운항기술기준(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62호)은 폐지한다.

부칙(2014.12.17)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15.3.9)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16.2.11)

제1조(시행일)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7.1.14.4의 개정규정은 2017년


1월 1일부터 적용한다.
제2조(항공운송사업을 위한 관리자의 요건에 관한 경과조치) 이 고시 시행 당시 종전의
규정에 의하여 항공운송사업자의 운영기준에 등재된 관리자의 경우에는 9.1.15.2.2의
개정규정에 불구하고 종전의 규정에 의한다.

부칙(2016.11.18.)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8.4.8.1조 라목은 2019년 3월 12일부터 적용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 별 표 ]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목차

목 차

별표 5.1.1.2.A 대개조의 정의 (Definition for Major Modifications) ······························ 1


별표 5.1.1.2.B 대수리의 정의 ( Definition of Major Repairs) ········································· 2
별표 5.1.1.2.C 예방정비의 정의(Definition of Preventive Maintenance) ······················ 4
별표 5.10.1.7 수행원칙: 연간 및 100시간 검사 (Performance Rules : Annual and
100-Hours Inspections) ··················································································· 5
별표 5.10.1.9 수리개조승인 기준(requirement for the approval of modifications and
repairs) ······················································································································ 7
별표 5.11.1.1 대수리 및 대개조의 기록 (Recording of Major Repairs and Major
Modifications) ···································································································· 10
별표 7.1.10 정밀계기접근 제2종(CAT-II) : 계기 및 장비의 승인과 정비 요건 ·········· 14
별표 7.1.14.6 산소저장과 분배장치 ························································································· 17
별표 7.1.14.9 비상구 장비(Exit Door Equipment) ····························································· 19
별표 7.1.17.2 비행자료기록장치의 형식 및 파라미터(Flight Data Recorders -Type
and Parameters) - 비행기(Aeroplane) ···················································· 21
별표 7.1.17.3 항공기자료기록장치(Aircraft Data Recording Systems) ······················· 25
별표 7.1.17.4 데이터 링크 기록장치(Data Link Recorder Applicability) ·················· 25
별표 7.1.17.4.1 삭제 <2016.11.00.> ···················································································· 25
별표 7.1.17.4.2 항공기자료기록장치(Aircraft Data Recording Systems) ·················· 25
별표 7.1.17.5 <삭제> ················································································································ 26
별표 7.1.17.6 지속적인 운용성 및 비행기록장치 시스템의 검사(Continued
Serviceability and Inspections of Flight Recorder Systems) ··········· 26
별표 7.1.19 공중충돌경고장치의 운용 ··················································································· 28
별표 7.1.21.11 전방시현장치(HUD), 동등한 시현장치(EQUIVALENT DISPLAYS) 및
시각시스템(VISION SYSTEMS) ································································ 30
별표 8.1.4.4 계기 및 장비의 고장(Inoperative Instrument and Equipment) ·············· 43
별표 8.1.8.4 주정음료등의 사용 등(Use of Narcotics, Drug or Intoxicating Liquor) 43
별표 8.1.8.6 운항승무원의 임무교대(Change of flight crew member's duty) ··············· 44
별표 8.1.8.20 레이저광선 노출에 따른 운항절차 ································································· 44
별표 8.1.9.1 비행계획서 작성방법 ···························································································· 45
별표 8.1.9.13 항공기에 탑재해야 할 예비연료량의 별도 인가기준 ································· 56
별표 8.1.11.4 기압고도계 설정(Altimeter Settings) ··························································· 60
별표 8.1.11.6 계기접근운영 최저기상치(Instrument Approach Operating Minima) · 60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목차

별표 8.1.11.8 정밀계기접근 제2종(CAT-II) 교범(Category II Manual) ······················· 61


별표 8.1.11.17 성능기반항행 또는 수직분리축소공역에서의 운항승인기준 (Requirements for The
Operations in PBN or RVSM Airspace) ··················································· 61
별표 8.1.11.27 국제항공신호(Universal Aviation Signals) ·············································· 70
별표 8.1.11.45 무인자유기구 운영(Unmanned Free Balloons Operation) ·················· 79
별표 8.1.12.2 회전익항공기의 회전익 작동 중 급유를 위한 요건 ··································· 82
별표 8.1.12.10 객실 내 화물 반입(Carriage of Cargo in Passenger Compartments) ······ 83
별표 8.3.4.1A 항공사 절차 기본교육(Company Procedures Indoctrination) ·············· 84
별표 8.3.4.2 삭제 <2010.7.5> ·································································································· 95
별표 8.3.4.4 초기 승무원자원관리(CRM) 및 운항관리사자원관리(DRM) 훈련(Initial
Crew/ Dispatcher Resource Management) ················································ 85
별표 8.3.4.5 초기 비상장비 실습훈련(Initial Emergency Equipment Drills) ·············· 86
별표 8.3.4.6.A 운항승무원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Initial Aircraft Ground Training
-Flight Crew) ·································································································· 89
별표 8.3.4.6.B 객실승무원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Initial Aircraft Ground
Training-Cabin Crew) ·················································································· 94
별표 8.3.4.6.C 운항관리사 초기 지상훈련(Initial Training-Flight Operations Officer) 97
별표 8.3.4.7 초기비행훈련(Initial Aircraft Flight Training) ············································ 98
별표 8.3.4.8 초기특수운항훈련(Initial Specialized Operations Training) ················· 101
별표 8.3.4.9 <별표 8.4.8.16으로 변경, 2010.7.5> ··························································· 102
별표 8.3.4.13 운항승무원 정기훈련(Recurrent Training : Flight Crew) ················ 102
별표 8.3.4.14 <별표 8.4.8.36으로 변경, 2010.7.5> ························································· 106
별표 8.3.4.15 비행교관의 훈련(Flight Instructor Training) ·········································· 106
별표 8.4.4.4 회항시간 연장운항을 위한 추가 기준(Additional Requirements for EDTO
Operations with Two-Engined Aeroplanes) ············································· 108
별표 8.4.4.5 터빈엔진 비행기의 회항시간 연장운항(Extended diversion time
operations: EDTO)을 포함하여 60분을 초과하는 항로교체공항으로 운항을
하기 위한 요건 ··································································································· 109
별표 8.4.7.9 비상구 열 좌석(Exit Row Seating) ······························································ 111
별표 8.4.8.6 항공기관사 임무를 대신하는 조종사 훈련(Qualified to Perform FE Functions)
································································································································ 113
별표 8.4.8.16 운항관리사 항공기 차이점 보완훈련(Aircraft Difference Flight
Operations Officer) ······················································································· 113
별표 8.4.8.19 조종사의 항공기 및 계기 기량심사(Aircraft and Instrument Proficiency
: Pilot) ··············································································································· 113
별표 8.4.8.22 비행경험이 적은 운항승무원의 편성(Pairing of Low Experience Crew
Members: Commercial Air Transport) ··················································· 116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목차

별표 8.4.8.23 항공기관사의 기량심사(Flight Engineer Proficiency Checks) ·········· 117


별표 8.4.8.24 객실승무원 기량심사(Competence Checks: Cabin Attendants) ······· 117
별표 8.4.8.25 운항관리사의 자격심사(Competence Checks: Flight Dispatchers) 119
별표 8.4.8.33 특수공항 구분 및 지정기준(Designated Special Aerodromes : PIC
Qualification) ··································································································· 120
별표 8.4.8.35 객실승무원 정기훈련(Recurrent Training: Cabin Crew) ···················· 121
별표 8.4.8.36 운항관리사 정기훈련(Recurrent Training: Flight Operations Officers)
···························································································································· 123
별표 8.4.8.37 검열운항승무원의 훈련(Check Airman Training) ·································· 123
별표 8.4.9.3 비행근무 및 지상휴식시간(Duty and Rest Periods) ······························· 125
별표 8.4.9.4 최대승무시간 기준(Maximum Number of Flight Time Hours) ··········· 127
별표 9.1.15.2.5 업무종사자 기록 등의 보존(Retention and Maintenance of Personnel
Records) ········································································································ 128
별표 9.1.15.2.9 전자교범 및 전자기록유지시스템 운영기준 ·············································· 130
별표 9.1.16.3 외국 등록항공기의 단순임차(Dry Leasing of Foreign Registered
Aircraft) ············································································································ 133
별표 9.1.16.4 항공기 상호교환(Aircraft Interchange) ···················································· 134
별표 9.1.16.5 포괄 임대차 운항 (Wet Leasing) ······························································· 134
별표 9.1.18.5 조종사 숙달훈련(Training to Proficiency : Pilots) ······························ 135
별표 9.1.18.12 운항자료관리 시스템 (Aeronautical Data Control System) ············ 135
별표 9.1.18.13 기상자료의 출처(Weather Reporting Sources) ··································· 136
별표 9.1.18.14 제빙과 방빙 프로그램(De-icing and Anti-icing Programme) ········ 136
별표 9.1.18.19A 안전적합성 평가 프로그램(Safety Evalution Program) ·················· 137
별표 9.1.18.19B 안전적합성 입증자료 요약서 ···································································· 138
별표 9.1.19.3 운항증명소지자의 정비규정 (AOC Holders Maintenance Control
Manual) ·············································································································· 138
별표 9.1.19.5 운항증명 소지자의 추가 정비품질체계 (AOC Holders Additional Quality
System for Maintenance) ··········································································· 140
별표 9.1.19.6 계기비행기상상태(IMC) 및/또는 야간에 단발 터빈엔진 항공기 운항에
필요한 추가적인 필요조건(Additional requirements for operations of
single-engine turbine-powered aeroplanes at night and/or in
Instrument Meteorological Conditions(IMC)) ······································· 141
별표 9.3.1.1 비행안전문서시스템(Flight Safety Documents System) ························ 146
별표 9.3.2.1 비상탈출시범(Emergency Evacuation Demonstration) ·························· 148
별표 9.3.2.2 시범 비행 (Demonstration Flights) ····························································· 149
별표 9.3.3.7 승객브리핑카드(Passenger Briefing Cards) ·············································· 151
별표 9.3.3.10 비행추적시스템 (Flight Following System) ············································ 151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목차

별표 9.3.3.11 북극 항공로 운항기준(Guidance for The North Pole Operations) ······ 152

별지

별지 제1호 서식 : 항공훈련기관 인가신청서 ······································································ 162


별지 제2호 서식 : 항공훈련기관 인가서 ·············································································· 164
별지 제3호 서식 : 항공훈련기관 인가변경신청서 ······························································ 166
별지 제4호 서식 : 항공훈련기관 심사보고서 ······································································ 167
별지 제5호 서식 : 항공훈련기관 평가관 인정신청서 ························································ 173
별지 제6호 서식 : 항공훈련기관 평가관 인정서 ································································ 175
별지 제7호 서식 : 항공훈련기관 훈련이수증명서 ······························································ 176
별지 제8호 서식 : 항공기 출입요구서 ·················································································· 177
별지 제9호 서식 : 항공안전 의무보고서 ·············································································· 178
별지 제10호 서식 : <삭 제> ··································································································· 179
별지 제11호 서식 : <삭 제> ··································································································· 179
별지 제12호 서식 : 비인가의심부품 신고서 ········································································ 180
별지 제13호 서식 : 대수리․개조 승인서 ··············································································· 182
별지 제14호 서식 : <삭 제> ··································································································· 184
별지 제15호 서식 : 레이저광선 장애 보고서 ······································································ 185
별지 제16호 서식 : 비행교관 인정(심사) 신청서 ······························································· 187
별지 제17호 서식 : 회항시간 연장운항 승인 신청서 ························································ 188
별지 제18호 서식 : 특수공항 지정ㆍ해지 평가서 ······························································ 189
별지 제19호 서식 : ICAO 비행계획서 양식 ········································································ 190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표 5.1.1.2.A 대개조의 정의 (Definition for Major Modifications)


가. 항공기 기체 대개조 : 항공기 기체의 대개조에는 항공기 사양서에 포함되어 있지 않
은 개조사항으로서 다음과 같은 사항이 포함된다.
1) 날개
2) 꼬리면
3) 동체
4) 엔진 마운트
5) 조종 계통
6) 랜딩 기어
7) 수상기의 선체 또는 프로트
8) 스파, 리브. 피팅, 완충기, 브레이싱, 카울링, 훼어링 및 중량배분용 웨이트
9) 구성품의 유압 및 전기 작동 시스템
10) <삭제>
11) 최대 이륙 중량 또는 무게 중심 제한 범위의 증가를 초래하는 공허중량 또는 공허
중량배분에 대한 변경
12) 연료, 오일, 냉각, 가열, 객실 여압, 전기, 유압, 제빙 또는 배기시스템과 관련된 기
본 설계의 변경
13) 떨림과 진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날개 또는 고정 또는 가변 조종면에 대한 변경

나. 동력장치 대개조 : 항공기 동력장치의 대개조에는 항공기 사양서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개조사항으로서 다음과 같은 사항이 포함된다.
1) 압축비, 프로펠러 감속 기어, 임펠러 기어비에 대한 어떤 변경이나 또는 해당 엔진
광범위한 작업과 시험을 요하는 주요 엔진 부품의 대체를 포함하여 하나의 승인된
엔진 모델로부터 다른 모델로의 엔진 전환
2) 항공기 엔진 구조부 부품을 원래의 제작자에 의해 공급된 부품이나 국토교통부장관
이 명확히 승인을 한 부품이 아닌 것으로 교환하는 엔진 변경
3) 엔진용으로 승인 받지 않은 부속품 장착
4) 항공기 또는 엔진 사양서(Specification)에서 필수적인 장비품으로 열거한 부속품을
장탈
5) 장착용으로 승인된 부품 형식이 아닌 구조부 부품의 장착
6) 엔진 사양서에 명시된 연료 이외의 연료 등급을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전환
작업

다. 프로펠러 대개조 : 항공기 프로펠러의 대개조에는 항공기 사양서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개조사항으로서 다음과 같은 사항이 포함된다.
1) 블레이드 설계에 대한 변경
2) 허브 설계에 대한 변경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3) 가버너(Governor) 또는 조종계통 설계에 대한 변경


4) 프로펠러 가버너 또는 훼더링(Feathering) 시스템 장착
5) 프로펠러 제빙 시스템에 대한 장착
6) 프로펠러용으로 승인되지 않은 부품의 장착

라. 장비품 대개조 : 장비품 제작자의 권고 또는 해당 감항성개선지시서에 의하지 않고


행해지는 기본 설계의 개조는 장비품 대개조에 해당된다. 또한 형식증명 또는 기타
인가를 통하여 승인을 받은 무선 통신 및 항법 장비품의 기본 설계에 대한 변경으로
써 주파수 안정, 소음 수준, 민감도, 선택도, 소리 일그러짐, 원치 않는 전파방사, 자
동볼륨조정(AVC) 특성, 또는 환경적 실험 조건을 충족하는 능력에 영향을 주는 변
경 및 장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변경들 또한 대개조이다.

별표 5.1.1.2.B 대수리의 정의 (Definition of Major Repairs)


가. 항공기기체 대수리. 기체의 다음 부분들에 대한 수리 및 다음의 수리 종류가 항공기
기체 대수리에 해당되며, 이는 1차 구조부에 대한 강도를 강하게 함과, 보완, 겹쳐잇
기(Splicing) 및 1차 구조부를 교환하면서 리벳 하거나 용접하는 것과 같은 조립 작
업하는 것을 포함한다.
1) 박스 빔(Box Beams)
2) 모노코크(Monocoque) 또는 세미모노코크(Semi-monocoque) 날개 또는 조종면
3) 날개 스트링거 또는 코드 구성요소
4) 스파(Spar)
5) 스파 플랜지(Spar Flange)
6) 트러스 구조 빔(Truss Type Beam)의 구성요소
7) 빔의 얇은 판 웹(Webs)
8) 수상기 뜨게의 중심보(Keel)와 측면보(Chine) 구성요소
9) 날개 또는 꼬리면의 테두리 재료로서 역할을 하는 주름진 금속판의 압축 구성 요소
10) 날개 주요 리브 및 압축 구성 요소
11) 날개 또는 꼬리면 버팀대(Brace Strut)
12) 엔진 마운트
13) 동체 세로 뼈대(Longern)
14) 측면 트러스(Side Truss), 수평 트러스(Horizontal Truss), 또는 벌크헤드
(Bulkhead) 구성 요소
15) 주 좌석 지지대 및 브라켓트(Bracket)
16) 랜딩기어 지지대
17) 축(Axle)
18) 바퀴(Wheel)
19) 조종간, 페달, 샤프트, 브라켓트 또는 호온(Horn)과 같은 조종 계통의 부품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20) 대체 자재 사용을 요하는 수리


21) 응력을 담당하는 금속판 또는 합판에 있어서 손상부위가 방향에 상관없이 6인치를
초과하는 경우의 수리
22) 표피(Skin)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이음(Seam) 작업으로 하는 수리
23) 표피 판의 겹쳐 이음(Splice)
24) 날개의 3개 이상의 인접되어 있는 리브(Rib)들 또는 조종면의 인접되어 있는 리브
들에 대한 수리, 또는 이들 인접한 리브들 사이의 전연(Leading Edge) 및 조종면
의 수리
25) 두 개의 인접한 리브를 수리하는데 필요로 하는 면적보다 더 큰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을 덮고 있는 천(Fabric)의 수리
26) 날개, 동체, 수평안정판 및 조종면과 같은 부분을 덮고 있는 천을 교환
27) 탱크의 바닥에 대한 재작업을 포함하여 장탈 가능식 또는 통합식(Integral) 연료 탱
크 및 오일 탱크에 대한 수리

나. 동력장치 대수리 : 다음과 같은 엔진 부품에 대한 수리 및 다음과 같은 종류의 수리


는 동력장치 대수리에 해당된다.
1) 통합식 슈퍼차져(Integral Supercharger)를 장착한 왕복엔진의 크랭크케이스 또는
크랭크샤프트의 분리 또는 분해
2) 박차 형식(Spur-type) 프로펠러 감소 기어를 장착하지 않은 왕복엔진의 크랭크케이
스 또는 크랭크샤프트의 분리 또는 분해
3) 용접, 도금(Plating), 금속 입힘(Metalising) 또는 기타 방법으로 엔진 구조부 부품에
대한 특별 수리.

다. 프로펠러 대수리 : 프로펠러에 대한 다음 종류의 수리가 프로펠러 대수리이다.


1) 강철 블레이드 수리 및 곧게 펴는 수리
2) 강철 허브에 대한 수리 또는 기계 가공
3) 블레이드 길이 줄이기
4) 나무 프로펠러 끝부분에 대한 재 씌움
5) 고정 피치 나무 프로펠러에 대한 바깥층 교환
6) 고정 피치 나무 프로펠러의 허브에 있는 규정 치수보다 넓어진 볼트 구멍 수리
7) 나무 블레이드에 대한 장식(Inlay) 새겨 넣기 작업
8) 복합소재 블레이드에 대한 수리
9) 끝 부분 천(Fabric)의 교환 (Replacement of tip fabric)
10) 플라스틱 덮개 교환
11) 프로펠러 가버너(Governor) 수리
12) 조정이 가능한 피치 프로펠러의 오버홀
13) 알루미늄 블레이드의 깊은 눌림(Dent), 절단(Cut), 끍힘(Scar), 찍힘(Nick)등에 대
한 수리 및 바르게 핌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14) 블레이드 내부 구성 요소의 수리 또는 교환

라. 장비품의 대수리 : 장비품에 대한 다음 종류의 수리가 장비품 대수리이다.


1) 장비품에 대한 교정 및 수리
2) 항공전자 장비 또는 컴퓨터 장비의 교정
3) 전기 부속품의 필드 코일을 새로 감기
4) 전체 유압 파워 밸브의 완전 분해
5) 압력식 캬뷰레터의 오버홀, 및 압력식 연료, 오일 및 유압 펌프의 오버홀

별표 5.1.1.2.C 예방정비의 정의(Definition of Preventive Maintenance)


가. 예방정비 : 복잡한 조립품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 예방정비는 다음
의 작업으로 한정지어 진다.
1) 랜딩 기어 타이어의 장탈, 장착 및 수리
2) 랜딩 기어의 탄성이 있는 쇼크 압쇼버(Elastic Shock Absorber) 코드(Cord) 교환
3) 오일, 공기 또는 두 가지 모두를 보충함으로써 랜딩 기어 쇼크 스트러트 (Shock
Strut)를 서비스
4) 세척 및 구리스 주입과 같은 랜딩 기어 휠(Wheel) 베어링에 대한 서비스
5) 결함있는 풀림방지 안전선(Safety Wiring) 또는 커터 키(Cotter Key)의 교환
6) 커버 플레이트, 카울링 및 페어링과 같은 비구조부 품목의 장탈 이외의 분해를 요하
지 않는 윤활
7) 리브 연결(Stitching)이나 구조부 부품 또는 조종면의 장탈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단순
천 조각 기움
8) 유압유 통에 유압액을 보충하는 것
9) 1차 구조부재 또는 작동 시스템의 장탈 및 분해를 요하지 않으면서 기체, 날개, 꼬
리면(균형 조정판은 제외), 페어링, 카울링, 랜딩 기어, 조종실 내부의 장식용 코팅을
새로 하는 것
10) 관련된 1차 구조물 또는 작동 시스템의 분해를 필요로 하지 않고 코팅하는 것이
장비품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장비품에 보존 또는 보호 물질을 칠
하는 것
11) 수리 작업이 1차 구조물이나 작동 시스템에 대한 분해를 요하지 않거나 작동시스
템에 간섭을 안주거나 또는 1차 구조물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객실 또는 조종실
의 실내 장식품 또는 장식용 비품의 수리함
12) 페어링, 비구조적인 덮개판, 카울링, 작은 조각판에 대한 작고 간단한 수리 및 적절
한 공기흐름에 영향을 주는 외형상의 변화가 없는 보강작업
13) 작업이 제어 장비품, 전기 장비품 등과 같은 작동시스템의 구조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측면창의 교환
14) 좌석벨트 교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15) 1차 구조부과 작동 시스템의 분해를 요하지 않는 교환 작업으로써 해당 항공기를


대하여 승인이 된 좌석이나 좌석 부품들을 교환
16) 착륙등(Light) 배선 회로의 끊겨진 회로에 대한 고장탐구와 수리
17) 위치등(Position Light)과 착륙등(Landing Light)의 전구, 반사면, 렌즈 교환
18) 중량과 평형 계산이 필요 없는 휠과 스키의 교환
19) 프로펠러나 비행조종면의 장탈이 필요 없는 카울링의 교환
20) 스파크 플러그의 교환이나 세척 및 스파크 플러그 간극(Gap) 조정
21) 유압 접합부를 제외한 호스 접합부의 교환
22) 미리 제작되어 있는 연료 배관의 교환
23) 연료와 오일 여과기 세척
24) 밧데리의 교환 및 충전 등의 서비스
25) 작동을 하기 위하여 구조부의 역할을 하지 않는 사소한 패스너 (fastener)의 조절
과 교환
26) 항공기 제작사에 의하여 항공기 형식증명 자료의 한 부분으로 만들어진 특별한 장
치로서 연료 탱크 주입구의 직경을 줄이도록 하는 고안된 연료보급 오류 방지 장치
를 장착하는 것. 이를 위하여 제조자는 이 특별한 장치의 장착을 위하여 국토교통
부장관이 인정하는 적합하게 승인을 받은 지침을 제공한다. 또한 이 장착에는 기존
의 주입구의 분해가 필요 없다.

별표 5.10.1.7 수행원칙 : 연간 및 100시간 검사 (Performance Rules : Annual and


100-Hours Inspections)
가. 연간 또는 100시간 검사를 수행하는 자는 검사 전에 항공기와 항공기 엔진을 전체
적으로 세척하고 필요한 모든 점검창, 출입문(Access Door), 페어링, 카울링을 장탈
하거나 열어야 한다.

나. 연간 또는 100시간 검사를 수행하는 자는 해당되는 경우, 다음 항목들을 점검하여야


한다.
1) 동체와 선체(Hull)
가) 직물(Fabric) 및 표피(Skin) - 퇴화(Deterioration), 찌그러짐, 기타 잘못된 것, 연
결부(Fitting)의 결함 또는 불안전한 접합
나) 시스템 및 장비품 - 부적절한 장착, 확실한 결함, 불만족스러운 작동
다) 객실과 조종실
라) 일반사항 - 청결하지 못함, 조종성을 나쁘게 할 수 있는 느슨하게 장착된 장비
마) 좌석과 좌석벨트 - 나쁜 상태 및 명백한 결함
바) 창문과 방풍유리 - 퇴화(Deterioration)된 상태 또는 파손
사) 계기 - 상태의 부실함, 장착상태의 부실함, 표시의 부실함 및 부적절한 작동상태
(해당되는 경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아) 밧데리 - 부적절한 장착상태와 부적절한 충전


자) 모든 계통 - 부적절한 장착상태, 부실한 일반적인 상태, 명백한 결함, 불안전한 부
착상태
2) 엔진과 나셀부분
가) 엔진부분 - 과도한 오일, 연료, 유압유 등의 누설 흔적 및 이러한 누설의 근원
나) 스터드와 너트 - 부적절한 토크치와 명백한 결함
다) 엔진 내부 - 실린더 압축력 및 스크린과 섬프 드레인 프러그(Sump Drain Plug )
상의 금속 조각 또는 외부물질. 만약 실린더의 압축력이 약할 경우, 부적절한 내
부 상태와 부적절한 내부 공차(Tolerance)
라) 엔진 마운트 - 마운트의 균열, 탑재의 느슨함 및 엔진 마운트의 느슨함.
마) 탄력적인 진동 완충기(Dampeners) - 부실한 상태와 퇴화(Deterioration)
바) 엔진 조종 - 결함, 부적절한 움직임, 부적절한 안전조치
사) 관, 호스, 클램프 - 누설, 부적절한 상태, 느슨함
아) 배기관 - 균열, 결함, 부적절한 부착상태
자) 부속품 - 탑재 안전상에 명백한 결점
차) 전체 시스템 - 부적절한 장착, 부실한 일반적 상태, 결함, 불안전한 부착상태
카) 카울링 - 균열과 결함
3) 랜딩 기어 부분
가) 모든 장치들 - 부실한 상태와 불확실한 장착상태
나) 충격흡수 장치 - 부적절한 올레오 기름 수위
다) 링크, 트러스와 그 구성물들 - 적절치 못하거나 과도한 마모, 피로, 비틀림
라) 들어 올림 및 잠금장치 - 부적절한 작동
마) 유압 배관 - 누설
바) 전기장치 - 마찰, 부적절한 스위치의 작동
사) 휠 - 균열, 결함, 베어링의 상태
아) 타이어 - 마모 및 잘려나간 상태
자) 브레이크 - 부적절한 조정
차) 뜨게(Floats) 및 스키 - 불확실한 부작동 상태와 명백한 결함
4) 날개와 동체 중앙부분
가) 부실한 일반 상태
나) 직물이나 표피의 퇴화
다) 뒤틀림
라) 결함 흔적
마) 불확실한 부착상태
5) 꼬리부분 전체
가) 부실한 일반 상태
나) 직물이나 표피의 퇴화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다) 뒤틀림
라) 결함의 증거
마) 불안전한 부착상태
바) 부적절한 부분품의 장착상태
사) 부적절한 부분품의 작동
6) 프로펠러 부분
가) 프로펠러 어셈블리- 균열, 찍힘, 감김, 오일 누설
나) 볼트 - 부적절한 토크와 안전성의 부족
다) 방빙 계통- 부적절한 작동과 명백한 결함
라) 제어 장치-부적절한 작동, 불안전한 장착, 제한된 움직임
7) 항공전자 장비/계기 부분
가) 전자/계기 장비 - 부적절한 장착과 불안전한 탑재
나) 배선과 관로 - 부적절한 경로, 불안전한 탑재, 명백한 결함
다) 본딩(Bonding)과 차폐(Shield) - 부적절한 장착과 부실한 상태
라) 안테나(꼬리 안테나 포함) - 부실한 상태, 불안전한 탑재, 부적절한 동작
8) 전자/전기 분야
가) 배선과 관로 - 부적절한 경로, 불안전한 탑재, 명백한 결함
나) 본딩(Bonding)과 차폐(Shield) - 부적절한 장착과 부실한 상태
9) 본 항목에서 언급되지 않았으나 감항성 지속에 대한 지침이 있는 각 장착된 기타 부
품들- 부적절한 장착과 부적절한 작동
10) 왕복 엔진 항공기의 년간 또는 100시간 검사 후에 이 항공기를 사용 상태로 환원
시키는 것을 승인하는 자는 승인을 하기 전에, 현재 사용 중인 제작사의 아래에 대
한 권고사항에 의거하여 작업수행이 만족스러운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엔진 또
는 항공기 엔진을 작동 점검하여야 한다.
가) 엔진 출력(정적 및 공회전)
나) 마그네토
다) 연료압력 및 오일압력
라) 실린더 온도 및 오일온도
11) 터빈 엔진 항공기의 년간 또는 100시간 검사 후에 이 항공기를 사용 상태로 환원
시키는 것을 승인하는 자는 승인을 하기 전에, 현재 사용 중인 제작사의 권고사항
에 의거하여 작업 수행이 만족스러운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공기 엔진 또는
엔진들을 작동 점검하여야 한다.

별표 5.10.1.9 수리개조승인 기준(requirement for the approval of modifications and


repairs)
가. 수리개조 승인
1) 항공기의 대개조 혹은 대수리 작업은 수리개조 설계가 해당 감항성 기준과 일치되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록 지방항공청이 인가하였거나 혹은 인정한 설계 데이터에 의거하여 실시한다. 다


만, 대개조 범주(별표 5.1.1.2.A) 외의 작업은 인가된 정비조직에서 확인하고, 대수
리 범주(별표 5.1.1.2.B) 외의 작업은 유자격 정비사의 확인으로 가능하다.
가) 승인된 자료
대수리 또는 개조를 위해 사용된 실체적이고 설명적인 기술 자료는 당국자에 의해
승인된다. 다음의 목록은 비록 모든 것을 포함하지는 않았지만 주요한 승인된 자료
를 보여준다.
(1) 형식증명자료집(TCDS)
(2) 수리․개조된 품목에 대하여 명확하게 적용된 부가형식증명(STC) 자료
(3) 대수리의 경우 장비품 제작사의 교범 또는 설명서
(4) 감항성개선지시서(AD)
(5) 대수기 및 개조 승인서 : 동일 형식의 다수 항공기를 승인하기 위해 사용된 것
(6) 구조수리교범(SRM)에서 제작국 감항당국이 인가한 부분
(7) 위촉기술검사관 (DER)이 승인한 자료
(8) 위촉개조사업체(DAS)의 FAA 승인 자료
(9) 정부가 승인한 외국 항공기의 사용을 위하여 외국 당국에 의해 승인된 외국 기술
자료
(10) TSO 하에서 정부가 승인한 개조에 사용된 품목 또는 장비품을 기술한 자료
(11) 부품 제작자 인가(PMA) 하에서 정부가 승인한 개조에 사용된 부품 또는 장비품
을 기술한 자료
(12) 정부가 승인한 정비개선회보(SB) 및 문서 또는 DER 인가를 포함한 유사한 문

(13) 상호협정된 국가 내에 위치한 외국 제작사 및 외국 민간 항공국에 발행된 세부
능력 인정 문서에 의해 제조된 정부가 승인한 제품 사용에 적용되는 외국 기술
자료
(14) 정부가 인가한 기타 자료
나) 인정할 수 있는 자료
다음은 인정할 수 있는 자료의 예이며, 수리 또는 개조를 입증하기 위해 승인된 자료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로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
(1) 제작사 교범
(2) 대수리 및 개조 승인서: 상세한 자료가 이전에 일회성 개조 또는 수리로서 인가
되었을 때, 이후의 개조를 위해 승인된 자료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로서 사용될
수 있다.
(3) 정부가 승인한 적이 없는 구조수리교범(SRM)에 포함된 자료
(4) FAA Advisory Circular 43.13-2 (항공기 개조에 관한 인정할 수 있는 방법, 기
술 및 이행절차),
(5) FAA Advisory Circular (AC) 43.13-1B (항공기 검사 및 수리에 관한 인정할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수 있는 방법, 기술 및 이행절차)
(6) 원천 장비제작사(OEM)의 구조수리교범(SRM)
2) 수리개조승인 신청자는 수리 또는 개조의 대상 항공기에 관한 설계원리에 대하여 지
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 당해 항공 제품의 최초 형식 증명으로부터 획득한 각종 분
석 및 시험 보고 자료를 이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 형식설계 책임 조직의 자격을 갖
춘 직원이 개조 혹은 수리의 설계에 참여하거나 검토할 것을 권고한다. 이와 같은
협조를 받을 수 없을 경우에는 신청자는 다음과 같은 요건을 구비하여야 한다.
가) 해당 기술에 대하여 포괄적인 지식, 경험, 능력을 갖고 있어서, 필요한 부분에 대
해 최초의 설계 원리로 회귀할 수 있는 심층적 분석 작업을 실시한 바가 있다.
나) 당해 항공기의 형식설계에 관해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 설계
국가의 감항성 기관에 자문한다.
3) 수리계획서 또는 개조계획서에는 수리 또는 개조에 필요한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
함되어야 한다.
가) 인력, 장비, 시설
나) 자재목록
다) 도면․도면목록
라) 작업일정 및 작업지시서
마) 인가된 정비조직의 업무범위
4) 신청자는 지방항공청장이 수리계획서 또는 개조계획서 만으로 승인을 위한 확인이
곤란하다고 판단한 때에는 수리 또는 개조작업 완료 후 시행규칙 별지 제13호의2
서식의 항공기 등의 수리․개조 결과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5) 신청인은 미연방항공청에서 인정한 위임기술심사관(DER : Designated Engineering
Representative)의 승인을 받은 방법으로 항공기 등 또는 장비품․부품을 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승인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다만, 승인자료에 대한 점유권 등으로
자료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때에는 기술적 타당성을 평가한 자료로 대체할 수 있다.

나. 수리개조 승인 적용
1) 대수리
항공기, 발동기, 프로펠러 및 장비품 등의 고장 또는 결함으로 중량, 평형, 구조강도,
성능, 발동기작동, 비행특성 및 기타 품질에 상당하게 작용하여 감항성에 영향을 주
는 것으로 간단하고 기초적인 작업으로는 종료할 수 없는 수리로서 운항기술기준 별
표 5.1.1.2.B에서 정의하는 수리사항으로 국토교통부의 승인(Approval) 또는 인정
(Acceptance)을 받지 않은 기술 자료에 의한 작업
2) 대개조
항공기, 발동기, 프로펠러 및 장비품 등의 설계서에 없는 항목의 변경으로서 중량,
평형, 구조강도, 성능, 발동기 작동, 비행특성 및 기타 품질에 상당하게 작용하여 감
항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간단하고 기초적인 작업으로는 종료할 수 없는 개조로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운항기술기준 별표 5.1.1.2.A에서 정의하는 개조사항으로 국토교통부의 승인


(Approval) 또는 인정(Acceptance)을 받지 않은 기술 자료에 의한 작업
3) 1)항 및 2)항에도 불구하고, 신청자는 수리․개조승인 대상 적용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에
는 지방항공청장과 협의하여 수리․개조승인 적용을 결정하여야 한다.

다. 수리․개조결과서
1) 항공기등 또는 장비품․부품의 수리․개조로 인하여 감항성에 영향을 준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법 제15조제6항에 따라 감항증명의 효력을 정지시키거나 유효기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2) 항공기등 또는 장비품․부품의 수리․개조로 인하여 항공기의 비행교범 또는 운용한계
(최대이륙중량, 탑승한계, 기타 등) 등에 변경이 생긴 경우에는 운용한계지정서를 개
정하거나 비행교범을 임시 개정토록 조치 할 수 있다.

별표 5.11.1.1 대수리 및 대개조의 기록 (Recording of Major Repairs and Major


Modifications)
가. 대수리 및 대개조를 수행하는 자는 다음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1) 국토교통부장관이 규정한 해당 양식을 적어도 2부 작성
2) 상기 양식에 서명한 것을 항공기 소유자/운영자에게 제공
3) 상기 양식의 사본 1부를 지방항공청장에게, 국토교통부장관의 지침에 의거하여, 항
공 제품이 사용 상태로 환원된 후 48시간 이내에 제출할 것

나. 교범이나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할 수 있는 사양서(Specification)에 의거하여 이루


어진 대수리에 대한 상기 가 항에서의 요구 조건에 대신하여, 승인된 정비조직은 다
음을 할 수 있다.
1) 해당 수리작업이 기록된 고객의 작업지시서(Work Order)를 사용
2) 항공기 소유자에게 작업지시서의 서명한 것을 제공하고 복사본을 해당 항공 제품을
사용 상태로 환원하는 것을 승인한 날로부터 적어도 1년간은 복사본 1부를 보관
3) 항공기 소유자에게 승인된 정비조직의 인가된 대표자에 의해 서명되고 다음의 정보
를 수록하고 있는 정비확인서를 제공한다.
가) 항공 제품의 명칭
나) 항공기일 경우: 제조자, 모델, 일련번호, 국적 및 등록기호, 수리처
다) 항공 제품일 경우: 제조자 이름, 부품명칭, 모델, 일련번호
4) 다음과 같거나 유사한 글을 삽입함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위에서 기록된 항공 제품은 현재 유효하고 적용되는 설계 국가의 지침과


국토교통부장관의 법적 요구조건에 의거하여 수리, 오버홀, 및 검사되었
으며 사용상태로 환원이 승인됨.

수리와 관련된 세부사항들은 본 정비조직에 서류로 보관되어 있음.

작업지시서 번호 : 날짜 :

서명(인가된 대표자의 서명):

(시설명칭) (정비조직(AMO) 인가 번호)

(주소)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다. 다음의 양식은 대개조 및 대수리 기록을 위하여 사용됨

[국가]
대수리․개조 인증서
국토교통부 사용
(기체, 발동기, 프로펠러, 기기)
국토교통부 확인
지침 : 다음의 모든 항목을 기재하되, 세부 기재요령은 운항기술기준 제5장, 5.7.1.1 및 별표 5.7.1.1
참조 바람.
제작사 모델

1. 항공기
일련 번호 국적 및 등록기호

성명/명칙(항공기 등록증에 명시된 자) 주소(항공기 등록증에 명시된 자)


2. 소유자

3. 국토교통부 사용

4. 품목 확인 5. 작업 형식
품목 제작사 모델 일련 번호 수리 개조
기체 -------(1항에 명시됨)-----

발동기

프로펠러

형식
기기
제작사

6. 적합성 진술문
A. 정비조직: 명칭/성명 및 주소 B. 면허종류 및 정비조직 C. 증명서/면허 번호
□ 면허 □ 항공정비사 □ 항공공 (정비조직의 경우 소지한 한정도 함께 명시)
장정비사
□ 인가된 정비조직
□ 제작사
D. 위 4항의 개조 혹은/ 및 수리작업 및 뒷면에 명시된 작업은 운항기술기준 제5장의 규정에 따라 수행되
었음을 확인함 .
일자 인가자의 성명

7. 정비확인 승인
상기 4항(품목확인)에 명시된 품목에 대한 작업은 국토교통부장관이 규정한 대로 검사하였으며,
그 결과 □ 합격 □ 불합격 되었음.
방 □ 정부검사관 □ 검사 승인 기타 (구체적으로 명시)
법 □ 정비조직 □ 기타
합격 또는 불합격 일자 인증 또는 지정번호 서명 또는 인가자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주 의 (Notice)
중량 및 무게평형 또는 운영제한 변경사항은 해당 항공기 기록부에 기재하여야 하며,
수행된 개조사항은 해당 감항요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이전의 개조사항과 호환되어야
한다.

8. 작업 개요 (Description of Work Accomplished)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표 7.1.10 정밀계기접근 제2종(CAT-II) : 계기 및 장비의 승인과 정비 요건


가. 일반 : 이 규정 7.1.9에서 요구하는 계기와 장비는 정밀계기접근 제2종(CAT II) 운
항 전에 동 별표에 맞게 승인을 받아야 한다. 계기와 장비 승인을 위해 항공기 신청
서를 제출하기 전에 제출일 이전 12개월 내에 다음 사항을 입증하여야 한다.
1) ILS Localizer와 Glide Slope 장비는 제작자 지시(Manufacturers Instructions)에
따라 벤치체크(Bench checked) 되었고, RTCA Paper 23-63/DO-177 Dated
March 14, 1963에 규정된 기준   Standards Adjustment Criteria for airborne
Localizer and Glide Slope Receivers 에 적합할 것
2) 고도계와 정압계통은 시험 및 검사가 이행되었고,
3) 이 규정 7.1.9에 명시된 기타 모든 계기와 장비는 계획된 정비프로그램에 따라 벤치
체크 되고 제작자 사양(Manufacturers Specifications)을 충족할 것

나. 비행조종유도장치 : 비행조종유도장치(Flight Control Guidance System)의 모든 장


비품은 형식증명 또는 추가형식증명 절차에 따라 정밀계기접근 제3종(CAT III) 운항
을 위한 인가를 받지 않았을 경우, 마항에 명시된 평가프로그램에 따라 승인을 받고
장착되어야 한다. 이후 장비품의 제작사, 모델 또는 디자인에 대하여 변경이 있는 경
우 이 항에 따라 승인을 받아야 한다. Auto-throttle 및 Computed Missed
Approach Guidance System 등과 같은 관련된 시스템 또는 장치 등도 CAT II 운
항을 위해서 사용될 경우, 위와 같은 방법으로 승인 받아야 한다.

다. 전파고도계. 전파고도계는 최초 승인과 이후의 매 개조마다 이 항의 성능기준에 적


합하여야 한다.
1) 운항승무원이 지상으로부터 주 랜딩기어 바퀴 높이까지 분명하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것.
2) 다음과 같은 조건하에서 지상으로부터 바퀴 높이까지 ±5피트 또는 5퍼센트 정확도
중 더 높은 정확도로 표시되어져야 한다.
가) 평균 접근자세에 대한 0º에서 ±5º 의 피치각도(Pitch Angles)
나) 양방향으로 0º에서 ±20º의회전각도( Roll Angle)
다) 최소접근속도에서 200노트까지의 속도(Forward Velocities)
라) 100에서 200피트까지의 고도에서 초당 0에서 15피트의 강하율
3) 지표면상공에서 심각한 지연오차나 고도지시의 진동현상이 없이 항공기의 실제 고도
를 나타낼 수 있어야한다.
4) 고도 200피트 이하에서는, 항공기의 고도의 10퍼센트 이내의 급격한 지형변화가 고
도계의 지시불능(unlock)을 야기 시켜서는 아니되며, 이러한 변화에 대한 지시계 반
응도 0.1초를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더욱이 변화가 커서 고도를 지시하지 못하더라
도 1초 이내에 신호(Signal)를 감지해야한다.
5) Push to test 기능이 있는 시스템은 500피트 미만의 가상고도(Simulated Altitude)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에서 전체 시스템(안테나가 있든 없든) 전체를 시험할 수 있어야 한다.


6) 설계된 작동고도 범위 내에서 동력원을 상실하거나 지상 반사 신호가 없는 경우 시
스템의 부작동 경고가 운항승무원에게 명확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라. 기타 계기와 장비. 이 규정 7.1.9에서 요구하는 기타 모든 계기와 장비는 CAT Ⅱ


운항을 위해 필요한 성능을 갖추어야 한다. 이들 각 장비 및 계기를 개조한 후에는
승인을 받아야 한다.

마. 평가 프로그램
1) 적용 : 평가에 의한 승인은 CAT II 매뉴얼 인가 신청의 한 부분으로서 필요하다.
2) 시현 :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별도의 인가를 받지 않는 한, 각 항공기의 평가 프
로그램은 이 조항에 명시된 시현을 거쳐야 한다. 최소 50회의 ILS 접근이 이루어져
야 하며, 이 경우 각각 다른 3개의 ILS 시설에서 각각 최소 5번의 접근이 실시되어
야 하고, 총 접근의 1/2 이상이 하나의 ILS 시설에서 실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모든 접근은 100피트 결심고도(DH)까지 모의계기 상황 하에서 실시되어야 하며, 총
접근 중 90퍼센트는 성공적인 접근이 되어야한다. 성공적인 접근은 다음에서 정한
기준을 충족하여야 한다.
가) 결심고도(DH) 100피트에서, 지시속도와 항공기 기수는 정상 플레어와 착륙을 위
해 만족할 것(속도는 규정 속도에서 ± 5노트이어야 하나 Auto throttle을 사용할
경우 Computed Threshold Speed 보다 적어서는 아니된다)
나) 결심고도(DH) 100 피트에서, 항공기는 활주로 연장선에 정대되어 조종석과 항공
기의 경로(Track)가 유지되도록 위치할 것
다) 외측마커를 지난 후 활공각 제공시설(Glide Slope)에서의 이탈은 ILS 계기에 나타
나는 전체눈금(Full Scale)의 50퍼센트를 초과하지 않아야 할 것
라) 중간 마커를 지난 후, 비정상적이고 과도한 자세변화가 없을 것
마) Approach Coupler를 장착한 항공기의 경우, 항공기는 충분히 조정(in-Trim)되어
결심고도(DH)에서 Approach Coupler가 풀어져도 정상적으로 접근과 착륙을 계속
할 수 있을 것.
3) 기록. 평가프로그램을 이행하는 동안 신청자는 각 접근과 관련된 항공기에 대한 다
음 각목의 정보를 유지하여야 하며, 국토교통부에서 요구할 경우 즉시 이를 제시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가) 접근시도를 방해하는 계기와 장비의 결함
나) 계속 접근을 하지 못한 활주로 상으로부터의 고도를 포함하여 접근을 계속하지 못
한 이유
다) 자동추력(Auto throttle)을 사용하였을 경우 결심고도(DH) 100 피트에서의 속도
조절상태
라) 플레어(flare)와 착륙을 수행하는 중에 Auto Coupler를 차단했을 때의 항공기 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정(Trim) 상태
마) 기본적인 계기착륙시설 표시기(ILS Display) 도해와 중간마커까지 연장된 활주로
도해 등 두 도해에 표시된 중간마커에서의 항공기 위치와 결심고도(DH)에서의 항
공기 위치. 예상 접지지점이 활주로 도해 상에 표시되어야 함
바) 가능한 경우, Flight Director와 Auto Coupler의 일치성
사)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의 품질
4) 평가 : 비행조종유도장치의 최종평가는 시현(Demonstration)의 성공적인 종료로 이
루어진다. 만약에 위험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고 별도의 특이사항이 없는 한, 시스템
이 장착된 대로 인가된다.

바. 정밀계기접근 제2종 계기와 장비에 대한 각 정비프로그램은 다음 사항을 포함해야


한다.
1) 이 규정 7.1.9 가항 1)에 명시된 제작사와 모델을 포함하여 항공기에 장착되고 CAT
Ⅱ 운항을 위해 인가를 받은 이 규정 7.1.9에 명시된 각 계기와 장비의 목록
2) 이전의 검사 수행일 이후 3개월 이내에 5)에 따른 검사수행계획. 기능비행검사로 대
신할 수 있는 대체검사를 제외하고, 검사는 이 규정 제5장 항공기 감항성에 따라 인
가 받은 사람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다만, 대체검사(alternate inspection)는 기능
비행검사(Functional flight check)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기능비행검사는 검사 받
으려는 해당형식의 항공기에 대하여 CAT Ⅱ 조종사 자격을 인가 받은 조종사가 수
행할 수 있음
3) 이전의 벤치체크(bench check) 수행일 이후 12개월 이내에 이 규정 7.1.9, 가항 1)
에 명시된 계기와 장비에 대한 벤치체크(bench check)를 수행 할 것
4) 이전의 시험과 검사일 이후 12개월 이내에 각 정압시스템의 시험과 검사수행계획
5) 이 규정 7.1.9, 가항 1)에 명시된 각 계기와 장비의 성능이 인가 받은 대로 CAT Ⅱ
운항을 수행할 수 있는지 측정하기 위한 정기검사절차와 기능비행검사(functional
flight check) 기록절차를 포함한 기능비행검사(functional flight checks) 수행절차
6) 수록된 계기와 장비의 모든 결함을 조종사에게 알려주는 것을 보장하는 절차
7) 수록된 계기와 장비에 대해 정비수행 후 CAT Ⅱ 운항을 재개하기 전 이들의 상태
가 최소한 CAT Ⅱ 인가조건과 동등함을 보장해 주는 절차
8) 장비나 계기의 부작동으로 정밀계기접근 제2종 운항이 중단된 이유, 날짜, 공항을
볼 수 있도록 정비기록부에 기록하는 절차

사. 벤치체크(Bench Check) : 이 조항에 의해 요구되는 벤치체크는 이 항을 따라야 한다.


1) 2)에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벤치체크 검사를 해야 할 장비에 적합한 다음의 한
정자격 중 하나를 보유한 인가된 수리공장(Certificated repair station)에서 수행되
어야 한다.
가) 계기한정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나) 전자한정
2) 벤치체크는 이 규정 제9장의 지속정비프로그램이나 이와 동등한 시스템에 따라 정
비를 수행하고 사용 가능품으로 환원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은 특
정 운영기준 조항에 해당하는 항공기를 운영하는 항공사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3) 벤치체크는 계기나 장비의 장탈과 아래사항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 청결을 위한 시각점검, 잠재결함(Impending failure), 윤활의 필요성, 수리, 부품교환
나) 시각점검에 의해 발견된 항목에 대한 수정
다) 계기와 장비가 장착된 항공기에 대하여 인가된 CAT II 교범에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최소한 제작자 사양에 따른 교정
아. 기간 연장 : 12개월의 정비주기가 만료된 후 특정장비 성능이 정당하게 연장할 수
N있음을 증명하는 경우에는 점검, 시험, 검사에 대한 기간 연장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별표 7.1.14.6 산소저장과 분배장치


가. 비여압 항공기에 대한 추가산소 공급 요건은 다음과 같다.
1) 운항승무원 : 조종실 근무를 하는 각 운항승무원은 아래 표 1에 따른 추가산소를 공
급받아야 한다. 만약 조종실 좌석 점유자가 운항승무원용에서 산소를 공급받는다면
산소공급 요건에 있어서는 모두 조종실 근무를 하는 운항승무원으로 간주한다.
2) 객실승무원, 추가승무원 및 승객 : 객실승무원과 승객들은 아래 표 1에 따른 산소를
공급받아야 한다. 최소필요요구 객실승무원 이외의 추가승무원은 산소공급 요건에
있어서는 승객으로 간주한다.
표 1 - 비여압 항공기에 대한 추가산소

공급대상 기간과 기압고도

1. 조종실 임무중인 기압고도 10,000피트를 초과하는 구간의 전


좌석의 모든 자 비행시간
기압고도 13,000피트를 초과하는 구간의 전
2. 요구되는 객실승무원 비행시간과 기압고도 10,000피트 초과
전원 13,000피트 이하 구간의 30분을 초과하는 기

기압고도 13,000피트를 초과하는 구간의 전


3. 승객 전원
비행시간

기압고도 10,000피트 초과 13,000피트 이하


4. 승객의 10퍼센트
구간의 30분 이후의 전 비행시간

나. 여압 항공기에 대한 추가산소 공급 요건은 다음과 같다.


