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4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TTAK.KO-10.1282 제정일: 2021년 06월 30일


TTA Standard

치안정보 데이터뱅크의 구축 및
공유를 위한 연계 인터페이스

Association Interface for Construction and


Sharing of Public-Safety Information Databank
표준초안 검토 위원회 메타데이터 프로젝트그룹(PG606)

표준안 심의 위원회 소프트웨어/콘텐츠 기술위원회 (TC6)

성명 소 속 직위 위원회 및 직위

표준(과제) 제안 김승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PG606 위원

박원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이용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장

이영준 (주)아이와즈 연구소장

김경민 씨이엔코퍼레이션(주) 이사
경찰대학
장광호 센터장
치안정책연구소

표준 초안 에디터 김승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PG606 위원

김성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PG606 부의장

사무국 담당 김찬영 TTA 선임연구원

본 문서에 대한 저작권은 TTA에 있으며, TTA와 사전 협의 없이 이 문서의 전체 또는 일부를 상업적 목적으로 복제 또는


배포해서는 안 됩니다.

본 표준 발간 이전에 접수된 지식재산권 확약서 정보는 본 표준의 ‘부록(지식재산권 확약서 정보)’에 명시하고 있으며, 이후
접수된 지식재산권 확약서는 TTA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준용표준인 경우 해당 표준화기구 또는 단체의 웹사
이트에서 이를 확인해야 합니다.
본 표준과 관련하여 접수된 확약서 외의 지식재산권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발행인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발행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13591,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로 47
Tel : 031-724-0114, Fax : 031-724-0109
발행일 : 2021. 06. 30.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서 문

1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의 목적은 분산 관리되고 있는 정형·비정형 형태의 경찰청 내부 데이터 및 공공·


민간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여 치안정보 데이터뱅크를 구축하고,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
능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것이
다. 이 표준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치안정보를 체계적이며 일원화된 방식으로 수집·저장
하여 통합관리하고, 정제된 고품질 대용량 치안정보의 공유가 용이하도록 하고자 한다.

2 주요 내용 요약

경찰청에서는 개별적인 시스템 단위로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한정된 데이터에 의존


하여 특정 치안 업무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다양한 치안 유관
정보를 활용한 통합 분석이 미흡하여 효율적인 범죄예방 및 수사대응 지원이 원활히 이
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표준에서는 철저한 보안이 유지되어야 하는 개인·민감정보를 포함하는 특성을 가진
정형·비정형 형태의 경찰청 운영관리 관련된 내부 데이터와 범죄발생 환경적 요인과 관
련된 공공·민간 외부 데이터를 연계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집하고, 데이터변환 및
텍스트마이닝의 데이터 전처리와 표준스키마 매핑 및 개인정보 비식별화 과정을 수행하
여 산출된 치안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뱅크를 구축한다. 그리고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
능한 데이터를 경찰청 내부기관, 중앙부처 및 자치단체나 공공기관에서도 공유할 수 있
도록 하는 연계 출력 인터페이스를 기술한다. 즉, 본 표준에서는 치안정보 연계 입력 인
터페이스와 치안정보 연계 출력 인터페이스의 2가지 유형으로 구성되는 분류체계를 제안
하며,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 표현법에 따른 인터페이스별 세부 기능을 정의한다.
이에 따라, 이 표준은 치안 분야에 최신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
한 범죄예방 및 수사대응 지원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선제적으로 요구되는 빅데이터
기반의 치안정보 데이터뱅크를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재난안전, 교통,
소방, 헬스케어와 같은 다양한 응용 분야별 특화된 데이터뱅크를 구축하는데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3 인용 표준과의 비교

해당 사항 없음.

i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Preface

1 Purpose

The standard is to define the association interface of structured and


unstructured public-safety information for integrated databank construction and
sharing, which is composed of internal data by diverse police-related
organization providers and external data by public-private organization providers.
Through this standard, it will be possible to achieve an enhanced sharing of
abundant open public-safety information.

2 Summary

The police-related organizations have operated an individual information system


by exclusive and closed way. Therefore, such usage of self-defined proprietary
and restricted data may cause serious problems in the rapid and precise crime
prevention and investigation service provision.
We propose an association interface specification for constructing and utilizing
the integrated databank of public-safety information. This standard will be able
to serve as a systematic and unified interface required for efficient big-data
asset management and improved data values. The association interface of
public-safety information databank consists of the following two categories. The
association input interface performs to collect data and manage the integrated
databank of divers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public-safety information.
Additionally, it is accomplished through data collection and data pre-processing,
and data refinement process. And then, the association output interface
performs an acquisition method for open public-safety information provision.
In this way, the standard will be referenced by the organizations and employees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Besides, this standard will be expected to
perform a guideline role for construction of domain-specific integrated databank
in various application area such as disaster-safety, transportation, firefighting,
healthcare, and etc.

