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1.

(1) ′    sinsin         cos sin  cos


 sin    sin      cos     cos 
 sin   cos     cos   
 sin   cos   cos   

이때  ≤  ≤  에서 sin   ≥  , cos     이고 방정식 cos    의

 
해는 주어진 구간에서 단 하나 존재하므로 cos   을 만족하는      에
 
대해 함수    의 증감표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최대) ↘ 

따라서      이다. cos   일


때 sin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lim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lim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lim     ·  ·    
   

 ■
→∞
2. 일반성을 잃지 않고  ≤  라 하자.
 와  가 모두  이상의 소수일 때, 와  모두 홀수이므로   는  보다 큰 짝수이
다. 따라서 이 경우   는 소수가 아니다. 따라서   이 소수이려면  와  중 적
어도 하나는  이어야 하고,  ≤  이므로 반드시    이어야 한다.

   ,    일 때,          이므로 이 경우   는 소수가 아니다.


   ,    일 때,          이므로 이 경우   는 소수이다.
   ,    일 때,          이므로 이 경우   는 소수가 아니다.
   ,    일 때,      (단, 는  이상의 정수이고         )라 하자.
     인 경우  는  의 배수,     인 경우  는  의 배수이므로      또는
     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ⅰ)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      (단,  은 정수)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이 경우   는 소수가 아니다.
ⅱ)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이 경우   는 소수가 아니다.
따라서   이 소수가 되는 경우는    ,    인 경우밖에 없으므로   의 형태
로 표현되는 소수는  단 하나뿐이다. ■
※ 별해 -    ,    일 때  ≡  mod  또는  ≡  mod  이므로

 ≡ ±   ≡  mod 
한편,  는 홀수이므로      (단,  은 정수)라고 하면

 ≡   ≡  ·  ≡  ·  ≡  mod 
∴   ≡    ≡    ≡  mod 
따라서 이 경우   는 소수가 아니다.
3. 정점 A 에서 마주보는 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A′ 라 하
자. 점 A′ 이 삼각형 OBC 의 외심이므로

A′O  
A′B  
A′C …①
직선 AA′ 이 평면 OBC 에 수직이므로
∠AA′O  ∠AA′B  ∠AA′C  
따라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AO   
  
AA′  
A′O

AB   
  
AA′  
A′B

AC   
  
AA′  
A′C
이므로, ①에 의해  AO  AB  
AC 이다.
정점 B 에서 마주보는 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B′ 라 하면,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BO  
BA  
BC 이다.
정점 C 에서 마주보는 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C′ 라 하면,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CO  
CA  
CB 이다.
따라서 
OA  
OB  
OC  
AB  
BC  
CA 이므로 사면체 OABC 는 정사면체이다. ■
   
4. 도형       ≤     ≤  ≤ ln가 평면     ≤  ≤ ln  에 의해

   
잘린 단면은  ≤       이다. 즉, 선분이 된다.

   
선분  ≤       의 양 끝점을 각각

       
A       , B       이라고 하면,
 
선분 AB 를  축의 둘레로 회전시켜 생기는 도형은 오른쪽
과 같이 동심원 두 개가 겹쳐진 모양이 된다. 이때 점 C
를 원점 O 에서 선분 AB 에 내린 수선의 발이라고 하면,

C     이다. 바깥쪽 원의 반지름은 


OB , 안쪽 원의 반
지름은 
OC 이므로, 도형  가 평면     ≤  ≤ ln  에 의해 잘린 단면의 넓이를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OB ×   
OC ×   
B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입체의 부피를    라고 하면
ln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5. X 의  좌표가    일 확률을 각각 , , 이라고 하자. 그러면    ,    ,
   이고, 점화식을 다음과 같이 놓을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이고,      이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이를 의 점화식에 대입하면            이다.
   
   
이 식을                    와 같이 변형하면,
  
      
     로부터    ,        로부터    이다.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이라고 하면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6. 방정식      의 두 근을   라 하자. 근과 계수와의 관계에 의해       ,
   이다. 조건 (가)와 나머지정리에 의해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두 복소수  ,  는 ①과 ②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하며, 조건 (나)에 의해 두 복소수가
모두 실수이거나 켤레복소수 관계이면 안 된다.

ⅰ) ①에서    인 경우 ②에서           이므로,  와  는 모두 실수이다.


이는 조건 (나)에 어긋난다.

ⅱ) ①에서    인 경우 ②에서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복부호 동순)
  
ⅲ) ①에서    인 경우 ②에서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복부호 동순)
  
ⅳ) ①에서    인 경우 ②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ⅳ-1)   ±  인 경우  도 실수이므로 조건 (나)에 어긋난다.

ⅳ-2)        인 경우    이므로 ⅱ)의 경우와 같다.


ⅳ-3)        인 경우    이므로 ⅲ)의 경우와 같다.
ⅳ-4)      인 경우  ±  ,  ∓  이므로 조건 (나)에 어긋난다.
ⅳ-5)      인 경우  ±  이므로      (  ,  는 실수)라고 하면
   
        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따라서 ⅰ)~ⅳ)에 의해 구하는 이차식을 모두 나열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