1) 추가산소 요구량은 객실여압 주작동이 산소를 가장 필요로 하는 비행고도나 시점에
서 발생하여 항공기 비행규정에 명시된 비상절차에 따라 계속적인 안전한 비행과 착
륙이 가능한 순항고도까지 강하한다는 가정과 객실기압고도 그리고 비행시간 등을
기준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2) 객실 또는 여압계통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객실압력고도가 항공기 고도와 같아지지


않음을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입증하지 못하는 한, 객실 또는 여압계통 부작동에 따른
객실기압고도는 항공기 고도와 같은 것으로 간주한다. 입증된 경우에는 항공기 고도
보다 낮은 객실기압고도가 산소공급량 결정을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다.
3) 운항승무원
가) 조종실 근무 운항승무원은 표 2에 따른 추가산소를 공급받아야 한다. 만약 조종실
좌석 점유자가 운항승무원용에서 산소를 공급받는다면, 산소공급 요건에 있어서는
조종실 근무를 하는 운항승무원으로 간주한다. 운항승무원용 산소를 공급받지 않
는 조종실 좌석 점유자가 있을 경우에는 승객으로 간주되는 산소공급요건을 충족
해야 한다.
4) 객실승무원, 추가 승무원 및 승객
가) 객실승무원과 승객들은 표2에 따른 추가산소를 공급받아야 한다. 최소 필요 객실
승무원 이외의 추가승무원은 산소공급 요건에 있어서는 승객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나) 표 2에 명시된 것처럼 고도 25,000피트를 초과하는 고도의 비행인가를 받지 못한
항공기의 산소공급 요건은, 비행하려는 항로의 모든 지점에서 항공기가 4분 이내
에 객실기압고도 14,000피트까지 안전하게 강하할 수 있는 경우라면, 객실기압고
도 10,000피트에서 14,000피트 사이의 비행시간 동안 객실승무원 전원과 승객의
최소 10퍼센트에 필요한 산소량으로 될 수 있다.
표2 - 추가산소 요건 - 여압 비행기의 비상강하 (주1)
공급대상 기간과 객실기압고도
객실기압고도가 13,000피트를 초과하는 구간의 전 비행시
간, 그리고 객실기압고도 10,000피트 초과 13,000피트 이
하 구간의 비행시간에서 처음 30분 이후의 전 비행시간,
그러나 다음보다 적어서는 아니 된다.
1. 운항승무원
25,000피트 이하의 고도로 비행이 면허된 비행기에 대하
여는 30분 (주2)
25,000피트를 초과하는 고도로 비행이 면허된 비행기 대
하여는 2시간 (주3)
객실기압고도 13,000피트를 초과하는 구간의 전 비행시
간, 그러나 30분 보다 적어서는 아니된다. (주2) 그리고
2. 객실승무원
객실기압고도 10,000피트 초과 13,000피트 이하 구간의
처음 30분 이후의 전 비행시간
10분 또는 객실기압고도 15,000 피트를 초과하는 구간의
3. 승객 전원
전 비행시간 중에서 더 많은 시간 (주4)
객실기압고도 14,000피트 초과 15,000피트 이하 구간의
4. 승객의 30퍼센트
전 비행시간
객실기압고도 10,000피트 초과 14,000피트 이하 구간의
5. 승객의 10퍼센트
처음 30분 이후의 전 비행시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주1 노선 및 관련항로에 대한 객실기압고도와 강하계획경로(Profile) 등을 고려해야


한다.
주2 요구되는 산소 최소 공급요건은 항공기의 최대인가운용고도에서 일정 강하율로
10,000피트까지의 10분과 10,000피트에서 20분 동안 필요한 산소량이다
주3 요구되는 산소 최소 공급요건은 항공기의 최대인가운용고도에서 일정 강하율로
10,000피트까지의 10분과 10,000피트에서 110분 동안 필요한 산소량이다. 이
장의 승무원 호흡보호장비(PBE) 조항을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산소량도 여기
서 요구하는 공급량에 포함된다.
주4 요구되는 산소 최소 공급요건은 항공기의 최대인가운용고도에서 일정 강하율로
15,000피트까지 강하하는 동안 필요한 산소량이다.

별표 7.1.14.9 비상구 장비(Exit Door Equipment)


가. 객실 비상구를 보조하는 장비는 항공기의 형식증명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나. 각 승객 비상구의 위치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1) 객실의 폭 만큼 떨어진 거리에서도 알아 볼 수 있을 것
2) 객실 주 통로로 접근하는 사람이 볼 수 있는 신호로 표시될 것
다. 다음과 같은 비상구 위치 표시가 있어야 한다.
1) 각 날개 위쪽에 있는 승객 비상구 근처의 통로 위, 또는 머리 위 공간이 낮아 다른
천장이 더 실용적이라면 다른 천장에 표시
2) 하나의 표시로 양쪽 비상구를 이용할 수 있게 잘 보이는 경우를 제외하고 각 객실비
상구 바로 옆에 위치할 것.
3) 객실의 전후 시야를 방해하는 차단벽(Bulkhead)이나 칸막이(divider)가 있어 비상구
가 가려지면 각 차단벽이나 칸막이 위에 표시. 이것이 불가능하다면 예외적으로 다
른 적합한 장소에 표시할 수도 있다.
라. 국토교통부장관이 이 항의 이행에 대하여 기타 조건을 언급하지 않는 한, 각 승객
비상구 표시와 위치표시등은 항공기가 형식증명을 받을 당시의 기내 비상구 표시 요
건을 충족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주 : 표시등의 밝기가 250마이크로램버트(microlamberts) 이하로 떨어지면 이를 계
속 사용해서는 아니된다.
마. 비상조명 시스템 전원이 주 조명시스템과 분리되었다면, 일반적 객실 조명 시스템은
비상조명과 주 조명 시스템을 공동으로 사용되도록 한다.
바. 비상조명 시스템은 객실 통로의 중간을 따라 좌석 팔걸이 높이에서 40인치 간격으로
측정한 평균 조명이 최소한 0.05피트-칸델라로서, 객실 전체를 비출 수 있어야 한다.
사. 각 비상 조명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1) 운항승무원 좌석과 정상적인 객실승무원 좌석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서 모두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을 것
2) 수동조작으로 부주의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있을 것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3) 어느 위치에서라도 작동대기(ARM)나 작동상태로 놓았을 때 항공기의 정상 전원이


정전되면 켜지거나 계속 켜져 있을 것
4) 비상착륙 후 최악의 상태에서도 최소한 10분 동안 요구되는 정도의 밝기는 제공할 것
5) 켜짐(ON), 꺼짐(OFF), 작동대기(Armed) 위치가 있고 조종실에서 조작하는 장치가
있을 것
아. 항공당국이 이 항의 이행에 대하여 기타 조건을 언급하지 않는 한, 각 승객 비상구
손잡이 위치와 이를 열 수 있는 설명서가 항공기 형식증명요건에 부합하도록 보일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자. 작동 핸들이나 작동 핸들 커버의 밝기가 100마이크로램버트(microlamberts) 이하로
떨어지면 이를 계속 사용할 수 없다.
차. 비상구 접근통로는 각 여객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치되어야한다.
1) 각각의 승객지역사이의 통로와 타입 I 또는 타입 II 비상구로 향하는 통로는 장애물
이 없어야 하고 최소 20인치 폭은 되어야 한다.
2) 1)에서 요구하는 통로의 폭을 유지하면서 승무원이 승객 탈출을 도울 수 있도록 각
타입 I이나 타입 II 비상구 옆에는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한다.
3) 주 통로에서 각 타입 III와 타입 IV 출구로의 접근이 되어야 한다. 통로에서 이들 출
구로의 접근은 좌석, 침대, 기타 출구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돌출물에 의해 방해되
지 않아야 한다. 국토교통부장관이 이 항의 이행에 대하여 기타 조건을 언급하지 않
는 한, 접근은 항공기가 형식증명을 받을 당시의 비상출구 접근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4) 만약, 객실 내 어느 좌석으로부터 요구되는 비상구에 가기 위해 객실 간을 통과해야
할 경우에 통로에는 방해물이 없어야 한다. 그러나 통로에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는
경우의 커텐은 사용이 가능하다.
5) 객실 간 칸막이에는 문을 설치해서는 아니된다.
6) 만약 어느 승객 좌석으로부터 요구되는 비상구에 도달하기 위해 객실과 다른 장소를
분리시키고 있는 문을 통과해야 할 경우, 문은 열린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장치가 있
어야 하며 이․착륙하는 동안은 문은 열린 위치에 고정시켜야 한다. 고정시키는 장치
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 형식증명에 대한 감항성 기준에 명시된 것처럼 문이 주변
구조물과 관련되어 관성력을 받는 경우 이로 인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카. 각 승객 비상구와 밖에서 열 수 있는 장치는 항공기 동체 옆면 바깥쪽 출구에 2인치
유색 테두리로 표시되어야 한다.
타. 각 승객 비상구의 표시와 띠는 주변의 동체와는 색깔로 대조를 이루어 잘 구별되게
해야 하며 다음을 따라야 한다.
1) 만약 검은색의 반사율이 15퍼센트 이하인 경우 밝은 색의 반사율은 최소 45%이상
일 것.
2) 만약 검은색의 반사율이 15퍼센트 이상인 경우 검은 색의 반사율과 밝은 색의 반사
율간의 차이는 최고 30퍼센트 이상일 것.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주. "반사율"은 물체에서 반사되는 빛과 이것이 받아들이는 빛의 비율이다.


3) 동체 측면이 아닌 곳에 있는 출구는 외부문을 열고 이에 대한 지시서가 잘 보이는
빨강색으로 외부에 표시되어야 하며 빨강이 배경색깔과 결합되어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 경우 밝은 연황색으로 한다. 이러한 출구를 여는 장치가 오직 동체 한쪽 면에
만 있다면 다른 쪽에도 눈에 잘 보이는 표시를 해야 한다.
파. 국토교통부장관이 이 항의 이행에 대하여 기타 조건을 언급하지 않는 한, 승객 운송
용 항공기는 형식증명요건에 부합하도록 항공기 외등(Exterior lighting)을 갖추어야
한다.
하. 국토교통부장관이 이 항의 이행에 대하여 기타 조건을 언급하지 않는 한, 승객 운송용
항공기는 형식증명요건에 부합하도록 미끄럼방지용 비상탈출로를 장착하여야한다.
거. 44인치 이상 높이와 20인치 이상 46인치 이하의 폭을 가진 객실바닥높이 문이나 동
체측면 출구(객실로부터 접근할 수 없는 화물칸 문 제외), 동체앞면출구(ventral
exit), 테일콘 출구(tail cone exit)는 이장의 객실바닥높이 비상구의 요구사항을 따
라야 한다.
주. 국토교통부장관이 이 조항을 준수하는 것이 비실용적이고 수용할 만한 안전도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는 이장에 따르지 않아도 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너. 최소 필요 비상구 수를 초과하는 객실내의 인가된 비상구들도 이 장에 적용되는 모
든 조항들을 따라야 하며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한다..
더. 대형 여객운송 터보제트 항공기에 각 동체복부출구와 테일콘 출구는 다음을 충족하
여야 한다.
1) 비행 중 열리지 않게 설계, 제작되어야 한다.
2) 30인치 떨어진 곳에서도 읽을 수 있도록 플래카드를 부착해야 하고, 비행 중 열리지
않게 설계 제작되었다고 표시하여 출구개폐장치 부근에 눈에 잘 띄는 위치에 장착되
어야한다.

별표 7.1.17.2 비행자료기록장치의 형식 및 파라미터(Flight Data Recorders -Type


and Parameters) - 비행기(Aeroplane)
가. 비행자료기록장치(FDR)는 기록되는 파라미터의 수와 기록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지속성에 따라 Type I, Type IA, Type II 및 Type IIA으로 분류된다.
1) Type IA FDR은 표 - Parameter Guidance for Crash Protected Flight Data
Recorders (Aeroplane)에 수록된 78가지 파라미터를 기록할 수 있는 성능을 가져
야 한다.
2) Type I FDR은 표 - Parameter Guidance for Crash Protected Flight Data
Recorders (Aeroplane)에 수록된 1번부터 32번까지의 파라미터를 기록할 수 있는
성능을 가져야 한다.
3) Type II 및 IIA FDR은 표 - Parameter Guidance for Crash Protected Flight
Data Recorders (Aeroplane)에 수록된 1번부터 16번까지의 파라미터를 기록할 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있는 성능을 가져야 한다.


표 - Parameter Guidance for Crash Protected Flight Data Recorders
(Aeroplane)
나. FDR의 요건을 만족하는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이 경우 기록되는 파라미터의 수는
비행기의 복잡성에 따라 다르며, 다음 중 별표(*)가 표시된 파라미터를 제외한 파라
미터는 항상 기록되어야 한다. 다만 별표(*)가 표시된 파라미터가 비행기 조작에 대한
운항승무원 또는 비행기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파라미터의 원천자료 정보
(information data source)라면 기록되어야 한다. 다만, 다른 파라미터는 항공기 종류와
기록장비의 특징을 감안하여 대신할 수 있다.
1) 비행경로와 속도에 대한 안전요구 파라미터들은 아래와 같다.
  - 기압고도
  - 계기비행속도(IAS) 또는 수정비행속도(CAS)
  - 실질적인 각 착륙장치의 Air-ground 상태
  - 전체 및 외부대기온도(total or outside air temperature)
  - 기수방위(조종승무원이 참조하는)
  - 정상 가속도
  - 종축 가속도
  - 횡축 가속도
  - 시간 또는 관계있는 시간계산
  - 항행자료* : 편류각, 풍속, 풍향, 위도/경도
  - 대지속도*
  - 전파고도(Radio Altimeter)*
2) 비행자세에 대한 안전요구 파라미터들은 아래와 같다.
  - pitch 자세
  - roll 자세
  - yaw 또는 sideslip 각도*
  - 받음각(AOA)*
3) 엔진추력에 대한 안전요구 파라미터들은 아래와 같다.
  - 엔진추력/출력 : 각 엔진의 추진추력/출력, 조종실의 추력/출력 레버 위치
- 역추력 상태*(Thrust reverse status*)
  - 엔진 추력지시*(Engine thrust command*)
  - 엔진 목표추력*(Engine thrust target*)
  - 엔진 블리드 밸브 위치*(Engine bleed valve position*)
  - 부가적 엔진 파라미터* : EPR, N1, 진동 정도 표시(indicated vibration level),
N2, EGT, TLA, fuel flow, 연료잠금 위치(fuel cut-off lever position), N3
4) 배열(Configuration)에 대한 안전요구 파라미터들은 아래와 같다.
  - Pitch trim 면 위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 Flaps*: flap 뒷전 위치, 조종실 조종 선택(cockpit control selection)


  - Slats*: flap (slat) 앞전 위치, 조종실 조종 선택
  - Landing gear*: 착륙장치, 장치선택위치(gear selector position)
  - Yaw trim 면 위치*
  - Roll trim 면 위치*
  - 조종실 트림 조종 Pitch 위치 입력*
  - 조종실 트림 조종 Roll 위치 입력*
  - 조종실 트림 조종 Yaw 위치 입력*
  - 지상 spoiler 와 speed brake*: 지상 spoiler 위치, 지상spoiler 선택, speed
brake 위치, speed brake 선택
  - 제빙 및 방빙 시스템 선택*
  - 유압(각 시스템)*
  - 연료량*
  - AC electrical bus 상태*
  - DC electrical bus 상태*
  - APU bleed 벨브 위치*
  - 계산된 무게중심*
5) 운항에 대한 안전요구 파라미터들은 아래와 같다.
  - 경고(Warnings)
  - 주 조종면과 주조종 입력(primary flight control pilot input : pitch 축, roll 축,
yaw 축
  - Marker 통과 신호
  - 각 항행 수신 주파수 선택
  - 수동조작 radio 변화 key조작 및 CVR/FDR 동기화 관계
  - 자동조종/자동추력/자동비행조종시스템(AFCS)모드 및 이행상태*
  - 선택된 기압계 조정*: 조종사, 운항승무원
  - 선택된 고도(모든 조종사가 선택 가능한 운항모드)*
  - 선택된 속도(모든 조종사가 선택 가능한 운항모드)*
  - 선택된 Mach(모든 조종사가 선택 가능한 운항모드)*
  - 선택된 수직 속도(모든 조종사가 선택 가능한 운항모드)*
  - 선택된 기수방위(모든 조종사가 선택 가능한 운항모드)*
  - 선택된 비행경로(모든 조종사가 선택 가능한 운항모드)*:순항/결정 경로, 경로 각도
  - 선택된 결정고도*
  - 전자비행계기 시스템(EFIS) 시현 형태*: 조종사, 운항승무원
  - 다 기능(Multi-function)/엔진/경보시현형태*
  - 지상접근경보시스템(GPWS)/지면인식경고시스템(TAWS)/지상충돌회피시스템
(GCAS) 상태*: pop-up 시현상태를 포함한 지면시현모드선택, 지면 경고, 주의와 경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고, 조언(advisory), 스위치 on/off 위치


  - 저압력 경고*: 유압, 공기압
  - 컴퓨터 고장*
  - 객실압력 손실*
  - 교통경보 및 공중 충돌경고장치(TCAS/ACAS)
  - 결빙감지*
  - 각 엔진 진동경보*
  - 각 엔진 과열경보*
  - 각 엔진 오일 저압력 경보*
  - 각 엔진 과속경보*
  - 바람세기와 방향경고*
  - 실속방지조작, 조종간 움직임*
  - 조종실내 모든 비행조작입력 힘*: 조종휠, 조종간, 조종석 방향타 페달 입력 힘
- 수직편류(Vertical deviation)* : ILS glide path, 마이크로파 착륙 시스템(MLS) 높
이, 통합항행위성시스템(GNSS) 접근 경로
- 수평편류(Horizontal deviation)* : ILS localizer, 마이크로파 착륙시스템(MLS) 방
위, 통합항행위성시스템(GNSS) 접근 경로
- 거리측정장비(DME) #1 및 #2 거리*
  - 주항행시스템관련*: GNSS,INS, VOR/DME, MLS, Loran C, ILS
  - 제동장치*: 좌/우 제동장치 압력, 좌/우 제동장치페달 위치
  - 날자*
  - Event 표시*
  - 사용하는 Head up 시현(display)*
  - 파라미터 시각 시현(Para visual display) on*
다. 조종사에게 시현되는 비행경로 및 속도를 위한 요건을 충족하는 파라미터는 다음의
항목과 같다. 이 경우 다음 중 별표(*) 표시된 파라미터를 제외한 파라미터는 항상
기록되어야 한다. 다만, 별표(*) 표시가 있는 파라미터가 조종사에게 시현되고 기록
으로 실행될 수 있는 파라미터의 정보원천이라면 기록되어야 한다.
- 기압 고도
- 계기비행속도(IAS) 또는 수정비행속도(CAS)
- 기수방위(운항승무원이 참조하는 )
- pitch 자세
  - 엔진추력/출력
  - 랜딩 기어 상태*
  - 전체 공기 온도 또는 외기 온도*
  - 시간*
  - 항행 자료*: 편류각, 풍속, 풍향, 위도/경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 전파 고도*

별표 7.1.17.3 항공기자료기록장치(Aircraft Data Recording Systems)


가. ADRS는 아래 표 - Parameter for Aircraft Data Recording Systems에 있는 최소
필수 (E) 파라미터를 기록할 수 있는 성능이 있어야 한다.
나. 항공기소유자등은 파라미터 할당, 전환공식, 교정주기 및 기타 사용/정비 정보에 관한
문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 문서는 사고조사 당국이 공학적 단위로 자료를 판독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표 - Parameter for Aircraft Data Recording Systems

별표 7.1.17.4 데이터 링크 기록장치(Data Link Recorder Applicability)


가. 항공기 비행경로가 데이터 링크 메시지를 통해 인가되거나 통제되는 경우, 항공기로
업 링크하고 항공기로부터 다운 링크하는 경우를 포함한 모든 데이터 링크 메시지는
항공기에 기록되어야 한다. 현실적으로 가능하다면 운항승무원에게 시현되는 메시지의
시간과 조종사가 반응한 시간 등이 기록되어야 한다.
주 - 데이터링크 통신 메시지의 내용으로부터의 충분한 정보와 운항승무원에게 전시되는
메시지 시간은 정확한 항공기내 사건의 순서를 정의하기 위해 필요하다.
나. 기록되어야 하는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이 경우 별표(*) 표시가 없는 메시지는
시스템의 복잡성과 상관없이 반드시 기록되어야 하는 필수 항목이며, 별표(*) 표시된
메시지는 시스템 구조상 가능한 경우에 기록할 수 있다.
– 데이터링크 개시 능력
– 관제사-조종사간 데이터링크 통신
– 데이터 링크 - 비행 정보 업무
– 자동화에 대한 감시 및 체결
– 자동화에 대한 감시 및 브로드캐스트
– 항공학적 조작 통제*
주. 메시지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표 - Description of Applications for Data
Link Recorders에 수록되어 있다.
표 - Description of Applications for Data Link Recorders

별표 7.1.17.4.1 삭제 <2016.11.00.>

별표 7.1.17.4.2 항공기자료기록장치(Aircraft Data Recording Systems)


가. ADRS는 별표 7.1.17.6 표 A-3에 있는 최소 필수 (E) 파라미터를 기록할 수 있는
성능이 있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나. 항공기소유자등은 파라미터 할당, 전환공식, 교정주기 및 기타 사용/정비 정보에 관


한 문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 문서는 사고조사 당국이 공학적 단위로 자료를 판독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별표 7.1.17.5 <삭 제>

별표 7.1.17.6 지속적인 운용성 및 비행기록장치 시스템의 검사(Continued


Serviceability and Inspections of Flight Recorder Systems)
가. 비행기록장치 시스템의 검사
1) 매일 최초 비행을 하기 전에, 비행기록장치 및 비행자료수집장치(FDAU)의 자가진단
기능은 수동 또는 자동 검사에 의해 확인되어야 한다.
2) 비행기록장치(FDR) 시스템 또는 항공기 자료기록 시스템(ADRS), 조종실음성기록장
치(CVR) 시스템 또는 조종실오디오기록시스템(CARS) 및 비행 이미지 기록장치(AIR)
시스템 또는 비행이미지기록시스템(AIRS)의 기록 시스템에 대한 검사 주기는 1년이
어야 한다. 다만, 이러한 시스템들이 내구성 및 자체 경보에 대한 높은 무결성을 보
여준다면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관할 지방항공청장의 승인을 받아 검사 주기를 2년으
로 연장할 수 있다. 데이터링크기록장치(DLR) 시스템 및 데이터링크기록시스템
(DLRS)의 기록 시스템에 대한 검사 주기는 2년이어야 한다. 다만, 이러한 시스템들
이 내구성 및 자체 경보에 대한 높은 무결성을 보여준다면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관할
지방항공청장의 승인을 받아 검사 주기를 4년으로 연장할 수 있다.
나. 기록시스템 검사는 다음에 따라 수행되어야 한다.
1) 비행기록장치에 기록된 자료의 분석은 기록이 되는 동안에 기록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했음을 보장하여야 한다.
2) 비행기록장치 또는 항공기 자료기록 시스템(ADRS)의 분석은 비트오류율(기록장치,
수집장치, 비행기의 자료 원천(source)로부터 초래되거나 기록장치로부터 자료를 추
출하는데 사용된 도구에 의해 초래된 오류들을 포함)이 제한치 내인지 그리고 오류
의 본질 및 분포를 정의하기 위해 기록된 자료의 질을 평가하여야 한다.
3) 비행기록장치 또는 항공기 자료기록 시스템(ADRS)으로부터 나온 모든 비행은 모든
기록된 자료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술 단위로 조사되어야 한다. 비행기록장치
또는 항공기 자료기록 시스템 전용의 파라미터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 가
용성이 다른 항공기 시스템에 의해 검출된다면 항공기의 전기 회로 시스템으로부터
얻은 파라미터들은 검사할 필요가 없다.
4) 판독장비는 기록된 수치들을 기술단위로 정확히 변환하고 별개의 신호들의 상태를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정의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갖추어야 한다.


5)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 또는 조종실오디오기록시스템(CARS)에 기록된 신호의
연간 검사는 조종실 음성기록장치 또는 조종실오디오기록시스템의 기록에 대응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항공기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에 조종실음성기록장치 또는 조종실
오디오기록시스템은 각 항공기 원천(source)의 시험용 신호 및 모든 요청된 신호들
이 이해도의 기준에 적합함을 보장하는 관련 있는 외부 원천(source)을 기록하여야
한다.
6) 적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년간 검사 중에, 조종실음성기록장치 또는 조종실오디오
기록시스템의 비행 중 기록된 샘플이 해당 신호를 이해하는데 적합한지 여부에 대하
여 검사하여야 한다.
7) 비행이미지기록장치 또는 비행이미지기록시스템에 기록된 이미지의 검사는 비행이
미지기록장치 또는 비행이미지기록시스템에 대응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항공기에 장
착되어 있는 동안에 비행이미지기록장치 또는 비행이미지기록시스템은 각 항공기 원
천(source)의 시험용 이미지 및 모든 요청된 이미지들이 이해도의 기준에 적합함을
보장하는 관련 있는 외부 원천(source)을 기록하여야 한다.
다. 만약 저 품질의 자료, 이해불가의 신호들이 저장된 특별한 시기가 있거나 하나 이상
의 필수 파라미터가 정상적으로 기록되지 않은 경우, 비행기록장치 시스템은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한다.
라. 년간 검사 보고서는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의 요청 시 이를 제공하여야
한다.
마. FDR 시스템의 교정
1) FDR 시스템은 필수 파라미터에 대한 기술적 변환 과정에서의 결함여부 판단 및 필수
파라미터가 수정이 가능한 공차 안에 있음을 보증하기 위하여 최소 매 5년 간격으로
재 교정되어야 한다.
2) 고도 및 대기속도 파라미터가 FDR 시스템 관련 센서에 의해 제공될 때, 센서 제작
사가 추천한 바에 따라, 재 교정 주기 또는 최소 2년마다 재교정하여야 한다(적용이
가능한 경우에 해당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표 7.1.19 공중충돌경고장치의 운용
1. 일반(General)
가. 공중충돌경고장치(ACAS) 지시는 교통을 방해하는 물체의 시각적 포착과 조치방법
에 대한 모색 및 상황인식의 증진, 잠재적인 충돌의 회피를 위해 조종사에 의해 사
용되어져야 한다.
나. 제2항에서 규정한 절차에서 항공기와의 충돌을 해소하거나 또는 잠재적인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최선의 행동방향을 선택함에 있어서 항공기 기장이 최선의 판단과
권한을 행사하는 데 있어서 방해되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2. ACAS 지시의 사용(Use of ACAS Indications)


ACAS에 의해 생성된 지시는 조종사에 의해 다음 각 호에 따른 안전에 대한 고려사항
과 일치하도록 사용하여야 한다.
가. 조종사는 TA(Traffic Advisory)만으로 항공기를 조작해서는 안 되며, 근접된 항공기를
찾아야 한다. 근접된 항공기를 찾기 위하여 다른 승무원과 최대한 협조하여야 한다.
주1. TA란 상황인식을 증진하고, 교통방해물의 시각적 포착과 RA(Resolution
Advisory)의 가능성을 조종사에게 경고를 주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시각적으로
포착된 교통 방해물은 동일한 TA의 원인이 아닐 수 있다. 시각은 특히 야간에는
오인될 수도 있다.
주2. TA의 사용에 있어서 가목의 제한사항이 파생하는 것은 한정된 방위의 정밀도와 전
시되어진 교통정보로부터 고도 판단의 어려움 때문에 기인하는 것이다.

나. “TA”를 접수한 경우, 조종사는 RA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 적절한 조치를 위한 사
전준비를 위해 모든 가용한 정보를 사용하여야 한다.

다. "RA" 경고발생시 조종사는 다음을 수행하여야 한다.


1) "RA" 경고 표시기를 주시하고 지시된“RA"에 따라 즉각적으로 조치하여야 하며,
항공기 안전운항에 위협이 되지 않는 방향으로 기동하여야 한다.
주. 시각적으로 포착된 교통 방해물은 동일한 TA의 원인이 아닐 수 있다. 시각은
특히 야간에는 오인될 수도 있다.
2) ACAS의 RA 기동이 다른 중요한 cockpit warning과 상충될 때 Cockpit warning
이 RA에 우선한다.
주. Stall warning(실속경고), Wind shear(돌풍경고)나 GPWS(지상접근경고장치)의
경고는 공중충돌경고장치의 RA에 우선한다.
3) 항공기 기동에 있어서, 관제사(ATC Control)의 지시와 “RA”의 지시가 서로 모순
된다면, “RA"에 따라 기동하여야 한다.
4) “RA"의 반대로 기동해서는 아니 된다.
주. ACAS와 ACAS가 서로 조우된 경우에는 RA는 충돌위험을 감소하기 위해 각각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이행해야 한다. RA의 반대로 작용하는 수직 속도율에 의해 기인한 항공기의 기


동 또는 부족한 기동(a lack of manoeuvres)은 위협하는 항공기와 충돌할 수
있는 결과를 초래한다.
5) 조종사의 업무부하에 따라 허용되는 한 가능한 신속하게 관제소의 지시 및 허가로
부터의 이탈 방향을 포함한 RA의 경고를 적합한 항공교통관제기관(ATC)에 통보한
다.
주. 만약 조종사에 의해 통보가 되지 않았다면, 항공교통관제기관(ATC)은 ACAS에
의한 “RA"경고 사실을 알지 못할 것이다. 이것은 ACAS의 “RA”와 반대로 관제
지시가 발령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ACAS의 RA에 반하기 때문에
ATC의 지시와 허가가 이행되지 않음을 ATC가 알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6) 모든 수정된 RA는 즉시 이행해야 한다.
7) 비행경로의 변경은 RA를 이행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로 한정되어야 한다.
8) 충돌요인이 해소된 때에는 항공교통관제기관(ATC)의 지시나 허가내용으로 즉시
복귀하여야 한다. 그리고
9) 현재의 허가로 복귀한 때에는 ATC에 통지하여야 한다.
주. ACAS가 장착된 항공기에 관한 절차와 RA에 따른 기동을 알리는데 사용되는 표
준전문용어(Phraseology)는 ICAO PANS-ATM(Doc 4444), 제15장 LAC 제12
장을 참조한다.

라. 부조종사는 ACAS에 표시된 수직 비행경로로 부터 항공기가 벗어날 경우 기장에게


조언을 해야 하며, 또한 "RA"경고에 따라 정확히 비행하는 것을 확실시하기 위하
여 ACAS의 전시된 정보와 가능한 다른 교통정보를 계속 교차확인하고, 근접항공
기의 육안 탐색을 도와야 한다.

마. ACAS의 "RA" 경고가 IFR 또는 VFR의 "구름회피 규정"이나 "통행우선권규정"또는


다른 규정에 상치되는 기동을 요구한다면, 조종사는 급한 항공기충돌을 회피하기 위하
여 ACAS의 "RA" 경고를 따라야 한다.

바. ACAS의 "RA" 경고에 대한 지나친 과민반응은 부적절하며, 다른 항공기에 위험요소


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사. ACAS는 안전한 비행을 보장하기 위한 조종사의 기본적인 권리와 책임을 대신하거


나 감소시키지는 않는다.

3. 본 별표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부속서 10 제4권에서 정한 조종사 관련 사항을


준용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표 7.1.21.11 전방시현장치(HUD), 동등한 시현장치(EQUIVALENT DISPLAYS) 및


시각시스템(VISION SYSTEMS)
본 별표에 명시된 사항은 국제선을 운항하는 항공기에서의 사용을 목적으로 한 인가된
전방시현장치(HUD) 및 시각 시스템(vision systems)에 관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시
각 정보를 제공하고 상황 인지력(situational awareness)을 향상시키고/또는 항공기 접
근의 제한(approach ban)을 목적으로 설정한 공항 운항 최저치 미만의 기준을 설정하여
운항기준 완화(operational credit)를 하거나 비행 중 성능(airborne capabilities)에 의해
보충됨에 따라 시정 기준치를 줄이거나 적은 지상시설을 요구하기 위해 전방시현장치,
시각 시스템 및 합성 시스템(hybrid systems)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전방시현장치
와 시각 시스템은 합성 시스템의 일부로써 분리하거나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장
치 등을 사용함으로써 확보되는 운항기준 완화(operational credit)는 국토교통부장관 또
는 지방항공청장의 승인이 필요하다.

주1. “시각 시스템”이란 시각강화시스템(EVS), 시각합성시스템(SVS), 시각통합시스템


(CVS) 등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기존의 장비들을 칭하기 위해 일반적으
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주2. 운항기준 완화(operational credit)는 설계승인상의 제한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다.
주3. 최근에 전방시현장치 상에 실제 외부 광경을 실시간 이미지로 보여주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시각 시스템에 대해서만 운항기준 완화(operational credit)가 적용되어 왔
다.
가. 전방시현장치(HUD) 및 동등한 시현장치
1) 일반사항
가) 전방시현장치는 외부 광경에 대한 조종사의 시야를 심각하게 저해하지 않으면서
비행 정보를 전방에 시현한다.
나) 계획된 항공기 운항, 비행 상태, 시스템 능력 및 운항 승인에 따라 다양한 비행
정보가 전방시현장치를 통해 시현될 수 있다. 전방시현장치는 다음의 사항을 최
소한으로 포함할 수 있다.
① 속도
② 고도
③ 기수방향
④ 상승속도(vertical speed)
⑤ 받음각
⑥ 비행경로 또는 속도 벡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⑦ 뱅크 및 피치 기준에 따른 자세
⑧ 편차지시계(deviation indications)에 따른 경로(Course)와 활공로(Glidepath)
⑨ 상태지시계(항법센서, 자동조종장치, 비행지시계 등)
⑩ 알림 및 경고 표시(ACAS, 난기류, 지상접근경고 등)
2) 운항 중 적용(Operational applications)
가) 전방시현장치(HUD)를 이용한 항공기 운항은 하방참조 영상장치(head-down
displays)의 운항정보와 외부 전경을 조합함으로써 조종사가 지속적으로 외부 전경
을 내다보는 동시에 관련 운항변수와 상황정보를 보다 즉각적으로 받아 들일 수
있어 조종사의 상황인지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황 인지력이
향상되면 비행조종의 오류를 줄이고 기상 상황 변화에 따라 계기 및 시각참조 간
의 전환 능력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운항 중 적용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① 모든 운항 중, 특히 지상활주, 이륙, 접근 및 착륙 중 강화된 상황 인지력
② 이륙, 접근 및 착륙 중 감소된 기술적인 비행 과실
③ 착륙지점의 정확한 예측, 꼬리날개 부딪힘의 인식/ 경보 및 비정상적인 비행자세
로부터의 빠른 인식과 회복에 기인하는 성능의 향상
나) 전방시현장치(HUD)는 다음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① 특정 임무 또는 운항 성능 측면에서 기존의 조종실의 계기장비를 보완하기 위함
이다. 1차 조종실 계기는 항공기를 수동으로 제어하거나 기동시키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② 1차 비행 화면 장치로서,
㉮ 조종사는 하방참조 영상장치(head-down displays)을 스캔하는 대신에 전방시현
장치(HUD)가 제공하는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을 위한 전방시현
장치(HUD)의 운영 승인은 조종사가 승인된 지상 이동 또는 운항을 위해 전방
시현장치(HUD)를 참조하여 항공기를 조종 할 수 있도록 한다.
㉯ 전방시현장치(HUD)가 제공하는 정보는 추가적인 항법 또는 조종 성능을 달성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는 전방시현장치(HUD) 상에
시현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방시현장치(HUD)의 운항기준 완화
(operational credit)는 공항운영 최저 기상치를 줄이기 위해 특정 항공기 또는
자동조종제어시스템(automatic flight control system)에 대해 승인 될 수 있
다. 추가적인 운항기준 완화는 자동화된 시스템이 달리 사용되는 상황에서 전방
시현장치(HUD)를 사용하는 조건으로 승인될 수 있다.
다) 독립운영 방식의 전방시현장치(HUD)는 감소된 시정 또는 활주로 가시범위(RVR)에
서 운항을 하려고 하거나 접지구역, 중심선 등과 같은 지상 시설의 일부분을 대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예시와 참고사항은 Manual of


All-Weather Operations (Doc 9365)에서 찾을 수 있다.
라) 전방시현장치(HUD)와 동등한 장치는 다음 각 호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포함
하고 있어야 하며, 동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 이전에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에게 필요한 감항 및 운영승인을 받아야 한다.
① 머리 아래에서 머리 위로 시각적 주의를 전환할 필요가 없는 전방 시현 기능
② 조종사가 보는 외부 전경과 정각(正角)인 센서 기반 이미지 시현 기능
③ 시각강화시스템(EVS)에서 인식하는 이미지가 동시에 보이도록 하는 기능
④ 필요한 항공기 비행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기능
⑤ 외부 전경을 보여주는 기능
⑥ 항공기의 수동 조작에 적합한 지표와 동력을 시현해주는 기능
3) 전방시현장치 훈련(HUD training)
가) 훈련은 본 절의 훈련요건에 따라야 하며,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으로
부터 감독 및 승인을 하여야 한다. 기존의 하방참조 계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최근의
요건과 크게 다르다면 훈련 요건은 최신의 경험 요건을 포함하여야 한다.
나) 전방시현장치(HUD) 훈련은 전방시현장치(HUD)가 설계되고 운영이 승인된 모든
운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훈련 요소의 일부분은 비행기가 한 개 또는 두 개의 전방
시현장치(HUD)를 설치하였는지에 따라 조정될 필요가 있다. 훈련은 전방시현장치
(HUD)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고장을 일으킬 경우에 필요한 우발사태 처리절차를
포함하여야 한다. 전방시현장치(HUD) 훈련은 사용 목적에 맞게 적용되도록 다음과
같은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① 전방시현장치(HUD), 비행경로 및 에너지 관리 개념 및 기호에 대한 이해. 이러한
사항에는 비행에 관련된 심각한 비행 상황(공중충돌경고장치 TA / RA, 비정상자
세(upset) 및 돌풍 상황에서의 회복, 엔진 또는 시스템 오류 등)을 포함해야 한
다.
② 전방시현장치(HUD)를 사용하기 전에 시스템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는 정비 및 운영상의 점검을 포함하는 전방시현장치(HUD)
운영상의 기본 절차 및 전방시현장치(HUD)의 제한사항. 이러한 점검은 적절한
시야각의 확보 및 유지, 전방시현장치(HUD) 운영모드의 확인을 위한 조종석의
좌석 조정을 포함한다.
③ 주간 및 야간 비행 조건에서 지상활주, 이륙, 계기접근 및 착륙을 포함한 저시정
운항에서 전방시현장치(HUD) 사용. 이러한 교육은 전방시현장치(HUD) 사용시
하방참조(Head-down) 상태에서 상방참조(Head-up) 상태 및 상방참조 상태에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하방참조 상태로의 전환에 관한 사항을 포함해야한다.


④ 전방시현장치(HUD)의 작동불량 모드 및 작동불량 모드 시 영향성 또는 작동불량
모드 시 승무원의 조종능력 제한에 관한 사항
⑤ 조종석에 전방시현장치(HUD)가 없는 조종사가 하방참조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조종석에 전방시현장치(HUD)가 있는 조종사가 상방참조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일 전방시현장치(HUD) 운영을 위한 조종사 간 협조, 모니터링 및 콜아웃(Call
out) 절차
⑥ 전방시현장치(HUD)가 두 개 설치되어 있는 경우, 승무원 협조, 모니터링 및 콜
아웃(Call out)에 대한 절차는 항공기를 조종하는 조종사가 전방시현장치(HUD)
를 사용하는 동안 다른 조종사가 상방참조 또는 하방참조 모니터링하는 절차가
포함된다.
⑦ 터널 시야(Tunnel Vision)(인지적 터널링 또는 주의 터널링 이라고도 함)에 따른
상황 인지력의 상실 가능성을 고려
⑧ 전방시현장치(HUD)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낮은 운고와 저시정과 같은 기상에 의한
영향성
⑨ 전방시현장치(HUD) 감항성 요건
나. 시각 시스템(Vision systems)
1) 일반 사항
가) 시각 시스템은 영상 센서를 이용하여 실제 외부 장면을 실시간 전자 영상으로 보
여주는 시스템(EVS) 또는 탑재 항공 시스템으로부터 유도된 합성 영상을 보여주
는 시스템(SVS)을 말한다. 또한 시각 시스템은 이 두 가지 장치를 결합하여 구성
하거나 시각통합시스템(CVS)로 구성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시스템은 시스템의
EVS 부분을 사용하여 외부 장면을 실시간 전자 영상으로 보여 줄 수 있다. 그러
나 CVS에 EVS와 SVS를 통합하는 것은 의도하고자 하는 기능(예를 들면 운항기
준 완화를 얻고자 하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나) 2 시각 시스템으로부터 얻은 정보는 상방참조 또는 하방참조 영상장치를 통해 볼
수 있다. 개선된 시각 영상이 전방시현장치(HUD)를 통해 나타날 때, 크게 외부
전경을 제한하지 않고 조종사 앞의 외부 전경을 시현되어야 한다.
다) SVS에 의해 제공되는 개선된 고정 위치와 유도는 특히 저시정 지상 활주, 이륙,
접근 및 착륙 절차의 모든 단계에 대하여 추가적인 안전을 보장한다.
라) 발광 다이오드(LED) 조명은 LED 조명이 백열등 불빛이고 열 신호를 발생하지 않
기 때문에 적외선 기반의 시각 시스템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음으로 운영 공항의
LED 실행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입수할 필요가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2) 운항 적용(Operational applications)
가) 향상된 시각 이미지 센서를 사용한 운항은 조종사가 어둠 또는 다른 시각 제한
사항으로 가려진 외부 전경의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외부 전경이 부분적
으로 가려졌을 때, 향상된 시각 이미지는 조종사가 자연적 또는 육안 시각보다
일찍 외부 전경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외부 전경의 이미지 개선 획득은
상황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 시각 시스템의 이미지는 조종사가 활주로나 유도로 상의 지형이나 장애물을 감지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시각 시스템의 이미지는 또한 더욱 안정된 접근과 활주로
정대를 조속히 할 수 있도록 시각적인 참고를 제공할 수 있다.
다) 항공기 성능, 유도 및 이미지를 결합한 영상은 조종사가 개선된 시각적 참조물에서
자연스러운 시각 참조물로의 부드러운 전환과 더 안정된 접근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3) 시각 시스템 교육(Vision systems training)
가) 훈련요건은 국토교통부 또는 지방항공청장으로부터 감독 및 승인되어야 하며, 하방
참조 계기 또는 EVS 이미지가 없는 상태에서 HUD를 사용하기 위한 현재의 훈
련요건이 상당히 다른 경우 시각 시스템 훈련요건에 최근의 경험요건이 포함되어
야 한다.
나) 훈련은 시각 시스템 사용이 승인된 모든 운항을 포함해야 한다. 이 훈련은 시스템
성능 저하 또는 고장 발생과 같은 사건에서 필요한 우발 사태 처리 절차를 포함
해야 한다. 상황 인식을 위한 교육은 다른 필수 운항에 방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운항기준 완화를 위한 훈련은 향상된 시각 이미지 재현에 사용되는 해당
HUD에 대한 훈련을 필요로 한다. 교육은 다음과 같은 해당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① 시스템 특성 및 운영 제한 사항에 대한 이해
② 일반적인 절차, 조작법, 모드 및 시스템 조정(복사 에너지 대 열에너지를 포함하는
센서 이론과 결과 영상)
③ 운영 제한, 일반적인 절차, 조작법, 모드 및 시스템 조정
④ 제한 사항
⑤ 감항성 요건
⑥ 지상 활주, 이륙, 계기 접근 및 착륙을 포함하는 저시정 운항 시 시각 시스템 영상.
주ㆍ야간시 계기접근 절차를 위한 시스템 사용
⑦ 고장 모드와 고장 모드의 영향 또는 특히 두 조종사가 운영하는 경우 고장에 따른
승무원 수행능력 제한
⑧ 승무원 협조, 모니터링 절차 및 조종사 콜아웃(Call-out) 책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⑨ 활주로를 시각적으로 파악하는 동안 강화영상에서 육안시각으로의 전환


⑩ 착륙 단념 : 착륙 지역, 접지구역 또는 롤아웃 지역에서의 시각적 참조물의 손실
⑪ 낮은 운고 및 저시정과 같은 기상 상황이 시각 시스템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⑫ LED 불빛을 사용하는 공항 조명 효과
4) 운영상 개념(Operational concepts)
가) 시각 시스템 사용을 수반하는 계기 접근 운항에는 계기 단계와 시각 단계가 포함
된다. 실패 접근이 시도되지 않으면 설정된 MDA/H 또는 DA/H에서 계기 접근은
종료된다. MDA/H 또는 DA/H로부터 착륙까지 계속되는 접근은 시각적 참조물을
사용해서 수행될 것이다. 시각적 참고는 EVS 또는 CVS, 자연 시각 아니면 이
두 가지의 조합을 사용해서 얻을 수 있다.
나) 일반적으로 30m(100ft) 지정 고도로 하강할 때 시각적 참조물은 시각 시스템을
사용해서 파악하게 된다. 이 높이 아래에서의 시각적 참조는 오직 자연 시각에
기초해야 한다. 가장 발달된 적용에서 시각 시스템은 자연적 시각으로 시각적 참
조물을 파악하지 않고도 접지(Touchdown)까지 하강하는데 사용이 기대된다.
EVS 또는 CVS의 사용이 고시된 DA/H는 변경되지 않고, DA/H 아래에서의 조종
이 EVS 또는 CVS를 사용해서 파악한 시각 참조물로 수행되므로 계기 접근 절
차의 분류를 변경하지 않는다.
다) EVS/CVS가 제공할 수 있는 운항기준 완화 외에 이들 시스템은 향상된 상황 인
식, 시각적 참조물에 대한 더 빠른 파악, 자연 시각에 의한 참고로 부드러운 전환
을 통해 운영 및 안전상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은 Type B 접근
운영보다 Type A 접근 운영의 경우 더 뚜렷하다.
5) 시각적 참조물(Visual references)
가) 필요한 시각적 참조물은 EVS 또는 CVS 사용으로 인해 변경하지 않지만 그러한
참조물은 접근(approach) 시 특정 고도까지 다른 시각 시스템을 사용해서 파악
할 수 있다.(아래 그림 참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나) 시각 시스템으로 운항하기 위해 개발된 요건이 있는 지역에서의 시각적 참조물은


아래 표와 같다.

DA/DH 또는 MDA/MDH 이하의 운영


예시 1 예시 2
Type A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된 절차의
3D Type A 및 Type B CAT I 운영을 지원
경우 의도한 활주로를 위해 아래의 시각적 하기 위해 설계된 절차의 경우 의도한
참조물을 명확하게 볼 수 있고 확인할 수 활주로를 위해 아래의 시각적 참조물이
있어야 한다. 조종사에게 EVS 영상으로 볼 수 있고 확인
할 수 있어야 한다.
· 접근 조명 시스템 · 접근 조명 시스템 요소
· 최소 다음 중 한 가지에 의해 확인되는 · 최소 다음 중 한 가지에 의해 확인되는
활주로 시단 활주로 시단
- 활주로 착륙 표면 시작 지점 - 활주로 착륙 표면 시작 지점
- 시단 조명 - 시단 조명
- 활주로 끝지점 확인 조명 - 시단 확인 조명
- 최소 다음 중 한 가지에 의해 확인되는
· 최소 다음 중 한 가지에 의해 확인되는 접지 지역
접지 지역 · 활주로 접지 지역 착륙 표면
- 활주로 접지 지역 착륙 표면 · 접지 지역 조명
- 접지 지역 조명 · 접지 지역 표시
- 접지 지역 표시 · 활주로 조명
- 활주로 조명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접지 구역 고도 위 60m(200ft) 아래 운영 시단 고도 위 60m(200ft) 아래 운영
60m(200ft)에 적용할 추가 요건 없음 3D Type A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된
절차의 경우 시각적 참조물은 Type B 운영
을 지원하기 위해 아래에 지정한 내용과
동일하다.

접지 지역 고도 위 30m(100ft) 아래 운영 시단 고도 위 60m(200ft) 아래 운영
아래에 대해 EVS에 의존하지 않고도 조종 Type B CAT II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
사가 명확하게 볼 수 있고 확인할 수 있을 된 절차의 경우, 아래의 시각적 참조물 중
만큼 시계가 충분해야 한다. 최소 한 가지가 조종사가 EVS에 의존하
지 않고도 명확하게 볼 수 있고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 시단 조명 또는 표시 · 시단 조명 또는 표시
· 접지 지역 조명 또는 표시 · 접지 지역 조명 또는 표시

다. 하이브리드 시스템(Hybrid systems)


1) 하이브리드 장치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시스템이 결합된 것을 의미
한다. 하이브리드 장치는 보통 각각의 장치와 비교할 때 보다 개선된 성능을 가지고
있어서 운항기준 완화를 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각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일부이다. 예를 들어 EVS는 보통 HUD와 결합된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더 많은
구성 요소를 결합하여 장치의 성능을 개선한다.
2) 아래 표는 하이브리드 구성 요소의 예를 보여준다. 나열된 장치 중에서 어떤 조합은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에게 부여할 수 있는 운항
기준 완화의 정도는 인증 및 운영 승인 과정에 의해 평가되고 검토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성능(정확성, 무결성, 활용성)에 따라 달라진다.

* 하이브리드 시스템 구성 요소의 예시

영상 센서 기반 장치 영상 센서 기반이 아닌 장치
EVS SVS
· 수동적 적외선 센서 자동 비행 장치, 비행 제어 컴퓨터, 자동
· 능동적 적외선 센서 착륙 장치
· 수동적 밀리미터 파 복사계 위치 고정 장치
· 능동적 밀리미터 파 레이더
CVS(위와 같은 EVS 부분이 운항기준
CVS(SVS 부분)
완화를 획득하는 경우)
HUD, 그에 준하는 영상 장치
ILS, GNSS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라. 운항기준 완화(Operational credits)


1) 비행장 기상 최저치는 최저 가시 범위/RVR과 MAD/H 또는 DA/H의 용어를 사용해
서 표시한다. 운항기준 완화의 관점에서 이것은 계기 접근 절차에서 수립된 가시
범위/RVR 요건은 EVS와 같이 적절히 개선된 시각 시스템을 장착한 항공기의 경우
감축되거나 충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항공기가 계기 접근 절차를 설계할 때 원래
검토했던 것보다 장치를 잘 갖춘 경우 또는 절차 설계에서 활주로 시각 보조의 활
용을 고려하지 않았지만 탑재된 장치에 의해 보상될 수 있는 경우 운항기준 완화의
근거가 될 수 있다.
2) 가시 범위/RVR에 관련된 운항기준 완화는 최소 세 가지 개념을 사용해서 부여할
수 있다. 첫 번째 개념은 항공기가 접근 절차를 위해 수립된 것 보다 더 낮은 RVR
을 사용해서 접근 금지 지점을 초과하여 계속 접근할 수 있도록 필요 RVR을 감소시
키는 것이다. 최소 시정치가 규정된 경우, 운항기준 완화를 부여하기 위한 두 번째
개념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필요한 최소 가시 범위는 변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EVS와 같은 탑재장비를 사용해서 만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개념의 결과로 그렇지 않았다면 불가능했을 기상 조건에서도 운영이 가능해진다.
세 번째 개념은 접근 절차에서 설정된 것보다 더 낮은 가시범위/RVR에서 운영을
허용하지만 접근 운영이 더 적은 지상 설비를 사용하여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운항
기준 완화를 주는 것이다. 후자의 한 가지 사례는 접지구역, 활주로 중심선등이 없고
HUD와 같은 추가 탑재장비에 의해 보상되는 category II 운항을 허용하는 것이다.
3) ICAO 부속서 6, 4.2.8.3에서 명시한 것과 같이 계기접근 절차는 계기접근 운영(즉
Type, Category)을 위해 설계되었음으로 운항기준 완화는 계기접근 절차의 분류에
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그러한 절차의 설계는 지상 시설을 보조할 수
있는 탑재장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4)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ATS는 최소 RVR만을 필요로 하는 장비를 잘 갖
춘 항공기의 성능에 대하여 고지할 수도 있다.
5) HUD, 시각시스템 및 하이브리드시스템이 제공할 수 있는 운항기준 완화와 함께 이러한
시스템은 개선된 상황 인식, 시각적 참조물의 조기 파악, 참조물에서 자연시각으로의
부드러운 전환을 통해 운영상의 및 안전상의 이점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은
Type B 접근 운항보다 3D Type A 접근 운항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마. 운영 절차(Operational procedures)
1) 선회(circling)와 관련하여 시각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지 않다. 그러
나 시각시스템의 시스템 설계와 선회 절차의 특성으로 인해 핵심적인 시각적 참조
물은 자연 시각으로만 파악할 수 있고, 운항기준 완화는 기존의 시각시스템에 대하여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실현할 수 없다. 시각시스템은 추가적 상황 인식을 제공할 수 있다.