3 Relationship to Reference Standards

None.

ii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목 차

1 적용 범위 ··································································································································· 1

2 인용 표준 ··································································································································· 2

3 용어 정의 ··································································································································· 2

4 약어 ············································································································································· 4

5 치안정보 연계 및 통합관리 ··································································································· 5


5.1 치안정보 연계 및 통합관리 프레임워크 ··································································· 5
5.2 데이터 수집부 ················································································································· 6
5.3 데이터 전처리부 ············································································································· 6
5.4 데이터 정제부 ················································································································· 7
5.5 데이터 저장관리부 ········································································································· 7

6 치안정보 연계 분류체계 ········································································································· 8


6.1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 방식 ················································································· 8
6.2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 분류체계 ········································································· 9
6.3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 표현법 ··········································································· 11

7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 ·································································································· 12


7.1 치안정보 연계 입력 인터페이스 ··············································································· 12
7.2 치안정보 연계 출력 인터페이스 ··············································································· 20

부록 I 표준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 적용 유스케이스 ················································ 22


부록 II 표준 치안 메타데이터 예시 ······················································································ 23
부록 III-1 지식재산권 확약서 정보 ······················································································· 24
III-2 시험인증 관련 사항 ······························································································· 25
III-3 본 표준의 연계(family) 표준 ··············································································· 26
III-4 참고 문헌 ················································································································· 27
III-5 영문표준 해설서 ····································································································· 28
III-6 표준의 이력 ············································································································· 29

iii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치안정보 데이터뱅크의 구축 및
공유를 위한 연계 인터페이스
(Association Interface for Construction and
Sharing of Public-Safety Information Databank)

1 적용 범위

범죄행위가 나날이 고도화·지능화되는 사회 환경 변화로 치안 수요가 증가하면서 인공지


능이나 빅데이터의 최신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을 치안 분야에 접목하여 범죄예방이나 사건수사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적
시에 제공함으로써 경찰의 골든타임 확보와 초동 대응이 용이하도록 하는 시도가 추진되
고 있다.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가용한 양질의 대용량 치안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선결과제다. 치안정보(PSI, Public-Safety Information)는 철저한
보안이 유지되어야 하는 개인·민감정보를 포함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경찰에서는 일부 사
용자에게만 접근권한을 부여하고 제한적이며 폐쇄적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선제적으로 범죄를 예방하고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스마트치안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찰청 시스템들 간의 데이터 연계뿐만
아니라 치안 관련 공공·민간 데이터까지를 포함하는 치안정보 연계 및 통합관리가 필요
하다. 즉, 지능화정보 사회로의 진입에 따라 데이터가 의사 결정에서의 중요한 요소로 작
용하고 있으며 데이터는 다른 데이터와의 연계와 결합을 통해 더욱 가치 있는 통찰력을
도출할 수 있게 되므로, 특정 도메인 내 자체적인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와 연계된 공공·
민간 데이터와의 융합이 요구된다.

이 표준에서는 정형·비정형 형태의 경찰청 운영관리 관련된 내부 데이터와 범죄발생 환


경적 요인과 관련된 공공·민간 외부 데이터를 연계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집하고,
데이터변환 및 텍스트마이닝의 데이터 전처리와 표준스키마 매핑 및 개인정보 비식별화
의 데이터 정제화 과정을 수행하여 산출된 치안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뱅크 구축 방식을
정의한다. 그리고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능한 데이터를 경찰청 내부기관, 중앙부처 및 자
치단체나 공공기관에서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연계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아울러, 이 표준은 재난안전, 교통, 소방, 헬스케어와 같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의 특화


된 데이터뱅크를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2 인용 표준

해당 사항 없음.

3 용어 정의

3.1 치안정보(PSI, Public-Safety Information)


다양한 정형·비정형 형태의 경찰청 운영관리 관련된 내부 데이터 및 범죄발생 환경요인
과 관련된 공공·민간 외부 데이터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범주의 융합형 치안 데이터

3.2 치안정보 데이터뱅크(PSIDB, Public-Safety Information DataBank)


주요 범죄수법 자료, 범죄분석 자료, 범죄예방 자료, 초동수사 자료, 외부기관 환경요소
자료 등의 데이터를 통합관리하는 치안정보 데이터 저장소

3.3 치안 정보화시스템(PBIS, Public-Safety Information System)


범죄예방 및 수사대응과 관련된 데이터를 보유하고 이를 활용한 치안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하며, 112신고시스템, 형사사법정보시스템, 범죄통계시스템, 지리적프로파일
링시스템, 과학적범죄분석시스템 등이 있음

3.4 정형 데이터(SD, Structured Data)


미리 정해 놓은 형식과 구조에 따라 저장되도록 구성된 데이터로서, 사용자가 쉽게 이해
하고 시스템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잘 알려진 포맷이나 명확한 데이터 구조 표현 방
법을 사용하며, 정형 데이터에는 관계형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같이 고정된 컬럼에 저
장되는 데이터, 지정된 행과 열로 데이터의 속성이 정해지는 스프레드시트 데이터, 쉼표
를 기준으로 항목을 구분하여 저장하는 씨에스브이 데이터 등이 있음

[출처] IT용어사전

3.5 비정형 데이터(UD, Unstructured Data)


정의된 구조가 없이 정형화되지 않은 데이터로서, 비정형 데이터는 데이터 구조가 없어
서 비정형 데이터 자체만으로는 내용에 대한 질의 처리를 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의 특징
을 추출하여 반정형 또는 정형 데이터로 변환하는 전처리가 필요하며, 비정형 데이터에
는 동영상 파일, 오디오 파일, 사진, 보고서(문서), 메일 본문 등이 있음

