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2020학년도 2학기 미분적분학(1) 기말고사



 



  
1.

  
      
 을 구하시오. 답: 준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의 합을 구하시오.
∙ ∙ ∙ ∙
∞ ∞   
     
답: 준식  

   
      


    
 
 tan   


  
3. 급수 
 
 
의 
수렴구간을 구하시오.

   
답: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즉        일 때 수렴한다.
 
 
그리고     일

∞ ∞
      
때, 


: 수렴,    일 때,
 


: 발산. 따라서 수렴구간은      이다.
 
 
      cos  
 
 
4.  

   을 구하시오. 답:    sin  로 치환, 준식  
  

cos    
 

 
  

∞ 
  
5. 급수


 ln 
의 절대수렴, 조건부수렴 또는 발산 여부를 판정하시오.


   ∞
 
답: 교대급수 판정에 의하여 
 ln 

은 수렴. 그러나  

 ln 
  lim
 →∞

 ln 

  lim ln ln   ln ln   ∞
 →∞


이므로 
 ln 

은 적분판정법에 의하여 발산한다. 따라서 조건부수렴.


    

     
6.  


 을 구하시오. 답:    로 치환,

lim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7. 곡선   ln   ≤  ≤   을  축으로 회전시킨 회전체의 겉넓이를 구하시오.

답:     에서     
  ′        로 하면 

  

 

 


 
   
 

sec     ×  sec tan   ln sec  tan  

        

  ln          ln    

8. 물통이 밀도     의 액체로 가득 차 있다. 물통의 끝은 바닥에 꼭짓점을 두고 변이  의 길이로 이루어진 등변삼각

형이다. 물통의 한쪽 끝에서의 유체 정역학적 힘을 구하여라. (단, 중력가속도는  )



  
 

 
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sin  의 매클로린 급수의 0이 아닌 처음 4개의 항들을 구하시오.


      
답: sin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이항정리에 의하여 sin              ⋯
  

10.  
 tan      의 값을 오차가 0.0001 이내가 되도록 구하시오. (단, 답은 기약분수로 표현하시오.)

      
답: tan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ta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a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a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준식 ≈  
         

 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