2) HUD, 시각시스템과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사용과 관련된 운영 절차는 운항규정에 포함
되어야 한다. 운항규정 상 운영지침은 다음 사항을 포함한다.
가) 감항성 또는 운영 승인에 의해 부과되는 모든 제한
나) 운항기준 완화가 미치는 영향
① 목적지 및 교체 공항에 관련된 비행 계획
② 지상 운영
③ 비행 실행(예: 접근 금지와 최소 시정)
④ 장비 구성을 고려한 승무원 자원 관리(예: 조종사가 서로 다른 프리젠테이션 장비를
가질 수 있는지)
⑤ 표준 운영 절차 (예: 자동 비행 장치, 특정 시각시스템 또는 하이브리드시스템에
대한 Call-outs, 안정된 접근을 위한 기준 등)
⑥ ATS 비행계획 및 무선 통신
바. 승인(Approvals)
1) 일반 사항
가) HUD 또는 동등한 영상 장비, 시각시스템, 또는 하이브리드시스템을 사용하여
운항하고자 하는 운영자는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으로부터 승인(운항
기준 완화 및 HUD 등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승인범위는 운항 의도와 장비의
복잡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나) 향상된 시각 영상은 특정한 운영 승인 없이 상황 인식 개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운영과 관련된 표준 운영 절차는 운항규정에 수립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운영의 예로 조종사가 영상장치를 우선적으로
응시하지 않는 지상 조종 중에 기체 주변의 상황 파악에만 활용하는 하방참조
영상장치의 EVS 또는 SVS를 들 수 있다. 향상된 상황 인식을 위해, 시각 시스템
의 설치 및 운영 절차는 일반적인 절차, 운영 또는 다른 시스템의 사용에 방해
되지 않음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어떤 경우,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다른 시스템
또는 절차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다) 3 시각 시스템 또는 시각시스템 영상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시스템이 운항기준
완화를 위해 사용될 때 운영 승인은 일반적으로 비행지침과 결합된 영상이
HUD에 나타나도록 요구한다. 운영승인은 이러한 정보가 하방참조 영상장치에도
표시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운항기준 완화는 어떤 비행 운영에도 적용될 수 있
지만 계기 접근과 이륙 운영을 위한 것이 대부분이다.
라) 시각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시스템에 대한 운항기준 완화와 관련된 승인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적용의 경우,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은 이 지침을 활용하여 적용범


위를 결정할 수 있다.
2) 운항기준 완화를 위한 승인(Approvals for operational credit)
가) 운항기준 완화를 얻기 위해 운영자는 희망하는 운항기준 완화 요건을 지정하고
그에 적합한 신청서를 제출할 필요가 있다. 신청서에는 다음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① 신청자 세부 사항- 모든 승인요청에 필요. 공식 명칭 및 사업 또는 거래상의
명칭, 주소, 우편 주소, e-메일 주소, 신청자의 전화/팩스 연락처
참고 - AOC 보유자의 경우, 회사명, AOC 번호, e-메일 주소가 필요하다.
② 항공기 세부 사항 - 모든 승인요청에 필요. 항공기 제조사, 모델명, 등록 기호
③ 운영자의 시각 시스템 준수 목록 : 준수 목록 내용은 아래 표에 포함되어 있다.
준수 목록은 승인 요청에 관련된 정보와 항공기의 등록 기호를 포함해야 한다.
하나의 형식 이상의 항공기/편대가 한 장의 신청서에 포함되는 경우 각각의 항
공기/편대를 준수 목록에 포함시켜야 한다.
④ 신청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문서 : 완료된 신청서 양식을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에게 제출할 때 아래 표의 운영자 시각 시스템 준수 목록의 4열
(4.0)에 관련된 모든 문서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 경우 매뉴얼 전체가 아닌 해당
되는 부분만 제출할 수 있다.
⑤ 이름, 제목, 서명

* 시각 시스템 준수 목록 예시

운영자의
신청서에서 지정한 확장 운항규정
주요 제목 하위 요건
영역 참조 또는
문서 참조
1.0 제출 문서를 제출은 최신 규정에 따라야
작성하는데 한다.
사용된 참고
적용 기준과 요건의 기준을
문서
어떻게 만족 시켰는지
보여줄 수 있도록
편집한다.
2.0 항공기 비행 시각 시스템에 대한 항공기
매뉴얼(AFM) 승인 기준과 운영 조건을
보여주는 관련 AFM 항목 사본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3.0 중요한 절차 운영상의 실패에 대한


문제에 대한 보고 과정 개요
피드백과
참고 - 특히 시각 시스템과
보고
관련된 중요한 문제/HUD
시스템, 시각 시스템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던
환경/ 지역에 대한 보고
4.0 계기 접근 관련 계기 접근 차트
차트 제공자 이름
제공자와
모든 공항 운영 최소
운영 최소
요건이 관련 당국에서
요건
허용하는 방법에 따라
설정되었다는 확인서
5.0 운항규정 개발 제조사/ 운영자 정의
항목과 표준 HUD/ 시각 시스템
제조사 절차를 출발 지점에
운영 절차 운영에 적합한 승무원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하위
체크
요건 열에서 최소 항목을
MEL 처리
포함해야 한다.
시각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장비
시각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접근의 종류
어디에서나 자동
조종사/ 조종 감독을
사용할 수 있다는
구문

착륙에 필요한 최소
시각적 참조물
접근 금지와 RVR
안정화된 접근 기준
정확한 착석과 눈
위치
승무원 조합 (예: 비행
조종사와 비행하지
않는 조종사의 의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 제한 사항
· 처리할 조종사와
그렇지 않은 조종사
지정
· 자동 조종사 시스템
사용
· 체크리스트 처리
· 접근 브리핑
· 무선 통신 처리
· 계기 및 무선 보조
도구 검사 및 교차
체크
· 비행하지 않는
조종사의 리피터
영상 사용

우발 상황 처리에는
다음 내용이 포함된다.
· 상승 및 하강 결정
고도 실패
· ILS 편차 경고
· 자동 조종사 연결 끊김
· 자동 스로틀 연결 끊김
· 전기적 실패
· 엔진 실패
· 결정 고도 이하에서
시각적 참조물 실패
또는 손실
· 보통 결정 고도
이하에서 HUD/
시각 시스템 고장
· 윈드 시어
· ACAS 경고
· EGPWS 경고
6.0 안전 위험 운영자의 안전 위험
평가 평가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표 8.1.4.4 계기 및 장비의 고장(Inoperative Instrument and Equipment)


가. 본 조항은 유효한 표준 최소장비목록(MMEL)이 없고 규정상 최소장비목록(MEL)이
특정한 항공기 운용을 위해 요구되지 않는 상황에서 설치된 계기 및 장비가 고장났
을 경우의 운항을 규정한다.
나. 고장난 계기 및 장비는 다음 각 호에 해당되지 않아야 한다.
1) 본 규정 제7장에서 규정한 주간시계비행방식의 계기 및 장비
2) 수행될 운항종류에 대한 항공기 장비 목록이나 운항장비 목록의 요구사항
3) 본 규정 제7장에서 규정한 특정한 운항업무의 요구사항
4) 감항성개선지시서(AD)에 의해 운용되어져야 할 사항
다. 본 규정에 적합하기 위해서는 고장난 계기 및 장비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1) 기장이 안전운항에 위해 되지 않는다는 결정.
2) 사용을 중지시키고 “고장” 표시.
3) 조종실에 부착된 플래카드를 제거하고, 제5장에 따라 정비 기록.
라. 다음의 계기 및 장비는 최소장비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1) 비행 전반적으로 안전운항을 위해 필수 불가결하고 감항증명 요구사항에 특별히 혹
은 다른 목적으로 요구되는 계기 및 장비
2) 감항성개선지시서에 따른 다른 규정 사항이 없는 한 감항성개선지시서에 따른 운용
조건에 부합되는 계기 및 장비
3) 특정운항에 필요한 계기 및 장비
주.특정 운항에 필요한 계기 및 장비는 본 규정 제7장에 규정되어 있다

별표 8.1.8.4 주정음료등의 사용 등(Use of Narcotics, Drug or Intoxicating Liquor)


가. 항공종사자(조종연습을 하는 자를 포함한다) 및 객실승무원이 주류등의 섭취 또는
사용으로 인한 사고 및 인명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조항을 적용한다.
나. 국토교통부 또는 지방항공청에 소속된 공무원이 주류등의 섭취 또는 사용여부를 적
발한 경우에는 시행규칙 별지 제59호의 서식을 작성하여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
항공청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다. 검사정보는 나항 및 차항에 의거 관계기관에 제공되어 법적 절차의 증거로 사용할
수 있다.
라. 운항증명소지자는 본 규정 8.1.8.4, 가항에 규정된 해당자 중 운항증명소지자 소속
항공종사자(조종연습을 하는 자를 포함한다) 및 객실승무원에 대하여 무작위로 주류
등의 섭취 또는 사용여부를 검사하여야 한다.
마. 위반자 비율이란 무작위 알코올 검사시 혈중 알코올 농도가 항공법 제47조제5항
(2017년 3월 29일까지만 해당한다) 또는 항공안전법 제57조제5항(2017년 3월 30
일부터 해당한다)의 기준을 초과한 자와 검사를 거절한 자를 합하여 전체 무작위 검사
를 받은 자와 검사를 거절한 자를 합한 수로 나눈 값을 말한다.
바.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사고시 가능한 빨리 해당자 중 사고와 직접관련이 있거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또는 직접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없을지라도 생존자에 대하여 주류등의 섭취 또는


사용여부를 측정하여야 한다.
사. 운항증명소지자는 본 규정 8.1.8.4, 가항에 규정된 해당자 전체 인원 중 매년 각 종
사자별로 최소한 15퍼센트에 해당하는 자에 대하여 편중되지 않게 연간 고른 분포로
예고 없이 무작위 주류등의 섭취 또는 사용여부를 측정하여야 한다.
아. 무작위 주류등의 측정은 본 규정 8.1.8.4, 가항에 규정된 해당자가 임무 수행 직전부
터 임무수행 직후까지 실시할 수 있다.
자. 주류등의 측정결과 기록은 접근이 통제되는 안전한 장소에 3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차. 운항증명소지자는 전년도 주류등의 측정 결과보고서를 매년 1월말까지 국토교통부장
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에게 보고하고 그 사본을 최소 3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8.1.8.6 운항승무원의 임무교대(Change of flight crew member's duty)


다음 각 호에 따라 자격을 갖춘 조종사에게 임무를 교대할 경우 운항승무원은 근무위치
를 떠날 수 있다.

가. 기장(PIC)의 교대
1) 당해 형식 항공기의 기장 자격을 갖춘 자
2) 운송용조종사 자격증명(ATP) 및 해당 한정자격증명을 보유하고, 당해 형식의 항공
기에 대해 순항비행 중 기장(PIC)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부조종사
(이 경우, 순항비행 중에 한하여 기장(PIC)의 임무를 위임할 수 있다.)

나. 부조종사의 교대
1) 당해 형식 항공기의 부조종사 자격을 갖춘 자
2) 사업용조종사 자격증명(계기비행 증명 포함) 및 해당 한정자격증명을 보유하고, 순항
비행 중에 한하여 부조종사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조종사(이 경우, 순
항비행 중에 한하여 부기장의 임무를 위임할 수 있다.)

별표 8.1.8.20 레이저광선 노출에 따른 운항절차


1. 비행 전 예방대책
가. 레이저 활동에 관한 항공고시보(NOTAM)를 확인하고 필요시 대체 항공로를 고려한
다.
나. 영구적으로 레이저 활동이 있는 위치(테마파크, 연구소 등)를 항공지도를 이용해 검
색한다.
2. 레이저 방사가 예상되는 공역에 진입하기 전의 비행절차
가. 항행등을 점등해 지상에서 항공기의 위치를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
나. 자동항법장치를 작동시킨다.
다. 조종사중 한명은 계기를 계속 주시하여 레이저 조명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라. 조종석 내부 조명을 점등하도록 한다.


3. 레이저가 조종실에 방사된 이후의 절차
조종사가 레이저 광선으로 의심되는 밝은 빛에 노출 되었다면,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의 절차들을 수행해야 한다.
가. 레이저 광선으로부터 시선을 멀리 한다.
나. 레이저 광선으로부터 눈을 가린다.
다. 옆 조종사에게 자신의 눈 상태를 말한다.
라. 옆 조종사에게 조종 권한을 넘긴다.
마. 계기비행상태로 전환한다.
바. 자동항법장치를 작동시킨다.
사. 조종석에 레이저 광선이 더 이상 들어오지 않도록 항공기의 위치를 조정한다.
아. 조종석의 계기나 접근차트를 보면서 자신의 눈 상태(시력)를 확인한다.
자. 눈을 비비지 않도록 한다.
차. 관제기관에 레이저 광선 방사사실을 통보하고, 필요한 경우 비상을 선언한다.
4. 레이저 노출 보고절차
조종사는 착륙 후 비행 중 발생한 레이저노출 장애에 대하여 별지 제15호의 양식에 기
재하여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항공교통센터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별표 8.1.9.1 비행계획서 작성방법


1. 일반사항
가. 자료를 명시하는 규정된 양식과 방법을 철저하게 준수
나. 제공된 첫째 칸에 자료 입력을 시작. 남는 공간이 있으면, 사용되지 않은 공간은 비
워둘 것.
다. 모든 시간은 4자리 UTC로 입력
라. 모든 예상 소요시간은 4자리(시간 및 분)로 입력
마. 비행계획서 전문 발송에 대한 책임이 위임되지 않았다면, 3항목 앞의 음영된 부분
은 ATS 및 COM업무 담당자가 기입.
주 - 비행계획서에 사용된 “비행장(aerodrome)"은 헬리콥터나 기구와 같은 특정형식
의 항공기에 사용될 수 있는 공항 이외의 지점도 포함한다.
2. ATS 자료 입력 방법(별지 제18호 참조)
가. 항목7에서 18까지 기입
나. 관할 ATS 당국이 요구하거나 필요할 경우, 항목19를 기입
주1 - 양식의 항목들은 ATS 전문의 항목형식번호(Field Type number)와 일치하기
때문에 양식의 항목 번호는 연속되지 않는다.
주2 - 항공교통업무 자료시스템은 제출된 비행계획서(filed flight plan)의 정보에 대한
통신 또는 처리제한을 강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능한 제한은 항목 길이,
항공로 항목의 구성요소의 수 또는 총 비행계획서 길이에 관한 제한이 될 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있다. 중요한 제한은 관련 항공정보간행물(AIP)에 발간된다.

다. 항목7: 항공기 식별부호(Aircraft Identification)(최대 7 문자)

7자리 숫자 및 문자 조합을 초과하지 않고 하이픈이나 부호(symbol)없이, 아래의 항


공기 식별부호 중 하나를 기입
가) 무선통신 시 항공기가 사용할 호출부호가 운영기관에 대한 ICAO 통화 지정어 및
비행 식별부호(예, KLM511, NIGERIA 213, JESTER 25)로 구성될 때, 항공기 운
영기관에 대한 ICAO 지정어 및 비행 식별부호(예, KLM511, NGA213, JTR25)
나) 아래의 경우, 항공기 국적 또는 공통부호 및 등록부호(예, EIAKO, 4XBCD,
N2567GA)
1) 무선통신 시, 항공기가 사용할 호출부호가 식별부호 단독으로 구성(예,CGAJS)되
거나 항공기 운영기관에 대한 ICAO 통화 지정어가 선행(예, BLIZZARD CGAJS)
되는 경우
2) 항공기가 무선장비를 탑재하지 않은 경우.

항목8: 비행규칙 및 비행형식


라. (Flight Rules and Type of Flight)(1 또는 2 문자)

가) 비행규칙
조종사가 준수하고자 하는 비행규칙의 종류를 설명하는 다음 문자 중 하나를 기입:
I 전 비행이 IFR 하에서 운항될 예정인 경우
V 전 비행이 VFR 하에서 운항될 예정인 경우
Y 비행의 첫 구간은 IFR하에서 운항되고, 이후 1회 이상의 비행규칙의 변경이 예정
된 경우 또는
Z 비행의 첫 구간은 VFR 하에서 운항되고, 이후 1회 이상의 비행규칙의 변경이 예
정된 경우
항목 15에 비행규칙의 변경이 계획된 지점 또는 지점들을 명시
나) 비행형식
관할 ATS 당국이 요구하는 경우, 비행의 형식을 설명하는 다음 문자 중 하나:
S 정기 항공업무인 경우
N 부정기 항공운송운항인 경우
G 일반항공인 경우
M 군용기인 경우
X 위에서 규정된 종류 이외인 경우
항목 18에 지정어 STS 다음에 비행의 상태를 명시, 또는 ATS의 특별취급을 필요
로 하는 사항 이외의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있을 때, 항목 18에 지정어 RMK 다음
에 이유를 설명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항목9: 항공기 대수, 형식 및 후류요란 등급


마. (Number and Type of Aircraft and Wake Turbulence Category)
가) 항공기 대수(1또는 2문자)
항공기가 1개 이상인 경우 항공기 대수 기입
나) 항공기형식(2에서4문자)
ICAO Doc 8643, 항공기 형식 지정어(Aircraft Type Designators)에 명시된 적절
한지정어 기입 또는, 이러한 지정어가 배정되지 않았거나 하나 이상의 형식으로 구성
된 편대비행인 경우, ZZZZ를 기입하고 항목18에 TYP/를 쓰고 항공기의 (대수와)
형식(들)을 명시
다) 후류요란 등급(1문자)
항공기의 후류요란 등급을 나타내기 위해 “사선(/)”을 한 후 아래의 문자 중 하나를
기입
H - HEAVY, 최대 인증 이륙중량이 136,000Kg 또는 그 이상인 항공기 형식
M - MEDIUM, 최대 인증 이륙중량이 136,000Kg 미만, 7,000Kg 이상인 항공기의 형

L - LIGHT, 최대 인증 이륙중량이 7,000Kg 또는 그 이하인 항공기의 형식

바. 항목10: 장비 및 성능(Equipment and Capabilities)

가) 항공기가 탑재한 이용 가능한 관련 장비의 유무


나) 항공기 승무원의 자격에 상응하는 장비 및 성능, 및
다) 있다면, 관할 당국으로부터의 승인
라) 무선통신, 항행 및 접근 보조방비 및 성능
아래의 1문자를 기입
N, 비행할 항공로에 대한 COM/NAV/접근 보조장비를 장착하지 않았거나 장비가 고
장인 경우
S, 비행할 항공로에 대한 표준 COM/NAV/접근 보조장비를 장착하고 운용 가능한 경
우(주1 참조)
운용 가능한 COM/NAV/접근 보조장비 및 이용 가능한 성능을 나타내기 위해 아래의
문자 중 하나 이상을 기입:(아래에 지시되지 않은 숫자 및 문자 조합은 유효하지 않음)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A GBAS landing system J7 CPDLC FANS 1/A SATCOM


(Iridium)
B LPV (APV with SBAS) K ( MLS )
C LORAN C L ILS
D DME M1 ATC RTF SATCOM (INMARSAT)
E1 FMC WPR ACARS M2 ATC RTF (MTSAT)
E2 D-FIS ACARS M3 ATC RTF (Iridium)
E3 PDC ACARS O VOR
F ADF P1-P9 RCP용으로 유보
G ( GNSS ) (주2 참조)
H HF RTF R PBN approved (주5 4 참조)
I Inertial Navigation T TACAN
J1 CPDLC ATN VDL Mode2 (주3 참조) U UHF RTF
J2 CPDLC FANS 1/A HFDL V VHF RTF
J3 CPDLC FANS 1/A VDL ModeA W RVSM approved
J4 CPDLC FANS 1/A VDL Mode2 X MNPS approved
J5 CPDLC FANS 1/A SATCOM Y 8.33 kHz 채널 분리성능을 갖
(INMARSAT) 춘 VHF
J6 CPDLC FANS 1/A SATCOM Z 탑재한 다른 장비 또는 다른 성
(MTSAT) 능 (주2 5 참조)
주1 - 관할 ATS 당국이 다른 조합을 규정하지 않는다면, 문자 S가 사용되는 경우,
VHF RTF, ADF, VOR 및 ILS가 표준장비로 고려된다.
주2 - 문자 G가 사용되는 경우, 있다면, 외부 GNSS 보정의 형식을 항목 18에 지시어
NAV/ 다음 공백으로 분리한 후 명시한다.
주3 - 항공교통관제허가 및 정보/항공교통관제 통신관리/항공교통관제 송화기(microphone)
점검용 데이터링크 업무에 대해 ATN Baseline 1에 대한 RTCA/EUROCAE 상
호 호환 요건 표준(RTCA/EUROCAE Interoperability Requiremnets Standard
For ATN Baseline 1 (ATN B1 INTEROP Standard -DO-280B/ED-110B))
을 참조
주4 - 문자 R의 포함은 항공기가 항공로구간, 항공로 및/또는 관련 지역에 규정된 RNP
형식을 충족함을 나타낸다. 문자 R이 사용되는 경우, 충족하여야 할 성능기반항
행 수준을 항목 18에 지시어 PBN/ 다음 명시한다. 특정 항공로 구간, 항공로
또는 지역에 성능기반항행을 적용하는 것에 관한 지침은 성능기반항행 매뉴얼
(Doc 9613)에 있다.
주5 - 문자 Z가 사용되는 경우, 항목 18에 적절한 COM/, NAV 및/또는 DAT를 전치
한 후 탑재한 다른 장비 또는 다른 성능을 명시한다.
주6 - 허가 및 비행경로 목적으로 항행성능에 관한 정보가 ATC에 제공된다.
마) 감시장비 및 성능
비행할 항공로에 대한 감시장비를 장착하지 않았거나 장비가 고장인 경우 N을 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입,
탑재된 운용 가능한 감시장비 및/또는 성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의 하나 또는 이상,
최대 20문자까지의 기술어를 기입
SSR Modes A 및 C
A 트랜스폰더 Mode A(4자리, 4,096 코드)
C 트랜스폰더 Mode A(4자리 4,096 코드) 및 Mode C
SSR Mode S
E 트랜스폰더 Mode S, 항공기 식별부호 , 기압고도 및 extended squitter
(ADS-B) 성능 포함
H 트랜스폰더 Mode S, 항공기 식별부호, 기압고도 및 향상된 감시 성능 포함
I 트랜스폰더 Mode S, 항공기 식별부호를 포함하나 기압고도 성능은 없음
L 트랜 스폰 더 M ode S, 항공 기 식 별부 호 , 기 압고 도 , extended squitter
(ADS-B) 및 향상된 감시 성능 포함
P 트랜스폰더 Mode S, 기압고도는 포함하나 항공기 식별부호 성능은 없음
S 트랜스폰더 Mode S, 기압고도 및 항공기 식별부호 성능 모두 포함
X 트랜스폰더 Mode S, 항공기 식별부호 및 기압고도 성능 모두 없음
주 - 향상된 감시성능은 Mode S 트랜스폰더를 경유하여 항공기에서 발생한 자료를
다운링크(down-link) 할 수 있는 항공기의 성능이다.
ADS-B
B1 전용 1090 MHz ADS-B "out" 성능을 가진 ADS-B
B2 전용 1090 MHz ADS-B "out" 및 “in" 성능을 가진 ADS-B
U1 UAT(Universial Access Transceiver)를 이용한 ADS-B "out" 성능
U2 UAT를 이용한 ADS--B "out" 및 “in" 성능
V1 VDL(VHF Data Link) Mode4를 이용한 ADS-B "out" 성능
V2 VDL Mode4를 이용한 ADS-B "out" 및 "in" 성능
ADS-C
D1 FANS 1/A 성능을 가진 ADS-C
G1 ATN 성능을 가진 ADS-C
위에서 사용되지 않은 숫자 및 문자조합(alphanumeric)은 유보됨
예 : ADE3RV/HB2U2V2G1
주 - 부가적인 감시성능의 적용은 항목18에 지시어 SUR/를 전치하고 기록되어야 한다.
항목13: 출발비행장 및 시간(8문자)
사. (Departure Aerodrome and Time)
가) Doc 7910, 위치 지시어(Location Indicators)에 명시된 출발비행장의 ICAO 4문
자 위치지시어를 기입,
나) 위치지시어가 배정되지 않은 경우, ZZZZ를 기입하고 항목18에 DEP/를 전치하고
비행장의 명칭 및 위치를 명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다) 항공기가 비행장으로부터 이륙하지 않는 경우, DEP/를 전치하고 항공로의 첫 지


점 또는 마커 무선표지(marker radio beacon)를 명시,
라) 비행계획서가 비행중인 항공기로부터 접수된 경우, AFIL을 기입하고 항목18에
DEP/를 전치하고 보충 비행계획서 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ATS 기관이 위치한
곳의 ICAO 4문자 위치지시어를 명시하고 이어서 공백 없이, 비행계획서가 출발전
에 제출된 경우, EOBT(estimated off-block time)을 기입
마) 비행계획서가 비행중인 항공기로부터 접수된 경우, 비행계획서가 적용될 항공로의
첫 지점을 통과하는 실제 또는 예상 시간을 기입.

아. 항목15: 항공로(Route)

공백 없이 첫 순항속도(a)와 첫 순항고도(b)를 기입하고 화살표를 따라 상세한 항공로를


기입
가) 순항속도(최대 5문자)
비행의 처음 또는 전 순항구간에 대한 진대기속도를 기입;
시간당 킬로미터(Km/h), K와 4자리 숫자로 표현(예, K0830), 또는
노트(Knots), N과 4자리 숫자로 표현(예, N0485), 또는
진 마하수(True Mach number), 관할 ATS 당국이 이를 사용하도록 규정한 경우,
마 하(Mach) 단위의 가장 가까운 소수 둘째자리까지(to the nearest hundredth of
unit Mach) 사용하고 M과 3자리 숫자로 표현(예, M082).
나) 순항고도(최대 5문자)
비행할 항공로의 처음 또는 전 구간에 대한 계획된 순항고도를 기입
비행고도(Flight level), F와 3자리 숫자로 표현(예, F085; F330), 또는
10미터 단위의 표준미터고도(Standard Metric Level) S와 4자리 숫자로 표현(예,
S1130), 또는
100피트 단위의 고도, A와 3자리 숫자로 표현(예, A045;A100), 또는
10미터 단위의 고도, M과 4자리 숫자로 표현(예, M0840), 또는
비관제 VFR 비행의 경우, 문자 VFR.
다) 항공로(속도, 고도 및 또는 비행규칙의 변경 포함)
1) 지정된 ATS 항공로를 따라 비행하는 경우, 출발비행장이 ATS 항공로에 위치하거
나 연결되는 경우, 최초 ATS 항공로의 지정어를 기입
2) 출발비행장이 ATS 항공로에 위치하지 않거나 연결되지 않는 경우, 문자 DCT를 전
치하고 최초 ATS 항공로에 진입하는 지점 및 ATS 항공로의 지정어를 기입한
후, 속도나 고도의 변경이 시작되도록 계획되거나 ATS 항공로의 변경 및/또는 비행규
칙의 변경이 계획된 각 지점을 기입, 이전 항공로와 동일하더라도 다음 ATS 항
공로 구간의 지정어,
주 - 저고도와 고고도 ATS 항공로 간 전환이 계획되고 항공로가 동일 방향인 경우,
전환지점은 기입될 필요가 없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3) 다음 지점까지의 비행이 지정된 항공로 외부에서 이루어지고, 두 지점이 지리적 좌


표로 명시되지 않는다면, DCT를 전치하고 지정된 ATS 항공로 외부에서 비행
속도 또는 고도의 변경, 항적(track)의 변경 또는 비행규칙의 변경이 계획된 지점
을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비행시간 30분 또는 두 지점 간 370km(200NM)을 초
과하지 않는 지점을 기입
4) 관할 ATS 당국(들)이 규정하는 경우, 0.5도 또는 1도간격의 위도와 경도 10도
간격으로 이격된 자오선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주요지점(significant point)을 참
고하여 70°N와 70°S 사이에서 현저하게 동서방향으로 운항하는 비행의 항적을 결
정. 이러한 위도 외부의 지역에서 운항하는 비행의 경우, 항적은 위도의 평행선
과 일반적으로 경도 20도 간격으로 이격된 자오선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주요지
점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주요지점간 거리는 가능한 비행시간 1시간을 초과해서
는 안 된다.
5) 현저하게 남북방향으로 운항하는 비행의 경우, 1도간격의 경도와 5도 간격으로
이격된 명시된 위도의 평행선과 교차하여 형성되는 주요지점을 참고하여 항적을
결정하고 두 지점이 지리적 좌표 또는 방위 및 거리로 정해지지 않는다면, 연속
되는 지점간에는 DCT를 기입
6) 아래의 (1)에서 (5)까지의 규칙(convention)만을 사용하고 각 세부항목
(sub-item) 사이를 한 칸씩 띄어 구분
① ATS 비행호(2에서 7문자) : 필요시 표준 출발로 또는 도착로에 배정된 코드화
된 지정어를 포함하여 항공로 또는 항공로구간에 배정된 코드화된 지정어(예,
BCN1, B1, R14, UB10, KODAP2A).
② 주요지점(2에서 11문자) : 지점에 배정된 코드화된 지정어(2에서 5문자)(예,
LN, MAY, HADDY),
또는, 코드화된 지정어가 배정되지 않은 경우, 아래의 방법 중 하나;
- 도(degrees)만 (7문자):위도를 설명하는 두 자리 숫자와 “N"(North) 또는
”S"(South), 이어서 경도를 설명하는 세 자리 숫자와 “E"(East) 또는
”W"(West). 필요시 영(0)을 추가하여 정확한 수의 숫자를 구성. 예.
46N078W.
- 도(degrees)와 분(minutes)(11문자):도와 (2자리) 분으로 위도를 설명하는 네
자리 숫자와 “N"(North) 또는 ”S"(South), 이어서 도와 (2자리) 분으로 경도
를 설명하는 다섯 자리 숫자와 “E"(East) 또는 ”W"(West). 필요시 영(0)을
추가하여 정확한 수의 숫자를 구성. 예. 4620N07805W.
- 주요지점(significant point)로부터의 방위 및 거리: 주요지점의 식별부호와 자
방향을 나타내는 3자리 숫자 형식으로 지점으로부터 방위, 이어서 해상마일
(NM)로 표현되는 3자리 숫자 형식으로 지점으로부터 거리. 자방향의 참조가
불가능하다고 관련 당국에 결정한 고위도 지역은 진방위가 사용될 수 있다.
필요시 영(0)을 추가하여 정확한 수의 숫자를 구성. 예. “DUB" VOR로부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180°에 40NM 거리인 지점은 DUB180040로 표현되어야 함.


③ 속도 또는 고도의 변경(최대 21문자) : 속도의 변경(5% TAS 또는 0.01 Mach
또는 이상) 또는 고도의 변경을 시작할 것으로 계획된 위의 (2)와 같이 정확하
게 표현된 지점 다음에 사선(oblique stroke)과 위의 (a)와 (b)와 같이 정확하게
표현된 순항속도 및 순항고도 모두. 이들 사이에는 공백이 없어야 하며 이러한
값(quantities)들 중 하나라도 변경될 예정이면 기입
예: LN/N0284A045
MAY/N0305F180
HADDY/N0420F330
4602N07805W/N0500F350
46N078W/M082F330
DUB180040/N0350M0840
④ 비행규칙의 변경(최대 3문자) : 비행규칙의 변경이 계획된 위의 (2) 또는 (3)과
같이 정확하게 표현된 지점, 이어서 한 칸을 띄우고 아래 중 하나를 기입
IFR에서 VFR로 변경하는 경우, VFR
VFR에서 IFR로 변경하는 경우, IFR
예: LN VFR
LN/N0284A050 IFR
⑤ 순항상승(최대28문자) : 문자 C 다음 사선을 긋고, 순항상승이 시작될 예정인
위의 (2)와 같이 정확하게 표현된 지점, 사선을 긋고 순항 상승 중에 유지할 위
의 (a)와 같이 정확하게 표현된 속도, 이어서 순항 상승 중에 점유될 층을 명시
하고 각 고도는 위의 (b)와 같이 정확하게 표현된 두 고도, 또는 공백 없이 순
항 상승이 계획된 고도 이상의 고도와 문자 PLUS.
예: C/48N050W/M082F290F350
C/48N050W/M082F290PLUS
C/52N050W/M220F580F620.

항목16: 목적비행장 및 총 예상 소요시간, 목적지 교체비행장(들)


(Destination Aerodrome and Total Estimated Elapsed Time, Destination
자. Alternate Aerodrome(s))

가) 목적비행장 및 총 예상 소요시간(8문자)
Doc 7910 위치 지시어(Location Indicators)에 명시된 목적비행장의 ICAO 4문자
위치 지시어, 또는, 위치 지시어가 배정되지 않은 경우,ZZZZ을(를) 기입하고, 항목
18에 DEST/를 전치하고 비행장의 명칭과 위치를 명시하고, 공백 없이 총 예상 소
요시간을 기입
주 - 비행중인 항공기로부터 접수한 비행계획서의 경우, 총 예상 소요시간은 비행계획
서가 적용되는 항공로의 첫 지점에서 비행계획서의 종료지점까지 예상시간이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나) 목적지, 교체비행장(들)
Doc 7910, 위치 지시어(Location Indicators)를 참고하여 둘 이하의 목적지 교체비
행장들의 ICAO 4문자 위치 지시어(들)를 기입하고 둘 사이를 한 칸 띄움, 또는, 목
적지 교체비행장(들)에 대한 위치 지시어가 배정되지 않은 경우, ZZZZ를 기입하고
항목18에 ALTN/을 전치하고 목적지 교체비행장(들)의 명칭 및 위치를 명시

차. 항목18: 기타 정보(Other Information)

주 - 이 항목에 포함되지 않은 지시어들(indicators)을 사용 시, 자료가 거부, 부정확


하게 처리 또는 손실될 수 있다.
하이픈(hyphens) 또는 사선(oblique strokes)은 아래에 설명된 대로만 사용되어야 한다.
기타 정보가 없을 경우, 0(영)을 기입하거나 아래에 규정된 것들 중 선택된 적절한
지시어와 사선 및 기록될 정보의 형식으로 아래에 제시된 우선 순서대로 기타 필요
정보를 기입한다.
가) STS/ 아래와 같이 ATS의 특별취급(예. 수색구조임무)이 필요한 이유,
ALTRV : 고도유보에 따라 운항하는 항공기
ATFMX : 관할 ATS 당국이 ATFM 대상에서 제외를 승인한 항공기
FFR : 소방임무(fire-fighting)
FLTCK : 항행안전시설의 측정을 위한 비행점검
HAZMAT : 위험물질을 수송하는 항공기
HEAD : 국가원수(Head of State) 지위를 가진 항공기
HOSP : 의료당국이 공표(declare)한 의료용 항공기
HUM : 인도주의적 임무로 운항하는 항공기
MARSA : 군 기관이 군용항공기의 분리책임을 가지는 항공기
MEDEVAC : 인명과 관련된 의료비상 후송
NONRVSM : RVSM 공역에서 운항하려는 RVSM 비인가 항공기
SAR : 수색구조임무에 종사하는 항공기
STATE : 군, 세관 또는 경찰업무에 종사하는 항공기
나) ATS의 특별취급을 필요로 하는 다른 이유들은 지정어 RMK/를 전치하고 표시해야 한
다.
다) PBN/RNAV 및/또는 RNP 성능을 표시. 비행에 적용될 아래의 기술어(descriptor)를
최대 8종류(전체 16문자 이하)까지 포함
라) NAV/PBN/에 명시된 사항을 제외하고 관할 ATS 당국에서 요구하는 항행장비에 관련
된 중요 자료. 이 지시어로 GNSS 보정장치(augmentation)를 나타내며, 둘 이상의
보정수단 간에는 한 칸을 띄움. 예. NAV/GBAS SBAS
아래에 지시되지 않은 문자 및 숫자조합은 유효하지 않음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마) COM/ 항목10a에 명시되지 않은 통신 장비(application)나 성능을 표시


바) DAT/ 10a에 명시되지 않은 데이터 장비(application)나 성능을 표시
사) SUR/ 항목10b에 명시되지 않은 감시 장비(application)나 성능을 포함
RNAV SPECIFICATION RNP SPECIFICATION
A1 RNAV 10 (RNP 10) L1 RNP 4

B1 RNAV 5 모든 허용된 센서 O1 Basic RNP1 모든 허용된 센서


B2 RNAV 5 GNSS O2 Basic RNP1 GNSS
B3 RNAV 5 DME/DME O3 Basic RNP1 DME/DME
B4 RNAV 5 VOR/DME O4 Basic RNP1 DME/DME/IRU
B5 RNAV 5 INS or IRS
B6 RNAV 5 LORANC S1 RNP APCH
S2 RNP APCH with BARO-VNAV
C1 RNAV 2 모든 허용된 센서
C2 RNAV 2 GNSS RNP AR APCH with RF
T1
C3 RNAV 2 DME/DME (특별승인 필요)
C4 RNAV 2 DME/DME/IRU RNP AR APCH without RF
T2
(특별승인 필요)
D1 RNAV 1 모든 허용된 센서
D2 RNAV 1 GNSS
D3 RNAV 1 DME/DME
D4 RNAV 1 DME/DME/IRU
아) DEP/ 항목13에 ZZZZ가 기입된 경우, 출발비행장의 명칭 및 위치,
항목13에 AFIL이 기입된 경우, 보충 비행계획서 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ATS 기관
관련 항공정보간행물(AIP)에 등록되지 않은 비행장은 아래와 같이 위치를 표시:
- 도와 (2자리) 분으로 위도를 설명하는 네 자리 숫자와 “N"(North) 또는 ”S"(South),
이어서 도와 (2자리) 분으로 경도를 설명하는 다섯 자리 숫자와 “E"(East) 또는
”W"(West). 필요시 영(0)을 추가하여 정확한 수의 숫자를 구성. 예.
4620N07805W(11문자).
- 아래와 같이 가장 가까운 주요 지점(significant point)으로부터 방위와 거리
주요지점의 식별부호와 자방향을 나타내는 3자리 숫자 형식으로 지점으로부터 방위,
이어서 해상마일(NM)로 표현되는 3자리 숫자 형식으로 지점으로부터 거리. 자방향의
참조가 불가능하다고 관련 당국에 결정한 고위도 지역은 진방위가 사용될 수 있다. 필
요시 영(0)을 추가하여 정확한 수의 숫자를 구성. 예. “DUB" VOR로부터 180°에
40NM 거리인 지점은 DUB180040로 표현되어야 함.
- 공기가 비행장으로부터 이륙하지 않는다면, 항공로(명칭 또는 LAT/LONG)의 첫 지
점 또는 마커 무선표지(marker radio beacon).
자) DEST/ 항목16에 ZZZZ가 기입된 경우, 목적지 비행장의 명칭 및 위치. 관련 항
공정보간행물(AIP)에 등록되지 않은 비행장의 경우, 위의 DEP/에서 설명한
LAT/LONG 또는 가장 가까운 주요지점으로부터 방위 및 거리로 위치를 표시
차) DOF/ 6자리 숫자 형식의 비행출발일(YYMMDD, YY는 년, MM은 월, DD는 일을 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시)
카) REG/ 항목7의 항공기 식별부호와 다르다면, 항공기의 국적 또는 공통 부호(mark)
및 등록부호
타) EET/ 지역항행협정에 따라 또는 관할 ATS 당국이 요구하는 경우, 주요 지점 또
는 FIR 경계선 지정어 및 이륙부터 해당 지점 또는 FIR 경계선까지 누적된 예상 소
요시간
예: EET/CAP0745 XYZ0830, EET/EINN0204
파) SEL/ 항공기가 SELCAL 장비를 장착한 경우 SELCAL Code.
하) TYP/ 항목9에 ZZZZ가 기입된 경우, 항공기의 형식(들). 필요시 공백없이 항공기의
수를 전치하고 항공기 형식들 간에는 한 칸을 띄워 구분
예: TYP/2F15 5F5 3B2
거) CODE/ 관할 ATS 당국이 요구하는 경우, 항공기 주소(6자리 16진수(hexadecimal)
문자의 문자 및 숫자(alphanumeric) 코드 형식으로 표현).
예: “F000001"은 ICAO가 관리하는 특정 범위(block)에 포함된 가장 낮은 항공
기 주소이다.
너) DLE/ 항공로 지연 또는 체공(holding), 지연이 발생할 것으로 계획된 항공로상의
주요 지점(들)과 시간 및 분(hhmm)의 4자리 숫자로 구성된 지연의 길이를 기입
예: DLE/MDG0030
더) OPR/ 항목7의 항공기 식별부호와 다르다면, ICAO 지정어 또는 항공기 운영기관
의 명칭
러) ORGN/ 관할 ATS 당국이 요구하는 경우, 비행계획서의 발신자가 쉽게 식별될 수 없
는 경우, 발신자의 8문자 AFTN 주소 또는 다른 적절한 상세 연락처
주 - 어떤 지역은 비행계획서 접수센터가 ORGN/ 식별자(identifier)와 발신자의
AFTN 주소를 자동으로 기입할 수 있다.
머) PER/ 관할 ATS 당국이 요구한다면, 항행절차 - 항공기 운항(PANS-OPS. Doc
8168), 제Ⅰ권 - 비행절차에 규정된 1문자로 표시되는 항공기 성능자료
버) ALTN/ 항목16에 ZZZZ가 기입된 경우, 목적지 교체비행장의 명칭. 관련 항공정보
간행물(AIP)에 등록되지 않은 비행장의 경우, 위의 DEP/에서 설명한 LAT/LONG
또는 가장 가까운 주요지점으로부터 방위 및 거리로 위치를 표시
서) RALT/ Doc 7910, 위치 지시어(Location Indicators)에 명시되어있는 항공로상 교
체비행장(들)에 대한 ICAO 4문자 지시어(들),
- 지시어가 배정되지 않았거나 항공로상 교체비행장의 명칭. 관련 항공정보간행물(AIP)
에 등록되지 않은 비행장의 경우, 위의 DEP/에서 설명한 LAT/LONG 또는 가장 가
까운 주요지점으로부터 방위 및 거리로 위치를 표시.
어) TALT/ Doc 7910, 위치 지시어(Location Indicators)에 명시되어 있는 출발 교체
비행장에 대한 ICAO 4문자 지시어(들),
- 지시어가 배정되지 않았거나, 이륙 교체비행장의 명칭. 관련 항공정보간행물(AIP)에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등록되지 않은 비행장의 경우, 위의 DEP/에서 설명한 LAT/LONG 또는 가장 가까


운 주요지점으로부터 방위 및 거리로 위치를 표시.
저) RIF/ 변경된 목적비행장까지 상세한 항공로와 그 비행장의 ICAO 4문자 위치 지정어.
변경된 항공로는 비행 중 재허가(reclearance)에 따른다.
예: RIF/DTA HEC KLAX, RIF/ESP G94 CLA YPPH
처) RMK/ 관할 ATS 당국이 요구하거나 필요 시, 평문 설명

카. 항목19: 보충정보(Supplementary Information)

가) 비행 지속시간 : E/ 다음 시간과 분으로 된 연료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4자리 숫자


그룹을 기입
나) 탑승객 수 : P/ 다음 관할 ATS 당국이 요구하는 탑승한 인원(승객 및 승무원)의
총 수를 기입. 비행계획 제출 시, 총 인원수가 알려지지 않은 경우 TBN(추후 통보)를
기입
다) 비상 및 생존장비
1) R/(RADIO) UHF 243.0 MHz 주파수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U를 삭제(cross
out), VHF 121.5 MHz 주파수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V를 삭제, 비상위치지시
용 무선표지설비(ELT)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E를 삭제.
2) S/(생존장비) 생존장비(survival equipment)를 탑재하지 않은 경우, 모든 지시
어(indicator)를 삭제. 극지 생존장비를 탑재하지 않은 경우, P를 삭제. 사막 생존
장비를 탑재하지 않은 경우 D를 삭제. 해상 생존장비를 탑재하지 않은 경우 M
을 삭제. 밀림 생존장비를 탑재하지 않은 경우 J를 삭제
3) J/(JACKETS) 구명동의(life jacket)를 탑재하지 않은 경우, 모든 지시어를 삭제.
구명동의에 등불(lights)이 부착되지 않은 경우 L을 삭제. 구명동의에 플루오레세
인(fluorescein)이 부착되지 않은 경우 F를 삭제. 있다면, 구명동의의 무선능력을 나
타내기 위해 위의 R/과 같이 U 또는 V 또는 모두 삭제.
4) D/(구명보트)(수) 구명보트(dinghies)를 탑재하지 않은 경우 지시어 D 및 C를 삭제
또는 탑재한 구명보트의 수를 기입;
(수용능력) 인원수로 탑재한 모든 구명보트의 전체 수용능력을 기입;
(덮개) 구명보트에 덮개가 없으면 지시어 C를 삭제;
(색) 탑재하고 있다면 구명보트의 색을 기입.
5) A/(항공기 색 및 표시) 항공기의 색 및 주요한 표시(markings)를 기입
6) N/(부가설명) 부가설명(remarks)이 없다면 지시어 N을 삭제, 또는 탑재한 기타
생존장비와 생존장비에 관한 부가 설명을 표시
7) C/(조종사) 기장(pilot-in-command)의 이름을 기입

별표 8.1.9.13 항공기에 탑재해야 할 예비연료량의 별도 인가기준


가.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항공기에 탑재해야 할 예비연료량을 별도로 인가받고자 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는 운항증명소지자는 비행계획의 정확성, 각각의 항공기 및 운항노선별․기종별 연료


소모편차(비행 계획시 탑재한 연료량 대비 실제 사용한 연료량의 차)에 대한 분석자
료, 항공기와 엔진의 신뢰성 및 운항관리절차(Dispatch/Flight Release
Procedures)가 적절함을 입증할 수 있는 최소 1년 이상의 항공기 운영 실적자료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시해야 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각각의 항공기 및 운항노선별․기종별 연료소모편차를 분석하여 산


출한 연료소모량에 대한 보정치가 운항비행계획서(Flight Plan)에 반영할 수 있는
다음 각 항목을 충족하는 연료소모감시프로그램(Fuel consumption monitoring
program)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1) 각각의 항공기에 대한 연료소모편차를 분석할 수 있는 항공기 성능관리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동 프로그램에 의해 각 항공기에 대한 연료소모 성능이
지속적으로 감시되고 분석되어야 한다.
2) 노선별․기종별 운항특성에 따른 연료소모편차를 분석할 수 있는 연료관리프로그램
을 수립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3) 기체 또는 엔진 등 항공기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사양(Configuration)의 변경이 있
을 경우, 운항증명소지자는 예비연료계산 시 사용되는 연료소모 보정치를 재평가하
여야 한다.
4) 신규로 도입된 항공기에 대한 연료소모 보정치의 적용은 다음의 기준에 따라 적용
되어야 한다.
(가) 본 기준에 의거 예비연료량을 별도로 인가받아 운용되고 있는 동일 형식의 신규
제작된 항공기에 대해서는 동일 형식 항공기의 평균 연료소모 보정치를 사용하
여야 한다.
(나) 동일 형식의 중고 항공기에 대해서는 동일 형식 항공기의 연료소모편차 중 연료
소모가 가장 많은 편차에 대한 연료소모 보정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다) 국토교통부장관(수입된 항공기의 경우, 항공기 운영국가의 항공당국)이 승인한
연료소모감시프로그램에 의거 산출된 연료소모 보정치를 적용한 실적이 있는 중
고 항공기의 경우, 이전에 동 항공기에 적용한 연료소모 보정치를 사용할 수 있
다.
5) 연료소모감시프로그램의 운영결과에 대해 매월 평가하고 그 평가결과를 최소 1년
이상 기록 유지하여야 한다.
다. 기상예보, 항로 및 비행고도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충족
하는 운항비행계획시스템(Flight Planning System)을 갖추어야 한다.
1) 운항비행계획서(Flight Plan)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2) 목적 공항 및 교체공항의 예보와 전체 항로에 걸쳐 경/위도 1.25도 이내 간격의 각
지점에 대한 상층풍, 온도 등의 기상자료가 운항비행계획서 작성 시 고려되어야 한다.
3) 비행계획에 포함되는 연료 소모량을 산출할 때는 출발공항에서 목적 공항까지 운항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하는데 필요한 연료량(Trip Fuel)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목적 공항 및 교체공항까


지의 항로와 고도 등을 포함한 모든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라. 항공기의 연료지시 및 감시시스템(Fuel indicating & monitoring system)이 비행출
발(Dispatch) 시에 정상적으로 작동되어야 하며, 항로상에서 동 시스템에 고장이 발
생할 경우에는 즉시 운항승무원으로 하여금 운항관리사 또는 비행 감시자에게 동
사실을 통보토록 하여 필요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 비행 중 연료소모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충족하는 비행
감시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1) 운항승무원과 운항관리사 또는 비행 감시자가 최소 1.5시간에 한 번씩 비행계획 대
비 실제 항공기의 위치, 항로, 고도 및 연료량 등을 확인하여야 하고, 그 결과를 기
록유지 할 수 있는 절차를 수립하여야 한다.
2) 기장은 다음과 같은 상황으로 인하여 비행 계획시 산출한 연료량 보다 연료가 더 소
모되었거나 소모될 것이 예상되는 경우 즉시 운항관리사 또는 비행 감시자에게 통보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가) 비행계획 대비 도착 예정시간이 15분을 초과하였거나,
(나) 순항고도가 4,000 피트를 초과하여 운항하거나 또는,
(다) 계획된 항로에서 100 마일을 초과하여 우회 운항할 경우
3) 비행 중 계획된 연료 이상으로 연료가 소모되어 예비연료 사용이 예상될 경우, 기장
은 운항관리사 또는 비행 감시자에게 신속히 통보하여 비행의 계속 또는 비행계획의
변경여부의 검토 및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절차를 수립하여야 한다.
4) 비행 중 항로상 어느 지점에서나 운항승무원과 운항관리사 또는 비행감시자간 양방
향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5) 비행종료 시까지 동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모든 보고내용을 운항관리사 또는 비행
감시자로 하여금 기록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바. 운항증명소지자는 동 기준에 의해 수립하고 이행해야 할 모든 절차․프로그램을 운항
관련 종사자들이 준수할 수 있도록 규정화하여야 하고, 이를 관계 부서에 배포되어
야 한다.
사. 운항승무원 및 운항관리사 또는 비행 감시자가 본 기준에 의한 규정 및 절차에 대해
적절한 교육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훈련프로그램을 수립하여야 한다.
아. 본 기준에 의거 인가받은 예비연료량은 운항기술기준 8.4.4.4 에서 규정한 회항시간
연장운항(EDTO)에 필요한 연료량보다 적어서는 아니 된다.
자. 운항증명소지자는 동 기준에 의해 수립한 제반 절차 및 프로그램에 대한 이행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다음의 각 호를 포함한 자체 점검절차를 수립하여야 한다.
1) 동 기준에 의거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별도로 인가받은 예비연료량을 탑재하여 운
항하는 운항편에 대한 연료사용 계획 대비 실적자료에 대한 기록유지 상태
2) 항로상 교체공항의 이용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주기적인 점검의 실시 및 점검결
과에 대한 기록유지 상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3) 비행계획에 적용되는 출발 및 도착절차, 교체공항, 항로 및 비행고도의 적정성에 대


한 주기적인 점검 및 점검결과에 대한 기록유지 상태
차.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1) “나”항제1호에 의한 항공기 성능관리프로그램에 의거 분석한 결과 : 매 분기말 기준
익월 15일까지 보고
2) 예비연료가 사용된 실적 보고자료 : 매 분기말 기준 익월 15일까지
3) “자”항에 의한 자체 점검실적 및 연료소모실적 자료 : 동 기준에 의거 인가받은 후
최초 2년 동안 매 분기말 기준 익월 15일까지
카. 운항연료의 3퍼센트를 보정연료로 탑재하는 요건은 다음과 같다.
1) 운항연료의 3%를 보정연료로 탑재하는 해당 기종의 실제 연료소모율을 관찰할 수
있는 연료사용감시 프로그램(FCM program)으로 계획 대비 실제 연료소모율 편차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2) 목적공항에 도달하기 전에 보정연료를 전부 사용했을 경우 운항승무원이 수행해야
하는 절차를 마련하고 운항승무원에게 제공해야 한다.
3) 항로상 교체공항의 예정도착시간 1시간 전부터 1시간 후 까지의 기상조건이 운영자
가 인가한 계획단계의 기상최저치 이상인 경우에만 적용한다.
4) 착륙기상최저치 이상인 기상조건에만 적용한다.
5) 목적공항으로부터 총 비행계획 거리의 25%에 해당하는 지점 또는 총 비행계획 거
리의 20%에 50 NM을 더한 지점 중 큰 거리에 해당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총
비행계획 거리의 20%에 해당하는 거리를 반경으로 원을 그려서 그 안에 항로상교체
공항이 위치해 있어야 한다.