[출처] IT용어사전

3.6 개인정보(PI, Personal Information)


생존하는 개인에 관한 성명 및 주민등록번호 등과 같이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하며, 해당 정보만으로는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더라도 다른 정보와 용이하게 결합

2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하여 식별할 수 있는 것도 포함됨

[출처] IT용어사전

3.7 민감정보(SI, Sensitive Information)


누출이나 훼손되었을 때 정보의 소유자에게 부정적 영향이 발생하고, 시스템의 계속적
운영이 불가능해지며, 상당한 양의 자원을 다시 생성해야 하는 상황을 유발하는 정보를
말하며, 사상·신념, 노동조합·정당의 가입·탈퇴, 정치적 견해, 건강, 성생활. 유전정보, 범
죄경력 등이 있음

[출처] IT용어사전

3.8 개인정보 비식별화(PID, Personal Information Deidentification)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개인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환하는 일련의 과정 또는
방법을 말하며, 빅데이터 확산에 따른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증대시키고자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 동시에 데이터의 활용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방안

[출처] IT용어사전

3.9 공공데이터(OD, Open Data)


공공기관이 생성하거나 관리하고 있는 자료 또는 정보로서, 기관이 업무를 수행하며 만
들어낸 텍스트, 수치,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모든 자료 또는 정
보가 대상이 되며, 누구나 무료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여 제공하는 데이터

[출처] TTA정보통신용어사전

3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4 약어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CSS Crime Statistics System
CSV Comma Separated Value
FTP File Transfer Protocol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KICS Korea Information System of Criminal Justice Services
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PSI Public-Safety Information
RDB Relational DataBase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SFTP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4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5 치안정보 연계 및 통합관리

5.1 치안정보 연계 및 통합관리 프레임워크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구축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변환은 사람(경찰)이 직접 시스템의 데


이터베이스 또는 파일에 접근하여 특정 데이터를 수집하므로 경찰청 내 다른 시스템의
데이터를 획득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치안 정보화시스템은 특정 치안 업
무 수행을 목적으로 구축되며 표준화가 미흡하여 상호운용이 원활하지 않다. 그러므로
산재된 정보의 효율적 관리와 활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려면, 시스템들 간 데이터의 중
복을 지양하고 데이터 연계를 통한 치안정보 데이터뱅크를 구축하며 통합 분석 환경을
기반으로 범죄예방 및 수사대응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표준에서는 정보수집의 주체인 연계 서버측에서의 자원 활용성을 높이고, 데이터 수
집의 주도권을 보유하여 데이터 수집의 즉시성을 확보하며, 통합적인 연계 관리가 용이
해야하는 특징을 중시하여, 에이전트 기반 폴링에 따른 응용프로그래밍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게이트웨이 방식을 적용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를
제공하는 레거시 치안 정보화시스템에서의 변경사항은 최소화된다.
치안정보 연계 및 통합관리 프레임워크에서는 (그림 5-1)과 같이 다양한 정형·비정형 형
태의 치안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뱅크를 구축하고 공개 가능한 치안 공공데이터를 제
공하며, 치안정보 연계를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치안데이터 통합관리를 위한 데이터
수집부, 데이터 전처리부, 데이터 정제부, 데이터 저장관리부로 구성된다.

5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그림 5-1) 치안정보 연계 및 통합관리 프레임워크

5.2 데이터 수집부

데이터 수집부는 스케줄러, 운영관리, 인증제어의 기능요소로 구성된다.

스케줄러에서는 치안정보 수집을 위한 구동 절차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되므로


정보연계의 실행주기를 조절하기 위한 처리를 제공한다. 치안정보 연계 및 통합관리를
주관하는 시스템관리자에 의하여 즉시 구동되는 수동 실행, 주기적 실행, 일정시간 대기
후 실행 방식의 스케줄링이 가능하다.
운영관리에서는 최적화된 자원관리와 적절한 기능 수행을 위하여 처리 순서에 따라 순차
적으로 작업이 진행되도록 조정하며, 연계처리 결과를 데이터베이스 또는 파일에 저장한
다.
인증제어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시스템이나 자원을 활용할 때 허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
여 신분과 접근권한을 확인하며, 치안데이터의 보안 특성을 고려하여 치안데이터를 수집
하려는 시스템에 대한 접속 가능 여부 및 사용자에 대한 치안데이터 허용 여부와 같은
강화된 보안처리를 제공한다.

5.3 데이터 전처리부

데이터 전처리부는 데이터변환, 텍스트마이닝, 데이터품질관리의 기능요소로 구성된다.

데이터변환에서는 정형·비정형 형태 데이터에 대하여 문서필터 변환기를 통하여 데이터


베이스 또는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텍스트 형식의 파일로 변환한다. 씨에스브이(CSV,

6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Comma Separated Value) 및 형식이 있는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변환기를 통하여 데이


터베이스로 관리하고, 한글화일이나 워드와 같은 문서는 문서필터를 통하여 텍스트로 변
환하여 파일로 관리한다.