(운항연료의 3%를 탑재하는 항로상교체공항 위치 예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표 8.1.11.4 기압고도계 설정(Altimeter Settings)


가. 비행지역의 대기압에 의해 결정되는 최저 사용가능비행고도(Flight level)는 다음 표
와 같다.
[표]

현재 고도계 셋팅 최저 사용 가능한 비행고도


29.92 이상 140
29.91 - 29.42 145
29.41 - 28.92 150
28.91 - 28. 42 155
28.41 - 27.92 160
27.91 - 27.42 165
27.41 - 26.92 170

별표 8.1.11.6 계기접근운영 최저기상치(INSTRUMENT APPROACH OPERATING MIN


IMA)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취항하는 각 비행장의 운항 최저치를 수립하여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의 승인을 받아 야 한다. 비행장 운항 최저치는 해당 공항을 관할하는
국가가 특별히 인가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국가가 정한 최저치보다 낮아서는 아니
된다.

나. 항공운송사업자는 비행장 운항 최저치를 설정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규정이 정하는


사항을 검토하여 반영하여야 한다.

1) 항공기의 형식, 성능 및 조작특성


2) 운항승무원의 구성, 자격 및 경력
3) 공항 활주로의 제원 및 특성
4) 시계 및 비시계 지상지원시설의 적절성 및 성능
5) 접근, 착륙 또는 실패접근 동안에 항행, 시각참고자료 습득 비행경로 제어를 목적
으로 비행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비
6) 진입, 복행구역 내 장애물 및 계기진입 절차에 대한 장애물 격리(회피) 고도
7) 기상조건의 보고 및 결정 수단
8) 상승구역 내 장애물 및 필요한 격리(회피)폭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표 8.1.11.8 정밀계기접근 제2종(CAT- II) 교범(Category II Manual)


가.인가 신청 : 정밀계기접근 제2종(CAT II) 매뉴얼 인가 혹은 기 인가된 CAT II 매뉴
얼의 개정 신청자는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매뉴얼(안) 또는 개정(안)을 제출해야 한다.
신청자가 평가프로그램을 요청할 경우는 다음 각 호를 기재하여야 한다.
1) 비행기의 위치와 시험비행을 할 장소
2) 시험비행을 시작할 일시(신청 후 10일 이후)

나. 내용 : 각 CAT II 교범은 다음 각 호가 포함되어야 한다.


1) 신청할 비행기의 등록기호, 국적, 항공기형식
2) 정비 프로그램
3) 결심고도(DH) 인식, 활주로가시범위(RVR)정보 사용, 접근감시(Monitoring), 결심지
역[중간마커와 결심고도(DH) 사이의 범위], 결심지역 내에서의 계기착륙시설(ILS)
지시계의 최대허용오차, 실패접근, 저공접근(Low Approach)장비 사용, 자동비행조
종장치(AP) 사용을 위한 최저고도, 계기와 장비고장 경보시스템, 계기고장, 그 외의
절차, 지시사항, 당국에서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제한사항.

별표 8.1.11.17 성능기반항행 또는 수직분리축소공역에서의 운항 승인기준(Requirements


for The Operations in PBN or RVSM Airspace)
가. 수직분리축소공역에서의 운항승인 기준
1) RVSM 공역 운항을 위한 장비요건
운항증명소지자 등은 소속 항공기로 지역항행협정(Regional Air Navigation
Agreement)에 의한 고도 29,000피트 이상 41,000피트 이하에서 300미터(1,000피
트)의 최소 수직분리축소(RVSM)공역을 운항하고자 하는 경우, 당해 항공기가 사전
에 다음과 같은 장비를 장착 및 정상작동 되어 RVSM 공역을 운항할 수 있는 능력
이 있음을 승인 받아야 하고, 동 장비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때에만 RVSM 적용공역
내의 비행을 위해 항공기를 이륙시킬 수 있다.
가) 다음의 요소로 구성된 두개의 독립된 고도측정 장치
① 방빙 장치가 장착된 상호 연계된 정압 장치
② 정압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정압을 기압고도로 변환 시켜 지시하는 장치
③ 트랜스폰더가 송출할 기압고도계 값에 상응하는 Digital code 생성장치
④ 정압오차 수정장치 - 고도계장치 오차한계 충족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 한함
⑤ 자동고도통제장치와 고도경보장치에 필요한 기준 값을 생성하는 장치
나) 한 개의 2차 감시레이더 고도보고 기능 보유 트랜스폰더
다) 한 개의 고도경보장치
라) 한 개의 자동고도통제장치
마) 비행 중 위의 가)~라)호의 장비가 부작동하는 경우가 발생하여도 7.4.1.1,
8.1.11.17의 규정에 의한 항행장비 장착 요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대체 항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행 장비를 장착하여야 한다.


바) RVSM 공역 운항을 위한 고도측정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성능요건을 갖추고 있어
야 한다.
① 고도유지 성능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세부사항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설계와 구조가 유사한 비행기의 그룹에 대한 고도유지 성능은 그 그룹의 비행기에
대한 총 수직오차(Total vertical error ; TVE)가 25m(80ft) 이내여야 하며, 표준 편
차는 미터 단위에서 z가 TVE의 크기를 의미할 때 그 크기는 28-0.013z(0~z~25)
이내 또는 z가 피트 단위에서 TVE의 크기를 의미할 때는 92-0.004z(0~z~80)이어
야 한다. 추가로 TVE의 구성요소는 다음의 특성을 갖추어야 한다.
㉮ 그룹의 고도측정시스템 오차(Altimetry system error ; ASE)의 평균은 25m (80ft)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고,
㉯ 평균 ASE의 절대치의 합과 ASE의 세 가지 표준편차의 합은 75m(245ft)를 초과하
지 않아야 하며,
㉰ 인가된 비행고도와 지시된 압력고도의 차는 표준편차가 13.3m(43.7ft) 이하인 상태
에서, 대략 0m로 균형이 잡혀있어야 하며, 추가로 차이의 크기의 증가에 따른 차이
의 발생주기 감소는 최소치 이어야 함.
② 기체의 특성과 고도측정시스템이 잘 맞아서 위 ①항에 의한 비행기의 그룹에 따른 분
류를 할 수 없는 비행기에 대해서는, 그 고도유지 성능은 그 비행기의 총 수직오차
(Total vertical error ; TVE)의 구성요소가 다음의 특성을 갖추어야 한다.
㉮ 비행기의 ASE는 모든 비행 상황에서 그 크기가 60m(200ft)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고,
㉯ 인가된 비행고도와 지시된 압력고도의 차는 표준편차가 13.3m(43.7ft) 이하인 상태
에서, 대략 0m로 균형이 잡혀있어야 하며, 추가로 차이의 크기의 증가에 따른 차이의
발생주기 감소는 최소치 이어야 함.
사) 고도경보장치는 다음과 같은 성능요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① 고도 편차 시스템은 비행승무원이 선택한 고도와 시현되는 고도가 허용치
(nominal threshold)를 초과할 경우 경고 신호를 보내야 한다. 단, 경고 범위
(허용치) 는 ± 90m (± 300ft)를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아) 자동고도통제장치는 다음과 같은 성능요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① 항공기가 비 난류, 비 돌풍 조건하에서 직진, 수평비행으로 운영될 때, 선택한 고
도에서 ± 20m (± 65ft) 범위 내에서 고도를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의 자동 고도
조정 시스템이 요구된다.
② 비행관리시스템(Flight Management System/성능관리시스템(Performance
Management System)과 함께 있는 자동 고도 조정 시스템의 입력은 비 난류,
비 돌풍 조건에서 ±40m (±130ft) 까지 변화를 허용한다. 이 시스템이 1997년
1월 1일 이전에 형식증명을 위한 신청이 이루어진 항공기 형식에 설치되었다면
이 시스템을 교체하거나 개조할 필요는 없다.
자) 고도계통 출력(Altimetry System Outputs)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① 시현을 위한 압력고도(Baro 교정치)


② 압력고도 보고자료(Pressure altitude reporting data)
③ 자동고도 통제장치를 위한 압력고도 또는 압력고도 편차
2) 감항성 승인
항공사는 당해항공기 제작국에서 승인된 자료를 사용하여 RVSM 성능 표준을 충족하
고 있음을 증명하여야 한다.
가) 항공기 운용자는 당해항공기 제작국에서 승인된 자료를 사용하여 당해 항공기가
특정항행성능요구 공역의 성능 표준을 충족하고 있음을 증명하여야 한다.
나) 항공기 제작자는 신규 제작된 항공기의 경우, RVSM 감항성 승인을 위한 성능 및
분석 자료는 항공기 제작국의 요건에 따라 작성하고 제출하여야 한다.
다) 항공기 제작자는 운용중인 항공기의 경우, RVSM 감항성 승인을 위해 항공기 제
작국 및 등록국에서 요구하는 성능 및 분석 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라) RVSM 감항성 승인만으로 그 공역에 대한 비행 권한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3) 감항성 유지 정비프로그램
승인 받은 정비프로그램에 의하여 고도유지시스템이 RVSM 표준을 지속적으로 충족
시키는지를 정기적으로 시험/검사하여야 한다.
가) RVSM공역 운항을 위해 검토되어야 할 정비관련 서류
① 정비매뉴얼(MM)
② 기체수리 매뉴얼(SRM)
③ 표준작업 시행 매뉴얼(SPM)
④ 예시된 부품목록(IPC)
⑤ 정비계획(MS)
⑥ 제작사 MMEL/ 항공사 MEL
나) 정비수행 지침
① 항공사가 사용하는 승인된 정비프로그램에는 항공기와 부품제작사 정비매뉴얼의
정비수행지침이 포함되어야 하며, RVSM공역 운항승인을 위해 검토되어야 할 사
항들은 다음과 같다.

㉮ 모든 RVSM장비는 각각의 부품제작사의 정비요건과 제작국 정부의 승인을 받은


자료편철에 명시된 성능요건이 유지되어야 한다.

㉯ 초기 RVSM 승인 성능사양을 변경시키는 모든 수리, 개조 또는 설계변경 등은


승인당국 또는 승인당국이 인정한 자가 설계검토를 해야 한다.

㉰ RVSM 승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비수행 즉, 동 ․ 정압 수감부 정렬상태 및 정


압 수감면 부분의 우그러짐 또는 변형 등은 승인당국 또는 승인당국이 인정한 자
와 협의한다.

㉱ 자체시험장치(BITE)를 사용한 시험은, 결함추적을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승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인당국의 허가를 받아 항공기 제작사가 인정해 주지 않는 한, 고도계 장치 측정


근거로서 인정되지 않는다.

㉲ 정압계통 등의 부품교체를 위한 관의 분리 및 연결시 누설 점검이나 육안검사가


수행되어야 한다.

㉳ 항공기 기체 및 정압계통은 항공기 제작사의 검사표준과 절차에 따라 유지되어야


한다.

㉴ 항공기 표피의 적정한 곡면과 고도계 오차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체 기하구조


가 적절하게 유지되는가를 보증하기 위하여 항공기 기체 제작사의 RVSM 허용치
내에 있음을 입증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표면의 측정 또는 표피의 웨이브 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이 검사(시험)는 기체 제작사가 설정한 방식대로 수행되어야 한
다. 또한 이 검사는 기체 표면과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수리 또는 교체작
업 후에도 수행되어야 한다.

㉵ 자동조종장치에 대한 정비 및 검사 프로그램은 자동고도 통제장치가 정확도와 유


효도의 유지 측면에서 RVSM 운항을 위한 고도유지 수준에 부합함을 입증하여야
하며, 이 요건은 장비검사와 기능 점검을 수행하면 된다.

㉶ 필요시 장착되어있는 고도경고장치 ․ 자동고도통제장치 ․ 고도보고장치 ․ 고도측정


시스템 등의 성능이 RVSM 승인을 위한 기준에 적합한 지의 여부를 시현하고,
정비지침에 RVSM 운항조건을 지속적으로 충족시키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절
차가 있어야 한다.

② RVSM 적용공역에서 고도유지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고 보고된 항공기 또는


동 형식의 항공기 그룹에 대한 즉각적인 수정조치를 위한 절차가 있어야 한다.
4) 운항승무원 교육훈련
운항승무원은 초기과정 및 정기보수교육 시 RVSM 공역운항절차에 관하여 지상학
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가) 운송용 항공기를 보유한 항공사 : 훈련 과목표 및 관련 자료를 국토교통부장관에
게 제출하여 초기교육 및 보수교육 프로그램에 운항 수행절차 및 훈련사항 등이
포함되어 있음을 입증해야 한다(운항관리사 교육계획 포함)
나) 운송용 이외의 항공기를 보유한 항공사 : RVSM공역 운항 시 임무수행 절차에 관
한 조종사의 지식수준이 승인요건에 부족함이 없음을 입증하여야 한다. 또한, 훈련
기관 인증서 제시, 훈련과정평가에 따른 훈련 인증서 취득사실 또는 승인신청 시
항공사가 RVSM 운항 수행절차의 내용을 조종사가 반드시 숙지토록 할 것임을 확
약하는 내용을 삽입하거나, 항공사가 자체 훈련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거나 계획
중임을 밝히는 내용을 삽입함으로써 RVSM 운항 수행절차에 대한 승무원 숙지도
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입증하여야 한다.
5) 운항규정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가) 표준운항절차 및 특별 운항절차 등에 RVSM 공역 운항관련 정보 및 지침 등을 포


함시키도록 관련 규정과 점검표를 개정하여야 한다.
나) RVSM운항 제한을 설정하였을 경우 항공기 속도, 고도 및 중량에 관하여 설정된
제한사항을 관련 규정에 포함시켜야 한다.
다) 운항규정과 점검표는 RVSM 운항승인 신청 시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6) 과거의 실적
RVSM공역 운항을 위한 승인신청 시 항공사의 과거 운항실적을 포함시켜야 하며,
훈련상, 절차상, 정비상 문제점 혹은 사용된 항공기 그룹의 취약점으로 인해 발생된
고도유지성능 저하 사례를 제시해야 한다.

나. 성능기반항행 요구공역에서의 운항승인 기준


1) 공통사항
가) 성능기반항행 요구공역에서의 운항을 위한 장비 성능요건은 다음과 같다.
① 성능기반항행 요구공역 운항을 위한 항공기 탑재장비가 동 공역에서 수용될 수 있
는 최소한의 성능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 것
② 항공기에 요구되는 장비의 성능요건이 항법 정확도 요건 및 항법 신뢰도 요건을
충족할 것
나) 감항성 승인
항공사는 당해항공기 제작국에서 승인된 자료를 사용하여 당해 항공기가 성능기반항
행 요구공역의 성능 표준을 충족하고 있음을 증명하여야 한다.
다) 감항성 유지 정비프로그램
승인받은 정비프로그램에 의하여 성능기반항행 성능을 지속적으로 충족시키는지를
정기적으로 시험/검사하여야 한다.
① 성능기반항행 성능 유지를 위해 검토되어야 할 정비관련 서류
㉮ 정비매뉴얼
㉯ 기체수리 매뉴얼
㉰ 표준작업 시행 매뉴얼
㉱ 예시된 부품목록
㉲ 정비계획
㉳ 제작사 MMEL/ 항공사 MEL
② 정비수행 지침 : 항공사가 사용하는 승인된 정비프로그램에는 항공기와 부품제작
사 정비매뉴얼의 정비수행지침이 포함되어야 하며, 성능기반항행 운항 제한을 설정
하였을 경우 항공기 속도, 고도 및 중량에 관한 설정된 제한사항을 관련 규정에 포
함시켜야 한다.
라) 운항승무원 교육훈련
운항승무원은 초기과정 및 정기보수교육 시 성능기반항행 요구공역 운항절차에 관하
여 지상학 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 훈련 과목표 및 관련 자료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 초기교육 및 보수교육


프로그램에 운항 수행절차 및 훈련사항 등이 포함되어 있음을 입증해야 한다(운항
관리사 교육계획 포함)
마) 운항규정
① 표준운항절차 및 특별 운항절차 등에 성능기반항행 요구공역 운항 관련 정보 및 지
침 등을 포함시키도록 관련 규정과 점검표를 개정하여야 한다.
② 성능기반항행 운항제한을 설정하였을 경우 항공기 속도, 고도 및 중량에 관하여 설
정된 제한사항을 관련 규정에 포함시켜야 한다.
③ 운항규정과 점검표는 성능기반항행 요구공역 운항승인 신청 시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바) 과거의 실적
성능기반항행 요구공역 운항을 위한 승인신청 시 항공사의 과거 운항실적을 포함시
켜야 하며, 훈련, 절차 및 정비 문제점 혹은 사용된 항공기 그룹의 취약점으로 인
해 발생된 성능기반항행 성능 유지 저하 사례를 제시해야 한다.
아) 비상업용 항공기 운영자는 정상 절차와 비정상 상황 대응절차 등을 수립하여야 하
며, 관련 정보는 승무원이 비행 중에 이용할 수 있도록 운항규정이나 조종사 운용
교범 등에 수록되어야 한다.
자) 성능기반항행(PBN)에 대한 세부사항은 국토교통부 예규 「성능기반항행 운용지
침」을 따라야 한다.
2) RNP 10
가) 항공기 탑재장비 요건
해양과 내륙 원격지역을 운항하는 항공기는 최소한 2개의 독립적인 장거리항행시
스템(LRNS)을 다음 구성의 하나 또는 조합하여 장착하여야 한다.
① INS
② IRS/FMS (또는 이와 동등한 장비)
③ GNSS
나) 항행 성능 요건
성능감시 및 경보 발령 요건은 다음과 같다.
① 정확도 : 전 비행시간 중 최소한 95퍼센트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횡적 시스템 오류
는 ±10NM 이내, 또한 종적 시스템 오류도 ±10NM 이내
② 무결성 : 항공기 항행시스템 고장은 감항규정에 주요 실패조건으로 등재(시간 당
10⁻⁵)
③ 지속성 : 기능 상실은 해양과 원격지역 항행 시에는 주요 실패조건으로 등재, 지속
성의 요건은 복수의 독립적인 장거리 항행시스템(위성신호는 제외)으로 충족된다.
④ 위성신호 : GNSS를 사용하는 경우, 항공기 항행장비는 20NM보다 큰 횡적 위치오
차가 시간당 10⁻⁷를 초과함으로써 비롯된 위성신호 오류의 가능성에 대하여는 경
고기능이 있을 것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3) RNAV 5
가) 항공기 탑재장비 요건
RNAV 5 운항은 다음의 장비 하나 또는 조합으로 입력된 항공기 위치정보를 자동
적으로 산출하는 RNAV 장비 사용을 기반으로 한다.
① VOR/DME
② DME/DME
③ INS 또는 IRS
④ GNSS
나) 항행 성능 요건
시스템은 다음의 기술적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① 정확도 : 전 비행시간 중 최소한 95퍼센트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횡적 시스템 오류
는 ±5NM 이내, 또한 종적 시스템 오류도 ±5NM 이내
② 무결성 : 항공기 항행시스템 고장은 감항규정에 주요 실패조건으로 간주(발생확률
시간 당 10⁻⁵이하)
③ 지속성 : 다른 항행시스템으로 변환할 수 있고 적절한 공항으로 비행이 가능하다
면, 기능 상실은 경미한 실패조건으로 간주
④ 위성 신호 : GNSS를 사용하는 경우, 항공기 항행장비는 10NM보다 큰 횡적 위치
오차가 시간당 10⁻⁷를 초과함으로써 비롯된 위성신호 오류의 가능성에 대하여는
경고기능이 있을 것
4) RNAV 1, RNAV 2
가) 항공기 탑재장비의 요건
RNAV 1과 RNAV 2 운항은 다음의 장비 중 하나 또는 조합으로부터의 입력자료를
이용하여 수평면에서의 항공기 위치를 자동적으로 산출하는 RNAV 장비 사용을 기
반으로 한다.
① GNSS
② DME/DME RNAV 장비
③ DME/DME/IRU RNAV 장비
나) 항행 성능 요건
시스템은 다음의 기술적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① 정확성(Accuracy)
- RNAV 1 : 비행시간의 최소한 95퍼센트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1 NM 이내
- RNAV 2 : 비행시간의 최소한 95퍼센트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2 NM 이내
② 무결성(Integrity)
항공기에 탑재된 정밀지역항법 장비는 동시에 두 조종사에게 위험할 정도의 오류정
보로 항행정보나 위치정보를 제공할 확률이 허용범위(시간 당 10⁻⁵)를 넘어서는 안
된다.
③ 지속성(Continuity of Function)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다른 항행시스템으로 변환할 수 있고 적절한 공항으로 비행이 가능하다면, 기능 상


실은 경미한 실패조건으로 간주
④ 위성 신호
- RNAV 1 : GNSS를 사용하는 경우, 항공기 항행장비는 2NM보다 큰 횡적 위치오
차가 시간당 10⁻⁷를 초과함으로써 비롯된 위성신호 오류의 가능성에 대하여는 경
고기능이 있을 것
- RNAV 2 : GNSS를 사용하는 경우, 항공기 항행장비는 4NM보다 큰 횡적 위치오
차가 시간당 10⁻⁷를 초과함으로써 비롯된 위성신호 오류의 가능성에 대하여는 경
고기능이 있을 것
5) RNP 4
가) 항공기 탑재장비 요건
해양 공역 RNP 4 운항을 위한 장비요건은 다음 중 하나 또는 조합과 같다.
① 복수 장거리항행시스템 탑재
최소한 2개의 독립적인 장거리항행시스템(LRNS)이 장착되어 있을 것
② 위성항행시스템(GNSS)을 사용
나) 기술적 요건
시스템은 다음의 기술적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① 정확성(Accuracy)
해양 RNP 4 공역 내에서 총 비행시간의 95퍼센트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항공기의
횡적 위치오차(cross track or lateral error)와 종적 위치오차(along track or
longitudinal error)는 ± 4NM 이내에 들어야 하며 이 구간에서 항공기의 비행기술
적오차(FTE)는 비행시간의 95퍼센트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2.0NM로 간주
② 무결성(Integrity)
해양 RNP 4 공역에서 요구 정확도를 충족시키지 않았는데도 이에 대한 경보가 없
이 비행할 확률은 시간당 10⁻⁵ 이하 일 것
③ 지속성(Continuity)
해양 및 원격운항 중 기능 상실은 중대한 실패조건으로 간주하며, 복수의 LRNS장
비가 탑재되면 지속성은 충족된 것으로 간주(위성신호 요건 제외)
④ 성능감시 및 경보발령(Performance Monitoring & Alerting)
탑재된 지역항법시스템은 다음 상황에서 반드시 경고기능이 작동할 것
- 정확도(Accuracy)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할 때,
- 횡적 위치오차가 8NM 초과될 확률이 10⁻⁵을 초과할 때
⑤ 위성신호
GNSS를 사용한 항행 시, 항공기탑재 항행 시스템은 GNSS신호 오류로 인한 횡적
위치오차가 8NM을 초과할 확률이 10⁻⁷을 초과할 경우 반드시 경고기능이 작동할

6) BASIC-RNP 1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가) 항공기 탑재장비 요건
Basic-RNP 1 운항은 다음 형태의 위치 센서가 하나 또는 조합되어 입력된 항공기
을 기반으로 한다.
① E/TSO-C129a 센서가 (클래스 B 또는 C) 부착되고, FAA AC 20-130A에 따라
IFR 사용을 위해 설치된 E/TSO-C115b FMS 요건을 충족한 항공기;
② FAA AC 20-138 또는 AC 20-138A에 따라 IFR 사용을 위해 설치된
E/TSO-C129a Class A1 또는 E/TSO-C146 장비가 부착된 항공기;
③ RNP 기능이 인증되거나 그에 준하는 표준에 따라 승인된 항공기.
나) 기술적 요건
시스템은 다음의 기술적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① 정확도 : 전 비행시간 중 최소한 95퍼센트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횡적 시스템 오류
는 ±1NM 이내, 또한 종적 시스템 오류도 ±1NM 이내
② 무결성 : 항공기 항행시스템 고장은 감항규정에 주요 실패조건으로 간주(발생확률
시간 당 10⁻⁵이하)
③ 지속성 : 다른 항행시스템으로 변환할 수 있고 적절한 공항으로 비행이 가능하다
면, 기능 상실은 경미한 실패조건으로 간주
④ 위성 신호 : GNSS를 사용하는 경우, 항공기 항행장비는 2NM보다 큰 횡적 위치오
차가 시간당 10⁻⁷를 초과함으로써 비롯된 위성신호 오류의 가능성에 대하여는 경
고기능이 있을 것
7) RNP APCH
가) 항공기 탑재장비 요건
① TSO-C129a/ETSO-C129a Class A1 또는 TSO-C146()/ETSO-C146() Gamma
급 및 1급, 2급 또는 3급에 따라 검증된 하나 이상의 GPS 수신기를 가진 GNSS
단독 시스템; 또는
② TSO-C129()/ETSO-C129() B1급, C1급, B3급 또는 C3급, 또는 TSO-C145()/
ETSO-C145() 1급, 2급 또는 3급(동일 내용의 통합안내서도 함께)에 따라 검증된
하나 이상의 GPS수신기를 가진 다중센서 시스템(FMS ; Flight Management
System)
주. ()는 기술표준지시(Technical Standard Order : TSO)의 어떤 버전도 수용 가능
함을 의미한다. 즉 TSO-C129()은 TSO-C129 또는 TSO-C129a에서 가능함을
의미한다.
나) 기술적 요건
시스템은 다음의 기술적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① 정확도 : 전 비행시간 중 최소한 95퍼센트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횡적 시스템 오류
는 첫접근, 중간접근 및 실패접근구간은 ±1NM 이내, 최종접근구간은 ±0.3NM 이
내, 또한 종적 시스템 오류도 첫접근, 중간접근 및 실패접근구간은 ±1NM 이내, 최
종접근구간은 ±0.3NM 이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② 무결성 : 항공기항행시스템 고장은 감항규정에 주요 실패조건으로 등재(시간 당 10⁻


⁵)
③ 지속성 : 기능 상실은 다른 항행시스템을 이용하여 적합한 공항으로 운항할 수 있
다면 경미한 고장으로 간주. 만약 실패접근이 재래식 항법으로 구성되었다면 관련
항행 장비는 장착되고 정상 작동되어야 한다.
④ 성능감시 및 경보발령(Performance Monitoring & Alerting)
- 탑재된 지역항법시스템은 다음 상황에서 반드시 경고기능이 작동될 것
ㄱ. 정확도(Accuracy) 요건을 충족시 키지 못할 때,
ㄴ. 횡적 위치오차가 2NM을 초과될 확률이 10-7을 초과 또는 최종접근 시 횡적
오차가 0.6NM을 초과할 확률이 10⁻⁷를 초과할 때
⑤ 위성 신호 : GNSS를 사용하는 경우, 항공기 항행장비는 2NM보다 큰 횡적 위치오
차가 시간당 10⁻⁷를 초과 또는 최종접근구역 운항에 사용된다면 항공기 항행장비
는 0.6NM보다 큰 횡적 위치오차가 시간당 10⁻⁷를 초과함으로써 비롯된 위성신호
오류의 가능성에 대하여는 경고기능이 있을 것
8) RNP AR APCH
가) 요구되는 시스템 성능은 다음과 같다.
① 경로 정의 (Path definition). 항공기 성능은 발표된 절차와 RTCA/DO-236B
Section 3.2; EUROCAE ED-75B에서 정의된 경로에 따라 평가된다.
② 수평 정확도(Lateral accuracy). RNP AR APCH 절차에서 운항하는 모든 항공기
는 비행시간의 95퍼센트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교차-트랙 항법오류가 해당되는 정
확도 값을 (0.1 NM ~ 0.3 NM) 절대로 넘지 않을 것
③ 수직 정확도 (Vertical accuracy). 수직시스템 오류에는 고도계 오류 (국제표준대기
(ISA)의 온도와 시간경과 추정), 어롱-트랙 오류 효과, 시스템 측정 오류, 데이터
해상도 오류, FTE 등이 포함
④ 시스템 모니터링 (System monitoring).

별표 8.1.11.27 국제항공신호(Universal Aviation Signals)


가.비인가 항공기를 경고하기 위한 가시신호
주야간 지상에서 10초 간격으로 발사되어 적색 및 녹색 또는 별 모양을 나타내며 폭
발하는 신호탄은 비 인가된 항공기가 제한구역, 금지구역 또는 위험구역을 침범하였
거나 침범하려고 하며 이에 필요한 시정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나. 비행장 내에서 사용되는 신호. 비행장 관제사는 다음의 빛과 발광탄 신호를 사용해
야 하며 조종사는 이를 따라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관제탑으로 부터


지상에 있는
비행중인 항공기에게
항공기에게

대상 항공기를 고정녹색 착륙을 허가함. 이륙을 허가함.


향하여 투사(그 고정녹색 다른 항공기에게 진로 정지
림 8.1을 볼것) 를 양보하고 계속 선회
할 것.
녹색점멸의 연속 착륙을 준비할 것.* 지상유도를 허가함
적색점멸의 연속 비행장이 불안전하니 사용 중인 착륙지역
착륙하지 말 것. 을 벗어날 것.
백색점멸의 연속 이 비행장에 착륙하여 비행장내의 출발지점
계류장으로 갈 것.* 으로 돌아갈 것.
적색 불꽃 이미 지시받은 내용에
관계없이 착륙하지 말것.

* 착륙 및 지상유도를 위한 허가가 뒤이어 발부될 것임.

그림 6.1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다. 조종사는 다음과 같이 비행장관제사 신호에 응신하여야 한다.


1) 비행중일 경우:
가) 주간에는 항공기날개를 흔든다;
주 이 신호는 Base구간 및 Final구간에 있는 항공기는 해당되지 않는다. 야간에는
착륙등을 2회 점멸하거나 또는 착륙등이 장착되지 않았을 경우 항행등을 2회
점멸한다.
2) 지상에 있을 경우:
가) 주간에는 항공기보조익 또는 방향타를 움직인다.
나) 야간에는 착륙등을 2회 점멸하거나 또는 착륙등이 장착되지 않았을 경우 항행등을
2회 점멸한다.

라. 공항당국은 다음상황에 사용되는 가시지상신호를 사용해야 한다.


평면의 적색 사각판 위에 황색 대각선이 그려져 신
1) 착륙금지 호구역에 표시되어 있을 경우, 이는 착륙이 금지되
고 동 금지가 지속적임을 표시한다.
2) 접근 또는 평면의 적색 사각판 위에 한 개의 황색 대각선 그림
착륙시 특별 이 그려져 신호구역에 표시되어 있을 경우, 이는 기
한 주의의 필 동지역내의 불량한 상태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하여 접
요성. 근 또는 착륙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함을 나타낸다.
평면의 백색 아령이 신호구역에 표시되어 있을 경
우, 이는 활주로 또는 유도로상에서만 착륙, 이륙
및 지상유도 해야 함을 표시한다.
3) 활주로 및 위의 백색아령과 같으나 아령의 원형부분을 가로지
유도로 사용 르는 검은 선이 축에 수직으로 그어져 신호구역에
표시되어 있을 경우, 이는 이착륙 활주로상에서만
가능하지만 다른 기동은 활주로 및 유도로에 국한되
지 않음을 표시한다.
4) 폐쇄된 활주로 및 유도로 또는 이외 일부분의 평면에 황색
활주로 또는 또는 백색으로 선명하게 그려진 십자형 표시는 동 구
유도로. 역이 항공기의 이동에 부적합하다는 것을 표시한다.
평면의 백색 또는 주황색 착륙 T 는 항공기의 이착
륙 방향을 나타내며 T자의 가로획 방향을 향하여
축과 평행하게 이착륙을 실시한다.
주: 야간에 사용될 경우 동착륙 T를 조명하든지 또
5) 이착륙 방향 는 백색등으로 윤곽을 표시한다.

관제탑 또는 부근에 수직으로 표시된 한 쌍의 두 단


위 숫자는 기동지역에 있는 항공기에게 나침반상 가
까운 10도의 이륙방향을 10도 단위로 표시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신호구역 내 또는 사용 중인 활주로 또는 착륙대


끝의 평면에 선명한 색으로 그려진 우측으로 꺽어진
6) 우측 선회.
화살표시는 이착륙 후 우측으로 선회하여야 함을 표
시한다.
7) 항공교통업
황색바탕에 C자가 검은색으로 쓰여진 수직판은 항
무 보고 사
공교통업무 사무소의 위치를 표시한다.
무소.

신호구역에 평면으로 표시된 이중 십자형 표시는 동


8) 활공기 비행
비행장이 활공기용이며 활공기가 비행중임을 표시한다

마. 요격 중에 무선통신
1) 요격 중에 무선교신이 이루어 졌으나 공용 언어에 의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경우,
아래 표에 수록된 관용구 및 발음 방법에 의하여 지시에 대한 응답 및 필수적인 정
보를 전달하여야 하며, 각 관용구는 두 번씩 송신하여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요격기가 사용하는 용어 피 요격기가 사용하는 용어

용어 발음 의미 용어 발음 의미

CALL KOL 호출부호가 CALL SIGN KOL SA-IN 나의


SIGN SA-IN 무었인가? (call sign)2 (call sign) 호출부호는
---이다.

FOLLOW FOL-LO 나를 따라오라 WILCO VILL-KO 알았다. 지시를


따르겠다.

DESCEND DEE-SEND 착륙을 위해 CAN NOT KANN NOTT 지시를 따를


강하하라 수 없다.

YOU YOU 이 비행장에 REPEAT REE-PEET 지시를


LAND LAAND 착륙하라 반복하라.

PROCEED PRO-SEE 그냥 가도 AM LOST AM LOSST 위치를 알 수


D 좋다 없다.

MAYDAY MAYDAY 조난중이다.

HIJACK3 HI-JACK 공중납치


당했다.

LAND LAAND (장소명칭)에


(place (place 착륙하기를
name) name) 원한다

DESCEND DEE-SEND 강하하고자


한다.

1. 둘째란의 밑줄친 음절은 강하게 발음한다.


2. 호출부호는 비행계획서 상에 기재된 것으로서 항공교통업무기관과의 무선통신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3. 상황에 따라, 또는 바람직하지 않아서, "HIJACK"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못할
경우도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바. 순항고도

1.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순항고도

가) 고도측정 단위를 미터(meter)로 사용하는 지역

비행방향
000°에서 179°까지 180°에서 359°까지
계기비행 시계비행 계기비행 시계비행
비행 고도 비행 고도 비행 고도 비행 고도
고도 미터 피트 고도 미터 피트 고도 미터 피트 고도 미터 피트
300 1 000 - 2 000 - -
900 3 000 3 500 3 900 1 350 4 400
0030 1 500 4 900 - - 5 400 0060 600 5 900 - 1 950 6 400
0090 2 100 6 900 0105 1 050 7 400 0120 1200 7 900 0135 2 550 8 400
0150 2 700 8 900 0165 1 650 9 400 0180 1800 9 800 0195 3 150 10
0210 3 300 10 0225 2 250 11 0240 2400 11 0255 3 750 300
0270 3 900 800 0285 2 850 300 0300 3000 800 0315 4 350 12
0330 4 500 12 0345 3 450 13 0360 3600 13 0375 4 950 300
0390 5 100 800 0405 4 050 300 0420 4200 800 0435 5 550 14
0450 5 700 14 0465 4 650 15 0480 4800 15 0495 6 150 300
0510 6 300 800 0525 5 250 300 0540 5400 700 0555 6 750 16
0570 6 900 16 0585 5 850 17 0600 6000 17 0615 7 350 200
0630 7 500 700 0645 6 450 200 0660 6600 700 0675 7 950 18
0690 8 100 18 0705 7 050 19 0720 7200 19 0735 8 550 200
0750 8 900 700 0765 7 650 200 0780 7800 700 0795 9 800 20
0810 10 20 0825 8 250 21 0840 8400 21 0855 11 200
0890 100 700 0920 9 200 200 0950 9500 700 0980 000 22
1010 11 22 1040 10 400 23 1070 10700 23 1100 12 100
1130 300 600 1160 11 600 100 1190 11900 600 1220 200 24
1250 12 24 1280 12 800 25 1310 13100 25 1370 13 100
1370 500 600 1400 14 000 100 1430 14300 600 1460 400 26
1490 13 26 1520 15 200 27 1550 15500 27 1580 14 100
ㆍ 700 600 ㆍ ㆍ 100 ㆍ ㆍ 600 ㆍ 600 28
ㆍ 14 29 ㆍ ㆍ 30 ㆍ ㆍ 31 ㆍ 15 100
ㆍ 900 100 ㆍ ㆍ 100 ㆍ ㆍ 100 ㆍ 800 32
ㆍ 33 34 35 ㆍ 100
ㆍ 100 100 100 ㆍ 36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100
37 38 39
40
100 100 100
100
41 42 43
44
100 100 000
000
44 46 46
47
ㆍ 900 100 900 ㆍ
900
48 49 50
51
900 900 900
900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나) 고도측정 단위를 피트(feet)로 사용하는 지역

비행방향
000°에서 179°까지 180°에서 359°까지
계기비행 시계비행 계기비행 시계비행
비행 고도 비행 고도 비행 고도 비행 고도
고도 피트 미터 고도 피트 미터 고도 피트 미터 고도 피트 미터
010 1 000 300 - - - 020 2 000 600 - - -
030 3 000 900 035 3 500 1 050 040 4 000 1 200 045 4 500 1 350
050 5 000 1 500 055 5 500 1 700 060 6 000 1 850 065 6 500 2 000
070 7 000 2 150 075 7 500 2 300 080 8 000 2 450 085 8 500 2 600
090 9 000 2 750 095 9 500 2 900 100 10 3 050 105 10 3 200
110 11 3350 115 11 500 3 500 120 000 3 650 125 500 3 800
130 000 3 950 135 13 500 4 100 140 12 4 250 145 12 4 400
150 13 4 550 155 15 500 4 700 160 000 4 900 165 500 5 050
170 000 5 200 175 17 500 5 350 180 14 5 500 185 14 5 650
190 15 5 800 195 19 500 5 950 200 000 6 100 205 500 6 250
210 000 6 400 215 21 500 6 550 220 16 6 700 225 16 6 850
230 17 7 000 235 23 500 7 150 240 000 7 300 245 500 7 450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18 18
000
000 500
19
20 20
000
000 500
21
22 22
000
000 500
23 7 600 7 750 7 900 8 100
24 24
000 8 250 8 400 8 550 8 700
000 500
25 8 850 9 150 9 450 9 750
250 255 25 500 260 26 265 26
000 10 10 10 10
270 275 27 500 280 000 285 500
27 050 350 650 950
290 300 30 000 310 28 320 28
000 11 11 11 12
330 340 34 000 350 000 360 500
29 300 600 900 200
370 380 38 000 390 31 400 32
000 12 12 13 13
410 420 42 000 430 000 440 000
33 500 800 100 400
450 460 46 000 470 35 480 36
000 13 14 14 14
490 500 50 000 510 000 520 000
37 700 000 350 650
ㆍ ㆍ ㆍ ㆍ 39 ㆍ 40
000 14 15 15 15
ㆍ ㆍ ㆍ ㆍ 000 ㆍ 000
41 950 250 550 850
ㆍ ㆍ ㆍ ㆍ 43 ㆍ 44
000 ㆍ ㆍ ㆍ ㆍ
000 000
45 ㆍ ㆍ ㆍ ㆍ
47 48
000 ㆍ ㆍ ㆍ ㆍ
000 000
49
51 52
000
000 000

ㆍ ㆍ

ㆍ ㆍ

ㆍ ㆍ

2. 수직분리축소공역(RVSM)에서의 순항고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가) 고도측정 단위를 미터(meter)로 사용하며 8,900미터 이상 12,500미터 이하의 고도


에서 300미터의 수직분리최저치가 적용되는 지역

비행방향
000°에서 179°까지 180°에서 359°까지
계기비행 시계비행 계기비행 시계비행
비행 고도 비행 고도 비행 고도 비행 고도
고도 미터 피트 고도 미터 피트 고도 미터 피트 고도 미터 피트
1 000 - 2 000 -
3 000 3 500 3 900 4 400
0030 300 - - 0060 600 - -
4 900 5 400 5 900 6 400
0090 900 0105 1 050 0120 1 200 0135 1 350
6 900 7 400 7 900 8 400
0150 1 500 0165 1 650 0180 1 800 0195 1 950
8 900 9 400 9 800 10
0210 2 100 0225 2 250 0240 2 400 0255 2 550
10 11 11 300
0270 2 700 0285 2 850 0300 3 000 0315 3 150
800 300 800 12
0330 3 300 0345 3 450 0360 3 600 0375 3 750
12 13 13 300
0390 3 900 0405 4 050 0420 4 200 0435 4 350
800 300 800 14
0450 4 500 0465 4 650 0480 4 800 0495 4 950
14 15 15 300
0510 5 100 0525 5 250 0540 5 400 0555 5 550
800 300 700 16
0570 5 700 0585 5 850 0600 6 000 0615 6 150
16 17 17 200
0630 6 300 0645 6 450 0660 6 600 0675 6 750
700 200 700 18
0690 6 900 0705 7 050 0720 7 200 0735 7 350
18 19 19 200
0750 7 500 0765 7 650 0780 7 800 0795 7 950
700 200 700 20
0810 8 100 0825 8 250 0840 8 400 0855 8 550
20 21 21 200
0890 8 900 0920 9 200
700 200 700 22
0950 9 500 0980 9 800
22 23 23 100
1010 10 100 1040 10 400
600 100 600 24
1070 10 700 1100 11 000
24 25 25 100
1130 11 300 1160 11 600
600 100 600 26
1190 11 900 1220 12 200
26 27 27 100
1250 12 500 1310 13 100
600 100 600 28
1370 13 700 1430 14 300
29 30 100
1490 14 900 1550 15 500
100 100
ㆍ ㆍ ㆍ ㆍ
31 32
ㆍ ㆍ ㆍ ㆍ
100 100
ㆍ ㆍ ㆍ ㆍ
33 34
100 100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35 36
100 100
37 38
100 100
39 40
100 100
41 43
100 000
44 46
900 900
48 50
900 900
ㆍ ㆍ
ㆍ ㆍ
ㆍ ㆍ

나) 고도측정 단위를 피트(feet)로 사용하며 FL290 이상 FL410 이하의 고도에서 1,000


피트의 수직분리최저치가 적용되는 지역

비행방향
000°에서 179°까지 180°에서 359°까지
계기비행 시계비행 계기비행 시계비행
비행 고도 비행 고도 비행 고도 비행 고도
고도 피트 미터 고도 피트 미터 고도 피트 미터 고도 피트 미터
010 1 000 300 - - - 020 2 000 600 - - -
030 3 000 900 035 3 500 1 050 040 4 000 1 200 045 4 500 1 350
050 5 000 1 500 055 5 500 1 700 060 6 000 1 850 065 6 500 2 000
070 7 000 2 150 075 7 500 2 300 080 8 000 2 450 085 8 500 2 600
090 9 000 2 750 095 9 500 2 900 100 10 000 3 050 105 10 500 3 200
110 11 000 3 350 115 11 500 3 500 120 12 000 3 650 125 12 500 3 800
130 13 000 3 950 135 13 500 4 100 140 14 000 4 250 145 14 500 4 400
150 15 000 4 550 155 15 500 4 700 160 16 000 4 900 165 16 500 5 050
170 17 000 5 200 175 17 500 5 350 180 18 000 5 500 185 18 500 5 650
190 19 000 5 800 195 19 500 5 950 200 20 000 6 100 205 20 500 6 250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6 400 6 700
7 000 7 300
7 600 7 900
8 250 8 550
210 21 000 215 21 500 6 550 220 22 000 225 22 500 6 850
8 850 9 150
230 23 000 235 23 500 7 150 240 24 000 245 24 500 7 450
9 450 9 750
250 25 000 255 25 500 7 750 260 26 000 265 26 500 8 100
10 10
270 27 000 275 27 500 8 400 280 28 000 285 28 500 8 700
050 350
290 29 000 300 30 000
10 10
310 31 000 320 32 000
650 950
330 33 000 340 34 000
11 11
350 35 000 360 36 000
300 600
370 37 000 380 38 000
11 12
390 39 000 400 40 000
900 200
410 41 000 430 43 000
12 13
450 45 000 470 47 000
500 100
490 49 000 510 51 000
13 14
ㆍ ㆍ ㆍ ㆍ
700 350
ㆍ ㆍ ㆍ ㆍ
14 15
ㆍ ㆍ ㆍ ㆍ
950 550
ㆍ ㆍ
ㆍ ㆍ
ㆍ ㆍ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표 8.1.11.45 무인자유기구 운영(Unmanned Free Balloons Operation)


가. 무인자유기구의 분류(Classification of unmanned free balloons)
1) 소형급(light) : 1개 이상 화물의 총중량이 4kg미만인 유상하중을 운반하는 무인자유
기구로서, 아래 3) 나), 다) 및 라)에 해당되는 대형급은 제외한다.
2) 중형급(medium) : 2개 이상 화물의 총중량이 4kg이상 6kg미만인 유상하중을 운반하는
무인자유기구로서, 아래 3) 나), 다) 및 라)에 해당되는 대형급은 제외한다.
3) 대형급(heavy) : 다음 각 호 중 어느 하나의 유상하중을 운반하는 무인자유기구
가) 총중량 6kg이상
나) 개별 화물의 무게가 3kg이상
다) 밀도가 13g/㎠이상인 개별 화물의 무게가 2kg이상
라) 230뉴톤(newtons)이상을 지탱하는 밧줄 또는 기타 지주를 사용하는 경우

나. 운용 규칙(General operating rules)


1) 무인자유기구를 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관할 지방항공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 기상관측용으로서 이 절차에서 정하는 방법에 의하여 운용하는 소형급 무인자유기구를
제외하고, 관할 지방항공청장의 허가 없이 다른 국가의 영토를 가로질러 무인자유기구
를 운용하여서는 아니된다.
3) 계획당시 기구가 다른 국가의 영토상공으로 흘러갈 것이 분명하게 예상이 되면 기구를
부양하기 전 관할 지방항공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 경우 관할 지방항공청장은 일
련의 기구 비행 및 대기연구용 기구 운용 등의 경우 반복비행(Recurring Flight)을 허
가할 수 있다.
4) 무인자유기구를 운용하고자 하는 자는 이 절차에서 정하는 조건에 따라 운용하여야
한다. 단, 비행하고자 하는 지역의 국가가 달리 정하는 경우에는 그 국가가 정하는 조
건에 따라 운용하여야 한다.
5) 무인자유기구 또는 운반물의 일부분이 지면과의 충돌로 인하여 동 운용과 관련이 없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는 사람 또는 재산에 피해를 주어서는 아니 된다.


6) 공해상에서 대형급 무인자유기구를 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관할 항공교통업무기관과
사전에 협의를 하여야 한다.

다. 운용한계 및 장비기준(Operating limitations and equipment requirements)


1) 대형급 무인자유기구를 운용하고자 하는 자는 다음 각 호의 경우 관할 항공교통업무
기관의 허가 없이 18,000미터(60,000피트)미만의 어느 고도에서도 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가) 4 옥타(oktas) 이상의 구름 등이 있을 경우
나) 수평시정이 8킬로미터 미만일 경우
2) 대형급 또는 중형급 무인자유기구를 운용하고자 하는 자는 도시, 번화가 등 인구밀집
지역 또는 동 운용과 관련이 없는 옥외군중의 상공을 300미터(1,000피트)미만의 고도
로 비행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3) 대형급 무인자유기구를 운용하고자 하는 자는 다음 각 호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
우 당해 무인자유기구를 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가) 자동 또는 원격조정으로 유상하중을 이탈시키는 독립적인 도구 또는 장치가 2개 이
상 있을 것
나) 폴리에틸렌 0(Zero) 기압기구의 경우 각각 독립적으로 기구 자체의 비행을 종료시
키는 방법, 장치, 도구 또는 이들의 조합이 2개 이상 있을 것
다) 기구는 200㎒~2,700㎒의 주파수범위 내에서 운용되는 지상레이더에 반사 신호를
보내는 반사기 또는 반사체를 탑재하거나, 또는 지상레이더의 유효범위 밖에서 운용
자가 계속적으로 항적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를 탑재할 것
4) 대형급 무인자유기구는 배정된 code로 계속 작동되거나 필요한 경우 Tracking
station(감시국)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는 고도통보기능이 있는 SSR트랜스폰더 또는
ADS-B 송신기를 탑재하지 않는 한 지상 SSR장비 또는 ADS-B장비가 운용중인 지
역에서 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5) 어느 부분이든 파손시키는데 230뉴톤(newtons)을 초과하는 힘이 필요한 안테나를 가
지고 있는 무인자유기구는 동 안테나에 15미터 이하의 간격으로 부착된 유색 삼각 깃
발 또는 표지기를 달지 않는 한 이를 운용하여서는 아니된다.
6) 야간(일몰과 일출사이)에 등화를 달지 않는 대형급 무인자유기구는 고도 18,000미터
(60,000피트) 미만에서 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7) 15미터를 초과하는 길이의 계류도구(현저히 눈에 띄는 색깔의 낙하산이 아닌 것)를 가
진 대형급 무인자유기구는 계류도구가 현저한 색깔이 교대로 도색되거나 또는 유색
삼각 깃발을 부착하지 않는 한 일출과 일몰사이에 고도 18,000미터(60,000피트) 미만
에서 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라. 종료(Termination)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대형급 무인자유기구의 운용자는 다음 각 호의 경우 위의 다항 3)호 가) 내지 나)에서


정하는 적절한 종료장치를 작동시켜야 한다.
1) 기상상태가 동 기구의 운용에 필요한 기준치 미만일 때
2) 고장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해 항공기, 사람 또는 지상의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
가 있을 때
3) 다른 국가의 영토상공으로 허가를 받지 않고 진입하기 전

마. 비행통보(Flight notification)
1) 비행 전 통보
가) 중형급 및 대형급 무인자유기구를 운용하고자 하는 자는 예정된 비행일로부터 7일
전까지 관할 항공교통업무기관에 비행예정 통보를 하여야 한다.
나) 가)에 따라 비행예정통보를 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식별부호 또는 계획명칭
(2) 기구의 분류등급 및 특징
(3) SSR code 또는 NDB 주파수
(4) 운용자의 이름 및 전화번호
(5) 부양위치
(6) 부양예정시간(연속하여 부양할 경우 시작 및 종료시간)
(7) 부양 기구 수 및 예정부양간격(여러 개를 부양할 경우)
(8) 예상 상승방향
(9) 순항비행고도(기압고도)
(10) 기압고도 18,000미터(60,000피트)를 통과하거나, 고도 18,000미터(60,000피트)이
하의 수평비행고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예정 소요시간 및 위치
(11) 비행종료일시 및 낙하위치. 비행종료 일시 및 낙하위치를 정확하게 예상할 수 없
는 경우 “장기간”이란 용어 사용
다) 위의 나)항에 따라 통보한 내용에 대한 변경은 부양예정시간으로부터 6시간 이전 또
는 시간이 중요한 변수인 태양 또는 우주전파간섭에 대한 연구목적일 경우 운용개시
예정시간으로부터 30분 이전에 관할 항공교통업무기관에 통보하여야 한다.
2) 발사통보
운용자는 대형급 또는 중형급 무인자유기구를 부양한 직후 다음 사항을 관할 항공교통
업무기관에 통보하여야 한다.
가) 기구비행 식별부호
나) 부양위치
다) 부양시간
라) 기압고도 18,000미터(60,000피트) 통과예정시간 또는 고도 18,000미터 (60,000피
트) 이하의 수평비행고도 도달예정시간 및 예정위치
마) 부양기구 수, 예정부양간격(여러 개를 부양할 경우) 및 예상 상승방향의 변경사항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3) 취소통보
운용자는 중형급 또는 대형급 무인자유기구의 비행이 취소되었을 경우 이를 지체 없이
관할 항공교통업무기관에 통보하여야 한다.

바. 위치기록 및 보고(Position recording and reports)


1) 대형급 무인자유기구의 운용자는 기구의 비행경로를 추적하여 관할 항공교통업무기관
이 요구할 경우 위치보고를 하여야 하며, 항공교통업무기관의 특별한 요구가 없는 한
다음과 같이 기구의 위치를 기록하여야 한다.
가) 기압고도 18,000미터(60,000피트)이하의 고도에서 운용되는 경우 매2시간마다 위
치를 기록하여야 한다.
나) 기압고도 18,000미터(60,000피트)를 초과하는 고도에서 운용되는 경우 매24시간마
다 위치를 기록하여야 한다.
2) 무인자유기구 운용자는 위의 1)에 따른 기구의 위치를 기록할 수 없을 경우 지체 없
이 관할 항공교통업무기관에 통보하여야 하며, 이 경우 최종위치를 포함하여야 한다.
3) 무인자유기구 운용자는 기구의 위치추적이 재개되었을 경우 지체 없이 관할 항공교통
업무기관에 통보하여야 한다.
4) 대형급 무인자유기구의 운용자는 강하개시 1시간 전에 다음 사항을 관할 항공교통업
무기관에 통보하여야 한다.
가) 최종위치
나) 최종고도(기압고도)
다) 기압고도 18,000미터(60,000피트) 진입예상시간
라) 지상낙하 예상시간 및 위치
5) 대형급 또는 중형급 무인자유기구의 운용자는 운용이 종료되었을 경우 관할 항공교통
업무기관에 통보하여야 한다.

별표 8.1.12.2 회전익항공기의 회전익 작동 중 급유를 위한 요건


1. 일반 요건
가. 급유 작업에 종사하는 자들을 위한 적절한 교육훈련프로그램이 수립되어 있고, 동
프로그램에 따라 교육훈련이 실시되어 있을 것
나. 급유를 위한 제반 안전절차가 적절하게 수립되어 있고, 동 절차를 이행하는 데 문
제가 없을 것
2. 회전익 작동 중 급유안전
가. 급유 전 안전수칙
1) 항공기와 급유차량(또는 장비) 간 3점 접지 실시
2) 조종사는 적합한 등급의 연료와 첨가제(해당될 경우에 한함)가 급유되는 지 확인
3) 엔진 회전수는 최소한 저속으로 유지
4) 급유를 위한 전 과정을 감독하기 위한 감독자 배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5) 급유 중 화재발생을 대비한 소화기 및 소화요원 배치


나. 급유 중 안전수칙
1) 연료의 주입은 분당 10갤론(38리터)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주입구 밖으로 연료
가 유출되지 않도록 해야 함
2) 기장 또는 자격을 갖춘 자와 연료보급을 감독하는 지상요원 간에 상호 송수신 통
신이 유지되어야 함
3. 급유 중 승객의 안전
가. 승객이 항공기내에 머무르는 것이 승객의 안전에 불리하다고 기장이 판단하였다면,
급유를 시작하기 전에 승객을 항공기에서 내리게 한 후,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켜야 함
나. 승객이 기내에 탑승 중일 때
1) 비상시 승객을 탈출시키기 위하여 비상절차에 대한 교육훈련을 이수한 자가 최소
한 1인 이상(조종석에 앉아 있는 기장 등 조종사는 제외) 동승
4. 종사자 교육훈련
가. 항공운송사업자 등은 다음을 포함한 교육훈련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시행
1) 제트연료의 특성
2) 연료품질관리 절차
3) 유조차 및 연료탱크의 안전한 운영절차
4) 작동 중인 회전익에 가까이 접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주의 절차
5) 조종사(승객이 탑승한 경우, 승객의 비상탈출을 위해 동승한 자 포함) 및 급유작업
참가자 간 의사소통 절차 및 방법
6) 연료의 외부 유출시 응급처리 절차
7) 항공기 및 유조차(또는 장비) 간 3점 접지 방법
8) 화재 등으로 인한 부상자 발생 시 응급처리절차
9) 안전한 급유를 위해 해당 엔진제작사 등에서 권고한 사항 및 절차
10) 기타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절차
나. 교육훈련프로그램에는 현장실습이 포함되어야 한다.

별표 8.1.12.10 객실 내 화물 반입(Carriage of Cargo in Passenger Compartments)


가. 다음 각 호의 요건을 충족하는 인가된 화물상자인 경우 화물을 객실 내에 반입할 수
있다.
1) 화물상자는 상자에 실을 수 있는 최대화물중량과 상자 자체 무게를 합한 중량의
1.15배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하고, 상자가 설치되어 있는 승객좌석이 비상착륙상
황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2) 운반이 허용되어 있고 상자 속에 적정한 중량배분을 확인하는데 필요한 설명서가 있
는 화물의 최대무게가 잘 보이게 표시되어 있어야 한다.
3) 구조상의 하중 제한치를 초과하여 기내 바닥이나 다른 구조물에 화물상자가 놓여서
는 아니 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4) 상자는 좌석통로 또는 항공기의 바닥 구조물에 붙어 있어야 하며, 화물 자체의 무게


와 함의 무게가 합해지기 때문에 하중은 더 커질 수 있으므로, 1.15배 또는 비행기
각각의 부착물의 무게를 고려하여 함이 설치되어져야 하고, 승객 좌석은 비상착륙
상태에서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5) 상자는 제한된 통로 또는 비상구, 객실 통로에 설치되어서는 아니 된다.
6) 상자는 확실히 닫혀져야 하고 적어도 화염에 견딜 수 있는 소재로 되어 있어야 한다.
7) 비상 착륙시 화물이 이동하지 않도록 상자 내에 적합한 안전망이 설치되어져야 한다.
8) 보조표시나 승객에게 공인된 적절한 통지가 준비되지 않는 한 상자는 좌석벨트(Seat
belt)  신호나 금연(No Smoking)신호 또는 출구 표시를 방해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서는 아니 된다.
나. 허가된 화물 선반, 상자 또는 항공기에 별도 칸이 설치되었다면 또한 안전성이 확보
된 경우나 다음 각 호에 의거 반입된다면 수하물을 포함한 화물은 작은 항공기(B그
룹)의 객실에 반입될 수 있다.
1) 화물의 경우 정상적으로 예상된 모든 비행과 지상상황에 따라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안전띠나 튼튼한 줄로 매어져 있어야 하며, 수하물의 경우는 난류를 통과
하더라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2) 승객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자에 포장하거나 덮여져 있어야 한다.
3) 각 칸별로 중량제한이 초과되는 물건을 좌석 또는 바닥에 적재해서는 아니 된다.
4) 유사시 비상 상황이나 정상 출입시 혹은 승무원과 승객간 통로 사용을 방해하는 위
치에 있어서는 안되며, 승객들에게 적절히 알리기 위해 예비 표식이나 기타 인가된
수단이 제공되지 않는 한 모든 승객이 좌석벨트(Seat belt), 금연(No smoking)신호
나 게시물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도 아니 된다.
5) 각 좌석의 승객위로 운반되어서는 아니 된다.
6) 이착륙 중 제한되는 사항을 준수할 수 있도록 실어야 한다.
7) 화물만 운송하는 경우 비상 발생시 탑승객 모두가 방해 없이 항공기를 이탈할 수 있
도록 적어도 이용 가능한 하나의 비상구 또는 정상출구가 있어야 한다.

별표 8.3.4.1A 항공사 절차 기본교육(Company Procedures Indoctrination)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모든 운항종사자들에게 다음 각 호의 분야를 포함할 수 있는 항공
사 절차 기본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1) 종사자의 업무에 적용되는 항공운송사업자의 조직, 운영범위 및 행정절차
2) 법 규정의 적용규정 및 기타 적용되는 법 규정 및 안내 자료
3) 항공운송사업자의 정책 및 절차
4) 승무원에게 적용되는 매뉴얼(교범)
5) 항공운송사업자 운항규정의 해당 부분
나. 항공운송사업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감축하지 않는 한 최소 40시간으로 구성된 초기
항공사 절차 기본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다만, 운송용 항공기에 대한 비행경험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있는 자에 대하여는 그 시간을 20시간으로 조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별표 8.3.4.2 초기위험물훈련(Initial Dangerous Goods Training) <삭제, 2010.7.5>

별표 8.3.4.4 초기 승무원자원관리(CRM) 및 운항관리사자원관리(DRM) 훈련(Initial


Crew/ Dispatcher Resource Management)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모든 승무원 및 운항관리사가 자원관리(CRM & DRM) 훈련을 초
기에 그리고 정기적으로 받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외국의 교육훈련기관에서 승무원
자원관리 훈련을 이수하였을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인가한 승무원자원관리 훈
련을 이수한 것으로 간주한다.
나. 항공기사용사업자는 모든 승무원이 자원관리(CRM) 훈련을 초기에 그리고 정기적으
로 받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외국의 교육훈련기관에서 승무원자원관리 훈련을 이수
하였을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인가한 승무원자원관리 훈련을 이수한 것으로 간
주한다.
다. 승무원자원관리 훈련은 다음 각 호를 포함하여야 한다.
1) 승무원자원관리의 필요성과 배경
2) 정기적인 실습 및 피드백 방법
3) 지속적 보강방법

라. 초기 승무원자원관리 훈련과정은 다음 각 호의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1) 의사 전달 체계 및 결정 행위
2)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의사소통의 장애물
4) 경청방법
5) 의사결정 방법
6) 효과적인 결론 도출 법
7) 공개 적인 의사전달 개발
8) 조사, 옹호, 주장 훈련
9) 승무원의 자기반성
10) 갈등 해소방법
11) 적절한 팀의 구성 및 그 유지방법
12) 리더쉽 훈련
13) 대인관계
14) 업무량 관리
15) 상황 파악
16) 목표달성을 위한 방안
17) 업무량 분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18) 산만함 방지
19) 개인적 요인
20) 스트레스 감소방안
주. 초기 운항관리사자원관리(DRM)도 위에 준한다.

별표 8.3.4.5 초기 비상장비 실습훈련(Initial Emergency Equipment Drills)


가. 운항승무원 및 객실승무원은 항공기 탑승 자격을 부여 받기 위하여 해당 항공기에
장착된 비상장비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능력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초기 비
상장비 훈련을 이수하여야 한다.

나. 초기훈련에서 승무원 각자는 다음 각 호의 비상훈련 1회를 실시하여야 한다.


1) 호흡 보호장비 / 화재 진압 훈련
가) 화염 또는 연기 발생장소의 발견 (실제 또는 가상 화재)
나) 화재 상황을 승무원들에게 알리고 승무원간 효과적인 협조 및 의사 전달을 위한
절차 수행
다) 실제 또는 모의 호흡보호 장비의 착용 및 작동
라) 제한된 공간 및 시야에서 행동하기
마) 기내 통신 수단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바) 화재의 등급 확인
사) 적절한 소화기 선택
아) 장착된 소화기의 적절한 분리
자) 소화기의 적절한 사용
차) 화재의 종류에 따라 올바른 소화기법 사용
2) 비상탈출 훈련
가) 비상사태의 인지 및 상황파악
나) 적절하고 안전한 자세 확보
다) 승객들에게 안전한 자세를 취하도록 통고
라) 승무원간 협조체제의 가동 및 유지
마) 비상등 작동 확인
바) 비행기 상태 점검
사) 탈출 시작(신호 또는 판단에 의거)
아) 승객들에게 좌석벨트를 풀고 탈출하도록 통고
자) 비상구 개방(슬라이드를 펼치고 협조자에게 지시하는 것을 포함)을 위하여 비상구
를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승객을 다른 쪽으로 안내
차) 비상구를 이용하여 탈출하고 항공기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승객들에게 지시
카) 장애자, 고령자 및 공포 상태의 승객들처럼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승객 돕기
타) 설치된 비상 탈출용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제로 비행기나 훈련장에서 탈출
주. 비상구가 비상모드에서 개방되어 해당 비상탈출용 미끄럼틀이 펼쳐지고 팽창되는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것을 직접 실습 또는 관찰하는 훈련하여야 한다.

다. 각 승무원은 초기 및 정기훈련 기간 중 다음 각 호의 비상훈련을 포함하여 추가적인


비상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1) 비상 구 탈출훈련
가) 비상구, 비상용 슬라이드, 구명정에 대한 비행전 점검 (객실승무원의 임무일 경우)
나) 정상모드에서 각 비상구 개방
다) 정상모드에서 각 비상구 닫기
라) 비상모드에서 각 비상구 Arming
마) 비상모드에서 각 비상구 개방
바) 수동 슬라이드 팽창장치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또는 슬라이드/래프트를 팽창
사) 모든 종류의 Window exit 의 개방
아) 탈출용 밧줄을 장탈하여 사용할 수 있게 준비(실습 또는 관찰 훈련)
2) 소화기 훈련
가) 모든 소화기의 비행 전 상태
나) 불이나 연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화재 등급 확인
다) 적절한 소화기를 선택하고 탑재장치에서 분리
라) 소화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
마) 실제로 각 종류의 소화기를 작동하여 분사하기
주. 이 훈련 중에 실제 또는 가상으로 화재 진압할 필요는 없음
바) 화재 종류에 따라 올바른 소화기 사용법
사) 화재 상태를 승무원에게 통고하고 승무원간 효과적인 협조와 의사전달을 위한 절차
수행
3) 비상용 산소장비 훈련 (장착되었을 경우에 한 한다)
가) 실제로 산소 용기, 마스크, 튜브 작동
나) 화학 산소 발생기 작동 시범의 관찰
다) 산소 호흡기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준비하고 착용 및 작동
라) 자신과 승객 및 특별히 산소를 요하는 사람에게 산소 공급
마) 승무원간 효과적인 협조와 의사전달을 위한 절차 활용
바) 산소장비 가동
사) 각 산소 마스크 상자를 수동으로 열고 산소 마스크를 낙하시키기 (객실승무원)
아) 여유분 산소 마스크 상자 확인 (객실승무원)
자) 감압 절차 시행
차) 필요한 경우 산소시스템 재설치
4) 부유장비(Flotation device) 훈련
가) 구명조끼 착용 및 공기 주입
나) 부유의자 쿠션의 장탈 및 사용(쿠션을 부유장비로 사용하는 경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다) 부유의자 쿠션을 이용한 수영기법 시범(쿠션을 부유장비로 사용하는 경우)


5) 디칭(Ditching) 훈련-해당될 경우
주. 디칭 훈련 중 훈련 형태에 따라 훈련생들은 항공사의 특정 운항형태에 부합되도
록 충격전과 충격 후 절차를 수행한다.
가) 승무원 협조 체제를 가동하고 기장과의 브리핑을 통해 적절한 디칭(Ditching) 정
보를 얻고 객실승무원에게 브리핑한다.
나) 승무원과 승객들의 준비에 필요한 시간 조정
다) 승객들에게 적절하게 디칭 절차 설명
라) 수하물, 화장실, 갤리(Galley) 등 기내 준비 상태 확인
마) 비상탈출용 미끄럼틀/구명정의 펼침과 팽창시범 관찰
바) 구명정을 제거, 정 위치시켜 기체에 부착
사) 구명정에 공기 주입
아) 날개 위 비상구에서 탈출용 밧줄 이용
자) 도우미에게 돕도록 통보
차) 슬라이드와 좌석 쿠션을 부유물로 이용(쿠션을 부유장비로 사용하는 경우)
카) 적절한 비상장비를 항공기로부터 장탈
타) 구명정 승선하기
① 구명정 운용절차 시행 (즉, 비행기로부터 구명정 분리, 응급조치 시행, 물에 빠진
사람 구조, 떠다니는 식량과 장비 수거, 닻 내리기, 구명정을 연결하기, 비상용위
치지시용무선설비(ELT) 가동 및 작동 확인)
② 기본적 생존절차 시행(생존용 장비를 활용하고 구명정 파손 부분의 긴급 수리 조
치, 노출로부터의 안전 확보, 차양 세우기, 위치 교신, 부상자 응급조치 및 생존자
에 대한 비상식량 공급 등)
③ 구명줄(Heaving line)로 물에 빠진 사람 구조
④ 구명정 서로 묶기
⑤ 구명정에 부착된 지지용 손잡이 사용
⑥ 생존용 장비품 확인
주. 필요에 따라 학과장에서 구명정을 펼치고 실제 승선훈련으로 함

라. 승무원들은 초기 및 정기훈련 기간 중 다음 각 호의 비상훈련 관찰을 포함한 추가


비상훈련 요건을 실시하여야 한다.
1) 구명정 장탈과 공기주입 훈련
가) 항공기에 비치된 구명정 분리 및 이동
나) 구명정에 공기 주입
2) 비상탈출용 미끄럼틀/구명정 재배치 (필요시)
가) 사용 불가능한 문에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구명정의 분리
나) 사용 불가능한 문으로부터 사용 가능한 문으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구명정을 이동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다) 사용가능한 문에 비상탈출용 미끄럼틀/구명정을 장착


라) 승객들을 사용 가능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구명정으로 유도
3) 비상탈출용 미끄럼틀과 비상탈출용 미끄럼틀/구명정의 배치, 팽창, 분리 훈련(실습
또는 관찰 훈련)
가)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고정용 지지대를 바닥 고정장치에 고정
나) 수동팽창 핸들을 이용하거나 자동으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을 팽창
다) 항공기로부터 비상탈출용 미끄럼틀을 분리하여 부유 장비로 사용
라) 항공기로부터 비상탈출용 미끄럼틀/구명정의 분리
4) 비상탈출 미끄럼틀 훈련
가)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또는 고무보트를 Arming된 상태로 열기 시범
나) 비상탈출용 미끄럼틀을 이용하여 비행기로부터 탈출, 안전한 거리까지 대피

별표 8.3.4.6.A 운항승무원 초기항공기지상훈련(Initial Aircraft Ground Training


-Flight Crew)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운항승무원에게 최소한 다음 각 호의 제목을 포함하여 비행할 항
공기 형식, 운항의 종류 및 운항승무원의 임무에 적합하도록 초기항공기지상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다만, 항공기간 공통으로 적용되는 교육과목은 별도로 분리 또는
다른 교육과정에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항공운송사업자의 운항관리, 비행허가, 비행 감시절차
2) 항공기 중량중심의 중요성과 산출방법, 그리고 이륙을 위한 활주로 제한사항을 결정
하는 방법 및 원칙
3) 악천후 인지 및 회피 그리고 다음 조건에서 비행할 때 따라야 할 비행 절차
가) 결빙
나) 안개
다) 난기류
라) 폭우나 폭설
마) 천둥
바) 저고도 돌풍 및 순간 돌풍
사) 저시정
4) 정상시와 비정상시 무선통신절차 그리고 항공운송사업자의 무선통신절차와 항공교통
관제 인가요건을 포함한 항법장비
5) 입․출항, 항로, 접근 및 착륙단계에 사용하는 항법 절차
6) 인가된 승무원자원관리(CRM) 훈련
7) 항공교통관제시스템, 절차 및 용어
8) 모든 비행중 항공기 성능 특성으로서 다음 각목을 포함한다.
가) 차트, 도표, 목록 및 이와 관련된 교범지침
나) 정상, 비정상 및 비상시 성능상 문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다) 기상 및 중량제한 성능요인(기온, 기압, 컨테미네이티드 활주로, 강수, 상승 및 활


주로)
라) 부작동 장비에 의한 성능제한요인(MEL/CDL, ANTI-SKD 부작동)
마) 특수운항 요건(비포장 활주로, 고지대 비행장, 급강하(Drift-down) 요건)

나. 항공운송사업자는 운항승무원의 임무와 운항할 항공기 형식에 따라 초기 항공기 지


상훈련과정을 마련해야 하며 적어도 다음의 항공기 계통을 포함한다.
1) 항공기
가) 항공기 제원, 지상 활주시 선회반경, 계기판 배치, 조종실 및 객실 배치
나) 기타 주요 시스템 및 항공기 구성품
2) 동력 장치
가) 기본적 엔진 설명
나) 엔진추력 등급
다) 엔진 구성 요소로서의 보기구동, 점화, 윤활유, 연료조절, 유압계통, Bleed air 등의 특징
3) 전기
가) 비행기 전력원 (엔진에 의한 발전기, APU 발전기와 외부 동력)
나) 전기 Buses
다) 회로 차단기
라) 항공기 축전기
마) 예비동력장치
4) 유압
가) Reservoir, 펌프, 축압기, 필터, Check Valves, 연결기구 및 작동기
나) 기타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부분
5) 연료
가) 연료탱크 (위치와 양)
나) 엔진 구동펌프
다) 승압 펌프
라) 밸브 및 Crossfeeds
마) 유량 지시기
바) 연료 방출장치
6) 공기압
가) Bleed Air의 발생 원(APU 또는 외부 지상에서)
나) Bleed Air의 공기의 이송, 배출, 조절수단, 도관, 보관공간, 온도 및 공기압 제한
장치
7) 에어컨디션 및 여압
가) 냉방기, 난방장치, 선풍기, 기타 환경 조절 장치
나) 기압 유지 장비로서 배출 흐름과 부압차단 밸브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다) 자동, 스탠바이 및 수동 여압조절 장치와 표시


8) 비행조종장치
가) 주 조종 (Yaw, Pitch and Roll 장치)
나) 보조 조종 (Leading/Trailing edge, Flaps, Trim 및 Damping 장치)
다) 작동수단(직접/간접 또는 Fly-by-wire)
라) 기타 장치
9) 착륙장치
가) 지주, 랜딩기어 도어, 랜딩기어 고정장치의 연속작용을 포함하는 랜딩기어의 펼침
과 접음의 기계적 작용
나) 랜딩기어의 방향유지(Nose 또는 Body Gear Steering)
다) 바퀴배열
라) 공중/지상감지 자동 Relay
마) 시각적 다운로크 지시기 (해당기종)
10) 얼음 및 빗물 방지시설
가) 빗물 제거장치
나) 비행조종, 엔진, 동정압관, 배수구, 조종실 창문 및 항공기 구조에 영향을 주는 부
분의 방빙 및/또는 제빙장치
11) 장비 및 설비
가) 비상탈출구
나) 객실주방
다) 음료수 및 배수시스템
라) 화장실
마) 화물탑재칸
바) 승무원 및 승객좌석
사) 벌크헤드
아) 좌석 및/또는 화물(칸) 형태(배치)
자) 비상장비가 아닌 장비 및 비품
12) 항법장비
가) 비행지시계 (Flight Director)
나) 수평자세지시계 (Horizontal Situation Indicator)
다) 무선자기지시계 (Radio Magnetic Indicator)
라) 항법 수신장비(GPS, ADF, VOR, OMEGA, LORAN-C, RNAV, Marker Beacon,
DME)
마) 관성항법장비(INS, IRS)
바) 기능표지판 (Functional Display)
사) 오류지시 및 비교측정시스템 (Fault Indication and Comparison System)
아) 항공기 트랜스폰다 (Aircraft Transponder)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자) 전파고도계
차) 기상레이다
카) 항공기 위치와 항법정보를 시현해 주는 음극선관이나 컴퓨터에 의한 지시 (Cathode
ray tuber or Computer generated of aircraft position and navigation
information)
13) 자동조종장치
가) 자동조종
나) 동력조절장치
다) 비행지시 계 및 항법장비
라) 자동접근 추적 (Automatic Approach Tracking)
마) 자동착륙장치
바) 자동연료 및 성능관리시스템
14) 비행계기
가) 계기판 배열
나) 비행계기(자세지시계, 방향자이로, 자기나침판, 대기속도 지시계, 수직속도 지시계,
고도계, 스탠바이계기) 및
다) 계기전력원 및 계기감지원 (예, 피토정압)
15) 디스플레이 시스템
가) 기상레이다 및
나) 기타 음극선관(CRT) 디스플레이 (예, 점검표, 수직항행 또는 종적항행 디스플레
이)
16) 통신장비
가) 초단파(VHF)/단파(HF) 무선
나) 음성 판넬
다) 비행중 인터폰 및 승객통보시스템
라) 음성기록장치
마) 공중/지상 데이터 통신시스템 (ACARS).
17) 경고시스템
가) 음성, 시각 및 촉각경고시스템 (신호와 관련한 긴급의 정도 및 성격을 포함)
나) 경고 및 주의를 표시하는 시스템 (지상근접 및 이륙경고 시스템을 포함)
18) 화재방지
가) 화재 및 과열탐지기, Loop, 모듈 또는 기타 화재 또는 과열 탐지를 지시하는 시각
및/또는 음성수단
나) Fire 핸들, 자동소화시스템 및 소화제의 사용절차 및
다) 엔진, 보조동력장치(APU), 화물실/바퀴격납실, 조종실, 객실 및 화장실의 화재 및
과열상태방지에 필요한 전력원
19) 산소(Oxygen)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가) 승객, 승무원 및 휴대용 산소공급장치(시스템)


나) 산소공급원 (기체 또는 고체)
다) 흐름 및 분배망(Network)
라) 자동전개시스템
마) 조절기, 압력수준기 및 계기 및
바) 공급필요량
20) 등화
가) 조종실, 객실 및 외부 등화 시설
나) 전력원
다) 스위치 위치
라) 예비전구 위치
21) 비상장비
가) 소화 및 산소병
나) 구급용품
다) 구명보트와 구명장구
라) 도끼
마) 비상구 및 등화
바) 비상탈출 슬라이드 및 슬라이드 래프트 (슬라이드 구명보트)
사) 탈출 끈 또는 손잡이
아) 비상탈출구, 사다리 및 이동용 계단
22) 보조동력장치(APU)
가) 전력 및 브리드에어 성능
나) 전기 및 압축공기 시스템의 상호작용
다) 공기 흡입 구 및 배출구
라) 연료공급

다. 항공운송사업자는 적어도 다음 각 호의 항공기 시스템을 통합하는 항목을 포함하여


비행할 항공기와 운영 형태에 대해 운항승무원에게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 과정을 교
육해야 한다.
1) 체크리스트의 사용
가) 안전 쵸크 (굄목)
나) 조종실 준비 (스위치 위치 및 체크리스트 진행)
다) 체크리스트 낭독 및 응답
라) 체크리스트 차례
2) 비행계획
가) 성능제한 (기상학적, 중량 및 MEL/CDL 항목)
나) 필요연료탑재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다) 기상계획(표준이륙 최저치 보다 낮은 조건 및 교체공항 기상조건)


3) 항법장비
가) 비행전 및 해당 수신기의 작동
나) 탑재 항법장비
다) 비행계획정보 입력과 검색
4) 자동비행 : 자동조종, 자동 추력 및 비행지시시스템 - 적합한 절차, 정상 및 비정상
지시 및 표시장치를 포함
5) 조종실 관숙
가) 항공기시스템 조종 및 정상, 비정상, 비상스위치 등의 작용
나) 조종장치 위치 및 연관된 표시장치, 조명 또는 기타 주의 경고 시스템

별표 8.3.4.6.B 객실승무원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Initial Aircraft Ground


Training-Cabin Crew)
가. 각 항공운송사업자는 객실승무원에게 최소한 다음 각 호의 일반과목을 포함하여 비
행할 항공기와 운영형태에 대한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1) 항공기 숙지(Aircraft familiarization)
가) 항공기 특성 및 기술
나) 조종실형태
다) 객실형태
라) 주방
마) 화장실
바) 적하구역
2) 항공기 장비와 비품
가) 객실승무원 위치
나) 객실승무원 판넬
다) 승객좌석
라) 승객서비스 장비 및 편의 판넬
마) 승객알림신호
바) 항공기 마킹
사) 항공기 플래카드
3) 항공기 시스템
가) 에어컨 및 압력시스템
나) 항공기 통신시스템
다) 등불 및 전기시스팀
라) 산소시스템 (운항승무원, 관숙 승무원 및 승객)
마) 물 공급 시스템
4) 항공기 출구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가) 일반정보
나) 슬라이드나 슬라이드/래프트가 있는 비상구 (비행전 및 정상시 작동)
다) 슬라이드가 없는 비상구 (비행전 및 정상시 작동)
라) 창문 형태의 비상구
5) 승무원간 통신과 협조
가) 기장(PIC)의 권한
나) 정상상황 시의 통신신호와 절차
다) 승무원간 브리핑
6) 정상적인 승무원의 업무와 절차
가) 승무원의 일반적인 책임
나) 항공기에 따른 보고 임무와 절차
다) 승객 탑승 전의 출발 전 임무와 절차
라) 승객 탑승시 임무와 절차
마) 항공기의 지상이동전 임무와 절차
바) 항공기에 따른 이륙 전 임무와 절차
사) 비행중 임무와 절차
아) 착륙전 임무와 절차
자) 항공기의 지상이동 및 도착시의 임무와 절차
차) 도착 후 임무와 절차
카) 경유지 공항
7) 승객처리 책임
가) 승무원의 일반적인 책임
나) 유아, 어린이 및 비동반 소아
다)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승객
라) 특별한 설비가 필요한 승객
마) 휴대 수하물 보관 규정
바) 승객 착석 규정
사) 흡연 및 금연 규정
8) 위험물 운송에 관한 지식 및 기술
가) 위험물품 수송의 인지
나) 위험물에 대한 적절한 포장과 표시 그리고 서류 작업
다) 위험물품의 적재, 보관, 운반에 관한 지식
9) 보안 절차
가) 공중납치
나) 승객난동

나. 각 항공운송사업자는 객실승무원에게 최소한 다음의 항공기 특별 비상 과목을 포함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하여 비행할 항공기와 수행할 운항 형태에 적합하도록 초기지상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1) 비상장비(Emergency equipment)
가) 비상시 의사소통과 공지체계.
나) 항공기 비상구
다) 슬라이드나 슬라이드 래프트가 있는 비상구 (비상작동)
라) 비상착수 시의 슬라이드와 슬라이드 래프트
마) 슬라이드가 없는 비상구 (비상작동)
바) 창문 형태의 비상구 (비상작동)
사) 항공기 꼬리부분의 비상구 (비상작동)
아) 조종실 비상구 (비상작동)
자) 지상 탈출이나 비상착수 시에 필요한 장비
차) 구급의료용품(FAK), 비상의료용구(Medical kit) 및 심폐소생술을 위한 장비 등에
대한 사용법
카) 휴대 산소시스템 (산소통, 화학적 산소발생기, PBE)
타) 화재진압장비
파) 비상조명시스템
하) 기타 비상장비
2) 비상임무와 절차(Emergency assignments and procedures)
가) 항공기 비상상황의 일반적인 형태
나) 비상상황 시의 통신신호와 절차
다) 급작스러운 항공기의 감압
라) 천천히 진행되는 항공기의 감압, 금이 간 유리, 기내압력의 누수
마) 화재
바) 비상착수
사) 지상탈출
아) 승무원의 지시에 의하지 않은 승객의 탈출
자) 부상 및 질병
차) 승객 또는 승무원이 관련된 비정상 상황
카) 공중 납치
타) 폭파 위협
파) 난기류
하) 기타 예외 상황
거) 항공기 사건/사고 사례
3) 항공기 특별 비상훈련
가)비상탈출 연습
나)휴대용 소화기 사용연습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다)비상 산소시스템 사용연습


라) 부유장비 사용연습
마) 비상착수 연습(해당되는 경우)
바) 구명정 분리 및 팽창 연습(해당되는 경우)
사) 슬라이드 래프트 재배치 연습(해당되는 경우)
아) 슬라이드 또는 슬라이드/래프트 팽창 및 분리 연습(해당되는 경우)
자) 비상 탈출 슬라이드 연습(해당되는 경우)

다. 항공운송사업자는 객실승무원의 초기지상훈련에 기량심사(Competency check)를 포


함하여야 하고, 감독자 또는 교관 등으로 하여금 객실승무원이 부여받은 임무와 책
임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도록 하여야 한다.

라. 항공운송사업자는 객실승무원에 대한 초기지상훈련을 최소한 다음 각 호의 계획된


시간으로 구성되도록 해야 한다.
1) 다발터빈엔진 : 16시간
2) 다발왕복엔진 : 8시간

별표 8.3.4.6.C 운항관리사 초기 지상훈련(Initial Training-Flight Operations Officer)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관리사에게 항공기 운항에 관한 항공법령, 운항규정의 사용을
포함한 다음 각 호에 관한 사항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1) MEL/CDL의 사용
2) 위험물의 수송
3) 보안 절차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관리사를 위해 최소한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된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1) 정상 및 비정상 상황의 통신절차
2) 기상정보 제공자 및 제공원
3) 현천 및 예상일기도
4) 기상정보 해석
5) 악기상 현상(예, 청천요란, 풍향급변 및 뇌우)
6) 항공고시보 시스템
7) 항공지도 및 간행물
8) 항공교통관제(ATC) 및 계기비행절차
9) 항공기 운항지역의 특성파악
10) 특수공항 및 기타 운항상 특기사항이 있는 공항에 대한 특성 (예, 지형, 접근시설
또는 기상현상)
11) 운항관리사/조종사의 책임공유
12) 운항관리사자원관리(CRM) 훈련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13) 중량배분
14) 비행계획 및 비행 감시
15) 항법 일반
16) 항공규칙 및 항공통신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관리사에게 최소한 다음 각 호의 항공기 특성을 포함하는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1) 보유 항공기의 일반적인 운항특성
2) 다음사항에 중점을 둔 항공기 사양에 관한 훈련
가) 항공기 운항 및 성능특성
나) 항법장비
다) 계기접근 및 통신장비
라) 비상장비
3) 비행교범 훈련

라.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관리사에게 최소한 다음 각 호의 비상절차를 포함하는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1) 비상시 운항승무원에 대한 지원
2) 관계 정부, 회사 및 기타 단체에 대한 통지

마.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관리사에 대한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에 필요한 지식과 능력을


가르치는 학술교관 또는 교관 운항관리사가 자격(능력)시험을 치르는 것을 포함해야
한다.

별표 8.3.4.7 초기 비행훈련(Initial Aircraft Flight Training)


가. 각 항공운송사업자는 최소한 다음 각 호를 포함하는 조종사 초기비행훈련을 해야 한다.
주1. 비행훈련은 항공기 또는 착륙시설을 갖춘 모의비행장치로 실시할 수 있다.
주2. 국토교통부장관이 인가한 훈련프로그램에 비행단계에서 실시하지 아니하여도
가능한 과목 및 정상, 비정상 및 대체시스템절차 등은 FBS(fixed based
simulator)나 FTD(flight training device), 또는 Static Airplane 등을 이용하
여 훈련할 수 있다.
1) 준비
가) 육안 내․외부 점검
주. 육안 외부점검은 화상장비로 대체 실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Briefing 시 또
는 지상학술 시간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나) 조종석 준비 및 각종 점검절차
다) 성능 제한치
2) 지상운영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가) 후진(Pushback)
나) 후진 지상활주(해당 항공기만 적용)
다) 시동
라) 지상활주
마) 이륙전 각종 점검 수행
3) 이륙
가) 정상
나) 측풍
다) 이륙단념
라) V1 직후의 동력상실(다발 항공기의 임계엔진)
마) 두 번째 SEGMENT에서 동력상실(다발 항공기)
바) 계기 혹은 표준이륙 최저치 미만 시정에서의 이륙 (해당 항공기만 적용)
비고 : 정기훈련과 동일하게 과목 추가
4) 상승
가) 정상
나) 상승 중 1엔진 부작동(다발 항공기)
5) 순항
가) 급선회(기장만 해당)
주. FLY BY WIRE SYSTEM이 장착된 기종은 제외
나) 실속 (이륙, 순항, 착륙조건)
주. FLY BY WIRE SYSTEM이 장착된 기종 제외
다) 비행중 엔진정지
라) 비행중 엔진 재시동
마) 고속조종특성 (LSAS 등 PITCH 안정 SYSTEM이 장착된 기종 제외)
비고 : 항공기 특성에 따른 예외조건 추가
6) 강하
가) 정상
나) 최대 강하율
7) 접근
가) 시계비행방식(VFR) 절차 또는 시각접근
나) 2개의 엔진 부작동 상태로 시각접근(3발 이상 항공기의 기장만 해당)
주. 4발 항공기는 같은 방향 2개 엔진, 3발 항공기는 중앙부 엔진 포함한 2개 엔진
부작동
다) 슬랫/플랩 비정상 상태로 시각접근(기장만 해당)
라) 계기비행방식(IFR) 정밀접근(ILS 정상 및 다발 항공기는 1엔진 부작동 상태로 ILS
접근)
마) 계기비행방식(IFR) 비정밀접근(NDB 또는 VOR)
바) 1엔진 부작동 상태로 비정밀접근(다발 항공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사) 정밀접근시 실패접근
아) 비정밀접근시 실패접근
자) 엔진 부작동 상태로 실패접근(다발항공기, 임계엔진)
8) 착륙
가) Pitch mis-trim 정상착륙 (소형기)
나) 정밀계기접근 정상착륙
다) 중요엔진 부작동 상태로 정밀계기접근 정상착륙(다발 항공기)
라) 2개의 엔진 부작동 상태로 착륙 (3발 이상 항공기의 기장만 해당)
주. 4발 항공기는 같은 방향 2개 엔진, 3발 항공기는 중앙부 엔진 포함한 2개 엔진
부작동
마) 플랩/슬랫 비정상 상태로 착륙(기장만 해당)
바) 착륙 포기
사) 측풍 착륙
아) 조종성능 저하상태로 착륙
자) 짧은, 소프트 활주로 착륙(소형기)
차) 잔잔한 수면/거친 수면 위 착륙 (수상기)
9) 착륙후
가) 주기
나) 비상탈출
다) 정박, 계류 (수상기)
10) 임의의 비행단계 중 기타 비행절차
가) 체공
나) 방빙 및 제빙절차
다) 요란지역의 회피 또는 비행절차
라) 돌풍(Windshear) 또는 국지적 돌풍(mircoburst)
11) 어떤 단계에서든 정상, 비정상 및 대체시스템절차
가) 공압 및 여압장치
나) 에어컨
다) 연료 및 오일
라) 전기
마) 유압
바) 조종장치
사) 방빙 및 제빙장치
아) 자동조종장치
자) 비행유도운영 계통과 자동 혹은 기타 접근 및 착륙보조 계통
차) 실속경고장치, 실속 회피장치 및 안전보강장치
카) 항공기 기상 레이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타) 비행계기장치 고장
파) 통신장비
하) 항법장비
12) 비행단계 중 비상절차
가) 항공기 화재
나) 연기통제
다) 엔진고장
라) 연료방출
마) 전기, 유압, 공압계통
바) 조종계통 고장
사) 랜딩기어 고장
아) 슬랫/플랩장치 고장

별표 8.3.4.8 초기 특수운항훈련(Initial Specialized Operations Training)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조종사와 운항관리사에게 초기특수운항훈련을 실시하여 업무를 수
행할 운항에 필요한 다음 각 호의 신규장비, 절차 및 기술에 대한 자격을 갖추도록
한다.
1) Ⅱ등급 (Class II) 항행
가) MNPS와 같은 특정항행 절차의 이해
나) INS, LORAN, OMEGA와 같은 항행장비의 이해
2) 정밀계기접근 2종(CAT II) 및 3종(CAT III) 운항
가) 특별장비, 절차 및 훈련
나) 능력인증
3) 표준최저기상치 이하에서의 이륙
가) 활주로 및 등화 조건
나) 주요 엔진 부작동 상태에서 V₁전후 이륙단념
다) 지상활주
라) 저시정 상태하에서 활주로 이탈을 예방하기 위한 절차
4) 회항시간 연정운항 절차
5) 레이다 접근
6) 기장에 대한 부조종사석 임무자격 부여 훈련
기장이 비행중요단계에서 우측석 조종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자격을 부여하기 위한
훈련은 최소한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가) 항공기 또는 모의비행장치를 이용한 비행훈련
① 이륙 중 1개 엔진(Eng) 고장
② 1개 엔진 고장상태에서의 접근 및 실패접근
③ 1개 엔진 고장상태에서의 착륙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나) 기장의 부조종사석 임무자격 유지를 위한 정기훈련은 년 1회 실시하고 훈련내용은


초기 자격부여 훈련에 준한다.
주. 단, 운항관리사는 항공기에 장착된 장비의 운영 또는 조종절차와 기술습득을
위한 운항훈련은 받지 아니한다.

별표 8.3.4.9 <별표 8.4.8.16으로 변경, 2010.7.5>

별표 8.3.4.13 운항승무원 정기훈련(Recurrent Training : Flight Crew)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운항규정에 전 운항승무원 정기훈련을 명문화하고, 운항승무원 정
기훈련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를 받아야 한다.
나. 운항승무원은 운항할 항공기 형식과 직위에 알맞은 정기훈련을 받아야 한다.
다. 항공운송사업자는 정기훈련이 적격자에 의해 실시되도록 하여야 한다.
라. 항공운송사업자는 운항승무원 정기지상훈련과정에는 최소한 다음 각 호의 내용이 포
함되도록 하여야 한다.
1) 일반과목
가) 비행위치 확인절차
나) 항공기 중량중심과 활주로 제한중량 결정의 중요성과 산출방법
다) 전선, 결빙, 안개, 뇌우, 돌풍 등을 포함하는 기상상식
라) 항공관제체계 및 용어
마) 항법 및 항법보조시설 사용법
바) 정상 및 비상시 통신절차
사) 최저강하고도(MDA) 이하로 강하하기 위한 시각 참조물
아) 사건/사고 발생에 대한 검토
자) 승무원에 필요한 기타사항
주 : 과목의 중요도에 따라 매 12개월 또는 24개월 주기로 모든 세부과목을 교육할
수 있도록 표를 만들어 교육프로그램에 반영하여야 한다.
2) 항공기 시스템과 제한사항
가) 정상, 비정상, 비상상황에 대한 절차
나) 항공기 성능특성
다) 엔진 및(또는) 프로펠러
라) 항공기 주요부품
마) 항공기 주요시스템 (예를 들어, 조종 장치, 전기 혹은 유압시스템 등)
바) 지상 착빙과 제빙에 관한 절차와 이에 필요한 요건들
주. 항공기 주요시스템은 과목의 중요도에 따라 매 12개월 또는 24개월 주기로 교
육할 수 있도록 표를 만들어 교육프로그램에 반영하여야 한다.
3) 비상장비와 훈련
가) 매 12개월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① 항공기에 실려 있는 비상구명장비의 위치와 사용법


② 모든 종류의 탈출구의 위치와 사용법
③ 구명동의의 실제착용
④ 호흡 보호장비(PBE)의 실제사용
⑤ 소화기의 실제사용
나) 매 3년마다
① 모든 종류의 탈출구의 작동
② 비상용슬라이더 사용법에 대한 시범
③ 항공기에 장착된 비상장비에 의한 실제 혹은 가상의 화재진압
주. 할론(Halon) 소화기의 경우 실제 사용훈련은 공인된 대체방법으로 할 수 있다.
④ 연기의 영향과 가상된 연기가 찬 공간에서의 적절한 장비의 실제사용
⑤ 실제나 혹은 가상화염에 대한시범
⑥ 구명정 사용법에 대한 시범
⑦ 비상탈출 훈련
⑧ 비상착수 훈련
⑨ 급감압 현상에 대한 훈련, 적용할 수 있다면
주. 상기 ⑦ 및 ⑧에서 정한 훈련이 불가능할 시는 관찰학습으로 대체할 수 있다.
4) 승무원자원관리(CRM)
가) 의사결정의 기법
나) 열린 의사전달의 개발
다) 조사, 지지, 주장에 관련된 훈련
라) 업무분담 관리
마) 상황파악
5) 위험물
가) 일반 원칙과 체계(General philosophy)
나) 제한사항(Limitations)
다) 위험물 목록(Classification)
라) 라벨링과 표기(Labelling and Marking)
마) 미신고 위험물의 인지(Recognition of undeclared dangerous goods)
바) 보관 및 탑재절차(Storage and loading procedures)
사) 기장에 대한 통보사항(Pilot's notificaton)
아) 승객 및 승무원에 관한 규정(Provision for passengers and crew)
자) 긴급대응절차(Emergency procedures)
주1. 사) 및 자)목을 제외한 사항은 매 24개월마다 실시할 수 있다.
주2. 위험물을 운송하지 않는 항공운송사업자 및 항공기사용사업자에 소속된 운항승무
원의 경우에는 상기 가), 나), 라), 마), 아) 및 자)목에서 정한 사항만 해당한다.
6) 보안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가) 공중납치
나) 승객의 기내난동
마. 항공운송사업자는 구두 또는 필기시험으로 정기지상훈련에 대한 지식을 입증하여야
한다.
바. 항공운송사업자는 정기비행훈련과정에는 적어도 다음 각 호의 내용이 포함되도록 하
여야 한다.
주1. 비행훈련은 적절한 실제 비행기나 지정을 받은 모의비행장치로 행해질 수 있다
(모의비행장치는 착륙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주2. 과목의 중요도에 따라 매 12개월 또는 24개월 주기로 세부과목을 훈련할 수
있도록 표를 만들어 훈련프로그램에 반영하여야 한다.
1) 비행준비 단계
가) 외부 시각점검 (시각장비 또는 그림으로 대체 가능)
나) 지상 활주전 절차
2) 지상운항
가) 성능제한
나) 조종실 관리
다) 화물의 보관 (모의비행장치인 경우제외)
라) 후진
마) 후진 지상활주 (적용 항공기만 해당)
바) 엔진시동
사) 지상활주
아) 이륙전 점검사항
3) 이륙
가) 정상이륙
나) 측풍이륙
다) 이륙단념
라) V₁이후 엔진고장
마) 이륙중 세컨 시그먼트(Second segment)에서의 엔진고장
바) 표준최저치 보다 낮은 기상상태에서의 이륙
4) 상승 : 정상 상승, 그리고 운항고도로 상승중 한 개의 엔진 부작동
5) 순항(Enroute)
가) 급선회
나) 실속훈련 (이륙, 순항, 및 착륙형태)
다) 운항중 엔진 끄기
라) 운항중 엔진 재시동
마) 고속 조종특성
6) 강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가) 정상 강하
나) 최대 강하율 강하
7) 접근
가) 시계비행절차
나) 엔진 1개 고장으로 출력이 50퍼센트가 손실된 상태에서의 시계접근 (3개의 엔진
일 경우 2개의 엔진 부작동) (기장에게만 적용)
다) Slat/Flap 부작동 상태에서의 시계접근
라) 계기비행상태에서의 정밀계기접근 (정상적인 ILS 혹은 1개의 엔진이 부작동 상태
에서의 ILS)
마) 계기비행상태에서의 비정밀접근 (정상적인 NDB 또는 VOR 접근)
바) 한 개 엔진 부작동시 비정밀 접근 (LOC backcourse, SDF/LDA, GPS, TACAN
및 선회접근절차)
주. 모의비행장치는 선회접근훈련과 심사를 할 수 있는 성능이 있어야 한다
사) 정밀계기접근에서의 실패접근
아) 비정밀계기접근에서의 실패접근
자) 엔진 부작동에서의 실패접근
8) 착륙
가) 부적절한 Pitch Trim 상태에서의 착륙 (소형기)
나) 정밀계기접근에서의 정상착륙
다) 임계엔진의 부작동 상태에서의 정밀계기접근 정상착륙
라) 한쪽의 엔진 출력 50퍼센트가 손실된 상태에서의 착륙 (3개의 엔진일 경우2개가
부작동) (기장에게만 적용)
마) Slat/Flap 부 작동 상태로 정상착륙
바) 착륙단념
사) 측풍착륙
아) 짧은 활주로 혹은 비 포장활주로에서의 착륙 (소형항공기)
자) 잔잔한 수면/거친 수면 위 착륙 (수상기)
9) 착륙 후
가) 주기
나) 비상탈출
다) 정박, 계류 (수상기)
10) 운항 중 기타 비행절차
가) 공중대기
나) 기체 결빙
다) 요란지역의 회피
라) 돌풍(Wind shear)/초강력돌풍(Micro burst)
11) 정상, 비정상, 대체 시스템 절차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가) 여압계통
나) 난방계통
다) 연료 및 오일계통
라) 전기계통
마) 유압계통
바) 조종장치계통
사) 비행관리유도 계통과 자동 혹은 다른 접근 및 착륙시스템
아) 방빙 및 제빙에 관련된 시스템
자) 실속경보장치, 실속회피장치, 안전성 보강장치
차) 기상 레이다
카) 비행계기시스템의 고장
타) 통신장비
파) 항법장비
하) 자동조종장치
거) 접근 및 착륙 보조시설
너) <삭 제 : 2016.2.11>
12) 어떤 단계 동안 비상시스템절차
가) 항공기 화재
나) 연기 통제
다) 엔진고장
라) 연료방출
마) 전기, 유압, 공기압계통
바) 비행조종장치고장
사) 바퀴다리(Landing Gear)와 고양력장치(Flap) 고장
사. 항공운송사업자는 정기훈련을 기량심사와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다.
아. 정기지상훈련 및 정기비행훈련과정은 함께 하거나 혼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각 과정의 수료 내용은 따로 기록되어야 한다.