텍스트마이닝에서는, 사람들이 말하는 언어를 이해할 수 있는 자연어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기술을 활용한 형태소분석, 개체명인식, 인명사전 및 패턴분석을
통하여 개인·민감정보를 식별한다.

데이터품질관리에서는, 키 오류, 연계 필수항목 오류, 코드변환 오류, 데이터변환 오류,


데이터포맷 오류, 데이터길이 오류를 체크하여 데이터 품질을 향상시킨다.

5.4 데이터 정제부

데이터 정제부는 표준스키마매핑, 개인정보비식별화, 접근권한관리의 기능요소로 구성된


다.

표준스키마매핑에서는 다양한 치안 정보화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표준 데이터


베이스 스키마와 일치되도록 스키마매핑 및 코드매핑 규칙에 따른 매칭 처리를 수행한
다. 표현 단위와 형식을 통일하여 동일한 내용을 의미하는 경우에는 시스템 간에 종류와
유형이 상이한 표현의 사용을 지양하여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킨다.

개인정보비식별화에서는 치안 정보화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하여 개인을 유


추할 수 있는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하거나 대체하여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지
못하도록 하여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하는 일련의 비식별화 조치를 수행한다.

접근권한관리에서는 개인·민감정보에 해당하는 치안정보의 분석이나 활용 시 사용자별


중요도 및 필요성에 따라 접근권한의 허용 범위를 구분하는 사용 방식을 제공한다.

5.5 데이터 저장관리부

데이터 저장관리부는 치안정보데이터뱅크의 기능요소로 구성된다.

치안정보데이터뱅크에서는 수집된 범죄수법자료, 범죄분석자료, 범죄예방자료, 초동수사


자료, 환경요소자료의 원시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준 스키마매핑 및 개인정보 비식별화
조치 등을 수행하여 정제된 주요 범죄분석 정보, 범죄수법 정보, 초동수사 정보, 환경요
소 정보를 저장하는 치안정보 데이터뱅크를 구축한다. 경찰청 내부 운영정보 및 통계정
보 등의 정형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저장소에 저장하고, 각종 문서파일, 이미지 및 동영
상,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및 웹 로그 등의 비정형 데이
터는 파일저장소에 저장한다.

7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6 치안정보 연계 분류체계

6.1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 방식

치안정보 데이터뱅크는 분산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 통합 작업의 일환으로, 효율적 관리


와 활용의 편의성을 통한 데이터의 가치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이터 자산관리 방식이
다.

이 표준에서는 다양한 치안 정보화시스템에 산재된 정형·비정형 형태의 치안정보를 수집


하고 정제하여 통합관리하는데 사용되는 표준 연계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여, 데이터를 수
집하는데 소요되는 지연시간을 최소화하며 양질의 대용량 데이터를 적시에 제공하고자
한다.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는 (그림 6-1)과 같이 관계형데이터베이스(RDB, Relational


DataBase) 애그리게이터, 레스트(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데이터
베이스 애그리게이터, 파일전송프로토콜(FTP, File Transfer Protocol)/시큐어파일전송프
로토콜(SFTP, Secure FTP), 웹 크롤링 방식을 사용하여 주기적 배치 또는 실시간으로
데이터제공자에게 접속하여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파일, 웹 형태의 치안 관련 데
이터를 수집한다.

본 표준에서의 데이터 처리 대상은 텍스트 형태로 한정하며, 텍스트 데이터의 언어는 한


글로 규정한다.

8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그림 6-1)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 방식

6.2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 분류체계

이 표준에서는 정형·비정형 형태의 다양한 치안 정보화시스템에서 보유한 경찰청 운영관


리 관련된 내부 데이터 및 범죄발생 환경요인과 관련된 공공·민간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
여 데이터뱅크에 저장하기 위한 치안정보 연계 입력 인터페이스,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능한 데이터를 경찰청 내부기관, 중앙부처 및 자치단체나 공공기관에서도 공
유할 수 있도록 하는 연계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2가지 유형으로 구성되는 <표
6-1>와 같은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 분류체계를 제안한다.

9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표 6-1>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 분류체계

대분류명 중분류명 소분류명(국문/영문) 설명 비고


RDB 형태로 제공되는 정형 데이터를 수집
정형DB데이터수집/ 하여 치안정보 데이터뱅크에 저장
7.1.1
정형 collectRDBData (예: 112신고시스템, KICS 형사사법정보시
데이터 스템과 같은 경찰청 내부 데이터)
수집 레스트 API 형태로 제공되는 정형 데이터
RESTAPI데이터수집/
를 수집하여 치안정보 데이터뱅크에 저장 7.1.2
collectRESTAPIData
(예: 기상청 데이터와 같은 공공데이터)
NoSQL DB 형태로 제공되는 비정형 데이
치안정보 터를 수집하여 치안정보 데이터뱅크에 저
비정형DB데이터수집/
연계 입력 장 7.1.3
collectDBData
인터페이스 (예: 112신고내용과 같은 비정형 DB 데이

비정형 터)
파일 형태로 제공되는 자료를 수집하여 치
데이터 파일데이터수집/
안정보 데이터뱅크에 저장 7.1.4
수집 collectFileData
(예: 경찰청 사건보고서, 수사자료 데이터)
웹에 공개된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여 치
웹데이터수집/ 안정보 데이터뱅크에 저장
7.1.5
collectWebData (예: 공공데이터 공유 웹사이트를 통하여
수집한 데이터)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공개된 객체 형식
정형
객체기반공개데이터검색/ 의 데이터 중 원하는 시스템, 분류체계 또
데이터 7.2.1
getPublicDataToObject 는 해당 검색어를 포함하는 신고·사건의
치안정보 공유
데이터 요청 (JSON 형식)
연계 출력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공개된 파일 형식
인터페이스 비정형
파일기반공개데이터검색/ 의 데이터 중 원하는 시스템, 분류체계 또
데이터 7.2.2
getPublicDataToFile 는 해당 검색어를 포함하는 신고·사건의
공유
데이터 요청 (CSV 형식)

10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6.3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 표현법

치안정보 연계 입·출력 인터페이스 구동 시에는 치안정보 수집 대상의 유알엘(URL,


Uniform Resource Locator)에 접속하여 연계 인터페이스명 및 입력변수를 입력하고, 명
시한 연계 인터페이스 처리를 수행한 후에는 그 결과 값을 반환한다.

연계 인터페이스 표기에서는 입력 관련해서는 입력변수, 타입, 설명, 필수여부를 기술하


고, 응답 관련해서는 반환값, 타입, 설명, 필수여부를 기술한다.

그리고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연계 입·출력 인터페이스 정의 시 사용되는 데이터타입은


<표 6-2>의 표기 형식에 따라 기술한다.

<표 6-2> 데이터타입 표기 형식

데이터타입(국문) 데이터타입(영문) 설명
데이터 값이 한글을 포함하는 문자열을 표기하는 경우에
문자열 string
사용
정수 int 데이터 값이 정수를 표기하는 경우에 사용
데이터 값이 인터넷 상의 어떤 파일이나 서비스 및 자원
유알엘 URL
의 접속주소를 표기하는 경우에 사용
데이터 값이 처리 결과의 성공 여부를 표기하는 경우에
불린 boolean
사용
속성·값 쌍의 집합으로 표현되는 데이터들의 묶음인 객체
객체 object 를 표기하는 경우에 사용
(JSON 형식)
쉼표를 기준으로 항목을 구분하여 저장한 데이터 파일을
파일 file 표기하는 경우에 사용
(CSV 형식)

11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7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는 경찰청 운영관리 관련된 내부 데이터 및 범죄발생 환경적


요인과 관련된 공공·민간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뱅크에 저장하는 치안정보 연계
입력 인터페이스,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능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
하는 치안정보 연계 출력 인터페이스에 관한 2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치안정보 연계 분류체계는 대분류 2종, 중분류 4종, 소분류 7종의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다.

7.1 치안정보 연계 입력 인터페이스

치안정보 연계 입력 인터페이스는 RDB애그리게이터, 레스트API, DB애그리게이터,


FTP/SFTP, 웹크롤링 방식에 의해 정형·비정형 형태의 경찰청 내부 데이터 및 공공·민간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여 치안정보 데이터뱅크에 저장한다.

치안정보 연계 입력 인터페이스 분류체계는 대분류 1종, 중분류 2종, 소분류 5종으로 구


성된다.

12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7.1.1 정형DB데이터수집(collectRDBData) 인터페이스

정형데이터수집 분류에 속하는 collectRDBData는 RDB 형태의 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여


치안정보 데이터뱅크에 저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표 7-1> 및 <표 7-2>와 같이
구성된다.
112신고시스템 및 형사사법정보시스템(KICS, Korea Information System of Criminal
Justice Services)이나 범죄통계시스템(CSS, Crime Statistics System)과 같은 경찰청 데
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변환과 표준스키마 매핑 및 개인정보 비식별화 등이 수행된 치
안정보를 데이터뱅크에 저장하여 통합관리한다.
특히, 치안정보는 철저한 보안이 유지되어야 하는 개인·민감정보를 포함하는 특성을 가지
며 사용상 엄격한 법·규제가 적용되므로, 치안 데이터제공자는 수신한 보안서약서를 기반
으로 치안데이터 사용 시 준수해야 할 기밀사항 및 사용자프로파일 등을 분석하여 데이
터의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

13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표 7-1> collectRDBData 인터페이스 입력변수


필수
입력변수 타입 설명
여부
dbIP string 연계 수집할 대상 시스템의 DB IP M

dbPort int 연계 수집할 대상 시스템의 DB Port M

dbID string 연계 수집할 대상 시스템의 DB 접속 ID M

dbPasswd string 연계 수집할 대상 시스템의 DB 접속 Password M


연계 수집할 대상 시스템의 DB Type
dbType int O
(예: 1=Oracle, 2=MariaDB, 3=MySQL)
dbName string 연계 수집할 대상 시스템의 DB명 M

tableName string 연계 수집할 대상 시스템의 DB 테이블명 O


연계 수집할 대상 시스템의 DB에서 가져올 필드 정보가
sql string O
포함된 SQL 정보
치안데이터 사용 시 준수해야 하는 법·규제를 포함한 기
securityOath file 밀사항 및 사용자프로파일 등과 관련된 보안서약서로서, M
강화된 보안조치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

<표 7-2> collectRDBData 인터페이스 반환값


필수
반환값 타입 설명
여부
연계 수집 처리의 수행 결과
resultStatus boolean (예: true=성공인 경우, false=IP접속불가, 로그인불가, 보 M
안서약서분석사용불가 등 실패인 경우)
연계 수집 처리의 수행 결과가 성공인 경우, 수집할 대상
resultValue object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한 필드 정보와 대응값 정보의 집합 O
(JSON 형식)
※ 필수여부는 입·출력 변수가 필수사항(M, Mandatory)인지 선택사항(O, Optional)인지를 표시함.