별표 8.3.4.14 <별표 8.4.8.36으로 변경, 2010.7.5>

별표 8.3.4.15 비행교관의 훈련(Flight Instructor Training)


가. 다음 각 호를 만족하지 않으면 어느 누구도 훈련프로그램의 비행교관으로서 임무를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초기 또는 전환 비행교관 훈련의 만족스러운 이수
2) 연속되는 24개월 이내에 국토교통부 소속 심사관, 항공운송사업자의 위촉심사관 또
는 항공운송사업자에 의해 고용된 검열운항승무원의 참관 하에 만족스럽게 교관임무
를 수행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나. 항공운송사업자는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항공기, 모의비행장치 또는 비행훈련장치


로 비행교관을 검열할 수 있다.

다. 항공운송사업자는 비행교관의 초기 지상훈련이 다음 각 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


하여야 한다.
1) 비행교관의 임무, 기능 및 책임
2) 적정한 규정과 항공운송사업자의 정책 및 절차
3) 필요한 훈련 수행을 위한 적절한 방법, 절차 및 기술
4) 다음 사항의 발견을 포함하는 학생능력의 적절한 평가 방법
가) 부적절하고 불충분한 훈련
나) 안전에 역효과를 미칠 수 있는 개인적 성향
5) 불만족스런 훈련시 적절한 수정조작
6) 항공기에 필요한 정상, 비정상, 비상 절차의 수행을 위한 승인된 방법, 절차,
7) 조종교육증명 소지자나 비행교관 경험자는 다음사항을 제외
가) 교수-학습과정의 기본원리
나) 교습 방법 및 절차
다) 교관과 학생의 관계

라. 항공운송사업자는 비행교관의 전환 지상훈련이 그 승무원이 전환하고자 하는 항공기


에 적합한 정상, 비정상, 비상절차의 수행을 위한 승인된 방법, 절차, 제한사항을 포
함하도록 하여야 한다.

마. 항공운송사업자는 비행교관조종사(항공기), 항공기관사교관(항공기) 항공사교관(항공


기)이 다음 각 호를 포함하는 초기 및 전환훈련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1) 교육 중 발생되기 쉬운 비상상황에 대비한 안전 조치
2) 훈련 중 안전에 관련하여 부적절하고 시기가 적절치 못하거나 미실시 등의 가능성
3) 비행교관조종사(항공기)
가) 교관으로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상, 비정상, 비상절차에 있어서 왼쪽 및 오
른쪽 좌석에서 비행교육을 수행하는 비행훈련 및 실습, 그리고
나) 교육 중 발생할 수 있는 비상상황에 대비한 각 조종사 좌석에서 수행하여야 할 안
전 조치
4) 항공기관사교관(항공기) 및 항공사교관(항공기)으로서 요구되는 담당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행 훈련
바. 항공운송사업자는 비행교관으로서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항공기, 모의비행장치, 비
행훈련장치 비행교관 요건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사. 항공운송사업자는 비행교관(모의비행장치)으로서 다음사항을 포함하는 초기 전환 비


행훈련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1) 이 조항이 요구하는 비행 교육을 수행하는 능력을 확인하는데 요구되는 정상, 비정
상, 비상절차의 훈련. 이 훈련과 실습은 모의비행장치의 비행훈련장치로 이루어져야
한다.
2) 이 조항이 요구하는 비행 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모의비행
장치나 비행훈련장치로 이루어져야 한다.

별표 8.4.4.4 회항시간 연장운항을 위한 추가 기준(Additional Requirements for EDTO


Operations with Two-Engined Aeroplanes)
가. 비행기 승인
1) 항공기의 기체와 추진계통 등이 동 운항에 적합한지의 여부
2) 필수적인 기체계통과 추진계통은 이중안전(Fail-safe)장치로 되어있고 운용경험에
의한 적합한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는지의 여부
3) 비행기 제작사가 제작국의 관련당국으로부터 적합하다는 형식증명을 발급 받았는지
의 여부
4) 장거리운항에 적합한 비행기로 승인받지 아니한 비행기를 장거리 운항에 사용하고자
할 때는 당해 비행기의 개조와 관련된 사항이 장거리운항에 필요한 추가 장비 및 정
비절차(CMP)기준에 적합한 지의 여부
5) 장거리운항에 영향을 주는 기체계통, 추진계통, 유압장치, 조종장치, 전력장치(3개
이상의 독립 교류전원), 냉각장치, 화물실 화재예방장치(회항시간+15분), 통신, 항법
및 기본 비행계기장치, 기내여압장치, 회항결정요인감시, 조종실 및 객실환경 등에
대하여 고장 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장거리운항의 계속 수행적합여부를 확인
평가하고, 각 장치별 신뢰도 및 종합적인 신뢰도를 분석하여 장거리운항에 적합한
지의 여부
나. 운용경험
1) 당해기종을 운용하고 있는 전 세계 항공사들의 운용경험을 통하여 기체 및 추진계통
의 신뢰도가 적정수준에 있는 지의 여부
2) 당해 항공사의 당해 비행기 기종에 대한 최대회항시간별 운용경험 요건
가) 75분 장거리운항 신청자 : 운용경험이 극히 적거나 전혀 없는 경우
나) 120분 장거리운항 신청자 : 당해 비행기(발동기 포함)로 12개월간 운용한 경험이
있는 경우
다) 180분 장거리운항 신청자 : 120분 장거리운항을 12개월간 운용한 경험이 있는 경

라) 207분 장거리운항 : 180분 장거리운항 승인을 득한 항공운송사업자
다. 운항승인
1) 전 세계 비행기의 운항경험 및 운항 중 발동기 정지(IFSD)율을 검토한 후, 신청자가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적정 수준의 추진계통의 신뢰도를 달성하고 유지할 수 있는 지를 국토교통부장관에


게 입증할 수 있는 지의 여부
2) 기술개조(Engineering Modification) 및 정비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신청자
가 지속적인 감항성 유지프로그램의 일부인 정비 및 신뢰성프로그램에 장거리운항
요건을 추가 및 적절히 운영 ․ 유지하는 지의 여부 및 장거리운항 및 운항지원에 필
요한 제반사항을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입증할 수 있는 지의 여부
3) 장거리운항에 적용되는 운항관리 계획의 적합여부
4) 장거리운항에 적절한 수준으로 표준 최소장비목록(MMEL)에 반영하고, 최소장비목
록(MEL)에 계통별 엄격한 요건으로 반영하였는지의 여부
5) 1개 발동기 부작동시 순항고도에서 계획된 운항노선 및 회항 시 착륙적합공항에 이
르는 항로상에서의 항공기와 항공교통관제기관간에 송수신 음성통신이 가능한 지의
여부
6) 계획된 노선과 비행고도 및 발동기 정지 시 해당교체공항까지의 노선 및 고도에서
비시각적인(Non-visual) 지상항법 보조시설의 사용가능 여부
7) 승인된 접근 및 운항최저치에 적합하게 시각(Visual) 및 비시각적인 항법보조시설을
당해 교체공항에서 사용가능한 지의 여부
8) 연료 및 윤활유 공급이 법령 및 신청자의 운항규정에서 정한 규정에 부합하는 지의
여부
9) 계통신뢰도 수준 및 장비의 고장 또는 사용 불가 시에 승무원의 조치를 포함한 각
개인별 조치요건 등의 확인 여부
10) 운항승무원 훈련계획, 훈련관계규정 및 점검표 등의 보완여부
11) 운항승무원 훈련 및 평가계획 수립 여부
주. 신청자는 장거리운항에 관한 사항을 운영기준, 운항규정 및 정비규정에 명시하
여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별표 8.4.4.5 터빈엔진 비행기의 회항시간 연장운항(Extended diversion time


operations: EDTO)을 포함하여 60분을 초과하는 항로교체공항으로 운항을 하기 위한
요건
가. 항로교체공항까지 60분을 초과하는 운항 요건
1) 노선의 한 지점에서 항로교체공항까지 60분 이상 운항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운항규정에 포함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가) “국제민간항공협약 부속서 6, Part 1”의 기준에 따른 다음 각 목의 사항.
(1) 운항통제 및 운항관리절차(operational control and flight dispatch procedures)
(2) 운항절차(operating procedures)
(3) 훈련 프로그램(training programs)
2) 운항증명소지가 운영하는 모든 항공기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가) 항로교체공항을 확인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나) 운항실황 및 기상상태를 포함해 확인된 항로교체공항에 관한 최신정보를 운항승


무원에게 제공한다.
3) 쌍발 터빈엔진 비행기에 대해서는, 항로교체공항의 조건이 사용 예상시간에 운영자
가 수립한 공항 운영 최저기상치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운항승무원에게 가장
최신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주. 이런 조항의 요건에 대한 준수지침은“국제민간항공협약 부속서 6, Part 1”첨부
D(Attachment D)를 참조한다.
나. 회항시간연장운항(EDTO) 요건
1) 국토교통부장관에 의해 특별히 승인되지 않은 한, 쌍발 터빈 비행기의 경우 1개의 엔
진 부작동 시 그리고 쌍발 초과 다발 엔진 비행기의 경우 모든 엔진 작동 시, 무풍
및 국제표준대기 상태에서 순항속도로 항로의 한 지점에서 항로교체공항으로 회항하
는 시간이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 기준시간(threshold time)을 초과해서는 아니 된
다.

주1. 회항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할 경우, 회항시간연장운항으로 간주된다.


주2. 적정한 기준시간 설정과 EDTO 승인에 관한 지침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부속서
6, Part 1” 부록 D에 수록되어 있다.
주3. 기준시간 계산 목적으로 지정한 목적공항은 항로교체공항으로 간주될 수 있다.
2) 특정 항공기 형식을 EDTO에 사용하고자 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국토교통부장관으
로부터 최대회항시간을 인가받아야 한다.
주. 회항시간을 거리로 변환할 때 사용되는 지침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부속서 6, Part
1” 부록 D에 수록되어 있다.
3) 회항시간연장운항(EDTO)에 사용되는 특정 비행기 형식의 최대회항시간 인가조건은
다음 각 목과 같다.
(1) 모든 항공기: 회항시간연장운항(EDTO)의 시간 제한을 초과하지 않도록 비행교범
에 명시되어 있어야한다.
(2) 쌍발항공기 : 회항시간연장운항(EDTO)에 대하여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사용
인가를 받은 항공기
주. 이 조항의 요건에 부합하는 지침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부속서 6, Part 1” 부록 D
에 수록되어 있다.
(가) 3) (1)의 조항에도 불구하고, 국토교통부장관은 운항증명소지자가 제시한 안전
위험성 평가 결과를 검토하여 안전성이 확인되는 경우에 최고 시간제한시스템
(the most time limited system)의 시간제한을 초과하는 운항을 승인할 수 있
으며, 안전 위험성 평가는 다음 각 호를 포함해야 한다.
(1) 운항증명소지자의 안전운항 능력
(2) 항공기 성능의 신뢰도
(3) 각 시간제한시스템의 신뢰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4) 항공기 제작회사로부터의 관련 정보


(5) 명확한 완화 조치
주. 명확한 안전 위험성 평가지침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부속서 6, Part 1” 첨부 D에
수록되어 있다.
4) EDTO를 적용하는 항공기 대상, 운항기술기준 8.1.9.20 다) 6) (나) 항에서 요구하
는 추가연료(additional fuel)는 운영국가가 확립한 EDTO 임계연료 시나리오(EDTO
critical fuel scenario)를 준수하는 데 필요한 연료를 포함한다.
주. 이 규정의 요건에 대한 준수지침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부속서 6, Part 1” 첨부 D
에 기술
5) 확인된 항로교체공항의 효용성에 대해 재평가되지 않을 경우, 비행은 나. 1) 항에 부
합하여 기준시간을 넘어 지속될 수 없음. 또한 대부분 최신 정보는 공항사용 예정시
간 때 그 공항에서의 조건은 운항을 위한 운영자가 수립한 공항 운영최저치 또는
그 이상임을 명시. 해당공항 사용예정시간 때 안전 접근 및 착륙이 불가능하게 되는
어느 조건이라도 확인되었을 경우, 운항의 대체방침이 결정되어야 한다.
6) 국토교통부장관은 쌍발 터빈엔진 항공기의 최대회항시간을 승인할 경우, 국제민간항
공협약 부속서 8(감항성)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확인하여야 한다.
(1) 추진장치의 신뢰도
(2) EDTO 항공기 형식의 감항증명
(3) EDTO 정비 프로그램
주. 감항성교범(Doc 9760)은 나. 5) 항 요건의 지속 감항성 측면에 관한 지침뿐만아니
라 나. 5) 항에 의도된 항공기 시스템의 신뢰도와 성능수준에 관한 지침을 포함한다.

별표 8.4.7.9 비상구 열 좌석(Exit Row Seating)


가. 객실승무원은 다음 각 호에 열거된 하나 이상의 적합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고 판
단되는 승객을 비상구 열 좌석에 앉혀서는 아니 된다.
1) 활동성, 체력 또는 양팔이나 두 손 및 양다리의 민첩성이 다음 각 목의 사항을 수행
하기에 충분치 않은 자.
가) 비상구나 탈출용 슬라이드 조작 장치에 대한 접근
나) 탈출용 슬라이드 조작 장치를 잡고 밀거나 당기고 돌리거나 조작
다) 밀거나 당기거나 하는 등의 동작을 통한 비상구개방
라) 날개 위의 창문형 비상구를 들어 올리거나 분리된 부분을 옆자리로 옮기거나 다음
열로 옮기는 등의 동작
마) 날개 위의 창문형 비상구와 비슷한 크기와 무게의 장애물제거
바) 신속한 비상구로의 접근
사) 장애물 제거 시 균형의 유지
아) 신속한 탈출
자) 탈출용 슬라이드 전개 또는 팽창 후 안정유지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차) 탈출용 슬라이드로 탈출한 승객이 슬라이드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동작


2) 15세 미만이거나 동반자의 도움 없이 상기 1 호에 열거된 하나 이상의 역할을 수행
하기에 불충분한 자
3) 이 규정 제8장에 의거 항공운송사업자에 의해 글 또는 그림의 형태로 제공된 비상
탈출에 관한 지시를 읽고 이해하지 못하거나 승무원의 구두지시를 이해하지 못하는

4) 콘텍트 렌즈나 안경을 제외한 다른 시력 보조장비 없이는 위에 열거한 기능을 하나
이상 수행 할 수 없는 자
5) 일반적 보청기를 제외한 다른 청력 보조장비 없이는 승무원의 탈출지시를 듣고 이해
할 수 없는 자
6) 다른 승객들에게 정보를 적절하게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자
7) 승객의 상태나 책임, 예를 들어 어린이를 돌보기 때문에 상기 1호에 열거된 하나 이
상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방해가 되는 자 또는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경우 해를 입게
되는 자
나. 비상구 열 좌석 착석승객의 적합성여부는 객실승무원 또는 항공운송사업자의 운항규
정이 정한 자에 의해 결정된다.
다. 비상구 열 좌석을 배정 받은 승객이 본문에 열거된 기능을 수행하는데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나 승객이 비상구 열 좌석이 아닌 다른 좌석을 요구할 때 객실승무원
은 신속하게 그 승객을 비상구 열 좌석이 아닌 다른 좌석으로 재배치하여야 한다.
라. 비상구 열 좌석 이외의 모든 좌석이 예약되어 있고, 비상구 열 좌석에 배정되었던
승객을 수용하여야 할 경우, 승무원은 탈출 시에 필요한 기능을 이해하고 좌석 재배
치에 동의하는 승객을 비상구 열 좌석에 재배치하여야 한다.
마. 항공운송사업자의 운송담당은 승객탑승 전에 항공운송사업자의 승객선정기준과 비상
구 열 좌석 기능에 일치하도록 좌석을 배정하도록 하여야 한다.
바. 항공운송사업자는 각 공항 탑승 수속장에 비상구 열 좌석 배정에 관한 안내문을 게
시하여 승객에게 고지한다. 단, 국내공항당국은 승객고지 목적의 Poster/Leaflet 게
시를 위한 장소를 제공하여야 한다.
사. 객실승무원은 승객안내 시 다음 각 호의 항목에 해당하는 승객은 좌석 재배치를 할
수 있도록 승무원에게 본인이 해당한다는 사실을 알리도록 요청하여야 한다.
1) 선정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
2) 비상탈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없는 상태인 경우
3) 하나 이상의 역할 수행으로 신체적으로 부상을 입을 수 있는 경우
4) 비상 탈출시 협조자의 기능을 수행하길 원하지 않을 때
아. 객실승무원은 승객안내시 승객용 브리핑카드와 비상구 사용법을 설명해야 한다.
자. 승객은 비상구열 좌석 규정의 적용에 관한 승무원 또는 항공운송사업자의 담당직원
의 지시를 따라야 한다.
차. 기장은 모든 비상구 열 좌석 및 탈출로가 장애물이 없고, 비상구 열 좌석에 역할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수행할 수 없는 사람이 앉지 않았다는 것을 승무원으로부터 확인하지 않고는 항공기


를 출발시키기 위한 후진(Pushback) 및 지상 활주를 시작할 수 없다.
카. 이러한 기준에 따른 절차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한 이후에 유효하다. 국토교통부
장관의 승인은 항공운송사업자의 운용절차의 안전측면 만을 승인의 기준으로 한다.
이러한 기준에 부합하기 위하여 항공운송사업자는 다음 각 호를 수행하여야 한다.
1) 이 문서에 수록된 기준을 충족하는 절차 수립
2) 사전검토 및 승인을 위해 사업자의 수립된 절차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

별표 8.4.8.6 항공기관사 임무를 대신하는 조종사 훈련(Qualified to Perform FE Functions)


항공기관사 임무불능에 대비하여 조종사가 이수해야 하는 훈련과목에는 다음 각 호의 교
육과목이 포함하여야 한다.
1) 기내 여압조절 (Cabin Pressurize Control)
2) 연료관리 (Fuel Management)
3) 기내냉방장치 (Air Conditioning System)

별표 8.4.8.16 운항관리사 항공기 차이점 보완훈련(Aircraft Differences-Flight


Operations Officer)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같은 형식의 항공기들 사이에 차이점이 있다면 운항관리사에게 적
어도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한 항공기 차이점 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1) 운항절차
가) 청천난류, 돌풍(Wind shear), 뇌우 등을 포함하는 악 기상조건 하에서의 운항
나) 중량배분(Weight and Balance) 계산과 탑재관리절차
다) 이․착륙 활주로, 상승시 장애물 제한사항 및 임계엔진 부작동시의 제한사항을 고려
한 항공기 성능 산정
라) 항로선정, 비행시간 및 법정 탑재연료 산정을 포함하는 비행계획 절차
마) 비행계획 승인 준비
바) 승무원 브리핑
사) 비행감시절차
아) 운항중의 비정상상황에서 운항승무원에게 제공하는 지원을 포함하는 비정상 대응
절차
자) 최소장비목록(MEL) 요건과 외형변경목록(CDL) 절차
차) 자동성능 상실의 경우에 요구되는 절차들의 수동 성능
카) 지리적 구역에 적절한 훈련
타) 지상대기와 교통통제센터 절차를 포함한 항공교통관제(ATC) 및 계기절차
파) 유무선 통신절차
2) 비상절차
가) 운항승무원을 돕기 위해 취해진 행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나) 항공운송사업자와 관계당국 통보

별표 8.4.8.19 조종사의 항공기 및 계기 기량심사(Aircraft and Instrument Proficiency :


Pilot)
가. 특정 형식의 항공기마다 인가된 훈련프로그램이 완결된 후 조종사 기량심사의 합격
은 다음 각 호가 만족되면 항공기 형식 한정증명 실질심사의 요건을 만족시킨다.
1) 기량심사가 형식한정증명의 실질심사를 위해 요구되는 모든 기동과 절차를 포함
2) 당국이 승인한 심사관에 의해 기량심사 실시

나. 기장 및 부조종사를 위한 항공기 및 계기 기량심사는 다음 표에 열거된 다음의 조작


과 절차들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심사관들은 조종사의 증명된 기량수준을 감안하
여 비고 난에 생략가능으로 표시된 특정 과목을 생략할 수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운항 단계 과 목 비 고
항공기 내․외부 점검 모의비행장치를 이용할 경우 생략 가능
조종석 점검 및 준비
준비 및
< 삭 제 >
지상운용
지상 활주 부조종사는 PM 임무만 수행 가능
이륙전 엔진 점검 항공기 형식에 따라 적절히 적용
정상이륙 다른 과목과 병행 실시 가능
계기이륙(저시정 이륙) 이륙 중 엔진고장 과목과 병행실시 가능
이륙 다른 과목과 병행실시 가능.
측풍이륙(돌풍포함) 10-15 kts, 15 kts 이상 가능하나 심사 시는
비행교범 또는 운항규정의 최대치 이하이어야 함
이륙중 엔진고장(계속 다발항공기.
이륙 이륙) 가장 중요한 엔진에 적용
이륙단념 부종사는 PM 임무만 수행 가능
출발 및 도착 단계 최소 한 가지는 수행
공중대기 생략 가능
< 삭 제 >
상승, 강하
및 순항 이륙, 순항, 착륙형태 중 2개는 생략 가능
실속회복
Fly by Wire 조종계통인 항공기는 제외
Dutch roll등의 특별한 비행특성 및 회복 조
특별한 비행특성
작이 있는 항공기에만 해당
정상 ILS 접근
엔진 부작동 ILS 수동 다발항공기에 적용.
접근 접근 가장 중요한 엔진에 적용
< 삭 제 >
비정밀 접근 < 삭 제 >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운항 단계 과 목 비 고

항공운송사업자가 운항규정에 최저 기상치를


선회접근 운고 1,000ft, 시정 3SM 이상으로 설정한 경
우 생략 가능

접근 2개의 엔진 부작동 상 기장만 해당.


태로 접근 (3 또는 4 4발 항공기는 같은 방향 2개 엔진, 3발항공
발 엔진 항공기) 기는 중앙부 엔진 포함한 2개 엔진 부작동

< 삭 제 >

정상착륙 육안 또는 비정밀 접근하여 착륙

10-15 kts, 15 kts 이상 가능하나 심사시는


측풍착륙 (돌풍포함) 비행교범 또는 운항규정의 최대치 미만이어
야 함

ILS 접근착륙

엔진 부작동 상태로 다발항공기에 적용.


착륙 가장 중요한 엔진 부작동
착륙
2개의 엔진 부작동 상 4발 항공기는 같은 방향 2개 엔진, 3발항공
태로 착륙 (3 또는 4 기는 중앙부 엔진 포함한 2개 엔진 부작동.
발 엔진 항공기) 기장만 해당

< 삭 제 >

착륙단념 실패접근 조작과 병행 실시 가능

※ 착륙조작은 가능한 과목별로 병행실시 가능하며, 최소한 2회의 수


동 착륙이 이루어져야 함

2회의 실패접근(기장)
ILS 접근으로부터의 실패접근 및 다발항공기
또는 1회의 ILS 접근
실패접근 의 경우 가장 중요한 엔진 부작동 상태로 실
으로 부터의 실패접근
패접근이 포함되어야 함(기장)
(부조종사)

해당항공기의 각 계통
정상 및
및 장비에 대한 지식 이를 이하여 별도의 특정과목이 필요하지는
비정상 절차
과 정상 및 비정상 상 않음

황 하에서의 사용절차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운항 단계 과 목 비 고

비행중 발생 가능한
검열운항승무원이 해당 항공기 형식 AOM
비행 중 비상상황(엔진 정지,
및 훈련프로그램 등에 의거 발생 가능한 비
비상절차 화재, 비상 강하등)에
상상황들을 부여함
대한 처치

기타 모니터 기술

다. 기량심사에는 구술심사를 포함되어야 하며 구술심사는 비행심사의 운항단계 중에


시행되어서는 아니된다.

라. 심사 도중에 피심사자의 기량이 불합격으로 판정되는 경우 심사를 위해 배정되었던


나머지 시간은 다른 피심사자의 보조임무 혹은 불합격된 피심사자의 훈련목적 등으
로 계속 사용되어질 수 있다.

마. 기계적인 혹은 다른 합당한 이유로 심사가 심사도중에 종료되어야 한다면 심사관은


심사표에 미완료(Incomplete)를 표시하고 심사를 중단하여야 한다. 다시 계획된 심
사에서는 이미 수행했던 과목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별표 8.4.8.22 비행경험이 적은 운항승무원의 편성(Pairing of Low Experience Crew


Members: Commercial Air Transport)
가.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항공운송사업자에 의해 지정된 특수공항에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중요하다고 지정한 상황은 다음 각 호의 1과 같다.
1) 해당공항의 최신 기상정보 중에서 우시정이 3/4마일 이하
2) 사용되는 활주로의 가시거리가 4,000피트 이하
3) 사용되는 활주로에 항공기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물, 눈, 진창(Slush) 또는 이
와 유사한 조건이 있는 경우
4) 사용되는 활주로에서의 제동능력이 Good 미만으로 보고될 경우
5) 사용되는 활주로에서의 측풍성분이 15노트 초과하는 경우
6) 공항주변에 Wind shear가 보고된 경우
7) 기타 기장(PIC) 이 판단하는 경우

나. 최소 노선운항승무시간(Line Operating Flight Time)의 요구시간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통상 면제될 수 있는 조건은 다음 각 호의 1과 같다.
1) 신규 인가된 항공운송사업자가 최소비행시간을 만족시키는 조종사를 고용하지 않은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경우
2) 항공운송사업자가 이전에 운항을 하지 않았던 형식의 항공기를 추가 도입하여 운항
하는 경우
3) 기존의 항공운송사업자가 신규 모 기지를 만들어 해당 기종의 조종사를 훈련시키기
위해 조종사를 배치하는 경우

별표 8.4.8.23 항공기관사의 기량심사(Flight Engineer Proficiency Checks)


가. 심사관의 항공기관사에 대한 기량심사는 다음 각 호에 설정된 정상, 비정상, 비상절
차들에 관한 구두 또는 필기심사를 포함해야 한다.
1) 정상절차
가) 비행 전 내부점검
나) Panel Set-up
다) 연료보급
라) 엔진시동절차
바) 지상활주와 이륙 전 절차
사) 이륙과 상승여압
아) 순항과 연료관리
자) 강하와 접근
차) 착륙 후와 비행완료 안전점검
카) 승무원 상호협조
타) 상황인식, 사주경계
파) 성능계산
하) 방빙과 제빙
2) 비정상과 비상사태절차
가) 고장탐구
나) 점검표(Check List)에 대한 지식
다) 비상절차들을 수행하는 능력
라) 승무원 상호협조
마) MEL과 CDL
바) 항공기 고장계통의 비상 및 대체장비 사용절차.

별표 8.4.8.24 객실승무원 기량심사(Competence Checks: Cabin Crew)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객실승무원이 부여된 임무와 책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충분
한 수준의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식 및 기량심사를 실
시하여야 한다.

나. 가항에 따른 객실승무원의 기량심사는 운항증명소지자가 임명한 심사관에 의해 수행


되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다. 가항에 따른 개별 객실승무원의 기량심사에는 다음 사항에 대한 수행능력과 지식을


포함해야 한다.
1) 비상장비
가) 비상사태 발생 시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
나) 항공기 비상구 작동 능력
다) 비상탈출용 미끄럼틀이나 구명정이 있는 비상구의 작동(비상 상황시)
라) 비상착수시의 비상탈출용 미끄럼틀과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구명정의 작동
마) 비상탈출용 미끄럼틀이 없는 비상구 (비상 상황시)
바) 창문을 이용한 비상구(Windows exits)의 작동(당해 비상구가 장착된 항공기에 한
함)
사) Tailcone 비상구 (당해 비상구가 장착된 항공기에 한함)
아) 조종실 비상구를 이용한 탈출 방법 (비상 상황시)
자) 지상탈출이나 비상 착수시에 필요한 장비
차) 구급용품의 용도 및 사용법
카) 휴대산소시스템 (산소통, 화학적 산소 발생기, PBE)
타) 화재진압장비
파) 비상조명시스템
하) 기타 비상장비
2) 비상상황 절차
가) 항공기 비상상황의 일반적인 형태
나) 비상상황시의 통신신호와 그 절차들
다) 급작스런 항공기의 감압
라) 천천히 진행되는 항공기의 감압, 금이 간 유리, 기내압력의 누수
마) 화재
바) 지상탈출
사) 승무원 지시에 의하지 않은 승객의 탈출방지 및 승객 통제절차
아) 부상 혹은 질병의 예방과 처치
자) 승객이나 승무원이 관련된 비정상 상황
차) 난기류 대응절차
카) 기타 비정상 상황들
3) 비상훈련
가) 항공기에 실린 모든 비상장비 및 설비의 위치와 사용법
나) 모든 비상구의 위치와 이용법 숙지
다) 구명복의 착용법 숙지
라) PBE의 사용법 숙지
마) 소화기 사용법 숙지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4) 승무원자원관리(CRM)
가) 의사결정방법
나) 승무원간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과 정보공유 방법
다) 피로 관리
라) 업무분담방법
5) 위험물품
가) 위험물품 수송의 인지
나) 위험물에 대한 적절한 포장과 표시 그리고 서류작업
다) 위험물품의 적재, 보관, 운반에 관한 지식
6) 보안
가) 공중납치
나) 승객난동

별표 8.4.8.25 운항관리사의 자격심사(Competence Checks: Flight Dispatchers)


가. 평가자는 운항관리사가 항공기 운항에 대한 업무처리능력에 관하여 운항관리사의 자
격심사를 통하여 숙련도를 평가하여야 한다.

나. 회사로부터 인정된 감독관이나 점검관에 의하여 운항관리사의 자격심사가 이루어져


야 한다.

다. 운항관리사에 대한 자격심사는 다음 각 호를 포함하여야 한다.


1) 운항관리기능 전반에 대한 평가
2) 정상 및 비정상상황에 대처하는 능력과 이에 대한 지식
3) 실제비행에 대한 운항관리 방법의 평가

라. 새로 고용되는 운항관리사의 평가자는 운항관리사 자격부여를 받게 될 항공기 기종


의 운항과 관할구역 이 포함되는 사항의 운항관리를 최초 자격심사에서 실시하여야
한다(감독관의 판단으로 대표기종을 심사함으로 기타 기종운항에 관한 상황을 인정
해줄 수 있다)

마. 평가자는 초기와 전환자격 심사 시에 장비나 항공기 종류를 제한할 수 있다(자격유


지 심사가 동시에 실시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바. 평가자는 운항관리사가 자격유지나 재자격 심사를 받게 될 대표적인 기종과 노선에


관한 자격유지를 알고 있어야 한다.

사. 회사는 회항시간 연장운항(EDTO)이나 기타 정부의 인가가 필요한 특수운항관리절차


에 관하여 운항관리사의 자격부여를 인가하기 전에 특수 운항관리 자격심사를 요구
할 수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표 8.4.8.33 특수공항 구분 및 지정기준(Designated Special Aerodromes : PIC


Qualification)

지 역 공항(ICAO 코드) 지정기준


김해(RKPK) 북쪽, 동쪽 산악지형

국 내 포항(RKTH) 공항인근 산악지형

원주(RKNW) 공항인근 산악지형, 정밀접근시설 미흡

아틀란타(KATL) 이착륙절차 복잡
엔진 부작동 특별절차, 주위 산악지형, 이착륙 절차
쥬리히(LSZH)
복잡
아오모리(RJSA) 공항주변 장애물
도야마(RJNT) 공항동쪽 산악지형
후쿠오카(RJFF) 공항남쪽인근 산악지형
마카오(VMMC) 공항주변 장애물
난디(NFFN) 공항인근 산악지형
타쉬켄트(UTTT) 공항인근 산악지형
샌프란시스코
특정절차(출발, 도착), 공항인근 산악지형
(KSFO)
울란바토르(ZMUB) 한쪽 활주로 끝 산악지형

쿤밍(ZPPP) 공항인근 산악지형, 높은 해발고도


국 외
시엠립(VDSR) 공항주변 비행금지구역 설정으로 활주로 사용제한

카투만두(VNKT) 공항주변 산악지형


팔라우(PTRO) 항행/관제시설 미흡
홍콩(VHHH) 공항인근 산악지형
리오데자네이로
공항인근 산악지형
(SBGL)
힐로(PHTO) 공항인근 산악지형
온타리오(KONT) 공항인근 산악지형
장지아제(ZGDY) 공항인근 산악지형

다렌(ZYTL) 공항주변 장애물

리지앙(ZPLJ) 공항인근 산악지형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표 8.4.8.35 객실승무원 정기훈련(Recurrent Training: Cabin Crew)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객실승무원의 정기훈련과정을 수립하여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를 받아야 한다.
나. 객실승무원은 비상탈출 그리고 정상, 비상절차에 대한 정기훈련을 받아야 하며, 탑승
하는 항공기에서의 부여된 임무와 지정된 위치 및 항공기의 설비 및 장비 특성을 반
영한 적절한 훈련과 실습평가를 포함한 심사를 받아야 한다.
다. 항공운송사업자는 각 훈련 과정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자격을 가진 교관이 정기훈련
을 수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라. 항공운송사업자는 최근 12개월 내 모든 객실승무원이 적어도 다음 각 호의 내용을
포함하는 정기훈련을 받도록 하여야 한다.
1) 비상장비
가) 비상사태 발생 시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
나) 항공기 형식별 비상구
다) 비상탈출용 미끄럼틀이나 구명정이 있는 탈출구(비상작동)
라) 비상착수시의 비상탈출용 미끄럼틀이나 구명정 작동
마) 비상탈출용 미끄럼틀이 없는 탈출구(비상작동)
바) 창문 형태의 탈출구(비상 시 작동)
사) 항공기 꼬리부분의 탈출구(비상 시 작동)
아) 조종실 탈출구(비상작동)
자) 지상탈출이나 해상 착수시에 필요한 장비
차) 구급의료용품(First Aid Kit), 비상의료용구(Emergency Medical Kit) 및 자동제세
동기를 포함한 심폐소생을 위한 응급장비의 사용법
카) 휴대산소시스템(산소통, 화학적 산소발생기, PBE)
타) 화재진압장비
파) 비상조명시스템
하) 기타 비상장비
2) 비상절차(Emergency procedures)
가) 항공기 비상상황의 일반적인 형태
나) 비상상황시의 통신신호와 절차
다) 급작스러운 항공기의 감압
라) 천천히 진행되는 항공기의 감압, 금이 간 유리, 기내압력의 누수
마) 화재
바) 비상착수
사) 지상탈출
아) 승무원의 지시에 의하지 않은 승객의 탈출
자) 부상 혹은 질병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차) 승객 또는 승무원이 관련된 비정상 상황


카) 난기류
타) 기타 예외 상황
3) 비상훈련
가) 매 12개월마다
① 항공기에 실린 모든 비상장비와 안전장비의 사용법 및 위치파악
② 모든 비상구의 위치와 비상구형태별 사용법 숙지
③ 구명복의 착용법 숙지
④ PBE의 착용법 숙지
⑤ 소화기 사용법 숙지
나) 매 3년 마다
① 모든 비상구형태의 작동
② 슬라이드 작동방법 시범
③ 소화기를 사용한 실제 또는 모의 화재 진압
주 : 할론(Halon) 소화기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 공기를 주입한 소화기로 대체 사
용할 수 있다.
④ 모조 연기가 가득 찬 상황에서 적절한 장비의 사용 (폐쇄된 공간의 연기 효과)
⑤ 실제 또는 모조 불꽃 신호장비 사용법 시범
⑥ 구명정 사용법 시범
⑦ 비상탈출 실습
⑧ 비상착수 실습
⑨ 급작스러운 항공기의 감압 실습
4) 승무원자원관리
가) 의사결정 방법
나) 자유로운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과 브리핑
다) 질문과 답변을 통한 문제 해결
라) 업무분담 방법
5) 위험물
가) 일반 원칙과 체계(General philosophy)
나) 제한사항(Limitations)
다) 라벨링과 표기(Labelling and Marking)
라) 미신고 위험물의 인지(Recognition of undeclared dangerous goods)
마) 승객 및 승무원에 관한 규정(Provision for passengers and crew)
바) 긴급대응절차(Emergency procedures)
주 : 마)목을 제외한 사항은 매 24개월마다 실시할 수 있다.
6) 보안/안전
가) 공중 납치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나) 승객 난동
마. 항공운송사업자는 정기훈련의 과정을 동시 또는 혼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각 과정의 수료내용은 따로 구분하여 기록되어야 한다.

별표 8.4.8.36 운항관리사 정기훈련(Recurrent Training: Flight Operations Officers)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운항관리사 정기훈련프로그램을 수립하여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를 받아야 하며, 인가 받은 정기훈련프로그램은 운항관리사가 매년 이수해야 한
다.
나. 운항관리사는 항공운송사업자에 의해 수행되는 항공기의 형태와 차이점에 대한 정기
훈련을 받아야 한다.
다. 항공운송사업자는 적절한 자격을 가진 사람에 의해 모든 정기훈련을 수행하도록 해
야 한다.
라. 항공운송사업자는 매 12개월마다 각 운항관리사가 적어도 다음 각 호의 내용이 포함
된 정기훈련을 이수하도록 하여야 한다.
1) 항공기 특성에 따른 비행준비
2) 비상 상황시 승무원에 대한 협조
3) 운항관리사자원관리(CRM)
4) 위험물
가) 일반 원칙과 체계(General philosophy)
나) 제한사항(Limitations)
다) 위험물 목록(Classification)
라) 라벨링과 표기(Labelling and Marking)
마) 미신고 위험물의 인지(Recognition of undeclared dangerous goods)
바) 보관 및 탑재절차(Storage and loading procedures)
사) 기장에 대한 통보사항(Pilot's notificaton)
아) 승객 및 승무원에 관한 규정(Provision for passengers and crew)
자) 긴급대응절차(Emergency procedures)
주1 : 바) 및 사)목을 제외한 사항은 매 24개월마다 실시할 수 있다.
주2 : 위험물을 운송하지 않는 항공운송사업자에 소속된 운항관리사의 경우에는 상기
가), 나), 라), 마), 아) 및 자)목에서 정한 사항만 해당한다.

마. 항공운송사업자는 정기지상훈련 및 비행훈련과정을 함께 하거나 혼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각 과정의 수료내용은 따로 기록되어야 한다.

별표 8.4.8.37 검열 운항승무원의 훈련(Check Airman Training)


가. 기장(PIC)이나 항공기관사의 직무에 요구되는 정기훈련을 포함, 해당 형식의 항공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에 맞는 적절한 훈련 단계를 만족스럽게 이수한 사람이 아니면, 훈련프로그램의 항


공기, 모의비행장치 또는 비행훈련장치의 검열운항승무원으로 종사할 수 없다.

나. 각 항공운송사업자는 검열운항승무원을 위한 초기지상훈련에 다음 각 호가 포함되는


가 확인하여야 한다.
1) 검열운항승무원의 임무, 기능 및 책임
2) 적합한 규정과 항공운송사업자의 정책 및 절차
3) 요구되는 검열을 수행하기 위한 적합한 방법, 절차 및 기술
4) 다음 사항의 발견을 포함한 학생 능력의 평가방법
가) 부적절하고 불충분한 훈련
나) 안전에 역효과를 미칠 수 있는 개인적 성향
5) 불만족스런 검열의 경우 적합한 수정조치
6) 항공기에 필요한 정상, 비정상, 비상절차의 수행을 위한 승인된 방법, 절차.

다. 모든 검열운항승무원을 위한 전환 지상훈련은 그 승무원이 전환하고자 하는 항공기


에 필요한 정상, 비정상, 비상절차의 수행을 위한 승인된 방법, 절차, 제한사항을 포
함하고 있어야 한다.

라. 항공운송사업자는 항공기 검열운항승무원의 초기, 전환 비행훈련을 위해 다음 각 호


를 확인하여야 한다.
1) 비행검열 수행능력을 확인하는데 요구되는 정상, 비정상, 비상절차에 있어서 비행
평가(항공기 검열운항승무원으로서 왼쪽 및 오른쪽 조종석) 수행을 위한 훈련 및 실습
2) 평가 중 안전에 관련하여 부적절하고. 시기가 적절치 못하거나 미실시 등의 가능성
3) 평가 중 발생될 것 같은 비상상황에 대비한 조치방법(좌/우측석 임무수행)

마. 항공운송사업자는 모의비행장치 검열운항승무원의 초기, 전환 비행훈련을 위해 다음


각 호를 포함하여야 한다.
1) 이 조항에 의해 요구되는 평가 검열을 수행하는 능력을 확인하는데 요구되는 정상,
비정상, 비상절차에 관한 비행검열(이 훈련과 실습은 모의비행장치 또는 비행훈련장
치로 이루어져야 한다)
2) 이 조항에 요구되는 평가를 수행하는 능력을 확인하는 모의비행장치와 비행훈련장치
의 운영에 관한 훈련

바. 항공운송사업자는 항공기 검열운항승무원으로 하여금 항공기, 모의비행장치 또는 비


행훈련장치 종류별로 비행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표 8.4.9.3 비행근무 및 지상휴식시간(Duty and Rest Periods)

가. 연속되는 24시간 동안 휴식시간 없이 승무 및 비행근무시간이 다음을 초과하도록 운


항승무원의 승무 및 비행근무시간을 계획하여서는 아니 된다.

(단위 : 시간)

운항승무원 편성 최대 승무시간 최대 비행근무시간

기장 1명 8 13

기장 1명,
8 13
기장 외의 조종사 1명

기장 1명, 기장 외의 조종사 1명,


12 15
항공기관사 1명

기장 1명,
12 16
기장 외의 조종사 2명

기장 2명,
13 17
기장 외의 조종사 1명

기장 2명,
16 20
기장 외의 조종사 2명

기장 2명, 기장 외의 조종사 2명,


16 20
항공기관사 2명

주1. 비행임무를 위한 출두시각 및 비행종료시각 기준은 항공운송사업자의 운항규정


에 정한다.

주2. 운항증명소지자가 지정한 장소에 승무원이 출두한 시각부터 예측불가 운항상황


(Unforeseen operational circumstance)"이 발생할 경우 승무시간(Flight
Time) 및 비행근무시간(Flight Duty Periods)을 2시간 연장할 수 있다. 승객의
지연도착, 객실서비스 품목 등의 지연도착 또는 승객의 위탁수하물 및 화물, 우
편물 등으로 인한 지연은 포함되지 아니한다.

주3. 연속되는 24시간 동안 12시간을 초과하여 승무 할 경우 항공기에는 휴식시설


이 있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나. 운항승무원의 연속되는 28일 및 365일 동안의 최대 승무시간 기준


(단위 : 시간)

운항승무원 편성 연속 28일 연속 365일

기장 1명 100 1,000

기장 1명, 기장 외의 조종사 1명 100 1,000

기장 1명, 기장 외의 조종사 1명, 항공기관사 1명 120 1,000

기장 1명, 기장 외의 조종사 2명 120 1,000

기장 2명, 기장 외의 조종사 1명 120 1,000

기장 2명, 기장 외의 조종사 2명 120 1,000

기장 2명, 기장 외의 조종사 2명, 항공기관사 2명 120 1,000

다. 운항승무원의 연속되는 7일 및 28일 동안의 최대 근무시간 기준

구분 연속 7일 연속 28일

근무시간 60시간 190시간

라. 운항승무원의 비행근무시간에 따른 최소 휴식시간 기준

비행근무시간 휴식시간
8시간까지 8시간 이상
8시간 초과 9시간까지 9시간 이상
9시간 초과 10시간까지 10시간 이상
10시간 초과 11시간까지 11시간 이상
11시간 초과 12시간까지 12시간 이상
12시간 초과 13시간까지 13시간 이상
13시간 초과 14시간까지 14시간 이상
14시간 초과 15시간까지 15시간 이상
15시간 초과 16시간까지 16시간 이상
16시간 초과 17시간까지 18시간 이상
17시간 초과 18시간까지 20시간 이상
18시간 초과 19시간까지 22시간 이상
19시간 초과 20시간까지 24시간 이상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주1. 항공운송사업자 및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운항승무원이 승무를 마치고 마지막으로 취


한 지상에서의 휴식 이후의 비행근무시간에 따라서 위 표에서 정하는 지상에서의
휴식을 부여하여야 한다.

주2. 항공운송사업자 및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운항승무원이 연속되는 7일에 연속되는 24


시간 이상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주3. 단, 정규공항 이외에 운항 시 부득이한 경우 1회에 한하여 최소 8시간 휴식을 줄


수 있으며 나머지 휴식시간의 1.5배를 다음 휴식시간에 가산하여야 한다.

주4. 항공운송사업자 및 항공기사용사업자는 운항승무원이 비행임무를 위하여 출두하는


경우 운항규정에 규정된 출두시각 직전에 최소한 연속되는 8시간의 휴식을 취하도
록 하여야 하며, 운항승무원 또한 이를 지켜야 한다.

마. 객실승무원의 비행근무 및 지상휴식시간 기준은 다음과 같다.

객실승무원 추가탑승에 따른 객실승무원 지상휴식시간의 단축

계획된
요구되는 추가 지상 인가된 감축 휴식감축을 취한
비행근무시간
객실 승무원 휴식시간 휴식시간 경우 차기 휴식시간
(시간)

14 이하 0 8 8 10

14-16 1 12 10 14

16-18 2 12 10 14

18-20 3 12 10 14

주1. 항공운송사업자는 객실승무원이 연속되는 7일에 연속되는 24시간 이상의 휴식


을 취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주2. 정비, 천재지변, 악기상 등으로 인하여 최소 지상휴식시간을 부여하지 못한 경
우, 규정된 최소 지상휴식시간을 부여한 것으로 간주한다.