14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7.1.2 레스트API데이터수집(collectRESTAPIData) 인터페이스

정형데이터수집 분류에 속하는 collectRESTAPIData는 레스트 API 형태의 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여 치안정보 데이터뱅크에 저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표 7-3> 및 <표
7-4>와 같이 구성된다.

범죄유발 환경요인과 관련된 기상청 데이터와 같은 공공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변환


및 텍스트마이닝의 데이터 전처리와 표준스키마 매핑 및 개인정보 비식별화 등이 수행된
치안정보를 데이터뱅크에 저장하여 통합관리한다.

<표 7-3> collectRESTAPIData 인터페이스 입력변수


필수
입력변수 타입 설명
여부
apiIP string 연계 수집할 대상 REST API 시스템의 IP M

apiPort int 연계 수집할 대상 REST API 시스템의 Port M

apiKey string 연계 수집할 대상 REST API 시스템의 접근키 M

apiResultFormat string 연계 수집할 대상 REST API 시스템의 결과 포맷 O

<표 7-4> collectRESTAPIData 인터페이스 반환값


필수
반환값 타입 설명
여부
연계 수집 처리의 수행 결과
resultStatus boolean (예: true=성공인 경우, false=IP접속불가, 접근키오류 등 M
실패인 경우)
연계 수집 처리의 수행 결과가 성공인 경우, 수집할 대상
resultValue object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한 필드 정보와 대응값 정보의 집합 O
(JSON 형식)

15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7.1.3 비정형DB데이터수집(collectDBData) 인터페이스

비정형데이터수집 분류에 속하는 collectDBData는 비정형 DB 형태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치안정보 데이터뱅크에 저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표 7-5> 및 <표
7-6>과 같이 구성된다.

112신고내용과 같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변환 및 텍스트마이닝의 데이터 전처리와


표준스키마 매핑 및 개인정보 비식별화 등이 수행된 치안정보를 데이터뱅크에 저장하여
통합관리한다.
특히, 치안정보는 철저한 보안이 유지되어야 하는 개인·민감정보를 포함하는 특성을 가지
며 사용상 엄격한 법·규제가 적용되므로, 치안 데이터제공자는 수신한 보안서약서를 기반
으로 치안데이터 사용 시 준수해야 할 기밀사항 및 사용자프로파일 등을 분석하여 데이
터의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

<표 7-5> collectDBData 인터페이스 입력변수


필수
입력변수 타입 설명
여부
dbIP string 연계 수집할 대상 시스템의 NoSQL DB IP M

dbPort int 연계 수집할 대상 시스템의 NoSQL DB Port M

dbID string 연계 수집할 대상 시스템의 NoSQL DB 접속 ID M

dbPasswd string 연계 수집할 대상 시스템의 NoSQL DB 접속 Password M


연계 수집할 대상 시스템의 NoSQL DB Type
dbType int O
(예: 1=MongoDB, 2=Redis, 3=HBase)
dbName string 연계 수집할 대상 시스템의 NoSQL DB명 M

collectionName string 연계 수집할 대상 시스템의 NoSQL DB 컬렉션명 O


연계 수집할 대상 시스템의 NoSQL DB에서 가져올 특정
query string O
키 필드에 매칭되는 정보가 포함된 쿼리 정보
치안데이터 사용 시 준수해야 하는 법·규제를 포함한 기
securityOath file 밀사항 및 사용자프로파일 등과 관련된 보안서약서로서, M
강화된 보안조치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

16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표 7-6> collectDBData 인터페이스 반환값


필수
반환값 타입 설명
여부
연계 수집 처리의 수행 결과
resultStatus boolean (예: true=성공인 경우, false=IP접속불가, 로그인불가, 보 M
안서약서분석사용불가 등 실패인 경우)
연계 수집 처리의 수행 결과가 성공인 경우, 수집할 대상
resultValue object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한 필드 정보와 대응값 정보의 집합 O
(JSON 형식)

17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7.1.4 파일데이터수집(collectFileData) 인터페이스

비정형데이터수집 분류에 속하는 collectFileData는 파일 형태로 제공되는 비정형 데이터


를 수집하여 치안정보 데이터뱅크에 저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표 7-7> 및 <표
7-8>과 같이 구성된다.

경찰청 사건보고서 및 수사자료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변환 및 텍스트마이닝의 데이


터 전처리와 표준스키마 매핑 및 개인정보 비식별화 등이 수행된 치안정보를 데이터뱅크
에 저장하여 통합관리한다.

특히, 치안정보는 철저한 보안이 유지되어야 하는 개인·민감정보를 포함하는 특성을 가지


며 사용상 엄격한 법·규제가 적용되므로, 치안 데이터제공자는 수신한 보안서약서를 기반
으로 치안데이터 사용 시 준수해야 할 기밀사항 및 사용자프로파일 등을 분석하여 데이
터의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

<표 7-7> collectFileData 인터페이스 입력변수


필수
입력변수 타입 설명
여부
ftpIP string 연계 수집할 대상 원격지의 FTP 접속 IP M

ftpPort int 연계 수집할 대상 원격지의 FTP 접속 Port M

ftpID string 연계 수집할 대상 원격지의 FTP 접속 ID M

ftpPasswd string 연계 수집할 대상 원격지의 FTP 접속 Password M

ftpDirectory string 연계 수집할 대상 원격지의 대상 데이터 Directory O


치안데이터 사용 시 준수해야 하는 법·규제를 포함한 기
securityOath file 밀사항 및 사용자프로파일 등과 관련된 보안서약서로서, M
강화된 보안조치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

<표 7-8> collectFileData 인터페이스 반환값


필수
반환값 타입 설명
여부
연계 수집 처리의 수행 결과
resultStatus boolean (예: true=성공인 경우, false=IP접속불가, 로그인불가, 보 M
안서약서분석사용불가 등 실패인 경우)
연계 수집 처리의 수행 결과가 성공인 경우, 획득한 수집
대상 파일들의 출처·작성자·제목 등을 포함한 본문 정보
resultValue object O
의 집합
(JSON 형식)

18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7.1.5 웹데이터수집(collectWebData) 인터페이스

비정형데이터수집 분류에 속하는 collectWebData는 비정형 형태로 제공되는 웹데이터를


웹크롤링으로 수집하여 치안정보 데이터뱅크에 저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표
7-9> 및 <표 7-10>과 같이 구성된다.

공공데이터 공유 웹사이트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변환 및 텍스트마이닝의


데이터 전처리와 표준스키마 매핑 및 개인정보 비식별화 등이 수행된 치안정보를 데이터
뱅크에 저장하여 통합관리한다.

<표 7-9> collectWebData 인터페이스 입력변수


필수
입력변수 타입 설명
여부
연계 수집할 대상 사이트의 URL 정보
seedURL URL M
(예: https://www.police.go.kr)
사이트 데이터 수집 시, 데이터 수집을 허용할 URL의 정
allowURLPattern string 규 표현식 패턴 정보 M
(예: .*police.* -> police가 포함된 URL 데이터 수집)
사이트 데이터 수집 시, 데이터 수집을 불용할 URL의 정
규 표현식 패턴 정보
rejectURLPattern string O
(예: .*login.* -> login이 포함된 URL 데이터는 수집하지
않음)

<표 7-10> collectWebData 인터페이스 반환값


필수
반환값 타입 설명
여부
연계 수집 처리의 수행 결과
resultStatus boolean (예: true=성공인 경우, false=IP수집접근불가, IP수집접근 M
차단 등 실패인 경우)
연계 수집 처리의 수행 결과가 성공인 경우, 획득한 수집
resultValue object 대상 웹페이지의 제목 등을 포함한 본문 정보의 집합 O
(JSON 형식)

19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7.2 치안정보 연계 출력 인터페이스

치안정보 연계 출력 인터페이스는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능한 데이터를 경찰청


내부기관, 중앙부처 및 자치단체나 공공기관에서도 공유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치안정보 연계 출력 인터페이스 분류체계는 대분류 1종, 중분류 2종, 소분류 2종으로 구


성된다.

7.2.1 객체형식공개데이터검색(getPublicDataToObject) 인터페이스

정형데이터공유 분류에 속하는 getPublicDataToObject는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능한 객체 형식의 데이터 중 원하는 시스템, 분류체계 또는 해당 검색어를 포함하는
신고·사건의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이슨(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형식으로 제
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표 7-11> 및 <표 7-12>와 같이 구성된다.

<표 7-11> getPublicDataToObject 인터페이스 입력변수


필수
입력변수 타입 설명
여부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능한 데이터 중 얻고자
systemType int 원하는 데이터를 보유한 시스템 M
(예: 1=112신고시스템, 2=KICS 형사사법정보시스템)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능한 데이터 중 얻고자
dataType int 원하는 데이터를 보유한 분류체계 O
(예: 1=사건신고접수, 2=사건수사분석)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능한 데이터 중 해당 검
searchKeyword string 색어가 존재하는 신고·사건 정보 O
(예: 살인)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능한 데이터 중 얻고자
dataCreatYear int 원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생성된 연도별 정보 M
(예: 2018=2018년, 2019=2019년)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능한 데이터 중 얻고자
dataCreatMonth int 원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생성된 월별 정보 O
(예: 1=1월, 2=2월)

<표 7-12> getPublicDataToObject 인터페이스 반환값


필수
반환값 타입 설명
여부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능한 객체 형식의 데이터
중 지정한 시스템, 분류체계 또는 해당 검색어를 포함하
resultValue object M
는 신고·사건의 데이터
(JSON 형식)

20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7.2.2 파일형식공개데이터검색(getPublicDataToFile) 인터페이스

비정형데이터공유 분류에 속하는 getPublicDataToFile은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데이터


중 원하는 시스템, 분류체계 또는 해당 검색어가 존재하는 신고·사건에 해당하는 공개 가
능한 파일 형태의 비정형 데이터를 검색하여 CSV 형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
며, <표 7-13> 및 <표 7-14>와 같이 구성된다.