별표 8.4.9.4 최대승무시간 기준(Maximum Number of Flight Time Hours)


항공운송사업자는 객실승무원으로 하여금 1개월(역월)에 120시간, 3개월(분기)에 350시간,
1년(역년)에 1,200시간 이상을 비행토록 승무계획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표 9.1.15.2.5 업무종사자 기록 등의 보존(Retention and Maintenance of


Personnel Records)
운항증명소지자 등은 항공기 운항 및 정비 관련기록(컴퓨터 기록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포함)을 최소 다음에 규정된 기간 이상동안 기록유지하고 보관하여야 하며, 모든 기록은
변조가 가능하지 아니하도록 지워지지 않는 연필 또는 잉크 펜으로 기록되어야 한다.
가. 비행준비에 사용된 정보

구 분 보관 기간

운항비행계획서(Operational Flight Plan) 3개월

연료 및 오일에 관한 기록 3개월

항공기 말소
탑재용 항공일지(Aircraft Technical Log)
등록 시까지

항공고시보(NOTAM)/ 운항정보 (AIS) 브리핑 서류( 운항증명소지자가


3개월
내용을 수정 또는 변경한 경우)

중량배분서류 3개월

기장통보서(NOTOC) 1년

비행준비 및 수행에 사용된 정보 통신일지 1개월

나. 보고서(Reports)

구 분 보관 기간

비행일지(Journey Log) 6개월

사건을 상세히 기술한 사건보고서(Flight Incidents, 기술적 결함


또는 제한치 초과, 항공교통사고, 조류장애 및 충돌, 위험물 탑재
3개월
에서의 비행 중 비상사태 발생, 불법방해, 지상 및 항행장비 비정상
및 장애상태), 또는 기장이 보고/기록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사건

마지막 기록일
근무시간 초과 그리고/또는 휴식시간 저감에 관한 보고서
후 3개월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다. 운항승무원 기록(Flight Crew Records)

구 분 보관 기간

승무시간, 비행근무시간, 근무시간 및 휴식시간


15개월
(Flight time, Flight duty period, Duty period and Rest time)

운항승무원이 운
항증명소지자를
위하여 자격증명
자격증명(License)
의 특권을 수행
할 수 있는 기간
동안

전환훈련 및 심사(Conversion training and checking) 3년

기장승격훈련 및 심사(Command course including checking) 3년

정기훈련 및 심사(Recurrent training and checking) 3년

좌.우측 조종석 훈련 및 심사 3년

최근 이착륙 경험(Recent Takeoff and Landing Experience) 15개월

공항 및 노선 자격(Airport and Route Qualification) 3년

특수운항훈련 및 심사(ETOPS CAT II/III운항) 3년

적절한 위험물 훈련(Dangerous Goods training as appropriate) 3년

라. 객실승무원 기록(Cabin Crew Records)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구 분 보관 기간

승무시간, 비행근무시간, 근무시간 및 휴식시간


15개월
(Flight time, Flight duty period, Duty period and Rest time)

객실승무원이 운
항 증명 소지 자에
초기훈련, 전환 및 차이점 훈련(심사 포함)
의해 고용된 기
간 동안

정기 및 보수교육(심사포함) 3년

적절한 위험물 훈련 3년

마. 승무원을 제외한 운항종사자의 기록

구 분 보관 기간

운항기술기준에 의하여 요구되는 승무원을 제외한 운항종사자를 위


2년
하여 인가된 훈련프로그램의 훈련/자격 기록

별표 9.1.15.2.9 전자교범 및 전자기록유지시스템 운영기준


가. 시행규칙 제280조 및 제283조의규정에 따라 항공운송사업자가 운항증명 신청 시 국
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는 교범과 운항규정 및 정비규정에 포함되는 모든 규정/교
범/지침 등을 전자 형태로 제작, 관리 및 종사자에게 배포하거나, 전자형태로 기록을
유지하도록 시스템의 운용을 신고하였거나 승인 받은 자는 본 기준을 준수하여야 한
다.
나. 본 기준에 따라 운용되는 모든 전자교범 및 전자기록유지시스템의 정확성과 보존성
및 사용자의 용이성은 비전자교범과 여타 다른 방식의 기록유지방식의 수준과 같거
나 그 이상이어야 한다. 특히 전자교범의 관리 및 사용 측면에서 개정의 용이성, 정
확성 및 사용자의 내용 조회 및 검색 용이성 등이 확보되어야 한다.
다. 전자교범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1) 전자교범은 전자화된 활자, 기호, 그림 등을 사용하여 작성하며 비 전자물의 전사(轉
寫)를 포함할 수 있다.
2) 전자교범은 일반 교범형식과 같은 수준의 목차(Contents),개정현황(Revision
Status),발행일자(Issue Date)가 포함되어야 한다.
3) 전자교범에서 사용하는 활자, 기호, 그림으로 표시된 내용물은 사용자가 임무를 수
행하는 통상의 조건에서 쉽게 인지하고 해독이 가능하여야 한다.
라. 전자 교범은 다음의 저장 및 검색 기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1) 전자교범은 교범의 기능성을 보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저장 및 배포되어야 하며 교


범의 내용을 조회하고 검색하는데 필요한 매체(媒體) 역시 동 교범의 관리와 사용자
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2) 전자교범은 사용자가 임무 수행 중 쉽게 접근하고 필요한 내용을 즉각 조회 또는 검
색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마. 종사자의 동시다중(同時多重) 접근과 조회 및 검색이 가능한 매체(Network Server
등)를 통하여 전자교범이 운용되고 있다면 동 교범은 종사자에게 제공(배포)된 것으
로 간주한다. 그러나 개별 종사자에게 제공하거나 종사자가 임무 수행 중 소지하도
록 규정된 교범은 동 전자교범의 저장, 검색, 조회에 필요한 매체가 동시에 종사자에
게 제공되어야 한다.
바. 전자교범을 운용하는 항공운송사업자는 전자교범 관리와 운용에 필요한 절차를 수립하여
운용하여야 하며 전자교범 관리와 운용절차는 다음 각 호의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1) 전자교범의 종류와 형식
2) 전자교범 관리절차
- 제(개)정 절차
- 접근통제
- 전담 관리자 운용
- 제공(배포)절차
- 예비저장절차(Data Back-up)
3) 전자교범 운용절차
- 작성방식
- 내용 수정 및 삭제 방식
- 오류 수정 및 고장 조치
- 사용자 지침
주1. 전자교범을 사용하는 사업자는 전자교범의 운용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유
지할 수 있도록 관리 책임자를 지정하여야 한다.
주2. 전자교범을 운용하는 사업자는 대상 전자교범 내용에 대한 의도적인 임의 수정과
내용 삭제, 운영체계 정지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안절차를 수립하여 이행하여
야 한다.
사. 전자교범을 운용하고자 하는 사업자는 시행규칙 제282조에 따라 운항․정비규정(변경)
신고서를 작성하여 해당 전자교범의 사본(Copy)과 함께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
여야 한다. 신고서와 함께 제출하는 전자교범의 사본은 사업자가 운용하거나 종사자
에게 제공하는 교범과 동일한 내용과 형식이어야 한다.
아. 전자교범을 운용하고자 하는 사업자는 종사자가 전자교범에 접근하고 내용을 조회하
고 검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하여야 한다.
자. 시행규칙 제280조의3에 따른 종사자의 기록 유지를 전자기록유지시스템을 운용하고
자 하는 항공운송사업자는 사전에 동 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에 대한 승인을 받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야 한다. 전자기록유지시스템의 운용을 승인 받고자 하는 사업자는 전자기록유지시


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관리절차 포함)와 사용자 지침(User
Manual)을 제출하여야 한다.
차. 전가기록유지시스템은 다음에서 정한 기능을 확보하여야 한다.
1) 전자기록유지시스템은 관리자 및 사용자가 전자화된 기록을 필요시 입력하고 저장하
고 조회할 수 있어야 한다.
2) 전자기록유지시스템으로 저장된 기록은 비전자 기록 방식에 의한 내용과 동일한 것
이어야 한다.
3) 전기기록유지시스템으로 저장된 기록은 특정 내용에 대한 검색, 추출 및 출력된 자
료의 인쇄가 가능하여야 한다.
4) 전자기록유지시스템에 입력되거나 출력된 자료는 생성 일자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
을 갖추어야 한다.
카. 전자기록유지시스템에 저장된 기록은 비인가자에 의하여 기록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되어야 하며 동 시스템 접근 통제를 위한 절차를 수립하여 운용하여야 한다.
타. 전자기록유지시스템을 운용하는 사업자는 시스템 관리와 운용에 필요한 절차를 수립하
여 운용하여야 하며 동 운용 절차에는 다음 각호의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1) 시스템 기본 운용체계
2) 시스템 관리절차
- 기록 입력(삭제) 절차
- 기록 검색과 추출 방범
- 접근통제 절차
- 전담 관리자의 지정과 운용
- 기록의 예비저장(Data Back-up) 절차
주1. 사업자는 전자기록유지시스템의 기록 입력 담당자를 지정하여야하며 동 담당자의 시
스템 접근 권한은 별도 관리되어야 한다.
주2. 전자기록유지시스템에 의해 저장된 모든 기록은 별도의 저장 매체의 의해 정기적으
로 예비저장(Data Backup)되어야 한다.
주3. 사업자는 전자기록유지시스템의 신뢰성과 보안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주기적인 자체
평가 절차를 운용하여야 한다.
파. 전자서명은 본 기준의 전자교범 및 전자기록유지시스템 운용 범위 안에서 전자문서 및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되어야 하며 다음의 방식으로 운용될
수 있다.
1) 전자 서명
2) 서류 서명의 전사(轉寫)
3) 상징 기호
4) 전자 코드
5) 기타 신원확인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는 전자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주1. 상기 1)의 서명 방식은 비전자 서명과 동일한 수준의 신원확인과 효력이 인정되어
야 한다.
하. 전자서명은 다음의 기능을 확보하여야 한다.
1) 전자서명은 서명자의 신원을 보증함과 동시에 동 전자서명의 유일성(唯一性)이 확보되
어야 한다. 전자 서명의 유일성이라 함은 특정 서명인의 개별성이 확보되고 유사 복제
가 방지된 형식을 말한다.
2) 전자서명은 서명을 위하여 서명자가 의도적이며 인식 가능한 절차를 거쳐 수행하도록
조치되어야 한다. 이에 적용될 수 있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 특정 기호의 입력
- 전자신분 증명의 인식 입력
- 별도 전자서명 입력
- 서명 인증서 입력
3) 전자서명은 서명자가 서명한 일시(日時)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4) 전자서명으로 증빙된 전자문서는 부정한 수정, 삭제 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치
되어야 하며, 정상적인 수정 이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거. 전자서명은 항공운송사업자 또는 외부기관에 의해 인증된 절차를 통해 수행되어야 하
며 사업자는 전자서명의 인증절차를 수립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너. 전자서명을 사용하는 항공운송 사업자는 전자서명의 도용을 방지할 수 있는 절차를 수
립하여 운용 하여야 한다.

별표 9.1.16.3 외국 등록항공기의 단순임차(Dry Leasing of Foreign Registered


Aircraft)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를 충족하는 ICAO 조약 체약국의 운항증명소지자로 부
터 상업항공운송업을 목적으로 하는 항공기를 단순 임차할 수 있다.
1) ICAO 조약 부속서 8에 의거 항공기는 등록국가가 교부한 적합한 감항증명서를 탑
재하여야 하며, 등록국가의 규정에 따라 등록부호를 표시하여야 한다.
2) 대한민국에 등록된 항공기에 적용할 수 있는 모든 요건을 갖춘 형식의 항공기 이어
야 한다. 이러한 요건은 대한민국의 표준감항증명서 발행요건에 부합하여야 한다.
(형식설계기준, 소음기준, 연료배출(fuel venting), 엔진연소가스 배출 요건 및 안전
운항을 위한 요건을 포함).
3) 항공기는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 받은 정비프로그램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4) 항공기는 운항증명소지자가 고용한 자격이 있는 항공종사자에 의해 운영되어야 한
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는 법적 구속력을 가진 단순 임차서류의 사본을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다. 항공기를 운영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단순임차 항공기의 운영통제권을 가져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라. 항공기를 임대한 외국의 운항증명소지자의 운영기준(Op' Spec')에서 단순임차 항공


기가 삭제되어야 하며, 동 항공기를 임차한 운항증명소지자 운영기준(Op' Spec')에
임차 항공기가 명시되어야 한다.

마. 단순임차 항공기와 연관된 운항증명소지자는 임차기간 동안 수행되는 정비프로그램


및 최소장비목록(MEL)에 관한 명백한 단순 임차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바. 기타 본 조항에서 규정하지 않은 사항은 ICAO Circular 295를 준용하여 적용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표 9.1.16.4 항공기 상호교환(Aircraft Interchange)


가. 항공기를 상호교환계약 하에 운영하기 전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를 준수해야 한
다.
1) 항공기 교환 운영절차가 안전운항 규정(safe operating practices)에 부합할 것
2) 필요한 승무원과 운항관리사는 항공기와 장비에 대한 인가된 훈련 요건들을 준수하
고 있고, 통신 및 운항관리절차에 익숙할 것
3) 정비사는 항공기 및 장비에 대한 정비 훈련요건을 준수하고 있고 사용되는 정비절차
에 익숙할 것
4) 운항승무원과 운항관리사는 해당 노선 및 공항 자격의 요건을 갖출 것
5) 운항될 항공기는 상호 교환하여 사용할 운항증명소지자의 항공기와 본질적으로 동종의 것
일 것.
6) 국토교통부장관이 운항증명소지자가 잠재적으로 상이한 위험에 대하여 운항승무원의
숙련도를 통해 극복할 수 있는 적합한 훈련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지 않는
한, 항공기 안전상 중요한 비행계기나 조종 장치의 배열(arrangement of flight
instrument and controls)이 운항증명소지자의 항공기와 본질적으로 유사할 것

나. 상호교환 계약을 한 각 운항증명소지자는 당해 교범(manual)에 계약에 관한 적절한


규정 및 절차를 포함해야 한다.

다. 운항증명소지자는 교환 계약을 반영하기 위하여 운영기준(Op' Spec')을 개정해야 한


다.

라. 운항증명소지자는 당해 항공기의 운항 통제를 하는 동안 교환 계약과 관련된 항공기


등록국의 적법한 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마. 기타 본 조항에서 규정하지 않은 사항은 ICAO Circular 295를 준용하여 적용한다.

별표 9.1.16.5 포괄 임대차 운항 (Wet Leasing)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포괄 임대차 계약서 사본을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나. 국토교통부장관이 포괄 임대차 계약과 관련하여 다음 각 호와 같은 운영기능의 범위


및 통제에 관한 운영통제권한을 어느 쪽이(임대자 또는 임차자) 갖고 있는지를 결정
해야 한다.
1) 초기 및 최종비행(Initiating and terminating flights.)
2) 항공기의 정비와 조업(Maintenance and servicing of aircraft.)
3) 승무원의 스케쥴링(Scheduling crewmembers.)
4) 승무원의 보수(Paying crewmembers.)
5) 승무원의 훈련(Training crewmembers.)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다. 포괄 임대차 계약을 수행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의 정보들을 포함한 운영기준


(Op' Spec')을 개정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 계약 당사자의 이름과 계약기간
2) 계약에 포함된 각 항공기의 구조, 모델, 일련번호
3) 운항의 종류(The kind of operation)
4) 임차 계약의 만기일
5) 운항통제를 행하기 위해 고려되는 팀을 명기한 일람표
6) 기타 국토교통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다른 조건 또는 제한 사항

라. 기타 본 조항에서 규정하지 않은 사항은 ICAO Circular 295를 준용하여 적용한다.

별표 9.1.18.5 조종사 숙달훈련(Training to Proficiency : Pilots)


가. 모의비행장치를 이용한 훈련과정에 다음 각 호를 실시한다면, 모의비행장치를 이용
한 숙달 심사시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1) 훈련 전후 적절한 브리핑뿐 아니라 모의비행장치 조종훈련을 최소한 4시간 제공
2) 적어도 설정된 숙달심사 요건의 절차 및 조작에 대한 훈련 제공
3) 다음과 같은 실제비행을 지향하는 훈련 제공
가) 완벽한 비행 승무원 활용
나) 적어도 실제 운항시 일어날 수 있는 조작 및 절차
다) 운항증명소지자에 의해 수행되는 운항에 적합한 대표적인 비행 구분
라) 검열운항승무원을 배정

별표 9.1.18.12 운항자료관리 시스템 (Aeronautical Data Control System)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각 호를 포함하는 각 공항의 항공자료를 마련해야 한다.
1) 공항
가) 공항시설
나) 항법 및 통신장비
다) 이착륙 또는 지상운항에 영향을 미치는 공사
라) 항공교통시설
2) 활주로, 개방로, 및 정지로
가) 크기
나) 표면
다) 표식 및 등화시설
라) 표고 및 경사도.
3) 위치이동 활주로말단
가) 위치
나) 크기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다) 이륙 또는 착륙 또는 모두
4) 장애물
가) 이착륙 수행계산에 영향을 주는 사항
나) 통제장애물
다) 계기비행절차
라) 출발절차
마) 접근절차
바) 실패접근절차
5) 특별정보
가) 활주로 가시거리 측정 장비
나) 저 시정 하에서의 바람

별표 9.1.18.13 기상자료의 출처(Weather Reporting Sources)


가. 국토교통부장관은 비행계획 또는 비행통제에 만족스러운 기상보고와 다음 각 호의
출처를 승인하고 충분히 고려한다.
1) 기상청 또는 기상청장이 인정하는 민간기상사업자
2) 자동지상관측소
주. 일부 자동화된 시스템일지라도 완벽한 지상의 항공기상보고를 위한 모든 요구사
항을 보고할 수는 없다.
3) 추가 항공기 기상 보고소 운영
4) 공항교통관제탑에서 관측
5) 계약된 기상관측
6) ICAO의 기준 및 조약에 서명한 외국이 운영하는 실제 활동하고 있는 기상청
주. 이러한 기상청은 일반적으로 국제민간항공기구 지역항행계획에 있는 MET표에
등재되어 있다.
7) 관계기관에 의해 승인된 군 기상보고 자료
주. 군 자료의 사용은 출발, 목적지, 교체 또는 회항공항으로서 군 공항을 사용하는
비행 운항을 통제하기 위해 제한한다.
8) 조종사보고, 레이다보고, 레이다요약 챠트 그리고 상업용 기상자료 또는 관계기관이
특별히 승인한 다른 자료(원)에 의해 만들어진 위성 화상 보고와 같은 거의 실시간
보고
9) 국토교통부장관에 의해 승인한 기상보고시스템을 운영하고 유지하는 운항증명소지자

별표 9.1.18.14 제빙과 방빙 프로그램(De-icing and Anti-icing Programme)


가. 운항증명소지자의 지상 제빙 및 방빙 프로그램 내용은 다음 각 호의 내용을 포함해
야 한다.
1) 운항증명소지자는 서리, 얼음, 눈과 같은 기상조건에서 항공기 결빙을 예상하여 지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상 제빙과 방빙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이행하는 방법.


2) 지상 제빙 및 방빙 프로그램 책임자
3) 지상 제빙 및 방빙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
4) 지상 제빙 및 방빙 프로그램 수행시의 항공기 안전운항 달성을 위한 각 담당자 또는
그룹의 특정임무 및 책임

나. 운항증명소지자의 제빙, 방빙 프로그램에는 기상상태 변화에 방빙 지속시간의 연장


또는 단축 적용절차가 포함되어야 한다. 방빙지속 시간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승인할
수 있는 인가된 자료를 적용해야 한다. 최대허용 방빙 지속시간 초과 시는 다음 각
조건 중 최소 한가지 조건을 갖추지 못하면 이륙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이륙 5 분전에 날개, 조종면, 및 기타 프로그램에 명시된 주요 표면에 눈, 서리 또는
얼음이 결빙되지 않았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이륙 5 분전에 결빙여부 점검을 항공
기 외부에서 수행
2) 감독기관에 의해 승인된 대체 절차에 의한 항공기 결빙유무 점검 방법으로 날개, 조
종면 및 주요 부위에 눈, 서리, 얼음이 결빙되지 않았다는 것을 인가 프로그램에 의
해 수행.
3) 날개, 조종면, 기타 주요 부위에 제빙 작업을 재 수행하여 방빙 지속시간이 새로이
조정된 경우

별표 9.1.18.19A 안전적합성 평가 프로그램(Safety Evaluation Program)


가. 안전적합성 평가 프로그램 세부 내용. (9.1.18.19 라 3)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1), 2),
5), 8)만 해당한다.)
1) 사용예정 항공기
가) 사용예정 항공기에 대한 해당 공항의 이착륙시 성능상 적합 여부
나) 사용예정 항공기의 유효한 증명(등록, 감항, 소음적합, 무선기지국) 보유 여부
2) 항공기 및 그 부품의 정비시설
가) 해당 공항에서의 항공기 정비방식
나) 정비조업사 현황
3) 항공기 급유시설 및 연료보관시설
가) 해당 공항에서의 급유조업사 현황
4) 예비품 및 그 보관시설
가) 예비품 운영 방법
나) FAK 자재 현황
5) 운항관리시설 및 그 관리방식
가) 비행계획서 등 작성 및 운항승무원 전달 방식
나) 비행감시 방식
다) 운항관리조업사 현황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라) 교체공항 운용계획
마) 필요연료 산출 및 조업사 통보 절차
6) 지상조업 시설 및 장비
가) 지상조업사 현황
나) 운항기종에 적합한 시설 및 장비 보유 여부 등
7) 운항에 필요한 항공종사자의 확보 상태 및 능력
가) 노선추가에 따른 운항승무원 확보 여부
나) 노선추가에 따른 정비사 확보 여부
다) 노선추가에 따른 운항관리사 확보 여부
라) 노선추가에 따른 운항승무원의 월ㆍ일 평균승무시간, 비행근무시간 변경 추이
8) 취항예정 비행장의 제원 및 특성
가) 각 활주로 별 길이, 폭, 포장 강도
나) 공항 구조 및 소방등급
다) 활주로별 항행안전시설, 등화시설
라) 항공교통관제시설 및 공항 운영시간
마) 해당공항의 국제선운항 항공사 및 운항기종
바) 사용가능 한 탑승교 및 주기장 시설
9) 여객 및 화물의 운송서비스 관련 시설
가) 여객 및 화물조업사 현황
나) 사용 가능한 탑승수속 카운터 수
다) 무게 및 중량배분 업무 수행 방법나. 운항증명소지자의 운영기준에 안전적합성 평
가 프로그램을 반영할 경우, 운항증명소지자는 가목 각 호의 사항에 대한 자체 입증 및
입증책임자를 포함해야 한다.

별표 9.1.18.19B 안전적합성 입증자료 요약서


가. 별표 9.1.18.19A의 각 항목별 적합여부 판단
나. 가목의 각 항목별 판단 사유
다. 가목의 각 항목별 판단을 한 사람(이름, 보직)

별표 9.1.19.3 운항증명소지자의 정비규정 (AOC Holders Maintenance Control


Manual)
운항증명 신청자 또는 운항증명소지자는 최소한 다음사항이 포함된 정비규정을 항공당국
에 제출하여야 한다.

[정비규정 예시]
제1장 정비규정의 발행 및 관리(Administration and Control of MCM)
1.1 개요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a) 항공당국의 해당 법을 충족하고, 해당 운항증명 조건을 충족하고 있음을 명시해야


한다.
(b) 해당 요원의 임무수행에 필요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음을 명시해야 한다.
(c) 정비규정의 목차, 내용 및 사용법을 수록하여야 한다.
(d) 정비규정에 사용되는 용어의 설명 및 정의가 수록되어야 한다.

1.2 개정 절차
(a) 개정판의 발행 책임자가 명시되어야 한다.
(b) 개정판의 추가 일자 및 유효 일자에 대한 기록이 요구된다.
(c) 안전에 관련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기로 기록할 수 없다.
(d) 주석 페이지 및 유효 일자 관리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
(e) 유효 페이지 및 유효일자 목록이 있어야 한다.
(f) 변경에 대한 주석이 있어야 한다.
(g) 임시 판에 대한 절차가 있어야 한다.
(h) 교범 및 개정판의 배포체계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
(i) 항공당국에 변경을 공지하는 자 및 승인이 요구되는 변경사항에 대하여 협의할 자
에 대한 사항이 있어야 한다.

제2장 조직 일반(General Organization)


2.1 운항증명에 의한 항공사 이행 사항
2.2 일반 사항
(a) 조직에 관한 개요
(b) 타조직과의 관계
(c) 항공기 구성 및 운항 형태
(d) 지점의 위치
2.3 정비책임 경영자
(a) 책임 경영자
(b) 주요 보직자
(c) 정비 협력
(d) 임무와 책임
(e) 조직도
(f) 인력 충원 및 훈련 정책
2.4 정비 시설 위치, 인력, 활동 및 인가에 대한 변경시 항공당국에 공지하는 절차

제3장 정비절차
3.1 항공기 비행일지 사용법 및 최소비행요건 적용법
3.2 항공기 정비프로램 개발 및 개정
3.3 시간 및 정비기록, 책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3.4 감항성개선명령의 이행 및 관리
3.5 정비프로그램의 분석
3.6 비필수 개조의 수행 지침
3.7 대개조 표준
3.8 결함 보고
(a) 분석
(b) 제작사 및 항공국과의 연락체계
(c) 결함 이월 지침
3.9 기술 활동
3.10 신뢰성관리프로그램
(a) 기체
(b) 추진계통
(c) 장비품
3.11 비행전 점검
(a) 항공기 비행 준비
(b) 지상조업을 위한 계약
(c) 화물 및 휴대품의 보안
(d) 연료 보급량 및 품질관리
(e) 눈, 결빙, 먼지 및 모래 오염에 대한 항공 표준에 따른 관리
3.12 항공기 중량
3.13 비행시험 절차
3.14 자료, 태그 및 양식 표본
3.15 운항증명 소지자의 운항교범의 해당 부분

별표 9.1.19.5 운항증명 소지자의 추가 정비품질체계 (AOC Holders Additional Quality


System for Maintenance)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9.1.19.4에서 요구하는 사항의 관찰 시기 및 주기를 항공당국에
제시하는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관찰 조사 완료 시점에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
며, 절차 및 요건에 부합되지 않는 사항이 상세하게 명시되어야 한다.

나. 결함 및 각 불부합 사항을 수정하는 자가 명시되어야 하며, 시한 내에 결함 해소가


완료되지 않을 경우에 적용할 절차가 명시되어야 한다.

다. 동 조와의 부합을 확인하기 위하여 운항증명 소지자는 다음을 사용하여야 한다.


1) 자재 표본 : 운영 항공기중 표본 점검
2) 결함 표본 : 결함수정 결과의 관찰
3) Concession 표본 : 적기에 수행하지 않은 정비에 대한 관찰
4) 정비의 적기 수행에 대한 표본 : 항공기 및 장비품이 정비를 위하여 입고될 경우(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행시간/일자/비행횟수 등) 관찰
5) 항공기 및 장비품에 대한 비감항 상태 및 정비실수에 대한 보고 표본

별표 9.1.19.6 계기비행기상상태(IMC) 및/또는 야간에 단발 터빈엔진 항공기 운항에


필요한 추가적인 필요조건
9.1.19.6에 따라 제공되는 감항성 및 운영상의 필요조건은 다음을 만족하여야 한다.

1. 터빈 엔진 신뢰성
1.1 터빈엔진 신뢰성은 100,000 엔진시간 당 1 미만의 동력손실율로 나타낼 수 있다.
주.— 동력손실은 모든 동력의 손실을 정의하며 엔진제어시스템 또는 보조연료통의 설치
및 설계를 포함하는 엔진구성품 설계 또는 설치 또는 엔진결함으로 연결될 수 있는 원인
이 될 수 있다.(별첨 9.1.19.6H 참고)
1.2 운영자는 엔진경향감시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1.3 비행 중 엔진고장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엔진은 다음을 갖추어야 한다.
a) 습한 상태에서, 이착륙, 비행 중에 수동 및 자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점화시스템;
b) 엔진, 악세사리 기어박스(accessories gearbox) 및 감소 기어박스를 감시하는 자분
탐상감지(magnetic particle detection) 또는 동등한 시스템이며 조종실 경고지시장치
c) 비상엔진동력제어장치는 효율적인 동력범위를 통해, 연료제어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운항이 가능하도록 해야한다.

2. 시스템 및 장비
계기비행상태(IMC) 및/또는 야간에 운항하도록 승인받은 터빈단발항공기는 모든 가능
한 상황 하에서 엔진고장에 따른 안전한 강제착륙을 하는데 보조하며 안전한 비행을 보
장하기 위해 다음의 시스템 및 장비를 탑재해야 한다.
a) 두 개의 분리된 전력발전시스템, 각각 계기비행상태(IMC)에서 및/또는 야간에서 계
기, 장비 및 시스템을 위하여 비행 중 전력부하를 지속적으로 조합하여 공급이 가능할
것.
b) 무선 고도계
c) 효율적인 용량 및 내구성의 비상전력공급시스템을 다음의 장비전력에 공급할수 있어
야 한다.
1) 항공기 최고 운영허용고도로부터 활공하여 착륙할 때까지 필수 운항장비, 통신 및
항법시스템의 모든 작동 유지.
2) 가능한 플랩 및 착륙장치를 낮춤.
3) 조종사가 확실히 속도계를 볼 수 있도록 하나의 피토히터에 전력 공급.
4) 2 j)에 명시된 착륙등의 작동을 위하여 공급.
5) 적용 가능하다면 하나의 엔진 재시동을 위하여 공급
6) 무선 고도계의 작동을 위하여 공급.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d) 독립된 전력원으로 부터 가동되는 두 개의 자세계.


e) 엔진 재시동시 한번이상 시도할 수있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
f) 공중 기상 레이더
g) 일시적으로 사용가능한 트랙 및 거리정보를 제공하면서 안전한 강착지역 및 공항의
위치와 함께 프로그램 되는 승인된 지역항법시스템.
h) 탑승객을 위하여 탑승좌석은 성능테스트를 통과한 어께벨트 또는 각 좌석에 어깨끈
이 달린 안전벨트를 갖추어야 한다.
i) 여압이 된 항공기에서 최대승인고도로부터 보조 산소가 더 이상 필요하게 되지 않는
고도까지 최대 활강성능조건에서 엔진고장 시 필요한 충분한 보조 산소.
j) 착륙장치와 독립된 착륙등은 야간 강착 접지점 지역을 적절히 비춰야함.
k) 엔진화재경고시스템

3. 최소장비목록
운영국가는 야간 및/또는 계기비행기상상태(IMC) 및 주간/시계비행기상상태(VMC)의
운항을 위해 요구되는 장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제5장, 5.4에 따라 승인된 운영자의
최소장비목록을 요구해야 한다.

4. 비행교범정보
비행교범은 야간 및/또는 계기비행기상상태(IMC)에서 터빈단발항공기에 의한 운항과
관련된 다른 정보, 제한, 절차 및 승인상태를 포함해야 한다.

5. 사건 보고
5.1 단발 터빈엔진 항공기로 IMC 상태나
야간 비행을 하도록 승인받은 운영자는 항공기 운영자에게 발견되는 모든 고장, 결함이
나 오,작동을 보고해야하고, 이를 보고 받은 항공기 운영자는 항공기 제작사에 차례로
알려야한다.
5.2 항공기 운영자는 의도한 안전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안
전 데이터를 검토하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감시해야한다. 또한 중요 이벤트나 특히 사건
발생에 있어 중요한 부분은 해당 형식증명소지자와 항공기 제작사에 통보해야한다.

6. 운영자 계획
6.1 운영자 비행경로 계획은 의도된 비행경로 또는 운항 지역의 평가 내에서 모든 관련
정보를 고려해야하며 다음을 포함해야 한다.
a) 엔진 고장이나 중요한 기능의 고장으로 비상착륙 할 시 언제든지 착륙 할 수있도록
항로 설정
b) 항공기 운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계절적, 다른 악기상 조건 등의 영향을 고려한
기상 조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c) 항공기 운영자가 지정한 평가 기준 및 한계치


6.2 운영자는 엔진 고장 발생 시 비행장이나 안전하게 비상착륙 할 수 있는 지점을 인지
해야하고, 그 지점들의 위치를 지역항행시스템에 프로그램화하여 적용해야한다.
주1.— 본문에 있는 ‘안전한’ 비상착륙이란 항공기가 광범위한 손상을 초래할지라도 심각
한 부상 또는 인명의 손실을 야기하지 않다는 충분한 이유가 있는 지역에 착륙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2.— 8.4.5.2에 명시되어 있듯, 비행 중이나 어떠한 기상상태 하에서 엔진 고장이 발생
하여 비상착륙을 해야 할 경우에는 9.1.19.6에 의거하여 해당 항공기는 별표 9.1.19.6의
6.1, 6.2항을 적용하지 않는다. 부록에 명시되어 있는 엔진, 추가적인 시스템들이나 운영
장비, 절차 및 훈련 요건들은 높은 신뢰도에 따라, 항로상의 모든 지점에서 비상착륙 장
소의 가용성은 해당 항공기들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

7. 운항승무원 경험, 훈련 및 시험
7.1 운영국가는 터빈 단발항공기에 의한 야간/계기비행기상상태(IMC)의 운영을 위하여
요구되는 최소한의 운항승무원 경험을 규정하여야 한다.
7.2 운영자의 운항승무원의 훈련 및 시험은 터빈단발항공기에 의한 야간/계기비행기상상
태(IMC)에 적절하여야 하며 정상, 비정상 및 특별히 엔진고장 시 비상절차를 포괄하고
야간 및/또는 계기비행기상상태(IMC) 조건에서의 비상착륙을 위한 하강을 포함한다.
8. 해상 비행경로 제한
운송사업자는 항공기의 특성, 바다의 상태나 기온, 계절에 의한 날씨 영향, 수색 및 구
조(SAR)업무를 수행 받을 수 있는지 등을 유념하여 안전하게 비상착륙하기에 적합한 지
점으로부터의 활공거리 이상일 경우, 계기비행기상상태(IMC) 상태나 야간에 수상을 비행
하는 단발 터빈 엔진 항공기들에게 비행경로 제한 기준을 설정해야한다.
9. 운영자 자격증명 또는 인증
운송사업자는 운영국가에 의하여 명시된 자격증명 및 승인과정을 통하여 야간 및/또는
계기비행기상상태(IMC)에서의 터빈단발항공기의 운항능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
다.
주.— 감항성 및 운영필요조건에 대한 지침은 (별첨 9.1.19.6H)에 수록되어 있다.

10. 별첨 9.1.19.6H
야간이나 최저 계기비행 기상 조건에서 단일 터빈엔진 비행기에 의해 승인된 운항을
위한 부가적인 지침

10.1. 목적과 범위
이 첨부의 목적은 감항성과 Chapter 5, 5.4와 Appendix 3에 기술 된 운영 요구조건들
에 대한 부가적인 지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는 야간이나 최저 계기비행 기상 조건에
서 단일 터빈 엔진 항공기에 의해 승인 된 운영을 목적으로 총체적인 안전 수준을 충족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하기 위해 고안 되었다.

10.2. 터빈 엔진 신뢰성
가. Chapter 5, 5.4.1과 Appendix 3에서 필요로 하는 동력 손실률은 운항 환과 유사한
사적인 운항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로 보충되는 운송 사업에서의 자료를 근거로 충족될 수
있도록 수립되어야 한다. 심사를 통해 최소한의 업무 경력이 필요하며, 추가적인 심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거나, 여러 종류의 엔진을 다루어 본 충분한 경험이 없다면 실질적인
비행기/엔진 조합에 관하여 2만 시간 이상의 경험이 필요하다.

나. 터빈 엔진 신뢰성을 평가할 때, 대표로 여겨지는 가능한 큰 운영 샘플에 관하여 제


조사와 운영국에서 검토되어지고 제조사에서 만든 항공기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가지고
평가해야한다. 비행시간 보고가 운영자에게 강제성을 띄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통계 추
정치가 엔진 신뢰성 데이터를 정립하기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동향 분석과 사건 보고를
하는 조건으로 운영을 승인받은 개개의 운영자들을 위한 데이터는 항공기 운영자의 경험
이 불만족스럽다는 조짐이 없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항공기 운영자에 의해 검토되고
감시되어져야 한다.
1) 엔진 동향 모니터링은 다음을 포함하여야 한다:
a) 제조국의 권고를 기초로 한 연료 소모 관찰 프로그램과
b) 한도가 관찰되도록 나타나는 엔진 상태 관찰 프로그램,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조치
절차; 이는 제조국의 권고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 이 모니터링은 초기에 안전 운항이 영
향을 끼치기 전에 수정한 조치를 따르기 위해 터빈엔진 성능저하를 탐지하기 위함임.
다. 신뢰성 프로그램은 엔진과 이에 관련된 시스템들을 다루도록 만들어져야한다. 엔진
프로그램은 엔진 가동 시간과 모든 경우에서의 운항 중 엔진 고장률, 계획에 없던 엔진
제거율, 이 두 수치는 12달 엔진 가동 평균을 기초로 한다. 사건 기록 처리는 야간과
IMC 상태 하에서 안전하게 운영하는 능력에 관련 된 모든 항목을 다루어야 한다. 데이
터는 운영자, 형식 증명 책임자와 국가 의도하는 신뢰성 수준이 달성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한다. 유지되는 불리한 동향은 의도하는 안전 수준으로 복원시키기 위
한 조치를 결정한 속셈으로 국가와 제조국과 함께 상담하여 운영자에 의해 즉각적인 평
가를 내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운영자는 제조국으로부터 적절한 부품들과 구성품
들이 단일 터보엔진 항공기에서 유지될 수 있다라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도움을 받아 부
품 통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만 한다. 그 프로그램은 수리나 점검 이 후 사용 된 부품
뿐만 아니라 빌린 부품이나 공동 출자 준비 동안에 허가된 단일 터빈 엔진 항공기에 교
체 된 부품들은 Chapter 5, 5.4에 따라서 허가된 항공기 운항을 위한 필요 구성품들을
유지한다.
라. 동력 손실률은 특정 시간(견본 값이 크면 12달 이동 평균)에 따른 이동 평균치로
결정되어야 한다. 운항 중 엔진 고장률보다는 동력 손실률이 단일엔진 항공에서 값을 측
정하기에 더 적절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동력 손실률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다발 엔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항공기에서 하나의 엔진이 꺼지는 등 치명적이지만 부분적인 고장이 발생한다면, 분명히


엔진아웃 성능을 유지하면서 엔진은 꺼지기 쉬울 것이다. 이에 반해 단일엔진 항공기는
활공 거리를 늘이기 위해 잔여 동력을 사용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마. 실질적으로 선택된 시간은 국제적인 활용과 연관 된 경험의 관련성을 반영해야한
다. (예를 들어, 초기 데이터는 동력 손실률에 영향을 미치는 이 후의 근무 수정 때문에
관련이 없다.) 새로운 엔진이 도입된 이후에 국제적인 활용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자, 이용
할 수 있는 모든 경험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평균을 얻어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3. 운항규정
운항규정은 야간이나 IMC 상태에서 단일 터빈 엔진 항공기의 운영과 관련된 모든 필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이는 모든 부가적인 장비, 절차와 그런 운영에서 요구되
는 훈련, 항로와 운영지역과 계획과 운영 최소범위를 포함하는 공항 정보에 대한 내용을
지니고 있어야한다.

4. 운영자 자격증명이나 확인
운영국가에 의해 명시 된 자격증명 또는 확인절차는 정상, 비정상과 엔진, 시스템, 장비
고장 이후의 조치를 포함하는 긴급 운영에 대한 운영자의 절차의 타당성을 보장해야한
다. 게다가 운영자 자격증명이나 확인을 위한 보통의 요구조건들은 다음의 항목이 단일
터빈엔진 항공기 운영과 관련하여 명시되어 있어야 한다.
a) 항공기 엔진 결함의 확립 된 엔진 신뢰성 증명 (Appendix 3, paragraph 1 참조);
b) 지상에서, 이륙 직후, 항로상에서의 엔진 고장/오작동 보통의 항행 고도에서 강제 착
륙까지 하강하는 것에 대해 다루는 것을 포함하는 구체적이고 적절한 훈련과 확인 절차

c) 장비를 다루기 위해 확장되는 유지보수 프로그램과 Appendix 3, paragraph 2에 언
급된 시스템들
d) 야간이나 IMC 상태하의 운영에 필요한 장비와 시스템들을 다루기 위해 수정된 최소
장비목록(MEL)
e) 야간과 IMC 상태에서의 운영에 적합한 계획과 운영 최소치
f) 출발과 도착 절차, 항로 제한
g) pilot qualifications and experience; and
g) 조종사의 자질과 경험
h) 제한사항, 비상절차, 승인된 항로 또는 운항 지역, 최소장비목록(MEL)과 Appendix
3, paragraph 2에 언급된 장비와 관련된 정상절차를 포함하는 운항규정

5. 운영 프로그램 필요사항과 정비 프로 그램 필요사항


5.1 운항증명에 같은 문서에 명시된 야간이나 IMC에서의 단일 터빈엔진 항공기 운항을
승인 할 시 형식 디자인 표준, 특정 항공기의 승인과 그런 운항 지역과 항로를 아우르는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특정 기체/엔진 조합을 포함해야 한다.


5.2 운영자의 정비 관리 교범은 필요한 부가적인 장비의 증명서와 엔진을 포함하는 장비
를 위한 정비와 신뢰성 프로그램 증명서를 갖춰야 한다.

6. 수면 위 경로 제한
6.1 야간이나 IMC 상태에서 운항을 하는 단일 터빈엔진 항공기 운영자는 수면 위 경로
제한 평가를 해야 한다. 항공기가 안전한 강제착륙을 하기에 적합한 땅에서 그 운영 거
리가 결정되어야한다. 이는 순항고도에서 엔진 고장 이후 대기 상태를 예측한 안전 강제
착륙 지역에 이르기까지의 활공거리가 같다. 국가는 이런 가능한 지배적인 상황과 운영
형식을 계산하여 추가 거리를 더해야 한다. 이는 가능성 있는 바다 상황, 생존 장비 운
반, 엔진 신뢰성과 이용할 수 있는 수색 및 구조 서비스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6.2 활공거리를 넘는 거리가 허가된 추가적인 거리는 항공기의 정상 순항속도로 15분
비행하는 거리만큼의 거리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별표 9.3.1.1 비행안전문서시스템(Flight Safety Documents System)


1. 구성(Organizing)
가. 비행안전문서시스템은 비행안전에 관한 규정 또는 자료의 개정 및 배포 등의 관리
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항공기 운항 및 지상운용을 위해 요구되는 정보에 용이하
게 접근할 수 있도록 분류되고 구성되어야 한다.
나. 비행안전문서시스템에 포함된 정보는 다음과 같은 중요도 및 정보의 활용도에 따라
그룹화 되어야 한다.
1) 긴급 정보(time critical information) 등 ; 긴급히 활용할 수 없을 경우, 운항의 안
전을 위태롭게 할 수 있는 정보
2) 민감 정보(time sensitive information) ; 짧은 시간 내에 활용할 수 없을 경우, 운
항의 지연 또는 안전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보
3) 주기적으로 사용되는 정보(frequently used information)
4) 참조 정보(reference information) 등 ; 위의 2) 또는 3)항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항공기 운영(operation) 등을 위해 필요한 정보
5) 기타 사용되는 운영의 단계(the phase of operation)를 기초로 하여 구분될 수 있
는 정보
다. 긴급 정보는 비행안전문서시스템 내에서 눈에 잘 띄도록 하여야 하며, 가능한 빨리
관련 정보가 비행안전문서시스템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라. 긴급 정보, 민감 정보 및 주기적으로 사용되는 정보는 항공종사자 등이 재빨리 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 승인(Approve)
비행안전문서시스템은 시행되기 전 국토교통부장관에 의해 승인되어야 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3. 고안(Design)
가. 비행안전문서시스템은 용어정의 안에서 공통 용어(term) 및 용어의 활용에 대한 표
준사항이 일관되게 유지되어야 한다.
나. 비행안전문서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든 중요한 용어, 두문자 및 약어는 정의되어야
하며, 최신의 내용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 비행안전문서시스템은 글씨체 형태, 정의, 그래픽 및 심볼(Symbol)의 사용 및 자료
의 구성을 포함하여 자료의 형식들이 표준화(standardization)되어야 한다. 여기에
는 측정단위의 일관성 있는 사용 및 규칙 등의 특정정보 및 자료의 일관성 있는
사용을 포함한다.
라. 비행안전문서시스템은 주(主) 목차(master index)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주. 주 목차는 각 규정(또는 문서 등)의 앞에 위치해야 하며, 복잡하게 구성하지 않아
야 한다. 비정상과 비상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페이지는 바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표시되어야 한다.
마. 비행안전문서시스템은 항공운송사업자의 품질관리시스템의 요건(the requirements
of the operator's quality system)을 이행하여야 한다.

4. 담당 부서 및 담당자 지정(Deployment)
비행안전문서시스템을 이용하는 개개인이 자료를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비
행안전문서시스템에 포함된 자료들이 항상 최신상태로 관리 및 유지되고 있음을 보증
하기 위해 비행안전문서시스템을 감사(audit)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부서(책임자)를
지정해야 한다. 여기에는 모니터링 결과 발견된 결함에 대한 보완을 위한 피드백시스
템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5. 개정(Amendment)
가. 항공운송사업자는 운용국 ․ 설계국 ․ 등록국 ․ 제작자를 포함하여 관련된 모든 정보
원으로부터 획득된 자료와 정보의 검토, 분배 및 관련 규정(문서) 등을 개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여야 한다.
나. 항공운송사업자는 내부로부터 발생된 다음을 포함한 모든 변경사항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의 수집 ․ 검토 ․ 분배하는 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
1) 새로운 장비의 장착에 의해 발생된 변경사항
2) 운영경험에 의한 대응책으로부터 발생된 변경사항
3) 항공운송사업자의 정책 및 절차의 변경
4) 항공운송사업자에 대한 항공당국의 허가사항 변경
5) 항공기 기단(fleet)의 표준을 유지하기 위한 변경
다. 항공운송사업자는 비행안전문서시스템을 다음에 따라 검토하여야 한다.
1) 정기적인 검토 : 최소 년 1회 이상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2) 주요 사건(사업의 인수 ․ 합병 및 급속한 성장과 사업규모의 축소 등)발생한 경우


3) 신규 항공기 및 장비의 도입 등으로 인한 기술적 변화가 발생한 경우
4) 안전관련 규정을 개정한 경우
라. 항공운송사업자는 새로운 정보에 대한 전파방법을 개발해야 하며, 이러한 전파방법
은 정보의 긴급 정도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하여야 한다.
마. 새로운 정보는 전반적인 비행안전문서시스템의 효과를 고려하여 검토되어야 한다.
바. 새로운 정보에 대한 전달 방법은 소속 항공종사자(operational personnel) 등이 최
신 자료를 접하고 있음을 보증할 수 있는 추적 시스템(tracking system)에 의해
지속적으로 보완되어야 한다. 추적 시스템에는 운영자(operational personnel)가
가장 최신 자료를 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절차도 포함되어야 한다.

별표 9.3.2.1 비상탈출시범(Emergency Evacuation Demonstration)


가. 운항증명소지자(또는 신청자)는 국토교통부 관계자의 참관 하에 승무원 비상훈련 및
탈출 절차의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비상탈출시범을 실시하여야 한다.

나. 운항증명신청자 또는 소지자는 비상탈출 시범을 수행하기 전에 다음 사항을 포함한


비상탈출 시범 계획서를 항공당국에 제출하여야 한다.
1) 시범 시나리오
2) 실시 일시 및 장소
3) 참여 승무원 명단(운항/객실승무원)
4) 참여 승무원의 당해 형식 항공기에 대한 훈련 이수기록 (실습심사 기록 포함) 등
5) 항공기 좌석 수와 동일한 승객 수의 동원계획. 단, 9.3.2.1 가항에 따라 비상탈출 시
범을 실시할 경우에만 제출한다.
다. 비상탈출시범을 행하는 운항․객실승무원은 다음 각 호를 준수해야 한다.
1) 항공기 형식과 모델에 해당하는 운항증명소지자의 관계기관이 승인한 훈련
프로그램을 이행할 것
2) 당해 형식 항공기의 비상절차 및 비상장비에 대한 훈련과 실습 및 기량심사(Drills
and Competence check)에 합격할 것

라. 운항증명신청자(또는 소지자)는 비상탈출시범에 의하여 다음 사항을 입증하여야 한


다.
1) 운항승무원 및 객실승무원의 비상대응 조치 및 승객 탈출지휘를 포함한 비상탈출절
차 수행 능력
2) 항공기 비상구의 개방 능력
3) 승무원을 포함한 해당 항공기의 최대 좌석수의 승객과 승무원을 90초 이내에 비상
탈출 시킬 수 있는 능력
4) 비상탈출용 미끄럼틀(Escape Slide)이 장착된 비상구의 경우 동 미끄럼틀이 15초 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내 팽창 전개되도록 하여 비상탈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

마. 국토교통부장관이 비상탈출시범을 수행하는 운항․객실승무원을 임의로 선정하며, 비


상탈출시범은 일몰 후 90분 후에 실시하거나 야간과 유사한 환경조건에서 실시하여
야 한다.

바. 운항증명소지자 또는 신청자는 장기해상비행을 위한 비상착수시범에서 다음 사항을


입증하여야 한다.
1) 운항승무원, 객실승무원의 비상착수 상황 대응에 요구되는 지식과 필수 비상장비의 사용

2) 비상착수 예정 개시 시점부터 6분 이내에 비상착수를 위한 준비의 완료
3) 분리된 구명정(Life Raft)이 항공기 내에 별도 탑재된 경우 보관 장소로부터 꺼내어
비상구까지 이동시키고 팽창 및 기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수행 능력
4) 구명정(Life Raft)에 승선하여 구명정의 부속장비 및 생존용 장비에 대한 작동과 사
용 능력
5) 별도의 구명정이 탑재되어 운영되는 경우, 승객이 구명정에 승선하여 구조 전까지
생존용 장비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능력

별표 9.3.2.2 시범 비행 (Demonstration Flights)


가. 운항증명소지자(또는 신청자)는 항공기 형식별 또는 계획하고 있는 운항방식별로 시
범비행을 수행해야 한다. 이 경우 설계상 주요한 개조작업이 이루어진 항공기도 시
범비행 대상에 포함된다.
주. “주요한 개조작업이 이루어진 항공기”란 승인된 것과 다르게 동력장치를 장착한
항공기 또는 실질적으로 비행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항공기 구성품이 변경된 항
공기를 말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또는 신청자)는 최소한 다음 각 호의 사항들을 충족하는 시범비행을 항


공기 형식별로 수행하여야 한다.
1) 아래 표에서 정한 시간 이상의 시범비행을 실시한 결과 운항증명신청자(또는 소지자)
가 규정을 미 준수하는 등 안전운항능력이 만족할 만한 수준이 아니라고 항공당국이 판
단한 경우 국토교통부장관(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추가로 정하는 시범비행을 실시해야
한다.

적용 대상 시범비행 시간

운항증명 소지자가 유상으로 운용한


운항증명 50
경험이 없는 형식의 항공기
소지자
운항증명 소지자가 무상으로 운용한 40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경험이 있는 형식의 항공기


운항증명
- 50
신청자

2) 야간비행의 허가가 필요한 경우 5시간의 야간비행


3) 계기비행의 허가가 필요한 경우 모의 또는 실제 계기기상 조건에서 5회의 계기접근
절차 수행
4) 항로와 연결된 공항중에서 대표적인 몇 개의 공항에 진입(이 경우 비행항로와 공항
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선정한다.)

다. 시범비행을 하는 동안에는 시범비행에 필요한 자 및 항공당국이 지명한 자를 제외하


고 여객 등을 항공기에 탑승시켜서는 아니된다.

라. 최대이륙중량 5,700킬로그램 이하의 소형 항공기에 대한 시범비행 실시여부 및 그


범위에 대해 국토교통부장관(지방항공청장)이 달리 정할 수 있다.

마. 다음 각 호의 비행시간은 나항 1)호에서 정한 시범비행시간 요구량으로 인정 할 수


있다.
1) 항공당국의 감독관 혹은 심사관이 탑승하고 항공당국으로부터 인가받은 훈련과정에 의하여
수행된 훈련 비행시간
2) 운항경험(Operation Experience) 및 노선심사(Line Check)를 위한 비행시간
3) 운항자격을 갖춘 운항승무원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공수비행(Ferry Flight) 시간

바. 시범비행을 수행하여야 하는 운항증명신청자(또는 소지자)는 시범비행 중 다음의 가


상 시나리오를 통해 운항․정비․운항통제 등 정상 및 비상대처 능력 등이 있음을 보여야
한다.
1) 기상, 정비문제로 인한 교체공항으로 회항
2) 최소장비목록(MEL) 또는 외형변경목록(CDL)의 적용(운항승무원의 운항제한 숙지 및
항공사의 운항 및 정비 절차 확인)
3) 항공기 성능문제(Anti-Skid 또는 역축력 장치 부작동시 운항 등)
4) 항공기 고장상황(계기 오작동 등)
5) 항공기 비상상황(엔진 화재, 화장실 화재, 여압상실, 항공기 착륙장치(Landing gear)
부작동 등)
6) 승객의 긴급 의료지원이 필요한 상황

사. 운항증명신청자(또는 소지자)는 마항의 각호에서 정한 비행을 할 경우, 항공법규와


신고수리[또는 인가(또는 가인가)]된 운항규정 및 정비규정을 준수하여야 하며, 항공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당국은 운항검사(Flight Operation Inspection)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별표 9.3.3.7 승객 브리핑카드(Passenger Briefing Cards)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의 정보를 포함하고 한국어로 작성된 승객용 브리핑 카드를
각 좌석에 준비해 둬야 한다.
1) 승무원이 도울 수 없는 비상 상황에 승객이 필요로 하는 기능
가) 비상구의 위치
나) 비상구 개방 구조에 대한 인식
다) 비상구 작동을 위한 지시의 이해
라) 비상구 작동
마) 비상구를 개방하는 것이 승객이 위험에 노출이 가중되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
바) 승무원의 음성지시 및 수신호 준수
사) 비상구의 상태를 잘 유지하여 비상구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할 것
아) 탈출 슬라이드의 상태를 확인하고 슬라이드를 펼치고 슬라이드의 균형을 잘 유지
하여 슬라이드에서 내리는 사람을 도울 것
자) 비상구를 통해 신속하게 탈출
차) 비상출구로부터 안전한 곳을 확인하고 선택하여 그 곳을 따라 탈출
2) 다음 각 호에 해당한다면 승객은 자신의 좌석변경을 스스로 요청
가) 승객용 브리핑 카드에 언급된 비상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나) 기능 수행을 못하게 하는 식별하기 힘든 조건을 가진 경우
다) 그러한 기능의 하나이상을 수행함으로서 신체적인 손상을 겪는 경우
라) 그러한 기능을 수행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마) 독해능력과 말하기 능력이 모자라거나 운항증명소지자가 제공한 승객용 브리핑카
드에 적힌 언어나 그림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별표 9.3.3.10 비행추적시스템 (Flight Following System)


가. 운항증명소지자는 소형항공운송사업에 대하여 적절한 감시를 할 수 있는 비행추적시
스템을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받아 운영기준에 명시하여야 한다.
나. 운항증명소지자가 비행추적센터를 운영하는 경우, 이 센터는 다음 사항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점에 위치하여야 한다.
1) 최초 출발, 중간체류 및 회항이 포함된 목적지 도착과 관련하여 비행의 진행과정에
대한 적절한 감시
2) 기장은 비행안전을 위해 필요한 정보 제공

다. 소형항공운송사업을 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비행추적에 관한 업무를 적절한 시설 및


인원을 운영하는 자에게 위탁할 수 있으나 비행추적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이 있다.

라. 비행추적시스템을 사용하여 소형항공운송사업을 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동 시스템에


적절한 시설이 구비되어 있고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자에게 비행의 개시 및 안전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항을 위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자를 배치하였음을 입증하여야 한다.