<표 7-13> getPublicDataToFile 인터페이스 입력변수


필수
입력변수 타입 설명
여부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능한 데이터 중 얻고자
systemType int 원하는 데이터를 보유한 시스템 M
(예: 1=112신고시스템, 2=KICS 형사사법정보시스템)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능한 데이터 중 얻고자
dataType int 원하는 데이터를 보유한 분류체계 O
(예: 1=사건신고접수, 2=사건수사분석)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능한 데이터 중 해당 검
searchKeyword string 색어가 존재하는 신고·사건 정보 O
(예: 절도)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능한 데이터 중 얻고자
dataCreatYear int 원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생성된 연도별 정보 M
(예: 2018=2018년, 2019=2019년)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능한 데이터 중 얻고자
dataCreatMonth int 원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생성된 월별 정보 O
(예: 1=1월, 2=2월)

<표 7-14> getPublicDataToFile 인터페이스 반환값


필수
반환값 타입 설명
여부
치안정보 데이터뱅크 내 공개 가능한 파일 형식의 데이터
중 지정한 시스템, 분류체계 또는 해당 검색어를 포함하
resultValue file M
는 신고·사건의 데이터
(CSV 형식)

21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부 록 I
(본 부록은 표준을 보충하기 위한 내용으로 표준의 일부는 아님)

표준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 적용 유스케이스

치안정보는 철저한 보안이 유지되어야 하는 개인·민감정보를 포함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경찰에서는 일부 사용자에게만 접근권한을 부여하고 경찰청 내에서만 독점적으로 사용하
고 있다. 그러나 범죄예방 및 수사대응 시 의사 결정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과거 축적된 범죄 데이터뿐만 아니라 범죄유발 환경요인과 관련된 정형·비정형 형태의
다양한 유관 데이터의 수집·분석을 위한 치안정보 통합관리가 필요하다.

이 표준에서 제안한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collectRDBData, collectRESTAPIData,


collectWebData)를 적용한 (그림 I-1)과 같은 서울시 112 신고 수 발생 예측 유스케이스
는, 112 신고 데이터가 접수되면 축적된 과거에 발생된 112신고 데이터와 범죄유발 환
경요인과 연관된 기상·집회·유동인구 등의 외부 공공·민간 데이터를 함께 사용하며 인공
지능 학습을 적용하여 서울시 경찰서 및 지구대·파출소별 6시간 단위로 나누어서 1일
후, 1주일 후 112 신고 수 발생을 예측하는 서비스다. 이와 같이 객관화된 데이터 분석
기반의 112 신고 건수 발생 예측 결과를 활용한 경찰자원 배치를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범죄예방 활동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I-1) 표준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 적용 유스케이스

22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부 록 II
(본 부록은 표준을 보충하기 위한 내용으로 표준의 일부는 아님)

표준 치안 메타데이터 예시

본 부록에서는 치안정보 연계 인터페이스 정의 시 참조하는 (그림 II-1)와 같은 치안 메


타데이터 분류체계 및 메타데이터 요소를 기술한다.

치안 메타데이터 분류체계는 공통코드체계, 사건신고접수, 사건수사분석, 사건입건송치


및 범죄환경요인을 포함하는 5가지 유형으로 구성된다.

(그림 II-1) 표준 치안 메타데이터 예시

23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부 록 III-1
(본 부록은 표준을 보충하기 위한 내용으로 표준의 일부는 아님)

지식재산권 확약서 정보

아래에 기재된 지식재산권 확약서 이외에도 본 표준이 발간된 후 접수된 확약서가 있을 수


있으니, TTA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사항 없음.

24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부 록 III-2
(본 부록은 표준을 보충하기 위한 내용으로 표준의 일부는 아님)

시험인증 관련 사항

해당 사항 없음.

25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부 록 III-3
(본 부록은 표준을 보충하기 위한 내용으로 표준의 일부는 아님)

본 표준의 연계(family) 표준

해당 사항 없음.

26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부 록 III-4
(본 부록은 표준을 보충하기 위한 내용으로 표준의 일부는 아님)

참고 문헌

아래 기재된 참고 문헌의 발간일이 기재된 경우, 해당 표준(문서)의 해당 버전에 대해서만 유


효하며, 연도를 표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표준(권고)의 최신 버전을 따른다.

해당 사항 없음.

27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부 록 III-5
(본 부록은 표준을 보충하기 위한 내용으로 표준의 일부는 아님)

영문표준 해설서

해당 사항 없음.

28 TTAK.KO-10.1282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

부 록 III-6
(본 부록은 표준을 보충하기 위한 내용으로 표준의 일부는 아님)

표준의 이력

판수 채택일 표준번호 내용 담당 위원회

제정 PG606
제 1판 2021.06.30 - (메타데이터
TTAK.KO-10.1282 프로젝트그룹)

29 TTAK.KO-10.1282

You might also like