1) 각 항공기의 운항승무원
2) 항공기 운항통제업무를 수행하도록 운항증명소지자가 지정한 자

마. 소형항공운송사업을 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운항통제 업무를 수행하는 자가 직무수


행 능력이 있음을 입증하여야 한다.

별표 9.3.3.11 북극 항공로 운항기준(Guidance for The North Pole Operations)


1. 목 적
법 제115조의2(항공운송사업의 운항증명)의 규정에 의거 항공기가 북극지역에 설정된
항공로를 운항하는데 필요한 운항․정비절차, 승무원 훈련 등에 관한 기준을 정함으로써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도모하는데 있다.

2. 적용 대상
북극지역의 북극 항공로를 운항하고자 하는 운항증명소지자 및 이에 종사하는 자에 대
하여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가.“북극지역”이라 함은 북위78도 이북지역을 말한다.
나.“북극 항공로”라 함은 북극지역에 설정된 항공로를 말한다.

4. 운항인가 신청
운항증명소지자는 북극지역의 운항에 필요한 다음 각목의 사항을 포함하는 계획을 수
립하여 법 제115조의2 및 시행규칙 제280조의4의 규정에 의거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북극 항공로의 운항인가를 신청하여야 한다.
가. 북극지역 운항절차 수립
1) 북극지역 운항 중 연료결빙방지, 기상, 항법 및 통신특성과 태양 흑점활동,
우주방사선의 영향을 감안한 북극 지역 운항절차에 관한 사항
2) 정상 운항절차(북극지역 진입 전 항공기 점검절차 및 자장 불안정 지역 항법절차
포함) 및 비정상 운항절차에 관한 사항
3) 북극지역 운항에 관련된 관계부서 간 협력절차에 관한 사항
나. 북극 항로상 교체공항(En-route Alternate Airport) 요건에 관한 사항
다. 북극 항로상 교체공항에 비상착륙시의 이․착륙절차에 관한 사항
라. 북극 항로상 교체공항에 비상착륙시의 구호계획에 관한 사항
마. 항공기 연료결빙온도 분석 및 감시프로그램에 관한 사항
바. 북극 항공로 운항에 필요한 통신절차에 관한 사항
사. 그 밖의 북극지역 운항에 필요한 사항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5. 운항인가
국토교통부장관은 북극지역의 북극 항공로 운항인가를 신청한 운항증명소지자에 대하
여 북극지역 운항에 필요한 요건을 갖추었는지를 확인하고, 법 제115조의2 및 시행규
칙 제280조의3․제280조의4의 규정에 의거 운영기준(Op Specs)을 다음 각 목의 종류
에 따라 교부 또는 변경교부 함으로써 북극지역 운항을 인가한다. 이 경우 북극지역의
운항 상 안전운항의 저해요인 등 확인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때에는 확인비행
을 실시할 수 있다.
가. 북극지역 운항(B055)
북극지역을 운항하고자 하는 운항증명소지자에게 북극지역 운항에 필요한 다음의 운
항제한 및 절차가 수록된 운영기준의 북극지역 운항(B055)를 교부한다.
1) 북극지역 운항 구호계획
2) 북극지역 운항제한 및 절차
3) 최소장비목록(MEL)과 특수 장비 요건
4) 항공종사자 및 관련업무 종사자 교육훈련
5) 북극지역 특별운항절차
가) 북극지역에서 비상착륙을 고려한 이․착륙절차
나) 항공기 연료결빙 온도 분석 및 감시프로그램
다) 위성통신 또는 단파(HF) 데이터통신 프로그램
라) 태양 흑점활동 예측정보 사용 및 감시활동
나. 자장 불안정 지역운항(B040)
자장 불안정 지역(AMU: Area of Magnetic Unreliability) 운항에 필요한 필수항행
장치 및 조종사 훈련 등 요건을 갖추었는지를 확인하여 운영기준의 자장 불안정 지
역운항(B040)을 교부한다.
다. 회항시간연장운항(B042)
회항시간 연장운항으로 북극지역 운항을 신청한 경우 “회항시간 연장운항 승인 요
령”에 의한 운항조건의 적합 여부를 확인하고 운영기준의 회항시간 연장운항(B042)
을 교부한다.
라. 항로운항 허가지역, 제한사항 및 규정(B050)
항공기가 북극지역의 북극 항공로를 운항토록 허가한다는 운영기준의 항로운항 허가
지역, 제한사항 및 규정(B050)을 교부한다.

6. 항공기 연료결빙 방지대책과 감시 절차


북극지역을 운항하고자 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에 사용되는 연료사양의 결빙온
도(Specification Fuel Freezing Point)를 적용하거나 연료결빙분석 프로그램을 채택
하여 확인된 실제 결빙온도를 적용할 수 있다.
가. 실제 결빙온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항공기 연료결빙온도 확인 및 적용절차가 수록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된 "항공기연료결빙온도 분석 및 감시프로그램"에 의한다.


나. "항공기연료결빙온도 분석 및 감시프로그램"은 항공기에 탑재된 연료의 실제 연료
결빙온도 확인 및 정보사항에 대한 정비사, 운항관리사 및 운항승무원 간 전달 및
협력절차를 포함하여야 한다.

7. 운항승무원 휴식계획과 기장의 권한 승계 기준


북극지역 운항 시 운항승무원 휴식과 기장권한 승계 기준은 일반적인 장거리운항의 경
우와 동일하게 적용한다.

8. 태양 흑점활동 기간 중 북극 항공로 운항결정 기준


태양흑점활동이 있는 기간 동안에는 태양 불꽃(Flare)의 영향으로 인체, 항법, 통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북극지역에서 항공기를 운항할 때에는 다음의 종류 및 등급
을 적용하여 운항토록 하여야 한다.
가. 태양 흑점활동 영향종류 및 등급
1) 태양 방사선 등급(S: Solar Radiation Storms) :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급에 따라
S1 ~ S5로 구분한다.
2) 지자기폭풍 등급(G: Geomagnetic Storms) : 항법장비에 미치는 영향 등급에 따라
G1 ~ G5로 구분한다.
3) 통신교란 등급(R: Radio Blackouts ): HF 통신장비에 미치는 영향 등급에 따라 R1
~ R5로 구분한다.
주1. 태양 흑점활동 영향종류 및 등급별 세부 내용은 【부록】“태양흑점활동에 따른
인체․항법․통신 영향등급”을 참고한다.
주2. 태양 흑점활동 예측정보는 미국국립대기연구센터(NOAA : National Oceanic &
Atmospheric Administration) 또는 국립전파연구원(RRA : National Radio
Research Agency) 우주전파센터(KSWC : Korean Space Weather Center)가
발표하는 정보를 활용한다.
나. 항공기 운항 시 적용기준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기준에 따라 태양흑점활동 예측정보를 활용하여 매 편 북극
항공로 비행계획 시 및 실제 운항 시 적용하여야 한다.
1) 태양방사선 등급(S)과 운항기준(부록 표 2 참고)
가) 태양방사선 등급 S4 이상으로 예보된 경우 모든 북극항공로를 운항하여서는 아
니 된다.
나) 태양방사선 등급 S3 이상으로 예보된 경우 북극 항공로 운항은 가능하지만 태양
방사선으로부터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북극지역 내에서 비행고도 FL310 이하
로 운항하여야 한다.
2) 지자기폭풍 등급(G)과 운항기준(부록 표 3 참고)
가) 자기폭풍 등급 G4 이상으로 예보된 경우 모든 북극 항공로를 운항하여서는 아니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된다.
나) 자기폭풍 등급 G3 상태에서는 북극 항공로로 비행을 계획하거나 운항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간헐적으로 GPS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3) 통신교란 등급(R)과 운항기준(부록 표 4 참고)
가) 통신교란 등급이 R4 이상으로 예보되면 북극 항공로(Polar Route)로 운항하여서
는 아니 된다.
나) 통신교란 등급이 R2 또는 R3로 예보되면 북극 항공로 4(Polar Route 4) 또는
러시아 극동 항공로(RFER : Russian Far East Route)로 운항하여야 한다. 이
경우 위성통신(SATCOM : Satellite Communication)이 가능하여야 한다.
다) 통신교란 등급이 R2 이상으로 예보되고 단파통신장비(HF)만 장착된 항공기는 모
든 북극 항공로를 운항하여서는 아니 된다.

9. 항공기 탑재 최소장비목록(MEL)
가. 최소장비목록(MEL)
운항증명소지자는 북극지역 운항을 위하여 필요한 다음의 장비에 대하여 시행규칙
제283조의2의 규정에 의한 최소장비목록(MEL)에 대하여 개정․인가를 받아야 한다.
이 경우 회항시간 연장운항으로 북극지역을 운항할 경우에는 5) 및 6)을 추가한다.
1) 연료량 지시장치(FQIS : Fuel Quantity Indicating System)
2) 자동추력조절장비(Auto-Throttle System)
3) 자동비행장치(Autopilot System)
4) 통신장비 : 초단파 통신장비(VHF) 및 단파 통신장비(HF)
5) 회항시간 연장운항을 위한 최소장비목록(MEL) 적용.
6) 보조동력장치(APU)

10. 특수 장비 (Special Equipment) 탑재


운항증명소지자는 북극지역 운항을 위하여 다음 장비를 항공기에 탑재하여야 한다.
가. 방한복 2벌 이상(운항승무원이 교체공항에 착륙한 경우 혹한 조건에서 외부연락 및
항공기 점검 수행 시 사용)
나. 자동심장 박동소생기(AED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를 포함한 비상의료
용구(EMK : Emergency Medical Kit)(화물전용기는 제외한다)

11. 항공기 통신능력


가. 통신능력
1) 항공기가 북극 항공로를 운항할 때에는 동 기준 9.3.1.25의 규정에 의거 북극지역
의 항공로 및 대체 항공로 상에서 관할 관제기관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여야 한
다.
2) 북극 항공로를 운항하는 항공기는 동 기준 9.3.1.23 및 9.3.1.25의 규정에 의거 북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극 항공로 운항 중 해당 항공로 및 대체 항공로 상에서 회사 운항관리사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망을 갖추어야 하며, 운영기준(OpSpecs) A008로 인가 받은 시스템
으로 운항감시가 가능하여야 한다.
나. 무선설비 요건
1) 무선설비는 법 제40조 및 시행규칙 제122조의 규정에 의한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
다.
2) 단파(HF) 음성통신은 북극지역 운항 시 주 통신수단으로 사용된다. 필요한 경우 위
성통신(SATCOM)을 이용한 음성통신이 단파(HF) 음성통신에 대한 보조 통신 수단
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항공기가 관제사-조종사간 데이터 통신(CPDLC : Controller Pilot Data Link
Communication)을 적용하는 공역을 비행하는 경우에는 해당 관제기관과 관제사-
조종사간 데이터 통신(CPDLC)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4) 해당 관제기관과 단파(HF)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HFDL)이 가능한 경우에는 데이터
통신(HFDL)을 사용하여 해당 관제기관 및 회사와 통신할 수 있다.
다. 북극지역 운항 시 예상되는 통신장애
1) 단파(HF) 무선통신 장애
약 11년 주기로 활동하는 태양 흑점활동 기간에는 태양 불꽃(Flare)의 영향에 의한
자기장 교란으로 단파(HF) 무선 통신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2) 위성통신(SATCOM) 장애
적도 상공에 위치한 정지궤도위성 특성 상 북극 및 남극점 주변의 일부 지역이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는 관계로 북극 항공로를 운항하는 동안 북위 82도 이북지역에
서 위성통신(SATCOM)을 사용할 수 없는 구간이 있을 수 있다.

12. 북극지역의 교체공항


운항증명소지자는 북극지역 운항 중 비상착륙에 대비하여 충분한 교체공항을 선정하
여 운영기준(Op Specs) B055에 명시하여야 하며, 교체공항 선정 시 다음사항을 고
려한다.
가. 항공기가 안전하게 착륙하여 자력으로 이동지역내의 주기 장소까지 이동할 수 있
어야 한다.
나. 교체공항은 긴급 착륙한 항공기가 활주로 상에서 기동이 불가능한 경우에 이 항공
기를 견인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공항으로써 해당 공항에 체류 중인 승객 및 승
무원을 수송하기 위한 대체 항공기의 착륙이 가능한 공항이어야 한다.
다. 교체공항은 혹한 상황에서도 승객 및 승무원을 보호할 수 있는 다음 조건을 갖추
어야 한다.
1) 혹한 환경에서도 승객과 승무원이 안전하게 항공기로부터 하기할 수 있을 것
2) 승객과 승무원이 안전하게 하기할 때까지 이들의 생리적 필요사항을 제공할 수
있을 것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3) 승객과 승무원이 안전하게 조기 귀환할 수 있도록 지원할 능력이 있을 것

13. 항공로 상 교체공항에 비상착륙 시 구호계획


북극지역을 운항하고자 하는 운항증명소지자는 항공기가 북극지역 항공로 상 교체공
항에 착륙한 경우, 승객과 승무원의 보호와 안전을 확보하고 안전한 귀환을 위한 구
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가. 북극지역 비상착륙에 대비한 이․착륙절차를 마련한다.
나. 구호계획은 비상착륙공항에 체류 중인 승객 및 승무원의 보호와 안전을 위한 조치
계획, 그리고 그 공항에서 승객과 승무원을 무사히 귀환시키기 위한 항공기 투입
계획을 포함하여야 한다.
다. 구호계획에 따라 구호활동을 수행할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입증하여야 한다.
라. 년 1회 이상 교체공항의 정보사항을 수정․보완하여 최신의 내용으로 유지하고, 구
호계획이 현실성 있고 실현 가능한 절차로 유지될 수 있도록 자체 점검계획을 수
립․운영하여야 한다.

14. 교육 훈련
가. 운항업무 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
운항증명소지자는 다음 요건을 충족하는 북극 항공로 운항과 관련된 교육훈련 프로
그램을 수립하여 이를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인가 받아야 한다.
1) 운항승무원
가) 북극지역 운항절차 일반
(1) 정상 운항절차, 비정상 운항절차, 통신 및 항법절차 등
(2) 북극 항공로 상 교체공항에 비상착륙시의 이․착륙 절차
(3) 북극항공로 기상 현상 및 노선 특성
(4) 러시아 북극지역 운항 시 고도계 설정 및 운영에 관한 절차〔QFE/QNH 전환, 미
터/피트 전환, 기압고도계 온도보정(Cold Temperature Altitude Correction)〕
등에 관한 지식
나) 연료결빙방지 대책과 감시절차 관련
실제 연료결빙온도 측정, 통보절차, 비행 중 임계결빙온도 도달 시 비행 중 운항승
무원의 조치내용 등
다) 북극지역 운항 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통신 및 항법에 관한 절차
(1) 자장 불안정지역(AMU) 운항절차
(2) GRID 항법 지식
(3) 태양 흑점활동이 항공통신 및 항법에 미치는 영향
(4) 북극 지역에 운항에 필요한 통신절차
라) 북극지역 운항에 적용하는 최소장비목록(MEL)
마) 구호계획(Recovery Plan)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북극지역 운항 중 비상착륙 시 승객과 승무원의 보호와 안전을 위한 구호계획


바) 방한복 사용법
북극지역 교체공항에 착륙한 경우 혹한 조건에서도 외부연락 및 항공기 점검 수행
시 운항승무원 보호용 방한복 사용방법
사) 우주 방사선이 승무원 건강에 미치는 영향
아) 북극지역의 회항시간 연장운항 절차(해당 비행기에 한함)
2) 운항관리사
가) 북극지역 운항절차 일반
(1) 정상 운항절차, 비정상 운항절차, 통신 및 항법절차 등
(2) 북극 항공로 상 교체공항에 비상착륙시의 이․착륙 절차
(3) 북극 항공로 기상 현상 및 노선 특성
(4) 러시아 북극지역 운항 시 고도계 설정 및 운영에 관한 절차 〔QFE/QNH 전환,
미터/피트 전환, 기압고도계 온도보정(Cold Temperature Altitude Correction
등에 관한 지식)
나) 연료결빙방지 대책과 감시에 관련한 절차
실제 연료결빙온도측정, 비행계획단계 및 비행 중 임계결빙온도 도달 시 운항관리
사 조치내용 등
다) 북극지역 운항 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통신 및 항법에 관한 절차, 자장 불안정
지역(AMU) 운항절차, GRID 항법 지식 및 태양 흑점활동이 항공통신 및 항법에
미치는 영향 등
라) 태양 흑점활동 예측정보 확인 감시, 비행계획수립 및 비행 중 운항관리사 임무
마) 우주방사선이 승무원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바) 북극지역 운항에 적용되는 최소장비목록(MEL)
사) 구호계획(Recovery Plan)
북극지역 운항 중 비상착륙 시 승객과 승무원의 보호와 안전을 위한 구호계획
아) 북극지역 항로 회항시간 연장운항 절차(EDTO)
3) 정비사
가) 북극지역 운항절차 일반
지역특성, 항로특성, 기상특성 등
나) 연료결빙방지대책과 감시 관련 절차
(1) 실제 연료결빙 온도 측정절차
(2) 결정된 연료결빙온도 자료를 운항관리사와 조종사에게 통보하는 절차 등
다) 북극지역 운항에 적용되는 최소장비목록(MEL)
4) 객실승무원
북극지역 특성과 우주방사선이 승무원 건강에 미치는 영향
5) 위탁 조업사 및 운항담당자 교육
가) 북극 항공로 운항 정책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나) 연료 결빙온도 측정 절차

15. 북극 항공로 운항인가를 위한 확인비행


가. 국토교통부장관은 확인비행 중 항공기가 북극지역 운항을 위하여 선정된 항로상
교체공항에 착륙하는 경우를 가상한 대응 및 구호 계획에 관한 시연을 요구할 수
있다.
나. 확인비행은 여객용 항공기 또는 화물용 항공기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 경
우 여객용 항공기로 확인비행을 할 때에는 항공기 비상착륙에 대비한 대응 및 구
호계획이 사전에 입증되어야 한다.
다. 확인비행 시 확인 할 사항
국토교통부장관은 항공안전감독관으로 하여금 다음 사항들이 실질적이고 효과적으
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그리고 안전운항에 저해요인이 없는지
를 확인하도록 하여야 한다.
가) 통신장비의 운영에 관한 사항
나) 공항당국 및 지상 조업사과 업무협조 유지에 관한 사항
다) 공항시설에 관한 사항
라) 항공고시보(NOTAM) 및 기상정보에 관한 사항
마) 지상 조업장비 운영 실태에 관한 사항
바) 운항절차 준수에 관한 사항
사) 최소장비목록(MEL) 절차 준수에 관한 사항
아) 항공기연료결빙 온도 분석 및 감시프로그램 준수에 관한 사항
자) 항공기가 북극지역 교체공항에 비상착륙시의 이․착륙절차에 관한 사항
차) 승무원, 정비사, 운항관리사 및 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에 관한 사항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부 록】태양 흑점활동에 따른 인체․항법․통신 영향등급


<표 1> 태양 흑점활동에 따른 영향등급

종 류 내 용 강 도
태양방사선등급 에너지 미립자량 증가로 인한 방사선 수준 증가 정도 S1 S2 S3 S4 S5

자기폭풍등급 급속한 태양풍에 의해 발생된 지구 자기장 교란 정도 G1 G2 G3 G4 G5

통신두절등급 태양으로부터 X선 방출에 따른 지구전리층 교란 정도 R1 R2 R3 R4 R5

<표 2> 태양 방사선 등급

강도 인체, 항법, 통신에 미치는 영향


․고위도 지역에서 고고도로 비행하는 항공기의 승객과 승무원은 과다
방사선에 노출될 위험이 있음
S5 Extreme
․북극지역에서 HF 무선통신 두절이 발생할 수 있음
․위치오차 발생으로 항법비행이 매우 어려움
․고위도 지역에서 고고도로 비행하는 항공기의 승객과 승무원은
방사선위험에 노출될 수 있음
S4 Severe
․북극지역에서 HF 무선통신 두절이 발생할 수 있음
․일정기간 동안 항법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
․고위도 지역에서 고고도로 비행하는 항공기의 승객과 승무원은
방사선위험에 노출될 수 있음
S3 Strong
․북극지역에서 HF무선 송수신 품질저하 발생 가능
․항법 위치오류 발생 가능
․고위도 지역에서 고고도로 비행하는 항공기의 승객과 승무원은
방사선위험(Elevated Radiation Risk)에 노출될 수 있음
S2 Moderate
․북극지역에서 HF 송수신에 경미한 영향이 있음
․북극점 주변에서 항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함
S1 Minor
․북극지역에서 HF 송수신에 미미한 영향이 있음

<표 3> 자기폭풍 등급

강도 인체, 항법, 통신에 미치는 영향


․위성 방향조정, 송수신 및 추적 기능 이상 발생
G5 Extreme ․HF무선 신호 송수신 불가능(1~2일)
․LF 무선항법 불가능(몇 시간)
․위성 추적기능 이상 발생, 방향조정 문제 발생 가능
G4 Severe ․HF무선 신호 송수신 불안정 및 위성항법 불안정(몇 시간)
․LF 무선항법 불가능(몇 시간)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강도 인체, 항법, 통신에 미치는 영향

․저고도 궤도위성 항력(Drag) 증가


․방향조정 기능 이상 발생 가능
G3 Strong
․간헐적으로 위성항법 이상 및 LF무선항법 이상 발생 가능
․HF 무선 송수신 간헐적으로 가능
․위성 방향조정 및 궤도 예측 수정 필요
G2 Moderate
․HF 무선 송수신 고위도 지역에서 약화
G1 Minor ․위성 운영에 미미한 영향 있음

<표 4> 통신교란 등급

강도 인체, 항법, 통신에 미치는 영향

․몇 시간 동안 태양을 볼 수 있는 전역에 걸쳐 HF 무선통신 교란


발생 가능.
․항공로운항 중인 항공기와 HF 통신 불가
R5 Extreme ․몇 시간 동안 태양을 볼 수 있는 전역에 걸쳐 LF 무선항법장비
부작동 발생하여 위치확인에 지장을 줄 수 있음
․몇 시간 동안 태양을 볼 수 있는 전역에 걸쳐 위성항법 위치오차 발
생 증가
․1~2 시간 동안 태양을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지역에 걸쳐 HF
무선통신교란 발생 가능. 이 기간 동안 HF 무선교신이 불가능함
R4 Severe
․1~2 시간 동안 LF 항법신호 두절로 위치 오차심화 발생
․태양을 볼 수 있는 지역에서 위성항법 미미한 장애 발생 가능
․약 1 시간 동안 태양을 볼 수 있는 넓은 지역에 걸쳐 HF 무선통신
R3 Strong 교란 및 통신두절 발생 가능.
․약 1 시간 동안 LF 항법신호 불량 발생
․수 십 분 동안 태양을 볼 수 있는 지역에서 제한된 HF 무선통신
R2 Moderate 교란 및 통신두절 발생 가능.
․수 십 분 동안 LF 항법신호 불량 발생
․태양을 볼 수 있는 지역에서 미미한 HF 무선통신 품질저하 발생 및
R1 Minor 간헐적인 통신두절 발생
․잠깐 동안 LF 항법신호 불량 발생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지 제1호 서식 : 항공훈련기관 인가신청서


(앞쪽)

처리기간
항공훈련기관 인가신청서
25일

설치자

명 칭
항공훈련기관
(전화 : )
주 소

훈련과정명
훈련생의 정원
훈련기간

현장확인검사
희망일

항공법 제74조의2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18조의3, 운항기술기준 3.2.2에 따라 항공


훈련기관의 인가를 신청합니다.

년 월 일

신청인 (서명 또는 인)

국토교통부장관 귀 하

* 구비서류 수수료
1. 설치자 및 책임관리자의 이력서 없 음
2. 훈련운영기준에 포함될 내용
3. 평가기준 및 방법
4. 비행훈련장비에 대한 개요
5. 훈련시설
6. 교관, 평가관 등 종사자 확보현황
7. 과정별 세부훈련운영계획
8. 기록유지시스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이 신청서는 아래와 같이 처리됩니다.


(뒤쪽)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처 리 기 관 (부 서)
신 청 인
국토교통부(항공안전정책과)

제출
신 청 접 수

선 람 처리방안지시

검사실시

계획통지
검사일정, 장소,
준 비 검 토
검사관 지정

검 사

결과통지
통지수령 결 재

별지 제2호 서식 : 항공훈련기관 인가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인가번호

항공훈련기관 인가서

1. 설치자 성명 주소

2. 항공훈련기관 명칭 주소

3. 유효기간

4. 훈련과정

5. 훈련장소

위 훈련기관을 항공법 제74조의2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18조의3, 운항기술기준


3.2.3에 따라 항공훈련기관으로 인가합니다.

년 월 일

국 토 교 통 부 장 관 (인)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대한민국 인가번호
훈련운영기준
(Training Specifications)
국토교통부

(항공훈련기관명)

유효기간 :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지 제3호 서식 : 항공훈련기관 인가변경신청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대한민국 인가번호

국토교통부

항공법 제74조의2 및 동법 시행규칙 제218조의3와 운항기술기준 3.2.4의 규정에


의하여 항공훈련기관 인가(훈련운영기준)변경신청서를 제출합니다.

변경사유 및 내용(근거자료 포함, 공간 부족시 자료첨부)

제출된 자료는 사실과 다음이 없음을 증명합니다.

년 월 일

신청인 (서명 또는 인)

변경번호 : 유효일자 :

위와 같이 변경된 항공훈련기관인가서(훈련운영기준)를 교부합니다.

년 월 일

국 토 교 통 부 장 관 (인)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지 제4호 서식 : 항공훈련기관 심사보고서


(제1쪽)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항공훈련기관 심사보고서
1. 심사 기간

2. 심사관의 소속․성명

3. 설치자의 주소․성명

4. 책임 관리자의
주소․성명

5. 훈련기관의 명칭

6. 훈련기관의 주소

7. 훈련 과정명

8. 훈련기관의 개요

9. 심사 소견

□ 합 격 □ 불 합 격
10. 판 정
(Satisfactory) (Unsatisfactory)

(제2쪽)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심 사 내 역 적합 부적합
11-1 설치자 및 책임 관리자 :
1.1 연령 :
1.2 결격자가 아닐 것 :
1.3 훈련기관 운영 및 관리능력 :
1.4 법인이 대표자일 경우 결격자가 아닐 것
<의 견>

11-2 교육조직
2.1 교관 :
2.1.1 연령 : 18세 이상
2.1.2 자격 : 3.5.4, 3.5.5 조건 충족(서면임용
등)
2.1.3 한정자격 : 해당 항공기 형식
2.1.4 비행경력 : 운송용기장 총 1,000시간 이상,
혹은 해기종 기장/모의비행장치 500시간
이상
< 의 견>

2.2 평가관 :

2.2.1 연령 : 25세 이상
2.2.2 자격 : 3.5.6 조건충족(평가관인정서/조종사
운항자격 인정심사 위촉)
2.2.3 정기 지식 및 기량심사 : 항공법시행규칙
제163조에 준함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제3쪽)

심 사 내 역 적합 부적합
<의 견>

11-3 교관 및 평가관 훈련
3.1 임용훈련
3.2 정기훈련
3.3 교관의 지상학 훈련과목
3.3.1 학습과정에 대한 기본원리
3.3.2 효과적인 교수법
3.3.3 교관의 임무, 권한, 책임
3.3.4 훈련정책 및 절차
3.3.5 승무원자원관리(CRM)와 승무원 상호협조
3.3.6 평가방법
3.4 모의비행장치 비행교관의 지상학 및 모의비행장치 훈련과목
3.4.1 모의비행장치 조종계통/시스템의 적절 운용
3.4.2 주변 판넬과 경고 판넬의 적합한 운용
3.4.3 모의비행에 있어서의 제한사항
3.4.4 최소장비목록(MEL)
3.5 평가관의 지상학 훈련과목
3.5.1 평가관의 임무, 역할 및 책임
3.5.2 시험과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 절차 및 기법
3.5.3 조종사 기량의 평가(비행훈련과정에 한함)
<의 견>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제4쪽)

심 사 내 역 적합 부적합
11-4 교관 및 평가관의 제한
4.1 교육시간
4.1.1 연속 24시간 동안 8시간 미만
4.1.2 연속 7일 동안 6일 미만이나 40시간 미만
11-5 훈련시설과 장비
5.1 학과교육시설
5.1.1 교실
5.1.1.1 교실배치
5.1.1.2 교실면적 및 교실수
5.1.1.3 건물
5.1.1.4 조명 및 기타
5.1.2 교실 내 설비
5.1.2.1 책상, 의자
5.1.2.2 흑판, 기타 설비
5.1.3 교재
5.1.3.1 기본교과서, 필요 참고서 등
5.1.3.2 해당 형식의 항공기 운항 교재
5.1.3.3 항공기 계기 및 장비품의 모형, 도면
5.2 실기교육시설
5.2.1 훈련비행장 및 대체비행장
5.2.1.1 표준계기이륙(SID) 가능
5.2.2 모의비행훈련장치
5.2.2.1 국토교통부 인정
5.2.2.2 성능, 구조, 장비
5.2.2.3 정비수단
5.2.4 사무실, 브리핑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제5쪽)
심 사 내 역 적합 부적합
5.2.4.1 배치
5.2.4.2 면적 및 수
5.2.4.3 건물
5.2.4.4 조명 및 기타
5.2.5 사무실, 브리핑실내 설비
5.2.5.1 책상, 의자
5.2.5.2 흑판, 기타 설비
5.3 훈련시설과 장비의 제한
5.3.1 시설 및 장비의 변경승인
5.3.2 항공훈련기관 주사무소의 위치
5.3.3 타 항공훈련기관과 시설 및 장비의 공유

<의 견>

11-6 훈련운영기준(Training Specifications)


6.1 훈련기관의 조직
6.2 항공운송사업자의 비행안전문서시스템에 따라
마련된 비행관련도서 반영을 포함한 교육훈련과정
6.3 평가에 관한 사항
6.4 모의비행장치의 종류, 등급 및 형식
<의 견>

11-7 행정업무
7.1 훈련생의 기록관리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제6쪽)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심 사 내 역 적합 부적합

7.2 교관의 기록관리

7.3 평가관의 기록관리

7.4 기타 행정업무

<의 견>

11-8 심사관, 심사기간( ), 심사장소( )

소 속 직 책 성 명 서 명

<종합의견>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지 제5호 서식 : 항공훈련기관 평가관 인정신청서


(앞쪽)

처리기간
항공훈련기관 평가관 인정신청서
5일

성 명
평가관
후보자 (전화 : )
주 소

종류(번호) 계기비행증명
자 격
증 명
조종교육증명 한정자격

운송용 항공기
총 비행시간
기장 비행시간

경력
해기종 기장
사항 조종교육시간
비행시간

계기비행시간 교관실무경력

항공법 제33조의 규정에 의한


행정처분 기록

항공훈련기관의 명칭

항공법 제74조의2 및 동법 시행규칙 제218조의3, 운항기술기준 3.5.6에 따라


항공훈련기관 평가관의 인정을 신청합니다.
년 월 일
신청인 (서명 또는 인)
국토교통부장관 귀하

수수료
* 구비서류
1. 평가관의 자격을 입증하는 서류
없 음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이 신청서는 아래와 같이 처리됩니다.

(뒤쪽)

처 리 기 관 ( 부 서)
신 청 인
국토교통부(항공안전정책과)

제출
신 청 접 수

선 람 처리방안지시

확 인 자격, 경력 등을 확인

심 사 임용심사 실시

결과통지
통지수령 결 재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지 제6호 : 항공훈련기관 평가관 인정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항공훈련기관 평가관 인정서 번 호

평가관 성명 주민등록번호

항공훈련기관 명칭

항공훈련기관 주소

훈련과정명

위 사람을 항공법 제74조의2 및 동법 시행규칙 제218조의3와 운항기술기준 3.5.6의


규정에 의하여 항공훈련기관 평가관으로 인정합니다.

년 월 일

국 토 교 통 부 장 관 (인)

별지 제7호 서식 : 항공훈련기관 훈련이수증명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항공훈련기관인가번호 :

번호 :

훈련이수증명서

성 명(한글) : (주민등록번호 : )
(영문) :
훈련기관명 :
훈 련기 간 :
주 소 :

위 사람은 항공법 제74조의 2 및 동법 시행규칙 제218조의3와 운항기술


기준 3.7.2의 규정에 의하여 아래의 항공훈련기관에서 가나다 과정을
이수하였음을 증명합니다.
`

o 훈련기관 :

년 월 일

라마바 항공훈련기관장

사 아 자 (인)

별지 제8호 서식 : 항공기출입요구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국토교통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public of Korea

항공기출입요구서
REQUEST FOR ACCESS TO AIRCRAFT

발급번호 제OP- 호

이 항공기출입요구서를 소지한 자는 항공법제 74조의 2, 제153조 및 운항기술기준 8.1.8.11의 규정에


의하여 항공기의 조종실출입 공무수행자임을 증명합니다.
Pursuant to the Aviation Act and Flight Safety Regulations, access to aircraft is requested for the
person herein named

□ 항공기탑승 □ on a must fly / □ 관찰 ․점검좌석제공 □ space available basis from

검사관 성명 증명서번호
검사관 소속․직급
Inspector's Credential
Inspector's Title
name No.

항공사명
Name of Operator

검사일자 시간 비행편명
Date Time flight No.

점 검 노 선

THE ROUTE(S) TO BE FLOWN


검사관 서명
From To Inspector's
Signature

From To

목적 PURPOSE

년 월 일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 (직인)

별지 제9호 서식 : 항공안전 의무보고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보고 구분 보고 분야 구분

항공안전 의무보고서 □ 항공기사고 □ 항공기운항


□ 항공기준사
(Aviation Safety Mandatory Report) □ 항공기정비

□ 항공안전장
※ 작성방법: 해당항목에 √ 하세요. □ 항공교통관제

□ 기타 □ 공항항행시설

1. 발생유형

2. 호출부호 3. 등록기호

4. 항공기기종(공항ㆍ항행시설 명칭)
6. 발생 장소(공
5. 발생일시(L) 년 월 일
항)
7. 발생단계 □ 지상 □ 이륙 □ 출발 □ 순항 □ 접근 □ 착륙

8. 비행구간 9. 비행고도
1 1 . 승무원
10. 승객수 명 운항승무원 명, 객실승무원 명

12. 사망자 명 13. 부상자 명

14. 기상 □ VMC □ IMC

15. 발생 개요

「항공법」 제49조의3, 제50조제5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144조제1항에 따라 항공기


사고등을 위와 같이 보고 합니다.
년 월 일
보고자 (서명 또는 인)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 귀하
□ 항공기사용
17. 사업자의 종류 □ 국내 □ 국제 □ 소형 □ 기타
사업
19. 보고자의 연락
18. 보고자의 성명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지 제10호 서식 : 수출감항증명서 < 삭 제 >

별지 제11호 서식 : 수출감항승인 신청서 < 삭 제 >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지 제12호 : 비인가의심 부품 신고서 <신설>


(앞면)
비인가의심 부품 신고서
(Suspected Unapproved Parts Notification)
① 부품 발견일자: ② 부품 명칭:
(Date Part Was Discovered) (Part Name)
③ 부품 번호: ④ 제작 일련번호:
(Part Number) (Part Serial Number)
⑥조립품 품명(Assembly Name): ⑦항공기 제작사 및 모델(Aircraft Make & Model):
⑤ 수량(Quantity):
조립품 번호(Assembly Number):

⑧ 최종적으로 부품을 공급 또는 수리한 회사 또는 사람의 이름, 주소 및 세부사항


(Name, Address, and Description of Company or Person(s) Who Supplied or Repaired the Part.)
- 이름(Name):
- 주소(Address):
- 국가명(Country):
- 연락처(Phone/Fax Number, Email address, etc):
최종적으로 부품을 공급 또는 수리한 회사 또는 사람에 해당되는 부분에 체크하십시오.
(Check One of the Following Applicable to the Person Who Supplied or Repaired the Part.)
□ 제작사(Manufacturer) □ 공급자(Supplier) □ 항공사(Air Carrier)
- KCASA AMO번호(Certificate Number):
□ 인가된 정비조직 또는 수리공장
- FAA Repair Station의 경우 Air Agency Number:
(AMO or Repair Station)
- 기타 외국민간항공당국 승인업체 인가번호:
□ 제작승인서보유자(Production Approval Holder) □ 기타(other)
⑨ 신고 개요(Description of Event): 귀하께서 비인가품이라고 생각하는 사유를 기록합니다.
(Include why you think the part(s) is not approved.)

⑩ 부품 발견자 또는 발견회사의 이름 및 주소(익명으로 할 수 있음)


(Name and Location of Company or Person(s) Where the Part Was Discovered. Anonymous is allowable.)
- 이름(Name):
- 주소(Address):
- 연락처(Phone/Fax Number, Email address, etc):
부품 발견자 또는 발견회사에 해당되는 부분에 체크 하십시오
(Check One of the Following Applicable to the Person Who Discovered the Part:)
□ 항공사(Air Carrier) □ 국토교통부/지방청 안전감독관(CASA ASI)
□ 정비사(Mechanic) □ 자가용 조종사(Owner Operator)
□ 인가된 정비조직(AMO)/FAA 수리공장(Repair Station) □ 국내 타 정부기관(Other Government Agency)
□ 공급자(Supplier) □ 외국민간항공당국(Foreign Civil Aviation Authority)
□ 제작인가서 보유자(Production Approval Holder) □ 기타(Other)
⑪ 신고일자(Date of This Report):
⑫ 신고자 성명 및 주소(Name and Address of Reporter):

⑬ □ 신고자의 신분노출을 원하지 않을 경우 체크하세요(Check here if you want your identity to be kept confident.)
⑭ □ 첨부된 추가정보가 있을 경우 체크하세요(Check here if you have attached additional information.)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뒷면)

[기재요령]
1. 일반
- 한글과 영문 두 가지 문자로 작성 가능
- 첨부될 사진, 서류 복사물 등은 우편물, FAX로 송부 가능하며, 이메일을 통하
여 텍스트 파일, 전자문서 파일(pdf, jpg, gif등)등의 형태로도 송부 가능

2.작성지침
① 비인가의심부품을 발견한 일자를 기재한다. YYYY-MM-DD
② 비인가의심부품의 구체적 명칭(즉 베어링, 블레이드, 볼트, 너트 등)- 영문표기 가능
③ 부품의 부품번호(p/n) 또는 부품 인식 번호를 기재한다.
④ 부품의 제작일련번호를 기재한다.
⑤ 부품의 수량을 기재한다.
⑥ 부품이 장착되었거나 장착될 수 있는 조립품명 및 조립품 번호를 기재한다.
⑦ 부품이 장착된(또는 장착 가능한) 항공기 제작사 및 모델을 기재한다.
⑧ 최종적으로 비인가의심부품을 공급 또는 수리한 회사 또는 사람의 정확한 이름,
주소 및 연락처를 기재한다. 하단의 □ 박스에는 해당되는 부분에 체크(√) 표시를
한다.
⑨ 비인가의심부품의 변색, 의심스러운 표기(marking), 상이한 자재 등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비인가 부품이라고 생각하는 사유에 대해 국토교통부의 직원이 부품의 상태
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가능하면 자세하게 기술한다.
⑩ 비인가의심부품을 발견한 사람 또는 회사의 명칭과 주소, 연락처를 정확하게 기
재한다.
하단의 □ 박스에는 해당되는 부분에 체크(√) 표시를 한다.
⑪ 이 서식을 작성하고 제출한 날자를 기재한다.
⑫ 비인가의심부품을 신고한 자의 성명, 주소 및 연락처를 기재한다. 이러한 정보들
은 국토교통부에서 추가 정보 파악을 위해 신고자와의 연락에 사용된다.
⑬ 신고자의 신분 노출을 원하지 않을 경우 체크(√) 표시를 한다.
⑭ 추가정보, 사진, 복사물, 부품리스트 등의 추가적인 사항이 있을 경우 체크(√) 표시
를 한다.

3. 신고서 접수처(Reception Office Information)


국토교통부 항공기술과,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도움6로 11 (우편번호 339-012)
[Airworthiness Division of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1, Doum-ro 6,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Republic of Korea (Zip 339-012)]

전화(Tel): 044-201-4286, 팩스(Fax): 044-201-5630, 이메일(email): aw_division@korea.kr

주: 서울/부산지방항공청 접수시 국토교통부 항공기술과로 송부 요함.


(Note: When this Notification was received by Seoul/Busan Regional Aviation
Administration, it should be forwarded to Headquarter of MOLIT)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지 제13호 서식

대수리 및 개조 승인서(MAJOR REPAIR and ALTERATION)


해당지방항공청
(기체, 발동기, 프로펠러 또는 장비품)

요 건 : 다음의 모든 항목은 정자로 기재하되, 운항기술기준 제5장 및 제6장을 참조한다.


제작사 모 델
1. 항공기
(Aircraft) 일련번호 국적 및 등록기호

2. 소유자 성 명(항공기 등록증명서 참조) 주 소(항공기 등록증명서 참조)

3. 국토교통부 사용(For MOLIT use only)

4. 품목 확인(Unit Identification) 5. 작업 형식(Type)

품 목 제작사 모 델 일련 번호 수 리 개 조

기 체 -------(1항에 명시됨)-----

발 동 기

프로펠러
형 식
장 비 품
제작사

6. 적합 상태(Confirmity Statement)

가. 정비조직 명칭(성명) 및 주소 나. 정비조직의 종류 다. 인증서 또는 증명서 번호

유자격정비사
인증정비조직
제 작 사
라. 위의 4항에서 확인된 품목의 수리 또는 개조 및 뒷장 첨부에 기술된 내용은 운항기술기준 제6장의 규정에
따라 수행하였음을 증명함
일 자 인가자 각각의 서명

7. 항공에 사용승인(Approval for Return to Service)

위의 제4항에서 확인된 품목에 대하여 아래의 검사관 등에 의해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이 인정한


방법으로 검사하고 그 결과 □ 승인 □ 거부 하였음.

정부검사관 정 비 조 직 기 타

위촉검사관 제 작 사
승인 또는 거부 일자 인증(증명) 또는 위촉번호 인가자 각각의 서명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알 림
항공기의 중량배분 또는 운용한계 사항이 변경되는 경우 적합한 항공기 기록부에 기재하여야 한다.
수행된 개조사항은 반드시 개조 전에 적용된 해당 감항 요목이 지속적으로 적합함을 보증 하여야 한다.

8. 수행 작업내용의 기술(Description of Work Accomplished)


(이 난이 부족할 경우에는 첨부 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첨부 장에는 항공기 국적 및 등록기호와 작업완
료 일자가 기재되어야 한다)

□ 첨부장 있음 표시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지 제14호 : 항공기 준사고 보고서 < 삭 제 >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지 제15호 : 레이저 광선 장애 보고서

본 보고서는 항공기 소유자 등이 레이저광선 노출로 추정되는 사항을 보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보고서는 작성 후 세부 조사를 위하여 국토교통부에 가능한 한 빨리 제출하여
야 한다.

레이저 광선 장애 보고서
<제1면>
성명 나이
직위(조종사, 부조종사, 관제사 등) 전화
장애발생시 착용한 시력보정기구
종류(안경/콘택드 렌즈)
항공기 종류
항공기 식별부호 또는 호출부호
발생일시(UTC)
보고서 작성일시(UTC)

환경적 요인

기상조건
VMC/IMC
주변광 수준
(낮, 밤, 일광, 새벽, 황혼, 별빛, 달빛
등)

장애발생 장소

위치참조대상
(비행장/도시/항행안전시설)
방위 및 거리
비행단계
접근 및 출발절차의 종류/명칭
기수방향/선회시 기수방향 근사값
고도 (AGL) (MSL)
항공기 뱅크각 및 피치각

장애발생 각도

빛이 눈에 투사된 각도
(정면 또는 측면)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제2면>

장애를 유발한 빛에 대한 설명
색깔
광선의 특성(연속, 명멸, 진동)
광원(고정 또는 이동)
빛투사의 고의성여부에 대한 의견
상대광도(섬광전구, 전조등, 일광)
노출지속시간(초)
장애발생전 빛의 인지 여부
광원의 위치
(지리적 참조물 또는 항공기로부터)
항공기 조종실 창문
빛이 조종실로 들어온 위치 표시 좌측 좌측정면 중앙
우측정면 우측 기타
수평선으로부터의 광선의
상승각도(도)

개인에 미친 영향

시각적*/심리적/신체적 영향

시각적 영향의 지속시간


(초/분/시간/일)
의학적 검사 요청 여부
주. 만약 아주 사소한 증상이라도
경험하였다면 의학적 검사를
받는 것이 권장된다.

운영상 또는 조종실 절차상에 미친 영향

* 시각적 영향의 사례
잔상(after-image). 밝은 빛에 노출된 이후 시야에 계속적으로 남아 있는 상
맹점(blind spot). 시야의 일부분에 발생하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시력 상실
현맹(flash blindness). 눈에 들어와 조광이 끝난 후에도 계속 잔존하는 밝은 빛
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시력 상실
현휘(Glare). 밝은 빛(예: 다가오는 자동차 전조등)이 개인의 시야 내에 있음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시력의 일시적 손상. 현휘는 밝은 빛이 실질적으로 개인의
시야 내에 있을 때에만 지속된다.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지 제16호 서식 :비행교관 인정(심사) 신청서

처리기간
비행교관 인정(심사) 신청서
20일
※ 기재요령 : 해당항목에 √ 하세요

심사구분 □ 항공기 □ 모의비행장치

주민등록번호
성명
피심사자 (여권번호)
주소
종류 한정 번호
자격증명

항공신체검사증명서
유효기간
전회심사 후
총비행시간
비행시간
운송용항공기 해당기종
기장비행시간 비행시간
운항심사 지역(특수공항) 및 항공기
모의비행훈련
일시 장소 및 형식 심사관 성명
심사실적

심사희망 일시

운항기술기준 8.3.4.15 따른 비행교관 인정(심사)를 받고자 위와 같이 신청합니


다.
년 월 일
신청인 (서명 또는 인)
국토교통부장관 귀하
수수료

※ 구비서류 : 비행경험증명서 1부. 없음

210㎜×297㎜[일반용지 60g/㎡(재활용품)]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지 제17호 서식 : 회항시간 연장운항승인 신청서

처리기간
회항시간 연장운항 승인 신청서
20일
① 성명
② 생년월일
(명칭)
신청인
③ 주소 (전화번호: )

④ 면허취득 ․ 등록일
(또는 예정일)

⑤ 운항개시예정일

⑥ 운항예정지역
(예정구간, 노선, 공항명
시)

⑦ 착륙이 가능한 공항명

⑧ 운항예정비행기
(형식․등록부호 발동기
의 형식 및 모델명)

⑨ 승인희망 최대 회항시간

⑩ 확인비행 희망일

「항공법」 제74조의2에 따라 고시하는 운항기술기준에 따라 회항시간 연장운


항 승인을 신청합니다.
년 월 일
신청인 (서명 또는 인)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 귀하
※ 구비서류 수수료
1. 「항공법」 제74조의2에 따라 고시하는 운항기술기준
「항공법 시행규칙
에 적합함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첨부합니다.
제328조」
210㎜×297㎜[일반용지 60g/㎡(재활용품)]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별지 제18호 서식 : 특수공항 지정ㆍ해지 평가서

작성자(항공사, 성명)

연락처(전화, e-mail)

작성 일자

공항명(ICAO code, 국가, 도시)

평가에 사용된 항공기

□ 평가 항목

1. 지형, 장애물
가. 해당 공항이 고지대에 위치하고 있습니까? (예/아니오)
나. 운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항 인접지역 지형을 기술하십시오.
다. 인근 지형 관련 기타 특이사항을 기술하십시오.
라. 위에서 언급한 지형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 사본을 첨부하십시오.
마. 접근/출발 경로 혹은 공항 부근에 위치한 장애물을 열거하십시오.

2. 접근/실패접근/출발 절차
가. 접근/출발 절차가 기술된 차트의 사본을 첨부하십시오.
나. 절차(지형/장애물/기타)의 복잡한 정도 및 기타 독특한 지역 절차를 기술하십시오.
다. 접근절차가 비표준 강하각(3°초과)을 포함하고 있습니까? (예/아니오)
라. 상승 경사도 : 상승경사도 요건이 있다면 해당 요건을 기술하십시오.

3. 제한된 기동공역
기동공역에 대한 제한사항(예, 정책적, 지형)을 기술하십시오.

4. 한정된 공항정보(정확성/최신성)
예 : 공항으로부터 인접한 곳의 이·착륙 절차에 고려되지 않은 산악지형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5. ICAO 규정과 상이한 독특한 국가 규정이 있으면 기술하십시오.

6. 접근 및 출발절차에 대한 이례적인 CNS(통신, 항행, 감시) 절차가 있으면 기술하십


시오. (접근관제 레이다 혹은 ATC 부재 등)

7. 기타 참고 자료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 특수공항 지정 여부(예/아니오)
별지 제19호 ICAO 비행계획서 양식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별표

FLIGHT PLAN
비행계획서
PRIORITY ADDRESSEE(S)
전문우선순위 수신처
<<≡ FF→

<<≡
FILING TIME ORIGINATOR
제출시간 발신처
→ <<≡
SPECIFIC IDENTIFICATION OF ADDRESSEE(S) AND/OR ORIGINATOR
수신처 및 발신처의 특정 식별부호

3 MESSAGE TYPE 7 AIRCRAFT IDENTIFICATION 8 FLIGHT RULES TYPE OF FLIGHT


전문종류 항공기 식별부호 비행규칙 비행의 종류
<<≡ ( F P L - - <<≡

9 N UMBER TYPE OF AIR CRAFT WAKE TURBULENCE CAT. 10 EQUIPMENT


댓수 항공기 형식 최대이륙중량 등급 탑재장비
- / - <<≡

13 DEPARTURE AERODROME TIME


출발비행장 출발예정시간
- <<≡

15 CRUISING SPEED LEVEL ROUTE


순항속도 고도 예정비행항공로
- →

<<≡
TOTAL EET
총예상소요비행시간
16 DESTINATION AERODROME ALTN AERODROME 2ND. ALTN AERODROME
목적비행장 HR MIN 주 교체비행장 부 교체비행장
시간 분
- → → <<≡

18 OTHER INFORMATION
기타정보
-

)<<≡
SUPPLEMENTARY INFORMATION (NOT TO BE TRANSMITTED IN FPL MESSAGE)
비행계획 전문에 포함되어 전송되지 않는 보충 정보
19 ENDURANCE EMERGENCY RADIO
연료탑재량 비상 무선통신장비
HR MIN PERSONS ON ELB
BOARD UHF VHF
시간 분 탑승인원수 A

-E / → P/ → R/ U V E

SURVIVAL EQUIPMENT/구급용구 JACKETS/구명동의


POLAR DESERT MARITIME JUNGKLE LIGHT FLUORES
Polaire Desert Maritime Jungle 등화 형광 UHF VHF
→ S / P D M J → J / L F U V

DINGHIES/구명보트
NUMBER CAPACITY COVER COLOUR
수량 수용인원 덮개 색상
→ D / → → → <<≡

AIRCRAFT COLOUR AND MARKINGS


항공기 색상 및 무늬
A/

REMARKS
기타
→ N / <<≡

PILOT-IN-COMMAND
기장
C/ )<<≡
FILED BY/제출자
SPACE RESERVED FOR ADDITIONAL REQUIREMENTS
추가 필요사항용 공백
210㎜×297㎜( 신문용지 54g/㎡ ( 재활용품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